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9

공개특허 10-2009-0051825

(19) 대한민국특허청(KR) (11) 공개번호 10-2009-0051825


(12) 공개특허공보(A) (43) 공개일자 2009년05월25일
(71) 출원인
(51) Int. Cl.
한화테크엠주식회사
B23B 9/08 (2006.01) B23Q 3/155 (2006.01)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동 59
(21) 출원번호 10-2007-0118236
(72) 발명자
(22) 출원일자 2007년11월20일
안상철
심사청구일자 2007년11월20일
경남 김해시 장유면 삼문리 대동아파트 103-1401
공덕근
경남 창원시 상남동 대우아파트 16-504호
(뒷면에 계속)
(74) 대리인
이민영
전체 청구항 수 : 총 5 항
(54) 터렛공구대가 형성된 자동선반

(57) 요 약
본 발명은 자동선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메인스핀들과 서브스핀들이 형성되고 상기 메인스핀들의
연장선상에 가공 중 공작물의 진동(떨림)을 방지하기 위한 가이드부쉬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부쉬의 일측에 공
작물의 정면 및 측면을 가공하는 TP1(툴포스트1)과, 상기 TP1의 저면에 형성되어 공작물의 측면 및 배면을 가공
하는 TP3와, 상기 TP1과 가이드부쉬를 사이에 두고 대향되게 터렛공구대를 형성하여 더욱 다양한 가공이 가능한
터렛공구대가 형성된 자동선반이다.
대 표 도 - 도5

- 1 -
공개특허 10-2009-0051825

(72) 발명자 박재읍


임민오 경남 마산시 양덕2동 한일4차아파트 401-2204
부산 사하구 신평동 신평삼창아파트 102-301

- 2 -
공개특허 10-2009-0051825

특허청구의 범위
청구항 1

메인스핀들(10)과 서브스핀들(11)이 형성되어 있는 자동선반에 있어서,

상기 메인스핀들(10)의 연장선상에 형성되어 공작물의 진동을 방지하기 위한 가이드부쉬(12)와, 상기 가이드부


쉬(12)의 일측에 하나 이상의 절삭공구를 장착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공작물의 정면 및 측면을 가공하는
TP1(13)과, 상기 TP1(13)의 하측부에 형성되며 서브스핀들(11)에 척킹된 공작물의 측면 및 배면을 가공하는
TP3(15)와, 상기 TP1(13)과 가이드부쉬(12)를 사이에 두고 대향형으로 형성되며 공작물의 전면, 배면 및 측면을
가공하는 터렛공구대(14)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인 터렛공구대가 형성된 자동선반

청구항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TP1(13)은 공작물의 좌우방향(X1)과 공작물의 상하방향(Y1)으로 왕복운동이 가능한 것이 특징인 터렛공구대

가 형성된 자동선반

청구항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TP3(15)는 공작물의 상하방향(Y3)으로 왕복운동이 가능한 것이 특징인 터렛공구대가 형성된 자동선반

청구항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렛공구대(14)는 공작물의 좌우방향(X2), 상하방향(Y2) 및 전후방향(Z2)으로 왕복운동이 가능한 것이 특징

인 터렛공구대가 형성된 자동선반

청구항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스핀들(10)은 공작물의 전후방향(Z1)으로 이송이 가능한 것이 특징인 터렛공구대가 형성된 자동선반

명 세 서

발명의 상세한 설명

기 술 분 야
<1> 본 발명은 자동선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메인스핀들과 서브스핀들이 형성되고 상기 메인스핀들의
연장선상에 가공 중 공작물의 진동(떨림)을 방지하기 위한 가이드부쉬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부쉬의 일측에
공작물의 정면 및 측면을 가공하는 TP1(툴포스트1)과, 상기 TP1의 저면에 형성되어 공작물의 측면 및 배면을 가
공하는 TP3와, 상기 TP1과 가이드부쉬를 사이에 두고 대향되게 터렛공구대를 형성하여 더욱 다양한 가공이 가능
한 터렛공구대가 형성된 자동선반이다.

배 경 기 술
<2> 종래의 자동선반으로서는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특허 제0748831호와 같은 것이 있으며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자동선반은 공작물 이송을 위한 메인스핀들(10)과 서브스핀들(11)이 형성
되어 있으며 공작물을 가이드해주는 가이드부쉬(12)와, 절삭공구가 장착되어 공작물을 가공하는 툴포스트가 형
성된 자동선반에 있어서, 상기 툴포스트는 가이드부쉬(12)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공작물의 측면을 가공할 수 있
는 TP1(13)과, 상기 TP1(13)과 대향되게 형성되며 공작물의 타측면과 공작물의 전면을 가공할 수 있는 TP2(14)
와, 상기 가이드부쉬의 하부에 형성되어 공작물의 후면을 가공할 수 있는 TP3(15)로 구성되어 있다.

- 3 -
공개특허 10-2009-0051825

<3> 이런 종래의 자동선반은 가이드부쉬를 사이에 두고 TP1과 TP2가 대향형으로 형성되어 동시에 가공이 가능하므로
가공사이클타임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경사진 홀이나 탭 또는 테이퍼면 가공 등 특수한 가공을 수행
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공구홀더가 필요하며, 상기 공구홀더를 장착하는데 필요한 시간으로 인해 툴링에 소요되
는 시간이 많았다.

<4> 또한, TP2에 장착되는 공구의 수도 제한적이어서 공작물의 변경 시 잦은 공구교환이 필요하므로 이로 인해 생산


성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5> 또 다른 종래의 자동선반으로서는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특허 제0657991호가 있으며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6> 이런 종래의 자동선반은 사용자가 몸을 숙인 상태에서 툴링을 진행하므로 툴링 작업이 힘들고, 가이드부쉬의 하
부에 터렛공구대가 형성되어 있음으로 인해 크로스공구대, 외경공구대 및 배면공구대에서 절삭가공으로 발생한
칩이 상기 터렛공구대로 떨어져 터렛공구대 주위에 형성된 슬라이드 커버의 안쪽으로 들어갈 위험이 있으며, 터
렛공구대에 장착되어 있는 공구로 칩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발명의 내용

해결 하고자하는 과제
<7> 따라서, 본 발명은 가이드부쉬를 사이에 두고 TP1과 대향형으로 터렛공구대를 형성하여 더욱 많은 공구를 장착
할 수 있고 다양한 특수가공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터렛공구대가 형성된 자동선반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
다.

<8> 또한, 상기 터렛공구대가 가이드부쉬의 측부에 형성되어 있음으로 인해 TP1에서 행한 절삭가공으로 발생한 절삭
칩이 터렛공구대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 터렛공구대가 형성된 자동선반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효 과
<9> 본 발명에 의한 터렛공구대가 형성된 자동선반은 가이드부쉬를 사이에 두고 TP1과 대향형으로 터렛공구대를 형
성하여 더욱 많은 공구를 장착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특수가공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상기 터렛공구대가 가
이드부쉬의 측부에 형성되어 있음으로 인해 TP1에서 행한 절삭가공으로 발생한 절삭칩이 터렛공구대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


<10> 본 발명은 자동선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메인스핀들과 서브스핀들이 형성되고 상기 메인스핀들의
연장선상에 가공 중 공작물의 진동(떨림)을 방지하기 위한 가이드부쉬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부쉬의 일측에
공작물의 정면 및 측면을 가공하는 TP1(툴포스트1)과, 상기 TP1의 저면에 형성되어 공작물의 측면 및 배면을 가
공하는 TP3와, 상기 TP1과 가이드부쉬를 사이에 두고 대향되게 터렛공구대를 형성하여 더욱 다양한 가공이 가능
한 터렛공구대가 형성된 자동선반이다.

<11>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2> 도 4는 본 발명의 구성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부구성예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정면도로서, 본 발명


에 의한 터렛공구대가 형성된 자동선반은 메인스핀들(10)과 서브스핀들(11)이 형성되어 있는 자동선반에
있어서, 상기 메인스핀들(10)의 연장선상에 형성되어 공작물의 진동을 방지하기 위한 가이드부쉬(12)와, 상기
가이드부쉬(12)의 일측에 하나 이상의 절삭공구를 장착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공작물의 정면 및 측면을 가공하
는 TP1(13)과, 상기 TP1(13)의 하측부에 형성되며 서브스핀들(11)에 척킹된 공작물의 측면 및 배면을 가공하는
TP3(15)와, 상기 TP1(13)과 가이드부쉬(12)를 사이에 두고 대향형으로 형성되며 공작물의 전면, 배면 및 측면을
가공하는 터렛공구대(14)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13> 먼저, 메인스핀들(10)은 가공소재를 척킹하고 회전시키며 이송시키는 주축으로서,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메인


스핀들(10)의 연장선상에 가이드부쉬(12)가 형성되어 있으나 경우에 따라 가이드부쉬(12)가 없이 메인스핀들
(10)이 상기 가이드부쉬(12)가 위치한 곳까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메인스핀들(10)은 공작물의 이
송방향 즉, 전후방향(Z1)으로 이동될 수 있다.

<14> 상기 서브스핀들(11)은 메인스핀들(10)과 동시에 공작물을 척킹하거나 절단된 공작물을 척킹할 수 있으며, 공작

- 4 -
공개특허 10-2009-0051825

물의 이송방향(Z3)뿐 아니라 공작물의 좌우방향(X3)으로도 이송될 수 있다.

<15> 만약, 서브스핀들(11)이 공작물의 좌우방향(X3)으로 이송되지 않으면 TP3(15)는 Y3 방향과 함께 X3 방향으로도

이송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16> 상기 가이드부쉬(12)의 일측에는 TP1(13, Tool Post 1)이 형성되는데, 상기 TP1(13)은 공작물의 측면을 가공할
수 있는 드릴이나 탭 등의 절삭공구가 장착될 수 있으며, 공작물의 전면 가공도 가능하다.

<17> 상기 TP1(13)은 공작물의 좌우방향(X1)과 공작물의 상하방향(Y1)으로 왕복운동이 가능하다.

<18> 상기 가이드부쉬(12)를 사이에 두고 TP1(13)과 대향되게 터렛공구대(14)가 형성된다. 상기 터렛공구대(14)는 자


동선반에는 잘 사용되지 않는 터렛공구대로서 공구홀더가 보통 8~12개 정도가 장착되며 상기 공구홀더에는 공구
가 보통 1~3개가 장착되므로 터렛공구대에 장착될 수 있는 공구의 수는 보통 10~30개 정도가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렛공구대(14)는 공구교환을 위한 인덱싱이 가능하므로 종래의 툴포스트보다 더욱 많은 공구의 장착
이 가능하며 다양한 공구의 장착으로 인해 복잡한 형상의 공작물 가공이 가능하다.

<19> 더욱이, 상기 터렛공구대(14)가 TP1(13)과 대향되게 형성됨으로써 메인스핀들(10)이나 서브스핀들(11)에 척킹되


어 있는 가공소재의 정/배면 및 좌우측면을 동시에 가공할 수 있어서 가공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20> 상기 터렛공구대(14)는 공작물의 좌우방향(X2), 상하방향(Y2) 및 전후방향(Z2)으로 모두 이동될 수 있으며, 3축

이송이 가능함으로 인해 테이퍼면, 경사진 홀 등의 다양한 형상의 가공이 가능하다.

<21> 상기 TP3(15)는 TP1(13)이나 터렛공구대(14)에 의해 공작물이 절단되고 서브스핀들(11)에 절단된 공작물이 척킹


되었을 때 공작물의 절단면(배면)을 가공하기 위한 툴포스트로서 Y3 방향으로만 이송이 가능하다. 이는 서브스핀

들(11)이 X3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TP3(15)는 X3 향으로의 이송이 필요 없는데,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TP3(1

5)는 Y3 방향과 함께 X축 방향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22> 도 1 내지 도 3은 종래 자동선반의 구성예시도

<23> 도 4는 본 발명의 구성예시도

<24> 도 5는 본 발명의 일부구성예시도

<25> 도 6은 도 5의 정면도

<26>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7> 10. 메인스핀들 11. 서브스핀들 12. 가이브부쉬

<28> 13. TP1 14. 터렛공구대 15. TP3

- 5 -
공개특허 10-2009-0051825

도면

도면1

도면2

- 6 -
공개특허 10-2009-0051825

도면3

도면4

- 7 -
공개특허 10-2009-0051825

도면5

- 8 -
공개특허 10-2009-0051825

도면6

- 9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