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3

현대천체물리학 PART 1 기본천문학 천문학 및 천체물리학 서론

1장 천구 2장 구면 천문학 3장 지구의 운동
그리스학파 2.1 구면천문학 3.1 지구의 시간계 (자오선, 춘분점, 항성시)
코페르니쿠스 혁명 2.2~2.10 좌표계 좌표의 섭동 파섹 3.2 코리올리 효과, 푸코진자, 지구의 편평도
천구에서의 위치 (좌표계, 일주운동, 계절변화, 구면천문학 등) 2.11~2.12 별자리 3.3 지구공전증거 (별빛의 광행차, 항성시차, 도플러효과)
물리와 천문 (쓸데없음) 2.13~2.15 항성시 태양시, 시간계, 역서 3.4 차등중력 (조석현상, 세차와 장동, 로시한계)

2장 천체 역학 6장 천체역학 1장 천체 역학과 태양계


타원궤도 6.1~6.5 케플러 법칙 1.1 동방 서방 이각, 회합주기
뉴턴역학 탈출속도, 비리얼정리, 진스한계 1.2, 1.5 케플러 법칙
케플러법칙의 유도 1.4 G,M결정
비리얼정리 (*) 2.3 케플러법칙 확장, 로켓 궤도 진입

5장 빛과 물질의 상호작용 5장 복사 기작 8장 전자기 복사와 물질


스펙트럼 선 5.1~5.6 분자 스펙트럼, 연속 스펙트럼 8.1 전자기 복사 (파동, 도플러 효과, 플럭스)
광자 5.7 흑체복사 (플랑크 법칙, 빈의 법칙, 레일리-진스 법칙) 8.2 원자 구조 (궤도 양자화, 보어 모형, 에너지 준위 도표, 들뜸)
원자의 보어모형 5.8 천체의 표면온도 8.3 원자, 이온, 분자의 스펙트럼
양자역학과 파동-입자 이중성 5.9 다른 복사 기작들 (메이저, 레이저) 8.4 스펙트럼선의 세기 (볼츠만 방정식, 사하 방정식, 결합)
5.10 복사 전달 방정식 8.5 스펙트럼선의 선폭 증가 (자연/열적 도플러/충돌 선폭 증가.
3장 빛의 연속적인 스펙트럼 Zeeman effect)
별의 시차 4장 측광의 개념과 등급 8.6 흑체복사 (플랑크 복사 법칙, 빈의 법칙, 슈테판-볼츠만 법칙)
등급계 4.1 플럭스밀도, 광도 8.7 전달방정식 (키르히호프 법칙)
빛의 파동성 4.2~4.4 겉보기등급, 등급계, 절대등급
흑체 복사 4.5 소광, 광학적 두께 11장 별 : 거리와 등급
에너지의 양자화 11.1 별까지의 거리 (파섹 등)
색지수 11.2~11.3 절대등급, 겉보기등급
11.4 다른 파장에서의 등급 (UBV 등급계, 색지수)

6장 망원경 3장 관측과 기기 9장 망원경과 검출기


기본 광학 3.1~3.4 광학망원경, 검출기, 전파망원경 9.1 광학망원경(f비, 분해능)
광학 망원경 / 전파 망원경 3.5 다른 파장 영역 9.2 비가시 천문학 (전파/적외선/우주 천문학)
적외선, 자외선, X-선, 감마선 천문학 3.6 중성미자. 우주선 등 9.3 검출기
전천 탐사와 가상 천문대 9.4 분광학
9.5 새 세대 광학망원경

7장 태양계의 물리적 과정 7장 태양계 2장 태양계의 개관


7.1~7.3 태양계 천체의 분류, 배치, 궤도, 달의 궤도, 일식/엄폐 2.1.1 공전의 역행. 순행, 편평도,
7.6 행성의 구조 및 표면 2.1.2 행성의 내부구조,
7.1 대기의 물리학 7.7 행성의 대기, 자기장 2.1.3 행성의 표면(복사평형), 대기
7.2 조석력(Tidal Force) (조석력, 로시한계) 7.8~7.12 행성의 열 복사, 니스 모형 2.2 위성, 고리, 소행성, 혜성, 유성, 행성 간 티끌
(*) 3.4 차등중력(로쉬한계)

8장 지구형 행성 8장 태양계 천체 5장 지구형 행성 : 수성, 금성, 화성


1.1~1.5 수금지화 8.1~8.4 수금지화 5.1 수성, 금성, 화성의 (운동, 물리적 특성, 표면, 자기장, 진화)
5.4 지구형 행성의 진화 단계 비교

4장 지구와 달
1.4 달 7.4~7.5 달의 궤도, 일식/엄폐 4.1~4.6 크기, 위상, 식, 내부구조, 표면, 대기, 자기장
4.7 지구-달계의 진화

9장 거대 행성계 6장 목성형 행성들과 명왕성


거대 행성계 (목토천해) 8.5~8.8 목토천해 6.1~6.2 목성, 토성의 운동, 물리적 특성, 자기장
거대 행성의 위성 6.3~6.4 천왕성, 해왕성의 운동, 물리적 특성, 보이저 결과
행성 고리계 6.5 명왕성과 카론

10장 태양계의 소천체 8장 태양계 천체 7장 작은 천체들과 태양계의 기원


명왕성과 카론 왜소행성 소천체 혜성 유성체 성간먼지 7.1 위성과 고리 (화성의 위성, 목토천해 위성고리)
혜성과 카이퍼대 천체 7.2~7.4 소행성들, 혜성, 유성체와 운석
소행성(Asteroid) 7.5 행성 간 기체와 티끌 (포인팅-로버트슨 효과)
운성 7.6 태양계의 형성 (미행성, 소행성 운석 혜성, 목토지+달 형성)

11장 행성계의 형성 22장 외계 행성


외계 행성계의 특성
행성계의 형성과 진화
현대천체물리학 PART 2 기본천문학 천문학 및 천체물리학 서론
1장 쌍성과 별의 기본 성질 10장 쌍성계와 항성의 질량 12장 별 : 쌍성계
1.1 쌍성의 분류 안시/측성/분광/측광 쌍성 12.1~12.4 안시/측성/분광/스펙트럼/식 쌍성
1.2 안시쌍성계를 이용한 질량결정 12.5 간섭계에 의한 별의 반지름 측정과 유효온도
1.3 식을 일으키는 분광쌍성
1,4 외계 행성계 탐사

2장 항성 스펙트럼의 분류 9장 항성의 스펙트럼 13장 스펙트럼의 분류와 헤르츠스프룽-러셀도


2.1 분광선의 형성 9.1 스펙트럼의 측정 13.2 스펙트럼 분류
2.2 허츠스프렁-러셀도 9.2~9.3 하버드 분광분류 여키스 분광분류 13.3 H-R도
9.4 특이 스펙트럼
3장 항성 대기 9.5 H-R도
3.1 복사장의 기술 9.6 모형대기(항성대기를 가장한 광학적 깊이) 13.1 항성의 대기
3.2 별의 불투명도
3.3 복사 전달
3.4 복사 전달 방정식
3.5 분광선의 윤곽

4장 항성의 내부 11장 항성 내부 구조 16장 별의 진화


4.1 정유체 평형 11.1 내부 평행조건 16.1 별의 구조 (복사 전달 방정식)
4.2 압력 상태 방정식 11.2 기체의 물리적 상태 16.2 이론적 별 모형 (M-L 관계)
4.3 항성의 에너지원 11.3 항성의 에너지원
4.4 에너지 수송과 열역학 11.4 항성 모형
4.5 항성 모형의 구축
4.6 주계열

5장 태양 13장 태양 10장 태양 : 표준이 되는 별


5.1 태양의 내부 13.1 태양의 내부구조 태양의 구조, 광구, 채층, 코로나, 태양풍, 태양활동
5.2 태양 대기 13.2 태양 대기
5.3 태양 주기 13.3~13.4 태양활동, 태양풍과 우주 기상

6장 성간 물질과 항성 형성 16장 성간물질 15장 성간물질과 별의 탄생


6.1 성간 먼지와 기체 성간티끌/가스/분자 15.1~15.2 성간티끌(암흑성운, 성간소광), 성간 적색화, 반사/방출/
행성상 성운, 초신성 잔해 행성 상 성운, 성간기체, ...
6.2 원시별의 형성 우주선, 성간자기장 15.3 별의 생성, 행성계의 형성

6.3 전주계열 진화 12장 항성의 진화 16장 별의 진화


7장 주계열과 주계열을 떠난 뒤 별의 진화 12.1~12.2 진화의 시간척도, 주계열로 수축 16.3 별의 진화
7.1 주계열 위에서 별의 진화 12.3~12.5 주계열 단계, 거성 단계, 진화의 최종 단계 16.4 성단 H-R도의 해석
7.2 항성 진화의 나중 단계 12.6 근접쌍성의 진화 16.5 별의 원소 합성 (준설 과정)
7.3 성단 12.8~12.9 관측과 비교, 원소의 기원

8장 별의 맥동 14장 변광성 18장 변광성과 폭발성


8.1 맥동성의 관측 14.2 맥동변광성 18.1 변광성의 명명
8.2 항성 맥동의 물리학 18.2~18.3 맥동 변광성, 비맥동 변광성
8.3 항성 맥동의 모형 18.4 확장된 항성 대기: 질량 손실
8.4 비방사상 항성 맥동
8.5 태양진학과 항성진학 14.3 폭발변광성 18.5 격변 및 폭발 변광성
18.6 엑스선원: 쌍성과 변광성

9장 무거운 별의 운명
9.1 무거운 별의 후주계열 진화
9.2 초신성의 분류 14.4 초신성
9.3 핵심부 붕괴 초신성

10장 별의 졸든 시체 15장 밀집성 17장 별의 죽음


10.1 별의 졸든 시체 15.1 백색왜성 17.1 백색왜성과 갈색왜성
10.2 백색왜성 15.2 중성자별 17.2 중성자별
10.3 졸든 물질의 물리적 성질 15.4 X-선쌍성계
10.4 찬드라세카르 한계
10.5 백색왜성의 냉각
10.6 중성자별
10.7 펄사

17장 성단과 성협
성협, 산개/구상성단

12장 근접 쌍성계
12.1 근접 쌍성계에서의 중력
12.2 유입원반
12.3 상호 작용을 하는 쌍성의 탐사
12.4 반분리형 쌍성에서 백색왜성들
12.5 Ia형 초신성
12.6 중성자별과 블랙홀을 포함하는 쌍성계
중력 | James B. Hartle 현대천체물리학 기본천문학 천문학 및 천체물리학 서론
PART Ⅰ■ 뉴턴 역학과 특수 상대성에서의 시 4장 특수상대성 이론 (PART 1)
간과 공간 갈릴레이 변환의 문제
Ch.01 중력학 로렌츠 변환
Ch.02 물리학으로서 기하 특수상대성이론에서 시간과 공간
Ch.03 뉴턴 물리학에서의 공간.시간과 중력 상대론적 운동량과 에너지
Ch.04 특수 상대성 원리
Ch.05 특수 상대성의 역학

PART Ⅱ■ 일반 상대성 이론의 휜 시공간 11장 일반 상대성 이론과 블랙홀 (PART 2) 25장 우주론 : 대폭발과 그를 넘어서
Ch.06 기하로서의 중력 11.1 일반 상대성 이론 25.1 일반상대론 (특수상대론, 뉴턴적 우주론)
Ch.07 휜 시공간의 묘사 25.2 아인슈타인의 일반상대론 (우주 모형의 동
Ch.08 측지선 11.2 간격과 측지선 역학)
Ch.09 구형 별의 바깥부분의 기하
Ch.10 일반 상대성 이론의 태양계에서의 검증
Ch.11 활동 중인 상대론적 중력
Ch.12 중력붕괴와 블랙홀 11.3 블랙홀 15.3 블랙홀 17.3 블랙홀
Ch.13 천문학에서의 블랙홀
Ch.14 작은 회전
Ch.15 회전하는 블랙홀
Ch.16 중력파

1장 우리은하 (PART 3) 18장 우리은하 14장 우리은하 : 개관


1.1 하늘에서 별의 계수 18.1 거리 측정 방법 14.1 우리 은하의 형태
1.2 은하의 형태학 18.2 별의 통계학 14.2~14.3 별의 분포, 종족
1.3 우리 은하의 운동학 18.3 우리은하의 회전, 구조 19장 은하 회전 : 항성운동
1.4 우리 은하의 중심 18.5 우리 은하의 형성과 진화 20장 우리은하의 진화

2장 은하들의 성질 19장 은하
2.1 허블 분류 19,1 은하의 분류
2.2 나선은하와 불규칙은하 19.2 광도/질량, 14.4 은하계 역학: 나선 구조
2.3 나선구조 19.3 은하의 구조 14.5 은하의 모형
2.4 타원은하

3장 은하들의 진화 19.4 은하 역학
3.1 은하들의 상호작용 19.5 별의 나이와 은하의 원소함량비, 기원/진화
3.2 은하들의 형성

21장 은하수 너머의 은하들


21.1 가시광선에서 보이는 은하
21.2 전파로 본 은하
21.3 은하의 적외선 관측
21.4 정상은하로의 엑스선 방출
21.5 고려해 볼 만한 기초적 이론 사항

5장 활동하는 은하 19.7 활동은하와 퀘이사 24장 활동은하와 퀘이사


5.1 활동하는 은하들의 관측적 사실들 24.1 복사 기구
5.2 활동하는 은하핵의 통합모델 24.2 온건한 활동은하
5.3 전파돌출부와 제트들 24.3 활동은하핵
5.4 퀘이사를 이용한 우주탐사 24.4~24.5 퀘이사(발견과 서술, 문제)

Ch.17 관측된 우주 4장 우주의 구조 20장 우주론 22장 허블법칙과 거리 눈금


4.1 은하계 밖의 거리척도 20.1 우주론적 관측 사실 22.1 세페이드의 주기-광도 관계
4.2 우주의 팽창 20.2 우주론원리 22.2~22.3 허블법칙, 은하의 거리 눈금
4.3 은하단 23장 우주의 거대구조 (은하단 등)

Ch.18 우주 모델들 6장 우주론


Ch.19 어느 우주 그리고 그 이유는? 6.1 뉴턴 우주론 20.3 균질등방우주 25.3~25.4 원시 화구, 표준 대폭발 모형
6.2 우주배경복사 20.4 프리드만 모형 26장 새로운 우주론
6.3 상대론적 우주론 26.1 종래 모형의 문제점
6.4 관측적 우주론 26.2 우주의 핵합성
26.3~26.4 입자 물리학, 급팽창이론
26.5 은하의 형성
26.6 비우주론적 적색이동
7장 초기 우주
7.1 아주 초기우주와 급팽창 20.5~20.6 우주론 검증법, 우주의 역사 26.7 우주의 역사
7.2 구조의 기원 20.7~20.8 구조의 형성, 우주의 미래

PART Ⅲ■ 아이슈타인 방정식


Ch.20 좀 더 수학적 고찰
Ch.21 곡률과 아인슈타인 공식
Ch.22 곡률의 발생원
Ch.23 중력파의 방출
Ch.24 상대론적인 별들

21장 천문생물학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