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3

등록특허 10-2398415

등록특허 10-2398415

(19) 대한민국특허청(KR) (45) 공고일자 2022년05월16일


(11) 등록번호 10-2398415
(12) 등록특허공보(B1) (24) 등록일자 2022년05월11일
(51) 국제특허분류(Int. Cl.) (73) 특허권자
A61B 6/14 (2006.01) A61B 6/00 (2006.01)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A61B 6/08 (2006.01) A61B 6/10 (2006.01)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세천로7길 45
(52) CPC특허분류 (72) 발명자
A61B 6/14 (2013.01) 박준상
A61B 6/08 (2013.01) 대구광역시 수성구 들안로 360, 106동 1107호 (수
(21) 출원번호 10-2020-0040078 성동4가, 수성 태영 데시앙)
(22) 출원일자 2020년04월02일 (74) 대리인
심사청구일자 2020년04월02일 권영규
(65) 공개번호 10-2021-0122985
(43) 공개일자 2021년10월13일
(56) 선행기술조사문헌
US20050078797 A1
(뒷면에 계속)
전체 청구항 수 : 총 4 항 심사관 : 박세영
(54) 발명의 명칭 치과용 포터블 엑스선 촬영장치

(57) 요 약
치과용 포터블 엑스선 촬영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포터블 엑스선 촬영장치는, 피시술자의 인체
중 특정의 촬영 대상영역을 촬영하기 위해 의료용 엑스선(x-ray)을 방사하는 엑스선 발산부와, 상기 촬영 대상영
역의 촬영된 화면이 표시되는 표시부를 구비하는 포터블 엑스선 방출유닛과, 포터블 엑스선 방출유닛에 지지되며
엑스선의 방사 방향을 촬영 대상영역으로 안내하기 위해 육안으로 인식될 수 있는 레이저 빔을 방출하는 조준용
레이저 방출유닛을 포함한다.
대 표 도 - 도1

-1-
등록특허 10-2398415

(52) CPC특허분류 (56) 선행기술조사문헌


A61B 6/107 (2020.08) US20080116394 A1
A61B 6/4405 (2020.08) KR101963543 B1*
KR1020180071385 A*
US06038287 A
*는 심사관에 의하여 인용된 문헌

-2-
등록특허 10-2398415

명 세 서

청구범위
청구항 1

피시술자의 인체 중 특정의 촬영 대상영역을 촬영하기 위해 의료용 엑스선(x-ray)을 방사하는 엑스선 발산부와,


상기 촬영 대상영역의 촬영된 화면이 표시되는 표시부를 구비하는 포터블 엑스선 방출유닛;

상기 포터블 엑스선 방출유닛에 지지되며, 상기 의료용 엑스선의 방사 방향을 상기 촬영 대상영역으로 안내하기


위해 육안으로 인식될 수 있는 레이저 빔을 방출하는 조준용 레이저 방출유닛; 및

상기 포터블 엑스선 방출유닛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의료용 엑스선의 방사과정에서 발생되는 후반산
란 방사선(backscatter radiation)을 차폐하는 실드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조준용 레이저 방출유닛은,

상기 레이저 빔을 방출하는 레이저 포인터부; 및

상기 레이저 포인터부가 결합되며, 상기 포터블 엑스선 방출유닛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포인터용 브라켓부
를 포함하고,

상기 포인터용 브라켓부는,

상기 레이저 포인터부가 결합되는 브라켓 본체; 및

상기 브라켓 본체에 마련되며, 상기 포터블 엑스선 방출유닛의 외측벽에 형성된 끼움홈에 끼움결합되는 끼움돌
기를 포함하며,

상기 레이저 포인터부는 다수개로 마련되며, 상기 엑스선 발산부를 중심으로 하여 방사상으로 이격되어 배치되
며,

상기 조준용 레이저 방출유닛은,

상기 실드유닛에 결합되며, 상기 레이저 포인터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포인터용 전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실드유닛은,

상기 레이저 포인터부가 관통하는 포인터용 관통공이 형성되는 실드 플레이트부; 및

상기 실드 플레이트부가 결합되며, 상기 포터블 엑스선 방출유닛에 끼워지는 착탈공이 형성되는 실드용 착탈부
를 포함하며,

상기 포인터용 관통공은 다수개로 마련되며, 상기 엑스선 발산부를 중심으로 하여 방사상으로 이격되어 배치되
고,

상기 포터블 엑스선 방출유닛의 외측벽에는 상기 실드용 착탈부가 삽입되는 삽입용 그루브가 형성되며,

상기 실드용 착탈부는 탄성재질로 마련되는 치과용 포터블 엑스선 촬영장치.

청구항 2

삭제

청구항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포인터부는,

상기 촬영 대상영역에 점 형상의 마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포터블 엑스선 촬영장치.

청구항 4

-3-
등록특허 10-2398415

삭제

청구항 5

삭제

청구항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포인터부는,

상기 촬영 대상영역을 정확하게 표시할 수 있도록 원형 고리 형상의 마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용 포터블 엑스선 촬영장치.

청구항 7

삭제

청구항 8

삭제

청구항 9

삭제

청구항 10

삭제

청구항 11

삭제

청구항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터블 엑스선 방출유닛은,

상기 엑스선 발산부가 일측에 장착되고 상기 표시부가 상기 엑스선 발산부의 반대편에 장착되어 배치되는 방출
유닛 본체를 더 포함하는 치과용 포터블 엑스선 촬영장치.

발명의 설명

기 술 분 야
[0001] 본 발명은, 치과용 포터블 엑스선 촬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피시술자의 구강을 엑스선 촬영
할 수 있는 치과용 포터블 엑스선 촬영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 경 기 술
[0002] 치과용 포터블 엑스선 촬영장치는 1993년 미국에서 군대의 야전용으로 처음 제작되었고, 일본에서는 장애인 등
재택 환자의 진료를 위한 응급용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2003년부터 환자가 촬영실로 이동하지 않고
그대로 진료용 의자에 앉아서 촬영이 가능하다는 편리성 때문에 여러 제품들이 치과 임상에 많이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0003] 이러한 치과용 포터블 엑스선 촬영장치는 촬영자가 직접 손에 들고 촬영하기 때문에 촬영과정에서 누설되는 방
사선에 의한 촬영자 손의 피폭, 피사체로부터 발생되는 산란 방사선에 의한 촬영자 신체의 피폭이 문제가 될 수
있어 안전한 사용을 위한 가이드라인이 요구되고 있다.

-4-
등록특허 10-2398415

[0004] 상술한 치과용 포터블 엑스선 촬영장치는 사용이 간편한 장점이 있는데, 촬영되는 범위가 작아 엑스선의 방사위
치를 정확하게 타켓팅해야 하는데, 숙련되지 않은 사용자는 엑스선 촬영이 필요한 영역을 정확하게 타켓팅하지
못해 정확한 지점을 촬영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0005] (특허문헌 000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84400호, (2016.12.02.)

발명의 내용

해결하려는 과제
[0006]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용자가 엑스선의 방사 위치를 촬영 대상영역으로 정확하게 타켓팅
할 수 있게 하는 치과용 포터블 엑스선 촬영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과제의 해결 수단
[0007]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피시술자의 인체 중 특정의 촬영 대상영역을 촬영하기 위해 의료용 엑스선(x-
ray)을 방사하는 엑스선 발산부와, 상기 촬영 대상영역의 촬영된 화면이 표시되는 표시부를 구비하는 포터블 엑
스선 방출유닛; 및 상기 포터블 엑스선 방출유닛에 지지되며, 상기 엑스선의 방사 방향을 상기 촬영 대상영역으
로 안내하기 위해 육안으로 인식될 수 있는 레이저 빔을 방출하는 조준용 레이저 방출유닛을 포함하는 치과용
포터블 엑스선 촬영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0008] 상기 조준용 레이저 방출유닛은, 상기 레이저 빔을 방출하는 레이저 포인터부; 및 상기 레이저 포인터부가 결합
되며, 상기 포터블 엑스선 방출유닛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포인터용 브라켓부를 포함할 수 있다.

[0009] 상기 레이저 포인터부는, 상기 촬영 대상영역에 점 형상의 마크를 형성될 수 있다.

[0010] 상기 포인터용 브라켓부는, 상기 레이저 포인터부가 결합되는 브라켓 본체; 및 상기 브라켓 본체에 마련되며,
상기 포터블 엑스선 방출유닛의 외측벽에 형성된 끼움홈에 끼움결합되는 끼움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0011] 상기 레이저 포인터부는 다수개로 마련되며, 상기 엑스선 발산부를 중심으로 하여 방사상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0012] 상기 레이저 포인터부는, 상기 촬영 대상영역을 정확하게 표시할 수 있도록 원형 고리 형상의 마크를 형성할 수
있다.

[0013] 상기 포터블 엑스선 방출유닛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엑스선의 방사과정에서 발생되는 후반산란 방사
선(backscatter radiation)을 차폐하는 실드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0014] 상기 실드유닛은, 상기 레이저 포인터부가 관통하는 포인터용 관통공이 형성되는 실드 플레이트부; 및 상기 실


드 플레이트부가 결합되며, 상기 포터블 엑스선 방출유닛에 끼워지는 착탈공이 형성되는 실드용 착탈부를 포함
할 수 있다.

[0015] 상기 포인터용 관통공은 다수개로 마련되며, 상기 엑스선 발산부를 중심으로 하여 방사상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0016] 상기 포터블 엑스선 방출유닛의 외측벽에는 상기 실드용 착탈부가 삽입되는 삽입용 그루브가 형성할 수 있다.

[0017] 상기 조준용 레이저 방출유닛은, 상기 실드유닛에 결합되며, 상기 레이저 포인터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포인
터용 전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0018] 상기 포터블 엑스선 방출유닛은, 상기 엑스선 발산부가 일측에 장착되고 상기 표시부가 상기 엑스선 발산부의
반대편에 장착되어 배치되는 방출유닛 본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5-
등록특허 10-2398415

[0019]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엑스선의 방사 방향을 촬영 대상영역으로 안내하기 위해 육안으로 인식될 수 있는 레이


저 빔을 방출하는 조준용 레이저 방출유닛을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엑스선의 방사 위치를 촬영 대상영역으로
정확하게 타켓팅할 수 있게 한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0020]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포터블 엑스선 촬영장치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조준용 레이저 방출유닛이 촬영 대상영역을 타켓팅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확대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포터블 엑스선 촬영장치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조준용 레이저 방출유닛이 촬영 대상영역을 타켓팅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포터블 엑스선 촬영장치가 도시된 도면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0021]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0022]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
여 생략하기로 한다.

[0023]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포터블 엑스선 촬영장치가 도시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사
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조준용 레이저 방출유닛이 촬영 대상영역을 타켓팅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고, 도 4는
도 2의 확대한 도면이다.

[0024] 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포터블 엑스선 촬영장치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터블 엑스선 방출
유닛(110)과, 실드유닛(120)과, 조준용 레이저 방출유닛(130)을 포함한다.

[0025] 포터블 엑스선 방출유닛(110)은 피시술자의 인체(특히, 구강 영역) 중 특정의 촬영 대상영역(예를 들어, 특정의
치아)을 촬영하기 위해 치과용 엑스선(x-ray)을 방사하는 엑스선 발산부(111)와, 엑스선 발산부(111)가 장착되
는 방출유닛 본체(112)를 구비한다.

[0026] 엑스선 발산부(111)는 방출유닛 본체(112)로부터 고전압(예컨대 20[kV] 이상의 전압)을을 인가받아 엑스선을 발
생 및 외부로 방사한다. 여기서 엑스선이란, 고속전자의 흐름을 물질에 충돌시켰을 때 생기는 파장이 짧은 전자
기파로 뢴트겐 선이라고도 한다.

[0027] 방출유닛 본체(112)의 전면에는 엑스선 발산부(111)가 장착된다. 이러한 방출유닛 본체(112)의 내부에는 엑스선
발산부(111)에 인가될 고전압을 생성하는 고압모듈(미도시)과, 고압모듈(미도시)에 연결되는 내부 전원(미도
시)과, 내부 전원(미도시) 및 고압모듈(미도시)에 연결되어 고압모듈(미도시)과 엑스선 발산부(111)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드라이버(미도시)가 배치된다.

[0028] 또한, 방출유닛 본체(112)에는 제어 드라이버(미도시)에 연결되어 엑스선 발산부(111)에서의 엑스선 방사의 입
력신호를 제어 드라이버(미도시)에 전달하는 트리거(113)가 마련된다.

[0029] 또한, 방출유닛 본체(112)의 후면에는, 제어 드라이버(미도시)에 연결되는 표시부(D)와, 조준용 레이저 방출유
닛(130)을 작동 및 작동 해제하는 레이저 온/오프 스위치(미도시)가 마련된다.

[0030] 표시부(D)에는 엑스선의 방사상태가 표시된다. 표시부(D)에 표시되는 표시정보는 엑스선의 조사시간, 피시술자
의 성인 및 유아 여부, 엑스선의 조사 상태, 메모리 모드, 배터리 레벨, 알람 정보 등이 표시 된다.

[0031] 또한, 표시부(D)에는 의료용 엑스선으로 촬영된 촬영 대상영역의 화면이 표시된다. 따라서, 시술자는 표시부
(D)를 통해 엑스선으로 촬영된 촬영 대상영역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0032]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엑스선 방출유닛(110)의 외측벽에는 실드유닛(120)의 후술할 실드용 착탈부

-6-
등록특허 10-2398415

(122)가 삽입되는 삽입용 그루브(112a)가 형성된다.

[0033] 조준용 레이저 방출유닛(130)은 포터블 엑스선 방출유닛(110)에 지지된다. 이러한 조준용 레이저 방출유닛(13
0)은 엑스선의 방사 방향을 촬영 대상영역으로 안내하기 위해 육안으로 인식될 수 있는 레이저 빔을 방출한다.

[0034] 본 실시예에 따른 조준용 레이저 방출유닛(130)은,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저 빔을 방출하는 레


이저 포인터부(131)와, 레이저 포인터부(131)가 결합되며 포터블 엑스선 방출유닛(1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
는 포인터용 브라켓부(132)와, 레이저 포인터부(131)와 방출유닛 본체(112)의 제어 드라이버(미도시)에 연결되
어 내부 전원(미도시)의 전력을 레이저 포인터부(131)에 전달하는 전원용 연결부(미도시)를 포함한다.

[0035] 레이저 포인터부(131)에서는 레이저 빔을 방출한다. 이러한 레이저 포인터는 촬영 대상영역에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 형상의 마크(M1)가 시각적으로 표시되도록 레이어 빔을 방출할 수 있다. 또한, 레이저 포인터는
촬영 대상영역에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고리 형상의 마크(M2)가 시각적으로 표시되도록 레이어 빔을
방출할 수 있다. 여기서, 촬영 대상영역은 도 3(a)에서 점 형상의 마크(M1)를 중심으로 하여 소정의 반경까지의
범위이고, 도 3(b)에서 원형 고리 형상의 마크(M2)의 고리 내부 영역에 해당될 수 있다.

[0036] 본 실시예에서 레이저 포인터가 촬영 대상영역을 표시하는 범위가 넓은 원형 고리 형상의 마크(M2)를 형성함으
로써, 사용자가 마크(M2)를 더 빨리 찾을 수 있다. 또한, 원형 고리 형상의 마크(M2)는 촬영 대상영역의 범위를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알 수 있게 하는 이점이 있다.

[0037] 포인터용 브라켓부(132)에는 레이저 포인터부(131)가 결합된다. 이러한 포인터용 브라켓부(132)는 포터블 엑스
선 방출유닛(1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0038] 본 실시예에 따른 포인터용 브라켓부(13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저 포인터부(131)가 결합되는 브라


켓 본체(132a)와, 브라켓 본체(132a)에 마련되며 포터블 엑스선 방출유닛(110)의 외측벽에 형성된 끼움홈(H)에
끼움결합되는 끼움돌기(132b)를 포함한다.

[0039] 끼움돌기(132b)는 브라켓 본체(132a)의 하부면에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끼움돌기(132b)는 포터블 엑스선
방출유닛(110)의 외측벽에 형성된 끼움홈(H)에 끼움결합된다.

[0040] 한편, 실드유닛(120)은 포터블 엑스선 방출유닛(1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실드유닛(120)은 엑스
선의 방사과정에서 발생되는 후반산란 방사선(backscatter radiation)을 차폐한다.

[0041] 본 실시예에 따른 실드유닛(120)은,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저 포인터부(131)가 관통하는 포


인터용 관통공(121a)이 형성되는 실드 플레이트부(121)와, 실드 플레이트부(121)가 결합되며, 포터블 엑스선 방
출유닛(110)에 끼워지는 착탈공(122a)이 형성되는 실드용 착탈부(122)를 포함한다.

[0042] 실드 플레이트부(12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의 디스크 형상으로 마련된다. 이러한 실드 플레이트부


(121)의 중앙영역은 절개되어 형성된다. 실드 플레이트부(121)는 후반산란 방사선(backscatter radiation)을 효
과적으로 차폐할 수 있도록 납 재질로 마련된다.

[0043] 본 실시예의 실드 플레이트부(121)에는 레이저 포인터부(131)가 관통하는 포인터용 관통공(121a)이 형성된다.

[0044] 실드용 착탈부(122)는 실드 플레이트부(121)의 절개된 중앙 영역에 배치되어 실드 플레이트부(121)에 결합된다.


이러한 실드용 착탈부(122)에는 포터블 엑스선 방출유닛(110)의 삽입용 그루브(112a)에 끼워지는 착탈공(122a)
이 형성된다.

[0045] 본 실시예에서 착탈공(122a)의 내주면 영역이 삽입용 그루브(112a)에 용이하게 삽입 및 탈거될 수 있도록, 실드
용 착탈부(122)는 탄성재질로 마련된다.

[0046] 이하에서 본 실시예의 치과용 포터블 엑스선 촬영장치의 작동을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0047] 사용자는 방출유닛 본체(112)를 파지한 후 엑스선 발산부(111)가 촬영 대상영역을 향하도록 한다. 이후, 레이저
온/오프 스위치(미도시)를 눌러 레이저 빔을 방출시킨다.

[0048] 사용자는 방출유닛 본체(112)를 이동시켜 레이저 빔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 대상영역을 타켓팅하도록


하여 엑스선 발산부(111)가 촬영 대상영역을 정확히 향하도록 한다.

[0049]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트리거(113)를 당겨지면 엑스선 발산부(111)에서 엑스선이 방출되어 촬영 대상
영역이 촬영된다.

-7-
등록특허 10-2398415

[0050]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포터블 엑스선 촬영장치는, 엑스선의 방사 방향을 촬영 대상영역으로 안내하
기 위해 육안으로 인식될 수 있는 레이저 빔을 방출하는 조준용 레이저 방출유닛(130)을 구비함으로써, 사용자
가 엑스선의 방사 위치를 촬영 대상영역으로 정확하게 타켓팅할 수 있게 한다.

[0051]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포터블 엑스선 촬영장치가 도시된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조준용
레이저 방출유닛이 촬영 대상영역을 타켓팅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0052]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비교할 때에 레이저 포인터부(131)가
다수개로 마련되어 이격되어 배치되는 점에서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에 있어서는 도 1 내지 도 4의 제1 실
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다수개의 레이저 포인터부(131)의 배치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0053] 본 실시예에서 레이저 포인터부(131)는 4개로 마련된다. 이러한 레이저 포인터부(131)들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엑스선 발산부(111)를 중심으로 하여 방사상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여기서, 촬영 대상영역은 도 5에서 4
개의 점 형상의 마크(M1)를 연결하는 가상의 원에 해당될 수 있다.

[0054] 이러한 레이저 포인터는 촬영 대상영역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90도 간격으로 이격된 4개의 마크(M1)가 시
각적으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빠르게 촬영 대상영역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0055] 이러한 4개의 레이저 포인터에 대응되도록, 실드 플레이트부(121)에는 엑스선 발산부(111)를 중심으로 하여 방
사상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4개의 포인터용 관통공(121a)이 형성된다.

[0056] 또한, 방출유닛 본체(112)의 외측벽에는 엑스선 발산부(111)를 중심으로 하여 방사상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
수개의 끼움홈(미도시)이 형성된다.

[0057]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포터블 엑스선 촬영장치는, 다수개로 마련되어 엑스선 발산부(111)를 중심으
로 하여 방사상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레이저 포인터부(131)들을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빠르게
촬영 대상영역을 인식할 수 있게 한다.

[0058]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포터블 엑스선 촬영장치가 도시된 도면이다.

[0059]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비교할 때에 포인터용 전원부(133)를
구비하는 점에서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에 있어서는 도 1 내지 도 4의 제1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
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포인터용 전원부(133)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0060] 본 실시예의 조준용 레이저 방출유닛(130)은, 레이저 포인터부(13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포인터용 전원부
(133)와, 포인터용 전원부(133)와 레이저 포인터부(131)를 연결하는 전선(미도시)을 포함한다. 이러한 포인터용
전원부(133)에는 레이저 포인터부(131)로 전력전달을 온/오프하는 스위치(미도시)가 마련된다.

[0061] 본 실시예의 포인터용 전원부(133)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드 플레이트부(121)의 뒤편에 장착된다. 이뿐


만 아니라 분 실시예의 포인터용 전원부(133)는 방출유닛 본체(112)에 장착될 수도 있다.

[0062]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포터블 엑스선 촬영장치는, 레이저 포인터부(13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포
인터용 전원부(133)를 구비함으로써, 포터블 엑스선 방출유닛(110)의 내부 전원(미도시)을 사용하지 않고 포인
터용 전원부(133)의 전력을 사용하여 촬영 대상영역을 타켓팅할 수 있다.

[0063]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가 전술한 도면 및 설명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0064]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
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부호의 설명
[0065] 110: 포터블 엑스선 방출유닛 111: 엑스선 발산부

112: 방출유닛 본체 112a: 삽입용 그루브

120: 실드유닛 121: 실드 플레이트부

121a: 포인터용 관통공 122: 실드용 착탈부

-8-
등록특허 10-2398415

122a: 착탈공 130: 조준용 레이저 방출유닛

131: 레이저 포인터부 132: 포인터용 브라켓부

132a: 브라켓 본체 132b: 끼움돌기

133: 포인터용 전원부

도면

도면1

-9-
등록특허 10-2398415

도면2

- 10 -
등록특허 10-2398415

도면3

- 11 -
등록특허 10-2398415

도면4

도면5

- 12 -
등록특허 10-2398415

도면6

도면7

- 13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