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9

한국전산구조공학 2021년 춘계학술대회

해상풍력터빈 지지구조물 L형 플랜지 볼트 접합부의


제원변화에 따른 거동특성 연구

A Study on Behavior Characteristics due to Dimension Variations of L-Type Flange


Connection with Bolt of Offshore Wind Turbine Support Structure

2021.04.07

홍관영 : (주)에드벡트
정대진 : 목포해양대학교
최익창 : 목포해양대학교

-1-
발표순서

1. 연구개요

2. FE 해석모델

3. FE 해석 Case 선정

4. L형 플랜지 볼트 접합부 제원변화 특성 분석

5. FE 해석의 볼트-외력곡선 비교

6. 결론

-2-
1. 연구개요

▣ 연구배경
• 해상풍력터빈 지지구조물 연결부는 전체 구조시스템의 건전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

• 그 중요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국내 연구는 미흡

• L형 플랜지 볼트 접합부의 효율적인 설계를 위해 플랜지 제원 변화에 따른 특성 분석 필요

▣ 연구목적
• FE 해석기법을 활용하여 단일볼트 L형 플랜지 접합부의 플랜지 제원 변동에 따른
볼트인장력(이하 볼트)-벽체외력(이하 외력) 곡선의 성능과 특성 분석

-3-
2. FE 해석모델

▣ L형 플랜지 접합부 FE 모델
• 타워 제원 및 재질 : D6.0m x 60t (Steel) • L 형 링플랜지 전체 볼트수 : 98ea
• 타워 강재의 항복강도 : 335MPa • 볼트 제원 및 재질 : D72mm (Grade 10.9)
• 타워 외경의 단위 볼트당 폭 : 192.3mm
• 플랜지 재질 및 항복강도 : Steel (355MPa)

■ 기준제원 및 FE 모델 ■ 경계조건 및 접촉조건


External force External force
Solid 요소수 : 최대 59,137개
Dx,Dz
Bolt Fixed Contact
condition
Dz Fixed

Flange Dz Fixed

Flange

Contact
Bolt condition
Dx, Dy, Dz Fixed

-4-
2. FE 해석모델 - 볼트-외력 곡선 검증

▣ 기존 L형 플랜지 볼트-외력 곡선 모델과 FE 해석 결과

• Bi-linear 볼트-외력 곡선 모델(Petersen)


• Tri-linear 볼트-외력 곡선 모델(Schmidt/Neuper)
• Circular arc 볼트-외력 곡선 모델(VDI 2230) Z

FVB

Petersen의 볼트-외력곡선 후반부와 유사

VDI-2230의 볼트-외력곡선과 유사

-5-
2. FE 해석모델 - 선형해석 vs 비선형해석 결과 비교
• 볼트나 플랜지의 항복 이후 실제 볼트-외력 곡선 변화는 발생하지 않음.
• 따라서 볼트-외력 곡선은 재료의 항복 발생전에 대해서 비교분석 되어야 함.

유효한 구간 무의미한 구간

VDI-2230의 볼트-외력곡선과 비교적 유사

-6-
2. FE 해석모델 - 비선형해석 결과
• Case-000 L형 플랜지 접합부의 볼트-외력 성능 곡선
• 각 Step별 플랜지의 수직압축응력과 볼트의 수직응력 분포

-7-
3. FE 해석 Case 선정
• L형 플랜지 접합부 : Case-000의 제원을 기준으로 선정
• L형 플랜지 접합부 제원 변동에 따른 볼트-외력 곡선의 성능특성 분석 Case 선정
- 볼트중심부터 내측(a)/외측(b) 까지 길이 변동
- 플랜지 두께(tfl) 변동
- 외력 전달 벽체의 두께(t) 변동

a b Dimensions (mm)
Case Ratio
a b tfl t
Case-000 170 140 190 60 1.0
Case-101 255 140 190 60 1.5
Case-102 340 140 190 60 2.0
tfl
Case-201 170 210 190 60 1.5
Case-202 170 280 190 60 2.0
Case-301 170 140 152 60 0.8
Case-302 170 140 285 60 1.5
Case-401 170 140 190 48 0.8
Case-402 170 140 190 90 1.5

-8-
4.1 볼트중심부터 내측까지 길이 변동 특성 분석(1)

▣ 볼트 고장력에 의한 L형 플랜지의 수직압축응력 분포(외력=0일 때)


• 플랜지의 수직압축응력 분포 변화는 없으나, 볼트중심-내측거리 증가로 내측에 비압축 구간 형성

기준 50% 증가 100% 증가
170 255 340

비압축 비압축
구간 구간

Case-000 Case-101 Case-102


-9-
4.1 볼트중심부터 내측까지 길이 변동 특성 분석(2)

▣ 볼트-외력 성능 곡선
• 볼트중심-내측거리가 증가할수록 외력에 의한 볼트인장력(FVB) 감소
• 볼트중심-내측거리가 증가할수록 볼트-외력 곡선 성능 개선

FVB=1.647*Z Z

FVB

FVB=1.431*Z

FVB=1.324*Z

- 10 -
4.2 볼트중심부터 외측까지 길이 변동 특성 분석(1)

▣ 볼트 고장력에 의한 L형 플랜지의 수직압축응력 분포(외력=0일 때)


• 플랜지의 수직압축응력 분포 변화는 없으나, 볼트중심-외측거리 증가로 외측에 비압축 구간 형성

기준 50% 증가 100% 증가
140 210 280

비압축 비압축
구간 구간

Case-000 Case-201 Case-202


- 11 -
4.2 볼트중심부터 외측까지 길이 변동 특성 분석(2)

▣ 볼트-외력 성능 곡선
• 볼트중심-외측거리가 증가할수록 외력에 의한 볼트인장력(FVB) 증가
• 볼트중심-외측거리가 증가할수록 볼트-외력 곡선 성능 감소

FVB=2.059*Z FVB

FVB=2.471*Z

FVB=1.647*Z

- 12 -
4.3 플랜지 두께 변동 특성 분석(1)

▣ 볼트 고장력에 의한 L형 플랜지의 수직압축응력 분포(외력=0일 때)


• 플랜지의 수직압축응력분포는 플랜지 두께 방향으로 확산되며, 이로 인해 플랜지 두께 증가와 함께
플랜지간 접촉면에서 수직압축응력 폭 증가

285
190 50% 증가
152
기준
20% 감소

비압축
구간

Case-301 Case-000 Case-302


- 13 -
4.3 플랜지 두께 변동 특성 분석(2)

▣ 볼트-외력 성능 곡선
• 외력과 볼트인장력(FVB) 관계 일정
• 플랜지 두께 증가로 볼트 용량 및 볼트-외력 곡선 성능 개선 효과 F =1.647*Z
VB

FVB

FVB=1.647*Z

FVB=1.647*Z

- 14 -
4.4 벽체 두께 변동 특성 분석(1)

▣ 볼트 고장력에 의한 L형 플랜지의 수직압축응력 분포(외력=0일 때)


• 플랜지의 수직압축응력분포 변화 없음
• 벽체 두께 증가로 외력 작용축과 볼트 중심축 간 거리 감소
33.3% 감소 17.7% 감소 기준
40 50 60

120 115 110

Case-401 Case-402 Case-000


- 15 -
4.4 벽체 두께 변동 특성 분석(2)

▣ 볼트-외력 성능 곡선
• 벽체 두께가 증가할수록 외력에 의한 볼트인장력(FVB) 증가
• 벽체 두께가 증가할수록 볼트-외력 곡선 성능 개선 효과

FVB=1.676*Z
Z

FVB

FVB=1.706*Z

FVB=1.647*Z

- 16 -
5. FE 해석의 볼트-외력곡선 비교
• 볼트중심에서 플랜지 내측(Case101~102) 또는 외측(Case201~202) 까지 길이 변동은
플랜지(Case301~302) 또는 벽체(Case401~402) 두께 변동 보다
볼트-외력 곡선 성능 변화에 더 민감하게 작용

FVB

- 17 -
6. 결론

■ L형 플랜지 접합부 제원 변동에 따른 볼트-외력 곡선의 특성분석을 위해 비선형 해석 수행

■ FE 해석용 모델 검증을 위해 기존 볼트-외력 곡선과 비교분석

■ 볼트중심-내측거리 증가(Case101~102)는 볼트-외력 곡선 성능 개선

■ 볼트중심-외측거리 증가(Case201~202)는 볼트-외력 곡선 성능 감소

■ 플랜지 두께 증가(Case301~302)는 볼트 용량과 볼트-외력 곡선 성능 개선 효과

■ 벽체 두께 증가(Case401~402)는 볼트-외력 곡선 성능 개선 효과

■ 볼트-외력 성능 곡선은 플랜지/벽체 두께보다 볼트중심-내/외측거리 변동에 더 민감하게 반응

■ 플랜지 두께 변동시(Case301~302) 볼트 용량 등의 원인으로 볼트-외력 곡선의 기본 형태


변화를 보임.

따라서 본 연구의 볼트-외력 곡선과 다른 형태의 곡선이 나타나는 경우에 대한 연구 필요

- 18 -
Thank you
for your attention

- 19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