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36

How Everything Began

The Big Bang


• 서론
• 빅뱅
• 속도 측정: 적색 편이(red shift)
• 거리 측정
• 우주의 나이: 속도–거리 관계식

• 빅뱅 가설의 추가 증거
• 우주의 배경 복사(흑체 복사)
• 우주 물질의 H/He 비

• 팽창하는 우주와 암흑에너지(dark energy)


• 빅뱅 … 그 후
• 결론
Dark Sky Paradox
• Heinrich Olbers가 1826년 제안

• 우주가 무한하고 steady


state에 있다면, 우리가 보는
우주는 어두운 지역이 없고
따라서 밤하늘은 밝아야 함.

• 만약 암흑물질(dark matter)
이 사이사이에 있어 빛을 차
단한다면, 결국은 가열되어
자신의 고유한 빛을 낼 것이
다.

http://atropos.as.arizona.edu/aiz/teaching/nats102/images/olbers_paradox.gif
Dark Sky Paradox

• 만약 우주가 유한하다면 중심으로 붕괴할 것이다.

가장자리에 있는 은하는
중력의 힘에 끌려들어옴.
Solution?

Georges Lemaître가 1927년에 제안

• 우주는 무한하지 않다.

• 우주는 팽창하고 있다. – “exploding egg”

흥미로운 추정인데 … 증거는?


1929 Edwin Hubble

후퇴속도와 거리가 선형 비례!


(v = HoL, Ho = Hubble constant)
• 연속 스펙트럼: 뜨겁고 밀도가
큰 물체(별)는 여러 파장으로
이루어진 연속스펙트럼의 빛
방출
• 흡수 스펙트럼: 별을 둘러싼 대
기의 차가운 가스는 특정 파장
흡수. 스펙트럼에 검은 선이 생
김.
별의 대기에 어떤 원소가 있느냐에 따라 각각의 스펙트럼이
지문 또는 바코드같이 나타남.

• 파장으로 어떤 원소가 존재하는지 알 수 있다.

• 세기로부터 그 원소의 양도 추정할 수 있다.

• 태양으로부터 오는 빛의 파장을 분석하면 태양의 구성


성분을 알 수 있다.
“Fraunhofer spectrum” 분광(分光)
그러면 다른 별, 다른 은하에서 온

빛의 스펙트럼은 어떨까?
동일 패턴의 흡수 스펙트럼이 보이지만
먼 거리에 있는 은하나 항성일수록 장파장(Red)에 치우침

원거리
은하

근거리
은하

우리
은하의
별 nm
모든 은하가 우리로부터 멀어지고 있다.

우주는 유한하며 팽창하고 있다.

Olbers의 Dark Sky Paradox 해결.

합리성의 척도를 0(idle speculation)~10(proven fact)라


면, 빅뱅 이론의 합리성은 9.9!!
1929 Edwin Hubble

후퇴속도와 거리가 선형 비례!


(v = HoL, Ho = Hubble constant)
거리 측정법

• 시차(視差 parallax): 우리 은하

• 표준촉광(燭光 Standard Candles): 근거리 은하

• 크기-광도 관계: 원거리 은하


시차(parallax): 지구의 공전궤도 이용

4 x 1013 km
3 x 108 km

Nearest star Distant stars & galaxies

우리은하의 가까운 항성들에 대해서만 가능.


태양이 우리은하 공전 사용해서 우리 은하 내부의 항성
Standard Candle:
변광성(Cepheid Stars)의 깜빡임 … “등대”
Henrietta Leavitt (1912): 우리 은하계의 항성들 연구.
방출되는 에너지가 주기적으로 변하는 항성들 발견.
깜빡임의 주기가 같은 변광성은
광도 동일

주변 은하계의 변광성(Cepheids)을 standard candle로 사용.


• 변광성의 겉보기 광도와 변광주기 관측
• 변광주기로 주기-광도 관계에서 절대 등급 결정
Mv = -2.81 log(P)-(1.43±0.1), Mv : 절대등급, P : 주기(일)
• 겉보기 등급과 절대 등급의 차이를 활용하여 거리 결정
Mv = m – 5(log10d-1), m : 겉보기 등급, d : 거리(pc)
• 초원거리 은하의 경우는 변광성 하나 하나를 구별해 낼 수 없음
크기-광도 관계: Type Ia 초신성(超新星 supernova)

• 초신성: 거대 항성의 폭발. 100년에 한 번 꼴로 모든


은하계에서.
• Type 1a 초신성: 백색왜성(white dwarf)이 폭발.

• Type 1a 초신성들은 언제나 비슷한 크기이므로


최대광도 거의 일정.

• 초신성은 거리상, 시간상 멀리 떨어져서도 관찰 가능.

• 초원거리 은하 내의 Type 1a 초신성의 겉보기


광도로부터 초원거리(50억 광년 내외) 은하 거리 추정.
1929 Edwin Hubble

후퇴속도와 거리가 선형 비례!


(v = HoL, Ho = Hubble constant)
Car 1 Car 2 Car 3
30 km/h 60 km/h 90 km/h

15 km
30 km
45 km

I haven’t seen any


cars with 3 guys I have the
in them
Criminals!
Car 1 Car 2 Car 3
30 km/h 60 km/h 90 km/h

15 km
30 km
45 km

Time when all cars were at gas station


Recessional velocity (km/hr)

= Distance (km)/Velocity (km/hr)


= 15/30 = 30/60 = 45/90 = 0.5 hr

Distance (km)
1929 Edwin Hubble

직선의 의미: 모든 것은 한 곳에서 한 시점에 시작했다


v = HoL
1/Ho = 우주의 나이 = 137 억년
(2003, NASA, Wilkinson Microwave Anisotropy Probe)
모든 은하가 우리(지구)로부터 멀어진다는 것은
… 우리가 우주의 중심에 있다는 의미인가?
모두가 우주의 중심에 있다는 착각

풍선의 중심은 생각하지 말고 표면만 보자.

Scientific American, March 2005


흑체복사(blackbody radiation)

• 모든 물체에서 복사파

• 온도에 따라 파장, 세기
다름

• 예: 태양 표면 5700 K vs.
지구표면 288K
1963/1965 Arno Penzias & Robert Wilson
Antenna located in Holmden, New Jersey
1978 Nobel prize in physics
COsmic Background Explorer (COBE) 1989

The COBE was the world’s most sensitive


thermometer, built to probe the heat

• Far InfraRed Absolute Spectrophotometer on COBE


radiation left over from the Big Bang. In
1992, it detected fluctuations of just a
few millionths of a degree in the CMB.

• Perfect, isotropic 2.725 ± 0.002 K blackbody spectrum of photons


Cosmic Microwave Background Radiation
Wilkinson Microwave Anisotropy Probe (WMAP) 2003

2.73 ± 1/10,000
• Big Bang 후 양성자와 전자가 합쳐질 수 있을 정도로 식고 이때 강한 빛이 발생(빅뱅
후 약 40만년)
• 이 때 가스의 온도는 약 4,000K → 현재 2.76K로 관찰됨
• 물리학자들의 냉각속도 모델링에 의하면 13.7 Byr의 Big Bang 이론상 기원 시기와
일치
우주 대수축(Big Crunch)?
우주의 대부분 – 암흑에너지와 암흑물질

암흑에너지에 의한 척력이
은하에 작용해서
팽창을 가속화?

우주의 구성성분과 지구의 구성성분은 상당히 다르다!


빅뱅 직후

• 온도가 너무 높아 원자 존재하지 못함. 양성자, 중성자


보다 작은 입자들만 존재.

• 어떻게 오늘날과 같은 원소들로 이루어진 우주가 되었


는가?
행성의 현실
“원자는 생성되지도 소멸되지도 않는다”

그렇다면 원소는 어디로부터 오는가?


어디에서 만들어졌는가?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