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5

개요 - 내진설계란?

ㄴ 내진(耐震)은 지진에 견디는 특성, 내진설계는 지진에 의해 건물이 손상되


는 것을 막기 위해 견딜 수 있도록 건축물을 설계하는 것.

지진이 일어났을 때, 건물의 붕괴를 방지하는 것.

지진에 대한 설계 방법 종류

1. 내진설계(내진구조) - '지진을 견디도록 강하게 설계한다.'

구조체가 지진하중을 견디도록 설계하는 것. 말 그대로 건물의 내구성으로 지


진을 버틸 수 있게 한 구조. 철근 콘크리트, 내진벽과 같은 부재 사용

단순히 건물의 내구력만 높였기 때문에 진동과 같은 2차피해에는 취약

->보강 구조를 사용

-부재의 단면을 키우는 강성설계

-부재의 연성능력 향상을 통해 지진에너지를 상쇄시키는 연성설계

강성설계 - 항복하지 않을 만큼 크게 부재를 키우기 때문에 비경제적.

연성설계

2. 면진설계(면진구조) - '지진의 영향을 최대한 피한다.'

흔들림을 피하는 구조. 건물을 지반으로부터 띄워 지진의 영향을 피함 그러나


기술적으로 쉽지 않음. 따라서 구조물과 기초 사이에 특정 면진 장치를 통해 구조물
에 전달되는 지진의 영향을 최소화하는 설계.

-> 건물과 지면 사이에 면진 장치를 설치

*면진장치는 크게 탄성받침계열(elastomericbearings)과 슬라이딩받침계열(sliding bearings)로나


눌 수 있다

- 탄성받침계열(elastomeric bearings)

1. 납면진장치(lead rubber bearing)

= 적층고무받침(하중지지, 지진격리 기능)+ 납심(에너지 흡수 기능)

납심의 크기를 조절해 진동에너지 흡수기능과 잠금장치 기능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


기 때문에 건물의 크기 및 특성에 맞추어 설계할 수 있음.
2. 고감쇠고무장치(highdamping natural rubber bearing)

= 납면진장치에서 납심이 제거된 형태

고무자체의 고감쇠 기능을 이용하여 에너지 흡수능력을 가진 면진장치

- 슬라이딩받침계열

1. 평판 슬라이딩받침(flat sliding bearing)

2. 원호형 슬라이딩받침(spherical sliding bearing)


건축물이 부드럽게 미끄러지도록 마찰력이 거의 없는 마찰면을 이용한 장치.

슬라이딩계열 면진장치는 수평방향 강성이 낮아 에너지 소산장치와 함께 사용. 풍


하중에 대비해기 위하여 탄성거동메커니즘 활용. 슬라이딩 면진장치는 과잉력이 낮아
지진 발생 시 거동을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건축물에 주로 사용.

3. 제진설계(제진구조) - ‘지진의 충격을 흡수한다.’


건물에 설치된 장치를 통해 지진의 피해를 흡수하는 구조. 댐퍼(Damper)라고
불림. 외부 충격으로부터 골격을 보호하는 인간의 근육과 비슷한 역할. 건축비가 많
이 든다는 단점이 있으나 효율과 안정성이 뛰어남. 주로 고층이나 초고층 건물에 사
용됨. 최근에는 단독주택에도 사용됨.

제진장치는 수동형, 능동형으로 구분됨. 보통 수동형 제진장치를 주로 사용함.

1. 수동형 제진장치
외부의 전력공급 없이 지진에너지의 일정부분을 소산할 수 있도록 고안됨

2. 능동형 제진장치

입력신호(하중의 크기와 방향)에 따라 제진장치가 이에 반작용하여 구조물의


진동을 제어하는 방식. 신호를 사용하므로 외부 전원장치, 액추에이터(actuator;에너
지를 이용하는 원동기), 센서제어기술 등이 필요함.

수동형 댐퍼에서 에너지소산형에는 변위의존형, 속도의존형으로 나뉜다.

변위의존형 제진장치는 강재이력형, 마찰형이 속하고 속도의존형에는 점성, 점ㆍ탄성


이 속한다.

강재이력형(강재 댐퍼) - 강재가 항복변형도 이상의 변형을 하게 되면 지진에


너지가 소산되는 특징을 이용. 제진장치의 에너지 소산량이 극대화되어 나머지 구조
시스템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함.

마찰형(마찰 댐퍼) - 마찰면의 마찰력과 미끄러짐의 역학관계를 이용하여 지


진에너지를 소산시킬 수 있도록 고안. 다양한 가진동조건 하에 많은 사이클 수에 대
해 온도에 민감하지 않고, 좋은 성능과 안정적인 이력거동을 가지고 있음.

점성 댐퍼 – 유도된 구멍을 통해 흐르는 점성유체의 저항 원리로 작동함. 가


해지는 에너지는 유동분자와 장치구성요소 간의 마찰로 인한 점성열에 의해 소산됨.

*두 개의 챔버(chamber)와 오리피스(orifice)가 있는 피스톤(piston)과 장치의 외관을 형성


하는 실린더(cylinder)로 구성되어있다. 오리피스는 점성물질이 이동할 수 있는 피스톤 헤드에
있는 가는 관(통로)을 말한다. 피스톤 헤드에 의해서 나누어지는 두 개의 챔버에는 점성물질로
채워지며, 압축 액체 실리콘(compressed silicone fluid)이 주로 사용된다.

점성물질의 밀도가 높을수록, 오리피스의 단면적에 대한 피스톤 헤드의 단면적 비와


피스톤의 운동 속도가 클수록 점성 제진장치의 저항력이 커지게 됨. 속도에 의한 감
쇠력만 제공하기 때문에 변위에 대한 저항 시스템이 요구됨.

점ㆍ탄성 댐퍼 – 점성 댐퍼와 달리 변위에 대한 저항을 위한 탄성력을 갖고


있음. 전단변형이 일어날 때, 진동에너지가 열의 형태로 소산되도록 설계됨. 바람, 지
진에 대비해 고층건물에 적용됨.

수동형 댐퍼에는 관성력을 이용한 감쇠기도 있음. 동조질량감쇠기(TMD), 동


조액체감쇠기(TLD)가 있음. 동조질량감쇠기(TMD)는 건물이 흔들릴 때 무게추도 같이
흔들리게 하여 그 관성력으로 외력(外力)을 줄임. 동조액체감쇠기(TLD)를 이용하는
방법은 동조질량감쇠기와 비슷한 원리이지만, 무게추 대신 액체를 사용함.
동조액체감쇠기

‘타이페이 101’ 건물에 사용된 동조질량


감쇠기.

수동형 댐퍼(에너지 소산형) 종류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