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11

최종보고서

저탄소형 실내공기질
관리방법 연구

2009. 12

연구수행기관
국민대학교
환경관리공단

환 경 부
제 출 문

환경부 장관 귀하

본 보고서를 『저탄소형 실내공기질 관리방법 연구』사업의


최종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09년 12월

국민대학교 산학협력단장
환경관리공단 이사장
저탄소 실내공기질 관리방법 연구

연구기간: 2009년 6월 - 2009년 12월

연구진:

연구책임자: 한 화 택 국민대학교 기계자동차공학부 교수

연구원: 신 철 용 국민대학교 대학원 박사과정


이 준 용 국민대학교 연구원
이 광 욱 환경관리공단 대기관리처 생활환경팀장
우 재 언 환경관리공단 대기관리처

자문위원: 권 용 일 신흥대학교 건축설비학과 교수


김 남 영 삼보기술단 기전팀 상무
김 효 규 에프엔에스 설비설계 소장
배 귀 남 한국과학기술원 책임연구원
백 창 인 인벤트이앤지 대표이사
손 종 렬 고려대학교 보건과학대학 교수
유 지 오 신흥대학교 건축설비학과 교수
이 윤 규 건설기술연구원 책임연구원
장 경 진 삼공주식회사 연구부장
차 철 현 대양설비 설계팀 소장
최 선 호 한일엠이씨 설계팀 과장
요 약 문

화학물질 사용확대, 환기부족 등으로 실내공기오염이 심화되고 있어 국민들의 실내공기


질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으나 환기로 인한 냉난방 에너지 소비의 증가는 환경부하
를 발생시키고 있다. 이에 최소한의 에너지로 실내공기질을 유지하기 위한 최적의 환기
를 할 수 있는 설계 및 운전방안의 개발이 필요하며 에너지 다소비형 실내공기질 관리방
법을 개선하여 기후변화문제에 대응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과제는 실내공기질 관리방안 마련 시 환경부하량 평가를 위한 기초자료를 수집


하고 국내외 환경부하량 평가 연구현황과 자료조사를 통하여 저탄소형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마련을 위한 정책개발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국내외 실내환경기준과 오염원별 방출량 및 관리현황에 관한 기초자료 조사와, 필요환


기량 기준 및 환기설계 프로세스에 대한 자료조사를 수행하였다. 환기방식에 따른 외기
도입 특성과 환기에 의한 지역별 에너지 부하특성에 관하여 검토하였고 실제 다중이용시
설과 공동주택의 환기설비 설계사례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설비용
량 산정을 위한 오염부하 계산 방법과 에너지 평가방법을 검토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일
반적인 에너지절약적 환기설계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각종 운전제어 방안에 따른 연
간 에너지 시뮬레이션 방법과 전과정 평가 방법을 바탕으로 수요기반 환기제어, 하이브
리드 환기 등 다양한 저탄소 환기설비 운전방안을 제시하였다.

환기설비에 관한 자료조사와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저탄소형 실내공기질 관리방


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가급적 오염원 사전관리 방안을 강구하도록 하여야 한다.
환기나 공기청정과 같이 발생된 오염원을 사후 제거 처리하는 방법은 에너지가 소비되기
때문에 오염원을 사전 관리하는 것이 에너지 측면에서 효과적이다.

둘째, 환기량 설계기준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하다. 실내오염 패턴에 따라서 건물 용도


별 필요환기량 설계 기준에 있어서 일률적인 환기기준에서 벗어나 실제적인 오염발생에
근거한 성능기반의 환기량 산정 방안에 대한 검토가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시대적 오염
원 변천에 따른 환기부하의 변화도 아울러 고려하여야 한다.

셋째, 에너지절약적 환기설계를 유도한다. 지역별 기후조건과 건물 기밀도에 따라서 적


절한 환기방식과 에너지절약적 환기설계가 되도록 설계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폐열회수
환기장치 등의 고효율 기자재 사용을 유도한다. 이를 위하여 자연환기량 산정을 위한 풍
속맵과 기밀도 DB구축이 요구된다.
넷째, 에너지 절약적 환기운전 방안을 확산한다. 수요기반 환기량 제어 등의 운전방안
을 건물의 특성에 맞추어 구체적으로 제시되어야 하며, 효율적인 운전을 위한 건물관리
인 교육이 필요하다. 현재 가동 중인 자동측정망을 활용하여 시간대별 환기 운전방안을
강구하고 환기설비와의 연계에 의한 에너지절약적 운전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무엇보다도 실내공기질 관리에는 에너지 비용이 소비된다는 사실을 인식하고 에너지와


실내환경이라는 균형잡힌 시각을 갖도록 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앞으로 에너지
절약을 유도하며 쾌적한 실내환경을 제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기술개발에 관한 연구가 활
발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목 차

제 1 장 서 론 ························································································································ 1
1.1 연구의 필요성 ·············································································································· 1
1.2 연구 목적 ······················································································································ 1

제 2 장 실내공기질 관리기준과 에너지 사용량 ···························································· 3


2.1 국내·외 실내공기질 관리기준 ··················································································· 3
2.1.1 국내 실내공기질 관련 법규 및 기준 ································································· 3
2.1.2 외국 실내공기질 관련 법규 및 기준 ································································· 6
2.2 건축물의 에너지 사용량 ·························································································· 10

제 3 장 오염원 발생과 관리현황 ··················································································· 13


3.1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 13
3.2 오염물질 발생원 관리 ······························································································ 14
3.2.1 건축자재 ················································································································ 14
3.2.2 생활용품 ·············································································································· 17
3.2.3 인체활동 ················································································································ 20
3.2.4 기타 오염관리 ······································································································ 23
3.3 소결 ······························································································································ 25

제 4 장 환기설계 프로세스 ····························································································· 26


4.1 일반사항 ······················································································································ 26
4.2 환기량 기준 ················································································································ 27
4.2.1 필요환기량의 변천 ······························································································ 27
4.2.2 필요환기량 설계기준 ·························································································· 28
4.2.3 우리나라 환기량 설계기준 ················································································ 29
4.3 환기방식의 종류 ········································································································ 30
4.3.1 통풍력에 의한 분류 ···························································································· 30
4.3.2 실내기류에 의한 분류 ························································································ 31
4.3.3 환기 범위에 따른 분류 ······················································································ 32
4.4 환기설계순서 ·············································································································· 33
4.4.1 환기설비의 구성 ·································································································· 33
4.4.2 환기설비 구성요소의 중요도 ············································································ 35
4.4.3 환기설계 순서 ······································································································ 36
4.5 환기설비 설계사례 ···································································································· 37
4.5.1 다중이용시설 ········································································································ 37
4.5.2 공동주택 ················································································································ 40

제 5 장 저탄소 환기설계 방안 ······················································································· 45


5.1 저탄소란 ······················································································································ 45
5.2 환기에너지 이론 ········································································································ 46
5.3 건물에너지 분석방법 ································································································ 47
5.3.1 동적 평가방법 (에너지 시뮬레이션) ······························································· 48
5.3.2 정적 평가 방법 ···································································································· 48
5.4 연간 환기에너지 평가 ······························································································ 49
5.4.1 환기량과 연간 에너지 ························································································ 49
5.4.2 건물의 기밀도 ······································································································ 50
5.4.3 자연환기량 산정모델 ·························································································· 52
5.4.4 자연환기량 산정 ·································································································· 53
5.5 에너지 절약적 환기설계 ·························································································· 56
5.5.1 고효율 송풍기 선정 ···························································································· 56
5.5.2 덕트 내 압손 저감 ······························································································ 57
5.5.3 배기열의 회수 ······································································································ 57
5.5.4 환기에 의한 외기냉방 ························································································ 58
5.5.5 대체에너지 활용 ·································································································· 58
5.6 에너지비용 대비 실내환경 개선효과 ···································································· 58
5.6.1 베이크아웃과 상당환기량 ················································································ 59
5.6.2 공기청정기와 환기시스템 ·················································································· 60
5.7 전과정평가 (Life Cycle Assessment) ································································ 61
5.7.1 전과정평가 단계 ·································································································· 62
5.7.2 LCCO2 ··················································································································· 63
5.7.3 실내환경설비의 전과정평가 ·············································································· 63

제 6 장 저탄소 환기제어 방안 ······················································································· 65


6.1 일반사항 ······················································································································ 65
6.2 이론적 배경 ················································································································ 65
6.2.1 실내 농도 방정식 ································································································ 66
6.2.2 간헐환기 유용도 ·································································································· 67
6.3 저탄소 환기제어 방안 ······························································································ 70
6.3.1 저탄소 환기제어 방법 ························································································ 70
6.3.2 하이브리드 환기제어 ·························································································· 71
6.3.3 외기 냉방 제어기술 ···························································································· 72
6.3.4 시간지연/선행 환기제어 ····················································································· 72
6.3.5 기타 환기제어 기술 ···························································································· 73
6.4 센서 ······························································································································ 73
6.4.1 센서의 종류 ·········································································································· 74
6.4.2 센서 설치시 고려사항 ························································································ 77
6.5 수요기반 환기량 제어 ······························································································ 78
6.5.1 개요 ························································································································ 78
6.5.2 종류 ························································································································ 78
6.5.3 사례 - Media 초등학교 (Norway) ································································ 80
6.6 하이브리드 환기 제어 ······························································································ 80
6.6.1 개요 ························································································································ 80
6.6.2 종류 ························································································································ 81
6.6.3 하이브리드 환기 적용 및 방법 ········································································ 82
6.6.4 사례 ························································································································ 82
6.7 자동측정망 ·················································································································· 84
6.7.1 다중이용시설 현황 ······························································································ 84
6.7.2 자동측정망 현황 ·································································································· 85
6.7.3 홍콩 지하철 사례 ································································································ 87
6.7.4 자동측정망 활용방안 ·························································································· 88

제 7 장 결론 ······················································································································· 90

참고문헌 ···························································································································· 94
표 차례

표 1 실내공기질 관리 현황 ································································································ 3
표 2 적용대상 다중이용시설 ······························································································ 4
표 3 실내공기질 유지기준1 ······························································································· 5
표 4 실내공기질 유지기준2 ······························································································· 5
표 5 WHO 가이드라인 ········································································································ 6
표 6 미국 냉난방공조학회 가이드라인 ············································································ 8
표 7 주거공간의 실내공기질에 대한 노출 가이드라인 ················································ 8
표 8 호주의 실내공기질 가이드라인 ················································································ 9
표 9 일본 후생노동성 기준 ································································································ 9
표 10 빌딩 위생관리법 ····································································································· 10
표 11 건물에너지 사용설비별 소비 에너지 요소 ······················································· 11
표 12 기후변화 대응 관련 국제적 동향 ······································································· 12
표 13 한국공기청정협회 건축자재 인증 등급 ··························································· 15
표 14 년도별 건축자재 재인증 수량 ··········································································· 16
표 15 난방비 및 인건비 산출기준 ················································································· 17
표 16 자재 포름알데히드 방산량에 따른 가구자재 등급 ······································· 18
표 17 국외 건축자재 관리 지침 ····················································································· 18
표 18 소재 사용에 따른 가구의 TVOC 및 포름알데히드 방출량 비교 ··············· 18
표 19 인체로부터의 CO2 발생량 ···················································································· 20
표 20 흡연에 의한 오염물질 발생량 ············································································· 21
표 21 연소기구에 의한 오염발생량 ··············································································· 22
표 22 실내의 습기 발생 요인과 발생량 ······································································· 23
표 23 미세먼지의 농도 ····································································································· 24
표 24 건물의 용도별 미생물 분포 현황 ······································································· 24
표 25 환기성능과 관련 요소 ··························································································· 26
표 26 ASHRAE의 최소환기량 기준 ·············································································· 28
표 27 환기량 산정방법 ····································································································· 29
표 28 국내 상업시설 운영 주체별 재실 밀도 기준 ··················································· 30
표 29 다중이용시설의 필요환기량 ················································································· 30
표 30 다중이용시설 환기설비 종류 ··············································································· 38
표 31 세대 주방 환기시스템 사례 ················································································· 44
표 32 욕실 환기시스템 사례 ··························································································· 44
표 33 온실가스의 종류와 배출원 및 배출구성 현황 ················································· 45
표 34 우리나라 주요 도시의 난방도일 ········································································· 50
표 35 건물의 기밀성능등급 ····························································································· 51
표 36 평균풍속 U50 대비 상대 풍속을 초과하는 시간 비율 ··································· 54
표 37 개괄지 10m에서 측정된 평균풍속 Um에 근거한 풍속분포
계산에 필요한 계수 ································································································ 54
표 38 전형적인 공기교환율과 회전시간상수 ······························································· 67
표 39 환기운전 방식 ········································································································· 70
표 40 실내 오염물질 감지를 위한 센서의 종류 및 특성 ········································· 74
표 41 자연통풍모드 운전조건 ························································································· 83
표 42 다중이용시설 현황 ································································································· 85
표 43 실내공기질 자동측정망 연구사업 및 운영 ······················································· 86
표 44 다중이용시설 실내공기질 유지기준, 권고기준 ················································ 86
표 45 실내공기질 자동측정망 구축 운영 현황 ··························································· 87
표 46 실내공기질 모니터 ······························································································· 88
그림 차례

그림 1 각국의 건물에너지 소비량 ················································································· 10


그림 2 국내·외 건물 환기에너지 사용량 비율 비교 ·················································· 11
그림 3 실내공기질 관리 ··································································································· 14
그림 4 시대별 주요 오염물질 변천 ··············································································· 14
그림 5 건축자재 년도 성적 등급 변화 추이 비교 그래프 ······································· 16
그림 6 전기전자제품 오염물질 방출량 비교 그래프 ················································· 19
그림 7 환기 설계시 고려인자 ························································································· 26
그림 8 필요환기량 변천 ··································································································· 27
그림 9 환기방식의 종류 ··································································································· 31
그림 10 실내기류에 따른 혼합의 정도 ········································································· 32
그림 11 환기설비 구성 요소 ··························································································· 33
그림 12 환기성능 항목별 중요도비율 ··········································································· 36
그림 13 환기시스템 구성요소 중요도비율 ··································································· 36
그림 14 환기설계순서 ······································································································· 36
그림 15 사무실 ··················································································································· 38
그림 16 임원실 ··················································································································· 39
그림 17 음식점·주방 ·········································································································· 39
그림 18 전산센타 ··············································································································· 40
그림 19 아트리움 ··············································································································· 40
그림 20 개별 급/배기 배기방식 단면도 ······································································· 41
그림 21 개별 급기/비 청정지역 배기방식 단면도 ····················································· 41
그림 22 실외기/실내기 분리형 단면도 ········································································· 42
그림 23 덕트 바닥매립형 단면도 ··················································································· 42
그림 24 무덕트 형 단면도 ······························································································· 42
그림 25 주방 배기후드 연동형 단면도 ········································································· 43
그림 26 댐퍼 작동에 의한 주방 배기후드 연동형 단면도 ······································· 43
그림 27 환기량과 에너지 소비량 그래프 ····································································· 47
그림 28 Degree일 수 기준 환기량에 따른 연간 에너지 소모량그래프 ··············· 50
그림 29 기밀도에 따른 환기량 ······················································································· 51
그림 30 미국, 캐나다, 유럽의 단독 주거용 건물의 기밀도 분포 ··························· 52
그림 31 영국의 U50 분포도 ····························································································· 55
그림 32 풍력발전소 건립 ······························································································· 55
그림 33 서울지방의 연중 평균 풍속과 풍속 빈도 ····················································· 56
그림 34 기상데이터에 근거한 지역별 풍속 데이터 ··················································· 56
그림 35 라이프사이클 단계 ····························································································· 62
그림 36 환기량 변동에 따른 지수적 실내농도 변화 ················································· 66
그림 37 주기적 환기량 변동을 보이는 간헐환기 ······················································· 68
그림 38 간헐환기에 따른 실내 오염농도의 주기적 변화 ········································· 68
그림 39 명목 회전시간과 부족환기 시간비율에 따른 간헐환기의 유용도 ··········· 69
그림 40 시간주기와 부족환기 시간비율에 따라서 필요한 과환기량 ··················· 69
그림 41 Media 초등학교 ································································································· 80
그림 42 하이브리드 환기방식의 유형별 개념 ····························································· 81
그림 43 자연통풍 계획의 개요 ······················································································· 83
그림 44 평면도와 ············································································································· 83
그림 45 리버티타워 ········································································································· 84
그림 46 전국 다중이용시설 현황 ··················································································· 85
제 1 장 서 론

1.1 연구의 필요성

과학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건축기술의 발달로 실내환경은 점차 고기밀, 고단열화되어


냉난방 에너지손실을 방지하는데 크게 기여하였다. 그러나 밀폐된 건축물은 환기부족을
초래하였고, 건축재료와 가구 등에서 방출되는 각종 화학물질과 재실자의 실내활동 과정
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나 오염물질을 실외로 적절히 배출하지 못하여 실내공기질이 오
염되는 상황을 초래하였다. 영유아 및 노약자는 물론 일반 성인도 두통과 메스꺼움을 호
소하는 경우가 많고 아토피와 천식 등 다양한 질병이나 건강상의 악영향을 받게 되었다.
이에 따라 관련 정부부처를 중심으로 다양한 실내공기질 관리방안들이 제시되어 왔으나
이러한 방안들은 주로 실내공기질의 개선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으며 실내환경개선에 소
요되는 에너지 소비에 대한 고려는 이루어졌다고 보기 어렵다. 과다한 환기와 베이크 아
웃 등의 에너지 다소비형 실내공기질 관리방안은 국가적인 에너지 사용량의 증가를 가져
오고 결국은 지구환경을 악화시켜 기후변화 문제를 야기하는데 일조하게 됨은 물론 다시
실내환경을 악화시키는 부메랑이 되어 되돌아오게 된다.
예를 들어 건물 환기량을 증가시키면 실내공기질은 개선되나, 환기설비의 가동에 따른
추가적인 전기에너지가 소요되고 실내외 온도차에 의한 냉난방 부하의 증가를 가져오게
된다. 현재 우리나라 건축물 분야에서 사용되는 에너지는 국가 전체 에너지 소비량의 약
1/4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전체 건축물 에너지 사용량 중에서 환기량 증가에
의하여 추가되는 냉난방 부하가 상당한 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 추산된다. 따라서 향후
에너지 비용의 상승과 기후변화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최소한의 에너지로 실내공기
질을 유지하기 위한 최적의 환기 및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이 검토되고 개발되어야 한다.
EU의 경우 그린건축 및 그린홈 관련 지원을 통하여 매우 다양하고 구체적으로 추진되
고 있는 실정이며, 미국의 경우 일찍부터 건축물 및 일반주택 관련 에너지 저감 정책을
추진해 왔다. 이외 국제 에너지기구(IEA)에서는 ‘05년도에 OECD 국가를 중심으로
’07~‘12 전략 추진계획에 제로탄소에너지 주택건설계획을 확정하여 제시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 실정은 아직까지 실내공기질 개선을 위한 연구에 초점이 맞추어져 에
너지 소비에 따른 CO2 발생과 건축물 에너지 절감에 대한 문제 인식이 부족한 실정이다.

1.2 연구 목적

최근 선진국에서는 건축물로 인해 발생하는 에너지 및 환경부하를 최소화한다는 차원


에서 건축물이 지구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객관적인 정보를 소비자들에게 제공하고,
친환경적인 건축물을 확대보급하기 위한 목적으로 다양한 형태의 인증프로그램을 마련하
여 시행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2002년부터 정부차원에서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친환경건
축물 인증 제도를 도입하고, 2003년에는 주거복합 업무용 건축물까지 확대하여 시행하고

- 1 -
있다. 그러나 미비한 적용과 복잡한 인증평가 등으로 인하여 아직까지 건축물과 관련 에
너지 및 환경부하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비하다고 판단된다.
지속가능한 개발을 전제로 환경규제가 국제적으로 강화되고 있는 이 시점에서 전체 화
석연료의 상당부분을 소비하고 있는 국내 건설 산업은 이에 대한 대책마련이 미진할 뿐
만 아니라 건설 활동으로 인한 환경부하 발생이 지구온난화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
지 조차 파악되지 않고 있다. 또한, 국제규격 ISO 14040's 에 근간을 두고 있는 전과정
평가(LCA;life cycle assemssment)가 이미 전 산업분야에 걸쳐 환경평가수단으로 널리
적용되고 있으며, 건축물에서도 LCA를 적용함으로써 친환경적인 건설을 유도하고 환경
부하를 저감할 수 있는 대책마련이 가능하리라 여겨진다.
본 연구는 실내공기질 유지를 위하여 필연적으로 수반되는 에너지 및 물질 소비를 경
감하고 환경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는 저탄소형 실내공기질 관리방법에 관한 연구이다.
본 과제에서는 오염물질 발생저감이나 환기설비 가동 등 실내공기질 관리방안 별 환경부
하량 평가를 위한 국내외 연구현황 및 방법론에 관하여 연구한다. 또한, 현재 다중이용시
설과 공동주택의 실제적인 환기설비 설계사례와 설계절차를 분석하여 에너지 절약적 실
내공기질 방안을 도출하고 실내공기질 유지관리를 위한 건축물 전과정 에너지 사용량 분
석 방법을 제시한다. 여기서 제시된 방법론과 자료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환경부하를 최
소화하는 저탄소형 실내공기질 관리방안의 보급 및 활성화 방안을 마련함으로써 향후 실
내공기질 관련 정책 방향을 제시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2 -
제 2 장 실내공기질 관리기준과 에너지 사용량

2.1 국내·외 실내공기질 관리기준

2.1.1 국내 실내공기질 관련 법규 및 기준
환경부는 「다중이용시설 등의 실내공기질관리법」에 의해 다중이용시설(17개 시설군)
및 신축공동주택의 실내공기질 관리하고 있으며, 교육인적자원부, 노동부, 보건복지부, 건
설교통부 등 여러 부처가 학교, 사무실, 공중이용시설 등에 대한 실내공기질을 관리하고
있다.

표 1 실내공기질 관리 현황

관리대상 소관부처 근거법령 법 목 적


다중이용시설, 다중이용시설등의
환 경 부 지하역사 등 17개 시설군 관리
신축공동주택 실내 공기질관리법
산업안전보건법
사무실,
노 동 부 산업보건기준에관한 작업장과 사무실의 실내 공기질 관리
작업장
규칙
학 교 교육인적자원부 학교보건법 학교의 실내공기질 관리

공중이용시설 보건복지부 공중위생관리법 업무시설, 공연장 등 공중 이용시설 관리

100세대 이상 신축 공동주택의 환기시설


신축공동주택 건설교통부 건축법, 주택법 의무화 / 1000세대 이상 신축공도주택의
환경성능등급 표시제도
주차장
건설교통부 주차장법 다중법에 포함되지 않은 주차장
(2,000㎡이하)

- 3 -
- 다중이용시설 등의 실내공기질 관리법 주요내용
환경부에서는 다중이용시설과 신축 공동주택 실내공기질 적정관리를 통해 국민 건강을
보호하고 환경상의 위해 예방을 목적으로 실내공기질 관리법을 시행하고 있다. 적용대상
다중이용시설의 대상을 종전 지하역사, 지하도상가의 2개 시설군에서 도서관, 의료기관,
찜질방, 대규모점포 등 15개 시설군을 추가하여 17개 시설군으로 확대 개정하였다.

표 2 적용대상 다중이용시설

시          설           명 규 모
1. 지하역사 모든 지하역사
2
2. 지하도상가 연면적 2,000 m 이상
3. 여객자동차터미널의 대합실 연면적 2,000 m2이상
2
4. 공항시설중 여객터미널 연면적 1,500 m 이상
2
5. 항만시설중 터미널 연면적 5,000 m 이상
6. 철도역사의 대합실 연면적 2,000 m2이상
법적용대상 2
7. 도서관 연면적 3,000 m 이상
2
8. 박물관 연면적 3,000 m 이상
9. 미술관 연면적 3,000 m2이상
2
연면적 2,000 m 이상이거나
10. 의료기관
입원진료병상이 100개이상
2
11. 실내주차장(기계식 주차장 제외) 연면적 2,000 m 이상

12. 국공립 보육시설 연면적 1,000 m2이상


13. 국공립 노인전문요양시설․유료노인전 2
연면적 1,000 m 이상
문요양시설․노인전문병원
2
시행령 14. 지하에 위치한 장례식장 연면적 1,000 m 이상
적용대상 2
15. 찜질방 연면적 1,000 m 이상
2
16. 산후조리원 연면적 500 m 이상

17. 대규모점포 모든 대규모점포


- 다중이용시설 : 불특정 다수인이 이용하는 시설
- 오염물질 : 실내공간의 공기오염의 원인이 되는 가스와 떠다니는 입자상물질 등으로서 환경
부령이 정하는 것 (미세먼지(PM10), 이산화탄소(CO2), 포름알데히드(HCHO), 총부유세균, 일
산화탄소(CO), 이산화질소(NO2), 라돈(Rn), 휘발성유기화합물(VOC), 석면, 오존 등 10종)

- 4 -
다중이용시설 실내공기질 유지기준 설정(법 제5조)에서는 실내공기질 오염물질중 미세
먼지(PM10), 이산화탄소(CO2), 포름알데히드(HCHO), 총부유세균, 일산화탄소(CO) 등 5
개 물질에 대해서는 유지기준을 설정하고 위반시 과태료부과, 개선명령 등 제재 조치 시
행하고 있다. 아래 표 3, 4는 다중이용시설에 따른 오염물질별 실내공기질 유지기준이다.

표 3 실내공기질 유지기준1

오염물질 항목 PM10 CO2 HCHO 총부유세균 CO


다중이용시설 (㎍/㎥) (ppm) (㎍/㎥) (CFU/㎥) (ppm)

지하역사, 지하도상가, 여객
자동차터미널의 대합실, 철도
역사의 대합실, 공항시설중
150이하 1,000 120이하 - 10이하
여객터미널, 항만시설중 대합실,
이하
도서관, 박물관, 미술관,
장례식장, 찜질방,
대규모점포

의료기관, 보육시설,
100이하 800이하
노인의료시설, 산후조리원

실내주차장 200이하 - 25이하

표 4 실내공기질 유지기준2

오염물질 항목 NO2 Rn VOC 석면 오존


다중이용시설 (ppm) (pCi/ℓ) (㎍/㎥) (개/cc) (ppm)

지하역사, 지하도상가
여객자동차터미널의 대합실,
철도역사의 대합실,
공항시설중 여객터미널,
0.05이하 4.0이하 500이하 0.01이하 0.06이하
항만시설중 대합실,
도서관, 박물관, 미술관,
장례식장, 찜질방,
대규모점포

의료기관, 보육시설,
400이하
노인의료시설, 산후조리원

실내주차장 0.30이하 1,000이하 0.08이하

- 5 -
2.1.2 외국 실내공기질 관련 법규 및 기준
(1) 유럽의 실내공기질 관리현황
유럽국가들은 70년대 에너지 파동 이후부터 에너지를 절감과 환경이 인간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많은 연구를 수행해오고 있다. 특히, 기후적 특성상 실내에서
거주하는 시간이 긴 북유럽국가들은 실내공기환경의 중요성을 일찍이 인식하고 실내공기
질 관련 규정 및 제도를 도입하고 현재까지 모범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노르웨이, 핀란드
등 많은 나라에서 WHO(세계보건기구)에서 1987년에 제정한 「유럽공기질기준지침서
(Air Quality Guideline for Europe)에 근거하여 기준 설정하였으며, 각 나라에서는 이
기준을 바탕으로 자국 실정에 맞는 기준을 선정하여 권고하고 있다.

표 5 WHO 가이드라인(출처 : WHO Air Quality Guideline for Europe 2nd Edition 2001
http ://www.who.dk/air/Activities/20020620_1)

항목 가이드라인(㎍/㎥) 평균 노출시간
카드뮴(Cd) 0.005 연간
이황산탄소(CS2) 100 24시간
100,000 15분
60,000 30분
일산화탄소(CO)
30,000 1시간
10,000 8시간
1,2-디클로로에탄 700 24시간
3,000 24시간
디클로로메탄
450 1주일
포름알데히드 100 30분
황화수소(SO) 150 24시간
납(Pb) 0.5 연간
망간(Mn) 0.15 연간
무기수은(Hg) 1 연간
200 1시간
이산화질소(NO2)
40 연간
오존 120 8시간
스티렌 260 1주일
500 10분
이산화황(SO2) 125 24시간
50 연간
테트라클로로에틸렌 250 연간
톨루엔 260 1주일
바나듐(V) 1 24시간
라돈(Rn) 100Bq/㎥ 연간

- 6 -
EU(유럽연합)에서는 건축자재의 오염물질방출강도의 특성을 활용한 실내환경, 마감재
로에 대한 분류규정을 제정하여 설계지침으로 활용하여 건물내부에서 발생하는 각종 오
염물질의 방출특성을 감안한 새로운 공기청정기준 제시하는 등의 활동을 하고 있다. 특
히 이런 오랜 기간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북유럽국가연합회(SCANVAC:스웨덴, 노르웨
이, 핀란드, 덴마크 등이 연합하여 구성한 학회)에서는 실내공기환경을 3단계로 구분하여
제시하고 있으며, 또한, 건축자재로부터의 오염물질 방출강도에 따라 실내공기환경과 마
찬가지로 3단계로 구분하여 권장치를 제시하고 실내공기환경 개선에 노력하고 있다.
덴마크는 환경보호청(EPA)에서 실내공기의 오염관리 담당하고 있으며 실내공기질에 영
향을 미치는 실내오염원의 제어를 위하여 건축자재와 설비기준을 강화하여 VOCs,
PAHs, 라돈, 포름알데히드, 석면 등과 같은 물질의 실내 배출원을 엄격히 통제하고 있
고, 실내환경협회는 건물재료와 인테리어 재료들이 실내환경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중
시하여 「실내환경인증」을 실시하고 있다.
독일은 연방정부 차원에서 환경, 보건, 경제, 건설, 노동부 등 관계부처가 참여하는
IAQ 연구위원회 운영하고 있으며, 보건부에서 라돈의 권고치를 250Bq/㎥(6.8pCi/ℓ), 포
름알데히드는 0.1ppm, 테트라크로로에틸렌은 1㎎/㎥로 설정ㆍ관리하고 있다.
노르웨이는 보건부, 노동부, 건축물 관련부처 등이 실내공기질 관련업무 수행하는데,
보건부 산하 국립공중위생원(National Institute of Public Health)에서 라돈, 석면 등에
대한 공중보건협회에서 실내공기질 가이드라인 마련하여 관리하고 있다.

(2) 미국/캐나다/호주
미국 환경 보호청 EPA(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내에서는 대기 및 방사선국
(OAR : Office of Air and Radiation) 산하의 실내환경과(IED : Indoor Environments
Division)에서 실질적인 업무를 담당하는데 국가적인 공기질 관련 정책 및 프로그램을 개
발하고, '실내공기질위원회(CIAQ : Committee for Indoor Air Quality)'의 활동을 주도
하고 있다.
미국은 다양한 실내공간에 대한 관리를 위하여 오염물질별 법적 규제는 하지 않고 있
으나 작업장 환경에서의 실내오염물질에 대한 가이드라인 제시하고 있으며, 민간단체인
냉난방공조학회인 ASHRAE (American Society of Heating Refrigeration and
Air-conditioning Engineers)는 Standard 62를 통해 저층 주거용 건축물을 대상으로 한
실내공기환경 기준을 아래 표와 같이 제시하고 있다.

- 7 -
표 6 미국 냉난방공조학회(ASHRAE) 가이드라인

오염물질 기준치

일산화탄소(CO) 9ppm (8시간 평균)


포름알데히드(HCHO) 120㎍/㎥ (0.1ppm) (30분 평균)
납(Pb) 1.5㎍/㎥ (3개월 평균)
이산화질소(NO₂) 100㎍/㎥ (1년간 평균)
냄 새 거주자나 방문자의 80%이상이 허용 가능하다고 예측
오존(O₃) 100㎍/㎥ (50ppb) (8시간 평균)
부유입자 (PM10) 50㎍/㎥ (1년간 평균)
라돈 4pCi/Liter (1년간 평균)
이산화황(SO2) 80㎍/㎥ (1년간 평균)
총휘발성유기화합물
1)300㎍/㎥미만 ,2)300~3000㎍/㎥, 3)3000㎍/㎥이상
(TVOC)

캐나다는 작업장 및 주거지의 실내공기질 관리지침에 따라 관리하는데 발암물질과 비


발암물질로 구분 관리하고 있으며, 생물학적인 오염원과 기타 먼지, 담배연기 등을 포함
한 권고기준 설정하고 있다. 또한, 신축 및 기존사무실 건물의 실내공기질 인증제도
BEPAC(Building Environmental Performance Assessment Criteria System)를 시행하고 있다.

표 7 주거공간의 실내공기질에 대한 노출 가이드라인(권장)

오염물질 목표 가이드라인
포름알데히드 60㎍/㎥ 이하
이산화탄소 3,500ppm 이하
일산화탄소 1시간 평균 25ppm 이하
이산화질소 1시간 평균 0.25ppm 이하
오존 1시간 평균 0.15ppm 이하
부유분진 1시간 평균 100㎍/㎥ 이하
이산화황 5분 평균 0.38ppm 이하
라돈 연평균 800Bq/㎥
습도 여름철 30~80% 겨울철 30~55%

호주는 보건후생성에서 실내공기질 관리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실내공기질의 인체영향


및 관리방향에 대한 지침서 발간하였는데 건축물 설계 시 실내공기질 관리를 위한 「환
기규정」을 정하였으며 환기기준, 측정방법 명시하고 있다. NHMRC(National Health and
Medial Research Council)에서 실내공기질 가이드라인 아래의 표와 같이 정하고 있다.

- 8 -
표 8 호주의 실내공기질 가이드라인
항목 기준
라돈 연평균 200Bq/㎥이하
부유분진 연평균 90B㎍/㎥이하
포름알데히드 12ppb이하
1시간 평균 TVOC 500㎍/㎥이하
VOCs
1시간 평균 250㎍/㎥이하
일산화탄소 8시간 평균 9ppm 이하
오존 240ppb이하
이산화황 1시간 평균 700ppb이하
납 3개월 평균 1.5㎍/㎥이하

(3) 일본
일본의 경우 건축기준법, 빌딩위생관리법, 학교보건법 등에서 기준치를 제정하고 일반
생활환경을 관리하고 있고 대기환경은 대기환경보전법에서 규제하고 있다. 후생노동성에
서는 1,400여 세대의 실내공기질 측정결과 및 9차에 걸친 협의회를 통하여 실내공기 중
의 화학물질 농도(권장치)를 제안하였다.
그 외 강제 기준으로 매년 1회 정기검사를 통해 실내공기질 관리의 적정성을 인정받아
야 하는 「관리학교환경 위생기준」,「빌딩위생관리법」, 그리고 후생노동성이 ‘03년 4월
1일부터 확대 개정․시행하고 있는 「건축물에 있어서 위생적 환경 확보에 관한 법률」의
기준이 있다. 「건축물에 있어서 위생적 환경 확보에 관한 법률」의 대상 건축물은 우리
나라 환경부에서 최근 개정한 「다중이용시설등의 실내공기질관리법」과 유사하다.

표 9 일본 후생노동성 기준(권장치)

항 목 기 준

온도 겨울철(10℃ 이상), 여름철(30℃ 이하)


상대습도 30~80%
이산화탄소 1500ppm 이하
일산화탄소 10ppm 이하
기류 0.5m/s 이하
부유분진 0.1㎎/㎥ 이하
낙하세균 평균 10 콜로니/교실 이하
복사열 흑구/건구의 온도차 5℃ 이하
포름알데히드 100㎍/㎥ 이하
톨루엔 260㎍/㎥ 이하
자일렌 (필요시) 870㎍/㎥ 이하
p-디클로로벤젠 (필요시) 240㎍/㎥ 이하

- 9 -
표 10 빌딩 위생관리법 (규제)

항 목 기 준 비 고
부유분진 (PM10) 150㎍/㎥ 이하
일산화탄소 (CO) 10ppm 이하
이산화탄소 (CO2) 1000ppm 이하 2개월마다
온도 17~28℃ 1회 측정
상대습도 40~70%
기류 0.5m/s 이하
신축이나 증축, 대규모의 수선 또는 재배치 후
포름알데히드 (HCHO) 100㎍/㎥ 이하
사용개시 첫 6월~9월 사이 1회 측정

2.2 건축물의 에너지 사용량

국가경제 성장으로 인한 국민소득 증가는 생활환경의 질적 향상을 가져왔고, 인구 증가


와 핵가족화 및 고도 산업화에 따른 건축물의 수요증대와 아울러 기계적인 냉·난방, 환
기, 조명계획의 발전은 건물에서의 에너지 다소비를 유발 시켰으며, 이러한 에너지 다소
비는 에너지 문제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공기오염 등으로 과밀도시의 환경악화에 크게
영향을 주고 있으므로 건물부문의 에너지 절약 기술개발은 필수적이다.
그림 1은 각국의 건물에너지의 소비량을 전체사용량 에너지비율로 비교한 그래프이다.
선진국으로 갈수록 건물에너지의 소비량은 전체 에너지 소비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커져
영국의 경우 40%, 미국의 경우 48%를 차지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총 에너지사용량
(1억 8천만toe/capita)중에서 건축물의 에너지 소비량은 최종 에너지 소비의 약 23%, 이
중 주택부문이 54%(07년 지경부 통계)로 국가 전체 에너지 소비의 약 1/4에 달하며 또
한 이산화탄소 발생량의 50%를 차지한다. 지속적인 건축물의 증가(2020년까지 500만호
이상 증가 추정) 및 이에 따른 냉방과 가전부문의 소비 증가(2020년에는 2000년 대비
1.8배 증가 추정)을 감안 해 볼 때 건축물 에너지 소비량 저감에 대한 노력이 필요한 상
황이다. 이외 건축자재, 시공, 폐기 등의 과정에서 내재된 에너지를 포함하게 되면 현재
통계 이상의 에너지를 건축물 분야에서 소비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한국 최종에너지 영국 최종에너지 미국 최종에너지


소비량(2005) 소비량(2005) 소비량(2005)

그림 1 각국의 건물에너지 소비량

- 10 -
그림 2는 국내·외 건물에서 각 요소에 따른 에너지 사용량을 비교한 도표이다. 국내 건
물에너지 소비에 따른 요소는 크게 공조, 조명 콘센트, 수송, 위생 등이며, 그 중 공조에
따른 에너지 소비율은 약 50%에 육박하여 건물 총에너지 사용에 따른 공조에너지 비율
은 절반에 달한다. 일본 단독주택의 경우도 총 에너지 사용량 중 열원, 환기 등 비율의
합계는 국내와 거의 비슷한 소비량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표 11은 건물에서의 전력,
가스, 열량 등 다양한 형태의 설비별 사용되는 에너지 요소를 확인할 수 있다.

(a) 국내 건물 에너지 사용량 (b) 일본 단독주택 에너지 사용량

그림 2 국내·외 건물 환기에너지 사용량 비율 비교

표 11 건물에너지 사용설비별 소비 에너지 요소


에너지 요소 최적제어 수요제어
구 분 관 리 대 상
전력 열량 가스 물 여 부 여 부

열원설비 냉동기, 보일러 ○ ○ ○ - ○ ○


공조설비 AHU, FCU 등 ○ ○ - - ○ -

열교환설비 열교환기 ○ ○ - - ○ ○
급수펌프 등 ○ - - ○ - -
건축기계설비
급배수 급탕펌프 등 ○ ○ - ○ - -
위생설비 배수펌프 ○ - - - - -

환기팬 ○ - - - - -

소화설비 소화펌프 ○ - - - - -

수변전설비 변압기 등 ○ - - - - ○
조명설비 ○ - - - ○ -
건축전기설비 동력부하설비
콘센트설비 ○ - - - - -
운송설비 ELEV. ○ - - - - -

- 11 -
현재, 기후변화 대응에 따른 표 12와 같은 국제적 협약 및 실천계획 아젠다21[Agenda
21]의 채택으로 부상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지속가능한 성장에 대한 본격적인 논의를
하고 있는 추세에 국내는 시간당 0.7회라는 에너지 다소비형 실내공기질 관리는 국가적
에너지 사용의 과다한 증가를 초래하고 지구환경을 악화시켜 기후변화를 야기하는 데 일
조하게 된다. 향후 에너지 비용의 상승과 기후변화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기존 실내
공기질 관리를 위한 환기가 아닌 에너지 절약적인 최적의 환기 및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에 대한 검토와 개발이 되어야 한다고 본다.

표 12 기후변화 대응 관련 국제적 동향

구 분 내 용

· 92년 6월 브라질 리우 환경회의에서 지구온난화에 따른 이상기후현상


기후변화협약 예방을 목적으로 유엔기후변화협약이 채택됨으로 국제적 공동대응이 시작
(UNFCCO) 됨. ․ 공동의 차별화된 책임 및 능력에 입각한 의무부담의 원칙수립 : 선진
국의 선도적역할 강조, 구속력 있는 감축의무가 아닌 노력사항으로 채택

2000년 이후 선진국의 감축목표를 주요내용으로 하는 교토의정서 채택,


교토 의정서 발효
온실 가스 감축에 대한 법적 구속력이 있는 국제 협약

13차 기후 ‘장기협력행동 작업반’을 설치하여 2012년 이후 기후 변화체계논의 2012


변화 협약 발리 년 이후에는 선진국뿐만 아니라 개도국까지 온실가스 감축에 참여하는 방
로드맵 채택 안을 향후 2년간 본격적으로 논의(2009년 당사국 총회에서 최종 결정)

- 12 -
제 3 장 오염원 발생과 관리현황

3.1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실내 공기질의 관리 방안은 크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 오염원의 사전 관리로


오염발생 자체를 방지하거나 줄이는 방법이며, 둘째, 필터나 공기청정기 등을 이용하여
발생된 오염물질을 제거하여 오염농도를 낮추는 제거관리, 셋째, 환기로 실 전체의 오염
된 공기를 외기와 교환함으로써 전반적인 오염농도를 희석시키는 희석관리이다.
실내공기질을 관리하는 방법 중에서 발생원 자체를 저감시키는 사전관리가 실내공기로
확산된 이후 제거하거나 희석시키는 것에 비하여 효율적이다. 그러나 실내에 존재하는
오염원 자체를 완전히 제거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재실자 자체가 오염원으로서 역할을
하며 또한 건축 내장재를 비롯한 가구 등의 생활용품에서 양의 차이는 있을지언정 어느
정도의 화학물질이 방출된다. 건축내장재 및 가구류, 복사기, 프린터, TV 등 생활용품·가
전제품에서 방출되는 화학물질을 정량, 정성적으로 측정 분석할 수 있는 측정방법이 필
요하며, 실내공간으로 방출되는 유해화학물질의 특성을 이해하고 실내 공기환경개선을
위한 방법으로 실내의 화학물질의 방출량을 경감시킬 수 있는 무공해(Non-Toxic)제품이
나 화학물질 저방출 제품의 보급을 위한 관리 방안 등이 필요하다.
베이크아웃은 다량의 오염물질을 단 시간내에 실외로 배출하는 방법으로 국내 시공사
경우 준공 전 보일러의 시운전과 연계하여 현장 여건에 따라 적절한 방법으로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잘못 시행된 베이크아웃은 베이크아웃 시행 시 발생하는 유해오염물질의
재흡착으로 인한 오염물질 농도가 증가된 경우(Girman 1989)도 있으며 이러한 상반된
결과는 베이크아웃 중의 온습도, 환기 등의 환경조건들이 베이크아웃 후의 오염물질의
농도에 영향을 주기 때문이라 판단된다. 주변 여건을 파악하지 못한 적절치 못한 베이크
아웃은 오히려 재실자에게 더 큰 악영향을 미치고 과대한 외기도입은 건물의 냉난방에너
지의 손실 등으로 큰 부담으로 존재하여 보다 체계적인 베이크아웃에 관한 연구가 필요
하다.
환기는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실외의 청정한 외기로 희석을 시키는 방법으로 최근 건
설되고 있는 주상복합 건물·APT에서는 주방환기시스템 및 열교환기를 활용한 세대내 환
기시스템에 대한 보급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나 일반 공동주택에서는 주방과 화
장실의 국소환기 이외에는 환기시스템 설치가 아직 미비한 실정이다. 또한, 2006년 2월
15일 건설교통부령 제 497호로 2차례의 공청회개최를 통해 개정된 신축 공동주택 및 다
중이용시설에 설치하는 환기설비의 기준으로 공동주택의 경우 필요 환기횟수를 시간당
0.7회 이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환기설비를 설치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쾌적한 실내공기질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보다 정밀한 오염원의 사전 관리로 오염물질
발생을 최소화하고 발생된 오염물질농도를 효율적으로 제거, 희석시켜 관리해야 한다.

- 13 -
Source Removal
Control Control
• 건물내장재 • 필터
• 연소기기 • 전기집진기
IAQ • 공기청정기
• 덕트청소
• 미생물 발생억제

• 국소환기후드
Dilution • 환기시스템
Control • 폐열회수 환기유닛

그림 3 실내공기질 관리

3.2 오염물질 발생원 관리

실내공기질 관리를 위해서는 주요 실내공기 오염물질을 파악하여야 한다. 주요 실내오


염물질은 시대에 따라서 그림 4와 같이 변천되어 왔다. 19세기 이전에는 광산을 중심으
로 작업자들에 의한 이산화탄소가 주된 관심 대상이었고 1차 세계대전 당시에는 질병의
확산이 병원 환경에서의 주된 관심 대상이었다. 1950-60년대에는 공장과 자동차에 의한
대기오염으로부터 유입된 황산화물과 폼알데히드와 같은 연소가스가 주요 실내오염물질
이었고 1970-80년대에는 흡연에 의한 담배연기가 실내환경오염의 주범이었다. 1990년
대 들어오면서 금연 건물이 많아지면서 담배연기 보다는 건축자재나 생활용품에서 발생
하는 VOC와 라돈, 그리고 석면과 같은 오염물질이 주요 관심 대상이었다. 2000년대 이
후에는 각종 생활용품에서 발생하는 VOC와 미세입자, 그리고 인플루엔자와 같은 미생물
이 주요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여기서는 오염발생원을 건축자재, 생활용품, 인체활동,
그리고 기타로 나누어 오염물질과 오염발생량, 그리고 관리방안에 관하여 설명한다.

Material
Mine Outdoor Air Tobacco
VOC
Disease SO2 ETS Microbio.
CO2 HCHO Rn, Asbestos SVOC, PM
Sulphate NOx

1850 1900 1950 1960 1970 1980 1990 2000


Seifert (2002)

그림 4 시대별 주요 오염물질 변천

3.2.1 건축자재
신축건물에서 원인을 알지 못하는 건물병 증후군이 나타나는데, 이는 상대적으로 환기
량이 부족한 한정된 실내공간에서 각종 건축자재 등에서 발생되는 오염물질이 정체되면
서 그 농도가 증가하여 원인을 제공하고 있다. 건축자재가 내포하고 있는 다량의 오염물
질은 재실자로 하여금 두통, 현기증, 눈의 자극, 집중력 감소 등을 호소하는 빌딩증후군
(Sick Building Syndrome)현상은 재실자의 건강을 크게 위협하고, 생산성과 능률의 저하
를 초래하여 문제시 되고 있다.

- 14 -
(1) 건축자재 관리
현재 국내에서는 건축자재에 대한 오염물질 방출량 관리로 20L 소형챔버법으로 각 건
축자재에 대한 소재 일부를 시편으로 삼아 소재에서 발생되는 휘발성유기화합물과 포름
알데히드의 유해가스물질에 대한 방출량을 시험하고 있으며, 이에 한국공기청정협회에서
는 표 13과 같은 HB(건축자재 인증 등급) 건축자재 오염물질 방출량에 따른 최우수, 우
수, 양호와 같은 등급을 부여하여 건축자재에 대한 오염물질 방출량 관리 및 소비자에게
구매 시 구매물품에 대한 발생 오염물질 정도를 파악하게 하여 쾌적한 실내공기질 관리
를 위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표 13 한국공기청정협회 건축자재 인증 등급

구분 일반자재 페인트, 퍼티 접착제 실란트

TVOC 0.10 미만 0.10 미만 0.25 미만

5VOC 0.03 미만 0.03 미만 0.075 미만


최우수
HCHO 0.015 미만 0.015 미만 0.015 미만

TVOC 0.10 이상~0.20 미만 0.10 이상~0.30 미만 0.25 이상~0.75 미만

5VOC 0.06 미만 0.09 미만 0.22 미만

우수
HCHO 0.015 이상~0.05 미만 0.015 이상~0.05 미만 0.015 이상~0.05 미만

TVOC 0.20 이상~0.40 미만 0.30 이상~0.60 미만 0.75 이상~2.5 미만

5VOC 0.12 미만 0.18 미만 0.75 미만


양호
HCHO 0.05 이상~0.12 미만 0.05 이상~0.12 미만 0.05 이상~0.12 미만
※ 5VOC : 신축 공동주택의 실내공기질 물질[벤젠, 톨루엔, 에틸벤젠, 자일렌, 스티렌]
단위 (㎎/㎡h)

그림 5는 공기청정협회에서 승인받은 국내 건축자재의 연도별 수량이다. 2004년도 인


증제도가 실시된 이례 건축자재의 인증 수량은 크게 증가하다가 2007년도 이후에는 조
금씩 감소하고 있지만 대체적으로 일정한 수량을 유지하여 건축자재 오염물질 방출량에
대한 성적인증은 점차 안정화 되고 있다. 건축자재 인증 항목으로는 바닥재, 벽지, 접착
제, 실란트, 페인트, 판넬 등이다. 또한, 기존 인증을 받았던 건축자재는 3년마다 재실험
을 통한 재인증을 실시하여 기존 자재에 대한 지속적인 관리와 최우수등급의 친환경자재
의 경우 지속적으로 생산량을 유지, 오염물질 방출량이 높은 자재의 경우 생산량을 줄이
는 추세를 표 14에서 확인할 수 있다. 현재 건축 시공 시 사용하는 건축자재에 대한 각
자재별 오염물질 방출정도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발생하는 오염물질 종류와
예상 농도를 산정할 수 있게 함으로써 오염물질 방출량의 지속적인 관리와 친환경건축자
재의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다.

- 15 -
그림 5 건축자재 년도 성적 등급 변화 추이 비교 그래프

표 14 년도별 건축자재 재인증 수량

분류 2007 2008 2009


최우수 29(76%) 111(83%) 33(94%)
우수 4(11%) 6(4%) 1(3%)
양호 4(11%) 3(2%) 1(3%)
일반Ⅰ 1(3%) 6(4%) 0
일반Ⅱ 0 8(6%) 0
합계 38(100%) 134(100%) 35(100%)
( ) 전체 재인증 수량에 대한 %

(2) 베이크아웃
베이크아웃이란 건물완공 초기 발생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저감시키기 위하여 실내
온도를 일정기간 동안 일시적으로 상승시켜 오염원으로부터 다량의 오염물질 발생을 촉
진시킴으로써 입주 후 발생하는 오염물질 발생량을 완화시키는 방법이다. 국내 환경이
사계절로 계절에 따른 온도·습도 변화차가 크고 그 외 다양한 외기조건에 따른 실내환경
변화로 현재 통일된 베이크 아웃 방법이 있는 것은 아니나 주택공사에서 실시하고 있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날 23-25C를 유지하고 이후부터 28-30C를 유지한다. 베이크아웃 기간은 사전
측정결과 유해물질 수치가 기준치 1.3배 이내인 경우에는 3일간 실시하며 하나라도 기준
치 1.3배를 초과하면 5일간 실시한다. 현재 베이크아웃을 통한 오염물질 방출 3일 실시
후의 오염저감효과를 30%로 산정하고 있다. 베이크아웃을 실시하는 동안 건축자재 및
가구에서 방출하는 오염물질의 재흡착을 차단하기 위하여 외부에 면한 창호는 지속적인

- 16 -
환기흐름을 만들 정도의 창문을 일부 개방(5cm폭)하고 세대내 각 실 방문과 가구류의 문
은 개방하여 각자재가 내포하고 있던 오염물질 방출을 돕도록 한다. 또한, 지속적인 환기
량 확보를 위하여 욕실과 주방의 환기팬은 저속 가동한다. 베이크 아웃을 실시하기 위하
여 소요되는 난방비와 인건비 산출기준은 표 15와 같다.

표 15 난방비 및 인건비 산출기준 (주공, 2008)

구분 계절 난방비 인건비

동절기 (10.16-4.30) 52,000


분양주택
하절기 (5.1-10.15) 25,000
5,000
동절기 (10.16-4.30) 37,000
임대주택
하절기 (5.1-10.15) 18,000
* 동절기 10시간/일, 하절기 7시간/일 난방기준임

현재, 국내기후 조건의 다변화와 그에 따른 실내환경 변화에 맞추어 체계적인 베이크아


웃 방법과 그 효과에 대한 연구가 시공사와 대학기관 등에서 진행되고 있다.
유복희는 하절기 신축 공동주택에서 베이크아웃시 환기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방법이
오염물질 저감효과가 높다하였다. 포름알데히드의 경우 동절기에는 50%저감, 하절기에
는 76~93% 저감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톨루엔의 경우 동절기에는 58%저감, 하절기에
는 87~94%저감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오염물질의 경우 반대로 하절기보다 동절기
에 저감효과가 우수한 경우도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전주영 외 3인은 베이크아웃 실
시 후 포름알데히드 0.2-0.89배, TVOC 0.2-0.8배로 감소하였으며, 베이크 아웃 시
TVOC의 저감효과가 더 좋다고 판단하였다. 박은영 외 5인은 동일 층 4세대를 베이크아
웃을 시행 후 측정하여 포름알데히드, 톨루엔, TVOC농도 각각 10%, 4%, 11% 감소하였
으며, 2주일 후 48%, 64%, 69% 저감되었다고 하였다. 외국의 경우에도 베이크아웃의
효과는 유사하게 나타나고 있으나, 野崎停夫의 연구에 의하면 TVOC가 오히려 10% 증
가하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베이크아웃은 단시간 내에 다량의 오염물질을 실외로 배출하는 반면 그에 따른 에너지
손실 및 인건비를 발생시킨다. 또한, 일부 잘못된 실행에 따른 실내오염물질의 방출량 증
가현상도 발생하여 베이크아웃 시행에 따른 적절한 교육과 시행 시 발생하는 에너지 소
비와 인건비 소모를 줄일 수 있는 효율적인 베이크아웃 시스템 개발이 필요하다.

3.2.2 생활용품
(1) 가구 발생량 관리
현재 가구 제조에 사용되는 자재등급은 포름알데히드 방출량 기준으로 'SE0, E0, E1,
E2' 등급(국제 기준)으로 총 4가지 단계로 분류돼 있다. 각 자재의 오염물질 방출량은

- 17 -
16과 같으며, 국내의 경우 국외와 달리 사용에 대한 규제가 마련되어 있지 않아 일부 가
구를 생산하는 업체에서 자체적으로 ‘친환경 자재등급’을 표시 시행 중이다. 특히, E2 등
급은 표 17과 같이 환경규제가 까다로운 일본, 유럽뿐 아니라 대만에서도 사용이 금지된
비친환경자재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아직 별다른 규정 및 관리가 없어 오염물질 방출량
에 따른 자재 관리가 필요한 실정이다.

표 16 자재 포름알데히드 방산량에 따른 가구자재 등급 (국제 기준)

등급 평균 방산량(mg/L) 한국규정 일본규정 대만규정


SE0 0.3 이하
사용가능
E0 0.5 이하 사용가능 사용가능
(KS 규격)
E1 1.5 이하
사용가능
E2 5 이하 사용금지 사용금지
(KS 규격 제외)

표 17 국외 건축자재 관리 지침

시행년도 자재관리 지침
E1이하 사용규제
일 본 2003. 7. 1 시행
E1, E0 사용면적 제한
대 만 2008. 1. 1 시행 E1이하 사용규제
2009. 1. 1 시행 E1이하 수준 사용 규제
미 국
2011. 1. 1 E0이하 수준 사용 규제

표 18은 사용 종류에 따른 제품을 동일한 규격에 E0, E2 자재등급에 따른 재료로 제


작한 제품을 동일한 방법으로 실험·측정 후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다. 그래프를 보면 육안
으로 확연히 구분할 수 있을 정도로 오염물질 방출량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E0등급 소재 사용가구와 E2등급 소재 사용 가구를 비교하여 보면, TVOC의 경우 평균
3배 정도의 방출량 차이가 있었으며, 포름알데히드의 경우 작게는 4배에서 크게 6배까지
방출량의 차이가 있다. 일반적으로 가구 소재로 주로 쓰이는 MDF와 파이클 보드(PB)의
자재의 경우 국내 상황은 E0등급 제품은 거의 생산되지 않고 있으며, E1이나 E2등급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표 18 소재 사용에 따른 가구의 TVOC 및 포름알데히드 방출량 비교

학생용 사물함 컴퓨터/사무책상 신발장


[mg/h·unit] 
E0 E2 E0 E2 E0 E2
TVOC 0.1084 0.3164 0.0704 0.3372 0.1631 0.4758

HCHO 0.0556 0.2072 0.0578 0.3011 0.0581 0.235

- 18 -
(2) 전기·전자제품 방출량 관리
실내공기 오염인자 중 유해화학물질은 건축자재, 내장재, 페인트, 접착제 등에서 발생
되고 있는 폼 알데하이드와 TVOC 등 화학물질오염에 단체표준 등을 마련하여 건축자재
관련 화학물질 방출특성에 관한 시험방법이나 관련 규격의 제정과 더불어 관련 정보를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HB마크 인증제도나 친환경마크 인증제도 등이 시행되고 있다. 그
러나 프린터, 복사기 사무기기 외 TV, 청소기 등의 가전제품에서도 다량의 유해화학물질
이 방출되고 있다는 사실에 대해 인식부족으로 현재 전자제품에서 방출되는 오염물질 방
출량에 대한 관리는 물론 시험방법에 대한 규정도 없는 실정이다.
다음은 국내 한 대학기관에서 가정 및 사무실에서 주로 사용하는 전기전자제품 사용에
따른 오염물질 방출량을 측정 비교한 실험으로 그림 6은 대형 챔버에 전자제품을 측정하
는 모습과 오염물질 방출 비교 그래프이다. 측정결과 다량의 TVOC가 TV에서 방출되었
으며, 프린터에서 또한 발암물질인 HCHO가 다량 검출되었다.

그림 6 전기전자제품 오염물질(TVOC, HCHO) 방출량 비교 그래프

ASTM, JIS, GREENGUARD등의 규제를 통하여 실생활 및 사무실에서 사용하는 전기


전자제품에서 방출하는 오염물질량에 대한 규제를 하는 국외 실정에 반하여 아직 국내는
전기전자제품 오염물질 방출량에 대한 규제는 물론 실험 방법에 대한 연구가 미비한 실
정이다. 전기전자제품에 대한 정확한 오염물질 방출량에 대한 관리를 위해서는 완제품인
각종 생활용품에서 방출되는 미량의 분자상 화학물질은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방법
을 확립하고 제품의 친환경 성능을 계량화하여 실내 공기오염에 미치는 영향을 경감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 최근 관심이 집중되는 실내오염믈질의 측정 평가 및 시험 방법
을 정립하여 생활용품에 대한 오염물질 방출 특성에 따른 성능 표시제의 도입이나 인증
방안을 마련하여야 한다. 이는 국내 관련 제품의 환경성능 평가를 통한 기술경쟁력을 향
상시키고 우리 기술의 비교 우위를 점하고 국가의 기초 환경기술 확보 등에 긍정적인 영
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19 -
3.2.3 인체활동
일반적으로 사람에 의한 실내오염의 발생원은 크게 호흡, 대화 기침 등과 같이 인체에
의해 발생하는 것과 보행, 작업, 흡연 등 사람의 활동에 의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나눌 수
있다. 인체에서 발생되는 대표적인 오염물질은 CO2로서 표 19에 보이는 바와 같이 활동
정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표 19 인체로부터의 CO2 발생량

에너지 대사율 O2 소비량 CO2 방출량


작업 정도 3 3
(RMR) (m /h·명) (m /h·명)

안 정 시 0 0.0146 0.013
매우 가벼운 작업 0.8 0.0244 0.022
가벼운 작업 1.5 0.0329 0.030
보통 작업 3.0 0.0512 0.046
힘든 작업 3.5 0.0818 0.074

(1) 담배연기
담배연기에는 필터를 통과해서 흡연자가 흡입하여 내뿜는 연기와 담배 끝에서 나오는
생담배연기가 있다. 전자를 주류연(main stream), 후자를 부류연(side stream)이라 부른
다. 담배는 고온 연소와 담배의 열분해로 인하여 담배연기에서 발생하는 타르는 단일 물
질이 아니고 여러 화합물의 집합체이다. 화합물의 종류에는 200여개의 독소와 약 20여
종의 A급 발암물질을 포함하여 약, 4,000가지의 화학물질로 구서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
져 있다. 따라서, 흡연시마다 다량의 독소가 공기 중으로 방출되어, 흡연자는 물론 주위
비흡연자에게도 간접흡연(ETS, Environmental Tobacco Smoke)에 의하여 원치 않는
흡연을 하게 되어 사회적으로 큰 문제가 되고 있고, 공공장소와 많은 대형 건물에서는
흡연을 제한하고 있고, 점차 금연구역을 확대하여 나아가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담배
연기는 실내에 오래도록 머물고 좀처럼 사라지지 않으며, 담배연기가 가득찬 실을 떠난
후에도 오래도록 몸과 옷에 담배연기를 간직하게 된다. 흡연자는 보통 자신의 담배연기
로 인하여 이런 냄새에 민감하지는 않지만, 실내에서 흡연을 할 경우 냄새를 조절하기
위하여 공조량이 600%만큼 증가하여 실내 환경 조성에 더욱 큰 에너지 소모가 발생하게
되고 김용식은 비흡연 시 냉난방 19% ~ 29%까지 에너지 소비량이 줄어든다고 보고하
였다. 아울러 다중이용시설에서의 금연 효과로 공공장소와 작업장에서의 담배규제는 담
배소비를 4 ~ 10 % 감소시키는 효과를 내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미국 정부에서도 공공
장소 등에서 흡연을 제한하는 것으로 인해 담배소비감소를 가져올 뿐만 아니라 직장인
및 일반인의 금연율을 높이는 효과를 가져오는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다중이용시설에서의 금연 방법으로 미국 CDC에서는 지역사회에 다양한 운동, 캠페인

- 20 -
을 시시하는 통합적인 프로그램을 실시 중이며, 호주 빅토리아 주에서는 금연식당을 도
입하기 위하여 종합적인 소책자를 발행하여 간접흡연 예방캠페인을 전개하기도 하였다.
최은진 외 1인은 간접흡연의 영향에 대해 홍보하여 국민적 호응을 얻는 흡연규제정책
을 펴나가는 것이 전략적으로 개발되어야 한다며, 정책대상이 세분화 되고, 사회환경적인
대책이 강력하게 추진될 수 있도록 법적 제도적 장치를 강화해야 한다고 하였다. 또한,
금연구역확대를 위해 자발적으로 실내 금연을 준수하는 사회적 분위기 조성이 필요하다
고 하였다.

표 20 흡연에 의한 오염물질 발생량

물 질 명 발 생 량 물 질 명 발 생 량

CO2 10 ~ 60mg/개 프로판 50 ~ 300 ug


(8.5~14.5%용량) 톨루엔 20~200ug
CO 1.8 ~ 17mg/개 벤젠 15~100ug
(1.5 ~ 5.5% 용량) 휘발성 알콜 -
NOx 0.01 ~ 0.6mg/개 휘발성 알데하이드 케톤 -
95%는 NO, 기타는 NO2 포름알데히드 10~50ug
휘발성 함질소화합물 - 아세트알데하이드 -
디메틸니트로써민 아크로레인 20~150ug
등의 발암성 물질 암모니아 10~150ug
휘발성 탄화수소 타르분 0.5~35ug
메탄 200 ~ 1,000 ug 니코틴 0.05~2.5ug
에탄 100 ~ 600 ug 기타 유해물질 -

- 21 -
(2) 연소기구
표 21은 연소기구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오염물질 발생량이다. 일반가정에서의 취사 시
가스레인지, 오븐의 사용은 실내에 이산화질소를 방출하며, 겨울철 난방용으로 지하상가
각 점포 내에서 사용하는 가스 및 석유곤로 등에서도 다량의 이산화질소를 방출하여 환
기량이 부족한 지하상가에서 문제화 되고 있다.

표 21 연소기구에 의한 오염발생량

발생율(mg/h)
발생원 종류
NO NO2 CO CO2 SO2 분진 BaP* HCHO

4x105 0.13 0.66


방사형 0.54~11 16~38 281~542 31~109 ~
난로 ~6x105 ~0.16 ~4.60
(석유) 4x105 <0.03 0.79
대류형 62~195 33~530 35~635 37~94 ~
~6x105 ~0.034 ~6.19

5x105 0.21
난로(가스) 80~4578 3~1225 12~5004 ~ ~ 0.2~300
~2.35x106 ~3.23

1.4x105~
난로(나무) 1.2~3.9 1.3~7.0 70~375 ~ ~ 2.6 ~
3.5x103

가스
9.5~455 18~430 191~2700 4x105 1.29~1.66 1.9~30 ~ 8~23
레인지
주방
기기 5.5x105
가스 0.118
30~581 67~270 195~3564 3x105 0.67~1.09 ~ 20~28
오븐 ~0.126
4x105

*BaP : Benzo(a)Pyrene

(3) 습기발생
습도는 온도와 더불어 실내 온열환경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며 상대습도로40-60%
가 적정 범위로 알려져 있다. 습도는 너무 낮으면 각종 호흡기 질환이나 피부 건조증을
유발할 수 있으며 반면 너무 높으면 끈적거림 등 불쾌감을 유발하고 미생물의 성장을 도
와 비위생적인 환경을 만든다. 특히 화장실과 같이 습도가 높은 곳이나 차가운 외벽 안
쪽에 결로가 발생하여 구조체를 약화시키고 표면의 미관을 해친다. 습도 자체는 오염물
질로 분류되지 않으나 다음과 같은 관점에서 실내공기질에 영향을 미친다.

1) 곰팡이와 박테리아 번식
모든 실내공간에는 곰팡이와 박테리아가 서식한다. 습도가 높으면 이들의 성장을 도와
준다. 곰팡이와 박테리아는 포자와 같은 미생물 입자들을 만들어내고 또한 다양한 냄새
가 나는 VOC를 방출한다.

- 22 -
2) 집안 진드기
실내 습도는 집안 진드기와 진드기 알레르기 물질의 농도에 영향을 미친다. 집안 진드
기는 침대나 카펫 또는 가구 등에 살면서 피부 조각이나 기타 유기질을 먹고산다.

3) 기타 화학물질

습도는 미생물과 관련 없이 가스상 오염물질의 방출량을 증가시킨다. 우레아 포름알데


히드 접착제를 사용한 목재제품으로부터 포름알데히드 방출량은 습도에 따라서 증가한
다. 여러 플라스틱에 사용되는 연화제에 들어있는 알콜 등은 PVC바닥재가 습도가 높은
콘크리트에 맞닿으면 방출된다.
최근 미국의 LBL국립연구소의 실내환경과에서는 EPA의 지원으로 IAQ 과학지식 뱅크
(IAQ-SFRB)를 개설하였다. 거주공간이나 사무공간에서 실내공기질에 관한 내용과 아울
러 인체의 건강과 생산성에 관련된 과학적 지식들을 요약하여 정보를 제공한다. 습기와
관련된 여러 미생물의 발생과 실내공기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내용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표 22 실내의 습기 발생 요인과 발생량

발생요인 습기발생량

취사 2.7kg/day

집안청소 0.15kg/m2· 회

샤워 0.23kg/회

식물성장 0.9kg/m 회

3.2.4 기타 오염관리
(1) 덕트 청소
오랫동안 청소를 하지 않고 방치되어 있는 덕트 내부에는 먼지와 퇴적된 오염물질속에
서 많은 중금속과 박테리아 및 병원균이 생성되어 호흡기질환을 비롯한 병원균의 온상이
되고 있다. 환기덕트에 의한 실내공기의 오염을 막기 위해 정기적인 덕트 청소가 필요하
다.
김윤신의 “공중이용시설 실내공기정화 청소기준 연구” 보고서에 의하면 청소 전후의
미세먼지 농도를 비교한 결과 측정대상 건물 모두에서 청소 전/후의 비가 1.09-1.89로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먼지 중 미생물의 농도는 공급덕트 보다 재순환 덕트에서
2-4배가량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설문조사 결과에 의하면 응답자 중 대다수
가 덕트 청소가 필요한 것으로 응답하였으나 청소 후 체감 개선효과는 매우 낮게 나타나
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23 -
표 23 미세먼지(PM10)의 농도 단위(   )

사무실 백화점 지하상가 예식장 학원 체육관

[Mean±S.D][Mean±S.D][Mean±S.D][Mean±S.D][Mean±S.D] [Mean±S.D]

전 37.3±16.0 72.8±26.1 49.6±20.4 49.1±6.3


후 28.2±14.5 57.7±16.8 43.5±14.9 29.3±5.3
3층
전/후 1.33 1.26 1.14 1.69
(Ratio) (24.4%) (20.7%) (12.29%) (40.2%)
전 33.5±8.4 63.7±18.2 47.1±18.2 44.9±12.4
후 21.7±8.6 44.4±14.2 42.6±14.2 23.7±7.0
1층
전/후 1.54 1.43 1.11 1.89
(Ratio) (35.2%) (30.3%) (9.6%) (47.2%)
전 41.1±17.7 71.0±26.1 81.0±19.5 35.5±12.4 41.4±4.3
지하 후 37.3±16.0 37.3±16.0 37.3±16.0 19.6±5.8 37.9±2.7
1층 전/후 1.39 1.53 1.22 1.81 1.09
(Ratio) (28.2%) (34.65%) (17.78%) (44.8%) (8.45%)

표 24 건물의 용도별 미생물 분포 현황 단위(CFU/m3)

지상 지하
GK-A1) S2) HS3) GK-A S HS
백화점 128.1 76.2 40.6 350.0 356.3 75.0
체육시설 206.2 13.8 46.9
학원 55.0 13.7 42.5
사무용 건물 45.5 33.3 30.9 42.1 57.1 46.6
1) 2) 3)
전체미생물, 포도상구균, 진균류

보건복지부에서는 쾌적한 실내환경 관리를 위하여 1996년 공중이용시설의 덕트 청소


를 의무화하는 공중위생법 시행규칙을 제정하였다. 여기서는 덕트청소 대상 건축물, 청소
시기, 청소대행사 자격요건 등을 명시하고 있다. 이에 따라 청소로봇 시스템, 로봇장착
칼라 카메라, 고압세척기, 집진기, 콤푸레서 등 첨단 청소장비를 갖추고 100여개의 덕트
청소업체가 새로 생겨났다. 그러나 빌딩협회 등 사용자 측의 반대에 부딪혀 제대로 시행
되지도 못하고 사문화된 상태이다.

(2) 외기도입
경우에 따라서는 외기가 실내환경의 오염원으로 작용하는 경우가 있다. 공장이나 자동
차에서 배출되는 매연이나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황사나 꽃가루 등으로 오염된 공기가 실
내로 유입됨으로써 실내공기질을 악화시킨다. 특히 지하철 역사와 같이 대부분 도심에

- 24 -
위치하고 있으며, 외기도입구가 지표면 가까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자동차로부터 배출
된 매연과 연소가스가 지하공간으로 유입되어 실내공기질을 악화시킨다. 외기도입구의
위치를 이면도로로 이전하는 방안, 외기도입 그릴을 지표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상으로
높이는 방안 등 여러 가지 방안들을 연구하고 있으나 도회지 특성상 토지확보가 여의치
않은 경우가 많아서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많다. 도입되는 외기가 오염되어 있다는 사실
은 아무리 환기를 한다하더라도 실내에 공기청정기를 가동하지 않는 한 오염농도를 낮추
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외기의 신선도는 매우 중요하다. 입자상 오염물질의 경우에
는 필터를 사용하여 실내 농도를 외기 농도 이하로 낮출 수 있으나, 가스상 오염물질의
경우에는 가스필터의 효율이나 성능에 한계가 있어 외기농도 이하로 유지하는 것은 현실
적으로 매우 어려운 문제이다.

3.3 소결

실내공기질에 대한 국민의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쾌적한 실내공기질을 확보하기 위한


정부관련 기관과 건설사 및 관련 대학·연구기관의 연구·기술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
다. 건축자재 생산업체는 건축자재에서 방출하는 오염물질 발생 저감을 위한 기술 개발
로 건축자재에 대한 오염물질 방출량관리를 하고 있다. 시공업체는 보다 엄격해진 실내
공기질 관련 법규에 충족하고자 베이크아웃을 계절에 따른 외기와 다양한 현장 적용에
따른 방법을 연구하여 각자의 베이크아웃 시행 준령을 실행하고 있다.
쾌적한 실내공기질 확보를 위한 사전관리로 건축자재 및 가구·전기전자제품에서 발생하
는 오염물질로 인한 실내오염물질의 발생량에 대한 완전한 차단은 불가능하며, 베이크아
웃은 다량의 오염물질을 짧은 시간에 제거할 수 있지만(약 30%) 완전한 제거를 기대하
기는 힘들다. 또한, 발생하는 오염물질은 시간 경과에 따라 점차 감쇠되기 때문에 이를
위한 과도한 환기설비 설치는 건축시공비 절약과 에너지사용과다를 초래하여 바람직하지
않다고 판단된다.
실내공기질을 쾌적하고 건강한 환경으로 개선하기 위해서는 건물의 계획 및 시공에 따
른 적절한 환기량의 확보와 친환경 건축자재의 선정과 더불어 가구류, 가전제품, 사무용
품 등 생활용품에 대하여서도 친환경 성능을 지닌 제품을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한, 실내에서 발생되고 있는 오염물질의 방출특성을 평가하고 이에 대한 데이터베이스의
구축이 필요하며, 축적된 DB를 활용하여 발출오염물질에 대한 관리방안 확립이 필요하
다.

- 25 -
제 4 장 환기설계 프로세스

4.1 일반사항

환기는 건물 거주자에게 최적의 공기질과 열적 쾌적감을 제공하는 절대적인 기능과 역


할을 담당한다. 적정한 환기시스템은 생산 활동을 위해 건강하고 상쾌한 실내환경을 제
공해 준다. 반대로 열악하게 설계된 시스템은 거주 불쾌감과 생산성을 저해하는 요인이
된다. 환기설계는 환기시스템의 수명 기간 동안 그리고 시시각각 변화하는 필요 환기량
을 예측해야 하는 매우 어려운 작업이라고 볼 수 있다. 재실 밀도 및 외기조건의 변화,
사용공간의 용도의 변경 등은 설계자가 나름대로 감안해야하는 변수들이다. 적절한 환기
설계는 실내공기질과 에너지효율 간에 최적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계획하는 것이
다. “많은 것이 좋고 적은 것이 나쁘다”라는 단순한 통념으로 환기설계를 해서는 최적의
균형적인 설계가 이루어질 수 없다. 건물 조건, 용도, 기후특성, 오염원 등에 대한 자료와
지식에 근거하여 기본적인 원칙에 따라 설계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즉, 환기설계의 결
정과정에서 에너지 효율과 최적의 쾌적감에 대한 2가지 설계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건
물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요구된다.
기본적으로 환기설계가 실패하는 요인은 설계 시 표 25의 요소를 고려하지 않았을 경
우에 발생한다. 설계자는 환기성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이들 요소보다 시스템 기술을
강조함으로써 뜻하지 않는 어려움에 빠져들 수 있다. 따라서 디자인 변수와 항목을 적절
히 고려하여 설계의 불균형을 바로 잡고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켜 줄 수 있다.

표 25 환기성능과 관련 요소

• 건물 외피의 기밀성 • 외부 기상 조건
• 태양열에 의한 열취득 • 건물의 형태
• 조명 • 실내활동, 마감재, 재료 및 거주자
• 재실밀도 및 패턴 로부터 발생되는 오염물질

Constraints

Building
Building regulations Climate Local
type environment

Need:
Ventilation
Requirements (IAQ, Building
comfort, standards) system
specification Design

Stratigies Cost Energy Reliability


efficiency efficiency

Design variables

그림 7 환기 설계시 고려인자

- 26 -
4.2 환기량 기준

4.2.1 필요환기량의 변천
필요환기량이란 쾌적하고 안전한 실내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환기량을
의미한다. 필요환기량은 1836년 Tredgold에 의하여 설정된 이래 주요 오염원의 변천과
에너지 가격의 변동 등 사회경제적 환경 변화에 따라서 발전되어 왔다. 폐에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를 희석시키기 위하여 0.5cfm, 신체에서 방출되는 습기를 제거하기 위하여
3cfm, 그리고 광산의 촛불 하나를 켜기 위하여 0.25cfm이 필요하므로 최소환기량은
4cfm(6.8CMH)이라고 추산하였다. 그 후 생체학적인 필요성뿐 아니라 쾌적성 등에 근거
하여 여러 형태의 필요환기량이 추산되었다. 어떤 사람은 10cfm의 환기량이 충분하다고
믿었고 빌링스(Billings)와 같은 사람은 결핵과 같은 병원균의 전파에 주목하여 최소
30cfm, 추천치 60cfm을 주장하였다. 남북전쟁 당시 재실밀도가 높은 병원에서 근무하는
의사들은 질병의 확산을 줄이기 위하여 높은 환기량을 요구하였고, ASHVE는 1895년
30cfm을 최소 환기량으로 채택하였다. 또한, 온도에 의한 신체적 불쾌감이 발생하고 병
원균은 습도에 특히 민감하므로 헤르만(Herman)은 실내 온습도와 같은 열적 조건이 실
내공기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하였다. 이와 같은 그의 주장은 폭넓은 지지를 얻
지는 못하였으나 과도한 온도와 유쾌하지 못한 냄새가 불쾌적성의 주요 원인이 된다는
것에는 공감을 얻었다. 1936년 야글루(Yaglou)는 사람의 후각적 측정을 통하여 실내공기
질을 평가하였고 최소환기량은 재실밀도와도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다고 주장하였다. 그
는 개발한 쾌적도표에 근거하여 10cfm(17CMH)을 최소환기량으로 제시하였다. 이와 같
이 최소환기량을 추산하기 위하여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좋지 않은 실내공기질 환경
의 원인으로서 과도한 온습도, 이산화탄소, 냄새, 미생물에 대한 논란이 계속되었다. 건축
가나 엔지니어들은 주로 쾌적성을 제공하기 위한 냄새나 이산화탄소의 제거에 초점을 맞
추었고 의사나 생리학자들은 질병의 확산을 최소화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Ventilation Rate, L/s/person

20
Flugge (1905) ASHVE (1914)
Billings (1895) 22 State Codes (1922)
15 ASHVE Requirement
전쟁 (질병 Smoking Std
확산방지) 62-1981
10 ASHRAE
62-73 ASHRAE
Yaglou (1936) 담배연기 (1989)
광산 (CO2, 후각 (냄새,
5 습기, 촛불)
CO2) ASA Std (1946)
Tredgold (1836) ASHRAE Std (1981)
0
1825 1850 1875 1900 1925 1950 1975 2000

Year

그림 8 필요환기량 변천

- 27 -
4.2.2 필요환기량 설계기준
세계 각국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ASHRAE에서는 열적 쾌적성에 관하여 Standard 55를
제정하였고 환기에 관해서는 Standard 62를 제정하였다. Standard 62는 1973년에 처음
자연환기 및 기계환기의 표준으로 제정되어 1981년 그리고 1989년에 각각 개정되었다.
최종적으로 2001년 개정본이 출간되어 있고, 지금도 계속해서 개정작업이 진행 중에 있
다. 81년도 표준에는 70년대 에너지 파동의 영향으로 최소환기량이 낮게 책정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후 1989년 이후 표준에서는 케인(Cain)과 팡거(Fanger)에 의한 연구
결과에 의거하여 1인당 최소환기량을 5cfm에서 15cfm으로 증가시켰다. 그들의 연구결과
에 따르면 환기량이 5cfm일 때 재실자에 대하여 80%의 만족도를 보였으나 방문객에 대
해서는 80%의 만족도를 보이기 위해서는 15cfm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이것은
재실자의 경우 동일한 환경에 오랜 시간 노출되어 있을 때 후각 신경의 적응에 의하여
둔감해지기 때문인 것으로서 최소환기량을 설정할 때 재실자 보다는 방문자의 만족도를
고려하는 것이 타당하다는 판단 하에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Standard 62-2001에는 17
개의 부록이 첨부되어 있으며 이전에 고려하지 않았던 환기효율과 시스템 효율의 개념이
도입되어 있다. 여기서는 건강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는 화학적, 물리적, 생물학적
오염물질에 대한 각 거주 공간별 단위 면적당, 일인당 필요한 최소환기량이 규정되어 있
다. 주방과 욕실, 그리고 라커룸 등에서 발생하는 습기는 포함되어 있으나 열적인 고려는
되어 있지 않다. 실험실과 산업용 공간에 대해서는 작업공간에 대한 값으로 규정하고 있
으나 기타 다양한 공정에 의하여 발생하는 오염물에 대해서는 해당 기준을 근거로 한 추
가적인 고려가 필요한 것으로 권고하고 있다. 최근 개정된 Standard 62.1-2007에서는
환기에 의한 에너지 소비를 저감하기 위하여 표 26에 보이는 바와 같이 건물용도에 따른
최소환기량 기준을 대부분 하향 조정하였다.

표 26 ASHRAE의 최소환기량 기준

Occupancycategory Std62-2001 Std62.1-2007


2
(default density /100m ) CMH Eff CMH/p CMH Eff CMH/p

Office(5p) 170 34 140 29


Classroom(25p) 640 25 630 25
Lectureroom(65p) 1660 25 930 14
Retailsales(15p) 510 34 400 26
Auditorium(150p) 3820 25 1380 9

일반적인 공조설비의 설계프로세스는 먼저 건물의 사용목적에 따른 시스템 방식 선정


과 계통을 설계하고 최대부하량에 근거하여 설비용량을 설계한다. 환기량은 건물형태에
따라 각 실별 바닥면적이나 재실인원에 근거하여 산정한다. 이러한 설계방법을 예방적
환기량 산정방법(prescriptive procedure)이라고 한다. 다른 방법으로는 주요 오염물질의

- 28 -
발생강도에 근거하여 허용농도 기준을 만족시키기 위한 각 실의 필요환기량을 계산하여
합산하는 방법이 있는데 이를 성능기준 환기량 산정방법(performance based
procedure)이라 한다. 표 27과 같이 환기량 산정방법에 장·단점이 존재하여 건물의 용도
에 따라 적절한 환기량을 산정해야한다.

표 27 환기량 산정방법

구 분 Prescriptive approach Performance-based approach

바닥면적, 재실자수, 실의 용도에 따라 기준 환 실내 오염농도 유지기준을 근거로 환기량을 정


기량 제시 및 산정 량적으로 계산하여 산정
특 징
(공간에 규정된 공기질의 환기량을 공급하면 실 (알려져 있는 오염물질을 제어하면 실내공기질
내공기질을 만족할 수 있다는 접근법) 을 만족할 수 있다는 접근법)

계산하기 간단하며 적용이 용이함, 호흡존기준 성능기준의 접근법으로 정확한 필요환기량 계산


장점
공기분배효율을 고려함 이 가능함
건축자재별 오염발생강도에 대한 정확한 데이터
과도한 외기도입이나 경우에 따라 부족한 외기
필요, 실의 mass balance모델과 이에 따른 기
단점 도입 유발 가능성이 있으며 이에 따른 초기투자
류해석 등 필요 실무에서 사용하기에는 프로세
비, 에너지 비용 문제
시가 다소 복잡함

4.2.3 우리나라 환기량 설계기준


필요환기량을 너무 적게 산정하면 실내오염발생을 제대로 조절하지 못하게 되고, 과다
하게 산정하면 환기장치의 용량도 과다해져 불필요한 에너지 손실을 유발한다. 따라서
관련기관에서는 건물용도와 면적 그리고 거주 인원에 따라서 적정한 필요환기량을 찾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현재, 다중 이용 시설 중에서 지하도 상가, 의료시설, 교육연구 및 복지시설에는 필요
환기량이 일인당 36m3/h로 설정되어 있고, 문화 및 집회시설, 판매 및 영업시설에는
3 3
29m /h로 설정되어 있다. 그 밖의 시설에 대해서는 25 ~ 27m /h로 설정되어 있다. 따
라서 표 28과 같이 상업시설의 경우 판매 및 영업시설에 적용되는 29m3/h로 환기량 값
을 적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 29 -
표 28 국내 상업시설 운영 주체별 재실 밀도 기준
재실 밀도 기준
기 준 비 고
( 인/㎡ )

1층 매장 1.0
H 백화점
기준층 매장 0.5
지하층 매장 0.7
L 백화점 1층 매장 0.7
기준층 매장 0.5
의류 매장 0.35
L 마트 가전 매장 0.35
임대 매장 0.35
S 마트 매장 0.35

표 29 다중이용시설의 필요환기량
다중이용시설구분 필요환기량 (㎥/인․h) 비고
지하역사 25 이상
지하시설
지하도상가 36 이상 매장(상점) 기준
문화 및 집회시설 29 이상
판매 및 영업시설 29 이상
의료시설 36 이상
교육연구 및 복지시설 36 이상
자동차 관련 시설 27 이상
그 밖의 시설 (찜질방 ․ 산후조리원) 25 이상

4.3 환기방식의 종류

4.3.1 통풍력에 의한 분류
(1) 기계환기
기계환기는 환기풍량의 제어가 가능하여 현재 공동주택에서 주로 급배기 기능과 폐열
회수 기능을 가진 열교환기 시스템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 기계환기는 실내 필요 환기량
을 공급하기 위해 최적으로 설계되어야 하며, 이때 공동주택 규모에 따른 운전비용, 초기
투자 비용을 충분히 검토하여 저에너지 시스템을 구성해야 한다. 실내에서 요구되는 압
력조건에 따라 팬의 설치개소는 그림 9와 같이 구분한다.

- 제 1종 환기방식 : 급기팬과 배기팬에 의한 환기방식


- 제 2종 환기방식 : 급기팬과 자연 배기구에 의한 환기방식
- 제 3종 환기방식 : 배기팬과 자연 급기구에 의한 환기방식

- 30 -
송풍기 배풍기 송풍기 배기구

(a) 제1종환기 (b) 제2종환기

급기구 배풍기 급기구 배기구

(c) 제3종환기 (d) 제4종환기

그림 9 환기방식의 종류

(2) 자연환기
자연환기 방식은 외기의 기상조건 즉, 건물 내외부의 온도차 및 바람에 의한 풍압에 의
해 발생하는 침기(Infiltration)와 누기(Exfiltration)에 의해 발생한다. 따라서 충분한 환기
량 확보를 위한 환기량 제어의 어려운 단점이 있으나 운전비가 들지 않는 장점이 있다.
초고층 주상복합의 공동주택 이외 일반 공동주택의 경우는 자연환기를 활용한 방법들이
많이 활용되고 있는 실정이며, 최근 자연환기의 방법으로 일부 공동주택에서 무동력으로
작동하는 급기구를 거실 날개벽에 설치하여 외기를 도입하는 방법이 적용되고 있다.

(3) 하이브리드 환기(혼합형 환기방식)


자연 및 기계환기 설비를 적절히 조화시켜 환기성능과 실내공기환경을 효과적으로 유
지하면서 건물 에너지소비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혼합형환기 방식(하이브리드 환기방
식:hybrid ventilation system)이 최근 다양하게 개발 및 보급되고 있다.
하이브리드 환기방식은 일반적으로 환기와 냉난방이 동시에 요구되는 건물에 대한 에
너지절약적인 접근방법의 하나로 주로 사무소용 건물에 활용되어 오던 환기방법이다. 이
는 비교적 오랜 기간에 걸쳐서 도출된 환기개념으로 최근 주거용 건물에 적용하기 시작
되면서 재실자들에게 쾌적한 실내공기환경을 제공해주는 것뿐만 아니라, 에너지절약적인
측면에서도 적극적으로 검토되고 있는 환기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4.3.2 실내기류에 의한 분류
실내 기류형태에 따라서 외기와 실내공기의 혼합의 정도가 달라진다. 크게 완전혼합
(complete mixing), 비혼합(non-mixing), 불완전혼합(incomplete mixing)의 세가지 형
태로 나눌 수 있다.

(1) 완전혼합
완전혼합은 실내공기 유동이 활발하여 오염물질이 실내의 전공간으로 균일하게 확산되

- 31 -
는 경우로서 희석환기라고 한다. 이 경우 실내에서의 농도는 어디에서나 동일하므로 실
내체적에 대한 급기량, 즉 공기교환율에만 의존하며, 오염원의 위치나 급기구, 배기구의
위치 등에 전혀 무관하므로 환기효율을 고려할 필요가 없게 된다.

(2) 비혼합
비혼합은 오염물질과 실내공기의 혼합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변위환기
(displacement ventilation)라고도 한다. 이것은 마치 피스톤의 움직임처럼 실내에 급기
된 공기가 실내의 공기를 밀어내 배기시키는 것으로 이 경우 희석환기에 비해 이론적으
로 두 배의 환기성능을 보인다. 가장 이상적인 상태로서 실내의 오염원을 제거하는데 가
장 효율적인 환기상태이다. 비혼합의 다른 경우는 단락(short-circuiting)인데 이것은 실
내에 급기된 대부분의 신선공기가 오염원과 무관하게 배기구로 바로 빠져나가는 것으로,
오염원을 제거하는 방법에 있어서 가장 효율적이지 않은 환기상태이다.

(3) 불완전혼합
불완전혼합은 완전혼합과 비혼합의 중간형태로 실제의 실내 유동상태와 가장 근접하다.
이 경우 실내기류형태와 오염원의 위치에 따라 부분적으로 농도의 불균일이 발생하므로
위치에 따른 국소 환기효율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실내유동형태에 대한 설명은 그림 10
에 잘 나타나 있다.

displacement short-circuiting

(a) 완전혼합 (b) 비혼합

그림 10 실내기류에 따른 혼합의 정도

4.3.3 환기 범위에 따른 분류
환기되는 범위에 따라 전반환기(general ventilation)와 주방 및 화장실 공간 등과 같이
국소적인 오염원이 발생하는 지역만을 환기하는 국소환기(local ventilation) 방법으로 나
눌 수 있다.

(1) 전체환기
현재 다중이용시설, 공동주택에 적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환기로 거실, 침실, 서재 등
거주, 집무, 작업 등과 같은 재실자가 오랜 시간 사용하는 공간으로 지속적인 환기로 실
내 오염원을 제거, 저감시키기 위하여 실 전체를 대상으로 환기를 하는 방법이다.

- 32 -
(2) 국소환기
국소환기란 발생원에 근접하여 흡인후드를 설치하여 발생한 오염물질이 확산되기 전의
고농도상태에서 후드로 포착, 송풍관을 통해 실외로 배출시킴으로써 재실자로 하여금 발
생한 오염물질로 인한 영향을 최소화하는 환기방식이다.
국소배기장치의 구성은 오염물질을 포집하는 후드, 포집물질을 운송하는 덕트, 공기정
화장치와 공기를 흡인하여 배출시키는 송풍기로 구성되며, 이중에서 후드 및 후드의 제
어풍속이 가장 중요한 부분이라 할 수 있다.

4.4 환기설계순서

4.4.1 환기설비의 구성
환기설비시스템의 구성품은 그림 11과 같이 급기, 배기덕트를 외기댐퍼 및 루바 또는
외부후드에 체결한 후, 공기여과기(필터), 열교환소자, 급기 및 배기팬이 내장된 폐열회수
기, 분배기, 소음기, 댐퍼 및 디퓨저를 거쳐서 실내로 공급된다.

그림 11 환기설비 구성 요소

환기설비시스템은 열교환기 구조 형태에 따라서는 하나 이상의 덕트로 연결하여 사용


가능한 구조인 덕트형과 덕트 없이 급기․배기를 벽에 거치하여 사용되는 구조인 창문형으
로 구분할 수 있다. 설치형태에 따라서는 벽걸이형, 상치형, 천정형, 천정 매립 카세트형,
천정 매립 덕트형으로 구분된다.

(1) 송풍기
강제환기시스템에서 가장 중요한 구성요소 중의 하나이며 송풍기는 덕트와 부속품 저
항을 극복하고 요구되는 풍량을 공급할 수 있는 성능을 보유하여야 한다. 일반 송풍기는

- 33 -
일정한 회전수로 회전하는 로터에 의한 유동 방향에 따라서 축류식과 원심식으로 나눌
수 있다. 송풍기의 성능은 압력과 풍량으로 이루어진 성능곡선으로 표현된다. 가급적 고
효율 송풍기를 선정하고 덕트 압손을 고려하여 정격풍량 부근에서 운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수를 가변적으로 변동할 수 있는 가변풍량팬 그리고 설치조건에 관계없
이 일정한 풍량을 공급하는 정풍량팬 등이 개발되어 있다. 송풍기는 그밖에 소음기준과
화재기준을 만족시켜야 하고 결로와 습기가 발생하는 냉기덕트 안팎에 있는 경우에는 전
기용품 기준을 만족시켜야 한다.

(2) 덕트 및 부속
실내가 여러 개로 구획된 경우, 필요환기량을 각 실로 공급하고 실내에서 발생하는 오
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해서 급배기구로부터 시작하여 외기도입구나 배출구를 연결하는 덕
트망이 구성된다. 덕트망은 유량분배가 적절히 이루어지고 각 분기덕트를 따라서 압력손
실이 크게 발생하지 않도록 구성한다. 덕트내 풍속 설계기준에 따라 설계하되 가급적 덕
트 단면적을 크게 하여 압력손실과 소음발생을 최소화한다. 덕트는 온돌바닥 및 천장내
부에 설치할 수 있지만 유지관리가 용이하여야 하며 소음이 전파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
다. 각 실로 공급되는 풍량조절을 위해서는 각 분기덕트에 풍량조절댐퍼를 설치한다. 또
한 결로발생이 예상되는 장소를 덕트가 통과할 때는 보온재를 사용한다.

(3) 여과장치
여과장치는 요구되는 포집효율에 적합한 것으로서 가급적 압력강하가 낮은 것을 사용
한다. 필터는 외기도입구 부근에서 전처리 필터를 설치하고 환기시스템 내부에 주필터를
설치한다. 높은 등급의 주택성능을 위해서는 HEPA필터를 설치하기도 한다. 이러한 여과
기는 접근하기 쉽고 규칙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위치에 있어야 한다. 최근에는 실내로
급기되기 직전의 공기를 최종적으로 여과하기 위하여 실내 말단 급기구에 설치하는 경우
도 있다.

(4) 열회수장치
환기시스템에 설치되는 폐열회수 환기유닛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열적 회수능력이다.
열적 성능지표 중에서 열교환효율이란 배기되는 에너지 대비 회수되는 에너지의 비율로
정의되며 에너지 성능계수란 투입되는 송풍전력 대비 회수되는 에너지의 비율을 의미한
다. 현재 폐열회수 환기유닛에 관한 열적 성능에 관한 고효율 기자재 인증은 에너지관리
공단에서 시행하고 있으며, 품질관리 등을 포함하는 종합적인 성능 인증은 한국설비기술
협회에서 시행하고 있다. 열적 성능과 소음 그리고 누기율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등
급을 부여하고 있다. 여기서 누기율은 10% 이하로 규정하고 있다. 폐열회수 환기유닛에
는 온도차에 의한 현열만을 회수하는 현열교환기와 습기에 의한 잠열까지 회수하는 전열
교환기로 분류된다. 열교환 방식에 따라서 판형 열교환기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고, 로
터리식 열교환기가 일부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교류식 열교환기나 축열식 열교환기
등 새로운 개념의 폐열회수 환기유닛은 물론 설치 형태에 따라서 창문형, 벽체형 등 다

- 34 -
양한 형태의 제품이 개발되고 있다.

(5) 외기도입구
외기도입구는 눈이나 칠 작업 혹은 다른 물질에 의해 유입되는 외기가 차단되지 않도
록 해야 한다. 그런가 하면 외기와 함께 먼지나 곤충 등이 유입되지 않도록 필터를 설치
하고 빗물이 유입되지 않는 구조로 하여야 한다. 환기설계의 중요한 부분인 외기도입구
의 위치는 오염발생원(굴뚝, 배기후드, 자동차 연소가시 배출구 등)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상 이격되고 가능한 한 높은 곳에 배치한다.

(6) 옥외 배출구
외벽에 설치되는 배출구는 위치에 따라 외부 풍압의 영향을 받아 오염물질의 배출이
저해되는 경우가 많다. 토출배기에 의하여 소음, 취기, 열, 기류가 인접한 곳에 악영향을
미치거나 재순환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배출구의 위치, 토출방향 등 건축계획상의 고려
가 필요하다. 최근에는 건물주위의 바람에 의한 풍압변화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벤투리
효과를 유발함으로써 배기 성능을 향상시킨 배기구에 관한 연구 등이 진행되고 있다.

(7) 급배기 디퓨저 (취출구 및 흡입구)


취출구는 덕트 말단에서 실내로 공기를 분배하기 위해 쓰여지는 기구이며 취출 풍속과
방향이 조절가능한 것이 보통이다. 충분한 풍량을 실내에 공급하여도 급기 및 배기 디퓨
저의 성능이 부적절하면 양호한 기류분포를 얻지 못하고 실내공간의 환기효율이 떨어진
다. 실의 형상과 사용현황, 오염물질 발생원 등을 고려하여 급배기 디퓨저의 형상과 위치
를 결정한다. 취출구에는 노즐형, 팬형, 펑커루버, 아네모형 등 여러 종류가 있으며 흡입
구에는 펀칭형나 갤러리, 또는 머쉬룸형 등이 있다. 공동주택에서는 급배기 디퓨저로 팬
형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8) 실간 통기구
실간 공기유동을 원활하게 만들기 위해서 천장을 통해 양측을 연결하는 U자형 덕트를
의미한다. 양측 실간의 압력차를 줄여주고 실간 공기소통을 원활하게 해준다. 주방이나
욕실배기에 의한 하이브리드 환기를 유도하기 위하여 설치하기도 한다. 소음전달을 막거
나 프라이버시를 유지하려면 벤트 내에 필터를 두고 차음설계를 한다.

4.4.2 환기설비 구성요소의 중요도


실내의 청정도를 양호하기 유지하기 위해, 설치된 환기설비시스템의 설계단계에서 환기
성능은 그림 12와 같이 풍량밸런싱, 청정도, 사용편의성, 소음성능, 에너지성능, 사용자편
의성, 열적쾌적성을 고려하여 설계되어야 한다. 환기관련 요구성능은 그림 13과 같이 소
비자를 고려하는 관점에서 청정도 높은 주거환경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청정도 및 열적
쾌적성이 중요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환기시스템의 구성요소 중요도는 열교환

- 35 -
기와 제어시스템이 높게 나타나 에너지 절약적인 측면과 제어시스템을 편리성을 요구하
고 있음을 알 수 있으므로 설계단계에서 충분히 고려할 인자로 활용해야 한다.

그림 12 환기성능 항목별 중요도비율

그림 13 환기시스템 구성요소 중요도비율

4.4.3 환기설계 순서
일반적인 공조설비의 설계프로세스는 먼저 시스템 방식과 계통을 설계하고 최대부하량
에 근거하여 설비용량을 설계한다. 환기량은 주요 오염물질의 발생강도에 근거하여 허용
농도 기준을 만족시키기 위한 각 실의 필요환기량을 계산하여 합산한다.

전제조건의 검토 환기방식의 결정 환기량의 결정 급배기구 위치선정 실시설계

외기 조건 필요환기량 급배기구 설계
자연환기-기계환기 실내기류분포
실내 환경조건 법령 검토 덕트계통 설계
전체환기-국소환기 공기분배성능
건물의 특성 환기효율 송풍기 선정
제 1,2,3종 환기방식 급배기 효율
냉난방 공조시스템 풍량 밸런스 시방서, 계산서 작성

그림 14 환기설계순서

- 36 -
시스템 방식을 선정하려면 설계조건 하에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고 그에 따른 최적의
방식을 결정하게 된다. 중앙 냉난방시스템을 갖춘 상용 건물의 경우, 환기설비의 방식에
따른 시뮬레이션 결과는 기밀도와 같은 건물의 특성은 물론이고 냉난방을 위한 공조방식
에도 크게 의존한다.
장비의 용량과 방식이 결정되면 그 이후에 장비를 선정하고 덕트를 배치하여 도면을
작성하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일반적인 환기설비의 설계 프로세스는 그림 14와 같다.
이와 같은 설계에 대한 검토를 통하여 환기설비의 설계기준과 적용지침에 대한 설정방안
을 제시한다. 연간 기후조건과 운전조건에 따른 사용전력과 냉난방부하등에 관한 비교를
통하여 자연환기 및 하이브리드 환기 등 다양한 환기 방식의 적용성을 검토한다.
특히 하이브리드 환기는 자연환기와 기계환기 시스템을 적절히 조화시켜 실내공기질을
유지하면 에너지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환기시스템으로 환기와 냉난방이 동시에 요구
되는 건물에 대한 에너지절약적 접근방법이다. 주로 사무소 건물에 활용되어 왔으나 최
근 주거용 건물에 적용하기 위한 하이브리드 환기의 평가와 제어전략 개발에 관한 연구
가 유럽이나 일본을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다.

4.5 환기설비 설계사례


4.5.1 다중이용시설
사무소건물에서 냉난방을 수행하기 위해, 적용되는 시스템은 정풍량 시스템과 변풍량
시스템을 실 용도에 적합하게 적용하고 있으며 본 사례조사를 통하여 수집한 자료를 분
석한 결과, 실용도별로 표 30과 같이 구분되는 공조방식에 환기량을 추가하거나 전수방
식의 경우는 별도의 환기설비를 추가해야 한다. 정풍량 시스템이 적용되는 실은 실체적
이 큰 내공간이거나 현열비가 낮은 수영장, 운동시설, 판매시설, 식당 및 주방에 많이 적
용하며 업무용으로 사용하는 사무실의 경우, 변풍량 시스템을 적용하는 것으로 분류할
수 있다.

- 37 -
표 30 다중이용시설 환기설비 종류

계 통 명 공조 방식 환기방식
부속실 CAV + FCU 공기수방식 공기계통에 환기설비적용
판매시설 CAV 전공기방식 공조기에 환기덕트적용
업무시설 로비 VAV+FCU+CONV. 공기수방식 공기계통에 환기덕트적용
로비 & 식당 VAV 전공기방식 공조기에 환기덕트적용
로비 & 은행 VAV 전공기방식 공조기에 환기덕트적용
사무실 VAV + CONV. 공기수방식 공기계통에 환기덕트적용
근린 생활 CAV + CONV. 공기수방식 공기계통에 환기덕트적용
수영장 CAV 전공기방식 공조기에 환기덕트적용
레스토랑 CAV + CONV. 공기수방식 공기계통에 환기덕트적용
락카 & 에어로빅 CAV + CONV. 공기수방식 공기계통에 환기덕트적용
기계실 메이크 업 CAV 전공기방식 공조기에 환기덕트적용
레스토랑 주방 메이크 업 CAV 전공기방식 공조기에 환기덕트적용

상기와 같이 구분되는 실용도별로 적용되는 공조설비에 적용되는 환기덕트시스템의 구


성방식을 구분하여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사무실
설치되는 덕트시스템은 초고층건물의 경우, 일반적으로 변풍량유닛이 부착된 변풍량시
스템이 적용되지만 대온도차공기조화시스템을 적용한 경우에는 변풍량유닛이 설치된 외
주부 영역에 팬구동유닛(fan powered unit)이 변풍량유닛을 대체하여 설치한다. 이때, 환
기설비는 실내에 급기되는 풍량의 변화에 관계없이 일정한 풍량이 공급될 수 있는 압력
보상기능을 보유한 IAQ댐퍼를 설치하여 실내부하변화에 관계없이 일정한 환기량이 실내
로 공급될 수 있도록 환기설비시스템을 구성해야한다.

그림 15 사무실

- 38 -
(2) 임원실 등 특수용도실
연중 무중단 열원공급이 필요한 임원실 등 특수용도실은 전용 모듈택 열원장비를 설치
하는 경우에는 해당실의 공조기에 공급되는 냉온수는 주열원배관과 bypass배관으로 구
성하여 항상 냉온열원이 공급되도록 배관시스템을 구성하지만 공조 및 환기용 덕트시스
템은 사무실과 동일하다.

그림 16 임원실

(3) 음식점(식당/주방)
식당과 주방이 결합된 경우는 각 실을 담당하는 공조시스템이 주방의 취기가 식당 혹
은 인접실로 전파되지 않도록 압력제어가 용이한 풍량분배방식을 적용되도록 주방의 압
력을 부압으로 유지하고 식당의 냉난방을 담당하는 공조기에서 식당으로 공급되는 풍량
의 일부가 주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식당은 가압을 유지한다. 이러한 압력불균형이 발
생하도록 덕트시스템을 구성함으로써 식당의 청정도를 높일 수 있다.

그림 17 음식점·주방

(4) 전산센타
전산센타는 실내에서 요구되는 온도와 습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냉, 온열원을
실내부하변동에 따라 지속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항온항습기를 적용한다. 항온항습기에
서 발생된 냉·온 기류가 실내에 고루 분산될 수 있도록 바닥급기, 상부토출방식의 치환환
기방식(displacement ventilation)으로 공기를 분배한다.

- 39 -
그림 18 전산센타

(5) 아트리움/로비
아트리움 혹은 로비와 같이 천장고가 높은 실은 냉·방시 일사에 의한 축열현상을 방지
하기 위해, 천창에 일사량에 따라 자동으로 개폐되는 전동스크린을 설치하고 천창부근의
온도를 감지하여 설정온도이상으로 아트리움 혹은 로비상부의 온도가 상승하면 배열을
수행하는 급,배기팬이 부착된 환기설비를 설치한다. 또한 개방감을 제공하기 위해, 아트
리움의 중정을 향하여 open된 상부층 복도는 아트리움 상부에서 발생되는 열이 복도로
전파되지 않도록 복도의 압력을 높게 유지할 수 있는 풍량분배방식을 적용한다.

그림 19 아트리움

4.5.2 공동주택
(1) 실내환기설비 사례
공동주택의 실내환기설비 방식을 분류해보면 다음과 같은 덕트형, 무덕트형, 주방배기

후드 연동형이 있다.

1) 덕트형
- 개별 급/배기 방식
전열교환기의 급․배기구의 위치는 환기효율 및 기류형성에 큰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주

- 40 -
상복합의 대형 공동주택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는 개별 급․배기구 방식은 환기성능이 좋고
독립적이어서 실별 제어가 가능하다, 그러나 각 실의 풍량 제어를 맞추기 어려우며 덕트
공사비 증가로 초기 투자비가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그림 20 개별 급/배기 배기방식 단면도

- 개별 급기/ 비청정지역 배기방식


각 실에 급기를 하고 비 청정지역으로 기류를 유도하여 환기 시키는 방법으로서 각 실
급기로 실별 환기가 가능하고 덕트 공사비용이 감소하는 반면 국부 배기로 기류형성의
어려움이 있다.

그림 21 개별 급기/ 비 청정지역 배기방식 단면도

- 환기 + 공기청정
기존의 전열교환 환기장치에 가습, 공기청정, 산소발생 장치 등 다수의 첨단 기능을 부
가시켜 쾌적한 실내환경을 유지할 수 있으며 전열교환기기 미 작동 시에도 공기청정기
를 독립적으로 활용 할 수 있다. 그러나 공기청정기능 및 부속 장비의 증가로 초기 투자
비용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으며 별도의 청정기 관리가 요구된다.

- 실외기/실내기 분리형
열교환기가 내장된 실외기는 발코니 공간에 위치하고 실내기는 세대내 청정 또는 벽체
에 설치하는 형태로 실별제어가 용이하며 실내기에는 다양한 기능(공기청정장치 및 가습
장치 등)이 내장된 장치를 연계시킬 수 있다. 그러나 실내기의 벽체설치 시에는 벽체 매
립덕트의 시공이 필요하며 각 실 실내기 설치에 따른 초기 비용이 증가한다.

- 41 -
그림 22 실외기/실내기 분리형 단면도

- 덕트 바닥매립 형
기존의 공동주택의 경우 천정 공간의 부족으로 덕트설치의 어려움이 있어 바닥공간을
활용한 방식으로 바닥공간의 경우도 덕트 크기의 제약으로 풍량은 실내 최소 급기량 정
도를 공급할 수 있다. 그러나 덕트의 크기 제한으로 소요 정압이 증대되며 덕트 길이가
길어짐에 따라 정압손실이 발생한다. 또한 덕트의 바닥매립으로 시공 및 하자 보수가 어
려운 단점이 있다.

그림 23 덕트 바닥매립형 단면도

2) 무덕트형
외기에 면한 발코니 공간에 전열교환기를 설치하여 실내로 직접 급/배기 하는 방식으
로 덕트 설치 공간이 없거나 일부 국부 환기가 필요할 때 활용될 수 있다. 덕트가 필요
없다는 장점이 있으나 설치위치의 제약을 받는다.

그림 24 무덕트 형 단면도

- 42 -
3) 주방 배기후드 연동형
주방후드 작동시 댐퍼작동에 의해 주거영역 배기는 닫히고 실내기에 의해 실내로 유입
된 급기만 급기구에 의해서 주방 배기후드로 유도하여 급기하는 방식이다. 후드 작동시
배기Fan도 정지하여 주거영역의 환기는 일시 정지하면서 주방쪽으로 보조Fan과 후드에
의해 배기되는 환기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은 별도의 주방 급기Fan을 두지 않아도 주방과
연동하기 때문에 침실 및 거실공간으로의 오염의 전이를 막을 수 있다. 그러나 주방 연
동에 따른 제어공사 비용이 추가되며 주방 급기시에는 세대 배기가 정지되어야 하고 동
절기에는 결로 방지를 위하여 예열히터가 필요한 단점이 있다.

그림 25 주방 배기후드 연동형 단면도

거주 공간의 환기와 주방 공간의 환기가 연동 운전되는 환기시스템으로 주방환기 모드


로의 전환은 열교환기 내의 댐퍼 작동에 의해 전환된다. 열교환기를 거쳐 주방급기가 이
루어져 별도의 예열히터와 급기Fan이 필요 없으며, 주방환기 운전 시에도 열교환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주방에서 발생된 냄새가 열교환기 내에 흡착되어 주방환기
모드에서 거주 공가 환기모드로 전환 시 기밀성 유지가 어려워 이로 인한 냄새의 전이가
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그림 26 댐퍼 작동에 의한 주방 배기후드 연동형 단면도

- 43 -
(2) 주방환기설비 사례

표 31 세대 주방 환기시스템 사례
Alt - 1 Alt- 2 Alt -3
공 종
(개별 급,배기) (개별급기 +중앙배기) (중앙급배기)

개요도

세대 급기 + 중앙 PIT를 통한 중앙PIT 통한 급기+중앙PIT를 통한


각 세대별 급, 배기식 급, 배기방향을
배기 스마트 콘트롤 제어에 의해 배기 급기와 배기는 스마트 콘트롤
같은 방향으로 구성 (외풍의 영향을
개별 급기, 중앙배기를 행한다. 제어에 의해 풍량을 조절한다. 입상
특 징 최소화) Fan과 V.D로 풍량조절 OA
OA측 Heater설치 Main 배기 덕트 상하부에 압력센서에 정압값을
측에 Heater or 열교환기 설치 랜지
Fan 있음 렌지 Hood D.D.C에서 연산후 인버터로 Fan을
Hood Fan 내장
Fan 내장 제어 Main 급,배기 Fan 있음

초기 입상덕트 입상 급, 배기 시스템 설비가 필


A B 입상배기 시스템 설비가 필요 C
투자비 시스템이 불필요 요

후드로부터 실외기실까지 급배기 배기 덕트로 인한 시공성 저 후드 주변에 샤프트 배치 덕트


시공성 C B A
더트로 인한 시공성 저하 하 연장 최소화 가능

급배기 Fan의 정압이 커서 Fan 세대내 Fan이 없으므로 소음이


소 음 C B 급기 Fan의 소음이 크다. A
소음이 크다. 가장 유리함

입상 샤프트내 연돌효과 극복 시스템 설비 필요


비 고
200~250 덕트 설치

(3) 욕실환기설비 사례
표 32 욕실 환기시스템 사례
SYSTEM 욕실, 세면대 + 욕실 + 욕실 건조기,
3실 환기설비
항 목 화장실 세면대, 화장실 세면대 + 화장실

개요도

욕실, 세면대, 화장실의 3 욕 실 , 세 면 대 + 화 장 실 을 화 장 실 , 욕 실 + 세 면 대 의 욕실에 욕실건조기를 설


실을 1대의 Fan으로 환 2Line로 환기. 2Line로 환기. 치, 단독으로 환기하고 세
특 징
기, 급기는 도어갤러리 또 급기는 도어 갤러리 또는 급기는 도어 갤러리 또는 면대+화장실을 1Line
는 언더컷을 경유 언더컷을 경유 언더컷을 경유 환기

닥트 1개로 통합 가능하
욕실의 습도가 타실에 전
여 시공 용이 실별 제어
욕실 습기가 타실로 화장실 단독 달될 위험 없다.
장 점 가능 (ME부착형)
전달될 위험이 없다. 사용 용이 욕실내의 곰팡이 발생을
욕실 습기가 타실로 전달
억제 난방효과
될 위험이 없다.
드레인이 있어 반드시
덕트가 2Line으로 욕실 습기가 세면대에 전
단 점 Fan 부분에 드레인 처리 투자비가 고가
시공비가 상승한다. 달될 위험이 있다.
배관을 해야 한다.

- 44 -
제 5 장 저탄소 환기설계 방안

5.1 저탄소란

1992년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에서 열린 환경회의에서 처음으로 “기후변화에 관한 U


N협약”이 채택되었고 1997년 일본 교토에서 열린 기후변화에 관한 제3차 국제회의에서
교토의정서가 채택되었다. 기후변화협약의 목적은 인류의 활동에 의해 발생되는 위험하
고 인위적인 영향이 기후시스템에 미치지 않도록 대기 중 온실가스의 농도를 안정화시키
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교토의정서에서 선정한 6개의 온실가스는 이산화탄소, 메탄, 아
산화질소, 수화불화탄소, 과불화탄소, 육불화유황이다. 이 중에서 이산화탄소는 온실가스
중에서 온난화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크고 양이 많기 때문에 다른 온실가스에 대해서도
이산화탄소를 대표 가스로 생각하여 환산된 수치로 표시한다.

표 33 온실가스의 종류와 배출원 및 배출구성 현황 (2002)


온실가스 온난화지수
배출원 배출 구성
(Green House Gas) (GWP-2001)
이산화탄소(CO2) 1 에너지 연소 및 산업공정 88.6%

메탄(CH4) 23 폐기물, 농업 및 축산 4.8%

아산화질소(N2O) 296 산업공정 및 비료 사용 2.8%

수소불화탄소(HFCs) 97-12000
반도체, 냉매 및 알루미늄
과불화탄소(PFCs) 5700-11900
제조 시 배출 3.8%
육불화황(SF6) 22200

우리나라의 지난 100년간 온실가스 누적 배출량은 이산화탄소로 환산했을 때 70억톤


으로 세계 22위에 해당한다. 최근 15년간의 온실가스 배출증가율은 86.8%로 OECD국가
중 1위를 차지할 정도로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이는 우리나라 경제구조가 철강, 조
선, 자동차 등 에너지 다소비 산업중심의 구조이기 때문이다. 우리나라는 2005년 교토의
정서에서 온실가스 의무감축국에는 포함되지 않았으나, EU를 중심으로 개발도상국들에
대해서 BAU(배출전망치)보다 15-30% 낮은 온실가스 감축을 요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토머스 프리드먼은 코드그린이라는 저서를 통해 인류는 온난화(hot), 중산층확산(flat),
인구밀집(crowded) 등 3가지 세계사적 도전에 직면해 있다고 밝히며 녹색혁명이 유일한
생존번영의 전략이라고 제시한 바 있다. 미국 정부를 비롯한 세계 각국에서는 환경보존
과 경제개발을 동시에 꾀하는 녹색성장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우리나라 정부에서도
이산화탄소를 감축하고 녹색성장을 이루기 위한 국가전략을 수립하고 이른바 저탄소 녹
색성장 기본법을 제정하였다. 녹색성장 국가전략의 핵심은 녹색성장정책을 위시하여 에
너지효율과 신재생에너지를 포함한다. 에너지효율은 사용자 측면에서 효율을 상승시켜

- 45 -
소비를 줄이자는 측면이고 신재생에너지는 생산자 측면에서 새로운 에너지원을 발굴해
나가는 측면이다.
범정부적인 저탄소 녹색성장 정책은 실내공기질 관리에도 적용될 수 있다. 쾌적하고 안
전한 실내환경을 유지하기 위하여 에너지 소비측면에서 효율을 높이고 이산화탄소 발생
량을 줄임으로써 환경부담을 줄이자는 것이다. 여기서 실내환경에서의 환경과 환경부담
에서의 환경은 서로 대치되는 환경을 의미하며 저탄소 실내공기질 관리방안이란 지구환
경의 부담이 적은 즉 에너지 절약적인 실내환경 관리방안으로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우리가 목표로 하는 실내공기질은 최상의 상태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ASHRAE에서 제
시하는 바와 같이 수용 가능 한, 즉 받아들일 만한(acceptable) 상태를 의미하며, 어느
정도 무해하고 어느 정도 쾌적한 상태(불만족율 20%)를 의미한다.
그런가 하면, 최근 들어 흔히 사용되고 있는 친환경 건축물이라는 표현에는 지구환경적
요소와 실내환경적 요소가 혼합되어 목표치로 설정되어 있다. 친환경 건축물 인증에는
토지이용 및 교통(27점), 에너지 자원의 환경부하(41점), 생태환경(18점), 그리고 실내환
경(14점)의 항목으로 이루어져 있다. 일본의 경우에도 환경공생주택을 다음과 같은 4가
지 유형으로 분류하고 있다. 에너지 절약형, 자원의 고도 유효이용형, 지역적합 환경친화
형, 그리고 건강쾌적 안전안심형이 그것이다. 에너지 절약형은 태양열을 활용하고 고효율
설비를 이용하며 단열재를 강화하는 등 에너지 절약적 건축 및 설비설계를 통하여 환경
부담을 줄이는 유형이고, 자원의 고도유효 이용형은 내구성이 높고 재활용자재를 활용하
며 폐기물 수거가 용이하게 함으로써 자원 리사이클에 의한 환경부담을 줄이는 유형이
다. 또한, 지역적합 환경친화형은 생태친화적 설계와 수환경 배려 그리고 지역문화를 반
영하여 지역적 생태적 환경부담을 줄이는 유형이다. 이에 반하여 건강쾌적 안전안심형은
통풍환기성능을 향상시키고 건강소재를 사용하는 등 실내 환경개선에 초점을 맞춘 유형
이다.
실내환경과 지구환경은 큰 틀에서는 공통의 목표를 추구하지만 구체적으로는 서로 상
반된 개념으로 볼 수 있기 때문에 두 마리 토끼를 어떻게 조화시키느냐 하는 것이 저탄
소 실내공기질 관리의 핵심이라 할 수 있으며, 과학기술적인 측면뿐 아니라 사회경제적
인 측면도 고려한 복합적인 판단이 필요하다.

5.2 환기에너지 이론

건물에너지 중 환기관련 에너지는 크게 송풍에 필요한 에너지와 실내외 온도차에 의한


냉난방부하로 구분할 수 있다. 송풍에너지와 냉난방부하는 모두 환기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한다. 좀 더 엄밀하게는 기계환기를 위한 송풍에너지는 대략 환기량의 세제곱에 비
례하고 냉난방부하는 환기량에 선형적으로 비례한다.

      (1)

송풍 에너지는 식(2)와 같이 송풍량과 시스템 압력강하 그리고 송풍기 효율의 곱으로

- 46 -
구해진다. 여기서 압력강하는 덕트를 통한 압력손실과 기타 폐열회수 열교환장치나 필터
등의 압력손실로 이루어진다. 송풍에너지의 절감을 위해서는 송풍기의 효율을 높이고 덕
트와 구성요소들의 압력손실을 줄이는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기계환기 가동비율을 최소
화하고 자연환기력을 이용하는 방법을 강구하는 것이 필요하다.

   · (2)

                  (3)

쾌적한 실내공기를 조성하기 위한 환기는 실내 에너지 관점으로 보아서는 하나의 냉


난방 부하로 평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환기를 위한 에너지의 사용은 실내 냉난방부하
와의 관계를 하나의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냉난방 에너지는 엄밀하게는 잠열부하와 현열부하로 나누어 생각하여야 하지만, 현열만


을 고려할 때 식(4)와 같이 급배기 온도차에 비례한다. 폐열회수 환기장치를 이용하면 열
교환에 의하여 급배기 온도차를 줄일 수 있다. 여기서 환기부하는 여름철과 겨울철에만
발생하며 냉난방을 수행하지 않는 중간기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그림 27 환기량과 에너지 소비량 그래프

5.3 건물에너지 분석방법

에너지 절약을 위한 설계와 표준 자료를 비교하는 데 연간 에너지 요구량이 중요하다.


건물에너지 분석방법에는 평균데이터에 근거한 정적 평가방법과 실시간 데이터에 근거한
동적 평가방법(에너지 시뮬레이션)이 있다.

- 47 -
5.3.1 동적 평가방법 (에너지 시뮬레이션)
건축물 종합에너지 성능평가를 위하여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있다. 건축물의
설계단계 또는 운전단계에서 건축물 외피특성과 설비성능 데이터 그리고 시간대별 외기
온습도 및 일사조건을 입력함으로써 매시간 건축물이 사용하는 에너지량과 실내환경조건
을 시뮬레이션 할 수 있다. 현재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는 TRNSYS,
EnergyPlus. ESP-r 등이 있다.
트랜시스(TRNSYS)는 미국 위스콘신 대학교(University of Wisconsin)의 태양에너지
실험실(Solar Energy Lab)에서 1975년 개발한 프로그램으로 30년 이상 꾸준히 새로운
버전으로 개발되어 왔다. 동적열부하계산, HVAC시스템의 해석 및 규모산정, 태양열 시
스템의 해석, 제어시스템의 분석 등 적용범위가 넓으며 소스가 공개되어 기존 구성요소
의 변경 혹은 새로운 구성요소 개발이 가능하다. 에너지플러스(Energy Plus)는 2001년
DOE-2와 BLAST의 장점을 통합하여 미국 에너지성이 개발했다. 모태가 된 DOE-2는
1960년대 로렌스버클리국립연구소(LBNL)을 중심으로 개발된 프로그램으로 폭넓은 사용
자층을 확보했던 대표적인 프로그램이고 BLAST는 국방성에서 개발된 에너지성능 평가
프로그램이다. 제3의 개발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개발하여 제공할 수 있는 방식을 취
하고 있다. 이에스피알(ESP-r)은 영국 스트라스클라이드 대학교(University of
Strathclyde)가 개발한 정밀 건물 에너지 환경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으로 유럽에서 가장
인정받은 대표적인 빌딩 모델링 프로그램이다.
우리나라에서는 대한설비공학회에서 국내실정에 맞는 에너지 평가용 건물에너지 해석
프로그램 BES2000을 개발하였다. 부하계산, 시스템 계산, 경제성 분석 등 3개의 프로그
램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최근 냉난방 에너지부하 계산 프로그램인 RTS-SAREK을 개
발하였다. 앞서 언급한 종합적인 건물에너지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이라기 보다는 설계를
위한 건축물의 냉난방 부하 계산 프로그램이다. 여기서는 총량적인 에너지 사용량 분석
을 위해 사용하는 연간부하계산이나 건물 설계시 장비의 용량 선정을 위해 사용하는 최
대부하계산이 가능하다.

5.3.2 정적 평가 방법
(1) 빈법(bin method)
앞에서 설명한 동적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하면 실시간 냉난방 부하와 실내환경
조건을 시뮬레이션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시간대별 연중 외기 조건이 주어져야 한
다. 실제 설계 업무에 있어서는 정확도는 떨어지더라도 사용이 간편한 정적 해석방법이
많이 사용된다. 정적 해석방법에서는 실내외 조건을 정상상태로 가정하여 건물에서의 열
이동을 계산하는 것으로 빈법(Bin method)과 도일법(Degree-Day method)이 있다. 빈
법은 연중 외기온도를 일정한 온도구간, 이른바 ‘빈(bin)'으로 나누어 여기에 포함되는 연
중 시간 빈도수를 이용하는 방법이다. 각 온도구간에서의 순간 열부하를 계산하여 해당
온도구간의 시간 빈도수를 가중하여 연간 열부하를 계산한다. 빈은 임의의 간격으로 정

- 48 -
할 수 있으나 보통 2.8oC(5oF)의 간격을 많이 사용한다. 이 방법에서는 건물의 점유기간
과 비점유기간 동안의 열부하를 계산하는 것이 보통이며, 평형점온도(balance point
temperature)를 사용하여 내부 발생열과 태양열 취득의 영향을 고려하기도 한다.

- 수정 빈법
표준 빈법에 평균부하 또는 다변부하(diversified load)의 개념을 도입하여 태양열 취득
과 내부 발생열을 기상조건과 발생 정도에 맞도록 가중계산된 평균값을 적용하여 각각의
빈에서 계산하는 방식이다. 또한, 냉방부하 계수(cooling load factor)를 사용하여 구조체
의 축열성능도 동시에 고려하고 있으며, 정적 해석법 중에서 비교적 정밀한 연간 냉난방
부하를 산정한다.

(2) 도일법(degree-day method)


가장 간단한 정적해석 방법으로 에너지 소비량은 추정기간 중의 도일(degree-day)에
비례한다는 가정하에서 계산하며 장기간의 평균치 개념이다. 일평균 외기온이 18.3℃(6
5℉) 이상일 때 태양열과 내부발생열이 건물의 열손실과 상쇄되며, 또한 연료소비량은
이 일평균 외기온과 18.3℃와의 차에 비례한다는 가정에 근거를 둔 냉난방에너지 소요량
산정법이다.

-확장도일법
냉난방도일법을 일반화시킨 것으로서, 도일법의 개념을 갖고 있으면서 건물이 난방이나
냉방을 요구하지 않는 평균외기온도로 정의한 평형점 온도를 기준으로 한 도일을 계산에
넣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건물에 공급되는 에너지가 실내외 온도차에 비례한다고는 하
지만, 실제 난방기기가 소비하는 에너지는 태양열과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이 담당하지
않는 부분만을 충족시키면 된다는 가정에 근거를 둔 것이다.

5.4 연간 환기에너지 평가

5.4.1 환기량과 연간 에너지


그림 29는 환기량에 따른 Degree-day 수에 따른 연간 에너지 소모량그래프이다. 연간
에너지 소비량은 환기량에 비례해서 증가하며 또한, 그 지방의 연간 Degree-day에 비례
한다. 도일값이 3,000인 경우 년간 에너지 소비량이 20~30 GJ에 달한다. 송풍에너지는
송풍기 효율에 의해서 결정되지만 우리나라와 같이 도일값이 2,000~3,500의 범위를 갖
는 경우 냉난방에너지에 비하면 상대적으로 작은 값을 갖는다. 다음 표 34는 최근 몇 년
간의 주요 도시의 기상데이터를 근거로 각 지역별 도일값이 주어져 있다.

- 49 -
표 34 우리나라 주요 도시의 난방도일

도시 난방도일 (oC-day)
춘천 3421
서울 2940
광주 2586
대구 2461
부산 2168

환기량 값은 년간 일정치 않고 외기조건에 따라서 자연환기량이 변화하고 기계환기 가


동여부에 따라서 환기량의 값은 변동한다. 특히, 자연환기의 경우 외기 풍속 및 풍향의
변화 뿐 만아니라 계절에 따른 연돌효과에 의하여 변동한다. 따라서, 자연환기량을 추산
하기 위해서는 건물의 기밀도와 외기조건이 주어져야 한다.

Typical minimum Typical minimum Conditioning energy


per person whole house
50 ventilation rate ventilation rate 4000 Degree days
Energy Consumption (GJ)

40 3000 Degree days

30
2000 Degree days

20

Electric fan power


10 3 W/Ls (poor)

1 W/Ls (good)

0 20 40 60 80 100
Ventilation Rate (L/s)

그림 28 Degree일 수 기준 환기량에 따른 연간 에너지 소모량그래프

5.4.2 건물의 기밀도


건물의 기밀도는 건축물 특히 건물 외피의 건축수준을 말해줄 뿐만 아니라 외기조건에
따라서 연중 침기량이 결정된다. 침기량은 실내환경 및 에너지 소비량을 산정하는데 있
어서 필수적인 자료이며 아울러 기계환기의 필요성이나 방식을 결정하는데 활용되는 자
료이다.
건물의 기밀도를 측정하는 방법에는 크기 블로어도어에 의한 가압/감압법과 추적가스
에 의한 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각각의 측정방법은 건물의 규모나 특징에 따라 장
단점이 있다.

- 50 -
very loose loose moderate tight very tight

Adventilious
Purpose provided
Mechanical

Balanced

20 10 5 2

Air changes per hour at 50 Pa

그림 29 기밀도에 따른 환기량

(1) 가압/감압법
공조시스템이나 팬을 이용하여 실내로 공기를 불어넣어 가압한 상태 또는 공기를 빼내
면서 감압한 상태에서 내/외부 정압차이와 공기량을 측정한다. 보통 50 Pa의 압력차가
주어진 상태에서 환기량(CMH) 또는 환기회수(ACH)로 표시한다. 블로어도어 실험을 통
하여 건물의 기밀도 뿐만 아니라 침기의 경로도 파악할 수 있다. 단 자연상태 이상으로
가압 또는 감압함으로써 건물의 틈새가 넓혀지거나 외피가 손상되는 경우가 있다. 자연
상태에서의 침기량은 50 Pa에서 측정된 환기량의 약 1/20로 산정한다.

(2) 추적가스법
실내에 추적가스를 주입한 상태에서 시간 경과에 따라서 실내 농도가 감소하는 과정을
측정한다. 주어진 기상 상태에서 자연환기에 의한 실제 농도감쇠를 측정하는 것이므로
현실적인 자연침기량을 산정할 수 있다. 반면 바람과 기온 등에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
에 동일한 건물에 대하여 재측정시 상이한 결과가 나올 수 있다. 건물의 특성을 측정한
다기 보다는 주어진 기상상태 하에서의 침기량을 측정하는 실험이다.
건물의 기밀성능 등급은 블로어도어에 의한 환기회수 즉 ACH50으로 표시하거나 유효
누기면적을 건물의 바닥면적으로 나눈 바닥면적당 상당극간면적으로 표시한다. 1등급부
터 6등급까지로 분류하고 있으며, 숫자가 작을수록 기밀한 것을 의미한다.

표 35 건물의 기밀성능등급

- 51 -
선진외국의 경우, 오랜 기간에 걸쳐 전국적으로 흩어져 있는 각종 건물에 대하여 기밀
도를 측정해 오고 있으며, 지역별 평균값 뿐만 아니라 건축 연도별 유형별 기밀도 통계
자료를 분석하여 건물 에너지 연구와 정책 개발에 활용하고 있다.
그림 31은 미국과 캐나다 그리고 유럽의 주거용 건물에 대하여 건물의 기밀도 분포를
보이고 있다. 여기서 x축 값이 10ACH란 실내외 압력차가 50 Pa일 때의 환기회수로서,
평균 기상상태에서 대략 0.5ACH의 자연환기량을 보이는 정도의 기밀도로서 미국보다 캐
나다와 유럽의 건물 들이 기밀한 것을 알 수 있다.

그림 30 미국, 캐나다, 유럽의 단독 주거용 건물의 기밀도 분포

우리나라의 경우, 개별 연구자에 의하여 환기 연구나 에너지 연구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연구 대상건물에 대한 기밀도를 측정한 경우는 일부 있으나 (여명석 논문) 전국적으로
분포된 건물에 대하여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기밀도 분포를 얻기 위한 연구나 노력은 시
도된 바 없다.

5.4.3 자연환기량 산정모델


(1) 경험적 모델 (empirical model)
풍속과 실내외의 온도차로부터 환기량을 추정할 수 있도록 개발된 단순화된 상관관계
식으로 경험적 모델이 있다. 단일 존에 대하여 환기량을 개략적으로 예측하기 위한 방법
으로 영국의 표준방법, ASHRAE 방법, 에인슬리(Aynsley) 방법, 그리고 디기즈와 파프
(De Gidds and Phaff) 방법 등이 있다. ASHRAE의 방법은 위에서 계산한 압력차와 개
구특성에 따른 누설함수(leakage function)식을 이용하고 있다.

Q = C D A 2 ρΔP

여기서 CD는 송출계수(discharge coefficient)이고 A는 틈새면적이다. 틈새면적의 정확


한 산정이 필요하다.

(2) 네트워크 모델 (network model)


단순화된 상관관계식에 근거하고 있는 경험적 모델에 대하여 그 적용 한계를 이해하여

- 52 -
야 한다. 경험적 모델은 건물을 하나의 존으로 가정할 수 있는 경우에 대하여 적용이 가
능하다. 그러나 실제 조건에서는 단일 존의 가정은 거의 쓸모가 없다. 건물은 여러 개의
존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각 존은 서로 연결되어 있거나 외부와 면해 있다. 따라서 존과
존 사이의 개구부를 통한 상호작용이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다중 존 유동 네트워크 해석
이 필요하다.
유동네트워크 모델에서는 건물을 여러 개의 질점으로 이루어진 격자망으로 표현한다.
여러 존 사이의 상호작용은 질점 간을 연결하는 유동 경로로 표현된다. 즉 건물의 각 실
은 질점으로 표현되고 실의 개구부는 유동경로로 표현된다. 외부의 압력값은 경계값으로
주어진다. 각 질점에 대한 연속방정식과 개구부에 대한 유동방정식을 이용하여 압력과
풍량에 관한 연립 대수방정식을 유도할 수 있다. 행렬식으로 된 연립방정식을 풀면 각
존의 압력과 존 간의 풍량과 환기량이 계산된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소프트웨어로는
LBNL에서 개발된 COMIS와 NIST에서 개발된 CONTAM이 있다.

(3) 존 모델과 CFD 모델 (zonal model and CFD model)


앞의 경험적 모델이나 네트워크 모델은 각 존별로 완전 혼합이 이루어진다는 가정하에
이루어진 분석이다. 대공간과 같이 완전혼합의 가정이 적합하지 않은 경우에는 존 내부
에서 발생하는 공기유동과 온도분포에 의한 영향을 고려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온도성
층화에 의한 수직 방향으로의 온도분포를 이론식으로 분석하고, 열기둥(thermal plume)
에 의한 유동을 열기둥과 주위유동으로 구분하여 이론적으로 분석한다. 이러한 존 내부
의 유동 간의 관계를 연관시키는 것을 존 모델이라고 한다.
존 모델은 단순화된 이론적 관계를 이용하기 때문에 적용에 있어서 한계가 있다. 이러
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공기유동에 대한 연속방정식, 운동량 방정식, 그리고 에너
지 방정식을 연립하여 작은 구간에 대한 속도와 압력 그리고 온도 등을 연립적으로 계산
하는 전산유체역학(computational fluid dynamics)의 힘을 빌려야 한다. 현재로서는
CFD 모델이 가장 세밀한 기류 및 압력 정보를 얻을 수 있는 방법이다. 그러나 CFD 모
델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기상학적인 풍속 분포라든가 온도분포 등을 얼마나 현실에 가깝
게 반영하는가 하는 것이 환기량 산정결과의 정확성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5.4.4 자연환기량 산정
자연환기량은 건물의 기밀도 뿐만 아니라 실내외 온도차 그리고 풍속 및 풍향에 따라
서 변화한다. 그 중에서 풍속은 실내외 압력차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큰 인자 중의 하나
이다. 건물의 실내외 압력차는 풍속의 제곱에 비례하기 때문이다. 주어진 기밀도를 갖는
건물에 대하여 정확한 자연환기량을 산정하기 위해서는 높이에 따른 풍속의 분포와 시간
대별 풍속 및 풍향의 변화 등의 데이터가 주어져야 한다.
영국 표준(British Standard, BS 5925, 1991)에서는 자연환기량을 계산하기 위한 기
준으로 10m 높이를 기준으로 하여 지역별로 평균 풍속, u50을 기준으로 한 상대풍속을
초과하는 퍼센트 시간 비율이 제시되어 있다.

- 53 -
표 36 평균풍속 U50 대비 상대 풍속을 초과하는 시간 비율

U50에 대한 상대 풍속
시간 비율
노출된 해안 차단된 내륙

80 0.56 0.46
75 0.64 0.56
70 0.71 0.65
60 0.86 0.83
50 1.00 1.00
40 1.15 1.18
30 1.33 1.39
25 1.42 1.51
20 1.54 1.66
15 1.70 1.80
10 1.84 2.03

또 평균 풍속은 지상으로부터의 높이에 따라 변화한다. 높이에 따른 풍속 분포와 난류


특성은 대기의 안정정도나 지표면의 거칠기 정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언덕이나 계
곡과 같은 지형적인 형상도 바람 특성에 영향을 미친다. 여러가지 지표면 형태에 대하여
다음의 식이 사용된다.

    

여기서 u는 높이 z에 따른 풍속을 나타낸다. um 은 기상청에서 측정된 여러 지역의 풍


속으로 개방된 장소의 10m 동등 높이에 대한 값이다. 상수 K와 a는 지역에 따라 다른
값을 가지며 표 37에 주어져 있다.

표 37 개괄지 10m에서 측정된 평균풍속 um에 근거한 풍속분포 계산에 필요한 계수


(높이와 지표면 특성에 따른)

지역 K a

개방된 평지 0.68 0.17


0.52 0.20
도회지 0.35 0.25
도시 0.21 0.33

- 54 -
마지막으로 um에 대한 지리적, 통계적 변화를 고려해야 한다. 특정지역에서 평균풍속의
특성을 정리하여 50% 이상을 초과하는 풍속의 누적분포를 구한다. 그림 32는 영국의 u50
의 등고선을 보여주는 지도로서 um 값으로 이용된다. 표 37에서 주어진 빈도 분포와 결
합하여 어떤 장소에서 특정 시간 비율을 초과하는 um값을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환기 목적이 아니라 풍력 발전소 위치 선정을 위한 바람 지도의
작성이 시도되고 있다. 제주도부터 서해 백령도, 강원도 향로봉에 이르기까지 1년 동안
풍력자원의 크기를 시간 비율로 표시하는 자원으로서의 바람 품질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
다. 이는 자연환기량 산정에 필요한 일부 정보는 제공하고 있으나 연중 최소, 최대, 평균
환기량 등을 산정해야 하는 환기설계에는 직접적으로 활용하기에 한계가 있다.
최근 일부 연구자에 의하여 기상데이터를 이용하여 건물의 자연환기량 산정을 위하여
풍속 빈도를 분석하거나 지역별 설계기준 풍속을 제안한 바 있다. 한화택 등은 서울 지
방의 풍속 빈도를 분석하여 벽체를 따라 흐르는 바람을 이용하여 벤투리 캡에 의한 자연
환기를 공학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또한, 김태중과 박준석은 자연환
기 설계시 활용할 수 있는 설계기준 풍속을 제안하였다. 와이블 분포와 누적밀도를 이용
하여 국내 76개 지점의 지역별 풍속특성을 나타내는 대표풍속을 제시하였다. 아직까지
자연환기량과 대표 풍속간의 상관관계에 대한 검증이 이루어지지 않았으나 향후 환기량
산정을 위한 전국적인 풍속지도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고 볼 수 있다.

그림 31 영국의 U50 분포도 그림 32 풍력발전소 건립


위치선정을 위한 바람지도

- 55 -
(0.1m/s
400

350 Mean=2.37

N umb er o f H o ur s (hr )
300

250

200

150

100 Std=
한화택
50 (Seoul,

0
0 2 4 6 8 10

W i n d S p e e d (m/s )

그림 33 서울지방의 연중 평균 풍속과 풍속 빈도

그림 34 기상데이터에 근거한 지역별 풍속 데이터

5.5 에너지 절약적 환기설계

5.5.1 고효율 송풍기 선정


송풍기는 기계 환기시스템에서 구동에너지를 발생시키는 핵심적인 요소이다. 환기시스
템의 운전 에너지를 절감하기 위해서는 소비전력 대비 송풍 출력이 높은 고효율 송풍기

- 56 -
를 이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고효율 송풍기의 개발은 유체기계적 측면에서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여기서는 송풍기 모터의 개발과 송풍기 익형의 설계에 관한 설명은 생
략한다. 환기시스템의 설계는 송풍기 자체의 설계와 달리 전체적인 환기 시스템을 구성
하기 위한 적정 용량의 송풍기를 선정하는 작업이며 송풍기의 압력-풍량 특성이나 모터
의 특성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송풍기를 구동하는 모터의 효율도 중요하다. 일반 AC 모터가 많이 사용되는데 최근 고
효율화 및 저소음화에 대한 요구에 따라 발열이 적고 소음이 적은 BLDC (Brushless
Direct Current)모터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기존의 BLDC모터에 제어기를 내장한
고효율 전자 DC모터인 EC(Electronically Commutated)모터도 개발되어 그 수요가 급격
히 늘어나고 있다.

5.5.2 덕트 내 압손 저감
환기시스템을 구성하고 있는 덕트나 부속기구를 통한 압력손실을 저감함으로써 송풍에
필요한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주어진 풍량에 대하여 압손을 줄이기 위해서는 무엇보
다도 충분한 덕트 단면적을 확보하여야 한다. 특히 공동주택에 있어서 천장고가 충분하
지 않기 때문에 덕트 단면적 확보가 특별히 중요하다. 현재 장방향 플랫 사각덕트가 많
이 이용되고 있으며 끝부분이 둥그렇게 처리된 플랫 오벌덕트도 일부 이용되고 있다.
덕트 이외의 다른 덕트부속에 대해서 압손은 대체적으로 풍량의 제곱에 비례하는 것으
로 알려져 있다. 설계시 시스템을 이루고 있는 덕트와 덕트부속의 압력손실이 적은 것을
선정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모든 덕트 부속기구들에 대하여 풍량에 대한
압손특성 데이터가 제공되어야 한다. 또한, 세대내 덕트 네트워크를 적절히 구성하여 급
배기 덕트의 교차가 최소화 되도록 하고 전체 덕트망의 길이를 짧게 설계함으로써 전체
적인 환기시스템의 송풍에너지를 절감한다.

5.5.3 배기열의 회수
환기에 의하여 실외로 배출되는 에너지 손실을 줄이기 위하여 폐열회수 환기장치를 적
용하여 배기가 가지고 있는 열에너지를 일부 회수한다. 폐열회수 환기장치는 기본적으로
실내배기와 외기를 교차시켜 열교환을 하도록 만든 공기대 공기 열교환기이다. 가장 많
이 사용되고 있는 것은 평판형과 회전형이며, 그 이외에 히트파이프형, 그리고 교류형 등
이 개발되어 있다. 평판형은 공간적으로 분리된 두 개의 유동흐름 사이에서 열전달이 지
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이고 회전형은 유로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축열매체를
회전시켜 급배기에 번갈아 가면서 노출되도록 한 것이다. 최근 동일한 개념으로 축열매
체를 고정시키고 회전 격막을 설치하여 내부적으로 급배기 방향을 주기적으로 바꾸는 제
품도 개발되어 있고, 교류형과 같이 단일 급배기덕트를 이용하여 급배기를 시간적으로
분할한 제품도 개발되어 있다. 또한, 독립적인 장치 형태가 아닌 현장시공형으로 온돌바
닥체를 통과시키거나 벽체를 축열체로 활용하는 방법 등도 시도되고 있다.

- 57 -
폐열회수 환기장치의 품질인증제도로서 KS규격과 고효율기자재, 그리고 설비기술협회
의 단체규격이 있다. 폐열회수 환기장치의 효율에는 온도효율, 습도효율, 엔탈피효율이
있고 누설률을 감안한 유효효율이 있다. 폐열회수 환기장치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는 장치내의 효과적인 유로 설계와 열전달 매질 선정, 그리고 결로방지 및 운전 제어기
술 등 관련 기술의 개발과 적용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5.5.4 환기에 의한 외기냉방


외기온도가 실내온도 보다 낮은 경우에도 냉방부하가 존재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여름
철 환기량을 충분히 공급함으로써 냉방부하를 저감시키기 위한 운전을 말한다. 특히 집
중적인 야간 환기는 열적 쾌적성 확보에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단 도회
지 주거용 건물에서 환기량 증가에 의하여 소음레벨이 높아져 적용에 제한을 받을 수 있
다. 또한 상업용 건물에서 근무시간 이전에 야간 배기(night purge)를 수행함으로써 앞당
겨 냉각효과를 꾀할 수 있다. 환기시스템에 의한 송풍에너지 사용량은 증가하지만 냉동
기 운전에너지는 상당히 저감시킬 수 있다.

5.5.5 대체에너지 활용
지열이란 지구, 맨틀을 구성하고 있는 물질내부 방사성 원소의 붕괴(약 83%) 및 지구
내부열의 방출(약 17%)에 의해 지하 20m 하부에서부터 지하로 내려 갈수록 증가하는
온도를 이용하는 것으로 지하 수 km 깊이의 지열원을 이용하는 심부 지열자원과 300m
이내의 연중 일정한 온도자원을 이용하는 천부지열자원으로 분류된다.
지열 냉난방 시스템이란 히트 펌프 특성인 열전달이 한 물질에서 다른 물질로 열의 이
동이 이루어지는 것을 착안하여 냉방 시 지중에 열을 버리고, 난방 시에는 지중에서 열
을 보충하도록 고완된 시스템이다. 지열을 이용하여 실외기가 필요 없고 소형 지열순환
펌프와 한 대의 실내기만 있으면 공간 냉·난방이 가능하다. 또한, 외기의 영향을 받지 않
는 지열의 특성을 이용하여 지열이(10~20℃) 정도로 유지되는 어느 곳에서나 설치가 가
능하다.

5.6 에너지비용 대비 실내환경 개선효과

실내공기질 유지 또는 개선을 위한 공학적인 방안을 강구하는데 있어서 에너지 소비


또는 탄소발생이 수반되기 때문에 각 방안별로 비용 대비 효과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
대부분의 경우, 입력량은 고려하지 않은 상태에서 실내환경의 개선 효과와 오염제거 성
능 등 결과만을 비교하거나 또는 효과는 고려하지 않고 각 방안에 소요되는 에너지 소비
량을 비교해 온 것이 사실이다. 저탄소 실내환경관리를 위해서는 투입되는 에너지 비용
대비 개선 효과, 즉 입력 대비 출력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 여기서는 베이크 아웃의 실
시, 환기설비의 운전, 공기청정기 사용 등 다양한 실내공기질 개선방안을 상호 비교할 때

- 58 -
각 방법에 대한 에너지비용 대비 농도개선 효과를 어떻게 정량화할 것인가에 대하여 예
시하고자 한다.

5.6.1 베이크아웃과 상당환기량


베이크 아웃이란 새로 지은 건축물이나 개보수 작업을 마친 건물의 실내 온도를 높여
건축자재나 마감재료에서 나오는 유해물질을 배출을 촉진시키는 방법이다. 소요되는 에
너지는 베이크아웃 기간 동안 투입되는 난방에너지이며 따라서 여름철 보다는 겨울철에
더 많은 에너지가 소요된다. 또 베이크아웃에 의한 효과를 오염물질 제거량으로 표현하
기로 하면, 벽체에서 제거된 오염물질량은 실내농도가 상승하여 실내공기 중에 추가로
보유된 양과 그동안 환기에 의하여 외부로 배출된 오염물질량의 합으로 생각할 수 있다.

         

여기서 실내보유(hold-up) 증가량은 실내오염농도 상승분과 실내체적의 곱이다. 또 베


이크아웃 기간 동안 창문 틈새를 통하여 외부로 빠져나간 오염발생량은 평균환기량과 실
내외 농도차이, 그리고 베이크아웃 기간을 곱하면 계산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여기서 상당환기 체적, Veq와 상당환기량, Qeq을 정의하기로 한다. 상당환기 체적이란
베이크 아웃을 수행한 오염제거효과와 동일한 효과를 내는 환기에 의한 공기 체적을 말
한다. 여기서 상당 환기체적은 총오염 발생량을 베이크아웃 전과 후의 평균 농도 차이로
나누어 구한다. 상당환기량이란 상당환기 체적이 베이크아웃 기간 동안 균등하게 환기된
다고 생각했을 때의 시간당 환기량을 말한다. 또 이때의 상당 에너지소비량은 환기체적
에 단위 공기체적당 송풍에너지와 침기에너지의 합을 곱하면 구할 수 있다.

 
     ·    
   ∞ 

3
예를 들어 박은영 등의 논문에서 실체적이 300m 인 신규건축물의 베이크아웃 시작 전
초기폼알데히드 농도는 500㎍/m3이고 베이크아웃 기간 동안 2,200㎍/m3까지 상승한다.
여기서 베이크아웃 기간은 72시간이며 창문 틈새를 통한 환기량은 83CMH으로 추산하
고 있다. 외기농도는 0으로 가정하고 위 계산을 수행해 보면, 베이크 아웃에 의한 총 오
염제거량과 상당환기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 59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즉, 베이크아웃의 효과는 380 CMH의 환기량으로 베이크아웃 기간 동안 환기한 효과


와 동일하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때 소요되는 에너지는 실내온도가 높아진 상태
이기 때문에 평상시 동일한 환기량에 의한 에너지 보다 크다. 겨울철 실내외 온도차를
30도로 하였을 때 환기에 의한 에너지 소비량은 약 3.8kW 정도 된다. 여기서 계산된 값
은 연구논문의 측정결과에 기초하여 계산한 것이지만, 측정목적이 다른 연구로서 본 계
산을 위한 측정값의 신뢰도가 그리 높지 않을 것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위의 계산결과
자체의 의미보다는 대략적인 계산차수에 대한 이해를 돕고 하나의 방법론의 예시로서 제
시된 것으로 이해하면 좋을 것 같다. 이 결과는 앞서 주택공사에서 동절기 베이크아웃을
실시하는 난방비용으로 37000원에서 52000원을 산정하고 있는 것과 비교할 수 있다.

5.6.2 공기청정기와 환기시스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환기시 소요되는 에너지는 송풍에너지와 냉난방에너지의 합으
로 구성된다. 또한 환기에 의하여 실외로 제거되는 오염물질의 양은 실내외 농도차와 환
기량의 곱으로 구해진다. 따라서 에너지 비용 대비 오염물질 제거량은 다음과 같이 표현
된다.


  ·         · 
 

    ∞ 

공기청정기의 경우에 소요되는 에너지로는 송풍을 위한 에너지에 추가하여 비록 작지


만 전기집진 또는 물분무와 같은 부가적인 에너지가 있을 수 있다. 또 공기청정기를 통
과하면서 제거되는 오염물질의 양은 공기청정기의 효율에 비례하며 풍량과 실내농도와의
곱으로 구해진다. 따라서 공기청정기의 경우 에너지 대비 제거량의 비는 다음과 같이 표
현된다.


  ·      
 

    

오염제거에 있어서 필터의 효율은 1에 가깝다고 가정하고 환기에 있어서 외기농도는


영에 가깝다고 가정하면 공기청정에 의한 오염제거와 환기에 의한 오염제거는 거의 같은
수준을 갖는다고 보아도 무방하다. 물론 오염물질에 따라서 필터효율이 다르고 외기농도

- 60 -
가 다르기 때문에 다소 차이가 날 수 있다.
또한, 공기청정기의 경우 외기와의 교환이 없기 때문에 냉난방 부하가 추가되어 나타나
지 않는다. 따라서 냉난방부하를 고려해야 하는 경우에는 앞서 도일법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그 크기가 송풍에너지에 비하여 큰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공기청정에 의한 방법
이 효율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냉난방시스템이 운전되지 않는 상황에서는 공기청
정기 운전비용과 환기시스템 운전비용은 거의 같다고 볼 수 있다.
공기청정기와 환기시스템과 같이 두 가지의 다른 실내공기질 방식을 비교할 때 에너지
비용 대비 성능, 즉 E/M비를 고려하여 실내공기질 관리방안을 선정할 수 있겠다.
위의 개념과 관련하여 한가지 흥미로운 연구논문으로 김신도외의 지하역사의 경제적인
환경조건 제어를 들 수 있다. 이 논문은 미아삼거리역을 대상으로 신설된 냉방기의 가동
에 따른 운전비와 필터 교체에 따른 비용 증가를 최대한 억제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
기 위하여 연구되었다.
실측자료를 토대로 하여 실내 온도를 유지하기 위한 환기량, 습도 유지를 위한 환기량,
CO2 농도기준을 맞추기 위한 환기량, 그리고 PM10 기준에 의한 환기량을 각기 조사하
여 비교하고 있다. 환기량이 가장 많이 요구되는 오염대상을 기준으로 환기량을 설정하
는 경우, 다른 기준들도 아울러 만족시킬 수 있으나 환기량 증가에 따라서 막대한 운전
비용의 증가를 초래한다. 실제로 CO나 CO2의 경우에는 측정 당시 환기량의 25-50% 정
도로 감소시켜도 농도기준 이하로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PM-10의 경우에
는 현 풍량의 130% 이상의 외기량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환기에 의한 희석
방안에만 의존하는 것은 경제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결론을 맺고 있다.
이런 경우에는 환기에 의한 방법에 추가하여 공기청정기를 아울러 가동함으로써 경제
적인 실내공기질 제어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실내공기질 제어 방안은 대상 오염
물질의 종류와 실내 발생 정도에 따라서 실내공기질 제어를 위하여 소요되는 비용 대비
효과를 면밀히 검토하여 경제적인 실내환경 유지방안을 강구하여야 할 것이다.

5.7 전과정평가 (Life Cycle Assessment)

건축물의 전과정에 걸쳐 자원과 에너지, 그리고 환경영향물질의 발생량 등을 파악할 수


있는 방법으로 전과정평가 (Life Cycle Assessment)가 있다. 전과정평가는 생애기간 동
안에 관련된 투입물과 산출물의 목록을 취합하여 처리하고 이와 관련된 환경영향을 평가
하여 제품이나 서비스와 관련된 잠재적 영향을 평가하는 기술을 말한다. 건축물의 경우,
건설 단계의 자재 및 설비의 제조와 시공, 운영단계의 시설의 사용 및 유지관리, 최종 폐
기단계에 이르기까지의 전과정에서의 투입물과 산출물과 관련된 환경부하를 평가대상으
로 한다.

- 61 -
5.7.1 전과정평가 단계
(1) 건설단계
건설단계의 에너지소비량이나 이산화탄소 발생량을 산정하기 위해서는 건설단계에서
발생하는 배출인자에 대한 범위 설정이 우선되어야 한다. 건설단계는 건축자재 생산단계,
운송단계, 시공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자재 생산단계의 에너지소비량과 이산화탄소 발생
량은 산업연관분석법을 이용해 도출한 건축자재의 원단위를 건축물 신축시 투입되는 물
량에 적용하여 산출할 수 있다. 건축자재 운송단계는 건축물의 건설에 필요한 자재를 생
산지나 저장장소에서 건설현장까지 운반하는데 소요되는 트럭 등의 운송장비에 소비되는
운송 유류 및 전력을 조사 분석하여 산출한다. 시공단계는 현장의 건설기계장비, 운반장
비, 현장사무소 및 기타 시설물 등을 이용함에 있어 소비되는 유류 및 전력량을 조사하
면 산출이 가능하다.

(2) 사용단계
사용단계에서는 건설된 시설물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난방, 냉방, 환기 등의 전력 및 도
시가스 에너지 사용량과 이에 상응하는 이산화탄소 발생량을 말한다. 개보수 등 유지관
리 단계에서는 건축물의 수명기간을 전제로 하여 건축자재의 열화 또는 파손, 훼손에 의
한 수선 및 교체에 소요되는 물품을 비롯하여 공사에 사용되는 유류 및 전력 사용량을
산정한다. 정기적으로 교체되는 필터 등의 물품 생산단계에서 소요된 에너지와 이산화탄
소 발생량을 포함한다.

(3) 폐기단계
폐기단계에서는 건축물은 수명이 끝나면 철거되고 폐기물로 변하게 되며 이들 일부분
은 폐기되고 일부분은 다른 제품의 원료로서 사용되거나 다시 건축자재로 재활용된다.
철거 해체단계에서 고려해야 할 가장 중요한 부분은 폐기되는 자재의 종류와 재활용되는
자재의 종류를 파악하고 이들의 양을 정확하게 산정하는 것이다. 또 철거에 따른 장비운
용, 현장재료 등과 재활용 혹은 매립장소까지 운송부문을 포함해야 한다. (정보라 등,
2008)

건설단계 사용단계 폐기단계

건축자재생산 사용 철거
자재운송 유지관리 폐기운송
현장시공

그림 35 라이프사이클 단계

- 62 -
5.7.2 LCCO2
전과정 평가를 비용 측면에서 수행하는 것을 생애주기비용(Life Cycle Cost)분석이라
고 하며, 교량, 도로, 건축물 등이 생애 전반에 걸쳐 발생하는 장기적인 비용을 분석하여
투자를 위한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하기 위해서 사용되어 왔다. 엔지니어링 측면에서 초
기투자비와 생애기간 동안의 운영비를 합친 총액을 최소화하기 위한 설비의 선정 및 설
계대안의 결정 등에도 널리 활용되고 있다. LCC분석은 일반적인 의사결정과정에서 비용
관련 정보만을 제공하는 것이며 비용 외적인 면이 있는 경우에는 비용편익분석이나 가치
평가 등의 추가적인 작업이 요구된다.

비용 측면이 아닌 에너지 관점에서 전과정 평가를 수행하는 경우를 생애주기에너지


(Life Cycle Energy)분석이라 한다. 초기에 들어가는 에너지와 생애기간 동안 투입되는
에너지의 총량을 구하는 방법이다. 이 경우에는 주로 동일한 에너지원에 대한 상호비교
를 하는 경우가 많다. 화석연료와 전기에너지를 직접적으로 비교하는 것은 무리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에너지원이 서로 다른 경우, 단순 비교나 합산이 가능하지 않기 때문에
하나의 화석연료로 환산하여 표기하는 방법도 있다.

최근에는 에너지의 고갈이라는 차원 보다는 에너지 사용에 의한 지구환경의 부담을 평


가하기 위한 방법으로 생애주기이산화탄소(Life Cycle CO2)분석이 행해지고 있다. 제품
의 생산이나 서비스의 제공에 소요되는 에너지와 물품에 의한 지구환경의 부담을 온실가
스 배출량으로 환산하여 표시하는 것이다.

5.7.3 실내환경설비의 전과정평가


투자적인 측면에서 전체 건축물에 대한 전과정 평가도 이루어지지만, 공조 냉난방 설비
에 대한 전과정 평가가 상당히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것은 보일러나 냉동기와 같이
에너지 사용이 많은 열원장비를 설계할 때 설계대안을 제시하거나 장비를 선정하기 위한
것이다. 초기투자비의 증가와 생애기간 동안의 에너지 절감액을 비교하여 경제성을 평가
하기 위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최근 들어 비용측면에서 한걸음 나아가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생애기간 이산화탄소 발생량 분석이 시도되고 있다.
아직까지 공조설비 중 환기설비 만을 떼어내 전과정 평가를 수행한 경우는 그리 많지
않다. 스웨덴의 Johansson은 실내기후 시스템에 대한 LCC 모델과 시뮬레이션 도구와 지
식이 충분히 축적되거나 개발되어 있지 않다고 밝히고 있다. 실내환경에 대한 측면보다
는 생산성이나 병가, 그리고 건강과 쾌적 측면에서 감안한다면 LCC분석에 지대한 영향
을 미칠 것으로 결론짓고 있다. 최현근 등은 신기술 환기시스템의 경제성 분석에 관한
사례연구를 수행한 바 있다. 지상 15층, 지하 3층으로 2만평 규모의 사무소 건물에서 폐
열회수 환기장치의 설치 여부에 따른 LCC분석을 수행하여 초기투자비와 유지관리비 및
해체폐기비를 추정하였다. 불변가격 기준으로 약 8.1%의 절감효과, 할인비용으로는

- 63 -
7.3%의 절감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일반적으로는 LCA의 초점은 아직까지 지역적 또는 광역적 대기환경에 대한 영향에 맞
추어져 있다. Jonsson은 건축자재로부터 발생하는 오염물질을 측정하고 LCA 접근방법을
써서 실내환경의 평가가 지구환경적 관점과 어떤 관계에 있는지 VOC방출의 예를 들어
연구를 수행하였다. 실내환경의 매우 제한적인 측면만이 LCA에서 제기될 수 있기 때문
에 실내환경의 문제는 독립적으로 다루어져야 한다는 결론을 내리고 있다.

- 64 -
제 6 장 저탄소 환기제어 방안

6.1 일반사항

건축물의 기계환기에 소비되는 에너지의 절감을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앞에서 설명한


여러가지 에너지 절약적 설계와 고효율 시스템 구성이 중요하지만, 설치된 장비를 효율
적으로 운전하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 동일한 건물에 대하여 운전 방식에 따라서 실제적
인 연간 에너지 소비량은 크게 달라지기 때문이다. 실내환경을 고려하지 않고 에너지절
약만을 추구하여 환기설비의 운전을 중단하거나 외기도입을 차단하는 것은 효율적인 운
전이라 할 수 없다. 효율적인 운전은 건물의 구조적 특성과 사용 패턴, 그리고 건물이 위
치하고 있는 지방의 기후조건 등에 따라서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여기서는 일반적으
로 사용되는 에너지절약적 환기설비의 운전방안에 관하여 기술한다.
우선, 환기는 실내공기질을 유지하기 위한 목적도 있지만 실내 냉난방의 제어에도 활용
되기 때문에 실외 기온에 따라서 환기를 적절히 활용함으로써 냉난방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를 꾀할 수 있다. 여기에는 외기를 이용한 냉방운전, 엔탈피 제어운전, 야간 환기운
전 등이 있다. 또한, 환기량을 매순간 변화하는 실제 환기수요에 맞추어 외기량을 적절하
게 조절하는 요구제어 환기(Demand controlled ventilation) 방식이 적용되고 있다. 다중
이용시설처럼 사용 용도와 시간에 따라서 이용자 수가 변하는 등 다양한 변수가 존재하
는 경우 환기수요를 실시간으로 예측하기 위한 판단기준은 실내 오염원이 종류 및 방출
특성에 따라 매우 다양하게 변화한다. 이 경우 환기량 수요를 시간대별로 얼마나 정확하
게 측정하여 어떻게 환기설비를 제어하느냐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기술적 내용이다. 이
를 위하여 적외선 감지센서나 이산화탄소 센서 등 각종 센서를 활용하여 재실자 수나 재
실자 밀도를 측정하는 방안을 강구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자연환기와 기계환기의 장점을 동시에 활용하는 하이브리드 환기 운전 방
안이 있다. 하이브리드 환기는 에너지가 필요 없는 자연환기력과 제어가 가능한 기계환
기를 적절히 조화시켜 에너지절감을 꾀하기 위한 방식이다. 실내농도 뿐만 아니라 외기
온도나 풍속 등 실내외 조건을 측정하여 댐퍼 개도를 조절하거나 송풍기를 제어함으로써
자연환기량과 기계환기량의 상대적 크기를 조절한다. 이러한 운전방안이 에너지절약적이
기 위해서는 실내외조건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한 센서 부분이 중요하고 또한 장비를
제어하기 위한 적절한 제어로직을 개발하는 것이 중요하다.

6.2 이론적 배경

실내·외 환경이나 오염발생 조건에 따라서 주어진 공간의 필요 환기량은 매시간 변화한
다. 시간적 환기 제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환기량 변동에 따른 실내환경의 변화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환기량이 갑자기 변화하는 경우에 실내오염 농도가 시간에 따라서 변
동되는 과정과 평형상태에 도달하였을 때 오염농도가 결정되는 원리에 관하여 살펴본다.

- 65 -
6.2.1 실내 농도 방정식
완전혼합이 이루어지는 실내공간에서 실내오염 발생량과 환기량에 따른 비정상상태의
농도변화는 오염물질에 관한 질량보존 방정식으로부터 다음 식과 같이 1차 선형 미분방
정식으로 표현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여기서 C는 실내 농도이며, t는 시간, V는 실내체적, 그리고 M은 시간당 오염발생량이


다. Cout은 외기농도이고, Q는 외기도입량, Qac와 ηac는 각각 공기청정기의 환기량과 오염
제거 효율이다. 그리고 S는 실내 표면적이고, vd는 오염물질의 침착속도이다. 여기서는
문제를 단순화하기 위하여 오염물질의 벽체 부착량은 무시하고 공기청정기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대하여 고찰하기로 한다.
시간변화에 따라 오염발생량이나 환기량이 급격히 변화하게 되면 실내농도는 새로운
평형상태에 도달하는 과정에서 시간에 따라서 지수적으로 감소하거나 증가하게 된다.

               

여기서 Ci는 초기농도이며, A는 A=Q/V 이다. 또 Ceq는 평형상태 도달후의 실내오염농


도로서 다음과 같이 구해진다.


      

C(t)
Ci

63.2%

Ceq

t t

그림 36 환기량 변동에 따른 지수적 실내농도 변화

평형상태에 도달할 때까지 소요되는 시간은 실내체적과 외기도입량의 비에 의하여 결


정된다. 공간 특성을 지배하는 시간상수는 회전시간 상수로서 시간당 공기교환율의 역수
로 정의된다. 1 ACH는 시간당 1회전의 환기를 수행하는 것을 말하며 회전시간은 1 시

- 66 -
간이다. 이것은 사무실 공간의 대체적인 환기량에 해당한다. 시간상수만큼의 시간이 경과
한 후의 실내농도는 초기농도로부터 시작하여 평형상태 농도까지 도달하는 과정의 63%
에 도달한다. 시간상수의 3배 시간이 경과하면 평형상태의 95%에 도달하게 된다. 표 38
은 여러 가지 조건의 건물에 대한 전형적인 공기교환율과 회전시간상수 크기를 보인다.

표 38 전형적인 공기교환율과 회전시간상수


공기교환율 회전시간
비 고
ACH(1/h) Turnover (h)
0.15 6.67 최근 건축된 단독주택의 침기율 (ASHRAE 62.2)
0.25 4.00 상업용 건물의 침기율 (Persily, 1999)
0.3 3.33 비사용중인 상업용 건물의 필요환기량 (ASHRAE 62.1)
0.5 2.00 사무용 공간의 필요환기량 (ASHRAE 62.1)
0.7 1.43 신축 공동주택의 필요환기량 기준 (건교부, 2004)
1 1 오래된 단독주택 침기율 (Sherman & Matson, 1997)
2 0.50 학술회의장 (ASHRAE 62.1)
4 0.25 극장로비 등 고밀도 공간 (ASHRAE 62.1)

6.2.2 간헐환기 유용도


환기설비를 연속적으로 운전하지 않고 일시적으로 운전 또는 정지하는 것을 간헐환기
(intermittent ventilation)라 한다. 이를 단순화시키면 일정한 시간을 주기로 하여 환기량
이 강약 또는 on/off 두 단계로 운전되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간헐환기는 실내외 온
습도 조건이 변동하거나, 실외공기가 일시적으로 오염된 경우, 또는 최대 전력부하가 발
생하거나, HVAC 시스템이 사이클 운전이 되는 경우에 사용된다.
여기서는 그림 38과 같이 일정시간 thigh 동안 높은 공기교환율 Ahigh로 운전되다가 이
어서 tlow 동안 낮은 공기교환율 Alow로 운전되는 경우를 생각한다. 전체 시간 주기 Tcycle
에 대하여 정상상태로 일정한 환기량 Aeq 즉 상당 공기교환율로 운전되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내는 것으로 생각한다.
이때의 농도변화 과정을 그래프로 표시하면 그림 39와 같이 된다. 환기량 또는 공기교
환율이 낮게 유지되는 기간 동안 농도가 증가하여 Cmax에 도달하고 공기교환율이 큰 상
태로 유지되는 기간 동안에는 농도가 다시 감소하여 Cend에 이른다. 이것이 준정상상태로
반복 운전되는 경우에 Cstart와 Cend는 같아야 한다.

         


 m ax            
 
        
   m ax         
   

- 67 -
Air change rate

Ahigh
tlow
Aeq

Alow thigh

Tcycle Time

그림 37 주기적 환기량 변동을 보이는 간헐환기

Concentration

Cmax

Ceq

Cstart Cend
tlow thigh

Tcycle Time

그림 38 간헐환기에 따른 실내 오염농도의 주기적 변화

시간적 환기효율, 즉 간헐환기 유용도(efficacy), ε는 상응하는 일정 환기량에 대한 실


제 환기량의 비로소 정의된다. 상응하는 정상상태 환기율(Aeq)와 실제 과환기와 부족환기
(Ahigh, Alow) 그리고 부족환기 시간비율(flow)은 다음과 같은 관계를 갖는다.

   
 
      

여기서       이다. 이를 정리하면 간헐환기 유용도에 관한 식은 명목 회전


시간 N과 부족환기 시간비율 flow의 함수로 구해진다.

     · coth    

 
   

여기서 부족환기 시간비율은 flow=tlow/Tcycle이고, 명목회전시간은 N=(Aeq-Alow)Tcycle/2


이다. 이 수식은 우변에 ε가 다시 나오기 때문에 직접 계산이 되지 않고 수치적으로 그
해를 구할 수 있다.

- 68 -
결과로서 그림 40은 명목회전시간과 부족환기 시간비율에 따른 간헐환기의 유용도를
보인다. 또한, 그림 41은 1ACH일 때 부족환기 시간비율과 시간주기가 증가함에 따라서
과환기시 필요한 환기량이 증가하는 것을 보인다. 즉, 부족환기시 풍량이 상대적으로 적
게 운전되고 기간이 상대적으로 길어질수록 이를 보충해 더욱 많은 풍량을 제공해 주어
야 한다는 의미이다. 환기량이 적게 운전되는 기간에 축적된 실내오염물질을 이후에 환
기량을 증가시켜 제거함으로써 계속 동일한 환기량으로 운전한 결과와 동일한 결과를 가
져오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간헐환기는 적절히 활용하면 에너지절약을 꾀하고 아울러
실내환경을 유지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하지만, 부족환기시의 풍량과 과환기시 풍량
의 비가 너무 큰 것은 설비적으로 바람직하지 않다.

그림 39 명목 회전시간과 부족환기 시간비율에 따른 간헐환기의 유용도

그림 40 시간주기와 부족환기 시간비율에 따라서 필요한 과환기량

- 69 -
6.3 저탄소 환기제어 방안

환기운전은 크게 연속적인 오염원 제거를 위한 기초환기와 재실자 수에 따라 요구되는


재실자 환기로 나누어 생각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필요에 따라서 24시간 상시환기,
간헐환기, 수조작 운전환기, 스케줄 운전환기, 센서에 의한 요구제어환기 등 여러 가지
환기운전제어 모드가 활용된다.

표 39 환기운전 방식

구 분 운전방식 특징
24시간 오염물질이 실내에서 누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소풍량으로 연속 운전하
상시환기 는 방식으로 주로 병원이나 24시간 거주하는 주거용 건물 등에 적용된다.
일정시간 오염농도를 기초환기만으로 충분히 제거할 수 있을 정도로 낮은 경우에 적용
기초환기
(건축자재와
기초환기 되며 재실전·후의 환기시간은 오염물질의 발생량과 환기량에 따라 결정된다.
같은 연속적인 재실전 재실 전에 미리 환기하여 축적된 오염물질을 제거하거나 오염농도를 낮춤으로
오염원 제거를 환기 써 환기부하에 예방적으로 대처하는 방식이다.
위한 환기)
재실자가 연속적으로 머물러 있지 않고 오염발생 강도가 낮은 경우 간헐적으
간헐환기 로 운전하는 방식으로 집중환기라고도 한다. 운전시간은 오염물질 강도와 환기
량에 따라 결정된다.
정풍량 재실기간 동안 오염 방출강도가 일정한 경우에 적당하며 기준농도 이하로 유
운전 지하기 위하여 적정한 환기량 계산이 필요하다.
스케줄 재실시간과 오염 강도가 예측할 수 있는 경우 예정된 스케줄에 따라 운전하는
재실자
운전 것으로 미리 적정 환기량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환기 재실자나 운전자가 상황에 따라 직접 운전하는 방식으로 예측하지 못한 경우
(재실자 수에 수조작
에 추가적인 환기량을 확보할 수 있다. 상황에 적절히 대처하기 위하여 운전법
따라 요구되는 운전
환기)
등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
재실자 수나 오염강도가 예측하기 어려운 경우 센서에 의한 운전방식으로 연
요구제어
속측정에 의한 시스템의 운전이 가장 이상적이다. 지표가 되는 물질로 CO2,
운전
습도, VOC등 이 활용된다.

6.3.1 저탄소 환기제어 방법


(1) 수요기반 환기량 제어

수요기반 환기량 제어(demand controlled ventilation)는 실내에서 요구되는 수요에 맞


추어 환기량을 조절함으로써 불필요한 송풍에너지와 냉난방에너지를 절감하는 환기 제어
기술이다. CO2 센서나 재실자센서 등을 이용하여 환기량을 제어한다.

1) 재실자 스케쥴을 이용하는 방법


사무용 건물처럼 시간별 재실 스케쥴을 쉽게 예측할 수 있는 경우, 도입 외기량을 재실
자 스케쥴에 연동시켜 제어하는 것으로 비록 정확한 실시간 환기수요를 바탕으로 하는
방법은 아니나 비교적 높은 에너지 절약효과를 얻을 수 있는 방법이다.

- 70 -
2) 적외선 동작감지 센서를 이용하는 방법
실내에 재실자가 있을 경우 해당 실에 설치된 적외선 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공조기 또
는 환기장치를 가동시켜 설계시 가정한 최대 재실자 수에 따른 환기량 (또는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한 환기량)을 공급하도록 하는 방법으로 시간에 따른 환기수요의 변화가 크
지 않은 건물에 효과적인 방법이다.

3) 실내 CO2 농도 변화를 이용하는 방법


실내 또는 리턴 덕트내에 CO2 센서를 설치하여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CO2 농도를 측정
하고, 호흡을 통한 1인당 CO2 배출량을 고려하여 현재의 재실자 수를 예측한 후, 이에
따라 공조기 또는 환기장치에서 도입하는 외기의 양을 조절하는 방법이다.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재실자수를 비교적 정확하게 파악하여 도입 외기량을 조절할 수 있어 현재 가
장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DCV방법이지만, 정확한 환기수요 예측을 위해서는 설치된
CO2 센서들에 대해 주기적인 교정 및 세심한 유지관리가 필요하다.

4) 정확한 재실자 수 측정을 통한 방법


각 실의 입구에 들어오는 사람과 나가는 사람을 분리하여 감지하는 센서를 설치하거나
개인이 소지하는 신분증 등에 RFID 태그 등을 부착하여 실시간으로 각 실의 재실자 수
를 정확히 추적하여 환기량 조절에 사용하는 방법으로 가까운 장래에 다양한 유비쿼터스
기술들을 적용한 건물이 일반화될 경우 널리 적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6.3.2 하이브리드 환기제어


자연환기력을 이용한 자연환기와 제어특성이 우수한 기계환기를 접목하여 에너지절약
적 운전이 되도록 하는 환기방식이다. 실내에 필요한 환기량을 기계환기와 자연환기를
함께 또는 번갈아 이용하여 공급한다. 하이브리드 환기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제어이
다. 실내외의 온습도 조건과 바람 조건 등에 따라서 자연환기와 기계환기를 적절히 조화
시켜 운전한다.

(1) 기계환기와 자연환기의 병용운전


기계환기와 자연환기를 병행설치하여 서로 전환하면서 운전하는 방식이다. 외기 조건이
허락하면 기계시스템은 중지하고 자연환기 운전이 되도록 한다. 너무 덥거나 너무 추운
극한 조건에서는 자연환기 운전을 정지하고 기계환기만 운전한다.

(2) 송풍기 보조 자연환기 운전


자연환기력이 충분한 기후조건 시간동안에는 기계환기의 도움없이 자연환기력에 의존
하여 운전한다. 하지만, 풍압효과나 연돌효과의 자연구동력이 약하거나 환기량을 늘려야
하는 경우에는 기계환기 장치를 보조적으로 가동한다.

- 71 -
(3) 자연환기력 보조 기계환기 운전
기본적으로 기계환기를 상시 운전하되, 실내외 온도차에 의한 자연환기력이 주어지는
경우 최대한 활용하여 기계환기에 필요한 에너지를 절감한다.

6.3.3 외기 냉방 제어기술
(1) 엔탈피 제어 방법
엔탈피 제어방법은 주간 냉방 운전시 상대적으로 엔탈피가 낮은 외기를 적극 도입하는
방법으로 외기를 이용하여 냉방을 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이 방법은 실내와 외부 공기
의 엔탈피를 비교하여 엔탈피 제어 운전의 여부를 판단하며, 엔탈피 에너지 연산에는 온
도와 습도를 사용한다. 실내 온도와 외기 온도, 실내 습도와 외기 습도를 관제점 입력으
로 하고, 가동시간대, 알고리즘 사용유무, 냉/난방설정을 제어입력으로 하여 댐퍼 제어 및
송풍기 제어를 수행한다.

(2) 야간 외기취입 제어 방법
야간 외기취입 제어 방법은 일출 전에 찬 외기를 실내로 유입하여 실내 온도를 낮추는
방법으로, 주간의 냉방시간과 냉방부하를 줄이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실내 온도와 외기
온도를 관제점 입력으로 하고, 가동 시간대와 알고리즘 사용 유무, 냉/난방 설정을 제어
입력으로 하여 댐퍼 제어 및 송풍기 제어를 수행한다. 야간 외기취입에 소비되는 환기에
너지와 절감되는 건물의 냉방에너지를 비교하여 도입여부를 결정한다.

6.3.4 시간지연/선행 환기제어


건물 사용시간과 공실 시간이 반복되는 경우 가장 단순한 제어방법은 재실자 여부에
따른 on/off 제어일 것이다. 그러나 실내의 공기는 실내오염물질에 대한 일종의 완충 작
용을 하므로 실내에서 발생되는 오염물질의 제어에 있어서 환기량의 제어를 실제보다
시간적으로 지연시키거나 앞당겨서 실행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주 오염원이 인체
배출물이거나 사람의 행동에서 발생하는 경우에 대하여 공실 시간 동안 오염물질의 농
도가 현저히 감소되었다면 사용시간의 개시와 동시에 오염농도가 증가하기는 하나 일정
한 농도 레벨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일정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허용농도 레벨에 도달
할 때까지 환기장치의 가동을 지연시킴으로써 에너지 절감을 꾀할 수 있다. 반대로 주
오염물이 건축물로부터 발생하는 경우에 대해서는 실내의 공실 기간 동안 환기장치가
가동되지 않아 건축물의 각종 자재로부터 발생된 오염물질의 농도가 상승되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사용시간 이전에 한두차례의 실내외 공기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환기장치를
가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72 -
6.3.5 기타 환기제어 기술
(1) 최대전력부하 제어
전력사용이 많은 기간 동안 장비의 운전을 일시적으로 중지시킴으로써 최대전력부하를
제한할 수 있다. 이론적으로 실내공기질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피크 부하를 줄
이기 위해 단기간 외기량을 줄일 수 있다. 피크 부하 기간 이전에 외기를 충분히 제공하
면 피크 부하기간 동안 외기량을 더 많이 줄일 수 있다.

(2) 야간 운전 제어
야간 운전제어 방법은 에너지 절약 보다는 동절기 하절기 야간 공실 시간의 실내온도
를 적절히 유지시켜 빌딩의 각종 장비를 보호하고, 빌딩의 재실시간에 맞춰 기동할 때
장비에 걸리는 과부하를 예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주로 겨울에 운영되며, 열원 기기
를 사용하므로 운전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

6.4 센서

에너지절약적 환기운전의 핵심은 공간내의 재실 여부와 오염발생을 파악하는 것, 그리


고 다른 한편으로는 실내 상태와 외기조건을 감지하는 것이다. 수동조작이나 설정된 스
케줄에 따라서 환기 운전되는 경우도 있으나 주로 재실여부나 실내외 환경조건을 측정할
수 있는 각종 센서를 활용하여 제어운전을 한다.

-재실여부 (동작감지 센서, 시계, 조명과의 연계)


-인체발생오염 (CO2, 수증기, 냄새)
-기후조건 (외기온도, 실내온도, 풍속, 풍향)

재실여부를 파악하기 위하여 동작감지 센서를 이용하고, 시계나 조명을 이용하여 간접


적으로 파악하기도 한다. 인체발생 오염물질의 측정에는 CO2센서가 쓰이고 기타 습도센
서나 VOC 센서 등이 쓰인다. 표 40은 환기제어를 위하여 사용되는 오염물질 감지센서의
종류와 특성을 보인다. 또한, 실내외 조건을 측정하기 위하여 실내외 온도와 풍속 풍향
등의 측정이 필요하다. 여기서는 환기운전제어에 활용되는 센서의 종류와 특성, 그리고
설치에 관하여 설명한다.

- 73 -
표 40 실내 오염물질 감지를 위한 센서의 종류 및 특성
Maximum
Sensor Sensor
period
minimum Sensor maximum Sensor required
Pollutant Typical range indoors between
detection resolution drift between specificity
measure-
limit calibration
ments
insensitive to
350-2000 ppm (often
Carbon dioxide
<1000ppm maximum)
350ppm ≤ 50ppm 50ppm temperature, RH, 30 min
other gases
10%-80% RH insensitive to
Humidity 0.002-0.015 10%RH ≤ 5%RH 5% RH temperature, other 30 min
absolute humidity gases
Paricles in
indoor spaces 10-100㎍m-3 -3 -3 insensitive to
with minmal (minimal smoking)
10㎍m ≤ 0.05㎍m-3 0.05㎍m
temperature, gaes
30 min

smoking
Particles in insensitive to
unknown 50㎍m-3 ≤ 10㎍m-3 10㎍m-3 10 min
smoking rooms temperature, gases
resopons to total
TVOC high limit -3 -3 -3 carbon for VOCs
control only
0.1-5mgm 1mgm ≤ 0.2mgm-3 0.2mgm
with 50℃-250℃
30 min

boiling point
resonds to total
TVOC routine 0.1-5mgm-3, carbon for VOCs
0.04mgm-3 0.04mgm-3 0.04mgm-3 30 min
contro usually<1mgm-3 with 50℃-250℃
boiling point

6.4.1 센서의 종류
(1) 재실 센서
재실센서는 인체에서 발생하는 적외선 복사를 PIR 센서(passive infrared sensor)로
감지하도록 만들어진 센서이다. 다른 종류로 초음파를 이용한 것이 있는데 이동하는 목
표물에서 초음파가 반사되는 것을 감지하여 사람이나 움직이는 물체를 감지한다. 어떤
재실센서는 적외선과 초음파 센서 두 가지를 조합하여 신뢰도를 높인 경우도 있다. 재실
센서는 수요기반 환기량제어 (DCV)에 필수적인 센서이다.

(2) CO2 센서
연소가 없는 건물 환경에서 실내외의 정상상태 CO2농도 차이는 재실자 수와 관련이 있
다. CO2 농도와 필요 환기량과의 관계는 오래전에 개발되었지만, 실제로 건물에 적용되
기 시작한 것은 최근에 이르러서 이다. 초기 사용되던 센서는 저렴하지만, 사용기간 경과
에 따라 점차 정확도가 떨어지고 주기적인 교정이 필요하였다. 요즘 주로 사용되는 CO2
센서는 비분산 적외선 센서와 광음향 센서가 주종을 이룬다.

-비분산 적외선 센서 (Non-dispersive infrared sensor): 적외선이 통과할 때 CO2 흡


수가 일어나는 파장대에서 빛의 강도 변화를 감지한다. 선택적 광학 필터가 설치되어
CO2 흡수 파장 이외의 빛이 통과하는 것을 차단한다. 정확도를 유지하려면 광원이나 센
서 표면이 더러워지지 않도록 해야 한다. 시간에 따른 광원의 강도변화와 표면 오염의

- 74 -
영향을 없애기 위하여 이중 빔(dual-beam)을 이용하거나 야간에 정기적으로 자동교정
(self-calibration)하는 기능을 갖춘 것도 있다.

-광음향 CO2 센서 (Photo-acoustic CO2 sensor): 적외선을 이용한 다른 종류의 CO2


센서는 광음향 센서이다. 광학 필터는 광원 앞에 위치하며 이산화탄소에 흡수되는 파장
의 빛만 셀 내부로 들어간다. 공기로 채워진 셀 챔버에서 CO2분자는 농도에 비례하여 적
외선 빛을 흡수한다. 흡수된 에너지는 분자의 진동에너지를 증가시켜 온도를 상승시킨다.
셀 내부의 작은 마이크로폰이 온도변화에 따른 압력 변동을 감지한다. 이것은 NDIR 센
서에 비하여 먼지나 오염에 민감하지 않으나 여전히 광원이 오래되어 강도가 변화하면
영향을 받는다. 좀 더 정밀한 것으로 압력 센서를 이용하는 것이 개발되어 있다.

(3) 입자 센서
입자 계수기는 특정 크기 이상의 단위체적당 입자 수를 측정한다. 대부분의 입자 계수
기는 입자에 의한 레이저 광의 산란 특성에 근거하고 있다. 입자 크기별로 입자의 개수
농도를 측정한다. 입자의 질량농도를 측정하려면 추가적인 계산이 필요하다. 0.3μm이상
의 입자를 측정하는 계수기는 레이저 다이오드를 이용하며 가격이 수백만원 정도이다.
0.1mm 이하의 입자를 측정하려면 강력한 레이저 광이 필요하며 따라서 계측기 가격도
올라간다. 입자 농도가 높은 환경에서 사용되는 센서는 자주 청소해 주어야 한다. 아직까
지 가격이 비싸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클린룸을 제외한 일반 실내환경에 적용하기는 무리
가 있다.

(4) 습도센서
여러 종류의 습도 센서가 있으며 실내환경제어에 적용되는 습도센서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용량형 센서: 두 개의 전극 사이에 놓인 얇은 판이 습도에 반응한다. 상대습도에 따라


서 수분을 흡수하여 재질의 비유전율(dielectric constant)을 변화시켜 정전용량
(capacitance)을 변화시킨다. 센서에 연결된 전기회로는 출력값을 선형화하고 온도보상
기능을 한다. 이러한 센서는 이력현상이 크지 않지만 먼지나 유기화합물에 의하여 오염
될 수 있다.

-저항형 센서: 플라스틱 재질에 흡습성 필름(염화리튬)을 도포한 센서이다. 습기를 흡


착하기 때문에 상대습도가 낮아지면 센서의 전기저항이 지수적으로 감소한다. 이러한 센
서는 정확도가 높고 이력현상이 적다. 그리고 반응시간이 짧고 교정이 빈번하게 요구되
지 않는다. 하지만, 화학 증기나 액체 물, 그리고 매우 높은 습도에 반응을 한다.

-노점센서: 매끈한 표면의 온도를 열전 펠티에 소자롤 냉각시키면서 표면에 결로가 일


어나는 시점의 온도, 즉 노점을 측정한다. 거울 표면에서 반사되는 빛의 강도를 광전관으

- 75 -
로 측정한다. 결로가 생기면 조사된 빛은 반사되지 않고 사방으로 분산된다. 용량형 센서
나 저항형 센서에 비하여 고가이며 주기적인 관리를 요한다.

(5) 온도센서
공기조화용 온도측정 센서로는 바이메탈, 액체 팽창 또는 증기압형, 저항온도센서, 반
도체 온도측정 저항체, 열전대 등이 사용된다.

-바이메탈 센서: 선팽창 계수가 다른 두 종류의 얇은 금속판을 맞붙인 센서이다. 보통


고팽창측에는 황동, 저팽창측에는 인바를 사용한다. 주위의 온도변화에 따른 신축은 곡률
계수로 표시하는데 그 값은 금속의 조합 종류와 형상에 따라서 다르다. 응답이 빠르고
가격이 저렴하여 간단한 온도 제어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액체 팽창 또는 증기압형 센서: 주로 실내형 온도조절기에 사용되는 엘리먼트로서 벨


로즈나 다이어프램 캡슐에 액체나 증기를 봉입하고 온도변화에 따른 팽창 수축에 의한
기계적인 변위를 측정한다. 덕트 내부나 냉온수 배관내 온도를 제어하는 삽입식 온도조
절기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저항온도센서 (Resistance temperature detector): 금속선의 전기저항값은 온도에 따


라서 변화한다. 따라서 저항값을 측정함으로써 온도를 알 수 있다. 공조분야에서는 측온
저항체로 백금과 니켈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특히 백금선으로 제작된 PT100Ω은 안전성
과 응답성이 우수한 표준적인 RTD이다.

-서미스터 (Thermistor): 망간, 니켈, 코발트, 철, 구리 등의 산화물 분말을 혼합하여


비드형, 로드형, 디스크형 등으로 소결한 것을 서미스터라고 한다. 온도에 따른 저항 변
화율이 커서 응답성이 좋고 가격이 저렴하지만 다른 센서와의 호환성이 떨어진다.

-열전대 (Thermocouple): 두 개의 다른 금속을 접합하여 양 접점에 온도차를 가하면


그 폐회로에는 열기전력이 발생한다. 이를 제벡효과라고 하고 이를 이용하여 온도측정을
하기 위한 금속선의 쌍을 열전대라고 한다. 열전대는 규격화되어 있으며 공정분야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다. 금속선의 종류에 따라서 K형, T형, J형 등 온도범위와 허용차가 다
른 다양한 종류의 열전대가 있다.

(6) 주관적 반응감지를 위한 센서 어레이


사람의 주관적인 반응을 모사하기 위하여 센서 어레이에 관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최근 개발내용은 여러 개의 다른 종류 가스 센서를 이용하여 오염물질의 정보를 얻는 것
이다. 패턴인식 기술에 의하여 센서 반응과 주관적 반응과의 연관성을 찾는다. 센서 성능
개선에 있어서, 가격 측면, 민감도 측면, 안정성, 반응속도 등의 측면에서 많은 가능성이
열려 있다. 실내공기질을 모니터링 하려면 저가의 통합 센서가 바람직하다.

- 76 -
6.4.2 센서 설치시 고려사항
환기제어를 위한 센서의 선정시 고려사항은 다음과 같다.

(1) 센서의 작동 범위 : 제어변수의 작동 범위 전체를 측정할 수 있도록 충분히 큰 측정 범


위를 갖는 센서를 선택한다.
(2) 센서의 정확도 : 제어변수의 제어 정확도를 요구되는 목표에 부합되게 제어하기 위하여
충분한 정확도와 반복성이 보장된 센서를 사용한다.
(3) 검출매체의 선택 : 검출매체란 압력이나 온도와 같은 변수를 측정하기 위해 측정 위치
에서 직접 접촉 또는 노출되는 매개체로써 만약 검출기가 검출시 부식되거나 성능이 저
하될 우려가 있다면 다른 종류의 매개체를 선택하거나 직접적인 접촉을 피해 위치시킬
필요가 있다.
(4) 센서의 설치 환경 : 센서의 설치 환경에 따라 정확도에 많은 영향을 미치므로 세심한
주위 환경 선택이 요구된다. 일반적으로 주위의 온도와 습도가 센서에 영향을 미치며, 공
기 중의 가스 성분, 화학 성분, 전자기 방해(EMI)도 센서의 성능에 영향을 미치므로 주의
깊게 설치환경을 선정하여야 한다.

센서의 설치 위치는 목적에 따라서 실내의 환경조건을 대표할 수 있는 곳에 설치하거


나 또는 최악의 상황을 감지하기 위한 곳에 설치한다. 센서 설치 개수는 설치비용에 따
른 경제적 부담과 요구조건과의 절충에 의하여 결정된다.
실내환경을 제어할 목적으로 설치하는 센서는 일반적으로 덕트 보다 실내공간에 설치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리턴 덕트는 여러 공간의 배기가 모여 평균적인 농도를 보이기
때문에 특정한 공간에서 실제로 상황을 측정할 수 없기 때문이다. 실내공간에 설치하는
경우 주로 벽체 표면에 설치하고, 급배기 제어를 위해서는 덕트내 센서를 설치한다.

-덕트 설치: 덕트센서는 단일 공간이거나 다중 공간이더라도 동일한 재실 패턴을 갖는


경우에 좋다. 가장 흔히 설치되는 위치는 공조기로 들어가기 직전의 리턴 덕트나 리턴측
플레넘 내부에 설치한다. 리턴측 플레넘이 있는 시스템에서는 건물이나 급기 덕트를 통
한 외기의 누설 때문에 측정값이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누설이 문제가
되지 않는 공간에 설치하여야 한다.

-벽체 설치: 실내공간내 벽체 표면 위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온도센서를 설치하는 것과


설치조건이 유사하다. 외기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을 수 있는 출입문이나 창문 또는 외
기도입구 가까이 설치하지 않도록 한다. 배기구 부근은 실내 공기가 모여 밖으로 빠져나
가는 곳이기 때문에 실내 농도를 평균하여 대표하는 특성이 있다. 또 주위 사람의 호흡
이 센서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최소한 사람으로부터 0.6m 이상 떨어진 곳에 위
치하도록 한다. 재실상황이 바뀌는 각 존별로 센서를 설치한다. 배기가 상시적으로 이루
어지는 공간에서는 배기구 부근에 설치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 77 -
6.5 수요기반 환기량 제어

6.5.1 개요
수요기반 환기량 제어(DCV : demand controlled ventilation) 방법은 건물이나 공조공
간에서 건강한 실내공기질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환기수요를 실시간으로 산정하고, 공
조기 또는 환기장치에서 도입되는 외기도입량이 항상 이 수준으로 유지되도록 시스템을
자동제어 하는 방법으로 1990년대 초부터 미국 및 유럽을 중심으로 관련 연구가 활발히
수행되기 시작하였다.
이들 국가들은 전통적으로 건물 용도별 1인당 환기량과 설계시 가정한 재실자 수를 바
탕으로 산정한 필요환기량이 건물 운정시 항상 유지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실제 재실자의 수가 설계 시 가정한 최대 재실자 수에 못미치는
경우에 과도한 환기 (over ventilation)에 의한 에너지 낭비를 가져온다는 문제가 제기되
면서 실제 환기수요에 따라 정확한 양의 환기량을 공급하는 DCV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
기 시작하였다.

6.5.2 종류
수요기반에 따른 환기량 제어는 무엇을 기준으로 환기의 작동 여부를 판단하느냐에 따
라 그 분류가 나누어진다. 또한, DCV방법들은 기존의 환기량 기준이 제시한 1인당 필요
환기량과 실시간으로 측정한 재실자 수에 따라 외기도입량을 제어하는 방법을 택하고 있
다. 그러나 1인당 환기량 기준을 적용한 DCV를 사용하는 경우 재실자 수가 줄어들어 공
급환기량이 일정 수준 이하로 감소되면 건물 자체로부터 방출되는 TVOC, HCHO와 같은
유해물질의 제거/희석에 필요한 최소 환기량 마저 유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
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이것은 건물이 방출하는 오염물질은 재실자 수와 무관한
독립적인 방출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미국 ASHRAE에서는 재실자 1인당 환기량으로만 규정했던 기존의 필요환기량 기
준을 2004년 이후 인체가 방출하는 오염물질 처리를 위한 1인당 필요환기량과 건물 자
체가 방출하는 오염물질 처리를 위한 바닥면적당 환기량으로 나누어 규정함으로써 실시
간 재실자 수를 바탕으로 하는 DCV를 사용하더라도 건물로부터 방출되는 오염물질을 처
리하는데 필요한 최소환기량은 항상 유지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1) CO2 센서 이용 DCV

CO2센서는 상대적으로 저렴하고 다른 기체의 오염농도와 이산화탄소 농도와 대체적으


로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보고되어 대부분의 DCV시스템은 이산화탄소 농도에 근거
하고 있다. 인체에서 발생하는 TVOC나 분진은 재실자 수에 따라서 변화하는 반면 건축
자재 등에서 발생하는 농도는 재실자 수와 무관하게 결정된다.

- 78 -
CO2에 근거한 DCV에서는 환기기준에서 제시하고 있는 1인당 필요한 최소 외기도입량
을 자동적으로 제어하려고 한다. 환기기준에 나오는 최소환기량은 인체발생 오염물질과
실내발생 오염물질을 모두 제거할 수 있다는 가정하에서 제시된 것이다. 인체발생 오염
물질 이외의 실내오염 발생물질은 경우에 따라서 크게 변화하기 때문에 실내공기질 문제
를 유발한다. 새로운 ASHRAE 기준에서는 재실자 1인당 뿐만 아니라 면적당 필요한 환
기량을 합산한 최소 환기량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재실밀도가 높은 실내공간에서는 제시된 1인당 환기량이 다른 실내발생 오염물질을 제
거하는데 충분한 양을 제공한다. 이러한 이유에서 CO2기반의 DCV는 강당이나 회의실과
같이 재실밀도가 높은 곳에 적합하다.

(2) VOC와 CO2센서 이용

CO2센서는 재실자와 관련이 없는 오염물질에는 반응하지 않는다. 그렇게 때문에 재실


밀도가 높지 않은 건물에서는 CO2에 근거한 제어는 환기부족을 초래할 수 있다. 다른 가
스측정 센서, 주로 VOC센서를 추가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에 관심을 갖게 된다. VOC센서
는 아직까지 안정성이나 민감도가 충분하지는 않지만, 성능이 개선되고 가격이 낮아지고
있다. VOC를 이용한 제어는 상당히 복잡해 질 수 있다. 왜냐하면, 여러 가지 VOC에 대
하여 건강 유해성이나 최대 허용농도 등에 있어서 다양하기 때문이다.

(3) 다른 센서의 활용

주택에서 상대습도 센서는 환기제어 목적으로 활용되어 왔다. 그러나 그것은 습기제어
에만 유효하며 다른 오염물질에 대해서는 습도와 상관관계가 크지 않다. 재실 스케줄이
변동하는 건물에서, 교실과 같이 재실 기간이 안정적인 경우에는 재실 센서가 가장 저렴
한 해결책이 될 수 있다. 재실 센서를 이용하여 재실기간 중에는 환기량을 크게 하고 나
머지 기간에는 최소 환기량을 제공한다.
끽연실과 같이 분진 발생이 많은 공간에서는 입자센서를 이용하여 환기량을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대부분의 입자 센서는 가격이 고가이다. 클린룸과 같은 곳에서
는 적용이 가능할 지 모르나 아직까지 사무실 건물이나 주택과 같은 일반적인 실내에 적
용하기는 무리가 있다.

이상의 재실자 수를 바탕으로 하는 DCV방법들 외에 특정 유해 공기오염물질의 실내농


도를 측정하고 이를 기준치 이하로 유지하도록 환기량을 제어하는 방법도 있으나, 이것
은 주로 특수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건물에서 특정 유해물질의 제어를 위해 적용되는 방
법으로 일반건물에서는 많이 사용되지 않으므로 여기서는 제외하였다.

- 79 -
6.5.3 사례 - Media 초등학교 (Norway)
노르웨이의 Media 초등학교는 단층으로 침기가 많았던 오래된 학교 건물을 1998년에
개수한 예이다. 개수의 주 목적은 거주한 호흡역의 공기질을 개선하고, 모든 거주자의 열
적쾌적성을 보장하며, 최소의 에너지로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었다. 외기의
도입은 건물로부터 약간 떨어진 곳에 위치한 급기타워를 통해 이루어지며, 도입된 외기
는 지중의 급기팬이 설치된 쿨튜브를 통해 챔버역활을 하는 지하층 복도를 경유하였다.
또한, 환기효율을 높이기 위해 각 실의 바닥에 설치된 취출구를 통해 각 실에 공급된다.
실내 공기는 채광 천정에 모아지고 배기팬에 의해 배기타워에 도달하게 되며 배기타워에
있는 3면의 배기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 과정에서 열교환 시스템을 거치게 되고
현열교환이 이루어진다.
환기량은 각 실에 설치된 CO2 센서에 의해 조절되며, 만약 설정된 CO2 레벨을 초과할
경우에는 실 상부에 있는 배기창이 자동으로 열려 배기 및 환기를 촉진하게 된다. 1999
년 11월부터 2002년 2월에 걸쳐 수집된 데이터를 살펴보면, 실내 공기질 및 열적쾌적성
측면에서 상당히 유효한 효과를 보이고 있다.
.

(a) 통풍 계략도

(b) 통풍구

그림 41 Media 초등학교

6.6 하이브리드 환기 제어

6.6.1 개요
자연환기는 바람에 의한 건물 내외의 압력분포차이와 실내외 공기의 온도차에 따른 부
력에 의한 압력차이에 의하여 발생한다. 건물 내외 압력분포차이와 공기 온도차 이 두가
지의 요인은 단독적으로 또는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실내외 공기의 교류가 발생하고 이에
따른 분자확산에 의한 역할은 무시할 수 있다.

- 80 -
하이브리드 환기(hybrid ventilation) 제어는 외기조건과 실내 환경조건에 따라 각각 다
른 시간에 각 시스템의 특성을 활용하는 것으로 운전모드는 외부환경을 반영하여, 외기
가 가지는 실내 환경조절 능력을 다음과 같이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작동된다.

6.6.2 종류
하이브리드 환기제어 종류는 운용적인 측면에서 자연환기와 기계환기 방식이 독립적으
로 운용(change over)되느냐 또는 동시운용(concurent)되느냐에 따라 구분되기도 하는
데, 적용원리와 방법에 따라 크게 3가지로 대별할 수 있다.

(1) 자연환기 + 기계환기방식

이 방식은 자연 및 기계환기의 적절한 전환에 초점이 맞추어진 것으로 중간기에는 자


연환기 설비를 적용하고, 하계와 동계에는 기계환기설비를 활용할 수 있도록 계획된 환
기방식이다. 또한, 재실자의 수가 증가하였을 때에는 기계환기설비를, 하계의 야간 냉각
(night cooling)을 위해서는 자연환기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2) 자연환기 + 보조팬 환기방식


배기 및 급기를 위한 보조팬을 자연환기와 결합한 것으로 저압의 보조팬을 이용하여
자연환기의 구동력이 약하거나 환기량을 늘려야 할 기간에 환기량을 적절히 증대할 수
있으며, 최근 가장 많이 개발, 적용되고 있는 방식이다.

(3) 연돌효과 + 기계환기방식


자연환기의 구동력을 최대한 유효하게 활용하는 기계환기설비에 근거를 두고 있으며,
자연환기의 구동력이 필요환기량의 일부를 담당할 수 있도록 조절이 가능한 방식이다.

자연환기 + 기계환기 자연환기 + 보조팬 연돌효과 + 기계환기

그림 42 하이브리드 환기방식(혼합형환기 방식)의 유형별 개념

- 81 -
6.6.3 하이브리드 환기 적용 및 방법
하이브리드 환기가 친환경성을 가지는 이유 중의 하나가 에너지 소비 없이 외기도입을
통해 실내 환경을 조절할 수 있다는 점이다. 기본적으로 실내공기질을 조절하기 위해 환
기를 실시하지만, 중간기와 같이 외부의 온·습도가 실내에 비하여 쾌적한 계절에는 실내
공기질 조절 뿐만 아니라 대량의 외기 도입으로 인한 실내 열쾌적성을 상승시킬 수도 있
다.
환기와 관련하여 실내 공기질, 열쾌적성 등을 조절하기 위해서 요구되는 장치로 외벽
및 내벽에 설치되는 수동 또는 자동 개폐창, 통기구와 실온센서, CO2센서, 풍속센서 등
의 기상계측 및 조절기능이 있는 컨트롤시스템이 필요하다. 유입 외기량 및 자연환기 모
드에서 기계환기 모드로의 전환은 주로 외기온도와 습도, 풍속 등을 기준으로 하고 외기
엔탈피가 실내 설정 엔탈피에 비해 높을 때에는 벤트슬릿과 같은 자연환기 장치에 있는
유입공기량 조절장치(댐퍼)를 적정하게 조정해 최소환기량만을 유입하게 된다. 반면, 외
부풍속이 약한 경우에는 자연환기를 통한 실내의 필요환기량을 충족시킬 수 없기 때문에
제어모드는 자연환기 모드에서 기계환기 모드로 전환되어 실내에 일정 환기량이 확보되
도록 제어하게 된다.

6.6.4 사례
(1) Fujita Technology center

후지타 기술센터는 자연통풍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에너지 절약효과를 극대화 하도록


계획되었다. 그림 45는 건물 단면 및 자연통풍 루트의 개념을 나타내고 있고, 그림 44는
평면도와 통풍개구부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연수동의 2, 3층 사무실 부분에(합계 약
2
1,700m , 연구동 연멱적의 약 20%) 하이브리드 환기를 적용하였으며, 실내외 조건이 양
호할 경우 기계공조가 정지하고 자연통풍 모드로 전환된다.

1) BEMS 제어
환기의 운전모드(자연통풍, 나이트퍼지(night purge, 외기냉방, 통상 공조) 등 운전 과
리자, 개인의 판단이 아닌 외부 센서와 실내 센서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BEMS에 의해 제어된다.

2) 거주자 참여
개방형 사무공간에 따른 다수 거주자가 존재하여 착의량과 대사량의 다양함을 고려하
여 BEMS가 OA단말기에 연결어 있는것을 이용하여 거주자에게 앙케이드제어와 결과, 운
전모드, 에너지 절약 효과를 표시한 정보서비스를 제공하여 공조 운전제어에 관여할 수
있게 하였다.

- 82 -
3) 자연통풍 모드의 적용 조건
하이브리드 운영에 따른 자연환기 운전모드의 운영결과와 실측·실험의 성과를 토대로
표 41과 같이 제어법을 개선 후 현장 적용성에 맞는 자연통풍 운전시간 비율을 증가시켜
대폭적인 에너지 절감을 달성 하였다.

그림 43 자연통풍 계획의 개요 그림 44 평면도와


통풍개구부

자연통풍 운전에 따른 시간은 2000년 89시간으로 전체 공조시간의 약 7%였으나, 표


41에 있는 운전 조건으로 변경 한 2001년에는 두 해 평균 기온이 거의 비슷했음에도 불
구하고 약 456시간으로 전체 공조시간의 약 35%로 증가하여 냉방제거열량에 있어서, 전
년에 비해 약 20% 감소하였다. 이는 하이브리드 환기를 적용한 면적이 건물 전체의 약
20%인 것을 고려하면 매우 큰 값이다.

표 41 자연통풍모드 운전조건 (수치는 가변)

2000년 2001년
구 분
(설계시 조건) (변경 후)
외기온도 17~26℃ 23℃~28℃
엔탈피 실내>외기 폐지
평균외기풍속 5m/s 이하 풍향별 고려
순간외기풍속 10m/s 이하 폐지
강우량 1mm/h이하 80%(RH)이하
실내온도 30℃ 30℃이하

(2) Liberty Tower, Meiji Univ., Tokyo (Japan)

리버티타워는 일본 도쿄에 위치한 대학교 고층형(지상 23층, 지하 3층) 건물로 자연환


기 방식을 활용하였다. 대학 건물의 특성상 재실 밀도가 높으며 도심부 대학 건물이라는

- 83 -
특성상 재실 밀도가 높으며 도심부 대학건물이라는 면에서 정보시스템, OA시스템 등으
로 인해 높은 냉방부하를 중간기 자연환기를 통해 에너지 절감을 시도하였다. 전 실에
원격 자동개폐형 자연환기 시스템을 도입하고 에스컬레이터를 이용한 자연환기와 상승된
열 및 오염물질을 그림 46에서와 같은 18층에 설치된 통기층(Wind Floor)을 통해 배출
되게 하였다. 또한, 19층 이상의 대학원 연구실 및 강의동에는 별도의 상하환기구를 통
해 23층 레벨에서 배기되도록 하고 있다.
각 실의 환기창은 실내 온·습도와 외부 온·습도 센서, 우량센서, 외부풍속 센서 등의 정
보를 활용하여 자동제어 시스템에 의하여 자동개폐 되며, 환기를 통해 실내 축열성분 및
공기오염 물질을 제거한다. 자연환기만으로 부족한 경우에는 공조(AHU)로 보충하는 하
이브리드 공조제어를 통해 자연환기의 에너지절감 효과를 최대화하도록 계획하였다.
1999년 4월부터 11까지 BEMS에 의해 측정된 결과를 보면, 자연환기 회수는 외부풍속
과 풍향 및 계절에 따른 차이는 있으나 약 3회/h 전후였으며, 자연환기창의 개폐시간은
대략 연간 500~600시간으로 자연환기를 통한 에너지 절감효과는 연간 17% 되었다.

(a) 전경 (b) 통기층 환기


그림 45 리버티타워

6.7 자동측정망

6.7.1 다중이용시설 현황
2009년 현재 관리대상 다중이용시설의 총 수는 8,313개로 2006년 6,394개보다 약

- 84 -
30%(1,924개소) 증가하였다. 그 중 보육시설의 급증은 과거 국공립보육시설 관리에서
전 보육시설 관리로 확대됨에 따라 그 수가 늘었다 판단된다.

표 42 다중이용시설 현황
지 지 실 여 공 항 도 박 미 의 실 철 대 국 설 국 장 찜 산
하 하 객 항 만 서 물 술 료 내 도 규 공 공 례 질 후
역 도 자 시 시 관 관 관 기 주 역 모 립 립 식 방 조
사 상 동 설 설 관 차 사 점 보 노 장 리
가 차 중 중 장 대 포 육 인 원
구 분 총 계
터 여 대 합 시 의
미 객 합 실 설 료
널 터 실 복
대 미 지

합 시
'06년 6,394 456 64 23 14 4 132 52 15 1,071 2,429 17 935 25 86 86 908 77
비율(%) 100 7.0 1.0 0.3 0.2 0.1 2.0 0.8 0.2 16.8 38 0.3 15 0.4 1.3 1.4 14 1.2
'05년 5,930 444 62 22 14 3 126 51 14 1,013 2,193 17 907 21 72 77 832 62
증가
464 12 2 1 - 1 6 1 1 58 236 - 28 4 14 9 76 15
'05년 시설수
대비 증가율
8.0 2.7 3.2 4.5 - 33.0 4.8 2.0 7.1 5.7 10.7 - 3.0 19.0 19.4 11.7 9.1 24.2
(%)

그림 46 전국 다중이용시설 현황

6.7.2 자동측정망 현황
다중이용시설 시설군별 실내공기 오염 원인을 정확하게 파악 분석하여 체계적이고 과
학적인 실내공기질 관리대책을 수립하기 위하여 환경관리공단에서는 실내공기질 자동측
정망을 시범 구축하여 운영하고 있다. 자동측정망의 구축 운영으로 신뢰성있는 정책 기
초자료를 확보하고 과학적인 실내공기 오염도 저감방안을 마련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1) 추진경과
2004년 다중이용시설등의 실내공기질 관리법이 제정된 이래, 각종 관련 연구사업과 시

- 85 -
범구축 사업을 통하여 자동측정망을 구축 운영해 오고 있다.

표 43 실내공기질 자동측정망 연구사업 및 운영

단계/일정 04 05 06 07 08 09 10

다중이용시설등의 실내공기질 관리법 제정 (04.5) ○

실내공기질관리 기본계획 수립 (관계부처합동 04.12) 1차

다중이용시설 자동측정망 구축을 위한 조사 연구사업 ○


2시설
다중이용시설 실내공기질 자동측정망 시범구축(I)
6지점
4시설
다중이용시설 실내공기질 자동측정망 시범구축(II)
8지점
4시설
실내공기질 자동측정망 구축 및 운영 대행역무사업
12지점
실내공기질 관리 2차 기본계획 수립
2차
(관계부처합동 09.1)
3시설
실내공기질 자동측정망 구축 및 운영 대행역무사업
9지점
2시설
실내공기질 자동측정망 연차별 확대구축 사업완료
5지점

(2) 자동측정 항목
다중이용시설 실내공기질 유지기준(5개 항목), 권고기준(5개 항목) 등 총 10개 항목 중
에서 자동측정 가능한 5개 항목 (PM10, CO2, NO2, CO, O3) 중 시설 특성을 고려하여
일부 항목이 설치되어 있다.

표 44 다중이용시설 실내공기질 유지기준, 권고기준


PM10 CO2 HCHO 총부유세균 CO
유지기준
○ ○ ○
NO2 Rn VOC 석면 O3
권고기준
○ ○

(3) 설치 위치
-외부 급기구 부근: 외부에서 유입되는 급기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함.
-실내 급기구 부근: 먼지필터 등 환기설비의 성능을 확인하기 위함.
-실내 중앙부: 내부 오염원에 의한 공기질 변동을 측정하기 위함.

(4) 실내공기질 자동측정망 구축 운영 현황


2006년부터 1차 시범구축 사업을 시작한 이래 매년 3-4개소씩 확대구축하여 2009년

- 86 -
현재 12개 시설의 34개 지점에 64대의 실내공기질 자동측정망을 구축 운영하고 있다.
각 시설군별 구축지점 개수와 측정항목은 아래 표와 같다.

표 45 실내공기질 자동측정망 구축 운영 현황

시설군 구축지점 측정항목


(설치장소) 06년 07년 08년 09년 CO2 PM10 CO NO2 O3
지하역사 1 4 2 4 - 3 -
지하상가 2 1 2 3 3 3 -
지하역사 2 2 2 2 - 2 -
여객자동차 터미널 3 2 3 - 3 -
공항시설 대합실 2 1* 2 2 - - -
도서관 3 3 - - - -
보육시설 2 1 2 - - -
항만대합실 2 2 - - - -
의료시설 3 2 - - - 3
노인요양시설 3 1 3 - - -
철도역사대합실 3 2 3 - - -
박물관 3 1 3 - - -
6 8 11* 9 22 25 3 11 3
총계
34개 지점 64개 항목

6.7.3 홍콩 지하철 사례
홍콩의 MTRC는 88km의 길이에 총 49개 역중 39개의 역이 지하에 있으며, 하루 240
만의 승객이 이용하는 세계에서 가장 붐비는 지하철이다. MTRC는 지하역사 내 승객에
게 적정수준의 실내공기질을 제공할 수 있도록 모든 승강장과 역의 실내공기질을 정기적
으로 측정하는 실시간 실내공기질 모니터링을 통한 관리시스템을 발전시켜 왔다. 표 45
은 MTRC의 실내공기질 모니터에 대한 설명을 보여주며,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한 지속
가능한 실내공기질과 환기시스템의 정상적인 작동 확인을 확인한다.
MTRC는 보다 적극적인 실내공기질 관리를 위하여 역을 이용하는 승객의 의견을 직접
적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관련 부서나 역은 승객의 의견을 직접적으로 받아들이고 접수
된 실내공기질에 대한 항의나 의견은 3일 이내 조사/연구가 실시하여 실내공기질 관리에
대한 승객의 의견이 중요하게 반영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조사결과값을 보다 쾌적한 실
내공기질 향상에 활용함으로써 보다 많은 승객에게 직접적으로 제공하게 하였다.
MTRC사의 관리의무, 환기시스템 설계, 유지보수, 실내공기질 모니터링과 승객라는 5
가지 요소들의 피드백이 역사와 열차에 실내공기질을 적정하게 유지하는데 결정적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 87 -
표 46 실내공기질 모니터

측정 방법
측정항목 주기 측정장비
역사와 승강장 객차

CO2 일주일 동안 1분 일주일 동안 10초 NDIR CO2 측정기(저장가능)


간격으로 측정한 간격동안 붐비는 실시간 에어로졸
RSP 1년
24시간 값 시간의 지속적인 값 측정기(저장가능)
1회
붐비는 시간대 3개의 연속적인 견본이 소
Bacteria 소형 공기 측정, 배양기
형의 측정기로 적합한 배양기에 모은다.
역과 승강장에서 3년 라돈 검출기
Radon -
30일 측정 1회 (Track Etch Detetor)

6.7.4 자동측정망 활용방안


현재 가동 중인 자동측정망 기기의 측정자료 수신률은 100%로 매우 안정적인 전송상
태로 운영되고 있으며 측정기기 일반시험 기간 동안의 가동률은 95%를 상회하고 있다.
자동측정망으로 측정된 데이터는 현재 각 시설별 실내공기 오염 현황을 실시간 파악하
고 시설 공기질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기록된 데이터를 단순히
기준치 상회 여부를 확인하고 수동적인 대책을 강구하는 선에 머문다면 자동측정망의 효
용도를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는 것이 된다. 시설물에 설치되어 있는 환기장치나 공기정
화 장치와의 연동 운전을 꾀함으로써 진정한 자동측정망의 가치가 발휘될 수 있을 것으
로 기대한다. 자동측정망으로 측정된 데이터는 귀중한 실시간 실내환경 측정 자료로서,

첫째, 환기설비의 운전 자료와 시설 운영 자료와 연계 분석에 의하여 학술적으로 실내


환경과 시설 설비의 운전 상황과의 상관관계를 규명하는데 활용될 수 있으며,

둘째, 이를 바탕으로 향후 공간별 운전 제어로직을 개발함으로써 다중이용시설의 에너


지절약적인 실내공기질 관리 운영에 실질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시설 운영부서와 관련 부처와의 데이터 공유이 전제되어야


한다. 관련 부서마다 독립적인 실내공기질 파악에서 벗어나 다중이용시설의 실내공기질
관리 현황 및 측정기록 등을 통합 수집하여 DB화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실내공기질 자료를 상시 공개하여 해당 시설의 소유자 및 관리자가 실내공기질
수준을 유지 권고 기준 이하로 유지하도록 동기를 부여하고 시민들에게 공개된 실내공기
질 자료를 통해 사전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자동측정망의 적극적 활용
으로 에너지절약적 실내공기질 관리가 가능하며 대국민 홍보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88 -
현재까지 구축된 자동측정망의 측정기기는 고가의 장비로 우리나라 다중이용시설의 현
황에 비하여 극히 소수지점에 제한적으로 구축되어 있는 상황이다. 국가적인 예산을 고
려할 때 많은 다중이용시설로 자동측정망 구축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보다 저렴한 시스템
의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다중이용시설내의 공간적 오염분포나 위험물확산 등 실내환경
정보를 활용한 다중이용시설의 다양한 관리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현재 연구개발이
활발히 진행 중인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의 자동측정망 적용을 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다.

- 89 -
제 7 장 결론

1. 저탄소형 실내공기질 관리의 필요성

우리정부에서는 이산화탄소를 감축하고 녹색성장을 이루기 위한 국가전략을 수립, 추진


하고 있다. 녹색성장 국가전략의 핵심은 녹색성장정책을 위시하여 에너지효율과 신재생
에너지를 포함하며 범정부적인 저탄소 녹색성장 정책은 실내공기질 관리에도 적용될 수
있다. 쾌적하고 안전한 실내환경을 유지하기 위하여 에너지 소비측면에서 효율을 높이고
이산화탄소 발생량을 줄임으로써 환경부담을 줄이자는 것이다.
도시의 현대화와 인구집중으로 인한 실내공기의 오염은 만성 기관지염, 천식 등 호흡기
관련 질환의 증가를 유발시켜 실내공기오염과 관리방법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으나
최소한의 에너지를 사용한 저탄소형 실내공기 관리방안 보급이 미흡한 바, 본 연구과업
에서는 저에너지 소비로 적정환기를 할 수 있는 저탄소 실내공기질 방안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2. 저탄소형 실내공기질 관리방안 도출

2.1 오염원 사전관리

실내공간으로 방출되는 유해화학물질의 특성을 이해하고 실내 공기환경개선을 위한 방


법으로 실내의 화학물질의 방출량을 경감시킬 수 있는 무공해(Non-Toxic)제품이나 화학
물질 저방출 제품의 보급을 위한 관리 방안 등이 필요하다.

재실자가 직접적으로 접하는 건축 내장재 및 다양한 침대, 장롱, 주방가구 등의 목제


가구와 TV, 컴퓨터, 프린터, 청소기 등의 가전제품에서 다량의 오염물질이 방출되어 실
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건축내장재 및 가구류, 복사기, 프린터, TV 등 생활용품·가
전제품에서 방출되는 화학물질이 최소화된 제품개발 및 사용방안을 적극 장려하고 제품
특성에 따른 정량, 정성적 측정 분석할 수 있는 관련법규 제정확립이 필요하다.

2.2 처리 및 제어(오염물 농도저감)

․ 베이크아웃 시스템 개발
베이크아웃은 단시간 내에 다량의 오염물질을 실외로 배출하는 반면 그에 따른 에너지
손실 및 인건비를 발생시킨다. 또한, 일부 잘못된 실행에 따른 실내오염물질의 방출량 증
가현상도 발생하여 베이크아웃 시행에 따른 적절한 교육과 시행 시 발생하는 에너지 소
비와 인건비 소모를 줄일 수 있는 효율적인 베이크아웃 시스템개발이 필요하다.

- 90 -
․ 환기량 설계기준에 대한 재검토
실내오염발생 패턴의 변화에 따라서 건물 용도별 필요환기량 설계 기준에 대한 재검토
가 이루어져야 한다. 건물면적 당 또는 재실 1인당 적용되는 일률적인 환기기준에서 벗
어나 실제적인 오염발생에 근거한 환기량 산정 방안에 대한 검토가 이루어져야 한다.

․ 에너지절약적 환기설계의 유도
지역별 기후조건과 건물의 기밀도에 따라 적절한 환기방식을 선정하여 에너지절약적
환기시스템이 구성되도록 설계하고 폐열회수 환기장치 등 각종 장비 선정 시 고효율 기
자재나 인증제품을 활용토록 유도한다.

· 에너지절약적 환기운전의 확산
수요기반 환기량 제어(Demand controlled ventilation) 등 에너지절약적 환기운전 방
안이 건물의 특성에 맞추어 구체적으로 제시되어야 하며, 설비된 기기의 효율적인 운전
을 위하여 건물관리인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현재 가동 중인 자동측정망의 측정 데이
터를 환기시스템에 적극 활용하여 에너지절약적 운전방안을 강구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
러기 위해서는 자동측정망 운영기관과 환기설비 운영기관간의 긴밀한 정보교환과 협조가
필요하다.

3. 향후 연구개발 정책 방향

본 연구에서 오염원별 오염물질 방출량과 시스템별 환기성능 및 에너지특성 그리고 관


리방안별 국내외 연구현황 및 방법론에 관한 자료조사를 수행하였고 환기설계 프로세스
연구를 통하여 대상군 별 설계사례와 설계기준을 분석하였다. 또한, 에너지 절약적 운전
을 위한 각종 운전제어방안 및 시뮬레이션 방법에 관한 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향후
연구개발 정책 방향에 관한 결론을 도출하였다.

(1) 지구환경 부담에 대한 인식 필요.


쾌적하고 안전한 실내공기환경을 공학적으로 제시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에너지 및
물질 소비에 따른 지구환경에 대한 부담이 수반된다는 사실을 인식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저탄소형 실내공기질 관리방안이 지속적으로 모색되어
야 한다.

(2) 오염발생원 및 시설별 접근방법이 필요.


오염원 사전관리가 가능한 오염발생과 그렇지 않은 것으로 구분하여 접근할 필요가 있
다. 오염원 사전관리가 가능한 오염원에 대해서는 추가적으로 발생하는 환기에너지 증가
를 경감할 수 있다. 필요건축자재의 오염발생을 줄이고 실내금연을 유도하는 등 오염원

- 91 -
발생을 줄이는 것이 공기정화나 환기에 의하여 발생이후 제어하는 것보다 에너지 측면에
서 효과적이다. 또한, 실내공기질은 시설 별로 이용하는 사람의 수가 상이하고 건물의 특
성, 시간대, 계절 등에 따른 편차가 심하기 때문에 차후 시설 별 제어방안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하며 특히 건물용적에 비하여 많은 수의 사람이 이용하는 지하철역사 등의
다중이용시설의 경우는 시설특성에 맞는 관리방안 마련이 요구된다.

(3) 에너지 비용 측면에서 효율적인 처리 및 제어방안을 모색.


처리 및 제어 방안별로 소요되는 에너지 비용 대비 실내환경 개선효과를 고려하여 적
절한 방안을 모색한다. 환기가 부적절하고 에너지 소비가 많은 경우에는 다른 제어방안
을 강구하는 등 오염발생원에 따라서 적절한 처리 및 제어 방안의 역할을 분명히 한다.
이를 위해서는 제어방안별 에너지 비용을 결정하는 요소들을 파악하고 실내환경 개선효
과를 정량화할 수 있는 분석기법이 구체화되어야 한다.

(4) 탄소발생에 관한 전과정평가가 필요.


실내공기질 관리방안에 따른 지구환경에 대한 부담을 정량화하기 위해서는 에너지와
물질 소비에 따른 탄소발생량에 대한 전과정평가(Life cycle assessment)가 이루어져야
하며 이를 위한 구체적인 분석기법이 도출되어야 한다. 전과정평가는 환기장치나 공기청
정기의 생애기간 동안의 가동에 따른 운전비용 뿐만 아니라 시스템의 생산과정과 폐기에
필요한 비용을 포함한다. 현재 시행되고 있는 탄소발자국과 같은 탄소성적표시제도의 활
성화가 요구된다.

(5) 최적의 필요환기량을 산정.


환기는 재실자 필요에 부합하고 사전관리가 어려운 오염물질을 희석하고 제거하는데
필요한 최소 환기량을 설정하여야 한다. 환기는 매우 효과적인 실내공기질 제어방법이나
환기량에 비례하여 에너지 비용이 증가하므로 건물용도별 필요환기량 기준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등급제 시행 등으로 건축자재에 대한 오염물질 관리가 가능하게 되었
으며, 오염발생량이 개선되었고 앞으로는 인체 활동에 따른 지속적인 소풍량 환기가 이
루어지도록 설계하는 것이 필요하다. 일률적인 환기기준에 의한 환기량 산정에서 벗어나
오염발생에 근거한 성능에 기초한 환기량 산정 방안이 제시되어야 한다.

(6) 에너지 절약적 환기설계를 달성.


환기에너지 절감을 위해서는 환기설계시부터 그 지방의 기후조건과 건물의 용도나 특
성 등을 감안하여 환기용량의 산정, 환기방식의 선정 및 에너지절약적 시스템 설계가 이
루어져야 한다. 구체적인 방안으로 건물의 기밀도 유지, 하이브리드 환기 채용, 고효율

- 92 -
폐열회수 환기장치 적용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자연환기와 기계환기의 조화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환기는 자연에너지를 이용하여 에너지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환기시스템으
로 환기와 냉난방이 동시에 요구되는 건물에 적합하다. 따라서 다중이용시설이나 주거용
건물에 적용하기 위한 하이브리드 환기설비를 위한 기술개발과 관련된 성능평가 관리개
발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방법 개발이 의 평가와 설계방법이 구체화되어야 한다.

(7) 자연환기 관련 기본 DB를 구축.


건물 외피의 제어되지 않는 침기를 줄이는 한편 자연환기를 활용한 하이브리드 환기를
채용하기 위해서는 자연환기량에 대한 정확한 산정이 필요하다. 설계를 위한 건물용도별,
지역별 자연환기량 산정을 위해서 전국적인 풍압 데이터와 건물의 기밀도 데이터 등의
기초자료를 축적하여 DB화하는 작업이 수행되어야 한다. 축적된 DB는 이러한 데이터는
환기에너지를 추산하는 기초자료가 되며, 장래의 에너지 정책 입안에 활용될 수 있고 환
기에너지 절감을 위한 기준치로 활용될 수 있다.

(8) 에너지절약적 환기운전 방안을 강구.


최적의 환기란 재실자에게 필요한 환기량을 제공하면서 에너지절약적 운전이 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런 의미에서 실내오염발생이나 재실자 수에 따른 수요기반 환기
량 제어방법은 다중이용시설이나 상업용 건물과 같이 환기수요의 변화가 심한 실내공간
에 적합한 저탄소 환기법이라 할 수 있다. 건물의 용도나 특성에 따라서 각종 오염센서
나 재실센서에 근거하여 환기수요를 측정하고 그에 적합한 운전로직을 개발하는 것이 필
요하다. 따라서 수요기반 환기의 평가와 제어전략 개발에 관한 연구의 정책적 추진이 필
요하며, 외기 조건에 따른 하이브리드 환기의 조합운전, 환기부하에 따른 시간적 간헐환
기, 재실밀도에 따른 공간적인 부분환기 등 효율적 환기를 위한 운전방안에 관한 기술개
발이 필요하다.

(9) 자동측정망을 다중이용시설 시설 별 저탄소 실내공기질 관리방안 연구에 활용.


다중이용시설에 시범 설치되어 있는 자동측정망은 대상 공간별 제어로직의 개발을 통
하여 향후 환기설비와 연동하여 운전함으로써 실내환경 개선에 기여하고 에너지절약적
환기운전에 활용될 수 있다. 실내공기질은 시간에 따른 편차가 심하기 때문에 간헐적인
시료 채취 및 분석을 통해서는 신뢰성 있는 자료의 확보 및 환기에 따른 공기질의 변화
파악에 한계가 있으므로 기 구축된 실시간 자료수집체계인 자동측정망을 활용하여 다중
이용시설의 시설 별 실내환경 제어로직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자동
측정망 데이터를 면밀히 분석하여 시간대에 따른 환경부하 패턴과의 상관관계를 도출하
고 환기설비와의 지능적인 연계 운전 방안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 93 -
< 참 고 문 헌 >

1. 한화택, 정영균, 이성환, 2007, 하이브리드 환기용 급기구 재질의 열전도율에 따른 결


로해석, 한국실내환경학회 연차학술대회 논문집.
2. 한화택, 2009, 공동주택의 환기에너지 저감 요소기술, 한국설비기술협회지, 설비
2009년 1월호 pp. 83-91.
3. 이윤규, 2008, 최근 개정된 신축 공동주택의 환기기준 및 환기설비 개발현황,
International Seminar 'Present and Future of Building Ventilation,' COEX, Seoul.
4. 이윤규, 2009, 하이브리드 환기설비의 적용사례, 대한설비공학회 pp. 24-34.
5. 윤동원, 2007, 실내 오염물질 규명을 위한 중/대형 샘플링 챔버 및 측정 시스템 개발
연구 보고서.
6. 윤동원, 2007, 공기청정기의 실내환경 개선효과 및 홍보자료 도출 연구 보고서.
7. 유복희, 2007, 하절기 신축 공동주택에서의 베이크아웃 방법에 따른 화학오염물질 저
감효과,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계회계, pp. 163-171.
8. 유복희, 2008, 동절기 신축 공동주택에서의 베이크 아웃에 의한 화학물질 저감효과,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계회계, 24권 1호, pp. 221-228.
9. 전주영, 김성완, 심장보, 조완제, 2005, 공동주택의 실내공기질 개선방안, 대한설비공
학회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p. 180
10. 김승희, 2009, 저탄소 녹색성장시대 그린건축물 관련 제도 및 사례. 강원발전연구원.
11. 김윤신, 1999, 공중이용시설 실내공기정화 청소기준 연구.
12. 최선호, 이수연, 2003, 일본의 하이브리드 환기 사례. 설비저널 제 32권 제 5호.
13. 이승복, 1995, 공동주택의 기밀성능 평가 및 에너지 절감효과 분석, 태양에너지, pp.
119-125.
14. 김운수, 2004, 서울시 다중이용시설의 실내공기질 실태조사 및 관리방안 연구.
15. 이준현, 2009, 에너지절약형건물, 그린에너지 전략로드맵.
16. 이승복, 2008, 저에너지 공동주택에 대한 에너지 절감율 및 에너지 효율등급 산정에
관한 연구 보고서, 연세대학교.
17. 김태중, 박준석, 2008, 자연환기 설계를 위한 풍속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
발표대회 논문집, pp. 631-634.
18. 박은영, 강동화, 최동희, 성민기, 여명석, 김광우, 2006, 신축공동주택에서 하계 베이
크아웃 시행에 관한 실험적 연구, 대한설비공학회 동계학술대회 논문집, pp.
138-143.
19. 김용식, 2002, 비흡연시 공조공간의 에너지절약효과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
집, pp. 227-234.
20. 최은진, 이정화, 2005, 간접흡연감소를 위한 정책과제, 보건복지포럼, pp. 92-99.
21. 김신도, 이회관, 김산근, 2004, 지하역사의 경제적인 환경조건 제어, 대한설비공학회
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pp. 231-236.
22. 최현근, 황성수, 김용수, 2004, LCC기법을 이용한 신기술 환기시스템의 경제성 분석

- 94 -
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건축시공학회 논문집, pp. 143-150.
23. 공기청정편람, 제1권 기초편 p.100.
24. Raymond Wong, Catherine Leung, Dr Kam F Chan and Dr. Glenn Frommer,
2002,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System at MTR Station and Train.
25. BSI, 2000, Ventilation principles and designing for natural ventilation,
BRITAIN STANDARD.
26. Sawachi, T, 2008, Trends in the Japanese Building Ventilation Market and
Drivers for Change, International Seminar 'Present and Future of Building
Ventilation,' COEX, Seoul.
27. M. H., 2002, Air Tightness of New U.S. Houses: LBNL-48671, Lawrence
Berkeley National Laboratory.
28. Sherman, M. H. and Dickerhoff, D., 1998, Air-tightness of U.S. Dwellings,
LBL-35700, Lawrence Berkeley National Laboratory.
29. Sherman, M. H., 2004, Efficacy of Intermittent Ventilation for Providing
Acceptable Indoor Air Quality, LBL Report 56292.
30. Wouters, P. and Delmotte, C., 2003, Ventilation, Good Indoor Air Quality and
Rational Use od Energy, ECA Report No. 23, Ispra.
31. Johansson, D., 2007, Simulationg Life Cycle Cost For Indoor Climate Systems,
pp. 443-450.
32. Girman, J.R., Alevantis, L.E., Kulasingam, G.C., Petreas, M.X., 1989, The
Bake-Out of an Office Building: A Case Study, Environment International, Vol.
15, pp. 1-6.

- 95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