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5

태양광 에너지

태양전지부터 태양광 전기
자동차까지

5 조 – 김준모 , 임상현 , 정은수 , 조찬영


목차
• 서론 – 신재생 에너지
• 본론
1. 태양광 에너지의 장점
2. 태양광 발전의 생산 방식 ( 원리 )
3. 태양광 발전 배전계통에서의 문제점 ( 덕커브 현상 )
4. 태양광 발전 수용성 향상을 위한 해결방안
• 결론
신재생 에너지
• 신재생 에너지란 ?
기존의 화석 변환 시켜 이용하거나 재생 가능한 에너지를 변환 시켜 이용하는 에너지

• 신재생 에너지 개발의 중요성


1. 화석연료의 고갈과 지구 온난화 급속화
2. 전세계적인 노력 : 파리기후협약 채택 , 탄소 중립 선언

• 태양광 에너지
태양에서 발산되는 빛과 열을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방식
태양광 에너지의 장점
1. 친환경적이다 .
2. 수명이 길다 .
3. 유지보수 비용이 크게 들지
않는다 .
4. 분산 에너지 생산 시스템으로
사용 가능하다 .
중앙 전력그리드에 대한
의존성을 낮춤 전력공급의 안정성
태양광 발전의 생산 방식
태양광 발전의
생산 방식 :
태양광 전지

• 셀당 출력전압 : 대략 0.5V

• 출력전압
셀 직렬 연결

• 용량
셀 병렬 연결

• 전력 생산 담당
태양광 발전의 • Power conditioning system

생산 방식 : PCS • 전력 전환 담당
태양광 발전 – 배전계통에서의 문제점 : 덕커브 현상

• 낮에 순부하 (Net load) 가 급감

• 낮에 배전계통에서 고전압발생
 블랙아웃 현상
해결책 1
ESS
• 과전압 발생 시간대
전기 저장

• 다른 시간대에 방전

• 한계 : 잦은 화재
해결책 2
출력제한
• 과전압 발생시 태양광
발전을 계통에서 독립

• 한계 : 사업자의 경제적
이익 감소
해결책 3
계통강화
• 오래된 선로를 더 높은
용량의 선로로 교체

• 한계 : 비용적 부담 큼
결론 – VPP
• 정의 : 다양한 유형의
DER(Distributed Energy
Resource) 을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ies) 를 이용하여
통합 운영
 중앙급전발전기의 효과
+ 전력 거래 가능
결론 - VPP
성공적인 VPP 도입의 필요

Vpp 는 대규모 설비 투자 없이 현존하는 발전기와 수요 반응 프로그램 활용

 소비자의 부하 변화에 실시간으로 대처

 더욱 더 친환경적이고 효율적인 전력 공급 가능
참고문헌
• KEPCO -
https://home.kepco.co.kr/kepco/SM/C/htmlView/SMCCHP001.do?menuCd=FN29030304

• 국제 신재생에너지 정책 변화 및 시장분석 [ 공지영 - 조일현 (2016, 에너지경제연구원 )]

• 네이버블로그 - https://blog.naver.com/lagrange0115/222461122962

• https://blog.hyundai-transys.com/377

• https://m.dongascience.com/news.php?idx=51850

• https://scienceon.kisti.re.kr/commons/util/originalView.do?cn=JAKO202116047159021&
oCn=JAKO202116047159021&dbt=JAKO&journal=NJOU00568343
감사합니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