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6

40.

기초침하 보강사례

40. 기초침하 보강사례 1


1. 개 요

대상건축물은 준공 후 2년이 경과된 지하 1층, 지상 5층 규모의 철골․철근콘크리트 구조로서

용도는 숙박시설이다. 이 건축물 배면 일부에서 석축이 밀리면서 지반이 침하되어 지하층

기둥 및 보 등의 주요구조부재에 구조적인 균열이 발생되어 있는 상태이다.

2. 조사 및 결함원인 ㆍ 현상

가. 조사사항

1) 대상건축물 지질 조사서 검토 결과, 기초저면의 지층은 지표 지반의 침하를 유발시킬 수

있는 붕적층과 파쇄‧절리‧단층이 발달되어 있고 석영맥과 석탄층이 부분적으로 협재되어

전단강도가 낮으며 사면활동을 일으킬 가능성이 큰 연암층으로 구성되어 있음.

2) 건축물 주변부 긴급보강공사 지반조사 보고서 검토 결과, 대상건축물의 기초 및 주변부

침하는 지층상태 및 지질구조상의 원인, 지형 및 지반적인 원인, 구성암종 및 점토광물

함유에 따른 원인으로 큰 규모의 복합활동으로 인하여 주변침하가 발생되어 관리주체는

대상건축물 주변에 외벽 균열부위 및 침하부에 모래충전, 시멘트 밀크 그라우팅, 고압

충전 마이크로 파일 및 억지말뚝(대구경 말뚝)등으로 보강공사를 실시한 상태임.

3) 대상건축물의 구조체에 대한 계측보고서의 작성은 복원공사 완료(‘02. 7)후 ’02.

7. 29~‘02. 8. 23 까지 실시하였으며, 계측결과 변위 등이 미소하게 변화하고

있는 상태로서 주요 부재에 대한 계측은 지속적으로 실시하여야 함.

4) 주변지반 계측 결과보고서 검토 결과, 지반보강 이후 변위량은 감소된 상태이지만 지반변위가

정지된 것은 아니므로 지속적인 계측과 지층 특성상 동절기 이후의 해빙기와 우기시에 지하

수위 상승 및 지층의 체적변화가 예상되므로 계측기기별 변화량의 확인 및 검토가 필요함.

5) 도면 7~11열의 구간 중 7열측은 기초저면이 연암층으로 침하에 의한 결함은

발견되지 않고 있으나, 11열측은 연약층인 붕적층에 접하고있어 지반침하의

영향으로 정화조와의 연결통로 벽체에 균열 등의 결함이 발생되어 있음.

6) 도면 11~18열 구간은 기초저면의 지층이 전반적으로 붕적층으로 기초침하에

의해 구조체는 균열 등의 결함이 매우 심하게 발생되어 있으며, 이로 인하여

기초복원 공사를 실시한 상태임.

▌209▐
Ⅳ. 건축물 보수ㆍ보강사례

2
7) 도면 18~24열 구간 중 18열에 인접한 기초저면의 지층은 붕적층으로 기초침하에

의한 결함이 다수 발견되어 있고, 연암층에 인접한 24열측은 결함정도가 적고

기초침하의 영향은 거의 없는 것으로 판단됨.

8) 도면 24~28열 구간은 기초저면의 지층이 연암층이며, 기초침하에 의한 결함은

발견되지 않고 있음.

나. 결함발생 현상

1) 기둥 및 벽체 균열

기둥 C6 하단 균열: 폭 0.2㎜ 벽체 W2 경사균열: 폭 2~5㎜

벽체 W2 경사균열: 폭 0.2~2.5㎜ 벽체 W2상단 수평균열: 폭 0.8~5㎜

기둥 C2B 균열: 폭 0.2~0.3㎜ 기둥 C2B 균열: 폭 0.2~0.3㎜

<사진1> 기둥 및 벽체 균열사진

▌210▐
40. 기초침하 보강사례

3
2) 임시보강 상태

벽체(W2)(H-형강) 보강상태 좌‧우 ○○(H-형강) 보강상태

기둥(C2B)의 철판 보강상태 보에 대한 잭 서포트 보강상태

<사진2> 임시보강 상태 사진

다. 구조안전성 검토

1) 철근콘크리트 구조

○ 도면 7~11열구간 : 기초침하의 영향을 받은 지하 1층 바닥(도면 C2~D1/7-


1~9열) 보 G1A, B7A의 각 부재는 내력이 부족하여 보강이 필요함.
○ 도면 11~18열 구간 : 기초침하가 심하게 발생되어 기초복원공사를 실시한 구간으로서 결함

발생정도가 매우 심각하며, 지하1층 바닥(도면 P~R/11~18열) 전 부재와 지상1층 바닥(도면

P~Q/11~18열) 보 G1A, G1C, G4, G4A, B5의 부재는 내력이 부족하여 보강이 필요하며,

이 구간은 균열 및 결함 등에 대한 정기점검 및 계측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함.

○ 도면 18~24열 구간 : 기초침하의 영향을 받은 곳으로서 지하 1층 바닥(도면

J~L/18~21열) 보 G1, B1의 각 부재는 내력이 부족하여 보강이 필요함.

▌211▐
Ⅳ. 건축물 보수ㆍ보강사례

4
○ 도면 24~28열 구간 : 안전성에는 문제점이 없지만 지하 1층 바닥의 보(G6A,

G7, G8, G9)와 1층 바닥의 보(G9A, G11A)의 경우는 균열형태 및 폭, 사용용도

등이 고려할 때 정기적인 점검시 관찰이 필요함.

2) 강구조

○ 강구조인 지상 2층~지붕층에 대하여 도면 7~11열 구간과 18~28열 구간은 소요내력을

확보하고 있어 안전한 것으로 판단되나, P~R'/12~17열 구간의 2층 강구조 부재는 수직변

위가 지하층과 동일하게 발생된 상태로 각부재의 내력이 부족하여 철골기둥을 주각부에서

발생된 침하량 만큼 상향복원하여 이들 부재가 동일레벨을 이루도록 하는 조치가 필요함.

3. 원인추정

균열의 주원인은 기초저면의 지반층이 붕적층이고 건축물이 경사면에 축조되어 지반

활동시 침하가 상대적으로 크게 발생된 것으로 판단함.

4. 보수 ․ 보강

제안한 보강공법은 개념도이므로 보강시에는 부재의 내력과 스팬의 길이, 기계 및 전기

설비 위치를 충분히 검토․계획을 세워 부재의 규격 및 칫수를 정하여 설계․시공되어야 함.

향후, 주변 지반침하가 진행되어 대상건축물의 기초침하가 추가적으로 발생시에는 현

보강공법은 제 기능을 발휘할 수 없게 되므로 전문가 및 전문기관에 의해 재 구조검토를

실시하여 안전성을 확인하여야 한다.

1) 지하1층 바닥 11~18열 구간의 보강 개념도

▌212▐
40. 기초침하 보강사례

5
2) 지하1층 바닥 7-1~11열, 18~21열 구간의 보강 개념도

3) 지상1층 바닥 11~18열 구간의 보강 개념도

4) 지상2층 바닥 11~17열 구간의 강구조 보강 개념도

▌213▐
Ⅳ. 건축물 보수ㆍ보강사례

6
○ 1안

- R'열의 좌․우 팔각정과 R열 기둥을 상향복원하여 Q열의 레벨과 동일하게 하는 것


○ 2안

- P~R'/12~17열 구간의 부재를 철거하여 고층부의 내력부담을 줄이는 방안.


그러나, 본 구간의 철골을 철거하여도 지하 1층바닥의 피트층 철근콘크리트
구조는 철거하여서는 안되며, 나머지의 구조체 보강은 전술한 바와 같음.

5. 결 론

(가) 대상건축물은 상태평가 및 안전성 평가에서 "D"등급으로서 시특법상 사용제한

여부의 판단이 필요한 구조물이므로, 지하피트 및 지하층의 긴급보강, 지반 및

건축구조물의 안정화 조치, 지반과 건축물 거동 여부 계측 실시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됨.

(나) 이에 대하여 2002년 7월경 관리주체에서 상기 긴급조치를 취하여 현재로서는

기초 및 구조물 침하 등의 거동이 미미하게 나타나고 있어 단기적으로는 시설

물의 사용상 지장이 없을 것으로 판단되나, 장기적인 구조안전성 확보를 위하

여는 조기 보수․보강이 필요함.

(다) 따라서 대상건축물은 안전조치계획을 긴급 수립하고, 영구보강을 위한 설계 및

시공을 실시하여야 함.

(라) 그리고 주변지반 및 구조체의 거동이 완전 정지된 것으로 단정하기 어려우므로

향후 지속적인 계측이 필요하며, 해빙기를 전후한 시기에 지반침하 등의 거동이

예상됨으로 계측빈도를 증가하는 등의 조치가 필요함.

※ 지반의 추가 침하와 건축물에 거동 및 부재에 변형 등의 징조가 있을 경우에는

안전성에 급격한 위험이 초래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므로 즉각적인 사용금지

조치 후,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필요한 조치를 취하여야 한다.

▌214▐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