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45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Pre-Stressed Concrete
PSC
3. PSC 설계일반
3.1 설계일반

3.2 PSC의 기본 개념

3.3 하중 단계에 따른 PSC의 거동


학습목표
1. 프리스트레스트 구조 설계의 가정과 부호규약을 이해한다.

2. 프리스트레스트 구조의 기본 개념(응력, 강도, 하중평형)을 정리


하고 이해한다.

3. 특히, 응력개념(긴장재를 직선으로 도심, 직선으로 편심 배치한


경우)과 하중 평형 개념의 상향력(긴장재를 포물선, 절곡으로 배
치한 경우)의 공식은 중요하므로 반드시 이해하고 넘어간다.

4. 하중 단계에 따른 PSC의 거동특성을 파악한다.


3. PSC 설계일반
3.1 설계일반
3.1.1 설계 가정
3.1.2 PSC 설계에서의 부호 규약

3.2 PSC의 기본 개념

3.3 하중 단계에 따른 PSC 거동


설계 가정
 휨모멘트와 축력을 받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강도
설계는 KDS 14 20 20(4.1.1)의 가정을 기준으로
- 단, KDS 14 20 20(4.1.1(4))의 규정은 긴장되지 않은 보강철근
에만 적용

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할 때, 사용하중이 작용할 때, 그리고 균열하


중이 작용할 때의 응력계산은 선형탄성이론을 적용
① 변형률은 중립축으로부터 거리에 직선으로 비례
② 균열단면에서 콘크리트는 인장력에 저항할 수 없다.
설계 가정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휨부재는 미리 압축을 가한 인장구역에
서 사용하중에 의한 인장연단응력 ft에 따라 다음과 같이 비균열
등급, 부분균열등급, 완전균열등급으로 구분

1) 비균열등급 : ft ≤ 0.63 𝒇𝒄𝒌


2) 부분균열등급 : 0.63 𝒇𝒄𝒌 < ft ≤ 1.0 𝒇𝒄𝒌
3) 완전균열등급 : ft > 1.0 𝒇𝒄𝒌
※ 2방향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슬래브는 ft ≤ 0.63 𝒇𝒄𝒌 를
만족하는 비균열등급 부재로 설계
설계 가정
 비균열 등급과 부분균열등급 휨부재의 사용하중에 의한 응력은
비균열단면을 사용하여 계산

 완전균열단면 휨부재의 사용하중에 의한 응력은 KDS 14 20


30(4.2.3(2))에 따라 균열 환산단면을 사용하여 계산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휨부재의 처짐은 KDS 14 20 30(4.2.3)


에 따라 계산
참고사항 - 국가건설기준센터
참고사항 - 국가건설기준센터
부호 규약
 일반적으로 구조물을 해석할 경우에는 인장을 (+), 압축을 (-)로
규정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는 고강도 강재에 인장력을 작용시켜 긴
장시킨 채로 부재에 고정하여 그 반력으로 콘크리트에 압축력을
도입
 콘크리트는 대부분 압축력을 받게 되어 프리스트레스가 작용

 프리트스레스트 콘크리트를 해석할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부호


규약을 적용

압축 (+)
인장 (−)
3. PSC 설계일반
3.1 설계일반

3.2 PSC의 기본 개념
3.2.1 응력개념
3.2.2 강도개념
3.2.3 하중평형개념

3.3 하중 단계에 따른 PSC 거동


PSC의 기본 개념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를 해석할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3가지
의 해석 개념을 활용

(1) 응력개념(Stress Concept) : 균등질보의 개념(homogeneous


beam concept)
(2) 강도개념(Strength Concept)
- 내력개념(internal force concept)
- 내력모멘트개념(internal moment concept)
(3) 하중평형개념(Load Balancing Concept) : 등가하중개념
(equivalent transverse loading)
응력개념(균등질보의 개념)
 취성재료인 콘크리트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면 콘크리트가 탄
성재료로 변환된다는 개념의 해석방법으로 가장 널리 통용되는
해석방법
 콘크리트는 인장에는 약하나 압축에는 강하므로, 미리 프리스트레
싱에 의한 압축을 가함으로써, 콘크리트가 인장에 견딜 수 있으며,
결론적으로 콘크리트는 균열이 발생되지 않는 탄성재료
 콘크리트 부재는 주로 2가지 하중이 발생. 프리스트레스 힘에 의
한 응력(압축응력)과 하중에 의한 응력(휨응력)이 유발
 콘크리트에 균열이 발생하지 않는다면, 프리스트레스 힘과 하중에
의하여 일어나는 응력, 변형도, 처짐 등 계산 가능. 필요한 경우 이
들을 합산(중첩의 원리) 가능
 탄성거동(탄성이론 적용) 내에서는 중첩의 원리 적용 가능
응력개념
 응력개념을 사용하여 PSC 보를 해석할 경우 다음과 같은 4가지의
경우로 콘크리트 부재 내 긴장재(tendon)의 배치방법 가능

(1) 긴장재를 직선으로 도심에 배치한 경우


(2) 긴장재를 직선으로 편심 배치한 경우
(3) 긴장재를 절곡으로 배치한 경우
(4) 긴장재를 곡선으로 배치한 경우
응력개념
 긴장재를 직선으로 도심에 배치한 경우
긴장재를 직선으로 도심에 배치한 경우
(1) 긴장재를 부재의 도심축과 일치시켜 배치하고 힘 𝑷로 인장하여
부재단에 정착 → 콘크리트는 압축력 𝑷를 받게 됨

- 콘크리트 단면에 균일하게 발생하는 압축응력

𝑷
𝒇𝟏 = +
𝑨

(2) 이 부재를 단순지점 위에 설치


→ 자중과 활하중에 의하여 휨모멘트 𝑴 발생

- 휨모멘트로 인하여 단면에 발생하는 휨응력

𝑴
𝒇𝟐 = ± 𝒚
𝑰
응력개념
 콘크리트 응력(조합응력)

𝑷 𝑴
𝒇 = 𝒇𝟏 + 𝒇𝟐 = + ± 𝒚
𝑨 𝑰

f : 콘크리트에 작용하는 응력
P : 프리스트레스 힘
A : 콘크리트의 단면적
M : 외력에 의한 모멘트
I : 총 단면에 대한 단면2차모멘트
y : 중립축으로부터의 거리
응력개념 – 예제 3.2
응력개념 – 예제 3.2
응력개념 – 예제 3.2
응력개념 – 예제 3.3
응력개념 – 예제 3.3
응력개념 – 예제 3.3
응력개념
 긴장재를 직선으로 편심 배치한 경우
긴장재를 직선으로 편심 배치한 경우
(1) 프리스트레싱에 의하여 편심 압력 𝑷 작용
→ 단면도심에 대하여 압축력 𝑷와 모멘트 𝑷𝒆

 프리스트레스 힘에 의한 압축응력

𝑷
𝒇𝟏 = +
𝑨

 편심 재하된 프리스트레스 힘에 의한 휨응력

𝑷𝒆
𝒇𝟐 = ∓ 𝒚
𝑰
긴장재를 직선으로 편심 배치한 경우
(2) 이 부재를 단순지점 위에 설치
→ 고정하중과 활하중에 의하여 휨모멘트 𝑴 발생

 하중(고정하중과 활하중)에 의한 휨응력

𝑴
𝒇𝟑 = ± 𝒚
𝑰

 콘크리트 응력(조합응력)

𝑷 𝑷𝒆 𝑴
𝒇 = 𝒇𝟏 + 𝒇𝟐 + 𝒇𝟑 = + ∓ 𝒚± 𝒚
𝑨 𝑰 𝑰
응력개념 – 예제 3.4
응력개념 – 예제 3.4
응력개념 – 예제 3.4
응력개념 – 예제 3.5
응력개념 – 예제 3.5
응력개념 – 예제 3.5
응력개념 – 예제 3.6
응력개념 – 예제 3.6
응력개념
 긴장재를 절곡 또는 곡선으로 배치한 경우

- 프리스트레스 힘 𝑷는 𝜽 의 경사를 가지고 작용


- 𝑷 는 수평분력(𝑷𝒄𝒐𝒔𝜽)과 수직분력(𝑷𝒔𝒊𝒏𝜽)으로 구분하여 적용
- 수직분력은 전단력으로서 부(-)로 작용하여 정(+)을 감소시키는
효과 발생
응력개념
 긴장재를 절곡 또는 곡선으로 배치한 경우
응력개념
 프리스트레스 힘에 의한 압축응력

𝑷𝒄𝒐𝒔𝜽
𝒇𝟏 = + 𝑃 ∙ 𝑐𝑜𝑠𝜃
𝑨 𝑓1 =
𝐴

 편심 재하된 프리스트레스 힘에 의한 휨응력

𝑷𝒄𝒐𝒔𝜽𝒆𝒙
𝒇𝟐 = ∓ 𝒚
𝑰
응력개념
 하중(고정하중과 활하중)에 의한 휨응력

𝑴
𝒇𝟑 = ± 𝒚
𝑰

 전단력

𝑽 = −𝑷𝒔𝒊𝒏𝜽
응력개념
 앞선 각각의 식에서 𝜽가 미소하면 𝒄𝒐𝒔𝜽 ≒ 𝟏, 𝒔𝒊𝒏𝜽 ≒ 𝟎이 되므로

𝑷𝒄𝒐𝒔𝜽 𝑷
𝒇𝟏 = + =
𝑨 𝑨

𝑷𝒄𝒐𝒔𝜽𝒆𝒙 𝑷𝒆𝒙
𝒇𝟐 = ∓ 𝒚=∓
𝑰 𝑰

𝑴
𝒇𝟑 = ± 𝒚
𝑰

𝑽 = −𝑷𝒔𝒊𝒏𝜽 = 𝟎 → 무시
응력개념
 콘크리트 응력(조합응력)

𝑷 𝑷𝒆𝒙 𝑴
𝒇 = 𝒇𝟏 + 𝒇𝟐 + 𝒇𝟑 = + ∓ 𝒚± 𝒚
𝑨 𝑰 𝑰

𝒄𝒐𝒔𝜽 ≒ 𝟏, 𝒔𝒊𝒏𝜽 ≒ 𝟎
응력개념
 긴장재를 곡선으로 배치한 경우에도 절곡 배치한 경우와 같은 개념으로 해석 가능

 긴장재의 배치 방법
(1) 긴장재를 직선으로 도심 배치한 경우
 프리스트레싱에 의하여 부재단면에 축방향 압축력만 발생

(2) 긴장재를 직선으로 편심 배치한 경우


 프리스트레싱에 의하여 부재단면에 축방향 압축력 및 부(-)의 휨모멘트 발생

(3) 긴장재를 절곡 또는 곡선으로 배치한 경우


 프리스트레싱에 의하여 부재단면에 축방향 압축력 및 부(-)의 휨모멘트, 부(-)의
전단력 발생

 긴장재의 배치 방법에 따른 역학적 효과


- 절곡 또는 곡선 > 직선으로 편심 > 직선으로 도심
응력개념 – 예제 3.7
응력개념 – 예제 3.7
응력개념 – 예제 3.8
응력개념 – 예제 3.8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