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39

硏究報告書

화염전파 등에 관한 연구
A St
udyont
heFl
amePr
opagat
iona
nd Spr
ead

2006.11

防災試驗硏究院
Fire Insurers Laboratories of Korea
제 출 문

중앙소방학교장 귀하

본 보고서를 “화염전파 등에 관한 연구”의 최종 보고서로 제출


합니다.

2006. 11.

연구기관명 : 한국화재보험협회 부설
방 재 시 험 연 구 원
원 장 홍 세 권

연구책임자 : 이 지 섭 (책임연구원)
참여연구원 : 김 동 석 (책임연구원)
곽 지 현 (선임연구원)
김 성 윤 (연 구 원)
요 약 문

Ⅰ. 제목 : 화재성성 메커니즘 연구(Ⅱ)


부제 : 화염전파 등에 관한 연구

Ⅱ. 연구 개발의 목적 및 필요성

현재 화재에 관한 연구는 화재 물리·화학, 연기 및 인명안전, 산업화재안전, 화재보


험 및 위험도 평가, 구조 및 구급, 화재소방정책 및 법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진행되
고 있는데, 이 가운데 특히 화재 물리·화학 즉 화재역학 분야는 복잡한 화재현상을 이
해하고 규명하며 적절한 소화장치를 개발하는데 기초가 되는 가장 중요하고 핵심적인
분야이다.
또한 화재발생을 예방하고 화재시 화재감지 및 경보, 화재진압, 피난, 소화활동 등을
적절히 하기 위한 여러 가지 소방설비들은 연소현상을 올바로 이해하고 화재성상에 대
한 기본 정보를 제대로 갖추고 있어야 효과적이고 합리적인 개발과 적용이 가능하게
된다. 이를 위해 해외 소방선진국에서는 국공립기관 또는 관련 연구소를 중심으로 꾸
준한 기초연구가 수행되어 왔으며 이를 바탕으로 상당한 수준에 올라와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화재·소방 기술에 관한 역사가 짧으며 기초분야에 대한 연구와 투자가 부
족하여 연소현상과 화재성상에 관한 정립된 지식이 많이 부족한 형편이다. 이런 상황
에서 최근 화재거동에 관한 기초연구로 여러 가연물질의 기초 연소특성과 연소반응기
구에 관한 연구가 수행되기도 하였는데, 여기서 더 나아가 화재시 화염의 성장과 확산
기구의 고찰은 화재거동 메커니즘을 규명하기 위한 필수적인 과정이라 할 수 있다. 따
라서 이 연구는 소화활동의 안전과 효과적인 화재진압을 위한 기술개발에 큰 역할을
하고 국내 화재관련 연구의 발전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Ⅲ. 연구개발의 내용 및 범위

이 과제의 연구개발 내용 및 범위는 다음과 같다.


○ 화염확산속도 연구
○ 풍향·풍속에 따른 화염속도변화 고찰
○ 화재시 발생하는 이상현상 고찰 - 플래시오버 및 백드래프트
○ 화재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실험결과의 예측

Ⅳ. 연구개발 결과의 활용계획

이 연구에서 건물의 화재발생시 화염의 성장 및 확산 메커니즘을 규명하기 위해 가


연물의 종류와 형태에 따른 화염확산속도를 측정하고, 공기의 유속과 방향에 따른 화
염확산속도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또한 화재시 나타나는 특별한 현상인 플래시오버와
백드래프트 현상의 발생기구 및 연소특성을 실험을 통해 고찰하고 시뮬레이션을 이용
해 확인하였는데, 이러한 화재거동 메커니즘을 규명하기 위한 일련의 과정에서 얻어진
정보들은 소방대원의 소화활동의 안전과 효과적인 화재진압, 소방공학자들의 소화설비
연구개발, 소방관련 규정 및 시험기준 개발 등에 큰 역할을 할 것이고 국내 화재관련
연구발전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Summary

Ⅰ. Title

A Study on the Fire behavior mechanisms(Ⅱ)


Subtitle : A Study on the flame propagation and spread

Ⅱ. Purposes and Necessity of research development

The study on fire is now proceeding variously with fire dynamics, smoke and life
safety, industrial safety, fire insurance, hazard evaluation, rescue and emergency and fire
protection policy etc. In particular, the field about fire physics and chemistry, that is, fire
dynamics among them is the most important and essential one since it is the basis to
understand and examine comprehensive fire phenomena and to develop proper extinguishing
systems.
If only we have basic information of fire behavior and appropriate understandings of
combustion phenomena, effective and resonable development and applications of fire
protection systems for fire prevention, fire detection, alarm, fire suppression, refuge and fire
fighting could be possible.
For this purpose, basic research has been continuously conducted in the foreign
developed countries centering around national institutions and related laboratories, and they
are already on the considerable level. But we have the short history of fire protection
technology and rare knowledge of combustion phenomena and fire behavior because of
insufficient research and investment for basic field. Recently, a study on combustion
characteristics and reaction mechanism for diverse materials has been made as a basic
research for fire behavior, and more the investigation of fire development and the spread
mechanism can be said to be an essential process to examine the fire behavior mechanism.
Consequently, this study will play a great role for developing technology for fire safety
and effective fire suppression and be utilized for basic references for improving domestic
research and development.

Ⅲ. Concepts and Scopes of research development

The contents and scopes of research development of this project are summarized as
follows;
○ A study on the flame speed
○ Investigating the variation of flame spread according to the air direction and speed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Flashover and Backdraft
○ Analysis of experimental results obtained by fire simulation(FDS)

Ⅳ. Practical Uses for the Results of Research Development

In this study, flame speed was measured and examined according to kinds and types of
various materials and according to air velocity and direction in order to investigate flame
development and spread mechanism for building fire. And also, mechanism and
characteristics of flashover and backdraft which are special phenomena during fire process
were experimently examined and compared with simulation results using FDS.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a series of process to look into the fire behavior
mechanism will be helpful for fire safety, effective fire suppression, development of
extinguishing systems, and fire test procedure etc. and utilized as basic material for
improvement of domestic research for fire.
목 차

제1장 서론 ······························································································································ 1
제1절 연구개요 ···················································································································· 1
제2절 연구목적 ···················································································································· 1
제3절 연구개발의 내용 및 범위 ······················································································ 2
1. 연구개발의 최종목표 ··································································································· 2
2. 연구내용 및 범위 ········································································································· 2

제2장 국내외 관련 연구 ······································································································ 3

제3장 화염전파 및 연소속도의 이해 ················································································ 5


제1절 화염확산의 정의 ······································································································ 5
제2절 화염확산 이론 ·········································································································· 6
1. 고체 표면에서의 확산 ································································································· 7
2. 하향 또는 측면으로의 벽면 확산 ············································································· 9
3. 상향 또는 순풍에서의 확산 ···················································································· 11
4. 다공성 고체 배열을 통한 확산 ·············································································· 13
5. 액체에서의 확산 ········································································································ 17
제3절 전형적인 화재확산속도 ························································································ 18
제4절 표준 실험방법 ········································································································ 19
제5절 연소속도 ·················································································································· 20
1. 정의 ······························································································································ 20
2. 기화열 ·························································································································· 21
3. 최대 연소속도 ············································································································ 24
4. 에너지 방출속도 ········································································································ 26
5. 에너지 방출속도의 예측 ·························································································· 29
6. 실험에 의한 연소속도 ······························································································ 32
7. 화재성장속도 ·············································································································· 40

제4장 연구수행결과 및 고찰 ···························································································· 44


제1절 화염확산속도 연구 ································································································ 44
1. 가연물 종류 및 형태에 따른 화염확산특성 연구 ·············································· 44
2. 화재실 환기조건에 따른 화염확산속도 측정 ······················································ 69
제2절 풍향·풍속에 따른 화염속도변화 예측 ······························································ 80
1. 기류조건에 따른 화염속도 측정 ············································································ 80
제3절 화재시 발생하는 이상현상 고찰 ········································································ 88
1. 플래시오버의 발생과 특성 ······················································································ 88
가. 실험 개요 ················································································································· 88
나. 실험장치 및 실험방법 ··························································································· 89
다. 실험결과 및 고찰 ··································································································· 95
라. 화재 시뮬레이션(FDS) 결과 ················································································ 99
2. 백드래프트의 발생과 특성 ···················································································· 105
가. 실험 개요 ·············································································································· 105
나. 실험장치 및 실험방법 ························································································ 106
다. 실험결과 및 고찰 ································································································ 107
라. 화재 시뮬레이션(FDS) 결과 ············································································· 112

제5장 결론 ························································································································· 118

제6장 연구개발 목표달성도 및 대외기여도 ······························································· 120


제1절 연구개발 목표달성도 ························································································· 120
제2절 관련 분야의 기술발전 기여도 ········································································· 121

제7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 122


제1절 추가 연구의 필요성 및 타 연구에의 응용 ··················································· 122
제2절 기업화 추진방안 ································································································· 122
제3절 연구결과의 현장 소방업무 활용방안 ····························································· 122

【참고문헌】 ······················································································································ 124


List of Figures

그림 1 일본 고베시 지진 후 화재 확대에 대한 바람의 영향 ···································· 3


그림 2 온도 함수로서의 풀 화재 확산속도 ···································································· 4
그림 3 화염확산 모드 ·········································································································· 6
그림 4 정지한 공기 중에서 합판의 측면 화염확산 ···················································· 10
그림 5 100㎾급 화원에 의한 계산된 상향 화염확산의 예 ······································ 13
그림 6 다공성 격자 배열을 통한 화염 확대 ································································ 14
그림 7 화재 확대에 대한 용적 밀도의 영향 ······························································ 15
그림 8 화재 확산속도의 비교 ·························································································· 16
그림 9 일본 고베 지진 후 화재 확대속도에 미치는 바람의 영향 ·························· 16
그림 10 온도 함수로서의 액체 풀 화재의 확산속도 ················································· 18
그림 11 화재 성장의 3요소 ····························································································· 21
그림 12 연소속도의 측정 ································································································· 21
그림 13 연소를 일으키는 열유속 성분 ········································································· 23
그림 14 풀 직경에 따른 메탄올의 질량연소 유속 ····················································· 26
그림 15 휘발유 풀 화재의 질량연소 유속 ··································································· 26
그림 16 나무의 연소 상 ··································································································· 28
그림 17 조건 예시 ············································································································· 30
그림 18 발열량 측정기 ····································································································· 33
그림 19 일반적인 천 의자의 열방출율 ········································································· 34
그림 20 대표적인 쓰레기의 열방출율 ··········································································· 35
그림 21 TV 세트의 열방출율 결과 ··············································································· 35
그림 22 크리스마스 트리의 열방출율 ··········································································· 36
그림 23 천 의자의 열방출율 ··························································································· 36
그림 24 천 의자 ················································································································· 37
그림 25 천 재질의 소파 1 ······························································································· 37
그림 26 천 재질의 소파 2 ······························································································· 37
그림 27 3인용 소파 ··········································································································· 38
그림 28 매트리스 ··············································································································· 38
그림 29 나무 팔래트 더미의 일반적인 열방출율 ······················································· 39
그림 30 굴뚝 높이에서 팔레트 연소속도의 방어 ······················································· 39
그림 31 t2의 화재 성장곡선 ···························································································· 42
그림 32 t2의 화재 범주 ···································································································· 42
그림 33 질량연소율 측정(수평) ···················································································· 45
그림 34 질량연소율 측정(수직) ······················································································ 45
그림 35 질량연소율 측정(액체 가연물) ········································································ 45
그림 36 화염전파속도 측정 ····························································································· 46
그림 37 화염확대속도 측정 ····························································································· 47
그림 38 질량연소율 측정장면(수평) ·············································································· 49
그림 39 질량연소율 측정장면(수직) ·············································································· 49
그림 40 수평방향 질량연소율 ························································································· 49
그림 41 수직방향 질량연소율 ························································································· 50
그림 42 수평 대 수직방향의 질량연소율 비 ······························································· 50
그림 43 질량연소율 측정장면(액체가연물) ·································································· 51
그림 44 각 액체가연물의 질량연소율 측정장면 ························································· 52
그림 45 액체연료의 화염전파속도 ················································································· 53
그림 46 화염전파속도 측정 장면 ··················································································· 54
그림 47 HDPE의 화염확대속도 측정 ············································································ 55
그림 48 PP의 화염확대속도 측정 ·················································································· 56
그림 49 POM의 화염확대속도 측정 ·············································································· 57
그림 50 UHMWPE의 화염확대속도 측정 ···································································· 58
그림 51 PP 격자 구조물의 열방출율(kW) 변화 ························································· 61
그림 52 PP의 시간에 따른 화염 전파 과정 ································································ 62
그림 53 HDPE 격자 구조물의 열방출율(kW) 변화 ··················································· 63
그림 54 HDPE의 시간에 따른 화염 전파 과정 ·························································· 64
그림 55 POM 격자 구조물의 열방출율(kW) 변화 ····················································· 65
그림 56 POM의 시간에 따른 화염 전파 과정 ···························································· 66
그림 57 UHMWPE 격자구조물의 열방출율 변화 ······················································ 67
그림 58 UHMWPE의 시간에 따른 화염 전파 과정 ·················································· 68
그림 59 환기장치가 갖춰진 모형화재실(41㎥) ··························································· 69
그림 60 화염확대속도 측정 ····························································································· 70
그림 61 질량연소율 측정 ································································································· 70
그림 62 측벽 환기장치 ····································································································· 70
그림 63 측벽 환기장치 확대 ··························································································· 70
그림 64 천장 환기장치 ····································································································· 70
그림 65 천장 환기장치 확대 ··························································································· 70
그림 66 모형화재실내 모습 ····························································································· 71
그림 67 천장 및 측벽 환기장치 ····················································································· 71
그림 68 밀폐조건시 플라스틱 격자 가연물의 시간에 따른 화염확대 ··················· 73
그림 69 자연환기시 플라스틱 격자 가연물의 시간에 따른 화염확대 ··················· 74
그림 70 강제환기(측벽 20㎥/min)시 격자 가연물의 시간에 따른 화염확대 ······· 75
그림 71 강제환기(측벽 40㎥/min)시 격자 가연물의 시간에 따른 화염확대 ······· 76
그림 72 강제환기(천장 20㎥/min)시 격자 가연물의 시간에 따른 화염확대 ······· 77
그림 73 환기조건에 따른 질량연소율 측정(휘발유) ·················································· 78
그림 74 환기조건에 따른 액체가연물의 질량연소율 측정 장면 ····························· 79
그림 75 기류 조건(풍속·풍향) 제어장치 ······································································· 80
그림 76 양방향 기류 조건 ······························································································· 81
그림 77 풍속에 따른 질량연소율비(일방) ···································································· 83
그림 78 풍속에 따른 질량연소율비(양방) ···································································· 84
그림 79 주위 기류에 따른 질량연소율 측정 ······························································· 84
그림 80 풍속에 따른 화염전파속도비(순풍) ································································ 86
그림 81 풍속에 따른 화염전파속도비(역풍) ································································ 87
그림 82 주위 기류에 따른 화염전파속도 측정 ··························································· 87
그림 83 플래시오버 화재시험실 ····················································································· 90
그림 84 온도수집장치 ······································································································· 91
그림 85 모형화재실 내 가연물 배치(평면도) ······························································ 91
그림 86 모형화재실 내의 가연물 배치 ········································································· 92
그림 87 열전대 설치 모습 ······························································································· 93
그림 88 플래시오버 실험을 위한 각종 가연물 ··························································· 94
그림 89 플래시오버 발생 실험장면 ··············································································· 95
그림 90 플래시오버의 발생 ····························································································· 96
그림 91 플래시오버 발생시 온도 그래프 ····································································· 96
그림 92 플래시오버 발생 실험장면 ··············································································· 97
그림 93 플래시오버 실험 후 화재실 모습 ··································································· 98
그림 94 플래시오버 화재실 형상 및 내장재 배치 ····················································· 99
그림 95 플래시오버 형성 과정 ····················································································· 102
그림 96 HRR 변화 및 플래시오버 ·············································································· 103
그림 97 화재실내 온도변화 및 플래시오버 ······························································· 103
그림 98 플래시오버 시의 천장부의 CO, CO2, O2의 농도변화 ····························· 104
그림 99 모형화재실 A ···································································································· 106
그림 100 연소재(목재 크립) ························································································· 106
그림 101 백드래프트 실험장면 ···················································································· 107
그림 102 백드래프트 발생시 화재실 A의 온도변화 ··············································· 108
그림 103 백드래프트 발생시 화재실 B의 온도변화(천장 25cm) ························ 108
그림 104 백드래프트 발생시 화염으로부터의 복사열유속 변화(2m 앞) ············ 110
그림 105 시간에 따른 백드래프트 발생 모습 ·························································· 111
그림 106 백드래프트용 화재실 공간의 형상 및 크기 ············································ 113
그림 107 백드래프트 형성 과정 ·················································································· 115
그림 108 백드래프트 발생시 열방출률(HRR) 변화 ················································· 116
그림 109 백드래프트 발생시 화재실 온도변화(출입문) ········································· 116
그림 110 연소가스 및 산소농도 변화(출입문) ························································· 117
List of Tables

표 1 연구내용 및 범위 ········································································································ 2
표 2 ASTM E 1321에 의한 측면 화염확산 ································································· 11
표 3 전형적인 화재 확산속도 ·························································································· 19
표 4 실험에 의한 표준 화염확산시험 ············································································ 20
표 5 기화열 ·························································································································· 24
표 6 최대 질량 연소 유속 ································································································ 28

표 7 유효연소열 ΔHc ······································································································· 29

표 8 물질별 직경 1 m의 풀 화재 요약 ········································································· 32
표 9 전형적인 최고 연소속도 값 ···················································································· 34
표 10 창고 미가공품의 화재 거동 ················································································· 41
표 11 t2 화재의 1MW 성장 특성시간 ·········································································· 43
표 12 고분자수지 수평방향 질량연소율 ······································································· 47
표 13 고분자수지의 특징 및 주요 용도 ······································································· 48
표 14 고분자수지 수직방향 질량연소율 ······································································· 49
표 15 액체연료의 질량연소율 ························································································· 51
표 16 액체연료의 화염전파속도 ····················································································· 53
표 17 가연물별 화염확대속도 결과 ··············································································· 54
표 18 단위면적당 열방출율 계산 ··················································································· 59
표 19 고체 가연물의 물성치(자연환기조건) ································································ 60
표 20 화염확산속도 측정을 위한 모형화재실의 환기조건 ······································· 71
표 21 환기조건에 따른 화염확대속도 결과 ································································· 72
표 22 환기조건에 따른 질량연소율 측정 결과 ··························································· 78
표 23 송풍기의 유속과 풍향 조건(질량연소율 측정) ················································ 81
표 24 송풍기의 유속과 풍향 조건(화염전파속도 측정) ············································ 81
표 25 한 방향 풍속에 따른 질량연소율 변화 ····························································· 82
표 26 양방향 풍속에 따른 질량연소율 변화 ······························································· 83
표 27 순풍시 풍속에 따른 화염전파속도 ····································································· 85
표 28 역풍시 풍속에 따른 화염전파속도 ····································································· 86
표 29 플래시오버 실험에 사용된 가연물의 크기 및 열방출율 ······························· 90
표 30 내장재 가연물의 물성치 DB(FDS database) ··············································· 100
표 31 FDS 물성치 DB에서 사용된 내장재 종류 ····················································· 100
제 1장 서 론

이 연구는 5개년 중장기 계획에 의한 연구개발사업의 2차년도 과제로서 전년도의


화재성상 메커니즘 연구(Ⅰ)에 이어 화재성상 메커니즘 연구(Ⅱ)「복사열 및 화염전파
등에 관한 연구」의 위탁연구과제인 「화염전파 등에 관한 연구」이다.

제1절 연구 개요

이 연구에서는 전년도의 화재성상 메커니즘 연구(Ⅰ)에서 가연물질의 기초적 특성에


대한 기초자료 수집과 연소반응 특성에 관한 실험적 고찰, 화재실 내 가연물 종류에
따른 온도분포 특성, FDS를 이용한 건물 화재시뮬레이션을 수행한데 이어 화염의 확
산 및 전파에 관한 연구를 수행한다. 특히 화재실의 환기조건에 따른 화염의 확산특성
과 바람의 방향과 풍속에 따른 화염속도변화, 화재시 발생하는 특별한 현상인 플래시
오버나 백드래프트의 발생기구 및 특성 등을 고찰한다. 또한 화재 시뮬레이션(FDS)를
수행하여 실험결과와 비교하고 신뢰성을 검증하여 다양한 모의실험에 적용 가능케 하
고자 한다.

제2절 연구 목적

현재 화재에 관한 연구는 화재 물리·화학, 연기 및 인명안전, 산업화재안전, 화재보


험 및 위험도 평가, 구조 및 구급, 화재소방정책 및 법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진행되
고 있는데, 이 가운데 특히 화재 물리·화학 즉 화재역학 분야는 복잡한 화재현상을 이
해하고 규명하며 적절한 소화장치를 개발하는데 기초가 되는 가장 중요하고 핵심적인
분야이다.
또한 화재발생을 예방하고 화재시 화재감지 및 경보, 화재진압, 피난, 소화활동 등을
적절히 하기 위한 여러 가지 소방설비들은 연소현상을 올바로 이해하고 화재성상에 대
한 기본 정보를 제대로 갖추고 있어야 효과적이고 합리적인 개발과 적용이 가능하게
된다. 이를 위해 해외 소방선진국에서는 국공립기관 또는 관련 연구소를 중심으로 꾸

1
준한 기초연구가 수행되어 왔으며 이를 바탕으로 상당한 수준에 올라와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화재·소방 기술에 관한 역사가 짧으며 기초분야에 대한 연구와 투자가 부
족하여 연소현상과 화재성상에 관한 정립된 지식이 많이 부족한 형편이다. 이런 상황
에서 최근 화재거동에 관한 기초연구로 여러 가연물질의 기초 연소특성과 연소반응기
구에 관한 연구가 수행되기도 하였는데, 여기서 더 나아가 화재시 화염의 성장과 확산
기구의 고찰은 화재거동 메커니즘을 규명하기 위한 필수적인 과정이라 할 수 있다. 따
라서 이 연구는 소화활동의 안전과 효과적인 화재진압을 위한 기술개발에 큰 역할을
하고 국내 화재관련 연구의 발전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제3절 연구개발의 내용 및 범위

1. 연구개발의 최종 목표

건물의 화재 발생 시 화염의 성장 및 확산 메커니즘을 규명하기 위해 가연물의 종류


와 형태에 따른 화염확산속도와, 공기의 유속과 유동방향에 따른 화염확산속도의 변화,
그리고 화재시 나타나는 플래시오버와 백드래프트 현상의 발생기구 및 특성 등을 실험
을 통하여 고찰하고, 동시에 화재시뮬레이션을 이용해 같은 내용을 수행하여 신뢰성을
검증하고 다양한 모의실험에 적용 가능케 하고자 한다.

2. 연구내용 및 범위

표 1 연구내용 및 범위

가. 화염확산속도 연구
나. 풍향풍속에 따른 화염속도변화 예측
다. 화재시 발생하는 이상현상 고찰
라. 화재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실험결과의 예측

2
제 2장 국내외 관련 연구

화염전파 및 확대에 관한 연구는 미국과 일본 등 소방 선진국에서 체계적으로 연구


되어져 왔으며 플래시오버나 백드래프트에 관해서는 일본에서 많은 실험과 고찰이 있
었다. 반면 국내에서는 아직 이와 관련한 연구가 부족하여 이렇다할 실적이 많지 않은
형편이다.
화재역학에 관한 바이블로 알려져 있는 미 매릴랜드 대학 Quintiere 교수의 저서에
는 화염전파와 연소속도에 관한 기초적인 연구 내용이 많이 수록되어 있다. 또한 미국
방화공학회(Society of Fire Protection, SFPE)의 SFPE 핸드북에도 연소속도, 화염전
파, 화염확대 등에 대한 수학적인 기초 이론이 잘 정리되어 있다.
이와 같은 이론들을 응용한 공학적인 연구 결과로는 J. G. Quintiere와 M.
Harkleroad 등이 ‘화염확대 상태량에 대한 새로운 개념’을 연구하였고, P. H. Thomas
는 ‘개방된 공간의 화재의 성장과 확대의 여러 양상’에 대해 연구를 수행하였다.
R. C. Corlett과 T. M. Fu는 풀 화재에 대한 몇 가지 최근의 실험을 통해 연소속도
를 고찰하였으며, G. Heskestad는 환기(연기 배출)의 실례에 관해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림 1 일본 고베시 지진 후 화재 확대에 대한
바람의 영향

3
한편 일본의 Y. Nagano는 한신 대지진 사건의 종합 연구에서 화재에 관한 보고서를
작성하였으며(그림 1), K. Akita는 액체 연료 표면을 따르는 화염 확산의 몇몇 문제에
관해 연구를 수행하여 온도함수로서의 풀 화재 확산속도를 계측하였다.(그림 2).

그림 2 온도 함수로서의 풀 화재 확산속도

4
제 3장 화염전파 및 연소속도의 이해

제1절 화염확산의 정의

화염확산(Flame spread)이란 화재에서 경계면이 이동하는 과정이다. 점화 과정이


지속적이라면 원거리 점화도 포함될 수 있다. 많은 화재에서 고체나 액체 연료의 화염
확산 예를 볼 수 있다. 명확히 말하면, 이는 연소영역의 확대를 의미한다. 화염확산은
화염이 확대되는 것이 아니라 연료를 휘발시키거나 공급하는 영역이 확대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재확산 개념을 보다 일반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화재확산은 표면화염확
산, 훈소, 예혼합 화염전파에서의 화구(fire ball) 등을 포함하는 연소 과정에 적용된다.
화재성장에서의 화염확산은 중력과 바람의 영향이 크다. 화재시 부력이나 대기상의
바람으로 인한 유동이 화염확산을 촉진하나(순풍, wind-aided), 저지할 수(역풍,
opposed-flow)도 있다. 그림 3은 이러한 조건을 나타낸 것이다. 화염확산 속도는 경
계면의 위치에 대한 동작속도 Xp로 정의된다. Xp는 열분해(pyrolysis) 또는 기화영역을
나타낸다. 확산되는 열분해 경계면 이후에 연소가 중지된 또 다른 경계면이 있을 수
있다. 이들 두 면 사이의 구역을 주화염 또는 열분해 구역이라 한다. 이 열분해 구역과
열분해 속도에 의한 연소는 화재에 따라 변하는 직접적인 위험요소이다. 이를 연소속
도(burning rate)라 정의하는데, 이는 화재시 온도, 가시도, 독성 및 부식성을 설정하는
데 직접 관련된다. 따라서, 화염확산속도는 화재위험성 평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5
그림 3 화염확산 모드

제2절 화염확산 이론

점화온도에 대한 개념은 간단하게 화염확산을 설명하는 핵심이며, 물리적으로도 정


확하게 표현된다. 화염확산에서는 인화온도가 적용되는데 이는 점화원(화염자체)이 항
상 존재하기 때문이다. 그림 3을 다시 보면 발화온도 Tig에서 위치를 Xp로 표시하였다.

화염으로부터 직접 가열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는 부분의 온도는 TS로 표시한다. 표면

을 따라 화염 열 전달에 영향을 받는 거리는 δf 로 표시한다. 일반적으로, 화염은 다양

한 방법으로 가열해 가는데 이는 확산형태, 즉 방향과 바람, 그리고 고체 또는 액체연


료의 특성에 영향을 받는다. 관찰자는 위치 Xp의 화염면 위에 올라서서, 새로운 연료

가 화염 면을 향해 확산속도 V로 다가오는 것을 보거나, 정지된 연료 속으로 화염이


확산되는 것을 본다. 화연전파속도 공식은, 새로이 가열된 연료를 온도 Tig까지 상승시

키는데 공급되는 에너지 비율이 연소구역에 대한 순수 열전달 속도 q̇


와 같다는 것을

의미한다. 확산에 대한 방정식을 구하기로 하자.

6
[에너지 소모율] = [열 유동율]

Tig-Ts) =
ρVAc( q̇ (1)

ρ: 연료의 밀도
c : 연료의 비열

A : 단면적 ( w l )
Ts : 연료의 온도 (화염온도범위 외)

따라서 화염확산속도는,

q̇ (2)
V= ρ
cA(
Tig-Ts)

화염확산의 대개의 특별한 경우는 좀더 신중하게 q̇


와 A를 설명함으로써 이 식으로부

터 유도되어질 수 있다. 우리는 대략적인 공식들을 검토하게 되는데, 이들은 이 책에서


다루는 범위 이외의 좀더 복잡한 분석이다. 이 공식들은 결과 도출을 위한 방법으로
검토할 수 있지만, 모든 조건에서 높은 정확성이 보장되지는 않는다. 다시 말하면 (화
염의) 방향, 바람, 연료의 특성에 따라 차이가 생긴다는 뜻이다.

1. 고체 표면에서의 확산

고체 표면에서 확산하는 경우 가장 중요한 열전달 속도는 그림 3에서와 같이 길이


δf 에 있는 표면에서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 q̇
'
'δ fw (3)


: 화염면의 열유속

w : 연료의 넓이 (폭)

A : 흐름면적 ( w l )
l : 연료의 두께

7
식 3을 식 2에 대입하면,


'
'δf
V= ρ (4)
cl(Tig-Ts)

다시 그림 3을 참고하면, V는 위치 Xp의 이동속도이다. 방향과 자연기류 또는 강제기

류의 조건들이 가열되는 거리 δf 와 화염의 열유속 q̇


'
'에 영향을 준다. 벽면 아래쪽으

로의 확산에 대해 나타난 측정치는 가열되는 거리 (δf ) 1 mm에 걸쳐 열유속이 70

kW/㎡이다. 벽면 위쪽으로 화염이 전파하는 경우, 열유속은 발광(發光)성 화염 영역을


통해 0.2~2 m 까지 확장되는 화염에 대해 일반적으로 25 kW/㎡이다. 후자의 결과는
벽의 재료에 관계없으므로, 가솔린에 적신 나무 벽이거나, 단순 나무 벽이던 간에 화염
으로부터 벽면까지의 초기 열유속은 대략 25 kW/㎡이다.
고체발화에 대하여서는 반드시 고체의 두께를 구분하여야 한다. 화염으로부터의 표
면 열전달은 단지 약간의 깊이만을 관통할 수 있다. 일정 깊이에서의 가열은 표면의
초기온도 Ts 에서 발화온도 Tig 까지 표면을 가열하는 시간동안 일어난다. 사실, 이 가

열시간이 확산하는 화염의 열유속에 의한 점화시간이 된다.


얇은 고체 (l < 2 mm)의 점화시간 Tig는 인정된 식(2)에 의한다. 식(4)에서,

V= δ f /t
ig
(5)

얇은 고체의 발화시간은 다음과 같기 때문이다.

ρcl(
Tig-Ts)
Tig=

'
'

두꺼운 고체의 경우, 전체 두께 l 은 점화시간 동안 가열되지 않는다. 이의 점화시간

은 식(3)에 주어진 것과 마찬가지로,

π (Tig-Ts) 2
Tig= kρc[ ]
4 q̇
''

8
시간 내에 가열된 실제 깊이는 4 αt
ig
로 계산할 수 있다. 여기에서 α는 열확산계수로

서, k/ρc로 나타낸다. 두꺼운 고체에 대한 확산속도는 이 두꺼운 고체의 발화시간이 사

용된 식(5)에 의해 구한다. 대개의 화염확산 문제들은 식(5)의 형식에 맞출 수 있다.


해법은 화염 열전달에 의해 가열되는 길이 δf와 점화시간 Tig을 결정하는 것에 의한다.

종이를 바른 석고보드와 같은 혼합물은 발화시간과 확산길이를 결정하는데 있어 하


나의 두꺼운 물질로 간주하여야 한다. 비록 보드 위에 있는 종이는 물리적으로 얇지만
(l < 2 mm), 종이와 석고보드의 결합은 두꺼운 물질처럼 간주된다. 왜냐하면, 연소되는

종이에 의한 화염 열전달은 석고보드로 전도될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만일 종이가


보드에서 떨어지면 종이는 얇은 물질처럼 발화, 확산될 것이다.

2. 하향 또는 측면으로의 벽면 확산

벽 표면에서 아래로 향하거나 측면으로 화염이 확산하는 경우, δf와 q̇


'
'의 조합은

[예컨대 (q̇
'
')δ f], 두꺼운 고체일 때 공기흐름과 연료에 의존한다. 안정된 공기 중에
2

서의 확산인 경우, 이 조합은 오직 연료에만 따르는 것으로 알려져 왔으며, 연료의 화


염확산 특성을 고려할 수 있다. 이 특성을 Φ라고 하면,

Φ
V= (6)
kρc(
2
Tig-Ts)

역풍 형태의 화염확산은 오직 표면온도가 임계값 이상일 때만 일어날 것이다. 이런 데


이터는 ASTM E 1321 (Standard Test Method for Determining Ignition and Flame
Spread Properties)1)로부터 구할 수 있다. 그림 4는 이런 형태의 표면 화염확산에 대
한 전형적인 예이다. 확산을 위한 최소온도(120℃) 이하에서는 확산이 일어나지 않는
다. 이 온도 이상에서는 표면온도 상승에 따른 증가속도로 확산이 일어난다. 이것은
ASTM E 1321의 경사진 외부의 복사 패널 버너로부터 가열 실험에 의한다. 실제 화재
시에는 뜨거운 연기가 있는 실내에서 열전달에 의해 이런 현상이 일어난다. 화염은 측
면이나 아래쪽으로 확산되는 면의 아주 작은 구역 (~1 mm)을 가열한다. 상대적으로,
연기는 화재의 에너지 방출속도에 영향을 받는 온도 Ts 까지 벽을 가열한다. 이 표면온

9
도가 증가함에 따라, 표면화염은 좀더 빠르게 발화온도(390℃)까지 벽을 가열할 수 있
다. 그림 4에서와 같이 합판 벽으로 된 실내에서 화재가 일어났다고 가정하자. 어떤
점에서 화재는 합판을 점화하는데 충분한 열유속(점화를 위한 임계 열유속 이상)을 갖
는다. 측면 또는 아래쪽으로의 화염확산을 위한 실내화재 조건으로 합판은 확산을 위
한 최소온도인 120℃까지 가열되어야 한다. 이때, 확산속도는 불과 0.33 mm/s이지만,

Ts =300℃일 때는 3 mm/s이다. 이는 모든 연소대상물에 대하여 실내화재 조건에서 화


재확산 얼마나 가속될 수 있는가를 보여준다. 식(6)은 합판의 표면온도가 점화온도인
390℃에 도달할 때 속도가 훨씬 빠르게 된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런 가정은 합판이 발
화온도에 도달할 때 표면으로부터 열 분해된 연료기체가 연소한계 내에 있게 될 것이
기 때문에 옳지 않다. 결과적으로, 화염은 적절한 예혼합 화염속도 (대략 30~100
mm/s)로 표면 근처의 가스혼합물을 통하여 전파될 것이다.

그림 4 정지한 공기 중에서 합판의 측면


화염확산

10
표 2 ASTM E 1321에 의한 측면 화염확산
kρc Φ
Tig Ts,min.
Material kW 2 2
(℃) ( 2 ) s (kW3 ) (℃)
mK m
Woodfi
berboard 355 0.
46 2.
3 210
Woodhardboar
d 365 0.
88 11.0 40
Pl
ywood 390 0.
54 13.
0 120
PMMA 380 1.
0 14.
4 <90
Fl
exi
bl
efoam pl
ast
ic 390 0.
32 11.
7 120
Ri
gidf
oam pl
ast
i
c 435 0.
03 4.
1 215
Acr
yli
ccar
pet 300 0.
42 9.
9 165
Wal
l
paperonpl
ast
erboar
d 412 0.
57 0.
8 240
Asphal
tshi
ngl
e 378 0.
70 5.
4 140
Gl
assr
einf
orcedpl
ast
ic 390 0.
32 10.
0 80

안정된 공기 중에서 측면으로의 화염확산에 대한 ASTM E 1321 실험으로부터 구한 일


반적인 데이터가 표 2에 나와있다. 이 데이터는 그림 4에 예시된 것처럼 구획을 나누
는데 사용할 수 있다. 이 데이터는 그 구성이 정확하게 같지 않거나, 난연재가 포함될
수 있기 때문에 유사한 물질에 일반화하여서는 안된다. 그러나, 데이터는 일반적으로
실내의 구성 물질을 대표하는 것이다. Tig와 kρc 값들은 점화와 화염확산에 대한 다른

계산에 이용할 수 있지만, Φ와 Ts, min.은 오직 안정된 공기 중에서 측면으로의 확산 조


건에만 적용된다.

3. 상향 또는 순풍에서의 확산

바람의 방향에 따른 화염확산을 보통 순풍 (wind-aided)에서의 화염확산이라고 부른


다. 벽면에서의 상부로의 화염확산이나 안정된 공기 중에서 천장 하부로의 화염확산
역시 순풍확산으로 표현된다. 이러한 경우 바람은 단지 화재 자체에서 야기되는 부력
때문에 발생한다. 화염확산을 일으키기 위하여 필요한 가열은 주로 주변의 확장된 발
광화염으로부터 표면까지의 열전달에 의해 이루어진다. 그림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화
염은 거리 δf 까지 확장되며, 이 거리는 연소의 크기에 따른다. 화염길이는 기본적으로

화재를 일으키는 에너지 방출속도에 좌우된다.


수직 벽면에서 상부로 향하는 화염확산에 대한 시나리오를 검토해 보기로 한다. 벽
에 근접한 화염이, 가열되는 길이 Xp 전체에 대하여 충분한 열유속으로 그 벽을 가열

11
한다. 그 지점에서 화염으로부터 조성된 연료와 점화된 벽의 단면이 화염길이 Xf 를 만
든다. 화염의 연장부 δf 는 Xf - X p 이다. 화염확산이 개시될 때의 속도는 식 5에서 구

할 수 있고, 발화온도(Tig)는 그 순간의 화염 열유속에 의존한다. 벽면 화재가 계속 확

산됨에 따라 점화시키는 화염의 영향이 점점 작아지며, 실제로 화염은 소멸될 것이다.


이러한 소멸에 따라 화염높이 Xf 는 감소될 것이다. 반대로 벽 재료(합판을 석고보드

위 벽지에 비유)는 지속적으로 증가시키는 Xf 를 일으키기에 충분한 연료가 될 수 있

다. 만일 Xf 가 직접 Xp 에 의존한다면 Xf 가 Xp 를 초과하기 때문에 화염속도는 가속될

것이다. 이런 이유로 상향확산 또는 순풍확산화염은 일반적으로 화염의 성질과 벽의


연소특성에 의존한다. 물론 이런 상향화염확산 시나리오가 실내에서 일어난다면 연기
층이 Ts 를 증가시킬 것이고, Ts 는 하향 또는 측향 확산에서와 같이 표면속도를 증가

시킬 것이다. 그러나 δf 가 1 mm 이하로 작고 거의 일정한 하향확산과는 달리, 상향확

산에서는 δf 가 급속히 증가 또는 감소하는데 이는 화염높이 Xf 에 영향을 주는 연소와


흐름의 특성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벽에서의 상부확산, 천장에서의 하부확산 또는 환기
덕트에서의 공기의 흐름에 의한 확산들은 모두 다르다. 이러한 각각의 경우에 대한 완
벽한 방정식을 작성하기는 아직까지 불가능하다. 따라서 이 경우에도 개략적인 식으로
식 5를 이용할 수밖에 없다. δf 가 일정한 역풍(opposed-flow)확산의 경우와는 달리,

이러한 순풍에 의한 경우들은 비정상류인데 이는 δf 가 화염의 전파에 따라 변화할 것

이기 때문이다. 확산은 가속되기도 하고 정지하기도 한다. 그림 5는 벽의 한 모서리에


서 점화 열유속이 40 kW/㎡인 100 kW의 점화원에 대한 상향확산의 예이다. 일반적으
로 상부로의 전파속도는 1~200 cm/s의 범위가 된다.

12
그림 5 100㎾급 화원에 의한 계산된 상향 화염확산의 예

4. 다공성 고체 배열을 통한 확산

화염확산은 삼림의 잡목이나 목재 부스러기와 같은 다공성 고체연료를 통하여 일어


날 수 있다. 도시의 주거지 배열에 의한 순풍 화염확산의 경우조차도 이런 부류의 화
염확산으로 고려할 수 있다. 열유속 앞으로의 이러한 확산은 외부표면확산이 아닌, 배
열 안에서이다. 열유속이 면적 w l에 걸쳐 작용하는 확산속도와 함께 정열된다는 것을

그림 6에서 검토해 보기로 한다. 체적에 의해 분할된 배열 내의 연료질량을 용적밀도


ρb라고 정의할 때, 만일 연료의 각 성분이 일정하게 가열될 수 있는 얇은 것이라면,

A=w l이므로 그림 4로부터 다음과 같은 식을 얻을 수 있다.


'' (7)
V= ρ
b c(Tig-Ts
)

13
그림 6 다공성 격자 배열을 통한 화염 확대

목재에 대한 열유속과 열적 특성은 거의 일정하며, 반대로 V는 ρb의 영향을 받는다.

이는 넓은 범위의 두께를 통한 목재에서는 사실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Thomas4)에


의하면,

V= C/ρ b (8)

V : m/s
ρb : kg/㎥

C : 가공되지 않은 연료의 경우 약 0.07 kg/㎥로 일정,


직경이 3 cm인 나무토막의 경우는 0.07 kg/㎥

다공성 배열을 통한 순풍화염확산에 대하여, Thomas5)는 식(8)에서 다음 식을 유도하


였다.

14
1+ V∞ )C/ρ b
V= ( (9)

V∞ : 풍속 (m/s)

그림 7과 8은 종류가 다른 다공성 목재에서의 연료 배열에 있어서, 이 단순한 식이


정확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식(9)는 풍속 4 m/s 까지 에서는 대략적으로 잘 맞는
다. 대형화재에 대한 일본의 도시화재 데이터가 또한 그림 9에 포함되어 있다. 이 데
이터의 구성을 위해 주거지 용적밀도를 10 kg/㎥으로 하였다.
그림 9는 1995년에 발생한 일본 고베시 지진에 따른 화재확산의 결과를 나타낸 것이
다.

그림 7 화재 확대에 대한 용적 밀도의 영향

15
그림 8 화재 확산속도의 비교

그림 9 일본 고베 지진 후 화재 확대속도에 미치는 바람의 영향

16
5. 액체에서의 확산

액체에서의 표면화염확산은 고체의 표면화염 메카니즘과 유사하다. 그러나 액체인


경우에는 그 내부에서 화염확산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고체의 형태와는 다르다. 액체
의 표면이 화염 아래에서 상승하는 차가운 액체보다 더 뜨겁다는 사실은 화염확산 과
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부양 흐름을 일으키게 된다. 또한 이러한 거동은 점성 또는
표면장력 효과에 의하여 액체에 영향을 줄 수 있다. 표면장력의 변화는 액체의 표면화
염확산이 고체와 다른 주된 메카니즘이다. 왜냐하면 표면장력은 온도에 다라 감소하기
때문에 액체가 차가울수록 점화온도 Tig에서의 증발위치 X p 의 면은 더 높은 표면장력

을 갖게 된다. 액체 표면을 따라 Tig와 Ts 사이의 거리 δf 만큼 전도된 열은 표면장력

을 일으키는데 이것이 화염을 차가운 영역으로 끌어들인다. 즉, 화염이 진전됨에 따라


뜨거운 액체의 이동이 따르게 된다. 여기에서, 바람이 없는 경우의 수평액면 위 화염확
산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액면 상에서의 순풍확산에서는 표면의 화염 열유속이
지배적이기 때문에 이러한 표면장력 효과가 특별한 메카니즘이 아닐 것이다. 안정된
공기 중에서의 액면 위 화염확산에서는 화염 쪽으로의 액체를 통한 열전달에는 표면장
력 효과가 주요 원인이 된다. 이러한 액체의 열전달은 공기와의 경계면에서 일어나는
표면 열전달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액체의 화염확산속도는 고체에 상응하는 속도 이상
으로 커진다. 이러한 증가는 액체연료에서의 부력과 표면장력 때문이다 (식 2 참조).
그림 10은 메탄올 (직경 2.6 cm×깊이 1.0 cm)의 액면에 대한 Alkita7)의 실험 결과이
다. 메탄올의 점화온도는 인화점 (11℃)과 같다. 이 온도에서 연료와 공기 혼합기는 점
화용 화염이나 작은 스파크에 의해 점화될 수 있는 표면에 존재한다. 화염속도는 원래
의 액체온도 Ts 에 반하여 합판의 경우인 그림 4와 비슷하게 나타났다. 이 값이 확연

하게 다른 것은 액면화염확산에 적용되는 맥동류 영역 때문이다. 여기에서 확산속도는


그림과 같이 최대값과 최소값 사이에서 진동될 수 있다. 또한 그림 11에서는 예혼합
가스상의 속도가 인화점 이상의 온도에 대하여 분명하게 나타난다. 이러한 결과들이 F
그림 5의 합판인 경우에는 나타나지 않는다.

17
제3절 전형적인 화재확산속도

지금까지 살펴본 바와 같이, 화염확산은 화재성장의 복잡한 현상이기 때문에 정량적


분석이 쉽지 않다. 공식은 있지만, 여러 변수들과 연료 특성에 관한 정보가 부족한 실
정이다. 표 3은 화재확산속도를 알기 위하여 필요한 전형적인 값들이다. 비록 공식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이 표의 데이터만으로 화재확산현상을 특정 짓는데 유용할 것이
다.

그림 10 온도 함수로서의 액체 풀 화재의 확산속도

18
표 3 전형적인 화재 확산속도

Spread Rate (cm/s)


Smolder
ing 0.
001~0.
01
Lat
eralordownwar
dspr
eadont
hic
ksol
i
ds 0.
1
Winddri
venspr
eadthroughfor
estdebr
isorbr
ust
h 1~30
Upwar
dspreadonthicksoli
ds 1.
0~100
Hor
izont
alspr
eadonl
i
qui
ds ① 1.
0~100
10~100(l
aminar0
Pr
emi
xedf
l
ames
=105 (
det
onat
ions)

제4절 표준 실험방법

미국 화재안전규정을 근거로 하는 물질에 대하여 화염확산을 기초로 한 여러 실험방


법이 나와있다. 이들 실험의 대부분은 확산을 평가하기 위한 상대적인 지수를 도출하
고 있으나 화염확산 계산을 위한 기초 데이터로 뒷받침되지 않는다. 이 실험 가운데
몇 가지는 실제 화재 시나리오를 반영하지 못할 수 있어 혼동을 일으킬 수 있다. 화재
안전을 규제하는 전통적인 역할과 실험적 데이터를 입증해온 여러 실험 방법을 표 3에
예시하였다. Steiner tunnel test (ASTM E 84)는 천장 덕트의 순풍화염확산 실험이
다. 이 실험에서는 적색 떡갈나무의 연소속도에 대한 백분율로 표현되는 화염확산속도
를 제시한다. 비록 ASTM E 162는 하향 화염확산 실험이지만 이 측정법은 ASTM E
84의 결과와 유사한 지수를 나타낸다. ASTM E 648은 실제 공학적 용어로 표현한 몇
가지 실험 가운데 하나이다. 이 측정법은 바닥 재질 위의 수평적 화염확산에 요구되는
최소 열유속을 제공하였다. 그와는 반대로, ASTM E 1321은 규제를 목적으로 사용할
수는 없지만, 화염확산 계산을 위한 공학 데이터를 산출한다. 이 같은 데이터가 표 4
에 예시되었다. 화염확산을 예측하는데 요구되는 충분한 공학 데이터를 직접적으로 제
공하는 표준 실험은 없다고 말할 수 있다. 이 표준 실험의 부족은 새로운 물질의 화재
성장 위험평가와 그 적용에 있어 심각한 문제이다.

19
표 4 실험에 의한 표준 화염확산시험

St
andar
dTestMet
hodf
orSur
faceBur
ningChar
act
eri
st
icsofBui
l
ding
ASTM Desi
gnat
ion:E 84
Mat
eri
al
s

St
andar
dTestMethodf
orSurf
aceFl
ammabi
l
it
yofMat
eri
al
sUs
inga
ASTM Desi
gnat
ion:E 162
Radi
antHeatEner
gySour
ce

Standar
dTestMet
hodf
orCri
ti
calRadi
antFl
uxofFl
oor
-Cov
eri
ng
ASTM Desi
gnat
ion:E 648
Systems Usi
ngaRadi
antHeatEner
gySource

St
andar
dTestMet
hodf
orDet
ermi
ni
ngMat
eri
alI
gni
ti
onandFl
ame
ASTM Desi
gnat
ion:E 1321
Spr
eadPr
oper
ti
es

제5절 연소속도

1. 정의

연소속도 (Burning Rate)란 화재 시 단위시간당 소비되는 고체 또는 액체 연료의 질


량으로 정의된다. “탄다”는 것은 산소와의 결합을 뜻한다. 대형 구조물의 화재에서, 연
료는 증발할 수도 있고 산소의 제한으로 즉시 연소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므로, (연
료가 공급되는) 화재에서 연료의 질량감소속도 (mass loss rate)와 (산소와 연료가 반
응하는) 질량연소속도 (mass burning rate)은 서로 구분하여야 한다. 이 Chapter에서,
단일 물질의 연소에 관하여 고찰할 때, 이 두 가지는 같은 의미로 사용하였다. 만약 실
물 크기의 접시에서 알코올을 태운다면, 화염으로부터의 열은 액체를 증발시키는 원인
이 될 것이고, 그의 질량 감소는 전 시간에 걸쳐 나타날 것이다. 감소된 질량을, 이 질

량이 감소되는 시간으로 나눈 값이 연소속도 ṁ


이고, 통상 g/s로 나타낸다.

그림 12에서와 같이 접시에서 알코올을 점화시키기 위하여서는 적어도 인화점 이상


이 되어야 한다. 일단 표면에서 화염의 형태로 확산되면, 표면온도는 비등점 까지 증가
한다. 온도의 상승이 진행되는 동안, 증발속도 또는 연소속도 또한 이에 따라 증가한
다. 이와 같은 변화 또는 비정상 연소속도가 연료 연소의 전형적인 과정이다.
보통, 연소속도는 연료의 물성, 방향 또는 모양, 연소면적에 영향을 받는다. 연소면적
은 점화와 화염확산에 의해 조절된다. 연소면적을 벗어난 연소속도는 정상류가 아니며
일정하지도 않을 것이다. 일정한 특징을 정량적으로 표현하여, 각 지점이 어떻게 연소

20
하는가를 설명하는 단위면적당 연소속도 또는 질량유속 (mass burning flux) ṁ
'
'이라

고 한다. 만약, 이 면적을 각각의 표면 질량유속 ṁ


'
'과 관련되는 작은 표면으로 분할

하면, 각각의 표면적에 상응하는 ṁ


'
'의 곱은 전체 연소속도가 된다.

그림 11 화재 성장의 3요소

그림 12 연소속도의 측정

2. 기화열 [L(kJ/g)]

단위면적당 질량연소속도 즉, 질량유속( ṁ


'
')을 예측하는 일반적인 식은 다음과 같

다.


' = q̇
' '
'/L (10)

21

'
': 표면에 대한 순수 열유속 (화염으로부터 나오는 실제 열유속)

L : 기화열 (heat of gasification)

순수 열유속은 주로 표면 위의 화염에 기인하지만, 다른 복사열원에 의하여 증가할


수 있다. 이 외부의 복사원은 화재 시 가열된 실내 또는 화재 장소에서 통나무의 상호
작용과 같은 연료의 형상에 따라 자연적으로 일어날 수 있다. 또한, 이들 복사원은, 재
료에 대한 연소를 촉진하기 때문에 연소를 일으킬 수 있다. 순수 열유속은 표면에서
그림 13에서와 같은 열유속 요소의 대수합이다. 표면으로부터 방사된 에너지가 다시
복사하기 때문에 재복사 (reradiation)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액체의 표면에서는 비등점
에서 재복사가 될 것이다. 탄화하지 않는 열가소성 고체는 액체와 유사하게 반응한다.
그러나 목재 등, 탄화하는 열경화성 고체는 절연층이 탄화하는 형태이기 때문에 표면
온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식 10은 액체연료와 탄화하지 않는 열가소성 물질
의 안정적인 연소에 관하여 적절하게 설명한 것이지만, 이는 단지 탄화하는 물질에 대
한 최대 질량유속의 평가일 뿐이다. 얕은 액체 풀 또는 액체연료에 적신 고체에 서 이
방식은 질량유속 값을 과대평가 하게된다. 왜냐하면 액체의 기층으로 열이 손실되기
때문이다. 또한, 목재에 가솔린을 부은 것 등에서는, 이 과정에서 가솔린에 적신 목재
가 식는다고 해도 가솔린이 먼저 소진할 것이다.
기화열량 L은 고체 또는 액체연료를 기화하는데 요구되는 에너지이다. 이는 액체연

료에 대한 열역학적 특성으로서, 아주 정확하게 표현될 수 있다. 고체, 특히 탄화하는


고체는 시간에 따라 변화하므로 대략의 평균값이다. 왜냐하면 탄화하는 물질은 얼마간
의 에너지를 보유하기 때문이다. 액체연료와 탄화하지 않는 열가소성 물질은 각각 수
초에서 수분 내에 안정적인 연소에 도달하지만, 탄화형태에서는 빠르게 최대 열유속에
이른 뒤 쇠퇴하게 된다. 이 쇠퇴는 탄화물질의 절연 특성에 의한 것이다. 뒤에, 화염이
소진되는데 따라 탄화물질의 직접 산화가 수반된다. 이 간단한 공식의 정황으로 미루
어, L은 단지 탄화 이전의 아주 개략적인 특성일 뿐이다. 그렇지만, Equation 6-1에
의해 간단하지만 적정한 값을 산출할 수 있어, 질량유속의 정량적 평가 도구로서 적합

하다. 다만, 순수 열유속 ṁ


'
', 정확히 말하여 화염열유속은 적용이 용이하지 않다.

22
그림 13 연소를 일으키는 열유속 성분

전형적인 질량유속 범위는 5~50 g/㎡-s. 대개 5 g/㎡·s 이하의 값에서는 소멸된다.


식 10에서 직접 나타난 바와 같이, 외부 가열은 질량유속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외부 가열은 연소를 가속할 수 있는 피드백 고리에 의한 실내화재로부터 일어날
수 있다. 왜냐하면, 대기 중의 산소의 증가는 화염온도를 증가시키기 때문이며, 우리는
질량유속의 증가에 따라 야기되는 화염열유속의 결과를 예상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대기 중의 상승되는 산소에 의한 연소는 오염된 대기 중에서의 연소보다 클 것

이다. ṁ
'
'< 5 g/㎡·s에서의 소멸은 산소를 고갈시키거나 증발하는 물이 표면 열유속

을 감소시킬 경우 일어날 수 있다. 놀랍게도, 이러한 소멸을 설명할 수 있는 간단한 이


론이 없는 실정이지만, 경험에 의한 5 g/㎡·s의 최소값은 대단한 것이다. 차가운 물로
화재를 진압한다 함은 대개 이러한 질량유속에서의 소화이다. 그러므로 식 10이 연소
속도 효과의 범위를 설명할 수 있다.
표 4에 대표적인 기화열 값을 열거하였다. 이 값은 다양한 출전으로부터 조합된 것
이다. 물질의 화학 첨가제와 물리적 형태(과립, 포, 고체)는 고체연료의 L 값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실제, 화학적 지연은 고체연료의 L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기화를 보다 어
렵게 할 수 있다. 그래서, 순수 액체연료에 대한 L 값은 정확한 물성이다. 그러나, 탄
화물질과 같이 과정의 분해가 보다 복잡해지면 L은 과정의 개략값이다. 고체연료에서
개략적 L 값은 식 10에 의한 가열실험에 의해 추론된다. 일반적으로, 표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L 값은 액체 ( < 1 kJ/g), 열가소성 물질 ( < 1~3 kJ/g), 탄화물질 ( <
3~5 kJ/g) 순으로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화염 조건에서, 액체연료는 표면에서 각각의 비등점에 도달한다. 그러므로, 가솔린은
약 30℃, 메타놀은 12℃, 등유는 232℃를 알 수 있다. 고체연료의 기화온도는 순수 액

23
체에 비하여 정확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 탄화하지 않는 열가소성 물질은 표면온도가
250~400℃일 때, 탄화물질에서는 400~500℃에 이른다.

3. 최대 연소속도

식 10이 연소속도를 정량적으로 설명하는 도구로서 유용하지만, 실용적으로 제한이


따른다. 그 주요 문제는 열유속의 조건을 어떻게 설명할 수 있나 하는 것이다. 연소속
도는 연료의 방향, 형상에 영향을 받는다. 2 m가 넘지 않는 벽의 연소에서, 벽의 화염
은 대략 25±5 kW/㎡로 일정하게 나타난다. 이 값에서 벽 화재의 연소속도를 예측하기
위한 틀을 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나이론 6/6의 벽이 연소하는 경우, 380℃의 기화
온도가 된다. 화염에 대하여 가정하면,

heat = 30 kW/㎡,

표 5 기화열

Fuel L (kJ/g)
Li
qui
ds
Gasol
i
ne 0.
33
Hexane 0.
45
Heptane 0.
50
Ker
osene ② 0.
67
Et
hanol 1.
00
Methanol 1.
23
Thermoplasti
cs
Pol
yet
hyl
ene ③ 1.
8~3.6
Pol
ypr
opyl
ene 2.
0~3.1
Pol
ymethylmet
hacr
ylat
e 1.
6~2.8
Nyl
on6/ 6 2.
4~3.8
Pol
yst
ylenefoam 1.
3~1.9
Flexi
blepol
yur
ethanef
oam ④ 1.
2~2.7
CharFormers
Polyvi
nylchlor
ide 1.
7~2.5
Rigidpolyur
ethamef
oam 1.
2~5.3
Whatmsnfi
l
terpaperNo.3 ⑤ 3.
6
Cor
rugat
edpaper 2.
2
Woods ⑥ 4~6.5

24
복사표면 열유속은,

σT4= 5.67×10- 11 kW
2 4(
4
380+273)
mK

= 10.3kW/㎡

그러므로, 순수 열유속 q̇
'
'= 30 - 10.3 = 19.7 kW/㎡이다. 왜냐하면 기화열 L은 2.4

kJ/g과 같기 때문이다.


'
' 19.7

'
'= = = 8.2g/㎡ - s
L 2.4

이 예는 이 형태로 어떻게 질량유속을 예측할 수 있는가를 설명하고 있다.

달리, 구체적인 실험에 의한 데이터 없이는 손쉽게 q̇


'
'을 예측할 수 없다. 그림 13

과 같은 수평 연소를 검토하여 보기로 한다. 액체연료에 대한 다양한 실험이 유도되었


는데, 이들 실험에서 액체 풀의 직경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았다. 그림 14는 메타놀에
대한 일반적인 질량유속 곡선이다. d < 5 cm의 아주 작은 직경에서, 화염의 특성은
2,000℃ 가까이의 아주 얇은 과정인 층류이다. 이 범위에서 직경이 증가하는데 따라
화염시트는 표면으로부터 멀리 이동하며, 열유속의 감소가 나타난다. 직경 5~20 cm의
범위에서, 화염 열전달은 난류에 가까워서, 평균 난류 화염온도는 약 800℃가 된다.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대류 열전달 계수는 대략 5~10 W/㎡-℃인데, 이는 일정한
화염열유속을 최대 8 kW/㎡로 계산한 것이다. 그러므로 이 직경 범위에서 질량유속은
거의 일정하다. 그러나 직경이 보다 증가하면, 난류화염의 크기와 두께가 증가하고, 이
두꺼운 화염으로부터 부가되는 열복사유속의 증가 요소가 된다. 그러나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화염복사는 화염 방사율이 1일 때 최대값에 도달한다. 따라서 질량유속은
최대값이 된다. 이 값은 연료의 탄화 특성에 좌우되지만, 일반적으로 화재의 직경 1~2
m에서 발생한다. 유사한 결과로서, 직경이 20 cm 이상일 때의 가솔린에 대한 값이 그
림 15에 나와있다. 최대값은 55 g/㎡·s에 이를 때 나타난다. 이러한 값은 고체연료에서
와 마찬가지로 다른 액체연료에 대하여서도 실험적으로 정해진다. 이 최대 질량유속은
여러 자료를 바탕으로 하여 표로 구성되었다 (표 5 참조). 이들 값이 고체연료에 대하
여 아주 개략적인 값이라 할지라도, 최악의 연소 조건을 계산하는 기초가 되고 있다.

25
그림 14 풀 직경에 따른 메탄올의 질량연소 유속

그림 15 휘발유 풀 화재의 질량연소 유속

4. 에너지 방출속도 [ Q̇
]

에너지 방출속도 (energy release rate)는 화재와 관련하여 가장 중요한 값이라 할

26
수 있을 것이다. 화재의 크기는 kW로 측정하며, 기호 Q̇
로 나타낸다. 에너지 방출속도

는 다른 요소와 비교할 때 직접적으로 화재의 크기와 손실 가능성을 나타낸다.


에너지 방출속도는 화염높이와 직접 관련되며, 또한 앞 절에서와 같이 화재 주위의 복
사열유속과 직접 관련되는 것을 알았다.

화재가 성장하여 플래시오버가 일어날 수 있는 모든 가능성이 이 Q̇


와 관련된다.

에너지 방출속도는 다음과 같이 질량유속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 ṁ
'
'AΔHc (11)

A : 기화되는 면적

ΔHc : 연소열

연소열의 실제 표현은 이론적인 연소열과 서로 다르게 사용된다. 왜냐하면 전자는


화재에서의 화염 부분에 한하여 적용되기 때문이다. 연소열이란, 기화반응에 의하여 단
위 질량 당 방출된 화학적 에너지를 말한다. 목재와 같은 고체에 대하여서는 산소용기
(oxygen bomb)로 부르는 장치에서 이 값을 측정할 수 있다. 이 장치에서는 모든 가연
물의 연소 후 에너지와 질량의 감소를 측정할 수 있다. 이 때 무기물질인 재만 남게
된다. 일반적으로, (이론적) 연소열은 약 19 kJ/g이 될 것이다. 만약 일반적인 화재조건

에서 목재에 대하여 같은 방법으로 측정한다면, 연소가 종료될 때까지 ΔHc는 대략 13

kJ/g이 될 것이며, 탄화물의 훈소상태에서 ΔHc는 대략 30 kJ/g이 될 것이다. 목재와

같은 일반적인 재료에 대한 연소과정이 Figure 6-6에 나와 있다. 여기에서, 연소가 종


료될 때까지 유효 연소열에 대하여 관계를 생각하여 보기로 한다. 탄화층이 형성되면,
질량손실이 5 g/㎡·s 또는 그 이하일 때 화염은 결국 중지하고 말 것이다. 그리고 산화
에 의한 훈소는 탄화물질을 소모하는데, 이는 대단히 느리다. 보통 탄화물질과 연소시
불완전한 생성물, 예컨대 그을음과 일산화탄소는 모두 화염이 진행되는 동안 연소열을

감소시킨다. 화학적 첨가제(지연제) 또한 같은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는 ΔHc가 특정한

물질에 대하여서만 정확히 측정되기 때문이다. 유효 연소열은 가스와 액체연료에 대하


여 아주 크게, 탄화물질에 대하여서는 아주 작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표 6에 그 값
이 수록되어 있다.

27
ΔHc와 L의 비는 화재 위험도 평가에서 중요한 변수가 된다. 왜냐하면, 이 값은 연

료의 기화에 요구되는 에너지를 방출하는 단위이기 때문이다. 표 4와 표 6에서와 같이


액체연료는 고체연료보다 더 위험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표 6 최대 질량 연소 유속

Fuel ṁ
'
2
'(g/m s)
Li
qui
fi
edpropane 100~130
Li
quf
iednatur
algas 80~100
Benzene 90
But
ane 80
Hexane 70~80
Xyl
ene 70
JP-4 50~70
Hept
ane 65~75
Gasol
ine 50~60
Acet
one 40
Met
hanol 22
Pol
yst
ylene(
granul
ar) 38
Pol
ymet
hylmet
hacr
ylat
e(gr
anul
ar) 28
Pol
yet
hyl
ene(
granul
ar) 26
Pol
yepr
opyl
ene(
granul
ar) 24
Ri
gidpol
yur
ethamef
oam 22~25
Fl
exi
blepol
yur
ethamef
oam 21~27
Pol
yvi
nylchl
ori
de(
granul
ar) 16
Cor
rugat
edpapercart
ons 14
Woodcr
ib 11

그림 16 나무의 연소 상

28
표 7 유효연소열 ΔHc

Methane 50.
0
Ethane 47.
5
Ethene 50.
4
Propane 46.
5
Carbonmonoxi de 10.
1
n-But ane 45.
7
c-Hexane 43.
8
Heptane 44.
6
Gasoline 43.
7
Kerosene 43.
2
Benzenel 40.
0
Acetone 30.
8
Ethanol 26.
8
Methanol 19.
8
Polyet
hylene 43.
3
Polypropyl
ene 43.
3
Pol
yst
ylene 39.
8
Pol
ycar
bonate 29.
7
Nyl
on6/ 6 29.
6
Pol
ymethylmet
hacr
ylat
e 24.
9
Polyvi
nylchl
i
ride 16.
4
Cellul
ose 16.
1
Glucose 15.
4
Wood 13~15

5. 에너지 방출속도의 예측

아래와 같은 조건에서 단위 면적당 질량손실율과 열발생율을 계산하면 아래와 같다.

조건 : 연료는 1)목재, 2)폴리스틸렌, 3)헵탄, 4)가솔린이고, 연료는 직경 1 m의 풀에


서 연소된다. 나무는 클립으로 생각하고 계산한다.
단위 면적당 최대 연소속도는 상대적으로 큰 풀 화재로 간주하고 이러한 연료
가 연소될 수 있는 화염으로부터의 실제 열유속을 계산한다.
그림 17은 이와 같은 풀 화재의 동적인 형상을 나타낸 것이다.

29
그림 17 조건 예시

1) 목재
클립에 관한 Tewarson의 데이터에서 (표 5 참조)


2
'
'= 11g/m s

(주 : 이것이 실제 목재클립 또는 적재된 팰릿이라면 노출면만 고려하여야 한다.


대신, 여기에서는 윗면에 대해서만 고려한다.)
2
A =π/4 D2 = π/4(1 m) = 0.785 m
2


= ṁ
'
'AΔHc

= (11 g/㎡s)(0.785 m2)(15.0 kJ/g)

= 130 kJ/s

= 130 kW

※ Tewarson은 목재(Douglas fir)의 기화열이 1.82 kJ/g이 된다고 하였다.

다른 문헌에서는 목재의 숯과 기화열이 연소과정에 따라서 변하기 때문에 기화열이


2~5 kJ/ g의 범위에 있다.

30
실제 화염의 열유속은


'= ṁ
' '
'L= (11g/m2s
)(1.82kJ
/g) (L : Table 6-1 참조)

= 20 kW/㎡

2) 폴리스틸렌
Tewarson의 데이터로부터 (표 7 참조)


2
'
'= 38g/m s


= ṁ
'
'AΔHc

= (38 g/㎡s)(0.785 m2)(39.85 kJ/g)

= 1,189 kW


'= ṁ
2
' '
'L= (38g/m s)
(1.72kJ
/g)

= 65 kW/㎡

3) 헵탄

표 7에서 ΔHc는 65~75의 범위 값으로 나와 있다. 여기에서는 높은 값 75를 선

택하여 계산한다.

※ 아래의 각기 다른 자료를 참고로 수록한다.


2
Tewarson [SFPE] '
'= 65~75g/m s


2
Barrauskas [SFPE] '
'= 101g/m s

Mudan & Croce [SFPE] ṁ


'= 76g/m2s
'


= ṁ
'
'AΔHc

= (75 g/㎡s)(0.785 m2)(44.6 kJ/g)

= 2,650 kW


'= ṁ
' '
'L= (75g/m2s
)(0.5kJ
/g)

= 38 kW/㎡

4) 가솔린
Tewarson의 데이터로부터 (표 7의 중간 값 선택)

31

2
'
'= 55g/m s


= ṁ
'
'AΔHc

= (55 g/㎡s)(0.785 m2)(43.7 kJ/g)

= 1,887 kW


'= ṁ
2
' '
'L= (55g/m s)
(0.33kJ
/g)

= 18 kW/㎡

표 8 물질별 직경 1 m의 풀 화재 요약

ṁ Q̇ q̇
2 2
'
'[g/m s] [kW] '
'[kW/m ]
Wood 11 130 20
Pol
yst
ylene 38 1,
189 65
Hept
ane 75 2,
650 38
Gas
oli
ne 55 1,
887 18

위의 계산 결과는 이들 4가지 연료에 대한 위험성의 상관관계를 명쾌하게 예증하고


있다. 직경 1 m의 상대적으로 작은 면적임에도 불구하고, 액체연료는 화재시 일반적인
거실에서 쉽게 플래시오버(full room involvement)에 이를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폴리스틸렌은 심각한 위협이 되겠지만, 그러한 크기의 목재화재는 관리가 가능할 것이
다. 그러나, 가솔린 화재의 원인이 되는 순수 열유속 18 kW/㎡은 폴리스틸렌 화재 65
kW/㎡와 비교가 된다. 이 값은 식 10과 표 4로부터 계산이 가능하다. 이들 열유속의
차이는 이론으로 이를 예측하는데 한계가 있음을 뚜렷이 보여준다. 그 차이는 다분히

직관적이다. 왜냐하면 가솔린 화재의 위력 ( Q̇


)이 더 강하기 때문이다. 복사로 인한

흡수가 이 차이를 설명해준다. 즉, 연료 표면 가까이에서 생성된 다량의 기화 가솔린은


화염의 복사를 차단하는 구름처럼 작용한다.

6. 실험에 의한 연소속도(에너지 방출속도)

연소속도 (혹은 에너지 방출속도) 항목을 결정하기 위한 실질적인 방법은 오직 직접

32
측정하는 것이다. 이 측정은 점화의 방법 특히, 초기 화재성장 시간에 영향을 받는다.
물질이 연소하는 동안 저울에 의하여 질량의 손실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연소생성물
을 배기덕트로부터 채집하여 이 가스를 측정함으로써 에너지 방출속도를 결정할 수 있
다. 이러한 장치를 칼로리미터(oxygen consumption calorimeter, 콘칼로리미터)라고
한다 (그림 18)

그림 18 발열량 측정기

이 장치의 주요 작동 원리는 단위 연소열에 대한 산소질량의 소모는 고유 연료에서 거


의 일정 (13 kJ/g)하다는 것이다. 에너지 방출속도는 기록된 산소 소모량의 비율로서
직접 알 수 있다. 그림 19는 포장가구에 대한 측정 예이다. 일반적으로, 성장곡선의 전

반부는 점화 과정에 좌우된다. Q̇


값이 급격히 증가하는 것은 가구의 화염확산과 연소

속도 등 전체적인 화재성장 때문이다. 최고 에너지 방출속도로부터의 하강은 가구의


여러 부분이 소진 (burnout)하는 것을 반영하고 있다. 곡선의 폭, 정확히 말하여 곡선
아래의 면적은 탈 수 있는 연료의 합계를 나타낸다.
에너지 방출속도를 측정하는 가장 간단한 방법은 물질의 연소에 따른 질량감소속도

를 측정하는 것이다. 식 11에서, Q̇


는 각 물질별 연소열에 이 질량감소속도를 곱하여

33
구하는 것을 알았다. 표 9는 몇 가지 실제 물질에 대한 최대 연소속도 값이다.
그림 20에서 그림 30은 쓰레기, 텔레비전, 크리스마스 트리, 포장의자, 팰릿 등에 대
한 실험적 연소속도 값이다.

그림 19 일반적인 천 의자의 열방출율

표 9 전형적인 최고 연소속도 값(g/s)

Smal
lwast
econt
ainer
s(18-
40ℓ) 3~6

Lar
gewast
econt
ainer
s(70-
1200ℓ) 5~10

Chai
rs,woodanduphol
ster
ed 10~60

Sof
as 20~100

Beds 20~140

Cl
oset ~40

Of
fi
ce ~90

Bedr
oom ~130

Ki
tchen ~190

House ~30,
000

34
그림 20 대표적인 쓰레기의 열방출율

그림 21 TV 세트의 열방출율 결과

35
그림 22 크리스마스 트리의 열방출율

그림 23 천 의자의 열방출율

36
그림 24 천 의자

그림 25 천 재질의 소파 1

그림 26 천 재질의 소파 2

37
그림 27 3인용 소파

그림 28 매트리스

38
그림 29 나무 팔레트 더미의 일반적인 열방출율

그림 30 굴뚝 높이에서 팔레트 연소속도의 방어

39
위의 결과는 일반적인 단일 물질의 범위에서 연소 거동의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이
변화는 많은 요소 즉, 크기, 재질, 점화원의 특성, 화재억제효과 등에 의해 일어날 수
있다. 표 9에서와 같이 이들 수치는 일반적인 범위 값을 나타내고 있다. 물질이 어떻
게 연소하는가를 정확히 알기 위하여서는, 그림 18과 같은 장치에서 실험을 하여야 한
다. 표 10은 일상용품이 바닥 위에 적치된 창고에서의 일반적인 실험값이다. 이들은
측면 확산이 없는 고정바닥에 대한 최대값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7. 화재성장속도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화재성장속도는 경계면으로 정의되는 화염속도, 전 면적에


걸친 질량유속 등 점화 과정에 좌우된다. 가구, 일상용품 등과 같은 물질에서는, 간단
한 공식으로 이 복잡한 과정을 예측할 수 없다. 그렇지만, 각각의 성분과 형상이 다르
기 때문에 물질의 화재성장시간이 다르다 해도, 이들 물질은 일단 점화하면 130초 이
내에 1 MW에 도달한다. 다른 물질에 있어서는 80초이다. 이러한 데이터가 적용되어
왔으며 화재 분석에도 이용되었다. 또한, 화재성장속도는 시간의 자승에 비례한다는 것
을 알았다. 이를 위하여서는 화염확산속도가 얼마동안 일정해야 한다. 만일 화재성장속
도가 화재 자체에 의존한다면, 성장률은 t2이 아닌 exponential (et)이 될 것이다. 그럼

에도 불구하고 경험에 의한 화재성장속도는,


= αt (12)
2

α : 물질상수

40
표 10 창고 미가공품의 화재 거동


/ FloorArea
Commodity Cove
red
(MW/㎡)
Met
hanol 0.
72
Di
esel 1.
9
Ker
osi
ne 2.
2
Gasol
i
ne 2.
2
Woodpal
l
ets,st
acked1.
5fthi
gh 1.
3
Woodpal
l
ets,st
acked5f
thi
gh 3.
7
Woodpal
l
ets,st
acked10f
thi
gh 6.
6
Woodpal
l
ets,st
acked15f
thi
gh 9.
9
Mai
lbags,f i
ll
ed,stor
ed5f thigh 0.
39
PE l
ett
ertrays,fi
l
led,stacked5f thigh 8.
2
PS i
nsulat
ionboard,rigi
df oam,stacked14f
thi
gh 3.
1
PU i
nsul
ati
onboar
d,r
igi
dfoam,st
acked15f
thi
gh 1.
9
PS t
ubsr
est
edi
ncar
tons,st
acked14f
thi
gh 5.
1
FRP showerst
all
sincar
tons,st
acked15f
thi
gh 1.
2
PE bot
tl
esi
ncar
tons,st
acked15f
thi
gh 1.
9
PS t
oypar
tsi
ncar
tons,st
acked15f
thi
gh 2.
0
PE t
rashbar
rel
sincar
tons,st
acked15f
thi
gh 2.
9
Car
tons,compar
tment
ed,st
acked15f
thi
gh 2.
2
PVC bot
tl
espackedi
ncar t
ons,compar
tmentd,stacked15f
thigh 3.
3
PP t
ubspackedincar
tons,compart
mentd,stacked15fthi
gh 4.
2
PE bot
tl
espackedi
ncar
tons,compar
tment
d,st
acked15f
thi
gh 6.
1
PS j
arspackedi
ncar
tons,compar
tment
d,st
acked15f
thi
gh 14.
0

만약 t1이 1 MW에 이르는 특성을 갖는다면, α= 1 MW/ t12이 된다. 이와 같은 성장속도

의 표현은 초기 잠복기간을 무시한 경험적 데이터에 적합하다. 그림 31에서 이를 설명


한다. 표 11은 측면 화재확산의 제한이 없는 일상용품의 화재에 대한 값 t2에 상응하

는 화재성장시간 (t1) 값을 열거한 것이다. 실제 연소곡선에 의한 일정한 지점에 대한

쇠퇴 과정이 그림 20에서 29에 나타나 있다. t2과의 관련성은 유용한 것으로 증명되

어, 화재 감지기의 분석을 위한 NFPA 72 B와, 제연시스템의 설계를 위한 NFPA 92


B에 적용되었다. NFC에서는 성장 시간을 다음과 같이 분류하였으며, 이는 그림 32에
나와 있다.

slow t1 = 600 s
medium t1 = 300 s
fast t1 = 150 s
ul
tr
afast t1 = 75 s

41
전체적인 성장과 쇠퇴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실제 적용은 그림 7과 8을 조합한 것이
다. 빠른 성장은 표 10의 바닥면적에 대하여 플래시오버에 이르는 속도가 t2으로 상승

하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특정 속도에서 연료가 모두 소모되었을 때 연소는 멈춘


다.

그림 31 t2의 화재 성장곡선

그림 32 t2의 화재 범주

42
표 11 t2 화재의 1MW 성장 특성시간

Commodity 1 (s)
t

Woodpal
l
ets,st
acked1.
5fthi
gh 155~310

Woodpal
l
ets,st
acked5f
thi
gh 92~187

Woodpal
l
ets,st
acked10f
thi
gh 77~115

Woodpal
l
ets,st
acked16f
thi
gh 72~115
Mai
lbags,f
il
l
ed,st
ored5f
thi
gh 187
Car
tons,compar
tment
ed,st
acked15f
thi
gh 58
Paper
,ver
ti
calr
oll
s,st
acked20f
thi
gh 16~26
Cot
ten,
pol
yest
ergar
ment
sin12f
thi
ghr
ack 21~42
"
Ordi
nar
ycombust
ibl
es"
,rackst
orage,20f
thi
gh 39~262
Paperproducts,densel
ypackedi
ncar
tons,r
ackst
orage,20f
thi
gh 461
PE l
ett
ertrays,fkl
led,st
acked5f
thi
ghoncar t 189
PE t
rashbar
rel
sincar
tons,st
acked15f
thi
gh 53
PE bot
tl
espackedi
ncompar
tment
edcar
tons,15f
thi
gh 82
PE bot
tl
esi
ncar
tons,st
acked15f
thi
gh 72
PE pal
l
ets,st
acked3f
thi
gh 145
PE pal
l
ets,st
acked6-
8fthi
gh 31~55
PU mat
tr
ess,si
ngl
e,hor
izi
ntal 115
PU i
nsul
ati
onboar
d,r
igi
dfoam,st
acked15f
thi
gh 7
PS j
arspackedi
ncompar
tment
dcar
tons,st
acked15f
thi
gh 53
PS t
ubsnest
edi
ncar
tons,st
acked15f
thi
gh 115
PS i
nsul
ati
onboar
d,r
igi
dfoam,st
acked14f
thi
gh 6
PVC bot
tl
espackedi
ncompar
tment
dcar
tons,15f
thi
gh 8
PP t
ubspackedi
ncompar
tment
edcar
tons,15f
thi
gh 9
PP & PE f
il
minr
oll
s,st
acked14f
thi
gh 38
Di
sti
l
ledspi
ri
tsonbar
rel
s,st
acked20f
thi
gh 324~398

43
제 4장 실험결과 및 고찰

제1절 화염확산속도 연구

연소공학에서 화염속도(flame speed)는 화염전파속도(flame propagation speed)라


고도 하며 연소속도(burning velocity)에 화염의 유동속도가 더해진 값으로 정의된다.
즉, 연소속도에 주위 공기나 중력의 영향에 의한 순방향 또는 역방향의 유동성분이 반
영되어 화염속도가 결정되게 된다. 연소속도는 가연물의 고유한 물성치로 기체연료의
경우 프로판이 45cm/s, 수소가 2000cm/s 등의 값을 가지는데 연소반응율 이라고도
하여 시간에 대한 반응물의 반응농도로 정의하기도 한다. 또한 가연물이 단위시간당
연소하여 감소(손실)되는 질량으로 나타내어 질량감소율 또는 질량손실율(g/s)로 표현
하기도 하며, 여기서 가연물의 단위면적당 질량손실율로 환산하면 질량연소율(g/㎡․s)
로 표시할 수도 있다.
이 연구에서 화염확산속도를 고찰하는 목적은 화재시 flame spread(화염확산 또는
화염확대)로 인한 화재위험성을 평가하기 위함이므로, 화염확산 특성을 잘 반영해 줄
수 있는 평가요소들 즉, 다양하게 표현되는 연소속도를 경우에 따라 적절하게 고찰하
는 것이 효과적인 접근방법이라 할 수 있다.
이 절에서는 주요한 액체 및 고체가연물에 대해 종류와 형태에 따라 질량연소율과
화염전파속도, 화염확대속도 등을 실험을 통해 조사하고 특성을 비교해본다.

1. 가연물 종류 및 형태에 따른 화염확산특성 연구

가. 실험 개요
이 실험은 가연물의 종류와 그 형태에 따라 달라지는 화염확산 특성을 살펴보기 위
한 것으로 액체가연물 7종과 고체 가연물 4종에 대해 수평 및 수직방향의 질량연소율
및 화염전파속도, 화염확대속도 등을 측정하여 각 가연물이 가지는 화재위험성을 분석
해 보고자 한다.

44
나. 실험장치 및 실험방법
아래의 모든 측정 항목은 바람이 없는 개방된 공간에서 수행한다.
1) 질량연소율 측정
① 정의 : 고체 또는 액체가연물의 단위면적, 단위시간당 연소하는 질량(g/㎡․s)
② 물리적의미 : 1초당 1㎡ 면적에서 연소하는 가연물의 질량으로 얼마나 빨리 연
소하는지를 나타내는 즉, 연소속도를 나타내는 방법 중의 하나.
③ 실험방법
- 고체가연물 : 직경 20㎜의 봉형 가연물을 고정대에 수평 또는 수직으로 고정하
고 저울 위에서 1분간 연소시킨 후 실험전후의 질량차이를 측정함.
- 액체가연물 : 120㎜×245㎜ 크기의 연료팬에 가연물을 담고 저울 위에서 1분
간 연소시킨 후 실험전후의 질량차이를 측정함.

그림 33 질량연소율 측정(수평) 그림 34 질량연소율 측정(수직)

그림 35 질량연소율 측정(액체 가연물)

45
2) 화염전파속도 측정
① 정의 : 단위시간당 화염이 전파(진행)되어가는 거리(㎝/s)
② 물리적의미 : 화염이 얼마나 빨리 전파되어 가는지를 의미하며 화염확산의 정도
를 나타내는 방법 중의 하나.
③ 실험방법 : 폭 40㎜, 길이 5m의 연료팬에 액체가연물을 담고 점화시켜 전파되
는 시간을 측정.

그림 36 화염전파속도 측정

3) 화염확대속도 측정
① 정의 : 다공성 격자 가연물의 단위시간당 연소되는 체적(㎤/s)
② 물리적 의미 : 입체형태를 가진 고체가연물이 연소되는 빠르기를 나타냄
(연구의 편의를 위해 정의한 값)
③ 실험방법 : φ20×250 크기의 고분자수지 봉을 5단 격자 형태로 쌓고 맨 아래
한쪽 끝에서 점화시켜 맨 위 반대쪽 끝까지 화염이 확대되는 시간을 측정

46
그림 37 화염확대속도 측정

다. 실험결과 및 고찰
1) 질량연소율
가) 고체가연물
위 실험방법과 같이 수평 및 수직방향 연소시 고분자수지 4종에 대한 질량연소율
측정 결과 다음과 같은 값을 얻을 수 있었다.

① 수평방향 질량연소율

표 12 고분자수지 수평방향 질량연소율

연소량(g) (60초간) 질량손실율 질량연소율


시험체
1회 2회 3회 평균 g/s g/㎡·s

HDPE 0.8 0.7 0.8 0.8 0.013 43

PP 0.9 1.3 1.2 1.1 0.018 58

POM 1.5 2.7 2.4 2.2 0.037 117

UHMWPE 0.6 0.7 0.7 0.7 0.012 37

47
표 13 고분자수지의 특징 및 주요 용도

가연물 전체 이름 특 징 용도

산과 염기에 강한 내성을 갖고 있으며, 절 펌프, 밸


연성이 우수하고 용접하기가 용이함. 브, 씰, 의
High density PP보다는 저온충격 및 산화에 높은 내성을 약공업, 부
HDPE
Polyethylene 가짐. 싱, 기어,
최저 -50℃에서 최고 + 90℃에서 일반적 롤러가이
으로 사용이 가능. 드

기계적 강도, 인장강도와 내열성 등이 뛰어 펌프, 밸


난 소재로서 용접이 용이함. 브, 씰, 장
화학 및 전기적 특성이 매우 뛰어나지만 난감, 베어
PP Polypropylene
여하의 온도에서는 깨지기 쉬운 단점. 링, 도금
일반적으로 + 5℃ 와 + 100℃ 사이에서 설비, 기
사용이 가능. 어, 롤러

포름알데히드를 원료로하는 결정성 폴리머


로서 최저 -60℃에서 부터 최고 + 100℃ 베어링, 기
까지 사용이 가능. 어, 펌프부
Polyoxy-
POM 내피로구도, 내크리프성이 양호하며 마찰계 품, 스크
methylene 수가 낮고 외관이 매력적임. 류, 정밀가
co-polymer는 열적으로 안정되어 가공이 공부품
용이하고 열수 열화에 대한 내성이 양호.

병,캔,포장
공업, 제
Ultra high 지, 섬유기
약 9,200,000 g/mol의 고분자량.
molecular 계, 광산
UHMWPE 내마모 마찰성이 특히 우수하고 저온에서
weight 및 시멘트
도 내충격강도가 유지되는 소재.
polyethylene 공업, 화학
및 전기도
금, 방음벽

48
그림 38 질량연소율 측정장면(수평) 그림 39 질량연소율 측정장면(수직)

120

100
Mass burning rate(g/m s)
2

80

60

40

20

0
HDPE PP POM UHMWPE

High molecular weight resin


그림 40 수평방향 질량연소율
② 수직방향 질량연소율

표 14 고분자수지 수직방향 질량연소율

연소량(g) (60초간) 질량손실율 질량연소율


시험체
1회 2회 3회 평균 g/s g/㎡·s

HDPE 4.6 4.3 4.5 4.5 0.075 239

PP 1.2 1.9 2.7 1.9 0.032 101

POM 4.5 7.8 6.7 6.3 0.105 334

UHMWPE 3.7 3.5 4.0 3.7 0.062 196

49
360
340
320
300
280

Mass burning rate(g/m s)


260

2
240
220
200
180
160
140
120
100
80
60
40
20
0
HDPE PP POM UHMWPE

High molecular weight resin


그림 41 수직방향 질량연소율

고체가연물의 수평방향 질량연소율은 POM이 가장 높고, UHMWPE가 가장 낮게 나


타났다. POM은 연소시 불꽃은 크지 않으나 녹아내리듯이 일시에 연소하여 질량감소가
컸으며, 나머지 가연물의 질량연소속도는 크게 차이나지 않았다.
한편 예상과 같이 수직 방향의 연소속도는 부력에 의한 화염의 연소방향과 일치하여
질량감소속도가 훨씬 빨랐다. 수직방향 역시 POM의 질량연소속도가 가장 빨랐는데,
나머지 가연물들의 수직방향 연소속도는 수평방향 때와는 달리 상당한 차이가 있었다.
10
Ratio of vertical & horizontal MBR

0
HDPE PP POM UHMWPE

High molecular weight resin


그림 42 수평 대 수직방향의 질량연소율 비

50
수평방향에 대한 수직방향의 연소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위 그림과 같이 수평방향 질
량연소율에 대한 수직방향 질량연소율의 비를 구해 크기를 비교해 보면 Polyethylene
계열의 수지가 수평방향에 비해 수직방향의 연소성이 뛰어남을 알 수가 있다. 따라서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위 재질의 가연물은 화재시 위험성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 Polypropylene과 POM은 수평이나 수직방향의 연소성이 비교적 균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나) 액체가연물

표 15 액체연료의 질량연소율

질량연소율
가연물 연소량(g) (g/㎡·s)
메틸알콜 24.0 13.6
에틸알콜 22.0 12.5
아세톤 26.1 14.8
N-헥산 34.7 19.7
휘발유 27.8 15.8
경유 15.7 8.9
N-헵탄 19.7 11.2

그림 43 질량연소율 측정장면(액체가연물)

액체가연물의 질량연소율은 N-헥산이 가장 크고 휘발유가 뒤를 이으며, 경유가 가


장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화염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큰 휘발유가 화염이 작은 알콜
류에 비해 화염면적이 넓으므로 단위시간당 더 많이 연소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51
메틸알콜 에틸알콜 아세톤

N-헥산 휘발유

경유 N-헵탄

그림 44 각 액체가연물의 질량연소율 측정장면

52
2) 화염전파속도

표 16 액체연료의 화염전파속도

전파시간 화염전파속도
가연물 sec cm/s

메틸알콜 2.02 248

에틸알콜 2.56 195

아세톤 3.93 127

N-헥산 3.95 127

휘발유 4.22 119

경유 전파안됨 ×

N-헵탄 3.95 127

300

250
Flame speed(cm/s)

200

150

100

50

0
Methanol Ethanol Aceton N-hexane Gasoline N-heptane

Liquid fuel
그림 45 액체연료의 화염전파속도

표 18은 액체가연물의 화염전파속도를 나타낸다. 질량연소율 측정 결과와 달리 화염


이 전파해 나가는 속도는 휘발유보다 알콜류가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화염의 크기가
작은 알콜이 화염전파시 공기의 저항을 적게 받아 보다 빠르게 전파해 나가는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유류화재 발생시 액체 위험물의 종류가 무엇인지 사전에 파악하는
것은 안전한 화재진압을 위해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다. 한편 경유는 상온에서 잘 착
화되지 않으며 화염이 전파되지 않았다.

53
그림 46 화염전파속도 측정 장면

3) 화염확대속도(평균속도)

표 17 가연물별 화염확대속도 결과

가연물 화염확대시간 화염확대속도(㎤/s)

HDPE 18분 50초 5.5

PP 19분 40초 5.3

POM 16분 10초 6.4

UHMWPE 22분 25초 4.6

고체 격자 가연물의 화염확대속도를 측정한 결과 입체 가연물의 연소속도는 앞의 질


량연소율 측정결과를 잘 반영하고 있다. POM의 확대속도가 가장 빨랐으며 UHMWPE
가 가장 느리게 나타났다. 실험에서 특이할만한 사항은 격자 전체 부피의 1/3 정도까
지의 화염확대시간 보다 나머지 2/3의 확대시간이 더 짧게 소요된다는 점이다. 즉, 화
염이 확대되어 일단 성장기에 들어서면 순식간에 확대되어 절정기에 곧 이르게 됨을
다음의 실험장면 그림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다.

54
점화전 2분후

4분후 8분후

12분후 14분후

16분후 확대 완료
그림 47 HDPE의 화염확대속도 측정

55
점화전 1분후

3분후 6분후

10분후 13분후

16분후 확대 완료
그림 48 PP의 화염확대속도 측정

56
점화전 2분후

4분후 6분후

8분후 10분후

12분후 14분후
그림 49 POM의 화염확대속도 측정

57
점화전 2분후

6분후 10분후

14분후 18분후

22분후 확대 완료
그림 50 UHMWPE의 화염확대속도 측정

58
4) 시뮬레이션(FDS) 결과
가) 모델링
앞에서 활용도가 높은 네 종류의 고분자 고체 가연물에 대하여 화재에 의하여 불
이 붙었을 경우 불이 번져 나가는 속도를 관찰하기 위해 화염확대속도를 측정하였는
데, 여기서는 같은 조건에서 18㎜×18㎜×250㎜ 크기의 각목 형태 가연물 총 25개를
앞의 그림과 같이 5열 5단으로 적층하고 좌측 하단에 불을 붙인 후 우측 대각선 상단
에까지 화염이 전파되는 시간을 화재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인 FDS(Fire Dynamics
Simulator)를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실제 가연물의 모양은 봉 형태이나 시뮬레이션에
서는 구현이 되지 않아 같은 단면적 넓이의 육면체 형태로 적용하였다.
고체 가연물의 종류로는 앞의 실험과 같이 HDPE, PP, POM, UHMWPE의 4종을 사
용하였으며 각 재료의 해당 물성치는 가능한 실험적으로 구한 값을 사용하되 실험 데
이터를 얻기 어려운 것은 해당 재료의 일반적인 물성치를 조사하여 사용하였다. 아래
표는 모델링에 사용된 고체 가연물의 단위 면적당 열방출율과 물성치를 나타낸다.

표 18 단위면적당 열방출율 계산

가연물 열방출율

0.0164 kg/m2/sec × 40450 kJ/kg = 663kW/m


2
HDPE
0.0183 kg/m2/sec × 37020 kJ/kg = 677 kW/m
2
PP
0.0173 kg/m2/sec × 13460 kJ/kg = 233 kW/m
2
POM
0.0111 kg/m2/sec × 39630 kJ/kg = 440 kW/m
2
UHMWPE

59
표 19 고체 가연물의 물성치(자연환기조건)

연 소 특 성
고체 연소속도 연소열 발화온도 밀도 비열 열전도율
열방출율 2 3
가연물 kg/m /sec kJ/kg ℃ kg/m kJ/kg/K W/m/K
kW/m2
Burning Heat of Ignition Density Specific Thermal
HRRPUA
Rate Max. Combustion Temp. Heat conductivity

HDPE 663 0.0164 40450 349 910 2.3 0.33

PP 677 0.0183 37020 450 910 1.93 0.14

POM 233 0.0173 13460 323 1390 1.47 0.23

UHMWPE 440 0.0111 39630 423 930 1.84 0.36

나) 결과 및 분석
가연물의 화염전파속도는 각 가연물의 연소특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PP, POM,
HDPE, UHMWPE의 4가지 고분자 재료에 대하여 화염확대속도를 계산하였으며 그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① PP
PP의 경우 가연물 연소 특성을 열방출률 763kW/m2 연소 속도는 0.0183
kg/m2/sec, 연소열 37020kJ/kg으로 DATABASE에 넣어 모델링에 적용시켜 화염
전파 속도를 측정하였다.
처음 불이 붙기 시작한 시간부터 대각선 끝 부분까지 불이 붙는 시간은 약
1150sec 정도로 나타났으며, 그림 51의 PP의 HRR 값 변화를 보면 끝부분에 불이
붙은 후 일정시간 지속되다가 1150sec 일 때 가장 높은 HRR값을 나타내었고, 얼
마 지나지 않아 HRR값이 감소하기 시작하였는데 이는 화원의 불이 꺼지 시작하면
서 나타나는 현상임을 알 수 있다.
처음 불이 인근 PP 막대기로 번지기 시작하는 시간은 약 300초 정도로 나왔으며
인근 PP 막대기로 번질 때 HRR 값의 변화가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림

60
52는 PP 재질의 시간에 따른 화염 전파 과정을 나타낸 그림이다.

35
PP의 HRR
30
25
HRR(kW)

20
15
10
5
0
0 200 400 600 800 1000 1200 1400
TIME(sec)

그림 51 PP 격자 구조물의 열방출율(kW) 변화

61
100초

300초

600초

900초

1300초

그림 52 PP의 시간에 따른 화염 전파 과정

62
② HDPE
HDPE의 경우 화염전파 속도를 보기 위한 가연물의 연소 특성은 단위면적당 열
2
방출률 663 kW/m2이고 연소 속도는 0.0164 kg/m /sec, 연소열 40450 kJ/kg으로
서 이러한 데이터를 FDS 모델링 시에 적용시켜 전파 속도를 측정하였다
불이 붙기 시작한 시간부터 대각선 끝 부분까지 불이 붙는 시간은 약 560sec 정
도가 나왔으며, 그림 53의 HDPE의 전체 가연물에서의 HRR 변화를 보면 끝부분에
불이 붙은 후 일정 시간 지속 되다가 1300sec 일 때 가장 높은 HRR값을 나타내
었다.
그 후 HDPE이 처음 불이 붙는 부분부터 모두 연소가 되어 조금 씩 HRR값이 떨
어지는 것을 볼 수 있었는데 처음 불이 옆 HDPE 막대기로 번지기 시작하는 시간
은 약 160초 정도로 나타났으며 대각선 끝부분까지 빠른 속도로 전파되었고 그 후
지속적으로 연소가 이루어지다 약 1200sec부터 불이 꺼지기 시작함을 알 수 있다.

40
HDPE의 HRR
35
30
HRR(kW)

25
20
15
10
5
0
0 300 600 900 1200 1500
TIME(sec)

그림 53 HDPE 격자 구조물의 열방출율(kW) 변화

63
100초

300초

600초

900초

1200초

1400sec

그림 54 HDPE의 시간에 따른 화염 전파 과정

64
③ POM
POM의 경우 화염 전파 속도를 보기 위한 격자구조의 가연물 연소 특성을 보면
우선 열방출률은 다른 가연물과 비교하여 가장 작은 233kW/m2 로서 연소속도는
0.0173 kg/m2/sec, 연소열은 13460 kJ/kg 정도로서 이 데이터를 이용하여 모델링
을 실시하였다
POM의 전파속도를 보면 다른 가연물과 달리 2000초가 넘을 때까지 화염이 끝
까지 전파되지 못한 것을 볼 수 있었는데 이는 POM 자체 열방출률 및 연소열이
너무 적어서 옆으로 전파되기 위한 충분한 발화 온도를 갖추기가 힘들기 때문으로
나타난다.
POM의 경우도 위의 PP나 HDPE와 마찬가지로 열방출률(HRR)을 보면 옆으로
번지는 시간을 알 수 있는데 다른 가연물 보다 적은 열방출률 및 연소열로 인해
그 시간이 상당히 지연됨을 알 수 있다.

40
POM의 HRR
35
30
25
HRR(kW)

20
15
10
5
0
0 250 500 750 1000 1250 1500 1750 2000
TIME(sec)

그림 55 POM 격자 구조물의 열방출율(kW) 변화

65
100초

500초

1000초

1500초

2000초

그림 56 POM의 시간에 따른 화염 전파 과정

66
④ UHMWPE
UHMWPE의 경우 화염 전파 속도를 보기 위한 격자구조의 가연물 연소 특성을
2
보면 단위면적당 열방출률 440 kW/m2이고 연소 속도는 0.0111 kg/m /sec, 연소
열은 39630 kJ/kg으로서 이 데이터를 FDS 모델링에 적용시켜 전파 속도를 측정
하였다.
불이 붙기 시작한 시간부터 대각선 끝 부분까지 불이 붙는 시간은 약 980sec 정
도로서 그림 58의 UHMWPE의 전체 가연물에서의 HRR 변화를 보면 대각선 끝부
분에 불이 붙은 후 얼마 지나지 않아서 처음 불을 붙인 곳에서 부터 서서히 가연
물이 다 타서 꺼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처음 불이 옆 막대기로 번지기 시작하는 시간은 약 400초 정도로 나왔으며 다른
가연물과 마찬가지로 HRR의 변화가 조금씩 빠르게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40
UHMWPE의 HRR
35
30
25
TEMP(C)

20
15
10
5
0
0 300 600 900 1200 1500
TIME(sec)

그림 57 UHMWPE 격자구조물의 열방출율 변화

67
100초

300초

600초

900초

1200초

그림 58 UHMWPE의 시간에 따른 화염 전파 과정

68
2. 화재실 환기조건에 따른 화염확산속도 측정

가. 실험 개요
가연물의 종류에 따른 화염속도나 연소속도는 고유한 물성치로 기초적인 화재위험성
을 내포한다고 할 수 있으나 실제 화재발생시 주위의 연소조건, 특히 공기의 공급을
좌우하는 환기조건은 화재 양상에 큰 영향을 미친다. 이 실험을 통해 화재실 내의 환
기조건에 따른 가연물의 화염확대속도나 질량연소율의 변화를 살펴보고 환기형태에 따
른 거주실의 화재위험성을 분석해 보고자 한다.

나. 실험장치 및 실험방법
1) 실험장치

이 실험을 위한 장치는 아래 그림과 같이 환기장치가 설치된 모형화재실과 화염확


대속도 및 질량연소율 측정장치로 구성된다.

그림 59 환기장치가 갖춰진 모형화재실(41㎥)

69
그림 60 화염확대속도 측정 그림 61 질량연소율 측정

모형화재실의 환기장치는 천장환기 및 측벽환기가 가능하도록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특히 측벽 환풍기는 유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두 대가 설치되어 있다.

그림 62 측벽 환기장치 그림 63 측벽 환기장치 확대

그림 64 천장 환기장치 그림 65 천장 환기장치 확대

70
그림 66 모형화재실내 모습 그림 67 천장 및 측벽 환기장치

2) 실험조건
이 연구에서 적용한 환기조건은 모두 5가지로 밀폐조건, 자연환기, 천장 강제환기,
측벽 강제환기 2가지이다. 자연환기는 양쪽의 문을 모두 개방한 것으로 하였고, 천장
환기는 천장 중앙에 분당 20㎥의 유량을 배기시킬 수 있는 환풍기를 설치하였으며, 측
벽 환기는 분당 20 및 40㎥의 유량을 환기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 유량은 화재실 전
체의 공기를 1~2분만에 모두 환기시킬 수 있는 양이다. 각각의 환기방식과 환기량은
아래 표와 같다.

표 20 화염확산속도 측정을 위한 모형화재실의 환기조건

강제환기
환기방식 밀폐 자연환기
천장 측벽 측벽
환기량
0 화재크기에 의존 20 20 40
㎥/min

양쪽문
환기위치 × 천장 중심 우측문 중앙 우측문 중앙
(1m×2m×2곳)

71
다. 실험결과 및 고찰
1) 화염확대속도

표 21 환기조건에 따른 화염확대속도 결과

자연환기 강제환기(수평) 강제환기(수평) 강제환기(수직)


밀폐시
가연물 양문개방 측벽 20㎥/min 측벽 40㎥/min 천장 20㎥/min

시간 속도 시간 속도 시간 속도 시간 속도 시간 속도

HDPE 19‘48“ 5.3 18‘56“ 5.5 16‘43“ 6.2 20‘06“ 5.2 19‘05“ 5.5

PP 20‘14“ 5.1 18‘56“ 5.5 18‘45“ 5.6 21‘20“ 4.9 19‘45“ 5.3

2종의 가연물에 대해 화재실의 환기조건에 따른 고체가연물의 화염확대속도를 조사


한 결과 각 조건에 따른 실험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HDPE의 경우 밀폐조건시 화염확대시간이 가장 오래 걸려 산소의 원활한 공급이 연
소속도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화재실의 공간이 화재모형
의 크기에 비해 충분하여 다른 환기조건과 큰 차이는 나지 않았다.
양쪽으로 문이 개방되어 있어 연소에 필요한 공기가 밀도차에 의해 공급되는 자연환
기 방식은 개구분의 면적이 충분히 커서 화염확대속도가 비교적 빠르게 나타나 개구부
의 면적이 충분하면 화염확대 위험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판단된다.
한쪽 문이 열려있고 반대쪽 벽에서 강제환기를 하는 조건에서 화염확대속도는 가장
빠르게 나타났다. 연소 활성화에 적당한 신선한 공기가 적절히 공급되는 조건으로 생
각된다. 그러나 같은 측벽 강제환기 방식이며 환기량이 두 배인 경우 화염확대시간이
더 길게 나타났는데 그 원인은 환풍기 방향의 연소확대는 빠르게 진행되나 수직방향의
화염확대는 더 더뎌지기 때문으로 확인되었다. 즉, 화재실 길이방향 공기 유동이 우세
하게 되어 수직 방향의 공기 공급이 축소되면서 화염확대가 한 방향으로 치우치기 때
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72
점화전 1분후 2분후

3분후 5분후 7분후

9분후 11분후 13분후

15분후 18분후 화염확대 종료

그림 68 밀폐조건시 플라스틱 격자 가연물의 시간에 따른 화염확대

73
점화전 1분후 2분후

3분후 5분후 7분후

9분후 11분후 13분후

15분후 17분후 화염확대 종료

그림 69 자연환기시 플라스틱 격자 가연물의 시간에 따른 화염확대

74
점화전 1분후 2분후

3분후 4분후 5분후

7분후 9분후 11분후

13분후 15분후 화염확대 종료

그림 70 강제환기(측벽 20㎥/min)시 플라스틱 격자 가연물의


시간에 따른 화염확대

75
점화전 1분후 3분후

5분후 7분후 9분후

11분후 13분후 15분후

17분후 19분후 화염확대 종료

그림 71 강제환기(측벽 40㎥/min)시 플라스틱 격자 가연물의


시간에 따른 화염확대

76
점화전 1분후 2분후

3분후 5분후 7분후

9분후 11분후 13분후

15분후 17분후 화염확대 종료

그림 72 강제환기(천장 20㎥/min)시 플라스틱 격자 가연물의


시간에 따른 화염확대

77
2) 질량연소율

표 22 환기조건에 따른 질량연소율 측정 결과

자연환기 강제환기(수평) 강제환기(수평) 강제환기(수직)


밀폐시
양문개방 측벽 20㎥/min 측벽 40㎥/min 천장 20㎥/min
가연물
연소량 질량연소율 연소량 질량연소율 연소량 질량연소율 연소량 질량연소율 연소량 질량연소율
(g) (g/㎡·s) (g) (g/㎡·s) (g) (g/㎡·s) (g) (g/㎡·s) (g) (g/㎡·s)

휘발유 150 27.8 162 30.0 165 30.6 156 28.9 164 30.4

메틸
84 15.6 84 15.6 85 15.7 89 16.5 87 16.1
알콜

액체가연물의 환기조건에 따른 연소속도는 고체가연물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차이가


없어 보인다. 방향성이 없으며 편평한 표면을 가지는 특성 때문인 것으로 추측되는데,
수평이나 수직방향으로 적절히 강제환기 할 때 연소가 촉진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자연환기 강제환기(수평)
밀폐시
양문개방 측벽 20㎥/min

강제환기(수평) 강제환기(수직)
측벽 40㎥/min 천장 20㎥/min

그림 73 환기조건에 따른 질량연소율 측정(휘발유)

78
그림 74 환기조건에 따른 액체가연물의 질량연소율 측정 장면

79
제2절 풍향·풍속에 따른 화염속도변화 예측

1. 기류조건에 따른 화염속도 측정

가. 실험 개요
화재발생시 연소하는 가연물은 주위에 기류 즉, 공기의 흐름이 없는 무풍상태 일 때
보다 바람이 불 때 신선한 공기가 공급되어 연소가 더 활발해 지기도 한다. 이러한 주
위 공기의 유속과 방향이 연소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액체 가연물의 질량연
소율과 화염전파속도 변화를 풍속과 풍향 조건에 따라 고찰해 보고자 한다.

나. 실험장치 및 실험방법
1) 질량연소율
아래 그림은 가연물 연소시 공기의 유속과 방향에 따른 질량연소율을 측정하기 위한
실험장치의 개략도 이다. 장치는 크게 송풍기와 질량연소율 측정장치로 구성된다. 송풍
기는 출력 1마력, 최대 풍량 120㎥/min으로 유속 제어가 가능하며, 바람의 간섭이 없
는 화재시험장 실내에서 유속변화에 따라 앞 절의 방법과 같이 질량연소율을 측정하였
다. 아래 표는 실험에 적용한 송풍기의 유속과 풍향 등 실험조건을 나타낸다.
먼저 연료팬의 화염에 수직한 방향으로 송풍기 한 대를 설치하여 유속에 따른 연소
특성을 조사하였으며, 또한 화염의 양쪽에서 같은 속도의 맞바람이 불 때 유속에 따른
연소속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Blower Flame
그림 75 기류 조건(풍속·풍향) 제어장치

80
Blower Flame Blower
그림 76 양방향 기류 조건

표 23 송풍기의 유속과 풍향 조건(질량연소율 측정)

송풍기 수 풍향 유속(m/sec) 송풍 위치

1대 일방 3
5 연료팬에 수직방향
2대 양방(맞바람) 10

2) 화염전파속도
공기의 유속과 방향에 따른 화염전파속도의 측정은 앞 절에서 수행한 실험방법에 대
해 길이 5m의 연료팬 위로 화염전파방향 또는 반대방향의 바람을 불어 풍속에 따른
화염전파속도를 측정한다. 위에서 사용된 송풍기를 이용하여 그림과 같은 레일형 연료
팬 위로 화염전파 방향과 동일한 순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바람을 일으켜 유속에 따른
화염전파속도의 변화를 비교해 본다. 아래 표는 실험에 적용한 송풍기의 유속과 풍향
등 실험조건을 나타낸다.

표 24 송풍기의 유속과 풍향 조건(화염전파속도 측정)

송풍기 수 풍향 유속(m/sec) 송풍 위치

순방향 1.5(0.3)
연료팬 위
1대 2.0(0.5)
화염중단에 수직방향
역방향 ( )안은 종속

81
다. 실험결과 및 고찰
1) 질량연소율 측정
가) 한 방향 풍속에 따른 질량연소율 변화
화염 주위에서 화염에 수직하게 불어오는 바람의 영향에 따른 4종의 액체 가연물
에 대한 질량연소율 변화는 아래 표와 같이 나타났다.
모든 가연물이 주위 공기의 유속 증가에 따라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연소율이 증
가되는 것으로 보인다. 이는 연소에 필요한 산소의 공급이 증대되고, 가연물과의 혼합
이 촉진되기 때문이다. 한 방향 공기 유동시 휘발유는 풍속의 증가에 크게 영향을 받
지 않아 자연확산에 의한 연소특성이 우수한 것으로 생각되며, 풍속 10㎧에서는 오히
려 화염이 불안정해지며 질량연소율이 줄어들었다.
반면 메틸알콜과 아세톤은 풍속 증가와 더불어 질량연소율이 완만히 증가하였으
며, 특히 N-헵탄은 질량연소율이 급격히 증가하였다. 따라서 이 물질들은 무풍상태의
자연확산에 의한 연소반응보다 공기와의 혼합이 강제적으로 촉진되는 조건에서 연소반
응이 보다 활발해지는 것으로 판단된다.

표 25 한 방향 풍속에 따른 질량연소율 변화
질량연소율
연소량(g) (g/㎡s)
가연물
3㎧ 5㎧ 10㎧ 3㎧ 5㎧ 10㎧

휘발유 35.4 36.8 31.3 20.1 20.9 17.7

메틸알콜 25.8 26.0 29.8 14.6 14.7 16.9

N-헵탄 41.0 98.0 92.6 23.2 55.6 52.5

아세톤 32.9 33.5 40.0 18.7 19.0 22.7

82
6

Ratio of mass burned rate


V3/ V0
4 V5/ V0
V10/ V0

0
Gasoline Methanol N-heptane Acetone

Liquid fuel

그림 77 풍속에 따른 질량연소율비(일방)

나) 양방향 풍속에 따른 질량연소율 변화


양쪽 방향에서 같은 풍속의 바람이 작용할 때의 질량연소율은 모든 가연물에 대해
한 방향에서 바람이 불 때보다 더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특히 N-헵탄은 유속이 증가
함에 따라 질량연소율이 급격히 증가하였는데 특히 유속 5㎧일 때 73.7g/㎡s로 앞 절
에서 구한 무풍상태의 질량연소율 11.2g/㎡s 보다 무려 6.6배의 값을 나타내었다.
아세톤도 유속 3.5㎧에서 최대값을 가졌는데 무풍시의 14.8g/㎡s에서 42.5g/㎡s로
2.9배 증가하였다. 양쪽에서 바람이 불어와 맞부딪히는 경우 과농한 가연물의 양에 대
해 충분한 산소가 공급되고, 특히 강한 난류화염이 형성되면서 이들의 효과적인 혼합
이 촉진되어 마치 산업용 연소기와 같은 공기-연료의 혼합이 극대화되기 때문으로 사
료된다.

표 26 양방향 풍속에 따른 질량연소율 변화


질량연소율
실험결과(g) g/㎡s
가연물
3㎧ 5㎧ 10㎧ 3㎧ 5㎧ 10㎧

휘발유 48.0 54.0 52.0 27.2 30.6 29.5

메틸알콜 31.0 34.0 38.0 17.6 19.3 21.5

N-헵탄 42.0 103.0 130.0 23.8 58.4 73.7

아세톤 33.0 75.0 62.0 18.7 42.5 35.1

83
8

Ratio of mass burned rate


6 V3/ V0
V5/ V0
V10/ V0
4

0
Gasoline Methanol N-heptane Acetone

Liquid fuel
그림 78 풍속에 따른 질량연소율비(양방)

그림 79 주위 기류에 따른 질량연소율 측정

84
2) 화염전파속도 측정
가) 순풍시 풍속에 따른 화염전파속도
화염이 전파되는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바람이 불 때 4종의 액체가연물의 화염전
파속도는 아래 표와 같이 나타났다. 메틸알콜을 제외한 나머지 가연물의 화염전파속도
는 무풍상태일 때보다 바람이 불 때 증가하였다. 그러나 메틸알콜의 경우 바람의 유속
이 증가함에 따라 오히려 화염전파속도가 감소하였다. 화염의 크기가 커서 바람의 이
동이 공기혼합에 의한 연소촉진에 도움이 되는 다른 화염과는 달리 주위 공기의 유동
은 메틸알콜의 연소에 불안정한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바람의 풍속이 2㎧
로 증가시 화염전파속도는 더욱 떨어져 불안한 연소현상을 나타내었다. 반면 다른 가
연물들은 풍속 증가에 따라 연소반응이 촉진되어 연소속도가 증가하고 이에 따라 화염
전파속도도 증가한다.

표 27 순풍시 풍속에 따른 화염전파속도

전파시간 화염전파속도
sec cm/s
가연물
초속 종속 초속 종속 초속 종속 초속 종속
1.5㎧ 0.3㎧ 2.0㎧ 0.5㎧ 1.5㎧ 0.3㎧ 2.0㎧ 0.5㎧

휘발유 3.42 3.23 146 155

메틸알콜 2.64 3.76 189 133

N-헵탄 3.56 3.20 140 156

아세톤 3.81 3.23 131 155

85
2

V1.5/ V0
V2.0/ V0

Ratio of flame speed


1

0
Gasoline Methanol N-heptane Acetone

Liquid fuel

그림 80 풍속에 따른 화염전파속도비(순풍)

나) 역풍시 풍속에 따른 화염전파속도


화염이 전파되는 방향에 반대방향으로 바람이 불 때 화염전파속도의 변화를 관찰
하였다. 무풍시 화염전파속도 1.19㎧의 휘발유와 2.48㎧의 메틸알콜은 유속 1.5㎧의
역풍에도 화염이 전파되었지만-비록 전파속도는 많이 감소되었지만-유속이 2.0㎧의
역풍이 불 때는 메틸알콜 외의 어떠한 가연물도 전파되지 못하였다. 하지만 소화가 된
것은 아니며 제자리에 정체되어 진행하지 못하는 현상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산불이나
주택 밀집지역의 화재시 화염확대방향과 반대방향의 바람은 화염확산의 방지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신선한 공기의 공급으로 소화가 되거나 연소반응 자체
가 약화되지는 않을 것이며 다른 방향으로 화재가 확산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을
것이다.

표 28 역풍시 풍속에 따른 화염전파속도


전파시간 화염전파속도
sec cm/s
가연물 초속 종속 초속 종속 초속 종속 초속 종속
1.5㎧ 0.3㎧ 2.0㎧ 0.5㎧ 1.5㎧ 0.3㎧ 2.0㎧ 0.5㎧
휘발유 7.58 전파안됨 66 ×

메틸알콜 4.87 5.60 103 89

N-헵탄 전파안됨 전파안됨 × ×

아세톤 전파안됨 전파안됨 × ×

86
1.0

V1.5/ V0
0.8 V2.0/ V0

Ratio of flame speed


0.6

0.4

0.2

0.0
Gasoline Methanol N-heptane Acetone

Liquid fuel
그림 81 풍속에 따른 화염전파속도비(역풍)

그림 82 주위 기류에 따른 화염전파속도 측정

87
제3절 화재시 발생하는 이상현상 고찰

화재시 발생하는 이상현상 중 대표적인 것으로 화염이 일순간에 확대되는 플래시오


버 현상과, 소염된 화염이 산소가 공급되면서 순식간에 되살아나는 백드래프트 현상이
있다. 이러한 현상의 차이점은 우선 플래시오버는 급격한 가연성 가스의 착화로서 폭
풍이나 충격파는 없으나, 백드래프트는 진행이 빠른 화학반응으로서 대기의 급격한 온
도상승, 팽창, 압력상승 등을 일으키고 폭풍 혹은 충격파를 수반한다.
또한 플래시오버는 화재성장단계 중 성장기인 제1단계에 발생하나 백드래프는 감쇠
기인 제3단계에서 발생하며, 플래시오버의 발생은 열의 공급이 원인이 되나 백드래프
트는 산소의 공급이 원인이 된다.

1. 플래시오버의 발생과 특성

가. 실험 개요
순발 연소라고도 하는 플래시오버 현상은 고층건물 화재시 흔히 나타나는 양상으로
서 실내의 가연물이 연소에 의해서 온도를 높이고 동시에 다량의 가연성 가스를 수반
하는 연기를 방출하며, 어느 시간에 그 실내의 온도상승에 의해서 일시에 연소하여 화
재의 진행을 순간적으로 실내 전체에 확산시키는 현상이다.
이 때는 보통의 화재가 실내의 모든 가연물이 포함되는 완전 성장상태로 도달하는
원인이 되며 실내의 공기가 거의 소모되어 공기의 공급이 제한되기 때문에 환기 지배
화재(Ventilation controlled fire)로 되고 개구부가 열리지 않는 한 실내의 모든 연료
가 연소될 수는 없다. 플래시오버 발생시 실내의 온도는 약 800~900℃에 달하며
1000℃ 이상이 될 때도 있다.
플래시오버의 일반적인 정의는 다음과 같다.
- 국부화재로부터 구획내 모든 가연물이 연소되기 시작하는 큰 화재로의 전이
- 연료지배 화재로부터 환기지배 화재로의 전이
- 천장 아래에 집결된 미연소가스나 증기를 통한 갑작스런 화염의 전파

플래시오버는 구획의 국한성 때문에 화재조건들의 급격한 증대를 보여주는데 여기에

88
는 다음의 몇가지 상황들이 그 원인이 된다.
- 열유의 증가에 따른 급속한 발화와 물질로부터의 화염확산
- 연료성분이 많은 가스의 축적과 이들의 갑작스런 공기로의 노출 : 백드래프트
- 연소속도의 증가와 이에 따른 구획 전체로의 갑작스런 화염의 확산

플래시오버는 보통 화재가 방안의 모든 연료가 포함되는 완전 성장상태로 도달하는


원인이 되며 공기의 공급이 제한되기 때문에 모든 연료가스가 구획 내에서 연소될 수
는 없어 환기 지배화재가 된다. 즉, 플래시오버는 전이 상태를 나타내는데 화재성장이
그 이전에는 연료에 의해 지배되나 이후에는 기본적으로 방이나 건물의 기하학적 구조
에 따르는 환기조건에 지배된다.
전이 상태의 기간은 구획화재의 다른 주요단계에 비해 짧으며 발화와 마찬가지로 하
나의 순간 화재 사상으로 간주된다. 플래시오버 전단계의 화재에서는 건물 내 인명의
안전과 직접 연관되며, 한 구획 내에서 일단 플래시오버가 발생되면 건물 내 다른 부
분의 거주자가 직접적으로 위협을 받게 된다.
한편 플래시오버가 발생하기까지의 시간을 지연시키는 방법은 보통 내장재 중 잘 안
타는 재료로서 두께가 두껍고 열전도율이 큰 재료를 천장과 벽상부 등 실내의 높은 위
치부터 순차적으로 사용하거나, 개구율을 작게 하고, 화원의 크기를 작게 하기 위해 가
연성 가구는 되도록 소형으로 하는 것 등이다.
이 연구를 통해 2.93m(W)×2.97m(D)×2.1m(H) 크기의 모형화재실에 가구와 전자제품
등 생활에서 흔히 사용하는 각종 가연물을 배치한 뒤 화재를 발생시켜 플래시오버의 발생
기구와 연소특성을 고찰하고자 한다.

나. 실험장치 및 실험방법
아래 그림은 플래시오버 실험을 위한 모형화재실(2.93m(W)×2.97m(D)×2.1m(H))과
각종 가연물들을 나타낸 것이다. 화재실 내에 가구와 전자제품 등을 아래 도면과 같이
배치하고, 소파에 점화용 휘발유를 묻혀 착화시킨 다음 시간에 따른 화재실 내 온도변
화 특성을 살펴보았다.
화재실 내의 온도측정에는 피복형 K열전대(0.8φ)를 이용하였는데 열전대는 그림과
같이 앵글로 지지한 열전대 트리를 화재실의 중앙에 고정하여 바닥과, 화재실 중심, 천

89
장 등에 설치했다. 열전대는 전면 개구부 상단과 측벽의 상단에도 2개 설치하여 합계
5개소에서 온도를 계측하였다. 열전대의 출력은 PC 레코더(R1M-GH2T-M2, 16채널)로
0.5초마다 1회씩 기록하였다. 실험에 쓰인 가구와 전자제품의 종류와 열방출율은 다음
과 같다.

표 29 플래시오버 실험에 사용된 가연물의 크기 및 열방출율

가연물 크 기(㎜) 열방출율(kW)

책상 150×50×80 1200
책꽂이 60×30×120 500
의자 40×40×85 200
소파 80×70×90 300
탁자 90×60×40 300
TV 40×40×40 300
냉장고 60×50×70 200
총열방출율 3MW

그림 83 플래시오버 화재시험실

90
그림 84 온도수집장치

평면도
단위 : cm

293
책꽂이
책상


의자

TV 및 받침대
297

탁자
소파

냉장고

창(145*65)
화재실 높이 : 210

그림 85 모형화재실 내 가연물 배치(평면도)

91
그림 86 모형화재실 내의 가연물 배치

92
열전대 위치

1
4
5
2

열전대 위치
1) 천장중앙
2) 화재실 중심
3) 중앙 바닥
4) 측벽 상단
5) 창문 위 중앙벽 상단

그림 87 열전대 설치 모습

93
그림 88 플래시오버 실험을 위한 각종 가연물

94
다. 실험결과 및 고찰
앞의 실험방법과 같이 모형화재실에서의 플래시오버 발생 실험을 수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가 있었다.
소파에서 착화한 화염은 점점 성장하여 벽으로 전이되고 책상을 착화시켜 화재를 확
대시켰다. 천장과 화재실 중앙, 바닥의 온도가 일정하게 서서히 증가하기 시작하였으며
착화 후 약 100초가 지나면서 화재는 빠른 속도로 확대되었다. 천장부 가연성 가스의
농도가 높아지며 연소가 지속되던 화염은 착화 후 약 150초 시점에 화재실 전체를 감
싸는 화염이 분출되며 바닥의 온도를 급상승 시켰다. 아래 그래프에서 보듯이 빨간 점
선으로 그려진 바닥 중앙의 온도변화는 플래시오버 발생과 함께 급격히 증가하고 있음
을 잘 보여주고 있다. 또한 플래시오버 발생시 실내 최고온도는 1000℃에 육박하였으
며, 창문이 깨지면서 신선한 공기가 유입되어 연소는 지속되었다.
한편 천장부의 온도분포를 비교해보면 천장 중심이 화재실 전면부나 측벽 상단 보다
100℃ 이상 높은 온도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플래시오버 발생시에는 천장부근 보다 화
재실 중단과 바닥의 온도가 더 높게 나타나 화염이 실내 전체로 확대되는 플래시오버
발생 순간에는 바닥의 가연물이 일시에 연소하며 큰 열원이 형성되고 최고 온도지점이
일시적으로 아래쪽으로 옮겨가는 것을 발견할 수가 있다.

그림 89 플래시오버 발생 실험장면

95
그림 90 플래시오버의 발생

1000

800 Top center


Mid center
Temperature('C)

Bottom center
600
Sidewall top
Frontwall top
400

Flashover point
200

0 40 80 120 160 200


Time(sec)

그림 91 플래시오버 발생시 온도 그래프

96
그림 92 플래시오버 발생 실험장면

97
그림 93 플래시오버 실험 후 화재실 모습

98
라. 화재 시뮬레이션(FDS) 결과
1) 모델링

실제 실험에 앞서 화재 모델링을 통해 플래시오버 현상을 관찰하기 위해서는 이에


합당한 경계조건 설정이 필요한데 이를 위해서는 많은 화재현장 경험에 기초한 환경설
정이 필요하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그러한 경험적 데이터를 제공받기가 사실상 불
가능하므로 시행착오적(trial and error) 모델링을 통하여 화재 시나리오 및 화재조건
을 설정하였다.
플래시오버 현상을 관찰하기 위한 화재실 공간의 크기는 모형화재실 크기와 같은
6m(L)×3m(W)×2.3m(H)의 공간으로 설정하였고, 화재실 좌우측에는 개방이 가능한 출
입문을이 각각 설정하였다. 모델링 격자의 크기는 가로, 세로, 높이 모두 10cm로 하였
으며, 화재실 내에는 화재하중을 크게 하기 위하여 앞의 실험과 같이 내장재 가연물을
충분히 배치하였다. 내장재 가연물 각각의 물성치는 표 30의 FDS 데이터베이스에 있
는 가연물 중 가장 유사한 것의 물성치를 사용하였으며 데이터베이스에서 사용한 내장
재는 표 31에 있다. 소파에서의 화원의 단위면적당 열방출율(HRRPUA)은 300kW/㎡
로 하였다.
화원의 위치는 소파로 하였으며, 화원의 크기는 0.4m×0.4m로 하였다. 환기조건으로
는 화원 연소에 따른 산소 부족과 연기 하강으로 인해 화염이 조기에 꺼지는 것을 방
지하기 위하여 화재실 좌측 출입문을 개방하는 것으로 하였다.

그림 94 플래시오버 화재실 형상 및 내장재 배치

99
표 30 내장재 가연물의 물성치 DB(FDS database)
최대연소율 기화열 연소열
밀도 발열량 비열
2
발화점(℃) 3 (kg/m /s) (kJ/kg) (kJ/kg) 열전도율
(kg/m ) (kW/m2) (kJ/kg/K)
Ign. Temp Burning Heat of Heat of (W/m․k)
Density HRRPUA Cp
Rate Max. Vap. Combustion

실내장식품 280 40 0.03 1500 30000

콘크리트 2100 0.88 1.0

석고보드 400 1400 100 0.84 0.48

카펫 290 750 0.05 2000 22300 9.0 0.16

SPRUCE
360 450 500
(목재)
에탄올 78 780 0.015 837 26800 2.4 0.16

메탄올 65 790 0.02 1101 19800 2.5 0.2

N-헵탄 98 800 0.065 316 46112 2.24 0.16

케로신 216 810 256 42800 2.4 0.109

PMMA 380 1190 0.028 1620 25200 1.42 0.19

MARINITE 737

플라스틱A 370 12.5 40000 500

벽돌 1600 0.84 0.69

유리 2700 0.84 0.76

표 31 FDS 물성치 DB에서 사용된 내장재 종류

가연물 DB 사용 내장재
소파 UPHOLSTERY
테이블 SPRUCE
TV PLASTIC A
TV받침대 SPRUCE
책상 SPRUCE
의자 UPHOLSTERY
책장 SPRUCE

100
2) 시뮬레이션 결과 및 분석

플래시오버의 발생 여부는 화원의 열방출률 및 연소 후 발생하는 가연성 가스의 농


도와 산소농도 등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그림 95는 여러 가지의 시나리오에 의한 화
재 시뮬레이션에 의해 플래시오버가 발생한 경우에 있어서 플래시오버가 일어나기까지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이 경우 화재실 크기가 작고 일산화탄소의 방출량이 많은
POLYSTYRENE을 화원으로 사용하였고 그에 따라 천정부의 가연성 가스의 농도가 높
아져 플래시오버가 일어나게 되었다.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열방출률이 급격히 증
가하는 플래시오버는 약 210초 정도에서 발생함을 알 수 있는데, 약 210초까지는 연
소가 서서히 진행되다가 어느 순간 급격히 화염으로 덮이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림 96
의 HRR(Heat Release Rate)의 변화를 보면 약 210초경에 열방출률이 급격히 상승하
는 것과 그 맥락을 같이 한다. 그 이후에는 화염에 의한 연기가 실내에 가득 차게 되
어 대부분의 연소가 멈추고 개구부에서만 연소가 진행되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실제
건물 화재의 경우 플래시오버가 일어나면 온도가 급격히 상승하고 기체 팽창에 의한
압력이 높아짐에 따라 창문 등이 깨어지면서 실내로 산소가 유입되어 다른 가연물들이
일제히 화염에 뒤덮이게 된다.

그림 97은 화재실의 높이 및 위치에 따른 온도변화를 경과사간대별로 나타낸 것으


로서 플래시 오버를 일으킨 후 천정부의 온도는 순간적으로 약 1500℃까지 도달하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러한 온도는 실내의 모든 내장재의 점화온도 이상의 것으로서
일정 산소가 유입될 경우 실내 내장재 전체로 화염이 번지게 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그림 97에 나타난 연소 가스 및 산소 농도의 변화를 보면 화재 발생 후 산소 농도


가 지속적으로 하강하고 CO등 불완전 연소된 가연성 가스의 양이 증가하면서 일정 농
도에 도달 하면 플래시오버가 일어나고 플래시오버가 일어난 후에는 산소가 급격히 소
모되어 화재실내에서는 연소가 지속적으로 이루어 지지 않음을 알 수 있다.

101
시간 화 염 연 기

60초

120초

180초

210초
Flash
Over

240초

300초

그림 95 플래시오버 형성 과정

102
1600

1400
1200

1000
HRR(kW) 800
600

400
200

0
0 50 100 150 200 250 300
TIM E(sec)

그림 96 HRR 변화 및 플래시오버

1400
2.3M 1.8M 1.3M
1200 0.8M 0.3M
1000
TEMP(C)

800
600
400
200
0
0 50 100 150 200 250 300
TIM E(sec)

1400 천정 25cm 아래
1200 천정 15cm 아래

1000
TEMP(C)

800
600

400

200

0
0 50 100 150 200 250 300
TIM E(sec)

그림 97 화재실내 온도변화 및 플래시오버

103
5000
CO 농도
4500
CO ppm
4000
3500
3000
일산화탄소

CO(ppm)
2500
농도 변화 2000
1500
(천정부) 1000
500
0
0 50 100 150 200 250 300
TIME(sec)

0.14
CO 2 농도
0.12
CO 2 mol/mol
0.10
CO2(mol/mol)

0.08
이산화탄소
0.06
농도 변화
0.04
0.02
0.00
0 50 100 150 200 250 300
TIME(sec)
0.25 O2 농도

0.20
O2 (kg/kg)

0.15
산소
농도 변화 0.10
(천정부) 0.05 O2 농도

0.00
0 50 100 150 200 250 300
TIME(sec)

그림 98 플래시오버 시의 천정부의 CO, CO2, O2의 농도변화

104
2. 백드래프트의 발생과 특성

가. 실험 개요

백드래프트는 플래시오버와 함께 구획 화재에서 발생하는 특이한 화재현상이다. 두


현상 모두 발생하면 소화 작업 중인 소방대원이 사고를 당하거나 화재 피해가 커진다.
그래서 과거부터 각종 화재 사례나 여러 관점에서 연구가 이루어지면서 두 현상의 특
성이 점차 밝혀지고 있다.
백드래프트의 정의는 Burklin 등에 따르면 ‘축적된 미연 가스가 가득 찬 구획에 산
소가 도입되면서 이어지는 급속한 폭연(deflagration) 현상’이다. 플래시오버와의 큰 차
이는 폭연과 산소의 도입 유무로 구별할 수 있다. 백드래프트는 구획 내에 모여 있던
가연성 가스의 폭연현상이며, 폭연은 개구부에서 구획 내로의 공기 유입에 의해 미연
가스 속의 산소농도 상승에 의해 일어난다. 즉, 산소농도가 상승하면 목재 같은 탄화층
이 숯 상태(미연상태)가 되어 이 부분을 착화점으로 구획 내에 모여 있던 가연성 가스
의 폭연이 시작된다. 대부분의 경우, 개구부에서 화염이 분출해 외부공간에 커다란 파
이어 볼이 발생한다. 이 파이어 볼은 구획 내에 머물러 있던 가연성 가스가 폭연개시
직후에 개구부에서 분출되어 외부공간에서 불길이 올라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폭
연은 여러 번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이에 비해 플래시 오버는 구획 내 전체가 불꽃에 휩싸이는 급격한 연소현상으로 커
다란 온도상승이 관측된다. 구획 내의 열적 조건이 만족되었을 때 발생하며, 경우에 따
라서는 개구부에서 화염이 분출한다. 따라서 개구부에서의 화염 분출현상만으로는 백
드래프트와 플래시 오버와의 차이가 명확하지 않으며 이 둘을 혼동하는 경우도 적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백드래프트는 그 위험성을 지적한 소방관련 보고서나 자료 등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초적인 연구 사례는 많지 않다. 가까운 일본에서도 기초연구가 적어 최근 출판된 ‘화
재편람(제3판)’의 색인에는 플래시오버 관련 사항은 9건의 참조항이 있는데 반해 백드
래프트는 1건뿐이며, 그것도 ‘소방전술’장에 기술되어 있다. 몇 안 되는 연구 사례 중
에서 Fleischmann 등의 예가 대표적인데, 가스연료에 의한 모의실험인 점과 구획 내
의 미연가스 점화가 인위적이라는 점 등 얻어진 실험결과가 일반적인 백드래프트의 특

105
징을 나타내는지에 대해서는 다소 의문이 있다.
이 연구에서는 화재실의 가연물이나 환기조건, 구조 등에 따른 백드래프트 발생현상
을 구현하고 연소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모형화재실에서 화재시험을 수행한다.

나. 실험장치 및 실험방법

아래 그림은 실험에 이용한 모형화재실로서 전면 벽 중앙에 개구부(창)이 있고 좌측벽에


문이 달려있는 구조이다. 모형화재실 A의 내부치수는 2.93m(W)×2.97m(D)×2.1m(H)이고,
모형화재실 B의 내부크기는 6m(L)×3m(W)×2.3m(H) 이다. 벽면은 두 가지 소재로 구성
되어 있는데 안쪽부터 내화단열 보드(t=25㎜)와 합판(t=9㎜)을 겹친 것이다. 천장도 같
은 방식으로 제작하였으며 각 보드 사이의 빈 간격은 기밀성을 유지하기 위해 내화 실
리콘재와 고온용 알루미늄 테이프로 막았다.
화재용 연소재는 크기 30×35×730(mm)의 소나무 크립을 이용해 20단으로 쌓아 A
급 화재모형을 적용하였으며 정면에서 볼 때 구획 내 중앙에 하나 또는 2개를 나란히
놓았다. 크립 점화용 연료는 휘발유를 사용하였다.

그림 99 모형화재실 A 그림 100 연소재(목재 크립)

구획 내의 온도측정에는 피복형 K열전대(0.8φ)를 이용했다. 열전대의 위치는 화재실


A의 경우 바닥과, 천장면 2개소에 설치했다. 또한 화재실 B에서는 천장 부근 6개소에
설치하여 PC 레코더(R1M-GH2T-M2, 16채널)로 0.5초마다 1회씩 기록했다.
구획 내의 산소농도 측정은 전기화학식 확산형 가스 애널라이저(KM 900,
Kane-May)를 이용하였는데 측정 위치는 바닥과 천장면 부근이다. 샘플링 루프는 외

106
경 8㎜, 내경 6㎜의 동관으로 필터를 통해 공기 펌프로 구획 내 연소시 가스를 흡인했
다. 측정 데이터는 PC레코더로 기록하였다.

다. 실험결과 및 고찰

백드래프트가 발생하기 위해서는 구획 내의 가연물 연소가 진행되고 가연물에서 계


속해서 가연성 열분해 물질이 방출되어 잉여 가연물의 축적이 필요하다. 따라서 연소
량과 개구부 면적을 고려하여 총 3회의 연소실험을 실시 백드래프트의 발생 특성을 조
사하였다.

1) 연소 진행사항
점화 직후 각 측정점에서 온도가 상승하며 천장 부근에서의 O₂농도는 저하된다. 점
화 후 30초 정도에 연기에 의해 차단되어 개구부에서 화염은 보이지 않게 되었다. 그
러나 다시 연소재가 타는 것이 관찰되며 연기의 양이 서서히 증가하였다. 이후 연기의
양이 더 늘어나고 연기 색은 노랗게 되며 일시 휴식 현상이 발생하는데, 시간이 지남
에 따라 연기의 색은 더 진해지고 갈색으로 변한 뒤 화염이 점차 소멸되었다. 이 때
좌측문을 개방하자 곧 화염과 연기를 분출하며 백드래프트 현상이 일어났다. 화염은
수 분간 계속 지속되었으며 이후 연기 색이 서서히 옅어지고, 백드래프트에 의한 화염
의 크기는 점차 작아져 폭풍도 약해졌다.

그림 101 백드래프트 실험장면

107
2) 온도 및 산소농도의 변화
1200

Ceiling1
1000
Ceiling2
Bottom
800
Temperature( C)
o

600

400

200

0
0 50 100 150 200 250 300

Time(sec)
그림 102 백드래프트 발생시 화재실 A의 온도변화

1000

P1
800 P2
P3
Temperature( C)

P4
600
o

P5
P6
400

200

0
0 50 100 150 200 250 300

Time(sec)
그림 103 백드래프트 발생시 화재실 B의 온도변화
(천장 25cm)

실험 결과 화재실 내 온도변화는 위의 그림과 같다. 화재실 A의 실험에서 온도는


이미 천장 부근이 바닥에 비해 높았다. 점화 후 실내 온도는 상승하고 자기 소화가 일
어난 후, 인위적으로 출입문을 개방시키자 잠시 후 화염이 되살아나 급격한 연소가 지
속되었다. 산소농도는 천장부근이 바닥보다 낮고 그 변동도 컸다.

108
화재실 A의 경우 점화 후 약 30초 후에 최고온도가 되었으며 산소의 부족으로 다시
온도가 하강하였다. 화염이 소화되었음을 육안으로 확인한 후 좌측문을 서서히 개방하
였고 잠시 후 폭연과 함께 실내의 온도는 상승하여 1100℃ 이상에 도달하였다. 한편,
산소농도는 천장부근에서 연소재의 연소에 의해 14% 정도까지 급격히 저하하였다. 화
염의 소화와 함께 산소농도는 7% 정도까지 저하되고 거의 7% 상태를 유지했다.
화재실 B의 실험은 점화 후 약 50초 후에 최고온도에 도달하고 이후 온도감소와 산
소농도의 급격한 변화가 반복 관찰되었다. 이것은 백드래프트 발생 전 그 전조현상에
의한 것이다. 실내 공기의 부족으로 소화가 된지 약 30초 후(점화 후 약 80초)에 문을
개방하였고, 약 5초 이후에 화염이 분출하며 온도는 급상승하기 시작하였고 1000℃
까지 계속 증가하였다. 또한 산소농도는 약 1.5%에서 10%로 급격히 상승했다.
여기서 자기소화는 연소재에서 발생하는 열분해 가스(pyrolyzate)의 발생속도가 증
가함에도 불구하고 개구부에서의 유입공기에 의한 산소공급량이 충분하지 않은 조건
하에서 발생할 수 있다. 즉, 구획 내의 천장부근은 구획 내의 연소 진행과 함께 연료과
잉, 무산소 상태에 가까워져 자기소화 하는 것으로 보인다.
한편 백드래프트가 발생하고 급격히 연소한 후 산소농도가 떨어진 상태에서 신선한
공기가 재유입 될 수 있으며, 가연물의 미연소 증기가 남아있다면 제2의 백드래프트가
발생할 수도 있다. 즉 온도저하와 상승, 산소농도의 증가와 감소가 반복되어 수차례의
백드래프트가 일어날 수도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이상에서 천장부근의 급격한 온도저하와 산소농도의 상승은 백드래프트 발생의 중요
한 전조현상 중 하나라 할 수 있다.

109
15

Heat flux

Heat flux (kW/m ) 10


2

0
0 50 100 150

Time(sec)
그림 104 화재실 B의 백드래프트 발생시 화염으로부터의
복사열유속 변화(2m 앞)

3) 화염 분출 특성
백드래프트 발생 시 개구부 부근의 상황이나 형성되는 파이어 볼의 성장과정 등을
살펴 보기 위해 비디오카메라를 이용해 관찰하였다. 아래 그림은 발생 특성을 연속사
진으로 나타낸 것으로 그림 (a)에서 (l)까지 걸린 시간은 약 300초 이다.
백드래프트가 구획 내에서 발생하면, 처음에 개구부에서 한 덩이의 연기가 분출한다.
이어서 더 많은 연기가 분출되면서 작은 혀 모양의 화염이 성장한다. 이 화염에 의해
개구부 부근에 분출한 가연성 가스가 착화되어 럭비공 모양의 커다란 파이어볼이 형성
된다. 이 파이어볼의 소멸 후에는 구획 내에서 분출하는 가연성 가스에 의한 연소가
계속되며, 구획 내의 가연성 가스와 산소가 반응해서 이 화염도 결국 소멸되어 간다.
이상의 관찰에서 개구부에서의 연기 분출은 구획 외부에 형성되는 파이어 볼의 전조현
상임을 알 수 있었는데, 연기 분출 후 1초 이내에 파이어 볼이 형성되기 때문에 각별
한 주의가 필요하다.

110
점화 준비 점화 출입문 폐쇄

시험 진행 연소 중 소화 후 출입문 개방

연기 발생 백드래프트 발생 화재의 성장

백드래프트 최성기 백드래프트 소멸기 소화

그림 105 시간에 따른 백드래프트 발생 모습

111
4) 백드래프트 발생기구의 고찰
이상의 실험결과에서 기밀 및 단열 소형구획실의 저환기 상태에서의 백드래프트 발
생 기구의 특성은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a) 구획 내 화염의 자기소화


자기소화는 구획 내 화염의 진행과 더불어 연소재에서 발생하는 열분해에 의해 생기
는 가연성 가스의 발생속도가 증가해 감에도 불구하고 개구부에서의 유입공기에 의한
산소공급량이 충분하지 않은 조건 하에서 생길 수 있다. 즉, 화재실 내 천장부근의 화
염은 연소진행과 더불어 연료 과잉, 무산소 상태에 가까워져 자기소화한다.
(b) 백드래프트 발생의 전단계(가연성가스의 생성과 축적, 산소와의 혼합)
자기소화 후 화염이 소멸해도 연소재 에서는 가연성가스 발생이 계속된다. 한편, 개
구부에서의 공기 유입과 더불어 천장부근의 산소농도도 증가한다. 그 결과, 천장부근의
가연성 가스는 연소가능한 상태가 된다.
(c) 백드래프트 발생(폭연 발생과 에너지 방산)
폭발범위의 가연성 가스는 연소재의 탄화층 적열부 등을 착화원으로 폭발적인 연소
(폭연)를 개시한다. 백드래프트 발생 후에는 가연성 가스 및 산소를 모두 소비하기 위
해 구획 내의 화염은 연소를 지속하고, 이후 연소재가 소진되어 화염은 소화된다.

라. 화재시뮬레이션 결과
1) 모델링
백드래프트 현상은 밀폐된 공간에서 높은 온도의 가연성가스가 많이 차 있을 때 출
입문 개방에 의해 산소가 공급될 시에 일어나게 된다. 따라서 백드래프트 현상을 구현
하기 위한 모델링 공간은 실험용 화재실의 크기 및 구조와 동일하게 L6 × W3 ×
H2.3m로 하였으며, 내부 벽면 내장재를 CRC 내화보드, 바닥은 내화 모르탈로 하였다.
그리고 출입문 형태의 개구부를 설치하였다. 그림 106은 모델링 공간의 형상 및 크기,
내장재의 배치를 나타내고 있다.
화재 시나리오로서는 화원의 위치 및 크기는 소파 위 0.5m×0.5m 크기로 하였고 화
원의 HRRPUA는 300kW/㎡로 하였으며 내부를 밀폐 시킨 후 산소농도 감소에 의하여
화염이 없어지면 우측문을 열어 백드래프트가 일어나는지를 관찰하였다.

112
그림 106 백드래프트용 화재실 공간의 형상 및 크기

2) 결과 및 분석
화재실내의 백드래프트 모델링은 다음과 같이 수행하였다. 먼저 화재실 내부를 밀폐
시킨 후 가연물에 의한 연소가 일정시간 동안 지속되다가 산소농도의 감소에 의해 화
염이 없어지면 대신 높은 온도의 가연성가스가 가득 차있는 상태가 된다. 이때 출입문
을 개방하면 산소가 새로이 공급되면서 폭발에 가까운 백드래프트가 발생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화재실의 조건이 일정 농도의 가연성 가스 및 온도가 유지되어있는 상태
에서 개구부가 개방되면 산소의 유입으로 개구부 쪽으로 급격하게 화염이 확산된다.
그림 107은 백드래프트가 일어나는 것을 모델링 한 것으로서 약 20초 정도까지는 화
염이 진행되다가 약 30초가 넘어가게 되면서 화염이 소멸되게 되고, 가연성 가스가 가
득 차 있는 상태에서 임의적으로 약 40초정도에 화재실의 출입문을 개방하였을 때 백
드래프트가 발생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화재실내에 있는 일정 온도의 가연성가스는 입구에서 유입된 산소와 급격한 반응하
며 신선한 공기가 들어오는 입구를 통하여 밖으로 분출 된다. 그림 108은 시간에 따른
HRR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로서 초기에는 열방출률이 증가하지만 곧 산소의 부족으
로 열방출률이 감소되게 되고 40초 이후에는 다시 산소의 유입으로 인해 열방출률이
증가함을 나타내고 있다.
그림 109는 시간에 따른 화재실내의 출입문쪽의 높이별 온도 변화를 나타낸 것으로
화재가 진행되는 약 20초까지 지속적으로 상승하다가 불이 꺼지면서 온도가 서서히
하강하게 되고 이 온도가 발화 온도 이하로 떨어지기 전에 좌측 출입구를 열어주어 백

113
드래프트 현상이 발생되는지 관찰하였다.
그림 110은 출입문에서의 연소 가스 및 산소 농도가 화재 발생 후 백드래프트가 일
어날 때까지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백드래프트가 일어나기 위해서는 실내에 가연성
가스가 일정한 양 이상 축적 되어 있어야 하며 이러한 가연성 가스의 축적과 일정 온
도를 가지고 있다면 백드래프트가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가연성가스 농도가 유지되기
위해서는 가연성 가스가 밖으로 나가지 않도록 밀폐된 공간이 되어야 한다. 이렇게
FDS를 통하여 관찰된 백드래프트를 관찰한 결과 실제 화재 시와 같이 입구에서의 폭
발적인 연소는 볼 수 없었지만 가연성가스가 산소와 반응하여 입구방향으로 분출하게
되는 백드래프트와 비슷한 형상은 볼 수 있었다.

114
시간
(sec)
화 염 연 기

10sec

20sec

30sec

41sec
(우측
문개방
)

50sec

60sec

그림 107 백드래프트 형성 과정

115
3000

2500

2000
HRR(kW)
1500

1000

500
Backdraft 지점

0
0 10 20 30 40 50 60 70 80
TIM E(sec)

그림 108 백드래프트 발생시 열방출률(HRR) 변화

600

500

400
HRR(kW)

300
2.3m
200 1.8m
1.3m
100 0.8m
0.3m
0
0 10 20 30 40 50 60 70 80
TIM E(sec)

그림 109 백드래프트 발생시 화재실 온도변화(출입문)

116
6000
CO 농도(천정부)
5000

X_CO(ppm)
4000

3000
일산화탄소
2000
농도 변화
1000

0
0 20 40 60 80 100
TIME(sec)

0.16
CO2 농도(천정부)
0.14
X_CO2(mol/mol)

0.12
0.10
0.08
이산화탄소
0.06
농도 변화
0.04
0.02
0.00
0 20 40 60 80 100
TIME(sec)

0.25
O2 농도(천정부)

0.20
X_O2(kg/kg)

0.15

산소 0.10
농도 변화
0.05

0.00
0 20 40 60 80 100
TIME(sec)

그림 110 연소가스 및 산소농도 변화(출입문)

117
제 5장 결 론
이 연구에서 가연물의 종류와 형태에 따른 화염확산속도 측정, 공기의 유속과 풍향
에 따른 화염확산속도의 변화 관찰, 플래시오버와 백드래프트 현상의 연구 등을 통하
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고체 가연물은 같은 물질이라도 놓여진 방향에 따라 연소속도가 달라지며, 특히 연


소방향과 일치할 때 연소속도가 최대가 된다.

2. 액체가연물은 화염체적이 큰 경우에 질량연소율도 크지만, 화염전파속도는 반대의


경우에 빠르게 나타났다. 즉 질량연소율이 전적으로 연소속도를 의미하지는 못하며, 물
질의 화재위험성은 여러 가지 항목을 동시에 살펴보아야 평가할 수 있다.

3. 고체가연물의 화염확대속도는 선형적이 아니라 시간에 따라 점점 증가해가는 이차


함수 형태이다. 따라서 화재발생시 초기 진압이 중요하며 일정한 시기를 놓치면 위험
한 상황이 된다.

4. 화재실의 환기조건은 화재성장속도에 큰 영향을 미치는데, 특히 실내 전체에 신선


한 공기가 적절히 공급되는 유입구와 배기구가 반대방향인 측벽 강제환기 방식이 화재
성장에 유리한 조건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 방향으로의 환기속도 증가는 수직 방향의
화재확산에 불리하게 작용한다.

5. 바람의 유속이 증가하면 일반적으로 가연물의 연소속도도 증가하는데, 특히 무풍조


건에 비해 연소속도가 급격히 증가하는 물질이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또한 양방향에
서 바람이 불게 되면 화재성장의 위험성은 더욱 커지게 된다.

118
6. 순풍방향의 바람은 화염전파를 촉진시키고, 역풍은 억제시키는 효과가 확인되었다.
그러나 화염의 이동이 제한되는 것이지 화염자체가 약화되는 것은 아니므로 소화활동
시 바람의 유동방향을 잘 파악하여 급작스런 화염전파에 의한 피해를 입지 않도록 주
의해야 한다.

7. 화염이 실내 전체로 확대되는 플래시오버 발생 순간에는 바닥의 가연물이 일시에


연소하여 큰 열원이 형성되고, 최고온도지점이 일시적으로 화재실의 아래쪽으로 옮겨
가게 된다.

8. 소멸 단계의 화재는 화재실 내의 천장 부근의 온도와 산소농도의 변화로 백드래프


트의 발생을 예측할 수 있으며, 이의 예방과 안전한 소화활동을 위해 개구부의 확보와
산소공급율의 조절이 신중히 행해져야 한다.

119
제6장 연구개발 목표달성도 및 대외기여도

제1절 연구개발 목표달성도

1. 가연물의 종류와 형태에 따른 화염확산속도 측정

- 4종의 고체가연물과 7종의 액체가연물에 대해 질량연소율과 화염전파속도 그리고


화염확대속도를 가연물의 2차원 방향 또는 3차원 형태에 따라 측정하고 비교분석 하
였음.

2. 환기조건에 따른 화염확산속도 측정

- 화재실 내의 환기조건(자연환기, 강제환기, 밀폐)에 따른 가연물의 화염확대속도


와 질량연소율의 변화를 살펴보고 환기형태에 따른 화재위험성 고찰을 완료함.

3. 바람의 유속과 방향에 따른 화염확산속도 연구

- 화염 주위 공기의 유속과 화염전파방향, 이중방향(맞바람) 등의 조건에 따른 질


량연소율이나 화염전파속도를 비교분석하여 화재시 바람이 화재확대 및 전파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함.

4. 플래시오버의 발생기구 및 특성 고찰

- 모형화재실에 각종 가구 및 가전제품을 실제 거주실과 유사한 형태로 배치하고


화재를 발생시켜 플래시오버의 발생기구 및 특성 고찰을 완료함.

5. 백드래프트의 발생기구 및 특성 고찰

- 목재 크립화재 모형을 이용한 모형화재실 내에서의 백드래프트 발생실험을 수행

120
하여 내부온도 및 산소농도의 변화 등을 측정하고 환기조건과의 관계를 살펴봄.

6. 화재시뮬레이션(FDS)을 이용한 실험결과의 예측

- 플래시오버, 백드래프트와 같은 특별한 현상들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실험을


통해 얻어진 결과와 비교 검토하여 시뮬레이션 결과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미지의 실
험결과를 예측하여 얻어냄.

제2절 관련 분야의 기술발전 기여도

건축 설계분야, 인테리어 분야 등의 발전과 더불어 화재성장에 대한 이 연구결과는


이들 분야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함은 물론, 방화관리자의 소화활동과 소방대원의 화재
진압시에 실용적이고 안전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며, 나아가 화재안전성 향상에 초석이
될 것이다.

121
제 7장 연구개발 결과의 활용계획

제1절 추가 연구의 필요성 및 타 연구에의 응용

이 연구를 통해 여러 조건에서의 화염확산의 여러 기초적인 특성들을 고찰하여 많은


정보를 얻었다. 그러나 보다 정량적이고 실용적인 데이터를 얻기 위해서는 실대 규모
의 화재실험이 필요하고 각종 생활용품(가연물)들의 화염확산시험이 반복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궁극적으로 플래시오버의 지연방안과 백드래프트 발생 방지를 위해서
는 다양한 환기조건 및 가연물 조건에 따른 여러 차례의 반복 화재시험을 통해 정량적
인 함수관계를 밝혀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 연구결과는 화재거동에 대한 기초지식
은 물론 소화활동과 화재진압활동에 유용한 정보와 지식을 공급해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제2절 기업화 추진방안

이 연구는 화재거동의 메커니즘을 이해하기 위한 화재역학의 기초분야 이므로 아직


기업화 추진단계는 아니다.

제3절 연구결과의 현장 소방업무 활용방안

일선 현장에서 업무를 수행하는 소방 및 구급대원들의 효과적인 활동을 위해 다음과


같이 이 연구에서 얻어진 유용한 결과를 제공하고자 한다.

1. 가연물의 종류와 형태에 따른 화염확산특성

가연물의 종류에 따라 화염확산속도가 큰 물질이 있으므로 화재진압시 주변의 위험


물들을 사전에 파악하여야 하고, 가연물의 배치와 화재확산 방향을 잘 살펴볼 필요가
있다.

122
2. 화재실의 환기조건에 따른 화염확대 특성

화재진압시 가연물의 종류, 형태 및 배치상태 등의 파악과 함께 화재실의 형태 및


체적, 환기조건 등의 파악도 무척 중요하다. 환기상태에 따른 화염확산특성을 이해하여
진압활동을 유리하게 이끌 수 있을 것이다.

3. 화염 주위 기류조건에 따른 연소특성

화재가 난 대상물의 주위에 부력에 의한 자연기류 및 압력차에 의한 바람의 영향으


로 연소양상이 달라질 수 있다. 특히 맞바람이 강하게 불 때 연소속도는 급격히 증가
하므로 화재진압에 더욱 주의하여야 할 것이다.

4. 플래시오버 발생기구의 이해 및 발생시간 예측

플래시오버 발생단계 및 기구를 충분히 이해하고, 화재시 현장경험을 통해 화재실


크기, 형태 또는 환기조건에 따라 발생시간의 추측이 가능할 것이고, 시뮬레이션의 반
복 수행으로 다양한 화재에 대한 신뢰도 높은 예측이 가능할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원활한 소화활동을 수행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5. 백드래프트 발생 예측과, 방지 또는 최소화 방안 마련

화재실의 천장부근 온도와 산소농도 등으로 백드래프트의 발생을 예측할 수 있으나


실험을 위한 공간이 아니 화재현장에서 실제로 이의 측정은 어려우므로, 시뮬레이션과
실험의 반복수행 및 검증에 의한 신뢰도 향상을 통해 시뮬레이션 결과를 적극 활용하
는 것이 합리적일 것으로 생각한다. 또한 적외선 온도측정기나 가스농도 측정기 등 첨
단 계측기기의 보급에 의한 소방장비의 과학화도 함께 많은 도움을 줄 것이다.

123
참고문헌

1. “Standard Test Method for Determining Material Ignition and Flame Spread
Properties”, ASTM E 1321, in 1996 Annual Book of ASTM Standards, Sec.

4, Construction, (West Conshohocken, PA: American Society for Testing and


Materials, 1996).
2. J. G. Quintiere, and M. Harkleroad, New Concepts for Measuring Flame

Spread Properties, NBSIR 84-2943 (Gathisburg, MD: September 1980,


National Bureau of Standards, November, 1984).
3. J. G. Quintiere, "A simulation model for Fire Growth on Materials Subject
to a Room-Corner Test", Fire Safety Journal 20 (1993): 313-339.

4. P. H. Thomas, "Some Aspects of the Growth and Spread of Fire in the


Open", Forestry 20, No. 2 (1967): 139-164.

5. P. H. Thomas, "Rates of Spread of Some Wind-driven Fires", Forestry 44,

No. 2 (1971): 155-175.


6. Y. Nagano, "Fires" in Comprehensive Study of the Great Hanshin
Earthquake, UNCRD Research Report Series No. 12 (Nagoya, Japan: United
Nations Center for Regional Development, H. Kaji, Director, 1995), pp. 117.
7. K. Akita, "Some Problems of Flame Spread Along a Liquid Surface",

Fourteenth Symposium (International) on Combustion (Pittsburgh, PA: The


Combustion Institute, 1973), pp. 1075-1084.
8. A. Tewarson, “Generation of Heat and Chemical Compounds in Fires”,
Chapl 3-4 in SFPE Handbook of Fire Protection Engineering, 2nd. ed.
edited by P. J. DiNenno (Quincy, MA. National Fire Protection Association,
June 1995).
9. J. G. Quintiere, G. Haynes, and B. T. Rhodes, "Applications of a Model to
Predict Flame Spread over Interior Finish Materials in a Compartment",

Journal of Fire Protection Engineering 7, No. 1 (1995)L 1-14

124
10. R. C. Corlett, and T. M. Fu, "Some Recent Experiments with Pool Fires",

Pyrodynamics 4 (1966): 253-269.


11. H. C. Kung, and P. Stravrianidis, "Buoyant Plumes of Large-Scale Pool
Fires", in Nineteenth Symposium (International) on Combustion (Pittsburgh,

PA: The Combustion Institute, 1982), pp. 905-912.


12. V. Babrauskas, "Buirning Rates", Chap. 3-1 in SFPE Handbook of Fire

Protection Engineering, 2nd. ed., edited by P. J. DiNenno (Quincy, MA:


National Fire Protection Association, June 1995).
13. G. Quintiere, "Growth of Fire on Building Compartments", in Fire
Standards and Safety, ASTM STP 614, edited by A. F. Robertson (West
Conshohocken, PA: American Society for Testing and Materials, 1977), pp.
131-167
14. G. Heskestad, "Venting Practices:, Sec. 6, Chap. 10 in Fire Protection

Handbook, 17th ed., edited by A. E. Cote and J. L. Linville (Quincy, MA:


National Fire Protection Association, 1991), pp. 6.105-6.106.
15. D. Gross, Data Sources for Parameters Used in Predictive Modeling of

Fire and Growth and Smoke Spread, NBSIR 85-3223 (Gaithersburg, MD:
National Burear of Standards, September 1985).
16. "Guide for Smoke Management System in Malls, Atria, and Large Areas",

National Fire Codes, Vol. 10, NFPA 92B, 1991 ed., (Quincy, MA: National
Fire Protection Association, 1995), pp. 92B-30.

125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