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88

'98 공무원 교육교재

지진에 대비한 내진설계


De s ig n C rite ria a g a ins t Ea rt h q ua ke s

行 政 自 治 部
國立防災硏究所
차 례

차 례

그림차례 ⅴ
표 차 례 ⅶ

제 1 장 지 진 1
1.1 지진의 정의 1
1.2 지진발생 원인 1
1.2.1 탄성반발설(Elastic Rebou nd Th eory) 1
1.2.2 판구조론(Plate Tectonics) 2
1.3 지진의 종류 3
1.3.1 발생원인에 따라 3
1.3.2 진원의 깊이에 따라 4
1.4 지진의 발생위치를 나타내는 용어 4
1.4.1 진원(Hyp ocenter) 4
1.4.2 진앙(Epicenter) 4
1.5 지진의 크기를 나타내는 용어 5
1.5.1 규모(Magnitu d e, M) 5
1.5.2 진도(Inten sity, I) 13
1.5.3 잘못 사용하기 쉬운 용어 24
1.6 지진파 24
1.6.1 지진파의 분류 24
1.7 지진계 (seism ograph) 28
1.7.1 지진계의 정의 28
1.7.2 지진계의 원리 28
1.7.3 지진계의 종류 28
1.8 지진에 의한 피해 29
1.8.1 지면변동에 의한 피해 29

- i - 국립방재연구소
차 례

1.8.2 진파(津波, Tsu nam i, 쯔나미)에 의한 피해 29


1.8.3 지진동에 의한 진동 피해 29
1.8.4 지진시 화재에 의한 피해 30
1.9 우리나라의 지진활동 30
1.9.1 우리나라 지진활동의 특성 30
1.9.2 우리나라의 지진활동 31

제 2 장 내 진 설 계 (耐 震 設 計 ) 35
2.1 내진설계란? 35
2.1.1 내진설계의 필요성 37
2.1.2 내진설계의 일반적인 절차 38
2.1.4 내진설계 대상 20개 법정 시설물 40

제 3 장 시설물별 내진설계기준 43
3.1 서론 43
3.1.1 우리 나라 내진설계 기준 실태 43
3.1.2 상위개념 내진설계기준 44
3.2 도로교 53
3.2.1 도로교 내진설계 기술에 대한 국내외 현황 53
3.2.2 도로교의 내진설계 절차 58
3.2.3 교량의 내진설계시 검토해야 할 사항 64
3.3 도로 69
3.3.1 도로의 일반사항 69
3.3.2 도로의 내진설계 절차 69
3.3.3 도로의 내진설계시 검토해야 할 사항 71
3.4 터널 77
3.4.1 터널의 일반사항 77
3.4.2 터널의 내진설계 절차 77
3.4.3 터널의 내진설계시 검토해야 할 사항 82

- ii - 국립방재연구소
차 례

3.5 철도 87
3.5.1 철도의 일반사항 87
3.5.2 철도의 내진설계 절차 87
3.5.3 철도 구조물의 내진설계시 검토해야 할 사항 89
3.6 고속철도 95
3.6.1 고속철도의 일반사항 95
3.6.2 고속철도의 내진설계 절차 95
3.6.3 고속철도의 내진설계시 검토해야 할 사항 98
3.7 건축물 105
3.7.1 건축물의 일반사항 105
3.7.2 건축물의 내진설계 절차 107
3.7.3 건축물의 내진설계시 검토해야 할 사항 124
3.8 석유정제・비축・저장시설 129
3.8.1 석유시설의 내진설계 129
3.8.2 석유시설의 분류 및 등급설정 129
3.9 가스시설 131
3.9.1 가스시설의 일반사항 131
3.9.2 가스시설의 내진설계 절차 131
3.9.3 가스시설의 내진설계시 검토해야 할 사항 135
3.10 공항 139
3.10.1 공항의 일반사항 139
3.10.2 공항의 내진설계 절차 139
3.10.3 공항의 내진설계시 검토해야 할 사항 141
3.11 지중구조물 145
3.11.1 지중구조물의 일반사항 145
3.11.2 지중구조물의 내진설계 절차 145
3.11.3 지중구조물의 내진설계시 검토해야 할 사항 152
3.12 댐 159
3.12.1 댐의 일반사항 159

- iii - 국립방재연구소
차 례

3.12.2 댐의 내진설계 절차 159


3.12.3 댐의 내진설계시 검토해야 할 사항 166
3.13 항만 173
3.13.1 항만의 일반사항 173
3.13.2 항만 내진설계 절차 174
3.13.3 항만시설의 내진설계시 검토해야 할 사항 176

참고문헌 181

부 록

A. 내진설계관련 용어정리

B. 지진의 발생 원리

C. 동역학 개론

C.1 개요
C .2 단 자 유 도 계
C .3 다 자 유 도 계

D. 지진해석방 법

D.1 등 가 정 적 해 석 법
D .2 단 일 모 우 드 해 석 법
D .3 복 합 모 우 드 해 석 법
D .4 시 간 이 력 해 석 법

E. 자연재해대 책법상 내진설계 관 련 규정

E.1 자 연 재 해 대 책 법
E .2 자 연 재 해 대 책 법 시 행 령

- iv - 국립방재연구소
그 림 차 례

그 림 차 례

그림 1.1 탄성반발설 1
그림 1.2 지각판의 분포와 운동방향 2
그림 1.3 지진활동 분포도 3
그림 1.4 진원과 진앙 5
그림 1.5 여러 규모들의 포화(satu ration) : Mw (Mom ent Magnitu d e),
ML(Richter Local Magnitu d e), Ms (Surface Wave Magnitu d e),
mb (Sh ort-Period Body Wave Magnitu d e), m B (Long-Period
Body Wave Magnitu d e), MJMA (Jap an ese Meteorological Agency
Magnitu d e) (After Idriss, 1985) 9
그림 1.6 San Francisco지진(1906)과 Chile지진(1960)의 10
그림 1.7 다양한 종류의 자연현상과 인위에너지 비교 12
그림 1.8 MM, RF, JMA, MSK의 진도등급 비교 23
그림 1.9 (a) 1968년 뉴질랜드에서 발생한 이난가화(Inan gahu a) 지진과 (Eiby,
1980), (b) 1989년 캘리포니아에서 발생한 로마 프리에타(Lom a
Prieta)지진(H ou sner, 1990)의 MMI 등진도도(Isoseism al Map s) 23
그림 1.10 지진파에 따른 지표근처에서의 지반진동의 형태 27
그림 1.11 지진계의 원리 28
그림 1.12 역사지진 분포(A .D . 2~1904) 32
그림 1.13 계기지진 분포(1905~1996) 33
그림 2.1 내진설계 성능기준의 일반적인 절차 38
그림 2.2 내진해석과 설계방법의 일반적인 절차 39
그림 3.1 내진설계 기준체계 44
그림 3.2 상위개념 내진해석 설계 절차 45
그림 3.3 표준설계 응답스펙트럼 51
그림 3.4 도로교의 성능기초 내진설계 절차 58
그림 3.5 현행 시방서에 따른 도로교의 내진설계 절차 59

- v - 국립방재연구소
그 림 차 례

그림 3.6 도로의 내진설계 절차 70


그림 3.7 터널길이방향의 내진설계 78
그림 3.8 터널횡단방향의 내진설계 79
그림 3.9 고속철도 구조물의 일반적인 내진설계 절차 96
그림 3.10 건축물의 내진성능에 따른 내진설계 절차 107
그림 3.11 건축물의 현행 내진설계 절차 108
그림 3.12 댐의 일반적인 내진설계 절차 160

- vi - 국립방재연구소
표 차 례

표 차 례

표 1.1 규모와 지진에너지 12


표 1.2 JMA 진도 등급 14
표 1.3 MM 진도 등급 19
표 1.4 주요 계기관측 지진목록(규모 4.0, 진도Ⅲ 이상) 34
표 3.1 내진성능 목표 47
표 3.2 지진구역 구분 48
표 3.3 지진구역계수 (평균재현주기 : 500년) 48
표 3.4 위험도 계수 (평균재현주기 : 500년) 49
표 3.5 지반의 분류 50
표 3.6 지진계수 Ca 및 Cv 50
표 3.7 일본 도로교 내진설계 관련 규정의 변천과 중요 지진 피해 56
표 3.8 미국 도로교 내진설계 관련 기준의 제정 및 개정과 중요 지진 57
표 3.9 도로교의 내진등급 60
표 3.10 지진구역별 가속도 계수 (재현주기 500년) 61
표 3.11 지진구역과 지반종류가 고려된 지진계수 61
표 3.12 위험도 계수(I) 62
표 3.13 도로교의 내진성능수준 64
표 3.14 도로의 내진등급 69
표 3.15 도로의 내진성능수준 71
표 3.16 도로구조물별 내진설계시 검토사항 73
표 3.17 터널의 분류방법과 종류 77
표 3.18 터널의 내진등급 80
표 3.19 터널의 내진성능수준 81
표 3.20 터널의 설계거동한계 82
표 3.21 터널계측계획시 검토항목 86
표 3.22 철도의 내진등급 87

- v ii - 국립방재연구소
표 차 례

표 3.23 철도구조물의 내진성능수준 88


표 3.24 철도구조물별 내진설계시 주요 검토사항 90
표 3.25 고속철도의 내진등급 95
표 3.26 고속철도의 내진성능수준 97
표 3.27 고속철도 구조물의 내진설계 검토사항 100
표 3.28 구조방식과 지진저항 시스템 105
표 3.29 건축물의 내진관련 규정의 제정과 변천 106
표 3.30 건축물의 내진성능기준 내진등급 109
표 3.31 건축물의 용도, 규모 및 대지의 위치에 따른 중요도계수 110
표 3.32 지진구역별 지역계수 111
표 3.33 지진구역과 지반종류가 고려된 지진계수 112
표 3.34 지반의 분류 113
표 3.35 건축물의 내진해석방법 116
표 3.36 하중 및 외력의 조합 117
표 3.37 응답수정계수 (R) 118
표 3.38 감소계수 120
표 3.39 건축물의 내진성능수준 122
표 3.40 건축물의 내진성능수준별 설계거동한계 122
표 3.41 석유시설의 내진설계 현황 129
표 3.42 석유시설의 내진등급 130
표 3.43 가스저장 탱크와 처리탑의 내진등급 132
표 3.44 저장탱크와 처리탑의 내진성능수준 133
표 3.45 공항내 내진설계 대상 시설물의 구분 139
표 3.46 공항내 시설물의 내진등급 140
표 3.47 공항시설물의 내진성능수준 141
표 3.48 지중구조물의 내진등급 145
표 3.49 지중구조물의 시설기능별 내진등급 146
표 3.50 지중구조물의 시설기능별 분류 147
표 3.51 지중구조물의 내진성능수준 148

- v iii - 국립방재연구소
표 차 례

표 3.52 지중구조물의 시설기능별 내진성능수준 149


표 3.53 지중구조물의 설계거동한계(공통사항) 150
표 3.54 지중구조물의 구조형식별 설계거동한계 151
표 3.55 계측계획시 검토항목 158
표 3.56 댐의 내진등급 159
표 3.57 위험인자와 위험계수 161
표 3.58 댐의 내진성능수준 161
표 3.59 콘크리트댐의 구성요소별 설계거동한계 162
표 3.60 필댐의 구성요소별 설계거동한계 164
표 3.61 콘크리트 댐의 지진해석 방법 168
표 3.62 필 댐의 내진해석 방법 169
표 3.63 항만구조물의 명칭과 종류 173
표 3.64 항만의 내진등급 174
표 3.65 항만의 내진성능수준 175

- ix - 국립방재연구소
표 차 례

- x - 국립방재연구소
지진의 정의 지 진

제 1 장 지 진

1.1 지 진 의 정 의

지구내부, 특히 지각에서 장시간 쌓여진 에너지가 순간적으로 방출되면서 그


에너지의 일부가 지진파의 형태로 사방으로 전파되는 자연현상
학술적으로는 탄성에너지원으로부터 지진파가 전파되면서 일으키는 지구의
진동 을 말함

1.2 지 진 발 생 원 인

지진의 직접적인 원인은 암석권에 있는 판(Plate)의 움직임으로 인하여 직접 지


진을 일으키기도 하고, 다른 형태의 지진에너지원을 제공하기도 한다.

1 .2 .1 탄 성 반 발 설 (Elas tic Reboun d T h e ory )

1906년 켈리포니아 대지진때 H. F. Reid가 산안드레아스 단층을 조사하여 지


진원인을 규명한 것임
지면에 기존의 단층이 존재한다고 가정하고, 이 단층에 가해지는 힘(탄성력)
에 어느 부분이 견딜 수 없을 때 순간 급격한 파괴를 일으켜 지진이 발생함
천발지진에 대한 발생메카니즘을 설명하는 이론으로 적용

그 림 1.1 탄성반발설

- 1 - 국립방재연구소
지진 발생 원인 지 진

1.2.2 판 구 조 론 (Plate Tecton ics)

1960년대 제창된 이론으로 지진대의 문제가 이 이론에 의해 간단히 설명됨


전 지구의 표면이 두께 대략 100km정도의 조각들이 판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이 판들이 그 하부의 맨틀에서 발생하는 대류현상에 의해 매년 수 cm 정도
로 대규모 수평이동을 할 때 판의 경계에서 판들의 상대운동에 의하여 지층
이 변형되다가 깨어지며 지진들이 발생하게 된다는 이론으로 판들의 경계가
지진대를 이루게 된다.
전세계적으로 대부분의 지진활동이 판경계에서 일어나며, 판의 내부에서는
소규모 지진활동이 일어난다.

그 림 1.2 지 각 판 의 분 포 와 운 동 방 향 (Fow ler, 1990)

- 2 - 국립방재연구소
지진의 종류 지 진

그 림 1.3 지 진 활 동 분 포 도 (Bru ce A . Bolt, 1993)

1.3 지 진 의 종 류

1 .3 .1 발 생 원 인 에 따 라

가 . 단 층 지 진 (D is location Earth qu ak e)

지각변동으로 지반에 축적된 힘이 단층이 생길 때 발산되어 일으키는 지진


으로 대규모 지진은 대부분 단층지진이다.

나 . 화 산 지 진 (V olcan ic Earth qu ak e)

지구내부에 있는 고온의 마그마가 지표로 이동하면서 생기는 화산폭발시의


진동에 의한 지진

다 . 함 몰 지 진 (D ow nf all Earth qu ak e)

지하의 큰 공동(석회동굴 등)이 무너지면서 생기는 지진

- 3 - 국립방재연구소
지진의 발생위치를 나타내는 용어 지 진

라 . 인 공 지 진 (M an-m ade Earth qu ak e)

땅속에서 화약을 폭발시키거나 지하 핵실험 등으로 지진과 유사한 현상이


일어남으로써 생기는 지진

1 .3 .2 진 원 의 깊 이 에 따 라

가 . 천 발 지 진 : 진원의 깊이가 70km 이하인 지진

나 . 중 발 지 진 : 진원의 깊이가 70~300km인 지진

다 . 심 발 지 진 : 진원의 깊이가 300km 이상인 지진

1.4 지 진 의 발 생 위 치 를 나 타 내 는 용 어

1 .4 .1 진 원 (Hy po cent er )

지진이 발생할 때 지반의 파괴가 시작된 곳으로 지진파가 발생한 지점을 의미하
며 거리와 깊이의 의미가 포함되어 있다.

※ 진 원 거리 : 지 진을 관측 한 장 소 에서 지하 의 지 진 이 발 생한 지점 까 지 거 리

1 .4 .2 진 앙 (E pic ent er )

진원으로부터 연직 방향에 있는 지표상의 지점으로 진앙지는 인근지명을 사용하


여 붙여진다. 예를 들면 1996년에 발생한 영월지진하면 이 지진의 진앙지가 영월
부근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 4 - 국립방재연구소
지진의 크기를 나타내는 용어 지 진

그 림 1.4 진원과 진앙

1.5 지 진 의 크 기 를 나 타 내 는 용 어

1 .5 .1 규 모 (M ag nitude , M )

가. 정의

발생한 지진에너지의 크기를 나타내는 척도로서 지진계에 기록된 진폭을 진원의


깊이와 진앙까지의 거리 등을 고려하여 지수로 나타낸 것으로 장소에 관계없는 절
대적 개념의 지진크기

나 . 리 히 터 지 역 규 모 (Rich ter Local M agn itu de, M L )

1935년 미국의 리히터(Richter)에 의해 사용되었으며, 리 히터 스케 일 이라고


한다.
리히터가 남부 캘리포니아에서 Wood-Anderson지진계를 사용하여, 지진의

- 5 - 국립방재연구소
지진의 크기를 나타내는 용어 지 진

깊이가 얕고 진앙지가 그리 멀지 않은(600km 이내) 지진에 대하여 "규모"를


정의한다.
현재 지역규모로 알려진 이 규모는, 진앙지로부터 100km 떨어진
Wood-Anderson 지진계에서 표시되는 최대진폭을 마이크로미터(micrometer)
로 표시하여 상용대수(logarithm of base 10)를 취하여 얻는다.

※ 리 히터 지 역 규 모 (M L )는 현 재 가장 널 리 알 려 진 "규모 "지 만, 지 진 의 크 기 를
표시 하 는데 항상 제일 적절 한 것 은 아 니 다 .

다 . 표 면 파 규 모 (Su rface W av e M ag n itu de, M s)

리히터 지역 규모는 파(wave)의 종류를 구분하지 않는다. 특정 파의 진폭에 기


초하여 제안된 다른 종류의 규모들이 개발되었다. 진앙까지의 거리가 멀수록 실
체파(實體波, body w ave)는 쇠약해지고 산란이 되면서 지반운동은 결국 표면파
(surface wave)에 의해 1차적인 영향을 받게 된다.

표면파규모(surface w ave magnitu de, Gutenberg and Richter, 1936)는 20초


정도의 장주기를 가진 레일리파(Rayleigh waves) 진폭을 사용한다.

Ms = log A + 1 .66 log + 2 .0

여기서, A : 마이크로미터로 표시된 최대 지반이동거리(ground displacement)


Δ : 지진계로부터 진앙까지의 거리를 각도(360°기준)로 나타낸 값

※ 최대 지반 이 동거 리 는 특 정 지 진계 측 기 (예 : W ood-An derson seismometer)


에서 구하 는 것 이 아 니 라 어 떠한 계측 기 에서 도 얻 을 수 있다 .

얕고(진원깊이 70 km 이하), 근거리(진앙거리 1000 km 이하)의 중간부터 큰


크기의 지진을 표현하는데 가장 자주 쓰인다.

- 6 - 국립방재연구소
지진의 크기를 나타내는 용어 지 진

라 . 실 체 파 (Bo dy W av e) 규 모 (M b )

진원의 깊이가 깊은 지진인 경우, 발생되는 표면파가 작아 표면파규모를 측정하


기가 힘들어진다.
실체파(實體波, body wave) 규모 (Gutenberg, 1945)는 초기 P파의 진폭을 이
용하는데, P파는 특성상 진원깊이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다.

Mb = log A - log T + 0 .0 1 + 5 .9

여기서, A : 마이크로미터로 표시된 p파의 진폭


T : P파의 주기(보통 1초 정도)

라. 지진계측기를 이용한 다른 규모

지진파 기록의 다른 부분(P파, Rayleigh파 등을 제외한)을 사용하는 규모도


개발이 되었다. 지진운동의 "코다(coda)"란, 1차 p파와 표면파의 경로를 따
르는 후방 산란파(backscattered w aves)를 말한다 (Aki, 1969).
코다의 특성 중 하나는 파의 경로에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1969년 Aki에
의해 코다규모(coda magnitude, Mc)가 개발되었다.
지진의 총 지속시간을 시용해 지속규모(duration magnitude)가 개발되었다.
작은 지진에 주로 사용되며, 공학적 이용보다는 지진학자들이 주로 사용한다
(Real and Teng, 1973).
일본 기상청은 일본에서 발생한 지진규모를 표시하기 위해, 장주기파
(long-period wave)를 이용한 고유의 지역규모(local magnitude)를 개발하였
는데, MJMA로 표시한다.

마 . 모 멘 트 규 모 (M o m ent M agn itu de, M w ):

위에서 기술한 규모들은 지반진동의 특성을 여러 종류의 지진계기로 측정하


여, 경험적으로 나타낸 등급들이다. 그런데, 이런 규모들을 사용하면 지진발

- 7 - 국립방재연구소
지진의 크기를 나타내는 용어 지 진

생시 방출되는 에너지 총량이 증가하더라도 지반진동의 특성이 "같은 비율"


로 증가하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다. 다시 말해, 약진(弱震)과 비교했을 때,
강진의 지반진동 특성이 지진크기에 따라 받는 영향이 훨씬 적어진다는 것이
다.

이런 현상을 포화(saturation)라 하는데, 실체파(bodywave)규모와 리히터 지역규


모는 6이나 7 정도에서 포화되고, 표면파규모는 8 정도에서 포화된다.

아주 큰 강진이 발생할 경우 지진의 크기를 표시하기 위해서는 지반진동의


크기에 의존하지 않고, 또한 포화되지도 않는 지진규모의 개발이 필요해진다.
이런 필요에 의해서 개발된 규모가 모멘트규모(moment magnitude, Mw)로
서(Kanamori, 1977; Hanks and Kanamori, 1979), 모멘트규모는 단층을 따라
방출되는 지진모멘트(seismic moment, Mo)를 직접 이용하는 것이다.

지진모멘트(Mo)은 dyne-cm의 단위를 가지며, 다음 식으로 표시된다.

Mo = A D

여기서, μ : 단층지질의 파괴강도 D 는 평균파괴 이동거리


A : 단층파괴면적
D : 평균파괴이동거리

바. 여러 규모들의 관계

여러 규모들의 관계를 그림 1.5에서 알아볼 수 있다. 그림 1.5에서 알 수 있듯


이 모멘트규모를 제외한 대부분의 규모들은 포화(saturation)을 나타내고 있다. 포
화는, 규모등급이 높아지면 기울기가 작아지는 부분에서 쉽게 정할 수 있다.

- 8 - 국립방재연구소
지진의 크기를 나타내는 용어 지 진

그림 1.5 여러 규 모들 의 포 화 (saturation) : Mw (M oment M agnitu de),


ML(Richter Local Magnitu de), M s (Surface W ave Magnitu de), mb
(Short-Period Body Wave M agnitu de), mB (Long-Period Body
Wave Magnitu de), MJMA (Japanese Meteorological Agency
Magnitu de) (After Idriss, 1985)

사. 규모포화의 효과

그림 1.6을 이용해서 규모포화의 효과를 알아볼 수 있다. 1906년 샌프란시스코


(San Francisco)지진과 1960년 칠레(Chile)지진의 표면파규모 (surface wave
magnitu de)는 모두 8.3으로 기록되었다. 하지만 두 지진의 파괴면적은 상당한 차
이를 나타냈는데 그림 1.6에서 미국 California주의 면적으로 서로 비교를 하였다.
이런 큰 차이는 표면파규모를 이용하면 나타낼 수 없지만, 모멘트규모를 사용하면

- 9 - 국립방재연구소
지진의 크기를 나타내는 용어 지 진

두 지진의 에너지 차이를 쉽게 인지할 수 있다. San Francisco지진의 모멘트규모


는 7.9로 계산되었고, Chile지진의 모멘트규모는 9.5였다.
1989년 Bolt는 ML 이나 Mb 등급은 규모3에서 7 정도의 얕은 지진을, Ms등급은 규
모 5에서 7.5 정도의 지진을, Mw등급은 규모 7.5 이상의 강진을 표시하는데 적합
하다고 추천한 바 있다.

그 림 1.6 San Francisco지 진 (1906)과 Ch ile지 진 (1960)의


단 층 파 괴 면 적 과 규 모 들 의 비 교 (Boore, 1977)

아. 국내에서의 규모계산

일본과 한국의 기상청에서 깊이 60km 이하의 천발지진의 규모결정에 사용하


는 坪井(Tsuboi, 1954)공식을 사용하여 규모를 결정한다.

M = 1 .73 log A + log B - 0 .83

여기서, M : 규모로써 단위가 없으며, 소수 1자리까지 계산한다.


A : 진앙거리(단위 : km)
2 2
B : ( MN + ME ) ×1000 / 배율 , 수평2성분 진폭의 합성값
(μ단위 : 10-6 m)

- 10 - 국립방재연구소
지진의 크기를 나타내는 용어 지 진

(MN : 남북방향 진폭, ME : 동서방향 진폭)


즉, 지진동의 수평최대진폭으로서 기록지의 수평 그성분 합성치를 그 주기
에 해당하는 비로 나눈 값이다.

< 지진의 규모계산 예 >


진앙거리 180km인 지진파 기록에서 S파 최대진폭이 MN (남북방향) = 6mm, ME
(동서방향) = 8mm이며 그 주기가 0.25초일 때 규모 M을 계산하면?
(단, 지진계 배율은 3~5Hz의 진동에 대하여 15,000배임)

( 6 2 + 8 2 ) ×1000
B = = 0 .67
15000

A = 180 km

M = 1 .73 log 180 + log 0 .67 - 0 .83 = 2 .9

자 . 지 진 에 너 지 E와 규 모 M 과 의 관 계

지진에 의해 방출된 총 에너지는 1956년 Gutengerg와 Richter가 제안한 다음 식


으로 찾을 수 있다.

log E = 11 .8 + 1 .5M s

E의 단위는 erg이며, Ms는 표면파 규모지만, 1983년 Kanamori는 모멘트규모


의 사용도 가능하다고 발표
규모 1이 변하면 에너지는 101 .5 배, 즉 약 32배의 에너지 차이를, 규모 2의 차
이는 약 1000배의 차이를 나타냄
규모 6.0의 지진에너지는 히로시마 원폭과 비슷한 크기
※ 1960년 칠레 지 진 (Mw = 9.5)의 에너 지 는 히 로시 마 원 폭 의 약 178,000배

규모표시는 소수 첫째자리까지 아라비아 숫자로 표기(예 : 규모 5.6)

- 11 - 국립방재연구소
지진의 크기를 나타내는 용어 지 진

표 1.1 규모와 지진에너지

규 모 M 에너지(e rg )

8.0 6.3×102 3

7.0 2.0×102 2

6.0 6.3×102 0
19
5.0 2.0×10
17
4 .0 6.3×10

3.0 2.0×101 6

- 12 - 국립방재연구소
지진의 크기를 나타내는 용어 지 진

그 림 1.7 다 양 한 종 류 의 자 연 현 상 과 인 위 에 너 지 비 교 (Joh n sto n, 1990)

1 .5 .2 진 도 (Int en s ity , I )

가. 정의

지진크기를 나타내는 가장 오래된 척도


어떤 장소에서 지반진동의 크기를 사람이 느끼는 감각, 주위의 물체, 구조물
및 자연계에 대한 영향을 계급별로 분류시킨 상대적 개념의 지진크기
정성적으로 표현된 지진이 피해는 역사적인 기록에서도 찾아낼 수 있기 때문
에 역사지진의 크기를 나타낼 때도 사용
지진발생시 지반의 운동정도를 평가하는데 사용되어, 정밀하지는 않지만, 지
형적으로 다른 지역의 지진효과의 비교, 지진피해 평가 등에도 응용될 수 있

나. 진도의 종류

규모가 창안되기 이전부터 통용되었으며, 각 지역마다 다른 진도계급이 있다.


1880년대에 개발되어 수십년간 사용된 로씨-포렐(Rossi-Forel, RF)진도는 Ⅰ에
서 Ⅹ등급을 사용
RF 진도이후 각 나라에서는 각국의 실정에 맞게 수정하여 미국에서는 12등
급의 수정머켈리(Modified Mercalli, MM)진도, 중동부 유럽에서는 MSK
(Medvedev-Spoonheuer-Karnik) 진도, 일본에서는 8등급의 기상청(Japan
Meteorological Agency, JMA) 진도를 사용하여 왔으나 최근에 각 등급간에
중간등급을 설정하고 있음(예, 1.5 등급 등)
국내에서는 일본 기상청의 진도를 사용하였으나 현재는 일부만 활용
진도표시는 모두 로마숫자의 정수로 표기(예 : JMA진도 Ⅴ)
진도는 보통 지진이 발생한 후 지진을 경험한 사람들과의 인터뷰를 통해 정
해짐
미국의 경우, 우편조사를 통해 진도결정에 필요한 인터뷰가 시행되며, 지진이

- 13 - 국립방재연구소
지진의 크기를 나타내는 용어 지 진

자주 발생하는 지역에서는 지진경험이 많은 시민들이 주축이 되어 감정이 개


입되지 않고 객관적으로 진도를 결정할 수 있도록 훈련을 하고 있음
진도는 지진측정계기보다 사람이나 건물들이 더 넓게 분포하고 있으므로 특
정지역의 땅의 진동분포를 더 합리적으로 표시한다고 할 수 있음
진도는 일반적으로 진앙에 가까울수록 커지며, 때때로 진앙진도(epicentral
intensity)라는 용어가 지진의 크기를 대략적으로 설명할 때 쓰여지기도 한
다.
표 1.2 JM A 진 도 등 급

J MA 진도
J MA(194 9) J MA(197 8)
매달은 물체가 약간 흔들리는 것
사람이 느끼지 못하고, 지진계에
0 무감 이 관찰되기도 하나, 인체는 느끼
기록되는 정도(0.8gal 이하)
지 못함
정지하고 있는 사람이나 지진에 조용히 있는 경우에 흔들림을 약
Ⅰ 미진 주의깊은 사람만 느끼는 정도의 간 느끼며, 그 시간도 길지 않다.
지진(0.8~2.5gal) 서 있는 경우는 거의 느끼지 못함

매달은 물체가 흔들림을 알 수 있


많은 사람이 느끼는 정도이며, 창 으며, 서 있는 경우도 진동을 느
Ⅱ 경진 문이 약간 움직이는 것을 알 수 낄 수 있다. 움직이고 있는 사람
있는 정도의 지진(2.5~8gal) 은 거의 느끼지 못하며, 수면중에
잠이 깨는 경우도 종종 있다.
약간 놀랄 정도로 느끼게 되며,
가옥이 흔들리며, 창문이 흔들리
수면중의 사람도 잠이 깨게 되나,
며, 전등과 같이 매달려 있는 것
밖으로 뛰어 나올 정도는 아니며,
Ⅲ 약진 이 상당히 흔들리며, 그릇안의 수
공포감은 없다. 밖에 있는 대부분
면이 움직이는 것을 알 수 있는
의 사람이 느끼게 되나, 보행중인
정도의 지진(8~25gal)
경우는 느끼지 못할 수도 있다.

가옥의 흔들림이 심하며 불안정한 자고 있던 사람도 놀라 깨어나며,


꽃병이 넘어지며, 그릇 안의 물이 공포감을 느낀다. 전신주, 수목등
Ⅳ 중진 넘쳐 흐른다. 걸어 다니는 사람이 이 흔들림을 알 수 있다. 지붕의
느끼며 많은 사람이 집밖으로 뛰 기와가 일부 엇갈리게 되나, 피해
쳐나오는 정도의 지진(25~80gal) 가 나올 정도는 아니다

- 14 - 국립방재연구소
지진의 크기를 나타내는 용어 지 진

< 표 1.2 계속 >

J MA 진도
J MA(194 9) J MA(197 8)

서 있기 곤란하다. 일반의 가옥에


벽이 갈라지고 묘석이나 석등이 경미한 피해가 나오기 시작하며,
Ⅴ 강진 넘어지고, 굴뚝, 돌담 등이 파손되 연약한 지반에서는 갈라지거나 넘
는 정도의 지진(80~250gal) 어지기도 한다. 불안정한 가구는
전도한다.

가옥이 무너지는 것은 30% 이하


이며, 산사태가 일어나고, 지면이
Ⅵ 열진 보행이 곤란하며, 움직일 수 없다.
갈라지며 많은 사람이 서 있을 수
없을 정도의 지진(250~400gal)

가옥이 무너지는 것이 30% 이상


이며, 산사태가 일어나고, 지면이 가옥이 무너지는 것이 30%이상이
Ⅶ 격진
갈라지며 단층이 생기는 정도의 며, 산사태, 지진단층이 출현한다.
지진(400gal 이상)

※ g al은 가 속 도 의 단 위 로 1g al =1cm/ sec 2 , 1g =980cm/ s ec 2 =980g )


1) JMA진도는 1949년에 일본 기상청에 의하여 정의되었으며, 1978년에 보충되었음.
2) JMA진도에서의 가옥은 일본의 전통적인 목조가옥을 나타내며, 창문은 미닫이형의 창문
을 나타냄.

- 15 - 국립방재연구소
지진의 크기를 나타내는 용어 지 진

J MA 진도(199 6)
진도* J MA
인간 실내상황 실외상황
1 등급 *2
거의 느끼지 못함
0
0 .5
건물안에 있는 소수만이
1
느낌
1.5 건물안의 많은 사람이 램프와 같이 매달린 물
2 느낌. 잠자는 사람의 일 체가 조금 흔들린다.
부가 깬다.
2.5
건물안의 대부분이 느낀 선반의 접시가 종종 덜 전선이 조금 흔들린다.
3
다. 몇몇은 놀란다. 커덕 덜커덕 움직인다.
3.0
많은 사람이 놀란다. 어 매달린 물체가 심하게 전선이 상당히 흔들린
떤 사람은 위험으로부터 흔들리고, 선반의 접시가 다. 길을 걷고 잇는 사
4 피하려고 노력한다. 잠자 덜커덕 덜커덕 움직인다. 람과 운전중인 사람이
고 있던 대부분이 깬다. 불안정한 장식물들이 종 미진을 느낀다.
종 낙하한다.
4 .5
대부분의 위험으로부터 매달린 물체가 격렬히 가로등 전주가 흔들리는
피하려고 노력한다. 몇몇 흔들린다. 대부분의 불안 것을 사람이 느낀다. 때
은 움직이기가 어렵다. 정한 장식물들이 낙하한 때로 창유리가 깨져 떨
5 Lowe r 다. 때때로 선반의 접시 어지고, 무근 콘크리트
와 책장의 책들이 낙하 블록벽이 붕괴되고, 길
하고, 가구가 움직인다. 이 손상을 입는다.
5.0
많은 사람이 매우 놀라 선반의 대부분의 접시와 많은 경우 무근 콘크리
고 움직이기가 어렵다. 책장의 대부분의 책이 트블록 벽이 붕괴되고,
낙하한다. 때때로 선반의 묘비가 전도된다. 많은
텔레비젼이 낙하하며, 옷 자동차가 운행되기 어렵
5 Uppe r 장과 같이 무거운 가구 기 시작하기 때문에 멈
가 넘어지고, 미닫이 문 춘다. 때때로 부실하게
이 문지방에서 이탈하고, 설치된 자판기가 넘어진
문틀의 변형으로 문을 다.
열 수 없다.
5.5
서있기가 어렵다. 많은 무겁고 고정되지 몇몇 건물에서 벽의 타
않은 가구가 이동하고 일과 창유리가 파괴되고
6 Lowe r 넘어진다. 문을 여는 것 떨어진다.
이 많은 경우에 불가능
하다.
6.0
서있기가 불가능하고 기 대부분의 무겁고 고정되 많은 건물에서 벽의 타
지 않으면 움직일 수 없 지 않은 가구가 이동하 일과 창유리가 파괴되고
6 Uppe r 다. 고 넘어진다. 미닫이 문 떨어진다. 대부분의 무
이 문지방 밖으로 튀어 근 콘크리트블록 벽이
나온다. 붕괴된다.
6.5 흔들림에 의해 던져지고, 대부분의 가구가 크게 대부분의 건물에서 벽의
전혀 움직일 수 없다. 움직이고 어떤 것은 튀 타일과 창유리가 파괴되
7 어오른다. 고 넘어진다. 몇몇 경우
에 철근 콘크리트 블록
벽이 붕괴된다.

- 16 - 국립방재연구소
지진의 크기를 나타내는 용어 지 진

진도* J MA 철근콘크리트
목조가옥 라이프라인 지반 및 사면
1 등급*2 건물
0
0 .5
1
1.5
2
2 .5
3
3 .5
4
4 .5 때때로 지진저항력 때때로 지진저항력 몇몇 집에서 안전 때때로 연약지반에
이 약한 가옥이 벽 이 작은 건물의 벽 장치가 가스공급을 서 균열이 나타나
과 기둥에 손상을 에 균열이 발생한 끊는다. 드문 경우 고, 산악지역에서
받는다. 다. 에는 수도관이 손 는 암반추락과 작
5 Lowe r 상을 받고, 수도공 은 사면파괴가 발
급이 중단된다. 생한다.
【몇몇 집에서 전
기공급이 중단된
다.】
5 .0 때때로 지진저항력 때때로 지진저항력 때때로 가스파이프
이 약한 가옥이 벽 이 작은 건물의 와(또는) 수도본관
과 기둥에 큰 손상 벽, 대들보와 기둥 이 손상된다.【때
을 받고, 기울어진 에 큰 균열이 발생 때로 가스공급과
5 Uppe r
다. 하고, 지진저항력 수도공급이 몇몇
이 큰 건물의 벽에 지역에서 중단된
도 균열이 발생한 다.】
다.
5 .5 때때로 지진저항력 때때로 지진저항력 가스관과(또는) 수 때때로 지반에서
이 약한 가옥이 붕 이 작은 건물의 벽 도본관이 손상을 균열이 나타나고,
괴되고, 지진저항 과 기둥이 파괴되 받는다. 【몇몇 지 산사태가 발생한
력이 큰 가옥의 벽 고, 지진저항력이 역에서는 가스공급 다.
6 Lowe r
과 기둥이 손상을 큰 건물의 벽, 대 과 수도공급이 중
받는다. 들보, 기둥에 큰 단되고 전기공급이
균열이 발생한다. 때때로 중단된
다.】
6 .0
많은 지진저항력이 때때로 지진저항력 때때로 가스본관과
작은 가옥이 붕괴 이 작은 건물이 붕 (또는) 수도본관이
된다. 몇몇 경우에 괴한다. 몇 몇 경 손 상 된 다 . 【 몇 몇
지진저항력이 큰 우에 지진저항력이 지역에서는 전기공
6 Uppe r 가옥의 벽과 기둥 큰 건물도 벽과 기 급이 중단되고, 때
이 큰 손상을 받는 둥에 손상을 받는 때로 많은 지역에
다. 다. 서 가스공급과(또
는) 수도공급이 중
단된다.】
6 .5
때때로 지진저항력 때때로 지진저항력 【전지역에 걸쳐 지반이 큰 균열과
이 큰 가옥이 심하 이 큰 건물도 심각 전기공급, 가스공 틈에 의해 상당히
게 손상을 받고 기 한 손상을 받고, 급과 수도공급이 왜곡되며, 사면파
7 울어진다. 기울어진다. 중단된다.】 괴와 산사태가 발
생하는 지역은 지
형이 변한다.

- 17 - 국립방재연구소
지진의 크기를 나타내는 용어 지 진

주) *1 기계적 진도 값
*2 JM A 진도등급
1) 기계적 진도는 어떤 한 지역에서의 지진운동의 강도를 나타내는 숫자이며, 진
도계로 측정된다. JMA 진도등급은 기계적 진도로부터 획득한 자료를 근거로
발표된다.
2) 라이프라인은 전력, 통신, 교통, 물공급에 사용된다.
3) 라이프라인에서 【 】는 전기공급, 가스공급과 물공급에 관해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제시하였다.

- 18 - 국립방재연구소
지진의 크기를 나타내는 용어 지 진

표 1.3 MM 진도 등급

MM 진도
Wo o d a n d Ne u m a n n (19 3 1) Ric hte r(19 56 )

무감각, 과거에 큰 진동을 경험한 지역에서


특수한 조건하에 일부분이 감지. 가끔 조류, 무감각. 지진계에만 감지할 정도의 지진, 특
Ⅰ 동물이 불안으로 동요하며, 지진경험자의 일 히 감지하기 쉬운 상태에 있는 소수의 사람
부가 현기증을 느낀다. 소목, 건물, 액체의 이 감지할 정도의 지진 (0.5~1gal)
표면, 창문 등이 경미하게 진동

실내에 있는 사람 대다수가 감지하지 못함.


신경이 예민하거나 고층건물 상층에 있는 정지하고 있는 사람, 건물윗층, 기타 지진동
Ⅱ 일부의 사람만 감지. 진도Ⅰ과 유사하나 감 을 감지하기 쉬운 장소에 있는 사람이 감지
지하는 경우가 더욱 많음. 진동에 민감한 물 할 정도의 지진(1~2.1gal)
체들이 흔들림.

실내에 있는 사람 소수가 감지. 단시간의 진


동이나 지속시간 측정가능. 초기에는 지진이 실내에서 감지되며 매달린 물체가 흔들리며,
라는 사실을 알기 어려움. 경량의 물체가 지 가벼운 트럭이 통과할 때 느끼는 것과 같은
Ⅲ 나가거나 중량의 물체가 지나갈 때의 느낌 진동으로 진동지속시간을 잴 수 있으나 많은
과 유사. 매달린 물체가 진동하며, 고층건물 사람이 지진으로 느끼지 않은 수도 있는 정
의 상층에 있는 사람은 감지가능. 정지한 차 도의 지진(2.1~5gal)
량에서도 미동을 느낌.

실내에 있는 사람 다수가 감지하나, 실외의


사람은 감지불가. 수면중인 사람의 일부가
깨어나며, 지진에 대해 경험이 있는 사람을
매달린 물체가 흔들리고 무거운 트럭이 통과
제외하면 놀라는 사람이 없음. 중량이 큰 물
할 때와 같은 진동, 무거운 공을 벽에 던질
체나 만재한 트럭이 지날갈 때의 느낌과 유
때 느껴지는 충격, 정지하고 있는 자동차가
Ⅳ 사. 접시, 창문, 출입문 등이 덜커덩거리며,
흔들리며, 창문, 접시, 문짝이 흔들린다. 유리
유리제품, 도자기 등이 서로 충돌하여 쨍그
창문이 소리를 내며, 심한 경우는 나무로 만
랑거림. 진도Ⅳ의 상부에서는 매달린 물체가
든 벽이나 문틀이 삐걱거린다.(5~10gal)
상당히 크게 진동하며, 용기내의 수면에 가
벼운 물결이 생김. 정지한 차량의 진동을 관
측할 수 있음.

- 19 - 국립방재연구소
지진의 크기를 나타내는 용어 지 진

< 표 1.3 계속 >


MM 진도
Wo o d a n d Ne u m a n n (193 1) Ric h te r(195 6)
실내의 모든 사람, 실외의 대부분 감지. 수면
중인 사람들이 깨어나나 놀라는 사람은 거의
없으며, 소수가 밖으로 뛰어나옴. 실외에서
실외에서 감지하며 진동방향도 알 수 있다.
진동의 방향을 측정할 수 있다. 건물 전체가
수면중인 사람이 잠을 깬다. 그릇에 담긴 물
울리며, 접시나 유리가 깨어진다. 가끔 유리
이 출렁이고 약간 넘치기도 한다. 불안정하게
Ⅴ 창에 금이 가며, 꽃병 등 불안정한 물체는 전
놓여진 물체는 움직이거나 넘어진다. 문은 열
도 또는 추락함. 액자가 심하게 흔들려 벽에
렸다 닫혔다 한다. 벽의 그림들이 움직인다.
부딪혀 위치가 바뀌거나 떨어짐. 출입문들이
괘종시계가 정지하다 다시 간다.(10~21gal)
갑자기 개폐됨. 추시계의 시간이 바뀌며, 작
은 물체들은 위치가 바뀜. 용기내의 물이 소
량 엎질러 짐. 수목이 경미하게 진동함.

다수의 사람이 놀라서 동요하며, 불안감을 갖


고 밖으로 뛰어 나간다. 수면중인 사람이 전 모든 사람이 감지한다. 많은 사람이 놀라서
부 깨어나며, 똑바로 걸을 수가 없다. 수목, 문밖으로 뛰쳐 나온다. 사람들의 걸음걸이가
잡초가 눈에 띄게 흔들리며, 액체표면에 물결 불안정하다. 창문, 접시, 유리그릇들은 깨어진
이 상당히 크게 일어남. 학교, 교회의 작은 다. 선방에 있는 책이나 자질구레한 물건들은
Ⅵ 종이 스스로 울림. 약한 건물의 회벽이 떨어 떨어진다. 액자 등이 벽에서 떨어진다. 가구류
지고, 균열이 발생하며, 굴뚝에도 작은 균열 가 넘어진다. 교회나 학교의 작은 종이 운다.
이 생김. 다수의 유리제품, 소수의 유리창이 나무나 덤불이 눈에 띄게 움직이고 바스락거
파손, 장식물, 책, 액자 등이 낙하 또는 전도 리는 소리를 들을 수 있다. 약한 회벽, D급
됨. 경량가구는 파손되고, 중량가구는 전도 구조물에 균열이 발생한다.(21~44gal)
또는 위치변동이 생김.

모든 사람이 불안감을 갖고 밖으로 뛰어 나


감. 대부분이 서 있기 곤란하며, 운전자도 지
진을 느낌. 연목, 호수, 유수 표면에 큰 파문
이 생기며, 바닥의 진흙이 뒤섞여 흙탕물이 평지에서도 서있기가 힘들다. 자동차를 운전
됨. 제방의 모래, 자갈 등이 소량 붕락. 매달 하는 사람이 감지한다. 매달린 물건이 흔들린
린 물체의 진동이 관측 가능하며, 큰 종이 스 다. D급 구조물에 균열이 발생하고 손상을 입
스로 울린다. 내진설계가 된 건물에는 피해가 는다. 약한 굴뚝이 지붕부근에서 파손됨. 느슨
무시될 정도이나, 부실건물이나 탑 등에는 상 한 타일, 벽돌, 돌조각과 장식물들이 떨어진
Ⅶ 당한 피해가 있다. 굴뚝에 심한 균열이 생기 다. C급 구조물에 미세한 균열이 발생한다.
며, 회벽의 대부분이 붕락하고 벽에 작은 균 연못에 파도가 일고 혼탁해진다. 작은 규모의
열이 생김. 대부분의 유리창, 소가구는 파손 산사태가 발생하고 모래나 자갈둑이 함몰된
됨. 타일이나 부실하게 쌓은 벽돌은 붕락함. 다. 큰 종이 운다. 콘크리트 배수로가 피해를
부실한 굴뚝은 지붕부근에서 파손됨. 고층건 입는다.(44~94gal)
물, 탑 등의 주위 장식물이 추락하며, 결합이
불충분한 벽돌, 석재가 낙하. 콘크리트포장의
수로가 파손됨.

- 20 - 국립방재연구소
지진의 크기를 나타내는 용어 지 진

< 표 1.3 계속 >


MM 진도
Wo o d a n d Ne u m a n n (193 1) Ric h te r(195 6)
모든 사람이 공포에 가까운 불안감을 느낌.
차량의 운전에 장애가 발생함. 수목이 심하게
요동함. 마른 우물이 재용출하거나, 기존우물 자동차의 운전에 영향을 준다. C급 구조물은
의 물이 마르기도 하며, 소온의 변화가 일어 일부 파손되며, B급에는 약간의 피해가 발생
남. 내진설계된 벽돌건물에도 약간의 피해가 하나 A급에는 피해가 나타나지 않음. 도장된
발생함. 일반건물에 부분적으로 붕괴, 뒤틀림, 흙벽의 붕락, 굴뚝, 공장지대의 큰 굴뚝, 기념
도장벽의 붕락이 일어남. 목조건물의 토벽붕 비, 탑, 저장탱크 등이 전도하거나 뒤틀림. 기
Ⅷ 괴, 오래된 기둥 또는 낡은 골격의 파괴가 발 초가 불안정한 누각, 정자가 기초에서 이탈함.
생함. 일반담장의 붕괴, 견고한 돌담에 심한 느슨한 패널벽이 튀어나오며, 강도가 낮은 파
균열이 발생하거나 파손이 일어남. 급사면이 일이 파손됨. 우물의 수위와 수온이 변하며,
나 젖은 지표에 균열이 나타남. 굴뚝, 기념비, 급사면이나 젖은 지표면에 균열이 발생함. 나
공장지대의 큰 굴뚝, 탑 등이 휘거나, 전도됨. 무가지가 부러짐. (94~202gal)
무거운 가구의 위치가 심하게 바뀌거나 전도
됨.

모든 사람이 당황하고 공포에 휩싸인다. D급


구조물은 완전히 파괴되고, C급 구조물은 심
하게 피해를 입으며 때로는 완전히 붕괴되기
지표면의 균열이 확실하게 나타남. 내진설계
도 한다. B급 구조물에도 상당한 파손이 일어
된 누각, 정자 등에 피해가 상당히 발생하며,
남. 대개의 구조물 기초가 피해를 입으며, 견
Ⅸ 기둥들이 기초에서 이탈하여 위치가 변경되
고히 고정되지 않은 구조물은 기초에서 밀려
는 현상 발생. 저수지에 심한 피해가 발생하
난다. 뼈대구조물이 파괴된다. 저수조에 큰 피
며, 지하의 파이프가 파손됨.
해, 지하도관의 파괴, 지면이 현저하게 갈라진
다. 충적지에서는 모래, 진흙의 분출, 지진천
및 모래구덩이 생긴다.(202~432gal)

약하고 습한 지표면에는 수 인치, 강뚝과 수


로 및 제방에는 수 야드에 달하는 균열발생.
제방과 급사면에 대규모 사태가 발생하고, 해 모든 조적조 구조물과 뼈대구조물이 기초와
변이나 평지의 모래나 진흙이 수평적으로 이 함께 파괴된다. 잘 지은 목조구조물 및 교량
동함. 우물의 수위변화, 제방이나 둑에서 물 도 약간의 파괴가 일어난다. 댐 및 제방 등에
의 누출이 일어남. 견고한 목조건물, 교량 등 심한 피해가 발생한다. 대규모의 산사태가 발
Ⅹ 의 일부에 파괴가 발생. 견고한 벽돌담에도 생한다. 운하, 하천, 호수 등의 제방 위로 물
위험한 균열이 생기며, 대부분의 석축물, 누 이 넘치게 된다. 모래 및 진흙이 해변 및 평
각, 정자 등이 기초와 함께 파괴됨. 철로, 지 탄한 지역지에서 수평으로 이동한다. 철로의
하 파이프의 연결부분이 터지거나 엇갈림. 아 레일이 약간 구부러진다.(432gal 이상)
스팔트, 콘크리트 포장도로에 균열이 생기며,
큰 물결모양의 파형과 같은 굴곡면이 생김.

- 21 - 국립방재연구소
지진의 크기를 나타내는 용어 지 진

< 표 1.3 계속 >


MM 진도
Wo o d a n d Ne u m a n n (193 1) Ric h te r(195 6)

지표의 구조가 달라지며, 광범위한 지역에 큰


변동이 생김. 다량의 모래와 진흙의 혼합물이
용출됨. 폭 넓은 균열과 지표의 함몰, 약한
부분에 사태를 유발. 심한 해일의 원인이 되
기도 함. 목조건물의 피해가 극심함. 진원부 레일이 심하게 구부러진다. 지하도관은 완전
근의 댐, 제방 등에 피해가 증대함. 석축물의 히 사용할 수 없게 된다.
경우는 진원에서 멀더라도 존립 불가능. 내진
설계가 된 교량도 붕괴하나, 목조교량은 상대
적으로 피해가 감소함. 철로의 왜곡이 심하
며, 파이프관은 완전히 파괴됨.

사실상 모든 구조물이 대부분 또는 완전히


파괴됨. 지표에 심한 변동과 변화가 나타남.
다수의 균열이 발생. 큰 암괴들이 추락하며,
강의 제방 붕괴. 큰 암괴는 소암괴로 분해되
모든 것이 완전히 파괴된다. 커다란 바위덩이
거나 균열발생. 단단한 암반에도 수평, 수직
가 이동한다. 지표에 파형이 보이며, 물체가
방향의 뚜렷한 단층발생. 해협, 수로에도 지
공중에 튕겨진다.
상과 지하에 변동발생. 새로운 호수 또는 폭
포가 출현하며, 수로가 변경됨. 대부분의 경
우, 수평방향의 시야에 물결 모양의 왜곡이
나타남. 물체가 공중으로 튀어 올라감.

주: 1) MM진도는 Wood an d Neu m ann (1931)에 의하여 개정된 후, Richter(1956)에 의하여


보충된 것임.
2) MM진도에서의 구조물은 Richter (1956)에 의하여 다음과 같이 분류된 것임.
A급 : 최고의 건축술에 의한 설계. 횡방향의 힘에 견디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철근
콘크리트로 보강한 구조물
B급 : A급과 같으나 횡방향의 힘에 견딜 수 있는 상세설계가 제외된 구조물
C급 : 중간정도의 건축술로 설계된 구조물. 구석부분은 어느 정도 보강되어 있으나,
횡방향의 힘에 대해서는 고려하지 않은 구조물
D급 : 낮은 수준의 건축술로 설계된 구조물. 하급모르터, 강도가 낮은 벽돌과 같은
약한 재료 사용. 수평방향으로 약한 구조물

- 22 - 국립방재연구소
지진의 크기를 나타내는 용어 지 진

그 림 1.8 M M , RF, JM A, M SK의 진 도 등 급 비 교


(Rich ter, 1958;Kram er, 1996)

그 림 1.9 (a) 1968년 뉴 질 랜 드 에 서 발 생 한 이 난 가 화 (In an g ah u a) 지 진 과


(Eiby , 1980), (b ) 1989년 캘 리 포 니 아 에 서 발 생 한 로 마 프 리 에 타 (Lo m a
Prieta)지 진 (H ou sn er, 1990)의 M M I 등 진 도 도 (Iso se ism al M ap s)

- 23 - 국립방재연구소
지진파 지 진

1 .5 .3 잘 못 사 용 하 기 쉬 운 용 어 (기상청, 1997)

국제적으로 '규모'는 소수 1위의 아라비아 숫자로 표기하고 '진도'는 정수단위의


로마 숫자로 표기하는 것이 관례이다.
'리히터지진계로 진도 5 .6의 지진'은 틀린 표현이며
--> ' 리히터스케일 혹은 리히터 규모 5.6의 지진'
--> 단순히 ' 규모5.6의 지진'이라 표현해야 한다.
'진도 5 .6 '은 틀린 표현이며 ' 규모5.6'이라 표현하는 것이 옳은 표기법이다.
'강도'라는 표현은 결국 '진도'에 해당하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으나
사용하지 않는 용어이다.
'리히터지진계'라는 기계는 존재하지 않는다.

1.6 지 진 파

암석의 파괴가 일어난 진원역으로부터 탄성체인 지구의 내부 또는 표면을 따라


전파되는 탄성파(elastic wave)를 지진파라 한다.
지진파는 크게 정지파와 주행파로 구분할 수 있다. 정지파는 진원에서 방출된
지진에너지에 의해 발생하는 크기가 유한한 지구의 자유진동을 말하며, 지진발생
시 보통 수백 개 이상의 모드가 각각의 고유한 주기와 진폭으로 진동을 일으킨다.
그러나 이러한 자유진동들이 동시에 발생하므로 이들이 결합되어 다양한 지진파를
형성하게 되며 이들은 일정한 속도를 가지고 주행하는 것처럼 보이므로 이들을 주
행파라고 부른다.

1 .6 .1 지 진 파 의 분 류

지진파는 전파특성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 24 - 국립방재연구소
지진파 지 진

P파
실체파
S파
지진파
러브파 : S h
표면파
레일리파 : P+Sv

가. 실체파

지구의 내부를 관통하여 주행하는 지진파를 실체파라 한다. 실체파는 매질에 나


타나는 변형의 형태에 따라 P파와 S파의 두 가지 종류가 있다.

(1) P파 (종 파 )

파의 진행방향과 나란하게 진동을 일으키며 매질의 부피변화를 수반한다.


속도가 가장 빠르기 때문에 항상 지진기록에서 가장 먼저 나타나며 S파(횡
파)의 전파속도보다 약 1.7배의 속도를 가진다.
음파와 같은 소밀파로서 모든 매질에서 전파된다.
P파의 P는 지진파가 도달하는 순서와 특성을 뜻하는 "Primary 또 는 Push "
의 머릿자에 해당한다.

(2) S파 (횡 파 )

파의 진행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진동을 일으키는 실체파로서 S파의 통과시


매질의 부피변화는 일으키지 않으나 전단변형을 수반한다.
상대적으로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항상 지진기록에서 P파의 뒤에 나타난다.

- 25 - 국립방재연구소
지진파 지 진

일반적으로 P파의 진폭보다 크게 나타난다.


진행방향에 수직인 횡운동에 의한 것이므로 액체 내부(지구의 외핵 또는 내
핵)는 통과할 수 없다.
진동면이 수직방향인 수직횡파와 진동면이 수평방향인 수평횡파의 두 종류
가 있다.
S파의 S는 지진파가 도달하는 순서와 특성을 뜻하는 "Secondary 또 는
Sh ake "의 머릿자에 해당한다.

나. 표면파

실체파가 일정한 지층에 묶여서 그 층을 따라서 진행하므로서 만들어지는 파를


표면파라 한다. 표면파를 구성하는 실체파의 형태에 따라 레일리파와 러브파의 두
종류가 있으며, 실체파보다 전달속도가 느리다.

(1) 러 브 파

러브파는 S파의 수평운동 성분인 SH 파로서 레일리파보다 빠르게 전파되고, 매


질의 운동이 수평성분만을 가지므로 수직성분지진계에는 거의 기록되지 않는다.

(2) 레 일 리 파

P파와 S파의 수직운동 성분인 SV 파가 조합된 성질을 가지며, 지표에서는 수평축


이 긴 후방향 타원운동형 진동형태를 보여준다. 종방향성분 지진기록에서 관측이
잘 이루어지며 러브파의 뒤에 기록된다.

- 26 - 국립방재연구소
지진파 지 진

그 림 1.10 지진파에 따른 지표근처에서의 지반진동의 형태


(Bru ce A . Bolt, 1993)

- 27 - 국립방재연구소
지진계 지 진

1.7 지 진 계 (seism ograp h)

1 .7 .1 지 진 계 의 정 의

지진으로 인한 지반의 흔들림을 기록하는 기계

1 .7 .2 지 진 계 의 원 리

물체를 지면과 다른 운동을 시켜 지면과 이 물체와의 상대운동을 기록으로부터


이론적으로 지반동(earth movement)을 산출한다.
무거운 추를 실에 매단 후 실의 끈을 잡고 좌우로 빠르게 움직여 보면, 추는 정지
된 채 그대로 있다. 지진이 발생하면 땅이 흔들리고, 땅에 박혀있는 지진계도 흔들
리게 된다. 하지만 지진계의 추만은 관성에 의해 정지되어 있으므로, 회전원동 기
록지에 땅의 흔들림을 기록할 수 있다.

1 .7 .3 지 진 계 의 종 류

관측대상 진동의 방향 : 수직성분지진계와 수평성분지진계로 나뉘어지는데, 최


근에는 이들이 하나의 지진계에 통합되고 있는 추세이다.
관측된 지진데이타의 저장방법 : 아날로그 지진계와 디지털 지진계로 나뉘어
지는데, 디지털지진계는 그 정밀도와 측정 가능한 진폭범위가 아날로그지진계
보다 월등하고 직접 컴퓨터 입력이 가능하므로 다양한 지진분석이 용이하다는
이점을 가지고 있어 최근에는 디지털지진계를 사용하는 추세이다.

그 림 1.11 지진계의 원리

- 28 - 국립방재연구소
지진에 의한 피해 지 진

1.8 지 진 에 의 한 피 해

1 .8 .1 지 면 변 동 에 의 한 피 해

산사태, 단층, 지반의 융기, 함몰, 침강 등에 의한 피해를 말하며, 지면변동에 의


한 구조물의 피해는 입지조건, 환경조건 등을 충분히 고려하여 2차적인 피해를 최
소화하여야 한다. 지면변동에 의한 지진피해의 예로써 일본의 Nobi의 단층(상하
6m, 수평2m), Alaska지진시의 광범위한 산사태, San Fernando 지진시의 단층지대
의 피해 등이다. 1970에 페루의 산악지대에서 발생한 지진은 14km에 걸치는 산사
태를 촉발시켜 40,000명에 달하는 인명손실을 일으켰다. 1981년 발생한 규모 6.9의
보라지진의 경우 단층대를 따라 약 4m의 수직변위가 발생하였다.

1 .8 .2 진 파 (津 波 , T s un am i , 쯔 나 미 )에 의 한 피 해

해저에서 수직단층운동이 일어나거나 연약한 퇴적지층이 잘 발달된 해저에서 지


진이 발생할 경우에 해수에 진동이 전달되어 파도를 일으키게 되며 이러한 해면파
를 쯔나미라고 한다. 파도가 해안에 도착하면 파고가 급격히 증가하면서 해안에
큰 피해를 일으킨다. 쯔나미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방파제, 방조림 등의
시설을 하는 이외에 마을을 고지대로 이전하는 방법 등이 있다. 쯔나미에 의한 피
해의 예로써 칠레 서해안에 발생한 지진에 의한 쯔나미가 하와이와 일본 동해안에
까지 피해를 주었으며, 1896년 일본 북동 해안의 Sanriku 근처에서 발생한 지진에
의한 쯔나미의 파고는 10여 m에 달했다.

1 .8 .3 지 진 동 에 의 한 진 동 피 해

구조물의 진동적인 파괴형식은 건물 전체의 전도, 활동 등과 구조물의 각부 파


손에 수반되는 붕괴, 경사파손 등으로 나누어진다. 전도의 예로는 철도의 플랫폼,
지붕, 담장, 수조 등 상부가 무거운 구조물 등이 있고 기초의 휨저항력이 약하며,
수평력에 내진요소가 약한 단순구조물 등에서 많이 볼 수 있다. 골조파괴에 대한

- 29 - 국립방재연구소
우리나라의 지진활동 지 진

원인은 전단력에 대한 강도부족에 의해 비교적 저진폭으로 파괴되는 경우와 진동


이 증폭하여 과도한 변형에 대해 부재가 항복파괴를 일으키는 경우로 나누어진다.
구조재가 취성이 없는 경우 진동주기가 짧고 가속도가 큰 충격적인 지진이 발생하
는 경우 건물의 균일성이 없어지고, 강도가 약한 부분에서는 강도부족의 파괴형태
가 발생되며, 강도가 약한 부분이 연쇄반응적으로 파괴되어 붕괴된다. 변형파괴형
태는 구조부재의 변형추종성능이 크더라도 진동주기가 길고 건물의 진폭이 공진적
으로 증대하는 위험이 있는 경우 국부적으로 과도한 변형이 생길 경우 어떤 특수
한 부분의 변형이 과도해져서 연직하중의 영향을 받으므로써 좌굴하는 경우 등을
말한다.

1 .8 .4 지 진 시 화 재 에 의 한 피 해

지진시에는 지반의 붕괴나 진동으로 인하여 누전 또는 가스관의 파열이 일어나


화재가 발생하며 도시 과밀지대의 지진피해 중에 가장 피해를 주는 요인으로, 사
상자율이 높다. 1906년 샌프란시스코 지진, 1923년 동경지진 그리고 1995년 고베지
진의 경우에도 화재가 주 피해요인이었다.

1.9 우 리 나 라 의 지 진 활 동

1 .9 .1 우 리 나 라 지 진 활 동 의 특 성

천발지진(진원깊이 50km 이하)이며 판내부 지진이다.


인도대륙의 유라시아 지판과의 충돌, 태평양판과 필리핀판의 삽입에 의한 지
진발생
지질구조상 지각이 약한 단층구조가 많으며, 역사지진보다 최근에 규모가 작
은 지진의 발생빈도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로 볼 때 지진의 안전지대
가 아니며, 지진의 위험성이 내재되어 있음.
주변 국가에서 발생한 지진의 영향을 받음

- 30 - 국립방재연구소
우리나라의 지진활동 지 진

중국에서 발생한 지진 :
1548년 9월 13일과 1597년 10월 6일에 발해만 규모 7의 지진
1668년 7월 25일 산뚱반도 남쪽 담성 규모 8.5의 지진
1679년 9월 2일 하북지방 규모 8의 지진 : 평안도 철산에 쯔나미(津波) 피해
1969년 7월 18일 발해만 규모 7.4의 지진
1975년 2월 4일 해성 규모 7.3의 지진

일본에서 발생한 지진 :
일본 혼슈 서부 앞바다(동해의 동부)에서 발생한 지진 : 쯔나미에 의한 동해
안의 피해

1 .9 .2 우 리 나 라 의 지 진 활 동

가. 역사지진

계기지진을 시작한 1905년 이전까지의 지진을 역사지진이라 하며, 역사지진에


대한 자료는 삼국사기, 고려사, 조선왕조실록, 일성록, 동국문헌비고 등의 문헌을
통해 알 수 있다. 현재까지 밝혀진 역사 기록상의 유감지진은 약 1800회에 달하며,
MM진도 5이상의 지진이 약 400회 정도 발생하였다. 또한 역사지진 자료 중에는
인명 및 재산피해의 기록이 있는 피해지진이 약 40회 이상 발생하였다.

- 31 - 국립방재연구소
우리나라의 지진활동 지 진

그 림 1.12 역 사 지 진 분 포 (A .D . 2~ 1904) (한국지진공학회, 1997)

나. 계기지진

우리나라에서 지진계를 설치하고 지진을 관측한 것은 1905년부터이며, 지진발생


빈도는 1978년부터 1997년 말까지 연평균 19회정도 발생하고 있다. 이중 사람이
느낄수 있는 유감지진(규모 3.0이상)은 연평균 7~8회 정도 발생하며, 건물에 피해
를 줄 수 있는 지진(규모 5.0이상)은 8~10년에 1회 정도 발생하고 있다.

- 32 - 국립방재연구소
우리나라의 지진활동 지 진

그 림 1.13 계 기 지 진 분 포 (1905~ 1996)(한국지진공학회, 1997)

- 33 - 국립방재연구소
우리나라의 지진활동 지 진

표 1.4 주 요 계 기 관 측 지 진 목 록 (규 모 4.0, 진 도 Ⅲ 이 상 )

진 원 시 지 진 명 진 앙 규모(M) 진도(J MA) 및 기타

1936. 7. 4 35.2 N 쌍계사(Ⅴ), 부상4명, 가옥파괴 113


쌍계사지진 5.1
06-02-17.4 127.7 E 동
1978. 9. 16 36.6 N
속리산지진 5.2 보은(Ⅳ), 일부 낡은 가옥의 파괴
02-07-05.8 127.9 E
1978. 10. 7 36.6 N 홍성(Ⅴ), 부상2명, 건물파괴 118동,
홍성지진 5.0
18-19-52.2 126.7 E 성곽파손 90m
1980. 1. 8 36.6 N
삭주지진 5.0(mb) 서울(Ⅰ), 북한지역 피해미상
08-44-26.0 124.9 E
1981. 4. 15 35.8 N 4.8
포항지진 포항(Ⅳ), 일부가옥 균열
11-47-00.2 130.1 E 5.0(mb)
1982. 2. 14 38.3 N 4.5
사리원지진 서울(Ⅲ), 피해미상
23-37-32.1 125.7 E 5.1(mb)
1982. 3. 1 37.2 N 4.7
울진지진 울진(Ⅳ), 울진 북동 45km 해역
00-28-02.1 129.8 E 5.0(mb)
1985. 6. 25 37.3 N
영흥도지진 4.0 인천(Ⅲ), 인천 남서 30km
06-40-33.8 126.4 E
1992. 1. 21 35.4 N 울산(Ⅲ), 경남 울산 남동쪽 50km
울산지진 4.0
03-36-17.9 129.9 E 해역
1992. 12. 13 35.3 N 울산, 포항, 부산(Ⅲ~Ⅱ), 경남 울
울산지진 4.0
20-22-38.9 130.1 E 산 남동쪽 70km 해역
1994. 4. 22 34.9 N 울산, 포항, 부산, 대구(Ⅲ), 경남
울산지진 4.6
02-05-27.1 131.0 E 울산 남동쪽 175km 해역
1994. 4. 23 35.1 N 울산, 포항, 경주, 부산(Ⅲ), 경남
울산지진 4.5
12-41-41.9 131.1 E 울산 남동쪽 175km 해역
1994. 7. 26 34.9 N 홍도, 흑산도, 목포, 완도(Ⅲ), 전남
홍도지진 4.9
02-41-46.3 124.1 E 홍도 서북서쪽 100km
1995. 7. 24 38.1 N 서울, 경기북부(Ⅲ), 백령도 서쪽
백령도지진 4.2
19-02-46.0 124.0 E 70km 해역
1996. 1. 24 양양 37.9 N
4.2 양양 동쪽 80km 해역 (Ⅳ)
05-09-55.4 앞바다지진 129.6 E
1996. 12. 13 37.2 N 전국에 감지(Ⅰ~Ⅳ), 강원도 영월
영월지진 4.5
13-10-17.3 128.8 E 동남쪽 20km 지역
1997. 6. 26 경주남동쪽 35.8 N 경북 경주 남동쪽 6km 지점
4.0
03-50-22.2 지진 129.3 E 경북 경주, 포항, 울산 진도 II
1998. 2. 10 37.8 N
백령도지진 4.1 백령도 서남서쪽 90km 해역
21-11-25.2 123.6 E

- 34 - 국립방재연구소
내진설계란? 내진설계

제 2 장 내 진 설 계 (耐 震 設 計 )

2.1 내 진 설 계 란 ?

내진설계란 일반적으로 구조물의 동적 특성, 지진의 특성 및 지반의 특성을 고


려하여, 지진에 안전할 수 있도록 구조물을 설계하는 것을 말한다.

지진학과 지진공학이 정립되기 이전에는 지진의 발생으로 인한 지상구조물의 피


해는 자연재해의 필연으로 받아들여졌다. 지진으로 인한 지반의 불규칙한 운동으
로 구조물은 진동하게 된다. 지진력은 구조물의 기반에 작용하게 되며, 구조물의
상층에 작용하는 전단력은 구조물의 동적거동의 결과에 따라 다르게 된다. 어느
특정지역에서 예상할 수 있는 지반운동의 크기와 특성을 알아내는 데는 한계가 있
다. 그러나 과거에 일어난 지진기록을 참고하여 예상되는 지진의 크기와 특성을
유추하여 응답스펙트럼의 상대적인 크기와 특성을 결정한다. 지반운동에 대한 구
조물의 탄성해석의 결과는 일반적으로 과도한 응력 및 설계하중으로 나타나게 된
다. 이에 대한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구조물의 비선형거동에 의한 에
너지의 소산과 댐핑으로 인한 에너지의 소산이 그의 주된 원인으로 알려지고 있
다. 중요한 사실은 지반진동에 따른 실제 구조물의 동적거동의 결과는 구조물의
탄성해석결과 보다 일반적으로 적다는 것이다.

해석에 의하여 구조물을 설계할 지진하중을 결정할 수는 있지만, 지진하중을 정


확하게 이해하여야 하며 또한 적절하게 적용하여야 한다. 지진하중을 구조물의 탄
성한계 내에서의 동적거동을 근거하여 결정할 수 있지만, 구조물이 비선형거동을
하게 되면 많은 양의 에너지를 흡수하게 되고, 따라서 탄성하중은 구조물의 소성
변위와 에너지보존법칙에 따라 감소하게 되므로 구조물의 거동에 대한 이차적인
영향을 고려하여야 한다. 구조물이 지진에 대하여 잘 견딜 수 있는 능력은 탄성한
계를 넘어 비탄성범위에서 발휘할 수 있기 때문에 파괴를 일으키지 않고 비선형적
으로 에너지를 소산시킬 수 있도록 구조물이 연성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

- 35 - 국립방재연구소
내진설계란? 내진설계

다.

내진설계는 과학적인 원리, 공학적인 판단과 경험, 그리고 경제성과 확률에 근거


를 두고 있다. 내진설계기준의 기본적인 목적은 어느 특정지역에서 발생가능한 큰
규모의 지진으로부터 구조물의 붕괴나 극심한 피해를 방지하여 구조물의 안에서나
그 주위에서의 인명의 살상이나 피해를 극소화하는 데에 있다. 큰 지진에 대한 내
진설계는 자주 발생하는 규모가 작은 지진에 대하여서도 충분한 내진력을 갖추게
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강도가 큰 지진은 다른 모든 하중을 합한 것보다도 더 큰
응력과 처짐을 구조물에 일으키기도 하지만, 구조물의 예상수명기간 내에 그러한
지진이 발생할 확률은 그리 높지 않다. 이러한 극심한 지진하중과 낮은 발생확률
을 효과적으로 고려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두 단계의 설계지침을 주로 채택하고
있다.

(1) 구 조 물의 예 상수 명 기간 내에 발 생가 능 한 중 간정 도 의 지 진 을 설 계지 진
으 로 채 택 한다 . 심각 한 구조 적 인 피 해 를 입 지 않도 록 방지 하 여야 하
며 경 미 한 구 조적 피해 는 쉽 게 복 구 할 수 있 어 야 한 다 (기능 수 행수 준 ).
(2) 구조 물 의 예상 수 명기 간 내에 발 생 가능 성 이 없는 강 한 지진 으 로 심 각
한 구 조 적인 피 해를 입더 라 도 붕 괴 되지 않아 인 명피 해 를 극 소화 하 여
야 한 다 (붕 괴방 지 수준 ).

위와 같은 두 단계 내진설계지침의 기본개념은 경제성과 인명피해 극소화의 관


점에서 설정되어야 한다. 발생 가능성이 적은 강한 지진에 대하여 인명피해를 극
소화하기 위하여 안전한 구조물을 설계할 수는 있지만, 경제적인 부담이 너무 크
게 되어 비현실적이다. 따라서 내진설계의 극대화(optimization)는 구조물의 연성
(ductility)을 증가시키고, 구조물의 비선형거동에 의한 진동에너지 소산으로 이룰
수 있다. 재질의 소성변위의 허용으로 구조적인 피해는 크지만 구조물의 완전한
붕괴는 일으키지 않을 정도의 유연성을 고려하여야 한다. 내진설계기준은 각 나라
마다 그 당시의 지리적 및 경제적인 여건과 기술적인 수준을 고려하여 설정하게
된다.

- 36 - 국립방재연구소
내진설계란? 내진설계

내진설계법에는 크게 등가정적해석법과 동적해석법이 있다. 등가정적해석법은


지진의 영향을 등가의 정적하중으로 환산한 후에 이를 이용하여 정적해석을 수행
함으로써 구조물의 지진에 의한 거동을 해석하는 방법이다. 동적해석법이라 함은
동력학 이론에서 일반적으로 스펙트럼 해석법이라고 부르는 방법을 의미하는데,
이 방법은 설계용 응답스펙트럼을 이용하여 지진해석을 수행하여 구조물 전체의
지진거동을 해석하는 방법을 말한다.

동적 내진설계에 있어서는, 지반을 변형하는 물체 혹은 진동하는 물체로 인식하


는 것이 중요하다. 구조물이 구조체인 것과 마찬가지로 지반도 역시 구조체이다.
단지 구조물이 인공물이라면 지반은 자연물이다. 지진에 의해 지반이 흔들릴 때
구조물도 흔들린다. 이때 구조물과 지반은 서로 다른 물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들의 접촉면에서 어떤 부적합 변형을 일으키면서 흔들린다. 구조물의 내진구조
계획은 이 부적합 변형을 고려한 지반-구조물의 동적 상호작용을 고려하여 수행하
는 것이 보다 안전하다.

2 .1 .1 내 진 설 계 의 필 요 성

금세기에 들어서 세계적으로 대규모의 지진활동이 활발해지고 있으며, 그에 따


른 피해 또한 크게 발생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우리 나라는 지진에 대해 안전지대
로 생각되어져 왔지만, 조선왕조실록, 삼국사기, 고려사 등 역사 문헌과 중국화북
조선지진목록(1987)에 나와 있는 지진피해 기록을 살펴보면 적지 않은 횟수의 강
진이 발생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역사지진이나 최근의 계기지진의 경향에
비추어 볼 때, 인명과 사회 및 경제 시스템에 큰 피해를 초래할 수 있는 대규모의
지진이 발생할 가능성은 항상 존재한다고 볼 수 있다.

구조물을 포함한 각종 시설물들이 강진에도 안전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내진설계


기술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선진 외국에서는 내진설계 기술이 최근에 급속하게
발전하여, 또 다단계 성능에 기초한 내진설계 기술을 도입하여 대형 구조물과 시

- 37 - 국립방재연구소
내진설계란? 내진설계

스템을 강력한 지진에도 비교적 안전하도록 설계하고 건설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


었다. 지진발생시 지진피해의 규모는 지진에 대한 사회 전체의 준비태세와 내진설
계의 중요성 인식, 특히 내진설계 기술의 수준 및 시공의 정밀도에 따라서 큰 차
이가 있음을 지적해 둔다.

2 .1 .2 내 진 설 계 의 일 반 적 인 절 차

가. 내진설계 성능기준의 일반적인 절차

계획

내진등급 결정 지진구역 결정
특등급, I등급, II등급 I구역, II구역

성능수준별 재현주기 결정 지반의 분류


기능수행수준, 붕괴방지수준 SA , S B, SC , S D, S E, SF

재현주기별 위험도계수 결정 지진계수 결정


50, 100, 200, 500, 1000, 2400년 Ca , Cv

설계지진의 응답스펙트럼 결정

기능수행수준 붕괴방지수준

지진력 산출 지진력 산출

설계 지진력 산출

상세 내진 설계

그 림 2.1 내진설계 성능기준의 일반적인 절차

- 38 - 국립방재연구소
내진설계란? 내진설계

나. 내진해석과 설계방법의 일반적인 절차

해석방법 결정

등가정적해석법, 스펙트럼해석법,
시간이력해석법

설계지진력 및 설계변위 결정

재조정
각종 부재의 설계

설계의
정해진 내진성능에 대한
적합성 여부

내진설계 완료

그 림 2.2 내진해석과 설계방법의 일반적인 절차

그림 2.1에서 보듯이 내진설계(성능기준)의 일반적인 절차는 우선 대상 시설물의


중요도나 지역별 지진재해 발생 가능성 등에 따라서 내진등급을 분류하고, 그 등
급별 내진성능수준을 결정한다. 그 다음 재현주기별 위험도계수를 결정하고, 대상
시설물이 속한 지역에 따라 지진구역이 결정되면 대상시설물이 위치할 지역의 지
반등급을 분류한다. 이에 따라 지진계수가 결정되면 설계지진의 응답스펙트럼을
결정할 준비가 끝난 것이다. 설계응답스펙트럼을 결정하고 나면, 내진성능수준을

- 39 - 국립방재연구소
내진설계란? 내진설계

결정하고 이에 따라 설계지진동을 결정하고 적당한 내진설계방법으로 내진설계를


수행한다.

시설물별 내진설계는 우선 어떤 방법으로 내진설계를 수행할 것인가를 결정하


고, 설계지진에 따라 설계지진력 및 설계변위를 결정한다. 그다음 구조별, 또는 부
재별 설계가 적정한가를 판단하는 순서로 내진설계를 수행한다.

2 .1 .4 내 진 설 계 대 상 20개 법 정 시 설 물

정부에서는 1995년 12월에 자연재해대책법을 제정・공포하여 시행하고 있다. 자


연재해대책법, 제5장 지진방재대책의 제 34조에는 20개 법정시설물들을 내진설계
대상물로 설정하여 내진설계를 시행할 것을 규정하고 있다. 이들 20개 법정시설물
은 다음과 같다.

(1) 건축법에 의한 건축물


(2) 도로법에 의한 도로
(3) 원자력법에 의한 원자로 및 관계시설
(4) 특정다목적댐법에 의한 다목적 댐
(5) 전기사업법에 의한 발전용 수력설비 및 화력설비
(6) 공항법에 의한 공항시설
(7) 철도법에 의한 철도
(8) 도시철도법에 의한 도시철도
(9) 한국고속도로건설공단법에 의한 고속철도
(10) 항만법에 의한 항만시설
(11) 어항법에 의한 어항시설
(12) 총포, 도검・화약류 등 단속법에 의한 화약류 저장소 및 취급소
(13) 석유사업법에 의한 석유정제시설・석유비축시설 및 석유저장시설
(14) 수도법에 의한 수도시설
(15) 농어촌정비법에 의한 농업생산기반시설

- 40 - 국립방재연구소
내진설계란? 내진설계

(16) 도시가스사업법・고압가스안전관리법 등에 의한 도시가스・고압가스 및 액화


석유가스의 저장시설
(17) 기타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시설
(17)항에는 다음과 같은 시설물이 해당된다.
1) 특정다목적댐법외의 다른 법령에 의한 댐
2) 저수용량 2천만톤 이상의 저수지
3) 특별시 및 광역시 관할구역안의 직할하천의 수문 및 배수펌프장
4) 고유수면매립법・방조제관리법 등 관계법령에 의하여 설치・관리
되고 있는 배수갑문

현재 행정자치부 국립방재연구소에서는 이들 20개 법정시설물이 과연 타당하게


선정되었는지, 또는 중요시설물이 법정 내진설계 대상시설물에서 빠져있지는 않은
지 여부를 검토하고 있다.

- 41 - 국립방재연구소
내진설계란? 내진설계

<사 진 > 지 진 에 의 해 발 생된 단층

- 42 - 국립방재연구소
서론 시설물별 내진설계 기준

제 3 장 시설물별 내진설계기준

3.1 서 론

3 .1 .1 우 리 나 라 내 진 설 계 기 준 실 태

우리나라는 내진설계가 도입된 기간이 내진설계 선진국들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짧고, 일부 구조물에만 제한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1972년 원자력구조물에 대하여
내진설계가 도입된 이후에, 1988년 건축물, 1991년 고속철도, 1992년 도로교량,
1993년 댐 등에 지진하중에 대한 고려가 포함되었고, 일부 기타 구조물에도 지진
에 대한 고려를 규정하고 있지만 실제로 정확한 내진설계 기준이 정립된 상태는
아니며, 따라서 정확한 내진설계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일부 내진설계를 실시하
고 있는 구조물의 경우에도, 우리 나라의 지진특성이나 지반특성을 고려한 우리
나라 고유의 내진설계 기준이 없이 외국의 기준을 그대로 모방하여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내진설계 기준이 단편적이고, 체계적인 구성을 갖추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건설교통부에서는 지진공학회와의 공동연구를 통하여 1997년 12월에 일
부 시설물에 대하여 내진설계성능기준과 경제성평가를 위주로 내진설계기준연구II
(안)을 만들었다. 여기에서 내진성능(안)을 고려하고 있는 시설물은 도로교, 고속철
도, 공항, 항만, 지중구조물, 댐, 터널, 도로, 철도, 건축물 및 토목구조물과 연계된
건축구조물 등이다.

앞서 밝힌 바와 같이 현재 자연재해대책법에 내진설계를 시행할 것으로 규정하


고 있는 20개 법정 시설물이 있다. 이들 중 부분적으론 내진설계기준이 미진한 것
이 있기 때문에 본 교재에서는 내진성능기준(안)을 중점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20개 법정시설물에는 도로, 교량 및 터널이 도로법에 의한 도로로 한 개의 시설물
로 정의되어 있는 반면, 내진설계기준연구II(안)에는 각각의 시설물로 취급하여 내
진설계를 하고 있다.

- 43 - 국립방재연구소
서론 시설물별 내진설계 기준

3 .1 .2 상 위 개 념 내 진 설 계 기 준

가. 내진설계기준 체계

시설물 분류와 등급 설정
하중 수준
중앙부처의 장이 규칙 내진성능기준 성능 목표 설정
으로 제정함
(상위개념기준) 기본적인 내진 성능 확보
규제의 최소화
절차
품질 보증

관련학회, 협회에서 내진성능 확보를 위한 구


시방서 및 표준서로 내진설계기술기준 체적인 기술적 요구사항
작성 (하 위 개 념 기 준 ) 국제적으로 공통되는 자
대안선택의 자유 보장 연과학적, 공학적 사항

기술 지침서

그 림 3.1 내진설계 기준체계

- 44 - 국립방재연구소
서론 시설물별 내진설계 기준

시 설 물

내진등급의 분류 내진성능수준의 정의와 거동한계


내진특등급 기능수행수준
내진1등급 붕괴방지수준
내진2등급

내진등급별 성능수준에 따른
설계지진의 정의

시설물별 내진해석과 설계방법

내진성능 확보를 위한 품질보증활동


내진설계 기술개발과 개선에 필요한 자료 확보

그 림 3.2 상위개념 내진해석 설계 절차

나. 내진등급

시설물의 내진등급은 시설물의 중요도에 따라


- 내진Ⅱ등급
- 내진Ⅰ등급
- 내진특등급
으로 나눈다.
시설물별 구체적인 분류기준은 해당하는 내진설계 성능기준에서 규정한다.

- 45 - 국립방재연구소
서론 시설물별 내진설계 기준

다. 내진성능수준

시설물은 다음의 두 가지 내진성능수준을 만족하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 기능수행수준
- 붕괴방지수준
기능 수 행수 준 이란 ?
설계지진 작용시 구조물이나 시설물에 발생한 변형이나 손상은 그 구조물이
나 시설물의 기능을 차질 없이 수행할 수 있는 범위 내로 제한되는 성능수
준을 의미한다.

붕괴 방 지수 준 이란 ?
설계지진 작용시 구조물이나 시설물에 상당한 변형이나 손상이 발생할 수는
있지만 그 수준과 범위는 구조물이나 시설물이 붕괴되거나 또는 구조물이나
시설물의 손상으로 인하여 대규모 피해가 초래되는 것을 방지될 수 있는 성
능수준을 의미한다.

각 성능수준의 구체적인 정의는 해당 시설물에서 규정한다.

라. 설계지반운동 수준

설계지반운동 수준은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

- 평균재현주기 50년 지진지반운동 5년 내 초과확률 10%


- 평균재현주기 100년 지진지반운동 10년 내 초과확률 10%
- 평균재현주기 200년 지진지반운동 20년 내 초과확률 10%
- 평균재현주기 500년 지진지반운동 50년 내 초과확률 10%
- 평균재현주기 1000년 지진지반운동 100년 내 초과확률 10%
- 평균재현주기 2400년 지진지반운동 250년 내 초과확률 10%

- 46 - 국립방재연구소
서론 시설물별 내진설계 기준

마. 내진성능목표

등급별로 시설물이나 구조물은 표 3.1에 규정한 평균재현주기를 갖는 설계지반


운동에 대하여 기능수행수준과 붕괴방지수준을 만족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
다.
표 3.1 내진성능 목표

성능수준
기능수행 붕괴방지
재현주기
설 50년 Ⅱ등급
계 100년 Ⅰ등급
지 200년 특등급
진 500년 Ⅱ등급
1000년 Ⅰ등급
2400년 특등급

바 . 설계지 반운동의 정의, 위치 및 고려사항

설계지반운동은 부지 정지작업이 완료된 지표면에서의 자유장 운동으로 정의한


다.
국지적인 토질조건, 지질조건과 지표 및 지하 지형이 지반운동에 미치는 영향
이 고려되어야 한다.
기본적인 지진 재해도는 보통 암지반을 기준으로 평가한다.
설계지반운동은 흔들림의 세기, 주파수 내용 및 지속시간의 세 가지 측면에서
그 특성이 잘 정의되어야 한다.
설계지반운동은 수평 2축 방향과, 수직방향 성분으로 정의된다.
설계지반운동의 수평 2축 방향성분은 세기와 특성이 동일하다고 가정할 수 있
다.
설계지반운동의 수직 방향성분의 세기는 수평 방향 성분의 3분의 2로 가정할
수 있고, 주파수 내용과 지속시간은 수평방향 성분과 동일하다고 가정할 수 있
다.

- 47 - 국립방재연구소
서론 시설물별 내진설계 기준

사. 지진구역 구분 및 지진구역계수

지진재해도 해석 결과에 근거하여 표 3.2에 기술된 바와 같이 지진구역을 구분


한다.
표 3.2 지진구역 구분

지진구역 행 정 구 역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대전광역시, 부산광역시,



대구광역시, 울산광역시, 광주광역시

경기도, 강원도 남부, 충청북도, 충청남도, 경상북도, 경

상남도, 전라북도, 전라남도 북동부

Ⅱ 도 강원도 북부, 전라남도 남서부, 제주도

※ 강원도 북부(군, 시) : 홍천, 철원, 화천, 횡성, 평창 ,양구, 인제, 고성, 양양, 춘천시,
속초시
강원도 남부(군, 시 ) : 영월, 정선, 삼척시, 강릉시, 동해시, 원주시, 태백시
전라남도 북부(군, 시) : 장성, 담양, 곡성, 구례, 장흥, 보성, 여천, 화순, 광양시, 나주
시, 여천시, 여수시, 순천시
전라남도 남부(군, 시) : 무안, 신안, 완도, 영광, 진도, 해남, 영암, 강진, 고흥, 함평,
목포시

각 지진구역에서의 평균재현주기 500년 지진지반운동에 해당하는 구역계수 Z


는 표 3.3에 나타낸 바와 같다.

표 3.3 지 진 구 역 계 수 (평 균 재 현 주 기 : 500년 )

지진구역 I II
구역 계수, Z(g 값) 0 .1 1 0 .07

평균재현주기별 최대유효지반가속도의 비를 의미하는 위험도계수가 표 3.4에


주어져 있다. 여기에는 평균재현주기 500년 지진이 사용되었다.

- 48 - 국립방재연구소
서론 시설물별 내진설계 기준

표 3.4 위 험 도 계 수 (평 균 재 현 주 기 : 500년 )

재현주기 (년) 50 100 2 00 5 00 10 00 2 40 0


위험도계수, I 0 .4 0 0 .5 7 0 .7 3 1 1 .4 2 .0

시설이 위치할 부지에 대한 지진재해도를 정밀하게 평가하고자 할 경우에는 이


기준작성의 근거가 되는 지진재해도 해석으로부터 얻어진 등고선 형태의 지진
재해도가 사용될 수 있다.

아. 지반의 분류

국지적인 토질조건, 지질조건과 지표 및 지하 지형이 지반운동에 미치는 영향


을 고려하기 위하여 원칙적으로 지반을 표 3.5에서와 같이 SA , SB , SC , SD , SE ,
SF 의 6종으로 분류한다.
지반종류 SF 는 부지의 특성 조사가 요구되는 다음과 같은 경우의 지반이 속한
다.
- 액상화가 일어날 수 있는 흙, Quick Clay와 매우 민감한 점토, 붕괴될 정도로
결합력이 약한 붕괴성 흙과 같이 지진하중 작용시 잠재적인 파괴나 붕괴에 취
약한 지반
- 이탄 또는 유기성이 매우 높은 점토지반
- 매우 높은 소성을 갖은 점토지반
- 층이 매우 두꺼우며 연약하거나 중간 정도로 단단한 점토

- 49 - 국립방재연구소
서론 시설물별 내진설계 기준

표 3.5 지반의 분류

상부 30 .4 80 m 에 대한 평균 지반 특성

지반 종류 지반종류의 호칭 표준관입시험 비배수전단강도(


전단파속도 k Pa ) ,
N ( N CH )
(m ./ s )
(b lo w/fo o t) Su

SA 경암지반 1500 초과
- -
SB 보통 암지반 760에서 1500
매우 조밀한
SC 토사지반 또는 360에서 760 > 50 > 100
연암지반
단단한
SD 180에서 360 15에서 50 50에서 100
토사지반
연약한
SE 180 미만 < 15 < 50
토사지반
SF 부지 고유의 특성평가가 요구되는 지반

자. 설계지반운동의 특성표현

설계지반운동의 특성은 기본적으로 응답스펙트럼으로 표현한다.


5% 감쇠비에 대한 표준설계응답스펙트럼은 그림 3.3에 정의되어 있다.
그림 3.3에서 표준설계응답스펙트럼의 완전한 결정을 위해 요구되는 Ca와 Cv
의 값은 표 3.6에 지반종류별로 지진구역별로 각각 주어져 있다.

표 3.6 지 진 계 수 Ca 및 Cv

Ca Cv
지반종류
지진구역Ⅰ 지진구역Ⅱ 지진구역Ⅰ 지진구역Ⅱ
SA 0.09 0.05 0.09 0.05
SB 0.11 0.07 0.11 0.07
SC 0.13 0.08 0.18 0.11
SD 0.16 0.11 0.23 0.16
SE 0.22 0.17 0.37 0.23

- 50 - 국립방재연구소
서론 시설물별 내진설계 기준

필요시 시설물의 구조특성과 설계법을 고려하여 작성된 설계응답스펙트럼으로


그림 3.3에 주어진 표준설계응답스펙트럼을 대신할 수 있다. 이때 설계응답스
펙트럼은 그림 3.3에 주어진 표준 설계응답스펙트럼보다 안전측이어야 한다.
단, 대안으로 제시된 설계응답스펙트럼이 표준설계응답스펙트럼보다도 더 우수
하고 합리적임을 입증한다면, 비안전측인 설계응답스펙트럼이 사용될 수 있다.

그 림 3.3 표준설계 응답스펙트럼

파워스펙트럼
- 지표의 한 점에서의 지반운동은 파워스펙트럼으로 정의된 확률과정으로 표현
될 수 있다. 파워스펙트럼은 앞에서 규정한 응답스펙트럼과 지반운동의 특성
을 표현함에 있어서 일관성을 유지하여야 한다.
- 일관성에 대한 요구 사항은 기술기준에서 규정한다.
가속도 시간이력
- 지반가속도 또는 속도나 변위의 시간이력으로 지반운동이 표현될 수 있다.
- 공간적인 모델이 필요할 때 지반운동은 동시에 작용하는 3개의 가속도성분으
로 구성되어야 한다.
부지에서 계측된 시간이력이 사용되는 것이 원칙이나, 필요시에는 대상부지에
서 기대되는 시간이력과 유사하다고 판단되는 다른 지역에서 계측된 가속도

- 51 - 국립방재연구소
서론 시설물별 내진설계 기준

시간이력 또는 다음에 기술하는 인공 가속도 시간이력이 사용될 수 있다.


인공 가속도 시간이력
- 인공가속도 시간이력은 응답스펙트럼과 잘 부합되도록 생성되어야 한다. 그
구체적인 요구 조건은 기술기준에서 규정한다.
- 지반운동의 장주기 성분이 구조물의 거동에 미치는 영향이 중요하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지진원의 발진기구 특성과 국지적인 영향을 고려하여 시간이력을 생
성하여야한다.
- 인공가속도의 지속시간은 지진의 규모와 발진기구특성 전파경로 및 부지의 국
지적인 조건이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합리적으로 결정되어야 한다.
지반운동의 공간적 변화 특성 고려방법
- 모든 점에서의 똑같이 가진하는 것이 합리적일 수 없는 특징을 갖는 구조물에
대해서는 지반운동의 공간적 변화모델을 사용해야 한다.
- 지반운동의 공간적 변화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은 기술기준에서 규정한다.

- 52 - 국립방재연구소
도로교 시설물별 내진설계기준

3.2 도 로 교

3 .2 .1 도 로 교 내 진 설 계 기 술 에 대 한 국 내 외 현 황

큰 피해를 초래한 지진 발생 후에 도로교 시방서나 기술기준의 내진항목에 대한


개정을 하였으며, 강진발생으로 입은 피해로부터 발견된 기술적 결함을 해결하기
위한 노력이 설계기술 개선 및 발전의 계기가 되었다. 따라서 강도가 높은 파괴
적인 지진의 발생과 내진설계기술의 발전은 밀접한 상관관계를 가진다고 할 수 있
다. 특히 최근에는 기술기준과 설계규준에 대한 계속적인 검토와 개정이 이루어
지고 있다.

1989년 Loma Prieta(샌프란시스코)지진 이후에 지진공학분야 연구자와 교량설계


실무자는 설계개념, 성능기준, 지면운동 특성, 지반설계, 비선형해석과 철근콘크리
트구조와 강구조의 휨내하력 기준설계절차에 관한 기술현황을 상당한 수준으로 개
선하였다. 내진설계분야의 기술발전에 크게 기여한 나라로는 유럽연합(EC), 일본,
미국, 뉴질랜드 등이 있으며, 이들 나라에서는 교량의 내진설계 기준을 최근 개정
하였거나 개정 중에 있다.

가. 국내의 경우

일반적으로 지진에 대해 안전지대로 생각하고 있었으나 그리 크지 않은 규모임


에도 발생빈도가 잦아지는 최근의 지진활동으로 1991년에 제정된 고속철도 교량설
계에 적용할 시방서에 최초로 설계하중 지진력을 정의하였다. 1992년 개정 「도
로교 표준시방서」에 내진설계편이 신설됨에 따라 도로교에 대한 내진설계를 수행
하기에 이르렀다.

정부에서 1995년 1월 17일 일본 고베지진 이후 범 정부 차원의 지진으로 인한


자연재해에 대한 총괄대책수립의 일환으로서 건설교통부 소관 시설물의 내진 안전
성 확보를 위하여 현행 기준의 적정성을 심도있게 분석 연구하여 안정적이고 합리

- 53 - 국립방재연구소
도로교 시설물별 내진설계기준

적인 지진대책을 마련하기로 하였다.

1997년 12월 건설교통부의 발주로 사단법인 한국지진공학회와 한국건설기술연구


원에서는 내진설계기준연구를 통하여 도로교 상위개념 내진설계기준II(안)을 제시
하였다.

나. 유럽연합

1994년에 유럽연합의 CEN (European Committee for Standardization)은 유럽연


합의 내진설계기준 시안으로서 「ENV 1998-2 : 1994 Earthquake Resistance
Design of Bridges」를 승인하였고, 이 기준은 현재 시험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다. 일본

일본의 도로교 내진설계 기준은 일본도로협회에서 제정한 「도로교 시방서 제


Ⅴ편 내진설계」이다. 이 기준은 1996년에 개정되었는데, 그 내용은 1990년판 기준
중에서 1995년 1월에 고베근처에서 발생된 Hanshin-Awaji 지진시 다수의 교량에
서 보인 지진피해를 검토하고 그 결과를 반영하여 교량의 내진성 확보를 위한 조
처로 보완된 것이다. 표 3.7 은 일본 도로교 내진설계 관련 규정의 변천과 중요
지진 피해에 대해 정리된 것이다.

라. 미국

미국의 AASHTO (American Association of State Highway and Transportation


Officials)에서 교량의 내진설계에 관련된 규정이 포함된 표준시방서 2종을 발간하
였다. 첫 번째 것은 허용응력설계가 규정된 「Standard Specifications for
Highw ay Bridges, Division Ⅰ-A : Seismic Design」으로서 최근판이 1996년에 개
정되었다. 두 번째 것은 한계상태설계가 규정된 「LRFD Bridge Design
Specification」으로서 최초판이 1994년에 출판되었다. 이 시방서에서는 지진하중
에 대한 내용이 풍하중, 세굴, 선박충돌 등과 같은 다른 극한하중에 대한 규정과

- 54 - 국립방재연구소
도로교 시설물별 내진설계기준

함께 시방서의 여러 개의 장에 걸쳐 포함되어 있다. 또한 미국의 캘리포니아주의


Caltrans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of the State of California)에서는
AASHTO 규정과 유사하나 동일하지는 않은, 독립적인 내진설계시방서를 제정하
여 사용하고 있다. 1989년 Loma Prieta 지진시 샌프란시스코만 지역내의 주요 교
량 다수가 허용할 수 없는 거동을 하였기 때문에 ATC (Applied Technology
Council)에 Caltrans의 내진설계 기준과 절차를 연구・검토하도록 의뢰하였다. 그
연구결과로서 내진설계 기술 개선에 관한 많은 추천사항이 제시되었다. 표 3.8은
미국내의 중요지진과 도로교 내진설계 관련기준의 변천을 나타낸 것이다.

- 55 - 국립방재연구소
도로교 시설물별 내진설계기준

표 3.7 일본 도로교 내진설계 관련 규정의 변천과 중요 지진 피해

내진설계 기준 중 요 지 진 주요 지진 피해

- 1891 노비지진
(M8.0 : 진원은 직하) (하부구조 주부재의 변화)
- 1923 간토지진 하부구조의 재료가 블록, 무근콘크리
(M7.9 : 진원은 해저밑과 직 트에서 철근콘크리트로 바뀌면서, 구
- 1926 「도로구조에 관한 세칙(안)」 하) 조자체의 강도부족 등에 의한 파괴에
설계지진계수 : 0.1 서 받침과 연결부 등의 파괴로 피해형
- 1939 「강도로교 설계시방서(안)」 태가 바뀌었다. 하부구조의 전도와 활
설계지진계수 : 0.2 동 및 전단파괴에 의해 낙교하는 피해
- 1943 돗토리지진 가 발생하였다.
(M7.2 : 진원은 직하) 1926, 1939, 1956년도에 설계진도를 신
- 1944 도난카이지진 설, 개정하여 하부구조의 피해는 현저
(M7.9 : 진원은 해저밑) 하게 감소되었다.
- 1956 「강도로교 설계시방서」 - 1945 미가와지진
설계지진계수 : 0.1~0.35 (M6.8 : 진원은 직하) - 하부구조 주변 지반에 액상화가 광
- 1948 후쿠이지진 범위하게 발생하여 하부구조는 전도
(M7.1 : 진원은 직하) 되고 낙교한 경우가 발생하였다.

-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전단파괴가


- 1964 니이가타지진 발생하였고, 하치노헤에서 지반운동
(M7.5 : 진원은 해저밑) 을 기록하였다.
- 1971 「도로교 내진설계 지침」
도로교시방서에 내진설계편
을 신설 개편 - 1968 도카치오키지진 - 철근콘크리트 교각의 파손과 받침
및 받침부의 파손이 두드러졌으며,
(M7.9 : 진원은 해저밑) 라이프라인(lifeline)파손이 있었다.

- 1978 미야기켄-오키지진
(M7.4 : 진원은 해저밑)
- 1980 「도로교시방서 내진설계편」
연성요구조건을 규정

- 1990 「도로교시방서 내진설계편」


설계응답스펙트럼 수정,
동적해석, 내하력 조항 추가

- 1992 「도로교의 면진설계법 매뉴얼


(안)」 - 1994 혹카이도 토호-오키지진
(M8.1 : 진원은 해저밑)
- 1995 효고켄-난부지진
(M7.2 : 진원이 직하)

- 1996 「도로교시방서 내진설계편」


설계지반운동과 설계법 개정,
비탄성설계지진계수 : 2.0

- 56 - 국립방재연구소
도로교 시설물별 내진설계기준

표 3.8 미국 도로교 내진설계 관련 기준의 제정 및 개정과 중요 지진

내진설계 기준 중 요 지 진 주요 지진 피해

- 1906 샌프란시스코지진
(M8.3 : 진원은 직하)
- 1933 롱비치지진 -엘센트로에서 지반운동을 기록하
- 1940 임페리얼 밸리지진 였다.
(M7.1 : 진원은 직하)
- 1955 「UBC 내진설계 규정」
설계지진계수 : 0.06
- 1971 샌페레르난도지진 -철근콘크리트기둥의 전단파괴, 낙
(M6.6 : 진원은 직하) 교, 라이프라인(lifeline)파손이 발
- 1973 「Caltrans 내진설계 기준」 생하였다.
활단층과 부지의 관계, 부지의
토질조건에 따른 지진응답, 교
량의 동적 특성을 규정
- 1975 「AASHTO 잠정 내진설계 기
준」
「Caltrans 내진설계 기준」을 일
부수정 후 채택, 비탄성 설계지
진계수 : 0.5
- 1983 「AASHTO 내진설계 지침」최
소 받침지지길이 규정
- 1989 Loma Prieta(샌프란시스코)
지진
(M7.1 : 진원은 해저밑)
- 1991 「AASHTO 지진격리설계지침」
- 1991 필리핀지진
(M7.8 : 진원은 해저밑과
- 1992 「AASHTO 표준시방서」
직하)
「AASHTO 내진설계 지침」을
채택
- 1994 노스리쥐지진
- 1994 「AASHTO LRFD 교량설계시방
(M6.8 : 진원은 직하)
서」

- 1996 「AASHTO 표준시방서」


지반종류 추가, 사각의 영향이
고려된 최소받침지지길이, 곡선
교와 핵심교량의 지진해석 방법
을 규정

- 57 - 국립방재연구소
도로교 시설물별 내진설계기준

3 .2 .2 도 로 교 의 내 진 설 계 절 차

개정된 도로교의 내진설계 절차는 다음과 같다.

(50,100,200 ,500,1000 ,24 00년)

그 림 3.4 도로교의 성능기초 내진설계 절차

- 58 - 국립방재연구소
도로교 시설물별 내진설계기준

※ 참고 : 현 도 로교 시방 서 의 내 진설 계 절 차

그 림 3.5 현행 시방서에 따른 도로교의 내진설계 절차

- 59 - 국립방재연구소
도로교 시설물별 내진설계기준

본 절에서는 향후 개정될 도로교 내진설계 절차와 현행 도로교 시방서의 내진설


계 절차상의 차이를 설명하고, 일반적인 개정 도로교 내진설계 절차에 대해 설명
한다.

가. 내진등급 결정

현행 시방서에서는 내진등급을 가속도계수의 크기만을 고려하였으나, 개정된 설


계기준에서는 교량을 중요도에 따라 구분하였다.
표 3.9 도로교의 내진등급

내진등급 개정안 현 시방서


설계지진 발생 후 긴급구조와 구호, 국방 및 치안유
지에 필요하거나 지역의 생활과 경제활동에 미치
내진특등급교 는 영향이 큰 교량 -
「내진Ⅰ등급교」중 복구의 난이도가 높고 경제적
인 측면에서 특별한 교량 (예, 장대교)
고속도로, 자동차전용도로, 특별시도, 광역시도 또
는 일반국도 상의 교량
지방도, 시도 및 군도 중 지역의 방재 계획상 필요
가속도계수
내진I등급교 한 도로에 건설된 교량, 해당도로의 일일계획교통
A >0 .07
량을 기준으로 판단했을 때 중요한 교량과 「내진
Ⅰ등급교」가 선설되는 도로위를 넘어가는 고가교

「내진특등급교」와 「내진Ⅰ등급교」에 속하지 않 가속도계수


내진II등급교
는 교량 A 0 .07

나. 지역계수 결정

최대수평 지반가속도 계수는 구역이 일부 변경되었고, 가속도계수의 값도 변경


되었다. 재현주기 500년을 기준으로 산정된 가속도계수의 값을 표 3.10에 나타내
었다. 여기에 지반의 영향을 고려하면 지진계수는 표 3.11로 나타낼 수 있다. 현행
시방서에서는 지반을 4종류로 구분하여 지반계수를 제시하였다.

- 60 - 국립방재연구소
도로교 시설물별 내진설계기준

표 3.10 지 진 구 역 별 가 속 도 계 수 (재 현 주 기 500년 )

가속도계수(g )
행정구역
개정안 현 시방서
강원북부, 전남남부, 제주도 0.07
0.07
강원남부, 전남북부
0.11
기타지역 0.14

표 3.11 지진구역과 지반종류가 고려된 지진계수


(개정안)

지진계수
지반종류 지진구역 I 지진구역 II
Ca Cv Ca Cv
SA 0.09 0.09 0.05 0.05
SB 0.11 0.11 0.07 0.07
SC 0.13 0.18 0.08 0.11
SD 0.16 0.23 0.11 0.16
SE 0.22 0.37 0.17 0.23
SF 특성평가 후 결정

(현 시방서)

지반종별 Ⅰ II III Ⅳ

지반계수(S ) 1 .0 1 .2 1 .5 2 .0

다. 성능목표 결정

개정안에서는 교량의 중요도별, 성능수준별로 위험도 계수가 적용된다. 이 계수


는 현행 내진설계 기준에는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개정 내진설계 기준(안)에

- 61 - 국립방재연구소
도로교 시설물별 내진설계기준

새롭게 적용되는 것이다.


표 3.12 위 험 도 계 수 (I)

성능수준
기능수행 붕괴방지
중요도
특등급교 0.73 2.0
I 등급교 0.57 1.4
II 등급교 0.4 1.0

라. 설계지진력 계산

설계력 결정에 쓰이는 탄성지진응답계수는 다음 식으로 구할 수 있다.

(개정안)
C s = ( 1 + 7 .5 T s ) C a I (T 0 .2 T s 인 경우)

C s = 2 .5 C a I ( 0 .2 T s T T s 인 경우)

Cv
Cs = I ( Ts T 인 경우)
T

여기서, C s : 탄성지진응답계수

Ca : 지반가속도계수

Cv : 속도에 관계된 지반가속도계수

I : 위험도계수
T : 구조물의 주기
T s = C v / 2 .5 C a

(현 시방서)
1 .2A S
Cs = 2/3
T

여기서, A : 가속도계수

- 62 - 국립방재연구소
도로교 시설물별 내진설계기준

S : 지반특성에 따른 무차원의 지반계수

T : 단일모드 스펙트럼 해석법 또는 다른 방법으로 결정된 교량


의 주기

설계지진력의 산정은 현행 시방서의 방법과 동일하다. 단 개정안에서는 현행


시방서의 수평 2방향성분에서 수직방향을 포함한 3방향 성분을 구한다. 수직
방향 가속도계수는 수평방향의 2/ 3를 사용한다.

마. 하중조합

개정안의 경우 지진하중이 포함된 하중조합의 계수는 1.0으로 한다.

(개정안)
하중조합 : 1.0D + 1.0E

(현 시방서)
하중조합 : 1.3D + 1.3E

여기서, D : 사하중 또는 이에 따른 단면력


E : 지진의 영향 또는 이에 따른 단면력

바. 등급별 내진성능목표

도로교의 내진등급 및 성능수준별 설계 지진의 재현주기는 제3장 표 3.1 내진


성능목표에서 보인 바와 같다.

사. 설계 지반운동 수준 및 표현방법

설계지반 운동특성은 기본적으로 지반조건을 고려한 응답스펙트럼으로 표현하


며, 이에 관련한 사항은 제3장 3.1.2 설계지반운동에서 정의한 내용을 사용함을 원

- 63 - 국립방재연구소
도로교 시설물별 내진설계기준

칙으로 한다.

아. 내진성능수준 및 설계거동한계

표 3.13 도 로 교 의 내 진 성 능 수 준

내진성능수준 정 의 설계거동한계

설계지진시 탄성거동 또는 탄
설계지진 발생후에도 차량의 성에 준하는 거동을 하여 교
기능수행수준
통행이 가능한 상태의 유지 량의 기능이 상실되지 않아야

구조물 전체 또는 일부의 붕
설계지진 발생후 교량의 기
괴를 초래하는 주요 구조부재
능이 상실되거나 교량의 전
붕괴방지수준 의 과도한 소성변형과 지반의
체 또는 일부가 붕괴되지는
액상화를 포함한 지반 불안정
않는 상태의 유지
이 배제되어야 함

3 .2 .3 교 량 의 내 진 설 계 시 검 토 해 야 할 사 항

개념설계, 기본설계, 실시설계의 각 단계에서 내진설계에 대한 전반적인 검토가


이루어져야 한다.

가. 기본적인 검토사항

(1) 교량의 내진등급 여부


(2) 교량이 설치되는 지역 및 지반의 분류
(3) 지진계수 결정
(4) 성능수준별 재현주기결정
(5) 재현주기별 위험도계수 결정
(6) 설계지진의 응답스펙트럼 결정
(7) 성능수준결정

- 64 - 국립방재연구소
도로교 시설물별 내진설계기준

나. 세부 검토사항

(1) 해석 및 설계에 대한 규정에 관한 검토사항


설계지진력 및 설계변위
다른 하중 또는 변위와 조합하여 설계에 고려되어야 하며, 이때 설계지진력
은 지진력조합방법에 따라 불리한 경우를 취하며, 이때의 변위를 설계변위
로 정한다.
직교 지진력의 조합
각 방향 지진성분에 대한 설계지진력의 영향은 SRSS방법 (Square Root
Sum of Squares method) 과 같은 적절한 방법을 이용하여 조합한다.
낙교방지를 위한 최소받침지지길이
지간길이, 하부구조의 높이, 사각 등의 영향을 고려한 낙교방지를 위한 최소
받침지지길이가 확보되어야 하고, 최소 받침지지길이 확보가 어려울 땐 변
위구속장치(Shear Key, Restrainer)를 둘 수 있다.

(2) 해석방법에 관한 검토사항


사용한 해석방법
단일모드스펙트럼해석법 또는 다중모드스펙트럼해석법인지 여부
탄성지진응답계수
다중모드 스펙트럼 해석법의 경우 고려하고 있는 진동모드의 수
최소 지간수의 3배로부터 최대 25개까지의 진동모드의 영향을 고려해야 함

(3) 기초 및 교대 설계시 검토사항


기초
사면 불안정, 액상화, 성토의 침하, 그리고 수평토압의 증가는 첨두 지진가속도
가 0.1g를 초과할 때 중요한 설계요인이며, 설계범위에서 지진에 대해 위험하
다면 지반의 특별한 조사를 하여야 한다.
지진이 발생하는 동안에 일어나는 지반의 강도와 강성의 변화

- 65 - 국립방재연구소
도로교 시설물별 내진설계기준

지진하중은 일시적이기 때문에 지진이 발생하는 동안의 지반 붕괴는 심각하


게 고려하지 않아도 되지만 상부구조물의 휨모멘트와 전단력에 영향을 미치
는 기초의 변위와 회전은 정량적으로 분석되어져야 한다.
기초의 상승
지진의 반복하중에서 지반의 강도가 심하게 감소하지 않는 경우에는 선단지
지 군말뚝수의 1/ 2까지, 기초 바닥판 접촉면적의 1/ 2까지는 일시적으로 지
반과 분리되는 것을 허용한다.
말뚝의 횡하중
지진시 상부구조물의 영향으로 말뚝에 횡하중이 발생하며, 말뚝의 수평방향
의 강성을 계산할 때는 말뚝을 탄성체로 간주한다.
지반과 말뚝의 상호작용
등가 정적거동조건으로 표현한다.
액상화 발생 검토 여부
액상화에 대한 안전율은 1.5로 한다.
기초의 침하량 검토 여부
구조물 설계시에는 기초가 침하하더라도 교량 구조물이 지진에 견딜 수 있
도록 하여야 한다.

교대
지진이 유발되는 동안에는 교대의 파괴나 변위로 인한 교량의 손상 또는 파괴가
빈번히 발생하므로 지진지역에서는 교대설계 및 세부사항에 대한 세심한 주의가
요구된다.
교대 벽체의 허용변위, d
V2 - 4
d = 0 .087
A g [ AN ]
여기서, d : 벽체의 총 상대변위량
A : 가속도계수
V : 최대속도
N : 최대저항계수

- 66 - 국립방재연구소
도로교 시설물별 내진설계기준

g : 중력가속도
근입된 기초의 강성
K = K o

여기서, : 기초의 형상계수


: 기초의 근입계수
K o : 등가반지름으로 계산된 강성

교대의 수평변위와 회전에 의한 강성


수평변위에 의한 강성, K s = 0 .425 Es B

회전변위에 의한 강성, K r = 0 .072 Es B H2

여기서, E s : 뒷채움 흙의 동적탄성계수


B : 교대의 폭
H : 교대 높이

(4) 일반적인 검토사항


하중조합에 대한 허용치
기능수행수준을 검토하기 위한 지진하중을 포함하는 하중조합에서는 모든
종류의 하중에 하중계수 1.0을 사용하며, 이 하중조합에 대한 허용치는 강
재의 경우 기본 허용응력의 150% 까지, 철근콘크리트의 경우는 133% 까지
증가시킬 수 있다.
소성힌지 발생위치
소성힌지는 특별한 작업 없이도 쉽게 육안조사와 유지관리, 보수 보강이 가
능한 위치에 생성하도록 한다.
P- 효과
기둥 또는 교각설계에 설계지진시 발생될 횡변위에 의한 P - 효과가 고려
되어야 한다.
연성거동 확보
붕괴방지수준에서 교량의 소성변형이 허용되므로 구조물의 연성거동이 보장
되어야 하며, 연성 확보를 위하여 강보-약기둥 개념에 의한 교각에 의도적

- 67 - 국립방재연구소
도로교 시설물별 내진설계기준

으로 소성힌지를 형성시키거나, 합리적이고 타당성있는 지진격리장치를 사


용할 수 있다. 또한, 전단 및 압축에 의한 취성파괴, 부적절한 축방향 철근
의 절단과 심부 콘크리트의 횡방향 구속, 이음길이 부족 등이 원인이 된 파
괴를 방지하고, 필요 연성도를 확보할 수 있는 구조상세가 되어야 한다.
(5) 품질보증에 대한 기본적인 요구사항
성능수준을 만족시킬 수 있는 품질보증요건을 문서화된 계획을 수립하여야 함
품질보증활동과 관련된 수행과정과 결과는 기록으로 보존하여야 함
개념설계, 기본설계, 실시설계의 단계에서 내진설계에 대한 검토를 해야 함
제3자로 하여금 품질보증계획에 의해 시험을 수행토록 해야 함
검사와 시험결과로 부적합 판정이 난 경우의 후속조치 사항이 포함되어 있어야

교량의 내진성능을 저하시키지 않도록 유지관리계획이 있어야 함
사용기간 중의 내진성능 확보를 보증할 수 있도록 하중전달 경로상의 부재나
충분한 연성도가 확보되어야 하는 구조요소에 대한 내진성능 평가 요건이 포
함된 유지관리계획을 수립하여야 함
지진응답 계측기기 설치 여부
계측기기의 설치위치와 종류, 개수는 내진공학 전문가와 협의하여 정하여야 함

- 68 - 국립방재연구소
도로 시설물별 내진설계기준

3.3 도 로

3 .3 .1 도 로 의 일 반 사 항

도로는
- 고속도로
- 자동차전용도로
- 특별시도
- 광역시도
- 일반국도
- 지방도
- 시도 및 군도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지진과 관련하여 도로 기능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는 도로구조물로는 교량, 성절토, 옹벽, 터널, 암거, 도로포장 등이 있으며, 일반
적으로 도로의 등급은 지역별 지진재해발생 가능성과 중요도에 따라서 「내진1등
급 도로」와 「내진2등급 도로」로 구분한다.

3 .3 .2 도 로 의 내 진 설 계 절 차

가. 도로의 내진등급 결정

각종 도로의 내진등급은 표 3.14에 제시되어 있다.


표 3.14 도로의 내진등급

내진등급 구 분 내 용 도 로

비상시 피난, 치안, 구조, 복구 및 고속도로


국방에 필요한 도로로서 설계지진 발 자동차 전용도로
내진1등급 생 이후에도 도로로서의 기능이 유지 특별시도
되어 긴급 차량의 통행이 가능해야 광역시도
하는 도로 일반국도
지방도
내진2등급 그 외 도로 시도
군도

- 69 - 국립방재연구소
도로 시설물별 내진설계기준

시 작

도로의 내진등급별 요구되는 지진

내진등급 결정

각 지진하중에 대한 내진성능목표 결정

도로의 성능결정 (가정)

성능수준에 따라 설계지진하중에 대하여


내진설계

정해진 성능목표에 따른
강도한계, 변위한계 적합성 평가

그 림 3.6 도로의 내진설계 절차

나. 등급별 내진성능 목표

도로의 내진설계에 사용되는 등급별 내진성능목표는 표 3.1에 규정된 바와


같다.

다. 내진성능수준 및 내진거동한계

- 70 - 국립방재연구소
도로 시설물별 내진설계기준

표 3.15 도로의 내진성능수준

내진성능수준 정 의 설계거동한계

차량과 도로구조물의 안전성


을 보장하는데 기본적인 목표
지진발생 후에도 도로의 기
가 있으며, 지진으로 인해 도
능수행에 문제가 생기지 않
기능수행수준 로기능에 장애를 주지 않을
는 수준으로 긴급차량의 통
정도의 탄성변형 및 과대하지
행이 가능해야 함
않은 소성변형이 허용되는 수

설계 지진 발생후의 피해정도
를 최소화하는데 기본적인 목
지진발생 후 도로의 기능 가 표가 있으며, 도로구조물의
능여부와는 상관없이 도로의 부분적인 피해는 허용하나 전
붕괴방지수준 전체 또는 일부가 붕괴되지 체적인 붕괴는 방지하는 수
않아야 하는 수준으로 단기 준. 즉, 탄성한계를 초과하는
간에 보수가 가능해야 함 소성변형은 허용되나 도로구
조물 전체의 안전성을 위협하
는 취성파괴는 허용되지 않음

라. 설계지반운동 수준 및 표현방법

설계지반 운동특성은 기본적으로 지반조건을 고려한 응답스펙트럼으로 표


현하며, 이에 관련한 사항은 제3장 3.1.2의 설계지반운동에서 정의한 내용
을 사용함을 원칙으로 한다.

3 .3 .3 도 로 의 내 진 설 계 시 검 토 해 야 할 사 항

개념설계, 기본설계, 실시설계의 각 단계에서 내진설계에 대한 전반적인 검토가


이루어져야 한다.

가. 기본적인 검토사항

(1) 도로의 내진등급 여부

- 71 - 국립방재연구소
도로 시설물별 내진설계기준

(2) 도로가 있는 지역 및 지반의 분류


(3) 지진계수 결정
(4) 성능수준별 재현주기결정
(5) 재현주기별 위험도계수 결정
(6) 설계지진의 응답스펙트럼 결정
(7) 성능수준결정

나. 세부 검토사항

(1) 도로구조물 전반에 관한 검토사항


지반운동
입력지반운동에 대해서는 수평 2축 방향과, 수직방향의 지반운동의 공간적
변화 특성이 고려되어야 한다. 또한 국지적인 토질 조건과 지질, 지형 조건이 지반
운동에 미치는 영향이 고려되어야 한다.
지반조사
도로구조물의 내진설계를 위해서는 강도정수, 입도분포와 같은 지반의 기본
적인 물성치와 전단탄성계수, 감쇠계수와 같은 물성치를 구하는 지반조사를 수행
해야 한다.
필요한 경우에는 지반의 액상화 특성과 변형율 크기에 따른 전단탄성계수와
감쇠비 특성을 얻을 수 있는 시험을 실시하여야 한다.

- 72 - 국립방재연구소
도로 시설물별 내진설계기준

(2) 도로구조물별 내진설계시 검토사항


표 3.16 도로구조물별 내진설계시 검토사항

구분 주요 피해사항 비고
지진하중에 의한 주요 상부 구조
부재의 과도한 소성변형
지반의 액상화
※ 교량의 지진해석에 관한
기초의 손실로 인한 지반파괴
상세한 사항은 일반적인
교량 기초의 파괴
교량의 내진설계 관련
기초의 심각한 부등침하
시방 규정을 따른다.
교대의 기초 불안전
교대 배면에 작용하는 토압증가로
인한 불안정
※ 성절토의 내진설계는 지
사면의 불안정으로 인한 사면활동
진하중에 대한 사면안정
성절토 지반의 액상화로 인한 지반 유동
해석과 지반액상화 평가
파괴
를 포함하여야 한다.
옹벽에 작용하는 배면토압의 증가
옹벽 동수압의 발생
뒷채움재의 액상화 현상
활동성 지각운동이 예상되는 지역
※ 상세한 사항은 일반적인
과 갱구 및 터널이 돌출되는 부위
터널 터널의 내진설계 관련
에서는 지진에 대한 영향을 고려
시방규정을 따른다.
하여야 한다.

암거의 거동은 주변 지반의 성질 암거를 보(b eam )로, 암거의


에 전적으로 의존하는데 암거는 하부 지반은 탄성지반으로,
대개 휨강도가 약하여 지진시에 암거 상부의 흙은 상재하중
암거
파괴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내진 으로 가정하고, 탄성지반상의
설계시 휨강도에 충분히 유의하 보는 반력이 처짐에 비례한
여야 한다. 다고 가정하여 수행한다.

노반 액상화 및 하부지반 파괴에


의한 포장체의 변형
구조물과 노반의 불연속 개소에
발생하는 꺽임
도로포장
교량과 성토부에서 발생하는 고저
틀림
구조물 및 노반의 특별한 개소에
서 발생하는 좌굴

- 73 - 국립방재연구소
도로 시설물별 내진설계기준

(3) 품질보증에 관한 기본적인 요구사항


도로의 적절한 품질 보증요건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발주자는 도급자에게 공사
품질에 관한 품질보증계획을 작성하도록 하며, 도급자는 품질보증계획에 따라
건설공사의 시공 및 사용재료의 품질관리를 실시하고 발주자는 도급자의 직접
고용자가 아닌 자로 감리 또는 감독체제를 구성하여 공사과정을 철저히 감독
하여야 한다.
기존의 도로의 유지관리와 관련하여 노후 도로의 내진성능평가, 지진시 안정성
확보 및 내진성능 향상을 위한 시설물의 유지 보수 체제를 구성하여 지속적으
로 수행하여야 한다.
활단층 지역에서 발생할 수 있는 지진에 완벽히 저항하는 도로를 설계하는 것
은 비현실적이므로 지진 발생후 피해 구조물의 보수가 용이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도로의 중요 시설물의 경우, 설계 요구 사항의 만족성, 설계기법 및 가정사항의
적합성, 법규 요건에 대한 만족성, 설계 결과의 시공성 등의 검증을 위하여 해
당 프로젝트의 주요 공정에 대한 전문적 지식과 경험이 있는 제 3자인 전문가
들에 의해 검토가 이루어져야 한다.
시공품질관리는 품질보증계획에 따라 관할기관의 감독, 발주자 측의 감리, 독립
적인 검사, 시험 및 도급자의 자체계획을 통하여 이루어지고 그 과정과 결과는
추후의 책임소재를 위하여 기록으로 보존되어야 한다.
검사 및 시험계획서는 도급자가 시방서, 도면 및 국가규격, 발주처 요구사항을
만족시키도록 작성하여 사용하며, 모든 검사, 계측 및 시험장비는 그 정확도를
보장하기 위하여 주기적으로 점검되어야 한다.
시공자와 감독기관은 규정된 요구 사항에 적합하지 않은 제품(부적합품)을 식
별, 평가, 처리하는 방법과 부적합 사항의 원인을 제거하기 위한 시정 및 예방
조치의 이행을 위한 절차를 수립하고 유지하여야 한다.
도로의 노후와 정도 및 도로의 중요도에 따라 일상점검, 정기점검 및 긴급점검
을 적절한 시기에 도로의 관할기관에 의해 실시하여야 하며, 그 결과를 기록
하여야 한다. 필요하다고 판단될 때에는 정밀 안전진단을 실시하여 조사 및 해
석 결과에 따른 종합적인 보수 보강대책을 수립하여야 한다.

- 74 - 국립방재연구소
도로 시설물별 내진설계기준

중요 도로에 대한 모든 변경은 관할 기관의 전문가에 의하여 지진하중에 대한


안전성 검토 후 이루어져야 한다.
도로구조물 관할기관은 지진계측이 필요한 경우 발주자에게 지진응답계측을 위
한 기기를 설치하고 유지하도록 요구할 수 있다.
설치된 계측기기들은 항상 정상 작동상태를 유지하도록 계측기기 상태를 주기
적으로 점검하여야 하고, 지진이 발생하면 가능한 빨리 계측기기의 상태를 점
검을 한다. 또한 계측기기에서 계측기록을 회수하여 관련 국가기관 및 연구기
관에 배포함으로써 해당 부지의 지진응답 특성을 분석하고 보존하도록 하여야
한다.

- 75 - 국립방재연구소
도로 시설물별 내진설계기준

<사 진 > 지 진 에 의 한 도 로 및 사 면 붕 괴

- 76 - 국립방재연구소
터널 시설물별 내진설계기준

3.4 터 널

3 .4 .1 터 널 의 일 반 사 항

터널은 산악지대의 흙이 덮인 견고한 지반에 시공되는 것으로부터 도시부의 연


약한 토사지반에 얇게 시공되는 것까지 다양한 장소, 환경, 지질에 시공되고, 그
건설공법도 다양하다. 터널은 표 3.17과 같이 분류된다.

표 3.17 터널의 분류방법과 종류

분 류 방 법 종 류 비 고

건설되는 장소와 환경에


산악터널, 도시터널, 수중터널 등
의한 분류

교통터널, 수로터널, 도시시설 터


용도별 분류
널, 지하시설 터널 등

경암터널, 연암터널, 연약지반의


지질에 따른 분류
터널

산악공법터널, 쉴드터널, 침매터


건설되는 공법에 의한 분류
널, 케이슨터널, 개착식터널 등

3 .4 .2 터 널 의 내 진 설 계 절 차

터널의 내진설계 흐름도는 각각 그림 3.7와 그림 3.8에 나타난 바와 같다.

- 77 - 국립방재연구소
터널 시설물별 내진설계기준

그 림 3.7 터널길이방향의 내진설계

- 78 - 국립방재연구소
터널 시설물별 내진설계기준

그 림 3.8 터널횡단방향의 내진설계

- 79 - 국립방재연구소
터널 시설물별 내진설계기준

가. 터널의 내진등급 결정

표 3.18 터널의 내진등급

내진등급 구 분 내 용

긴급구조와 구호, 국방 및 치안유지에 필요한 터널


로 설계지진 발생 후에도 터널로서의 기능이 유지되
내진특등급 어야 한다.
특히, 내진특등급교와 연계되어 하나의 연결체계
를 이룰 경우 내진특등급 터널로 결정한다.

구조물이 피해를 입으면 사회적 혼란이 야기되고 많


은 인명과 재산상의 손실을 줄 수 있는 구조물로서,
내진I등급
설계지진 발생 후에도 터널로서의 기능이 유지되어야
한다.

내진II등급 그 외의 일반적인 터널

※ 등급설정기준은 구 조 물 의 중 요 도 , 인 명 피 해 여 부 및 피 해 규 모 정
도 를 기준으로 한다.

나. 등급별 내진성능 목표

터널의 내진설계에 사용되는 등급별 내진성능목표는 표 3.1에 규정된 바와


같다.

다. 설계지반운동 수준 및 표현방법

설계지반 운동특성은 기본적으로 지반조건을 고려한 응답스펙트럼으로 표


현하며, 이에 관련한 사항은 제3장 3.1.2의 설계지반운동에서 정의한 내용
을 사용함을 원칙으로 한다.

- 80 - 국립방재연구소
터널 시설물별 내진설계기준

라. 내진성능수준 및 설계거동한계

표 3.19 터널의 내진성능수준

내진성능수준 정 의 설계거동한계

터널구조물의 기능을 유지하


는 한도내에서 지보재들이
탄성거동을 하도록 함
발생된 지진에 의해 부재에
설계지진 발생 후 터널이 원
손상이 생기더라도 터널의
래의 기능을 유지하는 범위
기능을 치명적으로 파손시키
기능수행수준 내에서 부분적 경미한 피해
는 일이 없도록 하여야 함
는 허용하나, 전체적인 붕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한계
는 허용하지 않는 수준
에서 균열, 지반침하, 미세변
형은 허용함
간단한 보수작업으로 구조물
의 정상화가 가능해야 함

터널지보재들의 탄성한계를
초과하는 소성거동은 허용할
수 있으나 주요 구조부재의
설계지진 발생 후 터널에 붕
과도한 소성변형, 지반의 액
괴가 발생하지 않는 정도의
상화, 기초의 지지력 손실로
제한적인 구조적 피해는 허
인하여 시설물의 붕괴나 과
붕괴방지수준 용되나 구조물의 전체적인
도한 침하가 발생되지 않도
붕괴는 허용하지 않고 긴급
록 함
보수를 통해 구조물의 기능
피해부분의 긴급보수・보강
을 회복할 수 있는 수준
이 수행되어 구조물의 기능
을 신속히 회복할 수 있어야

- 81 - 국립방재연구소
터널 시설물별 내진설계기준

표 3.20 터널의 설계거동한계

피해 세부사항
피해구분
기능수행수준 붕괴방지수준

시설물의 미세한 균열
시설물의 미세한 균열
미세한 지반침하
미세한 지반침하
허용되는 구조물의 미세한 변형
구조물의 미세한 변형
피해 전체 구조물의 안전에 관계없
이음부의 미소변위
는 이차부재의 파괴
액상화에 의한 미소변위
액상화에 의한 변위

천정의 붕락
벽이나 기둥의 전단파괴
바닥이나 기초의 파괴 바닥이나 기초의 파괴
허용되지 편토압에 의한 시설물의 절 지반침하에 의한 주변 시설물
않는 대 위치 변화 의 붕괴나 과도한 침하
피해 지반침하에 의한 주변 시설 이음부의 파괴
물의 붕괴나 과도한 침하 액상화에 의한 시설물 파괴
이음부의 과대변위
액상화에 의한 과대변위

3 .4 .3 터 널 의 내 진 설 계 시 검 토 해 야 할 사 항

터널구조물의 내진설계 검토는 개념설계, 기본설계, 실시설계의 각 단계에서 전


반적인 검토가 이루어져야 하며, 다음과 같은 기본적인 사항과 세부사항에 대하여
검토를 해야 한다.

기본적인 검토사항
(1) 터널의 내진등급 여부
(2) 터널이 설치되는 지역 및 지반의 분류

- 82 - 국립방재연구소
터널 시설물별 내진설계기준

(3) 지진계수 결정
(4) 성능수준별 재현주기결정
(5) 재현주기별 위험도계수 결정
(6) 설계지진의 응답스펙트럼 결정
(7) 성능수준결정

세부 검토사항
(1) 해석 및 설계에 대한 규정에 관한 검토사항
하중 : 터널의 내진설계에서는 일반적으로 고려되는 사하중, 활하중, 토압, 수
압, 양압력 등의 하중외에 다음의 하중을 고려해야 한다.

- 구조물의 중량에 기인하는 관성력


- 지진시 토압
- 지진시 터널구조물에 발생하는 전단력
- 지진의 영향에 의해 발생되는 과잉간극수압

붕괴방지수준에서는 구조물의 응답을 비선형 거동특성을 고려할 수 있는 해석


방법에 의해서 설계한다.
입력지진파는 건설지점, 지반특성, 구조물의 고유주기 등을 고려해서 건설지점
과 매우 흡사한 지형, 지반조건을 갖는 지점에서 관측된 강진기록을 이용한다.
라이닝 : 지진력에 저항하도록 라이닝의 두께를 증가시키는 것은 지진력을 증
대시키는 역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라이닝의 두께를 증가시키는 대신
에 라이닝에 철근을 넣어 라이닝의 인성을 증가시키도록 한다.
개착식 박스단면 : 구조물이 연성을 가지도록 하여 급작스러운 파괴가 일어나
지 않도록 하는 방법을 취한다. 특히 단면의 교차점과 헌치부 설계에 주의를
요한다.
기둥단면 : 지진에 의한 수평력에 의하여 기둥단면의 압축파괴나 전단파괴, 휨
인장 파괴에 저항할 수 있도록 보강하는 것으로, 압축파괴나 전단파괴보다 휨
인장 파괴가 먼저 발생하도록 설계한다.

- 83 - 국립방재연구소
터널 시설물별 내진설계기준

터널 입구부 : 터널 입구부 표토의 활동붕괴를 방지하기 위해서 입구부의 절취


면에 적절한 기울기를 확보하여 토류공을 설치한다.
신축 이음부 : 터널의 이음부에 강성이 작은 이음장치를 설치하여 구조물에 작
용하는 지진력을 감소시킨다. 그러나 강성이 작은 이음장치의 설치에 따른 구
조적인 약점을 검토하여야 한다.
액상화 방지 : 지반개량을 통하여 지반 액상화를 방지 또는 억제시킨다.

(2) 일반적인 검토사항


입력지반운동
- 내진해석을 위한 입력지반운동은 수평 2축방향(교축방향과 교축직각방향)과
수직방향 지반운동의 영향이 고려되어야 한다.
- 지반운동의 공간적 변화 특성이 고려되어야 한다.
- 지질 및 지형조건의 변화가 지반운동에 미치는 영향이 고려되어야 한다.
- 연약지반상에 구조물을 설치할 경우에는 적절한 부지특성평가기법을 적용하
여야 한다.
지반조사
- 구조물의 안정성 평가에 필요한 지반물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지반조사를 실
시한다.
- 지반조사는 지층구성, 지하수위, 각 지층의 역학적 특성 파악 및 실내시험을
위한 시료의 채취 등을 위한 현장시험과 채취된 시료를 이용한 실내에서의
역학적 시험을 포함한다.
- 필요한 경우 전단파속도, 주상도 등을 얻을 수 있는 동적 현장시험을 실시해
야 하며, 지진에 취약한 지반의 경우 액상화 특성과 다양한 변형률 크기에
대한 변형계수와 감쇠비 특성을 얻을 수 있는 시험을 실시해야 한다.
설계방법의 종류
- 응답변위법, 등가정적해석법 및 동적해석법(시간영역해석, 주파수영역해석)

(3) 품질보증에 대한 기본적인 요구사항


터널구조물의 적절한 품질보증요건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발주자는 도급자에게

- 84 - 국립방재연구소
터널 시설물별 내진설계기준

공사품질에 관한 품질보증계획을 작성하도록 하며, 도급자는 품질보증계획에


따라 건설공사의 시공 및 사용재료의 품질관리를 실시하고 발주자는 도급자의
직접 고용자가 아닌 자로 감리 또는 감독체제를 구성하여 공사과정을 철저히
감독하여야 함
노후구조물의 내진성능평가, 지진시 안정성 확보 및 내진성능 향상을 위한 시
설물의 유지・보수 체제를 구성하여 지속적으로 수행하여야 함
지진 발생 후 피해구조물의 보수・보강이 용이하도록 설계하여야 함
중요 구조물의 경우, 설계요구사항의 만족성, 설계기법 및 가정사항의 적절성,
법규요건에 대한 만족성, 설계결과의 시공성 등의 검증을 위하여 해당 프로젝
트의 주요 공정에 대한 전문적 지식과 경험이 있는 제3자인 전문가들에 의해
검토가 이루어져야 함
시공품질관리는 품질보증계획에 따라 관할기관의 감독, 발주자 측의 감리, 독립
적인 검사, 시험 및 도급자의 자체계획을 통하여 이루어지고 그 과정과 결과는
추후의 책임소재를 위하여 기록으로 보존되어야 함
검사 및 시험계획서는 도급자가 시방서, 도면 및 국가규격, 발주처 요구사항을
만족시키도록 작성하여 사용하며, 모든 검사, 계측 및 시험장비는 그 정확도를
보장하기 위하여 주기적으로 점검되어야 함
시공자와 감독기관은 규정된 요구 사항에 적합하지 않은 제품(부적합품)을 식
별, 평가, 처리하는 방법과 부적합 사항의 원인을 제거하기 위한 시정 및 예방
조치의 이행을 위한 절차를 수립하고 유지하여야 함
터널구조물의 노후화 정도 및 구조물의 중요도에 따라 일상점검, 정기점검 및
긴급점검을 적절한 시기에 구조물 관할기관에 의해 실시하여 그 결과를 기록
하여야 하며, 필요하다고 판단될 때에는 정밀 안전진단을 실시하여 조사 및 해
석 결과에 따른 종합적인 보수・보강대책을 수립하여야 함

(4) 지진 기록 계측에 관한 요구사항


내진 1등급 및 내진 2등급 시설의 경우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관할기관은 발주
자로 하여금 지진응답계측을 위한 기기를 설치하고 운영하도록 요구할 수 있
다.

- 85 - 국립방재연구소
터널 시설물별 내진설계기준

계측계획시 검토항목
표 3.21 터널계측계획시 검토항목

항 목 내 용

구조물 형태의 특성 파악
구조물 특성 지반지지 주체의 특성
자연적 현상 및 인위적 현상의 상호관계

광역적 특성, 지질의 특성


지질 , 지반 특성 해당지역의 지지기반층 생성과 발달과정
암반 및 토질의 공학적 특성

하중분포 및 하중전달 매카니즘의 이해


지반공학적 상수의 평가
설계 특성 재료역학적 상수의 평가
적용 설계기법의 이해
안전율의 적용

부재 및 지보재의 거동특성
지지부재 및 시공 순서 및 시공단계별 시간개념
시공 특성 지층 변화 및 지하수 유동 예측
시공성 및 취약요소의 파악

작동원리 및 설치기법
측정범위 및 측정오차
계측기기의 특성
측정 및 경제성
내구성 및 운영시스템의 호완성

설치된 계측기기들은 항상 정상 작동상태를 유지하여야 한다.


계측기기의 유지상태는 주기적으로 점검하여야 하고, 지진이 발생하면 가능한
신속한 시간내에 점검을 하여야 하며, 지진응답 계측기록을 회수하여야 한다.
수집된 자료는 편리하고 간편한 양식으로 정리되어야 한다.
계측기록은 관련 국가기관, 대학교, 연구소에 배포하여 지진응답의 성을 분석하
고 보존한다.

- 86 - 국립방재연구소
철도 시설물별 내진설계기준

3.5 철 도

3 .5 .1 철 도 의 일 반 사 항

철도 구조물의 내진설계시 구조물을 교량, 터널, 토공 및 기초공, 궤도, 역사, 전


차선주 및 전차선, 신호 및 통신 등으로 분류한다.

3 .5 .2 철 도 의 내 진 설 계 절 차

가. 내진등급 결정

표 3.22 철도의 내진등급

내진등급 구 분 내 용

내진1등급 중에서 복구의 난이도가 매우 높고 경제・사


내진특등급
회적으로 특별히 중요한 철도구조물

국방, 치안유지 및 국가산업활동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


내진 1등급 하는 철도선상이나 도시지하철상의 교량, 고가역사, 지
하터널역사, 터널, 전차선 및 전주 등

내진2등급 내진특등급과 내진1등급에 속하지 않는 철도 구조물

※ 지진 발생 시 열 차 운행 지침
철도에 지진발생이 알려진 후, 철도 배차원은 지진규모나 진앙이 전문가에 의
해 결정되기 전까지 모든 열차가 진앙으로부터 반경 160km내에서 지정된 제한속
도로 운행이 되도록 해야 한다. 그리고 궤도, 구조물, 신호 및 통신체계 등의 이상
여부에 대한 조사가 시작되어야 한다. 또한 규모나 진앙의 위치가 알려짐에 따라
관련기관에 의해 정상속도운행, 제한속도운행 혹은 운행정지 등의 열차운행이 결
정된다.

- 87 - 국립방재연구소
철도 시설물별 내진설계기준

나. 내진성능수준 및 설계거동한계

표 3.23 철도구조물의 내진성능수준

내진성능수준 정 의 설계거동한계

철도 구조물의 변형, 응력, 진동


지진 발생시 구조물
및 궤도틀림 등이 열차의 안전성
은 탄성거동을 하며
을 위협해서는 안되며 탄성영역의
기능수행수준 감속된 상태로 운행
거동이 지배적이어야 함. 또한 기
하는 열차의 주행안
초지반의 영구적인 침하나 액상화
전성을 보장
가 발생하여서는 안됨

보수 및 보강이 가능한 정도의


피해만을 허용하며 구조물의 연
속성을 확보하기 위한 중요부재
들 혹은 보수가 곤란한 부위의
비선형 거동은 억제함
구조물은 재료의 탄성한계를 넘
어서 거동하고 비탄성 상태의 변
형이 허용되므로 충분한 구조물
설계지진 발생후의 의 연성과 여용성(Redu nd ancy)이
피해 정도를 최소화 확보되어야 하며, 필요시 구조물
하고 구조물을 구성 의 붕괴방지를 위하여 추가적인
붕괴방지수준 하는 부재들의 부분 안전장치가 설치되어야 함. 또한
적인 피해는 허용하 기초지반에는 구조물 전체의 안
나 구조물의 전체적 전성을 위협하는 어떠한 손상도
인 붕괴는 방지 발생하여서는 안됨
구조물의 중요성과 교체비용을
감안하여, 특정한 철도구조물에
대해서는 붕괴방지 수준에서 붕
괴가 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보수
가 불가능할 정도의 피해도 허용
될 수 있고, 이 경우에는 해당부
위의 교체시공에 대한 대비가 필

- 88 - 국립방재연구소
철도 시설물별 내진설계기준

다. 등급별 내진성능 목표

철도의 내진설계에 사용되는 등급별 내진성능목표는 표 3.1에 규정된 바와


같다.

라. 설계지반운동 수준 및 표현방법

설계지반 운동특성은 기본적으로 지반조건을 고려한 응답스펙트럼으로 표


현하며, 이에 관련한 사항은 제3장 3.1.2의 설계지반운동에서 정의한 내용
을 사용함을 원칙으로 한다.

3 .5 .3 철 도 구 조 물 의 내 진 설 계 시 검 토 해 야 할 사 항

철도 구조물의 내진설계 검토는 각 구조물별로 개념설계, 기본설계, 실시설계의


각 단계에서 전반적인 검토가 이루어져야 하며, 각 구조물별 기본적인 검토사항에
대하여 검토하여야 한다.

가. 기본적인 검토사항

(1) 내진등급 여부
(2) 고속철도가 있는 지역 및 지반의 분류
(3) 지진계수 결정
(4) 성능수준별 재현주기 결정
(5) 재현주기별 위험도계수 결정
(6) 설계지진의 응답스펙트럼 결정
(7) 성능수준 결정

나. 세부 검토사항

(1) 전 반 적 인 검 토 사 항

- 89 - 국립방재연구소
철도 시설물별 내진설계기준

철도 구조물의 중요도에 따른 내진등급을 적용함으로서 구조물이 만족해야


할 성능조건들의 안전에 대한 신뢰성을 달리 적용하며, 설계지진력은 다른
설계력과 함께 전체 하중 조합식에 조합하여야 한다. 교량의 경우는 낙교방
지를 위하여 최소한의 받침지지 길이를 확보하고 상부구조와 하부구조 사
이에 낙교방지시설을 설계에 반영한다.

(2) 구 조 물 별 내 진 설 계 방 법 과 절 차

표 3.24 철 도 구 조 물 별 내 진 설 계 시 주 요 검 토 사 항

구분 주 요 검 토 사 항

교량의 진동에 대한 안전성 확보


교량 지진시 낙교방지를 위하여 최소받침길이 확보 및 상・하부 구
조간에 낙교방지시설 설치

활동성 지각운동이 예상되는 지역과 갱구 및 터널이 돌출되는


터널
부위에서는 지진에 대한 영향 고려

토질의 동적특성을 규명하여 경사면 안정성 해석 수행


성절토 기울어진 지층이나 함수비가 높은 지층에서의 성절토부는 특
별한 주의가 요구됨

기울어짐에 대한 가능성을 최소화


주동토압의 장점이 이용되도록 함
옹벽
뒷채움 지반을 배수가 잘되도록 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액상화
현상의 가능성을 줄이거나 없애야 함

특별한 형태의 암거나 긴 경간을 갖는 암거는 지진하중에 대


암거
한 저항력 확보여부를 검토

성토된 부분에서의 허물어짐이나 사면파괴 등이 배수파이프의


배수구조 끝을 막을 수 있으므로, 시공이나 유지관리 동안 배수파이프
의 끝을 보호하거나 길이를 늘릴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야 함

- 90 - 국립방재연구소
철도 시설물별 내진설계기준

< 표 3.24 계속 >

구 분 주 요 검 토 사 항

지진시 궤도의 피해는 주로 하부구조물의 파손에 의해 발생


하는 궤도의 좌굴이므로 하부구조물의 설계에서 이에 대한
고려가 요구됨
지진시 궤도 피해 : 열차직하의 노반손상에 의한 궤도의 변
궤도 형, 하부구조물의 파괴에 의한 궤도변형, 구조물과 노반의 불
연속 개소에 발생하는 궤도틀림 및 꺽임, 교량과 성토부에서
발생하는 고저틀림, 구조물 및 노반의 특별한 개소에서 발생
하는 궤도의 좌굴
궤도 구성품 자체에 대해서는 별도의 내진설계수행은 불필요

분류 : 지상역사 구조물, 고가역사 구조물, 지하역사 구조물


고가역사 구조물과 지하역사 구조물은 해당 철도선의 경제・
역사 사회적 중요성에 따라 내진Ⅰ등급 또는 내진Ⅱ등급으로 분류
되어 내진설계 수행
지상역사 구조물은 일반적인 건축물의 내진설계 기준에 따름

내진설계 기본방침 : 지진에 의해 전차선이 유해한 손상을 받


지 않은 것과 열차의 주행안전을 저해하지 않을 것을 목표로
경제성을 고려하여 실시
전차선이 가설되는 구조물의 조건, 전차선의 형식별 지진응답
특성, 지지구조물과의 동적상호작용, 전차선의 진동에 따른
전차선주 및 열차 주행안전에의 영향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전차선의
위치, 전차선의 형식 등을 결정한 후 각 부재의 소요강도를
전차선
결정
전차선주의 내진설계방법
- 고가교상에 건설되는 전차선주 : 전차선주의 진동특성과 지지되
는 구조물과의 동적상호작용을 고려한 내진설계법을 적용
- 지반위에 건설되는 전차선주 : 전차선주의 진동특성만을 고려한
내진설계법을 적용

신호 및 전차선주 및 전차선의 경우와 동일


지중 또는 궤도상에 설치된 신호 및 통신설비는 별도의 내진
통신시설
설계를 수행하지 않음

- 91 - 국립방재연구소
철도 시설물별 내진설계기준

다. 품질보증에 관한 기본적인 요구사항

일반사항
- 철도구조물의 적절한 내진성 확보를 위한 품질보증은 설계등급에 따라 부여
된 성능기준을 만족시킬 수 있도록 품질보증 요건을 문서화된 계획으로 수립
하여 설계, 시공, 완공 후 사용기간 동안의 유지관리의 단계별로 이루어져야
한다.
- 품질보증계획에는 검사 및 시험계획, 품질시험 및 검사요원의 기준, 시험실
및 시험장비 등에 대한 기준, 검사와 시험결과에서 부적합품으로 판정이 난
경우의 후속조치사항 등이 포함되어야 한다.

설계품질관리
- 자격을 갖춘 기술자에 의하여 내진설계가 수립되어야 하고, 설계시 각 단계
별로 내진설계에 대한 검토가 이루어져야 한다.
- 내진설계는 구조물 부재 재료의 특징과 세부사항 및 크기를 제시하여야 하며
특별한 장치에 대한 특성도 포함되어야 한다.
- 시공 중에 특별한 검토를 요구하는 중요한 구조물의 부재는 설계도면에서 확
인이 되도록 하여야 하며, 이러한 특별한 검토방법이 제시되어야 한다.

시공품질관리
- 품질보증계획에 따른 검사 및 시험이 충실히 이행되도록 해야하며, 공사품질
에 대한 특별시방서가 작성되어야 한다.
- 엄격한 시공품질관리를 위하여 도급자에 의해 직접 고용된 자가 아닌 제3자
로 하여금 시공시에 감리를 하도록 해야 한다.

유지관리
- 사용기간 중의 내진성능 확보를 보증할 수 있도록, 충분한 연성도가 확보되
어져야 하는 중요부재나 이에 관계되는 중요부품에 대한 내진성능 평가요건
이 포함된 유지관리 계획이 수립되어져야 하며, 각 구조물의 내진성능을 저

- 92 - 국립방재연구소
철도 시설물별 내진설계기준

하시키지 않도록 유지관리가 이루어져야 한다.


- 유지관리 계획에는 지진발생시 지진피해에 대한 신속한 복구방안이 포함되어
야 한다.

라. 지진응답 계측에 관한 요구사항

철도구조물의 유지관리, 내진설계기술 개발 및 개선에 필요한 자료확보를 위


하여 관할기관은 지진계와 가속도계를 설치, 운영하도록 요구할 수 있다.
설치된 계측기기들은 항상 정밀측정이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유지되어야 한
다. 그리고 지진응답 계측기록은 빠른 시간내에 회수하여야 한다.
계측기록은 관련 국가기관, 대학교, 연구소에 배포하여 지진응답의 특성을 분
석하고 보존한다.

- 93 - 국립방재연구소
철도 시설물별 내진설계기준

<사 진 > 지 진 에 의 한 철 도 의 탈 선

- 94 - 국립방재연구소
고속철도 시설물별 내진설계기준

3.6 고 속 철 도

3 .6 .1 고 속 철 도 의 일 반 사 항

고속철도 구조물의 내진설계에서는 구조물을 교량, 터널, 토공 및 기초공, 궤도,


역사, 전차선주 및 전차선, 신호 및 통신 등으로 분류한다.

3 .6 .2 고 속 철 도 의 내 진 설 계 절 차

가. 고속철도의 내진등급

고속철도 구조물은 구조물의 중요도를 고려하여 다음과 같이 내진등급을 분류한


다.
표 3.25 고속철도의 내진등급

내진등급 구 분 내 용

내진1등급 구조물중에서 복구의 난이도가 매우 높고 경제


내진특등급
사회적으로 특별히 중요한 구조물

설계지진 발생후에도 교통수단을 유지하기 위한 중요시설물


내진1등급
(예) 교량, 역사, 전차선 및 전주 등

내진2등급 내진특등급과 내진1등급에 속하지 않는 고속철도구조물

※ 지진 발생 시 열 차 운행 지침
철도에 지진 발생이 알려준 후, 철도 배차원은 지진규모나 진앙이 전문가에 의
해 결정되기 전까지 모든 열차가 진앙으로부터 반경 160㎞내에서 지정된 제한속도
로 운행이 되도록 해야 한다. 그리고 궤도, 구조물, 신호 및 통신체계 등의 이상여
부에 대한 조사가 시작되어야 한다. 또한 규모나 진앙의 위치가 알려짐에 따라 관
련기관에 의해 정상 속도운행, 제한 속도운행 혹은 운행정지 등의 열차운행이 결
정된다.

- 95 - 국립방재연구소
고속철도 시설물별 내진설계기준

시 작

해당 고속철도 구조물의 내진등급별 요구되는 지 진

고려된 구조물의 내진등급 결정

각 지진하중에 대한 내진성능목표 결정

부재결정 (가정)

기증수행수준을 위한 설계지진하중에
대하여 내진설계

정해진 성능목표에 따른
강도한계, 변위한계 적합성 평가

부재결정 (가정)

붕괴방지수준을 위한 설계지진하중에
대하여 내진해석

정해진 성능목표에 따른
강도한계, 변위한계 적합성 평가

그 림 3.9 고속철도 구조물의 일반적인 내진설계 절차

- 96 - 국립방재연구소
고속철도 시설물별 내진설계기준

나. 내진성능수준 및 설계거동한계

표 3.26 고속철도의 내진성능수준

내진성능수준 정 의 설계거동한계

열차의 안전성을 보장하는 것으로 고속


철도 구조물의 변형, 응력, 진동 및 궤
설계지진 발생시 감속된
도틀림 등이 열차의 안전성을 위협해서
기능수행수준 상태로 운행하는 기차의
는 안되며, 탄성영역의 거동이 지배적
주행안전성을 보장함
이어야 함. 기초지반의 영구적인 침하
나 액상화가 발생하여서는 안됨.

설계지진 발생후에 구조물의 전체적


인 붕괴는 방지하는 것으로 보수 및
보강이 가능한 정도의 피해만을 허용
하며 구조물의 연속성을 확보하기 위
한 중요부재가 극한강도를 초과하면
안됨
구조물은 탄성한계를 초과하여 비탄
성 상태의 변형이 허용되므로 이에
설계지진 발생후의 피해정 따른 구조물의 연성과 여용성
도를 최소화하고 구조물을 (Red u n d an cy)이 확보되어야 하며,
구성하는 부재들의 부분적 필요시 구조물의 붕괴방지를 위하여
붕괴방지수준
인 피해는 허용하나 구조 추가적인 안전장치가 설치되어야 함
물의 전체적인 붕괴는 방 기초지반에는 구조물 전체의 안전성
지함 을 위협하는 어떠한 손상도 발생하여
서는 안됨.
구조물의 중요성과 교체비용을 감안
하여 특정한 철도구조물에 대해서는
붕괴방지 수준에서 붕괴가 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보수가 불가능할 정도의
피해도 허용될 수 있고, 이 경우에는
해당부위의 교체시공에 대한 대비가
필요함

- 97 - 국립방재연구소
고속철도 시설물별 내진설계기준

다. 등급별 내진성능 목표

터널의 내진설계에 사용되는 등급별 내진성능목표는 표 3.1에 규정된 바와


같다.

라. 설계 지반운동 수준 및 표현방법

설계 지반 운동특성은 기본적으로 지반조건을 고려한 응답스펙트럼으로 표


현하며, 이에 관련한 사항은 제3장 3.1.2의 설계지반운동에서 정의한 내용
을 사용함을 원칙으로 한다.

3 .6 .3 고 속 철 도 의 내 진 설 계 시 검 토 해 야 할 사 항

가. 기본적인 검토사항

(1) 내진등급 여부
(2) 고속철도가 있는 지역 및 지반의 분류
(3) 지진계수 결정
(4) 성능수준별 재현주기 결정
(5) 재현주기별 위험도계수 결정
(6) 설계지진의 응답스펙트럼 결정
(7) 성능수준 결정

나. 세부 검토사항

(1) 전반적인 검토사항


기능수행수준
지진 지반운동의 큰 작은 주기보다 짧은 기본주기를 갖는 구조물인 경우에
는 등가정적하중법을 적용한다(지진 지반운동의 가장 큰 주기보다 긴 기본
주기를 갖는 구조물이나 특수한 형태의 구조물인 경우에는 동적해석법이 적

- 98 - 국립방재연구소
고속철도 시설물별 내진설계기준

용된다.).
구조물 진동에 의한 열차의 탈선을 방지하기 위하여 열차 속도별 허용 침하
량을 만족해야 하며 교축 직각 방향에 대한 충분한 강성을 확보하여야 한
다.
지진하중을 포함한 하중조합을 사용하는 경우, 허용응력은 강재의 경우 기
본 허용응력의 150%까지, 철근콘크리트의 경우 133%까지로 증가시킬 수 있
다.
붕괴방지 수준
구조물은 탄성한계를 넘어서 거동하고 비탄성 상태의 변형이 허용되므로 구
조물의 연성거동이 확보되어야 한다.
내진설계시 교량의 경우는 연성 확보를 위해서 보통 교각에 의도적으로 소
성힌지를 형성시키거나 합리적이고 타당성 있는 지진격리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소성힌지의 발생 위치는 유지관리와 보수, 보강이 가능한 곳
을 선택한다.
고속철도 교량
낙교 방지를 위하여 최소한의 받침지지 길이를 확보하고 상부구조와 하부구
조 사이에 낙교 방지 시설을 설계에 반영한다.

- 99 - 국립방재연구소
고속철도 시설물별 내진설계기준

(2) 고속철도 구조물별(교량, 터널, 성절토, 옹벽, 암거, 배수구조) 검토사항


표 3 .27 고속철도 구조물의 내진설계 검토사항

구분 주요 검토사항 관련 시방규정
교량의 횡방향 진동이 탄성영역내에서 거동하여도
열차의 탈선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교량의 진동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하여야 한다.
고속철도 교량의 구조적 특성상 지반운동의 수평
교량 2방향 성분뿐만 아니라 수직방행 운동의 영향이
상당히 클 때는 수직방향성분도 고려해야 한다.
지진시 낙교 방지를 위하여 최소 받침 지지길이가
확보되어야 하고, 상・하부 구조간에 낙교방지시설
을 설치하여야 한다.
활동성 지각운동이 예상되는 지역과 갱구 및 터널 ※ 지중구조물 및
터널 이 돌출되는 부위에서는 지진에 대한 영향을 고려 일반적인 터널 관
하여야 한다. 련 시방규정
성절토의 토질특성에 대한 자료는 매우 넓은 범위
에 분포되어 있어 불확실성이 매우 크므로, 토질특
※ 지중구조물 및
성을 안전측으로 추정하여 경사면 안정성해석을
성절토 일반적인 성절토
수행해야 한다.
부 관련 시방규정
기울어진 지층이나 함수비가 높은 지층에서의 성
토부는 특별한 주의를 요구한다.
설계과정에서 기울어짐에 대한 가능성을 최소화해
야 하고, 주동 토압의 장점이 이용되도록 해야 한
※ 지중구조물 및
다.
옹벽 일반적인 옹벽 관
뒷채움 지반은 배수가 잘되도록 하는 방법을 사용
련 시방규정
하여 액상화 현상의 가능성을 중이거나 없애야 한
다.
특별한 형태의 암거나 긴 경간을 가진 암거는 지 ※ 지중구조물 및
암거 진하중에 대한 저항력을 확보 여부를 검토해야 한 일반적인 암거 관
다. 련 시방규정
배수구조는 주변 지반의 거동에 전적으로 의존되
므로, 내진설계시 중요한 고려사항은 성토된 부분
※ 지중구조물 및
에서의 허물어짐이나 사면파괴 등이 배수파이프의
배수구조 일반적인 배구구
끝을 막을 수 있으므로, 시공이나 유지관리 동안에
조 관련 시방규정
배수파이프의 끝을 보호하거나 길이를 늘릴 수 있
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 10 0 - 국립방재연구소
고속철도 시설물별 내진설계기준

(3) 궤도, 역사, 신호 및 통신체계 관련 고려사항


궤도
모든 유형의 궤도에 있어서 각 궤도 구성품(레일, 체결구, 침목, 자갈도상
등)은 모든 수준의 지진하중에 견딜 수 있다고 인식되고 있기 때문에 궤도
구조 자체에 대해서는 별도의 내진설계를 수행할 필요는 없다.
역사
고속철도 관련 역사 구조물은 지상역사 구조물, 고가역사 구조물과 지하 역
사 구조물로 분류될 수 있다. 여기서 고가역사 구조물과 지하터널역사 구조
물은 내진Ⅰ등급으로 분류되어 내진설계가 수행되어야 하고, 그 외의 지상
역사 구조물의 경우는 일반적인 건축물의 내진설계 기준에 따른다.
전차선주 및 전차선
전차선주 및 전차선 내진설계의 기본방침은 지진에 의해 전차선이 유해한
손상을 받지 않을 것과 열차의 주행안전을 저해하지 않을 것을 목표로 하
여 경제성을 고려해서 실시할 것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는 우선 전차선이
가설되는 구조물의 조건, 전차선의 형식별 지진응답 특성, 지지구조물과의
동적 상호작용, 전차선의진동에 따른 열차 주행안전에의 영향 등을 종합적
으로 고려해서 전차선의 위치, 전차선의 형식 등을 결정한 후 각 부재의 소
요강도를 결정하는 것이 타당하다.
전차선주 구조를 다음과 같이 두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여 구조물의 진동 특
성을 고려한 내진설계방법을 사용한다.
- 고가교 상에 건설되는 전차선주의 경우에는, 전차선주의 진동특성과 지지
되는 구조물과의 동적 상호작용을 고려한 내진설계법을 적용한다.
- 성, 절토 구간에 건설되는 전차선주의 경우에는, 전차선주의 진동특성만을
고려한 내진설계법을 적용한다.
신호 및 통신설비
신호 및 통신설비가 설치된 기둥에 대한 내진설계의 기본방침과 그 설계 방
법은 전차선주 및 전차선의경우와 동일하며, 지중 또는 궤도상에 설치된 신
호 및 통신설비는 별도의 내진설계를 수행하지 않는다.

- 10 1 - 국립방재연구소
고속철도 시설물별 내진설계기준

(4) 품질보증에 관한 기본적인 요구사항


일반사항
고속철도 구조물의 적절한 내진성 확보를 위한 품질보증은 설계등급에 따라
부여된 성능수준을 만족시킬 수 있도록 품질보증 요건을 문서화된 계획으로
수립하여 설계, 시공, 완공 후 사용기간동안의 유지관리의 단계별로 이루어
져야 한다.
품질보증계획에는 검사 및 시험계획, 품질시험 및 검사요원의 기준, 시험실
및 시험장비등에 대한 기준, 검사와 시험결과에서 부적합품으로 판정이 난
경우의 후속 조치사항 등이 포함되어야 한다.
설계품질관리
자격을 갖춘 기술자에 의하여 내진설계가 수행되어야 하고, 설계시 각 단계
별로 내진설계에 대한 검토가 이루어져야 한다.
내진설계는 구조물 부재 재료의 특징과 세부사항 및 크기를 제시하여야 하
며 특별한 장치에 대한 특성도 포함되어야 한다.
시공 중에 특별한 검토를 요구하는 중요한 구조물의 부재는 설계 도면에서
확인이 되도록 해야하며 이러한 특별한 검토 방법이 제시되어야 한다.
시공품질관리
시공품질관리는 품질보증계획에 따른 검사 및 시험이 충실히 이행되도록 해
야 하며, 공사품질에 대한 특별시방서가 작성되어야 한다.
엄격한 시공품질관리를 위하여 도급자에 의해 직접 고용된 자가 아닌 제3자
로 하여금 시공시에 감리를 하도록 해야 한다.
유지관리
사용기간중의 내진성능 확보를 보증할 수 있도록, 충분한 연성도가 확보되
어져야 하는 중요부재나 이에 관계되는 중요부품에 대한 내진성능 평가요
건이 포함된 유지관리 계획이 수립되어져야 하며, 각 구조물의 내진성능을
저하시키지 않도록 유지관리가 이루어져야 한다.
유지관리 계획에는 지진발생시 지진피해에 대한 신속한 복구방안 포함되어
야 한다.
지진계

- 10 2 - 국립방재연구소
고속철도 시설물별 내진설계기준

고속철도 구조물의 유지관리, 내진설계 기술개발 및 개선에 필요한 자료 확


보를 위하여, 관할기관은 지진응답계측을 위한 기기를 설치하고 유지하도록
요구할 수 있다.
지진시 열차의 운행 통제를 위한 지반가속도를 측정한다.
지진발생시 자동화 시설이 파괴된 후 열차가 정지되지 않는 경우는 위험하
게 되므로 철로를 따라 적절한 간격으로 가속도계를 설치하여 설계 지진가
속도의 한계를 초과하면 동력원이 차단 되도록 하여야 한다. 또한 가속도계
는 고속열차의 속도를 고려할 때 열차의 안전을 위해서는 지진파들 중에서
P파를 빨리 감지하도록 하여야 한다.

- 10 3 - 국립방재연구소
고속철도 시설물별 내진설계기준

<사진 > 지 진에 의한 지하 철 역 사 의 파 괴

- 10 4 - 국립방재연구소
건축물 시설물별 내진설계기준

3.7 건 축 물

3 .7 .1 건 축 물 의 일 반 사 항

건축물의 내진설계성능기준(안)의 기준은 지진으로 인한 지반운동에 대하여 건


축물을 설계 및 시공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최소한의 규정으로, 일반적인 목적은
모든 건축물이 지진전후로 인명에 대한 위험도를 최소화하고, 상주인구가 많은 건
축물은 일반적인 건축물에 비하여 향상된 내진성능을 보유하게 하고, 중요한 건축
물은 그 기능이 마비되지 않게 하는 것이다. 건축물의 구조방식별 지진저항 시스
템의 분류는 표 3.28에 나타나 있다.

표 3.28 구조방식과 지진저항 시스템

구 조 방 식 수직 지진저항 시스템
내력벽방식 :
철근콘크리트 전단벽
수직하중전부나 대부분을 내력벽이 저
항하고 지진하중은 전단벽이나 가새골 양단부를 경계요소로 보강한 철
조가 저항 근 콘크리트 전단벽

모멘트골조방식 : 철근콘크리트
연성모멘트골조
철골
수직하중은 입체 골조가 저항하고 지
철근콘크리트
진하중은 모두 모멘트 골조가 저항 보통모멘트골조
철골
이중골조방식 : 철근콘크리트전단벽과 철골연성
지진력의 25% 이상을 부담할 수 있는 모맨트골조
연성골조가 전단벽 또는 가새골조와 조 철근콘크리트전단벽과 철근콘크
합되어 건축물 수직요소의 강성비에 따 리트 연성모멘트골조
라 부담하여 저항 철골가새골조와 연성모멘트골조
건축물골조방식 : 철근콘크리트 전단벽
수직하중은 입체골조가 저항하고 지진
하중은 전단벽이나 가새 골조가 저항 가새골조
연직캔틸래버구조방식
(고가수조, 관제탑, 전망대, 사일로, 굴뚝, 철탑 등)
기타 구조방식

- 10 5 - 국립방재연구소
건축물 시설물별 내진설계기준

표 3.29 건축물의 내진관련 규정의 제정과 변천

년 도 관련법규 내 용
건축물은 지진에 대하여 안전한 구조이어야
1986년 12월 31일 건축법

건축물의 구조기
1988년 1월 6일 준 등에 관한 규 처음으로 체계적인 내진설계 기준 제정

건축법 시행령 필요시 지진에 대한 안전여부를 구조계산에
1992년 5월 30일
및 시행규칙 의하여 확인하도록 규정

(제4조, 구조설계의 원칙) 지진하중에 대하여


구조내력상 안전하도록 규정
(제7조 2항, 구조안전의 확인 : 신설) 영 제32
조 제1항 : 해당 건축물은 구조계산에 의하여
지진에 대한 안전여부 확인하도록 규정
건축물 구조기준 - 지진구역 2의 지역에 있는 건축물로서 중
1992년 6월 1일
등에 관한 규칙 요도 1 또는 2에 해당하는 구조물
- 건설교통부장관이 국가안전보장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건축물
- 국가적 문화유산으로서의 보존가치가 있는
박물관, 기념관 기타 이와 유사한 것으로서
연면적 5천평방미터 이상인 건축물

1995년 1월 5일
(개정, 공포) 건축물은 지진 기타의 진동 및 충격 등에 대
건축법 38조
1996년 1월 5일 하여 안전한 구조를 가져야 한다.
(시행)

건축법시행령 32
내진설계 적용범위 결정 - 층수가 6층 이상

이거나 연면적이 10만제곱미터 이상인 건축
(구조안전의
물 또는 건설교통부령이 정하는 건축물
확인)

연면적 5천제곱미터 이상인 판매시설도 내진


설계 대상건축물로 지정
1996년 2월 13일 건축법
아파트의 경우 6층에서 5층으로 내진설계하
도록 규정 강화

- 10 6 - 국립방재연구소
건축물 시설물별 내진설계기준

3 .7 .2 건 축 물 의 내 진 설 계 절 차

시 작

건물의 내진등급별 요구되는 지진

고려된 건물의 내진등급 결정

각 지진하중에 대한 내진성능목표 결정

부재결정 (가정)

기증수행수준을 위한 설계지진하중에
대하여 내진설계

정해진 성능목표에 따른
강도한계, 변위한계 적합성 평가

부재결정 (가정)

붕괴방지수준을 위한 설계지진하중에
대하여 내진해석

정해진 성능목표에 따른
강도한계, 변위한계 적합성 평가

그 림 3.10 건축물의 내진성능에 따른 내진설계 절차

- 10 7 - 국립방재연구소
건축물 시설물별 내진설계기준

시 작

No
No
지진지역 1 지진지역 2

Ye s
No No
N ≥ 6층 N ≥ 6층

Ye s Ye s

N ≤ 20층
ha ≤ 60m

Ye s
No
No
건물중요도 건물중요도
1, 2 1, 2

Ye s Ye s
No
정형구조물

Ye s

수직력 고려 동적해석

Ye s
N ≤ 50층

등가정적해석
No

응답스펙트럼 또는 시간이력해석법
시간이력해석법

구 조 설 계

그 림 3.11 건축물의 현행 내진설계 절차

- 10 8 - 국립방재연구소
건축물 시설물별 내진설계기준

본 절에서는 개정 건축물 내진설계기준과 현행 건축물의 내진설계기준과의 차이


를 설명하고, 향후 개정될 건축물 내진설계 절차에 대해 설명한다.

가. 내진등급 결정

(개정안)
표 3.30 건축물의 내진성능기준 내진등급

내진등급 구분내용 해당건축물

방출되었을 때, 시민들
에게 위험이 된다고 판
방송국
내진특등급 단되는 충분한 양의 유
가스나 유류탱크 등의 저장소
독, 폭발성 물질을 보관
하는 건축물

소방서, 경찰서
종합병원과 수술, 응급조치가 가
능한 의료시설
발전소등 내진특등급 시설물을 지
원하기 위해 필요한 시설물
긴급차량 차고
지진후 피해복구를 위 통신시설
해 필요한 중요 건축물 바닥면적의 합계가 5천 제곱미터
내진I등급 과 지진발생시 거주자 이상인 관람집회 시설(극장, 실내
나 사용자에 큰 피해를 체육관 등)
줄 수 있는 건축물 제반 교육용 건축물
교도소나 구금시설
바닥면적의 합계가 1만 제곱미터
이상인 판매시설(백화점, 상가 등)
6층 이상의 아파트나 숙박시설
공공시설 중 지진발생 전후로 계
속 가동되어야 하는 건축물

여러 용도로 사용되는
건축물이 2개 이상의
내진 특등급과 1등급에 포함되지
내진II등급 등급이 해당할 경우 가
않은 건축물
장 높은 등급을 적용하
여야 한다 .

- 10 9 - 국립방재연구소
건축물 시설물별 내진설계기준

(현행)
내진대상 건축물
층수가 6층 이상이거나 연면적이 1만m 2 이상인 건축물 또는 건설교통부령이
정하는 건축물
지진구역 2의 지역에 건축하는 건축물로서 중요도 1 또는 중요도 2에 해당하
는 건축물
건설교통부장관이 국가안전보장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건축물
국가적 문화유산으로서의 보존가치가 있는 박물관・기념관 기타 이와 유사한
것으로서 연면적의 합계가 5천m 2 이상인 건축물

표 3.31 건축물의 용도, 규모 및 대지의 위치에 따 른 중요도계수

중 요 도 1 2 3

건축물의 연면적이 5천 제곱
연면적이 1천 제곱
용도 및 미터 이상인 관람집
미터 이상인 위험물
규모 회시설・운동시설・
저장 및 처리시설・ 중요도 1 및 중요
운수시설・전시시설
종합병원・병원・방 도 2에 해당하지 아
및 판매시설, 6층 이
송국・전신전화국・ 니하는 건축물
상인 숙박시설・오
발전소・공공업무시
구 역 피스텔 및 기숙사, 5
설 및 노유자시설
층 이상인 아파트

도시계획구역 1.5 1.2 1.0

도시계획구역
1.2 1.0 0.8
이외의 구역

- 110 - 국립방재연구소
건축물 시설물별 내진설계기준

나. 지진구역 및 지역계수 결정

표 3.32 지진구역별 지역계수

개정안 현재 규정
지진구역
지역계수 지역계수
행정구역 행정구역
(g) (g)

서울특별시, 인천광역
시, 대전광역시, 부산광 광주광역시, 강원도(화
역시, 대구광역시, 울산 천군 제외), 전북 고창
Ⅰ 광역시, 광주광역시, 경 0.11 군, 전라남도(곡성군, 구 0.08
기도, 강원남부, 충청도, 례군, 광양군 제외), 경
경상도, 전라북도, 전남 북 울진군, 제주도
북동부

강원북부, 전남 남서부, 지진구역 Ⅰ을 제외한


Ⅱ 0.07 0.12
제주도 지역

- 11 1 - 국립방재연구소
건축물 시설물별 내진설계기준

다. 지반계수

(1) 지 반 계 수

(개 정 안 )

표 3.33 지진구역과 지반종류가 고려된 지진계수

지진계수

지반종류 지진구역 I 지진구역 II

Ca Cv Ca Cv

SA 0.09 0.09 0.05 0.05

SB 0.11 0.11 0.07 0.07

SC 0.13 0.18 0.08 0.11

SD 0.16 0.23 0.11 0.16

SE 0.22 0.37 0.17 0.23

SF 특성평가 후 결정

(현행)

지반종별 Ⅰ II III

지반계수(S ) 1.0 1.2 1.5

- 112 - 국립방재연구소
건축물 시설물별 내진설계기준

(2) 지 반 의 분 류

(개정안)
표 3.34 지반의 분류

상부 30 .480m에 대한 평균 지반 특성
표준관입시험
지반 종류 지반종류의 호칭 전단파속도 비배수전단강도
N ( NCH )
(m ./s ) (kPa ) , S u
(b low/fo ot)
SA 경암지반 1500 초과
- -
SB 보통 암지반 760에서 1500

매우 조밀한
SC 토사지반 또는 360에서 760 >50 >100
연암지반

SD 단단한 토사지반 180에서 360 15에서 50 50에서 100

SE 연약한 토사지반 180 미만 < 15 < 50

SF 부지 고유의 특성평가가 요구되는 지반

- 113 - 국립방재연구소
건축물 시설물별 내진설계기준

(현행)

지 반 종 별 지 반 상 태

암반 또는 암반위에 매우 단단한 모래, 자갈 또는 점


지반 1
토로서 암반까지의 전체 깊이가 60m 미만인 지반

지반 1과 같은 상태로서 암반까지의 전체깊이가 60m


지반 2 이상인 경우와 깊이에 관계없이 단단한 모래, 자갈 또
는 점토인 지반

단단하기가 보통 이하인 점토 또는 느슨한 모래로 전


지반 3
체깊이가 9m 이상인 지반

일축압축 전단파
표준관입 상대밀도
지 반 상 태 강도 속도 비 고
시험N치 (%)
(kg/ cm ) (m/ s ec )
2

암 반 > 700
지반이 2종류 이
매우 단단한 모래 > 40 75~100 상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지
매우 단단한 점토 > 24 > 3.0 반계수가 큰 것을
적용하며, 지반상
단단한 모래 30~40 65~75 태를 분류하기가
곤란한 경우에는
단단한 점토 16~24 2.0~3.0 지반 3을 적용하
거나 국가기술자
단단하기가 보통
< 30 < 65 격법에 의한 토질
이하의 모래
기술사의 판단에
단단하기가 보통 의할 수 있다.
< 16 < 2.0
이하의 점토

- 114 - 국립방재연구소
건축물 시설물별 내진설계기준

라. 동적계수

내진성능기준(안)에서는 제정되어 있지 않고, 현재의 기준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


다.
동적계수는 다음 식에 의하여 계산하되, 1.5를 초과할 경우에는 1.5를 적용한
다.
1
C =
1 .2 T

여기서, T : 건축물의 기본진동주기(초)

동적계수와 지반계수를 곱한 값이 1.75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1.75를 적용한


다.
건축물의 기본진동주기는 다음의 (1), (2) 또는 (3)식에 따라 계산하거나 고유
치해석법에 의하여 계산한다. 다만, 고유치해석법에 의하여 계산한 기본진동
주기가 (1), (2) 또는 (3)식에 의하여 구한 기본진동주기에 1.2배를 곱한 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1.2를 곱한 값을 적용한다.

T = 0 .085・h n3 / 4 ( 모멘트골조인 경우의 철골구조)・・・・・( 1)

T = 0 .085・h n3 / 4 ( 모멘트골조인 경우의 철근콘크리트구조)・( 2)

0 .09・h n
T = ( ( 1) , ( 2 )를 제외한구조)・・・・・・・( 3)
B

여기서, h n : 밑면으로부터 최상층까지의 건축물의 높이 (m)

B : 지진하중이 작용하는 방향의 밑면에서의 건축물 평면치수 (m)

- 115 - 국립방재연구소
건축물 시설물별 내진설계기준

마. 해석방법

(개정 안) 기능수행수준과 붕괴방지수준에 대하여 설계거동한계를 만족시켜야 한


다.
표 3.35 건축물의 내진해석방법

내진성능수준 해석법 요구조건

선형탄성해석을 통하여 강도
등가정적해석법, 와 변위의 건축기준 요구조건
고려된 방향으로 층당 1자유도를 을 만족시켜야 한다.
기능수행수준 갖는 모드해석법, 특정한 형상 및 규모를 갖는
고려된 방향으로 층당 두 개 이 건축물에 대해서는 입력지반
상의 자유도를 갖는 모드해석법, 운동의 수평2축방향 성분과
수직성분을 고려해야 한다.

합리적인 응답수정계수를 이용한


탄성해석방법
고려된 방향으로 층당 1자유도를
갖는 비선형응답해석법
고려된 방향으로 층당 두 개 이
강도와 연성을 동시에 평가할
상의 자유도를 갖는 비선형응답
붕괴방지수준 수 있는 방법이 사용되어야
해석법
한다.
고려된 방향으로 층당 1자유도를
갖는 모드해석법
고려된 방향으로 층당 1자유도를
갖는 모드해석법,
비선형 Pu sh ov er 해석법

(현행)
지진력을 정적인 횡력으로 평가하는 등 가 정적 해 석법 또는 건설 부 장관 이 이 와 동
등 이상 의 안 전 성이 있다 고 인 정 하는 해석 법 (동 적해 석 법)

바. 설계방법

허용응력도설계법 또는 극한강도설계법에 의하거나 건설교통부장관이 이와

- 116 - 국립방재연구소
건축물 시설물별 내진설계기준

동등이상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고 인정하여 고시하는 구조계산법에 의


한다.

표 3.36 하중 및 외력의 조합

설계방법 하 중 조 합

D+L+E
허용응력설계
D+E

극한강도설계 0.75(1.4D+1.7L+1.87E)
(한계상태설계) 0.9D+1.43E

※ D : 자중 에 의 한 응 력,L : 적 재하 중에 의 한 응 력, E : 지 진하 중에 의 한 응 력

사. 등가정적해석법의 적용

지진력을 정적인 횡력으로 평가하는 등가정적해석을 적용하여 내진구조설계를


하는 건축물은 밑면전단력・층지진하중・층전단력・수평비틀림모멘트・전도모
멘트 등에 저항할 수 있도록 설계하여야 하며, 기타 층간변위와 건물분리 등을
검토하여 필요한 조치를 하여야 한다.

(1) 밑 면 전 단 력

V = ( A ・I・R C・S )W

여기서, V : 밑면전단력
A : 지역계수
I : 중요도 계수
C : 동적계수

- 117 - 국립방재연구소
건축물 시설물별 내진설계기준

S : 지반계수
R : 응답수정계수
W : 건축물의 전 중량

(2) 응 답 수 정 계 수

표 3.37 응 답 수 정 계 수 (R)

응답수정
구 조 방 식
계수 (R )

전단벽이 모든 수직하중과 모든 횡력을 부담하는


3.0
경우
내력벽방식
모든 수직하중과 모든 횡력을 받는 전단벽의 양단
3.5
부를 기둥과 같은 배근법으로 보강한 경우

모멘트 연성 철골구조 6.0


골조 방식 철근콘크리트구조 4.5

지진력의 25% 이상을 부담할 수 있는


철골구조 6.0
모멘트 연성골조가 전단벽 또는 가새골
조와 조합되어 수직하중 및 횡력을 건
이중골조방식 축물수직요소의 강성비에 따라 부담하 철근콘크리
5.0
는 경우 트구조

모멘트골조와는 독립적으로 전단벽 또는 가새골조


4.0
가 모든 횡력을 부담하는 경우

기타의 골조방식 3.5

고가수조 등 2.0

- 118 - 국립방재연구소
건축물 시설물별 내진설계기준

(3) 층 지 진 하 중

W x h xk
Fx = n V
Wi h ki
i= 1

여기서, F x : x층의 층지진하중

Wi , Wx : i, x 층의 건축물 중량

h i , h x : 건축물의 밑면으로 부터 i, k층 까지의 높이

V : 밑면 전단력

주기에 따른 k 값은 다음과 같다.


T 1 .0 초이면 k = 1 .0

1 .0 < T 2 .0 초이면 k = 1 .5

T > 2 .0 초이면 k = 2 .0

(4) 층 전 단 력

층전단력은 다음 식에 의하여 계산한다.

n
Vx = F i
i= 0

여기서, Vx : x 층의 층전단력

F i : i 층의 층지진하중

(5) 수 평 비 틀 림 모 멘 트

수평비틀림모멘트는 건축물의 중심과 강심간의 편심에 의한 비틀림모멘트


와 우발비틀림모멘트의 합으로 한다. 이경우 비틀림모멘트는 편심거리에
층전단력을 곱하여 계산하고, 우발비틀림모멘트는 해석방향에 직각방향 평

- 119 - 국립방재연구소
건축물 시설물별 내진설계기준

면치수의 5%에 해당하는 우발편심에 그 층전단력을 곱하여 산정한 모멘트


로 한다.

(6) 전 도 모 멘 트

전도모멘트는 다음식에 의하여 산정한다. 이 경우 건축물의 층수에 따른


감소계수는 표 000에 의한 값을 적용한다. 이 경우 기초지면에서 지진하중
과 수직하중의 합력의 작용점은 기초저면치수 중앙부의 2분의 1을 벗어나
지 아니하여야 한다.

n
Mx = F i ( h i - hx )
i= 1

여기서, Mx : x 층의 전도모멘트
F i : i층의 층지진하중
h i , h x : 밑면에서 i, x 층까지의 건축물의 높이

ρ : 감소계수

표 3.38 감소계수

건축물의 층수 감소계수

최상층으로부터 10층까지 1.0


최상층으로부터 20층 이하 0.8
최상으로부터 11층에서 19층까지 층수에 따라 직선보간으로 구함

(7) 층 간 변 위

층간변위는 층의 주두와 주각에서 생기는 수평변위량의 차이로서 그 층의


층높이의 0.015배를 초과할 수 없으며 변위량은 다음의 식에 의하여 계산
한다.

- 12 0 - 국립방재연구소
건축물 시설물별 내진설계기준

x = R xe

여기서, x : x층의 수평변위량


R : 응답수정계수
xe : 탄성해석에 따라 구한 x층의 수평변위량

(8) 건 축 물 간 의 최 소 간 격

인접 건축물간 또는 신축이음을 둔 동일 건축물간에는 인접 양측 건축물의


변형량을 합한 값의 2배 이상의 간격을 두어야 한다. 이유는 과거에 발생
한 지진에 의한 피해에 관한 연구결과 인접 건축물의 충돌에 의한 피해가
심했기 때문이다. 건축물의 변형량이란 층간변위에서 규정한 방법에 위해
산정된 변형량으로서 선형정적해석법에 의해 산출된 변형량에 응답수정계
수를 곱함으로서 얻어지는 값이다.

(9) 비 구 조 부 재 및 건 축 설 비 의 내 진 조 치

건축물의 골조에 정착되는 비구조부재 및 건축설비는 내진설계시 다음의 조


치를 하여야 한다.
수조・계단탑・광고탑・굴뚝 등과 같은 옥외돌출물 및 비내력벽, 달반
자 기타 이와 유사한 건축물의 비구조부재는 지진시에 전도・국부파괴
등이 일어나지 아니하도록 건축물의 구조체에 안전하게 정착시켜야 한
다.
기계설비・보일러・연료탱크・닥트 및 배관설비・조명설비・통신설비
기타 이와 유사한 건축설비기기는 지진시에 이동・전도・국부파괴 등
이 일어나지 아니하도록 건축물의 구조체에 안전하게 정착시켜야 한
다.

- 12 1 - 국립방재연구소
건축물 시설물별 내진설계기준

아. 내진성능수준 및 설계거동한계

표 3.39 건축물의 내진성능수준

내진성능수준 정 의

지진발생 후에도 건축물이 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수준


기능수행수준
으로 거주자나 사용자의 안전을 위협해서는 안됨

지진으로 인한 건축물의 손상이 심각하더라도 붕괴되지 않


는 성능수준으로 주요부재들의 부분적인 붕괴는 예상할 수
붕괴방지수준
있음. 구조물은 탄성한계를 넘어서 거동하게 되므로 충분한
연성과 여용력(Redun d ancy)이 확보되어야 함.

표 3.40 건축물의 내진성능수준별 설계거동한계

내진성능수준 설계거동한계

부재들이 대부분 탄성적으로 거동하며, 원래의 강도와 강


성을 유지한다. 구조부재는 보수 가능한 미세한 균열이
발생할 수 있다.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기본적인 장비들과 화재와 생명안
전에 관계되는 시스템이 작동한다. 그 밖의 다른 시스템
들은 보수를 필요로 한다.
콘크리트 골조의 주요부재에 미세한 균열 또는 부분적으
로 제한적인 항복이 일어난다.
철골 모멘트 골조의 주요부재에서는 일부 경미한 부분항
복이 일어나며, 미소좌굴이 일어난다.
기능수행수준
철골 가새골조의 주요부재에서는 가새의 미세한 항복이나
좌굴이 일어난다.
콘크리트 전단벽에 미소균열이 발생하며, 커플링 보의 균
열이 발생한다.
기초에서는 소량의 침하가 발생한다.
콘크리트 다이아프램에서 미세한 균열이 넓게 분포되어
발생한다.
외장재의 접합부가 항복하며, 균열이 발생한다.
대부분의 엘리베이터가 일반적으로 다시 가동한다.
화재경보장치가 기능을 유지한다.

- 12 2 - 국립방재연구소
건축물 시설물별 내진설계기준

< 표 3 .40 계속 >

내진성능수준 설계거동한계

부재의 강도와 강성이 줄어드나 횡력저항 시스템이 큰 영


구변형이 일어날 수 있으나 층 붕괴는 발생하지 않는다.
일부 장비들이 움직이거나 전복된다. 많은 시스템들이 기
능을 유지하지 못하며, 수도 및 전기배관이 파열된다.
콘크리트 골조의 보에 광범위한 피해가 일어난다. 표면이
부서지고, 기둥에 전단균열이 발생한다.
철골 가새 골조에서는 많은 가새들이 항복하거나 좌굴을
일으키며, 전체구조물의 파괴는 일어나지 않는다. 많은 접
합부가 파괴된다.
붕괴방지수준 콘크리트 전단벽의 미끄러짐이 발생하며, 일부 압괴나 휨
균열이 발생하고, 커플링 보에 휨-전단균열이 발생한다.
기초의 전반적인 침하가 발생한다.
콘크리트 다이아프램에서는 넓은 균열들과 부분적인 압괴
나 파괴가 발생한다.
외장재의 접합부에 상당한 변형이 생기고, 균열과 휨, 압
괴, 파손이 일어난다.
일부 엘리베이터는 고장이 난다.
화재경보장치가 기능을 유지하지 못한다.

- 12 3 - 국립방재연구소
건축물 시설물별 내진설계기준

3 .7 .3 건 축 물 의 내 진 설 계 시 검 토 해 야 할 사 항

개념설계, 기본설계, 실시설계의 각 단계에서 내진설계에 대한 전반적인 검토가


이루어져야 하며, 다음과 같은 기본적인 사항과 세부사항에 대하여 검토를 해야
한다.

가. 기본적인 검토사항

(1) 건축물의 내진등급 여부


(2) 건축물이 설치되는 지역 및 지반의 분류
(3) 지역계수 결정
(4) 성능수준별 재현주기결정
(5) 동적계수
(6) 설계지진의 응답스펙트럼 결정
(7) 성능수준결정

나. 세부 검토사항

(1) 해 석 및 설 계 에 대 한 규 정 에 관 한 검 토 사 항

설계지진력 및 설계변위
다른 하중 또는 변위와 조합하여 설계에 고려되어야 하며, 이때 설계지진력
은 지진력조합방법에 따라 불리한 경우를 취하며, 이때의 변위를 설계변위
로 정한다.
등가정적해석법을 사용하는 경우
밑면전단력, 층지진하중, 층전단력, 수평비틀림모멘트, 전도모멘트 등에 저항
할 수 있도록 설계하여야 하며, 기타 층간변위와 건물분리 등을 검토한다.

다. 품질보증에 대한 기본적인 요구사항

- 12 4 - 국립방재연구소
건축물 시설물별 내진설계기준

(1) 일 반 사 항

건축물의 적절한 품질보증요건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발주자는 도급자에게 공사


품질에 관한 품질보증계획을 작성하도록 하며, 도급자는 품질보증계획에 따라
건설공사의 시공 및 사용재료의 품질관리를 실시하고 발주자는 도급자의 직접
고용자가 아닌 자로 감리 또는 감독체계를 구성하여 공사과정을 철저히 감독하
여야 한다.
기존 건축물의 유지관리와 관련하여 노후 건축물의 내진성능 평가, 지진시 안
전성 확보 및 내진성능 향상을 위한 건축물의 유지 보수 체제를 구성하여 지
속적으로 수행하여야 한다.

(2) 설 계 품 질 관 리

설계요구 사항의 만족성, 설계기법 및 가정사항의 적합성, 법규 요건에 대한 만


족성, 설계 결과의 시공성 등의 검증을 위하여 해당 프로젝트의 주요 공정에
대한 전문적 지식과 경험이 있는 제 3자인 전문가들에 의하여 검토가 이루어져
야 한다.

(3) 시 공 품 질 관 리

시공품질관리는 품질보증계획에 따라 관할기관의 감독, 발주자측의 감리, 독립


적인 검사, 시험 및 도급자의 자체계획을 통하여 이루어지고 그 과정과 결과는
추후의 책임소재를 위하여 기록으로 보존하여야 한다.
검사 및 시험계획서는 도급자가 시방서, 도면 및 국가규격, 발주처 요구사항을
만족시키도록 작성하여 사용하며, 모든 검사, 계측 및 시험장비는 그 정확도를
보장하기 위하여 주기적으로 점검되어야 한다.
시공자와 감독기관은 규정된 요구사항에 적합하지 않은 제품을 식별, 평가, 처
리하는 방법과 부적합 사항의 원인을 제거하기 위한 시정 및 예방조치의 이행
을 위한 절차를 수립하고 유지하여야 한다.

(4) 유 지 관 리

건축물의 노후화 정도 및 중요도에 따라 일상점검, 정기점검 및 긴급점검을 적

- 12 5 - 국립방재연구소
건축물 시설물별 내진설계기준

절한 시기에 건축물의 관할 기관에 의해 실시하여야 하며, 그 결과를 기록하여


야 한다.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정밀 안전진단을 실시하여 조사 및 해
석 결과에 따른 종합적인 보수 보강대책을 수립하여야 한다.
중요 건축물에 대한 변경은 관할 기관의 전문가에 의하여 지진하중에 대한 안
전성 검토 후 이루어져야 한다.

라. 지진응답계측에 관한 요구사항 및 방법

(1) 지 진 응 답 계 측 에 관 한 책 임

내진등급의 건축물과 관할기관에서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내진 1. 2등급 건축물


에 대하여 관할기관은 발주자에게 지진응답 계측을 위한 기기를 설치하고 유지
하도록 요구할 수 있다.

(2) 계 측 항 목 및 기 기

지진경보의 목적으로 지진운동의 가속도를 측정해야 하며 이를 위해 가속도계


를 설치한다.
지진전후로 기초의 침하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경사계, 침하판, 특량기준점 등을
설치한다.
건축물의 지진응답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가속도, 속도, 변위를 특정하기 위하
여 가속도계, 속도계 지진계(변위측정)를 설치한다.

(3) 유 지 관 리 및 기 록 의 활 용

계측장비는 언제든지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지진활동에 대비하여 항상 정상 가


동되어야 하고 점검하여야 한다.
계측기기의 유지상태는 주기적으로 점검하여야 하고, 지진이 발생하면 신속한
시간 내에 점검을 하여야 하며, 지진응답 계측기록을 회수하여야 한다.

- 12 6 - 국립방재연구소
건축물 시설물별 내진설계기준

<사 진 > 건축 물 의 지 진피 해 사 례 (1)

<사 진 > 건축 물 의 지 진피 해 사 례 (2)

- 12 7 - 국립방재연구소
건축물 시설물별 내진설계기준

<사 진 > 건축 물 의 지 진피 해 사 례 (3)

- 12 8 - 국립방재연구소
석유정제・비축・저장시설 시설물별 내진설계기준

3.8 석 유 정 제 ・ 비 축 ・ 저 장 시 설

3 .8 .1 석 유 시 설 의 내 진 설 계

석유시설은 석유사업법에 따르며, 내진설계기준이 법에 명시되어 있지 않고, 내


진성능기준(안)이 별도로 제정되어 있지 않다.

표 3.41 석유시설의 내진설계 현황

설 비 명 대 상 시 설 관 련 법 비 고

최대지반가속도 0.2g에 대하여 내


비축탱크 무
진설계를 하고 있음

송유배관 무 별도의 내진설계기준이 없음

지하암반 깊은 곳에 위치할 저장
공동은 거의 영향을 받지 않고
석유시설 지하비축기지 무
서구에서도 내진설계를 고려하지
않고 있음

항 만 설 계 기 준 (건 설 교 통 부 )에 의
하면 「특별한 경우 이외에는 지
항만시설 무 진력을 고려할 필요가 없음」으
로 명시되었으나 중요시설물이므
로 내진설계 고려

3 .8 .2 석 유 시 설 의 분 류 및 등 급 설 정

내진성능기준(안)이 별도로 제정되어 있지 않으며, 관련 시설물의 기준에 따름

- 12 9 - 국립방재연구소
석유정제・비축・저장시설 시설물별 내진설계기준

표 3.42 석유시설의 내진등급

내진등급 구 분 내 용 관련 내진설계기준

방출되었을 때 시민들에게 위
험이 된다고 판단되는 충분한
내진특등급 건축물의 내진설계기준
양의 유독, 폭발성 물질을 보
관하는 건축물(유류탱크 등)

라이프라인시설(석유수송시설)
지중구조물의 내진설계기
내진1등급

에너지저장시설(지하원유 비
축시설)

- 13 0 - 국립방재연구소
가스시설 시설물별 내진설계기준

3.9 가 스 시 설

3 .9 .1 가 스 시 설 의 일 반 사 항

가스 저장탱크와 처리탑은 형상과 구조형식에 따라


- 평저 원통형 저장탱크
- 수평 원통형 저장탱크
- 구형 저장탱크
- 처리탑
으로 분류한다.

※ 독성 가 스의 분류 (고 압 가스 안전 관 리법 시행 규 칙 제2조 제1항 제 2호의 규정 )


- 제1종 독성가스 : 염소, 시안화수소, 이산화질소, 불소, 포스겐과 그 외
에 허용농도가 1ppm 이하인 것
- 제2종 독성가스 : 염화수조, 삼불화붕소, 이산화유황, 불화수소, 프롬모
메틸 및 황화수조와 그 이외에 허용농도가 1ppm 초
과 10ppm 미만인 것
- 제3종 독성가스 : 규정된 독성가스중 제1종 및 제2종 독성가스 이외의

3 .9 .2 가 스 시 설 의 내 진 설 계 절 차

가. 가스시설의 내진등급 결정

표 3.43에 가스저장 탱크와 처리탑의 내진등급을 분류하였다. 등급설정기


준은 그 기능의 중요성과 지진에 의한 손상이 초래할 수 있는 재해의 규
모와 범위를 고려하여 나눈다.

- 13 1 - 국립방재연구소
가스시설 시설물별 내진설계기준

표 3.43 가스저장 탱크와 처리탑의 내진등급

내진등급 구 분 내 용

그 설비의 손상이나 기능상실이 사업소 경게 밖에


있는 공공의 생명과 재산에 막대한 피해를 초래할
내진특등급
수 있을 뿐 아니라 사회의 정상적인 기능 유지에 심
각한 지장을 가져올 수 있다.

그 설비의 손상이나 기능상실이 사업소 경계 밖에


내진I등급 있는 공공의 생명과 재산에 상당한 피해를 초래할
수 있다.

그 설비의 손상이나 기능상실이 사업소 경계 밖에


내진II등급 있는 공공의 생명과 재산에 경미한 피해를 초래할
수 있다.

※ 등급설정기준은 시설물 기 능 의 중 요 성 과 지 진 에 의 한 손 상 이 초 래
될 수 있 는 재 해 의 규 모 와 범 위 를 고려하여 나눈다.

나. 등급별 내진성능 목표

가스시설의 내진설계에 사용되는 등급별 내진성능목표는 표 3.1에 규정된


바와 같다.

다. 설계 지반운동 수준 및 표현방법

설계 지반 운동특성은 기본적으로 지반조건을 고려한 응답스펙트럼으로 표


현하며, 이에 관련한 사항은 제3장 3.1.2의 설계지반운동에서 정의한 내용
을 사용함을 원칙으로 한다.

- 13 2 - 국립방재연구소
가스시설 시설물별 내진설계기준

라. 내진성능수준 및 설계거동한계

가스 저장탱크 및 처리탑은 지진하중 작용시 만족하여야 하는 내진성능수


준은
기능수행수준
붕괴방지수준
두 가지로 구분한다. 자세한 내용은 표 3.44에 가스 저장탱크 및 처리탑의
내진성능수준에서 정리하였다.

표 3.44 저장탱크와 처리탑의 내진성능수준

내진성능수준 정 의 설계거동한계

저온 액체가스 저장탱크의 구조부재 및


현장 제작되는 고압가스 저장탱크의 재료
는 지진하중 작용시 탄성한계 내에서 거
동해야 함
지지구조물에는 국부적으로 극히 경미한
구조적 손상이 허용되며, 구조재료도 국
부적으로 선형거동한계를 초과할 수 있으
나 전체적으로는 탄성거동에 준하여야 한
다. 경미한 구조의 손상으로 인하여 가스
가스저장탱크와 처리 저장시설과 처리탑의 기본적인 기능이 저
탑은 본래의 기능을 하되어서는 안됨
기능수행수준
정상적으로 수행할 지지구조물이 저장탱크, 처리탑 및 기초
수 있어야 한다. 와 연결되는 연결부에는 회복이 불가능한
구조적 손상이 발생되지 않아야 함
기초의 변형, 기초와 구조물과의 상대변
위는 가시 저장탱크와 처리탑이 정상적인
기능수행이 가능한 범위내로 제한되어야

지반에는 과다한 변형이 발생하여서는 안
되며 액상화로 인하여 가스 저장탱크와
처리탑의 정상적인 기능수행에 지장을 초
래하여서는 안됨

- 13 3 - 국립방재연구소
가스시설 시설물별 내진설계기준

< 표 3 .44 계속>

내진성능수준 정 의 설계거동한계

저온 액체가스 저장탱크의 구조부재 및


현장 제작되는 고압 가스 저장탱크의 재
료는 소성거동을 허용할 수 있으나 급작
스런 취성파괴나 좌굴이 초래되어서는 안
되며 저장되어 있는 저온 액체가스나 고
압가스가 통제가 불가능할 정도로 대량
유출되어서는 안됨
지지구조물은 소성영역 내에서 거동이 허
용되나 저장탱크와 처리탑과 연결부 및
연결시설의 내용물 유출방지기능을 유지
할 수 없는 수준의 과다한 손상과 변형이
가스 저장탱크와 처
발생하여서는 안됨
리탑과 연결부 및 연
지지구조물이 저장탱크, 처리탑 및 기초
결시설로부터 저장된
와 연결되는 연결부는 탄성한계를 초과한
가스가 통제 불가능
거동이 허용될 수 있으나 지진구조물의
할 정도로 대량 유출
붕괴방지수준 연성능력이 발휘될 수 없는 취성파괴가
되거나 가스 유출로
유발되어서는 안됨
인하여 대형 폭발 또
가스 저장탱크 및 처리탑과 다른 시설과
는 화재와 같은 재해
의 연결부 및 연결시설에는 그 내부에 저
가 초래되어서는 안
장되어 있는 가시 또는 액체가스가 통제
된다.
불가능할 정도로 대량 유출될 수 있을 정
도의 구조적 손상이 발생하여서는 안됨
기초의 변형 및 기초와 구조물과의 상대
변위는 가스 저장탱크와 처리탑이 내용물
유출방지 기능을 유지할 수 있는 범위내
에 있어야 함
지반에는 과다한 변형과 침하 또는 전단
파괴가 발생하여서는 안되며 액상화로 인
하여 가스 저장탱크와 처리탑의 저장물의
유출방지 기능수행에 지장을 초래하여서
는 안됨

- 13 4 - 국립방재연구소
가스시설 시설물별 내진설계기준

3 .9 .3 가 스 시 설 의 내 진 설 계 시 검 토 해 야 할 사 항

개념설계, 기본설계, 실시설계의 각 단계에서 내진설계에 대한 전반적인 검토가


이루어져야 하며, 다음과 같은 기본적인 사항과 세부사항에 대하여 검토를 해야
한다.

가. 기본적인 검토사항

(1) 내진등급 여부
(2) 가스시설이 있는 지역 및 지반의 분류
(3) 지진계수 결정
(4) 성능수준별 재현주기 결정
(5) 재현주기별 위험도계수 결정
(6) 설계지진의 응답스펙트럼 결정
(7) 성능수준 결정

나. 세부 검토사항

지반운동의 수평 2축방향 성분과 수직방향 성분이 고려되어야 한다.


저장탱크 내의 저장물이 유체인 경우는 유체-구조물-지반 상호작용 해석시
구조물의 유연성과 지반의 변형성이 고려되어야 한다.
지반의 액상화 가능성을 검토하여야 한다.
지반에 있어서의 지하수의 영향과 지반의 공간적 변화 특성도 고려되어야
한다.
기초와 지반사이의 미끄러짐, 들림 등과 같은 비선형성을 고려하여야 한다.

다. 품질보증에 대한 요구사항

설계된 구조물이 내진성능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가에 대하여 관할기관의


구조기술자에 의하여 검토되어야 함
관할기관은 실제 구조물의 시공이 정밀하고 설계에 충실하게 수행될 수 있

- 13 5 - 국립방재연구소
가스시설 시설물별 내진설계기준

도록 품질관리를 하여야 한다.


시공시 품질관리는 관할기관의 감독, 발주자측의 감리, 독립적인 검사, 시
험과 시공자에 의하여 종합적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시공단계에서의 품질관리 과정과 결과는 추후 문제 발생시 책임소재가 명
백하게 가려질 수 있도록 기록으로 보존되어야 한다.
구조물에 대한 모든 변경은 관할 기관의 구조기술자에 의하여 지진하중에
대한 안전성 검토를 거쳐야 한다.
중요시설의 경우에는 자격을 구비한 독립적인 구조기술자에 의하여 내진안
전성 검토를 요구할 수 있다.
시설의 사용에 의하여 내진성능이 저하되거나, 내진소요역량이 증가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주기적인 점검이 시행되어야 한다.

라. 지진응답 계측에 관한 요구사항

내진특등급 시설물은 지진기록 및 계측을 수행하여야 하며, 이외의 시설물


의 경우에도 관할기관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관할기관은 발주자로 하여금
지진기록 및 계측을 요구할 수 있다.
지진시 또는 지진 경과후 가스 저장탱크 및 처리탑의 안전성을 확인한다.
계측결과의 활용목적 및 평가방법을 수립한 후 구조물의 중요도 및 사용성
에 따라 필요한 계측항목을 선정한다. 계측항목이 결정되면 계측대상의 물
리량에 따라 적합한 계측기기를 선정하여야 한다.
설치된 계측기기들은 항상 작동이 되도록 주기적으로 점검하여야 하고, 지
진발생후 가능한 빠른 시간 내에 점검을 하여야 하며 지진계측기록을 회수
하여야 한다. 계측된 기록은 유관기관에 배포하여 지진응답의 특성을 분석
하고 보존하여야 한다.
설치된 계측기기들은 항상 정상 작동상태를 유지하여야 한다.
계측기기의 유지상태는 주기적으로 점검하여야 한다.

- 13 6 - 국립방재연구소
가스시설 시설물별 내진설계기준

<사 진 > 지진 에 의 한 화 재 발생 (1)

<사 진 > 지진 에 의 한 화 재 발생 (2)

- 13 7 - 국립방재연구소
가스시설 시설물별 내진설계기준

<사 진 > 지진 에 의 한 화 재 발생 (3)

- 13 8 - 국립방재연구소
공항 시설물별 내진설계기준

3.10 공 항

3 .10 .1 공 항 의 일 반 사 항

현재 공항에 대한 별도의 내진설계기준은 제정되어 있지 않고, 공항내 시설물의


경우 관련 내진설계기준에 따르고 있다. 내진설계성능기준(안)에서는 일반여객을
대상으로 하는 공항내 내진설계 대상 시설물을 표 3.43과 같이 구분하고 있으며,
댐과 터널같이 본 기준이 적용되지 않는 시설물에 대하여는 관련 기준 또는 시방
서에 따르도록 하고 있다.

3 .10 .2 공 항 의 내 진 설 계 절 차

각 시설물별 관련 기준에서 정한 바에 따른다.

가. 공항시설물의 분류

표 3.45 공항내 내진설계 대상 시설물의 구분

구 분 해당 시설물 관련 내진설계기준

교 량 교량, 터미널 전면고가 등 도로교 내진설계기준

공동구, 지하차도, 상수도, 파이프


지하구조물 지중구조물 내진설계기준
라인 등

비행장시설 활주로, 착륙대, 유도로, 계류대 등 도로 내진설계기준

도 로 공항도 도로 내진설계기준

여객터미널, 관제탑, 화물창고, 촤


건 축 물 물터미널, 사무시설, 구조 및 소방 건축물 내진설계기준
시설 등

기타시설물 동력동, 급유시설, 변전소 등 관련 내진설계기준 적용

- 13 9 - 국립방재연구소
공항 시설물별 내진설계기준

나. 내진등급 결정

표 3.46 공항내 시설물의 내진등급

내진등급
내진 특 등급 내진 1 등급 내진 2 등급 비 고
시설물
교량, 터미널
교 량
전면고가

공동구, 지하
지하구조물 차도, 상수도, 하수도
파이프 라인

활주로, 착륙
비행장시설 대, 유도로,
계류대

도 로 공항도

사무 시설은
관제탑, 구조 여 객 터 미 널 , 화물창고, 화 건 축 내 진 설 계
건 축 물
및 소방시설 사무시설 물터미널 기준에 따라
등급조정
급유 시설과
변전소는 중
동력동, 급유
기타시설물 요도에 따라
시설, 변전소
내진등급 조

다. 등급별 내진성능 목표

공항시설의 내진설계에 사용되는 등급별 내진성능목표는 표 3.1에 규정된


바와 같다.

- 14 0 - 국립방재연구소
공항 시설물별 내진설계기준

라. 내진성능수준 및 설계거동한계

표 3.47 공항시설물의 내진성능수준

내진성능수준 정 의 설계거동한계

각 시설물별 관련 기준에서 정
한 바에 따름
각 시설물별 관련 기준에 비행장시설 및 도로시설에 대
서 정한 바에 따름 해서는 도로 내진설계기준 및
단, 활주로는 도로 내진설 관련 시방서에 따라 지진에 대
기능수행수준 계기준에서 정한 사항을 한 액상화 검토를 수행하여야
만족하며 지진 직후에도 함
항공기의 이착륙에 이상이 활주로 및 착륙대는 지반 및
없는 수준이어야 함 노면에 미소한 변위가 발생하
여 비행기 이착륙이 정상적인
기능을 수행하여야 함

각 시설물별 관련 기준에서 정
한 바에 따름
활주로 및 착륙대는 지반 및
각 시설물별 관련 기준에
붕괴방지수준 노면에 제한적인 변위가 발생
서 정한 바에 따름
하여 부분적인 손상은 허용되
나 신속한 복구가 가능하여야

마. 설계 지반운동 수준 및 표현방법

설계 지반 운동특성은 기본적으로 지반조건을 고려한 응답스펙트럼으로 표


현하며, 이에 관련한 사항은 제3장 3.1.2의 설계지반운동에서 정의한 내용
을 사용함을 원칙으로 한다.

3 .10 .3 공 항 의 내 진 설 계 시 검 토 해 야 할 사 항

개념설계, 기본설계, 실시설계의 각 단계에서 내진설계에 대한 전반적인 검토가

- 14 1 - 국립방재연구소
공항 시설물별 내진설계기준

이루어져야 하며, 다음과 같은 기본적인 사항과 세부사항에 대하여 검토를 해야


한다.

가. 기본적인 검토사항

(1) 내진등급 여부
(2) 공항이 있는 지역 및 지반의 분류
(3) 지진계수 결정
(4) 성능수준별 재현주기 결정
(5) 재현주기별 위험도계수 결정
(6) 설계지진의 응답스펙트럼 결정
(7) 성능수준 결정

나. 세부 검토사항

활단층이 지나가는 지역이나 극히 인접한 지역에는 공항을 건설하지 말아


야 한다. 액상화 가능성이 있는 지역은 피하고 부득이한 경우는 지반을 개
량하여 액상화 발생에 의한 피해를 완화하도록 하여야 한다.
각 시설물별 관련 기준에서 정한 바에 따른다.

다. 건축물 내진설계방법과 절차

평면 및 입면이 비정형적인 건축물은 동적해석을 수행하여야 하며, 지반-


구조물의 상호작용 이론을 적용할 수 있다.
지반운동의 수직방향성분을 고려하여 여객시설물의 바닥시스템에 과도한
진동이 발생하기 쉬우므로, 여객시설물에 설치된 비구조물 및 부대시설이
정상적인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라. 지진응답 계측에 관한 요구사항

내진특등급 시설물은 지진기록 및 계측을 수행하여야 하며, 이외의 시설물

- 14 2 - 국립방재연구소
공항 시설물별 내진설계기준

의 경우에도 관할기관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관할기관은 발주자로 하여금


지진기록 및 계측을 요구할 수 있다.
설치된 계측기기들은 항상 작동이 되도록 주기적으로 점검하여야 하고, 지
진발생후 가능한 빠른 시간 내에 점검을 하여야 하며 지진계측기록을 회수
하여야 한다. 계측된 기록은 유관기관에 배포하여 지진응답의 특성을 분석
하고 보존하여야 한다.

- 14 3 - 국립방재연구소
공항 시설물별 내진설계기준

<사 진 > 지 진 에 의 한 가 옥 파 괴 와 구 조 활 동

- 14 4 - 국립방재연구소
지중구조물 시설물별 내진설계기준

3.11 지 중 구 조 물

3 .11.1 지 중 구 조 물 의 일 반 사 항

시설물중 지하에 건설되는 시설물을 지중구조물로 정의하였으며, 내진설계성능


기준(안)에서 신설되었다.

3 .11.2 지 중 구 조 물 의 내 진 설 계 절 차

각 시설물별 관련 기준에서 정한 바에 따른다.

가. 지중구조물의 분류

시설기능별로 주거・문화시설, 교통・통신시설, 산업시설, 에너지・저장시설, 방


어시설로 구분하며 표 3.48에 나타내었다.

나. 내진등급 결정

구조물의 중요도, 인명피해여부, 피해규모 정도에 따라 결정한다.

표 3.48 지중구조물의 내진등급

내진등급 구 분 내 용

특별한 안전이 요구되는 시설로서 특별히 지정되는 구조


내진특등급
물로 긴급구조와 구호, 국방 및 치안유지에 필요한 구조물

구조물이 피해를 입으면 사회적 혼란이 야기되고 많은 인


내진1등급
명과 재산상의 손실을 줄 수 있는 구조물

내진특등급과 내진1등급에 속하지 않는 일반적인 지중구


내진2등급
조물

- 14 5 - 국립방재연구소
지중구조물 시설물별 내진설계기준

표 3.49 지중구조물의 시설기능별 내진등급

내진등급
내진 1 등급 내진 2 등급 비 고
구조물

지하박물관, 지하음악
지하사무실, 스포츠
주거・문화시설 당, 도서관, 지하상가,
센터
위락시설

지하철, 철도, 도로터 지하주차장, 지하보


교통시설 *
널 도

가스・석유수송시설, *
라이프라인시설 상수도, 전력・통신관 하수도, 도수터널 철도・
로 도 로 터
널의 내
식수・정수처리장, 지 진 설 계
폐・하수처리장, 산 는 터널
산업시설 하발전시설, 핵폐기물
업폐기물 처리장 구 조 물
처리시설
의 규정
을 따른
전력시설, 전기공급시 다.
곡물・식품저온 저
설, 열저장・지역냉난
장소, 수산물 냉장・
에너지 저장시설 방공급시설, 지하원
냉동 저장소, 압축공
유・LN G・LP G 비축시
기저장시설

지하대피소, 지휘・통
방어시설 신시설, 군사기지, 해
안방어기지

다. 등급별 내진성능 목표

공항시설의 내진설계에 사용되는 등급별 내진성능목표는 표 3.1에 규정된


바와 같다.

- 14 6 - 국립방재연구소
지중구조물 시설물별 내진설계기준

표 3.50 지중구조물의 시설기능별 분류


주거・ 교통・ 에너지・
심도 산업시설 방어시설
문화시설 수송시설 저장시설
주택, 사무실, 지하상가 곡물・식품저 지하대피소
도서관, 음악 지하주차장, 온저장소
당, 박물관, 지하도, 수산물냉장・ 지휘・통신시
스포츠센터 폐하수・가스 냉동저장소 설
수송터널, 식수정수처리
전기・통신케 장
이블망, 폐하수처리장
지하철

50m

전력・열저장 군사기지
및 지역냉난 해안방어기지
방・전기공급
시설

산업폐기물처
리장

100 m

화력・수력발 원유・L P G 비
전소, 축시설
원자력발전소

5 00 m
압축공기저장
시설

열수저장시설

지열에너지개
1 ,0 00 m 발 및 발전시
핵폐기물처리 설
시설

- 14 7 - 국립방재연구소
지중구조물 시설물별 내진설계기준

라. 내진성능수준 및 설계거동한계

표 3.51 지중구조물의 내진성능수준

내진성능수준 정 의 설계거동한계

설계지진 발생 후 원래의 기
능을 유지하는 범위내에서 부
분적 경미한 피해는 허용하나
설계지진 발생 후 원래
전체적인 붕괴는 허용하지 않
의 기능을 유지하는 범
는 수준으로 구조물이 탄성한
위내에서 부분적 경미한
기능수행수준 계내에서 거동하여야 함
피해는 허용하나, 전체적
지진피해 발생부분에 대하여
인 붕괴는 허용하지 않
특별한 작업없이도 쉽게 육안
는 수준
조사가 가능하고 간단한 보수
를 통해 기능수행에 문제가
발생되지 않아야 함

설계지진 발생 후 지중구조물
에 붕괴가 발생하지 않는 정
도의 제한적인 구조적 피해는
설계지진 발생 후 붕괴 허용되나 구조물의 전체적인
가 발생하지 않는 정도 붕괴는 허용하지 않는 수준임
의 제한적인 구조적 피 긴급보수를 통해 구조물의 기
해는 허용되나 구조물의 능을 회복할 수 있어야 하고,
붕괴방지수준
전체적인 붕괴는 허용하 탄성한계를 초과하는 소성거
지 않고 긴급보수를 통 동은 허용할 수 있으나 주요
해 구조물의 기능을 회 구조부재의 과도한 소성변형,
복할 수 있는 수준 지반의 액상화, 기초의 지지
력 손실로 인하여 시설물의
붕괴나 과도한 침하가 발생되
지 않아야 함

- 14 8 - 국립방재연구소
지중구조물 시설물별 내진설계기준

표 3.52 지중구조물의 시설기능별 내진성능수준

성능수준
기능수행수준 붕괴방지수준
구조물

문화재, 유물, 예술품의 파손


주거・문화 인명피해가 발생되지 않는
이 발생되지 않는 한도내에
시설 정도의 피해는 허용함
서 부분적인 피해는 허용함

교통수송기능을 유지하는 한 전체적인 붕괴가 발생하지


교통시설 도에서의 부분적인 피해는 않는 한도에서 쉽게 보수할
허용함 수 있도록 함

중요 간선의 경우 가스・석
기능을 상실하더라도 신속
라이프라인 유, 상수도, 전력・통신 등의
하고, 경제적인 보수가 가
시설 수송기능을 유지하는 한도에
능하도록 함
서의 부분적인 피해는 허용

시설물의 손상으로 인해 발
생되는 인명, 재산피해 가능 기능을 상실하더라도 경제
산업시설
성이 높으므로 부분적인 파 적인 보수가 가능하도록 함
괴도 허용하지 않도록 함

부분적인 변형이 발생하더라


기능을 상실하더라도 전체
에너지 도 내용물의 유출이 발생되
적인 붕괴가 발생하지 않도
저장시설 지 않는 범위내의 피해는 허
록 함
용함

부분적인 피해는 허용하나


방어시설 유사시에도 그 기능을 유지
하도록 함

- 14 9 - 국립방재연구소
지중구조물 시설물별 내진설계기준

표 3.53 지 중 구 조 물 의 설 계 거 동 한 계 (공 통 사 항 )

피해 세부사항
피해구분
기능수행수준 붕괴방지수준

시설물의 미세한 균열
시설물의 미세한 균열 미세한 지반침하
허용되는 피해 미세한 지반침하 구조물의 미세한 변형
구조물의 미세한 변형 전체구조물의 안전에 관계
없는 이차부재의 파괴

천정의 붕락
벽이나 기둥의 전단파괴
바닥이나 기초의 파괴 바닥이나 기초의 침하
과잉간극 수압에 의한 액상 과잉간극 수압에 의한 액상
허용되지 않는
화 화
피해 편토압에 의한 시설물의 절 지반침하에 의한 주변시설
대위치 변화 물의 붕괴나 과도한 침하
지반침하에 의한 주변시설물
의 붕괴나 과도한 침하

- 15 0 - 국립방재연구소
지중구조물 시설물별 내진설계기준

표 3.54 지중구조물의 구조형식별 설계거동한계

설계거동한계
구조형식
기능수행수준 붕괴방지수준

가동성 이음부에는 과다한


선상지중구조물 변위가 발생되지 않아야 가동성 이음부에서는 파괴
(수도・가스・전 한다. 가 일어나서는 안된다.
기 등의 소구경 주변지반 액상화에 의한 주변지반 액상화에 의해
매설관, 도로・ 미소한 변위만이 발생되어 관체의 파괴를 방지해야
철도터널, 도수 야 한다. 한다.
터널 및 공동구) 관측방향 왕복운동을 방지
해야 한다.

가동성 이음부에는 과다한


가동성 이음부에서는 파괴
변위가 발생되지 않아야
가 일어나지 않아야 한다.
한다.
주변지반 액상화에 의한
주변지반 액상화에 의한
수평공간구조물 시설물 파괴는 방지되어야
미소한 변위만이 발생토록
(하수처리장, 지 한다.
해야 한다.
하주차장) 지반조건이 현저하게 변하
지반조건이 현저하게 변하
는 지역에서 과다한 상대
는 지역에서 과다한 상대
변위로 인한 파괴는 일어
변위가 발생되지 않아야
나지 않아야 한다.
한다.

이차부재의 부분적 파괴
는 허용되나, 신속한 복구
깊이방향의 지반물성변화
가 가능해야 하며 과다한
수직지중구조물 에 따른 과다한 상대변위
상대변위에 의한 구조물
(지하와 지상을 가 발생되지 않아야 한다.
의 파괴는 일어나서는 안
연결하는 입갱이 지진시 증분 토압에 의한
된다.
나 사갱) 구조물의 거동은 선형한계
지진시 증분 토압에 의한
내에 있어야 한다.
구조물의 거동은 소성변
형 한계내에 있어야 한다.

- 15 1 - 국립방재연구소
지중구조물 시설물별 내진설계기준

마. 설계 지반운동 수준 및 표현방법

설계 지반 운동특성은 기본적으로 지반조건을 고려한 응답스펙트럼으로 표


현하며, 이에 관련한 사항은 제3장 3.1.2의 설계지반운동에서 정의한 내용
을 사용함을 원칙으로 한다.

3 .11.3 지 중 구 조 물 의 내 진 설 계 시 검 토 해 야 할 사 항

개념설계, 기본설계, 실시설계의 각 단계에서 내진설계에 대한 전반적인 검토가


이루어져야 하며, 다음과 같은 기본적인 사항과 세부사항에 대하여 검토를 해야
한다.

가. 기본적인 검토사항

(1) 내진등급 여부
(2) 공항이 있는 지역 및 지반의 분류
(3) 지진계수 결정
(4) 성능수준별 재현주기 결정
(5) 재현주기별 위험도계수 결정
(6) 설계지진의 응답스펙트럼 결정
(7) 성능수준 결정

나. 세부 검토사항

(1) 입 력 지 반 운 동

내진해석을 위한 입력지반운동은 수평2축방향(교축 방향과 교축 직각방향)


과 수직방향의 지반운동의 영향이 고려되어야 한다.
지반운동의 공간적 변화특성이 고려되어야 한다.

- 15 2 - 국립방재연구소
지중구조물 시설물별 내진설계기준

지질 및 지형조건의 변화가 지반운동에 미치는 영향이 고려되어야 한다.


연약지반상에 구조물을 설치할 경우에는 적절한 부지특성평가기법을 적용
하여야 한다.

(2) 입 지 조 건

활단층에 극히 인접한 지역이나 활단층이 지나가는 지역에는 가급적 지중


구조물을 건설하지 않는다. 액상화 가능성이 있는 곳은 피하고 부득이한
경우에는 지반을 개량하여 액상화 발생 가능성을 저하시켜야 한다.

(3) 지 반 조 사

지중구조물의 안정성 평가에 필요한 지반물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지반조


사를 실시한다.
지반조사는 지층구성, 지하수위, 각 지층의 역학적 특성 파악 및 실내시험
을 위한 시료의 채취 등을 위한 현장시험과 채취된 시료를 이용한 실내에
서의 역학적 시험을 포함한다.
필요한 경우 전단파속도, 주상도 등을 얻을 수 있는 동적현장시험을 실시
하며, 지진에 취약한 지반의 경우 액상화 특성과 다양한 변형률 크기에
대한 변형계수와 감쇠비 특성을 얻을 수 있는 시험을 실시한다.

(4) 하 중

일반적으로 고려되는 사하중, 활하중, 토압, 수압, 양압력 등의 하중 외에


다음의 하중을 고려한다.
구조물의 중량에 기인하는 관성력
지진시 토압
지진시 지중구조물에 발생하는 전단력
지진의 영향에 의해 발생되는 과잉간극수압

- 15 3 - 국립방재연구소
지중구조물 시설물별 내진설계기준

(5) 지 진 해 석 방 법

지중구조물의 단위체적중량이 주변지반의 단위체적중량에 비교하여 가볍


거나 같은 정도 : 응답변위법
지중구조물의 단위체적중량이 주변지반의 단위체적중량에 비교하여 상당
히 클 경우 : 등가정적해석법
내진특등급에 해당되는 구조물 : 정밀동적해석(시간영역해석, 주파수영역
해석)
기능수행수준 : 선형해석법을 사용할 수 있다.
붕괴방지수준 : 비선형 거동특성을 고려할 수 있는 해석방법

다. 구조물별 검토사항

(1) 선 상 지 중 구 조 물 : 수도시설, 전력・통신시설, 가스・석유 수송시설 등


라이프라인

선상구조물의 축방향과 축 직각방향 하중이 작용할 경우로 나누어서 설계


선상구조물에 작용하는 지진의 영향
- 진동으로 인한 지반지지력의 감소
- 국부적인 사면활동시, 관과 지반의 이동으로 발생되는 경계부의 전단력
- 관의 측면에 작용하는 편토압으로 인한 응력
- 지반의 탄성・비탄성적 변형에 의한 관의 축방향 또는 관축직교방향의 변형
- 지반 또는 곤로 강성의 급변부에서 발생하는 국부적 휨 또는 축력
- 관로의 만곡부에서 발생하는 휨
설계시 매설노선의 지반조건 등을 충분히 고려하여 설계를 수행하고, 이
음부의 위치는 축방향으로 변화하는 주변지반의 특성을 고려하여 선정해
야 한다.
라이프라인의 경우 지진에 의한 피해지역이 가능한 국한되도록 하고, 지
진에 의한 2차적인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수도매설관로의 경우 지진시에도 설계유하능력을 확보하고, 유하기능을

- 15 4 - 국립방재연구소
지중구조물 시설물별 내진설계기준

유지해야 한다.
가스도관의 경우 지진이 발생하더라도 변형이 허용값을 넘어서는 안되고,
균열 등의 구조적 결함이 발생해서는 안된다.

(2) 수 평 공 간 구 조 물

설계단면은 수평공간구조물의 횡방향 및 종방향의 가로단면에 대해 실시


수평공간구조물의 구조부재 : 판틀 구조, 보기둥 구조, 평면 슬래브
- 판틀 구조 : 구체의 횡방향은 슬래브, 측벽 및 기둥으로 구성되는 뼈대구
조물로 모형화하고, 종방향은 세로틀, 측벽 및 기둥으로 구성되는 뼈대구
조물로 모형화
- 보기둥 구조 : 횡방향 및 종방향 모두 보와 기둥으로 구성되는 뼈대구조
물로 모형화한다. 측벽은 보와 기둥에 의해 4변 고정지지된 판으로 설계
하고, 슬래브는 보로 지지된 구조로 설계
- 평면슬래브 구조 : 평면슬래브와 기둥머리 및 지진판을 갖는 기둥에 의
해 구성된 뼈대구조로 모형화. 평면슬래브 구조에서는 기둥과 슬래브의
접속부 설계에 특별히 주의.
구조벽을 효과적으로 배치하여 내진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보, 슬래브에
발생하는 단면력을 절감시킬 수 있음. 구조벽의 설치에서는 다음 사항을
고려
- 구조벽은 가능한 균일하고 대칭이 되게 배치함
- 구조벽 설치시 각 층을 연결하여 수직방향으로 연속한 구조벽으로 설치
- 판틀 구조 및 슬래브 구조에 구조벽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구조벽 주변
슬래브에 발생되는 단면력에 대해 충분히 검토

(3) 수 직 지 중 구 조 물

지반의 급변부를 통과하여 구축되기 때문에 깊이방향으로의 연약한 지반층과 단


단한 암반층의 경계면에 대한 설계가 중요하다. 구조물의 설계는 수직방향 및 축

- 15 5 - 국립방재연구소
지중구조물 시설물별 내진설계기준

직각방향 하중이 작용할 경우로 나누어서 실시한다.

라. 품질보증에 관한 기본적인 요구사항

(1) 일 반 사 항

지중구조물의 적절한 품질보증요건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발주자는 도급자


에게 공사품지에 간한 품질보증계획을 작성하도록 하며, 도급자는 품질보
증계획에 따라 건설공사의 시공 및 사용재료의 품질관리를 실시하고 발주
자는 도급자의 직접 고용자가 아닌 자로 감리 또는 감독체제를 구성하여
공사과정을 철저히 감독하여야 한다.
기존 지중구조물의 유지관리와 관련하여 노후구조물의 내진성능평가, 지
진시 안정성 확보 및 내진성능 향상을 위한 시설물의 유지・보수체제를
구성하여 지속적으로 수행하여야 한다.

(2) 설 계 품 질 관 리

설계자는 규정된 내진설계항목을 숙지하고, 구조물이 충분히 내진성능을


가질 수 있도록 설계해야 한다.
활단층 지역에서 발생할 수 있는 지진에 완벽히 저항하는 지중구조물을
설계하는 것은 비현실적이므로 지진발생 후 피해구조물의 보수가 용이하
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중요구조물의 경우 설계요구사항의 만족성, 설계기법 및 가정사항의 적절
성, 법규요건에 대한 만족성, 설계결과의 시공성 등의 검증을 위하여 해당
프로젝트의 주요 공정에 대한 전문적 지식과 경험이 있는 제3자인 전문가
들에 의해 충분한 검토가 이루어져야 한다.

(3) 시 공 품 질 관 리

시공품질관리는 품질보증계획에 따라 관할기관의 감독, 발주자측의 감리,

- 15 6 - 국립방재연구소
지중구조물 시설물별 내진설계기준

독립적인 검사, 시험 및 도급자의 자체계획을 통하여 이루어지고 그 과정


과 결과는 추후의 책임소재를 위하여 기록으로 보존하여야 한다.
검사 및 시험계획서는 도급자가 시방서, 도면 및 국가규격, 발주처 요구사
항을 만족시키도록 작성하여 사용하며, 모든 검사, 계측 및 시험장비는 그
정확도를 보장하기 위하여 주기적으로 점검되어야 한다.
시공자와 감독기관은 규정된 요구사항에 적합하지 않은 제품(부적합품)을
식별, 평가, 처리하는 방법과 부적합 사항의 원인을 제거하기 위한 시정
및 예방조치의 이행을 위한 절차를 수립하고 유지하여야 한다.

(4) 유 지 관 리

지중구조물의 노후화 정도 및 구조물의 중요도에 따라 일상점검, 정기점


검 및 긴급점검이 적절한 시기에 구조물 관할기관에 의해 실시되어야 하
며 점검결과가 기록되어야 한다. 필요하다고 판단될 때에는 정밀안전진단
을 실시하여 조사 및 해서결과에 따른 종합적인 보수・보강대책을 수립
하여야 한다.
중요 구조물에 대한 모든 변경은 관할기관의 전문가에 의하여 지진하중에
대한 안전성 검토 후 이루어져야 한다.

라. 지진응답 계측에 관한 요구사항

(1) 지 진 응 답 계 측 에 관 한 책 임

내진특등급 시설 : 관할기관은 발주자로 하여금 의무적으로 지진응답계측


을 위한 기기를 설치하고 운영하도록 한다.
내진1등급 및 내진2등급 시설 :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관할기관은 발주자
로 하여금 지진응답계측을 위한 기기를 설치하고 운영하도록 요구할 수
있다.
계측계획은 다음 항목을 검토하여 수립하여야 한다.

- 15 7 - 국립방재연구소
지중구조물 시설물별 내진설계기준

(2) 계 측 항 목

표 3.55 계측계획시 검토항목

항 목 내 용
구조물 형태의 특성 파악
구조물 특성 지반지지 주체의 특성
자연적 현상 및 인위적 현상의 상호관계
광역적 특성, 지질의 특성
지질, 지반특성 해당지역의 지지기반층 생성과 발달과정
암반 및 토질의 공학적 특성
하중분포 및 하중전달 메카니즘의 이해
지반공학적 상수의 평가
설계특성 재료역학적 상수의 평가
적용 설계기법의 이해
안전율의 적용

부재 및 지보재의 거동특성
시공순서 및 시공단계별 시간개념
지지부재 및 시공특성
지층변화 및 지하수 유동 예측
시공성 및 취약요소의 파악

작동원리 및 설치기법
측정범위 및 측정오차
계측기기의 특성
측정 및 경제성
내구성 및 운영시스템의 호환성

(3) 유 지 관 리 및 기 록 의 활 용

설치된 계측기기들은 항상 정상 작동상태를 유지하여야 한다.


계측기기의 유지상태는 주기적으로 점검하여야 하고, 지진이 발생하면 가
능한 빠른 시간내에 점검을 하여야 하며, 지진응답 계측기록을 회수하여
야 한다.
계측기록은 관련 국가기관, 대학교, 연구소에 배포하여 지진응답의 특성을
분석하고 보존한다.

- 15 8 - 국립방재연구소
댐 시설물별 내진설계기준

3.12 댐

3 .12 .1 댐 의 일 반 사 항

댐은 구조형식과 구성재료에 의하여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1) 콘크리트 댐
- 콘크리트 중력 댐
- 콘크리트 아치(Arch)댐
- 콘크리트로 구성된 기타 형식의 댐
(2) 필댐
- Earth 필 댐
- Rock 필 댐
- 표면차수벽형 필댐 및 기타 합성형 댐

3 .12 .2 댐 의 내 진 설 계 절 차

가. 내진등급 결정

댐은 하류 재해도와 규모 및 중요도를 고려하여 표 3.56과 같이 2가지 내진등급


으로 분류한다.

표 3.56 댐의 내진등급

내진등급 구 분 내 용 총 위험계수

규모가 중간 이상이며 파괴시 하류에 중간


내진특등급 이상 정도 수준의 피해가 발생할 것으로 7 이상인 댐
기대되는 댐

규모가 작고 파괴시 하류에 극히 낮은 수


내진1등급 6 이하인 댐
준의 피해가 발생할 것으로 기대되는 댐

- 15 9 - 국립방재연구소
댐 시설물별 내진설계기준

시 작

댐의 내진등급별 요구되는 지진

내진등급 결정

각 지진하중에 대한 내진성능목표 결정

댐의 성능결정 (가정)

성능수준에 따라 설계지진하중에 대하여


내진설계

정해진 성능목표에 따른
강도한계, 변위한계 적합성 평가

그 림 3.12 댐의 일반적인 내진설계 절차

총 위험계수는 표 3.57에 주어진 저수량 위험계수, 댐높이 위험계수, 소개인구


위험계수, 하류피해 위험계수의 합으로 정의되며, 각각의 값은 표 3.57에 주어져
있다.

- 16 0 - 국립방재연구소
댐 시설물별 내진설계기준

표 3.57 위험인자와 위험계수

위험인자 높음 중간 낮음 극히 낮음

저수량(hm 3 ) 120이상 120-1 1-1.0 0.1이하


(위험계수) (6) (4) (2) (0)
높이(m ) 45이상 45-30 30-15 15이하
(위험계수) (6) (4) (2) (0)
소개인구(인) 1000이상 1000-100 100-1 없음
(위험계수) (12) (8) (4) (0)
하류피해 높음 중간 낮음 없음
(위험계수) (12) (8) (4) (0)

나. 내진성능수준 및 설계거동한계

표 3.58 댐의 내진성능수준

내진성능수준 정 의

지진작용시나 지진경과 후에도 댐과 부속시설의 기능이 정


상적으로 가동하여야 함. 극히 경미한 손상은 예상할 수 있
으나 즉시 보수가 가능한 수준이하로 제한되어야 하며, 손
상으로 인하여 댐의 정상적인 기능 유지에 지장을 초래하지
기능수행수준
않아야 함
여수로와 수리제어시설 정상 가동
부속구조물에 극히 경미한 피해 발생
댐체와 기초의 변형 및 상대변위는 허용가능한 수준 한계

댐에 상당한 변형과 손상이 발생하는 것은 허용될 수 있으


나 지진작용시나 지진경과 후에도 댐의 저수기능은 상실되
지 않아야 하고, 보수 후 댐의 정상기능을 회복하거나, 하류
에 피해를 발생함이 없이 호소수를 방출할 수 있어야 함
붕괴방지수준
여수로와 수리제어시설에 위험상태 발생 방지
부속구조물에 제한적인 구조적 피해 발생
댐체와 기초의 변형 및 상대변위로 인하여 통제 불가능한
유출상태 방지 및 댐 붕괴 방지

- 16 1 - 국립방재연구소
댐 시설물별 내진설계기준

표 3.59 콘크리트댐의 구성요소별 설계거동한계


설계거동한계
구성요소
기능수행수준 붕괴방지수준

콘크리트에는 영구변형이 콘크리트의 비탄성거동은


발생하지 않아야 함 허용될 수 있음
콘크리트에는 인장균열이 콘크리트에서 인장균열이
발생하지 않아야 함 발생할 수 있으나 지진시
콘크리트에 발생한 응력은 또는 지진경과후 저수능력
허용한계를 초과하지 않아 이 유지될 수 있는 한계내
야 함 에 있어야 하며 지진후 보
콘크리트의 허용한계는 지 수가 가능해야 함
진하중 고려시 할증될 수 콘크리트에 발생한 응력은
있음 강도한계를 초과하지 않아
콘 콘크리트의 이음부에서 영 야 함
크 구 상대변위가 발생하거나 콘크리트에 발생한 변형은
지수재가 손상되서는 안됨 한계를 초과하지 않아야 함
리 댐 체
댐체는 미끄러짐과 전도에 이음부의 균열의 열림 또는
트 대하여 적절한 안전율을 유 국부적 파괴로 인해 통제불
댐 지해야 함 가능한 유출이 발생하지 않
댐체에는 지진으로 인한 수 아야 함
면파에 의해서 구조적 손상 댐체 상층부의 Block이 이
이 발생하거나 댐의 저수능 동해서는 안됨
력이 영향을 받아서는 안됨 댐체는 들림을 고려한 미끄
러짐과 전도에 대하여 최소
한의 안전율을 유지해야 함
지진으로 인한 수면파에 의
해서 구조적 손상이 발생하
거나 댐의 저수능력이 영향
을 받아서는 안됨

- 16 2 - 국립방재연구소
댐 시설물별 내진설계기준

< 표 3 .59 계속 >

설계거동한계
구성요소
기능수행수준 붕괴방지수준

과다한 영구변형이나 침하가


영구변형이나 침하가 발생하
발생하지 않아야 함
지 않아야 함
액상화가 발생하여서는 안됨
액상화가 발생하여서는 안됨
댐체와 기초사이에는 과다한
댐체와 기초사이에는 상대변
상대변위가 발생하지 않아야
위가 발생하지 않아야 함

미끄러짐에 대하여 적절한
미끄러짐에 대하여 최소한의
안전성을 유지해야 함
기 초 안전율을 유지해야 함
Abu tm ent에 미끄러짐이 발
Abutm ent의 미끄러짐이 과
생해서는안됨
다해서는 안됨
지진시나 지진경과후 기초를
지진시나 지진경과후 기초를
통해 제어 불가능한 누수가
통해 제어 불가능한 누수가
발생하여 댐의 기능이 손상
발생하여 댐의 기능이 손상
되서는 안됨
되서는 안됨

크 구조물에는 구조적 손상이
구조물의 구조적 손상은 경
발생하지 않아야 함
리 미한 수준으로 제한되어야
구조재료는 탄성거동 또는
트 하고 붕괴에 이르러서는 안
이에 준하는 거동한계내에
댐 됨
부속 있도록 설계하는 것을 원칙
구조재료는 설계소성변형 한
구조물 으로 함
계내에 있어야 함
지진으로 인해 발생하는 수
지진으로 인해 발생하는 수
면파에 의하여 기능과 구조
면파에 의하여 구조물의 붕
적 성능에 손상이 초래되어
괴가 유발되서는 안됨
서는 안됨

정상작동이 가능하여야 함
손상은 수시간내에 정상 작
구성요소의 구조부재는 탄성
여수로 동 회복이 가능한 한계를 초
거동 또는 이에 준하는 한계
・수리 과하여서는 안됨
내에서 거동해야함
지진으로 인해 발생하는 수
제어시 지진으로 인해 발생하는 수
면파에 의하여 수리제어시설
설 면파에 의하여 기능과 구조
의 기능이 장시간 정지되서
적 성능에 손상이 초래되서
는 안됨
는 안됨

- 16 3 - 국립방재연구소
댐 시설물별 내진설계기준

표 3.60 필댐의 구성요소별 설계거동한계


설계거동한계
구성요소
기능수행수준 붕괴방지수준

재료의 항복과 영구변형은 재료의 항복과 영구변형은


허용될 수 있으나 댐의 강 허용될 수 있으나 댐의 강
도에는 큰 영향을 가져오지 도에는 큰 영향을 가져오지
않는 범위로 제한되어야 함 않는 범위로 제한되어야 함
액상화가 발생되어서는 안 액상화가 발생하여서는 안
됨 됨
경사면에 사면활동이 발생 경사면에 미끄러짐이 발생
해서는 안됨 하여서는 안됨
댐체에 발생가능한 종방향 댐체에 발생 가능한 종방향
과 횡방향 균열은 극히 경 과 횡방향 균열은 댐의 저
미한 수준으로 제한되어야 수능력의 지나친 저하를 초
필 함 래하지 않는 수준으로 제한
댐 체 댐마루에서 침하가 발생하 되어야 함
댐 여서는 안됨 댐마루에서 과다한 침하가
댐체의 구조재료의 손실이 발생해서는 안됨
발생해서는 안됨 댐체의 구조재료의 대량 유
지진으로 인해 발생하는 수 실이 발생하면 안됨
면파에 의하여 댐체의 구조 지진으로 인해 발생하는 수
적 성능이 약화되서는 안됨 면파에 의해 댐체의 구조적
지진시나 지진경과후 댐체 성능이 약화되서는 안됨
나 부속구조물의 경계를 통 지진시나 지진경과후 댐체
해 제어 불가능한 누수가 나 부속구조물의 경계를 통
발생하여 댐의 기능이 손상 해 제어 불가능한 누수가
되서는 안됨 발생하여 댐의 기능이 손상
되서는 안됨

- 16 4 - 국립방재연구소
댐 시설물별 내진설계기준

< 표 3 .60 계속 >

설계거동한계
구성요소
기능수행수준 붕괴방지수준

영구변형이나 침하가 발생 과다한 영구변형이나 침하


하지 않아야 함 가 발생하지 않아야 함
액상화가 발생하여서는 안 액상화가 발생하여서는 안
됨 됨
댐체와 기초사이에는 상대 댐체와 기초사이에는 과다
변위가 발생하지 않아야 함 한 상대변위가 발생하지 않
미끄러짐에 대하여 적절한 아야 함
안전성을 유지해야 함 미끄러짐에 대하여 최소한
기 초 기초의 강도는 유지되어야 의 안전율을 유지하여야 함
함 기초의 강도는 유지되어야
지진시나 지진경과후 기초 함
를 통해 제어 불가능한 누 지진시나 지진경과후 기초
수가 발생하여 댐의 기능이 나 Abutm ent를 통해 제어
필 손상되서는 안됨 불가능한 누수가 발생하여
댐의 기능이 손상되어서는
댐 안됨

부속
콘크리트댐과 같음 콘크리트댐과 같음
구조물

여 수 로
・ 수 리
콘크리트댐과 같음 콘크리트댐과 같음
제 어 시

- 16 5 - 국립방재연구소
댐 시설물별 내진설계기준

다. 등급별 내진성능 목표

댐의 내진설계에 사용되는 등급별 내진성능목표는 표 3.1에 규정된 바와


같다.

라. 설계 지반운동 수준 및 표현방법

설계 지반 운동특성은 기본적으로 지반조건을 고려한 응답스펙트럼으로 표


현하며, 이에 관련한 사항은 제3장 3.1.2의 설계지반운동에서 정의한 내용
을 사용함을 원칙으로 한다.

3 .12 .3 댐 의 내 진 설 계 시 검 토 해 야 할 사 항

개념설계, 기본설계, 실시설계의 각 단계에서 내진설계에 대한 전반적인 검토가


이루어져야 하며, 다음과 같은 기본적인 사항과 세부사항에 대하여 검토를 해야
한다.

가. 기본적인 검토사항

(1) 댐의 내진등급 여부
(2) 댐이 설치되는 지역 및 지반의 분류
(3) 지진계수 결정
(4) 성능수준별 재현주기결정
(5) 재현주기별 위험도계수 결정
(6) 설계지진의 응답스펙트럼 결정
(7) 성능수준결정

나. 세부 검토사항

(1) 기 본 적 인 내 진 설 계 방 법 과 절 차

입력지반운동

- 16 6 - 국립방재연구소
댐 시설물별 내진설계기준

일반적으로 수평 2축 방향과, 수직 방향의 지반 운동의 영향을 고려(최소


한 댐축에 직교하는 수평방향 성분과 수직 방향 성분의 지반운동이 고려
되어야 한다.).
지반운동의 공간적 변화특성을 고려
국지적인 토질조건과 지질, 지형조건이 지반운동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

지반조사

댐의 안정성 평가에 필요한 지반 물성을 파악하기 위해서 지반조사를 실시


지층구성, 지하수위, 각 지층의 역학적 특성 파악 및 실내시험을 위한 시료
의 채취, 현장시험과 실내에서의 역학적 시험을 포함한다.
필요한 경우 전단파속도 주상도 등을 얻을 수 있는 동적현장시험을 실시해
야 하며, 지진에 취약한 지반의 경우 액상화 특성과 다양한 변형률 크기에
대한 변형계수와 감쇠비 특성을 얻을 수 있는 시험을 실시

입지조건

지표면 전단파괴 잠재성이 있는 단층에 극히 인접해서 또는 그 단층을 가


로지르는 댐을 건설하지 않는다.
사면의 붕괴로 인하여 댐의 안정성이 위협받을 수 있는 부지에는 건설하지
않는다
액상화 잠재성이 현저한 곳은 가급적 피하고, 부득이한 경우에는 지반을
개량하여 액상화 발생가능성을 저하시킨다.

고려대상 지진재해

댐은 단층 운동과 지반 진동의 두 가지 종류의 지진 재해에 대하여 성능


요구 조건을 만족시키도록 설계되어야 한다(그러나 댐의 입지 선정에 지표
면 전단파괴 잠재성을 가진 단층 지역이 제외된다면 댐은 지반진동에 대
하여만 성능 요구조건을 만족시키도록 설계될 수 있다.).

하중 고려 방법

- 16 7 - 국립방재연구소
댐 시설물별 내진설계기준

지진시 댐에 발생하는 응력과 변형을 평가할 때에는 시공절차와 방법에 따


른 응력, 자중, 온도하중, Creep 등의 영향이 적절히 고려되어야 한다.
지진시에는 유체의 동압력의 영향뿐 아니라 수면파의 영향이 고려되어야
한다.

성능기준 만족 평가 방법

지진응답해석, Scale Model Test, Prototype Test 방법 사용

(2) 기 본 적 인 지 진 해 석 방 법 과 절 차

콘크리트 댐

표 3.61 콘크리트 댐의 지진해석 방법

구 분 해석방법

지진응답해석시 유체-구조물-상호작용에 의한 유체동압력의


영향을 고려
공 통 사 항
지반을 통한 파의 방사 조건, 지반 매질의 변형도 의존 특성
의 고려

콘크리트의 거동은 선형으로 가정


부속구조물의 응답 : 선형해석법에 의해 해석하고, 일반구조
물의 지진응답해석법을 준용(입력지반운동에는 댐의 지진응
기능수행수준 답의 영향이 고려되어야 함)
여수로와 수리제어시설의 응답 : 선형해석법
응답스펙트럼 해석법, 모드해석법, 주파수영역 해석법, 시간
영역 해석법

콘크리트의 거동은 비선형으로 모델링


부속구조물의 응답 : 비선형 거동특성을 고려할 수 있는 해
석법을 사용하고, 일반 구조물의 지진응답 해석법을 준용(입
붕괴방지수준
력지반운동에는 댐의 지진응답의 영향이 고려되어야 함)
여수로와 수리제어시설의 응답 : 비선형해석법
시간영역 해석법

- 16 8 - 국립방재연구소
댐 시설물별 내진설계기준

필 댐

표 3.62 필 댐의 내진해석 방법

구 분 해 석 방 법

구성재료의 비선형 거동 특성을 고려


공 통 사 항
모델링시 구성재료(고체와 유체의 결합)에 대한 특성을 고려

타당성이 입증된 선형화 모델 사용


부속구조물의 응답 : 선형해석법에 의해 해석하고, 일반구조
물의 지진응답해석법을 준용(입력지반운동에는 댐의 지진응
기능수행수준
답의 영향이 고려되어야 함)
여수로와 수리제어시설의 응답 : 선형해석법
극한평형해석법이나 타당성이 입증된 단순화방법

구성재료의 거동특성을 고려한 비선형 모델링 방법 또는 타


당성이 입증된 단순화된 방법
부속구조물의 응답 : 비선형 거동특성을 고려할 수 있는 해
붕괴방지수준
석법을 사용하고, 일반 구조물의 지진응답 해석법을 준용(입
력지반운동에는 댐의 지진응답의 영향이 고려되어야 함)
여수로와 수리제어시설의 응답 : 비선형해석법

다. 품질보증에 대한 기본적인 요구사항

(1) 설 계

설계된 댐이 내진성능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가에 대하여 관할기관의 댐의


내진설계 전문가에 의하여 검토되어야 한다.
중요 댐의 경우에는 자격을 구비한 독립적인 내진설계 전문가에 의한 제3자
내진안전성 검토를 요구할 수 있다.

- 16 9 - 국립방재연구소
댐 시설물별 내진설계기준

내진설계 검토는 기본구조계획, 구조계산, 상세설계 등에 관하여 시행되어야


한다.

(2) 시 공

관할 기관과 발주자는 실제 댐의 시공이 정밀하고 설계에 충실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품질관리를 하여야 한다.
시공시 품질 관리는 관할기관의 감독, 발주자측의 감리, 독립적인 검사, 시
험과 시공자에 의하여 종합적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시공 단계에서의 품질관리 과정과 결과는 추후 문제 발생시 책임소재가 명
백하게 가려질 수 있도록 기록으로 보존되어야 한다.

(3) 유 지 관 리

지진하중을 지지하고 전달하는 체계, 즉, 하중전달경로는 잘 유지보수되어야


한다.
댐과 부속시설에 대한 모든 구조 변경은 관할 기관의 내진설계 전문가에 의
하여 지진하중에 대한 안전성 검토를 거쳐야 한다.
중요 댐의 경우에는 자격을 구비한 독립적인 내진설계 전문가에 의하여 내
진안전성 검토를 요구할 수 있다.
댐의 사용에 의하여 내진성능이 저하되거나, 소요내진역량이 증가될 수 있
으므로 이에 대한 주기적인 점검이 시행되어야 한다.

라. 지진응답계측에 관한 책임

내진 특등급으로 분류된 댐에 대해서는 댐의 지진응답계측을 위한 기기를


설치하고, 항상 정상사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주기적으로 점검하여야 한다.
내진 1등급으로 분류된 댐의 경우에도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관할기관은 발
주자로 하여금 지진응답계측을 위한 기기를 설치하고 유지하도록 요구할
수 있다.
댐의 지진응답을 계측하기 위해서 충분한 개수의 가속도계, 속도계 및 변위
계를 내진공학 전문가와 협의하여 구조물에 설치한다.

- 17 0 - 국립방재연구소
댐 시설물별 내진설계기준

설치된 계측기기들은 항상 정상 작동상태를 유지하여야 한다.


계측기기의 유지상태는 주기적으로 점검하여야 하고, 지진이 발생하면 가능
한 빠른 시간내에 점검을 하여야 하고, 지진응답 계측 기록을 회수하여야
한다.

- 17 1 - 국립방재연구소
댐 시설물별 내진설계기준

<사 진 > 지 진 에 의 한 교 량 의 파 괴

- 17 2 - 국립방재연구소
항만 시설물별 내진설계기준

3.13 항 만

3 .13 .1 항 만 의 일 반 사 항

항만시설의 분류는 기능에 따라


- 외곽시설
- 계류시설
- 부대시설
로 나눌 수 있다. 표 3.63에 항만구조물의 시설별 명칭을 정리하였다.

표 3.63 항만구조물의 명칭과 종류

시설명칭 종 류 비 고

방파제
해안제방
외곽시설 갑문시설
침식대책시설
매몰대책시설

계선안 - 선박을 안전하게 접안하여 화물


의 하역 및 승객을 승하선시킬
수 있는 구조물
계류시설
시버스(Sea Berth) - 대형선의 선박이 계류할 수 있
는 계류시설과 계류박지를 포함
한 수역

부속건물
부대시설 화물처리시설
pipeline

- 17 3 - 국립방재연구소
항만 시설물별 내진설계기준

3 .13 .2 항 만 내 진 설 계 절 차

가. 내진등급 결정

표 3.64 항만의 내진등급

내진등급 구 분 내 용

구조물이 피해를 입으면 많은 인명 피해와 재산상의 손실


을 초래하거나 지진재해 복구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구조물 또는 국방상의 필요성 등에 의해 결정되는 구조물
내진 1 등급
로서 각 항구별로 입지적, 전략적 요건에 의해 주관적으로
분류되는 구조물로서 기술기준 제정시 시설물 관할기관과
협의하여 결정함

내진 2 등급 내진1등급에 속하지 않는 일반 항만구조물

나. 내진성능수준 및 설계거동한계

표 3.65에 내진성능수준 및 설계거동한계에 대하여 정리하였다.

다. 등급별 내진성능 목표

항만의 내진설계에 사용되는 등급별 내진성능목표는 표 3.1에 규정된 바와


같다.

라. 설계 지반운동 수준 및 표현방법

설계 지반 운동특성은 기본적으로 지반조건을 고려한 응답스펙트럼으로 표


현하며, 이에 관련한 사항은 제3장 3.1.2의 설계지반운동에서 정의한 내용
을 사용함을 원칙으로 한다.

- 17 4 - 국립방재연구소
항만 시설물별 내진설계기준

표 3.65 항만의 내진성능수준

내진성능수준 정 의 설계거동한계

흙구조물이나 벽체구조물은 구조물


의 부분적인 항복과 영구변형을 허
용할 수 있으나, 주변구조물 및 부
속시설들이 탄성 또는 탄성에 준하
설계지진 발생 후 는 거동을 할 정도의 영구변형만이
에 항만구조물들이 허용되도록 하여야 함
허용범위 이내의 말뚝구조물은 지진시 그 주변지반
변위가 발생하며 의 소성거동은 허용할 수 있으나
기능수행수준
국부적인 보수를 말뚝구조물 자체와 그 위에 놓여있
통해 기능수행에 는 모든 구조물 및 부속시설이 탄
문제가 발생되지 성 또는 탄성에 준하는 거동을 하
않는 수준 여야 함
항만부지내에 지반에는 과다한 변
형이 발생하여서는 안되며 액상화
로 인하여 항만시설이 기능수행에
지장을 초래하여서는 안됨

흙구조물이나 벽체구조물의 구조적


손상은 경미한 수준으로 제한되어
야 하며 흙구조물의 영구변형으로
인해 주변구조물 및 부속시설들이
탄성한계를 초과하는 소성거동은
구조물에 제한적인
허용할 수 있으나 취성파괴나 좌굴
구조적 피해는 발
이 발생해서는 안됨
생하나 긴급보수를
말뚝구조물은 지진하중 작용시 탄
붕괴방지수준 통해 단시간에 항
성한계를 초과하는 소성거동을 허
만시설로서의 구실
용할 수 있으나 이로 인하여 말뚝
을 할 수 있는 수
구조물 자체나 상부 구조물에 취성

파괴가 유발되어서는 안됨
항만 부지내의 지반에는 과다한 변
형이 발생하여서는 안되며 액상화
로 인하여 항만시설이 수리불능의
피해를 입어서는 안됨

- 17 5 - 국립방재연구소
항만 시설물별 내진설계기준

3 .13 .3 항 만 시 설 의 내 진 설 계 시 검 토 해 야 할 사 항

개념설계, 기본설계, 실시설계의 각 단계에서 내진설계에 대한 전반적인 검토가


이루어져야 하며, 다음과 같은 기본적인 사항과 세부사항에 대하여 검토를 해야
한다.

가. 기본적인 검토사항

(1) 내진등급 여부
(2) 고속철도가 있는 지역 및 지반의 분류
(3) 지진계수 결정
(4) 성능수준별 재현주기 결정
(5) 재현주기별 위험도계수 결정
(6) 설계지진의 응답스펙트럼 결정
(7) 성능수준 결정

나. 세부 검토사항

(1) 전 반 적 인 검 토 사 항

입력지반운동
- 수평 2축 방향과 수직 방향의 지반운동의 영향과 지반운동의 공간적 변화특
성이 고려되어야 한다.
- 국지적인 토질 조건과 지질, 지형조건이 지반운동에 미치는 영향이 고려되
어야 한다.
- 연약지반상에 중요구조물이 설치된 경우에는 적절한 부지특성평가기법을 적
용하여 해당부지에 적합한 설계지반운동을 결정하여야 한다.

입지조건
- 활성단층에 극히 인접한 지역이나 활성단층이 지나가는 지역에는 내진 1등
급 구조물을 건설하지 않는다.

- 17 6 - 국립방재연구소
항만 시설물별 내진설계기준

- 액상화 가능성이 현저한 곳은 가급적 피하고 부득이한 경우에는 지반을 개


량하여 액상화 발생가능성을 저하시킨다.

지반조사
- 항만 시설물의 안전성 평가에 필요한 지반 물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지반조
사를 실시한다.
- 지반 조사는 지층 구성, 각 지층의 역학적 특성 파악 및 실내 실험용시료의
채취 등을 위한 현장시험과 채취된 시료를 이용한 실내 시험을 포함한다.
- 필요한 경우에는 지반의 액상화 특성과 변형율 크기에 따른 전단탄성계수와
감쇠비 특성을 얻을 수 있는 시험을 실시하여야 한다.

(2) 시 설 물 별 검 토 사 항

흙 구조물
- 흙 구조물의 대표적인 형태로 성토체가 있으며 모든 사면은 우선 정적하중하
에서 설계기준을 만족하여야 함
- 사면안정 여부
- 지진하중에 대한 사면안정 해석방법 : 등가정적하중법, 동적해석방법, 액상화
에 따른 유동파괴해석방법 등

벽체구조물
- 벽체구조물은 정적하중하에 설계기준을 만족하여야 함
- 하중고려방법
- 벽체설계방법 및 안정성평가 : 벽체구조물 설계방법 - 등가정적하중법, 영구
변위 산저법, 수치해석방법 등

기초 구조물
- 독립기초는 정적 하중하에서 설계기준을 만족하여야 함
- 말뚝기초는 정적 하중하에서 설계기준을 만족하여야 함

- 17 7 - 국립방재연구소
항만 시설물별 내진설계기준

지반의 액상화

다. 품질보증에 관한 기본적인 요구사항

(1) 일 반 사 항

- 항만구조물의 적절한 품질보증요건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발주자는 도급자에


게 공사품질에 관한 품질보증계획을 작성하도록 하며, 도급자는 품질보증계
획에 따라 건설공사의 시공 및 사용재료의 품질관리를 실시하고 발주자는 도
급자의 직접 고용주가 아닌 자로 감리 또는 감독체제를 구성하여 공사과정을
철저히 감독하여야 한다.
- 기존 항만시설물의 유지관리와 관련하여 노후구조물의 내진성능평가, 지진시
안정성확보 및 내진성능 향상을 위하여 시설물의 유지・보수체제를 구성하
여 지속적으로 수행하여야 한다.

(2) 설 계 품 질 관 리

- 설계자는 규정된 내진설계항목을 숙지하고, 구조물이 충분히 내진성능을 가


질 수 있도록 설계해야 한다.
- 중요구조물의 경우 설계요구사항의 만족성, 설계기법 및 가정사항의 적절성,
법규요건에 대한 만족성, 설계결과의 시공성 등의 검증을 위하여 해당 프로
젝트의 주요 공정에 대한 전문적 지식과 경험이 있는 제3자인 전문가들에 의
해 충분한 검토가 이루어져야 한다.

(3) 시 공 품 질 관 리

- 품질보증계획에 따라 관할기관의 감독, 발주자측의 감리, 독립적인 검사, 시


험 및 도급자의 자체계획을 통하여 이루어지고 그 과정과 결과는 추후의 책
임소재를 위하여 기록으로 보존하여야 한다.

- 17 8 - 국립방재연구소
항만 시설물별 내진설계기준

- 검사 및 시험계획서는 도급자가 시방서, 도면 및 국가규격, 발주처 요구사항


을 만족시키도록 작성하여 사용하며, 모든 검사, 계측 및 시험장비는 그 정확
도를 보장하기 위하여 주기적으로 점검되어야 한다.

(4) 유 지 관 리

- 구조물의 노후화 정도 및 구조물의 중요도에 따라 일상점검, 정기점검 및 긴


급점검이 적절한 시기에 구조물 관할기관에 의해 실시되어야 하며 점검결과
가 기록되어야 한다. 필요하다고 판단될 때에는 정밀안전진단을 실시하여 조
사 및 해서결과에 따른 종합적인 보수・보강대책을 수립하여야 한다.
- 중요 구조물에 대한 모든 변경은 관할기관의 전문가에 의하여 지진하중에 대
한 안전성 검토 후 이루어져야 한다.

라. 지진응답 계측에 관한 요구사항

내진1등급 또는 내진2등급으로 분류된 시설의 경우라 할지라도 시설물 관할


기관에서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발주자로 하여금 지진응답계측을 위한 기기를
설치하고 유지하도록 요구할 수 있다.
지진 전・후의 구조물의 성능평가를 위한 구조물 기초의 침하량, 토구조물의
변형량, 지중구조물의 침하량 등을 측정하기 위하여 경사계, 침하판, 측량 기
준점 등을 설치하여야 한다.
설치된 계측기기들은 항상 정상작동상태를 유지하여야 한다.
계측기기의 유지상태는 주기적으로 점검하여야 하고, 지진이 발생하면 가능
한 빠른 시간내에 점검을 하여야 하며, 지진응답 계측기록을 회수하여야 한
다.
계측기록은 관련 국가기관, 대학교, 연구소에 배포하여 지진응답의 특성을 분
석하고 보존한다.

- 17 9 - 국립방재연구소
항만 시설물별 내진설계기준

<사 진 > 지진 에 의 한 항 만 피해 (1)

<사 진 > 지진 에 의 한 항 만 피해 (2)

- 18 0 - 국립방재연구소
참 고 문 헌

참 고 문 헌

건설교통부, 건축공사 표준시방서


건설교통부,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1996.
건설교통부, 건축법 시행령, 1997.
건설교통부, 건축법, 1996.
건설교통부, 극한강도 설계법에 의한 철근콘크리트 구조 설계 기준
건설교통부, 내진설계 기준연구(II), 1997.
건설교통부, 내진설계성능기준(안), 1997. 12
건설교통부, 댐시설기준, 1993.
건설교통부, 도로교 표준시방서, 제V편 내진설계편, 1996.
건설교통부, 콘크리트 표준시방서, 1996.
고속전철사업 기획단, 고속철도 강교량 및 합성형 교량 설계 표준시방서 해설,
1991.
김소구, 지진과 재해, 기전출판사, 1996.
내무부, 자연재해대책법, 1997.
농림수산부, 농지개량사업계획 설계기준 : 해면간척편, 댐편, 1982.
대한건축학회, 강구조 설계 기준 및 해설
대한토목학회, 강철도교설계 표준시방서해설, 1978.
도덕현, 고재만, 내진공학, 도서출판 효성, 1992.
박수인 외 공역, 생동하는 지구, 시그마프레스, 1998. 3. 10.
산업자원부, 고압가스안전관리법 시행규칙, 1998. 10
산업자원부, 도시가스사업법 시행규칙, 1998. 109
산업자원부, 액화석유가스의 안전 및 사업관리법 시행규칙, 1998. 10
이동근, 한반도의 지진발생 현황과 내진설계의 도입 및 발전방향 , 제1회 방재행
정세미나, pp.103~134, 1996.
제철엔지니어링주식회사, 내진설계 MANUAL, 1989.
콘크리트학회지, "특집기사 : 최근 내진설계 개념의 발전동향", Vol.10 No.5, 1998.

- 18 1 - 국립방재연구소
참 고 문 헌

1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댐 설계기준에 대한 비교검토, 198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유비콘엔지니어링(주), 내진설계기준연구, 1996.
한국도로공사, 고속도로교량의 내진설계지침, 1996.
한국원자력연구소, 한국의 지진재해도 분석을 위한 기초연구, 1998. 2.
한국전산구조공학회, 특집기사 : 구조물의 내진해석 및 설계 , 제11권 제1호,
1998. 3.
한국지반공학회, 진동 및 내진설계, 구미서관, 1997.
한국지방행정연구원, 한국지진공학회, 지진방재교육교재, 1997.
한국지진공학회 제1회 기술강습회, 도로교의 내진설계, 1998.
한국지진공학회 제2회 기술강습회, 건축물의 내진설계, 1998. 7.
행정자치부 중앙재해대책본부, 지진방재 종합대책, 1998. 5.
국립방재연구소, 내진설계 제도 및 기준에 관한 연구(Ⅰ), 1998. 2.
American Association of State Highway and Transportation Officials (AASHTO),
Standard Specifications for Highway Bridges, 16th Edition, Division I-A Seismic
Design, 1996.
American Association of State Highway and Transportation Officials (AASHTO),
LRFD, Bridge Design Specification, 1994.
American Railway Engineering Association (AREA), AREA Manual for Railway
Engineering, 1994.
ASCE Code, Ch. 9. Seismic Design for Railway Structure, 1994
Bru ce A . Bolt, Earth qu ake, W. H . Freem an and Comp any, 1993.
Eurocode 8 "Part 1.1", "Part 8".
European Committee for Standardization, Eurocode 8, Design provision for earthquake
resistance fo structures, 1992.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Earthquake Engineering, Regulations for Seismic Design A
World List, 1996.
International Conference of Building Officials, Uniform Building Code(UBC), 1997.
ISO3010, "Bases for Design of Structure-Seismic Actions on Structure", 1988

- 18 2 - 국립방재연구소
참 고 문 헌

Kramer, S.L., Geotechnical Earthqu ake Engineering, Prentice Hall, Upper Saddle
River, New Jersey, 1996.
Richter, C.F., Elementary Seismology, W.H. Freeman, San Francisco and Co.,
1958.
U.S Committee on Large Dams, Guidelines for Selecting Seismic Parameters for Dam
Project, 1985.
鹿島都市防災硏究會, 耐震診斷と補修・補强, 鹿島出版會, 1996.
嶋 悅三, わかりやすい地震學, 鹿島出版會, 1989.
瀨野徹三, プレ トテクトニクスの基礎, 朝倉書店, 1998.
建設省河川局開發課監修, (財)國土開發技術硏究センタ , フイルダムの耐震設計指
針(案), 1991.
日本道路協會, 道路橋示方書・同解說, Ⅴ 耐震設計編, 1996.
日本建築學會, 鐵筋コンクリ-ト構造計算規準・ 同解說, 1991.
日本建築學會, 鐵筋コンクリ-ト構造物の終局强度型耐震設計指針・同解說, 1990.
鐵道總合技術硏究所, 新設構造物の當面耐震設計に關する參考資料, 1996.

- 18 3 - 국립방재연구소
내진설계 관련 용어정리

A. 내진설계 관련 용어정리

국립방재연구소
내진설계 관련 용어정리

국립방재연구소
내진설계관련 용어정리

(1) 가 속 도 계 수 (Ac c e le ra t io n Co e ff ic ie nt)

지진위험도(Seismic Hazard)를 표시할 때 가장 보편적으로 쓰이는 계수로서 보


통 중력가속도(g)와 같이 붙여 쓴다. 예를 들면 A×g에서 A가 가속도 계수이
고, A×g는 최대수평지반가속도(peak horizontal ground acceleration)를 나타
낸다.

(2) 구 조물 중요 도 (S tructure Impo rta nc e )


구조물의 중요도는 정성적으로 판단되는데, 지진 후에 바로 사용하여야 하는
다리와 같은 구조물은 그 중요도가 평소에 결정되어 있어야 한다. 미국의 경
우, 1983년 연방 고속도로청(FHWA)의 기준에서는 "중요(essential)"와 "표준
(standard)" 교량으로 양분하는데, 중요교량은 지진 후에 그 기능이 곧바로 지
속되어야 한다.

(3) 내 진등 급 (S e is mic Pe rfo rma nc e Cate go rie s : S PC)


내진등급은 구조물이 지진에 견뎌야 하는 정도를 구분해 놓은 것으로, 지진위
험도(seismic hazard)를 표시하는 가속도계수 (acceleration coefficient)와 구조
물 중요도(structure importance) 의 결합으로 결정된다. 국내의 내진설계성능
기준(안)에서는 내진특등급, 내진1등급, 내진2등급으로 구분하며, 현재는 내진1
등급과 내진2등급으로 구분하고 있다.

(4) 지 반종 류 (S o il P rofile Type )와 지 반계 수 (S ite Co e ffic ie nt)


지반종류(soil profile type)란 깊이에 따른 지반공학적 특성(흙의 전단파 속도,
전단강도, 변형률, 암석학상의 차이 등)을 나타낸 목록이나 그림 등을 말한다.
국내의 내진설계성능기준(안)에서는 지반종류를 SA , SB , SC , SD , SE , SF 의 6종으
로 구분한다. 그리고, 지반계수 (site coefficient)는 지반종류에 따라 결정된다.
지반계수는 구조물의 내진설계시 필요한 전단저항(total design base shear)을
계산할 때 필요한 중요한 입력 계수이다.

A- 1 국립방재연구소
내진설계관련 용어정리

(5) 응 답수 정 계수
건축물에서 사용하는 반응수정계수와 거의 같은 개념으로 도로교의 내진해석
및 설계시에 사용한다. 탄성해석으로부터 얻은 탄성지진력을 수정하는데 사용
되며, 지진하중에 의해 기둥은 항복을 허용하지만 연결부위 및 기초부분은 극
히 적은 손상만을 허용한다는 가정으로 부터 도입되었다. 하부구조의 응답수정
계수는 1보다 크며, 연결부분은 1이하이다. 향후 반응수정계수를 응답수정계수
로 용어를 통일하는 작업이 현재 진행중이다.

(6) 지 진응 답 계수 (S e is mic Re s po ns e Coe ffic ie nt, Cs ), 동 적계 수


구조물의 동특성을 표현하기 위한 계수로서 시간이력해석법을 제외한 등가정
적해석법, 응답스펙트럼해석법 등에서 적용하는 계수이다. 건축물의 동적계수
나 도로교의 지진응답계수 등이 모두 유사한 개념이다. 그 지역의 지진특성을
반영하여 설계의 목적으로 수정된 설계스펙트럼을 계수화하여 표현한 것으로
동적계수에 주기나 기타 요소의 값을 대입하여 도표로 표현하면 설계스펙트럼
과 동일한 형상으로 표현된다. 지진응답계수에는 응답수정계수(response
modification factor), 구조물의 기본주기(T), 지반계수 등이 포함된다.

(7) 지 진 모 멘트 (S e is mic Mo me nt)


일반적으로 모멘트라 함은 하나의 물체를 어떤 점을 중심으로 회전시키고자
하는 힘을 말한다. 지진 모멘트(M 0 )는 dyne-cm의 단위를 가지며, 다음 식으로
표시된다.
Mo = A D

여기서 μ는 단층지질의 파괴강도, A는 단층파괴면적, 그리고 는 평균파괴


이동거리를 나타낸다.

(8) 전 단력 (S he a r Fo rc e )

A- 2 국립방재연구소
내진설계관련 용어정리

고체 또는 부재 내의 임의의 면에 작용하여 그 양쪽을 역방향으로 어긋나도록


작용하는 내력(內力)

(9) 진 동모 드 의 형 상과 주기 (Vibratio n Mode S ha pe a nd Pe riod)


시스템 또는 구조물은 일반적으로 수많은 진동모드와 주기를 갖는데, 이들은
시스템 또는 구조물에 따라 다르며 각각의 특성을 결정한다. 시스템의 응답은
이들 진동모드의 합으로서 나타난다. 예를 들면, 다자유도 자유진동의 시간응
답을 보면 마치 날카로운 톱니들이 불규칙적으로 배치된 것처럼 보이는데 이
것은 그 시스템의 진동모드의 조합으로 표현될 수 있다. 각각의 진동모드에는
그와 같은 모습으로 반복적으로 흔들릴 때 1회 반복에 걸리는 시간이 있다. 이
를 진동모드에 해당하는 주기라 한다.

(10) 부재 력 과 변 위 (Me mbe r Fo rc e a nd Dis plac e me nt))


구조물을 구성하는 부재(member)에 작용하는 힘을 부재력이라 하고, 그 부재
력으로 인해 부재 또는 부재 내의 한 점의 위치가 변하는 것을 변위라 한다.

(11) 액상 화 (Lique fac tio n)


사질토에서 지진동의 작용에 의해 흙 속의 간극수압(pore water pressure)이
증가하여 유효응력(effective stress)이 감소하는 현상으로 액상화에 의해 지반이
전단저항을 완전히 상실한다.

(12) 피 - 델 타 효 과 (P- Δ Effe ct)


기하학적 강성행렬(geometric stiffness matrix; 힘을 받았을 때 어떤 부재의 강
성에 변화를 주는 요인을 나타내는 행렬)은 구조물의 2차 효과(secondary
effect)를 정적, 동적으로 해석하는데 주로 사용된다. 이를 특별히 피-델타 효
과 (P-Δ effect)라고 하는데, 예를 들어 건축물의 해석에서 한 층이 옆으로 움
직여 변형이 일어나면 2차 전도모멘트(2nd-order overturning moment)가 발생
하고, 이러한 2차 양상들이 피-델타 효과라 불린다. 그 이유는 2차 전도모멘트

A- 3 국립방재연구소
내진설계관련 용어정리

가 P와 Δ의 곱과 같기 때문이다. 여기서 P는 건물전체의 중량이고 Δ는 측


면 변형이다.

(13) 스펙 트 럼 해 석법 (S pe ctra l Ana lys is )


지진파기록은 보통 시간과 진폭 등의 기록, 즉 time domain의 정보로 표시되
는데, 일반적으로 time domain의 지진파형은 일차적인 내진설계에 유용하지
않다. 이런 time domain정보로부터 지진파의 진동수, 위상(phase), 진폭 등의
유용한 정보를 얻어내는 해석법이 스펙트럼 해석법이다. 일반적으로 Fourier
transform이라는 기교를 사용한다. 하나의 진동모드를 사용할 때 단일모드 스
펙트럼 해석법이라 하고, 여러개의 진동모드를 사용할 때 다중모드 스펙트럼
해석법이라 한다.

(14) 파워 스펙 트 럼 (Powe r S pe ctra)


Fourier 진폭스펙트럼은 어떤 강도가 주파수에 따라 얼마만큼 변하는가를 나타
낼 수 있는데 이 정보는 "파워"라는 용어로도 쓰인다. 파워 스펙트럼은 지진
에 의한 지반운동을 설명할 때 자주 사용된다. 파워 스펙트라 밀도함수
(Power Spectral Density Function)라고 불리기도 하는데 지반운동의 통계학적
인 성질분석과 추계학적인 반응을 분석하는데 사용되어진다.

(15) 가속 도 응 답 스 펙 트럼 (Ac c e le ratio n Re s po ns e S pe ctra)


여러 고유주기나 주파수에서 5%의 감쇠비를 가진 단자유 진자의 지반가속에
대한 반응. 공학적으로 가속도 응답 스펙트럼은 특정 주파수를 가진 건물이
강진에 어떻게 반응하는지를 결정해준다.

(16) 표준 설계 응 답스 펙 트럼
특정한 지반운동에 의하여 발생하는 구조물의 최대응답을 구조물의 주기별로
모은 각각의 응답스펙트럼을 모아서 설계에 사용하기 위하여 통계적으로 처리
한 응답스펙트럼.

A- 4 국립방재연구소
내진설계관련 용어정리

(17) 결정 론 적인 지진 재 해도 분 석 (De te rminis tic S e is mic Haz a rd Ma p Ana lys is )


과거 지진 재현이나 미래에 예상되는 지진에 의한 강한 지반의 운동, 액상화나
다른 지반붕괴, 표면단층발생 등의 분포를 결정하는 것.

(18) 확률 론 적인 지진 재 해도 분 석 (P ro ba bilis tic S e is mic Haz a rd Ma p Ana lys is ):


어떤 시간 중에 다양한 지반운동수준을 초과하는 확률을 계산하기 위하여 특
정지역에서 기존 지진이나 가상지진 발생을 사용하는 것.

(19) 재현 곡 선 (Re c urre nc e C urve ), 구 텐 버그 - 리히 터 관 계 (Gute nbe rg - Ric hte r


Re latio n)
특정시간대에서 지진횟수의 상용대수값과 규모의 관계를 경험적으로 표현한 1
차 직선관계

(20) 기본 고 유주 기 (Funda me nta l Pe rio d)


시스템이 갖고 있는 주기 중에서 가장 큰 주기로 건물의 경우 대략 1층에 0.1
초씩 증가한다. 건물이 9층이라면 고유주기는 0.9초, 27층이라면 2.7초 정도
된다.

(2 1) 지진 재 해도 (S e is mic Ha z a rd Ma p)
지진에 의한 지반운동분포를 특정지역에 표시해 놓은 지도. 결정론적인 지진재
해분석에서는 지반운동이 하나 혹은 다수의 가상 지진에 의한 것으로 보고, 확
률론적인 지진재해분석에서는 지반운동이 모든 발생가능 한 지진에 의한 확률

적인 기대치로 표시된다.

(22) 구역 계 수
지진의 지역별 특성을 고려하기 위한 중력가속도에 대한 계수로 내진설계성능
기준(안)에서는 평균재현주기 500년 지진이 사용되었다.

A- 5 국립방재연구소
내진설계관련 용어정리

(23) 소성 힌 지
부재의 전단면이 항복에 도달하여 마치 힌지와 같이 거동하는 상태

(24) 위험 도 계수
평균재현주기별 최대유효지반가속도의 비를 의미하여, 각 재현주기에 해당하는
최대유효지반가속도를 구하기 위한 계수이다. 내진설계성능기준(안)에서는 평
균재현주기 500년 지진이 사용되었다.

(25) 허용 응 력증 가 계수
내진설계시 교각은 약간의 비탄성능력이 요구되므로 허용응력을 33% 증가시키
기 위한 계수

(26) 의사 정 적 해 석법
구조물의 관성력은 무시하고, 작용하는 하중의 시간별 크기에 대하여 해석하는
방법. 즉, 각 시간별로 정적해석을 연속적으로 수행하는 해석법

(27) 하중 계 수 설 계법
하중의 가변성, 해석에서의 정확성 결여와 다른 하중들이 동시에 작용할 확률
을 고려한 설계법

(28) 최대 유 효지 반 가속 도
지반운동으로 구조물에서 발생한 최대 지진가속도

(29) 재현 주 기
동일한 크기의 지진이 발생하는데 걸리는 시간으로, 보통 확률적인 개념이 포
함된다. 따라서 평균재현주기가 500년이라 함은 50년 내에 이보다 큰 지진지반
운동이 발생할 확률이 10%인 경우이다.

A- 6 국립방재연구소
내진설계관련 용어정리

(30) 기능 수 행수 준
설계지진 작용시 구조물이나 시설물에 발생한 변형이나 손상은 구조물이나 시
설물의 기능을 차질없이 수행할 수 있는 범위내로 제한되는 성능수준

(3 1) 붕괴 방 지수 준
설계지진 작용시 구조물이나 시설물에 발생한 변형이나 손상이 발생할 수 있
으나 그 수준과 범위는 구조물이나 시설물이 붕괴되거나 또는 구조물이나 시
설물의 손상으로 인하여 대규모 피해가 초래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성능수

(32) 가속 도 시 간 이력
지진의 지반운동가속도를 시간별로 측정하여 기록한 기록

(33) 인공 가속 도 시 간 이력
지역의 지반특성 및 지진의 재현주기, 최대가속도, 지진파의 진동수성분 등을
분석하여 통계적으로 작성한 지반운동가속도의 시간별 기록

A- 7 국립방재연구소
내진설계관련 용어정리

A- 8 국립방재연구소
지진의 발생 원인

B. 지진의 발생원인

한국자원연구소
지진의 발생 원인

한국자원연구소
지진의 발생 원인

한국자원연구소 전 명 순 박사

지구는 내부로 갈수록 온도와 압력이 증가한다. 온도는 지표근처에서는 평균 100 m


에 3。C씩 증가해서 지하 수백 km 깊이에서는 온도가 수천。C 에 이르고, 압력이 높
아 (수만 기압) 모든 암석이 녹아서 걸쭉한 죽같은 상태로 존재한다. 이 위에 몇 개의
조각으로 나뉘어져 떠있는 지각위에 우리가 살고 있는 셈인데 이런 학설을 판구조론(板
構造論)이라 한다. 이 판들은 조금씩 (년간 수밀리부터 수 센티 정도) 이동하는데, 판의
경계부에서 판과 판이 충돌하거나 어긋날 때 생기는 물리적 현상이 바로 지진이다. 특히
어떤 판과 다른 판과 충돌하는 경우에는 지진활동이 극심하고 높은 산이나 깊은 해구를
만들고, 이를 조산대(造山帶)라 부르는데 대부분의 조산대는 지진대와 일치한다. 지구
상의 대표적인 조산대로는 태평양 주위에 형성된 환태평양 조산대와 알프스산맥과 히말
라야산맥을 연결하는 알프스- 히말라야 조산대가 있다(그림 B.1). 태평양판의 경계면인
환태평양 지진대에서 전세계적으로 지진발생 숫자의 약 75% 정도가 발생되고 있는데
이 지역에서 방출되는 지진에너지는 전체 에너지의 약 90%에 해당된다. 최근 10년 동
안에 지진에 의한 인명피해는 전세계적으로 약 20만명에 달한 것으로 집계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유라시아판 (유럽과 아시아를 포함) 의 동쪽 끝에 해당하는데


판의 경계는 일본 동쪽에서 태평양판과 만나고 일본 남쪽에서 필리핀판과 경
계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는 판 경계부에서 약 1000km 정도 떨어져
위치하여 판경계부에 있어 지진이 심한 일본이나 미국 서부에 비교하면 지진
의 숫자도 적도 크기도 작은 편이다. 그러나 인류역사상 가장 큰 인명과 재산
피해를 낸 1976년 중국 북동부에서 발생했던 당산지진은 우리나라 서해안에서
불과 600~700km 밖에 떨어지지 않은 곳에서 발생했다. 이 지진도 일반적으
로 지진이 많이 발생하는 판의 경계부에서는 멀리 떨어진 지역에서 발생한 지
진이지만 매우 많은 사상자를 낸 것은 매우 아이러니칼하다. 그 이유는 일반
적으로 지진이 많지않고 크기가 작은 나라의 경우에는 지진에 대한 대비가 적
어서 건물들의 내진설계가 제대로 되어있지 않기 때문에 혹시 큰 지진이 발생
하면 그 피해는 엄청나게 된다.

B- 1 한국자원연구소
지진의 발생 원인

지진은 연속적으로 발생한다. 본진(本震)에 앞서서 발생하는 지진을 전진(前


震)이라 하고 나중에 발생하는 지진을 후진(後震) 혹은 여진(餘震)이라고 부른
다. 지진이 발생하면 본진에 의해서 건물 등에 금이 가거나 약해져 있는 상태
에서 여진에 의해 건물이 붕괴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큰 지진의 경우 지진
이 지나간 후 바로 건물안에 들어가는 것은 위험하므로 여진이 완전히 끝날
때 까지 건물 밖에 대피해 있는 것이 안전하다. 여진이 발생하는 시기는 지역
에 따라 다르지만 본진 이후 약 1-2주 동안 계속되는 것이 보통이므로 전문가
들이 여진의 위험이 없어졌다고 진단할 때까지는 건물 안으로 들어가는 것은
매우 위험하다.

그 림 B.1 암 판 들 사 이 의 경 계 , 암 판 의 명 칭 , 암 판 의 이 동 속 도 (cm/ 년 ),
대 양 저 산 맥 의 위 치 , 지 진 의 진 원 분 포 (D . P. M cKe nz le 외 , 1978)

B- 2 한국자원연구소
지진의 발생 원인

지진의 크기를 나타내는 척도는 두 종류가 있다. 그 중에 하나가 강도(强度)


혹은 규모(規模)로 불리는 것(영어로는 Magnitu d e)으로 지진계에 기록된 지진
파형으로부터 계산하는 것으로 1930년대 미국의 지진학자 리히터(Richter)가
고안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리히터 규모(Richter Magnitu d e)로 알려져 있는
것이다. 이는 20세기 이후에 발명된 지진계에 기록된 최대진폭을 측정해서 로
그(log)를 취한 대수(對數)값이기 때문에 규모 혹은 강도가 1.0이 증가하는 것
은 지진파형의 최대 진폭이 10배 큰 것을 나타낸다. 그러나 지진발생시 생기
는 에너지의 약 1/ 3 정도만 지진파로 방출되기 때문에 실제 지진을 일으킨
에너지는 약 32배가 큰 경우가 된다. 이에 비해서 지진계가 발명된 20세기 이
전에도 인류는 지진의 크기를 분류할 필요가 있었고, 이런 목적으로 쓰이던
척도가 진도(震度 : Intensity)이다. 이는 지진계의 도움없이 단지 지표상에서
지진에 의해 흔들리는 정도를 인간이나 물체가 감지한 정도에 따라 정수(定
數)로 나타내는 것이다. 예를 들면 매달린 물체가 흔들리고 창문이 덜커덩거
리고, 선반위의 유리제품이나 그릇들이 서로 부딪혀 소리를 내는 정도가 진도
IV이고, 잠들어 있던 사람이 깨고, 그릇에 담겨 있던 물의 일부가 엎질러지고,
물이 저절로 열리거나 닫히는 정도는 진도 V로 표시하는 것이다. 두 경우 모
두 지진의 크기를 나타내는 것이므로 일반적으로 규모(혹은 강도)가 크면 진
도도 크다. 그러나 지진계에 의해 측정하는 규모(혹은 강도)와 달리 진도는 지
역에 따라 다른 경우가 생긴다. 다시 말하면, 바다 한가운데서 지진이 나는 경
우는 느낀 사람이 없거나 발견된 현상이 없으면 진도를 결정할 수 없게 되므
로 이 경우는 진도가 영(零)이다. 또한 지하 수백 km 깊이에서 발생하는 지진
들은 예민한 지진계에 의해 규모는 정해지지만 지표에서 느끼지 못하는 경우
에도 진도는 0이 된다. 따라서 지진의 크기를 나타내는 보다 과학적인 척도는
규모(혹은 강도)가 된다. 실제로 신문이나 방송에서 지진의 크기를 보도할 때
는 기상청이나 연구소 등에서 발표한 규모(혹은 강도)를 나타내는 것인데 많
은 경우에 언론에서 두가지 척도를 혼용해서 진도 4.5 (가끔은 리히터진도 4.5
등)의 지진이라고 보도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잘못된 것이다. 이 경우는 규
모(혹은 강도) 4.5가 정확한 것이고 진도로 표시할 때는 4 혹은 5 등의 정수로
표시해야 한다.

B- 3 한국자원연구소
지진의 발생 원인

기상청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에서 신빙성있는 지진기록을 개시한 1978년


이후에 남한에서 발생한 지진은 주로 서해안의 서산과 동해안의 포항을 잇는
약 100 km 의 폭에 약 80%의 지진이 집중되어 지진대를 형성하는 것을 보여
준다(그림 B.2). 한반도를 구성하는 지각은 대부분이 수 억년된 오래된 지층들
이고 비교적 시대가 늦은 지층이 경상남・북도에 존재하는 경상계층으로 약
1~2 억년 전에 형성된 지층이다. 따라서 서산-포항의 지진대는 그 지역이 비
교적 최근에 단층운동이 있어서 단층주변의 암석이 아직 덜 고화된 상태이므
로 어떤 힘에 의해 가장 쉽게 움직이며 지진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판경계부는 커다란 의미의 단층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삼국시대부터 기록된 우리나라의 역사문헌에는 서기 2년부터 19세기 말까지


1800개 이상의 지진이 기록되어 있으며 이중 몇 개는 상당한 재산과 인명피해
를 끼친 지진들도 있다. 20세기에 들어와 발생한 피해지진은 1936년의 지리산
쌍계사 근처에서 발생한 지진과 1978년 홍성지진이 대표적으로 건축물에 상당
한 피해를 준 바 있다. 현대는 산업의 발달로 댐, 교량, 고속도로 및 발전소
등의 대형구조물들이 계속 증가되고 있고, 인구의 증가로 옛날에는 인적이 드
물던 산간벽지도 사람이 살고 있기 때문에 지진이 발생하면 그 피해는 옛날에
비해 커질 수밖에 없다. 특히 원자력발전소의 경우 이런 자연재해로 부터의
안전성 확보는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우리나라는 지금 당장 지진의 위험이
절박한 것은 아니지만 지진발생 가능성을 무시할 수는 없다. 특히 지진의 피
해가 많지 않았던 우리나라는 대부분의 건물들이 내진설계가 되어있지 않아서
어느 정도 큰 지진이 발생하면 내진설계가 잘되어 있는 일본이나 미국 서부에
비해 인명과 재산의 피해는 훨씬 클 것이다. 따라서 지진관측망을 확충하여
큰 지진의 전조로 발생하는 작은 지진들을 기록・분석하여 장래 발생할 지진
의 위치, 일시 및 크기 등을 예보하는 과학적인 연구가 활성화되어야 할 필요
는 절실하다.

B- 4 한국자원연구소
지진의 발생 원인

그 림 B.2 한 반 도 지 진 발 생 분 포

B- 5 한국자원연구소
지진의 발생 원인

지진에 수반되는 다른 자연 현상은 화산폭발과 해일이다. 화산폭발은 지하


에 녹아있는 용암이 지표로 솟구쳐 오르는 현상인데 용암이 지표까지 도달하
는 과정에서 수많은 작은 규모의 지진을 유발하므로 지진 관측을 통해서 용암
의 이동 상태를 감시하고 화산폭발을 예지할 수 있다. 또한 바다에서 지진이
발생하면 해일을 발생시키기도 하는데 예를 들면 동해 일본 쪽에서 발생한 지
진에 의한 해일이 우리나라의 동해안을 덥쳐 피해를 준 경우가 1983년과 1993
년에 있었다. 이런 경우는 지진발생 후 약 2~3 시간 후에 약 5~6 m 정도의
높은 파고를 갖는 해일이 동해안에 도달함으로 해안지방에서 선박, 방파제 및
가옥의 파괴는 물론 인명피해를 입히는 것이다. 그러나 해일의 경우도 지진관
측을 통해 지진특성을 알면 해일의 발생여부 및 도달시간을 계산해서 예보를
통해 피해를 줄일 수 있다. 이런 면에서 우리나라에서도 국민의 인명과 재산
을 보호하기 위한 방재의 측면에서 우리나라에서 발생하는 지진뿐만 아니라
다른 나라에서 일어나는 지진에 대한 연구도 수행하여야 한다. 모든 기초과학
이 장기간의 계속적인 투자 후에 산업에 응용될 수 있는 만큼 우리나라에도
장기적인 면에서 대학이나 연구소에서 이들 분야의 연구가 이제부터라도 활성
화되어야 한다고 생각된다.

현재 세계적으로 지진연구의 방향은 장래 발생할 지진의 위치, 일시 및 크


기를 알기 위한 지진예보에 집중되고 있으나, 현재로서는 지진예보의 성공률
은 기상예보에 비해 낮은 편이다. 그 이유는 기상예보의 경우는 현재 지구주
위를 돌고 있는 인공위성들로부터 촬영한 막대한 양의 직접적인 정보를 통해
구름의 이동상황 등을 매우 정확히 추적할 수 있으므로 이로부터 장래의 기상
변화를 비교적 정확히 예측할 수 있다. 그러나 지진예보의 경우는 지구내부의
움직임을 직접 탐지할 수 있는 방법이 없기 때문이다. 또 다른 이유는 기상의
변화는 매우 단시간에 (온도는 짧게는 하루주기 계절을 포함하면 1년주기) 변
하는 반복적인 현상임으로 많은 자료를 통계처리하여 신빙성있는 예보가 가능
하지만 지구의 움직임은 지질시대, 즉 수 천년이나 수 만년 또는 수 억년에
걸치는 변화이기 때문에 성공적인 예보를 위해서 필수적인 통계처리에 이용할
만한 자료가 많지 않다는 것이다.

B- 6 한국자원연구소
지진의 발생 원인

지진예보의 가장 성공적인 예는 1975년 2월 4일 중국의 하이청(海城)에서


발생한 지진이었다. 이 지진이 일어나기 약 1년전인 74년 1월부터 5월 사이에
이 지역일대에서 작은 규모의 지진발생 빈도가 보통 때의 5배에 달했다. 중국
의 국가지진국은 잠정적인 지진예보를 내고 약 2년 이내에 대규모 지진이 발
생할 가능성을 발표했다. 75년 2월로 접어들자 이 지역에서 미소지진이 군발
하여 72시간 동안에 500회나 발생하면서, 지진의 전조현상이 날로 늘어나고
이상한 양상들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우물에서 거품이 끓어오르고 쥐가 쥐구
멍에서 기어 나와 취한 듯이 비틀비틀 돌아다녔으며 뱀은 동면하던 구멍에서
기어 나와 노상에서 얼어죽는 일이 생겼다. 또한 개들이 불안정해하며 계속
지지어대고 닭이 닭장 밖으로 뛰어 나가고 집에서 기르는 말과 토끼 등이 공
포에 떨고 연못과 어항 속의 물고기들이 갑자기 뛰어 오르는 현상들이 생겼
다. 2월 4일 오후 2시 국가지진국은 지방 혁명위원회에 대지진에 대응할 준비
를 지시했다. 군대의 도움을 받으며 긴급 라디오 방송을 통해 그날 밤에 강한
지진이 예상되므로 주민들의 피난을 개시해 약 300만명이 공원과 농지 등으로
피해 나갔다. 디디어 오후 7시 36분 으르렁거리는 소리를 내며 지진이 엄습해
왔다. 도로는 비틀렸고 다리는 무너져 내렸으며 도시와 마을은 남김없이 괴멸
되었다. 하이청에서는 건물의 90%가 전파 또는 반파되었다. 그러나 희생자는
의외로 적었다. 이와 같은 대지진이 인구 300만명이 사는 지역을 덮칠 경우
일반적으로는 수 만명의 사망자가 예측되는 데도 결국 희생자는 300명에 그쳤
다. 이는 지진예보를 이용해 인명피해를 줄인 매우 성공적인 예가 되겠는데
이는 중국처럼 국가가 모든 것을 통제하는 사회주의 국가에서만 가능한 일이
라 할 수 있다.

실제로 사회학자들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인구가 밀집되어 있는 대도시에서


짧은 시간내에 대지진이 발생할 것이라는 예보가 있다면 이로 인해 야기되는
혼란 (급격한 교통량 증가에 따른 교통사고, 생필품의 사재기, 이런 것들을 공
평하게 획득하지 못한 불만세력의 난동 등)에 의한 사회적 손실이 지진예보
없이 지진을 맞는 경우보다 크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된 바 있다. 지진예보에
관한 지진학자들의 또 다른 어려움은 부정확한 예보에 대한 두려움이다. 즉

B- 7 한국자원연구소
지진의 발생 원인

지진예보를 통해 대도시의 전주민이 대피하고 모든 산업활동이 중단된 다음에


예보했던 것보다 작은 지진이 발생하거나 다른 지역에서 지진이 발생할 경우
그 여파는 감당하기 힘든 것이다. 더욱이 현재의 지진예보 적중율에 비추어
보면 실생활에 지진예보를 생활화하기까지는 많은 시간과 연구가 있어야 할
것이다.

실제로 해성지진의 성공적인 예보로 전세계에서 보내오는 환호에 의기양양


해진 중공 정부는 지진예지 캠페인을 더욱 진전시키고자 했다. 1976년 여름,
중공 당국은 광동성에서 명확한 지진의 전조현상이 발견되었다고 경고를 발했
다. 그러나 주민들은 이 전조가 오인이었음을 당국이 인정하기까지 2개월 동
안 텐트 속에서 생활해야 했었다. 또한 75년 해성지진 이후 수개월 동안 해성
서남쪽으로 약 600 km 떨어진 당산(唐山) 지역에 지진의 전조인 듯한 현상들
을 발견했으나 결단을 내리지 못했다. 당산은 인구 약 100만명의 도시로 75년
에도 몇차례 중간 규모의 지진이 있었는데 그들이 해성지진의 여진에 의한 것
인지 혹은 앞으로 닥쳐 올 지진의 전조인지는 판단하기 어려웠다. 1976년 들
어서는 여러 가지 현상들이 관측되었으나 나무 불규칙하고 명확하지 않아 예
보를 내지는 못했다. 7월 28일 새벽에 당산 일대의 주민들은 낮이 아닌가 할
만큼 밝은 빛에 의해 잠이 깼다. 붉은색과 흰색의 이상한 빛이 바다와 하늘에
서 빛났고 이 빛은 약 300km 떨어진 곳에서도 볼 수 있었다. 그 직후 지면은
사람들이 천장에 부딪칠 만큼 격렬하게 흔들렸다. 수천 채의 집들이 종이로
만든 것처럼 짜부라졌다. 50km 2 가 넘는 시가지는 완전히 와록의 산더미가
되어버렸다. 서쪽으로 160km 떨어진 북경(北京)시민의 대다수도 떨어져 내리
는 벽토(壁土)와 부서져 나온 창문유리의 파편 세례를 머리위에 받았다. 낡은
건물은 쓰러지고 큰 백화점 벽에는 폭 넓은 금이 갔다. 760만 북경 주민들은
이 지진의 여진이 완전히 가라앉을 때까지 한동안 집을 떠나 노상이나 공원에
서 생활해야 했다. 16시간이 지난 후, 이번에는 리히터규모 7.4의 여진이 다시
같은 지역을 엄습했고 다시 48시간 이내에 125회에 걸쳐 규모 4.0이 넘는 지
진들이 잇달아 일어났다.

B- 8 한국자원연구소
지진의 발생 원인

중공 정부는 세계에 자랑하던 지진예지 기술이 실패했기 때문에 크게 당혹


했고, 재해를 입은 모든 지역으로부터의 모든 뉴스를 통제하기 시작했고 여행
자들은 소개되었고 외국인에 대해서는 한동안 출입을 금지시켰다. 중공당국의
정식보도는 당산이 재해를 입어 인민의 생명과 재산에 큰 피해가 있었다는 것
이 전부였고 1년 동안 공식발표는 일체 없었다. 인명피해 등 사회적 영향에
관한 상세한 것들은 지금껏 비밀에 붙여져 있지만 서방측 전문가들에 의하면
약 24만-70만 명의 사망자가 있었을 것으로 믿어진다. 즉 당산지진은 최근에
일어난 지진 가운데 세계 최악의 재해지진이었는데 그 예보는 실패했던 것이
다.

때로는 인간에 의해 지진이 야기되기도 하는데 이런 지진을 유발(誘發) 지


진이라고 부른다. 이들은 일반적으로 작은 규모의 지진이지만 가끔은 파괴적
이기도 하다. 최초의 예는 1935년 미국의 콜로라도강에 후버댐 건설과 더불어
일어났다. 이 지역에는 우려할 정도가 아닌 작은 지진들만 일어나던 곳인데
댐 건설 후 저수를 시작한 후 지진의 규모가 커지고, 그 수가 증가해서 1940
년에는 규모 5.0의 지진이 발생했었다. 유발지진 중 최악의 것은 1967년 인도
의 코니아에서 발생한 지진이었다. 원래 이 지역은 지진활동이 없던 지역인데
1962년 댐이 완성되어 물을 채우면서 지진이 발생하기 시작했다. 지진은 해마
다 우기가 끝나면 무리지어 발생했으며, 1967년 12월 11일에는 규모 6.5의 큰
지진이 발생했다. 코니아 지역에는 도시와 마을이 밀집해 있었던 탓으로 이
지진에 의해 177명이 사망하고 1500명 이상이 부상했다. 이는 저수지에 물이
가득해지면 물이 저수지 바닥 암석의 빈 구멍과 작은 균열로 스며들어가서 그
것에 있는 단층의 마찰력을 적게하여 단층이 미끄러지기 쉽게 하면서 암석내
힘의 균형을 무너뜨리는 것이다. 따라서 수압이 한계를 넘으면 단층이 미끄러
지면서 지진이 발생하는 것이다. 우리나라의 경우는 본격적인 연구가 시행되
고 있지는 않지만 대덕연구단지가 위치한 대전일대에 80년대 이후에 작은 지
진이 빈발하는 것은 81년부터 시작한 대청댐의 저수에 의한 가능성을 시사한
다는 점에서 매우 흥미롭다.

B- 9 한국자원연구소
지진의 발생 원인

마그마가 화산으로 폭발할 때는 우리에게 두려운 존재이지만, 그 정도가 약


한 경우에는 인간에게 도움을 주기도 한다. 즉 마그마가 지표에 도달하지 않
고 지각내에 머무르는 경우에는 온천이 발달할 수 있는 조건을 제공하고, 지
열을 공급하여 발전(發電)에 이용되기도 하고, 주위의 암석들을 변질시켜 유용
한 광물자원을 만들기도 한다. 이런 면에서 현재 우리나라에서 추진중인 지열
자원 이용계획도 매우 흥미있는 자연현상의 긍정적인 이용인 것이다. 인간이
외계로 진출하는 20세기 말에도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는 여전히 야누스의 두
얼굴을 우리에게 보이고 있다.

B- 10 한국자원연구소
동역학개론

C . 동역학 개론

국립방재연구소
동역학개론

국립방재연구소
차 례 동역학개론

차 례
C.1 개 요 C-1
C.1.1 정의 C-1
C.1.2 동적하중 C-3
C.1.3 구조물의 이상화 C-3
C.2 단자유도계 C-4
C.2.1 단자유도 구조물의 운동방정식 C-5
C.2.2 단자유도 구조물의 자유진동해석 C-7
C.2.3 단자유도 구조물의 강제진동해석 C-11
C.2.4 응답스펙트럼 C-13
C.3 다자유도계 C-20
C.3.1 다자유도 구조물의 운동방정식 C-20
C.3.2 다자유도 구조물의 자유진동해석 C-22
C.3.3 모드중첩법 C-25
C.3.4 다자유도 구조물의 응답스펙트럼 해석 C-29
C.3.5 다자유도 구조물의 시간이력해석 C-30

그 림 차 례
그림 C.1 동적하중의 종류 C-3
그림 C.2 단자유도계 구조물 C-4
그림 C.3 단자유도계의 자유물체도 C-5
그림 C.4 비감쇠 단자유도계의 자유진동 C-8
그림 C.5 감쇠 단자유도계의 자유진동 C-10
그림 C.6 구조물의 동적거동에서 감쇠의 영향 C-11
그림 C.7 변위 응답스펙트럼의 계산과정 C-13
그림 C.8 El Centro지진(1940) 남북방향 성분에 대한

국립방재연구소
차 례 동역학개론

응답스펙트럼( = 2 % ) C- 14
그림 C.9 El Centro지진(1940) 남북방향 성분에 대한
응답스펙트럼( = 2 %) C- 15
그림 C.10 응답스펙트럼에 대한 감쇠의 영향 C-16
그림 C.11 연성의 변화에 따른 스펙트럼의 변화 C-16
그림 C.12 단순화된 탄성설계스펙트럼 C-17
그림 C.13 N RC 원자력 발전소 설계용 스펙트럼 C-18
그림 C.14 탄성가속도응답스펙트럼과 ATC-3의 수정스펙트럼 C-19
그림 C.15 실제 응답스펙트럼(El Centro 남북방향성분)과
ATC-3의 설계스펙트럼 비교 C-19
그림 C.16 동적하중을 받는 다자유도 구조물과 수학적 모형 C-20
그림 C.17 모드중첩의 개념도 C-25
그림 C.18 응답스펙트럼 해석법의 개요 C-30
그림 C.19 3층 구조물의 진동 C-32
그림 C.20 구조물 진동의 모드별 성분 C-33

표 차 례
표 C.1 구조역학과 구조동역학 C-2
표 C.2 단자유도구조물의 감쇠자유진동 응답 C-10
표 C.3 외부 하중에 따른 단자유도 구조물의 응답 C-12

국립방재연구소
개 요 동역학개론

C.1 개 요

C.1.1 정 의

구조역학은 하중이 구조물에 작용할 때 구조물의 반응을 파악하는 학문이다. 하


중은 크기와 방향, 위치를 가지며, 시간에 무관하게 크기와 방향, 위치가 일정한
정적하중과 시간에 따라 크기나 방향, 위치가 변화하는 동적하중으로 나누어진다.
정적하중이 구조물에 작용하는 문제를 다루는 학문을 구조정역학이라 불러야 하나
일반적으로 구조역학이라 하며, 이에 반하여 동적하중이 구조물에 작용하는 문제
를 다루는 학문을 구조동역학이라 한다. 따라서 구조역학에서는 작용하는 정적하
중에 대하여 구조물의 반응은 그 구조물이 갖는 강성만을 고려하여 해석하면 된
다. 그러나 구조동역학에서는 하중이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동적하중에 대하여 구
조물의 강성과 질량에 의한 관성력을 고려하여 해석하여야 한다. 구조물의 관성력
은 마치 운전중에 감속시 느끼는 힘과 같이 가속도에 반대방향으로 발생하는 힘이
다.

C- 1 국립방재연구소
개 요 동역학개론

표 C.1 구조역학과 구조동역학

구 분 구 조 역 학 구 조 동 역 학

외부하중 ・시간과 무관 ・크기, 방향, 위치 등이 시간의 함수

・탄성복원력(Fs)
내부저항력 ・탄성복원력(FE) ・관성력(FI)
・감쇠력(FD)
・공진(Reson ance)
특이사항 ・동적증폭
・많은 해석시간 소요

F m F F m m FI FI
F S F S F S
k k k
FD FD
힘의 평형관계

F = FI + FD + FS
F = F S = k u st a
= m u d yn + c u d yn + k u d yn

max | u dyn |
동적증폭계수 DA F =
max | u s t a |

C- 2 국립방재연구소
개 요 동역학개론

C.1.2 동 적 하 중

구조물에 작용하는 동적하중은 시간에 따라 연속적으로 반복되는 그림 C.1(a),


그림 C.1(b)와 같은 주기하중과 그림 C.1(c), 그림 C.1(d)와 같은 반복되지 않는 비
주기하중으로 분류한다.

그 림 C.1 동적하중의 종류

C.1.3 구 조 물 의 이 상 화

구조물의 동적거동은 구조물의 동적특성과 동적하중을 고려하여 세운 동적평형


방정식의 해를 구함으로서 파악할 수 있다. 동적평형방정식을 세우기 위해서는 실
제의 구조물을 수학적 모형으로 단순화(이상화)하여야 하는데 이를 모델링이라고
한다.
동적해석을 위한 구조물의 모델링 과정에서 구조물의 질량과 그 질량의 운동을

C- 3 국립방재연구소
단자유도계 동역학개론

표현하는 데 필요한 변위(회전변위 포함)성분의 개수를 자유도(Degree of


Freedom, DOF)라고 한다. 따라서, 구조물은 고려하는 자유도의 개수에 따라 단자
유도계(Single Degree of Freedom System, SDOF)와 다자유도계(Multi Degree of
Freedom System, MDOF)로 구조계를 구분할 수 있다. 초기해석이나 설계단계에서
구조물의 기본적인 동특성을 파악하거나 간단한 구조물의 동적해석에는 주로 단자
유도계로 구조계를 모델링하는 데, 이 때 구조물의 형태와 질량점의 위치, 하중의
방향 등에 주의하여 모델링하면 비교적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다자유도계
로 구조계를 모델링하는 경우에는 구조계의 거동을 실제와 유사하게 표현할 수 있
고 정확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계산과정이 복잡하고 계산시간이 많이 걸리는 단점
이 있다.

C.2 단 자 유 도 계

구조물이 동적하중을 받게 되면 각 시간별로 형상이나 위치가 변화하므로, 임의


의 시간에서의 구조물의 형상이나 위치 변화를 정의하기 위한 독립적인 좌표가 필
요하다. 이 독립적인 좌표를 자유도 라고 부른다. 예를 들어, 그림 C.2와 같이 스
프링에 달린 추가 상하로 움직이면 상하 병진변위 하나만으로 추의 움직임을 표현
할 수 있으므로 자유도가 하나이고, 이와 같은 구조시스템을 단자유도계 시스템이
라 한다.

u (t )

그 림 C.2 단자유도계 구조물

C- 4 국립방재연구소
단자유도계 동역학개론

C.2.1 단 자 유 도 구 조 물 의 운 동 방 정 식

단자유도 구조물의 운동은 그림 C.3과 같이 이상화 할 수 있으며, 작용되는 힘


들로는 동적하중, 관성력, 감쇠력, 탄성력이 있다. 이들 힘들의 평형방정식은 다음
과 같다.

F I (t ) + F D (t ) + F S (t ) = F (t ) (C.1)

관성력( F I )이란 구조물의 운동속도가 변화(즉, 가속도가 발생)하게 되는 것에

저항하려는 관성효과를 힘으로 나타낸 것으로, 크기는 m u (t )이 되며 방향은 가


속도의 반대방향이다. 탄성력( F S )이란 구조물에 변형이 발생하면, 구조계가 이에

저항하여 원위치로 복귀하려는 현상(예 : 스프링이 늘어나면 원 위치로 수축하려


는 현상)을 모형화한 탄성복원력으로, 그 크기는 k u (t )가 되며 방향은 변위와 반
대방향이다. 감쇠력( F D )이란 구조물에 발생된 운동이 더 이상 외력을 가하지 않

을 경우 내부마찰 등으로 인하여 운동에너지가 소멸되므로 운동의 진폭이 점점 작

아지는 현상을 모형화한 구조계 내부의 가상의 힘이며, 그 크기는 c u (t )이고 방


향은 운동속도와 반대방향이다.

u (t )
k
F S

FI F
m F (t )
FD

그 림 C.3 단자유도계의 자유물체도

C- 5 국립방재연구소
단자유도계 동역학개론

이들 힘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F I (t ) = m u (t )

F S (t ) = k u (t ) (C.2)

F D (t ) = c u (t )

위 식에서 m =질량, c =감쇠계수, k =탄성계수이다. 힘의 평형관계로부터 변위

u ( t ) 에 대한 단자유도 구조물의 운동방정식은 다음과 같이 된다.

m u (t ) + c u (t ) + k u (t ) = F (t ) (C.3)

정적하중( F st a )이 동적하중과 함께 작용될 경우 구조물의 변위 u t ot 는 다음과

같이 구분하여 구할 수 있다.

F t ot (t ) = F d yn (t ) + F s t a
(C.4)
u t ot (t ) = u dyn (t ) + u st a

윗 식에서 u dyn (t )는 식 (C.3)에서 F (t ) = F d yn (t 에


) 의한 동적 거동 성분이

고, u st a 는 시간에 따라 변하지 않는 정적변위 성분이다. u s t a 는 정적성분이므로

u sta = u sta = 이
0 되어, u s t a 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F sta
u sta = (C.5)
k

식 (C.4)에서 동적거동 성분은 정적변형이 일어난 후의 위치를 기준으로 한다.


수직거동에 대한 해석을 수행할 때, 중력에 의한 자중은 정적하중이므로 이 영향

C- 6 국립방재연구소
단자유도계 동역학개론

은 동적하중과 분리시켜 정적으로 해석하고, 동적해석에는 자중의 영향을 제외한


동적하중에 대하여만 해석하는 것이 효과적인 방법이다. 물론, 구조부재에 작용되
는 응력산정시에는 정적응력과 동적응력을 합하여야 한다.

C.2.2 단자유도 구조물의 자유진동해석

(1 ) 비 감 쇠 자 유 진 동

단자유도 구조물의 운동방정식은 식 (C.3)과 같이 나타낼 수 있으며, 외부로부터


하중이 작용하지 않은 경우(즉, F ( t ) = 0 인 경우)의 진동을 자유진동(Free

Vibration)이라고 한다. 자유진동은 감쇠효과의 고려 여부에 따라 비감쇠 자유진동


과 감쇠자유진동으로 나누어 생각할 수 있다. 먼저 감쇠의 효과를 고려하지 않는
경우의 비감쇠 자유진동의 경우, F (t )와 F D (t )항이 없어지게 되므로 운동방정식

은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F I + F S = 0 또는 m u + ku = 0 (C.6)

따라서 단자유도 구조물의 자유진동에 관한 운동방정식은 변위 u 에 관한 비제


차 2차 미분방정식이 된다. 위 방정식의 해는 초기조건에 의해 결정되며 시간 t=0
에서의 변위 및 속도가 u o 및 u o 라고 했을 때의 해는 다음과 같다. 그림 C.4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uo
u = u o cos t + s in t = u m ax cos ( t - ) (C.7)

2
u0 uo
여기서, u m a x = u 2o + ( ), t an =
uo
. 위 식에서 는 단자유도구

C- 7 국립방재연구소
단자유도계 동역학개론

조물의 동적특성을 대표하는 중요한 계수로서 고유진동수(Natural Frequ ence)라고


한다. 고유진동수와 주기 T는 식 (C.8)과 같이 표현된다.

k 2 m
= , T = = 2 (C.8)
m k

또한, 식 (C.7)로부터 다음과 같은 관계를 알 수 있다.

u m ax = u m ax (C.9)

2
u m ax = u m ax (C.10)

그 림 C.4 비감쇠 단자유도계의 자유진동

(2 ) 감 쇠 자 유 진 동

감쇠효과를 고려하지 않은 구조물의 자유진동에서는 시간이 지나더라도 초기조


건에 의한 운동의 진폭은 감소하지 않는다. 그러나 이러한 현상은 자연계에서는

C- 8 국립방재연구소
단자유도계 동역학개론

찾아보기 힘들다. 일반적으로 하중이 지속적으로 작용되지 않을 경우, 그림 C.5와


같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초기조건에 의한 자유진동의 진폭은 감소하여 결국에는
정지된다. 이처럼 진폭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하는 주된 이유는 내부마찰 등
으로 인하여 에너지 손실이 발생하기 때문이며, 이와 같은 효과를 운동방정식에
감쇠력의 항 c u 를 포함시킴으로서 고려할 수 있다. 따라서 감쇠효과가 고려된 단
자유도계의 자유진동에 대한 운동방정식은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F I + F D + F S = 0또는 m u + cu + ku = 0 (C.11)

이 미분방정식의 해는 감쇠계수가 c = 2 m 을
n 분기점으로 하여 다른 형태의
동적거동으로 구해지는 데, 이때 분기점이 되는 감쇠값을 임계감쇠값(Critical
Damping ; Cc)이라고 정의하며,

C c = 2m n = 2 mk (C.12)

따라서, 감쇠계수 C는 임계감쇠계수 Cc의 비로서 아래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C = Cc = 2 m n (C.13)

여기서, 를 감쇠비(Damping Ratio)라 부른다.

C- 9 국립방재연구소
단자유도계 동역학개론

그 림 C.5 감쇠 단자유도계의 자유진동

구조물의 동적응답은 시간 t=0 에서의 변위 및 속도가 u o 및 u o 라고 했을

때, 감쇠비에 따라서 표 C.2와 같이 저감쇠 경우(Underdamped Case), 임계감쇠


경우(Critically- Damped Case), 과감쇠 경우(Overdamped Case)의 3가지의 형태로
나타난다. 각 경우에 대한 응답변위의 예를 그림 C.6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표 C.2 단자유도구조물의 감쇠자유진동 응답

구 분 동 적 응 답

- n t
u (t ) = e [ u 0 cos ( d t)
저감쇠의 경우 ; 1
u0 + n u0
+ ( ) s in ( d t )]
0 C Cc = 2 mk d

2
여기서 , d = n 1-

임계감쇠의 경우 ; = 1 .0
- t
n
u (t ) = [ u 0 ( 1 + nt) + u 0t ] e
C = C c = 2 mk

과감쇠의 경우 ; 1 .0 2 2
- n t n - 1t - n - 1t
u (t ) = e (A e + Be )
C Cc

C- 10 국립방재연구소
단자유도계 동역학개론

그 림 C.6 구 조 물 의 동 적 거 동 에 서 감 쇠 의 영 향

C.2.3 단 자 유 도 구 조 물 의 강 제 진 동 해 석

구조계에 외부로부터 하중이 작용하게 되면 그 구조계은 외부하중의 영향에 의


해 진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외부하중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을 강제진동이라고
한다. 감쇠의 효과를 고려할 경우, 단자유도구조물의 운동방정식은 식 (C.3)과 같
으며 이 운동방정식의 해는 작용하중의 형태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초기전이항
(Initial Transition Solution)이 감쇠의 영향으로 소멸된다고 가정했을 때, 여러 형
태의 외부하중에 의한 단자유도구조물의 응답은 다음 표 C.3과 같다.

C- 1 1 국립방재연구소
단자유도계 동역학개론

표 C.3 외부 하중에 따른 단자유도 구조물의 응답

하 중 종 류 동 적 응 답

u (t ) = u m a x s in ( t - )

여기서,
조화하중 F0 2 2 2 - 1/ 2
u m ax = [ (1- ) + (2 ) ]
( F (t ) = F o s in t ) k

- 1 2
= t an 2 , = /
1-
u (t ) = u m a x s in ( t - )

여기서,
조화지반진동
2
m ug 2
( F ( t) = m u g s in t ) u m ax = D = ug D
k

2 2
)2] -
1/ 2
D = [ (1- ) + (2
Du ham el 적분에 의해
1 - (t - )
u (t ) = F ( )e s in D (t - )d
m D 0

비주기 하중
- t
+ u oe cos D t

+
( 1 )[ u
D
o + u o] e
- t
s in D t

C- 12 국립방재연구소
단자유도계 동역학개론

C.2.4 응 답 스 펙 트 럼

(1 ) 응 답 스 펙 트 럼 의 정 의

지진에 의한 지반의 운동과 같은 동적하중에 대해 단자유도 구조물이 가지는 응


답(변위, 속도, 가속도)은 감쇠율이 일정한 경우에 고유진동주기(고유진동수)에 따
라 변하게 된다. 서로 다른 고유진동주기를 갖는 단자유도 구조물의 최대 응답을
고유진동주기와 관련시켜 그린 그림을 응답스펙트럼이라 한다. 따라서, 하나의 주
어진 지진 가속도 기록에 대해서 응답스펙트럼이 얻어지면 그것을 이용하여 단자
유도 구조물이 아닌 다자유도 구조물의 최대 거동도 예측할 수 있다. 즉, 뒤에서
설명할 모드해석법을 사용하면 각 모드별 최대거동을 스펙트럼으로부터 구할 수
있으며, 그 모드별 최대 거동을 SRSS(Square Root of Sum Squares)방법 등을 사
용하여 조합하면 구조물의 최대 거동을 쉽게 예측할 수 있다.
그림 C.7은 시스템의 감쇠율( )이 0.02일 때, El Centro지진(1940)에 대한 상대변
위 응답스펙트럼을 구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그 림 C.7 변위 응답스펙트럼의 계산과정

C- 13 국립방재연구소
단자유도계 동역학개론

일반적으로 컴퓨터를 이용한 수치해석적인 방법을 통해 변위, 속도 및 가속도의


응답 스펙트럼을 구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과정에는 많은 계산이 필요하므로 과거
컴퓨터가 발달되지 못했던 때에는 유사응답스펙트럼 (Pseudo - Response
Spectrum)을 많이 사용하였다. 유사응답스펙트럼이란, 상대변위, 상대속도 및 절대
가속도의 응답스펙트럼을 구할 때 단자유도 구조물의 거동이 조화운동에 가까운
점을 이용하여 조화운동(Harmonic Loading)을 받는 단자유도 시스템에서의 변위,
속도, 가속도 관계를 사용하여 상대변위, 상대속도 및 절대가속도 응답스펙트럼을
결정하는 방법이다. 즉, 상대변위의 응답스펙트럼을 S d 라고 하면 유사속도 및

유사가속도 응답스펙트럼은 다음과 같이 구해진다.


Sv = Sd (C.14)

2
Sa = Sv = Sd (C.15)

그림 C.8은 El Centro지진의 남북방향성분 가속도 기록에 의한 변위, 유사속도


및 가속도 응답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다.

그 림 C.8 El Centro지 진 (1940) 남 북 방 향 성 분 에 대 한 응 답 스 펙 트 럼 ( = 2 %)

C- 14 국립방재연구소
단자유도계 동역학개론

식 (C.14) 및 식 (C.15)의 관계를 이용하면, 응답스펙트럼은 그림 C.9와 같이


"Tripartite Logarithmic Plot" 또는 "Four-way Logarithmic Plot"이라 불리는 그래
프 위에 간단히 나타낼 수 있다. 그림 C.9에 보인 바와 같이 가로축은 고유진동수
(또는 고유주기)를 나타내며, 상대속도, 상대변위, 절대가속도를 서로 45°가 되도
록 배열함으로써 이들을 하나의 그래프에 나타낼 수 있다. 그림 C.10은 감쇠율의
변화에 따른 응답 스펙트럼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그림에서 알 수 있듯이 응답
스펙트럼은 감쇠율이 크면 클수록 감소하게 된다. 그림 C.11은 연성비(Ductility
Ratio)의 변화에 따른 응답스펙트럼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성이
증가할수록 구조물의 지진에 대한 응답은 작아지게 된다.

그 림 C.9 El Centro지 진 (1940) 남 북 방 향 성 분 에 대 한 응 답 스 펙 트 럼 ( = 2 %)

C- 15 국립방재연구소
단자유도계 동역학개론

그 림 C.10 응답스펙트럼에 대한 감쇠의 영향

그 림 C.11 연성의 변화에 따른 스펙트럼의 변화

C- 16 국립방재연구소
단자유도계 동역학개론

(2 ) 설 계 응 답 스 펙 트 럼

설계응답스펙트럼은 해당 지역에서 예상되는 지진의 성질과 지반조건에 따라 결


정되어 진다. 그러나 지역마다 이들을 일일이 결정하는 것은 대단히 번거로운 일
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세계 각국에서 사용하고 있는 설계기준에서는 동역학
이론에 근거하여 표준치(동역학 계수: C)를 결정하고 각 지역의 지진위험도 및 지
반의 성질 등을 고려하여 표준치를 수정하는 방법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일반적
으로 내진설계에 사용되는 스펙트럼은 그림 C.12와 같이 단순화된 스펙트럼에서
유도된다. 그림 C.12를 보면 진동수가 약 1.5Hz와 8Hz 사이에서는 가속도스펙트
럼의 크기가 최대지반가속도의 2.71배 정도로 증가하며, 약 8Hz와 33Hz 사이에서
는 점차적으로 크기가 줄어들어 약 33Hz 이상이면 대략 지반의 가속도와 같아지
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진동수가 1.5Hz이하인 경우에는 가속도스펙트럼이 지반의
최대속도의 약 2.3배 증가된 속도스펙트럼에 의해서 결정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원리는 미국NRC (US - Nuclear Regulatory Commission)의 원자력발전소
설계용 스펙트럼인 그림 C.13에서도 잘 나타나 있다.

그 림 C.12 단순화된 탄성설계스펙트럼

C- 17 국립방재연구소
단자유도계 동역학개론

그 림 C.13 N RC 원 자 력 발 전 소 설 계 용 스 펙 트 럼

그림 C.14는 단순화된 지반조건별 탄성가속도응답스펙트럼과 미국 ATC


(Applied Technology Council)의 보고서(ATC-3)에서 제안한 내진설계용 가속도스
펙트럼을 진동주기에 따라 나타낸 것이다. 그림 C.14에서 점선은 탄성가속도스펙
트럼을 여러 가지 지반 조건에 따라 표시한 것이고, 실선은 ATC-3에서 내진설계
를 위하여 수정한 설계스펙트럼을 나타낸다. 지반운동에 의한 탄성스펙트럼과 설
계스펙트럼은 두가지 차이가 있다.
첫째, 진동주기가 0.15초 이하의 부분에서 사용되는 값을 0.15초와 0.4초 사이의
값과 같게 단순화한 것인데, 이것은 내진설계에 단순한 스펙트럼을 사용하도록 하
는 의미 외에도 진동주기가 대단히 짧은 구조물의 작은 지진에 대한 안정성을 높
임으로써 자주 일어날 수 있는 지진에 대한 피해를 줄이는 효과도 있다. 그러나
멕시코와 같이 지반의 고유진동주기가 긴 지역에서는 원래의 모양(점선)을 그대로
사용하기도 한다.
둘째, 진동주기가 긴 부분의 스펙트럼은 원래 진동주기의 역수에 비례하지만(점
선), ATC-3와 미국의 UBC(Uniform Building Code)88에서는 진동주기의 2/ 3제곱

C- 18 국립방재연구소
단자유도계 동역학개론

에 반비례하는 식을 사용하는 것이다. 그림 C.14에 보인 바와 같이 진동주기가 긴


경우에는 설계용 스펙트럼 값이 이론적인 값보다 약간 크게 만드는 결과를 초래하
게 되는데, 이러한 차이를 두는 이유는 진동주기가 긴 장대구조물에 대한 안전성
을 더 높이 확보하는 효과를 주도록 하자는 것과 진동주기를 구하기 위해서 사용
되는 모델이나 계산방법의 부정확성을 고려하고, 또 그림 C.15에 보인 바와 같이
실제 지진에 의한 가속도스펙트럼이 단순화된 이론적 스펙트럼보다 더 크게 나타
나는 경우 등을 설계에 고려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 림 C.14 탄 성 가 속 도 응 답 스 펙 트 럼 과 A TC-3의 수 정 스 펙 트 럼

그림 C.15 실제 응답스펙트럼(El Centro 남북방향성분)과 ATC-3의 설계스펙트럼 비교

C- 19 국립방재연구소
다자유도계 동역학개론

C.3 다자유도계

C.3.1 다 자 유 도 구 조 물 의 운 동 방 정 식

일반적으로 구조물의 동적해석에 있어서 2개 이상의 이산화된 집중질량이상으로


구조물을 가정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다자유도계 구조물에 대한 동적해
석의 예로서 다음의 그림 C.16과 같은 구조물을 예로 들기로 한다.

F a(t )
uc ub ua

F b (t ) kc mc kb mb ka ma

Fc F b F a

F c (t ) cc cb ca

그 림 C.16 동적하중을 받는 다자유도 구조물과 수학적 모형

각 층의 질량이 1개의 자유도 즉, 횡방방향 변위만을 갖는 것으로 가정하면, 각


층에 대해 다음과 같은 동적평형방정식을 세울 수 있다.

F Ia + F Da + F Sa = F a (t )

F Ib + F Db + F Sb = F b (t또는
) F I + F D + F S = F (t ) (C.16)

F Ic + F Dc + F Sc = F c (t )

C- 2 0 국립방재연구소
다자유도계 동역학개론

관성력항 F I는 단순히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F Ia = m a ua
F Ia ma 0 0 ua
F Ib = m a u b 또는 F Ib = 0 mb 0 ub (C.17)
F Ic 0 0 mc uc
F Ic = ma uc

일반적으로,

F I = [M ] u (C.18)

여기서, [ M ]은 질량행렬을 그리고, { u } 는 가속도 벡터를 나타낸다.

집중질량에 의한 구조물의 모델링에서 질량행렬은 식 (C.17)에서와 같이 대각선


행렬의 형태로 구성되며 대각선 이외의 항에서 연성(Coupling)을 갖는 항이 존재
하지 않는다. 그러나 연속질량에 의한 구조물의 모델링시에는 대각선 이외의 요소
에서도 0이 아닌 요소가 존재하게 된다. 즉, 각 자유도의 관성력들 사이에 연성이
존재하게 된다.
식 (C.16)에서 탄성력은 변위 및 강성계수로 다음과 같이 서술할 수 있다.

F Sa = k aa u a + k ab u b + k a c u c
F Sa k aa k ab k a c ua
F Sb = k b a u a + k b bu b + k b cu또는
c F Sb = k ba k bb k b c ub (C.19)
F Sc k ca k cb k c c uc
F Sc = k ca u a + k cbu b + k cc u c

C- 2 1 국립방재연구소
다자유도계 동역학개론

관성력 벡터의 경우와 같이 식 (C.19)는 더욱 간략화 하여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F S = [K ] u (C.20)

여기서, {F S }는 탄성력 벡터를, [ K ]는 강성행렬을 그리고, {u } 는 변위 벡터

를 나타낸다. 집중질량 행렬의 경우와는 달리 강성행렬 [ K ]는 일반적으로 대각

선 이외의 요소에서 0이 아닌 성분이 존재한다. 즉, 각 변위와의 관계간에 연성


(Coupling)을 갖는다.
관성력 벡터 및 탄성력 벡터의 정의와 같이 감쇠력은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
다.

F D = [C] u (C.21)

식 (C.18), 식 (C.20), 식 (C.21)을 식 (C.16)에 대입하면 식 (C.22)와 같이 단자유


도 시스템의 방정식과 동일한 형태의 행렬로 표현될 수 있으며, 지진하중을 받는
경우에는 식 (C.23)과 같은 운동방정식을 얻을 수 있다.

[M ] u + [C ] u + [K ] u = F (C.22)

[M ] u + [C ] u + [K ] u = - [M ] I ug (C.23)

C.3.2 다 자 유 도 구 조 물 의 자 유 진 동 해 석

구조물의 동적응답은 그 구조물이 갖는 고유주기 및 모드형상에 의해 지배되므


로 다자유도구조물의 동적해석은 선행적으로 고유진동수 및 모드형상의 결정을 위
한 자유진동해석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자유진동해석에서는 외적 하중과 감쇠효

C- 2 2 국립방재연구소
다자유도계 동역학개론

과는 고려하지 않으므로 자유진동해석을 위한 방정식은 식 (C.16)으로부터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M ] u + [K ] u = 0 (C.24)

자유진동에서 변위 및 가속도는 조화운동으로 다음과 표현할 수 있다.

{u } = s in t { u } (C.25)
2
{u}= - s in t { u } (C.26)

위 식에서 { u } 는 진동의 진폭을 나타낸다.

식 (C.25), 식 (C.26)을 식 (C.24)에 대입하면 다음의 식을 얻는다.

2
[K ] { u } - [M ] { u }= 0 (C.27)

위 방정식이 Non-trivial 해를 갖기 위해서는 다음의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2
d et [K ] - [M ] = 0 (C.28)

따라서 자유진동의 해석은 고유치 문제에 관한 방정식으로 귀결되며, 이 해는


다양한 방법에 의해 풀이가 가능하다. N개의 자유도를 갖는 구조물에 대해서는 N
개의 고유진동수의 산정이 가능하며 각 고유진동수 i 에 대해서는 다음의 방정

식으로부터 해당고유진동수에 대한 모드형상벡터 { } i 을 산정할 수 있다.

2
[ [K ] - i [M ] ] { } i = {0} (C.29)

식 (C.29)로부터 구한 모드형상은 진폭의 절대값이 아니며 각 자유도의 변위성

C- 2 3 국립방재연구소
다자유도계 동역학개론

분이 갖는 진폭에 대한 상대값으로 표현된 것이다. 구조물의 고유주기 T i 는 식

(C.29)에서 구한 고유진동수를 이용하여 다음의 관계식으로부터 구할 수 있으며


각 고유주기사이에는 다음의 관계식이 성립한다.

1
i = 2 fi = 2 (C.30)
Ti

T 1 > T 2 > > T i > >T N - 1 > T N (C.31)

C- 2 4 국립방재연구소
다자유도계 동역학개론

C.3.3 모 드 중 첩 법

구조물의 변위는 여러 모드 형태의 조합으로 표현할 수 있다. 즉, 임의의 시간 t


에서의 변위는 다음 식 (C.32)로 표시할 수 있다.

{u ( t ) } = [ { } 1 , { }2 , , { }i , , { }n ]{q ( t ) } = [ ]{q (t ) } (C.32)

위에서 언급한 진동모드 { } i ( i = 1, 2 , , N는


) 질량행렬 [ M ] 및 강성행렬

[ K ] 에 대하여 직교성(Orthogonality)을 갖는다. 즉, 임의의 좌표계에서 두 벡터

{ }i , { }j 를 이용하여 질량행렬이나 강성행렬을 일반화된 좌표계(Generalized

Coordinate)상의 값으로 치환될 때, 두 벡터 { } i , { }j 가 동일 벡터가 아니라

면 ( i j ) 일반화된 좌표계 상에서 영(zero)의 값을 가지게 된다. 직교성이라 불리


는 고유진동모드간의 이와 같은 성질을 이용하면 구조물의 동적거동을 각 모드별
로 분리시킬 수 있다.

그 림 C.17 모드중첩의 개념도

결과적으로 질량행렬과 강성행렬에 대하여 얻어지는 두 식은

{ }Ti [ M ]{ }j = m i ij (C.33)

C- 2 5 국립방재연구소
다자유도계 동역학개론

T
{ }i [ K ]{ }j = k i ij (C.34)

이고, 이를 다시 표현하면 독립된 모드 질량행렬(Modal Mass Matrix)과 모드강성


행렬(Modal Stiffness Matrix)은 식 (C.35) 및 식 (C.36)과 같이 대각행렬(Diagonal
Matrix)로 나타난다.

m1 0 0 0 0
0 m2 0 0 0
{ }T [ M ]{ } = (C.35)
0 0 0 mi 0

0 0 0 0 mN

k1 0 0 0 0
0 k2 0 0 0
{ }T [ K ]{ } = (C.36)
0 0 0 ki 0

0 0 0 0 kN

질량, 감쇠, 강성행렬의 직교성을 이용하면 식 (C.22)와 같은 서로 상관된


(Coupled) 동적 평형방정식을 독립된(Uncoupled) 방정식으로 유도할 수 있다. 먼
저 비감쇠 자유진동 해석으로부터 구한 모드형상 [ ]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선형 좌표변환을 한다.

{u } = [ ]{q }, {u }= [ ]{ q }, {u } = [ ]{ q } (C.37)

이 식을 식 (C.22)에 대입하고, 다시 [ ] T를 각 항의 앞에 곱하면 다음과 같이

C- 2 6 국립방재연구소
다자유도계 동역학개론

된다.

T T
[ ] [ M ][ ]{ q } + [ ] [ C ][ ]{ q }
(C.38)
T T
+ [ ] [ K ][ ]{q } = [ ] [ M ][ I ] u g

여기서, Rayleigh Damping 또는 모드별 감쇠율을 사용하여 구한 감쇠 행렬을


사용한다면, 모드형상 [ ]는 [ M ], [ K ] 및 [ C ] 에 대해서도 직교할 것이

므로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 M ]{ q } + [ C ]{ q } + [ K ]{q } = [ Q ] (C.39)

여기서, [M ]= { }Ti [ M ]{ }i (C.40)

[K ]= { }Ti [ K ]{ }i (C.41)

[C ]= { }Ti [ C ]{ }i (C.42)

[Q ]= { }Ti [ M ][ I ] u g (C.43)

위 방정식은 각 모드 좌표계에 대한 일계 상미분방정식으로 정리가 된다.

m i q i + c i q i + k iq i = Q i (C.44)

여기서, m i , k i , ci 및 Q i 는 각각 i번째 모드에 대한 일반질량(Generalized

Mass), 일반강성(Generalized Stiffness), 일반감쇠(Generalized Damping), 및 일반


하중(Generalized Load)을 나타내며 다음과 같이 구해진다.

C- 2 7 국립방재연구소
다자유도계 동역학개론

T
m i = { }i [ M ]{ }i (C.45)

T
k i = { } i [ K ]{ }i (C.46)

c i = { }Ti [ C ]{ }i (C.47)

Q i = { }Ti [ M ][ I ] u g (C.48)

식 (C.44)는 각 모드에 대하여 독립된 방정식이며, 이 식의 양변을 일반질량 m i

로 나누어 정리하면 다음과 같이 i번째 모드의 자유진동수와 감쇠율로 나타낼 수


있다.

2
qi + 2 i i qi + i qi = Qi/m i = - i u g (t ) (C.49)

식 (C.49)에서 는 i번째 모드의 기여도(Participation Factor)라 하며 다음의 식


i

으로부터 산정할 수 있다.

N
mk ki
k= 1
i = N (C.50)
2
mk ki
k= 1

C- 2 8 국립방재연구소
다자유도계 동역학개론

C.3.4 다 자 유 도 구 조 물 의 응 답 스 펙 트 럼 해 석

지진기록은 같은 지역일지라도 다양하고 우연성을 내포하므로 설계자가 구조물


의 거동을 예측할 때 어느 한 지진기록만을 사용하기보다는 지진에 대한 믿을 만
한 기록과 정보를 총망라하여야 한다. 내진해석을 위한 설계용 응답스펙트럼
(Design Response Spectrum)은 통계적 방법으로 정리되어 지진의 특성을 나타내
게 되는데, 이 스펙트럼은 주어진 지진기록에 대해 모든 단자유도 시스템의 진동
주기(또는 진동수)에 따른 최대거동(변위, 속도 및 가속도)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
한 스펙트럼은 단자유도 구조물을 이용하여 구한 것이지만 다자유도 구조물의 경
우에도 위 절에서 소개한 모드 중첩법의 원리에 근거하여 적용할 수 있다.
응답스펙트럼해석법으로 구조물의 지진하중에 대한 동적해석을 수행하고 응답의
최대치를 구하기 위해서는 먼저 구조물의 진동주기와 모드형상을 구하고 그 주기
를 수평축으로 잡고 그 주기에 해당되는 모드 응답의 최대값을 감쇠율에 따라 스
펙트럼 곡선에 맞추어 구해야 한다. 그리고 이 값을 각 모드별로 모드기여율
(Modal Participation Factor)로 조정하여 전체 모드에 대해 중첩함으로써 최종해를
구한다.
다시 말해서 모드별 구조물의 최대 변위를 구하는 방법을 식으로 나타내면 다음
과 같다.

{u } i , m a x = { } i q i , m ax = { }i iSd ( i , i) (C.51)

여기서 S d ( i , 는
i) 에서의 변위 응답스펙트럼 값이다.
i

각 모드의 응답을 중첩하여 구조물의 전체거동을 구하는 경우, 각 모드별 거동


(변위, 부재력 등)의 최대값을 절대값으로 합할 경우에는 비현실적으로 큰 값을 주
게 되고, 또 이 최대값들은 같은 시간에 발생하는 것이 아니므로 식 (C.52)와 같은
SRSS(Squ are Root of the Sum of the Squares)방법 등에 의하여 근사적으로 구하
기도 한다.

C- 2 9 국립방재연구소
다자유도계 동역학개론

그 림 C.18 응답스펙트럼 해석법의 개요

r m ax = r 21 , m ax + r 22 , m ax + + r 2i , m a x + + r 2N , m ax (C.52)

여기서 r i 는 i번째 모드에 의한 변위, 속도, 가속도, 부재력 등을 나타낸다.

응답스펙트럼 해석법은 모드중첩법의 특별한 경우라 할 수 있으며 지진에 대한


구조물의 응답의 시간적 변화보다 최대치만을 구하고자 할 때에는 이 방법이 가장
신속하고 경제적이다. 실제적으로 구조설계는 이들 최대치에 의하기 때문에 지진
하중에 대한 구조물의 동적 해석법은 모드중첩법에 입각한 스펙트럼해석법이 가장
많이 쓰인다.

C.3.5 다 자 유 도 구 조 물 의 시 간 이 력 해 석

식 (C.22)를 직접 풀어 동적 해를 구하는 데에는 많은 계산량과 그에 따른 컴퓨


터 계산시간이 많이 필요하므로 동적 해를 효율적으로 구하기 위하여 모드중첩법
이 많이 쓰인다. 모드중첩법으로 응답의 시간이력(Time History)을 구하려면 앞에
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식 (C.22)를 서로 독립적인 모드별 방정식으로 분리하여 각
모드별로 구성되는 단자유도 방정식으로부터 응답의 시각력을 구한 후, 식 (C.39)
로부터 각 모드에서의 값을 조합하여 전체 응답의 시간이력을 구한다. 각 모드는

C- 3 0 국립방재연구소
다자유도계 동역학개론

각각의 단자유도계로 분리되어 모드별로 고유의 변형특성인 모드형상 { }i과 고

유의 진동수 i , 고유의 감쇠율인 i 로 거동한다고 본다. 따라서 독립된 N개

의 단자유도 방정식은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2
qi + 2 i i qi + i qi = Qi /m i = - i u(g i(t= ) 1, 2 , ,N ) (C.53)

식 (C.53)의 임의시간 t 에 대한 해는

t
1 i (t - )
q i(t ) =
(m i Di ) 0
Q i( ) e
i
s in Di (t - )d

( 1 )[ q ( 0) +
- i i t - i i t
+ q i ( 0) e cos Di +t i i q i ( 0) ] e s in Di t (C.54)
Di

2
여기서, : 하중지속시간, Di : i 1- i

그러므로 임의시간 t에서의 구조물의 상대변위 {u (t )}는 다음의 식에 의해서


구해진다.
N
{u (t ) } = [ ]{q (t ) } = { }i q i (t ) (C.55)
i= 1

이 방법에서 모든 모드(총 자유도수)에서의 응답을 전부 중첩시키면 이론상 정


확한 응답의 시간이력을 구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의 장점은 각 모드로부터
구성되는 단자유도계에 대한 독립적인 해석이 가능하다는 점으로서 동적거동을 지
배하는 몇 개의 저차 진동모드에 대한 해석만으로도 정확해에 아주 근접한 해를
얻을 수 있다는 점이다. 그러므로 일반적으로 전체 모드를 다 중첩하여 거동을 알
아내지 않고 기여도가 큰 몇 개의 저차모드 만을 중첩하여 정확한 해에 아주 가까
운 근사적 해를 구한다.

C- 3 1 국립방재연구소
다자유도계 동역학개론

이와 같은 모드중첩법에 의한 시간이력해석은 다음과 같이 도식적으로도 설명할


수 있다. 그림 C.19에서 u 1 , u 2 , u 3 는 지진하중에 대한 각 층의 수평방향변위이

고, 각 층의 변위가 시간에 따라 변하는 모양이 도시되어 있다. 이 때, 시각 1, 2,


3에서 구조물이 가지는 변형이 오른쪽 그림에 나타나 있고, 이러한 구조물의 전체
적인 변위는 다시 그림 C.20의 (a), (b), (c)에서와 같이 각 모드별로 분리하여 생각
할 수 있다.

그 림 C.19 3층 구 조 물 의 진 동

이것이 바로 식 (C.55)에 표시된 각 모드별 방정식으로 도식적 표현이라 할 수


있다. 그림 C. 20(a)에서는 첫번째 모드(i=1)에 의한 구조물의 변형과 각 층의 수평
변위를 시간에 따라 나타내고 있는데, 이 때 관심을 가지고 볼 것은 각 층의 변위
는 언제든지 일정한 비례관계를 가지며 그 비례관계가 첫번째 모드 형태에 의해
결정이 된다는 점이다. 그림 C.20의 (b)와 (c)는 각각 두 번째(i=2)와 세번째(i=3)
모드에 의한 구조물의 거동을 나타내는 데, 이 때 그림 C.20의 (a), (b), (c)에서 각
층 변위를 중첩하면 구조물 전체를 해석했을 때의 각 층의 변위(그림 C.19)와 같
아지게 된다.

C- 3 2 국립방재연구소
다자유도계 동역학개론

그 림 C.20 구조물 진동의 모드별 성분

이 방법에 의하면 직접적분법에 의해 구한 결과와 거의 비슷한 정확도를 유지하


면서 컴퓨터 계산시간의 절약으로 매우 경제적인 해석을 할 수 있다. 그러나 각
모드를 중첩하여 해를 구하는 중첩의 원리에 의한 해석이므로 선형 탄성해석에 한

C- 3 3 국립방재연구소
다자유도계 동역학개론

정되고 비선형 해석에는 사용할 수 없다.

C- 3 4 국립방재연구소
지진해석방법

D. 지진해석방법

국립방재연구소
지진해석방법

국립방재연구소
지진해석방법

차 례
D .1 등가정적해석법 D-1
D .2 단일모드 스펙트럼 해석법 D-5
D .2.1 교량 모델링 D-6
D .2.2 고유 주기 D-8
D .2.3 탄성 지진 응답 계수 산정 D-10
D .2.4 설계 지진력산정 D-11
D .3 다중모드 스펙트럼 해석법 D-15
D .3.1 진동모드의 수 결정 D-16
D .3.2 모드별 주기 산정과 탄성지진 응답계수의 결정 D-17
D .3.3 하중작용 방향별 부재력 및 변위 산정 D-19
D .3.4 교량 구조물에서 감쇠계수의 경험적 적용치 D-21
D .4 시간이력해석법 D-23

그 림 차 례
그림 D.1 단일모드 스펙트럼해석법의 흐름도 D-5
그림 D.2 교량의 모델링 D-7
그림 D.3 균일한 정적하중에 의한 처짐형상 D-8
그림 D.4 가정된 모드형상에서의 교량의 횡방향 자유진동 D-9
그림 D.5 실제 관성력이 일으키는 것과 같은 변형형상을 일으키는
등가정적하중 D-13
그림 D.6 다중모드 스펙트럼 해석법의 설계 흐름도 D-15

그림 D.7 시간이력해석법에 의한 내진해석의 흐름도 D-24

표 차 례
표 D .1 교량구조물에서의 감쇠비 D-21

국립방재연구소
지진해석방법

국립방재연구소
등가정적해석법 지진해석방법

D .1 등가정적해석법

등가정적해석법은 지진의 영향을 등가의 정적하중으로 환산한 후에 이를 이용하


여 정적해석을 수행함으로써 구조물의 지진에 의한 거동을 예측하는 방법이다. 이
해석방법은 주로 건축구조물의 내진설계에 이용되고 있는데, 지진하중산정이 간단
하고, 동적해석에 대한 지식이 없더라도 해석이 가능한 편리한 방법이나, 구조물의
동적특성을 제대로 고려하지 못해서 해석한 결과가 부정확할 수 있는 방법이므로
구조물마다 동적특성이 특이한 구조물(비정형구조물)에 대해서는 사용하기가 곤란
한 방법이다.
일반적으로 정형구조물이 지진에 대해 유리한 거동을 하므로 구조계획시에 가능
하면 정형구조물로 계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건축구조계획시 정형구조물
로 할 수 없는 경우에는 등가정적해석법으로는 지진의 영향을 정확히 고려할 수
없으므로 동적해석법을 사용하여야 할 것이다.
등가정적해석법의 과정은 다음과 같다.

(1) 밑 면 전단 력 산 정

V = ( A IRC S ) W
여기서, V : 밑면전단력
A : 지역계수 (각 지진구역별로 0.08 또는 0.12)
C : 동적계수 (구조물의 기본진동주기,T,에 따른 반응증폭계수)
I : 중요도계수 (건축물의 용도, 규모 및 위치에 따라 결정한다)
S : 지반계수 (지반의 성질을 고려하기 위한 계수)
R : 응답수정계수 (구조물의 연성, 감쇠능력, 잉여력 및 초과강도를 반영)
W : 건축물의 전중량 (지진시 관성력을 유발하는 건축물의 총 유효중량)
T : 기본진동주기 (건축물의 형식에 따라 건축물의 높이에 의해 결정한다)

D- 1 국립방재연구소
등가정적해석법 지진해석방법

(2) 층 지 진하 중 의 산 정

W x h kx
Fx = ( n )V
k
Wi h i
i= 1

여기서, Fx : x층의 층지진하중


hi, hx : 건축물의 밑면으로부터 i, x 층까지의 높이
Wi, Wx : i, x 층의 건축물의 중량
V : 밑면전단력
k : 기본진동주기에 따른 계수

(3) 층 전 단력 의 산 정

n
Vx = Fi
i= x

여기서, Vx : x층의 층전단력


Fi : i층의 층지진하중

(4) 전 도 모멘 트 의 산 정

n
Mx = ρ F i ( hi - hx )
i= x

여기서, Mx : x층의 전도모멘트


ρ : 건축물의 층수에 따른 감소계수
Fi : i층의 층지진하중
hi, hx : 건축물의 밑면으로부터 i, x 층까지의 높이

D- 2 국립방재연구소
등가정적해석법 지진해석방법

(5) 층 간 변위 의 산 정

x = R xe 0 . 015 h s x

여기서, δx : x층의 수평변위량


R : 응답수정계수
δxe : 지진하중에 대한 탄성해석으로 구한 x층의 수평변위량
hsx : x층의 높이

D- 3 국립방재연구소
등가정적해석법 지진해석방법

D- 4 국립방재연구소
단일모드 스펙트럼 해석법 지진해석방법

D .2 단일모드 스펙트럼 해석법

단일 모드 스펙트럼 해석법은 구조물의 기본주기(Fundamental Period)만을 구하


여 탄성지진력과 변위를 예측하는 비교적 간단한 방법이며, 주로 교량의 내진설계
에 이용하고 있는 방법이다. 질량, 강성 또는 지간에 따라 기하학적인 형상 등이
급격히 변화하지 않는 보통의 교량 형식에 적용할 수 있다. 단일 모드 스펙트럼법
을 이용한 교량의 내진해석 절차는 다음과 같다.

그 림 D .1 단일모드 스펙트럼해석법의 흐름도

D- 5 국립방재연구소
단일모드 스펙트럼 해석법 지진해석방법

D .2.1 교 량 모 델 링

(1 ) 등 가 모 델 의 설 정

일반적으로 지진 하중을 받는 구조물은 3방향의 직교축으로 동시에 발생하는 지


반운동을 받는다고 가정한다. 그러나 일반적인 지진에 의한 지반 운동의 경우 연
직방향 성분이 크지 않으며 교량의 거동에 미치는 영향이 작으므로 설계시 교량을
2방향의 수평성분에 대하여 설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지반 운동의 2개의 수평 성분에 의한 영향을 고려하기 위하여 교량의 종
방향 및 횡방향의 두 직교 방향에 대하여 별도의 해석을 하여야 하며, 각각의 해
석으로부터 얻어진 힘과 모멘트를 조합함으로써 두 수평방향으로 동시에 발생하는
운동의 영향을 고려할 수 있다.
가장 단순화된 교량 모델은 탄성 스프링에 의해 구속된 단순 질량 모델이다. 이
모델에서는 질량을 단자유도로 보고, 오직 한 방향으로만 움직일 수 있다고 가정
한다. 이 가정은 직선 연속교의 종방향 응답에 대해서는 비교적 정확한 결과를 얻
을 수 있다. 그러나 횡방향 거동에 대한 신뢰성은 몇몇 요인에 따라 달라지며 복
잡한 교량에 대해서는 만족시키지 못할 가능성도 있다.
일반적인 구조물에 있어서 등가 질량과 강성 계수를 잘 선택한다면 단자유도 모
델은 설계 목적을 위해서는 만족스러운 모델이 될 수 있다.
그림 D.2(a)는 교량을 종방향응답에 대한 등가의 스프링-질량 시스템으로 나타낸
것으로, 질량 ML은 상부구조의 총질량과 교각두부의 질량, 교각질량의 약 1/ 2 정
도를 대표하는 것이다. 상부 구조 질량의 종방향 이동량(d)은 스프링-질량 시스템
의 변위로 표현된다. 스프링상수(KL : 강성)는 스프링의 이동방향으로 유효한 구조
요소의 강성(Stiffness)합으로 주어진다. 그림 D.2(a)의 경우 교대에서 미끄러짐(Free
Sliding)이 발생한다고 가정하면 교각만이 KL에 관련된다.
그림 D.2(b)는 같은 교량을 횡방향응답에 대한 등가의 스프링-질량 시스템으로
나타냈다. 이 모델의 유효질량 MT는 종방향 모델과 마찬가지로 상부구조의 총질
량과 교각에 종속된 질량까지 포함된다. 상부 구조 질량의 횡방향 이동량(d)는 스
프링-질량 시스템의 변위로 표현된다. 양쪽 교대는 완전히 강체(횡방향으로 무한강

D- 6 국립방재연구소
단일모드 스펙트럼 해석법 지진해석방법

성)라고 가정하기 때문에 상부 구조는 강체로써 이동하는 것이 아니라 한 쪽 교대


에서 반대편 교대 사이의 힌지(Hinge)로 지지된 보로써 변형된다. 횡방향 강성 KT
는 기둥의 횡방향 강성과 동일 평면상의 상부 구조의 휨강성과의 조합으로 구한
다.

(a) 종방향 응답에 대한 등가모델

(b) 횡방향 응답에 대한 등가모델

그 림 D .2 교량의 모델링

(2 ) 교 량 상 부 구 조 의 등 분 포 하 중 산 정

구조물에 작용하는 등분포하중은 상부 구조의 사하중과 교각무게의 1/ 2, 그리고


교각두부의 무게를 더하여 교량의 길이로 나눈다. 여기서 주의할 점은 종방향과
횡방향으로 내진해석을 하는 경우, 상부 구조 중량 계산에 포함되는 기둥은 각각
의 방향으로 저항하는 교각의 무게만을 포함한다는 것이다.

D- 7 국립방재연구소
단일모드 스펙트럼 해석법 지진해석방법

D .2.2 고 유 주 기

단일 모드 해석법에서 가장 중요한 기본주기산정은 최대 운동에너지와 최대 변


형에너지가 같다는 Rayleigh 해석법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이 해석법은 구조물에
대한 진동 형상을 가정하고 그 형상과 관련된 최대 변형 에너지와 최대 운동에너
지를 계산해서 그 두 에너지가 같다고 놓음으로써 시스템에 대한 고유 진동수를
찾는 것이다. 그리고 Rayleigh 해석법에 의해 구해진 고유진동수를 이용하여 실제
관성력이 작용했을 때와 동일한 초기진동형상을 일으킬 수 있는 정적하중을 구하
여 구조물에 작용시킴으로서 구조물의 설계하중과 변위를 구한다. 이것이 단일모
드해석법의 핵심으로서 자세한 해석절차는 다음과 같다.
구조물의 단위길이당 유효중량을 w (x ) 로 하면 단위길이당 유효질량은 m (x )

[= w (x ) / g ] 로 놓을 수 있다. 초기진동형상은 그림 D.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해석

방향으로 작용하는 단위등가분포하중( p 0 = 1)에 의한 정적변위 v s ( x ) 로 가정할 수

있다.

그 림 D .3 균일한 정적하중에 의한 처짐형상

질량에 의한 관성력이 발생하지 않도록 구조물에 하중 p 0 를 점진적으로 작용

시킨다면, 구조물에 축적된 변형에너지 U 는 외적 하중 p 0 가 한 일 W E 와 같

게 되어 다음 관계식이 성립한다.
L
1 1
U = WE = p V s (x ) dx = p
2 0 0 2 0

D- 8 국립방재연구소
단일모드 스펙트럼 해석법 지진해석방법

L
여기서, = V s (x ) dx
0

만일 구조물이 변형된 상태에서 외적하중이 순간적으로 제거하고 구조물의 감쇠


를 무시한다면, 그림 D.4와 같이 이 구조물은 의 진동수를 가지고 초기정적변위

와 같은 형상으로 진동할 것이다.

그 림 D .4 가정된 모드형상에서의 교량의 횡방향 자유진동

이때, 최대 운동에너지 D m ax 는 구조물이 변형 전의 정지상태일 때의 위치를

지나는 순간 발생하며 그 크기는 다음과 같다.

2 L 2
D m ax = w (x ) V s (x ) 2 dx =
2g 0 2g

L
여기서, = w (x ) V s (x ) 2 dx
0

2
최대 변형에너지 U m ax 와 최대 운동에너지 D m a x 가 같으므로 =
T

로 놓으면 진동주기에 대한 식을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p0 2
=
2 2g

D- 9 국립방재연구소
단일모드 스펙트럼 해석법 지진해석방법

2 p0 g
=

2 p0 g
( )2 =
T

T = 2
p0 g

D .2.3 탄 성 지 진 응 답 계 수 산 정

단순화된 단자유도 모델에 있어서, 수평지진에 대한 설계하중(F)은 일반적으로


상부구조의 무게(W)에 대한 식으로 표현된다.

FORCE = MASS ACCELERATION


= M×a
만약 가속도를 중력 가속도로 나타내면

FORCE = M C g
= C (M g)
= C W

여기서, C 는 가속도계수이다.
현재 시방서에서는 C를 지진하중계수라고 부르며 이것은 지진대, 교량 주기, 지
반 종류에 대한 함수이다. 설계 코드에서 사용하기 위해서 가능한 한 단순한 방법
으로 지진하중계수를 표현하는게 유리하다.

D- 10 국립방재연구소
단일모드 스펙트럼 해석법 지진해석방법

도로교시방서에서는 이 계수를 Cs 라 정의하며 다음 식으로 주어진다.

1. 2 A S
Cs = ( 2 / 3)
T

A : 지진구역도에서 주어진 가속도계수


S : 지반 계수
T : 교량의 주기(sec)

D .2.4 설 계 지 진 력 산 정

구조물의 기본주기가 구해지면 설계응답스펙트럼으로부터 가정된 초기진동형상


에 대한 스펙트럼값을 구할 수 있게 된다. 스펙트럼가속도 S a 와 스펙트럼변위

2
S y는 S y = Sa / 의 관계가 있으므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최대 가속도 S a = C s ×g

최대 변위 S y = S a / ω2 = C s g / ω2

따라서, 최대 변위발생시의 변형형상을 얻을 수 있다.

Cs g
v m ax (x ) = 2 v s (x )

L
여기서, = w (x ) v s (x ) dx
0

D- 1 1 국립방재연구소
단일모드 스펙트럼 해석법 지진해석방법

여기서 계수 (β/ γ) 는 v s (x ) 의 크기가 단위등분포하중인 경우에 관한 것이

기 때문에 일반적인 하중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게 해주는 정규화계수로 볼 수 있


다.
따라서 설계하중과 변위는 단순하게 초기형상과 관련된 하중과 변위에

( C s ×g / ω 2 ) (β/ γ) 을 곱함으로서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최대변위 발생시

변형형상과 관련된 등가정적지진하중 p e (x ) 는

*
p e (x ) = K ×v m ax (x )

이다. 여기서 K * 는 등가 강성이다.

진동수에 관한 식을 ω 2 = K * / m (x )로 나타낼 수 있으므로 이 식을 v m a x (x )

에 대입하면
Cs g
v m ax (x ) = * v s (x ) m (x )
K

여기서, 두 식은 w (x ) = m (x )×g 이므로

p e (x ) = Cs w (x ) v s (x )

와 같이 실제 관성력이 작용했을 때와 같은 변위형상을 일으키는 등가의 정적지진


하중을 구할 수 있다. (그림 D.5)
이 등가정적지진 하중을 설계시에 구조물에 적용시키면 지진에 의한 설계부재력
과 설계변위를 얻을 수 있다.

D- 12 국립방재연구소
단일모드 스펙트럼 해석법 지진해석방법

그림 D.5 실제 관성력이 일으키는 것과 같은 변형형상을 일으키는


등가정적하중

D- 13 국립방재연구소
단일모드 스펙트럼 해석법 지진해석방법

D- 14 국립방재연구소
다중모드 스펙트럼 해석법 지진해석방법

D .3 다중모드 스펙트럼 해석법

다중모드 스펙트럼 해석법은 교량의 기하학적 형상이 복잡하여, 각 모드의 형상


이 3개의 직교좌표축에 복합되어 진동하여 모드들을 단순히 종방향 또는 횡방향
모드로 분류하기 어려운 교량에 대하여 적용한다. 일반적으로 이와 같은 구조물의
전체응답은 여러 개의 모드의 고려하여야 하며, 각 모드의 복합효과 및 최종응답
의 기여도를 결정하기 위하여 공간뼈대요소의 동적해석능력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
램을 이용하여야 한다. 다중모드 스펙트럼 해석법을 이용한 교량의 내진설계시 흐
름도는 다음과 같다.

내진 1 등급교량

그렇다 단일모드
정규 교량 스펙트럼 해석법

아니다
다중모드 스펙트럼 해석법

교량의 공간뼈대 모델링

각 모드형상과 주기 산정

하중작용방향별
각 모드의 응답계산

하중작용방향별 모든 모드에
대한 부재력과 변위 합산

하중조합에 의한
수정설계력과 변위결정

그 림 D .6 다중모드 스펙트럼 해석법의 설계 흐름도

D- 15 국립방재연구소
다중모드 스펙트럼 해석법 지진해석방법

D .3.1 진 동 모 드 의 수 결 정

다중모드 스펙트럼 해석시 사용 가능한 진동모드의 수는 구조계의 전체 자유도


의 수와 같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계산의 효율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구조계의
전체 자유도의 수보다 작은 수의 모드만을 사용하는데 해석에 포함시켜야할 진동
모드의 수를 적합하게 결정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유효모드질량(Effective
Modal Mass)라는 개념을 도입하여 사용한다.

2
({}Ti [ M ]{1 }) i
2
유효모드질량= T =
{ }i [ M ]{ }i mi

유효모드질량은 전체모드에 대하여 합하면, 아래와 같이 구조계의 전체질량이


된다. 일반적으로, 응답스펙트럼해석시에는 해석에 포함된 유효모드질량의 합이 전
체질량의 90%이상이 되도록 모드수를 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N 2
i
> 0 .9 T ot al Mas s
i= 1 mi

대부분의 구조해석프로그램에서는 모드벡터의 정규화과정을 통하여 일반질량행


렬 및 일반강성행렬을 구성하므로(즉, m i = 1, i = i) 모드기여도의 제곱의

합이 전체 질량의 90% 이상이 되도록 모드의 개수를 구해 주어야 한다.

N
2
i > 0 .9 T ot al Mas s
i= 1

일본 도로교 표준시방서 내진설계편 6장을 참조하면 유효모드질량의 합이 전체


질량의 90%이상에 도달하지 못하더라도 진동수가 10Hz이상이 되는 진동모드는
고려하지 않아도 좋다고 제안하고 있다.

D- 16 국립방재연구소
다중모드 스펙트럼 해석법 지진해석방법

한편, 도로교 표준시방서 내진설계편에서는 다중모드 스펙트럼 해석시 고려해야


하는 진동모드의 개수를 최소 지간 개수의 3배로부터 최대 25개까지의 진동모드를
고려해야 한다고 제안하고 있다.

D .3.2 모 드 별 주 기 산 정 과 탄 성 지 진 응 답 계 수 의 결 정

(1 ) 모 드 형 상 별 주 기 산 정

고려하는 방향에 대해 요구되는 교량의 모드형상과 주기들은 지진에 저항하는


전체구조계의 질량과 탄성강성을 이용, 고정지지조건에 대하여 이론적으로 정립된
해석방법으로 계산하여야 한다. 사용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은 다중모드 스펙트럼
해석법에 대하여 모드형상과 주기, 부재력과 변위를 계산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
고 있어야 한다.
모드형상과 주기는 다음 식으로부터 고유치해석을 수행하여 얻게 된다.

2
[ k - m ] v = 0

여기서, k = 강도행렬, m = 질량행렬, v = 변위의 진폭벡터, = 진동수

이 해석으로부터 무차원의 모드형상벡터 1, 2, … , n 과 이에 상응하는 회전


진동수 1, 2, … , n 을 구하게 되며, 이로부터 각 모드의 주기를 다음 식에 의
하여 계산한다.

2
T i = ( i = 1, 2, … , n )
i

D- 17 국립방재연구소
다중모드 스펙트럼 해석법 지진해석방법

(2 ) 하 중 작 용 방 향 별 각 모 드 의 응 답 산 정

지진하중이 작용하는 방향에 대한 교량의 응답의 산정시 각각의 모드의 효과를


고려하여야 하는데, 이때의 모드수는 최소 교량지간수의 3배에 해당하는 모드수로
부터 최대 25개의 모드수까지 포함해야 한다.
비연성 정규모드의 운동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2 P i (t )
Y i (t ) + 2 i i Y i (t ) + i Y i (t ) = ( i = 1, 2, … , n )
Mi

여기서, i = 모드수
Y i = i 번째 모드의 진폭

i = i 번째 모드의 진동수

i = i 번째 모드의 감쇠비
T
P i (t ) = i m r u g (t )
T
Mi = i m i

r = u g (t ) 의 작용방향에 대한 성분들에 대해서는 1,

작용방향의 직각성분들에 대해서는 0을 갖는 벡터

지진운동의 전시간이력동안의 Y i (t ) 의 최대값은 다음과 같다.

T 2i S a ( i , T i) T
i m r
Y i (t ) m a x = 2 T
4 i m i

여기서, S a ( i , T i ) = 가속도 응답 스펙트럼값

T i = i 번째 모드의 주기

D- 18 국립방재연구소
다중모드 스펙트럼 해석법 지진해석방법

규정된 지반운동에 대한 가속도 응답 스펙트럼값 S a ( i , T i ) 는 다음 식으로부

터 구한다.
Sa( i , T i) = g Csi

여기서, C s i = i 번째 모드의 탄성지진응답계수

탄성지진응답계수 C s i 는 감쇠비 i 가 5%인 경우 다음의 경험식으로 정의된다.

1. 2 A S
Csi =
T i2 / 3

여기서, A = 가속도계수
S = 지반계수
T i = i 번째 모드의 주기

단, C s i 값은 2.5A이하 이여야 한다.

D .3.3 하 중 작 용 방 향 별 부 재 력 및 변 위 산 정

부재의 단면력과 변위는 개별 모드들로부터 각각의 응답 성분(예를 들면, 힘, 변


위 또는 상대변위)은 제곱합 평방근(Square Root of The Sum of the Squares :
SRSS)방법으로 조합함으로써 계산한다. 대부분의 교량 시스템에서는 각각의 고유
주기가 명확히 구분되는 잘 분산된 진동모드를 나타내므로 진동모드를 조합하는
SRSS방법을 사용하여 부재력과 변위를 구하는 것은 적절한 방법이다.
탄성 구조물의 부재 단면력과 변위는 개별 진동 모드에 대한 각각의 값들을 중
첩함으로써 계산할수 있다. 각각의 응답성분은 정규모드의 진폭과 선형관계를 가
지므로 다음의 식으로 결정한다.

D- 19 국립방재연구소
다중모드 스펙트럼 해석법 지진해석방법

n
Z (t ) = A i Y i (t )
i= 1

여기서, Z (t ) = 응답성분
Ai = i 번째 모드에 대한 선형관계 계수

Yi = i 번째 모드의 진폭

일반적으로, 각각의 모드에 대한 최대값은 동시에 발생하지 않으므로 부재력과


변위의 최대치를 계산하기 위해서 직접 중첩할 수 없다. 그러므로 개개 모드의 기
여분을 설계시 추천할 수 없다. 힘과 변위에 대하여 만족할 만한 최대치의 산정은
정의된 개개 모드응답들의 제곱합 평방근(SRSS)방법을 택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지진 지속기간동안 Z (t ) 의 최대값은 잘 분산된 진동모드를 갖는 구조계에 대해
서 제곱합 평방근(SRSS)방법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n
| Z (t ) | m ax = A 2i | Y i (t ) | 2 m ax
i= 1

SRSS방법은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교량에 적용할 수 있다. 그러나 교량의 기하학


적 형상이 특수하여 모드간의 간격이 좁게 나타나는 교량(주기의 간격이 10%이내)
의 경우에는 비교적 큰 오차가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교량에 대한
구조물의 응답조합을 위해서는 각 모드의 기여도에 가중치를 주어 조합하는 방법
등이 사용되고 있다.
주로 많이 사용되는 방법으로는 CQC법(Complete Quadratic Combination)이 있
는 데, 그 적용방법은 다음과 같다.

N N
R m ax = ij R i , m ax R j , m ax
i= 1 j= 1

D- 2 0 국립방재연구소
다중모드 스펙트럼 해석법 지진해석방법

여기서, ij 는 Modal Cross Correlation이라 하며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8 2 ( 1 + r) r 2 / 3
ij = 2

( 1 - r 2) + 4 2 r ( 1 + r) 2

또한, r 은 두 모드의 고유진동수의 비 i/ j 를, 는 감쇠비를 나타낸다.

i = j 이고, 감쇠비가 0인 경우 CQC법은 SRSS법과 동일함을 알 수 있다.

D .3.4 교 량 구 조 물 에 서 감 쇠 계 수 의 경 험 적 적 용 치

교량구조물의 감쇠비( )는 구조물을 이루고 있는 재료 및 구조형식에 따라 다르


나 강구조물에서는 3%, 콘크리트 구조물에서는 5%, 기초지반에 대해서는 10%를
사용하면 일반적으로 안전측의 설계가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반적인 교량구
조물에 사용하는 감쇠비 영역을 일본 도로교시방서에서는 내진설계편 6.6.2에 다음
표 D.1과 같이 제시하고 있다.

표 D .1 교량구조물에서의 감쇠비

구 분 강구조 콘크리트 구조

상부구조 0.02 ~ 0.03 0.03 ~ 0.05

하부구조 0.03 ~ 0.05 0.05 ~ 0.1

기초구조 0.1 ~ 0.3

D- 2 1 국립방재연구소
다중모드 스펙트럼 해석법 지진해석방법

D- 2 2 국립방재연구소
시간이력해석법 지진해석방법

D .4 시간이력해석법

시간이력해석법은 구조물의 형상이 복잡하여 모드를 축방향으로 분리하기 힘든


경우나 높은 안전성이 요구되어 비선형 해석을 필요로 하는 구조물에 주로 사용하
는 방법이다. 시간이력해석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입력파형으로 실측된 파형이나
인공지진파형을 필요로 한다.
이 해석법은 지진에 의한 지반운동의 시간적 변화에 따른 구조물의 거동특성을
파악할 수 있는 정확한 해석 방법이지만 해석방법이 어렵고 결과의 분석에 시간과
노력을 많이 필요로 하는 단점이 있다. 그러므로 일반적인 교량의 설계를 위한 해
석방법으로는 적절하지 못하고 중요한 구조물에 대한 정밀해석이나 혹은 이미 설
계된 구조물에 대한 정확한 안전점검의 수단으로 주로 쓰는 방법이다. 교량에 있
어서는 현수교나 사장교와 같이 비선형성이 강한 거동특성을 가지는 교량에 주로
이용된다.
시간이력해석법의 해석방법으로는 모드중첩법과 직접적분법에 의한 방법이 있는
데, 모드중첩법에 의한 방법은 응답해석에 필요한 모드의 갯수가 많을수록 정확한
해를 얻을 수 있다. 또 직접적분법을 이용하면 비선형해석을 수행할 수 있다. 직접
적분법에서의 해의 정확도는 적분시간간격에 크게 영향을 받는 데, 시간간격을 짧
게 하면 해석의 정확도는 높아지지만 시간이 해석시간이 오래 걸리게 된다.
상부구조나 하부구조의 모델링은 다중모드 해석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수행하면
되며, 선형 혹은 비선형 동적해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해석을 수행한다.
시간이력해석법을 이용한 해석의 흐름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면 그림 D.7과 같
다.

D- 2 3 국립방재연구소
시간이력해석법 지진해석방법

그 림 D .7 시간이력해석법에 의한 내진해석의 흐름도

D- 2 4 국립방재연구소
자연재해대책법상 내진설계 관련 규정

E. 자연재해대책법상
내진설계 관련 규정

국립방재연구소
자연재해대책법상 내진설계 관련 규정

국립방재연구소
자연재해대책법 자연재해대책법상 내진설계 관련 규정

1 . 자연재해대책법

제 2조 (정 의)
이 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1. "재해"라 함은 태풍・홍수・호우・폭풍・해일・폭설・가뭄 또는 지
진(지진해일을 포함한다. 이하 같다) 기타 이에 준하는 자연현상으로 인
하여 발생하는 피해를 말한다.

제 33조 (지 진방 재 대책 의 강 화)
① 행정자치부장관 및 관계중앙행정기관의 장은 지진의 발생에 대비하여 지진
방재대책에 관한 조사 및 연구를 하여야 하며, 지진으로 인한 재해의 경감
을 위한 대책을 강구하여야 한다.
② 행정자치부장관 및 관계중앙행정기관의 장은 지진방재대책에 대한 연구 및
지진으로 인한 재해의 경감을 위하여 필요한 때에는 지진관련 자료의 제
공 등 필요한 사항에 관하여 관계행정기관의 장이나 지진관측연구기관의
장에게 협조를 요청할 수 있다. 이 경우 관계행정기관의 장이나 지진관측
연구기관의 장은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이에 응하여야 한다.

제 34조 (내 진설 계 기준 의 설 정)
① 관계중앙행정기관의 장은 지진이 발생할 경우 재해를 입을 우려가 있는 다
음 각 호의 시설에 대한 내진설계기준을 정하여 관계법령 등에 이를 규정하
고 그 이행을 감독하여야 한다.
1. 건축법에 의한 건축물
2. 도로법에 의한 도로
3. 원자력법에 의한 원자로 및 관계시설
4. 특정다목적댐법에 의한 다목적 댐
5. 전기사업법에 의한 발전용 수력설비 및 화력설비
6. 공항법에 의한 공항시설
7. 철도법에 의한 철도

E- 1 국립방재연구소
자연재해대책법 자연재해대책법상 내진설계 관련 규정

8. 도시철도법에 의한 도시철도
9. 한국고속철도건설공단법에 의한 고속철도
10. 항만법에 의한 항만시설
11. 어항법에 의한 어항시설
12. 총포・도검・화약류 등 단속법에 의한 화약류 저장소 및 취급소
13. 석유사업법에 의한 석유정제시설・석유비축시설 및 석유저장시설
14. 수도법에 의한 수도시설
15. 농어촌정비법에 의한 농업생산기반시설
16. 도시가스사업법・고압가스안전관리법 등에 의한 도시가스・고압가스
및 액화석유가스의 저장시설
17. 기타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시설
② 제1항 각호의 시설 중 내진설계기준을 설정하여야 하는 시설 등의 범위는
관계중앙행정기관의 장이 정한다.

제 35조 (지 진관 측 의 통 지)
기상청장 및 지진관측연구기관의 장은 국내・외의 지진, 화산현상 등에 대한
관측결과를 대통령령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지체없이 중앙본부장에게 통지하여
야 한다.

제 36조 (재 해응 급 대책)
① 방재책임자는 관계법령 또는 방재계획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재해가 발생할
우려가 있거나 재해가 발생한 때에는 재해의 발생을 예방하거나 재해를 경
감하기 위하여 다음 각 호의 재해응급대책을 실시하여야 한다.
1. 경보의 발령 또는 전달이나 피난의 권고 또는 지시
2. 수방・지진방재・진화 기타의 응급조치와 구호
3. 피해시설의 응급복구
4. 방역과 방범 기타 질서의 유지
5. 긴급 수송 및 구조수단의 확보
6. 급수수단의 확보

E- 2 국립방재연구소
자연재해대책법 시행령 자연재해대책법상 내진설계 관련 규정

7. 기타 재해의 발생을 예방하거나 재해를 경감하기 위하여 필요한 사항


② 방재책임자는 제1항의 규정에 의한 재해응급대책을 위하여 필요한 때에는
다른 방재책임자나 관계기관의 장에게 협조를 요청할 수 있다. 이 경우 다
른 방재책임자나 관계기관의 장은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이에 응하여야
한다.

2 . 자연재해대책법 시행령

제4 1조 (내 진설 계 의 대 상시 설)
법 제34조 제1항 제17호에서 "기타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시설"이라 함은 다음
각 호의 시설을 말한다.
1. 특정다목적댐법외의 다른 법령에 의한 댐
2. 저수용량 2천만톤 이상의 저수지
3. 특별시 및 광역시 관할구역안의 직할하천의 수문 및 배수펌프장
4. 공유수면매립법・방조제관리법 등 관계법령에 의하여 설치・관리되고 있
는 배수갑문

제42조 (내 진설 계 기준 의 설 정 통 보)
법 제34조제1항의 규정에 의한 내진설계기준과 동조 제2항의 규정에 의한 내진
설계기준을 설정하여야 하는 시설 등의 범위를 정한 중앙행정기관의 장은 이를
중앙본부장에게 통보하여야 한다. 다만, 법령으로 정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
니하다.

제43조 (지 진관 측 의 통 지)
기상청장 및 지진관측연구기관의 장은 다음의 구분에 따라 지진관측결과를 중
앙본부장에게 통지하여야 한다.
1. 관측된 지진중 인체감지가 확인된 것에 대하여는 지체없이 통지
2. 제1호외의 지진에 대하여는 그 달의 관측결과를 다음 달 10일까지 통지

E- 3 국립방재연구소
자연재해대책법 시행령 자연재해대책법상 내진설계 관련 규정

제 52조 (중 앙합 동 조사 단 의 파 견 등)
① 관계행정기관의 장이 법 제54조제2항의 규정에 의하여 소속공무원의 파견요
청을 받은 때에는 당해 피해상황조사에 관하여 전문능력이 있는 자를 선발
하여 파견하여야 한다.
② 행정자치부장관이 중앙합동조사단을 편성할 때에는 그 임무・조사요령 등에
관한 사전교육을 실시하여야 한다.
③ 행정자치부장관은 지진피해에 대한 전문적인 조사를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
정되는 때에는 중앙합동조사단과 별도로 관계전문가를 포함한 지진조사단
을 구성・운영할 수 있다.
④ 이 영에 규정한 것 외에 중앙합동조사단 및 지진조사단의 편성 및 조사방
법, 조사기간 등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행정자치부장관이 정한다.

E- 4 국립방재연구소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