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9

등록특허 10-2215628

등록특허 10-2215628

(19) 대한민국특허청(KR) (45) 공고일자 2021년02월16일


(11) 등록번호 10-2215628
(12) 등록특허공보(B1) (24) 등록일자 2021년02월05일
(51) 국제특허분류(Int. Cl.) (73) 특허권자
B29C 70/46 (2018.01) B29C 33/58 (2006.01) 이현수
B29C 33/68 (2006.01) B29C 33/72 (2006.01) 경상북도 경산시 하양읍 대경로 683-7, 101동
B29C 43/02 (2006.01) B29C 43/36 (2006.01) 1005호(하나맨션)
B29C 51/00 (2006.01) B29C 51/12 (2006.01) (72) 발명자
B29C 51/30 (2006.01) B29C 70/06 (2006.01) 이현수
B29C 70/30 (2006.01) 경상북도 경산시 하양읍 대경로 683-7, 101동
(52) CPC특허분류 1005호(하나맨션)
B29C 70/46 (2013.01) (74) 대리인
B29C 33/58 (2013.01) 특허법인태백
(21) 출원번호 10-2020-0138098
(22) 출원일자 2020년10월23일
심사청구일자 2020년10월23일
(56) 선행기술조사문헌
JP11509887 A*
JP2019116254 A*
KR1020150081398 A*
KR1020190044176 A*
*는 심사관에 의하여 인용된 문헌

전체 청구항 수 : 총 3 항 심사관 : 신상훈


(54) 발명의 명칭 드론용 프로펠러의 제조방법

(57) 요 약
본 발명은, 마주보는 면부에 상호 대응되는 프로펠러 형태를 가지는 상형 및 하형으로 구성된 금형을 준비하는
단계, 금형에 경질 폴리우레탄폼 및 경화제가 혼합된 코어 성형제를 투입한 후 가압하면서 프로펠러 형태의 코
어로 성형하는 단계, 코어의 상부 및 하부에 카본 프리프레그가 배치되도록 금형에 코어와 카본 프리프레그를
삽입 배치한 후, 가열상태로 가압하면서 코어의 표면에 카본 프리프레그를 부착 결합하는 단계, 카본 프리프레
그가 부착된 코어를 냉각시킨 후 금형에서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드론용 프로펠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대 표 도 - 도1

-1-
등록특허 10-2215628

(52) CPC특허분류
B29C 33/68 (2013.01)
B29C 33/72 (2013.01)
B29C 43/02 (2013.01)
B29C 43/36 (2013.01)
B29C 51/004 (2013.01)
B29C 51/12 (2013.01)
B29C 51/30 (2013.01)
B29C 70/06 (2013.01)
B29C 70/30 (2013.01)

-2-
등록특허 10-2215628

명 세 서

청구범위
청구항 1

마주보는 면부에 상호 대응되는 프로펠러 형태를 가지는 상형 및 하형으로 구성된 금형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금형에 경질 폴리우레탄폼 및 경화제가 혼합된 코어 성형제를 투입한 후 가압하면서 프로펠러 형태의 코어


로 성형하는 단계와;

상기 코어의 상부 및 하부에 카본 프리프레그가 배치되도록 금형에 코어와 카본 프리프레그를 삽입 배치한 후,


가열상태로 가압하면서 코어의 표면에 카본 프리프레그를 부착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카본 프리프레그가 부착된 코어를 냉각시킨 후 금형에서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코어의 상부 및 하부에 카본 프리프레그가 배치되도록 금형에 코어와 카본 프리프레그를 삽입 배치한 후,


가열상태로 가압하면서 코어의 표면에 카본 프리프레그를 부착 결합하는 단계는,

상기 하형에 제1외측 카본 프리프레그와 제1내측 카본 프리프레그와 코어와 제2내측 카본 프리프레그 및 제2외


측 카본프리프레그를 순차적으로 적층 배치하는 단계, 상기 상형을 하형으로 이동하면서 하형 상에 적층된 제1
외측 카본 프리프레그와 제1내측 카본 프리프레그와 코어와 제2내측 카본 프리프레그 및 제2외측 카본프리프레
2
그를 97 ~ 103kgf/cm 의 가압상태로 120℃의 온도에서 2시간 30분 내지 3시간 30분 동안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
하고,

상기 제1외측 카본 프리프레그 및 제2외측 카본 프리프레그는 UD 카본 프리프레그이며, 제1내측 카본 프리프레


그 및 제2내측 카본 프리프레그는 3K 평직 카본 프리프레그이고,

상기 제1내측 카본 프리프레그 및 제2내측 카본 프리프레그는 코어에 부착시, 코어의 길이방향 중심선을 기준으
로 씨실 부분이 45도 경사각을 가지도록 배치하고, 코어의 폭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날실 부분이 45도 경사각
을 가지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부착되게 하고,

상기 제1외측 카본 프리프레그와 제2외측 카본 프리프레그를 코어에 부착시, 제1외측 카본 프리프레그와 제2외


측 카본 프리프레그의 외측면에 카본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보강띠를 상호 교차되게 추가적으로 부착하며, 보강
띠는 코어의 길이방향 중심선과 코어의 폭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각각 45도 경사각을 가지도록 제1외측 카본
프리프레그와 제2외측 카본 프리프레그의 외측면에 교차상태로 부착하는 드론용 프로펠러의 제조방법.

청구항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펠러 형태를 가지는 금형을 준비하는 단계는,

상기 상형 및 하형의 표면에 이물질을 제거한 후, 이형제를 도포하는 단계와,

상기 상형 및 하형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드론용 프로펠러의 제조방법.

청구항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금형에 경질 폴리우레탄폼 및 경화제가 혼합된 코어 성형제를 투입한 후 가압하면서 프로펠러 형태의 코어


로 성형하는 단계는,

상기 경질 폴리우레탄폼과 경화제를 1:1의 중량비로 혼합한 코어 성형제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금형에 이형천을 접착제로 접착하는 단계와,


2
상기 금형에 코어 성형제를 투입한 후, 프레스기로 8 ~ 12kgf/com 의 압력으로 5 ~ 7시간 동안 가압하면서 성형

-3-
등록특허 10-2215628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드론용 프로펠러의 제조방법.

청구항 4

삭제

발명의 설명

기 술 분 야
[0001] 본 발명은, 드론에 사용되는 프로펠러를 제조하기 위한 드론용 프로펠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배 경 기 술
[0002] 일반적으로, 드론(Drone)은 사람이 타지 않고 무선전파의 유도에 의해서 비행하는 헬리콥터 모양의 무인 항공기
로 군사 용도로 처음 생겨났지만 최근엔 고공 촬영과 배달 등의 용도로 확대되고 있다.

[0003] 근래에는 사람이 작업하기 힘든 환경에서 무인 비행체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무인 비행체는 접근이 어려운
재난/재해 지역의 공중 영상획득, 항공촬영 및 전력선 검사 또는 전장상황에서 적의 은닉정보를 제공하거나, 무
인기를 통한 정찰임무, 감시임무를 수행하는 등 그 필요성이 점차 증대되고 있다.

[0004] 이러한, 드론의 주요 성능은 프로펠러 성능 효율, 모터 효율, 배터리에 의해 결정되며, 프로펠러는 회전을 통해
드론의 비행을 위한 추력 및 조정력을 발생하는 장치로서 드론의 성능을 결정짓는 핵심부품이다.

[0005] 여기서, 프로펠러의 성능 효율은 추력과 항력에 의해 결정되며 성능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항력을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프로펠러의 항력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프로펠러 익형 단면형상에 대한 공력 성능 최적화, 프
로펠러 3차원 형상에 대한 플랫폼의 설계가 중요하다.

[0006] 한편, 프로펠러는 최근 복합소재 기술의 발달로 인해 복합재료로 변화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복합재 프로펠러
는 금속재 프로펠러에 비해 높은 진동 흡수 능력을 갖는 것에서 기인한 양호한 비행 조정 특성과 경량성으로 인
하여, 온도 변화에 따른 블레이드의 기하학적 변형이 적게 되고, 이에 따라 공기 역학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
다. 복합재 프로펠러는 1930년대에 처음으로 목화 섬유(Cotton fabric)를 강화한 페놀 수지(Phenolic resin)
프로펠러가 개발된 이후 최근에는 유리/에폭시(Glass/epoxy), 탄소/에폭시(Carbon/epoxy) 등이 복합재 프로펠러
재료로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0007] 그러나, 상기한 프로펠러의 소재는 유인항공기에만 적용되고 있어서 드론과 같은 소형의 무인항공기의 프로펠러
에도 이러한 기술이 접목되길 기대하고 있다.

[0008] 이러한, 종래의 유인항공기용 프로펠러에 대한 관련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114859호


(2013.10.21)에 제시된다.

발명의 내용

해결하려는 과제
[0009] 본 발명은, 무인항공기인 드론에 사용 가능한 강도 및 중량을 가지는 드론용 프로펠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과제의 해결 수단
[0010] 본 발명은, 마주보는 면부에 상호 대응되는 프로펠러 형태를 가지는 상형 및 하형으로 구성된 금형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금형에 경질 폴리우레탄폼 및 경화제가 혼합된 코어 성형제를 투입한 후 가압하면서 프로펠러 형태
의 코어로 성형하는 단계, 상기 코어의 상부 및 하부에 카본 프리프레그가 배치되도록 금형에 코어와 카본 프
리프레그를 삽입 배치한 후, 가열상태로 가압하면서 코어의 표면에 카본 프리프레그를 부착 결합하는 단계, 상
기 카본 프리프레그가 부착된 코어를 냉각시킨 후 금형에서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드론용 프로펠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0011] 또한, 상기 프로펠러 형태를 가지는 금형을 준비하는 단계는, 상기 상형 및 하형의 표면에 이물질을 제거한

-4-
등록특허 10-2215628

후, 이형제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상형 및 하형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0012] 또한, 상기 금형에 경질 폴리우레탄폼 및 경화제가 혼합된 코어 성형제를 투입한 후 가압하면서 프로펠러 형태
의 코어로 성형하는 단계는, 상기 경질 폴리우레탄폼과 경화제를 1:1의 중량비로 혼합한 코어 성형제를 준비하
는 단계, 상기 금형에 이형천을 접착제로 접착하는 단계, 상기 금형에 코어 성형제를 투입한 후, 프레스기로
2
8 ~ 12kgf/com 의 압력으로 5 ~ 7시간 동안 가압하면서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0013] 또한, 상기 코어의 상부 및 하부에 카본 프리프레그가 배치되도록 금형에 코어와 카본 프리프레그를 삽입 배치


한 후, 가열상태로 가압하면서 코어의 표면에 카본 프리프레그를 부착 결합하는 단계는, 상기 하형에 제1외측
카본 프리프레그와 제1내측 카본 프리프레그와 코어와 제2내측 카본 프리프레그 및 제2외측 카본프리프레그를
순차적으로 적층 배치하는 단계, 상기 상형을 하형으로 이동하면서 하형 상에 적층된 제1외측 카본 프리프레그
와 제1내측 카본 프리프레그와 코어와 제2내측 카본 프리프레그 및 제2외측 카본프리프레그를 가압상태로 120℃
의 온도에서 2시간 30분 내지 3시간 30분 동안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0014] 본 발명에 따른 드론용 프로펠러의 제조방법은, 경질 폴리우레탄폼과 경화제로 형성된 코어의 표면에 카본 프리
프레그를 부착되게 하여 프로펠러로 제조함으로써, 가벼우면서도 비틀림에 대한 강도가 우수하여 드론의 프로펠
러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0015]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용 프로펠러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S120단계를 나타낸 개략상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S120단계에서 제1내측 카본 프리프레그와 코어와 제2내측 카본 프리프레그의 부착상태를


나타낸 코어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낸 보강띠 부착 단계에 의해 보강띠가 부착된 코어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용 프로펠러의 제조방법을 통해 완성된 드론용 프로펠러의 측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0016]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0017]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용 프로펠러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일 실


시예에 따른 드론용 프로펠러의 제조방법은, 금형을 준비하는 단계(S100), 프로펠러 형태의 코어를 성형하는 단
계(S110), 코어의 표면에 카본 프리프레그를 부착 결합하는 단계(S120), 금형에서 코어를 분리하는 단계(S130)
를 포함하고 있다.

[0018] 먼저, 금형을 준비하는 단계(S100)는, 드론용 프로펠러로 성형 작업을 가능하게 하도록 드론용 프로펠러 형태를
가지는 금형(100)을 준비한다. 즉, 금형(100)은 마주보는 면부에 상호 대응되는 프로펠러 형태를 가지는 상형
(110) 및 하형(120)을 구성한다. 이러한, 상형(110) 및 하형(120)을 준비한 후에는, 상형(110) 및 하형(120)의
표면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용제로 제거한다. 그리고, 상형(110) 및 하형(120)의 표면에는 이후 성형된 코어
(200)의 이탈을 쉽게할 수 있도록 이형제를 도포한다. 이후, 상형(110) 및 하형(120)을 10분 이상 상온에서 건
조한다. 이러한, 상형(110) 및 하형(120)의 이형제 도포 및 건조 과정을 2 ~ 3회 반복 수행한다.

[0019] 이후, 상기 금형(100)에 코어 성형제를 투입한 후 가압하면서 프로펠러 형태의 코어(200)을 성형한다(S110). 이
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경질 폴리우레탄폼과 경화제를 혼합한 코어 성형제를 준비한다. 여기서, 코어
성형제는 경질 폴리우레탄폼과 경화제를 1:1의 중량비로 혼합 준비한다. 이렇게, 준비된 코어 성형제를 준비한
후에는, 금형(100)의 상형(110) 및 하형(120) 표면에 이형천을 접착제로 접착한다. 그리고, 금형(100)의 하형
(120) 상에 코어 성형제를 투입한 후, 프레스기로 상형(110)을 하형(120) 방향으로 이동시켜 가압하면서 성형되
2
게 한다. 이때, 프레스기는 8 ~ 12kgf/com 의 압력으로 5 ~ 7시간 동안 상형(110)을 하형(120) 방향으로 이동시
2
켜 하형(120) 상에 투입된 코어 성형제를 가압되게 한다. 여기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프레스기는 10kgf/com 의
압력으로 6시간 동안 가압하면서 성형이 이루어지게 한다.

-5-
등록특허 10-2215628

[0020] 이같이, 상기 코어 성형제로 프로펠러 형태의 코어(200)를 성형 완료한 후에는, 코어(200)의 표면에 카본 프리
프레그(300)를 부착상태로 결합되게 한다(S120). 즉, 상기 코어(200)의 상부 및 하부에 카본 프리프레그(300)를
배치되도록 금형(100)의 하형(120) 상에 코어(200)와 카본 프리프레그(300)를 삽입 배치한 상태에서 코어(200)
와 카본 프리프레그(300)를 가열상태로 가압하면서 카본 프리프레그(300)가 코어(200) 표면에 부착 결합되게 한
다. 이에 대해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하형(120)에 제1외측 카본 프리프레그(310)와 제1내측 카본
프리프레그(320)와 코어(200)와 제2내측 카본 프리프레그(330) 및 제2외측 카본 프리프레그(340)를 순차적으로
적층 배치한다. 이후, 프레스기로 상형(110)을 하형(120) 방향으로 이동되게 하면서 하형(120) 상에 순차 적층
된 제1외측 카본 프리프레그(310)와 제1내측 카본 프리프레그(320)와 코어(200)와 제2내측 카본 프리프레그
(330) 및 제2외측 카본프리프레그(340)를 가압상태로 110 ~ 130℃의 온도에서 2시간 30분 내지 3시간 30분 동안
2
가열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프레스기로 97 ~ 103kgf/cm 의 가압력을 가하면서 120℃에서 3시간 동안 금형(100)
을 가열하면서 제1외측 카본 프리프레그(310)와 제1내측 카본 프리프레그(320)와 제2내측 카본 프리프레그(330)
및 제2외측 카본 프리프레그(340)를 코어(200)의 표면에 부착 결합이 이루어지게 한다. 이때, 제1외측 카본 프
리프레그(310)와, 제1내측 카본 프리프레그(320)와, 제2내측 카본 프리프레그(330) 및, 제2외측 카본 프리프레
그(340)에는 각각 일측면에 추가적으로 접착제가 도포될 수도 있다.

[0021] 여기서, 상기 제1외측 카본 프리프레그(310) 및 제2외측 카본 프리프레그(340)는 UD 카본 프리프레그이며, 제1


내측 카본 프리프레그(320) 및 제2내측 카본 프리프레그(330)는 3K 평직 카본 프리프레그일 수 있다. 이같이,
코어(200) 표면에 부착되는 카본 프리프레그(300)를 서로 다른 카본원사의 직조 구조를 가지는 제1외측 카본 프
리프레그(310)와 제2외측 카본 프리프레그(340) 및, 제1내측 카본 프리프레그(320)와 제2내측 카본 프리프레그
(330)로 구성되게 함으로써, 코어(200)의 표면에 안정적인 부착상태 유지 및 코어(20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
는 강도를 제공할 수 있게 한다.

[0022] 또한, 도 3과 같이, 상기 제1내측 카본 프리프레그(320) 및 제2내측 카본 프리프레그(330)는 코어(200)에 부착


시, 코어(200)의 길이방향 중심선인 'C1'를 기준으로 씨실 부분(300a)이 45도 경사각을 가지도록 배치하고, 코
어(200)의 폭방향 중심선인 'C2'를 기준으로 날실 부분(300b)이 45도 경사각을 가지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부착
되게 함으로써 코어(200)의 비틀림 강도를 증대되게 할 수 있다.

[0023] 또한, 도 4와 같이 상기 제1외측 카본 프리프레그(310)와 제2외측 카본 프리프레그(340)를 코어(200)에 부착시,


제1외측 카본 프리프레그(310)와 제2외측 카본 프리프레그(340)의 외측면에 카본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보강띠
(400)를 상호 교차되게 추가적으로 부착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보강띠(400)는 코어(200)의 길이방향 중심선인
'C1'과 코어(200)의 폭방향 중심선인 'C2'를 기준으로 각각 45도 경사각을 가지도록 제1외측 카본 프리프레그
(310)와 제2외측 카본 프리프레그(340)의 외측면에 교차상태로 부착되어, 코어(200)에 추가적으로 비틀림 강도
를 보강되게 한다. 이때, 보강띠(400)의 일측면에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제1외측 카본 프리프레그(310)와, 제2
외측 카본 프리프레그(340)의 외측면에 부착 결합할 수 있다.

[0024] 또한, 도 5와 같이 상기 코어(200)의 외측 끝단 부분을 상측으로 절곡시키는 절곡부(500)를 형성시키는 단계를


작업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절곡부(500)는 완성된 드론용 프로펠러의 와류 및 소음을 절감시키
는 역할을 한다. 이때, 절곡부(500)는 코어(200) 전체 길이의 8 ~ 12% 부분에 형성할 수 있으며, 절곡부(500)는
코어(20)의 길이방향 중심선 'C3'를 기준으로 상측 방향으로 55 ~ 70도의 경사각을 가지도록 절곡 형성될 수 있
다. 이러한, 절곡부(500)는 코어(200)의 외측 끝단을 가열상태로 가압하면서 형성되게 할 수 있다.

[0025] 이같이, 상기 코어(200)의 표면에 카본 프리프레그(300)를 부착 결합한 후에는, 코어(200)를 냉각시킨 후 금형


에서 코어(200)를 분리한다(S130). 즉, 먼저 프레스기로 냉각수를 순환 배출되게 하면서 프레스기의 온도가 40
℃이하가 되면, 금형(100) 상에서 카본 프리프레그(300)가 부착된 코어(200)를 이탈시킨다.

[0026] 이후, 상기 코어(200)의 표면에 부착된 카본 프리프레그(300)의 테두리 부분을 커팅함과 더불어 카본 프리프레
그(300)의 표면에 대한 다듬질을 통해 마감작업을 수행한다.

[0027] 이같이, 상기 코어(200)의 표면에 1외측 카본 프리프레그(310)와, 제1내측 카본 프리프레그(320)와. 제2내측 카


본 프리프레그(330) 및, 제2외측 카본 프리프레그(340)와, 보강띠(400)가 부착된 드론용 프로펠러의 제조가 완
료된다.

[0028] 이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용 프로펠러의 제조방법은, 경질 폴리우레탄폼과 경화제로 형성된 코어(200)
의 표면에 카본 프리프레그(300)를 부착되게 하여 프로펠러로 제조함으로써, 가벼우면서도 비틀림에 대한 강도

-6-
등록특허 10-2215628

가 우수하여 드론의 프로펠러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0029]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면

도면1

-7-
등록특허 10-2215628

도면2

도면3

도면4

-8-
등록특허 10-2215628

도면5

-9-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