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4

논문 리뷰

기후변화과학-최지선(23117006)

Syukuro Manabe (2019)


Role of greenhouse gas in climate change,
‘기후변화에 대한 온실가스의 역할’
Tellus A: Dynamic Meteorology and Oceanography

<요약>

1. 인트로
대기중 CO2같은 온실가스가 증가할 경우, 지표면뿐만 아니라 대류권(troposphere)의
온도도 증가함. 다만, 성층권(stratosphere) 온도는 줄어듬. 한편, 강우와 증발의 평균
속도가 빨라져 지구의 물 순환이 빨라짐.

지구 표면온도가 달궈지는데, 해양보다는 대륙쪽 온도가 더 많이 올라감. 북반구에서는


위도가 올라갈수록 온도가 더 많이 올라감 (남반구는 그렇지 않음). 강수량과 증발량의
차이는 대륙이 보유하는 물의 분배에 심각한 영향을 끼침. 물이 많은 곳에 강수량이
늘어나는 반면, 물이 부족한 곳이 오히려 더 가물게 됨.

2. 대기의 온실효과
대기의 온실효과가 없을 경우 지구 온도는 –18.7도로, 현재 평균온도인 14.5도보다 33도
가량 낮음 (33도의 온실효과)

지구는 흑체(blackbody)처럼 작동하고, 물리법칙에 의해 태양의 단파를 흡수한 것과 거의


비슷하게 방출함. 뒤로 방출한 장파는 대기을 통과하며 온실가스(수증기, 이산화탄소,
아산화질소, 메탄)에 의해 흡수되기도 하고, 가스로부터의 방출로 인해 증폭되기도 함.
흡수와 방출의 총량은 고도에 따라 다름

대기 중 온실가스의 비중은 작지만, 전체적으로 보면 지표면에서 방출된 장파의 상당


부분을 흡수함. 결론적으로 33도의 온실효과가 있어 지표면온도를 따뜻하게 유지

3. 온실효과의 매커니즘
대기의 온실효과가 늘어나면 공기의 적외선 불투명성이 늘어나 장파를 더 많이 흡수할
수 있음.

‘수증기 되먹임 효과’ 온도가 올라가면 수증기가 더 많이 발생함. 이렇게 발생한


수증기가 열을 머금어 온실효과를 심화시킴.

4. 복사-대류 평형
복사-대류 평형 모델에서 이산화탄소 농도가 150ppm에서 300ppm, 300ppm에서
600ppm으로 증가함에 따라 대기권의 온도가 2.3도씩 올라감. (수증기 피드백이 없을
경우 1.3도씨만 올라감, 수증기의 되먹임 효과가 1.8도씨나 영향을 미침)

성층권에서는 이산화탄소 농도가 올라감에 따라 기온이 하강함을 관찰. 지난 반세기동안


10년마다 성층권 하단 0.4도씨 하강, 대기권 하단 0.2도씩 상승. (오존층 감소의 영향일
수도 있음)

5. 대기-해양-대륙 연계 모델

수 십 년간 연구를 통해 심화시킨 모델. 1990년대 모델을 통해서 이산화탄소가 2배가


됐을 때의 결과와 지난 25년간 관측한 결과를 봤을 때, 해양보다 대륙에서 온도가 더
많이 상승했다는 것이 일치함.
해양에서는 복사열이 증발에 사용되어 온도상승효과가 덜함. 다만 북반구에서는 위도가
올라감에 따라 온도가 더 상승했는데, 남반구는 그렇지 않음. 차가운 심층수가 더 깊게
위로 올라오며 순환하는 현상으로 설명됨.
(모델 예측 온도와 관측 온도 자체는 다르지만, 분포의 방향이 일치하는 것이 중요)

6. 물 이용의 변화
앞서 설명된 대로 온실가스에 의해 지구 표면온도가 올라감에 따라 물 증발이
가속화되고 강우량이 증가하며, 지구 물 순환을 강화킴. 단순 평균랑이 아니라 지리,
지형에 따라 달라진다. 이는 하천의 유량과 지표면의 습도에 영향을 미침.

이산화탄소 농도를 4배수로 한 모델을 돌렸을 때(이미지) 이미 강우량이 많은 적도


지방이나 중-고위도 지방에 강우량이 쏠려 홍수의 위험이 있고, 강우량이 적고 증발량이
많은 아열대성 기후를 건조하게 함.

<시사점>

1. 온실가스의 영향: 온실가스로 인해 지표(대륙, 해양) 온도 상승, 지표쪽에서 심함.


수증기의 되먹임 현상으로 강화됨. 물 순환이 빨라지고, 홍수/가뭄의 양극화로 재난
발생.
2. 과학적 모델의 정확성: 수십년간에 걸쳐 개발된 모델과 실제 관측한 사례를 비교하며
모델에서 예측한 결과와 실제 나타난 현상이 유사했음을 확인함. 미래 예측에도
과학적 모델이 유용할 수 있음.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