You are on page 1of 1

[한국가스학회 2020년도 통합 학술대회 논문집]

수소충전소용 type 1 대형수소 저장 용기 개발

윤별희, 한원국, 김정환, 길성희, 김영규


한국가스안전공사

Development of high capacity hydrogen storage tank for


hydrogen stations
Byeolhee Yoon, Wonguk Han, Jeong Hwan Kim Seonghee Kil and Young Gyu
Kim
Kor ea Gas Sa fety Cor por ation

요 약
2019년 정부에서 발표한 ‘수소경제 활성화로드맵에 따르면 2022년까지 수소전기

차 67,000대, 2040년까지 290만대를 국내보급목표로 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수소


충전소도 지속적으로 구축하고자 한다. 수소충전소는 핵심 설비는 수소압축기, (고압
/중압)수소저장용기, 제어패널, 수소충전기(디스펜서)로 구성되며 이들 설비는 대부분

일본, 미국, 이탈리아 등에서 수입되고 있다. 수소전기차 보급에 핵심적인 수소충전
소 구축을 위해서는 핵심 설비의 국산화가 필수적이다.
일반적으로 단조강 등과 같은 소재는 내부결함이 매우 적으나 고압 기체에 의한
피로응력을 받고 있는 압력용기의 경우 내부에서 균열이 발생하고 폭발할 수 있는
위험이 상존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지난해 강릉에서 발생한 수소탱크 폭발 사고와
같이 고압용기의 잠재적 폭발 가능성으로 인한 국민들이 공포감은 수소충전소 등의
관련 인프라 구축에 매우 큰 심리적 방해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수소 압력용기는 크게 monoblock 방식과 wire wound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이 중 wire wound 방식은 monoblock과 유사한 전체중량을 보유하더라도 매우 우
수한 내압특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압력용기가 최고압을 받는 경우에도 steel liner
의 모든 부분이 압축응력 하에 놓이도록 함으로써 균열을 방지하고, 내부에 존재하
는 미세결함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압력용기의 폭발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단조재 금속라이너의 외부에 강선을 적층하여 감아서 제작함으로써
대용량의 수소 압력용기 제작에 유리하고 폭발가능성을 원칙적으로 방지한 steel
wire-wound 시제품을 개발하고 해당 제품의 상용화 실현을 위한 규격 인증을 통해

수소충전소 설비의 국산화 및 인프라 구축을 이루고자 한다.

- 106 -

www.dbpia.co.kr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