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91

1

2
3

1. 건축물의 화재 및 인명안전설계 1.1. 화재의 이해 5

1.2. 피난의 이해 9

1.3. 건축계획 단계별 고려사항 12


1.3.1. 배치계획 13
1.3.2. 평면계획 16
1.3.3. 단면계획 17
1.3.4. 입면계획 18
1.3.5. 마감계획 19

2. 관련 법규의 항목 2.1. 건축 관련 법규 20
2.2. 소방 관련 법규 24

3. 건축방재 분야 3.1. 내화구조 25


3.1.1. 내화성능 25
3.1.2. 내화구조 27
3.1.3. 내화설계 32
3.1.4. 내화피복 공법 35
3.2. 방화구획 42
3.2.1. 연소확대 방지 42
3.2.2. 방화구획의 목적 44
3.2.3. 방화구획의 범위 및 구성 45
3.2.4. 방화구획 계획 프로세스 58
3.2.5. 주요실 방화구획 관련 계획사항 59
3.2.6. 방화구획 관련 도면 작성방법 60
3.2.7. 내화 충전 공법 63
3.3. 건축물의 마감재료 65
3.3.1. 건축물의 내부 마감재료 적용대상 67
3.3.2. 건축물의 외벽 마감재료 적용대상 70
3.3.3. 불연재료 관련 법규항목 71
3.3.4. 방염재료 73
3.3.5 재료 선정시 유의사항 74
4

3. 건축방재 분야 3.4. 피난시설 계획 75


3.4.1. 계단 77
3.4.2. 복도 85
3.4.3. 출구 89
3.4.4. 대피공간 92
3.4.5. 하향식 피난구 95
3.4.6. 피난안전구역 97
3.4.7. 옥상광장 및 헬리포트 100
3.4.8. 승강기 103
3.4.9. 지하층의 구조 및 설비 108
3.4.10. 화재 및 피난시뮬레이션을 통한 피난안전성평가 110
3.5. 기타 113
3.5.1. 방배연 계획 113
3.5.2. 배연창 계획 115
3.5.3. 소방관 진입창 계획 117
3.5.4. 종합방재실 설치 계획 121
3.5.5. 연결복도 123
3.5.6. 무창층 계획 124
3.5.7. 다중이용업 관련 계획 127
3.5.8. 테러 예방 계획 133
3.5.9. 기타 규모 및 용도에 따른 추가 검토사항 134

4.1. 소방시설의 분류 144


4. 소방시설 분야
4.2. 소화설비 145
4.2.1. 소화기구 145
4.2.2. 옥내소화전설비 147
4.2.3. 스프링클러설비 149
4.2.4. 간이스프링클러설비 154
4.2.5. 화재조기진압용 스프링클러설비 155
4.2.6. 물분무등 소화설비 156
4.2.7. 경보설비 164
4.2.8. 피난설비 169
4.2.9 소방용수설비 174
4.2.10 소화활동설비 175

5. 부록 I. 관련 법규 및 기준
1872
II. 참고 자료 1883
Fire Protection & Life Safety Plan

1. 건축물의 화재 및 인명안전설계

1.1. 화재의 이해
가. 연소
 상온에서 기체, 액체, 고체 상태의 가연성 물질이 최소한의 점화 에너지의 공급으로 공기 중의 산소
또는 산화제와 반응하여 외부로 열과 빛을 발생하는 산화 혹은 분해반응
 연소의 3대 요소 : 가연성 물질(연료), 산소공급원(공기), 점화원(온도)
 인화 : 점화를 일으키는 화염, 전기불꽃에 의해 착화되는 현상
 발화 : 물체 내부의 온도 상승에 의해 스스로 착화되는 현상

연소가스의 유해성 유발 증상 발생 행위

- 짙은 연기로 인한 전방의 물체 식별 장애
시각적 유해성 - 피난층 피난에 애로 발생
- 유도표지 인식 불가

- 일산화탄소에 의한 중독현상 (화재시 5% 이상 발생)


생리적 유해성 - 산소 결핍에 의한 질식 (6% 이하시 사망) - 인간 생리 기능에 영향
- 연기 입자 흡입에 의한 호흡 곤란

심리적 유해성 - 공포심 유발 - 행동의 자유를 잃거나, 이상 행동

나. 연기
 물질의 열분해 생성물로서, 배출되는 수증기, 타르계의 입자, 그을음(매연) 등의 각 입자가 대기 중에
확산 부유하여 화재에 의한 열에 따라 유동하는 현상
 연기의 이동 특성
(1) 연기는 발화층에서 상부로 상승하여 천장에 닿은 후 수평으로 확산하면서 벽면을 타고 하강
(2) 연소에 필요한 공기는 연기의 유동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유동
(3) 연기층의 두께는 연도의 강하에 따라 변화
 연기 속에서의 보행속도 영향요소 : 복도와 실내의 밝기, 건물 내 숙지도, 연기농도, 눈 자극 정도

다. 건물 내 연기 유동 및 확대
 연기는 열분해 가스류와 함께 실의 천장부에 도달한 후에 사방으로 확대되고, 벽체에 도달한 이후에
하강하여 실 전체로 확산되는 경로로 이동
6

 실의 일부에 개구부가 있는 경우 : 상부로부터 다른 구획(옥외)으로 연기가 유출되고, 하부로는 다른


구획(옥외)에서 공기가 유입되어 연소가 지속적으로 유지
 연기 속도는 복도와 로비에서 0.5~1.0m/sec이며, 온도차와 위치의 고저차에 따른 부력효과 때문에
계단실과 에스컬레이터, 승강기의 승강로(샤프트), 수직덕트에서 수직통로 최상부까지 빨리 상승
 수직통로의 상부에 개구부가 없으면 연기가 상부에 체류한 후에 하강하기 시작하고, 하강 시 개구부로
유출되어 해당 층으로 연기가 확산
 화재층과 상층부의 계단실문 개방 : 통풍효과에 의해 다량의 연기와 열기류가 수직통로에 유입되고
상층부로 확산되어 인명피해의 우려가 높으므로 방화문은 항상 닫힌 상태 유지

통풍효과 (Draft Effect)

화재로 인해 실내공기가 가벼워져서(부력 발생) 상승하며 실내를 빠져나가 실내는 압력이 낮아지고, 압력의
평형을 유지하기 위해 실외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순환 효과

라. 화염 분출
 화재가 일정크기 이상으로 발전하게 되면 실내 외부의 밀도차에 의해서 화염이 실내에서 실외로 분출
 화염은 실내화재가 점차 발전하여 실내가 고열화되고 이로 인해 유리창이 팽창하여 파괴되면서 분출
 화염은 중성대를 중심으로 상부측에서 외부로 분출되고, 실내보다 높아진 외부의 압력으로 인해 공기가
하부로 유입되어서 실내 압력이 외부보다 높아진 중성대 상부의 외부 분출이 반복

중성대 (Neutral Zone)

- 천장과 바닥의 사이에서 실내정압(Pi)과 실외정압(Po)이 같아지는 면 (Pi=Po)

- 실내외의 온도차로 인해 생기는 밀도차 때문에 중성대 위쪽은 실내정압이 실외보다 높아 실내에서 실외로
공기가 유출되고, 중성대 아래쪽에는 실외에서 실내로 공기가 유입되는 기류의 흐름 중간에 발생되는 압력
0의 지대 (중성대가 천장 가까이에 형성될수록 환기효과 최대)

- 자연배연구는 배연구의 크기만으로는 배연효과를 얻을 수 없고 설치위치(높이)도 함께 고려되어야 하므로,


배연구는 화재시 발생하는 중성대 위에 설치하는 것이 배연효과가 가장 큼.

- 법규상 배연구는 반자높이가 바닥으로부터 3m 미만인 경우 반자로부터 수직거리 0.9m 이내 설치하도록 규정


Fire Protection & Life Safety Plan

마. 화재 진행 단계

화재 단계 단계별 현상 비고

화재개시
- 자발적 착화 및 대량연료의 자발적 연소 단계
(Fire Initiation)

- 연기가 발생하는 단계 일반적으로


초기단계
- 재실자의 연기냄새 인식과 연기 감지기 작동으로 착화 이전에 감지 시뮬레이션에서
(Incipient Stage)
- 스프링클러와 열감지기가 작동하는 열 발생상황이 없음 무시

- 훈소연소 : 착화의 후속과정, 몇 시간에서 며칠동안 서서히 진행되는 화재 이며


소멸 가능 (연기와 유독가스로 인해 화염화재보다 치명적,
연소 스프링클러와 열감지기를 작동시키는 열이 미발생하여 위험)
(Combustion) - 화염연소 : 화재의 전개속도가 빠르고 고형연료에서 발생하는 발열성
화학반응 (화재시 불완전 연소는 일산화탄소, 일부 탄소 등
검정연기로 산화)

- 생성된 열과 연기가 인명 안전에 위협을 주는 단계로, 화재가 확산되고


연소면적과 열방출율 증대
- 유입된 공기량에 따라 상부층에 연기와 고온가스를 운반하며, 상부층의
온도는 플룸에 의해 천장으로 운반된 연소 부산물인 열과 고온가스로
화재 성장 단계
인하여 급격히 상승 (스프링클러와 열감지기 작동 원인)
(Fire Growth Stage)
- 연기폭발 : 연도 주변에 모여 있는 고온 가스가 신선한 공기 유입에 의해
일시적으로 폭발하는 현상
- 백 드래프트 : 신선한 공기의 유입통로를 거슬러 건축물 화재가 역으로
급속히 이동하는 현상

- 상부층 온도가 600℃에 도달하고 바닥이 직접 복사에 의해 20kW/ ㎡ 에


플래시 오버는
도달하게 되면 모든 가연성 물질의 노출면은 일시적으로 착화
항상 발생되지
- 화재가 지속적으로 진행하여 화재실의 온도가 상승하고 노출된 모든 표면이
플래시오버 않음 (높은
화염으로부터 복사에 의해 가열되어 큰 화재로 발전
(Flash Over) 온도에 도달하지
- 작은 부분의 화재에서 해당구획 전체가 화재로 전이
않고 공급되는
(열방출율과 상부층 온도가 급격히 상승)
산소 부족 등)
- 고온, 일산화탄소와 연기의 집중, 산소부족 등으로 지속 어려움

최성기
- 화재실 개구부의 연소율과 환기에 의해 화재 지속 결정
(Fully-Developed Fire)

감쇠기
- 연료가 타버려서 점차적으로 감소
(Decay Stage)

간섭
- 소화 등의 간섭 발생
(Intervention)

바. 플래시오버(Flash Over)와 소방계획

화재 성장 단계 연소 유형 계획 고려 사항

- 화재시 소모되는 연료의 연소시간율에 따라 - 열과 연기의 거동 예측


플래시 오버 이전
화재 성장 제한 - 실내 화재감지기, 스프링클러 반응

- 환기량에 따라 최대 화재크기 좌우 - 방화구획과 화재구획, 화재하중


플래시 오버 이후
(공기에 의한 연소보다 열분해되는 단계) - 화재저항성, 내화구조용 구조재
8

사. 화재 안전 설계 고려사항
 화재 발생시 재실자가 안전한 장소로 이동하기까지 방해되는 각종 위협요소 등으로부터 인명안전 기준
이하가 되지 않도록 호흡한계선의 청결층을 최대한 지속하여야 한다. 이때 청결층이 지속되는 시간을
허용피난시간이라고 하며, 연소생성물에 의해 위험이 파급되기 전까지의 시간인 허용피난시간(ASET)을
늘리는 것이 화재 안전설계의 핵심이다.

ASET을 늘리는 대책 계획 고려 사항
- 방화, 방연구획
Passive System
- 피난안전층
건축시설 시스템
- 내장재 불연화
- 스프링클러 등 자동식 소화설비
Active System
- 소화기, 옥내·외 소화전
소방시설 시스템
- 제연설비

ASET(Available Safe Egress Time) 허용피난시간


- 호흡한계선인 청결층의 높이가 1.8m 이하로 내려오는 시간, 화재실 내의 CO가 1,400ppm 이상이 되는 시간,
O2가 15%이하로 떨어지는 시간, CO2가 5% 이상이 되는 시간 일 수도 있다. 즉 사람이 안전한 장소로
이동하는 것을 방해하는 각종 위협요소들이 인명안전 기준 이하로 되는 시간까지를 측정한다.

ASET(허용피난시간) < RSET(피난소요시간) + 여유시간 → 피난안전성 확보

: 총 피난시간인 RSET에 여유 시간을 확보했을 때 이를 ASET으로 표현한다. 다시말해 피난에 필요한 시간을
제외하고도 여유 시간이 남아야 한다. 이 시간의 기점은 실내가 Flash Over에 이르기 전까지를 의미한다.
화재시에 사람이 실내에 거주할 수 있는 마지막 한계를 Flash Over가 발생하는 시간으로 보고 있기 때문이다.
Fire Protection & Life Safety Plan

1.2. 피난의 이해
가. 화재 시 위험한계
 내열 한계 : 복사열에 대한 피부의 생리적 수용한계 시간 (통상복에 비해 내열방호복은 2배)
 내연 한계 : 시정 4m (연기가 눈을 자극하고 호흡 곤란), 투과율 40%, 감광계수 0.7
 내가스 한계 : 농도 x 시간에 좌우, CO가스 2~4%/min

나. 피난능력
 군중보행 : 통로 폭의 제약이 있는 장소에서 발생하며, 늦은 보속자로 인해 동조자가 점차 증가하여
추월이 곤란, 1m/sec의 속도
 군중 유동계수 : 많은 사람들이 서둘러 출구에서 나가려고 할 때 한 번에 나갈 수 없는 계수, 출입구
-1.5인/m·sec(개찰구, 전철문 등), 계단-1.3인/m·sec(기차, 버스 출입구 등)
 계단 : 남자의 평균보수 120/min, 여자 평균 보수-130/min, 계단 1단-0.5sec

다. 피난 특성

피난 본능 특성 계획 고려 사항

- 원래의 왔던 길로 되돌아가고,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경로로


- 피난계단, 출구까지 안전하게 피난할
귀소 본능 탈출을 시도하려는 본능
수 있도록 계획 고려
- 항상 사용하는 복도, 계단, 승강기 부근에 모임

- 사태 위급성을 인지하면 그 자리에서 멀어지려는 본능


회피 본능 - 건물 중심부의 연기와 불꽃 상승 시 외주부로 피난하고, - 피난통로 계획 시 위치와 방향 고려
외주부에서 연기와 불꽃 상승 시 중앙방향으로 퇴피

- 밝은 곳을 찾아 밖으로 달아나려는 본능
지광 본능 - 연기가 많이 발생되는 화재는 발코니, 옥외계단으로 향해 피난 - 피난 경로를 집중적으로 밝게 조치
- 지하 및 무창층에서는 지상의 통로와 계단 입구를 찾아 피난

- 좌측벽면을 따라 피난하거나 반시계


좌회 본능 - 오른손잡이가 많아서 어둠 속에서 왼쪽으로 도는 본능
방향으로 하향 회전 고려

추종 본능 - 한사람의 리더에게 많은 사람이 추종하게 되는 본능 - 적절한 피난 유도 훈련 필요

라. 피난계획의 기본원칙
 양방향 피난로 확보 : 복도에서의 양방향 피난, 거실에서의 양방향 피난
 단순, 명쾌한 피난로 구성
 안전구획의 설정 : 피난자를 화염 및 연기로부터 보호하고 동시에 직통계단으로의 연기유입방지
(예: 전실), 피난층의 계단으로부터 옥외로의 출구까지 방화구획 된 복도

 피난시설의 방화, 방연 : 재실자가 피난하는 경로에는 화염 및 연기로부터 보호될 수 있도록 계획


 인간의 심리, 생리를 배려한 계획 : 피난동선과 일상동선을 일치시켜 평소 이용하는 복도나 계단을 사용하여
안전하게 피난할 수 있는 동선계획 계획, 패닉방지를 위해 위험한 장소에 장시간 체류가 발생하지 않도록
적절한 피난유도체계 수립
10

 대규모 복합건축물의 구획 방침 : 관리부분이 복합된 대규모 복합건축물에서는 화재의 영향이 타 관


리부분에 미치지 않도록 방화상 독립된 부분으로 구획
 재해약자를 배려한 계획 : 불특정 다수가 이용하는 건축물 특히 병원, 사회복지시설 등에는 재해약자를
배려하는 피난계획 필요

피난원칙 특성 계획 고려 사항

Fool Proof 원칙 - 이성적 판단능력 저해 시 인간본능에 - 피난로의 단순 명확한 구조


(단순, 명료화) 의해 피난가능하도록 설계 - 막다른 부분(dead end)의 제한

- 양방향 피난로 확보를 위한 공용이용통로


Fail Safe 원칙 - 하나의 피난수단이 실패하더라도 다른
제한을 통한 양방향 피난대책 최적화
(다중화, 부분화) 수단이 가능한 병렬화한 시스템
- 별도의 통로를 통한 양방향 피난구 확보

(1) Fool-proof : 시스템의 이상 또는 고장 시 인간이 혼란 없이 쉽게 대응할 수 있도록 단순하고 명쾌하게


대책을 수립하는 것으로 비상 시 인간의 행동특성에 따른 동작이 실현될 수 있도록 미 리 계획해 두는
것으로 초보자도 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설계하는 것을 말한다.

- 문자보다 색 또는 기호를 사용한다.


- 소화설비·경보설비의 위치, 유도표시 : 쉽게 판별할 수 있는 색채를 사용한다.
- 피난방향으로 문을 열 수 있게 한다.
- 도어(door) 노브는 회전식이 아니라 레버식 등 막대형(패닉바)으로 한다.
- 정전 시에도 자연채광이 유입되는 위치에 피난구를 설치한다.

(2) Fail-safe : 재해 시 시스템의 일부에 이상 또는 고장이 발생해도 일정한 안전성을 확보하는 것으로
재해 발생이 곧바로 중대한 사고나 위험으로 파급되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을 말한다. 계층구조에 의한
재해의 전체 파급방지 대책으로 재해 초기단계에서 Subsystem의 일부를 붕괴하게 만들어 고장이나
이상상태가 시스템 전체로 파급되지 않도록 계층구조를 취할 수 있으며, 시스템의 병렬화에 의한
대책(다중화)으로 시스템을 병렬로 설계하여 일부에 이상 또는 고장이 발생해도 다른 시스템으로
안전을 확보하도록 할 수 있다.

- 방화구획, 제연구획
- 스프링클러에 의한 화재제어(국한화) 등
- 2방향 피난로 확보, 피난로의 순차적 안전구획
- 비상전원(예비전원), 예비펌프, 루프배관 및 배선, 옥상수조 등
Fire Protection & Life Safety Plan

마. 피난 안전 설계 고려사항
 재실자들이 화재에 반응하여 피난을 개시할 때까지의 지연 행위에 필요한 시간과 피난을 하는데
소요되는 모든 시간인 피난소요시간(RSET)을 단축하는 것이 피난안전 설계에 핵심이다.

RSET을 줄이는 대책 계획 고려 사항

- 양방향 피난로 확보
Passive System - 이동 동선의 최단화
건축시설 시스템 - 피난계단 및 복도폭확장
- 거주밀도 하향조정

- 특수감지기(공기흡입형감지기)
Active System - 고휘도, 특수유도등
소방시설 시스템 - 피난용 승강기, 다수인 피난설비
- 속동형헤드, 아날로그감지기

RSET(Required Safe Egress Time) 피난소요시간


- 총 피난시간 또는 최소 피난시간으로 정의된다. 화재가 발생하여 열 또는 연기가 천장에 축적되고 이를
감지기가 인식한 후 경종에서 화재사실을 알리는 음향이 발하여지고, 이를 사람들이 인식한 후 어디로 피난할
것인지를 판단한 다음 실제 피난을 개시하여 피난이 완료된 시점까지를 총 피난시간으로 계산한다. 재실자가
있던 장소에서 화재를 인지하고 대피를 시작하여 안전한 장소로 이동하는 데 까지 소요되는 물리적 시간이다.

RSET = 감지시간 + 경보시간 + 지연시간 + 피난시간


12

1.3. 건축계획 단계별 고려사항


주로 피난 및 인명 구조, 화재의 확산방지, 소방활동과 관련된 주요 내용 위주로 취급하고 있으며, 소방분
야와의 협업 및 법규의 검토를 통해 실제 설계 시 상세한 계획내용을 반영해야 한다.
건축에서의 소방을 위한 투자와 소방분야에서의 시설투자는 상호 역비례 관계에 있다. 이는 건물의 피난·
방화성능이 향상될수록 소방시설의 부담은 감소하지만 방화구획 등이 증가할 경우 건축물이 자산가치를
저하시키므로 그 한계가 있다. 따라서 건축과 소방은 그 투자에 대한 최상의 방호화 가치 및 효용성이 창출될
수 있도록 계획되어야 한다.

건축과 소방의 상호 관계
- 건축물은 일반적으로 건축물 자체의 고유한 기능을 하며, 화재 등 비상시에는 방재적 기능을 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이 2가지 기능은 서로 상반된 면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 간격을 건축적, 설비적 방법으로
보완해야 한다.

방화대책 건축 (수동적 방화) 소방 (능동적 방화)


- 불조심
- 실내 내장재료의 불연화 · 난연화
1. 출화방지 및 화재성장·확산 방지 - 화기사용의 제한
- 가연물의 양 제한
- 방염
- 자탐설비
2. 화재의 발견
- 경보설비
- 소화설비
3. 화재의 국한 - 방화구획 (스프링클러설비 : 초기 소화)

4. 건물의 구조안전성 확보 - 내화구조 - 소방활동설비 (본격소화)

- 피난시설, 방 · 배연설비
- 피난설비
5. 수용인원의 안전 피난 - 피난용승강기
- 제연설비
- 피난안전구역
- 드렌쳐설비
6. 인접 건물로의 연소확대 방지 - 일제살수식 스프링클러
- 안전인동거리

건축계획 단계 계획 고려 사항 비고

- 인접건물 간 연소확대 우려가 없는지 고려


배치계획 - 건물 밖으로 피난한 사람들의 안전이 확보되는지 고려 - 1.3.1 참고
- 소방대의 진입과 활동에 지장이 없는지를 고려

- 조닝(Zoning)계획
- 안전구획
평면계획 - 1.3.2 참고
- 수직통로구획
- 용도구획

- 건물의 상하방향 공간구성 결정


- 고층건물 일정 높이마다 피난안전구역층 등 설치
단면계획 - 1.3.3 참고
- 단면 방화구획
- 수직통로의 방화, 방연 안전 구획

- 외관인 벽, 창, 출입구, 발코니 등의 구조에 대한 계획


입면계획 - 개구부를 통한 상층 연소확대방지를 위한 계획 - 1.3.4 참고
- 피난을 위한 발코니, 옥외피난계단 등에 대한 계획

- 각 공간, 부위에 요구되는 재료의 방화성능 이해


마감계획 - 재료의 특성을 고려하여 적절한 재료 선택 - 1.3.5 참고
- 건물의 불연화, 난연화 도모
Fire Protection & Life Safety Plan

1.3.1. 배치계획
 건축물의 배치 단계에서의 중요요소는 인근 건축물로의 화재 확산, 지역지구에 따른 소방계획, 건축물
밖으로의 피난, 소방장비 진입과 관련된 단지 계획 등이 있다.

가. 배치계획시 주요 고려사항

계획 범위 계획 고려사항 비고
- 건축물에서 외부로 피난시 옥외 피난자가 안전하게 도로나 광장에 도달할 수 있는 경로 확보
- 대지안 통로의 유효너비 : 단독주택 0.9m 이상, 바닥면적 500㎡ 이상
문화집회/종교/의료/위락시설/장례식장 3m, 기타 1.5m

건축법 49조
시행령 41조

- 안전하게 부지 내에 체류할 수 있는 공지 확보
- 건축선 이격거리(도로 포함) : 1.5~6m (준공업지역의 공장, 창고 등), 3~6m (1,000㎡
이상 다중이용건축물 등), 1~6m (기타 조례)
- 인접경계선 이격거리 : 1~6m (전용주거지역, 준공업지역), 1.5~6m (1,000㎡ 이상
다중이용건축물 등), 0.5~6m (기타 조례)

피난 확보
고려

건축법시행령
80조2 별표2

- 인접경계선 이격 예외, 맞벽건축, 연결통로 및 연결복도 설치 가능한 경우 : 상업지역에 건축법 59조


스프링클러 등 자동식 소화설비를 설치한 다중이용 건축물 및 공동주택 시행령 81조1

- 소방대 진입 및 활동에 지장 없는지 여부 고려 소방관련법


- 소방차나 소방헬기가 접근할 수 있는 진입로, 긴급구조용 공간 계획 검토
소방활동
- 소화나 구조를 위한 사다리차 등의 활동공간 확보 건축물방화
고려
- 소방대 활동을 지원하는 연결송수구나 비상용 승강기 등 배치 구조규칙
제18조의 2
- -소방대 진입창 배치 계획
14

나. 소방차 진입 및 소화활동 관련 배치계획 고려사항 (소방분야 가이드라인 / 서울시 소방재난본부, 2012.6)

계획 범위 및 기준 계획 고려사항 비고

- 건축물의 출입구까지 소방차량 진입 가능한 통로 설치


* 각 세대 출입구까지 소방차량 진입통로 설치 규정(공동 주택)을 모든 건축물에 준용

- 15층 (44.41m) 초과 건축물은 소방활동 공간 폭 6m 이상 확보


➔ 고가사다리 전개 시 안정적인 작동을 위해 아우트리거 전개 필수

소방기본법
제16조, 21조

소방차량 건축법시행령
진입동선 단지 내
도로 폭 제41조
소방차량 아우트리거 전개 가능한 도달 높이
(폭) 전개 너비 사다리 길이 (차량높이 포함) 주택건설기준
3.6m 제10조, 26조
최소 42m 44.41m
(아우트리거 1.2m 포함)
5.2m
최대 53.2m 55.23m
(아우트리거 2.8m 포함)

아우트리거 전개너비별 도달높이 (기립각도 75°)

- 아파트 단지내 소방차 통행로는 서로 연결되어 통행 가능한 구조


- 소방차 통행로 강도는 32톤 이상의 강도

- 도로 폭에 따라 모퉁이로부터 일정거리 후퇴하여 가각전제


➔ 단지 내 도로 최소너비(4m×4m) : 각각 10m 가각전제
➔ 단지 내 도로 최대너비(6m×6m) : 각각 1.2m 가각전제
- 도로 폭 7m 이상부터는 소방차량 회전 가능 (가각전제 불필요)

모퉁이에서의
소방차량
회전공간(반경)

B
도로폭
4m 5m 6m
4m 10m × 10m 10m × 4.6m 10m × 3.2m
A 5m 4.6m × 10m 4.6m × 4.6m 4.6m × 2.2m
6m 3.2m × 10m 2.2m × 4.6m 1.2m × 1.2m

도로 폭 4m : 10m 후퇴하여 가각전제


도로 폭 5m : 4.6m 후퇴하여 가각전제
도로 폭 6m : 접하는 도로에 따라 가각전제 너비 상이
(4m-3.2m, 5m-2.2m, 6m-1.2m 후퇴하여 가각전제)
소방차 통행을 위한 도로폭과 모퉁이 가각전제 폭
Fire Protection & Life Safety Plan

계획 범위 및 기준 계획 고려사항 비고
- 진입도로 중앙에 장애물 설치시 : 장애물로부터 도로너비 3m 이상 확보 도로구조,
소방차량 진입도로 (단지 내 도로는 국지도로에 해당)
시설규칙
장애물 설치 기준 * 국지도로 : 단독주택, 아파트단지, 학교 등에 연결하는 단계의 도로
3조,8조,10조
(최소 3m 이상 너비 필요)
- 문주 및 소방차 동선상의 필로티 높이 4.5m 이상 확보 도로구조,
단지 내 필로티 및 * 시설한계 : 일정 높이 범위 내에서 장애물을 설치하지 않는 것 (시설물 파괴 시설규칙 18조
문주 높이 방지 및 소방활동 방해 방지를 고려하여 시설한계에 문주 및 필로티 소방기본법
포함) 21조
- 건축물 높이별에 따라 이격거리 확보 : 5.95m 이상 (9층 이하)
~ 13.77m 이하 (19층 이상)
➔ 고가사다리 엘리베이터(바스킷)는 45°~75° 에서만 작동 가능
고가사다리
전개용 ➔ 엘리베이터 작동 가능한 사다리 길이 : 23m ~ 53.2m
이격거리 구분 (75° 전개시) 이격거리 (W) 도달높이 (H) 건축물 층수
26.1m
고가 23m 5.95m 9층
(차량높이 포함)
사다리
55.2m
길이 53.2m 13.77m 19층
(차량높이 포함)
55m 고가사다리차 이격거리 (건물외벽-턴테이블 중심) 및 도달높이

- 소방차전용 주차구획선으로 가로 6m, 세로 15m 공간 확보


➔ 이격거리 : 5.95~13.77m (‘고가사다리 전개용 이격거리’ 적용)
주차구획선 주차구획선 기준

- 구획선 크기 : 6m × 15m
소방차전용 - 구획선 굵기 : 폭 15cm
주차구획선 - 구획선 내 문구 : 소방차전용
- 글자크기 : 가로세로 각 1m
- 글자간격 : 각 1m
- 구획선/글자색상 : 황색야광페인트

소방차전용 주차구획선

소방활동 - 고가사다리차 등 소방활동용 도로의 경사도 5° 이하로 조성


공간을 위한 ➔ 아우트리거 조정 각도 한계 5° 이내로 한정
도로 경사 ➔ 건축물 전, 후, 측면 도로에서 고가사다리차로 인명구조 가능시 예외
공동주택 내 - 소방차량(고가사다리차 등) 접근이 가능한 장소에 설치
대피공간 위치 - 현관과 반대방향, 거실에서 바로 진입 가능한 곳에 설치
- 건축물 외벽과 소방활동 공간이 있는 도로 사이에 가로수 등 설치 제한
소방활동 공간의 - 조경(가로수)으로 교목 식재 금지 : 아교목, 관목, 지피류 등 식재
조경수 등 설치 - 조형물은 높이 6m 이하로 설치
- 전선 지중화 적극유도

소화활동 관련 차량 제원
- 골목형 소방차 제원 : 전장 4.8m / 전폭 1.7m / 전고 2.1m (중량 1.8ton)
- 소방물탱크차 제원(소형) : 전장 7.8m / 전폭 2.5m / 전고 3.2m (중량 5ton)
- 소방물탱크차 제원(중/대형) : 전장 8.5m~10m / 전폭 2.5m / 전고 3.4m~3.7m (중량 8.5~16ton)
- 52m 소방(고가)사다리차 제원 : 전장 9~12m / 전폭 2.5~6m / 전고 3.6~4.2m (중량 15.8ton)
- 70m 소방(고가)사다리차 제원 : 전장 12.98m / 전폭 2.5~8m / 전고 3.95m (중량 40ton)
- 구조공작차 제원(중/대형) : 전장 7.8~8.5m / 전폭 2.5m / 전고 3.2~3.4m (중량 5~8.5ton)
* 차량 사양별 상세한 제원 및 정확한 규격은 해당 차량의 제작업체 자료를 참고할 것.
16

1.3.2. 평면계획
평면계획에서는 피난 계획, 층별 방화구획, 소방시설의 설치가 가장 중요한 요소이며, 계획 시 내화성능을
고려한 구조 및 재료를 사용해야 하는데, 이와 관련한 고려사항은 다음과 같다.

계획 범위 계획 고려사항 비고
- 계단 등 수직통로의 방연구획, 각층을 안전하게 구획
- 피난구획을 설치하여 가장 안전한 구획에 퇴피할 수 있도록 계획 피난구획 : 복도,
조닝
- 층 전체가 연기나 화염에 노출되지 않도록 구획 로비, 계단 전실 등
- 화재실에서 다른 공간으로 피난시 연기나 화염이 유입되지 않도록 구획
- 거실에 의해 연결된 복도가 오염되면 다른 거실에서의 피난이 곤란해지므로
복도 계획
복도에 연결된 거실의 문은 자동 폐쇄문으로 계획
- 피난용으로 사용하지 않지만 연기의 상승로가 되어 상층으로 연기 확산이
엘리베이터홀 우려되므로 방연구획화
(승강장) - 승강기의 최상층 개구부를 확대하여 화재시 상부에서 각층으로 연기 확산 방지
고려 (계획시 연돌현상 및 단열처리 문제를 고려하여 반영) “3.4 피난시설계획”
참고
- 피난상 가장 중요한 거점
- 건물 내 어느 부분의 화재에도 곧바로 오염되지 않도록 완전한 불연화로 외부까지
통하는 경로 보호
피난층 로비
- 피난층의 직통계단과 출구 거리 30m 이하로 계획 (주요구조부가 내화구조 또는
불연재료일 경우 50m 이하로 계획)
- 피난층 승강장(비상용 승강기 해당) 출입구와 도로, 공지까지의 거리 30m 이하로 계획
계단, 승강기,
- 가급적 안전도가 높은 외부나 구획된 코아 내부에 설치
수직통로 구획 에스컬레이터,
- 수직통로 주변은 방화, 방연 계획으로 수직통로에 의한 상층 오염 방지 수직덕트, 배관
- 극장과 백화점, 지하가와 호텔, 차고와 맨션 등 용도와 이용시간이 다른 공간이
용도별 구획 상존할 경우 상호 피난상 장애가 되지 않도록 구획
- 필요에 따라 각각 별도경로에 의한 피난로를 설치
- 거실 바닥면적 50 ㎡ 이상 층에 직통계단 외에 비상탈출구, 환기통 설치 (직통계단
건축물
2개소 이상 설치시 예외)
방화구조규칙
지하층 - 바닥면적 1000 ㎡ 이상 층 : 방화구획마다 직통계단 1개 이상, 환기설비 설치
제25조
- 지하층의 바닥면적 300㎡ 이상 층 : 식수공급용 급수전 1개소 이상 설치
“3.4.8” 참고
- 개방공간
건축법 49조
- 내화구조로 구성하고, 지붕 밑 또는 바로 위층 바닥판까지 연결
건축법시행령 53조
- 공동주택, 교실, 객실, 병실, 노인복지주택, 노인요양시설 등에 설치
경계벽 건축물
- 소리를 차단하는데 장애가 되는 부분이 없는 구조 (공동주택 제외) : 10㎝ 이상
방화구조규칙
RC조, SRC조, 무근콘크리트조, 석조 / 19㎝ 이상 콘크리트블록조 또는 벽돌조 제19조
- 건축물의 관람석 또는 집회실 출구로 쓰이는 문은 밖여닫이로 설치
- 문화 및 집회시설중 공연장의 개별관람석(바닥면적 300 ㎡ 이상) : 관람석별 2개소
출구 설치 “3.4.2” 참고
이상 설치, 각 출구의 유효너비 1.5m 이상, 개별 관람석 출구의 유효너비의 합계는
바닥면적 100 ㎡ 마다 0.6m의 비율로 산정
- 건물 상부의 옥상을 피난바닥으로 사용 (헬리포트, 안전광장 등 설치)
건축법시행령 40조
옥상 피난 - 상층부에 집회실, 대식당 등을 계획할 경우 그 층 부근에 옥외로 피난할 수 있는
“3.4.6” 참고
피난광장 설계 (1.2m 높이 난간 설치)
- 피난경로의 연기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외기와 접한 피난용 발코니 설치
건축법시행령 46조
발코니 (요양병원, 정신병원, 노인요양시설, 장애인 거주시설 등)
“3.4.4” 참고
- 공동주택의 발코니에는 피난공간, 하향식 피난구, 경계벽 등 설치

지하가와 지하구
- 지하가( 地 下 街 ) : 지하의 공작물 안에 설치되어 있는 점포·사무실 그 밖에 이와 비슷한 시설로, 연속하여
지하도에 면하여 설치된 것과 그 지하도를 합한 것 (대표적으로 지하상가 등)
- 지하구( 地 下 溝 ) : 전력・통신용의 전선이나 가스·냉난방용 배관 또는 이와 비슷한 것을 집합수용하기 위하여
설치한 지하공작물로, 사람이 점검 또는 보수하기 위하여 출입이 가능한 것 중 폭 1.8m 이상,
높이 2m 이상, 길이 50m 이상(전력, 통신사업용-500m 이상)의 공간
Fire Protection & Life Safety Plan

1.3.3. 단면계획
단면 계획에서는 화재의 확산 방지를 위한 연소확대 경로의 확인과 조치, 연기의 배출을 위한 배연
및 제연설비와 관련된 사항들을 계획에 반영해야 하며, 이와 관련한 고려사항은 다음과 같다.

계획 범위 계획 고려사항 비고

- 평면계획시 계단 등의 피난시설과 설비 샤프트를 동일 부분에 배치시켜서


수평구획 동선과
설비의 간선이 수직 방향으로 엇갈림이 없도록 계획

건축법시행령
- 거실의 반자 높이 : 2.1m 이상 (반자가 없는 경우 위층 바닥판 밑면 등)
제50조
- 문화 및 집회시설(전시장 및 동·식물원 제외), 종교시설, 장례식장, 유흥주점 등의
반자높이 바닥면적 200 ㎡ 이상 관람석 또는 집회실 : 4m 이상 (노대 아랫부분의 높이
건축물
2.7m)
방화구조규칙
- 천장과 반자 사이의 공간 1~2m 계획시 스프링클러 설치 여부 검토
제16조

- 피난계단, 비상용 승강기, 피난용 승강기 등의 수직 동선은 전용구획으로 계획


- 일반부분과 격리된 부분에 설치하여 연기 침입을 방지
- 계단 출입구의 방화문을 상시 폐쇄형으로 설치
- 상부에 방연벽을 설치하여 문을 열고 피난하는 중에도 연기 유입 방지
수직통로 구획 “3.2.3“ 참고
- 승강기의 승강로, 에스컬레이터 공간, 덕트 스페이스 등의 수직 통로는 방화,
방연구획 (상부에 개구부를 설치하여 배연을 용이하게 계획하되, 개방시
연돌현상과 단열처리 문제 고려하여 계획)
- 지하층에 DA와 건물 밖으로 통하는 계단을 설치하여 피난 안전성 확보

- 피난안전구역 : 초고층 및 준초고층 건축물의 피난과 안전을 위하여 중간층에


대피공간 설치 (초고층-30개 층마다 1개소 이상, 준초고층-전체
(초)고층 건축물 층수의 1/2층으로부터 상하 5개층 이내에 1개소 이상), 건축물 “3.4.5” 참고
중간에 설비 기계층을 설치하여 상하층을 차단하고 중간
피난층으로 이용
18

1.3.4. 입면계획
입면계획에서는 외벽의 개구부, 화재 확산 방지를 위한 재료로 구성된 외벽, 소방시설의 설치와 부착에
대한 입면 검토 등의 사항들을 계획에 반영해야 하며, 이와 관련한 고려사항은 다음과 같다.

계획 범위 계획 고려사항 비고
- 전면유리로 시공된 대형 커튼월은 화재시 상층 연소가 쉽게 발생
개구부 - 가로 폭이 세로폭보다 큰 창일수록 분출화염에 의한 상층연소의 위험성이 높으므로
창문 계획시 고려
- 무창 계획은 배연과 구조활동을 어렵게 하고, 소방설비를 추가로 설치해야 하는 “3.5.5”
무창 계획
문제가 발생하므로 무창층 대상 여부 및 소방계획 고려 참고
- 외벽과 필로티의 마감재료에 내화성능 확보
- 외벽에 화재확산방지구조 설치

건축물
방화구조규칙
2010년 9월 중국 CCTV 문화센터 화재 2014년 4월 분당 삼성SDS과천센터 화재
(불꽃놀이중 화약불꽃의 외벽 전이) (3층 외벽 비상발전기 과열 원인) 제24조

건축자재등
외벽 재료 품질인정 및
관리기준
제31조

“3.2.3” 참고

2015년 12월 분당 서영빌딩 화재 2015년 12월 두바이 호텔 화재


(1층 주차장 천장 발화 후 외벽 전이) (20층 발화 화염이 외벽으로 전이)

- 피난 목적의 외부계단을 설치할 경우, 입면디자인과 상충할 수 있으므로 의장적인


효과로 처리하거나 일반 구조부분과 분리하여 안전성 강조

“3.4.1 직통계단
피난 고려
계획” 참고

UCSF 연구소 (라파엘 비뇰리) 성수문화복지센터 (장윤규)


Fire Protection & Life Safety Plan

1.3.5. 마감계획
내장재는 출화, 초기 연소 확대, 유독가스 발생 등 화재 진행과 밀접하므로 적절한 성능의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고, 각 설치공간 및 부위에 요구되는 재료의 방화성능을 우선 이해하고 선정해야 한다.

계획 범위 계획 고려사항 비고

설치공간 - 출화 위험이 높거나 피난방호의 필요가 있는 공간 등에 불연재 사용 식당 객석, 호텔 객실 등


- 천장과 벽은 출화원으로부터 복사열을 받기 쉬운 위치에 있고, 천장은
설치 부위 천장, 벽
플래시오버의 큰 영향을 받으므로 강화된 내장재의 불연화
내장재 성능 - 착화성, 발열성, 발연성, 전도성, 유해가스 발생성 등 특성 고려

기준항목 계획 고려사항 비고
불연/준불연/
난연재료 - 거실벽과 천장 접합부 마감 (반자돌림대・창대 등 제외)

- 거실에서 지상으로 통하는 복도・계단, 통로의 벽과 천장 접합부 마감


피난방화 규칙 24조
불연/준불연 - 지하층 거실벽과 천장 접합부 마감 (출입문 및 문틀 포함)
재료 - 문화 집회시설, 종교시설, 판매시설, 운수시설, 의료시설, 학교, 노유자시설,
수련시설, 오피스텔, 숙박시설, 위락시설, 장례식장 다중이용업소 등의 거실

적용대상
- 주택 (다중주택, 다가구주택, 공동주택)
- 제2종 근린생활시설 중 공연장, 종교집회장, 인터넷컴퓨터게임장, 학원,
독서실, 당구장, 다중생활시설
- 위험물저장 및 처리시설, 자동차 시설, 방송국, 촬영소, 발전시설
- 공장 (1층 이하, 연면적 1000 ㎡ 미만 시 제외)
건축법 52조
- 5층 이상 층 거실의 바닥면적의 합계가 500㎡ 이상 건축물
- 문화 및 집회시설, 종교시설, 판매시설, 운수시설, 의료시설, 초등학교, 학원,
건축법시행령 61조
노유자시설, 수련시설, 오피스텔, 숙박시설, 위락시설(단란주점, 유흥주점
제외), 장례식장, 다중이용업소(단란주점, 유흥주점 제외)
- 창고로 쓰이는 바닥면적 600 ㎡ (스프링클러 등 자동식 소화설비 설치 시
내부마감재료 1200㎡ ) 이상인 건축물 (벽 및 지붕을 화재 확산 방지구조 기준에 적합하게
설치한 건축물 제외)
* 내화구조, 불연재료 사용, 스프링클러 등 설치된 바닥면적을 제외한 거실의
바닥면적 200 ㎡ 이내마다 방화구획 된 건축물 제외

실내 천장, 반자, 벽(경계벽 포함), 기둥 부착 마감재료


- 실내장식물 제외
- 지상층 거실 : 불연, 준불연, 난연재료
- 지하층 거실, 피난동선 공간(통로,복도,계단) : 난연재료 금지
- 지상층의 다중이용업 등 특정용도 거실 : 난연재료 금지

적용대상
- 상업지역(근린상업지역 제외)의 건축물 중
- 바닥면적 합계 2000 ㎡ 이상 건축물 (제1종 근린생활시설, 제2종 건축법 제52조
근린생활시설, 문화 및 집회시설, 종교시설, 판매시설, 의료시설,
교육연구시설, 노유자시설, 운동시설 및 위락시설의 용도) 건축법시행령 제61조
건축물의 외벽 - 공장의 용도로 쓰는 건축물로부터 6m 이내에 위치한 건축물
마감재료 - 6층 이상, 높이 22m 이상 건축물
- 불연재료, 준불연재료 사용 가능 (도장 등 코팅재료 포함)
- 난연재료 사용 : 고층건축물, 6층 이상 또는 높이 22m 이상 건축물의 건축자재등 품질인정
외벽을 화재 확산 방지구조 기준에 적합하게 설치 및 관리기준
- 대상용도 및 규모의 건축물 : 난연재료 금지 제 23-25조
- 고층건축물에 화재 확산방지구조 설치 시 : 난연재료 사용가능
20

2. 관련 법규의 항목

건축설계시 방재계획과 내화설계, 방화구획 등을 진행하거나 기계, 전기, 소방설비 분야와의 협업을 위해
서는 법적인 기준과 제한사항을 정확히 검색하고 확인하여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2.1. 건축 관련 법규
 국내 법령 : 건축법/시행령/시행규칙, 건축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건축물 피난 방화구조 기준에 관한 규칙,
건축물의 설비기준 규칙 등
건축물의
건축구조기준 등에 건축물의 설비 기준
구분 건축법 건축법 시행령 피난·방화구조 등의
관한 규칙 기준에 관한 규칙 등에 관한 규칙
제2조 제7항
내화구조 제50조 제1항 제3조
제56조

방화지구 제51조 제1항 제58조 제23조 제1항 제2항

용도제한

내부 부칙 제3조
제52조 제1항
마감재료 제61조 제1항 제4호

외벽 부칙 제4조
제52조 제2항
마감재료 제61조 제2항 제5호

내화재료

방화구획 제46조 제14조

제46조
방화문 제52조 제5항 제26조
제64조 제1항 제1,2호
제46조
방화셔터 제14조 제4항
제64조 제1항 제1,2호

방화댐퍼 제24조의3 제1항 제6항

방화벽 제57조 제21조

경계벽 제49조 제4항 제53조 제33조 제19조

내화충전구조

계단 제34조 제35조 제36조 제8조 제9조 제15조

복도 제48조 제15조의2

출구 제39조 제10조 제11조 제25조

대피공간 제50조 제2항 제40조 제4항 제13조 제22조의2

하향식 피난구 제14조 제4항

제34조 제3항 제4항


피난안전구역 제8조의2 제22조의 2
제5항

옥상광장 제40조 제9조 제3항

승강기 제64조 제89조 제90조 제91조 제30조 제5조 제6조 제10조

배연설비 제51조 제2항 제14조

방재실
제2조 제1항 제15,
제2조 제1항 제19호
기타 15의2호
(고층건축물)
(초고층 건축물)
Fire Protection & Life Safety Plan

 국내 법령 : 초고층 및 지하연계 복합건축물 재난관리에 관한 특별법/시행령/시행규칙, 영유아보육법 시행


규칙, 다중이용업소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

초고층 및 지하연계 초고층 및 지하연계 초고층 및 지하연계


다중이용업소의
복합건축물 복합건축물 복합건축물 영유아보육법
구분 안전관리에 관한
재난관리에 관한 재난관리에 관한 재난관리에 관한 시행규칙
특별법
특별법 특별법 시행령 특별법 시행규칙

내화구조

방화지구

용도제한

내부
제11조
마감재료

외벽
마감재료

내화재료

방화구획 제7조 제5항 제7조 제3항 제1호 제11조

방화문

방화셔터

방화댐퍼

방화벽 제11조

경계벽

내화충전구조

계단 제14조 제2항 제3호 제7조 제2항 제1호 제9조 제1항 제12조

복도

출구

대피공간

하향식 피난구

피난안전구역 제18조 제14조 제8조

옥상광장

승강기 제13조 제4항 제7조 제4항 제5호

배연설비

방재실 제16조 제12조 제2항 제3호 제7조

기타
22

 국내 법령 : 다중이용업소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 시행령/시행규칙, 지하공공보도시설의 결정 구조 및


설치기준에 관한 규칙, 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정

다중이용업소의 다중이용업소의 지하공공보도시설의


주택건설기준 등에
안전관리에 관한 안전관리에 관한 결정ㆍ구조 및 설치기준에
구분 관한 규정
특별법 시행령 특별법 시행규칙 관한 규칙

내화구조 제14조 제1항

방화지구

용도제한 제12조 제2항

제16조 제3항 제4호


내부 마감재료 제3조 제13조
제17조 제2항 제3호

외벽 마감재료

내화재료

방화구획 제2조 제3항 제2호 제12조 제3항

방화문

방화셔터

방화댐퍼

방화벽

경계벽 제14조

내화충전구조

계단 제1조 제1항 제1조의2 제11조 제1항 제3호 제2조 제5항 제7항 제16조

복도 제2조의2 제11조 제1항 제3호 제5조 제2항 제4항 제17조

출구 제2조의2 제8조 제1항 제2항 제3항 제16조의2

제10조 제3항
대피공간
제14조 제5항 제6항

하향식 피난구

피난안전구역

옥상광장 제16조의2

승강기 제12조 제7항 제15조

배연설비

방재실 제12조 제2항

제10조 제2항 제1호


기타
(필로티 구조)
Fire Protection & Life Safety Plan

 국내 행정규칙 : 오피스텔의 건축기준, 소방시설 등의 성능위주설계 방법 및 기준, 건축자재등 품질인정 및


관리기준, 고층건축물의 화재안전기준, 발코니 등의 구조변경절차 및 설치기준, 건축물의 화재안전성능 보강
방법 등에 관한 기준
건축물의
소방시설 등의 건축자재등 고층건축물의 발코니 등의
화재안전성능보강
구분 오피스텔 건축기준 성능위주설계 방법 품질인정 및 화재안전기준 구조변경절차 및
방법 등에 관한
및 기준 관리기준 (NFSC 604) 설치기준
기준
내화구조 제3조 제2조 제3항 제3조 제2항

방화지구

용도제한 제2조 제2항

내부 제2조 제2항 제3항


마감재료 제4항

외벽 제2조 제2항 제3항


제27조
마감재료 제4항

내화재료

방화구획
제2조 제5항
방화문
제33조
제2조 제6항
방화셔터
제34조
제2조 제14항
방화댐퍼
제35조

방화벽

경계벽 제3조 제2항

내화충전구조 제2조 제7항

제2조 제4항 제1호


계단 제9조
제3조 제1항

복도 제2조 제4항 제1호

출구 제2조 제2항

대피공간 제3조

제2조 제15항
하향식 피난구
제36조

피난안전구역 제10조

옥상광장

승강기

배연설비

방재실
제3조 제1항 제2조 제1항
기타
(고층건축물) (필로티 구조)
24

2.2. 소방 관련 법규
 법령 : 소방기본법/시행령/시행규칙, 소방시설공사업법/시행령/시행규칙,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 유 지
및 안전관리법, 초고층 및 지하연계 복합건축물 재난관리 특별법

 고시 : 국가화재안전기준 (35개), 소방시설 내진설계 기준


초고층
구분 소방법 소방공사법 소방시설법 국가화재 안전기준 내진기준
재난관리법
현장확인 대상
화재경계 건축허가 동의 대상물 고층건축물
지역지구 특정소방대상물
지구
대상 하자보수 대상
대상지역 연소우려 건축물 구조 도로터널
소방시설
방화문
방화구획 방화셔터
무창층
방재 종합방재실
간이스프링클러 유수검지장치
물분무소화설비 배관, 분리이음
미분무소화설비 배관, 분리이음
상수도소화용수설비 가압송수장치
소화기구/자동소화장치
소화수조, 저수조 소화수조, 저수조
스프링클러 헤드, 버팀대
소방용수 이산화탄소소화설비 제어반, 버팀대
소화
시설 청정소화약제소화설비
지진분리장치
포소화설비
제어반, 버팀대
할로겐화합물소화설비
조기진압용 스프링클러 유수검지장치
분말소화설비 제어반, 버팀대
연결살수설비
옥내소화전설비 함
옥외소화전설비
피난안전구역 유도등 및 유도표지
피난 피난유도 안내정보 선큰 피난기구
설비 인명구조기구
누전경보기
비상경보설비 및
소방활동 단독경보형감지기
경보 장비/설비
소방용품
자동화재탐지설비/
시각경보장치
자동화재속보설비
제연설비
특피계단 계단실/
부속실 제연설비
소화활동
연결송수관설비
비상콘센트설비
연소방지설비
비상방송설비
비상조명등
전기
소방시설용
통신 비상전원
비상전원수전설비
무선통신보조설비
성능설계 성능위주 설계 성능위주설계 범위
주택용 소방시설
기준 적용특례
특정소방대상물
소방시설 소방시설기준 강화 임시소방시설
소방시설 설치면제
소방시설 규모
소방시설 내진설계
재료 특수가연물 터널
소방대상물 방염
방염 방염성능기준대상
방염성능기준
Fire Protection & Life Safety Plan

3. 건축방재 분야

3.1. 내화구조
3.1.1. 내화성능
 화재 발생시 재실자와 소방관계자의 안전 및 재산을 보호하고, 건축 구조물의 주요 구조부가 구조적
한계에 도달되지 않고 붕괴되지 않도록 구조 성능을 유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 내화성능의 설정조건은 각 국가별로 달리 적용되며, 우리나라는 1970년대초 일본 건축법 기준을 이
용하다가 1999년 미국 UBC의 규정을 참고하여 개정되었다.

가. 내화성능 관련 법규

관련 법규 내화성능 요구사항 비고

- 문화 및 집회시설, 의료시설, 공동주택 등 대통령이 정하는 건축물에는


내화구조 적용 건축법 50조
기준에 따라 그 주요구조부를 내화구조로 계획

- 문화 및 집회시설 (전시장, 동식물원 제외) 200 ㎡ 이상


- 문화 및 집회시설 중 전시장, 동식물원, 판매 및 영업시설 500㎡ 이상 건축법 시행령
내화구조 대상
- 공장 바닥면적 2000 ㎡ 이상 56조
- 방화지구안의 건축물

내화/방화구조, 피난방화 규칙
내화재료 정의 - 주요구조부의 법정, 인정 내화구조 및 방화구조의 정의, 기준
제3조

- 건축물의 벽・기둥・보・바닥 또는 지붕틀 등 일정부위 대상 건축자재등


내화구조 인정 - 건축물의 용도별 층수, 높이에 따른 규모별 화재시의 가열시간 기준 품질인정
- 기준 내화시간 이상을 견딜 수 있는 내화구조 인정기준 및 관리기준
26

나. 내화성능 기준

구분 내화성능 내용
- 하중지지력 (Load Bearing Capacity) : 일정 시간동안 상부 하중을 유지하는 성능
- 차열성 (Insulation) : 건 축 물 의 구 획 부 재 가 한 쪽 면 에 서 가 열 될 때 , 그 부 재 의 비 가 열 면 온 도
내화성능
상승을 규정된 수준 이하로 제한하는 성능
평가항목
- 차염성 (Integrity) : 건축물의 구획부재가 한쪽면에서 가열될 때, 화염이나 고온가스의 통과 또는
비가열면에서의 화염 발생을 방지하는 성능
- 업무시설, 판매 및 영업시설
- 공공용시설 중 군사시설・방송국・발전소・전신전화국・촬영소 등
일반시설 - 통신용시설, 관광휴게시설, 운동시설, 문화 및 집회시설
- 제1종 및 제2종 근린생활시설, 위락시설, 묘지관련시설 중 화장장
- 교육연구 및 복지시설, 자동차관련시설 (정비공장 제외)
- 단독주택 중 다중주택·다가구주택·공관
용도구분 주거시설
- 공동주택, 숙박시설, 의료시설
- 공장, 창고시설, 분뇨 및 쓰레기처리시설
산업시설
- 자동차 관련시설 중 정비공장, 위험물저장 및 처리시설
- 건축물이 하나 이상의 용도로 사용될 경우, 가장 높은 내화시간의 용도 적용
- 건축물의 부분별 높이 또는 층수가 상이할 경우, 최고 높이 또는 최고 층수의 부위별
내화시간을 건축물 전체에 동일하게 적용
- 3개 분류 : 4층/20m 이하, 12층/50m 이하, 12층/50m 초과
용도규모
- 건축물의 층수와 높이의 산정은 건축법 시행령 제119조 준용
(층수/높이)
- 승강기탑, 계단탑, 망루, 장식탑, 옥탑 등은 건축물 높이와 층수 산정에서 제외
내화구조
기둥 요구성능 : 내력 유지 (하중지지력) / 내화시간 : 1,2,3시간
구성항목
보 요구성능 : 내력 유지 (하중지지력) / 내화시간 : 1,2,3시간
요구성능 : 내력 유지, 차열성, 차염성 / 내화시간 : 0.5,1,1.5,2,3시간
- 인접대지경계선, 도로중심선, 동일 대지 내 2동 이상의
연소 우려 건축물(연면적 합계 500 ㎡ 이하시 하나의 건축물) 상호의
부분 외벽간의 중심선으로부터 1층 3m 이내, 2층 이상 5m 이내의
거리에 있는 건축물의 각 부분
주요구조부 및
벽 - 연소 우려 부분을 제외한 각 부분
요구성능 연소 우려
- 공원, 광장, 하천 공지나 수면, 내화구조의 벽 등에 접하는 부분
없는 부분
(피난방화 규칙 제22조 제2항)
간막이벽 - 내화구조로 해야 하는 벽
샤프트실
- 승강기, 계단실의 수직벽
구획벽
바닥 - 요구성능 : 내력 유지, 차열성, 차염성 / 내화시간 : 1,2시간
지붕틀 - 요구성능 : 내력 유지, 차염성 / 내화시간 : 0.5,1시간
내화시간 - 0.5시간, 1시간, 1.5시간, 2시간, 3시간


구성 부재
외벽 내벽
용도 지
비내력 비내력 보
내 바닥 붕
용도 용도규모 내력 연소 기둥
연소 우려 력 샤프트실 틀
구분 층수/최고 높이(m) 벽 우려 간막이벽
없는 부분 벽 구획벽
부분
초과 3 1 0.5 3 2 2 3 2 1
일반 12/50
이하 2 1 0.5 2 1.5 1.5 2 2 0.5
시설
4/20 이하 1 1 0.5 1 1 1 1 1 0.5
내화구조
초과 2 1 0.5 2 2 2 3 2 1
성능기준 주거 12/50
이하 2 1 0.5 2 1 1 2 2 0.5
시설
4/20 이하 1 1 0.5 1 1 1 1 1 0.5
초과 2 1.5 0.5 2 1.5 1.5 3 2 1
산업 12/50
이하 2 1 0.5 2 1 1 2 2 0.5
시설
4/20 이하 1 1 0.5 1 1 1 1 1 0.5

내화구조의 성능기준 (건축물방화구조규칙 3조 8호 관련)

* 화재위험이 적은 제철, 제강공장 등 : 주요구조부 내화시간 완화 가능 (지방건축위원회 심의)


* 외벽의 내화성능 시험 : 건축물 내부면을 가열
Fire Protection & Life Safety Plan

3.1.2. 내화구조
 화재에 견딜 수 있는 성능을 가진 구조, 국토교통부령 기준에 적합한 구조, 화재에 가장 안전한 건축
구조 (철근콘크리트 구조, 벽돌구조, 석조, 콘크리트 블록 구조 등)이다.
 인접화재로 인해 연소될 우려가 적고, 내부에서 화재가 발생해도 벽, 기둥, 들보 등 주요 구조부는 내력상
지장이 없어 간단한 수리로 그 건축물을 다시 사용할 수 있는 구조이다.
28

가. 내화구조의 종류
(1) 법정 내화구조 : 건축법, 건축물방화구조규칙 등 법규에서 구조부 7개의 내화구조 기준 규정

무근콘크리트조 철재로 보강된


철근콘크리트조
구조부 철골조 콘크리트블록조 콘크리트블록조 기타
철골철근콘크리트조
벽돌조, 석조 벽돌조, 석조

- 두께 4cm 이상의
- 두께 10cm 이상
철망모르타르로 양면 피복
경량기포
(바름바탕-불연재) 두께 19cm 이상 두께 5cm 이상
벽 두께 10cm 이상 콘크리트패널,
- 두께 5cm 이상의 벽돌조 철재에 피복
경량기포
콘크리트블록,벽돌,
콘크리트블록조
석재 로 양면 피복

- 두께 3cm 이상의
철망모르타르로 양면
외벽중 피복 두께 4cm 이상
두께 7cm 이상 두께 7cm 이상
비내력벽 - 두께 4cm 이상의 철재에 피복
콘크리트블록,벽돌,석재
로 양면 피복

- 두께 6cm 이상의
(경량골재 5cm)
철망모르타르로 피복
기둥
모두 인정 - 두께 7cm 이상의
(작은지름
콘크리트블록,벽돌,석재
25cm이상)
로 철골 피복
- 두께 5cm 이상의
콘크리트로 피복

- 두께 5cm 이상
두께 5cm 이상 - 철망모르타르,
바닥 두께 10cm 이상 콘크리트로 철재
철재에 피복
양면 피복

- 두께 6cm 이상의 - 철골조 지붕틀


(경량골재 5cm) (바닥으로부터

모두 인정 철망모르타르 피복 아랫부분까지 높이
(지붕틀
- 두께 5cm 이상의 4m이상)
포함)
콘크리트 피복

모두 인정 모두 인정 - 철재로 보강된
지붕 유리블록, 망입유리

계단 모두 인정 모두 인정 모두 인정 모두 인정

(2) 인정 내화구조 : 한국건설기술연구원장이 품질시험, 내화구조 표준, 성능설계 등으로 인정한 구조

구분 내화구조 인정 기준 비고
건축물
- 생산공장의 품질 관리 상태의 적합성이 인정된 제품에 대한 품질시험
방화구조규칙
인정제품 품질시험 결과를 한국건설기술연구원장이 인정
제3조제8항

내화구조 표준 - 한국건설기술연구원장이 인정한 내화구조 표준 적용 건축물


방화구조규칙
성능설계 - 한국건설기술연구원장이 인정한 성능설계에 따라 내화구조의 성능 검증 제3조 9항

건축물
- 성능기준을 판단하기 어려운 신제품에 대한 성능인정을 위해 자문
방화구조규칙
신제품 인정기준 위원회의 심의를 거친 성능 기준을 사용하여 내화성능 인정
제27조 1항
Fire Protection & Life Safety Plan

(3) KS 내화구조 : 산업표준화법에 의해 한국산업규격에 등재된 내화구조 (건축물방화구조규칙 3조 8항)

내화성능 표준 KS 내화구조

경골 목구조 벽 및 바닥/천장
KS F 1611-1 건축구조부재의 내화성능표준 제1부
(경골 목구조의 보, 기둥, 벽체의 내화성능)

스틸 스터드 구조 비 내력벽체
KS F 1611-2 건축구조부재의 내화성능표준 제2부
(스틸스터드, 석고보드 장막벽의 내화성능)

KS F 1611-3 건축구조부재의 내화성능표준 제3부 구조용 집성재 보 및 기둥

KS F 1611-4 건축구조부재의 내화성능표준 제4부 합성데크 바닥구조

KS F 1611 – 5 건축구조부재의 내화성능표준 제 5부 내력용 스탈스터드 구조

나. 내화구조 시험방법

내화 시험방법 시험 내용

KS F 2257-1 건축구조부재의 내화시험방법 일반 요구사항

KS F 2257-4 건축구조부재의 내화시험방법 수직내력 구획부재의 성능조건 (내력벽체)

KS F 2257-5 건축구조부재의 내화시험방법 수평내력 구획부재의 성능조건 (바닥구조)

KS F 2257-6 건축구조부재의 내화시험방법 보의 성능조건 (허용온도 538℃, 최고온도 649℃)

KS F 2257-7 건축구조부재의 내화시험방법 기둥의 성능조건 (허용온도 538℃, 최고온도 649℃)

KS F 2257-8 건축구조부재의 내화시험방법 수직 비내력 구획부재의 성능조건 (비내력벽체)

KS F 2257-9 건축구조부재의 내화시험방법 비내력 천장의 성능 조건


30

다. 방화구조 및 방화벽
 화염의 확산을 막을 수 있는 성능기준에 적합한 구조 (건축법 시행령 2조 8호)
 건물 내 화재 발생시 인접건물로 화염의 확산을 방지하고, 인접화재로 인해 건물이 연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 (건축물방화구조규칙 4조)

구분 방화구조 기준 관련법규

- 철망모르타르로서 그 바름두께 2 ㎝ 이상
건축물
방화 - 석고판 위에 시멘트모르타르 또는 회반죽을 바른 것(두께 합계 2.5㎝ 이상) 방화구조
- 시멘트모르타르 위에 타일을 붙인 것 (두께 합계 2.5 ㎝ 이상) 규칙
구조
- 심벽에 흙ㄱ으로 맞벽치기 제4조
- KS시험 결과 방화 2급 이상

- 연면적 1,000 ㎡ 이상인 대규모의 목조건축물 등


- 각 구획된 바닥면적의 합계는 1,000 ㎡ 미만
건축법
시행령
제57조
- 설치 예외 : 주요구조부가 내화구조이거나 불연재료인 건축물, 단독주택, 동물 및 식물
관련시설, 발전시설, 교도소, 감화원, 묘지 관련시설 등

- 내화구조로서 홀로 설 수 있는 구조
- 방화벽의 양쪽 끝과 위쪽 끝을 건축물 외벽면 및 지붕면으로부터 0.5m 이상 돌출
- 방화벽에 설치하는 출입문의 너비 및 높이는 각각 2.5m 이하
- 출입문에 60+방화문 또는 60분방화문 설치

방화벽

건축물
방화구조
규칙 21조

- 방화벽을 관통하는 케이블, 전선 등에 내화성이 있는 화재차단재로 마감


NFSC 605
- 방화벽의 위치는 분기구 및 환기구 등의 구조를 고려하여 설치
Fire Protection & Life Safety Plan

라. 경계벽 등
 거실은 기본적으로 조용한 실내환경이 요구되며, 기초생활 공간으로서의 주택은 더욱 그러하다. 최근
대부분의 주거가 공동주거 형식으로 바뀌면서 세대 간에 발생하는 소음문제가 중요한 생활불편 문제 로서
크게 주목을 받고 있다.
 소음문제는 여러 가구나 세대가 함께 생활하는 공동주거 형식의 건축물에서 민감하며 일정 공동주거
형식의 건축물에 대하여 가구·세대 간의 소음방지를 위하여 기준에 따라 경계벽 및 바닥을 설치하도록
규정을 마련하고 있다.
 차음을 위한 경계벽 기준은 경계벽의 구조 및 두께 기준의 2가지로 규정하고 있다.

대상 건축물 구획단위 구조 관련법규

내화구조로 하고 이를 지붕 밑 건축법시행령 제53조


- 다가구주택 각 세대 또는 호실 또는 바로 위층 바닥판까지 건축물방화구조규칙
- 공동주택 (기숙사 제외) 간의 경계벽 닿게 설치 제19조
- 노유자시설 중 노인복지주택 및
노인요양시설
- 기숙사의 침실
- 의료시설의 병실
- 학교의 교실
- 숙박시설의 객실
- 제2종 근린생활시설 중
다중생활시설

※ 호실 간의 경계벽 중 발코니부분은 제외
발코니 부분의 경계벽은 화재 시 인접 세대로 피난할 때를 대비하여 경량구조로 설치된다. 따라서 발코니 경계벽
등에 창고 등이 설치되어 피난에 장애가 발생하지 않도록 관리가 필요함.
① 법 제49조제4항에 따라 건축물에 설치하는 경계벽은 내화구조로 하고, 지붕 밑 또는 바로 위층의 바닥판까지 닿게
해야 한다.
② 제1항에 따른 경계벽은 소리를 차단하는데 장애가 되는 부분이 없도록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구조로
하여야 한다. 다만, 다가구주택 및 공동주택의 세대 간의 경계벽인 경우에는 「 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정 」 제14조에
따른다.
1. 철근콘크리트조ㆍ철골철근콘크리트조로서 두께가 10센티미터이상인 것
2. 무근콘크리트조 또는 석조로서 두께가 10센티미터(시멘트모르타르ㆍ회반죽 또는 석고플라스터의 바름두께를
포함한다)이상인 것
3. 콘크리트블록조 또는 벽돌조로서 두께가 19센티미터 이상인 것
4. 제1호 내지 제3호의 것 외에 국토교통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기준에 따라 국토교통부장관이 지정하는 자 또는
한국건설기술연구원장이 실시하는 품질시험에서 그 성능이 확인된 것
5. 한국건설기술연구원장이 제27조제1항에 따라 정한 인정기준에 따라 인정하는 것

※ 영업장의 내부구획 (다중이용법 10조의2, 2021. 7. 13. 시행)


① 다중이용업소의 영업장 내부를 구획하고자 할 때에는 불연재료로 구획하여야 한다. 이 경우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다중이용업소의 영업장은 천장(반자속)까지 구획하여야 한다.

1. 단란주점 및 유흥주점 영업

2. 노래연습장업
32

3.1.3. 내화설계
가. 내화설계 개념 및 목적
 건축물의 주요 구조부가 불에 의한 열에 저항하여 본래의 기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다.
 주요 구조부가 화재로부터 견딜수 있는 조건을 제시하고, 구조 설계단면이 고열에서 구조 안전성을
확보하거나 구조부재의 단면보강 또는 내화피복재 시공 등의 조치가 강구되어야 한다.

종류 설계방법

- 법규적인 방법에 의한 내화설계 (국내의 일반적인 내화설계 방식)


사양적 (시방적)
- 단점 : 화재의 위험성 차이에도 불구하고 모든 용도의 건축물에 동일한 내화피복재를 시공,
내화설계
경제적인 손실 유발

- 대상 건축물의 화재 위험성을 평가하여 그 위험성에 적합하게 대응할 수 있는 설계


공학적 (성능적)
- 화재 크기를 먼저 평가하고 주요 구조부의 구조 안전성을 열전달 해석과 열응력 해석 등으로
내화설계
평가한 후 내화피복재의 피복 유무를 판단하고, 적절한 내화피복의 방법을 결정

(1) 사양적 내화설계 절차


 사양적 내화설계는 법으로 규정된 사양과 기준을 바탕으로 구조와 마감, 설비 등을 선정하고 계획에
적용하는 보편적인 내화설계의 방법이며, 다음의 순서로 진행한다.

① 건축물의 ② 각 주요 구조부의 ③ 각 주요 구조부에


내화성능기준 확인 내화성능 기준 확인 적합한 내화구조 선정

- 건축물 용도 (일반/주거/산업) - 내화시간 확인 - 법정, 인정, KS 내화구조 선택


- 층수/최고높이 확인 (0.5/1/1.5/2/3시간) - 시공성, 경제성, 유지관리 고려
- 내화시간별 시험성능 확인

(피난방화 규칙) (피난방화 규칙, 건기연 인증) (건축법, 피난방화 규칙)

(2) 내화설계 구성요소

항목 구성내용 비고

- 화재에 견딜 수 있는 성능을 가진 구조 (RC조, 벽돌조, 석조, 콘크리트블록조)


내화구조 “3.1.2” 참고
- 품질시험 결과 내화성능이 인정된 구조 (건설기술연구원)

내화성능 기준 - 건축물의 층별, 부위별 내화성능을 내화시간별로 규정 (피난방화 규칙) “3.1.1” 참고

- 건물 내에서 발생된 화재가 건물 전체로 번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화재를 해당


연소확대 방지 “3.2.1” 참고
공간에 한정시키는 계획

방화구조 - 화염의 확산을 막을 수 있는 성능을 가진 구조 “3.1.2” 참고

- 내화구조로서 홀로 설 수 있는 구조 (연면적 1,000㎡ 이상 건축물 구획)


- 방화벽의 양쪽/위쪽 끝을 건축물 외벽/지붕면으로부터 0.5m 이상 돌출
방화벽 “3.1.2” 참고
- 방화벽에 설치하는 출입문(60분+ 방화문, 60분방화문)의 너비 및 높이는 각각
2.5m 이하

- 불연재, 준불연재, 난연재, 방염재


내화재료 - 내화채움구조, 내화피복재 “3.3” 참고
- 내화유리
Fire Protection & Life Safety Plan

나. 내화설계 프로세스

01 내화구조 대상 여부, 기준, 성능 확인

- 내화 관련 법규, 성능기준 등을 파악하여 내화설계 적법성을 확인

1. 주요구조부 내화성능 기준 확인

2. 계획안의 주요구조부 내화/방화구조 여부 확인

3. 재료, 공법 관련 내화성능 기준 충족 여부 확인

02 실내외 연소확대 우려 부위 파악

- 주요구조부와 개구부, 연소확대 우려부위를 파악하여 적합한 차단방법 검토, 적용

1. 주요구조부 내화/방화구조 충족 여부 확인

2. 외벽-바닥 접합 부위 확인

3. 내화구조와 설비 수직, 수평 관통부 확인

4. 출입문, 승강기, 계단 등 확인 : 방화구획, 방화문, 방화셔터

03 구조, 마감, 공법 검토 및 계획 반영

- 구조부의 내화성능 보완, 재료와 제품의 내화시험 성적, 내화재 공법 등을 검토하여 반영

1. 층간방화 처리 : 선형 충전재, 공법 선정

2. 철골조 노출부 내화 처리 : 내화피복, 내화도료

3. 관통부 충전 처리 : 내화채움구조, 공법 선정

4. 외벽 화재확산방지 처리 : 화재확산방지구조

5. 재료, 구조의 내화성능시험 및 확인방법 검토


34

다. 내화성능 확인 방법
 구조, 마감재, 제품 등의 내화성능은 국내의 내화시험 기관 등에서 공고하는 시험 결과를 활용하여 확인한
후 계획에 적용한다.

01 내화성능 인증 확인 대상 파악

- 계획에 사용된 자재 및 공법 중 내화성능 인증이 필요한 구조부, 창호, 마감재, 내화채움구조 등을 정리

1. 주요구조부에 해당하는 내화성능 기준 검토 (피난방화규칙 별표1)


2. 재료, 공법 관련 내화성능 기준 충족 여부 확인

02 내화성능 시험 관련 웹사이트 접속 및 검색

- 검토 대상 건축/구조자재, 제품 등의 내화성능 시험과 관련 있는 기관의 웹사이트 접속

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www.kict.re.kr)
2. 한국화재보험협회 부설 방재시험연구원 (www.kfpa.or.kr/filk/)
3. 한국조선기자재연구원(www.kimerti.re.kr)
4.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www.kcl.re.kr)

03 해당 부재의 내화성능, 시험성적서 확인

- Step1의 사용자재 및 제품을 각각 검색하여 내화시간과 내열성, 내화성, 내연성, 내염성 등의 성능 확인

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건설품질/인정-지정 검색 (정부3.0 > 사전정보공표)

2. 방재시험연구원 인증 취득 현황 검색 (FILK 인증)


Fire Protection & Life Safety Plan

3.1.4. 내화피복 공법
 철골의 내화피복은 철골을 화재열로부터 보호하고, 강재의 온도 상승을 일정 시간동안 막아 내력 저하를
방지하여 구조재를 보호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내화피복 공법은 철골조의 기둥‧보 등을 내화구조로 하기
위해 표면을 필요한 내화 성능을 가진 재료로 감싸는 공사방법이다.

가. 내화피복 관련 기준

구분 기준 내용

- 건축법시행령 56조
관련 법규 - 피난방화 규칙 3조
- 건축자재등 품질인정 및 관리기준

관련
- 건축공사 표준시방서 : 내화피복공사(06035)
시방서

철골 - 융점 : 1,400~1,500℃로 높은 편, 온도 증가에 따라 탄성계수와 강도 급감 (500℃ 정도에서


구조용 상온시의 50%로 저하, 800℃정도에서 응력도가 0에 도달)
강재 - 콘크리트 등의 피복두께 및 철골의 내화피복 두께가 구조재 보호 좌우
구조 기준
내화피복
- 건축, 구조 부분의 내화시험 규준에 의한 시험으로 판정
철골
- 건축물의 층별, 부위별 내화성능을 30분, 1시간, 2시간, 3시간 등 내화시간별로 규정
안전성

- KS F 2257-1~9 : 건축(구조)부재의 내화시험방법


한국 - KS F 2901 : 구조부재에 시공하는 내화뿜칠재의 두께 및 밀도 시험방법
산업규격 - KS F 2902 : 구조부재에 시공하는 내화뿜칠재의 부착 강도 시험방법
(KS) - KS F 2903 : 구조부재에 시공하는 내화뿜칠재의 분진량 시험방법
관련 시험
- ASTM E 605 : Standard Test Methods for Thickness and Density of Sprayed Fire-Resistive
규격
Material (SFRM) Applied to Structural Members (건조밀도)
미국
- ASTM E 736 : Standard Test Method for Cohesion / Adhesion of Sprayed Fire-Resistive
재료시험
Materials (SFRM) Applied to Structural Members (부착력)
학회
- ASTM E 937 : Standard Test Method for Corrosion of Steel by Sprayed Fire-Resistive Material
(ASTM)
(SFRM) Applied to Structural Members (내부식성)

- 검사내용 : 색깔, 표면상태, 균열, 박리 등


외관
- 육안으로 검사

- 검사내용 : 최소두께
두께
- 부위 및 성능별로 매층 또는 1,000㎡마다 한 구획을 선정하여 1회 이상 검사

- 검사내용 : 밀도
품질 기준 밀도
- 부위 및 성능별로 매층 또는 1,000㎡마다 한 구획을 선정하여 1회 이상 검사

- 검사내용 : 부착강도
부착강도
- 부위 및 성능별로 매층마다 1개소 이상에 대하여 시험편을 부착하여 검사

- 검사내용 : 원재료, 시멘트 물배합비


배합비
- 매층마다 1회 이상 확인
36

나. 내화피복 공사 및 관리방법

업무 항목 내용

- 검사 항목 : 적용자재 내화시간 (건축물방화구조규칙-내화구조 성능기준)


내화구조
- 판정 기준 : 적용자재 내화구조 인증서 검색 (한국건설기술연구원-내화구조 인정공고)
인증
- 추가 확인 : 유효기간 확인
품질관리
현장 - 검사/시험 항목 : 외관, 두께, 부착력, 밀도 등
샘플테 - 판정 기준 : 제품 특기시방 기준
스트 - 추가 확인 : 인정서, 검사성적서 확인

방청도장 후 내화피복 실시
철골표면 - 방청도장을 하는 경우 도료와 내화피복제의 부착성에 대한 우려
처리방법
종류 방청도장 없이 철골표면에 직접 내화피복 실시
- 방청도장이 없는 경우 철골부식으로 인한 내구성 우려

국내 시방기준 (건축공사표준시방, KASS)


- 강재면에 들뜬 녹, 기름, 먼지 등을 제거하여 내화피복의 부착성을 좋게 조치
- 강재면의 녹막이 도장 여부 및 재료의 선정은 공사 시방서 준용

일본 시방기준
- 철골면에 유동적인 녹, 기름, 먼지 등을 제거하여 내화피복 부착성을 좋게 조치
시방서
기준 - 철골면ㅇ의 방청도장 및 재료 선정은 특기사항 준수

미국 시방기준 (AISC)
- 마감으로 밀폐되는 부위, 내화피복 부위, 콘크리트에 묻히는 부위는 녹막이도장 불필요
- 내화피복재 생산업체 특기시방서 : 뿜칠 전에 표면 처리된(녹막이 페인트가 없는 강재면의)
표면을 검사하여 먼지, 녹, 오일, 페인트 등의 이물질 제거 후 시공 (녹막이 페인트 도장 부위
시공시 이물질 제거 및 부착력 확보 검토 후 시공)

철골 - 내화피복 부위에 대한 철골표면은 내화피복재의 부착성에 저해가 되는 들뜬 녹, 기름, 먼지


내화피복부위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이 중요
바탕처리 - 방청도장을 실시하지 않아도 내화피복재의 부착성이나 밀도 등이 저하되지 않으며 부착성
기준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음.

① 동력공구를 사용하여 강재 표면상의 들뜬 녹, 기름, 먼지 등의 이물질 제거


② 방청도장 미실시후 내화피복 시공 권장

권장 처리
기준
Fire Protection & Life Safety Plan

 주차장 등 노출 흡음 뿜칠 시공시 밀폐된 공간에서의 가연성 가스 누적 및 점화원 노출 시 순식간 대형


화재로 확대되며, 시공시에도 화재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건식공법인 그라스울(불연재)+그라스
크로스(불연재)를 적용하여 시공한다.

시공 방법 계획사항

흡음 뿜칠

- 내화 및 흡음성능 확보 (불연재)
- 밀폐된 공간에서 유증기 + 스파크로 인한 시공 중 화재 가능성
- 지속적 진동 발생시 마감재 탈락의 위험이 있음

그라스울 + 그라스크로스

- 내화 및 흡음성능 확보 (불연재)
- 건식공법으로 시공 중 화재에 안전
- 파스너 적용으로 탈락 위험 적음

지하주차장의 구조적 화재안전성 추가 검토


- 주차장은 방화구획을 적용하지 않을 수 있는 대상에 해당하기 때문에 화재발생시 지하주차장 전체에 열기와
연기가 확산되는 특징을 가질 수 있으며, 지하주차장 전 차량 전소 시 지하주차장의 구조적 안전성에 대한
추가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국내 내화구조성능기준 국외 내화구조기준(IBC2012)

층수/높이 12층/50m 초과 12층/50m 이하 요소 2시간 3시간


보 3시간 2시간 보 0.75in(19.1mm) 0.75in(19.1mm)
기둥 3시간 2시간 기둥 2~4시간 = 2.00in(50.8mm)
바닥, 벽체 2시간 2시간 바닥 0.75in(19.1mm) 0.75in(19.1mm)
지붕 1시간 0.5시간 -

< 적용 사례 >

➔ 국내 및 국외 내화구조기준을 참고하여, 피복두께 10mm 증가하여 3시간 이상 내화성능 확보


38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라브 속 EPS(발포 폴리스티렌 Expanded Poly Styrene)는 단열효과가 뛰어나 저온
창고 부분에 많이 쓰이고 있으며, 최근 물류 창고 등의 화재사고에 주요 이슈사항이 되고 있다. 단열재를
불연재 또는 준불연재로 대체하는 등 중공층으로 화재 시 심재로 인한 화재확산이 없도록 설계단계부터
적용하여, 화재 시 연소확대를 최소화하도록 한다.

구분 단면형태 (보+슬래브 접합) 형상

Rib Plus

- 슬라브 속 EPS 매입으로 단열효과가 뛰어나 저온창고 부분에 적용


- 화재시 EPS로 인한 확산 가능성

HCS
(Hollow Core)

- 슬라브 속 중공층으로 화재시 심재로 인한 확산 없음


→ 중공층이 아닌 불연재로 대체가 가능하도록 개선이 요구됨

DTS
(Double Tee)

MTS

➔ RPS 슬라브 속 EPS를 불연재 또는 준불연재로 대체한 다양한 제품을 개발중임


Fire Protection & Life Safety Plan

다. 내화피복재 선정시 검토방법

검토항목 검토사항 비고
- 단열재 : 질석, 퍼라이트, 펄프, 스티로폴 등 - 중량배합비 및 부피배합비
자재성분
- 결합재 : 석고, 시멘트, 기타혼화제 검토

밀도 - 0.34g/ ㎤ 이상, 높을수록 유리


부착강도 - 3.14 N/ ㎠ 이상, 높을수록 유리 - 내화구조인정서, 검사성적서
세부내용 별도 확인
분진도 - 0.27g 이하
두께 - 얇을수록 유리 (경제성 및 시공성)
내부식성 - 강알카리성 유리 (PH>12)
내습성 - 석고비중 낮을수록 유리 (석고비중 높을수록 박리현상 발생)
- 석고 및 유기성분(펄프) - 제품별 상이
내균성
- 적을수록 유리 (유기물 높을수록 곰팡이 발생 우려)
내독성 - 유기성분, 발포성분 적을수록 유리
- 포름알데히드 및 VOCs 방출량 친환경 기준 이하 - 별도 친환경자재 인정기준
친환경성
- 석면성분 사용 절대 불가 확인

라. 내화피복 공법의 종류

공법 종류 적용부위 공법 특징 비고

-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 또는 경량 콘크리트 타설


- 장점 : 필요치수 제작 및 표면마감 용이, 구조체와
타설공법 보, 기둥
일체화로 시공 양호
- 단점 : 시공 시간이 길고 소요 중량 증가

- 철골 강재 주변에 콘크리트 블록, 벽돌, 돌 등으로


내화피복 효과를 확보
조적공법 기둥
- 장점 : 충격 저항이 높고, 박리의 우려가 없음
- 단점 : 시공 시간이 길고 소요 중량 증가

- 철골 강재에 부착력 증대를 위해 Metal Lath 및 용접철망


부착후 단열 모르타르로 미장
미장공법 보, 기둥 - 장점 : 내화피복과 표면마무리 동시 완료 가능
- 단점 : 시공시간이 길고 기계화 시공 어려움
(부착성, 균열, 방청에 대한 사전검토 필요)

- 철골 강재에 내화도료 도포하여 내화성능 확보


보, 기둥 - 장점 : 시공성 및 작업성 우수하고, 분진 발생이 작으며
도장공법 슬래브 별도의 마감이 필요없음
하부 - 단점 : 온도, 습도 등 기후 영향을 많이 받고, 타 공법에
비해 내화성능 품질보증 어려움

- 철골 강재 표면에 접착제를 도포후 내화재료를 뿜칠


보, 기등 - 장점 : 시공성 용이(복잡한 형상 가능), 내화성능 우수
뿜칠공법 슬래브 - 단점 : 작업 중 분진 및 오염 발생, 습식방식으로
하부 동절기 시공 어려움, 피복두께, 비중, 분진 등
관리가 어려움

- 경량의 성형판을 접착제나 연결철물을 이용하여 부착


- 장점 : PC판, ALC판, 석고판, 규산칼슘판, 압출시멘트판
성형판
보, 기둥 등 공장 제품 사용으로 품질에 대한 신뢰성 높음
붙임공법
- 단점 : 가격이 높고, 시공 어려움 (접합부, 이음부의
시공관리에 유의)
40

마. 도장공법의 내화도료
 건축물의 대형화, 고층화에 따라 건축물이 경량화 추세에 있으며 이로 인해 주요구조부를 건식공법인
철골구조로 구성하고 있다.
 한편 철골구조는 불연성으로 불에 타지는 않으나 내화능력이 약해 화재에 노출될 경우 인장강도, 압축강도
및 항복점이 변화하면서 구조적으로 취약해진다.
 화재발생 시 주요구조부의 변형 및 붕괴에 따른 대형재해를 예방하고자 건축법에서는 철골부재를 포함한
주요구조부를 내화구조로 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 다만, 석유화학공장의 철구조물이나 압력탱크 Leg등 폭발을 수반한 화재에는 부적합하다.

- 철골부재에 일정두께의 도막으로 도장함


- 안정상태에서 약 200~250도씨의 열에 노출되면 분사 상호간 배열상태가 안정상태에서 벗어나 불연성
기체를 방출하며 본래의 도막보다 80~100배로 팽창하여 불연성 단열층(발포층)을 형성하며 열전도를
차단하게 됨.
내화페인트
- 열역학적 효과 : 도료의 분자가 안정상태를 벗어나기 위해 스스로 많은 열에너지를 흡수하는
특성
흡열기능으로 온도상승을 지연시킴
- 차단층 효과 : 발포층이 철골부재의 공기접촉을 차단하게 되어 발포층에서의 연소반을을 지연시킴
- 가스희석 효과 : 도료가 팽창 발포할 때 화학반응으로 방출되는 난연성 기체 및 수증기 등으로 화재로
만들어진 가연성기체 일부가 희석되면서 연소속도를 감소시키는 효과

- 주로 철골보 및 철골기둥 등 철골부재의 내화피복을 위한 도료임


- 내화도료의 도장시스템은 하도(방청도료)+중도(내화도료)+상도(일반도료)로 구성됨
- 하도는 KS M 5311에서 규정하는 일반적인 방청성 도료(광명단)로서 내화도료 사양에 따라 사용됨
- 상도는 중도인 내화도료를 보호하기 위해 내구성있는 불소수지도료, 아크릴실리콘수지도료,
내화도료의 폴리우레탄수지도료 등이 사용됨
구성 - 무기내화도료 : 결정수를 포함하는 무기질 수지 및 흡열반응을 일으켜 외부의 열을 흡수하여 철골을
보호할 수 있는 기능성 안료, 이 반응을 촉진하는 촉매 등으로 구성됨
- 유기내화도료 : 도막을 발호하기 용이한 상태로 만들어주는 수지, 가스를 방출시켜 도막을 수십배의
두께로 발포시켜주는 발포제, 탄화도막의 주성분을 제공하는 탄화제, 가스방출과 탄화도막 형성반응을
촉진시키는 촉매 등으로 구성됨

- 기온이 5~35도씨, 상대습도 85%이하에서 작업


- 중도 도장인 내화페인트는 수분에 민감하기 때문에 비에 노출되는 것을 피해야하며, 시공단계별
건조시간을 준수하여 완전건조가 필요하며 건조 후 도막두께를 해당시료의 시험성적서 등에 규정된
도막두께로 해야 함.
내화페인트
- 철골 부재 도장면의 바탕은 먼지, 기름 등의 이물질이 없도록 제거하고 방청도료 도장전 표면의
시공 시
부식등을 제거하고 초벌 프라이머리를 도포함.
주의사항
- 방청을 목적으로 하는 내화성 방청도로 초벌 프라이머 도포 후 내화도료 중도를 도포하며,
에어스프레이 시공을 원칙으로 2회 도포하며 추가로 1회 도포가 가능함
- 상도는 중도의 도막을 보호하는 역할로 중도와 부착성이 좋고 내수성, 내후성 도료를 사용하며 색상
현장 조색은 금지함

- 1970년대 프랑스에서 개발되어 우리나라에는 1980년대 초반부터 미국, 독일, 영국으로부터 수입하여
석유화학공장에 사용하여옴.
- 석유화학공장은 폭발을 수반한 화재로 내화페인트의 사용이 적합하지 못하다는 해외의
내화도료
화재보험자들로부터 권고가 있었으며, 그 이후로는 석유화학공장의 내화피복재로는 콘크리트가
인정현황
사용됨
- 내화도료를 이용한 내화시간이 1~2시간에서 최근에는 3시간 내화시간 인증제품이 인정되어 판매 및
시공되고 있으며, 건설시험연구원의 자료를 활용하여 검색이 가능해짐
Fire Protection & Life Safety Plan

사례 1

→ 주요구조부의 내화피복 부적합(탈락) 상태

사례 2

→ 내화도료 탈락부분 우레탄 뿜칠 처리


42

3.2. 방화구획
3.2.1. 연소확대 방지
 화재의 연소확대 방지는 어느 공간에서 발생된 화재에 의해 건물 전체가 화재에 휩싸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화재를 해당 공간에 한정시키는 계획이며, 피난활동을 용이하게 하고 재산의 피해를 최소화하려는
목적으로 계획시 적용하고 있다.
 연소확대 방지 계획과 관련된 수립단계는 다음과 같다.
- 가스의 누설감지기와 긴급차단장치 등 설치
출화 방지 대책 - 내장재의 불연화
- 출화 위험 장소의 구획 철저
- 내장재 불연화
초기확대 방지 대책 - 연소범위의 최소화
- 상호연소 확대 방지
- 소화 (조기에 화재를 진압)
내부 연소확대 방지 대책 - 지연 (내장재의 불연화 또는 가연물의 감량화에 의해 급격한 연소를 억제)
- 국한 (구획 설정으로 화재의 확대를 억제)

가. 연소확대 방지를 위한 구획

구획 종류 구획 목적 구획 및 구성 방법
- 연소범위의 국한
방화구획 내화구조의 벽, 바닥판, 방화문으로 구성
- 일정시간 이상의 내화성능(차열성, 차염성) 요구
- 연기 확산과 유동 제한
방연구획 기밀성이 있는 불연재로 구획
- 구조체의 차염성 요구
안전구획 - 피난안전의 확보를 위해 피난경로에 화염 침입 방지 내화성능과 기밀성이 있는 불연재로 구획

나. 방화 · 방연구획의 종류

구획 종류 특징 및 고려사항 비고
- 일정 바닥면적 이내마다 방화구획을 설치하여 화염의 확산을 방지
면적 구획 수평방향 연소 방지 목적
- 건물구조, 규모, 스프링클러의 유무에 따라 한도면적이 상이
- 화재시 상층으로의 연소 확대를 방지하기 위해 각층마다 설치된 구획 외벽, 실내아트리움,
층간 구획
- 바닥슬래브, 외벽 스팬드럴 등 바닥에 형성된 틈 주의 지하주차장 등

수직개구부 - 수평바닥에서 층마다 구획할 수 없는 부분을 수직개구부 전체로 구획


구획 계단, 통풍구, 샤프트 등
- 화염 전달과 연기 확산의 경로가 되므로 신중히 구획
- 용도나 관리가 다른 부분은 상호 구획하여 출화 위험이나 연소위험이 높은
용도별 구획 부분을 기타 부분과 격리 -
- 피난예상자가 많거나 피난혼란이 예상되는 부분을 기타부분과 격리

다. 개구부의 관통부 방화계획

계획 종류 계획시 고려사항 비고
- 방화구획의 약점이 되는 개구부에 설치 (철제여닫이문, 금속셔터 등)
방화문 - 법규에 의한 방화성능 확보 (수시 폐쇄, 화재시 열 등 감지, 자동 폐쇄) “3.2.3” 참고
- 방화성능 향상 방안 : 일정 간격으로 이중 설치, 수막 살수장치(드렌처) 설치
- 덕트가 방화구획 관통시 방화구획 성능 보호를 위해 설치
방화댐퍼 “3.2.3” 참고
- 관통부위와 동등한 방화성능을 유지하고 수동-자동폐쇄 기능 고려
- 관의 통로와 벽체, 슬래브와의 틈을 내화채움구조로 처리
파이프 관통 “3.2.3” 참고
- 관통부 주변이 연소경로가 되지 않도록 피복 처리
Fire Protection & Life Safety Plan

라. 외부 연소확대 방지

연소방지 범위 계획 고려 사항

- 창 등 외부 개구부로부터 상층 연소 방지 필요
상층으로의 연소확대
- 스팬드럴, 차양, 발코니로 외벽의 층간구획을 형성하거나 살수설비 등 설치로 창면 보호
방지
- 스팬드럴을 90cm 정도 설치하거나 차양과 발코니를 50cm 이상 확보

- 외벽 마감재 사용 제한 : 건축물의 밀도가 높은 상업지역의 면적이 큰 건축물,


화재 위험이 상대적으로 높은 공장에 인접한 건축물
- 인접건물의 복사열, 불티 등에 의한 착화 방지를 위해 필요한 인동간격 확보
- 개구부나 외주부(벽체, 지붕 등)의 방호 필요 (방화문, 수막살수설비 등)
- 복사열에 의한 착화발생 정도를 평가하여 내화성능 확보 요구

건축법 58조

건축법 시행령
61조, 80조2,
별표2
외벽 및
인접건물로의
연소확대 방지 외벽 마감재 사용 제한 연소 확대 우려 이격

- 소화 활동 고려 : 소방차가 대응 가능한 높이 등
건축법
- 6층 이상 또는 높이 22m 이상 건축물의 각층마다 외벽마감재와 외벽마감재
제52조
지지구조 사이의 공간에 화재 확산 방지구조 설치 (최소 높이 400mm 이상)
건축법 시행령
- 화재확산 방지구조 종류
제61조
1) 12.5mm 이상의 방화 석고 보드
2) 6mm 이상의 석고 시멘트판 또는 평형 시멘트판 건축자재등
3) 미네랄울 보온판 2호 이상 품질인정 및
4) 내화성능 시험 결과 15분의 차염성능 및 이면온도 120K 이상 관리기준
제31조
상승하지 않는 재료

- 건축물의 주요구조부와 지붕 • 외벽을 내화구조로 해야함


- 그러하지 않는 경우
방화지구에서의 1) 주요부를 불연재료로 해야 하는 경우 : 방화지구 안의 공작물로서 간판,
건축법 51조
연소확대 방지계획 광고판, 그 밖에 건축물의 지붕 위에 설치하는 공작물이나 높이 3m 이상의
공작물
2) 방화지구 안의 지붕 • 방화문 및 인접 대지 경계선에 접하는 외벽
44

3.2.2. 방화구획의 목적
 건축물을 일정면적 단위별, 층별, 용도별 등으로 구획함으로써 화재시 일정범위 이외로의 연소를 방
지하여 피해를 국부적으로 한정하기 위한 계획방법이다. (건축법상 방화에 관한 규정 중 가장 중요)
 방화구획이 필요한 화재시 주요 연소 확대 경로 : 계단, 설비 샤프트, 설비 덕트, 구획벽의 개구부,
외벽과 슬래브 틈새 등

가. 용도별 방화구획 대상

면적 기준 건축물 용도 비고
건축법시행령
연면적 1,000 ㎡ - 주요구조부가 내화구조 또는 불연재료로 된 건축물
46조 1항
관람석 또는 집회실 - 제2종 근린생활시설중 공연장, 종교집회장
바닥면적 합계 (해당용도 바닥면적 합계 300 ㎡ 이상)
200 ㎡ 이상 - 문화 및 집회시설 (전시장 및 동·식물원 제외)
(옥외관람석 1,000㎡) - 종교시설, 의료시설 중 장례식장, 위락시설 중 주점영업
- 문화 및 집회시설 중 전시장 및 동·식물원
- 판매시설, 운수시설, 수련시설, 운동시설 중 체육관 및 운동장
- 위락시설 (주점영업의 용도 제외), 창고시설
바닥면적 합계
500 ㎡ 이상 - 위험물저장 및 처리시설, 자동차 관련 시설
- 방송통신시설 중 방송국·전신전화국 및 촬영소
- 묘지관련시설 중 화장장
건축법시행령
- 관광휴게시설
56조
바닥면적 합계
- 공장의 용도에 쓰이는 건축물 (화재위험이 적은 공장 제외)
2,000 ㎡ 이상
- 건축물의 2층이 단독주택 중 다중주택, 다가구주택
- 공동주택
바닥면적 합계
400 ㎡ 이상 - 제1종 근린생활시설 (의료시설), 의료시설
- 노유자시설 중 아동 관련 시설, 노인복지시설
- 수련시설 중 유스호스텔, 업무시설 중 오피스텔, 숙박시설, 장례식장
- 3층 이상 건축물 및 지하층이 있는 건축물
면적 상관없이 - 제외대상 : 단독주택 (다중주택 및 다가구주택 제외), 동물 및 식물 관련 시설,
내화구조 포함 대상 발전시설 (발전소 부속용도 시설 제외), 교도소 및 감화원, 묘지 관련 시설
(화장장 제외), 철강 관련 공장 제어실 증축부

나. 방화구획 완화 적용 대상

완화부분 건축물 용도 비고
시선 및 활동공간의 확보를 위하여 - 문화 및 집회시설 (동·식물원 제외), 종교시설, 의료시설 중
불가피한 부분 장례식장, 운동시설 등의 거실

대형기기 설비의 설치 및 이동식 물류


- 물품의 제조, 가공, 보관, 운반
설비 작업활동을 위해 불가피한 부분

건축물의 다른 부분과 방화구획으로


- 계단실, 복도, 승강기의 승강로 부분 (승강로비 포함)
구획된 부분 건축법시행령
최상층, 피난층에서의 도로의 사용을 46조 2항
- 대규모회의장, 강당, 스카이라운지, 로비 등
위하여 불가피한 부분

세대안의 층간바닥 부분 - 복층형 공동주택

주요구조부가 내화구조 또는 불연재료 - 주차장


- 단독주택, 동물 및 식물관련시설
기타 시설 용도
- 교정 및 군사시설 중 군사시설 (집회,체육,창고 등)
Fire Protection & Life Safety Plan

3.2.3. 방화구획의 범위 및 구성
가. 방화구획 계획 기준

구획 종류 계획사항

- 10층 이하의 층 : 바닥면적 1,000㎡ 이내마다 구획


- 11층 이상의 층 : 바닥면적 200 ㎡ 이내마다 구획
면적별 구획 (내장재가 불연재인 경우 600㎡)

- 스프링클러 등 자동식 소화설비 설치시 면적의 3배 이내마다 구획

층별 구획 - 매층마다 구획 (다만, 지하 1층에서 지상으로 직접 연결하는 경사로 부위는 제외)

용도별 구획 - 내화구조의 주요 구조부와 기타부분 사이 구획


- 내화구조의 바닥, 벽
구획 구조 - 60+방화문, 60분방화문
- 자동방화셔터 (60+방화문, 60분방화문 3미터 이내에 설치)

대규모 건축물 구획 - 방화벽

계획 기준
46

나. 연소확대 방지를 위한 방화구획 부위

연소확대 방지 계획사항

- 전층에 걸쳐 관통
계단
- 계단실 출입문을 60분+ 방화문, 60분방화문으로 계획

- 급탕, 위생, 냉난방, 전기설비 등

- 샤프트의 벽체는 내화구조 (상층 바닥슬라브까지 축조)

설비샤프트
- 각층 분기관의 관통부 주위 틈새를 시멘트몰탈, 내화채움구조 등으로 긴밀하게 밀폐

- 점검구 문은 60분+ 방화문, 60분방화문으로 계획

- 샤프트 벽체에 설치된 배기그릴에 자동방화 댐퍼 설치

- 냉난방, 화장실, 주방 배기 등 덕트 설비에 자동방화댐퍼 설치

- 덕트가 수직샤프트나 방화구획 벽체를 관통하는 경우 방화댐퍼를 벽체에 매립, 고정 설치


설비덕트
- 방화구획을 관통하는 댐퍼 주위 벽체는 시멘트 몰탈, 내화채움구조 등으로 긴밀하게 충전

- 방화댐퍼 구조 기준 : 철판두께 1.5mm 이상 철재 / 연기발생 및 온도상승시 자동차단


- 댐퍼의 기능을 확인할 수 있는 점검구 설치

- 방화문은 60분+ 방화문, 60분방화문의 내화성능을 갖춘 제품 사용


방화문/방화셔터/
구획벽의 개구부 - 방화셔터는 요구되는 내화성능시험 성적서 또는 인증받은 제품 사용
- 일체형 방화셔터는 설치 금지됨(2020.1.30.)

외벽과 슬래브 - 슬래브를 커튼월까지 가능한 한 접근


틈새 구획 - 팬 코일 박스 후면의 단열판을 내화성능이 있는 벽으로 구획
- 슬래브와 외벽 간의 틈새는 슬래브의 내화충전 성능을 인정한 구조로 밀폐하여야함
Fire Protection & Life Safety Plan

(1) 계단에 의한 연소 확대 : 계단은 엘리베이터나 에스컬레이터와 같이 건물 내의 상하층을 왕래하는


통행수단이며, 전 층에 걸쳐 관통되어 있으므로 화재발생시 연기나 화염의 상승로가 되기쉽다.
그러므로 인명피난의 수단으로써 뿐만 아니라 화재의 연소확대 방지 측면에서도 계단의 보호는
무엇보다 중요하다.

연소확대 경로 유지관리

- 계단실 출입 방화문은 갑종방화문으로서 항상 닫혀있거나 화재로 인한 연기


또는 불꽃을 감지하여 자동적으로 닫히는 구조로 할 것. 다만, 연기 또는
불꽃을 감지하여 자동적으로 닫히는 구조로 할 수 없는 경우에는 온도를
감지하여 자동적으로 닫히는 구조로 할 수 있음
- 평상시 통행에 방해가 된다고 해서 자동폐쇄장치를 해제해 둔다거나 방화문
하부에 쐐기를 끼워두지 말 것

(2) 설비샤프트에 의한 연소확대 : 건물에는 급탕, 위생, 냉·난방, 전기설비 등 건물의 기능유지를 위해 각종
설비가 필수적으로 설치되며, 이러한 설비는 수직 샤프트로 집합되어 상하층으로 공급 된다. 그러나
화재 발생 시 이런 수직 샤프트를 통하여 연기 및 화염이 상층으로 연소 확대되므로 차단이 중요하다.

연소확대 경로 계획 고려사항

- 설비의 수리나 공사 등으로 샤프트 벽체를 해체한


후에도 반드시 원상태로 복구할 것
- 배기 그릴에 설치된 방화댐퍼는 연기 또는 불꽃을
감지하여 자동적으로 닫히는 구조로 할 것. 다만,
주방 등 연기가 항상 발생하는 부분에는 온도를
감지하여 자동적으로 닫히는 구조로 할 수 있다.

- 외벽과 바닥 사이에 틈이 생긴 때나 급수관,


배전관 기타의 관이 방화구획을 관통하는
경우에는 그 관과 방화구획과의 틈을 다음의 어느
하나로 메울 것

[ 배관관통부에 내화채움구조 시공(예) ]


48

(3) 설비덕트 및 배관관통부에 의한 연소확대 : 건물 내에 쾌적한 환경의 제공을 위한 냉·난방설비, 화장실,


주방의 배기 등 덕트 설비가 설치되며, 이런 공기 이동을 위한 덕트는 화재 시 연기와 화염을
전파시키는 요인이 되므로 이를 차단하기 위하여 방화댐퍼를 설치하여야 한다.

 2021년 8월 7일부터 시행된 건축법 개정에 따른 방화댐퍼 이슈 사항에 대하여 확인 후 다음의 내용을
참고하여 기계분야와 협의를 통해 최종 결정하여 진행하는 것을 권장한다.

구분 계획사항 관련 기준
- "방화댐퍼"란 환기ㆍ난방 또는 냉방시설의 풍도가 방화구획을 건축자재등 품질인정
용어의 정의 관통하는 경우 그 관통부분 또는 이에 근접한 부분에 설치하는 및 관리기준
댐퍼를 말한다. 제1조제14호
건축자재등 품질인정
- 별표 10에 따른 내화성능시험 결과 비차열 1시간 이상의 성능
성능기준 및 관리기준
- KS F 2822(방화 댐퍼의 방연 시험 방법)에서 규정한 방연성능
제35조제1항
- 미끄럼부는 열팽창, 녹, 먼지 등에 의해 작동이 저해 받지 않는 구조일 것
- 방화댐퍼의 주기적인 작동상태, 점검, 청소 및 수리 등 유지ㆍ관리를
위하여 검사구ㆍ점검구는 방화댐퍼에 인접하여 설치할 것 건축자재등 품질인정
설치기준 - 부착 방법은 구조체에 견고하게 부착시키는 공법으로 화재시 덕트가 및 관리기준
탈락, 낙하해도 손상되지 않을 것 제35조제4항
- 배연기의 압력에 의해 방재상 해로운 진동 및 간격이 생기지 않는
구조일 것
이전 개정
가. 철재로서 철판의 두께가 1.5mm 가. 화재로 인한 연기 또는 불꽃을
이상일 것 감지하여 자동 적으로 닫히는
구조로 할 것. 다만, 주방 등 연기
가 항상 발생하는 부분에는
온도를 감지하여 자 동적으로
닫히는 구조로 할 수 있다.
나.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는 연기의 나. 국토교통부장관이 정하여
발생 또는 온도의 상승에 의하여 고시하는 비차열 성능 및
건축물방화구조규칙
개정 내용 자동적으로 닫힐 것 방연성능 등의 기준에 적합할 것
제14조제2항제3호
다. 닫힌 경우에는 방화의 지장이
<삭제>
있는 틈이 생기 지 아니할 것
라. <산업표준화법>에 의한
한국산업규격상의 방화댐퍼의 <삭제>
방연시험방법에 적합할 것
※ ‘건축물의 피난,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14조 제2항
제3호에 의해 위의 내용으로 2019년 8월 6일 개정되었고,
2021년 8월 7일부터 시행되어 더 이상 퓨즈링크 타입 방화댐퍼가 아닌
감지기 연동형 방화댐퍼를 적용해야 함

화재안전 성능이 요구되는 건축자재 등이 적합하게 생산되는지 전문기관을 통해 인정받고, 인


정받은 대로 현장에 유통/시공될 수 있도록 성능/품질을 관리하는 제도로, 국토교통부에서
건축법 및 같은 법 시행령이 개정(21.12.23. 시행)되어 세부규정을 정리하여 “건축자재 등 품
질인정 및 관리기준“을 마련하여 21.12.23일 부터 시행함
주요 내용은 제조현장 관리강화, 성능시험 관리강화 및 유통체계 관리강화 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앞으로 품질인정 대상 건축자재를 제조하려는 자는 이번 제정안에 따라 품질인정을
방화댐퍼의 받아야 하며, 공사 감리자/허가권자 등은 품질인정 대상 건축자재 성능/품질 확인 시 기존
성능인증 제도 시험성적서가 아닌 품질인정서를 확인해야 한다.
Fire Protection & Life Safety Plan

(4) 방화문/방화셔터/구획벽의 개구부


 방화문과 방화셔터는 방화구획벽을 출입하는 개구부에 설치하며, 화재시 연소 확대 방지를 위해
상당기간의 내화 성능이 있는 구조로 제작한다.

 문을 닫은 후 연기, 화염의 이동이 없도록 수시 개방 및 항상 닫힌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 계획에 적용할 방화문의 내화성능은 “3.1.1 내화성능 확인방법”의 내용을 참고하여 확인한다.

구분 계획 고려사항 비고
- 비차열 1시간 이상의 성능 확보 (KS F 2268-1 (방화문 내화시험) 결과) 건축물
- 60분+ 방화문, 60분 방화문-비차열 1시간 이상, 30분 방화문-비차열 30분 이상 적용 방화구조
- 아파트 발코니에 설치하는 대피공간의 60분+ 방화문, 60분방화문 : 차열 30분 이상 규칙 26조
- 방화문 기본 확보 성능 : 비틀림/연직하중강도, 개폐력, 개폐반복성, 내충격성
(KS F 3109 문세트)
성능시험 - 비차열/차열성능 : KS F 2268-1 (방화문 내화시험방법)
항목 - 차연성능 : KS F 2846 (방화문 차연성시험방법) + KS F 3109 (문세트)
방화문
- 방화문 인접창 : KS F 2845 (유리 구획부 내화시험방법) 건축자재등
* 미닫이 방화문 : 비틀림강도, 연직하중강도 성능 제외 품질인정 및
- 도어클로저 부착 상태에서 방화문 작동에 필요한 힘 : 문 개방시 133N 이하, 관리기준
완전 개방시 67N 이하 제35조
성능기준
- 방화문 인접창 유리 : 방화문 상부 또는 측면 50cm 이내에 설치, 비차열 성능
- 현관 디지털도어록 : KS C 9806(디지털도어록)+화재시 대비방법+내화형조건
- 승강기문을 방화문으로 사용시 : 승강장에 면한 부분에 방화문의 내화시험 결과 비차열
승강기문 1시간 이상의 성능 확보
- 설치 위치 : 영업장 주출입구의 반대방향에 설치
- 비상구 규격 : 가로 75 ㎝ 이상, 세로 150 ㎝ 이상(문틀 제외) 다중이용업소법
- 비상구 구조 : 구획된 실, 천장, 다른 영업장 등으로 경유하지 않도록 계획 시행규칙
비상구 - 문 개방 방향 : 피난방향으로 열리는 구조 (주출입구에 따라 자동문 가능) 제9조, 별표2
- 문의 재질 : 비상구와 주출입구의 문은 방화문으로 설치
- 4층 이하에 영업장 위치 : 발코니(가로 75㎝×세로 150㎝ 이상×높이 100㎝ 이상) 또는 “3.5.6” 참고
부속실(가로 75 ㎝ 이상×세로 150 ㎝ 이상) 및 피난기구 설치
- 자동방화셔터 및 방화문의 기준에 의한 시험 결과 확인
성능 - 내화성능 확보 : KS F-2268-1 (내화기준)
- 차연성능 확보 : KS F-2846 (차연기준)

- 방화유리(갑종)(THK8), 내화 차연막, 행거 롤러
구성 - 구동부 :구동모터, 콘트롤 박스, 구동체인, 특수 레일, 구동센서, 안전센서 등
- 조작부 : 비상전원 공급장치, 스위치, 비상 개폐 스위치

- 내화성능이 확보된 갑종 방화유리 자동문 (차연 가능)


- 평상시 자동문의 출입용도로 사용
- SST 프레임과 내열유리(1260℃) 사용으로 갑종방화문 성능 확보
방화유리 - 방화구획의 상황을 투시하여 파악 가능
자동문 - 평상시 개방 유지 상태 및 화재시 닫힘 유지 가능
- 시공시 일반자동문 시공후 내측에 방화문 및 방화셔터를
시공해야 하는 2중 시공부담 해소
특징
- 가격이 상대적으로 고가
자동방화셔터의 단점
- 차단이 작동된 셔터의 재개방 불가
- 차연 어려움 (차연 성능 30%-40%)
- 피난자의 비상문 인지 어려움 (일체식의 경우)
- 셔터 폐쇄시 화재구역 내부 상황 파악 어려움
- 방화문과 방화셔터의 거리가 가까울 경우 문의 개폐가
용이하지 않아서 피난 어려움
50

 자동방화셔터는 방화구획의 용도로 화재시 연기 및 열을 감지하여 자동 폐쇄되는 장치로써, 공항·체육관 등


시야가 개방된 넓은 공간이나 내화구조 벽을 설치하지 못하는 큰 개구부에 사용하는 방화셔터이다.
 평상시-개방된 상태를 유지, 화재시 연기나 열에 의해 자동으로 차단하여 방화구획을 형성한다.
 계획에 적용할 자동방화셔터의 내화성능은 한국방재시험연구원 및 한국건설시험연구원에서 시험을
수행하며, “3.1.1 내화성능 확인방법”의 내용을 참고하여 확인한다.
 자동방화셔터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창호”편의 “3. 셔터” 부분을 참고한다.

구분 내용 비고

- 대공간 등에서 화재시 연기 및 열을 감지하여 자동 폐쇄 건축물


용도 - 전동 또는 수동에 의해서 개폐할 수 있는 장치와 연기감지기·열감지기 등을 방화구조규칙
갖추고, 화재발생시 연기 및 열에 의하여 자동폐쇄되는 장치 일체 제14조 4항

- 피난상 유효한 60분+방화문, 60분 방화문으로부터 3m 이내에 별도로 설치


(피난경로의 신뢰도를 고려하여 고정 60분+방화문, 60분 방화문을 피난로로
계획)

건축물
설치위치 방화구조규칙
자동 제14조 4항
방화셔터

- 주요구성부재·장치·규모 등은 KS F 4510 (중량셔터)에 적합


- 강재셔터가 아닌 경우 KS F 4510 (중량셔터)에 준하는 구성조건 만족 건축자재등
- 화재발생시 연기감지기에 의한 일부폐쇄와 열감지기에 의한 완전폐쇄가 품질인정 및
구성
이루어 질 수 있는 구조 관리기준
- 셔터 상부는 상층 바닥에 직접 닿도록 설치 (바닥과의 틈새 발생시 화재시 연기와 제34조
열의 이동통로가 되지 않도록 방화구획에 준하는 처리)

일체형
- 일체형 방화셔터는 설치 금지됨(2020.1.30.) -
자동방화셔터

- 열과 화염에 강한 특수 개발된 직물로 만들어진 방화셔터의 종류


- 기존 철재 방화셔터의 방화, 방연기능을 충족시키면서 철재 방화셔터에 비해 적은
설치공간과 중량 감소 및 높은 빛 투과성 등 실용성이 높음

- 출입구개폐 방식 : 슬라이딩, 천막형, 미닫이, 이중 출입구


“창호”편의
스크린 - 셔터박스 공간이 철재방화셔터 대비 1.7배 작게 소요 셔터부분
방화 셔터 - 작동시 소음이 적음 참고
- 시공시 찢어짐으로 인한 주의 필요
특징 - 열에 의해서도 셔터 기능은 상실하지 않으나, 코팅부분 취약 우려
- 하부 Bottom Bar 부분에 처짐 발생 우려
- 찢어짐 발생시 스크린 전체를 교체해야 하는 관리비용 발생 우려
- 설치후 비상문 위치 변경 및 설계변경에 따른 재사용 불가
Fire Protection & Life Safety Plan

구분 계획사항 관련 기준

- 방화셔터의 건축공사장설치 크기는 KS F 4510 (중량셔터)의 기준에


방화문 및
따른다.
자동방화셔터 인정 및
: 가로(폭) 8m 이하 × 세로(높이) 4m 이하로 설치하여야 한다.
방화셔터의 설치크기 관리기준
- 수평셔터의 건축공사장설치 크기
제한 세부운영지침
: 가로(폭) 4m 이하 × 길이 8m 이하
[별표2] 셔터의 설치
- 대형공간(체육시설, 강당, 공연장 등) 등 부득이한 경우 구조기술사의
크기
검토 및 운영위원회 심의 통해 설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

- 지하주차장의 경우 최하층부터 방화셔터 및 고정식방화문 적용


- 고정식 방화문은 통행에 장애가 없도록 셋백하여 계획

주차장 램프 인근
방화셔터 및 방화문
설치

- 천장 속의 방화셔터는 내화성능이 있는 내림벽이나 보에 고정시켜 화염이남 연기의 이동을 차단하여야


한다.
- 철망모르타르나 철판으로 셔터박스 상부를 막는 경우는 화재시 비틀림 등에 의해 화염이나 연기의
차단에 실패할 수 있다.

셔터박스
상부 내화벽

- 셔터박스는 주로 반자 속에 은폐되어 있으므로 기능의 이상 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 점검구를 직근에


설치한다.
유지관리 - 셔터 차단로에 장애물의 설치를 금지한다.
- 예비전원은 기준 용량을 확보하고 개폐장치 및 감지장치가 연동·제어될 수 있도록 수시 점검하고,
일정기간마다 마찰부에 윤활유 주입 등 관리를 철저히 하여야 한다.
52

대형 판매시설 복도 방화구획에서 고정식방화문 설치 사례


- 판매시설 복도와 매장간 방화구획을 통한 피난 성능 확보

기타 판매시설 복도 방화구획에서 고정식방화문 설치 사례


Fire Protection & Life Safety Plan

[별표1]
방화문 및 자동방화셔터의 성능 기준

구분 분류 성능 성능평가 기준
- KS F 2268-1(방화문의 내화시험방법)에 따른 내화시험 결과 30분 이상의
30분
비차열 성능
비차열
60분 - KS F 2268-1(방화문의 내화시험방법)에 따른 내화시험 결과 60분 이상의
내화 이상 비차열 성능
성능 - KS F 2268-1(방화문의 내화시험방법)에 따른 내화시험 결과 30분 이상의
30분
차열 성능
차열
60분 - KS F 2268-1(방화문의 내화시험방법)에 따른 내화시험 결과 60분 이상의
이상 차열 성능
- KS F 2846(방화문의 차연성시험방법)에 따른 차연성시험 결과 KS F
방화문 3109(문세트)에서 규정한 차연성능
- KS F 3109(문세트)에 따른 방화문 필수 시험항목
- 철강제 이외의 방화문 KS L 2006(망판유리 및 선판유리)에 따른 가열 후
충격시험
- 도어클로저가 부착된 상태에서 방화문을 작동하는데 필요한 힘은 문을 열
부가성능
때 133N 이하, 완전 개방한 때 67N 이하
- 현관 등에 설치하는 디지털 도어록은 KS C 9806(디지털도어록)에 적합한
화재시 대비방법에 적합한 내화형 디지털 도어록
- 방화문의 상부 또는 측면으로부터 50센티미터 이내에 설치되는 방화문
붙박이창은 KS F 2268-1(방화문의 내화시험방법)에 따라 시험한 결과
해당 비차열 성능

수직 60분 - KS F 2268-1(방화문의 내화시험방법)에 따른 내화시험 결과 60분 이상의


내화 비차열 이상 비차열 성능
성능 수직 30분 - KS F 2268-1(방화문의 내화시험방법)에 따른 내화시험 결과 30분 이상의
차열 이상 차열 성능
- KS F 4510(중량셔터)에서 규정한 차연성능
- KS F 4510(중량셔터)에서 규정한 개폐성능
부가성능
- 철강재 이외의 셔터는 KS L 2006(망판유리 및 선판유리)에 따른 가열 후
자동 충격시험
방화셔터
수평 60분 - KS F 2257-5-1(방화문의 내화시험방법)에 따른 내화시험 결과 60분 이상의
내화 비차열 이상 비차열 성능
성능 수평 30분 - KS F 2268-1(방화문의 내화시험방법)에 따른 내화시험 결과 30분 이상의
차열 이상 차열 성능
- KS F 4510(중량셔터)에서 규정한 차연성능
- KS F 4510(중량셔터)에서 규정한 개폐성능
부가성능
- 철강재 이외의 셔터는 KS L 2006(망판유리 및 선판유리)에 따른 가열 후
충격시험
60분 - KS F 2268-1(방화문의 내화시험방법)에 따른 내화시험 결과 60분 이상의
비차열
이상 비차열 성능
내화 - KS F 2268-1(방화문의 내화시험방법)에 따른 내화시험 결과 30분 이상의
승강기문 30분
성능 차열 성능
차열
60분 - KS F 2268-1(방화문의 내화시험방법)에 따른 내화시험 결과 60분 이상의
이상 비차열 성능

- 방화문(셔터)의 구조 및 재료 특성, 부속품은 별도 운영위원회에서 규정하는 평가 기준


기타기준
- 예)유리방화문(슬라이딩 포함), 목재방화문, 스크린셔터, 도어클로져 등 각종 부속품
54

[별표2]
방화문 및 자동방화셔터 인정품목

구분 인정품목 내용
ND :
비차열 Non-Insulated Fire - 양면에 철강재료 등을 사용한 30분 이상의 비차열 방화문
방화문 Door

ND : - 양면에 철강재료 등을 사용하고 내부에 단열재 등을 사용한 30분 이상의


차열
Insulated Fire Door 차열 방화문

NVS :
수직
Non-Fire Insulated - 수직방향으로 개폐되는 60분 이상의 비차열 방화셔터
비차열
Vertical Shutter

IVS :
수직
Fire Insulated - 수직방향으로 개폐되는 30분 이상의 차열 방화셔터
차열
Vertical Shutter
자동
방화셔터
NHS :
수평
Non-Fire Insulated - 수평방향으로 개폐되는 60분 이상의 비차열 방화셔터
비차열
Horizontal Shutter

IHS :
수평
Fire Insulated - 수평방향으로 개폐되는 30분 이상의 차열 방화셔터
차열
Horizontal Shutter

NED :
비차열 Non-Insulated - 양면에 철강재료 등을 사용한 60분 이상의 비차열 승강기문
Elevator Fire Door
승강기문
IED :
차열 Insulated Elevator - 양면에 철강재료 등을 사용한 30분 이상의 차열 승강기문
Fire Door

OTD :
기타 Other Type Fire - 스크린, 유리, 목재 등
Door

※ 셔터의 설치크기

- 방화셔터의 건축공사장설치 크기는 KS F 4510 (중량셔터)의 기준에 따른다.


: 가로(폭) 8m 이하 x 세로(높이) 4m 이하로 설치하여야한다.
- 수평셔터의 건축공사장설치 크기
: 가로(폭) 4m 이하 x 길이 8m 이하
- 대형공간(체육시설, 강당, 공연장 등)등 부득이한 경우 구조기술사의 검토 및 운영위원회 심의를 통해 설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
Fire Protection & Life Safety Plan

(4) 외벽과 슬래브 틈새 구획 : 외벽을 커튼월 구조로 하는 경우가 많고, 이 커튼월은 층간 슬래브와 맞닿게
시공할 수 없기 때문에 틈새가 생기게 되며, 또한 이 부분은 반자 속에 있고 팬 코일박스 위 단열재에
가려 있으므로 취약점이 잘 노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 틈새를 구획하는 것이 층간 방화구획에 있어서
중요한 사항이다.

구분 내용 비고

- 외벽마감재와 외벽마감재 지지구조 사이의 공간을 다음의 재료로 매 층마다


설계 최소 높이 400 ㎜ 이상 밀실하게 채운 것
방법 - 5층 이하이면서 높이 22미터 미만인 건축물의 경우에는 화재확산방지구조를
매 두 개 층마다 설치할 수 있음

- 한국산업표준 KS F 3504(석고 보드 제품)에서 정하는 12.5mm 이상의 방화 석고


건축자재등
보드
품질인정 및
- 한국산업표준 KS L 5509(석고 시멘트판)에서 정하는 석고 시멘트판 6mm 관리기준
이상인 것 또는 KS L 5114(섬유강화 시멘트판)에서 정하는 6mm 이상의 평형
제31조
시멘트판인 것
재료 - 한국산업표준 KS L 9102(인조 광물섬유 단열재)에서 정하는 미네랄울 보온판
2호 이상인 것
- 한국산업표준 KS F 2257-8(건축 부재의 내화 시험 방법-수직 비내력 구획
부재의 성능 조건)에 따라 내화성능 시험한 결과 15분의 차염성능 및
이면온도가 120K 이상 상승하지 않는 재료

화재 확산
방지구조
56

다. 방화구획 벽체
 방화구획을 위한 벽체는 천장 속이 뚫려 있어서 화재 시 화염과 연기가 확산되는 경로로 사용될 수
있으므로 상부바닥과 벽체를 기밀하게 연결

구조기준 내용

내화 구조벽체의 - 천장 속의 벽체에 틈새가 있으면


불량으로 인한 방화문이 설치되어도 연소확대가
연소확대 발생

- 철근 콘크리트조 또는 철골철근콘크리트조 (두께 10cm 이상)


내화 구조벽의
구조기준 - 철골조 (양면을 두께 4cm 이상의 불연재 바탕 철망모르타르 또는 두께 5cm 이상의 콘크리트
블록, 벽돌, 석재로 덮은 것)

- 철재로 보강된 콘크리트 블록조,


벽돌조, 석조 (콘크리트 블록 두께
5cm 이상)

목조건축물
방화벽의
구조기준
- 벽돌조 (두께 19cm 이상)

- 기타 내화구조로서 홀로 설 수 있는 구조

- 방화벽의 양쪽, 윗쪽끝을 건축물의 외벽면 및 지붕면으로부터 0.5m 이상 돌출

- 방화벽에 설치하는 출입구의 너비 및 높이는 각각 2.5m 이하 60분+방화문, 60분 방화문


Fire Protection & Life Safety Plan

 방화구획선상에서 옥내소화전, 분전반 등 매립 설치시에 내화구조가 확보되도록 유의하고, 건식 벽체에


각종 매립함 설치로 인하여 내화성능이 미확보 사례가 발생함, 내화구조 건식 벽체의 경우 소화 전의 후면
벽체의 내화구조 성능확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사항을 참고하여 적용한다.

계획사항

조적벽 건식벽체

R.C. R.C. 매입

옥내소화전 매립
- 180mm 필요

호스릴 옥내소화전 매립
- 190mm 필요
58

3.2.4. 방화구획 계획 프로세스

01 방화구획 대상 여부 확인

- 방화구획 설치 대상 건축물의 용도, 면적, 규모 등을 확인

1. 구획 대상 용도 확인 : 내화구조 대상 건축물
2. 면적 확인 : 용도별 바닥면적 합계 400/ 500 / 2,000㎡ (관람석/집회실 바닥면적 합계 200㎡, 옥외1,000㎡)

02 구획 기준 및 계획내용 파악

- 방화구획의 대상, 범위에 따른 구획 기준을 파악하고 해당 방화구획 계획내용을 검토

1. 구획 층/규모 확인 : 매층마다 구획 (지하 1층에서 지상으로 직접 연결하는 경사로 부위는 제외)


2. 층별 면적기준 : 10층-1,000㎡, 11층-200㎡ (불연재-600㎡)
3. 구획방법 : 내화구조 바닥/벽, 갑종방화문, 자동방화셔터
4. 피난층 계획 검토 : 지상1,2층 방화구획 연계 가능
(1,000㎡까지 / 스프링클러 설치시 완화 3,000㎡)

03 방화구획을 위한 피난경로 검토

- 피난거리, 피난위치, 피난층/출구 등 피난경로를 검토하여 층별 방화구획에 반영

1. 피난경로 및 피난거리 파악 : 30m (내화구조 50m)


2. 거실 구획방법 : 내화구조벽, 바닥, 방화문, 셔터 확인
3. 대공간의 피난계단과 출구 고려하여 셔터 설치
4. 무창층 여부 확인 : “3.5.5 무창층 계획” 참고

04 주요 구획 부위 검토후 층별 구획

- 건축, 구조, 설비 등 층별, 공간별 주요 방화구획 부위와 구획면적을 파악하여 구획 작성

1. 수직통로부 : PS, EPS, 계단실, 에스컬레이터


2. 층별 : 1,2층 개방공간과 복도 및 개구부 구획
3. 공간, 실별 : 전기실, 발전기실, 주차램프, 창고, 발코니, 비상전원 설치실 등
4. 구획면적 검토

05 계획내용 최종 확인

- 방화구획과 연계된 소방시설의 설치 여부를 소방분야에 확인하여 종합적으로 검

1. 방화구획 내 배연창 설치 여부 확인
2. 소화설비, 피난기구, 제연설비, 경보설비 설치 여부 확인
3. 건축-소방분야 간섭사항 검토
Fire Protection & Life Safety Plan

3.2.5. 주요실 방화구획 관련 계획사항


 건축설계시 계획되는 소요실의 내화성능, 방화구획, 불연재 마감 등 소방 관련 계획방법은 다양한 법규와
기준 및 규칙에 따라 요구된다.
 다음의 내용을 참고하여 계획시 실별 방화구획의 계획에 참고하며, 정확한 내용은 소방분야와 협의를
통해 최종 결정하여 진행하는 것을 권장한다.

계획 적용사항
구분 실명
방화 불연재 비고
구획 사용 기타

로비 ▲ ▲ 방화구획 완화 가능 영 46조, 건축물방화구조규칙 24조


피난층 강당/무대홀 ▲ ▲ 방화구획 완화 가능 영 46조, 건축물방화구조규칙 24조
방풍실 - - 스프링클러 설치 (내부 통로) 소방시설법, NFSC103
승강장 ● ● 피난용, 비상용 건축물방화구조규칙, 승강기검사기준
승강기 승강로 ● - 상부 배연설비 건축물방화구조규칙, 승강기검사기준
비상용 전실 ● ● 배연설비 건축설비규칙 10조
승강기 기계실 ● ● 견고하게 구획, 유압식 의무 건축물방화구조규칙, 승강기검사기준
건축 계단실 ● ● 피난/특피계단, 배연/제연설비 건축물방화구조규칙, NFSC501A
/
계단 전실 ● ● 특피계단, 배연/제연설비 건축물방화구조규칙, NFSC501A
구조
옥외계단 ● - 방화문 건축물방화구조규칙 9조
에스컬레이터 ● - 층간방화, 방화셔터 연동 건축물방화구조규칙, 승강기검사기준
복도 ▲ ▲ 제연경계, 방화문 NFSC501
공용실 화장실 ▲ 방화구획 관통부, 방화댐퍼 건축물방화구조규칙 14조
탕비실 ▲ ▲ 용도별, 지하층 방화구획 영 46조, 건축물방화구조규칙 14조
창고 ▲ ▲ 용도별, 지하층 방화구획 영 46조, 건축물방화구조규칙 14조
주차장 ● 다른실과 방화구획 건축물방화구조규칙 14조
주차장 주차경사로 ● 층간방화 건축물방화구조규칙 14조
팬룸 ● 방화구획 관통부, 방화문 영 46조, 건축물방화구조규칙 14조
대기실/창고 ● ● 완화 제외 (내화,불연재) 건축물방화구조규칙 14조
피난안전구역 ● ● 설비공간과 내화구조 구획 건축물방화구조규칙 8조2
피난
대피공간 ● ● 옥상, 헬리포트 등 영 46조, 건축물방화구조규칙 13조
사무실,회의실 ▲ ▲ 용도별, 지하층 영 46조, 건축물방화구조규칙 14조
거실
휴게실 ▲ ▲ 용도별, 지하층 영 46조, 건축물방화구조규칙 14조
주방 ▲ ● 방화구획 관통부, 방화댐퍼 건축물방화구조규칙 14조, 소방기본법령 5조
연결복도/통로 ● ● 높이/폭 5m 이하, 방화문 법 59조, 영 81조
기계실 (공조 포함) ▲ 소방대상물, 감시제어반 포함시 건축물방화구조규칙, 소방시설법, NFSC
유수검지장치실 - - 방호구역, 기계실/피난계단 NFSC103,103A
소화가스실 ● 방화문 구획실 NFSC107A, 위험물관리기준
기계
소화약제 저장실 ● 방화문 구획실 NFSC106, 107A
(소방)
제연팬룸 ▲ 비상전원 설치시 방화구획 NFSC501
유류탱크실 ▲ ● 내화구조 (필요시 방폭) 소방기본법령, 위험물관리기준 129조
보일러실 ● ● 불연재 바닥 소방기본법, 소방시설법, 다중업소법
PS/PD ● 방화구획 관통부, 방화댐퍼 영 46조, 건축물방화구조규칙 14조
축열조 - - 내력구조, 방청 및 방식처리 냉방설비 설치기준 7조
가압수조 ● 가압원 포함 NFSC104
전기실 ▲ 소방대상물, 감시제어반 포함시 건축물방화구조규칙, 소방시설법, NFSC
발전기실 ▲ ▲ 유류탱크 포함시 방화구획,불연 위험물관리기준 29조
전기
수/변전실 ● ● 비상전원용, 방화구획형 NFSC602
(소방)
통신/전산/서버실 ▲ 집중구내통신실, 비상전원시 방송통신설비 기술기준, NFSC
방재실 ● 피난층, 지하1층 초고층재난관리
EPS/TPS ● 방화구획 관통부, 방화댐퍼 영 46조, 건축물방화구조규칙 14조
감시제어반 ● 전용실내 설치, 방화구획 NFSC
비상전원 ● 방화구획, 침수피해 방지 NFSC
60

3.2.6. 방화구획 관련 도면 작성방법


 방화구획의 계획에 있어서는 내화설계와 방화구획 관련 기준, 소방설비 및 제연설비 등 방재와 관련된
내용들이 종합적으로 반영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내용들을 통한 방화구획 계획시 검토사항 및 도면
작성방법은 다음과 같다.

가. 방화구획 계획도 관련 검토사항

계획 항목 검토사항 관련 도면

- 건축물의 용도, 층, 면적별 방화구획 기준 파악


방화구획 결정 - 각 층별 바닥면적 산출 및 방화구획 면적기준 비교
- 피난계획 등 확인 (피난층, 피난경로, 피난계단, 승강기 등) 방화구획 계획도

대상위치 및 - 방화구획 대상 실 파악
실 파악 (설비관련실, 주차장, 피난 관련수직동선, 수직관통부 등)
방화구획
내화성능 확인 - 구획용 벽체, 방화셔터의 종류별 내화성능 확인 (4.1.4 참고) 방화구획 계획도
벽체도
- 면적에 따라 방화구획의 구역을 층별로 분할 건식벽체 상세도
구역 분할
- 피난, 제연계획을 고려하여 분할

- 외벽, 수직 관통부중 층간방화구획 적용 부위 확인 방화구획 계획도


층간 방화구획
- 층간 방화구획 구간을 도면에 범례로 표기 평입단면상세도

- 층별 방화구획에서 내화벽체로 구획되지 않은 개방공간은


방화셔터
방화셔터를 설치하여 분할
설치구간 결정
- 지하주차장의 층간방화를 위해 주차램프에 셔터 설치 방화구획 계획도

방화셔터 방화문 확인 - 셔터 주위 3m 내 방화문 위치 여부 확인

- 계획에 맞게 방화셔터의 종류 선택 (철재, 일체식, 스크린 등) 방화구획 계획도


셔터 종류 선택 - 방화문 설치가 어려운 경우 일체형 방화셔터 적용 창호도
- 셔터 종류는 도면에 범례로 표기하고, 상세도면을 추가 셔터 상세도

출입구 - 방화구획의 내화벽체 출입구에 갑종 방화문 계획 방화구획 계획도

- 계획에 맞게 방화문의 종류 선택
방화문 방화문 (철재, 유리, 상시개방형, 방음문 등) 방화구획 계획도
종류 선택 - 방화문 종류는 도면에 범례로 표기하고, 창호도 및 상세도에 창호도 상세도
세부사양을 추가

- 배연창 유효면적 산정을 위한 층별 바닥면적 산출 후 1/100


법정면적 확인 (방화구획으로 구분시 방화구획별 바닥면적의 1/100로 산정)
- 산정시 최소면적 1㎡ 이상 (1㎡ 이하시 1㎡로 산정)

배연창 - 설치할 배연창의 종류별로 층별 유효면적을 산정 (W×H)


면적 산출 방화구획 계획도
- 층 전체의 배연창 유효면적을 합산하여 설치면적 산출
배연창 배연창설치 계획도
- 층별 법정 배연창 유효면적과 배연창 설치면적을 비교하여 법규 배연창상세도
준수 여부 확인
배연창 설치 - 방화구획별로 1개소 이상이 포함되도록 배연창 설치
- 상변 0.9m 또는 바닥 2.1 이격거리를 준수하여 설치
(배연창 종류 및 유효면적 산정, 설치 등은 “4.4.1” 참고)

피난기구 - 피난기구 설치기준을 확인하여 계획에 반영 (완강기,


기준 확인 피난구, 피난기, 사다리 등) 방화구획 계획도
피난기구 소방도면 소방설비
피난기구 - 적용 대상 피난기구를 층별로 설치 집계표
설치 - 피난기구 종류는 도면에 범례로 표기
Fire Protection & Life Safety Plan

나. 방화구획 계획도 구성 및 작성방법

구분 작성항목 작성방법 표현사례

- 층별로 작성, 굵은 선으로 표현 (범례 참고)


- 설비관련 실 (공조실, PS/EPS/TPS실 등)
방화구획별 - 수직관통부 (샤프트, 슬리브 등)
내화구조 벽체 - 수직동선 (계단실, 계단전실, 승강장, 승강로 등)
* 외벽은 방화지구 및 인접대지 관련시 외에는
내화구조 적용대상이 아니므로 표현 제외

- 층별로 개방공간의 설치구간에 작성


방화셔터
- 범례 표현에 맞는 선으로 표현

방화 - 층별로 외벽 등 수직관통 부위의 내화충전


-
구획 층간방화구획 구간에 작성
계획
내용
- 계획된 방화문의 위치에 작성
방화문 - 점채움, 약어기호 등 범례의 해당 기호 표현
- 방화문 종류 : 철재, 유리, 방음, 상시개방 등

- 방화구획에 설치된 배연창 위치에 작성


배연창 위치
- 화살표채움 등 범례의 해당 기호 표현

- 층별로 설치된 피난기구의 위치에 작성


피난기구 위치 - 완강기, 피난구, 사다리 등 범례의 해당 약어
기호 표현

- 방화구획용 층별 바닥면적 산출
바닥면적별
방화구획 - 원번호 등의 기호로 방화구획 산출근거 분류
(원번호) - 층별 방화구획 계획도 하단에 표로 작성

면적 - 배연창 종류별 1개소당 유효면적 산출


배연창 유효면적
산출표 - 층별 방화구획 계획 하단 또는 NOTES에 작성

- 배연창 설치를 위한 층별 법정면적 산출


배연창 법정
- 층별 배연창 설치면적 (유효면적 합계) 산출
설치면적
- 층별 방화구획 계획도 하단에 표로 작성

- 법정기준 (방화구획 완화 등) 및 반영사항


- 방화문, 방화셔터 반영 및 성능 내용
- 수직관통부 방화구획 및 방화문 처리사항
- 관련 참조도면 (창호도, 상세도 등)
방화구획 관련 - 층간방화, 내화충전 등 내용
특기사항 표기 - 바닥면적 산출근거 관련 사항
- 방화구획 특례사항 (별도 방화구획 처리 부위,
NOTE 바닥 및 배관 관통부위 처리 등)
- 시공자 시공 및 설치 유의사항 (샤프트 구간
배관후 콘크리트 타설 등)

- 방화구획, 층간 방화구획
- 방화셔터 (철재, 일체식, 스크린)
범례 구성 - 방화문 (철재, 유리, 상시개방형)
- 배연창
- 피난기구 (완강기, 피난구, 사다리 등)
62

도면
사례

방화구획 관련 주요 질의회신

- 설비덕트 등과 유사한 것은 바닥면적 산정시 제외


- 바닥면적에서 제외되는 설비덕트 등과
- 여기에는 건축물의 건축시 전기, 가스, 통신설비 등의 설치를 위한 덕트 부분
유사한 종류? (2004.5.3.)
포함 (사람이 통행할 수 없는 부분이 모두 바닥면적 산정시 제외되지 않음)

- 방화구획 벽체와 방화댐퍼가 관통하는 부분의 틈새는 내화충전구조의 성능이


확인된 구조 및 재료로 밀실하게 밀폐
- 방화구획 벽체와 이격된 방화댐퍼 사이의 배연풍도는 1.5㎜ 이상의 철판으로
- 방화구획과 이격된 방화댐퍼 사이의 마감
만들거나 모르타르 등으로 피복하여 충분한 방화 성능을 갖도록 조치 (KS F
처리 여부? (KFPA-2013.12.)
2815-배연설비의 검사표준)
- 배출풍도는 강판두께 0.5~1.2㎜이므로 1.5㎜ 이상을 만족하기 위하여 별도의
풍도 제작 대신 1.5 ㎜ 이상의 철판을 덧대어 보강

- 기존면적과 증축부분 면적을 합한 연면적에 해당하는 소방시설을 적용


- 건축물 증축시 소방시설 적용 여부?
- 기존과 증축부분이 방화구획시 증축부분만 적용
- 승용승강기가 거실에 직접 정지하지 않고 - 승강기가 거실에 직접 정지하는 경우가 아니면 승강기 앞에 방화셔터 등으로
복도, 홀 등 별도의 승강로비에 정지하는 별도의 방화구획을 할 필요가 없음 (단, 승강기문의 구조는 방화문 규정에
경우 방화구획 여부? 적합하게 시공)

- 승용승강기가 거실에 직접 정지하는 경우에는 복도 등 별도 장소를


- 승용승강기가 거실에 직접 정지하는 경우
승강장으로 하는 경우보다 더 화재위험이 높으므로 승강기문 앞에 방화셔터
방화구획 여부?
등 별도의 방화구획을 추가 필요
- 배수관, 배전관 피트실의 각 층마다
콘크리트 바닥 및 60분+ 방화문, 60분
- 파이프 덕트 등의 점유부분이 건축물의 다른 부분과 방화구획되어 있다면 그
방화문으로 출입 또는 바닥없이 시공될
안의 층간방화구획 제외
경우 모두 바닥관통부를 충전해야
하는지 여부?
- 승용승강기의 승강로 부분이 당해 건축물의 다른 부분과 방화구획으로
- 승용승강기 승강장에 방화셔터로
구획된 경우 완화 적용 가능
방화구획 여부?
- 비상용승강기가 아닌 승용승강기의 승강장은 별도의 방화구획 불필요
Fire Protection & Life Safety Plan

3.2.7. 내화 충전 공법
 층간 방화 구획 및 수직 방향의 연소확대 방지를 목적으로 화염 전달과 연기 확산의 경로가 되지 않도록
접합부 및 관통부 등의 틈을 내화채움구조로 막는 공사방법이다.

가. 관통부 충전 공법
 층마다 구획할 수 없는 배관의 통로, 슬리브 등의 수직개구부는 화염 전달과 연기 확산의 경로가 되므로
수평바닥의 관통부위를 내화채움구조로 처리되어야 한다.

종류 내용

- Z클립 하부의 철판으로 충전재를 지지하고


불연충전재 공법
방화실란트(10T)로 표면 마감
(미네랄울,
글라스울)
+
표면마감
(방화실란트) - 케이블이 복잡한 관통부는 밀실 시공 어려움
장단점
- 면적이 클 경우 효율성이 낮음

- 충전재로 암면을 삽입하고 외부 표면을 RTV 폼으로


불연충전재 공법 마감
(미네랄울, - 배관 주변부, 패드 절단면을 방화실란트로 코킹 처리
글라스울)
+
표면마감 - 일체형 RTV 폼 방식보다 비용 저렴
(RTV 폼패드) 장단점 - 관통부가 복잡할수록 성능 검증 어려움
- 시공 품질관리가 어려움

- 관통부 안에서 폼재를 발포시켜 전체를 충전하는


공법
일체형 일체형 방식
RTV 폼
(Room
Temperature
Vulcanizing) - 밀폐성이 뛰어나고 유연성이 좋음
장단점 - 협소하고 미세한 관통부에 적합
- 재료비 고가

- 암면을 규격별로 절단하여 관통부에 충전하고 전체


공법 면에 신축성 있는 방화재를 도포, 건조하는 방식
불연충전재
- 방화퍼티 도포 전 주변부 전처리 고려
(방화로드)
+
표면마감
- 넓은 관통부 시공에 적합
(방화퍼티)
장단점 - 흡음력이 우수하여 소음과 진동이 발생하는 부위에
적합
64

나. 선형 조인트 공법
 화재시 상층으로의 연소 확대를 방지하기 위해 각층마다 설치된 구획의 바닥슬래브, 외벽 스팬드럴
등 바닥에 형성된 틈을 내화채움구조 등으로 막아서 처리하는 공법

종류 내용 비고

- Z클립 하부 철판과 방화보드 등의 이중면으로


공법
충전재를 지지하는 구조
불연충전재
(미네랄울,
글라스울)
- 넓은 관통부 밀폐에 유리
+
- 설치면이 견고하여 충전재 하부 탈락 가능성이
표면마감
장단점 낮음
(방화보드)
- 복잡하고 협소한 장소의 시공 불리
- 바닥면 정리, 일정한 커튼월 Back 패널 설치 고려

- Z클립 하부 철판으로 충전재를 지지하고


공법
방화실란트(10T)로 표면 마감
불연충전재
(미네랄울,
글라스울)
- 작업이 간편하고 개보수 용이
+
- 협소한 공간에서 시공이 유리
표면마감
장단점 - 관통부 면적이 넓을 경우 효율성 저하
(방화실란트)
- 방화실란트 부착력을 고려하여 설치 주변부의 사전
처리 고려 필요

- 관통부 안에서 폼재를 발포시켜 전체를 충전하는


공법
일체형 방식

일체형
RTV폼 (Room
- 밀폐력, 유연성이 좋고 현장 발포형으로 협소한
Temperature
공간에 유리
Vulcanizing)
장단점 - 부피손실이 작고 하부 탈락이 거의 없음
- 표면이 거칠고 핀홀 현상 발생
- 시공이 어렵고 고가

- 규격별로 절단한 암면 전체면에 신축성 있는


공법
방화재를 도포·건조한 제품을 충전

불연충전재
(방화로드)
+ - 신축성이 있어서 커튼월 변위 발생시 대응이 가능
표면마감 - 커튼월 결로 현상시 습기를 차단하여 암면의 부피
(방화퍼티) 장단점 손실 방지
- 커튼월의 거동이 심할 경우 하부 탈락의 위험
- 방화퍼티 도포전 주변부 사전 처리 고려 필요
Fire Protection & Life Safety Plan

3.3. 건축물의 마감재료


 내화재료란 내화성을 가진 비금속 재료로, 화재시에 조직이 변하지 않고 소정의 강도가 유지되며 타지 않는
재료를 의미한다.
 규석, 점토, 마그네시아 등이 포함되어 있는 재료가 내화재료로 적합하고, 천연암석 중에서는 현무암,
안산암, 석회암, 경사암 등이 비교적 내화성이 좋다.

난연 등급 시험방법 비고
불연 불연성 시험 불연재료
준불연 열방출률 시험 준불연재료
난연 가스유해성 시험 난연재료

마감재료의 종류 내화재료 관련 내용 관련 법규

- 불에 타지 않는 성질을 가진 재료 (일반적으로 무기질) 건축물


불연재료 - 재료 자신은 연소하지 않고, 유해한 용융이나 변형이 없으며, 실내에 사용할
방화구조규칙
경우 유해한 가스, 연기가 발생하지 않는 재료 (콘크리트, 강재, 벽돌, 석면
슬래이트, 알루미늄, 유리 등) 제6조

- 불연재료에 준하는 성질을 가진 재료 (유기질을 다소 포함하지만 주로 건축물


준불연재료 무기질) 방화구조규칙
- 불연재료에 준하는 방화 성능을 갖는 재료 (두께 9.5㎜ 석고보드, 시멘트판 등) 제7조

- 불에 잘 타지 않는 성능을 가진 재료 건축물
난연재료 - 기본적으로 가연재지만 난연약제 등 처리 또는 표면에 불연재를 부착하여
방화구조규칙
연소를 어렵게 한 재료
제5조
- 난연성이 있는 재료 (난연합판, 난연섬유판, 난연 플라스틱판, 방염처리 목재 등)

※ 건축물의 마감재료의 난연성능 및 화재확산방지구조의 기준

내용 불연재 준불연재료 난연재료

실험 KS F ISO 1182 KS F ISO 5660-1[연소성능시험-열 방출, 연기 발생, 질량 감소율-제1부:


방법 (건축 재료의 불연성 열방출률(콘칼로리미터법)]
시험 방법)
가열시험 개시 후 5분간 총방출열량이 8MJ/ ㎡ 이하이며,
성능 가열시험 개시 후 20분간 가열시험 개시 후 10분간 5분간 최대 열방출률이 10초 이상 연속으로
가열로 내의 총방출열량이 200kW/㎡를 초과하지 않으며, 5분간 가열 후 시험체를
최고온도가 최종평형 8MJ/㎡이하이며, 10분간 관통하는 방화상 유해한 균열, 구멍 및 용융(복합자재의
온도를 20K 초과 최대 열방출률이 10초 경우 심재가 전부 용융, 소멸되는 것을 포함한다)등이
상승하지 않아야 하며 이상 연속으로 200kW/ ㎡ 없어야 한다.
(단, 20분 동안 평형에 를 초과하지 않으며, ※ 다만 「 건축물의 피난·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의한
도달하지 않으면 최종 10분간 가열 후 시험체를 규칙 」 제24조의2의 규정에 의한 복합자재로서
1분간 평균온도를 관통하는 방화상 유해한 건축물의 실내에 접하는 부분에 12.5 ㎜ 이상의
최종평형온도로 한다), 균열, 구멍 및 방화석고보드로 마감하거나, 한국산업규격 KS F
가열종료 후 시험체의 용융(복합자재의 경우 2257-1(건축 부재의 내화 시험 방법)에 따라 내화성능
질량감소율이 30% 심재가 전부 용융, 시험한 결과 15분의 차염성능 및 이면온도가 120K
이하여야 한다. 소멸되는 것을 이상 상승하지 않는 재료로 마감하는 경우 그러하지
포함한다)등이 없어야 한다. 아니하다.

가스 한국산업규격 KS F 2271(건축물의 내장 재료 및 구조의 난연성 시험방법 결과 실험용 쥐의 평균행동정지 시간


유해성
9분
66

※ 소방에서 규정하는 배관 보온재 난연성능

→ 소방용 보온재 각각의 물성에 적합한 KS 시험방법으로 난연재료 성능 이상 확보


→ 발포폴리에틸렌 보온재는 KS수평연소성시험 (KS M ISO 9772)을 통한 HF-1등급.
→ 고무발포보온재는 KS산소수지시험(KS M ISO 4589-2)에 의한 ≥28 이상

※ 관련 화재사고

천안 주상복합 지하주차장

JTBC가 공개한 해당 소방서에서 발표한 관련 자료를 보면 운전자가 라이터를 켜 가스에 착화, 폭발하면서 발 생한
화재로 추정이라는 표현이 존재한다. 소방서 측에서 '담배'인지는 알 수는 없더라도 운전자의 라이터가 발
화점이라는 부분에 대해서는 확정한 듯하다.
화재가 크게 확대된 이유로 지하주차장 천장 배관을 둘러싸고 있던 보온재가 불에 타기 쉬운 재질이라는 것이
확인되었다. 참고로, 건축법에는 건축물 실내 마감재는 방화에 지장이 없는 난연성 재료를 쓰도록 규정하고 있지만,
배관용 보온재는 내부 마감재료에 포함되지 않는다.

사고가 발생한 밤 11시 8분경 화재감지기가 정상 작동하여 예비 신호를 발생했으나 누군가가 소방시스템을 강제로
꺼버린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1분 후 정식 화재 경보가 다시 발생했는데 이때에도 스프링클러를 강제로
꺼버렸다는 것이 밝혀졌다. 화재 발생 6분 후(11시 14분) 소방관들이 현장에 도착할 때쯤 소방시스템이 켜졌으며
화재가 감지된 지 9분 뒤인 밤 11시 18분에야 스프링클러 펌프가 켜졌다.
출처: 나무위키
Fire Protection & Life Safety Plan

3.3.1. 건축물의 내부 마감재료 적용대상

벽 및 반자의
실내마감재료
건축물 용도 대상규모
복도,
거실 계단, 통로

(1) 다중주택·다가구주택, 공동주택

(2) (제2종 근생 중)공연장·종교집회장·인터넷


컴퓨터게임시설제공업소·학원·독서실·당구
장·다중생활시설 모든 건축물

(3) 위험물 저장 및 처리시설(자가난방·자가


발전 등의 용도에 쓰이는 시설 포함), 자동차
관련시설. 방송국·촬영소 또는 발전시설
불연재
준불연재
다음을 제외한 건축물 :
난연재
건축물이 1층 이하이고, 연면적이 1,000 ㎡ 미만으로서 다음 요건을 모두 갖춘 경우
(4) 공장의 용 가. 국토교통부령이 정하는 화재위험이 적은 공장용도 주2로 사용할 것
도로 쓰는 나. 화재 시 대피가 가능한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출구 주3를 갖출 것
건축물 다. 국토교통부령이 정하는 품질기준에 적합한 복합자재 주4[불연성인 재료와
불연성이 아닌 재료가 복합된 자재로서 양면 철판과 심재로 구성된 것]를 내
부마감재료로 사용할 것

5층 이상인 층의 거실의 바닥면적의 합계 불연재


(5) 5층 이상 건축물
500 ㎡ 이상 준불연재
(6) 문화 및 집회시설, 종교시설, 판매시설,
운수시설, 의료시설, 교육연구시설 중 학교
(초등학교만 해당)·학원, 노유자시설, 수련시
설, 오피스텔, 숙박시설, 위락시설(단란주점 불연재
모든 건축물
및 유흥주점은 제외), 장례시설, 「 다중이용업 준불연재
소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 시행령 」 제2
조에 따른 다중이용업(단란주점영업 및 유흥
주점영업은 제외)

바닥면적 600 ㎡ (자동식 소화설비 설치 경우


1,200㎡) 이상인 것
(7) 창고 (벽 및 지붕을 국토교통부장관이 정하여 고시
하는 화재 확산 방지 구조 기준 주5에 적합하
게 설치한 건축물은 제외)

(8) 상기 (1)~(7)의 용도에 쓰이는 거실 거실을 지하층 또는 지하의 공작물에 설치한 불연재
(출입문 및 문틀 포함)로서 경우 준불연재

※ 주1 : 반자돌림대, 창대 기타 유사한 것은 제외
※ 주2 : 다음 표에서 정하는 용도 (다만, 공장의 일부 또는 전체를 기숙사 및 구내식당의 용도로 사용하는 건축물 제외)
※ 주3 : 건축물의 내부의 각 부분으로부터 출구(가장 가까운 거리에 있는 출구)에 이르는 보행거리가 30m 이하가 되도록 설치된
유효너비 1.5m 이상의 출구
※ 주4 : 다음의 품질기준을 갖춘 경우
1. 철판 : 도장용융아연도금강판 중 일반용으로서 전면도장의 횟수는 2회 이상이고 두께는 0.5㎜ 이상인 것
2. 심재
가. 발포 폴리스티렌 단열재로서 비드보온판 4호 이상인 것
나. 경질 우레탄폼 단열재로서 보온판 2종2호 이상인 것
다. 그 밖의 심재는 불연재료·준불연재료 또는 난연재료인 것
※ 주5 : 수직 화재확산 방지를 위하여 외벽마감재와 외벽마감재 지지구조 사이의 공간([별표1]에서 “화재확산방지재료” 부분)을
다음 각 호 중 하나에 해당하는 재료로 매 층마다 최소 높이 400㎜ 이상 밀실하게 채운 것을 말한다.
1. 한국산업표준 KS F 3504(석고 보드 제품)에서 정하는 12.5㎜ 이상의 방화 석고 보드
2. 한국산업표준 KS L 5509(석고 시멘트판)에서 정하는 석고 시멘트판 6 ㎜ 이상인 것 또는 KS L 5114(섬유강화 시멘트판)에서
정하는 6 ㎜ 이상의 평형 시멘트판인 것
3. 한국산업표준 KS L 9102(인조 광물섬유 단열재)에서 정하는 미네랄울 보온판 2호 이상인 것
4. 한국산업표준 KS F 2257-8(건축 부재의 내화 시험 방법-수직 비내력 구획 부재의 성능 조건)에 따라 내화성능 시험한 결과
15분의 차염성능 및 이면온도가 120K 이상 상승하지 않는 재료
68

※ 내장재 불연화 규정(건축법 시행령) 개정 내용

※ 건축법시행령 제91조 ※ 건축법시행령 제91조 ※ 건축법시행령 제34조로 변경


특수건물 내장재 불연화 규정 신설 - 본문 중 판매·위락시설 추가로 일부 「특수건물」 용어를 「건축물」로 변경
스프링클러설비 설치 면적 2/3 감소 용도 추가됨 스프링클러 설치 부분 제외
100 ㎡ 이내 구획 시 배제 ※ 동령 부칙 부적합한 기존 건물은 200 ㎡이내 구획 시 배제
(1) 1979.12.31.까지 보완 5층 이상 500 ㎡ 이상 건축물 규정을
동령 제1항에 통합

※ 건축법시행령 제61조제3항 신설 ※ 건축법시행령 제61조 본 조의 단서 ※ 건축법시행령 제61조 4호 신설 및


노래연습장·단란주점 및 유흥주점의 조항 중 “바닥 면적 200 ㎡ 이내 마다 기존 4,5호는 5,6호로 변경
용도부분 추가 방화구획 시 배제” 대상 용도에서
제외되는 용도 조항(제5호) 신설 4호 내용 : 내부마감재료 대상 건물로
※ 건축법시행령 제61조의 제목 변경 공장용도로 사용되는 건축물
(1999.4.30 본조 개정) - 건축법시행령 제61조제5호 : 제2종 추가 (2층 이상이고 연면적이
「건축물의 내장」을 「건축물의 내부 근린생활시설 중 공연장·단란주점· 1,000 ㎡이상은 무조건 대상,
마감재료」로 변경 당구장·노래연습장, 문화 및 집회시설 층수 및 연면적 대상 미달은
중 예식장, 교육연구 및 복지시설 중 일정요건 갖춘경우 대상에서
※ 피난·방화규칙 (1999.5.7) 생활권수련시설·자연권수련시설, 제외)
제24조제2 항제2호로 변경 숙박시설 중 여관·여인숙 또는 위락시설
제2종근린생활시설 중 단란주점· 중 단란주점·주점영업 ※ 피난·방화규칙 제5,6,7,조
노래연습장 또는 위락시설 중 (개정,2006.6.29)
단란주점 및 주점영업의 용도 부분 난연재료 : 난연3급→난연재료
불연재료 : 난연1급→불연재료
준불연재료 : 난연2급→준불연재료

※ 건축법시행령 제61조 7호 신설 ※ 제4호 다. 복합자재를 내부 마감재료 ※ 건축법시행령 제61조 내장재 불연화


- 창고로 쓰이는 바닥면적 3,000㎡ 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국토교통부령 대상건물 면적 조항 삭제
(스프링클러나 그 밖에 이와 비슷한 으로 정하는 품질기준에 적합할 것 (공장, 5층 이상인 층 거실, 창고 제외
자동식 소화설비를 설치한 경우에는 제7호 창고 대상면적 강화 기타 용도)
6,000㎡) 이상인 건축물 바닥면적 3천 제곱미터(sp등 설치시 6
천 제곱미터) → 바닥면적 600
제곱미터(sp등 설치시 1천200
제곱미터)
Fire Protection & Life Safety Plan

 건축물 용도 및 내장재 특성에 따른 화재지연 및 확산에 대한 사항


 실내에 설치되는 장식재로 건물 내의 벽, 천장, 바닥 등에 노출된 표면에 고정, 부착된 건축물 내부의 표면
치장재 등도 포함된다.
 은폐되거나 접근이 곤란한 공간의 표면이나 기능상 한 위치에 고정된 비품은 내장재로 간주하지 않는다.

내장재 부위 시험방법 표시 방식 성능기준 비고


- 화염확산지수(FSI) : 0~25 이하
Class A
- 연기성장지수(SDI) : 0~450
벽 및 천장 NFPA 255 - 화염확산지수(FSI) : 26 이상 ~ 75 이하
내장재 Class B NFPA에 따른
(ASTM E 84) - 연기성장지수(SDI) : 0~450
내장재 분류
- 화염확산지수(FSI) : 76 이상 ~ 200 이하
Class C 기준
- 연기성장지수(SDI) : 0~450

NFPA 253 Class Ⅰ - 임계복사열류 0.45 W/ ㎠ 이상


바닥 내장재
(ASTM E 648) Class Ⅱ - 임계복사열류 0.22 W/㎠ 이상 ~ 0.45 W/㎠ 미만

화염확산지수(FSI-Flame Spread Index)


- NFPA 255에 따라 시험한 재료에 대한 시간에 따른 화염확산 거리를 측정무차원수로 표현한 것
- 실험에 의해 측정된 화염확산거리-시간 그래프에 의해 산출

연기성장지수(SDI-Smoke Developed Index)


- NFPA 253에 의한 시간에 따른 연기로 인한 감광정도를 측정해 무차원수로 표현한 것
- 강화시멘트판과 Red oak판을 각각 0과 100으로 하여 비교한 상대 값
- 연기성장지수의 한계 값은 UL에서의 연구결과에 따른 것으로 시간과 연기 농도를 함께 고려했을 때 적정한
연기등급의 한계 값
70

3.3.2. 건축물의 외벽 마감재료 적용대상

분류 대상 마감재료

(단열재, 도장 등 코팅재료 및 그 밖에
가) 제1종 근린생활시설, 제2종 근린생활시설, 문화 및 집회시설, 종
마감재료를 구성하는 모든 재료를 포함)
교시설, 판매시설, 의료시설, 교육연구시설, 노유자시설, 운동시설
상업지역
및 위락시설의 용도로 쓰는 건축물(당해 용도의 바닥면적합계 · 불연재료
(근린상 업지역 · 준불연재료
2,000㎡ 이상)
제외)안의 건축물 · 난연재료
나) 공장(화재위험이 적은 공장 제외)의 용도로 쓰는 건축물로부터
※ 다층건축물의 외벽을
6m 이내에 위치한 건축물 국토교통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화재 확산방지구조 주1 기준에
적합하게 설치하는 경우에는
다층건축물 층수가 6층 이상이거나 높이가 22미터 이상인 건축물
난연재료를 마감재료로 사용

※ 주1 : 화재확산방지구조([건축자재등 품질인정 및 관리기준 기준(국토교통부고시 제2022-84호, 2022.2.11.)


[제31조(화재 확산 방지구조)] 「 건축자재등 품질인정 및 관리기준 」 규칙 제24조제6항에서 “국토교통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화재 확산 방지구조”는 수직 화재 확산 방지를 위하여 외벽마감재와 외벽마감재 지지구조 사이의 공간([별표
9]에서 “화재확산방지재료” 부분)을 다음 각 호 중 하나에 해당하는 재료로 매 층마다 최소높이 400 ㎜ 이상 밀실하게
채운 것을 말한다.
1. 한국산업한국산업표준 KS F 3504(석고 보드 제품)에서 정하는 12.5㎜ 이상의 방화 석고보드
2. 한국산업표준 KS L 5509(석고 시멘트판)에서 정하는 석고 시멘트판 6 ㎜ 이상인 것 또는 KS L 5114(섬유강화
시멘트판)에서 정하는 6 ㎜ 이상의 평형 시멘트판인 것
3. 한국산업표준 KS L 9102(인조 광물섬유 단열재)에서 정하는 미네랄울 보온판 2호 이상인 것
4. 한국산업표준 KS F 2257-8(건축 부재의 내화 시험 방법 – 수직 비내력 구획 부재의 성능 조건)에 따라 내화성능
시험한 결과 15분의 차염성능 및 이면온도가 120K 이상 상승하지 않는 재료

※ 방화유리창 설치 의무화 (국토교통부, 2021.07.05. 시행)


- 대통령령으로 정한 건축물의 인접대지경계선에 접하는 외벽에 설치되는 창호와 인접대지경계선 간의 거리가 1.5m
이내인 경우 창호는 방화유리창으로 설치해야 함 [피난규칙 제24조제12항]

구분 내용

1. 상업지역의 제1종 근린생활시설, 제2종 근린생활시설, 문화 및 집회시설, 종교시설, 판매시설, 운동시설


및 위락시설의 용도로 쓰는 건축물로서 그 용도로 쓰는 바닥면적의 합계가 2천제곱미터 이상인 건축물
대상 건축물
또는 공장(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화재 위험이 적은 공장은 제외한다)의 용도로 쓰는 건축물로부터
[건축법
6미터 이내에 위치한 건축물
시행령
2. 의료시설, 교육연구시설, 노유자시설 및 수련시설의 용도로 쓰는 건축물
제61조제2항]
3. 3층 이상 또는 높이 9미터 이상인 건축물
4. 1층의 전부 또는 일부를 필로티 구조로 설치하여 주차장으로 쓰는 건축물

방화유리창 건축물의 인접대지경계선에 접하는 외벽에 설치하는 창호(窓戶)와 인접대지경계선 간의 거리가 1.5미터
설치 의무화 이내인 경우 해당 창호는 방화유리창[한국산업표준 KS F 2845(유리구획 부분의 내화 시험방법)에 규정된
[건축물방화구 방법에 따라 시험한 결과 비차열 20분 이상의 성능이 있는 것으로 한정한다]으로 설치해야 한다. 다만,
조규칙 스프링클러 또는 간이 스프링클러의 헤드가 창호로부터 60센티미터 이내에 설치되어 건축물 내부가 화재
제24조제12항] 로부터 방호되는 경우에는 방화유리창으로 설치하지 않을 수 있다.
Fire Protection & Life Safety Plan

3.3.3. 불연재료 관련 법규항목

관련 법규 조항 내화재료 관련내용
2조 - 불연재료, 준불연재료, 난연재료의 용어 정의
- 직통계단의 설치
34조
- 내화구조 또는 불연재료로 된 건축물의 피난 보행거리 완화 (50m 이하)
- 피난계단의 설치
35조
- 내화구조 또는 불연재료로 된 건축물의 피난/특별피난계단 설치 완화
- 방화구획 등의 설치
46조 - 내화구조 또는 불연재료로 된 건축물에 방화구획 설치 규정
- 방화구획 완화 규정 : 내화구조 또는 불연재료로 된 주차장
건축법 시행령 - 건축물의 내화구조
56조
- 불연재료를 사용한 지붕틀을 내화구조 완화 규정
- 대규모 건축물의 방화벽
57조
- 내화구조이거나 불연재료인 건축물의 방화벽 구획 완화
- 방화지구의 주요구조부 및 외벽의 내화구조 완화
58조
- 외벽 및 처마면이 내화구조 또는 불연재료로 된 단층 부속 건축물, 도매시장
- 내부 마감재료 사용시 내화구조 또는 불연재료 사용시 예외 규정
61조
- 내부 마감재료의 복합자재 사용 규정
81조 - 맞벽건축 및 연결복도의 내화구조, 마감재료로 불연재료 사용 규정
- 비상용승강기 설치 예외 : 높이 31m를 넘는 층수가 4개층 이하, 각층의 바닥면적 합계
9조
200㎡(벽, 반자가 접하는 부분 마감이 불연재료시 500㎡) 이내마다 방화구획으로 구획
- 비상용승강기의 승강장 및 승강로의 구조
건축설비규칙 10조
- 비상용승강기 승강장 구조 : 벽, 반자와 실내 접합부의 마감재료(바탕 포함)는 불연재료 사용
- 배연설비 (피난층 제외)
14조
- 특별피난계단, 비상용승강기 승강장의 배연설비 구조 : 배연구, 배연풍도는 불연재료 사용
- 내화구조 기준 (벽, 비내력벽, 기둥, 바닥, 보, 지붕틀)
3조 - 철망모르타르의 바름바탕에 불연재료 사용
- 철골조 지붕틀(높이 4m 이상) : 반자가 없거나 불연재료로 된 반자
- 불연재료 기준
- 콘크리트, 석재, 벽돌, 기와, 철강, 알루미늄, 유리, 시멘트모르타르, 회
- 「산업표준화법」에 의한 한국산업규격이 정한 시험 결과 질량감소율 등이 국토교통부장관이
6조
정하여 고시하는 불연재료의 성능기준을 충족하는 것
- 불연성의 재료로서 국토교통부장관이 인정하는 재료 (불연성 재료와 불연성재료가 아닌
재료가 복합으로 구성된 경우 제외)
- 준불연재료 기준
7조 - 「 산업표준화법 」에 의한 한국산업규격이 정한 시험 결과 가스 유해성, 열방출량 등이
국토교통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준불연재료의 성능기준을 충족하는 것
- 피난안전구역의 설치기준
8조2
- 피난안전구역의 내부마감재료는 불연재료 설치
- 피난계단 및 특별피난계단의 구조
- 건축물의 내부에 설치하는 피난계단의 구조 : 계단실의 실내에 접하는 부분의 마감(바탕
건축물 9조
포함)은 불연재료 사용
방화구조규칙 - 특별피난계단 : 계단실 및 부속실 실내에 접하는 부분의 마감(바탕 포함) 불연재료 사용
- 헬리포트 및 구조공간 설치 기준
13조
- 대피공간 : 내부마감재료는 불연재료 사용
- 방화구획의 설치기준
14조 - 벽 및 반자의 실내에 접하는 부분의 마감을 불연재료로 한 경우 바닥면적 500 ㎡ (스프링클러
등 설치한 경우 1500㎡) 이내마다 구획
- 복합건축물의 피난시설 등
- 거실의 벽 및 반자가 실내에 면하는 부분(반자돌림대, 창대 등 제외)의 마감은 불연재료,
14조2 준불연재료 또는 난연재료 사용
- 거실로부터 지상으로 통하는 주된 복도, 계단, 통로의 벽 및 반자가 실내에 면하는 부분의
마감은 불연재료 또는 준불연재료 사용
- 건축물에 설치하는 굴뚝
- 건축물의 지붕속, 반자위, 가장 아랫바닥밑에 있는 금속제 굴뚝의 부분은 금속외의
20조 불연재료로 덮을 것
- 금속제 굴뚝은 목재 기타 가연재료로부터 15㎝ 이상 떨어져서 설치 (두께 10㎝ 이상인
금속외의 불연재료로 덮은 경우 예외)
20조2 - 내화구조 적용이 제외 공장건축물 : 주요구조부가 불연재료로 된 2층 이하의 공장
72

- 대규모 목조건축물의 외벽 등
22조 - 연면적 1000㎡ 이상인 목조의 건축물은 그 외벽 및 처마밑의 연소할 우려가 있는 부분을
방화구조로 하고, 그 지붕은 불연재료 사용
- 방화지구안의 지붕ㆍ방화문 및 외벽 등
- 방화지구 내 건축물의 지붕중 내화구조가 아닌 것은 불연재료 사용
23조 - 방화지구 내 건축물의 인접대지경계선에 접하는 외벽 창문 등 : 내화구조나 불연재료로 된
벽, 담장 등 방화설비 설치, 환기구멍에 설치하는 불연재료로 된 방화커버 또는 그물눈이 2mm
이하인 금속망
- 건축물의 마감재료
- 거실의 벽, 반자 실내마감(반자돌림대, 창대 제외) : 불연재료,준불연재료,난연재료 사용
- 거실에서 지상으로 통하는 주복도, 계단, 통로의 벽 및 반자의 실내마감 : 불연재료 또는
준불연재료 사용
24조 - 건축물의 외벽에 불연재료 또는 준불연재료를 마감재료(단열재, 도장 등 코팅재료 등
마감재료를 구성하는 모든 재료 포함)로 사용
- 외벽 마감재료를 구성하는 재료 전체를 하나로 보아 불연재료 또는 준불연재료에 해당하는
경우 마감재료 중 단열재는 난연재료로 사용 가능
- 건축물의 외벽을 화재 확산 방지구조 기준에 적합하게 설치하는 경우에는 난연재료를
마감재료로 사용 가능
- 소규모 공장용도 건축물의 마감재료
- 복합자재 : 자재의 철판과 심재로 구성
24조2 - 철판 : 일반용 도장용융아연도금강판(전면도장횟수-2회, 두께-0.5mm)
- 심재 : 발포 폴리스티렌 단열재(비드보온판 4호 이상), 경질 폴리우레탄 폼 단열재(보온판
2종2호 이상), 불연재료·준불연재료 또는 난연재료
- 지하층의 구조
25조
- 지하층 비상탈출구 (주택 제외) : 피난통로의 실내 접합부 마감과 바탕은 불연재료 사용
- 피난용승강기의 설치기준
30조
- 피난용승강기 승강장의 구조 : 실내에 접하는 부분의 마감(바탕 포함)은 불연재료 사용
Fire Protection & Life Safety Plan

3.3.4. 방염재료
 화원에 의해 착화된 경우, 불꽃을 내며 연소하지 않고 그 자신이 연소 확대의 매체가 되지 않는 것

구분 내용 비고
- 근린생활시설 중 체력단련장, 숙박시설, 방송통신시설 중 방송국 및 촬영소, 합숙소
방염
- 건축물 실내의 문화 및 집회시설, 종교시설, 운동시설 (수영장 제외)
성능 소방시설법
- 의료시설 (종합병원, 요양병원, 정신의료기관), 노유자시설, 수련시설(숙박)
적용 시행령 19조
대상 - 다중이용업 영업장 (다중이용업소법)
- 층수 11층 이상 (아파트 제외)
- 카페트 (마루,바닥에 까는 섬유제품, 직물/터프트/자수/니트/접착/니들펀치 카페트 등)
- 커텐, 브라인드 (실내에 설치하는 합성수지제품-포제브라인드, 버티칼, 롤스크린 등)
- 암막, 무대막 (스크린 포함)
- 벽지류 (벽, 천장, 반자 등에 부착하는 두께 2mm 미만 포지-비닐벽지, 벽포지, 인테리어필름,
천연재료벽지) 방염성능기준
- 합판(중밀도섬유판(MDF), 목재판넬(HDF), 파티클보드(PB), 0.4mm 이하 시트 부착), 목재 3조
- 섬유판 (합성수지판, 합판 등에 섬유류 부착, 섬유류 흡음재, 방음재 포함)
- 합성수지판 (합성수지 흡음재, 방음재 포함), 합성수지 시트
- 소파, 의자 (섬유류 또는 합성수지류 등)
- 기타 실내장식물 (다중이용업소법 시행령 3조)
- 건축물 내부의 천장이나 벽에 설치하는 물품
- 종이류(두께 2mm 이상), 합성수지류 또는 섬유류 물품, 합판/목재, 공간구획용 다중이용
방염 실내장식물 업소법
간이칸막이, 흡음재(흡음커튼 포함), 방음재(방음커튼 포함)
대상 시행령 3조
* 제외물품 : 가구류(옷장, 찬장, 식탁, 식탁용 의자, 사무용 책상, 사무용 의자
물품
및 계산대 등, 너비 10cm 이하 반자돌림대 등
- 창문 커튼류 (블라인드 포함)
선처리 물품 - 카펫, 두께 2mm 미만 벽지류 (종이벽지 제외)
(제조,가공시 - 전시용 합판/섬유판, 무대용 합판/섬유판
방염처리) - 암막, 무대막 (영화상영관 스크린, 골프 연습장 스크린 포함)
- 섬유류, 합성수지류 소파, 의자(단란주점, 유흥주점, 노래연습장장)
현장처리물품 - 설치 현장에서 방염처리되는 목재, 합판 : 시도지사가 방염성능 검사 소방시설법
시행령 20조
- 종이류(두께 2mm 이상), 합성수지류, 섬유류 물품, 합판, 목재
실내 - 공간 구획용 간이 칸막이 (접이식 등 이동 가능한 벽체나 천장 또는 반자가
천장/벽 실내에 접하는 부분까지 구획하지 아니하는 벽체를 말한다)
부착설치 - 흡음재(흡음용 커튼 포함), 방음재(방음용 커튼 포함)
물품 * 제외물품 : 가구류(옷장, 찬장, 식탁, 식탁 의자, 사무용 책상/의자, 계산대), 너비
10cm 이하 반자돌림대 등, 건축법상 내부마감재료
- 버너의 불꽃 제거시부터 연소 종료시간 : 불꽃이 올라오는 20초, 올라오지 않는 30초
- 탄화면적 : 50 ㎠ 이내, 탄화길이 : 20 ㎠ 이내
- 불꽃에 의하여 완전히 녹을 때까지 불꽃의 접촉 횟수 3회 이상 소방시설법
- 국민안전처장관 고시 방법으로 발연량 측정시 최대연기밀도 : 400 이하 시행령 20조
* 다중이용업소, 의료시설, 노유자시설, 숙박시설, 장례식장의 침구류·소파, 의자에 방염처리
방염 필요시 방염처리된 제품 사용 권장 (소방본부장, 소방서장)
성능
- 카페트 : 잔염시간이 20초 이내, 탄화길이 10㎝ 이내 (내세탁성 측정)
기준
- 얇은 포 : 잔염시간 3초, 잔신시간 5초, 탄화(면적-30 ㎠ , 길이-20 ㎝ ), 접염횟수 3회
- 두꺼운 포 : 잔염시간 5초, 잔신시간 20초, 탄화(면적-40 ㎠ , 길이-20 ㎝ ), 접염횟수 3회
방염성능기준
- 합성수지판 : 잔염시간 5초, 잔신시간 20초, 탄화(면적-40㎠, 길이-20㎝) 4조
- 합판 등 : 잔염시간 10초, 잔신시간 30초, 탄화(면적-50㎠, 길이-20㎝)
- 소파, 의자 : 담배법 시험(1시간 이내 발화, 연기 미발생), 버너법 시험(잔염시간 및 잔신시간
각각 120초 이내)
- 적용대상 건축물의 방염대상물품은 방염성능검사 조치 소방시설법
- 방염처리업 등록자에 의한 시료 제출로 검사 13조1항
- 선처리물품 방염성능검사 : 한국소방산업기술원에 제출
방염 신청
- 현장처리물품 방염성능검사 : 시·도지사 제출 (가로 29 ㎝ ×세로 19 ㎝ 이상) 소방용품
성능
검사 선처리 - 표본 추출후 방염성능기준에 맞는지 검사 품질관리규칙
물품 - 방염성능검사 항목 생략범위 : 최근 3개월마다 1회 이상 신청, 1년동안 10회 2장
검사방법 이상 방염성능 인정, 자체품질관리규정 및 조직 보유
- 방염성능기준 미달, 방염성능검사 미수행 : 방염대상물품 제거 조치 소방시설법 12조
74

3.3.5. 재료 선정시 유의사항

01 재료 사용부위 확인

- 내화, 방염재료를 사용할 부위 및 공간에 대한 법규, 성능기준 등 검토


(내화구조, 방화구획, 소방시설, 피난계획, 다중이용업소 방염처리 등)

02 내화재료의 종류 및 성능 확인

- 불연, 준불연, 난연재료 등 내화재료의 종류 및 내화성능 확인


(내화성능 시험과 관련 있는 기관의 웹사이트 접속)

03 방염재료 계획에 적용 및 검토

- 방염재료 관련 계획내용 검토 (다중이용업소 등)


- 방염재료의 종류 및 내화성능 확인 (KFI 웹사이트 접속)

한국소방산업기술원(KFI) (www.kfi.or.kr)
- 소방용품 시험 (형식승인, 성능인증, KFI인정, 우수품질인증, 조달물품 검사 등)
- 소방용품 검사 (제품검사, 방염성능검사, KFI인정 제품검사)
- 위험물 관리 (위험물탱크, 제조소, 제품 검사)

1. 5.2.1의 실내장식물 등 방염대상 물품은 KFI의 방염성능 인증을 확인

2. 방염성능검사결과 및 방염성능제조업체 정보 확인 (정보공개 > 데이터개방)

*기타 인증 관련기관은 “4.1.3 내화성능 확인 방법“ 참고

04 내화, 방염재료의 계획 적용 및 검토

- 내화, 방염재료 제품 선택, 인증서 및 성적서 확인후 계획에 적용


Fire Protection & Life Safety Plan

3.4. 피난시설 계획
 피난시 고려사항

피난계획 원칙 계획 사항 비고
- 피난로중 한 방향이 화재로 사용할 수 없을 경우 다른 방향을 사용할 수
다중 피난로 “3.4” 참고
있도록 두방향 피난로 확보 계획

- 굴곡지고 복잡하며 전체길이가 긴 피난경로 계획 지양


피난경로 - 간단 명료한 피난경로 검토 “3.4.2” 참고
- 복도와 통로 말단부에 출구나 계단 등을 배치

- 재해가 발생했을 경우 복잡한 조작을 필요로 하는 장치는 부적당하므로 가장


기본적인 피난수단 우선 고려
피난수단 고려 “3.4.1” 참고
- 가장 원시적인 인간 보행에 의한 피난이 원칙 (승강기 사용 불가)
- 피난수단으로 계단을 이용

- 피난설비는 고정시설로 계획
- 피난기구는 탈출에 늦은 소수자에 대한 극히 예외적인 보조수단
피난설비 계획 “3.4.4” 참고
- 피난기구 종류 : 피난용 로프, 미끄럼대, 피난트랩, 피난 사다리, 피난 다리,
완강기, 구조대, 공기안전매트 등

- 각 실의 안전성은 최종 안전한 피난장소의 순서로 증진시켜서 확보


- 안전성의 순서 : 출화실 < 실 출구, 복도, 계단 < 수직통로 (계단실 포함) <
실별 안전성 건물의 외부 및 주변부 “3.4” 참고
- 건물 밖으로의 탈출이 불가능하거나 늦어질 경우 외부 발코니, 옥상의 구조를
위한 소방 사다리차 범위 확보
76

■ 건축물 용도 및 재실자 특성에 따른 피난 대책에 대한 사항


 옥상 광장이 설치되는 주상복합의 경우 옥외 계단 추가로 검토하고, 주거시설의 경우 시뮬레이션의
적정성을 위하여 복도 또는 거실에 배연창 적용하기도 하며, 보행거리는 여유율(50m의 경우 45m 이내로
계획)을 감안하여 계획 수립을 통하여 피난 추가 강화 대책을 하는 실정이다.

피난 대책 설계 방법
- 실의 용도 및 일상의 유지관리에 따른 대책이 필요함
건축물 용도에 따른 대책 - 취침시설의 경우 화재인지 지연 및 피난지연에 대한 대비책 강구
- 복합용도 건물인 경우 이용시간대가 달라 피난로 차단 등에 대한 대비책 강구
건물 내 각 부분의
- 최대 예상 재실자수의 적용을 원칙으로 함
피난대상자수를
재실자 특성에 예상 - 주택, 호텔 객실층과 같이 이용자수가 한정된 곳은 설계인원을 대상으로 함
따른 대책
특정·불특정구별과 - 불특정 이용자의 시설인 경우 피난유도시설과 피난시설을 강화함
피난능력 - 비상시 판단력이 부족한 사람 및 장애인 등의 재해약자를 배려한 피난계획 수립
- Fool Proof and Fail Safe 개념의 피난대책으로 피난경로는 짧고, 단순・명쾌하게
배치하고 양방향 피난로를 확보
- 인간의 심리, 생리를 배려한 피난대책을 수립하고, 평상시 교육, 훈련
공통 사항
- 피난기구 및 피난 유도 시스템의 철저한 설치 및 관리
- 피난경로를 인도하는 유도등, 유도표지 및 발광의 라이프 라인(life line)을 적정하게 설치
- 복도, 계단, 출입구의 폭과 수를 피난인원에 맞도록 적절히 산정하고 배치

특정용도 피난대책 설계 방법
집회시설 및 - 상영관별 순차적 피난을 위한 비상경보설비 및 비상방송설비를 체계적으로 사전에
복합상영관 등 시설 계획하여 설치
- Sunken Garden 설치하여 직접 지상으로 피난할 수 있도록 계획
지하공간 - 전 층 피난 시 발생하는 피난 혼란을 방지하기 위해 비상경보설비 및 비상방송설비
를 체계적으로 사전에 계획하여 설치
- 피난로 급기가압 제연으로 연기의 유입을 방지
- 안전성이 확보된 피난용 엘리베이터를 설치하여 노약자, 재해약자의 피난을 유도함
(초)고층 건물 - 전 층 피난 시 발생하는 피난 혼란을 방지하기 위해 비상경보설비 및
비상방송설비를 체계적으로 사전에 계획하여 설치
- 헬리포트 또는 인명구조공간 계획하여 수직 양방향 피난이 가능하도록 계획
- 세대별 발코니 및 하향식 피난구를 설치하여 양방향 피난로를 확보
공동주택(주상복합) 건물
- 안전성이 확보된 피난용 엘리베이터를 설치하여 노약자, 재해약자의 피난을 유도
- 순차적 피난을 위한 피난유도시스템(비상경보설비, 비상방송설비)을 설치
- 피난기구의 확보, 비상조명등 및 휴대용비상조명등 설치
다중이용업소
- 안내표지 유도등 및 유도표지를 명확히 하여 피난 시 대처
- 각 실별 양방향 피난이 가능하게 비상구 설치
- 불특정다수인의 피난유도를 위해 평소 근무요원들의 피난 시 행동에 대한 교육 및 홍보
- 수평피난에 의한 수직피난을 고려하여 수평의 안전구획을 계획
- 환자들이 피난 시 피난계단 이용의 어려움을 고려하여 비상시를 위한 별도의 승강
대형병원
기를 준비하고 화재 시 영향 없이 항상 가동되도록 별도의 전원 시스템으로 설계
- 특수형 유도등 설치, 시각 장애인을 위한 음성피난 유도시스템 설치, 청각 장애인을
위한 시각 경보장치 설치
- 불특정다수인의 피난유도를 위해 평소 근무요원들의 피난 시 행동에 대한 교육 및 홍보
- 객실은 자동폐쇄장치를 설치하여 복도를 몇 개의 구획으로 나누어 연기확산을 방
지하고 동일층에서의 단계적 피난계획 수립
- 객실마다 Night Table 부위 또는 적당한 부위에 스피커를 설치하여 비상시 방송
호텔 및 피난을 유도
- 특수형 유도등 설치, 시각 장애인을 위한 음성피난 유도시스템 설치, 청각 장애인을
위한 시각 경보장치 설치
- 객실마다 피난기구 설치(피난 밧줄 또는 간이 완강기) 또는 발코니를 설치하여 양방
향 피난이 가능하도록 계획
Fire Protection & Life Safety Plan

3.4.1. 계단

계단 관련 설치기준 비교
- 계단은 사용 편의성, 피난 안전성을 고려한 구조, 설치, 치수 등 기준이 법규별로 다양하게 규정
- 건축물의 용도 및 계획조건을 바탕으로 적합한 기준을 검토하여 적용 권장

건축물 산업안전보건
구분 장애인등편의법 주택건설기준 교통약자법
방화구조규칙 기준 규칙
- 연면적 200㎡ 초과 건축물 - 공원, 공공건물 및 - 공동주택, 부대시설, - 모든 사업장 - 여객시설
설치 공중이용시설, 복리시설
대상 공동주택, 통신시설

- 유효높이 2.1m 이상 - 6층, 각층 거실의 - 공동주택 계단실 : - 높이 2m 이내 공간에 - 직선, 꺾임


(유효높이 : 계단 바닥 바닥면적 계단실 최상부에 배연 장애물이 없도록 설치 형태로 설치
마감면~상부 구조체 300㎡이내마다 등 개구부 설치, (급유용, 보수용,
하부마감면까지 연직방향 1개소 이상 직통계단 계단실 각층별 층수 비상용, 나선형 계단
설치
높이) 설치 표시, 벽/반자마감에 제외)
기준
- 직선, 꺾임형태로 설치 불연, 준불연재 사용 - 높이 1m 이상 계단의
- 계단바닥 : 미끄럼 방지 개방된 측면에
구조 안전난간 설치

- 높이 3m 이상 : 3m - 높이 1.8m 이내마다 - 높이 2m 초과 : 2m - 높이 3m 초과 계단에 - 높이 1.8m


이내마다 유효너비 1.2m 수평면의 계단참 설치 이내마다 너비 120 3m 이내마다 너비 이내마다
이상 계단참 - 계단참 유효폭 1.2m ㎝이상 계단참 1.2m 이상 계단참 수평면의
이상 (기계실 ,물탱크실 3m) 설치 계단참 설치
계단참 - 각동 출입구 계단 : - 출입구에서 1.2m 이상 - 계단참 유효폭
1층에 한정하여 높이 이격 (문 설치시) 2m 이상
2.5m 이내마다 계단참
설치

- 초등학교 : 단높이 16cm - 디딤판 너비 : 0.28m - 공동사용계단 장애인등


이하, 단너비 26cm 이상 이상 : 높이 18㎝,너비 26㎝ 편의법과 동일
- 중·고등학교 : 단높이 18cm - 챌면 높이 : 0.18m 이하 - 옥외계단
단높이
이하, 단너비 26cm 이상 - 챌면 기울기 :
/단너비 : 높이 20㎝,너비 24㎝
디딤판에서 60도 이상
- 계단코 돌출 : 3㎝ 이내

- 초,중,고교, 공동주택 외 - 계단 유효폭 1.2m 이상 - 공동사용계단 : 120 ㎝ - 폭 1m 이상으로 설치 - 계단 유효폭 2m


: 150cm - 옥외피난계단 유효폭 - 옥외계단 : 90 ㎝ (급유용, 보수용, 이상
- 공동주택, 문화집회시설, 0.9m 이상 비상용, 나선형 계단, - 옥외피난계단
판매시설, 윗층 거실 높이 1m 미만 유효폭 0.9m
유효폭 바닥면적 합계 200 이동식계단 제외) 이상
(유효 ㎡이상, 거실 바닥면적
너비) 합계 100 ㎡ 이상
지하층 : 120cm
- 옥외피난계단 : 0.9m 이상
- 기타 : 60cm

- 높이 1m 이상 계단, 계단참 - 계단 측면에 난간 - 난간 재료 : 철근 - 상부 난간대 : 90 장애인등


양옆에 난간 설치 (벽 포함) 설치시 난간 하부에 콘크리트, 안 전유리, ㎝이상 높이에 편의법과 동일
- 너비 3m 이상 계단 중간에 높이 2 ㎝ 이상의 강도 및 내구성이 설치
3m 이내마다 난간 설치 추락방지턱 설치 있는 재료 - 중간 난간대 : 난간
(단높이 15cm, 단너비 - 높이 0.8~0.9m 이하 - 난간 높이 : 90㎝ 이상 중간 또는 60 ㎝ 이하
30cm 이하시 제외) (2중 설치시 위 0.85m, (건축물내부계단, 간격으로 2단 이상
난간/ - 손잡이 지름 3.2cm~3.8cm 아래 0.65m) 계단중간 설치 난간등) 균등 설치
손잡이 (원, 타원 단면) - 손잡이 지름 : - 난간살 간격 : 10 - 난간대 : 지름 2.7
- 벽 5cm 이상 이격 3.2㎝~3.8㎝ 이하 ㎝이하 (안목치수) ㎝이상의 금속제
- 높이 85cm에 설치 - 벽에 설치시 : 벽과의 파이프 등 재료
- 계단이 끝나는 수평부분 : 간격 5㎝ 내외 - 발끝막이판 : 10㎝ 이상
30cm 이상 돌출 - 경사면 손잡이 높이 유지
끝부분에 0.3m 이상
수평손잡이 설치
78

가. 직통계단
 계단은 수직방향의 가장 주요한 피난로이고, 특히 고층 건축물에서는 피난층까지 피난을 유도하는 유일한
피난방법이므로 법규 및 기준에서 정한 내화 및 소방 관련 내용을 엄격하게 반영해서 계획해야 한다.
 또한 안전과 피난, 편의성을 동시에 고려해야 하므로, 피난방화 규칙 장애인 편의증진 규칙 등을 함께
참고하여 계획한다.

계단 종류 계획 고려 사항 비고
- 각층에서 지상, 피난층, 피난안전구역까지 직통하도록 연결된 계단
- 거실 각 부분으로부터 직통계단까지 보행거리가 30m 이하가 되도록 설치
(내화구조 50m, 16층 이상 공동주택 40m, 자동 소화설비 설치 공장 75m,
무인공장 100m)
- 5층 이상 또는 지하2층 이하의 층 : 피난계단 또는 특별피난계단으로 계획

바닥면적
직통계단 2개소 이상 설치대상 용도 (층)
합계 (층)
건축법 시행령
- 공연장・종교집회장, 문화 및 집회시설(전시장 및 동·식물원 제34,35조
제외), 종교시설, 주점영업 또는 장례식장
직통계단 - 다중주택・다가구주택, 정신과의원, 건축물
200㎡ 이상 인터넷컴퓨터게임시설제공업소·학원·독서실, 판매시설, 방화구조규칙
여객용 시설, 의료시설(치과병원 제외), 교육연구시설 중 학원, 제8,8-2,9,15,22-2,25조
아동 관련 시설・노인복지시설·장애인 거주시설, 유스호스텔,
숙박시설 용도로 쓰는 3층 이상
- 지하층

- 제2종 근린생활시설 중 공연장·종교집회장


300㎡ 이상
- 공동주택(층당 4세대 이하 제외), 오피스텔
400㎡ 이상 - 3층 이상의 층

나. 피난계단
 직통계단 중 5층 이상, 지하 2층 이하의 층으로부터 피난층으로 직통하도록 연결된 계단이다.

계단 종류 계획 고려 사항 비고

- 계단실의 창문, 출입구 외에는 건축물과 내화구조 벽으로 구획


건축법 시행령
- 계단실은 예비전원에 의한 조명설비 설치
제34,35조
- 계단실의 내부 : 불연재료로 계획 건축물
피난계단
- 계단실의 창문 : 망입유리의 붙박이창으로 계획 (면적 1㎡ 이내) 방화구조규칙
- 계단실로 통하는 출입구 : 60분+ 방화문, 60분(30분) 방화문 설치 8,8-2,9,15,22-2,25조
(0.9m 이상의 폭, 피난방향으로 열 수 있고 항상 닫혀 있는 구조)


Fire Protection & Life Safety Plan

구분 계획 고려 사항 비고
- 5층 이상 또는 지하 2층 이하인 층에 설치
- 건축물의 5층 이상인 층으로서 전시장, 동・식물원, 판매시설, 여객용 시설, 운동시설,
위락시설, 관광휴게시설, 생활권 수련시설의 용도로 쓰는 층의 바닥면적 합계가 2000 건축법 시행령
설치대상
㎡ 이상시 2000 ㎡ 이내마다 1개소 설치 (4층 이하에서는 사용금지) 제35조
* 예외 : 건축물의 주요구조부가 내화구조, 불연재료 (5층 이상 층의 바닥면적 합계
200 ㎡ 이하 또는 200 ㎡ 이내마다 방화구획)

- 거실 각 부분으로부터 직통계단까지의 보행거리 30m 이하로 설치


- 계단실의 창문, 출입구 외에는 건축물과 내화구조 벽으로 구획
- 돌음계단 계획 금지, 건축물에 옥상광장 계획시 옥상으로 통하도록 설치
- 계단실 : 예비전원 조명설비, 불연재료 사용
- 계단실의 창문 : 망입유리의 붙박이창 (면적 1 ㎡ 이내)
- 계단실 출입구 : 60분+ 방화문, 60분(30분) 방화문 설치 (폭 0.9m 이상, 피난방향 개방
및 항상 닫혀 있는 구조)
- 난간 : 양쪽에 벽 등이 있어 난간이 없는 경우에 손잡이 설치

건축법 시행령
제34조, 제35조
설치기준 건축물
방화구조규칙
제8,9,15조

60분+방화문, 60분 방화문(피난방향으로 개방)

준초고층 건축물
건축물 - 계단, 계단참 유효너비 : 공동주택 120cm, 공동주택 이외 150cm 이상 방화구조규칙
계단 너비 제15조
건축물
피난용도 - 고층건축물 피난계단의 계단실 출입구 측벽에 표시판 설치
방화구조규칙
표시 (공간의 목적과 용도, 다른 용도로 전용 금지 안내)
제22조2
- 바닥면적 1,000 ㎡ 이상 지하층 : 방화구획의 각 부분마다 피난계단/특별피난계단
1개소 이상 설치 (피난층 또는 지상으로 연결)
- 다중이용업 용도의 지하층 거실 바닥면적의 합계 50㎡ 이상 건축물
: 직통계단 2개소 이상 설치

건축물
지하층 방화구조규칙
제25조

2개소 이상 건축법 시행령


설치 - 2개소 이상 설치 대상 (피난층 이외 층의 용도) : “3.4.1 계단계획” 참고
34조

80

다. 특별피난계단
 고층 및 지하에서 피난층 또는 지상으로 직통하는 피난계단으로, 발코니 또는 옥외 배연을 위한 개구부
또는 자연 급기통과 배연설비를 갖춘 부속실을 포함한 계단이다.

구분 계획 고려 사항 비고

- 건축물의 11층 이상 층 또는 지하 3층 이하 층으로부터 피난층 또는 지상으로 통하는


직통계단 (공동주택 : 16층 이상)
- 판매시설 용도 층의 직통계단 중 1개소 이상
건축법 시행령
설치대상 - 건축물의 5층 이상인 층으로서 전시장, 동・식물원, 판매시설, 여객용 시설, 운동시설,
제35조
위락시설, 관광휴게시설, 생활권 수련시설의 용도로 쓰는 층의 바닥면적 합계가 2000
㎡ 이상시 2000 ㎡ 이내마다 1개소 설치 (4층 이하에서는 사용금지)
* 예외대상 : 갓복도식 공동주택, 지상/지하층 바닥면적 400㎡ 미만 층 제외
건축법 시행령
- 2개소 이상 설치 대상 (피난층 이외 층의 용도)
제34조
설치기준 - 건축물 내부에서 피난안전구역으로 통하는 계단은 특별피난계단으로 설치 건축물
- 발코니 부설 특별피난계단 : 발코니 부분의 외부면 개방, 하층의 화재로 발코니가 방화구조규칙
연기에 오염되지 않도록 건축물의 모서리 부위 등 장소 선택 제8조2,9,15조
- 계단실은 노대, 부속실을 통해 연결
- 돌음계단 계획 금지, 건축물에 옥상광장 계획 시 옥상으로 통하도록 설치
- 출입구 유효너비 : 0.9m 이상, (피난 방향 개폐)
- 부속실 : 면적 3㎡ 이상, 외부개방 창문 (면적 1㎡, 높이 1m 이상) 또는 배연설비 설치
- 계단실, 노대, 부속실 (비상용승강기의 승강장 겸용 부속실 포함) : 내화구조의 벽으로
각각 구획 (창문 등 제외)
- 계단실, 부속실의 실내마감 (바닥, 반자 등) 불연재료 처리
- 계단실에는 예비전원에 의한 조명설비
- 계단실, 노대, 부속실의 외부창문 (1 ㎡ 이하의 망입유리 붙박이창 제외)은 다른
창문으로부터 2m 이상 이격 (실내와 통하는 창문 설치 금지)
- 계단실 노대, 부속실에 접하는 창문 : 1㎡ 이하의 망입유리 붙박이창 설치
- 노대, 부속실 출입구 : 60분+ 방화문, 60분방화문 설치 (계단실 : 60분+ 방화문,
60분/30분방화문 설치)
- 계단은 내화구조 (피난층 또는 지상까지 직접 연결)

건축물
계단실 구조 방화구조규칙
제9조
60분+방화문 , 60분 방화문 60분+방화문 , 60분 방화문
(폭 0.9m 이상 , 피난방향으로 개방) (폭 0.9m 이상 , 피난방향으로 개방)

60분+방화문 , 60분 방화문 60분+방화문 , 60분 방화문


또는 30분 방화문 또는 30분 방화문

(폭 0.9m 이상 , 피난방향으로 개방) (폭 0.9m 이상 , 피난방향으로 개방)

60분+방화문, 60분 방화문


(폭 0.9m 이상 , 피난방향으로 개방)

- 특별피난계단에 배연설비 설치
- 배연구, 배연풍도 : 불연재료, 외기 또는 굴뚝에 연결
부속실 건축설비규칙
- 배연구에 수동/자동개방장치 설치 (평상시 폐쇄)
배연설비 14조
- 배연기 : 배연구가 외기에 접하지 않을 경우 설치 (공기 자동 배출)
- 급기가압, 급배기방식의 공기유입방식일 경우 소방관계법령 준수
건축물
지하층 “가. 피난계단” 기준 적용 방화구조규칙
제25조
Fire Protection & Life Safety Plan

특별피난계단의 계단실/부속실 제연설비 계획 (NFSC 501A)


- 특별피난계단은 계단실과 부속실의 제연기능을 중심으로 옥외의 신선한 공기를 공급받아 가압하여
화재공간과 일정압력의 차이를 유지시켜서 화재실의 연기가 제연구역내로 침투 방지
- 특별피난계단의 제연설비는 출입문이 개방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일정 차압의 유지와 원활한 피난을 위해
출입문의 일시 개방시에도 일정 방연풍속을 유지하여야 하고, 과압 형성으로 인한 피난장애(출입문
개폐장애)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제연방식을 적용

구분 계획 고려 사항 NFSC
제연구역 - 동시제연 (계단실 및 부속실), 단독제연 (부속실, 계단실, 승강기 승강장) 5조
- 차압 : 가압하고자 하는 공간에 공기를 공급하여 그 공간의 기압이 다른 공간의 기압보다
높게 형성되는 기압의 일정한 차이
- 최소차압 : 40Pa 이상 (옥내 스프링클러설비 설치시 12.5Pa) 6조
차압 - 최대차압 : 출입문 개방에 필요한 힘(F) 110N 이하
- 타층 출입문 개방시 출입문 미개방층의 차압 = 최소차압×70% 이상
- 동시제연 : 부속실기압 = 계단실기압 (계단실기압이 클시 차압 5Pa 이하)
- 출입문을 개방하지 않는 제연구역의 실제 차압 측정을 위해 출입문 등에 차압측정공을 설치,
25조
차압측정기구로 실측하여 제연설비 작동 시험
계단실 및 그 부속실 동시 제연 / 계단실 단독 제연 0.5㎧ 이상
방연풍속 단독 제연 부속실 또는 승강장이 면한 옥내가 거실 0.7㎧ 이상 10조
(부속실/비상용승강장) 부속실 또는 승강장이 면한 옥내가 복도 0.5㎧ 이상
- 플랩댐퍼 (Flap Damper) 설치 : 110N 초과시 개방되는 구조
과압방지조치 11조
- 자동차압 과압 조절형 댐퍼 설치 : 출입문의 완전폐쇄 전 개구율을 자동 감소
- 화재층의 제연구역에 면한 옥내에서 옥외로 배출 (계단식 공동주택 제외) 13조
- 옥상으로 직통하는 배출 전용 수직풍도를 설치하여 배출
- 자연배출식 : 굴뚝효과에 따라 배출
수직풍도 - 기계배출식 : 수직풍도 상부의 배출용 송풍기로 강제 배출
14조
배출 - 옥내와 면하는 수직풍도의 관통부에 배출댐퍼 설치
유입공기 - 내부단면적 AP( ㎡ ) = QN/2 (길이 100m 초과시 1.2배 이상)
배출 - 송풍기 이용 기계배출식 풍도 단면적 : 풍속 15㎧ 이하 적용
- 건물 옥내와 면하는 외벽마다 옥외 배출구를 설치하여 배출
배출구 - 개폐기 설치 : 옥외로 열리고, 옥외의 풍압에 따라 자동 폐쇄
15조
배출 - 개폐기의 개구면적 AO(㎡) = QN / 2.5 (QN(㎥/s) : 1개층 제연구역 출입문 1개
면적(㎡)×방연풍속(㎧))
제연설비 - 옥내로부터 옥외로 유입공기 배출시 유입공기량을 거실 제연설비의 배출량에
13조
배출 합하여 배출
- 급기용 수직풍도와 면하는 벽체 또는 천장에 고정
- 옥내 출입문으로부터 가능한 먼 위치에 설치
- 3개층 이하의 높이마다 설치 (계단실 높이가 31m 이하로 계단실 단독 제연시
급기구 17조
하나의 계단실에 하나의 급기구만 설치)
- 급기댐퍼 : 두께 1.5 ㎜ 이상의 강판 (일반, 자동차압·과압조절형) , 화재감지기
급기 작동과 연동
- 아연도금강판 등 내식성, 내열성, 불연재로 단열처리
급기풍도 18조
- 풍도에서의 누설량은 급기량의 10% 이하
- 송풍능력 : 송풍기 담당 제연구역 급기량의 1.15배 이상
급기 송풍기 - 송풍기에 풍량조절장치를 설치하여 풍량조절 19조
- 옥내의 화재감지기의 동작에 따라 작동
옥외 - 취입구는 오염된 공기를 취입하지 아니하는 위치에 설치
외기 취입 - 배기구로부터 수평거리 5m, 수직거리 1m 이상 낮게 설치
외기 취입구 20조
- 옥상 외곽면으로부터 수평거리 5m 이상, 외곽면의 상단으로부터 하부로
옥상 설치
수직거리 1m 이하의 위치에 설치
- 상시 폐쇄 상태 유지, 자동폐쇄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제연구역 출입문
닫히는 구조 (창문 포함)
출입문 21조
- 상시 폐쇄 유지, 자동폐쇄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닫히는
방화구조 복도와 거실 사이 출입문
구조, 개방시 쉽게 닫히도록 폐쇄력 확보

82

■ 건축물 규모 및 용도에 따른 코어 형태 및 배치계획에 관한 사항


 코어(Core)란 평면, 구조, 설비의 관점에서 건물의 일부분이 어떤 집약된 형태로 존재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계단, 설비샤프트, 설비덕트, 엘리베이터 등이 이에 포함된다.
 화재 시 코어는 수평·수직으로의 화염 및 연기확산의 경로가 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대책이
요구된다.

코어 분류 설계 방법
- 재실자가 공용복도를 경유하여 계단으로 피난하는 구조
- 공용복도의 내장재는 준불연재 이상의 성능을 확보
복도형 - 피난계획시 피난개시가 늦어진 재실자에 대한 대책이 필요
- 복도형 아파트, 병원, 학교 등 숙박시설과 복합시설의 경우 독립성이 강해 화재에 갇히기 쉬운
이동통로 도피지연형이 되기 쉬움
형태별
- 재실자가 공용복도를 경유하지 않고 직접 계단으로 피난하는 구조
- 임의 구획을 할 경우 피난장애를 일으킬 수 있음
홀형
- 피난로에 대한 명확한 구획 미흡으로 이동시간 증가 우려
- 극장, 백화점 등 대공간 집합시설의 경우 군집피난형이 되기 쉬움
- 코어 공간이 각 거실로부터 분산되어 배치된 형태를 말함
분산형 - 피난의 기본 원칙인 다중화에 충실해 피난안전성 확보에 유리함
배치 - 코어의 분산 배치에 따른 이동시간이 감소됨
위치별 - 코어가 한곳에 집중되어 배치되어 있는 형태를 말함
집중형 - 2개 이상의 코어가 한 곳에 집중 시 연기에 의한 동시 오염 가능
- 재실자의 병목 현상에 따른 피난시간 지연
- 코어 공간이 외벽의 양단까지 연장되어 외기에 개방된 형태를 말하며 피난계획의 중요한
원칙인 양방향 피난이 가능
- 계단이 옥외에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Passive적인 자연환기, 자연채광이 가능해 연기희석 및
개방형
피난자의 안전 확보가 용이함
- 건물 내부의 각층을 2개 구역으로 분리하여 수평피난 방식의 피난을 유도할 수 있음
구획별 - 동절기나 우천 시 전도 방지를 위한 대책이 요구됨

- 사무공간 등으로 둘러싸여 외기에 접하지 않는 폐쇄된 형태를 말함


- 2개의 계단이 근접 배치되는 경우 양방향 피난이 곤란함
폐쇄형
- 2개의 계단이 연기에 오염될 위험성이 커 fail safe 원칙에 위배됨
- 자연환기, 자연채광이 어렵고 기계환기, 비상조명설비가 필요함

직통계단간
이격거리
예시
Fire Protection & Life Safety Plan

■ 건축물 규모 및 용도에 따른 계단참, 계단폭에 관한 사항

(1) 영국 기준

계단의 설치장소 계단의 최대 이용인원 계단의 최소 폭(mm)


1a. 의료보호용 건축물(직원만 이용하는 계단 제외) 150 1,000
1b. 집회용도 및 집회용도의 건축물(100 ㎡ 미만 제외) 220 1,100
1c. 그 외 건축물로서 51인 이상의 재실자가 있는 부분에 220 초과 동시․단계적 피난
설치된 계단

위에서 언급되지 않은 계단 50 800


- 소방대 진압용 계단은 최소 1,100 ㎜ 이상
- 동시 피난과 단계적 피난을 고려하여 계단폭 설정
- 장애인 접근을 위하여 최소 폭은 1,000 ㎜ 증가 필요

(2) 미국 NFPA 기준
 최소 44in (1,117.6mm)
 전층 수용인원 < 2,000명 : 44in (1,117.6mm)
 전층 수용인원 ≥ 2,000명 : 56in (1,422.4mm)

(13.2.3.1 피난용량 계수)

Level Components
Stairways
and Ramps
Area (width/person)
(width/person)

in. mm in. mm
Board and care 0.4 10 0.2 5
Health care, spreinklered 0.3 7.6 0.2 5
Health care, nonspreinklered 0.6 15 0.5 13
High hazard contents 0.7 18 0.4 10
All others 0.3 7.6 0.2 5

(A.7.3.3.2 계단 수용량)

Clear Width
Permitted Nominal Effective
Between
Capacity Width Width
Handrails
(no. of persons)
in. mm in. mm in. mm

120 36 915 28 710 24 610


147 44 1120 36 915 32 810
202 56 1420 48 1220 44 1120
257 68 1725 60 1525 56 1420

(3) 미국 IBC 기준
 최소 44in (1,117.6mm)
 수용인원 50명 미만 : 36in (914.4mm)
84

라. 옥외피난계단
 직통계단 외에 피난층으로 통하여 피난할 수 있도록 지상층 또는 지하층에 설치하는 피난계단으로,
배연설비가 필요 없고 옥상까지 연결되어 계단면적이 부족할 경우 발코니를 가급적 넓게 취해 대피 장소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계획시 고려할 수 있다.

구분 계획 고려 사항 비고

- 건축물의 3층 이상인 층(피난층 제외)에 직통계단 외에 지상으로 통하는 옥외


피난계단을 별도로 해당층에 설치
건축법 시행령
설치대상 - 공연장 (바닥면적 합계 300 ㎡ 이상), 위락시설 중 주점영업의 용도로 쓰는 층
제36조
(거실의 바닥면적 합계 300 ㎡ 이상)
- 문화 및 집회시설 중 집회장(층 거실의 바닥면적의 합계 1000㎡ 이상)

- 계단으로 통하는 출입구 외의 창문 (한 개 이하 망입유리의 붙박이창


제외)으로부터 2m 이상 이격
- 계단 출입구에 60분+ 방화문, 60분방화문 설치
- 계단의 유효너비 0.9m 이상
- 피난시 안전성을 고려하고, 옥내에 면한 부분은 피난용 출입구 이외에는
내화구조의 벽체로 구성
- 지상까지 직접 연결

건축물
옥외피난계단
방화구조규칙
구조
제9조

60분+방화문, 60분 방화문

지하층 - 지하층에 설치되는 공연장, 집회장, 관람장, 전시장 (바닥면적 합계 3,000 ㎡ 이상) 건축법 시행령
개방공간 - 각 실에서 지하층 각 층을 통해 건축물 밖으로 피난시 피난층으로 대피할 수 제37조
있는 옥외 계단, 경사로 및 천장이 개방된 외부 공간 설치
Fire Protection & Life Safety Plan

3.4.2. 복도
 피난시 복도는 제1차 안전구역으로 일시적으로 안전하게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며, 2차 안전구역인
직통계단 등과 연결하는 피난로로 유효너비를 최대한 확보하고 단순한 경로로 계획하여야 한다.
 가급적 복도 끝은 피난계단에 연결하고 막다른 공간이 발생하면 발코니, 트랩 등을 설치하여 막다른 복도
발생을 최소화한다.

가. 복도의 유효너비

구분 설치기준 비고
유치원, 초등학교 - 양옆에 거실이 있는 복도 : 2.4m 이상
건축법 시행령
중학교, 고등학교 - 기타 복도 : 1.8m 이상 제48조
안전피난용
공동주택 - 양옆에 거실이 있는 복도 : 1.8m 이상
복도의
오피스텔 - 기타 복도 : 1.2m 이상 건축물
유효너비
층의 거실 바닥면적 - 양옆 거실이 있는 복도 : 1.5m 이상 (의료시설 1.8m) 방화구조규칙
제15조2
합계 200 ㎡ 이상 - 기타 복도 : 1.2m 이상

나. 문화 및 집회시설 용도의 복도

구분 설치기준 비고

- 층 바닥면적 합계 500
관람석, 집회실 용도
㎡미만 : 1.5m 이상 건축법 시행령
(공연장/집회장/관람장/
- 당해층 바닥면적 합계 제48조
안전 전시장, 종교집회장,
피난용 500~1000㎡ 미만 : 1.8m
아동 관련 시설,
복도의 이상 건축물
노인복지시설, 생활권
유효너비 - 당해층 바닥면적 합계 방화구조규칙
수련시설, 유흥주점,
1000 ㎡ 이상 : 2.4m 이상 제15조2
장례식장)

- 공연장의 개별 관람석
개별관람석 바닥면적 주변의 양쪽, 뒤쪽에
각각 복도 설치
300㎡ 이상

문화 및
건축물
집회시설 방화구조규칙
공연장
제15조2
복도

- 한 층에 2개소 이상 연속
설치된 개별 관람석
개별관람석 바닥면적 주변의 앞쪽과 뒤쪽에
300㎡ 미만 각각 복도 설치
86

다. 피난층에서 직통계단 옥외에 바로 면하도록 배치


 해외 기준에 따르면 수평 비상구와 연결된 모든 방화구획은 피난통로나 수평 비상구에 추가되는 하나
이상의 수평 비상구가 아닌 다른 피난통로가 있어야 하며, 다른 피난통로의 필요한 개수와 피난용량은 전체
피난능력의 50% 이상으로 하여야 하는 규정이 있어 피난 병목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최근 국내 일반
건축물에도 반영하고 있는 추세이다.

계획 범위 계획 고려사항

연청색 음영구역 (피난통로) 비상구 접근로를 구성하는 공간

계단의 배치

건축물의 바깥쪽으로의 출구를 구성하는 공간


Fire Protection & Life Safety Plan

라. 건축물 용도 및 재실자 특성에 따른 사인 계획


 피난경로 및 주요설비가 설치된 장소에 적합한 유도등과 피난사인계획을 통하여 피난안전성 확보와
원활한 소방활동을 보조하도록 한다.

사인계획 설계 방법

- 피난층 피난계단 내부에는 피난구유도등 이외에 피난층을 지나치지 않도록


픽토그램 등 반영

피난층 인지성 향상을 위한


계단실 내부 사인 계획

- 직통계단 출입문 벽면에 사인 계획

계단실 출입구 벽면에


사인 계획

- 지하주차장 직통계단까지 피난통로

지하주차장 직통계단까지
피난통로 사인계획
88

사인계획 설계 방법

- 옥상층 픽토그램 계획
- 특별피난계단은 옥상광장(헬리포트, 인명구조공간)까지 연결되도록 하고, 계단실은
승강기 권상기실 등 다른 용도의 실로 직접 연결되지 않도록 할 것

옥상층 피난
헬리포트 및 인명구조공간
사인계획
Fire Protection & Life Safety Plan

3.4.3. 출구
 건축물의 피난층인 출입구에 설치하는 회전문은 피난이 쉽도록 다음과 같이 계획 및 설치해야 한다.

가. 건축물 바깥쪽으로의 출구

계획 범위 계획 고려사항 관련 법규
- 모든 건축물 : 30m
피난층 외
- 주요 구조부가 내화구조 : 50m (16층 이상 공동주택 40m)
거실 -계단
- 자동식 소화설비 설치 공장 : 75m (무인공장 100m)
- 모든 건축물 : 30m
피난층 계단
- 주요 구조부가 내화구조 : 50m (16층 이상 공동주택 40m)
-출구
- 자동식 소화설비 설치 공장 : 75m (무인공장 100m)
- 모든 건축물 : 60m (계단-출구 거리의 2배)
거실-출구 - 주요 구조부가 내화구조 : 100m (불연재료 80m (16층 이상)) 건축법시행령
- 자동식 소화설비 설치 공장 : 150m (무인공장 200m) 제34조
피난시 최대
보행거리 건축물
방화구조규칙
제11조

- 바닥면적 합계 1,000 ㎡ 미만 : 제1종 근린생활시설 중 지역자치센터, 파출소,


지구대, 소방서, 우체국 ,방송국, 보건소, 공공도서관, 지역건강보험조합
- 제1종 근린생활시설 중 마을회관, 마을공동작업소, 마을공동구판장,
설치대상 변전소, 양수장, 정수장, 대피소, 공중화장실 등
건축물
피난층, 승강장 - 연면적이 5,000 ㎡ 이상인 판매시설, 운수시설
방화구조규칙
통로의 경사로 - 학교, 국가/지방자치단체 청사, 외국공관 건축물 제11조, 15조
- 승강기 설치 대상 건축물

- 경사도 1:8 이하, 경사로 표면 논슬립 처리


설치기준
* 직선,굴절부 유효너비 등 : 장애인 등 편의법 시행규칙 [별표1] 참고

나. 판매시설의 피난층에 설치하는 출구

계획 범위 계획 고려사항 관련 법규

- 판매시설의 피난층에 설치하는 출구의 유효너비 합계 : 바닥면적 100 ㎡ 마다


건축물의 0.6m의 비율로 산정한 너비 이상 건축물
바깥쪽으로 * 유효너비 : 출구의 안목치수(내부치수) 방화구조규칙
나가는 출구 제11조
- 건축물의 바깥쪽으로 나가는 출입문에 유리를 사용할 경우 안전유리 사용
90

다. 관람석 등으로부터의 출구

계획 범위 계획 고려사항 관련 법규
- 문화 및 집회시설(전시장 및 동·식물원 제외), 종교시설, 장례식장, 위락시설 용도의
건축물 바깥쪽으로의 출구로 쓰이는 문은 안여닫이 금지

건축물의 건축물
바깥쪽으로 방화구조규칙
나가는 출구 - 관람석의 바닥면적 합계 300 ㎡ 이상 제11조
집회장, 공연장 : 주출구 외에 보조출구
또는 비상구 2개소 이상 설치
* 바닥면적 산정방법 : 건축법시행령
제119조 1항 3호

- 건축물의 바깥쪽으로 나가는 출입문에 유리를 사용할 경우 안전유리 사용

- 계단이나 에스컬레이터로부터 2m 이상의 거리 이격


- 출입에 지장이 없도록 일정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구조
- 회전문의 중심축에서 회전문날개 끝부분까지의 길이 140 ㎝ 이상
회전문 위치 및
(회전문과 문틀 사이의 간격 포함)
구조 - 회전문의 회전속도는 8rpm (분당회전수 8회) 이하
피난방화 규칙
- 자동회전문 : 충격 또는 사용자가 위험한 위치에 있는 경우
제12조
전자감지장치 등을 사용하여 정지하는 구조

회전문과 문틀사이 - 틈 사이는 고무와 고무펠트의 조합체 등 설치하여 손상 방지


및 - 회전문과 문틀 사이 : 5 ㎝ 이상
바닥사이 간격 - 회전문과 바닥 사이 : 3 ㎝ 이하
Fire Protection & Life Safety Plan

라. 공용 이동통로 등 막다른 복도 관련 사항
 국내 기준에는 복도 계획 시 막다른 복도에 대한 규정은 없어, 해외기준 또는 성능위주설계 심의 가
이드라인 등을 참고하여 설계에 반영할 수 있으며. 성능위주설계 또는 사전재난영향성 검토 대상일 경우
가이드라인에 따라 막다른 복도 거리를 추가로 검토하여야 한다.

공용 이동통로(Common Path)

공간 내 점유자가 모든 피난통로까지 도달하거나, 서로 멀리 떨어진 피난통로로 갈라지는 2개의 보행로의 분기점까지


한 방향으로만 도달할 수 있는 공간

막다른 복도(Dead End)

공용 이동통로와 유사하나 점유 공간으로부터 보행로가 없거나 또는 점유자가 복도의 끝에 피난통로가 있을 것으로


생각하고 복도에 들어가서 피난통로를 찾지 못하고 다시 돌아 나와서 피난통로를 선택하는 경우를 말함

계획 범위 계획 고려사항 관련 법규

일반 막다른 복도
용도
SP 설치 SP 미설치 SP 설치 SP 미설치

집회 76m 61m 6.1m 6.1m

교육 61m 45m 15m 6.1m

의료 61m 45m 15m 6.1m


표 A.7.6 공용
운동 61m 적용불가 9.1m 9.1m
통로, 막다른
실내 38m 실내 23m
복도 및
호텔 기숙사 Door-exit Door-exit 15m 10.7m

60m 30m
보행거리
상업 60m 30m 15m 6.1m
제한사항(용도별)
사무소 91m 60m 15m 6.1m

공장(일반) 75m 60m 15m 15m

창고 122m 60m 30m 15m

주차장 60m 45m 15m 15m

- 막다른 복도의 보행거리는 15m 이하로 할 것

막다른 복도
성능위주설계
제한
평가 운영 표준
가이드라인

- 서울시, 부산시 가이드라인에도 동일 내용 수록되어있음.


- 성능위주설계 대상 건축물에 필수적인 검토사항임.
- 20m 이하로 할 것(서울시 건축심의기준)
- 양방향 선택이 없는 ‘일방향’ 통로 부분은 보행 제한을 초과하지 않아야 함

사전재난영향성
검토 지침

- 영국 Approved DOC. B (참고기준)


92

3.4.4. 대피공간

구분 계획 고려사항 비고

- 아파트 4층 이상 층의 각 세대가 2개 이상의 직통계단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 발코니에


인접 세대와 공동 또는 각 세대별로 대피공간 설치
- 대피공간 설치기준 : 외기에 인접, 방화구획으로 구획, 바닥면적 2~3㎡
- 대피공간 설치 예외 : 경량구조의 경계벽, 발코니에 하향식 피난구 설치
공동주택 건축법시행령
발코니 46조, 53조

피난용 - 설치대상 : 요양병원, 정신병원, 노인요양시설, 장애인 거주/의료재활시설 건축법시행령


발코니 - 피난용 발코니 설치기준 : 피난층 이외층, 거실에 직접 접속하여 바깥 공기에 개방 46조

- 아파트 2층 이상발코니 구조 변경시 화염차단용 방화판 설치(스프링클러 미설치시)


- 방화판 : 높이 90cm 이상, 방화유리창 설치 가능 (방화유리-비차열 30분 이상)

발코니기준
난간
4조


Fire Protection & Life Safety Plan

가. 피난 및 장애인을 위한 방화문 유효폭 확보에 관한 사항

종류 설계방법

- 방화문 유효너비는 프레임을 제외한 순수 유효너비로 최소한 900mm 이상이 필요함


방화문
- 재실자 수를 고려한 피난용량을 검토한 결과를 바탕으로 문과 계단의 너비 확보 필요
유효너비
- 시뮬레이션을 통한 피난안전성평가 결과에 따라 추가적인 요구사항이 발생할 수 있음

- 특별피난계단 출입문에는 가급적 개방이 쉬운 패닉바 서리를 권고(공동주택(아파트) 및 그 사용 형태가


유사한 주거용 오피스텔은 제외)
- 특별피난계단 계단실에는 화재 위험성이 있는 시설물(도시가스배관, 전기배선용 케이블 등 기타 이와
유사한 시설물) 설치를 금지할 것
- 백화점, 대형 판매시설, 숙박시설 등 다중이용시설에 설치되는 특별피난계단 계단실 출입문에는 피난
용도로 사용되는 것임을 픽토그램(그림문자)로 적용 표시할 것

특별피난계단
출입문

피난용량 산정
예시
94

나. 건축물 내부 거실의 출구 관련 사항
 국내 기준에는 건축물 내부 거실의 출구에 대한 너비나 열리는 방향 등에 대한 규정은 없어, 해외기준
NFPA-101(인명안전코드)를 참고하여 설계에 반영할 수 있다.

 일정면적 이상의 거실에는 가급적 서로 떨어진 위치에 2 이상의 출입구를 설치한다.


 병원, 사회복지시설 등과 같이 거주자의 피난능력이 부족하곤 거실과 복도 간의 구획이 방화상 단점이
되기 쉬운 시설에는 발코니를 설치한다.

계획 범위 계획 고려사항 참고 기준

NFPA-101
- 문짝 폭이 규정되어 있는 비정형의 경우를 제외하고 출입구의 유효 폭 및 피난용량
7.2.1.2
거실 출입문 폭을 다룬다. 문짝폭
계획 - 피난용량을 계산하거나 또는 최소 문 폭 요구사항 만족 여부를 판단할 때 문의 폭을 (Door Leaf
측정한다.
Width)
- 각 문짝의 폭은 915 mm 이상이어야 한다. NFPA-101
- 피난용량 계수에 의한 계산을 바탕으로, 장애물없이 막히지 않는 지정된
수용인원을 처리하기에 충분한 폭(문짝 치수보다 작은 폭)이 요구된다. 그림
A.7.2.1.2.1(a)
최소유효폭

최소 유효폭

- 수용인원 50명 이상의 거실 문은 피난방향으로 열리도록 한다.


- 아래 그림의 문 A와 B는 복도쪽으로 서로 마주보며 열린다, 양쪽 문이 모두
열렸을 때 복도를 차단하는 방향으로 문을 배치하지 않도록 계획하여야 한다.

피난로의 모든 문은 피난 보행방향이 열리는 것이 이상적이다.


그러나, 운영 관점에서 문이 피난 보행방향으로 열리는 것이
오히려 바람직하지 않은 경우가 있을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교실의 문이 교실 여러 개의 비상구 접근로로 사용되는 복도
쪽으로 열릴 경우, 다른 문을 향해 열리거나 움직이는 사람을
향해 열림으로써 비상구 접근 복도의 폭을 감소시킬 수 있다.
NFPA-101
이 코드에서는 이 점을 감안하여 수용인원이 50명 미만인
교실의 교실 문 또는 복도 문에 대해서는 피난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열리는 문을 허용하고 있다. 이 규정에서는
7.2.1.4.2 문짝
문 열림 방향 열림 방향(Door
안전을 위해 피난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열리는 문 개구부를
사용하는 사람 수를 제한하고 있다. 이 코드는 옥외 비상구에 Leaf Swing
대해서도 이와 유사한 제약조건을 인정하고 있다. 그러한 문은
피난 문으로 간주되면서도 점유자가 50명 미만인 경우, 피난
Direction)
보행방향으로 문이 열리는 것을 요구하지 않고 있다.
제시자료 7.35에는 7.2.1.4.2와 7.2.1.4.3에 설명된 문이 열리는
방향을 평가하는 내용이 있다. 문 C는 방의 수용인원이 50명
미만이고, 방에 상급 위험 수용품 [7.2.1.4.2(1) 및 (3)창고]이
없을 경우 방 쪽으로 열리는 문이 허용된다. 문 D는 방의
수용인원이 50명 이상일 경우, 피난 보행방향으로 열려야
한다. 문 E는 피난 문이지만, 피난통로 구획이 아니기 때문에
방의 수용인원이 50명 미만이고 방에 상급 위험 수용품이
없을 경우 방 쪽으로 열리는 문이 허용된다.
Fire Protection & Life Safety Plan

3.4.5. 하향식 피난구


 발코니 바닥에 설치하는 덮개, 사다리, 경보시스템을 포함한 수평 피난설비

구분 계획 고려사항 비고

- 아파트의 4층 이상인 층의 발코니 바닥에 하향식 피난구 설치시 대피공간 건축법시행령


설치대상
설치 완화 46조 5항 3호

- 비차열 1시간 이상의 내화성능


피난구 덮개
- 피난구의 유효 개구부 규격 : 직경 60cm 이상

설치위치 - 상·하층간 수직방향 간격 15cm 이상 이격 설치

- 아래층에서 바로 위층의 피난구를 열 수 없는 구조로 설치 건축물


- 설치경로가 설치층에서 피난층까지 연계될 수 있는 구조로 설치 (건축물 규모가 방화구조규칙
지상 5층 이하로 구조 및 설치 여건상 불가피한 경우 제외) 14조 3항,4항
- 사다리 : 아래층의 바닥면으로부터 50㎝ 이하까지 내려오는 길이
NFSC301
- 덮개 개방시 경보음이 울리는 구조
4조
피난구 구조 - 피난구가 있는 곳에 예비전원에 의한 조명설비 설치
- 하강구 내측에는 기구의 연결 금속구 등이 없도록 설치
- 전개된 피난기구는 하강구 수평투영면적 공간 내의 범위를 침범하지 않는 구조
(직경 60 ㎝ 크기의 범위 이외, 직하층의 바닥 면으로부터 높이 50 ㎝ 이하의
범위는 제외)

- 내화성능 : 비차열 1시간 이상 (KS F 2257-1 건축부재의 내화시험방법)

- 사다리 : ‘피난사다리의 형식승인 및 검정기술기준’의 재료기준 및 건축자재등 품질인정


성능기준
작동시험기준에 적합 (소방시설법 시행령 37조) 및 관리기준 제36조

- 덮개 : 장변 중앙부 처짐량 15mm 이하 (637N/0.2 ㎡ 의 등분포하중)

- 대피실의 면적은 2 ㎡ (2세대 이상일 경우 3 ㎡ ) 이상


- 대피실의 출입문은 갑종방화문으로 설치, 피난방향에서 식별 가능한 위치에
"대피실” 표지판 부착 (외기 개방 장소 예외)
NFSC301
대피실 - 대피실 내에 비상조명등을 설치
4조
- 대피실에 층의 위치표시, 피난기구 사용설명서, 주의사항 표지판 부착
- 대피실 출입문이 개방되거나, 피난기구 작동 시 해당층 및 직하층 거실에
설치된 표시등 및 경보장치 작동 (감시 제어반에서 피난기구의 작동을 확인)
96

구분 계획기준 (피난기구의 화재안전기준-NFSC 301)

- 화재시 긴급대피를 위해 사용하는 사다리


- 지하층, 3층, 4층~10층 이하에 설치
피난사다리
- 4층 이상의 층에 피난사다리 (하향식 피난구용 내림식사다리 제외)
설치시 금속성 고정사다리를 설치 (고정사다리에는 쉽게 피난할 수
있는 구조의 노대 설치)

- 하향식 피난구 해치에 격납하여 보관하고 사용시에는 사다리 등이


하향식 피난구용
내림식사다리 소방대상물과 접촉되지 않는 내림식 사다리
- 아파트의 4층 이상에 대피공간 대용으로 설치

- 사용자의 몸무게에 의하여 자동으로 하강하고 내려서면 스스로


승강식 피난기 상승하여 연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무동력 승강식 피난기
- 3층, 4층~10층 이하에 설치

하향식 피난구의 수평 및 수직 피난동선


- 하향식 피난구 세대 내 양방향 수평 피난동선계획을 수립한다.
- 하향식 피난구의 수직 피난동선 중 피난안전구역 층에서 피난안전구역으로의 피난 통로를 추가 확보한다.
- 피난층(지상1층)으로의 수직 피난동선은 피트층을 경유하여 별도의 피난 통로를 확보하여 특별피난계단으로의
동선을 확보한다.

[ 피트층에서의 피난동선 ] [ 피난안전구역층에서의 피난동선 ]


Fire Protection & Life Safety Plan

3.4.6. 피난안전구역
 초고층 및 준초고층 건축물, 지하연계복합건축물의 중간층, 초고층 건축물의 지하층 등에 피난과 안전을
위하여 설치하는 대피공간이다.
 피난안전구역은 지상으로 직접 통하는 출입구가 있는 피난층과 동일하게 인정되며, 용적률 산정을 위한
연면적에서 제외한다.

구분 설치기준 관련법규
초고층 - 피난층 또는 지상으로 통하는 직통계단과 직접 연결되는 피난안전구역을
건축물 지상층으로부터 최대 30개 층마다 1개소 이상 설치 건축법 시행령
준초고층 - 피난층 또는 지상으로 통하는 직통계단과 직접 연결되는 피난안전구역을 전체 제34조 3,4항
설치 건축물 층수의 1/2층으로부터 상하 5개층 이내에 1개소 이상 설치
대상
- 16층~29층 이하 지하연계 복합건축물의 지상층 : 지상층별 거주밀도
지하연계 1.5명/㎡초과 층은 해당 층의 사용형태별 면적 합계의 1/10을 초고층재난
복합건축물 피난안전구역으로 설치 관리법시행령
- 건축물 내에 문화 및 집회시설, 판매시설, 운수시설, 업무시설, 숙박시설, 제14조
유원시설업 시설 등이 하나 이상 있는 초고층 건축물의 지하층
- 1개층을 대피공간으로 설치
- 대피에 장애가 되지 않는 범위에서 기계실, 보일러실, 전기실 등 건축설비 공간과 건축물
구조기준 같은 층에 설치 가능 (설비공간과 내화구조로 구획) 방화구조규칙
- 피난안전구역에 연결되는 특별피난계단은 피난안전구역을 거쳐 상·하층으로 갈 제8조2
수 있는 구조로 설치
- 바로 아래층 및 위층에 단열재 설치
단열재 설치
- 아래층 : 최상층 거실의 반자, 지붕 기준 / 위층 : 최하층 거실의 바닥 기준
내부 마감 - 피난안전구역의 내부마감재료는 불연재료로 설치
- 피난안전구역으로 통하는 계단은 특별피난계단의 구조로 설치 건축물
계단, 승강기 방화구조규칙
- 비상용 승강기는 피난안전구역에서 승하차 할 수 있는 구조로 설치
제8조2, 22조2
전기통신 - 식수공급을 위한 급수전을 1개소 이상 설치
시설 - 예비전원의 조명설비, 방재센터와 긴급연락이 가능한 경보/통신시설 설치 건축설비규칙
설치 - 기준에 따라 산정한 면적 이상 제21조
규모 산정
기준 - 높이 : 2.1m 이상
피난용도 - 출입구 상부 벽, 측벽의 눈에 잘 띄는 곳에 "피난안전구역" 표시판 설치
표시 - 출입구 측벽의 눈에 잘 띄는 곳에 안내 표시판 설치
- 배연설비
설치 (건축물설비규칙 제14조)
초고층재난
- 소화설비
: 소화기구(소화기, 간이소화용구), 옥내소화전, 스프링클러설비
관리법 시행령
- 경보설비
: 자동화재탐지설비
소방시설 제14조
- 피난설비
: 방열복, 공기호흡기(보조마스크 포함), 인공소생기, 피난유도선,
피난안전구역 유도등/유도표지, 비상조명등, 휴대용비상조명등
NFSC 604
- 소화활동설비 : 제연설비, 무선통신보조설비

초고층
건축물
피난안전
설계지침
(건기연)
98

피난안전구역의 면적 산정을 위한 면적산정기준 (피난방화규칙)


건축물의 시설용도별로 재실자가 차이나게 되는데, 이러한 재실자의 피난을 위한 피난안전구역의 면적은 별도
산정식과 산정기준에 의해 산출
이때 건축물의 규모에 따라 산정기준이 다르니 유의하여야 한다.

- 피난안전구역 면적 산정식 : (피난안전구역 윗층 재실자수×0.5) × 0.28 ㎡


- 피난안전구역 윗층의 재실자 수 : (해당 피난안전구역+다음 피난안전구역 사이의 용도별
바닥면적합) ÷ 사용 형태별 재실자 밀도
계산식
- 문화・집회용도 중 벤치 사용 공간과 고정좌석 사용 공간의 피난안전구역 위층 재실자 수 산정
1) 벤치형 좌석을 사용하는 공간 : 좌석길이 / 45.5 ㎝
2) 고정좌석을 사용하는 공간 : 휠체어 공간 수 + 고정좌석 수
건축물
* 재실자 밀도 : 건축물의 피난용량을 결정하는 중요한 평가요소 방화구조규칙
- 문화・집회 : 좌석 미 설치 공간 0.45 / 의자 사용 공간 1.29 / 무대 1.40 제8조2
- 운동 : 4.60 , 교육 : 도서관(서고 9.30, 열람실 4.60) / 학교교실 1.90 별표 1-2
- 보육 : 보호시설 3.30 , 의료 : 입원치료구역 22.3 / 수면구역 11.1
사용형태별
재실자밀도 - 교정 : 교정시설, 보호관찰소 11.1
- 주거 : 호텔 등 숙박시설 18.6 / 공동주택 18.6
- 업무 : 업무시설, 운수시설 9.30
- 판매 : 지하층,1층 2.80 / 그 외 층 5.60 / 배송공간 27.9
- 저장 : 창고, 자동차 관련 시설 46.5 , 산업 : 공장 9.30 / 제조업시설 18.6

피난안전구역의 설치 대상 용도에 대한 「건축법 시행령」 별표 1에 따른 용도별 건축물의 종류


문화 및 집회 : 문화 및 집회시설(공연장ㆍ집회장ㆍ관람장ㆍ전시장만 해당한다), 종교시설, 위락시설, 제1종
근린생활시설 및 제2종 근린생활시설 중 휴게음식점ㆍ제과점ㆍ일반음식점 등 음식ㆍ음료를 제공하는 시설,
제2종 근린생활시설 중 공연장ㆍ종교집회장ㆍ게임제공업 시설, 그 밖에 이와 비슷한 문화ㆍ집회시설
운동 : 운동시설, 제1종 근린생활시설 및 제2종 근린생활시설 중 운동 시설
교육 : 교육연구시설, 수련시설, 자동차 관련 시설 중 운전학원 및 정비 학원, 제2종 근린생활시설 중
학원ㆍ직업훈련소ㆍ독서실, 그 밖 에 이와 비슷한 교육시설
보육 : 노유자시설, 제1종 근린생활시설 중 지역아동센터
의료 : 의료시설, 제1종 근린생활시설 중 의원, 치과의원, 한의원, 침술 원, 접골원( 接 骨 院 ), 조산원 및 안마원
교정 : 교정 및 군사시설
주거 : 공동주택 및 숙박시설
업무 : 업무시설, 운수시설, 제1종 근린생활시설과 제2종 근린생활시설 중
지역자치센터ㆍ파출소ㆍ사무소ㆍ이용원ㆍ미용원ㆍ목욕장ㆍ세탁소ㆍ기원ㆍ사진관ㆍ표구점, 그 밖에 이와
비슷한 업무시설
판매 : 판매시설(게임제공업 시설 등은 제외한다), 제1종 근린생활시설 중 수퍼마켓과 일용품 등의 소매점
저장 : 창고시설, 자동차 관련 시설(운전학원 및 정비학원은 제외한다)
산업 : 공장, 제2종 근린생활시설 중 제조업 시설

피난안전구역에 설치하는 소방시설 설치기준 (NFSC 604-고층 건축물의 화재안전기준) 피난안전구역에


설치하는 소방시설은 ‘초고층재난관리법 시행령 14조’에 정리되어 있으나, 주요 소방시설의 세부 기준은
NFSC604에서 다음과 같이 추가적으로 상세히 설명
Fire Protection & Life Safety Plan

구분 설치기준 관련법규
- 피난안전구역과 비 제연구역간 차압은 50pa 이상 (스프링클러설비 설치시 12.5Pa 이상)
1. 제연설비
- 피난안전구역의 한쪽 면 이상이 외기에 개방된 구조는 설치 면제
- 해당층 계단실 출입구~피난안전구역 주출입구 또는 비상구까지 설치
- 계단실에 설치하는 경우 계단 및 계단참에 설치
2. 피난유도선
- 피난유도 표시부 너비 : 최소 25mm 이상으로 설치
- 광원점등방식으로 설치 (60분 이상 유효하게 작동)
3. 비상조명등 - 소등된 상태에서 점등시 바닥에서 조도 10㏓ 이상이 되도록 설치
- 초고층 건축물 : 피난안전구역 위층의 재실자수의 1/10 이상
4. 휴대용 - 지하연계 복합건축물 : 피난안전구역 설치 층의 수용인원의 1/10 이상
비상조명등 - 건전지, 충전식 건전지 용량 : 40분 이상 유효 사용량으로 설치 (50층 이상에 설치된
피난안전구역은 60분 이상 용량) NFSC604
- 방열복, 인공소생기를 각 2개 이상 비치 10조
별표1
- 45분 이상 사용할 수 있는 성능의 공기호흡기(보조마스크 포함) 2개 이상 비치 (50층
5. 인명구조기구
이상에 설치된 피난안전구역은 10개 이상 비치)
- 설치 장소의 보기 쉬운 곳에 “인명구조기구” 표지판 등 설치

피난안전구역에 설치하는 계단의 구조 (트렌스퍼)


- 피난안전구역을 거쳐서 상층 미 하층으로 갈 수 있는 구조로, 이러한 계단의 구조에서 특별피난계단용
제연설비의 제연설비의 수직 급기덕트는 수평으로 이동되어야 한다. 또한 피난안전구역 층에는
특별피난계단의 부속실이 두 개가 된다.
100

3.4.7. 옥상광장 및 헬리포트


 재난상황에서 사람들은 대부분 1층 출구로 집중하게 된다. 대규모 고층건축물의 경우 많은 대피인원이
1층으로 집중할 경우 2차 피해를 예상할 수 있으므로 계획적으로 대피인원을 분산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 건축법 」 에서는 피난층(※직통계단 중 피난층의 개념 이미지 참조) 외에 옥상광장으로의 대피분산을
유도하는 개념으로 헬리포트 등의 설치를 규정하고 있다.
 11층 이상 층의 바닥면적 합계 10,000 ㎡ 이상인 건축물의 옥상에는 지붕의 형태에 따라 헬리콥터를 통하여
인명 등을 구조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여야 한다.

지붕형태에 따른 구조공간 계획
- 평지붕 : 옥상에 헬리포트(heliport)를 설치하거나 헬리콥터를 통하여 인명 등을 구조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
- 경사지붕 : 경사지붕 아래에 지붕 수평투영면적의 1/10 이상의 대피공간을 설치

가. 옥상광장
 일반적으로 옥상공간의 활용유무는 전적으로 건축주의 의지이지만, 5층 이상의 건축물로서 5층 이상의
층이 용도에 따라 피난용도로 쓸 수 있는 광장을 옥상에 설치해야 한다

구분 설치기준 비고

- 5층 이상의 건축물로서 5층 이상의 층이


· 제2종 근린생활시설 중 공연장·종교집회장·인터넷컴퓨터게임시설제공업소(해당용도로
쓰는 바닥면적의 합계가 각각 300 ㎡ 이상인 경우)
· 문화 및 집회시설(전시장 및 동·식물원은 제외), 종교시설, 판매시설, 위락시설 중
주점영업 또는 장례식장

건축법시행령
설치대상 제40조
제2항

- 옥상으로 올라갈 수 있도록 한 건축물 및 사람들이 출입할 수 있는 모든 노대구조의


주위에는 추락방지를 위한 1.2m 높이의 난간을 설치

건축법시행령
설치구조 제40조
제1항
Fire Protection & Life Safety Plan

나. 헬리포트 및 인명구조공간

구분 설치기준 비고
- 헬리포트의 길이와 너비 : 22m 이상 (옥상바닥 협소시 15m까지 감축 가능)
- 헬리포트의 중심으로부터 반경 12m 이내에는 이착륙 장애물, 난간 설치 금지
- 헬리포트의 주위한계선은 38cm 너비의 백색선으로 표시
- 헬리포트 중앙부분에 지름 8m의 백색 "ⓗ"표지 표시 (“H”-38cm 선, "○"-60cm)

건축법시행령
제40조
헬리포트
(평지붕) 건축물
방화구조규칙
제13조

- 옥상에 헬리콥터를 통하여 인명 등을 구조할 수 있는 공간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직경


10m 이상의 구조 공간을 확보하여야 하며, 구조공간에는 구조활동에 장애가 되는
건축물, 공작물 또는 난간 등을 설치해 서는 안 된다. 이 경우 구조공간의 표시기준 등에
관하여는 헬리포트 설치기준 ③, ④를 준용한다(건축물방화구조규칙 제13조 제2항).

건축법시행령
인명구조공간 제40조

건축물
방화구조규칙
제13조

- 헬리포트 설치시 직경 10m 이상의 구조공간 확보


구조공간
- 구조공간에는 구조활동에 장애가 되는 건축물, 공작물, 난간 등 설치 금지

건축물의 규모 및 주변 환경 여건 파악하여 헬리포트 또는 인명구조공간 선택 계획


- 준초고층 건축물 : 헬리포트 적용 권장
- 초고층 건축물 : 초고층 건축물의 경우 풍속 등으로 인해 헬리포트 착륙이 어려울 수 있음,
헬리포트 착륙이 가능한지 여부를 검토 후 적용 또는 인명구조공간으로 계획
102

다. 기타 대피공간

구분 설치기준 비고

- 대피공간의 면적 : 지붕 수평투영면적의 1/10 이상


- 특별피난계단 또는 피난계단과 연결되도록 설치
- 건축물의 다른 부분과 내화구조의 바닥 및 벽으로 구획 (출입구·창문 제외)
- 출입구는 유효너비 0.9m 이상의 60분+ 방화문, 60분방화문 설치
- 내부마감재료는 불연재료 사용
- 예비전원 조명설비, 관리사무소 등과 긴급 연락이 가능한 통신시설 설치
* 건축물의 경사지붕 아래에 설치하는 대피공간 면적은 용적률 산정을 위한 연면적에서
제외 (건축법 시행령 112조)

건축법시행령
제40조
대피공간
(경사지붕)
건축물
방화구조규칙
제13조

헬리포트 또는 인명구조공간 설치 시 추가 고려사항


- 아래층 화재로부터 열 ・ 연기의 영향을 덜 받을 수 있고 구조 시간이 장시간 소요될 경우 대기할 수 있는 공간
필요. 지붕 : 옥상에 헬리포트(heliport)를 설치하거나 헬리콥터를 통하여 인명 등을 구조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
- 천장이 없는 구조로서 3면 또는 4면 벽 높이는 최소 1.5m 이상의 불연재료로 구획.
Fire Protection & Life Safety Plan

3.4.8. 승강기
 실제 피난 시 엘리베이터의 사용사례가 보고되고 있는데 이는 매우 위험한 행위로, 일반적으로 대부 분의
국가에서는 피난수단으로서의 엘리베이터의 사용을 금지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 고층화, 심층화에 따른 피난상의 문제, 재해약자에 대한 피난대책으로 승강기 사용을 검토하기 시작했다.
 건물의 고층화, 심층화 및 재해약자에 대한 피난수단으로서 안전성이 확보된 승강기의 사용을 고려해야
하며, 승강기 피난에 따른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관련 분야의 기술적인 검토 및 체계적인 대책수립이
요구된다.

피난시 승강기 이용의 문제점


1. 승강장에서 기다려야 한다.
(1) 승강기를 타기 위해서는 기다리는 시간이 많다.
(2) 기다리는 동안 화염이나 연기 등에 질식될 수도 있다.
(3) 귀중한 피난시간이 공연히 소비될 우려가 있다.
2. 문(door)이 닫히지 않으면 승강기는 움직이지 않는다.
(1) 승강기는 안전상 door가 완전히 닫히지 않으면 움직이지 않게 설계되어 있다.
(2) 많은 사람이 승강기로 피난하기 위해 한꺼번에 몰려 들어가면 door가 닫히지 않는다.
3. 정전
(1) 화재가 발생하면 언제 정전이 될지 알 수 없다.
(2) 화재에 의해 전원케이블이 소손되거나 그 밖의 원인으로 승강기가 운행 중에 정지할 위험이 있다.
4. 승강기샤프트의 연기
(1) 화재로 발생한 연기는 승강기 샤프트 내로 침투할 우려가 있다.
(2) 승강기가 도중에 정지하지 않더라도 침투된 연기나 가스의 영향을 받아 승강기 내의 사람이 위험한 상태가
될 가능성이 많다.
5. 화재층에서 정지
(1) 자동승강기의 경우 버턴이 눌러져 있으면 가동한다. 만약 화재층의 버턴이 눌러져 있다면 자동적으로
화재층에서 정지하게 된다.
(2) 화재에 의한 열·연기 등의 영향으로 기기가 오동작을 하거나 회로가 단락되어 화재층의 버턴이 눌러져
있는 상태로 될 가능성이 있다.
6. 수송능력이 작다.
(1) 단시간에 많은 사람을 수송할 수 있는 능력을 승강기에 기대할 수 없다.
(2) 비상시의 피난에 30분~1시간 정도 소요된다면 피난의 효과는 의문시된다.

가. 승강기 피난의 필요성


초고층 건축물
 100m이상의 높이에서 계단을 내려오는 것은 체력적으로 감당하기 어렵다. 따라서 승강기를 이용하 여
체력을 소모하지 않고 피난할 수 있어야 한다.
 통상 화재가 발생한 층의 1~2층 아래층은 화재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따라서 이 곳에서는 시간적, 공간적
여유가 있으므로 안전을 확인한 후 승강기를 이용하여 피난층에 이를 수 있다.
 또한 화재층의 상부인 경우에도 화재층의 아래까지 계단을 이용한 후 같은 방법으로 승강기를 이용하여
피난할 수 있다. 물의 고층화, 심층화 및 재해약자에 대한 피난수단으로서 안전성이 확보된 승강기의 사용을
고려해야 하며, 승강기 피난에 따른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관련 분야의 기술적인 검토 및 체계적인
대책수립이 요구된다.
104

심층 지하공간
 통상의 피난방향과는 반대로 계단을 올라가야 한다. 계단을 내려갈 때보다 오르는 쪽이 체력적인 부담이
크기 때문에 승강기 등 기계적인 수송수단이 반드시 필요하다.

 높이 50m를 넘는 지하공간에서는 계단이용피난은 현실적으로 어렵다.


 따라서 지하 4층 이하의 층에서는 계단에만 의존한 피난보다 초고층건물에서와 같이 승강기를 이용한
피난계획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장애자 대책
 자력피난이 곤란한 사람들의 피난, 안전은 병원이나 사회복지시설 등 한정된 시설에서의 문제로 취급되어
왔다. 그러나 고령화 사회에서는 일반적인 건축물 거의 모두에 자력피난이 곤란한 사람들이 존재한다고
생각해야 할 것이다.
 장애자에 대한 건축적인 배려로서는 최초접근(accessibility)의 확보가 과제이다. 따라서 신체장애자의
건물이용을 방해하는 물리적인 장애를 없애는 일 즉, 계단의 제거나 승강기의 설치가 요구된다.
 계단을 자력으로 내려갈 수 없는 사람들의 피난수단을 마련하는 것 즉, 승강기를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해결책의 하나이다.

피난용 승강기와 비상용 승강기의 차이?


- 피난용 승강기는 화재시 건물내 사용자의 안전한 피난층 이동 목적이고, 비상용 승강기는 소화활동을 위한
소방대의 건물내 진입 목적이라는 기능상 차이가 있음
- 높이 31미터를 초과하는 건축물에 비상용 승강기 추가 설치가 기본이지만, 피난용 승용승강기를 비상용
승강기의 구조로 하는 경우에는 별도로 설치할 필요 없음
- 비상용 승강기는 피난의 용도로 겸할 수 있으나, 피난 전용의 용도를 위해 피난용 승강기와 비상용 승강기
구조의 차이를 검토 후 기준 적용 필요

구분 피난용 승강기 (건축물방화구조규칙 30조) 비상용 승강기 (건축물 설비규칙 10조)

설치 대상 - 고층 건축물 (30층 이상이거나 120m 이상) - 높이 31m 초과 건축물

- 내화구조 - 내화구조
- 출입구에 60분+ 방화문, 60분방화문 설치 - 출입구에 60분+ 방화문, 60분방화문 설치
- 실내마감(바닥, 반자) : 불연재료 - 노대, 외부 개방 창문 설치
- 예비전원으로 작동하는 조명설비 - 배연설비 설치
승강장 - 바닥면적 : 승강기 1대당 6 ㎡ 이상 - 실내마감(벽, 반자) : 불연재료
- 출입구 부근 : 피난용승강기 표지 설치 - 채광 창문, 예비전원에 의한 조명설비 설치
- 바닥 : 1/100 이상의 기울기 설치, 배수용 - 바닥면적 : 승강기 1대당 6 ㎡ 이상
트렌치 설치 - 피난층 승강장 출입구-공지 도달거리 30m 이하
- 배연설비 또는 제연설비 설치 - 출입구 부근 : 비상용승강기 표지 설치

- 내화구조
- 내화구조
승강로 - 승강로를 단일구조로 연결하여 설치
- 승강로를 단일구조로 연결하여 설치
- 승강로 상부에 배연설비 설치

- 내화구조 구획
기계실 기준 없음
- 출입구에 60분+ 방화문, 60분방화문 설치

- 정전시 피난용승강기, 기계실, 승강장, CCTV 등


예비 전원 기준 없음
작동용 별도 예비전원 설치
Fire Protection & Life Safety Plan

나. 피난용 승강기
 최근에는 수평피난만큼이나 신속한 수직 피난이 재실자들의 안전성 확보와 직결되므로 계단 이외의 수직
피난전략 방안의 하나로 고층건축물에 피난용승강기 설치가 의무화되었다.
 피난기구 등에 의한 직접 피난이 어려울 경우 안전한 피난의 목적으로 고층건축물에 설치하는 승강기
(승강기법 시행규칙 별표1)
 일반 승강기는 출입문이 화염이나 연기의 침투를 방어할 수 없고, 다른 층마다 호출되어 정지할 수
있으며, 정전으로 인한 운행정지 위험이 있기 때문에 화재시에 피난용도로 사용해서는 안된다.

구분 계획사항 비고
건축물
설치기준 - 고층건축물 승용승강기 중 1대 이상 설치 (준초고층 건축물 중 공동주택 제외) 방화구조규칙
제29조

- 피난층 승강장으로부터 건축물 바깥쪽으로의 통로에 경사로 설치 건축물


피난층 - 피난층 승강장에는 60분+ 방화문, 60분방화문 설치 예외 가능
방화구조규칙
승강장 - 피난층 승강장 출입구(승강장이 없는 경우 승강로 출입구)로부터 도로, 공지에
이르는 거리 30m 이하로 계획 제11조

- 승강장의 출입구를 제외한 부분은 다른부분과 내화구조의 바닥, 벽으로 구획


- 승강장은 각 층의 내부와 연결, 출입구에는 60분+ 방화문, 60분방화문 설치
- 실내에 접하는 부분(바닥, 반자 등)의 마감(바탕 포함)은 불연재료 사용
승강장 - 예비전원으로 작동하는 조명설비 설치
- 승강장의 바닥면적 : 피난용승강기 1대당 6 ㎡ 이상 확보
- 승강장 출입구 부근 : “피난용승강기” 표지 설치 건축물
- 배연설비 설치 (제연설비를 설치한 경우 배연설비 설치 예외)
방화구조규칙
제30조
- 승강로와 해당 건축물의 다른 부분을 내화구조의 바닥, 벽으로 구획
승강로 - 각 층에서 피난층까지 이르는 승강로를 단일구조로 연결하여 설치
- 승강로 상부에 배연설비 설치

- 출입구 제외 부분은 다른 부분과 내화구조의 바닥, 벽으로 구획


기계실
- 출입구에는 60분+ 방화문, 60분방화문 설치

- 배연구, 배연풍도 : 불연재료, 외기 또는 굴뚝에 연결


- 배연구에 수동/자동개방장치 설치 (평상시 폐쇄) 건축설비규칙
배연설비
- 배연기 : 배연구가 외기에 접하지 않을 경우 설치 (공기 자동 배출) 제14조
- 급기가압, 급배기방식의 공기유입방식일 경우 소방관계법령 준수

- 예비전원 설비 : 정전시 피난용승강기, 기계실, 승강장 및 CCTV, 조명등 작동


건축물
- 예비전원 작동용량 : 2시간 (초고층 건축물), 1시간 (준초고층 건축물)
예비전원 방화구조규칙
- 상용전원과 예비전원의 공급 : 자동 또는 수동 전환 가능한 설비 설치
재30조
- 전선관 및 배선 : 고온에 견딜 수 있는 내열성 자재 사용, 방수조치

고층, 준초고층, 초고층 건축물의 기준?


- 고층 건축물 : 30층 이상이거나 높이 120m 이상 (건축법 2조)
- 준초고층 건축물 : 30층~49층 이하이거나 높이 120m~200m 미만 (건축법 시행령 2조)
- 초고층 건축물 : 50층 이상이거나 높이 200m 이상 (건축법 시행령 2조)
106

다. 비상용 승강기
 지상의 외부에서 소화가 어려울 경우 소방대의 건물 내 소화활동 및 구조를 위한 진입 목적으로 고층
건축물에 설치하는 승강기 (승강기법 시행규칙 별표1)

구분 계획사항 비고

- 높이 31m 초과 건축물에 승용승강기 외에 추가로 설치


- 높이 31m 초과 각층을 거실 외의 용도로 쓰는 건축물 건축설비규칙
설치대상 설치 - 높이 31m 초과 각층의 바닥면적의 합계가 500㎡ 이하인 건축물 제9조
예외 - 높이 31m 초과 층수 4개층 이하, 각층 바닥면적 합계 200㎡ (실내마감
불연재료 사용시 500 ㎡ ) 이내마다 방화구획한 건축물
- 설치대수 : 높이 31m 초과 층의 바닥면적 1,500 ㎡ 이하 1대, 3,000 ㎡ 이내마다 1대 추가
- 비상용 승강기 2대 이상시 소화에 지장이 없도록 이격하여 설치

건축법 64조
설치기준 건축법시행령
90조

- 비상용 승강기의 세부구조에 대한 기준은 법규 참고 (‘별표1 전기식 엘리베이터의 구조’의


16.2 비상용 엘리베이터의 추가조건)
- 로비구역 및 승강로를 다른 구역 및 승강로와 방화구획
- 기계실도 방화구획된 승강로와 동일한 방화구획 내로 계획
- 소방운전시 모든 승강장의 층마다 정지 가능 승강기검사 기준
구조기준
- 크기 : 폭 1.1m × 깊이 1.4m, 정격하중 630㎏, 출입구 유효폭 80cm 이상 별표1
- 소방관이 조작하여 승강기문이 닫힌 이후부터 60초 이내 가장 먼층에 도착하도록 설치
(운행속도 1 ㎧ 이상)
- 카 지붕에 0.5m×0.7m 이상의 비상구출문 설치
- 구동기, 관련설비 설치공간은 내화구조로 보호
- 피난층 승강장으로부터 건축물 바깥쪽으로의 통로에 경사로 설치
건축물
피난층 - 피난층 승강장에는 60분+ 방화문, 60분방화문 설치 예외 방화구조규칙
승강장 - 피난층 승강장 출입구(승강장이 없는 경우 승강로 출입구)로부터 도로, 공지에 이르는 거리 제11조
30m 이하로 계획
- 승강장의 출입구를 제외한 부분은 다른부분과 내화구조의 바닥, 벽으로 구획
- 승강장은 각 층의 내부와 연결, 그 출입구에는 60분+ 방화문, 60분방화문 설치
* 공동주택 : 승강장과 특별피난계단의 부속실 겸용 가능
- 노대 또는 외부를 향하여 열 수 있는 창문이나 배연설비 설치
- 실내에 접하는 부분(벽, 반자)의 마감(바탕 포함)은 불연재료 계획
승강장 - 채광창을 설치하거나 예비전원에 의한 조명설비 설치
건축설비규칙
- 승강장의 바닥면적 : 비상용 승강기 1대당 6㎡ 이상 확보
제10조
- 피난층 승강장의 출입구로부터 도로 또는 공지에 이르는 거리 30m 이하
- 승강장의 출입구 부근에 “비상용승강기” 표지 설치
- 배연설비 설치
- 제연설비 : 특별피난계단, 비상용 승강기의 승강장에 설치 (제연설비 설치시 배연설비 설치 예외)
- 해당 건축물의 다른 부분과 내화구조로 구획
승강로
- 각 층에서 피난층까지 이르는 승강로를 단일구조로 연결
건축설비규칙
- 배연구, 배연풍도 : 불연재료, 외기 또는 굴뚝에 연결
제14조
- 배연구에 수동/자동개방장치 설치 (평상시 폐쇄)
소방시설법
배연설비 - 배연기 : 배연구가 외기에 접하지 않을 경우 설치 (공기 자동 배출)
시행령
- 급기가압, 급배기방식의 공기유입방식일 경우 소방관계법령 준수 제15조 별표5
* 피난층에는 배연설비 설치 예외 NFSC 501
Fire Protection & Life Safety Plan

비상용 승강기 승강장의 유효면적 및 카사이즈 고려하여 설계


- 비상용승강기 승강장의 유효면적 : 방화문의 개폐면적을 제외하고 6제곱미터 이상 확보 권장
- 카사이즈는 들것의 크기를 고려하여 2.2m * 1.1m 이상 확보 권장

비상용 승강기 및 피난용 승강기 승강장 부분에 비상방송 스피커 추가 적용


- 소화활동 및 피난이 활발히 이루어 지는 주요 장소인 승강장에 비상방송 스피커를 추가 적용하여 성능안전
설계가 반영되도록 전기설비와 사전 협의 조율
108

3.4.9. 지하층의 구조 및 설비
가. 지하층의 비상탈출구
 지하층에서 지상층, 피난층으로 대피시 복도, 직통계단, 피난통로 등에 연결되는 피난시설이다.

구분 계획 고려 사항 비고
- 지하층 거실 바닥면적 50㎡ 이상 층에 직통계단 외에 비상탈출구 및 환기통 설치
설치대상
- 예외 : 직통계단이 2개소 이상 설치되어 있는 경우 제외
- 유효너비 : 0.75m 이상, 유효높이 : 1.5m 이상
- 비상탈출구문 : 피난방향으로 개폐(상시 개방 가능), 내/외부에 비상탈출구 표시
- 출입구로부터 3m 이상 이격하여 설치
- 벽체에 너비 20cm 이상 사다리 설치 (비상탈출구의 아래까지 높이 1.2m 이상 시)
- 복도, 계단과 접하는 피난통로 : 유효너비 0.75m 이상, 실내마감/바탕은 불연재료
- 비상탈출구의 유도등과 피난통로의 비상조명등 설치

건축물
방화구조규칙
설치기준 제25조

지하가와 지하구
- 지하가( 地 下 街 ) : 지하의 공작물 안에 설치되어 있는 점포·사무실 그 밖에 이와 비슷한 시설로, 연속하여
지하도에 면하여 설치된 것과 그 지하도를 합한 것 (대표적으로 지하상가 등)
- 지하구( 地 下 溝 ) : 전력・통신용의 전선이나 가스·냉난방용 배관 또는 이와 비슷한 것을 집합수용하기 위하여
설치한 지하공작물로, 사람이 점검 또는 보수하기 위하여 출입이 가능한 것 중 폭 1.8m 이상,
높이 2m 이상, 길이 50m 이상(전력, 통신사업용-500m 이상)의 공간
Fire Protection & Life Safety Plan

나. 개방공간(지하층 선큰) 계획
 선큰은 지표 아래에 있고 외기에 개방된 공간으로 보행, 휴식, 피난 등에 제공되는 공간을 의미하며,
개방공간은 지하층에서 외부 계단, 경사로 등을 이용하여 피난층으로 대피할 수 있도록 천장이 개방되어
있는 공간을 의미한다.

계획 범위 계획 고려사항 관련 법규

- 지하층에 공연장, 집회장, 관람장, 전시장 설치 (바닥면적 합계 3,000㎡ 이상)

건축법시행령
제37조

설치대상

- 건축물 내에 문화집회시설, 판매시설, 운수시설, 업무시설, 숙박시설, 유원시설업 시설 초고층재난


등이 하나 이상 있는 초고층 건축물의 지하층 관리법시행령
제14조

- 용도별로 산정한 면적의 합산 면적 이상 설치


- 문화 및 집회시설 중 공연장, 집회장, 관람장 : 해당 면적의 7% 이상
설치면적
- 판매시설 중 소매시장 : 해당 면적의 7% 이상
- 기타 용도 : 해당 면적의 3% 이상
초고층재난
- 지상, 피난층(피난안전구역 포함)으로 통하는 직통계단 (너비 1.8m 이상) 또는 경사로
관리법시행령
(너비 1.8m 이상 및 경사도 12.5% 이하) 설치
설치기준 제14조
- 거실 바닥면적 100 ㎡ 마다 0.6m 이상을 선큰과 거실이 접하도록 계획
- 선큰-거실 연결 출입문 너비 : 거실 바닥면적 100㎡마다 0.3m로 산정한 값 이상

- 선큰과 거실이 접하는 부분에 설치 (드렌처, 공조설비와 별도)


제연설비
- 설치 예외 : 화재시 제연설비 기능으로 자동 전환되는 공기조화설비 설치시
110

3.4.10. 화재 및 피난시뮬레이션을 통한 피난안전성평가

구분 내용 (소방시설 등의 성능위주설계 방법 및 기준 별표1)


- 시나리오는 실제 건축물에서 발생 가능한 시나리오를 선정
공통사항
- 가장 큰 피해가 예상되는 3개 이상의 시나리오 실시
- 건물용도, 사용자 중심의 일반적인 화재 가상
시나리오 - 시나리오 반영사항 : 건물사용자 특성, 사용자의 수와 장소, 실 크기, 가구와 실내 내용물, 연소
1 가능 물질과 특성 및 발화원, 환기조건, 최초 발화물과 발화물의 위치 (필요한 경우 시나리오에
필요사항 추가 가능)
시나리오 - 내부 문들이 개방되어 있는 상황에서 피난로에 화재 발생, 급격한 화재 연소 상황 가상
2 - 중점사항 : 화재시 가능한 피난방법의 수
- 사람이 상주하지 않는 실에서 화재가 발생, 잠재적으로 많은 재실자에게 위험한 상황 가상
시나리오
- 중점사항 : 건축물 내 재실자가 없는 곳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많은 재실자가 있는 공간으로
3
연소 확대되는 상황
시나리오 - 많은 사람들이 있는 실에 인접한 벽이나 덕트공간 등에서 화재가 발생한 상황을 가상
시나리오
유형 - 중점사항 : 화재감지기가 없거나 자동 작동하는 화재진압시스템이 없는 장소에서 화재가
4
발생하여 많은 재실자가 있는 곳으로 연소확대되는 상황
- 많은 거주자가 있는 아주 인접한 장소 중 소방시설의 작동범위에 들어가지 않는 장소에서 아주
시나리오
천천히 성장하는 화재 가상
5
- 중점사항 : 작은 화재에서 시작하지만 대형화재를 일으킬 수 있는 화재
시나리오 - 건축물의 일반적인 사용, 화재하중이 가장 큰 장소에서 발생한 아주 심각한 화재 가상
6 - 중점사항 : 재실자가 있는 공간에서 급격하게 연소확대 되는 화재
- 외부에서 발생하여 본 건물로 화재가 확대되는 경우 가상
시나리오
- 중점사항 : 본 건물에서 떨어진 장소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본 건물로 화재가 확대되거나
7
피난로를 막거나 거주가 불가능한 조건을 만드는 화재
- 호흡 한계선 : 바닥으로부터 1.8m 기준
- 열에 의한 영향 : 60℃ 이하
인명안전 - 가시거리의 영향 (허용가시거리 한계) : 기타시설 5m, 집회/판매시설 10m
* 고휘도/바닥유도등, 축광유도표지 설치시 집회/판매시설 7m 적용 가능
- 독성의 영향 (독성기준치) : CO 1,400ppm, O2 15% 이상, CO2 5% 이하
- 사무실, 상업/산업건물, 학교/대학교 : W1-1분, W2-3분, W3-4분 (거주자는 건물의 내부, 경보,
탈출로에 익숙하고, 상시 깨어 있음)
- 상점, 박물관, 레져스포츠센터, 문화집회시설 : W1-2분, W2-3분, W3-6분 (거주자는 상시 깨어
있으나, 건물 내부, 경보, 탈출로에 익숙하지 않음)
- 기숙사, 중/고층 주택 : W1-2분, W2-4분, W3-5분 (거주자는 건물 내부, 경보, 탈출로에 익숙하고,
수면상태일 가능성 있음)
피난가능
- 호텔, 하숙용도 : W1-2분 이내, W2-4분, W3-6분 이상 (거주자는 건물 내부, 경보, 탈출로에
시간
익숙하지 않고, 수면상태 가능성)
시나리오
- 병원, 요양소, 공공 숙소 : W1-3분 이내, W2-4분, W3-8분 이상 (거주자는 주변 도움 필요)
적용기준
* W1 : 방재센터 등 CCTV 설비가 갖춰진 통제실의 방송 또는 훈련된 직원에 의하여 해당 공간
내의 모든 거주자들이 인지할 수 있는 육성지침을 제공
* W2 : 녹음된 음성 메시지 또는 훈련된 직원과 함께 경고방송 제공
* W3 : 화재경보신호를 이용한 경보설비와 함께 비 훈련 직원을 활용
- 집회용도 : 0.65~9.3㎡/인
- 교육용도 : 교실 1.9, 매점/도서관/작업실 4.6 ㎡ /인
- 상업용도 : 피난층/지하층 판매지역 2.8㎡/인, 2층이상 판매지역 3.7㎡/인
- 보호용도 : 3.3㎡/인
수용인원
- 의료용도 : 입원치료구역 22.3㎡/인, 수면구역/교정/감호용도 11.1㎡/인
산정
- 주거용도 : 18.6㎡/인 (호텔,기숙사,아파트)
- 공업용도 : 일반/고위험 9.3 ㎡ /인, 특수공업 수용인원 이상
- 업무용도 : 9.3㎡/인
- 창고용도 : 수용인원 이상
Fire Protection & Life Safety Plan

화재 및 피난 시뮬레이션에 의한 평가 개념

화재 및 피난시뮬레이션에 의한 평가방법은
일반적으로 화재시뮬레이션을 통한
허용피난시간(ASET, available safe egress time)과
피난시뮬레이션을 통한 피난소요시간(RSET,
required safe egress time)을 비교함으로써
이루어짐

⇒ 피난소요시간이 허용피난시간을 초과하지


않는가를 확인하는 과정이라 할 수 있음.

화재로부터 생성된 독성연기가 사람의 호흡선(바다그


로부터 1.8m)까지 내려오면 피난하는 사람이 연기를
들여 마시게 됨.

⇒ 연기가 호흡선(바닥으로부터 1.8m)까지 내려오기


전에 모든 사람들은 피난을 완료해야 함.

화재시뮬레이션 분석 예시

피난시뮬레이션 분석 예시
112

전 층 피난시뮬레이션 분석 예시
→ 전 층 인원 동시 계단으로만 피난 분석

→ 피난안전구역 상부층 인원의 80% 계단이용, 20% 피난용승강기 이용

지하주차장 환기 등 시뮬레이션 분석 예시
측정점 화재 발생 후 180초 (환기적용 전) 화재 발생 후 180초 (환기적용 후)
Fire Protection & Life Safety Plan

3.5. 기타
3.5.1. 방배연 계획
 방배연 계획의 목적은 화재실에서 발생한 연기가 사람들의 피난경로가 되는 통로, 복도, 로비, 계단
등으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여 피난을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방배연 계획 단계 단계별 대책
1단계 - 일정한 용도와 면적에 따라 적절하게 구획

2단계 - 거실과 복도 등을 방연적으로 구획하여 피난경로를 보호

3단계 - 신선한 공기가 피난방향으로부터 도입되어 피난방향으로 연기의 유동을 억제

4단계 - 연기를 배출

가. 방배연 대책

구분 단계별 대책

- 공간특성과 조화 : 가연물량이 많은 공간, 기밀성이 높은 공간, 공기면적이 큰 공간 등 공간특성에


적절한 방배연 방식과 방연구획 선택
기본방향
- 피난계획과 조화 : 피난자를 연기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피난시간 경과 및 공간 경유 시나리오에
따라 방배연 계획 고려
- 1단계 : 내장재의 불연화, 가연 수납물의 제한
방연 대책 - 2단계 : 방연구획 등으로 연기의 유동 억제
- 3단계 : 공조설비 정지에 의한 연기 교란 방지
- 벽, 출입구, 수벽 등에 의해 제어된 연기를 옥외, 옥상 등 피난에 지장이 없는 방향으로 배출
(연기가 피난행동을 막거나 사망자가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
배연 대책
- 안전구획 입구 가까운쪽, 복도의 막다른 곳 등 적절한 위치에 배연구 설치
- 스모크 타워, 배연 팬 등의 배연설비 설치

나. 방배연 방식

방식 내 용
- 연기의 부력으로 천장면이나 벽면 상부에 설치된 개구부로부터 자연 배출
- 효과 : 자연효과로 배연되므로 경제적
자연 배연 방식
- 적용대상 : 일반공간
- 고려사항 : 외기의 영향이 큼
- 자연배연 방식의 일종
- 자연배연용 수직 샤프트를 설치하고 샤프트에 생긴 부력과 샤프트 정상에 작용하는
스모크타워 방식 외부바람의 흡인력을 이용하여 배연
- 특징 : 급기 및 배기 모두 자연력 이용
- 고려사항 : 배연 샤프트의 단면적이 커짐
- 기계력으로 급기하는 방식
기계 배연 방식 - 계단실 등 피난경로에 급기하여 압력을 높여 연기의 침입을 막고 피난 안전 확보
(가압 방연+제1,2종 배연) - 제1종 배연 (기계력으로 배연)
- 제2종 배연 (자연력으로 배연)
- 기계력으로 배기하고, 배연기를 통해 기계력으로 상부의 연기를 풍도로 배출
기계 배연 방식 - 연기가 유해한 높이까지 하강하는 것을 방지
(감압 방연+제3종 배연) - 실내의 압력을 낮추어 다른 구획으로의 유출을 방지
- 단점 : 기기고장으로 인한 미작동, 고온 또는 대량의 연기에 대응 어려움
114

다. 방배연 구획방법

방배연 구획 계획 고려사항
- 면적은 500 ㎡ 이내로 설치
면적구획의 방배연 - 수벽은 동일 용도내 배연구획에 대해 50cm 이상 높이로 설치
- 피난 중 연기로부터 안전도가 높은 곳으로 퇴출할 수 있도록 안전구획을 계획
- 부속실(특별피난계단)은 건축법에서 정한 방배연 설비를 설치
- 전실은 피난에 필요한 방배연 설비를 설치하여 안전구획으로 이용
안전구획의 방배연 안전구획 종류 해당 용도 실
1차 안전구획 거실과 복도
2차 안전구획 복도와 피난계단, 부속실(특별피난계단)
3차 안전구획 특별피난계단
- 용도구획 설정대상 : 불특정 다수가 이용하는 시설
용도구획의 방배연 - 반드시 용도상 분리해야 하는 대상 : 집회실과 백화점, 숙박시설, 상점 및 보일러실, 거실 등
- 분리방법 : 내화구조의 바닥, 벽, 자동폐쇄식 갑종방화문 등
수직통로 구획의 - 적절한 방배연 방식을 선정하여 적용
방배연 - 자연배연, 스모크타워, 기계배연 방식 등

라. 계획부위별 방배연 방법

방배연 계획 부위 계획 적용 방법
- 계단실, 승강기의 승강로, 덕트, 파이프 샤프트, 에스컬레이터 주위
바닥을 통과하는 수직통로
- 측벽 전체를 내화구조로 구획 설정
계단 - 상시 폐쇄식 방화문 운영
- 양측-망입유리와 셔터 병용
에스컬레이터
- 승강구-연감 연동 폐쇄문 설치
- 미닫이도 연기의 누설성 검토
승강기의 승강구
- 고층 건축, 백화점 등의 엘리베이터 로비는 일반부분과 방연 구획

마. 배연설비
 화재 발생으로 인한 유독가스를 건축물 밖으로 배출하는 시설 (건축법에서 규정)

구분 설비 내용 비고
-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는 건축물이나, 혼자 힘으로 대피에 어려움이 있다고
판단되는 사람들이 이용하는 용도의 건축물
6층 - 공연장, 종교집회장, 인터넷컴퓨터 게임시설제공업소, 다중생활시설
이상 - 문화 및 집회시설, 종교시설, 판매시설, 운수시설
설치 - 의료시설, 연구소, 아동 관련 시설, 노인복지시설(노인요양시설 제외) 건축법 시행령
대상 - 유스호스텔, 운동시설, 업무시설, 숙박시설, 위락시설, 관광휴게시설, 장례식장 제51조 2항
- 일정 용도 및 규모의 건축물의 거실 (피난층 거실 제외)
- 의료시설 중 요양병원 및 정신병원
- 노유자시설 중 노인요양시설·장애인 거주시설 및 장애인 의료재활시설
- 방화구획 설치시 : 구획마다 1개소 이상의 배연창 설치
배연
- 배연창 : 상변-천장 또는 반자까지 0.9m 이내 (반자높이 3m 이상시 배연창 하변 2.1m
설비
이상 위치), 최소 1 ㎡ 이상 면적 (1 ㎡ 이하시 1 ㎡ 로 산정)
- 배연구 : 연기/열 감지기로 자동 개방, 수동 개폐 구조 (예비전원으로 개방 가능)
- 기계식 배연설비 : 소방관계법령의 규정 준수

설치 특별피난계단 및 비상용승강기의 승강장 건축설비규칙


기준 - 배연구/배연풍도 : 불연재 사용, 외기 또는 평상시 사용하지 않는 굴뚝에 연결 제14조
- 배연구에 설치하는 수동/자동개방장치 : 손으로 개폐가능한 구조
- 배연구 : 평상시 닫힌 상태 유지, 개방시 배연에 의한 기류로 닫히지 않는 구조
- 배연구가 외기에 접하지 않을 경우 배연기 설치
- 배연기 : 배연구 열림에 따라 자동 작동, 충분한 공기배출 또는 가압능력 확보
- 배연기에 예비전원 설치
- 공기유입방식이 급기가압방식 또는 급배기방식일 경우 소방관계법령 적용
Fire Protection & Life Safety Plan

3.5.2. 배연창 계획
가. 배연창의 개념 및 구성요소
 배연창은 6층 이상으로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거나 혼자 힘으로 대피에 어려움이 있다고 판단되는 사 람들이
이용하는 용도의 건축물에 설치하는 배연설비의 종류로, 일정 용도 및 규모의 건축물 내 거실에 설치한다.
(피난층 거실 제외)
구분 계획사항 비고

- 6층 이상 건축물 (제2종 근린생활시설 중 공연장, 종교집회장, 인터넷PC 게임시설,


다중생활시설, 문화 및 집회시설, 종교시설, 판매시설, 운수시설, 의료시설, 연구소, 아동
관련 시설, 노인복지시설, 수련시설 중 유스호스텔, 운동시설, 업무시설, 숙박시설, 건축법시행령
설치대상 위락시설, 관광휴게시설, 장례식장) 제51조 2항
- 의료시설 중 요양병원 및 정신병원
- 노유자시설 중 노인요양시설·장애인 거주시설 및 장애인 의료재활시설

- 방화구획 설치시 구획마다 1개소 이상 설치


- 연기감지기, 열감지기에 의하여 예비전원으로 자동 개방되는 구조 (수동 개폐 가능)
- 상변으로부터 천장 또는 반자까지의 수직거리 0.9m 이내
- 반자높이 3m 이상 : 배연창의 하변이 바닥으로부터 2.1m 이상 되도록 설치

설치기준

- 배연창의 유효면적 : 배연창 산정면적은 건축물의 바닥면적의 1/100 이상


- 방화구획 설치시 구획 부분 바닥면적의 1/100 이상 적용
- 배연창 산정 면적은 최소 1 ㎡ 이상 (1 ㎡ 이하시 1 ㎡ 로 산정하여 설계에 반영)
- 환기창 면적 합계가 거실 바닥면적의 1/20 이상시 : 거실면적에서 환기창 면적을
차감한 면적을 바닥면적으로 인정

H×L
L : 미서기창 폭 건축설비규칙
미서기창 제14조, 별표2
H : 창 높이
W : 창문 폭

H × L'/ 2 × 2
Pivot
H : 창 높이
종축창
배연창 L : 90°시 개방거리 , L': 90°미만시 개방거리
유효면적
(W×L1) + (W×L2)
Pivot
W : 창폭
횡축창
L1 : 실내 개방거리 , L2 : 실외 투영거리

W×L2
들창 H : 창폭
L2 : 창틀과 평행 개방된 순수수평투명면적

실외측 개방시 W×L, 실내측 개방시 W×L1


W : 창폭 , L : 실외 순거리
미들창
L1 : 실내 순거리
L2 : 창틀과 평행 개방된 순수수평투영면적
116

나. 배연창 계획 프로세스

01 배연창 설치 관련 기준 확인

- 건축물의 용도/규모/바닥면적, 환기창 설치 여부 등을 확인하여 배연창 계획범위 검토

1. 배연창 설치대상 여부 확인 : 6층 이상, 건축물 용도


2. 건축물 바닥면적 확인 : 1/100 이상 유효면적 여부
3. 환기창 설치 여부 확인 : 1/20 이상 설치시 차감

02 배연창 유효면적 및 설치기준 확인

- 배연창의 형태별 유효면적을 산정하고 방화구획 등 설치기준을 검토하여 층별 배연창 면적 합계와 타입 결정

1. 배연창 유효면적 산정 : 창 형태별, 1㎡ 이상 적용


2. 방화구획 확인 : 방화구획당 1개소, 면적의 1/100 이상
3. 배연창 유효면적 합산 : 층별 배연창 개수×유효면적

배연창 유효면적 및 설치면적 산출방법

구분 방화구획 면적 법정기준 설치면적


2 2
① 843.21m 843.21 / 100 = 8.43m 이상 20개 × 0.51m2 = 10.20m2
② 83.56m2 83.56 / 100 = 0.84m2 (최소 1이상) 2개 × 0.51m2 = 1.02m2

1) 배연창 설치 대상 방화구획 면적 산출 ➔ ①사무실 ②E/V홀


2) 방화구획의 1/100 ➔ 법정 배연창 유효면적 산출
3) 배연창 1개소당 유효면적 산출 (‘배연창 유효면적’ 참고)
4) 배연창 유효면적 × 개수 ➔ 배연창 설치면적 산출
5) 3)의 유효면적과 4)의 설치면적 비교 ➔ 배연창 설치계획 확인
*방화구획마다 1개소 이상 설치
*배연창 1㎡ 이하시 1㎡로 산정

방화구획/배연 계획도

03
층별 배연창 계획 반영 및 검토

- 층별 위치와 높이기준을 적용하여 배연창을 설치하고, 법규 종합 검토

1. 배연창 설치 : 상부 0.9m, 하부 2.1m 높이, 피난층 제외


2. 배연창 위치 확인 : 거실면적, 방화구획 포함 여부 등
3. 계획 확인 : 배연창 유효면적, 바닥면적 등

평면도의 배연창 계획사항 표기

외벽 커튼월의 배연창 표기 배연창 범례

- 방화구획/배연 계획도의 배연창 위치를 각층 평면도에 표기


평면도 - 표제블럭의 NOTE란에 배연창 범례 표기
Fire Protection & Life Safety Plan

3.5.3. 소방관 진입창 계획


 화재 발생 등 각종 재난·재해 그 밖의 위급한 상황에서 건축물 내부로의 신속한 진입으로 ‘인명구조
골든타임을 확보하기 위하여 소방관 진입창을 설치하도록 2019년 4월 23일 건축법에 신설되었다.

계획 범위 계획 고려사항 관련 법규

- 건축물의 11층 이하의 층에는 소방관이 진입할 수 있는 창을 설치하여야 함


건축법 시행령
설치대상 (대피공간 설치 또는 비상용승강기 설치한 아파트는 제외)
제51조제4항
- 외부에서 주야간 식별할 수 있는 표시를 해야 함

- 2층 이상 11층 이하인 층에 각각 1개소 이상 설치


- 소방관 진입창의 가운데에서 벽면 끝까지의 수평거리가 40미터 이상인
경우에는 40미터 이내마다 소방관이 진입할 수 있는 창을 추가로 설치
- 소방차 진입로 또는 소방차 진입이 가능한 공터에 면하도록 설치

- 창문의 크기는 폭 90센티미터 이상, 높이 1.2미터 이상으로 하고, 실내


바닥면으로부터 창의 아랫부분까지의 높이는 80센티미터 이내로 계획
건축물
설치 기준 방화구조규칙
- 창문의 가운데에 지름 20센티미터 이사의 역삼각형을 야간에도 제18조2
표시 기준
알아볼 수 있도록 빛 반사 등으로 붉은색으로 표시
- 창문의 한쪽 모서리에 타격지점을 지름 3센티미터 이상의 원형으로 표시

- 가. 플로트판 유리로서 그 두께가 6밀리미터 이하인 것


적용가능한 - 나. 강화유리 또는 배강도유리로서 그 두께가 6밀리미터 이하인 것
유리 종류 - 가 또는 나에 해당하는 유리로 구성된 이중 요리로서 그 두께가
24밀리미터 이하인 것

- 화재 발생 시 많은 인명피해가 우려되는 문화 및 집회시설, 판매시설 등과 같은 다중이용시설 1개소


이상 공용 복도와 직접 연결되는 위치에 설치하여 소방관 진입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계획한다.

소방관 진입을
고려한 건축계획
118

소방관 진입창 사례-1


- 테라스형 생활형숙박시설 소방관 진입창 설치 사례

00 생활형 숙박시설

➔ 하향식피난구가 설치된 발코니는 안전성을 고려하여, 일반유리(단창)가 아닌 열처리가 된 복층유리로 적용함

소방관 진입창 사례-2


- 소방관 진입창 타격지점 우측 상단으로 변경하여 소방관의 부상을 최소화하도록 개선함

<변경 전> <변경 후>


Fire Protection & Life Safety Plan

소방시설등 성능위주설계 평가 운영 표준 가이드라인(2021.10)


- 소방관진입창은 2층 이상 11층 이하의 층에 설치하되, 시·도별 보유한 특수소방 자동차의 제원(52m, 70m)에
따라 12층 이상의 층에도 설치할 것. [공동주택(아파트)의 경우와 하나의 층에 공동주택(아파트) 및 주거용
오피스텔 용도가 함께 계획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사용 형태가 주거용도임을 고려하여 소방관 진입창 표시
제외]
- 소방관진입창은 배연창과 겸용하여 설치하는 것을 지양하고, 최소 1~2m 이격하여 설치할 것, 구조상
불가피할 경우 배연창은 상단에 설치하고 소방관진입창을 하단에 설치할 것
- 소방관진입창은 가급적 건축물 공용복도와 직접 연결되는 위치에 설치 권고(화재 발생 시 많은 인명피해가
우려되는 문화 및 집회시설, 판매시설 등과 같은 다중이용시설 1개소 이상 공용복도와 직접 연결되는 위치에
설치되도록 권고하고 이 경우 외부에서 해정가능한 구조로 설치하되, 문이 열리는 방향은 거실로 향하도록
하고, 90° 이상 개방)
- 건축물 발코니로 진입하는 소방관진입창의 경우 외부에서 식별이 가능할 수 있도록 발코니 인근에 진입창
안내 표시를 할 것.
120

■ 소방관 진입창 설치시 추락방지안전시설 등 주의 사항

추락방지 시설 및 소방관 진입창 높이 관련 주의 사항


- 추락방지 안전시설 관련 법규

오피스텔의 추락방지
안전시설 관련 법규

<설계오류 예상>

➔ 건축물 내부의 ‘추락방지 안전시설’로 인한 진입이 방해될 수 있으므로 고정창 권장

공동주택의 추락방지
안전시설 관련 법규
Fire Protection & Life Safety Plan

3.5.4. 종합방재실 설치 계획
 방재실(방재센터)은 건물 방재 관련 각종 설비가 설치되어서 종합적으로 집중 감시하고 피해를 최소화할
목적으로 설치되는 중앙관리실로, 평상시에는 각종 방재설비 감시 및 유지관리 업무를 수행하고, 화재
발생 등 비상시에는 화재 상황을 적절히 파악하고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방재실의 종류

- 단지 내 방범, 방재, 안전 등을 위한 설비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으로, 지능형 홈네트워크


일반방재실
중앙감시실의 역할 중 일부(소방, 안전, CCTV 등)만 수행 설치기준

- 초고층 건축물, 대규모 복합건축물 등의 건축, 소방, 전기, 가스 등 안전관리 및


종합방재실 초고층재난 관리법
방범, 보안, 테러 등 통합적 재난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설치하는 실

- 건물의 공기조화, 위생, 전기, 소방 등의 설비를 종합적으로 감시하여 필요한


중앙감시실 NFSC
설비를 제어할 수 있도록 중앙 감시 제어 장치를 설치한 실

방재실 설계 예시
122

구분 계획내용 비고
- 소방대가 쉽게 진입할 수 있도록 피난층 또는 지상1층에 설치할 것
- 지하1층 또는 지상2층에 설치해야 하는 경우 특별피난계단 5m 이내에
거리에 계획하고, 종합방재실(감시제어반)로 통하는 전용출입구를
확보하여야함
설치위치
- 소방자동차 진입로 동선과 일치하도록 하도록 도로변에 면하는 위치에
설치할 것
- 종합방재실(감시제어반실)과 관리사무실은 상호 인접(수직적, 수평적으로
최대한 근접)하여 설치

- 다른 부분과 방화구획으로 설치 (방화구획된 부속실 설치 가능)


- 7mm 이상의 망입유리(두께 16.3mm 이상의 접합유리 또는 두께 28mm
설치기준 이상의 복층유리 포함)로 된 4 ㎡ 미만의 붙박이창 설치
- 면적 : 20 ㎡ 이상
- 출입문에는 출입 제한 및 통제 장치 설치하고, 출입문은 건축물 내부 및
구조/면적 외부로 양방향에서 출입이 가능하도록 최소 2개소 이상 설치
- 종합방재실과 관리사무실을 같은 공간에 구획하여 설치하는 경우에는 상호
출입이 가능하도록 출입문 설치
- 소방대가 지휘·통제 및 재난 정보수집 등 원활한 소방활동을 할 수 있도록
충분한 공간을 확보할 것 (방재실 장비배치도 미리 검토)
- 근무공간 외 휴게공간, 화장실 별도 마련할 것

- 재난 및 안전관리에 필요한 인력 3명 이상 상주, 24시간 감시, 정기 점검,


시험 및 보수, 방재실이 다수일 경우 구역별 연계 시스템 고려 초고층
관리운영 재난관리법
- 용도별 관리 권원을 분리하여 2개소 이상 설치할 경우에는 상호 재난관리
시행규칙 7조
상황을 확인하고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출 것

- 조명설비 (예비전원 포함) 및 급배수설비 소방시설법


- 상용/예비전원 자동/수동 공급 전환 설비
- 급배기 설비 및 냉난방 설비, 전력 공급 상황 확인 시스템 소방시설등
- 공기조화, 냉난방, 소방, 승강기 설비 감시제어 시스템
- 자료 저장 시스템, 지진계 및 풍향·풍속계
설비기준
- 소화 장비 보관함 및 무정전 전원공급장치
- 피난안전구역, 피난용 승강기 승강장 및 테러 등의 감시와 방범·보안용 CCTV
- 급수전(식수공급) 1개소 이상 계획
- 종합방재센터는 cctv를 통해 화재발생 상황을 상시 모니터링 가능한 구조로 설치하고,
보완요원 등이 상시 근무할 수 있도록 할 것

- 스프링클러설비 : 펌프 및 모터 기동, 방출구획, 밸브 폐쇄, 통전상태 등 표시,


과전류 경보
소화설비 - 가스소화설비 : 방출구획, 화재, 기동 표시
- 소화수조 등 : 저수위 표시
- 소화용수 : 펌프기동표시, 송수구와의 통화장치
- 자동화재탐지설비 : 화재발생구역의 표시, 경보
경보 설비 - 가스누설 화재경보설비 : 가스도입관의 관통부 및 가스누설 발생실의 표시, 경보
주요 기능 - 비상전화설비 : 비상전화에 의한 정보 수집
- 비상방송설비 : 자동화재탐지설비, 비상전화 등과 연동 피난방송
- 방연설비 : 방화문, 방화셔터, 방연댐퍼의 작동 및 표시
피난 설비
- 배연설비 : 배연구, 배연댐퍼, 배연팬의 작동지령 및 표시
- 공조설비 : 공조기 팬의 정지지령 및 표시
- 비상전원설비 : 자가용발전기의 기동 및 전압 확립 표시
- 특별고압 및 고압설비 : 전원 작동 및 고장 표시
기타
- 축전지설비 : 이상 감시
- 승강기 및 비상용승강기 감시
Fire Protection & Life Safety Plan

3.5.5. 연결복도

계획 범위 계획 고려사항 관련 법규

- 도시미관 등을 위하여 둘 이상의 건축물 벽을 맞벽하여 건축


건축법 59조
* 맞벽 : 대지경계선으로부터 50 ㎝ 이내
맞벽건축
- 주요구조부가 내화구조
건축법시행령
맞벽 기준 - 마감재료가 불연재료
제81조
- 맞벽 대상 건축물의 용도, 동수, 층수 등은 건축조례로 지정

- 인근 건축물과 이어지는 연결복도나 연결통로 설치 건축법 제59조

- 주요구조부가 내화구조
- 마감재료가 불연재료
- 밀폐된 구조 : 벽면적의 1/10 이상 면적의 창문 설치 (환기설비를
연결복도 설치한 지하층 예외)
연결복도 기준 - 너비 및 높이 : 각각 5m 이하 (원활한 통행 인정tl 완화)
- 건축물과 복도, 통로 연결부분에 방화셔터 또는 방화문 설치
- 연결복도가 설치된 대지면적의 합계 : 개발행위의 최대 규모 이하
(지구단위계획구역 제외)
건축법 시행령
제81조
연결복도
- 건축사 또는 건축구조기술사로부터 안전에 관한 확인
안전 확인

- 상업지역 (다중이용 건축물, 공동주택-스프링클러 및 자동식 소화설비 설치한


맞벽건축 및 경우로 한정)
연결복도 - 주거지역 (건축물 및 토지 소유자 간 맞벽건축 합의한 경우)
대상지역 - 도시미관, 한옥 보전・진흥을 위해 건축조례로 정한 구역
- 건축협정구역

대지안의 - 맞벽건축 및 연결복도 설치시 건축선 및 인접 대지경계선으로부터 6m 이내의 건축법


공지 완화 범위에서 조례로 정하는 거리 이상 이격 완화 제58조

맞벽건축에 대한 건축법 이외의 법 조항


- 민법 제3장 소유권 중 제242조에 경계선 부근 건축과 관련한 내용 포함

① 건물을 축조함에는 특별한 관습이 없으면 경계로부터 반미터 이상의 거리를


두어야 한다.
제242조
② 인접지소유자는 전항의 규정에 위반한 자에 대하여 건물의 변경이나 철거를
(경계선부근의 건축)
청구할 수 있다. 그러나 건축에 착수한 후1년을 경과하거나 건물이 완성된 후에는
손해배상만을 청구할 수 있다.

➔ 건축법상으로는 대지경계선 50 ㎝ 이내 맞벽건축도 가능하나, 인접지 소유자와의 사전협의를 거쳐서 민사상의


법적 분쟁 등의 불이익을 당하지 않도록 조치
124

3.5.6. 무창층 계획
 무창층( 無 窓 層 , Windowless Floor)이란 화재시 건물 내로 진입하는 소화활동이나 피난상 지장이 있는
건물의 지상층을 규정한 것으로, 개구부 면적의 합계가 그 층의 바닥면적에 대하여 1/30 이하인 층이다.
무창층은 소방시설법에서 개구부의 조건을 규정하고 있으며 강화된 소방설비를 갖추어야 한다. 특히,
스프링클러설비 및 제연설비의 설치 대상이 될 경우 전체 계획시 부담이 되므로 무창층 계획은 신중한
고려가 요구된다.

가. 무창층 관련 소방시설의 종류

해당 무창층 면적 소방시설 종류 설치기준

- 장비 구성 : 노즐, 소방용 호스
- 설치 위치 : 층의 각 부분에서 하나의 호스 접속구까지 수평거리
바닥면적 600 ㎡ 이상 전층 옥내소화전설비
25m 이하 (해당층의 출입구 가까이에서 조작하는 사람이 퇴피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

- 구성 : 수원, 가압 송수장치, 자동경보장치, 배관, 스프링클러 헤드,


전용 송수구, 각종 밸브

스프링클러 헤드 설치간격 (반경)

스프링클러설비 일반 건축물 2.1m 이하 (내화구조 2.3m)

바닥면적 1,000 ㎡ 이상 아파트 3.2m 이하


주방부분 1.7m 이하
지하 건축물
주방 외 2.1m 이하
무대부, 위험물 저장취급소 1.7m 이하

제연설비 - 방화댐퍼, 제연경계벽, 제연용 급배기 설비(유입구,배출구) 등

- 화재 및 사고 발생시 상용 전원이 차단되면 피난이 원활하게


바닥면적 450 ㎡ 이상 비상조명등 이루어지지 못할 수 있으므로 피난을 위한 최저 조도를 확보하기
위해 설치

다중이용업소 - 방호구역 1개 바닥면적 1,000 ㎡ 이하


면적에 상관없음
간이스프링클러 - 유수검지장치 : 방호구역당 1개 이상, 유수검지장치실 설치

유창층 계산서 도면(건축) 예시

➔ 건축도면상에 거실제연 제외조건으로 유창 면적에 대한 계산 사항이 확인되어야 한다.


Fire Protection & Life Safety Plan

나. 무창층 관련 주요 계획 고려사항

종류 관련 기준 계획사항

- 지상층 대상
무창층 면적 - 개구부 면적 합계가 - 개구부 크기 기준을 바탕으로 개구부 크기의 합계 산출
바닥면적의 1/30 이하 - 해당층의 계획 바닥면적 산정

- 쉽게 파괴 불가능한 개구부 : 문 개방 공간의 크기만 개구부로 인정


- 쉽게 파괴가 가능한 개구부 : 유리를 일부 파괴하고 내외부로부터 개방할
있는 부분의 크기만 개구부로 인정
- 지름산정 시 창틀은 미포함 (파괴가 가능한 유리부분의 지름만 인정)
- 일반유리창 : 바닥으로부터 1.2m 이내에 파괴가 가능하거나 문이 열리는
개구부 크기 - 지름 50cm 원 내접
부분(공간)이 지름 50cm 이상의 원이 내접하는 경우에만 인정
- 프로젝트창 : 하부창이 바닥으로부터 1.2m 이내에 파괴가 가능하거나 문이
열리는 부분(공간)이 지름 50cm 이상의 원이 내접하고, 상부창이 쉽게
파괴할 수 있는 유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지름 50cm 이상의 원이 내접할 수
있는 경우 상, 하부 창 모두를 인정

- 개구부 밑부분까지의 - 지름 50cm 이상의 원이 내접할 수 있는 개구부의 하단이 바닥으로 부터 1.2m


개구부 높이
높이 1.2m 이내 이내에 있어야 인정

- 도로 또는 차량이 진입
도로폭 - 일반도로 4m, 막다른 도로 2~6m
할 수 있는 빈터

- 쉽게 파괴할 수 있는 유리의 종류
1) 일반유리 : 두께 6mm 이하
개구부 파괴 - 내부 또는 외부에서
개방 쉽게 파괴 또는 개방 2) 강화유리 : 두께 5mm 이하
3) 복층유리 : 일반유리 6mm 이하 + 공기층 + 일반유리 6mm 이하
강화유리 5mm 이하 + 공기층 + 강화유리 5mm 이하

- 외부에서 90° 이상 개방할 수 있는 개방창 설치 (규격 : 폭 75cm, 높이


120cm 이상), 구조상 불가피한 경우 외부 파괴가 용이하도록 설치
- 창문을 통한 내부진입 경로는 해당층의 최소 2개면 이상 설치 (그중 1개소는
소방 진입
- 소방대 진입 가능 설치 건축물 내부 복도와 연결되도록 설치)
고려
- 도로 또는 공지에 면한 3층 이상의 진입창에 소방관의 진입이 용이하도록
외부에서 식별이 가능한 적색의 표지 설치
- 외부진입창 설치시 재실자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는 별도 조치

무창층 = 각층 W의 합 ≦ A(바닥면적) / 30
126

다. 무창층 계획 프로세스

01 무창층 계획 여부 확인

- 개구부 면적을 산정하여 무창층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확인한 후 계획사항 검토

무창층 확인 및 계획방법

1) 무창층 확인 대상 바닥면적 산정
➔ 지상층의 각층별 계획 바닥면적을 각각 산출

2) 무창층 판단을 위한 소요 개구부면적 산정


➔ 1)의 “각 층별 바닥면적 / 30”으로 무창층 판단에 해당되는 소요 개구부 면적 산출

3) 개별 개구부 면적 산출
➔ 계획된 개구부 크기별 W×H 면적 산출후 각층별 전체 개구부 면적 합산

4) 소요면적과 설치면적 비교하여 무창층 여부 확인


➔ 2)의 소요 면적과 3)의 합산 면적 비교후 3) ≦ 2) 일 경우 해당층을 무창층으로 판정

1. 구획 대상 용도 확인 : 내화구조 대상 건축물
2. 면적 확인 : 용도별 바닥면적 합계 400/ 500 / 2,000㎡ (관람석/집회실 바닥면적 합계 200㎡, 옥외1,000㎡)

02 대상 소방시설/설비 확인

- 무창층에 설치해야할 소방시설과 설치위치 확인

1. 바닥면적 확인 : 450㎡, 600㎡, 1000㎡


2. 해당 소방시설 설치 여부 확인 (옥내소화전, 스프링클러 등)
3. 해당 소방시설/설비 설치 기준 확인

03 층별 무창층 계획 및 검토

- 창의 종류, 소방시설 간섭, 외부 피난 등 무창층 계획내용 확인

1. 건축-소방시설 간섭 검토 : 마감, 위치 등
2. 창의 재료 확인 : 유리두께 및 종류(6mm 일반유리 / 5mm 강화유리 / 복층유리 등)
3. 건물 배치내용 확인 : 개구부 공지 인접, 소방차량 접근 도로폭 등
Fire Protection & Life Safety Plan

3.5.7. 다중이용업 관련 계획
 다중이용업은 불특정 다수인이 이용하는 영업 중 화재 등 재난 발생 시 생명, 신체, 재산상의 피해가 발생할
우려가 높은 영업이므로, 실내의 마감재료 계획과 관련된 불연재, 난연재 등 내화재료와 방염 재료의 사용
및 제한사항을 취급하고 있다.

구분 내용 비고

- 영업장으로 사용하는 바닥면적의 합계 100 ㎡ 이상


휴게음식점 - 영업장이 지하층에 설치 : 영업장 바닥면적 합계 66㎡ 이상 다중이용업소법
제과점 * 영업장이 지상 1층 또는 지상층에 설치되고 주출입구가 건축물 시행령 2조
식품 접객업 일반음식점 외부 지면과 직접 연결시 다중이용업에서 제외
식품위생법 시행령
* 내부계단이 있는 복층구조 영업장은 다중이용업 해당
21조8호
- 단란주점영업, 유흥주점영업

영화비디오법 2조
영화상영관, 비디오물감상실업, 비디오물소극장업, 복합영상물제공업
10호

- 수용인원 300명 이상

- 한 건축물에 학원과 기숙사가 함께 있는 학원


학원 수용인원 - 한 건축물에 둘 이상의 학원 (수용인원 300명 이상) 학원법 2조1호
100명 이상 - 한 건축물에 다중이용업과 학원이 함께 있는 경우
300명 미만 * 학원 사용 부분과 다른 용도 사용 부분이 방화구획으로
나누어진 경우 다중이용업에서 제외

- 물로 목욕을 할 수 있는 시설 및 설비 중 맥반석, 대리석 등 돌을 가열하여


발생하는 열기나 원적외선 등을 이용하여 땀을 배출하게 할 수 있는 시설 (물로
공중위생관리법
목욕장 목욕하는 시설을 제외한 수용인원 100명 이상)
2조1항3호
- 맥반석, 황토, 옥 등을 직간접 가열하여 발생되는 열기, 원적외선 등을
이용하여 땀을 낼 수 있는 시설 및 설비

게임제공업, 인터넷컴퓨터 게임시설 제공업, 복합유통 게임제공업


다중 * 게임제공업, 인터넷컴퓨터게임시설제공업 : 영업장이 지상1층 또는 지상과 접하는 층에 게임산업법 2조
이용업 6호, 7호, 8호
설치되고 주출입구가 건축물 외부 지면과 직접 연결시 다중이용업에서 제외
종류
* 내부계단으로 연결된 복층구조의 영업장은 다중이용업 해당

음악산업법 2조
노래연습장업
13호
산후조리업 모자보건법 2조

다중이용업소법
고시원업 - 구획된 실에 공부할 수 있는 시설과 숙박 또는 숙식을 제공하는 영업
시행령 2조

권총 - 실내사격장에 한정 사격장안전법
사격장 - 종합사격장에 설치된 경우 포함 2조1항, 별표1

골프 - 실내에 1개 이상의 별도 구획된 실을 만들어 스크린과 영사기 등의 시설을 체육시설법


연습장업 갖추고 골프를 연습할 수 있는 영업 10조1항 2호

안마시술소 의료법 82조4항

- 화재위험평가결과 위험유발지수가 D~E등급인 영업 다중이용업소법


기타
- 화재발생시 인명피해 발생 우려가 높은 불특정다수인이 출입하는 영업 시행령 2조

전화방업/
- 구획된 실 안에 전화기, 텔레비전, 모니터 또는 카메라 등 상대방과 대화할 수
화상
있는 시설을 갖춘 형태의 영업
대화방업
다중이용업소법
시행규칙 2조
수면방업 - 구획된 실 안에 침대, 간이침대 등 휴식시설을 갖춘 형태의 영업

콜라텍업 - 손님이 춤을 추는 시설 등을 갖춘 형태의 영업 (주류판매가 불허)


128

구분 내용 비고

소화기/
자동확산 - 영업장 안의 구획된 실마다 설치
소화기

- 설치 영업장
간이 가) 지하층에 설치된 영업장
소화설비 스프링클러 나) 밀폐구조의 영업장
설비 다) 산후조리원, 고시원 (지상1층, 건물 외부 지면과 주출입구
(캐비닛형 연결시 제외)
간이 라) 권총사격장
스프링클러설
비 포함) - 화재안전기준에 따라 설치
- 영업장의 구획된 실마다 간이스프링클러헤드 또는
스프링클러헤드 설치시 간이스프링클러설비 설치 면제

- 영업장의 구획된 실마다 비상벨설비 또는 자동화재탐지설비 중


비상벨설비
하나 이상을 설치

- 영업장 구획 실마다 감지기와 지구음향장치 설치


(비상방송설비의 음향장치 설치시 지구음향장치 설치 면제)
자동화재
경보설비 - 노래반주기 등 영상음향장치 사용 영업장에 설치
탐지설비
- 영상음향차단장치가 설치된 영업장에 자동화재탐지설비의
수신기 별도 설치

가스누설
- 가스시설 사용 주방, 난방시설이 있는 영업장에 설치
경보기
다중이용업소법
- 미끄럼대 , 피난사다리, 구조대, 완강기) 시행령 2조2, 9조
안전
별표1, 1-2
시설 피난기구
- 4층 이하 영업장의 비상구(발코니, 부속실)에 설치 시행규칙 9조,
- 간이완강기, 피난밧줄 제외 별표2

- 내부 피난통로, 복도가 있는 영업장에만 설치


- 설치대상 : 단란주점, 유흥주점, 영화상영관, 비디오물감상실,
복합영상물제공업장, 노래연습장, 산후조리원, 고시원
피난 유도선
피난설비 - 영업장 내부 피난통로, 복도에 유도등 및 유도표지의
화재안전기준에 따라 설치
- 전류에 의하여 빛을 내는 방식으로 설치

유도등/
- 영업장의 구획 실마다 유도등, 유도표지 또는 비상조명등 중
유도표지/
하나 이상을 「 설치
비상조명등

휴대용
- 영업장의 구획 실마다 휴대용 비상조명등 설치
비상조명등

- 주출입구
- 비상시 내부로부터 지상, 옥상, 기타 안전한 곳으로 피난할 수 있도록
직통계단, 피난계단, 옥외피난계단, 발코니에 연결된 출입구

- 주출입구 외에 피난층 또는 지상으로 통하는 직통계단이


주출입구로부터 영업장의 장변 길이의 1/2 이상 떨어진 위치에
비상구 설치 제외 별도로 설치
영업장 - 피난층에 설치된 영업장 (바닥면적 33 ㎡ 이하, 영업장 내부에
실 구획이 없이 개방된 구조)의 각 부분으로부터 출입구까지의
수평거리 10m 이하

공통 설치 - 영업장 주출입구의 반대방향에 설치 (2개 이상의 층은


Fire Protection & Life Safety Plan

구분 내용 비고

각각의 층별 영업장)
위치 - 주출입구로부터 영업장의 긴 변 길이의 1/2 이상 떨어진
위치에 설치

규격 - 가로 75cm 이상, 세로 150cm 이상 (문틀 제외)

- 구획된 실 또는 천장으로 통하지 않는 구조로 계획


(영업장 바닥에서 천장까지 준불연재료 이상이 사용된
구획된 부속실(전실) 제외)
- 다른 영업장, 시설(주차장 제외)을 경유하지 않는 구조로
구조 계획
- 층별 영업장은 다른 영업장, 용도의 시설과 불연재료,
준불연재 차단벽이나 칸막이로 분리
- 2 이상의 영업소가 주방 외 객실부분을 공동 사용하는
구조 또는 영업소 사이를 분리 또는 구획하는 별도
차단벽이나 칸막이 등을 설치하지 않는 경우 분리 제외
설치기준

- 피난방향으로 열리는 구조로 설치


문이 - 자동문 설치 : 주출입구의 문이 피난계단 또는
열리는 특별피난계단, 방화구획이 아닌 곳에 위치한 주출입구
방향 중 화재감지기와 연동하여 개방, 정전 시 자동/수동으로
개방되는 구조

방화문 - 주요 구조부(벽, 천장, 바닥)가 내화구조


설치 - 비상구와 주출입구의 문에 설치

- 주요 구조부가 내화구조가 아닌 경우
안전 문의 - 건물의 구조상 비상구, 주출입구의 문이
재질 불연 지표면과 접하여 화재의 연소 확대 우려가
시설 재료 없는 경우
사용 - 비상구, 주출입구의 문이 피난계단 또는
특별피난계단 설치기준에 따라 설치되는 문이
아니거나 방화구획이 아닌 곳에 위치한 경우

- 복층구조 : 각각 다른 2개 이상의 층을 내부계단 또는 통로로


출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구조의 영업장
- 각층마다 영업장 외부계단으로 피난 가능한 비상구 설치
복층구조
- 비상구 문 재질 : 공통기준 참고
영업장 기준
- 비상구 문이 열리는 방향 : 실내에서 외부로 열리는 구조
- 하나의 층에 비상구 설치 : 건축물 주요 구조부 훼손, 옹벽 또는
외벽이 유리로 설치

- 4층의 층수 산정에서 지하층 제외


- 피난 시 유효한 발코니 또는 부속실 설치 (피난기구 설치)
4층 이하 * 발코니 기준 : 가로 75cm+세로 150cm 이상, 높이 100cm 이상
영업장 기준 난간 설치
* 부속실 기준 : 준불연재료 이상, 바닥에서 천장까지 구획된 실,
가로 75cm 이상, 세로 150cm 이상

- 구획된 실이 있는 경우
설치 대상
- 단란주점, 유흥주점, 비디오물감상실, 복합영상물제공업장,
영업장
노래연습장, 산후조리원, 고시원

내부
- 내부 피난통로의 폭 120cm 이상 설치
피난통로
- 양 옆에 구획된 실이 있는 영업장에서 구획된 실의 출입문
설치기준 개폐방향이 피난통로 방향인 경우 150cm 이상 설치
- 구획된 실부터 주출입구 또는 비상구까지의 내부 피난통로의
구조는 3번 이상 구부러지는 형태로 설치 금지
130

구분 내용 비고
영상음향
- 노래반주기 등 영상음향장치 사용 영업장에 설치
차단장치

- 고시원에만 설치

창문 - 영업장 층별로 가로-세로 50cm 이상 열리는 창문을 1개 이상 설치


- 영업장 내부 피난통로 또는 복도의 바깥 공기와 접하는 부분에 설치 (구획된
실에 설치된 창문 제외)

- 보일러실과 영업장 사이에 방화구획 설치


방화구획 - 보일러실과 영업장 사이의 출입문은 방화문으로 설치
- 개구부에 자동방화댐퍼 설치

다중이용업소법
- 실내장식물 : 건축물 내부의 천장 또는 벽에 설치하는 것
2조

- 다중이용업소에 설치, 교체하는 실내장식물은 불연재료 또는 준불연재료로 설치


다중이용업소법
- 합판 또는 목재 : 영업장 천장과 벽을 합한 면적의 3/10 (스프링클러설비,
10조
간이스프링클러설비 설치시 5/10) 이하인 부분은 방염성능기준 이상의 재료로 설치

- 종이류(두께 2mm 이상), 합성수지류 또는 섬유류를 주원료로 한 물품


실내
장식물 - 합판이나 목재
- 공간을 구획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간이 칸막이 (접이식 등 이동 가능한 벽체,
대상
천장 또는 반자가 접하게 구획되지 않는 벽체)
- 흡음이나 방음을 위하여 설치하는 흡음재 (흡음용 커튼 포함), 방음재(방음용 다중이용업소법
커튼 포함) 시행령 3조

- 가구류 (옷장, 찬장, 식탁, 식탁의자, 사무용 책상, 사무용 의자, 계산대)
제외 대상 - 너비 10cm 이하인 반자돌림대
- 건축법 52조의 내부마감재료
- 다중이용업소 영업장 내부를 이용객들이 사용할 수 있도록 벽 또는 칸막이 등으로 실 구획 다중이용업소법
- 다중이용업소의 영업장 내부 구획시 불연재료로 구획 2조, 10조2
영업장
- 단란주점 및 유흥주점 영업
내부 천장(반자속) 다중이용업소법
구획 구획 대상 - 노래연습장업 10조2

내부구획 - 배관 및 전선관 등이 내부구획된 부분을 관통하여 틈이 생길 경우 다중이용업소법


기준 내화충전성능이 인정된 재료를 사용하여 그 틈을 충진 시행규칙 11조2

다중이용업소법
밀폐 - 밀폐구조의 영업장 : 지상층에 있는 다중이용업소 중 채광・환기・통풍 및 피난 등이 용이하지 2조
구조의 못한 구조로 되어 있는 영업장 시행령 3조2
영업장 - 무창층 조건을 갖춘 영업장 (개구부 면적 합계가 영업장 바닥면적의 1/30 이하) 소방시설법
시행령 2조

- 다중이용업소가 밀집한 지역 또는 건축물에 대하여 화재 발생 가능성과 화재로 인한 피해 다중이용업소법


및 주변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 분석하고 대책을 마련하는 것 2조

- 2,000㎡ 지역 안에 다중이용업소가 50개 이상 밀집하여 있는 경우


다중이용업소법
대상 지역 - 5층 이상인 건축물 내에 다중이용업소가 10개 이상 있는 경우
15조
건축물 - 하나의 건축물에 다중이용업소로 사용하는 영업장 바닥면적의 합계가 1,000
화재 시행령 10조
㎡이상인 경우
위험
평가 다중이용업소법
안전시설
- 화재위험평가 결과 위험유발지수가 기준 이상(D~E등급) : 별도 조치 15조
조치
소방시설법 5조

다중이용업소법
안전시설 - 화재위험평가의 결과 위험유발지수가 기준 미만(A등급)인 다중이용업소에 15조
설치면제 안전시설 일부(소방시설, 비상구 등)의 설치 면제 시행령 13조
시행규칙 9조
Fire Protection & Life Safety Plan

구분 내용 비고
- 기준 미만 : A등급, 기준 이상 : D등급~E등급
등급 평가점수 위험수준
A 80 이상 20 미만
B 60 이상 79 이하 20 이상 39 이하
화재
C 40 이상 59 이하 40 이상 59 이하 다중이용업소법
위험
시행령 11조
유발 D 20 이상 39 이하 60 이상 79 이하
별표4
지수 E 20 미만 80 이상
- 평가점수 : 사용되거나 설치된 가연물의 양, 소방시설의 화재진화를 위한 성능 등을
고려한 화재안정성을 100점 만점 기준으로 환산한 점수
- 위험수준 : 사용되거나 설치된 가연물의 양, 화기취급의 종류 등을 고려한 화재 발생
가능성을 100점 만점 기준으로 환산한 점수

내화시간이 부족한 재료에 내화재료를 추가 시공하여 내화시간 충족이 가능한지? (KFPA-2013.08.23.)

- 벽체의 내화시간이 1.5시간일 경우, 그라스울판넬(내화시간 1시간)로 시공 후 내화도료(내화시간 0.5시간) 도포


➔ 1.5시간 내화구조 인정을 취득한 구조만 설치가 가능하고, 임의의 구조 변경 및 조합은 불가
➔ 그라스울패널 구조에 내화페인트 도장 후 내화구조인정시험에서 1.5시간 취득할 경우 가능
➔ 현재 시중의 내화페인트 인정제품은 벽체용이 아닌 철골 보 및 기둥용

다중이용업소의 안전시설설치 예 (지하인 경우)

[ 다중이용법시행규칙 별표2 ]
* 위험유발지수가 A등급인 업종에 대해서는
소방시설 및 비상구 또는 그 밖의 안전시설의
설치면제 가능

(지상1층인 경우) (지상2층인 경우)


132

근린생활시설 다중이용업소 노트 표기 (향후 운영 관련)

근린생활시설 다중이여용업소 비상구 적용 예시


Fire Protection & Life Safety Plan

3.5.8. 테러 예방 계획
 테러 발생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테러예방 설계를 목적으로 “건축물 테러예방
설계가이드라인”(2010.1, 국토해양부)의 내용을 참고하여 내화 및 소방 외에 방재계획의 차원에서
추가되었다.
 테러 예방을 위한 계획 적용사항은 공공시설의 심의 시 활용되므로, 각 항목별로 설계 시 권장사항과
의무사항을 잘 파악하여 계획에 반영하여야 한다.

구분 계획사항 비고
-문화 및 집회시설 (동․식물원 제외), 판매시설, 운수시설 (공항시설 제외) 건축법
적용 -업무시설, 의료시설 중 종합병원 시행령
대상 -숙박시설 중 관광숙박시설 (해당용도 바닥면적 합계 20,000 ㎡ 이상) 2조15호
-초고층 건축물 (50층 이상 또는 높이 200m 이상) 별표1
- 폭발물 적재 차량의 돌진 등을 방지하기 위해 대지 주변에 기초가 강화된 볼라드, 플랜트
대지 의무
박스, 조경수 식재 등으로 연속적인 장애물을 구축
경계
- 대지 계획시 자연지형을 이용하거나 성토 등으로 주변 지역보다 높게 조성 권장
- 대지 모든 면, 도로와 접한 면과 이격거리를 충분히 확보하여 배치
배치
- 건물 내부에서 대지경계선까지 시야가 방해하지 않도록 사이공간에 클리어 존(clear 권장
계획
zone)을 계획하고 폭발물 은닉이 불가능하도록 조치
- 차량 범죄 예방을 위해 서비스 차량 및 방문객 차량 출입 확인후 진입 계획
차량 의무
- 차량 진입로 수를 최소한으로 하고, 차량속도가 감속되도록 설계
진출입
- 차량 진입로 입구에 수상한 차량을 회차시킬 수 있는 공간 확보 권장
- 주차시설은 가급적 직원과 방문객이 이용하는 주차장을 분리하여 설치
대지/ 주차 - 방문객 주차장은 별도 주차장 또는 옥외 지상주차장으로 계획
배치 - 지하주차장은 차량 폭발로 인한 지상층 피해 예방을 위해 지상층 부분과 분리 배치하거나 권장
계획
최소 부분만 지상층 건축물 아래에 위치하도록 계획
- 필로티 하부 등 구조적 취약 부분에 차량의 통행 또는 주차 금지
- 건축물로 진입하는 출입구 수는 최소한으로 계획
보행
- 주출입구 외에 지하철역, 지하주차장 등과의 연결동선은 경비안전요원이 확인 가능한 체크 의무
진출입
포인트를 통과하여 건축물 내부로 진입할 수 있도록 계획
- 지하층 및 지하주차장과 연계된 승강기는 경비안전요원이 진출입 통제가 가능한 층에서
환승하도록 계획
내부 - 승강기, 에스컬레이터, 계단 등 주요 수직동선은 경비안전요원의 통제가 용이하도록 체크
의무
동선 포인트와 인접 계획
- 우편물 집수 및 분류실, 택배 접수 창구, 하역실 등은 위험물질의 무단 반입 통제를 위해
체크 포인트의 인근에 배치
- 건축물의 형태 및 구조는 폭발로 인한 피해가 최소화되도록 계획 의무
건축
- 저층부, 로비 등에 설치되는 창문의 유리 및 마감자재는 비산파편에 의한 인명피해가
계획 권장
최소화될 수 있는 자재 사용
- 인명 피해 우려 또는 가연성 물질이 있는 공간은 외부 충격에 대비하여 배치
의무
실내 - 건축물 외피와의 사이에 완충공간, 강화 벽체나 슬래브 설치
건축/ 계획 - 다중 이용공간, 주요 보안공간은 수직 및 수평으로 분리하여 배치
실내 권장
- 공간의 사이에 완충공간, 강화벽체나 슬래브 등 설치
공간 - 복합시설 설계시 시설간 경비순찰업체의 안전 책임구역이 구분되도록 고려
- 불특정 다수 이용 출입동선, 감시 사각지대에 CCTV 설치 및 모니터링
보안 - 실내조경, 로비, 고객 대기장소의 휴지통 등 위험물질 은닉 가능 장소나 경비 순찰의
의무
감시 사각지대에 경비 순찰 등 확인시스템 설치
- 방범, 보안, 테러, 방재 등 비상시 신속한 초동조치 및 통합적 대응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통합 상황실 설치
- 건축물 내에서 임의로 선택한 2방향 이상 피난경로를 단순 명료하게 계획
- 비상계단, 비상용승강기 등은 주차장, 하역공간, 우편물 분류실 등 폭발 우려가 있는
피난
위험공간과 이격하여 배치 권장
계획
- 피난계단의 출입문은 외부 침입을 차단하고 유사시 외부로 대피 가능하도록 단방향
자동잠금장치 설치
피난/
- 유사시 경보장치, 비상출구 표시등, 비상통신 시스템, 배연설비, 비상용 승강기 등의 작동을
설비 의무
위한 비상전원 확보
설비 - 기계실은 주차장, 하역공간, 우편물 분류실 등 폭발 위험공간과 이격하여 배치
계획 - 전기 공급설비 공간은 폭발시 동시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계획외부인의 출입이 어려운
권장
장소에 분산 배치
- 공기흡입구는 외부인 침입, 유해가스 유입 방지를 위해 지면에서 3m 이상 높이에 설치
134

3.5.9. 기타 규모 및 용도에 따른 추가 검토사항


가. 성능위주설계 대상 건축물
(1) 성능위주설계 해당 특정소방대상물

특정소방대상물 대상기준 비고

연면적 200,000 ㎡ 이상 - 주택용도가 5층 이상인 아파트 등 제외


소방시설법
50층 이상 건축물 높이 200m 이상 - 지하층 제외, 아파트 등 포함 9조3

30층 이상 건축물 높이 120m 이상 - 지하층 포함, 아파트 등 제외


소방시설법
- 철도 및 도시철도 시설 (정비창 등 관련시설 포함) 시행령
연면적 30,000 ㎡ 이상 15조3
- 공항시설 (항공 관제탑 포함)
<2021.8.21.
영화상영관 10개 이상 건축물 - 영리 목적으로 영화를 상영하는 장소 및 시설 (영화비디오법 제2조) 개정>
지하연계 복합건축물에 해당하는 특정소방대상물 (「초고층특별법」 제2조제2호)

(2) 성능위주설계 수행자격 대상

자격조건 기술인력 비고

전문 소방시설설계업 등록자 소방공사법


소방기술사 2명 이상 시행령
전문 소방시설설계업 기술인력을 갖춘 연구기관 또는 단체 2조3

(3) 성능위주설계 수행시 준수하여야 할 가이드라인

종류

소방시설등 성능위주설계 평가 운영 표준 가이드라인

건축위원회(심의) 표준 가이드라인

서울시 성능위주설계 가이드라인

경기도 성능위주설계 가이드라인

경상북도 성능위주설계 가이드라인

전기차 전용 주차구역 소방안전가이드 (부산광역시 소방재난본부)

방화지구 내 건축물 드렌처 설비 설치 적용지침 (부산광역시 소방재난본부)


Fire Protection & Life Safety Plan

(4) 성능위주설계 수행 프로세스

01 성능위주설계 대상 확인

- 건축물의 성능위주설계 대상 여부를 확인후 수행용역 준비

1. 건축물의 용도, 규모 검토후 대상 여부 확인


2. 성능위주설계 수행인력 및 업체 선정

02 성능위주설계 수행

- 화재피난시뮬레이션 시나리오 선정 후 적용기준에 따라 시뮬레이션 수행

1. 성능위주설계 시뮬레이션 방법 검토
2. 시나리오 선정 (3개 이상)
3. 기준 검토 (인명안전, 피난가능시간, 수용인원 산정 등)

03 성능위주설계 결과의 활용

- 건축심의, 건축인허가 등의 업무에 사전검토, 신고, 변경신고 등 진행

1. 인허가방법 검토 (사전검토, 심의, 신고, 변경신고 등)


2. 해당 신청업무의 첨부서류 확인 및 준비

소방시설등 성능위주설계 평가 운영 표준 가이드라인 (2021.10. 소방청)


136

(5) 성능위주설계 관련 항목

구성요소 업무 내용 (소방시설 등의 성능위주설계 방법 및 기준)


건축 - 건축위원회의 건축심의 신청 전 관할 소방서장에게 사전검토 신청
심의 - 건축심의를 하지 않는 경우 사전검토 신청 제외
- 건물의 개요, 부지 및 도로 계획 (소방차량 진입동선 포함)
- 화재안전계획의 기본방침
성능위주
- 기본 설계도면 (주단면도, 입면도, 용도별 기준층 평면도 및 창호도 등)
설계
사전검토 첨부 - 피난계획 및 피난동선도
서류 - 소방시설의 설치계획 및 설계 설명서
- 화재 및 피난시뮬레이션
- 성능위주설계 설계업자 또는 설계기관 등록증 사본
- 성능위주설계 용역 계약서 사본
건축
- 건축허가 신청 전 성능위주설계 신고서에 서류 첨부 후 관할 소방서장 신고
허가
- 성능위주설계 변경신고서에 서류 첨부 후 관할 소방서장에게 신고
- 변경조건 : 연면적 10% 이상 증가 또는 용도변경, 층수 증가, 화재안전기준 적용이 곤란한
변경
특수공간으로 변경, 허가 신고 사항 변경, 종전의 성능위주설계 심의내용과 상이한 변경
신고
- 평가단에서 14일 이내에 심의 결정 후 결과 통보 (신고인 및 관할 소방서장)
- 위원회 심의 결정시 위원회를 개최하여 14일 이내 결과 통보 (관할 소방본부장)
- 건물의 개요 (위치, 구조, 규모, 용도)
- 부지 및 도로계획(소방차량 진입동선 포함)
- 화재안전기준과 성능위주설계에 따라 소방시설 설치 시 화재안전성능 비교표
성능위주 - 화재안전계획의 기본방침
설계 신고 - 계획·설계도면 (주단면도 및 입면도, 건축물 내장재료 마감계획, 용도별 기준층 평면도 및 창호도,
방화구획 계획도 및 화재확대 방지계획(연기의 제어방법 포함), 피난계획 및 피난동선도,
소방시설의 설치계획 및 설계 설명서)
첨부
- 소방시설 계획·설계도면 (소방시설 계통도, 용도별 기준층 평면도, 소화용수설비 및 연결송수구
서류
설치위치 평면도, 종합방재센터 운영 및 설치계획, 상용전원 및 비상전원 설치계획)
- 소방시설에 대한 부하 및 용량계산서
- 성능위주설계 요소 개요 / 성능위주설계 요소 설계 설명서
- 성능위주설계 요소의 성능 평가(시나리오에 따른 화재 및 피난 시뮬레이션 포함)
- 성능위주설계 설계업자 또는 설계기관 등록증 사본
- 성능위주설계 용역 계약서 사본
- 성능위주설계 증빙 자료
- 접수일부터 20일 이내에 평가단이 성능위주설계 신고서 확인·평가 등 검증 후 심의 결정
성능위주 - 고도의 기술 필요시 중앙소방기술심의위원회에 상정 요청 (20일 이내에 위원회 개최)
설계 심의 - 첨부서류의 보완이 필요한 경우 7일 이내에 보완 요구
- 성능위주설계의 심의 결정 통보시 건축허가등의 동의로 인정
- 성능위주설계의 심의에 필요한 평가단원을 3배수 범위 내에서 임명 또는 위촉
- 평가단원 조건 : 소방공무원 중 소방기술사, 중앙소방학교의 성능위주설계 교육 이수자,
소방시설관리사 또는 소방설비산업기사 이상의 자격을 가진 자, 건축 또는 소방관련 석사학위
조직 이상 소지자, 건축허가 업무를 3년 이상 담당자, 성능위주설계 신고 대상 건축물 관할 소방서의
성능위주 구성 업무담당 과장, 지방소방기술심의위원회 위원, 소방방재관련 교수 등 전문가
설계 - 평가단 : 평가단장 포함 7명 이상 9명 이하 평가단원으로 구성 (임기 2년, 1회 연임)
확인 평가단 - 평가단장 : 소방본부장이 지정, 소방공무원으로만 구성된 경우 가장 직위가 높은 사람 또는 학식,
경험, 능력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지정
- 평가단 회의 (과반수 출석, 과반수의 찬성으로 의결, 예산범위 내에서 수당과 여비 지급)
수행
- 첨부 서류에 대한 확인 및 평가
업무
- 성능위주설계 신고서에 대한 화재 및 피난안전성능의 평가
화재피난 시나 - 7개 시나리오 유형중 3개 이상의 시나리오 선정 후 시뮬레이션 실시
시뮬레이션 리오 - 3개 적용기준 (인명안전, 피난가능시간, 수용인원산정)
Fire Protection & Life Safety Plan

나. 초고층 및 지하연계 건축물


(1) 사전재난영향성검토 적용 대상

대상기준 비고
- 초고층 건축물
초고층
- 지하연계 복합건축물 재난관리법
제3조
- 그 밖에 제1호 및 제2호에 준하여 재난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건축물 및 시설물

초고층 건축물
- 층수가 50층 이상 또는 높이가 200미터 이상인 건축물

지하연계 복합건축물
- 층수가 11층 이상이거나 1일 수용인원이 5천명 이상인 건축물로서 지하부분이 지하역사 또는 지하도상가와
연결된 건축물
- 건축물 안에 문화 및 집회시설, 판매시설, 운수시설, 업무시설, 숙박시설, 위락( 慰 樂 )시설 중
유원시설업(遊園施設業)의 시설 또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용도의 시설이 하나 이상 있는 건축물

(2) 사전재난영향성검토 수행 프로세스

01 사전재난영향성검토 협의 대상 확인

- 건축물의 사전재난영향성검토 협의 대상 여부를 확인후 수행용역 준비

1. 건축물의 용도, 규모 검토후 대상 여부 확인


2. 사전재난영향성검토 협의서 작성 업체 선정

02 사전재난영향성검토 협의서 작성

- 사전재난영향성검토 지침에 따른 항목에 대한 협의서 작성

1. 화재 및 피난시뮬레이션 수행 (피난안전성평가 3개소 이상)


2. 사전재난영향성검토 지침에 따른 검토
3. 각 종 재난에 대한 대책안 수립 및 교육 훈련 계획
4. 침수 및 계측 시뮬레이션 수행

03 사전재난영향성검토 협의 결과의 활용

- 건축 인허가 등의 업무에 사전재난영향성검토 협의 등 진행

1. 인허가방법 검토 (사전재난영향성검토 협의 심의 등)
2. 해당 신청업무의 첨부서류 확인 및 준비
138

(3) 사전재난영향성검토 관련 항목

구성요소 업무 내용 (사전재난영향성검토협의 방법 및 기준)

- 초고층재난관리법 시행령 제5조제2항

- 협의항목별 계획서 및 관련서류가 포함된 도서


- 종합방재실 설치 및 종합재난관리체제 구축 계획
- 내진설계 및 계측설비 설치계획
-공간 구조 및 배치계획
사전재난
영향성검토 첨부 -피난안전구역 설치 및 피난시설, 피난유도계획
협의 서류 -소방설비ㆍ방화구획, 방연ㆍ배연 및 제연계획, 발화 및 연소확대 방지계획
제출서류 - 관계지역에 영향을 주는 재난 및 안전관리 계획
- 방범ㆍ보안, 테러대비 시설설치 및 관리계획
- 지하공간 침수방지계획
- 그 밖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항
- 건축계획서와 건축물의 용도, 규모 및 형태가 표시된 기본설계도서 (건축허가 접수용 도서)
- 그 밖에 시도 본부장이 필요하다고 인정하여 제출을 요구한 자료

- 초고층재난관리법 시행령 제6조


협의
절차 - 시ㆍ도지사 또는 시장ㆍ군수ㆍ구청장은 초고층 건축물등의 설치에 대한 허가 등을 하고자 하는
경우 건축 허가 등을 하기 전에 시ㆍ도본부장에게 사전재난영향성검토협의를 요청해야함

사전재난영향 변경 - 건축물 또는 시설물이 용도변경 또는 수용인원 증가로 인하여 초고층 건축물 등이 되거나, 초고층건
성검토협의 신고 축물 등이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용도로 변경되거나 수용인원이 증가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
절차

사전 - 초고층재난관리법 제8조
허가 - 시ㆍ도지사 또는 시장ㆍ군수ㆍ구청장은 제6조에 따른 협의절차가 완료되기 전에 초고층 건축물
금지 등에 대한 허가 등을 하여서는 아니 된다.

- 종합방재실 설치 및 종합재난관리체제 구축 계획
- 내진설계 및 계측설비 설치계획
- 공간 구조 및 배치계획
- 피난안전구역 설치 및 피난시설, 피난유도계획
- 소방설비ㆍ방화구획, 방연ㆍ배연 및 제연계획, 발화 및 연소확대 방지계획
- 관계지역에 영향을 주는 재난 및 안전관리 계획
사전재난영향
- 방범ㆍ보안, 테러대비 시설설치 및 관리계획
성검토협의
내용 - 지하공간 침수방지계획
- 그 밖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항
- 해일(지진해일을 포함한다) 대비ㆍ대응계획(초고층 건축물 등이 해안으로부터 1킬로미터 이내에 건축되는
경우만 해당한다)
- 건축물 대테러 설계 계획 [폐쇄회로텔레비전(CCTV) 등 대테러 시설 및 장비 설치계획을 포함한다]
- 관계지역 대지 경사 및 주변 현황
- 관계지역 전기, 통신, 가스 및 상하수도 시설 등의 매설 현황

- 위원장 1명과 부위원장 1명을 포함하여 20명 이상 40명 이하의 위원으로 구성


- 위원장 : 시ㆍ도에 소속되어 재난관리 업무를 담당하는 실장ㆍ국장ㆍ본부장 중에서 시·도본부장이
임명
- 부위원장 : 위원회의 위원 중에서 위원장이 지명
사전재난 - 위원회의 위원 조건 : 초고층 건축물 등의 건축ㆍ유지, 안전관리, 방재 및 대테러 등에 관한 학식과
조직
영향성검토 경험이 풍부한 사람, 「 국가기술자격법 」 에 따라 건설, 기계, 전기ㆍ전자, 정보통신, 안전관리,
구성
위원회의 환경ㆍ에너지 분야의 국가기술자격을 취득한 사람이나 같은 분야의 박사 이상의 학위를 취득한
사람, 「건축사법」에 따른 건축사, 4. 재난관리, 소방 또는 대테러 관련 업무에 종사하는 공무원
위촉위원의 임기는 2년으로 하고, 한 차례 연임 가능
위원회의 사무를 처리하기 위하여 위원회에 간사 2명을 두며, 간사는 해당 시ㆍ도 소속 공무원
중에서 시ㆍ도본부장이 지명
Fire Protection & Life Safety Plan

구성요소 업무 내용 (사전재난영향성검토협의 가이드라인)

① 시도지사 또는 시장ㆍ군수ㆍ구청장으로부터 재난영향에 관한 협의요청을 받은 시도 본부장은


협의대상에 해당하는지와 협의요청서의 내용의 적정 여부 등 기본요건을 검토한다.
· 협의대상이 아닌 경우 반려할 수 있다.
· 협의요청 서류가 부실하거나, 내용이 미비한 경우 담당자의 사전검토 또는 사전
재난영향성검토위원회 검토회의를 통해 시장ㆍ군수ㆍ구청장에게 보완 또는 재작성을 요구할
수 있다.
협의 · 시도 본부장은 협의도서에 대해 표1의 검토항목 List를 참조하여 담당부서 공무원과
기관 사전재난영향성검토위원회에서 검토토록 한다.
검토

① 협의에 필요한 준비도서(서류) 등 제반자료에 대한 확인 후 이상이 없으면, 이를


회의개최일로부터 최소 15일 전 위원들에게 사전 배포하여 별지서식-1에 검토의견 작성 요청
② 검토위원별 사전 검토의견 취합 후 회의개최일로부터 7일 전까지 관계인에게 통보하고, 필요한
사항에 대하여 회의 당일까지 수정․보완하여 제출하도록 요청
※ 시도 본부장은 협의를 요청받은 날부터 30일 이내에 시도지사 또는 시장․군수․구청장에게
검토의견 통보(시행령 제5조제3항)

검토협의
절차

③ 회의 당일 건축주(관리주체)와 설계관계자가 출석하여 건축개요 및 검토 위원의 사전검토


의견에 대한 보완자료 설명 및 질의사항 답변
위원 ④ 검토결과 협의 수용여부를 의결서(별지서식-2)에 작성
검토 ※ 협의결과를 수용, 조건부수용, 부분수용, 불수용으로 구분
- 수용 : 검토결과 협의서의 내용에 흠이 없거나 경미하여 조건 없이 협의를 수용하는 의결
- 조건부 수용 : 검토결과 협의서 내용 중 일부 미흡한 사항에 대한 수정․보완을 전제로 협의를
수용하는 의결
- 부분 수용 : 검토결과 단시일 내 해결 가능한 특정분야의 중대한 흠에 대하여 해당분야
전문위원의 추가 심의를 전제로 협의서의 내용 중 흠이 없는 부분에 대하여만
부분적으로 협의를 수용하는 의결
- 불수용 : 검토결과 협의서에 단기간의 수정․보완으로 곤란한 중대하고 해결하기 어려운 흠으로
인하여 불수용 의결
⑤ 검토분야별 의견요약서(별지서식-3) 및 회의참석자 명단(별지서식-4) 기재 및 관리

※ 검토위원회의 구성․운영
위원회는 위원장 1명과 부위원장 1명을 포함하여 20명 이상 40명 이하의 위원으로 구성 (영
제7조제1항)
 위원장은 위원회를 대표하고, 위원회의 업무를 총괄하며, 회의를 소집(영 제8조제1~2항)
 위원회의 회의는 재적위원 과반수의 출석으로 개의하고, 출석위원 과반수의 찬성으로 의결
(영 제8조제3항)
140

구성요소 내용 (사전재난영향성검토협의 가이드라인)

① 부록을 참고하여 재난영향성에 대한 세부내용 검토


- 세부 내용 중 외국기준 등은 참고
- 참고기준의 적용은 위원별 토의를 통해 결정
검토협의
- 항목별 검토내용은 건축물의 규모, 층수, 용도, 특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
방법
② 「소방시설공사업법」 제11조제4항에 따른 성능위주설계 심의를 득한 건축물인 경우, 관련사항에
대한 재검토 여부는 위원회에서 판단하여 결정
③ 별도의 검토기준이 마련되지 않은 사항에 대해서는 개별법과 검토위원의 전문 식견에 따라 검토

① 사전재난영향성검토협의에 필요한 도서(서류)는 검토협의 가이드라인부터 ①부터 ⑨까지 제시한


도서(서류) 사항 및 부록의 항목별 세부검토내용을 참고하여 작성
작성 및 준비
② 사전재난영향성검토협의 내용은 각 항목별로 건물전체단위에 대하여 작성
- 협의기관의 요청이 있을 경우 또는 필요시 용도별 단위 추가 작성

재난예방 및 피해경감계획
- 초고층 건축물 등의 관리주체는 그 건축물 등에 대한 재난을 예방하고 피해를 경감하기 위한 계획(이하
“재난예방 및 피해경감계획”이라 한다)을 수립ㆍ시행하여야 한다.

➔ 재난 유형별 대응ㆍ상호응원 및 비상전파 계획


➔ 피난시설 및 피난유도계획
➔ 재난 및 테러 등 대비 교육ㆍ훈련 계획
➔ 재난 및 안전관리 조직의 구성ㆍ운영(어린이ㆍ노인ㆍ장애인 등 재난에 취약한 사람의 안전관리대책)
➔ 시설물의 유지관리계획
➔ 소방시설 설치ㆍ유지 및 피난계획
➔ 전기ㆍ가스ㆍ기계ㆍ위험물 등 다른 법령에 따른 안전관리계획
➔ 건축물의 기본현황 및 이용계획
➔ 그 밖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필요한 사항
Fire Protection & Life Safety Plan

다. 기타 안전설계 검토사항
(1) 침수방지 및 차수 방법에 관한 사항
 건축물의 침수방지 설비를 설치하여 집중호우 등의 자연재해로 인한 소방·방재시설 등의 안전을 확
보하기 위한 대책을 수립하여야 한다.

구성 항목 설계 방법

- 주요 설비공간(전기실, 발전기실, 펌프실 등)을 지하층에 설치할 경우 침수방지를 위해 건축물


최하층에 설치하는 것을 지양하고, 지상층과 가까운 곳에 설치할 것
- 주요 설비공간(전기실, 발전기실, 펌프실 등)의 출입로(문)는 해당 층 바닥보다 최소 0.5m 이상
높게 설치할 것

설치 위치 및 구조

- 차수판 등 차수설비는 지하로 연결되는 모든 입구(통로) 등에 설치할 것.


설비 - 차수설비는 자·수동 조작방식(준초고층의 경우에는 자동 또는 수동방식)이 가능한 방식으로
설치하고, 종합방재실에서 CCTV 등으로 원격감시가 가능하도록 설치할 것

침수방지 예시

지하공간 침수 방지를 위한 단계별 계획 수립


- 지하 공간은 대피로가 한정되어 있으며 침수 시 외부상황 파악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대피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을 확보하기 어렵고, 배수설비 등의 기능이 정지되어 인명피해가 일어날 수 있으므로, 공간적 특성을
고려하고 지하 공간 이용자의 생명을 보호하기 위해 다음 각 호와 같이 단계적인 계획을 수립하여 침수피해로
인한 인명피해를 최소화하여야 한다.

과거의 태풍, 호우, 해일 등으로 인한 침수피해나 침수흔적에 따른 침수높이


「지하 공간 침수방지를 침수흔적도에 의한 침수높이
위한 수방기준」제5조 하천범람 모의, 해일범람 모의 등의 침수위 분석결과
지역별 방재성능목표를 적용한 내수침수 모의 등의 침수위 분석결과

➔ 자료 활용이 불가능할 경우 과거의 강우기록과 침수피해, 인근주민들의 탐문조사결과 등을 감안하여 예상


침수높이를 추정하되 과대·과소 추정되지 않도록 유의하여야 함
142

(3) 전기차 충전시설 화재안전설계 방법에 관한 사항

구분 계획내용

- 주차장은 지상이 아닌 연기와 열이 잘 배출되지 않는 밀폐공간과 같은 지하에 주로 설치되고 있으며,


지하층이 심층화·대형화 되고 있어 화재 시 막대한 피해발생이 우려된다.

친환경자동차법 개정
(시행 ’22.1.28.)으로 전기차
전기차 전용주차구역 설치 의무 대상과
충전시설 충전시설 설치비 율이 확대됨
화재 위험성

- 차량사고 등 외부 충격으로 배터리 내부 분리막이 관통, 셀 불량, BMS 설계 오류로 셀들의 균등 충전이
안될 경우 등 다양한 화재원인이 존재하며, 차체의 바닥에 배터리가 있어 열폭주로 인한 급격한
연소현상 발생 시 냉각을 시키기 위한 직접적인 주수가 곤란하여 스프링클러설비 등과 같이 외부에서
물을 뿌리는 방식의 일반적인 소화시스템으로는 진압이 어려워 건축 설계 시 추가 검토가
필요하다.
- 외기에 개방된 지상에 설치 (지하층에도 설치가 가능하나 가급적 주차장 램프 인근 등 외기에 가까운
피난층에 설치하는 것을 고려할 것)
- 직통계단과 멀리 떨어진 위치에 설치하되 구조상 불가피한 경우 전용주차구역이 직통계단의 출입문과
직접 면하지 않도록 반대 또는 측면에 위치하도록 할 것

설치장소

- DA(Dry Area) 인근에 설치하여 굴뚝효과에 따라 연기가 자연적으로 배출되도록 하되 구조상 불가피하게 DA
인근에 설치가 어려운 경우 연기배출을 위하여 다음 각 호의 기준에 따른 전용의 배출설비를 설치할 것
- 배풍기・배출덕트・후드 등을 이용하여 옥외로 강제적으로 배출하되 배출덕트는 아연도 금강판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내식성 ・ 내열성이 있는 것으로 할 것
- 전용주차구역 바닥면적 1m2에 27m3/h 이상의 용량을 배출할 것
- 전용주차구역용 화재감지기의 감지에 따라 작동하되 직통계단의 인근에서 수동기동에 따라서도 작동될 수
있도록 할 것
- 옥외와 면하는 벽체에 설치할 것

구조 및 시설
Fire Protection & Life Safety Plan

구분 계획내용

- 주차구역 전면에는 전기차 화재 시 발생한 연기가 다른 구역으로 유출되지 않도록 내화구조 또는


불연재료로 된 60cm 이상의 제연경계벽을 설치하되 화재 시 쉽게 변형 ・ 파괴되지 아니하고 연기가
누설되지 않는 기밀성 있는 재 료로 할 것
- 다만, 제연경계벽 설치로 인하여 주차장법에 따른 법정높이를 확보하기 어려운 경우 제연경계벽의
높이는 바닥으로부터의 법정높이를 제외한 나머지 높이 로 할 수 있음

- 주차단위구획별(최대 3대까지 하나의 방화구획으로 구획 가능)로 3면을 내화 성능 1시간 이상의 벽체로


방화구획을 할 것

최대 3대까지 하나의 방화구획으로 구획 가능


구조 및 시설

- 양쪽 벽체의 길이는 평행주차형식의 경우 2m 이상으로 하고 평형주차형식 외 의 경우 5m 이상으로 할 것


- 전용주차구역에는 높이 600mm 이상의 물막이판(방화구획 벽체 활용 가능)을 주차단위 구획 별로
수동으로 설치하거나 전용의 화재감지기와 연동하여 자동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하되 주차단위구획
또는 방화구획된 전 주차단위 구획에 조립형 소화수조의 형태로 물을 충수할 수 있는 구조로 할 것
- 물막이판(지주 포함)의 재질은 알루미늄 등의 불연재료로 충수된 수압에 의해 쉽게 변형 ・ 파괴되지
아니하고 전용주차구역 인근의 식별이 용이한 위치에 “조립형 소화수조”라고 표시한 표지판을 부착하여
물막이판이 가장 많이 설치되는 주차단위구획 1대에 설치할 수 있는 수량(전면은 전체 수량)을
보관함(이동 식 포함)에 비치할 것
- 1개의 물막이판(지주 포함)은 1인이 운반과 설치가 용이한 무게로 바닥과 물막이판 사이로 누수가 되지
않도록 내부의 수압이 작용하는 반대 방향으로 지주에 고정이 되도록 하고 위에서 아래로 눌러지는
힘이 가해지는 구조로 할 것
144

4. 소방시설 분야
4.1. 소방시설의 분류
소방시설은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별표1]에서 소화,경보, 피난,
소화용수, 소화활동 5가지 종류로 정의 하고 있으며, 화재를 탐지(감지)해서 재실자들에게 통보함으로써 사
람들을 보호하거나 대피시키고, 화재 초기단계에서 즉시 소화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하며,
자동설비 또는 수동조작에 의해 화재 진압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기계.기구 및 시스템을 말한다.

구분 종류 및 구성요소 비고
- 물 또는 그 밖의 소화약제 사용하여 소화하는 기계・기구 또는 설비

소화 소화기 - 소화기(소형, 대형, 자동확산소화기)


기구 간이소화용구 - 에어로졸식 소화용구, 투척용 소화용구
자동소화장치 - 주거용, 상업용, 캐비닉형, 가스식, 분말식, 고체에어로졸
옥내소화전설비
(호스릴옥내소화선) - 구성 : 함, 방수구, 전원, 제어반

- 종류 : 습식, 부압식, 준비작동식, 건식, 일제살수식


- 유수검지장치 : 습식, 건식, 준비작동식, 일제 개방밸브
스프링클러 설비 - 헤드 : 개방형, 폐쇄형 ,조기반응형, 측벽형, 건식
- 설치방향(부착방식) : 상향형, 하향형, 상하양용형, 측벽형
- 사용목적 : 표준형, 주거형, ESFR / 감열부 유무 : 개방형, 폐쇄형
- 종류 : 캐비닛형, 상수도직결형
간이스프링클러 설비 - 간이헤드 : 폐쇄형 (상향식, 하향식, 측벽형)
- 유수검지장치 : 습식, 준비작동식
화재조기진압용 - 유수검지장치 : 습식
스프링클러 설비 - 헤드 : 상향식, 하향식
물분무 소화설비 - 구성 : 물분무헤드, 송수구, 배수설비, 전원, 제어반
소화 - 미분무헤드 : 개방형, 폐쇄형
설비 미분무 소화설비 - 종류 : 저압, 중압, 고압, 폐쇄형, 개방형
- 방식 : 전역방출, 국소방출, 호스릴, 교차회로
- 방식 : 전역방출, 국소방출
포 소화설비 - 종류 : 포워터스프링클러, 고정포방출설비, 호스릴 포소화설비, 포소화전
물 - 혼합장치 : 펌프, 프레져, 라인, 프레져사이드
분 - 방식 : 전역방출, 국소방출, 호스릴
무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 구성 : 소화약제 저장용기, 소화약제, 분사헤드, 과압배출구 등

할론 소화설비 - 방식 : 전역방출, 국소방출, 호스릴
소 - 구성 : 소화약제 저장용기, 소화약제, 분사헤드, 자동폐쇄장치 등
화 할로겐화합물 및
설 불활성기체 - 구성 : 소화약제(할로겐화합물/불활성가스), 분사헤드, 과압배출구
비 소화설비
분말 소화설비 - 방식 : 전역방출, 국소방출, 호스릴
- 구성 : 가압용가스용기, 소화약제(1~4종), 분사헤드, 자동폐쇄장치
화재예방,
강화액 소화설비 - 방식 : 화재에 의하여 생기는 열 또는 연기 등을 감지하여 소화약제 방출
소방시설
- 구성 : 강화액 헤드, 가압송수장치, 배관, 소화약제 저장수조, 기동장치, 등
설치.유지 및
고체에어로졸 소화설비 - 방식 : 전역방출방식 안전관리에
- 구성 : 소화약제 저장용기, 소화약제, 기동장치, 환기구 자동폐쇄장치 등
관한 법률
옥외소화전 - 구성 : 소화전함(연결송수관 방수구, 표시등, 가압송수장치 시행령 3조,
- 화재발생 사실을 통보하는 기계・기구 또는 설비 [별표1]
비상경보설비/
단독경보형 감지기 - 구성 : 비상벨, 자동식사이렌, 단독경보형감지기, 발신기, 수신기

경보 비상방송설비 - 구성 : 확성기, 음량조절기, 증폭기


설비 자동화재탐지설비/
- 감지기 종류 : 불꽃, 정온식감지선형, 분포형, 복합형, 광전식분리형, 아날로그, 다신호, 축적
시각경보장치
자동화재속보설비 - 구성 : 속보기(자탐설비 연동), 통신망, 조작스위치
누전경보기 - 구성 : 누전경보기(1급/2급), 수신부, 변류기, 전원
- 화재가 발생할 경우 피난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기구 또는 설비
- 종류 : 피난사다리, 완강기, 간이완강기, 구조대, 공기안전매트, 다수인피난장비, 승강식 피난기,
피난기구
하향식 피난구용 내림식 사다리
피난
구조 인명구조기구 - 종류 : 방열복, 공기호흡기, 인공소생기
설비 - 유도등 종류 : 피난구, 통로, 복도통로, 거실통로, 계단통로, 객석
유도등/유도표지
- 유도표지 종류 : 피난구, 통로
비상조명등 - 종류 : 비상조명등, 휴대용비상조명등
- 화재를 진압하는 데 필요한 물을 공급하거나 저장하는 설비
소화
용수 상수도 - 수도배관(75mm)과 도로변, 공지의 소화전(100mm) 접속
설비
소화수조/저수조 - 구성 : 흡수관투입구, 채수구, 가압송수장치
- 화재를 진압하거나 인명구조활동을 위하여 사용하는 설비
제연설비 - 구성 : 제연구역, 풍도, 제연경계벽, 배출구, 유입구, 배출기(댐퍼)
연결송수관설비 - 구성 : 송수구, 방수구, 방수기구함(호스,방사형 관창)
소화
활동 연결살수설비 - 구성 : 호스접결구, 송수구, 전용헤드, 습식연결살수장비
설비
비상콘센트설비 - 구성 : 인입개폐기, 전원회로, 배선용 차단기, 개폐기
무선통신보조설비 - 구성 : 증폭기(비상전원, 표시등, 전압계), 무선이동중계기
연소방지설비 - 구성 : 분전반, 방수헤드, 송수구, 방화벽, 지하구, 통합감시시설
Fire Protection & Life Safety Plan

4.2. 소화설비
 물 또는 그 밖의 소화약제를 사용하여 소화하는 기계.기구 또는 설비로서 화재 초기단계에서 화재
확산을 방지하고 초기화재를 진압하기 위한 설비
 소화법령에 규정된 소화설비 : 소화기구, 자동소화장치, 옥내소화전설비(호스릴옥내소화전설비),
스프링클러설비, 간이스프링클러설비, 화재진압용 스프링클러설비, 물분무등소화설비(9가지포함),
옥외소화전 설비
 소화설비 적용방법 : 특정소방대상물의 규모.용도 및 수용인원등 고려하여 소화설비 적용

4.2.1. 소화기구

구분 소화기구 및 자동소화장치의 화재안전기준(NFSC 101)


1) 연면적 33 ㎡ 이상인 것, 다만, 노유자지설의 경우에는 투척용 소화용구 등을
화재예방, 소방시설
화재안전기준에 따라 산정된 소화기 수량의 2분의 1 이상으로 설치할 수 있다. 설치.유지 및
설치 2) 1)에 해당하지 않는 시설로서 가스시설, 발전시설 중 전기저장시설 및 지정문화재 안전관리에 관한
대상 3) 터널 법률 시행령
4) 지하구 15조,[별표5]
5) 아파트등 및 30층 이상 오피스텔의 모든 층(주거용 주방자동소화장치 설치기준)

소형 소화기 2.3kg/ 3.3kg 소화기

소화기 대형 운반대와 바퀴가 설치된 10kg 이상 소화기

자동확산 감열부가 화재 열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소화약제를 방출


소화기 주거부 보일러실과 외조기실에 설치하는 장치

주거용 주방에 설치하여 조리기구로 인한 화재를 진압하는


종류 주거용
장치

상업용 대형 식당에 설치하여 조리기구로 인한 화재를


상업용
진압하는 장치
[상업용 주방
자동소화장치]
자동 캐비닛형 캐비닛 형태의 소화장치
소화
장치 가스
가스계 소화약제를 사용하는 소화장치
소화장치

분말
분말 소화약제를 사용하는 소화장치
소화장치

[에어로졸식]
고체에어로졸
에어로졸의 소화약제를 사용하는 소화장치
자동소화장치

설치 1) 각 층마다, 각 실(33 ㎡ )마다 설치하되 소형 소화기는 보행거리 20m,


기준 대형 소화기는 보행거리 30m 이내가 되도록 배치한다.
146

구분 소화기구 및 자동소화장치의 화재안전기준(NFSC 101)

1구 사이즈 300(W) x 550(H) x 180(D)


캐비닛
자동
소화장치

2구 사이즈 450(W) x 550(H) x 180(D)

SPACE

1구 사이즈 225(W) x 220(D) x 55(D)


바닥
노출형
소화기함
2구 사이즈 250(W) x 220(D) x 55(D)
검토
사항

1구 사이즈 300(W) x 550(H) x 180(D)

2구 사이즈 450(W) x 550(H) x 180(D)

매립형 벽체 매립소화기함의 경우 깊이가 180mm


DESIGN
소화기함
★구조벽 매립시 내화구조의 성능 기준을 만족하지 못함.
- 철근콘크리드 또는 철골철근콘크리트조 두께 10cm 이상
- 철골조+양면을 출망모르타르 두께 4cm이상
- 철골조+양면을 콘크리트불록.벽돌 또는 석재로
두께 5cm이상
- 벽돌조 두께 19cm이상
- 고온.고압의 증기로 양생한 건식벽체 10cm이상
Fire Protection & Life Safety Plan

4.2.2. 옥내소화전 설비
 옥내소화전은 건축물 안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 발생 초기에 신속하게 불을 끌 수 있도록
설치하는 소화설비이다.

구분 옥내소화전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2) 비고

1) 연면적 3,000㎡ 이상(지하가 중 터널은 제외한다)이거나


지하층·무창층(축사는 제외한다) 또는 층수가 4층 이상인 것 중
바닥면적이 600㎡ 이상인 층이 있는 것은 모든 층
2) 지하가 중 터널로서 다음에 해당하는 터널
- 길이가 1,000m 이상인 터널
- 예상교통량, 경사도 등 터널의 특성을 고려하여 총리령으로 정하는 터널 화재예방, 소방시설
3) 1)에 해당하지 않는 근린생활시설, 판매시설, 운수시설, 의료시설, 노유자시설, 설치.유지 및
설치
업무시설, 숙박시설, 위락시설, 공장, 창고시설, 항공기 및 자동차 관련시설, 안전관리에 관한
대상
교정 및 군사시설 중 국방·군사시설, 방송통신시설, 발전시설, 장례시설 또는 법률 시행령
북합건축물로서 연면적 1,500㎡ 이상이거나 지하층·무창층 또는 15조,[별표5]
층수가 4층 이상인 층 중 바닥면적이 300㎡ 이상인 층이 있는 것은 모든 층
4) 건축물의 옥상에 설치된 창고 또는 주차장으로서 차고 또는 주차의 용도로
사용되는 부분의 면적이 200㎡ 이상인 것
5) 1) 및 3)에 해당하지 않는 공장 또는 창고시설로서 [소방기본법 시행령] 별표2에서
정하는 수량의 750배 이상의 특수가연물을 저장·취급하는 것

수조

펌프
(가압송수장치)

옥내 기동용수압
소화전 개폐장치
설비의
구성 동력제어반

밸브+배관
+소화전함

감시제어반

40A 앵글밸브, 40A 호스 내장


옥내소화전함 건장한 남성이 사용
종류

25앵글밸브, 25호스릴 내장
호스릴소화전함
누구나 용이하게 사용

특정소방대상물의 층마다 설치하되, 해당 특정소방대상물의 각 부분으로부터 하나의


설치 옥내소화전방수구까지의 수평거리가 25m 이하가 되도록 할 것,
기준 다만, 복층형 구조의 공동주택의 경우에는 세대의 출입구가 설치된 층에만 설치 할 수
있다.
148

구분 옥내소화전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2) 비고

옥내
사이즈 650(W) x 1200(H) x 180(D)
소화전함

호스릴
사이즈 650(W) x 1200(H) x 200(D)
소화전함

SPACE

특별피난계단으로부터 5m 이내 설치 시 구조벽체에 매립

★구조벽 매립시 내화구조의 성능 기준을 만족하지 못함.


- 철근콘크리드 또는 철골철근콘크리트조 두께 10cm 이상
- 철골조+양면을 출망모르타르 두께 4cm 이상
- 철골조+양면을 콘크리트불록.벽돌 또는 석재로 두께 5cm 이상
- 벽돌조 두께 19cm 이상
- 고온.고압의 증기로 양생한 건식벽체 10cm 이상

검토
사항 인테리어를 위한 옥내소화전함 마감.

DESIGN

옥내소화전 송수구 위치
- 외벽으로부터 1m이상 이격 / 소방차 정차 AREA 인근 우선 배치
Fire Protection & Life Safety Plan

4.2.3. 스프링클러 설비
 스프링클러설비는 화재가 발생했을 때 펌프가 작동하여 소화수를 배관으로 보내어 천장, 벽 등에
설치된 스프링클러 헤드로 수화수를 방사하여 초기 화재를 진압하는 자동소화설비이다.
 감지기 또는 폐쇄형 스프링클러헤드의 작동에 의하여 화재를 인식하여 제어반에서 시설을 작동시켜
헤드로 소화수를 방수하는 시설이다.

구분 스프링클러 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비고

수용인원 100인 이상 모든 층

문화집회시설 영화상영관 용도 지하층 또는 무창층 500 ㎡ 이상 모든 층


종교시설 바닥면적
(목조 제외) 그 밖의 층 1,000 ㎡ 이상 모든 층
운동시설 지하층, 무창층, 4층 이상 층 300 ㎡ 이상 모든 층
무대부 면적
위의 층 이외 500 ㎡ 이상 모든 층

판매/시설, 바닥면적 합계 5,000 ㎡ 이상 모든 층


운수시설,
창고시설 수용인원 500인 이상 모든 층

층수가 6층 이상 제외 :
가) 주택 관련 법령에 따라 기존의 아파트등을 리모델링하는 경우로서
건축물의 연면적 및 층높이가 변경되지 않는 경우. 전층
나) 스프링클러설비가 없는 기존의 특정소방대상물을 용도변경하는
경우.

근린생활시설 중 조산원 및 산후조리원, 의료시설 중 정신의료기관,


의료시설 중 종합병원, 병원, 치과병원,한방병원 및
600 ㎡ 이상 모든 층
요양병원(정신병원은 제외),
화재예방,
노유자시설, 숙박이 가능한 수련시설
소방시설
바닥면적
설치.유지 및
설치 천장 또는 반자 높이가 10m 이상의 랙식 창고의 바닥면적의 합계 1,500㎡ 이상
안전관리에
대상
위 항목까지 해당하지 않는 특정소방대상물의 지하층, 무창층, 관한 법률
1,000 ㎡ 이상
4층 이상층의 바닥면적 시행령
공장, 특수가연물 저장, 취급량 1,000배 이상 15조,[별표5]
창고시설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저장시설 (소화수 설비) 모든 층
2500㎡ 이상
기타 창고시설 (물류터미널 한정)의 바닥면적의 합계
지붕,외벽이 250인 이상
내화구조가 공장 외 창고시설 (물류터미널 제외)의 바닥면적의 합계 2500㎡ 이상
아닌 공장, 기타 랙식 창고시설의 바닥면적의 합계 750㎡ 이상
창고시설
지하층, 무창층, 층수가 4층 이상의 바닥면적 500㎡ 이상
특수가연물 저장, 취급량 500배 이상
지하가 연면적 (터널 제외) 1,000 ㎡ 이상
기숙사 (교육연구시설·수련시설 내에 있는 학생 수용을 위한) 또는
5,000 ㎡ 이상 모든 층
복합건축물 연면적

보호감호소, 교도소, 구치소 및 그 지소, 보호관찰소,


해당장소
교정 및 갱생보호시설, 치료감호시설, 소년원 및 소년분류심사원
군사시설
출입국관리 보호시설, 외국인보호소 생활공간 해당장소
유치장 해당장소
발전시설 중 전기저장시설 해당장소
보일러실 또는 연결통로 등 해당장소

설치 령
물분무등소화설비를 화재안전기준에 적합하게 설치한 유효범위
면제 16조[별표6]
150

구분 스프링클러 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비고

수조

펌프
(가압송수장치)
기동용수압
개폐장치
스프링
클러 동력제어반
설비의
구성 밸브+배관

감시제어반

유수검지장치

스프링클러헤드

2차측 배관에 소화수가 있어 스프링클러 헤드 작동시 측시 방수


습식
동파우려가 있음.
동파우려가 있는 지역(2차측 배관에 대기압)
유 준비작동식
화재감지기와 스프링클러 헤드 작동으로 방수

검 동파우려가 있는 지역(2차측 배관에 압축공기)
DRYPIPE NFSC 103
지 건식 스프링클러 헤드 작동으로 방수

치 일재개방밸브 무대부에 설치

스프링클러헤드까지 소화수가 부압으로 형성되어 있다


부압식
화재시 감지기의 의해 정압으로 작동하여 방수

상향식 주차장, 기계실, 공조실등에 설치

하향식 주차장, 기계실, 공조실등 살수장애


[유리벌브]
유리벌브
인랙 물류창고의 랙 내부에 설치되는 헤드

측벽형 폭이 4.5m이상 9m 이하인 실에 설치


[플러쉬]

종류 하향식 인테리어 구간의 거실 또는 복도등에 설치

플러쉬 인랙 물류창고의 랙 내부에 설치되는 헤드




[퓨지블링크]
링 조기반응형 공동주택 각 세대에 설치

러 퓨지블링크 상향식 주차장, 기계실, 공조실등에 설치


드 하향식 주차장, 기계실, 공조실등 살수장애 [건식]

측벽형 폭이 4.5m이상 9m 이하인 실에 설치

건식 유리벌브 동파우려가 있는 장소에 사용

플러쉬 인테리어 구간의 동파의 우려가 있는 장소에 설치 [개방형]

개방형 일제살수식 스프링클러설비 설치시 사용

컨실드형 인테리어 구간 설치 [컨실드형]


Fire Protection & Life Safety Plan

구분 스프링클러 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비고

1) 스프링클러 설비의 방호구역의 바닥면적은 3,000㎡ 를 초과하지 아니할 것,


다만, 폐쇄형 스프링클러설비에 격자형배관방식을 채택하는 때에는
3,700㎡ 범위 내로 할수 있다.

2) 하나의 방호구역은 2개 층에 미치지 아니하도록 할 것,


다만, 1개 층에 설치되는 스프링클러헤드의 수가 10개 이하인 경우와 복층형구조의
공동주택에는 3개층 이내로 할 수 있다.

3) 일제개방밸브 방수구역은 2개층에 미치지 아니하고, 방수구역마다 설치하며,


하나의 방수구역을 담당하는 헤드의 수량은 50개 이하로 할 것,
다만, 2개 이상의 방수구역으로 나눌 경우에는 하나의 방수구역을 담당하는 헤드의
개수는 25개 이상으로 할 것.

★ 건축물의 피난 ・ 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14조(방화구획의 설치기준)
1. 10층 이하의 층은 바닥면적 1천제곱미터(자동식 소화설비 설치한 경우에는 바닥면적
3천제곱미터) 이내마다 구획할 것
유수 3. 11층 이상의 층은 바닥면적 200제곱미터(자동식 소화설비를 설치한 경우
검지 600제곱미터)이내마다 구획할 것, 다만, 벽 및 반자의 실내에 접하는 부분의 마감을
장치 불연재료로 한 경우에는 바닥면적 5000제곱미터(자동식 소화설비를 설치한
경우에는 1천500제곱미터)이내마다 구획하여야 한다.

스프링클러헤드는 특정소방대상물의 천장・반자・천장과 반자 사이・덕트・선반


기타 이와 유사한 부분(폭이 1.2m를 초과하는 것에 한한다)에 설치하여야 한다.
다만, 폭이 9m 이하인 실내에 있어서는 측벽에 설치할 수 있다.
스프링클러헤드를 설치하는 수평거리는 아래와 같다.
1) 무대부 ・ [소방기본법 시행령] 별표2의 특수가연물을 저장
또는 취급하는 장소에 있어서는 1.7m이하
2) 랙크식 창고에 있어서는 2.5m 이하
설치
다만, 특수가연물을 저장 또는 취급하는 장소에 있어서는 1.7m 이하 NFSC 103
기준
3) 공동주택(아파트) 세대 내의 거실에 있어서는 3.2m 이하
(스프링클러헤드의 형식승인 및 제품검사의 기술기준 유효반경인 것으로
한다.)
4) 위 규정 외의 특정소방대상물의 있어서는 2.1m 이하
(내화구조로 된 경우에는 2.3m 이하)
조기반응형 스프링클러헤드를 설치하여야 하는 곳은 아래와 같다.
1) 공동주택・노유자시설의 거실
2) 오피스텔・숙박시설의 침실, 병원의 입원실

1) 살수가 방해되지 않도록 스프링클러헤드로부터 반경 60cm 이상의 공간을


보유할 것, 다만, 벽과 스프링클러헤드간의 공간은 10cm 이상으로 한다.

2) 스프링클러헤드와 그 부착면(상향식헤드의 경우에는 그 헤드의 직상부의


천장・반자 또는 이와 비슷한 것을 말한다.)과의 거리는 30cm 이하로
할 것.

3) 배관 ・ 행가 및 조명기구 등 살수를 방해하는 것이 있는 경우에는


장애물 아래에 설치하여 살수에 장애가 없도록 할 것,
스프링 다만, 스프링클러헤드와 장애물과의 이격거리를
클러 장애물 폭의 3배 이상 확보한 경우에는 그렇지 않다.
헤드
4) 연소할 우려가 있는 개구부에는 그 상하좌우에 2.5m 간격으로 스프링클러
헤드를 설치하되, 스프링클러헤드와 개구부의 내측 면으로부터 직선거리는
15cm 이하가 되도록 할 것.
이 경우 사람이 상시 출입하는 개구부로서 통행에 지장이 있는 때에는
개구부의 상부 또는 측면에 설치하되, 헤드 상호간의 간격은 1.2m 이하로
설치하여야 한다.

5) 상부에 설치된 헤드의 방출수에 따라 감열부에 영향을 받을 우려가 있는


헤드에는 방출수를 차단할 수 있는 유효한 차폐판을 설치할 것.
152

구분 스프링클러 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비고


1) 계단실(특별피난계단의 부속실을 포함한다)・경사로・승강기의 승강로
・비상용승강기의 승강장・파이프덕트 및 덕트피트(파이프・덕트를 통과시키기 위한
구획된 구멍에 한한다)・목용실・수영장(관람석부분을 제외한다)・화장실
・직접 외기에 개방되어 있는 복도 그 밖에 이와 유사한 장소
2) 통신기기실 ・ 전자기기실 그 밖에 이와 유사한 장소
3) 발전실 ・ 변전실 ・ 변압기 그 밖에 이와 유사한 전기설비가 설치되어 있는 장소
4) 병원의 수술실 ・ 응급처치실 그 밖에 이와 유사한 장소
5) 천장과 반자 양쪽이 불연재료로 되어 있는 경우로서 그 사이의 거리 및 구조가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부분
가. 천장과 반자사이의 거리가 2m 미만인 부분
나. 천장과 반자사이의 벽이 불연재료이고 천장과 반자 사이의 거리가 2m 이상으로서
그 사이에 가연물이 존재하지 않는 부분
6) 천장 ・ 반자 중 한쪽이 불연재료로 되어 있고 천장과 반자 사이의 거리가 1m 미만인 부분
7) 천장 및 반자가 불연재료가 아닌 것으로 되어 있고 천장과 반자 사이의 거리가 0.5m 미만인
스프링 부분
클러
8) 펌프실 ・ 물탱크실 엘리베이터 권상기실 그 밖의 이와 비슷한 장소 현관 또는 로비 등으로서
헤드
바닥으로부터 높이가 20m 이상인 장소
제외
9) 영하의 냉장창고의 냉장실 또는 냉동창고의 냉동실
10) 고온의 노가 설치된 장소 또는 물과 격렬하게 반응하는 물품의 저장 또는 취급장소
11) 불연재료로 된 특정소방대상물 또는 그 부분으로서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장소
가. 정수장 ・ 오물처리장 그 밖의 이와 비슷한 장소
나. 펄프공장의 작업장 ・ 음료수공장의 세정 또는 충전하는 작업장
그 밖의 이와 비슷한 장소
다. 불연성의 금속 ・ 석재 등의 가공공장으로서 가연성물질을 저장 또는 취급하지 않는
장소
라. 가연성 물질이 존재하지 않는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에 따른 방풍실
12) 실내에 설치된 테니스장・게이트볼장・정구장 또는 이와 비슷한 장소로서
실내바닥・벽・천장이 불연재료 또는 준불연재료로 구성되어 있고 NFSC
가연물이 존재하지 않는 장소로서 관람석이 없는 운동시설(지하층은 제외한다) 103
13) [건축법 시행령] 제46조 제4항에 따른 공동주택 중 아파트의 대피공간
1. 유수검지장치실 공간 확보
SPACE
2. 소화수조 및 소화펌프실 확보
1. 인테리어 천장도 스프링클러 반경 확보 및 스키핑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최소 이격거리 1.8m 이상 확보

2. 상층부 화재확대 방지를 위한 윈도우 스프링클러 헤드 반영 외주부로부터

0.6m 이내 위치하고 1.8m 간격으로 스프링클러 헤드 배치

3. 송수구 외벽으로부터 1m 이상 이격 / 소방차 정차 AREA 인근 우선 설치
4. 간섭으로 인한 배관 UP/DOWN 시 배수를 위한 점검구 설치

1. 주차장 및 보 깊이에 따른 스프링클러헤드 배치 1/S 살수장애 유의


구조
2. 소화배관 내진버팀대를 설치하기 위한 최상단 450mm 확보

기본
설계
검토
사항

[보와 가장 가까운 스프링클러 헤드 설치기준]

피트
공간 1. 피트층, 피트공간은 화재안전기준에 제15조제1항제1호에서 정한 ‘파이프덕트 ・
등 덕트피트’에 해당하지 않으므로 소방시설 적용 제외 장소에 포함되지 아니함.
소방 2. 0.5m x 1m 이하 크기의 방화문을 설치하며 4개소 볼트조임하는 경우 / 배관등 시설물을
시설 제외한 공간의 크기가 가로.세로.높이 각각 1.2m 미만인 경우 제외
Fire Protection & Life Safety Plan

구분 스프링클러 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알람밸브
사이즈 : 2,000 x 2,500
1개설치

유수
검지장치

알람밸브
SPACE 사이즈 : 2,000 x 4,100
2개설치

1. 보 하단에 450mm 공간 필요

소화배관
설치높이

검토
사항

1. 스프링클러 헤드 최소 이격거리 1.8m 이상 이격


2. 벽에서 10cm 이상 이격
3. 외벽 커튼월 화재확산 방지를 위한 윈도우 스프링클러헤드
설치 외벽에서 600mm 이내 1.8m 간격으로 배치

스프링
클러
DESIGN 헤드
배치
154

4.2.4. 간이스프링클러설비
 간이스프링클러설비는 불특정다수인이 이용하는 다중이용업소 등과 스프링클러설비가 설치되지 않는
규모의 장소 중 화재위험성이 있는 장소에 스프링클러설비를 약식으로 설치하여 화재 시 예상되는
인명피해 및 재산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설비이다.

구분 간이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A) 비고

근린생활시설 사용 부분의 바닥면적 합계 1,000㎡ 이상 모든 층

교육연구시설 내 합숙소 연면적 100㎡ 이상

요양병원(정신병원, 의료재활시설 제외) 연면적 600㎡ 미만


의료시설 중
정신의료기관 정신의료기관 또는 의료재활시설 연면적 300㎡ 이상 600㎡ 미만
또는
요양병원 정신의료기관 또는 의료재활시설로 사용되는 화재예방,
300㎡ 미만
창살이 설치된 시설 연면적 소방시설
설치대상 설치.유지
노유자 생활시설 및
-
(단독주택 또는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시설 제외) 안전관리에
노유자시설 관한 법률
기타 노유자시설 바닥면적의 합계 300㎡ 이상 600㎡ 미만 시행령
15조,[별표5]
창살이 설치된 노유자시설 바닥면적의 합계 300㎡ 미만

건물을 임차하여 출입국관리소 보호시설 -

숙박시설 중 생활형 숙박시설 연면적 600㎡ 이상

복합건축물 연면적 1,000㎡ 이상 모든 층

간이스프링클러설비를 설치하여야 하는 차고 ・ 주차장에 스프링클러설비를


설치면제
화재안전기준에 적합하게 설치한 경우에는 그 설비의 유효범위에서 설치가 면제된다.

간이
스프링 - 간이헤드 : 폐쇄형, 상향식, 하향식, 측벽형, 플러쉬
클러 - 유수검지장치 : 습식, 준비작동식
설비의 - 펌프 / 일체형 캐비닛 / 고가수조 / 압력수조+에어컴프레셔 / 소화수조+기체용기
구성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스프링클러설비의 전동기 펌프를 사용하여 소화수를


펌프방식
급수
상수도연결(직결) 수도배관에 간이스프링클러 배관을 직접 연결하여 시수압력을 이용하여 NFSC 103A
방식 소화수를 급수

소화수조를 옥상들 높은 곳에 설치하여 자연낙차압력을 이용하여 소화수를


종류 고가수조방식
급수
에어컴프레셔가 압력수조에 공기압력을 가압하여 화재진압에 필요한
압력수조방식
소화수를 배관을 통해 소화수를 급수

압력이 있는 기체가 소화수조를 가압하여 화재진압에 필요한 소화수를


가압수조방식
배관을 통해 소화수를 급수
Fire Protection & Life Safety Plan

4.2.5. 화재조기진압용 스프링클러설비


 랙크식 창고에 적용하는 소화설비로 빠른 감응 속도와 큰 방울의 소화수를 분사하여 직접 화원에 도달하여
빠른 시간안에 진압이 되도록 하는 설비이다.
 화원의 크기가 큰 물류창고나 대형 랙창고 등에 발생하는 화재로부터 재산손실을 최소화 한다.

구분 화재조기진압용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 (NFSC 103B) 비고

-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 ・ 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별표 5 제1호 라목에 따른


스프링클러설비 중 레크식 창고

5,000㎡ 이상
바닥면적 합계
모든 층

500인 이상 모든
수용인원

화재예방,
소방시설
2500㎡ 이상 설치.유지
기타 창고시설 (물류터미널 한정)의 바닥면적의 합계
설치 250인 이상 및
대상 안전관리에
창고 관한 법률
시설 공장 외 창고시설 (물류터미널 제외)의 바닥면적의 합계 2500㎡ 이상 시행령
15조,[별표5]

기타 랙식 창고시설의 바닥면적의 합계 750㎡ 이상

지하층, 무창층, 층수가 4층 이상의 바닥면적 500㎡ 이상

특수가연물 저장, 취급량 500배 이상

소화수조

가압송수장치
화재조
기 기동용수압개폐장치
진압용
스프링 동력제어반
클러
설비의 밸브 + 배관
구성
유수검지장치

조기진압형 + 인랙헤드 [인랙스프링클러헤드 설치 도면]

- 층의 높이 13.7m 이하
- 2층 이상일 경우 층의 바닥을 내화구조로 하고 다른 부분과 방화구획
- 천장의 기울기 168/1,000 이하 (초과하는 경우 반자를 지면과 수평으로 설치)
설치 - 수평 천장 (철재나 목재트러스 구조인 경우 철재나 목재 돌출부분 102㎜ 이하) NFSC 103B
기준 - 보로 사용되는 목재, 콘크리트, 철재 사이 간격 : 0.9m~2.3m 이하
- 보의 간격 2.3m 이상 : 헤드의 동작을 원활히 하기 위하여 보로 구획된 부분의 천장 및 반자의
넓이 28 ㎡ 이하로 설치
- 창고 내 선반의 형태(하부로 물이 침투되는 구조)
156

4.2.6. 물분무등 소화설비


 물 또는 그 밖의 소화약제를 사용하여 소화하는 기계.기구 또는 설비로서
화재 초기단계에서 화재 확산을 방지하고 초기화재를 진압하기 위한 설비

구분 물분무등 소화설비 비고

1) 항공기 및 자동차 관련 시설 중 항공기 격납고


2) 차고, 주차용 건축물 또는 철골 조립식 주차시설, 이 경우 연면적 800㎡ 이상인 것
3) 건축물 내부에 설치된 차고 또는 주차장으로서 차고 또는 주차의 용도로 사용되는
부분의 바닥면적이 200 ㎡ 이상인 층
4) 기계장치에 의한 주차시설을 이용하여 20대 이상의 차량을 추차할 수 있는 것
5) 특정소방대상물에 설치된 전기실.발전기실.변전실(가연성 절연유를 사용하지 않은
전선 및 케이블만을 설치한 전기실.발전기실 및 변전실은
제외한다).축전지실.통신기기실 또는 전산실, 그 밖에 이와 비슷한 것으로서 화재예방, 소방시설
바닥면적이 300㎡ 이상인 것[하나의 방화구획내에 둘 이상의 실(室)이 설치되어 있는 설치.유지 및
설치
대상 경우에는 이를 하나의 실로 보아 바닥면적을 산정한다]. 다만, 내화구조로 된 안전관리에 관한
공정제어실 내에 설치된 주조정실로서 양압시설이 설치되고 전기기기에 220볼트 법률 시행령
이하인 저전압이 사용되며 종업원이 24시간 상주하는 곳은 제외한다. 15조,[별표5]
6) 소화수를 수집.처리하는 설비가 설치되어 있는 않은 중.저준위방사성폐기물의
저장시설. 다만, 이 경우에는 이산화탄소소화설비, 할론소화설비 또는 불활성기체
소화설비를 설치하여야 한다.
7) 지하가 중 예상 교통량, 경사도 등 터널의 특성을 고려하여 총리령으로 정하는 터널.
다만, 이 경우에는 물분무소화설비를 설치하여야 한다.
8) [문화재보호법] 제2조제2항제1호 미 제2호에 따른 지정문화재 중
소방청장이 문화재청장과 협의하여 정하는 것

설치 물분무등소화설비를 설치해야 하는 차고, 주차장에 스프링클러설비를 화재안전기준에


면제 적합하게 설치한 경우는 그 설비의 유효범위안에 설치가 면제된다.

1) 물분무 소화설비
2) 미분무 소화설비
3) 포 소화설비
4)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종류 5) 할론 소화설비
6) 할로겐화합물 및 불활성기체 소화설비
7) 분말 소화설비
8) 강화액 소화설비
9) 고체에어로졸 소화설비
Fire Protection & Life Safety Plan

가. 물분무 소화설비
 물분무소화설비는 스프링클러설비와 비슷하지만 물방물의 크기가 더 작아야 한다.
물방울의 크기를 미세하게 하기 위해 스프링클러헤드와 다른 물분무 전용의 헤드를 적용하며
물의 입자를 미세하게 분무하여 물방울의 표면적을 넓혀 유류화재, 전기화재 등에도 적응성이 뛰어난
소화설비이다.

구분 물분무 소화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4) 비고

수조

펌프
(가압송수장치)
개폐장치
(감지기 또는 헤드)

물분무 동력제어반
소화
설비
밸브+배관

감시제어반

일제개방밸브

물분무 노즐
[물분무 소화설비 방출]

화재 감지기의 작동에 의하여 일제개방밸브의 전동밸브 또는 솔레노이드


감지기에 의한 방식
밸브가 작동하여 일제개방밸브가 작동하는 방식

폐쇄형 야외에 설치된 위험물 저장탱크 및 플랜트 시설물에 화재확산 방지를


스프링클러헤드에 위한 설비로 폐쇄형 스프링클러헤드를 설치하여 화재의 열기로
의한 방식 스프링클러헤드가 감열되어 개방됨으로 일제개방밸브가 작동하는 방식
(PILOT 배관방식)

충돌형 : 소화수의 충돌에 의해 미세한 물방울을 만든다.

종류

분사형 : 고압으로 분사하여 미세한 물방울을 만든다.

물분무 노즐
선회류형 : 선회류와 직선류의 충돌에 의해서 미세한 물방울을 만든다.

디플렉터형 : 소화수를 살수판에 충돌시켜 미세한 물방울을 만든다.

슬리트형 : 소화수를 슬리트에 방출하여 미세한 물방울을 만든다.


158

나. 미분무 소화설비
 미분무 소화설비는 물분무소화설비의 물방울 크기보다 더 미세하게 분무하는 소화설비이다.

구분 미분무 소화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4) 비고

수조

펌프
(가압송수장치)
개폐장치
(감지기 또는 헤드)

미분무 동력제어반
소화
설비
밸브+배관

감시제어반

유수검지장치

미분무 노즐
[미분무 소화설비 방출]

배관과 노즐을 고정 설치하여 구획된 방호구역 전체에 소화수를


전역방출방식
방사하도록 설치하는 시스템

고정식 미분무소화섧에 배관 및 헤드를 설치하여 직접 화점에 소화수를


종류 국소방출방식 방출하는 설비로서 화재발생 부분에 집중적 소화수를 방사하도록
설치하는 시스템

호스릴 방식 미분무건(노즐)을 소화수 저장용기 등에 연결하여 사람이 직접 화점에


(이동식) 소화수를 방사하는 시스템

1) 통신기기실, 컴퓨터실 등 전기설비 설치장소


2) 선박관련장소
3) 도장부스, 페인트 락카실 등 가연성액체 저장시설
적응 4) 박물관, 도서관 등 수손피해가 큰 장소
장소 5) 항공기의 화물칸, 승무원 및 객실, 엔진
6) 소화용수의 급수가 제한된 지역
7) 폭발억제 장소

비적응 1) 물과 격렬히 반응을 일으키는 물질이 저장된 장소


장소 2) 미분무 소화수와 반응하여 위험물질을 생성하는 경우
Fire Protection & Life Safety Plan

다. 포 소화설비
 포소화설비는 물에 의한 소화 방법으로는 소화효과가 낮거나 화재가 발생한 곳에 물을 뿌리면 오히려
화재가 확대될 위험성이 있는 가연성 액체 등의 화재를 진압하는 설비이다.
 물과 포소화약제가 일정한 비율로 혼합된 포수용액이 공기에 의하여 발포되어 형성된 미세한 기포의
집합체가 연소물의 표면을 덮어 공기를 차단함으로서 질식소화를 하며, 또한 포에 함유된 수분에 의한
냉각소화 효과도 있다.
 포소화설비는 대용량의 위험물 액체 탱크를 설치하는 석유화학, 정유 플랜트 공장에서 사용한다.

구분 포 소화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5) 비고

수조

펌프
(가압송수장치)

폼 탱크

포 동력제어반
소화
설비
밸브+배관

감시제어반

유수검지장치

[항공기 격납고 포 소화설비]


포 방출구

일제살수실 스프링클러설비와 비슷한 설비이며, 가지배관에 포헤드를


포헤드설비
설치하여 포를 방출하는 설비이다.

포워터 일제살수식 스프링클러설비와 비슷한 설비이며, 가지배관에 포워터


스프링클러설비 스프링클러헤드를 설치하여 포를 방출하는 설비이다.

위험물 저장탱크 등에 설치하는 설비로서 태크의 구조 및 크기에 따라


고정포방출설비
일정한 수의 포방출구를 탱크 측면에 설치하는 설비이다.
종류

호스릴 포소화설비 호스릴포방수구, 호스릴 및 이동식 포노즐 등을 사용하는 설비이다.

포소화전설비 옥외소화전과 같은 설비에 폼탱크가 연결된 설비이다.

압축공기 압축공기 또는 압축질소를 일정비율로 포수용액에 강제 주입 혼합하는


포소화설비 방식의 설비이다.
160

라. 소화가스 소화설비
 이산화탄소, 할론, 할로겐화합물, 불활성기체등을 사용하여 가연물과 산소의 화학반응을 억제하고
111(부촉매작용) 냉각작용과 희석작용으로 소화하는 설비이다.

구분 소화가스 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6, 107, 107A) 비고

저장용기

기동장치

선택밸브+배관

소화가스노즐
구성

과압배출구

감지기+사이렌

방출표시등
+방출정지스위치

소화가스 수신기
[항공기 격납고 포 소화설비]
이산화탄소 CO2 인명피해우려
하론 1011
하론 1301 (CF3Br) 2010년
하론
하론 1211 (CF3ClBr) 생산중단
하론 2402 (C2F4Br2)
HFC-23
2040년
HFC-125
할로겐화합물 생산중단
HFC-227ea
FK-5-1-12
IG-541 규제없음
불활성기체
IG-100

전역방출 고정식 소화가스 공급장치에 배관 및 분사헤드를 고정 설치하여 밀폐된


종류 방식 방호구역 안에 소화가스를 방출하는 설비

고정식 소화가스 공급장치에 배관 및 분사헤드를 설치하여 직접


국소방출
화재발생장소의 부분에만 또는 중요한 장비에 소화가스를 집중적으로
방식
소화약제를 방출하도록 설치하는 방식

소화약제
Moduler 모듈러 방식은 전역방출방식으로 설치할 수 없는 장소에
방출방식
방식 Package함과 배관을 연결하여 방출하는 방식

호스릴 방식은 이산화탄소와 하론 소화설비에만 해당된다.


호스릴 캐비닛안에 호스릴이 감겨져 있는 노즐을 조작하여
방식 소화가스를 방출하는 방식
Fire Protection & Life Safety Plan

마. 옥외소화전 설비
 1층 및 2층의 화재 시 소방대가 도착하기 전까지 건물관계자에 의한 소화목적으로 설치되는 설비

구분 옥외소화전설비의 화재안전기준 (NFSC 109) 비고


화재예방,
- 지상 1층 및 2층 (바닥면적 합계 9000 ㎡ 이상) 소방시설
- 문화재보호법 제5조에 따라 국보 또는 보물로 지정된 목조건축물 : 연면적 1000㎡ 이상 설치.유지 및
설치대상 - 공장, 창고 : 특수가연물 저장, 취급 (기준수량의 750배 이상) 안전관리에
* 설치 예외 : 석재, 불연성금속, 불연성 건축재료 가공공장, 기계조립공장, 주물공장, 관한 법률
불연성 물품 저장 창고 시행령
15조,[별표5]

- 종류 : 지상식, 지하식
- 구성 : 수조(고가/압력/가압), 총압펌프, 연성계, 진공계, 기동용수압개폐장치(압력챔버,
구성
기동용압력스위치), 배관(급수/펌프 흡입측), 가압송수장치, 소화전함(연결송수관
방수구, 표시등), 전원, 제어반(감시/동력), 배선

- 위치 : 건축물 1층과 2층의 외벽에서 최소 10m 이상 거리 유지 (소화전 위치가 화재시


복사열에 보호되고 조작에 지장이 없으면 거리 단축 가능), 1층 및 2층의 전체
부분에 방사되도록 위치 및 호스의 본수 고려
- 방수량 : 전체 옥외 소화전(2개 초과시 2개 기준) 동시 사용시 방수압력 2.5kg/ ㎠ 이상
350 L/분 이상
* 옥외소화전 설치 면제 : 목조문화재에 동일한 기준의 상수도소화용수설비 설치시

설치기준

NFSC 109

- 옥외소화전 5m 마다 소화전함 설치
- 옥외소화전 10개 이하 : 옥외소화전마다 5m 이내에 1개 이상 소화전함 설치
- 옥외소화전 11개 이상 30개 이하 : 11개 이상의 소화전함을 각각 분산 설치
- 옥외소화전 31개 이상 : 옥외소화전 3개마다 1개 이상의 소화전함 설치
- 소화전함 : 밸브 조작, 호스 수납, 연결송수관 방수구 설치 ("옥외소화전" 표지)
- 가압송수장치의 조작부 또는 그 부근 : 가압송수장치 기동을 명시하는 적색등 설치
- 옥외소화전 위치 표시등 : 함의 상부에 설치

소화전함

감시
- 옥내소화전과 동일 (전용실, 설치 위치 등)
제어반
162

■ 수계소화설비 제안

가. 정온식 열선 – 메탈히터
 소화수, 소화용수 등 겨울철 추위로 인한 동파 방지를 하고자 전기열선을 사용하고 있으나 열선 피복이
깨지거나 갈라진 상태로 동파방지 열선이 작동하게 되면 누전으로 인한 화재가 발생

위험요소 개선안
Fire Protection & Life Safety Plan

나. 전기차 소화설비
 최근 전기자동차의 보급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상황으로
엔진 기반의 내연기관 자동차와 달리 고전압 배터리를 이용하여 모터를 구동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충전 중 화재’ 등 다양한 형태로 화재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위험요소 대책방안

1) 수동식 물막이판
- 전기 자동차 전용주차구역에
높이 600mm 이상의 물막이판 보관함을 배치

[국내 전기자동차 화재 현황]

2) 전기차 배터리의 근본적인 소화-뮬러랜스 설치


- 전기 자동차 화재시 배터리의 열 폭주 방지

[충전 중이던 전기자동차 화재]

3) 전기차 조기 감지(열화상 감지기)


- 인공지능 기술을 바탕으로 화재를 조기에 발견
164

4.2.7. 경보설비
안전피난, 초기소화, 소방기관으로의 통보, 초동조치가 가능하도록 화재를 조기에 발견하고 자동
또는 인위적으로 경보 및 통보하는 설비
 경보설비의 주요기능 : 화재 감지, 발생장소 표시, 건축물 내부로의 정보, 타시설로의 통보 및 연동
 경보설비의 종류 : 단독경보형 감지기, 비상경보설비 (비상벨설비/자동식사이렌설비), 시각경보기,
자동화재탐지설비, 비상방송설비, 자동화재속보설비, 통합감시시설, 누전경보기,
가스누설경보기

경보설비 종류 구성 내용 비고

- 발신기의 화재신호를 직접 수신하여 화재의 발생을 표시 및 경보하는 장치


- 감지기, 발신기의 신호를 수신하여 표시하고 음향장치 가동 (P형 1급/2급, R형)
수신기 - 경계구역은 수신기 1회선이 화재를 지각하는 것이 가능한 구역
- 원칙적으로 600㎡ 이하마다 구분 (1변 길이는 50m 이내), 방화구획 내에 배연설비와
감지기를 연동하여 제어할 경우 500㎡ 이하

- 화재에 의한 열, 연기 생성물을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화재 발생을 감지하고 수신기에 송신


- 열식 분류(열감지기) : 차동식(분포형/스폿형), 정온식(분포형(감지선형)/스폿형)
감지기 보상식(스폿형)
- 연기식 분류(연기감지기) : 이온화식. 광전식
- 기타 분류 : 감지기 감도, 방수성, 방식성, 연기축적에 의한 작동, 재사용성

- 감지기, 발신기, 전기적 접점 등의 신호를 수신기의 제어반에 전송하는 장치


중계기
- 수신기와 감지기 사이에 설치

- 화재발생 신호를 수동 버튼에 의해 수신기로 전달


- 각층의 각 부분에서 보행거리 25~50m 이하마다 설치
(복도, 구획실에서 보행거리 40m 이상시 추가 설치)
- 홀 입구와 계단 출입구, 복도 부근의 0.8~1.5m 높이에 설치
발신기 (소화전이 설치될 경우 인접하여 설치)
- 발신기 조작으로 소화전 펌프가 기동하며 응답램프가 점멸되도록 설치
(표시등은 발신기 상부에 위치)
- 15° 이상 각도, 10m 이격거리에서 쉽게 식별 가능한 적색등 설치 (P형1급/2급)

- 감지기, 발신기 등과 연동하여 전역에 유효하게 경보가 전달될 수 있도록 설치


- 설치길이 : 해당 층의 각 부분에서 수평거리 25m 이하
음향장치
- 음량기준 : 부착위치로부터 1m 떨어진 위치에서 90폰 이상 확보
(경보기)
- 명동방법 : 5층 이하, 연면적 3,000 ㎡ 미만에서는 전관 일제 명동 채택,
그 외는 피난 우선순위를 고려하여 출화층 및 직상층 우선 명동방식 고려

- 상용전원, 예비전원 : 밀폐형 축전지 내정, 1시간 감시상태를 지속하고 10분 이상 2회선
전원 화재 표시와 최대 20개 음향장치 작동 가능 용량
- 비상전원 : 소화전 연동 발신기 표시등, 응답램프 가동 (예비전원 설치시 제외)

- 수신기에서 음향장치까지 배선 : 방화상 600V 내열 비닐절연 전선 (금속관 공사, 가요


배선 전선관 공사 등에 의해 설치)
- 비상전원의 배선 : 600V 내열 비닐절연 전선, 내화구조의 주요 구조부에 매설
Fire Protection & Life Safety Plan

가. 비상경보설비

구분 비상경보설비 및 단독경보형감지기의 화재안전기준 (NFSC 201) 비고

- 연면적 400㎡ 이상 (터널, 사람이 거주하지 않거나 벽이 없는 축사 제외) 화재예방,


- 지하층 또는 무창층 : 바닥면적 150 ㎡ 이상 (공연장 100 ㎡ ) 소방시설
설치대상 - 터널 : 길이 500m 이상 설치.유지 및
- 50명 이상의 근로자가 작업하는 옥내 작업장 안전관리에
* 예외 : 가스시설, 지하구 관한 법률
시행령
15조,[별표5]
- 비상벨 : 화재발생 상황을 경종으로 경보하는 설비
비상경보 - 자동식 사이렌 : 화재발생 상황을 사이렌으로 경보하는 설비
설비
(비상벨/ - 지구음향장치 : 층마다 설치, 음향장치까지의 수평거리 25m 이하
자동식 (비상방송설비 연동시 지구음향장치 설치 예외)
사이렌) - 음향장치 : 정격전압의 80% 전압에서 음향 발산, 음량은 부착된 음향장치의 중심으로부터
1m 떨어진 위치에서 90dB 이상

나. 단독경보형 감지기

구분 비상경보설비 및 단독경보형감지기의 화재안전기준 (NFSC 201) 비고


화재예방,
- 연면적 1,000 ㎡ 미만 : 아파트 등, 기숙사 소방시설
- 연면적 2,000㎡ 미만 : 교육연구시설, 수련시설 내 합숙소, 기숙사 설치.유지 및
설치대상
- 연면적 600 ㎡ 미만 : 숙박시설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 수용인원 100명 미만 : 수련시설 (숙박시설 포함)
시행령
15조,[별표5]
- 화재발생 상황을 단독으로 감지하여 자체에 내장된 음향장치로 경보하는 감지기
- 각 실마다 설치
설치기준
- 바닥면적 150 ㎡ 초과하는 경우 150 ㎡ 마다 1개 이상 설치
- 최상층 계단실의 천장에 설치 (외기와 통하는 계단실 제외)

다. 비상방송설비

구분 비상방송설비의 화재안전기준 (NFSC 202) 비고


- 연면적 3500 ㎡ 이상
- 지하층 제외 층수 11층 이상, 지하층의 층수 3층 이상
설치대상
* 예외 : 가스시설, 동물 및 식물 관련 시설, 터널, 축사, 지하구, 소방서 등 화재예방,
소방시설
- 승강기 내부에 별도의 음향장치 설치 설치.유지 및
- 층수 5층 이상, 연면적 3,000 ㎡ 초과 : 2층 이상 층 발화시-발화층 및 직상층에 경보 발신,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1층 발화시-발화층·직상층 및 지하층에 경보 발신,
시행령
지하층 발화시-발화층·직상층 및 기타 지하층에
15조,[별표5]
경보 발신
- 음향장치 구조, 성능 : 정격전압의 80%에서 음향 발신, 자동화재탐지설비와 연동
음향장치 - 전원 : 개폐기에 "비상방송설비용" 표지
- 각층마다 설치
확성기
- 확성기까지의 수평거리 25m 이하, 음성입력 3W(실내 1W) 이상

- 조작부의 조작스위치 : 바닥으로부터 0.8m~1.5m 높이에 설치


음량조정기 - 조작부 : 기동장치의 작동과 연동하여 작동한 층 또는 구역 표시
- 증폭기 및 조작부 : 수위실 등 상시 사람이 근무하는 장소에 설치
166

라. 자동화재 탐지설비

구분 자동화재탐지설비 및 시각경보장치의 화재안전기준 (NFSC 203) 비고


- 연면적 600㎡ 이상 : 근린생활시설(목욕장 제외), 의료시설(정신의료기관, 요양병원 제외),
숙박시설, 위락시설, 장례식장 및 복합건축물
- 연면적 1,000㎡ 이상 : 공동주택, 근린생활시설 중 목욕장, 문화 및 집회시설, 종교시설,
판매시설, 운수시설, 운동시설, 업무시설, 공장, 창고시설,
위험물 저장 및 처리 시설, 항공기 및 자동차 관련 시설,
교정 및 군사시설 중 국방·군사시설, 방송통신시설, 발전시설,
관광 휴게시설, 지하가(터널 제외) 화재예방,
- 연면적 2,000㎡ 이상 : 교육연구시설(기숙사, 합숙소 포함), 소방시설
수련시설(기숙사, 합숙소 포함, 숙박시설이 있는 수련시설 제외), 설치.유지 및
설치대상 동물 및 식물 관련 시설, 분뇨 및 쓰레기 처리시설, 안전관리에
교정 및 군사시설(국방·군사시설 제외), 묘지 관련 시설 관한 법률
- 지하구 시행령
- 지하가 중 터널 : 길이 1,000m 이상
15조,[별표5]
- 노유자 생활시설
- 연면적 400㎡ 이상 노유자시설, 숙박시설이 있는 수련시설 (수용인원 100명 이상)
- 공장 및 창고시설 (규정 수량의 500배 이상의 특수가연물 저장·취급)
- 요양병원(정신병원과 의료재활시설 제외),
바닥면적의 합계 300 ㎡ 이상의 정신의료기관 또는 의료재활시설
- 바닥면적 합계 300㎡ 미만의 창살이 설치된 정신의료기관 또는 의료재활시설
- 경계구역 : 화재신호를 발신하고 그 신호를 수신하거나 제어할 수 있는 구역
- 경계구역 범위는 1개 건물, 1개층 대상 (500㎡ 이하의 범위 내에서 2개 층 가능)
- 하나의 경계구역의 면적은 600㎡ 이하, 한변의 길이는 50m 이하
(주출입구에서 내부 전체가 보일 경우 한변 길이 50m 내에서 1,000㎡ 이하 가능)
- 지하구 : 하나의 경계구역의 길이 700m 이하
경계구역 - 계단(수평거리 5m 이하), 경사로(에스컬레이터 경사로 포함), 승강기의 승강로, 린넨슈트,
파이프 피트, 덕트 등에는 별도 경계구역 설정
- 하나의 경계구역은 높이 45m 이하(계단 및 경사로),
지하층 계단 및 경사로 (1층 이하 지하층 층수 제외)는 별도로 하나의 경계구역
- 외기 개방된 차고·주차장·창고 등 : 외기로부터 5m 미만은 경계구역 면적산입 제외
- 스프링클러설비, 물분무등소화설비, 제연설비의 화재감지기를 설치한 경우의 경계구역은
해당 소화설비의 방사구역 또는 제연구역과 동일하게 설정
- 경계구역 회선수 이상의 수신기를 설치
- 4층 이상에는 발신기와 전화통화가 가능한 수신기를 설치
수신기 - 축적형 감지기 설치 : 지하층, 무창층 등 환기가 잘되지 않거나 실내면적 40㎡ 미만,
감지기의 부착면과 실내바닥과의 거리가 2.3m 이하인 장소
- 종합방재반 설치 시 감지기, 중계기, 발신기를 수신기와 연동하여 경계구역 표시
- 계단, 경사로, 에스컬레이터 경사로
- 복도 (30m 미만 제외)

- 승강기의 승강로, 린넨슈트, 파이프 피트, 덕트 등 NFSC 203

- 천장 또는 반자 (높이 15m~20m 미만)
- 취침, 숙박, 입원 등으로 사용되는 거실
위 (공동주택, 오피스텔, 숙박시설, 노유자시설, 수련시설, 합숙소,
치 입원실이 있는 의원/조산원, 교정 및 군사시설, 고시원)
* 교차회로방식 감지기 설치 장소, 적응성 감지기 설치 장소 제외
- 감지기의 부착높이에 따라 기준 바닥면적마다 1개 이상
- 벽 또는 보로부터 60cm 이상 떨어진 곳에 설치
- 복도, 통로 : 보행거리 30m마다 1개 이상 설치 (3종 20m)
연기감지기 - 계단, 경사로 : 수직거리 15m마다 1개 이상 설치 (3종 10m)
- 천장 또는 반자가 낮은 실내, 좁은 실내 : 출입구 부근에 설치
- 천장 또는 반자의 배기구 부근에 설치
설 - 벽 또는 보로부터 0.6m 이상 떨어진 곳에 설치
치 - 정온식 감지선형 감지기 : 감지기와 감지구역의 각부분과의 수평거리
- 1종 4.5m 이하, 2종 3m 이하(내화구조) /
기 1종 3m 이하, 2종 1m 이하 (기타구조)
- 불꽃감지기 : 화재를 감지할 수 있는 모서리 또는 벽 등에 설치

- 광전식 분리형 감지기 : 감지기의 수광면은 햇빛을 직접 받지 않도록 설치,
광축은 벽으로부터 0.6m 이상 이격,
감지기의 송광부와 수광부는 뒷벽 1m 이내 설치,
광축 높이는 천장 높이의 80% 이상
- 화학공장, 격납고, 제련소 등 : 광전식 분리형 감지기 또는 불꽃감지기
- 전산실, 반도체 공장 등 : 광전식 공기흡입형 감지기
Fire Protection & Life Safety Plan

마. 시각경보장치

구분 자동화재탐지설비 및 시각경보장치의 화재안전기준 (NFSC 203) 비고

화재예방,
- 근린생활시설, 문화 및 집회시설, 종교시설, 판매시설, 운수시설, 운동시설, 위락시설, 소방시설
창고시설 중 물류터미널 설치.유지 및
설치대상 - 의료시설, 노유자시설, 업무시설, 숙박시설, 발전시설, 장례식장, 도서관, 방송국 안전관리에
- 지하가 중 지하상가 관한 법률
시행령
15조,[별표5]

- 자동화재탐지설비에서 발하는 화재신호를 시각경보기에 전달하여 청각장애인에게


점멸형태의 시각경보를 알려주는 장치
- 복도, 통로, 청각장애인용 객실, 공용 거실(로비, 회의실, 강의실, 식당, 휴게실, 오락실,
시각경보장치 대기실, 체력단련실, 접객실, 안내실, 전시실 등)에 설치
(청각장애인용) - 공연장·집회장·관람장 등 : 시선이 집중되는 무대부 부분 등에 설치
- 설치높이 : 바닥으로부터 2m~2.5m 이하의 장소에 설치
(천장 높이가 2m 이하인 경우 천장으로부터 0.15m 이내에 설치)
- 시각경보장치의 광원은 전용 축전지설비로 점등

바. 자동화재속보설비

구분 자동화재속보설비의 화재안전기준 (NFSC 204) 비고


- 바닥면적 1,500 ㎡ 이상인 층이 있는 업무시설, 공장, 창고시설, 국방·군사시설, 발전시설
화재예방,
(무인경비시스템 관리 시설)
소방시설
- 바닥면적 500㎡ 이상인 층이 있는 노유자시설, 수련시설, 정신병원, 의료재활시설
설치.유지 및
설치대상 - 노유자 생활시설, 요양병원 (정신병원, 의료재활시설 제외)
안전관리에
- 보물 또는 국보로 지정된 목조건축물 관한 법률
- 층수 30층 이상 시행령
* 설치예외 : 사람이 24시간 상시 근무하고 있는 경우 15조,[별표5]

- 화재감지기에서 감지된 신호를 수신기에서 받아 5~10초 동안 오보 또는 화재감지 여부를


구분한 후 소방관서로 통보
- 전화가 설치된 경우 상용전화선로를 차단하고 119를 구동시켜 녹음세트로 발화대상물,
발화소재지 등을 3회 이상 반복하여 신고 (신고후 램프와 함께 종료)
기능 및
종류 - P형/R형 수신기로부터 발하는 화재신호를 수신하여 20초 이내,
A형
소방대상물의 위치를 3회 이상 소방관서에 자동 통보
화재속보기
- 지구등이 없는 구조 (구형)
B형 - P형 수신기, R형 수신기와 A형 화재속보기의 기능을 복합
화재속보기 - 지구등이 있는 구조 (신형)

사. 누전경보기/가스누설경보기

구분 누전경보기의 화재안전기준 (NFSC 205) 비고


누전경보기
화재예방,
- 계약전류용량이 100A를 초과하는 특정소방대상물(내화구조가 아닌 건축물 해당)
* 예외 : 위험물 저장 및 처리 시설 중 가스시설, 지하가 중 터널, 지하구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설치대상
안전관리에
가스누설경보기 관한 법률
- 판매시설, 운수시설, 노유자시설, 숙박시설, 창고시설 중 물류터미널 시행령
15조,[별표5]
- 문화 및 집회시설, 종교시설, 의료시설, 수련시설, 운동시설, 장례식장
168

아. 통합감시시설

구분 연소방지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6) 비고

화재예방,
소방시설
- 지하구 설치.유지 및
설치대상
* 통합감시시설은 경보설비이나, 설치기준은 통신설비 등 연소방지설비에서 취급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15조,[별표5]

- 소방관서와 지하구 통제실간 화재관련 정보를 상시 교환할 수 있는 정보통신망 구축


NFSC 506
설치기준 - 정보통신망 : 광케이블 등 선로 (원격제어 가능)
9조
- 수신기 : 주수신기-지하구 통제실, 보조수신기-관할 소방관서 설치
Fire Protection & Life Safety Plan

4.2.8. 피난설비
 화재가 발생할 경우 피난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기구 또는 설비
 피난설비의 종류 : 피난기구(피난사다리/구조대/완강기), 인명구조기구(방열복/공기호흡기/인공소생기),
유도등(피난유도선/피난구유도등/통로유도등/객석유도등/유도표지 등),
비상조명등/휴대용비상조명등

가. 피난기구
 계단 등에 의한 피난이 불가능한 사람의 파난을 위해 사용되는 기구로 최후의 탈출수단
 설치위치 : 옥외 발코니 또는 옥외에 면한 창 등의 개구부에 부착

구분 피난기구의 화재안전기준 (NFSC 301)

- 화재시 긴급대피를 위해 사용하는 사다리


- 지하층, 3층, 4층~10층 이하에 설치
피난사다리 - 4층 이상의 층에 피난사다리 (하향식 피난구용 내림식사다리 제외)
설치 시 금속성 고정사다리를 설치 (고정사다리에는 쉽게 피난할 수
있는 구조의 노대 설치)

- 하향식 피난구 해치에 격납하여 보관하고 사용 시에는 사다리 등이


하향식 피난구용 소방대상물과 접촉되지 않는 내림식 사다리
내림식사다리 - 아파트의 4층 이상에 대피공간 대용으로 설치
- “4.5.4 피난기구” 참고

- 포지 등을 사용하여 자루형태로 만든 것으로 화재시 사용자가 내부에


들어가서 내려옴으로써 대피할 수 있는 것
구조대 - 3층, 4층~10층 이하에 설치
- 미끄럼대는 안전한 강하속도 유지
- 구조대 길이 : 피난상 지장 없고 안정한 강하속도를 유지할 수 있는 길이

- 사용자의 몸무게에 따라 자동적으로 내려올 수 있는 기구중 사용자가


교대하여 연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
- 3층, 4층~10층 이하에 설치
완강기
- 강하 시 로프가 소방대상물과 접촉하여 손상되지 않도록 조치
- 완강기 로프의 길이 : 부착위치에서 지면 기타 피난상 유효한
착지 면까지의 길이

- 사용자의 몸무게에 따라 자동적으로 내려올 수 있는 기구 중 사용자가


간이 완강기 교대하여 연속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것
- 3층, 4층~10층 이하에 설치

- 사용자의 몸무게에 의하여 자동으로 하강하고 내려서면 스스로


승강식 피난기 상승하여 연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무동력 승강식 피난기
- 3층, 4층~10층 이하에 설치

- 화재 발생시 사람이 건축물 내에서 외부로 긴급히 뛰어 내릴 때 충격을


흡수하여 안전하게 지상에 도달할 수 있도록 포지에 공기 등을
공기안전매트
주입하는 구조로 되어 있는 것
- 3층, 4층~10층 이하에 설치
170

나. 피난기구 설치기준

구분 피난기구의 화재안전기준 (NFSC 301) 비고

숙박시설, 노유자시설,
- 바닥면적 500 ㎡ 별 1개 이상 설치
의료시설

위락시설, 문화집회 및
- 층마다 바닥면적 800 ㎡ 별 1개 이상 설치
운동시설, 판매시설

계단실형 아파트 - 각 세대마다 1개 이상 설치


피난기구
설치규정

그밖의 용도의 층 - 층마다 바닥면적 1,000 ㎡ 별 1개 이상 설치

숙박시설
- 추가로 객실마다 완강기 또는 2 이상의 간이 완강기 설치
(휴양콘도미니엄 제외)

- 아파트 구역마다 공기안전매트 1개이상 추가 설치


아파트 (옥상 피난, 인접세대 피난 가능 구조는 예외)

- 계단, 피난구 등으로부터 적당한 거리에 있는 안전한 구조로 개구부에 고정하여


설치하거나 필요시 신속히 설치할 수 있는 상태
- 개구부 : 피난 또는 소화활동상 유효한 크기로 설치(가로 0.5m 이상 세로 1m 이상),
개구부 하단이 바닥에서 1.2m 이상이면 발판 등 설치,
NFSC 301
설치기준 밀폐된 창문은 쉽게 파괴할 수 있는 파괴장치 비치
- 피난기구 설치 개구부는 서로 동일직선상이 아닌 위치에 설치 (피난교, 피난용트랩, 4조
간이완강기, 아파트 피난기구 등 제외)
- 피난기구는 기둥, 바닥, 보 등 구조상 견고한 부분에 볼트조임, 매입, 용접 등으로 견고하게
부착

- 피난에 용이하고 안전하게 하강할 수 있는 장소에 적재 하중을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구조안전의 확인을 받아 견고하게 설치
- 다수인피난장비 보관실은 건물 외측보다 돌출되지 않고, 빗물·먼지 등으로부터 장비를
다수인 보호할 수 있는 구조
피난장비 - 사용 시 보관실 외측 문이 먼저 열리고 탑승기가 외측으로 자동으로 전개
구조 및 - 하강 시 탑승기가 건물 외벽이나 돌출물에 충돌하지 않도록 설치
설치기준 - 상·하층에 설치할 경우 탑승기의 하강경로가 중첩되지 않도록 설치
- 하강 시 안전하고 일정한 속도를 유지 (전복, 흔들림, 경로이탈 방지를 위한 안전조치)
- 보관실의 문에는 오작동 방지조치, 문 개방 시 경보설비와 연동하여 경보음 발동
- 피난층에 피난기구가 착지에 지장이 없도록 충분한 공간을 확보
Fire Protection & Life Safety Plan

다. 피난기구 설치장소 및 제외 대상

구분 피난기구의 화재안전기준 (NFSC 301) 비고


- 의료시설(장례식장 제외), 노유자시설, 근린생활시설(입원실이
피난용트랩
있는 의원, 산후조리원, 접골원, 조산소)

- 근린생활시설
(입원실이 있는 의원, 산후조리원, 접골원, 조산소 제외)
지하층
- 위락시설, 문화집회 및 운동시설, 판매 및 영업시설, 숙박시설,
피난용트랩
공동주택, 1업무시설, 통신촬영시설, 교육연구시설
피난사다리
- 공장, 운수자동차관련시설 (차고, 세차장, 폐차장, 주차장 제외)
- 관광휴게시설(야외음악당, 야외극장 제외)
- 의료시설중 장례식장

3층 미끄럼대
3층 구조대, 피난교, NFSC 301
설치장소 - 의료시설(장례식장 제외), 노유자시설, 근린생활시설중
4층~ 피난용트랩, 입원실이 있는 의원, 산후조리원, 접골원, 조산소 별표1
10층 다수인피난장비,
이하 승강식피난기

- 근린생활시설
(입원실이 있는 의원, 산후조리원, 접골원, 조산소 제외)
3층, 피난사다리,
- 위락시설, 문화집회 및 운동시설, 판매 및 영업시설, 숙박시설,
4층~ 완강기,
공동주택, 업무시설, 통신촬영시설, 교육연구시설
10층 간이완강기,
공기안전매 - 공장, 운수자동차관련시설 (차고, 세차장, 폐차장, 주차장 제외)
이하
트 - 관광휴게시설(야외음악당, 야외극장 제외)
- 의료시설중 장례식장
* 영업장의 위치가 4층 이하인 다중이용업소의 2층, 3층, 4층~10층 이하
: 미끄럼대, 피난사다리, 구조대, 완강기
- 주요구조부가 내화구조
- 실내마감이 불연/준불연/난연재료
일반층 - 방화구획
- 거실의 각 부분으로부터 직접 복도로 쉽게 통행
- 복도에 2 이상의 특별피난계단 또는 피난계단 설치
- 복도의 어느 부분에서도 2 이상의 방향으로 각각 다른 계단에 도달
- 내화구조
- 옥상의 면적 1,500㎡ 이상
옥상 직하층 - 옥상으로 쉽게 통할 수 있는 창 또는 출입구 설치
최상층 - 소방사다리차가 통행 가능한 도로(폭 6m 이상), 공지에 접하는 옥상
- 옥상으로부터 피난층, 지상으로 통하는 2 이상의 피난/특별피난계단 설치
* 관람집회 및 운동시설, 판매시설 제외

- 주요구조부가 내화구조 NFSC 301


설치제외
개구부 - 지하층 제외 층수가 4층 이하 5조
2 이상 - 소방사다리차가 통행 가능한 도로, 공지에 면해 있는 개구부
설치층 * 문화집회 및 운동시설, 판매시설 및 영업시설, 노유자시설의 용도로 사용되는
층으로 바닥면적이 1,000㎡ 이상 제외

- 편복도형 아파트
아파트
- 발코니 등을 통해 인접세대로 피난할 수 있는 계단실형 아파트
- 주요구조부가 내화구조
학교
- 거실 각 부분에서 직접 복도로 피난할 수 있는 학교 (강의실로 사용되는 층)
무인공장
- 사람의 출입이 금지된 장소
자동창고
건축물의 - 거실에 해당하지 않고 층수로 산정된 층
옥상부분 - 사람이 근무, 거주하지 않는 장소
* 숙박시설(휴양콘도미니엄 제외)에 설치되는 완강기, 간이완강기는 제외대상 미해당
172

라. 유도등/유도표지
 유도등 : 화재 시에 피난을 유도하기 위한 등 (정전시 비상전원으로 자동전환)
 유도표지 : 피난구, 출입구 또는 피난구의 방향을 표시하여 피난을 유도하는 표지
 사람들의 눈에 띄기 쉬운 위치와 크기, 화재시 연기 발생을 고려한 밝기를 고려

구분 유도등 및 유도표지의 화재안전기준 (NFSC 303) 비고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 특정소방대상 전체 (터널, 지하구, 축사 제외)
설치대상 안전관리에 관한
- 객석유도등 : 유흥주점, 문화 및 집회시설, 종교시설, 운동시설 법률 시행령
15조,[별표5]

- 피난구 또는 피난경로로 사용되는 출입구를 표시하여 피난을 유도하는 등


- 피난구 상부에 설치된 녹색 등
- 대형, 중형, 소형
피난구 유도등
- 출입구에 설치 (지상으로 통하는 출입구, 부속실, 직통계단/계단실/부속실,
안전구획된 거실 출입구, 출입구에 이르는 복도, 통로 출입구 등)
- 피난구의 바닥으로부터 높이 1.5m 이상 위치로 출입구에 인접하도록 설치

통로 유도등 - 피난통로 안내를 위해 복도, 통로에 설치되어 피난방향을 명시하는 등 NFSC 303

- 복도, 구부러진 모퉁이 및 보행거리 20m마다 설치


복도 - 바닥으로부터 높이 1m 이하의 위치에 설치
통로
- 복도·통로 중앙부분 바닥에 설치
유도등
- 설치대상 : 시장, 터미널, 지하역사, 지하상가의 지하층, 무창층

- 거실의 통로에 설치 (거실 통로가 벽체로 구획시 복도통로유도등 설치)


종류 거실 - 구부러진 모퉁이 및 보행거리 20m마다 설치
통로
유도등 - 바닥으로부터 높이 1.5m 이상의 위치에 설치
- 거실통로 기둥에 설치시 바닥으로부터 기둥 높이 1.5m 이하 위치에 설치

계단 - 각층의 경사로 참 또는 계단참마다 설치


통로
유도등 - 바닥으로부터 높이 1m 이하의 위치에 설치

객석 유도등 - 극장, 영화관의 객석 통로, 바닥, 벽에 설치하여 객석의 피난을 유도

- 각층 복도, 통로의 보행거리 15m 이하 부분, 구부러진 모퉁이벽에 설치


(계단 제외)
유도표지
- 피난구 유도표지는 출입구 상단에 설치
- 통로 유도표지는 바닥으로부터 높이 1m 이하의 위치에 설치

- 구획된 각 실로부터 주출입구 또는 비상구까지 설치


피난유도선 - 바닥으로부터 높이 50㎝ 이하의 위치 또는 바닥 면에 설치
- 피난유도 표시부는 50 ㎝ 이내의 간격으로 연속되도록 설치
Fire Protection & Life Safety Plan

마. 비상조명등
 화재 발생시 상용전원이 차단될 경우 원활한 피난을 위해 최저 조도를 확보하기 위해 설치

구분 비상조명등의 화재안전기준(NFSC 304)

구성요소 - 비상조명등, 휴대용비상조명등

설치대상
- 지하층 포함 층수가 5층 이상, 연면적 3,000㎡ 이상 건축물
- 바닥면적 450 ㎡ 이상의 지하층 또는 무창층
- 지하가 중 터널 (500m 이상)

설치기준
비상
조명등 - 각 거실, 지상으로 연결되는 복도, 계단, 통로
- 조도 : 설치된 장소의 각 부분의 바닥에서 1㏓ 이상
- 실내의 비상전원 설치장소에 비상조명등 설치
- 비상전원은 비상조명등을 20분 이상 작동 용량
(11층 이상층, 지하층, 무창층은 60분 용량)
* 설치 예외 : 유도등의 조도가 바닥에서 1 ㏓ 이상,
거실과 출입구 보행거리 15m 이내,
의원/경기장/공동주택/의료시설/학교의 거실

설치대상
- 숙박시설
- 수용인원 100명 이상의 영화상영관, 대규모점포, 지하역사, 지하상가

휴대용 설치기준
비상 - 구획된 실별로 잘 보이는 곳에 1개 이상 설치 (숙박시설, 디중이용업소)
조명등
- 외부로 출입하는 출입구 손잡이의 1m 이내에 설치
- 보행거리 50m 이내마다 3개 이상 설치 (대규모점포, 영화상영관)
- 보행거리 25m 이내마다 3개 이상 설치 (지하상가, 지하역사)
- 설치높이 : 바닥으로부터 0.8m 이상 1.5m 이하의 높이
* 설치 예외 : 지상1층, 피난층 : 복도, 통로, 창문 등으로 피난 용이

비상조명등
- 비상조명등은 일반전기에서 조명에 대한 설계를 진행하면서 일반조명의 일부를 화재시 비상조명으로
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성을 한다.

- 업무범위는 도면 작성은 일반조명에서 검토확인은 소방에서 확인한다.


174

4.2.9. 소방용수 설비

구분 상수도소화용수설비, 소화수조 및 저수조의 화재안전기준 비고

- 호칭지름 75 ㎜ 이상의 수도배관에 호칭지름 100 ㎜ 이상의 소화전 접속


상수도 - 소화전은 소방자동차 등의 진입이 쉬운 도로변 또는 공지에 설치 NFSC 401
- 소화전은 건축물의 수평투영면 각 부분으로부터 140m 이하로 설치

- 소화수조/저수조의 채수구 또는 흡수관투입구 : 소방차가 2m 이내의 지점까지 NFSC 402


접근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
- 소화수조/저수조의 저수량 : (연면적÷기준면적) × 20 ㎥ 이상
소화수조 - 흡수관투입구 (지하 소화용수설비) : 한변 0.6m 또는 직경 0.6m 이상
저수조 - 채수구 : 소방용호스 등에 사용하는 구경 65 ㎜ 이상의 나사식 결합금속구 설치,
지면 높이 0.5m ~ 1m 이하의 위치에 설치
- 유수량 0.8 ㎥ /min 이상인 경우 소화수조 설치 예외
- 가압송수장치 : 지표면으로부터 깊이 4.5m 이상 지하에 있는 저수조에 설치
Fire Protection & Life Safety Plan

4.2.10. 소화활동설비
 소방 활동중 화재를 진압하거나 인명구조활동을 위하여 사용하는 설비
 종류 : 제연설비, 연결 송수관 설비, 연결 살수설비, 비상 콘센트 설비, 무선 통신 보조설비 등

가. 제연설비
 소화활동이 곤란한 건축물에 대해 피난안전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지하 구조물과
무창층의 화재 시 소방대가 화재층에 쉽게 도달할 수 있도록 배기하는 설비

종류 제연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1


모든 시설
- 특별피난계단, 비상용 승강기의 승강장
(갓복도 아파트 제외)
- 무대부 바닥면적 200㎡ 이상
문화집회시설, 종교시설, 운동시설
- 영화상영관 : 수용인원 100인 이상
근생시설, 판매시설, 운수시설, 소방설치법
제연설비 - 지하층 또는 무창층으로서 해당 용도로 사용되는
숙박시설, 위락시설, 의료시설, 시행령 별표2,
설치대상 바닥면적의 합계가 1,000㎡ 이상인 층
노유자시설 별표5
- 물류터미널 : 해당용도 바닥면적 1,000㎡ 이상
시외버스정류장, 도시철도시설, - 대합실 또는 휴게시설
공항, 항만시설 - 지하층 또는 무창층 바닥면적 1,000㎡ 이상
- 터널 (예상 교통량, 경사도 등 특성 고려)
지하가
- 터널 제외 : 연면적 1,000㎡ 이상
- 공기조화설비가 화재시 제연설비 기능으로 자동전환되는 구조로
공기조화설비 설치
설치
- 직접 외부 공기와 통하는 배출구의 면적합계가 해당 제연구역
설치면제 배출구와 유입구 (천장 포함) 바닥면적의 1/100 이상, 배출구부터 각 부분까지의 소방설치법
기준 설치 수평거리 30m 이내 시행령 별표6
- 공기유입구 설치 (자연 유입시 배출구 크기 이상)
- 설치대상중 노대와 연결된 특별피난계단
노대 설치
- 설치대상중 노대가 설치된 비상용 승강기의 승강장
배출구, 공기유입구의 설치 및 배출량 산정 제외 대상
제연설비
- 화장실, 목욕실, 주차장 NFSC 501
설치제외
대상 - 발코니를 설치한 숙박시설(가족호텔 및 휴양 콘도미니엄)의 객실 13조
- 사람이 상주하지 않는 기계실, 전기실, 공조실, 50㎡ 미만의 창고 등
- 제연구역 : 제연경계에 의해 구획된 실내공간 (제연설비 일부인 천장 포함)
- 예상제연구역 : 화재발생시 연기의 제어가 요구되는 제연구역
- 공동 예상 제연구역 : 벽이나 제연경계로 구획된 2개 이상의 예상 제연구역
제연구역 - 하나의 제연구역은 면적은 1,000 ㎡ 이내로 구분, 직경 60m 원내 계획, 2개 이상 층에
미치지 않도록 계획
- 거실과 통로(복도 포함)는 상호 제연구획
- 통로의 제연구역은 보행중심선의 길이가 60m를 초과하지 않도록 계획
- 제조공기 유입방식에서 송풍기에 의한 기계적인 방식에 의해
유입풍도
예상제연구역으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급기풍도
풍도
- 화재발생시 예상제연구역에서 발생된 연기를 배출기의 기계적인 방식에
배출풍도
의해 연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풍도 NFSC 501
- 재질 : 내화재료, 불연재료, 제연경계벽 성능으로 인정받은 재료 등
제연경계벽 - 제연경계 : 폭 0.6m 이상, 수직거리 2m 이내 (구조상 2m 초과 가능) "4.4.2" 참고
- 가동식 : 회전형, 하강형, 셔터기동형
- 화재 발생시 연기를 제연하기 위해 천장, 벽 위에 설치하는 연기의 흡입구
- 일반적으로 항시 폐쇄되어 있는 상태
배출구
- 화재 발생시 수동, 연기감지기의 연동, 원격 조작 등에 의해 댐퍼 개방과 동시에
배출기가 작동하여 연기가 제어되는 구조
- 예상제연구역에 대한 공기유입을 위한 송풍구
유입구
- 강제/자연유입 방식으로 유입풍도를 경유하여 해당구역으로 유입
- 환기, 냉난방 덕트가 방화구획 관통시 방화구획 성능 보호를 위해 설치
배출기 - 관통부분 또는 근접 부위에 설치
(방화댐퍼) - 화재시 발생 연기 및 온도 상승에 대해 작동하며 자동 폐쇄
- 종류 : FD, FVD, 온도퓨즈형
176

1) 제연구역
 제연구역은 제연경계에 의해 구획된 건물 내의 공간(제연설비의 일부인 천장 포함)이며,
제연설비 설치 대상 건축물은 제연구역 구획방법에 의해 구획해야 한다.

 구획된 제연구역을 예상제연구역으로 설정하여 제연방식을 선정한 후 적합한 제연설비를 계획한다.

구분 제연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1 비고

- 하나의 제연구역의 면적은 1,000㎡ 이내로 구분


- 거실과 통로(복도를 포함)는 상호 제연구획
- 통로 상의 제연구역은 보행중심선의 길이가 60m를 초과하지 않도록 계획
- 하나의 제연구역은 직경 60m의 원내에 들어갈 수 있도록 계획

제연설비
제연구역 화재안전기준
구획방법 (NFSC 501)
4조 1항
- 하나의 제연구역은 2개 이상 층에 미치지 않도록 할 것
(층 구분이 불분명한 부분은 그 부분을 다른 부분과 별도로 제연구획)

배연설비 제연설비
- 화재 발생으로 실내에서 생성된 유독가스를 - 화재시 유독가스의 유입을 차단하고, 유입된 매연을
건축물 밖으로 배출 희석시켜 실내공기를 청정하게 하고 안전 피난 도모

- 건축설비 (건축법에서 규정) - 소화활동설비 (소방시설법에서 규정)


Fire Protection & Life Safety Plan

2) 제연경계(벽)

종류 제연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1 비고


- 재질 : 내화재료, 불연재료, 제연경계벽 성능 인정받은 재료 사용 (화재시 변형, 파괴되지
않고 연기가 누설되지 않는 기밀성 있는 재료)
구조기준
- 강화유리 사용 권장 (유리는 불연재로 분류, 일반/강화유리 모두 법정 인정)
- 배연 시 기류의 유동에 따라 그 하단이 쉽게 흔들리지 않고 고정되는 구조
- 바닥으로부터 제연경계 수직하단까지의 거리
- 재실자가 피난하거나 소방대가 소화활동을 할 수 있는 공간 확보
- 제연경계 폭 : 0.6m 이상
- 높이 2m 이내로 계획 (구조상 2m 초과 가능하나, 배기량 및 급기량 증감에 대한 설비
계산 필요)
- 수직거리가 2m 이상 증가할수록 피난자와 연기가 멀어지게 되므로 안전 확보 NFSC 501
4조 2항
제연경계
수직거리

고정식
- 종류 : 보, 경계벽, 칸막이벽(화재시 자동 구획되는 가동벽, 셔터, 방화문 포함)
- 재료 : 일반유리판, 망입유리판(방연스크린), 강화유리판, 방화유리판

제연
경계벽
종류 가동식
- 종류 : 회전형, 하강형, 셔터 기동형
- 감지기와 연동되어 가동
- 급속히 하강하여 인명에 위해를 주지 않는 구조로 설치

회전형 하강형 셔터형


178

3) 제연방식 및 배출방식

구분 제연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1)


- 화재발생시 연기의 제어가 요구되는 제연구역
- 예상제연구역 제외 : 주요구조부가 내화구조, 마감이 불연/난연재료로 처리,
예상제연
구역 가연성 내용물이 없는 경우 연기발생의 우려가 없다고 인정하여 제외
(스프링클러헤드 설치 사유만으로는 제외 불가)
- 예상제연구역 포함 : 내화구조, 불연/난연재료 처리된 실에도 화재발생시 인접거실에서 발생되는
연기의 유입이 우려되는 경우 설정
- 예상제연구역 : 화재시 연기배출과 공기유입이 동시에 가능하도록 계획
- 통로가 있는 거실 : 거실에서 배출하고 통로에서 급기하여 급기가 거실로 유입되는 방식
(통로는 예상제연구역에서 제외)
- 거실제연 : 거실과 통로에 공기가 동시 유입되어서 피난경로를 확보하도록 계획
- 거실 제연방식 : 인접구역 유입방식 (거실에서 배출하는 동시에 통로에 급기),
거실의 출입문 하단에 그릴을 설치하여 거실로 급기 유입 유도
제연방식 - 공동제연 : 벽이나 제연경계로 구분된 2개 이상의 제연구역에 대해 하나의 구역에서 화재 발생시에도
2개 이상의 제연구역에 동시 급배기를 실시하여 제연하는 방식
- 공동 예상 제연구역 : 벽이나 제연경계로 구획된 2개 이상의 예상 제연구역
- 급기방법 : 강제유입방식 (화재실에 직접 급기), 인접구역 유입방식 (인접구역 급기-화재구역 유입)
* 통로가 화재실로 계획 : 통로를 예상제연구역으로 적용하여 급배기 조치
* 극장 등 방음이 요구되는 거실은 동일실 제연방식 사용하나 제연방식을 신중히 검토
(급기량 풍량 계산, 차압으로 인한 출입구 개방 장애 등 우려)

- 하나의 예상제연구역에 단독제연 적용시 소규모/대규모 거실로 각각 배출량 산정


- 소규모 거실 배출량 : 바닥면적 400㎡ 미만, 바닥면적별로 배출량 산정
배출량 - 대규모 거실 배출량 : 바닥면적 400㎡ 이상, 제연경계 수직거리별로 배출량 산정
- 바닥면적별 산정기준 : 바닥면적 1㎡ 마다 1㎥ /min 이상으로 배출량 산정
- 수직거리별 산정기준 : 청정층 높이(한계높이, 최소 2m)가 유지되는 배출량 산정

배출방식
- 하나의 예상 제연구역만 단독으로 제연하는 방식
단독제연
- 화재가 발생한 제연구역(거실이나 통로)에서만 제연

- 2개 이상의 예상 제연구역을 동시에 제연하는 방식


공동제연 - 화재발생하지 않은 구역도 공동 제연구역인 경우
모두 동시에 제연

- - 50 ㎡ 미만의 실 : 규모가 작아 피난구 식별이 용이하며, 피난 소요 시간이 매우 적어 거실에서 발생

통로 - 하는 연기를 통로에서 배출하는 경우에도 제연설비를 인정


배출방식 - 통로에 면한 각 거실의 구획은 제연경계가 아닌 칸막이 등으로 구획 가능 (벽체, 출입문 구조, 제연
경계 모두 가능)
- 경유거실 : 통로로 피난하기 위해 경유해야 하는 내부 구획 거실 (별도 배기 필요)

제연설비가 설치된 장소에 가스계 소화설비의 적용방법


- 무창층 전산실 등에 가스계 소화설비와 함께 배연창 등 제연설비를 설치할 경우, 감지기 작동에 의하여
제연설비(또는 배연창)가 먼저 작동 후 가스계 소화설비가 작동하게 되는데, 급배기설비 작동으로 연기 농도가
희석되어 가스계 소화설비의 소화기능이 약화되거나 다른 실로 가스의 확산 우려

➔ 배연창 위치 선정시 가스계 소화설비가 설치된 장소를 제외

➔ 가스계 소화설비의 감지기가 동작하거나 가스 방사시 급배기 그릴이 자동 폐쇄되도록 조치


Fire Protection & Life Safety Plan

4) 제연/방화댐퍼
 제연댐퍼 : 화재시 실내 연기를 배출하기 위해 방화구획별로 설치된 공기제어 장치

 방화댐퍼 : 환기, 냉난방 덕트의 방화구획 관통시 방화구획 성능 보호를 위해 설치


화재로 인한 연기 또는 불꽃을 감직하여 저동적으로 닫히는 방화댐퍼
 관통부위와 동등한 방화성능을 유지하고 수동-자동폐쇄 기능을 보유하며 화재온도에 대해 작동
 미국 기준에 비해 국내 기준은 내화성능 및 작동온도에 대해 상세한 기준이 없으므로
방화댐퍼 선정 시 미국의 성능기준을 참고 (IBS 716.3, NFPA 90A 5.4.5.2 등)

구분 제연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1) 및 미국의 성능기준


- 댐퍼는 UL 555S(댐퍼누설등급) 요구사항을 만족시킬 것
- 공조설비 방화댐퍼 작동온도 : 공조시스템이 사용,
정지되는 시점의 온도보다 28℃를 초과하는 온도
(72℃ 이상)
- 제연설비 내 방화댐퍼의 작동온도 : 280℃ 이하
요구 내화성능
- 방연댐퍼는 누설등급 Class II 이상
관통부위 내화성능 댐퍼 최소 내화시간
3시간 미만 내화성능 구조체 1.5 시간

3시간 이상 내화성능 구조체 3시간

구분 소방용 방화댐퍼 일반용 방화댐퍼


- 환기.난방 또는 냉방시설의 풍도가 방화구획을 관통하는 경우에는
그 관통부분 또는 이에 근접한 부분에 연기 또는 불꽃을 감지하여
자동적으로 닫히는 구조의 방화댐퍼를 설치할 것.
(반도체공장 건축물의 방화구획을 관통하는 풍도 주위에 스프링클러헤드 설치시 예외)
- 제연방화댐퍼 : 온도퓨즈형 댐퍼를 설치할 것.
- 국토부 고시(건축자재등 품질인정 및 관리기준) 비차열(非遮熱) 성능 및 방연성능 등의 기준 충족

설치기준

- 모터방화댐퍼(MFD : Motor Fire Damper) : 댐퍼의 개폐가 모터의 작동에 의해


이루어지는 방화댐퍼를 말한다.

모터구동형

종류

- 방화댐퍼(FD : Fire Damper)는 방화구획을 관통하는 덕트의 방화구획 선상 또는 인접


온도퓨즈형 위치에 설치되어 화재시 온도가 상승하면 퓨즈가 끊어져 스프링 또는 중력에 의해
자동으로 폐쇄되어 화염 및 연기를 차단하는 방화댐퍼를 말한다.

설치 위치 방화구획 환기·냉난방 관통부위

사용 온도 280℃ 72℃
180

5) 배출구
 화재 발생시 연기를 제연하기 위해 천장, 벽 위에 설치하는 연기의 흡입구
 일반적으로 항시 폐쇄되어 있는 상태이고, 화재 발생시 수동 또는 연기감지기와 연동, 원격 조작 등에
의해 댐퍼 개방과 동시에 배출기가 작동하여 연기가 제어되는 구조

구분 제연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1)

- 배출기는 1대가 여러개의 제연구획을 담당하고 있으므로 동시에 여러 제연구역의 배출구가 개방하고
있으면 유효한 제연이 불가능하므로, 항상 댐퍼를 폐쇄해두고 화재가 발생한 부분의 댐퍼만 개방
- 배출구는 형상에 따라 점형 배출구, 선형 배출구, 슬릿드형 분류
- 점형 배출구 : 일반적으로 둥근형 또는 사각형의 배출구
- 선형배출구 : 복도 등 폭 전체의 길이에 설치하는 좁고 긴 형상 (점형 배출구에 비해 연기의 유동저지 용이)
배출구
종류

- 배출구의 크기는 화재하중, 연소속도, 온도를 가정하여 연기의 양을 환기이론에 의해서 계산


배출구 크기 - 실제 화재는 주위의 조건에 따라서 변화가 많아 계산으로 산출하기 어려우므로 법령에서 규정한
기준값을 적용하여 배출구의 크기 산정
- 배출구는 해당 제연구획의 모든 부분으로부터 10m 이내
- 천장, 반자 또는 이에 가까운 벽의 부분 벽에 설치한 경우에는 배출구의 하단과 바닥 간의 최단거리가
2m 이상에 있는 부분에 설치
배출구
- 배출구는 가능한 높은 위치에 설치
설치시
주의사항 - 외부 유출 방지를 위해 개구부의 상단에 수직벽 등의 바로 앞에 설치
- 배출구의 크기에 대한 구체적인 기준은 없지만 유효 개구부의 흡입풍속 15 ㎧ 이하로 적용
(흡입풍속을 빠르게 할 경우 공기흡입 비율이 높아짐)
- 배출구까지의 수평거리 : 예상제연구역의 각 부분으로부터 배출구까지의 수평거리 10m 이내

- 벽으로 구획 : 천장, 반자와 바닥 사이의 중간


400㎡ 윗부분에 설치
미만 - 제연경계로 구획 : 천장, 반자, 가까운 벽에 설치
거실 * 배출구를 벽에 설치하는 경우 배출구의 하단이 제연
경계의 폭이 가장 짧은 제연경계의 하단보다 높게 설치
예상
제연구역의 - 벽으로 구획 : 천장, 반자, 가까운 벽에 설치
배출구 위치 * 배출구를 벽에 설치한 경우 배출구의 하단과 바닥간의
최단거리 2m 이상
400㎡
- 제연경계로 구획 : 천장, 반자, 가까운 벽(제연경계
이상
포함)에 설치
거실
* 배출구를 벽 또는 제연경계에 설치할 경우 배출구의
하단이 제연경계의 폭이 가장 짧은 제연경계의 하단
보다 높게 설치
- 제연풍도가 층별 또는 면적별 방화구획을 통과
: 일반적으로 풍도 내에 방화댐퍼를 설치
풍도가
➔ 화재 시 방화댐퍼가 동작할 경우 풍도가 폐쇄되어
방화구획
통과시 제연설비 기능 수행 불가
고려사항 (제연풍도가 방화구획을 통과하지 않도록 풍도 경로를
신중히 고려)
- 배출구로부터 반경 10m를 기준으로 예상제연구역 포함 여부 검토
➔ 미포함시 배출구를 추가 증설하거나 배출구의 위치 조정
Fire Protection & Life Safety Plan

6) 유입구

구분 제연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1)


- 유입풍도를 경유한 강제/자연유입, 인접 제연구역 또는 통로의 유입공기가 해당구역으로 유입 등
예상제연
- 공기유입 순간 풍속 : 5㎧ 이하
구역
공기 유입구 - 유입구 구조 : 유입공기를 하향 60° 이내로 분출할 수 있는 구조
기준 - 공기유입구 크기 : 해당 예상제연구역 배출량 1㎥ /min당 35㎠ 이상
- 공기유입량 : 배출량 이상
강제 - 거실에서 배출하는 양 이상을 급기송풍기에 의해 급기하는 방식
유입방식 - 영화관 등 방음을 필요로 하는 구획실이나 소규모 화재실에서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
자연 - 창문 등 개구부를 이용하여 해당 제연구역에 급기하는 방식
유입방식 - 현실적으로 적용이 곤란하지만 배연창 구조를 이용한 설계에 가끔 적용
인접구역
- 인접한 제연구역에서 거실에 배출하는 양 이상을 급기송풍기에 의해 급기하는 방식
유입방식

- 판매시설 및 영업시설 위락시설 등과 같이 내부에


공기유입 거실
급기방식 복도가 없이 개방된 넓은 공간에 적용하는 방식
급배기
- 화재구역에서 배출하고 인접구역에서 급기하여
방식
제연경계 하단부에서 급기가 유입

- 지하상가와 같이 통로에 면하는 각실이 구획되어 있는


거실
경우 거실에서 배출을 하고 통로에서 급기하는 방식
배출·통로
- 거실은 화재실로 연기를 직접 배출
급기
- 통로 부분에서 급기
방식
(각 실의 복도측 외벽 하부에 그릴을 설치하여
화재실로 급기 유입)
- 동일실 급배기 방식, 제연구역을 칸막이 등의 벽으로 구획
400㎡
- 유입구 위치 : 바닥 외의 장소에 설치(배출구와 동일한 레벨의 반자, 벽)
미만 거실
- 유입구와 배출구 거리 : 5m 이상 이격(연기와 유입공기 혼합 방지)
(벽 구획)
- 공연장·집회장·위락시설 : 바닥면적 200㎡ 초과시 별도 기준
단독예상
- 제연구역을 칸막이 등의 벽으로 구획(통로 구획은 제연경계로 설치 가능)
제연구역 400㎡
공기 - 유입구 위치 : 화재시 연기층과 청정층의 형성을 위해 반자에 급기구 설치 불가,
이상 거실
유입구 바닥으로부터 1.5m 이하 위치에 설치
(벽 구획)
- 유입구 2m 이내에 가연물 방지(유입기류로 인해 화재실 내에서 가연물 부유 우려)
- 벽으로 구획 : 급기구를 벽에 설치(바닥에서 1.5m 이하 위치)
제연경계
- 제연경계로 구획, 통로 : 연기가 해당층 전체로 확산하므로 청정층 형성과 하부 급기를 위해
구획/통로
반자 높이의 중간 이하 위치에 설치
- 급기구를 반자에 설치할 수 없으며 바닥으로부터 1.5m 이하 위치에 설치
공동예상 벽으로 구획
제연구역 - 유입구의 주변 2m 이내 가연물 제거
공기 제연경계 - 급기구를 벽에 설치 : 바닥에서 1.5m 이하 위치에 설치
유입구
구획 - 급기구를 벽 이외의 곳에 설치 : 실 높이의 중간 이하 위치에 설치

인접한 - 인접 제연구역, 통로의 유입구가 제연경계 하단보다


제연구역
상위 : 각 유입구, 댐퍼 자동 폐쇄
유입공기
사용 - 유입구 위치 : 위치의 높이 기준 없음

유입구와 배출구 차이
- 유입구 : 위치를 단독제연과 공동제연으로 구분하여 유입구 기준 적용
➔ 급기는 예상 제연구역에 강제급기를 하거나 인접구역에서도 급기 가능
➔ 배출되는 연기의 양만큼 보충하는 개념이므로 거리기준 없음
- 배출구 : 위치를 별도로 구분하지 않고 배출구 기준 적용
➔ 배출은 화재 발생 장소인 예상 제연구역(거실, 통로)에서만 배출구를 통하여 직접 배출
➔ 예상제연구역 전체에 대해 균등하게 연기를 배출해야 하므로 수평거리의 기준 존재
182

■ 제연설비 모니터링

 거실제연설비(공조겸용 포함) 설치 시
댐퍼 개폐와 송풍기 작동상태 확인 및 해당 송풍기의 작동상태 확인을 위한
전용 디스플레이 방식의 감시제어반 구성으로 고소작업 최소화

위험요소 대책방안

1) 제연디스플레이
- 제연댐퍼의 작동 여부 및 송풍기 작동여부 확인

2) 소방시설 유지관리를 위한 작동 테스트


Fire Protection & Life Safety Plan

나. 특별피난계단의 계단실 및 부속실 제연설비의 화재안전기준

구분 특별피난계단의 계단실 및 부속실 화재안전기준(NFSC 501A) 비고


제연구역 - 동시제연 (계단실 및 부속실), 단독제연 (부속실, 계단실, 승강기 승강장) 5조
- 차압 : 가압하고자 하는 공간에 공기를 공급하여 그 공간의 기압이 다른 공간의 기압보다
높게 형성되는 기압의 일정한 차이
- 최소차압 : 40Pa 이상 (옥내 스프링클러설비 설치시 12.5Pa) 6조
차압 - 최대차압 : 출입문 개방에 필요한 힘(F) 110N 이하
- 타층 출입문 개방 시 출입문 미개방층의 차압 = 최소차압×70% 이상
- 동시제연 : 부속실기압 = 계단실기압 (계단실기압이 클시 차압 5Pa 이하)
- 출입문을 개방하지 않는 제연구역의 실제 차압 측정을 위해 출입문 등에 차압측정공을 설치,
25조
차압측정기구로 실측하여 제연설비 작동 시험

계단실 및 그 부속실 동시 제연 / 계단실 단독 제연 0.5㎧ 이상


방연풍속 단독 제연 부속실 또는 승강장이 면한 옥내가 거실 0.7㎧ 이상 10조
(부속실/비상용승강장) 부속실 또는 승강장이 면한 옥내가 복도 0.5㎧ 이상
- 플랩댐퍼 (Flap Damper) 설치 : 110N 초과시 개방되는 구조
과압방지조치 11조
- 자동차압 과압 조절형 댐퍼 설치 : 출입문의 완전폐쇄 전 개구율을 자동 감소
- 화재층의 제연구역에 면한 옥내에서 옥외로 배출 (계단식 공동주택 제외) 13조
- 옥상으로 직통하는 배출 전용 수직풍도를 설치하여 배출
- 자연배출식 : 굴뚝효과에 따라 배출
수직풍도 - 기계배출식 : 수직풍도 상부의 배출용 송풍기로 강제 배출 14조
배출 - 옥내와 면하는 수직풍도의 관통부에 배출댐퍼 설치
- 내부단면적 AP( ㎡ ) = QN/2 (길이 100m 초과시 1.2배 이상)
유입공기
배출 - 송풍기 이용 기계배출식 풍도 단면적 : 풍속 15㎧ 이하 적용
- 건물 옥내와 면하는 외벽마다 옥외 배출구를 설치하여 배출
배출구 - 개폐기 설치 : 옥외로 열리고, 옥외의 풍압에 따라 자동 폐쇄
15조
배출 - 개폐기의 개구면적 AO(㎡) = QN / 2.5 (QN(㎥/s) : 1개층 제연구역 출입문 1개
면적(㎡)×방연풍속(㎧))
제연설비 - 옥내로부터 옥외로 유입공기 배출 시 유입공기량을 거실 제연설비의 배출량에
13조
배출 합하여 배출
- 급기용 수직풍도와 면하는 벽체 또는 천장에 고정
- 옥내 출입문으로부터 가능한 먼 위치에 설치
- 3개층 이하의 높이마다 설치
급기구 17조
(계단실 높이가 31m 이하로 계단실 단독 제연 시
하나의 계단실에 하나의 급기구만 설치)
급기 - 급기댐퍼 : 두께 1.5 ㎜ 이상의 강판(일반, 자동차압·과압조절형),
화재감지기 작동과 연동
- 아연도금강판 등 내식성, 내열성, 불연재로 단열처리
급기풍도 18조
- 풍도에서의 누설량은 급기량의 10% 이하
- 송풍능력 : 송풍기 담당 제연구역 급기량의 1.15배 이상
급기 송풍기 - 송풍기에 풍량조절장치를 설치하여 풍량조절 19조
- 옥내의 화재감지기의 동작에 따라 작동
옥외 - 취입구는 오염된 공기를 취입하지 아니하는 위치에 설치
외기 취입 - 배기구로부터 수평거리 5m, 수직거리 1m 이상 낮게 설치
외기 취입구 20조
- 옥상 외곽면으로부터 수평거리 5m 이상, 외곽면의 상단으로부터 하부로
옥상 설치
수직거리 1m 이하의 위치에 설치
- 상시 폐쇄 상태 유지, 자동폐쇄장치에 의해
제연구역 출입문
자동으로 닫히는 구조 (창문 포함)
출입문 21조
- 상시 폐쇄 유지, 자동폐쇄장치에 의해
방화구조 복도와 거실 사이 출입문
자동으로 닫히는 구조, 개방시 쉽게 닫히도록 폐쇄력 확보
184

수직풍도의 설치기준
- 수직풍도는 내화구조로 하되 [건축물의 피난.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제3조제1호 또는 제2호의 기준
이상의 성능으로 할 것.[국가화재안전기준 NFSC 501A 제14조1호]
- 고온.고압의 증기로 양생된 경량기포 콘크리트패널 또는 경량기포 콘크리트블록조로서 두께가 10cm 이상인
것[건축물의 피난.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3조제1호]
소방청의 질의 응답
➔ 국민신문고 21. 7. 8 질의응답 :
수직풍도는 먼저 ‘내화구조’로 할 것으로 요구하고 있으므로, 내화구조의 구조로 하여야 합니다.
[건축물의 피난.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3조제8호 내지 제10호에 따라 인증받은 것이 제3조제1호 또는
제2호와 동등이상의 성능이라고 인정된 경우에 한해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 유선상 : 특별피난계단의 수직풍도는 국가화재안전기준에 따른 ‘내화구조’로 하되
내화구조의 성능은 [건축물의 피난.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따라 설치한다.(소방청 담당자와 유선통화 내용)

다. 연결 송수관 설비

구분 연결송수관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502)
- 무창층, 지하층 화재시 외부살수에 의한 소화가 어려우므로, 건물
외부에 연결 송수구를 설치하고 건물 내부에 발수구를 설치하여
구성요소
화재 시 소방차에 의한 송수로 방사
- 구성 : 송수구, 방수구, 방수기구함(호스, 방사형 관창)
- 층수 5층 이상 연면적 6,000㎡ 이상 / 지하층 포함 7층 이상
설치대상 - 지하층 층수 3개층 이상, 지하층 바닥면적 합계 1,000㎡ 이상
- 지하가(길이 2,000m 이상 터널)
- 건식 : 옥내소화전과 독립된 배관(송수구에서 방수구)에
배관방식 물이 들어있지 않는 방식
- 습식 : 배관에 물이 들어 있는 방식(옥내 소화전과 병용)

라. 연결살수 설비

구분 연결살수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3)


- 지하층, 무창층 화재시 소방대 진입과 소화활동이 불가능할 경우 소화펌프
자동차의 송수에 의해 연소부분에 소화수 방사
구성요소 - 구성 : 호스접결구, 송수구,
전용헤드(폐쇄형/개방형/상향식/측벽형/드라이펜던트),
습식 연결살수장비
- 스프링클러 설비 설치시 제외
- 지하층 바닥면적 합계 150㎡ 이상
- 지하층 (국민주택 아파트 대피시설, 학교) : 바닥면적 700㎡ 이상
설치대상 - 연결통로
- 판매/영업시설 : 사용부분의 바닥면적 합계 1,000㎡ 이상
- 가스시설 : 지상에 노출된 탱크 용량 30톤 이상의 탱크시설
Fire Protection & Life Safety Plan

마. 비상 콘센트 설비
 화재 시 소방대가 보유하고 있는 조명장치, 파괴기구 등의 장비를 접속하여 사용하는 전원설비

구분 비상콘센트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4)

구성요소 - 인입개폐기, 전원회로, 배선용 차단기, 개폐기


- 층수 11층 이상 (11층 이상 전층)
설치대상 - 지하층 (3개층 이상, 바닥면적 합계 1,000㎡ 이상) : 지하층 전층
- 지하가 중 터널 (길이 500m 이상)
- 진입이 용이한 계단, 비상용 승강기 로비 등
설치위치 - 지하 전층에 25m마다 설치
- 옥내소화전 상부에 설치 (신속하고 손쉽게 사용)

바. 무선통신 보조 설비

구분 무선통신보조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5)


- 지하가, 대규모빌딩 지하층 화재시 지하-지하, 지하-지상간 소방대 무선기기 교신
구성요소
- 구성 : 증폭기(비상전원, 표시등, 전압계), 무선이동중계기
- 지하층 (바닥면적 합계 3,000㎡ 이상) 또는 지하층 전층 (지하층 층수 3개층 이상,
지하층 바닥면적 합계 1,000㎡ 이상)
설치대상
- 지하가 (터널 길이 500m 이상, 연면적 1,000㎡ 이상 터널은 제외)
- 공동구 (국토법 2조 9호)
- 무선통신 불능구역이 없도록 부설
설치위치 - 평상시 손상이 되지 않는 위치에 부설
- 화재 시 열 장애를 가능한 받지 않는 위치에 부설 (접속부분에 충분한 방수조치)
186
Fire Protection & Life Safety Plan

부록 I. 관련 법규 및 기준
1. 국내 법규 및 기준
법령
 건축법 (법률 제18508호, 2022.4.20.)
 건축법 시행령 (대통령령 제32825호, 2022.8.4.)
 건축법 시행규칙 (국토교통부령 제1107호, 2022.2.11.)
 장애인ㆍ노인ㆍ임산부 등의 편의증진 보장에 관한 법률 (법률 제18332호, 2022.7.28.)
 장애인ㆍ노인ㆍ임산부 등의 편의증진 보장에 관한 법률 시행령 (대통령령 제32824호, 2022.7.28.)
 장애인ㆍ노인ㆍ임산부 등의 편의증진 보장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보건복지부령 제900호, 2022.7.28.)
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국토교통부령, 2022.4.29.)
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국토교통부령, 2021.8.27.)
 여객자동차터미널 구조 및 설비기준에 관한 규칙 (국토교통부령, 2021.8.27.)
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국토교통부령, 2021.12.9.)
 초고층 및 지하연계 복합건축물 재난관리에 관한 특별법 (법률 제17171호, 2021.4.1.)
 초고층 및 지하연계 복합건축물 재난관리에 관한 특별법 시행령 (대통령령 제31380호 , 2021.1.5.)
 초고층 및 지하연계 복합건축물 재난관리에 관한 특별법 시행규칙 (행정안전부령 제268호, 2021.7.13.)
 영유아보육법 시행규칙 (보건복지부령 제895호, 2022.6.22.)
 다중이용업소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 (법률 제17894호, 2021.7.13.)
 다중이용업소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 시행령 (대통령령 제32536호, 2022.3.15.)
 다중이용업소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 시행규칙 (행정안전부령 제289호, 2022.6.8.)
 지하공공보도시설의 결정ㆍ구조 및 설치기준에 관한 규칙 (국토해양부령 제 456호, 2012.4.15.)
 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정 (대통령령 제32851호, 2022.8.4.)

행정규칙
 오피스텔 건축기준 (국토교통부고시 제2021-1227호, 2021.11.12.)
 소방시설 등의 성능위주설계 방법 및 기준 (소방청고시 제2017-1호, 2017.7.26.)
 건축자재등 품질인정 및 관리기준 (국토교통부고시 제2022-84호, 2022.2.11.)
 고층건축물의 화재안전기준(NFSC 604) (소방청고시 제2017-1호, 2017.7.26.)
 발코니 등의 구조변경절차 및 설치기준 (국토교통부고시 제2018-775호, 2018.12.7.)
 건축물의 화재안전성능보강 방법 등에 관한 기준 ( 국토교통부고시 제2020-358호, 2020.5.1.)
188

부록 II. 참고 자료
1. 도서 자료
 전기차 전용주차구역 소방안전가이드 (부산소방재난본부, 2022)
 소방시설등 성능위주설계 평가운영 표준 가이드라인 (소방청, 2022)
 그림으로 이해하는 건축법 (서울특별시, 2020)
 소방시설등의 성능위주설계 평가 가이드라인 (부산소방재난본부, 2020)
 서울시 성능위주설계 가이드라인 (서울소방재난본부, 2022)
 초고층 및 지하연계 복합건축물 재난관리 업무메뉴얼 (소방청, 2021)
 국가화재안전기준 해설서(5권) (소방청, 2020)
 제8판 방재기술자료 (화재보험협회, 2020)
 건축방재학 (권인규, 동화기술, 2014)
 법적 방화구획의 효율적인 적용방안에 관한 연구 (최준,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2005)
 건축물 설비성능 표준 (삼성물산 건설부문, 2007)

2. 기술 자료
 제10판, 안전점검매뉴얼 (한국화재보험협회, 2018)
 초고층 건축물 피난안전설계 지침 및 체 크 리 스 트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014)
 옥내소화설비의 화재안전기준 (NFSC 102) 해설 (소방청, 2020)
 제연설비의 화재안전기준 (NFSC501) 해설 (소방청, 2020)
 특별피난계단의 계단실 및 부속실 제연설비 업무처리 매뉴얼 (소방청, 2012)
 방재기술자료10-방화구획 (한국화재보험협회, 2020)

3. 인터넷 자료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www.kict.re.kr)
 한국화재보험협회 (www.kfpa.or.kr)
 한국화재보험협회 부설 방재시험연구원 (www.kfpa.or.kr/filk/)
 한국조선기자재연구원(www.kimerti.re.kr)
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www.kcl.re.kr)
 한국소방산업기술원 (www.kfi.or.kr)
 보험개발원 (www.kidi.or.kr)
Fire Protection
5. 부록 189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