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4

MIDAS IT Professional Column

실시공을 고려한 PSC 거더의 설계 (들어가며)

김재석
후레씨네 코리아

주요 목차 (Table of Contents)

1. 프리스트레스(Prestress)의 정의 5. PSC 거더 설계시 실시공을 고려하기

2.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Prestressed Concrete)의 분류

3. PSC 거더의 거동

4. PSC 거더의 변위, 응력, 단면력, 반력

* 본 자료에 언급된 이론, 기술 및 공법 등은 (주)마이다스아이티와는 무관함을 알려드립니다.


* 본 자료는 프로그램 유지보수 계약자(Platinum 회원)를 위한 기술자료입니다. 자료의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합니다.

1. 프리스트레스(Prestress)의 정의

필자나 독자가 PSC(PreStressed Concrete) 거더에 대하여 논의하


기 전에 가장 먼저 집고 넘어갈 점이 무엇일까? 기본 용어 및 개
념을 정립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되어 몇 가지 기본 용
어에 대한 정의를 살펴 보고자 한다.
구조물 및 긴장재의 형상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PreStressed Concrete, 이후 ‘PSC’로 칭


함)란 ‘외력에 의하여 일어나는 응력을 소정의 한도까지 상쇄할
수 있도록 미리 인공적으로 그 응력의 분포와 크기를 정하여 내
력을 준 콘크리트’라고 정의하고, ‘외력에 의한 인장응력을 상쇄하
기 위하여 미리 인공적으로 콘크리트에 준 응력’을 프리스트레스
(Prestress)라 하며, ‘콘크리트에 프리스트레스를 주는 일’을 프리 긴장재 콘크리트
스트레싱(Prestressing)이라 한다. 단부에서 힘의 평형

긴장재 콘크리트

그림 1. 긴장재와 콘크리트의 내적 평형

1
MIDAS Technical Leader’s Group 01. 실시공을 고려한 PSC 거더의 설계 (들어가며)

앞서 정의한 내용을 음미해 보면 ‘내력을 준 콘크리트’라는 표현인데 이를 위하여 과거 마이다스 아이티 구조기술 강좌에서 발표된 내
다르게 풀이해 보면 기본 구조물(Basic structure, 정정 구조물)에서 프 용을 살펴보자.
리트스레싱 후 부재의 내력(긴장재, Prestressing steel 또는 Tension
element의 인장력과 콘크리트의 압축력)은 이미 힘의 평형을 이루고
있어 외력(반력 포함)은 변화가 없다는 의미로 볼 수 있다.

또한 콘크리트의 크리프(Creep), 건조수축(Shrinkage), 온도승강(Uniform


temperature 또는 Linear temperature gradient 포함)과 비교해 보면,
크리프 및 건조수축, 온도승강은 콘크리트가 자발적으로 일으키는 변
형률(Strain)로 비역학적 변형률(Non-mechanical strain)이지만 프리스
트레스는 내력의 평형으로 발생되나 콘크리트가 자발적으로 일으키는
변형률이 아니므로 역학적 변형률(Mechanical strain)로 분류된다.

따라서 기본 구조물의 경우, 크리프, 건조수축, 온도승강 자체에 의하


여 응력(Stress)이 발생하지 않지만 프리스트레스는 응력을 발생시킨다
는 점에 주의하자.

그림 2. 긴장재의 긴장력 변화 예제
2.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Prestressed Concrete)의 분류

PSC는 설계 및 시공방법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구분된다. 따라서 독 PSC 거더의 거동을 알아보기 전에 프리스트레스의 중요한 특
자의 혼선을 피하기 위하여 필자가 다루고자 하는 PSC를 명확히 규정 성 한가지를 환기하였으면 한다. 그것은 프리스트레스는 외력이
하였으면 한다. 설계 및 시공방법에 따라 다음과 같이 PSC를 구분할 변해도 그 값이 거의 변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이점을 항상 기
수 있다. 억하고 있어야만 PSC 거더의 거동을 온전히 이해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과거 마이다스 아이티 구조기술 강좌에서 발표된
내용을 살펴보자.
설계 및 시공방법에 따른 PSC 분류
01 내적(Internal) 프리스트레싱과 외적(External) 프리스트레싱
<물성치>
02 선형(Linear) 프리스트레싱과 원형(Circular) 프리스트레싱 물성치
03 프리텐셔닝(Pre-tensioning)과 포스트텐셔닝(Post-tensioning) 구분 기호 값
04 단정착장치가 있는 긴장재(End-anchored)와 없는 긴장재(Nonend-anchored) 콘크리트 접촉면적 Ac 1.000m2

05 부착시킨 긴장재(Bonded)와 부착시키지 않은 긴장재(Unbonded) 콘크리트 탄성계수 Ec 30GPa

06 프리캐스트(Precast), 현장치기(In-situ), 합성구조(Composite) 긴장재 단면적 Ap 0.001m2


긴장재 탄성계수 Ep 240GPa
07 풀스트레싱(Full prestressing)과 파셜스트레싱(Partial prestressing)
긴장재 긴장력 Pe 1,000kN

각각 분류 방법의 상세한 설명은 논외로 보고 단지 필자가 다루고자 <분리하중 작용시>


하는 PSC를 정의해 보면, 포스트텐셔닝(Post-tensioning, 이후 PT)에 분리하중 작용시
단부 정착장치가 있고 부착시킨 긴장재(Prestressing steel 또는 분리하중 긴장재 긴장력 긴장력 비율
Tensioning Element)를 적용하며 현장치기 거더로 국한한다. 물론 현 P=500kN Pe=1003.97kN 1.004
장치기 방법도 FSM, MSS, ILM, FCM, PSM 등과 같이 더욱 상세하게 P=1,000kN Pe=1007.94kN 1.008
구분되어 그에 따라 설계시와 시공시 서로 다른 고려사항이 있을 수 P=1,500kN Pe=1500,00kN -
있으나 그것은 주제에 따라 따로 언급할 작정이다.
두 개의 세그먼트부재를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여 접합시키고
3. PSC 거더의 거동 이 상태에서 분리시키려는 외부하중을 가할 때의 긴장재의 긴장
력(Prestressing force)의 변화를 이론적으로 계산하는 내용이다.
PSC 거더의 거동을 알아보기 전에 프리스트레스의 중요한 특성 한가 그 계산에 의하면 분리시키려는 외부하중이 기존의 긴장력과 동
지를 환기하였으면 한다. 그것은 프리스트레스는 외력이 변해도 그 값 일하게 작용하더라도 긴장재의 긴장력은 0.8%만 증가된다. 즉,
이 거의 변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이점을 항상 기억하고 있어야만 미소하게 증가된다는 의미이다.
PSC 거더의 거동을 온전히 이해할 수 있다.

2
MIDAS Technical Leader’s Group 01. 실시공을 고려한 PSC 거더의 설계 (들어가며)

그림 3. 하중단계에 따른 긴장재의 응력 변화

그래프를 살펴보면 PSC 거더가 활하중이 재하된 상태에서도 모든 그림 4. RC 와 PSC 와의 거동 비교

단면이 인장력이 없는 상태가 되도록 설계되었다면(Full prestressing


로 설계) 공용 중 균열이 발생하지 않고 그 값이 거의 일정하게 4. PSC 거더의 변위, 응력, 단면력, 반력
유지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사실은 PSC 거더를
①균등질 보의 개념(Stress concept 또는 Homogeneous beam PSC 거더를 설계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수치해석 모델을 작성하
concept)과 ②내력 모멘트 개념(Strength concept 또는 C-Line 고 해석하여 그 결과(변위, 응력, 단면력, 반력)를 이용하여야 한
concept)으로 해석할 수 있는 이론적∙실제적 가정이다. 다. 요즘은 대부분 긴장재를 모사할 수 있는 FEM(Finite Element
Method)을 이용한다. 여기서 원하는 해석 결과 종류에 따라
공용 중 긴장력의 변화가 없다는 점을 기억해 두면 PSC 거더와 Primary 결과와 Secondary 결과를 다르게 중첩시켜야 된다는 점
철근콘크리트(Reinforced concrete, 이후 RC) 거더의 거동의 근본 에 유의하여야 한다.
적인 차이를 쉽게 이해할 수 있다.
구조역학적인 관점에서 기본 구조물의 거동 결과인 Primary 결과
RC 거더의 경우 외력이 증가함에 따라 균열이 발생하고 콘크리트 와 구속(Restraint)에 의한 거동 결과인 Secondary 결과를 구분하
압축응력의 합력(압축력)과 인장철근의 합력(인장력)이 커지며 같 는 것이 필요하다. Primary 결과의 의미는 본래 구조물을 기본 구
은 두 힘(콘크리트의 압축력과 인장철근의 인장력)의 팔길이에 따 조물로 변경한 상태에서의 해석 결과를 의미하며 Secondary 결과
른 우력모멘트로 외력에 저항한다. 실제로 콘크리트 압축력의 위 는 기본 구조물을 본래 구조물로 되돌릴 때 부가되는 구속에 의
치는 하중이 증가함에 따라 아주 미소하게 중립축 방향으로 이동 한 구속력의 해석 결과를 의미한다.
하지만 그 양은 미소하므로 거의 변화가 없다고 생각해도 무방하
다.

반면에 PSC 거더는 외력이 없을 때에는 긴장재의 긴장력과 콘크


리트 압축력은 서로 동일한 값이며 그 위치는 긴장재 도심과 같
게 된다. 외력이 증가함에 따라 콘크리트 압축력의 위치가 긴장재
도심을 벗어나면서 팔길이를 갖게 되고 그 팔길이에 따른 우력모
멘트로 외력에 저항한다. 만약 하중이 증가함에 따라 긴장재의 긴
장력이 변화된다면 PSC 보는 완전한 비선형 거동이 되어 복잡한
해석이 필요하였을 것이다.

3
MIDAS Technical Leader’s Group 01. 실시공을 고려한 PSC 거더의 설계 (들어가며)

결과의 변형률은 비역학적 변형률임)에 의한 응력은 제외하여야 한다.


③ 단면력은 극한강도 검토시 외력에 의한 계수단면력(Pu, Vu,
Mu, Tu)으로 사용되는 값이다. 순수 긴장력 도입 직후(즉시 손실
발생 직후) 외력(반력 포함)이 없는 초기상태(기본 구조물)부터 최
대상태까지의 단면력 차이가 그 단면이 저항해야 할 총 모멘트를
의미하기 때문에 계수단면력을 산정할 때 긴장력에 의한 Primary
fck=30MPa Ap=2951.55mm2 결과를 중첩하지 않아야 한다. 그 반면 긴장력에 의한 Secondary
Ec=25.978GPa μ=0
결과는 기본 구조물의 초기상태에 부가적인 구속력(일종의 외력)
Ep=196.13GPa κ=0
을 가하여 최대상태 및 단면력 차이를 변화시키므로 반드시 그 값
fpu=1857MPa No Slip
fpy=1580MPa Pj=Pi=Pe=907kN 을 포함시켜야 한다.
④ 반력은 비역학적 변형률은 제외하고 긴장력의 Primary 결과는
자중 긴장력 합계 1절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힘의 평형을 유지하고 있어 반력을 발
생시키지 않으므로 제외하여야 한다.

Primary -
5. PSC 거더 설계시 실시공을 고려하기

많은 설계자들이 PSC 거더 설계시 각종 설계기준과 많은 사례를


Secondary -
충실히 따라 경제적이고 안전하게 설계하면 된다고 생각하고 있
을 것이다. 필자도 과거 설계사 재직시 똑같은 생각을 가지고 있
었다. 시공 업체로 이직하고 근무해 보니 그것만으로 부족하다고
Summation 여겨졌다. 실시공시 문제가 발생하기도 하고 시공 자체가 불가능
한 경우도 있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필자는 설계시 고려할 수 있
는 실시공 사항들을 이야기하고자 본 칼럼을 시작한 것이다. 과연
그림 5. Primary와 Secondary 비교를 위한 해석예제 본 컬럼의 제목처럼 실시공을 고려하여 PSC 거더를 설계한다는
의미가 무엇일까? 그에 대하여 고민한 결과, 설계자들이 다음 사
선형 탄성 상태에서 본래 구조물의 해석 결과는 위에서 설명한 항들을 좀 더 알게 된다면 실시공을 깊이 있게 이해하고 시공시
Primary 결과와 Secondary 결과의 중첩(Superposition)으로 구할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들을 예상하면서 설계할 수 있을 것으로
수 있는 데 해석 결과의 종류에 따라 아래와 같이 중접하여야 한 판단하여 그와 같이 본 컬럼을 진행하였으면 한다.
다.
01 PT 시스템(Post-Tensioning System) 및 시공

종류 P/S ①변위 ②응력 ③단면력 ④반력 02 정착구역(Disturbed Zone and Bernoulli Zone)의 설계
03 긴장재(Pre-stressing Steel/Tensioning Element)의 배치
Primary ● ● ● ●
외력 04 전체계 구조 모델링(Global Structural Modeling)
Secondary ● ● ● ●
05 캠버(Camber)의 의미와 산정
Primary ● ●
긴장력
Secondary ● ● ● ●
Primary ●
크리프
Secondary ● ● ● ●
Primary ●
건조수축
Secondary ● ● ● ●
Primary ●
온도
Secondary ● ● ● ●

여기서 Primary와 Secondary는 구조역학 관점에서의 구분이며 응


력은 허용응력 검토용 응력을, 단면력은 극한강도 검토용 단면력
을 의미한다.

① 변위는 역학적 변형률이든 비역학적 변형률이든 모두 변위에


기여하므로 모두 중첩하여야 하고,
② 응력은 비역학적 변형률(크리프, 건조수축, 온도에 의한 Primary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