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4

등록실용신안20-0179256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실용신안공보(Y1)
6
(51) Int. Cl. (45) 공고일자 2000년05월01일
F16F 1/36 (11) 등록번호 20-0179256
(24) 등록일자 2000년02월09일
(21) 출원번호 20-1996-0067632 (65) 공개번호 실1998-0054440
(22) 출원일자 1996년12월31일 (43) 공개일자 1998년10월07일
(73) 실용신안권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정몽규
서울특별시 종로구 계동 140-2
(72) 고안자 김성기
경상남도 울산시 남구 옥동 1386번지 도성아파트 104/601
(74) 대리인 김연수

심사관 : 박시영
(54) 판스프링 장착구조

요약
본 고안은 판스프링 장착구조에 관한 것으로, 내측파이프(2)와 스프링아이(1)사이에 고무부시(3)가 개재
되어 일체로 가류접착되고, 상기 내측파이프에는 체결보울트가 관통해서 삽입되어 스프링행거(4)에 체결
되며, 상기 스프링행거의 안쪽면에 밀접되는 다수개의 볼(8)이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심어진 원
판으로 된 볼베어링(7)이 상기 스프링행거의 안쪽면과 부시의 양쪽 측면에 각각 개재된 구조로, 판스프
링의 운동이 원활해지면서 마찰소음을 줄여주고, 부시의 이완도 방지해주는 효과가 있다.

대표도

도3

명세서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판스프링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제2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판스프링의 스프링아이가 스프링행거에 체결된 상태의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판스프링의 스프링아이가 스핀링행거에 체결된 상태의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볼베어링의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스프링아이 2 : 내측파이프
3 : 고무부시 4 : 스프링행거
5 : 체결보울트 6 : 너트
7 : 볼베어링 8 : 볼
9 : 시트 10 : 원판

고안의 상세한 설명

고안의 목적

고안이 속하는 기술 및 그 분야의 종래기술


본 고안은 판스프링 장착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판스프링의 스프링아이에 끼워진 부시의 양쪽 측면과
스프링행거사이에 볼베어링이 개재되어 부시의 이완을 방지하고 마찰력도 감소시켜 판스프링이 원활하게
거동될 수 있도록 한 판스프링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섀시스프링은 차체와 바퀴사이에 설치되어 자동차가 주행할 때에 노면에서 받는 충격
과 바퀴의 진동을 흡수하여 차체에 전달하지 않기 위해 장착되는 것으로서, 금속제의 판스프링(leaf

4-1
등록실용신안20-0179256

spring)이나 코일 스핀링 혹은 토오션바아 스프링이 사용되고, 이외에도 고무 스프링이나 공기 스프링


등도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상기 판스프링은 스프링 강을 띠 모양으로 성형한 스프링 판을 활모양으로 약간 굽히고 여러장을
겹쳐서 만든 것으로서, 스프링 자체의 강성에 의해 차축을 정위치에 지지할 수 있으므로 구조가 간단하
고, 판간의 마찰로 인해 진동을 억제하는 제어작용을 하며, 또 내구성이 큰 잇점이 있다.
제1도는 상기한 종래의 판스프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인 바, 즉 메인리이프(101)의 양쪽 선단부에는
스프링아이(102a,102b)가 일체로 형성되면서 이 스프링아이(102)에는 부시(103)가 각각 끼워지고, 상기
메인리이프에는 길이가 각기 다른 스프링리이프(104)가 덧대어져 중앙부위가 보울트(105)로 체결되어 있
으며, 상기 메인리이프와 스프링리이프는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클립밴드(106)를 매개로 묶여져 있
다.
그리고 상기 메인스프링의 한쪽 스프링아이(102a)는 차대에 스프링행거로 체결되는 반면에 다른쪽 스프
링아이(102b)는 새클(107)을 매개로 차대에 체결되어, 스팬의 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부시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새클핀(108)이나 체결보울트(109)가 끼워져서 체결되는
내측파이프(110)의 외주에 고무부시(111)가 접착되고, 이 고무부시의 외주에는 스프링아이(102a,102b)가
감겨져 일체로 가류접착되며, 이 부시를 관통해서 상기 체결보울트나 새클핀이 삽입되어 새클(107)이나
스프링행거(112)에 체결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판스프링이 노면으로부터 전달되어오는 진동이나 충격을 받게되면 차대에 스프링행거와 새클
을 매개로 적절히 지지된 상태에서 신장운동과 압축운동 및 회동운동으로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해서 저
감시켜주게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판스프링 장착구조에서는 판스프링에 반복적으로 진동과 충격이 가해지면 부
시가 이완되면서 부시와 스프링행거사이에 틈새가 형성되게 되고, 또 판스프링과 스프링행거사이에 미칠
력으로 인해 소음 등이 발생되면서 판스프링의 작동이 원만하게 이루어지지 못한다고 하는 결점이 있었
다.

고안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판스프링의 부시와 스핀링행거사이의 마찰
력을 감소시키고, 또 부시의 이완도 효과적으로 방지해줄 수 있도록 된 판스프링 장착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고안의 구성 및 작용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내측파이프와 스프링아이사이에 고무부시가 개재되어 일
체로 가류접착되고, 상기 내측파이프에는 체결보울트가 관통해서 삽입되어 스프링행거에 체결되며, 상기
스프링행거의 안쪽면에 밀접되는 다수개의 볼이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심어진 원판으로 된 볼베
어링이 상기 스프링행거의 안쪽면과 부시의 양쪽 측면에 각각 개재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판스프링의 스프링아이가 스프링행거에 체결된 상태의 단면도이고,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볼베어링의 정면도인 바, 즉 스프링아이(1)에 내측파이프(2)가 끼워지면서 이 내측파이프와
상기 스프링아이사이에는 고무부시(3)가 개재되어 일체로 가류접착되어 있고, 스프링행거(4)의 양쪽측면
과 내측파이프를 관통해서 체결보울트(5)가 삽입되어 너트(6)로 체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부시의 양쪽 측면과 스프링행거사이에는 각각 볼베어링(7)이 개재되어 있는 데, 이 볼베어
링은 상기 스프링행거의 안쪽면에 각각 밀접되는 다수개의 볼(8)이 원주방향을 따라 시트(9)에 각각 심
어진 원판(10)을 갖춘 구조로 되어있다.
이에 따라 상기 부시를 스프링행거에 체결할 때에 볼베어링의 볼이 각각 스프링행거의 안쪽면에 밀접되
면서 원판은 부시의 측면에 밀접되게 장착되는 데, 이와 같이 볼베어링이 스프링행거와 부시사이에 개재
되면 판스프링의 작동시에 상기 볼의 구름이동으로 판스프링의 운동이 원활해질 뿐만 아니라 소음도 줄
어들게 되고, 또 부시의 이완도 방지해주게 되는 것이다.

고안의 효과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판스프링 장착구조에 의하면, 스프링행거와 부시사이에 볼베어링
이 개재되어 판스프링의 운동이 원활해지면서 마찰소음을 줄여주고, 부시의 이완도 방지해주는 효과가
있다.

(57) 청구의 범위
청구항 1
내측파이프와 스프링아이사이에 고무부시가 개재되어 일체로 가류접착되고, 상기 내측파이프에는 체결보
울트가 관통해서 삽입되어 스프링행거에 체결된 판스프링 장착구조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행거의 안쪽면
에 밀접되는 다수개의 볼이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심어진 원판으로 된 볼베어링이 상기 스프링
행거의 안쪽면과 부시의 양쪽 측면에 각각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스프링 장착구조.

4-2
등록실용신안20-0179256

도면

도면1

도면2

도면3

4-3
등록실용신안20-0179256

도면4

4-4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