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1

공개특허 10-2016-0141102

(19) 대한민국특허청(KR) (11) 공개번호 10-2016-0141102


(12) 공개특허공보(A) (43) 공개일자 2016년12월08일
(51) 국제특허분류(Int. Cl.) (71) 출원인
G02B 13/14 (2006.01) G01J 5/00 (2006.01) (주)토핀스
G01J 5/48 (2006.01) G02B 15/16 (2006.01) 대전광역시 유성구 문지로 193 카이스트 아이씨씨
G02B 7/28 (2006.01) G02B 9/60 (2006.01) 학부동 에프 714호, 에프 715호 (문지동)
H04N 5/33 (2006.01) (72) 발명자
(52) CPC특허분류 김현규
G02B 13/143 (2013.01) 대전광역시 유성구 엑스포로 448, 211동 1102호
G01J 5/48 (2013.01) (전민동, 엑스포아파트)
(21) 출원번호 10-2015-0074645 (74) 대리인
(22) 출원일자 2015년05월28일 김병익
심사청구일자 2015년05월28일

전체 청구항 수 : 총 3 항
(54) 발명의 명칭 비냉각 열화상카메라 6배율 연속줌 광학계

(57) 요 약
본 발명은 물체와 대향하며 상기 물체의 원적외선을 수광하여 상을 포착하는 대물렌즈; 및 상기 대물렌즈의 후측
광축방향을 따라 배율렌즈, 고정렌즈, 보상렌즈, 결상렌즈가 순차로 배열되는 구조를 갖는 광학계이며, 상기 배
율렌즈는 광축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상의 배율을 변환하고, 상기 보상렌즈는 광축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물체의
거리 변화 및 온도 변화시 발생되는 디포커스를 보정하고, 상기 결상렌즈는 상기 대물렌즈가 수광한 상을 결상하
며, 상기 결상렌즈의 후측 광축방향을 따라 위치하여 상기 결상렌즈가 결상한 상을 디지털 영상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원적외선 비냉각 검출기를 포함하며, 상기 광학계의 F-수는 1.4이고 유효초점거리는 25∼150m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대 표 도 - 도1

-1-
공개특허 10-2016-0141102

(52) CPC특허분류
G02B 15/161 (2013.01)
G02B 7/282 (2013.01)
G02B 9/60 (2013.01)
H04N 5/33 (2013.01)
G01J 2005/0077 (2013.01)

-2-
공개특허 10-2016-0141102

명 세 서

청구범위
청구항 1

물체와 대향하며 상기 물체의 원적외선을 수광하여 상을 포착하는 대물렌즈; 및

상기 대물렌즈의 후측 광축방향을 따라 배율렌즈, 고정렌즈, 보상렌즈, 결상렌즈가 순차로 배열되는 구조를 갖


는 광학계이며,

상기 배율렌즈는 광축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상의 배율을 변환하고,

상기 보상렌즈는 광축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물체의 거리 변화 및 온도 변화시 발생되는 디포커스를 보정하고,

상기 결상렌즈는 상기 대물렌즈가 수광한 상을 결상하며,

상기 결상렌즈의 후측 광축방향을 따라 위치하여 상기 결상렌즈가 결상한 상을 디지털 영상신호로 변환하여 출


력하는 원적외선 비냉각 검출기를 포함하며,

상기 광학계의 F-수는 1.4이고 유효초점거리는 25∼15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냉각 열화상카메라 6배율 연


속줌 광학계.

청구항 2

상기 대물렌즈 및 상기 보상렌즈는 물체측 전면이 볼록면이고 후면이 오목면이며,

상기 배율렌즈는 물체측 전면과 후면이 오목면이고,

상기 결상렌즈는 물체측 전면이 오목면이고 후면이 볼록면이며,

상기 고정렌즈는 제1 및 제2 렌즈가 한쌍을 이루어 구성되되, 상기 제1 렌즈는 물체측 전면이 오목면이고 후면


이 볼록면이며, 상기 제2 렌즈는 물체측 전면이 볼록면이고 후면은 오목면인 비냉각 열화상카메라 6배율 연속줌
광학계.

청구항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대물렌즈, 상기 배율렌즈 및 상기 보상렌즈는 게르마늄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결상렌즈는 셀렌화아연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렌즈에서 상기 제1 렌즈는 셀렌화아연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렌즈는 게르마늄 재질로 이루어지는


비냉각 열화상카메라 6배율 연속줌 광학계.

발명의 설명

기 술 분 야
[0001] 본 발명은 비냉각 열화상카메라 6배율 연속줌 광학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효초점거리 150mm 이하에서 초점조
절과 영상획득이 탁월한 비냉각 열화상카메라 6배율 연속줌 광학계에 관한 것이다.

배 경 기 술

-3-
공개특허 10-2016-0141102

[0002] 원적외선은 8㎛~13㎛의 파장대의 광으로서 인간이 내는 적외선의 파장대를 포함한다. 원적외선 카메라는 야간에
인간이나 사물이 발생하는 적외선을 감지하여 촬상할 수 있는 카메라이다.

[0003] 인간이나 동물의 체온은 310K 정도로 흑체복사(black-body radiation)의 310K에서의 피크 파장이 8~13㎛ 정도이
다. 따라서, 인간이나 사물이 내는 원적외선을 원적외선 카메라로 포착하면 그 존재를 알 수 있다.

[0004] 관련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65436호 "비냉각 열화상카메라용 연속줌 렌즈모듈"이 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0005] (특허문헌 0001)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65436호 "비냉각 열화상카메라용 연속줌 렌즈모듈"

발명의 내용

해결하려는 과제
[0006] 본 발명의 목적은 유효초점거리 150mm 이하에서 초점조절과 영상획득이 탁월한 비냉각 열화상카메라 6배율 연속
줌 광학계를 제공하는데 있다.

[0007]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과제의 해결 수단
[0008]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물체와 대향하며 상기 물체의 원적외선을 수광하여 상을 포착하는 대물렌
즈; 및 상기 대물렌즈의 후측 광축방향을 따라 배율렌즈, 고정렌즈, 보상렌즈, 결상렌즈가 순차로 배열되는 구
조를 갖는 광학계이며, 상기 배율렌즈는 광축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상의 배율을 변환하고, 상기 보상렌즈는 광
축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물체의 거리 변화 및 온도 변화시 발생되는 디포커스를 보정하고, 상기 결상렌즈는 상
기 대물렌즈가 수광한 상을 결상하며, 상기 결상렌즈의 후측 광축방향을 따라 위치하여 상기 결상렌즈가 결상한
상을 디지털 영상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원적외선 비냉각 검출기를 포함하며, 상기 광학계의 F-수는 1.4이고
유효초점거리는 25∼150m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09] 구체적으로, 상기 대물렌즈 및 상기 보상렌즈는 물체측 전면이 볼록면이고 후면이 오목면이며, 상기 배율렌즈는
물체측 전면과 후면이 오목면이고, 상기 결상렌즈는 물체측 전면이 오목면이고 후면이 볼록면이며, 상기 고정렌
즈는 제1 및 제2 렌즈가 한쌍을 이루어 구성되되, 상기 제1 렌즈는 물체측 전면이 오목면이고 후면이 볼록면이
며, 상기 제2 렌즈는 물체측 전면이 볼록면이고 후면은 오목면일 수 있다.

[0010] 상기 대물렌즈, 상기 배율렌즈 및 상기 보상렌즈는 게르마늄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결상렌즈는 셀렌화아연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렌즈에서 상기 제1 렌즈는 셀렌화아연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렌즈는 게르마늄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발명의 효과
[0011] 본 발명에 의하면, 유효초점거리 150mm 이하에서 초점조절과 영상획득이 탁월하다. 즉, 최소 물체거리는 2.5m로
서, 최소 물체거리부터 무한대 영역의 중간 어느 위치에 물체가 놓이더라도 모두 초점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최소 물체거리를 짧게 하더라도 영상 획득이 탁월하다.

-4-
공개특허 10-2016-0141102

도면의 간단한 설명
[0012] 도 1은 본 발명의 비냉각 열화상카메라 6배율 연속줌 광학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주변광량비(Relative illumination)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 및 도 4는 물체와의 거리가 무한(Infinity)이고 유효초점거리가 25mm(f=25mm)인 수차 특성과 광선 수차를


각각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 및 도 6은 물체와의 거리가 무한(Infinity)이고 유효초점거리가 150mm(f=150mm)인 수차 특성과 광선 수차


를 각각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 및 도 8은 물체와의 거리가 2.5mm이고 유효초점거리가 25mm(f=25mm)인 수차 특성과 광선 수차를 각각 나타


낸 그래프이다.

도 9 및 도 10은 물체와의 거리가 5.0mm이고 유효초점거리가 150mm(f=150mm)인 수차 특성과 광선 수차를 각각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1 및 도 12는 유효초점거리가 25mm(f=25mm)인 변조전달함수(Modulation Transfer Function, MTF)를 나타낸


그래프로서, 도 11은 물체와의 거리가 무한(Infinity)이고, 도 12는 물체와의 거리가 2.5mm를 나타낸다.

도 13 및 도 14는 유효초점거리가 150mm(f=150mm)인 변조전달함수(Modulation Transfer Function, MTF)를 나타


낸 그래프로서, 도 13은 물체와의 거리가 무한(Infinity)이고, 도 14는 물체와의 거리가 5.0mm를 나타낸다.

도 15 및 도 16은 유효초점거리가 25mm(f=25mm)인 스폿 디아그램(Spot diagram)을 나타낸 그래프로서, 도 13는


물체와의 거리가 무한(Infinity)이고, 도 16은 물체와의 거리가 2.5mm를 나타낸다.

도 17 및 도 18은 유효초점거리가 150mm(f=150mm)인 스폿 디아그램(Spot diagram)을 나타낸 그래프로서, 도 17


은 물체와의 거리가 무한(Infinity)이고, 도 18은 물체와의 거리가 5.0mm를 나타낸다.

도 19 및 도 20은 유효초점거리가 25mm(f=25mm)에서 줌위치별 물체거리 변화에 따라 이동되는 보상렌즈의 초점


조절 궤적을 나타낸 그래프로서, 도 19은 물체거리에 따른 MTF를, 도 20은 물체 거리에 따른 초점 조절 궤적을
나타낸다.

도 21 및 도 22는 유효초점거리가 150mm(f=150mm)에서 줌위치별 물체거리 변화에 따라 이동되는 보상렌즈의 초


점 조절 궤적을 나타낸 그래프로서, 도 21 물체거리에 따른 MTF를, 도 22는 물체 거리에 따른 초점 조절 궤적을
나타낸다.

도 23 및 도 24는 환경변화분석에서 온도변화에 따른 디포커스(defocus)를 나타낸 그래프로서, 도 23은 물체와


의 거리가 무한(Infinity)이고, 도 24은 물체와의 거리가 유한(Finite)을 나타낸다.

도 25 및 도 26은 비열화에서 온도변화에 따른 디포커스(defocus)를 나타낸 그래프로서, 도 25는 물체와의 거리


가 무한(Infinity)이고, 도 26은 물체와의 거리가 유한(Finite)을 나타낸다.

도 27 및 도 28은 비열화의 보상변위(displacement of compensator)에서 온도변화에 따른 디포커스(defocus)를


나타낸 그래프로서, 도 27은 물체와의 거리가 무한(Infinity)이고, 도 28은 물체와의 거리가 유한(Finite)을 나
타낸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0013]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
은 가능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
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0014]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비냉각 열화상카메라 6배율 연속줌 광학계는 5군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물체(피사체)가 위치하는 좌측으로부터 적외선검출기(60)가 위치하는 우측을 향해 1군의 대물렌즈(10), 2군의
배율렌즈(20), 3군의 고정렌즈(30), 4군의 보상렌즈(40), 5군의 결상렌즈(50)가 순차로 배열되는 구조이며, 고
정렌즈(30)는 2개의 제1 및 제2 렌즈들(31)(33)로 이루어진다.

-5-
공개특허 10-2016-0141102

[0015] 적외선검출기(60)는 640 × 480 배열의 원적외선 비냉각 검출기이며 이하, 원적외선 비냉각 검출기(60)라고 한
다. 본 발명은 유효초점거리는 25mm에서 150mm까지 변화되며, 초점거리 25mm인 경우 광시야위치(wide field
position), 150 mm인 경우 협시야위치(narrow field position)으로 할 때 광시야(wide)와 협시야(narrow)에서
의 시야각은 각각 가로 24.55°× 세로 18.41° 와 가로 4.15° × 세로 3.12°를 갖는다.

[0016] 원적외선 비냉각 검출기(60)의 1-픽셀 크기는 17㎛로 640 × 480 배열에서 가로 10.88 mm × 세로 8.16 mm의 크
기를 가지며, 검출기(60) 1-픽셀이 바라보는 시야각은 광시야(wide)에서 0.700 mrad이고, 협시야(narrow)에서
0.113 mrad의 값을 갖는다.

표 1
[0017] 스펙트럼 레인지 7.7 ~ 12.8㎛
유효초점거리 25 ~ 150 mm
F-수 1.4
시야각 @ 무한대 광시야 : 가로 24.55°× 세로 18.41°
협시야 : 가로 4.15° × 세로 3.12°
순간시야 @ 무한대 광시야 : 0.700 mrad
협시야 : 0.113 mrad
픽셀 포멧 640 × 480 픽셀(17.0㎛ 피치)

[0018] 본 발명은 광학계의 한계 분해능이 원적외선 비냉각 검출기(60)에 의해 결정되므로, 요구되는 광학계의 성능은
회절한계를 만족하도록 설계되었고, 광학계의 F/수는 모든 줌배율에서 F/1.4를 가지는데 이는 에어리 원반(airy
disk) 크기를 고려하여 결정되었다.

[0019] 대물렌즈(10)는 물체와 대향하며 물체의 원적외선을 수광하여 상을 포착하고, 배율렌즈(20)는 광축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상의 배율을 변환하며, 보상렌즈(40)는 광축을 따라 이동하며 물체의 거리 변화 및 온도 변화시 발생
되는 디포커스를 보정 즉, 초점 조절하고, 결상렌즈(50)는 대물렌즈(10)가 수광한 상을 결상한다. 원적외선 비
냉각 검출기(60)는 결상렌즈(50)의 후측 광축방향을 따라 위치하여 결상렌즈(50)가 결상한 상을 디지털 영상신
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배율렌즈(20)와 보상렌즈(40)의 축상 이동은 수동 또는 모터 등에 의한 자동으로 이루
어질 수 있다.

[0020] 대물렌즈(10), 배율렌즈(20), 고정렌즈(30), 보상렌즈(40) 및 결상렌즈(50)의 굴절능 분포는 P-N-P-P-P 형태를
갖는다. 최소 물체거리는 광시야(wide)에서 2.5m로 최소 물체거리부터 무한대 영역의 중간 어느 위치에 물체가
놓이더라도 모두 초점 조절이 가능하다.

[0021] 또한, 보상렌즈(40)가 광축을 따라 이동하며 물체의 거리 변화 및 온도 변화시 발생되는 디포커스를 보정함으로
인해, 최소 물체거리를 짧게 하더라도 영상 획득이 탁월하다.

[0022] 렌즈들(10~50)은 게르마늄(Ge) 또는 셀렌화아연(ZnSe) 재질로 이루어진다. 대물렌즈(10), 배율렌즈(20) 및 보상


렌즈(40)는 게르마늄 재질로 이루어지고, 결상렌즈(50)는 셀렌화아연 재질로 이루어진다. 고정렌즈(30)에서 제1
렌즈(31)는 셀렌화아연으로 이루어지고, 제2 렌즈(33)는 게르마늄 재질로 이루어진다.

[0023] 대물렌즈(10) 및 보상렌즈(40)는 물체측 전면이 볼록면이고 후면이 오목면으로 전체적으로 음의 배율을 형성한
다. 배율렌즈(20)는 물체측 전면과 후면이 오목면으로 전체적으로 양의 배율을 형성한다. 결상렌즈(50)는 물체
측 전면이 오목면이고 후면이 볼록면으로 전체적으로 양의 배율을 형성한다.

[0024] 고정렌즈(30)에서 제1 렌즈(31)는 물체측 전면이 오목면이고 후면이 볼록면으로 전체적으로 양의 배율을 형성하
고, 제2 렌즈(33)는 물체측 전면이 볼록면이고 후면은 오목면으로 전체적으로 음의 배율을 형성한다.

[0025] 본 발명은 배율렌즈(20)가 배율 변환을 위해 축상 이동되고, 보상렌즈(40)가 배율 변환시 성능 보상과 물체 거


리 및 온도 변화에 따라 발생되는 디포커스(defocus)를 보정하는 가변 파라미터이다.

[0026] 주변 광량비는 전체 필드와 파장에 대한 값을 모두 정리하고 최종적으로 파장에 대한 평균값을 취하여 각 필드


별로 살펴보면 도 2와 같다.

[0027] 적외선 광학계의 경우 한정된 광학 재질과 렌즈 매수의 제한으로 최적화시 색수차와 광선 수차를 모두 줄이는데
한계가 있으므로 처음 최적화시 비축수차를 줄이는데 중점을 두며 그 후 종 색수차와 횡 생수차를 주로 줄이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최적화가 진행됨에 따라 광선 수차 또한 무시할 수 없으므로 어느 정도의 색수차는 허용

-6-
공개특허 10-2016-0141102

하며 최종 설계되었다. 설계에 대한 광선 수차는 에어리 원반(airy disk)이 원적외선 비냉각 검출기(60) 1-픽셀
내에 최대한 집광되고 최종 설계된 줌렌즈의 수차 특성을 도 3 내지 도 10에 나타내었다.

[0028] 광학계의 성능의 한 가지 척도로 사용되는 변조전달함수(Modulation Transfer Function, MTF)는 도 11 내지 도


14에 나타내었다.

[0029] 도 15 및 도 16은 유효초점거리가 25mm(f=25mm)인 스폿 디아그램(Spot diagram)을 나타낸 그래프로서, 도 13는


물체와의 거리가 무한(Infinity)이고, 도 16은 물체와의 거리가 2.5mm를 나타내며, 도 17 및 도 18은 유효초점
거리가 150mm(f=150mm)인 스폿 디아그램(Spot diagram)을 나타낸 그래프로서, 도 17은 물체와의 거리가 무한
(Infinity)이고, 도 18은 물체와의 거리가 5.0mm를 나타낸다.

[0030] 도 19 및 도 20은 유효초점거리가 25mm(f=25mm)에서 줌위치별 물체거리 변화에 따라 이동되는 보상렌즈의 초점


조절 궤적을 나타낸 그래프로서, 도 19은 물체거리에 따른 MTF를, 도 20은 물체 거리에 따른 초점 조절 궤적을
나타내며, 도 21 및 도 22는 유효초점거리가 150mm(f=150mm)에서 줌위치별 물체거리 변화에 따라 이동되는 보상
렌즈의 초점 조절 궤적을 나타낸 그래프로서, 도 21 물체거리에 따른 MTF를, 도 22는 물체 거리에 따른 초점 조
절 궤적을 나타낸다. MTF는 원적외선 비냉각 검출기(60)의 사양에 맞춰 29 cycles/mm을 갖는다.

[0031] 도 23 및 도 24는 환경변화분석에서 온도변화에 따른 디포커스(defocus)를 나타낸 그래프로서, 도 23은 물체와


의 거리가 무한(Infinity)이고, 도 24은 물체와의 거리가 유한(Finite)을 나타낸다.

[0032] 도 25 및 도 26은 비열화에서 온도변화에 따른 디포커스(defocus)를 나타낸 그래프로서, 도 25는 물체와의 거리


가 무한(Infinity)이고, 도 26은 물체와의 거리가 유한(Finite)을 나타낸다.

[0033] 도 27 및 도 28은 비열화의 보상변위(displacement of compensator)에서 온도변화에 따른 디포커스(defocus)를


나타낸 그래프로서, 도 27은 물체와의 거리가 무한(Infinity)이고, 도 28은 물체와의 거리가 유한(Finite)을 나
타낸다.

[0034] 상기의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
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 범위 내에서 상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다른 형태의 실시예들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부호의 설명
[0035] 10: 대물렌즈

20: 배율렌즈

30: 고정렌즈

40: 보상렌즈

50: 결상렌즈

60: 원적외선 비냉각 검출기

-7-
공개특허 10-2016-0141102

도면

도면1

도면2

-8-
공개특허 10-2016-0141102

도면3

도면4

-9-
공개특허 10-2016-0141102

도면5

도면6

- 10 -
공개특허 10-2016-0141102

도면7

도면8

- 11 -
공개특허 10-2016-0141102

도면9

도면10

- 12 -
공개특허 10-2016-0141102

도면11

도면12

도면13

- 13 -
공개특허 10-2016-0141102

도면14

도면15

- 14 -
공개특허 10-2016-0141102

도면16

도면17

- 15 -
공개특허 10-2016-0141102

도면18

도면19

- 16 -
공개특허 10-2016-0141102

도면20

도면21

- 17 -
공개특허 10-2016-0141102

도면22

도면23

- 18 -
공개특허 10-2016-0141102

도면24

도면25

- 19 -
공개특허 10-2016-0141102

도면26

도면27

- 20 -
공개특허 10-2016-0141102

도면28

- 21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