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5

광주 화정

아이파크 붕괴사고

팀명
<안전제일>

팀원
B885003 강영제
C193307 이필규
C184045 정준화
개요
1. 강영제
1) 단지 배치도 및 사건 정리
2) 붕괴 시퀀스
3) 유사사례 공통점 추출(판교 푸르지오 시티 신축공사 붕괴 사고)
2. 이필규 - 붕괴 원인 분석
1) PIT층 붕괴부위 설계내용 분석
2) PIT층 슬래브 붕괴메커니즘
3) 연속붕괴 및 콘크리트 품질
3. 정준화
1) 붕괴 후 실제 대처방안
2) 원인에 따른 대처 방안
- 콘크리트 강도 기준 미달 / 콘크리트 겨울철 양생
마무리 - 느낀점 및 출처
단지 배치도 및 사건 정리
° 사고 위치 : 광주광역시 서구 화운로 230번길 20

° 시공사 : HDC 현대산업개발 주관 공사

° 규모/가구수 : 지하 4층, 지상 39층, 8개동


(847가구-아파트 705가구, 오피스텔 142실)

° 사고 내용 : 광주 화정아이파크 2단지 201동의


24~38층 대부분이 붕괴한 사고이다.

° 사고 일시 : 2022년 1월 11일 화요일 오후 3시 46분경

° 피해 : 근로자 6명 사망 / 1명 부상
<광주 화정 아이파크 단지 배치도 및 현장 위치> 외벽과 슬라브 파괴붕괴

강영제
붕괴 시퀀스

1.PIT층콘크리트가벽설치로 2. 38층 동바리 제거 3. 콘크리트 3회 분할 타설중 4. 슬래브의 과도 처짐으로


슬래브 하중 증가 39층 콘크리트 타설 구조내력 상실로 처짐 증대 콘크리트 쏠림 현상 발생

<남측면에서 본 건물의 붕괴 모습>

5. 슬래브의 추가 변형발생 6. 하부층도 붕괴메커니즘이 7. 누적 충격하중 작용으로 8. 내력과 강성이 큰 피난안


선행 파괴 발생 형성됨 연쇄 붕괴 발생 전층에서 연쇄붕괴 멈춤
강영제
유사 사례의 공통점 추출
< 판교역 푸르지오 시티 신축공사 붕괴사고 >
화정 아이파크 붕괴 사건과 공통점

1) 1월의 추위 속에 강행하다 발생
- 콘크리트 강도(양생) 부족

2) 무량판 구조 건물

강영제
붕괴 원인 분석
1. PIT층 붕괴부위 설계내용 분석

1.1 PIT층 붕괴부위 설계상태

이필규
붕괴 원인 분석
1. PIT층 붕괴부위 설계내용 분석

1.2 PIT층 바닥에 작용하는 하중상태 비교

이필규
붕괴 원인 분석
1. PIT층 붕괴부위 설계내용 분석

1.3 PIT 바닥 슬래브하부 가설지지대의 역할 검토

이필규
붕괴 원인 분석
2. PIT층 슬래브 붕괴메커니즘

2.1 슬래브 과다처짐 현상 및 과다처짐의 영향

이필규
붕괴 원인 분석
3. 연속붕괴 및 콘크리트 품질

3.1 연속붕괴 3.2 콘크리트

이필규
붕괴 후 실제 대처방안

< 철거 후 재시공 > <전문가들을 통한 철저한 점검>

정준화
원인에 따른 대처 방안
< 콘크리트 강도 기준 미달>

* 슈미트 해머 등을 이용한 비파괴 검사

* 부분파괴 방법: 콘크리트 코어 채취

정준화
원인에 따른 대처 방안
< 콘크리트 겨울철 양생>
*한중 콘크리트의 사용 * 내한 콘크리트 사용

* 가열 양생 * 5℃ 이상의 보온 양생

정준화
원인에 따른 대처 방안
<동바리 조기 철거 & 설계 변경>

* 행정부처 및 감리 기관의 철저한 확인

정준화
마무리
• 팀원들의 느낀점

• 출처
- 국토교통부 건설사고조사위원회
( 현대산업개발 아파트 신축공사 붕괴사고 사고조사 보고서 )
- 나무위키( 광주 화정 아이파크 붕괴 사고 )
- 뉴스 / 기사 자료
- 광주광역시 홈페이지 보도자료
- HDC 현대산업개발 사이트 자료
- 국가법령정보 사이트 내 건축법 상의 건축시공상의 허용가능 오차
- 스튜디오 음 건축사 사무소 내 정보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