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9

등록특허 10-0828091

(19) 대한민국특허청(KR) (45) 공고일자 2008년05월08일


(11) 등록번호 10-0828091
(12) 등록특허공보(B1) (24) 등록일자 2008년04월30일
(73) 특허권자
(51) Int. Cl.
주식회사성산엔지니어링
E05D 15/18 (2006.01) E05D 15/00 (2006.01)
서울 송파구 송파동 23-10
(21) 출원번호 10-2007-0010089
(72) 발명자
(22) 출원일자 2007년01월31일
정지호
심사청구일자 2007년01월31일
서울 송파구 방이동 89 올림픽선수기자촌아파트
(65) 공개번호 10-2007-0020546
237-1105
(43) 공개일자 2007년02월21일
(74) 대리인
(56) 선행기술조사문헌
박영순
KR200226663 Y1*
(뒷면에 계속)
전체 청구항 수 : 총 3 항 심사관 : 김록배
(54) 슬라이딩 도어의 상부 지지체 결합구조

(57) 요 약
본 발명은 슬라이딩 도어의 상부 지지체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부레일의 하강에 대응하여 상부롤러부의 지
지샤프트가 하부구동 슬라이딩 도어의 상면에 형성된 파이프의 내부로부터 자유롭게 상하 이동가능하게 이루어짐
으로써 상부레일의 위치 및 형태변형에 무관하게 슬라이딩 도어의 상부를 지지할 수 있으며, 롤러가 상부레일의
측면 및 하면에 밀착될 수 있게 상부롤러부가 구성됨으로써 슬라이딩 도어의 상부를 더욱 견실하게 지지할 수 있
도록 한 슬라이딩 도어의 상부 지지체 결합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을 적용하면, 격납고등 대형도어의 경우 자체중량에 의한 처짐이나 지붕의 상면에 눈이 쌓이거나 하여 상


기 출입문 상단에 설치된 상부레일이 하방으로 가압되거나, 형태 변형된 경우에도, 상기 프레임의 하면 중앙에
수직으로 연장된 지지샤프트가 하부구동 슬라이딩 도어의 상면에 형성된 파이프의 내부에서 이동되면서 슬라이딩
도어를 지지하게 되므로 견실한 지지를 행할 수 있고, 수직 및 수평롤러를 이용하여 상부레일의 내부에 견고하게
상부롤러부가 결합되므로 슬라이딩시 소음이 발생되지 않고 내구성을 향상시키며 대형도어의 경우 레일에서 도어
가 이탈되어 넘어짐에 의한 재산상의 피해 및 인명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대표도 - 도4

- 1 -
등록특허 10-0828091

(56) 선행기술조사문헌
KR200396496 Y1
KR200424025 Y1
KR200419186 Y1
KR100141102 B1
*는 심사관에 의하여 인용된 문헌

- 2 -
등록특허 10-0828091

특허청구의 범위
청구항 1

슬라이딩 도어(8)의 상면에 부착된 고정판(24)과;

상기 고정판(24)의 상면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중공부(28a)를 갖는 파이프(28)와;

육각면체의 관 형태로 출입문 상부에 설치되며, 상부롤러부(40)의 상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하면 중앙 일부만
절개된 상부레일(60)과;

하단이 상기 파이프(28)에 요입되어 상부레일(60)을 따라 승하강되면서 슬라이딩 도어(8)를 지지하며 슬라이딩


되는 상부롤러부(40)로 이루어진 슬라이딩 도어의 상부 지지체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상부롤러부(40)는 그 양측면이 개방된 납작한 직육면체로 이루어진 프레임(42)이 제공되며, 그 내부에는


상기 프레임(42)의 하면과 수평되는 수평롤러(44)가 복수개 결합되어져 있고, 수평롤러(44)와 프레임(42)은 핀
(46)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수평롤러(44)는 그 양측의 외주연 소정부가 상기 프레임(42)의 외부로 노출되게 결
합되어져 있고, 상기 프레임(42)의 하면 중앙에는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파이프(28a)에 요입되는 지지 샤프
트(54)가 형성되어져 있으며, 상기 프레임(42)의 양측면 중앙에는 수직롤러(50)가 축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의 상부 지지체 결합구조.

청구항 2

삭제

청구항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롤러(50)는 그 외주연 소정부가 상기 프레임(42)의 상하면을 벗어나 상부레일(60)의


내부 상하면에 밀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의 상부 지지체 결합구조.

청구항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롤러(50)는 상기 프레임(42)의 중앙측면에 고정된 샤프트(48)의 양단에 결합되고,


그 샤프트(48)에 결합되는 상기 수직롤러(50)의 내주연 소정부에는 베어링(52)이 내설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의 상부 지지체 결합구조.

명 세 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발명의 목적

발명이 속하는 기술 및 그 분야의 종래기술


<14> 본 발명은 슬라이딩 도어의 상부 지지체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부레일의 하강에 대응하여
상부롤러부의 지지샤프트가 하부구동 슬라이딩 도어의 상면에 형성된 파이프의 내부로부터 자유롭게 상하 이동
가능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상부레일의 위치 및 형태변형에 무관하게 슬라이딩 도어의 상부를 지지할 수 있으며,
롤러가 상부레일의 측면 및 하면에 밀착될 수 있게 상부롤러부가 구성됨으로써 슬라이딩 도어의 상부를 더욱 견
실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한 하부구동 슬라이딩 도어의 상부 지지체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15> 주지된 바와 같이, 종래의 슬라이딩 도어는 각종 출입구 게이트 및 격납고, 대형도어, 공장 출입문, 전동차류의
도어 등에 사용되어 출입구를 폐쇄하거나 개방하는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슬라이딩 도어는 공장
등에서 대면적의 도어를 보다 쉽게 개폐하기 위한 도어이다.

<16> 도 1, 2를 참조하여 종래의 슬라이딩 도어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17> 도 1은 대단위의 공장 건물(2)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일반적으로 공장은 벽체(4)와, 그 벽체(4)의 상부를 덮는
지붕(6)으로 구성되어져 있으며, 공장 출입문은 슬라이딩 도어(8)로 구성되어져 있다.

<18> 슬라이딩 도어(8)는 공장 출입문의 전면에 다수개 설치되어 좌우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그 상부 및 하부에 각

- 3 -
등록특허 10-0828091

각 롤러가 구성되어져 있으며,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레일이 설치되어져 있다. 도 1에는 하부 롤러(10)와, 하부


레일부(12)가 도시되어져 있다.

<19> 하부 롤러(10)는 상기 슬라이딩 도어(8)의 하부에 장착되고, 출입문의 하부에 배설된 하부 레일부(12)의 상면에
밀착되어 좌우로 슬라이딩되면서 출입문이 개폐된다.

<20> 도 2는 상부롤러부(20)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21> 이를 참조하면, 상기 상부롤러부(20)는 상기 슬라이딩 도어(8)의 상부에 장착되어 출입문의 상단에 배설된 상부
레일(22)을 따라 슬라이딩 도어(8)를 좌우로 슬라이딩시킨다.

<22> 상기 상부롤러부(20)는 슬라이드 도어(8)의 상면에 부착 고정되는 고정판(24)이 구성되어져 있으며, 그 고정판
(24)의 상면에는 중앙에 원형의 파이프(28)가 구성된 고정브라켓(26)이 볼트로 고정되어져 있다. 또한, 상기 고
정브라켓(26)의 중앙에 형성된 파이프(28)에 그 하단 일부가 삽입되어 용접됨으로써 고정된 롤러샤프트(30)가
구비되고, 그 롤러샤프트(30)의 상단에는 수직방향으로 상부롤러(32)가 결합되어져 있다.

<23>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상부롤러부(20)는 상기 슬라이딩 도어(8)의 상부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할 뿐, 상
기 슬라이딩 도어(8)를 들어올려 고정시키지는 않는다.

<24> 하지만, 이러한 구성의 상부 롤러부(20)의 경우에는 장시간 사용하게 되면, 공장 건축물의 지붕(6) 자체 중량이
나, 그 지붕(6)에 눈이 쌓이거나 하여 출입문 벽체 프레임이 하방으로 눌리는 현상이 발생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 레일(22)이 전체적으로 하방으로 눌림으로써 상부 롤러부(20)가 제대로 슬라이딩 도어(8)를 지지하지
못하고, 심한 경우 슬라이딩 도어(8)가 열리지 않게 된다.

<25>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3에 도시된 상부롤러부(30')가 고안되었다. 상기 상부롤러부(30')
는 롤러샤프트(30')의 외주연 소정부에 다수의 삽입공(미도시)을 천공하고, 그 롤러샤프트(30')의 하단 일부가
삽입되는 파이프(28')의 외주연에 상기 롤러샤프트(30')의 삽입공과 일치되는 다수의 피봇삽입공(34)을 천공하
고, 피봇이나 볼트를 삽입하여 고정시킨다.

<26> 사용시 상기 상부레일(22)이 지붕의 중량에 의해 눌려, 위치변동이 생기는 경우에는 상기 롤러샤프트(30')의 외
주연 소정부에 형성된 다수의 삽입공(미도시) 및 상기 파이프(28')의 외주연에 형성된 다수의 피봇삽입공(34)을
조절하여 다시 피봇이나 볼트의 결합위치를 변경시켜 줌으로써 상기 상부레일(22)의 위치가 하방으로 밀려도 슬
라이딩 도어(8)와 상부롤러부(20')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27>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상부롤러부(20') 구성은 슬라이딩 도어(8)의 중량이 매우 크기 때문에 상기 롤러샤프트
(30')와 상기 파이프(28')의 피봇삽입공(34)을 조절하여 다시 피봇이나 볼트의 결합위치를 변경시켜 준다는 것
이 매우 번거롭고 많은 동력이 소요되는 일이므로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많았다.

<28> 또한, 피봇이나 볼트를 통해 상기 롤러샤프트(30')와 상기 파이프(28')를 연결하는 것 역시, 상기 롤러샤프트


(30')를 상기 파이프(28')에 대해 고정시키는 것이므로 짧은 시간동안 눈이 지붕에 많이 쌓여서 상기 상부레일
(22)이 급격하게 하방 가압되는 경우에는 상기 롤러샤프트(30')와 상기 파이프(28')를 연결하는 피봇이나 볼트
가 부러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29> 특히, 상기 상부레일(22)이 굴곡진 형태로 변형된 경우에는 상부롤러부(20')가 상부레일(22)에 의해 원활하게
슬라이딩될 수 없으므로 출입문이 개폐되지 못한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었다.

<30> 또, 종래의 상부롤러부(20')는 그 상부롤러(32)가 상부 레일(22)의 측벽에만 밀착되는 형태이므로, 상기 상부롤


러부(20')가 원활하게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상부레일(22)에 의해 지지되지 못하였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31>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상부레일의 하강에 대응하여 상부롤러부의 지
지샤프트가 슬라이딩 도어의 상면에 형성된 파이프의 내부로부터 자유롭게 상하 이동가능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상부레일의 위치 및 형태변형에 무관하게 슬라이딩 도어의 상부를 지지할 수 있으며, 롤러가 상부레일의 측면
및 하면에 밀착될 수 있게 상부롤러부가 구성됨으로써 슬라이딩 도어의 상부를 더욱 견실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한 슬라이딩 도어의 상부 지지체 결합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발명의 구성 및 작용

- 4 -
등록특허 10-0828091

<32>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슬라이딩 도어(8)의 상면에 부착된 고정판
(24)과; 그 고정판(24)의 상면에 수직방향 형성되고 내부에 중공부(28a)를 갖는 파이프(28)와; 육각면체의 관
형태로 출입문 상부에 설치되며, 상부롤러부(40)의 상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그 하면 중앙 일부만 절개된 상부
레일(60)과; 그 하단이 상기 파이프(28)에 요입되어 상부레일(60)을 따라 승하강되면서 슬라이딩 도어(8)를 지
지하며 슬라이딩되는 상부롤러부(40)로 이루어진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의 상부 지지체
결합구조가 제공된다.

<33> 바람직하게, 상기 상부롤러부(40)는 양측면이 개방된 납작한 직육면체로 이루어진 프레임(42)이 제공되며, 그
내부에는 상기 프레임(42)의 하면과 수평되는 수평롤러(44)가 복수개 결합되어져 있고, 수평롤러(44)와 프레임
(42)은 핀(46)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수평롤러(44)는 그 양측의 외주연 소정부가 상기 프레임(42)의 외부로 노
출되게 결합되어져 있고, 상기 프레임(42)의 하면 중앙에는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파이프(28a)에 요입되는
지지 샤프트(54)가 형성되어져 있으며, 상기 프레임(42)의 양측면 중앙에는 수직롤러(50)가 축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의 상부 지지체 결합구조가 제공된다.

<34> 바람직하게, 상기 수직롤러(50)는 그 외주연 소정부가 상기 프레임(42)의 상하면을 벗어나 상부레일(60)의 내부


상하면에 밀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의 상부 지지체 결합구조가 제공된다.

<35> 바람직하게, 상기 수직롤러(50)는 상기 프레임(42)의 중앙측면에 고정된 샤프트(48)의 양단에 결합되고, 그 샤


프트(48)에 결합되는 상기 수직롤러(50)의 내주연 소정부에는 베어링(52)이 내설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
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의 상부 지지체 결합구조가 제공된다.

<36> 이하, 본 발명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37>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의 상부 지지체 결합구조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의 상부 지지체 결합구조를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의 상부 지지체 결합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38>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의 상부 지지체는 상부레일의 하강에 대응하여 상부롤
러부의 지지샤프트가 슬라이딩 도어의 상면에 형성된 파이프의 내부로부터 자유롭게 상하 이동가능하게 이루어
짐으로써 상부레일의 위치 및 형태변형에 무관하게 슬라이딩 도어의 상부를 지지할 수 있으며, 롤러가 상부레일
의 측면 및 하면에 밀착될 수 있게 상부롤러부가 구성됨으로써 슬라이딩 도어의 상부를 더욱 견실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39>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의 상부 지지체는 슬라이딩 도어(8)의 상면에 부착된 고정판(24)과;
그 고정판(24)의 상면에 수직방향 형성되고 내부에 중공부(28a)를 갖는 파이프(28)가 구성된다.

<40>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의 상부 지지체는 그 하단은 상기 파이프(28)에 요입되어 승하
강되며, 그 상단은 출입문의 상부에 설치된 상부레일(60)에 의해 슬라이딩이 지지되는 상부롤러부(40)가 제공된
다.

<41> 상기 상부레일(60)은 상부롤러부(40)의 상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하면 일부만 절개된 구조로 구성되어져 있다.

<42> 상기 상부롤러부(40)는 양측면이 개방된 납작한 직육면체로 이루어진 프레임(42)이 제공되며, 그 내부에는 상기
프레임(42)의 하면과 수평되는 수평롤러(44)가 복수개 결합되어져 있고, 수평롤러(44)와 프레임(42)은 핀(46)에
의해 결합된다.또, 상기 수평롤러(44)는 그 양측의 외주연 소정부가 상기 프레임(42)의 외부로 노출되게 결합되
어져 있다.

<43> 상기 프레임(42)의 하면 중앙에는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파이프(28a)에 요입되는 지지 샤프트(54)가 형성되


어져 있으며, 상기 프레임(42)의 양측면 중앙에는 수직롤러(50)가 축결합되는 바, 그 수직롤러(50)는 상기 프레
임(42)의 상하면을 벗어나게 그 외주연이 노출되어져 있다.

<44> 즉, 상기 수직롤러(50)는 상기 상부레일(60)의 상면과 하면에 그 외주연이 밀착되어 회전됨으로써 상기 상부롤


러부(40)가 상기 상부레일(60)의 내부에서 슬라이딩하는 동안 상하부 지지를 견실하게 수행하며, 상기 수평롤러
(44)는 상기 상부레일(60)의 내부 양측면에 그 외주연이 밀착되어 회전됨으로써 상기 상부롤러부(40)가 상기 상
부레일(60)의 내부에서 슬라이딩하는 동안 측면지지를 견실하게 한다.

<45> 이때, 상기 수직롤러(50)는 상기 프레임(42)의 중앙측면에 고정된 샤프트(48)의 양단에 결합되는 바, 그 샤프트
(48)에 결합되는 상기 수직롤러(50)의 내주연 소정부에는 베어링(52)이 내설되어져 있다.

- 5 -
등록특허 10-0828091

<46>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의 상부 지지체 결합구조는 상기 상부롤러부
(40)가 수평롤러(44)와 수직롤러(50)를 통해 상기 상부레일(60)의 내부에 견고하게 밀착된 상태에서 슬라이딩되
므로, 슬라이딩 도어(8)가 바람에 흔들려 소음이 발생되지 않게 되며 그로인해 내구성이 약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47> 또한, 지붕의 자중 및 지붕의 상면에 눈이 쌓이거나 하여 상기 출입문 상단에 설치된 상부레일(60)이 하방으로
가압되거나, 형태 변형된 경우에도, 상기 프레임(42)의 하면 중앙에 수직으로 연장된 지지샤프트(54)가 슬라이
딩 도어(8)의 상면에 형성된 파이프(28)의 내부에서 이동되면서 슬라이딩 도어(8)를 지지하게 되므로 견실한 지
지를 행할 수 있다.

<48> 상부레일(6)이 굴곡된 경우에도 상기 지지샤프트(54)는 상기 파이프(28)의 내부에서 승강되므로, 슬라이딩 도어


(8)의 개폐가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49>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의 상부 지지체 결합구조는 단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발명의 효과
<50>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의 상부 지지체 결합구조는 격납고등 대형도어의 경우 자체중
량에 의한 처짐이나 지붕의 상면에 눈이 쌓이거나 하여 상기 출입문 상단에 설치된 상부레일이 하방으로 가압되
거나, 형태 변형된 경우에도, 상기 프레임의 하면 중앙에 수직으로 연장된 지지샤프트가 슬라이딩 도어의 상면
에 형성된 파이프의 내부에서 이동되면서 하부구동 슬라이딩 도어를 지지하게 되므로 견실한 지지를 행할 수 있
고, 수직 및 수평롤러를 이용하여 상부레일의 내부에 견고하게 상부롤러부가 결합되므로 슬라이딩시 소음이 발
생되지 않고 내구성을 향상시키며 대형도어의 경우 레일에서 도어가 이탈되어 넘어짐에 의한 재산상의 피해 및
인명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1> 도 1은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가 장착된 공장건물을 도시한 사시도,

<2> 도 2는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의 장착 구성을 도시한 상부 측단면도,

<3> 도 3은 종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의 장착 구성을 도시한 상부 측단면도,

<4>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의 상부 지지체 결합구조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

<5>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의 상부 지지체 결합구조를 도시한 정면도,

<6>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의 상부 지지체 결합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7>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8> 8:슬라이딩도어, 24:고정판,

<9> 28:파이프, 28a:중공부,

<10> 40:상부롤러부, 42:프레임,

<11> 44:수평롤러, 46:핀,

<12> 48:샤프트, 50:수직롤러,

<13> 54:지지샤프트.

- 6 -
등록특허 10-0828091

도면

도면1

도면2

- 7 -
등록특허 10-0828091

도면3

도면4

- 8 -
등록특허 10-0828091

도면5

도면6

- 9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