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3

제9장 망원경과 검출기

made by ongonge

제9장 망원경과 검출기


I. 기본개념

①초점비(  비) 기출: 02(8), 10(40), 11(34)



 비=  ( : 초점거리  : 지름)

- 의미: 상의밝기

- 표현:  (    )

- 이용:   비 × 

작은 수(/1~/3) : 밝다/ 빠르다


큰 수(/8~/15) : 어둡다/ 느리다

②집광력 기출: 02(8), 10(40)


 
구경의 면적=(π/4)  이므로  에 비례한다. (상대적인 비교만 가능)

③상의 크기 기출: 02(8), 10(40), 11(34)


  tan ≈  ※건판척도(  ): 하늘의 1°에 해당하는 상의 크기 =tan    deg  

. 궤적, 시야 이해하기

④렌즈 제작자 공식

    : 상을 얻고자 하는 물체까지의 거리
  
 
   : 대물렌즈로부터 상까지의 거리

※상이 초점에 맺히는 이유   ∞ →   

⑤배율
′ 
    
 ′

⑥분해능
  
RP=  , min =  rad = 206,265″ 
 min  
※망원경의 원형 구경으로 인한 회절 고려(레일리 한계)

→ min =(1.22)(206,265″)  (간섭계에서는 회절 고려X) ;증명:기천95p

⇨ 실제로는 지구 대기의 시상에 의해 분해능이 떨어진다.

⦁대물경: 빛을 초점으로 모아 상을 맺히게 하는 렌즈나 거울


⦁접안경: 초점에 놓인 렌즈. 초점에 맺힌 상을 육안으로 관측하게 하는 작은 확대경.
⦁시상: 공기의 교란은 빛이 들어올 때 굴절률을 달라지게 하여 별빛을 반짝거리게 한다. 공기덩어리의 움직임은 망원경을 통해
보이는 상을 퍼지게 하고 변형시킨다. 시상원반이 작으면 좋은 시상
제9장 망원경과 검출기
made by ongonge

⑦양자 효율(QE) 기출: 09(30)

검출된 광자수
    
입사 광자수

(검출기의 QE는 입사광의 파장의 함수이다.)

⑧시그널 대 잡음 S/N (Signal to Noise Ratio) 기출: 09(30)

-기기가 완벽하다 할지라도 입자처럼 작용하는 입사 광자의 통계적 요동 때문에 모든 관측은 잡음을 내포하게 된다.
-S/N이 클 수록 노이즈 비율이 적은 것이므로 질 높고, 많은 정보를 얻게된다.

  평균값의표준편차
〈〉 헤아려진광자의평균개수
  단위시간에 들어오는 광자수인 광자 플럭스
시그널 대 잡음의 비
〈〉 어떤 시간 동안 검출된 총 광자의 수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광자는 푸아송 확률 분포를 따르므로 
만약 단지 이런 요동만이 잡음의 근원이라면

 -누적시간 t를 증가하여 우리가 원하는 S/N을 얻을 수 있다 하더라도, 실제로는


  〈〉 이고 따라서   〈〉
 망원경의 사용 시간이 한정되어 있다.

그러므로 만약  개의 광자를 세었다면


 -그러므로 양자 효율QE를 높여서 망원경을 더 효율적으로 사용할 필요가 있다.
  이다

※푸아송 확률 분포
①푸아송분포: 확률론과 통계학에서 어떤 특정 시간대에 걸쳐 알려진 어떤 사건의 발생률의 분포를 표현하기 위한 이
산형 확률 분포이다. 주로 시간,거리, 또는 공간상에서 무작위로 드물게 발생하는 사건의 수를 묘사하는 데 사용되고 있
다.
②식: 푸아송분포에서 m=λ, σ=√λ가 된다. (λ:푸아송 확률분포에서 주어진 일정 간격동안의 평균 발생빈도, m:평
균값. σ:표준편차)
③사용 예시
-1킬로미터 도로에 있는 흠집의 수 -주어진 생산시간 동안 발생하는 불량의 수 -하룻동안 출생자의 수 -어떤
시간 동안 톨게이트를 통과하는 차량의 수
제9장 망원경과 검출기
made by ongonge

II. 검출기

1. 사진건판

1)사진건판이란?
-유리판에 감광유제를 입힌 것
-천문 사진술에서 필름보다는 유리건판이 형태를 잘 유지하기 때문에 필름보다 더 많이 사용된다.
-분해능: 감광유제의 입자 크기에 의해 결정되며, 가장 좋은 경우 입자의 크기는 20μm이다.
-상의 밝기: 상은 입자의 밀도(영상의 검은 정도)에 의한 결과인데 밀도는 입사광량에 선형적으로 비례하지 않는다.
→ 선형 검출기가 아니다.

2)사진건판의 원리
⑴건판표면에 은할로겐 화합물(보통은 은브롬화물인 AgBr)을 입힌다. 할로겐 화합물에 흡수된 광자는 전자를 여기(들뜬상
태)시켜서 전자가 원자에서 다른 원자 사이를 움직여 다닐 수 있게 한다.
⑵은이온 Ag+가 전자를 잡게 되면 중성원자가 되는데 한 장소에 이러한 은의 원자가 필요한 양만큼 쌓이게 되면, 그들은
숨은 영상, 즉 잠상을 형성한다.
⑶건판을 화학물질에 노출시킨 후 처리하면 이 잠상은 영구적인 음화로 만들어질 수 있다.

※화학물질이 사용될 때
현상: 숨은 영상을 감싸고 있는 은브롬화 결정을 은으로 변하게 하는 것 (화면이 나타남)
정착: 노출되지 않은 결정을 제거하는 것 (화면을 고정)

3)장점
①사진건판의 넓은 면적은 넓은 영역에 대한 정보를 모을 수 있다.
→ 별의 위치측정(위치천문학)과 하늘의 별 분포도를 만드는 데 매우 유용하게 쓸 수 있다.
②다른 검출기에 비하여 값도 싸고 이용하기도 쉽다.

특징 사진건판 눈
양자효율 (QE) 사진건판은 400~650nm의 파장영역에서 일반적으로 1%의 QE를 가지고, 눈은 550nm에서 최고 QE~1%를 가진다.
닮은점
선형반응 입사광량에 선형적으로 반응하지 않는다.

동시성 동시에 수백만 개의 별까지 기록할 수 있다. 한 번에 하나 또는 2개의 천체만을 관측할 수 있다.

차이점 보관가능 건판에 기록된 영상은 영구적이므로 언제라도 검토할 수 있다. 일시적이다.

노출 노출시간을 증가시키면 더 어두운 천체의 사진도 찍을 수 있다. 어두운 천체를 아무리 오랫동안 응시하여도 그 천체를 볼 수가 없다.

4)문제점
①감도가 낮다. (양자 효율이 낮다)
②선형 검출기가 아니다.
③한 번 노출된 은브롬화 결정은 더 이상의 정보를 기록하지 못하고 포화점에 이르게 된다.
④건판의 감도는 빛의 파장에 매우 민감하다.
제9장 망원경과 검출기
made by ongonge

2. 광전음극

◇광전 효과
-광양자 또는 광자가 광전음극을 때리면 전자가 튀어나온다. 이 전자가 양전극 또는 양극으로 이동하게 되면 측정 가능한
전류를 만들게 된다.
-빛의 양자 성질이 극적으로 나타나는 현상.

a. 광전효과 b. 광전관 c. 광증배관

1)광전관
-빠져나온 전자를 이용해 광자 헤아리기를 하는 장치

2)광증배관(광전증배관)
-검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하나의 전자를 많은 개수(≈105)로 증배시킨다.
-측광정밀도를 0.1~1%로 높일 수 있다.
-광증배관은 입사된 모든 빛을 측정할 수 있지만, 영상을 형성하지는 못한다.

※광증배관의 원리
전자가 다이노드(dynode)를 때리면 각 전자에 대하여 여러 개의 전자가 방출되는데 여러개의 다이노드를 지나면 원래의 약한 전류가 백만 배로 증폭될 수 있다.

3)사진건판과 광전관

사진 건판 광전관
양자 효율 낮다 사진건판의 양자효율보다 약 10~20배
선형 반응 X O - 빛의 세기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제9장 망원경과 검출기
made by ongonge

3. 전하 결합 소자 (CCD) 기출: 01(14), 02(8)

1)CCD란?
-한 면이 ~10mm인 얇은 실리콘 칩으로 픽셀이라 불리는 여러개의
화소로 구성된다.

2)원리
①광전변환 - 광자가 검출기의 표면을 때리게 되면 전자들이 튀어나오게 되고
②전하축적 - 이 전자들은 화소에 갇혀 있게 된다.
③전하전송 - 노출이 끝나면, 전위 차이를 변화시켜줌으로써 검출기의 행을 따라 화소에 쌓인 전하를 판독기억장치로 전
달해 준다. 기억 장치에서 각 화소에 있는 전하들은 아날로그/디지털 변화기로 전달되는데, 이로부터 변환된 디지털 값이
컴퓨터에 전송된다.
※만약 관측 노출시간이 매우 짧다면, 읽기시간이 관측시간의 대부분을 차지하게 된다.

3)장점
① 선형 검출기 (생성된 전하의 양은 입사한 광자의 양과 전적으로 비례)
② 영점조정도 사진건판의 경우보다 훨씬 더 쉽다.
③ 양자효율이 매우 높다. (600~800nm 정도의 붉은 파장영역에서는 QE가 80~90% 이상)
④ 매우 밝은 빛이라도 CCD카메라를 손상시키지 않는다. (광증배관의 경우 너무 많은 빛을 받으면 쉽게 부서질 수 있다)
⑤ 적외선 영역도 측정 가능

※영점 조정
⑴ 카메라의 셔터를 닫은 상태에서 노출을 주어 암전류를 측정하면, 암전류에 의한 오차를 보정할 수 있다.
⑵ 박명 하늘과 같이 고르게 밝은 지역의 영상을 찍음으로서 개개 화소에서의 약간씩 차이나는 감도를 보정할 수 있다.
(바닥고르기)

4)문제점

문제점 해결 방안

-검출기 표면에 피복제를 바르면 피복제가 자외선 광자를 흡수하고 장


500nm이하의 자외선 파장의 빛에 대한 감도가 급격
① 파장 빛을 방출
히 떨어진다.
-검출기 조각을 거꾸로 뒤집고 매우 얇게 만들어서 흡수를 줄인다.
액체질소로 카메라를 냉각시켜 일정한 온도를 유지
② 카메라의 열잡음에 의한 암전류
(너무 차가우면 감도도 감소하므로 적당한 온도를 유지하도록 한다)
긴 시간의 노출을 한 번 주는 대신에 몇 개의 짧은 노출영상을 얻어
③ 우주선에 의한 밝은 점 발생
우주선을 제거한다.
전자기기에서 나타나는 읽기잡음. 신호세기가 읽기잡음
④ 보다 약하면 신호가 잡음과 구별되지 않는다. (기록 가
능한 가장 어두운 별의 등급을 제한하는 요인이 된다)
많은 빛을 받으면 화소가 포화되어 생성 전하들이 주 검출기에 있는 전하를 완전히 제거하기 위하여 수차례에 걸쳐 읽기

위 화소로 이동 과정을 거친다.
큰 CCD카메라는 매우 비싸며, 사진건판에 비하면 여
⑥ 퍼져 있는 천체를 기록하는 데는 사진을 이용
전히 작다.
제9장 망원경과 검출기
made by ongonge

III. 분광기

1. 프리즘 분광학

1)프리즘이란?
-유리의 굴절룔이 파장의 함수이므로 굴절각도 역시 파장의 함수이다. 이 때문에 프리즘은 여러 파장의 빛을 스펙트럼으
로 분산시켜 이를 기록할 수 있게 해 준다.
-대부분 프리즘 분광기는 입사각과 방출각이 모두 60°가 되도록 설계되었는데 이것은 고분산과 투과 효율 사이의 상호 보
완된 결과다.

◇스넬의 법칙 (빛의 굴절에 관한 법칙)


na sinθ1=ng sinθ2

2)문제점
①한 면 이상의 유리를 완벽하게 처리해야 하므로 제작이 어렵다.
②유리의 굴절률이 파장의 매우 복잡한 함수이기 때문에 스펙트럼이 상당히 비선형적이다.
→관측된 스펙트럼의 위치를 파장과 연관시키는 눈금 조정 작업이 매우 어렵다.

2. 격자 분광기

1)회절격자란?
-회절격자는 밀리미터당 통상 수백 개의 나란히 파진 홈을 갖고 있다. 빛이 파진 홈의 벽에 의해 반사될 때 인접한 광선
들이 서로 간섭을 일으키고 이에 따라 서로 다른 차수의 스펙트럼을 형성하게 된다. (투과회절격자도 있다)
-결합 간섭에 대한 각은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
sin  

  파장   홈 사이의 거리
  스펙트럼의 차수

2)분산 (스펙트럼을 퍼지게 하는 능력)


-회절격자는 일반적으로 프리즘보다 더 높은 분산을 갖고 있다.
-파진 홈의 밀도를 증가시킴으로써 분산을 증가시킬 수 있다.
(mm당 300~1,800개의 홈 범위 중 하나를 선택하게 된다.)
-차수가 커질수록 스펙트럼의 분산이 증가한다.
-작은 각(라디안)의 경우 sinθ≈θ이므로, 분산은 거의 λ에 대해 선형적이다.

3)문제

문제 많은 차수가 나타나면 빛이 관측하고자 하는 차수에 모이지 않으므로, 관측 효율이 저하된다.


이것은 홈의 개수뿐만 아니라 홈의 각을 조심스럽게 선택함으로써 다소 완화될 수 있어, 적절
해결
한 블레이즈각으로 빛의 80% 정도를 한 차수에 집중시킬 수 있다.
제9장 망원경과 검출기
made by ongonge

4)에셸 격자
-표준 격자 분광기로는 차수가 높아지면 분산이 커져, 차수 겹침 때문에 유용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고분산 분광을
위한 대안으로 에셸 격자가 고안되었다.

3. 분광 관측

-현대분광학은 표준 격자 분광기, CCD검출기, 긴 슬릿으로 이루어진다.

1) 분광기의 분해능을 최대한으로 활용하게 되는 경우 (스펙트럼의 위치, 시선속도)


-홈의 밀도가 큰 격자를 쓰고 슬릿을 좁게 해야 한다.
-어두운 천체의 경우 적당한 S/N을 얻으려면 분해능을 낮춰야 한다.

ex)도플러 변이를 측정하여 시선속도를 구하는 경우


→속도가 0인 밝은 비교 선 스펙트럼이 필요하다.
→철, 헬륨, 네온, 아르곤 등의 스펙트럼을 천체의 스펙트럼과 같이 찍는다.

2) 스펙트럼의 세기에 더 중점을 두는 경우 (분광측광)


-검출기의 비균일적인 반응 효과와 지구 대기 효과를 보정하기 위해 잘 관측된 표준 플럭스 항성을 자주 관측하여야 함

3)동시에 많은 스펙트럼을 얻기 위한 경우
① 대물 프리즘
-슈미트망원경 앞에 대물 프리즘을 사용하면 넓은 시야의 천체 스펙트럼을 동시에 기록할 수 있다.
(긴 슬릿 분광에서는 한번에 한 천체만을 관측할 수 있다)
-저분산 스펙트럼이지만 항성의 스펙트럼 분류에 매우 유용하다.(분광형 결정에 이용)
-특이한 천체를 찾아내는데 대물 프리즘 탐사가 활용되었다.

②다중 슬릿 분광기
-두가지 형태 존재
⑴주어진 관측 기간 동안에 계획한 각각의 관측 시야에 대하여 가리개를 만드는 것
⑵하나의 긴 슬릿을 사용하며, 광섬유광학을 이용하여 각 천체의 빛을 슬릿으로 가져오는 것
제9장 망원경과 검출기
made by ongonge

IV. 간섭계
제9장 망원경과 검출기
made by ongonge
제9장 망원경과 검출기
made by ongonge

V. 망원경의 종류 기출: 99(11)

(1) 굴절 망원경
⦁렌즈를 이용해서 빛을 모으는 망원경
※천체사진의
-더 복잡한 렌즈시스템을 이용하여 시야를 넓힌 망원경
-3~5개의 렌즈로 대물 구성, 구경은 60cm 이하,  /5~  /7, 시야는 약 5°
-넓은 영역의 사진을 찍을 때 사용 (고유운동 연구와 별의 통계적인 밝기 연구)
 
⦁밀폐되어 있으므로, 경통 내부의 공기 흐름이 없기 때문에 안정된 상
장점
⦁광축이 틀어짐으로 인해 생기는 빛의 악화도 반사망원경 보다 훨씬 좋다.

⦁색수차 생김
⇨보정: 색 지움렌즈 사용(육안관측용-  =550nm, 사진관측용-  =425nm)
서로 다른 유리로 이루어진 3개이상의 렌즈를 결합하여 대물렌즈 제작
⦁긴 경통
단점 -활용 용도 제한(쌍성의 안시관측, 별의 위치측정;자오 망원경, 시차측정)
⦁유리의 균질성이나 연마의 어려움으로 값이 비싸진다.
⦁보통 f수가 크게 제작되어 망원경의 크기가 대형화

① 갈릴레이 식

ⅰ 시야가 좁다.
ⅱ 확대 정립허상
ⅲ 소형 쌍안경, 오페라글라스에 사용

② 케플러 식

ⅰ 시야를 넓게 하고 상을 좋게 할 수 있다.
ⅱ 도립실상
ⅲ 대부분의 천체망원경에 사용

(2) 반사 망원경

  반사망원경은 포물면의 얇은 알루미늄층으로 피복된 거울을 사용하므로 색수차가 전혀 없고, 제작이 렌즈에 비해 훨씬
쉽다. 관측자가 주초점에서 직접 검출기를 조작할 수 있다.

그러나 코팅상태가 영구적이지 못하므로 자주 코팅을 해야하며 광축의 오차에 의한 상의 악화가 크고 망원경의 이동에
의해 쉽게 광축이 변하며, 경통이 대기에 개방되어 있으므로 상이 공기의 흐름에 영향을 많이 받는다는 단점이 있다.
제9장 망원경과 검출기
made by ongonge

① 뉴튼 식

  오목거울을 주경으로 쓰는 것으로, 초점거리가 커지면 접안부의 위치가 바닥


으로부터 높아지는 단점이 있지만, 제작이 쉽고 가격이 싸며, 빛이 들어오는
방향과 직각의 위치를 들여다 보는 것이므로 천정방향을 볼 때 편리하다.

② 그레고리 식

  2차경을 오목거울로 사용하고, 주경의 초점 밖에 2차경이 놓임으로 정립상이 되는


특징을 갖고 있다.

③ 카세그레인 식

  주경의 초점거리 안에 볼록거울(2차경)을 놓아 합성 초점거리를 주경 초점거리의 몇 배로 늘릴 수 있는 장점이 있어 경


통의 크기를 대폭 줄일 수 있다. 주경에 구멍을 뚫어야 하므로, 소구경의 망원경은 잘 만들지 않고 대구경의 망원경에 사
용된다.

④ 쿠드 식

  3차경에서 빛을 재차 반사시켜 망원경의 극축에 따라 빛이 나오도록 제작된 망원경이다. 분광기나 카메라 측정장치 등
무거운 관측기재를 경통에 장치하여 일주운동을 추적할 필요없이 바닥에 고정시켜 놓을 수 있는 편리함이 있다. 따라서
현재 대구경 망원경들은 뉴톤, 카세그레인, 쿠드의 세가지 방식을 전부 사용할 수 있도록 제작된 것이 대부분이다.

⑤나스미스식

카세그레인 방식과 유사하나 주경의 중심부는 뚫려있지 않고 대신 주경 바로 앞에 뉴턴식


과 같은 45° 평면거울을 설치해 상을 경통 옆으로 끌어내어 볼 수 있다.
제9장 망원경과 검출기
made by ongonge

(3) 반사굴절 망원경

  반사굴절 망원경은 반사망원경과 굴절망원경의 장점만을 채택해서 만든 망원경으로, 기본형은 반사지만 모든 수차의 보
정은 렌즈가 하고 주경은 구면일 뿐이다. 같은 구경에서 굴절 망원경 이상의 성능을 내면서도 크기가 무척 작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가격이 비싼 것이 단점이다.

① 슈미트 카메라

보정판으로 코마수차와 구면수차를 보정 시켜서 밝고 넓은 시야를 얻을 수 있으므로, 사진촬영용으로 많이 쓰여 슈미트


카메라라고 불린다.

② 기타

<슈미트-카세그레인식>
ⅰ 상은 안정되고 선명
ⅱ 슈미트 방식-구면인 주경, 보정렌즈
ⅲ 카세그레인 방식-주경 중심부 구멍, 부경
ⅳ 망원경은 짧게 유효초점거리는 길게할 수 있다.

<막스토프식>
ⅰ 사진용으로만 이용 가능
ⅱ 주경은 구면
ⅲ 보정판에 메니스커스 렌즈로 구면수차를 제거
ⅳ 주경과 보정렌즈는 중심이 같은 구이다.
ⅴ 슈미트식 보다 구면수차가 약간 심하다.

<막스토프-카세그레인식>
막스토프 망원경의 주경의 중심에 홈을 내고 초점 부근에 부경을 설치해 주경
과 부경을 통과한 빛이 주경의 중심에 난 홈을 통과한 뒤 초점을 맺도록 설계
한 것이다.

헤밀턴 식 베이커-슈미트 식
막스토프 카레라 식
제9장 망원경과 검출기
made by ongonge

VI. 기타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