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6

등록특허 10-0748831

(19)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특허공보(B1)

(51) 。Int. Cl. (45) 공고일자 2007년08월13일


B23B 9/10 (2006.01) (11) 등록번호 10-0748831
B23B 9/00 (2006.01) (24) 등록일자 2007년08월06일

(21) 출원번호 10-2006-0112765 (65) 공개번호


(22) 출원일자 2006년11월15일 (43) 공개일자
심사청구일자 2006년11월15일

(73) 특허권자 한화테크엠주식회사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동 59

(72) 발명자 공덕근


경남 창원시 상남동 대우아파트 16-504호

(74) 대리인 이민영

(56) 선행기술조사문헌
①JP07227701 A

심사관 : 김재왕

전체 청구항 수 : 총 3 항

(54) 대향형 툴포스트를 가지는 자동선반

(57) 요약

본 발명은 자동선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선반에 장착되어 있는 툴포스트를 대향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대향형의 툴포스트에 공작물의 측면이 가공될 수 있도록 툴을 장착하여 공작물의 외경이나 드릴링, 탭핑 등의 작업을 동시
에 가능하도록 하여 가공 사이클타임을 줄임으로써 생산성을 확대할 수 있고 가공효율을 극대화한 대향형의 툴포스트를
가지는 자동선반에 관한 것이다.

대표도

도2

특허청구의 범위

청구항 1.

공작물 이송을 위한 메인스핀들(10)과 서브스핀들(11)이 형성되어 있으며 공작물을 가이드해주는 가이드부쉬(12)와, 절


삭공구가 장착되어 공작물을 가공하는 툴포스트가 형성된 자동선반에 있어서,

-1-
등록특허 10-0748831

상기 툴포스트는 가이드부쉬(12)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공작물의 측면을 가공할 수 있는 TP1(13)과, 상기 TP1(13)과 대향


되게 형성되며 공작물의 타측면과 공작물의 전면을 가공할 수 있는 TP2(14)와, 상기 가이드부쉬의 하부에 형성되어 공작
물의 후면을 가공할 수 있는 TP3(15)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인 대향형 툴포스트를 가지는 자동선반

청구항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TP1(13)은 공작물의 좌우방향(X1)과 공작물의 상하방향(Y1)으로 왕복운동이 가능하며, 상기 TP2(14)는 공작물의


좌우방향(X2)과 공작물의 상하방향(Y2) 및 공작물의 전후방향(Z2)으로 왕복운동이 가능하며, 상기 TP3(15)는 공작물의
상하방향(Y3)으로 왕복운동이 가능한 것이 특징인 대향형 툴포스트를 가지는 자동선반

청구항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스핀들(10)은 공작물의 전후방향(Z1)으로 왕복운동이 가능하며, 상기 서브스핀들(11)은 공작물의 전후방향(Z3)


및 좌우방향(X3)으로 왕복운동이 가능한 것이 특징인 대향형 툴포스트를 가지는 자동선반

명세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발명의 목적

발명이 속하는 기술 및 그 분야의 종래기술

본 발명은 자동선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선반에 장착되어 있는 툴포스트를 대향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대향형의 툴포스트에 공작물의 측면이 가공될 수 있도록 툴을 장착하여 공작물의 외경이나 드릴링, 탭핑 등의 작업을 동시
에 가능하도록 하여 가공 사이클타임을 줄임으로써 생산성을 확대할 수 있고 가공효율을 극대화한 대향형 툴포스트를 가
지는 자동선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자동선반으로서는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특허 제10-2005-0062494호와 같은 것으로서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자동선반은 가공소재를 척킹하는 주축(2)과, 상기 주축(2)의 연장선상에 위치하여 가공소재를 가이


드해주는 가이드부쉬(3) 및 가공소재의 타단을 척킹해주는 서브축(4)과, 상기 가이드부쉬(3)의 하부에 형성되어 다양한
공구가 장착되는 터릿공구대(10)와, 상기 가이드부쉬(3)의 상부에 형성되어 드릴링, 밀링 등의 가공을 하는 크로스공구대
(20) 및 절단, 나사가공 등의 선반가공을 하는 외경공구대(30)와, 상기 서브축의 상부에 형성되어 소재의 배면에 드릴링,
밀링 등의 가공을 하는 배면공구대(40)로 구성되어 있다.

상술한 종래의 자동선반은 가이드부쉬(3)의 상부에 크로스공구대 및 외경공구대가 형성되고 소재의 배면가공을 위해 배면
공구대가 형성되는데, 툴이 순차적으로 배열되어 있음으로 행정거리(스트로크)에 제한이 있으며 가공 역시 순차적으로 진
행될 수밖에 없어서 가공 사이클타임이 길 수밖에 없었다.

또한, 보다 많은 공구를 장착하기 위해 터릿공구대를 가이드부쉬의 하부에 형성하였으나, 터릿공구대는 한 공정이 진행된
후 다음 공정을 행하기 위해서는 공구교환을 위한 인덱싱 타임이 소요되므로 복잡한 가공물의 가공시에는 가공 사이클타
임이 길어질 수밖에 없다.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2-
등록특허 10-0748831

따라서, 본 발명은 공구대의 배치를 대향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대향형의 툴포스트에 공작물의 측면이 동시에 가공될 수
있도록 툴을 장착하여 가공 사이클타임을 줄일 수 있는 대향형의 툴포스트를 가지는 자동선반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
다.

또한, 터릿공구대를 장착하지 않고도 공작물의 배면을 다양하게 가공할 수 있는 대향형의 툴포스트를 가지는 자동선반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발명의 구성

본 발명은 자동선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선반에 장착되어 있는 툴포스트를 대향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대향형의 툴포스트에 공작물의 측면이 가공될 수 있도록 툴을 장착하여 공작물의 외경이나 드릴링, 탭핑 등의 작업을 동시
에 가능하도록 하여 가공 사이클타임을 줄임으로써 생산성을 확대할 수 있고 가공효율을 극대화한 대향형의 툴포스트를
가지는 자동선반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예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측면구성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예시도로서, 본 발명은 공작


물 이송을 위한 메인스핀들(주축, 10)과 서브스핀들(서브축, 11)이 형성되어 있으며 공작물을 가이드해주는 가이드부쉬
(12)와, 절삭공구가 장착되어 공작물을 가공하는 툴포스트가 형성된 자동선반에 있어서, 상기 자동선반의 툴포스트는 상
기 가이드부쉬(12)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공작물의 측면을 가공할 수 있는 TP1(13, Tool Post 1)과, 상기 TP1(13)과 대향
되게 형성되며 공작물의 타측면과 공작물의 전면을 가공할 수 있는 TP2(14,Tool Post 2)와, 상기 가이드부쉬(12)의 하부
에 형성되어 공작물의 후면(절단면)을 가공할 수 있는 TP3(15, Tool Post 3)로 구성되어 있다.

미설명부호는 몸체(1)이다.

여기서, 상기 TP1(13)은 공작물의 좌우방향(X1)과 공작물의 상하방향(Y1)으로 왕복운동이 가능하며, 상기 TP2(14)는 공


작물의 좌우방향(X2)과 공작물의 상하방향(Y2) 및 공작물의 전후방향(Z2)으로 왕복운동이 가능하며, 상기 TP3(15)는 공
작물의 상하방향(Y3)으로 왕복운동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메인스핀들(10)은 공작물의 전후방향(Z1)으로 왕복운동이 가능하며, 상기 서브스핀들(11)은 공작물의 전후방


향(Z3) 및 좌우방향(X3)으로 왕복운동이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 명시되어 있는 Z방향은 공작물의 이송방향 즉, 메인스핀들(10)과 서브스핀들(11)의 중심축 방향으로 이송하
는 방향이고, Y방향은 공작물의 상하방향 즉 자동선반의 베이스면에서 높아지고 낮아지는 방향이며, X방향은 공작물의 좌
우방향 즉 자동선반의 베이스면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방향이다.

그리고, X1, X2, X3는 편의상 구분한 방향일 뿐 모두 X축 방향으로 이동되는 방향이며, Y1, Y2, Y3 및 Z1, Z2, Z3 역시
마찬가지이다.

상기 메인스핀들(10)은 공작물을 이송하는 주축으로서 공작물의 이송방향(Z1)으로 이동이 가능하며, 서브스핀들(11) 역


시 공작물의 이송방향(Z3)으로 이동이 가능함은 당연하다. 상기 서브스핀들(11)은 공작물의 좌우방향 즉, X3 방향으로도
왕복운동이 가능하다.

상기 TP1(13)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작물의 측면을 가공할 수 있는 드릴이나 탭 등의 다양한 공구의 장착이 가능한
데 상기 공구는 공작물의 측면을 향하도록 장착되며, 바이트 등의 외경가공공구나 절단공구도 장착이 가능하다.

상기 TP2(14) 역시 공작물의 측면을 가공할 수 있는 공구가 장착될 뿐만 아니라 공작물의 전면을 가공할 수 있도록 공작
물의 전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공구가 장착될 수 있으며, 이 또한 바이트 등의 외경가공공구나 절단공구의 장착이 가능하
다.

본 발명의 가장 큰 특징은 상기 TP1(13)과 TP2(14)를 대향형 즉 마주보는 형태로 형성하여 공작물의 좌우 측면을 동시에
가공할 수 있으며, 공작물의 전면과 측면 역시 동시에 가공할 수 있다.

-3-
등록특허 10-0748831

여기서, 상기 TP1(13)은 공작물의 측면 가공만 이루어지므로 X1과 Y1 방향으로만 운동되지만, TP2(14)는 공작물의 측면
뿐만 아니라 전면 가공도 이루어지므로 X2, Y2 방향과 함께 Z2 방향의 이송이 가능하여야 한다.

상기 TP3(15)는 TP1(13) 또는 TP2(14)에 의해 공작물이 절단되고 서브스핀들(11)에 절단된 공작물이 척킹되었을 때 공


작물의 절단면을 가공하기 위한 툴포스트로서 Y3 방향으로만 이송이 가능하면 된다. 이는 서브스핀들(11)이 X3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TP3(15)는 X3 방향으로의 이송이 필요없는데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TP3(15)를 Y3 방향과 함께 X축 방향
으로도 이송할 수 있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발명의 효과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자동선반은 공작물이 메인스핀들에 척킹되고 가이드부쉬에 의해 가이드된 상태에서 공
작물의 좌우 측면가공 및 전면 가공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어서, 가공 사이클타임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터릿공구
대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터릿공구대의 인덱싱 타임으로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종래 자동선반의 구성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예시도

도 3은 도 2의 측면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메인스핀들(Main Spindle) 11. 서브스핀들(Sub Spindle)

12. 가이드부쉬(Guide Bush) 13. TP1(Tool Post 1)

14. TP2(Tool Post 2) 15. TP3(Tood Post 3)

도면

-4-
등록특허 10-0748831

도면1

도면2

-5-
등록특허 10-0748831

도면3

도면4

-6-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