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50

stlee@keti.re.

kr
1
Contents
I. 개요 및 현황
1. 친환경 모빌리티 개요
2. 친환경 모빌리티 현황

2
Ⅰ. 개요_친환경 모빌리티 개요

□ 친환경 미래형 모빌리티 및 자동차 발전방향

환경을 고려한 차량 안전한 차량 편리한 차량

1. 동력시스템의 전동화 (EV, FCEV, PHEV 등)


2. 차량 부품/모듈의 전장화
3. 친환경, 고편의, 안전 및 자율제어 고부가가치화

3
Ⅰ. 개요_친환경 모빌리티 개요

□ 특장차/상용차 미래 이동성 기술 및 발전방향

전동화, 커넥티비티, 자율주행, 모빌리티서비스 à 미래 이동성 강화

(1) 환경, 안전규제 대응방안


(2) 연료비, 유지비, 인건비 절감
(3) 축적 데이터로 향후 신사업 기회 창출

4
Ⅰ. 개요_친환경 모빌리티 개요

□ 친환경 모빌리티란 : 배터리 및 연료전지로 부터 전기에너지를 발생시켜


전기동력시스템(전기모터)의 구동력을 이용하는 차량

넓은 의미의 전기자동차 (xEV)


- 전기에너지를 사용하는 자동차

수소연료전지 자동차 (FCEV) 순수 전기자동차 (EV)


- 수소와 전기를 사용하는 자동차 - 전기에너지만 사용하는 자동차
- 연료전지&배터리를 통해 전기구동력을 발생 - 배터리에 저장된 전기에너지만 사용하는 자동차(BEV)

5
Ⅰ. 개요_친환경 모빌리티 개요

□ 친환경 모빌리티 (전기·수소자동차) 구성

< 출처 : 한국에너지관리공단 http://tips.energy.or.kr/commonsystem/commonsystem_view_02.do?code_num=MS&ch_code_num=MS02 >

6
Ⅰ. 개요_친환경 모빌리티 개요

□ 전기자동차 시스템 구성

7
Ⅰ. 개요_친환경 모빌리티 개요

□ 전기자동차 기능별 핵심 전장부품

8
Ⅰ. 개요_친환경 모빌리티 개요

□ 수소연료전지 자동차 시스템 구성

9
Ⅰ. 개요_친환경 모빌리티 개요

□ 수소연료전지 자동차 기능별 핵심 전장부품

- 스택장치 : 전해질막, 촉매 분리판등으로 구성된 단위 연료전지가


여러 개 적층된 형태 (전기에너지 발생)
- 운전장치 : 스택에 수소, 공기를 공급하고 열관리를 하는 장치
(안전 운용 제어)
- 전장장치 : 스택에서 생성된 전기를 변환하는 장치
& 전기구동 모터로 구성 (전기 구동력 발생)
- 저장장치 : 고압수소를 저장하고 공급하는 장치와 안전장치로
구성됨 (수소 저장)

10
Ⅰ. 개요_친환경 모빌리티 현황

□ 전기자동차 국외 시장 동향 출처 : Global EV outlook 2019

2018년도 글로벌 전기차

보급대수 약 510만대 규모
중국이 글로벌 시장의 약
45%를 차지

Global EV Outlook

두가지 시나리오에 따라

2030년 전기차 시장을 전망

신정책 2030 : 1억3천만대

EV30@30 : 2억2천8백만대

전기차 충전 공공 충전기 수는 2017년 기준 미국 45,868기, 중국 213,903기, 일본 28,834기,


그 외 EU국가인 독일과 프랑스는 40,267기가 설치되어 운용

11
Ⅰ. 개요_친환경 모빌리티 현황

□ 전기자동차 국내 시장 동향 출처 : 산업통상자원부 보도자료 및 2019년 친환경차 보급정책 설명회

2018년 전기차 보급 판매량 29,632대,


2011년부터 총 누적대수 55,225대를
보급하였으며, 2019년에 42,000대를
보급 판매할 예정

2022년 총 누적대수 43만대 목표

2018년 12월 기준 전기차 공공 급속충전기


는 환경부의 공공 급속충전기 1,703기와 한
전 등 타기관 공공 급속충전기 2,155기로
총 3,858기가 누적 설치되었으며, 2019년에
급속충전기 1,200기, 완속충전기 12,000기
를 추가 설치 예정

12
Ⅰ. 개요_친환경 모빌리티 현황

□ 전기·수소 자동차 국내 보급정책 목표

출처 : 환경부, 저공해자동차 보급 정책 방향 & KETEP, 전기자동차 산업현황 및 주요이슈 2019년 05월

13
II. 기술개발 동향
1. 친환경 모빌리티 전장부품 개요
2. 친환경 모빌리티 전장부품 기술개발 동향
3. 친환경 모빌리티 시스템 및 기술 로드맵

14
Ⅱ. 기술개발 동향_ 1. 친환경 모빌리티 전장부품 개요

□ 친환경 모빌리티 전장부품의 정의

친환경 모빌리티의 전력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운용하기 위한 핵심부품들로서


배터리/연료전지의 전력에너지로부터 구동력을 발생하기 위한 전기구동시스템,
차량내 고전압, 대전류 범위에서 안정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변환기 부품과
효율적 전력전달을 위한 고전압 케이블 및 기타 부품으로 지칭할 수 있으며
전기 구동력을 발생하기 위한 친환경 모빌리티(전기차/수소차) 전장부품이라 정의.

15
Ⅱ. 기술개발 동향_ 1. 친환경 모빌리티 전장부품 개요

□ 전기·수소자동차 전장부품, 전력변환장치 및 고전압 부품


Motor & MCU : 차량의 기계적 구동력을 발생하기 위한 모터와 동력을 제어하는 인버터
OBC : 외부 계통 전원을 이용한 배터리 충전 및 전원공급용 AC/DC 컨버터
LDC : 전기차내 전장품의 전원공급을 위한 강압형 DC/DC 컨버터
HDC : 배터리 전압보다 높은 전압이 요구되는 시스템을 위한 승압형 DC/DC 컨버터
고전압 전장부품 : 파워릴레이, 고전압케이블, Inlet, Connector등 고전압 체계 전장부품
- Motor & MCU : Motor 와 Motor Control Unit
- 차량의 전기구동력 및 운전을 위한 핵심 동력 모듈임. 용량 60~100 kW급임.
- 차량의 성능에 가장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핵심 전장부품임. OBC, LDC등과 통합화 추세

- OBC : On-Board Charger (AC-DC Conversion)


- 차량에 탑재되며 고전압 배터리를 충전, 용량 1~6.6kW급임.
- 배터리 용량 증대에 따라 점차 증가추세이며 인버터등 다른 변환장치와 통합화 추세
- V2G등을 고려한 양방향 구성 가능

- LDC : High Voltage to Low Voltage DC-DC Converter (Isolated)


- 12V or 24V 차량 전장부하를 위함
- 안전을 위해 1차측/2차측 절연이 필요

- HDC : High Voltage DC-DC Converter (Non-Isolated)


- 모터 및 인버터의 운용전압 상승으로, 고효율 및 시스템 소형/경량화 달성에 사용
- 용량 50~100kW급의 전기구동시스템에 적용 (연료전지차, 하이브리드차)

- 고전압 부품류 : 고전압 PRA(Power Relay Assembly), 케이블, 센서류등


- 전장부품에 있어서 고전압화 (400V à 1kV), 대전류화, 경량화, 저가격화
- 센서등 고성능화 필수, 요구사항 만족을 위해 핵심 소재 개발 대두

16
Ⅱ. 기술개발 동향_ 1. 친환경 모빌리티 전장부품 개요

□ 전기·수소자동차 전장부품 중점기술

저가격

경량화

고밀도

전력변환 기술 수동소자 고밀도화 기술 방열 및 모듈화 기술 소재 및 반도체 기술 고신뢰성 기술

17
Ⅱ. 기술개발 동향_ 1. 친환경 모빌리티 전장부품 개요

□ 전장부품, 전력변환장치 및 인터페이스 부품 기술 수준

전력변환기 설계 및 장착기술 국가별 수준 완속 충전기술 부분 국가별 수준

급속충전기술 부분 국가별 수준 충전인터페이스 설계 및 제작 수준

18
Ⅱ. 기술개발 동향_ 2. 친환경 모빌리티 전장부품 기술개발 동향

□ 전기·수소자동차 전장부품 기술개발 트랜드


- 고전력밀도, 일체화, 모듈화 및 통합화 기술

- 고신뢰성

- 차량 인터페이스 표준화 및 지능화 구현

19
Ⅱ. 기술개발 동향_ 2. 친환경 모빌리티 전장부품 기술개발 동향

□ 전기·수소자동차 전장부품 (Motor & MCU) 기술 현황

- Motor & MCU 기술 개요


전기자동차의 전기 구동력을 발생하기 위한 전장 부품임.
(승용 60~100kW, 상용/트럭 100~ 150kW, 버스 100~250kW)

20
Ⅱ. 기술개발 동향_ 2. 친환경 모빌리티 전장부품 기술개발 동향

□ 전기·수소자동차 전장부품 (Motor & MCU) 기술 현황


- Motor & MCU 기술 동향
1) 모터 및 제어기의 경우 차량의 성능 증대요구로 용량이 증가 되고 있는 추세임.
2) Tesla의 고출력 고효율 유도전동기 모터 적용하였고 회전자 냉각구조 개발로
출력밀도 (2.6kW/kg) 및 효율을 향상시킴. 최근 고효율화의 요구로 Model-3
차량에 영구 자석형 전동기를 채용하였음.
3) GM의 Volt 차량 Voltec 파워트레인의 경우 기존 대비 12%의 효율을 개선하였고
모터&모터제어기 각부의 일체화를 통해 고출력 밀도 12.9kW/L를 달성함.
4) Nissan 1충전 주행거리 개선을 위한 구동시스템 중량 저감 기술을 개발하였음.
전동기의 형상 최적화로 토크 밀도 (1.5kW/kg)를 높이고자 하였고 경량화를 위한
다양한 기술을 적용함. 뿐만 아니라 NVH(noise, Vibration, Harshness) 저감을
위한 차량 시스템과 연계된 기술개발 추진함.
5) Toyota Prius는 기존 보다 회전수 20% 증가 (13,900 à 17,000rpm) 인버터 중량
12% 저감을 통해 구동시스템의 경량화 실현
6) BOSCH는 구동시스템의 부피를 최소화 하기 위해 인버터와 컨버터를 일체화 함.
7) 고밀도, 고신뢰성 MCU를 위해 WBG 전력모듈을 적용 고밀도화, 고성능화를 위한
기술개발을 주요 회사에서 추진
8) 고출력 특성 위해 Hyundai FC모터 (100à120kW) 동력을 높이고 있는 추세임.

21
Ⅱ. 기술개발 동향_ 2. 친환경 모빌리티 전장부품 기술개발 동향

□ 전기자동차 전장 부품 (OBC) 기술 현황

- OBC (On Board Charger) 기술 개요


전기자동차 배터리의 완속 충전을 위해 차량에 탑재된 충전기임.
(NEV 1~3.3kW, BEV 3.3kW or 6.6kW 및 대용량화)

22
Ⅱ. 기술개발 동향_ 2. 친환경 모빌리티 전장부품 기술개발 동향

□ 전기자동차 전장 부품 (OBC) 기술 현황

- OBC (On Board Charger) 기술 동향


1) OBC의 경우 3.3kW 에서 6.6kW로 용량이 증가 되고 있는 추세임.
2) GM사에 OEM 공급하는 Delta Electronics 제품은 3.6kW로 최대 96.5%의 효율임.
3) 점차 배터리 대용량화 추세로 10kW이상의 탑재형 충전기도 개발 추진중임.
4) Volvo의 경우 22kW, Renault의 경우 43kW 대용량화된 탑재형 충전기로서
AC 3상 입력 전원을 직접 공급받아 대용량의 충전기로 개발하여 차량에 적용중임.
5) V2G(Vehicle to Grid) 기술에 적용하기 위해 양방향 전력변환이 가능한 탑재형
충전기도 개발이 추진 중에 있음.
6) 차량 내 인버터, LDC등과 회로를 결합하여 통합화한 전력모듈 개발과 더불어
차세대 반도체 소자(SiC, GaN)를 적용한 전력변환기 기술개발을 추진 중에 있음.

< OBC 통합화 > < OBC 대용량화 > < SiC 전력반도체 적용 도요타 6kW급 OBC >

23
Ⅱ. 기술개발 동향_ 2. 친환경 모빌리티 전장부품 기술개발 동향

□ 전기자동차 전장 부품 (OBC) 기술 현황

- OBC (On Board Charger) 기술

24
Ⅱ. 기술개발 동향_ 2. 친환경 모빌리티 전장부품 기술개발 동향

□ 전기자동차 전장 부품 (OBC) 기술 현황

- OBC (On Board Charger) 기술


OBC 제품 사양 (예시:Brusa), 기술적 요구사항

25
Ⅱ. 기술개발 동향_ 2. 친환경 모빌리티 전장부품 기술개발 동향

□ 전기·수소자동차 전장 부품 (LDC) 기술 현황

- LDC (Low Voltage DC/DC Converter) 기술 개요


전기자동차 차량 내부 전장품 전원 (24V or 12V) 공급용 전력변환기.
(승용 1~2kW, 상용차량 3kW급 버스 5kW급)

26
Ⅱ. 기술개발 동향_ 2. 친환경 모빌리티 전장부품 기술개발 동향

□ 전기·수소자동차 전장 부품 (LDC) 기술 현황

- LDC (Low Voltage DC/DC Converter) 기술 동향


1) LDC는 차량내 12V or 24V 전장부하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컨버터로서 차량부하
증가에 따라 대용량화 추세로 1kW급에서 3~5kW급 까지도 증대 추세임.
2) BMW I8(2015)의 경우 3kW로 제어방식은 종전 아날로그에서 디지털화 되어짐.
3) 고효율화 요구에 따라 회로연구와 더불어 OBC와 마찬가지로 통합모듈화, 차세대
반도체 소자의 적용 검토가 다수 추진중임.
4) 차량내부의 전원을 공급하는 측면에서 핵심적인 부품이며 고효율화, 고신뢰성
요구되는 핵심적 부품임. 안정된 전원공급 측면에서 병렬, 모듈화 측면의 기술도
검토가 이루어지고 있음.

< LDC 대용량화 > < 병렬화, 모듈화 > < LDC 및 OBC 통합화 >

27
Ⅱ. 기술개발 동향_ 2. 친환경 모빌리티 전장부품 기술개발 동향

□ 전기·수소자동차 전장 부품 (LDC) 기술 현황

- LDC (Low Voltage DC/DC Converter) 기술


LDC 제품사양 (예시:Denso), 기술적 요구사항

28
Ⅱ. 기술개발 동향_ 2. 친환경 모빌리티 전장부품 기술개발 동향

□ 전기·수소자동차 전장 부품 (HDC) 기술 현황
- HDC (High Voltage DC/DC Converter) 기술 개요
1) 전기자동차 구동시스템의 안정된 고전압 전원공급을 위한 전력변환기.
2) xEV 차량 (ex 하이브리드, 연료전지)에 주로 적용, Main 배터리 전압을 승압하여
시스템의 고효율, 고밀도 효과 달성

- HDC (High Voltage DC/DC Converter) 기술 동향


1) 배터리 전압의 승압을 통해 인버터 및 모터의 효율 상승을 위한 비절연 양방향
DC/DC 컨버터가 사용되고 있음. (300V급à 600V급 이상)
2) 최근 전기자동차 HDC 컨버터의 적용은 감소추세이며 주로 연료전지, 하이브리드
자동차에 다수 적용 추세임.
3) NEXO 수소전지 자동차의 경우 HDC 및 LDC를 통합화 하여 시스템 구현.

29
Ⅱ. 기술개발 동향_ 2. 친환경 모빌리티 전장부품 기술개발 동향

□ 전기·수소자동차 전장 부품 기술 현황

- 고전압 케이블 및 커넥터


1) 고전압 케이블은 전기자동차용 고전압 하네스를 구성하는 전선으로 피복사이에
비차폐/차폐 구조가 적용되어 고전압 인가 시 발생되는 노이즈가 외부 장치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설계가 이루어짐.
2) 차량 내 배터리 용량증대, 충전시간 단축에 대한 요구로 대전류, 대용량화 추세임
(사용온도 125~200℃, 정격전압 600V, 100A, 50kW급 à 1kV, 400A, 350kW급)

- PRA (Power Relay Assembly)


1) PRA는 전기차에 있어서 고전압 전력의 차단을 위한 핵심적 부품으로 국내의 경우
최대 1,000VDC, 400A급 제품을 출시함.
2) 전기차에 있어서 대용량화의 요구로 해외 선진업체는 1000VDC, 1000A급 PRA를
개발 완료함.

< 고전압 케이블 및 커넥터 > < Power Relay Assembly >

30
Ⅱ. 기술개발 동향_ 3. 친환경 모빌리티 시스템 및 로드맵

□ 제3차 환경친화자동차 개발 및 보급 기본계획 (2016~2020) 발표

◈ 전력기반 자동차 보급 활성화 추진 방안

추진 과제 세부 추진과제

Ø 전기차 성능 2.5배 향상
I. 경쟁력 있는차량 개발 Ø 수소차 가격 40% 저감
Ø 저가형 하이브리드차 모델 다양화

II. 저비용․고효율인프라 Ø 전기차 충전시설 확대 및 충전형태 다양화


구축 Ø 중점 보급도시 중심 수소충전소 구축

Ø 보조급 및 세제지원을 통한 구매부담 경감


III.친환경차 활용사회 Ø 적정 과금체계 확립으로 운영 안전성 확보
기반 조성 Ø 친환경차 이용 혜택 강화
Ø 보급 확대를 위한 법․제도 개선

31
Ⅱ. 기술개발 동향_ 3. 친환경 모빌리티 시스템 및 로드맵

□ 전기자동차 보급활성화를 위한 전기차 포럼 : 기술기획 및 로드맵 수립


전기자동차 보급 확산을 및 시장확대를 위해서는 아래와 같은 기술적
난점 및 이슈를 해결할 수 있는 기술개발이 시급히 필요한 시점임.

- 전기자동차 (1)구동시스템, (2)고전압 부품, (3)공조 시스템, (4) 2차전지,


(5)소재경량화, (6)충전인프라에 대하여 기술기획 및 로드맵 수립함.

32
Ⅱ. 기술개발 동향_ 3. 친환경 모빌리티 시스템 및 로드맵

□ 제3차 환경친화자동차 개발 및 보급 기본계획 발표

핵심부품 개발 기술 개발 목표 주행거리 증가

배터리 용량 27 → 60 kWh 220% 증가 160 ~ 180 km


배터리
배터리 균일성 향상 혹한․혹서기 편차 15%이내 -

전기구동 EV 모터 효율 출력밀도 10% 향상 15 km


시스템 회생제동 효율 향상 회생제동 효율 10% 향상 5 ~ 10 km

냉난방 혹한기 난방 에너지 5 → 1 kWh 5 ~ 10 km


시스템 혹서기 냉방 에너지 5 → 3.5 kWh 3 ~ 5 km

고전압부품 일체화 효율 10%, 경량화 25% 5 km


전력변환장치
고전압부품 열관리효율 0.1 kWh 이하 2 ~ 5 km
차체
전기자동차 경량화 15% 경량화 17 ~ 22 km
경량화
1충전 주행 가능 거리 증가 212 ~ 252 km

1충전 주행거리 (‘15년 148km, Soul EV 기준) 360 ~ 400 km

33
Ⅱ. 기술개발 동향_ 3. 친환경 모빌리티 시스템 및 로드맵

□ 전기자동차 기술 로드맵
- 전기차 보급활성화를 위한 전장 부품 측면의 기술기획 및 로드맵 수립
- 전장 부품분야 기술개발 기획방향은 전기차의 주요한 기술적 이슈인
충전시간, 주행거리, 차량가격 측면에 초점을 두고 기획방향을 수립함.

- 전기차용 전장부품 분야는 대용량화, 고효율화, 고밀도 통합모듈화,


고신뢰성 기술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임.
- 전기차용 케이블 및 기타전장부품 분야 또한 대용량, 고신뢰성, 안전성을
고려한 기술 개발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임.
34
Ⅱ. 기술개발 동향_ 3. 친환경 모빌리티 시스템 및 로드맵

전기자동차 R&D 방향

35
Ⅱ. 기술개발 동향_ 3. 친환경 모빌리티 시스템 및 로드맵

□ 전기자동차 기술 로드맵
- 전기자동차 기술 로드맵 (출처: 자동차 기술로드맵 공청회 2017년 12월 )

- 전기자동차 기술 로드맵 (출처: 자동차공학회 로드맵 발표회 2018년 03월 )

36
Ⅱ. 기술개발 동향_ 3. 친환경 모빌리티 시스템 및 로드맵

□ 전기·수소자동차 기술 로드맵
- 에너지기술개발 기술 로드맵 (출처: 제4차 에너지기술개발계획 기술로드맵 공청회 2019년 11월 )

37
Ⅱ. 기술개발 동향_ 3. 친환경 모빌리티 시스템 및 로드맵

□ 전기·수소자동차 기술 로드맵
- 에너지기술개발 기술 로드맵 (출처: 제4차 에너지기술개발계획 기술로드맵 공청회 2019년 11월 )

38
Ⅲ. 친환경 모빌리티 전장부품
현황과 전망

39
Ⅲ. 친환경 모빌리티 전장부품 현황과 전망

□ 자동차 산업과 국민 경제현황

- 자동차 산업은 대표적인 국가산업이자 수출산업


- 직접고용 31만명(전체제조업의 11.4%), 간접포함 177만명(전체 고용의 7.3%)

40
Ⅲ. 친환경 모빌리티 전장부품 현황과 전망

□ 자동차 부품산업 현황 및 위상
- 자동차 부품 산업은 완성차 의존형, 수직계열화 사업구조
- 국내제조업(출하액, 부가가치, 수출액, 고용)에서 2위 차지하는 국가기간산업

< 자동차 부품산업 기업규모별 비중(업체수) > < 완성차-부품사 수직계열화 >

< 국내 자동차 산업 (완성차+부품) 위상 >

41
Ⅲ. 친환경 모빌리티 전장부품 현황과 전망

□ 전기자동차 및 전장부품 시장과 사업방향


전기차 시장 à 신시장, 보조금 의존형, 생태계육성

- 장거리, 고편의 전기구동 자동차 (400km 주행거리)


- 제3세대 시장 자립형 전기자동차 (1세대 150~200km, 2세대 400km, 3세대 500km / 10분 충전)

42
Ⅲ. 친환경 모빌리티 전장부품 현황과 전망

□ 자동차 및 전기자동차 부품업체 벨류 체인 변화


- 부품업체는 수평구조 개발체계, 차량은 고부가가치 Needs 서비스 강화 추세.

< KOTRA, “자동차분야 신산업 동향 및 밸류체인 분석”, 2019.01 >

43
Ⅲ. 친환경 모빌리티 전장부품 현황과 전망

□ 수소자동차 업체 현황 및 전망
- 수소 전기차는 세계 최고 수준이나 관련 수소 생산에서 저장, 충전인프라와
유지관리 운영관련해서 단계별로 한계점이 존재함.

< 출처 : ECONOMY Chosun 2019.02.25 >

44
Ⅲ. 친환경 모빌리티 전장부품 현황과 전망

□ 수소자동차, 부품업체 현황 및 전망
- 수소 전기차는 부품업체는 기존 차량 Supply chain 업체,
충전소등 인프라는 관련 에너지 관련 업체로 아직 시장 초기단계로
다양한 활성화 정책이 필수적임.

45
Ⅳ. 결 론

46
Ⅳ. 결론
□ 자동차 시장의 경우 완성차 중심의 수직체계 구성을 가짐. 친환경 모빌리티의
대두로 전장부품, 배터리 및 고전압 부품등 새로운 패러다임변화와 기술개발
요구가 크게 증대되고 있는 실정임. 전장부품, 전력변환기의 경우
통합화, 모듈화, 고신뢰성이 핵심임.

□ 최근에 제4차 산업 혁명으로 전력기반의 자동차등의 전자, 전기 기술에 대한


이슈 증대와 더불어 완성차에서 벗어나 부품 및 기술보유 기업의 수평체계
구성으로 전환되고 있음.

□ 전자/전기 및 IoT/ICT 융합기술은 경쟁이 심화된 자동차 시장에서의 고부가가치


창출을 위한 핵심 요소기술 분야로 시급히 육성되어야 하는 기술분야임.

□ 전자/전기 분야의 기업형태는 유연한 산업분야이며, 융합이 용이함.


특히 자동차 산업의 경우 타 산업과 연계성이 높고 파급효과가 큼.
최근 친환경 모빌리티(전기수소차)의 경우 친환경 전기·수소차=자율차 라는
인식 대두, 친환경 에너지분야(ESS, V2G, P2G) 연계, 고부가가치 Needs, 서비스분야
수요가 증대될 것임.

□ 친환경 모빌리티로 전향 되면서 고부가가치 서비스 분야, 전기전자 전장부품


분야의 증대 될 것임. 더불어 에너지분야와 연관성이 매우 높으므로 에너지 신산업
융합 분야의 수요가 크게 증대 될 것임. 향수 지속적인 성장 발전을 위해서는
산업 경쟁력 강화 정책의 일관성 필요.

47
참조문헌

□ 참조 문헌

01. KOTRA, 자동차분야 신산업 동향 및 밸류체인 분석, 2019. 01


02. KETEP 테크포럼, 전기자동차 산업 현황 및 주요 이슈, 2019. 05
03. KETEP, 제4차 에너지기술개발계획 기술로드맵, 2019. 11
04. KSURE, 자동차 부품산업 국내외 동향 및 경쟁력 분석, 2018. 09
05. 자동차공학회, 자동차 기술 및 정책개발 로드맵 발표자료, 오토저널, 2018. 04
05. 중소기업정보진흥원, 중소기업 기술 로드맵 2018-2020 - 미래형자동차, 2017
06. 정진범, 전기자동차 충전인프라 기술개발동향, 2017
07. 이상택, 전기자동차용 고전압 전장부품의 최신기술동향, 오토저널, 2017. 08
08. 자동차공학회, 전기차보급 활성화를 위한 전기차포럼 운영 연구용역, 2016. 12
09. 한양대학교 산학연클러스터, xEV 전장품 기술동향, 2015. 09
10. 손영욱, 서재익, 전기자동차 시대에 대비한 R&D 전략, KEIT PD 보고서, 2014. 11
11. 전력전자학회, 그린카 전기동력 시스템 기술보고서, 2010

48
올 한해 바라시는바 잘되시길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Q & A - stlee@keti.re.kr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