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0

공개특허 10-2013-0063166

(19) 대한민국특허청(KR) (11) 공개번호 10-2013-0063166


(12) 공개특허공보(A) (43) 공개일자 2013년06월14일
(51) 국제특허분류(Int. Cl.) (71) 출원인
E02F 5/32 (2006.01) 박철민
(21) 출원번호 10-2011-0129538 서울특별시 구로구 구일로4길 46, 205동 405호 (
(22) 출원일자 2011년12월06일 구로동, 현대연예인아파트)
심사청구일자 2011년12월06일 (72) 발명자
박철민
서울특별시 구로구 구일로4길 46, 205동 405호 (
구로동, 현대연예인아파트)
(74) 대리인
조철현
전체 청구항 수 : 총 5 항
(54) 발명의 명칭 진동 리퍼

(57) 요 약
본 발명은 진동리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진동기능을 추가하여 보다 단단하고 강한 암석까지 파쇄할 수
있으며, 리퍼 블레이드와 하우징을 링크부재로 결합하므로 방진 및 지지구조가 개선되며, 그로 인해 소음이 발생
되지 않는 진동 리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소정의 진동공간이 형성되며 상부가 중장비의 고정 브라켓과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구비되어 지면 또는 암반을 굴삭하기 위하여 일측에 진동유닛이 결합되는 리퍼 블
레이드; 상기 진동유닛이 진동할 때 상기 리퍼 블레이드가 소정구간 상하운동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리퍼 블레이
드를 링크 결합시키되, 'ㄷ'형상으로 형성되어, 폐쇄된 측이 하우징에 관통되어 결합되고, 개방된 측은 리퍼 블
레이드에 관통되어 결합되되, 상부 및 하부에 구비되는 링크부재를 포함한다.
대 표 도 - 도1

-1-
공개특허 10-2013-0063166

특허청구의 범위
청구항 1

소정의 진동공간이 형성되며 상부가 중장비의 고정 브라켓과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101)가 형성되는 하우징
(100);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에 구비되어 지면 또는 암반을 굴삭하기 위하여 내부에 편심회전 되도록 형성되는 회전
부재(220)가 수용되는 진동유닛(210)이 결합되는 리퍼 블레이드(200) 및

상기 진동유닛(210)이 진동할 때 상기 리퍼 블레이드(200)가 소정구간 상하 운동되도록 상기 하우징(100)에 리


퍼 블레이드(200)를 링크 결합시키되, 'ㄷ'형상으로 형성되어, 폐쇄된 측이 하우징(100)에 관통되어 결합되고,
개방된 측은 리퍼 블레이드(200)에 관통되어 결합되되, 상부 및 하부에 구비되는 링크부재(300)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리퍼.

청구항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0)은,

상기 링크부재(300)가 상하운동을 할 때 타격에너지를 증가시키기 위한 가스충전부(5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진동리퍼.

청구항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충전부(500)는,

에어백 또는 가스실린더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리퍼.

청구항 4

제1 항 또는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220)는,

그 하부에 편심량의 증가시키고, 편심량 대비 많은 힘을 확보하기 위하여 중공부(221)가 형성되고, 상기 중공부


(221)에 중량부재가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리퍼.

청구항 5

제1 항 또는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링크부재(300)는,

상기 리퍼 블레이드(200)가 하강을 제한하는 스톱퍼(3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리퍼.

명 세 서

기 술 분 야
[0001] 본 발명은 진동리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진동기능을 추가하여 보다 단단하고 강한 암석까지 파쇄할 수
있으며, 리퍼 블레이드와 하우징을 링크부재로 결합하므로 방진 및 지지구조가 개선되며, 그로 인해 소음이 발
생되지 않는 진동 리퍼에 관한 것이다.

배 경 기 술
[0002] 일반적으로, 굴삭기는 토사를 굴삭 하는데 사용되는 토목용 차량을 일컫는다. 굴삭기는, 기본적으로 그 암의 일
단부에 장착되어 토사를 퍼 올리기 위한 버킷(bucket)을 구비한다. 또한, 암반이나 콘크리트 구조물을 파쇄하기

-2-
공개특허 10-2013-0063166

위한 브레이커나, 지반의 토양을 긁어모으기 위한 리퍼를, 버킷 대신에 굴삭기의 암 일단부에 장착하여 사용하
기도 한다.

[0003] 특히, 굴삭기용 리퍼는, 지반의 토양을 굴삭하거나, 지반에 매몰되어 있는 석재 등을 토양으로부터 제거하는 데
주로 사용된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0004] (특허문헌 0001) 등록특허 10-0741245호

(특허문헌 0002) 상기 특허문헌은 굴삭기용 니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진동장치가 장착되어, 단단한
지반을 굴삭할 시 보다 용이하게 굴삭할 수 있도록 진동기능을 갖춘 굴삭기용 니퍼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0003) 상기한 굴삭기용 니퍼는 굴삭기의 암에 고정 연결되는 연결 마운트부; 상기 연결 마운트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지반의 토양을 굴삭하기 위한 블레이드 본체; 상기 블레이드 본체에 구비된 지지대에
장착되며, 상기 블레이드 본체에 진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진동수단; 및 상기 연결 마운트부와 상기 블레이드 본
체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블레이드 본체의 상면 일측에 부착되어, 상기블레이드 본체의 상면 일측이 상기 연
결 마운트에 충격을 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진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방진 부재는, 합성 고무 또는 천연
고무로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허문헌 0004)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굴삭기용 니퍼는 진동수단에 의해 블레이드를 상하로 작동하게 되고, 그
상하운동에 의해 암반 또는 지면을 굴삭하는 작업을 하게 된다.

(특허문헌 0005) 그러나 굴삭작업 시 발생되는 진동을 방진고무가 흡수하여 암반 및 바닥면에 전달되는 힘을 감
쇠하게 되는데, 상기 방진고무는 리퍼 블레이드가 상하 좌우로 운동을 할 때 방진고무가 늘어나게 되고 이 때
방진고무의 탄성이 최대한이 되어 더 이상 늘어나지 않게 되면 그 진동은 장비로 전달되기 때문에 소음 및 충격
이 그대로 장비로 전달되어 방진고무뿐만 아니라 장비까지 손상을 입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0006) 또한, 상하운동 도중에 방진고무의 탄성에 의해 니퍼 블레이드가 좌우로도 움직이기 때문에 굴
삭기 등의 중장비가 인장력에 아주 취약하게 되며, 이에 따라 방진고무가 많이 파손되어 자주 교체해야 되는 문
제점이 있었다.

발명의 내용

해결하려는 과제
[0005]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그 목적은 기존의 진동리퍼에 구비되는 방진고무 대
신에 'ㄷ'형 링크부재를 이용하여 리퍼 블레이드 및 하우징을 결합하여 보다 큰 힘을 이용하여 작업할 수 있는
진동 리퍼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과제의 해결 수단
[0006]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소정의 진동공간이 형성되며 상부가 중장비의 고정 브라켓과 결
합되기 위한 결합부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구비되어 지면 또는 암반을 굴삭하기 위하여 내
부에 편심회전 되도록 형성되는 회전부재가 수용되는 진동유닛이 결합되는 리퍼 블레이드; 상기 진동유닛이 진
동할 때 상기 리퍼 블레이드가 소정구간 상하운동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리퍼 블레이드를 링크 결합시키되,
'ㄷ'형상으로 형성되어, 폐쇄된 측이 하우징에 관통되어 결합되고, 개방된 측은 리퍼 블레이드에 관통되어 결
합되되, 상부 및 하부에 구비되는 링크부재를 포함한다.

[0007]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링크부재가 상하운동을 할 때 타격에너지를 증가시키기 위한 가스충


전부를 더 포함한다.

[0008]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스충전부는, 에어백 또는 가스실린더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3-
공개특허 10-2013-0063166

[0009]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는, 그 하부에 편심량의 증가시키고, 편심량 대비 많은 힘을 확보하기 위하


여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중공부에 중량부재가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10]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부 링크부재는, 상기 리퍼 블레이드가 하강을 제한하는 스톱퍼를 더 포함한다.

발명의 효과
[0011] 본 발명의 진동 리퍼에 의하면, 첫째, 기존의 방진고무를 이용하던 진동리퍼에 비해 진동의 발생이 억제되어 진
동리퍼의 수명을 연장하는 효과가 있다.

[0012] 둘째, 하우징과 리퍼 블레이드 간에 'ㄷ'형 링크부재를 이용하므로 상하운동만을 하게 되어 지면 및 암반에 보


다 많은 힘을 전달하여 작업 시간을 단축하는 효과가 있다.

[0013] 셋째, 방진고무를 이용하던 방식이 비해 조립과정이 간소화되고, 그로 인하여 작업능률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0014] 넷째, 'ㄷ'형 링크부재를 이용하므로 굴삭기가 토사나 암반을 앞으로 당기거나 미는 작업을 할 때 작용하는 인
장력을 견고하게 견딜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굴삭기 등의 중장비에 전달되는 진동이 없어 장비의 수명이 길어지
는 효과가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0015] 도 1은 본 발명의 진동리퍼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진동리퍼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작동상태도이다.

도 5는 도 1에서 구비되는 가스충전부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0016]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
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
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
명하기 위하여 제공 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
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
다.

[0017]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의 진동리퍼를 상세히 설명
한다.

[0018] 도 1은 본 발명의 진동리퍼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도 1에서 구비


되는 가스충전부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0019] 도 1, 2 및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진동리퍼는, 양측부가 장방형으로 형성되며, 그 상부는 중장비에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101)가 형성되는 하우징(100)이 구비된다.

[0020] 상기 하우징(100)의 양측 표면에는 상부 및 하부에 그 중심을 연결하면 평행사변형 꼴이 형성되는 결합공이 형


성된다. 편의상 좌측부에 형성되는 결합공을 제1 결합공(111)으로 우측부에 형성되는 관통공을 통공(112)로 명
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상기 통공(112)은 후술할 리퍼 블레이드(200)의 수리 및 교체 시 제2 힌지축(402)을 인
출입 하기 위한 통공으로, 진동리퍼를 완전분해 하지 않고 상기 제2 힌지축(402)을 인출입 하기 위한 관통공이
다.

[0021] 또한,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에는 리퍼 블레이드(200)의 상부가 수용된다. 상기 리버 블레이드(200)의 상부면


일측에는 진동유닛(210)이 결합되며, 상기 진동유닛(210)을 기준으로 우측 상부 및 하부에 상기 통공(112)의 위
치에 대응되는 제2 및 제3 결합공(211, 212)이 형성된다.

[0022] 상기 진동유닛(210)의 내부에는 양측에 서로 맞물려 회전하도록 하는 회전부재(220)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부재


(220)는 편심축 설계된다. 또한, 회전부재(220)의 내부에는 소정공간의 납 등의 중량부재를 채운 후 밀봉할 수

-4-
공개특허 10-2013-0063166

있도록 중공부(221)가 형성된다.

[0023] 따라서 내부가 납으로 채워져 있기 때문에 상기 회전부재(220)가 회전될 때 보다 큰 힘으로 상기 리퍼 블레이드
(200)가 하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0024]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하우징(100)의 내측으로 리퍼 블레이드(200)의 상부가 삽입되고, 상기 하우징(100) 및 리


퍼 블레이드(200) 간에 링크부재(300)가 개재된다. 상기 링크부재(300)는 'ㄷ'형상으로 형성되며, 폐쇄된 측에
제4 결합공(311)이, 개방된 측에 제5 결합공(312)이 형성된다.

[0025] 또한, 상기 제4 결합공(311)이 상기 하우징(100)의 제1 결합공(111) 사이에 위치하도록 한 뒤 상기 제4 결합공


(311)에 제1 힌지축(401)이 삽입된다. 또한, 상기 통공(112)의 위치에 상기 리퍼 블레이드(200)의 제2 및 제3
결합공(211, 212)이 위치하도록 한 뒤 제5 결합공(312)에 제2 힌지축(402)이 삽입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링
크부재(300)는 상부 및 하부 두 곳에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0026] 정리하면, 상기 제1 힌지축(401)에 의해 하우징(100)과 링크부재(300)가 결합되고, 제2 힌지축(402)에 의해 리


퍼 블레이드(200)와 링크부재(300)가 결합되어 상기 리퍼 블레이드(200)가 상하로 이동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
기 제2 힌지축(402)은 통공(112)을 통하여 삽입되지만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여 리퍼 블레이드(200)가 상
하운동을 할 때 하우징(100)과 간섭되지 않도록 구성하여야 한다.

[0027] 한편, 하우징(100)의 상부에는 상기 링크부재(300)가 상하운동을 할 때 타격에너지를 증가시키기 위한 가스충전


부(5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스충전부(500)는 에어백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힌지축(402)의 중
간에 원판형상의 지지부재(501)를 결합하고, 상기 지지부재(501)가 상기 가스충전부(500)의 하부에 접하도록 구
성하여 상기 리퍼 블레이드(200)의 상하운동에 따라 동시에 상하운동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가스충전
부(5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 실린더(510)를 구비하고, 가스 실린더(510)의 단부에 피스톤부재
(511)를 삽입하여 상기 리버 블레이드(200)의 상하운동에 따라 상기 피스톤부재가 동시에 상하운동을 할 수 있
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피스톤부재(511)와 가스 실린더(510)의 내측에는 서로 접하는 면에 실링부재가 개
재되어 가스의 누출을 막게되는 것이다.

[0028] 상기한 가스충전부(500)에 충전되는 가스는 질소가스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029]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진동리퍼의 작동상태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0030]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진동리퍼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작동상태도이다.

[0031]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진동리퍼는 결합부(210)에 의해 중장비 등에 결합되고, 이후 진동유닛


(210)이 가동되면 상기 회전부재(220)는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각각의 회전부재(220)는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회전부재(220)가 상부에 위치되었을 때 상기 링크부재(3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로
회동되며, 동시에 리퍼 블레이드(200) 및 링크부재(200)는 상부로 회동되는 것이다.

[0032] 이후, 상기 회전부재(220)가 하부에 위치하게 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퍼 블레이드(200) 및 링크


부재(300)는 동시에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0033] 따라서 상기한 도 3 및 도 4의 작동을 반복하면서 상기 리퍼 블레이드(200)가 지면 또는 암반을 긁거나 파쇄 하


는 작업을 하는 것이다.

[0034] 여기서 상기 회전부재(220)가 상승하였을 때 상기 지지부재(510)도 동시에 상승하게 되며, 상기 지지부재(510)


가 가스충전부(500)를 가압하여 압축되고, 상기 회전부재(220)가 하강하였을 때 상기 가스충전부(500)의 압축이
해제되면서 상기 리퍼 블레이드(200)에 더 많은 타격에너지를 전달하게 되는 것이다.

[0035] 따라서 회전부재(220)의 회전력 및 가스충전부(500)가 동시에 회전력 및 압축력이 리퍼 블레이드(200)에 전달되
어 보다 큰 힘으로 작업이 가능한 것이다.

[0036]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진동리퍼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
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5-
공개특허 10-2013-0063166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부호의 설명
[0037] 100 : 하우징 101 : 결합부

111 : 제1 결합공 112 : 통공

200 : 리퍼 블레이드 210 : 진동유닛

211 : 제2 결합공 212 : 제3 결합공

220 : 회전부재 300 : 링크부재

311 : 제4 결합공 312 : 제5 결합공

401 : 제1 힌지축 402 : 제2 힌지축

500 : 가스충전부 501 : 지지부재

510 : 가스실린더 511 : 피스톤부재

도면

도면1

-6-
공개특허 10-2013-0063166

도면2

-7-
공개특허 10-2013-0063166

도면3

-8-
공개특허 10-2013-0063166

도면4

-9-
공개특허 10-2013-0063166

도면5

- 10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