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4

토론 주제 : 원전을 폐지해야 한다

(반대)
1. 원자력 발전은 경제적인가?
① 현재 상황
-에너지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석유나 석탄 같은 화석 연료는
고갈되어 가고 있으나, 대체 에너지 개발은 더디고 효율성이 낮다.
→에너지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가장 현실적인 대안은 원자력 발전
② 원자력 발전의 장단점
-단점:초기 투자비용이 다소 비쌈.
-장점:장기적으로 볼 때 운영비용이 매우 싸서 경제적
원료인 우라늄은 석유나 천연가스에 비해 싸고 적은 연료로 많은 전력 생산 가능

ñ 2019년 동아일보

ñ 우리나라 연도별 전력소비량 현황(단위 : GWh)


2. 원자력 발전은 환경친화적인가?
① 현재 상황
- 화석 연료의 사용(→온실가스 배출) → 지구온난화의 주원인
- 원자력 발전
: 우라늄을 원료로 하는 원자력 발전에서는 오염물질이 거의 배출되지 않음
(CO2 배출량을 비교해보아도, 풍력 발전과 비슷)

방사능 폐기물의 처리 방식에는


다양한 종류가 있고, 이미 방사
능 폐기물 종류에 따라 그에 맞
는 처리 방식이 시스템화되어 있
다. 그리고 앞으로 폐기물 처리
기술도 점차 발전할 것이다.
② 다른 에너지원도 친환경적인가?
-태양광
능선 꼭대기 비탈 가리지 않고 마구잡이로 산 깎아 환경 훼손
→ 산림청에 따르면 지난해 태양광 발전소 건설로 사라진 숲은 2,443만㎡로 축구장 3,300개
넓이에 달한다. 허가 면적으로 보면 2010년 30㏊에서 2017년 말에는 1,434㏊로 47배
이상 늘었다.
-수력발전
연료비 측면에서도 매우 적게 들어가기 때문에 발전생산원가가 매우 저렴한 신재생에너지라
고 볼 수 있습니다. 반면 단점은 댐 건설의 초기 비용, 지형, 수량, 낙차 등이 단점으로 꼽힙
니다. 상당 부분의 지형을 침수시켜야 하는 문제점도 있어 생태계나 마을 자체를 손상시킬
수 있습니다.
③ 재생에너지가 탈원전의 대안이 될 수 있는가?
-재생에너지의 단점 : 환경에 따라 에너지를 24시간 안정적으로 생산 X (간헐성 ↓) + 낮은 에너지밀도
우리에게는 이미 지난 2020년 7월과 8월 장마기간에 50일내내 비가 오고 흐려 태양광 발전이 무용
지물이 됐던 경험이 있다.
-단점 극복 대안 - 생산된 전기를 저장하는 수단이 필요
→ 수소 전지나 리튬 전지 등의 사용은 현실적으로 이루어지기 어려움
→ 화력이나 원자력처럼 24시간 전기를 생산할 수 있는 에너지원에 의존할 수밖에 없음
(실제로 탈원전을 선택한 나라의 화석연료 의존도는 가스 의존도가 증가하면서 줄지 않고 있다
ex)국가별 탄소발자국을 보면, 탈원전을 선택한 독일이 원전중심인 프랑스의 10배)
3. 탈원전 시 전기요금이 폭등할까?
① 탈원전 시의 대체 에너지
탈원전 정책으로 원전 가동을 줄이게 될 경우 이를 대체할 전력으로 상대적으로 발전 단가
가 비싼 석탄이나, LNG가스를 사용해야 함
→ 원자력 비중을 줄일수록, 석탄, 천연가스 사용이 증가하여 한전 수익 적자에 한몫했고
총 발전비용이 현재보다 훨씬 높아지고 이 때문에 전기요금이 오를 것 (2018년 한전 자료
에 따르면 원자력의 비중은 23%로 2016년에 비해 7%p 하락)
② 우리나라 에너지원별 전력 비중
한국전력(한전) 자료에 따르면 에너지원별 전력비중(2016년 기준)은 석탄이 40.6%, 원자력
30.3%, 액화천연가스(LNG) 22%, 신재생 3.8%, 석유 2.6%를 차지했다.

4. 원자력 발전은 위험한가?


① 주요 원전 사고와 발생 원인
(1) 미국 Three-Mile Island 발전소 사고 (1979)
- 우리나라 원전과 유사한 가압경수형 원전
- 기술적 미비 및 운전원 교육 부실
- 방사성물질이 소량 누출되어, 주민 평균 약 0.1 mSv 피폭 (흉부 X선 1회 촬영)
- 원자로와 원자로 건물은 손상되지 않음
(2) 소련의 체르노빌 원전사고 (1986)
- 설계 결함(민군 겸용 원전) 및 규정 위반 운전
- 사고직후 31명 사망, 수천 명 수명 단축 피해
(3)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 (2011)
- 극한적 천재지변(초대형 쓰나미)에 대비한 대응수단 미비
- 쓰나미 위험성에 대한 경고에도 불구하고 대응 및 규제 미흡 & 인적 재해
- 방사선으로 인한 직접적인 사상자는 없으나, 광범위한 환경오염으로 인해 사고 초기
약 14만 명이 소개되어 막대한 피해를 입었음
② 일본 오나가와 원전(동일본 대지진 진앙지에서 가장 가까움): 후쿠시마 원전 보다 더 큰
지진과 쓰나미를 맞았으나 안전하게 유지됨. 주민들이 발전소 강당으로 대피함
③ 원전 "설계기준지진" 초과 지진 사례 원전이 운영된 60 여년(누적 가동년수 18,600년)간
설계기준을 초과하는 지진은 몇 차례 있었으나, 지진이 직접 원인이 된 사고는 단 한 건도
없었음 원전은 지진에 대해 매우 안전함.
④ 심층 방어를 위한 안전계통 구비: 부품 고장, 파손, 오작동, 외부 및 자연 재해(지진, 태
풍, 쓰나미, 폭우, 혹한, 혹서 등)에 의한 손상이 발생해도 원자로를 안전하게 정지하고, 핵연
료를 냉각하며, 다중 방벽을 지킴
⑤ 안전계통 설계 원칙:
-다중성: 중요한 안전 기능을 가진 모든 설비는 2개 이상 중복해서 설치
안전설비를 중복해서 설치하는 까닭 : 한 설비가 제대로 작동하지 못하더라도 다른 설비에
의해 피해를 최소화하고 안전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독립성: 중요한 설비가 한곳에 몰려 있지 않도록 분산 설치하며,
각각이 독립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원칙. 원자력 발전소의 경우, 각 호기별로 중요한
안전설비가 독립적으로 설치되도록 함 (예를 들면 비상디젤발전기나 수소 제거 설비 등은 한 곳
이 아니라 매 호기마다 설치되어야 하는 것이 원칙)
-다양성: 설계의 다양성이란 중요한 설비들의 작동 원리를 다양하게 구성.
한 가지 원인에 의해 모든 설비가 중단되지 않도록 막을 수 있음.
(ex) 원자력 발전소에 전력공급이 중단되는 사고가 발생할 경우를 대비하여 모터 구동 펌프 대신 터
빈의 힘으로 돌아가는 터빈 구동 펌프 등도 함께 마련되는 것)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