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8

2005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5권 제2호 (통권 9호)

광선반 유형에 따른 실내 채광특성에 관한


축소모형 실험적 연구

Scale Model Experiment for Daylighting Performance by Lightshelf Types

김 봉 균*1) 김 정 태**2)
Kim, Bong Kyun Kim, Jeong Tai

………………………………………………………………………………………………………………………………………
Abstract
우리나라의 사무소 건축물들은 대부분의 창호에 저 투과체 유리를 사용함으로써 실내의 채광성능이 시작업이나
쾌적성측면에서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실내 환경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고성능 채광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 사무소 건물을 평가모델로 선정하고, 채광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경사형광선반
을 설계하여 투과체 변화에 따른 채광성능을 평가하였다. 이를 위하여 1/10축소모형을 제작하고 기준실과 실험실
을 동일 형상으로 제작하여, 각 실의 실 중앙부, 실 측면부, 그리고 실천정부에 총 38개의 센서를 설치하여, 청천
공 상태에서 작업면조도와 실외수평면조도를 동시에 측정하여 채광성능을 평가하였다. 실험결과 광선반채광시스
템을 설치하였을 경우, 일반형의 실 후면부에는 반사광을 효과적으로 유입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광선반
채광시스템이 일반형에 비해 약 0.9%~3.3%의 주광조도비 증가와 0.6%~2.1%의 균제도의 증가율을 보였다. 경사
형 광선반이 평판형광선반에 비해 약 0.8%~1.5%의 주광조도비의 증가와 0.01~0.1%의 실의 균제도를 높일수 있
었다. 경사형광선반시스템은 평판형광선반시스템에 비해 실 전체의 주광조도비와 실의 균제도가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투과체가 높은 투과 성능을 가질수록 수록 채광성능이 증가되는 것으로 분석되어 현재 사무소 건
축물에 적용되고 있는 시스템에 적용 시 실내 시 환경의 질이 향상될 것으로 사료된다.
………………………………………………………………………………………………………………………………………
키워드 : 자연채광, 평판형광선반, 경사형광선반, 유리 투과체, 이중분할형 창호, 축소모형, 조도
Keywords : Daylight, Glazing system, Differentiated window, Scale model, Illuminance, Visual comfort
………………………………………………………………………………………………………………………………………

1. 서 론 에 측정하였다.
채광성능평가 지표로서 주광조도비, 균제도를 분석하였
에너지 절약적인 측면과 환경 친화적인 측면에서 효과 으며, 분석결과를 건축물의 중요한 채광학적 매개체로서
적인 자연채광은 실내 시 환경의 쾌적성 및 작업성능을 적용할 수 있는 광선반 채광시스템에 대해 건축물 설계시
향상시키며, 그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선진국을 중심으 활용 가능한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로 고성능 채광성능을 지닌 다양한 채광시스템이 일반 사
무공간을 대상으로 연구 및 개발되었고, 실제 건축물에 2. 실험방법
적용되고 있다. 하지만, 국내의 경우 현재까지 채광성능개
발이 미흡한 실정이다. 2.1 광선반 유형의 선정
이에 본 연구는 기존 사무소 건물을 평가모델로 선정하
고, 저 투과체의 사용으로 인한 채광성능의 감소를 증가 (1) 평판형광선반 채광시스템의 설계
시키고 균제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내부부착형 광선반 내부광선반의 설계시 국외의 연구를 살펴보면, 내부와
채광시스템과 경사형광선반 채광시스템을 설계하였다. 외부에 광선반을 동시에 사용할 경우 실에 균일한 조도분
선정된 평가모델에 두 가지 타입의 광선반 채광시스템 포를 형성하여 자연채광의 효과가 높다고 나타났다.3) 국
과 투과체를 대상으로 1/10축소모형을 제작하였다. 축소 내에서도 광선반시스템에 대하여 컴퓨터 시뮬레이션4)과
모형의 기준실과 실험실에 실 중앙부, 벽체, 천정에 각각
3) LBNL, TIPS FOR DAYLIGHTING WITH WINDOW, LBNL,
센서를 설치하여, 작업면 조도와 실외수평면조도를 동시
1997.7
4) 김정태, 신현구, 김곤, 광반사를 이용한 광선반 채광시스템의
** 경희대학교 건축공학과 석사과정 기본형상 설계 및 성능평가에 관한 연구, 대한건추학회논문
** 경희대학교 건축공학과 교수 집, 19권 3호, 2003.3

43
2005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5권 제2호 (통권 9호)

실험5)6)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내부광선반의 적정크기는 국내 기후에 따른 동지의 태


연구를 한광선반의 적정크기는 실내형상을2m×12m×3m인 양 남중고도 29°를 고려하여 산정(690mm)하였다. 반사재
형상에서 광선반의 반사율이 90% 일 때 Lumen-Micro를 료는 독일 ALANOD사의 반사율 96%를 가지는 MIRO-4
사용하여 시뮬레이션한 결과, 내측 돌출길이 0.9m, 외측돌 반사필름을 사용하였다. 내부광선반시스템의 설계조건은 그
출길이 1.2m가 효과적(김정태 외, 2003)으로 나타났다. 림 2와 같으며, 1:10으로 축소한 단면도는 그림 3과 같다.
또한, 실내형상이 2.12m×3.45m×1.4m인 형상에서 95%
의 반사율을 갖는 광선반을 Lightscape를 이용하여 시뮬 (2) 경사형광선반 채광시스템의 설계
레이션한 결과, 내측 돌출길이 0.2m이상, 외측 돌출길이 경사형광선반 채광시스템은 K 대학교 채광조명시스템
0.6m이상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조일식 외, 2004). 연구센터에서 개발하였으며, M 디자인에게 의뢰하여 제
본 논문에서는 광선반의 청결상태 유지가 광선반의 효 작 및 설치하였다. 개발된 경사형광선반 채광시스템은 외
율에 크게 영향을 미치며, 이는 광선반 위의 먼지가 반사 부 경사형 집광판을 통해 태양광이 실내로 유입되도록
율을 저하시켜, 반사된 주광의 유입을 저하시킨다(최안섭, 설계 및 제작되었으며 경사형 집광판은 동지 정오
2003)는 보고에 따라 유지관리 측면에서 용이한 내부광선 때의 태양의 남중고도에 맞추어 설계하였다.
반을 설계하였다. 이에 따라 경사각은 29°로 선정하였고, 광선반의 실
내측 광선반 길이는 870㎜, 집광판 수평 길이는 380mm로
총길이 1250으로 설정하였다. 실내로의 빛 반사를 위하여
반사율 97%의 독일 ALANOD사의 MIRO-4 반사필름을
부착하였고, 집광판의 부식 및 우수 침입을 방지하기 위
해 분채도장 및 실리콘 마감을 실시하였다. 경사형광선반
채광시스템의 설계 및 시스템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은 그
림 5와 그림 6과 같다.

그림 2. 평판형 내부 광선반 채광시스템 설계

그림 5. 경사형 광선반 채광시스템 설계

그림 3. 평판형 내부 광반시스템의 단면도

5) 문기훈, “자연채광 성능평가 도구로서 LIGHTSCAPE의 효용


성 연구”,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3.
6) 조일식, 김병수, 이진숙, 축소모형을 이용한 광선반의 시환경 특 그림 6. 경사형광선반시스템의 단면도
성 평가 연구, 한국태양에너지학회논문집, Vol.23, N0.3, 2003

44
2005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5권 제2호 (통권 9호)

2.2. 가변 유리투과체의 선정

광선반 채광시스템과 함께 각기 다른 투과율을 갖는 유


리투과체가 실내공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평가하기 위해 일반 사무소에 적용된 유리 투과체의 종류
를 조사하고 실험을 수행하기 위한 유리 투과체를 4종류
로 분류 하여 선정하였다.
선정된 4종류의 유리 투과체는 다음과 같다. 투명유리
(CL78), 색유리(GN66), 파스텔유리(PTS27), 로이유리
(LE58)로 선정하였으고, 선정된 유리 투과체는 6mm의 건
조 공기층을 갖는 복층유리 18mm로 제작되었다. 유리 투
(a) 평가모델의 기본형상
과체의 특성은 다음표 1과 같다.
각각의 유리 투과체에 따른 투과율과 반사율의 광학적
특성은 표 1과 같다. 유리 투과체의 형상은 사무소의 창
호형상(4.8m×1.8m)을 1/10으로 축소하여 제작하였으며,
창틀의 두께도 실제 사용되고 있는 창틀의 기본 두께를
1/10으로 축소하여 흰색의 시트지로 부착하였다, 채광부
분과 조망부분으로 분할하여 창호를 구성하였다.

표 1. 유리 투과체의 종류 및 특성

광학적 특성
유리 태양
두께 가시광선 (b)축소모형형상(평판형광선반)
투과체 모델명 복사열 색
(mm)
의 종류
투과율 반사율 투과율 반사율
(%) (%) (%) (%)
투명 CL 18 78 14 63 12 투명
유리

GN 18 66 11 41 8 녹색
유리
파스텔 옅은
유리 PTS 18 27 16 19 15 청색
로이 GN+ 18 58 10 29 11 녹색
유리 LE

본 논문에서는 분할된 창호에 동일한 투과율을 갖도


록 한 투과체 구성을 일반형이라 하였고, 채광과 조망을 (c)축소모형형상(경사형광선반)
위해 창을 분리하여 채광의 효과를 높이기 위한 상부에는
투명유리를 하부에는 눈부심을 조절하기 위한 기능성 유 그림 7. 평가모델의 기본형상
리로 구성된 것을 이중 분할형이라 명하였다.

실험실 및 기준실은 밝은 색의 표면을 갖는 동일한 마


2.3 축소모형의 제작
감재를 사용하였다. 각 실의 남측에는 실제 사무실에서

광선반 채광시스템 과 유리 투과체로 구성된 실내공간 적용되고 있는 창의 형상(4.8m×1.8m)을 축소하여 측창을


의 채광성능평가를 위하여 평가모델은 일반 사무실의 형 설치하여 자연광이 유입되도록 하였다. 창은 조망창과 채
상(4.9m×7.2m×2.6m)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이를 기초로 광창으로 분리되었으며, 바닥위 창대높이는 실제 시공상
축소모형을 1/10으로 제작 하였으며, 모형은 동일한 크기 적용되고 있는 높이 0.78m를 1/10으로 축소하여 축소모형
의 기준실과 실험실 두개로 구성하였다. 에 적용하였다. 평가모델의 기본형상과 축소모형의 형상
실험을 하기 위한 모형의 위치는 채광에 방해건물이
은 그림 7(a), 그림 7(b)와 같다.
없는 K대학교 공과대학 건물옥상에 일영 곡선도를 이용
제작된 모형은 높이가 400-700mm 범위를 조절 가능한
하여 남향으로 설치하였다.
모형받침대위에 설치하였다. 실내마감은 일반 사무실에
적용된 마감재를 사용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기준실과

45
2005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5권 제2호 (통권 9호)

각각의 마감재에 대한 반사율은 색채색차계를 이용하여 서 제작한 Agilent 4.1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센서와 데이터
측정하였으며, 벽의 반사율은 68%, 바닥은 반사율이 로거를 제어하였다.
51%, 천정은 반사율이 87%로 측정되었다. 실내공간에는 측정시스템을 구성하는 LI 210SA조도센서는 실내외조
가구를 배치하지 않았다. 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측정범위가 0-150,000lx이며,
선정된 평가모델을 바탕으로 1:10축척의 모형을 제작하 데이터로거 HP34970A는 16개의 센서를 연결할 수 있는
였다. 제작을 위한 평면도와 단면도는 그림 9(a), 그림 단자채널을 3개 가지고 있어 동시에 다측정과 측정간격을
9(b), 그림 9(c)와 같다. 제어할 수 있고, 실시간으로 데이터의 변화를 볼 수 있다.

그림 10. 모니터링 시스템 구성사진


(a) 축소모형의 평면도

2.5. 측정점의 선정

채광성능평가를 위한 측정점의 선정은 IEA SHC


Task21의 연구결과에 따라 제시된 모니터링 프로토콜을
적용하여 조명학적 물리량(실내조도, 실외조도)을 측정하
였다. 실내 조도측정은 창의 수직중심선에서 작업면 높이
를 0.85m로 하여 조도를 측정하였다.
측정점은 창으로부터 1m간격으로, 중앙부와 후면부는
0.5m간격으로 각각8점씩 선정하였고 실험실(8점)과 기준
실(8점)을 외부수평면조도와 수직면조도와 함께 동시에
측정하였고, 측정점의 평면상 위치도는 그림 11과 같다.
(b) 축소모형(경사형광선반)의 단면도
그림 9. 축소모형의 평면 및 단면도 채광성능평가를 정교하게 하기위하여 IEA에서 권장하
는 벽면과 천정면에 대한 조도를 측정하였고, 측정점은
2.4. 모니터링 시스템

축소모형을 이용한 채광성능평가를 위하여 IEA의 모니


터링시스템을 적용하여 측정시스템과 데이터취득시스템으
로 그림 10과 같이 구성되었다. 측정시스템은 Li-cor사의
실내외조도센서와 mA를 mV로 전환해주는 Millivolt
adaptor로 구성되었고, 데이터취득시스템은 조도센서와 데
이터로거를 연결시켜주는 Agilent사의 단자채널과 센서를
통하여 측정된 값을 수집하고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로거
(HP34970A) 그리고 PC로 구성되어 있으며, Agilent사에 그림 11. 측정점의 위치도(평면)

46
2005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5권 제2호 (통권 9호)

습은 그림 12(a), 그림 12(b) 및 그림12(c)과 같다.

3. 채광유형에 따른 채광성능평가

3.1. 실험현황

실험은 2005년 11월 8일 오후 12시 55분부터 1시 30


분까지 방해건물이 없는 K대학교 공과대학 옥상에서 측
정이 이루어 졌다. 기상상태는 구름이 없고 외부조도가
이와 동시에 기준실과 실험실위에 조도센서를 설치하여

(a) 기준실
외부수평면조도를 측정하였으며, 평균값을 구하여 사용하
였다.
측정에 앞서 측정에 사용될 센서값의 오차를 알아보기
위해 측정에 사용된 센서(LI-210SA)와Topcon IM-5조도
계와 조도값을 비교해본 결과 3%이내의 오차를 갖는 것
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 구성된 모니터
링시스템의 신뢰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측정값은 2분간 측정된 값의 평균값을 구하고, 외부조
도에 대한 내부조도의 비율을 산정하여 주광조도비로 평
가하였으며, 창호유형에 따른 광선반 유형과 투과율을
변화시킬 경우의 채광성능평가를 분석하였다.

3.2. 광선반 유형이 작업면에 미치는 영향


(b)실험실(평판형광선반)

3.2.1 (CL78)

(1) 작업면의 주광조도비 분포

채광창과 조망창이 단일 투과체로 구성된 기준실과


채광창과 조망창부분이 각각 구성된 이중분할형 실험실
의 광선반 변화에 따른 채광성능평가를 분석한 결과이
다, 작업면 조도에 대해 창으로부터 이격거리에 따라 측
정한 투명복층유리 결과는 그림 13과 같다. 기준실의 경
우, 주광조도비의 분포가 4.8~58.2%로 나타났으며, 주광
(c)실험실(경사형광선반) 조도비 평균은 약 16.2% 이며 균제도는 0.35%의 결과를
그림 12. 실내조도센서 설치모습 보여주었다.

다음과 같이 선정하였다.
거주자가 앉을 때의 눈높이와 거의 같고, 섰을 때 주위
가 잘 보이는 눈높이 1.2m에서 양측벽에 창으로부터
1.5m, 3.0m, 6.0m지점에 측정점을 선정하여 셀을 설치하
였다. 벽면과 동일한 거리 즉, 창으로부터 1.5m, 3.0m,
6.0m의 천장면에 셀을 설치하여 조도를 측정하였으며 측
정점의 단면상의 위치도는 그림 11와 같고, 조도센서를
작업면, 천정면, 벽면에 설치시 모형 후면부의 사진촬영을
그림 13. 창으로부터 이격거리에 따른 작업면조도 그래프
할 수 있는 구멍을 통하여 촬영한 실험실과 기준실의 모

47
2005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5권 제2호 (통권 9호)

실험실의 경우 평판형 광선반의 경우 주광조도비의 분포 실험실의 평판형 광선반의 경우 주광조도비의 분포가


가 5.7~58.6%로 나타났으며, 평균값은 17.0% 균제도는 5.6~56.4%로 나타났으며, 평균값은 14.8% 균제도는
0.39%로 실험결과를 보여주었고, 경사형광선반의 경우 주 0.38%의 실험결과를 보여주었고, 경사형광선반의 경우 주
광조도비의 분포가 6.52~61.2%로 나타났으며, 평균값 광조도비의 분포가 5.83~58.5%로 나타났으며, 평균값
17.54%, 균제도 0.43%로 나타났다. 15.73%, 균제도 0.37%로 나타났다.

그림 15. 창으로부터 이격거리에 따른 작업면조도 그래프


그림 14. 투명복층유리 증감율

실험실과 기준실의 작업면 조도 평균값은 약 1.4~2.3%


실험실과 기준실의 작업면 조도 평균값은 약 1~1.8%로 의 차이를 보였고 실험실이 기준실에 비해 약 1.6%의 평
의 차이를 보였고 실험실이 기준실에 비해 약 0.3%로의 균조도비가 상승하였다. 기준실이 실험실에 비해 약 1.5%
평균조도비가 사승하였고, 평판형과 경사형보다 약 1.5% 감소하였고 이것은 광선반 조도비의 증가에 영향을 주고
로 감소하였다. 이것은 광선반형이 일반형에 비해 조도비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평판형광선반 보다 경사형 광선
의 증가를 시켜주고 평판형광선반 보다 경사형 광선반이 반이 약0.9%상승하였고 이는 실의 조도비를 올려주는데
좀더 많은 실의 조도비를 올려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사형 광선반이 효과가 더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균제도에 경우 경사형 광선반이 가장 균제도 1에 가까운
0.4으로 나타났으며 실험실이 기준실에 비해 균제도 또한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후면부에서 기준실에 비해 실
험실의 조도비가 약 1~2.2% 정도의 상승 효과가 있었고,
평판형 광선반이 경사형 광선반에 비해 약 0.8% 감소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전반적인 실후면부의 조도비가 7%이하의 주광 조도비
를 나타내고 있었고 자연채광량의 부족으로 조명에너지의
증가가 필요할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창면부와 후면부의
조도비가 1:10~1: 14이상의 차이를 나타내고 있어 창면부
그림 16. 색복층유리 증감율
에서 시야의 불쾌감을 유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천정면과 벽면의 경우 실험실이 기준실에 비해 평균
균제도에 경우 경사형 광선반이 가장 균제도 1에 가까
1.3%~2%증가율을 보였고 기준실에 비해 실험실의 주광
운 0.39로 나타났으며 실험실이 기준실에 비해 균제도 또
조도비가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후면부에서는 기준실에 비
천정면의 경우 기준실과 실험실의 주광조도비가 모든
해 실험실의 조도비가 약 2.3~2.5% 정도의 상승 효과가
측정점에서 창면부에서 후면부로 갈수록 일정하게 감소하
있었고, 평판형 광선반이 경사형광선반에 비해 약 0.4%
였다.
감소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색복층유리 또한 실 후면부
3.2.2 색복층유리(GN66) 의 조도비가 7%이하의 주광 조도비를 나타내고 있었고
자연채광량의 부족으로 조명에너지의 증가가 필요할 것으
작업면 조도에 대해 창으로부터 이격거리에 따라 측 로 나타났으며 창면부와 후면부의 조도비가 1:11~1: 15이
정한 색복층유리 결과는 그림 15와 같다. 기준실의 경 상의 차이를 나타내고 있어 창면부에서 시야의 불쾌감을
우, 주광조도비의 분포가 3.1~54.1%로 나타났으며, 주광 유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조도비 평균은 약 13.4% 이며 균제도는 0.23%의 결과를
실의 창면부에서는 높은 주광조도비가 나타났으며, 실의 창
보여주었다.
면부 에서 후면부로 갈수록 낮은 주광 조도비를 나타내었다.

48
2005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5권 제2호 (통권 9호)

3.2.3 로이복층유리(LE58)

로이복층유리의 측정한 결과는 그림 17과 같다. 기준실의


경우, 주광조도비의 분포가3.1~47.9%로 나타났으며, 주광조도비
평균은 약 11.1 % 이며 균제도는 0.28 %의 결과를 보여주었다.
실험실의 평판형 광선반의 경우 주광조도비의 분포가 4.8~
51.6%로 나타났으며, 평균값은 13.3 % 균제도는 0.36%의 실험
결과를 보여주었고, 경사형광선반의 경우 주광조도비의 분포가
5.12~54.1%로 나타났으며, 평균값 14.46%, 균제도 0.35%로 나 그림 18. 로이복층유리 증감율
타났다.
3.2.4 파스텔복층유리(PTS27)

파스텔복층유리의 채광성능평가를 분석한 결과, 작업면


조도에 대해 창으로부터 이격거리에 따라 측정한 투명복
층유리 결과는 그림 19와 같다. 기준실의 경우, 주광조도
비의 분포가 1.7~28.6%로 나타났으며, 주광조도비 평균
은 약 7.0% 이며 균제도는 0.24%의 결과를 보여주었다.
실험실의 평판형 광선반의 경우 주광조도비의 분포가
3.1~28.4%로 나타났으며, 평균값은8.3% 균제도는 0.37%
그림 17. 창으로부터 이격거리에 따른 작업면조도 그래프
의 실험결과를 보여주었고, 경사형광선반의 경우 주광조
도비의 분포가 3.54~24.4%로 나타났으며, 평균값 8.16%,
실험실과 기준실의 작업면 조도 평균값은 약3.36%의
균제도 0.43%로 나타났다.
차이를 보였고 실험실이 기준실에 비해 약 0.7%의 평균
조도비가 상승하였다. 실험실이 기준실에 비해 평균조도
비가 상승한 것은 광선반이 실험실의 조도비의 증가에 영
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평판형광선반과 경사형광선반은 경사형광선반이 약
1.16% 상승하였고 이는 실의 조도비를 올려주는데 경사
형 광선반이 효과가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균제도에
경우 경사형 광선반이 균제도 1에 가까운 0.36로 나타났
으며 실험실이 기준실에 비해 균제도 또한 상승하는 것으
로 나타났다. 그림 19. 창으로부터 이격거리에 따른 작업면조도 그래프
후면부에서는 기준실에 비해 실험실의 조도비가 약
2.02%정도의 상승 효과가 있었고, 평판형 광선반이 경사 실험실과 기준실의 작업면 조도 평균값은 약 1.1~1.3%
의 차이를 보였고 실험실이 기준실에 비해 약 1.1%의 평
형광선반에 비해 약 0.32 % 감소한 것을 알 수 있었다.
균조도비가 상승하였다. 실험실이 상승한 결과는 광선반
로이복층유리 또한 실 후면부의 조도비가 7%이하의
이 조도비의 증가에 영향을 주고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주광 조도비를 나타내고 있었고 자연채광량의 부족으로
평판형 광선반 보다 경사형 광선반이 약 0.2%감소하였
조명에너지의 증가가 필요할 것으로 나타났으며 창면부와 고 균제도에 경우 경사형 광선반이 가장 균제도 1에 가까
후면부의조도비가 1:11이상의 차이를 나타내고 있었다. 실 운 0.43로 나타났으며 실험실이 기준실에 비해 균제도 좋
의 창면부에서는 높은 주광조도비가 나타났으며, 일반형 은 것으로 나타났다. 후면부에서는 기준실에 비해 실험실
대비 이중분할형의 증감율은 그림 18과 같이 나타났고, 의 조도비가 약 1.4~1.84% 정도의 상승 효과가 있었고,

광선반의 기여도를 분석한 결과, 실 전체에서 약10-80% 파스텔복층유리 실 후면부의 조도비가 7%이하의 주광 조
도비를 나타내고 있었고 자연채광량의 부족으로 조명에너
이상의 증감율을 나타내었다.
지의 증가가 필요할 것으로 나타났으며 창면부와 후면부
의 조도비가1:9의 차이를 나타내고 있었다.

49
2005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5권 제2호 (통권 9호)

일반형 대비 평판형과 경사형광선반의 증감율은 그림 에는 투과율이 다른 유리를 적용한 분할형 창호는 일반형
20과 같이 나타났고, 광선반의 기여도를 분석한 결과, 실 에 비해 채광학적 기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의 경사형광선반이 높은 증감율을 보였다. 따라서 현재 일반 사무소 건축물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저 투과체에 광선반채광시스템과 채광창이 적용된 분할형
을 적용할 경우 채광학적으로 많은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후 기

이 논문은 과학기술부 국가지정연구실사업(과제번호 MI-


0300-00-0258)의 연구비 지원에 의한 연구결과의 일부임

그림 20. 파스텔복층유리 증감율


참 고 문 헌

광선반 변화에 따른 투과체 변화와 채광방식에 따른 주


1. 정인영, 김정태, 가변 유리 투과체로 구성된 실내공간의 채광
광조도비 증감율과 균제도는 그림 20 같이 나타났다. 성능평가,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추계학술발표, 2004. 11
일반형 대비 평판형광선반과 경사형광선반의 증감율은 광 2. 조일식, 김병수, 이진숙, 조명해석 프로그램을 이용한 광선반
선반의 반사광유입으로 인하여 중앙부에서는75~82.4 %, 의 적정크기 선정 및 채광성능분석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
회논문집, 20권 6호, 2004.6
실 후면부에서는94.6~108.2%정도 조도비를 증가시키는
3. 김정태, 김기철, 김곤, Mock-up model을 이용한 경사형광선반
것으로 나타났다. 채광시스템의 개발 및 채광성능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태양에
너지학회논문집, Vol.24, No.2, 2004
5. 결 론 4. 문기훈, “자연채광 성능평가 도구로서 LIGHTSCAPE의 용성
연구”,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3.
5. 김정태, 정유근, 정인영, 황민구, “자연채광 성능평가에 있어서
본 연구는 일반 사무소 건축물에서 채광성능 및 균제도 를 축소모형실험 방법론의 유용성검증에 관한 연구”, 한국태양에
향상시키기 위하여 광선반을 평판형광선반채광시스템 과 경사형 너지학회논문집, Vol.22, No.2, 2002
6. Stephen E. Selkowitz, "High Performance Glazing Systems
광선반채광시스템을 개발모델로 선정하여 설계 및 제작하였다.
:Architectural Opportunities for the 21st Centry" LBNL, 1999
1/10축소모형을 제작하여 실험실과 기준실에서 IEA 모니터링 7. IEA, Daylighting in Buildings, IEA SHC Task21, p8.44-
프로토콜을 축소모형실험에 적용하여 광선반 유형과 투과 8.48, 1998
8. LBNL, TIPS FOR DAYLIGHTING WITH WINDOW, LBNL,
체 유형에 따른 채광시스템의 채광성능을 분석하기 위하여 작업 1997.7
면 조도를 측정하였으며, 분석한 결과는 다 음과 같다. 9. http://www.iea-shc.org

사무소 건축물에 적용되고 있는 채광창과 조망창이 단


일 투과체로 구성된 일반형의 경우, 외부조도에 대한 내
부조도비율은 유리 투과체의 투과율이 증가할수록 일정하
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의 균제도 측면에서 광
선반을 설치할 경우 모든 투과체에서 일반형에 비해1.5~2.2배
정도 높은 균제도를 나타내 실 전체의 고른 조도분포를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경사형광선반채
광시스템이 평판형광선반채광시스템보다 모든 투과체에
걸쳐 약 0.1~1.4%의 상승효과를 보였다.
광선반 채광시스템을 사용함으로서 나타나는 채광성능
의 상승은 저투과체를 사용하여 저하된 채광성능을 높이
기 위해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평판형광선반채광시
스템 보다 경사형광선반채광시스템이 채광학적으로 유리
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채광창에는 투명유리를 조망창

50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