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74

제2판 2016년 건설기준통합코드(KDS, KCS) 적용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P R E S T R E S S E D C O N C R E T E

박우진·이한주 공저
prestressed concrete

머리말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PSC) 구조물은 프리스트레스 압축력을 가함으로써 인장응


력의 발생을 줄이고, 부재의 휨 성능을 증가시킨다. 그래서 사용하중 하에서 발생하는
콘크리트 휨 부재의 처짐과 균열 제어에 매우 효과적인 구조물이며, 보의 휨 성능뿐만
아니라 전단 성능까지 증가시킨다. 또한 동일 인장 철근비를 갖는 철근 콘크리트 휨 부
재에 비해 강성, 사용성 및 내력이 일반적으로 높기 때문에 부재의 단면 크기를 줄일
수 있고, 이는 사용 구조 재료의 양을 줄일 수 있어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구조는
지속가능 구조시스템의 일환으로 최근에 더 큰 관심을 받고 있다.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은 개발 초기에는 재료의 개발 부족으로 인하여 크
게 실용화되지는 못하였으나, 고강도 콘크리트의 개발과 PS 강재의 강도 증가 및 질적
향상, 구조해석 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오늘날 다양한 토목구조물에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본 교재는 토목을 전공하고 있는 토목공학도의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교재이며,
건설기술자의 기초적인 참고서로서 총 8장으로 구성되었다. 1장과 2장에서는 프리스트
레스트 기본개념과 재료의 역학적 성질에 대하여 다루었고, 3장과 4장에서는 프리스트
레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설계일반 및 시공방법, PS 강재의 긴장 및 정착방법을 기술
하였다. 5장에서는 프리스트레스트의 손실을 다루었고, 6장과 7장에서는 휨부재의 해
석과 설계에 관한 내용, 마지막으로 8장에서는 전단 및 비틀림 설계에 대하여 기술하
였다.
각 장마다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공학을 좀 더 쉽게 이해하고 간단하게 표현될
수 있도록 최대한 노력하였으며, 토목기사 및 산업기사 실기에 출제되었던 문제를 핵
심예제로 하여 학생들의 이해를 돕는데 주력하였다. 또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를
처음 공부하는 학생들뿐만 아니라 기존의 기술자들까지도 단계적으로 학습이 가능하도
록 휨 부재의 해석과 설계, 전단 및 비틀림 설계 부분에서는 내용면에서 기초적인 원리
에 충실하여 이에 관련된 예제와 풀이를 수록하여 이해를 도모하였다.
prestressed concrete

본 교재는 2016년 국토교통부의 ‘건설기준 통합코드’에 의해 고시된 ‘설계코드 KDS


(Korean Design Standard)’와 ‘시방코드 KCS(Korean Construction Specification)’,
그리고 2018년 개정된 ‘콘크리트구조 학회기준’을 따라 집필하였고, 개정된 콘크리트
의 기준을 사용하고자 노력하였다.
대학의 강의 교재로 본서를 채택할 경우 강의 기간이 1학기라면 1장부터 5장까지의
내용들을 학습하는데 주력하고, 2학기라면 나머지 6~8장의 내용을 이론과 예제를 병
행하여 학습하면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부족하나마 이 한 권의 책이 토목을 전공한 여러분에게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의
기본개념을 쉽게 이해하고,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해석과 설계에 대한 기
초적 지식을 확고히 정립하는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하며, 여러 가지 오류나
미진한 부분은 앞으로 기회가 있을 때마다 내용을 수정ㆍ보완할 것을 약속한다.
끝으로 이 책의 출간을 위해 많은 노력을 해주신 도서출판 구미서관 관계자 여러분
께 깊은 감사를 드린다.

2019년 2월
박우진, 이한주
prestressed concrete

목 차

CHAPTER 01 서론

1.1❙ 하중 3
1.1.1 이동 상태에 따른 분류 3
1.1.2 작용 시간에 따른 분류 4
1.1.3 작용 방향에 따른 분류 4
1.1.4 작용 위치에 따른 분류 5
1.1.5 작용 상태에 따른 분류 5
1.1.6 형태에 따른 분류 6
1.1.7 기타 하중 7

1.2❙ 구조물 분류 8
1.2.1 보 8
1.2.2 라멘 8
1.2.3 트러스 9
1.2.4 아치 9
1.2.5 기둥 9
1.2.6 케이블 10
1.2.7 쉘 10

1.3❙ 구조물의 강도 10
1.3.1 응력 10
1.3.2 강도 11
1.3.3 강도의 종류 11

1.4❙ 철근 콘크리트와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12


1.4.1 철근 콘크리트의 정의 12
1.4.2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의 정의 13

1.5❙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의 발달 14


1.6❙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용어 설명 15
1.7❙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장점과 단점 16
1.7.1 장점 16
1.7.2 단점 17
prestressed concrete

1.8❙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PSC)와 철근 콘크리트(RC)의


거동 차이 18

1.9❙ 프리스트레싱 방법 19

1.9.1 프리텐션 방식 20
1.9.2 포스트텐션 방식 23
1.9.3 프리스트레싱 작업 시 주의사항 25

CHAPTER 02 재료

2.1❙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의 구성 재료 33


2.1.1 콘크리트용 재료 33
2.1.2 콘크리트의 강도 35
2.1.3 탄성과 소성 38
2.1.4 PSC에 요구되는 콘크리트 특성 40
2.1.5 PSC용 고강도 콘크리트를 얻는 방법 40

2.2❙ PS 강재 41
2.2.1 PS 강재의 종류 41
2.2.2 PS 강재의 성질 51
2.2.3 PS 강재의 품질 검사 54

2.3❙ 기타 재료 55
2.3.1 철근 55
2.3.2 쉬스와 덕트 58
2.3.3 그라우트 61

CHAPTER 03 PSC 설계일반

3.1❙ 설계일반 71
3.1.1 설계 가정 71
3.1.2 PSC 설계에서의 부호 규약 72
prestressed concrete C|O|N|T|E|N|T|S

3.2❙ PSC의 기본 개념 73
3.2.1 응력개념 73
3.2.2 강도개념 84
3.2.3 하중평형개념 87

3.3❙ 하중 단계에 따른 PSC의 거동 96


3.3.1 초기 단계 96
3.3.2 중간 단계 97
3.3.3 최종 단계 97

CHAPTER 04 프리스트레스의 긴장 및 정착방법

4.1❙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의 분류 107


4.2❙ PS 강재의 긴장방법 110
4.2.1 기계적 방법 110
4.2.2 화학적 방법 111
4.2.3 전기적 방법 111

4.3❙ PS 강재의 정착방법 111


4.3.1 쐐기식 공법 112
4.3.2 지압식 공법 114
4.3.3 루프식 공법 115

4.4❙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교량의 시공 118


4.4.1 동바리 공법 119
4.4.2 캔틸레버 공법 120
4.4.3 이동식 비계 공법 122
4.4.4 압출 공법 124
4.4.5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공법 126

4.5❙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교량의 종류 128


4.5.1 PSC Beam교 128
4.5.2 e-Beam교 130
4.5.3 IPC 거더교 131
4.5.4 DR 거더교 132
prestressed concrete

CHAPTER 05 프리스트레스의 손실

5.1❙ 프리스트레스의 도입 139


5.2❙ 프리스트레스의 손실 140
5.2.1 프리스트레스 손실의 원인 140
5.2.2 프리스트레스 용어 설명 141
5.2.3 유효율과 감소율 142
5.2.4 프리스트레스 손실의 대략 값 144

5.3❙ 프리스트레스의 즉시 손실 146


5.3.1 콘크리트 탄성변형에 의한 손실 146
5.3.2 정착장치의 활동에 의한 손실 150
5.3.3 긴장재와 쉬스 사이의 마찰에 의한 손실 152

5.4❙ 프리스트레스의 시간적 손실 157


5.4.1 콘크리트의 건조수축에 의한 손실 157
5.4.2 콘크리트의 크리프에 의한 손실 158
5.4.3 긴장재의 릴랙세이션에 의한 손실 161

CHAPTER 06 휨부재의 해석

6.1❙ PSC 보의 거동 169


6.1.1 PSC 보의 해석 및 설계 시 주요 하중단계 169
6.1.2 균열 발생 전후의 PSC 보의 거동 특성 169

6.2❙ 균열 발생 전의 단면응력의 해석 170


6.2.1 균열 발생 전 해석상의 가정 170
6.2.2 하중단계별 콘크리트에 발생하는 응력 170

6.3❙ 허용응력 179


6.3.1 콘크리트의 허용응력 179
6.3.2 PS 강재의 허용응력 181
prestressed concrete C|O|N|T|E|N|T|S

6.4❙ 균열모멘트 182


6.4.1 균열 등급 182
6.4.2 균열모멘트의 계산 184

6.5❙ 설계기준에 의한 휨강도 188


6.5.1 휨강도의 해석 188
6.5.2 공칭 휨강도와 설계 휨강도 189
6.5.3 강도감소계수와 하중계수 189
6.5.4 PS 강재의 응력  의 계산 192

CHAPTER 07 휨부재의 설계
7.1❙ 설계의 개념 209
7.2❙ 허용응력에 의한 휨설계 210
7.2.1 PS 강재가 포물선으로 배치된 보 210
7.2.2 PS 강재가 직선으로 편심 배치된 보 217
7.2.3 PS 강재의 편심거리 제한 범위 221
7.2.4 절곡 배치된 PS 강재를 갖는 보 224
7.2.5 PS 강재의 간격 및 피복두께 227
7.2.6 최소 부착 철근량 228

CHAPTER 08 전단과 비틀림설계


8.1❙ 전단응력과 주응력 235
8.1.1 기본이론 235
8.1.2 전단균열과 파괴형태 237

8.2❙ 전단설계 238


8.2.1 설계개념 238
8.2.2 콘크리트의 공칭 전단강도 238
8.2.3 전단철근의 전단강도 240
8.2.4 전단철근의 소요단면적 241
8.2.5 최소 전단철근량 241
prestressed concrete

8.3❙ 비틀림설계 242


8.3.1 설계 개념 242
8.3.2 비틀림 철근량 계산 243
8.3.3 비틀림철근 상세 244
8.3.4 비틀림의 영향을 무시할 수 있는 최소 비틀림 모멘트 245
8.3.5 최소 비틀림 철근량 및 간격 245

참고문헌 / 253
기호설명 / 254
찾아보기 / 257
CHAPTER

01
서론

1.1 하중
1.2 구조물 분류
1.3 구조물의 강도
1.4 철근 콘크리트와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1.5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의 발달
1.6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용어 설명
1.7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장점과 단점
1.8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PSC)와
철근 콘크리트(RC)의 거동 차이
1.9 프리스트레싱 방법
CHAPTER

01 서론
학습목표
1. 구조물에 작용하는 하중의 종류와 구조물 종류, 응력과 강도에 대하여 학습한다.
2. 철근 콘크리트와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의 역학적 거동 차이를 이해한다.
3.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의 장점과 단점을 학습한다.
4. 프리텐션 공법과 포스트텐션 공법의 종류와 특징을 학습한다.

1.1 하중(Load)

구조물에 작용하는 힘을 하중이라고 하고, 구조물 설계에 있어서는 구조물에 작용하


는 활하중, 고정하중, 풍하중, 지진하중, 적설하중, 토압과 유체압 외에 프리스트레
스 힘, 작업하중, 진동, 충격, 건조수축, 크리프와 온도변화 및 탄성수축, 받침부의
부등침하 등 각종 하중 및 외적 작용의 영향을 고려하여야 한다. 하중의 단위는
  또는   등을 사용한다.

1.1.1❙ 이동 상태에 따른 분류
(1) 고정하중(Dead load)

사하중이라고도 하며, 구조물을 만들고 있는 재료 자신의 무게, 즉 자중과 같이 항상


일정한 위치에 일정한 크기로 작용하는 하중이다.

(2) 활하중(Live load)

사람, 차량과 같이 구조물 위로 움직이면서 작용하는 하중으로 이동하중과 연행하중


이 있다.
1) 이동하중(moving load):자동차 바퀴와 같이 일정한 크기의 무게가 이동하며 작용
하는 하중이다.
2) 연행하중(train load):기차 바퀴와 같이 바퀴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이동하는
하중이다.

제1장 서론 | 3
prestressed concrete

1.1.2❙ 작용 시간에 따른 분류
(1) 장기하중(Long time load)

고정하중의 자중과 같이 장기적으로 작용하는 하중이다.

(2) 단기하중(Short time load)

활하중과 같이 단기적으로 작용하는 하중이다.

(3) 충격하중(Impact load)

속도가 있는 물체가 구조물 위로 통과할 때, 물체와 구조물 간의 충격으로 인하여 발


생하는 하중이다.

(4) 반복하중(Repeated load)

구조물에 같은 방향의 하중이 반복적으로 작용하는 하중이다.

(5) 교대하중(Alternating load)

구조물에 반대방향의 하중이 반복적으로 작용하는 하중이다.

1.1.3❙ 작용 방향에 따른 분류
(1) 수직하중(Vertical load)

구조물에 수직으로 작용하는 하중을 말하며, 고정하중, 적재하중, 적설하중 등이 있다.

(2) 수평하중(Horizontal load)

구조물에 수평으로 작용하는 하중을 말하며, 풍하중이나 지진하중 등이 있다.

(3) 경사하중(Aligned load)

구조물에 하중이 일정한 각도로 경사져서 작용하는 하중을 말한다.

그림 1.1 작용 방향에 따른 하중의 분류

4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1.1.4❙ 작용 위치에 따른 분류
(1) 중심축하중(Axial load)

부재 단면의 도심에 작용하는 하중을 말하며, 이 경우 편심거리    인 점에서 하


중이 작용한다.

(2) 편심하중(Eccentric load)

하중의 위치가 단면의 도심에서 벗어나 작용하는 하중을 말하며, 이 경우 편심거리


 ≠  인 점에서 하중이 작용한다.

그림 1.2 작용 위치에 따른 하중의 분류

1.1.5❙ 작용 상태에 따른 분류
(1) 직접하중(Direct load)

구조물 부재에 직접적으로 작용하는 하중이다.

(2) 간접하중(Indirect load)

구조물 부재에 하중이 직접 전달이 되지 않고 중간 매개체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전


달되는 하중이다.

제1장 서론 | 5
prestressed concrete

그림 1.3 작용 상태에 따른 하중의 분류

1.1.6❙ 형태에 따른 분류
(1) 집중하중(Concentrated load)

구조물의 한 곳에 집중하여 작용하는 하중으로 자동차 바퀴와 같은 이동하중이 대표


적인 집중하중이다. 단위는 힘의 단위인 N을 사용한다.

그림 1.4 집중하중

(2) 등분포하중(Uniform load)

부재의 길이를 따라 같은 크기로 작용하는 하중으로 고정하중의 자중이 대표적인 등


분포하중이다. 단위는 단위길이당의 힘의 크기인 N/m 등으로 나타낸다.

그림 1.5 등분포하중

(3) 등변분포하중(Trapezoidal load)

일정한 면적에 일정한 비율로 크기가 변하는 하중으로 삼각형 등변분포하중과 사다


리꼴 등변분포하중이 있다. 수압과 토압이 대표적이며, 단위는 등분포하중과 같이
단위길이당의 힘의 크기인 N/m 등으로 나타낸다.

6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a) 삼각형 등변분포하중 (b) 사다리꼴 등변분포하중
그림 1.6 등변분포하중

(4) 모멘트하중(Moment load)

구조물의 특정점을 회전시키려는 하중으로 단위는 모멘트의 단위인 ⋅ 를 사용한다.

그림 1.7 모멘트하중

1.1.7❙ 기타 하중
(1) 풍하중(Wind load)

구조물 주위에 바람이 불 때 바람에 의하여 구조물에 발생하는 하중이다. 구조물에 작


용하는 풍력을 가리켜서 말할 때가 많으며, 특히 구조물의 내풍설계에 많이 사용된다.

(2) 적설하중(Snow load)

구조물에 쌓이는 눈의 무게에 의한 하중이다. 즉, 적설 중량이 구조물에 외력으로서


작용하는 하중으로 다설 구역에서는 장기하중, 일반구역에서는 단기하중이 된다.

(3) 온도하중(Temperature load)

온도 변화에 따라 적용되는 하중으로 열하중이라고도 한다.

(4) 지진하중(Seismic load)

지진에 의해 구조물이 받는 하중으로 구조물의 자체 무게에 진도를 곱해 계산하며,


구조물의 내진설계에 많이 이용된다.

(5) 이밖에 토압, 유체압, 충격하중, 원심력하중, 부등침하, 건조수축, 크리프 등이 있다.

제1장 서론 | 7
prestressed concrete

1.2 구조물 분류

구조물은 인장, 압축 및 휨을 받는 직선부재 또는 곡선부재로 결합된 상부구조물과


상부구조물을 지지하고 있는 하부구조물로 나뉜다. 상부구조물에서 직선부재로 구
성된 구조물로는 보, 라멘, 트러스, 기둥 등이 있으며, 곡선부재로는 아치와 쉘 등이
있다. 하부구조물에는 교대, 교각 등이 있으며, 하부구조물은 상부구조물에 작용하
는 외력과 자중을 기초지반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1.2.1❙ 보(Beam)
단면에 비하여 길이가 긴 직선부재를 지점에 연결하여 부재축에 수직방향으로 작용
하는 외력에 저항하도록 만든 구조물로 교량에 사용될 때는 거더(girder)라고 한다.

그림 1.8 보

1.2.2❙ 라멘(Rahmen)
2개 이상의 수평부재와 수직부재가 고정절점으로 연결되어 있어 구조물에 외력이
작용하여 변형한 후에도 각 절점이 이루는 회전각이 변하지 않는 구조물로 뼈대구조
물(rigid frame)이라고도 한다.

그림 1.9 라멘

8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1.2.3❙ 트러스(Truss)
2개 이상의 직선부재의 양단을 마찰이 없는 힌지(hinge)나 핀(pin)과 같은 힌지절점
으로 연결하여 삼각형 형상으로 결합하여 만든 구조물로 트러스의 각 직선부재는 외
력에 대하여 인장 또는 압축, 즉 축방향력에만 저항한다.

그림 1.10 트러스

1.2.4❙ 아치(Arch)
부재가 직선부재 대신 곡선부재로 구성되어 있으며 휨모멘트를 감소시키고 축방향
력에 대한 저항력이 큰 구조물을 아치라고 한다.

그림 1.11 아치

1.2.5❙ 기둥(Column)
수직방향에 압축력을 받는 직선부재를 기둥이라고 하고, 좌굴발
생 여부에 따라 단주와 장주로 구분된다.

그림 1.12 기둥

제1장 서론 | 9
prestressed concrete

1.2.6❙ 케이블(Cable)
휨모멘트와 압축력에는 저항하지 못하고 오직 장력(tension)에만 견딜 수 있는 구조
물로 현수교나 사장교 등에서 하중을 지지하는 주부재로 사용된다.

그림 1.13 케이블

1.2.7❙ 쉘(Shell)
두께가 얇은 곡면판 구조물로 막력(membrane force)이 크게 발생하는 구조물을 쉘
이라고 한다. 특히 평면 쉘 구조물을 평판(plate)이라고 하고, 건물의 천장 및 바닥
을 슬래브(slab)라고 한다.

그림 1.14 쉘

1.3 구조물의 강도

1.3.1❙ 응력(Stress)
물체에 외력(external force)이 작용하면, 물체는 평형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내부
에 외력의 크기와 같고 방향이 반대인 저항력이 생기는데, 이 저항력을 응력(stress)

10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2
또는 내력(internal force)이라고 한다. 단위는 단위면적당 힘으로 표시하여 N/m ,
Pa로 나타낸다.

1.3.2❙ 강도(Strength)
재료에 외력이 작용하면 재료 내부의 응력도 증가하여 파괴에 이르게 되는데, 이 파
괴 시까지의 응력 중에서 가장 큰 응력을 그 재료의 강도(strength)라고 한다. 즉,
부재나 구조물이 그 기능을 유지하면서 받을 수 있는 최대하중 또는 응력의 크기로
서 구조물이 하중에 저항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1.3.3❙ 강도의 종류
(1) 압축강도(Compressive strength)

부재 축방향으로 부재를 줄이려는 하중이 작용하면 부재 내부에는 이 하중에 저항하


기 위해서 압축응력이 생기는데, 이 압축응력 중 가장 큰 응력을 압축강도라고 하며,
구조물 또는 부재가 압축하중에 저항하는 능력을 말한다.

(2) 인장강도(Tensile strength)

부재 축방향으로 부재를 늘이려는 하중이 작용하면 부재 내부에는 이 하중에 저항하


기 위해서 인장응력이 생기는데, 이 인장응력 중 가장 큰 응력을 인장강도라고 하며,
구조물 또는 부재가 인장하중에 저항하는 능력을 말한다.

(3) 전단강도(Shearing strength)

부재축에 직각방향으로 부재를 절단하려는 하중, 즉 전단력이 작용하면 부재 내부에


는 이 하중에 저항하기 위해서 전단응력이 생기는데, 이 전단응력 중 가장 큰 응력을
전단강도라고 하며, 구조물 또는 부재가 전단력에 저항하는 능력을 말한다.

(4) 휨강도(Bending strength)

부재축에 휨이 발생하도록 모멘트 하중이 작용하면 부재 내부에는 이 휨모멘트에 저


항하기 위해 휨응력이 생기는데, 이 휨응력 중 가장 큰 응력을 휨강도라고 하며, 구
조물 또는 부재가 휨모멘트에 저항하는 능력을 말한다.

제1장 서론 | 11
prestressed concrete

(5) 비틀림강도(Torsional strength)

부재축에 비틀림이 발생하게 되면 부재 내부에는 이 비틀림에 저항하기 위해 비틀림


응력이 생기는데, 이 비틀림응력 중 가장 큰 응력을 비틀림강도라고 하며, 구조물 또
는 부재가 비틀림에 저항하는 능력을 말한다.

(a) 압축강도 (b) 인장강도 (c) 전단강도

(d) 휨강도 (e) 비틀림강도


그림 1.15 강도의 종류

1.4 철근 콘크리트와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1.4.1❙ 철근 콘크리트의 정의
콘크리트는 압축에는 강하지만 인장에는 매우 약하다. 콘크리트의 인장강도는 압축
강도의 1/9~ 1/13 정도이다. 보를 콘크리트만으로 만들었을 경우 콘크리트의 휨압
축강도가 능력을 발휘하기 전에 인장측에 균열이 발생하여 보로써 제 기능을 발휘하
지 못한다. 이러한 약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인장측에 철근(rebar)을 배치하여 인장
을 받게 함으로써 외력에 저항하도록 한 콘크리트를 철근 콘크리트(Reinforced
Concrete)라 하며, 줄여서 RC라고 한다. 즉, 압축은 콘크리트가 받고 인장은 철근이
받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인장측에 발생하는 균열은 막을 수 없으며, 콘크리트에
균열이 발생하면 콘크리트는 힘을 받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RC보에서는 콘크리트
는 인장력을 받지 못하고 철근이 모든 인장력을 받는 것으로 보고 설계한다.

12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그림 1.16 철근 콘크리트 보

1.4.2❙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의 정의


외력에 의해 콘크리트에 발생되는 인장응력을 소정의 한도까지 상쇄시키기 위해 콘
크리트에 사전에 인위적으로 압축력을 가하여 인장부의 콘크리트도 유효하도록 한
콘크리트를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prestressed concrete)라 하며, 줄여서 PS 콘
크리트 또는 PSC라고 한다.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는 PS 강재를 미리 긴장시키
고 콘크리트에 압축응력을 주어 설계하중이나 과대하중이 작용함으로서 생기는 신
장을 막고 인장응력에 의하여 발생하는 콘크리트의 균열을 사전에 방지 또는 허용범
위에 들도록 하여 전단면적을 유효하게 사용한다.

그림 1.17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보

제1장 서론 | 13
prestressed concrete

1.5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의 발달

(1)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의 역사


1) 1850년 프랑스의 Lambot에 의해 철근 콘크리트 발명
2) 1872년 미국의 Jackson이 콘크리트에 최초로 프리스트레싱 시도
3) 1888년 C.E.W. Doehring이 최초로 제안
4) 이론의 정립(고강도 강재 사용):1928년 프랑스 Freyssinet
5) 1938년 프리텐션 방식 개발:독일 Hoyer
6) 1939년 포스트텐션 공법 개발:프랑스 Freyssinet
7) 2차세계대전 후 다양한 방법 및 정착방법 개발:Dywidag, VSL, Freyssinet, BBRV

(2) 초기에 실용화되지 못한 이유


1) 도입된 프리스트레스가 콘크리트의 크리프(creep)와 건조수축(shrinkage)으로
인해 감소
→ 고강도 콘크리트, 고강도 강재의 개발
2) 도입된 프리스트레스가 정착장치의 활동으로 인해 의한 손실
→ 다양한 정착장치의 개발

(3) 우리나라에서의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의 역사


1) 1957년 최초의 PSC 적용(프리텐션 방식):철도침목(서독 Betmoa사의 BBRV 채택)
2) 1957년 프리텐션 방식의 PSC Beam 제작:철도 인입교(L 4.5m)
3) 1961년 PSC보 20m 경간의 육교건설(서울 청량리):BBRV 방식 채택
4) 1962년 3월 최초 PSC 교량(구운교, 가평군소재) 착공:Freyssinet 방식 채택
5) 1962년 6월 PSC BOX 교량(원효대교, 서울소재) 착공:Dywidag 방식 채택
6) 1968년 경부고속도로 건설로 인해 많은 PSC교 채택
7) 1985년 8월 PSC 연속교(금곡천교, 호남고속도로 확장부):VSL 방식 채택
8) 1986년 5월 노량대교 완공:이동지보공(MSS) 공법으로 완공
9) 1989년 11월 PSC 사장교(올림픽대교, 서울소재)를 캔틸레버 공법으로 완공
10) 1999년 동양 최대 지간의 서해대교(PSC Box교) 완공
11) 1999년 한국고속전철 건설(주로 PSC Segmental Box Girder Bridges)
12) 2000년 지간 25m 이상 되는 콘크리트 교량은 거의 PSC교로 건설

14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a) 원효대교 (b) 금곡천교

(c) 노량대교 (d) 서해대교

그림 1.18 프리스트레스트 교량

1.6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용어 설명

(1) PSC(Prestressed concrete, PS 콘크리트)

외력에 의해 발생되는 응력을 상쇄시키기 위하여 미리 계획적으로 압축력을 작용시


킨 콘크리트

(2) 프리스트레스(Prestress, 긴장응력)

하중의 작용에 의해 단면에 생기는 응력을 소정의 한도로 상쇄할 수 있도록 미리 계


획적으로 콘크리트에 주는 응력

(3) 프리스트레스 힘(Prestressing force, 긴장력)

프리스트레싱에 의하여 부재의 단면에 작용하고 있는 힘

제1장 서론 | 15
prestressed concrete

(4) 프리스트레싱(Prestressing, 긴장)

프리스트레스를 주는 일

(5) 프리스트레스 도입(Prestress transfer)

긴장재의 인장력을 콘크리트에 전달하기 위한 조작

(6) 긴장재(Prestressing tendon)

긴장재를 1개 또는 여러 개의 다발로 사용하여 프리스트레싱할 수 있는 상태로 해놓는 것

(7) PS 강재(Prestressing steel)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에 작용하는 긴장용의 강재(강선, 강연선, 강봉)

(8) 프리캐스트 콘크리트(precast concrete)

콘크리트가 굳은 후에 제자리에 옮겨 놓거나 또는 조립하는 콘크리트 부재를 말하며,


PC 콘크리트라고 약칭하기도 함

(9) 쉬스(sheath)

포스트텐션 방식의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부재에서 덕트를 형성하기 위하여 쓰


이는 관

1.7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장점과 단점

1.7.1❙ 장점
(1) PSC는 설계하중에서는 균열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강재의 부식 위험이 적고,
고강도 재료를 사용하므로 내구성이 우수하다.
(2) PSC는 RC에 비해 탄력성과 복원력이 강하므로 충격하중이나 반복하중에 대한
저항성이 크다.
(3) 콘크리트 전 단면을 유효하게 이용하여 단면을 줄일 수 있어 RC 부재보다 경간
을 길게 할 수 있다.
(4) 강재의 긴장력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전단면에 압축응력을 발생시킴으로써 RC에
비해 부재의 전단강도와 비틀림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16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5) 프리스트레싱 시점에 최대응력을 가지므로, 나중에 사용하중 재하 시 PSC 구조
는 충분한 안전성을 갖는다.
(6) PSC는 프리캐스트(precast)를 사용할 경우 거푸집 및 동바리공이 불필요하고
연결시공, 분할시공, 현장타설 시공이 가능하다.

1.7.2❙ 단점
(1) RC에 비하여 단면이 작기 때문에 강성이 작아져서 변형이 크게 일어나고 진동하
기가 쉽다.
(2) 고강도 강재는 고온에 접하면 강도가 갑자기 감소되므로 RC보다 내화성에서 불
리하다.
(3) RC에 비하여 고강도 재료 사용, 정착장치, 쉬스, 그라우팅 등 보조 재료의 추가
로 인해 공사비가 많이 든다.
(4) 외부하중(external load)의 크기와 방향에 민감하므로 설계, 제조, 운반, 가설 시
응력이나 처짐에 대한 세심한 안전성 검토가 필요하다.

(a) 교량 (b) 빌딩 (c) 어스앵커

(d) 탱크구조물 (e) 옹벽 (f) 철도

그림 1.19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를 이용한 구조물

제1장 서론 | 17
prestressed concrete

1.8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PSC)와 철근 콘크리트(RC)의 거동 차이

(1) RC는 균열폭 제한 규정 때문에 고강도 강재를 사용할 수 없는 반면에 PSC는 RC


보다 고강도 재료를 사용한다.
(2) PSC는 전단면이 유효하나 RC는 중립축으로부터 인장측 콘크리트의 저항은 무
시한다.
(3) 하중에 의한 휨모멘트는 부재단면 내의 우력모멘트로 저항한다는 개념은 PSC와
RC가 같다. 그러나 하중이 증가하면 PSC에서는 압축력(C)과 인장력(T)의 변화
는 거의 없고, 대신 모멘트 팔길이(z)가 증가하는 개념인데 비하여 RC에서는 모
멘트 팔길이(z)는 일정하나 C와 T가 증가하는 개념이다.
(4) PSC는 균열 후 PS 강재의 응력이 급격히 커지므로, RC보다 중립축 상승(z가 커
짐)이 빠르고 균열 폭이 커진다.

1.1

다음 사항 중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의 장점이 아닌 것은 어느 것인가?


가. 구조물의 자중이 가볍고 복원성이 우수하다.
나. 철근 콘크리트에 비하여 강성이 크고 진동이 적다.
다. 부재에 확실한 강도와 안전율을 갖게 할 수 있다.
라. 설계하중 하에서는 균열이 생기지 않으므로 내구성이 크다.

풀이 ① RC에 비해 단면이 작기 때문에 변형이 크게 일어나고 진동하기가 쉽다.


② 고강도 강재는 고온에 접하면 강도가 갑자기 감소되므로 RC보다 내화성에서 불리하다.
정답 나

1.2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를 사용하는 가장 큰 이점은 다음 중 무엇인가?


가. 고강도 콘크리트의 이용 나. 고강도 강재의 이용
다. 콘크리트 균열감소 라. 변형의 감소

풀이 PSC는 균열이 발생하더라도 복원성이 우수하여 콘크리트 균열이 감소하고 유효단면이 증가한다.
정답 다

18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1.3

다음은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에 관한 설명이다. 옳지 않은 것은?


가. 탄력성과 복원성이 강한 부재이다.
나. RC부재보다 경간을 길게 할 수 있고 구조물이 날렵하다.
다. RC에 비해 단면이 작기 때문에 변형이 크게 일어난다.
라. RC보다 내화성에 있어서 유리하다.

풀이 긴장재는 고강도 강재이므로 고온에 접하면 강도가 갑자기 감소되므로 RC보다 내화성에서 불리하다.
정답 라

1.9 프리스트레싱 방법

프리스트레싱은 고강도 강재에 인장력을 작용시켜 긴장시킨 채로 부재에 고정(정착,


anchoring)하여 그 반력으로 콘크리트에 압축력을 도입하는 원리이다. 즉, 그림
1.20과 같이 콘크리트 부재 속에서 활동이 가능하도록 배치한 고강도 강재를 부재의
양단을 받침으로 하여 인장력 P를 작용시킨 채 긴장재가 뽑혀 나오지 않게 콘크리트
부재 양단에 그대로 정착시킨다. 그러면 고강도 강재는 인장력 P를 받은 상태로 있
게 되고, 콘크리트는 반력 P로 인하여 압축력 P를 받게 되어 프리스트레스가 작용하
게 되는 것이다.
콘크리트에 프리스트레싱을 주는 방법에는 PS 강재를 긴장하는 시기에 따라 프리
텐션 방식(pre-tension)과 포스트텐션 방식(post-tension)으로 구분된다.

그림 1.20 프리스트레스 도입 원리

제1장 서론 | 19
prestressed concrete

1.9.1❙ 프리텐션(Pre-tension) 방식
(1) 정의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전에 PS 강재를 미리 긴장시키는 방법이다. 즉, PS 강재에 인


장력을 주어 긴장해놓은 채 콘크리트를 치고, 콘크리트가 경화한 후에 PS 강재의 인
장력을 서서히 풀어서 콘크리트에 프리스트레스를 주는 방법으로 콘크리트와 PS 강
재의 부착에 의해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방식이다.

(2) 부재의 제작 순서

1) 인장대(지주) 설치
2) PS 긴장재 배치와 긴장 작업
3) 거푸집 설치
4)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
5) 콘크리트 경화 후 정착단의 정착을 풀어 프리스트레스(긴장력) 도입
6) 강재 절단

(a) 긴장재 직선 배치

(b) 긴장재 절곡 배치

그림 1.21 프리텐션 방식

20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3) 프리텐션 공법에서 주의할 사항

1) PS 긴장재에 균일한 인장력을 주어야 한다.


2) 콘크리트의 수축으로 인한 유해한 응력이 생기지 않게 하기 위해 긴장대 상판과
거푸집 밑면과의 마찰이 가급적 적게 되도록 해야 한다.
3) PS 긴장재의 인장력을 풀기 전에 거푸집 측면판을 떼어 마찰을 적게 하고 자유로
이 변형할 수 있게 한다.
4) PS 긴장재의 인장력을 서서히 풀어서 진동이나 충격이 가지 않도록 한다.
5) 프리스트레스를 준 부재를 운반할 때는 프리스트레스의 분포를 고려하여 지지점
을 정한다.

(4) 프리텐션 공법의 특징

1) 설비가 좋은 공장 내에서 제조되므로 일반적으로 제품의 품질에 대한 신뢰도가


높다.
2) 동일한 형상과 치수의 프리캐스트콘크리트 부재(precast concrete member)를
대량 제조할 수 있다.
3) 포스트텐션 방식에 필요한 쉬스(sheath)나 정착장치 등이 불필요하다.
4) 긴장재의 곡선 배치가 어려워 대형 구조물 제작에는 부적당하다.
5) 부재의 단부에는 소정의 긴장력이 도입되지 않기 때문에 설계에 주의해야 한다.

(a) 제작장 설치 (b) PS 긴장재 배치 및 철근 가공 조립 (c) PS 긴장재 긴장 잡업

(d)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 (e) 프리스트레스트 도입 (f) 제품 운반 및 설치

그림 1.22 프리텐션 공법의 주요 공정

제1장 서론 | 21
prestressed concrete

(5) 프리텐션 공법의 종류

1) 단일몰드 공법(단독식, Individual mold method)


거푸집(mold) 자체를 인장대(20~30m)로 하는 공법이다. 이 공법의 장점은 필요한
상판 면적이 작으므로 작은 제조공장에서 생산 가능하며, 건설현장 가까이에서 제작
할 수 있어 운반비를 절약하고, 촉진 양생법을 써서 반복적인 프리캐스트콘크리트
부재의 거푸집 활용성을 높일 수 있다. 그러나 인장대를 대신하는 강제 거푸집 구입
이 비싸며, 1회의 프리스트레싱으로 1개의 부재 밖에 만들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이 방식에 의해 제조되는 제품으로는 PSC 전주(pole)와 말뚝(pile), 관 등이 있다.

그림 1.23 단일몰드 공법

2) 롱라인 공법(연속식, Long-line method)


가장 보편적인 방법으로 견고한 긴 인장대(100~200m)에 강선을 긴장한 다음에 여
러 개의 거푸집을 인장대에 직렬로 배치하여 동시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방식
이다. 이 공법은 1회의 프리스트레싱으로 여러 개의 부재를 동시에 제작할 수 있어
대량 생산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부재 제작을 위해서는 넓은 면적이 필요하
다는 단점이 있다. 이 방식에 의해 제조되는 제품으로는 PSC 침목 등이 있다.

그림 1.24 롱라인 공법

22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a) PSC 전주 - 단일몰드 공법 (b) PSC 침목 - 롱라인 공법

그림 1.25 프리텐션 공법을 이용한 제품

1.9.2❙ 포스트텐션(Post-tension) 방식
(1) 정의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경화한 후에 쉬스 속에 긴장재를 넣고 나중에 긴장하는 방법이


다. 즉, 콘크리트가 경화한 후에 PS 강재를 긴장하여 그 끝을 콘크리트에 정착함으
로써, 프리스트레스를 주는 방법으로 콘크리트와 PS 강재는 정착장치에 의해 프리
스트레스가 도입된다.

(a)

(b)

(c)

그림 1.26 포스트텐션 방식

제1장 서론 | 23
prestressed concrete

이 방법에서는 PS 강재 긴장시 PS 강재와 콘크리트가 부착되어 있으면 안 되므로 콘


크리트 부재 속에 긴장재를 배치할 구멍을 미리 뚫어놓아야 하는데, 이 구멍을 덕트
(duct)라고 하며, 덕트를 만들기 위해 사용되는 관을 쉬스(sheath)라고 한다.

(2) 부재의 제작 순서

1) 거푸집 설치 및 쉬스 제작
2)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
3) 콘크리트 경화 후 쉬스 속에 PS 긴강재 삽입
4) 긴장재 끝에 잭을 부착하고 긴장재 인장
5) 긴장재를 정착장치로 콘크리트 부재에 정착
6) 쉬스 속을 그라우팅 처리
① 부착된 포스트텐션:쉬스 속을 그라우팅한 경우
② 부착되지 않은 포스트텐션:쉬스 속을 그라우팅하지 않은 경우

(3) 포스트텐션 공법의 특징

1) 쉬스 배치 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경화 후에 강재를 긴장하므로 쉬스와 강재


의 곡선 배치 또는 임의 형태의 배치가 가능하여 장대교, 대형구조물, 특수구조
물과 같은 대형 구조물 시공에 적합하다.
2) 콘크리트가 경화한 후에 강재를 배치하고 긴장하므로 콘크리트 구조물 자체를 지
지대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지주(지지대)가 필요 없다.
3) 프리캐스트콘크리트 부재의 결합과 조립에 편리하게 이용되어 공사현장에서 쉽
게 긴장작업을 할 수 있다.
4) 부착시키지 않은 포스트텐션 부재는 그라우팅이 필요 없으며, PS 강재의 재 긴장
이 가능하다.
5) 부착시키지 않은 포스트텐션 부재는 부착시킨 포스트텐션 부재에 비하여 파괴 강
도가 낮고 균열 폭이 커지는 등 역학적 성능이 떨어진다.
6) 특수한 긴장방법과 정착효과가 필요하다.

24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표 1.1 프리텐션 공법과 포스트텐션 공법의 비교

비교 항목 프리텐션 공법 포스트텐션 공법
부재 제조를 위한 공장 설비 여부 ○ ×
분할시공(세그멘탈) 여부 × ○
정착장치, 쉬스, 그라우팅 작업 여부 × ○
긴장력 도입방법 부착 정착장치
PS 강선 배치방법 직선 곡선
부재 길이 단경간 장경간
부재 제작방법 공장 제작 현장 시공
쐐기식 공법
단일몰드 공법
프리스트레싱 방식(종류) 지압식 공법
롱라인 공법
루프식 공법

그림 1.27 포스트텐션 공법의 정착장치

1.9.3❙ 프리스트레싱 작업 시 주의사항


(1) 긴장재는 이것을 구성하는 각각의 PS 강재에 소정의 인장력이 주어지도록 긴장
하여야 한다. 이때 인장력을 설계값 이상으로 주었다가 다시 설계값으로 낮추는
방법으로 시공을 하지 않아야 한다.
(2) 긴장재에 대해 순차적으로 프리스트레싱을 실시할 경우는 각 단계에 있어서 콘크
리트에 유해한 응력이 생기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3) 특정의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공법에 대해서 정해진 인장장치가 있는 경우에는
그것을 사용하여야 한다. 정해진 인장장치 및 하중계가 없는 경우에는 정확하게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할 수 있는 형식 및 용량의 인장장치를 사용하여야 한다.

제1장 서론 | 25
prestressed concrete

(4) 프리텐션 방식에 있어서 미리 다수의 PS 강재를 고정판에 고정해놓고 그 고정판


을 이동하여 전 PS 강재에 인장력을 동시에 주고자 할 경우에는 각 PS 강재의 처
짐에 의한 길이의 차를 없애기 위하여 고정장치 사이의 몇 개소에 간격재를 두어
각 PS 강재의 처짐을 가지런하게 해두던가 아니면 고정하기 전에 각각의 PS 강
재를 적당한 힘으로 인장해 두어야 한다.
(5) 프리텐션 방식의 경우 긴장재에 주는 인장력은 고정장치의 활동에 의한 손실을
고려하여야 한다. 이와 같은 원인에 의하여 인장력의 손실이 일어나는 경우에는
그 감소량을 미리 계산하거나 또는 실측에 의하여 구하고 이들의 손실을 고려한
소정의 인장력이 주어지도록 긴장재를 인장하여야 한다.
(6) 프리스트레싱 중의 위험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숙련된 기능공이 이들 작업을 담당
하도록 하여야 한다. 프리스트레싱 작업 중에는 어떠한 경우라도 인장장치 또는
고정장치 뒤에 사람이 서있지 않도록 하여야 하며, 동시에 인장장치 뒤편에 방호
판을 세우는 등 충분한 안전대책을 수립하여야 한다.

1.4

PS 콘크리트에 대한 다음 사항 중 옳지 않은 것은?
가. 포스트텐션(post-tension)은 정착부의 정착에 의해 응력을 전달한다.
나. 프리텐션(pre-tension)은 PS 강재와 콘크리트의 부착에 의해 응력을 전달한다.
다. 쉬스(sheath)는 프리텐션 공법에 사용한다.
라. 그라우팅(Grouting)시 압축공기로 쉬스관을 불어내는 것이 좋다.

풀이 쉬스(sheath)는 포스트텐션 공법에 사용한다.


정답 다

1.5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에서 프리텐션 방식의 장점이 아닌 것은?


가. 일반적으로 설비가 좋은 공장에서 제조되므로 제품의 품질에 대한 신뢰도가 좋다.
나. 동일한 형상과 치수로 프리캐스트콘크리트 부재를 대량으로 제조할 수 있다.
다. 쉬스, 정착장치 등이 필요하지 않다.
라. 긴장재를 곡선상으로 배치할 수 있어서 대형 구조물에 적합하다.

26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풀이 프리텐션 방식은 긴장재의 곡선 배치가 어려워 대형 구조물 제작에는 부적합하다.
정답 라

1.6

다음은 프리텐션 방식과 포스트텐션 방식의 장점을 열거한 것이다. 옳지 않는 것은?


가. 프리텐션 방식은 보통 공장에서 제조되므로 제품의 품질에 대한 신뢰도가 높다.
나. 프리텐션 방식은 긴장재를 곡선으로 배치하기가 쉬워서 대형부재 제작에도 적합하다.
다. 프리텐션 방식은 같은 모양과 치수의 프리캐스트콘크리트 부재를 대량으로 제조할 수
있다.
라. 포스트텐션 방식은 프리캐스트 PS 부재의 결합과 조립에 편리하게 이용된다.

풀이 프리텐션 방식은 긴장재의 곡선 배치가 어려워 대형 구조물 제작에는 부적합하다.


정답 나

1.7

다음 PS 부재의 프리텐션 공법의 제작 과정으로 맞는 것은?

① 콘크리트 치기 작업
② 긴장재와 콘크리트를 부착시키는 그라우팅 작업
③ 긴장재를 긴장하여 인장응력을 주는 작업
④ 긴장재에 준 인장응력을 콘크리트에 전달하는 작업

가. ③ - ① - ④ 나. ① - ③ - ②
다. ① - ③ - ④ 라. ③ - ① - ②

풀이 인장대(지주) 설치 → PS 긴장재 배치와 긴장작업 → 거푸집 설치 →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 → 콘크리트


경화 후 정착단의 정착을 풀어 프리스트레스(긴장력) 도입 → 강재 절단
정답 가

제1장 서론 | 27
prestressed concrete

1.8

포스트텐션 공법에 의한 부재의 제작 순서로 옳은 것은?

① 긴장재를 긴장하는 작업 ② 콘크리트 치기 작업


③ 거푸집 조립과 쉬스의 배치 ④ PS 강재와 콘크리트를 부착시키는 작업

가. ③ - ② - ① - ④ 나. ① - ② - ③ - ④
다. ① - ② - ④ - ③ 라. ② - ① - ④ - ③

풀이 거푸집 설치 및 쉬스 제작 →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 → 콘크리트를 경화 후 쉬스 속에 PS 긴강재 삽입 →


긴장재 끝에 잭을 부착하고 긴장재 인장 → 긴장재를 정착장치로 콘크리트 부재에 정착 → 쉬스 속을 그
라우팅 처리
정답 가

1.9

PSC에서 롱라인 공법(long-line system)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가. 거푸집 비용이 너무 많이 들기 때문에 많이 사용되지 않는다.
나. 일반적으로 프리캐스트(precast)부재의 공장제품에 사용되는 방법이다.
다. 여러 개의 부재를 동시에 제작할 수 있다.
라. 프리텐션 방식에 속한다.

풀이 롱라인 공법은 프리텐션 공법으로 대량 생산으로 많이 사용된다.


정답 가

1.10

포스트텐션 공법에서 그라우트(grout)를 행하는 가장 중요한 이유는?


가. 강재의 부식 방지 나. 강재의 정착과 부착
다. 긴장력의 증진 라. 부착력의 확보

풀이 그라우트는 강재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서 수행한다.


정답 가

28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1.1 구조물 강도(strength)의 종류와 그 특징을 설명하시오

1.2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의 장점과 단점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3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PSC)와 철근 콘크리트(RC)의 역학적 거동차이를 비교, 설


명하시오.

1.4 프리텐션(pre-tension) 공법의 정의와 부재의 제작 작업 순서를 차례대로 나열해 보


시오.

1.5 프리텐션 공법의 특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6 프리텐션 공법 중 롱라인 공법(long-line method)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7 포스트텐션(post-tension) 공법의 정의와 부재의 제작 작업 순서를 차례대로 나열해


보시오.

1.8 포스트텐션 공법의 특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9 프리스트레싱 작업 시 주의사항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하시오.

제1장 서론 | 29
CHAPTER

02
재료

2.1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의 구성 재료


2.2 PS 강재
2.3 기타 재료
CHAPTER

02 재료
학습목표
1.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의 기본 구성 재료에 대하여 학습한다.
2. PS 강재의 일반적인 성질에 대하여 학습한다.
3. PSC에 요구되는 콘크리트의 특성과 PS 강재에 요구되는 성질을 구분하여 정리한다.
4. 그라우팅 모르타르나 쉬스 등과 같은 기타 재료의 특성을 학습한다.

2.1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의 구성 재료

PSC는 일반적으로 RC에 비하여 압축강도가 높고 건조수축과 크리프가 작은 고강도


콘크리트를 사용하며, 프리스트레싱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도 고강도 PS 강재를
사용한다. 또한 RC와 달리 고강도 강재에 긴장작업을 통해 프리스트레스를 주기 위
해 쉬스(sheath), 정착장치(anchorage), 접속장치, 그라우팅재 등과 같은 별도의
보조 재료가 필요하다.

2.1.1❙ 콘크리트용 재료
(1) 시멘트

시멘트(cement)란 물질과 물질을 접합시키는 성질을 가진 모든 무기질 결합재를 의


미한다. 건설현장에서 일반적으로 시멘트라고 하는 경우는 포틀랜드시멘트(portland
cement) 및 포틀랜드시멘트계의 혼합시멘트를 말한다. 시멘트의 종류를 분류하면
공기 중에서 경화하는 기경성시멘트(non-hydraulic cement)와 수분에 의해서 경
화하는 수경성 시멘트(hydraulic cement)로 분류하고 있다. 현재 토목, 건축용으로
사용되는 시멘트는 우리나라 산업규격에 다음과 같은 종류가 있다.

제2장 재료 | 33
prestressed concrete

표 2.1 시멘트의 종류

대분류 소분류
1종:보통포틀랜드 시멘트(KS L 5201)
2종:중용열포틀랜드 시멘트(KS L 5201)
포틀랜드시멘트 3종:조강포틀랜드 시멘트(KS L 5201)
(portland cement) 4종:저열포틀랜드 시멘트(KS L 5201)
5종:내황산염포틀랜드 시멘트(KS L 5201)
백색포틀랜드 시멘트(KS L 5204)
고로슬래그 시멘트(KS L 5210)
혼합시멘트
플라이애쉬 시멘트(KS L 5211)
(blended cement)
포틀랜드포졸란 시멘트(KS L 5401)
초속경 시멘트
알루미나 시멘트(KS L 5205)
팽창성 수경시멘트(KS L 5217)
특수시멘트
유정 시멘트
(special cement)
콜로이드 시멘트
석면단열시멘트(KS L 5215)
단열시멘트(KS L 5202)

(2) 골재

콘크리트용 골재(aggregate)란 KS F 2526에 규정되어 있는 것과 같이 모르타르


(mortar) 또는 콘크리트를 제조하기 위해서 시멘트 및 물과 함께 혼합하는 모래, 자
갈, 부순돌, 슬래그, 기타 이와 비슷한 재료를 말한다. 콘크리트에서 골재가 차지하
는 용적 비율은 약 65~85% 정도로서, 콘크리트 용적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재료이기
때문에 골재의 종류나 성질에 따라 콘크리트의 성질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
PSC에 사용되는 고강도 콘크리트를 만들기 위해서는 견고하고 입자가 비교적 둥
근 조골재의 선택이 중요하며 강자갈보다는 표면이 거칠고, 면적이 넓어서 시멘트
풀과의 부착성능이 좋은 쇄석이 권해지고 있으나 워커빌리티의 저하가 고려되어야
한다. 잔골재의 조립률은 대개 3.0 정도가 가장 적당하고, 굵은 골재의 최대 치수는
49.0MPa 정도의 강도발현을 위해서 보통 20mm 또는 25mm를 사용한다.

(3) 혼화재료

혼화재료는 콘크리트나 모르타르를 혼합할 때 시멘트, 물, 골재 및 섬유보강재 이외


의 재료를 적당량 첨가하여 콘크리트의 성질을 개선, 향상시킬 목적으로 사용되는

34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재료이다. 혼화재료는 기존의 시멘트, 물, 골재만으로는 좋은 품질의 콘크리트를 제
조하기에는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최근 가장 많은 변화와 발전을 하고 있는 재료이
다. 혼화재료의 일반적인 사용목적은 콘크리트의 워커빌리티 개선, 강도의 증진 및
내구성 증진, 응결, 경화시간 조절, 발열량 저감, 시멘트의 사용량 절약, 수밀성의
증진 및 철근의 부식방지 등을 들 수 있으며, 기타 콘크리트에 여러 특수한 성능을
부여하는 것이다.
PSC에 사용되는 고강도 콘크리트를 제조할 때는 사용목적에 따라 슬래그, 플라이
애쉬, 실리카 흄 등을 배합해서 사용한다. 혼화재료는 초기강도는 저하되고 후기강
도 증진에 유리하므로 장기 강도발현을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또한 단위 시멘트
량이 큰 고강도 콘크리트의 높은 수화열 발생을 억제할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실리카 흄도 강도 및 내구성 향상을 목적으로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혼화재료를 사용할 경우에는 PS 강재의 부식이나 부착성능 등에 영향을 미치므로
충분히 검토한 후에 사용해야 한다.

2.1.2❙ 콘크리트의 강도
(1) 압축강도

콘크리트 강도란 일반적으로 압축강도를 지칭하는데, 이는 콘크리트 부재의 압축강


도가 다른 강도에 비해 상당히 크고 압축강도로부터 다른 강도의 크기와 강도 및 경화
된 콘크리트의 성질을 개
략적으로 추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콘크리트의 압
축강도는 주로 물-시멘트
비에 의해 지대한 영향을
받으며, 물-시멘트비가 작
을수록 압축강도는 증가하
게 된다. 또한 시멘트 공극
비에 의해서도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는 지배를 받는다.
콘크리트 압축강도는 시험
그림 2.1 콘크리트 응력-변형률 곡선

제2장 재료 | 35
prestressed concrete

방법(KS F 2405)에 따라 충격접촉부와 양생상태 등의 사이에 의해 공시체의 강도와


다르게 나타나기도 한다.
PSC에서 사용되는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는 일반적으로 40MPa 이상이어야 하고,
표준으로 양생한 콘크리트 공시체( ×  )의 재령 28일 강도를 표준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PSC는 프리스트레싱에 의해 콘크리트에 큰 압축응력이 작용하기 때문
에 고강도 콘크리트가 요구되며 설계기준강도는 최소 다음 값 이상이어야 한다.

1) 프리텐션 방식:  ≧  


2) 포스트텐션 방식:  ≧  

고강도 콘크리트는 높은 압축강도를 가지므로 부재의 단면을 축소시킬 수가 있어서,


구조물의 자중을 경감시킬 수 있기 때문에 긴 경간의 구조물이나 고층 건축물에 사
용된다. 또한 고강도 콘크리트는 탄성계수의 값은 커지고 건조수축과 크리프는 적어
지므로 고강도 콘크리트를 사용함으로써 초기처짐이나 장기처짐을 감소시킬 수 있
고, 또 PSC교에서는 프리스트레스의 손실이 적어진다.
실제 현장에서의 콘크리트 강도(  )는 이론적 필요강도를 정확하게 타설, 시공하기
어렵기 때문에 배합 설계시 배합강도는 설계기준강도보다 대략 15% 정도 크게 한다.

(2) 인장강도

콘크리트는 취성재료로 인장강도는 압축강도에 비하여 상당히 낮고, 실험기계 사용


시 조임장치 등의 문제로 인해 그 값은 측정하기 어렵다. 콘크리트의 인장강도는 쪼
갬 인장강도(splitting tensile strength)를 사용한다. 쪼갬 인장강도는  15×30cm
의 원주형 공시체를 옆으로 뉘어서 가압하여 다음 식으로 구한다.


    (2.1)


여기서, :공시체 위의 압축하중


:공시체의 직경,  :공시체의 길이

일반적으로 보통 콘크리트의 쪼갬 인장강도는 다음의 범위에 있다.


    ∼ 
   (2.2)

여기서.  :콘크리트 설계기준강도(MPa)

36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그림 2.2 쪼갬 인장강도 시험

일반적으로 콘크리트의 인장강도는 압축강도의 7~11%에 있으며, 평균 10% 정도이


고, 압축강도가 작을수록 상대적으로 인장강도는 커지게 된다.

(3) 휨인장강도
콘크리트의 휨인장강도는 4점 휨 시험에 의해 결정되며, 파괴계수(modulus of rupture)
라고도 한다. 콘크리트 설계기준에서 콘크리트의 휨인장강도는 보통 콘크리트의 파
괴계수로 다음과 같이 표현되며, 쪼갬 인장강도의 1.25~1.75배 정도이다.

   
   (2.3)

여기서.  :콘크리트 파괴계수(MPa)

그림 2.3 휨 인장강도 시험

(4) 전단강도

전단응력은 다른 응력과 분리하여 계산되기 어렵기 때문에 실험적으로 결정하기가


쉽지 않다. 왜냐하면 전단응력과 압축응력이 함께 존재하는 경우 전단강도가 압축

제2장 재료 | 37
prestressed concrete

강도의 35%에서 80%까지의 상당히 높은 값까지 변화하기 때문이다. 순수 전단을 받


는 부재는 횡방향으로 분할하면서 부서지므로 전단응력은 작은 값으로 제한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전단강도는 콘크리트의 인장강도보다 20~30% 크게 고려되며 압
축강도의 12% 정도이다.

표 2.2 압축강도와 기타 강도 비교

콘크리트 인장강도/압축강도 휨인장강도/압축강도 전단강도/압축강도


     
보통 콘크리트  ∼ ∼ ∼
   
   
  
     
경량골재 콘크리트  ∼ ∼ ∼
   
   
  

2.1.3❙ 탄성과 소성
(1) 응력-변형률 곡선

재료의 역학적 성질을 알아내기 위한 대표적인 실험이 응력-변형률 선도를 알아내


는 실험이다. 콘크리트는 설계 시에 주로 압축력을 받도록 그 역할이 결정되기 때문
에 강재의 경우와는 달리 인장실험이 아닌 압축실험을 중요하게 고려한다. 국내에서
는 KS F 2405에 준하여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평가실험을 실시하고 있다. 콘크리트
의 압축강도 실험은 공시체의 높이가 지름의 2배인 원주형 공시체를 사용하는 것을
표준으로 하며, 표준 공시체로써는  ×   를 채용하고 있다.

그림 2.4 압축실험을 통한 콘크리트의 응력-변형률 선도

38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콘크리트는 연성재료(ductile material)인 강재에 비하여 인장시 비교적 적은 변형
률 값에서 파괴되는 취성재료(brittle material)로서 이러한 재료들은 비례한도를
지나서 조금밖에 더 늘어나지 않고 파단된다. 이때의 파단응력은 거의 극한응력과
같게 되며, 인장에서보다 압축력에서 훨씬 더 큰 극한응력을 가지며 압축시 연성재
료와는 달리 최대 하중에서 실제로 파단이 되거나 파괴된다.

(2) 탄성계수

콘크리트의 성질을 표현하는 주요한 계수의 하나인 탄성계수  는 탄성범위 내에서


변형률에 대한 응력의 변화로서 정의된다. 탄성계수는 원래 곡선의 접선으로서 적용
될 수 있는데, 이때 곡선까지의 초기경사는 초기접선탄성계수로서 정의된다. 주어
진 응력까지 원래의 선을 연결하는 직선의 경사는 콘크리트의 탄성계수를 결정한다.

그림 2.5 콘크리트의 접선 및 할선 탄성계수

1) 콘크리트의 단위질량   의 값이 1,450~2,500   인 콘크리트의 할선탄성계


수는 다음 식으로 계산할 수 있다.
 
    
     (2.4)

여기서,  :콘크리트 단위질량(   )


  :재령 28일 콘크리트의 평균 압축강도
  ≤  이면       
  ≥  이면       
 ≤   ≤  이면 직선보간으로 구함

제2장 재료 | 39
prestressed concrete

  :콘크리트 설계기준강도

2) 보통중량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     )의 경우는 다음 식을 이용

할 수 있다.

   
   (2.5)

3) 크리프 계산에 사용되는 콘크리트의 초기접선탄성계수와 할선탄성계수와의 관


계는 다음 식과 같다.

      (2.6)

여기서,   :콘크리트의 초기접선탄성계수  


  

2.1.4❙ PSC에 요구되는 콘크리트 특성


(1)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에 사용하는 콘크리트는 높은 프리스트레스 응력을 받
을 수 있도록 압축강도가 높은 고강도 콘크리트이어야 한다.
(2) 콘크리트의 건조수축 및 크리프 변형이 적은 안정된 콘크리트이어야 하며, 경우
에 따라 조강성과 수화열이 적어야 한다.
(3)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에 사용하는 콘크리트의 배합은 PS 긴장재, 쉬스, 철
근, 정착장치 등의 주위에 콘크리트가 잘 채워질 수 있도록 정해야 한다.
(4) 프리스트레싱시의 정착부 부근의 콘크리트의 강도는 정착에 의해 생기는 지압응
력에 견디는 강도 이상이 되어야 한다.

2.1.5❙ PSC용 고강도 콘크리트를 얻는 방법


(1) 배합설계 시 유의사항

1) 물 - 시멘트비(w/c)는 가능한 45% 이하가 되도록 적게 한다.


(현장:35~40%, 공장:33~35%)
2) 단위 시멘트량은 필요한 범위 내에서 최소가 되도록 사용한다.
3) 시공이 가능한(workability) 범위 내에서 사용수량을 될 수 있도록 적게 한다.
4) 양질의 골재와 적당한 골재 입도를 사용한다.

40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2) 시공 시 유의사항

1) 진동다짐을 통해 밀도가 높은 콘크리트를 만든다.


2) 균질의 콘크리트를 위해 품질관리와 시공관리를 엄격하게 한다.
3) 부재의 균등한 습윤양생을 통해 국부적 건조수축을 막는다.

2.1

콘크리트의 설계기준강도가 29Mpa이고, 단위질량이 2,200  일 때 콘크리트의 탄성


계수를 계산하시오.

   
풀이     
     × 

×    
여기서,            

2.2

콘크리트의 설계기준강도      일 때, 적용해야 할 콘크리트 탄성계수   를 계

산하시오(단, 콘크리트의 단위중량은    이다).

   
풀이        ×     
여기서,            

2.2 PS 강재

2.2.1❙ PS 강재의 종류
프리스트레스트콘크리트에 긴장재로 이용되는 PS 강재는 PS 강선, PS 강연선 및
PS 강봉의 3종류로 구분된다.

(1) PS 강선

PS 강선(steel wire)에는 원형과 이형이 있으며, 보통 PS 강선(uncoated stress

제2장 재료 | 41
prestressed concrete

relieved steel wire)이라고 하면 지름 2.9~9mm 정도의 원형 PS 강선을 말한다. PS


강선은 하나 또는 여러 개를 나란히 놓아 한 다발로 해서 긴장재를 구성하며 프리텐션
방식과 포스트텐션 방식에 모두 사용된다. 이형 PS 강선은 콘크리트와 부착강도를 높
이기 위하여 표면에 돌기 또는 곰보를 연속 또는 일정 간격으로 붙인 것을 말한다. 일
반적으로 많이 쓰이는 이형 PS 강선은 표면에 돌기를 붙인 리브드 와이어(ribbed
wire) 또는 표면에 곰보를 붙인 인텐티드 와이어(intented wire)이며, 주로 프리텐션
방식에 쓰인다. PS 강선은 인장강도가 크고 곡선 배치가 용이한 점이 특징이다.

그림 2.6 PS 강선

(2) PS 강연선

PS 강연선(steel strand or stranded cable)은 2개의 소선을 꽈배기 모양으로 꼰 2연


선(2strand)과 1개의 소선 둘레에 6개의 소선을 S연으로 꼬아 만든 7연선(7strand)
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7연선의 중심에 두는 소선을 심선, 둘레에 두는 6연선 소선을
측선이라고 하며, 심선은 측선보다 지름이 약간 큰 것을 사용한다. 그 밖에 3연선, 19
연선 등도 있다. 작은 지름의 PS 강연선은 프리텐션 방식과 포스트텐션 방식에 다 쓰
이며, 큰 지름의 PS 강연선은 포스트텐션 방식에 많이 쓰인다. PS 강연선은 가용성이
있기 때문에 곡선배치가 쉽고, 시공성이 좋아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림 2.7 PS 강연선

42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1) PS 강선 및 PS 강연선의 종류, 기호 및 호칭
PS 강선 및 PS 강연선은 KS D 7002의 규정에 적합한 것이어야 하며, PS 강선 및 PS
강연선의 종류와 기호는 표 2.3, 호칭은 표 2.4와 같다.

표 2.3 PS 강선 및 PS 강연선의 종류와 기호 (KS D 7002)

종 류 기 호 단 면

A종 SWPC1AN, SWPC1AL
원형선
PS 강선 B종 SWPC1BN, SWPC1BL

이형선 SWPD1N, SWPD1L

2연선 SWPC2N, SWPC2L

이형3연선 SWPD3N, SWPD3L

A종 SWPC7AN, SWPC7AL

B종 SWPC7BN, SWPC7BL
PS 강연선 7연선

C종 SWPC7CL

D종 SWPC7DL

19연선 SWPC19N, SWPC19L

비고 1. 원형선 B종은 A종보다 인장강도가 100MPa 높은 종류를 나타낸다.


2. 7연선 A종은 인장강도 1720 MPa 급, B종은 1860 MPa급, C종은 2160MPa급, D종은 2400MPa급
을 나타낸다.
3. 릴랙세이션 규격 값에 따라 보통 선은 N, 낮은 선은 L의 기호를 끝에 붙인다.
4. 19연선에서 단면이 28.6 mm인 것은 실형이나 워링톤형으로 하고, 그 외의 19연선 단면은 실형으
로 한다. 실형, 워링톤형은 KS D 3514에 따른다.

제2장 재료 | 43
prestressed concrete

표 2.4 PS 강선 및 PS 강연선의 호칭 (KS D 7002)

기 호 호 칭
SWPC1AN SWPC1AL
SWPC1BN
(2.9 mm), (3.5 mm), (4 mm), (4.5 mm), 5 mm,
SWPC1BL
(6 mm), 7 mm, 8 mm, 9 mm
SWPD1N
SWPD1L
SWPC2N
2.9 mm 2연선
SWPC2L
SWPD3N
2.9 mm 3연선
SWPD3L
SWPC7AN (7연선 6.2 mm), (7연선 7.9 mm), 7연선 9.3 mm,
SWPC7AL 7연선 10.8 mm, 7연선 12.4 mm, 7연선 15.2 mm
SWPC7BN
7연선 9.5 mm, 7연선 11.1 mm, 7연선 12.7 mm, 7연선 15.2 mm
SWPC7BL
SWPC7CL
7연선 12.7 mm, 7연선 15.2 mm
SWPC7DL
SWPC19N 19연선 17.8 mm, 19연선 19.3 mm, 19연선 20.3 mm, 19연선 21.8 mm
SWPC19L 19연선 28.6 mm

비고:( )를 붙인 호칭의 선 및 연선은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2) PS 강선 및 PS 강연선의 치수, 허용차 및 기계적 성질


PS 강선 및 PS 강연선의 표준지름과 각각에 대한 허용차, 공칭단면적 및 단위무게
는 표 2.5 및 표 2.6, 기계적 성질은 표 2.7에 따른다.
이형선의 공칭지름은 SWPC1AN, SWPCAL, SWPC1BN, SWPC1BL의 표준지름
을 적용하고, 그 허용차는 규정하지 않는다. 또한, 이형3연선의 바탕선의 표준지름
은 2연선의 경우와 같은 것으로 하고, 그 허용차는 규정하지 않는다. 연선의 꼬는 길
이는 연선의 각부에서 일정하고, 2연선 및 이형 3연선에서는 표 2.5의 2연선의 표준
지름의 24~32배, 7연선 및 19연선에서는 표 2.5의 각각의 표준지름의 12~18배이어
야 한다.

44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표 2.5 PS 강선 및 PS 강연선의 표준지름과 허용차 (KS D 7002)

표준지름 허용차 심선 지름과 측선


기 호 호 칭
(mm) (mm) 지름의 차(mm)
(2.9 mm) 2.90 ± 0.03 -
(3.5 mm) 3.50 ± 0.04 -
SWPC1AN (4 mm) 4.00 ± 0.04 -
(4.5 mm) 4.50 ± 0.05 -
SWPC1AL
5 mm 5.00 ± 0.05 -
SWPC1BN
(6 mm) 6.00 ± 0.05 -
SWPC1BL 7 mm 7.00 ± 0.05 -
8 mm 8.00 ± 0.06 -
9 mm 9.00 ± 0.06 -
SWPC2N
2.9 mm 2연선 2.90 ± 0.03 -
SWPC2L
(7연선 6.2 mm) 6.2 + 0.4 0.03 이상
- 0.2
(7연선 7.9 mm) 7.9 + 0.4 0.04 이상
- 0.2
7연선 9.3 mm 9.3 + 0.4 0.05 이상
SWPC7AN - 0.2
SWPC7AL 7연선 10.8 mm 10.8 + 0.4 0.07 이상
- 0.2
7연선 12.4 mm 12.4 + 0.4 0.08 이상
- 0.2
7연선 15.2 mm 15.2 + 0.4 0.08 이상
- 0.2
7연선 9.5 mm 9.5 + 0.4 0.05 이상
- 0.2
7연선 11.1 mm 11.1 + 0.4 0.07 이상
SWPC7BN - 0.2
SWPC7BL 7연선 12.7 mm 12.7 + 0.4 0.08 이상
- 0.2
7연선 15.2 mm 15.2 + 0.4 0.08 이상
- 0.2
7연선 12.7 mm 12.7 + 0.4 0.08 이상
SWPC7CL - 0.2
SWPC7DL 7연선 15.2 mm 15.2 + 0.4 0.08 이상
- 0.2
19연선 17.8 mm 17.8 + 0.6 -
- 0.25
19연선 19.3 mm 19.3 + 0.6 -
- 0.25
SWPC19N + 0.6
19연선 20.3 mm 20.3 - 0.25 -
SWPC19L
19연선 21.8 mm 21.8 + 0.6 -
- 0.25
19연선 28.6 mm 28.6 + 0.6 -
- 0.25
비고:7연선 및 19연선의 표준지름은 연선의 외접원의 지름으로 한다.

제2장 재료 | 45
prestressed concrete

표 2.6 PS 강선 및 PS 강연선의 공칭단면적 및 단위무게 (KS D 7002)


2
기 호 호 칭 공칭단면적 (mm ) 단위무게 (kg/km)
(2.9 mm) 6.605 51.8
(3.5 mm) 9.621 75.5
SWPC1AN (4 mm) 12.57 98.7
SWPC1AL (4.5 mm) 15.90 125
SWPC1BN
5 mm 19.64 154
SWPC1BL
SWPD1N (6 mm) 28.27 222
SWPD1L 7 mm 38.48 302
8 mm 50.27 395
9 mm 63.62 499
SWPC2N
2.9 mm 2연선 13.21 104
SWPC2L
SWPD3N
2.9 mm 3연선 19.82 156
SWPD3L
(7연선 6.2 mm) 23.23 182
(7연선 7.9 mm) 37.42 293
SWPC7AN 7연선 9.3 mm 51.61 405
SWPC7AL 7연선 10.8 mm 69.68 546
7연선 12.4 mm 92.90 729
7연선 15.2 mm 138.7 1,101
7연선 9.5 mm 54.84 432
SWPC7BN 7연선 11.1 mm 74.19 580
SWPC7BL 7연선 12.7 mm 98.71 774
7연선 15.2 mm 138.7 1,101
SWPC7CL 7연선 12.7 mm 98.71 774
SWPC7DL 7연선 15.2 mm 138.7 1,101
19연선 17.8 mm 208.4 1,652
19연선 19.3 mm 243.7 1,931
SWPC19N
19연선 20.3 mm 270.9 2,149
SWPC19L
19연선 21.8 mm 312.9 2,482
19연선 28.6 mm 532.4 4,229

46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표 2.7 PS 강선 및 PS 강연선의 기계적 성질 (KS D 7002)

0.2 % 영구 릴랙세이션 값 (%)


인장하중 연신율
기 호 호 칭 연신율에 대한 하중
(kN) (%) N L
(kN)
(2.9 mm) 11.3 이상 12.7 이상 3.5 이상 8.0 이하 2.5 이하
(3.5 mm) 14.2 이상 16.2 이상 3.5 이상 8.0 이하 2.5 이하
(4 mm) 18.6 이상 21.1 이상 3.5 이상 8.0 이하 2.5 이하
SWPC1AN
(4.5 mm) 22.6 이상 25.5 이상 4.0 이상 8.0 이하 2.5 이하
SWPC1AL
5 mm 27.9 이상 31.9 이상 4.0 이상 8.0 이하 2.5 이하
SWPD1N
(6 mm) 38.7 이상 44.1 이상 4.0 이상 8.0 이하 2.5 이하
SWPD1L
7 mm 51.0 이상 58.3 이상 4.5 이상 8.0 이하 2.5 이하
8 mm 64.2 이상 74.0 이상 4.5 이상 8.0 이하 2.5 이하
9 mm 78.0 이상 90.2 이상 4.5 이상 8.0 이하 2.5 이하
5 mm 29.9 이상 33.8 이상 4.0 이상 8.0 이하 2.5 이하
SWPC1BN
7 mm 54.9 이상 62.3 이상 4.5 이상 8.0 이하 2.5 이하
SWPC1BL
8 mm 69.1 이상 78.8 이상 4.5 이상 8.0 이하 2.5 이하
SWPC2N
2.9 mm 2연선 22.6 이상 25.5 이상 3.5 이상 8.0 이하 2.5 이하
SWPC2L
SWPD3N
2.9 mm 3연선 33.8 이상 38.2 이상 3.5 이상 8.0 이하 2.5 이하
SWPD3L
(7연선 6.2 mm) 33.8 이상 40.2 이상 3.5 이상 8.0 이하 2.5 이하
(7연선 7.9 mm) 54.9 이상 64.7 이상 3.5 이상 8.0 이하 2.5 이하
SWPC7AN 7연선 9.3 mm 75.5 이상 88.8 이상 3.5 이상 8.0 이하 2.5 이하
SWPC7AL 7연선 10.8 mm 102 이상 120 이상 3.5 이상 8.0 이하 2.5 이하
7연선 12.4 mm 136 이상 160 이상 3.5 이상 8.0 이하 2.5 이하
7연선 15.2 mm 204 이상 240 이상 3.5 이상 8.0 이하 2.5 이하
7연선 9.5 mm 86.8 이상 102 이상 3.5 이상 8.0 이하 2.5 이하
SWPC7BN 7연선 11.1 mm 118 이상 138 이상 3.5 이상 8.0 이하 2.5 이하
SWPC7BL 7연선 12.7 mm 156 이상 183 이상 3.5 이상 8.0 이하 2.5 이하
7연선 15.2 mm 222 이상 261 이상 3.5 이상 8.0 이하 2.5 이하
7연선 12.7 mm 182 이상 214 이상 3.5 이상 - 2.5 이하
SWPC7CL
7연선 15.2 mm 255 이상 300 이상 3.5 이상 - 2.5 이하
7연선 12.7 mm 202 이상 237 이상 3.5 이상 - 2.5 이하
SWPC7DL
7연선 15.2 mm 283 이상 333 이상 3.5 이상 - 2.5 이하
19연선 17.8mm 330 이상 387 이상 3.5 이상 8.0 이하 2.5 이하
19연선 19.3 mm 387 이상 451 이상 3.5 이상 8.0 이하 2.5 이하
SWPC19N
19연선 20.3 mm 422 이상 495 이상 3.5 이상 8.0 이하 2.5 이하
SWPC19L
19연선 21.8 mm 495 이상 573 이상 3.5 이상 8.0 이하 2.5 이하
19연선 28.6 mm 807 이상 949 이상 3.5 이상 8.0 이하 2.5 이하

제2장 재료 | 47
prestressed concrete

(3) PS 강봉

PS 강봉은 원형 강봉과 이형 강봉이 있으며, 지름이 9.2~40mm이고, 주로 포스트


텐션 방식에 사용된다. 이형 PS 강봉(deformed steel bar)은 지름이 7.4~13mm이
고, 표면에 돌기 또는 곰보를 연속 또는 일정간격으로 붙인 것이다. PS 강봉은 PS
강선이나 PS 강연선보다 강도는 떨어지지만, 끝부분을 제도 가공하거나 나사전조를
함으로써 쉽게 정착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고, 또 PS 강선이나 PS 강연선 보다 릴랙
세이션이 작은 이점이 있다. 그러나 지름이 크기 때문에 구부림 가공을 하면 그 부분
의 품질이 저하되는 비율이 크고, 응력부식이나 지연파괴(delayed fracture)를 유발
해 나중에는 파단될 염려가 있으므로 될 수 있는 대로 늘임률이 크고 인성이 큰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그림 2.8 PS 강봉

1) PS 강봉의 종류, 기호 및 호칭
PS 강봉은 KS D 3505의 규정에 적합한 것이어야 하며. PS 강봉의 종류, 기호 및 호
칭은 표 2.8과 같다.

표 2.8 PS 강봉의 종류, 기호 및 호칭 (KS D 3505)

종 류 기 호 호 칭
A종 2호 SBPR 785/1030 9.2 mm, 11 mm, 13 mm
1호 SBPR 930/1080 (15 mm), 17 mm, (19 mm)
원형 강봉 B종 (21 mm), 23 mm
2호 SBPR 930/1180
26 mm, (29 mm)
C종 1호 SBPR 1080/1230 32 mm, 36 mm, 40 mm
B종 1호 SBPD 930/1080
7.4mm, 9.2mm
이형 강봉 C종 1호 SBPD 1080/1230
11mm, 13mm
D종 1호 SBPD 1275/1420

비고:( ) 안에 있는 호칭명의 강봉은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48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2) PS 강봉의 치수 및 허용오차
원형 PS 강봉의 표준지름, 그 허용차 및 공칭단면적은 표 2.9와 같고, 이형 PS 강봉
의 공칭지름 및 공칭단면적은 표 2.10과 같다.

표 2.9 원형 PS 강봉의 표준지름, 허용차 및 공칭단면적 (KS D 3505)

호 칭 표준지름 (mm) 허용차 (mm) 공칭단면적 (mm2)


9.2 mm 9.2 66.48
11 mm 11.0 95.03
13 mm 13.0 - 0.2, +측은 132.7
(15 mm) 15.0 규정하지 않음 176.7
17 mm 17.0 227.0
(19 mm) 19.0 283.5
(21 mm) 21.0 346.4
23 mm 23.0 415.5
26 mm 26.0 530.9
- 0.6, +측은
(29 mm) 29.0 660.5
규정하지 않음
32 mm 32.0 804.2
36 mm 36.0 1018.0
40 mm 40.0 1257.0

표 2.10 이형 PS 강봉의 공칭지름 및 공칭단면적 (KS D 3505)

호 칭 공칭지름 (mm) 공칭단면적 (mm2)


7.4 mm 7.4 40.0
9.2 mm 9.2 64.0
11 mm 11.0 90.0
13 mm 13.0 125.0

3) PS 강봉의 화학성분 및 기계적 성질


PS 강봉의 화학성분은 표 2.11과 같고, PS 강봉의 기계적 성질은 표 2.12와 같다.

표 2.11 PS 강봉의 화학성분 (KS D 3505)

화학성분
종 류
P S Cu
원형강봉 및 이형강봉 0.030 이하 0.035 이하 0.30 이하
비고:위에 적은 불순물의 값은 레이들(Ladle) 분석값임.

제2장 재료 | 49
prestressed concrete

표 2.12 PS 강봉의 기계적 성질 (KS D 3505)

인 장 시 험 릴랙세이션 시험
기 호
0.2 % 항복강도 (Mpa) 인장강도 (Mpa) 연신율 (%) 릴랙세이션 값 (%)
SBPR 785/1030 785 이상 1030 이상 5 이상 4.0 이하
SBPR 930/1080 930 이상 1080 이상 5 이상 4.0 이하
SBPR 930/1180 930 이상 1180 이상 5 이상 4.0 이하
SBPD 1080/1230 1080 이상 1230 이상 5 이상 4.0 이하
SBPD 930/1080 930 이상 1080 이상 5 이상 1.5 이하
SBPD 1080/1230 1080 이상 1230 이상 5 이상 1.5 이하
SBPD 1275/1420 1275 이상 1420 이상 5 이상 1.5 이하

비고:내력은 0.2% 영구 연신율에 대한 응력을 말한다.

(4) 기타 PS 강재

앞에서 언급한 것들이 일반적으로 쓰이는 PS 강재이지만 특수한 목적과 용도에 쓰


이는 다음과 같은 PS 강재도 있다.

1) 피복된 PS 강재
PSC 그라우트를 주입하지 않고 부착시키지 않는 상태로 사용해도 PS 강재가 부식되
지 않게 하기 위하여 도금한 것 또는 플라스틱으로 피복한 PS 강재가 있다.

2) 저 릴랙세이션(low relaxation) PS 강재
릴랙세이션을 보통의 PS 강선 또는 PS 강연선보다 작게 한 것으로 KS D 7002에 규
정되어 있는 L이 이에 속한다(표 2.7 참조).

3) 특수한 PS 강연선
3개의 소선을 꼬아 만든 3연선 또는 많은 수의 소선을 꼬아 만든 다층 PS 강연선, 다
중 PS 강연선 등이 있으며, 큰 용량의 프리스트레스 힘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 쓰인다.

4) PS 경강선
KS D 7009에 규정되어 있는 것으로서 PSC 폴(PSC pole), PSC 관(PSC pile)과 같
은 공장제품에 쓰인다. 또, 강선에 냉간인발 가공을 하면서 감아가는 PSC 탱크에도
사용된다.

50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5) FRP 봉
PS 강재 대신에 아라미드섬유(aramid fiber), 탄소섬유(carbon fiber), 유리섬유
(glass fiber) 등의 긴 섬유(연속섬유)를 다발로 하여 에폭시수지 등으로 결합시킨
봉상 복합재인 FRP(fiber reinforced plastic) 봉이 긴장재로 사용된다. FRP는 PS
강재에 비하여 탄성계수는 작지만, 경량이고 인장강도가 매우 크며, 내식성이 우수
해 녹슬지 않으며 자성이 없는 것이 특징이다.

(a) Epoxy coated strand (b) Unbonded strand (c) FRP bar

그림 2.9 기타 PS 강재

2.2.2❙ PS 강재의 성질
PSC에서는 PS 강재의 릴랙세이션, 콘크리트의 건조수축, 크리프 등으로 인하여 처
음에 준 프리스트레스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한다. 이와 같이 초기 프리스트레
스가 감소한 후에도 PSC가 성립되기 위해서는 소요의 유효 프리스트레스가 남아 있
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PS 강재를 높은 인장응력으로 긴장해두어야 하므로
PSC에서는 고강도 강재가 필요하다.

(1) PS 강재에 요구되는 성질

1) 인장강도가 커야 한다.
항복강도
 
2) 항복비  ×  가 커야 한다. PS 강재의 항복비는 80% 이상이 되어
인장강도
야 하며, 가능하면 85% 이상인 것이 좋다.
3) 릴랙세이션(relaxation)이 작아야 한다.
4) 적당한 연성(ductility)과 인성(toughness)이 있어야 한다.
5) 응력부식에 대한 저항성이 커야 한다.

제2장 재료 | 51
prestressed concrete

6) 콘크리트와의 부착강도가 커야 한다.


7) 충분한 피로강도를 가져야 한다.
8) 직선성(신직성)이 좋아야 한다.

(2) PS 강재의 그 밖의 성질

1) 보통의 PS 강재의 인장강도는 철근의 인장강도의 2~4배이다.


2) PS 강재는 뚜렷한 항복점이 없다.
3) 0.2%의 영구 변형률을 나타내는 점의 응력을 PS 강재의 항복점으로 한다.

그림 2.10 PS 강재의 응력 변형도 곡선

4) PS 강재의 항복강도는 대략 (0.85~0.9)   정도이고, 비례한도는 영구 변형률

을 생기게 하는 최소응력으로 대략 (0.55~0.7)   정도이다.


여기서,   :PS 강재의 인장강도
5) PS 강재의 탄성계수는 그림 1.34와 같이 실험에 의하여 결정하거나 제조자에 의
하여 주어지는 것이 원칙이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 식 (2.7) 값을 표준으로 한다.

       ×   (2.7)

52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그림 2.11 PS 강재의 항복점 변형률

(3) PS 강재의 릴랙세이션

PS 강재를 긴장한 채 일정한 길이를 유지하면 시간의 경과와 더불어 그 인장력이 감


소하는데 이 현상을 릴랙세이션(relaxation)이라고 한다.

1) 순 릴랙세이션 값
인장력의 감소량을 최초에 준 긴장재의 인장력에 대한 백분율로 나타낸 것

2) 겉보기 릴랙세이션 값
콘크리트의 건조 수축이나 크리프 등으로 인하여 긴장재의 인장 변형도가 시간의 경
과에 따라 감소하여 일반적인 시험값보다 작게 되는데 이 값을 말하며, 실제 구조물
에 적용되는 값이다.

표 2.13 PS 강재의 겉보기 릴랙세이션 값(  )

PS 강재의 종류 겉보기 릴랙세이션 값


PS 강선 및 PS 강연선 5.0%
PS 강봉 3.0%
저 릴랙세이션 PS 강재 1.3%

(4) PS 강재의 중심 간격

1) 프리텐션 부재 단부에서의 중심 간격
강선은  이상 스트랜드(강연선)는  이상으로 한다.
여기서,  :강선의 공칭지름

제2장 재료 | 53
prestressed concrete

2)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할 때 콘크리트의 압축강도가 28MPa보다 크면 공칭지름이


13mm 이하인 강연선에 대하여는 최소 중심 간격을 45mm, 공칭지름이 15mm 이
상인 강연선에 대하여는 최소 중심 간격을 50mm로 해야 한다.
3) 프리텐션 부재의 경간 중앙부에서의 긴장재의 연직간격
단부에서의 연직간격보다 좁게 사용하거나 접촉시켜서 다발로 사용해도 좋다.

(5) PS 강재의 기타 주요 특징

1) PS 강재의 지연파괴(delayed fracture)


허용응력 이하로 긴장해 놓은 PS 강재가 어느 정도 시간 경과 후 갑작스럽게 끊어지
는 현상으로 원인은 불명확하며, PS 강재 보호에 주의하여야 한다.

2) PS 강재의 응력부식(stress corrosion)


높은 응력 하에서 강재에 녹이 빨리 발생하거나 녹이 없더라도 조직이 취약해지는
현상이다. 강재는 무응력 상태보다 높은 응력 하에서 부식이 촉진되며, 정확한 그라
우팅 및 방청 처리를 하는 것이 좋다.

2.2.3❙ PS 강재의 품질 검사
(1) 현장에 들어온 PS 강재가 선정된 품질을 만족하는지 시공에 앞서 검사하여야 한다.
(2) PS 강재의 품질 검사는 표 2.14에 따른다.

표 2.14 PS 강재의 품질 검사

종류 항목 시험 및 검사방법 시기 및 횟수 판정기준

PS 강선 및 KS D 7002의 제조회사의 시험성적서에 의한 KS D 7002에


PS 강연선 품질 항목 확인 또는 KS D 7002의 방법 적합할 것
KS D 7009의 제조회사의 시험성적서에 의한 KS D 7009에
PS 경강선 입하 때
품질 항목 확인 또는 KS D 7009의 방법 적합할 것
KS D 3505의 제조회사의 시험성적서에 의한 KS D 3505에
PS 강봉
품질 항목 확인 또는 KS D 3505의 방법 적합할 것

54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2.3 기타 재료

2.3.1❙ 철근
(1) 기본사항

PSC 부재에서 철근은 배력철근, 전단철근 및 보강철근 등의 역할로 이용되며, 특히


긴장재의 조립용 철근, 정착부 및 지압부 보강철근 등 상당량의 철근이 필요하다. 부
분 프리스트레싱의 경우는 물론 전체 프리스트레싱의 경우에도 일시적으로 일어나
는 콘크리트 인장응력을 받기 위해서 철근을 배치해야 한다. 이와 같은 철근으로는
보통의 연강 외에 고강도 강선 또는 강봉이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또한 균열을 분포
시키는 작용과 동시에 파괴 휨모멘트를 증가시켜서 갑작스런 하중에 대한 안정도를
증가시킨다.
보강철근은 강봉(bars), 와이어(wires), 용접 와이어 섬유(welded wire fabric)
등으로 구성되는데 중요한 특성들은 탄성계수, 항복강도, 극한강도, 강재설계등급,
크기와 지름이다. 그림 2.12는 보강철근에 대한 일반적인 응력-변형률 선도를 나타
낸 것이다.

그림 2.12 보강철근에 대한 일반적인 응력-변형률 선도

(2) 이형철근의 기계적 성질, 치수 및 허용오차

이형철근에 대한 기계적 성질은 표 2.15와 같고, 이형철근의 모양, 치수, 무게 및 허


용오차는 표 2.16에 따른다.

제2장 재료 | 55
prestressed concrete

표 2.15 이형철근의 기계적 성질 (KS D 3504)

항복점 또는 항복강도 인장강도 연신율


종류 기호 인장 시험편
(Mpa) (Mpa) (%)
항복강도의 2호에 준한 것 16 이상
SD300 300~420
1.15배 이상 3호에 준한 것 18 이상
항복강도의 2호에 준한 것 16 이상
SD400 400~520
1.15배 이상 3호에 준한 것 18 이상
항복강도의 2호에 준한 것 12 이상
SD500 500~650
1.08배 이상 3호에 준한 것 14 이상
항복강도의 2호에 준한 것
SD600 600~780 10 이상
1.08배 이상 3호에 준한 것
항복강도의 2호에 준한 것
SD700 700~910 10 이상
1.08배 이상 3호에 준한 것
항복강도의 2호에 준한 것 16 이상
SD400W 400~520
1.15배 이상 3호에 준한 것 18 이상
항복강도의 2호에 준한 것 12 이상
SD500W 500~650
1.15배 이상 3호에 준한 것 14 이상
항복강도의 2호에 준한 것 16 이상
SD400S 400~520
1.25배 이상 3호에 준한 것 18 이상
항복강도의 2호에 준한 것 12 이상
SD500S 500~620
1.25배 이상 3호에 준한 것 14 이상
항복강도의 2호에 준한 것
SD600S 600~720 10 이상
1.25배 이상 3호에 준한 것

56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표 2.16 이형철근의 모양, 치수, 무게 및 허용오차 (KS D 3504)

공칭 지름 공칭 단면적 공칭 둘레 마디의 평균 마디 높이
단위 무게
호칭명    간격 최댓값 최솟값 최댓값
(kg/m) 2
(mm) (cm ) (cm) (mm) (mm) (mm)
D4 0.110 42.3 0.1405 1.3 3.0 0.2 0.4
D5 0.173 52.9 0.2198 1.7 3.7 0.2 0.4
D6 0.249 63.5 0.3167 2.0 4.4 0.3 0.6
D8 0.389 79.4 0.4951 2.5 5.6 0.3 0.6
D 10 0.560 95.3 0.7133 3.0 6.7 0.4 0.8
D 13 0.995 21.7 1.267 4.0 8.9 0.5 1.0
D 16 1.56 15.9 1.986 5.0 11.1 0.7 1.4
D 19 2.25 19.1 2.865 6.0 13.4 1.0 2.0
D 22 3.04 22.2 3.871 7.0 15.5 1.1 2.2
D 25 3.98 25.4 5.067 8.0 17.8 1.3 2.6
D 29 5.04 28.6 6.424 9.0 20.0 1.4 2.8
D 32 6.23 31.8 7.942 10.0 22.3 1.6 3.2
D 35 7.51 34.9 9.566 11.0 24.4 1.7 3.4
D 38 8.95 38.1 11.40 12.0 26.7 1.9 3.8
D 41 10.5 41.3 13.40 13.0 28.9 2.1 4.2
D 43 11.4 43.0 14.52 13.5 30.1 2.2 4.4
D 51 15.9 50.8 20.27 16.0 25.6 2.5 5.0
D 57 20.3 57.3 25.79 18.0 40.1 2.9 5.8
비고 1. 공칭 단면적, 공칭 둘레 및 단위 무게의 산출방법은 다음에 따른다.
 ×
공칭 단면적(  )   : 유효숫자 넷째 자리에서 끝맺음한다.

공칭 둘레()   × : 소수점 이하 첫째 자리에서 끝맺음한다.
단위 무게  ×  : 유효숫자 셋째 자리에서 끝맺음한다.
1개 무게  단위 무게×길이 : 소수점 이하 둘째 자리에서 끝맺음한다.
2. 마디 간격은 그 공칭 지름의 70% 이하로서, 산술값은 소수점 이하 첫째 자리에서 끝맺음한다.
3. 이형 봉강의 마디 틈의 합계는 공칭 둘레의 25% 이하로 하고, 산술값은 소수점 이하 첫째 자리에서 끝맺음
한다.
4. 마디의 높이는 다음 표에 따르고, 산술값은 소수점 이하 첫째 자리에서 끝맺음한다.

마디 높이
치 수
최소 최대
호칭명 D 13 이하 공칭 지름의 4.0% 최솟값의 2배
호칭명 D 13 초과 D 19 미만 공칭 지름의 4.5% 최솟값의 2배
호칭명 D 19 이상 공칭 지름의 5.0% 최솟값의 2배

제2장 재료 | 57
prestressed concrete

2.3.2❙ 쉬스와 덕트
포스트텐션 방식에서 PS 강재를 삽입하기 위해 미리 콘크리트 속에 뚫어주는 구멍
을 덕트(duct)라 하며, 덕트를 형성하기 위해 쓰이는 관을 쉬스(sheath)라 한다.

(1) 기본사항

1) 쉬스는 0.2~0.4mm, 길이 2~3m 정도의 얇은 강재로서 변형을 막고 탄성을 크


게 하기 위해 표면을 파형으로 만든다.
2) 쉬스는 콘크리트를 칠 때 쉽게 변형되지 않을 만큼 충분한 강성을 가져야 하며,
이어서 사용할 때 시멘트풀이 흘러 들어가지 않아야 한다.
3) 콘크리트를 타설하는데 지장이 없고 긴장시 긴장재가 덕트로부터 튀어나오지 않
도록 사용하였다면 덕트를 다발로 사용해도 좋다.

4) 덕트(쉬스)의 순간격은 굵은 골재 최대 치수의  ~ 배 이상 또는 25mm 이상이

면 충분하다.

그림 2.13 쉬스와 덕트

(2) 덕트와 긴장재의 정착부

1) 긴장재 정착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정착력에 저항하기 위하여 긴장재 정착부에 철


근을 배치하여야 한다.
2) 지지 정착단 설치를 위해 또는 집중된 프리스트레스 힘을 분산시킬 목적으로 단
부 블록을 설치하여야 한다. 또한 단면이 갑자기 변화하는 구역에도 충분히 철근
을 배근하여야 한다.
3) 포스트텐셔닝에서 정착구역은 콘크리트에 대하여 강도감소계수를 사용하여 프
리스트레싱 긴장재의 인장강도를 발휘할 수 있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58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4) 그라우트 되는 단일강선, 강연선 또는 강봉을 배치하기 위한 덕트는 내면 지름이
긴장재 지름보다 6.5mm 이상 커야 한다.
5) 그라우트 되는 다수의 강선, 강연선 또는 강봉을 배치하기 위한 덕트는 내부 단면
적이 긴장재 단면적의 2배 이상이어야 한다.

(3) 쉬스, 보호관 및 긴장재의 배치

1) 쉬스는 소정의 위치 및 방향으로 흠이 생기지 않도록 바르게 배치하여야 한다. 특


히,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배치형상이 변하지 않도록 간격재, 강재 등으로 견고
하게 지지하여야 한다. 또 쉬스의 접속은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시멘트풀이 새어
들어가지 않도록 충분히 견고하게 하여야 한다.
2) 여러 개의 PS 강선 혹은 PS 강연선을 하나의 쉬스 안에 수용하는 경우에는 이들
이 서로 꼬일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프리스트레싱할 때 마찰 증대 및 긴장재에 대
한 불균일한 응력을 일으킬 우려가 있으므로 적당한 간격재를 사용하여 PS 강재
가 쉬스 안에서 서로 꼬이지 않도록 배치하여야 한다.
3) 부착시키지 않은 긴장재는 콘크리트와의 절연, 원활한 프리스트레싱 및 방청효
과를 위하여 그 피복을 해치지 않도록 각별히 주의하여 배치하여야 한다. 만일
피복이 떨어져나간 경우에는 이것을 보수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4) 보호관은 긴장하기 전에 가설 중의 지지를 견고하게 하고 보호관의 이음도 견고
하게 하여야 한다.
5) 쉬스 및 긴장재의 배치가 끝난 후 반드시 검사를 하여 파손이나 위치의 변동 등이
있으면 보수, 수정하여야 한다.
6) 거푸집 내에서 허용되는 긴장재의 배치오차는 도심 위치 변동의 경우 부재치수가
1 m 미만일 때에는 5 mm를 넘지 않아야 하며, 또 1 m 이상인 경우에는 부재치수
의 1/200 이하로서 10 mm를 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어떠한 경우라도 10 mm
를 넘는 경우에는 이것을 수정하여야 한다.

제2장 재료 | 59
prestressed concrete

(a) 직선 텐던(1차 강선) (b) 곡선 텐던(2차 강선)

(c) 쉬스 설치 전경

그림 2.14 쉬스 및 긴장재의 배치

(4) 쉬스의 품질 검사

쉬스의 품질 검사는 표 2.17에 따른다.

표 2.17 쉬스의 품질 검사

항목 시험·검사방법 시기·횟수 판정기준

원칙적으로 공사 시작 전, 실
외압 저항력 시험, 규정된 하중에
성능 적이 있고 품질이 보증되는
주입시험 견딜 수 있을 것
것은 생략
유해한 부식, 오염, 손상,
외관 육안 관찰 배치하기 전, 전체 수량
변형 등이 없을 것

60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2.3.3❙ 그라우트
포스트텐션 방식에서 PS 강재의 부식방지 및 부착을 위해 쉬스 안에 시멘트 풀 및 모
르타르를 주입하는 일을 그라우팅(grouting)이라 한다.

(1) 그라우팅 재료

1) 시멘트
시멘트는 통상 포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하는데, 그라우팅에 사용될 시멘트는 품질이
좋아야 하고, 수화작용을 일으킬 요인이 없어야 한다.

2) 물
포틀랜드 시멘트의 품질이나 긴장재의 긴장력을 저하시키는 유해한 물질이 포함되
어 있지 않으며, 마실 수 있는 깨끗한 것을 그라우팅 시에 사용해야 한다.

3) 첨가물
첨가물을 사용하게 된다면 수분 함유량이 적고 좋은 슬럼프, 30% 이하의 블리딩을
가진 품질이 우수한 것을 써야 한다. 첨가물의 경우 긴장재나 시멘트에 해가 되는 화
학적 성분은 포함되어있지 않아야 하며, 염화물과 불화물, 아황산염 또는 질산염을
포함한 첨가물은 사용할 수 없다. 적절한 세립분을 포함하고 있는 적당 양의 알루미
늄 분말이나 기타 가스성분을 포함하고 있는 첨가물의 경우는 5~10% 이하로 그라우
팅의 팽창을 억제시킬 수 있다.

(2) 그라우팅 모르타르의 주요 특징

1) 그라우트는 덕트 속을 완전히 메워 긴장재를 둘러싸서 녹슬지 않도록 보호할 뿐 아


니라 부재 콘크리트와 긴장재를 부착에 의하여 일체가 되게 하는 것이어야 한다.
2) 팽창률은 비팽창성 그라우트에서는 -0.5~0.5%, 팽창성 그라우트에서는 0~10%
를 표준으로 한다.
3) 교반 종료 후 주입 완료까지의 시간은 30분을 표준으로 한다.
4) 그라우트의 재령 28일 압축강도(  )는 비팽창성 그라우트의 경우는 30MPa 이

상, 팽창성 그라우트의 경우는 20MPa 이상을 표준으로 한다.


5) 그라우트의 물-시멘트비는 45% 이하로 한다.
6) 블리딩률은 0%를 표준으로 하며, 3% 이하가 되도록 한다.

제2장 재료 | 61
prestressed concrete

7) 그라우트 중에 포함되는 염화물 이온량은    이하로 한다.

(a) 그라우트 장비 (b) 그라우팅

그림 2.15 PC 그라우팅

(2) 그라우팅 모르타르의 주요 특징

1) 그라우트는 덕트 속을 완전히 메워 긴장재를 둘러싸서 녹슬지 않도록 보호할 뿐 아


니라 부재 콘크리트와 긴장재를 부착에 의하여 일체가 되게 하는 것이어야 한다.
2) 팽창률은 비팽창성 그라우트에서는 -0.5~0.5%, 팽창성 그라우트에서는 0~10%
를 표준으로 한다.

(3)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그라우트

1)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그라우트에 사용하는 시멘트는 KS 규격에 적합한 것으


로 한다.
2)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그라우트에 사용하는 물은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그
라우트 및 PS 강재에 나쁜 영향을 미치는 물질을 유해량 이상 함유하지 않아야
한다.
3)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그라우트에 사용하는 혼화 재료의 사용 가부, 품질 및
사용방법은 미리 검토하여야 한다.
4)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그라우트에 사용하는 혼화제는 블리딩 발생이 없는 타
입의 사용을 표준으로 한다.
5)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그라우트의 덕트 내의 충전성 확보를 위해 덕트의 길이

62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및 형상, PS 강재의 종류 및 덕트 속을 점유하는 PS 강재의 단면적의 비율 등과
같은 구조조건, 주입 작업에 있어서 시공시간 등의 시공조건 및 기온 등의 기후
조건을 고려하여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그라우트의 유동성, 재료 분리 저항
성, 체적 변화 등을 적절히 설정함과 동시에 적절한 주입방법을 설정하여야 한다.
6)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그라우트의 덕트 내의 충전성은 실적이 있는 표준적인
구조조건, 시공조건을 선정한 경우에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그라우트의 유동
성, 블리딩률, 팽창률로 설정할 수 있다.
- 유동성은 KS F 2432에 준하여 구하는 유하시간에 의해 설정하며, 유하시간의
범위는 미리 실험에 의해 정하여야 한다.
- 블리딩률은 KS F 2433에 준하여 구하는 시험값에 의해 설정하며, 0%를 표준
으로 한다.
- 팽창률은 KS F 2433에 준하여 구하는 시험값에 의해 설정하며, 비팽창성 그
라우트에서는 -0.5~0.5%, 팽창성 그라우트에서는 0~10%를 표준으로 하여
야 한다.
7)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그라우트의 물-결합재비는 45% 이하로 한다.
8) 부재 콘크리트와 긴장재를 일체화시키는 부착강도는 덕트의 종류 및 형상, 긴장
재의 종류를 고려하여 설정하여야 한다.
9) 부재 콘크리트와 긴장재를 일체화시키는 부착강도는 재령 28일의 압축강도로 대
신하여 설정할 수 있다. 압축강도는 KS F 2426에 준하여 구한 시험값에 의해 설
정하며, 비팽창성 그라우트의 경우는 30MPa 이상, 팽창성 그라우트의 경우는
20MPa 이상을 표준으로 한다.
10) 구조물의 소요의 성능이 부식성 물질의 함유에 따른 강재 부식에 의해 손상을
받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11) PS 강재의 부식 저항성은 일반적으로 비빌 때의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그라
우트 중에 함유되는 염화물이온의 총량으로 설정한다. 비빌 때에 프리스트레스
트 콘크리트그라우트 중에 포함되는 염화물 이온의 총량은 사용되는 단위 시멘
트량의 0.06% 이하를 원칙으로 한다.
12)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그라우트의 품질 검사는 표 2.18에 따른다.

제2장 재료 | 63
prestressed concrete

표 2.18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그라우트의 품질 검사

항 목 시험·검사방법 시기·횟수 판정기준


유동성 KS F 2432의 방법 시공계획서에 규정된 범위
블리딩률 KS F 2433의 방법 0%
팽창성 타입: 0~10%
팽창률 KS F 2433의 방법
주입 전, 1회/일 이 비팽창성 타입: 시험 생략
상 및 품질변화가 팽창성 타입: 20 MPa 이상
인정될 때 (재령 28일)
압축강도 KS F 2426의 방법
비팽창성 타입: 30 MPa 이상
(재령 28일)
염화물함유량 KS F 4009 부속서 1의 방법 단위 시멘트량의 0.08% 이하

2.3

PS 강재의 종류가 아닌 것은?


가. 강선 나. 강봉 다. 도관 라. 강연선

풀이 PS 강재의 종류:① 강선 ② 강봉 ③ 강연선


정답 다

2.4

PS 강선을 현장 작업상이나 운반 중 강선지름의 350배가 넘는 큰 드럼(drum)에 감아두는


이유와 가장 관계가 깊은 것은?
가. 긴장재와 콘크리트의 부착 나. 릴랙세이션
다. PS 강선의 직선성 라. PS 강선의 편심

풀이 코일 상으로 감아 출하하는 PS 강선이나 PS 강연선을 풀었을 때 곧게 잘 펴져야 한다.


정답 다

64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2.5

긴장재를 긴장한 채 일정한 길이로 유지해두면 시간의 경과와 더불어 인장응력이 감소한다.
이와 같은 현상은?
가. 긴장재의 지연파괴 나. 긴장재의 응력부식
다. 긴장재의 릴랙세이션 라. 긴장재의 크리프

풀이 긴장재를 일정한 인장력으로 긴장한 채로 두면 시간의 경과와 더불어 그 인장력이 감소하는 현상을 릴랙
세이션이라 한다.
정답 다

2.6

긴장재에 요구되는 일반적 성질 중 옳지 않은 것은?


가. 콘크리트와 부착력이 클 것 나. 신직성(伸直性)이 클 것
다. 릴랙세이션이 적을 것 라. 인장강도가 적을 것

풀이 PS 강재는 인장강도가 큰 것이 좋다.


정답 라

2.7

일반적으로 PSC에 사용되는 긴장재의 항복점은 뚜렷하


지 않다. 다음 그림은 인장시험에 의해 긴장재의 항복강
도를 구하는 방법이다. 일반적으로 PS 강재의 항복점으
로 사용하는 응력은 몇 %의 영구변형률을 사용하는가?
가. 0.2% 나. 0.3%
다. 0.02% 라. 0.03%

풀이 0.2%의 영구변형률을 나타내는 점의 응력을 PS 강재의 항


복점으로 한다.
정답 가

제2장 재료 | 65
prestressed concrete

2.8

쉬스(sheath)에 대한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가. 쉬스는 변형을 막고 탄성을 크게 하기 위해 파형으로 만든다.
나. 콘크리트를 칠 때 진동기와 쉬스를 충분히 접촉시켜 공극을 없애야 한다.
다. 이음부는 모르터의 침입을 막기 위해 테이프 등으로 감는다.
라. grouting(그라우팅)을 하기 직전 duct(덕트) 내부는 압축공기로 깨끗이 청소해야 한다.

풀이 타설 시 진동기의 접촉이나 충격 등으로 인하여 쉬스가 쉽게 변형되거나 눌려서는 안 된다.


정답 나

66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2.1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구성 재료의 종류와 특징에 대해서 간략히 설명하시오.

2.2 PSC에 요구되는 콘크리트 특성을 설명하시오.

2.3 프리텐션 방식으로 부재를 제작할 때 프리스트레싱 작업을 할 수 있는 경우 콘크리트


의 압축강도는 얼마 이상이어야 하는가?

2.4 포스트텐션 방식으로 부재를 제작할 때 프리스트레싱 작업을 할 수 있는 경우 콘크리


트의 압축강도는 얼마 이상이어야 하는가?

2.5 PS 강재의 탄성계수는 시험을 하지 않을 때 얼마를 표준으로 하는가?

2.6 PS 강재의 종류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7 PS 강재에 요구되는 성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8 PC 부재에 사용되는 PC 강재에 대하여 고강도 강재만을 사용하는 이유를 설명하시오.

2.9 PS 강재의 릴랙세이션에서 순 릴랙세이션 값과 겉보기 릴랙세이션 값에 대하여 설명


하시오.

2.10 PS 강재의 지연파괴와 응력부식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11 쉬스, 보호관 및 긴장재의 배치방법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하시오.

2.12 포스트텐션 공법에서 그라우팅의 역할을 기술하고 그라우팅 모르타르의 사용재료와


배합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하시오.

2.13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그라우트의 품질 검사 항목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제2장 재료 | 67
CHAPTER

03
PSC 설계일반

3.1 설계일반
3.2 PSC의 기본 개념
3.3 하중 단계에 따른 PSC의 거동
CHAPTER

03 PSC 설계일반
학습목표
1. 프리스트레스트 구조 설계의 가정과 부호규약을 이해한다.
2. 프리스트레스트 구조의 기본 개념(응력개념, 강도개념, 하중평형개념)을 정리하고 이해한다.
3. 특히 응력개념(긴장재를 직선으로 도심, 직선으로 편심 배치한 경우)과 하중 평형 개념의 상향력(긴장재를 포물
선, 절곡으로 배치한 경우)의 공식은 중요하므로 반드시 이해하고 넘어간다.
4. 하중 단계에 따른 PSC의 거동특성을 이해한다.

3.1 설계일반

3.1.1❙ 설계 가정
(1) 휨모멘트와 축력을 받는 프리스트레스트콘크리트 부재의 강도설계는 KDS 14 20
20(4.1.1)의 가정에 따라야 한다. 다만, KDS 14 20 20(4.1.1,(4))의 규정은 긴장
되지 않은 보강철근에만 적용하여야 한다.
(2)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할 때, 사용하중이 작용할 때, 그리고 균열하중이 작용할 때
의 응력계산은 다음과 같은 가정에 근거한 선형탄성이론에 따라야 한다.
1) 변형률은 중립축에서 떨어진 거리에 비례한다.
2) 균열단면에서 콘크리트는 인장력에 저항할 수 없다.
(3) 프리스트레스트콘크리트 휨부재는 미리 압축을 가한 인장구역에서 사용하중에
의한 인장연단응력   에 따라 다음과 같이 비균열등급, 부분균열등급, 완전균열
등급으로 구분된다.
1) 비균열등급 :   ≤ 
 

2) 부분균열등급 : 
     ≤ 
 

3) 완전균열등급 :    
 

4) 2방향 프리스트레스트콘크리트 슬래브는   ≤ 


  를 만족하는 비균열

등급 부재로 설계되어야 한다.

제3장 PSC 설계일반 | 71


prestressed concrete

(4) 비균열등급과 부분균열등급 휨부재의 사용하중에 의한 응력은 비균열단면을 사


용하여 계산하여야 한다. 완전균열단면 휨부재의 사용하중에 의한 응력은 KDS
14 20 30(4.2.3(2))에 따라 균열 환산단면을 사용하여 계산하여야 한다.
(5) 프리스트레스트콘크리트 휨부재의 처짐은 KDS 14 20 30(4.2.3)에 따라 계산하
여야 한다.

3.1.2❙ PSC 설계에서의 부호 규약


일반적으로 구조물을 해석할 경우에는 인장(tension)을 (+), 압축(compression)을
(-)로 규정한다. 그러나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는 고강도 강재에 인장력을 작용
시켜 긴장시킨 채로 부재에 고정하여 그 반력으로 콘크리트에 압축력을 도입하므로
콘크리트는 대부분 압축력을 받게 되어 프리스트레스가 작용하게 되는 것이다. 그래
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를 해석할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부호 규약을 따른다.

 압축  
 





(3.1)
 인장  

3.1

PSC 구조물 설계의 기본 가정사항 중에서 옳지 않은 것은 다음 중 어느 것인가?


가. 변형은 중립축으로부터 거리에 비례하지 않으며, 소성적으로 해석한다.
나. 균열이 생긴 단면에서 콘크리트의 인장강도는 무시한다.
다. 긴장재의 부착력이 일어나기 전의 단면 형상의 계산에 있어서는 덕트(duct)의 단면적
을 공제해야 한다.
라. 부착이 있는 긴장재 및 보강 철근의 단면적은 프리텐션 부재 및 그라우팅 후 포스트텐
션 부재에서는 유효 단면에 포함시킨다.

풀이 변형은 중립축으로부터 거리에 비례하며 탄성적으로 해석한다.


정답 가

72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3.2 PSC의 기본 개념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를 해석할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3가지 해석 개념이 이용


된다.

(1) 응력개념(stress concept):균등질보의 개념(homogeneous beam concept)


(2) 강도개념(strength concept):내력개념(internal force concept), 내력모멘트
개념(internal moment concept)
(3) 하중평형개념(load balancing concept):등가하중개념(equivalent transverse
loading)

3.2.1❙ 응력개념(균등질보의 개념)


취성재료인 콘크리트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면 콘크리트가 탄성재료로 변환된다
는 개념의 해석방법으로 가장 널리 통용되고 있는 해석방법이다. 콘크리트는 인장에
는 약하나 압축에는 강하므로, 미리 프리스트레싱에 의한 압축을 가함으로써 콘크리
트가 인장에 견딜 수 있으며 결론적으로 콘크리트는 균열이 발생되지 않는 탄성재료
가 된다. 그러므로 응력해석이나 설계에서는 탄성이론이 적용된다.
콘크리트 부재는 주로 2가지 하중을 받으며, 그로 인해 프리스트레스 힘에 의한
응력(압축응력)과 하중에 의한 응력(휨응력)이 유발된다. 콘크리트에 균열이 발생하
지 않는 한 하중과 프리스트레스 힘에 의하여 일어나는 응력, 변형도, 처짐 등을 따
로 계산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에는 이들을 합산할 수 있다. 즉, 탄성거동 내에서
는 중첩의 원리가 적용 가능함을 말한다.
응력개념을 사용하여 PSC 보를 해석할 경우 다음과 같은 4가지 경우의 콘크리트
부재 내 긴장재(tendon)의 배치방법이 있다.

(1) 긴장재를 직선으로 도심에 배치한 경우

긴장재를 부재의 도심축과 일치시켜 배치한 경우에는 프리스트레스 힘에 의한 압축


응력(  )과 하중(고정하중과 활하중)에 의한 휨응력(  )이 작용하게 되고 부재 단면
에는 2가지 응력의 조합응력( )이 작용하게 된다.

제3장 PSC 설계일반 | 73


prestressed concrete

그림 3.1 긴장재를 직선으로 도심에 배치한 경우의 응력 상태

1) 프리스트레스 힘에 의한 압축응력


   (3.2)

2) 하중(고정하중과 활하중)에 의한 휨응력


  ±   (3.3)

3) 콘크리트 응력(조합응력)

 
   ±  (3.4)
 

여기서,  :콘크리트에 작용하는 응력


 :콘크리트의 단면적
 :총 단면에 대한 단면 2차 모멘트
 :외력에 의한 모멘트
 :프리스트레스 힘
 :단면 도심으로부터의 거리

74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3.2

그림의 PSC 보에서 P 750kN이 작용할 때 경간 중앙단면의 콘크리트 응력을 응력개념으


3
로 구하고, 응력분포도를 작성하시오. (단, PSC 보의 단위중량은 25kN/m , PS 강재는 직
선이고 단면 중앙에 배치되어 있다.   은 등분포활하중이며 보의 자중도 고려한다)

   
풀이 콘크리트 응력    ±     ±  ×    ± 에서
   ×  
상단부응력                
하단부응력                
  ×   
여기서,         ,        
   
자중     ×  ×    ×  ×     ,
활하중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제3장 PSC 설계일반 | 75


prestressed concrete

3.3

그림과 같이 단면의 중심에 PS 강선이 배치된 부재에 자중을 포함한   30kN/m가 작용


한다. 부재의 연단에 인장응력이 발생하지 않게 하려 할 때, PS 강선에 도입되어야 할 긴장
력은 최소 얼마 이상인지 구하시오.

   
풀이        이 되는 경우이며    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 
여기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긴장재를 직선으로 편심 배치한 경우

긴장재를 편심거리 e를 가지고 직선으로 배치한 경우에는 프리스트레스 힘에 의한


압축응력(  )과 편심 재하된 프리스트레스 힘에 의한 휨응력(  ), 하중(고정하중과
활하중)에 의한 휨응력(  )이 작용하게 되고 부재 단면에는 3가지 응력의 조합응력
( )이 작용하게 된다.
이 경우에는 긴장재를 직선으로 도심에 배치한 경우와 비교해볼 때, 편심으로 작
용하는 프리스트레스 힘에 의한 부(-)의 휨모멘트가 발생하여 부재 하단의 인장응력
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76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그림 3.2 긴장재를 직선으로 편심 배치한 경우의 응력 상태

1) 프리스트레스 힘에 의한 압축응력

   (3.5)

2) 편심 재하된 프리스트레스 힘에 의한 휨응력


 
  ∓   (3.6)

3) 하중(고정하중과 활하중)에 의한 휨응력



  ±   (3.7)

4) 콘크리트 응력(조합응력)
  
   ∓  ±  (3.8)
  

여기서,  :콘크리트에 작용하는 응력


 :콘크리트의 단면적
 :총 단면에 대한 단면 2차 모멘트

제3장 PSC 설계일반 | 77


prestressed concrete

 :외력에 의한 모멘트
 :프리스트레스 힘
 :단면 도심으로부터의 거리
 :단면 도심으로부터의 편심 거리

3.4

그림과 같은 단면의 PSC 보에 등분포하중(자중 무시)이 작용할 때, 중앙단면의 응력을 응력


개념으로 구하고, 응력분포도를 작성하시오. (단,   2500kN)

풀이 콘크리트의 응력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에서
상단부응력:
                 
하단부응력:
                 
여기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8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3.5

그림과 같은 단면의 PSC 보에 등분포하중(자중 고려)이 작용할 때, 중앙단면의 응력을 응력


3
개념으로 구하고, 응력분포도를 작성하시오. (단, PSC 보의 단위중량은 25kN/m ,  
3375kN, 긴장재의 편심량   250mm, 활하중은    18kN/m이다)

풀이 콘크리트의 응력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에서
상단부응력 :           
      
하단부응력 :         
여기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제3장 PSC 설계일반 | 79


prestressed concrete

3.6

그림과 같이 등분포하중을 받는 단순보에 PS 강재를    만큼 편심시켜서 직선으로


작용시킬 때 보 중앙단면의 하단부응력을 구하시오. (단, 지중은 무시한다)

     ×  


풀이 하단부응력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여기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 긴장재를 절곡 또는 곡선으로 배치한 경우

긴장재를 중앙에서 절곡하여 배치한 경우에는 프리스트레스 힘 P는  의 경사를 가


지고 작용하게 된다. 이런 경우에는 프리스트레스 힘 P를 수평분력(   )과 수직
분력(     )으로 나누어서 작용시키면 된다. 그러므로 기존의 프리스트레스 힘 P
대신에 수평분력(   )을 대입하고, 수직분력(    )에 의한 전단력 항목을 추
가하면 된다.
이 경우에는 긴장재를 직선으로 편심 배치한 경우와 비교해볼 때, 부(-)의 전단력
이 발생하여 하중에 의한 정(+)의 전단력을 감소시켜 주는 효과가 있다.

80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그림 3.3 긴장재를 절선 배치한 경우의 응력 상태

1) 프리스트레스 힘에 의한 압축응력
  
   (3.9)

2) 편심 재하된 프리스트레스 힘에 의한 휨응력


    
  ∓   (3.10)

3) 하중(자중과 활하중)에 의한 휨응력



  ±   (3.11)

4) 전단력
       (3.12)

위 식에서  가 미소하면   ≒  ,     ≒ 이 되므로 식 (3.9)~(3.12)는 다음과


같이 된다.

제3장 PSC 설계일반 | 81


prestressed concrete

1) 프리스트레스 힘에 의한 압축응력
   
     (3.13)
 

2) 편심 재하된 프리스트레스 힘에 의한 휨응력


      
  ∓    ∓   (3.14)
 

3) 하중(고정하중과 활하중)에 의한 휨응력



  ±   (3.15)

4) 전단력
        (무시) (3.16)

그러므로 긴장재를 절곡 배치한 경우의 조합응력은 다음과 같다.

5) 콘크리트 응력(조합응력)

   
   ∓  ±  (3.17)
  

여기서,  :콘크리트에 작용하는 응력


 :콘크리트의 총 단면적
 :총 단면에 대한 단면 2차 모멘트
 :외력에 의한 모멘트
 :프리스트레스 힘
 :단면 도심으로부터의 거리
  :단면 도심으로부터의 편심 거리

긴장재를 곡선 배치한 경우에도 절곡 배치한 경우와 같은 개념으로 해석하며, 이상


의 3가지 경우를 비교해보면 긴장재의 배치방법에 따른 역학적 효과는 다음과 같다.

직선으로 도심배치 < 직선으로 편심배치 < 절곡 또는 곡선배치 (3.18)

82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3.7

그림과 같이 긴장재를 포물선으로 배치한 보의 중앙단면의 콘크리트 응력을 응력개념으로


계산하시오. (단, 프리스트레스트 힘은     , 경간 중앙단면에서 긴장재의 편심
량은     이다. 콘크리트의 단위중량은      이고 자중 이외의 활하중
     가 작용하며, 경간은 20m이다)

풀이 콘크리트의 응력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에서
상단부응력:
                 
하단부응력:        
   ×  
여기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제3장 PSC 설계일반 | 83


prestressed concrete

3.8

그림의 단순지지 보에서 긴장재는 C점에   의 편차에 직선으로 배치되고,  
으로 긴장되었다. 보에는   집중하중이 C점에 작용한다. 보의 고정하중은 무시할 때
A-C구간에서의 전단력을 구하시오.

풀이 ∑   에서  ×    ×   
∴    
∴    
편심에 의한 A-C 구간의 전단력감소량은  의 수직분력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2.2❙ 강도개념(내력개념, 내력모멘트개념)


콘크리트는 압축, 긴장재는 인장을 받아 두 힘의 우력모멘트로 외력에 저항한다는
개념으로 철근 콘크리트의 해석 개념과 유사하다. 철근 콘크리트 보에서는 초과하중
의 재하로 인해 인장부 콘크리트에 균열이 발생하지만 PSC 보에서는 하중 재하 이
전에 긴장재의 긴장으로 인해 긴장재가 인장응력을 받고 콘크리트가 압축응력을 받
게 되므로 RC와 유사한 거동으로 간주하나, 긴장재 주변의 콘크리트는 긴장력 때문
에 균열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는 보다 이상적인 RC보의 거동이라 할 수 있으므로
극한강도이론에 따라 설계할 수 있다.

84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a) 하중 없는 RC보 (b) 하중 없는 PSC보

(c) 하중  이 있는 RC보 (d) 하중  이 있는 PSC보

(e) 일반하중  에서의 RC보 (f) 일반하중  에서의 PSC보

그림 3.4 RC 보와 PSC 보의 비교

RC는 하중이 증가함에 따라 힘의 평형조건(∑    ∑    )을 만족하기 위해


압축력  와 인장력  의 증가로 우력 모멘트가 증가하는데 반해 PSC는 우력 모멘
트의 증가를 위해 모멘트 팔길이( )가 증가한다.

(a) 긴장재의 배치 (b) 응력  의 분포와 총응력 (C,T)

(c) 압축력 C의 작용

그림 3.5 PSC 보의 강도 개념

제3장 PSC 설계일반 | 85


prestressed concrete

하중에 의한 휨모멘트를  , 긴장재에 작용하는 프리스트레스 힘을  라 하면 다음


의 식이 성립된다.

 (3.19)
        (3.20)

여기서,  :압축력
 :인장력
 :프리스트레스 힘
 :모멘트 팔길이


식 (3.20)으로부터    이므로 편심거리 ′ 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     (3.21)

그러므로 프리스트레스 힘  가 작용하는 PSC 단면의 콘크리트 응력은 압축력  가


작용하는 콘크리트의 응력과 동일하게 다음 식으로 계산할 수 있다.

  ′   ′
   ±    ±  (3.22)
   

3.9

휨모멘트 120.5 kN·m(자중 포함)가 작용하는 PS 콘크리트 보에 프리스트레스   3,000 kN


이 주어졌을 경우 저항모멘트의 팔 길이를 구하시오.

 
풀이        에서        
 

3.10

그림과 같이 긴장재를 포물선으로 배치한 보의 중앙단면의 콘크리트 응력을 강도개념으로


계산하시오. (단, 프리스트레스트 힘은     , 경간 중앙단면에서 긴장재의 편심
량은     이다. 콘크리트의 단위중량은      이고, 자중 이외의 활하
중      가 작용하며, 경간은   이다)

86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풀이 콘크리트의 응력
 ′   × 
   ±     ±  ×    ±  에서
   
상단부응력                
하단부응력       
  ×  
여기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2.3❙ 하중평형개념(등가하중개념)
이 방법은 곡선이나 절곡된 긴장재의 프리스트레스 힘에 의한 수직하중과 외부하중
과의 균형을 이루게 하는 것을 그 기본 개념으로 하며, 프리스트레스 힘에 의한 작용
이 수직하중과 비긴다면 보와 같은 휨부재는 주어진 하중 하에서 휨응력을 받지 않
고 압축응력만 작용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부재는 축방향력에만 저항하므로 구조물
의 해석과 설계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 개념은 일반적으로 긴장재를 포물선으로 배치한 경우와 긴장재를 절곡 배치한
경우 2가지에 대해서 검토한다.

제3장 PSC 설계일반 | 87


prestressed concrete

(1) 긴장재를 포물선으로 배치한 경우

그림 3.6(b)와 같이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여 긴장재를 포물선으로 배치하려면 등


분포 하향력 하중  가 작용해야 한다. 그리고 긴장재의 양끝을 콘크리트에 정착하면
콘크리트에는 프리스트레스 힘 때문에 원래의 상태로 복원하려는 성질에 의하여 등
분포 상향력  가 작용한다(그림 3.6(c)). 이 등분포 상향력  는 보에 부(-)의 휨모
멘트(  )를 발생시키고, 이 부(-)의 휨모멘트는 프리스트레스 힘에 의한 도심의 편
심모멘트(  )와 같은 값이 된다.
만일 이 부(-)의 휨모멘트가 외력으로 작용하는 등분포하중  에 의한 정(+)의 휨
모멘트와 같아지면 이 보는 휨응력이 작용하지 않고 압축응력만 받게 되고, 등분포
상향력  와 등분포하중  가 비기지 않을 경우에는 그 차에 의한 휨모멘트가 발생하
여 휨응력이 발생하게 된다.

(a) (d)

(b) (e)

(c) (f)
그림 3.6 PSC 보의 하중평형개념(포물선 배치)

1) 등분포 상향력(  )에 의한 휨모멘트


   (3.23)

88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2) 긴장력  에 의한 도심의 편심모멘트
   (3.24)

여기서,  :포물선의 새그(sag)

3) 평형재하 등분포 상향력

  
      ∴   (3.25)
 

이 등분포 상향력과 단순보의 설계하중  와 완전히 평형된다고 한다면 이 단순보에


는 프리스트레스에 의한 압축응력만을 받는 부재로 생각할 수 있다.

4) 하중(고정하중과 활하중)에 의한 휨모멘트(  ≠  일 경우)


     
      여기서,        (3.26)

5) 콘크리트 응력

   
   ±  (3.27)
 

3.11

그림과 같이 PS 강선을 포물선으로 배치했을 때 중앙점에서 PS 강선의 편심은 100 mm이고


양 지점에서는 0이었다. PS 강선을 3,000 kN으로 인장할 때 생기는 등분포 상향력  를 계
산하시오.

 
풀이 포물선 배치 시    에서

  ×  × 
∴    
 

제3장 PSC 설계일반 | 89


prestressed concrete

3.12

그림과 같은 단순 PSC 보에서 등분포하중(자중포함)     가 작용하고 있다. 프


리스트레스에 의한 상향력과 이 등분포하중이 비기기 위해서는 프리스트레스 힘  를 얼마
로 도입해야 하는지 계산하시오.

     × 
풀이 포물선 배치 시   에서 ∴        
   × 

3.13

경간 20 m에     (자중 포함)가 작용하는 PSC 단순보에 프리스트레스  


2,500 kN이 주어져 있다. 하중 평형법에 의하여 순하향 하중을 구하시오.
(단, 새그      )

 
풀이 포물선 배치 시    에서

  ×  × 
∴    
 
∴ 순하향 하중           

3.14

그림과 같이 긴장재를 포물선으로 배치한 보의 중앙단면의 콘크리트 응력을 하중평형개념


으로 계산하시오. (단, 프리스트레스트 힘은   3375kN, 경간 중앙단면에서 긴장재의
편심량은     이다. 콘크리트의 단위중량은      이고, 자중 이외의
활하중      가 작용하며, 경간은 20 m이다)

90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     
풀이 콘크리트의 응력    ±     ±  ×    ±  에서
   
상단부응력                
하단부응력       
   ×  
여기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등분포 상향력    
    
 
외력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하향의 등분포 하중으로 인한 휨응력 발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긴장재를 절곡 배치한 경우

그림 3.7(b)와 같이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여 긴장재를 절곡으로 배치하려면 집중


하향력 하중  가 작용해야 한다. 그리고 긴장재의 양끝을 콘크리트에 정착하면 콘크
리트에는 프리스트레스 힘 때문에 원래의 상태로 복원하려는 성질에 의하여 집중 상
향력  가 작용한다(그림 3.7(d)). 이 집중 상향력  는 그림 3.7(e)에서와 같이 정역
학적 평형방정식에 의하여 쉽게 구할 수 있다.

제3장 PSC 설계일반 | 91


prestressed concrete

(a) (b)

(c) (d)

(e) (f)

그림 3.7 PSC 보의 하중평형개념(절곡 배치)

1) 집중 상향력

       (3.28)

여기서,  :외력(집중하중)

2) 절곡 배치에 따른 휨모멘트(  ≠  일 경우)

    
     (3.29)

3) 전체 휨모멘트

      

여기서,    :절곡 배치에 따른 휨모멘트


 :자중에 의한 휨모멘트

4) 콘크리트 응력

 
   ±  (3.30)
 

92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긴장재의 배치에 따른 등가하중 및 그에 따른 휨모멘트는 그림 3.8과 같다.

(a)

(b)

(c)

(d)

그림 3.8 긴장재에 의한 등가하중과 휨모멘트

3.15

그림과 같이 경간 중앙점에서 강선(tendon)을 꺾었을 때, 이 꺾은 점에서의 상향력  를 계


산하시오.

풀이 절곡 배치 시 힘의 평형조건식   을 이용하면
       에서
∴      

제3장 PSC 설계일반 | 93


prestressed concrete

3.16

그림과 같은 단순 PC보에서 경간 중앙의 절곡점에서 상향력(  )과 외력(  )이 비기기 위한


PS 강선 프리스트레스힘(  )의 크기를 구하시오. (단, 손실은 무시한다)

풀이 절곡 배치 시 힘의 평형조건 식 Σ  을 이용하면        에서


     
여기서,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3.17

그림과 같이 경간 중앙점에서 강선을 꺾었을 때, 이 중앙점에서 상항력  를 계산하시오.

풀이 절곡 배치 시 힘의 평형조건 식 Σ  을 이용하면
       에서
∴      

94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3.18

그림과 같은 PSC 보의 중앙단면에서의 응력을 하중평형개념으로 계산하시오. 단면은


  ×   의 직사각형이고, 프리스트레스 힘은     이다. (단, 콘크
리트 단위중량      이다)

   
풀이 콘크리트의 응력    ±     ±  ×    ±  에서
   
상단부응력                
하단부응력       
  × 
여기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집중 상향력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하향의 집중하중으로 인한 휨응력 발생
절곡 배치에 따른 휨모멘트
        × 
         ⋅
 
   × 
자중에 따른 휨모멘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전체 휨모멘트              

제3장 PSC 설계일반 | 95


prestressed concrete

3.3 하중 단계에 따른 PSC의 거동

PSC 부재는 일반적으로 3단계에 걸쳐 응력을 받는다. 즉, 제조과정인 초기 단계에


서는 프리스트레스 힘을 받고 중간 단계인 운반과정에서 받는 힘이 있으며, 완성 후
인 최종 단계에서는 설계하중을 받는다.

3.3.1❙ 초기 단계
이 단계는 PSC 부재를 제조하는 과정, 특히 프리스트레싱을 실시한 직후의 응력상
태로서 다음과 같이 구분한다.

(1) 프리스트레싱하기 전 단계

이 단계의 PSC는 무근 콘크리트와 같아서 매우 약하므로 양생에 주의해야 하며, 온


도의 갑작스러운 변화를 피하여 균열을 방지하여야 한다.

(2) 프리스트레싱 작업 중인 단계

이 단계는 강재가 그 수명동안 받을 인장응력 중 가장 큰 응력을 받을 시기이다. 이


때 정착부에 대한 지압강도는 매우 크고, 초기재령의 콘크리트가 받는 프리스트레스
는 최대이므로 콘크리트의 품질이 좋지 않으면 정착부에서 콘크리트의 파괴가 일어
날 수 있다.

(3) 프리스트레싱 직후

이 단계에서 프리텐션 부재의 경우 인장대의 PS 강재 정착부를 풀어주는 작업만으


로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다. 포스트텐션 부재의 경우 여러 개의 긴장재가 배치되므
로 긴장작업은 몇 회에 걸쳐 실시되며 점진적으로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게 된다.

(4) 재 긴장단계

PSC 부재는 때로 재 긴장이 있을 수 있는데, 이런 경우에는 두 번 또는 그 이상의 단계


로 프리스트레싱이 실시된다. 보통의 경우는 콘크리트의 건조수축과 크리프에 의한
프리스트레스의 감소량을 적게 하기 위하여 이미 긴장한 긴장재를 다시 더 긴장하는
경우이며, 설계에 따라 초기 자중 외에 추가 고정하중이 발생할 때 나머지 긴장재를

96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추가로 긴장하는 경우도 있다. 이때에는 단계별로 응력상태를 검토해 주어야 한다.

3.3.2❙ 중간 단계
(1) 이 단계는 프리캐스트의 PSC 부재를 운반하고 가설하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응력
상태이다. 소정의 프리스트레싱 작업이 완료된 직후의 PSC 부재는 프리스트레스와
자중에 의한 휨응력의 조합응력이 작용하는 상태에 있으므로 운반하고 취급하는
과정에서 부재에 위험한 응력이 일어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2) 부재는 가설 후에 재하되는 고정하중의 위치에 따라서도 위험한 응력이 일어나
는 수가 있다.

3.3.3❙ 최종 단계
(1) 이 단계는 모든 설계하중이 작용할 때의 응력상태로 고정하중과 활하중의 가장
불리한 조합을 고려해야 하며, 풍하중, 지진하중과 같은 횡방향 하중과 지점의
침하, 온도변화의 영향을 고려해야 한다.
(2) 보통 구조물에 설계하중이 작용하는 시기는 프리스트레스 도입 후 몇 개월 정도
후이므로 이 시기에는 콘크리트에 건조수축, 크리프 및 PS 강재의 릴랙세이션
등으로 인하여 최초에 PS 강재에 준 인장력이 감소하게 된다. 이러한 감소 후 긴
장재에 남아있는 인장력을 유효 인장력이라고 하며, 이때 콘크리트에 작용하는
실제 남아있는 프리스트레스를 유효 프리스트레스라고 한다. 따라서 이 단계에
서는 유효 프리스트레스에 대하여 검토하여야 한다.
(3) 최종적으로 설계하중에 관한 응력과 균열, 파괴에 대한 안전도를 검토해야 한다.

제3장 PSC 설계일반 | 97


prestressed concrete

3.19

PSC(Prestressed Concrete)의 원리를 설명할 수 있는 기본 개념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가. 응력개념 나. 강도개념
다. 변형도개념 라. 하중평형개념

풀이 PSC의 기본 3개념
① 응력개념(균등질보의 개념)
② 강도개념(내력 모멘트 개념)
③ 하중평형개념(등가하중 개념)
정답 다

3.20

PSC 보를 RC 보처럼 생각하여 콘크리트는 압축력을 받고 인장재는 인장력을 받게 하여 두 힘


의 우력모멘트로 외력에 의한 휨모멘트에 저항시킨다는 생각은 다음 중 어느 개념과 같은가?
가. 응력개념 나. 강도개념
다. 변형도개념 라. 하중평형개념

풀이 PSC의 기본 3개념 중 강도개념(내력모멘트개념)에 대한 설명이다.


정답 나

3.21

콘크리트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면 콘크리트가 탄성재료로 전환된다는 생각은 다음 중


어느 개념인가?
가. 강도개념(strength concept)
나. 등가하중(equivalent transverse loading)의 개념
다. 내력개념(internal force concept)
라. 응력개념(stress concept)

풀이 PSC의 기본 3개념 중 응력개념(균등질보의 개념)에 대한 설명이다.


정답 라

98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3.22

PSC의 원리와 일반적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가. PSC는 외력에 의하여 발생하는 응력을 소정의 한도까지 상쇄할 수 있도록 미리 내력
을 준 콘크리트이다.
나. PSC 부재에 사용하는 PS 강재는 보통 연강이고 콘크리트의 설계기준 압축강도는
24MPa 정도이다.
다. PSC의 기본개념은 응력개념, 강도개념 및 하중평형개념으로 분류할 수 있다.
라. PSC 부재는 초과하중이 작용하여 균열이 발생하더라도 그 하중이 제거되면 균열이 폐
합되는 복원성이 우수하다.

풀이 PS 콘크리트의 콘크리트 품질설계기준강도


① 프리텐션 방식: ≧  
② 포스트텐션 방식: ≧  
정답 나

제3장 PSC 설계일반 | 99


prestressed concrete

3.1 PS 콘크리트의 해석에서 응력개념을 설명하시오.

3.2 PS 콘크리트의 해석에서 강도개념을 설명하시오.

3.3 PS 콘크리트의 해석에서 하중평형개념을 설명하시오.

3.4 하중 단계에 따른 PSC의 거동 중 초기 단계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5 PC 강재의 배치방법의 종류를 역학적 효과에 따라 차례로 나열하시오.

3.6 그림의 PSC 보에서     이 작용할 때 경간 중앙단면의 콘크리트 응력을 응력


개념으로 구하고, 응력분포도를 작성하시오. (단, PSC 보의 단위중량은    ,
PS 강재는 직선이고 단면 중앙에 배치되어 있다.   은 등분포 활하중이며 보의 자중
도 고려한다)

100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3.7 그림과 같이 등분포하중을 받는 단순보에 PS 긴장재를      만큼 편심시켜
서 직선으로 작용시킬 때 보 중앙단면의 응력을 응력개념으로 구하고, 응력분포도를
작성하시오. (단, 자중은 무시한다)

3.8 그림과 같은 경간 8m인 변 단면 보에 등분포하중(자중 포함)     가 작


용할 경우 경간 중앙단면의 최대 압축응력을 계산하시오. (단, PS 긴장재의 인장력
    , 편심량      이다)

3.9 휨모멘트    ⋅ (자중 포함)가 작용하는 PS 콘크리트 보에 프리스트레


스     이 주어졌을 경우 저항모멘트의 팔 길이를 구하시오.

제3장 PSC 설계일반 | 101


prestressed concrete

3.10 그림과 같이 긴장재를 직선으로 편심 배치한 보의 중앙단면의 콘크리트 응력을 강도


개념으로 계산하시오. (단, 프리스트레스트 힘은     , 경간 중앙단면에
서 긴장재의 편심량은     이다. 콘크리트의 단위중량은     
이고, 경간은 15m이다)

3.11 그림과 같은 PSC보의 프리스트레스에 의한 상향력  를 하중평형개념으로 구하시오.

3.12 그림과 같은 단순 PSC보에서 등분포하중     (자중 포함)가 작용하고 있


다. 프리스트레스에 의한 상향력과 작용하는 등분포하중이 비기기 위한 프리스트레
스 힘 P를 계산하시오.

102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3.13 그림과 같이 긴장재룰 포물선으로 배치한 PSC 보에 등분포하중(자중 고려)이 작용
할 때, 보의 중앙단면의 응력을 응력개념, 강도개념, 하중평형개념으로 모두 구하
시오. (단,     , 긴장재의 편심량은     , 자중 이외의 활하중은
     , PSC 보의 단위중량은    이다)

제3장 PSC 설계일반 | 103


CHAPTER

04
프리스트레스의
긴장 및 정착방법

4.1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의 분류


4.2 PS 강재의 긴장방법
4.3 PS 강재의 정착방법
4.4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교량의 시공
4.5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교량의 종류
CHAPTER

04 프리스트레스의 긴장 및 정착방법

학습목표
1.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방법에 따른 분류를 학습한다.
2. PS 강재의 긴장방법과 정착방법을 학습한다.
3.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교량의 시공방법을 학습한다.
4.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교량의 종류를 학습한다.

4.1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의 분류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은 설계와 시공방법에 따라서 다음과 같이 여러 가


지로 분류할 수 있다.

(1) 내적 프리스트레싱과 외적 프리스트레싱

1) 내적 프리스트레싱(Internally prestressing)
긴장재를 콘크리트 부재 속에 배치하여 긴장하여 정착시키는 방법이다.

2) 외적 프리스트레싱(Externally prestressing)
긴장재를 콘크리트 부재 밖에 배치하여 긴장하여 정착시키는 방법이다(외적 프리스
트레싱은 기존 구조물의 보강에 주로 사용).

(2) 선형 프리스트레싱과 원형 프리스트레싱

1) 선형 프리스트레싱(Linear prestressing)
긴장재를 직선으로 배치하는 방법이다(PSC 보와 슬래브 등에 주로 사용).

2) 원형 프리스트레싱(Linear prestressing)
긴장재를 원형으로 배치하는 방법이다(PSC 원형탱크, silo, pipe, 원자로 격납고 등
에 주로 사용).

제4장 프리스트레스의 긴장 및 정착방법 | 107


prestressed concrete

(3) 프리텐셔닝과 포스트텐셔닝

1) 프리텐셔닝(Pre-tensioning)
긴장재를 먼저 긴장한 후에 콘크리트를 치고 콘크리트가 굳은 다음 긴장재에 가해
두었던 인장력을 긴장재와 콘크리트의 부착에 의해서 콘크리트에 전달시켜 프리스
트레스를 주는 방법이다.

2) 포스트텐셔닝(Post-tensioning)
콘크리트가 굳은 후에 긴장재를 인장하고 그 끝부분을 콘크리트에 정착시켜서 프리
스트레스를 부재에 도입시키는 방법이다.

(4) 완전 프리스트레싱과 부분적 프리스트레싱

1) 완전 프리스트레싱(Full prestressing)
사용하중 재하시 부재 내에 인장응력이 전혀 발생하지 않도록 완전하게 프리스트레
싱 하는 방법이다.

2) 부분적 프리스트레싱(Partial prestressing)


사용하중 재하시 부재 내에 허용범위 내에서 인장응력의 발생을 허용하며, 인장받는
부분에 철근을 사용하도록 설계하는 프리스트레싱 방법이다.

(5) 긴장재의 단부 정착장치 여부

1) 단정착장치가 있는 긴장재(End-anchored tendons)


포스트텐셔닝에서 콘크리트에 프리스트레스를 주기 위해 긴장재 양끝 또는 한쪽 끝
에 정착장치를 이용하여 콘크리트에 정착하는 방법이다.

2) 단정착장치가 없는 긴장재(Non-end-anchored tendons)


프리텐셔닝에서 긴장재 끝 부분에 PS 강재와 콘크리트의 부착작용에 의해 정착장치
없이 프리스트레스를 주는 방법이다.

(6) 긴장재의 콘크리트 부착 여부

1) 부착시킨 긴장재(Bonded tendons)


전 길이에 걸쳐서 주위의 콘크리트에 부착된 긴장재를 말한다(프리텐션 부재, 그라
우팅한 포스트텐션 부재).

108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2) 부착시키지 않은 긴장재(Unbonded tendons)
포스트텐셔닝의 경우 단정착장치가 있는 긴장재는 콘크리트에 부착시키기도 하고
또는 부착하지 않기도 한다. 부착시키지 않는 경우는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피복하
거나 도금을 한 긴장재를 사용한다.

(7) 프리캐스트, 현장타설, 합성구조

1) 프리캐스트(Precast)
제조공장이나 현장 근처에서 부재를 제조하여 최종 위치에 운반하여 설치하는 방법
으로 대량생산이 가능한 작은 세그먼트 제작에 유리한 방법이다.

2) 현장타설(Cast-in-place)
구조물을 현장위치에서 직접 거푸집과 동바리를 이용하여 건설하는 방법으로 운반
및 가설비를 절약할 수 있으므로 크고 무거운 부재에 유리한 방법이다.

3) 합성부재(Composite member)
구조물의 일부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로 제작하고, 나머지 부분은 현장타설 콘크리
트로 하여 구조물을 완성하는 방법으로 전체 구조물을 현장치기 콘크리트로 할 경우
보다 거푸집과 동바리가 절약된다.

4.1

부분 프리스트레싱에 대한 설명 중 바른 것은?
가. 구조물에 부분적으로 PSC 부재를 사용하는 방법
나. 부재 단면의 일부에만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방법
다. 사용하중 작용 시 PSC 부재 단면의 일부에 인장응력이 생기는 것을 허용하는 방법
라. PSC 부재 설계 시 부재 하단에만 프리스트레스를 주고 부재 상단에는 프리스트레스
하지 않는 방법

풀이 ① 완전프리스트레싱:사용하중 재하 시 부재 내에 인장응력이 전혀 발생하지 않도록 완전하게 프리스


트레싱하는 방법
② 부분적 프리스트레싱:사용하중 재하 시 부재 내에 허용범위 내에서 인장응력의 발생을 허용하며, 인장
받는 부분에 철근을 사용하도록 설계하는 프리스트레싱 방법
정답 다

제4장 프리스트레스의 긴장 및 정착방법 | 109


prestressed concrete

4.2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에 대한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가. 프리텐션 방식에서 프리스트레스의 도입은 콘크리트의 압축강도가 35MPa 이상이어
야 한다.
나. 프리스트레스의 손실은 여러 원인에 의하여 일어나지만 그중 콘크리트의 크리프와 건
조수축에 의한 영향이 제일 크다.
다. PS 콘크리트에서 고강도 강재를 사용하는 이유는 높은 인장응력에 견디며, 손실 발생
후 프리스트레싱 효율이 좋기 때문이다.
라. 긴장재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프리텐션 부재에서는 방청제를 도포한 긴장재를 사
용해야 된다.

풀이 ① 프리텐션 부재:콘크리트에 방청제를 혼합시켜 사용할 수 있으나 긴장재에 직접 도포하지는 않는다.


② 포스트텐션 부재
∙ 부착시킨 긴장재:시멘트를 주된 재료로 하여 그라우팅 한다.
∙ 부착시키지 않은 긴장재:포스트텐션닝의 경우 단정착장치가 있는 긴장재는 콘크리트에 부착시키
기도 하고 또는 부착하지 않기도 한다. 부착시키지 않는 경우는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피복하거나
도금을 한 긴장재를 사용한다.
정답 라

4.2 PS 강재의 긴장방법

프리스트레싱 공법은 PS 강재에 소정의 인장응력을 주기 위하여 PS 강재를 긴장하


여야 한다. PS 강재를 긴장하는 방법에는 기계적 방법, 화학적 방법, 전기적 방법 등
이 있다.

4.2.1❙ 기계적 방법
가장 일반적인 방법으로 잭(Jack)을 이용하여 PS 강재를 긴장하는 방법을 기계적 방법
(mechanical prestressing)이라고 하며, 주로 프리텐션과 포스트텐션의 긴장에 사용
된다. 프리텐션 방식에서는 인장대의 격벽이나 거푸집을 받침으로 하여 재킹(jacking)
하는 반면에 포스트텐션 방식에서는 경화된 콘크리트를 받침으로 하여 재킹한다.

110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그림 4.1 강연선 인장기

4.2.2❙ 화학적 방법
팽창 시멘트를 사용한 콘크리트는 초기 재령에서 팽창한다. 이 팽창을 이용하여 강
재를 구속하게 되면 강재는 긴장되고 콘크리트는 압축된다. 이러한 팽창 시멘트의
원리를 이용하여 PS 강재를 긴장하는 방법을 화학적 방법(chemical prestressing)
이라고 한다. 콘크리트의 팽창으로 인한 강재의 인장력은 경화 초부터 방생되므로
경화 후의 콘크리트의 건조수축과 크리프로 인하여 많은 양이 소실되므로 실용상으
로는 문제점이 많다.

4.2.3❙ 전기적 방법
PS 강재에 전기를 흘려보내 그 저항으로 가열되어 늘어난 PS 강재를 정착하는 방법
을 전기적 방법(electrical prestressing)이라고 한다. 전기적 방법은 먼저 PS 강재
를 전기로 가열한 후, PS 강재가 늘어나게 되면 콘크리트에 정착시키고 그 후에 PS
강재를 냉각하여 수축시키면 PS 강재는 인장응력, 콘크리트는 압축응력이 도입되는
원리이다. 이 방법을 이용하면 120℃의 온도 상승으로 약    의 긴장응력
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크리프와 건조수축으로 인하여 유효 긴장력이 얼마 되지 않
으므로 고강도 강재의 활용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4.3 PS 강재의 정착방법

프리텐션 공법은 PS 강재와 콘크리트의 직접 부착에 의하여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


는 방법이므로 콘크리트가 소요의 강도에 도달할 때까지 PS 강재를 인장대의 정착판
에 긴장한 채 고정해두어야 한다. 그러나 포스트텐션 공법에서는 경화한 콘크리트에

제4장 프리스트레스의 긴장 및 정착방법 | 111


prestressed concrete

PS 강재를 긴장하여 정착하여야 하므로 여러 가지 정착공법이 개발되어 있다. 포스


트텐션 공법에서 일반적으로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정착방식을 정착장치의
형태에 따라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4.3.1❙ 쐐기식 공법
PS 강재와 정착장치 사이의 마찰력을 이용한 쐐기작용(wedge action)으로 정착하
는 방식이다. 주로 PS 강선, PS 강연선의 정착에 사용되며, 프레시네 공법, VSL 공
법, CCL공법, 마그넬 공법 등이 이 방법으로 정착된다.

(1) 프레시네 공법(Freyssinet System)

1) 프랑스에서 개발된 공법으로 PS 강선이나 PS 강연선의 정착에 이용된다.


2) 잭(Jack)과 정착콘(corn)을 이용하여 PS 강선을 12개의 쐐기콘(숫콘)의 홈에 끼
워 정착실린더(암콘)에 밀어 넣은 후 잭크를 이용하여 압입피스톤은 쐐기를 압입
하고, 인장피스톤은 강선을 긴장시켜 정착시키는 방법이다. 정착 후 쐐기 중앙에
그라우팅 구멍을 통해 쉬스관 속의 강선을 그라우팅을 하며, 정착부의 부식을 방
지하기 위해 모르타르로 피복한다. 긴장재를 한 번에 긴장하여 1개의 쐐기로 정
착하는 것이 특징이다.
3) 강변도시고속도로, 서해대교, 영흥대교, 완도대교, 거금대교 시공에 적용되었다.

그림 4.2 프레시네 공법의 정착장치

112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2) VSL 공법(Vorspann System Losinger)

1) 독일에서 개발된 공법으로 PS 강연선의 정착에 주로


이용된다.
2) 지름 12.4mm 또는 12.7mm의 7연선 PS 강연선을 정
착판(anchor head)의 구멍에 끼워 VSL잭으로 긴장한
후 풀면 자동적으로 하나씩 쐐기로 정착시키는 방법이
다. VSL 공법은 시공의 경제성과 그 자체의 수려한 외
관 때문에 오늘날 장대교량 시공의 대표적인 공법으로
알려져 있는 사장교에 많이 적용된다.
3) 올림픽대교, 노량대교, 신행주대교, 거금도 연도교, 제
2돌산대교 시공에 적용되었다. 그림 4.3 VSL 공법의
정착장치

(3) CCL 공법(CCL system)

1) 영국에서 개발된 공법으로 PS 강연선의 정착에 주로 이용된다.


2) PC 강연선을 쐐기로 정착하는 방법의 하나로 싱글 스트랜드 시스템을 비롯한 4가
지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림 4.4 CCL 공법의 정착장치

(4) Magnel 공법(Magnel's method)

1) 벨기에에서 개발된 공법으로 PS 강선의 정착에 주로 이용된다.


2) 2개씩의 강선 사이에 1개의 쐐기형 강판을 끼워서 정착시키는 공법으로 특수한
샌드위치 판을 쐐기작용으로 사용하여 8개의 PS 강선을 정착시킬 수 있다.

제4장 프리스트레스의 긴장 및 정착방법 | 113


prestressed concrete

4.3.2❙ 지압식 공법
PS 강선 끝을 리벳머리와 같이 가공하여 이것을 지압판으로 지지하는 리벳머리식과
PS 강봉 끝에 나사를 만들고 여기에 너트를 끼워서 지압판으로 지지하는 너트식이
있다. 주로 PS 강선, PS 강봉의 정착에 사용되며, BBRV 공법, Dywidag 공법, Lee-
McCall 공법 등이 이 방법으로 정착된다.

(1) 리벳머리식

1) BBRV 공법(BBRV method)


① 스위스에서 개발된 공법으로 PS 강선의 정착에 주로 이용된다.
② PS 강선의 단부를 원통형 정착장치(anchor head)의 구멍을 통해 뽑아낸 후, 리
벳머리로 만들고 정착장치 중앙에 뚫린 구멍을 통해 인장봉을 끼워서 잭으로 긴
장한다. 그런 다음 정착부(anchor head)를 정착 너트로 조이고 지압판에 지지시
켜 PS 강선을 정착시킨다.

그림 4.5 BBRV 공법의 정착장치

(2) 너트식

1) Dywidag 공법(Dywidag system)


① 독일에서 개발된 공법으로 PS 강봉의 정착에 주로 이용된다.
② PS 강봉 단부의 전조부분 나사에 특수 강재 너트를 끼워서 정착시키는 공법이다.
이 공법의 장점은 커플러(coupler)를 이용하여 PS 강봉을 쉽게 연장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캔틸레버 가설법으로 장대교에 유리하며, 초기긴장 손실이 적고,
재긴장이 쉽지만 PS 강선보다는 최대 긴장력이 적다.
③ 원효대교, 행주대교 시공에 적용되었다.

114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그림 4.6 Dywidag 공법의 정착장치

2) Lee-McCall 공법(Lee-McCall System)


① 영국에서 개발된 공법으로 PS 강봉의 정착에 주로 이용된다.
② 고장력 강봉의 양단에 경사 나사를 가공하여 특수너트로 정착하는 방법이다.

4.3.3❙ 루프식 공법
루프(loop) 모양으로 가공한 PS 강선 또는 PS 강연선을 콘크리트 속에 매립하여 콘
크리트와의 부착 또는 지압에 의하여 정착하는 방식이다. 주로 PS 강선의 정착에 사
용되며, Leoba 공법, Baur-Leonhardt 공법 등이 이 방법으로 정착된다.

(1) Leoba 공법(Leoba method)

1) 독일에서 개발된 공법으로 PS 강선의 정착에 주로 이용된다.


2) 사용하는 PC 강재는 5mm 및 8mm의 PC 강선이며, 한 개의 케이블은 8~16개로
구성되어 있다. 정착방법에는 2가지가 있는데, 하나는 PC 강선을 루프형으로 가
공해서 정착강편이라고 부르는 쇠장치에 정착하는 방법이며, 다른 방법은 PC 강
선을 원통형의 쇠장치에 쐐기정착하는 방법으로 이것은 언제나 가동측 정착으로
서 긴장측에 사용한다.

(2) Baur-Leonhardt 공법(Baur-Leonhardt method)

1) 독일에서 개발된 공법으로 PS 강선의 정착에 주로 이용된다.


2) PS 강선을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하여 정착하는 방법으로 PS 강선의 일단을 블록
으로부터 타단 블록으로 여러 겹을 동시에 돌려 감은 다음, 부재와 가동블록 사이
에 잭을 삽입하여 이를 작동시켜서 부재와 가동블록 사이를 넓혀 긴장재에 인장
력을 주는 공법이다.

제4장 프리스트레스의 긴장 및 정착방법 | 115


prestressed concrete

그림 4.7 강선용 긴장 정착구

그림 4.8 강선용 연결 정착구

4.3

PS 강재와 정착장치(grip) 사이의 마찰력을 이용하여 쐐기작용으로 PS 강재를 정착하는 방


법이 쇄기식인데 이 방법에 속하지 않는 공법은?
가. VSL 공법 나. BBRV 공법
다. Freyssinet 공법 라. CCL 공법

풀이 BBRV 공법은 지압식 공법이다.


정답 나

116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4.4

강봉 단부의 전조 나사에 특수한 강제 너트를 끼워서 정착시키는 방법으로 커플러에 의해


강봉을 쉽게 이어나갈 수 있으므로 장대교의 건설에 유리한 정착공법은?
가. VSL 나. 프레시네(Freyssinet)
다. B.B.R.V 라. 디비닥(Dywidag) 공법

풀이 디비닥(Dywidag) 공법
① 커플러(coupler)를 이용하여 PS 강봉을 쉽게 연장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캔틸레버가설법으로 장대교
에 유리하다.
② 포스트텐션 공법이다.
정답 라

4.5

마그넬(Magnel) 공법에서 샌드위치판 1장에 몇 개의 PS 강선을 정착시킬 수 있는가?


가. 2개 나. 4개
다. 6개 라. 8개

풀이 마그넬(Magnel) 공법
① PS 강선 지름:5~7mm
② PS 강선 배치:8개(4개의 지압판에 2개씩 배치)
③ 정착장치:샌드위치판
정답 라

제4장 프리스트레스의 긴장 및 정착방법 | 117


prestressed concrete

4.4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교량의 시공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PSC) 교량을 건설하는 가설공법에는 동바리공법과 동바


리를 사용하지 않는 공법으로 나눌 수 있다. 동바리공법은 비교적 소규모의 PSC 교
량 가설에 이용이 되며, 전체 지지식, 지주 지지식, 거더 지지식 등의 방법이 있다.
장지간의 PSC 교량을 가설할 경우에는 동바리를 사용하지 않는 공법을 주로 이용하
는데, 여기에는 현장 타설 공법과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공법 등이 있다.

표 4.1 PSC 교량의 가설공법

동바리 공법(FSM) 동바리를 사용하지 않는 공법


현장 타설 공법 현장 타설 공법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공법(PSM)
① 전체 지지식 ① 캔틸레버 공법(FCM) ① 캔틸레버 가설법
② 지주 지지식 ② 이동식 비계 공법(MSS) ② 경간단위 가설법
③ 거더 지지식 ③ 압출공법(ILM) ③ 전경간단위 가설법

(a) FCM 공법 (b) ILM 공법

(c) MSS 공법 (d) PSM 공법


그림 4.9 동바리를 사용하지 않는 가설공법

118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4.4.1❙ 동바리 공법(Full Staging Method:FSM)
교량 전체 구간에 동바리를 설치하여 타설된 콘크리트가 소정의 강도에 도달할 때까
지 콘크리트의 자중 및 거푸집, 작업대 등의 중량을 일시적으로 동바리가 지지하도
록 만든 공법으로 재래식 공법이다. 비용이 저렴하고 비교적 시공이 간편하여, 일반
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공법으로 평탄한 지형이나 교각의 높이가 높지 않은 비교적
중소 규모의 교량 건설에 적합하다.

(1) 전체 지지식

동바리를 사용하여 콘크리트, 거푸집, 작업대 등의 상부하중을 지지하는 방식으로


지면이 평탄하고 교량 하부공간을 이용하지 않아도 될 경우에 사용한다.

(2) 지주 지지식

상부하중을 상부구조 바로 밑에 설치된 거더에서 받아 지주로 전달하여 지지하는 방


식으로 교량 하부공간을 이용해야 할 경우, 지반에서 상부구조까지의 높이가 높은
경우, 지반의 높이가 다른 경우에 유리하나 지주가 전체 하중을 지지하게 되므로 기
초가 견고해야만 가능한 방식이다.

(3) 거더 지지식

상부하중을 경간 사이에 설치된 조립 거더에서 받아 교각에 설치된 브라켓을 통해 하


부로 전달하는 방식으로 지반 상태가 불량하여 경간 사이에 지주를 설치하기가 곤란
하거나 입체교차 지점 등을 위해 교량의 하부공간을 이용하여야 하는 경우 사용한다.

(a) 전체지지식 (b) 지주지지식 (c) 거더지지식


그림 4.10 동바리 공법의 지지 형태

제4장 프리스트레스의 긴장 및 정착방법 | 119


prestressed concrete

그림 4.11 동바리 공법 시공 순서도

그림 4.12 동바리 공법 시공 전경

4.4.2❙ 캔틸레버 공법(Free Cantilever Method:FCM)


동바리를 사용하지 않는 현장 타설 공법으로 동바리를 필요로 하지 않고 이미 시공
되어 있는 교각으로부터 좌우로 평형을 맞추면서 이동식 작업차(form traveller)나
이동식 가설 트러스를 이용하여 3~5m 길이의 세그먼트(segment)를 순차적으로 시
공해 나가는 공법이다. 캔틸레버 공법은 시공 방법에 따라 현장타설 캔틸레버 공법
과 프리캐스트 캔틸레버 공법으로 나뉘며, 원효대교, 올림픽대교의 사장교 구간, 강
동대교, 청풍교, 상진교, 운암교, 신촌교 시공에 이용되었다.

120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그림 4.13 캔틸레버 공법

그림 4.14 캔틸레버 공법 시공 순서도

캔틸레버 공법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1) 동바리가 필요 없는 현장 타설 공법이므로 깊은 계곡, 하천, 해상과 교통량이 많
은 지역에 적합하며 경제성이 우수하다.
(2) 이동식 작업차와 이동식 가설 트러스를 이용하여 세그먼트를 시공하므로 대형 장
비를 사용하지 않아도 장대교량의 시공에 적합하다.
(3) 이동식 작업차 안에서 대부분의 작업이 실시되므로 기후 조건에 상관없이 품질이
나 공정 등 시공관리가 용이하고 각 시공단계마다 오차 수정이 가능하여 시공 정
밀도를 높일 수 있다.

제4장 프리스트레스의 긴장 및 정착방법 | 121


prestressed concrete

(4) 거푸집 설치, 콘크리트 타설, 프리스트레싱 등의 작업이 반복되므로 시공 속도가 빠


르고 세그먼트를 3~5m씩 나누어 시공하므로 상부구조의 변단면 시공이 가능하다.
(5) 구조해석 및 설계가 다른 가설공법보다 복잡하다.

그림 4.15 캔틸레버 공법 시공 전경

4.4.3❙ 이동식 비계 공법(Movable Scaffolding System:MSS)


동바리를 사용하지 않는 현장 타설 공법으로 상부구조 시공시 거푸집이 부착된 특수
한 이동식 비계를 이용하여 한 지간씩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
는 시공 공법이다. 이동식 지보 공법이라고도 한다. 주로 4차선, 지간 50m의 PC교
를 형하공간(clerance)이 높고 유속이 빠른 장소에서 30지간을 가설하고자 할 때 적
합한 최신 공법이다. 이동식 비계 공법에는 지주를 이용하여 경간을 이동하는 공법
과 지주 없이 이동할 수 있는 강제 이동 비계 공법이 있으며, 노량대교, 올림픽대교
의 사장교 이외 구간, 경부고속철도 일부 구간의 시공에 이용되었다.

그림 4.16 이동식 비계 공법

이동식 비계 공법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1) 기계화된 비계와 거푸집을 이동시키면서 시공하므로 급속시공이 가능하고 안전한
환경에서 시공을 할 수 있다.

122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2) 동바리공과 공사용 가도를 만들 필요가 없으므로 하천, 도로, 계곡 등 교량의 하
부 조건에 상관없이 시공이 가능하다.
(3) 반복 작업을 통하여 적은 인원으로 시공이 가능하고 거푸집 비계의 전용, 노무비
절감 등으로 경제적인 시공이 가능하다.
(4) 연속시공으로 공기단축이 가능하고 교각의 높이가 높을수록 경제적이다.
(5) 이동식 비계의 중량이 무겁고 대형장비의 사용으로 인한 제작비와 감가상각비가
많이 소요된다.

그림 4.17 이동식 비계 공법 시공 순서도

그림 4.18 이동식 비계 공법 시공 전경

제4장 프리스트레스의 긴장 및 정착방법 | 123


prestressed concrete

4.4.4❙ 압출 공법(Incremental Launching Method:ILM)


동바리를 사용하지 않는 현장 타설 공법으로 교대 후방에 미리 설치되어 있는 제작
장(작업장)에서 교량의 상부 구조물을 한 세그먼트씩 제작하여 포스트텐션 방법에
의해 프리스트레스를 도입시킨 후 선두에 노즈(추진코)를 부착한 압출 장치를 이용,
교각방향으로 밀어 점차적으로 교량을 가설하는 공법이다. 주로 길이 10~16m 정도
의 프리캐스트 세그먼트를 연속적으로 제작하여 계곡과 같이 지형이 험난하여 동바
리 공사가 어려운 곳에 사용하며 직선 구간과 일정한 곡률 반경을 가진 구간에서만
사용 가능한 공법이다. 압출 공법은 압출 방식에 따라 집중압출방식과 분산압출방식
으로 나눌 수 있으며, 금곡천교, 황산대교, 거여고가교, 만경대교, 임암교, 미호천
교, 장작교, 염창교, 신행주대교의 시공에 사용되었다.

그림 4.19 압출 공법

압출공법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1) 제작장에서 세그먼트의 제작이 이루어지므로 반복 작업이 가능하고 기후 및 환경
조건에 상관없이 제작이 가능하다.
(2) 거푸집의 가설 및 해체로 인한 시간 낭비가 없고 계곡, 하천, 교통 장애물의 통과
지역에 적합하다.
(3) 보통 연속교에 적용되므로 신축이음장치의 수가 줄어 차량 통행시 주행성이 양호하다.
(4) 직선 구간 또는 단일 원곡선 구간의 교량에 적합하다.
(5) 교대 후방에 제작장을 설치해야 하므로 일정한 작업공간이 필요하다.

124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그림 4.20 압출 공법 시공 순서도

그림 4.21 압출 공법 시공 전경

제4장 프리스트레스의 긴장 및 정착방법 | 125


prestressed concrete

4.4.5❙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공법(Precast Segment Method:PSM)


동바리를 사용하지 않는 프리캐스트 공법으로 공장 또는 현장 부근에서 공장과 동일
한 조건하에 프리캐스트 세그먼트(precast segment)를 만든다. 이렇게 만들어진
2~3m의 세그먼트를 압착, 접합하여 경간을 완성하는 공법으로 가설 공장에서는 가
설 트러스, 크레인 등의 가설 장비를 이용하여 상부구조를 완성한다. 이 공법은 가설
방법에 따라 캔틸레버 가설법과 경간단위 가설법, 전경간단위 가설법으로 구분되며,
하부 공사와 세그먼트 제작이 동시에 이루어지므로 공비를 절감할 수 있고, 공사기
간이 단축되는 장점이 있다. 이 공법은 강변도시고속도로 확장 구간, 북부도시고속
도로 시공에 이용되었다.

그림 4.21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공법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공법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1) 분할된 경량의 세그먼트로 분할하여 시공하므로 대형 구조물, 복잡한 형상의 구
조물에도 쉽게 적용할 수 있다.
(2) 콘크리트의 품질관리가 용이하고 세그먼트를 연속적으로 제작하므로 인력 관리
및 거푸집 전용이 가능하다.
(3) 상부 구조 가설시 콘크리트의 재령이 일정 수준 도달해 있으므로 가설 후에 발생
하는 크리프, 건조 수축 등에 의한 소성 변형이 적어 프리스트레스 손실량을 감
소시킬 수 있다.

126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4) 세그먼트의 제작 및 야적을 위해 넓은 장소와 운반, 가설을 위해 대형 장비가 필
요하다.
(5) 현장 타설 방식에 비하여 선형 관리가 복잡하고 오차 수정이 어렵다.

그림 4.22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공법 시공 순서도

그림 4.23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공법 시공 전경

제4장 프리스트레스의 긴장 및 정착방법 | 127


prestressed concrete

4.5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교량의 종류

일반적으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PSC) 교량은 강연선에 의해 긴장력이 도입된


고강도 콘크리트 거더와 철근 콘크리트 바닥판을 전단연결재로 연결하여 거더와 바
닥판이 일체화된 합성 단면으로 저항하는 교량을 말한다. PSC 교량은 배치된 거더 위
에 거푸집을 설치하여 바닥판 콘크리트를 현장 타설하여 완성하는 형식의 거더교로
교폭이나 평면선형이 다양한 콘크리트 도로교에 있어서 비교적 많이 적용되어왔고,
타 형식의 교량에 비하여 저비용, 장경간이 가능하여 현재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PSC 거더 교량은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의 제작방법에 따라
여러 종류의 공법이 있는데, 본 절에서는 PCS 거더교를 중심으로 다루기로 한다.
PSC Beam교는 PSC 거더 교량의 대표적인 교량으로 I형의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거더 위에 교량 슬래브를 얹은 형태의 교량으로 다른 거더교에 비해 공사비가 저렴
하여 주로 20~40m의 단경간에 많이 사용된다.
최근에는 토목 자재의 품질 향상(고강도 콘크리트, 철근, PS강연선 등)에 힘입어 저
형고 개량형 PSC 거더 공법이 개발되어 도로교에서 최대 50m 경간장까지 시공이
되는 사례도 있다. 또한 하부에 도로가 있어 형하공간(clearance)을 확보하기 어려
운 경우 PSC Beam교에 비해 형고를 낮춘 e-Beam교, IPC 거더교, DR 거더교 등이
개발되어 있다.

4.5.1❙ PSC Beam교


(1) 개요

PS 강연선 및 강봉 등을 이용하여 콘크리트에 압축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여 주하중


에 대해 저항할 수 있도록 설계되는 포스트텐션 방식의 교량 공법이다.

(2) 주요 부재의 재료 구성

1) 콘크리트 :      (거더),      (슬래브)

2) PS 긴장재 : SWPC 7B( )

(3) 공법 특징

1) 가장 일반적인 공법으로 제작 및 거치 등 시공성이 용이하며 Full stressing 설계로

128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균열안전성이 크다.
2) 사용 재료가 간단하고 수급이 용이하여 공사비가 저렴하고 도로교 기준 30m, 철
도교 기준 25m 이내 교장에서 많이 사용된다.
3) 적용지간이 짧아 미관이 불리하고 30m 이상 장지간 가설이 곤란하다.
4) 플랜지 폭이 좁고 형고가 높아 형하공간 확보가 어려우며 가설 시 전도의 위험성
이 높다.
5) PS 강선 긴장력 손실 시 별도 외부강선 정착이 필요하며, 교좌장치 및 신축이음
장치에 대한 정기점검 및 유지ㆍ관리가 필요하다.

그림 4.24 PSC Beam 거더 단면 형상

그림 4.25 PSC Beam교

(4) 시공순서

철근 조립 → 쉬스관 설치 → 거푸집 조립 →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 → 강선 삽입 및


긴장 → 거더가설 → 슬래브타설 → PSC Beam 교량 완공

제4장 프리스트레스의 긴장 및 정착방법 | 129


prestressed concrete

4.5.2❙ e-Beam교
(1) 개요

상부플랜지에 강판을 합성시켜 편심 효율성을 증대시키고 연속 지점부를 강판, 철


근, PS 긴장재로 일체화시키며 시공 단계별 하중 증가를 고려하여 단계적으로 긴장
력을 도입하는 교량 공법이다.

(2) 주요 부재의 재료 구성

1) 콘크리트 :      (거더),      (슬래브)

2) PS 강선 : SWPC 7B( )

(3) 공법 특징

1) 빔 상부플랜지에 강판을 합성시켜 형고를 줄이고 다양한 형고 적용으로 경제성이


우수하다.
2) 보수 보강용 쉬스관 설치로 유지ㆍ보수가 용이하고 기존 PSC Beam 대비 형고가
낮아 전도사고 위험이 적다.
3) PF수준의 저형고에 강교 수준의 장지간 시공이 가능하며, 연속 지점부를 완전
체결하여 연속 성능이 향상된다.
4) 1개의 받침 사용으로 부등경간 사용이 가능하며, 별도의 유지관리시스템 채택으
로 유지ㆍ보수기능이 우수하다.
5) 플랜지 폭이 넓어 PSC Beam보다 곡선교에 다소 불리하며, 저형고 채택 시 강재
중량 증가로 공사비가 다소 상승할 수 있다.

그림 4.26 e-Beam 거더 단면 형상

130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그림 4.27 e-Beam교

(4) 시공순서

제작대 설치 → 철근 및 쉬스조립 → 거푸집 조립 → 강판 삽입 → 콘트리트 타설 →


양생 → 1차 강선 긴장 → 빔 거치 → 연속부 체결 후 슬래브 타설 → 연속부 및 중앙
부 2차 긴장 → e-Beam 교량 완공

4.5.3❙ IPC 거더교


(1) 개요

시공단계별 하중상태를 고려하여 긴장력을 단계적으로 도입함으로써 단면 효율을


극대화하여 형고와 자중을 줄임으로써 장경간이 가능하도록 한 교량 공법이다.

(2) 주요 부재의 재료 구성

1) 콘크리트 :      (거더),      (슬래브)

2) PS 강선 : SWPC 7B( )

(3) 공법 특징

1) 기존의 PSC Beam 거더와 유사한 공정으로 시공성이 양호하다.


2) 다단계 긴장을 통한 새로운 개념의 설계로 낮은 형고, 장경간 단순교 및 연속교
가설이 가능하다.
3) 차량 공용 중 2차 강선 쉬스관 내에 미리 배치된 비부착 PS강선을 이용하여 추
가 긴장력 도입이 가능하므로 보수 및 보강이 용이하고 유지ㆍ관리 비용이 절감
된다.

제4장 프리스트레스의 긴장 및 정착방법 | 131


prestressed concrete

그림 4.28 IPC 거더 단면 형상

그림 4.29 IPC 거더교

(4) 시공순서

바닥판 설치 → 철근조립 및 쉬스관 설치 → 콘크리트 타설 → 증기 양생 → 1차 강선


삽입 → 1차 강선 긴장 → IPC 가설 → 2차 강선 삽입 → 슬래브 타설 → 2차 강선 긴
장 → IPC 교량 완공

4.5.4❙ DR 거더교
(1) 개요

곡면이 도입된 PSC 거더와 반단면 프리캐스트 바닥판을 이용하여 비합성 상태에서
긴장함으로써 강선의 도입 효율을 높이고, 연속화 강선의 편심량을 극대화하여 구조
적 효율성 및 경제성을 추구한 교량 공법이다.

132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2) 주요 부재의 재료 구성

1) 콘크리트 :      (거더),      (슬래브),      (연속 지점부)

2) PS 긴장재 : SWPC 7B( )

(3) 공법 특징

1) 일반 PSC Beam에 비하여 낮은 형고로 인한 형하공간 확보가 유리하여 낮은 형


고의 교량이나 교각, 작업 반경에 제약이 있어 가벼운 중량의 거더 가설이 필요
한 곳에 유리하다.
2) 슬래브의 반단면을 PC화하여 거푸집 해체작업이 없으므로 추락사고 예방 및 시
공성이 우수하다.
3) 가로보 접합마디가 없고 곡면이 도입된 저형고로 미관이 우수하며, 비합성 2차
긴장의 구조 효율성으로 최저형고 및 최장경간 시공이 가능하다.

그림 4.30 DR 거더 단면

그림 4.31 DR 거더교

제4장 프리스트레스의 긴장 및 정착방법 | 133


prestressed concrete

(4) 시공순서

공장 철근 가공 → 철근 조립 및 쉬스관 설치 → 거푸집 조립 → 콘크리트 타설 → 증


기 양생 → 1차 강연선 삽입 → 1차 강연선 긴장 → DR 거더 거치 → PC 가로보 설치
→ SP-PANEL 설치 → 2차 강선 긴장 및 그라우팅 → DR 교량 완공

4.6

다음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PSC)에 의한 교량 가설법 중에서 교대 후방의 작업장에서 교


량 상부구조를 10~30m의 블록(bolck)으로 제작한 후 미리 가설된 교각의 교축 방향으로 밀
어 내고 다음 블록을 다시 제작하고 연결하여 연속적으로 밀어 내며 시공하는 공법은?
가. 캔틸레버 공법(FCM) 나. 이동식 비계 공법(MSS)
다. 압출 공법(ILM) 라. 동바리 공법(FSM)

풀이 압출 공법은 교대 후방에 미리 설치되어 있는 작업장에서 교량의 상부 구조물을 한 세그먼트씩 제작하여


교각 방향으로 밀어 점차적으로 교량을 가설하는 공법이다.
정답 다

4.7

다음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공법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가. 교각을 먼저 건설한 후 특수 제작된 이동식 비계를 이용하여 상판을 일시에 단설하고
비계를 이동하는 공법이다.
나. 현장 부근에서 제작된 길이 2~3m의 세그먼트를 압착 접합하여 경간을 만드는 방법
이다.
다. 캔틸레버 가설법과 경간단위 가설법으로 구분될 수 있다.
라. 하부공사와 세그먼트 제작이 동시에 이루어지므로 공사 기간이 단축되는 장점이 있다

풀이 이동식 비계 공법(MSS)은 거푸집이 부착된 특수 이동식 비계한 쌍을 제작하여, 경간 전체에 걸치도록


하여 교량 상판을 제작한 후 선반을 따라 다음 경간으로 비계를 이동시켜서 공사를 진행하는 방법이다.
정답 가

134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4.1 내적 프리스트레싱(Internally prestressing)과 외적 프리스트레싱(Externally pre-
stressing)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2 선형 프리스트레싱(Linear prestressing)과 원형 프리스트레싱(Linear prestressing)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3 완전 프리스트레싱(Full prestressing)과 부분적 프리스트레싱(Partial prestressing)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4 부착시키지 않은 긴장재(Unbonded tendons)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5 PS 강재의 긴장방법 3가지를 설명하시오.

4.6 긴장재의 정착 공법 중 쐐기식 공법의 종류를 열거하시오.

4.7 긴장재의 정착 공법 중 지압식 공법의 종류를 열거하시오.

4.8 긴장재의 정착 공법 중 루프식 공법의 종류를 열거하시오.

4.9 동바리를 사용하지 않는 현장 타설 공법의 종류를 열거하시오.

4.10 동바리를 사용하지 않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공법의 종류를 열거하시오.

4.11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교량의 종류와 그 특징을 간략히 설명하시오.

4.12 최근에 우리나라에서 건설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교량을 5가지 소개하고 공법


및 구조 특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제4장 프리스트레스의 긴장 및 정착방법 | 135


CHAPTER

05
프리스트레스의
손실

5.1 프리스트레스의 도입
5.2 프리스트레스의 손실
5.3 프리스트레스의 즉시 손실
5.4 프리스트레스의 시간적 손실
CHAPTER

05 프리스트레스의 손실
학습목표
1. 프리스트레스 손실의 원인을 즉시 손실과 시간적 손실로 구분하여 이해한다.
2. 프리스트레스의 유효율과 감소율에 대한 공식을 암기하고 이해한다.
3. 프리스트레스 각각의 손실에 대한 공식을 특징과 더불어 암기하고 계산과정을 학습한다.

5.1 프리스트레스의 도입

(1) 정의

콘크리트의 부재에 유용한 응력분포를 위해 PS 강재를 통한 인장력을 주는 작업이


다. 즉, 콘크리트에 프리스트레스를 주는 일을 프리스트레싱(prestressing) 또는 프
리스트레스의 도입이라고 한다.

(2) 프리스트레스 도입 시 콘크리트에 요구되는 강도

초기 프리스트레스의 도입, 즉 프리스트레싱은 콘크리트의 압축강도가 프리스트레


스 도입 직후 콘크리트에 일어나는 최대 압축응력의 1.7배 이상이 될 때 실시한다.

  ≧   (5.1)

여기서,  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할 때(재킹) 부재 본체의 콘크리트 압축강도


  :프리스트레스 도입 직후 부재의 콘크리트에 일어나는 최대 압
축응력

(3) 프리스트레스 도입 시 콘크리트의 압축강도(프리텐션)

프리텐션인 경우에는 프리스트레스 도입 시의 안전 및 긴장재와 콘크리트 사이의 충


분한 부착강도가 필요하기 때문에 식 (5.1)의 요구조건 외에 다음과 같은 조건이 만
족되어야 한다.

제5장 프리스트레스의 손실 | 139


prestressed concrete

1) 일반적인 프리텐션의 경우
  ≧   (5.2)

2) 짧은 부재 또는 부재 단부 근처에서 큰 모멘트나 전단력을 받는 프리텐션 부재의 경우


  ≥   (5.3)

5.2 프리스트레스의 손실

PS 강재에 준 긴장력은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감소하게 되며, PS 강재의 응력 감소


에 의해 콘크리트에 도입된 프리스트레스가 감소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을 프리스트
레스의 손실(loss of prestress)이라고 한다. 프리스트레스의 손실은 재료적인 원인
및 구조적인 원인에 의해 발생되며, 프리스트레스 도입 시 또는 도입 직후 발생하는 즉
시 손실과 프리스트레스 도입 후 시간의 경과와 더불어 발생하는 시간적 손실이 있다.

5.2.1❙ 프리스트레스 손실의 원인


프리스트레스 손실의 원인은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할 때 일어나는 손실과 도입 후에
일어나는 손실의 두 가지 범주로 구분할 수 있다.

(1)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할 때 일어나는 손실의 원인(단기적 원인 = 도입 시 손실 = 즉시


손실)

1) 콘크리트의 탄성변형(탄성수축)에 의한 손실
2) 정착장치의 활동에 의한 손실
3) 포스트텐션 긴장재와 쉬스 사이의 마찰에 의한 손실

(2) 프리스트레스를 도입 후에 일어나는 손실의 원인(장기적 원인 = 사용 시 손실 = 시


간적 손실)

1) 콘크리트의 건조수축에 의한 손실
2) 콘크리트의 크리프에 의한 손실
3) 긴장재의 릴랙세이션에 의한 손실

140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그림 5.1 프리스트레스의 손실 원인

5.2.2❙ 프리스트레스 용어 설명
(1) 프리스트레스 도입력(jacking force:   )

긴장장치를 이용하여 긴장시키는 힘, 긴장력 또는


재킹 힘이라고도 한다.

(2) 초기 프리스트레스 힘(initial prestress:   )

재킹 힘을 도입한 즉시 긴장재의 활동, 탄성수축


및 마찰에 의해 프리스트레스의 도입력이 감소된
다. 즉, 초기 프리스트레스는 도입력(  )으로부터
그림 5.2     의 관계
즉시손실을 감안한 도입 직후의 프리스트레스 힘이다.

(3) 유효 프리스트레스 힘(effective prestress:  )

초기 프리스트레스 힘(  )으로부터 시간적 손실(건조수축, 크리프, 긴장재의 릴랙세


이션)을 제외한 프리스트레스 힘이다. 일반적으로 도입력(  )으로부터 20~35%의
총 감소를 제외한 힘이다.

(4) 프리스트레스의 크기 비교

    

제5장 프리스트레스의 손실 | 141


prestressed concrete

(5) 프리스트레스 도입 직후

PS 강재에서 프리스트레싱 작업 시 즉시손실이 발생된 후를 프리스트레스 도입 직


후라 한다. 즉, 시간적 손실이 발생되기 전 상태이다.

(6) 설계하중 작용(사용상태) 시

PS 강재에서 모든 손실(즉시손실 + 시간적 손실)이 발생된 후 설계하중 작용상태이다.

5.2.3❙ 유효율과 감소율


프리스트레스의 총 손실량(즉시 손실+시간적 손실)은 프리스트레스 도입력(  )의
약 20~35%의 범위를 갖는다.

(1)   와   의 관계

     (5.4)

여기서,   :유효 프리스트레스 힘


  :초기 프리스트레스 힘
 :프리스트레스 힘의 유효율(프리텐션:0.800, 포스트텐션:0.855)

(2) 유효율(effective ratio)

유효 프리스트레스 힘    
   ×     ×    × 
초기 프리스트레스 힘  
(5.5)
여기서,   :프리스트레스 감소(손실)량

(3) 감소율(loss ratio, 손실율)


감소 손실 량   
감소율   ×   (5.6)
초기 프리스트레스 힘   

프리텐션은 포스트텐션에 비해 콘크리트 재령이 적을 때 프리스트레스 힘이 도입되


기 때문에 크리프 및 건조수축에 따른 시간적 손실량이 크다. 일반적으로 실제 설계
에서는 프리스트레스 손실의 상세 계산 대신 참고자료로 활용한다.

142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5.1

콘크리트에 프리스트레스 600 kN을 도입한 후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하여 125 kN의 프리스
트레스 감소가 생겼다. 이때의 유효율을 구하시오.

유효 프리스트레스 힘         


풀이  ×    ×   
초기 프리스트레스 힘  

5.2

콘크리트에 초기 프리스트레스    600 kN를 도입한 후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하여 120 kN


프리스트레스가 손실되었을 때 감소율을 구하시오.

감소량 
풀이 감소율   ×    ×   
초기 프리스트레스 힘 

5.3

T형 PSC 보에 설계하중을 작용시킨 결과 보의 처짐은 0이었으며, 프리스트레스 도입 단계



부터 부착된 계측장치로부터 상부 탄성변형률    ×  을 얻었다. 콘크리트 탄성계
수      T형 보의 단면적       , 유효율    일 때,
강재의 초기 긴장력   를 구하시오.


풀이 ① 유효 프리스트레스 힘 (  )    에서

     ×  ×    ×  ×   ×   

②    에서
  
 초기긴장력          
 

제5장 프리스트레스의 손실 | 143


prestressed concrete

5.2.4❙ 프리스트레스 손실의 대략 값


프리스트레스 손실은 여러 가지 원인이 있으며 손실에 영향을 주는 요소의 다양성
때문에 프리스트레싱 손실은 높은 정밀도를 기대하기 어려울 경우가 많다. 따라서
일반적인 설계법과 평균적인 상태에서 손실의 일괄(lump-sum) 평가가 실무에서
사용되고 있다.

표 5.1 프리스트레스 손실량의 대략 값

감소 원인 프리텐션 보 포스트텐션 보
전달 전 건조수축 3% -
콘크리트의 탄성변형 3% 1%
전달 도중
정착단의 활동 - 2%
건조수축 4% 5%
전달 후 콘크리트의 크리프 7% 4%
강재의 릴랙세이션 3% 3%
합 계 23% 15%

표 5.2 프리스트레스 손실 총량의 대략 값(도로교 및 철도교 설계기준)

긴장재의 형태     인 경우    인 경우

응력제거 강연선 -  


프리텐션 긴장재
저 릴랙세이션 강연선 -  
응력제거 강연선    
포스트텐션 긴장재 저 릴랙세이션 강연선    
강봉    

표 5.3 포스트텐션 부재에 대한 프리스트레스 손실량의 대략 값(PTI)

총 손실량
PS 강재의 종류
슬래브 보, 장선(들보)
PS 강연선(항복강도 270의 응력제거 강연선)
   
PS 강연선(항복강도 240의 응력제거 강연선)
PS 강봉    
저 릴랙세이션 강연선(항복강도 270)    
참고:응력 손실표는 포스트텐션일 경우 프리스트레스 응력손실에 대한 긴장력으로 제공, 이 손실값들은
보통 중량의 콘크리트와 콘크리트 강도의 평균치, 프리스트레스 수준, 옥외조건 등에서 고려됨. 실
제 손실값은 큰 긴장력을 가한 콘크리트 옥외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마찰손실은 고려 안함.

144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5.4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후에 생기는 프리스트레스의 손실 원인에 해당하는 것은?


가. 콘크리트의 크리프 및 건조수축
나. 콘크리트의 탄성변형
다. 재크 및 정착부에서의 마찰
라. PS 강선의 각변화 및 쉬스(seath)와의 마찰

풀이 1) 도입 시 손실
① 정착장치의 활동에 의한 손실
② 마찰에 의한 손실
③ 탄성수축에 의한 손실
2) 도입 후 손실
① 크리프에 의한 손실
② 건조수축에 의한 손실
③ 릴랙세이션에 의한 손실
정답 가

5.5

다음은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할 때 프리스트레스가 감소하는 원인을 적은 것이다. 옳지 않는


것은?
가. 콘크리트의 탄성 변형 나. 마찰
다. 콘크리트의 건조수축 크리프 라. 정착단의 활동

풀이 1) 도입 시 손실
① 정착장치의 활동에 의한 손실
② 마찰에 의한 손실
③ 탄성수축에 의한 손실
2) 도입 후 손실
① 크리프에 의한 손실
② 건조수축에 의한 손실
③ 릴랙세이션에 의한 손실
정답 다

제5장 프리스트레스의 손실 | 145


prestressed concrete

5.6

프리스트레스의 손실의 원인 중 가장 큰 것은 어느 것인가?


가. 콘크리트의 크리프 나. 콘크리트의 탄성수축
다. 콘크리트의 건조수축 라. 강선의 릴랙세이션

풀이 프리스트레스의 손실량은 프리텐션 부재와 포스트텐션 부재가 각각 다르나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크리프
에 의한 손실이 가장 크다.
정답 가

5.7

프리스트레스의 손실을 초래하는 요인 중 포스트텐션 방식에서만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것은?
가. 마찰에 의한 손실 나. 콘크리트의 탄성수축에 의한 손실
다. 콘크리트의 크리프에 의한 손실 라. 콘크리트의 건조수축에 의한 손실

풀이 강재와 쉬스 사이의 마찰에 의한 손실은 포스트텐션에서만 발생한다.


정답 가

5.3 프리스트레스의 즉시 손실

콘크리트의 탄성변형(elastic shortening loss)에 의한 손실, 정착장치의 활동


(anchorage slip)에 의한 손실, 긴장재와 쉬스 사이의 마찰(friction loss between
sheath pipe and tendons)에 의한 손실 등이 프리스트레스의 즉시 손실에 해당하며,
이 절에서는 즉시 손실을 일으키는 항목 등의 산정방법 및 특성에 대하여 알아본다.

5.3.1❙ 콘크리트 탄성변형에 의한 손실


(1) 정의
프리스트레싱 힘이 작용되었을 때 콘크리트는 압축되어 그만큼 부재의 길이가 수축

146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한다. 이것을 콘크리트 탄성수축 또는 탄성변형이라고 한다. 즉, PS 강재를 통해 긴
장한 후 콘크리트에 정착하는데, 이때 콘크리트가 압축되어 부재 길이가 짧아지므로
동시에 PS 강재 길이의 감소와 인장응력의 감소가 동반된다. 이를 탄성변형에 따른
프리스트레스의 손실이라 한다. 탄성수축은 긴장방법(프리텐션과 포스트텐션)에 따
라 다르게 나타난다.

(2) 프리텐션 방식

1) 긴장재가 도심에 배치
콘크리트가 수축된 양(      )과 PS 강재가 수축된 양(     )은 같으
므로 콘크리트 탄성변형에 의한 PS 강재의 인장응력의 감소량은 식 (5.7)과 같이 구
할 수 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5.7)
 

여기서,   :긴장력(초기 프리스트레스 힘) →   또는   (프리텐션) 사용


(콘크리트의 탄성변형으로 인한 인장력의 감소는 미비하기 때
문에   대신   를 사용해도 상관없으며, 만약 감소량을 고려
할 경우는 보통 10%를 적용)
  :PS 강재 도심에서의 콘크리트 압축응력
 :탄성계수비    
  :PS 강재의 탄성계수
  :콘크리트의 탄성계수

2) 긴장재가 편심되어 배치
프리스트레스 도입 직후에는 부재의 자중이 작용하므로, 부재 자중에 의한 휨모멘트
및 편심거리에 의한 휨모멘트를 고려하여 콘크리트 탄성변형에 의한 PS 강재의 인
장응력 감소량을 식 (5.8)과 같이 구한다.

  
  


              (5.8)

여기서,   :편심거리

제5장 프리스트레스의 손실 | 147


prestressed concrete

  :부재 자중에 의한 휨모멘트

(3) 포스트텐션 방식

1) 단일 텐던
긴장 후 콘크리트 부재는 단축되지만 긴장재의 인장력은 탄성수축 후에 측정되어 탄
성수축으로 인한 인장력 감소는 없다.

2) 복수 텐던
 번째 긴장, 정착한 긴장재는 그 이후(   ~마지막) 긴장시 순차적으로 인장력 손
실이 발생하며, 마지막 긴장재는 인장력 손실이 없다. 일반적으로 정확한 계산이 어
려우므로 실용적 방법으로 평가한다.

① 평균 감소량(도로교 설계기준)

 
    × 최초 긴장재의 감소량      (5.9)
 

② 단계적으로 긴장 시 평균 감소량




      
   (5.10)

여기서,  :긴장재의 긴장횟수(긴장재의 긴장 cable 수)


  :PS 강재 도심에서의 콘크리트 압축응력

5.8

프리텐션 방식으로 제작한 부재에서 프리스트레스에 의한 콘크리트의 압축 응력이 7 MPa


이고,    일 때 콘크리트의 탄성 변형에 의한 PS 강재의 프리스트레스의 감소량을 구하
시오.

풀이 △     ×    

148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5.9

단면이 300 mm × 400 mm이고 150  의 PS 강선 4개를 단면 도심축에 배치한 프리텐션


부재가 있다. 초기 프리스트레스   일 때 콘크리트의 탄성 수축에 의한 프리스트레
스 손실량을 구하시오. (단, 탄성계수비    )
  ×  × 
풀이      ×    ×    
  × 

여기서,    에서    ·  이므로

∴  초기    ·     ×  ×  

5.10

300 mm × 500 mm의 직사각형 단면을 가진 프리텐션 단순보에 편심 배치한 긴장재를


750 kN으로 긴장하였을 때 콘크리트 탄성 변형으로 인한 프리스트레스 감소량을 구하시오.
(단, 부재 자중에 의한 휨모멘트는 없다)

   
풀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11

200 mm × 450 mm의 직사각형 단면을 가진 포스트텐션 단순보에 편심 배치한 직선 PS 긴


장재를 700 kN으로 긴장하였을 때 콘크리트의 탄성 수축으로 인한 프리스트레스의 손실량
을 구하시오. (단, PS 긴장재군의 편심거리     ,    으로 한다)

제5장 프리스트레스의 손실 | 149


prestressed concrete

풀이 ① PS 긴장재의 긴장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경우는 감소량이 잭의 게이지에 상쇄되어 나타나지 않으므로
손실은 발생하지 않는다.

② 여러 개의 긴장재를 차례로 긴장하는 경우는 최초 손실량의  을 평균 손실량으로 보면 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12

300 mm×500 mm의 콘크리트의 단면 도심과 PS 강선의 도심이 일치하도록 단면적 100 
의 PS 강선 4개를 배치한 포스트텐션 부재에 있어서 PS 강선을 차례로 긴장하는 경우 콘크
리트의 탄성 수축에 의한 프리스트레스의 평균 손실량을 구하시오. (단, 초기 프리스트레스
는 4,000 MPa,   6.0)

풀이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여기서,        
   × 

5.3.2❙ 정착장치의 활동에 의한 손실


(1) 정의

긴장한 PS 강재를 정착할 경우 정착장치에서 PS 강재가 활동하거나 또는 정착장치


가 변형되면 인장력이 감소한다. 포스트텐션 방식의 경우 쐐기식 정착장치에서의 활
동량은 3~4 mm 정도이고, 지압식 정착장치에서는 1 mm 정도이다. 프리텐션방식
에서는 인장력이 잭(jack)으로부터 고정 지주에 전달될 때 긴장재의 정착장치에서
활동이 일어난다. 그러므로 정착장치의 활동에 의한 손실이란 PS 강재를 긴장한 후
부재 끝단에 정착시킬 때 정착장치에서 PS 강재가 길이 변화를 주는 활동을 하거나,
정착장치 자체의 변형으로 인한 긴장력의 감소현상이다.

150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2) 공식

1) 일단 정착

         (5.11)

2) 양단 정착

 
      
  (5.12)

3) 긴장재의 활동에 따른 긴장력 총 감소량



             (5.13)

여기서,   :긴장재의 탄성계수  ×  


 :긴장재의 길이,  :긴장재의 활동량,   :긴장재의 단면적

5.13

길이가   인 PSC 보에서 포스트텐션 공법으로 설계할 때 강선에 1,000 MPa의 인장력
을 가했더니 강선이 2.0 mm 활동하였다. 이때 프리스트레스의 감소량을 구하시오. (단,
    ×   이고 일단 정착이다)

 
풀이       ×  ×    
 

5.14

길이 10m인 포스트텐션 PSC보의 강선에 1,000 MPa의 인장력을 가했더니 정착장치에서


0.2 cm 활동했다. 이때 프리스트레스의 감소율을 구하시오. (단, 일단정착이며, 프리스트
레싱 강재의 탄성계수     ×   이다)

 
풀이 ①        ×  ×    
 
 
② 감소율  ×    ×    
 

제5장 프리스트레스의 손실 | 151


prestressed concrete

5.3.3❙ 긴장재와 쉬스 사이의 마찰에 의한 손실


(1) 정의

긴장재와 쉬스 사이의 마찰로 인한 손실은 긴장재의 각도 변화에 의한 손실과 PS 강


재의 길이의 영향에 의한 손실, 2가지로 분류할 수 있는데 각도 변화에 의한 손실을
곡률마찰(curvature effect) 손실이라고 하며, PS 강재의 길이의 영향으로 인한 손
실을 파상마찰(wobble friction) 손실이라고 한다.
긴장재와 쉬스 사이의 마찰에 의한 손실은 다음 3가지 경우에 대하여 검토한다.
1) 긴장재의 곡률마찰에 의한 손실
2) 긴장재의 파상마찰에 의한 손실
3) 곡률과 파상의 영향을 동시에 받는 경우의 손실

(2) 공식

1) 정밀계산식
① 긴장재의 곡률마찰에 의한 손실(곡선 구간)
포스트텐션인 경우는 PS 강재를 포물선 배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경우
곡률의 영향으로 인해 프리스트레스 도입 시 PS 강재와 쉬스 사이의 마찰이 발생
하게 되며, 이 마찰에 의해 프리스트레스의 손실이 발생한다.
그림 5.3(a)와 같이 곡률 반지름 R을 갖도록 PS 강재가 곡선 배치된 경우를 고
려해보면, 긴장단에서의 미소한 각변화에 따른 힘에 대한 부분은 그림 5.3(b)
와 같이 나타낼 수 있으며, 긴장력  의 수직분력을 힘의 다각형으로 나타내면

(a) PS 강재 배치 (b) 긴장단에서의 미소각 (c) 힘의 다각형


변화에 대한 힘

그림 5.3 긴장재의 곡률마찰에 의한 손실

152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그림 5.3(c)와 같다.
그림 5.3(c)로부터 긴장력  의 수직분력     이고 마찰계수를  라고 한다
면, 수직력 N에 의한 마찰력은   이며 그림 5.3(b)에 나타낸 것과 같이 이 마
찰력이 임의의 구간  에서 긴장력  를 감소시키게 된다. 즉,


      ∴     (5.14)

양변을 적분하여 정리하면, 긴장단에서 임의 거리  만큼 떨어진 곳에서의 긴장


력은 식 (5.15)와 같이 구할 수 있다.

        (5.15)

여기서,   :긴장단에서 거리  만큼 떨어진 곳의 긴장재의 긴장력


  :재크 위치에서 긴장재의 인장력
 :곡률마찰계수
 : 구간 내에서 각변화의 합계(radian)

② 긴장재의 파상마찰에 의한 손실(직선구간, 곡선구간)


PS 강재 및 쉬스를 직선으로 배치한다고 하더라도 길이의 영향으로 인해 완전 직
선으로 시공되지 않고 다소의 파상이 발생한다. 따라서 PS 강재의 곡선배치 구간
뿐만 아니라 직선배치 구간에서도 파상의 영향으로 각변화가 발생하며, 이러한
각변화에 따른 마찰로 인해 긴장력의 손실이 발생한다. 긴장재의 파상마찰에 의
한 손실을 고려한 긴장력은 파상효과 또는 길이효과를 고려하여 곡률마찰에 의한
손실과 같은 개념으로 구할 수 있다.
  
     (5.16)

여기서,   :받침부에서  만큼 떨어진 곳의 긴장재의 긴장력


 :파상마찰계수
 :긴장단에서 구하는 점까지의 거리

③ 동시마찰 손실(곡률마찰+파상마찰)
    
    (5.17)

제5장 프리스트레스의 손실 | 153


prestressed concrete

④ 긴장재와 쉬스 사이의 마찰에 의한 긴장력의 손실량

                      (5.18)

2) 근사계산식
① 동시마찰 손실(     ≦  일 경우)

           (5.19)

② 긴장재와 쉬스 사이의 마찰에 의한 긴장력의 손실량

               (5.20)

(3) 곡률마찰 계수(  )와 파상마찰 계수(  )

마찰손실 계산 시 사용되는 파상 마찰계수  와 곡률 마찰계수  는 시험에 의해 구하


는 것이 원칙이지만, 시험을 할 수 없는 경우에는 표 5.4와 표 5.5의 설계기준 값을
준용한다.

표 5.4  및  의 값(콘크리트구조 학회기준, 도로교 설계기준)

긴장재의 종류  

강선 0.0033~0.0050 0.15~0.25
부착 긴장재 강봉 0.0030~0.0020 0.08~0.30
강연선 0.0015~0.0066 0.15~0.30
강선 0.0033~0.0066 0.05~0.15
수지, 방수, 피복
강연선 0.0033~0.0066 0.05~0.15
비부착 긴장재
그리스로 미리 강선 0.0010~0.0066 0.05~0.15
도포된 경우 강연선 0.0010~0.0066 0.05~0.15

표 5.5  및  의 값(철도 설계기준-철도교 편)

긴장재의 종류 덕트의 종류  

금속쉬스 0.0066 0.30


PS 강선 또는
아연도금 금속쉬스 0.0050 0.25
도금되지 않은
그리스 또는 아스팔트로 코팅하고 피복된 것 0.0066 0.30
PS 강연선
아연도금된 강성덕트(rigid duct) 0.0007 0.25
금속쉬스 0.0010 0.20
PS 강봉
아연도금 금속쉬스 0.0007 0.15

154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4) 각변화  의 계산

긴장재의 곡률마찰에 의한 손실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각변화  를 알아야 한다. 일


반적으로 각변화  는 그림 5.4와 같이 PS 강재의 곡률을 원호로 가정하여 근사적으
로 구한다.

그림 5.4 긴장재의 각변화

 
그림 5.4로부터,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5.21)
   

5.15

그림과 같은 2경간 연속보의 양단에서 PS 강재를 긴장할 때 단(端) A에서 중간 B까지의 마


찰에 의한 프리스트레스의 감소율을 근사식으로 구하시오. (단,   0.4,   0.0027)

풀이 ①       ×      × 


  ×    ×    ≦ (근사식 사용 가능)

제5장 프리스트레스의 손실 | 155


prestressed concrete

② 감소량            

 
③ 감소율   ×    ×    ×   
 

5.16

그림과 같은 포스트텐션 보에서 중앙단면의 마찰에 의한 프리스트레스의 손실률을 정밀식


과 근사식으로 구하시오. (단,    ,    이다)

풀이 ① 정밀계산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손실률       ∴ 
② 근사계산식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손실률       ∴ 

156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5.4 프리스트레스의 시간적 손실

콘크리트의 건조수축(shrinkage)에 의한 손실, 콘크리트의 크리프(creep)에 의한


손실, 긴장재의 릴랙세이션(tendon relaxation)에 의한 손실 등이 프리스트레스의
시간적 손실에 해당하며, 이 절에서는 시간적 손실을 일으키는 항목 등의 산정방법
및 특성에 대하여 알아본다.

5.4.1❙ 콘크리트의 건조수축에 의한 손실


(1) 정의

콘크리트는 수화과정 후 건조수축을 일으킨다. 콘크리트가 건조수축을 하게 되면,


긴장재 역시 콘크리트의 건조수축 변형만큼 압축변형을 일으켜 인장력이 감소된다.
이러한 인장력 감소 현상을 콘크리트의 건조수축에 의한 손실이라고 한다.
프리텐션 공법에서는 콘크리트를 친 후 불과 24시간 정도에서 프리스트레스를 도
입하는 하는 것이 보통이므로 건조수축은 그 후에 일어난다. 포스트텐션 공법에서는
보통 경화 후 7일 이전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일은 거의 없으며, 그 후가 되는
것이 보통이다. 건조수축은 재령 7일에서 최종 수축변형률의 10~15% 정도가 일어
나며, 재령 28일까지 프리스트레스 도입을 하지 않을 경우에는 35~45% 정도가 일
어난다고 본다.

(2) 공식

      (5.22)

여기서,  :콘크리트 건조수축 변형률

(3) 건조수축 변형률



1) 건조수축에 의한 콘크리트의 최종 건조수축 변형률: ×  ∼  ×  

2) 습윤양생한 콘크리트의 최종 건조수축 변형률: × 

3) 증기양생한 콘크리트의 최종 건조수축 변형률: × 

제5장 프리스트레스의 손실 | 157


prestressed concrete

표 5.6 콘크리트의 건조수축 변형률(콘크리트구조 학회기준, 도로교 및 철도 설계기준)

프리스트레스 도입 시
4~7 28 90 365
콘크리트 재령(일)
건조수축 변형률  ×    ×    ×    ×  

5.17


PS 강재의 탄성계수     ×    , 콘크리트의 건조수축 변형률이  ×   일
때 강재의 인장응력의 감소량을 구하시오.

풀이       ×  ×  ×     

5.18

PS 강재의 탄성계수      , 콘크리트 탄성계수      , 콘크



리트 건조수축률    ×   일 때 PS 강재의 프리스트레스 감소율을 구하시오. (단,
초기프리스트레스는   이다)

풀이 ① 감소량       ×  ×    


 
② 감소율   ×    ×    
 

5.4.2❙ 콘크리트의 크리프에 의한 손실


(1) 정의

콘크리트에 하중이 재하되었을 때, 하중을 제거하지 않고 그대로 두면 재하기간이


늘어남에 따라 변형률도 증가한다. 이와 같이 응력은 증가되지 않는데 변형이 계속
되는 현상을 크리프(creep)라고 하며, 콘크리트의 크리프에 의하여 긴장재의 긴장응
력은 시간의 경과와 더불어 감소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프리텐션 부재의 손실 중 그
값이 가장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158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2) 공식

               (5.23)

여기서,  :콘크리트 크리프 계수(1.6~3.2, 일반적인 경우 2.35 적용)


 :탄성계수비(    )
  :PS 강재의 도심에서의 콘크리트응력(        )
 :탄성수축 변형률

식 (5.23)에서 긴장재의 인장응력은 콘크리트의 크리프 진행과 함께 건조수축과 릴


랙세이션 때문에 시간의 경과와 더불어 감소한다. 이러한 관계를 고려하여 위 식에
서의   를 구할 때   대신 근사적으로    를 대입하여 구하기도 한다

5.19

긴장재에서 인장응력      , 콘크리트의 압축응력      , 콘크리트


의 크리프계수     이며,    일 크리프에 의한 인장응력의 감소량을 구하시오.

풀이        ×  ×    

5.20

긴장재에서 인장응력      , 콘크리트의 압축응력      , 콘크리


트의 크리프 계수 2.0인 PSC 부재의 탄성계수비가 5일 때 PS 강재의 크리프에 의한 감소율
을 구하시오.

풀이 ①       ×  ×    


 
② 감소율   ×    ×   
 

제5장 프리스트레스의 손실 | 159


prestressed concrete

5.21

포스트텐션 부재에 강선을 단면(   ×   )의 중심에 배치하여   으
로 긴장하였다. 콘크리트의 크리프로 인한 강선의 프리스트레스 손실율을 구하시오. (단,
강선의 단면선       ,    , 크리프계수는 2.0이다)

  × 
풀이 ①            ×  ×    
  × 
 
② 손실율   ×    ×   
 

5.22

그림의 포스트텐션 부재에 강선(단면적    , 단면의 중심에 있다)의 인장응력


  로 프리스트레스를 넣었다. 콘크리트의 크리프로 인한 강선 프리스트레스의
손실률을 구하시오. (단,      ,      크리프가 일어날 동안
강선 프리스트레스는 일정하다. 콘크리트의 단면적은 강선면적을 무시하고 계산한다. 크리
프계수     이다)

풀이 ①       ×  ×    


 
② 손실율   ×    ×   
 

    × 


여기서,       ,        
    × 

160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5.4.3❙ 긴장재의 릴랙세이션에 의한 손실
(1) 정의

PS 인장력을 작용시켜 그 변형률을 일정하게 유지하면, PS 강재에 준 인장응력은


시간의 경과와 더불어 점차로 감소한다. 이러한 현상을 PS 강재의 릴랙세이션에 의
한 인장응력의 감소라고 하며, PS 강재의 릴랙세이션량은 강재의 종류, 재하초기 인
장응력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2) 공식

1) 포스트텐션 부재


  
          
    (5.24)

여기서,   :프리스트레스 도입 직후 긴장재의 인장응력


  :긴장재의 항복강도
 :프리스트레스싱 후 손실계산시까지의 시간(h)

2) 프리텐션 부재


          
 
     
   (5.25)

3) PS 강재의 릴랙세이션에 의한 인장력 감소는 시간의 경과와 더불어 콘크리트의


건조수축 및 크리프와 함께 발생하기 때문에 서로간의 상호작용을 반영하여 위
식에서   를   로 계산한다.
4) 최근에는 저 릴랙세이션 강재(low-relaxation steel)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
으며, 저 릴랙세이션 강재는 릴랙세이션으로 인한 인장력의 감소가 매우 적다. 따
라서 저 릴랙세이션 강재를 사용하는 경우는 식 (5.24), 식 (5.25)의 식에서 log
에 대한 부분을 10 대신 45로 나누어 계산한다.
5) 위의 식 대신에 다음 식 (5.26)과 같이 겉보기 릴랙세이션 값을 사용하여 계산해
도 좋다.

      (5.26)

제5장 프리스트레스의 손실 | 161


prestressed concrete

여기서,  :긴장재의 겉보기 릴랙레이션 값


  :프리스트레스 도입 직후 긴장재의 인장응력

표 5.7 PS 강재의 겉보기 릴랙세이션 값

PS 긴장재의 종류 겉보기 릴랙세이션 값

PS 강선 및 PS 강연선 5%
PS 강봉 3%
저 릴랙세이션 PS 긴장재 1.5%

5.23

PS 강선 및 PS 강연선에 초기 인장력 1,000 MPa을 줄 때 릴랙세이션에 의한 감소량을 구하


시오.

풀이       ×   


여기서,     → PS 강선 및 강연선

5.24

  ×   의 단면을 가진 PS 부재에    의 단면적을 가진 PS 강선 5본을


      로 긴장하였다. 콘크리트의 압축응력      이고     × 
 일 때 긴장재의 릴랙세이션에 의한 프리스트레스의 감소량을 구하시오.

풀이       ×    


      ×  ×       

162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5.1 프리스트레스의 손실에서 즉시 손실(도입 시 손실)의 종류를 설명하시오.

5.2 프리스트레스의 손실에서 시간적 손실(도입 후 손실)의 종류를 설명하시오.

5.3 프리스트레스의 손실을 초래하는 요인 중 포스트텐션 방식에서 특히 두드러지게 나


타나는 요인은 무엇인가?

5.4 초기 프리스트레스 힘(   )과 유효 프리스트레스 힘(   )을 구분하여 설명하시오.

5.5 현행 구조기준에서 프리텐션 방식과 포스트텐션 방식의 유효율은 얼마로 규정하


고 있는가?

5.6 콘크리트에 프리스트레스 600 kN을 도입한 후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하여 125 kN의
프리스트레스 감소가 있었다. 이때 유효율과 감소율을 구하시오.

5.7 콘크리트에 초기      을 도입한 후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하여   의 프


리스트레스가 손실되었다. 이때 손실률을 계산하시오.

5.8 단면적 100,000   인 콘크리트 도심에 PS 긴장재를 배치하여 초기 프리스트레스


     를 프리텐션 공법으로 줄 때 콘크리트의 탄성변형에 의한 프리스트레
스 손실량을 구하시오. (단,    이고 PS 긴장재는 콘크리트 단면의 도심에 배치되
어 있다)

5.9 직사각형 단면   ×   인 프리텐션 부재에    의 단면적을 가


진 PS 강선을 단면 도심에 배치하고   의 인장응력을 가하였다. PS 강선
의 탄성변형에 따라 실제로 부재에 작용하는 유효프리스트레스를 계산하시오. (단,
   이다)

제5장 프리스트레스의 손실 | 163


prestressed concrete

5.10   ×   의 직사각형 단면을 가진 포스트텐션 단순보에 편심 배치한


직선 PS 긴장재를   으로 긴장하였을 때 콘크리트의 탄성수축으로 인한 프
리스트레스의 손실량을 구하시오. (단,      ,      ,
   이다)

5.11   ×   의 콘크리트 단면 도심과 PS 강선군의 도심이 일치하도록 단


면적    의 PS 강선 4개를 배치한 포스트텐션 부재에 있어서 PS 강선을 차례
로 긴장하는 경우 콘크리트의 탄성수축에 의한 프리스트레스의 평균 손실량을 구하
시오. (단, 초기프리스트레스      ,    이다)

5.12 길이가 20 m인 PC보에서 포스트텐션 공법으로 설계할 때 강선에 800 MPa의 인장


력을 가했더니 정착장치에서 강선이 1.0 mm 활동했다. 이때 프리스트레스의 감소
율과 유효율을 구하시오. (단,     ×    이고 양단정착이다)

5.13 일단정착의 포스트텐션 부재에서 PS 강재의 길이 35 m, 초기 프리스트레스


     일 때 손실률이 2.2%가 되기 위해서는 활동량이 얼마이어야 하

는지 계산하시오. (단,     ×    이다)

5.14 PS 긴장재의 탄성계수     ×   , 콘크리트의 건조수축이  ×  


일 때 PS 긴장재의 인장응력의 손실률을 계산하시오. (단, 유효 프리스트레스는
  이다)

164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5.15 PSC에서 인장응력     , 콘크리트의 압축응력     , 크리프
계수     ,    일 때 크리프에 의한 PS 긴장재의 인장응력의 손실량을 구하
시오.

5.16 그림과 같은 2경간 연속보의 양단에서 PS 긴장재를 긴장할 때 단부 A에서 중간 B까


지의 마찰에 의한 프리스트레스의 근사적인 손실률을 계산하시오. (단,    ,
   이다)

5.17     ,     의 포스트텐션 보에   의 인장력을 가했다. 이


때 크리프로 인한 프리스트레스의 손실량을 구하시오. (단,      ,
     ,    이다)

5.18 PS 강봉에 초기 인장력   을 줄 때 릴랙세이션에 의한 감소량을 구하시오.

제5장 프리스트레스의 손실 | 165


CHAPTER

06
휨부재의 해석

6.1 PSC 보의 거동
6.2 균열 발생 전의 단면응력의 해석
6.3 허용응력
6.4 균열모멘트
6.5 설계기준에 의한 휨강도
CHAPTER

06 휨부재의 해석
학습목표
1. 휨을 받는 PSC 보의 거동을 이해한다.
2. 하중단계별 단면 응력의 해석법을 익힌다.
3. 콘크리트와 PS 강재의 허용응력 규정, 콘크리트의 균열모멘트, 휨인장강도 등을 학습한다.
4. 극한하중 작용 시 PS 강재의 응력 및 휨강도 계산방법을 학습한다.

6.1 PSC 보의 거동

6.1.1❙ PSC 보의 해석 및 설계 시 주요 하중단계


PSC 보는 하중단계에 따라 거동이 변화하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하중단계에 대해
검토하여야 한다.

(1) 프리스트레스 도입 직후 초기 프리스트레스만 작용


(2) 초기 프리스트레스와 부재 자중 작용
(3) 초기 프리스트레스와 전체 고정하중 작용
(4) 유효 프리스트레스와 사용하중 작용
(5) 사용하중에 하중계수를 고려한 계수하중 작용

6.1.2❙ 균열 발생 전후의 PSC 보의 거동 특성


일반적으로 사용하중이 작용할 때의 PSC 보는 균열이 발생하지 않아 콘크리트 및
PS 강재는 모두 탄성거동을 하지만 초과하중이 작용하게 되면 콘크리트에 균열이
발생하고 콘크리트 및 PS 강재는 비탄성 거동을 보이게 된다. 이와 같이 PSC 보는
균열 발생 여부에 따라 큰 차이를 나타낸다.

(1) 균열 발생 전

균열 발생 전의 PSC 보는 선형의 응력분포를 보이는 탄성체 거동을 한다. 따라서

제6장 휨부재의 해석 | 169


prestressed concrete

이때의 응력계산은 콘크리트의 전 단면이 유효한 탄성이론으로 계산한다.

(2) 균열 발생 후

PSC 보에 균열이 발생하면, 단면 특성이 하중의 크기에 따라 변화하는 비선형 거동


을 하여 결과적으로 철근 콘크리트(RC)와 비슷한 거동양상을 나타내며, 강재량에
따라 다음과 같이 3가지 파괴 특성을 보인다.

1) 과보강 보
PS 강재가 항복하기 전에 콘크리트 압축 변형률이 최대 변형률( )에 도달하여 콘
크리트의 압축 파괴에 의한 취성 파괴를 유발한다.

2) 저보강 보
균열과 동시에 PS 강재의 응력이 인장강도(  )에 도달하여 PS 강재의 파괴에 의한
취성 파괴를 유발한다.

3) 합리적 설계
균열 발생 후 PS 강재의 응력이 항복강도(  )를 넘어서고 압축측 콘크리트의 변형
률이 최대 변형률( )에 도달하여 연성파괴를 일으킨다.

6.2 균열 발생 전의 단면응력의 해석

6.2.1❙ 균열 발생 전 해석상의 가정
(1) 콘크리트의 전 단면은 유효하다고 본다.
(2) 콘크리트와 PS 강재 및 보강철근은 탄성체로 본다.
(3) 콘크리트 변형률은 중립축으로부터의 거리에 비례한다.
(4) 단면 내 발생하는 응력-변형도 관계가 완전 탄성체인 직선 거동을 한다.

6.2.2❙ 하중단계별 콘크리트에 발생하는 응력


(1) 프리스트레스 도입 직후의 응력

프리스트레스 도입 직후에는 초기 프리스트레스 힘에 의한 응력 및 부재 자중에 의한

170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휨응력이 발생하게 된다. 부재의 상단부와 하단부의 응력은 다음 식 (6.1)과 같으며,
식의 앞 두 항은 프리스트레스에 의한 압축응력 및 편심에 의한 휨응력이며, 마지막
항은 자중에 의한 휨응력을 나타낸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1a)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1b)
     

여기서,   :단면의 상단부응력


  :단면의 하단부응력
  :초기 프리스트레스 힘
  :콘크리트 단면적
 :콘크리트의 단면 2차 모멘트
  :PS 강재의 편심거리
     :각각 단면의 상단부와 하단부로부터 콘크리트 단면의 도심
축까지의 거리
 :콘크리트 단면의 회전반경  
   
     :각각 상단부와 하단부에 대한 단면계수
  :보의 자중에 의한 휨모멘트

그림 6.1 프리스트레스 도입 직후의 단면응력

제6장 휨부재의 해석 | 171


prestressed concrete

6.1

PS 콘크리트 구조물 설계 시 균열 발생 전에 단면에 일어나는 응력해석의 방법으로 옳지 않


은 것은?
가. 단면의 변형률은 중립축으로부터 거리에 비례한다.
나. 콘크리트의 긴장재 및 보강 철근은 탄성체로 본다.
다. 콘크리트의 인장측 인장응력은 무시한다.
라. 긴장재를 부착시키기 전의 단면 계산에서는 덕트의 단면적을 공제한다.

풀이 PS 콘크리트의 응력해석 시 콘크리트의 전단면을 유효하다고 보고 해석한다.


정답 다

6.2

다음 그림과 같은 PSC 보에서 프리스트레스 도입 직후 초기 프리스트레스 힘     


이 작용할 때, 프리스트레스 도입 직후 경간 중앙단면의 콘크리트 응력을 계산하고 응력분
포도를 작성하시오. (단, 콘크리트 단위중량은    이다)

풀이 전단면이 유효하다고 보고 계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여기서,
∙ 부재의 자중     ×  ×    

172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 부재 자중에 의한 휨모멘트
   × 
       ·   ×  ×  ⋅
 
∙ 콘크리트 단면적      ×     

∙        

  × 
∙ 단면 2차 모멘트         
 

(2) 사용하중이 작용할 때의 응력

PSC 보에 사용하중이 작용하는 경우는 모든 손실이 발생된 후이므로 유효 프리스트


레스에 의한 응력 및 모든 하중(자중 고정하중 활하중)에 의한 휨응력이 발생한
다. 이 경우의 부재 상단부와 하단부의 응력은 다음 식 (6.2)와 같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2a)

 
        
                (6.2b)
     

여기서,   :단면의 상단부응력


  :단면의 하단부응력
  :유효 프리스트레스 힘
  :콘크리트 단면적
 :콘크리트의 단면 2차 모멘트
  :PS 강재의 편심거리
     :각각 단면의 상단부와 하단부로부터 콘크리트 단면의 도심

제6장 휨부재의 해석 | 173


prestressed concrete

축까지의 거리
 :콘크리트 단면의 회전반경  
   
     :각각 상단부와 하단부에 대한 단면계수
  :보의 자중, 2차 고정하중 및 활하중에 의한 휨모멘트
        

그림 6.2 사용하중이 작용할 때의 단면 응력

6.3

경간 6m인 그림과 같은 단순보에     (자중 포함)가 작용하고 있다. 긴장재를 단


면 도심에 배치할 때 보의 하면에서 0.5 MPa의 압축응력을 받을 수 있도록 할 때 긴장재에
작용하는 긴장력을 구하시오.

풀이 하단부응력이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74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   × 
여기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4

그림과 같은 단면의 도심에 긴장재가 배치되어 있다. 초기 프리스트레스 힘을   작


용시켰다. 20%의 손실을 가정하여 콘크리트의 하단부응력이 0이 되도록 하려고 할 때 이때
의 휨모멘트 값을 구하시오.

풀이 ① 20%의 손실을 고려했을 때 유효 프리스트레스 힘


          ×    
② 하단부응력이 0이므로

         × 
       에서            ⋅
     

6.5

그림과 같은 포스트텐션 보에   의 초기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했다.    


(자중 포함)의 하중이 작용할 때 경간 중앙단면에 생기는 콘크리트의 응력을 구하시오. (단,
손실은 15%로 가정하고 자중은 무시한다)

제6장 휨부재의 해석 | 175


prestressed concrete

풀이 ① 유효 프리스트레스 힘
     ×      또는
         ×    
② 콘크리트의 응력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상단부응력          
∴ 하단부응력           

6.6

다음 그림과 같은 직사각형 단면의 단순보에 긴장재가 포물선으로 배치되어있다. 보의 중앙


단면에서 일어나는 상단부와 하단부의 콘크리트 응력을 구하시오. (단, 긴장재의 긴장력은
  이고, 자중을 포함하여 작용하중은   이다)

     ×  ×   × 


풀이   ∓  ±   ∓ ± 
     
  ∓  ±   

176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 상단부응력       
      
∴ 하단부응력       
      
여기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7

그림과 같이 등분포하중을 받는 단순보에 PS 강재를     만큼 편심시켜서 직선으


로 작용시킬 때 보 중앙단면의 하단부응력을 구하시오. (단, 자중은 무시한다)

     ×  


풀이 하단부응력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여기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제6장 휨부재의 해석 | 177


prestressed concrete

6.8

다음 그림과 같은 PSC 보가 있다. 보의 단면은 아래 그림과 같으며, 보의 자중 외에 고정하


중   , 활하중   가 작용한다. 프리스트레스 도입 직후, 즉 즉시손실
후의 프리스트레스 힘      이다. 프리스트레스의 시간적 손실을 15%로 보고, 초기
상태(프리스트레스 도입 직후) 및 최종 상태(사용하중 작용)에서의 보 중앙단면의 응력을
계산하시오. (단, 콘크리트 단위중량은    )

풀이 총 단면을 사용하여 계산
① 초기상태 응력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② 최종상태 응력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여기서, ∙          


∙ 단면적    ×    ×     
 ×   × 
∙ 단면 2차 모멘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78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 × 
∙       


∙ 부재의 자중       ×       
  
∙ 부재 자중에 의한 휨모멘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3 허용응력

6.3.1❙ 콘크리트의 허용응력


PSC는 하중단계별 거동이 다르므로 각 하중단계에 대하여 안전을 검토하여야 한다.
즉, 안전을 위하여 하중단계별로 발생하는 콘크리트의 응력을 허용응력 이하로 제한
하여야 한다.

(1) 프리스트레스 도입 직후 시간에 따른 프리스트레스 손실이 일어나기 전의 응력은


다음 값 이하로 하여야 한다.
1) 휨압축응력(다음 2)의 경우 제외): 

2) 단순지지 부재 단부의 휨압축응력: 

3) 휨인장응력(다음 4)의 경우 제외): 


 

제6장 휨부재의 해석 | 179


prestressed concrete

4) 단순지지부재 단부의 휨인장응력: 


 
5) 계산된 인장응력이 3) 또는 4)의 값을 초과하는 구역에는 비균열 단면으로 가
정하여 계산된 전체 인장력에 저항할 수 있는 추가 부착강재(긴장되지 않은 강
재 또는 프리스트레싱 강재)를 인장구역에 배치하여야 한다.

(2) 비균열등급 또는 부분균열등급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휨부재에 대해 모든 프리


스트레스 손실이 일어난 후, 사용하중에 의한 콘크리트 휨응력은 다음 값 이하로
하여야 한다. 이때 단면 특성은 비균열 단면으로 가정하여 구한다.
1) 압축연단응력(유효프리스트레스+지속하중): 

2) 압축연단응력(유효프리스트레스+전체하중): 

(3) 시험 또는 정밀한 해석에 의하여 안전성이 확인된 경우에는 위 (1)과 (2)에 규정


된 허용응력을 초과할 수 있다.
(4) 피로 또는 부식성 환경에 노출되어 있지 않은 완전균열등급의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휨부재에서 인장연단에 배치된 부착철근의 간격은 KDS 14 20 20
(4.2.3(4))에서 규정한 간격을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5) 포스트텐션 보의 정착구역에 있어서 지압판에서의 축방향 압축력의 집중이 문제
가 되므로 정착 장치의 정착으로 인한 콘크리트의 지압응력은 다음 값을 넘지 않
도록 해야 한다.

1) 긴장재 정착 직후


     ′
   ≤  

(6.3)

2) 프리스트레스 손실 후


     ′

 
≤    (6.4)

여기서,   :정착판의 면적
 ′ :정착판의 도심과 동일한 도심을 가지도록 정착판의 닮은꼴을
부재 단부에 가장 크게 그렸을 때 그 도형의 면적

180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표 6.1 콘크리트의 허용응력(콘크리트구조 학회기준)

 단순지지 부재 단부 이외 곳
휨 압축응력
 단순지지 부재 단부
프리스트레스 도입 직후

 단순지지 부재 단부 이외 곳
휨 인장응력

 단순지지 부재 단부
 프리스트레스 + 지속하중 작용 시
휨 압축응력
사용 하중 작용 시  프리스트레스 + 전체하중 작용 시

휨 인장응력 


참고:프리스트레스 도입 직후는 프리스트레스의 즉시 손실이 발생한 후, 즉 초기상태를 의미하며, 사용


하중이 작용할 때는 모든 손실이 발생한 후의 부재가 사용 상태인 경우를 의미.
 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할 때의 콘크리트 압축강도(MPa),   콘크리트 설계기준강도(MPa)

6.3.2❙ PS 강재의 허용응력


(1) 긴장을 할 때 긴장재의 인장응력은   또는   중 작은 값 이하로 하

여야 한다. 또한 프리스트레싱 긴장재나 정착장치 제조자가 제시하는 최댓값도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2) 프리스트레스 도입 직후에 긴장재의 인장응력은   와    중 작은 값 이

하로 하여야 한다.
(3) 정착구와 커플러 위치에서 프리스트레싱 도입 직후 포스트텐션 긴장재의 응력은
  이하로 하여야 한다.

표 6.2 PS 강재의 허용응력(콘크리트구조 학회기준)

적용범위 허용응력

긴장할 때  와  중 작은 값

프리스트레스 도입 직후  와  중 작은 값

접착구와 커플러의 위치에서, 프리스트레스



도입 직후 포스트텐션 긴장재

참고:  PS 강재의 인장강도(MPa),   PS 강재의 항복강도(MPa)

제6장 휨부재의 해석 | 181


prestressed concrete

6.9

PSC에서 프리스트레스 도입 시 콘크리트의 압축응력      일 때 콘크리트의 허용


휨압축응력을 계산하시오.

풀이 도입 시 휨압축응력     ×    

6.10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의 허용응력을 기술한 것 중 잘못된 것은?


가. 프리스트레스 도입 직후 콘크리트의 허용 휨압축응력: 
나. 프리스트레스 도입 직후 일반 조건의 경우 단순보의 단부에서 허용인장응력: 
 
다. 비균열등급 또는 부분균열등급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휨부재에 대해 모든 프리스
트레스 손실이 일어난 후 사용하중에 의한 콘크리트 휨응력:압축연단응력(유효 프리
스트레스 지속하중)은  
라. 프리스트레스 도입 직후 콘크리트의 허용 휨인장응력:
 

풀이 압축연단응력(유효프리스트레스+지속하중): 이다.
정답 다

6.4 균열모멘트

6.4.1❙ 균열 등급
PSC 보는 균열 발생 여부에 따라 그 거동이 달라지기 때문에 균열하중을 미리 예측
할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프리스트레스와 하중에 의한 인장연단의 합성응력이 콘
크리트의 휨인장강도(파괴계수)에 도달하면 균열이 발생한다고 보며, 콘크리트 설
계기준에서는 균열의 정도에 따라 비균열 등급, 부분균열 등급, 완전균열 등급의 3
가지 등급으로 구분하여 응력 및 처짐을 계산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182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1) 비균열 등급

비균열 등급은 균열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를 의미하며, 부재에 발생하는 인장응력이


휨인장강도(파괴계수) 이하가 되는 경우를 말한다.

  ≤ 
  (6.5)

여기서,  :사용하중 하에서의 인장연단응력(MPa)


 :콘크리트의 설계기준강도(MPa)

비균열 등급에서는 단면에 균열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휨부재의 응력 계산 시 총 단


면을 사용하여 계산하고 처짐 계산에 있어서도 총 단면에 대한 단면 2차 모멘트를 사
용하여 계산한다.

(2) 부분균열 등급

부분균열 등급은 비균열 등급과 완전균열 등급의 중간단계로써, 콘크리트의 인장응


력이 휨인장강도를 초과하여 균열이 발생하였으나 완전균열로 보기에는 균열의 정
도가 미비한 경우를 의미한다.


     ≤ 
  (6.6)

부분균열 등급에서 발생하는 균열은 미세하므로 휨부재의 응력은 총 단면으로 계산


하지만 처짐 계산 시는 유효 단면 2차 모멘트를 사용한다.

(3) 완전균열 등급

완전균열 등급은 철근 콘크리트와 같이 지배적인 균열이 발생한 경우를 의미한다.

   
  (6.7)

완전균열 등급에서 휨부재의 응력은 균열환산단면을 사용하여 계산하고 처짐도 유


효 단면 2차 모멘트를 사용하여 계산한다.

제6장 휨부재의 해석 | 183


prestressed concrete

6.4.2❙ 균열모멘트의 계산
(1) 정의

그림 6.3에서와 같이 프리스트레스와 하중에 의한 인장연단의 합성응력이 콘크리트


의 휨인장강도(파괴계수)에 도달하면 균열이 발생한다고 본다. 즉, 부재 단면의 인
장연단에서의 응력이 휨인장강도에 이르면 균열이 발생하며, 균열이 발생할 때의 모
멘트를 균열모멘트(cracking moment)라고 한다.

그림 6.3 균열모멘트

(2) 휨인장강도

사용하중이 작용할 때의 응력 식 (6.2b)의 하단부응력 계산공식에서 하단부응력  


를 콘크리트의 휨인장강도(파괴계수)   과 같다고 놓고, 휨모멘트   를 균열모멘트
  로 하여 정리하면 쉽게 구할 수 있다. 이때,   은 인장응력이므로 ( )로 놓는다.

    
          (6.8)
     

여기서,   :콘크리트의 휨인장강도


  :유효 프리스트레스 힘
  :콘크리트 단면적
 :콘크리트의 단면 2차 모멘트
  :PS 강재의 편심거리
  :단면의 하단부로부터 콘크리트 단면의 도심축까지의 거리
  :균열모멘트

184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3) 균열모멘트

균열모멘트는 식 (6.8)을   에 대해서 정리하여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 
             
 
 (6.9)

여기서,  :콘크리트 단면의 회전반경  


   
  :하단부에 대한 단면계수

(4) 균열의 안전율

활하중에 대한 균열의 안전율  은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            (6.10)
       
   (6.11)


여기서,  :균열에 대한 안전율


  :자중에 의한 휨모멘트
  :2차 고정하중에 의한 휨모멘트
  :활하중에 의한 휨모멘트

6.11

그림과 같은 단면의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보의 균열모멘트를 계산하시오. (단, 프리스


트레스 도입 시의 콘크리트 압축강도      ,      , 긴장재의 단면

적       이다)

제6장 휨부재의 해석 | 185


prestressed concrete

 
   

풀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여기서,  (콘크리트의 휨 인장강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12

그림과 같은 단면의 균열모멘트를 계산하시오. (단,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경간    
이며, PS 긴장재와 콘크리트 사이의 부착이 있다)

 
   

풀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여기서,  (콘크리트의 휨 인장강도)  
  
   

186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13

다음 그림과 같은 단면의 균열모멘트와 활하중에 대한 안전율을 계산하시오. (단, 유효


프리스트레스 힘      , 지간     이며, 자중   , 고정하중
  , 활하중   , 콘크리트의 휨인장강도   이다)

풀이 ① 균열모멘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② 활하중에 대한 균열의 안전율


         
      
 

여기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제6장 휨부재의 해석 | 187


prestressed concrete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5 설계기준에 의한 휨강도

6.5.1❙ 휨강도의 해석
PSC 보의 휨에 대한 파괴 저항력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휨강도를 알아야 한다. PSC 보
의 균열 후 휨에 의해 파괴되는 과정은 RC 보와 큰 차이가 없다. 따라서 PSC 보에서의
휨강도 계산은 강도설계법에 따르며, 해석상의 가정 또한 RC 보의 경우와 같다.

(1) 변형 전에 평면이었던 단면은 변형 후에도 평면을 유지한다.


(2) 균열 후 콘크리트의 인장응력은 무시한다.
(3) 콘크리트의 최대 압축변형률은  는 0.003으로 본다.

그림 6.4 극한강도 상태의 콘크리트 응력분포

등가 직사각형 응력분포의 깊이 a와 계산 시 필요한 계수   은 그림 6.4에서 콘크리


트 설계기준강도   에 따라 식 (6.12)와 같이 구한다.

188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  ≤   인 경우,    
     인 경우,          ≥  (6.12)

6.5.2❙ 공칭 휨강도와 설계 휨강도


공칭 휨강도는 그림 6.4의 응력분포도의 우력 모멘트를 이용하여 식 (6.13)과 같이
구할 수 있으며, 설계 휨강도는 공칭 휨강도에 강도감소계수  를 곱하여 계산한다.

 
 
             


  (6.13)


  
            
 
 
(6.14)

여기서,   :공칭 휨강도


  :설계 휨강도
  :PS 강재의 단면적
  :PS 강재의 인장응력
 :단면의 압축연단에서 PS 강재 도심까지의 거리(PS 강재의 유효 깊이)
   
 :등가 직사각형 응력분포의 깊이  
  
 :강도감소계수

휨에 대한 파괴내력은 식 (6.14)와 같이 설계 휨강도와 소요 휨강도의 관계를 검토하


여 확인하여야 한다.

설계 휨강도(     ) ≥ 소요 휨강도(  ) (6.15)

여기서,   :사용하중에 하중계수를 곱하여 계산한 계수 모멘트


 :강도감소계수

6.5.3❙ 강도감소계수와 하중계수


콘크리트 구조기준에서 제시하고 있는 하중계수는 표 6.3, 강도감소계수는 표 6.4와
같다.

제6장 휨부재의 해석 | 189


prestressed concrete

표 6.3 하중조합과 하중계수(콘크리트구조 학회기준)

하중조건 하중계수 및 하중조합


기본조건     
고정하중 
     
유체 및 압력하중 
활하중 
온도 등의 영향 
                  또는  또는  
연직방향 하중 
      또는  또는     또는  
수평방향 하중 
          또는  또는  
지붕활하중  
                  또는  또는  
적설하중 
          또는  )
강우하중 
풍하중 
              또는  )
지진하중 
            
[주] 개정된 설계기준에 있어서는 ASCE 7-98에 따라 콘크리트구조와 강구조의 하중계수를 통일함으로서,
종전의 기본형인   가   로 됨에 따라 안전성을 위하여 강도감소계수를 표 6.4
와 같이 하향조정하고 있다.

여기서,  :소요강도
 :고정하중(사하중) 또는 이에 의해 일어나는 단면력
 :유체의 중량 및 압력 또는 이에 의해 일어나는 단면력
 :온도, 크리프, 건조수축 및 부등침하의 영향 등에 의해 일어나
는 단면력
 :활하중 또는 이에 의해 일어나는 단면력
  :흙, 지하수 또는 기타 재료의 자중에 의한 연직방향하중 또는
이에 의해 일어나는 단면력
  :흙, 지하수 또는 기타 재료의 횡 압력에 의한 숲ㅇ방향 하중,
또는 이에 의해 일어나는 단면력
  :지붕활하중 또는 이에 의해 일어나는 단면력
 :적설하중 또는 이에 의해 일어나는 단면력
 :강우하중 또는 이에 의해 일어나는 단면력
 :풍하중 또는 이에 의해 일어나는 단면력
 :지진하중 또는 이에 의해 일어나는 단면력

190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  :토피의 두계  에 따른 연직방향 하중   에 대한 보정계수
 ≦   에 대하여    
    에 대하여        

표 6.4 강도감소계수  (콘크리트구조 학회기준)

부재, 단면 또는 하중(단면력)의 종류 
인장지배단면 0.85
나서 철근 부재 0.70
압축지배단면
그 이외의 부재 0.65
공칭강도에서 최외단 인장철근의 순  가 압축지배 변형률 한계에서
인장변형률  가 압축지배와 인장지 0.005로 증가함에 따라 값을 압
압축지배단면
배 단면 사이에 있을 경우(즉, 변화구 축지배 단면에 대한 값에서 0.85까
간에 있을 경우) 지 증가시킨다.
전단력과 비틀림 모멘트 0.75
콘크리트의 지압력(포스트텐션 정착부나 스트럿-타이모델
0.65
을 제외)
포스트텐션 정착구역 0.85
스트럿-타이모델과 그 모델에서 스트럿, 타이, 절점부 및
0.75
지압부
긴장재 묻힘 길이가 부재의 단부에서 전달길이 단부까지 0.75
정착 길입다 작은 프 0.75에서 0.85까지 선형적으로
전달길이 단부에서 정착길이 단부사이
리텐션 부재의 휨단면 증가시킨다.
무근콘크리트의 휨모멘트, 압축력, 전단력, 지압력 0.55

6.14

    ,     인 직사각형 PSC보에


      가 하단부에서   떨어져 배치
되어 있다. 설계 휨강도를 구하시오. (단,    1,700
MPa, 등가직사각형 응력 분포의 깊이   200 mm
이다)

제6장 휨부재의 해석 | 191


prestressed concrete

풀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여기서,   (인장지배단면),    

6.15

그림과 같은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단면의 설계 휨강도를 계산하시오. (단,      ,

     ,       이고 과소 보강되었다고 가정한다)

풀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여기서,    의 관계에서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인장지배단면)

6.5.4❙ PS 강재의 응력  의 계산


PSC 보가 휨파괴 될 때 PS 강재의 응력은 항복강도와 인장강도 사이에 있지만 PS
강재의 재료 특성이 비선형성을 가지므로 그 값을 정확히 파악하기는 쉽지 않다. 따
라서 설계기준에서는 PS 강재의 근사 계산식을 제시하고 있다. 다만, 설계기준에서
제시하는 근사식은 식 (6.16)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사용할 수 있으며,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변형률 적합조건에 의해 PS 강재의 응력   를 구해야
한다.

192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  ≥   (6.16)

여기서,  :PS 강재의 유효 인장응력


  :PS 강재의 인장강도

(1) PS 강재가 부착된 부재

PS 강재가 부착되고, 휨에 대한 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인장철근이나 압축철근이 보


조적으로 사용된 경우 PS 강재의 응력은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17)

여기서,  :PS 강재 종류에 따른 계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인장철근의 강재지수    ,   
  ·
  ′
 ′ :인장철근의 강재지수   ′  ,  ′  
  ·
  :중립축 깊이  에 대한 콘크리트 응력분포 사각형 깊이  와의 비
   
 :PS 강재비(    )
 :인장철근의 유효깊이
 :PS 강재의 유효깊이

다만, 압축철근의 영향을 고려할 경우에는 식 (6.18)의 조건을 만족하여야 하며, 인


장철근 및 압축철근의 영향을 고려하지 않을 경우는 식 (6.17)에서 각 철근의 강재지
수  및 ′ 을 0으로 하면 된다.

  
       ′  ≥   ′ ≤  (6.18)
  

여기서,  ′ :압축철근 도심에서 압축측 연단까지의 거리

제6장 휨부재의 해석 | 193


prestressed concrete

(2) PS 강재가 부착되지 않은 부재

PS 강재가 부착되지 않은 경우는 식 (6.19)와 같이 부재의 지간 대 높이의 비에 따라


PS 강재의 응력을 계산한다.  ≤  는 보에 해당되는 경우이며,    는 슬래
브인 경우이다.

  
 ≤ :         ≤        (6.19a)
 

  
  :         ≤        (6.19b)
 

(3) 공칭 휨강도의 계산

PSC 보의 휨강도는 RC 보와 같은 방법으로 계산하며, 휨강도 계산 시 PS 강재의 응


력은 앞의 식들을 사용하여 계산한다.

1) 직사각형 단면 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20)

여기서,   :PS 강재의 단면적


  :PS 강재의 인장응력
 :PS 강재의 유효깊이
           ′  
 :등가 직사각형 응력분포의 깊이   
 
  :인장철근의 단면적
  :철근의 항복강도
 :인장철근의 유효깊이
  ′ :압축철근의 단면적
′ :압축철근 도심에서 압축측 연단까지의 거리

인장 또는 압축철근의 영향을 고려하지 않을 경우는 각 철근량   및   ′ 을 0으로


하면 된다. 단, 압축철근의 영향을 고려할 경우는 다음의 조건을 만족하여야 하며,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압축철근이 항복하지 않으므로 압축철근의 영향을 무시하
여 계산한다.

194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            ′  ′ 
 ≥      (6.21)
       

여기서,   ′ :압축철근의 단면적


 ′ :압축철근 도심에서 압축측 연단까지의 거리

2) I형 또는 T형 단면 보
I형 단면 또는 T형 단면 보와 같이 플랜지가 있는 단면의 경우에서는 먼저, 직사각형
단면으로 계산할 지 또는 플랜지가 있는 단면으로 계산할 지의 여부를 판별하여야
한다. 즉, 직사각형 단면으로 가정하여 계산한 콘크리트의 등가응력 사각형의 깊이
 가 플랜지의 두께 이하이면 플랜지의 폭  를 폭으로 하는 직사각형 단면으로 보고
휨강도를 계산하고, 콘크리트의 등가응력 사각형의 깊이  가 플랜지의 두께보다 큰
경우는 플랜지를 갖는 단면, 즉 I형 또는 T형 단면으로 휨강도를 계산한다.

            ′   ≤  → 직사각형 단면
 
 
⇨    →  형/ 형 단면
(6.22)

여기서,  :등가 직사각형 응력분포의 깊이,  :플랜지의 두께

그림 6.5 플랜지가 있는 단면의 힘 분할

플랜지를 갖는 단면의 공칭 휨강도 계산은 그림 6.5와 같이 복부에 의한 휨강도와 플


랜지에 의한 휨강도로 나누어 계산할 수 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23)

여기서,   :복부의 단면적

제6장 휨부재의 해석 | 195


prestressed concrete

  :플랜지의 단면적

복부의 인장력은 총 인장력에서 플랜지의 인장력을 빼면 되므로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                      (6.24)

여기서,  :복부의 폭

또한, 복부의 인장력은 복부의 압축력과 같아야 하므로 콘크리트의 등가응력 사각형
의 깊이  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      (6.25)

플랜지의 인장력은 플랜지의 압축력과 같아야 하므로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           (6.26)

(4) 강재량의 계산

콘크리트 단면에 비하여 강재량이 너무 적으면 균열과 동시에 강재가 파단되어 갑작


스런 파괴가 발생하며, 반대로 강재량이 너무 많으면 과보강 보가 되어 PS 강재가
항복하기 전에 콘크리트가 압축파괴를 일으켜 보는 취성파괴 된다. 따라서 강재량을
조절하여 PS 강재의 응력이 항복강도에 도달한 후 콘크리트가 압축파괴 되는 연성
파괴가 유발되도록 저보강 보로 설계하여야 한다.

1) 최소 강재량
PSC 보의 전체 강재량이 균열하중의 1.2배 이상의 계수하중을 받을 수 있어야 한다.

  ≥    (6.27)

여기서,   :계수 모멘트


  :균열모멘트

2) 최대 강재량
설계기준에서는 강재지수로써 강재량을 제한하도록 하고 있다. 즉, 다음의 식 (6.28)
~(6.30)을 만족하면 저보강 PSC 보가 되며, 아래의 식들을 만족하지 않으면 과보강
PSC 보가 되어 보는 취성파괴를 일으키게 된다.

196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① 긴장재만을 갖는 보

  ≤   (6.28)

 
여기서,   :PS 강재의 강재지수         
  
 
  :중립축 깊이 c에 대한 콘크리트 응력분포 사각형 깊이  와의 비
   

② 긴장재와 철근을 갖는 직사각형 단면 보



       ′  ≤   (6.29)

 
여기서,  :인장철근의 강재지수        
    
 ′


′ :압축철근의 강재지수  ′   ′    ′  
   
③ 긴장재와 철근을 갖는 I형 또는 T형 단면 보

       ′   ≤   (6.30)


여기서,   :I형, T형 단면 보의 PS 강재의 강재지수

  
        
 

   
 
  :I형, T형 단면의 인장철근의 강재지수         
     
 ′


  ′ :I형, T형 단면의 압축철근의 강재지수   ′   ′    ′  
    
전술한 바와 같이 위의 식들이 만족되지 않는 경우에는 보의 휨강도는 압축부에
의해 지배되며, 이때의 휨강도는 다음 식으로 계산한다.

④ 직사각형 단면

             (6.31)

⑤ 플랜지를 갖는 단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6.32)

제6장 휨부재의 해석 | 197


prestressed concrete

그림 6.6 휨강도 계산 절차

198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6.16

PSC 보의 휨강도 계산 시 긴장재의 응력   의 계산은 강재 및 콘크리트의 응력-변형률 관


계로부터 정확히 계산할 수도 있으나 콘크리트 구조기준에서는   를 계산하기 위한 근사
적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그 이유는 무엇인가?

가. PSC 구조물은 강재가 항복한 이후 파괴까지 도달함에 있어 강도의 증가량이 거의 없


기 때문이다.
나. PS 강재의 응력은 항복응력 도달 이후에도 파괴 시까지 점진적으로 증가하기 때문이다.
다. PSC 보를 과보강 PSC 보로부터 저보강 PSC보의 파괴상태로 유도하기 위함이다.
라. PSC 구조물은 균열에 취약하므로 균열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풀이  의 근사값
① 휨부재의 설계휨강도 계산은 이 설계기준의 강도 설계법에 따라야 하며, 이때 프리스트레싱 긴장재
의 응력은  대신  를 사용하여야 한다.
②  는 변형률 적합조건을 기초로 하여 계산하여야 한다. 다만 보다 정확하게  를 계산하지 않는 경
우에  ≥  면 근사식으로  를 구할 수 있다.
정답 나

6.17

폭     , 긴장재의 유효깊이     인 단면에서 부착된 프리스트레스트

보강재의 인장응력   를 구하시오. (단, 긴장재의 단면적은       이고, 프리


스트레싱 긴장재의 종류에 따른 계수( )  ,      ,      이다)

풀이



 

 


 

PS 강재가 부착된 부재의 인장응력            ′   에서 인장철근이나

압축철근이 보조적으로 사용되지 않았으므로 각 철근의 강재지수   ′  이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여기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제6장 휨부재의 해석 | 199


prestressed concrete

6.18

다음과 같이 PS 강재가 부착된 경우 단면의 휨강도를 계산하시오. (단,      ,

         ⋅ 이고, PS 강재의 단면적       , 항복강


도는      인장강도는      이다)

풀이 ① PS 강재의 응력  계산
 
       ,
 
 
      → 설계기준 공식 사용 가능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철근이 배근되어 있지 않으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② 직사각형 보 / I형 보 판단
  × 
       
  ×  × 
         → I형 단면 보
③ 최대 강재량 검토
 
긴장재만을 갖는 보이므로,       ×   
 
      이므로 최대 강재량 기준 만족 → 저보강보
④ 휨강도 계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00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설계 휨강도      ×    ·
⑤  ≥  검토
 
   →       
 
∴ 설계기준 만족

제6장 휨부재의 해석 | 201


prestressed concrete

6.1 PSC 보의 해석 및 설계 시 이용되는 주요 하중을 단계별로 간략히 설명하시오.

6.2 프리스트레스 도입 직후와 사용하중이 작용할 때의 응력 계산 시 차이점을 설명하


시오.

6.3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의 휨부재 해석 순서를 간략히 설명하시오.

6.4 콘크리트 설계기준에서는 규정하고 있는 균열의 등급 3가지를 간단히 설명하시오.

6.5 그림과 같은 포스트텐션 보에 2,000 kN의 초기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했다.   30


kN/m(자중 포함)의 하중이 작용할 때 경간 중앙단면에 생기는 콘크리트의 응력을
구하시오. (단, 손실은 20%로 가정하고 자중은 무시한다)

6.6 다음 PSC 보에 자중 외에 고정하중 1,000 N/m, 활하중 4,000 N/m가 작용한다. 프


리스트레스 도입 직후, 즉 즉시손실 후의 프리스트레스 힘      이다. 프
리스트레스의 시간적 손실을 12%로 보고, 초기상태(프리스트레스 도입 직후) 및 최
종상태(사용하중 작용)에서의 보 중앙단면의 응력을 계산하시오. (단, 콘크리트 단위
중량은    )

202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6.7   ×   직사각형 단면의 PSC 보가 지간 12.0 m로 단순지지되어 있
다. PS 강재는 편심거리 200 mm로 직선 배치되어 있다. 초기 프리스트레스 힘은
     이고, 유효율은    이다. 보는 자중 외에 고정하중 4,000
N/m와 활하중 1,500 N/m를 받는다. 프리스트레스 도입 직후 및 사용하중 작용
상태에서의 보 중앙단면의 콘크리트 응력을 계산하시오. (단, 콘크리트 단위중량은
   )

6.8 연습문제 6.7에서 콘크리트 설계기준강도는      이고,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할 때의 콘크리트 압축강도는      일 경우, 각 하중단계에의 응력을
허용응력과 비교하시오.

6.9 PSC에서 프리스트레스 도입 시 콘크리트의 압축 응력     일 때 콘크리


트의 허용 휨 압축응력과 휨 인장응력(부재 단부)을 계산하시오.

6.10 다음 그림과 같은 단면의 PSC 보가 있다. 프리스트레스 감소 후의 유효 프리스트레


스는      일 경우,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1) 전 단면에 균일한 압축응력이 발생하게 하는 등분포하중의 크기


(2) 보에 균열을 발생시키는 등분포하중의 크기. 단, 콘크리트의 파괴계수는 3.5
MPa이다.
(3)      ,      일 경우, 보에 허용될 수 있는 등분포하중의
크기

제6장 휨부재의 해석 | 203


prestressed concrete

6.11 다음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보의 균열모멘트를 계산하시오. (단, 프리스트레스


도입 시의 콘크리트 압축강도      ,      , 긴장재의 단면적

      이다)

6.12 다음 그림과 같은 단면의 균열모멘트와 활하중에 대한 안전율을 계산하시오. (단, 유


효 프리스트레스 힘      , 지간     이며, 자중 2,300 N/m, 고정하
중 3,000 N/m, 활하중 2,000 N/m, 콘크리트의 설계기준강도      이다)

6.13 그림과 같은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단면의 설계 휨강도를 계산하시오. (단,   


45 MPa,            이고 과소보강되었다고 가정한다)

204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6.14 다음 그림과 같은 단면의 공칭휨강도
  을 계산하시오. (단, 저보강보로 가정
하고, 콘크리트의 설계기준강도는   
30 MPa, PS 강연선의 인장강도는   
1,750 MPa, 항복강도는    1,500
MPa이다)

6.15 다음 그림과 같은 단면의 포스트텐션 보가 있다. 보의 지간은 12m로 단순지지되


어 있으며, 자중 외에 5,000 N/m의 고정하중과 6,000 N/m의 활하중을 받는
다. 초기 프리스트레스 힘은    800 kN이고, 프리스트레스의 시간적 손실은
20%로 가정한다. 콘크리트의 설계기준 강도는    35 MPa, 프리스트레스 도
입 시 콘크리트 강도는    26 MPa이다. PS 강연선의 항복강도 및 인장강도는
각각    1,600 MPa,    1,850 MPa이며, 단면적은       이다.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단, 콘크리트의 단위중량은    )

(1) 프리스트레스 도입 직후의 지간 중앙단면의 콘크리트 응력을 계산하고 허용응


력과 비교하시오.
(2) 사용하중이 작용할 때 콘크리트 응력을 계산하고 허용응력과 비교하시오.
(3) 균열모멘트를 계산하고 균열에 대한 안전율을 검사하시오.
(4) 휨강도를 계산하고 휨강도와 균열모멘트의 비를 구하시오.

제6장 휨부재의 해석 | 205


CHAPTER

07
휨부재의 설계

7.1 설계의 개념
7.2 허용응력에 의한 휨설계
CHAPTER

07 휨부재의 설계
학습목표
1. 허용응력 설계법에 의한 휨부재의 설계방법에 대해 학습한다.
2. PS 강재의 배치(포물선 배치, 직선 배치, 절곡 배치)에 따른 설계방법에 대해 학습한다.
3. PS 강재 편심거리의 제한범위에 대하여 학습한다.
4. PS 강재의 간격 및 피복 두께에 대한 설계기준에 대해 학습한다.

7.1 설계의 개념

PSC 보는 하중상태에 따라 그 거동이 달라지기 때문에 각 하중상태에 따른 응력을


검토해야 한다. 즉, 프리스트레스 도입 직후 및 사용하중이 작용할 때 PSC 보에 발
생하는 응력이 각 하중단계별 허용응력 이내에 있는지를 검토하여야 하며, 극한하중
작용 시 파괴에 대한 안전율 확보를 위해 휨강도 또한 검토되어야 한다.
설계는 일반적으로 시산법(trial and error approach)에 의해 수행된다. 즉, 단면
을 가정하고 긴장재 배치 및 프리스트레스 힘을 결정한 후 하중단계별 콘크리트 응
력이 허용응력을 만족하는지를 검토하고 휨강도 계산에 의해 파괴에 대한 안전 여부
를 체크한다. 위 과정을 반복하여 만족되는 최종 단면을 결정한다. 설계 시 콘크리트
응력의 부호는 압축응력을 (+), 인장응력은 (-)로 하며, 필요한 콘크리트 응력의 기
호는 표 7.1과 같다.

표 7.1 콘크리트의 허용응력(콘크리트구조 학회기준)

허용응력 인장 (-) 압축 (+)

   

프리스트레스 (단순지지부재 단부 이외 곳)
  
도입 직후    
  

(단순지지부재의 단부)
  
(프리스트레스 + 지속하중)
사용하중 작용 시    

  
(프리스트레스 + 전체하중)

제7장 휨부재의 설계 | 209


prestressed concrete

여기서,   :프리스트레스 도입 직후의 허용 휨 압축응력


  :프리스트레스 도입 직후의 허용 휨 인장응력
  :사용하중 하에서의 허용 휨 압축응력
  :사용하중 하에서의 허용 휨 인장응력

7.2 허용응력에 의한 휨설계

7.2.1❙ PS 강재가 포물선으로 배치된 보(포스트텐션)


(1) 단면 계수(  ) 결정

프리스트레스 도입 직후 부재 상단부의 인장응력은   를 초과하지 않아야 하며, 하


단부의 압축응력은   를 넘지 않아야 한다. 즉, 부재 상단부와 하단부의 응력은 식
(7.1)을 만족하여야 한다(식 (7.1) 참조).

      
        ≥   (7.1a)
  
 

      
        ≥   (7.1b)
  
 

여기서,   :단면의 상단부응력


  :단면의 하단부응력
  :프리스트레스 도입 직후의 허용 휨 압축응력
  :프리스트레스 도입 직후의 허용 휨 인장응력
  :초기 프리스트레스 힘
  :콘크리트 단면적
  :PS 강재의 편심거리
     :각각 상단부와 하단부에 대한 단면계수
  :보의 자중에 의한 휨모멘트

또한, 프리스트레스의 모든 손실이 발생한 후, 사용하중이 작용할 때의 부재 상단부


와 하단부의 응력은 식 (7.2)를 만족하여야 한다(식 (7.2) 참조).

210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  
        ≥   (7.2a)

    

  
        ≥   (7.2b)

    

여기서,   :단면의 상단부응력


  :단면의 하단부응력
  :사용하중 하에서의 허용 휨 압축응력
  :사용하중 하에서의 허용 휨 인장응력
  :유효 프리스트레스 힘
  :콘크리트 단면적
  :PS 강재의 편심거리
     :각각 상단부와 하단부에 대한 단면계수
  :보의 자중, 2차 고정하중 및 활하중에 의한 휨모멘트
        

     이므로 식 (7.2)는 다음 식 (7.3)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     

      ≤  
  
(7.3a)

     

      ≤  
  
(7.3b)

여기서,  :프리스트레스 힘의 유효율(프리텐션:0.800, 포스트텐션:0.855)

식 (7.3)에 식 (7.1)을 대입하고 정리하면, 다음과 같은 식이 성립된다.

  
     ≤      (7.4a)
 

  
     ≥      (7.4b)
 

여기서,   :자중에 의한 휨모멘트


  :보의 자중, 2차 고정하중 및 활하중에 의한 휨모멘트

제7장 휨부재의 설계 | 211


prestressed concrete

식 (7.4)에            을 대입하고 정리하면, 상단부와 하단부에 대한 단


면계수를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          
 ≥  (7.5a)
    

          
 ≥  (7.5b)
    

여기서,   :자중에 의한 휨모멘트


  :2차 고정하중에 의한 휨모멘트
  :활하중에 의한 휨모멘트

(2) 초기 프리스트레스 힘(   ) 결정

프리스트레스 도입 직후 단면의 응력분포는 그림 7.1과 같으며, 이때 콘크리트 도심


에서의 응력   는 그림 7.1로부터 식 (7.6)과 같이 구할 수 있다.

그림 7.1 단면의 응력분포


             (7.6)

여기서,   :콘크리트 도심에서의 응력


  :사용하중 하에서의 허용 휨 압축응력
  :사용하중 하에서의 허용 휨 인장응력

           이고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이 되고, 식 (7.6)


에 대입하면 식 (7.7)과 같이 콘크리트 도심에서의 응력   를 단면계수의 항으로

212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표현할 수 있다.


             (7.7)
  

여기서,   :PS 강재가 포물선으로 배치된 경우 상단부에 대한 단면계수


  :PS 강재가 포물선으로 배치된 경우 하단부에 대한 단면계수

초기 프리스트레스 힘   는 응력에 콘크리트의 단면적을 곱하면 구할 수 있으므로


식 (7.8)과 같다.

       (7.8)

여기서,   :초기 프리스트레스 힘


  :콘크리트 도심에서의 응력

(3) 편심거리(   ) 결정

긴장재의 편심거리   는 프리스트레스 힘에 의한 휨응력으로부터 구할 수 있다. 프


리스트레스 도입 직후, 부재의 상단부응력 식 (7.1a) 및 식 (7.8)을 참고하여 편심거
리에 대해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9)
 

식 (7.9)는 최대 모멘트가 발생하는 단면에서의 편심거리이다(단순보일 경우-지간


중앙단면). 지점에서는 자중에 의한 휨응력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지점에서 편심을
두면 프리스트레스에 의해 부재 상단부에 큰 인장응력이 발생하기 때문에 일반적으
로 지점 단면에서는 편심거리를 0으로 한다.

제7장 휨부재의 설계 | 213


prestressed concrete

7.1

지간이 12.0 m인 포물선으로 배치된 포스트텐션 보가 있다. 보는 자중 외에 추가 고정하중


5 kN/m 및 활하중 12 kN/m를 받는다. 이들 하중은 사용하중으로서 지속하중으로 작용한
다. 콘크리트 설계기준 강도는    45 MPa이고, 프리스트레스 도입 시 콘크리트 강도는
   32 MPa이다. 프리스트레스의 시간적 감소는 초기 프리스트레스의 15%로 가정하여
유효율을 85%로 본다. 최대 모멘트가 발생하는 지간 중앙에서 요구되는 콘크리트 단면의
치수, 프리스트레스 힘의 크기 및 긴장재의 편심거리를 구하시오. (단, 콘크리트 단위중량
은    )

풀이 ① 콘크리트의 허용응력 계산
∙ 프리스트레스 도입 직후
허용 휨압축응력:     ×    
허용 휨인장응력:   
    × 
    
∙ 사용하중 작용 시
허용 휨압축응력:     ×    
허용 휨인장응력:   
   × 
    
② 단면 결정
자중      로 가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소요 단면계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단면 결정
     
 ×   × 
       ×   
 

214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③ 초기 프리스트레스 힘 및 편심거리 계산
∙ 단면 도심에서의 콘크리트 응력
 
                    
 
∙ 초기 프리스트레스 힘
     ×    

∙ 보의 실제 자중       × 



     


   ×  ×    ⋅

∙ 긴장재의 편심거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최대모멘트 단면 이외 단면에서는 이 값보다 작아야 함.

④ PS 강재량 계산
∙ 지름   SWPD 1N 사용(     , 인장하중   ,  영구 연신률에 대
한 하중   )
 × 
인장강도      

 × 
항복강도      

∙ 프리스트레스 도입 직후 PS 강재의 허용응력
   ×    
   ×     ← 긴장재의 인장응력
∙ PS 강재의 소요 단면적 및 필요 개수
 
        
 

필요 개수    개


제7장 휨부재의 설계 | 215


prestressed concrete

⑤ 응력 검토
∙ 초기 프리스트레스 힘  에 의한 응력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유효 프리스트레스 힘  에 의한 응력(유효율이 85%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에 의한 응력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에 의한 응력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프리스트레스 도입 직후의 응력
         인장   ∴ 
       압축   ∴ 
∙ 사용하중 작용 시 응력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16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7.2.2❙ PS 강재가 직선으로 편심 배치된 보(프리텐션)
(1) 단면 계수(  ) 결정

긴장재의 편심이 변하지 않는 보에서는 프리스트레스에 의한 휨모멘트(    )가 보


의 전 지간에 걸쳐 일정하기 때문에 자중에 의한 휨모멘트(  )가 0인 지점에서는
프리스트레스 도입 직후 부재 상단부에서 발생하는 인장응력이 허용응력   를 초과
할 수 있다. 따라서 최대 편심거리를 지점에서 결정하여야 한다.

편심변화 ○ 편심변화 ×

PS 도입 직후

사용하중

그림 7.2 긴장재의 편심 변화 유무에 따른 휨모멘트 및 검토 단면

지점에서의 프리스트레스 도입 직후의 부재 상단부와 하단부의 콘크리트 응력은 식


(7.10)의 조건을 만족하여야 한다.

      
     ≥   (7.10a)
   

    
   ≤   (7.10b)
 

여기서,   :프리스트레스 도입 직후의 허용 휨 압축응력

제7장 휨부재의 설계 | 217


prestressed concrete

  :프리스트레스 도입 직후의 허용 휨 인장응력


  :초기 프리스트레스 힘
  :콘크리트 단면적
  :PS 강재의 편심거리
  :보의 자중에 의한 휨모멘트

사용하중 작용시 보 지간 중앙에서 부재 상단부와 하단부의 콘크리트 응력은 포물선


배치 때와 마찬가지로 식 (7.2)의 허용응력 규정을 만족하여야 한다. 식 (7.2)를 PS
강재가 포물선 배치된 경우와 마찬가지 방법으로 정리하면, PS 강재가 직선으로 편
심 배치된 경우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대한 단면계수를 구할 수 있다.


 ≥  (7.11a)
    


 ≥  (7.11b)
    

여기서,   :PS 강재가 직선으로 편심 배치된 경우 상단부에 대한 단면계수


  :PS 강재가 직선으로 편심 배치된 경우 하단부에 대한 단면계수
  :보의 자중, 2차고정하중 및 활하중에 의한 휨모멘트
         

(2) 초기 프리스트레스 힘(   ) 결정

초기 프리스트레스 힘은 PS 강재가 포물선 배치된 경우와 동일하게 식 (7.8)을 이용


하여 구한다.

(3) 편심거리(   ) 결정

전술한 바와 같이 긴장재의 편심이 변하지 않는 보의 경우, 편심거리는 지점부에서


결정한다. 지점에서의 부재 상단부의 응력 식 (7.10) 및 식 (7.7)을 참고하여 편심거
리에 대해 정리하면 식 (7.12)와 같다.


          (7.12)


218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7.2

예제 7.1을 PS 강재가 직선으로 편심 배치된 경우로 설계하시오.

풀이 ① 콘크리트의 허용응력 계산
∙ 프리스트레스 도입 직후
허용 휨압축응력:     ×    
허용 휨인장응력:  
   × 
   
→ 단순지지 부재 단부의 허용 휨인장응력 ; 긴장재를 직선으로 편심배치한 단순지지보 경우의
편심거리는 지점에서 결정되기 때문
∙ 사용하중 작용 시
허용 휨압축응력:     ×    
허용 휨인장응력:   
   × 
    
② 단면 결정
∙ 자중      로 가정
→ PS 강재의 직선배치는 포물선 배치에 비해 효율이 떨어지므로 단면이 커질 것으로 예상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소요 단면계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위의 값들보다 예제 6-1에서 결정된 단면의 단면계수들이 더 크므로 예제 6.1의 단면 사용
③ 초기 프리스트레스 힘 및 편심거리 계산
∙ 단면 도심에서의 콘크리트 응력
 
                   
 
∙ 초기 프리스트레스 힘
     ×    
∙ 긴장재의 편심거리
  × 
                
 

제7장 휨부재의 설계 | 219


prestressed concrete

④ PS 강재량 계산
 
∙         
 

∙ 필요 개수     개

⑤ 응력 검토
∙ 지점 단면
- 초기 프리스트레스 힘 Pi에 의한 응력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유효 프리스트레스 힘 Pe에 의한 응력
   ×         ∴ 
   ×       ∴ 
∙ 지간 중앙단면
-  에 의한 응력
 
     ,        
   

-   에 의한 응력
     
     ,       
   

- 프리스트레스 도입 직후의 응력
           ∴ 
           ∴ 
- 사용하중 작용 시 응력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a) 지점 단면의 응력분포 (b) 지간 중앙단면의 응력분포

220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7.2.3❙ PS 강재의 편심거리 제한 범위
긴장재의 편심거리를 임의 수준보다 아래로 배치하게 되면 프리스트레스 도입 직후
의 콘크리트 응력이 허용응력을 초과하게 되며, 위로 배치하게 되면 사용하중 작용
시 콘크리트 응력이 허용응력을 초과하게 된다. 즉, 하중단계별 콘크리트 응력이 허
용응력 이내에 있기 위해서는 긴장재 편심거리의 상한과 하한에 대한 제한범위가 있
어야 한다.

(1) PS 강재 편심거리의 하한값

PS 강재 편심거리의 하한값은 프리스트레스 도입 직후 콘크리트 상단부와 하단부의


응력 공식을 편심거리   에 대해 정리함으로써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13a)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13b)
    

여기서,   :프리스트레스 도입 직후의 허용 휨 압축응력


  :프리스트레스 도입 직후의 허용 휨 인장응력
  :초기 프리스트레스 힘
  :콘크리트 단면적
  :PS 강재의 편심거리
     :각각 상단부와 하단부에 대한 단면계수
  :보의 자중에 의한 휨모멘트

(2) PS 강재 편심거리의 상한값

PS 강재 편심거리의 상한값은 사용하중 작용상태의 콘크리트 상단부와 하단부의 응


력 공식을 편심거리   에 대해 정리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  
     ≤   (7.14a)
   

  
     ≤   (7.14b)
   

제7장 휨부재의 설계 | 221


prestressed concrete

여기서,   :유효 프리스트레스 힘 (     )


  :보의 자중, 2차 고정하중 및 활하중에 의한 휨모멘트
        

식 (7.13), (7.14)에서와 같이 편심거리의 상, 하한값은 휨모멘트에 따라 변화하며,


그 관계를 나타내면 그림 7.3과 같다. PS 강재 도심의 편심 거리가 그림 7.3에 나타
낸 제한범위 내에 있어야 콘크리트 응력이 허용응력 이하로 되며, 일반적으로 식
(7.13b) 및 식 (7.14b)에 의하여 편심 거리의 범위가 결정된다. 따라서 편심거리의
상, 하한값을 넘지 않기 위해 일반적으로 포스트텐션 보에서는 포물선 또는 현수선
배치를 하며, 프리텐션 보에서는 지간의 중앙 또는 지간의 1/3, 1/4점에서 아래로 구
부려 절곡 배치한다.

그림 7.3 긴장재 편심 거리의 제한범위

7.3

예제 7.1의 보에서 PS 강재의 배치범위를 정하시오.

풀이 ① 예제 7.1의 결과 값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② 지간에 따른 휨모멘트(⋅)

지간 중앙 1/4 지간 지점
 64,134 48,100 0
 370,134 277,600 0

222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③ PS 강재 편심거리 하한값
∙ 식 (7.13a)
   
지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4 지간:  ≤  
 
  

 ×   ×     ×  × 


지간 중앙:  ≤  
 
  
∙ 식 (7.13b)
   
지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4 지간:  ≤   
 
  

 ×   ×    ×  × 


지간 중앙:  ≤   
 
  

④ PS 강재 편심거리 상한값
∙ 식 (7.14a)
   
지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4 지간:  ≥   
 
  

 ×   ×    ×  × 


지간 중앙:  ≥   
 
  

제7장 휨부재의 설계 | 223


prestressed concrete

∙ 식 (7.14b)
   
지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4 지간:  ≥  
 
  

 ×   ×     ×  × 


지간 중앙:  ≥  
 
  

[PS 강재 편심의 제한 범위]

7.2.4❙ 절곡 배치된 PS 강재를 갖는 보(프리텐션)


PS 강재를 포물선으로 배치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지만 프리텐션 보에서는 긴장재
를 포물선 배치하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보통 직선 또는 절곡 배치한다.
PS 강재를 절곡 배치하는 경우, 지점에서의 편심거리는 없도록 하고 지간의 1/3
또는 1/4 되는 위치에서 절곡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런 경우는 그림 7.4와 같이
프리스트레스 도입 직후 초기 프리스트레스 힘에 의한 휨모멘트에 의해 절곡되는
위치의 단면이 위험단면이 된다. 따라서 프리스트레스 도입 직후 절곡되는 위치
(위험단면)에서의 허용응력 조건을 사용하여 단면계수 및 편심거리를 산출하여야
한다.

224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포물선 배치 직선 배치 절선 배치

PS 도입 직후

사용하중 상태

그림 7.4 긴장재의 편심 변화 유무에 따른 휨모멘트 및 검토 단면

그림 7.5에서 절곡된 위치에서의 자중에 의한 휨모멘트를  ′ 이라고 한다면, 포물


선 배치된 보의 경우와 동일한 방법으로 절곡 배치된 PS 강재를 갖는 보에 대한 단면
계수 및 PS 강재의 편심거리를 구할 수 있다.

(a) 절곡 배치된 긴장재

(b) 자중에 의한 휨모멘트

그림 7.5 절곡된 PS 강재를 갖는 보

(1) 단면계수(  ) 결정

PS 강재를 절곡 배치할 경우 부재 상단부와 하단부의 응력은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  ≥   (7.15a)
    

제7장 휨부재의 설계 | 225


prestressed concrete

      
        ≥   (7.15b)
   

여기서,   :단면의 상단부응력


  :단면의 하단부응력
  :프리스트레스 도입 직후의 허용 휨 압축응력
  :프리스트레스 도입 직후의 허용 휨 인장응력
  :초기 프리스트레스 힘
  :콘크리트 단면적
  :PS 강재의 편심거리
     :각각 상단부와 하단부에 대한 단면계수
  :보의 자중에 의한 휨모멘트

상단부와 하단부에 대한 단면계수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    ′      ′       
 ≥ (7.16a)
    
     ′      ′       
 ≥ (7.16b)
    

여기서,  :프리스트레스 힘의 유효율


  :사용하중 하에서의 허용 휨 압축응력
  :사용하중 하에서의 허용 휨 인장응력
  :자중에 의한 휨모멘트
 ′ :절곡된 위치에서 자중에 의한 휨모멘트
  :2차 고정하중에 의한 휨모멘트
  :활하중에 의한 휨모멘트

(2) 편심거리(   ) 결정

단면 중앙부의 긴장재의 편심거리는 식 (7.17)과 같이 계산한다.

   ′
            (7.17)
 

226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여기서,   :콘크리트 도심에서의 응력
  :프리스트레스 도입 직후의 허용 휨 인장응력

7.2.5❙ PS 강재의 간격 및 피복두께


(1) PS 강재의 간격

긴장재를 배치할 때는 콘크리트의 고른 분산 및 긴장재의 부착을 위해 임의의 간격


이상으로 배치하여야 한다.

1) 프리텐션 부재의 긴장재 중심 간격


① PS 강선은  이상, PS 강연선은  이상(여기서,  :강선의 공칭지름)
② 다만,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할 때 콘크리트의 압축강도가 28MPa보다 크면 공칭
지름이 13mm 이하인 강연선에 대해서는 최소 중심 간격을 45mm로 하고, 공칭
지름이 15mm 이상인 강연선에 대해서는 최소 중심 간격을 50mm로 해야 한다.

2) 포스트텐션 부재의 쉬스의 순간격


① 굵은 골재 최대 치수는 25mm 이상
② 굵은 골재 최대 치수의 (1/3~1)배 이상

(2) 긴장재의 피복두께

긴장재, 쉬스, 철근 등의 부식방지를 위해서는 충분한 두께의 콘크리트 피복두께를


확보하여야 한다.
PSC 부재에 대한 피복두께는 구조물의 노출 상태 및 부재의 종류 등에 따라 달라
지며 설계기준에서는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 있다.

표 7.2 PSC 부재의 최소 피복두께(콘크리트구조 학회기준)

노출 상태 및 부재의 종류 최소 피복두께 (mm)


흙에 접하여 타설된 후 영구히 흙에 묻히는 콘크리트 80
흙에 접하거나 또는 옥외에 벽체, 슬래브, 장선(joist) 30
직접 노출되는 콘크리트 기타의 부재 40

옥외 공기나 흙에 직접 슬래브, 벽체, 장선 20


접하지 않는 콘크리트 보, 기둥 주철근 40

제7장 휨부재의 설계 | 227


prestressed concrete

노출 상태 및 부재의 종류 최소 피복두께 (mm)


띠철근, 스터럽
보, 기둥 30
옥외 공기나 흙에 직접 나선철근
접하지 않는 콘크리트 쉘(shell) D19 이상의 철근 
절판(folded plate) D16 이하의 철근 10

7.2.6❙ 최소 부착 철근량
부착되지 않은 프리스트레싱 긴장재가 배치된 모든 휨부재에는 다음 (1)과 (2)의 규
정에 따라 최소 부착철근을 배치하여야 한다.

(1) 아래의 (2)에 해당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최소 부착철근량은 식 (7.18)에 따라 구


해야 한다.

     (7.18)

여기서,   :콘크리트 전체 단면의 도심축과 인장연단 사이의 단면적

1) 식 (7.18)에서 계산된 최소 부착철근량은 가능한 인장연단에 가깝게 미리 압


축을 가한 인장 구역에 균등하게 배치하여야 한다.
2) 사용하중의 응력 상태에 관계없이 최소 부착철근을 배치하여야 한다.

(2) 두께가 일정한 2방향 플랫 플레이트에 대한 최소 부착철근량과 그 배치에 관해


서는 다음 규정을 따라야 한다.

1) 사용하중 하에서 계산된 콘크리트의 인장응력(모든 프리스트레스 손실을 고


려한 후)이 
  를 초과하는 경우 정모멘트가 발생하는 구역에 배치할
최소 부착 철근량은 식 (7.19)와 같다.
식 (7.19)로 계산된 최소 부착철근량은 가능한 한 인장연단에 가깝게 프리스
트레스 압축 인장력에 균등하게 배치하여야 한다.


   (7.19)
 

여기서,      이하

228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  :고정하중과 활하중    에 의한 콘크리트의 인장력

2) 기둥 받침부의 부모멘트 구역에는 식 (7.20)으로 계산된 최소 부착철근량을


각 방향으로 배치해야 하며, 기둥 받침부 전면에서 각각 1.5h 떨어진 슬래브
폭 내에 균등하게 4개 이상의 철근 또는 철선을 각 방향으로 300mm 이하의
간격으로 배치하여야 한다.

     (7.20)

여기서,   :2방향 슬래브의 기둥위치에서 2개의 직교하는 등가골조 슬래


브-보의 단면적 중 큰 값

3) 정모멘트 구역에서는 그 구역 중간점의 양쪽으로 부착철근을 순경간의 1/6 이


상 연장 배치하여야 한다.
4) 부모멘트 구역에서는 받침부의 양쪽으로 부착철근을 순경간의 1/6 이상 연장
배치하여야 한다.

제7장 휨부재의 설계 | 229


prestressed concrete

7.1 2차 고정하중  와 활하중  를 받을 수 있는 지간 14 m의 단순 지


지된 포스트텐션 보의 프리스트레스 힘의 크기 및 긴장재의 편심거리를 구하시오.
단, 단면은 I형으로 하고, 콘크리트 설계기준 강도는      , 프리스트레스
를 도입할 때의 콘크리트 압축강도는      이다. PS 강재는 포물선 배치하

며, 프리스트레스의 감소는 20%로 본다. 콘크리트의 단위중량은    이다.

7.2 자중을 고려한 고정하중   과 활하중   를 받는 지간   의 프


리텐션 보의 프리스트레스 힘의 크기 및 긴장재의 편심거리를 구하시오. 단, 단면은
직사각형(    )으로 하고, 콘크리트 설계기준 강도는      , 프리스트
레스를 도입할 때의 콘크리트 압축강도는      이다. 긴장재는 직선 배치하
며, 프리스트레스의 감소는 15%로 본다.

7.3 자중 외에 추가 고정하중   와 활하중   를 받는 지간 12.0 m의


PSC 보를 설계하고자 한다. 단면은 I형(h=2.5b)으로 하며, 콘크리트 설계기준강도는
     ,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할 때의 콘크리트 압축강도는     
이다. 프리스트레스의 유효율은 80%로 본다. 최대 모멘트가 발생하는 위치에서의
콘크리트 단면의 치수, 프리스트레스 힘의 크기 및 긴장재의 편심거리를 구하시오.
단, 콘크리트의 단위중량은    이다.

(1) 긴장재가 포물선으로 배치된 보


(2) 긴장재가 직선으로 편심 배치된 보
(3) 긴장재가 지간의 3등분점에서 절곡 배치된 보

7.4 연습문제 7.3에서 결정된 단면에서 지름 9 mm의 SWPD 1N 강연선을 사용할 경


우, PS 강재의 필요 개수 및 긴장재의 배치 범위를 구하고, 그 배치를 단면에 스케치
하시오.

230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7.5 다음 그림과 같은 단면의 PSC 보가 있다. 콘크리트의 설계기준 강도는     ,
프리스트레스 도입 시 콘크리트 압축강도는      이고, 프리스트레스의 유

효율은 80%로 본다.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단, 콘크리트의 단위중량은    )

(1) 추가 고정하중 모멘트 + 활하중 모멘트가 최대로 되는 초기 프리스트레스 힘 및


편심거리를 구하시오.
(2) 보에 허용될 수 있는 최대 등분포하중의 크기를 계산하시오.

제7장 휨부재의 설계 | 231


CHAPTER

08
전단과
비틀림설계

8.1 전단응력과 주응력


8.2 전단설계
8.3 비틀림설계
CHAPTER

08 전단과 비틀림설계
학습목표
1. PSC 보에 작용하는 전단응력과 주응력에 대한 기본 이론을 이해한다.
2. 전단 및 비틀림에 대한 설계방법에 대해 학습한다.
3. 콘크리트 및 전단철근이 부담하는 공칭 전단강도 계산방법에 대해 학습한다.
4. 전단철근의 단면적 및 간격에 대한 설계기준에 대해 학습한다.

8.1 전단응력과 주응력

8.1.1❙ 기본이론
보가 하중을 받으면 휨모멘트뿐만 아니라 전단력도 동시에 발생한다. 일반적인 경우
에는 전단력에 의해 발생하는 전단응력이 휨응력에 비해 작기 때문에 주로 휨에 의
한 설계를 한 후 전단보강의 필요 여부를 검토하여 전단보강을 한다. 그러나 보의 길
이가 짧고 높이가 큰 깊은 보의 경우와 같이 전단이 보의 단면을 결정하는 주요 인자
인 경우에도 발생할 수 있다.
균열 발생 전 콘크리트는 탄성체로 볼 수 있으므로 응력해석에 재료역학의 개념을
적용할 수 있다. 휨응력 및 전단응력이 동시에 작용하는 경우 보에 발생하는 응력은
그림 8.1(a)와 같으며,   및   가 압축이므로 주응력 및 주평면의 위치를 식 (8.1)
과 같이 구할 수 있다.


  
     ±
 
  

   (8.1a)


    (8.1b)
  

여기서,      :보의 주응력


     :압축응력
 :전단응력

제8장 전단과 비틀림설계 | 235


prestressed concrete

(a) 보의 응력 (b) 주응력


그림 8.1 보의 응력 및 주응력

일반적으로 보에서의     이고, 콘크리트는 압축응력보다는 인장응력이 문제가


되므로 보에 발생하는 주인장응력 및 주평면의 위치는 식 (8.2)와 같이 된다.



    
  
 


  (8.2a)


    (8.2b)


식 (8.2)의 수직응력   및 전단응력  는 식 (8.3)과 같다.

  
   ∓   ±   (8.3a)
 
  

 
  (8.3b)
 

여기서,   :단면의 전단력(하중에 의한 전단력 – PS 힘에 의한 전단력)


 :단면 1차모멘트
 :단면 2차모멘트
 :단면의 폭

식 (8.2a)에 나타낸 주인장응력이 콘크리트의 인장강도보다 크게 되면 주인장응력


에 수직한 방향으로 균열이 발생하게 되며, 균열의 방향이 보의 축방향에 경사로 발
생하면 사인장균열(diagonal tension cracks)이라고 한다.

236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8.1.2❙ 전단균열과 파괴형태
PSC 보에 발생하는 전단균열(사인장균열)은 크게 휨전단 균열과 복부전단 균열의 2
가지 형태로 구분된다.

(1) 휨전단 균열

휨전단 균열은 휨모멘트와 전단력이 모두 큰 곳에서 주로 발생하는데 인장부에서 수


직으로 발생하는 휨균열이 먼저 발생한 후, 휨균열의 끝단에서 전단응력과의 조합에
의해 휨전단 파괴를 일으킨다.

그림 8.2 휨전단 균열

(2) 복부전단 균열

복부전단 균열은 복부가 얇은 PSC 보의 지점 근처에서 발생하며, 전단력에 비해 휨


모멘트가 작은 경우에 주로 발생한다. 복부전단 균열은 식 (8.2)에 나타낸 콘크리트
의 주인장응력이 콘크리트의 휨 인장강도보다 크게 될 때 휨균열 없이 복부에서 발
생하여 전단인장, 복부압축 및 복부전단 파괴를 일으킨다.

그림 8.3 복부전단 균열

제8장 전단과 비틀림설계 | 237


prestressed concrete

8.2 전단설계

8.2.1❙ 설계개념
인장을 받는 콘크리트 보에서의 전단저항 부분은 콘크리트 분담(concrete distribute)
과 철근에 의한 나머지 부분의 철근 분담(steel distribute)으로 배분하는 강도설계
법을 적용하였으며, 스터럽의 설계전단강도   이 계수전단력   보다 커야 한다
고 규정하고 있다.

 ≤   (8.4)

여기서,   :계수 전단력(N)


  :단면의 공칭 전단강도(N)
 :전단에 대한 강도 감소계수(=0.75)

여기서 공칭전단강도   은 다음 식으로 계산한다.

     (8.5)

여기서,   :콘크리트가 부담하는 공칭 전단강도(N)


  :전단철근이 부담하는 공칭 전단강도(N)

전단에 대한 위험단면은 지점반력으로 인한 콘크리트의 수직방향 압축력의 영향을


고려하여 받침부 내면에서 지간 중앙 방향으로 h/2 되는 곳에 위치한다고 본다.

8.2.2❙ 콘크리트의 공칭 전단강도


(1) 휨전단 균열 발생 시 콘크리트의 공칭 전단강도

휨전단 균열은 전단력과 휨모멘트의 합성작용으로 발생하며, 휨전단 균열 발생 시


콘크리트의 공칭 전단강도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 
   
         ≥ 
    (8.6)
  

여기서,  :경량콘크리트 계수, 전경량콘크리트는 0.75, 모래경량콘크


리트는 0.85, 보통중량콘크리트는 1.0,   가 규정된 경우

238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  
   ≤ 
  :콘크리트 설계기준강도( )
 :단면의 복부 폭()
 :압축측 연단에서 PS 강재 도심까지의 거리( ,   보다 작
으면 안 됨)
  :고정하중에 의한 전단력(N, 하중계수를 곱하지 않은 값)
  :   와 동시에 일어나는 작용하중에 의한 계수 전단력( )
   :작용하중에 의한 최대 계수 휨모멘트(⋅ )

  :균열모멘트(⋅ )  
        

  :단면 도심으로부터 보 하면까지의 거리()
  :유효프리스트레스 힘에 의하여 보 하면의 콘크리트에 일어나
는 압축응력( )

(2) 복부전단 균열 발생 시 콘크리트의 공칭 전단강도

복부의 주인장응력에 의해 발생하는 복부전단 균열 발생 시 콘크리트의 공칭 전단강


도는 식 (8.7)과 같다.

   
           (8.7)

여기서,   :단면 도심에서 유효 프리스트레스 힘에 의해 콘크리트에 발생


하는 압축응력(MPa)
 :압축측 연단에서 PS 강재 도심까지의 거리(mm, 0.8h보다 작으
면 안 됨)
  :유효 프리스트레스 힘의 수직분력(N)

  와   를 비교하여   이   보다 작으면, 휨전단 균열이 발생한다는 의미이므


로 설계 시 콘크리트의 공칭 전단강도(  )로   를 사용하여야 하며, 반대로   가
  보다 작으면 복부전단 균열이 발생하므로 콘크리트의 전단강도(  )로   를 시
용하여야 한다.

제8장 전단과 비틀림설계 | 239


prestressed concrete

(3) 실용식에 의한 콘크리트의 공칭 전단강도

유효 프리스트레스 힘이 휨철근의 40% 이상이면, 식 (8.8)과 같은 실용식에 의해 콘


크리트의 공칭 전단강도를 계산하여도 좋다.


   


      

(8.8)

 
  
    ≤   ≤  
    (8.9)
 

여기서,      :전체 하중에 의한 전단력 및 휨모멘트(하중계수 적용)


 :압축측 연단에서 PS 강재 도심까지의 거리(0.8h의 제한 적용 안함)

 :경량콘크리트 계수
단, 식 (8.9)를 적용할 때     는 1.0 이하이어야 한다.

8.2.3❙ 전단철근의 전단강도


전단철근(스터럽)으로 보강된 PSC 보의 균열면에 작용되는 전단력은 그림 8.4와 같
다. 일반적으로 균열의 수평범위는 유효 깊이  와 같으며, 전단철근의 간격을  라고
한다면, 전단철근의 전단강도는 식 (8.10)과 같다. 식에서  는 균열면과 교차하는
전단철근의 수를 의미한다.

그림 8.4 PSC 보의 균열면에 작용하는 전단력

 
   (8.10)

240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여기서,   :전단철근 한 쌍의 단면적
  :전단철근의 항복강도( )
 :전단철근의 간격()

단, 식 (8.10)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스터럽의 전단강도(  )는  
    보다 크면

안 된다.

8.2.4❙ 전단철근의 소요단면적


전체 공칭 전단강도는 식 (8.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철근 및 콘크리트가 부담하는 공
칭 전단강도를 합한 것이므로 계수 전단력은 식 (8.4), 식 (8.5), 식 (8.10)으로부터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   
     
  (8.11)

따라서 스터럽 1개의 소요 단면적은 식 (8.12)와 같으며, 설계 시 스터럽의 면적을


결정한 후 간격을 계산하는 경우에 스터럽의 간격은 식 (8.13)과 같이 구할 수 있다.

     
   (8.12)
 

    
  (8.13)
    

8.2.5❙ 최소 전단철근량
계수 전단력   가   의 1/2을 초과하는 곳에서는 식 (8.14)의 최소 전단철근을 배
근하여야 한다.

   
     
   ≥   (8.14)
 

여기서,   :전단철근의 항복강도( )


 :단면의 복부 폭()
 :전단철근의 간격()

제8장 전단과 비틀림설계 | 241


prestressed concrete

단, 이 규정은 다음의 부재에는 해당되지 않는다.

(1) 슬래브, 확대기초


(2) 보의 높이가   이하이거나 I형 보, T형 보에서 그 높이가 플랜지 두께의
2.5배 또는 복부 폭의 1/2 중 큰 값 이하인 보
(3) 교대 벽체 및 날개벽, 옹벽의 벽체 등과 같이 휨 거동이 주된 판 부재
또한, 유효 프리스트레스 힘   가 휨철근 인장강도의 40% 이상인 부재에서는 식
(8.14)의 값과 식 (8.15)로 구한 값 중 작은 값 이상이어야 한다.

     
       
  






(8.15)

여기서,   :PS 강재의 인장강도(MPa)


 :압축측 연단에서 PS 강재 도심까지의 거리 (   보다 작
으면 안 됨)

PSC 부재의 수직 스터럽의 간격은     를 초과하면 안 되며,   의 값이


 


    를 넘는 경우는 간격을 위의 값의  로 줄여야 한다.

8.3 비틀림설계

8.3.1❙ 설계 개념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부재에 대해 비틀림 효과는 크지 않
지만 편심을 가지고 하중이 가해지는 보, 곡선 형태의 부재, 일체 골조부재는 비틀림
을 받게 된다. 비틀림모멘트가 작용하는 부재의 설계는 식 (8.16)에 의해 계산한다.

 ≤   (8.16)

여기서,  :계수 비틀림모멘트(⋅ )


 :부재의 공칭 비틀림강도(⋅ )
 :비틀림에 대한 강도 감소계수( 0.75)

242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소용 비틀림 강도  값을 계산할 때는 모든 비틀림모멘트가 스터럽 및 종방향 철근
에 의하여 저항하고    로 가정한다. 동시에 콘크리트에 의한 전단강도   는 비
틀림에 의하여 변하지 않는다고 가정한다.

8.3.2❙ 비틀림 철근량 계산


부재의 공칭 비틀림강도는 다음과 같다.

     
     (8.17)

여기서,   :비틀림철근의 다리 하나의 단면적


  :비틀림철근의 항복강도( )
 :비틀림철근의 간격()

식 (8.17)에서   는   로 취할 수 있으며 압축경사각  는 ~° 의 값을 가지


는데 보통 유효 프리스트레스 힘이 종방향 철근 인장강도의 40% 이상이면   °
를 취하고, 40% 미만의 유효 프리스트레스 힘을 가진다면   ° 를 취한다.
비틀림에 필요한 스터럽 다리 하나의 단면적은 식 (8.18)에 의해 구한다.

 
   (8.18)
     

여기서,   :비틀림철근의 다리 하나의 단면적


 :비틀림철근의 간격()
 :계수 비틀림모멘트(⋅ )
  :비틀림철근의 항복강도( )

따라서 스터럽의 전체 단면적은 비틀림과 전단에 대한 스터럽의 요구량을 더해 구할


수 있다.

    
    (8.19)
  

여기서,   는 전단에 대한 스트럽 단면적으로 식 (8.12)에 의해 구할 수 있다. 비틀림에

제8장 전단과 비틀림설계 | 243


prestressed concrete

저항하기 위한 추가적인 종방향 철근은 식 (8.20) 값 이상으로 한다.


  
 
       

(8.20)

여기서,   :종방향 철근 단면적


  :비틀림철근의 다리 하나의 단면적
 :비틀림철근의 간격()
  :종방향철근의 항복강도( )

프리스트레스트콘크리트 보는 다음 사항을 만족하여야 한다.

(1) 비틀림모멘트에 의하여 요구되는 철근은 비틀림모멘트와 조합하여 작용하는 전


단력과 휨모멘트 및 축력이 요구하는 철근을 추가하여야 한다. 이때 철근의 간격
과 배치는 가장 엄격한 요구조건을 만족시켜야 한다.
(2) 휨을 받는 부재에서 휨모멘트에 의한 압축을 고려하기 위해 휨압축 영역의 종방
향비틀림 철근의 면적을      만큼 줄일 수 있다. 여기서   는  와 함
께 단면에 작용하는 계수모멘트이다. 그러나 이 경우 필요한 철근량은 최소 비틀
림 철근량의 규정을 만족시켜야 한다.
(3) 각 단면에서 긴장재를 포함한 전체 종방향 철근은 그 단면의 계수휨모멘트  

와 그 단면의 계수 비틀림모멘트  에 의한 추가적인 집중 종방향 인장력    


를 합친 단면력에 저항할 수 있어야 한다.
(4) 비틀림모멘트에 의하여 요구되는 철근은 비틀림모멘트와 조합하여 작용하는 전
단력과 휨모멘트 및 축력이 요구하는 철근을 추가하여야 한다. 이때 철근의 간격
과 배치는 가장 엄격한 요구조건을 만족시켜야 한다.
(5)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부재에서 휨 압축영역에 위치한 종방향 비틀림 철근의
면적은 앞의 (2)에 따라 (3)과 (4)에서 요구하는 값 이하로 줄일 수 있다.

8.3.3❙ 비틀림철근 상세
(1) 비틀림철근은 종방향 철근 또는 종방향 긴장재와 다음의 해당 철근으로 구성하
여야 한다.

244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1) 부재축에 수직인 폐쇄스터럽 또는 폐쇄띠철근
2) 부재축에 수직인 횡방향 강선으로 구성된 폐쇄용접철망
3) 철근콘크리트 보에서 나선철근
(2) 횡방향 비틀림철근은 다음 중에서 하나의 방법으로 정착하여야 한다.
1) 종방향 철근 주위로 135° 표준갈고리에 의하여 정착
2) 정착부를 둘러싸는 콘크리트가 플랜지나 슬래브 또는 기타 유사한 부재에 의
하여 박리가 일어나지 않도록 된 영역에서는 KDS 14 20 52의 규정에 따라 정착
(3) 종방향 비틀림철근은 양단에 정착하여야 한다.
(4) 비틀림모멘트를 받는 속빈 단면에서 횡방향 비틀림철근의 중심선부터 내부 벽면
까지 거리는    이상이 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8.3.4❙ 비틀림의 영향을 무시할 수 있는 최소 비틀림 모멘트


프리스트레스트 보에 있어 계수 비틀림 모멘트가 균열 비틀림 모멘트의 25% 미만이
면 비틀림의 영향을 무시할 수 있다. 이를 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 
 
  
(8.21)

여기서,  :계수 비틀림모멘트(⋅ )


 :경량콘크리트 계수, 전경량콘크리트는 0.75, 모래경량콘크리트
는 0.85, 보통중량콘크리트는 1.0,   가 규정된 경우
   
   ≤ 
:단면 도심에서 유효 프리스트레스 힘에 의해 콘크리트에 발생

하는 압축응력(MPa)

8.3.5❙ 최소 비틀림 철근량 및 간격


계수 비틀림 모멘트  가 식 (8.21)의 규정된 값을 초과하는 모든 구간에서는 비틀
림 철근을 배치하여야 한다. 이 경우 횡방향 폐쇄스터럽의 최소면적은 다음 식에 의
해 계산하는데, 이 값은     이상이어야 한다.

제8장 전단과 비틀림설계 | 245


prestressed concrete

 
       
   (8.22)
 

최소 종방향 비틀림 철근의 전체 면적은 다음 식에 의해 계산하는데, 단,    는


   이상으로 취한다.

   
         

 


 
 
(8.23)

횡방향 비틀림철근의 간격은  와 300 mm보다 작아야 하며, 비틀림에 요구되는
종방향 철근은 폐쇄스터럽의 둘레를 따라 300 mm 이하의 간격으로 분포시켜야 한
다. 종방향 철근의 지름은 스터럽 간격의 1/24 이상, D10 이상의 철근이어야 하고
비틀림 철근은 계산상으로 필요한 위치에서    이상의 거리까지 연장시켜 배
치하여야 한다.

8.1

주어진 T형 단면에서 전단에 대한 위험단면이        이었다. 휨철근 인장강도


의 40% 이상의 유효프리스트레스 힘이 작용할 때 콘크리트의 공칭전단강도(   )를 구하시
오. (단,      ,   :계수전단력,   :계수휨모멘트,  :압축측 표면에서 긴
장재 도심까지의 거리이다)

풀이 휨 철근 인장강도의 40% 이상의 유효 프리스트레스 힘이 작용하는 부재인 경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46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여기서,
 
①    
    × 
 ×  ×       
 
 
②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③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O.K
∴   

8.2

다음 그림(a)와 같은 I형 단면 보에 자중   , 고정하중   , 활하중


  가 작용하고 있다. 보의 지간은   이고, 긴장재는 그림 (b)와 같이 지간
의  지점에서 절선 배치되어 있다. 콘크리트 설계기준 강도는      이고, PS
강재는      의 강연선을 사용하였다. 긴장재의 단면적은      
이고, 유효 인장력      이다. 지점으로부터   떨어진 단면에서  형 스터
럽의 간격을 결정하시오. (단, 스터럽 철근의 항복강도는      이다)

(a) (b)

풀이 ① 단면 성질 계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제8장 전단과 비틀림설계 | 247


prestressed concrete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② 콘크리트가 부담하는 공칭 전단강도 계산


∙ 지간 중앙 단면의 편심거리,         

∙ 검토 단면에서의 편심거리,     ×    

∙ 검토 단면에서의 유효깊이,        
∙     ×       
∴ 전단강도 계산 시     사용
∙  에 의한 검토 단면에서의 콘크리트 하단부응력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보 자중에 의한 검토 단면에서의 전단력  및 휨모멘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자중에 의한 검토 단면에서의 하단부응력 
  × 
      ×    
  × 
∙ 균열모멘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검토 단면에서의 작용하중에 의한 계수 전단력  및 계수 휨모멘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48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 휨 전단균열 발생 시 콘크리트 공칭 전단강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에 의한 단면 도심에서의 콘크리트 응력 
 
       
 
∙  의 수직분력 

       ×    

∙ 복부 전단균열 발생 시 콘크리트 공칭 전단강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콘크리트 공칭 전단강도      

③ 전단철근이 부담하는 공칭 전단강도 계산


∙ 검토 단면에서의 계수 전단력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전단철근이 부담해야 할 전단력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④ 스터럽의 간격 계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스터럽 간격은 0.75h 및   이하


   ×       
∙ D10 U형 스터럽 사용,    ×     
  ×  ×  × 
∙ 간격         (식 8.12)
   

제8장 전단과 비틀림설계 | 249


prestressed concrete

∙ 최소 전단철근량
 
   
    
 ×    (식 8.13)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식 8.14)


∴      

∴ 위의 값들을 비교해 보았을 때, 스터럽의 간격    

250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8.1 다음 단면의 전단에 대한 위험단면에서 계수 전단력      , 계수 휨모멘트
    ⋅ 일 경우, 콘크리트의 공칭전단강도를 구하시오.

8.2 보의 총 높이는     , 복부의 폭은     , 유효 깊이는    


이고, 계수 전단력      , 계수 휨모멘트     ⋅ 인 PSC 보가 있
다. D10 U형 스터럽을 전단철근으로 사용할 때 스터럽의 간격을 구하시오. 단, 콘크
리트 설계기준 강도는      , 스터럽 철근의 항복강도는     
이다. 콘크리트가 부담하는 전단강도는 식 (8.8)을 사용하시오.

8.3 다음 그림과 같은 I형 단면보에 고정하중 4.0


kN/m, 활하중 20.0 kN/m가 작용하고 있다.
보의 지간은 12 m이고, 긴장재는 지간의 1/3
지점에서 절곡 배치되어 있다. 긴장재의 유효
깊이는 지간 중앙에서   630 mm, 지점에
서의 편심거리는 0으로 하였다. 콘크리트 설계
기준 강도는    45 MPa, PS 강재는   

1,750 MPa의 강연선을 사용하였다. 긴장재의 단면적은       이고, 유


효 인장력은    1,350 kN이다.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단, 콘크리트의 단위중량

은    )

제8장 전단과 비틀림설계 | 251


prestressed concrete

(1)   ,   ,   의 전단력도를 스케치하시오.


(2) 전단철근으로 D10 U형 스터럽을 사용할 경우, 지간에 따른 스터럽의 간격을 구
하시오.
(3) 전단철근의 배치를 스케치하시오.
(4) 위의 조건에서 긴장재를 포물선 배치하였을 경우의 스터럽 간격을 구하시오.

252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참고문헌

1. 민창식,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구미서관, 2015.


2. 신현묵,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동명사, 2008.
3. 윤우현 외 8인,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의 설계와 시공”, 동화기술, 2012.
4. 이승원 외 1인, “교량공학실무”, 구미서관, 2013.
5. 국토교통부, 설계코드 KDS(Korean Design Standard), 2016.
6. 국토교통부, 시방코드 KCS(Korean Construction Specification), 2016.
7. 국토교통부, 철도설계기준, 한국철도시설공단, 2015.
8. 국토해양부, 강구조설계기준, 한국강구조학회, 2009.
9. 국토해양부, 도로교설계기준, 한국도로교통협회, 2010.
10. 국토해양부, 콘크리트구조기준, 한국콘크리트학회, 2012.
11. 국토해양부, 콘크리트표준시방서, 한국콘크리트학회, 2009.
12. 산업자원부 기술표준원, KS 규격집 구조용 PC 강봉(KS D 3505), 한국표준협회, 2018.
13. 산업자원부 기술표준원, KS 규격집 구조용 PC 강선 및 PC 강연선(KS D 7002), 한국표준협회,
2018.
14. 산업자원부 기술표준원, KS 규격집 일반구조용 압연 강재(KS D 3503), 한국표준협회, 2018.
15. 산업자원부 기술표준원, KS 규격집 철근 콘크리트용 봉강(KS D 3504), 한국표준협회, 2016.
16. 한국콘크리트학회, 콘크리트구조 학회기준, 2018.
17. ACI Committe 318, Building Code Requirements for Structural Concrete(ACI 318-99)
and Commentary(ACI 318 R-99), American Concrete Institute, Farmington Hills, MI,
2000, pp. 392.
18. American Concrete Institute, ACI Manual of Concrete Practice, 1999. Materials.
American Concrete Institute, Farmington Hills, MI, 2000.
19. Nawy, E. G., Fundamentals of High Performance Concrete, 2nd ed. John Wiley & Sons,
New York, 2000.
20. Post-Tensioning Institute, Post-Tensioning Manual, 6th ed., Phoenix, AZ, 2000.
21. Prestressed Concrete Institute. PCI Design Handbook. 5th ed. Prestressed Concrete
Institute, Chicago, 1999.

참고문헌 | 253
prestressed concrete

기호설명

A  PS 강재 종류에 따른 계수
 임의 구간 내에서 각 변화의 합계  단면의 상단부에서 중립축까지의 거리
 콘크리트의 등가 직사각형 응력분포의  콘크리트 크리프계수
깊이
 정착판의 면적 D
′ 정착판의 도심과 동일한 도심을 가지  정착장치의 활동에 의한 프리스트레스
도록 정착판의 닮은꼴을 부재 단부에 손실량
가장 크게 그렸을 때 그 도형의 면적  콘크리트의 크리프에 의한 프리스트레
 콘크리트의 단면적 스 손실량
 2방향 슬래브의 기둥위치에서 2개의  콘크리트의 탄성변형에 의한 프리스트
직교하는 등가골조 슬래브-보의 단면 레스 손실량
적중큰값  긴장재의 릴랙세이션에 의한 프리스트
 콘크리트 전체 단면의 도심축과 인장 레스 손실량
연단 사이의 단면적  콘크리트의 건조수축에 의한 프리스트
 PS 강재의 단면적 레스 손실량
 플랜지의 단면적  긴장재의 활동량
 복부의 단면적  프리스트레스 힘의 감소(손실)량
 인장철근의 단면적  인장철근의 유효깊이
 ′ 압축철근의 단면적 ′ 압축철근의 유효깊이
 전단철근의 단면적  강선의 공칭지름
 최소 전단 철근량  PS 강재의 유효깊이

B E
 중립축 깊이(c)에 대한 콘크리트의 등가  콘크리트의 극한 변형률
직사각형 응력분포의 깊이(a)와의 비  콘크리트의 탄성수축 변형률
 복부의 폭  PS 강재의 수축 변형률
 콘크리트의 건조수축 변형률
C  긴장재의 편심거리
 PS 강재의 겉보기 릴랙세이션 값  콘크리트의 탄성계수
 콘크리트 단위중량  콘크리트의 초기접선탄성계수

254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 PS 강재의 탄성계수 I
 철근의 탄성계수  콘크리트의 단면 2차 모멘트

F K
  보에 발생하는 주응력  파상마찰계수
 단면의 하단부응력
 프리스트레스 도입 직후의 허용 휨 압
L
축응력
 경량콘크리트 계수
 콘크리트 도심에서의 응력
 마찰에 의한 손실 계산 시 긴장단에서
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할 때 부재 본체
구하는 점까지의 거리
의 콘크리트 압축강도
 콘크리트 설계기준 강도
M
 PS 강재 도심에서의 콘크리트 압축응력
 곡률마찰계수
 프리스트레스 도입 직후 콘크리트에
 콘크리트의 단위질량
일어나는 최대 압축응력
 균열 모멘트
 재령 28일 콘크리트의 평균 압축강도
 설계 휨강도
 사용하중 하에서의 허용 휨 압축응력
 부재 자중에 의한 휨모멘트
 단면 도심에서 유효 프리스트레스 힘에
 ′ PS 강재가 절곡된 위치에서의 부재 자
의해 콘크리트에 발생하는 압축응력
중에 의한 휨모멘트
 PS 강재의 유효 인장응력
 2차 고정하중에 의한 휨모멘트
 프리스트레스 도입 직후 긴장재의 인
 활하중에 의한 휨모멘트
장응력
 작용하중에 의한 최대 계수 휨모멘트
 PS 강재의 인장응력
 공칭 휨강도
 PS 강재의 항복강도
 전체 하중에 의한 휨모멘트
 PS 강재의 인장강도
 계수 휨모멘트
 콘크리트 휨인장 강도(파괴계수)
 콘크리트 쪼갬인장 강도
 단면의 상단부응력 N

 프리스트레스 도입 직후의 허용 휨 인  탄성계수비

장응력  긴장재의 긴장 횟수

 사용하중 하에서의 허용 휨 인장응력  고정하중과 활하중에 의한 콘크리트의

 철근의 항복강도 인장력

 비틀림 철근의 항복강도


 활하중에 대한 균열의 안전율

기호설명 | 255
prestressed concrete

P V
 유효 프리스트레스 힘  보에 발생하는 전단응력
 초기 프리스트레스 힘  콘크리트가 부담하는 공칭 전단강도
 프리스트레스 도입력, 재킹력  휨전단 균열 발생 시 콘크리트의 공칭
 재크 위치에서 긴장재의 긴장력 전단강도
 긴장단에서 거리  만큼 떨어진 곳에서  복부전단 균열 발생 시 콘크리트의 공
의 긴장재의 긴장력 칭 전단강도
 고정하중에 의한 전단력
Q  작용하중에 의한 최대 계수 휨모멘트와
 인장철근비 동시에 일어나는 작용하중에 의한 계수
′ 압축철근비 전단력
 PS 강재비  공칭 전단강도
 단면 1차 모멘트  유효 프리스트레스 힘의 수직분력
 전단철근이 부담하는 공칭 전단강도
R  계수 전단력

 콘크리트 단면의 회전반경


 프리스트레스 힘의 유효율 X
 인장철근의 강재지수
S ′ 압축철근의 강재지수

 전단철근의 간격, 새그  PS 강재의 강재지수


 I형, T형 단면의 PS 강재의 강재지수
 I형, T형 단면의 인장철근의 강재지수
T
′ I형, T형 단면의 압축철근의 강재지수
 긴장재의 릴랙세이션에 의한 손실계산
시의 시간
 긴장재의 릴랙세이션에 의한 손실계산 Y

시 콘크리트에 압축력이 도입된 시간  단면의 상단부로부터 콘크리트 단면의

 플랜지의 두께 도심축까지의 거리

 공칭 비틀림강도  단면의 하단부로부터 콘크리트 단면의

 계수 비틀림모멘트 도심축까지의 거리

U Z

 강도감소계수  상단부에 대한 단면계수

 프리스트레스에 의한 상향력  하단부에 대한 단면계수

256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찾아보기

ㄱ 긴장재 중심간격 227

간접하중 5
감소율 142 ㄴ
강도감소계수 189 내력모멘트 개념 73
강도개념 73, 84 내적 프리스트레싱 107
강봉 55 너트식 114
강재량 196
강재지수 193 ㄷ
거더 지지식 119
단기적 원인 140
건조수축 157
단기하중 4
겉보기 릴랙세이션 값 53
단면계수 171, 217, 225
결합재 33
단위무게 44
경사하중 4
단일몰드 공법 22
계수 전단력 241
단일 텐던 148
고강도 콘크리트 36
단정착장치가 없는 긴장재 108
고정하중 3
단정착장치가 있는 긴장재 108
곡률마찰 152
덕트 24, 58
곡률마찰 계수 154
도입시손실 140
골재 34
동바리 공법 6, 119, 128, 260
공칭단면적 44, 49
등가하중 93
공칭전단강도 238
등변분포하중 6
공칭지름 49
등분포 상향력 88
공칭 휨강도 189, 194
등분포하중 6
과보강 보 170
교대하중 4
균등질보의 개념 73

균열 등급 182 롱라인 공법 22
균열모멘트 184 루프식 공법 115
그라우팅 모르타르 61, 62 리벳머리식 114
그라우팅재 33 리브드 와이어 42
극한강도이론 84 릴랙세이션 53, 161
기경성시멘트 33
긴장재 16, 58, 73

찾아보기 | 257
prestressed concrete

ㅁ 수직하중 4
수평하중 4
마그넬 공법 112
순간격 227
모멘트 팔길이 85
순 릴랙세이션 값 53
모멘트하중 7
쉬스 16, 24, 33, 40, 58
무기질(無機質) 33
시간적 손실 140
물-시멘트비 35
시멘트 33
시산법 209
ㅂ 쐐기식 공법 112
반복하중 4
배력철근 55 ㅇ
배치범위 222
안전율 185
보강철근 55
압축강도 11, 35, 38
복부전단 균열 237
압출 공법 124
복수 텐던 148
양단 정착 151
부분균열 등급 183
연성 51
부분적 프리스트레싱 108
연성재료 39
부착되지 않은 포스트텐션 24
연행하중 3
부착된 포스트텐션 24
온도하중 7
부착시키지 않은 긴장재 109
와이어 55
부착시킨 긴장재 108
완전균열 등급 183
부착철근량 228
완전 프리스트레싱 108
비균열 등급 183
외적 프리스트레싱 107
비틀림 242
용접 와이어 섬유 55
비틀림강도 12
우력모멘트 84
비틀림모멘트 242
원형강봉 48
원형 프리스트레싱 107
ㅅ 위험단면 224
사용시손실 140 유효율 142
사인장균열 236 유효인장력 97
상연응력 171 유효 인장응력 193
선형 프리스트레싱 107 유효 프리스트레스 97
설계전단강도 238 유효 프리스트레스 힘 141
설계 휨강도 189 응력개념 73
소요 단면적 241 응력 변형도 곡선 52
손실율 142 응력부식 54
손실의 일괄 평가 144 이동식 비계 공법 122
수경성 시멘트 33 이동하중 3

258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이형 PS 강봉 48 집중하중 6
이형강봉 48 쪼갬 인장강도 36
이형철근 55
인성 51 ㅊ
인장강도 11, 36
초기 프리스트레스 힘 141, 212
인텐티드 와이어 42
최대 강재량 196
일단 정착 151
최대 변형률 170
최소 강재량 196
ㅈ 최소 부착 철근량 228
장기적 원인 140 최소 비틀림 모멘트 245
장기하중 4 추가 사하중 96
재긴장 96 충격하중 4
저 릴랙세이션 50 취성재료 39
저보강 보 170
적설하중 7 ㅋ
전단강도 11
캔틸레버 공법 120
전단계수 40
커플러 181
전단균열 237
콘크리트의 탄성계수 39
전단응력 235
크리프 158
전단철근 55, 240
전체 지지식 6, 119, 130, 131, 132, 260
접속장치 33

정착구 181 탄성변형 146, 147
정착부 58 탄성수축 147
정착장치 33, 150 특수한 PS 강연선 50
주응력 235
주인장응력 236 ㅍ
주평면 236
파괴계수 37, 184
중심축하중 5
파상마찰 152
즉시 손실 140
파상마찰 계수 154
지압강도 96
편심거리 171, 213, 226
지압식 공법 114
편심거리 제한 221
지연파괴 54
편심하중 5
지주 지지식 119
평균 감소량 148
지진하중 7
포스트텐셔닝 108
직선성 52
포스트텐션 23, 25
직접하중 5
포틀랜드시멘트 33
집중 상향력 91

찾아보기 | 259
prestressed concrete

풍하중 7 항복비 51
프레시네 공법 112 허용응력 209
프리스트레스 15 허용차 44
프리스트레스 힘 15 현장타설 109
프리스트레스의 손실 140 혼화재료 34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33 활하중 3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그라우트 62 회전반경 171
프리스트레싱 16 휨강도 11, 188
프리캐스트 109 휨인장강도 37, 184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공법 126 휨전단 균열 237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16
프리텐셔닝 108
A
프리텐션 20
피복된 PS 강재 50 aggregate 34
피복두께 227 anchorage 33
DR 거더교 132
e-Beam교 130 B
IPC 거더교 131
bars 55
PSC Beam교 128
Baur-Leonhardt Method 115
PS 강봉 48
BBRV Method 114
PS 강선 41
bonded tendons 108
PS 강연선 42
brittle material 39
PS 강재 16, 38, 47
PS 강재비 193
C
PS 경강선 50
PS 콘크리트 15 Cast-In-Place 109
PSC 관 50 CCL System 113
PSC 탱크 50 composite construction 109
PSC 폴 50 composite member 109
cracking moment 184

ㅎ curvature effect 152

하연응력 171
D
하중 3
하중계수 189 deformed steel bar 48
하중조합 190 delayed fracture 48
하중평형개념 73, 87 diagonal tension cracks 236
합성부재 109 DR Girder 132
합성응력 97 duct 24, 58

260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ductile material 39 L
ductility 51
Lee-McCall System 115
Dywidag System 114
Leoba method 115
linear prestressing 107
E Long-line method 22
E-Beam 130 loss ratio 142
effective prestress 141
effective ratio 142 M
end-anchored tendons 108
Magnel's method 113
externally prestressing 107, 135
modulus of rupture 37
Movable Scaffolding System 122
F MSS 122
FCM 120
Free Cantilever Method 120 N
Freyssinet System 112
non-end-anchored tendons 108
FRP bar 51
non-hydraulic cement 33
FSM 119
norganic cementing materials 33
full prestressing 108
Full Staging Method 119
P
partial prestressing 108
G
portland cement 33
grouting 61 post-tension 23, 25
post-tensioning 108
H precast 109

hydraulic cement 33 Precast Segment Method 126


prestress 15
prestressing 16
I
prestressing force 15
ILM 124 pre-tension 20
Incremental Launching Method 124 PSC 33
Individual mold method 22 PSC Beam 128
initial prestress 141 PSC pile 50
intended wire 42 PSC pole 50
internally prestressing 107, 135 PSM 126
IPC Girder 131

찾아보기 | 261
prestressed concrete

R U
ribbed wire 42 unbonded tendons 109, 135

S V
sheath 24, 33, 58 Vorspann System Losinger 113
splitting tensile strength 36
steel strand or stranded cable 42 W
steel wire 41
welded wire fabric 55
stress corrosion 54
wires 55
wobble friction 152
T
workability 40
tendon 73
toughness 51

262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정가 18,000원

저자:박우진․이한주

발행인:임해진
발행처:도서출판 구미서관

발행:2012년 8월 30일 초 판 1쇄
2019년 2월 20일 제2판 1쇄

등록:1979년 6월 29일 No.9-6호


주소:서울시 마포구 신촌로 2길 5󰠏15 구미빌딩
전화:02-333-1101
팩스:02-335-2201
http://www.goomibook.com
ISBN 979-11-6257-060-9 (93530)

저자와의 협의 하에 인지를 생략합니다.


파본이나 잘못된 책은 교환하여 드립니다.

복제불허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