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1

등록특허 10-2338703

등록특허 10-2338703

(19) 대한민국특허청(KR) (45) 공고일자 2021년12월13일


(11) 등록번호 10-2338703
(12) 등록특허공보(B1) (24) 등록일자 2021년12월08일
(51) 국제특허분류(Int. Cl.) (73) 특허권자
B64C 39/02 (2006.01) B64C 27/473 (2006.01)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52) CPC특허분류 경상북도 김천시 혁신로 269 (율곡동)
B64C 39/024 (2013.01) 김천대학교산학협력단
B64C 27/473 (2013.01) 경상북도 김천시 대학로 214 (삼락동)
(21) 출원번호 10-2021-0098117
(72) 발명자
(22) 출원일자 2021년07월26일
장현영
심사청구일자 2021년07월26일
경복 김천시 용전1로 9. 104-1601(엠코타운더플래
(56) 선행기술조사문헌 닛)
KR1020170079194 A* 한승룡
(뒷면에 계속) 경북 김천시 혁신1로 81, 1304호
(뒷면에 계속)
(74) 대리인
특허법인아이더스
전체 청구항 수 : 총 2 항 심사관 : 김윤수
(54) 발명의 명칭 드론용 프로펠러

(57) 요 약
본 발명은 드론용 프로펠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드론의 블레이드 리딩 에지(leading edge) 부분을
착탈식으로 교체가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페인트 등의 이물질에 의한 리딩 에지 부분의 손상을 최소화함은 물
론 리딩 에지의 손상에 따른 청소 및 프로펠러 교체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드론용 프로펠러에 관한 것
이다.
대 표 도 - 도3

-1-
등록특허 10-2338703

(52) CPC특허분류 (56) 선행기술조사문헌


B64C 2201/024 (2013.01) US06966806 B1*
B64C 2201/108 (2013.01) US20080210818 A1*
(72) 발명자 US20110049297 A1*
이경석 US20150191233 A1
경북 김천시 용전4로1길 18-1, 301호 US20050169763 A1
박수길 *는 심사관에 의하여 인용된 문헌
경북 구미시 봉곡로 23길 6-6, 101동 1007호
윤경식
대구시 북구 연경중앙로 11번지, 112동 302호

-2-
등록특허 10-2338703

명 세 서

청구범위
청구항 1

다수의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드론용 프로펠러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날개부와, 상기 날개부의 전단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리딩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날개부의 전단부에는 길이 방향으로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리딩에지부의 후단부에는 상기 결합홈의 내


측으로 삽입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의 후방 단부에는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의 후방 단부에는 상기 걸림홈에 걸림 결합되는


결합헤드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결합헤드의 후방 단부에는 결합돌기의 진행 방향으로 하향 기울기를 갖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홈


에 걸림 결합되는 결합헤드에는 결합헤드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하는 요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날개부의 전단부와 리딩에지부의 후단부 사이에는 탄성 재질의 패킹부재가 삽입 설치되어

상기 리딩에지부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날개부에는 걸림홈과 연통되는 도구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헤드가 위치되는 결합홈의 후방 단부에는


결합헤드가 변형될 수 있도록 하는 공간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용 프로펠러.

청구항 2

삭제

청구항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의 전단부에는 수직 방향으로 절단되는 절단면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은 절단면에 형성된 것을 특


징으로 하는 드론용 프로펠러.

청구항 4

삭제

청구항 5

삭제

청구항 6

삭제

청구항 7

삭제

발명의 설명

기 술 분 야
[0001] 본 발명은 드론용 프로펠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드론의 프로펠러를 구성하는 블레이드 리딩 에지

-3-
등록특허 10-2338703

(leading edge) 부분을 착탈식으로 교체가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페인트 등의 이물질에 의한 리딩 에지 부분


의 손상을 최소화함은 물론 리딩 에지의 손상에 따른 청소 및 프로펠러 교체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드론용 프로펠러에 관한 것이다.

배 경 기 술
[0002] 드론(Drone)은 조종사가 탑승하지 않고 무선전파 유도에 의해 비행과 조종이 가능한 비행기나 헬리콥터 모양의
무인기를 뜻하는 것으로, 애초 군사용으로 개발되었지만 최근에는 고공영상·사진 촬영과 배달, 기상정보 수집,
재난 관리, 농약 살포, 페인트 분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0003] 이와 같은 드론 산업은 항공, 정보통신기술(ICT), 소프트웨어, 센서 등 첨단기술이 융합된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핵심산업으로서 전 세계적으로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최근에는 건축물의 도장 등의 페인팅 작업이
나, 세척 및 소화 방제 등을 위해 수직 방향 등으로 유체를 분사하는 기술과 같은 수요 또한 증대되고 있다.

[0004] 통상적으로 드론은 프로펠러가 회전하면서 발생하는 프로펠러 상,하면 사이의 압력차에 의해 양력을 발생시켜
비행하게 되는데, 프로펠러의 블레이드 상면을 흐르는 기류는 하면에 흐르는 기류 보다 빠르게 흘러가야 상부의
압력이 하부 보다 상대적으로 더 낮아지기 때문에 블레이드의 형상은 유선형으로 형성되고, 표면 저항을 최소화
시킬 수 있도록 설계한다.

[0005] 드론의 프로펠러는 매우 빠른 속도로 회전하기 때문에 작은 물체가 부딪히더라도 변형 또는 파손이 발생되기 쉽
고, 특히 프로펠러의 리딩 에지 부분에 이물질이 부딪힐 경우 작은 흠집이라도 생기면 프로펠러의 효율은 급격
히 감소된다.

[0006] 또한, 도 1의 (a),(b)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공기 중의 끈적거림이 많은 물질이나, 드론에 의한 페인


팅 작업시 분사되는 미세 페인트 입자가 드론용 프로펠러 블레이드의 리딩 에지 부분에 달라 붙을 경우, 유선형
의 공기 흐름이 발생되지 않고 와류가 발생하게 되어 양력이 급격히 저하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0007] 이와 같은 양력 감소 또는 양력 불균형이 발생될 경우 비행 제어가 힘들어지거나 심할 경우 추락하는 현상도 발


생될 수 있으므로, 드론의 조종사는 주기적으로 리딩 에지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프로펠러를 분리하
여 이물질을 제거하거나, 이물질 제거가 어려운 경우 고가의 프로펠러를 교체하기도 한다.

[0008] 특히, 리딩 에지 부분에 페인트가 달라 붙은 경우 제거가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제거를 위해 시너(thinner)


등의 화학물질을 사용하여야 하므로 통상적으로 카본 소재로 제작되는 프로펠러에 좋지 않은 영향을 주는 문제
점이 있다.

[0009]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03640호에는 블레이드의


리딩 에지용 보호 매트가 게재되어 있는데, 그 주요 기술적 구성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합체
필름(1)과, 중합체 필름의 일부 상에 증착된 금속 스트립(2) 및 블레이드에 중합체 필름을 접합하기 위한 수단
(3)을 포함하는 복합부(10)로 구성되고, 중합체 필름은 블레이드 요소의 저입사각 영역을 덮도록 성형되고, 금
속 스트립은 블레이드의 고입사각 영역을 덮도록 성형되는 것에 그 특징이 있다.

[0010] 즉, 상기 종래기술은 모래에 의한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중합체 필름(1)과, 빗물에 의한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금속 스트립(2)을 포함하는 블레이드 리딩 에지보호 매트에 관한 것으로, 상기 보호 매트를 블레이드 리딩 에지
부분에 접합시킴으로써 모래와 빗물에 의한 항공기 블레이드의 리딩 에지 부분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에 기술적 특징이 있으나, 구성 및 제조과정이 복잡하고, 접합에 의해 보호 매트가 리딩 에지 부분에 결합되
므로 필연적으로 보호매트의 두께에 따른 단차가 발생하여 불연속적인 면이 형성될 수밖에 없고, 그에 따라 공
기역학적 손실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0011] 또한, 상기 종래기술에 해당하는 보호 매트의 접합에 의해 에어 포일에 형성되는 불연속적인 부분이 드론과 같
이 규모가 작은 비행체의 프로펠러에 형성되는 경우 공기역학적 손실에 따른 부작용은 더 크게 나타나게 되어
비행제어가 어려워지거나, 심할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추락하는 현상도 발생될 수 있으므로, 항공기나 헬리콥
터와 같은 규모가 큰 비행체에 적용될 수 있을 지 모르지만, 드론과 같은 소규모 비행체에는 적용될 수 없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4-
등록특허 10-2338703

[0012] (특허문헌 0001)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03640호(2015. 09. 11. 공개)

발명의 내용

해결하려는 과제
[001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드론의 블레
이드 리딩 에지(leading edge) 부분을 착탈식으로 교체가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페인트 등의 이물질에 의한
리딩 에지 부분의 손상을 최소화함은 물론, 블레이드 형상이 전체적으로 완만한 곡선을 이루는 유선형을 이루도
록 하여 양력 감소 또는 양력 불균형 현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드론용 프로펠러를 제공함에 있다.

과제의 해결 수단
[0014]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0015] 다수의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드론용 프로펠러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날개부와, 상기 날개부의 전단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리딩에지부를 포함하여, 상기 리딩에지부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16] 이때, 상기 날개부의 전단부에는 길이 방향으로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리딩에지부의 후단부에는 상기 결합홈
의 내측으로 삽입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17] 또한, 상기 날개부의 전단부에는 수직 방향으로 절단되는 절단면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은 절단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18] 그리고, 상기 날개부의 전단부와 리딩에지부의 후단부 사이에는 탄성 재질의 패킹부재가 삽입 설치된 것을 특징
으로 한다.

[0019] 또한, 상기 결합홈의 후방 단부에는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의 후방 단부에는 상기 걸림홈에 걸림 결


합되는 결합헤드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20] 그리고, 상기 리딩에지부는 'U'자 형상으로 절곡되는 소정 두께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날개부
의 전단부에는 리딩에지부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의 커팅부가 형성되어 체결수단에 의해 리딩에지부가 날개부
의 전단부에 체결 고정되며, 상기 리딩에지부가 날개부의 전단부에 결합되는 경우 블레이드의 형상이 불연속면
이 없이 전체적으로 완만한 곡선의 유선형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21] 또한, 상기 날개부의 전단부와 리딩에지부에는 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1 및 제2체결홀이 서로 연통되도록 형
성되고, 상기 제2체결홀의 외측 단부에는 상기 체결수단의 헤드부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효과
[0022] 본 발명에 따르면, 비행시 이물질과의 충돌이나 이물질의 부착에 의한 손상이 주로 발생되는 드론의 블레이드
리딩 에지(leading edge) 부분을 착탈식으로 교체가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리딩 에지 부분을 강도 및 탄성이 우
수한 금속재질로 형성시킴으로써 페인트 등의 이물질에 의한 리딩 에지 부분의 손상을 최소화함은 물론 리딩 에
지의 손상에 따른 청소 및 프로펠러 교체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뛰어난 효과를 갖는다.

[0023]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블레이드 리딩 에지 부분을 착탈 가능한 형태로 분리 형성시키면서도 블레이드 형상이
전체적으로 완만한 곡선의 유선형을 이루도록 하여, 분리 형성에 따른 양력 감소 또는 양력 불균형 현상을 최소
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추가로 갖는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0024] 도 1의 (a),(b)는 드론 비행시 블레이드 부근에서의 기류 흐름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의 블레이드 리딩 에지용 보호 매트를 나타낸 도면.

도 3의 (a),(b)는 본 발명에 따른 드론용 프로펠러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블레이드의 단면도.

-5-
등록특허 10-2338703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드론용 프로펠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블레이드의 분리 단면도.

도 5는 도 3의 (b)에 나타낸 리딩에지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의 (a),(b)는 본 발명에 따른 드론용 프로펠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블레이드의 단면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0025]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드론용 프로펠러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0026] 도 3의 (a),(b)는 본 발명에 따른 드론용 프로펠러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블레이드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


명에 따른 드론용 프로펠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블레이드의 분리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b)에 나타낸
리딩에지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의 (a),(b)는 본 발명에 따른 드론용 프로펠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블레이드의 단면도이다.

[0027] 본 발명은 드론의 블레이드 리딩 에지(leading edge) 부분을 착탈식으로 교체가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페인
트 등의 이물질에 의한 리딩 에지 부분의 손상을 최소화함은 물론 리딩 에지의 손상에 따른 청소 및 프로펠러
교체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드론용 프로펠러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다수의 블레이드(100)를 포함
하는 드론용 프로펠러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100)는 날개부(110)와, 상기 날개부(110)의 전단에 착탈 가능하
도록 결합되는 리딩에지부(120)를 포함하는 것에 그 특징이 있다.

[0028] 즉, 일반적으로 드론은 엔진의 구동에 의한 프로펠러의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양력을 이용하여 비행을 하게 되
는데, 드론의 프로펠러는 엔진의 회전력을 추진력으로 변환시켜 드론이 비행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
으로, 중심부의 프로펠러 허브와, 상기 프로펠러 허브에 결합되는 다수 개의 블레이드(100)를 포함하여 이루어
진다.

[0029] 본 발명은 상기 프로펠러를 구성하는 블레이드(100)를 날개부(110)와 리딩에지부(120)로 분리 구성하고, 리딩에


지부(120)를 날개부(110)로부터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리딩에지부(120)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한 것에 그 특징이 있는 것으로, 리딩에지부(120)에 이물질이 부착되거나 손상이 발생된 경우 프로펠러를 전체
적으로 교체하는 대신 리딩에지부(120) 만을 교체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0030] 전술한 바와 같이, 공기 중의 끈적거림이 많은 물질이나, 드론에 의한 페인팅 작업시 분사되는 미세 페인트 입
자가 리딩에지부(120)에 달라 붙거나, 리딩에지부(120)에 손상이 발생되는 경우, 유선형의 공기 흐름이 발생되
지 않고 와류가 발생하게 되어 양력이 급격히 저하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고, 이와 같은 양력 감소 또는 양력
불균형이 발생될 경우 비행 제어가 힘들어지거나 심할 경우 추락하는 현상도 발생될 수 있는데, 종래에는 주기
적으로 리딩에지부(120)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프로펠러를 분리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고, 이물질 제
거가 어렵거나 리딩에지부(120)에 손상이 발생한 경우 고가의 프로펠러를 교체하여야 하므로 프로펠러 관리에
소요되는 비용 및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던 것임에 비해, 본 발명에서는 블레이드(100)의 리딩에지
부(120) 만을 교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프로펠러의 관리에 소요되는 비용 및 시간을 대폭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0031]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드론용 프로펠러의 블레이드(100)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날개부
(110)와 리딩에지부(120)로 분리 구성될 수 있는데, 먼저 상기 날개부(110)는 유선형으로 이루어지는 블레이드
(100)의 후방 몸체를 구성하는 것이고, 상기 리딩에지부(120)는 날개부(110)의 전단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
되어 블레이드(100)의 전방 몸체를 구성하는 것으로, 날개부(110)와 리딩에지부(120)의 결합에 의해 유선형의
블레이드(100)가 형성될 수 있다.

[0032] 이때, 상기 블레이드(100)의 전체적인 형상은 기존의 공지된 다양한 블레이드 형상이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
고, 본 발명에서 권리로서 청구하고자 하는 바가 아니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0033] 한편, 상기 날개부(110)의 전단부에는 블레이드(100)의 길이 방향으로 결합홈(112)이 형성되고, 상기 리딩에지


부(120)의 후단부에는 상기 결합홈(112)의 내측으로 삽입 결합되는 결합돌기(122)가 돌출 형성될 수 있는데, 상
기 결합홈(112)과 결합돌기(122)는 리딩에지부(120)가 날개부(110)의 전단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도
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0034] 이때, 상기 결합홈(112)의 내측, 즉 후방 단부에는 걸림홈(112a)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122)의 후방 단부


에는 상기 걸림홈(112a)에 걸림 결합되는 결합헤드(122a)가 돌출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걸림홈(112a)과 결합

-6-
등록특허 10-2338703

헤드(122a)에 의해 날개부(110)의 전단부에 결합된 리딩에지부(120)는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0035] 또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결합헤드(122a)의 후방 단부에는 경사면(122b), 즉 결합홈(112)의 내측으


로 결합되는 결합돌기(122)의 진행 방향으로 하향 기울기를 갖는 경사면(122b)이 형성되어 결합홈(112) 내측으
로의 결합돌기(122)의 결합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고, 상기 걸림홈(112a)에 걸림 결
합되는 결합헤드(122a)에는 요홈부(122c)가 형성되어 상부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결합헤드(122a)의 높이
가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0036] 그리고, 상기 리딩에지부(120)는 스테인레스 등 강도와 탄성이 우수한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0037] 즉, 상기 리딩에지부(120)를 날개부(110)에 결합시키는 경우, 결합돌기(122)의 후방 단부에 돌출 형성된 결합헤


드(122a)의 경사면(122b)이 결합홈(112) 내측으로 진입하면서 결합홈(112)에 의해 결합헤드(112a)에 압력이 가
해지게 된다.

[0038] 상기 결합홈(112)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요홈부(122c)가 상,하 방향으로 압축되면서 결합헤드(122a)의


높이가 낮아지게 되고, 그에 따라 결합헤드(122a)는 결합홈(112)의 내측으로 진입할 수 있게 된다.

[0039] 상기 결합홈(112) 내측으로의 결합돌기(122) 결합이 완료되면, 결합헤드(122a)는 걸림홈(112a)이 형성된 부분에
위치하게 되어 자체 탄성에 의해 요홈부(122c)가 복원되면서 결합헤드(122a)가 걸림홈(112a)에 의해 걸림 결합
되어 리딩에지부(120)가 날개부(110)의 전단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0040] 또한, 상기 날개부(110)에는 걸림홈(112a)과 연통되는 도구삽입홀(116)이 형성되어 리딩에지부(120)를 날개부


(110)로부터 분리시키고자 하는 경우, 송곳 등의 뾰족한 형상의 도구를 도구삽입홀(116)을 통해 삽입하여 걸림
홈(112a)에 걸림 결합된 상태의 결합헤드(122a)를 가압함으로써 리딩에지부(120)를 날개부(11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0041] 이때, 상기 결합헤드(122a)가 위치되는 결합홈(112)의 후방 단부에는 도구삽입홀(116)을 통한 도구의 가압에 의


해 결합헤드(122a)가 변형될 수 있도록 하는 공간부(112b)가 형성될 수 있다.

[0042] 즉, 상기 도구삽입홀(116)을 통해 도구를 삽입하여 결합헤드(122a)를 가압하면, 요홈부(122c)가 압축되면서 결


합헤드(122a)의 높이가 낮아짐과 동시에, 결합홈(112)에 형성된 공간부(112b)에 의해 결합헤드(122a)가 전체적
으로 하부로 휘어지면서 결합헤드(122a)의 상단부가 결합홈(112)의 내측으로 진입할 수 있는 상태가 되고, 외부
로부터의 잡아당기는 힘에 의해, 상기 결합돌기(122)는 결합홈(112)으로부터 빠져 나오게 되어 리딩에지부(12
0)를 날개부(11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0043] 또한, 상기와 같이 리딩에지부(120)를 강도와 탄성이 우수한 금속 재질로 형성하는 경우, 드론의 비행 중 이물
질과의 충돌에 의한 손상 위험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화학성이 우수하므로 페인트 등의 이물질을 제거
하기 위한 화학약품의 사용에도 리딩에지부(120)의 손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0044] 그리고, 상기 리딩에지부(120)는 도 3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의 두께를 갖는 U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리딩에지부(120)가 결합되는 날개부(110)의 전단부에는 리딩에지부(12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커팅부(118)가 형성되어 리딩에지부(120)가 날개부(110)의 전단부에 결합되는 경우 블레이
드(100)의 형상이 전체적으로 불연속면이 없이 완만한 곡선의 유선형을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다.

[0045] 또한,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날개부(110)의 전단부에는 수직 방향으로 절단되는 절단면(114)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112)은 절단면(114)으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날개부(11
0)의 전단부에 결합되는 리딩에지부(120)의 후단부 형상이 평면 형상이 되므로, 대량 생산이 용이하고, 가공 비
용을 저감시킬 수 있으며, 불연속면이 없이 전체적으로 완만한 곡선의 유선형을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다.

[0046] 또한, 상기와 같이 날개부(110)의 전단부와 리딩에지부(120)의 후단부를 평면 형상으로 형성시키는 경우, 도 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결합홈(112) 및 결합돌기(122)의 크기를 크게 할 수 있어 날개부(110)와 리딩에지부(120)
사이의 결합력을 보다 견고히 하면서도 결합홈(112)과 결합돌기(122)의 형성 개수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결합돌기(122)를 중공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으므로 도구를 이용한 리딩에지부(120)의 분리 작업, 즉 날개부
(110)의 전단부에 결합된 상태의 리딩에지부(120)를 교체하기 위해 분리시키는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0047] 다음,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날개부(110)의 전단부와 리딩에지부(120)의 후단부 사이에는 탄성 재질의
패킹부재(130)가 삽입 설치될 수 있는데, 상기 패킹부재(130)는 날개부(110)와 리딩에지부(120) 사이의 결합력

-7-
등록특허 10-2338703

을 보다 강화시킴과 동시에 블레이드(100)의 고속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 및 소음을 저감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0048] 한편, 도 6의 (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날개부(110)와 리딩에지부(120)는 체결수단(140)에 의해 체결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상기 리딩에지부(120)는 U자 형상으로 절곡되는 소정 두께의 플레이
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리딩에지부(120)가 결합되는 날개부(110)의 전단부에는 리딩에지부(12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커팅부(118)가 형성되어, 불연속면이 없이 전체적으로 완만한 곡선의 유선형을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다.

[0049] 또한, 상기 날개부(110)의 전단부와 리딩에지부(120)에는 서로 연통되는 제1 및 제2체결홀(115,125)이 각각 형


성될 수 있는데, 상기 제1 및 제2체결홀(115,125)의 측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체결수단(140)이 내측으로 체
결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0050] 이때, 상기 리딩에지부(120)에 형성되는 제2체결홀(125)의 외측 단부에는 제2체결홀(125)에 비해 직경이 큰 안


착홈(125a)이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안착홈(125a)은 체결수단(140)의 헤드부(142)가 내측으로 삽입되어 안착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0051] 즉, 상기 체결수단(140)의 헤드부(142)가 리딩에지부(120)의 외측으로 돌출될 경우 리딩에지부(120)에 이물질이


부착되었을 때와 마찬가지로 양력 감소 또는 양력 불균형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상기 체결수단(140)의 헤드부
(142)가 안착홈(125a)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체결수단(140)에 의한 양력 감소 또는 양력 불균형 현상
이 발생되지 않도록 구성된 것이다.

[0052] 이때, 상기 안착홈(125a)의 깊이는 체결수단(140)의 헤드부(142)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상기 헤드부(142)의
상면이 리딩에지부(120)의 표면과 동일 평면 상에 위치되도록 할 수 있고, 상기 안착홈(125a)의 직경 또한 헤드
부(142)의 직경과 동일하게 형성시킴으로써 체결수단(140)의 결합에 의한 와류의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0053]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드론용 프로펠러에 의하면, 비행시 이물질과의 충돌이나 이물질의 부
착에 의한 손상이 주로 발생되는 드론의 블레이드 리딩 에지(leading edge) 부분을 착탈식으로 교체가 가능하도
록 구성하고, 리딩 에지 부분을 강도 및 탄성이 우수한 금속재질로 형성시킴으로써 페인트 등의 이물질에 의한
리딩 에지 부분의 손상을 최소화함은 물론 리딩 에지의 손상에 따른 청소 및 프로펠러 교체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리딩에지부를 착탈 가능한 형태로 분리 형성시키면서도 전체적인 블레이드 형상의 변형을 최
소화함으로써 분리 형성에 따른 양력 감소 또는 양력 불균형 현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등의 다양한 장점을 갖
는 것이다.

[0054] 전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
니며, 본 발명에 따른 프로펠러를 드론이 아닌 일반 항공기나 헬리콥터에 적용할 수 있는 등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0055] 본 발명은 드론용 프로펠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드론의 프로펠러 리딩 에지(leading edge) 부분을
착탈식으로 교체가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페인트 등의 이물질에 의한 리딩 에지 부분의 손상을 최소화함은
물론 리딩 에지의 손상에 따른 청소 및 프로펠러 교체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드론용 프로펠러에 관한
것이다.

부호의 설명
[0056] 100 : 블레이드 110 : 날개부

112 : 결합홈 112a : 걸림홈

112b : 공간부 114 : 절단면

115 : 제1체결홀 116 : 도구삽입홀

118 : 커팅부 120 : 리딩에지부

122 : 결합돌기 122a : 결합헤드

-8-
등록특허 10-2338703

122b : 경사면 122c : 요홈부

125 : 제2체결홀 125a : 안착홈

130 : 패킹부재 140 : 체결수단

142 : 헤드부

도면

도면1

도면2

-9-
등록특허 10-2338703

도면3

도면4

- 10 -
등록특허 10-2338703

도면5

도면6

- 11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