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6

생명 가능 지대

1. 생명체가 존재할 수 있는 행성의 조건

2. 생명 가능 지대

3. 외계 생명체 탐사
1. 생명체가 존재할 수

있는 행성의 조건
1. 생명체가 존재할 수 있는 행성 조건
(1) 생명체가 존재할 수 있는 행성의 조건
<지구형 행성>
- 표면이 단단한 암석으로 이루어져야 함
- 목성형 행성(가스 행성)에는 생명체가 살 수 없음

<액체 상태의 물>


- 물은 좋은 용매 : 생명체 탄생, 진화에 필요한 여러
물질 포함
- 물은 비열이 큼 : 많은 양의 열 저장
급격한 온도 변화 억제
1. 생명체가 존재할 수 있는 행성 조건
(1) 생명체가 존재할 수 있는 행성의 조건
<대기 존재>
- 온실 효과 : 행성을 따뜻하게 유지
- 오존층(성층권)은 자외선 차단

<자기장 존재>
- 우주에서 오는 고에너지 입자(우주선, 태양풍) 차단

<중심별의 질량이 적당>


- 태양 정도 질량
2. 생명가능지대
2. 생명 가능 지대
(1) 생명 가능 지대
- 별의 둘레에서 물이 액체상태로 존재할 수
있는 거리의 범위
2. 생명 가능 지대
(1) 생명 가능 지대
2. 생명 가능 지대
(1) 생명 가능 지대

- 주계열성인 중심별은
질량이 클수록(=광도가 클수록)

생명가능 지대는 중심별로부터 멀어지고


폭도 넓어진다.
2. 생명 가능 지대
(2) 별의 질량에 따른 생명 가능 지대 비교
- 중심별로부터 생명가능지대까지 거리 : A>B
- 생명가능지대 폭 : A>B
생명가능지대

질량 큰 질량 작은
주계열성 주계열성
A B
2. 생명 가능 지대
(2) 별의 질량에 따른 생명 가능 지대 비교

- 단위 시간동안 단위 면적에 들어오는 E양

∝ 광도𝟐
거리
2. 생명 가능 지대
(2) 별의 질량에 따른 생명 가능 지대 비교
같은 거리만큼
떨어진 지점이
생명가능지대로 받는 E양 다름
단위시간 설정되는 E양 범위
단위면적
E양

A
B
B 생명가능지대 A 생명가능지대
중심별로부터
= 중심별에서 가깝고 = 중심별에서 멀고
거리
폭이 좁음 폭이 넓음
2. 생명 가능 지대
(3) 별의 진화에 따른 생명 가능 지대 변화
- 주계열성이 거성 단계로 진화 : 광도 ↑
= 생명가능지대는 뒤로 멀어짐, 폭도 넓어짐
2. 생명 가능 지대
(4) 중심별의 질량과 생명체 존재 가능성
- 중심별 질량이 매우 크거나 작으면 행성이
생명가능지대에 위치해도 생명체 존재 X
2. 생명 가능 지대
(4) 중심별의 질량과 생명체 존재 가능성
<중심별 질량이 매우 큰 경우>
- 수명이 짧음 → 별에서 공급되는 E 지속성 ↓
- 행성이 생명가능지대에 머무는 기간 ↓
- 생명체가 탄생, 진화할 시간 부족

<중심별 질량이 매우 작은 경우>


- 생명 가능 지대는 중심별과 너무 가까움
- 별~행성인력↑→행성의 자전주기가 길어지다 동주기 자전
(공전주기=자전주기)
- 낮과 밤의 변화가 없어짐→생명체가 살기 어려움
3. 외계 생명체 탐사
3. 외계 생명체 탐사
(1) 외계 생명체 탐사

- 외계 지적 생명체 탐사(SETI) : 전파이용


전파 영역에서 관측하는 ATA 망원경 이용
지상에서 관측
- 우주 탐사선 : 보이저 호, 파이어니어 호
큐리오시티(화성 탐사선)
- 우주 망원경 : 우주에서 관측
케플러망원경, 테스망원경, 제임스 웹 망원경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