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

1. 안녕하세요. 에너지환경기술 PBL 과제 발표를 맡은 3 조의 지우성입니다.

저희 조는 발표 주제로 “녹조현상”을 선정하였고, 이에 대하여 국내 상황과 그 해결 방안에


대해 조사할 예정입니다. 본 발표는 주제 선정 이유를 먼저 설명하고, 그 주제를 소개하는
순서로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2. 먼저 주제 선정 이유를 설명하기에 앞서 이해의 편의를 위해,

지난 5 주차 수업에서는 어떤 내용들을 배웠었는지 간단하게 리뷰하고 가도록 하겠습니다. 5


주차의 내용은 다음과 같이 크게 세 파트로 나뉩니다.

첫번째 파트에서는 생태계의 특징과/ 물질 및 에너지의 이동, 출입, 전환에 관여하는 여러


요소들에 대해 배웠습니다.

그리고 두번째 파트에서는 에너지의 출입, 이동, 전환이 물질의 순환과 연관되어 있고,
물질의 순환 과정에서 물질들이 다양한 형태로 저장됨을 배웠습니다.

마지막 파트에서는 이러한 물질의 순환들이 독립적으로 존재하지 않고,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서로에게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배웠습니다.

3. 이러한 물질의 순환들 중 질소순환과 인순환을 보면, 물질의 전환을 통해 그 과정에서


음전하를 띠는 질산염과 인산염이 생성됨을 볼 수 있습니다. 이 두 물질이 음전하를 띠기
때문에 주로 음전하를 띠는 토양 점토로부터 탈착되어 용액 속에서 이온 상태로 존재하게
됩니다.

이같은 특징은 두 물질이 식물에 뿌리를 통해 쉽게 유입되도록 하며, 그로 인해 식물 내부에


질소와 인이 유기물의 형태로 저장되고, 이렇게 저장된 유기물은 생명체의 생장에 필수적인
성분으로서 사용됩니다.

하지만 동시에 질소와 인이 용탈되어 수계로 유입되는 것이 또한 쉬워지게 되고, 이는


비점오염원인 농경지에서 사용되는 비료가 수계의 부영양화의 원인이 되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4. 이외에도 축산폐수, 생활하수 등에 다양한 요인에 의해 추가적으로 유기물이 수계에


유입되고, 영양염이 수계에 과잉 상태로 존재하는 부영양화가 발생하게 됩니다. 그 결과 수계
내 질소와 인의 비율이 상승하여 식물성 플랑크톤의 성장과 증식이 야기되고 우리가 흔히
말하는 녹조현상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는 물질의 순환에 인간의 개입하여 그 균형이 깨지게 되었음을 보여줍니다.

5. 녹조의 형성은 마이크로시스틴과 같은 독성물질의 생성을 동반하여 수질오염과 대기오염을


일으키고, 물 속의 용존산소를 소모합니다. 용존산소량의 감소는 수생 생물들이 살기 어려운
빈산소 수괴를 발생시킴으로써 생물체의 폐사 및 부패를 일으킵니다. 이는 수질 오염과
더불어 용존산소량이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악순환으로 이어지게 되고, 결과적으로 수계의
기능을 마비시킬 뿐만 아니라 탄소와 같은 다른 물질의 순환에도 악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따라서 저희 3 조는 이런 녹조현상과 그 국내상황에 대해 알아보고 녹조를 저감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조사할 예정입니다.

6. 다음은 앞서 언급한 질소순환과 부영양화를 그림으로 나타낸 모습입니다. 질소순환


과정에서 Runoff 와 Fixation 등을 통해 수계에 질소가 축적되고 이러한 영양분이 어떻게
녹조가 되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전세계적으로 녹조현상은 심각한 현상이지만 저희 조는
국내 상황에 좀 더 집중하였습니다.
7. 다음 사진들은 왼쪽부터 차례로 낙동강, 대청호, 금강의 녹조현상에 관한 사진입니다.
낙동강을 포함하여 사진상의 모든 하천들은 상수원이자 다양한 동식물의 터전이 되기에
녹조현상의 발생과 녹조로부터 야기되는 독성물질의 생성은 사람과 환경에 큰 위협이 되고
있습니다.

8. 앞서 원인을 설명하였듯이 녹조를 저감하기 위해서는 부영양화를 방지해야 하는데, 이는


사전대책, 공학적 처리, 생태공학적 처리로 크게 세가지 방법으로 나뉩니다. 각 방법에 대한
예시는 다음과 같으며 이에 대해 저희는 보다 심층적으로 조사하여 보고서를 작성할
예정입니다.

9. 감사합니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