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34

피드백 진행상황

4 주차 • 철근 배근상태 확인 • 조적벽체 모델링에 반영


• 기둥 강도비 (CDR) 값이 너무 높게 나옴 • X 방향 Y 방향 가새골조 단부기둥 CDR
• 조적벽체 모델링에 반영
5 주차 • 나머지 골조 강도비 확인 • 나머지 골조 강도비 확인
• 단부기둥 용어사용 확인 • 단부기둥  기둥 용어 변경
• 적군과 아군을 볼 수 있는 마이다스 해석자료 가져오기 • 횡강성 기여도 산정
• 가새골조 기둥에서 휨파괴가 맞는지 확인하기 • 채움벽 강도비 평가시 Element 2 개로 분할되는 현상
• 허리벽모델링시 기둥의 Element 가 2 개로 분할되는데 해결
채움벽 강도 평가 시 문제 없는지 확인
6 주차 • 구조설계 내진성능평가 차이점 확실히 구분 • 조적벽 없는 모델 해석 및 비교
• 목차 만들기 • 층간변위 산출
• 조적벽 없는 모델링  해석  비교 • 목차 만들기
7 주차 • 조적허리벽 높이에 따른 선형평가 차이 확인 • 접합부 강체 부재 모델링 (rigid element)
• 그래프나 표를 활용하여 전달력을 높일 것 • 조적허리벽 높이에 따른 강도비평가
• 층간변위
• 그래프를 활용
• 연구배경 및 연구목표 구상
8 주차 • 목차 수정
• 층간변위 X 축 Y 축 변경
• 글자크기 수정
• 선형해석평가 간단히 설명
종합설계스튜디오 (2) 구조 _ 중간발표 수정본

B385084 표준혁 , B784032 윤주상 , B885028 선아람


CONTENTS 3

1 연구 배경 및 목적
1.1 연구 배경
1.2 연구 목적

2 해석 개요
2.1 기본 정보
2.2 하중 조건
2.3 조적벽체 모델링
2.4 해석 모델링

3 선형해석평가 결과 ( 순서 확인 )
3.1 선형해석평가 방법
3.1 강도비 평가
3.2 층간변위 검토

4 결론
01. 연구배경 및 목적
01.1 연구 배경 5

포항 지진에 의한 피해 상황

필로티

2017. 11. 15 학교 기둥
외부 치장벽돌
규모 5.4 포항 지진 발생
01.1 연구 배경 6

: 조적 허리벽

: 조적 채움벽

80 년대 학교 건축물 평면도

조적 허리벽  조적 + 허리벽

- 조적  벽돌

- 허리벽  허리춤 높이의 벽

포항 지진에 의한 H 초교 피해
01.2 연구 목적 7

기둥
M1 + M2
V=
H

기둥의 순높이 V: 전단력 / M: 모멘트 / H: 기둥의 높이

기둥의 순높이 감소  기둥에 작용하는 전단력 증가

“ 기둥의 단주화”

조적벽 조적벽

조적허리벽에 의해서
기둥 하부 구속
01.2 연구 목적 8

허리벽 높이 증가 / 단주 기둥 순높이 감소

3,550mm

허리벽 높이 1,200 mm 1,700 mm 2,200mm

단주 기둥 높이 2,350 mm 1,850 mm 1,350 mm

전단경간비
2.9 2.3 1.7
(a/D)

“ 허리벽의 높이 증가에 따른 내진성능 비교  선형해석 평가“


02. 해석 개요
02.1 해석 개요 – 기본 정보 10

구조 평면도


기둥

기둥 및 보 배근도
02.1 해석 개요 – 기본 정보 11

구 분 내 용
구 분 강도 ( 단위 : MPa)
건물 용도 학교 건축물

콘크리트 압축강도 15
준공연도 1970 년대 건설연도별 재료강도 적용

1970-1988 년
규 모 지상 2 층 ( 장변 : 54m, 단변 : 9.3m, 높이 : 7.1m) 철근의 항복강도 240

구조 시스템 조적채움벽이 있는 RC 모멘트 골조 압축강도 2.1


조적
조적 상태 : 불량
지역계수 1 구역 (0.22) 채움벽
탄성계수 420

지반조건 S4 지반
압축강도 6.2
조적
중요도계수 1.2 ( 중요도 1, 내진등급 1) 조적 상태 : 양호
허리벽
탄성계수 1240
반응수정계수 2.5
* 현장조사에 의한 근거가 제시되지 않은 경우 채움벽의 상태는 ‘불량’ ,
 학교시설 내진성능평가
시스템초과강도계수 2.5
허리벽의 상태는 ‘양호’로 각각 적용한다 ( 교육부 매뉴얼 -2021).
및 보강매뉴얼 참조
변위증폭계수 2.5
02.2 해석 개요 – 하중 조건 12

복도 교실 지붕층 하중 조합 16 개
(Load Combination) ( 교육부 2021 매뉴
얼)

1F 설계하중

2F 설계하중

고정하중 활하중
실 구분
(kN/ ㎡ ) (kN/ ㎡ )
교실 4.5 3.0

복도 4.5 3.0

지붕층 6.3 2.0


D: 고정하중 / L: 활하중 / EX: 지진하중 (X 방향 ) / EY: 지진하중 (Y 방향 )
02.2 해석 개요 – 하중 조건 13

하중 조합 16 개
(Load Combination) ( 교육부 2021 매뉴
얼)

지진하중

D: 고정하중 / L: 활하중 / EX: 지진하중 (X 방향 ) / EY: 지진하중 (Y 방향 )


02.3 해석 개요 – 조적벽체 모델링 14

𝑎=0.175(λ 𝐼 h 𝑐𝑜𝑙)− 0.4 𝑟 𝑖𝑛𝑓

조적허리벽의 높이가 높아짐에 따라 등가스터럿 폭 a 증가


02.1 해석 개요 – 해석 모델링 15

조적 채움벽

Y
X

조적 허리벽
 3 Type

허리벽 높이 : 1.2 m 허리벽 높이 : 1.7 m 허리벽 높이 : 2.2 m


03. 선형해석평가 결과
03.1 선형해석평가 방법 17

Demand vs. Capacity


보유성능지수 (CDR) 층간변형각

Capacity 층간변형각 < 허용 층간변형각


CDR = >1 부재별  골조별  층별  건물
Demand
- 층간변형각 : 인접층 사이에 발생하는 변위의 차를 층고로 나눈 값
Δ2
모멘트골조 채움벽 / 허리벽 골조
구분 층강도비
지배 횡강성 지배 횡강성
Δ1
강도비 기여도 강도비 기여도 2 층의 층간변형각 = Δ2 – Δ1

2층
1 층의 층간변형각 = Δ1 - Δ 지반
1층

건물 전체
- 허용 층간변형각 : 건축구조기준 / 매뉴얼에서 제시하는 값
* 지배강도비 X 횡강성기여도  골조별 평가 : 층강도비
구분 내진등급 특 내진등급 I 내진등급 II

허용 층간변형각 0.01 0.015 0.02


부재별 CDR 평가 골조별 밑면전단력 분담 비율
( 휨강도비 / 전단강도비 / 축강도비 등 ) * 내진설계를 수행하지 않은 구조물 또는 조적채움벽 및 허리벽 등의 영향이 큰
구조물의 경우 허용층간변형각의 70% 적용
02.1 해석 개요 – 해석 모델링 18

조적 채움벽

Y
X

조적 허리벽
 3 Type

허리벽 높이 : 1.2 m 허리벽 높이 : 1.7 m 허리벽 높이 : 2.2 m


03.2 단주기둥 파괴모드 비교 19

단주기둥 파괴모드 평가하는 방법


전단강도비 ??  전단강도비 < 휨강도비  전단파괴
휨강도비 ??  전단강도비 > 휨강도비  휨파괴

hinf = 1200 hinf = 1700 hinf = 2200

조적 채움벽 높이가 높아짐에 따라 전단력 Vu 증가


03.2 허리벽 높이에 따른 단주기둥 파괴모드 비교 20

단주기둥 파괴모드 평가하는 방법


 전단강도비 < 휨강도비  전단파괴
 전단강도비 > 휨강도비  휨파괴 높이에 따른 전단지배 기둥
개수 -
전단지배 기둥개수 :0/26

hinf = 2200

허리벽 높이 : 2.2 m 에 대한 해석 결과
( 배면 )

전단파괴 부재
( 복도측 기둥 )
03.2 단주기둥 파괴모드 비교 21

축압축력이 작용하는 부재의 콘크리트 전단강도 실별하중 벽체하중


1
(
V 𝑐= 1+
6
𝑁𝑢
14 𝐴𝑔 )
𝜆 √ 𝑓 𝑐𝑘𝑏𝑤 𝑑
복도


교실

분담면적 : 복도 < 교실

① V 𝑐= (1
6
1+
𝑁𝑢
)
14 𝐴𝑔
𝜆 √ 𝑓 𝑐𝑘𝑏𝑤 𝑑=93 𝑘𝑁

V 𝑐= (1+
14 𝐴𝑔 )
1 𝑁𝑢
② 𝜆 √ 𝑓 𝑐𝑘𝑏 𝑤 𝑑=111 𝑘𝑁
6
03.2 X-Dir RC 모멘트 골조 비교 22

허리벽 높이에 따른 모멘트 골조별 CDR 비교 (1F)


1F RC 모멘트 골조 2F RC 모멘트 골조

X 방향 모멘트 골조에서 조적 허리벽 높이가 높아짐에 따라 부재들의 CDR 값 상승


03.2 X-Dir 조적 허리벽 골조 23

허리벽 높이에 따른 모멘트 골조별 CDR 비교 (2F)


1F 조적 허리벽 골조 2F 조적 허리벽 골조

X 방향 조적 허리벽 골조에서 허리벽 높이가 높아짐에 따라 부재들의 CDR 값 상승


03.2 허리벽 높이에 따른 골조별 횡강성 기여도 비교 24

RC 모멘트 골조 조적 허리벽 골조

조적 허리벽의 높이 증가 단주기둥 강성 증가 허리벽 골조의 횡강성 기여도 증가


03.2 건물 보유성능지수 25

허리벽 높이에 따른 건물의 보유성능지수 (CDR) 비교

NG

조적 허리벽 높이가 높아짐에 따라 건물 X 방향 보유성능지수 증가


03.3 층간변형각 검토 26

X-dir Drift Ratio Y-dir Drift Ratio

NG OK

조적 채움벽 높이가 높아짐에 따라 X 방향 층간변위 감소

조적 채움벽 높이가 가장 낮은 모델인 2 층 X 방향에서 층간변위 검토결과 NG


27

04. 결론
04 결론 28

1. 단주기둥이 더 짧아져 강성이 증게하게되어


허리벽 골조의 횡강성 기여도가 증가

조적 허리벽 높이 2. 건물의 보유성능지수 증가

3. 층간변위 감소

전단경간비  건물의 강도와 변위 측면에서 순영향

4. 전단력 Vu 값이 증가하여 전단파괴 가능성


단주기둥의 거동이 연성 거동  취성 거동

 건물의 거동 악영향
감사합니다
03.2 횡강성 기여도 32

횡강성 기여도 : 각층의 밑면전단력에 대한 각 수직부재의 전단력의 합

학교시설 내진성능평가법 ( 선형평가 ) 활용을 위한 예제집 – 5.5.3 혼합구조에서 층강도비 계산


X 방향 횡강성 기여도 산정

- 혼합구조의 층강도비를 산정하기 위해 층별 각 골조의 횡강성 기여도를 평가함 .


- 횡강성 기여도의 산정방법은 각 부재가 지진력에 의해 저항하는 비율을 해당층의 전체
지진력으로 나누어 산정함 .
- 허리벽은 강도비 검토 시 포함되지 않으므로 허리벽을 포함하는 단부기둥에 모델링 및
검토방법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며 , 그에 따라 다음과 같은 방법을 제시함 .

(1) 방법 A
- 허리벽과 허리벽을 포함한 기둥에 대한 횡력의 합을 토대로 횡강성 기여도 산정
- 산정된 횡강성은 해당 허리벽 상부 기둥에 적용

횡강성기여도 강도비 산정부재 Y 방향 횡강성 기여도 산정

(2) 방법 B
- 허리벽 상부만을 횡강성 기여도를 산정하고 그 해당기둥만을 강도비 산정시 고려

횡강성기여도 강도비 산정부재


03.2 허리벽 높이에 따른 강도비 평가 결과 33

h=1200

h=1700

h=2200
03.2 단주기둥 파괴모드 비교 35

hinf = 1200 hinf = 1700 hinf = 2200

전단지배 기둥개수 :0/26


03.2 단주기둥 파괴모드 비교 36

hinf = 1200 hinf = 1700 hinf = 2200

전단지배 기둥개수 : 0/26


03.2 단주기둥 파괴모드 비교 37

hinf = 1200 hinf = 1700 hinf = 2200

전단지배 기둥개수 : 13/26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