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8

20111 유예영

내일 지구
과학교사 김추령의 기후위기 이야기
1 책 내용 소개


2 인상 깊은 부분

차례 3 책 속 지구과학 개념 소개

4 신재생에너지에 대해

5 활동을 하며 느낀 점
책 내일 지구는
저자는 고등학교 에서 지구과학을 가르치는 선생님으로 현재 지구의
생명체를 위협하는 기후 위기에 대 한 과학적 설명을 담은 책이다.

기후위기에 관한 이야기가 끝없이 쏟아져 나오는 데도 저자가 이 책을


낸 이유는 상황의 급박함과는 달리 학교 현장에서 기후위기를 제대로
이해하기 위 한 노력이 더디기만 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책 내일지구는 되먹임, 급변점, 탄소예산 등 3개의 열쇠말로 복잡하고


도 급박한 기후위기 현상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오늘을 사는 우리가 내일의 지구에게 무엇을 할 것인지에 대해 선언적


인 다짐을 요구하는게 아니라 지구의 땅, 대기, 거대 해양과 생명체들
이 어떻게 얽혀있는지, 그 얽힘 중 기후변화로 인한 변곡점을 향하는
속도는 어떻게 빨라지는 지를 보여줌으로써 읽는 이의 마음을 급하게
하는 책이다.
인상 깊은 구절
"오늘의 우리가 내일의 지구를 결정한다.

오늘, 이미 내일이 결정지어진 행성 지구는 기후위기라는 언덕의 꼭


대기로 쫓기고 있다. 언덕의 꼭대기에서 자칫 한순간에 아래로 곤두
박질칠 수도 있다.

추락하는 지구 행성은, 2020년 우리가 경험 했던 위기가 일상이 되


는 세상일 것이다.

지금 우리에게는 사명처럼 주어진 일이 있 다. 지구 행성을 급변점의


언덕 꼭대기로 올라가지 않게 하는 일이다. 과학을 방편으로 식물과
동물 그리고 모든 무생물을 포함한 우리 이웃의 얼굴을 바라보자. 제
대로 바라 보는 순간 우리의 실천은 이미 시작된 것이다."
판게아의 붕괴
판게아의 분리는 대략 2억 년 전 즉, 트라이아스기에서 쥐라기로 넘어가는
시기에 본격적으로 나타나게 되었다. 현재의 유라시아+북아메리카 판으로
발달하게 되는 로라시아 대륙과 그 외의 다른 대륙 지각들이 뭉쳐진 곤드와
나의 두 대륙으로 분리된 것을 시작으로, 이 두 대륙이 조각조각 나뉘면서

책 내일지구의 현재의 대륙이 되었다.

지구과학 개념 엘니뇨
동ㆍ서태평양 사이의 기압 차가 발생하면 무역풍을 약화시키고 대기의 변화와 해
류의 방향을 바꾸며, 바다 표면 온도를 변화시킨다고 한다. 광활한 태평양 적도상
의 해양과 대기의 관계는 매우 밀접하여, 어느 한쪽의 변화는 다른 한쪽에도 영향
을 준다. 따라서 어느 한쪽의 바람이 약해진다든가 동서 간의 수온차가 생기면 연
쇄 반응으로 다른 쪽의 대기와 해양이 변화를 일으켜 엘니뇨 현상이 발생한다.
신+재생 에너지

한국전력기술은 기후변화, 에너지 안보, 수요관리 등 에너지 분야의 주요 현안에 대응하여 신재생에너지 사업을 활발하
게 전개하고 있고 ESCO 전문기업으로서 각종 에너지 시설에 대한 성능개선, 설비교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대규모 태양광발전 EPCM기술 풍력발전 EPCM 기술 연료전지발전


•300MW 안좌도 솔라팜
타당성 자문 수행 중
EPC 사업수행 중
•100MW 제주한림해상풍력

•20MW 함안모로연료전지발전 EPC 수행중



•다수의 태양광발전 설계용역 수행 •다수의 설계 및 타당성, •인허가, 타당성조사(재무분석 포함)



기술개발과제 수행


•최적배치, 열수요 계산 등
기술성 및 경제성 분석
•기술력과 사업 경쟁력 확보로 국내·외 사업 진출 •국제수준 기술력 확보로 지속적 기술고도화
기술 보유

생명체들에게는 비극일 이 지구의 조화와 지표상의 기온과 바다의 온도 상승으로


균형 찾기에 대한 책임은 기후위기를 일 인한 생태계의 변화 가뭄, 폭풍, 홍수, 냉
으킨 우리에게 있다. 바다와 대기, 숲과 해, 대형 산불 등 기상 관련 재해의 증가,
또 코로나19와 같은 전염병의 발생은 지
땅, 인간과 동물이 공생하는 지구의 내일
구가 회복하고 싶 다는 신호 아닐까?

활동하며
은 우리가 지켜나가야 하는 것이라 느꼈

다.

느낀점
우리나라가 신재생에너지를위하여 어 엘니뇨가 일으키는 기상 이변, 빙하 소멸등
떤 노력을 하고 있고 어떤 것이 있으며 이 모든 위험들이 우리가 내뿜은 이산화탄
어떤 원리인지 찾아보며 이해하는 유익 소 때문인데, 이에 어떤 대비를 해야 하는
한 시간이었다 우리나라의 기후위기를 지 설명한다. 기후위기의 과학적 사실을 알
게 하고, 인류가 저지른 위기에 대한 책임
위한 노력을 더 알고싶다.
의식을 가지게 하는 시간이었다.

감사합니다!
20111 유예영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