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30

외계 행성계 탐사

1. 도플러 효과를 이용한 방법

2. 식 현상을 이용한 방법

3. 미세 중력 렌즈를 이용한 방법

4. 직접 촬영하는 방법
<참고> 항성 VS 행성

- 항성(별) :
스스로 빛을 내는
천체

- 행성 :
스스로 빛 X
= 직접 관측 힘듦
1. 도플러 효과를

이용한 방법
1. 도플러 효과를 이용한 방법
<시선방향 · 시선속도>

시선방향
청색편이 적색편이
1. 도플러 효과를 이용한 방법
<접선방향 · 접선속도>
접선방향
시선속도 X

시선방향
1. 도플러 효과를 이용한 방법
<별이 이동할 때 시선속도와 접선속도>

시선방향

접선방향

실제 이동 속도
1. 도플러 효과를 이용한 방법
(1) 도플러 효과
- 관측자와 광원의 상대적인 운동에 의해 빛의
파장이 달라지는 현상

- 적색편이 : 시선방향으로
멀어지면 파장
길어짐 (+)
- 청색편이 : 시선방향으로
가까워지면 파장
짧아짐 (-)
1. 도플러 효과를 이용한 방법
(2) 별과 행성의 공전
1. 도플러 효과를 이용한 방법
(2) 별과 행성의 공전

- 별과 행성은 공통 질량 중심을 중심으로 공전


- 별이 안쪽, 행성이 바깥쪽에서 공전
- 별과 행성의 공전 주기, 공전 방향은 같음
- 별과 행성은 공통 질량 중심에 대해 항상
정반대 방향에 위치
- 별과 행성의 질량 차이가 클수록 공통 질량
중심은 별 쪽으로 치우침
1. 도플러 효과를 이용한 방법
1. 도플러 효과를 이용한 방법
(3) 도플러 효과를 이용한 외계 행성 탐사

- 별이 공통 질량 중심을 회전하며 나타나는


별빛 스펙트럼 변화를 분석

- 별의 움직임 정도는 행성 질량에 의해 결정됨

- 도플러 효과 정도를 이용하여 행성 질량 추정


1. 도플러 효과를 이용한 방법
(3) 도플러 효과를 이용한 외계 행성 탐사
c
A·C : 시선방향으로
A 움직임 X
→ 편이량 = 0
d B D b B : 청색편이량 최대
D : 적색편이량 최대
→ B·D :
C 공전속도=시선속도

시선방향
1. 도플러 효과를 이용한 방법
(3) 도플러 효과를 이용한 외계 행성 탐사
c

A D

A C
d B D b
B

a 공전주기
시선방향
1. 도플러 효과를 이용한 방법
(3) 도플러 효과를 이용한 외계 행성 탐사

행성 질량이 2배가 되면 중심별의 공전 속도는?


1. 도플러 효과를 이용한 방법
(4) 도플러 효과를 이용한 방법이 유리할 조건
- 행성 공전 궤도면과 시선 방향이 나란할 때

- 행성의 질량이 클 때
: 공통질량 중심이 별에서 멀어짐 →
별이 크고 빠르게 움직임 → 편이량 ↑

- 별~행성 거리가 가까울 때


: 행성 공전주기 ↓ → 별 공전속도 ↑
→ 편이량 ↑
2. 식 현상을 이용한

방법 (횡단법)
2. 식 현상을 이용한 방법 (횡단법)
(1) 식 현상을 이용한 외계 행성 탐사
- 행성이 중심별 앞을 지나면 중심별 밝기 ↓
2. 식 현상을 이용한 방법 (횡단법)
(1) 식 현상을 이용한 외계 행성 탐사

밝기

시간
2. 식 현상을 이용한 방법 (횡단법)
(1) 식 현상을 이용한 외계 행성 탐사
- 별과 행성의 반지름 비가 100:1 일 경우
식 현상에 의한 밝기 감소율은? 0.0001
별 행성
반지름 100 1
단면적 10000 1

별의 평소 밝기가 10000이면
식 현상 때 밝기는 9999
0.0001
0.9999
2. 식 현상을 이용한 방법 (횡단법)
(2) 식 현상을 이용한 방법이 유리할 조건
- 행성 공전 궤도면과 시선 방향이 나란할 때

- 행성의 질량이 클 때
: 밝기 변화가 더 큼

- 공전 궤도 반지름이 너무 크면 X
: 공전 주기가 적당해야 밝기 변화 주기성
관측 O
2. 식 현상을 이용한 방법 (횡단법)
(2) 행성 분석
- 식 현상 ▶ 행성의 크기 파악 행성 밀도
파악
- 도플러 효과 ▶ 행성의 질량 파악

가스 행성 or 암석 행성 판단

- 행성이 별 앞을 지날 때 행성 대기를 통과한


빛 분석 → 대기 성분 추정
3. 미세 중력 렌즈

현상을 이용한 방법
3. 미세 중력 렌즈 현상을 이용한 방법
(1) 미세 중력 렌즈 현상 이용

- 앞쪽 별의 중력에 의해 뒤쪽별에서 오는 빛이
휘어짐
- 뒤쪽 별의 밝기를 관측 → 앞쪽 별 행성 유무
판단
3. 미세 중력 렌즈 현상을 이용한 방법
(1) 미세 중력 렌즈 현상 이용
3. 미세 중력 렌즈 현상을 이용한 방법
(1) 미세 중력 렌즈 현상 이용
3. 미세 중력 렌즈 현상을 이용한 방법
(2) 도플러효과, 식 현상 이용과의 차이점

- 주기적 관측 X

- 상대적으로 별~행성 거리가 멀수록 행성


탐사 유리

- 행성 공전 궤도면과 시선 방향 각도 상관 X
4. 직접 촬영하는 방법
4. 직접 촬영하는 방법
(1) 직접 촬영하는 방법

- 중심별을 가리고 촬영(∵중심별이 너무 밝음)

- 행성은 대부분 적외선 방출 → 적외선 촬영

- 분광 관측으로 행성 대기 성분 판단 가능
5. 외계행성의 특징
5. 외계 행성의 특징

- 도플러효과 : 대부분 질량 ↑
- 식 현상 : 대부분 공전 궤도 반지름 ↓
- 미세 중력 렌즈 현상 :
대부분 공전 궤도 반지름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