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6

과학고

FINAL
지구과학

신용환T
과학고 FINAL 지구과학

신용환T
1강 출제예상 문제풀이 (1) 신 용 환 T

1강. 출제예상 문제풀이 (1)

[1~3] 그림에는 호주에서 발생하는 열대성 저기압(태풍) 윌리윌리가 통과하는 지점(A, B, C)가 표시되
어 있다.

1. A, B, C 지역 중 어디에서 가장 먼저 윌리윌리의 영향권에 들어가는지 골라 써라.1)

2. A, B, C 지역을 통과하는 윌리윌리의 이동에 가장 영향을 많이 주는 바람의 이름을 써라 2)

3. B 지역을 통과하는 윌리윌리를 확대하여 이동경로와 윌리윌리의 영향권을 원으로 윌리윌리 영향권
안의 4지점을 1, 2, 3, 4로 표시하였다. 1, 2, 3, 4 지점 중 가장 태풍의 피해가 큰 곳을 골라 써라.3)

- 3 -
1강 출제예상 문제풀이 (1) 신 용 환 T

[4~5] 다음 그림은 습곡 산맥의 형성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4. 위 습곡 산맥의 형성 과정 중 밝은 무늬와 어두운 무늬가 교차해서 나타나는 암석의 이름은 무엇


인가?4)

5. 산맥 중앙부에서 단층이 발견되었다. 그 단층을 형성하는 힘의 이름을 쓰고 그 단층의 모양을 그려


라. 5)

- 4 -
1강 출제예상 문제풀이 (1) 신 용 환 T

[6~7] 그림과 같이 지각 평형의 원리를 알아보기 위하여 밀도가 각각 다른 나무토막을 물


속에 띄우고, 나무토막이 뜬 높이와 가라앉은 깊이를 측정한 결과가 표와 같았다.

물 위로 물 속에
나무
뜬 높이 가라앉은 깊이
토막
(cm) (cm)
(가) 1.1 1.2
(나) 2.3 2.6
(다) 3.2 3.2
(라) 4.0 3.6
3 3
아래 물음에 답하시오 (단, 물의 밀도는 1g/cm , 얼음의 밀도는 0.9g/cm 이다).

6. 나무토막의 밀도가 높은 순서대로 쓰시오. 6)

7. 나무토막 (라)의 위에 밑넓이가 같고 두께가 3cm인 얼음을 올렸을 때, 나무토막이 가라


앉는 총 깊이는 얼마인지 계산하시오.7)

- 5 -
2강 출제예상 문제풀이 (2) 신 용 환 T

2강. 출제예상 문제풀이 (2)

1. 그림은 동일한 지진을 관측소 (가), (나), (다)에서 관측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진원으로부터 거리가 가장 가까운 관측소는 어디인지 쓰시오. 8)

2. 한반도 중부 지방에 사는 영희가 온난 전선이 통과하는 어느 날 바람의 변화를 관찰한


결과는 표와 같다.

시간 풍향 풍속
오전 12시 남서풍 3 m/sec
오후 2시 서풍 5 m/sec
오후 4시 북서풍 4 m/sec

위 자료를 바탕으로 판단했을 때, 오후 2시를 기점으로 어떠한 전선이 통과하였는지 쓰시오.


9)

- 6 -
2강 출제예상 문제풀이 (2) 신 용 환 T

3. 그림은 달의 위상이 망일 때 A, B, C 세 지점에서의 해수면의 모습을, 표는 이날과 그 다


음날 A 지점의 간조 또는 만조 시각과 그때의 조석의 높이를 나타낸 것이다.

현재 A, B, C 해수면 높이를 높은 순서대로 쓰시오. 10)

[4~5] 어느 날 금성과 화성이 지구에 대해서 그림과 같은 위치에 있었다.

4. 지구에서 금성을 관측했을 때, 약 몇 시간 관측 가능한지 쓰시오.(시간 단위로 답을 쓸


것)11)

5. 화성에서 지구를 관측했을 때, 지구의 위상을 그리시오.(어둡게 보이는 부분을 검게 칠할


것)12)

- 7 -
3강 출제예상 문제풀이 (3) 신 용 환 T

3강. 출제예상 문제풀이 (3)

1. 그림은 성간 티끌층을 통과한 빛이 원래의 빛과 다르게 보이는 원리를 나타낸 것이다.

관측자 A와 관측자 B중에서 반사 성운이 보이는 관측자는 누구인지 쓰시오 13)

2. 아래 그림은 각각, 일몰 직후, 한밤중, 일출 직전에 관측된 달의 모습이다. 한밤중의 달의 무늬가


△ABC와 같다고 할 때, 일몰 직후, 일출 직전은 △ABC의 모양이 어떻게 나타날지 그리고 그 이유를
쓰시오. 14)

- 8 -
3강 출제예상 문제풀이 (3) 신 용 환 T

3. 그림은 우리나라를 지나는 온대 저기압에 동반된 전선 (가)와 (나)를 나타낸 것이다.

(가) (나)

이중에서 기온이 상대적으로 따뜻할 것으로 예측되는 지역의 기호를 각각 쓰시오. 15)

4. 다음은 판의 경계를 유형에 따라 분류한 것이다.

(가)~(다)에 해당하는 지역의 예를 판의 경계 그림에서 찾아 순서대로 쓰시오. 16)

- 9 -
3강 출제예상 문제풀이 (3) 신 용 환 T

5. 모든 영역에서 복사가 평형을 이룬다고 할 때 (가), (나), (다)에 알맞은 수치를 쓰라. 17)

- 10 -
4강 출제예상 문제풀이 (4) 신 용 환 T

4강. 출제예상 문제풀이 (4)

1. 그림은 천구상에 두 별 A와 B를 나타낸 것이다.

어떤 지역에서 현재 별 A가 관측자의 천정을 지난다고 할 때, 이 지역의 위도와 이 지역에서 관측한 별


B의 남중고도를 구하시오.18)

.
[2~3] 그림 (가)와 (나)는 지표면 A에서 기온이 같은 두 공기 덩어리가 서로 다른 시기에 같은 산을
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2. A에서의 이슬점이 (가)와 (나) 중 어느 쪽이 더 큰지 비교하시오. 19)

3. B에서의 기온이 (가)와 (나) 중 어느 쪽이 더 큰지 비교하시오. 20)

- 11 -
4강 출제예상 문제풀이 (4) 신 용 환 T

[4~5] 그림 (가)와 (나)는 해륙풍이 불 때 등압면의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4. 하루 중 위의 (가)와 (나)는 각각 주로 언제 형성되는지 쓰시오.21)

5. 위 (가)에서의 지상 바람의 방향, (나)에서의 연직기류의 방향을 쓰시오.(그림의 알파벳을 이용하여


나타내시오)22)

6. 북반구 극지방에서는 하루 동안 해가지지 않는 백야 현상이 발생한다. 23)

(1) 북반구에서 백야현상이 일어날 수 있는 최소 위도를 구하시오.(태양의 크기와 굴절 효과는 무시한


다.)

(2) (1)에서 구한 위도에서 태양의 최대고도를 구하시오.

(3) 용환이는 태양이 하루 종일 떠 있으면 해가 뜨고 지는 중위도 지역보다 더 온도가 높지 않을까 하


는 의문을 가졌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았다. 그 이유를 설명하시오.

- 12 -
정답 신 용 환 T

1강.

1) C

2) 남동 무역풍

3) 2(위험반원)

4) 편마암

5) 횡압력

6) [정답] 나 > 가 > 다 > 라


[해설]
물에 잠긴 물체가 받는 부력은 잠긴 부피만큼의 물의 무게와 같으므로 나무토막의 밀도는 가 : 약
0.52g/cm3, 나 : 약 0.53g/cm3, 다 : 약 0.5g/cm3, 라 : 약 0.47g/cm3 이다.

7) 6.3 cm
나무토막 (라)위에 추가되는 얼음의 무게만큼 물에 잠긴 물체의 부력은 증가한다.    이
므로 0.9*3 = 1 *x 이다. x는 2.7cm이므로 총 6.3cm 가라앉는다.

- 13 -
정답 신 용 환 T

2강.

1) [정답] (다) 관측소


[해설]
PS시가 짧을수록 진원과의 거리는 가깝다. PS시는 (다) < (가) < (나) 순이므로 (다) 관측소가 진원과
가장 가깝다.

2) [정답] 한랭전선
[해설]
바람의 방향이 남서풍에서 북서풍으로 바뀌므로 한랭전선이 통과하였다.

3) [정답] (2) C > A > B


[해설] A와 C는 만조, B는 간조이므로 C>A>B이다.

4) [정답] 3시간
[해설]
지구에서 금성을 봤을 때, 금성은 서방 최대이각에 있으므로 새벽 동쪽하늘에서 관측가능하다. 또
한 금성과 이루는 이각이 46°이므로 약 3시간 관측가능하다.

5)

화성에서 지구를 봤을 때 서방 최대 이각의 위치에 있으므로 하현달처럼 보인다.

- 14 -
정답 신 용 환 T

3강.

1) [정답] 관측자 B
[해설]
성간 티끌층을 통과해 관측자 A에게 도달하는 별빛에는 파장이 긴 빛이 상대적으로 많으므로 별이 실
제보다 붉게 보이는 성간 적색화가 나타난다.
관측자 B에게는 성간 티끌층에 의해 산란된 파장이 짧은 푸른빛이 상대적으로 많이 도달한다. 성간
티끌층에 의해 산란된 별빛은 반사 성운으로 나타난다.

2) 동쪽에서 떠서 서쪽으로 지기 때문에 일몰 직후에는 오른쪽 위로 올라가는 방향으로 향하며, 일출


직전에는 오른쪽 아래로 향한다.

3) B,C

4) A,C,B

5) (가)=50 (나)=20 (다)=70

- 15 -
정답 신 용 환 T

4강.

1)
(1) 60°
(2) h= 90°-60°+30°=60°

2)
A에서 이슬점은 (가) > (나)이다.
(가)와 (나)를 비교하면 (가)의 상승 응결 고도가 더 낮다. 상승 응결 고도( ) 는  =125×(기온-이슬
점)인데, 지표면 A에서 기온은 (가)와 (나)에서 같으므로 이슬점은 (가)가 (나)보다 높다.

3) B에서의 기온은 (가) > (나)이다.


건조 단열 감률은 1 /100 m, 습윤 단열 감률은 0.5 /100 m이다. A에서 B까지 상승하는 동안 (가)
는 (나)보다 건조 단열 감률에 따라 이동하는 구간이 더 짧으므로 B에서의 기온은 (가)가 (나)보다 높
다.

4) (가)는 밤, (나)는 낮

5) (가)에서는 B에서 A로 바람이 불고, (나)에서는 D에서 C 기류가 형성된다.


[해설] 육지를 구성하는 토양이나 암석의 비열이 바다를 구성하는 물의 비열보다 작기 때문에 육지는
바다보다 쉽게 가열되고 쉽게 냉각된다. 해수면과 지표면 중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곳의 공기가 상
승하고 기압이 낮다. 따라서 (가)에서는 육풍, (나)에서는 해풍이 불게 되며 시기상으로 (가)는 밤에,
(나)는 낮에 관찰할 수 있다. (나)에서 해풍이 불면 바다위의 공기는 D → C 방향으로 이동하여 하강
기류가 형성된다.

6)
(1) 66.5°N
(2) 47°
(3) 고위도 지역은 태양의 고도가 낮아서 단위면적당 태양 에너지 입사량이 적기 때문이다.

- 16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