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70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Pre-Stressed Concrete
PSC
Pre + Stress +ed
= 미리 응력을 받은

1.시기적 구분
2.방법론적 접근
구분 시멘트 물 잔골재 굵은골재 철근

시멘트풀 √ √
Cement patste

모르타르 √ √ √
Mortar

콘크리트 √ √ √ √
Concrete

철근콘크리트 √ √ √ √ √
Reinforced concrete
PSC 구조물
교량현황 (2020 기준 )
PSC I 거더교
PSC I 거더교
PSC Box 거더교
PSC Box 거더교
PSC 슬래브교
1. 서론
1.1 하중
1.2 구조물의 분류
1.3 구조물의 강도
1.4 철근 콘크리트와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1.5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의 발달
1.6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용어 설명
1.7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장점과 단점
1.8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와 철근 콘크리트의 거동 차이
1.9 프리스트레싱 방법
학습목표
1. 구조물에 작용하는 하중의 종류와 구조물의 종류 , 응력과 강도에
대하여 학습한다 .

2. 철근 콘크리트와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의 역학적 거동 차이를


이해한다 .

3.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의 장점과 단점을 학습한다 .

4. 프리테션 공법과 포스트텐션 공법의 종류와 특징을 학습한다 .


1. 서론
1.1 하중
1.2 구조물의 분류
1.3 구조물의 강도
1.4 철근 콘크리트와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1.5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의 발달
1.6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용어 설명
1.7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장점과 단점
1.8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와 철근 콘크리트의 거동 차이
1.9 프리스트레싱 방법
하중 ?
- ( 토목 ) 구조물에 작용하는 ( 할 수 있는 ) ( 모든 ) 힘
※ ( 토목 ) 구조물 설계상 고려해야 할 ( 모든 ) 힘

- U( 소요강도 ) = 하중계수 × 하중의 종류별 조합 [Ref. RC]


하중 ?
- 하중의 종류 [Ref. RC]
하중
1.1.1 이동 상태에 따른 분류
1.1.2 작용 시간에 따른 분류
1.1.3 작용 방향에 따른 분류
1.1.4 작용 위치에 따른 분류
1.1.5 작용 상태에 따른 분류
1.1.6 형태에 따른 분류
1.1.7 기타
하중의 단위
• ( 무게 , 질량 ) : ton, kg, g, mg…

• ( 하중 ) : kgf

• (SI 단위계 ) : N
하중 – 이동 상태
(1) 고정하중 (Dead Load)
- 사하중 , 자중과 같이 항상 일정한 위치에 일정한 크기로
작용하는 하중

(2) 활하중 (Live Load)


- 사람 , 차량과 같이 구조물 위로 움직이면서 작용하는 하중
- 이동하중 (Moving Load) : 자동차 바퀴와 같이 일정한 크기의
무게가 이동하며 작용하는 하중
- 연행하중 (Train Load) : 기차 바퀴와 같이 바퀴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이동하는 하중
하중 – 작용 시간
(1) 장기하중 (Long Time Load) – 고정하중의 자중과 같이 장기적으로
작용하는 하중
(2) 단기하중 (Short Time Load) – 활하중과 같이 단기적으로 작용하는
하중
(3) 충격하중 (Impact Load) – 속도가 있는 물체가 구조물 위로 통과할
때 , 물체와 구조물 간의 충격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하중
(4) 반복하중 (Repeat Load) – 구조물에 같은 방향의 하중이 반복적으로
작용하는 하중
(5) 교대하중 (Alternating Load) – 구조물에 반대방향의 하중이
반복적으로 작용하는 하중
하중 – 작용 방향
(1) 수직하중 (Vertical Load)
(2) 수평하중 (Horizontal Load)
(3) 경사하중 (Aligned Load)
하중 – 작용 위치
(1) 중심축 하중 (Axial Load) – 부재 단면의 도심에 작용하는 하중 ,
편심거리 (e) = 0
(2) 편심하중 (Eccentric Load) – 하중의 위치가 단면의 도심을 벗어나
작용하는 하중 , 편심거리 (e)≠0
하중 – 작용 상태
(1) 직접하중 (Direct Load) – 구조물에 직접적으로 작용하는 하중
(2) 간접하중 (Indirect Load) – 구조물 부재에 직접 전달이 되지 않고
중간 매개체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전달되는 하중
하중 - 형태
(1) 집중하중 (Concentrated Load) – 구조물의 한 곳에 집중하여
작용하는 하중
(2) 등분포하중 (Uniform Load) – 부재의 길이를 따라 같은 크기로
작용하는 하중
(3) 등변분포하중 (Trapezoidal Load) – 일정한 면적에 일정한 비율로
크기가 변하는 하중으로 , 삼각형 또는 사다리꼴로 수압과 토압이
대표적이며 단위는 N/m 등으로 표현
(4) 모멘트하중 (Moment Load) – 구조물의 특정점을 회전시키려는
하중으로 N·m 등으로 표현
하중 - 형태
하중 - 기타
(1) 풍하중 (Wind Load)
- 내풍설계 고려
(2) 적설하중 (Snow Load)
- 다설구역 : 장기하중
- 일반구역 : 단기하중
(3) 온도하중 (Temperature Load)
- 열하중 ( 수축 & 팽창… )
(4) 지진하중 (Seismic Load)
- 내진설계 고려
(5) etc…( 원심력하중 , 부등침하 , 건조수축 , 크리프… )
서론
1.1 하중
1.2 구조물의 분류
1.3 구조물의 강도
1.4 철근 콘크리트와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1.5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의 발달
1.6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용어 설명
1.7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장점과 단점
1.8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와 철근 콘크리트의 거동 차이
1.9 프리스트레싱 방법
일반적인 교량의 구성요소
구조물의 분류
• 구조물은 인장 , 압축 및 휨을 받는 직선부재 또는 곡선부재로 결합된
상부구조물과
• 상부구조물을 지지 ( 상부구조물에 작용하는 외력과 자중을 기초지반에
전달 ) 하고 있는 하부구조물로 구분

(1) 상부구조물
- 직선부재 : 보 , 라멘 , 트러스 , 기둥 등
- 곡선부재 : 아치 , 쉘 등
(2) 하부구조물
- 교대 , 교각 , 기초 등
(3) 부속시설
- 조명시설 , 교통표지판 , 점검시설 등
보 (Beam)
(1) 보 (Beam)
- 단면에 비하여 길이가 긴 직선부재를 지점에 연결하여
- 부재축에 수직방향으로 작용하는 외력에 저항하도록 만든
구조물
- 교량의 경우 거더 (Girder)
라멘 (Rahmen)
(2) 라멘 (Rahmen)
- 2 개 이상의 수평부재와 수직부재가 고정절점으로 연결되어
- 구조물에 외력이 작용하여 변형한 후에도 각 절점이 이루는
회전각이 변하지 않는 구조물
- 뼈대구조물 (rigid frame)
트러스 (Truss)
(3) 트러스 (Truss)
- 2 개 이상의 직선부재의 양단을 마찰이 없는 힌지 (hinge) 나
핀 (pin) 과 같은 힌지절점으로 연결하여
- 삼각형 형상으로 결합하여 만든 구조물
- 직선부재는 외력에 대하여 인장 또는 압축 ,
- 축방향력에만 저항
아치 (Arch)
(4) 아치 (Arch)
- 부재가 직선부재 대신 곡선부재로 구성되어 있으며 ,
- 휨모멘트를 감소시키고
- 축방향력에 대한 저항력이 큰 구조물
기둥 (Column)
(5) 기둥 (Column)
- 수직방향의 압축력을 받는 직선부재
- 좌굴발생여부에 따라 단주와 장주로 구분
케이블 (Cable)
(6) 케이블 (Cable)
- 휨모멘트와 압축력에는 저항하지 못하고 오직 장력 (tension)
에만 견딜 수 있는 구조물
- 현수교 or 사장교 등에서 하중을 지지하는 주부재로 사용
쉘 (Shell)
(7) 쉘 (Shell)
- 두께가 얇은 곡면판 구조물로
- 막력 (membrane force) 이 크게 발생하는 구조물
- 평면 쉘 구조물을 평판 (plate)
- 건물의 천장이나 바닥을 슬래브 (slab)
서론
1.1 하중
1.2 구조물의 분류
1.3 구조물의 강도
1.4 철근 콘크리트와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1.5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의 발달
1.6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용어 설명
1.7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장점과 단점
1.8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와 철근 콘크리트의 거동 차이
1.9 프리스트레싱 방법
구조물의 강도
• 응력 (Stress)
- 물체에 외력 (external force) 이 작용하면
- 물체는 평형상태를 유지하지 위하여
- 내부에 외력의 크기와 같고 방향이 반대인 저항력이 발생
- 이러한 저항력을 응력 (stress) 또는 내력 (internal force)
- 단위는 단위면적당 힘으로 표시 Pa(=N/m2)
구조물의 강도
• 강도 (Strength)
- 재료에 외력이 작용하면 재료 내부의 응력이 발생
- 외력이 증가하면 응력도 증가
- 응력이 증가하여 파괴에 이르게 되면 , 파괴 시까지의 응력 중 ,
- 가장 큰 응력을 그 재료의 강도 (strength)
- 부재나 구조물이 그 기능을 유지하면서 받을 수 있는 최대하중
또는 응력의 크기로
- 구조물이 하중에 저항하는 능력을 의미
구조물 강도의 종류
(1) 압축강도 (Compressive Strength)
(2) 인장강도 (Tensile Strength)
(3) 전단강도 (Shearing Strength)
(4) 휨강도 (Bending Strength)
(5) 비틀림강도 (Torsional Strength)
구조물 강도의 종류
서론
1.1 하중
1.2 구조물의 분류
1.3 구조물의 강도
1.4 철근 콘크리트와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1.5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의 발달
1.6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용어 설명
1.7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장점과 단점
1.8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와 철근 콘크리트의 거동 차이
1.9 프리스트레싱 방법
RC 와 PSC
• 콘크리트는 압축에 강하지만 인장에는 매우 약함 (1/9~1/13), 보를
콘크리트만으로 만들었을 경우 콘크리트의 인장 측 균열로 인하여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함

• 이러한 약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인장측에 철근 (rebar) 을 배치하여


인장을 받게 함으로써 외력에 저항하도록 만든 것 . 즉 , 압축은
콘크리트가 받고 인장은 철근이 받도록 설계한 구조물

• 그러나 , 인장측에 발생하는 균열은 막을 수 없으며 , 콘크리트에


균열이 발생하면 콘크리트는 힘을 받지 못하게 됨 . 따라서 RC
보에서는 콘크리트는 인장력을 받지 못하고 철근이 모든 인장력을 받는
것으로 보고 설계함 .
RC 와 PSC
RC 와 PSC
• 외력에 의해 콘크리트에 발생되는 인장응력을 소정의 한도까지
상쇄시키기 위해

• 콘크리트에 사전에 인위적으로 압축력을 가하여 인장부의 콘크리트도


유효하도록 한 것

• PS 강재를 미리 긴장시키고 , 콘크리트에 압축응력을 주어


설계하중이나 과대하중이 작용함으로서 생기는 신장을 막고 ,

• 인장응력에 의하여 발생하는 콘크리트의 균열을 사전에 방지 또는


허용범위에 들도록 하여 전단면적을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음 .
RC 와 PSC
서론
1.1 하중
1.2 구조물의 분류
1.3 구조물의 강도
1.4 철근 콘크리트와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1.5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의 발달
1.6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용어 설명
1.7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장점과 단점
1.8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와 철근 콘크리트의 거동 차이
1.9 프리스트레싱 방법
PSC 의 발달
• PSC 의 역사
- 1850 년 프랑스의 Lambot 에 의해 철근 콘크리트 발명
- 1872 년 미국의 Jackson 이 콘크리트에 최초로 프리스트레싱 시도
- 1888 년 C.E.W. Doehring 이 최초로 제안
- 이론의 정립 ( 고강도 강재 사용 ) : 1928 년 프랑스 Freyssinet
- 1938 년 프리텐션 방식 개발 : 독일 Hoyer
- 1939 년 포스트텐션 공법 개발 : 프랑스 Freyssinet
- 2 차 세계대전 후 다양한 방법 및 정착방법 개발 : Dywidag, VSL,
Freyssinet, BBRV…
PSC 의 발달
• 초기에 실용화되지 못한 이유
- 도입된 프리스트레스가 콘크리트의 크리프 (creep) 와 건조수축
(shrinkage) 으로 인해 감소
→ 고강도 콘크리트 , 고강도 강재의 개발

- 도입된 프리스트레스가 정착장치의 활동으로 인해 손실


→ 다양한 정착장치의 개발
PSC 의 발달
• 우리나라에서의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의 역사

- 1957 년 최초의 PSC 적용 : 철도 침목

- 1957 년 프리텐션 방식의 PSC Beam 제작 : 철도 인입교

- 1961 년 PSC 보 20m 경간의 육교건설

- 1962 년 3 월 최초 PSC 교량 착공

- 1962 년 6 월 PSC BOX 교량 착공

- 1968 년 경부고속도로 건설로 인해 많은 PSC 교 채택

- 1985 년 8 월 PSC 연속교

- 1986 년 5 월 노량대교 완공 : 이동지보공 (MSS) 공법으로 완공

- 1989 년 11 월 PSC 사장교 ( 올림픽대교 ) 를 캔틸레버 공법으로 완공

- 1999 년 동양 최대 지간의 서해대교 (PSC BOX 교 ) 완공

- 1999 년 한국 고속 전철 건설

- 2000 년 지간 25m 이상 되는 콘크리트 교량은 거의 PSC 교로 건설


PSC 의 발달
서론
1.1 하중
1.2 구조물의 분류
1.3 구조물의 강도
1.4 철근 콘크리트와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1.5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의 발달
1.6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용어 설명
1.7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장점과 단점
1.8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와 철근 콘크리트의 거동 차이
1.9 프리스트레싱 방법
PSC 용어 설명
• PSC(prestressed concrete, PS 콘크리트 )
- 외력에 의해 발생되는 응력을 상쇄시키기 위하여 미리
계획적으로 압출력을 작용시킨 콘크리트

• 프리스트레스 (prestress, 긴장응력 )


- 하중의 작용에 의해 단면에 생기는 응력을 소정의 한도로
상쇄할 수 있도록 미리 계획적으로 콘크리트에 주는 응력

• 프리스트레스 힘 (prestress force, 긴장력 )


- 프리스트레싱에 의하여 부재의 단면에 작용하고 있는 힘
PSC 용어 설명
• 프리스트레싱 (prestressing, 긴장 )
- 프리스트레스를 주는 일

• 프리스트레스 도입 (prestress transfer)


- 긴장재의 인장력을 콘크리트에 전달하기 위한 조작

• 긴장재 (prestress tendon)


- 긴장재를 1 개 또는 여러 개의 다발로 사용하여 프리스트레싱을
할 수 있는 상태로 해놓을 것
PSC 용어 설명
• PS 강재 (prestressing steel)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에 사용하는 긴장용의 강재
( 긴장재 : prestressing tendon)
( 강선 , 강연선 , 강봉… )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precast concrete, PC 콘크리트 )


- 콘크리트가 굳은 후 제자지로 옮겨 놓거나 또는 조립하는
콘크리트 부재

• 쉬스 (sheath)
- 포스트텐션 방식의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부재에서 덕트를
형성하기 위하여 쓰이는 관
서론
1.1 하중
1.2 구조물의 분류
1.3 구조물의 강도
1.4 철근 콘크리트와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1.5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의 발달
1.6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용어 설명
1.7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장점과 단점
1.8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와 철근 콘크리트의 거동 차이
1.9 프리스트레싱 방법
PSC 의 장점과 단점
• 설계하중에서는 균열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강재의 부식 위험이 적고 , 고강도
재료를 사용하므로 내구성이 우수
• RC 에 비해 탄력성과 복원력이 강하므로 충격하중이나 반복하중에 대한 저항성이

• 콘크리트 전 단면을 유효하게 이용하여 단면을 줄일 수 있어 RC 부재보다 경간을
길게 할 수 있음
• 강재의 긴장력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전단면에 압축응력을 발생시킴으로써 RC 에
비해 부재의 전단강도와 비틀림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음
• 프리스트레싱 시점에 최대응력을 가지므로 , 나중에 사용하중 재하시 PSC 구조는
충분한 안전성을 갖음
• 프리캐스트 (precast) 를 사용할 경우 거푸집 및 동바리공이 불필요하고 연결시공 ,
분할시공 , 현장타설 시공이 가능
PSC 의 장점과 단점
• RC 에 비하여 단면이 작기 때문에 강성이 작아져서 변형이 크게
일어나고 진동하기 쉬움

• 고강도 강재는 고온에 접하면 강도가 갑자기 감소되므로 RC 보다


내화성에서 불리

• RC 에 비하여 고강도 재료 사용 , 정착장치 , 쉬스 , 그라우팅 등 보조


재료의 추가로 인해 공사비 증가

• 외부하중 (external load) 의 크기와 방향에 민감하므로 설계 , 제조 ,


운반 , 가설 시 응력이나 처짐에 대한 세심한 안전성 검토가 필요
서론
1.1 하중
1.2 구조물의 분류
1.3 구조물의 강도
1.4 철근 콘크리트와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1.5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의 발달
1.6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용어 설명
1.7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장점과 단점
1.8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와 철근 콘크리트의 거동 차이
1.9 프리스트레싱 방법
PSC 와 RC 의 거동 차이
• RC 는 균열폭 제한 규정 때문에 고강도 강재를 사용할 수 없는 반면에 , PSC 는 RC 보다 고강도
재료를 사용

• PSC 는 전단면이 유효하나 RC 는 중립축으로부터 인장측 콘크리트의 저항은 무시

• 하중에 의한 휨모멘트는 부재단면 내의 우력모멘트로 저항한다는 개념은 PSC 와 RC 가 같음 .


그러나 하중이 증가하면
- PSC 에서는 압축력과 인장력의 변화는 거의 없고 대신 모멘트 팔길이가
증가하는 개념인데 비하여
- RC 에서는 모멘트 팔길이는 일정하나 압축력과 인장력이 증가하는 개념임

• PSC 는 균열 후 PS 강재의 응력이 급격히 커지므로 , RC 보다 중립축 상승이 빠르고 균열폭이


커짐
서론
1.1 하중
1.2 구조물의 분류
1.3 구조물의 강도
1.4 철근 콘크리트와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1.5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의 발달
1.6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용어 설명
1.7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장점과 단점
1.8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와 철근 콘크리트의 거동 차이
1.9 프리스트레싱 방법
프리스트레싱 방법
• 프리스트레싱은 고강도 강재에 인장력을 작용시켜 긴장시킨 채로 부재에
고정하여 그 반력으로 콘크리트에 압축력을 도입하는 원리

• 즉 , ( 그림과 같이 ) 콘크리트 부재 속에서 활동이 가능하도록 배치한 고강도


강재를 부재의 양단을 받침으로 하여 인장력 P 를 작용시킨 채 긴장재가 뽑혀
나오지 않게 콘크리트 부재 양단에 그대로 정착시킴

• 그러면 고강도 강재는 인장력 P 를 받은 상태로 있게 되고 , 콘크리트는 반력 P


로 인하여 압축력 P 를 받게 되어 프리스트레스가 작용하도록 함

• 콘크리트에 프리스트레싱을 주는 방법에는 PS 강재를 긴장하는 시기에 따라


프리텐션 방식 (pre-tension) 과 포스트텐션 방식 (post-tension) 으로 구분
프리스트레싱 방법
프리텐션 방식
•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전에 PS 강재를 미리 긴장시키는 방법

• PS 강재에 인장력을 주어 긴장해 놓은 채 콘크리트를 치고 , 콘크리트가


경화한 후에 PS 강재의 인장력을 서서히 풀어서 콘크리트에
프리스트레스를 주는 방법

• 콘크리트와 PS 강재의 부착에 의해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방식

 PS 강재를 먼저 긴장 시킴
 콘크리트 치기는 그 다음에 진행
프리텐션 방식

1. 인장대 설치

2. PS 긴장재 배치와 긴장 작업

3. 거푸집 설치

4.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

5. 콘크리트 경화 후 정착단의
정착을 풀어 프리스트레스
도입

6. 강재 절단
프리텐션 공법의 특징
장점
• 설비가 좋은 공장 내에서 제조되므로 일반적인 제품의 품질에 대한 신뢰도가 높음

• 동일한 형상과 치수의 프리캐스트콘크리트 부재를 대량 제조 가능

• 포스트텐션 방식에 필요한 쉬스나 정착장치 등이 불필요

단점
• 긴장재의 곡선 배치가 어려워 대형 구조물 제작에는 부적당

• 부재의 단부에는 소정의 긴장력이 도입되지 않기 때문에 설계에 주의 필요


프리텐션 공법의 종류
포스트텐션 방식
•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경화한 후에 쉬스 속에 긴장재를 넣고 나중에
긴장하는 방법

• 즉 , 콘크리트가 경화한 후에 PS 강재를 긴장하여 그 끝을 콘크리트에


정착 함으로써

• 프리스트레스를 주는 방법으로 콘크리트와 PS 강재는 정착장치에


의해 프리스트레스 도입

 콘크리트 치기를 먼저
 그 다음에 PS 강재를 긴장
포스트텐션 방식

1. 거푸집 설치 및 쉬스 제작

2.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

3. 콘크리트 경화 후 쉬스 속에
PS 긴장재 삽입

4. 긴장재 끝에 잭을 부착하고
긴장재 인장

5. 긴장재를 정착장치로
콘크리트 부재에 정착

6. 쉬스 속을 그라우팅 처리
포스트텐션 공법의 특징
• 쉬스 배치 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 경화 후에 강재를 긴장하므로 쉬스와
강재의 곡선 배치 또는 임의 형태의 배치가 가능하여 대형 구조물 시공에
적합
• 콘크리트가 경화한 후에 강재를 비치하고 긴장하므로 콘크리트 구조물
자체를 지지대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지주가 필요 없음 -> 인장대
필요 x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결합과 조립에 편리하게 이용되고 공사
현장에서 쉽게 긴장작업을 할 수 있음
• 부착시키지 않은 포스트텐션 부재는 그라우팅이 필요 없으며 , PS 강재의
재긴장 가능
• 부착되지 않은 포스트텐션 부재는 부착시킨 포스트텐션 부재에 비하여 파괴
강도가 낮고 균열폭이 커지는 등 역학적 성능이 떨어짐
• 특수한 긴장방법과 정착효과가 필요
공법의 비교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