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7

공개특허 10-2013-0029968

(19) 대한민국특허청(KR) (11) 공개번호 10-2013-0029968


(12) 공개특허공보(A) (43) 공개일자 2013년03월26일
(51) 국제특허분류(Int. Cl.) (71) 출원인
B63B 35/50 (2006.01) E01F 3/00 (2006.0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B64F 1/28 (2006.01) B63B 35/44 (2006.01) 서울특별시 중구 남대문로 125 (다동)
(21) 출원번호 10-2011-0093423 (72) 발명자
(22) 출원일자 2011년09월16일 공희진
심사청구일자 없음 경상남도 거제시 거제대로 3370, 두모생활관 D동
415호 (두모동, 대우조선해양)
조성균
경상남도 거제시 옥포로7길 3, 301호 (옥포동, 신
성 아트빌)
(74) 대리인
특허법인에이아이피
전체 청구항 수 : 총 6 항
(54) 발명의 명칭 선체의 헬리콥터 데크

(57) 요 약
본 발명은 선체의 헬리콥터 데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급유장비에 연결된 급유호스의 핸들링을 간편
하게 할 수 있는 선체의 헬리콥터 데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선체의 헬리콥터 데크는 헬리콥터가 이착륙하는 랜딩 데크부; 상기 랜딩 데크부의 주변을 따라


연장되는 통행로; 및 상기 통행로 도중에 배치된 급유장비용 플랫폼;을 포함하고, 상기 급유장비용 플랫폼은 상
기 랜딩 데크부 보다 낮은 레벨에 위치하며, 상기 급유장비용 플랫폼은 상기 선체의 상부 갑판 보다 높은 레벨에
위치하고, 상기 급유장비용 플랫폼의 상면에는 급유장비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대 표 도 - 도1

-1-
공개특허 10-2013-0029968

특허청구의 범위
청구항 1

헬리콥터가 이착륙하도록 선체의 상부 갑판 위에 설치된 헬리콥터 데크로서,

헬리콥터가 이착륙하는 랜딩 데크부;

상기 랜딩 데크부의 주변을 따라 연장되는 통행로; 및

상기 통행로 도중에 배치된 급유장비용 플랫폼;을 포함하고,

상기 급유장비용 플랫폼은 상기 랜딩 데크부 보다 낮은 레벨에 위치하며, 상기 급유장비용 플랫폼은 상기 선체


의 상부 갑판 보다 높은 레벨에 위치하고, 상기 급유장비용 플랫폼의 상면에는 급유장비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선체의 헬리콥터 데크.

청구항 2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급유장비의 작동 상태를 외부에 표시하는 플래시 비콘(flash beacon)은 상기 랜딩 데크부 보다 높은 레벨


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체의 헬리콥터 데크.

청구항 3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급유장비용 플랫폼은 상기 랜딩 데크부의 중심라인 선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체의 헬리콥터


데크.

청구항 4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급유장비용 플랫폼은 제1접근계단을 통해 상기 랜딩 데크부 측에 연결되고, 상기 급유장비용 플랫폼은 제2


접근계단을 통해 상기 선체의 상부 갑판 측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체의 헬리콥터 데크.

청구항 5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랜딩 데크부 주변에는 복수의 부속기구용 플랫폼이 배치되고, 상기 각 부속기구용 플랫폼에는 부속기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체의 헬리콥터 데크.

청구항 6

헬리콥터가 이착륙하도록 선체의 상부 갑판 위에 설치된 랜딩 데크부를 포함하는 헬리콥터 데크에 있어서,

상기 상부 갑판과 상기 랜딩 데크부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렌딩 데크부의 중심라인 상에 배치되는 급유장비용


플랫폼 위에 설치되는 헬리콥터 급유용 급유장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체의 헬리콥터 데크.

-2-
공개특허 10-2013-0029968

명 세 서

기 술 분 야
[0001] 본 발명은 선체의 헬리콥터 데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급유장비에 연결된 급유호스의 핸들링을 간편
하게 할 수 있는 선체의 헬리콥터 데크에 관한 것이다.

배 경 기 술
[0002] FPSO, RIG선, 드릴쉽 등과 같이 해양에 장기적으로 체류하는 해양 구조물의 상부 갑판(top deck)의 일측에는 헬
리콥터가 이착륙하는 선체의 헬리콥터 데크가 설치되고, 이러한 선체의 헬리콥터 데크의 주변에는 급유장비, 소
방기구 등이 설치된다.

[0003] 한편, 급유장비는 선체의 헬리콥터 데크에 인접한 선체의 상부 갑판(top deck) 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상부
갑판은 선체의 헬리콥터 데크 보다 아래에 위치하므로, 급유장비에 연결된 급유호스를 선체의 헬리콥터 데크 측
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2명 이상의 작업자가 요구되고, 또한 급유호스를 선체의 헬리콥터 데크 측으로 핸들링
하기 위한 급유호스의 핸들링기구가 선체의 헬리콥터 데크 측에 설치되며, 이러한 핸들링기구로는 급유호스를
선체의 헬리콥터 데크 측으로 들어올리는 와이어 로프(wire rope), 급유호스를 가이드하는 호스 가이드(hose
guide) 등이 있다.

[0004] 이와 같이, 종래기술은 선체의 헬리콥터 데크의 하측에 위치한 선체의 상부 갑판(top deck) 측에 급유장비가 설
치됨에 따라 와이어 로프, 호스 가이드 등과 같은 핸들링기구및 많은 수의 작업자 등이 요구되어 그 제작비용
내지 유지비용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었다.

[0005] 또한, 종래기술은 급유장비가 선체의 헬리콥터 데크의 하측에 위치한 선체의 상부 갑판(top deck) 측에 위치함
에 따라 급유장비의 상부에 위치한 플래시 비콘(flash beacon)이 선체의 헬리콥터 데크 측에 보이지 않아 급유
장비의 펌프 오작동 여부를 식별하기 어려우므로 안전성 측면에서도 매우 불리한 단점이 있었다.

발명의 내용

해결하려는 과제
[000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급유장비의 배치구조를 개선함으로써 급유장비의 급유호
스에 대한 핸들링을 매우 간편하게 함과 더불어 그 안전성이 확보된 선체의 헬리콥터 데크를 제공하는 데 그 목
적이 있다.

과제의 해결 수단
[0007]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헬리콥터가 이착륙하도록 선체의 상부 갑판 위에 설치
된 헬리콥터 데크로서, 헬리콥터가 이착륙하는 랜딩 데크부; 상기 랜딩 데크부의 주변을 따라 연장되는 통행로;
및 상기 통행로 도중에 배치된 급유장비용 플랫폼;을 포함하고, 상기 급유장비용 플랫폼은 상기 랜딩 데크부 보
다 낮은 레벨에 위치하며, 상기 급유장비용 플랫폼은 상기 선체의 상부 갑판 보다 높은 레벨에 위치하고, 상기
급유장비용 플랫폼의 상면에는 급유장비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08] 상기 급유장비의 작동 상태를 외부에 표시하는 플래시 비콘(flash beacon)은 상기 랜딩 데크부 보다 높은 레벨


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09] 상기 급유장비용 플랫폼은 상기 랜딩 데크부의 중심라인 선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10] 상기 급유장비용 플랫폼은 제1접근계단을 통해 상기 랜딩 데크부 측에 연결되고, 상기 급유장비용 플랫폼은 제2


접근계단을 통해 상기 선체의 상부 갑판 측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11] 상기 랜딩 데크부 주변에는 복수의 부속기구용 플랫폼이 배치되고, 상기 각 부속기구용 플랫폼에는 부속기구가

-3-
공개특허 10-2013-0029968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12]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헬리콥터가 이착륙하도록 선체의 상부 갑판 위에 설치된 랜딩 데크부를 포함하는 헬리콥
터 데크에 있어서, 상기 상부 갑판과 상기 랜딩 데크부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렌딩 데크부의 중심라인 상에
배치되는 급유장비용 플랫폼 위에 설치되는 헬리콥터 급유용 급유장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효과
[0013] 본 발명에 의하면, 헬리콥터가 이착륙하는 랜딩 데크부의 주변에 배치된 플랫폼 측에 급유장비를 배치함으로써
급유장비의 급유호스를 랜딩 데크부 측으로 핸들링함에 있어 별도의 핸들링기구가 필요없을 뿐만 아니라 적은
수의 작업자에 의해서도 급유호스를 간편하게 핸들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0014] 또한, 본발명은 급유장비가 플랫폼 측에 설치됨에 따라 급유장비의 플래시 비콘을 랜딩 데크부 측에서 용이하게
식별함에 따라 급유장비의 펌프 오작동을 쉽게 인식할 수 있으므로, 그 안전성이 확보되는 장점이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0015]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체의 헬리콥터 데크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화살표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측면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0016]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0017]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체의 헬리콥터 데크를 도시한 도면이다.

[0018]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선체의 헬리콥터 데크는 헬리콥터가 이착륙하는 랜딩 데크부(10), 랜딩 데크
부(10)의 주변을 따라 연장된 통행로(13), 통행로(13)의 도중에 설치된 복수의 플랫폼(12, 14)을 포함한다. 여
기서 선체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 등을 포함한다.

[0019] 랜딩 데크부(10)는 선체의 상부 갑판(19, 도 3 참조)에 설치되고, 랜딩 데크부(10)는 도 1과 같이 8각형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다. 랜딩 데크부(10)의 상면에는 헬리콥터의 착륙을 유도하는 착륙지점(15)이 표시되어 있다. 또
한, 랜딩 데크부(10)의 일측에는 해치커버(17)가 개폐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0020] 통행로(13)는 작업자 등이 통행하는 통로로서, 랜딩 데크부(10)의 주변을 따라 연장되고, 이 통행로(13)는 랜딩


데크부(10)의 보다 낮은 레벨에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0021] 복수의 플랫폼(12, 14)은 통행로(13)의 도중에 설치되고, 이 플랫폼(12, 14)은 접근계단(12a, 12b, 14a)을 통해
랜딩 데크부(10) 측에 연결된다.

[0022] 특히,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플랫폼(12, 14)은 급유장비(20)가 설치되는 급유장비용 플랫폼(14) 및 소방기구
(미도시) 등과 같은 각종 부속기구가 설치되는 부속기구용 플랫폼(12)으로 구분될 수 있다.

[0023] 도 2는 도 1의 화살표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측면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0024] 도 2,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유장비용 플랫폼(14)의 상면에는 급유장비(20)가 설치된다. 그리고, 급유장
비용 플랫폼(14)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랜딩 데크부(10)의 중심라인(C.L.) 상에 배치되고, 급유장비용 플
랫폼(14)은 도 3과 같이 선체의 상부 갑판(19) 보다는 높은 레벨에 위치함과 더불어 랜딩 데크부(10) 보다는 낮
은 레벨에 위치한다.

[0025] 이와 같이, 급유장비용 플랫폼(14)이 상기 통행로(13)의 도중에 위치하여 선체의 상부 갑판(19) 보다 높은 레벨


임과 더불어 랜딩 데크부(10)의 중심라인(C.L.) 상에 위치하고, 이러한 급유장비용 플랫폼(14)의 상면에 급유장
비(20)가 설치됨에 따라 랜딩 데크부(10)와 급유장비(20) 사이의 높이차이가 감소할 뿐만 아니라 급유장비(20)

-4-
공개특허 10-2013-0029968

의 급유호스의 핸들링 거리가 대폭 감소한다. 이에 급유장비(20)의 급유호스를 랜딩 데크부(10) 측으로 핸들링


함에 있어서 종래와 달리 별도의 핸들링기구(와이어 로프, 호스 가이드 등)가 필요하지 않고, 또한 적은 수의
작업자에 의해서도 급유호스의 핸들링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랜딩 데크부(10)
의 중심라인(C.L.)은 선체의 선수에서 선미까지의 종축선과 평행한 라인임을 밝힌다.

[0026] 또한, 급유장비(20)는 상부 갑판(19) 보다 높은 레벨의 급유장비용 플랫폼(14) 상면에 설치되고, 따라서 도 3과
같이 급유장비(20)의 오작동을 여부를 식별할 수 있게 하는 플래시 비콘(21, flash beacon)의 상단이 랜딩 데크
부(10) 보다 높은 레벨에 위치하게 함에 따라 랜딩 데크부(10) 측에서 플래시 비콘(21)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플래시 비콘(21)이 랜딩 데크부(10) 측에서 용이하게 식별됨에 따라 급유장비(20)의 펌프 오
작동을 작업자가 손쉽게 인식할 수 있어 그 안전성이 확보될 수 있다.

[0027] 한편, 급유장비용 플랫폼(14)은 도 2와 같이 제1접근계단(14a)을 통해 랜딩 데크부(10) 측에 연결되고, 급유장


비용 플랫폼(14)은 제2접근계단(14b)을 통해 선체의 상부 갑판(19) 측에 연결된다.

[0028] 또한, 급유장비용 플랫폼(14)의 상면에는 소방기구 등과 같은 부속기구가 설치될 수도 있다.

[0029]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헬리콥터가 이착륙하는 랜딩 데크부(10)의 주변에 배치된 일측의 플랫폼(14) 측
에 급유장비(20)를 설치함으로써 급유장비(10)의 급유호스를 랜딩 데크부(10) 측으로 핸들링함에 있어 별로의
핸들링기구가 필요없을 뿐만 아니라 적은 수의 작업자에 의해서도 급유호스를 간편하게 핸들링할 수 있는 장점
이 있다.

[0030] 또한, 본 발명은 급유장비(20)가 선체의 상부 갑판(19) 보다 높은 레벨에 위치하는 일측의 플랫폼(14) 측에 설
치되게 하고, 급유장비(20)의 플래시 비콘(21)이 랜딩 데크부(10) 보다 높은 레벨에 위치하게 하여 랜딩 데크부
(10) 측에서 플래시 비콘(21)을 용이하게 식별하게 함에 따라 급유장비의 펌프 오작동을 쉽게 인식할 수 있으므
로 그 안전성이 확보되는 장점이 있다.

[0031]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해양구조물의 스러스터 용 가이드 파이프 구조와 가이드 파이프 탈착 방법을, 예시
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청
구범위 내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 의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
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부호의 설명
[0032] 10: 랜딩 데크부 12: 부속기구용 플랫폼

13: 통행로 14: 급유장비용 플랫폼

19: 상부 갑판 20: 급유장비

21: 플래시 비콘

-5-
공개특허 10-2013-0029968

도면

도면1

-6-
공개특허 10-2013-0029968

도면2

도면3

-7-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