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

3.

연구결과

태엽 스프링을 활용한 휄체어 동력 연구


백건우 조재인 ․
세종과학예술영재학교

A study on wheelchair power using springs.

Cho jaein ․BaekGeonu


Sejong Academy of Science and Arts

길거리나 대부분의 건물에서 휠체어의 사용이 어려움을 느꼈다. 오르막 길과 같이 휠체어를 사용하여
가기 위해 큰 힘이 필요한 곳에서 힘이 부족할 경우 자의적으로 해결하기 어려울 것이다. 이를 위해
동력이 구현된 휠체어를 구상해 보았고 친환경적인 동력이 가능한 구조를 생각해 보다 태엽을 떠올리
게 되었다. 휠체어를 놔둔 상태에서 태엽을 손으로 감을 수 있도록 하고 동력이 필요할 때 사용자가 [Fig. 1] 태엽의 구조와 관련 상수
태엽을 풀 수 있도록 하여 휠체어를 끌기 쉽게 할 수 있도록 구상하였다. 태엽스프링을 주문제작하고
태엽스프링을 바퀴와 연결시키며 사용자가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장치를 만들어 휠체어에 사용할 수 있
도록 만들었다. 태엽의 복원력은 태엽 스프링의 외경, 내경, 폭, 두께 등에 따라 달라진다. 위 그림은 태엽의 힘에
영향을 주는 여러 상수들이며 위의 정보를 이용하여 태엽의 스프링 상수, 표면 응력 등을 구할 수 있
다. 스프링의 계산공식은 다음과 같다.
Ⅰ. 서론  
스프링 상수    , 스프링의 표면 응력   
  

휠체어를 탄 사람의 경우 누가 끌어줄 수도 있지만 혼자 가게 되는 경우, 오르막길 또는 내리막길


1.2. 태엽의 동력장치로서의 활용
등의 험지에서 휠체어를 제어하기 어렵고 힘에 부치는 경우가 더러 생긴다. 이런 상황에서의 위험을 방
보통 태엽 스프링은 시계, 장난감 등 큰 힘을 필요로 하지 않는 작은 장치에 주로 사용된다. 우리는
지하기 위해 전동 휠체어와 같은 전기 동력을 사용하는 휠체어를 사용하기도 하지만, 전동 휠체어의 경
태엽을 휠체어와 같은 큰 힘이 필요한 장치의 동력으로 사용하려 하기 때문에 태엽의 복원력이 동력으
우 일반 휠체어에 비하여 가격이 상대적으로 비싸고 유지, 보수 비용이 많이 들어간다는 단점이 있다.
로 사용되기에 충분한지 알아보았다.
이 때문에, 형편이 어려운 경우 전지 전동 휠체어를 사용하는데에는 부담이 있다. 우리는 경제성을 생
‘태엽의 풀림 힘에 의한 동력 발생 장치(공개특허 10-2004-0000366)’이라는 특허에 따르면 태엽의 풀
각하여 전기가 아닌 친환경적인 동력을 휠체어에 장착하여 오르막길 등에서 휠체어를 쉽게 끌 수 있도
리는 힘이 가속 전동기어를 통해 동력으로 쓰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록하고 험한 길어서도 안전성을 보장하는 휠체어를 제작해 보려고 한다.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및 절차

1. 태엽 1. 태엽 장치 제작

재료: 나무 합판 (두께 5mm),


1.1. 태엽의 원리
태엽이란 탄성을 동력으로 이용하는 물건으로 얇은 띠 모양의 금속을 감은 것이다. 태엽 스프링을 감 태엽 2개 (크기: (두께(mm)X폭(mm)X길이(mm)) 0.25X15.5X4000, 0.1X10X2000)
으면 금속판이 탄성에너지를 축적하고 원래 상태로 풀리려는 복원력을 가진다.
태엽을 손으로 직접 감거나 기어에 의해 감아지는 장치를 제작한다. 태엽장치를 감는 부분은 한
쪽으로만 돌아가도록 설계했으며 태엽이 풀릴 때 장치가 돌아가며 기어가 함께 돌아간다.

태엽 장치의 도면은 그림1과 같으며 일러스트를 이용하여 설계했다.


는다.
3. 고정장치를 풀고 휠체어를 끌면 태엽이 감긴다.
4. 고정장치를 풀고 휠체어를 밀면 태엽이 풀리며 미는 힘을 줄일 수 있다.

Ⅴ. 고찰

본 실험에서는 태엽이 휠체어와 같은 시계, 장난감과 같은 작은 장치보다 비교적 큰 동력이 필요한


휠체어, 손수레 등에 충분한 동력을 줄 수 있는지는 정량적으로 보이지 못했다. 다양한 태엽들을 이용
해 힘의 크기를 측정하는 실험을 통해 장치에 알맞은 크기의 태엽을 찾아볼 필요성이 보인다.
[Fig. 2] 태엽장치 도면

Ⅵ. 결론

5mm나무 합판을 이용하여 다른 크기의 태엽이 들어간 태엽 장치 3개를 각각 제작한다. 완성


태엽을 이용하여 휠체어와 같은 큰 동력을 필요로 하는 장치를 움직이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음을 알 수
된 태엽 장치의 외형은 그림 2와 같다.
있다. 위 연구에서 설계한 태엽 장치를 사용하면 장치에 큰 동력을 부여할 수 있으며 동시에 브레이크, 엔
진 브레이크 등의 작용을 통해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다.

■ 참고문헌

[1] 이일구(2003), ‘태엽의 풀림 힘에 의한 동력 발생 장치’, 공개특허, 출원번호 10-2003-0081454


[2] ‘Makerbot thingiverse’, ‘GEARBOX’, 2019.10.31, GEARBOX by mijael08 – Thingiverse
[3] 신남수(2009), ‘태엽을 동력원으로 하는 발전기’, 공개특허, 출원번호 10-2009-0113031
[4] TECH SPRING, ‘나선형 비틀림 스프링’, 나선형 비틀림 스프링 | 스프링 제조업체-Tech Spring / TSI / TSMC
(da-yi.com.tw)
[Fig. 3] 태엽 [Fig. 4] 태엽 장치

위의 태엽 장치의 손잡이를 잡고 반시계 방향으로 돌리면 태엽이 감기게 된다. 고정 장치 때문에


손잡이는 반시계 방향으로 밖에 돌 수 없고 태엽이 풀릴 때는 태엽 장치 전체가 시계방향으로 돌
아가면서 태엽이 풀리게 된다.

2. 본체 제작
위에서 만든 태엽과 변속기를 이용해 휠체어 본체를 제작한다. 본체는 작동원리를 잘 알아 볼
수 있도록 손수레의 형태로 설계하였으며 본체의 설계도 일러스트를 이용했으며 설계 도면은 다
음과 같다.

Ⅳ. 연구 결과

제작한 장치의 동력 작동의 편리성을 위해 프로토타입을 제작하였다 동력 연구 후 실제 휠체어 제품


에 적용해 볼 예정이다.
제작한 프로토타입 기능 및 사용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고정 장치를 걸고 밀면 태엽과 무관하게 굴러간다. 끌면 브레이크가 걸린다.


2. 고정 장치를 풀고 바퀴가 바닥에 고정된 상태에서 태엽 손잡이를 반시계 방향으로 돌려 태엽을 감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