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

콘크리트구조설계기준 (2007)

™ 강도설계법 ™ 순인장변형률(εt )에 따른 강도감소계수(Φ) 변화


*3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강도가 하중계수를 고려한 예상하중을 지지하는데 충분하고 사용하중 수준에서 구조의 사용성이 보장되는 것을 Ø Ø = 0.7 + (εt - εy ) X S
만족시키는 설계법 0 85
0.85
소요강도(U) ≤ 설계강도(Φⅹ공칭강도)

∙소요강도 : 사용하중에 예상을 초과하는 하중 및 구조해석의 단순화로 인하여 발생되는 초과 요인을 고려한 하중계수를 곱하여 계산 Spiral
0.70
*3
∙설계강도 : 재료의 강도 및 단면치수, 제작 시공 기술 오차를 고려하기 위하여 공칭강도에 1.0보다 작은 값인 강도감소계수 Φ를 곱하여 Ø = 0.65 + (εt - εy ) X O
0.65
계산 Other
∙설계목표
Compression Transition Tension
(1)계수하중상태에서의 안전성 확보
Controlled Controlled
(2)취성파괴 방지,
방지 연성파괴 유도
(3)사용하중상태에서 사용성 확보(처짐, 균열, 피로, 진동 등)
εt = εy εt
주)
3. 여기서, εt 는 최외단 인장철근의 순인장변형률
™소요강도
Code Eq.
소요강도 D=고정하중 또는 이에 의해서 생기는 단면력 인장지배 휨부재 허용값
No. 철근의 압축 지배
E=지진하중 또는 이에 의해서 생기는 단면력
설계기준 변형률 한계 S O
U=1
U 1.4(D+F+H
4(D+F+HV) 331
3.3.1 F=유체의
F 유체의 밀도를 알수 있고,있고 저장 유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유체의 중량 및 압력에 의한 하중
항복강도 (εt =εy ) 변형률한계 휨부재에 대한 최소허용
해당 철근비
또는 이에 의해서 생기는 단면력 (εt ) 해당 철근비 변형률
U=1.2(D+F+T)+1.6(L+αHHV+Hh)+0.5(Lr 또는 S 또는 R) 3.3.2
HV=흙, 지하수 또는 기타 재료의 자중에 의한 연직
방향 하중, 또는 이에 의해서 생기는 단면력 300 MPa 0.0015 0.005 0.563ρb 300/7 400/7 0.004 0.643ρb
U=1.2D+1.6(Lr또는 S 또는 R)+(1.0L 또는 0.65W) 3.3.3 Hh=흙, 지하수 또는 기타 재료의 횡압력에 의한 수
평방향 하중, 또는 이에 의해서 생기는 단면력
L=활하중 또는 이에 의해서 생기는 단면력 350 MPa 0.00175 0.005 0.594ρb 600/13 800/13 0.004 0.679ρb
U=1.2D+1.3W+1.0L+0.5(Lr 또는 S 또는 R) 3.3.4 Lr=지붕활하중 또는 이에 의해서 생기는 단면력
R=강우하중 또는 이에 의해서 생기는 단면력 400 MPa 0 002
0.002 0 005
0.005 0 625ρb
0.625ρ 50 200/3 0 004
0.004 0 714ρb
0.714ρ
S=적설하중 또는 이에 의해서 생기는 단면력
U=1.2D+1.0E+1.0L+0.2S 3.3.5
T=온도, 크리프, 건조수축 및 부등침하의 영향 등
에 의해서 생기는 단면력 500 MPa 0.0025 0.00625 0.595ρb 40 160/3 0.005 0.688ρb
U=1.2(D+F+T)+1.6(L+αHHV)+0.8Hh+0.5(Lr 또는 S 또는 R) 3.3.6 W=풍하중 또는 이에 의해서 생기는 단면력
αH=토피의 두께에 따른 연직방향 하중 Hv에 대한
U=0.9D+1.3W+1.6(αHHV+Hh) 3.3.7 보정계수
h ≤ 2m에 대해서, αH= 1.0 ™ 최외측 인장철근 철근 중심간격 제한(사용성 검토)
U=0.9D+1.0E+1.6(αHHV+Hh) 3.3.8 h > 2m에 대해서, αH= 1.05-0.025h ≥ 0.875

⎛ 210 ⎞
s = 375 ⎜ ⎟ − 2.5cc (6.3.3)
™ 강도감소계수 ⎝ fs ⎠
⎛ 210 ⎞
인장지배 단면*1 0.85 순인장변형률(εt)=공칭축강도에서 최외단 인장철근 또는 s = 300 ⎜ ⎟ (6.3.4)
긴장재의 인장변형률에서 유효 프리스트레스, 크리프, 건 ⎝ fs ⎠
압축지배 단면*2 조수축, 온도변화에 의한 변형률을 제외한 인장변형률 위식 (6.3.3)과 (6.3.4)에 의해 계산된 값 중에서 작은 값 이하로 철근의 중심간격 제한
나선철근으로 보강된 철근콘크리트 부재 0.70
그외의 철근콘크리트 부재 0.65 주) cc :인장철근이나 긴장재의 표면과 콘크리트 표면사이의 최소 두께
1 인장지배 단면 :순인장변형률이 인장지배 변형률 한계
1.
사용하중 상태에서 인장연단에서 가장 가까이에 위치한 철근의 응력(  f y × 2 / 3)
fs :사용하중
0.70(0.65) 이상인 단면
전이구역[εy(fy /Es) < εt ≤0.005(0.00625)]
~0.85
2. 압축지배 단면 : 콘크리트 압축연단 변형률이 0.003에
전단력과 비틀림모멘트 0.75
도달할 때, 최외단 인장 철근의 순인장변형률이 압축지배 ™ 콘크리트 탄성계수
변형률 한계 이하인 단면
콘크리트의 지압력(포스트텐션 정착부나 스트럿-
타이 모델은 제외)
0.65 구분 강재종류 εt, ccl εt, tcl ⋅mc = 1,450 ~ 2,500kg / m 3

포스트텐션 정착구역 0 85
0.85
E c = 0.077mc1.5 3 fcu (MPa) (3.4.1)
S 400 이하
SD εy 0 00
0.005
RC ⋅보통골재 사용 콘크리트(mc = 2,300kg / m 3 )
스트럿-타이 모델과 그 모델에서 스트럿, 타이, 절 SD 400 초과 εy 2.5εy
0.75
점부 및 지압부 E c = 8,500 3 fcu (MPa) (3.4.2)
PSC PS강재 0.002 0.005
무근콘트리트의 휨모멘트, 압축력, 전단력, 지압력 0.55 여기서, mc : 콘크리트 단위질량, fcu = fck + 8(MPa) (3.4.3)
™ 압축부재 강도감소 계수 적용 예 2. 인장지배단면 한계순인장변형률 εt=0.005(인장파괴)

ε's (1)fs 산정
500
εs = 0.005 εc= 0.003 fs = E s εs = 200,000 × 0.005 = 1000MPa > f y = 300MPa ∴ fs = 300MPa
80 340 80

d' (2)C & a 산정


콘크리트 설계기준 강도 : fck = 24 MPa
c C d −c
철근의 설계기준 항복 강도 : fy = 300 MPa =
80

Cb 0.003 0.005
철근의 탄성계수 : Es=200,000 MPa
d=420 0.003 0.003
4-D29 = 2,569.6mm
2
C = ×d = × 420 = 157.5mm
300

140

1.압축지배단면 한계 순인장변형률 εt=0.0015 (균형파괴)

b
0.003 + 0.005 0.008
2.인장지배단면 한계 순인장변형률 εt=0.005 (인장파괴)
a = β1C = 0.85 × 157.5 = 133.875mm
(3)fs' 산정
80

3.순인장변형률 εt=2εy (전이구간)


⎛C − d ' ⎞ ⎛ 157.5 − 80 ⎞
d'
d d fs' = E s εs' = E s εc ⎜ ⎟ = 200,000 × 0.003 × ⎜ ⎟ = 295MPa
⎝ C ⎠ ⎝ 157 5 ⎠
157.5
h (4)Pn & M n 산정
Pn = Cc + Cs −T = 0.85fck ab + As'fs' − Asf y = 0.85 × 24 × 133.875 × 300 + 2,569.6 / 2 × 300 − 2,569.6 / 2 × 295
1. 압축지배단면 한계 순인장변형률 εt=0.0015 (균형파괴)
= 819,315 + 385,380 − 378,957 = 825.738kN
d'
C ⎛h a ⎞ ⎛h ⎞ ⎛h ⎞
L a M n = Cc ⎜ − ⎟ + Cs ⎜ − d ' ⎟ + T ⎜ − d ' ⎟ = 279.923kN ⋅ m
ε's ⎝2 2⎠ ⎝2 ⎠ ⎝2 ⎠
d'
εs = 0.0015 εc= 0.003 Mn
e= = 0.339m
pn

d' εs = 0.005이므로, φ=0.85


T
Cb Cc C s φPn = 0.85 × 825.738 = 701.877kN
d=420 h φM n = 0.85 × 279.923 = 237.935kN ⋅ m

(1)Cb & ab 산정 3. 순인장변형률 εt=2ε


2εy=0.003
0.003 (전이구간)
εc 0.003 (1)fs 산정
Cb = d = × 420 = 280mm
f 0.003 + 0.0015 fs = E s εs = 200,000 × 0.003 = 600MPa > f y = 300MPa ∴ fs = 300MPa
εc + y
Es (2)C & a 산정
ab = β1C = 0.85 × 280 = 238mm C d −c
=
(2)fs' 산정 0.003 0.005
0.003 0.003
⎛C − d ' ⎞ ⎛ 280 − 80 ⎞ C = ×d = × 420 = 210mm
fs' = E s εs' = E s εc × ⎜⎜ b = 200,000 × 0.003 × ⎜ ⎟ = 429 MPa > f y ∴ fs = 300 MPa 0.003 + 0.003 0.006
⎟⎟
⎝ Cb ⎠ ⎝ 280 ⎠ a = β1C = 0.85 × 210 = 178.5mm
(3)Pb & M b 산정 (3)fs' 산정
Pb = Cc + Cs − T = 0.85fck ab + As'fs' − Asf y = 0.85 × 24 × 238 × 300 + 2,569.6 / 2 × 300 − 2,569.6 / 2 × 300 ⎛C − d ' ⎞ ⎛ 210 − 80 ⎞
fs' = E s εs' = E s εc ⎜ ⎟ = 200,000 × 0.003 × ⎜ ⎟ = 371MPa > f y = 300MPa ∴ fs = 300MPa
'
= 1,456,560 + 385,380 − 385,380 = 1456.56kN
⎝ C ⎠ ⎝ 210 ⎠
⎛h a ⎞ ⎛h ⎞ ⎛h ⎞ (4)Pn & M n 산정
M b = Cc ⎜ − ⎟ + Cs ⎜ − d ' ⎟ + T ⎜ − d ' ⎟ = 321.859
321 859kN ⋅ m
⎝2 2⎠ ⎝2 ⎠ ⎝2 ⎠ Pn = Cc + Cs −T = 0.85fck ab + As'fs' − Asf y = 0.85 × 24 × 178.5 × 300 + 2,569.6 / 2 × 300 − 2,569.6 / 2 × 300
M
eb = b = 0.221m = 1,092,420 + 385,380 − 385,380 = 1,092.42kN
pb
⎛h a ⎞ ⎛h ⎞ ⎛h ⎞
εs = 0.0015 이므로, φ=0.65 M n = Cc ⎜ − ⎟ + Cs ⎜ − d ' ⎟ + T ⎜ − d ' ⎟ = 306.656kN ⋅ m
⎝2 2⎠ ⎝2 ⎠ ⎝2 ⎠
φPn = 0.65 × 1456.56 = 946.764kN
Mn
φM n = 0.65 × 321.859 = 209.208kN ⋅ m
φ e= = 0.281m
pn
εs = 0.003 이므로, φ = 0.65 + (0.003 - 0.0015) × 400/7 = 0.736
φPn = 0.736 × 1,092.42 = 804.021kN
φM n = 0.736 × 306.656 = 225.699kN ⋅ m

http://kor.midasuser.com/civil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