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52

b l a c k l a b e l

A n s w e r

정답과 해설
1등급을 위한 명품 수학

블랙고등수학(상)-해설.indb 1 17. 6. 14. 오후 4:08


Speed Check

Ⅰ 다항식
01. 다항식의 연산과 나머지정리
Step 1 / 우수 기출 대표 문제 pp.9~10 Step 2 / 최고의 변별력 문제 pp.11~14 Step 3 / 종합 사고력 문제 p.15 이것이 수능 p.16

01 2xÛ`-3x+4 02 48 03 ⑤ 01 ⑤ 02 ⑤ 03 ⑤ 04 135 05 ③ 06 ③ 07 ⑤ 2 1 42 2 45
01 441 02 x 03 325 04
3
04 ④ 05 ① 06 ② 07 16 08 ② 09 34 10 8 11 3 12 ① 13 5 14 99 3 ② 4④
05 96 06 13 07 ③
08 ② 09 ④ 10 29 11 ② 15 54 16 ⑤ 17 26 18 ④ 19 ② 20 11 21 15
12 ② 13 ④ 14 ④ 15 60 22 -6 23 4x-1 24 ③ 25 ① 26 ②
16 ④ 27 x+24 28 -1 29 -5

02. 인수분해
Step 1 / 우수 기출 대표 문제 p.18 Step 2 / 최고의 변별력 문제 pp.19~20 Step 3 / 종합 사고력 문제 p.21 이것이 수능 p.22

01 ⑤ 02 ③ 03 -5 04 ② 01 ④ 02 ① 03 7 04 (ab+a+1)(ab+b+1) 05 ⑤ 01 3 02 5 03 10'3 04 ② 1 ④ 2①
05 (x-3y-1)(x-y+2) 06 40 07 24 08 (a+b+c)(ab+bc+ca) 09 ⑤ 10 -2 05 ⑤ 06 240 07 18 08 128 3 ⑤ 4 15
06 ② 11 ③ 12 ④ 13 ① 14 38
07 (x+1)(x+2)(x-1)(x-3)
08 ①

ⅠⅠ 방정식과 부등식
03. 복소수
Step 1 / 우수 기출 대표 문제 p.25 Step 2 / 최고의 변별력 문제 pp.26~28 Step 3 / 종합 사고력 문제 p.29 이것이 수능 p.30

01 ② 02 28 03 ② 04 7 01 ① 02 7 03 ⑤ 04 75 05 1 06 ④ 07 12 01 6 02 3(aÜ`-bÜ`) 03 6 04 8 1 ② 2 16
05 ④ 06 ⑤ 07 ① 08 -4+6i 09 ① 10 0 11 ② 12 2+3i 13 ④ 05 13 06 30 07 ⑤ 08 -'6 i 3 ⑤ 4①
08 -x-2y+5 14 ② 15 ④ 16 5 17 ① 18 3 19 ① 20 4i
21 ② 22 ④ 23 -144

04. 이차방정식
Step 1 / 우수 기출 대표 문제 pp.32~33 Step 2 / 최고의 변별력 문제 pp.34~37 Step 3 / 종합 사고력 문제 p.38 이것이 수능 p.39

01 ① 02 ④ 03 ⑤ 04 ② 3 01 26 02 94 03 ③ 04 8 1 ③ 2 10
01 -2 02 3 03 04 ④ 05 2+'5 06 10 07 2
2
05 20 06 ① 07 ② 08 ② 1 3 ② 4 240
05 33 06 07 21 08 a=0, b=4
08 ② 09 0 10 ⑤ 11 ④ 12 ② 13 ④ 14 ① 4
09 14 10 ③ 11 ④ 12 3
15 5 16 ③ 17 ⑤ 18 2'5 19 ① 20 ② 21 ②
13 ① 14 ⑤ 15 10
22 3 23 5 24 -14 25 -30 26 ① 27 ③ 28 ②
16 7-2'6
29 ② 30 2 31 30

05. 이차방정식과 이차함수


Step 1 / 우수 기출 대표 문제 pp.42~43 Step 2 / 최고의 변별력 문제 pp.44~47 Step 3 / 종합 사고력 문제 p.48 이것이 수능 p.49

01 ③ 02 ② 03 ② 04 ② 01 ② 02 ① 03 -16 04 10 05 1 06 6 07 -2 01 -2 02 4 03 12 04 ③ 1 ④ 2 48
05 ③ 06 ① 07 1<a<2 80 13 3 ① 4 750
08 09 ② 10 ① 11 ② 12 ③ 13 ① 14 ⑤ 05 06 10'5 07 54
7 4
08 ③ 09 ③ 10 ① 11 3
15 ④ 16 ① 17 0 18 ① 19 ② 20 54 21 36
12 2 13 23 14 4 15 ③
p
16 46 22 54 23 ② 24 3 25 9 26 ② 27 28 360
8

블랙고등수학(상)-해설.indb 2 17. 6. 14. 오후 4:08


06. 여러 가지 방정식
Step 1 / 우수 기출 대표 문제 pp.51~52 Step 2 / 최고의 변별력 문제 pp.53~56 Step 3 / 종합 사고력 문제 p.57 이것이 수능 p.58

01 ② 02 84 01 ④ 02 9 03 -3 04 21 05 6 06 ② 07 ① 01 45 02 17 03 Ñ1 1 ⑤ 2①
1Ñ'3i 13 04 갑:200'3 `m/분, 을:250'3 `m/분 3 ① 43
03 x=  (중근) 04 7 08 ⑤ 09 ③ 10 ② 11 12 ⑤ 13 -100 14 ③
2 3
7 4
05 46 06 x의 최댓값: , y=z=
05 ② 06 ③ 07 ⑤ 08 ③ 3 3 3
15 ⑤ 16 -4 17 a=6, b=- 18 ④ 19 ⑤ 20 ④
2
09 3 10 25 07 88 08 252
21 ⑤ 22 ② 23 ① 24 394 25 16 26 ② 27 -1
3 1 3 1
11 { , } 또는 {- , - }
2 2 2 2 21
28 ③ 29 ④ 30 4 31
44
12 ③ 13 ① 14 ② 15 ③
16 ①

07. 여러 가지 부등식
Step 1 / 우수 기출 대표 문제 pp.60~61 Step 2 / 최고의 변별력 문제 pp.62~66 Step 3 / 종합 사고력 문제 p.67 이것이 수능 p.68

01 ⑤ 02 ① 03 ③ 6 15 01 10 02 1 03 9 04 ⑤ 1 27 2⑤
01 ② 02 12 03 ② 04 2 05 <xÉ 06 120
5 11
04 1`cm 이상 2`cm 이하 05 5 1 9 3 ② 4②
05 0Éa< 06 15 07 -
1 4 4
3 07 aÉ 08 ④ 09 ④ 10 ③ 11 a>-2 12 ②
06 ③ 07 ③ 08 ④ 09 a> 2
2 2 4
08 <p<1 또는 1<p<
13 4 14 ④ 15 ⑤ 16 14 17 ② 18 ④ 3 3
10 6 11 ④ 12 ④ 13 5
19 -3Ém<2 20 ④ 21 ① 22 ③ 23 ③ 24 2
14 a=-1, b=-3 15 ③
25 5 26 15 27 1+'3<x<3 28 ④ 29 aÉxÉb 30 1
16 ④
1
31 ① 32 1 33 3+'3 34 ② 35 ÉaÉ1
2
36 20`m

ⅠⅠⅠ 도형의 방정식


08. 점과 직선
Step 1 / 우수 기출 대표 문제 pp.71~72 Step 2 / 최고의 변별력 문제 pp.73~77 Step 3 / 종합 사고력 문제 p.78 이것이 수능 p.79

01 ③ 02 ③ 03 (2, -4) 1 1 1 ⑤ 2⑤
01 ② 02 ① 03 - 04 ④ 05 ⑤ 06 17 07 ① 01 9`:`2 02 8 03 3'5 04 -
2 2
04 ⑤ 05 9 06 4 07 '6Œ2 3 ④ 4①
08 ④ 09 ③ 10 ④ 11 ① 12 9 13 '7Œ3 14 36 05 최댓값`:`2'5, P(10, 0) 06 '5 07 9
1
08 ③ 09 ① 10 ⑤ 11 - 5'3
2 18 y= x+ 51
2 08 2'7
15 ② 16 31 17 19 ③ 20 35
3 7 14
2
12 - 13 ③ 14 4 15 ④
3 11 , 27 5
21 ④ 22 { } 23 ④ 24 -8 25 ⑤ 26
7 7 2
16 ④
1 1
27 ⑤ 28 ④ 29 - 30 ① 31 ③ 32 3 33
3 3
13 , 1
34 2'2 35 ③ 36 { - }
4 4

09. 원의 방정식
Step 1 / 우수 기출 대표 문제 pp.81~82 Step 2 / 최고의 변별력 문제 pp.83~87 Step 3 / 종합 사고력 문제 p.88 이것이 수능 p.89

01 ③ 02 ⑤ 03 ③ 04 21 01 ① 02 ④ 03 5 04 29 05 ③ 06 76 '1Œ1 2 1 ② 2⑤
01  -1 02 03 풀이 참조
2 3
05 ③ 06 ④ 07 -4 08 ④ 5 3 ⑤ 4④
07 p 08 ⑤ 09 15 10 ④ 11 ② 12 ② 13 ② 8'1Œ0
2
09 ③ 10 ③ 04 25+p 05
3
14 ① 15 3 16 ① 17 26 18 ⑤ 19 ④ 20 ④
11 M=4, m=2'2 12 ③
1 '2 12
06 07 p 08 - <a<0
13 8 14 ⑤ 15 31 16 ③ 21 ③ 22 14 23 ③ 24 13 25 ③ 26 25 27 ④ 2 2 35
25'3
28 ⑤ 29 7 30 4'6 31 32 3x-2y-4=0
2

10. 도형의 이동
Step 1 / 우수 기출 대표 문제 p.91 Step 2 / 최고의 변별력 문제 pp.92~94 Step 3 / 종합 사고력 문제 p.95 이것이 수능 p.96

01 ② 02 ⑤ 03 ④ 04 1 01 ③ 02 6 03 26 04 8 05 9 06 ① 07 25 4 25 1 ② 2②
01 p-'3 02 03 6+2'5 04 8
3 4
08 ② 09 ① 10 ① 11 ③ 12 y=-3x+3 13 -2 3 ① 4 45
05 ① 06 9 07 ⑤ 08 20
05 31 06 26+5'2 07 10'3`m
5 14 ⑤ 15 ④ 16 17 17 14 18 '3Œ4 19 ② 20 ⑤
08 103
21 2+2'2

블랙고등수학(상)-해설.indb 3 17. 6. 14. 오후 4:08


A n s w e r

AÜ`-BÜ`=(A-B)Ü`+3AB(A-B)

I
=xá`+3ABxÜ`

다항식 따라서 AÜ`-BÜ`의 전개식에서 xÜ`의 계수는


3_(AB의 상수항)=3_(4_4)=48

03 다항식 f(x)를 xÛ`+1로 나눈 몫이 x+2, 나머지가


2이므로
01 다항식의 연산과 나머지정리
f(x)=(xÛ`+1)(x+2)+2
={(xÛ`-1)+2}(x+2)+2
Step 1 출제율 100% 우수 기출 대표 문제 pp. 9~10
=(xÛ`-1)(x+2)+2(x+2)+2
01 2xÛ`-3x+4 02 48 03 ⑤ 04 ④ =(xÛ`-1)(x+2)+2x+6
05 ① 06 ② 07 16 08 ② 09 ④
따라서 다항식 f(x)를 xÛ`-1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10 29 11 ② 12 ② 13 ④ 14 ④
15 60 16 ④ 2x+6이다. 답⑤

다른풀이

f(x)=(xÛ`+1)(x+2)+2
01 A-2B=3xÛ`-5x+5 yy㉠
=xÜ`+x+2xÛ`+2+2
2A+B=xÛ`+5 yy㉡
=xÜ`+2xÛ`+x+4
㉠+2_㉡을 하면 5A=5xÛ`-5x+15
이때, f(x)를 xÛ`-1로 나누면 다음과 같다.
∴ A=xÛ`-x+3 yy㉢
x`+2
㉢을 ㉡에 대입하면 2(xÛ`-x+3)+B=xÛ`+5이므로 xÛ`-1`<Ã`xÜ`+2xÛ`+ x+4
B=-2(xÛ`-x+3)+xÛ`+5=-xÛ`+2x-1 xÜ` - x
∴ A-B=(xÛ`-x+3)-(-xÛ`+2x-1) 2xÛ`+2x+4
2xÛ` -2
=2xÛ`-3x+4 답 2xÛ`-3x+4
2x+6
다른풀이 따라서 구하는 나머지는 2x+6이다.
두 실수 a, b에 대하여
a(A-2B)+b(2A+B)=A-B라 하면 04 다항식 f(x)를 2x-1로 나눈 몫이 Q(x), 나머지가
(a+2b)A+(-2a+b)B=A-B R이므로
∴ a+2b=1, -2a+b=-1 1
f(x)=(2x-1)Q(x)+R=2{x- }Q(x)+R
위의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2
1
3 1 ={x- }´2Q(x)+R
a= , b=
5 5 2

3 1 1
∴ A-B= (A-2B)+ (2A+B) 따라서 다항식 f(x)를 x- 로 나눈 몫은 2Q(x), 나머
5 5 2

3 1 지는 R이다. 답④
= (3xÛ`-5x+5)+ (xÛ`+5)
5 5
9 1 4
= xÛ`-3x+3+ xÛ`+1
5 5 05 xÛ`+
xÛ`
=8이므로

=2xÛ`-3x+4 2 4
{x- }2`=xÛ`-4+ =8-4=4
x xÛ`
2
∴ x- =2`(∵ x>2)
02 A=xÜ`+x+4, B=x+4에서 A=xÜ`+B이므로 x
AÜ`-BÜ`=(xÜ`+B)Ü`-BÜ` 8 2 2 2
∴ xÜ`- ={x- }3`+3_x_ {x- }
xÜ` x x x
=xá`+3xß`B+3xÜ`BÛ`+BÜ`-BÜ`
=2Ü`+6_2=8+12=20 답①
=xá`+3xß`B+3xÜ`BÛ`
이때, 3xÜ`BÛ`에 B=x+4를 대입하면 다른풀이

3xÜ`BÛ`=3xÜ`(x+4)Û`=3xÜ`(xÛ`+8x+16) 인수분해를 이용하면


8 2 4
=3xÞ`+24xÝ`+48xÜ` xÜ`- ={x- }{xÛ`+2+ }‌
xÜ` x xÛ`
따라서 구하는 xÜ`의 계수는 48이다. 답 48
2 4
=2(8+2) {∵ x- =2, xÛ`+ =8}
다른풀이 x xÛ`
A=xÜ`+x+4, B=x+4에서 A-B=xÜ`이므로 =20

004 | 블랙라벨 수학 (상)

블랙고등수학(상)-해설.indb 4 17. 6. 14. 오후 4:08


본문 pp. 9~10

06 (a+b+c)Û`=aÛ`+bÛ`+cÛ`+2(ab+bc+ca)에서
09 xÛ`+2ax+1
=k (k+0인 상수)라 하면
('3)Û`=11+2(ab+bc+ca), 2(ab+bc+ca)=-8 bxÛ`-4x-1
xÛ`+2ax+1=kbxÛ`-4kx-k
∴ ab+bc+ca=-4
위의 등식은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한편,
1=kb, 2a=-4k, 1=-k
aÜ`+bÜ`+cÜ`
∴ k=-1, a=2, b=-1
=(a+b+c)(aÛ`+bÛ`+cÛ`-ab-bc-ca)+3abc
∴ a+b=2+(-1)=1  답④
에서 6'3='3_{11-(-4)}+3abc
3abc=-9'3 다른풀이

∴ abc=-3'3 답② xÛ`+2ax+1
yy㉠
bxÛ`-4x-1
실수 x의 값에 관계없이 ㉠의 값이 항상 일정하므로 ㉠에
x=0을 대입하면 ㉠의 값은 -1로 일정하다.
07 원 O의 반지름의 길이가 8이므로
㉠에 x=1을 대입하면
rÁ+rª+r£=8
2a+2
어두운 부분의 넓이가 세 원 OÁ, Oª, O£의 넓이의 합과 =-1   ∴ 2a+b=3 yy㉡
b-5
같으므로 ㉠에 x=-1을 대입하면
(원 O의 넓이) 2-2a
=-1   ∴ 2a-b=5 yy㉢
b+3
=(세 원 OÁ, Oª, O£의 넓이의 합)
㉡, ㉢을 연립하여 풀면
 +(어두운 부분의 넓이)
a=2, b=-1
=2_(세 원 OÁ, Oª, O£의 넓이의 합)
∴ a+b=2+(-1)=1
즉, 64p=2(prÁÛ`+prªÛ`+pr£Û`)이므로
rÁÛ`+rªÛ`+r£Û`=32
∴ rÁrª+rªr£+r£rÁ
‌
1
= {(rÁ+rª+r£)Û`-(rÁÛ`+rªÛ`+r£Û`)}
2
1
= (8Û`-32)=16 답 16
2
10 주어진 등식이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1-3+6=b_(-1)_(-2)   ∴ b=2
97 3
08 a=
100
, b=
100
이라 하면 양변에 x=2를 대입하면
4-6+6=c_(-1)_1   ∴ c=-4
97 3
a+b= + =1 양변에 x=3을 대입하면
100 100
97 3 9-9+6=a_2_1   ∴ a=3
∴{ }3`+{ }3`-1‌=aÜ`+bÜ`-1
100 100 ∴ aÛ`+bÛ`+cÛ`=9+4+16=29 답 29
=(a+b)Ü`-3ab(a+b)-1
다른풀이
=1-3ab-1=-3ab
주어진 등식의 우변을 전개하여 정리하면
97 3
=-3_ _ xÛ`-3x+6
100 100
3Û`´97 =a(xÛ`-3x+2)+b(xÛ`-5x+6)+c(xÛ`-4x+3)
=-  답②
10Ý` =(a+b+c)xÛ`-(3a+5b+4c)x+2a+6b+3c
다른풀이 위의 등식은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97 3 a+b+c=1, 3a+5b+4c=3, 2a+6b+3c=6
x= , y= , z=-1이라 하면
100 100 ( a+b+c=1 yy㉠
x+y+z=0   yy㉠ { 3a+5b+4c=3 yy㉡
∴ {‌
97
}3`+{
3
}3`-1 9 2a+6b+3c=6 yy㉢
100 100
㉡-3_㉠을 하면 2b+c=0   yy㉣
=xÜ`+yÜ`+zÜ`
㉢-2_㉠을 하면 4b+c=4   yy㉤
=(x+y+z)(xÛ`+yÛ`+zÛ`-xy-yz-zx)+3xyz
㉣, ㉤을 연립하여 풀면 b=2, c=-4
=3xyz (∵ ㉠)
㉠에 b=2, c=-4를 대입하면 a=3
97 3 3Û`´97
=3_ _ _(-1)=- ∴ aÛ`+bÛ`+cÛ`=9+4+16=29
100 100 10Ý`

Ⅰ. 다항식 | 005

블랙고등수학(상)-해설.indb 5 17. 6. 14. 오후 4:08


A n s w e r

11 주어진 등식이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따라서 f(98)은 6자리의 자연수이므로


1 n=6 답④
양변에 x=  을 대입하면
3
다른풀이
7 aÁ aª a£ a¢¼
{ } =a¼+ + + +y+ 40    yy㉠
20

9 3 3Û` 3Ü` 3 ㉢에서 f(x)=xÜ`+3xÛ`-4


1 이때, f(1)=0, f(-2)=0이므로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양변에 x=-  을 대입하면
3 인수분해하면
1 aÁ aª a£ a¢¼
{ } =a¼- + - +y+ 40    yy㉡
20
1 1 3 0 -4
9 3 3Û` 3Ü` 3
1 4 4
㉠-㉡을 하면
aÁ a£ a£» -2 1 4 4 0
7 20 1 20
{ } -{ } =2{ + +y+ 39 }
9 9 3 3Ü` 3 -2 -4
aÁ a£ a° a£» 1 7Û`â`-1 1 2 0
∴ + + +y+ 39 ‌= _ 20
3 3Ü` 3Þ` 3 2 9
720-1 f(x)=(x-1)(x+2)Û`
=  답②
2´340 ∴ f(98)=97_100Û`=970000
따라서 f(98)은 6자리의 자연수이므로
n=6
12 다항식 f(x)를 x-11로 나눈 나머지가 15279이므로
나머지정리에 의하여
f(11)=a_10Ý`+b_10Ü`+c_10Û`+d_10+e
=15279
14 f(x+3)이 x+2로 나누어떨어지므로 인수정리에 의하여
f(-2+3)=0   ∴ f(1)=0
이때, a, b, c, d, e는 10보다 작은 자연수이므로
f(x)=axÝ`-3xÛ`+(a-1)x-4에서
a=1, b=5, c=2, d=7, e=9
f(1)=a-3+(a-1)-4=0
∴ f(x)=(x-1)Ý`+5(x-1)Ü`+2(x-1)Û`
2a-8=0   ∴ a=4 답④
 +7(x-1)+9
따라서 다항식 f(x)를 x+1로 나눈 나머지는
나머지정리에 의하여
f(-1) 15 다항식 f(x)를 (x-1)(x-2)(x-3)으로 나눈 몫을
Q(x)라 하면 나머지 R(x)는 이차 이하의 다항식이고
=(-2)Ý`+5_(-2)Ü`+2_(-2)Û`+7_(-2)+9
f(x)=(x-1)(x-2)(x-3)Q(x)+R(x) yy㉠
=-21 답②
이때, (x-1)(x-2)(x-3)Q(x)는 (x-1)(x-3)으
로 나누어떨어지므로 다항식 f(x)를 (x-1)(x-3)으로
나눈 나머지는 R(x)를 (x-1)(x-3)으로 나눈 나머지
13 다항식 f(x)를 x-2로 나눈 나머지가 16이므로 나머지
정리에 의하여 와 같다.

f(2)=8+12+2a+b=16 즉, R(x)=a(x-1)(x-3)+5x-5 (a는 상수)라 할

∴ 2a+b=-4 yy㉠ 수 있으므로 ㉠에서

또한, 다항식 f(x)를 x+1로 나눈 나머지가 -2이므로 f(x)=(x-1)(x-2)(x-3)Q(x)


나머지정리에 의하여  +a(x-1)(x-3)+5x-5   yy㉡

f(-1)=-1+3-a+b=-2 이때, 다항식 f(x)는 (x-1)(x-2)로 나누어떨어지므로

∴ a-b=4 yy㉡ f(2)=0


㉠, ㉡을 연립하여 풀면 ㉡에 x=2를 대입하면

a=0, b=-4 a_1_(-1)+5_2-5=0   ∴ a=5


∴ f(x)=xÜ`+3xÛ`-4 yy㉢ 따라서 R(x)=5(x-1)(x-3)+5x-5이므로

100=x로 놓으면 98=x-2이므로 R(5)=5_4_2+5_5-5=60 답 60

f(98)=f(x-2)
이때, ㉢에서
f(x-2)‌=(x-2)Ü`+3(x-2)Û`-4 16 주어진 등식에서 x-1=t로 놓으면
=xÜ`-3xÛ` 2tÜ`-3t-1=a(t-1)Ü`+b(t-1)Û`+c(t-1)+d
이 식에 x=100을 대입하면  yy㉠
f(98)=100Ü`-3_100Û`=970000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006 | 블랙라벨 수학 (상)

블랙고등수학(상)-해설.indb 6 17. 6. 14. 오후 4:08


본문 pp. 10~11

1 2 0 -3 -1 01 f(x)=(x-1)Q(x)+R이므로
2 2 -1 xf(x)+5=x(x-1)Q(x)+Rx+5
1 2 2 -1 -2 =x(x-1)Q(x)+R(x-1)+R+5
2 4 =(x-1){xQ(x)+R}+R+5
1 2 4 3 ∴ 몫:xQ(x)+R, 나머지:R+5 답⑤

2
2 6
㉠을 t-1에 대한 내림차순으로 정리하면
2tÜ`-3t-1‌=(t-1)[(t-1){2(t-1)+6}+3]-2 02 직사각형 ABCD에서 A D
=2(t-1)Ü`+6(t-1)Û`+3(t-1)-2 ABÓ=CDÓ이고, DÕAÓ=BCÓ=2OCÓ
따라서 a=2, b=6, c=3, d=-2이므로 이므로 조건 ㈏에서
B O C
a+b+c-d=2+6+3-(-2)=13 답④ DÕAÓ+ABÓ+BOÓ=2OCÓ+CDÓ+OCÓ
다른풀이 =3OCÓ+CDÓ
수치대입법을 이용하여 풀 수도 있다. =3x+y+5 yy㉠
㉠이 t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양변에 t=1을 대입하면 조건 ㈎에서 OCÓ+CDÓ=x+y+3 yy㉡

2-3-1=d   ∴ d=-2 ㉠-㉡을 하면

이것을 ㉠에 대입하면 2OCÓ=2x+2   ∴ OCÓ=x+1

2tÜ`-3t-1=a(t-1)Ü`+b(t-1)Û`+c(t-1)-2 이것을 ㉡에 대입하면

2tÜ`-3t+1=a(t-1)Ü`+b(t-1)Û`+c(t-1) (x+1)+CDÓ=x+y+3   ∴ CDÓ=y+2


이때, 2tÜ`-3t+1=(t-1)(2tÛ`+2t-1)로 인수분해되므로 ∴ ABCD‌=BCÓ_CDÓ=2OCÓ_CDÓ

(t-1)(2tÛ`+2t-1)=(t-1){a(t-1)Û`+b(t-1)+c} =2(x+1)(y+2) 답⑤

∴ 2tÛ`+2t-1=a(t-1)Û`+b(t-1)+c yy㉡
blacklabel 특강 풀이첨삭
㉡도 t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양변에 t=1을 대입하면
반원의 중심 O에서 ADÓ에 내린 수선의
2+2-1=c   ∴ c=3 발을 H라 하고 OAÓ, ODÓ를 그으면
A H D

이것을 ㉡에 대입하면 △OHAª△OHD (RHS 합동)


이므로
2tÛ`+2t-1=a(t-1)Û`+b(t-1)+3 AÕHÓ=DHÓ B O C
2tÛ`+2t-4=a(t-1)Û`+b(t-1) 또한, △ODHª△ODC, △OAHª△OAB이므로
OBÓ=OCÓ=AHÓ=DHÓ
(t-1)(2t+4)=(t-1){a(t-1)+b}
∴ 2t+4=a(t-1)+b
즉, 2t+4=at-a+b가 t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a=2, -a+b=4   ∴ a=2, b=6
∴ a+b+c-d=2+6+3-(-2)=13
03 ㄱ. f(x)‌=(1+x-xÛ`+xÜ`-xÝ`)Û`
blacklabel 특강 풀이첨삭 =(1+x-xÛ`+xÜ`-xÝ`)_(1+x-xÛ`+xÜ`-xÝ`)

주어진 등식의 좌변을 곱셈 공식을 이용하여 전개한 다음, 조립제법을


‌에서 xß`항이 나오는 경우만 계산하면
이용해도 된다. 즉, (-xÛ`)_(-xÝ`)+xÜ`_xÜ`+(-xÝ`)_(-xÛ`)
2(x-1)Ü`-3(x-1)-1‌=2(xÜ`-3xÛ`+3x-1)-3(x-1)-1
=2xÜ`-6xÛ`+3x
=xß`+xß`+xß`=3xß`
이므로 2xÜ`-6xÛ`+3x를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계산하고 x-2에 대 따라서 xß`항의 계수는 3이다. (참)
한 내림차순으로 정리하여 a, b, c, d의 값을 구할 수도 있다.
ㄴ. 1+x-xÛ`+xÜ`-xÝ`=g(x)라 하면
g(x)‌=(-xÝ`-xÛ`)+(xÜ`+x)+1
=-xÛ`(xÛ`+1)+x(xÛ`+1)+1
Step 2 1등급을 위한 최고의 변별력 문제 pp. 11~14 =(xÛ`+1)(-xÛ`+x)+1
∴ f(x)‌={ g(x)}Û`
01 ⑤ 02 ⑤ 03 ⑤ 04 135 05 ③
06 ③ 07 ⑤ 08 ② 09 34 10 8 ={(xÛ`+1)(-xÛ`+x)+1}Û`
11 3 12 ① 13 5 14 99 15 54 ={(xÛ`+1)(-xÛ`+x)}Û`
16 ⑤ 17 26 18 ④ 19 ② 20 11  +2(xÛ`+1)(-xÛ`+x)+1
21 15 22 -6 23 4x-1 24 ③ 25 ①
=(xÛ`+1){(xÛ`+1)(-xÛ`+x)Û`
26 ② 27 x+24 28 -1 29 -5
 +2(-xÛ`+x)}+1

Ⅰ. 다항식 | 007

블랙고등수학(상)-해설.indb 7 17. 6. 14. 오후 4:08


A n s w e r

따라서 다항식 f(x)를 xÛ`+1로 나눈 나머지 R(x)는 05 xÛ`+xy+yÛ`=(x-y)Û`+3xy에서 x-y=4이므로


R(x)=1   ∴ R(0)=1 (참) 19=16+3xy`   ∴ xy=1
ㄷ. g(x)를 xÛ`-2x+2로 나누면 다음과 같다. 즉, (x+y)Û`=(x-y)Û`+4xy=16+4=20이므로
-xÛ`- x`-1 x+y=2'5`(∵ x>0, y>0)
xÛ`-2x+2<Ã-xÝ`+ xÜ`- xÛ`+ x+1 ∴ xÜ`+yÜ`=(x+y)Ü`-3xy(x+y)
-xÝ`+2xÜ`-2xÛ` =(2'5)Ü`-3_1_2'5
- xÜ`+ xÛ`+ x =40'5-6'5=34'5  답③

- xÜ`+2xÛ`-2x
다른풀이
- xÛ`+3x+1
xy=1이므로
- xÛ`+2x-2
x+3 (x+y)Û`=(xÛ`+xy+yÛ`)+xy

∴ g(x)=(xÛ`-2x+2)(-xÛ`-x-1)+x+3 =19+1=20

이때, xÛ`-2x+2=A,-xÛ`-x-1=B로 놓으면 ∴ x+y=2'5`(∵ x>0, y>0)

f(x)‌={g(x)}Û` ∴ xÜ`+yÜ`=(x+y)(xÛ`-xy+yÛ`)

={AB+(x+3)}Û` =(x+y)(xÛ`+xy+yÛ`-2xy)

=AÛ`BÛ`+2AB(x+3)+(x+3)Û` =2'5_(19-2)=34'5

=A{ABÛ`+2B(x+3)}+(x+3)Û`
‌따라서 다항식 f(x)={g(x)}Û`을 xÛ`-2x+2로 나눈 06 (a+b+c)Û`=aÛ`+bÛ`+cÛ`+2(ab+bc+ca)에서
('3)Û`=1+2(ab+bc+ca)
나머지는 (x+3)Û`을 xÛ`-2x+2로 나눈 나머지와 같
∴ ab+bc+ca=1
다. (참)
이때, aÛ`+bÛ`+cÛ`-(ab+bc+ca)=1-1=0이므로
그러므로 ㄱ, ㄴ, ㄷ 모두 옳다. 답⑤
aÛ`+bÛ`+cÛ`-ab-bc-ca=0
2aÛ`+2bÛ`+2cÛ`-2ab-2bc-2ca=0
(aÛ`-2ab+bÛ`)+(bÛ`-2bc+cÛ`)+(cÛ`-2ca+aÛ`)=0
04 조건 ㈎에서 x, y, 2z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3이므로
∴ (a-b)Û`+(b-c)Û`+(c-a)Û`=0
(x-3)(y-3)(2z-3)=0
그런데 a, b, c는 실수이므로
(xy-3x-3y+9)(2z-3)=0
a-b=0, b-c=0, c-a=0   ∴ a=b=c
2xyz-6xz-6yz+18z-3xy+9x+9y-27=0
즉, a+b+c='3에서 3a='3이므로
∴ 2xyz-3(xy+2yz+2zx)+9(x+y+2z)-27=0
'3
yy㉠ a=b=c=
 3

}3`=
조건 ㈏에서 xy+2yz+2zx=3(x+y+2z)이므로 ㉠에 '3 3'3 '3
∴ abc={ =  답③
대입하면 3 27 9

2xyz-3_3(x+y+2z)+9(x+y+2z)-27=0
2xyz-9(x+y+2z)+9(x+y+2z)-27=0 07 x+y+z=4이므로
(x+y)(y+z)(z+x)
27
2xyz-27=0   ∴ xyz= =(4-z)(4-x)(4-y)
2
27 =64-16y-16x+4xy-16z+4yz+4xz-xyz
∴ 10xyz=10_ =135 답 135
2 =64-16(x+y+z)+4(xy+yz+zx)-xyz
다른풀이 =4(xy+yz+zx)-xyz yy㉠
조건 ㈎에서 x, y, 2z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3이고, 조건 또한,
㈏에서 3(x+y+2z)=xy+y(2z)+(2z)x이므로 이 식 xÛ`+yÛ`+zÛ`‌=(x+y+z)Û`-2(xy+yz+zx)
에 x=3 또는 y=3 또는 2z=3을 대입하여도 성립한다. =16-2(xy+yz+zx)   yy㉡
3(x+y+2z)=xy+2yz+2zx에 x=3을 대입하면 xÜ`+yÜ`+zÜ`=7이고
3(3+y+2z)=3y+2yz+6z (x+y+z)(xÛ`+yÛ`+zÛ`-xy-yz-zx)
9+3y+6z=3y+2yz+6z =xÜ`+yÜ`+zÜ`-3xyz
9 에서 ㉡에 의하여
9=2yz   ∴ yz=
2
4{16-3(xy+yz+zx)}=7-3xyz
9
따라서 x=3일 때 yz= 이므로
2 64-12(xy+yz+zx)=7-3xyz

9 ∴ xyz=4(xy+yz+zx)-19 yy㉢
10xyz=10_3_ =135
2 ㉢을 ㉠에 대입하면

008 | 블랙라벨 수학 (상)

블랙고등수학(상)-해설.indb 8 17. 6. 14. 오후 4:08


본문 pp. 11~12

(x+y)(y+z)(z+x) 에서 axÜ`+byÜ`=10, axÝ`+byÝ`=18이므로


=4(xy+yz+zx)-4(xy+yz+zx)+19 axÞ`+byÞ`‌=(axÝ`+byÝ`)(x+y)-xy(axÜ`+byÜ`)
=19 답⑤ =18_3-2_10=34 답 34

1+'5 1-'5
08 다음 그림과 같이 µ BC 위의 한 점 P에서 BCÓ에 내린 수선 10 p=
2
, q=
2
에서
의 발을 H, BCÓ의 중점을 M이라 하자.
Ú p+q=1, pq=-1, p-q='5
A R D
y Û pÛ`-qÛ`=(p+q)(p-q)='5
Q P
x pÛ`+qÛ`=(p+q)Û`-2pq=3
2-y Ü pÝ`-qÝ`=(pÛ`+qÛ`)(pÛ`-qÛ`)=3'5
B C
2 M x-2 H pÝ`+qÝ`=(pÛ`+qÛ`)Û`-2pÛ`qÛ`=3Û`-2=7
BCÓ의 길이, 즉 반원의 지름의 길이가 4이므로 Ý p¡`-q¡`=(pÝ`+qÝ`)(pÝ`-qÝ`)=21'5
1 p¡`+q¡`=(pÝ`+qÝ`)Û`-2pÝ`qÝ`=7Û`-2=47
BÕMÓ= BCÓ=2
2 apá`+bp¡`=-1에서 p+0이므로 양변을 p¡`으로 나누면
PQÓ=x, RPÓ=y라 하면 직사각형 AQPR의 둘레의 길이 1
ap+b=- yy㉠
가 10이므로 p¡`
2(x+y)=10   ∴ x+y=5   yy㉠ 또한, aqá`+bq¡`=-1에서 q+0이므로 양변을 q¡`으로 나
또한, PHÓ=2-y, MòHÓ=QPÓ-BÕMÓ=x-2 누면
△PMH는 직각삼각형이므로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하여 1
aq+b=- yy㉡
PÕMÓ Û`=MòHÓ Û`+PHÓ Û` q¡`
㉠-㉡을 하면
2Û`=(x-2)Û`+(2-y)Û`
1 1
4=(xÛ`+yÛ`)-4(x+y)+8 ap-aq=- +
p¡` q¡`
(x+y)Û`-2xy-4(x+y)+4=0 p¡`-q¡` p¡`-q¡`
즉, a(p-q)= = 이므로 Ú, Ý에 의하여
5Û`-2xy-4_5+4=0 (∵ ㉠) p¡`q¡` (pq)¡`
9 '5a=21'5   ∴ a=21
-2xy=-9   ∴ xy=
2 ㉠+㉡을 하면
9 1 1
따라서 직사각형 AQPR의 넓이는 이다. 답②
ap+aq+2b=- -
2
p¡` q¡`
p¡`+q¡` p¡`+q¡`
서울대 선배들의 강추문제 1등급 비법 노하우 즉, a(p+q)+2b=- =- 이므로 Ú, Ý
p¡`q¡` (pq)¡`
도형이 제시된 문항의 경우, ‘보조선’을 이용하면 식으로 표현해야 하 에 의하여
는 조건을 명확히 할 수 있다. 이때, 중학 수학에서 배운 도형의 성질
이 자주 이용되므로 그 특징을 잘 기억하고 있도록 하자. 21+2b=-47, 2b=-68   ∴ b=-34
∴ 2a+b=2_21-34=8 답8

09 (axÛ`+byÛ`)(x+y)‌=axÜ`+bxyÛ`+axÛ`y+byÜ` 11 2x-y=1에서 y=2x-1


=axÜ`+byÜ`+xy(ax+by) axÛ`+byÛ`+2x-3y+c=0에 y=2x-1을 대입하면
이때, ax+by=4, axÛ`+byÛ`=6, axÜ`+byÜ`=10이므로 axÛ`+b(2x-1)Û`+2x-3(2x-1)+c=0
6(x+y)=10+4xy yy㉠ ∴ (a+4b)xÛ`-4(b+1)x+b+c+3=0   yy㉠
(axÜ`+byÜ`)(x+y)‌=axÝ`+bxyÜ`+axÜ`y+byÝ` ㉠은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axÝ`+byÝ`+xy(axÛ`+byÛ`) a+4b=0, b+1=0, b+c+3=0
이때, axÛ`+byÛ`=6, axÜ`+byÜ`=10, axÝ`+byÝ`=18이므로 ∴ a=4, b=-1, c=-2
10(x+y)=18+6xy yy㉡ ∴ a-b+c=4-(-1)+(-2)=3 답3

x+y=A, xy=B로 놓으면 ㉠, ㉡에서


6A=10+4B, 10A=18+6B 12 `f(x)=xÜ`+9xÛ`+4x-45에서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A=3, B=2 `f(x+a)=(x+a)Ü`+9(x+a)Û`+4(x+a)-45
∴ x+y=3, xy=2 =xÜ`+3axÛ`+3aÛ`x+aÜ`+9xÛ`+18ax+9aÛ`
따라서  +4x+4a-45
(axÝ`+byÝ`)(x+y)‌=axÞ`+bxyÝ`+axÝ`y+byÞ` =xÜ`+(3a+9)xÛ`+(3aÛ`+18a+4)x
=axÞ`+byÞ`+xy(axÜ`+byÜ`)  +aÜ`+9aÛ`+4a-45

Ⅰ. 다항식 | 009

블랙고등수학(상)-해설.indb 9 17. 6. 14. 오후 4:08


A n s w e r

=[{x-2+ }+2]3`
이때, f(x+a)=xÜ`+bx-3이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1
x


3a+9=0, 3aÛ`+18a+4=b, aÜ`+9aÛ`+4a-45=-3
1
∴ a=-3, b=-23 -3[{x-2+ }+2]-2
x
∴ a+b=(-3)+(-23)=-26 답①
1
x-2+ =t로 놓으면
x
f(t)‌=(t+2)Ü`-3(t+2)-2
13 PÇ(x)=(x-1)(x-2)(x-3)y(x-n)이므로 =tÜ`+6tÛ`+9t
PÁ(x)=x-1 이 함수가 f(x)=xÜ`+pxÛ`+qx+r와 일치하므로
Pª(x)=(x-1)(x-2) p=6, q=9, r=0
P£(x)=(x-1)(x-2)(x-3) ∴ pq+r=54 답 54
등식 Pª(xÛ`)-xÝ`=a+bPÁ(x)+cPª(x)+dP£(x)에서 다른풀이
(좌변)‌=Pª(xÛ`)-xÝ` 1 1
f {x-2+ }=xÜ`-2+ 의 양변에
=(xÛ`-1)(xÛ`-2)-xÝ` x xÜ`
=-3xÛ`+2 x=1을 대입하면 f(0)=1-2+1=0
(우변)‌=a+bPÁ(x)+cPª(x)+dP£(x) x=-1을 대입하면 f(-4)=-1-2-1=-4
1 1 49
=a+b(x-1)+c(x-1)(x-2) x=2를 대입하면 f { }=2Ü`-2+ =
2 2Ü` 8
 +d(x-1)(x-2)(x-3)
f(x)=xÜ`+pxÛ`+qx+r에서
∴ -3xÛ
‌ `+2
f(0)=0이므로 r=0
=a+b(x-1)+c(x-1)(x-2)
f(-4)=-4이고 r=0이므로
 +d(x-1)(x-2)(x-3)   yy㉠
-64+16p-4q=-4
㉠의 양변에
16p-4q=60   ∴ 4p-q=15   yy㉠
x=1을 대입하면 a=-1
1 49
x=2를 대입하면 f { }= 이고 r=0이므로
2 8
-10=a+b   ∴ b=-9 1 p q 49
+ + =
x=3을 대입하면 8 4 2 8
-25=a+2b+2c, 2c=-6   ∴ c=-3 2p+4q=48   ∴ p+2q=24 `   yy㉡
x=0을 대입하면 ㉠, ㉡을 연립하여 풀면
2=a-b+2c-6d, 6d=0   ∴ d=0 p=6, q=9
∴ a-b+c-d=(-1)-(-9)+(-3)+0=5 답 5 ∴ pq+r=6_9+0=54

16 ㄱ. 주어진
‌ 등식에서 좌변과 우변의 x1000항의 계수가 같
14 주어진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x100-1을 x-1에 대한 내
아야 하므로
림차순으로 정리하면
a1000=1 (참)
x100-1=aÁ¼¼(x-1)100+a»»(x-1)99+y
ㄴ. 주어진
‌ 등식의 양변에 x=-2를 대입하면
 +aÁ(x-1)+a¼   yy㉠
21000+7=a¼-aÁ+aª-a£+y-a»»»+aÁ¼¼¼
㉠의 양변에 x=2를 대입하면
(a¼+aª+a¢+y+aÁ¼¼¼)-(aÁ+a£+a°+y+a»»»)
2100-1=aÁ¼¼+a»»+a»¥+y+aÁ+a¼ yy㉡
=21000+7>0
㉠의 양변에 x=0을 대입하면
∴ a¼+aª+a¢+y+aÁ¼¼¼>aÁ+a£+a°+y+a»»»
-1=aÁ¼¼-a»»+a»¥-a»¦+y-aÁ+a¼ yy㉢
 (참)
㉡+㉢을 하면
ㄷ. 주어진
‌ 등식의 양변에 x=0을 대입하면
2100-2=2(a¼+aª+a¢+y+aÁ¼¼)
a¼+aÁ+aª+y+aÁ¼¼¼=7 yy㉠
∴ a¼+aª+a¢+y+aÁ¼¼=299-1
ㄴ에서
∴ n=99 답 99
a¼-aÁ+aª-a£+y-a»»»+aÁ¼¼¼=21000+7 yy㉡
㉠+㉡을 하면
2(a¼+aª+a¢+y+aÁ¼¼¼)=21000+14
1 1
15 f {x-2+ }‌

=xÜ`-2+ ∴ a¼+aª+a¢+y+aÁ¼¼¼=2999+7
x xÜ`

={x+ }3`-3{x+ }-2


즉, a¼+aª+a¢+y+aÁ¼¼¼의 값은 홀수이다. (참)
1 1
x x 따라서 ㄱ, ㄴ, ㄷ 모두 옳다. 답⑤

010 | 블랙라벨 수학 (상)

블랙고등수학(상)-해설.indb 10 17. 6. 14. 오후 4:08


본문 pp. 12~13

17 다항식 f(x)를 (x-1)Û`으로 나눈 나머지를 ax+b (a, b 따라서 다항식 f(x)f(-x)를 xÛ`-4로 나눈 나머지
는 상수)라 하면 조건 ㈏에서 몫과 나머지가 같으므로 는 b이므로 일차식이 아니다. (거짓)
f(x)=(x-1)Û`(ax+b)+(ax+b)   yy㉠ 그러므로 옳은 것은 ㄴ뿐이다. 답②
조건 ㈎에서 f(1)=2이므로
a+b=2   ∴ b=2-a
20 다항식 axÜ`+b를 ax+b로 나눈 몫이 QÁ(x), 나머지가
이것을 ㉠에 대입하면
RÁ이므로
f(x)‌=(x-1)Û`(ax+b)+ax+b
axÜ`+b=(ax+b)QÁ(x)+RÁ   yy㉠
=(x-1)Û`(ax+2-a)+ax+2-a 다항식 axÝ`+b를 ax+b로 나눈 몫이 Qª(x), 나머지가
=(x-1)Û`{a(x-1)+2}+a(x-1)+2
Rª이므로
=a(x-1)Ü`+2(x-1)Û`+a(x-1)+2
axÝ`+b=(ax+b)Qª(x)+Rª   yy㉡
즉, 다항식 f(x)를 (x-1)Ü`으로 나눈 나머지 R(x)는
b
x=-  를 ㉠, ㉡에 각각 대입하면
R(x)=2(x-1)Û`+a(x-1)+2 a
이때, R(0)=R(3)이므로 bÜ` bÝ`
- +b=RÁ, +b=Rª yy㉢
2-a+2=8+2a+2   ∴ a=-2 aÛ` aÜ`
bÜ` bÝ`
따라서 R(x)=2(x-1)Û`-2(x-1)+2이므로 이때, RÁ=Rª에서 - +b= +b
aÛ` aÜ`
R(5)=2_4Û`-2_4+2=26 답 26
bÜ` bÝ`
- = , -aÜ`bÜ`=aÛ`bÝ`
aÛ` aÜ`

18 f(x)+g(x)를 x-1로 나눈 나머지가 -5이므로 aÛ`bÝ`+aÜ`bÜ`=0, aÛ`bÜ`(a+b)=0


f(1)+g(1)=-5   yy㉠ ∴ b=-a (∵ ab+0)
{ f(x)}Ü`+{ g(x)}Ü`을 x-1로 나눈 나머지가 10이므로 이것을 ㉢에 대입하면 RÁ=Rª=0
{ f(1)}Ü`+{ g(1)}Ü`=10 즉, ㉠에서 axÜ`-a=(ax-a)QÁ(x)이므로
이때, a(x-1)(xÛ`+x+1)=a(x-1)QÁ(x)
{ f(1)}Ü`+{ g(1)}Ü`={ f(1)+g(1)}Ü` ∴ QÁ(x)=xÛ`+x+1
 -3f(1)g(1){ f(1)+g(1)} 또한, ㉡에서 axÝ`-a=(ax-a)Qª(x)이므로
이므로 이 식에 ㉠을 대입하면 a(x-1)(x+1)(xÛ`+1)=a(x-1)Qª(x)
10=-125+15f(1)g(1)   ∴ f(1)g(1)=9 ∴ Qª(x)=(x+1)(xÛ`+1)
따라서 f(x)g(x)를 x-1로 나눈 나머지는 ∴ QÁ(2)+Qª(1)=7+4=11 답 11

f(1)g(1)=9 답④

21 2Þ`=x로 놓으면
19 ㄱ. 다항식
‌ xf(x)를 x-2로 나눈 몫을 Q(x), 나머지를 22020+22019+22018‌=25_404+25_403+4+25_403+3
R라 하면 =(2Þ`)404+16_(2Þ`)403+8_(2Þ`)403
xf(x)=(x-2)Q(x)+R yy㉠ =x404+16x403+8x403
㉠에 x 대신 x+2를 대입하면 =x404+24x403
(x+2)f(x+2)=x Q(x+2)+R yy㉡ f(x)=x404+24x403이라 하면 22020+22019+22018을 31로
‌㉠, ㉡에서 다항식 xf(x)를 x-2로 나눈 몫은 Q(x), 나눈 나머지는 f(x)를 x-1로 나눈 나머지와 같으므로
다항식 (x+2)f(x+2)를 x로 나눈 몫은 Q(x+2) 나머지정리에 의하여
이므로 몫이 같지 않다. (거짓) RÁ=f(1)=1+24=25 (∵ 0ÉRÁ<31)
ㄴ. ‌㉠에서 다항식 xf(x)를 x-2로 나눈 나머지는 R, 또한, 22020+22019+22018을 33으로 나눈 나머지는 f(x)를
㉡에서 다항식 (x+2)f(x+2)를 x로 나눈 나머지도 x+1로 나눈 나머지와 같으므로 나머지정리에 의하여
R이므로 나머지가 같다. (참) f(-1)=1-24=-23
ㄷ. ‌다항식 f(x)f(-x)를 xÛ`-4로 나눈 몫을 P(x), 그런데 0ÉRª<33이어야 하므로 다항식 P(x)에 대하
나머지를 ax+b (a, b는 상수)라 하면 여 f(x)=(x+1)P(x)-23이라 하면
f(x)f(-x)=(xÛ`-4)P(x)+ax+b f(2Þ`)‌=f(32)
=(x+2)(x-2)P(x)+ax+b =33_P(32)-23
‌이 식의 양변에 =33(P(32)-1)+33-23
x=2를 대입하면 f(2)f(-2)=2a+b =33(P(32)-1)+10
x=-2를 대입하면 f(-2)f(2)=-2a+b ∴ Rª=10
즉, 2a+b=-2a+b에서 a=0 ∴ RÁ-Rª=25-10=15 답 15

Ⅰ. 다항식 | 011

블랙고등수학(상)-해설.indb 11 17. 6. 14. 오후 4:08


A n s w e r

단계 채점 기준 배점 를 ax+b (a, b는 상수)라 하면


㈎ 2Þ`=x로 놓고 22020+22019+22018을 x로 나타낸 경우 20% f(2xÛ`+1)=(xÛ`-x)Q(x)+ax+b
㈎에서 구한 식을 f(x)라 하고, 22020+22019+22018을
=x(x-1)Q(x)+ax+b   yy㉠
㈏ 31로 나눈 나머지가 f(x)를 x-1로 나눈 나머지와 20%
같음을 이용하여 RÁ의 값을 구한 경우 ㉠의 양변에 x=0을 대입하면
22020+22019+22018을 33으로 나눈 나머지가 f(x)를 f(1)=b
㈐ x+1로 나눈 나머지와 같음을 이용하여 f(-1)의 20%
값을 구한 경우 이때, f(1)=-1이므로 b=-1
f(x)=(x+1)_(몫)+f(-1)로 나타낸 후, 또한, ㉠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 0ÉRª<33, f(2Þ`)=22020+22019+22018임을 이용하 30%
여 Rª의 값을 구한 경우 f(3)=a+b
㈒ RÁ-Rª의 값을 구한 경우 10% 이때, f(3)=3, b=-1이므로 a=4
따라서 구하는 나머지는 4x-1이다. 답 4x-1
blacklabel 특강 풀이첨삭

치환을 이용하여 수의 나눗셈을 다항식의 나눗셈으로 변형한 후, 나머


지를 계산하는 문항이다. 이때, 다항식의 나눗셈에서 나머지는 나누는
24 다항식 xÜ`+4xÛ`+ax+b를 (x+1)Û`으로 나눈 몫을 Q(x)

식보다 차수가 작으면 되므로 나누는 식이 일차식인 경우 나머지는


라 하면
음수가 나올 수 있다. xÜ`+4xÛ`+ax+b=(x+1)Û`Q(x) yy㉠
그러나 수의 나눗셈에서 0É(나머지)<(나누는 수)이므로 수의 나
눗셈을 다항식의 나눗셈으로 변형하여 나머지를 계산할 때, 나머지가
㉠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음수가 나오면 해당 식을 수의 곱셈식으로 나타낸 후 변형을 통해 범 -1+4-a+b=0   ∴ b=a-3 yy㉡
위에 맞는 나머지를 구해야 한다.
㉡을 ㉠에 대입하면
xÜ`+4xÛ`+ax+a-3=(x+1)Û`Q(x)
(x+1)(xÛ`+3x+a-3)=(x+1)Û`Q(x)
22 해결단계

➊ 단계 나누는 식과 나머지를 이용하여 등식을 세운다.


∴ xÛ`+3x+a-3=(x+1)Q(x)
➋ 단계 등식에서 p와 q 사이의 관계식을 구한다. 위의 등식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➌ 단계 p의 값을 구한 후 q의 값을 구한다. 1-3+a-3=0   ∴ a=5
다항식 x n+2
+px
n+1
+qx 을 (x-2)Û`으로 나눈 몫을
n
이것을 ㉡에 대입하면 b=2
Q(x)라 하면 나머지가 2Ç`(x-2)이므로 ∴ a+b=5+2=7 답③

xn+2+pxn+1+qxn=(x-2)Û`Q(x)+2n(x-2) 다른풀이 1
∴ xn(xÛ`+px+q)=(x-2){(x-2)Q(x)+2n} xÜ`+4xÛ`+ax+b를 (x+1)Û`으로 나눈 몫을 x+p (p는
 yy㉠ 상수)라 하면
㉠의 양변에 x=2를 대입하면 xÜ`+4xÛ`+ax+b=(x+1)Û`(x+p)
2n(4+2p+q)=0 =(xÛ`+2x+1)(x+p)
2 +0이므로 4+2p+q=0
n
=xÜ`+(p+2)xÛ`+(2p+1)x+p
∴ q=-2p-4 yy㉡ 이 등식이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을 ㉠에 대입하면 p+2=4, 2p+1=a, p=b
xn{xÛ`+px+(-2p-4)} ∴ p=2, a=5, b=2
=(x-2){(x-2)Q(x)+2 } n
다른풀이 2
xn(x-2)(x+p+2)=(x-2){(x-2)Q(x)+2n}
xÜ`+4xÛ`+ax+b를 (x+1)Û`으로 나눈 몫을 Q(x)라 하면
∴ xn(x+p+2)=(x-2)Q(x)+2n yy㉢
xÜ`+4xÛ`+ax+b=(x+1)Û`Q(x)이므로 조립제법을 반복
㉢의 양변에 x=2를 대입하면
하여 이용하였을 때, 나머지가 모두 0이어야 한다.
2n(2+p+2)=2n
-1 1 4 a b
2Ç`+0이므로 위의 등식의 양변을 2Ç`으로 나누면
-1 -3 3-a
4+p=1에서 p=-3   ∴ q=2`(∵ ㉡`) -1 1 3 a-3 3-a+b 0
∴ pq=(-3)_2=-6 답 -6 -1 -2
1 2 a-5 0
23 다항식 f(x)-xÛ`+2x가 즉, a-5=0, 3-a+b=0이므로 a=5, b=2
xÛ`-4x+3=(x-1)(x-3)
으로 나누어떨어지므로 인수정리에 의하여
f(1)-1+2=0, f(3)-9+6=0
25 g(x)=xÛ`f(x)-1   yy㉠
g(1)=1Û`f(1)-1=1_1-1=0
∴ f(1)=-1, f(3)=3
1
다항식 f(2xÛ`+1)을 xÛ`-x로 나눈 몫을 Q(x), 나머지 g(2)=2Û`f(2)-1=4_ -1=0
4

012 | 블랙라벨 수학 (상)

블랙고등수학(상)-해설.indb 12 17. 6. 14. 오후 4:08


본문 pp. 13~14

1 즉, F(x)는 x, x-1, x-2, x-3을 인수로 갖는다.


g(3)=3Û`f(3)-1=9_ -1=0
9
이때, 다항식 `f(x)의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이므로
1
g(4)=4Û`f(4)-1=16_ -1=0 F(x)=x(x-1)(x-2)(x-3)
16
즉, f(x)-x=x(x-1)(x-2)(x-3)이므로
즉, g(x)는 x-1, x-2, x-3, x-4를 인수로 갖는다.
`f(x)=x(x-1)(x-2)(x-3)+x yy㉠
이때, f(x)가 삼차다항식이므로 g(x)는 오차다항식이
f(x)를 xÛ`-3x-4로 나눈 몫을 Q(x), 나머지를
다. 따라서
ax+b (a, b는 상수)라 하면
g(x)=(ax+b)(x-1)(x-2)(x-3)(x-4)
`f(x)‌=(xÛ`-3x-4)Q(x)+ax+b
 (단, a, b는 상수)
=(x+1)(x-4)Q(x)+ax+b   yy㉡
라 할 수 있다.
㉠, ㉡에서
㉠의 양변에 x=0을 대입하면
`f(-1)=-a+b=23, f(4)=4a+b=28
g(0)=0_f(0)-1=-1이므로
위의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a=1, b=24
1
g(0)=24b=-1   ∴ b=-
24 따라서 구하는 나머지는 x+24이다. 답 x+24
또한, g(5)=24이므로
g(5)=24(5a+b)=24, 5a+b=1

5a-
1
24
=1, 5a=
25
24
28 다항식 f(x)-1이 (x-1)Û`으로 나누어떨어지므로
`f(1)-1=0 yy㉠
5
∴ a= 다항식 f(x)+1이 (x+1)Û`으로 나누어떨어지므로
24
`f(-1)+1=0
5 1
∴ g(x)={ x- }(x-1)(x-2)(x-3)(x-4)
24 24 ∴ f(-1)-(-1)=0 yy㉡
∴ g(-1)
‌ F(x)=f(x)-x라 하면 F(x)는 최고차항이 f(x)와
5 1
- }_(-2)_(-3)_(-4)_(-5)
일치하는 삼차다항식이다.
={-
24 24
이때, ㉠, ㉡에서 F(1)=0, F(-1)=0이므로 다항식
6
=- _120=-30 답① F(x)는 x-1, x+1을 인수로 갖는다.
24
즉, F(x)=(x-1)(x+1)(ax+b) (a, b는 상수)라
할 수 있으므로
f(x)-x=(x-1)(x+1)(ax+b)
26 ㄱ. 2f(x)+g(x)와
‌ f(x)+2g(x)가 모두 x-7로 나누 따라서 f(x)=(x-1)(x+1)(ax+b)+x이므로
어떨어지므로 f(x)-1‌=(x-1)(x+1)(ax+b)+x-1
2f(7)+g(7)=0, f(7)+2g(7)=0 =(x-1){(x+1)(ax+b)+1}
위의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f(7)=0, g(7)=0 그런데 f(x)-1은 (x-1)Û`으로 나누어떨어지므로 x-1
즉, 두 다항식 f(x)와 g(x)는 모두 x-7로 나누어떨 은 (x+1)(ax+b)+1의 인수이다.
어진다. (거짓) 즉, (x+1)(ax+b)+1에 x=1을 대입하면
ㄴ. f(x)와
‌ g(x)를 x-7로 나눈 몫을 각각 F(x), G(x) 2(a+b)+1=0 yy㉢
라 하면 같은 방법으로
f(x)=(x-7)F(x), g(x)=(x-7)G(x) f(x)+1‌=(x-1)(x+1)(ax+b)+x+1
따라서 f(x)g(x)=(x-7)Û`F(x)G(x)는 =(x+1){(x-1)(ax+b)+1}
(x-7)Û`으로 나누어떨어진다. (참) 에서 x+1은 (x-1)(ax+b)+1의 인수이므로
ㄷ. f(7)=0이므로
‌ g( f(7))=g(0) -2(-a+b)+1=0 yy㉣
그런데 g(0)의 값을 알 수 없으므로 g( f(x))는 1
㉢, ㉣을 연립하여 풀면 a=- , b=0
x-7로 나누어떨어진다고 할 수 없다. (거짓) 2
그러므로 옳은 것은 ㄴ뿐이다. 답② 1
∴ f(x)=- x(x-1)(x+1)+x
2
1
∴ f(2)=- _2_1_3+2=-1 답 -1
2

27 `f(0)=0, f(1)=1, f(2)=2, f(3)=3에서 다른풀이 1

`f(0)-0=0, f(1)-1=0, f(2)-2=0, f(3)-3=0 f(x)의 최고차항의 계수를 a라 하자.


F(x)=f(x)-x라 하면 F(x)는 사차다항식이고 삼차다항식 f(x)-1이 (x-1)Û`으로 나누어떨어지므로
F(0)=0, F(1)=0, F(2)=0, F(3)=0 f(x)-1=(x-1)Û`(ax+b) (단, b는 상수)

Ⅰ. 다항식 | 013

블랙고등수학(상)-해설.indb 13 17. 6. 14. 오후 4:08


A n s w e r

∴ f(x)=(x-1)Û`(ax+b)+1   yy㉤ ㉠에서 양변의 최고차항이 일치해야 하므로


삼차다항식 f(x)+1이 (x+1)Û`으로 나누어떨어지므로 x_2nxn=8x_xn
f(x)+1=(x+1)Û`(ax+c) (단, c는 상수) 2n=8에서 n=3
∴ f(x)=(x+1)Û`(ax+c)-1   yy㉥ 즉, f(x)는 삼차다항식이다.
㉤=㉥이므로 ㉠의 양변에 x=0을 대입하면
(x-1)Û`(ax+b)+1=(x+1)Û`(ax+c)-1 7f(0)=0_f(1)   ∴ f(0)=0 yy㉡
axÜ`+(b-2a)xÛ`+(a-2b)x+b+1 x=-1을 대입하면
=axÜ`+(2a+c)xÛ`+(a+2c)x+c-1 6f(-2)=-8f(0)=0`(∵ ㉡)
이 등식이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 f(-2)=0 yy㉢
b-2a=2a+c, a-2b=a+2c, b+1=c-1 x=-3을 대입하면
1 4f(-6)=-24f(-2)=0`(∵ ㉢)
∴ a=- , b=-1, c=1
2
∴ f(-6)=0 yy㉣
따라서 ㉤에서
㉡, ㉢, ㉣에서 인수정리에 의하여 f(x)는 x, x+2,
1
f(x)=(x-1)Û` {- x-1}+1 x+6을 인수로 갖는다.
2
따라서 f(x)=x(x+2)(x+6)이므로 f(x)를 x+1로
다른풀이 2
나눈 나머지는
삼차다항식 f(x)-1이 (x-1)Û`으로 나누어떨어지므로
f(-1)=(-1)_1_5=-5 답 -5
몫을 ax+b (a, b는 상수)라 하면
다른풀이
f(x)-1=(x-1)Û`(ax+b)   yy㉦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인 삼차다항식 f(x)에 대하여
∴ f(x)+1‌=(x-1)Û`(ax+b)+2
f(0)=0이므로
=(xÛ`-2x+1)(ax+b)+2
f(x)=xÜ`+axÛ`+bx (a, b는 상수)라 할 수 있다.
={(xÛ`+2x+1)-4x}(ax+b)+2
f(2x)=(2x)Ü`+a(2x)Û`+b_2x
=(x+1)Û`(ax+b)-4x(ax+b)+2
f(x+1)=(x+1)Ü`+a(x+1)Û`+b(x+1)
=(x+1)Û`(ax+b)-4a(x+1)Û`
이므로 이 식을 ㉠에 대입하면
 +4(2a-b)x+4a+2
(x+7)(8xÜ`+4axÛ`+2bx)
=(x+1)Û`(ax+b-4a)
=8x{(x+1)Ü`+a(x+1)Û`+b(x+1)}
 +4(2a-b)x+4a+2
∴ 8xÝ
‌ `+(56+4a)xÜ`+(28a+2b)xÛ`+14bx
이때, 삼차다항식 f(x)+1이 (x+1)Û`으로 나누어떨어지
=8xÝ`+8(a+3)xÜ`+8(3+2a+b)xÛ`+8(a+b+1)x
므로 4(2a-b)x+4a+2=0
이 식이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위의 등식이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56+4a=8(a+3), 28a+2b=8(3+2a+b),
4(2a-b)=0, 4a+2=0
14b=8(a+b+1)
1
∴ a=- , b=-1
2 ∴ a=8, b=12
따라서 ㉦에서 ∴ f(x)=xÜ`+8xÛ`+12x
1
f(x)=(x-1)Û` {- x-1}+1
따라서 f(x)를 x+1로 나눈 나머지는
2
f(-1)=-1+8-12=-5

29 해결단계 Step 3 1등급을 넘어서는 종합 사고력 문제 p. 15

➊ 단계 다항식 f(x)의 차수를 구한다.


2
01 441 02 x 03 325 04 05 96
➋ 단계 인수정리를 이용하여 f(x)의 인수를 모두 구한다. 3
➌ 단계 f(x)를 x+1로 나눈 나머지를 구한다. 06 13 07 ③

(x+7)f(2x)=8xf(x+1) yy㉠
f(x)가 n차의 다항식이라 하면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이므로
f(x)=xn+axn-1+y (단, a는 상수)
01 해결단계

g(x)=px+q, h(x)=axÛ`+bx+c라 하고 주어진 등식


라 할 수 있다. ➊ 단계
에 대입하여 관계식을 구한다.
f(2x)‌=(2x)n+a(2x)n-1+y ➋ 단계 주어진 등식이 항등식임을 이용하여 미정계수를 구한다.
=2 x +a_2
n n n-1
x +y
n-1 ➌ 단계 모든 g(1)+h(2)의 값의 곱을 구한다.

f(x+1)‌=(x+1) +a(x+1) n
+y
n-1
두 다항식 g(x)와 h(x)가 각각 x에 대한 일차식, 이차
=xn+y 식이므로

014 | 블랙라벨 수학 (상)

블랙고등수학(상)-해설.indb 14 17. 6. 14. 오후 4:08


본문 pp. 14~15

g(x)=px+q (단, p, q는 상수, p+0), 따라서 구하는 나머지는 x이다. 답x


h(x)=axÛ`+bx+c (단, a, b, c는 상수, a+0)
라 하고, 이것을 주어진 등식에 대입하면
(xÛ`-1)Û`+(px+q)Û`=(axÛ`+bx+c)Û`
xÝ`+(pÛ`-2)xÛ`+2pqx+qÛ`+1 03 해결단계

➊ 단계 xÞ`+yÞ`+zÞ`을 만들 수 있는 다항식의 곱을 떠올린다.


=aÛ`xÝ`+2abxÜ`+(2ac+bÛ`)xÛ`+2bcx+cÛ`
➋ 단계 주어진 조건을 이용하여 필요한 식의 값을 구한다.
이 등식이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➌ 단계 xÞ`+yÞ`+zÞ`의 값을 구한다.
1=aÛ`, 0=2ab, pÛ`-2=2ac+bÛ`, 2pq=2bc, qÛ`+1=cÛ`
(xÛ`+yÛ`+zÛ`)(xÜ`+yÜ`+zÜ`)
aÛ`=1에서 a=1 또는 a=-1
=xÞ`+yÞ`+zÞ`+xÛ`yÛ`(x+y)+yÛ`zÛ`(y+z)+zÛ`xÛ`(z+x)
2ab=0에서 a+0이므로 b=0
‌ `+yÞ`+zÞ`
∴ xÞ
2pq=2bc=0에서 p+0이므로 q=0
=‌(xÛ`+yÛ`+zÛ`)(xÜ`+yÜ`+zÜ`)
qÛ`+1=cÛ`에서 cÛ`=1이므로 c=1 또는 c=-1
-{xÛ`yÛ`(x+y)+yÛ`zÛ`(y+z)+zÛ`xÛ`(z+x)}
Ú a=Ñ1, c=Ñ1 (복부호 동순)일 때,
 yy㉠
pÛ`-2=2ac+bÛ`에서 pÛ`-2=2
x+y+z=5, xÛ`+yÛ`+zÛ`=15, xyz=-3이므로
pÛ`=4   ∴ p=Ñ2
Ú (x+y+z)Û`=xÛ`+yÛ`+zÛ`+2(xy+yz+zx)에서
Û a=Ñ1, c=Ð1 (복부호 동순)일 때,
5Û`=15+2(xy+yz+zx), 2(xy+yz+zx)=10
pÛ`-2=2ac+bÛ`에서 pÛ`-2=-2
∴ xy+yz+zx=5
pÛ`=0
Û (x+y+z)(xÛ`+yÛ`+zÛ`-xy-yz-zx)
‌그런데 p+0이므로 조건을 만족시키는 두 다항식
=xÜ`+yÜ`+zÜ`-3xyz
g(x), h(x)는 존재하지 않는다.
에서
Ú, Û에서
5_(15-5)=xÜ`+yÜ`+zÜ`-3_(-3)
g(x)=2x, h(x)=xÛ`+1 또는
∴ xÜ`+yÜ`+zÜ`=41
g(x)=2x, h(x)=-xÛ`-1 또는
Ü (xy+yz+zx)Û`
g(x)=-2x, h(x)=xÛ`+1 또는
=xÛ`yÛ`+yÛ`zÛ`+zÛ`xÛ`+2xyz(x+y+z)
g(x)=-2x, h(x)=-xÛ`-1
에서
∴ g(1)+h(2)=2+(4+1)=7
‌ 또는
5Û`=xÛ`yÛ`+yÛ`zÛ`+zÛ`xÛ`+2_(-3)_5
g(1)+h(2)=2+(-4-1)=-3 또는
∴ xÛ`yÛ`+yÛ`zÛ`+zÛ`xÛ`=55
g(1)+h(2)=-2+(4+1)=3 또는
Ý x+y+z=5이므로
g(1)+h(2)=-2+(-4-1)=-7
x+y=5-z, y+z=5-x, z+x=5-y
따라서 모든 g(1)+h(2)의 값의 곱은
∴ ‌xÛ`yÛ`(x+y)+yÛ`zÛ`(y+z)+zÛ`xÛ`(z+x)
7_(-3)_3_(-7)=441 답 441
=xÛ`yÛ`(5-z)+yÛ`zÛ`(5-x)+zÛ`xÛ`(5-y)
=5(xÛ`yÛ`+yÛ`zÛ`+zÛ`xÛ`)-xyz(xy+yz+zx)
=5_55-(-3)_5=290
02 해결단계
따라서 ㉠에서
➊ 단계
x10-x10=0임을 이용하여 다항식 x14+x13+x12+x11+x+1 xÞ`+yÞ`+zÞ`=15_41-290=325 답 325
을 다항식 xÝ`+xÜ`+xÛ`+x+1이 포함된 식으로 변형한다.
xn-1=(x-1)(xn-1+xn-2+y+xÛ`+x+1)을
다른풀이
➋ 단계 이용하여 ➊단계의 식을 xÝ`+xÜ`+xÛ`+x+1을 포함한 식 x+y+z=5, xy+yz+zx=5, xyz=-3이므로
으로 변형한다.
➌ 단계 변형한 등식에서 나머지를 구한다.
세 실수 x, y, z를 세 근으로 하는 t에 대한 삼차방정식은
tÜ`-5tÛ`+5t+3=0 yy㉡
다항식 xÚ``Ý +xÚ``Ü +xÚ``Û +xÚ``Ú +x+1을 다항식
tÞ`을 tÜ`-5tÛ`+5t+3으로 나누면 다음과 같다.
xÝ`+xÜ`+xÛ`+x+1을 포함한 식으로 변형하면
tÛ`+5t+20
xÚ`Ý`+xÚ`Ü`+xÚ`Û`+xÚ`Ú`+x+1

tÜ`-5tÛ`+5t+3  tÞ`
=xÚ`Ý`+xÚ`Ü`+xÚ`Û`+xÚ`Ú`+xÚ`â`-xÚ`â`+x+1
 tÞ`-5tÝ`+5tÜ`+3tÛ`
=xÚ`â`(xÝ`+xÜ`+xÛ`+x+1)-(xÚ`â`-1)+x   5tÝ`-5tÜ`-3tÛ`
=xÚ`â`(xÝ`+xÜ`+xÛ`+x+1)-(xÞ`-1)(xÞ`+1)+x   5tÝ`-25tÜ`+25tÛ`+15t
=xÚ`â`(xÝ`+xÜ`+xÛ`+x+1)   20tÜ`-28tÛ`-15t
 -(x-1)(xÝ`+xÜ`+xÛ`+x+1)(xÞ`+1)+x   20tÜ`-100tÛ`+100t+60
=(xÝ`+xÜ`+xÛ`+x+1){xÚ`â`-(x-1)(xÞ`+1)}+x   72tÛ`-115t-60

Ⅰ. 다항식 | 015

블랙고등수학(상)-해설.indb 15 17. 6. 14. 오후 4:08


A n s w e r

∴ tÞ`‌=(tÜ`-5tÛ`+5t+3)(tÛ`+5t+20) 조건 ㈎에서 AÁ=9+99+999


 +72tÛ`-115t-60 조건 ㈏에서 n¾2일 때, AÇ은 9, 99, 999 중에서 서로
=72tÛ`-115t-60 (∵ tÜ`-5tÛ`+5t+3=0) 다른 n개를 택하여 곱한 수의 총합이므로
이때, x, y, z는 ㉡의 근이므로 Aª=9_99+99_999+999_9
xÞ`=72xÛ`-115x-60 yy㉢ A£=9_99_999
yÞ`=72yÛ`-115y-60 yy㉣ 이때, 9=a, 99=b, 999=c로 놓으면
zÞ`=72zÛ`-115z-60 yy㉤ AÁ=a+b+c, Aª=ab+bc+ca, A£=abc
㉢+㉣+㉤을 하면 즉, AÁ, Aª, A£은 세 일차식의 곱셈
xÞ`+yÞ`+zÞ` (x+a)(x+b)(x+c)
=72(xÛ`+yÛ`+zÛ`)-115(x+y+z)-60_3 =xÜ`+(a+b+c)xÛ`+(ab+bc+ca)x+abc
=72_15-115_5-180 에서 이차항, 일차항의 계수 및 상수항에 해당한다.
=1080-575-180=325 ∴ (x+9)(x+99)(x+999)=xÜ`+AÁxÛ`+Aªx+A£
이 등식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AÁ+Aª+A£+1=10_100_1000
=1000000
04 해결단계
∴ AÁ+Aª+A£-3=1000000-4=999996
➊ 단계 k=0, 1, 2, 3, 4일 때의 f(k)의 값을 구하여 규칙을 파악한다. 따라서 AÁ+Aª+A£-3을 100으로 나눈 나머지는 96이다.
➋ 단계 인수정리를 이용할 수 있는 식의 형태를 찾는다.
 답 96
➌ 단계 f(x)를 구한 후, f(5)의 값을 구한다.
다른풀이
k
k=0, 1, 2, 3, 4일 때, f(k)= 이므로 a=10, b=100, c=1000이라 하면
k+1
1 2 3 4 9=a-1, 99=b-1, 999=c-1
f(0)=0, f(1)= , f(2)= , f(3)= , f(4)=
2 3 4 5 AÁ‌=9+99+999
∴ f(0)-0=0,
‌ 2f(1)-1=0, 3f(2)-2=0, =(a-1)+(b-1)+(c-1)
4f(3)-3=0, 5f(4)-4=0 =(a+b+c)-3
g(x)=(x+1)f(x)-x라 하면 g(x)는 오차다항식이고 조건 ㈏에서 An이 세 수 9, 99, 999 중에서 서로 다른
g(0)=g(1)=g(2)=g(3)=g(4)=0 n개를 택하여 곱한 수의 총합이므로
즉, 인수정리에 의하여 Aª‌=9_99+99_999+999_9
g(x)=ax(x-1)(x-2)(x-3)(x-4) (단, a+0) =(a-1)(b-1)+(b-1)(c-1)+(c-1)(a-1)
라 할 수 있다. =ab-(a+b)+1+bc-(b+c)+1
∴ (x+1)f(x)-x=ax(x-1)(x-2)(x-3)(x-4)  +ca-(c+a)+1
위의 식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ab+bc+ca-2(a+b+c)+3
1=a_(-1)_(-2)_(-3)_(-4)_(-5) A£‌=9_99_999
1 =(a-1)(b-1)(c-1)
∴ a=-
120
=abc-(ab+bc+ca)+(a+b+c)-1
∴ (x+1)f(x)-x
‌
∴ AÁ+Aª+A£-3‌=abc-4
1
=- x(x-1)(x-2)(x-3)(x-4) =10_100_1000-4
120
위의 식의 양변에 x=5를 대입하면 =1000000-4
1 =999996
6f(5)-5=- _5_4_3_2_1
120 따라서 AÁ+Aª+A£-3을 100으로 나눈 나머지는 96이다.
6f(5)-5=-1, 6f(5)=4
2 2
∴ f(5)=  답
3 3
06 해결단계

➊ 단계 f(x)의 차수를 구한 후, 다항식 f(x)의 식을 세운다.


➋ 단계 주어진 등식을 이용하여 f(0), f(-2)의 값을 구한다.
다항식 f(x)를 구한 후, f(1)의 값을 구한다.
05
➌ 단계
해결단계
f(xÛ`+2x)=xÛ`f(x)+8x+8 yy㉠
➊ 단계 AÁ, Aª, A£을 정의에 따라 나타낸다.
➋ 단계 AÁ, Aª, A£의 꼴을 포함한 다항식을 떠올린다. 다항식 f(x)가 최고차항의 계수가 a인 n차의 다항식이라
➌ 단계 AÁ+Aª+A£-3을 100으로 나눈 나머지를 구한다. 하면 f(x)=axn+y 꼴이다.

016 | 블랙라벨 수학 (상)

블랙고등수학(상)-해설.indb 16 17. 6. 14. 오후 4:08


본문 pp. 15~16

‌ `+2x)=a(xÛ`+2x)n+y=ax2n+y 1 1
{x+ }2`-{y- }2`=4
∴ f(xÛ
x y
xÛ`f(x)+8x+8=axn+2+y
1 1 1 1
㉠에서 양변의 최고차항이 일치해야 하므로 xÛ`-yÛ`+ - +4=4, xÛ`-yÛ`+ - =0
xÛ` yÛ` xÛ` yÛ`
ax2n=axn+2
xÛ`-yÛ`
xÛ`-yÛ`- =0
즉, 2n=n+2에서 n=2이므로 다항식 f(x)는 이차식이다. xÛ`yÛ`
f(x)=axÛ`+bx+c (a, b, c는 상수)라 하자. 1
∴ (xÛ`-yÛ`){1- }=0
㉠의 양변에 x=0을 대입하면 f(0)=8이므로 xÛ`yÛ`
이때, xÛ`+yÛ`이므로
f(0)=a_0Û`+b_0+c=8   ∴ c=8
1
㉠의 양변에 x=-2를 대입하면 1- =0   ∴ xÛ`yÛ`=1
xÛ`yÛ`
f(0)=4f(-2)-16+8, 8=4f(-2)-8 따라서 ㉠에서
∴ f(-2)=4
y x 1-1
- =ab+ =ab 답 ③
f(-2)=4a-2b+8=4이므로 b=2a+2 x y xy
즉, f(x)=axÛ`+(2a+2)x+8이므로
f(xÛ`+2x)=a(xÛ`+2x)Û`+(2a+2)(xÛ`+2x)+8
=axÝ`+4axÜ`+(6a+2)xÛ`+(4a+4)x+8
 yy㉡
xÛ`f(x)+8x+8=axÝ`+(2a+2)xÜ`+8xÛ`+8x+8
 yy㉢ 이것이 수능 p. 16

㉠에서 ㉡=㉢이므로 1  42 2  45 3  ② 4④
axÝ`+4axÜ`+(6a+2)xÛ`+(4a+4)x+8
=axÝ`+(2a+2)xÜ`+8xÛ`+8x+8
이 식이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1 해결단계

4a=2a+2, 6a+2=8, 4a+4=8 ➊ 단계 주어진 등식의 우변을 전개한다.


∴ a=1, b=4 (∵ b=2a+2) ➋ 단계
양변의 계수를 비교하여 a, b, c의 값을 구한 후, abc의 값
을 구한다.
따라서 f(x)=xÛ`+4x+8이므로
`f(1)=1+4+8=13 답 13 주어진 등식의 우변을 전개하면
a(x-1)Û`+b(x-1)+c
=axÛ`+(-2a+b)x+(a-b+c)
즉, 3xÛ`+x-2=axÛ`+(-2a+b)x+(a-b+c)가 x에

07 해결단계 대한 항등식이므로 양변의 각 항의 계수를 비교하면


a=3, 1=-2a+b, -2=a-b+c
y x
➊ 단계 -  를 a, b를 포함한 식으로 변형한다.
x y ∴ a=3, b=7, c=2
y x ∴ abc=42 답 42
처음 주어진 세 식을 연립하여 - 의 값을 구하기 위해
➋ 단계 x y
필요한 식의 값을 구한다. 다른풀이 1
y x
➌ 단계 -  를 a, b를 이용하여 나타낸다. 등식 3xÛ`+x-2=a(x-1)Û`+b(x-1)+c가 모든 실수
x y

1 1 y x x에 대하여 성립하므로
x+ =a, y- =b이므로 -  를 a, b를 포함한 식
x y x y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으로 변형하면 3+1-2=c   ∴ c=2 yy㉠
y x y x 1 x 양변에 x=0을 대입하면
- = +xy-xy- =y{ +x}-xy-
x y x y x y
-2=a-b+c   ∴ a-b=-4 (∵ ㉠)  yy㉡
1 1 1 1 1
=y{ +x}- {x+ }+ {x+ }-xy-
x
x y x y x y 양변에 x=2를 대입하면

1 1 1 12+2-2=a+b+c   ∴ a+b=10 (∵ ㉠) yy㉢


={x+ }{y- }+ + -xy-
x x
x y y xy y ㉡, ㉢을 연립하여 풀면
1 1 1-xÛ`yÛ`
={x+ }{y- }+ a=3, b=7
x y xy
∴ abc=42
1-xÛ`yÛ`
=ab+    yy㉠
xy 다른풀이 2

㉠에서 필요한 것은 xy의 값 또는 xÛ`yÛ`의 값이다.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3xÛ`+x-2를 x-1로 나눈 나머지
이때, aÛ`-bÛ`=4이므로 를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Ⅰ. 다항식 | 017

블랙고등수학(상)-해설.indb 17 17. 6. 14. 오후 4:08


A n s w e r

1 3 1 -2 3 해결단계

3 4 ➊ 단계 f(x)를 xÛ`-3x+2로 나눈 나머지를 정한다.


1 3 4 2 ➋ 단계 f(x+1)=f(x)+xÛ`을 이용하여 f(1), f(2)의 값을 구한다.
나머지정리를 이용하여 f(x)를 xÛ`-3x+2로 나눈 나머지
3 ➌ 단계
를 구한다.
3 7
삼차다항식 f(x)를 xÛ`-3x+2로 나눈 몫을 Q(x), 나머
즉, x-1에 대한 내림차순으로 정리하면 지를 ax+b (a, b는 상수)라 하면
3xÛ`+x-2‌=(x-1){3(x-1)+7}+2 f(x)=(xÛ`-3x+2)Q(x)+ax+b
=3(x-1)Û`+7(x-1)+2 =(x-1)(x-2)Q(x)+ax+b yy㉠
∴ a=3, b=7, c=2 조건 ㈏에서 f(x+1)=f(x)+xÛ`이므로
∴ abc=42 양변에 x=0을 대입하면
f(1)=f(0)+0=3`(∵ 조건 ㈎)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f(2)=f(1)+1=4`(∵ f(1)=3)
2 해결단계 즉, f(1)=3, f(2)=4이므로
다항식 f(x)를 다항식 xÛ`-2x-2로 나누어 몫과 나머지를 ㉠에 x=1을 대입하면 f(1)=a+b=3 yy㉡
➊ 단계
구한다. ㉠에 x=2를 대입하면 f(2)=2a+b=4 yy㉢
➊단계 에서 구한 나머지 R(x)에 대하여 R(2)=9이고,
㉡, ㉢을 연립하여 풀면 a=1, b=2
➋ 단계 f(x)가 Q(x)로 나누어떨어짐을 이용하여 a, b에 대한 연
립방정식을 세운다. 따라서 f(x)를 xÛ`-3x+2로 나눈 나머지는 x+2이다.
➋ 단계에서 세운 연립방정식을 풀어 a, b의 값을 구한 후,  답②
➌ 단계
f(4)의 값을 구한다.

다항식 f(x)=xÜ`-xÛ`+ax+b를 다항식 xÛ`-2x-2로


나누면 다음과 같다.
x+1
4 해결단계
xÛ`-2x-2<ÃxÜ`- xÛ`+ax +b
다항식 f(x)를 xÜ`+1로 나눈 나머지를 R(x)라 하고,
xÜ`-2xÛ`-2x ➊ 단계
f(x)를 몫과 나머지를 이용하여 나타낸다.
xÛ`+(a+2)x+b ➋ 단계 조건 ㈏를 이용하여 ➊단계의 R(x)를 변형한다.
xÛ`-2x   -2 ➌ 단계 조건 ㈐를 이용하여 f(x)를 구한 후, f(0)의 값을 구한다.
(a+4)x+(b+2) 다항식 f(x)를 xÜ`+1로 나눈 나머지를 R(x)라 하면
∴ Q(x)=x+1, R(x)=(a+4)x+b+2 R(x)는 이차 이하의 다항식이고 조건 ㈎에서 몫이 x+2
이때, R(2)=9에서 2(a+4)+b+2=9 이므로
∴ 2a+b=-1 yy㉠ f(x)‌=(xÜ`+1)(x+2)+R(x)
또한, f(x)가 Q(x), 즉 x+1로 나누어떨어지므로 =(x+1)(xÛ`-x+1)(x+2)+R(x) yy㉠
f(-1)=-1-1-a+b=0 다항식 f(x)를 xÛ`-x+1로 나눌 때, ㉠에서
∴ a-b=-2 yy㉡ (x+1)(xÛ`-x+1)(x+2)는 나누어떨어지므로 f(x)를
㉠, ㉡을 연립하여 풀면 xÛ`-x+1로 나눈 나머지는 ㉠의 R(x)를 xÛ`-x+1로
a=-1, b=1 나눈 나머지와 같다.
∴ f(x)=xÜ`-xÛ`-x+1 이때, 조건 ㈏에서 다항식 f(x)를 xÛ`-x+1로 나눈 나머
∴ f(4)=4Ü`-4Û`-4+1=45 답 45 지가 x-6이므로
다른풀이 R(x)=a(xÛ`-x+1)+x-6 (단, a는 상수)
다항식 f(x)=xÜ`-xÛ`+ax+b를 다항식 xÛ`-2x-2로 라 할 수 있다.
나누었을 때의 몫이 Q(x)=x+1이고, f(x)는 Q(x)로 ∴ f(x)=(x+1)(xÛ`-x+1)(x+2)
나누어떨어지므로 R(x)도 x+1로 나누어떨어진다. 즉,  +a(xÛ`-x+1)+x-6   yy㉡
R(x)=k(x+1) (k는 상수)라 할 수 있다. 조건 ㈐에서 f(1)=-2이므로 ㉡에 x=1을 대입하면
R(2)=9에서 3k=9   ∴ k=3 f(1)=2_1_3+a+1-6
∴ R(x)=3(x+1) -2=a+1   ∴ a=-3
따라서 f(x)=(xÛ`-2x-2)(x+1)+3(x+1)이므로 ∴ f(x)=(x+1)(xÛ`-x+1)(x+2)
f(4)‌=(4Û`-2_4-2)_(4+1)+3_(4+1)  -3(xÛ`-x+1)+x-6
=6_5+3_5=45 ∴ f(0)=1_1_2-3_1-6=-7 답④

018 | 블랙라벨 수학 (상)

블랙고등수학(상)-해설.indb 18 17. 6. 14. 오후 4:08


본문 pp. 16~18

02 인수분해 05 x+y+z=1에서 z=1-x-y


‌ `-4xy+3yÛ`-x-7y-2z
∴ xÛ
=xÛ`-4xy+3yÛ`-x-7y-2(1-x-y)
Step 1 출제율 100% 우수 기출 대표 문제 p. 18
=xÛ`-4xy+x+3yÛ`-5y-2
01 ⑤ 02 ③ 03 -5 04 ② =xÛ`+(1-4y)x+3yÛ`-5y-2
05 (x-3y-1)(x-y+2) 06 ②
=xÛ`+(1-4y)x+(3y+1)(y-2)
07 (x+1)(x+2)(x-1)(x-3) 08 ①
=(x-3y-1)(x-y+2)
 답 (x-3y-1)(x-y+2)

01 ① xÝ`+xÛ`+1‌=xÝ`+xÛ`_1Û`+1Ý`
=(xÛ`+x+1)(xÛ`-x+1)
② 27xÜ
‌ `-27xÛ`y+9xyÛ`-yÜ`
06 주어진 식을 전개한 다음 x에 대한 내림차순으로 정리하면
xy(x+y)-yz(y+z)-zx(z-x)
=(3x)Ü`-3_(3x)Û`_y+3_3x_yÛ`-yÜ`
=xÛ`y+xyÛ`-yÛ`z-yzÛ`-zÛ`x+zxÛ`
=(3x-y)Ü`
=(y+z)xÛ`+(yÛ`-zÛ`)x-yz(y+z)
③ aß`-bß`‌=(aÜ`)Û`-(bÜ`)Û`
=(y+z)xÛ`+(y+z)(y-z)x-yz(y+z)
=(aÜ`+bÜ`)(aÜ`-bÜ`)
=(y+z){xÛ`+(y-z)x-yz}
=(a+b)(aÛ`-ab+bÛ`)(a-b)(aÛ`+ab+bÛ`)
=(y+z)(x+y)(x-z)
=(a+b)(a-b)(aÛ`+ab+bÛ`)(aÛ`-ab+bÛ`)
=(x+y)(y+z)(x-z)
‌ `+bÛ`-2ab+2a-2b+1
④ aÛ
따라서 인수인 것은 ② x-z이다. 답②
=aÛ`+(-b)Û`+1Û`
 +2{a_(-b)+(-b)_1+1_a}
=(a-b+1)Û` 07 `f(x)=xÝ`-xÜ`+axÛ`+bx+6이라 하면
⑤ xÜ`-27‌=xÜ`-3Ü` f(-1)=0, f(-2)=0이므로
=(x-3)(xÛ`+3x+9) 1+1+a-b+6=0, 16+8+4a-2b+6=0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⑤이다. 답⑤ a-b=-8, 4a-2b=-30
다른풀이 위의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① xÝ`+xÛ`+1‌=xÝ`+2xÛ`+1-xÛ`=(xÛ`+1)Û`-xÛ` a=-7, b=1

=(xÛ`+x+1)(xÛ`-x+1) ∴ f(x)=xÝ`-xÜ`-7xÛ`+x+6
따라서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인수분해하면
02 체육관을 제외한 A, B 두 고등학교의 넓이를 각각 P, Q -1 1 -1 -7 1 6
라 하면 P=(a+x)Û`-xy, Q=(a+y)Û`-xy -1 2 5 -6
∴ P-Q={(a+x)Û`-xy}-{(a+y)Û`-xy} -2 1 -2 -5 6 0
=(a+x)Û`-(a+y)Û` -2 8 -6
=(a+x+a+y)(a+x-a-y) 1 -4 3 0
=(2a+x+y)(x-y) 답③ ‌ `-xÜ`-7xÛ`+x+6
∴ xÝ
=(x+1)(x+2)(xÛ`-4x+3)
03 xÛ`-x=X로 놓으면
=(x+1)(x+2)(x-1)(x-3)
(xÛ`-x+1)(xÛ`-x-9)+21
 답 (x+1)(x+2)(x-1)(x-3)
=(X+1)(X-9)+21=XÛ`-8X+12
다른풀이
=(X-2)(X-6)=(xÛ`-x-2)(xÛ`-x-6)
다항식 xÝ`-xÜ`+axÛ`+bx+6이 두 일차식 x+1, x+2
=(x+1)(x-2)(x+2)(x-3)
를 인수로 가지므로
=(x+1)(x+2)(x-2)(x-3)
xÝ`-xÜ`+axÛ`+bx+6=(x+1)(x+2)(xÛ`+px+3)
∴ a=-2, b=-3 또는 a=-3, b=-2
 (단, p는 상수)
∴ a+b=(-2)+(-3)=-5 답 -5
라 할 수 있다.
04 xÝ`-6xÛ`yÛ`+yÝ`‌=xÝ`-2xÛ`yÛ`+yÝ`-4xÛ`yÛ` (x+1)(x+2)(xÛ`+px+3)
=(xÛ`-yÛ`)Û`-(2xy)Û` =xÝ`+(p+3)xÜ`+(3p+5)xÛ`+(2p+9)x+6
=(xÛ`-yÛ`+2xy)(xÛ`-yÛ`-2xy) 이므로
=(xÛ`+2xy-yÛ`)(xÛ`-2xy-yÛ`) xÝ`-xÜ`+axÛ`+bx+6
따라서 인수인 것은 `② xÛ`-2xy-yÛ`이다. 답② =xÝ`+(p+3)xÜ`+(3p+5)xÛ`+(2p+9)x+6

Ⅰ. 다항식 | 019

블랙고등수학(상)-해설.indb 19 17. 6. 14. 오후 4:08


A n s w e r

위의 방정식이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따라서 계수와 상수항이 모두 정수인 두 일차식의 곱으로


-1=p+3, a=3p+5, b=2p+9 인수분해되는 것의 개수는 30이다. 답④
∴ p=-4, a=-7, b=1
‌ `-xÜ`+axÛ`+bx+6
∴ xÝ
aÜ`+bÜ` a+b (a+b)(aÛ`-ab+bÛ`) a+b
=(x+1)(x+2)(xÛ`-4x+3) 02 =
aÜ`+cÜ` a+c
에서 =
(a+c)(aÛ`-ac+cÛ`) a+c
=(x+1)(x+2)(x-1)(x-3) aÛ`-ab+bÛ`
=1`(∵ a+b>0, a+c>0)
aÛ`-ac+cÛ`
aÛ`-ab+bÛ`=aÛ`-ac+cÛ`, bÛ`-cÛ`-ab+ac=0
08 (xÛ`-1)Û`-3x(xÛ`+1)=xÝ`-2xÛ`+1-3xÜ`-3x
(b+c)(b-c)-a(b-c)=0, (b-c)(b+c-a)=0
=xÝ`-3xÜ`-2xÛ`-3x+1
∴ b=c 또는 a=b+c   yy㉠
3 1
=xÛ`{xÛ`-3x-2- + } 따라서 ㉠을 만족시키는 순서쌍 (a, b, c)는 ㄱ, ㄴ이다.
x xÛ`
1 1  답①
=xÛ`[{xÛ`+ }-3{x+ }-2]
xÛ` x

=xÛ`[{x+ }2`-3{x+ }-4]


1 1
x x 03 해결단계
1 1
=xÛ`{x+ +1}{x+ -4} ➊ 단계 f(x, y, z), g(x, y, z)를 각각 정리한다.
x x
조건을 변형하여 (a+b+c)(aÛ`+bÛ`+cÛ`-ab-bc-ca),
➋ 단계
=(xÛ`+x+1)(xÛ`-4x+1) abc의 값을 각각 구한다.
∴ a=1, b=-4, c=1 ➌ 단계 aÜ`+bÜ`+cÜ`의 값을 구한다.

∴ a+b+c=1+(-4)+1=-2 답① `f(x, y, z)
=xÜ`+yÜ`+zÜ`-3xyz
blacklabel 특강 오답피하기
=(x+y+z)(xÛ`+yÛ`+zÛ`-xy-yz-zx)
다항식 xÝ`-3xÜ`-2xÛ`-3x+1의 인수분해에서
1
1 1
xÝ`-3xÜ`-2xÛ`-3x+1=xÛ`{x+ +1}{x+ -4}와 같이 인수
= (x+y+z){(x-y)Û`+(y-z)Û`+(z-x)Û`}
x x 2
분해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우변이 다항식의 곱의 꼴이 아니 `g(x, y, z)
므로 인수분해를 바르게 했다고 볼 수 없다.
=(x+y+z)Ü`-(xÜ`+yÜ`+zÜ`)
=3xÛ`y+3xyÛ`+3yÛ`z+3yzÛ`+3zÛ`x+3zxÛ`+6xyz
=3{(y+z)xÛ`+(yÛ`+2yz+zÛ`)x+(y+z)yz}
=3(y+z){xÛ`+(y+z)x+yz}
=3(y+z)(x+y)(x+z)
이때, f(a+b-c, b+c-a, c+a-b)=4이므로
Step 2 1등급을 위한 최고의 변별력 문제 pp. 19~20
1
(a+b-c+b+c-a+c+a-b)
2
01 ④ 02 ① 03 7
04 (ab+a+1)(ab+b+1) 05 ⑤ 06 40  _{(2a-2c)Û`+(2b-2a)Û`+(2c-2b)Û`}
07 24 08 (a+b+c)(ab+bc+ca) 09 ⑤ =2(a+b+c){(a-b)Û`+(b-c)Û`+(c-a)Û`}
10 -2 11 ③ 12 ④ 13 ① 14 38 =4(a+b+c)(aÛ`+bÛ`+cÛ`-ab-bc-ca)=4
∴ (a+b+c)(aÛ`+bÛ`+cÛ`-ab-bc-ca)=1 yy㉠
g(a+b-c, b+c-a, c+a-b)=48이므로
01 1000개의 이차 다항식을 xÛ`+2x-n`(n은 1000 이하의
3_2c_2b_2a=24abc=48   ∴ abc=2 yy㉡
자연수)이라 하면 계수와 상수항이 모두 정수인 두 일차
㉠, ㉡에서
식의 곱으로 인수분해되므로
aÜ`+bÜ`+cÜ`
xÛ`+2x-n=(x+a)(x-b)(a, b는 자연수)라 할 수
=(a+b+c)(aÛ`+bÛ`+cÛ`-ab-bc-ca)+3abc
있다.
=1+3_2=7 답7
이때, xÛ`+2x-n=xÛ`+(a-b)x-ab이므로
a-b=2, ab=n
abÉ1000이고, a-b=2인 a, b의 값을 구해 보면 다음
04 (a+1)(b+1)(ab+1)+ab
표와 같다. =(ab+a+b+1)(ab+1)+ab
a 3 4 5 y 31 32 ab+1=A로 놓으면
b 1 2 3 y 29 30 (A+a+b)A+ab=AÛ`+(a+b)A+ab
ab 3 8 15 y 899 960 =(A+a)(A+b)

020 | 블랙라벨 수학 (상)

블랙고등수학(상)-해설.indb 20 17. 6. 14. 오후 4:08


본문 pp. 18~20

=(ab+a+1)(ab+b+1) xÛ`-4aÛ`=(x+2a)(x-2a)이고, 주어진 두 다항식이


 답 (ab+a+1)(ab+b+1) 공통인수를 가지므로 나머지정리에 의하여
f(-2a)=0 또는 f(2a)=0
16aÝ`-8aÝ`-8aÛ`bÛ`+aÝ`-2aÛ`bÛ`+bÝ`=0
05 310=x로 놓으면 9aÝ`-10aÛ`bÛ`+bÝ`=0, (9aÛ`-bÛ`)(aÛ`-bÛ`)=0
308´310´313-3116 bÛ`=9aÛ` (∵ a+b)   ∴ b=3a (∵ a>0, b>0)
=(x-2)x(x+3)-(10x+16) 이때, a, b는 서로 다른 한 자리 짝수이므로
=xÜ`+xÛ`-6x-10x-16=xÜ`+xÛ`-16x-16 a=2, b=6
=xÜ`-16x+xÛ`-16=x(xÛ`-16)+(xÛ`-16) ∴ aÛ`+bÛ`=2Û`+6Û`=40
=(x+1)(xÛ`-16)=(x+1)(x+4)(x-4)
=311´314´306
이때, 311은 소수이고, 306(=2´3Û`´17), 314(=2´157)
07 '3=x로 놓으면
은 각각 합성수이므로 색종이 A의 한 장의 넓이는 xÛ`,
308´310´313-3116=2Û`´3Û`´17´157´311 색종이 B의 한 장의 넓이는 2x,
따라서 양의 약수의 개수는 색종이 C의 한 장의 넓이는 1
(2+1)(2+1)(1+1)(1+1)(1+1)=72 답⑤ 이므로 색종이 A 5장, 색종이 B 11장, 색종이 C 8장을
다른풀이 모두 사용하여 겹치지 않게 빈틈없이 이어 붙여서 만든
311=x로 놓으면 3116=311´10+6=10x+6 직사각형의 넓이는
∴ 308´310´313-3116
‌ 5xÛ`+22x+8
=(x-3)(x-1)(x+2)-(10x+6) 이때,
=xÜ`-2xÛ`-15x 5xÛ`+22x+8=(5x+2)(x+4)
=x(x+3)(x-5) 이므로 직사각형의 이웃하는 두 변의 길이는 각각
=311´314´306 5x+2, x+4
따라서 구하는 직사각형의 둘레의 길이는
2(5x+2)+2(x+4)‌=10x+4+2x+8
06 다항식 xÝ`-2(aÛ`+bÛ`)xÛ`+(aÛ`-bÛ`)Û`에서 xÛ`=t로 놓고 =12x+12
인수분해하면 =12+12'3
xÝ`-2(aÛ`+bÛ`)xÛ`+(aÛ`-bÛ`)Û` ∴ a=12, b=12
=tÛ`-2(aÛ`+bÛ`)t+(aÛ`-bÛ`)Û` ∴ a+b=12+12=24 답 24
=tÛ`-2(aÛ`+bÛ`)t+(a+b)Û`(a-b)Û`
blacklabel 특강 풀이첨삭
={t-(a+b)Û`}{t-(a-b)Û`}
={xÛ`-(a+b)Û`}{xÛ`-(a-b)Û`} 색종이 24장의 넓이의 합 S는
S‌=5_('3_'3)+11_(2_'3)+8_(1_1)
=(x+a+b)(x-a-b)(x+a-b)(x-a+b) =5_('3)Û`+22_('3)+8
한편, 다항식 xÛ`-4aÛ`을 인수분해하면 =(5'3+2)('3+4)
이므로 이웃하는 두 변의 길이가 5'3+2와 '3+4인 직사각형의 넓
xÛ`-4aÛ`=(x+2a)(x-2a) 이 (5'3+2)('3+4)와 같다.
-2a인 경우는 부호만 반대이기 때문에 따로
Ú a+b=2a이면 생각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24장의 색종이를 모두 사용하여 겹치지 않게 빈틈없이 이어
붙인 직사각형의 이웃하는 두 변의 길이는 5'3+2와 '3+4이다.
a=b이므로 a, b는 서로 같은 자연수이다.
Â3 Â3 Â3 Â3 Â3 2
Û -a-b=2a이면
Â3 Â3
3a=-b이므로 a, b 중 자연수가 아닌 것이 존재한다.
1
2
Ü a-b=2a이면 1
a=-b이므로 a, b 중 자연수가 아닌 것이 존재한다. 1
2
1
Ý -a+b=2a이면
Â3 Â3 Â3 Â3 Â3 1 1
3a=b이므로 a, b는 서로 다른 자연수이다.
Ú~Ý에서 3a=b이고 a, b가 서로 다른 한 자리 짝수이
므로
a=2, b=6   ∴ aÛ`+bÛ`=4+36=40 답 40
08 (a+b)(b+c)(c+a)+abc
다른풀이 =abc+aÛ`b+acÛ`+aÛ`c+bÛ`c+abÛ`+bcÛ`+abc+abc
f(x)=xÝ`-2(aÛ`+bÛ`)xÛ`+(aÛ`-bÛ`)Û`이라 하면 =(b+c)aÛ`+(bÛ`+2bc+cÛ`)a+bc(a+b+c)

Ⅰ. 다항식 | 021

블랙고등수학(상)-해설.indb 21 17. 6. 14. 오후 4:08


A n s w e r

=(b+c)aÛ`+(b+c)Û`a+bc(a+b+c) 다른풀이

=a(b+c)(a+b+c)+bc(a+b+c) 주어진 다항식을 x에 대한 내림차순으로 정리하면


=(a+b+c)(ab+bc+ca) xÛ`+(4y-1)x+3yÛ`+y+k
 답 (a+b+c)(ab+bc+ca) 이때, 두 일차식의 곱으로 인수분해되려면 이차방정식
xÛ`+(4y-1)x+3yÛ`+y+k=0에서
-(4y-1)Ñ"Ã(4y-1)Û`-4(3yÛ`+y+k)
x= 의 근호 안
2
09 (a-b)cÜ`-(aÛ`-bÛ`)cÛ`-(aÜ`-aÛ`b+abÛ`-bÜ`)c 의 식 (4y-1)Û`-4(3yÛ`+y+k)가 완전제곱식이 되어야
 +(aÝ`-bÝ`)=0 하므로 이차방정식 4yÛ`-12y+1-4k=0의 판별식을 D
에서 라 하면
(a-b)cÜ`-(a+b)(a-b)cÛ`-{aÛ`(a-b)+bÛ`(a-b)}c D
=(-6)Û`-4(1-4k)=0   ∴ k=-2
 +(aÛ`+bÛ`)(aÛ`-bÛ`)=0 4
(a-b)cÜ`-(a+b)(a-b)cÛ`-(a-b)(aÛ`+bÛ`)c
blacklabel 특강 필수 원리
 +(a+b)(a-b)(aÛ`+bÛ`)=0
a, b, c가 실수일 때, 이차식 axÛ`+bx+c`(a+0)가
(a-b){cÜ`-(a+b)cÛ`-(aÛ`+bÛ`)c    axÛ`+bx+c=a(x-a)(x-b)`(a, b는 유리수)
 +(a+b)(aÛ`+bÛ`)}=0 와 같이 계수와 상수항이 모두 유리수인 두 일차식의 곱으로 표현되
려면 이차방정식
(a-b)[cÛ`{c-(a+b)}-(aÛ`+bÛ`){c-(a+b)}]=0 -bÑ"ÃbÛ`-4ac
axÛ`+bx+c=0`(a+0)의 두 근 x= 가 모두 유리
2a
(a-b)(c-a-b)(cÛ`-aÛ`-bÛ`)=0
수이어야 한다. 즉, 근호 안의 값 bÛ`-4ac가 유리수의 제곱이 되어야
이때, c-a-b+0이므로 a-b=0 또는 cÛ`-aÛ`-bÛ`=0 한다.

∴ a=b 또는 cÛ`=aÛ`+bÛ`
따라서 구하는 삼각형은 빗변의 길이가 c인 직각삼각형
또는 a=b인 이등변삼각형이다. 답⑤ 11 f(b, a, c)+f(c, a, b)=-3에서
b a c c a b
+ + + + + =-3
blacklabel 특강 필수 개념 a c b a b c
이때,
세 변의 길이에 따른 삼각형의 모양
삼각형 ABC의 세 변의 길이를 a, b, c`(c가 가장 긴 변)라 하면
bÛ`c+bcÛ`+aÛ`b+abÛ`+cÛ`a+caÛ`
⑴ cÛ`=aÛ`+bÛ`:직각삼각형 ⑵ cÛ`<aÛ`+bÛ`:예각삼각형 =(b+c)aÛ`+(bÛ`+cÛ`)a+bc(b+c)
⑶ cÛ`>aÛ`+bÛ`:둔각삼각형 ⑷ a=b=c:정삼각형
⑸ a=b:이등변삼각형
=(b+c)aÛ`+(bÛ`+3bc+cÛ`)a+bc(b+c)-3abc
={a+(b+c)}{(b+c)a+bc}-3abc
=(a+b+c)(ab+bc+ca)-3abc
서울대 선배들의 강추문제 1등급 비법 노하우
이므로
이 문제는 식을 정리한 후 인수분해하여 삼각형의 모양을 판단하는
b a c c a b
문제이다. 내신 시험에서 자주 출제되는 문제이므로 조건에 따른 삼각 + + + + +
a c b a b c
형의 변의 길이에 대한 특징을 미리 암기해 두도록 하자.
bÛ`c+bcÛ`+aÛ`b+abÛ`+cÛ`a+caÛ`
=
abc
(a+b+c)(ab+bc+ca)-3abc
= =-3
abc
(a+b+c)(ab+bc+ca)-3abc=-3abc
10 주어진 다항식을 x에 대한 내림차순으로 정리하면
(a+b+c)(ab+bc+ca)=0
xÛ`+(4y-1)x+3yÛ`+y+k
∴ ab+bc+ca=0 (∵ a+b+c+0)
이때, 두 일차식의 곱으로 인수분해되려면 4y-1은 y에
1 1 1 ab+bc+ca
대한 두 일차식의 합, 3yÛ`+y+k는 y에 대한 두 일차식의 ∴ + + = =0 답③
a b c abc
곱으로 나타낼 수 있어야 하므로 y에 대한 두 일차식을
단계 채점 기준 배점
y+a, 3y+b`(a, b는 상수)라 하자. ㈎ f(b, a, c)+f(c, a, b)를 정리한 경우 50%
(y+a)+(3y+b)=4y-1이므로 f(b, a, c)+f(c, a, b)=-3을 만족시키는 조건을
㈏ 30%
구한 경우
a+b=-1 yy㉠
1 1 1
(y+a)(3y+b)=3yÛ`+y+k이므로 ㈏에서 구한 조건을 이용하여 + + 의 값을
㈐ a b c 20%
구한 경우
3yÛ`+(3a+b)y+ab=3yÛ`+y+k
∴ 3a+b=1, ab=k yy㉡
㉠, ㉡을 연립하여 풀면 a=1, b=-2 12 f(x)=xÝ`+xÜ`-3xÛ`-4x-4라 하면
∴ k=1_(-2)=-2 답 -2 f(2)=0, f(-2)=0

022 | 블랙라벨 수학 (상)

블랙고등수학(상)-해설.indb 22 17. 6. 14. 오후 4:08


본문 pp. 20~21

이므로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인수분해하면 =(x-y)(xÛ`+xy-2yÛ`)


2 1 1 -3 -4 -4 =(x-y)(x-y)(x+2y)
2 6 6 4 =(x-y)Û`(x+2y)
-2 1 3 3 2 0
-2 -2 -2 14 f(x)=3xÜ`+(k-3)xÛ`+(6-k)x-6이라 하면
1 1 1 0 f(1)=0이므로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인수분해하면
1 3 k-3 6-k -6
∴ f(x)=(x-2)(x+2)(xÛ`+x+1)
3 ` k ` 6
이때, g(x)=axÝ`+bxÜ`+cxÛ`-16a라 하면 두 다항식
3 k ` 6 ` 0
f(x), g(x)가 일차식인 공통인수를 가지므로 g(x)는
x-2 또는 x+2를 인수로 가져야 한다. ∴ 3xÜ
‌ `+(k-3)xÛ`+(6-k)x-6
Ú g(x)가 x-2를 인수로 갖는 경우 =(x-1)(3xÛ`+kx+6)
g(2)=16a+8b+4c-16a=0에서 c=-2b 이때, 3xÛ`+kx+6=(3x+a)(x+b)(a, b는 정수)라
그런데 b, c는 모두 양수이므로 성립하지 않는다. 하면 3xÛ`+kx+6=3xÛ`+(a+3b)x+ab에서
Û g(x)가 x+2를 인수로 갖는 경우 k=a+3b, 6=ab
g(-2)=16a-8b+4c-16a=0에서 c=2b 이므로 a=1, b=6일 때 M=1+3_6=19,
Ú, Û에서 c=2b이므로 a=-1, b=-6일 때 m=-1+3_(-6)=-19
axÞ`+bxÛ`-4ax-c‌=axÞ`+bxÛ`-4ax-2b ∴ M-m=19-(-19)=38 답 38
=ax(xÝ`-4)+b(xÛ`-2) 다른풀이
=ax(xÛ`-2)(xÛ`+2)+b(xÛ`-2) 3xÜ`+(k-3)xÛ`+(6-k)x-6
=(xÛ`-2){ax(xÛ`+2)+b} =3xÜ`+kxÛ`-3xÛ`+6x-kx-6
=(xÛ`-2)(axÜ`+2ax+b) =3xÛ`(x-1)+kx(x-1)+6(x-1)
따라서 다항식 axÞ`+bxÛ`-4ax-c의 인수인 것은 =(x-1)(3xÛ`+kx+6)
④ xÛ`-2이다. 답④

Step 3 1등급을 넘어서는 종합 사고력 문제 p. 21

13 구하는 입체도형의 부피는 한 모서리의 길이가 x인 정육 01 3 02 5 03 10'3 04 ② 05 ⑤


면체의 부피에서 구멍 부분의 부피를 빼면 된다. 06 240 07 18 08 128
이때, 구멍 부분의 부피는 한 변의 길이가 y인 정사각형
을 밑면으로 하고, 높이가 x인 정사각기둥 3개의 부피의
합에서 중복된 부분인 한 모서리의 길이가 y인 정육면체 01 해결단계

의 부피를 두 번 빼서 구할 수 있다. ➊ 단계 문자 c에 대하여 내림차순으로 정리한다.


a, b, c는 삼각형의 세 변의 길이이므로 등식을 만족시키는
즉, 구멍 부분의 부피는 3xyÛ`-2yÜ`이므로 구하는 입체도 ➋ 단계
a, b, c 사이의 관계를 구한다.
형의 부피는 ➌ 단계 삼각형 ABC의 넓이를 구한다.
xÜ`-(3xyÛ`-2yÜ`)=xÜ`-3xyÛ`+2yÜ`
주어진 다항식의 좌변을 c에 대하여 내림차순으로 정리하
이때, f(x)=xÜ`-3xyÛ`+2yÜ`이라 하면 `f(y)=0이므로
여 인수분해하면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인수분해하면
(a+b)Û`(aÛ`+bÛ`)-2(aÛ`+ab+bÛ`)cÛ`+cÝ`
y 1 0 -3y2 2y3 =cÝ`-2(aÛ`+ab+bÛ`)cÛ`+(aÛ`+2ab+bÛ`)(aÛ`+bÛ`)
y y2` -2y3
={cÛ`-(aÛ`+2ab+bÛ`)}{cÛ`-(aÛ`+bÛ`)}
1 y -2y2 0
={cÛ`-(a+b)Û`}{cÛ`-(aÛ`+bÛ`)}
∴ xÜ`-3xyÛ`+2yÜ`=(x-y)(xÛ`+xy-2yÛ`) ={c+(a+b)}{c-(a+b)}{cÛ`-(aÛ`+bÛ`)}
=(x-y)(x-y)(x+2y) ∴ (c+a+b)(c-a-b)(cÛ`-aÛ`-bÛ`)=0
=(x-y)Û`(x+2y) 답①
a, b, c는 삼각형의 세 변의 길이이므로
다른풀이 c+a+b>0, c+a+b   ∴ cÛ`=aÛ`+bÛ`
xÜ`-3xyÛ`+2yÜ` 즉, 삼각형 ABC는 빗변의 길이가 c, 나머지 두 변의 길
=xÜ`-xyÛ`-2xyÛ`+2yÜ` 이가 a, b인 직각삼각형이다.
=x(x+y)(x-y)-2yÛ`(x-y) 이때, 가장 긴 변의 길이가 '1Œ3이고, 나머지 두 변의 길
=(x-y){x(x+y)-2yÛ`} 이의 합이 5이므로

Ⅰ. 다항식 | 023

블랙고등수학(상)-해설.indb 23 17. 6. 14. 오후 4:08


A n s w e r

a+b=5, c='1Œ3에서 a+b=5, aÛ`+bÛ`=13 ㄱ. a=0, b=-2이므로


1 1 `f(x)=xÝ`-2xÛ`+1=(xÛ`-1)Û`=(x+1)Û`(x-1)Û`
∴ ab= {(a+b)Û`-(aÛ`+bÛ`)}= (25-13)=6
2 2
즉, 서로 다른 일차식의 개수는 2이므로
따라서 삼각형 ABC의 넓이는
N(0, -2)=2이다. (참)
1 1
ab= _6=3 답3 ㄴ. ‌b=2이므로
2 2
`f(x)=xÝ`+2axÜ`+2xÛ`+2ax+1
2a 1
=xÛ`{xÛ`+2ax+2+ + }
02 해결단계 x xÛ`

=xÛ`[{x+ }2`+2a{x+ }]
➊ 단계 nÝ`+4를 인수분해한다. 1 1
➋ 단계 nÝ`+4가 소수임을 이용하여 자연수 n의 값을 구한다. x x
1 1
=xÛ`{x+ }{x+ +2a}
➌ 단계 n의 값에 따른 소수를 구한다.
x x
nÝ`+4는 소수이고,
=(xÛ`+1)(xÛ`+2ax+1)
nÝ`+4=(nÝ`+4nÛ`+4)-4nÛ`=(nÛ`+2)Û`-(2n)Û`
‌이때, N(a, 2)=1이므로 f(x)의 인수 중에서 서로
=(nÛ`+2n+2)(nÛ`-2n+2)
다른 일차식이 1개이려면 인수 xÛ`+2ax+1이 완전제
이므로 nÛ`+2n+2, nÛ`-2n+2 중에서 하나는 1이어야
곱식이어야 한다.
한다.
즉, a=Ñ1이므로 조건을 만족시키는 a는 2개이다.
Ún
 Û`+2n+2=1일 때, nÛ`+2n+1=0
 (참)
(n+1)Û`=0   ∴ n=-1
ㄷ. ‌b=aÛ`+2이면
그런데 n은 자연수이므로 모순이다.
f(x)=xÝ`+2axÜ`+(aÛ`+2)xÛ`+2ax+1
Ûn
 Û`-2n+2=1일 때, nÛ`-2n+1=0
2a 1
(n-1)Û`=0   ∴ n=1 =xÛ`{xÛ`+2ax+aÛ`+2+ + }
x xÛ`

=xÛ`[{x+ }2`+2a{x+ }+aÛ`]


Ú, Û에서 n=1이므로 a=1Ý`+4=5 1 1
즉, 구하는 소수는 5이다. 답5 x x

=xÛ`{x+ +a}2`=(xÛ`+ax+1)Û`
1
x
03 해결단계
이므로 a+Ñ2이면 일차식인 인수는 없다. (거짓)
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이용하여 두 직사각형의 대각선의 길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이다. 답②
➊ 단계
이를 구한다.
ad-bc=10과 ac+bd를 이용하여 인수분해가 가능한 식
➋ 단계
을 만든 후 ac+bd의 값을 구한다. 05 해결단계

주어진 다항식이 계수와 상수항이 모두 자연수인 서로 다른


원에 내접하는 직사각형의 대각선은 원의 지름과 같으므 ➊ 단계
일차식의 곱으로만 인수분해 되는 경우를 생각한다.
로 내접하는 두 직사각형의 대각선의 길이는 2'5이다. an-1의 값의 의미를 파악한 후 ➊단계에서 나눈 경우에 따
➋ 단계
∴ aÛ`+bÛ`=20, cÛ`+dÛ`=20   yy㉠ 라 an-1의 값을 구한다.
직사각형 A의 직사각형 B의 가로, 세로의 길이는
가로, 세로의 (ac+bd)Û`+(ad-bc)Û` 각각 c, d 상수항이 1000=2Ü`_5Ü`이므로 주어진 다항식의 서로 다
길이는 각각 a, b
=(aÛ`cÛ`+2abcd+bÛ`dÛ`)+(aÛ`dÛ`-2abcd+bÛ`cÛ`) 른 일차식인 인수를 x+aÁ, x+aª, y, x+aÇ이라 하면
=aÛ`cÛ`+bÛ`dÛ`+aÛ`dÛ`+bÛ`cÛ` aÔ (i=1, 2, 3, y, n)는 1000의 양의 약수이어야 한다.
=aÛ`(cÛ`+dÛ`)+bÛ`(cÛ`+dÛ`) 이때, an-1의 값은 서로 다른 일차식인 인수의 상수항의
=(aÛ`+bÛ`)(cÛ`+dÛ`)=400`(∵ ㉠) 합이므로
이고, ad-bc=10이므로 ① (x+2)(x+4)(x+125)일
‌ 때,
(ac+bd)Û`‌=400-(ad-bc)Û` an-1=2+4+125=131
=400-100 ② (x+1)(x+2)(x+4)(x+125)일
‌ 때,
=300 an-1=1+2+4+125=132
∴ ac+bd=10'3`(∵ ac+bd>0) 답 10'3 ③ (x+8)(x+125)일
‌ 때,
an-1=8+125=133

04 해결단계 ④ (x+1)(x+8)(x+125)일
‌ 때,

ㄱ은 a=0, b=-2를 대입하여 f(x)를 인수분해한 후 서


an-1=1+8+125=134
➊ 단계
로 다른 일차식의 개수를 구한다. 즉, aÔ (i=1, 2, 3, y, n) 중 가장 큰 수가 125이면
ㄴ은 b=2를 대입하여 f(x)를 인수분해한 후 서로 다른 일
➋ 단계 an-1의 최댓값은 134이다.
차식의 개수가 1이 되는 a의 개수를 구한다.
ㄷ은 b=aÛ`+2를 대입하여 a의 값에 따른 일차식의 개수를 그런데 aÁ, aª, a£, y, aÇ 중 가장 큰 수가 125보다 큰 경
➌ 단계
구한다. 우, 즉 200, 250, 500, 1000인 경우는 an-1의 값이 135

024 | 블랙라벨 수학 (상)

블랙고등수학(상)-해설.indb 24 17. 6. 14. 오후 4:08


본문 p. 21

를 넘게 된다. 나눌 수 있다.
따라서 an-1의 값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⑤ 135이다. Ú xÝ`-axÛ`+1이 완전제곱식인 경우
 답⑤ xÛ`=X로 놓으면 xÝ`-axÛ`+1=XÛ`-aX+1
‌이차방정식 XÛ`-aX+1=0이 중근을 가져야 하므로
판별식을 D라 하면
06 해결단계
D=aÛ`-4=0, (a+2)(a-2)=0
➊ 단계 좌변을 인수분해하고, 우변을 소인수분해한다.
➊단계의 결과를 이용하여 경우를 나누어 등식을 만족시키 ∴ a=2 (∵ a는 자연수)
➋ 단계
는 한 자리의 자연수 a, b, c를 구한 후, abc의 값을 구한다. Û ‌xÝ`-axÛ`+1=(xÛ`+1)Û`-(Ax)Û` (A는 자연수) 꼴인
주어진 등식의 좌변을 인수분해하면 경우
aÜ`(b-c)+bÜ`(c-a)+cÜ`(a-b) xÝ`-axÛ`+1‌=(xÝ`+2xÛ`+1)-(a+2)xÛ`
=aÜ`(b-c)+bÜ`c-bÜ`a+cÜ`a-cÜ`b =(xÛ`+1)Û`-(a+2)xÛ`
=aÜ`(b-c)-(bÜ`-cÜ`)a+bc(bÛ`-cÛ`) ‌위의 식이 인수분해되려면 a+2가 제곱수이어야 하고
=aÜ`(b-c)-(b-c)(bÛ`+bc+cÛ`)a+bc(b+c)(b-c) a는 100 이하의 자연수이므로
=(b-c)(aÜ`-abÛ`-abc-acÛ`+bÛ`c+bcÛ`) a+2=2Û`, 3Û`, 4Û`, y, 10Û`
=(b-c){a(aÛ`-bÛ`)-bc(a-b)-cÛ`(a-b)} ∴ a=2, 7, 14, y, 98
=(b-c){a(a+b)(a-b)-bc(a-b)-cÛ`(a-b)} 즉, 조건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a의 개수는 9이다.
=(b-c)(a-b)(aÛ`+ab-bc-cÛ`) Ü ‌xÝ`-axÛ`+1=(xÛ`-1)Û`-(Bx)Û` (B는 자연수) 꼴인
=(b-c)(a-b){(aÛ`-cÛ`)+b(a-c)} 경우
=(b-c)(a-b)(a-c)(a+b+c) yy㉠ xÝ`-axÛ`+1‌=(xÝ`-2xÛ`+1)-(a-2)xÛ`
우변을 소인수분해하면 114=2_3_19이고, ㉠에서 =(xÛ`-1)Û`-(a-2)xÛ`
(b-c)+(a-b)=a-c이다. ‌위의 식이 인수분해되려면 a-2가 제곱수이어야 하고
Ú (b-c)(a-b)(a-c)=1_1_2인 경우 a는 100 이하의 자연수이므로
‌a+b+c=3_19 yy㉡ a-2=1Û`, 2Û`, 3Û`, y, 9Û`
그런데 a, b, c는 모두 한 자리 자연수이므로 ∴ a=3, 6, 11, y, 83
a+b+cÉ27이다. 즉, 조건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a의 개수는 9이다.
즉, ㉡에 모순이다. Ú, Û, Ü에서 구하는 자연수 a의 개수는
Û (b-c)(a-b)(a-c)=1_2_3인 경우 1+9+9-1=18 (∵ a=2 중복) 답 18
a+b+c=19 yy㉢ 다른풀이
‌이고, 이를 만족시키는 세 자연수는 자연수 k에 대하 Ú ‌xÝ`-axÛ`+1=(xÛ`+mx+1)(xÛ`+nx+1) (m, n은
여 k, k+2, k+3 또는 k, k+1, k+3이어야 하므로 정수)일 때,
k, k+2, k+3을 ㉢에 대입하면 ‌xÝ`-axÛ`+1
k+k+2+k+3=19 =(xÛ`+mx+1)(xÛ`+nx+1)
14 =xÝ`+(m+n)xÜ`+(mn+2)xÛ`+(m+n)x+1
3k=14   ∴ k=
3
m+n=0, mn+2=-a이므로 n=-m을
그런데 k는 자연수이므로 모순이다.
mn+2=-a에 대입하면 a=mÛ`-2 yy㉠
k, k+1, k+3을 ㉢에 대입하면
‌이때, 1ÉaÉ100인 자연수이므로
k+k+1+k+3=19
1ÉmÛ`-2É100에서 3ÉmÛ`É102
3k=15   ∴ k=5
∴ m=Ñ2, Ñ3, Ñ4, y, Ñ10
따라서 세 자연수 a, b, c는 5, 6, 8 중에서 각각 한 개
이를 ㉠에 각각 대입하면 a=2, 7, 14, y, 98
의 값을 갖는다.
즉, 조건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a의 개수는 9이다.
Ú, Û에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세 자연수는 5, 6, 8이므
Û ‌xÝ`-axÛ`+1=(xÛ`+mx-1)(xÛ`+nx-1) (m, n은
로 abc=5_6_8=240 답 240
정수)일 때,
xÝ`-axÛ`+1
07 해결단계
=(xÛ`+mx-1)(xÛ`+nx-1)
xÝ`-axÛ`+1을 치환하여 인수분해하는 경우와 이차항을 분
➊ 단계 =xÝ`+(m+n)xÜ`+(mn-2)xÛ`-(m+n)x+1
리하여 인수분해하는 경우로 나눈다.
➊단계에서 나눈 경우에 따라 인수분해가 될 수 있는 자연 m+n=0, mn-2=-a이므로 n=-m을
➋ 단계
수 a의 값을 구한다. mn-2=-a에 대입하면 a=mÛ`+2 yy㉡
xÝ`+axÛ`+b 꼴의 다항식이 인수분해되려면 다음 경우로 ‌이때, 1ÉaÉ100인 자연수이므로

Ⅰ. 다항식 | 025

블랙고등수학(상)-해설.indb 25 17. 6. 14. 오후 4:08


A n s w e r

1ÉmÛ`+2É100에서 0ÉmÛ`É98 ㉡을 위의 식에 대입하면


∴ m=0, Ñ1, Ñ2, Ñ3, y, Ñ9 1 aÛ`+bÛ`+cÛ`
S= S
2 64
이를 ㉡에 각각 대입하면 a=2, 3, 6, 11, y, 83
∴ aÛ`+bÛ`+cÛ`=32 yy㉢
즉, 조건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a의 개수는 10이다.
또한, (a+b+c)Û`=aÛ`+bÛ`+cÛ`+2(ab+bc+ca)에서
Ú, Û에서 구하는 자연수 a의 개수는
8Û`=32+2(ab+bc+ca) (∵ ㉠, ㉢)
9+10-1=18 (∵ a=2 중복)
2(ab+bc+ca)=32
∴ ab+bc+ca=16 yy㉣
08 해결단계
‌ `+bÜ`+cÜ`-3abc
∴ aÜ
두 선분 PÁQÁ, RªQª의 교점을 D라 하였을 때, 네 삼각형
=(a+b+c)(aÛ`+bÛ`+cÛ`-ab-bc-ca)
➊ 단계 ABC, RÁQÁC, DQªQÁ, PªBQª의 넓이를 각각 S, x, y, z
로 놓고 관계식을 구한다. =8_(32-16) (∵ ㉠, ㉢, ㉣)
네 삼각형 ABC, RÁQÁC, DQªQÁ, PªBQª가 서로 닮음임을 =8_16=128 답 128
➋ 단계
이용하여 x, y, z를 S, a, b, c로 표현한다.
➊단계와 ➋단계에서 구한 식을 이용하여 ab+bc+ca의
➌ 단계
값을 구한 후, aÜ`+bÜ`+cÜ`-3abc의 값을 구한다.

ABÓ=8이므로 ABÓ=AÕPÁÓ+PÕÁPªÓ+PÕªBÓ에서
a+b+c=8 yy㉠ 이것이 수능 p. 22
A
a
1 ④ 2 ① 3 ⑤ 4 15

R™
b
P™
D

c
1 해결단계
B C
Q™ Q¡ ➊ 단계 xÛ`-x=t로 놓고 t에 대한 식을 인수분해한다.
위의 그림과 같이 두 선분 PÁQÁ, RªQª의 교점을 D라 하 t=xÛ`-x를 다시 대입하여 a, b, c의 값을 구한 후,
➋ 단계
a+b+c의 값을 구한다.
고, 삼각형 ABC의 넓이를 S, 삼각형 RÁQÁC의 넓이를
x, 삼각형 DQªQÁ의 넓이를 y, 삼각형 PªBQª의 넓이를 xÛ`-x=t로 놓으면

z라 하면 (xÛ`-x)Û`+2xÛ`-2x-15‌=tÛ`+2t-15

1 =(t+5)(t-3)
x+y+z= S yy㉡
2 =(xÛ`-x+5)(xÛ`-x-3)
이때, 세 선분 AC, PÁQÁ, PªQª와 세 선분 AB, RªQª, 이므로 a=-1, b=5, c=-3 또는 a=-1, b=-3,
RÁQÁ이 각각 평행하므로 네 삼각형 ABC, RÁQÁC, c=5
DQªQÁ, PªBQª는 모두 닮음이다. ∴ a+b+c=1 답④
Ú ‌두 삼각형 ABC, RÁQÁC의 닮음비는 ABÓ`:`AÕPÁÓ, 즉
8`:`a이고 넓이의 비는 8Û``:`aÛ`이므로
2 해결단계
S`:`x=64`:`aÛ`, 64x=SaÛ`
218=n으로 놓고 분모, 분자를 각각 n에 대하여 인수분해
➊ 단계
aÛ` 한 후 약분한다.
∴ x= S
64 ➋ 단계 n=218을 대입하여 주어진 식의 값을 계산한다.
Û ‌두 삼각형 ABC, DQªQÁ의 닮음비는 ABÓ`:`PÕÁPªÓ, 즉
218=n으로 놓으면
8`:`b이고 넓이의 비는 8Û``:`bÛ`이므로
218Ü`+1‌=nÜ`+1
S`:`y=64`:`bÛ`, 64y=SbÛ`
=(n+1)(nÛ`-n+1)
bÛ`
∴ y= S 217Ü`-1‌=(n-1)Ü`-1
64
Ü ‌두 삼각형 ABC, PªBQª의 닮음비는 ABÓ`:`PÕªBÓ, 즉 ={(n-1)-1}{(n-1)Û`+(n-1)+1}
8`:`c이고 넓이의 비는 8Û``:`cÛ`이므로 =(n-2)(nÛ`-n+1)
S`:`z=64`:`cÛ`, 64z=ScÛ` 218Ü`+1 (n+1)(nÛ`-n+1) n+1
∴ ‌= =
217Ü`-1 (n-2)(nÛ`-n+1) n-2
cÛ`
∴ z= S 218+1 219
64 = =
218-2 216
Ú, Û, Ü에서
73
aÛ` bÛ` cÛ` =  답①
x+y+z‌= S+ S+ S 72
64 64 64
다른풀이
aÛ`+bÛ`+cÛ`
= S
64 217=n으로 놓으면

026 | 블랙라벨 수학 (상)

블랙고등수학(상)-해설.indb 26 17. 6. 14. 오후 4:08


본문 pp. 21~25

218Ü`+1=(n+1)Ü`+1

II
={(n+1)+1}{(n+1)Û`-(n+1)+1}
=(n+2)(nÛ`+n+1) 방정식과 부등식
217Ü`-1=nÜ`-1
=(n-1)(nÛ`+n+1)
218Ü`+1 (n+2)(nÛ`+n+1) n+2
∴ = =
217Ü`-1 (n-1)(nÛ`+n+1) n-1

=
217+2 219
=
03 복소수
217-1 216
73 Step 1 출제율 100% 우수 기출 대표 문제 p. 25
=
72
01 ② 02 28 03 ② 04 7 05 ④
06 ⑤ 07 ① 08 -x-2y+5

3 해결단계
1+i (1+i)Û` 1+2i-1
➊ 단계 바닥 전체의 가로, 세로의 길이를 각각 인수분해한다. 01 =
1-i (1-i)(1+i)
=
2
=i

1-i 1-2i-1
{ }2`=
➋ 단계 ➊단계의 결과를 이용하여 필요한 타일의 개수를 구한다.
=-i
'2 2
`f(n)=nÜ`+7nÛ`+14n+8이라 하면 f(-1)=0이므로
1-i 1
오른쪽과 같이 조립제법을 -1 1 7 14 8 = =-i
1+i i
이용하여 인수분해하면 -1 -6 -8 1+i 27 1-i 28 1-i 29
∴{ } +{ } -{ }
`f(n)=nÜ`+7nÛ`+14n+8 1 6 8 0 1-i '2 1+i
=(n+1)(nÛ`+6n+8) =i 27+(-i)14-(-i)29
=(n+1)(n+2)(n+4) =(i Ý`)ß`_i Ü`+{(-i)Ý`}Ü`_(-i)Û`-{(-i)Ý`}à`_(-i)
즉, 바닥 전체의 가로의 길이는 (n+1)(n+2)(n+4), =i Ü`+(-i)Û`-(-i)
세로의 길이는 nÛ`+4n+3=(n+1)(n+3)이므로 한 =-i-1+i=-1 답②

변의 길이가 n+1인 정사각형이 가로에 (n+2)(n+4)


개, 세로에 (n+3)개가 생긴다.
02 (xÛ`-yÛ`-2x+5y)+(5-xy)i=2x+y+2i에서
따라서 필요한 타일의 개수는 (n+2)(n+3)(n+4)이다. 복소수가 서로 같을 조건에 의하여
답⑤ xÛ`-yÛ`-2x+5y=2x+y yy㉠
5-xy=2 yy㉡
㉠에서 xÛ`-yÛ`-4x+4y=0
(x-y)(x+y)-4(x-y)=0
4 해결단계
(x-y)(x+y-4)=0 ∴ x+y=4 (∵ x+y)
여섯 개의 꼭짓점에 적힌 자연수를 a, b, c, d, e, f라 하고,
➊ 단계 ㉡에서 xy=3
각 면에 적힌 수의 합을 문자로 나타낸다.
➋ 단계 ➊단계에서 구한 식을 인수분해한다. ∴ xÜ`+yÜ`=(x+y)Ü`-3xy(x+y)
➋단계의 결과를 이용하여 여섯 개의 꼭짓점에 적힌 수들의 =4Ü`-3_3_4=28 답 28
➌ 단계
합을 구한다.

오른쪽 그림과 같이 여섯 개의 꼭짓 a
2 2
점에 적힌 자연수를 a, b, c, d, e, f 03 x=
1+'3i
, y=
1-'3i
에서
b
라 하면 여덟 개의 정삼각형의 면에 e 2 2 2(1-'3i+1+'3i)
c x+y= + =
적힌 수의 합은 d
1+'3i 1-'3i (1+'3i)(1-'3i)
abc+acd+abe+ade 4
= =1
1+3
+fbc+fcd+fbe+fde f
2 2 4
=(a+f)(bc+cd+be+de) xy= _ =
1+'3i 1-'3i (1+'3i)(1-'3i)
=(a+f){c(b+d)+e(b+d)} 4
= =1
=(a+f)(b+d)(c+e)=105 1+3
이때, a, b, c, d, e, f 는 모두 자연수이고, 105=7_5_3 xÛ` yÛ` xÜ`+yÜ` (x+y)Ü`-3xy(x+y)
∴ + = =
y x xy xy
이므로
1-3_1_1
(a+f)+(b+d)+(c+e)=7+5+3=15 답 15 = =-2 답②
1

Ⅱ. 방정식과 부등식 | 027

블랙고등수학(상)-해설.indb 27 17. 6. 14. 오후 4:08


A n s w e r

04 a=(2-n-5i)Û`=(2-n)Û`-25-10(2-n)i -1+'3i
2
_b-a+b-1=0
복소수 aÛ`이 음의 실수가 되기 위해서는 복소수 a가 순허
1 '3
수이어야 하므로 ∴ {-a+ b-1}+ bi=0
2 2
(2-n)Û`-25=0이고 2-n+0
복소수가 서로 같을 조건에 의하여
(n-2)Û`=25이고 n+2
1 '3
-a+ b-1=0, b=0
n-2=Ñ5이고 n+2 2 2
∴ n=-3 또는 n=7 ∴ a=-1, b=0
그런데 n은 자연수이므로 n=7 답7 ∴ a+b=-1 답①

05 z=a+bi`(a, b는 실수)라 하면 z®=a-bi 08 (xÛ`-1)(yÛ`-1)+0이므로


조건 ㈎에서 (z-z®-i)+zz®=5-3i이므로 (x+1)(x-1)(y+1)(y-1)+0 yy㉠

{(a+bi)-(a-bi)-i}+(a+bi)(a-bi)=5-3i 'Äx-1'Äy-1=-"Ã(x-1)(y-1)이고,
∴ (aÛ`+bÛ`)+(2b-1)i=5-3i ㉠에서 x-1+0, y-1+0이므로

복소수가 서로 같을 조건에 의하여 x-1<0, y-1<0

aÛ`+bÛ`=5, 2b-1=-3 ∴ x<1, y<1 yy㉡


∴ a=Ñ2, b=-1 yy㉠ 'Äx+1 x+1
=-¾Ð 이고, ㉠에서 x+1+0이므로
'Äy+1 y+1
이때, 조건 ㈏에서
x+1>0, y+1<0
z+z®=(a+bi)+(a-bi)=2a>0
∴ x>-1, y<-1 yy㉢
이므로 a>0 yy㉡
㉡, ㉢에서 -1<x<1, y<-1이므로
㉠, ㉡에서 a=2, b=-1이므로 조건을 모두 만족시키는
x-2<0, y-3<0, y<0
복소수 z는 z=2-i이다. 답④
∴ |x-2|+|y-3|+"ÅyÛ`‌=-(x-2)-(y-3)-y
=-x-2y+5
 답 -x-2y+5
06 ㄱ. z=a+bi (a, b는 실수)라 하면 z®=a-bi이므로
f(z)=zz®=(a+bi)(a-bi)=aÛ`+bÛ`¾0 (참)
ㄴ. f(z+x)‌=(z+x)Ã(z+x)=(z+x)(z®+x®)
=zz®+zx®+xz®+xx®
Step 2 1등급을 위한 최고의 변별력 문제 pp. 26~28
f(z)+f(x)=zz®
‌ +xx®
01 ① 02 7 03 ⑤ 04 75 05 1
∴ f(z+x)+f(z)+f(x) (거짓)
06 ④ 07 12 08 -4+6i 09 ① 10 0
ㄷ. f(zx)‌=zx´zxò=zx´z® x ®
11 ② 12 2+3i 13 ④ 14 ② 15 ④
=zz®´xx®=f(z)f(x) (참) 16 5 17 ① 18 3 19 ① 20 4i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답⑤ 21 ② 22 ④ 23 -144

1
01 i-2i Û`+3i Ü`-4i Ý`+5i Þ`-6i ß`+y-100i Ú`â`â`
07 ax+b
=x+1에서 (x+1)(ax+b)=1 =i+2-3i-4+5i+6-7i-8+y-100
∴ axÛ`+(a+b)x+b-1=0 yy㉠ =(i+2-3i-4)+(5i+6-7i-8)+y
-1+'3i  +(97i+98-99i-100)
x= 에서 2x=-1+'3i
2 =(-2i-2)_25=-50-50i
즉, 2x+1='3i이므로 이 식의 양변을 제곱하면 즉, -50-50i=a+bi이므로 복소수가 서로 같을 조건에
4xÛ`+4x+1=-3, 4xÛ`+4x+4=0 의하여 a=-50, b=-50
xÛ`+x+1=0 ∴ a+b=(-50)+(-50)=-100 답①
∴ xÛ`=-x-1 yy㉡
㉡을 ㉠에 대입하면 서울대 선배들의 강추 문제 1등급 비법 노하우

a(-x-1)+(a+b)x+b-1=0 i의 거듭제곱을 이용하여 식의 값을 계산하는 문제는 평가원·교육청


모의고사의 대표유형일 뿐만 아니라 내신 시험에서도 자주 출제되는
bx-a+b-1=0
유형이다. 지수에 있는 100, 1000 등의 큰 수에 당황하지 말고 i의 거
-1+'3i
이때, x= 이므로 듭제곱의 규칙성에 주목하여 문제를 해결하도록 하자.
2

028 | 블랙라벨 수학 (상)

블랙고등수학(상)-해설.indb 28 17. 6. 14. 오후 4:08


본문 pp. 25~26

02 (1-i)Ý`={(1-i)Û`}Û`=(-2i)Û`=-4이므로 Ú n=4k-3일 때,
(1-i)4k=(-4)û`=(-1)û`´4û` i Ç`+(-1)Ç`+(-i)Ç`=i-1-i=-1
-4û`  (k가 홀수) Û n=4k-2일 때,
∴ (1-i)4k=[` 
4û` (k가 짝수) i Ç`+(-1)Ç`+(-i)Ç`=-1+1-1=-1
즉, 주어진 등식 (1-i)µ``=-4Ç` 이 성립하려면 홀수 k에 Ü n=4k-1일 때,
대하여 m=4k, n=k이어야 한다. i Ç`+(-1)Ç`+(-i)Ç`=-i-1+i=-1
이때, m, n은 모두 두 자리의 자연수이므로 Ý n=4k일 때,
10ÉmÉ99, 10ÉnÉ99 i Ç`+(-1)Ç`+(-i)Ç`=1+1+1=3
∴ k=11, 13, 15, y, 23 Ú~Ý에서 z n+z2n+z3n=-1을 만족시키는 n은 4의
따라서 두 자리의 자연수 m, n의 순서쌍 (m, n)은 배수를 제외한 100 이하의 자연수이다.
(44, 11), (52, 13), (60, 15), (68, 17), (76, 19), 따라서 100 이하의 자연수 중 4의 배수는 25개이므로 구
(84, 21), (92, 23)의 7개이다. 답7 하는 자연수 n의 개수는
100-25=75(개) 답 75

단계 채점 기준 배점
㈎ 복소수 z를 간단히 한 후, zn+z2n+z3n을 정리한 경우 30%
자연수 k에 대하여 n=4k-3, 4k-2, 4k-1, 4k일

'2i n`
㈏ 50%
때의 zn+z2n+z3n의 값을 구한 경우

03 zÇ={ } 에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100 이하의 자연수 n의 개수를


1+i ㈐ 20%

}2`=
구한 경우
'2i -2
ㄱ. zª={
‌ =i이므로
1+i 2i

}4`=[{ }2`]2`=iÛ`=-1 (참)


blacklabel 특강
'2i '2i
풀이첨삭
z¢={
1+i 1+i zn+z2n+z3n=-1에서
zn+z2n+z3n+1=0, (zn+1)+z2n(zn+1)=0, (zn+1)(z2n+1)=0
ㄴ. z¥=(z¢)Û
‌ `=(-1)Û`=1
즉, zn=-1 또는 z2n=-1에서
이때, 2018=8_252+2이므로 zn=-1 또는 zn=i 또는 zn=-i
따라서 i n=-1 또는 i n=i 또는 i n=-i이다.
z2018=(z¥)252_zª=zª (참)
ㄷ. z£=zÁ_zª=izÁ,
‌
z°=zÁ_z¢=-zÁ,
2
z¦=zÁ_z¤=zÁ_zª_z¢=-izÁ
05 z=
-1+'3i
라 하면
∴ zÁ+z£+z°+z¦=zÁ(1+i-1-i)=0
2 2(-1-'3i)
또한, z»=zÁ_z¥=zÁ이므로 z= =
-1+'3i (-1+'3i)(-1-'3i)
zn+8=zÇ_z¥=zÇ 2(-1-'3i) -1-'3i
= =
1+3 2

}2`=
∴ zÁ+z£+z°+y+z
‌ 99

=(zÁ+z£+z°+z¦)+(z»+zÁÁ+zÁ£+zÁ°)+y -1-'3i -2+2'3i -1+'3i


zÛ`={ =
2 4 2
 +(z¥»+z»Á+z»£+z»°)+z»¦+z»»
-1-'3i -1+'3i
=z»¦+z»» zÜ`‌=zzÛ`= _
2 2
‌이때, 97=8_12+1, 99=8_12+3이므로 1+3
= =1
z»¦+z»»‌=zÁ+z£ 4
-1+'3i
=zÁ+izÁ=(1+i)zÁ ∴ zÞ`=zÛ`zÜ`=zÛ`=
2
'2i
=(1+i)_
1+i
='2i 1 '3
따라서 - +  i=a+bi이므로 복소수가 서로 같을
2 2
∴ zÁ+z£+z°+y+z»»='2i (참)
1 '3
조건에 의하여 a=- , b=
따라서 ㄱ, ㄴ, ㄷ 모두 옳다. 답⑤ 2 2

∴ aÛ`+bÛ`={- }2`+{ }2`=1


1 '3
답1
2 2
다른풀이 1

-1-'3i
z= 이므로 2z+1=-'3i
2
1+i (1+i)Û` 2i
04 z= = = =i이므로
1-i (1-i)(1+i) 2 위의 식의 양변을 제곱하면
2n 3n 2n 3n
z +z +z =i  +i  +i  =i  +(-1) +(-i)
n n n n n
4zÛ`+4z+1=-3, 4zÛ`+4z+4=0
자연수 k에 대하여 ∴ zÛ`+z+1=0 yy㉠

Ⅱ. 방정식과 부등식 | 029

블랙고등수학(상)-해설.indb 29 17. 6. 14. 오후 4:08


A n s w e r

-1+i -2i
}2`=
㉠의 양변에 z-1을 곱하면
xÛ`={ =-i
(z-1)(zÛ`+z+1)=0, zÜ`-1=0 '2 2
xÝ`=(xÛ`)Û`=-1
∴ zÜ`=1 yy㉡
∴ zÞ`‌=zÜ`zÛ`=zÛ``(∵ ㉡) ∴ x¡`=(xÝ`)Û`=(-1)Û`=1
n이 8의 배수일 때 xÇ`=1
=-1-z`(∵ ㉠) 따라서 xÇ`=1을 만족시키는 n은 8의 배수인 100 이하의
-1-'3i 1 '3 자연수이므로 8, 16, 24, y, 96의 12개이다. 답 12
=-1- =- + i
2 2 2
다른풀이 2

2
z=a+bi={
-1+'3i
}5`이라 하면 z®=a-bi이므로 08 서로 다른 두 복소수 x, y에 대하여
xÛ`-y=2i  yy㉠
zz®=(a+bi)(a-bi)=aÛ`+bÛ` [` 
yÛ`-x=2i  yy㉡
2 2
∴ aÛ`+bÛ`‌={ }5`_É{ }5` ㉠-㉡을 하면
-1+'3i -1+'3i
2 2® xÛ`-y-yÛ`+x=0, xÛ`-yÛ`+x-y=0
={ _ }5`
-1+'3i Ä-1+'3i (x+y)(x-y)+(x-y)=0
]5`={ }5`=1
2_2 4 ∴ (x-y)(x+y+1)=0
=[
(-1+'3i)(-1-'3i) 4
그런데 x+y이므로
x+y+1=0   ∴ x+y=-1   yy㉢
1+'2i 1-'2i ㉠+㉡을 하면
06 x=
2
에서 x®=
2
xÛ`-y+yÛ`-x=4i, xÛ`+yÛ`-(x+y)=4i
1+2 3
∴ x+x®=1, xx®= =    yy㉠ xÛ`+yÛ`+1=4i`(∵ ㉢)
4 4
3x+1 3x+1 3x+1 3x+1 (x+y)Û`-2xy=-1+4i
∴ zz®‌
=
 _Ð{ }= _ ®
5x-1 5x-1 5x-1 5x®-1 1-2xy=-1+4i`(∵ ㉢)
9xx®+3(x+x®)+1 ∴ xy=1-2i
=
25xx-® 5(x+x)® +1 ∴ (x+y)Ü`-3xy=(-1)Ü`-3(1-2i)
3
9_ +3+1 =-4+6i 답 -4+6i
4
= (∵ ㉠)
3
25_ -5+1
4
27+16 43
= = 
75-16 59
답④
09 이차방정식 (2+i)xÛ`+(kÛ`-i)x-2i=0의 실근을

다른풀이
x=a라 하면
(2+i)aÛ`+(kÛ`-i)a-2i=0
1+'2i
x= 에서 2x-1='2i (2aÛ`+akÛ`)+(aÛ`-a-2)i=0
2
위의 식의 양변을 제곱하면 a, k가 실수이므로 복소수가 서로 같을 조건에 의하여
4xÛ`-4x+1=-2 2aÛ`+akÛ`=0 yy㉠
[` 
∴ 4xÛ`-4x+3=0 aÛ`-a-2=0  yy㉡
이때, x와 x®는 계수가 실수인 이차방정식 ㉡에서 (a-2)(a+1)=0
4xÛ`-4x+3=0의 두 근이므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 ∴ a=2 또는 a=-1
의 관계에 의하여 Ú a=2인 경우
3 ㉠에서 8+2kÛ`=0   ∴ kÛ`=-4
x+x®=1, xx®=
4 ‌k는 실수이므로 조건을 만족시키는 k의 값은 존재하
지 않는다.

3+'2i (3+'2i)('2+3i) Û a=-1인 경우


07 z= =
'2-3i ('2-3i)('2+3i)

㉠에서 2-kÛ`=0, kÛ`=2
3'2+9i+2i-3'2 ∴ k=Ñ'2
= =i
2+9
Ú, Û에서 k=Ñ'2 답①
z=i에서 z®=-i이므로
z(1-z®) i{1-(-i)} i(1+i)
x‌
= = =
'2 '2 '2
-1+i 10 z=a+bi라 하면 Ã(a+bi)Û`=ÅzÛ`=z® Û`이므로 z® Û`=3-2i
=
'2 이때, (a-bi)Ý`=z® Ý`=(z® Û`)Û`=(3-2i)Û`=5-12i이므로

030 | 블랙라벨 수학 (상)

블랙고등수학(상)-해설.indb 30 17. 6. 14. 오후 4:08


본문 pp. 26~27

5-12i=
c+di
5+12i
13 실수 a, b, c, d, e, f에 대하여
a=a+bi, b=c+di, z=e+fi라 하자.
∴ c+di=(5-12i)(5+12i)=25+144=169
ㄱ. a®
‌ =a-bi, b®=c-di이므로
복소수가 서로 같을 조건에 의하여
ab®+a®b‌=(a+bi)(c-di)+(a-bi)(c+di)
c=169, d=0   ∴ cd=0 답0
=ac+bd-adi+bci+ac+bd+adi-bci
=2(ac+bd)
즉, ab®+a®b는 항상 실수이다.
1 a® 1 b®
11 aa®®=bb®=4이므로 = , =
a 4 b 4 ㄴ. z®‌ =e-fi이므로
또한, a+b=2-2'3i에서 Ãa+b=2+2'3i z+z®=(e+fi)+(e-fi)=2e   yy㉠
1 1 a® b® a®+b® Äa+b zz®=(e+fi)(e-fi)=eÛ`+f Û``    yy㉡
∴ + ‌= + = =
a b 4 4 4 4 ∴ zÛ`-zz®+z® Û`‌=(z+z®)Û`-3zz®
2+2'3i =(2e)Û`-3(eÛ`+f Û`) (∵ ㉠, ㉡)
=
4
=eÛ`-3f Û`
1+'3i
= 즉, zÛ`-zz®+z® Û`은 항상 실수이다.
2
1 1
=z®i{ }
1 1 z®i z®i
z= + 이라 하면 ㄷ. + +
a b 1+z 1+z® 1+z 1+z®

}2`=
1+'3i -2+2'3i -1+'3i 2+(z+z®)
zÛ`={ = =z®i_
2 4 2 1+(z+z®)+zz®
-1+'3i 1+'3i 2+2e
zÜ`‌=zÛ`z= _ =z®i_ `(∵ ㉠, ㉡)
2 2 1+2e+eÛ`+f Û`
-4 2(1+e)
= =-1 =(e-fi)i_
4 (1+e)Û`+f Û`
∴ zß`=(zÜ`)Û`=(-1)Û`=1 2(1+e)
=(f+ei)_
(1+e)Û`+f Û`
이때, 2018=6_336+2이므로
2f(1+e) 2e(1+e)
1 1 2018‌ = +  i
{ + } =z2018=z6_336+2 (1+e)Û`+f Û` (1+e)Û`+f Û`
a b
2e(1+e)
=(z6)336_z2=z2 이때, 의 값이 0이 아니면
(1+e)Û`+f Û`
-1+'3i z®i z®i
=  답② + 는 실수가 아니다.
2 1+z 1+z®
ㄹ. (z®+1)(z® Û`-z®+1)+(z+1)(zÛ`-z+1)
=(z® Ü`+1)+(zÜ`+1)=zÜ`+z® Ü`+2
12 z=x+yi, x=a+bi (x, y, a, b는 실수)라 하면 =(z+z®)Ü`-3zz®(z+z®)+2
(2-3i)z+xz® =8eÜ`-3(eÛ`+f Û`)_2e+2`(∵ ㉠, ㉡)
=(2-3i)(x+yi)+(a+bi)(x-yi) =2eÜ`-6ef Û`+2
=(2x+3y+ax+by)+(-3x+2y+bx-ay)i ‌즉, (z®+1)(z® Û`-z®+1)+(z+1)(zÛ`-z+1)은 항상
이 값이 실수이려면 허수부분이 0이어야 하므로 실수이다.
-3x+2y+bx-ay=0 따라서 항상 실수인 것은 ㄱ, ㄴ, ㄹ이다. 답④
∴ (-3+b)x+(2-a)y=0
다른풀이
임의의 실수 x, y에 대하여 위의 등식이 성립하므로
‌ b=Ã(ab®)이므로
ㄱ. a®
-3+b=0, 2-a=0   ∴ a=2, b=3
ab®+a®b=ab®+Ã(ab®)=(실수)
∴ x=2+3i 답 2+3i
ㄹ. (z+1)(zÛ
‌ `-z+1)=Ã(z®+1)(z® Û`-z®+1)이므로
다른풀이
(z®+1)(z® Û`-z®+1)+(z+1)(zÛ`-z+1)
(2-3i)z+xz®가 실수이므로 Ã +1)(z® Û`-z®+1)
=(z®+1)(z® Û`-z®+1)+(z®
=Ã(2-3i)z+xz ®
(2-3i)z+xz®‌
 =(실수)
=(2+3i)z®+x®z
즉, (2-3i)z-x®z=(2+3i)z®-xz®에서
(2-3i-x®)z=(2+3i-x)z®
14 해결단계

➊ 단계 실수 a, b를 이용하여 z=a+bi로 놓는다.


임의의 복소수 z에 대하여 위의 등식이 성립하므로
z, z®에 대한 식의 값의 음수 및 실수 조건을 이용하여 a, b
➋ 단계
2-3i-x®=0, 2+3i-x=0 사이의 관계식을 찾는다.
∴ x=2+3i ➌ 단계 a, b의 값을 구하여 z를 구한다.

Ⅱ. 방정식과 부등식 | 031

블랙고등수학(상)-해설.indb 31 17. 6. 14. 오후 4:08


A n s w e r

z=a+bi (a, b는 실수)라 하면 z®=a-bi 이것을 ㉢에 대입하면 xÛ`+x+1=0


z-z® -1Ñ'3i
Ú 가 음수이므로 ∴ x=
i 2
a+bi-a+bi z-z®
=2b<0   ∴ b<0   yy㉠ 이때, 가 음수이어야 하므로
i i
z 1 '3
Û 가 실수이므로 z=- -  i
1+zÛ` 2 2

=Ð{ }=
z z z®

1+zÛ` 1+zÛ` 1+z® Û` 1+'3i
15 x=
2
 에서 2x-1='3i   yy㉠
즉, z(1+z® Û`)=z®(1+zÛ`)에서
㉠의 양변을 제곱하면
z-z®+zz® Û`-z®zÛ`=0
4xÛ`-4x+1=-3, xÛ`-x+1=0
(z-z®)-zz®(z-z®)=0
위의 식의 양변에 x+1을 곱하면
(z-z®)(1-zz®)=0
(x+1)(xÛ`-x+1)=0, xÜ`+1=0
2bi(1-aÛ`-bÛ`)=0에서 b+0이므로
∴ xÜ`=-1, xß`=1
1-aÛ`-bÛ`=0
‌ `-xß`+5xÞ`+4xÛ`-2x+1
∴ xà
∴ aÛ`+bÛ`=1 yy㉡
=x-1-5xÛ`+4xÛ`-2x+1
zÛ`
Ü  이 실수이므로 =-xÛ`-x=-(x-1)-x`(∵ xÛ`-x+1=0)
1+z
zÛ` zÛ` z ® Û` =-2x+1
=Ð{ }=
1+z 1+z 1+z® =-'3i`(∵ ㉠) 답④
즉, zÛ`(1+z®)=z® Û`(1+z)에서
zÛ`-z® Û`+zÛ` z®-zz® Û`=0 -1+'3i
(z+z®)(z-z®)+zz®(z-z®)=0 16 z=
4
에서 4z=-1+'3i

‌(z-z®)(z+z®+zz®)=0 즉, 4z+1='3i이므로 이 식의 양변을 제곱하면


2bi(aÛ`+bÛ`+2a)=0에서 16zÛ`+8z+1=-3, 16zÛ`+8z+4=0
2bi(1+2a)=0`(∵ ㉡) ∴ 4zÛ`+2z+1=0 yy㉠
이때, b+0이므로 ㉠의 양변에 2z-1을 곱하면
1 (2z-1)(4zÛ`+2z+1)=0, 8zÜ`-1=0
1+2a=0   ∴ a=-
2 ∴ (2z)Ü`=1 yy㉡
㉡에서 bÛ`=1-aÛ`이고, ㉠에서 b<0이므로 ∴ 1+2z+2Û
‌ `zÛ`+2Ü`zÜ`+y+210z10
1 '3
b=-"Ã1-aÛ`=-®É1- =- =1+2z+(2z)Û`+(2z)Ü`+y+(2z)10
4 2
=1+2z+(2z)Û`+1+2z+(2z)Û`+y+1+2z (∵ ㉡)
1 '3
∴ z=- -  i 답②
2 2 =1+2z (∵ ㉠)
다른풀이 -1+'3i 1+'3i
=1+2_ =
4 2
z zÛ`
와 이 모두 실수이므로 1+'3i
1+zÛ` 1+z 2
=a+bi에서 복소수가 서로 같을 조건에 의하여
zÛ`
'3
z
=kÁ, =kª`(kÁ, kª는 실수)라 하면 1
1+zÛ` 1+z a= , b=
2 2

}2`-4_{ }2`
1
zÛ`- z+1=0, zÛ`-kªz-kª=0 '3 1
kÁ ∴ 8bÛ`-4aÛ`‌=8_{
2 2
이때, 복소수 z는 위의 두 식을 모두 만족시키므로 두 이
=6-1=5 답5
차방정식
1 blacklabel 특강 풀이첨삭
xÛ`- x+1=0, xÛ`-kªx-kª=0   yy㉢

2z=x로 놓으면 xÛ`+x+1=0, xÜ`=1이고
의 공통근이다. a+bi‌=1+2z+2Û`zÛ`+2Ü`zÜ`+y+210z10
그런데 ㉢의 계수가 모두 실수이므로 두 이차방정식의 근 =1+2z+(2z)Û`+(2z)Ü`+y+(2z)10
=1+x+xÛ`+xÜ`+y+x10
은 z, z®이다. 이므로 규칙성을 조금 더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1
z+z®= =kª, zz®=1=-kª

17 다항식 x20+2x19+4xÜ`-1을 xÛ`+x+1로 나눈 몫을
∴ kÁ=-1, kª=-1 Q(x), 나머지를 R(x)라 하면

032 | 블랙라벨 수학 (상)

블랙고등수학(상)-해설.indb 32 17. 6. 14. 오후 4:08


본문 pp. 27~28

x20+2x19+4xÜ`-1=(xÛ`+x+1)Q(x)+R(x) f(xÞ`)=f(xÜ`_xÛ`)=f(xÛ`)=-1
 yy㉠ f(xß`)=f(xÜ`_xÜ`)=f(1)=2
한편, 방정식 xÛ`+x+1=0의 한 허근을 x라 하면

y
xÛ`+x+1=0 따라서 자연수 n에 대하여
위의 식의 양변에 x-1을 곱하면 2 (n이 3의 배수일 때)
f(xÇ`)=[
(x-1)(xÛ`+x+1)=0 -1 (n이 3의 배수가 아닐 때)
xÜ`-1=0   ∴ xÜ`=1 이고 자연수 k에 대하여 2û`은 3의 배수가 아니므로
k
㉠의 양변에 x=x를 대입하면 f(x2 )=-1
2 3 2016
x20+2x19+4xÜ`-1=(xÛ`+x+1)Q(x)+R(x) ∴ f(x)f(x
‌ 2
)f(x2 )f(x2 )yf(x2 )
∴ R(x)‌=x20+2x19+4xÜ`-1 (∵ xÛ`+x+1=0) =(-1)_(-1)_(-1)_y_(-1)

=(xÜ`)ß`_xÛ`+2(xÜ`)ß`_x+4xÜ`-1 =(-1)2017=-1 답①
=xÛ`+2x+3 (∵ xÜ`=1)
=(xÛ`+x+1)+x+2
=x+2 20 (3+2i)x+(1-i)y=3+7i에서
따라서 구하는 나머지는 x+2이다. 답① (3x+y)+(2x-y)i=3+7i
복소수가 서로 같을 조건에 의하여
3x+y=3, 2x-y=7
-1+'2i
18 z=
3
에서 3z+1='2i 위의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위의 식의 양변을 제곱하면 x=2, y=-3


'¶6x '1Œ2
9zÛ`+6z+1=-2, 9zÛ`+6z+3=0 ∴ '¶6x'y+ ='¶12'¶-3+
'y '¶-3
∴ 3zÛ`+2z+1=0   yy㉠
'1Œ2
='¶12'3i+
∴ 3zÜ`+5zÛ`+z+1=(3zÛ`+2z+1)z+3zÛ`+1 '3i
=3zÛ`+1`(∵ ㉠) 12
='Ä12_3 i-®Â  i
=-2z`(∵ ㉠) 3
1 1 =6i-2i=4i 답 4i
즉, =az+b에서 - =az+b이므로
3zÜ`+5zÛ`+z+1 2z
2azÛ`+2bz+1=0   yy㉡
㉠=㉡에서 21 0이 아닌 두 실수 a, b에 대하여 'a'b=-'¶ab이므로
3 a<0, b<0
2a=3, 2b=2   ∴ a= , b=1
2
b
3 즉, ab>0, >0이므로
∴ 2ab=2_ _1=3 답3 a

'a+'¶ab+® =¦'¶ab+®  ¥+'¶-ai


2
b b
a a
따라서 주어진 복소수의 허수부분은 '¶-a이다. 답②
19 x는 방정식 xÛ`+x+1=0의 한 허근이므로
xÛ`+x+1=0   yy㉠
㉠의 양변을 x로 나누면
1 1
22 a, b, c가 양의 실수이므로
x+1+ =0   ∴ x+ =-1 a+b>0, b+c>0
x x
㉠의 양변에 x-1을 곱하면 1 1
< 의 양변에 (a+b)(b+c)를 곱하면
a+b b+c
(x-1)(xÛ`+x+1)=0
b+c<a+b   ∴ c<a yy㉠
xÜ`-1=0   ∴ xÜ`=1
2 1
1 또한, < 의 양변에 bc를 곱하면
f(x)=x+ 에서 c b
x
2b<c yy㉡
1
f(x)=x+ =-1 ㉠, ㉡에서 2b<c<a
x

={x+ }2`-2
1 1 ㄱ. a-c>0, a-2b>0이므로
f(xÛ`)‌=xÛ`+
xÛ` x 'Äa-c
®É
a-c
= (거짓)
=(-1)Û`-2=-1 a-2b 'Äa-2b
f(xÜ`)=f(1)=1+1=2 ㄴ. 2b-c<0, c-a<0이므로
f(xÝ`)=f(xÜ`_x)=f(x)=-1 'Ä2b-c'Äc-a=-"Ã(2b-c)(c-a) (참)

Ⅱ. 방정식과 부등식 | 033

블랙고등수학(상)-해설.indb 33 17. 6. 14. 오후 4:08


A n s w e r

ㄷ. c-2b>0, 2b-a<0이므로 여덟 개의 수 aÁ, aª, a£, y, a¥ 중에서 1, -1, i, -i의

®É
c-2b c-2b 개수를 각각 a, b, c, d`(a, b, c, d는 음이 아닌 정수)라
‌=®É
2b-a -(a-2b)
하면 aÁ+aª+a£+y+a¥=3+i에서
c-2b
=®É(-1)_ a+b+c+d=8 yy㉠
a-2b
또한, 1_a+(-1)_b+i_c+(-i)_d=3+i이므로
c-2b
='¶-1_®É
a-2b (a-b)+(c-d)i=3+i
c-2b 복소수가 서로 같을 조건에 의하여
=i®É (참)
-(2b-a)
a-b=3, c-d=1 yy㉡
따라서 옳은 것은 ㄴ, ㄷ이다. 답④
㉡의 두 식을 변끼리 더하면
(a+c)-(b+d)=4 yy㉢
㉠+㉢을 하면
23 abc=-72에서 세 실수 a, b, c의 곱이 음수이므로 a, b, 2(a+c)=12에서
c 중 하나만 음수이거나 a, b, c 모두 음수이다. a+c=6 yy㉣
Ú a, b, c 중 하나만 음수인 경우 ㉠-㉣을 하면
음수인 수를 a라 하고 풀어도 일반성을 잃지 않는다. b+d=2 yy㉤
a=-m (m>0)이라 하고, b, c는 양수라 하면 ㉤에서 b, d는 음이 아닌 정수이므로 순서쌍 (b, d)는
abc=-72에서 (2, 0) 또는 (1, 1) 또는 (0, 2)
-mbc=-72   ∴ mbc=72 각 경우에 대하여 ㉡을 만족시키는 순서쌍 (a, c)는
이때, (5, 1) 또는 (4, 2) 또는 (3, 3)
k‌='a'b'c='Ä-m'b'c 즉, 조건을 만족시키는 순서쌍 (a, b, c, d)는
='¶m i_'b'c=i_'Ämbc (5, 2, 1, 0) 또는 (4, 1, 2, 1) 또는 (3, 0, 3, 2)이다.
='7Œ2 i=6'2 i 이때,
Û a, b, c 모두 음수인 경우 aÁÛ`+aªÛ`+a£Û`+y+a¥Û`
‌a=-m, b=-n, c=-l (m>0, n>0, l>0)이 =1Û`_a+(-1)Û`_b+i Û`_c+(-i)Û`_d
라 하면 =a+b-c-d
abc=-72에서 이므로
-mnl=-72   ∴ mnl=72 Ú 순서쌍 (a, b, c, d)가 (5, 2, 1, 0)일 때,
이때, aÁÛ`+aªÛ`+a£Û`+y+a¥Û`=5+2-1-0=6
k‌='a'b'c='Ä-m'¶-n'¶-l Û 순서쌍 (a, b, c, d)가 (4, 1, 2, 1)일 때,
='¶m i_'n i_'l i=-i_'Ämnl aÁÛ`+aªÛ`+a£Û`+y+a¥Û`=4+1-2-1=2
=-'7Œ2 i=-6'2 i Ü 순서쌍 (a, b, c, d)가 (3, 0, 3, 2)일 때,
Ú, Û에서 가능한 모든 k의 값은 aÁÛ`+aªÛ`+a£Û`+y+a¥Û`=3+0-3-2=-2
k=6'2 i 또는 k=-6'2 i Ú, Û, Ü에서 aÁÛ`+aªÛ`+a£Û`+y+a¥Û`의 최댓값은
따라서 구하는 제곱의 합은 6이다. 답6
(6'2 i)Û`+(-6'2 i)Û`=-144 답 -144

02 해결단계
Step 3 1등급을 넘어서는 종합 사고력 문제 p. 29
➊ 단계 xÛ`+x+1=0을 이용하여 xÜ`의 값을 구한다.
01 6 02 3(aÜ`-bÜ`) 03 6 04 8 ➋ 단계 주어진 x, y, z를 이용하여 x+y+z의 값을 구한다.

05 13 06 30 07 ⑤ 08 -'6 i ➊단계와 ➋단계에서 구한 값을 이용하여 xÜ`+yÜ`+zÜ`을 a,


➌ 단계
b에 대한 식으로 나타낸다.

xÛ`+x+1=0의 양변에 x-1을 곱하면


01 해결단계 (x-1)(xÛ`+x+1)=0

aû (k=1, 2, 3, y, 8)의 값 중에서 1, -1, i, -i의 개수


xÜ`-1=0   ∴ xÜ`=1 yy㉠
➊ 단계
를 각각 a, b, c, d라 하고, 조건을 만족시키는 식을 세운다. x=a-b, y=ax-bxÛ`, z=axÛ`-bx이므로
➋ 단계 순서쌍 (a, b, c, d)를 모두 구한다.
x+y+z=(a-b)+(ax-bxÛ`)+(axÛ`-bx)
➋단계에서 구한 순서쌍의 각 경우마다
➌ 단계 aÁÛ`+aªÛ`+a£Û`+y+a¥Û`의 값을 각각 구한 후, 최댓값을 찾 =a(1+x+xÛ`)-b(1+x+xÛ`)
는다. =0`(∵ xÛ`+x+1=0) yy㉡

034 | 블랙라벨 수학 (상)

블랙고등수학(상)-해설.indb 34 17. 6. 14. 오후 4:08


본문 pp. 28~29

‌ `+yÜ`+zÜ`
∴ xÜ g(i)‌=2bi Û`+4bi Ý`+6bi ß`+y+98bi 98+100bi 100
=xÜ`+yÜ`+zÜ`-3xyz+3xyz =(-2b+4b)+(-6b+8b)+y
=(x+y+z)(xÛ`+yÛ`+zÛ`-xy-yz-zx)+3xyz  +(-98b+100b)
=3xyz (∵ ㉡) =2b_25
=3(a-b)(ax-bxÛ`)(axÛ`-bx) =50b
=3xÛ`(a-b)(a-bx)(ax-b) 즉, f(i)+g(i)=50(b-ai)이므로
=3xÛ`(a-b)(aÛ`x-ab-abxÛ`+bÛ`x) 50(b-ai) b-ai -a-bi
z= = =
100i 2i 2
=3xÛ`(a-b){(aÛ`+bÛ`)x-ab(1+xÛ`)}
-a-bi -a+bi aÛ`+bÛ`
=3xÛ`(a-b){(aÛ`+bÛ`)x+abx} (∵ xÛ`+x+1=0) ∴ zz®= _ =
2 2 4
=3xÜ`(a-b)(aÛ`+ab+bÛ`)
이때, zz®=5에서 aÛ`+bÛ`=20   yy㉠
=3(aÜ`-bÜ`) (∵ ㉠) 답 3(aÜ`-bÜ`)
따라서 ㉠을 만족시키는 정수 a, b의 순서쌍 (a, b)는
(2, 4), (2, -4), (-2, 4), (-2, -4), (4, 2),
(4, -2), (-4, 2), (-4, -2)
03 해결단계 의 8개이다. 답8

조건 ㈎의 zû에 대하여 (zû)Ç`=1이 되는 자연수 n의 조건을


➊ 단계
구한다.

➋ 단계
조건 ㈏의 zÂ에 대하여 (zÂ)Ç`=1이 되는 자연수 n의 조건을
구한다.
05 해결단계

➌ 단계 자연수 n의 최솟값을 구한다. ➊ 단계 a+bi의 식을 변형한다.


zÛ`+zi+1=0을 이용하여 ➊단계에서 변형한 식의 값을 구
➋ 단계
-1+'3i 한다.
zû= 에서
2 ➌ 단계 복소수가 서로 같을 조건을 이용하여 aÛ`+bÛ`의 값을 구한다.
-1+'3i 1-2'3i-3 -1-'3i
zûÛ`={ }2`= = 1
2 4 2 a+bi‌= (1+z+zÛ`+zÜ`+zÝ`+zÞ`+zß`)
zÜ`
-1-'3i -1+'3i
zûÜ`=zûÛ`_zû= _ =1 1 1 1
2 2 = + + +1+z+zÛ`+zÜ`
zÜ` zÛ` z
∴ zûÜ`=1
1 1 1
즉, zûÇ`=1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n은 3의 배수이다. ={z+ }+{zÛ`+ }+{zÜ`+ }+1 yy㉠
z zÛ` zÜ`
한편, 조건 ㈏에서 zÂ=-zû인 n 이하의 자연수 l이 존재 한편, z+0이므로 zÛ`+zi+1=0의 양변을 z로 나누면
하므로 zÂÇ`=1이어야 한다. 1 1
z+i+ =0   ∴ z+ =-i yy㉡
z z

‌={z+ }2`-2
즉, (-zû)Ç`=1에서 (-1)Ç`_zûÇ`=1을 만족시키는 자연
1 1
수 k가 존재해야 하므로 n은 짝수이어야 한다. ∴ zÛ`+
zÛ` z
따라서 n은 3의 배수인 동시에 짝수이므로 6의 배수이고
=(-i)Û`-2=-3 yy㉢

‌={z+ }3`-3{z+ }
자연수 n의 최솟값은 6이다. 답6
1 1 1
zÜ`+
zÜ` z z
=(-i)Ü`-3_(-i)=4i yy㉣

04 해결단계 ㉡, ㉢, ㉣을 ㉠에 대입하면
1 1 1
i Ç` 의 규칙성을 이용하여 f(i)와 g(i)를 각각 계산한다. a+bi=‌{z+ }+{zÛ`+ }+{zÜ`+ }+1
➊ 단계 z zÛ` zÜ`
➋ 단계 ➊단계에서 구한 값을 대입하여 z를 구한다.
=-i+(-3)+4i+1
➌ 단계 zz®=5를 만족시키는 두 정수 a, b의 순서쌍 (a, b)를 찾는다.
=-2+3i
자연수 k에 대하여 복소수가 서로 같을 조건에 의하여 a=-2, b=3
( i (n=4k-3일 때) ∴ aÛ`+bÛ`=(-2)Û`+3Û`=13 답 13
\ -1 (n=4k-2일 때)
iÇ`={
\ -i (n=4k-1일 때)
98 1 (n=4k일 때) 06 해결단계
이므로 복소수 z를 zÛ`-z®=0에 대입하여 실수부분과 허수부분으
➊ 단계
f(i)‌=ai+3ai Ü`+5ai Þ`+y+97ai 97+99ai 99 로 간단히 정리한다.
➋ 단계 복소수가 서로 같을 조건을 이용하여 실수 a, b의 값을 구한다.
=(ai-3ai)+(5ai-7ai)+y+(97ai-99ai)
복소수 z의 거듭제곱의 성질을 이용하여 주어진 식을 간단
=-2ai_25 ➌ 단계 히 한 후, 그 식의 값이 정수가 되도록 하는 두 자리 자연수
=-50ai n의 개수를 구한다.

Ⅱ. 방정식과 부등식 | 035

블랙고등수학(상)-해설.indb 35 17. 6. 14. 오후 4:08


A n s w e r

z=a+bi (a<0, b>0)이므로 z®=a-bi Ú n=4k-3일 때,


zÛ`-z®=0에서 (1+i)4k-3‌={(1+i)Ý`}k-1_(1+i)
(a+bi)Û`-(a-bi)=0 =(-4)k-1(1+i)
(aÛ`-bÛ`-a)+(2ab+b)i=0 =(-4)k-1+(-4)k-1i
복소수가 서로 같을 조건에 의하여 (1-i)4k-3‌={(1-i)Ý`}k-1_(1-i)
aÛ`-bÛ`-a=0, 2ab+b=0 =(-4)k-1(1-i)
Ú 2ab+b=0에서 =(-4)k-1-(-4)k-1i
1 ∴ zÇ‌=(1+i)4k-3+(1-i)4k-3
b(2a+1)=0   ∴ a=- (∵ b>0)
2
=2_(-4)k-1
Û aÛ`-bÛ`-a=0에서
Û n=4k-2일 때,
1 1 3
{- }2`-bÛ`-{- }=0, bÛ`= (1+i)4k-2‌={(1+i)Ý`}k-1_(1+i)Û`
2 2 4
'3 =(-4)k-1_(1+i)Û`
∴ b= (∵ b>0)
2 =(-4)k-1_2i
-1+'3i (1-i) 4k-2‌
={(1-i)Ý`}k-1_(1-i)Û`
Ú, Û에서 z= 이므로
2
=(-4)k-1_(1-i)Û`
2z+1='3i
=-(-4)k-1_2i
위의 식의 양변을 제곱하면
∴ zÇ=(1+i)4k-2+(1-i)4k-2=0
4zÛ`+4z+1=-3, 4zÛ`+4z+4=0
Ü n=4k-1일 때,
∴ zÛ`+z+1=0 yy㉠
(1+i)4k-1‌={(1+i)Ý`}k-1_(1+i)Ü`
위의 식의 양변에 z-1을 곱하면
=(-4)k-1_(1+i)Ü`
(z-1)(zÛ`+z+1)=0
=(-4)k-1_(-2+2i)
zÜ`-1=0   ∴ zÜ`=1 yy㉡
(1-i)4k-1‌={(1-i)Ý`}k-1_(1-i)Ü`
∴ (zÞ`+zÝ`+zÜ`+zÛ`+1)Ç`‌`=(zÛ`+z+1-z)Ç` (∵ ㉠, ㉡)
=(-4)k-1_(1-i)Ü`
=(-z)Ç`  (∵ ㉠)
=(-4)k-1_(-2-2i)
;3N;
=(-zÜ`)
∴ zÇ‌=(1+i)4k-1+(1-i)4k-1
=(-1);3N;
=(-4)k-1_(-4)=(-4)k
이 값이 정수가 되어야 하므로 자연수 n은 3의 배수이다.
Ý n=4k일 때,
따라서 3의 배수인 두 자리의 자연수 n은 12, 15, 18,
(1+i)4k=(-4)k, (1-i)4k=(-4)k이므로
y, 99의 30개이다. 답 30
zÇ=(1+i)4k+(1-i)4k=2_(-4)k
‌Ú~Ý에서 자연수 n에 대하여 zÇ은 항상 실수이므로
zÇÛ`은 항상 0보다 크거나 같다. (거짓)
ㄷ. 자연수
‌ k에 대하여
07 해결단계 ( 2_(-4)k-1 (n=4k-3일 때)
\ 0 (n=4k-2일 때)
➊ 단계
ㄱ은 zÇ의 n에 1, 2, 3, y을 대입하여 zÇ=-8이 되는 n의 zÇ={
\ (-4) (n=4k-1일 때)
k
값을 찾는다.

➋ 단계
ㄴ은 n의 값을 4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에 따라 경우를 나
98 2_(-4)k (n=4k일 때)
누어 zÇ의 값을 구한다.
ㄷ은 ➋단계에서 구한 값을 이용하여 zÇ이 4로 나누어떨어 이므로 n¾2일 때, zÇ은 4로 나누어떨어진다. (참)
➌ 단계
지는지 확인한다.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답⑤

ㄱ. zÇ=(1+i)Ç
‌ `+(1-i)Ç` 이므로
zÁ=(1+i)+(1-i)=2
zª=(1+i)Û`+(1-i)Û`
=1+2i-1+1-2i-1=0 08 해결단계

z£=(1+i)Ü`+(1-i)Ü` ➊ 단계 z=a+bi라 하고 조건을 만족시키는 a, b의 값을 구한다.


➋ 단계 zÛ`=3+6'6i를 이용하여 주어진 식의 값을 구한다.
=1+3i-3-i+1-3i-3+i=-4
z¢=(1+i)Ý`+(1-i)Ý`=(2i)Û`+(-2i)Û`=-8 z=a+bi (a, b는 실수)라 하면 z®=a-bi이므로
즉, zÇ=-8을 만족시키는 n=4가 존재한다. (참) z+z®=2a>0에서 a>0
ㄴ. (1+i)Ý
‌ `=-4, (1-i)Ý`=-4이므로 또한, zÛ`=(a+bi)Û`=aÛ`-bÛ`+2abi=3+6'6i
자연수 k에 대하여 복소수가 서로 같을 조건에 의하여

036 | 블랙라벨 수학 (상)

블랙고등수학(상)-해설.indb 36 17. 6. 14. 오후 4:08


본문 pp. 29~30

}3`=-i_
aÛ`-bÛ`=3 yy㉠ -'2+'2i -'2+'2i '2+'2i
[`  세 번:{
2 2
=
2
2ab=6'6  yy㉡
3'6 네 번:(-i)Û`=-1
㉡에서 b= 이므로 이것을 ㉠에 대입하면
a 즉, 버튼을 연속하여 여덟 번 누르면 화면에 1이 다시
54 나타난다.
aÛ`- =3
aÛ` 그런데 버튼과 버튼을 한 번씩 누른 결과는
aÛ`+0이므로 위의 식의 양변에 aÛ`을 곱하면 '2+'2i -'2+'2i
_ =-1
aÝ`-3aÛ`-54=0, (aÛ`-9)(aÛ`+6)=0 2 2
그런데 a는 실수이므로 즉, 버튼과 버튼을 두 번씩 누르면 화면에 1이 다
aÛ`=9   ∴ a=3 (∵ a>0) 시 나타난다.
따라서 a=3일 때 b='6이므로 따라서 화면에 1이 다시 나타날 때까지 버튼을 누른 횟수
z=3+'6i 의 최솟값은 4이다. 답②
한편, zÛ`=3+6'6i, 즉 zÛ`-3=6'6i의 양변을 제곱하면
zÝ`-6zÛ`+9=-216   ∴ zÝ`-6zÛ`+225=0

∴ zÜ`-6z-3+
240 zÝ`-6zÛ`+240
‌= -3 2 해결단계
z z
i의 거듭제곱의 성질을 이용하여
(zÝ`-6zÛ`+225)+15 ➊ 단계
= -3 (i+i Û`)+(i Û`+i Ü`)+y+(i 18+i 19)의 값을 구한다.
z
복소수가 서로 같을 조건을 이용하여 a, b의 값을 구한 후,
➋ 단계
15 15 4(a+b)Û`의 값을 구한다.
= -3= -3
z 3+'6i
15(3-'6i) i+i Û`+i Ü`+i Ý`=i-1-i+1=0이므로
= -3
15 (i+i Û`)+(i Û`+i Ü`)+y+(i 18+i 19)
=3-'6i-3=-'6i 답 -'6i =(i+i Û`+y+i 18)+(i Û`+i Ü`+y+i 19)
=(i 17+i 18)+(i 18+i 19)
=(i-1)+(-1-i)=-2
즉, a+bi=-2이므로 복소수가 서로 같을 조건에 의하여
a=-2, b=0
이것이 수능 p. 30 ∴ 4(a+b)Û`=4_(-2)Û`=16 답 16

1 ② 2 16 3 ⑤ 4① 다른풀이

i+i 19=i+(-i)=0이므로
(i+i Û`)+(i Û`+i Ü`)+y+(i 18+i 19)
1 해결단계
=i+{(i+i Û`)+(i Û`+i Ü`)+y+(i 18+i 19)}+i 19
➊ 단계
복소수의 거듭제곱을 이용하여 버튼과 버튼을 한 번 =(i+i)+(i Û`+i Û`)+y+(i 19+i 19)
씩 더 누를 때마다 화면에 나타나는 수를 구한다.
➋ 단계 버튼을 누른 횟수의 최솟값을 구한다.
=2(i+i Û`+i Ü`+y+i 19)
=2(i+i Û`+i Ü`+y+i 19+i 20-i 20)
화면에 표시된 수는 1이므로 버튼을 연속하여 누른 횟
=2_(-i 20)
수에 따라 화면에 나타나는 수는 다음과 같다.
=-2
'2+'2i
한 번:
2
'2+'2i
두 번:{ }2`=i
2 3 해결단계
'2+'2i '2+'2i -'2+'2i
세 번:{ }3`=i_ = ➊ 단계 ㄱ은 켤레복소수의 성질을 이용하여 판단한다.
2 2 2
ㄴ은 z=a+bi로 놓고 zÛ`-z가 실수가 되기 위한 조건을
➋ 단계
네 번:i Û`=-1 구한다.
즉, 버튼을 연속하여 여덟 번 누르면 화면에 1이 다시 ➌ 단계 ㄴ에서 구한 z를 이용하여 zz®의 값의 범위를 구한다.

나타난다. ㄱ. 복소수
‌ zÛ`-z가 실수이므로 복소수 Ã z Û`-z도 실수이
또한, 버튼을 연속하여 누른 횟수에 따라 화면에 나타 다. (참)
나는 수는 다음과 같다. ㄴ. z=a+bi이므로
‌ z®=a-bi
-'2+'2i ∴ zÛ`-z‌=(a+bi)Û`-(a+bi)
한 번:
2

}2`=-i
=aÛ`+2abi-bÛ`-a-bi
-'2+'2i
두 번:{ =(aÛ`-a-bÛ`)+(2a-1)bi
2

Ⅱ. 방정식과 부등식 | 037

블랙고등수학(상)-해설.indb 37 17. 6. 14. 오후 4:08


A n s w e r

이때, zÛ`-z가 실수이므로


1
04 이차방정식
(2a-1)b=0   ∴ a= (∵ b+0)
2
1 1 Step 1 출제율 100% 우수 기출 대표 문제
∴ z+z®={ +bi}+{ -bi}=1 (참)
pp. 32~33
2 2
01 ① 02 ④ 03 ⑤ 04 ② 05 20
1 1
ㄷ. ‌ㄴ에서 z= +bi, z®= -bi이므로 06 ① 07 ② 08 ② 09 14 10 ③
2 2
11 ④ 12 3 13 ① 14 ⑤ 15 10
1
zz®= +bÛ` 16 7-2'6
4
이때, b+0에서 bÛ`>0이므로
1 1 1
4
+bÛ`>    ∴ zz®> (참)
4 4 01 aÛ`x-2a=x-2에서
aÛ`x-x=2a-2, (aÛ`-1)x=2(a-1)
따라서 ㄱ, ㄴ, ㄷ 모두 옳다. 답⑤
∴ (a+1)(a-1)x=2(a-1)
다른풀이 1
Ú a=-1일 때, 0´x=-4이므로 해가 없다.
ㄴ. Ãz‌ Û`-z가 실수이고 ÃzÛ`-z=z® Û`-z®이므로
Û a=1일 때, 0´x=0이므로 해가 무수히 많다.
zÛ`-z=z® Û`-z®에서 zÛ`-z-z® Û`+z®=0
2
(z-z®)(z+z®)-(z-z®)=0 Ü a+-1, a+1일 때, x=
a+1
(z-z®)(z+z®-1)=0 Ú, Û, Ü에서 a+-1일 때, 해가 존재한다. 답①
이때, z는 실수가 아니므로 z+z®
∴ z+z®=1 (참)
다른풀이 2

ㄴ. zÛ‌ `-z=k (k는 실수)라 하면 02 |x|-1="Ã(2x-7)Û`에서

ÃzÛ`-z=z® Û`-z®=k
|x|-1=|2x-7|
Ú x<0일 때, -x-1=-(2x-7)
즉, z, z®는 이차방정식 xÛ`-x-k=0의 두 근이므로
-x-1=-2x+7   ∴ x=8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그런데 x<0이므로 x=8은 근이 아니다.
z+z®=1 (참)
7
Û 0Éx< 일 때, x-1=-(2x-7)
2
8
x-1=-2x+7, 3x=8   ∴ x=
3
7
Ü x¾ 일 때, x-1=2x-7   ∴ x=6
4 해결단계 2
8
ㄱ과 ㄴ은 aÛ`=2i, bÛ`=-2i를 이용하여 ab, (a+b)Ý`의 값 Ú, Û, Ü에서 x= 또는 x=6
➊ 단계 3
을 구한다.
a-b 따라서 구하는 모든 x의 값의 합은
ㄷ은 aÛ`+bÛ`의 값을 이용하여 { }2`의 값을 구한 후,
a+b
➋ 단계 8 26
a-b +6=  답④
a+b
가 실수인지 판단한다. 3 3
다른풀이
ㄱ. (ab)Û
‌ `=aÛ`bÛ`=2i_(-2i)=4이므로
ab=2 또는 ab=-2 (거짓) |x|-1="Ã(2x-7)Û`의 양변을 제곱하면

ㄴ. aÛ
‌ `+bÛ`=2i+(-2i)=0이므로 (|x|-1)Û`=(2x-7)Û`

(a+b)Û`=aÛ`+bÛ`+2ab=2ab xÛ`-2|x|+1=4xÛ`-28x+49

(ab)Û`=4이므로 ∴ 3xÛ`+2(|x|-14x)+48=0

(a+b)Ý`=(2ab)Û`=4(ab)Û`=4_4=16 (참) Ú x<0일 때, 3xÛ`+2(-x-14x)+48=0

ㄷ. aÛ
‌ `+bÛ`=0이므로 3xÛ`-30x+48=0, xÛ`-10x+16=0

a-b (a-b)Û` aÛ`+bÛ`-2ab (x-2)(x-8)=0   ∴ x=2 또는 x=8


{ }2`= =
a+b (a+b)Û` aÛ`+bÛ`+2ab 그런데 x<0이므로 모두 근이 아니다.
-2ab Û x¾0일 때, 3xÛ`+2(x-14x)+48=0
= =-1
2ab

}2`<0이므로
3xÛ`-26x+48=0, (3x-8)(x-6)=0
a-b a-b
‌
이때, { 는 실수가 아니다. 8
a+b a+b ∴ x= 또는 x=6
3
(거짓)
8
Ú, Û에서 x= 또는 x=6
따라서 옳은 것은 ㄴ뿐이다. 답① 3

038 | 블랙라벨 수학 (상)

블랙고등수학(상)-해설.indb 38 17. 6. 14. 오후 4:08


본문 pp. 30~32

03 xÛ`+"ÅxÛ`=|x-1|+3에서 05 (a-3)xÛ`+(a-b)x-(b-3)=0이 이차방정식이므로


xÛ`+|x|=|x-1|+3 a-3+0에서 a+3 yy㉠
Ú x<0일 때, xÛ`-x=-(x-1)+3 또한, 이차방정식이 중근을 가지므로 판별식을 D라 하면
xÛ`=4   ∴ x=-2 (∵ x<0) D‌=(a-b)Û`+4(a-3)(b-3)
Û 0Éx<1일 때, xÛ`+x=-(x-1)+3 =aÛ`-2ab+bÛ`+4(ab-3a-3b+9)
xÛ`+2x-4=0   ∴ x=-1Ñ'5 =aÛ`-2ab+bÛ`+4ab-12a-12b+36
그런데 0Éx<1이므로 모두 근이 아니다. =aÛ`+2ab+bÛ`-12a-12b+36
Ü x¾1일 때, xÛ`+x=(x-1)+3 =(a+b)Û`-12(a+b)+36
xÛ`=2   ∴ x='2 (∵ x¾1) =(a+b-6)Û`=0
Ú, Û, Ü에서 주어진 방정식의 두 근은 ∴ a+b=6 yy㉡
x='2 또는 x=-2 ㉠, ㉡을 만족시키는 두 자연수 a, b의 순서쌍 (a, b)는
위의 두 근은 이차방정식 xÛ`+ax+b=0의 근이기도 하 (1, 5), (2, 4), (4, 2), (5, 1)
므로 xÛ`+ax+b=0에 이므로 aÛ`+bÛ`의 값은 a=2, b=4 또는 a=4, b=2일 때
x='2를 대입하면 2+'2a+b=0 yy㉠ 최소이고 최솟값은
x=-2를 대입하면 4-2a+b=0 yy㉡ 2Û`+4Û`=20 답 20
㉠, ㉡을 연립하여 풀면
a=2-'2, b=-2'2
∴ 2a-b=2(2-'2)+2'2=4 답⑤
06 x에 대한 이차방정식 aÛ`xÛ`+2(bÛ`+cÛ`)x+aÛ`=0이 서로
다른 두 허근을 가지므로 판별식을 DÁ이라 하면
다른풀이 DÁ
‌=(bÛ`+cÛ`)Û`-(aÛ`)Û`
이차방정식 xÛ`+ax+b=0의 두 근이 '2, -2이므로 근 4
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bÛ`+cÛ`-aÛ`)(bÛ`+cÛ`+aÛ`)<0
'2-2=-a   ∴ a=2-'2 이때, a, b, c는 0이 아닌 서로 다른 세 실수이므로
'2_(-2)=b   ∴ b=-2'2 aÛ`+bÛ`+cÛ`>0   ∴ aÛ`>bÛ`+cÛ`   yy㉠
이차방정식 cxÛ`+2ax+2b=0의 판별식을 Dª라 하면
04 xÛ`-[x]x-1=0에서 Dª
‌=aÛ`-2bc
Ú 1<x<2일 때, [x]=1이므로 4
1Ñ'5 >bÛ`+cÛ`-2bc (∵ ㉠)
xÛ`-x-1=0   ∴ x=
2 =(b-c)Û`>0 (∵ b+c)
1+'5 따라서 이차방정식 cxÛ`+2ax+2b=0은 서로 다른 두 실
그런데 1<x<2이므로 x=
2
근을 갖는다. 답①
Û 2Éx<3일 때, [x]=2이므로
xÛ`-2x-1=0   ∴ x=1Ñ'2
그런데 2Éx<3이므로 x=1+'2 07 x에 대한 이차식 xÛ`-2(k-a)x+kÛ`+aÛ`-b+1이 k의
Ü 3Éx<4일 때, [x]=3이므로 값에 관계없이 완전제곱식이 되려면 x에 대한 이차방정
3Ñ'1Œ3 식 xÛ`-2(k-a)x+kÛ`+aÛ`-b+1=0이 중근을 가져야
xÛ`-3x-1=0   ∴ x=
2 한다.
3+'1Œ3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그런데 3Éx<4이므로 x=
2
D
Ú, Û, Ü에서 주어진 방정식의 서로 다른 근의 개수는 =(k-a)Û`-(kÛ`+aÛ`-b+1)=0
4
3이다. 답② kÛ`-2ak+aÛ`-kÛ`-aÛ`+b-1=0
다른풀이 ∴ -2ak+b-1=0   yy㉠
[x]의 값은 상수이므로 방정식 xÛ`-[x]x-1=0의 근은 ㉠이 k의 값에 관계없이 성립해야 하므로
[x]Ñ"Ã[x] Û`+4 -2a=0, b-1=0   ∴ a=0, b=1
x=
2 ∴ a+b=0+1=1 답②
그런데 [x]Éx<[x]+1이므로
[x]+"Ã[x] Û`+4
x=    yy㉠
2 08 이차방정식 xÛ`+(a-4)x-4=0의 두 근의 차가 4이므
이때, 1<x<4에서 [x]=1, 2, 3이므로 ㉠은 서로 다른 로 두 근을 a, a+4라 하자.
3개의 값을 갖는다.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따라서 주어진 방정식의 서로 다른 근의 개수는 3이다. a+(a+4)=-(a-4)에서 a=-2a yy㉠

Ⅱ. 방정식과 부등식 | 039

블랙고등수학(상)-해설.indb 39 17. 6. 14. 오후 4:08


A n s w e r

a(a+4)=-4에서 aÛ`+4a+4=0 2 1 1 1
4- + =0   ∴ { }2`-2_ +4=0
a aÛ` a a
(a+2)Û`=0   ∴ a=-2 yy㉡
1
㉡을 ㉠에 대입하면 a=4 즉, 은 이차방정식 xÛ`-2x+4=0의 근이다.
a
즉, 이차방정식 xÛ`+(a+4)x+4=0은
같은 방법으로 이차방정식 4xÛ`-2x+1=0의 다른 한 근
xÛ`+8x+4=0
1
b에 대하여 은 이차방정식 xÛ`-2x+4=0의 근이다.
이 이차방정식의 두 근을 s, t라 하면 근과 계수의 관계에 b
의하여 따라서 구하는 이차방정식은 xÛ`-2x+4=0이다.
s+t=-8, st=4
blacklabel 특강 참고
∴ (s-t)Û`=(s+t)Û`-4st=64-16=48
이차방정식 axÛ`+bx+c=0`(c+0)의 두 근이 p, q이면
∴ |s-t|='4Œ8=4'3 답②
이차방정식 cxÛ`Ñbx+a=0의 두 근은 Ñ 1 , Ñ 1 이다. (복부호 동순)
p q
증명 이차방정식 axÛ`+bx+c=0의 한 근이 p이므로
apÛ`+bp+c=0   yy㉠
한편, 이차식 cxÛ`Ñbx+a에 x=Ñ 1 을 대입하면
09 이차방정식 xÛ`-4x+1=0의 두 근이 a, b이므로
p
aÛ`-4a+1=0, bÛ`-4b+1=0 c Ñ b +a= 1 (cÑbp+apÛ`)=0`(∵ ㉠) (복부호 동순)
pÛ` p pÛ`
또한,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따라서 이차방정식 cxÛ`Ñbx+a=0의 한 근은 Ñ 1 이다.
p
a+b=4, ab=1
같은 방법으로 Ñ 1 에 대해서도 성립한다.
q
b a
∴ ‌ +
aÛ`-3a+1 bÛ`-3b+1
b a
= +
(aÛ`-4a+1)+a (bÛ`-4b+1)+b
b a aÛ`+bÛ`
11 이차방정식 f(x)=0의 두 근 a, b에 대하여 ab=k라 하
= + = 면 a+b=-2이므로
a b ab
(a+b)Û`-2ab 4Û`-2_1 f(x)=a(xÛ`+2x+k)`(a+0)
= =
ab 1 라 할 수 있다.
=16-2=14 답 14 ∴ f(2x-3)=a{(2x-3)Û`+2(2x-3)+k}
=a(4xÛ`-12x+9+4x-6+k)
서울대 선배들의 강추문제 1등급 비법 노하우
=a(4xÛ`-8x+3+k)
이 문제와 같이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를 이용하는 문제는
=4axÛ`-8ax+3a+ka
평가원·교육청 모의고사의 대표유형일 뿐만 아니라 내신에서 자주
출제되는 문제이다.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는 곱셈 공식의 변 따라서 방정식 f(2x-3)=0의 두 근의 합은
형을 이용하여 식의 값을 구하는 문제 등 다른 단원과 통합되어 자주
-8a
출제되므로 주어진 조건을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를 이용하 - =2 답④
4a
여 표현할 수 있도록 하자.
다른풀이

이차방정식 f(x)=0의 두 근이 a, b이므로


`f(a)=0, f(b)=0 yy㉠
10 이차방정식 4xÛ`-2x+1=0의 두 근이 a, b이므로 근과 또한, 방정식 f(2x-3)=0의 두 근을 xÁ, xª라 하면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f(2xÁ-3)=0, f(2xª-3)=0 yy㉡
1 1 ㉠, ㉡에서 2xÁ-3=a, 2xª-3=b라 하면
a+b= , ab=
2 4
a+3 b+3
xÁ= , xª=
1 2 2
1 1 a+b 2 1
∴ + = = =2, =4 a+3 b+3
a b ab 1 ab ∴ xÁ+xª= +
2 2
4
a+b+6
1 1 =
따라서 xÛ`의 계수가 1이고 , 을 두 근으로 하는 이차 2
a b
-2+6
1 1 1 = (∵ a+b=-2)
방정식은 xÛ`-{ + }x+ =0에서 2
a b ab
=2
xÛ`-2x+4=0 답③

다른풀이

이차방정식 4xÛ`-2x+1=0의 한 근이 a이므로 12 이차방정식 xÛ`+ax+b=0의 계수가 유리수이므로 한 근


4aÛ`-2a+1=0 이 '2-1, 즉 -1+'2이면 다른 한 근은 -1-'2이다.
a+0이므로 양변을 aÛ`으로 나누면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040 | 블랙라벨 수학 (상)

블랙고등수학(상)-해설.indb 40 17. 6. 14. 오후 4:08


본문 pp. 32~34

(-1+'2)+(-1-'2)=-a   ∴ a=2 이때의 하루 판매량은 b개에서 5x`% 증가하고, 하루 판


(-1+'2)(-1-'2)=b   ∴ b=-1 매액은 ab원에서 35`% 증가하므로
1 5x
따라서 , -1을 두 근으로 하는 이차방정식은 판매가격 인하에 따른 하루 판매량은 b{1+ }(개),
2 100
1 35
{x- }(x+1)=0   ∴ 2xÛ`+x-1=0 판매가격 인하에 따른 하루 판매액은 ab{1+ }(원)
2 100
즉, p=2, q=1이므로 이때,
p+q=2+1=3 답3 (제품 한 개당 판매가격)_(하루 판매량)
=(하루 판매액)
13 조건 ㈎에서 다항식 f(x)를 x-1로 나눈 나머지가 1이므 이므로
로 나머지정리에 의하여 5x 35
}_b{1+ }=ab{1+ }
x
a{1-
f(1)=1+p+q=1   ∴ p+q=0 yy㉠ 100 100 100
조건 ㈏에서 계수가 실수인 이차방정식 xÛ`+px+q=0의 10000
이 식의 양변에 을 곱하면
ab
한 근이 a+i이면 다른 한 근은 a-i이므로 근과 계수의
(100-x)(100+5x)=10000+3500
관계에 의하여
5xÛ`-400x+3500=0, xÛ`-80x+700=0
(a+i)+(a-i)=-p, (a+i)(a-i)=q
(x-10)(x-70)=0
∴ p=-2a, q=aÛ`+1 yy㉡
∴ x=10`(∵ 0<x<40) 답 10
㉠, ㉡에서 p+q=-2a+aÛ`+1=0이므로
(a-1)Û`=0   ∴ a=1
따라서 p=-2, q=1Û`+1=2 (∵ ㉡)이므로
p+2q=-2+2_2=2 답① 16 오른쪽 그림과 같이 점 OÁ을 지
A
Q
4
D
나고 ABÓ에 평행한 직선과 점 r¡ C¡
다른풀이
Oª를 지나고 BCÓ에 평행한 직 O¡ r¡+r™ C™ 3
다항식 f(x)를 x-1로 나눈 나머지가 1이므로 나머지정 3-{r¡+r™}
선이 만나는 점을 P, 두 점 OÁ, P O™
리에 의하여 r™
Oª에서 ADÓ, BCÓ에 내린 수선 B
R
C
f(1)=1+p+q=1   ∴ q=-p   yy㉢ 4-{r¡+r™}
의 발을 각각 Q, R라 하자.
㉢을 이차방정식 f(x)=0에 대입하면
두 원 CÁ, Cª의 반지름의 길이를 각각 rÁ, rª라 하면 직각
-pÑ"ÃpÛ`+4p
xÛ`+px-p=0   ∴ x= 삼각형 OÁPOª에서
2
이때, 조건 ㈏에서 이차방정식 f(x)=0의 한 근이 a+i OÕÁOªÓ=rÁ+rª,
이므로 OÕÁPÓ=ABÓ-OÕÁQÓ-OÕªRÓ=3-rÁ-rª,
"ÃpÛ`+4p OÕªPÓ=BCÓ-OÕÁQÓ-OÕªRÓ=4-rÁ-rª
=i, "ÃpÛ`+4p=2i
2 이므로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하여
양변을 제곱하면 pÛ`+4p=-4 (rÁ+rª)Û`={3-(rÁ+rª)}Û`+{4-(rÁ+rª)}Û`
pÛ`+4p+4=0, (p+2)Û`=0 (rÁ+rª)Û`=(rÁ+rª)Û`-6(rÁ+rª)+9
∴ p=-2, q=2 (∵ ㉢)  +(rÁ+rª)Û`-8(rÁ+rª)+16
∴ p+2q=-2+2_2=2 (rÁ+rª)Û`-14(rÁ+rª)+25=0
∴ rÁ+rª=7-2'6`(∵ 0<rÁ+rª<3)
14 이차방정식 3xÛ`+kx+2=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이 이
따라서 구하는 반지름의 길이의 합은 7-2'6이다.
차방정식이 두 실근을 가지므로 답 7-2'6

D=kÛ`-4_3_2¾0, kÛ`¾24
∴ kÉ-2'6 또는 k¾2'6 yy㉠
두 근이 모두 음수이므로
Step 2 1등급을 위한 최고의 변별력 문제 pp. 34~37
k
(두 근의 합)=- <0   ∴ k>0 yy㉡
3 3
01 -2 02 3 03 04 ④ 05 2+'5
2 2
(두 근의 곱)= >0
3 06 10 07 2 08 ② 09 0 10 ⑤
11 ④ 12 ② 13 ④ 14 ① 15 5
㉠, ㉡에서 k¾2'6 답⑤
16 ③ 17 ⑤ 18 2'5 19 ① 20 ②
21 ② 22 3 23 5 24 -14 25 -30
15 제품 한 개당 판매가격을 a원에서 x`% 내리면 인하된 판
26 ① 27 ③ 28 ② 29 ② 30 2

}(원)
x 31 30
매가격은 a{1-
100

Ⅱ. 방정식과 부등식 | 041

블랙고등수학(상)-해설.indb 41 17. 6. 14. 오후 4:08


A n s w e r

01 (m-4)(m-1)x=m-2(x+1)에서 04 [2x]Û`-2[x]-7=0에서
(mÛ`-5m+4)x=m-2x-2 1
Ú nÉx<n+ (n은 정수)일 때,
2
(mÛ`-5m+6)x=m-2
2nÉ2x<2n+1이므로
∴ (m-2)(m-3)x=m-2
[2x]=2n, [x]=n
이때, m=2이면 0´x=0이므로 해가 무수히 많고,
즉, (2n)Û`-2n-7=0에서 4nÛ`-2n-7=0
m=3이면 0´x=1이므로 해가 없다.
1Ñ'2Œ9
∴ m=3 ∴ n=
4
이차방정식 xÛ`-mx+n=0, 즉 xÛ`-3x+n=0의 한 근
그런데 n은 정수이므로 해가 없다.
이 5이므로
1
Û n+ Éx<n+1 (n은 정수)일 때,
25-15+n=0   ∴ n=-10 2
즉, 이차방정식 xÛ`-3x-10=0에서 2n+1É2x<2n+2이므로
(x-5)(x+2)=0   ∴ x=5 또는 x=-2 [2x]=2n+1, [x]=n
따라서 나머지 한 근은 -2이다. 답 -2 즉,`(2n+1)Û`-2n-7=0에서 4nÛ`+2n-6=0
2nÛ`+n-3=0, (2n+3) (n-1)=0
∴ n=1`(∵ n은 정수)
02 방정식 (aÛ`-2a)x=a, 즉 a(a-2)x=a의 해가 오직
Ú, Û에서 구하는 x의 값의 범위는
하나이려면 a+0, a+2
3
이때, a는 -2ÉaÉ2인 정수이므로 Éx<2 답④
2
a=-2, -1, 1
또한, 방정식 (bÛ`-b-2)x=b+1에서
(b+1)(b-2)x=b+1
이 방정식의 해가 무수히 많아야 하므로
b=-1
따라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순서쌍 (a, b)는 05 x>0인 무리수 x에 대하여 [x]는 x의 정수 부분이므로

(-2, -1), (-1, -1), (1, -1)의 3개이다. 답3 x-[x]는 x의 소수 부분이다.


즉, 0Éx-[x]<1이므로 0É(x-[x])Û`<1 yy㉠
xÛ`+(x-[x])Û`-18=0에서 (x-[x])Û`=18-xÛ`이므로
03 0<x<2이고 방정식에 [x]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위의 식을 ㉠에 대입하면
0<x<1, 1Éx<2로 x의 범위를 나누어 생각해야 한다. 0É18-xÛ`<1, -1<xÛ`-18É0
xÛ`-|x-1|x=[x]에서 17<xÛ`É18
Ú 0<x<1일 때, ∴ '1Œ7<xÉ'1Œ8
|x-1|=-(x-1), [x]=0이므로 즉, [x]=4이므로 이것을 주어진 이차방정식에 대입하면
xÛ`+(x-1)x=0, xÛ`+xÛ`-x=0 xÛ`+(x-4)Û`-18=0, xÛ`-4x-1=0
2xÛ`-x=0, x(2x-1)=0 ∴ x=2+'5 (∵ x>0) 답 2+'5
1
∴ x= (∵ 0<x<1) 다른풀이
2
Û 1Éx<2일 때, nÉx<n+1 (n은 음이 아닌 정수)이라 하면
|x-1|=x-1, [x]=1이므로 [x]=n이므로
xÛ`-(x-1)x=1, xÛ`-xÛ`+x=1 방정식 xÛ`+(x-[x])Û`-18=0에서
∴ x=1 xÛ`+(x-n)Û`-18=0
1 ∴ 2xÛ`-2nx+nÛ`-18=0   yy㉡
Ú, Û에서 x= 또는 x=1
2 이 x에 대한 방정식의 근이 존재하므로 판별식을 D라 하면
따라서 구하는 모든 x의 값의 합은 D
=nÛ`-2(nÛ`-18)¾0
1 3 3 4
+1=  답
2 2 2 nÛ`É36   ∴ 0ÉnÉ6 (∵ n은 음이 아닌 정수)
단계 채점 기준 배점 이때, n의 값은 정수이므로 n=0, 1, 2, 3, 4, 5, 6


주어진 범위를 0<x<1, 1Éx<2로 나누어 생각한
30%
Ú n=0일 때, 즉 0<x<1일 때
경우
㉡에서 주어진 방정식은 2xÛ`-18=0
나누어진 범위에 따라 방정식을 정리하여 x의 값을
㈏ 50%
구한 경우 xÛ`=9   ∴ x=3 (∵ x>0)
㈐ 조건에 맞는 모든 x의 값을 구한 후 합을 구한 경우 20% 그런데 0<x<1이므로 해가 아니다.

042 | 블랙라벨 수학 (상)

블랙고등수학(상)-해설.indb 42 17. 6. 14. 오후 4:08


본문 pp. 34~35

Û n=1일 때, 즉 1Éx<2일 때 Û k+1일 때,


㉡에서 주어진 방정식은 2xÛ`-2x-17=0 ‌이차방정식 (k-1)xÛ`-2'6x+k=0이 중근을 가져
1+'3Œ5 야 하므로 판별식을 D라 하면
∴ x= (∵ x>0)
2
D
=('6)Û`-k(k-1)=0
그런데 1Éx<2이므로 해가 아니다. 4
Ü n=2일 때, 즉 2Éx<3일 때 kÛ`-k-6=0, (k-3)(k+2)=0
㉡에서 주어진 방정식은 2xÛ`-4x-14=0 ∴ k=-2 또는 k=3
xÛ`-2x-7=0   ∴ x=1+2'2 (∵ x>0) Ú, Û에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모든 실수 k의 값은 -2,
그런데 2Éx<3이므로 해가 아니다. 1, 3이므로 그 합은
Ý n=3일 때, 즉 3Éx<4일 때 (-2)+1+3=2 답2
㉡에서 주어진 방정식은 2xÛ`-6x-9=0 단계 채점 기준 배점
3+3'3 ㈎ xÛ`의 계수가 0일 때의 k의 값을 구한 경우 40%
∴ x= (∵ x>0)
2 ㈏ xÛ`의 계수가 0이 아닐 때의 k의 값을 구한 경우 40%
그런데 3Éx<4이므로 해가 아니다. ㈐ 모든 실수 k의 값의 합을 구한 경우 20%

Þ n=4일 때, 즉 4Éx<5일 때
㉡에서 주어진 방정식은 2xÛ`-8x-2=0
xÛ`-4x-1=0   ∴ x=2+'5 (∵ x>0)
ß n=5일 때, 즉 5Éx<6일 때
㉡에서 주어진 방정식은 2xÛ`-10x+7=0
08 두 이차방정식 ㉠, ㉡의 판별식을 각각 DÁ, Dª라 하면
DÁ=pÛ`-4q, Dª=qÛ`-4p
5Ñ'1Œ1
∴ x= ㄱ. p+q<0이면 p<0 또는 q<0이다.
2
그런데 5Éx<6이므로 해가 아니다. Ú q<0이면 DÁ>0
à n=6일 때, 즉 6Éx<7일 때 Û p<0이면 Dª>0
㉡에서 주어진 방정식은 2xÛ`-12x+18=0 ‌Ú, Û에서 ㉠과 ㉡ 중 적어도 하나는 서로 다른 두
xÛ`-6x+9=0, (x-3)Û`=0   ∴ x=3 실근을 갖는다. (참)
그런데 6Éx<7이므로 해가 아니다. ㄴ. '¶pq=-'p'q이면 p<0, q<0
Ú~à에서 주어진 이차방정식의 근은 ∴ DÁ>0, Dª>0
x=2+'5 즉, ㉠과 ㉡ 모두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갖는다. (참)
1 1
ㄷ. (반례) p=- , q= 이면
2 4
06 이차방정식 xÛ`-2(a+k)x-a+10=0의 판별식을 D라
1 1
할 때, 이 이차방정식이 실근을 가지려면 p+q=- <0, pq=- <0이지만
4 8
D 1 3
=(a+k)Û`+(a-10)¾0   yy㉠ DÁ=pÛ`-4q= -1=- <0
4 4 4
이때, a, k는 실수이므로 (a+k)Û`¾0이다. 이므로 ㉠은 허근을 갖는다. (거짓)
따라서 ㉠이 모든 실수 k에 대하여 항상 성립하려면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이다. 답②
a-10¾0, 즉 a¾10이어야 하므로 실수 a의 최솟값은
10이다. 답 10 blacklabel 특강 풀이첨삭

ㄷ에서 p+q<0, pq<0인 두 실수 p, q는 다음과 같이 생각할 수 있다.


blacklabel 특강 풀이첨삭 Ú p<0, q>0, |p|>|q|
Û p>0, q<0, |p|<|q|
㉠에서 f(k)=(k+a)Û`+a-10이라 하면 k에 대한 이차함수 Ú의 경우 Dª=qÛ`-4p>0이므로 이차방정식 ㉠은 서로 다른 두 실
f(k)는 k=-a일 때 최솟값 a-10을 갖는다. 근을 갖지만 pÛ`>0, -4q<0에서 DÁ=pÛ`-4q의 값의 부호는 알 수
이때, k의 값에 관계없이 ㉠이 항상 성립해야 하므로 없다. 이럴 때는 p<0, q>0, |p|>|q|이면서 pÛ`<4q를 만족시키는
( f(k)의 최솟값)¾0이어야 한다. 두 실수 p, q를 찾아 대입하면 ㄷ이 거짓임을 보일 수 있다.
즉, a-10¾0에서 a¾10이다. Û도 Ú과 같은 방법으로 반례를 찾아 거짓임을 보일 수 있다.

07 방정식 (k-1)xÛ`-2'6x+k=0에서
Ú k=1일 때,
일차방정식 -2'6x+1=0에서
1 '6 09 이차방정식 xÛ`+(k+1)x+k=0의 두 근의 절댓값의 비
x= = 가 1:2이므로 두 근의 부호가 같은 경우 두 근을 a, 2a,
2'6 12
즉, 오직 한 개의 실근을 갖는다. 부호가 다른 경우 두 근을 a, -2a`(a+0)라 하자.

Ⅱ. 방정식과 부등식 | 043

블랙고등수학(상)-해설.indb 43 17. 6. 14. 오후 4:08


A n s w e r

Ú 두 근이 a, 2a일 때, ∴ 3xÛ`-2(a+b+c)x+ab+bc+ca=0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이 이차방정식의 두 근의 합과 곱이 각각 4, -3이므로
a+2a=-(k+1)   ∴ 3a=-k-1 yy㉠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a_2a=k`   ∴ k=2aÛ` yy㉡ 2(a+b+c) ab+bc+ca
=4, =-3
3 3
㉡을 ㉠에 대입하면
∴ a+b+c=6, ab+bc+ca=-9
3a=-2aÛ`-1, 2aÛ`+3a+1=0
이차방정식 (x-a)Û`+(x-b)Û`+(x-c)Û`=0에서
1
(a+1)(2a+1)=0   ∴ a=-1 또는 a=-
2 3xÛ`-2(a+b+c)x+aÛ`+bÛ`+cÛ`=0
1 1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이 이차방정식의 두 근의 곱은
∴ a=-1, k=2 또는 a=- , k= (∵ ㉡)
2 2
aÛ`+bÛ`+cÛ` 1
‌= {(a+b+c)Û`-2(ab+bc+ca)}
Û 두 근이 a, -2a일 때, 3 3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1
= (36+18)=18 답④
3
a+(-2a)=-(k+1)   ∴ a=k+1 yy㉢
a_(-2a)=k   ∴ k=-2aÛ` yy㉣
㉣을 ㉢에 대입하면
12 조건 ㈏에서 6<a+b<8, 5<ab<12
a=-2aÛ`+1, 2aÛ`+a-1=0 즉, 이차방정식 axÛ`-bx+3c=0에서 근과 계수의 관계
1
(a+1)(2a-1)=0   ∴ a=-1 또는 a= 에 의하여
2
b 3c
1 1 6< <8, 5< <12
∴ a=-1, k=-2 또는 a= , k=- (∵ ㉣) a a
2 2
이때, a는 자연수이므로
Ú, Û에서 구하는 모든 실수 k의 값의 합은
5a
1 1 6a<b<8a, <c<4a
2+ +(-2)+{- }=0 답0 3
2 2
조건 ㈎에서 a, b, c는 한 자리의 자연수이므로
다른풀이
6a<b<8a를 만족시키는 a, b의 값은 a=1, b=7
이차방정식 xÛ`+(k+1)x+k=0에서
5a 5
(x+1)(x+k)=0   ∴ x=-1 또는 x=-k <c<4a에서 <c<4이므로
3 3
Ú |-1|:|-k|=1:2일 때, c=2 또는 c=3
|k|=2   ∴ k=Ñ2 Ú a=1, b=7, c=2일 때,
Û |-1|:|-k|=2:1일 때, 주어진 이차방정식은 xÛ`-7x+6=0이므로
1 1 (x-1)(x-6)=0   ∴ x=1 또는 x=6
2|k|=1, |k|=    ∴ k=Ñ
2 2
이것은 조건 ㈏를 만족시키지 않는다.
Û a=1, b=7, c=3일 때,
10 이차방정식 {n+"Ãn(n+1)}xÛ`-'nx-n=0의 두 근이 주어진 이차방정식은 xÛ`-7x+9=0이므로
aÇ, bÇ이므로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7Ñ'1Œ3
x=
'n 2
aÇ+bÇ=
n+"Ãn(n+1) Ú, Û에서 a=1, b=7, c=3이므로
'n 1 a+2b+3c=1+2_7+3_3=24 답②
aÇ+bÇ= =
'n('n+'Än+1) 'n+'Än+1
'Än+1-'n
aÇ+bÇ=
('Än+1+'n)('Än+1-'n) 13 이차방정식 axÛ`+bx+c=0의 두 근이 p, q이므로 근과
aÇ+bÇ='Än+1-'n`(∵ n은 자연수)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 (aÁ+aª+y+a¢¥)+(bÁ+bª+y+b¢¥)
‌ b c
p+q=- , pq= yy㉠
a a
=(aÁ+bÁ)+(aª+bª)+y+(a¢¥+b¢¥)
또한, 이차방정식 cxÛ`-bx+a=0의 두 근이 r, s이므로
=('2-'1)+('3-'2)+y+('4Œ9-'4Œ8)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4Œ9-'1=7-1=6 답⑤
b a
r+s= , rs= yy㉡
c c
11 (x-a)(x-b)+(x-b)(x-c)+(x-c)(x-a)=0 ㉠, ㉡에서
에서 b
p+q 1 1
={- }+{- }
b a
xÛ`-(a+b)x+ab+xÛ`-(b+c)x+bc r+s= = =-
c c pq p q
 +xÛ`-(c+a)x+ca=0 a

044 | 블랙라벨 수학 (상)

블랙고등수학(상)-해설.indb 44 17. 6. 14. 오후 4:08


본문 p. 35

1 1 1
rs= = ={- }_{- }
a 이 식의 양변을 제곱하면
c pq p q
xÝ`+2xÛ`+1=3xÛ`, xÝ`-xÛ`+1=0
1 1 1 1
∴ r=- , s=- 또는 r=- , s=- xÛ`=t로 놓으면 tÛ`-t+1=0
p q q p
이 식의 양변에 t+1을 곱하면
이때, -1<p<0<q<1에서
(t+1)(tÛ`-t+1)=0   ∴ tÜ`=-1
1 1
- >1, - <-1
p q ∴ xß`=-1
1 1 즉, xß`=-1이고 x® ß`=-1이다.
또한, r<s이므로 r=- , s=-
q p
따라서 r<-1<p<0<q<1<s이므로 대소 관계는
15 이차방정식 xÛ`-5x+2=0의 두 근이 a, b이므로 근과
r<p<q<s이다. 답④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a+b=5, ab=2
1 1 a+b 5
+ = = yy㉠
14 이차방정식 xÛ`-'3x+1=0에서 ∴
a b ab 2
'3Ñ'Ä3-4 '3Ñi 다항식 f(x)를 이차식 xÛ`-5x+2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x= =
2 2
Q(x), 나머지를 ax+b (a, b는 상수)라 하면
'3+i
x= 라 하면 f(x)=(xÛ`-5x+2)Q(x)+ax+b
2

}2`=
'3+i 3+2'3i-1 1+'3i 이때, f(a)=2b, f(b)=2a이므로
xÛ`={ =
2 4 2 f(a)=aa+b=2b (∵ aÛ`-5a+2=0) yy㉡
1+'3i '3+i 4i f(b)=ab+b=2a (∵ bÛ`-5b+2=0) yy㉢
xÜ`=xÛ`x= _ = =i
2 2 4
㉡-㉢을 하면
즉, xß`=(xÜ`)Û`=i Û`=-1이므로
a(a-b)=-2(a-b) yy㉣
1+x+xÛ`+y+x100
그런데 이차방정식 xÛ`-5x+2=0은 중근을 갖지 않으므
=(1+x+xÛ`+xÜ`+xÝ`+xÞ`)
로 a+b
+(xß`+xà`+x¡`+xá`+xÚ`â`+xÚ`Ú`)
즉, ㉣의 양변을 a-b로 나누면 a=-2
+(xÚ`Û`+xÚ`Ü`+xÚ`Ý`+xÚ`Þ`+xÚ`ß`+xÚ`à`)+y
또한, ㉡+㉢을 하면
 +x96+x97+x98+x99+x100
a(a+b)+2b=2(a+b)
=(1+x+xÛ`+xÜ`+xÝ`+xÞ`)
5a+2b=10 (∵ a+b=5)
-(1+x+xÛ`+xÜ`+xÝ`+xÞ`)
10-5a 10-5_(-2)
+(1+x+xÛ`+xÜ`+xÝ`+xÞ`)-y ∴ b= = =10 (∵ a=-2)
2 2
 +1+x+xÛ`+xÜ`+xÝ` 따라서 R(x)=-2x+10이므로
=1+x+xÛ`+xÜ`+xÝ` 1 1 a+b
R{ + }‌=R{ }=R{ 5 } (∵ ㉠)
또한, x® ß`=-1이므로 같은 방법으로 계산하면 a b ab 2

=-2_ 5 +10=5
100
1+x+x
® ® Û`+y+x® =1+x+x® ® Û`+x® Ü`+x® Ý` 답5
2
한편, x, x는 ® 이차방정식 xÛ`-'3x+1=0의 두 근이므로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16 이차방정식 xÛ`-x-1=0의 두 근이 a, b이므로 근과 계
x+x®='3, xx®=1 수의 관계에 의하여
∴ xÛ
‌ `+x® Û`=(x+x)Û
® `-2xx=('3)Û
® `-2_1=1 a+b=1, ab=-1   yy㉠
xÜ`+x® Ü`‌=(x+x)Ü
® `-3xx(x+x
® )
® 또한, a는 이차방정식 xÛ`-x-1=0의 근이므로
=('3)Ü`-3_'3_1=0 aÛ`-a-1=0   ∴ aÛ`=a+1
xÝ`+x®Ý`=(xÛ`+x® Û`)Û`-2xÛ` x® Û`=1-2_1=-1 aÜ`=aaÛ`=a(a+1)=aÛ`+a=2a+1
따라서 주어진 식의 값은 aÝ`‌=aaÜ`=a(2a+1)=2aÛ`+a
(1+x+xÛ`+y+x100)+(1+x+x
®
100
® Û`+y+x® ) =2(a+1)+a=3a+2
=(1+x+xÛ`+xÜ`+xÝ`)+(1+x®+x® Û`+x® Ü`+x® Ý`) aÞ`‌=aaÝ`=a(3a+2)=3aÛ`+2a
=2+(x+x®)+(xÛ`+x® Û`)+(xÜ`+x® Ü`)+(xÝ`+x® Ý`) =3(a+1)+2a=5a+3
=2+'3+1+0-1 같은 방법으로
=2+'3 답①
bÞ`=5b+3
다른풀이 따라서 두 수 aÞ`, bÞ`을 두 근으로 하고 이차항의 계수가 1
이차방정식 xÛ`-'3x+1=0에서 인 이차방정식은
xÛ`+1='3x xÛ`-(aÞ`+bÞ`)x+aÞ`bÞ`=0

Ⅱ. 방정식과 부등식 | 045

블랙고등수학(상)-해설.indb 45 17. 6. 14. 오후 4:08


A n s w e r

xÛ`-{(5a+3)+(5b+3)}x+(ab)Þ`=0 이라 하면 zª=a-bi이므로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xÛ`-{5(a+b)+6}x+(ab)Þ`=0 zÁ+zª=(a+bi)+(a-bi)=2a=p
∴ xÛ`-11x-1=0 (∵ ㉠) 답③ zÁzª=(a+bi)(a-bi)=aÛ`+bÛ`=q
ㄱ. a, b는 실수이고 b+0이므로
q=aÛ`+bÛ`>0 (참)
17 이차방정식 xÛ`+x-1=0의 두 근이 a, b이므로 근과 계 ㄴ. zÁ=2zª이면 a+bi=2a-2bi
수의 관계에 의하여 ‌a, b는 실수이므로 복소수가 서로 같을 조건에 의하여
a+b=-1 a=0, b=0
f(a)=b, f(b)=a이므로 ‌그런데 b+0이어야 하므로 zÁ=2zª를 만족시키는 p,
`f(a)=-a-1, f(b)=-b-1 q는 존재하지 않는다. (거짓)
∴ f(a)+a+1=0, f(b)+b+1=0 '3 1 '3 1
ㄷ. (반례) zÁ= + i, zª= - i이면
이때, a, b는 이차방정식 f(x)+x+1=0의 두 근이므로 2 2 2 2
'3 1 '3 1
`f(x)+x+1=k(xÛ`+x-1) (k+0)이라 할 수 있다. zÁzª={ + i}_{ - i}=1이지만
2 2 2 2
위의 식에 x=1을 대입하면
p=2a='3, q=zÁzª=1이므로 p+q+1 (거짓)
f(1)+1+1=k(1+1-1)에서
따라서 옳은 것은 ㄱ뿐이다. 답①
k=f(1)+2=2`(∵ f(1)=0)
즉, f(x)+x+1=2(xÛ`+x-1)이므로
`f(x)=2xÛ`+x-3
따라서 이차방정식 f(x)=0, 즉 2xÛ`+x-3=0의 두 근 20 계수가 실수인 이차방정식 f(x)=0의 한 근이
을 p, q라 하면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1+'3i 1-'3i
a= 이므로 다른 한 근은 이다.
2 2
1 3
p+q=- , pq=-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2 2
∴ (p-q)Û`=(p+q)Û`-4pq 1+'3i 1-'3i
(두 근의 합)= + =1
={- }2`-4_{- }=
2 2
1 3 25
2 2 4 1+'3i 1-'3i
(두 근의 곱)= _ =1
2 2
25 5
∴ |p-q|="Ã(p-q)Û`=®Â =  답⑤ 즉, f(x)=a(xÛ`-x+1) (a+0)이라 할 수 있다.
4 2
이때, f(a)=0이므로
aÛ`-a+1=0   yy㉠`

18 2<'5<3에서 3<'5+1<4이므로 '5+1의 소수 부분은 ㉠의 양변에 a+1을 곱하면


('5+1)-3=-2+'5 (a+1)(aÛ`-a+1)=0
즉, 계수가 유리수인 이차방정식 axÛ`+bx+c=0의 한 aÜ`+1=0   ∴ aÜ`=-1
근이 -2+'5이므로 다른 한 근은 -2-'5이고 근과 계 ∴ f(aß`-a)=f(1-a)=f(-aÛ`) (∵ ㉠)
수의 관계에 의하여 =a(aÝ`+aÛ`+1)
b b =a(-a+aÛ`+1)
(-2+'5)+(-2-'5)=-    ∴ =4
a a =0 답②
c c
(-2+'5)(-2-'5)=    ∴ =-1 다른풀이
a a
이때, 이차방정식 cxÛ`+bx+a=0의 두 근이 a, b이므로 a=
1+'3i
에서 2a-1='3i
2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이 식의 양변을 제곱하면 4aÛ`-4a+1=-3
b
b a 4 a 4aÛ`-4a+4=0   ∴ aÛ`-a+1=0
a+b=- =- =- =4, ab= =-1
c c -1 c
a
∴ |a-b|‌="Ã(a-b)Û`="Ã(a+b)Û`-4ab
="Ã4Û`-4_(-1) 21 계수가 실수인 이차방정식 xÛ`-px+p+3=0의 한 근이
='2Œ0=2'5 답 2'5 허수 a이므로 다른 한 근은 a®이다.
a=a+bi (a, b는 실수, b+0)라 하면 a®=a-bi이고,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19 이차방정식 xÛ`-px+q=0의 두 허근 zÁ, zª에 대하여 a+a®=p, aa®=p+3
zÁ=a+bi (단, a, b는 실수, b+0) 즉, 2a=p, aÛ`+bÛ`=p+3이므로

046 | 블랙라벨 수학 (상)

블랙고등수학(상)-해설.indb 46 17. 6. 14. 오후 4:08


본문 pp. 35~37

p pÛ`
a= , bÛ`=-aÛ`+p+3=- +p+3
2 4
yy㉠ 23 이차방정식 xÛ`-'ax+1-a=0이 두 실근을 가지므로
판별식을 D라 하면
한편,
D=a-4(1-a)¾0, 5a-4¾0
aÜ`‌=(a+bi)Ü`
4
∴ a¾ yy㉠
=aÜ`+3aÛ`bi-3abÛ`-bÜ`i 5
=(aÜ`-3abÛ`)+(3aÛ`b-bÜ`)i 또한, 이차방정식 xÛ`-'ax+1-a=0의 두 근이 모두 양
이때, aÜ`이 실수가 되려면 3aÛ`b-bÜ`=0이어야 한다. 수이므로 두 근의 합과 곱도 양수이다.
즉, b(3aÛ`-bÛ`)=0   ∴ bÛ`=3aÛ` (∵ b+0) yy㉡ 즉,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을 ㉡에 대입하면 'a>0에서 a>0 yy㉡
pÛ` p 1-a>0에서 a<1 yy㉢
- +p+3=3{ }2`
4 2
4
㉠, ㉡, ㉢에서 Éa<1
4pÛ`-4p-12=0   ∴ pÛ`-p-3=0 yy㉢ 5
따라서 실수 p는 이차방정식 ㉢의 두 실근이므로 근과 계 4
따라서 p= , q=1이므로
5
수의 관계에 의하여 조건을 만족시키는 모든 실수 p의 값
5p+q=4+1=5 답5
의 곱은 -3이다. 답②

다른풀이
24 이차방정식 xÛ`+(a-2)x+2a-4=0에서 근과 계수의
이차방정식 xÛ`-px+p+3=0이 허근을 가지므로 판별 관계에 의하여
식을 D라 하면 a+b=2-a, ab=2a-4   yy㉠
D=pÛ`-4(p+3)<0, pÛ`-4p-12<0 이때, a<2에서 ab=2a-4<0
(p-6)(p+2)<0   ∴ -2<p<6   yy㉣ |a|+|b|='6Œ5의 양변을 제곱하면
또한, 이차방정식 xÛ`-px+p+3=0의 한 허근이 a이므로 (|a|+|b|)Û`=65, |a|Û`+2|a||b|+|b|Û`=65
aÛ`-pa+p+3=0, 즉 aÛ`=pa-p-3 aÛ`-2ab+bÛ`=65 (∵ ab<0)
∴ aÜ`‌=a(pa-p-3) (a+b)Û`-4ab=65
=paÛ`-(p+3)a 이 식에 ㉠을 대입하면
=p(pa-p-3)-(p+3)a (2-a)Û`-4(2a-4)=65
=(pÛ`-p-3)a-p(p+3) aÛ`-12a-45=0
이때, aÜ`은 실수, a는 허수, p(p+3)은 실수이므로 (a-15)(a+3)=0   ∴ a=-3 (∵ a<2)
pÛ`-p-3=0 즉, ㉠에서 a+b=5, ab=-10이므로
f(p)‌=pÛ`-p-3이라 하면

f(p)={p- }2`-
(a-1)(b-1)=ab-a-b+1=-14 답 -14
1 13
2 4 단계 채점 기준 배점
㈎ 두 근의 합과 곱을 구한 경우 30%
즉, 이차함수 y=f(p)의 그래프는 y=f{p} y
27 ㈏ 주어진 조건을 이용하여 a에 대한 방정식을 세운 경우 30%
오른쪽 그림과 같으므로 ㈐ a의 값을 구한 경우 30%
이차방정식 pÛ`-p-3=0의 모든 근 ㈑ (a-1)(b-1)의 값을 구한 경우 10%
은 -2와 6 사이에 존재하고, ㉣을
만족시킨다. blacklabel 특강 풀이첨삭

따라서 aÜ`이 실수가 되는 모든 실수 3 이차방정식 xÛ`+(a-2)x+2a-4=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2 O
D‌=(a-2)Û`-4(2a-4)=aÛ`-4a+4-8a+16
p의 값의 곱은 근과 계수의 관계에 13 16 p
- =aÛ`-12a+20
4 2
의하여 -3이다. =(a-2)(a-10)
이때, 실수 a가 a<2이므로 a-2<0, a-10<0
∴ D=(a-2)(a-10)>0
따라서 a<2일 때, 이차방정식 xÛ`+(a-2)x+2a-4=0은 서로 다

22 x에 대한 이차방정식 xÛ`+(aÛ`-2a-3)x-a+1=0의 른 두 실근을 가진다.

두 실근 a, b의 절댓값이 같고 부호는 반대이므로


a+b=0, ab<0
25 해결단계
이때, a+b=0에서 -(aÛ`-2a-3)=0
이차방정식 xÛ`+ax+b=0에서 근과 계수의 관계를 이용
➊ 단계
aÛ`-2a-3=0, (a+1)(a-3)=0 하여 a+b, ab를 a, b에 대한 식으로 나타낸다.

∴ a=-1 또는 a=3 yy㉠ 이차방정식 xÛ`-(4a-b)x-8b=0에서 근과 계수의 관계


➋ 단계 를 이용하여 |a|+|b|, |a||b|를 a, b에 대한 식으로 나
ab<0에서 -a+1<0   ∴ a>1 yy㉡ 타낸다.
㉠, ㉡에서 a=3 답3 ➌ 단계 ➊, ➋단계에서 구한 결과를 이용하여 a, b의 값을 구한다.

Ⅱ. 방정식과 부등식 | 047

블랙고등수학(상)-해설.indb 47 17. 6. 14. 오후 4:08


A n s w e r

이차방정식 xÛ`+ax+b=0의 두 근이 a, b이므로 근과 이때, a, b는 정수이므로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a+2=1, b+2=1 또는 a+2=-1, b+2=-1
a+b=-a, ab=b yy㉠ ∴ a=b=-1 또는 a=b=-3
또한, 이차방정식 xÛ`-(4a-b)x-8b=0의 두 근이 a=b=-1일 때, m=1
|a|+|b|, |a||b|이므로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a=b=-3일 때, m=5
(|a|+|b|)+|a||b|=4a-b yy㉡ 따라서 모든 정수 m의 값의 합은 1+5=6
(|a|+|b|)_|a||b|=-8b yy㉢
이때, a, b의 부호가 서로 다르므로
|a||b|=-ab=-b 27 이차방정식 xÛ`-px+q=0이 서로 다른 양의 정수를 두
즉, ㉢에서 (|a|+|b|)_(-b)=-8b 근으로 가지므로 두 근을 a, b (a, b는 양의 정수, a+b)
∴ |a|+|b|=8`(∵ b+0) yy㉣ 라 하면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을 ㉡에 대입하면 a+b=p, ab=q
8-b=4a-b   ∴ a=2 ㄱ. ‌q는 소수이므로 ab=1_q에서
즉, ㉠에서 a+b=-2 yy㉤ a=1, b=q 또는 a=q, b=1
㉣, ㉤에서 ∴ p=a+b=q+1 (참)
(|a|+|b|)Û`-(a+b)Û`=8Û`-(-2)Û` ㄴ. ‌ㄱ에 의하여 a, b 중 하나는 1이므로 소수가 아닌 근
2|a||b|-2ab=64-4=60 이 존재한다. (거짓)
-2b-2b=60   ∴ b=-15 ㄷ. ‌p, q가 모두 소수이면서 p=q+1을 만족시키는 것은
∴ ab=2_(-15)=-30 답 -30 p=3, q=2뿐이므로
2p-q=2_3-2=4
즉, 2p-q는 짝수이다. (참)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답③

26 이차방정식 xÛ`+(m+1)x+2m-1=0의 판별식을 D 28 주어진 이차방정식 xÛ`+8px-qÛ`=0에서 근과 계수의 관


라 하면 D=(m+1)Û`-4(2m-1)=mÛ`-6m+5이고, 계에 의하여
-(m+1)Ñ'§D a+b=-8p, ab=-qÛ`
x=
2 그런데 a, b가 모두 정수이고, 두 근의 곱이 -qÛ`이므로
두 근이 정수가 되기 위해서는 D가 제곱수이거나 0이어 a, b가 q 또는 -q, -1 또는 qÛ`, 1 또는 -qÛ`인 세 가지
야 한다. 경우뿐이다.
그런데 D가 제곱수가 될 수 없으므로 D=0 Ú a=q, b=-q일 때
이때, mÛ`-6m+5=0에서 a+b=q+(-q)=0
(m-1)(m-5)=0   ∴ m=1 또는 m=5 이때, p+0이므로 해가 아니다.
m=1일 때, xÛ`+2x+1=0, 즉 (x+1)Û`=0이므로 두 Û a=-1, b=qÛ`일 때
근은 정수이다. a+b=-1+qÛ`=-8p
m=5일 때, xÛ`+6x+9=0, 즉 (x+3)Û`=0이므로 두 소수인 p는 p>1이므로
근은 정수이다. -1+qÛ`=-8p<0   ∴ qÛ`<1
따라서 모든 정수 m의 값의 합은 1+5=6 답① 그런데 소수인 q는 q>1이므로 해가 아니다.
다른풀이 Ü a=1, b=-qÛ`일 때
이차방정식 xÛ`+(m+1)x+2n-1=0의 두 정수인 근 a+b=1-qÛ`=-8p
을 a, b라 하면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 8p=qÛ`-1
a+b=-m-1 yy㉠ 이를 만족시키는 소수는 p=3, q=5뿐이다.
ab=2m-1 yy㉡ Ú, Û, Ü에서 p=3, q=5이므로
㉠에서 m=-a-b-1을 ㉡에 대입하면 이차방정식 xÛ`+24x-25=0에서
ab=2(-a-b-1)-1 (x+25)(x-1)=0   ∴ x=-25 또는 x=1
ab+2a+2b+3=0 즉, 이차방정식 xÛ`+24x-25=0의 두 근은 -25, 1이므
ab+2a+2b+4=1 로 |a-b|=1-(-25)=26
∴ (a+2)(b+2)=1 ∴ |a-b|+p+q=26+3+5=34 답②

048 | 블랙라벨 수학 (상)

블랙고등수학(상)-해설.indb 48 17. 6. 14. 오후 4:08


본문 p. 37

blacklabel 특강 풀이첨삭
31 두 점 M, N이 각각 두 변 AB, AC의 중점이므로
△AMN»△ABC (AA 닮음)
8p=qÛ`-1에서 p, q는 모두 소수이므로
따라서 △AMN은 한 변의 길이가 x인 정삼각형이므로
p>1에서 qÛ`-1>8   ∴ qÛ`>9
또한, 8p=(q+1)(q-1)에서 q+1, q-1의 값은 1 또는 합성수이 AÕMÓ=ANÓ=NCÓ=x
지만 qÛ`>9이므로 (q+1)(q-1)=4_2p인 경우만 가능하다.
오른쪽 그림과 같이 반직선 NM A
x
Ú q+1=4,
‌ q-1=2p일 때,
q=3이므로 qÛ`>9에 맞지 않다. 이 삼각형 ABC의 외접원과 만나 x
Q P
Û q+1=2p,
‌ q-1=4일 때,
는 점을 Q라 하면 1 M N 1
q=5이므로 p=3 x
Ú, Û에서 1-qÛ`=-8p를 만족시키는 두 소수 p, q는 QÕMÓ=NPÓ=1 B C
p=3, q=5뿐이다.
삼각형 AQN과 삼각형 PCN에서
∠QAN=∠CPN (호 QBC에 대한 원주각)
∠ANQ=∠PNC (맞꼭지각)
29 두 선분 BE와 AC의 교점을 P라 하면 삼각형 ABE와 ∴ △AQN»△PCN (AA 닮음)
삼각형 BCA가 합동이므로 즉, QNÓ:CNÓ=ANÓ:PNÓ이므로
∠AEB=∠BAC (1+x):x=x:1
삼각형 ABE와 삼각형 PBA에서 A
xÛ`=x+1
2
∠B는 공통, ∠AEB=∠PAB이므로 ∴ xÛ`-x-1=0
B E
P
△ABE»△PBA (AA 닮음) x>0이므로 위의 식의 양변을 x로 나누면
한편, 사각형 PCDE에서 PCÓEDÓ, 1 1
C D x-1- =0, 즉 x- =1
PEÓCDÓ이고 CDÓ=DEÓ이므로 x x

‌={x- }2`+2
PCDE는 마름모이다. 1 1
∴ xÛ`+
xÛ` x
∴ PEÓ=2
=1+2
BEÓ=x라 하면 PBÓ=x-2이므로
=3
BEÓ:BAÓ=ABÓ:PBÓ에서 x:2=2:(x-2)
1
4=x(x-2), xÛ`-2x-4=0 ∴ 10{xÛ`+ }‌=10_3
xÛ`
∴ x=1Ñ'5 =30 답 30
그런데 x>0이므로 다른풀이
x=BEÓ=1+'5 답②
오른쪽 그림과 같이 삼각형 ABC의 A

외심을 O, 선분 MN의 중점을 I라 하


M I N
P
30 A, B가 도중에 만난 지점을 P라 하자. 면 외심 O는 삼각형 ABC의 무게중심 O

15b`km 20a`km 이다. B C


H
도서관 P 학교 이때, MòNÓ=x에서 △ABC는 한 변
A는 B와 마주친 뒤 20분 후에 학교에 도착하였으므로 의 길이가 2x인 정삼각형이고, AHÓ='3x이므로
지점 P에서 학교까지의 거리는 20a`km이고, B는 A와 1 '3
I®OÕ= AHÓ= x
6 6
마주친 뒤 15분 후에 도서관에 도착하였으므로 지점 P에
x
서 도서관까지의 거리는 15b`km이다. I®PÕ=I®Nò+NPÓ= +1
2
그런데 A가 B보다 20분 먼저 출발하였으므로 A가 도서 2 2'3
OPÓ=OÕAÓ= AHÓ= x
관을 출발하여 지점 P까지 가는 데 걸린 시간은 B가 학 3 3
교를 출발하여 지점 P까지 가는 데 걸린 시간보다 20분 직각삼각형 IOP에서 피 x
+1
2
I P
더 길다. 타고라스 정리에 의하여

x}2`+{ +1}2`
Â3
'3 x
{
15b 20a x 6 2Â3
x
즉, = +20 6 2 O 3
a b

x}2`
b 20 2'3
이때, =t로 놓으면 15t= +20 ={
a t 3
t>0이므로 위의 식의 양변에 t를 곱하면 ∴ xÛ`-x-1=0
15tÛ`=20+20t 1
즉, x- =1이므로
x

}=10[{x- }2`+2]=30
15tÛ`-20t-20=0, 3tÛ`-4t-4=0
1 1
(3t+2)(t-2)=0   ∴ t=2`(∵ t>0) 10{xÛ`+
xÛ` x
b
∴ =2 답2
a

Ⅱ. 방정식과 부등식 | 049

블랙고등수학(상)-해설.indb 49 17. 6. 14. 오후 4:08


A n s w e r

Step 3 k
1등급을 넘어서는 종합 사고력 문제 p. 38 존재하므로 x=n+ (0Ék<n)라 하면 방정식
n
01 26 02 94 03 ③ 04 8 05 33 x[x]+187=[xÛ` ]+[x]에서

{n+ }[n+ ]+187=[nÛ`+2k+ ]+[n+ ]


1 k k kÛ` k
06 07 21 08 a=0, b=4
4
n n nÛ` n

{n+ }n+187=(nÛ`+2k)+n
k
n
01 해결단계
nÛ`+k+187=nÛ`+2k+n
근과 계수의 관계를 이용하여 a, b의 합과 곱, c, d의 합과
➊ 단계 ∴ n+k=187 yy㉠
곱을 각각 구한다.
➋ 단계 판별식을 이용하여 a, b, c, d 중 실근이 있는지 파악한다. 그런데 0Ék<n이므로 nÉn+k<2n
a, b, c, d 사이의 관계식을 이용하여 각 값을 구하고 a, b 즉, nÉ187<2n에서
➌ 단계
의 값을 구한다.
187
<nÉ187 yy㉡
이차방정식 xÛ`-2x+a=0의 서로 다른 두 근이 a, b이 2

므로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에서 n은 자연수이므로 n의 값은 94, 95, y, 187의

a+b=2, ab=a 94개이고, ㉠에서 각각의 n에 대하여 k의 값이 하나씩 존

또한, 이차방정식 xÛ`+bx-2=0의 서로 다른 두 근이 c, 재하므로 가능한 순서쌍 (n, k)의 개수는 94이다.

d이므로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따라서 주어진 방정식의 근의 개수는 94이다. 답 94

c+d=-b, cd=-2
이차방정식 xÛ`+bx-2=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03 해결단계
D=bÛ`+8>0에서 두 근 c, d는 실근이므로 ㄱ은 이차방정식의 근을 직접 구하고, a+b가 순허수임을
➊ 단계
a+c=2+2i에서 이용하여 참·거짓을 판단한다.
ㄴ은 a=p+qi, b=-p+ri라 두고 ab가 실수임을 이용
a=(2-c)+2i ➋ 단계
하여 참·거짓을 판단한다.
이때, 이차방정식 xÛ`-2x+a=0의 계수는 실수이고, a가 ㄷ은 ㄱ에서 구한 이차방정식의 근이 ㄴ에서 구한 조건을
➌ 단계
허근이므로 b는 a의 켤레복소수이다. 즉, 만족시켜야 함을 이용하여 구한다.

b=a®=(2-c)-2i ㄱ. ‌두 이차방정식 xÛ`+ax+b=0, xÛ`+cx+d=0의 계


a+b=2에서 수가 실수이고 허근을 가지므로 판별식을 각각 DÁ,
(2-c)+2i+(2-c)-2i=2 Dª라 하면
4-2c=2 DÁ=aÛ`-4b<0, Dª=cÛ`-4d<0
∴ c=1, d=-2 (∵ cd=-2) ‌이차방정식 xÛ`+ax+b=0의 허근 a와 이차방정식
c+d=-b이므로 xÛ`+cx+d=0의 허근 b를 구하면
1+(-2)=-b   ∴ b=1 -aÑ"ÃaÛ`-4b -cÑ"ÃcÛ`-4d
a= , b=
또한, a=1+2i, b=1-2i이므로 ab=a에서 2 2
-(a+c)Ñ"ÃaÛ`-4bÑ"ÃcÛ`-4d
a=(1+2i)(1-2i)=5 ∴ a+b=
2
∴ aÛ`+bÛ`=25+1=26 답 26
이때, a+b가 순허수이므로 a+c=0 (참)
ㄴ. ㄱ에서 a=-c이므로
02 해결단계 a=p+qi, b=-p+ri (p, q, r는 실수)
x=n+a`(n은 자연수, 0Éa<1)라 하고, [x]와 x[x]를 라 할 수 있다.
➊ 단계
n, a에 대한 식으로 나타낸다. 이때,
a를 n에 대한 식으로 나타내고 주어진 방정식에 대입한 후,
➋ 단계
식을 정리한다.
ab‌=(p+qi)(-p+ri)
➌ 단계 n의 값의 범위를 구하여 주어진 방정식의 근의 개수를 구한다. =(-pÛ`-qr)+(-pq+pr)i
가 실수이므로 -pq+pr=0
방정식 x[ x ]+187=[ xÛ` ]+[ x ]에서 [ xÛ` ]+[ x ]가 정수이
p(q-r)=0에서 p=0 또는 q=r
므로 x[ x ]+187도 정수이다.
그런데 p=0이면 a=qi이므로 이차방정식
즉, x[ x ]도 정수이다.
xÛ`+ax+b=0의 다른 한 근은 -qi이다.
x=n+a (n은 자연수, 0Éa<1)라 하면
x<1이면 x[x]+187>[xÛ`]+[x] ‌이때, 두 근의 합은 -a=qi+(-qi)=0이므로 실수
[ x ]=n이므로 x[ x ]=nÛ`+an
a가 0이 아니라는 조건에 맞지 않다.
이때, an도 정수이므로 a는 분모가 n인 유리수로 나타낼
즉, q=r이므로 a=p+qi, b=-p+qi
수 있다.
a®b=(p-qi)(-p+qi)=-(p-qi)Û`
k
즉, a=  를 만족시키는 음이 아닌 정수 k (0Ék<n)가
n ab®=(p+qi)(-p-qi)=-(p+qi)Û`

050 | 블랙라벨 수학 (상)

블랙고등수학(상)-해설.indb 50 17. 6. 14. 오후 4:08


본문 p. 38

∴ a®b+ab® (거짓) 이차방정식 mxÛ`-10x+n=0에서 근과 계수의 관계에


ㄷ. ㄴ에서 q=r이므로 10
의하여 두 근의 합은 이다.
-aÑ"ÃaÛ`-4b -cÑ"ÃcÛ`-4d m
a= , b= 에서
2 2 10
그런데 두 근이 서로 다른 소수이므로 은 자연수이다.
m
aÛ`-4b=cÛ`-4d
즉, m의 값이 될 수 있는 수는 10의 약수인 1, 2, 5, 10
이때, ㄱ에서 a=-c, 즉 aÛ`=cÛ`이므로
이다.
b=d (참)
Ú m=1일 때,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답③
두 근의 합은 10이므로 이를 만족시키는 서로 다른 두
소수는 3과 7뿐이다.
04 해결단계 이때, 이차방정식 mxÛ`-10x+n=0, 즉
➊ 단계 조건 ㈎를 이용하여 p, q 사이의 관계식을 구한다. xÛ`-10x+n=0은
➊단계에서 얻은 관계식과 조건 ㈏를 이용하여 정수 q의 값 (x-3)(x-7)=0
➋ 단계
을 구한다.
➌ 단계 ➋단계에서 구한 q의 값을 이용하여 p의 값을 구한다. xÛ`-10x+21=0   ∴ n=21
➍ 단계 pÛ`+qÛ`의 최댓값을 구한다. Û m=2일 때,

f(x)=xÛ`+2x+4이므로 ‌두 근의 합은 5이므로 이것을 만족시키는 서로 다른

g(x)‌=f(x-p)-q 두 소수는 2와 3뿐이다.

=(x-p)Û`+2(x-p)+4-q ‌이때, 이차방정식 mxÛ`-10x+n=0, 즉

=xÛ`+2(1-p)x+pÛ`-2p-q+4 2xÛ`-10x+n=0은

조건 ㈎에서 g(0)=2이므로 2(x-2)(x-3)=0

pÛ`-2p-q+4=2 2xÛ`-10x+12=0   ∴ n=12

∴ g(x)=xÛ`+2(1-p)x+2 Ü m=5 또는 m=10일 때,

또한, pÛ`-2p-q+4=2에서 ‌두 근의 합은 2 또는 1이고 이를 만족시키는 서로 다

(p-1)Û`=q-1 yy㉠ 른 두 소수는 존재하지 않는다.

(p-1)Û`¾0이므로 q-1¾0 Ú, Û, Ü에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모든 n의 값의 합은

∴ q¾1 yy㉡ 21+12=33 답 33

한편, 조건 ㈏에서 방정식 g(x)=0이 서로 다른 두 허근


을 가지므로 판별식을 D라 하면 06 해결단계

D ➊ 단계 근과 계수의 관계를 이용하여 a+b, ab를 구한다.


=(1-p)Û`-2=q-3<0 (∵ ㉠)
4 ➊단계에서 구한 식을 이용하여
(a-b)Û`-2
 를
➋ 단계 2(a+b)Û`+4
∴ q<3 yy㉢ k에 대한 식으로 표현한다.
㉡, ㉢에서 1Éq<3이고 q는 정수이므로 ➋단계에서 구한 식이 정수가 되기 위한 분모와 분자의 조
➌ 단계
건을 찾는다.
q=1 또는 q=2
➍ 단계 ➌단계에서 구한 조건을 만족시키는 k의 값을 구한다.
Ú q=1일 때, ㉠에서
(p-1)Û`=0   ∴ p=1 이차방정식 xÛ`-2kx+kÛ`-2k-1=0에서 근과 계수의

Û q=2일 때, ㉠에서 관계에 의하여

(p-1)Û`=1, p-1=Ñ1 a+b=2k, ab=kÛ`-2k-1

∴ p=2 또는 p=0 (a-b)Û`‌=(a+b)Û`-4ab

Ú, Û에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순서쌍 (p, q)는 =(2k)Û`-4(kÛ`-2k-1)

(1, 1), (2, 2), (0, 2) =8k+4

따라서 pÛ`+qÛ`의 값은 p=2, q=2일 때 최대이고 그 최 (a+b)Û`=(2k)Û`=4kÛ`


(a-b)Û`-2 8k+2 4k+1
댓값은 ∴ = =
2(a+b)Û`+4 8kÛ`+4 4kÛ`+2
2Û`+2Û`=8 답8
이 식의 값이 정수가 되어야 하므로 다음과 같이 경우를
나누어 생각할 수 있다.

05 해결단계 Ú (분자)=0, (분모)+0인 경우


주어진 이차방정식의 두 근이 서로 다른 소수임을 이용하여 임의의 실수 k에 대하여 kÛ`¾0에서 4kÛ`+2>2이므로
➊ 단계
m의 값이 될 수 있는 수를 구한다. 4kÛ`+2+0이다.
➋ 단계 각 m의 값에 대하여 근이 될 서로 다른 두 소수를 구한다.
1
따라서 4k+1=0에서 k=-
➌ 단계 조건을 만족시키는 모든 n의 값의 합을 구한다. 4

Ⅱ. 방정식과 부등식 | 051

블랙고등수학(상)-해설.indb 51 17. 6. 14. 오후 4:08


A n s w e r

Û 분자는 정수이고 (분모)=Ñ1인 경우 3-2_0


x=0일 때, ㉠에서 a= =3
4kÛ`+2=Ñ1에서 4kÛ`<0 (0+1)Û`
따라서 구하는 자연수 a의 값은 3 또는 7이므로 그 곱은
이를 만족시키는 실수 k는 존재하지 않는다.
3_7=21 답 21
Ü 분모가 분자의 약수인 경우
4k+1
=m (m은 0이 아닌 정수)이라 하면
4kÛ`+2
4k+1=4mkÛ`+2m에서 08 해결단계

4mkÛ`-4k+2m-1=0 복소수 z를 z=p+qi (p, q는 실수)로 놓고 z-2, z-2i


➊ 단계
2Ñ"Ã2Û`-4m(2m-1) 를 각각 p, q로 나타낸다.
∴ k‌=
4m ➋ 단계 조건 ㈎를 이용하여 a, p, q 사이의 관계식을 구한다.
➌ 단계 조건 ㈏를 이용하여 a, b의 값을 구한다.
2Ñ2"Ã-2mÛ`+m+1
=
4m 복소수 z를 z=p+qi (p, q는 실수)라 하면
이때, k가 실수이므로 -2mÛ`+m+1¾0 z-2=(p-2)+qi, z-2i=p+(q-2)i
2mÛ`-m-1É0, (2m+1)(m-1)É0 조건 ㈎에서 z-2=(p-2)+qi가 이차방정식
1 xÛ`-ax+4=0의 한 허근이므로 q+0이고 다른 한 근은
∴ - ÉmÉ1
2
z-2Ó=z®-2=(p-2)-qi
m이 0이 아닌 정수이므로 m=1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2Ñ2'Ä-2+1+1 1
∴ k= = (두 근의 합)=(p-2)+qi+(p-2)-qi=a
4 2
1 1 ∴ a=2(p-2) yy㉠
Ú, Û, Ü에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k의 값은 - , 이
4 2 (두 근의 곱)={(p-2)+qi}{(p-2)-qi}=4
므로 모든 실수 k의 값의 합은 ∴ (p-2)Û`+qÛ`=4 yy㉡
1 1 1 1 한편, 조건 ㈏에서 z-2i=p+(q-2)i가 이차방정식
- + =  답
4 2 4 4
xÛ`-bx+4=0의 한 근이므로 실근인 경우와 허근인 경
우로 나누어 생각하면 다음과 같다.
Ú z-2i=p+(q-2)i가 허근인 경우
07 해결단계 q+2이고 이차방정식 xÛ`-bx+4=0의 두 허근은
➊ 단계 주어진 이차방정식으로부터 a를 x에 대한 식으로 나타낸다. p+(q-2)i, p-(q-2)i

➋ 단계
이차방정식의 정수인 근이 적어도 하나 존재함을 이용하여 이므로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정수인 근을 찾는다.
2p=b
➋단계에서 찾은 정수인 근을 이용하여 자연수 a의 값을 구
➌ 단계
한다. pÛ`+(q-2)Û`=4 yy㉢
㉡, ㉢에서
이차방정식 axÛ`+2(a+1)x+a-3=0에서
(p-2)Û`+qÛ`=pÛ`+(q-2)Û`
(xÛ`+2x+1)a+(2x-3)=0, (x+1)Û`a=3-2x
-4p=-4q   ∴ p=q
x=-1은 근이 아니므로 이 식의 양변을 (x+1)Û`으로
이것을 ㉡ 또는 ㉢에 대입하면
나누면
(p-2)Û`+pÛ`=4, pÛ`-2p=0
3-2x
a=    yy㉠ p(p-2)=0   ∴ p=0 또는 p=2
(x+1)Û`
주어진 이차방정식의 두 근 중 적어도 하나가 정수이므로 ‌그런데 p=0이면 q=0이므로 z가 0이 아닌 복소수라
어떤 정수 x에 대하여 자연수인 a의 값을 구하면 된다. 는 조건에 맞지 않다.
이때, a가 자연수이면 a¾1이므로 ㉠에서 또한, p=2이면 q=2이므로 z-2i가 허근이 될 수 없다.
3-2x¾(x+1)Û` 즉, 조건을 만족시키는 p, q는 존재하지 않는다.
xÛ`+4x-2É0   ∴ -2-'6ÉxÉ-2+'6 Û z-2i=p+(q-2)i가 실근인 경우
즉, -1이 아닌 정수 x의 값은 -4, -3, -2, 0 q=2이므로 이를 ㉡에 대입하면
3-2_(-4) 11 (p-2)Û`=0   ∴ p=2
x=-4일 때, ㉠에서 a= = 이므로 자
(-4+1)Û` 9 p=2를 ㉠에 대입하면 a=0
연수가 아니다. ‌한편, z-2i=p=2가 이차방정식 xÛ`-bx+4=0의
3-2_(-3) 9
x=-3일 때, ㉠에서 a= = 이므로 자 한 근이므로
(-3+1)Û` 4
4-2b+4=0   ∴ b=4
연수가 아니다.
Ú, Û에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두 실수 a, b의 값은
3-2_(-2)
x=-2일 때, ㉠에서 a= =7 a=0, b=4 답 a=0, b=4
(-2+1)Û`

052 | 블랙라벨 수학 (상)

블랙고등수학(상)-해설.indb 52 17. 6. 14. 오후 4:08


본문 pp. 38~39

'3 '3
이것이 수능 p. 39 b= t= (3-2'3)=-2+'3
3 3
1 ③ 2 10 3 ② 4 240 1 1
∴ a+ =2+'3+ =0
b -2+'3

1 해결단계 서울대 선배들의 강추문제 1등급 비법 노하우

이차방정식 axÛ`+'3 bx+c=0에 x=2+'3을 대입한 후 이차방정식 axÛ`+'3bx+c=0의 한 근이 a=2+'3이라는 것만 보


➊ 단계 고 다른 한 근을 b=2-'3으로 놓고 문제를 푼 학생들이 많았다. 그
A+B'3=0 꼴로 정리한다.
런데 다른 한 근이 b=2-'3이려면 주어진 이차방정식의 계수가 모
a, b, c가 유리수이면 ➊단계에서 A=0, B=0임을 이용하
➋ 단계 두 유리수이어야 하는데 이 문제의 경우 계수가 무리수인 경우가 있다.
여 b와 c를 a로 표현한다.
이처럼 공식이나 정리를 무작정 외우지 말고 단서나 조건에 주의하며
➌ 단계 근과 계수의 관계를 이용하여 b의 값을 구한다. 암기해야 한다.

이차방정식 axÛ`+'3 bx+c=0의 한 근이 2+'3이므로


x=2+'3을 대입하면
a(2+'3)Û`+'3 b(2+'3)+c=0
a(7+4'3)+2'3 b+3b+c=0 2 해결단계
(7a+3b+c)+(4a+2b)'3=0 이차방정식 xÛ`+x+1=0의 두 근이 a, b임을 이용하여 a,
➊ 단계
이때, a, b, c가 모두 유리수이므로 b, aÛ`, bÛ` 사이의 관계식을 얻는다.
➋ 단계 f(aÛ`)=-4a, f(bÛ`)=-4b의 의미를 파악한다.
7a+3b+c=0, 4a+2b=0
a, b를 두 근으로 하는 이차방정식을 찾아 p, q의 값을 구
∴ b=-2a, c=-a ➌ 단계
한다.
즉, 주어진 이차방정식은 axÛ`-2'3ax-a=0이므로
이차방정식 xÛ`+x+1=0의 두 근이 a, b이므로 근과 계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수의 관계에 의하여
2'3a
a+b= =2'3 a+b=-1
a
a=2+'3이므로 (2+'3)+b=2'3 ∴ a=-b-1   yy㉠, b=-a-1   yy㉡

∴ b=-2+'3 또한, x=a는 이차방정식 xÛ`+x+1=0의 근이므로

1 1 aÛ`+a+1=0
∴ a+ =(2+'3)+
‌
b -2+'3 ㉠을 위의 식에 대입하면
-2-'3 aÛ`-b=0   ∴ aÛ`=b
=(2+'3)+
(-2+'3)(-2-'3)
∴ f(b)‌=f(aÛ`)=-4a
=(2+'3)+(-2-'3)
=-4(-b-1) (∵ ㉠)
=0 답③
=4b+4   yy㉢
다른풀이 1
같은 방법으로 b도 이차방정식 xÛ`+x+1=0의 근이므로
a=2+'3에서 a-'3=2 bÛ`+b+1=0
이 식의 양변을 제곱하면 ㉡을 위의 식에 대입하면
aÛ`-2'3a+3=4 bÛ`-a=0   ∴ bÛ`=a
∴ aÛ`-2'3a-1=0 ∴ f(a)‌=f(bÛ`)=-4b
즉, a는 이차방정식 a(xÛ`-2'3x-1)=0 (a+0)의 근 =-4(-a-1) (∵ ㉡)
이다. =4a+4   yy㉣
이때,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 ㉣에서 f(b)-4b-4=0, f(a)-4a-4=0이므로
(2+'3)+b=2'3   ∴ b=-2+'3 a, b는 이차방정식 f(x)-4x-4=0의 두 근이다.
1 1 즉, f(x)-4x-4=xÛ`+x+1이므로
따라서 a+ =2+'3+ =0
b -2+'3
f(x)=xÛ`+5x+5
다른풀이 2
따라서 p=5, q=5이므로
'3 p+q=5+5=10 답 10
t='3x라 하면 x=  t이므로
3
다른풀이 1
a
이차방정식 axÛ`+'3bx+c=0에서 tÛ`+bt+c=0
3 이차방정식 xÛ`+x+1=0의 두 근이 a, b이므로 근과 계
∴ atÛ`+3bt+3c=0 수의 관계에 의하여
이 이차방정식의 한 근이 t='3(2+'3)=3+2'3이고 a+b=-1   ∴ a+1=-b yy㉤
계수가 모두 유리수이므로 다른 한 근은 t=3-2'3이다. 또한, x=a는 이차방정식 xÛ`+x+1=0의 근이므로
따라서 주어진 방정식의 다른 한 근 b는 aÛ`+a+1=0

Ⅱ. 방정식과 부등식 | 053

블랙고등수학(상)-해설.indb 53 17. 6. 14. 오후 4:08


A n s w e r

㉤을 위의 식에 대입하면 aÛ`-b=0   ∴ aÛ`=b 따라서 xÛ`의 계수가 1이고 두 선분 AE, AH의 길이를 두
aÛ`+a+1=0의 양변에 a-1을 곱하면 근으로 하는 이차방정식은 xÛ`-(a+b)x+ab=0이므로
(a-1)(aÛ`+a+1)=0 ㉠, ㉡에 의하여 구하는 이차방정식은
aÜ`-1=0   ∴ aÜ`=1 xÛ`-6x+6=0 답②
이때, f(aÛ`)=-4a이므로 aÝ`+paÛ`+q=-4a
a+pb+q=-4a   ∴ pb+q=-5a yy㉥
같은 방법으로 bÛ`=a, bÜ`=1이고, f(bÛ`)=-4b이므로
bÝ`+pbÛ`+q=-4b   ∴ pa+q=-5b yy㉦ 4 해결단계

전개도를 이용하여 점 P가 두 모서리 AD, BC를 지나 점


㉥-㉦을 하면 p(b-a)=5(b-a) ➊ 단계
Q에 도달하는 최단거리를 구한다.
그런데 a+b이므로 p=5 전개도를 이용하여 점 P가 세 모서리 AD, AB, BF를 지
➋ 단계
㉥+㉦을 하면 p(a+b)+2q=-5(a+b) 나 점 Q에 도달하는 최단거리를 구한다.
➊단계와 ➋단계에서 구한 거리를 비교하여 최단거리를 찾
-p+2q=5, -5+2q=5 ➌ 단계
고, 그 거리가 2'3Œ4가 되는 a의 값을 구한다.
2q=10   ∴ q=5
점 P에서 직육면체의 겉면을 따라 점 Q에 도달하는 최단
따라서 p=5, q=5이므로
거리는 지나는 모서리에 따라 경우를 나누면 다음과 같다.
p+q=10
Ú 두 모서리 AD, BC를 지나는 경우
다른풀이 2
D
P
f(aÛ`)=-4a, f(bÛ`)=-4b이므로 x=a, x=b는 C
A
방정식 f(xÛ`)+4x=0의 두 근이다.
B
H
이때, f(xÛ`)=xÝ`+pxÛ`+q이므로 G
E
f(xÛ`)+4x=xÝ`+pxÛ`+4x+q   yy㉧ Q
F
㉧에서 f(xÛ`)+4x는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인 사차함수이
‌다음 그림과 같이 경로가 포함된 전개도의 일부를 이
므로
용하여 점 P를 지나고 선분 HG와 평행한 직선과 점
f(xÛ`)+4x
Q를 지나고 선분 GF와 평행한 직선이 만나는 점을
=(x-a)(x-b)(xÛ`+ax+b) (단, a, b는 상수)
O라 하고, 세 점 R, S, T를 정하자.
=(xÛ`+x+1)(xÛ`+ax+b) 4 a
D C 4
H G
=xÝ`+(a+1)xÜ`+(b+a+1)xÛ`+(b+a)x+b P R S T O
4
=xÝ`+pxÛ`+4x+q
Q
E F
즉, a+1=0, b+a+1=p, b+a=4, b=q이므로 A B

a=-1, b=5, p=5, q=5 ‌직각삼각형 DPR에서 PDÓ='2이므로 피타고라스 정


∴ p+q=5+5=10 리에 의하여
PRÓ=DRÓ=1
즉, 직각삼각형 CST에서 S®Tò=CSÓ=1
직각삼각형 TQO에서
3 해결단계
TQÓ‌=CFÓ-(CTÓ+QFÓ)
➊ 단계 만들 이차방정식의 두 근을 AEÓ=a, AHÓ=b로 놓는다. =4'2-('2+'2)=2'2
직사각형 PFCG의 둘레의 길이를 이용하여 a+b의 값을
➋ 단계 이므로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하여
구한다.
➌ 단계 직사각형 PFCG의 넓이를 이용하여 ab의 값을 구한다. TOÓ=OQÓ=2
➍ 단계 a, b를 두 근으로 하는 이차방정식을 구한다. 따라서 직각삼각형 PQO에서
AEÓ=a, AHÓ=b라 하면 POÓ‌=PRÓ+RSÓ+STÓ+TOÓ
PFÓ=10-a, PGÓ=10-b =1+a+1+2=a+4
직사각형 PFCG의 둘레의 길이가 28이므로 이므로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하여
2(10-a)+2(10-b)=28 PQÓ="Ã(a+4)Û`+2Û`="ÃaÛ`+8a+20
-2a-2b=-12   ∴ a+b=6 yy㉠ Û 세 모서리 AD, AB, BF를 지나는 경우
또한, 직사각형 PFCG의 넓이가 46이므로 D
P
C
(10-a)(10-b)=46 A
100-10(a+b)+ab=46
H
B
G
100-10_6+ab=46 (∵ ㉠) E
Q
∴ ab=6 yy㉡ F

054 | 블랙라벨 수학 (상)

블랙고등수학(상)-해설.indb 54 17. 6. 14. 오후 4:08


본문 pp. 39~42

‌다음 그림과 같이 경로가 포함된 전개도의 일부를 이


용하여 점 P를 지나고 선분 HE와 평행한 직선과 점
05 이차방정식과 이차함수
Q를 지나고 선분 EG와 평행한 직선이 만나는 점을
Step 1 출제율 100% 우수 기출 대표 문제 pp. 42~43
O라 하고, 세 점 R, S, T를 정하자.
4 D a 01 ③ 02 ② 03 ② 04 ② 05 ③
H C
P 06 ① 07 1<a<2 08 ③ 09 ③ 10 ①
4
11 3 12 2 13 23 14 4 15 ③
B 4
E
R A
C 16 46

S T 4
O Q
G
E F

‌직각삼각형 PER에서 PEÓ=4'2-'2=3'2이므로


01 두 점 A, B를 A(a, 0), B(b, 0)이라 하면 이차방정식
xÛ`-ax+a=0의 두 근이 a, b이므로 근과 계수의 관계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하여
에 의하여
PRÓ=ERÓ=3
a+b=a, ab=a
OSÓ=RÕAÓ=EÕAÓ-ERÓ=4-3=1
이때, ABÓ='5가 되려면 |a-b|='5이어야 하므로 양
‌직각삼각형 TFQ에서 FQÓ='2이므로 피타고라스 정
변을 제곱하면
리에 의하여
(a-b)Û`=5
TQÓ=TFÓ=1
즉, (a+b)Û`-4ab=5에서
따라서 직각삼각형 POQ에서
aÛ`-4a=5, aÛ`-4a-5=0
POÓ=PRÓ+ROÓ=3+3=6,
(a+1)(a-5)=0
OQÓ‌=OSÓ+STÓ+TQÓ
∴ a=5`(∵ a>0) 답③
=1+a+1
=a+2
이므로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하여
02 이차함수 y=xÛ`+2(m-1)x+mÛ`+2의 그래프가 x축
PQÓ="Ã(a+2)Û`+6Û`="ÃaÛ`+4a+40 과 만나지 않으려면 이차방정식
Ú, Û에서 xÛ`+2(m-1)x+mÛ`+2=0이 허근을 가져야 한다.
(aÛ`+4a+40)-(aÛ`+8a+20)=-4a+20<0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 a>5) D
=(m-1)Û`-(mÛ`+2)<0
∴ "ÃaÛ`+4a+40<"ÃaÛ`+8a+20 4
즉, 점 P에서 직육면체의 겉면을 따라 점 Q에 도달하는 -2m+1-2<0
최단거리는 "ÃaÛ`+4a+40이므로 1
2m>-1   ∴ m>-  답②
2
"ÃaÛ`+4a+40=2'3Œ4
위의 식의 양변을 제곱하면
aÛ`+4a+40=136 03 이차함수 y=xÛ`-2(a+3)x+aÛ`+8a의 그래프가 직선
aÛ`+4a-96=0 y=mx+n에 항상 접하므로 방정식
(a-8)(a+12)=0 xÛ`-2(a+3)x+aÛ`+8a=mx+n, 즉
∴ a=8 (∵ a>5) xÛ`-(2a+m+6)x+aÛ`+8a-n=0은 중근을 갖는다.
∴ 30a=30_8=240 답 240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D=(2a+m+6)Û`-4(aÛ`+8a-n)=0에서
blacklabel 특강 풀이첨삭 4aÛ`+4a(m+6)+(m+6)Û`-4aÛ`-32a+4n=0
주어진 직육면체의 두 면 AEHD와 BFGC는 정사각형이고 4(m-2)a+(m+6)Û`+4n=0
PDÓ=QFÓ이므로 점 P에서 직육면체의 겉면을 따라 점 Q에 도달할 때, 위의 등식이 실수 a의 값에 관계없이 항상 성립해야 하므로
   두 모서리 AD, BC를 지나는 경우,
   두 모서리 DH, CG를 지나는 경우, 4(m-2)=0, (m+6)Û`+4n=0
   두 모서리 EH, FG를 지나는 경우, ∴ m=2, n=-16
   두 모서리 AE, BF를 지나는 경우
의 최단거리는 모두 같다. ∴ m+n=2+(-16)=-14 답②
한편, 세 모서리를 지나는 경우에는 두 점 P, Q가 각각 꼭짓점 D, F
에 가까이 있으므로
   세 모서리 AD, AB, BF를 지나는 경우,
   세 모서리 DH, HG, GF를 지나는 경우 04 이차함수 y=2xÛ`-4x+3의 그래프가 이차함수
가 다른 세 모서리를 지나는 경우에 비해 최단거리임이 명백하고, 이 y=xÛ`+2ax-aÛ`-13의 그래프보다 항상 위쪽에 있기 위
두 경우의 최단거리는 서로 같다.
해서는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Ⅱ. 방정식과 부등식 | 055

블랙고등수학(상)-해설.indb 55 17. 6. 14. 오후 4:08


A n s w e r

부등식 2xÛ`-4x+3>xÛ`+2ax-aÛ`-13, 즉 Û f(0)<0에서 -a<0   ∴ a>0


xÛ`-2(a+2)x+(aÛ`+16)>0이 성립해야 한다. Ü f(1)>0에서 3+1-a>0   ∴ a<4
이때, 이차방정식 xÛ`-2(a+2)x+(aÛ`+16)=0의 판별 Ú, Û, Ü에서 0<a<2
식을 D라 하면 따라서 구하는 정수 a는 1의 1개이다. 답①
D
=(a+2)Û`-(aÛ`+16)<0
4
4a-12<0   ∴ a<3
따라서 구하는 정수 a의 최댓값은 2이다. 답②
07 방정식 |xÛ`-1|=a-1의 실근은 함수 y=|xÛ`-1|의 그
래프와 직선 y=a-1의 교점의 x좌표와 같다.
이때, 함수 y=|xÛ`-1|의 그 y y=|x@-1|

래프가 오른쪽 그림과 같으


05 이차방정식 xÛ`-2x+k+2=0에서
므로 방정식 1
f(x)=xÛ`-2x+k+2라 하자.
|xÛ`-1|=a-1이 서로 다른 y=a-1
이차방정식 f(x)=0의 두 근이 모 y=f{x}
-1 O 1 x
네 실근을 가지려면
두 2보다 작으려면 이차함수
0<a-1<1
y=f(x)의 그래프가 오른쪽 그림
2 x
∴ 1<a<2 답 1<a<2
과 같아야 한다.
Ú ‌이차방정식 f(x)=0의 판별식을 D라 할 때,
D
=1-(k+2)¾0
4
-k-1¾0   ∴ kÉ-1
08 a<0, b>0, c>0이므로 이차함수 f(x)=axÛ`+bx+c
의 그래프는 위로 볼록하고,
Û f(2)>0에서 4-4+k+2>0
b
∴ k>-2 (꼭짓점의 x좌표)=- >0,
2a
Ü ‌f(x)=xÛ`-2x+k+2=(x-1)Û`+k+1에서 꼭짓점 (y축과의 교점의 y좌표)=c>0
의 x좌표가 1이므로 2보다 작다. 따라서 이차함수 y=f(x)의 그 y y=|x|

Ú, Û, Ü에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실수 k의 값의 범위는 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2<kÉ-1 yy㉠ x (x¾0)
이때, y=|x|=[  O x
또한, 이차방정식 xÛ`-(k+2)x-3=0에서 -x  (x<0)
g(x)=xÛ`-(k+2)x-3이라 하면 이차방정식 g(x)=0 이므로 함수 y=|x|의 그래프 f{x}=ax@+bx+c
의 두 근 사이에 2가 있어야 하므 y=g{x}
는 이차함수 y=f(x)의 그래프와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
로 이차함수 y=g(x)의 그래프가 난다.
오른쪽 그림과 같아야 한다. 2
x 따라서 구하는 실근의 개수는 2이다. 답③
즉, g(2)<0이므로
4-2(k+2)-3<0
3
-2k-3<0   ∴ k>- yy㉡
2
㉠, ㉡에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실수 k의 값의 범위는
09 이차함수 f(x)에 대하여 f(1-x)=f(1+x)이므로
y=f(x)의 그래프는 직선 x=1에 대칭인 포물선이다.
3
- <kÉ-1 답③ 즉, 대칭축이 x=1이고, 이차항의 계수는 양수이므로 이
2
차함수 y=f(x)의 그래프는 아래로 볼록하고 x=1일 때
최솟값 f(1)을 갖는다.
따라서 이차함수 y=f(x)의 그래프는 다음 그림과 같다.

06 이차방정식 3xÛ`+x-a=0에서 f(x)=3xÛ`+x-a라 하자. y x=1 y=f{x}

이차방정식 f(x)=0의 한 근이 y=f{x}

-1과 0 사이에, 다른 한 근이 0과
f{-1}
1 사이에 있으려면 이차함수 0
-1 1 x f{2}
y=f(x)의 그래프가 오른쪽 그림
f{1}
과 같아야 한다.
-1 O 1 2 x
Ú f(-1)>0에서
3-1-a>0   ∴ a<2 ∴ f(1)<f(2)<f(-1) 답③

056 | 블랙라벨 수학 (상)

블랙고등수학(상)-해설.indb 56 17. 6. 14. 오후 4:08


본문 pp. 42~43

blacklabel 특강 필수 원리
13 2x-1=t로 놓으면 1ÉxÉ4에서 1ÉtÉ7
y‌=(2x-1)Û`+4(1-2x)+3
직선 x=a에 대칭인 그래프
=(2x-1)Û`-4(2x-1)+3
함수 f(x)가 f(a-x)=f(a+x) 또는 f(x)=f(2a-x)를 만족시
킬 때, y=f(x)의 그래프는 직선 x=a에 대칭이다. =tÛ`-4t+3
[확인] =(t-2)Û`-1
함수 f(x)가 f(a-x)=f(a+x)를 x=a y=f{x}
만족시키면 오른쪽 그림과 같으므로 즉, 1ÉtÉ7에서 이차함수 y y={t-2}@-1
24
y=f(x)의 그래프는 직선 x=a에 대 y=(t-2)Û`-1의 그래프는 오른쪽
칭임을 알 수 있다.
또한, f(a-x)=f(a+x)에서 x 대 그림과 같으므로
신 a-x를 대입하면 t=7일 때 최댓값 M=24,
f(a-(a-x))=f(a+(a-x)) 3 1
a-x a a+x x t=2일 때 최솟값 m=-1을 갖는다. O 2
∴ f(x)=f(2a-x) -1 7 t
즉, f(x)=f(2a-x)는 f(a-x)=f(a+x)와 같은 의미이다. ∴ M+m=24+(-1)=23
 답 23

다른풀이
10 f(x)‌=xÛ`+2ax+4a-6
y‌=(2x-1)Û`-4(2x-1)+3
=(x+a)Û`-aÛ`+4a-6
=4xÛ`-12x+8

=4{x- }2`-1
즉, 이차함수 f(x)는 x=-a일 때 최솟값
3
g(a)=-aÛ`+4a-6을 갖는다. 2
이때, 1ÉxÉ4에서 이 이차함수의 그 y 3 @
g(a)‌=-aÛ`+4a-6 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으므로
24 y=4 x- { 2} -1

=-(a-2)Û`-2 x=4일 때 최댓값 M=24,


이므로 이차함수 g(a)는 a=2일 때 최댓값 -2를 갖는다. 3 8
x= 일 때 최솟값 m=-1을 3
 답① 2 2
1
갖는다. O 4 x
-1
11 이차방정식 xÛ`+(a+3)x+a-bÛ`-2b=0의 두 근이 a, ∴ M+m=24+(-1)=23
b이므로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a+b=-a-3, ab=a-bÛ`-2b
∴ aÛ`+bÛ`‌=(a+b)Û`-2ab
=(-a-3)Û`-2(a-bÛ`-2b)
=|(x-1)(x-5)|
=aÛ`+6a+9-2a+2bÛ`+4b
14 함수 y=|xÛ`-6x+5|의 그래프 y y=|x@-6x+5|
=aÛ`+4a+2bÛ`+4b+9 가 오른쪽 그림과 같으므로 5
=(a+2)Û`+2(b+1)Û`+3 1ÉxÉ5에서 4

따라서 aÛ`+bÛ`은 a=-2, b=-1일 때 최솟값 3을 갖는다. x=3일 때 최댓값


 답3 |3Û`-6_3+5|=4,
O 1 3 5 x
x=1 또는 x=5일 때 최솟값 0
12 주어진 직선은 두 점 (1, 0), (0, 1)을 지나므로 직선의 을 갖는다.
방정식은 따라서 구하는 최댓값과 최솟값의 합은
1-0 4+0=4 답4
y-0= (x-1)   ∴ y=-x+1
0-1
다른풀이
즉, 직선 -x-y+1=0이 직선 ax+by+1=0과 일치
1ÉxÉ5에서 x-1¾0, x-5É0이므로
하므로
(x-1)(x-5)É0 y
y=-x@+6x-5
a=-1, b=-1 4
즉, 1ÉxÉ5에서 함수
∴ y‌=axÛ`+bx
y=|xÛ`-6x+5|의 그래프는
=-xÛ`-x   yy㉠

=-{x+ }2`+
함수
1 1
2 4 y‌=-xÛ`+6x-5 O 1 3 5 x
꼭짓점의 x좌표 - 1 이 포함되지 않는다.
이때, 0ÉxÉ1이므로 2 =-(x-3)Û`+4
x=0일 때 ㉠에서 최댓값 M=-0Û`-0=0 의 그래프와 같으므로 x=3일 때 최댓값 4, x=1 또는
x=1일 때 ㉠에서 최솟값 m=-1Û`-1=-2 x=5일 때 최솟값 0을 갖는다.
∴ M-m=0-(-2)=2 답2 따라서 구하는 최댓값과 최솟값의 합은 4+0=4

Ⅱ. 방정식과 부등식 | 057

블랙고등수학(상)-해설.indb 57 17. 6. 14. 오후 4:08


A n s w e r

b는 이차방정식 xÛ`+2(m-1)x-3m=0의 서로 다른
상품 한 개의 가격이 {11- }원이면 생산된 상품 x개를
x
15 100
두 근이므로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모두 팔 수 있으므로 생산된 상품 x개의 총 판매 금액은
a+b=-2(m-1), ab=-3m
x {11- }원이다.
x
이때, 두 점 (a, 0), (b, 0) 사이의 거리는
100
|a-b|‌="Ã(a-b)Û`="Ã(a+b)Û`-4ab
이때, 상품 x개를 생산하여 모두 판매하였을 때의 이익을
="Ã
‌ {-2(m-1)}Û`+12m
y원이라 하면 이 상품을 x개 생산하는 데 필요한 비용은
="Ã4mÛ`+4m+4

=¾Ð4{m+ }2`+3
xÛ`
{1000+x+ }원이고,
400 1
2
이익은 (총 판매 금액)-(생산 비용)이므로
따라서 x축과 만나는 서로 다른 두 점 사이의 거리는
xÛ`
}-{1000+x+ }
x
y‌=x{11-
100 400 1
m=- 일 때 최소가 된다. 답②
2
1
=- xÛ`+10x-1000
80
blacklabel 특강 풀이첨삭
1
=- (xÛ`-800x)-1000
80 이차방정식 xÛ`+2(m-1)x-3m=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m-1)Û`+3m=mÛ`+m+1={m+ }2`+ >0


1 1 D 1 3
=- (xÛ`-800x+400Û`)+ _400Û`-1000 4 2 4
80 80 이므로 주어진 이차함수의 그래프는 x축과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
1 난다.
=- (x-400)Û`+1000
80
즉, x=400일 때, y의 최댓값은 1000이다.
따라서 400개의 상품을 생산하여 판매하면 이익이 최대가 02 세 이차함수 y=f(x), y=g(x), y=h(x)의 xÛ`의 계수
된다. 답③ 가 같으므로 주어진 그래프에 의하여
f(x)=a(x-a)(x-b), g(x)=a(x-a)(x-c),
h(x)=a(x-a)(x-d) (a>0)라 할 수 있다.
16 네 점 P, Q, R, S는 매초 1의 속력으로 움직이므로 각 꼭
세 그래프 모두 아래로 볼록하므로
짓점을 출발한 지 x초 후, APÓ=BQÓ=CRÓ=DSÓ=x이다. f(x)+g(x)+h(x)=0에서

즉, BPÓ=DRÓ=8-x, ASÓ=CQÓ=12-x이므로 a(x-a)(x-b)+a(x-a)(x-c)

1 1
 +a(x-a)(x-d)=0
△APS=△QCR= x(12-x)= (12x-xÛ`)
2 2 a(x-a){(x-b)+(x-c)+(x-d)}=0
1 1 a(x-a){3x-(b+c+d)}=0
△PBQ=△RDS= x(8-x)= (8x-xÛ`)
2 2
따라서 방정식 f(x)+g(x)+h(x)=0의 한 근은 x=a
사각형 PQRS의 넓이를 y라 하면
b+c+d
y‌=ABCD-(△APS+△PBQ+△QCR+△RDS) 이고 다른 한 근은 x= 이다. 답①
3
1
=96- (40x-4xÛ`)
2
=2xÛ`-20x+96 03 주어진 이차함수의 그래프의 꼭짓점이 C(1, 9)이므로
y=a(x-1)Û`+9=axÛ`-2ax+a+9
=2(x-5)Û`+46
라 할 수 있다.
즉, x=5일 때, y의 최솟값은 46이다.
이 이차함수가 y=axÛ`+bx+c와 일치하므로
따라서 구하는 넓이의 최솟값은 46이다. 답 46
b=-2a, c=a+9 yy㉠
또한, 삼각형 ABC에서 밑변을 ABÓ라 하면 높이가 9이
Step 2 1등급을 위한 최고의 변별력 문제 pp. 44~47 고 넓이가 27이므로

01 ② 02 ① 03 -16 04 10 05 1
ABÓ=6
80 이때, 이 이차함수의 그래프의 대칭축이 x=1이므로 이차
06 6 07 -2 08 09 ② 10 ①
7
방정식 axÛ`+bx+c=0의 두 실근은 -2, 4이다.
11 ② 12 ③ 13 ① 14 ⑤ 15 ④
16 ① 17 0 18 ① 19 ② 20 54 즉, 이차함수의 식은
21 36 22 54 23 ② 24 3 25 9 y=a(x+2)(x-4)=axÛ`-2ax-8a
p 이 이차함수도 y=axÛ`+bx+c와 일치하므로
26 ② 27 28 360
8
b=-2a, c=-8a yy㉡
㉠, ㉡에서
01 이차함수 y=xÛ`+2(m-1)x-3m의 그래프가 x축과 a+9=-8a   ∴ a=-1, b=2, c=8
만나는 서로 다른 두 점의 x좌표를 각각 a, b라 하면 a, ∴ abc=(-1)_2_8=-16 답 -16

058 | 블랙라벨 수학 (상)

블랙고등수학(상)-해설.indb 58 17. 6. 14. 오후 4:08


본문 pp. 43~44

다른풀이 이것을 ㉠에 대입하면


꼭짓점이 C(1, 9)이므로 주어진 이차함수의 식은 aÛ`+10a-8a-8+9=0
y‌=a(x-1)Û`+9=axÛ`-2ax+a+9 aÛ`+2a+1=0, (a+1)Û`=0
∴ b=-2a, c=a+9   yy㉢ ∴ a=-1, b=0   ∴ g(x)=-x
이차방정식 axÛ`+bx+c=0, 즉 axÛ`-2ax+a+9=0의
두 근을 a, b라 하면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05 OÕA:
Ó OBÓ=1:2이므로 두 점 y
2
y=kx

a+9 A, B의 x좌표를 각각
a+b=2, ab= A
a a, -2a (a>0)라 할 수 있고, -2a
Oa x
한편, 삼각형 ABC의 넓이가 27이므로 이것은 방정식 2-xÛ`=kx, 즉
B
ABÓ=|a-b|=6에서 xÛ`+kx-2=0의 두 실근이다.
|a-b|‌="Ã(a+b)Û`-4ab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 y=2-x@

a+9 에 의하여
=®É2Û`-4_ =6
a
a+(-2a)=-k, a_(-2a)=-2
위의 식의 양변을 제곱하면
-a=-k, aÛ`=1
4a+36
4- =36, 4a-4a-36=36a (∵ a+0) ∴ a=1`(∵ a>0), k=1 답1
a
∴ a=-1, b=2, c=8 (∵ ㉢)
∴ abc=(-1)_2_8=-16 06 x에 대한 이차함수 y=xÛ`-2ax+aÛ`+2의 그래프와 직선
y=2x-k가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나므로 방정식
xÛ`-2ax+aÛ`+2=2x-k, 즉
xÛ`-2(a+1)x+(aÛ`+2+k)=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04 이차함수 y=f(x)의 그래프가 두 점 (1, 0), (4, 0)을
지나고 이차항의 계수가 1이므로 D
=(a+1)Û`-(aÛ`+2+k)>0
4
f(x)=(x-1)(x-4)=xÛ`-5x+4
2a+1-2-k>0   ∴ k<2a-1
g(x)=ax+b라 하면 직선 y=g(x)가 y=f(x)의 그래
즉, k는 2a-1보다 작은 자연수이다.
프와 x좌표가 2인 점에서 접하므로
조건을 만족시키는 모든 자연수 k의 개수가 f(a)이므로
이차방정식 (x-1)(x-4)=ax+b, 즉
a=1일 때, k<1에서 f(1)=0
xÛ`-(a+5)x+4-b=0이 중근 x=2를 갖는다.
a=2일 때, k<3에서 f(2)=2
이때, 이차항의 계수가 1이고 중근 x=2를 갖는 이차방
a=3일 때, k<5에서 f(3)=4
정식은
∴ f(1)+f(2)+f(3)=0+2+4=6 답6
(x-2)Û`=0   ∴ xÛ`-4x+4=0
이 이차방정식이 xÛ`-(a+5)x+4-b=0과 일치하므로
07 f(| f(x)|)=0에서 | f(x)|=t라 하면 f(t)=0
a+5=4, 4-b=4   ∴ a=-1, b=0 주어진 그래프에서 f(t)=0을 만족시키는 t의 값은
즉, g(x)=-x이므로 방정식 f(x)+5g(x)=0에서 t=-3 또는 t=1
xÛ`-5x+4+5_(-x)=0 이때, t=|f(x)|¾0이므로 t=1   yy㉠
∴ xÛ`-10x+4=0 한편, 주어진 그래프에서 y=f(x)의 그래프는 위로 볼록
따라서 구하는 두 근의 합은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하고 x축과 만나는 두 점의 x좌표가 각각 -3과 1이므로
10이다. 답 10 f(x)=k(x+3)(x-1) (단, k<0)
다른풀이 이라 할 수 있다.
f(x)=(x-1)(x-4)=xÛ`-5x+4 또한, y=f(x)의 그래프가 점 (-1, 4)를 지나므로
이때, g(x)=ax+b라 하면 직선 y=g(x)가 y=f(x)의 4=k_(-1+3)_(-1-1)
그래프와 x좌표가 2인 점에서 접하므로 이차방정식 -4k=4   ∴ k=-1
xÛ`-5x+4=ax+b, 즉 ∴ f(x)=-(x+3)(x-1)=-xÛ`-2x+3
xÛ`-(a+5)x-b+4=0은 중근 x=2를 갖는다. 이때, ㉠에서 | f(x)|=1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Ú f(x)=1에서 -xÛ`-2x+3=1
D=(a+5)Û`-4(-b+4)=0 xÛ`+2x-2=0
∴ aÛ`+10a+4b+9=0   yy㉠ ∴ x=-1Ñ'3
또한, 이차방정식 xÛ`-(a+5)x-b+4=0이 x=2를 근 Û f(x)=-1에서 -xÛ`-2x+3=-1
으로 가지므로 xÛ`+2x-4=0
4-2a-10-b+4=0   ∴ b=-2a-2 ∴ x=-1Ñ'5

Ⅱ. 방정식과 부등식 | 059

블랙고등수학(상)-해설.indb 59 17. 6. 14. 오후 4:08


A n s w e r

Ú, Û에서 실근의 개수는 a=4 즉, (2a-k)+(2b-k)=2이므로


실근 중 가장 큰 근은 -1+'5, 가장 작은 근은 -1-'5 2(a+b)-2k=2
이므로 그 합은 b=-2 2_3-2k=2 (∵ ㉠)
a 4 2k=4   ∴ k=2 답②
∴ = =-2 답 -2
b -2
다른풀이

08 직선 y=kx와 이차함수 y=2(x-2)Û`의 그래프의 두 교 f(x)-g(x)‌=(xÛ`-x-5)-(x+3)


점의 x좌표를 각각 a, b라 하면 a, b는 이차방정식 =xÛ`-2x-8
2(x-2)Û`=kx, 즉 2xÛ`-(k+8)x+8=0의 두 근이므 이므로 f(2x-k)-g(2x-k)=0에서
로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2x-k)Û`-2(2x-k)-8=0
k+8 ∴ 4xÛ`-4(k+1)x+kÛ`+2k-8=0
a+b= , ab=4
2 x에 대한 이 이차방정식의 두 실근의 합이 3이므로 근과
∴ (a-b)Û`=(a+b)Û`-4ab

}2``-16= +4k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k+8 kÛ` k+1=3   ∴ k=2
={ yy㉠
2 4
직선 y=kx와 이차함수 y=-(x+1)Û`의 그래프의 두
교점의 x좌표를 각각 c, d라 하면 c, d는 이차방정식
10 이차함수 y=xÛ`의 그래프와 직선 y=ax-1이 서로 다른
-(x+1)Û`=kx, 즉 xÛ`+(k+2)x+1=0의 두 근이므 두 점에서 만나므로 이차방정식 xÛ`=ax-1, 즉
로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xÛ`-ax+1=0의 판별식을 DÁ이라 하면
c+d=-k-2, cd=1 DÁ=(-a)Û`-4_1_1>0
∴ (c-d)Û`‌=(c+d)Û`-4cd ∴ aÛ`>4 yy㉠
=(k+2)Û`-4=kÛ`+4k yy㉡ 또한, 이차함수 y=xÛ`의 그래프와 직선 y=x+b가 만나
이때, ABÓ:CDÓ=2:3에서 3ABÓ=2CDÓ이므로 지 않으므로 이차방정식 xÛ`=x+b, 즉 xÛ`-x-b=0의
3|a-b|=2|c-d| 판별식을 Dª라 하면
위의 식의 양변을 제곱하면 Dª=(-1)Û`-4_1_(-b)<0
9(a-b)Û`=4(c-d)Û` ∴ 4b<-1 yy㉡
kÛ` ㄱ. 이차방정식
‌ xÛ`+ax+b=0의 판별식을 D£이라 하면
9{ +4k}=4(kÛ`+4k) (∵ ㉠, ㉡)
4
D£=aÛ`-4b>4+1=5`(∵ ㉠, ㉡)
7 7 80
kÛ`-20k=0, k{k- }=0 즉, 이차함수 y=xÛ`+ax+b의 그래프는 x축과 서로
4 4 7
80 80 다른 두 점에서 만난다. (참)
∴ k= (∵ k>0) 답
7 7 1
ㄴ. ㉡에서
‌ b<- 이므로 이차함수 y=xÛ`+ax+b의 그
4
blacklabel 특강 풀이첨삭
래프는 y축과 음의 부분에서 만난다. (거짓)

ㄷ. y =xÛ`+ax+b={x+ }2`- +b에서 이 이차함수


네 점 A, B, C, D는 직선 y=kx 위의 점이므로 a aÛ`
A(a, ka), B(b, kb), C(c, kc), D(d, kd) 2 4
‌ ="Ã(b-a)Û`+(kb-ka)Û`="Ã(b-a)Û`(1+kÛ`)
∴ ABÓ
aÛ`
의 그래프의 꼭짓점의 좌표는 {- , - +b}이고,
CDÓ="Ã(d-c)Û`+(kd-kc)Û`="Ã(d-c)Û`(1+kÛ`) a
즉, 2 4
ABÓ`:`CDÓ‌="Ã(b-a)Û`(1+kÛ`)`:`"Ã(d-c)Û`(1+kÛ`) aÛ` -(aÛ`-4b)
- +b= <0`(∵ ㉠, ㉡)이므로 꼭짓점
="Ã(b-a)Û``:`"Ã(d-c)Û` 4 4
=|b-a|`:`|d-c|
가 성립한다. 은 제3사분면 또는 제4사분면에 존재한다. (거짓)
a>0 a<0
따라서 옳은 것은 ㄱ뿐이다. 답①

09 x에 대한 이차방정식 f(2x-k)=g(2x-k), 즉
f(2x-k)-g(2x-k)=0의 두 실근을 a, b라 하면 두 11 P(x)=3xÜ`+x+11, Q(x)=xÛ`-x+1이므로
실근의 합이 3이므로 a+b=3   yy㉠ P(x)-3(x+1)Q(x)+mxÛ`
2x-k=t로 놓으면 f(t)-g(t)=0에서 =(3xÜ`+x+11)-3(x+1)(xÛ`-x+1)+mxÛ`
tÛ`-t-5-(t+3)=0 =3xÜ`+x+11-3(xÜ`+1)+mxÛ`
∴ tÛ`-2t-8=0 =mxÛ`+x+8
위의 이차방정식의 두 실근을 tÁ, tª라 하면 근과 계수의 f(x)=mxÛ`+x+8이라 하면 이차방정식
관계에 의하여 mxÛ`+x+8=0의 근은 이차함수 y=f(x)의 그래프가 x
tÁ+tª=2 축과 만나는 점의 x좌표이다.

060 | 블랙라벨 수학 (상)

블랙고등수학(상)-해설.indb 60 17. 6. 14. 오후 4:08


본문 pp. 44~45

이때, 한 근이 2보다 작고, 다른 한 근이 2보다 큰 경우는 Ú~Ý에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실수 a의 값의 범위는


다음과 같다. 2<a<3이다. 답③
Ú m>0일 때,
‌이차함수 y=f(x)의 그래프는 오 y=f{x}
13 해결단계
른쪽 그림과 같아야 하므로 2 주어진 방정식을 이차함수 f(x), 일차함수 g(x)를 이용하
x ➊ 단계
f(2)=4m+10<0에서 여 f(x)=g(x) 꼴로 변형한다.
5 두 함수 y=f(x), y=g(x)의 그래프를 그리고 -1ÉxÉ1
m<- ➋ 단계
2 에서 방정식의 해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상황을 파악한다.

‌그런데 m>0이므로 이를 만족시키는 정수 m은 존재 9


➌ 단계 m의 값의 범위를 구한 후, p+q의 값을 구한다.
2
하지 않는다.
xÛ`-(m+1)x+2m=0에서
Û m<0일 때,
xÛ`-x=m(x-2)
‌이차함수 y=f(x)의 그래프는
2 x f(x)=xÛ`-x, g(x)=m(x-2)라 하면 주어진 이차방정
오른쪽 그림과 같아야 하므로
식이 -1ÉxÉ1에서 적어도 한 개의 실근을 갖기 위해서
f(2)=4m+10>0에서 y=f{x}
는 두 함수 y=f(x)와 y=g(x)의 그래프가 -1ÉxÉ1
5
m>- 에서 적어도 한 번 만나야 한다.
2
5 이때, 함수 y=g(x)의 그래프는 기울기 m의 값에 관계
∴ - <m<0
2 없이 항상 점 (2, 0)을 지나는 직선이므로 두 함수의 그
5 래프를 좌표평면 위에 나타내면 다음 그림과 같다.
Ú, Û에서 - <m<0이므로 정수 m은 -2, -1의
2
y y=x@-x
2개이다. 답② 2

y=m{x-2}
1
-1 O 2 x

12 f(x)=xÛ`+(a-2)x-2a+4라 하면 이차방정식
두 함수의 그래프가 -1ÉxÉ1에서 적어도 한 번 만나려
f(x)=0이 -2<x<1에서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갖기 위
면 함수 y=g(x)의 그래프가 점 (-1, 2)를 지나는 경우
해서는 이차함수
와 함수 y=f(x)의 그래프에 접하는 경우의 사이에 존재
f(x)‌=xÛ`+(a-2)x-2a+4

}2`-2a+4-
하면 된다.
a-2 (a-2)Û`
={x+ Ú 함수 y=g(x)의 그래프가 점 (-1, 2)를 지나는 경우
2 4
의 그래프가 다음 그림과 같아야 한다. 2
2=m(-1-2)   ∴ m=-
3
y y=f{x}
Û ‌함수 y=g(x)의 그래프가 함수 y=f(x)의 그래프에
접하는 경우

x
‌이차방정식 xÛ`-(m+1)x+2m=0의 판별식을 D라
-2 O 1
하면
a-2
x=-
2 D=(m+1)Û`-8m=0
Ú ‌이차방정식 f(x)=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mÛ`-6m+1=0
D=(a-2)Û`-4(-2a+4)>0에서 ‌이때, 함수 y=g(x)의 그래프와 함수 y=f(x)의 그
aÛ`+4a-12>0, (a+6)(a-2)>0 래프가 제 4 사분면에서 접하므로 m=3-2'2
∴ a<-6 또는 a>2 Ú, Û에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실수 m의 값의 범위는
Û ‌f(-2)>0에서 4-2(a-2)-2a+4>0 2
- ÉmÉ3-2'2이므로
3
-4a+12>0   ∴ a<3
2
Ü ‌f(1)>0에서 1+(a-2)-2a+4>0 p=- , q=3-2'2
3
-a+3>0   ∴ a<3 9 9 2
∴ p+q‌= _{- }+3-2'2
Ý 함수 y=f(x)의 그래프의 대칭축인 직선 2 2 3
a-2 =-2'2 답①
x=- 가 -2와 1 사이에 있어야 하므로
2
a-2
-2<- <1, -2<a-2<4

2 14 f(6-x)=f(x)에서 x 대신 3+x를 대입하면
∴ 0<a<6 f(3-x)=f(3+x)

Ⅱ. 방정식과 부등식 | 061

블랙고등수학(상)-해설.indb 61 17. 6. 14. 오후 4:08


A n s w e r

즉, 이차함수 y=f(x)의 그래프는 직선 x=3에 대칭이다. 위의 식은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성립하므로


이때, f(0)<0, f(1)>0이므로 이차함수 y=f(x)의 그 b-2=0, 1+b+3c=0   ∴ b=2, c=-1
래프는 다음 그림과 같다. ∴ f(x)=xÛ`+2x-1
y x=3 ㄱ. 이차방정식
‌ f(x)=0, 즉 xÛ`+2x-1=0의 두 실근을
a, b라 하면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y=f{x}
a+b=-2, ab=-1
f{1}
∴ (a-b)Û`=(a+b)Û`-4ab=4+4=8
O 1 3 5 x
f{0} 즉, |a-b|=2'2이므로 두 실근의 차는 2'2이다.

`+bx+c=a{x+ }2`+c-
 (거짓)
b bÛ` y=f(x)의 그래프는 아래로 볼록하므로
ㄱ. f(x)=axÛ
‌ ㄴ. 이차함수
‌
2a 4a
xÁ+xª `f(xÁ)+f(xª)
y=f(x)의 그래프는 위로 볼록하므로 a<0 f { }< 가 성립한다. (참)
2 2
b f(x)=xÛ`+2x-1=(x+1)Û`-2의 그래프
대칭축이 x=- =3이고, a<0이므로 ㄷ. 이차함수
‌
2a
는 직선 x=-1에 대칭이므로
b>0 (참)
f(-1+x)=f(-1-x)
ㄴ. f(6-x)=f(x)에
‌ x=1을 대입하면
위의 식에서 x 대신 x+1을 대입하면
f(5)=f(1)
f(x)=f(-2-x) (참)
∴ f(5)=25a+5b+c>0
따라서 옳은 것은 ㄴ, ㄷ이다. 답④
위의 부등식의 양변을 25로 나누면
1 1 blacklabel 특강 풀이첨삭
a+ b+ c>0 (참)
5 25
서로 다른 두 실수 xÁ, xª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ㄷ. ‌대칭축이 x=3이므로 ⑴ 아래로 볼록한 함수 f(x)에 대하여
f(x)=a(x-3)Û`+k (단, k는 상수)    f {
xÁ+xª
}<
f(xÁ)+f(xª)
2 2
=axÛ`-6ax+9a+k y y=f{x}
이차방정식 f(x)=0의 두 실근을 a, b라 하면 근과
f{x™}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f{x¡}+f{x™}
2
a+b=-
-6a
a
=6 (참) f{x¡+x™
2 }
f{x¡}
따라서 ㄱ, ㄴ, ㄷ 모두 옳다. 답⑤ O x¡ x™ x
x¡+x™
다른풀이 2
⑵ 위로 볼록한 함수 f(x)에 대하여
이차함수 y=f(x)의 그래프는 직선 x=3에 대칭이므로
xÁ+xª f(xÁ)+f(xª)
   f { }>
f(x)‌=a(x-3)Û`+d (단, d는 상수) 2 2
y y=f{x}
=axÛ`-6ax+9a+d x¡+x™ f{x™}
이 함수가 y=axÛ`+bx+c와 일치하므로
f{ 2 }
f{x¡}+f{x™}
b=-6a, c=9a+d 2 f{x¡}

이때, f(0)<0, f(1)>0이므로


9a+d<0, 4a+d>0   ∴ a<0 O x¡ x™ x
ㄱ. b=-6a>0 (∵ a<0) (참) x¡+x™
2
ㄷ. f(x)=axÛ
‌ `-6ax+9a+d이므로 이차방정식
-6a
f(x)=0의 두 실근의 합은 - =6이다. (참)
a

16 |xÛ`-1|-mx+2m=0에서 |xÛ`-1|=mx-2m이므로
15 이차함수 f(x)의 xÛ`의 계수를 a라 하고, 등식 이 방정식의 실근은 두 함수 y=|xÛ`-1|, y=mx-2m
2f(x)+f(1-x)=3xÛ`에서 xÛ`의 계수를 비교하면 의 그래프의 교점의 x좌표이다.
2a+a=3   ∴ a=1 이때, 직선 y=mx-2m=m(x-2)는 m의 값에 관계
즉, f(x)=xÛ`+bx+c`(b, c는 상수)라 할 수 있으므로 없이 항상 점 (2, 0)을 지나므로 주어진 방정식이 서로 다
주어진 등식에서 른 4개의 실근을 가지려면 직선의 기울기 m의 값이 0보
2(xÛ`+bx+c)+{(1-x)Û`+b(1-x)+c}=3xÛ` 다 작고 이차함수 y=1-xÛ` (-1ÉxÉ1)의 그래프에 접
(b-2)x+1+b+3c=0 할 때보다 커야 한다.

062 | 블랙라벨 수학 (상)

블랙고등수학(상)-해설.indb 62 17. 6. 14. 오후 4:08


본문 pp. 45~46

y y=|x@-1| DÁ
=(k-1)Û`-(kÛ`-3k-4)>0에서
4
k+5>0   ∴ k>-5
1 y=m{x-2}
② ‌이차함수 y=f(x)의 그래프의 대칭축의 방정식이
-1 O 1 2 x
직선 x=0의 오른쪽에 있어야 하므로
이차함수 y=1-xÛ` (-1ÉxÉ1)의 그래프에 직선 -(k-1)>0에서 k<1
y=m(x-2)가 접하기 위해서는 방정식 ③ f(0)=kÛ`-3k-4=(k+1)(k-4)¾0에서
1-xÛ`=m(x-2), 즉 xÛ`+mx-2m-1=0의 판별식을 kÉ-1 또는 k¾4
D라 할 때, D=mÛ`-4(-2m-1)=0에서 ①, ②, ③에서 -5<kÉ-1
mÛ`+8m+4=0   ∴ m=-4+2'3`(∵ -1ÉxÉ1) Û x<0일 때,
따라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실수 m의 값의 범위는 ‌g(x)=xÛ`-2(k-1)x+kÛ`-3k-4라 하면 이차방정
-4+2'3<m<0이므로 a=-4+2'3, b=0이다. 식 g(x)=0이 서로 다른 두 개의 음의 실근을 가져야
∴ a+b=-4+2'3 답① 한다.
④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ª라 하면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져야 하므로
17 주어진 함수 y=f(x)의 그래프가 x축과 두 점 (-1, 0),

(3, 0)에서 만나고, 아래로 볼록하므로 =(k-1)Û`-(kÛ`-3k-4)>0에서
4
f(x)=a(x+1)(x-3) (a>0) k+5>0   ∴ k>-5
이라 할 수 있다. ⑤ ‌이차함수 y=g(x)의 그래프의 대칭축의 방정식이
이때, 함수 y=f(x)의 그래프는 점 (1, -4)를 지나므로 직선 x=0의 왼쪽에 있어야 하므로
-4=a_2_(-2)   ∴ a=1 k-1<0에서 k<1
∴ f(x)=(x+1)(x-3)=xÛ`-2x-3 ⑥ g(0)=kÛ`-3k-4=(k+1)(k-4)>0에서
방정식 f(|x|)+3=0에서 |x|Û`-2|x|=0 k<-1 또는 k>4
|x|(|x|-2)=0   ∴ |x|=0 또는 |x|=2 ④, ⑤, ⑥에서 -5<k<-1
|x|=0에서 x=0
Ú, Û에서 주어진 방정식이 서로 다른 네 실근을 갖는
|x|=2에서 x=-2 또는 x=2 실수 k의 값의 범위는 -5<k<-1 답①
따라서 구하는 모든 실근의 합은
(-2)+0+2=0 답0

다른풀이 19 |y|=xÛ`-3|x|+2에서 x¾0, y¾0일 때,


y=xÛ`-3x+2=(x-1)(x-2)이므로 이 함수의 그래
이차함수 y y=f{|x|}
프는 [그림 1]과 같고, |y|=xÛ`-3|x|+2의 그래프는
f(x)=x Û ` -2x-3에 대하 å ∫ ç
-3 -1 O 1 3 x x¾0, y¾0일 때의 그래프를 x축, y축, 원점에 대하여 각
여 함수 y=f(|x|)의 그래
각 대칭이동한 것이므로 [그림 2]와 같다.
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고, -3
y=-3 y y
방정식 f(|x|)+3=0의 실
-4
근은 두 함수 y=f(|x|), 2 2

y=-3의 그래프의 교점의 x좌표를 a, b, c (a<b<c)


O 1 2 x -2 -1 O 1 2 x
a+c
라 하면 =0, b=0
2
-2
따라서 구하는 모든 실근의 합은 a+b+c=0

[그림 1] [그림 2]

18 주어진 이차방정식이 서로 다른 네 실근을 가져야 하므 세 직선 y=x+1, y

로, x<0, x¾0일 때 각각 서로 다른 두 개의 실근을 가 y=x+2, y=x+3과


져야 한다. |y|=xÛ ` -3|x|+2의
Ú x¾0일 때, 그래프의 교점의 개수는 3
2
‌f(x)=xÛ`+2(k-1)x+kÛ`-3k-4라 하면 이차방정 오른쪽 그림과 같이 각 -2

식 f(x)=0이 서로 다른 두 개의 음이 아닌 실근을 각 4개, 3개, 2개이므로 -3


1
O 1 2 x
가져야 한다. N(1)=4, y=x+3
-1
y=x+2
①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Á이라 하면 서로 다른 N(2)=3, -2
y=x+1
두 실근을 가져야 하므로 N(3)=2

Ⅱ. 방정식과 부등식 | 063

블랙고등수학(상)-해설.indb 63 17. 6. 14. 오후 4:08


A n s w e r

∴ N(1)+N(2)+N(3)‌=4+3+2 g(a)‌=aÛ`+3b
=9 답② =aÛ`+3(aÛ`-4a+4)
=4aÛ`-12a+12

=4{a- }2`+3
3
20 조건 ㈎에서 x에 대한 이차방정식 f(x)=0의 두 근이
2
-2, 4이므로
1ÉaÉ3에서 y=g(a)의 그래프는 오 y y=g{a}
f(x)‌=a(x+2)(x-4) (단, a+0인 상수)
른쪽 그림과 같으므로 12
=a(x-1)Û`-9a
a=3일 때, g(a)의 최댓값은
라 할 수 있다.
M=12 4
Ú a<0일 때, 3
3
a= 일 때, g(a)의 최솟값은
‌이차함수 y=f(x)의 그래 x=1 2 O 1 3 3 a
2
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이 {5, f{5}} m=3
위로 볼록하고 대칭축이 ∴ Mm=12_3=36 답 36
직선 x=1이다. {8, f{8}}
y=f{x} 다른풀이
‌따라서 5ÉxÉ8에서 함수 이차함수 y=f(x)의 그래프가 두 점 B(1, 1), C(3, 1)
f(x)의 최댓값은 f(5)이고 조건 ㈏에서 이 값이 80이 을 지나므로
므로 f(5)=80에서
f(x)=k(x-1)(x-3)+1 (단, k+0)
80
7a=80   ∴ a= 이라 할 수 있다.
7
이차함수 y=f(x)의 그래프가 점 A(0, 4)를 지나므로
그런데 a<0이라는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f(0)=3k+1=4   ∴ k=1
Û a>0일 때,
∴ f(x)‌=(x-1)(x-3)+1
‌이차함수 y=f(x)의 그래 y=f{x}

{8, f{8}} =xÛ`-4x+4


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이
아래로 볼록하고 대칭축이
{5, f{5}}
직선 x=1이다.
‌따라서 5É x É8에서 함 x=1
22 두 이차함수 y=xÛ`-8x+7, y=-xÛ`+2x-1의 교점의
수 f(x)의 최댓값은 f(8)이고 조건 ㈏에서 이 값이 x좌표는
80이므로 f(8)=80에서 xÛ`-8x+7=-xÛ`+2x-1에서
40a=80   ∴ a=2 2xÛ`-10x+8=0
Ú, Û에서 a=2 xÛ`-5x+4=0, (x-1)(x-4)=0
즉, f(x)=2(x+2)(x-4)이므로 ∴ x=1 또는 x=4
f(-5)=2_(-3)_(-9)=54 답 54 두 점 P, Q 중 점 Q의 x좌표가 더 크므로
P(1, 0), Q(4, -9)
직선 x=k와 두 이차함수 y=xÛ`-8x+7,
21 f(x)는 이차함수이므로
f(x)=axÛ`+bx+c (단, a, b, c는 상수) y=-xÛ`+2x-1의 그래프의 교점이 각각 R, S이므로
라 할 수 있다. R(k, kÛ`-8k+7), S(k, -kÛ`+2k-1)
이차함수 y=f(x)의 그래프가 점 A(0, 4)를 지나므로 두 점 R, S 중 점 S의 y좌표가 더 크므로
c=4   ∴ f(x)=axÛ`+bx+4 RSÓ‌=(-kÛ`+2k-1)-(kÛ`-8k+7)
또한, 이차함수 y=f(x)의 그래프가 점 B(1, 1)을 지나 =-2kÛ`+10k-8

=-2{k- }2`+
므로 5 9
2 2
1=a+b+4   ∴ a+b=-3 yy㉠
사각형 PRQS의 넓이를 S(k)라 하면
점 C(3, 1)도 지나므로
S(k)‌=△PRS+△QRS
1=9a+3b+4   ∴ 3a+b=-1 yy㉡
1 1
㉠, ㉡을 연립하여 풀면 a=1, b=-4 = _RSÓ_(k-1)+ _RSÓ_(4-k)
2 2
∴ f(x)=xÛ`-4x+4 1
= _RSÓ_(k-1+4-k)
한편, 1ÉxÉ3에서 y=f(x)의 그래프 위를 움직이는 점 2

= [-2{k- }2`+ ]
P(a, b)에 대하여 3 5 9
2 2 2

=-3{k- }2`+
1ÉaÉ3, b=aÛ`-4a+4
5 27
즉, g(a)=aÛ`+3b라 하면 2 4

064 | 블랙라벨 수학 (상)

블랙고등수학(상)-해설.indb 64 17. 6. 14. 오후 4:09


본문 pp. 46~47

5 27 Ü m>2일 때,
즉, k= 일 때, S(k)의 최댓값은 이다.
2 4
‌이차함수 y=f(x)의 그래프 y=f{x}
27
따라서 사각형 PRQS의 넓이의 최댓값은 M= 이므로 는 오른쪽 그림과 같으므로
4
‌x=1일 때 최댓값 7을 가져야
27
8M=8_ =54 답 54
4 한다. 즉,
f(1)=1-2m+mÛ`+m=7 x=1 x=2 x=m

에서
mÛ`-m-6=0, (m-3)(m+2)=0
23 y‌=-2[x]Û`+5[x]-1

=-2{[x]- }2`+
5 17 ∴ m=3 (∵ m>2)
4 8 Ú, Û, Ü에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정수 m의 값은 3이다.
5  답3
이때, [x]의 값은 정수이므로 [x]의 값이 와 가장 가까운
4
단계 채점 기준 배점
정수, 즉 [x]=1일 때, 주어진 함수는 최댓값을 갖는다.
㈎ f(x)=(x-m)Û`+m으로 나타낸 경우 10%
∴ a=1 m<1일 때 함수 y=f(x)의 최댓값이 7이 되도록
㈏ 25%
y=-2[x]Û`+5[x]-1에 [x]=1을 대입하면 최댓값은 하는 정수 m의 값을 구한 경우
1ÉmÉ2일 때 함수 y=f(x)의 최댓값이 7이 되도
b=-2+5-1=2 ㈐
록 하는 정수 m의 값을 구한 경우
25%

∴ a+b=1+2=3 답② m>2일 때 함수 y=f(x)의 최댓값이 7이 되도록


㈑ 25%
하는 정수 m의 값을 구한 경우
㈒ ㈏ ~ ㈑로부터 정수 m의 값을 구한 경우 15%

24 f(x)‌=xÛ`-2mx+mÛ`+m
=(x-m)Û`+m 25 원뿔에 내접하는 원기둥의 밑면의 반 A

Ú m<1일 때, 지름의 길이를 r라 하면 오른쪽 그림


‌이차함수 y=f(x)의 그래프는 y=f{x} 의 두 삼각형 ABC, ADE에서
오른쪽 그림과 같으므로 x=2 ∠A는 공통, C
일 때 최댓값 7을 가져야 한다. B 6
∠ABC=∠ADE=90ù이므로
즉, △ABC»△ADE (AA 닮음)
f(2)=4-4m+mÛ`+m=7 x=m x=1 x=2 즉, ABÓ`:`ADÓ=BCÓ`:`DEÓ에서 2
E

mÛ`-3m-3=0 ABÓ:6=r:2 D
3Ñ'2Œ1 2ABÓ=6r   ∴ ABÓ=3r
∴ m=
2
즉, BDÓ=6-3r이므로
‌그런데 m은 정수이므로 조건을 만족시키는 m의 값
S=2prÛ`+2pr(6-3r)
은 존재하지 않는다.
=-4prÛ`+12pr
Û 1ÉmÉ2일 때,
=-4p(rÛ`-3r)

=-4p{r- }2`+9p
‌이차함수 y=f(x)의 그래프는 y=f{x}
3
오른쪽 그림과 같으므로 x=1 2

=-4{r- }2`+9
또는 x=2일 때 최댓값 7을 가 S 3

져야 한다. 즉, p 2

f(1)=1-2m+mÛ`+m=7 3 S
x=1 x=m x=2 따라서 r= 일 때 의 최댓값은 9이다. 답9
2 p
에서
단계 채점 기준 배점
mÛ`-m-6=0, (m-3)(m+2)=0
원기둥의 밑면의 반지름의 길이를 r라 하고 삼각형
∴ m=3 또는 m=-2 ㈎ 의 닮음을 이용하여 원기둥의 높이를 r에 대한 식으 40%
로 나타낸 경우
‌그런데 1ÉmÉ2이므로 조건을 만족시키는 m의 값은
㈏ 원기둥의 겉넓이 S를 r에 대한 식으로 나타낸 경우 40%
존재하지 않는다. S
㈐ 의 최댓값을 구한 경우 20%
f(2)=4-4m+mÛ`+m=7에서 p

mÛ`-3m-3=0
3Ñ'2Œ1
∴ m=
2 26 김밥 한 줄의 가격을 100원 인하하면 한 달 동안의 김밥
‌그런데 m은 정수이므로 조건을 만족시키는 m의 값 판매량이 200줄씩 증가하므로 김밥 한 줄의 가격을 100x
은 존재하지 않는다. 원 인하한다고 하면 김밥 판매량은 200x줄씩 증가하게

Ⅱ. 방정식과 부등식 | 065

블랙고등수학(상)-해설.indb 65 17. 6. 14. 오후 4:09


A n s w e r

된다. 이때, BQÓ=BTÓ=BAÓ-TÕAÓ=6-r이므로


한 달 동안의 김밥 판매 금액을 y원이라 하면 QÕHÁÓ‌=BÕHÁÓ-BQÓ=PÕHªÓ-BQÓ
y‌=(2000-100x)(1600+200x) 4 9
= r-(6-r)= r-6 yy㉠
5 5
=-20000(xÛ`-12x-160)
한편, 두 직각삼각형 PHÁC와 ABC에서
=-20000(x-6)Û`+3920000
∠C는 공통, ∠PHÁC=∠ABC=90ù
이때, x¾0, 2000-100x¾0에서 0ÉxÉ20이므로
∴ △PHÁC»△ABC (AA 닮음)
x=6일 때 y의 최댓값은 3920000이다.
즉, CPÓ:CAÓ=PÕHÁÓ:ABÓ이므로
따라서 한 달 동안의 김밥 판매 금액을 최대로 하기 위한
(10-r):10=PÕHÁÓ:6
김밥 한 줄의 가격은
3
2000-100_6=1400(원) 답② 10PÕHÁÓ=6(10-r)   ∴ PÕHÁÓ=6- r yy㉡
5
삼각형 PQHÁ이 직각삼각형이므로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
하여
27 ACÓÓ+DBÓ=CDÓ이므로 CDÓ=1
PQÓ Û`‌=PÕHÁÓ Û`+QÕHÁÓ Û`

={6- r}2`+{ r-6}2``(∵ ㉠, ㉡)


ACÓ=x라 하면
3 9
DBÓ=CDÓ-ACÓ=1-x 5 5
∴ SÁ=‌(지름이 ABÓ인 반원의 넓이) 36 9 81 108
={36- r+ rÛ`}+{ rÛ`- r+36}
+(지름이 CDÓ인 반원의 넓이) 5 25 25 5
-(지름이 ACÓ인 반원의 넓이) 18
= (rÛ`-8r+20)
5
-(지름이 DBÓ인 반원의 넓이)

‌= _1Û`+ _{ }2`- _{ }2`- _{ }2`


18 72
p p 1 p x p 1-x = (r-4)Û`+
5 5
2 2 2 2 2 2 2
72
p 즉, PQÓ Û`은 r=4일 때 최솟값 를 가지므로
=- (xÛ`-x-2) 5
4

=- {x- }2`+ p
a=5, b=72이다.
p 1 9
4 2 16 ∴ ab=5_72=360 답 360
1 9
즉, SÁ은 x= 일 때 최댓값 M= p를 갖고, SÁ이 최
2 16
대일 때 Sª는 최소이므로
m‌=(지름이 ABÓ인 원의 넓이)-(SÁ의 최댓값) Step 3 1등급을 넘어서는 종합 사고력 문제 p. 48
9 7
=p_1Û`- p= p
16 16 01 -2 02 4 03 12 04 ③ 05
13

4
9 7 p p
∴ M-m= p- p=  답 06 10'5 07 54
16 16 8 8

01 해결단계
28 다음 그림과 같이 두 원의 접점을 T, 점 P에서 두 변
이차함수 y=xÛ`+kx+2의 그래프와 직선 y=-x+5의
BC, AB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각 HÁ, Hª라 하고 원 OÁ
➊ 단계 두 교점 A, B의 x좌표를 각각 a, b`(a<b)라 하면 a, b가
의 반지름의 길이를 r (0<r<6)라 하자. 방정식 xÛ`+kx+2=-x+5의 두 근임을 파악한다.
O™ ➋ 단계 선분 AB가 점 (2, 3)을 지나므로 aÉ2Éb임을 파악한다.
B ➌ 단계 f(2)É0임을 이용하여 정수 k의 최댓값을 구한다.
8 H¡Q O¡
6 이차함수 y=xÛ`+kx+2의 그래프와 y=x@+kx+2
T H™
A
직선 y=-x+5의 두 교점 A, B의
C A
10
P x좌표를 각각 a, b`(a<b)라 하면 {2, 3}

a, b는 방정식 xÛ`+kx+2=-x+5, B
즉 xÛ`+(k+1)x-3=0의 두 근이 y=-x+5
두 직각삼각형 AHªP와 ABC에서
고, 선분 AB가 점 (2, 3)을 지나므로
∠A는 공통, ∠AHªP=∠ABC=90ù
∴ △AHªP»△ABC (AA 닮음) aÉ2Éb
이때, f(x)=xÛ`+(k+1)x-3이 y=f{x}
즉, PAÓ:CAÓ=PÕHªÓ:CBÓ이므로
라 하면 오른쪽 그림과 같이 a, b
r:10=PÕHªÓ:8
는 함수 y=f(x)의 그래프와 x축
4 2
10PÕHªÓ=8r   ∴ PÕHªÓ= r å ∫ x
5 의 교점의 x좌표이므로 f(2)É0이

066 | 블랙라벨 수학 (상)

블랙고등수학(상)-해설.indb 66 17. 6. 14. 오후 4:09


본문 pp. 47~48

어야 한다. aÛ`=16   ∴ a=4 (∵ a>0)


즉, 4+2(k+1)-3É0에서
3
2k+3É0   ∴ kÉ-
2
따라서 구하는 정수 k의 최댓값은 -2이다. 답 -2

03 해결단계

주어진 방정식을 인수분해하여 일차식 f(x)와 이차식


02 해결단계 ➊ 단계
g(x)로 가능한 경우를 구한다.
이차방정식 xÛ`-1=ax를 풀어 두 교점 P, Q의 좌표를 a를 ➊단계에서 구한 경우 중 방정식 f(x)=g(x)가 실근을 갖
➊ 단계 ➋ 단계
이용하여 나타낸다. 는 경우를 찾는다.
➋ 단계 OPÓ_OQÓ=17임을 이용하여 a의 값을 구한다. ➌ 단계 근과 계수의 관계를 이용하여 aÛ`+bÛ`의 값을 구한다.

이차함수 y=xÛ`-1의 그래프와 직선 y=ax`(a>0)의 f(x)g(x)+f(x)-3g(x)=-xÜ`+xÛ`+7에서


두 교점의 x좌표는 이차방정식 xÛ`-1=ax, 즉 f(x){ g(x)+1}-3{ g(x)+1}=-xÜ`+xÛ`+4
xÛ`-ax-1=0의 두 근이므로 { f(x)-3}{ g(x)+1}=-xÜ`+xÛ`+4
aÑ"ÃaÛ`+4 이때, h(x)=-xÜ`+xÛ`+4라 하면 h(2)=0이므로 조립
x=
2 제법을 이용하여 인수분해하면
a-"ÃaÛ`+4 a(a-"ÃaÛ`+4)
두 점 P, Q의 좌표를 P{ , }, 2 -1 1 0 4
2 2
-2 -2 -4
a+"ÃaÛ`+4 a(a+"ÃaÛ`+4)
Q{ , }라 하면 -1 -1 -2 0
2 2

OPÓ=¾Ð
(a-"ÃaÛ`+4)Û` Ð aÛ`(a-"ÃaÛ`+4)Û` h(x)‌=(x-2)(-xÛ`-x-2)
+
4 4
=-(x-2)(xÛ`+x+2)
=¾Ð
(1+aÛ`) (a-"ÃaÛ`+4)Û` ∴ { f(x)-3}{ g(x)+1}=-(x-2)(xÛ`+x+2)
4
일차식 f(x)와 이차식 g(x)는 계수와 상수항이 모두 정
"Ã1+aÛ`("ÃaÛ`+4-a)
= `(∵ "ÃaÛ`+4>a) 수인 다항식이므로
2
 f(x)-3=x-2
[` 
OQÓ=¾Ð
(a+"ÃaÛ`+4)Û` Ð aÛ`(a+"ÃaÛ`+4)Û`
+  g(x)+1=-(xÛ`+x+2)
4 4
 f(x)-3=-(x-2)
=¾Ð
(1+aÛ`)(a+"ÃaÛ`+4)Û`
또는 [` 
4  g(x)+1=xÛ`+x+2
"Ã1+aÛ` ("ÃaÛ`+4+a)  f(x)=x+1  f(x)=-x+5
=
2 ∴ [`  또는 [` 
 g(x)=-xÛ`-x-3  g(x)=xÛ`+x+1
이때, OPÓ_OQÓ=17이므로 Ú f(x)=x+1, g(x)=-xÛ`-x-3인 경우
"Ã1+aÛ` ("ÃaÛ`+4-a) "Ã1+aÛ` ("ÃaÛ`+4+a)
_ =17 방정식 f(x)=g(x)에서 x+1=-xÛ`-x-3
2 2
4(1+aÛ`) xÛ`+2x+4=0
=17, aÛ`=16
4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Á이라 하면
∴ a=4`(∵ a>0) 답4 DÁ
=1-4<0이므로 서로 다른 두 허근을 갖는다.
4
다른풀이
Û f(x)=-x+5, g(x)=xÛ`+x+1인 경우
이차함수 y=xÛ`-1의 그래프와 직선 y=ax (a>0)의 두
f(x)=g(x)에서 -x+5=xÛ`+x+1
교점 P, Q의 좌표를 각각 P(a, aa), Q(b, ab) (a<b)
xÛ`+2x-4=0
라 하자.
이 방정식의 판별식을 Dª라 하면
a, b는 방정식 xÛ`-1=ax, 즉 xÛ`-ax-1=0의 두 근이 Dª
=1+4>0이므로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갖는다.
므로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4
a+b=a, ab=-1 Ú, Û에서 방정식 f(x)=g(x)가 실근을 갖는 경우는
="ÃaÛ`+(aa)Û`"ÃbÛ`+(ab)Û`
OPÓ_OQÓ‌
 f(x)=-x+5, g(x)=xÛ`+x+1
="ÃaÛ`(aÛ`+1)"ÃbÛ`(aÛ`+1) 따라서 방정식 f(x)=g(x), 즉 xÛ`+2x-4=0에서
=|a|"ÃaÛ`+1_|b|"ÃaÛ`+1 두 실근을 a, b라 하면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ab|(aÛ`+1) a+b=-2, ab=-4
=aÛ`+1 (∵ ab=-1, aÛ`+1>0) ∴ aÛ`+bÛ`‌‌=(a+b)Û`-2ab
=17 =(-2)Û`-2_(-4)=12 답 12

Ⅱ. 방정식과 부등식 | 067

블랙고등수학(상)-해설.indb 67 17. 6. 14. 오후 4:09


A n s w e r

04 해결단계 분들을 이용하여 두 점 A, B를 연결한 경로의 길이를 d라


➊ 단계 ㄱ은 f(-x)를 직접 구하여 참, 거짓을 판별한다. 하면

➋ 단계
ㄴ은 x<0일 때와 x¾0일 때의 경우로 나누어 방정식 d=2-xÛ`+|x-t|
f(x)=0의 모든 실근을 구한 후, 그 합을 구한다.
Ú x¾t일 때,

d=2-xÛ`+x-t=-{x- }2`+ -t
ㄷ은 두 함수 y=x|x|와 y=4x-p의 그래프를 이용하여
➌ 단계
방정식 f(x)=0의 실근의 개수의 최댓값을 구한다. 1 9

2 4
함수 f(x)=x|x|-4x+p에서
1 9
-1ÉxÉ1에서 x= 일 때, d의 최댓값은 -t이다.
ㄱ. ‌p=0이면 f(x)=x|x|-4x 2 4
f(-x)‌=-x|-x|-4(-x) 9
‌또한, -1ÉtÉ1이므로 t=-1일 때, -t의 최댓
4
=-x|x|+4x
9 13
=-(x|x|-4x)=-f(x) 값은 -(-1)= 이다.
4 4
즉, f(-x)=-f(x)가 성립한다. (참)
1 13
‌즉, x¾t이면 x= , t=-1일 때, d의 최댓값은
ㄴ. p=3이면 f(x)=x|x|-4x+3 2 4
Ú x<0일 때, f(x)=-xÛ`-4x+3 이다.
f(x)=0, 즉 -xÛ`-4x+3=0에서 Û x<t일 때,

d=2-xÛ`-x+t=-{x+ }2`+ +t
x=-2Ñ'7 1 9

2 4
∴ x=-2-'7 (∵ x<0)
1 9
Û x¾0일 때, f(x)=xÛ`-4x+3 ‌-1ÉxÉ1에서 x=- 일 때, d의 최댓값은 +t
2 4
‌f(x)=0, 즉 xÛ`-4x+3=0에서 이다.
(x-1)(x-3)=0   ∴ x=1 또는 x=3 9
‌또한, -1ÉtÉ1이므로 t=1일 때, +t의 최댓값은
Ú, Û에서 모든 실근의 합은 4
1+3+(-2-'7)=2-'7 (거짓) 9 13
+1= 이다.
4 4
ㄷ. 방정식 f(x)=0에서
1 13
x|x|-4x+p=0   ∴ x|x|=4x-p ‌즉, x<t이면 x=- , t=1일 때, d의 최댓값은
2 4
‌이 방정식의 근은 두 함수 y=x|x|, y=4x-p의 그 이다.
래프의 교점의 x좌표와 같다. 13 13
Ú, Û에서 구하는 길이의 최댓값은 이다. 답
이때, y 4 4
xÛ` (x¾0)
y=x|x|=[` 
-xÛ`  (x<0)
‌이므로 두 함수의 그래프의 교 O x

점은 오른쪽 그림과 같다.


‌즉, 교점의 개수는 1개 또는 2
06 해결단계
개 또는 3개이므로 방정식 f(x)=0의 실근은 최대 3
이차함수 y=xÛ`-1의 그래프에 접하고 두 점 A(a, aÛ`-1),
➊ 단계
개이다. (참) B(b, bÛ`-1)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을 각각 구한다.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답③ ➋ 단계 ➊단계에서 구한 두 직선의 교점 C의 좌표를 구한다.
➌ 단계 삼각형 ACB의 넓이를 구한다.

점 A(a, aÛ`-1)에서 이차함수 y=xÛ`-1의 그래프에 접


하는 직선의 방정식을 y=mx+n이라 하자.
점 A가 직선 y=mx+n 위의 점이므로
05 해결단계
aÛ`-1=ma+n yy㉠
점 A의 좌표를 (t, 0), 점 B의 좌표를 (x, 2-xÛ`)이라 하
➊ 단계
고, 두 점 A, B를 연결한 경로의 길이 d를 구한다.
이 직선이 이차함수 y=xÛ`-1에 접하므로 이차방정식
x¾t, x<t일 때로 나누어 d, 즉 경로의 길이의 최댓값을 xÛ`-1=mx+n, 즉 xÛ`-mx-n-1=0의 판별식을
➋ 단계
구한다.
D라 하면
x축 위의 점 A의 좌표를 y
y=2-x@ D=mÛ`-4(-n-1)=0
2
(t, 0)`(-1ÉtÉ1), ∴ mÛ`+4n+4=0 yy㉡
2-x@ B
함수 y=2-xÛ`의 그래프 ㉠에서 n=aÛ`-1-ma이므로 이것을 ㉡에 대입하면
위의 점 B의 좌표를 mÛ`+4(aÛ`-1-ma)+4=0
-Â2 Â2
(x, 2-xÛ`) (-1ÉxÉ1), x1 x
mÛ`-4ma+4aÛ`=0, (m-2a)Û`=0
-1 O
x축 또는 y축과 평행한 선 A{t, 0} ∴ m=2a, n=-aÛ`-1

068 | 블랙라벨 수학 (상)

블랙고등수학(상)-해설.indb 68 17. 6. 14. 오후 4:09


본문 p. 48

따라서 점 A에 접하는 직선의 방정식은 따라서 2ÉtÉ3에서 두 삼각형이 겹쳐지는 부분은 다음


y=2ax-aÛ`-1 yy㉢ 그림과 같다.
같은 방법으로 점 B(b, bÛ`-1)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B
E
R
D
y=2bx-bÛ`-1 yy㉣
F
두 직선 ㉢, ㉣의 교점 C의 x좌표는 h
2t-2
2ax-aÛ`-1=2bx-bÛ`-1 l
P C HQ A
2(a-b)x=aÛ`-bÛ`=(a-b)(a+b) 2t-4 2t

a+b 두 선분 AB와 PR의 교점을 E라 하고, 점 E에서 선분


∴ x= =2 (∵ a+b, a+b=4)
2
AC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자.
a+b
x= 를 y=2ax-aÛ`-1에 대입하면 EHÓ=h라 하면 삼각형 EPH가 직각이등변삼각형이므로
2
a+b PHÓ=h
y=2a_ -aÛ`-1=ab-1
2 △ABC»△AEH (AA 닮음)이므로
즉, 점 C의 좌표는 C(2, ab-1)이다. EHÓ:HÕAÓ=1:2   ∴ HAÓ=2h
한편, a, b는 이차함수 y=xÛ`-1의 그래프와 직선 PAÓ=2t이므로 PAÓ=PHÓ+HAÓ에서
y=kx의 교점의 x좌표이므로 a, b는 이차방정식 2
2t=h+2h   ∴ h= t
xÛ`-1=kx, 즉 xÛ`-kx-1=0의 두 근이고 근과 계수의 3

관계에 의하여 두 선분 AB와 QR의 교점을 D라 하면

a+b=k=4, ab=-1   ∴ C(2, -2) PAÓ=PQÓ+QAÓ에서 QAÓ=2t-2이므로

점 C(2, -2)를 지나고 y축에 평행한 직선 x=2와 직선 1


QDÓ=  QAÓ=t-1
2
y=4x의 교점을 D라 하면
선분 BC와 선분 PR의 교점을 F라 하면
D(2, 8)
PAÓ=PCÓ+CAÓ에서 PCÓ=2t-4이므로
또한,
FCÓ=PCÓ=2t-4
(b-a)Û`=(a+b)Û`-4ab=4Û`-4_(-1)=20
두 삼각형 ABC, PQR가 겹쳐지는 부분의 넓이 S(t)는
이므로
S(t)‌=△PAE-△QAD-△PCF
|b-a|=2'5
1 2 1
따라서 삼각형 ACB의 넓이는 ={ _2t_ t}- _(2t-2)_(t-1)
2 3 2
1 1 1
_|b-a|_CDÓ
‌ _2'5_{8-(-2)}
=  - (2t-4)Û`
2 2 2
=10'5 답 10'5 2
= tÛ`-(t-1)Û`-2(t-2)Û`
3
blacklabel 특강 풀이첨삭 7
=- tÛ`+10t-9
3

=- {t- }2`+
네 점 A, B, C, D는 오른쪽 그림과 같으므로 두 점
I B
A, B에서 CDÓ 또는 그 연장선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 7 15 12
각 H, I라 하면 3 7 7
△ACB‌=△ACD+△BCD D 15 12
1 1 따라서 2ÉtÉ3에서 S(t)는 t= 일 때 최댓값 를
= _CDÓ_AHÓ+ _CDÓ_BIò
2 2
7 7
1 가지므로
= _CDÓ_(AHÓ+BÕIÕ)
2
1 A H 15 12
= _CDÓ_|b-a| a= , M=
2 C 7 7
15 12
∴ 14(a+M)=14{ + }=54 답 54
7 7

07 해결단계 blacklabel 특강 풀이첨삭


2ÉtÉ3일 때, 두 삼각형 ABC, PQR가 겹쳐지는 부분을 움직이기 시작한 지 1초 후, 2초 후, 3초 후의 두 삼각형의 위치는 각
➊ 단계
파악한다. 각 다음 [그림 1], [그림 2], [그림 3]과 같다.
➋ 단계 ➊단계에서 그린 도형의 각 변의 길이를 구한다. BB
B RRR BBB RR R B{=R}
B{=R}
B{=R}
S(t)의 최댓값과 그때의 t의 값을 구한 후, 14(a+M)의
➌ 단계
값을 구한다.
CC
C AA
A PP
P AA
A PP
P AA
A
PP
P {=Q}
{=Q} {=C} QQ
{=C}
{=Q}{=C} Q Q{=C}
Q{=C}
Q{=C}
두 삼각형이 서로 마주 보는 방향으로 매초 1만큼씩 움직
[그림 1] [그림 2] [그림 3]
이므로 고정되어 있는 삼각형 ABC를 향해 삼각형 PQR 따라서 2ÉtÉ3일 때, 두 삼각형이 겹쳐지는 부분의 모양은 풀이의
그림과 같다.
가 매초 2만큼씩 움직이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Ⅱ. 방정식과 부등식 | 069

블랙고등수학(상)-해설.indb 69 17. 6. 14. 오후 4:09


A n s w e r

이것이 수능 p. 49 2 해결단계

방정식 | f(x)|+g(x)=0의 실근이 두 함수 y=| f(x)|,


1 ④ 2 48 3 ① 4 750 ➊ 단계
y=-g(x)의 그래프의 교점의 x좌표임을 파악한다.
두 함수 y=| f(x)|, y=g(x)의 그래프를 이용하여 방정
➋ 단계
식 | f(x)|+g(x)=0의 모든 실근을 구한다.

1 해결단계 ➌ 단계 방정식 | f(x)|+g(x)=0의 모든 실근의 곱을 구한다.

이차함수 y=f(x)의 그래프를 꼭짓점이 y축 위에 오도록 방정식 |f(x)|+g(x)=0, 즉 |f(x)|=-g(x)의 실근


평행이동한 함수를 y=g(x)라 하고, 이 평행이동에 의하여
➊ 단계 은 두 함수 y=|f(x)|, y=-g(x)의 그래프가 만나는
y=f(x)의 그래프 위의 여섯개의 점 A, B, C, D, E, F가
옮겨진 점을 각각 A', B', C', D', E', F'로 놓는다. 점의 x좌표이다.
AÕ'B'Ó=l임을 이용하여 두 점 A, B의 좌표와 함수 y=g(x) -f(x) (x<8)
➋ 단계
를 구한다. |f(x)|=[`  이고 함수 y=-g(x)의 그
 f(x) (x¾8)
CÕ'D'Ó=l+1, EÕ'F'Ó=l+3임을 이용하여 네 점 C', D', E',
➌ 단계
F'의 좌표를 구한다. 래프는 함수 y=g(x)의 그래프를 x축에 대하여 대칭이
➌단계에서 구한 네 점의 좌표를 y=g(x)에 대입하여 l의 동한 것이므로 두 함수 y=|f(x)|, y=-g(x)의 그래
➍ 단계
값을 구한다.
프는 다음 그림과 같다.
오른쪽 그림과 같이 이차함수 y y=g{x} y y=g{x}
y=f(x)의 그래프의 꼭짓점 y=|f{x}|
E' l+3 F' y=4
이 y축 위에 오도록 x축의 4
방향으로 평행이동하고, 그 O 4 8 16 x
C' l+1 D'
함수를 y=g(x)라 하자. y=1
1 l
A' O B' x
또한, 이 평행이동에 의하여 y=-g{x}
이차함수 y=f(x)의 그래프
두 함수 y=|f(x)|, y=-g(x)의 그래프는 서로 다른
위의 여섯 개의 점 A, B, C, D, E, F가 옮겨진 점을 각
두 점에서 만나고 이 중 한 점의 x좌표는 4이다.
각 A', B', C', D', E', F'이라 하자.
또한, 두 함수의 그래프는 직선 x=8에 대하여 대칭이므
AÕ'B'Ó=ABÓ=l이므로 두 점 A', B'의 좌표는
로 나머지 한 점의 x좌표를 a라 하면
l l
A'{- , 0}, B'{ , 0} 4+a
2 2 =8   ∴ a=12
2
즉, g(x)=a{x+ }{x- } (a+0)
l l
yy㉠ 따라서 방정식 |f(x)|+g(x)=0의 근은 4, 12이므로
2 2
모든 실근의 곱은 4_12=48이다. 답 48
이라 할 수 있다.
CÕ'D'Ó=CDÓ=l+1이므로 두 점 C', D'의 좌표는
l+1 l+1
C'{-
2
, 1}, D'{
2
, 1} 3 해결단계

이때, ㉠의 그래프가 점 D'을 지나므로 ➊ 단계 직사각형 ABCD의 변의 길이를 a로 표현한다.


직사각형 ABCD의 둘레의 길이가 최대가 되도록 하는 a
+ }{ - }
l+1 l l+1 l ➋ 단계
1=a{ 의 값을 구한다.
2 2 2 2
2l+1 1 두 점 A(a, f(a)), D(-a, f(-a))는 이차함수
1=a_ _    ∴ 2al+a=4 yy㉡
2 2 f(x)=xÛ`-7의 그래프 위의 점이므로
또한, EÕ'F'Ó=EFÓ=l+3이므로 두 점 E', F'의 좌표는 A(a, aÛ`-7), D(-a, aÛ`-7)
l+3 l+3 또한, 두 점 B(a, g(a)), C(-a, g(-a))는 이차함수
E'{- , 4}, F'{ , 4}
2 2
g(x)=-2xÛ`+5의 그래프 위의 점이므로
이때, ㉠의 그래프가 점 F'을 지나므로
B(a,-2aÛ`+5), C(-a,-2aÛ`+5)
+ }{ - }
l+3 l l+3 l
4=a{ 즉, ADÓ=BCÓ=a-(-a)=2a이고
2 2 2 2
2l+3 3 16 BAÓ‌=CDÓ
4=a_ _    ∴ 2al+3a= yy㉢
2 2 3 =(-2aÛ`+5)-(aÛ`-7)
4 =-3aÛ`+12
㉢-㉡을 하면 2a=
3
즉, 직사각형 ABCD의 둘레의 길이를 l이라 하면
2
∴ a= l‌=ADÓ+BCÓ+BAÓ+CDÓ=2(ADÓ+BAÓ)
3
이것을 ㉡에 대입하면 =2(2a-3aÛ`+12)
4 2 4 10 5 =-6aÛ`+4a+24

=-6{a- }2`+
l+ =4, l=    ∴ l=  답④
3 3 3 3 2 1 74
3 3

070 | 블랙라벨 수학 (상)

블랙고등수학(상)-해설.indb 70 17. 6. 14. 오후 4:09


본문 pp. 49~51

1 74
이므로 a= 일 때 l의 최댓값은
3 3
이다.
06 여러 가지 방정식
1
따라서 a= 일 때, 직사각형 ABCD의 둘레의 길이가
3 Step 1 출제율 100% 우수 기출 대표 문제 pp. 51~52
최대이다. 답①
1Ñ'3i
01 ② 02 84 03 x=  (중근) 04 7
2
05 ② 06 ③ 07 ⑤ 08 ③ 09 3
3 1 3 1
10 25 11 { , } 또는 {- , - } 12 ③
2 2 2 2
4 해결단계 13 ① 14 ② 15 ③ 16 ①

농장 X의 세로와 가로의 길이를 각각 x`m, y`m로 놓고,


➊ 단계
농장 X와 농장 Y의 넓이를 각각 구한다.
➋ 단계
➌ 단계
조건을 이용하여 x와 y 사이의 관계식을 찾는다.
농장 Y의 넓이의 최댓값을 구한 후, S의 값을 구한다.
01 `f(x)=xÝ`+xÜ`-xÛ`-7x-6이라 하면 `f(-1)=0,
`f(2)=0이므로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인수분해하면
농장 X의 세로와 가로의 길이를 각각 -1 1 1 -1 -7 -6
x`m, y`m (x>0, y>0) -1 0 1 6
라 하면 농장 X의 넓이는 xy`mÛ`이다. 2 1 0 -1 -6 0
철망의 길이가 150`m이므로 농장 Y의 아랫변의 길이는 2 4 6
150-2x-y(m) 1 2 3 0
A
135æ
∴ f(x)=(x+1)(x-2)(xÛ`+2x+3)
x`m X x`m Y 사차방정식 f(x)=0에서

y`m B
C x=-1 또는 x=2 또는 xÛ`+2x+3=0
{150-2x-y}`m
이때, 이차방정식 xÛ`+2x+3=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위의 그림과 같이 농장 Y에서 벽면이 135ù로 꺾인 지점
D
=1Û`-1_3=-2<0이므로 이 이차방정식은 두 허
을 점 A, 점 A에서 농장 Y의 밑변에 내린 수선의 발을 4
점 B, 벽면의 끝 지점을 점 C라 하면 삼각형 ABC가 직 근을 갖는다.
각이등변삼각형이므로 즉, 사차방정식 f(x)=0의 두 실근 a, b는 -1 또는 2이
BCÓ=ABÓ=x`m 고, 두 허근 c, d의 합과 곱은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즉, 농장 Y의 윗변의 길이는 관계에 의하여
(150-2x-y)-x=150-3x-y(m) c+d=-2, cd=3
이므로 농장 Y의 넓이는 ∴ a+b+cÛ`+dÛ`‌=(-1)+2+(c+d)Û`-2cd
1 =1+(-2)Û`-2_3
{(150-3x-y)+(150-2x-y)}_x
2
=-1 답②
1
= x(300-5x-2y)(mÛ`)
2
이때, 농장 X의 넓이가 농장 Y의 넓이의 2배이므로 02 사차방정식 (x-1)(x-3)(x+5)(x+7)+55=0에서
1 (x-1)(x+5)(x-3)(x+7)+55=0
xy=2_ x(300-5x-2y)
2
(xÛ`+4x-5)(xÛ`+4x-21)+55=0
xy=x(300-5x-2y)
이때, xÛ`+4x=X로 놓으면
y=300-5x-2y (∵ x>0)
(X-5)(X-21)+55=0
3y=300-5x
XÛ`-26X+160=0, (X-10)(X-16)=0
5
∴ y=100- x   yy㉠ (xÛ`+4x-10)(xÛ`+4x-16)=0
3
∴ xÛ`+4x-10=0 또는 xÛ`+4x-16=0
1
∴ (농장 Y의 넓이)‌= x(300-5x-2y)
2 Ú ‌xÛ`+4x-10=0의 두 근을 a, b라 하면 근과 계수의
1 5 관계에 의하여
= x{100- x} (∵ ㉠)
2 3
a+b=-4, ab=-10
5
=- xÛ`+50x ∴ aÛ`+bÛ`=(a+b)Û`-2ab=16+20=36
6
Û ‌xÛ`+4x-16=0의 두 근을 c, d라 하면 근과 계수의
5
=- (x-30)Û`+750
6 관계에 의하여
따라서 x=30일 때 농장 Y의 넓이의 최댓값은 750`mÛ`이 c+d=-4, cd=-16
므로 S=750 답 750 ∴ cÛ`+dÛ`=(c+d)Û`-2cd=16+32=48

Ⅱ. 방정식과 부등식 | 071

블랙고등수학(상)-해설.indb 71 17. 6. 14. 오후 4:09


방정식과 부등식

A n s w e r

Ú, Û에서 주어진 방정식의 모든 근의 제곱의 합은 또한, 삼차방정식 xÜ`+8=0, 즉 (x+2)(xÛ`-2x+4)=0


36+48=84 답 84 에서 xª가 이차방정식 xÛ`-2x+4=0의 한 허근이므로
xªò도 이 이차방정식의 근이다.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xª+xªò=2, xªxªò=4
03 사차방정식 xÝ`-2xÜ`+3xÛ`-2x+1=0에서 x+0이므로
Û
∴ (xÁÛ
‌ `+xÁò `)(xªÛ `+xªò Û`)
양변을 xÛ`으로 나누면
={(xÁ+xÁò)Û`-2xÁxÁò}{(xª+xªò)Û`-2xªxªò}
2 1
xÛ`-2x+3- + =0
x xÛ` =(1Û`-2_1)(2Û`-2_4)
1 1 =(-1)_(-4)=4
-2{x+ }+3=0
답②
xÛ`+
xÛ` x

{x+ }2`-2-2{x+ }+3=0


다른풀이
1 1
x x 이차방정식 xÛ`-x+1=0의 두 허근이 xÁ, xÁò이므로

{x+ }2`-2{x+ }+1=0


1 1 xÁÛ`-xÁ+1=0, xÁò Û`-xÁò+1=0
x x ∴ xÁÛ`=xÁ-1, xÁò Û`=xÁò-1 yy㉠
1
x+ =t로 놓으면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x
xÁ+xÁò=1 yy㉡
tÛ`-2t+1=0, (t-1)Û`=0
마찬가지로 이차방정식 xÛ`-2x+4=0의 두 허근이 xª,
1
∴ t=1   ∴ x+ =1 xªò이므로
x
1 xªÛ`-2xª+4=0, xªò Û`-2xªò+4=0
이때, x+ =1의 양변에 x를 곱하면
x ∴ xªÛ`=2xª-4, xªò Û`=2xªò-4 yy㉢
xÛ`-x+1=0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1Ñ'3i 1Ñ'3i
∴ x= `(중근) 답 x= `(중근) xª+xªò=2 yy㉣
2 2
`
Û
∴ xÁÛ`+xÁò =(xÁ-1)+(xÁò-1) (∵ ㉠)
‌
=(xÁ+xÁò)-2
=1-2 (∵ ㉡)
04 f(x)=xÜ`+5xÛ`+(k+4)x+k라 하면 f(-1)=0이므로
=-1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인수분해하면 `
Û
xªÛ`+xªò ‌=(2xª-4)+(2xªò-4) (∵ ㉢)
-1 1 5 k+4 k =2(xª+xªò)-8
-1 -4 -k =2_2-8 (∵ ㉣)
1 4 k 0 =-4
∴ f(x)=(x+1)(xÛ`+4x+k) ∴ (xÁÛ`+xÁò Û`)(xªÛ`+xªò Û`)‌=(-1)_(-4)
이때, 주어진 삼차방정식이 중근을 가지려면 x=-1이 =4
중근이거나 xÛ`+4x+k=0이 중근을 가져야 한다.
Ú ‌x=-1이 중근일 때,
x=-1을 xÛ`+4x+k=0에 대입하면
1-4+k=0   ∴ k=3 06 삼차방정식 xÜ`-xÛ`-7x-5=0의 세 근이 a, b, c이므로

Û ‌xÛ`+4x+k=0이 중근을 가질 때, 삼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이차방정식 xÛ`+4x+k=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a+b+c=1, ab+bc+ca=-7, abc=5

D ∴ (a+b)(b+c)(c+a)
‌
=2Û`-k=0   ∴ k=4
4 =(1-c)(1-a)(1-b)
Ú, Û에서 구하는 모든 상수 k의 값의 합은 =1-(a+b+c)+(ab+bc+ca)-abc
3+4=7 답7 =1-1+(-7)-5=-12 답③

다른풀이

f(x)=xÜ`-xÛ`-7x-5라 하면 삼차방정식 f(x)=0의


05 삼차방정식 xÜ`+1=0, 즉 (x+1)(xÛ`-x+1)=0에서 세 근이 a, b, c이므로
xÁ이 이차방정식 xÛ`-x+1=0의 한 허근이므로 xÁò도 이 f(x)=(x-a)(x-b)(x-c)
이차방정식의 근이다. 라 할 수 있다.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또한, 삼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xÁ+xÁò=1, xÁxÁò=1 a+b+c=1

072 | 블랙라벨 수학 (상)

블랙고등수학(상)-해설.indb 72 17. 6. 14. 오후 4:09


본문 pp. 51~52

∴ (a+b)(b+c)(c+a)‌=(1-c)(1-a)(1-b) 오른쪽 그림과 같이 조립제 3 1 6 8 -105


=f(1) 법을 이용하여 인수분해하 3 27 105
=1-1-7-5=-12 면 1 9 35 0
f(x)=(x-3)(xÛ`+9x+35)

f(x)=0에서 xÛ`+9x+35={x+ }2`+ >0이므로


9 59
07 계수가 실수인 삼차방정식 xÜ`+axÛ`-4x+b=0의 한 근 2 4
이 1+i이므로 1-i도 주어진 삼차방정식의 근이다. x=3 답③
나머지 한 근을 b라 하면 삼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
에 의하여
(1+i)+(1-i)+b=-a x-y=1 yy㉠
09 [` 
(1+i)(1-i)+(1-i)b+b(1+i)=-4 xÛ`+3yÛ`=7  yy㉡
(1+i)(1-i)b=-b ㉠에서 x=y+1
위의 세 식을 연립하여 풀면 b=-3, a=1, b=6 이것을 ㉡에 대입하면
∴ a+b=1+6=7 답⑤ (y+1)Û`+3yÛ`=7
다른풀이 1 4yÛ`+2y-6=0, 2yÛ`+y-3=0
(2y+3)(y-1)=0
x=1+i를 주어진 방정식에 대입하면
∴ y=1 (∵ y>0), x=2
(1+i)Ü`+a(1+i)Û`-4(1+i)+b=0
따라서 a=2, b=1이므로
1+3i+3iÛ`+iÜ`+a(1+2i+iÛ`)-4-4i+b=0
a+b=2+1=3  답3
1+3i-3-i+2ai-4-4i+b=0
∴ -6+b+(2a-2)i=0
-6+b, 2a-2는 실수이므로 복소수가 서로 같을 조건
xÛ`-yÛ`=6 yy㉠
에 의하여 -6+b=0, 2a-2=0   ∴ a=1, b=6 10 [` 
(x+y)Û`-2(x+y)=3   yy㉡
다른풀이 2 ㉡에서
삼차방정식 xÜ`+axÛ`-4x+b=0의 한 근이 1+i이므로 (x+y)Û`-2(x+y)-3=0
1-i도 주어진 삼차방정식의 근이다. (x+y+1)(x+y-3)=0
나머지 한 근을 p라 하면 ∴ x+y+1=0 또는 x+y-3=0
xÜ`+axÛ`-4x+b‌=(x-p)(x-1-i)(x-1+i) 이때, x, y는 양수이므로
=(x-p)(xÛ`-2x+2) x+y-3=0, 즉 x+y=3 yy㉢
=xÜ`-(2+p)xÛ`+(2+2p)x-2p ㉠에서 (x+y)(x-y)=6
위의 식이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3(x-y)=6 (∵ ㉢)   ∴ x-y=2   yy㉣
-4=2+2p, a=-2-p, b=-2p ㉢+㉣을 하면
∴ p=-3, a=1, b=6 5
2x=5   ∴ x=
∴ a+b=1+6=7 2
이것을 ㉢에 대입하면
5 1
+y=3   ∴ y=
08 주어진 오각기둥의 전개도를 점선을 따라 접으면 다음 그 2 2
림과 같다. 5 1
∴ 20xy=20_ _ =25 답 25
x 2 2
x x+2 다른풀이

x+y=a, xy=b라 하자.


x+1
㉡에서 aÛ`-2a-3=0
x+3
(a-3)(a+1)=0   ∴ a=3 또는 a=-1

오각기둥의 부피가 108이므로 그런데 x, y는 양수이므로 a>0


∴ a=x+y=3
[x(x+3)+ 2{(x+3)+x}
2 ](x+1)=108 이때, (x-y)Û`=(x+y)Û`-4xy이므로
{x(x+3)+2x+3}(x+1)=108 (x-y)Û`=9-4b yy㉤
(xÛ`+5x+3)(x+1)=108 한편, ㉠의 양변을 제곱하면
xÜ`+6xÛ`+8x-105=0 (xÛ`-yÛ`)Û`=6Û`, (x+y)Û`(x-y)Û`=6Û`
이때, f(x)=xÜ`+6xÛ`+8x-105라 하면 f(3)=0이므로 9(9-4b)=36 (∵ ㉤)

Ⅱ. 방정식과 부등식 | 073

블랙고등수학(상)-해설.indb 73 17. 6. 14. 오후 4:09


A n s w e r

5 이때, 이 이차방정식이 실근을 가지므로 이 이차방정식의


9-4b=4   ∴ b=
4
판별식을 D라 하면
5
∴ 20xy=20b=20_ =25 D=(-2a+4)Û`-4(aÛ`-3a+1)¾0
4
4aÛ`-16a+16-4aÛ`+12a-4¾0
-4a+12¾0, 4aÉ12   ∴ aÉ3
xÛ`+xy=3  yy㉠ 따라서 상수 a의 최댓값은 3이다.
[` 
답③
11 xy+yÛ`=1 yy㉡
㉠-㉡을 하면 13 처음 직사각형 모양의 땅의 가로, 세로의 길이를 각각
xÛ`-yÛ`=2 x`m, y`m라 하면 대각선의 길이가 5`m이므로
∴ (x+y)(x-y)=2   yy㉢ xÛ`+yÛ`=25 yy㉠
㉠+㉡을 하면 또한, 땅의 가로의 길이를 1`m만큼 줄이고
(x+y)Û`=4   ∴ x+y=Ñ2 세로의 길이를 2`m만큼 늘였더니 넓이가 3`mÛ`만큼 넓어
Ú x+y=2일 때, 졌으므로
이것을 ㉢에 대입하면 (x-1)(y+2)=xy+3, xy+2x-y-2=xy+3
x-y=1 ∴ y=2x-5 yy㉡
위의 식과 x+y=2를 연립하여 풀면 ㉡을 ㉠에 대입하면
3 1 xÛ`+(2x-5)Û`=25, 5xÛ`-20x=0
x= , y=
2 2
x(x-4)=0   ∴ x=4 (∵ x>0)
Û x+y=-2일 때,
x=4를 ㉡에 대입하면 y=3
이것을 ㉢에 대입하면
따라서 처음 땅의 둘레의 길이는
x-y=-1
2(4+3)=14(m) 답①
위의 식과 x+y=-2를 연립하여 풀면


3
x=- , y=-
2
1
2
14 두 이차방정식의 공통근을 a라 하면
3aÛ`-(k+1)a+4k=0   yy㉠
Ú, Û에서 주어진 방정식의 해는
3aÛ`+(2k-1)a+k=0   yy㉡
3 1 3 1
{ , } 또는 {- , - } ㉠-㉡을 하면 -3ka+3k=0
2 2 2 2
3 1 3 1 -3k(a-1)=0   ∴ k=0 또는 a=1
 답{ , } 또는 {- , - }
2 2 2 2 Ú k=0을 ㉠에 대입하면 3aÛ`-a=0이므로
다른풀이 1
a(3a-1)=0   ∴ a=0 또는 a=
3
㉠-3_㉡을 하면
즉, 공통근이 두 개이다.
xÛ`-2xy-3yÛ`=0, (x-3y)(x+y)=0
Û a=1을 ㉠에 대입하면 3-(k+1)+4k=0이므로
∴ x=3y 또는 x=-y
2
Ú x=3y를 ㉠에 대입하면 3k=-2   ∴ k=-
3
9yÛ`+3yÛ`=3, 12yÛ`=3 2
Ú, Û에서 k=-  답②
1 3
yÛ`=
4
1 3
∴ y=Ñ , x=Ñ (복부호 동순)
2 2
15 abc+ab+bc+ca+a+b+c=29에서
abc+ab+bc+ca+a+b+c+1=29+1
Û x=-y를 ㉠에 대입하면
(a+1)(b+1)(c+1)=30
yÛ`-yÛ`=3, 0=3
(a+1)(b+1)(c+1)=2_3_5
‌주어진 방정식을 만족시키는 실수 x, y는 존재하지 않는다.
aÉbÉc라 하면
Ú, Û에서 주어진 방정식의 해는
a+1=2, b+1=3, c+1=5
3 1 3 1
{ , } 또는 {- , - } ∴ a=1, b=2, c=4
2 2 2 2
∴ a+b+c=1+2+4=7 답③

12 x+y=-2a+4, xy=aÛ`-3a+1이므로 두 실수 x, y를 16 xÛ`+yÛ`+4x-4y+k+2=0을 x에 대하여 내림차순으로


두 근으로 하는 t에 대한 이차방정식은 정리하면
tÛ`-(-2a+4)t+(aÛ`-3a+1)=0 xÛ`+4x+yÛ`-4y+k+2=0   yy㉠
이라 할 수 있다. x가 실수이므로` ㉠은 실근을 가져야 한다.

074 | 블랙라벨 수학 (상)

블랙고등수학(상)-해설.indb 74 17. 6. 14. 오후 4:09


본문 pp. 52~53

즉, x에 대한 이차방정식 ㉠의 판별식을 D라 하면 다른풀이

D f(x)=xÝ`-xÜ`-4xÛ`-x+1이라 하면 f(-1)=0이므로
=2Û`-(yÛ`-4y+k+2)¾0에서
4
다항식 f(x)를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인수분해하면
yÛ`-4y+k-2É0   ∴ (y-2)Û`É6-k
-1 1 -1 -4 -1 1
이때, y도 실수이므로
-1 2 2 -1
6-k¾0   ∴ kÉ6 답①
-1 1 -2 -2 1 0
다른풀이
-1 3 -1
xÛ`+yÛ`+4x-4y+k+2=0에서 1 -3 1 0
(x+2)Û`+(y-2)Û`=6-k
∴ f(x)=(x+1)Û`(xÛ`-3x+1)
(x+2)Û`¾0, (y-2)Û`¾0이므로 주어진 방정식을 만족시
f(x)=0에서 x=-1 또는 xÛ`-3x+1=0
키는 실수 x, y가 존재하려면
이때, g(x)=xÛ`-3x+1이라 하면 이차방정식 g(x)=0
6-k¾0
은 서로 다른 두 양의 실근을 갖는다.
∴ kÉ6
즉, 사차방정식 f(x)=0의 한 양의 실근 a는 이차방정식
g(x)=0의 근이므로
aÛ`-3a+1=0
a+0이므로 위의 식의 양변을 a로 나누면
1 1
a-3+ =0   ∴ a+ =3
a a
Step 2 1등급을 위한 최고의 변별력 문제 pp. 53~56

01 ④ 02 9 03 -3 04 21 05 6 02 사차방정식 xÝ`-2(aÛ`+bÛ`)xÛ`+(aÛ`-bÛ`)Û`=0에서
06 ② 07 ① 08 ⑤ 09 ③ 10 ② xÝ`-2(aÛ`+bÛ`)xÛ`+(a+b)Û`(a-b)Û`=0
13
11
3
12 ⑤ 13 -100 14 ③ 15 ⑤ {xÛ`-(a+b)Û`}{xÛ`-(a-b)Û`}=0

16 -4
3
17 a=6, b=- 18 ④ 19 ⑤
∴ x=Ñ(a+b) 또는 x=Ñ(a-b)
2
이때, 네 근의 곱이 9이므로
20 ④ 21 ⑤ 22 ② 23 ① 24 394
25 16 26 ② 27 -1 28 ③ 29 ④ (a+b)Û`(a-b)Û`=9
30 4 31
21 a, b는 자연수이므로
44
(a+b)Û`=9   yy㉠
(a-b)Û`=1   yy㉡

01 사차방정식 xÝ`-xÜ`-4xÛ`-x+1=0의 한 양의 실근이 a ㉠-㉡을 하면 4ab=8이므로 ab=2


이므로 a, b는 a>b인 두 자연수이므로
aÝ`-aÜ`-4aÛ`-a+1=0 a=2, b=1
a+0이므로 양변을 aÛ`으로 나누면 ∴ aÜ`+bÜ`=2Ü`+1Ü`=9 답9
1 1 다른풀이
aÛ`-a-4- + =0
a aÛ`
주어진 사차방정식의 네 근의 곱이 9이므로 사차방정식의
1 1
{aÛ`+ }-{a+ }-4=0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aÛ` a

{a+ }2`-2-{a+ }-4=0


1 1 (aÛ`-bÛ`)Û`=9   ∴ aÛ`-bÛ`=3`(∵ a>b)
a a 따라서 (a+b)(a-b)=3이고 a, b는 a>b인 두 자연수
{a+ }2`-{a+ }-6=0
1 1 이므로
a a
a+b=3, a-b=1   ∴ a=2, b=1
1
이때, a+ =t로 놓으면
a
tÛ`-t-6=0, (t-3)(t+2)=0 03 f(x)=xÜ`-(2a-1)xÛ`+(aÛ`-2a)x+2aÛ`+4a+4라 하

∴ t=3 또는 t=-2 면 f(-2)=0이므로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인수분해하면

1 1 -2 1 -2a+1 a@-2a 2a@+4a+4


즉, a+ =3 또는 a+ =-2
a a -2 4a+2 -2a@-4a-4
1 1 -2a-1 a@+2a+2 0
그런데 a>0이므로 a+ =3 (∵ a>0)
a

‌={a+ }3`-3{a+ }
∴ f(x)=(x+2){xÛ`-(2a+1)x+aÛ`+2a+2}
1 1 1
∴ aÜ`+
aÜ` a a 삼차방정식 f(x)=0이 서로 다른 세 실근을 가지려면 x
=27-9=18 답④ 에 대한 이차방정식 xÛ`-(2a+1)x+aÛ`+2a+2=0이

Ⅱ. 방정식과 부등식 | 075

블랙고등수학(상)-해설.indb 75 17. 6. 14. 오후 4:09


A n s w e r

x=-2가 아닌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져야 하므로 이 이 aÛ`+bÛ`=3, aÛ`bÛ`=k


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또한, 사차방정식의 두 근의 합이 1이므로 a+b=1이라
D=(2a+1)Û`-4(aÛ`+2a+2)>0에서 하면
7 (a+b)Û`=aÛ`+bÛ`+2ab에서
-4a-7>0   ∴ a<-
4
1=3+2ab   ∴ ab=-1
또한, x=-2가 이 이차방정식의 근이 아니므로 x에 대한
즉, k=(ab)Û`=1이므로 f(x)=xÝ`-3xÛ`+1
이차방정식 xÛ`-(2a+1)x+aÛ`+2a+2=0에 x=-2를
이때,
대입하면
xÝ`-3xÛ`+1‌=(xÝ`-2xÛ`+1)-xÛ`
4+2(2a+1)+aÛ`+2a+2+0
=(xÛ`-1)Û`-xÛ`
aÛ`+6a+8+0, (a+2)(a+4)+0
=(xÛ`+x-1)(xÛ`-x-1)
∴ a+-2, a+-4
이므로 f(x)=0에서
즉,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키는 a의 값의 범위는
xÛ`+x-1=0 또는 xÛ`-x-1=0
7 -1Ñ'5 1Ñ'5
a<-4 또는 -4<a<-2 또는 -2<a<-
4 ∴ x= 또는 x=
2 2
이므로 정수 a의 최댓값은 -3이다. 답 -3
따라서 가장 큰 근과 가장 작은 근의 차는
1+'5 -1-'5
- =1+'5
2 2
04 xÝ`-9xÛ`+k-10=0에서 xÛ`=t (t¾0)로 놓으면 이므로 p=1, q=5
tÛ`-9t+k-10=0   yy㉠ ∴ p+q=1+5=6 답6
주어진 사차방정식의 모든 근이 실수가 되려면 t에 대한 이
차방정식 ㉠의 두 실근이 모두 0보다 크거나 같아야 한다. blacklabel 특강 풀이첨삭

Ú 이차방정식 ㉠의 판별식을 D라 하면 a+b=1 대신 a-b=1 또는 -a+b=1 또는 -a-b=1로 놓고


계산해도 상관없다. a, b는 값이 정해지지 않은 수이므로 부호를 조정
D=9Û`-4(k-10)¾0에서 하면 결국 다른 세 등식으로 계산했을 때와 같은 결과를 얻게 된다.
121
-4k+121¾0   ∴ kÉ
4
Û ‌(두 근의 합)=9¾0이므로 k의 값에 관계없이 성립
06 f(x)=xÜ`-3xÛ`+3x-2라 하면 f(2)=0이므로 조립제법
한다. 을 이용하여 인수분해하면
Ü (두 근의 곱)=k-10¾0이므로 2 1 -3 3 -2
k¾10 2 -2 2
121 1 -1 1 0
Ú, Û, Ü에서 10ÉkÉ
4
따라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k는 10, 11, 12, y, ∴ f(x)=(x-2)(xÛ`-x+1)
30의 21개이다. 답 21 f(x)=0에서 x=2 또는 xÛ`-x+1=0
이때, 이차방정식 xÛ`-x+1=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blacklabel 특강 풀이첨삭
D=1-4=-3<0에서 허근을 가지므로 삼차방정식
사차방정식 xÝ`-9xÛ`+k-10=0의 한 실근을 a라 하면 f(x)=0의 한 허근 a는 이 이차방정식의 근이다. 즉,
aÝ`-9aÛ`+k-10=0, 즉 (aÛ`)Û`-9aÛ`+k-10=0이므로 aÛ`은 이차방
정식 tÛ`-9t+k-10=0의 근이다. aÛ`-a+1=0   yy㉠
이때, aÛ`¾0이므로 이차방정식 tÛ`-9t+k-10=0의 근은 항상 0보 ㉠의 양변에 a+1을 곱하면
다 크거나 같다.
(a+1)(aÛ`-a+1)=0
aÜ`+1=0   ∴ aÜ`=-1
∴ (a-1)(aÛ
‌ `+1)(aÜ`-1)(aÝ`+1)(aÞ`-1)(aß`+1)
05 f(x)=xÝ`-3xÛ`+k라 하고 사차방정식 f(x)=0의 한 근을 =aÛ`_a_(-1-1)(-a+1)(-aÛ`-1)(1+1)
x=a라 하면 =aÜ`_(-2)_(-aÛ`)_(-a)_2
f(-a)‌=(-a)Ý`-3(-a)Û`+k =-4aß`=-4  답②
=aÝ`-3aÛ`+k
=f(a) 07 xÜ`=1에서 xÜ`-1=0
즉, x=-a도 사차방정식 f(x)=0의 근이다. (x-1)(xÛ`+x+1)=0   ∴ x=1 또는 xÛ`+x+1=0
사차방정식 f(x)=0의 네 근을 Ña, Ñb라 하고, xÛ`=t 이차방정식 xÛ`+x+1=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로 놓으면 이차방정식 tÛ`-3t+k=0의 두 근은 aÛ`, bÛ`이 D=1-4=-3<0에서 서로 다른 두 허근을 가지므로
므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방정식 xÜ`=1의 허근 x는 이 이차방정식의 근이다.

076 | 블랙라벨 수학 (상)

블랙고등수학(상)-해설.indb 76 17. 6. 14. 오후 4:09


본문 pp. 53~54

이때, 이차방정식 xÛ`+x+1=0의 모든 계수가 실수이므 ∴ f(1)+f(2)+f(3)+y+f(6)=0


로 한 허근이 x이면 x®도 이 이차방정식의 근이다. 또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f(7)‌=(-1)à`+(-aÛ`)à`=-1-aÚ`Ý`=-1-(aÜ`)Ý`aÛ`
x+x®=-1, xx®=1   yy㉠ =-1-aÛ`=a=f(1)
x+1 x+1 x+1 x®+1 이므로 f(n)은 주기가 6인 함수이다.
∴ zz®‌= _Â{ }= _
2x+1 2x+1 2x+1 2x®+1
∴ F(50)‌=f(1)+f(2)+f(3)+y+f(50)
xx®+(x+x®)+1
= ={ f(1)+f(2)+f(3)+y+f(6)}
4xx®+2(x+x®)+1
+{ f(7)+f(8)+f(9)+y+f(12)}+y
1-1+1
= `(∵ ㉠)
4-2+1 +{ f(43)+f(44)+f(45)+y+f(48)}
1 +f(49)+f(50)
=  답①
3
=f(49)+f(50)=f(1)+f(2)
=a-aÛ`
08 f(x)=xÜ`+8이므로 방정식 f(x)=0에서 같은 방법으로 b는 두 방정식 xÜ`-1=0, xÛ`+x+1=0
xÜ`+8=0, (x+2)(xÛ`-2x+4)=0 의 근이므로
∴ x=-2 또는 xÛ`-2x+4=0 bÜ`=1, bÛ`+b+1=0
이때, 방정식 f(x)=0의 세 근 a, b, c에 대하여 ∴ g(n)=(-1)n+(-bÛ`)n
a=-2라 하면 b와 c는 이차방정식 xÛ`-2x+4=0의 두 위의 식에 n=1, 2, 3, y, 6을 차례로 대입하여 정리하면
근이므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g(1)+g(2)+g(3)+g(4)+g(5)+g(6)=0
b+c=2, bc=4   yy㉠ 이고, g(n+6)=g(n)이므로
따라서 g(x)=xÜ`-x+2에서 G(50)‌=g(1)+g(2)+g(3)+y+g(50)
g(a)=g(-2)=-8+2+2=-4 =g(49)+g(50)=g(1)+g(2)
g(b)=bÜ`-b+2=-8-b+2`(∵ bÜ`+8=0) =b-bÛ`
=-b-6 한편, 이차방정식 xÛ`+x+1=0에서 근과 계수의 관계에
g(c)‌=cÜ`-c+2=-8-r+2`(∵ cÜ`+8=0) 의하여
=-r-6 a+b=-1, ab=1
∴ g(a)g(b)g(c)=-4(-b-6)(-c-6) ∴ F(50)+G(50)‌=a-aÛ`+b-bÛ`
=-4{bc+6(b+c)+36} =a+b-(aÛ`+bÛ`)
=-4(4+6_2+36)`(∵ ㉠) =a+b-(a+b)Û`+2ab
=-208 답⑤ =-1-1+2=0  답③

09 xÜ`-1=0에서 (x-1)(xÛ`+x+1)=0
∴ x=1 또는 xÛ`+x+1=0 10 삼차방정식 xÜ`+xÛ`+kx+3=0의 세 근을 a, b, c

이차방정식 xÛ`+x+1=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aÉbÉc)라 하면 삼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


하여
D=1-4=-3<0에서 허근을 가지므로 a, b는 이 이
차방정식의 근이다. a+b+c=-1, ab+bc+ca=k, abc=-3

이때, a는 삼차방정식 xÜ`-1=0의 근이므로 이때, a, b, c가 모두 정수이므로 abc=-3에서 가능한


순서쌍 (a, b, c)는 (-3, -1, -1), (-3, 1, 1),
aÜ`=1
또한, a는 이차방정식 xÛ`+x+1=0의 근이므로 (-1, 1, 3)이고, 이 중에서 a+b+c=-1을 만족시키
는 순서쌍 (a, b, c)는 (-3, 1, 1)이다.
aÛ`+a+1=0   yy㉠
㉠에서 aÛ`+a=-1, a+1=-aÛ`이므로 따라서 a=-3, b=1, c=1을 ab+bc+ca=k에 대입
하면
f(n)‌=(aÛ`+a)n+(a+1)n=(-1)n+(-aÛ`)n
위의 식에 n=1, 2, 3, y, 6을 차례로 대입하면 k=(-3)_1+1_1+1_(-3)=-5 답②

f(1)=(-1)Ú`+(-aÛ`)Ú`=-(1+aÛ`)=a
f(2)=(-1)Û`+(-aÛ`)Û`=1+aÝ`=1+a=-aÛ`
1 1 1
f(3)=(-1)Ü`+(-aÛ`)Ü`=-1-aß`=-1-1=-2 11 aÜ`=aÛ`+a+ , bÜ`=bÛ`+b+ , cÜ`=cÛ`+c+ 이므로 서
9 9 9
f(4)=(-1)Ý`+(-aÛ`)Ý`=1+a¡`=1+aÛ`=-a
1
로 다른 세 실수 a, b, c는 방정식 xÜ`=xÛ`+x+ , 즉
f(5)=(-1)Þ`+(-aÛ`)Þ`=-1-aÚ`â`=-1-a=aÛ` 9
f(6)=(-1)ß`+(-aÛ`)ß`=1+aÚ`Û`=1+1=2 9xÜ`-9xÛ`-9x-1=0의 근이다.

Ⅱ. 방정식과 부등식 | 077

블랙고등수학(상)-해설.indb 77 17. 6. 14. 오후 4:09


A n s w e r

따라서 삼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14 계수가 유리수인 사차방정식


1 xÝ`+6xÜ`+axÛ`+bx+c=0의 중근이 아닌 한 근이
a+b+c=1, ab+bc+ca=-1, abc= 이므로
9
-2+'3이므로 다른 한 근은 -2-'3이다.
aÜ`+bÜ`+cÜ`
두 수 -2+'3, -2-'3의 합과 곱이 각각
=(a+b+c)(aÛ`+bÛ`+cÛ`-ab-bc-ca)+3abc
-4, 4-3=1이고, 이 두 수를 근으로 갖는 이차방정식은
=(a+b+c){(a+b+c)Û`-3(ab+bc+ca)}+3abc
xÛ`+4x+1=0이므로
1 13 13
=1_(1+3)+3_ =  답 xÝ`+6xÜ`+axÛ`+bx+c는 xÛ`+4x+1로 나누어떨어진다.
9 3 3
이때, 사차방정식 xÝ`+6xÜ`+axÛ`+bx+c=0의 중근을 a
다른풀이
라 하면
aÜ`+bÜ`+cÜ`
xÝ`+6xÜ`+axÛ`+bx+c=(x-a)Û`(xÛ`+4x+1)
1 1 1
={aÛ`+a+ }+{bÛ`+b+ }+{cÛ`+c+ } xÝ`+6xÜ`+axÛ`+bx+c
9 9 9
1 =(xÛ`-2ax+aÛ`)(xÛ`+4x+1)
=(aÛ`+bÛ`+cÛ`)+(a+b+c)+
3 =xÝ`+(4-2a)xÜ`+(aÛ`-8a+1)xÛ`+(4aÛ`-2a)x+aÛ`
1 위의 등식이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a+b+c)Û`-2(ab+bc+ca)+(a+b+c)+
3
6=4-2a, a=aÛ`-8a+1, b=4aÛ`-2a, c=aÛ`
1 13
=1Û`-2_(-1)+1+ = ∴ a=-1, a=10, b=6, c=1
3 3
∴ a+b+c=10+6+1=17  답③

12 이차방정식 xÛ`-x+2=0의 두 근이 a, b이므로 이차방 다른풀이

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계수가 유리수인 사차방정식


a+b=1, ab=2 yy㉠ xÝ`+6xÜ`+axÛ`+bx+c=0의 중근이 아닌 한 근이
또한, 삼차방정식 xÜ`-3x+5=0의 세 근이 p, q, r이므 -2+'3이므로 다른 한 근은 -2-'3이다.
로 삼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나머지 중근을 a라 하면 사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
p+q+r=0, pq+qr+rp=-3, pqr=-5 yy㉡ 에 의하여
∴ ‌(pa+qb)Û`+(pb-qa)Û`+rÛ`aÛ`+rÛ`bÛ` (-2+'3)+(-2-'3)+2a=-6
=pÛ`aÛ`+2paqb+qÛ`bÛ`+pÛ`bÛ`-2pbqa+qÛ`aÛ` -4+2a=-6   ∴ a=-1
 +rÛ`aÛ`+rÛ`bÛ` 한편, 두 수 -2+'3, -2-'3을 근으로 갖는 이차방정
=pÛ`(aÛ`+bÛ`)+qÛ`(aÛ`+bÛ`)+rÛ`(aÛ`+bÛ`) 식은 xÛ`+4x+1=0이므로
=(aÛ`+bÛ`)(pÛ`+qÛ`+rÛ`) xÝ`+6xÜ`+axÛ`+bx+c=(x+1)Û`(xÛ`+4x+1)
={(a+b)Û`-2ab}{(p+q+r)Û`-2(pq+qr+rp)} 위의 등식이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x=1을 대입해도 성
=(-3)_6`(∵ ㉠, ㉡) 립한다.
=-18 답⑤ 1+6+a+b+c=2Û`_6
∴ a+b+c=24-7=17

13 방정식 xÚ`â`â`-10x+1=0의 근이 aÁ, aª, a£, y, aÁ¼¼이므


로 aÔÚ`â`â`-10aÔ+1=0 (i=1, 2, 3, y, 100)
∴ aÔÚ`â`â`=10aÔ-1
또한,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15 조건 ㈎에서 계수가 실수인 삼차방정식 P(x)=0의 한
허근이 2-i이므로 2+i도 근이고, 두 복소수 2-i, 2+i
aÁ+aª+a£+y+aÁ¼¼=0
를 근으로 갖는 이차방정식은
∴ aÁÚ
‌ `â`â`+aªÚ`â`â`+a£Ú`â`â`+y+aÁ¼¼Ú`â`â`
xÛ`-(2-i+2+i)x+(2-i)(2+i)=0, 즉
=(10aÁ-1)+(10aª-1)+(10a£-1)+y
xÛ`-4x+5=0이므로 삼차방정식 P(x)=0의 다른 한
 +(10aÁ¼¼-1)
근을 a라 하면
=10(aÁ+aª+a£+y+aÁ¼¼)-100
P(x)=(xÛ`-4x+5)(x-a)   yy㉠
=-100 답 -100
라 할 수 있다.
단계 채점 기준 배점
aÔ (i=1, 2, y, 100)가 주어진 방정식의 근임을 이
이때, 조건 ㈏에서 P(x)를 x+1로 나눈 나머지가 10이
㈎ 30%
용하여 aÔÚ`â`â`=10aÔ-1로 나타낸 경우 므로 나머지정리에 의하여 P(-1)=10
근과 계수의 관계를 이용하여
㈏ 40% ㉠에 x=-1를 대입하면
aÁ+aª+a£+y+aÁ¼¼=0임을 구한 경우
㈎, ㈏에서 구한 것을 이용하여 주어진 식의 값을 구 P(-1)=(1+4+5)(-1-a)=10
㈐ 30%
한 경우 10(-1-a)=10, -1-a=1

078 | 블랙라벨 수학 (상)

블랙고등수학(상)-해설.indb 78 17. 6. 14. 오후 4:09


본문 pp. 54~55

∴ a=-2 즉, a=b=1-b, -3=-b이므로


따라서 b=3, a=b=-2
P(x)‌=(xÛ`-4x+5)(x+2) ∴ a+b=(-2)+(-2)=-4 답 -4
=xÜ`-2xÛ`-3x+10 다른풀이
이므로 1 '3
두 허근이 - Ñ i이므로 한 실근을 b라 하면 삼차방
a=-2, b=-3, c=10 2 2
∴ a+b+c=(-2)+(-3)+10=5  답⑤ 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1 '3 1 '3
다른풀이 {- - i}{- + i}b=3
2 2 2 2
조건 ㈏에서 P(-1)=10이므로
즉, b=3이므로
1 '3 1 '3
-1+a-b+c=10에서 a+c=b+11   yy㉡
{- - i}+{- + i}+3=-a   ∴ a=-2
조건 ㈎에서 삼차방정식 P(x)=0의 세 근을 2-i, 2 2 2 2
2+i, k (k는 실수)라 하면 삼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 1 '3 1 '3 1 '3
{- - i}{- + i}+{- + i}_3
2 2 2 2 2 2
계에 의하여
1 '3
(2-i)+(2+i)+k=-a에서 a=-4-k  +{- - i}_3=b
2 2
(2-i)(2+i)+k(2-i)+k(2+i)=b에서 b=4k+5 ∴ b=-2
k(2-i)(2+i)=-c에서 c=-5k
이것을 ㉡에 대입하여 정리하면
(-4-k)-5k=(4k+5)+11 17 두 연립방정식
-10k=20   ∴ k=-2 4x-y=a  yy㉠ x-by=5  yy㉢
[`  , [` 
따라서 b=4_(-2)+5=-3이므로 x+y=4 yy㉡ xÛ`+yÛ`=8  yy㉣
a+b+c=b+(b+11)=2b+11=-6+11=5 은 공통근을 갖고, 이는 두 방정식 ㉡, ㉣의 공통근이므로
㉡에서 y=-x+4를 `㉣에 대입하면
xÛ`+(-x+4)Û`=8, xÛ`+xÛ`-8x+16=8
2xÛ`-8x+8=0, 2(x-2)Û`=0
∴ x=2, y=2
16 해결단계
이것을 ㉠, ㉢에 각각 대입하면
➊ 단계 a®=aÛ`임을 이용하여 a를 구한다.
4_2-2=a, 2-2b=5
a, a®를 두 근으로 하고, xÛ`의 계수가 1인 이차방정식을 구
➋ 단계
한다. 3 3
∴ a=6, b=-  답 a=6, b=-
➋단계에서 구한 이차방정식의 근이 주어진 삼차방정식의 2 2
➌ 단계 근임을 이용하여 계수비교법으로 a, b의 값을 구한 후,
a+b의 값을 구한다.

계수가 실수인 삼차방정식 xÜ`+axÛ`+bx-3=0의 한 허 18 (x+1)(y+1)=k에서


근을 a=p+qi (p, q는 실수, q+0)라 하면 a®=p-qi xy+(x+y)+1-k=0 yy㉠
도 이 삼차방정식의 근이다. (x-2)(y-2)=k에서
즉, a®=aÛ`이므로 p-qi=(p+qi)Û`에서 xy-2(x+y)+4-k=0 yy㉡
p-qi=(pÛ`-qÛ`)+2pqi ㉠-㉡을 하면 3(x+y)-3=0   ∴ x+y=1
p, q는 실수이므로 복소수가 서로 같을 조건에 의하여 y=1-x를 ㉠에 대입하면
p=pÛ`-qÛ`, -q=2pq x(1-x)+2-k=0   ∴ xÛ`-x+k-2=0
1 위의 이차방정식이 실근을 갖기 위해서는 이 이차방정식
∴ p=-
‌ `(∵ q+0),
2

q=Ñ"ÃpÛ`-p=Ñ®É{- }2`-{- }=Ñ


의 판별식을 D라 하면 D=(-1)Û`-4(k-2)¾0에서
1 1 '3
9
2 2 2 -4k¾-9   ∴ kÉ
4
1 '3
즉, 두 허근은 - Ñ i이다. 9
2 2 따라서 구하는 실수 k의 최댓값은
4
이다. 답④
1 '3
이때, 두 근이 - Ñ i이고, xÛ`의 계수가 1인 이차방
2 2
정식은 xÛ`+x+1=0이므로 삼차방정식
xÜ`+axÛ`+bx-3=0의 한 실근을 b라 하면
19 Ú x<y일 때,

xÛ`-y-3=-2y ( xÛ`+y=3
xÜ`+axÛ`+bx-3=(x-b)(xÛ`+x+1) [`  에서 { 3
=xÜ`+(1-b)xÛ`+(1-b)x-b
2xÛ`+y-3=-y 9 xÛ`+y= 2

Ⅱ. 방정식과 부등식 | 079

블랙고등수학(상)-해설.indb 79 17. 6. 14. 오후 4:09


A n s w e r

‌이 연립방정식을 만족시키는 실수 x, y의 값은 존재하 ∠ECD=∠ACB이므로 합동이다.


지 않는다. 이때, CEÓ=x라 하면 CDÓ=BCÓ=8-x이므로 피타고라
Û x¾y일 때, 스 정리에 의하여
xÛ`-y-3=-2x yy㉠ xÛ`=aÛ`+(8-x)Û`, xÛ`=aÛ`+xÛ`-16x+64
[` 
2xÛ`+y-3=-x  yy㉡ aÛ`+64
∴ x=
16
㉠+㉡을 하면
삼각형 CAE의 넓이는 10이므로
3xÛ`-6=-3x, xÛ`+x-2=0
1 1 aÛ`+64
(x+2)(x-1)=0 △CAE= ax= _a_ =10
2 2 16
∴ x=-2 또는 x=1
aÜ`+64a-320=0, (a-4)(aÛ`+4a+80)=0
x=-2를 ㉠에 대입하면
이때, aÛ`+4a+80=(a+2)Û`+76>0이므로
4-y-3=4   ∴ y=-3
a=4 답⑤
x=1을 ㉠에 대입하면
1-y-3=-2에서 y=0 서울대 선배들의 강추문제 1등급 비법 노하우

‌이때, ab+0이므로 x=1, y=0은 성립하지 않는다. 이 문제는 고차방정식의 활용 문제로, 교육청 모의고사의 대표 유형일
Ú, Û에서 a=-2, b=-3 뿐만 아니라 내신 시험에서도 자주 출제되는 유형이다. 그중에서도 도
형에 대한 활용 문제가 많이 출제되는데, 여러 가지 도형의 넓이, 부피
∴ ab=(-2)_(-3)=6 답⑤ 에 대한 기초적인 개념은 물론 이 문제와 같이 중학교에서 배웠던 도
형의 성질 등이 이용되기도 한다. 특히 도형의 합동과 닮음, 원의 성질
등은 자주 활용되는 개념이므로 공부해두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방
정식의 활용 문제는 긴 문장제 문제로 출제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평소
에 문장제 문제를 분석하여 식을 세우는 연습을 충분히 하도록 하자.
( x+y+z=6  yy㉠
20 { xÛ`+yÛ`=zÛ` yy㉡
9 xy=-12 yy㉢
㉠의 양변을 제곱하면 22 직각삼각형에서 직각을 낀 두
y-4
26
(x+y+z)Û` 변의 길이를 각각 x, y라 하면
4

=xÛ`+yÛ`+zÛ`+2xy+2yz+2zx 오른쪽 그림에서 4

=(xÛ`+yÛ`)+zÛ`+2xy+2z(x+y) x-4
xÛ`+yÛ`=26Û` yy㉠
=zÛ`+zÛ`+2_(-12)+2z(6-z) (∵ ㉠, ㉡, ㉢) [` 
(x-4)+(y-4)=26  yy㉡
=12z-24=36
㉡에서 y=34-x이므로 이것을 `㉠에 대입하면
12z=60   ∴ z=5
xÛ`+(34-x)Û`=26Û`, xÛ`+1156-68x+xÛ`=676
z=5를 ㉠에 대입하면 x+y=1이므로 ㉢과 연립하여 풀면
xÛ`-34x+240=0, (x-10)(x-24)=0
x=-3, y=4 또는 x=4, y=-3
∴ x=10 또는 x=24
∴ |a|+|b|+|c|=3+4+5=12 답④
x=10 x=24
다른풀이 ∴ [`  또는 [` 
y=24 y=10
㉠에서 z=6-(x+y)이므로
따라서 직각을 낀 두 변의 길이의 차는
zÛ`={6-(x+y)}Û`
24-10=14 답②
xÛ`+yÛ`=36-12(x+y)+(x+y)Û` (∵ ㉡)
다른풀이
xÛ`+yÛ`=36-12(x+y)+xÛ`+2xy+yÛ`
㉡에서 x+y=34이므로
36-12(x+y)+2_(-12)=0 (∵ ㉢)
2xy‌=(x+y)Û`-(xÛ`+yÛ`)=34Û`-26Û`=480
12(x+y)=12   ∴ x+y=1
∴ |x-y|‌="Ã(x+y)Û`-4xy
="Ã34Û`-2_480
='¶196=14
21 8-x
D
a
B 8-x x
E

a x
C
23 정육면체 모양의 그릇 A의 한 모서리의 길이를 a라 하면
직육면체 모양의 그릇 B는 그릇 A보다 밑면의 가로의 길
A 이는 1만큼 길고, 세로의 길이는 1만큼 짧으며 높이는 같
위의 그림에서 두 직각삼각형 CED와 CAB는 으므로 그릇 B의 가로, 세로의 길이와 높이는 각각 a+1,
EDÓ=ABÓ=a, ∠CDE=∠CBA=90ù, a-1, a이다.

080 | 블랙라벨 수학 (상)

블랙고등수학(상)-해설.indb 80 17. 6. 14. 오후 4:09


본문 pp. 55~56

이때, 두 그릇 A, B의 부피는 각각 aÜ`, a(aÛ`-1)이고, 그 25 두 이차방정식 xÛ`+px+q=0, xÛ`+qx+p=0의 공통근


15 을 k라 하면
릇 B의 부피는 그릇 A의 부피의 이므로
16
kÛ`+pk+q=kÛ`+qk+p, (p-q)k-(p-q)=0
15
a(aÛ`-1)= aÜ`, 16aÜ`-16a=15aÜ` (p-q)(k-1)=0   ∴ k=1`(∵ p+q)
16
주어진 두 이차방정식의 공통이 아닌 두 근의 비가 1:3
aÜ`-16a=0, a(a+4)(a-4)=0
이므로 한 근을 a라 하면 다른 한 근은 3a이다.
∴ a=4`(∵ a>1)
이때, a는 이차방정식 xÛ`+px+q=0의 근, 3a는 이차방
따라서 두 그릇의 높이는 4이다. 답①
정식 xÛ`+qx+p=0의 근이므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
의 관계에 의하여
24 ADÓ, ACÓ, BCÓ, ABÓ의 길이가 이 순서대로 네 개의 연속
a+1=-p, a=q yy㉠
된 짝수이므로
3a+1=-q, 3a=p yy㉡
ADÓ=2n, ACÓ=2n+2, BCÓ=2n+4, ABÓ=2n+6
㉠, ㉡에서 a+1=-3a이므로
(n은 자연수)이라 할 수 있다.
1
BDÓ=x, CDÓ=y라 하면 BDÓ+CDÓ=BCÓ이므로 4a=-1   ∴ a=-
4
x+y=2n+4 yy㉠ 3 1
3a=p, a=q이므로 p=- , q=-
두 삼각형 ABD, ADC는 각각 두 원 OÁ, Oª의 지름을 4 4
9 1 1
빗변으로 하는 직각삼각형이다. ∴ 32(pÛ`-qÛ`)=32{ - }=32_ =16 답 16
16 16 2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하여
ADÓ Û`+BDÓ Û`=ABÓ Û`, ADÓ Û`+CDÓ Û`=ACÓ Û`이므로 다른풀이

ABÓ Û`-BDÓ Û`=ACÓ Û`-CDÓ Û` 두 이차방정식 xÛ`+px+q=0, xÛ`+qx+p=0의 공통근


(2n+6)Û`-xÛ`=(2n+2)Û`-yÛ` 을 k라 하면
4nÛ`+24n+36-xÛ`=4nÛ`+8n+4-yÛ` kÛ`+pk+q=kÛ`+qk+p, (p-q)k-(p-q)=0
16n+32=(x-y)(x+y) (p-q)(k-1)=0   ∴ k=1 (∵ p+q)
8(2n+4)=(x-y)(2n+4) (∵ ㉠) 즉, 주어진 두 이차방정식의 공통근이 x=1이므로 이것
∴ x-y=8 yy㉡ 을 이차방정식 xÛ`+px+q=0에 대입하면
㉠-㉡을 하면 1+p+q=0   ∴ q=-p-1   yy㉢
2y=2n-4   ∴ y=n-2 yy㉢ ㉢을 두 이차방정식 xÛ`+px+q=0, xÛ`+qx+p=0에
이때, 직각삼각형 ADC에서 ADÓ Û`+CDÓ Û`=ACÓ Û`이므로 대입하면
4nÛ`+yÛ`=(2n+2)Û` xÛ`+px+q=0에서 xÛ`+px-p-1=0
4nÛ`+(n-2)Û`=(2n+2)Û` (∵ ㉢) (x-1)(x+p+1)=0
nÛ`-12n=0, n(n-12)=0 ∴ x=1 또는 x=-p-1
∴ n=12 (∵ n은 자연수) xÛ`+qx+p=0에서 xÛ`-(p+1)x+p=0
따라서 ABÓ=30, ACÓ=26이므로 두 원 OÁ, Oª의 넓이의 (x-1)(x-p)=0
합 S는 ∴ x=1 또는 x=p

}2`+p_{ }2`=225p+169p=394p
30 26 이때, 주어진 두 이차방정식의 공통이 아닌 두 근의 비가
S=p_{
2 2 1:3이므로
S (-p-1):p=1:3, p=3(-p-1)
∴ =394 답 394
p
3
4p=-3   ∴ p=-
4
blacklabel 특강 필수 개념
이것을 ㉢에 대입하면
원주각과 중심각의 크기
3 1
⑴ ‌한 원에서 한 호에 대한 원주각의 크기는 그 P q=-p-1= -1=-
4 4
호에 대한 중심각의 크기의 1 과 같다. 즉,
9 1
- }=16
2 Q
∴ 32(pÛ`-qÛ`)=32{
   ∠APB= 1 ∠AOB
O 16 16
2
⑵ ‌한 원에서 한 호에 대한 원주각의 크기는 모
A B
두 같다. 즉,
   ∠APB=∠AQB P
⑶ ‌반원의 호에 대한 원주각의 크기는 90ù이
다. 즉, 선분 AB가 원의 지름이면
   ∠APB=90ù
A
O
B
26 ㄱ.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이차방정식
c
axÛ`-bx+c=0의 두 근의 곱은 이고, 이차방정식
a

Ⅱ. 방정식과 부등식 | 081

블랙고등수학(상)-해설.indb 81 17. 6. 14. 오후 4:09


A n s w e r

c 1+aÛ`(1-a)+a(1-a)Û`=0
axÛ`-2bx+c=0의 두 근의 곱도 이므로 서로 같다.
a
1+aÛ`-aÜ`+a-2aÛ`+aÜ`=0
 (참)
-aÛ`+a+1=0
ㄴ. ‌두 이차방정식의 실수인 공통근을 x=a라 하고 두 이
∴ a-aÛ`=-1
차방정식에 각각 대입하면
1 1
∴ a= = =-1  답 -1
aaÛ`-ba+c=0 yy㉠ a-aÛ` -1
aaÛ`-2ba+c=0 yy㉡ 다른풀이
㉠-㉡을 하면 ㉠-㉡을 하면
ba=0 1 1 b-a
(a-b)a+ - =0, (a-b)a+ =0
‌이때, ac>0에서 c+0이므로 주어진 두 이차방정식 a b ab
1 1
은 0을 근으로 갖지 않는다. 즉, a+0이므로 (a-b){a- }=0   ∴ a= (∵ a+b)
ab ab
b=0
㉠+㉡을 하면
c
㉠에서 aaÛ`+c=0이므로 aÛ`=- 1 1
a 2aÛ`+(a+b)a+ + =0
a b
그런데 ac>0에서 a와 c는 같은 부호이므로
a+b
aÛ`<0 2aÛ`+(a+b)a+ =0
ab
즉, a가 실수라는 조건에 모순이다. 1
2aÛ`+a+ =0 (∵ a+b=1)
‌따라서 ac>0이면 두 이차방정식은 실수인 공통근을 ab
갖지 않는다. (참) 1
위의 식에 =a를 대입하면
ab
ㄷ. [반례] a=1, b='3, c=1
2aÛ`+2a=0, 2a(a+1)=0
‌이차방정식 axÛ`-bx+c=0, 즉 xÛ`-'3x+1=0의
1
판별식을 D라 하면 ∴ a=-1 {∵ a= +0}
ab
D=3-4=-1<0
‌이므로 허근을 갖지만 이차방정식 axÛ`-2bx+c=0,
즉 xÛ`-2'3x+1=0의 판별식을 D'이라 하면 28 'x+'y="Ã4+'z의 양변을 제곱하면
D' x+y+2'¶xy=4+'z, x+y+'¶4xy=4+'z
=3-1=2>0
4 x, y, z는 양의 정수이고, 'z는 무리수이므로
이므로 실근을 갖는다. (거짓) x+y=4, z=4xy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이다. 답② x+y=4를 만족시키는 양의 정수의 순서쌍 (x, y)는
(1, 3), (2, 2), (3, 1)
그런데 x=2, y=2이면 'z=4이므로 'z가 무리수라는
1 1
27 두 이차방정식 xÛ`+ax+ =0, xÛ`+bx+ =0의 공통
a b
조건에 모순이다.
∴ z=4_1_3=12 답③
근이 a이므로
1
aÛ`+aa+ =0   yy㉠
a
1
29 방정식 (x-a)(x-b)(x-c)(x-d)=49의 한 근이 2
aÛ`+ba+ =0   yy㉡ 이므로
b
㉠-㉡을 하면 (2-a)(2-b)(2-c)(2-d)=49
1 1 a-b 네 수 a, b, c, d는 서로 다른 정수이므로 2-a, 2-b,
(a-b)a+ - =0, (a-b)a- =0
a b ab 2-c, 2-d도 서로 다른 정수이다.
1
(a-b){a- }=0 이때, 49를 서로 다른 네 정수의 곱으로 나타내면
ab
49=(-1)_1_(-7)_7이므로 2-a, 2-b, 2-c,
1
∴ a= (∵ a+b) 2-d는 각각 -1, 1, -7, 7 중에서 하나의 값을 갖는다.
ab
이때, a+b=1에서 b=1-a이므로 (2-a)+(2-b)+(2-c)+(2-d)‌=-1+1-7+7
1 =0
a=
a(1-a) ∴ a+b+c+d=8 답④
이것을 ㉠에 대입하면
1 1 1
+ + =0
aÛ`(1-a)Û` 1-a a 30 방정식 (xÛ`+yÛ`+x-3y-2)Û`+(xy-2x+2y-7)Û`=0
a+0, b+0이므로 위의 식의 양변에 aÛ`(1-a)Û`을 곱하면 에서 x, y가 정수이므로

082 | 블랙라벨 수학 (상)

블랙고등수학(상)-해설.indb 82 17. 6. 14. 오후 4:09


본문 pp. 56~57

xÛ`+yÛ`+x-3y-2=0 yy㉠ Step 3 1등급을 넘어서는 종합 사고력 문제 p. 57


xy-2x+2y-7=0 yy㉡
01 45 02 17 03 Ñ1
㉡에서 xy-2x+2y-4=3이므로
04 갑:200'3 `m/분, 을:250'3 `m/분 05 46
(x+2)(y-2)=3 7 4
06 x의 최댓값: , y=z= 07 88 08 252
x+2, y-2는 정수이므로 x+2, y-2의 값을 표로 나타 3 3

내면 다음과 같다.

x+2 -3 -1 1 3 01 해결단계
y-2 -1 -3 3 1
계수가 실수인 삼차방정식의 한 근이 1-'2i이면 1+'2i
➊ 단계 도 근임을 이해하고, 나머지 한 근을 a라 한 후, 근과 계수
㉡을 만족시키는 순서쌍 (x, y)는 (-5, 1),
의 관계를 이용한다.
(-3, -1), (-1, 5), (1, 3)이고, 이 중에서 ㉠을 만족 하나의 공통근을 갖기 위해서는 실근이 공통근이어야 함을
➋ 단계
시키는 순서쌍 (x, y)는 (1, 3)이다. 이해한 후, 공통근을 구한다.
➌ 단계 ➋단계에서 구한 공통근으로부터 a, b, c의 값을 구한다.
∴ x+y=1+3=4 답4
a, b, c가 실수인 삼차방정식 xÜ`+axÛ`+bx+c=0의 한
근이 1-'2i이므로 1+'2i도 이 삼차방정식의 근이다.
나머지 한 근을 a라 하면 삼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
31 해결단계
에 의하여
주어진 방정식을 인수분해한 후, (a+1)(b+1)(c+1)의
➊ 단계 (1+'2i)+(1-'2i)+a=-a에서
값을 구한다.
a, b, c가 삼각형의 세 변의 길이임을 이용하여 a+b+c의 a=-(2+a) yy㉠
➋ 단계
값을 구한다. (1+'2i)(1-'2i)+(1+'2i)_a+a_(1-'2i)=b
삼각형 ABC의 넓이를 이용하여 내접원의 반지름의 길이
➌ 단계
를 구한다.
에서 b=2a+3 yy㉡
(1+'2i)(1-'2i)a=-c에서
ab+a+b=14에서 (a+1)(b+1)=15 yy㉠
c=-3a yy㉢
bc+b+c=29에서 (b+1)(c+1)=30 yy㉡
그런데 주어진 두 방정식이 허근을 공통근으로 가지면 켤레
ac+a+c=17에서 (a+1)(c+1)=18 yy㉢
복소수도 반드시 공통근이 되므로 2개의 공통근을 갖는다.
㉠, ㉡, ㉢을 변끼리 곱하면
따라서 공통근은 a이므로 이차방정식 xÛ`+ax+2=0은
{(a+1)(b+1)(c+1)}Û`=15_30_18=90Û`
a를 근으로 갖는다.
∴ (a+1)(b+1)(c+1)=90 (∵ a, b, c는 자연수)
∴ aÛ`+aa+2=0 yy㉣
이때, 서로 다른 세 자연수 a, b, c는 삼각형의 세 변의 길
㉠을 ㉣에 대입하면 aÛ`-(2+a)a+2=0
이이므로 두 변의 길이의 합이 나머지 한 변의 길이보다
-2a+2=0   ∴ a=1
커야 한다.
이것을 ㉠, ㉡, ㉢에 대입하면
즉, a+1, b+1, c+1은 각각 3, 5, 6 중에서 하나의 값
a=-3, b=5, c=-3
을 가지므로
∴ abc=(-3)_5_(-3)=45 답 45
(a+1)+(b+1)+(c+1)=3+5+6
∴ a+b+c=11
한편, 오른쪽 그림과 같이 삼각 A 02 해결단계

형 ABC의 내접원의 중심을 R c ➊ 단계 aÜ`+bÜ`+cÜ`=3abc를 이용하여 a=b=c임을 구한다.


r b
➋ 단계 방정식 xÛ`-x+1=0을 이용하여 xÜ`=-1임을 구한다.
라 하면 R
B C ➌ 단계 x2018-x151+18의 값을 구한다.
△ABC a
aÜ`+bÜ`+cÜ`=3abc에서 aÜ`+bÜ`+cÜ`-3abc=0
=△ABR+△BCR+△ACR
(a+b+c)(aÛ`+bÛ`+cÛ`-ab-bc-ca)=0   ……㉠
이고
a+b+c+0이므로 ㉠의 양변을 a+b+c로 나누면
'¶231
△ABC= 이므로 aÛ`+bÛ`+cÛ`-ab-bc-ca=0
4
'¶231 1 1 1 1
= cr+ ar+ br {(a-b)Û`+(b-c)Û`+(c-a)Û`}=0
4 2 2 2 2
'¶231 1 ∴ (a-b)Û`+(b-c)Û`+(c-a)Û`=0
= r(a+b+c)
4 2 그런데 a, b, c는 양의 실수이므로
'¶231 1
= r_11 (∵ a+b+c=11) a-b=0, b-c=0, c-a=0   ∴ a=b=c
4 2

}2`= 
즉, axÛ`-bx+c‌=axÛ`-ax+a
'¶231 21 21
∴ rÛ`={ 답
=a(xÛ`-x+1)=0
22 44 44

Ⅱ. 방정식과 부등식 | 083

블랙고등수학(상)-해설.indb 83 17. 6. 14. 오후 4:09


A n s w e r

∴ xÛ`-x+1=0 (∵ a>0) 오른쪽 그림과 같이 B'

위의 식의 양변에 x+1을 곱하면 AÕA'Ó=x`m, BÕB'Ó=y`m라 A'

(x+1)(xÛ`-x+1)=0, xÜ`+1=0 하면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하여 y`m


OÕA'Ó="ÃxÛ`+200Û` (m),
x`m
xÜ`=-1   ∴ xß`=1
60æ
∴ x2018-x151+18‌=xÛ`(xß`)336-x(xß`)25+18 OÕB'Ó="ÃyÛ`+100Û` (m), A B
AÕ'B'Ó="Ã(y-x)Û`+300Û` (m)
200`m O 100`m
=xÛ`-x+18
=(xÛ`-x+1)+17(∵ xÛ`-x+1=0) 이때, OÕA'Ó=OÕB'Ó,Ó ∠A'OB'=60ù이므로 삼각형 A'OB'
=17 답 17 은 정삼각형이다.
즉, OÕA'Ó=OÕB'Ó=AÕ'B'Ó이므로
"ÃxÛ`+200Û`="ÃyÛ`+100Û``="Ã(y-x)Û`+300Û`
"ÃxÛ`+200Û`="ÃyÛ`+100Û``에서 양변을 제곱하면
03 해결단계
xÛ`+40000=yÛ`+10000
이차방정식 xÛ`-px+q=0이 실근을 가질 때의 q의 값을
➊ 단계
구한다. ∴ xÛ`-yÛ`+30000=0 yy㉠
➋ 단계
이차방정식 xÛ`-px+q=0이 허근을 가질 때의 q의 값을 "ÃxÛ`+200Û`="Ã(y-x)Û`+300Û``에서 양변을 제곱하면
구한다.
xÛ`+40000=xÛ`-2xy+yÛ`+90000
이차방정식 xÛ`-px+q=0의 근을 a+bi라 하면 b의 값 ∴ yÛ`-2xy+50000=0 yy㉡
에 따라 다음 경우로 나눌 수 있다. ㉠_5-㉡_3을 하면
Ú b=0, 즉 실근을 가질 때 5xÛ`+6xy-8yÛ`=0, (x+2y)(5x-4y)=0
이차방정식 xÛ`-px+q=0이 실근을 가지려면 5
∴ y= x`(∵ x>0, y>0) yy㉢
a+bi에서 b=0이어야 하므로 4
aÛ`+bÛ`=1에서 aÛ`=1 이것을 ㉠에 대입하면
∴ a=Ñ1 25
xÛ`- xÛ`+30000=0
16
‌즉, 이차방정식 xÛ`-px+q=0은 x=-1 또는 x=1
9 160000
을 근으로 갖는다. xÛ`=30000, xÛ`=
16 3
① ‌이차방정식 xÛ`-px+q=0이 x=1을 중근으로 갖 400
∴ x= `(∵ x>0)
는 경우 '3
xÛ`-px+q=xÛ`-2x+1에서 q=1 500
이것을 ㉢에 대입하면 y= 2분
'3
거리
시간 1분=60초, 40초= 3
속력= ,
② ‌이차방정식 xÛ`-px+q=0이 x=-1을 중근으로
400 2
따라서 갑의 속력은 Ö =200'3`(m/분)이고,
갖는 경우 '3 3
xÛ`-px+q=xÛ`+2x+1에서 q=1 500 2
을의 속력은 Ö =250'3`(m/분)이다.
③ ‌이차방정식 xÛ`-px+q=0이 x=1, -1을 근으로 '3 3
갖는 경우  답 갑:200'3`m/분, 을:250'3`m/분

xÛ`-px+q=xÛ`-1에서 q=-1
①, ②, ③에서 q=Ñ1
Û b+0, 즉 허근을 가질 때 05 해결단계

‌이차방정식 xÛ`-px+q=0의 두 허근을 a, b라 하면 ➊ 단계 주어진 삼차방정식을 인수분해한다.

계수가 실수이므로 a®=b이어야 한다. 즉, ➋ 단계


정수의 성질과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세 정수근의 경우를 구한다.
a=a+bi라 하면 b=a-bi 주어진 삼차방정식이 ➋단계에서 구한 세 정수근을 갖도록
➌ 단계
이때,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하는 두 정수 a, b의 순서쌍 (a, b)의 개수를 구한다.

q=ab=(a+bi)(a-bi)=aÛ`+bÛ`=1 f(x)=axÜ`+2bxÛ`+4bx+8a라 하면 f(-2)=0이므로


Ú, Û에서 q=Ñ1 답 Ñ1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인수분해하면
-2 a 2b 4b 8a
-2a 4{a-b} -8a

04 해결단계 a -2{a-b} 4a 0

➊ 단계
갑과 을이 달린 거리를 각각 x`m, y`m라 하고, OÕA'Ó, OÕB'Ó, ∴ f(x)=(x+2){axÛ`-2(a-b)x+4a}
AÕ'B'Ó의 길이를 구한다.
이때, 삼차방정식 f(x)=0이 서로 다른 세 정수를 근으로
➋ 단계 OÕA'Ó=OÕB'Ó=AÕ'B'Ó임을 이해한 후, x, y에 대하여 정리한다.
연립방정식을 풀어 x, y의 값을 구한 후, 갑과 을의 속력을 각 가지려면 이차방정식 axÛ`-2(a-b)x+4a=0은
➌ 단계
각 구한다. x+-2인 서로 다른 두 정수를 근으로 가져야 한다.

084 | 블랙라벨 수학 (상)

블랙고등수학(상)-해설.indb 84 17. 6. 14. 오후 4:09


본문 p. 57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3xÛ`-10x+7É0, (3x-7)(x-1)É0


2(a-b) 4a 7
(두 근의 합)= , (두 근의 곱)= =4 ∴ 1ÉxÉ
a a 3
곱이 4인 서로 다른 두 정수인 근은 7
따라서 x의 최댓값은 이고, 이때의 y와 z의 값은
3
x=1, x=4 또는 x=-1, x=-4
7
Ú 두 근이 x=1, x=4일 때, x= 일 때의 방정식 ㉣의 두 근이다.
3
2(a-b)
두 근의 합은 5이므로 =5 8 16
a 즉, tÛ`- t+ =0이므로
3 9

{t- }2`=0   ∴ t= `(중근)


∴ 2b=-3a
4 4
‌즉, 자연수 k에 대하여 |a|=2k, |b|=3k이고 부호 3 3
가 서로 반대이므로 |a|É50, |b|É50을 만족시키 4 7 4
∴ y=z=  답 x의 최댓값: , y=z=
3 3 3
는 순서쌍 (a, b)는
(2, -3), (4, -6), (6, -9), y, (32, -48), 다른풀이

(-2, 3), (-4, 6), (-6, 9), y, (-32, 48) x+y+z=5에서 x=5-(y+z)
의 32개이다. y+z=t로 놓으면 x=5-t이고, x의 최댓값은 t, 즉 y+z
Û 두 근이 x=-1, x=-4일 때, 가 최소일 때이다.
2(a-b) xÛ`+yÛ`+zÛ`=9에서 xÛ`+(y+z)Û`-2yz=9
두 근의 합은 -5이므로 =-5
a (5-t)Û`+tÛ`-2yz=9   ∴ yz=tÛ`-5t+8
∴ 2b=7a 두 실수 y, z를 근으로 갖는 k에 대한 이차방정식은
‌즉, 자연수 k'에 대하여 |a|=2k', |b|=7k'이고 부 kÛ`-tk+tÛ`-5t+8=0   yy㉤
호가 같으므로 |a|É50, |b|É50을 만족시키는 순 위의 이차방정식이 실근을 가지므로 판별식을 D라 하면
서쌍 (a, b)는 D=tÛ`-4(tÛ`-5t+8)¾0, -3tÛ`+20t-32¾0
(2, 7), (4, 14), (6, 21), y, (14, 49), 3tÛ`-20t+32É0, (3t-8)(t-4)É0
(-2, -7), (-4, -14), (-6, -21), y, 8
∴ ÉtÉ4
(-14, -49)의 14개이다. 3
Ú, Û에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순서쌍 (a, b)의 개수는 8 8 7
t의 최솟값이 이므로 x의 최댓값은 5- =
3 3 3
32+14=46 답 46
8
또한, t= 을 ㉤에 대입하면
3
8 16
06 해결단계 kÛ`- k+ =0
3 9

{k- }2`=0   ∴ k= (중근)


➊ 단계 주어진 두 방정식을 변형하여 y와 z에 대한 식을 구한다. 4 4
➋ 단계 y와 z를 두 근으로 하는 이차방정식을 구한다. 3 3
y, z가 실수이므로 판별식을 이용하여 x의 값의 범위를 구 4
➌ 단계 ∴ y=z=
한다. 3
➍ 단계 x의 최댓값을 구한 후, 이때의 y와 z의 값을 각각 구한다.

두 방정식 x+y+z=5, xÛ`+yÛ`+zÛ`=9에서


y+z=5-x yy㉠
yÛ`+zÛ`=9-xÛ` yy㉡
07 해결단계

(a+b)Û`=ab, (c+d)Û`=cd를 이용하여 a, b를 근으로 갖


㉠의 양변을 제곱하면
➊ 단계 는 이차방정식과 c, d를 근으로 갖는 이차방정식을 각각 구
yÛ`+2yz+zÛ`=25-10x+xÛ` 한다.

위의 식에 ㉡을 대입하면 ➊단계에서 구한 두 이차방정식이 주어진 사차방정식의 인


➋ 단계
수임을 이용하여 식을 세운다.
9-xÛ`+2yz=25-10x+xÛ`, 2yz=2xÛ`-10x+16 항등식의 성질을 이용하여 미지수의 값을 구한 후, p+q의
➌ 단계
∴ yz=xÛ`-5x+8 yy㉢ 값을 구한다.

㉠, ㉢에서 y, z를 두 근으로 하는 미지수가 t인 이차방정 (a+b)Û`=ab에서


식은 a+b=t로 놓으면 ab=tÛ`
tÛ`-(5-x)t+(xÛ`-5x+8)=0 yy㉣ a, b는 이차방정식 xÛ`-tx+tÛ`=0의 두 근이다.
이고, 이 방정식의 두 근인 y, z가 실수이므로 판별식을 (c+d)Û`=cd에서
D라 하면 c+d=s로 놓으면 cd=sÛ`
D=(5-x)Û`-4(xÛ`-5x+8)¾0에서 c, d는 이차방정식 xÛ`-sx+sÛ`=0의 두 근이다.
xÛ`-10x+25-4xÛ`+20x-32¾0 사차방정식 xÝ`-pxÜ`+114xÛ`-qx+49=0의 서로 다른

Ⅱ. 방정식과 부등식 | 085

블랙고등수학(상)-해설.indb 85 17. 6. 14. 오후 4:09


방정식과 부등식

A n s w e r

네 실근이 a, b, c, d이므로 사차식 이것이 수능 p. 58


xÝ`-pxÜ`+114xÛ`-qx+49는 두 이차식 xÛ`-tx+tÛ`,
1 ⑤ 2 ① 3 ① 43
xÛ`-sx+sÛ`으로 나누어떨어진다.
즉,
xÝ`-pxÜ`+114xÛ`-qx+49
1 해결단계
=(xÛ`-tx+tÛ`)(xÛ`-sx+sÛ`)
➊ 단계 주어진 방정식에서 xÛ`+x=t로 치환한다.
=xÝ`-(t+s)xÜ`+(tÛ`+sÛ`+ts)xÛ`-ts(t+s)x+(ts)Û` ➋ 단계 t에 대한 이차방정식을 인수분해하여 근을 구한다.
위의 등식이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t=xÛ`+x를 대입하여 두 허근 a, b를 갖는 이차방정식을
➌ 단계
구한 후, aa®+bb®의 값을 구한다.
p=t+s, tÛ`+sÛ`+ts=114, q=ts(t+s), tÛ`sÛ`=49
이때, a+b>0, c+d>0에서 t>0, s>0이므로 (xÛ`+x-1)(xÛ`+x+3)-5=0에서 xÛ`+x=t로 놓으면
ts=7 (t-1)(t+3)-5=0, tÛ`+2t-8=0
tÛ`+sÛ`+ts=114에서 (t+s)Û`-ts=114 (t+4)(t-2)=0
(t+s)Û`=114+7=121 즉, (xÛ`+x+4)(xÛ`+x-2)=0에서
∴ t+s=11 (∵ t+s>0) (xÛ`+x+4)(x+2)(x-1)=0
따라서 p=t+s=11, q=ts(t+s)=7_11=77이므로 ∴ xÛ`+x+4=0 또는 x=-2 또는 x=1
p+q=11+77=88 답 88 이때, 이차방정식 xÛ`+x+4=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D=1-16=-15<0에서 이 이차방정식은 두 허근 a,
b를 가지므로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08 해결단계 ab=4
아들이 1시간 동안 만드는 공예품의 개수를 y라 하고, 아버 한편, 이차방정식 xÛ`+x+4=0의 계수가 모두 실수이므
➊ 단계
지가 1시간 동안 만드는 공예품의 개수를 구한다.
로 허근 a가 근이면 a®도 근이다.
x시간 동안 아버지와 아들이 만드는 공예품의 개수의 합이
➋ 단계
360임을 이용하여 방정식을 세운다. 따라서 a®=b, b®=a이므로

➌ 단계
아들 혼자 180개의 공예품을 만드는 데 (x+3)시간이 걸 aa®+bb®‌=ab+ba
리는 것을 이용하여 방정식을 세운다.
=2ab
연립방정식을 풀어 x, y의 값을 구한 후 아들이 180개의 공
➍ 단계 예품을 만드는 동안 아버지가 만들 수 있는 공예품의 개수 =2_4=8 답⑤
를 구한다.

아들이 1시간 동안 만드는 공예품의 개수를 y라 하면 아 2 해결단계


버지가 1시간 동안 만드는 공예품의 개수는 y+4이다. 주어진 삼차방정식을 0으로 만드는 x의 값을 찾고, 조립제
➊ 단계
아들과 아버지가 x시간 동안 만드는 공예품의 개수는 각 법을 이용하여 인수분해한다.
➋ 단계 삼차방정식이 서로 다른 세 실근을 갖기 위한 조건을 찾는다.
각 xy, x(y+4)이고 그 합이 360이므로
➋단계에서 찾은 조건을 만족시키는 정수 a의 값을 찾고,
xy+x(y+4)=360 ➌ 단계
개수를 구한다.
∴ xy+2x=180   yy㉠
f(x)=xÜ`+(8-a)xÛ`+(aÛ`-8a)x-aÜ`이라 하면
아들이 혼자 180개의 공예품을 만드는 데 걸리는 시간이
f(a)=0이므로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인수분해하면
(x+3)시간이므로
a 1 8-a a@-8a -a#
(x+3)y=180
a 8a a#
∴ xy+3y=180   yy㉡
1 8 a@ 0
㉠, ㉡에서 xy+2x=xy+3y이므로
∴ f(x)=(x-a)(xÛ`+8x+aÛ`)
2
y= x
3 이때, 삼차방정식 f(x)=0이 서로 다른 세 실근을 가지
이것을 ㉠에 대입하면 려면 이차방정식 xÛ`+8x+aÛ`=0이 a가 아닌 서로 다른
2 두 실근을 가져야 하므로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xÛ`+2x=180, xÛ`+3x-270=0
3
하면
(x+18)(x-15)=0
D
∴ x=15 (∵ x>0), y=10 =4Û`-aÛ`>0에서 aÛ`-16<0
4
따라서 아버지가 1시간 동안 만드는 공예품의 개수가 14 (a+4)(a-4)<0   ∴ -4<a<4 yy㉠
이고, 아들이 혼자 180개의 공예품을 만드는 데 걸리는 또한, x=a는 이차방정식 xÛ`+8x+aÛ`=0의 근이 아니어
시간은 18시간이므로 아버지가 18시간 동안 만들 수 있 야 하므로
는 공예품의 개수는 aÛ`+8a+aÛ`+0, 2aÛ`+8a+0
18_14=252(개)  답 252 aÛ`+4a+0, a(a+4)+0

086 | 블랙라벨 수학 (상)

블랙고등수학(상)-해설.indb 86 17. 6. 14. 오후 4:09


본문 pp.57~60

∴ a+0, a+-4 yy㉡


㉠, ㉡에서 -4<a<0, 0<a<4이므로 조건을 만족시키
07 여러 가지 부등식
는 정수는 -3, -2, -1, 1, 2, 3의 6개이다. 답①
Step 1 출제율 100% 우수 기출 대표 문제 pp. 60~61

01 ⑤ 02 ① 03 ③ 04 1`cm 이상 2`cm 이하
3
05 5 06 ③ 07 ③ 08 ④ 09 a>
2
3 해결단계 10 6 11 ④ 12 ④ 13 5
14 a=-1, b=-3 15 ③ 16 ④
주어진 연립이차방정식 중 인수분해가 되는 방정식을 찾아
➊ 단계
인수분해하여 일차방정식을 구한다.
➊단계에서 구한 일차방정식과 나머지 이차방정식을 연립
➋ 단계
하여 a, b의 값을 구한 후 ab의 값을 구한다.
01 (2a-b)x+3a-2b<0에서
xÛ`+yÛ`=40 yy㉠ (2a-b)x<-3a+2b yy㉠
[` 
4xÛ`+yÛ`=4xy  yy㉡ 부등식 ㉠의 해가 x<-3이므로 2a-b>0 yy㉡
㉡에서 4xÛ`-4xy+yÛ`=0 -3a+2b -3a+2b
즉, x< 이므로 =-3에서
2a-b 2a-b
(2x-y)Û`=0   ∴ y=2x
-3a+2b=-6a+3b   ∴ b=3a yy㉢
이것을 ㉠에 대입하면
㉢을 ㉡에 대입하면 -a>0   ∴ a<0
xÛ`+(2x)Û`=40, 5xÛ`=40
㉢을 (4a-b)x+a-2b<0에 대입하면
xÛ`=8   ∴ x=Ñ2'2
(4a-3a)x+a-6a<0, ax<5a
이것을 y=2x에 대입하면 y=Ñ4'2
∴ x>5 (∵ a<0) 답⑤
∴ a=2'2, b=4'2 또는 a=-2'2, b=-4'2
∴ ab=16 답①
02 x+5¾2x-1에서 -x¾-6
∴ xÉ6
3x-2
>x+1에서 3x-2>2x+2
2
4 해결단계 ∴ x>4
➊ 단계 aÜ`=9-4'5, bÜ`=9+4'5를 곱하여 ab의 값을 구한다. ∴ a=6, b=4
aÜ`=9-4'5, bÜ`=9+4'5를 더하여 a+b에 대한 방정식을
6x-4<0  yy㉠
[` 
➋ 단계
찾는다.
➋단계에서 구한 방정식을 인수분해하여 a+b의 값을 구한 4x+6¾0  yy㉡
➌ 단계
다. 2
㉠에서 6x<4   ∴ x<
3
aÜ`=9-4'5, bÜ`=9+4'5이므로
3
aÜ`bÜ`=(9-4'5)(9+4'5) ㉡에서 4x¾-6   ∴ x¾-
2
(ab)Ü`=1   ∴ ab=1 (∵ a, b는 실수) 따라서 주어진 연립부등식의 해는
aÜ`+bÜ`=18에서 3 2
- Éx< 이다. 답①
(a+b)Ü`-3ab(a+b)=18 2 3
이때, a+b=t로 놓으면
tÜ`-3t-18=0 (∵ ab=1) 1 1 3a+2
03 Ú x+ <x-
2 4 4
에서
f(t)=tÜ`-3t-18이라 하면 f(3)=0이므로 조립제법을
1 3a+3 3a+3
이용하여 인수분해하면 - x<-    ∴ x>
2 4 2
3 1 0 -3 -18 3a+2 3 a-1
Û x- É x- 에서
3 9 18 4 4 2

1 3 6 0 1 a+4
xÉ    ∴ xÉa+4
4 4
∴ f(t)=(t-3)(tÛ`+3t+6) Ú, Û에서 주어진 부등식의 해는
방정식 f(t)=0에서 3a+3
<xÉa+4
t=3 또는 tÛ`+3t+6=0 2
이차방정식 tÛ`+3t+6=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이를 만족시키는 정수 x의 값이 7뿐이므로
D=3Û`-4_1_6=-15<0 3a+3
6É <7
2
이므로 이 이차방정식은 허근을 갖는다. 6 7 8 x
7Éa+4<8 3a+3 a+4
∴ a+b=t=3 답3 2

Ⅱ. 방정식과 부등식 | 087

블랙고등수학(상)-해설.indb 87 17. 6. 14. 오후 4:09


A n s w e r

3a+3 또한, |x-a|É4에서 -4Éx-aÉ4


6É <7에서 12É3a+3<14
2
∴ a-4ÉxÉa+4 yy㉡
11
9É3a<11   ∴ 3Éa< yy㉠ ㉠과 ㉡은 같아야 하므로
3
a-4=-3, a+4=5   ∴ a=1 답③
7Éa+4<8에서 3Éa<4 yy㉡
㉠, ㉡에서 상수 a의 값의 범위는

3Éa<
11
3
 답③ 07 이차부등식 axÛ`+bx+c¾0은 xÛ`의 계수가 a이고, 해가
x=3뿐이므로 a(x-3)Û`¾0`(a<0)과 같다.
즉, axÛ`+bx+c=axÛ`-6ax+9a이므로
04 ABCD A
2`cm
D x`cm b=-6a, c=9a
1 이것을 bxÛ`+cx+6a<0에 대입하면
= _(2+10)_8 P
2 8`cm
-6axÛ`+9ax+6a<0
=48(cmÛ`) {8-x}`cm
B C
이때, a<0이므로 2xÛ`-3x-2<0
DPÓ=x`cm라 하면 10`cm
1
CPÓ=(8-x)cm이므로 (2x+1)(x-2)<0   ∴ - <x<2
2
1 1 따라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정수 x는 0, 1의 2개이다.
△ABP‌=48-[ _2_x+ _10_(8-x)]
2 2
 답③
=48-(-4x+40)
=48+4x-40
=4x+8(cmÛ`) 08 부등식 (m-2)xÛ`-2(m-2)x+3>0이 모든 실수 x에
1 대하여 성립하려면
삼각형 ABP의 넓이가 사다리꼴 ABCD의 넓이의 이
4
Ú m=2일 때,
1
상 이하이므로
3
3>0이므로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성립한다.

1 1 Û m+2일 때,
48_ É4x+8É48_
4 3 ‌ f(x)=(m-2)xÛ`-2(m-2)x+3이라 하면 이차함
12É4x+8É16, 4É4xÉ8   ∴ 1ÉxÉ2 수 y=f(x)의 그래프는 오른쪽 y=f{x}

따라서 선분 DP의 길이는 1`cm 이상 2`cm 이하이다. 그림과 같아야 한다.


 답 1`cm 이상 2`cm 이하 즉, m>2이고, 방정식
f(x)=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x

05 |4x+2|-1Ék에서 |4x+2|Ék+1
D
4
=(m-2)Û`-3(m-2)<0에서
-k-1É4x+2Ék+1, -k-3É4xÉk-1
(m-2)(m-5)<0   ∴ 2<m<5
-k-3 k-1
∴ ÉxÉ    yy㉠ Ú, Û에서 구하는 상수 m의 값의 범위는
4 4
㉠은 -2ÉxÉ1과 같아야 하므로 2Ém<5이다. 답④

-k-3 k-1
=-2, =1   ∴ k=5 답5
4 4
09 a(2xÛ`+1)É(x-1)Û`에서 2axÛ`+aÉxÛ`-2x+1
∴ (2a-1)xÛ`+2x+a-1É0   yy㉠
06 |x+1|+|x-3|É8에서
부등식 ㉠의 해가 존재하지 않으려면 y=f{x}
Ú x<-1일 때, -(x+1)-(x-3)É8
f(x)=(2a-1)xÛ`+2x+a-1이라
-x-1-x+3É8, -2xÉ6   ∴ x¾-3
할 때, 이차함수 y=f(x)의 그래프
그런데 x<-1이므로 -3Éx<-1
가 오른쪽 그림과 같아야 한다. x
Û -1Éx<3일 때, (x+1)-(x-3)É8
1
x+1-x+3É8, 0´xÉ4 Ú 2a-1>0에서 a>
2
‌위의 부등식은 -1Éx<3인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Û 이차방정식 f(x)=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성립한다. D
=1-(2a-1)(a-1)<0에서
∴ -1Éx<3 4

Ü x¾3일 때, (x+1)+(x-3)É8
1-(2aÛ`-3a+1)<0, 2aÛ`-3a>0

2xÉ10   ∴ xÉ5 3
a(2a-3)>0   ∴ a<0 또는 a>
2
그런데 x¾3이므로 3ÉxÉ5
3 3
Ú, Û에서 실수 a의 값의 범위는 a> 이다. 답 a>
Ú, Û, Ü에서 -3ÉxÉ5 yy㉠ 2 2

088 | 블랙라벨 수학 (상)

블랙고등수학(상)-해설.indb 88 17. 6. 14. 오후 4:09


본문 pp.60~61

10 이차함수 y=f(x)의 그래프가 아래로 볼록하고 x축과 12 2[x]Û`+[x]-3<0에서 (2[x]+3)([x]-1)<0


만나는 점의 x좌표가 1, 3이므로 이차부등식 f(x)É0의 3
∴ - <[x]<1
2
해는 1ÉxÉ3
그런데 [x]의 값은 정수이므로 [x]=-1, 0
또한, 이차부등식 a(x-1)Û`+b(x+1)-2b+cÉ0에서
Ú [x]=-1일 때, -1Éx<0
a(x-1)Û`+b(x-1)+cÉ0
Û [x]=0일 때, 0Éx<1
x-1=t로 놓으면
Ú, Û에서 -1Éx<1 답④
atÛ`+bt+cÉ0
즉, 부등식 f(t)É0과 같으므로
1ÉtÉ3
이때, t=x-1이므로 13 땅 전체의 넓이는 20_30=600(mÛ`)
1Éx-1É3   ∴ 2ÉxÉ4 통행로와 광장의 넓이는
따라서 x의 최댓값은 4, 최솟값은 2이므로 합은 1
20x+30x-xÛ`+4_ xÛ`=xÛ`+50x(mÛ`)
2
4+2=6 답6
이때, 통행로와 광장을 제외한 땅의 넓이가 325`mÛ` 이상
다른풀이
이어야 하므로 600-(xÛ`+50x)¾325
이차함수 y=f(x)의 그래프가 아래로 볼록하고, x축과
xÛ`+50x-275É0, (x+55)(x-5)É0
만나는 점의 x좌표가 1, 3이므로
-55ÉxÉ5   ∴ 0<xÉ5 (∵ x>0)
f(x)=a(x-1)(x-3)=axÛ`-4ax+3a (a>0)
따라서 x의 최댓값은 5이다. 답5
라 할 수 있다.
f(x)=axÛ`+bx+c이므로
b=-4a, c=3a   yy㉠
이차부등식 a(x-1)Û`+b(x+1)-2b+cÉ0에 ㉠을 대 14 Ú 2x+a<xÛ`+2x-5에서 xÛ`-a-5>0

입하면 Û xÛ`+2x-5É2xÛ`+bx-11에서

a(x-1)Û`-4a(x+1)+8a+3aÉ0 xÛ`+(b-2)x-6¾0

axÛ`-2ax+a-4ax-4a+11aÉ0 Ú, Û를 동시에 만족시키는 해가 x<-2 또는 x¾6이

∴ axÛ`-6ax+8aÉ0 므로 Ú의 해는 x<-2 또는 x>a`(-2<a<6),

a>0이므로 위의 부등식의 양변을 a로 나누면 Û의 해는 xÉb`(-2Éb<6) 또는 x¾6이라 할 수 있다.

xÛ`-6x+8É0, (x-2)(x-4)É0 즉, x=-2는 방정식 xÛ`-a-5=0의 근이므로

∴ 2ÉxÉ4 4-a-5=0   ∴ a=-1


x=6은 방정식 xÛ`+(b-2)x-6=0의 근이므로
36+6b-12-6=0

11 xÛ`+|x|-6É0에서 ∴ b=-3 답 a=-1, b=-3


Úx
 <0일 때, xÛ`-x-6É0
(x+2)(x-3)É0   ∴ -2ÉxÉ3
그런데 x<0이므로 -2Éx<0

15 Ú xÛ`-3x-18É0에서 (x+3)(x-6)É0
Ûx
 ¾0일 때, xÛ`+x-6É0 ∴ -3ÉxÉ6
(x+3)(x-2)É0   ∴ -3ÉxÉ2 xÛ`-3x-18É0
그런데 x¾0이므로 0ÉxÉ2 그런데 연립부등식 [`  의 해가
xÛ`+ax+bÉ0
Ú, Û에서 -2ÉxÉ2 ‌3ÉxÉ6이므로 이차방정식 xÛ`+ax+b=0의 근 중
따라서 a=-2, b=2이므로 에서 작은 근은 3이다.
aÛ`+bÛ`=(-2)Û`+2Û`=8 답④ Û xÛ`-12x+32<0에서 (x-4)(x-8)<0
다른풀이 ∴ 4<x<8
|x|Û`=xÛ`이므로 xÛ`+ax+b<0
그런데 연립부등식 [`  의 해가
xÛ`+|x|-6É0에서 |x|Û`+|x|-6É0 xÛ`-12x+32<0
(|x|+3)(|x|-2)É0 ‌4<x<7이므로 이차방정식 xÛ`+ax+b=0의 근 중
∴ 0É|x|É2 (∵ |x|¾0) 에서 큰 근은 7이다.
∴ -2ÉxÉ2 Ú, Û에서 이차방정식 xÛ`+ax+b=0의 두 근이 3, 7이
따라서 a=-2, b=2이므로 므로
aÛ`+bÛ`=(-2)Û`+2Û`=8 xÛ`+ax+b=(x-3)(x-7)=xÛ`-10x+21

Ⅱ. 방정식과 부등식 | 089

블랙고등수학(상)-해설.indb 89 17. 6. 14. 오후 4:09


A n s w e r

따라서 a=-10, b=21이므로 02 APÓ=|x-4|, BPÓ=|x-8|이므로


a+b=(-10)+21=11 답③ APÓ+BPÓ=|x-4|+|x-8|
|x-4|+|x-8|É10을 풀면
Ú x<4일 때,
16 삼각형의 가장 긴 변의 길이가 나머지 두 변의 길이의 합
-(x-4)-(x-8)É10에서 x¾1
보다 작아야 하므로
∴ 1Éx<4
x+2<x+(x+1)   ∴ x>1 yy㉠
Û 4Éx<8일 때,
또한, 둔각삼각형이 되기 위해서는 가장 긴 변의 길이의
‌(x-4)-(x-8)É10에서 0´xÉ6이므로 이 부등식
제곱이 나머지 두 변의 길이의 제곱의 합보다 커야 하므로
은 4Éx<8인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성립한다.
(x+2)Û`>xÛ`+(x+1)Û`
∴ 4Éx<8
xÛ`+4x+4>xÛ`+xÛ`+2x+1
Ü x¾8일 때,
xÛ`-2x-3<0, (x+1)(x-3)<0
(x-4)+(x-8)É10에서 xÉ11
∴ 0<x<3 (∵ x>0) yy㉡
∴ 8ÉxÉ11
㉠, ㉡에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실수 x의 값의 범위는
Ú, Û, Ü에서 1ÉxÉ11
1<x<3 답④
∴ 1ÉOPÓÉ11
따라서 M=11, m=1이므로
M+m=11+1=12 답 12

blacklabel 특강 풀이첨삭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키는 점 P를 수직선 위에 나타내면 다음 그림과


Step 2 1등급을 위한 최고의 변별력 문제 pp. 62~66
같다.

01 ② 02 12 03 ② 04 2 M
m 7
6 15 1 3
05 <xÉ 06 120 07 aÉ 08 ④
5 11 2 O{0} 3 A{4} B{8} P{11}x
P{1} 7
09 ④ 10 ③ 11 a>-2 12 ② 13 4
14 ④ 15 ⑤ 16 14 17 ② 18 ④ 따라서 선분 OP의 길이의 최댓값은 11, 최솟값은 1이다.

19 -3Ém<2 20 ④ 21 ① 22 ③
23 ③ 24 2 25 5 26 15
27 1+'3<x<3 28 ④ 29 aÉxÉb 30 1

31 ① 32 1 33 3+'3 34 ② 35
1
ÉaÉ1
03 |x|+|x-a|<b에서 a, b는 양수이므로
2 Ú x<0일 때, -x-(x-a)<b
36 20`m
-x-x+a<b, -2x<-a+b
a-b
∴ x>
2
01 ax+1>bx+3에서 (a-b)x>2
그런데 x<0이므로
a-b
<x<0`(∵ a<b)
2 2
① a>b, 즉 a-b>0이면 x>
a-b
Û 0Éx<a일 때, x-(x-a)<b
2
② a<b, 즉 a-b<0이면 x< x-x+a<b, 0´x<-a+b
a-b
‌-a+b>0이므로 위의 부등식은 0Éx<a인 모든 실
③ a=0,
‌ b>0이면
수 x에 대하여 성립한다.
ax+1>bx+3에서 1>bx+3
∴ 0Éx<a
2
bx<-2   ∴ x<- (∵ b>0)
b Ü x¾a일 때, x+(x-a)<b
④ a<0,
‌ b=0이면 a+b
2x<a+b   ∴ x<
2
ax+1>bx+3에서 ax+1>3
a+b
2 그런데 x¾a이므로 aÉx< `(∵ a<b)
ax>2   ∴ x< (∵ a<0) 2
a
a-b a+b
⑤ a=b이면
‌ Ú, Û, Ü에서 <x<
2 2
ax+1>bx+3에서 1>3
1 5
ㄱ. f(2, 3)은 - <x<   를 만족시키는 정수 x의 개수
즉, 주어진 부등식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은 존재하지 2 2
않는다. 이다.
따라서 주어진 부등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따라서 정수 x는 0, 1, 2의 3개이므로
②이다. 답② f(2, 3)=3 (참)

090 | 블랙라벨 수학 (상)

블랙고등수학(상)-해설.indb 90 17. 6. 14. 오후 4:09


본문 pp.61~62

n-(n+2) n+(n+2) a
ㄴ. f(n, n+2)는
2
<x<
2
,즉 06 b
 를 소숫점 아래 첫째 자리에서 반올림하면 5이므로

-1<x<n+1을 만족시키는 정수 x의 개수이다. a 9 a 11


4.5É <5.5, É <
b 2 b 2
따라서 정수 x는 0, 1, 2, y, n의 (n+1)개이므로
b는 자연수이므로 9bÉ2a<11b   yy㉠
f(n, n+2)=n+1 (참)
이때, 2a-5b=23에서 2a=5b+23
ㄷ. f(n+2, n+4)는
(n+2)-(n+4) (n+2)+(n+4) 이것을 ㉠에 대입하면
<x< ,즉
2 2 9bÉ5b+23<11b, 4bÉ23<6b
-1<x<n+3을 만족시키는 정수 x의 개수이다. 23
4bÉ23에서 bÉ
4
‌따라서 정수 x는 0, 1, 2, y, n+2의 (n+3)개이므로
23
f(n+2, n+4)=n+3 23<6b에서 b>
6
∴ f(n, n+2)+f(n+2, n+4)`(∵ ㄴ) (거짓)
23 23
∴ <bÉ
그러므로 옳은 것은 ㄱ, ㄴ이다. 답② 6 4
이때, b는 자연수이므로
b=4 또는 b=5
x 1-a x a
04 3
-
6
< - 에서
2 6 그런데 b=4이면 a=
43
2
이므로 a는 자연수가 아니다.
2x-1+a<3x-a 따라서 b=5, a=24이므로
∴ x>2a-1 yy㉠ ab=5_24=120 답 120
|x-1|<2에서 -2<x-1<2
∴ -1<x<3 yy㉡
㉠, ㉡을 만족시키는 정수 x의 개수가 2개이려면 다음 그
림과 같아야 한다.
07 3(x-2)-1<5(x-3)에서
3x-6-1<5x-15, 2x>8

㉡ ∴ x>4 yy㉠
-1 0 1 2 3 x ax-1¾x-3에서 (a-1)x¾-2 yy㉡
2a-1
Ú a-1<0, 즉 a<1일 때,
0É2a-1<1, 1É2a<2
㉡의 양변을 a-1로 나누면
1
∴ Éa<1 2
2 xÉ-
a-1
1
따라서 p= , q=1이므로 2
2 ‌이때, - >0이므로 위의 부등식과 ㉠을 동시에
a-1
1
4pÛ`+qÛ`=4_ +1=2 답2 만족시키는 x의 값이 존재하지 않으려면
4
2
- É4
a-1
a-1<0이므로 위의 부등식의 양변에 a-1을 곱하면
05 2x+3y=3에서 3y=3-2x
4(a-1)É-2, 4a-4É-2
3-2x
∴ y= 1
3 4aÉ2   ∴ aÉ
2
이것을 주어진 부등식에 대입하면
Û a-1=0, 즉 a=1일 때,
3-2x
3(x-1)É +1<x에서 ‌이것을 부등식 ㉡에 대입하면 0´x¾-2이므로 주어
3
( 3-2x 진 부등식은 항상 성립한다.
3(x-1)É +1  yy㉠
3
{ 즉, 주어진 연립부등식의 해가 존재하지 않도록 하는
3-2x
yy㉡ a의 값은 존재하지 않는다.
9
+1<x
3
Ü a-1>0, 즉 a>1일 때
㉠에서 9(x-1)É3-2x+3
㉡의 양변을 a-1로 나누면
15
11xÉ15   ∴ xÉ 2
11 x¾-
a-1
㉡에서 3-2x+3<3x
2
6 ‌이때, - <0이므로 위의 부등식과 ㉠을 동시에
-5x<-6   ∴ x> a-1
5
만족시키는 x의 값의 범위는
6 15 6 15
∴ <xÉ  답 <xÉ x>4
5 11 5 11

Ⅱ. 방정식과 부등식 | 091

블랙고등수학(상)-해설.indb 91 17. 6. 14. 오후 4:09


A n s w e r

‌즉, 주어진 연립부등식의 해가 존재하지 않도록 하는 D=(a-4)Û`-4(-2aÛ`+4a+16)É0에서


a의 값은 존재하지 않는다. aÛ`-8a+16+8aÛ`-16a-64É0
Ú, Û, Ü에서 a의 값의 범위는 9aÛ`-24a-48É0, 3aÛ`-8a-16É0
1 1 (3a+4)(a-4)É0
aÉ  답 aÉ
2 2
4
∴ - ÉaÉ4
3
4
따라서 M=4, m=- 이므로
08 이차부등식 f(x)<0의 해가 -3<x<2이므로 3
`f(x)=a(x+3)(x-2) (a>0)라 하면 4M+3m=16-4=12 답③

`f(-x+100)=a(-x+103)(-x+98)
`f(-x+100)<0에서 a(-x+103)(-x+98)<0 11 a(xÛ`+x+1)>2x에서 axÛ`+(a-2)x+a>0
(x-103)(x-98)<0`(∵ a>0) f(x)=axÛ`+(a-2)x+a라 하면
∴ 98<x<103 Ú a<0일 때,
따라서 해 중에서 가장 큰 자연수는 102이다. 답④ ‌부등식 f(x)>0을 만족시키는 실수 x가 존재하기 위
다른풀이 해서는 방정식 f(x)=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D=(a-2)Û`-4aÛ`>0에서 3aÛ`+4a-4<0
이차부등식 f(x)<0의 해가 -3<x<2이므로 부등식
2
`f(-x+100)<0의 해는 (a+2)(3a-2)<0   ∴ -2<a<
3
-3<-x+100<2에서
그런데 a<0이므로 -2<a<0
-103<-x<-98   ∴ 98<x<103
Û a=0일 때,
f(x)=-2x이므로 부등식 f(x)>0을 만족시키는 실
수 x는 x<0일 때 존재한다.
09 f(x)=(x-1)(x-2)라 하면 등식
Ü a>0일 때,
(a-1)(a-2)=(b-1)(b-2)에서 f(a)=f(b)이므로
부등식 f(x)>0을 만족시키는 실수 x는 항상 존재한다.
다음 그림과 같이 두 실수 a, b`(a<b)는 함수 y=f(x)
Ú, Û, Ü에서 구하는 상수 a의 값의 범위는 a>-2이다.
의 그래프의 축에 대하여 대칭이다.
 답 a>-2
y=f{x}

y=f{a}
12 xÛ`+ax>2aÛ`에서 xÛ`+ax-2aÛ`>0
∴ (x+2a)(x-a)>0   yy㉠
a 1 2 b x
2<x<4인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부등식 ㉠이 성립하기
따라서 부등식 (x-1)(x-2)>(a-1)(a-2), 즉 위해서는 2<x<4가 부등식 ㉠의 해의 범위에 포함되어
f(x)>f(a)의 해는 x<a 또는 x>b이다. 답④ 야 한다.
다른풀이 Ú ‌a<0일 때, 부등식 ㉠의 해는 x<a 또는 x>-2a이

h(x)=(x-1)(x-2)-(a-1)(a-2)라 하자. 므로 오른쪽 그림과 ㉠ ㉠

(a-1)(a-2)=(b-1)(b-2)이므로 같아야 한다.


a -2a 2 4 x
h(a)=h(b)=0 -2aÉ2

h(x)는 xÛ`의 계수가 1인 이차식이므로 ∴ a¾-1

h(x)=(x-a)(x-b) 그런데 a<0이므로 -1Éa<0

(x-1)(x-2)>(a-1)(a-2)에서 Û ‌a¾0일 때, 부등식 ㉠의 해는 x<-2a 또는 x>a이

(x-1)(x-2)-(a-1)(a-2)>0 므로 오른쪽 그림과 ㉠ ㉠

부등식 h(x)>0, 즉 (x-a)(x-b)>0의 해는 같아야 한다.


-2a a 2 4 x
x<a 또는 x>b (∵ a<b) ∴ aÉ2
그런데 a¾0이므로 0ÉaÉ2
Ú, Û에서 -1ÉaÉ2이므로 실수 a의 최댓값은 2이다.

10 (x-a)(x+2a-4)<-16에서  답②
xÛ`+(a-4)x-2aÛ`+4a+16<0
위의 부등식을 만족시키는 실수 x가 존재하지 않아야 하 13 주어진 부등식을 x에 대한 내림차순으로 정리하면
므로 x에 대한 이차방정식 xÛ`+(2y+a)x+yÛ`+4y+b¾0
xÛ`+(a-4)x-2aÛ`+4a+16=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위의 부등식이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성립해야 하므로 x

092 | 블랙라벨 수학 (상)

블랙고등수학(상)-해설.indb 92 17. 6. 14. 오후 4:09


본문 pp.62~64

에 대한 이차방정식 xÛ`+(2y+a)x+yÛ`+4y+b=0의 판 xÛ`-2x-3<-3x+3, xÛ`+x-6<0


별식을 D라 하면 (x+3)(x-2)<0   ∴ -3<x<2
D=(2y+a)Û`-4(yÛ`+4y+b)É0 그런데 x<1이므로 -3<x<1
∴ 4(a-4)yÉ4b-aÛ`   yy㉠ Û ‌x¾1일 때,
이때, 부등식 ㉠이 모든 실수 y에 대하여 성립해야 하므로 xÛ`-2x-3<3(x-1)
a=4, 4b-aÛ`¾0   ∴ b¾4 xÛ`-2x-3<3x-3, xÛ`-5x<0
따라서 구하는 상수 b의 최솟값은 4이다. 답4 x(x-5)<0   ∴ 0<x<5
그런데 x¾1이므로 1Éx<5

xÛ`+x+1={x+ }2`+ >0이므로 주어진 부등식의 양


1 3 Ú, Û에서 -3<x<5   yy㉠
14 2 4 이때, 이차부등식 axÛ`+2x+b>0은 xÛ`의 계수가 a이고,
변에 xÛ`+x+1을 곱하면 해가 ㉠과 같아야 하므로 a(x+3)(x-5)>0`(a<0)과
(a+1)xÛ`+(a-2)x+(a+1)>b(xÛ`+x+1) 같다.
(a-b+1)xÛ`+(a-b-2)x+(a-b+1)>0 즉, axÛ`+2x+b=axÛ`-2ax-15a이므로
a-b=t로 놓으면 2=-2a, b=-15a
(t+1)xÛ`+(t-2)x+(t+1)>0 따라서 a=-1, b=15이므로
이때, 위의 부등식이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성립해야 하 a+b=(-1)+15=14 답 14
므로
Ú t+1>0   ∴ t>-1
Û ‌이차방정식 (t+1)xÛ`+(t-2)x+(t+1)=0의 판별
식을 D라 하면 17 (|x|-1)(x-3)>2에서
D=(t-2)Û`-4(t+1)Û`<0에서 Ú x<0일 때, (-x-1)(x-3)>2
-3tÛ`-12t<0, t(t+4)>0 (x+1)(x-3)<-2, xÛ`-2x-3<-2
∴ t<-4 또는 t>0 xÛ`-2x-1<0
Ú, Û에서 t>0이므로 이차방정식 xÛ`-2x-1=0의 근이 x=1Ñ'2이므로
a-b>0   ∴ a>b 답④ 1-'2<x<1+'2
그런데 x<0이므로 1-'2<x<0
Û x¾0일 때, (x-1)(x-3)>2
15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부등식 kxÛ`-kx+2>0이 성립하
xÛ`-4x+3>2, xÛ`-4x+1>0
려면
이차방정식 xÛ`-4x+1=0의 근이 x=2Ñ'3이므로
Ú ‌k=0일 때, 2>0이므로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성립
x<2-'3 또는 x>2+'3
한다.
그런데 x¾0이므로
Û k>0일 때, 이차방정식 kxÛ`-kx+2=0의 판별식을
0Éx<2-'3 또는 x>2+'3
DÁ이라 하면 DÁ=kÛ`-8k<0에서
Ú, Û에서 1-'2<x<2-'3 또는 x>2+'3
k(k-8)<0   ∴ 0<k<8
따라서 a=1-'2, b=2-'3, c=2+'3이므로
Ú, Û에서 0Ék<8 yy㉠
a+b+c=5-'2 답②
또한, 부등식 (k+3)xÛ`-kx+1<0을 만족시키는 실수
x가 존재하지 않으려면
Ü k+3>0에서 k>-3
Ý ‌이차방정식 (k+3)xÛ`-kx+1=0의 판별식을 Dª라
18 x-1=n+a`(n은 정수, 0Éa<1)라 하면
하면 Dª=kÛ`-4(k+3)É0에서 x=n+1+a이므로 [x-1]=n, [x]=n+1
kÛ`-4k-12É0, (k+2)(k-6)É0 즉, 부등식 [x-1]Û`+3[x]-3<0에서
∴ -2ÉkÉ6 nÛ`+3(n+1)-3<0, nÛ`+3n<0
Ü, Ý에서 -2ÉkÉ6 yy㉡ n(n+3)<0   ∴ -3<n<0
㉠, ㉡에서 k의 값의 범위는 0ÉkÉ6이므로 정수 k는 0, 이때, n은 정수이므로 n=-2, -1
1, 2, y, 6의 7개이다. 답⑤ Ú n=[x-1]=-2일 때,
-2Éx-1<-1   ∴ -1Éx<0
16 xÛ`-2x-3<3|x-1|에서 Û n=[x-1]=-1일 때,
Ú ‌x<1일 때, -1Éx-1<0   ∴ 0Éx<1
xÛ`-2x-3<-3(x-1) Ú, Û에서 -1Éx<1 답④

Ⅱ. 방정식과 부등식 | 093

블랙고등수학(상)-해설.indb 93 17. 6. 14. 오후 4:09


A n s w e r

19 함수 y=(m+3)xÛ`+2x의 그래프가 함수
즉, -
mÛ`
4
3
+4m¾3m- 에서
4
y=2(m+4)x-5의 그래프보다 항상 위쪽에 있으므로
mÛ` 3
(m+3)xÛ`+2x>2(m+4)x-5에서 -m- É0, mÛ`-4m-3É0
4 4
(m+3)xÛ`-2(m+3)x+5>0
이때, 이차방정식 mÛ`-4m-3=0의 근이 m=2Ñ'7이
Ú ‌m+3=0, 즉 m=-3일 때,
므로 위의 이차부등식의 해는
5>0이므로 위의 부등식은 항상 성립한다.
2-'7ÉmÉ2+'7 답①
Û ‌m+3>0일 때,
이차방정식 (m+3)xÛ`-2(m+3)x+5=0의 판별
D
식을 D라 하면 =(m+3)Û`-5(m+3)<0에서
4 22 f(2-x)=f(2+x)이므로 오른쪽 그림 0 1 2
x
mÛ`+m-6<0, (m+3)(m-2)<0 과 같이 함수 y=f(x)의 그래프는 직선
∴ -3<m<2 x=2에 대하여 대칭이고, f(0)<f(1)
Ú, Û에서 구하는 m의 값의 범위는 이므로 위로 볼록한 포물선이다. y=f{x}

-3Ém<2 답 -3Ém<2 ㄱ. ‌x>2에서 함수 f(x)는 감소하므로


f(3)>f(4) (거짓)
ㄴ. ‌함수 f(x)의 최댓값이 음수이면 방정식 f(x)=0은
20 f(x)=xÛ`-2x-3=(x+1)(x-3)이므로 실근을 가질 수 없다. (거짓)
함수 y=f(x)의 그래프가
x축과 만나지 않을 때
Ú xÉ-1 또는 x¾3일 때, ㄷ. ‌함수 f(x)의 최댓값을 k', k=k'+1이라 하면 모든
f(x)¾0, 즉 |f(x)|=f(x) 실수 x에 대하여 f(x)<k가 성립한다. (참)
 f(x)+| f(x)| 2f(x)
∴ g(x)= = =f(x) 따라서 옳은 것은 ㄷ뿐이다. 답③
2 2
Û -1<x<3일 때,
f(x)<0, 즉 |f(x)|=-f(x)

∴ g(x)=
 f(x)+| f(x)|  f(x)-f(x)
2
=
2
=0 23 어떤 상품의 가격을 내리기 전의 판매 가격을 a, 그때의
판매량을 b라 하면
Ú, Û에서
(총 판매액)=(판매 가격)_(판매량)이므로
 f(x) (xÉ-1 또는 x¾3)
g(x)=[`  가격을 내리기 전의 총 판매액은
0 (-1<x<3)
ab
즉, 함수 y=g(x)의 그래프는 다음 그림과 같다.
가격을 내린 후의 총 판매액은
y y=g{x}
2x
}_b{1+ }
x
a{1-
100 100
1
y=1 이때, 가격을 내린 후의 총 판매액이 가격을 내리기 전의
-1 O 1 3 x 10
총 판매액의 배 이상이어야 하므로
9
x=1
2x 10
}_b{1+ }¾ ab
x
ㄱ. ‌함수 y=g(x)의 그래프는 직선 x=1에 대하여 대칭 a{1-
100 100 9
이다. (거짓) 2x 10
{1- }{1+ }¾
x
(∵ a>0, b>0)
ㄴ. ‌두 함수 y=g(x)와 y=1의 그래프는 서로 다른 두 100 100 9

점에서 만나므로 방정식 g(x)=1은 서로 다른 두 실 9(100-x)(50+x)¾50000

근을 갖는다. (참) 9xÛ`-450x+5000É0

ㄷ. 부등식 g(x)É0의 해는 -1ÉxÉ3이다. (참) (3x-50)(3x-100)É0


50 100
따라서 옳은 것은 ㄴ, ㄷ이다. 답④ ∴ ÉxÉ
3 3
50 100
따라서 p= , q= 이므로
3 3
}2`-
m mÛ`
21 `f(x)=xÛ`-mx+4m={x-
2 4
+4m p+q=
50 100 150
3
+
3
=
3
=50 답③

`g(x)=-xÛ`+3x+3m-3=-{x- }2`+3m-
3 3
2 4
임의의 두 실수 xÁ, xª에 대하여 부등식 f(xÁ)¾g(xª)가
성립하기 위해서는 함수 f(x)의 최솟값이 함수 g(x)의 24 주어진 그림에서 화단과 길을 겹치지 않게 모아 다음 그
최댓값보다 항상 크거나 같아야 한다. 림과 같이 변형하여도 화단과 길의 면적은 각각 같다.

094 | 블랙라벨 수학 (상)

블랙고등수학(상)-해설.indb 94 17. 6. 14. 오후 4:09


본문 pp.64~66

6`m 5
(3x+5)(x-15)É0, - ÉxÉ15
3x`m
3

∴ 0<xÉ15`(∵ 0<x<20)
8`m 따라서 보관창고는 A지점에서 최대 15`km 떨어진 지점
화단
까지 지을 수 있으므로 a=15 답 15

x`m
27 부등식 xÛ`-3x<0에서 x(x-3)<0
화단의 면적은 (8-3x)(6-x)(mÛ`)이고, ∴ 0<x<3
길의 면적은 8x+3x(6-x)`(mÛ`)이므로 부등식 xÛ`-[x]x-2>0의 해를 0<x<3의 범위에서 구
필요한 총 비용은 하면
2(8-3x)(6-x)+{8x+3x(6-x)}(만 원) Ú 0<x<1일 때,
이때, 총 비용이 56만 원 이하이어야 하므로 [x]=0이므로 xÛ`-2>0
2(8-3x)(6-x)+{8x+3x(6-x)}É56 ∴ x<-'2 또는 x>'2
3xÛ`-26x+40É0 ‌그런데 0<x<1이므로 부등식을 만족시키는 x의 값
(x-2)(3x-20)É0 은 존재하지 않는다.
20 Û 1Éx<2일 때,
∴ 2ÉxÉ
3
[x]=1이므로 xÛ`-x-2>0
그런데 x>0, 6-x>0에서 0<x<6이므로
(x+1)(x-2)>0
2Éx<6
∴ x<-1 또는 x>2
따라서 x의 최솟값은 2이다. 답2
‌그런데 1Éx<2이므로 주어진 부등식을 만족시키는 x
단계 채점 기준 배점
의 값은 존재하지 않는다.
직사각형 모양의 땅에 화단과 길을 만드는 데 필요한
㈎ 50%
총 비용을 x로 나타내고 부등식을 세운 경우 Ü 2Éx<3일 때,
㈏ ㈎의 부등식을 푼 경우 30% [x]=2이므로 xÛ`-2x-2>0
㈐ x의 최솟값을 구한 경우 20%
이차방정식 xÛ`-2x-2=0의 근이 x=1Ñ'3이므로
x<1-'3 또는 x>1+'3
25 직육면체 A와 정육면체 B의 겉넓이를 각각 SA, SB라 그런데 2Éx<3이므로 1+'3<x<3
하면 Ú, Û, Ü에서 주어진 연립부등식의 해는
SA‌=2(x+1)(x-1)+2(x+1)(2x-1) 1+'3<x<3 답 1+'3<x<3
 +2(x-1)(2x-1)
=2(xÛ`-1+2xÛ`+x-1+2xÛ`-3x+1) 28 x+a-3>0에서 x>-a+3이므로 모든 양수 x에 대하
=10xÛ`-4x-2 여 부등식이 성립하기 위해서는
SB=6xÛ` -a+3É0   ∴ a¾3 yy㉠
SA가 SB의 1.5배 이상이므로 또한,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이차부등식 xÛ`+ax+a>0
10xÛ`-4x-2¾1.5_6xÛ` 이 성립하기 위해서는 이차방정식 xÛ`+ax+a=0의 판별
xÛ`-4x-2¾0 식을 D라 할 때, D=aÛ`-4a<0에서
이차방정식 xÛ`-4x-2=0의 근이 x=2Ñ'6이므로 a(a-4)<0   ∴ 0<a<4 yy㉡
위의 이차부등식의 해는 ㉠, ㉡에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실수 a의 값의 범위는
xÉ2-'6 또는 x¾2+'6   ∴ x¾2+'6`(∵ x>0) 3Éa<4 답④
이때, 직육면체 A는 한 모서리의 길이가 1인 정육면체 모
양의 블록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x는 자연수이다. 29 주어진 그래프에서
따라서 x의 최솟값은 5이다. 답5 Ú f(x)Ég(x)를 만족시키는 x의 값의 범위는
aÉxÉb
26 보관창고와 A지점 사이의 거리를 x`km라 하면 하루에 Û g(x)Éh(x)를 만족시키는 x의 값의 범위는
드는 총 운송비는 xÉ0 또는 x¾a
100xÛ`+200(x+10)Û`+300(20-x)Û`(원) Ú, Û에서 부등식 f(x)Ég(x)Éh(x)의 해는
이때, 하루에 드는 총 운송비가 155000원 이하이어야 하 aÉxÉb 답 aÉxÉb
므로
100xÛ`+200(x+10)Û`+300(20-x)Û`É155000 30 xÛ`-5x+4<0에서 (x-1)(x-4)<0
600xÛ`-8000x-15000É0, 3xÛ`-40x-75É0 ∴ 1<x<4   yy㉠

Ⅱ. 방정식과 부등식 | 095

블랙고등수학(상)-해설.indb 95 17. 6. 14. 오후 4:09


A n s w e r

xÛ`-7x+10É0에서 (x-2)(x-5)É0 ∴ -1É[x]É3


∴ 2ÉxÉ5   yy㉡ [x]는 정수이므로 [x]=-1, 0, 1, 2, 3
㉠, ㉡에서 2Éx<4 ∴ -1Éx<4 yy㉠
그런데 [x]는 정수이므로 2Éx<4에서 한편, (aÛ`-a-2)x¾a+1에서
[x]=2 또는 [x]=3 (a+1)(a-2)x¾a+1 yy㉡
따라서 방정식 a[x]Û`+b[x]+c=0에서 이차방정식의 근 Ú (a+1)(a-2)<0, 즉 -1<a<2일 때,
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1
㉡에서 xÉ
a-2
b b c
- =2+3=5에서 =-5, =2_3=6
a a a 1 ㉡
‌㉠과 xÉ 의 공통 ㉠
a-2
b c
∴ + =(-5)+6=1 답1 -1 0 4 x
a a 부분 중에서 정수인 해
1
단계 채점 기준 배점 가 오직 한 개이려면 그 a-2

xÛ`-5x+4<0 정수해는 -1이므로


㈎ 연립부등식 [`  의 해를 구한 경우 40%
xÛ`-7x+10É0
1
㈎에서 구한 해를 만족시키는 [x]의 값을 구한 경우 30% -1É <0
㈏ a-2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를 이용하여
㈐ 30%
‌이때, -1<a<2에서 -3<a-2<0이므로 위의 부
b c
+ 의 값을 구한 경우
a a 등식의 각 변에 a-2를 곱하면
-a+2¾1>0   ∴ aÉ1
31 2x-1<x+2a에서 x<2a+1 yy㉠ 그런데 -1<a<2이므로 -1<aÉ1
xÛ`-(a-3)x-3aÉ0에서 Û (a+1)(a-2)=0, 즉 a=-1 또는 a=2일 때,
(x+3)(x-a)É0 yy㉡ ① ‌a=-1일 때, ㉡에서 0¾0
Ú a<-3일 때, 즉,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성립하므로 주어진 조건을
부등식 ㉡의 해는 ㉠ ㉡ 만족시키는 정수인 해는 -1, 0, 1, 2, 3의 5개이다.
‌aÉxÉ-3이고, 이것 x
2a+1 a -3 ② a=2일
‌ 때, ㉡에서 0¾3
과 ㉠의 공통부분이 없어야 하므로 즉, 해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
2a+1Éa   ∴ aÉ-1 키는 정수인 해는 없다.
그런데 a<-3이므로 a<-3 ①, ②에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a의 값은 존재하지 않는다.
Û a=-3일 때, Ü (a+1)(a-2)>0, 즉 a<-1 또는 a>2일 때,
㉡에서 (x+3)Û`É0이므로 x=-3 1
㉡에서 x¾
㉠에서 x<2_(-3)+1=-5 a-2

‌x=-3이 ㉠에 포함되지 않으므로 주어진 연립부등 1 ㉡


‌㉠과 x¾ 의 공통 ㉠
a-2
식은 해를 갖지 않는다. -1 2 3 4 x
부분 중에서 정수인 해
Ü a>-3일 때, 1
가 오직 한 개이려면 그 a-2
부등식 ㉡의 해는 ㉠ ㉡
정수인 해는 3이므로
‌-3ÉxÉa이고, 이것 2a+1 -3 a x
1
2< É3 yy㉢
과 ㉠의 공통부분이 없어야 하므로 a-2
2a+1É-3, 2aÉ-4   ∴ aÉ-2 ③ a<-1일
‌ 때,
그런데 a>-3이므로 -3<aÉ-2 1
a-2<0에서 <0이므로 부등식 ㉢을 만족
Ú, Û, Ü에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실수 a의 값의 범위는 a-2

aÉ-2이므로 최댓값은 -2이다. 답① 시키는 a의 값은 존재하지 않는다.


④ ‌a>2일 때,

32 해결단계 a-2>0이므로 ㉢의 각 변에 a-2를 곱하면


➊ 단계 부등식 |[x]-1|É2를 만족시키는 x의 값의 범위를 구한다. 2(a-2)<1É3(a-2)
(a+1)(a-2)<0일 때, 주어진 연립부등식의 정수인 해 5
➋ 단계 2(a-2)<1에서 a<
가 한 개이기 위한 a의 값의 범위를 구한다. 2
(a+1)(a-2)=0일 때, 주어진 연립부등식의 정수인 해 7
➌ 단계
가 한 개이기 위한 a의 값의 범위를 구한다. 3(a-2)¾1에서 a¾
3
(a+1)(a-2)>0일 때, 주어진 연립부등식의 정수인 해
➍ 단계 7 5
가 한 개이기 위한 a의 값의 범위를 구한다. ∴ Éa<
3 2
➎ 단계 정수 a의 값을 구한 후 합을 구한다.
7 5
③, ④에서 Éa<
|[x]-1|É2에서 -2É[x]-1É2 3 2

096 | 블랙라벨 수학 (상)

블랙고등수학(상)-해설.indb 96 17. 6. 14. 오후 4:09


본문 pp.66~67

Ú, Û, Ü에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a의 값의 범위는 Ú ‌18É16-4aÛ`+6a에서 4aÛ`-6a+2É0


7 5 2aÛ`-3a+1É0, (2a-1)(a-1)É0
-1<aÉ1 또는 Éa<
3 2
1
∴ ÉaÉ1
따라서 정수 a의 값은 0, 1이므로 합은 1이다. 답1 2
Û ‌16-4aÛ`+6aÉ20에서 4aÛ`-6a+4¾0

2aÛ`-3a+2¾0, 2{a- }2`+ ¾0


3 7
4 8
33 원 C의 내부의 큰 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x라 하면 작은 위의 부등식은 모든 실수 a에 대하여 성립한다.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6-x이다. 1 1
Ú, Û에서 ÉaÉ1 답 ÉaÉ1
큰 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작은 원의 반지름의 길이보다 2 2
크므로
x>6-x, 2x>6   ∴ x>3 yy㉠ 36 제`2종 일반주거지역에 가로의 길이가 25`m, 세로의 길
1 이가 16`m인 직사각형 모양의 대지가 있으므로 대지의
색칠한 부분의 넓이가 원 C의 넓이의 이상이 되려면
3 넓이는 25_16=400(mÛ`)
2 건물의 밑면의 가로의 길이가 (5x-10)m, 세로의 길이
내접하는 두 원의 넓이의 합이 원 C의 넓이의 이하가
3
가 2x`m이므로 1층 바닥의 넓이는
되어야 하므로
(5x-10)_2x=10x(x-2)(mÛ`)
2
p{xÛ`+(6-x)Û`}É _p_6Û` 제`2종 일반주거지역 건물의 건폐율은 60`% 이하이므로
3
xÛ`+xÛ`-12x+36É24, xÛ`-6x+6É0 10x(x-2)
_100É60, 10x(x-2)É240
400
이때, 이차방정식 xÛ`-6x+6=0의 근이 x=3Ñ'3이므
∴ x(x-2)É24 yy㉠
로 위의 이차부등식의 해는
한편, 제`2종 일반주거지역의 4층 건물의 용적률은
3-'3ÉxÉ3+'3 yy㉡
4_10x(x-2)
㉠, ㉡에서 3<xÉ3+'3 _100=10x(x-2)(%)이고, 이것이
400
따라서 큰 원의 반지름의 길이의 최댓값은 3+'3이다. 150`% 이상 250`% 이하이어야 하므로
 답 3+'3 150É10x(x-2)É250
∴ 15Éx(x-2)É25 yy㉡
㉠, ㉡에서 15Éx(x-2)É24
15Éx(x-2)에서
34 민석이가 하루에 7쪽씩 x일 동안 읽으면 3쪽이 남으므로
이 책의 쪽수는 xÛ`-2x-15¾0, (x+3)(x-5)¾0
(7x+3)쪽 ∴ xÉ-3 또는 x¾5 yy㉢
이때, 10쪽씩 읽으면 7쪽씩 읽을 때보다 3일 빨리 다 읽 x(x-2)É24에서
으므로 xÛ`-2x-24É0, (x+4)(x-6)É0
10(x-4)<7x+3É10(x-3) ∴ -4ÉxÉ6 yy㉣
10(x-4)<7x+3에서 또한, 건물의 가로, 세로의 길이는 양수이어야 하므로

10x-40<7x+3, 3x<43 5x-10>0, 2x>0   ∴ x>2 yy㉤


43 ㉢, ㉣, ㉤에서 5ÉxÉ6
∴ x< yy㉠
3 25É5xÉ30   ∴ 15É5x-10É20
7x+3É10(x-3)에서 따라서 건물의 가로의 길이는 최대 20`m이다. 답 20`m
7x+3É10x-30. 3x¾33
∴ x¾11 yy㉡
Step 3 1등급을 넘어서는 종합 사고력 문제 p. 67
43
㉠, ㉡에서 11Éx<
3 1
01 10 02 1 03 9 04 ⑤ 05 0Éa<
따라서 책은 하루에 7쪽씩 최대 14일을 읽을 수 있으므로 4
9 2 <p<1 4
이 책의 최대 쪽수는 06 15 07 - 08 또는 1<p<
4 3 3
7_14+3=101(쪽) 답②

01 해결단계

➊ 단계 주어진 부등식의 해를 구한다.


35 4개월 된 태아의 키는 18`cm 이상 20`cm 이하이므로
➋ 단계
xÉ5일 때 ➊단계에서 구한 해가 항상 성립함을 이용하여
18É16-4aÛ`+6aÉ20 a+b의 최솟값을 구한다.

Ⅱ. 방정식과 부등식 | 097

블랙고등수학(상)-해설.indb 97 17. 6. 14. 오후 4:09


A n s w e r

부등식 |x-a|É|x-b|의 양변을 제곱하면 03 해결단계


xÛ`-2ax+aÛ`ÉxÛ`-2bx+bÛ` 두 함수 y=f(x), y=g(x)의 그래프의 교점의 x좌표를
➊ 단계
구한다.
2(a-b)x¾aÛ`-bÛ`, 2(a-b)x¾(a+b)(a-b)
f(x)>0, f(x)-g(x)>0일 때, 주어진 부등식의 해를 구
이때, a<b에서 a-b<0이므로 ➋ 단계
한다.
a+b f(x)<0, f(x)-g(x)<0일 때, 주어진 부등식의 해를 구
xÉ    yy㉠ ➌ 단계
2 한다.

a+b ➋단계와 ➌단계에서 구한 x의 값의 전체 범위를 구한 후,


xÉ5일 때 ㉠이 항상 성립하려면 ¾5이어야 하므 ➍ 단계
자연수 x의 개수를 구한다.
2
로 a+b¾10이다. 주어진 그래프에 의하여 f(x)=a(x+1)(x-2)(a>0),
따라서 a+b의 최솟값은 10이다. 답 10 g(x)=-a(x-1)(x-3) (a>0)이라 하자.
다른풀이 f(x)=g(x)에서
|x-a|É|x-b|에서 a<b이므로 a(x+1)(x-2)=-a(x-1)(x-3)
Ú x<a인 경우 a(xÛ`-x-2)=-a(xÛ`-4x+3)
-(x-a)É-(x-b), -x+aÉ-x+b xÛ`-x-2=-xÛ`+4x-3`(∵ a+0)
∴ aÉb 5Ñ'1Œ7
2xÛ`-5x+1=0   ∴ x=
4
즉, x<a이면 주어진 부등식을 항상 만족시킨다.
즉, 두 이차함수 y=f(x), y=g(x)의 그래프의 교점의
Û aÉx<b인 경우
5-'1Œ7 5+'1Œ7
x-aÉ-(x-b), x-aÉ-x+b x좌표는 , 이다.
4 4
a+b 이때, {`f(x)}Û`>f(x)g(x)에서
2xÉa+b   ∴ xÉ
2
{`f(x)}Û`-f(x)g(x)>0, f(x){`f(x)-g(x)}>0
a+b
∴ aÉxÉ Ú f(x)>0, f(x)-g(x)>0일 때,
2
Ü x¾b인 경우 5+'1Œ7
주어진 그래프에 의하여 x<-1 또는 x>
4
x-aÉx-b, -aÉ-b
Û f(x)<0, f(x)-g(x)<0일 때,
∴ a¾b
5-'1Œ7
그런데 a<b이므로 주어진 부등식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주어진 그래프에 의하여 <x<2
4
Ú, Û, Ü에서 부등식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의 범위는 Ú, Û에서 x의 값의 범위는

a+b 5-'1Œ7 5+'1Œ7
2 x<-1 또는 <x<2 또는 x>
4 4
이때, xÉ5인 모든 실수에 대하여 주어진 부등식이 성립 이므로 구하는 10 이하의 자연수 x는 1, 3, 4, 5, 6, 7, 8,
하므로 9, 10의 9개이다. 답9
a+b
5É    ∴ a+b¾10
2 다른풀이

따라서 a+b의 최솟값은 10이다. 두 이차함수 y=f(x), y=g(x)의 교점의 x좌표를


a, b (a<b)라 하면 주어진 그래프에서
0<a<1, 2<b<3   yy㉠
02 해결단계
{`f(x)}Û`>f(x)g(x)에서 f(x){`f(x)-g(x)}>0
g(x)=f(x)-f(c)라 하고, 함수 g(x)의 식을 구하여 그
➊ 단계
래프를 통해 조건을 찾는다. Ú f(x)>0, f(x)-g(x)>0일 때,
➋ 단계 정수 c의 개수를 구한다. f(x)>0에서 x<-1 또는 x>2
f(x)É f(c), 즉 f(x)-f(c)É0에서 f(x)-g(x)>0, 즉 f(x)>g(x)에서
g(x)=f(x)-f(c)라 하면 x<a 또는 x>b
g(x)‌=xÛ`-4x-(cÛ`-4c) ∴ x<-1 또는 x>b (∵ ㉠)
=xÛ`-4x-cÛ`+4c Û f(x)<0, f(x)-g(x)<0일 때,
이때, g(x)É0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의 y=g{x} f(x)<0에서 -1<x<2
범위가 x>1에 포함되므로 오른쪽 그 f(x)-g(x)<0, 즉 f(x)<g(x)에서
림과 같이 g(1)>0이어야 한다. 1 x a<x<b   ∴ a<x<2 (∵ ㉠)
즉, g(1)=1-4-cÛ`+4c>0이므로 Ú, Û에서 x의 값의 범위는
cÛ`-4c+3<0, (c-1)(c-3)<0 x<-1 또는 a<x<2 또는 x>b
∴ 1<c<3 이므로 구하는 10 이하의 자연수 x는 1, 3, 4, 5, 6, 7, 8,
따라서 정수 c는 2의 1개이다. 답1 9, 10의 9개이다.

098 | 블랙라벨 수학 (상)

블랙고등수학(상)-해설.indb 98 17. 6. 14. 오후 4:09


본문 p.67

04 해결단계
직선 y=4ax-a=4a{x- 1 }은 a의 값에 관계없이 항
4
➊ 단계 반례를 찾아 ㄱ의 참, 거짓을 판별한다.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이용하여 ㄴ, ㄷ의 참, 거짓을 판별 상 점 { 1 , 0}을 지나므로 0<x<1에서 직선
➋ 단계
한다. 4
y=4ax-a는 직선 ㉠과 ㉡ 사이에 있거나 직선 ㉡이어
ㄱ. ‌(반례) axÛ`-bx+c<0에서 a=1, b=2, c=1이면
야 한다.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xÛ`-2x+1=(x-1)Û`¾0이므
Ú 직선 y=4ax-a가 ㉠일 때, 이차방정식
로 xÛ`-2x+1<0의 해는 존재하지 않는다. (거짓)
‌xÛ`=4ax-a, 즉 xÛ`-4ax+a=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ㄴ. 이차부등식 ㈎의 해가 존재하면 이차방정식
D
axÛ`-bx+c=0의 판별식을 DÁ이라 할 때 =4aÛ`-a=0에서
4
DÁ=bÛ`-4ac>0 yy㉠ 1
a(4a-1)=0   ∴ a= (∵ a+0)
한편, ㈏ a(x-1)Û`-b(x-1)+c<0에서 4
axÛ`-(2a+b)x+(a+b+c)<0 Û 직선 y=4ax-a가 ㉡일 때, a=0
‌이차방정식 axÛ`-(2a+b)x+(a+b+c)=0의 판별 Ú, Û에서 구하는 a의 값의 범위는
식을 Dª라 하면 1 1
0Éa<  답 0Éa<
4 4
Dª‌=(2a+b)Û`-4a(a+b+c)
=bÛ`-4ac>0`(∵ ㉠) 다른풀이

즉, ㈎의 해가 존재하면 ㈏의 해도 존재한다. (참) 함수 f(x)=xÛ`-4ax+a=(x-2a)Û`+a-4aÛ`


ㄷ. ‌두 이차부등식 ㈎와 ㈏를 모두 만족시키는 해를 x=t 0<x<1일 때의 함숫값이 항상 양수가 되려면 이 구간에
라 하면 서 (`f(x)의 최솟값)>0이어야 한다.
atÛ`-bt+c<0 yy㉡ Ú 2aÉ0, 즉 aÉ0일 때,
atÛ`-(2a+b)t+(a+b+c)<0 yy㉢ f(x)의 최솟값은 f(0)=a¾0
0<x<1에서 0을 포함하지
㉡+㉢을 하면 ∴ a=0 않으므로

2atÛ`-2(a+b)t+(a+b+2c)<0 1
Û 0<2a<1, 즉 0<a< 일 때,
x=t는 이차부등식 2

‌2axÛ`-2(a+b)x+(a+b+2c)<0의 해이므로 이차 f(x)의 최솟값은 f(2a)=a-4aÛ`>0

방정식 2axÛ`-2(a+b)x+(a+b+2c)=0이 서로 1
a(4a-1)<0   ∴ 0<a<
4
다른 두 실근을 가져야 하고, 판별식을 D£이라 하면
1
D£ Ü 2a¾1, 즉 a¾ 일 때,
=(a+b)Û`-2a(a+b+2c)>0에서 2
4
f(x)의 최솟값은 f(1)=1-3a¾0
aÛ`+2ab+bÛ`-2aÛ`-2ab-4ac>0 0<x<1에서 1을
1 포함하지 않으므로
-aÛ`+bÛ`-4ac>0 ∴ aÉ
3
∴ aÛ`-bÛ`+4ac<0 (참) 1
‌그런데 a¾ 이므로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키는 a의
따라서 옳은 것은 ㄴ, ㄷ이다. 답⑤ 2
값은 존재하지 않는다.
Ú, Û, Ü에서 구하는 상수 a의 값의 범위는
1
0Éa< 이다.
4

05 해결단계

➊ 단계
함수 f(x)에서 0<x<1일 때의 함숫값이 항상 양수가 되
는 경우를 그래프를 이용하여 찾는다.
06 해결단계

통행로의 바깥 경계선의 가로, 세로의 길이를 각각 x`m,


➊단계에서의 각각의 경우에 대하여 판별식 등을 이용해 a ➊ 단계
➋ 단계 y`m라 하고, 안쪽 경계선의 가로, 세로의 길이를 구한다.
의 값의 범위를 구한다.
➋ 단계 동심원의 지름의 길이를 이용하여 x, y의 값의 범위를 구한다.
xÛ`-4ax+a>0에서 xÛ`>4ax-a ➌ 단계 x의 값에 따른 y의 값을 구하여 통행로의 가짓수를 구한다.
즉, 함수 f(x)=xÛ`-4ax+a에 y y=x@ 오른쪽 그림과 같이 통행로의 {x-2}`m
서 0<x<1일 때의 함숫값이 항 바깥 경계선의 가로, 세로의 길
㉠ {y-2}`m
상 양수가 되려면 오른쪽 그림과 이를 각각 x`m, y`m라 하면 안 y`m
1 20`m
같이 0<x<1에서 포물선 쪽 경계선의 가로, 세로의 길이
y=xÛ`이 직선 y=4ax-a보다 는 각각 (x-2)m, (y-2)m x`m
O 1 ㉡x
1
항상 위쪽에 있어야 한다. 이때, 4 이다.

Ⅱ. 방정식과 부등식 | 099

블랙고등수학(상)-해설.indb 99 17. 6. 14. 오후 4:09


A n s w e r

바깥 경계선의 직사각형은 지름의 길이가 20`m인 원의 래프의 대칭축의 방정식은 x=-m이고, 방정식 ㉡에서
경계 또는 내부에 있어야 하므로 근의 공식에 의하여 x=-1Ñ'Ä1-m이므로 ㉠의 두 근
xÛ`+yÛ`É20Û`   yy㉠ 이 ㉡의 두 근보다 항상 크기 위해서는 ㉡의 두 근 중 큰
또한, 안쪽 경계선의 직사각형은 지름의 길이가 10`m인 근 -1+'Ä1-m에 대하여 -m>-1+'Ä1-m이어야
원의 경계 또는 외부에 있어야 하므로 한다. 즉, 1-m>'Ä1-m`이므로 양변을 제곱하면
x-2¾10, y-2¾10 1-2m+mÛ`>1-m
∴ x¾12, y¾12 mÛ`-m>0, m(m-1)>0
Ú x=12일 때, ㉠에서 12Û`+yÛ`É20Û` ∴ m<0 또는 m>1 yy㉥
yÛ`É256   ∴ 12ÉyÉ16 그런데 1-m¾0에서 mÉ1 yy㉦
그런데 y는 자연수이므로 y=12, 13, 14, 15, 16 ㉥, ㉦에서 m<0 yy㉧
Û x=13일 때, ㉠에서 13Û`+yÛ`É20Û` 또한, f(-1+'Ä1-m`)>0이어야 하므로
yÛ`É231   ∴ 12ÉyÉ'¶231 (-1+'Ä1-m`)Û`+2m(-1+'Ä1-m`)+1>0
그런데 y는 자연수이므로 y=12, 13, 14, 15 3-3m-2'Ä1-m+2m'Ä1-m>0
Ü x=14일 때, ㉠에서 14Û`+yÛ`É20Û` 3(1-m)-2'Ä1-m(1-m)>0
yÛ`É204   ∴ 12ÉyÉ'¶204 (1-m)(3-2'Ä1-m`)>0
그런데 y는 자연수이므로 y=12, 13, 14 이때, ㉦에 의하여 1-m¾0이므로 위의 부등식에서
Ý x=15일 때, ㉠에서 15Û`+yÛ`É20Û` 1-m>0, 3-2'Ä1-m`>0인 경우만 생각하면 된다.
yÛ`É175   ∴ 12ÉyÉ'¶175 1-m>0에서 m<1 yy㉨
그런데 y는 자연수이므로 y=12, 13 3-2'Ä1-m>0에서 2'Ä1-m<3
Þ x=16일 때, ㉠에서 16Û`+yÛ`É20Û` 위의 부등식의 양변을 제곱하면
yÛ`É144   ∴ y=12 4(1-m)<9
Ú~Þ에서 구하는 통행로의 가짓수는 5
4m>-5   ∴ m>- yy㉩
4
5+4+3+2+1=15(가지) 답 15
5
㉦, ㉨, ㉩에서 - <m<1 yy㉪
4
5
㉤, ㉧, ㉪에서 - <m<-1
4
07 해결단계
5
따라서 a=- , b=-1이므로
➊ 단계
㉠의 판별식을 DÁ이라 하고 DÁ>0인 m의 값의 범위를 구 4
한다.
5 9 9
➋ 단계 ㉡의 판별식을 Dª라 하고 Dª>0인 m의 값의 범위를 구한다. a+b={- }+(-1)=-  답-
4 4 4
㉠의 두 근이 ㉡의 두 근보다 항상 크기 위한 그래프의 개형
➌ 단계 을 그린 후, 이를 만족시키기 위한 m의 값의 범위를 구하고
a+b의 값을 구한다.

방정식 ㉠이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지므로 ㉠의 판별식


08 해결단계

➊ 단계 주어진 연립부등식의 해를 p를 사용하여 나타낸다.


을 DÁ이라 하면
p의 범위를 나누어 각 경우에 따른 x의 값의 범위를 구하고
➋ 단계
DÁ 1, 2, 3 중에서 적어도 2개를 포함하는지 확인한다.
=mÛ`-1>0, (m+1)(m-1)>0
4 ➌ 단계 조건을 만족시키는 p의 값의 범위를 구한다.
∴ m<-1 또는 m>1 yy㉢ 부등식 xÛ`-(3p-2)x¾0에서
방정식 ㉡이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지므로 ㉡의 판별식 x{x-(3p-2)}¾0
을 Dª라 하면 2
∴ xÉ0 또는 x¾3p-2`{∵ p> } yy㉠
Dª 3
=1-m>0   ∴ m<1 yy㉣
4 또한, 부등식 xÛ`-(pÛ`+p+2)x+pÜ`+2p<0에서
㉢, ㉣에서 m<-1 yy㉤ (x-p){x-(pÛ`+2)}<0
㉡ ㉠
이때, 모든 실수 p에 대하여 pÛ`-p+2>0이므로
p<pÛ`+2
∴ p<x<pÛ`+2 ……㉡
-1 -m 2
x Ú <p<1일 때,
3
-1+Â1-m
3p-2<p이고,
이때, 방정식 ㉠에서 (x+m)Û`-mÛ`+1=0이므로
4 4
`f(x)=(x+m)Û`-mÛ`+1이라 하면 함수 y=f(x)의 그 <pÛ`<1에서 +2<pÛ`+2<3이므로
9 9

100 | 블랙라벨 수학 (상)

블랙고등수학(상)-해설.indb 100 17. 6. 14. 오후 4:09


본문 pp.67~68

‌연립부등식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의 범위는 다음 그림 1


조건 ㈎에서 최고차항의 계수가 각각 , 2인 두 이차함수
2
과 같고 1과 2를 포함한다.
㉡ y=f(x), y=g(x)의 그래프의 대칭축의 방정식이 x=p
㉠ ㉠
이므로

0 p1 2 3 x 1
3p-2 p@+2 f(x)= (x-p)Û`+a, g(x)=2(x-p)Û`+b
2
Û p=1일 때,  (단, a, b는 상수)
㉠에서 xÉ0 또는 x¾1 라 할 수 있다.
㉡에서 1<x<3 조건 ㈏의 부등식 f(x)¾g(x), 즉 g(x)-f(x)É0에서
이므로 연립부등식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의 범위는 1
g(x)-f(x)‌=2(x-p)Û`+b-[ (x-p)Û`+a]
1<x<3이고 2만 포함한다. 2
4 3
Ü 1<p< 일 때, = (x-p)Û`+b-a
3 2
1<p<3p-2<2이고, 3 3
= xÛ`-3px+ pÛ`+b-a   yy㉠
2 2
16 34
1<pÛ`< 에서 3<pÛ`+2< 이므로 3
9 9 한편, 해가 -1ÉxÉ5이고 xÛ`의 계수가 인 이차부등식은
2
‌연립부등식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의 범위는 다음 그림
3 3 15
과 같고 2와 3을 포함한다. (x+1)(x-5)É0, 즉 xÛ`-6x- É0
2 2 2

㉠ ㉠
위의 이차부등식이 ㉠과 일치해야 하므로
x 3 15
0 1p 2 3 4 -3p=-6, pÛ`+b-a=-
3p-2 p@+2
2 2

4 27
∴ p=2, a-b=
Ý p¾ 일 때, 2
3
3p-2¾2이므로 2É3p-2<x<pÛ`+2에서 1
즉, f(x)= (x-2)Û`+a, g(x)=2(x-2)Û`+b이므로
2
‌연립부등식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의 범위는 1과 2를
p_{`f(2)-g(2)}‌=p_(a-b)
포함할 수 없다.
27
=2_ =27 답 27
Ú~Ý에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p의 값의 범위는 2
2 4
<p<1 또는 1<p<
3 3
2 4
 답
3
<p<1 또는 1<p<
3 2 해결단계

ㄱ은 두 함수 f(x)=xÛ`-ax+b, g(x)=ax+2b를 부등
➊ 단계
blacklabel 특강 풀이첨삭 식 f(x)>g(x)에 직접 대입하여 참, 거짓을 판단한다.
ㄴ은 ➊단계에서 구한 부등식이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성립
㉠의 xÉ0에서 1, 2, 3을 포함하지 않으므로 두 부등식 x¾3p-2, ➋ 단계
함을 이용하여 참, 거짓을 판단한다.
p<x<pÛ`+2를 동시에 만족시키는 x의 값의 범위는 1, 2, 3 중에서
ㄷ은 ➋단계에서 구한 부등식을 이용하여 참, 거짓을 판단
적어도 2개를 포함해야 한다. ➌ 단계
한다.
이때, 3p-2<pÛ`+2이므로 p와 3p-2의 대소 관계를 비교하면
2 ㄱ. 임의의 실수 x에 대하여 f(x)>g(x)이므로
<p<1, p=1, p>1로 나누어 생각할 수 있다.
3
그런데 p>1이면 3p-2>1이므로 연립부등식의 해가 1, 2, 3 중에 xÛ`-ax+b>ax+2b
서 적어도 2개를 포함하려면 3p-2<2이어야 한다.
∴ xÛ`-2ax-b>0 (참)
따라서 2 <p<1, p=1, 1<p< 4 , p¾ 4 로 나누어 p의 값의 범위
3 3 3
ㄴ. xÛ`-2ax-b>0이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성립하므로
를 따져야 한다.
xÛ`-2ax-b=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D
=aÛ`+b<0
4
이것이 수능 p. 68 b<-aÛ`É0

1 27 2 ⑤ 3 ② 4②
∴ b<0 (참)
ㄷ.  f(x)‌=xÛ`-ax+b

={x- }2`- +b
a aÛ`
2 4
1 해결단계

조건 ㈎를 이용하여 두 이차함수 y=f(x), y=g(x)를 p와


이므로 함수 y=f(x)의 그래프의 꼭짓점의 y좌표는
➊ 단계
미지수로 나타낸다. aÛ`
- +b
➋ 단계 조건 ㈏를 이용하여 p와 미지수의 값을 구한다. 4
➌ 단계 p_{`f(2)-g(2)}의 값을 구한다. 직선 y=g(x)의 y절편은 2b이므로

Ⅱ. 방정식과 부등식 | 101

블랙고등수학(상)-해설.indb 101 17. 6. 14. 오후 4:09


A n s w e r

aÛ` aÛ`
{-

III
+b}-2b=- -b
4 4
aÛ`
>-
4
+aÛ` (∵ b<-aÛ`) 도형의 방정식
3
= aÛ`¾0
4
aÛ`
즉, - +b>2b이므로 함수 y=f(x)의 그래프의
4
꼭짓점의 y좌표는 직선 y=g(x)의 y절편보다 크다. 08 점과 직선
(참)
따라서 ㄱ, ㄴ, ㄷ 모두 옳다. 답⑤ Step 1 출제율 100% 우수 기출 대표 문제 pp. 71~72

01 ③ 02 ③ 03 (2, -4) 04 ⑤ 05 9
06 4 07 '6Œ2
3
08 ③ 09 ① 10 ⑤
해결단계
1 2
11 - 12 - 13 ③ 14 4 15 ④
➊ 단계 주어진 연립부등식의 해를 수직선 위에 나타낸다. 2 3
연립부등식을 만족시키는 정수 x의 값이 2개일 때의 a의 16 ④
➋ 단계
값의 범위를 구한다.

3x-5<4에서 3x<9 ∴ x<3 yy㉠


㉠과 부등식 x¾a를 만족시키는 정수 x의 값이 2개이려 01 삼각형 ABC의 세 변 AB, BC, CA의 길이는 각각
ABÓ="Ã(4-2)Û`+(3-1)Û`='8,
면 다음 그림과 같아야 한다.
BCÓ="Ã(a-4)Û`+(0-3)Û`="Ã(a-4)Û`+9,
CAÓ="Ã(2-a)Û`+(1-0)Û`="Ã(a-2)Û`+1

0 a 1 2 3 x
Ú ABÓ=BCÓ이면 ABÓ Û`=BCÓ Û`이므로
∴ 0<aÉ1 답②
8=(a-4)Û`+9 ∴ (a-4)Û`=-1
위의 등식을 만족시키는 정수 a의 값은 없다.
4 해결단계 Û ABÓ=CAÓ이면 ABÓ Û`=CAÓ Û`이므로
이차부등식 -xÛ`+3x+2Émx+n이 모든 실수 x에 대하 8=(a-2)Û`+1, (a-2)Û`=7
➊ 단계
여 성립하도록 4n의 값의 범위를 m을 이용하여 나타낸다. a-2=Ñ'7 ∴ a=2+'7 또는 a=2-'7
이차부등식 mx+nÉxÛ`-x+4가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➋ 단계
성립하도록 4n의 값의 범위를 m을 이용하여 나타낸다. 위의 등식을 만족시키는 정수 a의 값은 없다.
➊, ➋단계에서 구한 범위를 이용하여 조건을 만족시키는 Ü BCÓ=CAÓ이면 BCÓ Û`=CAÓ Û`이므로
➌ 단계
상수 m, n의 값을 구하고 mÛ`+nÛ`의 값을 구한다.
(a-4)Û`+9=(a-2)Û`+1
-xÛ`+3x+2Émx+nÉxÛ`-x+4에서 aÛ`-8a+25=aÛ`-4a+5
Ú -xÛ`+3x+2Émx+n, 즉 4a=20 ∴ a=5
xÛ`+(m-3)x+n-2¾0이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성 Ú, Û, Ü에서 구하는 정수 a의 값은 5이다. 답③
립해야 하므로 이차방정식
xÛ`+(m-3)x+n-2=0의 판별식을 DÁ이라 하면
DÁ=(m-3)Û`-4n+8É0 02 직선 y=x+3 위의 점 P의 좌표를 (a, a+3)이라 하면
∴ 4n¾mÛ`-6m+17 PAÓ=PBÓ이므로 PAÓ Û`=PBÓ Û`에서
Û mx+nÉxÛ`-x+4, 즉 xÛ`-(m+1)x+4-n¾0이 (1-a)Û`+(1-a-3)Û`=(3-a)Û`+(2-a-3)Û`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성립해야 하므로 이차방정식 aÛ`-2a+1+aÛ`+4a+4=aÛ`-6a+9+aÛ`+2a+1
xÛ`-(m+1)x+4-n=0의 판별식을 Dª라 하면 5
6a=5 ∴ a=
Dª=(m+1)Û`-16+4nÉ0 6
5 23
∴ 4nÉ-mÛ`-2m+15 따라서 구하는 점 P의 좌표는 { , }이다. 답③
6 6
Ú, Û에서
다른풀이
mÛ`-6m+17É4nÉ-mÛ`-2m+15 yy㉠
두 점 A(1, 1), B(3, 2)를 지나는 직선의 기울기는
즉, mÛ`-6m+17É-mÛ`-2m+15이므로
2-1 1
2mÛ`-4m+2É0, 2(m-1)Û`É0 = 이고, 두 점 A, B의 중점을 M이라 하면
3-1 2
(m-1)Û`É0
1+3 1+2 3
M{ , }, 즉 M{2, }
∴ m=1 2 2 2
이것을 ㉠에 대입하면 12É4nÉ12이므로 n=3 이때, 직선 AB에 수직이면서 점 M을 지나는 직선의 방
∴ mÛ`+nÛ`=1Û`+3Û`=10 답② 정식은 기울기가 -2이므로

102 | 블랙라벨 수학 (상)

블랙고등수학(상)-해설.indb 102 17. 6. 14. 오후 4:09


본문 pp.68~71

3
y- =-2(x-2) blacklabel 특강
2 필수 개념

11 삼각형의 외심
∴ y=-2x+    yy㉠
2 삼각형의 외심은 삼각형의 세 변의 수직이등분 A
직선 ㉠과 직선 y=x+3의 교점이 P이므로 선의 교점이다. 이때, 삼각형의 외심에서 삼각
형의 세 꼭짓점에 이르는 거리는 모두 같으므로 D F
11 5
-2x+ =x+3에서 3x=    OAÓ=OBÓ=OCÓ
2 2 O
B E C
5 23
∴ x= , y=
6 6
5 23
∴ P{ , }
6 6
04 3ABÓ=BCÓ에서 ABÓ`:`BCÓ=1`:`3이므로 점 C는
선분 AB를 2`:`3으로 외분하거나 4`:`3으로 외분하는 점
03 삼각형 ABC의 외심을 O(a, b)라 하면 이다.
OÕAÓ=OBÓ=OCÓ Ú 선분 AB를 2`:`3으로 외분하는 경우 점 C의 좌표는
Ú OÕAÓ=OBÓ에서 OÕAÓ Û`=OBÓ Û`이므로 2_0-3_1 2_3-3_0
{ , }, 즉 (3, -6)
{a-(-2)}Û`+{b-(-1)}Û`=(a-5)Û`+bÛ` 2-3 2-3

aÛ`+4a+4+bÛ`+2b+1=aÛ`-10a+25+bÛ` Û 선분 AB를 4`:`3으로 외분하는 경우 점 C의 좌표는


4_0-3_1 4_3-3_0
∴ 7a+b=10   yy㉠ { , }, 즉 (-3, 12)
4-3 4-3
Û OBÓ=OCÓ에서 OBÓ Û`=OCÓ Û`이므로
Ú, Û에서 점 C의 y좌표의 합은
(a-5)Û`+bÛ`=(a-2)Û`+(b-1)Û`
(-6)+12=6 답⑤
aÛ`-10a+25+bÛ`=aÛ`-4a+4+bÛ`-2b+1
∴ 3a-b=10   yy㉡ blacklabel 특강 풀이첨삭
㉠, ㉡을 연립하여 풀면 3ABÓ=BCÓ를 만족시키는 점 C를 그림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a=2, b=-4
따라서 삼각형 ABC의 외심의 좌표는 (2, -4)이다. C A B C x

 답 (2, -4) 따라서 점 C는 선분 AB를 2`:`3으로 외분하거나 4`:`3으로 외분하는


점이다.
다른풀이

삼각형의 외심은 삼각형의 세 변의 수직이등분선의 교점


이므로 각 변의 수직이등분선의 기울기와 각 변을 포함한
직선의 기울기의 곱은 -1이고, 각 변의 수직이등분선은 05 사각형 ABCD가 마름모이므로 두 대각선 AC, BD의

각 변의 중점을 지난다. 중점이 일치한다.


0-(-1) 1 즉, 대각선 AC의 중점의 좌표는
직선 AB의 기울기는 = 이고, 선분 AB의
5-(-2) 7
{ },
a+c b+1
,
중점의 좌표는 2 2

-2+5 -1+0 3 1 대각선 BD의 중점의 좌표는 (2, 2)이므로


{ , }, 즉 { , - }
2 2 2 2 a+c b+1
=2, =2
이므로 변 AB의 수직이등분선의 방정식은 2 2

1 3 ∴ a+c=4, b=3   yy㉠


y-{- }=-7{x- }
2 2 또한, 마름모는 네 변의 길이가 같으므로
∴ 7x+y=10   yy㉢ Û
BCÓ=CDÓ에서 BCÓ `=CDÓ `Û
1-0 1 즉, cÛ`+1=(4-c)Û`+(4-1)Û`이므로
직선 BC의 기울기는 =- 이고, 선분 BC의 중점
2-5 3
1=-8c+25, 8c=24   ∴ c=3
의 좌표는
㉠에서 a=4-c=4-3=1
5+2 0+1 7 1
{ , }, 즉 { , } ∴ abc=1_3_3=9  답9
2 2 2 2
이므로 변 BC의 수직이등분선의 방정식은 다른풀이

1 7 사각형 ABCD가 마름모이므로 두 대각선 AC, BD의


y- =3{x- }
2 2
중점이 일치한다.
∴ 3x-y=10   yy㉣
즉, 대각선 AC의 중점의 좌표는 { },
a+c b+1
,
㉢, ㉣을 연립하여 풀면 x=2, y=-4 2 2
따라서 삼각형 ABC의 외심의 좌표는 (2, -4)이다. 대각선 BD의 중점의 좌표는 (2, 2)이므로

Ⅲ. 도형의 방정식 | 103

블랙고등수학(상)-해설.indb 103 17. 6. 14. 오후 4:09


A n s w e r

a+c b+1 3a+2 2a+1


=2, =2 = _a
2 2 a+1 a+1
∴ a+c=4, b=3 yy㉡ 3a+2=2aÛ`+a`(∵ a>0)
또한, 마름모의 두 대각선은 서로 수직이고, 직선 AC의 aÛ`-a-1=0
b-1 1+'5
기울기는 , 직선 BD의 기울기는 1이므로 ∴ a= (∵ a>0) 답③
a-c 2
b-1
_1=-1, b-1=c-a yy㉢ 다른풀이
a-c
두 점 A(-1, 0), D(a, a)를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 ㉢을 연립하여 풀면
a
a=1, b=3, c=3 y= {x-(-1)}
a-(-1)
∴ abc=1_3_3=9 a a
∴ y= x+    yy㉠
1+a 1+a
a
직선 ㉠의 y절편은 이므로 y축에 의하여 나누어지
1+a
06 삼각형 ABC의 무게중심과 세 변 AB, BC, CA의 중점
는 오른쪽 삼각형의 넓이는
P, Q, R를 꼭짓점으로 하는 삼각형 PQR의 무게중심은
1 a(2a+1)
}_a=
a
일치하므로 _{1+
2 1+a 2(a+1)
0+2+4 0+4+2
=a, =b 또한, ABCD‌=2_△BCD`(∵ △BADª△BCD)
3 3
1
∴ a=2, b=2 =2_ _1_(a+1)
2
∴ ab=2_2=4 답4
=a+1
이고, y축이 사각형 ABCD의 넓이를 이등분하므로
1 a(2a+1)
(a+1)=
07 점 A를 지나고 삼각형 ABC의 넓이를 이등분하는 직선이 변 2 2(a+1)
BC와 만나는 점이 D이므로 점 D는 선분 BC의 중점이다. aÛ`-a-1=0
BCÓ="Ã4Û`+8Û`='8Œ0=4'5 1+'5
∴ a= (∵ a>0)
이므로 2

1
BDÓ=  BCÓ=2'5
2 09 두 점 (2, a), (a, 6)을 지나는 직선의 기울기가 3이므로
삼각형 ABC에서 중선정리에 의하여 6-a
(기울기)= =3에서
a-2
ABÓ Û`+ACÓ Û`=2(ADÓ Û`+BDÓ Û`)이므로
6-a=3a-6, 4a=12   ∴ a=3
64+100=2(ADÓ Û`+20), 2ADÓ Û`=124
따라서 기울기가 3이고, 점 (2, 3)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
Û
ADÓ `=62   ∴ ADÓ='6Œ2 (∵ ADÓ>0) 답 '6Œ2
식은
y-3=3(x-2), 즉 y=3x-3이다. 답①

08 오른쪽 그림과 같이 변 AD와 y y


D
다른풀이
a
축의 교점을 E라 하고, 점 E가 구하는 직선의 방정식을 y=3x+k`(k는 상수)라 하면
변 AD를 m`:`n으로 내분한다 E 두 점 (2, a), (a, 6)을 지나므로
-1 yy㉠
고 하면 점 E의 좌표는 x
a=6+k
A O a
ma+n_(-1) 6=3a+k yy㉡
{ }
ma
, -1
m+n m+n B
C ㉠을 ㉡에 대입하면
점 E가 y축 위에 있으므로 6=3(6+k)+k, 4k=-12
ma+n_(-1)
=0   ∴ n=ma ∴ k=-3
m+n
따라서 구하는 직선의 방정식은 y=3x-3
이것을 점 E의 y좌표에 대입하면
ma ma a
= =
m+n m+ma 1+a 10 오른쪽 그림과 같이 ∠A의 y

이등분선과 직선 BC의 교점 A
즉, 점 E의 좌표는 {0, }이다.
a 25
1+a 을 D라 하면 삼각형의 내각 15
B
이때, y축이 사각형 ABCD의 넓이를 이등분하므로 사다 의 이등분선의 성질에 의하여
리꼴 ABCE의 넓이와 삼각형 CDE의 넓이는 같다. ABÓ`:`ACÓ=BDÓ`:`DCÓ D
20
-15 O 5 x
1 a 1 a 이때, -5
즉, _[1+{ +1}]_1= _{ +1}_a에서 C
2 1+a 2 1+a

104 | 블랙라벨 수학 (상)

블랙고등수학(상)-해설.indb 104 17. 6. 14. 오후 4:09


본문 pp.71~72

ABÓ="Ã(-15-5)Û`+(15-25)Û`='¶500=10'5, F(4, 0), D(6, 3)이므로 직사각형 FADE의 두 대각선


ACÓ="Ã(20-5)Û`+(-5-25)Û`='Ä1125=15'5 3
의 교점의 좌표는 {5, }
2
이므로 BDÓ`:`DCÓ=10'5`:`15'5=2`:`3
따라서 직선 l의 기울기는
즉, 점 D는 BCÓ를 2`:`3으로 내분하는 점이므로
2_20+3_(-15) 2_(-5)+3_15 3 5
-
{ , } 2 2 1 1
2+3 2+3 =-  답-
5-3 2 2
∴ D(-1, 7)
따라서 ∠A의 이등분선은 두 점 A(5,25), D(-1, 7)을
지나는 직선과 같으므로 직선의 방정식은 0-6 3
25-7 12 직선 BC의 기울기가
8-0
=- 이고, 직선 l은 직선
4
y-7= (x+1)
5+1 BC와 수직이므로 직선 l의 y절편을 b라 하면 직선 l은
∴ y=3x+10 답⑤ 4
y= x+b
다른풀이
3
라 할 수 있다.
직선 AB의 방정식은
4
15-25 점 P의 y좌표가 6이므로 x+b=6에서
y-25= (x-5) 3
-15-5
3
2y-50=x-5 x= (6-b)
4
∴ x-2y+45=0 3
즉, P { (6-b), 6}
직선 AC의 방정식은 4
-5-25 한편,
y-25= (x-5)
20-5 삼각형 ABC가 직각삼각형이고 ABÓ=8, ACÓ=6이므로
y-25=-2(x-5) BCÓ="Ã6Û`+8Û`='¶100=10
∴ 2x+y-35=0 또한, 두 삼각형 ABC, QBP에서
∠A의 이등분선 위의 점을 y
∠BAC=∠BQP=90ù, ∠PBQ는 공통
P(x, y)라 하면 점 P에서 두 직 A
이므로 △ABC»△QBP (AA 닮음)
선 AB, AC까지 이르는 거리가 B ACÓ`:`ABÓ`:`BCÓ=QPÓ`:`QBÓ`:`BPÓ에서
P
같으므로 3
3`:`4`:`5=QPÓ`:`QBÓ`:` (6-b)
|x-2y+45| |2x+y-35| O x 4
=
'5 '5
C
3 3 9
∴ QPÓ
‌ = _ (6-b)= (6-b),
x-2y+45=Ñ(2x+y-35) 5 4 20
1 80 4 3 3
∴ y=- x+ 또는 y=3x+10 QBÓ= _ (6-b)= (6-b)
3 3 5 4 5
그런데 삼각형 ABC에서 ∠A의 이등분선 기울기는 양수 1
이때, △ABC= _8_6=24이므로
2
이므로
1
y=3x+10 △PBQ= _24=6
4
1
blacklabel 특강 필수 개념 ∴ △PBQ‌= _QPÓ_QBÓ
2
삼각형의 각의 이등분선 1 9 3
= _ (6-b)_ (6-b)=6
삼각형 ABC에서 ∠A의 이등분선이 A 2 20 5
변 BC와 만나는 점을 D라 하면
27 400
(6-b)Û`=12, (6-b)Û`=
   ABÓ`:`ACÓ=BDÓ`:`CDÓ 100 9
20 38 2
6-b=Ñ    ∴ b= 또는 b=-
B C 3 3 3
D
2
그런데 b<6이므로 b=-
3
2 2
따라서 직선 l의 y절편은 - 이다. 답-
3 3
11 직사각형의 넓이를 이등분하는 직선은 직사각형의 두 대
각선의 교점을 지난다. 다른풀이

A(6, 0), C(0, 5)이고 직사각형의 두 대각선은 서로를 삼각형 ABC가 직각삼각형이고 ABÓ=8, ACÓ=6이므로
이등분하므로 직사각형 OABC의 두 대각선의 교점의 좌 BCÓ="Ã6Û`+8Û`='¶100=10
5
표는 {3, } 1
△ABC»△QBP이고, △PBQ= △ABC에서
2 4

Ⅲ. 도형의 방정식 | 105

블랙고등수학(상)-해설.indb 105 17. 6. 14. 오후 4:09


A n s w e r

4△PBQ=△ABC, △ABC`:`△PBQ=4`:`1 따라서 p=3, q=-1이므로


이므로 △ABC와 △PBQ의 닮음비는 2`:`1이다. p+q=3+(-1)=2 답④
1 1
∴ BPÓ=  BCÓ= _10=5
2 2
즉, 점 P의 좌표는 P(5, 6)이다. 16 3x-y+2-k(x+y)=0에서
(3-k)x-(1+k)y+2=0
6 3
한편, 직선 BC의 기울기가 - =- 이므로 직선 l의 위의 직선과 원점 사이의 거리를 d라 하면
8 4
4 |2| 2
기울기는 이고, 이 직선이 점 P를 지나므로 d= =
3 "Ã(3-k)Û`+(1+k)Û` "Ã2kÛ`-4k+10
4 4 2 이때, 거리 d가 최대가 되려면 분모가 최소이어야 하고,
y-6= (x-5)   ∴ l`:`y= x-
3 3 3
2kÛ`-4k+10=2(k-1)Û`+8¾8이므로
2
따라서 직선 l의 y절편은 - 이다. 2 2 '2
3 d= É =
"Ã2kÛ`-4k+10 '8 2
'2
따라서 구하는 거리의 최댓값은 이다. 답④
13 ㄱ. ‌a=0일 때, l`:`y=2, m`:`x=-2이므로 두 직선 l, m 2
은 서로 수직이다. (참)
ㄴ. ‌ax-y+a+2=0에서 a(x+1)-(y-2)=0
이 등식은 x=-1, y=2일 때, a의 값에 관계없이 항
상 성립한다. Step 2 1등급을 위한 최고의 변별력 문제 pp. 73~77
‌즉, 직선 l은 a의 값에 관계없이 항상 점 (-1, 2)를
1
01 ② 02 ① 03 - 04 ④ 05 ⑤
지난다. (거짓) 2
ㄷ. a=0일 때, ㄱ에서 두 직선 l, m은 서로 수직이다. 06 17 07 ① 08 ④ 09 ③ 10 ④
11 ① 12 9 13 '7Œ3 14 36 15 ②
4
‌a+0일 때, 두 직선 l, m의 기울기는 각각 a, - 이다. 5'3 2 51
a 16 31 17
3
18 y= x+
7 14
19 ③
4 11 27 }
‌그런데 a=-  를 만족시키는 실수 a의 값은 존재하 20 35 21 ④ 22 { , 23 ④
a 7 7

지 않으므로 두 직선 l과 m이 평행하기 위한 실수 a 5
24 -8 25 ⑤ 26 27 ⑤ 28 ④
2
의 값은 존재하지 않는다. (참) 1 1
29 - 30 ① 31 ③ 32 3 33
3 3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답③
13 1
34 2'2 35 ③ 36 { ,- }
4 4

14 두 직선 x-2y+2=0, 2x+y-6=0의 교점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x-2y+2+k(2x+y-6)=0 (단, k는 실수) yy㉠
01 점 P의 좌표를 P(x, y)라 하면
Û
APÓ `+BPÓ Û `+CPÓ `Û
위의 직선이 점 (3, -1)을 지나므로 ㉠에 x=3,
={xÛ`+(y-1)Û`}+{(x-4)Û`+yÛ`}
y=-1을 대입하면
 +{(x-2)Û`+(y-8)Û`}
3+2+2+k(6-1-6)=0
=3xÛ`-12x+3yÛ`-18y+85
-k+7=0   ∴ k=7
=3(x-2)Û`+3(y-3)Û`+46
k=7을 ㉠에 대입하면 구하는 직선의 방정식은
따라서 x=2, y=3일 때, 최솟값은 46이다. 답②
x-2y+2+14x+7y-42=0
15x+5y-40=0   ∴ 3x+y-8=0
따라서 a=3, b=1이므로 02 점 A를 원점으로 하고, 변 AC가 x축 위에 오도록 정삼
각형 ABC를 좌표평면 위에 놓으면 다음 그림과 같다.
a+b=3+1=4 답4
y

15 점 P(2a+b, a-2b)가 직선 x-y=3 위에 있으므로


(2a+b)-(a-2b)=3
∴ a+3b=3   yy㉠
C
점 Q(b, -a)에서 b=x, -a=y로 놓으면 A 4 x
a=-y, b=x
이것을 ㉠에 대입하여 정리하면 정삼각형 ABC의 한 변의 길이가 4이므로
3x-y=3 B(2, 2'3), C(4, 0)

106 | 블랙라벨 수학 (상)

블랙고등수학(상)-해설.indb 106 17. 6. 14. 오후 4:09


본문 pp.72~73

변 AC 위의 점 P의 좌표를 P(t, 0) (0ÉtÉ4)이라 하면 04 좌표평면에서 물류 창고를 점 P라 하면 물류비는


Û
BPÓ `+CPÓ Û`‌={(2-t)Û`+(2'3)Û`}+(4-t)Û` Û
k(PAÓ `+PBÓ Û`+PCÓ Û`) (k>0인 상수)이라 할 수 있다.
=tÛ`-4t+16+tÛ`-8t+16 이때, 점 P의 좌표를 P(x, y)라 하면
=2tÛ`-12t+32 PAÓ Û`+PBÓ Û`+PCÓ Û`
=2(t-3)Û`+14 ={(x-0)Û`+(y-0)Û`}+{(x-1)Û`+(y-3)Û`}
따라서 t=3일 때 BPÓ Û`+CPÓ Û`의 최솟값은 14이다. 답 ①  +{(x-5)Û`+(y-6)Û`}
다른풀이 =xÛ`+yÛ`+xÛ`-2x+1+yÛ`-6y+9+xÛ`-10x+25

변 AC의 중점을 M이라 하면 삼각형 ABC는 한 변의 길  +yÛ`-12y+36

이가 4인 정삼각형이므로 =3(x-2)Û`+3(y-3)Û`+32
'3 Û
즉, x=2, y=3일 때 PAÓ `+PBÓ Û`+PCÓ Û`은 최솟값을 가
BÕMÓ=4_ =2'3
2 진다.
이때, 다음과 같이 점 P의 위치에 따라 경우를 나눌 수 있다. 따라서 물류비가 가장 적게 드는 물류 창고의 위치를 나
Ú 점 P가 선분 AM 위에 있을 때, A 타내는 좌표는 (2, 3)이다. 답④
P
PÕMÓ=x (0ÉxÉ2)라 하면 x
M blacklabel 특강 풀이첨삭
‌BPÓ Û`+CPÓ Û`
2
={(2'3)Û`+xÛ`}+(x+2)Û` 2Â3 세 점 A(xÁ, yÁ), B(xª, yª), C(x£, y£)과 점 P(a, b)에 대하여
B C APÓ Û`+BPÓ Û`+CPÓ Û`
=2xÛ`+4x+16 4
=(a-xÁ)Û`+(b-yÁ)Û`+(a-xª)Û`+(b-yª)Û`
=2(xÛ`+2x+1)+14  +(a-x£)Û`+(b-y£)Û`
}2`+3{b- }2`+★
xÁ+xª+x£ yÁ+yª+y£
=2(x+1)Û`+14 =3{a-
3 3
즉, x=0일 때 BPÓ Û`+CPÓ Û`의 최솟값은 16이다. 즉, APÓ Û`+BPÓ Û`+CPÓ Û`은 항상 a=
xÁ+xª+x£
3
, b=
yÁ+yª+y£
3

Û 점 P가 선분 MC 위에 있을 때, A 서 최솟값을 갖는다.


따라서 APÓ Û`+BPÓ Û`+CPÓ Û`의 값이 최소가 되도록 하는 점 P는 삼각형
MòPÓ=x (0<xÉ2)라 하면 ABC의 무게중심과 일치한다.
M
Û
‌BPÓ `+CPÓ Û x
2Â3
P
={(2'3)Û`+xÛ`}+(2-x)Û`
B C
=2xÛ`-4x+16 05 세 점 A(0, 3), B(-5, -9), C(4, 0)에서
=2(xÛ`-2x+1)+14 ACÓ="Ã4Û`+3Û`='Ä16+9=5
=2(x-1)Û`+14 ABÓ="Ã5Û`+12Û`='Ä25+144=13
즉, x=1일 때 BPÓ Û`+CPÓ Û`의 최솟값은 14이다. ACÓ=ADÓ이므로 ADÓ=5
Ú, Û에서 BPÓ Û`+CPÓ Û`의 최솟값은 14이다. 선분 AP와 선분 DC가 평행하므로 평행선의 성질에 의
하여
ABÓ`:`ADÓ=PBÓ`:`PCÓ
에서 PBÓ`:`PCÓ=13`:`5
즉, 점 P는 BCÓ를 13`:`5로 외분하는 점이므로
03 xÛ`-3=2x에서 xÛ`-2x-3=0
13_4-5_(-5) 13_0-5_(-9)
(x+1)(x-3)=0   ∴ x=-1 또는 x=3 P{ , }
13-5 13-5
포물선 y=xÛ`-3과 직선 y=2x가 만나는 두 점이 A, B 77 45
즉, P{ , } 답⑤
이므로 A(-1, -2), B(3, 6)이라 하자. 8 8

한편, 점 P(a, b)가 포물선 y=xÛ`-3 위의 점이므로 다른풀이

b=aÛ`-3   ∴ P(a, aÛ`-3) 세 점 A(0, 3), B(-5, -9), C(4, 0)에서


삼각형 APB가 PAÓ=PBÓ인 이등변삼각형이므로 ACÓ="Ã4Û`+3Û`='2Œ5=5
PAÓ Û`=PBÓ Û`에서 ABÓ="Ã5Û`+12Û`='¶169=13
(a+1)Û`+(aÛ`-1)Û`=(a-3)Û`+(aÛ`-9)Û` ∴ BDÓ=ABÓ-ADÓ=ABÓ-ACÓ=13-5=8
16aÛ`+8a-88=0 즉, 점 D는 선분 AB를 5`:`8로 내분하는 점이므로
∴ 2aÛ`+a-11=0 -25 -45+24 25 21
D{ , }, 즉 D{- , - }
5+8 5+8 13 13
이차방정식 2aÛ`+a-11=0의 판별식을 D라 할 때,
21
D=1Û`-4_2_(-11)=89>0에서 서로 다른 두 실근
13 21 3
직선 CD의 기울기가 = = 이고, 두 직선
을 가지므로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조건을 만족시키 25 77 11
4+
13
1 1
는 모든 실수 a의 값의 합은 - 이다. 답-
2 2 AP와 CD가 평행하므로 직선 AP의 방정식은

Ⅲ. 도형의 방정식 | 107

블랙고등수학(상)-해설.indb 107 17. 6. 14. 오후 4:09


A n s w e r

3 3 m
y-3= (x-0)   ∴ y= x+3 ㉠, ㉡, ㉢에서 1< <5
11 11 n
한편, 직선 BC의 방정식은 Û m<n, 즉 m-n<0인 경우
9 4m-n
y-0= (x-4)   ∴ y=x-4 >0에서 4m-n<0
9 m-n
점 P는 두 직선 AP와 BC의 교점이므로 m 1
4m<n   ∴ < yy㉣
n 4
3 8 77
x+3=x-4, x=7   ∴ x=
11 11 8 -m+5n
>0에서 -m+5n<0
m-n
이것을 y=x-4에 대입하여 풀면
m
77 45 m>5n   ∴ >5 yy㉤
y= -4= n
8 8
m
77 45 <1 yy㉥
따라서 점 P의 좌표는 { }이다.
m<n에서
, n
8 8
m
‌㉣, ㉤, ㉥에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의 값의 범위는
n
06 선분 AB와 두 직선 y=mx, y=nx의 교점을 각각 C, 존재하지 않는다.
D라 하자. Ú, Û에서 1<
m
<5이므로
n
두 직선 y=mx, y=nx가 삼각형 AOB의 넓이를 삼등분
a=1, b=5
하려면 두 점 C, D가 선분 AB를 삼등분해야 한다. 즉,
∴ b-a=4 답①
점 C는 선분 AB를 1`:`2로 내분하므로
1_5+2_0 1_0+2_4 5 8
C{ , }, 즉 C{ , }
1+2 1+2 3 3
점 D는 선분 AB를 2`:`1로 내분하므로 08 점 B를 원점, 두 변 AB, BC가 각각 x축, y축 위에 오도
2_5+1_0 2_0+1_4 10 4 록 직각이등변삼각형 ABC를 좌표평면 위에 놓으면
D{ , }, 즉 D{ , }
2+1 2+1 3 3 A(0, 4), B(0, 0), C(4, 0)
두 점 C, D는 각각 두 직선 y=mx, y=nx 위의 점이므로 점 P는 변 AB를 n`:`m으로 내분하므로
8 5 4 10
}, 즉 P(0, 4m)
= m, = n n_0+m_0 n_0+m_4
3 3 3 3 P{ ,
n+m n+m
8 2 (∵ m+n=1)
∴ m= , n= 
5 5
점 Q는 변 BC를 m`:`n으로 외분하므로
이것을 mÛ`+nÛ`=kmn에 대입하면

{ }2`+{ }2`=k_ _
4m
}, 즉 Q{
m_4-n_0 m_0-n_0
8 2 8 2 Q{ , , 0}
m-n m-n m-n
5 5 5 5
이때, m+n=1에서 n=1-m이므로
68 16
= k, 16k=68 4m
25 25 Q{ , 0}
2m-1
68
∴ 4k= =17 답 17
직선 PQ의 방정식은
4
-4m 4m
y= {x- }
4m 2m-1
07 선분 AB를 m`:`n으로 외분하는 점을 P라 하면 2m-1
4m
P{
4m-n -m+5n
, } y=(1-2m){x- }
m-n m-n 2m-1
이때, 점 P가 제1사분면에 위치하므로 ∴ y=(1-2m)x+4m
4m-n -m+5n 직선 AC의 방정식은
>0, >0
m-n m-n x y
+ =1   ∴ y=4-x
Ú m>n, 즉 m-n>0인 경우 4 4
4m-n 두 직선 PQ, AC의 교점 R의 x좌표는
>0에서 4m-n>0
m-n (1-2m)x+4m=4-x에서
m 1 (2-2m)x=4-4m
4m>n   ∴ > yy㉠
n 4
m+1이므로 x=2, y=4-2=2
-m+5n
>0에서 -m+5n>0 즉, R(2, 2)
m-n
m 1
m<5n   ∴ <5 yy㉡ ∴ SÁ=
‌ _2_(4-4m)=4(1-m),
n 2
m 1 (4-4m) 4(1-m)
m>n에서 >1 yy㉢ Sª= _2_ =
n 2 2m-1 2m-1

108 | 블랙라벨 수학 (상)

블랙고등수학(상)-해설.indb 108 17. 6. 14. 오후 4:09


본문 pp.73~74

∴ SÁ+(m-n)Û
‌ `Sª
blacklabel 특강 필수 개념
4(1-m)
=4(1-m)+(2m-1)Û` (∵ n=1-m)
2m-1 ⑴ 삼각형의 무게중심, 외심, 내심, 수심의 정의
① 무게중심:삼각형의 세 중선의 교점
=4(1-m)+4(1-m)(2m-1)
② 외심:삼각형의 세 변의 수직이등분선의 교점
=-8mÛ`+8m ③ 내심:삼각형의 세 내각의 이등분선의 교점

=-8{m- }2`+2
④ 수심:‌삼각형의 각 꼭짓점에서 마주 보는 변 또는 그 연장선에
1
내린 수선의 교점
2
⑵ ‌정삼각형의 성질
1 정삼각형의 무게중심, 외심, 내심, 수심은 모두 일치한다.
따라서 m= 일 때, SÁ+(m-n)Û`Sª의 최댓값은 2이다.
2 따라서 정삼각형의 중선의 길이는 높이와 같다.

 답④

11 변 AB를 1:2로 외분하는


D
y

점이 C, 2:1로 외분하는 점
09 직선 x+2y-1=0 위의 점 P의 좌표를 (a, b)라 하면
이 D이므로 오른쪽 그림과 B
a+2b-1=0   yy㉠ 4
같이 CAÓ=ABÓ=BDÓ이다.
점 A(1, 2)와 점 P(a, b)를 2`:`1로 내분하는 점의 좌표는
즉, 변 OA는 삼각형 OCB 1 A
2a+1 2b+2
{ , } x
3 3 의 중선, 변 OB는 삼각형 O 4
1
2a+1 2b+2 C
OAD의 중선이므로 삼각
=x, =y로 놓으면
3 3
형 OCB의 무게중심 GÁ은 변 OA를 2:1로 내분하는 점
3x-1 3y-2
a= , b= 이고, 삼각형 OAD의 무게중심 Gª는 변 OB를 2:1로
2 2
이것을 ㉠에 대입하여 정리하면 내분하는 점이다.
이때, △OGÁGª»△OAB이고, 그 닮음비가 2:3이므로
3x-1 3y-2
+2_ -1=0
2 2 2
선분 GÁGª의 길이는 변 AB의 길이의 이다.
3x-1+6y-4-2=0 3
따라서 선분 GÁGª의 길이는
1 7
6y=-3x+7   ∴ y=- x+
2 6 2 2
GÕÁGªÓ‌= ABÓ= "Ã(4-1)Û`+(1-4)Û`
1 7 3 3
즉, 도형 C는 직선 y=- x+ 이다.
2 6 2
= _3'2=2'2 답①
이때, 도형 C와 이차함수 y=axÛ`의 그래프가 접하므로 3

1 7 다른풀이
이차방정식 axÛ`=- x+ , 즉 6axÛ`+3x-7=0이 중
2 6 두 점 A(4, 1), B(1, 4)에 대하여 변 AB를 1:2로 외
근을 가져야 하고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분하는 점 C의 좌표는
D=3Û`-4_6a_(-7)=0 1_1-2_4 1_4-2_1
C{ , }, 즉 C(7, -2)
3 1-2 1-2
∴ a=-  답③
56 변 AB를 2:1로 외분하는 점 D의 좌표는
2_1-1_4 2_4-1_1
D{ , }, 즉 D(-2, 7)
2-1 2-1
이때, 삼각형 OCB의 무게중심 GÁ의 좌표는
10 오른쪽 그림과 같이 점 A에서 y A{2, 3}
0+7+1 0+(-2)+4 8 2
변 BC에 내린 수선의 발을 M이 GÁ{ , }, 즉 GÁ{ , }
3 3 3 3
라 하면 정삼각형 ABC의 무게 B
O x 삼각형 OAD의 무게중심 Gª의 좌표는
중심이 원점 O이므로
0+4+(-2) 0+1+7 2 8
2
M
Gª{ , }, 즉 Gª{ , }
AOÓ= AÕMÓ ← AOÓ:OÕMÓ=2:1이므로 3 3 3 3
3 C
따라서 선분 GÁGª의 길이는

¾±{ - }2`+±{ - }2`="Ã2Û`+(-2)Û`=2'2


이때, AOÓ="Ã2Û`+3Û`='1Œ3이므로
8 2 2 8
3 3'1Œ3 3 3 3 3
AÕMÓ= AOÓ=
2 2
따라서 정삼각형 ABC의 한 변 BC의 길이는
2 2 3'1Œ3 12 한 변의 길이가 2'6인 정삼 y
2Â6
A
BCÓ= AÕMÓ= _ ='3Œ9 ← 한 변의 길이가 a인 정삼각형의
'3 '3 2 '3
a이므로
각형 ABC의 높이는 1 B
높이가 y= x
'3
2 2
이므로 정삼각형 ABC의 넓이는 2
G
AÕMÓ= _2'6=3'2 M
'3 '3 39'3 2
 BCÓ Û`= _39=  답④
변 BC의 중점 M과 정삼각
C
4 4 4 O 5 x

Ⅲ. 도형의 방정식 | 109

블랙고등수학(상)-해설.indb 109 17. 6. 14. 오후 4:09


A n s w e r

형 ABC의 무게중심 G에 대하여 다른풀이

1 1 삼각형 ABE에서 중선정리에 의하여


GÕMÓ= AÕMÓ= _3'2='2
3 3 Û Û`=2(ADÓ Û`+BDÓ Û`)이므로
ABÓ `+AEÓ
1
한편, 정삼각형 ABC의 무게중심 G가 직선 y= x 위에 36+bÛ`=2(aÛ`+4)   ∴ 2aÛ`-bÛ`=28 yy㉠
2
있으므로 G(2a, a)라 하면 삼각형 ADC에서 중선정리에 의하여

GÕMÓ="Ã(2a-5)Û`+(a-2)Û`='2 ADÓ Û`+ACÓ Û`=2(AEÓ Û`+DEÓ Û`)이므로

(2a-5)Û`+(a-2)Û`=2, 5aÛ`-24a+27=0 aÛ`+16=2(bÛ`+4)   ∴ aÛ`-2bÛ`=-8 yy㉡

9 ㉠, ㉡을 연립하여 풀면
(a-3)(5a-9)=0   ∴ a=3 또는 a=
5 64 44
aÛ`= , bÛ`=
그런데 점 G의 y좌표가 2 이상이므로 3 3

a=3   ∴ G(6, 3) 64 44 108


∴ aÛ`+bÛ`= + = =36
3 3 3
이때, 정삼각형 ABC의 세 꼭짓점 A, B, C의 좌표를 각
각 (xÁ, yÁ), (xª, yª), (x£, y£)이라 하면
xÁ+xª+x£ yÁ+yª+y£
=6, =3
3 3
따라서 구하는 세 꼭짓점 A, B, C의 y좌표의 합은 15 오른쪽 그림과 같이 변 BC의 A

yÁ+yª+y£=3_3=9 답9 중점을 E라 하면 삼각형


ABC에서 중선정리에 의하여
ABÓ Û`+ACÓ Û` G

=2[AEÓ Û`+{  BCÓ}2`]


13 두 직선 lÁ, lª의 교점이 G이므로 A{5, 5}
1 B
E
C
x-5y-3=0에서 x=5y+3 2
l¡ l™
위의 식을 4x+3y-12=0에 1
G =2AEÓ Û`+ BCÓ Û` yy㉠
2
대입하면
1
4(5y+3)+3y-12=0, 23y=0 B C 점 G가 무게중심이므로 GEÓ=  AEÓ이고,
3
∴ y=0 삼각형 GBC에서 중선정리에 의하여

BGÓ Û`+CGÓ Û`‌=2[GEÓ Û`+{  BCÓ}2`]


이것을 x=5y+3에 대입하여 정리하면 x=3 1
즉, G(3, 0) 2

=2[{  AEÓ}2`+{  BCÓ}2`]


이때, 두 점 B, C가 각각 직선 lÁ, lª 위에 있으므로 1 1
3 2
B(5a+3, a), C(3b, 4-4b) (단, a, b는 상수)
2 1
라 할 수 있고, 삼각형 ABC의 무게중심이 G이므로 =  AEÓ Û`+  BCÓ Û`   yy㉡
9 2
5+5a+3+3b 5+a+4-4b 9_㉡-㉠을 하면
=3, =0
3 3
Û
9BGÓ `+9CGÓ Û`-ABÓ Û`-ACÓ Û`=4BCÓ Û`
5a+3b=1, a-4b=-9
ABÓ Û`+ACÓ Û`+4BCÓ Û`=9(BGÓ Û`+CGÓ Û`)
위의 식을 연립하여 풀면
따라서 k=4, l=9이므로
a=-1, b=2
k+l=4+9=13 답②
∴ B(-2, -1), C(6, -4)
∴ BCÓ="Ã(6+2)Û`+(-4+1)Û`='7Œ3 답 '7Œ3

14 변 BC의 중점을 M이라 하면 BCÓ=6이므로 16 변 BC의 중점을 M이라 하면 점 G는 삼각형 ABC의


1 무게중심이므로
BÕMÓ=MòCÓ= _6=3
2
AGÓ 17
삼각형 ABC에서 중선정리에 의하여 AGÓ:GÕMÓ=2:1에서 GÕMÓ= =
2 2
Û
ABÓ `+ACÓ Û`=2(AÕMÓ Û`+BÕMÓ Û`)이므로 삼각형 GBC에서 중선정리에 의하여
36+16=2(AÕMÓ Û`+9), AÕMÓ Û`+9=26 GBÓ Û`+GCÓ Û`=2(GÕMÓ Û`+BÕMÓ Û`)이므로
∴ AÕMÓ Û`=17 289 289 625
225+400=2{ +BÕMÓ Û`}, +BÕMÓ Û`=
한편, DÕMÓ=EÕMÓ=1이므로 M은 선분 DE의 중점이다. 4 4 2
961 31
따라서 삼각형 ADE에서 중선정리에 의하여 BÕMÓ Û`=    ∴ BÕMÓ= `(∵ BÕMÓ>0)
4 2
ADÓ Û`+AEÓ Û`=2(AÕMÓ Û`+DÕMÓ Û`)이므로
31
∴ BCÓ=2BÕMÓ=2_ =31 답 31
aÛ`+bÛ`=2(17+1)=36 답 36 2

110 | 블랙라벨 수학 (상)

블랙고등수학(상)-해설.indb 110 17. 6. 14. 오후 4:09


본문 pp.74~75

17 오른쪽 그림과 같이 정육각형 y


5
두 직각삼각형 BME, EHF의 빗변의 길이가 같고
의 마주 보는 꼭짓점을 연결한 {
P 0,
2 } ∠BEM=∠EFH이므로
대각선의 교점을 R라 하면 정 A △BMEª△EHF (RHA 합동)
2 R
육각형의 넓이를 이등분하는 15 3
D{x, 0} 이때, FHÓ=EÕMÓ= , EHÓ=BÕMÓ= 이므로 점 F의
O x 2 2
직선 l은 점 R를 지나야 한다.
27 15 =12-;2(;
}
Q{a, 0} l
또한, 점 A와 마주 보는 꼭짓 좌표는 F{ ,
2 2
점을 D(x, 0)이라 하면 대각선 AD의 길이는 4이므로 =12+;2#;
15 9
-
직각삼각형 AOD에서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하여 9 2 2
따라서 직선 CF의 방정식은 y- = (x-3)에
2 27
ODÓ Û`+AOÓ Û`=ADÓ Û`, 즉 xÛ`+4=16 2
-3
xÛ`=12   ∴ x=2'3 (∵ x>0) 2 51 2 51
서 y= x+  답 y= x+
∴ D(2'3, 0) 7 14 7 14
따라서 대각선 AD의 중점 R의 좌표는

{
0+2'3 2+0
, }, 즉 ('3, 1)
19 직사각형 ABCD의 두 대각선은 서로 다른 것을 이등분
2 2 하므로 교점을 M이라 하면 이 교점은 선분 AC의 중점
이므로 직선 PR의 방정식은 과 같다.
5 즉, A(-2, 1), C(2, 3)이므로 M(0, 2)
5
1-
2 '3 5
y- = (x-0)   ∴ l:y=- x+ 직선 l은 점 M(0, 2)를 지나면서 삼각형 GEF의 넓이를
2 '3-0 2 2
직선 l의 방정식에 x=a, y=0을 대입하면 이등분하므로 직선 l의 기울기를 m (m<0)이라 하면
'3 5 5'3 5'3 y=mx+2라 할 수 있다.
a= 에서 a=  답
2 2 3 3 이때, 직선 GE의 방정식이 y=x-2이므로 두 직선 GE
다른풀이 와 l의 교점의 x좌표는
삼각형 ARO는 한 변의 길이가 2인 정삼각형이므로 점 x-2=mx+2에서
R에서 변 OA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4
(m-1)x=-4   ∴ x=
m-1
'3 1
HRÓ= _2='3이고, OHÓ=HÕAÓ= _2=1이므로 이것을 y=x-2에 대입하면
2 2
R('3, 1)이다. 4 -4-2m+2 -2m-2
y=- -2= =
m-1 m-1 m-1
-4 -2m-2
∴{ } yy㉠
18 y G m-1
,
m-1
F
또한, 직선 EF의 방정식은 y=-2이므로 두 직선 EF와
C l의 교점의 x좌표는
I
4
-2=mx+2에서 mx=-4   ∴ x=-
D{0, 3}
B m
4
O M H x
∴ {- , -2} yy㉡
m
{
A
3
2
,0} E{12, 0}
1
한편, △GEF= _4_2=4에서 세 점 ㉠, ㉡, E를 꼭
위의 그림과 같이 두 점 B, F에서 x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2
각각 M, H, 점 C에서 y축에 내린 수선을 발을 I라 하자. 짓점으로 하는 삼각형의 넓이는 2이어야 하고, 이 삼각형
두 직각삼각형 OAD, MBA의 빗변의 길이가 같고 4 2m+2 4
의 밑변의 길이는 - , 높이는 2- =-
m m-1 m-1
∠OAD=∠MBA이므로
이므로
△OADª△MBA (RHA 합동)
1 4 4
9 2= _{- }_{- }
이때, MòAÓ=ODÓ=3이므로 점 M의 좌표는 { , 0}, 2 m m-1
2
위의 식의 양변에 m(m-1)을 곱하면
3 9 3 =;2#;+3
MòBÓ=OAÓ= 이므로 점 B의 좌표는 { , }
2 2 2 2mÛ`-2m=8
두 직각삼각형 IDC, OAD의 빗변의 길이가 같고 2mÛ`-2m-8=0, mÛ`-m-4=0
∠IDC=∠OAD이므로 1Ñ'1Œ7
∴ m=
2
△IDCª△OAD (RHA 합동)
1-'1Œ7
3 그런데 m<0이므로 m=
이때, DÕIÕ=AOÓ= , ICò=ODÓ=3이므로 점 C의 좌표는 2
2
따라서 a=1, b=-1이므로
9
{3, }
2 a+b=1+(-1)=0 답③

Ⅲ. 도형의 방정식 | 111

블랙고등수학(상)-해설.indb 111 17. 6. 14. 오후 4:09


A n s w e r

20 두 점 A(2, 4), B(6, 0) y △COD=△OAC+△ADC


에서 이므로 △ABC=△ADC
A
4
1 이때, 선분 AC를 두 삼각형 ABC와 ADC의 공통인 밑
△AOB= _6_4=12,
2
변으로 하면 넓이가 같기 위해서는 높이가 같아야 하므로
ABÓ‌="Ã(6-2)Û`+(0-4)Û`
B ACÓDBÓ이어야 한다.
='3Œ2=4'2 O 2 6 x 즉, 두 직선 AC와 DB의 기울기는 같아야 한다.
삼각형 ABC가 CAÓ=CBÓ인
직선 AC의 기울기는
이등변삼각형이므로 점 C는 선분 AB의 수직이등분선 위
1
-1
에 있다. 2 =- 1 yy㉠
2-(-1) 6
0-4
직선 AB의 기울기가 =-1이고, 선분 AB의 중점 1
6-2 직선 OA의 방정식은 y= x이므로 직선 OA 위의 점 D
4
2+6 4+0
을 M이라 하면 점 M의 좌표는 { , }, 1
2 2 의 좌표를 {a, a}라 하면 직선 DB의 기울기는
4
즉 (4, 2)이므로 선분 AB의 수직이등분선의 방정식은
1
y-2=x-4   ∴ y=x-2 a-2
4 yy㉡
즉, 점 C의 좌표를 C(a, a-2)라 할 수 있다. a-1
1 ㉠=㉡이므로
이때, △ABC= _4'2_CÕMÓ=12에서 CÕMÓ=3'2
2 1
a-2
"Ã(a-4)Û`+(a-2-2)Û`=3'2, 2aÛ`-16a+32=18 1
- =
4 1 1 1
, - a+ = a-2
6 a-1 6 6 4
aÛ`-8a+7=0, (a-1)(a-7)=0
26
∴ a=1 또는 a=7 5a=26   ∴ a=
5
그런데 점 C는 제 1 사분면 위의 점이므로 1 1 26 13
∴ b= a= _ =
a>0, a-2>0에서 a>2 4 4 5 10
∴ a=7, b=7-2=5 26 13 13
∴ a+b= + =  답④
5 10 2
∴ ab=7_5=35 답 35

다른풀이

점 C(a, b)에 대하여 CAÓ=CBÓ이므로 CAÓ Û`=CBÓ Û`에서 22 오른쪽 그림과 같이 사각 y

(a-2)Û`+(b-4)Û`=(a-6)Û`+bÛ` A{1, 5} D{3, 5}


형 ABCD에서 두 대각선
P'
∴ a=b+2   yy㉠ AC, BD의 교점을 P'이
두 삼각형 AOB와 ABC의 밑변을 ABÓ라 하면 넓이가 라 하고, 사각형 ABCD
P
같으므로 높이가 같아야 하고, 직선 AB의 방정식이 의 내부에 임의의 점 P를 B{-2, 1} C{3, 1}
O x
0-4 잡으면
y-0= (x-6), 즉 x+y-6=0이므로
6-2
PAÓ+PCÓ‌¾ACÓ
|-6| |a+b-6|
= =PÕ'AÓ+PÕ'CÓ   yy㉠
'2 '2
위의 식에 ㉠을 대입하여 정리하면 PBÓ+PDÓ‌¾BDÓ

6=|2b-4|, 2b-4=Ñ6 =PÕ'BÓ+PÕ'DÓ   yy㉡

2b=10 또는 2b=-2 ㉠+㉡을 하면

∴ b=5 (∵ b>0) PAÓ+PBÓ+PCÓ+PDÓ¾PÕ'ÕAÓ+PÕ'BÓ+PÕ'CÓ+PÕ'DÓ

이것을 ㉠에 대입하면 a=5+2=7 즉, PÕAÓ+PBÓ+PCÓ+PDÓ의 값이 최소일 때의 점 P는 두

∴ ab=5_7=35 대각선 AC, BD의 교점이다.


1-5
이때, 직선 AC의 방정식은 y-1= (x-3)
3-1
21 y ∴ y=-2x+7 yy㉢
5-1
B{1, 2}
직선 BD의 방정식은 y-5= (x-3)
3-(-2)
C{-1, 1} D{a, b} 4 13
∴ y= x+ yy㉣
x
5 5
O
{
A 2,
1
2 } ㉢, ㉣을 연립하여 풀면 x=
11
, y=
27
7 7
OABC=△COD이고,
11 27 11 27
∴ P{ , } 답{ , }
OABC=△OAC+△ABC, 7 7 7 7

112 | 블랙라벨 수학 (상)

블랙고등수학(상)-해설.indb 112 17. 6. 14. 오후 4:09


본문 pp.75~76

23 직선 mx-y-m+1=0, 즉 y=m(x-1)+1은 기울기


즉, 두 직선
x y
+ =1, mx-y+m+1=0의 교점의
2 4
인 m의 값에 관계없이 항상 점 (1, 1)을 지난다.
3-m 6m+2
따라서 두 직선 2x-y+2=0, y=m(x-1)+1이 제 2 좌표는 { , }
m+2 m+2
사분면에서 만나려면 오른 y
Ú 2x-y+2=0 이때, m+2=t로 놓으면 m=t-2이므로
쪽 그림과 같이 직선
3-t+2 5-t 5
x= = = -1
y=m(x-1)+1이 Ú, Û {1, 1}
t t t
2
의 두 가지 경우 사이에 존 y=m{x-1}+1 6(t-2)+2 6t-10 10
1 y= = =6-
-1
t t t
재해야 한다.
O 1 x 교점의 x좌표와 y좌표가 모두 정수이려면
Ú 직선 y=m(x-1)+1 Û
t=Ñ|5와 10의 공약수|이어야 하므로 t는 -5, -1, 1,
이 점 (0, 2)를 지나는 경우
5 중에서 하나의 값을 가져야 하고, 이때의 m의 값은 각
2=-m+1   ∴ m=-1
각 -7, -3, -1, 3이므로 합은
Û 직선 y=m(x-1)+1이 점 (-1, 0)을 지나는 경우
(-7)+(-3)+(-1)+3=-8 답 -8
1
0=-2m+1   ∴ m=
2
1 25 세 직선이 삼각형을 이루지 않기 위해서는 세 직선이 한
Ú, Û에서 -1<m< 이므로
2 점에서 만나거나, 세 직선 또는 두 직선이 평행하거나 일
1 치하면 된다.
a=-1, b=
2
그런데 주어진 세 직선의 방정식에서 세 직선은 평행할
1
∴ a+4b=-1+4_ =-1+2=1 답④ 수 없고, 어떤 두 직선도 일치할 수 없다.
2
따라서 세 직선이 한 점에서 만나거나 두 직선이 평행해
단계 채점 기준 배점
직선 mx-y-m+1=0이 항상 지나는 점을 찾은
야 한다.
( x+ay+1=0
㈎ 20%
경우 yy㉠
직선 mx-y-m+1=0이 직선 2x-y+2=0과 x
{ 3x-ay+1=0 yy㉡
㈏ 축과의 교점, y축과의 교점을 지날 때의 m의 값을 각 50%
각 구한 경우 9 x-(a-2)y-1=0  yy㉢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키는 실수 m의 값의 범위를 구
30% 이때, a=0이면 ㉠, ㉡에서 x+1=0, 3x+1=0이므로 두
한 후, a+4b의 값을 구한 경우
직선이 평행하다. 즉, 세 직선은 삼각형을 이루지 않는다.
다른풀이 또한, a=2이면 ㉠, ㉡, ㉢에서 x+2y+1=0,
2x-y+2=0, mx-y-m+1=0을 연립하여 풀면 3x-2y+1=0, x-1=0이므로 세 직선은 삼각형을 이
m+1 4m-2 룬다. 즉, a+2이다.
x= , y=
m-2 m-2 a+0, a+2일 때, ㉠, ㉡, ㉢이 삼각형을 이루지 않는 경
즉, 두 직선 2x-y+2=0, mx-y-m+1=0의 교점 우는 다음과 같다.
m+1 4m-2
{ , }가 제 2사분면 위에 있어야 하므로 Ú 세 직선이 한 점에서 만나는 경우
m-2 m-2 x좌표<0, y좌표>0
㉠+㉡을 하면
m+1
<0에서 -1<m<2 yy㉠ 1
m-2 4x+2=0   ∴ x=-
양변에 (m-2)Û`을 곱하면 (m+1)(m-2)<0
2
4m-2 1
>0에서 m< 또는 m>2 yy㉡
m-2 2 이것을 ㉠에 대입하면
양변에 (m-2)Û`을 곱하면 (4m-2)(m-2)>0
㉠, ㉡에서 1 1
- +ay+1=0   ∴ y=-
2 2a
1
-1<m< 1 1
2 ‌즉, 두 직선 ㉠, ㉡의 교점의 좌표가 {- , - }이
2 2a
므로 직선 ㉢도 이 점을 지나야 한다.
x y 1 a-2 a-2 3
24 + =1에서 y=-2x+4
2 4
- +
2 2a
-1=0,
2a
=
2
위의 식을 mx-y+m+1=0에 대입하면 ∴ a=-1
mx+2x-4+m+1=0 Û 두 직선이 평행한 경우
(m+2)x=3-m 1 a 1
‌두 직선 ㉠, ㉡에서 + + 이므로 두 직선 ㉠,
3 -a 1
3-m
∴ x= (∵ m+-2)
m+2 ㉡이 평행하도록 하는 a의 값은 존재하지 않는다.
이것을 y=-2x+4에 대입하면 두 직선 ㉡, ㉢에서
6m+2 3 -a 1
y= = +
m+2 1 -(a-2) -1

Ⅲ. 도형의 방정식 | 113

블랙고등수학(상)-해설.indb 113 17. 6. 14. 오후 4:09


A n s w e r

3a-6=a, 2a=6 -1-1


한편, 직선 LM의 기울기는 =-1, 직선 NP의
4-2
∴ a=3
b
두 직선 ㉠, ㉢에서 기울기는 이고, 이 두 직선이 서로 수직이므로
a-3
1 -(a-2) -1
= + b
1 a 1 (-1)_ =-1
a-3
a=-a+2, 2a=2
∴ a=b+3 yy㉡
∴ a=1
㉡을 ㉠에 대입하여 풀면
Ú, Û에서 주어진 세 직선이 삼각형을 이루지 않도록 하
2bÛ`=288, bÛ`=144
는 a의 값은 -1, 0, 1, 3의 4개이므로
무게중심 G가 제1사분면에 있으므로 b>0
M=4, N=-1+0+1+3=3
∴ b=12
∴ M+N=4+3=7 답⑤
이것을 ㉡에 대입하면
a=15
26 수심은 삼각형의 두 꼭짓점에서 y
4A
∴ ab=15_12=180 답⑤
대변에 내린 두 수선의 교점과
일치하므로
-2 5
28 오른쪽 그림과 같이 변 AB가 x축 y
B
Ú ‌꼭짓점 A를 지나고 변 BC B O C x 과 만나는 점을 D라 하자.
D
에 수직인 직선의 방정식은 정사각형 ABOC에서 O H x
A
x=0 ADÓ=DBÓ=a라 하면 OÕB=
Ó 2a
0-4 4 점 B에서 x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C x+my-4=0
Û ‌(직선 AC의 기울기)= =- 이므로 꼭짓점 B
5-0 5
H라 하면 ∠OHB=∠OBD=90ù, ∠BOH는 공통이므
를 지나고 변 AC에 수직인 직선의 방정식은
로 △BOH»△DOB (AA 닮음)이고,
5 5 5
y= {x-(-2)}= x+ 직선 OB의 기울기는
4 4 2
BHÓ DBÓ a 1
5 5 5 = = =
x=0, y= x+  를 연립하여 풀면 x=0, y=
4 2 2 OHÓ OBÓ 2a 2
이때, 직선 AB와 직선 OB는 수직이므로 직선 AB의 기
5 5
즉, 수심의 좌표는 {0, }이므로 p=0, q=
2 2 울기는 -2이다.
5 5 5 1 4
∴ p+q=0+ =  답 따라서 직선 x+my-4=0, 즉 y=- x+ 의 기울
2 2 2 m m
기가 -2이므로

27 삼각형 ABC에서 두 변 AB, BC의 중점이 각각 L, M -


1
m
1
=-2   ∴ m= 
2
답④
이므로 LÕM
Ó ACÓ이고, 직선 BN과 직선 LM이 서로 수
다른풀이
직이므로 BNÓ⊥ACÓ이다.
즉, 직선 BN은 선분 AC의 수직이등분선이므로 두 직선 직선 x+my-4=0의 x절편이 4이므로 변 AB의 중점
BN, LM의 교점을 P라 하면 점 P는 선분 LM의 중점이다. D의 좌표는 D(4, 0)이다.
A BDÓ=a라 하면 OBÓ=2a이고, ODÓ=4이므로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하여 aÛ`+(2a)Û`=4Û`에서
N 4'5
L 16
5aÛ`=16, aÛ`=    ∴ a= `(∵ a>0)
4Â2 5 5
G
P C 4'5 8'5
∴ BDÓ= , OBÓ=
B M 5 5
OHÓ=b라 하면 DHÓ=4-b이므로
L(2, 1), M(4, -1)이므로 점 P의 좌표는
OBÓ Û`-OHÓ Û`=BDÓ Û`-DHÓ Û`에서

}2`-bÛ`={ }2`-(4-b)Û`
2+4 1-1
P{ , }, 즉 P(3, 0) 8'5 4'5
2 2
{
삼각형 ABC의 무게중심 G에 대하여 BGÓ`:`GNÓ=2`:`1 5 5

이고, NPÓ=BPÓ, PGÓ=4'2이므로 16


320=-320+200b, 200b=640   ∴ b=
5

}2`-{ }2`=
(BPÓ+PGÓ)`:`(NPÓ-PGÓ)=2`:`1
∴ BHÓ=¾Ð{
8'5 16 8
(NPÓ+4'2)`:`(NPÓ-4'2)=2`:`1 5 5 5
직선 OB는 직선 AB와 수직이므로
2(NPÓ-4'2)=NPÓ+4'2   ∴ NPÓ=12'2
;5*;
이때, N(a, b), P(3, 0)이므로 BHÓ 1
∴ m= = =
2
:Á5¤:
b
NPÓ Û`=(a-3)Û`+bÛ`=(12'2)Û` yy㉠

114 | 블랙라벨 수학 (상)

블랙고등수학(상)-해설.indb 114 17. 6. 14. 오후 4:09


본문 pp.76~77

29 (3k+1)x+(-k+2)y+(-2k-3)=0에서 ㄷ. kÛ`x+(kÛ`+1)y-kÛ`+1=0에서
(3x-y-2)k+(x+2y-3)=0   yy㉠ kÛ` kÛ`-1
y=- x+    yy㉠
㉠이 k에 대한 항등식이어야 하므로 kÛ`+1 kÛ`+1
kÛ` kÛ`
3x-y-2=0, x+2y-3=0 이때, ¾0이므로 - É0이고,
kÛ`+1 kÛ`+1
위의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x=1, y=1이므로 ㉠은 항
kÛ`-1
-1<k<1일 때, kÛ`-1<0이므로 <0이다.
상 점 A(1, 1)을 지난다. kÛ`+1
이때, 직선 ㉠이 삼각형 ABC의 넓이를 이등분하려면 변 ‌따라서 기울기가 양이 아 y
O
BC의 중점을 지나야 하고, 변 BC의 중점은 닌 수이고, y절편이 음수 x
-2+2 3+(-1) 인 직선 ㉠, 즉 l은 오른
{ , }, 즉 (0, 1)이므로
2 2
쪽 그림과 같으므로 직선 k@ k@-1
y=- x+
x=0, y=1을 ㉠에 대입하면 k@+1 k@+1
l은 제1사분면을 지나지
1 1
-3k-1=0   ∴ k=-  답- 않는다. (참)
3 3
그러므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답③
서울대 선배들의 강추문제 1등급 비법 노하우

이 문제는 주어진 식을 k로 묶는 것이 문제 풀이의 포인트이다. 주어


진 식을 k로 묶으면 (3x-y-2)k+(x+2y-3)=0인데 이는 주어 32 정사각형 ABCD에서 ABÓCDÓ이므로
진 직선이 k의 값에 관계없이 두 직선 3x-y-2=0, x+2y-3=0 (직선 AB의 기울기)=(직선 CD의 기울기), 즉
의 교점을 지남을 의미한다.
이를 응용하면 두 방정식 f(x, y)=0, g(x, y)=0이 나타내는 두 도 1-0 1
a= =-
형의 교점을 지나는 도형의 방정식은 kf(x, y)+g(x, y)=0으로 나 0-2 2
타낼 수 있다. 1
또한, 점 A(0, 1)과 직선 y=- x+b, 즉
2
x+2y-2b=0 사이의 거리는 ABÓ의 길이 '5와 같으므로
|2-2b|
='5에서 |2-2b|=5, 2-2b=Ñ5
30 두 점 A(-3, 0), B(1, 4)를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Ã1Û`+2Û`
4-0 3 7
y-4= (x-1), 즉 y=x+3이다. 2b=-3 또는 2b=7   ∴ b=- 또는 b=
1-(-3) 2 2
또한, (k+1)x+(k-1)y-2k=0에서 7
그런데 b>0이므로 b=
2 직선 y=-;2!;x+b의 y절편이 양수이므로
(x+y-2)k+x-y=0이므로 직선 x+y-2=0을 만드
1 7 6
는 k의 값은 존재하지 않는다. ∴ a+b=- + = =3 답3
2 2 2
따라서 y=x+3, x+y-2=0을 연립하여 풀면
다른풀이
1 5
x=- , y= 이므로 주어진 직선이 지날 수 없는 점의 1 y
2 2 a=- 이므로 직선 CD의 방
2 D
1 5
좌표는 {- , }이다. 1
2 2 정식은 y=- x+b C
2
1 5 A{0, 1}
∴ a=- , b= 오른쪽 그림과 같이 점 C에서 x
2 2
O B{2, 0} H x
1 5 5 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
∴ ab=- _ =-  답①
2 2 4 면 두 직각삼각형 AOB, BHC에서
∠ABO=∠BCH
∴ △AOBª△BHC`(RHA 합동)
31 ㄱ. kÛ`x+(kÛ`+1)y-kÛ`+1=0에 k=1을 대입하면 즉, BHÓ=AÕOÓ=1, CÕHÓ=BOÓ=2이므로 점 C의 좌표는
1 (2+1, 0+2), 즉 (3, 2)
x+2y=0   ∴ y=- x
2
1
1 직선 y=- x+b가 점 C를 지나므로
따라서 k=1일 때, 직선 l의 기울기는 - 이다.(참) 2
2
1 7
ㄴ. kÛ`x+(kÛ`+1)y-kÛ`+1=0에서 2=- _3+b   ∴ b=
2 2
(x+y-1)kÛ`+y+1=0
위의 식이 kÛ`에 대한 항등식이어야 하므로
x+y-1=0, y+1=0 33 (k-2)x+(2k+1)y+(2-k)=0에서
‌위의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x=2, y=-1이므로 직 k(x+2y-1)+(-2x+y+2)=0   yy㉠
선 l은 k의 값에 관계없이 점 (2, -1)을 지난다. ㉠이 k에 대한 항등식이어야 하므로
 (거짓) x+2y-1=0, -2x+y+2=0

Ⅲ. 도형의 방정식 | 115

블랙고등수학(상)-해설.indb 115 17. 6. 14. 오후 4:09


A n s w e r

위의 식을 연립하여 풀면 x=1, y=0이므로 직선 ㉠은 3'2


3'2 - 4 3'2
항상 점 (1, 0)을 지난다. y- = {x+ }
2 9'2 2
이때, 점 (-2, 3)과 직선 ㉠ 사이의 거리가 최대가 되려 4
면 두 점 (1, 0), (-2, 3)을 지나는 직선이 직선 ㉠과 수 1
∴ y=- x+'2
3
직이어야 하므로
점 Q는 직선 BP의 x절편이므로
k-2 3-0
- _ =-1, 2-k=2k+1
2k+1 -2-1 Q(3'2, 0)
1 1 이때, 직선 AP의 방정식은 y=x, 즉 x-y=0이므로 점
-3k=-1   ∴ k=  답
3 3
Q(3'2, 0)과 직선 AP 사이의 거리는
|3'2-0|
=3
'2
34 직선 l의 y절편이 달라져도 선분 PQ의 길이는 변하지 않
1 5 15
는다. ∴ △APQ= _ _3=  답③
2 2 4
다음 그림과 같이 세 점 R, M, S를 잡자.
y 36 해결단계

세 직선 중에서 두 직선이 이루는 각의 이등분선의 방정식을


➊ 단계
P M x-y-4=0 두 개 구한다.
R
➊단계에서 구한 두 직선의 교점을 구하여 내심의 좌표를
O x ➋ 단계
S 구한다.
x-y-2=0 Q
삼각형의 내심은 삼각형의 세 y 4x-3y-20=0

l 내각의 이등분선의 교점이고, 15


4
평행한 두 직선의 기울기가 1이므로 x축과 양의 방향으 내심에서 삼각형의 세 변에 이르
O 2 5 x
로 이루는 각의 크기가 45ù이고, 직선 l이 x축과 양의 방 는 거리는 같다.
향으로 이루는 각의 크기가 75ù이므로 두 직선 x=2, 4x-3y-20=0 20 3x+4y-15=0
-
에서 같은 거리에 있는 점의 좌 3
∠PMR‌=90ù-∠RPM x=2

=90ù-(75ù-45ù)=60ù 표를 (a, b)라 하면


한편, 두 직선 x-y-2=0, x-y-4=0 사이의 거리는 |4a-3b-20|
|a-2|=
"Ã4Û`+(-3)Û`
점 (0, -2)와 직선 x-y-4=0 사이의 거리와 같으므로
5|a-2|=|4a-3b-20|
|0+2-4| 2
SRÓ= = ='2 5(a-2)=Ñ(4a-3b-20)
"Ã1Û`+(-1)Û` '2
따라서 두 삼각형 PRM, QSM에서 ∴ a+3b+10=0 또는 3a-b-10=0
∠PMR=∠QMS=60ù이므로 이때, 두 직선 x=2, 4x-3y-20=0이 이루는 각 중에
PQÓ‌=PÕMÓ+QÕM Ó 서 크기가 작은 각의 이등분선의 기울기는 양수이므로 이
MòRÓ SÕMÓ 등분선의 방정식은
= +
cos`60ù cos`60ù 3x-y-10=0 yy㉠
1 두 직선 x=2, 3x+4y-15=0에서 같은 거리에 있는 점
= (MòRÓ+SMÓ)
cos`60ù
의 좌표를 (c, d)라 하면
SRÓ '2
= = =2'2 답 2'2 |3c+4d-15|
cos`60ù 1 |c-2|=
2 "Ã3Û`+4Û`
5|c-2|=|3c+4d-15|
5(c-2)=Ñ(3c+4d-15)
3'2 3'2
35 O(0, 0), A(2'2, 2'2), B{- , }에서 ∴ 2c-4d+5=0 또는 8c+4d-25=0
2 2
OBÓ=3, OAÓ=4, ABÓ=5 이때, 두 직선 x=2, 3x+4y-15=0이 이루는 각 중에

삼각형 OAB에서 각의 이등분선의 성질에 의하여 서 크기가 작은 각의 이등분선의 기울기는 음수이므로 이

OBÓ`:`ABÓ=OPÓ`:`PAÓ이므로 OPÓ`:`PAÓ=3`:`5 등분선의 방정식은

즉, 점 P는 OAÓ를 3`:`5로 내분하는 점이므로 8x+4y-25=0 yy㉡


13 1
3_2'2 3_2'2 3'2 3'2 ㉠, ㉡을 연립하여 풀면 x= , y=-
P{ , }   ∴ P{ , } 4 4
3+5 3+5 4 4

}2`+{ }2`=®É
13 1
5'2 5'2 따라서 삼각형의 내심의 좌표는 { , - }이다.
∴ APÓ=¾Ð{
100 10 5 4 4
= =
4 4 16 4 2
답{
13 1
한편, 직선 BP의 방정식을 구하면  ,- }
4 4

116 | 블랙라벨 수학 (상)

블랙고등수학(상)-해설.indb 116 17. 6. 14. 오후 4:09


본문 pp.77~78

Step 3 1등급을 넘어서는 종합 사고력 문제 p. 78 PQÓACÓ이므로 △APQ=△PQR


∴ △PQR‌=△APQ
1
01 9`:`2 02 8 03 3'5 04 - =△ABQ-△PBQ
2
05 최댓값`:`2'5, P(10, 0) 06 '5 07 9 08 2'7 1 1 2
= S- S= S
3 9 9
따라서 두 삼각형 ABC와 PQR의 넓이의 비는
01 해결단계 2
△ABC`:`△PQR=S`:` S=9`:`2
9
세 삼각형 APR, PBQ, RQC의 넓이를 선분의 비를 이용
➊ 단계
하여 구한다.

➋ 단계
➊단계에서 구한 넓이를 이용하여 삼각형 PQR의 넓이를 02 해결단계
구한다.
점 B가 원점, 변 BC가 x축 위에 오도록 직사각형
➌ 단계 두 삼각형 ABC와 PQR의 넓이의 비를 구한다. ➊ 단계
ABCD를 좌표평면 위에 놓는다.
➋ 단계 점 C'의 좌표와 직선 BD의 방정식을 구한다.
오른쪽 그림과 같이 선분 PC를 A
➌ 단계 점 C'과 직선 BD 사이의 거리를 구한다.
그으면 삼각형 APC에서 2
2
ARÓ:RCÓ=2:3이므로
R 좌표평면 위에 점 B를 원점으 y
4
P 3 로 하고, 변 BC가 x축 위에 오 A D
2 1
△APR= △APC
5 도록 직사각형 모양의 종이를
B C
삼각형 ABC에서 1 Q 2 놓으면 ∠C'BC=30ù이고,
APÓ:PBÓ=2:1이므로 BÕC'Ó=2이므로 C'
1
2 C'('3, 1) E
△APC= △ABC 2
3
이때, 직선 BD의 방정식은 O{=B}
30æ
Â3 C x
이때, 삼각형 ABC의 넓이는 S이므로
y=2x, 즉 2x-y=0이므로 점 C'과 직선 BD 사이의 거
2 2 4
△APR= _ △ABC= S yy㉠ 리를 d라 하면
5 3 15
|2'3-1| 2'3-1 2'1Œ5 '5
또한, △PBQ»△ABC이고, BPÓ:BAÓ=1:3이므로 d= = = -
"Ã2Û`+(-1)Û` '5 5 5
△PBQ:△ABC=1:9
2 1
1 1 따라서 a= , b= 이므로
∴ △PBQ= △ABC= S yy㉡ 5 5
9 9
2 1
선분 AQ를 그으면 삼각형 ABC에서 100ab=100_ _ =8 답8
5 5
2
BQÓ:QCÓ=1:2이므로 △AQC= △ABC이고,
3 03 해결단계
3 1 3
△RQC= △AQC이므로 이차함수 y= xÛ`+ x+k의 그래프와 직선 y=mx+n
5 k k
➊ 단계
의 교점의 x좌표를 a, b라 하고 근과 계수의 관계를 이용하
3 2 2
△RQC= _ △ABC= S yy㉢ 여 a+b, ab의 값을 구한다.
5 3 5
➋ 단계 ➊단계에서 구한 값을 이용하여 (a-b)Û`의 값을 구한다.
㉠, ㉡, ㉢에서 삼각형 PQR의 넓이는 선분 AB의 길이가 k의 값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함을 이용
➌ 단계
4 1 2 하여 m, n의 값을 각각 구한 후, 선분 AB의 길이를 구한다.
S-(㉠+㉡+㉢)‌=S-{ S+ S+ S}
15 9 5
A(a, ma+n), B(b, mb+n)이라 하면
7 2
=S- S= S ABÓ‌="Ã(a-b)Û`+(ma-mb)Û`
9 9
따라서 두 삼각형 ABC와 PQR의 넓이의 비는 ="Ã(mÛ`+1)(a-b)Û`   yy㉠
2 1 3
△ABC:△PQR=S: S=9:2 답 9:2 또한, 이차방정식 xÛ`+ x+k=mx+n, 즉
9 k k
xÛ`+(3-mk)x+kÛ`-nk=0의 서로 다른 두 실근이 a,
다른풀이
b이므로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삼각형 ABC에서 선분 AQ를 그으면
a+b=mk-3, ab=kÛ`-nk
BQÓ`:`BCÓ=1`:`2이므로 △ABQ`:`△AQC=1`:`2
∴ (a-b)Û`‌=(a+b)Û`-4ab
삼각형 ABC의 넓이가 S이므로
=(mk-3)Û`-4(kÛ`-nk)
1 2
△ABQ= S, △AQC= S =mÛ`kÛ`-6mk+9-4kÛ`+4nk
3 3
△PBQ»△ABC이고 BPÓ`:`BAÓ=1`:`3이므로 =(mÛ`-4)kÛ`+(-6m+4n)k+9
이때, 선분 AB의 길이가 k의 값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하
△PBQ`:`△ABC=1`:`9
므로 ㉠에서 (a-b)Û`의 값도 k의 값에 관계없이 항상 일
1
∴ △PBQ= S
9 정해야 한다. 즉,

Ⅲ. 도형의 방정식 | 117

블랙고등수학(상)-해설.indb 117 17. 6. 14. 오후 4:09


A n s w e r

mÛ`-4=0, -6m+4n=0
서울대 선배들의 강추문제 1등급 비법 노하우
3
mÛ`=4, n= m
2 직사각형 PQRS의 두 점 y
Q'{a, b}
Q, S에서 대각선 PR에 내
∴ m=2, n=3 또는 m=-2, n=-3
린 수선의 발 T, U까지의
따라서 (a-b)Û`=9이므로 ㉠에서 선분 AB의 길이는 거리가 같음을 알면 사각 P{0, 2} S{4, 2}

ABÓ="Ã(4+1)_9=3'5 형 Q'TUS가 직사각형이 T


답 3'5
되어 QÕ'SÓPRÓ임을 쉽게 U
알 수 있다. O{=Q} R{4, 0} x

∴ (직선 Q'S의 기울기)=(직선 PR의 기울기)=- 2 =- 1


04 해결단계 4 2

주어진 그림을 좌표평면 위에 놓고 각 점의 좌표를 구한 후,


➊ 단계
직선 PR의 방정식을 구한다.
대각선 PR가 선분 QQ'을 수직이등분함을 이용하여 점 Q'
➋ 단계
의 좌표를 구한다.
➌ 단계 직선 Q'S의 기울기를 구한다. 05 해결단계

➊ 단계 APÓ-BPÓ가 최대가 되는 x축 위의 점 P의 조건을 찾는다.


오른쪽 그림과 같이 직사각형 y
Q' ➋ 단계 APÓ-BPÓ의 최댓값을 구한다.
PQRS를 점 Q를 원점으로 하 P
➌ 단계 APÓ-BPÓ를 최대로 하는 점 P의 좌표를 구한다.
2 S
고, 두 직선 QR, QP가 각각 x
y
축, y축 위에 오도록 좌표평면
R
A
위에 놓으면 O{=Q} 4 x

P(0, 2), R(4, 0), S(4, 2)이므로 직선 PR의 방정식은 B

0-2 1
y-2= (x-0)   ∴ y=- x+2 O P P' x
4-0 2
1
이때, 직선 y=- x+2가 선분 QQ'을 수직이등분하므 위의 그림과 같이 직선 AB와 x축의 교점을 P', x축 위
2
로 점 Q'의 좌표를 (a, b)라 하면 의 임의의 점을 P라 하면
Ú 직선 QQ'의 기울기는 2이므로 APÓÉABÓ+BPÓ에서
b APÓ-BPÓ‌ÉABÓ
=2   ∴ b=2a yy㉠
a =AÕP'Ó-BÕP'Ó
1
Û ‌선분 QQ'의 중점 { , }가 직선 y=- x+2 위에
a b 즉, APÓ-BPÓ의 값이 최대일 때의 점 P는 직선 AB와 x
2 2 2
축의 교점이다.
있으므로
따라서 APÓ-BPÓ의 최댓값은 선분 AB의 길이이므로
b 1 a

2
=- _ +2   ∴ a+2b=8
2 2
yy㉡ "Ã(0-4)Û`+(5-3)Û`=2'5
8 16 한편, 두 점 A(0, 5), B(4, 3)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 ㉡을 연립하여 풀면 a= , b= 이므로 점 Q'의 좌
5 5 3-5 1
y-5= (x-0)   ∴ y=- x+5
8 16 4-0 2
표는 { , }이다.
5 5 점 P는 직선 AB와 x축의 교점이므로 점 P의 x좌표는
따라서 직선 Q'S의 기울기는 1 1
0=- x+5에서 x=5   ∴ x=10
16 6 2 2
2- -
5 5 1 1 ∴ P(10, 0) 답 최댓값`:`2'5, P(10, 0)
= =-  답-
8 12 2 2
4-
5 5
다른풀이

직선 QQ'의 기울기가 2이므로 Q'(a, 2a)라 하자. 06 해결단계

이때, 점 Q'에서 직선 QR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➊ 단계


직선 BC의 방정식이 y=2x+1임을 이용하여 두 점 B, C
의 y좌표를 나타낸다.
직각삼각형 Q'QH에서 QHÓ=a, QÕ'HÓ=2a이므로 피타고
4
삼각형 ABC의 무게중심 G의 좌표가 {1, }임을 이용하
라스 정리에 의하여 QÕQ'Ó="ÃaÛ`+(2a)Û`='5a이고, ➋ 단계 3

PRÓ="Ã2Û`+4Û`=2'5
여 점 A의 x좌표, y좌표 사이의 관계식을 구한다.
점 A를 포함하는 직선의 방정식을 구한 후, 두 직선 사이의
➌ 단계
1 1 QÕQ'Ó 거리를 이용하여 선분 AH의 길이를 구한다.
즉, △PQR= _2_4= _ _PRÓ에서
2 2 2
1 '5a
직선 BC의 방정식이 y=2x+1이므로 A(xÁ, yÁ),
5
4= _ _2'5이므로 a=4
2 2 2 B(xª, 2xª+1), C(x£, 2x£+1)이라 하자.
8 16 4
∴ a= , b=2a= 삼각형 ABC의 무게중심 G의 좌표가 {1, }이므로
5 5 3

118 | 블랙라벨 수학 (상)

블랙고등수학(상)-해설.indb 118 17. 6. 14. 오후 4:09


본문 pp.78~79

xÁ+xª+x£
3
=1에서 xÁ+xª+x£=3 yy㉠ 08 해결단계

정삼각형 ABC의 한 변의 길이를 2a라 하고 정삼각형


yÁ+2xª+1+2x£+1 4 ➊ 단계
= 에서 ABC를 좌표평면 위에 놓은 후, 각 점의 좌표를 구한다.
3 3 P(x, y)로 놓고, 점 P에서 정삼각형 ABC의 각 꼭짓점까
➋ 단계
yÁ 지의 거리를 이용하여 방정식을 세운다.
yÁ+2xª+2x£+2=4   ∴ xª+x£=1-  yy㉡
2 ➋단계에서 세운 방정식을 연립하여 조건에 맞는 a의 값을
➌ 단계
구한다.
㉡을 ㉠에 대입하면
yÁ yÁ 정삼각형의 한 변의 길이를 y
xÁ+1- =3, =xÁ-2   ∴ yÁ=2xÁ-4
2 2 2a라 하고, 오른쪽 그림과 A
Â3a
즉, 점 A는 직선 y=2x-4 위의 점이다. 같이 점 B가 원점, 변 BC
이때, 두 직선 y=2x-4, y=2x+1은 서로 평행하므로 가 x축 위에 오도록 삼각형
P{x, y}
두 직선 사이의 거리는 선분 AH의 길이와 같다. ABC를 좌표평면 위에 놓
따라서 선분 AH의 길이는 직선 y=2x-4 위의 한 점 C
으면 O{=B} a 2a x
(0, -4)와 직선 y=2x+1, 즉 2x-y+1=0 사이의 거 A(a, '3a), C(2a, 0)
리와 같으므로 점 P의 좌표를 P(x, y) (x>0, y>0)라 하면
|4+1| 5
AHÓ= = ='5 답 '5 PAÓ=4, PBÓ=2, PCÓ=2'3이므로
"Ã2Û`+(-1)Û` '5
(x-a)Û`+(y-'3a)Û`=16 yy㉠
xÛ`+yÛ`=4 yy㉡
(x-2a)Û`+yÛ`=12 yy㉢
㉡-㉠을 하면
07 해결단계
2ax-aÛ`+2'3ay-3aÛ`=-12
정사각형 ABCD에서 A(a, aÛ`), B(b, bÛ`)이라 하고, 두 점
➊ 단계
C, D의 좌표를 설정한 후, a와 b 사이의 관계식을 구한다. 2ax+2'3ay-4aÛ`=-12
ABCD는 정사각형이므로 BDÓ=2BÕM임Ó 을 파악하여 a ax+'3ay=2aÛ`-6 yy㉣
➋ 단계 와 b 사이의 관계식을 구한 후, b의 값을 이용하여 정사각
형 ABCD의 대각선의 길이를 구한다.
㉡-㉢을 하면
➌ 단계 a, b의 값을 각각 구한 후, a+b의 값을 구한다. 4ax-4aÛ`=-8, 4ax=4aÛ`-8

정사각형 ABCD에서 이차함수 y 2


y=x ∴ x=a-
y=x@
a
y=xÛ`의 그래프 위의 두 점 A,
이것을 ㉣에 대입하면
C
B의 좌표를 각각 A(a, aÛ`), å M
∫@ D aÛ`-2+'3ay=2aÛ`-6, '3ay=aÛ`-4
B(b, bÛ`)이라 하면 일차함수 B
1 4
{a- }
å@ A ∴ y=
y=x의 그래프 위의 두 점 C, '3 a
O x
D의 좌표는 각각 C(a, a), ∫@ å ∫ 2 1 4
x=a- , y= {a- }를 ㉡에 대입하면
a '3 a

{a- }2`+ {a- }2`=4


D(bÛ`, bÛ`)이다.
2 1 4
이때, 두 직선 AB와 CD의 기울기가 같으므로
a 3 a
bÛ`-aÛ` (b+a)(b-a)
=1, =1 1 8 7
b-a b-a aÛ`- + =0
3 3 3aÛ`
a+b이므로 a+b=1 yy㉠
위의 식의 양변에 3aÛ`을 곱하면
정사각형 ABCD의 두 대각선 BD와 AC의 교점을 M이
aÝ`-8aÛ`+7=0, (aÛ`-7)(aÛ`-1)=0
라 하면 점 M의 좌표는 (a, bÛ`)이고, BDÓ=2BÕM이
Ó 므로
aÛ`=1 또는 aÛ`=7
b-bÛ`=2(b-a)
∴ a=1 또는 a='7 (∵ a>0)
∴ bÛ`+b-2a=0 yy㉡
2
그런데 a=1이면 x=a- =-1이므로 모순이다.
㉠에서 a=1-b이므로 이것을 ㉡에 대입하면 a
bÛ`+b-2(1-b)=0, bÛ`+3b-2=0 따라서 a='7이므로 정삼각형 ABC의 한 변의 길이는
-3+'1Œ7 2a=2'7 답 2'7
∴ b= `(∵ b>0)
2
따라서 대각선의 길이는
BDÓ‌=b-bÛ`=b(1-b)
-3+'1Œ7 5-'1Œ7
= _ =2'1Œ7-8
2 2 이것이 수능 p. 79
이므로 a=17, b=-8
1 ⑤ 2 ⑤ 3 ④ 4①
∴ a+b‌=17+(-8)=9 답9

Ⅲ. 도형의 방정식 | 119

블랙고등수학(상)-해설.indb 119 17. 6. 14. 오후 4:09


A n s w e r

1 해결단계 1 15
즉, m=- , n= 이므로
2 2
일곱 개의 점 O, A, B, C, D, E, F의 좌표를 구한 후, 두
➊ 단계
점 O', F'의 좌표를 미지수를 이용하여 나타낸다. 1 15
m+n=- + =7 답⑤
선분 PQ를 접는 선으로 하여 종이를 접었더니 두 점 O, F 2 2
➋ 단계
가 각각 두 점 O', F'으로 옮겨졌음을 이용하여 식을 세운다. 다른풀이
➋단계에서 세운 식을 연립하여 미지수의 값을 각각 구한
➌ 단계 다섯 개의 점 O, A, B, C, F는 각각
후, 두 점 O', F'의 좌표를 구한다.
직선 PQ는 두 점 O, O'의 중점과 두 점 F, F'의 중점을 지 O(0, 0), A(12, 0), B(12, 12), C(0, 12), F(5, 0)
➍ 단계 나는 직선과 같음을 이용하여 직선 PQ의 방정식을 구한
후, m+n의 값을 구한다. 점 F'에서 선분 BC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직각
삼각형 O'HF'에서
다섯 개의 점 O, A, B, C, F는 각각
12
O(0, 0), A(12, 0), B(12, 12), C(0, 12), F(5, 0) OÕ'F'Ó=OFÓ=5, HÕF'Ó=CDÓ= =4이므로 피타고라스
2+1
두 점 D, E는 각각 두 선분 OC, AB를 2`:`1로 내분하므로 정리에 의하여
D{
2_0+1_0 2_12+1_0
, }, 즉 D(0, 8) OÕ'HÓ‌=¿¹OÕ'F'Ó Û`-HÕF'Ó Û`
2+1 2+1
="Ã5Û`-4Û`=3
2_12+1_12 2_12+1_0
E{ , }, 즉 E(12, 8) 따라서 선분 BC 위의 점 O'의 좌표를 (a, 12) (0<a<12)
2+1 2+1
이때, 선분 BC 위의 점 O'의 좌 y 라 하면 점 F'의 좌표를 (a+3, 8)이라 할 수 있다.
표를 (a, 12) (0<a<12), 선 C O' B 선분 OO'의 중점을 M이라 하면 y
D
분 DE 위의 점 F'의 좌표를 0+a 0+12 O' 3 H
}
F' C B
E M{ ,
P 2 2 D 4
(b, 8) (0<b<12)이라 할 수 있 5
E
Q a P
다. x ∴ M{ , 6} F'
2 M
O 5 F A N Q
두 점 O, O'과 두 점 F, F'은 직 선분 FF'의 중점을 N이라 하면 x
O 5 F A
선 PQ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5+a+3 0+8
N{ , }
OÕO'Ó⊥PQÓ, FÕF'Ó⊥PQÓ 2 2
∴ OÕO'ÓFÕF'Ó ∴ N{
a+8
, 4}
2
즉, 두 직선 OO', FF'의 기울기가 같으므로
두 점 M, N은 직선 PQ 위에 있으므로 직선 PQ의 기울기는
12-0 8-0
= , 8a=12(b-5) 4-6 -2 1
a-0 b-5 = =-
a+8 a 4 2
3 15 -
∴ a= b- yy㉠ 2 2
2 2
이때, 두 점 O, O'은 직선 PQ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직선
또한, OÕ'F'Ó=OFÓ=5이므로
OO'의 기울기는 2이다.
"Ã(b-a)Û`+(8-12)Û`=5
12-0
위의 식의 양변을 제곱하면 즉, =2이므로 a=6
a-0
(b-a)Û`+16=25   ∴ (b-a)Û`=9 yy㉡ ∴ M(3, 6)
㉠을 ㉡에 대입하여 정리하면

{- + }2`=9, (b-15)Û`=36
직선 PQ의 방정식은
b 15 1
2 2 y-6=- (x-3)
2
b-15=-6 또는 b-15=6 1 15
∴ y=- x+
∴ b=9 또는 b=21 2 2
그런데 0<b<12이므로 b=9 1 15
즉, m=- , n= 이므로
2 2
이것을 ㉠에 대입하면
1 15
3 15 12 m+n=- + =7
a= _9- = =6 2 2
2 2 2
∴ O'(6, 12), F'(9, 8)
0+6 0+12
2 해결단계
직선 PQ는 선분 OO'의 중점 { , }, 즉 ㄱ은 두 점 A, P를 이용하여 직선 AP에 수직인 직선 l의 방
2 2 ➊ 단계
정식을 구한 후, t=1을 대입하여 직선 l의 기울기를 구한다.
5+9 0+8
(3, 6)과 선분 FF'의 중점 { , }, 즉 (7, 4)를 ㄴ은 직선 l의 방정식에 x=3, y=2를 대입하여 t의 값을
2 2 ➋ 단계
찾은 후, 점 (3, 2)를 지나는 직선 l을 모두 구한다.
지나는 직선이므로 직선 PQ의 방정식은 ㄷ은 직선 l의 방정식을 부등식 yÉaxÛ`에 대입한 후, 이차방
➌ 단계
6-4 정식이 항상 성립할 조건을 이용하여 a의 최솟값을 구한다.
y-6= (x-3)
3-7
두 점 A(0, 1), P(t, 0) (t+0)에 대하여 직선 AP의
1 15
∴ y=- x+ 기울기는
2 2
120 | 블랙라벨 수학 (상)

블랙고등수학(상)-해설.indb 120 17. 6. 14. 오후 4:09


본문 p.79

0-1
t-0
=-
1
t
4 해결단계

1
기울기를 이용하여 두 직선 y=2x, y=- x가 이루는 각
이므로 직선 AP에 수직인 직선 l의 기울기는 t이다. ➊ 단계 2
의 크기가 90ù임을 알아낸다.
이때, 직선 l은 점 P를 지나므로 직선 l의 방정식은
1
y=t(x-t)   yy㉠ 두 직선 y=2x, y=- x가 이루는 각을 이등분하는 직선
2
➋ 단계
ㄱ. t=1일 때, 직선 l의 기울기는 1이다. (참) 은 직선 y=mx+5와 평행하거나 수직임을 이용하여 m의
값을 구한다.
ㄴ. x=3, y=2를 ㉠에 대입하면
2=t(3-t), tÛ`-3t+2=0 1
두 직선 y=2x, y=- x의 기울기의 곱이 -1이므로
2
(t-1)(t-2)=0   ∴ t=1 또는 t=2
두 직선은 서로 수직이다.
즉, y=x-1 또는 y=2x-4
1
따라서 점 (3, 2)를 지나는 직선 l의 개수는 2이다. (참) 즉, 직선 y=mx+5가 두 직선 y=- x, y=2x와 만
2
ㄷ. ㉠을 yÉaxÛ`에 대입하면 나는 점을 각각 A, B라 하면 △AOB는 ∠AOB=90ù인
t(x-t)ÉaxÛ`, axÛ`-tx+tÛ`¾0 직각이등변삼각형이다.
‌f(x)=axÛ`-tx+tÛ`이라 할 때, y=f{x} l y
B y=mx+5
부등식 f(x)¾0이 모든 실수 x 5

에 대하여 성립하려면 이차함수 A

y=f(x)의 그래프가 오른쪽 그


x O x
림과 같아야 한다. 1
y=2x y=- x
a>0이고, 이차방정식 f(x)=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2

D=tÛ`-4atÛ`É0에서 tÛ`(1-4a)É0 위의 그림과 같이 원점을 지나고 ∠AOB를 이등분하는


t+0에서 tÛ`>0이므로 1-4aÉ0 직선을 l이라 하면 직선 l은 직선 y=mx+5와 수직이
1 고, 직선 l 위의 점 (x, y)에서 두 직선 y=2x, 즉
4a¾1   ∴ a¾
4 1
2x-y=0과 y=- x, 즉 x+2y=0까지의 거리는 같다.
1 2
따라서 실수 a의 최솟값은 이다. (참)
4 |2x-y| |x+2y|
= 에서
그러므로 ㄱ, ㄴ, ㄷ 모두 옳다. 답⑤ "Ã2Û`+(-1)Û` "Ã1Û`+2Û`
|2x-y|=|x+2y|
2x-y=Ñ(x+2y)
1
∴ y= x 또는 y=-3x
3 해결단계 3
직사각형 OABC를 좌표평면 위에 놓고 각 점의 좌표를 구 그런데 m>0에서 직선 l의 기울기가 음수이므로
➊ 단계
한다.
y=-3x
선분 OB를 1`:`2로 내분하는 점 D와 선분 OD를 2`:`3으로
➋ 단계
외분하는 점의 좌표를 각각 구한다. 1
∴ m=  답①
직선 CD의 방정식을 구한 후, ➋단계에서 구한 외분점과
3
➌ 단계
직선 CD 사이의 거리를 구한다. 다른풀이

좌표평면 위에 점 O가 원점, 두 변 OA, OC가 각각 x축, y


B y=mx+5
y축 위에 오도록 정사각형 OABC를 놓으면 5

A(6, 0), B(6, 3), C(0, 3) A

선분 OB를 1`:`2로 내분하는 점 D의 좌표는


1_6+2_0 1_3+2_0 A' O B' x
{ , }, 즉 (2, 1) 1
1+2 1+2 y=2x y=- x
2
선분 OD를 2`:`3으로 외분하는 점을 E라 하면 두 점 A, B에서 x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각 A', B'이
2_2-3_0 2_1-3_0
E{ , }, 즉 E(-4, -2) 라 하면
2-3 2-3
OAÓ=OBÓ, ∠AA'O, ∠OB'B=90ù,
직선 CD의 방정식은
∠OAA'=∠BOB'
-2
y-3= (x-0)   ∴ x+y-3=0 이므로 △AA'Oª△OB'B (RHA 합동)
2
따라서 점 E(-4, -2)와 직선 x+y-3=0 사이의 거 a>0에 대하여 점 B(a, 2a)라 하면 A(-2a, a)이므로
리는 2a-a 1
m= =
a-(-2a) 3
|-4-2-3| 9 9
= = '2 답④
"Ã1Û`+1Û` '2 2

Ⅲ. 도형의 방정식 | 121

블랙고등수학(상)-해설.indb 121 17. 6. 14. 오후 4:09


A n s w e r

점 (-2, 3)은 이 원 위의 점이므로


09 원의 방정식
(-2+r)Û`+(3-r)Û`=rÛ`, rÛ`-10r+13=0
∴ r=5Ñ2'3
Step 1 출제율 100% 우수 기출 대표 문제 pp. 81~82
따라서 두 원의 중심의 좌표는 각각
01 ③ 02 ⑤ 03 ③ 04 21 05 ③ (-5-2'3, 5+2'3), (-5+2'3, 5-2'3)이므로
06 ④ 07 -4 08 ④ 09 ③ 10 ③
두 원의 중심 사이의 거리는
11 M=4, m=2'2 13 8
"Ã(4'3)Û`+(-4'3)Û`=4'6
12 ③ 14 ⑤
답③
15 31 16 ③
다른풀이

rÛ`-10r+13=0이므로 이 이차방정식의 두 근을 rÁ, rª


01 주어진 원의 방정식을 표준형으로 바꾸면
라 하면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x+2a)Û`+(y-a)Û`=5aÛ`-10a+15이므로 중심의 좌
rÁ+rª=10, rÁrª=13
표는 (-2a, a)이고, 반지름의 길이는 "Ã5aÛ`-10a+15
또한, 구하는 두 원의 중심의 좌표는 (-rÁ, rÁ),
이다.
(-rª, rª)이므로 두 원의 중심 사이의 거리는
이때, 5aÛ`-10a+15=5(a-1)Û`+10이므로 a=1일 때
"Ã(-rª+rÁ)Û`+(rª-rÁ)Û`‌="Ã2(rª-rÁ)Û`
반지름의 길이는 최소, 즉 원의 넓이가 최소가 된다.
="Ã2{(rÁ+rª)Û`-4rÁrª}
따라서 주어진 원의 넓이가 최소일 때의 원의 중심의 좌
='9Œ6=4'6
표는 (-2a, a)에 a=1을 대입한 (-2, 1)이다. 답 ③

04 원 (x-3)Û`+(y-4)Û`=4 위의 점을 P(x, y)라 하면


02 xÛ`+yÛ`-4x+6y+9=0에서 "ÃxÛ`+yÛ`의 값은 점 P와 원점 사이의 거리와 같다.
(xÛ`-4x+4)+(yÛ`+6y+9)=4 오른쪽 그림과 같이 y
{x-3}@+{y-4}@=4
∴ (x-2)Û`+(y+3)Û`=4 점 P가 점 A의 위치에 있을 때 A
이 원 위의 점 Q의 좌표를 (xÁ, yÁ)이라 하면 OÕP가
Õ 최댓값 M을 갖고, 2
4
(xÁ-2)Û`+(yÁ+3)Û`=4   yy㉠ 점 P가 점 B의 위치에 있을 때
B
점 P는 선분 AQ를 2`:`1로 내분하는 점이므로 OÕP가
Õ 최솟값 m을 가지므로
P{
2_xÁ+1_(-2) 2_yÁ+1_1
, } M‌=OAÓ="Ã3Û`+4Û`+2 O 3 x
2+1 2+1
=5+2=7
2xÁ-2 2yÁ+1
∴ P{ , } m‌=OBÓ="Ã3Û`+4Û`-2
3 3
2xÁ-2 2yÁ+1 =5-2=3
이때, =x, =y로 놓으면
3 3 ∴ Mm=7_3=21 답 21
3x+2 3y-1
xÁ= , yÁ=
2 2
이것을 ㉠에 대입하면 05 두 점 A(3, 0), B(0, 3)에 대하여

-2}2`+{ +3}2`=4
3x+2 3y-1 ABÓ="Ã3Û`+3Û`='1Œ8=3'2
{
2 2 APÓ:BPÓ=1:2를 만족시키는 점 P의 좌표를 (x, y)라

}2`+{ }2`=4
3x-2 3y+5
{ 하면
2 2
"Ã(x-3)Û`+yÛ`:"ÃxÛ`+(y-3)Û`=1:2
∴ {x- }2`+{y+ }2`={ }2`
2 5 4
3 3 3 "ÃxÛ`+(y-3)Û`=2"Ã(x-3)Û`+yÛ`
위의 식의 양변을 제곱하면 y
2 5
즉, 점 P가 나타내는 도형은 중심의 좌표가 { , - }이 B
3 3 xÛ`+(y-3)Û`=4{(x-3)Û`+yÛ`} 3 {x-4}@+{y+1}@=8
4 xÛ`+yÛ`-8x+2y+9=0
고, 반지름의 길이가 인 원이다. A
3
∴ (x-4)Û`+(y+1)Û`=8 O 3 {4, -1} x
따라서 구하는 도형의 길이는 이 원의 둘레의 길이이므로
즉, 오른쪽 그림과 같이 점 P가 2Â2
4 8
2p_ = p 답⑤ 나타내는 도형은 중심의 좌표가
3 3 P{x, y}
(4, -1), 반지름의 길이가 2'2인 원이다.
점 P가 직선 AB로부터 원의 반지름의 길이만큼 떨어져
03 점 (-2, 3)을 지나면서 x축, y축에 동시에 접하는 원의
있을 때, 삼각형 PAB의 넓이가 최대가 되므로 구하는
중심은 제 2 사분면에 있으므로 반지름의 길이를 r`(r>0)
삼각형 PAB의 넓이의 최댓값은
라 하면 중심의 좌표는 (-r, r)이다. 즉, 원의 방정식은
1
(x+r)Û`+(y-r)Û`=rÛ` _3'2_2'2=6 답③
2

122 | 블랙라벨 수학 (상)

블랙고등수학(상)-해설.indb 122 17. 6. 14. 오후 4:09


본문 pp.81~82

다른풀이 08 두 원 xÛ`+yÛ`-4=0, xÛ`+yÛ`-8x-16y+12=0의 교점


APÓ:BPÓ=1:2를 만족시키는 점 P가 나타내는 도형은 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선분 AB를 1:2로 내분하는 점과 외분하는 점을 지름의 xÛ`+yÛ`-4-(xÛ`+yÛ`-8x-16y+12)=0
양 끝점으로 하는 원이다. 이때, 내분하는 점의 좌표는 ∴ x+2y-2=0   yy㉠
1_0+2_3 1_3+2_0 원 xÛ`+yÛ`=4의 중심 O(0, 0)에서 직선 ㉠에 내린 수선
{ , }, 즉 (2, 1)
1+2 1+2 의 발을 H라 하면
이고, 외분하는 점의 좌표는 |-2| 2 2'5
OHÓ= = =
{
1_0-2_3 1_3-2_0
, }, 즉 (6, -3) "Ã1Û`+2Û` '5 5 원 xÛ`+yÛ`=4의 반지름의 길이
1-2 1-2 이때, 두 원의 두 교점을 각각 A, B라 하면 OAÓ=OBÓ=2
이므로 원의 중심의 좌표는 이므로 삼각형 AOH에서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하여

}2`=
2+6 1+(-3)
{ , }, 즉 (4, -1) AHÓ=¾Ð2Û`-{
2'5 4'5
2 2 5 5
이고,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Ã(4-2)Û`+(-1-1)Û`=2'2 4'5 8'5
∴ ABÓ=2AHÓ=2_ =
따라서 점 P가 나타내는 도형은 중심의 좌표가 (4, -1), 5 5
반지름의 길이가 2'2인 원이다. 8'5
따라서 구하는 두 교점 사이의 거리는 이다. 답④
5
blacklabel 특강 필수 개념

아폴로니우스의 원 09 중심의 좌표가 (2, 0)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2인 원의 방


좌표평면 위의 두 점 A, B에 대하여 정식은 (x-2)Û`+yÛ`=4
   APÓ:BPÓ=m:n (m>0, n>0, m+n)
을 만족시키는 점 P가 나타내는 도형은 선분 AB를 m:n으로 내분 이 원과 직선 y=mx+1이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나려
하는 점과 외분하는 점을 지름의 양 끝점으로 하는 원이다. 면 x에 대한 이차방정식 (x-2)Û`+(mx+1)Û`=4, 즉
(1+mÛ`)xÛ`+2(m-2)x+1=0이 서로 다른 두 근을 가
져야 하므로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06 두 원 xÛ`+yÛ`+4x-8y+9=0, xÛ`+yÛ`-6x+2y-6=0 D
=(m-2)Û`-(1+mÛ`)>0에서
의 교점을 지나는 원의 방정식은 4
xÛ`+yÛ`+4x-8y+9+k(xÛ`+yÛ`-6x+2y-6)=0 3
-4m+3>0   ∴ m<
4
 (단, k+-1)
3
 yy㉠ ∴ a=  답③
4
원 ㉠이 점 (-1, 0)을 지나므로 다른풀이
1+0-4-0+9+k(1+0+6+0-6)=0
원 (x-2)Û`+yÛ`=4와 직선 y=mx+1이 서로 다른 두
6+k=0   ∴ k=-6
점에서 만나려면 원의 중심 (2, 0)과 직선 y=mx+1,
이것을 ㉠에 대입하면
즉 mx-y+1=0 사이의 거리가 원의 반지름의 길이인
xÛ`+yÛ`+4x-8y+9-6(xÛ`+yÛ`-6x+2y-6)=0
2보다 작아야 하므로
xÛ`+yÛ`-8x+4y-9=0
|2m+1|
<2에서 |2m+1|<2"ÃmÛ`+1
∴ (x-4)Û`+(y+2)Û`=29 "ÃmÛ`+(-1)Û`
따라서 구하는 원의 넓이는 위의 식의 양변을 제곱하면
p_('2Œ9)Û`=29p 답④ 4mÛ`+4m+1<4mÛ`+4
3
4m<3   ∴ m<
4
07 두 원 xÛ`+yÛ`-4=0, xÛ`+yÛ`-4x+ay=0의 교점을 지
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xÛ`+yÛ`-4-(xÛ`+yÛ`-4x+ay)=0 10 SÁ=Sª이므로 원 y
{x-2}@+{y-4}@=9

(x-2)Û`+(y-4)Û`=9의 중심 y=kx
∴ 4x-ay-4=0
(2, 4)와 y축 사이의 거리는 중 S¡
2 {2, 4}
4x-ay-4=0에서 ay=4x-4 2
심 (2, 4)와 직선 y=kx 사이
이때, a=0이면 4x-4=0에서 x=1이므로
의 거리와 서로 같아야 한다. S™
직선 y=x+3과 수직이 아니다. 즉, a+0이므로
즉, 점 (2, 4)와 직선 O x
4 4
y= x- kx-y=0 사이의 거리는 2가 되어야 하므로
a a
이 직선이 직선 y=x+3과 수직이므로 |2k-4|
=2에서 |2k-4|=2"ÃkÛ`+1
4 "ÃkÛ`+(-1)Û`
=-1   ∴ a=-4 답 -4 위의 식의 양변을 제곱하면
a

Ⅲ. 도형의 방정식 | 123

블랙고등수학(상)-해설.indb 123 17. 6. 14. 오후 4:09


A n s w e r

4kÛ`-16k+16=4kÛ`+4 14 점 (a, 1)이 원 xÛ`+yÛ`=9 위의 점이므로


3 aÛ`+1=9, aÛ`=8
16k=12   ∴ k=  답③
4
∴ a=2'2 (∵ a>0)
이때, 원 xÛ`+yÛ`=9 위의 점 (2'2, 1)에서의 접선의 방정
11 직선 ax+y-a+1=0, 즉 y=-a(x-1)-1은 기울기
식은 2'2x+y=9이므로 이 식에 y=0을 대입하면
인 a의 값에 관계없이 항상 점 (1, -1)을 지난다.
9 9'2
따라서 오른쪽 그림과 같이 y 2'2x=9   ∴ x= =
Ú 2'2 4
선분 AB의 길이의 최댓값 2 x@+y@=4 9'2
Û
따라서 구하는 x절편은 이다. 답⑤
은 원의 지름의 길이와 같 4
Ú 1
고, 최솟값은 두 점 (2, 0), -2 O 2 x
-1
(0, -2) 사이의 거리와 같다.
∴ ‌M=4,
Û
-2
y=-a{x-1}-1
15 접점을 Q(xÁ, yÁ)이라 하면 점 y

Q는 원 xÛ`+yÛ`=9 위의 점이므
m="Ã(2-0)Û`+{0-(-2)}Û`=2'2 3 P
로 xÁÛ`+yÁÛ`=9 yy㉠
 답 M=4, m=2'2 3
다른풀이
또한, 점 Q에서의 접선의 방정 -3 O 4 x
Q{x¡, y¡}
식은
C(-1, 1)이라 하면 ABÓ의 길이가 y -3
xÁx+yÁy=9 yy㉡
최소가 되는 경우는 2
2
이때, 접선 ㉡이 점 P(4, 3)을 지나므로
OCÓ⊥ABÓ일 때이다.
4xÁ+3yÁ=9 yy㉢
OAÓ‌=(원의 반지름의 길이)=2, -2 O A x
4
OCÓ="Ã(-1)Û`+1Û`='2 -2 B
C ㉢에서 yÁ=- xÁ+3이므로 이것을 ㉠에 대입하면
3

xÁÛ`+{- xÁ+3}2`=9
이므로 △OAC에서 4
ACÓ="Ã2Û`-('2)Û`='2 3
따라서 ABÓ=2ACÓ=2'2이므로 m=2'2 25xÁÛ`-72xÁ=0, xÁ(25xÁ-72)=0
72
∴ xÁ=0 또는 xÁ=
25
12 주어진 원의 방정식을 표준형으로 바꾸면
이것을 각각 ㉢에 대입하면
(x-4)Û`+(y-3)Û`=4
즉, 점 P(x, y)는 중심의 좌표가 (4, 3)이고, 반지름의 72 21
xÁ=0일 때 yÁ=3, xÁ= 일 때 yÁ=-
25 25
길이가 2인 원 위의 점이다.
이것을 각각 ㉡에 대입하면 접선의 방정식은
이때, 원의 중심 (4, 3)과 직선 3x-4y+5=0 사이의 거
y=3 또는 24x-7y=75
|3_4-4_3+5| y 3x-4y+5=0
리는 =1 24
"Ã3Û`+(-4)Û` 따라서 기울기가 양수인 접선의 기울기는
7
이므로
이므로 오른쪽 그림과 같이
1 p=7, q=24
점 P와 직선 3
5 2 ∴ p+q=7+24=31 답 31
3x-4y+5=0 사이의 거리 5 4
- P
3 다른풀이
의 최댓값은 O 4 x
{x-4}@+{y-3}@=4 기울기가 m이고 원 xÛ`+yÛ`=9에 접하는 직선의 방정식은
1+2=3 답③
y=mxÑ3"ÃmÛ`+1
이 직선이 점 P(4, 3)을 지나므로
13 두 점 (-1, 7), (3, 3)을 지나는 직선의 기울기는
3-7 3=4mÑ3"ÃmÛ`+1, 3-4m=Ñ3"ÃmÛ`+1
=-1이므로 직선 AB의 기울기는 -1이고,
3-(-1) 위의 식의 양변을 제곱하면
원 xÛ`+yÛ`=8에 접하므로 접선의 방정식은 16mÛ`-24m+9=9mÛ`+9
y=-xÑ2'2_"Ã(-1)Û`+1 7mÛ`-24m=0, m(7m-24)=0
∴ y=-xÑ4 24
∴ m= (∵ m>0)
이때, 직선이 제1사분면에서 원에 접하므로 구하는 직선은 7

y=-x+4 y
따라서 p=7, q=24이므로

따라서 오른쪽 그림과 같이 B


p+q=7+24=31
4 y=-x+4
A(4, 0), B(0, 4)이므로
삼각형 OAB의 넓이는
1 O 4
A
x 16 다음 그림과 같이 직선 y=mx+n이 x축과 만나는 점을
_4_4=8 답8 A, 원 xÛ`+yÛ`=4와의 접점을 B라 하고,
2

124 | 블랙라벨 수학 (상)

블랙고등수학(상)-해설.indb 124 17. 6. 14. 오후 4:09


본문 pp.82~83

원 (x+3)Û`+yÛ`=1의 중심을 C, 직선 y=mx+n과의 02 PAÓ Û`+PBÓ Û`=4에서


접점을 D라 하자. xÛ`+yÛ`+xÛ`+(y-2)Û`=4
y y=mx+n 2xÛ`+2yÛ`-4y=0, xÛ`+yÛ`-2y=0
B ∴ xÛ`+(y-1)Û`=1   yy㉠
D 2
A C -2 2 즉, 점 P는 원 xÛ`+(y-1)Û`=1 위의 점이므로 y의 값의
-3 O x
범위는 0ÉyÉ2이다.
{x+3}@+y@=1
-2 x@+y@=4 ∴ y-xÛ`‌=y-{1-(y-1)Û`} (∵ ㉠)
△AOB에서 OBÓCDÓ, OBÓ=2CDÓ이므로 =yÛ`-y

={y- }2`- (0ÉyÉ2)


CAÓ=OCÓ=3 1 1
2 4
∴ A(-6, 0)
y-xÛ`은 y=2일 때, 최댓값 2를 갖고
즉, 직선 y=mx+n은 점 (-6, 0)을 지나므로
1 1
-6m+n=0에서 n=6m y= 일 때, 최솟값 -  을 갖는다.
2 4
한편, 직선 y=mx+n, 즉 mx-y+6m=0과 원점 사 따라서 y-xÛ`의 최댓값과 최솟값의 합은
이의 거리가 원 xÛ`+yÛ`=4의 반지름의 길이인 2이므로 1 7
2+{- }=  답④
|6m| 4 4
=2에서 |6m|=2"ÃmÛ`+1
"ÃmÛ`+(-1)Û` 다른풀이
위의 식의 양변을 제곱하면
A(0, 0), B(0, 2)이므로
36mÛ`=4(mÛ`+1) Û Û`=4에서
PAÓ `+PBÓ
1
8mÛ`=1, mÛ`= xÛ`+(y-1)Û`=1
8
1 6 3 즉, 점 P(x, y)는 원 xÛ`+(y-1)Û`=1 위의 점이다.
∴ m= (∵ m>0), n= =
2'2 2'2 '2 이때, y-xÛ`=k (k는 상수)라 하면 y=xÛ`+k
1 3 이 이차함수의 그래프가 원과 y ①
∴ 4mn=4_ _ =3
2'2 '2
답③
만나려면 오른쪽 그림과 같아 ②

야 한다.
2 x@+{y-1}@=1
Ú ‌이차함수 y=xÛ`+k의 그래 1
프가 ①과 같은 경우 O x
Step 2 1등급을 위한 최고의 변별력 문제 pp. 83~87
‌이차함수 y=xÛ`+k의 그래
01 ① 02 ④ 03 5 04 29 05 ③ 프가 원 xÛ`+(y-1)Û`=1이 y축과 만나는 점, 즉 점
5 (0, 2)를 지나므로
06 76 07 p 08 ⑤ 09 15 10 ④
2
11 ② 12 ② 13 ② 14 ① 15 3 2=0+k   ∴ k=2
16 ① 17 26 18 ⑤ 19 ④ 20 ④ Û 이차함수 y=xÛ`+k의 그래프가 ②와 같은 경우
21 ③ 22 14 23 ③ 24 13 25 ③ ‌이차함수 y=xÛ`+k의 그래프가 원 xÛ`+(y-1)Û`=1
26 25 27 ④ 28 ⑤ 29 7 30 4'6 과 접해야 하므로 이차방정식 y-k+(y-1)Û`=1,
25'3
31 32 3x-2y-4=0 즉 yÛ`-y-k=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2
1
D=1+4k=0   ∴ k=-
4

01 주어진 원의 방정식을 표준형으로 바꾸면 Ú, Û에서 이차함수 y=xÛ`+k의 그래프와 원


(x-2)Û`+(y-3)Û`=1 yy㉠ xÛ`+(y-1)Û`=1이 만나기 위한 k의 값의 범위는
이때, 두 직선 y=px, y=qx+r가 원 ㉠의 넓이를 4등 1 1
- ÉkÉ2   ∴ - Éy-xÛ`É2
4 4
분하므로 두 직선 y=px, y=qx+r는 원의 중심 (2, 3)
을 지나야 한다. 즉,
3=2p, 3=2q+r yy㉡
또한, 두 직선 y=px, y=qx+r가 서로 수직이어야 하
므로
03 오른쪽 그림과 같이 곡 y
A
선 OA를 포함하는 원이 2
pq=-1 yy㉢ B
x축과 만나는 점 중 원 O 3 6 x
3 2 13
㉡, ㉢을 연립하여 풀면 p= , q=- , r= 점이 아닌 점을 B라 하
2 3 3
면 점 B의 좌표는 (6, 0)이다.
3 2 13 31
∴ p+q+r= +{- }+ =  답①
2 3 3 6 세 점 O, A, B를 지나는 원의 방정식

Ⅲ. 도형의 방정식 | 125

블랙고등수학(상)-해설.indb 125 17. 6. 14. 오후 4:09


A n s w e r

(x-a)Û`+(y-b)Û`=rÛ`에서 원의 중심의 좌표는 (a, b) 04 A(0, 10), C(4, 0)이므로 y


A{0, 10}
이고, 각 점에서 원의 중심까지의 거리가 모두 같으므로 직선 AC의 방정식은 D{15, 9}

aÛ`+bÛ`=(a-3)Û`+(b-2)Û`=(a-6)Û`+bÛ` 0-10
y= (x-4)
4-0 F
aÛ`+bÛ`=(a-3)Û`+(b-2)Û` 에서
E
5
aÛ`+bÛ`=aÛ`-6a+9+bÛ`-4b+4 ∴ y=- x+10
2 B
∴ 6a+4b-13=0   yy㉠ O C{4, 0} x
네 점 B, C, F, E가 한 원
aÛ`+bÛ`=(a-6)Û`+bÛ` 에서
위에 있으므로 BCFE는 원에 내접하는 사각형이고, 원에
aÛ`+bÛ`=aÛ`-12a+36+bÛ`
내접하는 사각형의 한 쌍의 대각의 크기의 합은 180ù이다.
12a-36=0   ∴ a=3
∴ ∠EFC=90ù
이것을 ㉠에 대입하여 정리하면
즉, 두 직선 AC, DE는 서로 수직이다.
5
b=- 5
4 직선 AC의 기울기가 - 이므로 직선 DE는 기울기가
2
이때,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원의 중심과 원점 사이의 거
2
이고 D(15, 9)를 지나므로 직선 DE의 방정식은
리이므로 5

r="ÃaÛ`+bÛ`=¾Ð3Û`+{- }2`=
5 13 2 2
y-9= (x-15)   ∴ y= x+3
4 4 5 5
5 13 ∴ E(0, 3)
∴ a+b+r=3+{- }+ =5 답5
4 4
한편, 네 점 B, C, F, E를 지나는 원의 방정식을
다른풀이 1
xÛ`+yÛ`+px+qy+r=0이라 하면
구하는 원의 방정식을 xÛ`+yÛ`+Ax+By+C=0yy㉡ 점 B(0, 0)이 원 위의 점이므로 r=0
이라 하자. 점 C(4, 0)이 원 위의 점이므로
원 ㉡이 점 O(0, 0)을 지나므로 C=0 4Û`+4p=0   ∴ p=-4
원 ㉡이 점 A(3, 2)를 지나므로 9+4+3A+2B=0 점 E(0, 3)이 원 위의 점이므로
 yy㉢ 3Û`+3q=0   ∴ q=-3
원 ㉡이 점 B(6, 0)을 지나므로 36+6A=0 yy㉣ 따라서 주어진 원의 방정식은

xÛ`+yÛ`-4x-3y=0, 즉 (x-2)Û`+{y- }2``=


㉢, ㉣을 연립하여 풀면 3 25
5 2 4
A=-6, B=
2 25
이므로 구하는 원의 넓이는 p
5 4
즉, xÛ`+yÛ`-6x+ y=0이므로 이를 표준형으로 바꾸면
2 ∴ p=4, q=25
(x-3)Û`+{y+ }2`={ }2`
5 13 ∴ p+q=4+25=29 답 29
4 4
다른풀이
5 13
∴ a=3, b=- , r=
4 4 ∠EFC=90ù에서 선분 EC는 원의 지름이고, C(4, 0),
다른풀이 2 E(0, 3)이므로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1 1 5
점 A(3, 2)가 곡선 OA를 포함하는 원 위의 점 중에서 x  ECÓ= "Ã3Û`+4Û`=
2 2 2
축으로부터 가장 멀리 있으므로 원의 중심의 x좌표는 점
25
A의 x좌표와 같다. 즉, a=3 따라서 구하는 원의 넓이는 p이므로
4
오른쪽 그림과 같이 원의 중 y
A
p=4, q=25
심을 C, 직선 A C가 x축과 2
∴ p+q=4+25=29
만나는 점을 B라 하면 O B
3 x
OBÓ=3, OCÓ=r, blacklabel 특강 필수 개념
C
BCÓ=ACÓ-ABÓ=r-2 원에 내접하는 사각형의 성질
△OCB가 직각삼각형이므로 ⑴ ‌원의 내접하는 사각형의 한 쌍의 대각의 크기의 A D
합은 180ù이다.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하여 ➡ ‌∠A+∠C=∠B+∠D=180ù 대각
Û
OCÓ `=OBÓ Û `+BCÓ Û`에서 rÛ`=3Û`+(r-2)Û`
B C
4r=13 ⑵ ‌원의 내접하는 사각형의 한 외각의 크기는 A D
13 그와 이웃한 내각의 대각, 즉 내대각의 크
∴ r= 내대각
4 기와 같다.
외각
➡ ∠DCE=∠A
13 5 B C E
∴ b=2-r=2- =-
4 4

126 | 블랙라벨 수학 (상)

블랙고등수학(상)-해설.indb 126 17. 6. 14. 오후 4:09


본문 pp.83~84

05 중심이 제4사분면에 있고 x축과 y축에 동시에 접하며 반 이때, 두 점 (a, 0), (0, b)의 중점 M의 좌표는
지름의 길이가 2인 원의 방정식은
{ , }이므로 x= , y= 라 하면
a b a b
2 2 2 2
(x-2)Û`+(y+2)Û`=4 yy㉠
a=2x, b=2y yy㉡
xÛ`+yÛ`-6x-2y+10=k (k>0)라 하면
㉡을 ㉠에 대입하면 (2x)Û`+(2y)Û`=10Û`
(x-3)Û`+(y-1)Û`=k yy㉡ 막대의 길이가 10이므로

y
∴ xÛ`+yÛ`=25`(0ÉxÉ5, 0ÉyÉ5)
즉, 원 ㉡은 중심의 좌표가
따라서 중점 M이 그리는 도형은 중심의 좌표가 (0, 0)이
(3, 1)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Û 고, 반지름의 길이가 5인 원의 일부이므로 중점 M이 그
'k인 원이므로
1 5 5
두 원 ㉠, ㉡이 외접할 때 'k의
Ú
1 리는 도형의 길이는 _2p_5= p 답 p
Ú 4 2 2
O 2 3 x
값이 최소이고, -2
단계 채점 기준 배점
원 ㉠이 원 ㉡에 내접할 때 'k 막대의 양 끝의 좌표를 (a, 0), (0, b)라 하고, a, b
Û {x-2}@+{y+2}@=4 ㈎ 30%
의 값이 최대이다. 에 대한 식을 구한 경우
중점 M의 좌표를 (x, y)라 하고, 중점 M이 그리는
원 ㉠의 중심 (2, -2)와 원 ㉡의 중심 (3, 1) 사이의 거 ㈏ 40%
도형의 방정식을 구한 경우
리는 "Ã(3-2)Û`+(1+2)Û`='1Œ0이므로 ㈐ 중점 M이 그리는 도형의 길이를 구한 경우 30%
'k의 최댓값은 '1Œ0+2, 최솟값은 '1Œ0-2
따라서 xÛ`+yÛ`-6x-2y+10, 즉 k의 최댓값은
M=('1Œ0+2)Û`=14+4'1Œ0이고, k의 최솟값은 08 오른쪽 그림과 같이 정사각형 y
C B
ABCD의 점 D를 원점, ADÓ, 1
b
m=('1Œ0-2)Û`=14-4'1Œ0이다.
DCÓ를 포함하는 직선을 각각 x c
P{x, y}
∴ M+m=(14+4'1Œ0)+(14-4'1Œ0)=28 답③
축, y축으로 하는 좌표평면을 D A a
O 1 x
설정하고 점 P의 좌표를
(x, y)라 하면
06 해결단계

➊ 단계 선분 AB의 중점을 M이라 하고 BÕM의


Ó 길이를 구한다.
a=PAÓ="Ã(x-1)Û`+yÛ`, b=PBÓ="Ã(x-1)Û`+(y-1)Û`,
➋ 단계 △PAB에서 중선정리를 이용하여 PAÓ Û`+PBÓ Û`을 구한다. c=PCÓ="ÃxÛ`+(y-1)Û`
➌ 단계 Ó 최댓값을 구한 후, PAÓ Û`+PBÓ Û`의 최댓값을 구한다.
PÕM의 이때, aÛ`+bÛ`=cÛ`이므로

선분 AB의 중점을 M이라 하면 점 M의 좌표는 (x-1)Û`+yÛ`+(x-1)Û`+(y-1)Û`=xÛ`+(y-1)Û`

4+2 3+5 xÛ`+yÛ`-4x+2=0   ∴ (x-2)Û`+yÛ`=2   yy㉠


{ , }, 즉 (3, 4)이므로
2 2 따라서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키 y
{x-2}@+y@=2
BÕMÓ="Ã(3-2)Û`+(4-5)Û`='2 는 점 P는 원 ㉠, 즉 중심의 좌
△PAB에서 중선정리에 의하여 표가 (2, 0)이고, 반지름의 길 D P
O 2 2+Â2 x
PAÓ Û`+PBÓ Û`=2(PÕMÓ Û`+BÕMÓ Û`)=2(PÕMÓ Û`+2) yy㉠ 이가 '2인 원 위의 점이므로 오
이때, PAÓ Û`+PBÓ Û`의 최댓값은 y B{2, 5} 른쪽 그림과 같이 점 P와 점 D
PÕM이
Ó 최대일 때이고, 오른쪽 M{3, 4} 사이의 거리의 최댓값은 2+'2이다. 답⑤
그림과 같이 선분 PM이 원의 A{4, 3}

중심을 지나야 하므로 점 P가 P 09 원 CÁ이 x축에 접하므로 중심의 좌표를


점 PÁ의 위치에 있어야 한다. (a, 1)(1ÉaÉ3), 원 Cª가 y축에 접하므로 중심의 좌표
O x
PÕMÓ‌

ÉPÕÁMÓ P¡ x@+y@=1
를 (1, b)(1ÉbÉ3)라 하자.
=PÕÁOÓ+OÕM Ó 이때, 두 원 CÁ, Cª가 외접하므로 두 원의 중심 사이의 거
=1+"Ã3Û`+4Û`=6 리는 두 원의 반지름의 길이의 합과 같다. 즉,
Ó 최댓값은 6이므로 ㉠에서 PAÓ Û`+PBÓ Û`의 최댓
즉, PÕM의 "Ã(a-1)Û`+(1-b)Û`=2
값은 2(6Û`+2)=76 답 76 위의 식의 양변을 제곱하면
(a-1)Û`+(1-b)Û`=4 yy㉠
한편, 접점 P는 두 원 CÁ, Cª의 중심을 이은 선분의 중점
07 오른쪽 그림과 같이 바닥을 x축, 벽 y
이므로 점 P의 좌표를 (x, y)라 하면
을 y축이라 하고, 길이가 10인 막대 b
a+1 b+1
a b x= , y=
의 아래 끝과 위 끝의 좌표를 각각 M {2, 2} 2 2
(a, 0), (0, b)라 하면 피타고라스 ∴ a=2x-1, b=2y-1 yy㉡
정리에 의하여 O a x ㉡을 ㉠에 대입하면 (2x-2)Û`+(2-2y)Û`=4
aÛ`+bÛ`=10Û` yy㉠ ∴ (x-1)Û`+(y-1)Û`=1`(1ÉxÉ2, 1ÉyÉ2)

Ⅲ. 도형의 방정식 | 127

블랙고등수학(상)-해설.indb 127 17. 6. 14. 오후 4:09


A n s w e r

따라서 점 P가 나타내는 도형은 4+0 0+2


즉, 중심의 좌표가 { }, 즉 (2, 1)이고, 반지
y
,
2 2
오른쪽 그림과 같이 중심의 좌
름의 길이가 "Ã(2-0)Û`+(1-2)Û`='5인 원이므로 점 P의
표가 (1, 1)이고, 반지름의 길 2
자취의 방정식은 (x-2)Û`+(y-1)Û`=5
이가 1인 원의 일부이므로 구하
1
ㄱ. (x-2)Û`+(y-1)Û`=5에 x=0, y=0을 대입하면 성
는 도형의 길이는
x 립하므로 점 P의 자취는 원점을 지난다. (참)
1 p 1 O 1 2
_2p_1=    ∴ k=
4 2 2 ㄴ. 직선 lÁ은 x=4, 직선 lª는 y=2가 될 수 없으므로 점
1 P의 자취는 두 직선 x=4, y=2의 교점 (4, 2)를 지
∴ 30k=30_ =15 답 15
2
나지 않는다. (참)
ㄷ. 원 (x-2)Û`+(y-1)Û`=5는 반지름의 길이가 '5이므
10 원의 중심 P가 나타내는 영역은 점 B(4, 3)을 중심으로
로 점 P의 자취의 길이는 2'5p이다. (거짓)
하고 반지름의 길이가 1인 원 CÁ의 둘레와 그 내부, 점
그러므로 옳은 것은 ㄱ, ㄴ이다. 답②
A(1, -1)을 중심으로 하고 반지름의 길이가 1인 원 Cª
의 둘레와 그 내부, 직선 AB와의 거리가 1인 두 선분으 blacklabel 특강 풀이첨삭

로 둘러싸인 영역의 경계와 그 내부의 공통부분이다. 오른쪽 그림과 같이 점 P의 자취는 y


한 점 (4, 2)를 제외한 원의 일부이 {x-2}@+{y-1}@=5
직선 OB와 원 CÁ의 두 교점 중 y
P¡ 다. 이때, 곡선 위에는 무한히 많은
에서 원점에서 멀리 떨어져 있 3 B 점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원에서 한
는 점을 PÁ이라 하면 점 P가 점 C¡ 점이 빠졌다고 해서 원의 둘레의 길
이가 줄어들지 않는다.
PÁ의 위치에 있을 때, 선분 OP P™ O x
1
의 길이는 최대가 된다. O 4 x
-1
∴ M‌=OBÓ+1 AH
C™
="Ã4Û`+3Û`+1=6
원점 O에서 선분 AB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고, 직
선 OH와 원 Cª의 두 교점 중에서 원점에 가까이 있는 점 12 오른쪽 그림과 같이 두 원
B
xÛ`+yÛ`-9=0과 M
을 Pª라 하면 점 P가 점 Pª의 위치에 있을 때, 선분 OP
xÛ`+yÛ`-2x+4y-11=0의 교 A O{0, 0}
의 길이는 최소가 된다.
점을 A, B라 하면 두 점 A, B를 {1, -2}
이때, 직선 AB의 방정식은
지나는 원 중에서 가장 작은 원은
3-(-1)
y-(-1)= (x-1) ABÓ를 지름으로 하는 원이다.
4-1
4 7 직선 AB의 방정식은
y= x-    ∴ 4x-3y-7=0
3 3 xÛ`+yÛ`-9-(xÛ`+yÛ`-2x+4y-11)=0에서
원점 O와 직선 AB 사이의 거리는 2x-4y+2=0   ∴ x-2y+1=0
|-7| 7 원 xÛ`+yÛ`-9=0, 즉 xÛ`+yÛ`=9의 중심 O(0, 0)과 직선
OHÓ= =
"Ã4Û`+(-3)Û` 5
x-2y+1=0 사이의 거리는
7 2
∴ m=OHÓ-1= -1= |1|
5 5 1
=    yy㉠
2 32 "Ã1Û`+(-2)Û` '5
∴ M+m=6+ =  답④
선분 AB의 중점을 M이라 하면 ㉠에서
5 5
1
OÕMÓ=
'5
11 mx-y-4m=0, 즉 m(x-4)-y=0에서 직선 lÁ은
원 xÛ`+yÛ`=9의 반지름의 길이가 3이므로 OÕAÓ=3
m의 값에 관계없이 항상 점 (4, 0)을 지난다.
x+my-2m=0, 즉 x+m(y-2)=0에서 직선 lª는 이때, △AOM에서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하여

Ó ¿¹OÕAÓ Û`-OÕMÓ Û`=¾Ð3Û`-{ }2`


m의 값에 관계없이 항상 점 (0, 2)를 지난다. 1
AÕM‌‌=
1 '5
또한, 두 직선 lÁ, lª의 기울기의 곱은 m_{- }=-1
m 1 44
=®É9- =®É
5 5
이므로 두 직선 lÁ, lª는 서로 수 y l™
P 44
직이다. ∴ ABÓ=2AÕMÓ=2®É
5
2
따라서 두 직선 lÁ, lª의 교점 P
1 따라서 두 교점 A, B를 지나는 원의 넓이의 최솟값은
의 자취는 오른쪽 그림과 같이
44
4 x S= p
두 점 (4, 0), (0, 2)를 지름의 O 2 5

양 끝점으로 하는 원이다. ∴ 5S=44p 답②

128 | 블랙라벨 수학 (상)

블랙고등수학(상)-해설.indb 128 17. 6. 14. 오후 4:09


본문 pp.84~85

13 xÛ`+yÛ`-6x-4y+9=0에서 구하는 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r라 하면 원의 중심의 좌표


(x-3)Û`+(y-2)Û`=4   yy㉠ 가 (1, -r)이므로 원의 방정식은 (x-1)Û`+(y+r)Û`=rÛ`
원 (x+k)Û`+yÛ`=9가 원 ㉠의 둘레를 이등분하려면 두 이고, 원 xÛ`+yÛ`+2y-1=0과의 교점을 지나는 직선의 방
원의 교점을 지나는 직선이 원 ㉠의 중심 (3, 2)를 지나 정식이 2x-y-2=0이어야 한다.
야 한다. 원의 방정식 (x-1)Û`+(y+r)Û`=rÛ`을 일반형으로 바꾸
이때, (x+k)Û`+yÛ`=9에서 xÛ`+yÛ`+2kx+kÛ`-9=0이 면 xÛ`+yÛ`-2x+2ry+1=0이므로 두 원의 교점을 지나
므로 두 원의 교점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는 직선의 방정식은
xÛ`+yÛ`+2kx+kÛ`-9-(xÛ`+yÛ`-6x-4y+9)=0 (xÛ`+yÛ`-2x+2ry+1)-(xÛ`+yÛ`+2y-1)=0
∴ (2k+6)x+4y+kÛ`-18=0 ∴ 2x-2(r-1)y-2=0
직선 (2k+6)x+4y+kÛ`-18=0이 점 (3, 2)를 지나야 이것이 2x-y-2=0과 같아야 하므로
하므로 3
2(r-1)=1   ∴ r=
2
6k+18+8+kÛ`-18=0
3
∴ kÛ`+6k+8=0 따라서 구하는 원의 지름의 길이는 2r=2_ =3 답3
2
따라서 구하는 모든 k의 값의 합은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
수의 관계에 의하여 -6이다. 답②

16 해결단계
14 호 AB를 원의 일부로 포함하는 원은 원 xÛ`+yÛ`=16과
삼각형의 합동조건을 이용하여 직선 l이 두 직선
합동이고 점 (2, 0)에서 x축에 접하므로 중심의 좌표가 ➊ 단계 12 3
y= x, y= x가 이루는 각의 이등분선임을 이해한다.
5 4
(2, 4)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4인 원이다.
12 3
∴ (x-2)Û`+(y-4)Û`=16 직선 l 위의 점에서 두 직선 y= x, y= x에 이르는 거
➋ 단계 5 4
y 리가 서로 같음을 이용하여 직선 l의 방정식을 구한다.

y 12 l
y= x
5
A 4
R 3
B y= x
3 4
-4 O 2 4 x P
Q
H
-4 x
-3 O 3

이때, 직선 AB는 두 원 xÛ`+yÛ`=16,


-3
(x-2)Û`+(y-4)Û`=16의 교점을 지나는 직선이므로
xÛ`+yÛ`-16-(xÛ`-4x+yÛ`-8y+4)=0 위의 그림과 같이 점 P와 점 Q를 중심으로 하는 두 원의
4x+8y-20=0   ∴ x+2y-5=0 두 교점을 R, H라 하자.
따라서 a=1, b=2이므로 PHÓ=PRÓ=QHÓ=QRÓ=2, HRÓ는 공통이므로
a+b=1+2=3 답① △PHRª△QHR`(SSS 합동)이고, PHQR는 마름모
이므로 선분 PQ는 선분 RH를 수직이등분한다.
서울대 선배들의 강추문제 1등급 비법 노하우
이때, 선분 PQ의 중점을 M이라 하면
이 문제는 아이디어가 매우 좋은 문제이다. 원은 모든 원과 닮음이고,
OPÓ=OQÓ=3, PÕMÓ=QÕM,Ó OÕMÓ은 공통이므로
반지름의 길이만 같으면 합동임을 알고 있으면 쉽게 풀 수 있다. 특히,
학교시험에 자주 나오는 문제이고 단순히 계산으로 풀려고 하면 힘드 △OPMª△OQM`(SSS 합동)
므로 문제 푸는 방법은 알아두도록 한다. 원은 접어도 그 부분은 주어
따라서 두 원의 교점 R, H를 지나는 직선을 l이라 하면
진 원과 합동이므로 주어진 원에서 점 (0, -4)를 점 (2, 0)으로 옮
긴다고 생각하면 접힌 원의 방정식을 쉽게 찾을 수 있다. 12 3
직선 l은 두 직선 y= x, y= x가 이루는 각의 이등분
5 4
12
선이므로 직선 l 위의 점 (X, Y)와 두 직선 y= x,
15 원 xÛ`+yÛ`+2y-1=0과 직선 2x-y-2=0의 교점의 5
x좌표는 xÛ`+(2x-2)Û`+2(2x-2)-1=0에서 3
y= x, 즉 12x-5y=0, 3x-4y=0 사이의 거리는 서로
4
5xÛ`-4x-1=0, (x-1)(5x+1)=0
같다. 즉,
1
∴ x=1 또는 x=- |12X-5Y| |3X-4Y|
5 =
"Ã12Û`+(-5)Û`` "Ã3Û`+(-4)Û`
1 12
즉, 두 교점의 좌표는 (1, 0), {- , - }이므로 이
5 5 5(12X-5Y)=Ñ13(3X-4Y)
두 교점을 지나고 x축에 접하는 원의 중심은 직선 x=1 ∴ 7X+9Y=0 또는 9X-7Y=0
위에 있다. 그런데 구하는 직선의 기울기가 양수이므로 직선의 방정

Ⅲ. 도형의 방정식 | 129

블랙고등수학(상)-해설.indb 129 17. 6. 14. 오후 4:10


A n s w e r

식은 9x-7y=0이다. 답① ∴ y=x-3 또는 y=-x+2


다른풀이 즉, 등식 (x-y-3)(x+y-2)=0을 만족시키는 두 실

12 3 수 x, y의 순서쌍 (x, y)는 두 직선 y=x-3, y=-x+2


두 점 P, Q가 각각 y= x, y= x 위의 점이므로
5 4 위의 점이다.
P(5a, 12a), Q(4b, 3b) (a>0, b>0)라 하자. 이때, xÛ`+yÛ`=k (k>0)라 y
y=x-3
두 점 P, Q는 원 xÛ`+yÛ`=3Û` 위의 점이므로 하면 이 도형은 중심이 원점 2
(5a)Û`+(12a)Û`=3Û`, (13a)Û`=3Û` 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k

}2`   ∴ a=
2 3
3 3 인 원이므로 오른쪽 그림과 x
aÛ`={ (∵ a>0) O
13 13
같이 원 xÛ`+yÛ`=k가 직선 x@+y@=k
(4b)Û`+(3b)Û`=3Û`, (5b)Û`=3Û`

bÛ`={ }2`   ∴ b= (∵ b>0)


y=-x+2에 접할 때 k의 -3
3 3 y=-x+2
5 5 값이 최소이다.
한편, 두 점 P, Q를 각각 중심으로 하고 반지름의 길이가 원점과 직선 y=-x+2, 즉 x+y-2=0 사이의 거리는

2인 원의 방정식은 |0+0-2| 2
= ='2
"Ã1Û`+1Û` '2
(x-5a)Û`+(y-12a)Û`=2Û`
이므로
(x-4b)Û`+(y-3b)Û`=2Û`
'k¾'2에서 k¾2
두 원의 교점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 6(xÛ`+yÛ`)=6k¾12
(xÛ`+yÛ`-10ax-24ay+169aÛ`-4)
따라서 6(xÛ`+yÛ`)의 최솟값은 12이다. 답⑤
 -(xÛ`+yÛ`-8bx-6by+25bÛ`-4)=0
다른풀이
(8b-10a)x+(6b-24a)y+169aÛ`-25bÛ`=0
(x-y-3)(x+y-2)=0에서
3 3
위의 식에 a= , b=  을 대입하면
13 5 x-y-3=0 또는 x+y-2=0
24 30 18 72
{ - }x+{ - }y=0, 162x-126y=0
∴ y=x-3 또는 y=-x+2
5 13 5 13
Ú y=x-3일 때,
∴ 9x-7y=0
xÛ`+yÛ`‌=xÛ`+(x-3)Û`
=2xÛ`-6x+9

=2{x- }2`+
3 9
17 두 점 A(4, 0), B(0, -3)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2 2

∴ 6(xÛ`+yÛ`)=12{x- }2`+27
x y
+ =1   ∴ 3x-4y-12=0   yy㉠ 3
4 -3
2
이때, 원 (x+2)Û`+(y-2)Û`=4의 중심 (-2, 2)와 직선
3 3
‌즉, x= , y=- 일 때, 6(xÛ`+yÛ`)의 최솟값은 27
㉠ 사이의 거리는 2 2
|-6-8-12| 26 이다.
=
"Ã3Û`+(-4)Û` 5
Û y=-x+2일 때,
오른쪽 그림과 같이 원 y xÛ`+yÛ`‌=xÛ`+(-x+2)Û`
{x+2}@+{y-2}@=4
(x+2)Û`+(y-2)Û`=4 위의 P' =2xÛ`-4x+4
점 P와 직선 AB 사이의 거 3x-4y-12=0
2 =2(x-1)Û`+2
리는 점 P가 점 P'의 위치에 P"
A ∴ 6(xÛ`+yÛ`)=12(x-1)Û`+12
-2 O 4 x
있을 때 최댓값 즉, x=1, y=1일 때, 6(xÛ`+yÛ`)의 최솟값은 12이다.
26 36 B -3 Ú, Û에서 6(xÛ`+yÛ`)의 최솟값은 12이다.
+2= , 점 P"의 위치
5 5
26 16
에 있을 때 최솟값
5
-2=  을 갖고,
5 19 원 xÛ`+yÛ`=15와 직선 ax+by-6=0의 교점을 지나는
원 중에서 그 넓이가 최소인 원의 넓이는 9p=3Û`_p이므
ABÓ="Ã4Û`+(-3)Û`=5이므로 삼각형 ABP의 넓이의 최
로 이 원의 지름의 길이는 6이고, 이것은 원 xÛ`+yÛ`=15
댓값 M과 최솟값 m은 각각
의 현의 길이이다.
1 36 1 16
M= _5_ =18, m= _5_ =8 따라서 원 xÛ`+yÛ`=15의 중심 (0, 0)과 직선
2 5 2 5
∴ M+m=18+8=26 답 26 ax+by-6=0 사이의 거리는

="Ã('1Œ5`)Û`-3Û`에서 6="Ã6(aÛ`+bÛ`)
|-6|
"ÃaÛ``+bÛ`
18 (x-y-3)(x+y-2)=0에서 위의 식의 양변을 제곱하면
x-y-3=0 또는 x+y-2=0 6(aÛ`+bÛ`)=36   ∴ aÛ`+bÛ`=6 답④

130 | 블랙라벨 수학 (상)

블랙고등수학(상)-해설.indb 130 17. 6. 14. 오후 4:10


본문 pp.85~86

20 xÛ`+yÛ`=10에서 yÛ`=10-xÛ` 이때, y축에 의하여 잘린 원 C의 현은 x=0일 때이므로


위의 식을 (x-2)Û`+yÛ`=10에 대입하면 ㉢에 x=0을 대입하면
(x-2)Û`+10-xÛ`=10 36-12b+bÛ`+yÛ`-2by+bÛ`=bÛ`
xÛ`-4x+4-xÛ`=0, 4x=4 ∴ yÛ`-2by+bÛ`-12b+36=0 yy㉣
∴ x=1 y에 대한 이차방정식 ㉣의 서로 다른 두 근을 a, b라 하면
이것을 yÛ`=10-xÛ`에 대입하면 잘린 현의 길이가 4이므로 |a-b|=4이다.
yÛ`=9   ∴ y=Ñ3 또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a+b=2b,
즉, 두 원 xÛ`+yÛ`=10과 (x-2)Û`+yÛ`=10의 두 교점의 ab=bÛ`-12b+36이므로
좌표는 (1, 3), (1, -3)이다. (a-b)Û`=(a+b)Û`-4ab에서
이때, 점 (0, -10)을 지나고 기울기가 m인 직선의 방정 16=4bÛ`-4bÛ`+48b-144
식은 10
48b=160   ∴ b=
3
y-(-10)=m(x-0)
10
∴ y=mx-10   yy㉠ 따라서 원 C의 반지름의 길이는 이다. 답③
3
직선 ㉠이 주어진 초승달 모양의 도형과 서로 다른 네 점
다른풀이
에서 만나려면 직선 ㉠은 다음 그림과 같이 Ú과 Û 사이
원 C의 중심이 직선 x+y-6=0의 제1사분면의 부분에
에 위치하여야 한다.
있으므로 원의 중심을 C(a, -a+6) (0<a<6)이라
y Ú Û
{1, 3} 하자.
x@+y@=10
오른쪽 그림과 같이 원 C가 y축 y

O 1 x 과 만나는 두 점을 A, B라 하
면 ABÓ=4이므로 원 C의 중심 A C
{1, -3} {x-2}@+y@=10
a C
C에서 y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H
2
-a+6
H라 하면 B
-10
O x
1
AHÓ=BHÓ=  ABÓ=2 x+y-6=0
Ú의 경우 직선 ㉠이 점 (1, -3)을 지날 때이므로 2
-3=m-10   ∴ m=7 원 C가 x축에 접하므로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중심의
Û의 경우 직선 ㉠이 원 xÛ`+yÛ`=10에 접할 때이므로 원 y좌표와 같다. 즉, CBÓ=r=-a+6
의 중심 (0, 0)과 직선 y=mx-10, 즉 mx-y-10=0 △BHC가 직각삼각형이므로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하여
Û Û`+HCÓ Û`에서 (-a+6)Û`=2Û`+aÛ`
사이의 거리는 원의 반지름의 길이인 '1Œ0과 같다. 즉, BCÓ `=BHÓ
|-10| 8
='1Œ0 -12a=-32   ∴ a=
3
"ÃmÛ`+(-1)Û`
8 10
10="Ã10(mÛ`+1) ∴ r=-a+6=- +6=
3 3
위의 식의 양변을 제곱하면
100=10(mÛ`+1), mÛ`+1=10
mÛ`=9   ∴ m=Ñ3
22 ∠APB=∠AQB=90ù이므로 두 점 P, Q는 선분 AB
를 지름으로 하는 원 위에 있다.
그런데 Û의 경우 직선의 기울기가 양수이므로
A(1-'7, -5), B(1+'7, 1)에서
m=3
선분 AB의 중점의 좌표는 (1, -2)이고,
따라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m의 값의 범위는 3<m<7이
ABÓ="Ã(2'7)Û`+6Û`='Ä28+36='6Œ4=8
므로 a=3, b=7
이므로 ABÓ를 지름으로 하는 원의 방정식은
∴ b-a=7-3=4 답④
(x-1)Û`+(y+2)Û`=16
y y=x+2
21 제1사분면에 있는 원 C의 중심의 좌표를
Q
(a, b)`(a>0, b>0)라 하면 원 C는 x축에 접하므로 원 M B
1
의 방정식은 P O x

(x-a)Û`+(y-b)Û`=bÛ` yy㉠ -2 C

원의 중심 (a, b)는 직선 x+y-6=0 위에 있으므로


A
a+b-6=0   ∴ a=6-b yy㉡
㉡을 ㉠에 대입하면 위의 그림과 같이 원 (x-1)Û`+(y+2)Û`=16의 중심을
(x-6+b)Û`+(y-b)Û`=bÛ` yy㉢ C라 하고, 점 C에서 선분 PQ에 내린 수선의 발을 M이

Ⅲ. 도형의 방정식 | 131

블랙고등수학(상)-해설.indb 131 17. 6. 14. 오후 4:10


A n s w e r

라 하자. 식은 y='3x이므로 원 C의 중심의 좌표를


점 C(1, -2)와 직선 y=x+2, 즉 x-y+2=0 사이의 (a, '3a) (a>0)라 할 수 있다.
거리는 이때, 두 원의 중심 O(0, 0), C(a, '3a) 사이의 거리는
|1+2+2| 5 두 원의 반지름의 길이의 합인 3과 같으므로
CÕMÓ= =
"Ã1Û`+(-1)Û` '2 "ÃaÛ`+('3a)Û`=3
△CQM에서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하여

QÕMÓ=¿¹ QCÓ Û`-CÕMÓ Û`=¾Ð4Û`-{ }2`=®


위의 식의 양변을 제곱하면
5 7
aÛ`+3aÛ`=9, 4aÛ`=9
'2 2
9 3
7 aÛ`=    ∴ a= (∵ a>0)
∴ PQÓ=2QÕMÓ=2_® ='1Œ4 4 2

따라서 원의 방정식은 {x- }2`+{y- }2`=2Û`이므로


2
Û 3 3'3
∴ lÛ`=PQÓ `=14 답 14
2 2
3 3'3
a= , b= , r=2
2 2

∴ aÛ`+bÛ`+rÛ`‌={ }2`+{ }2`+2Û`


23 y=kx+2k+2에서 k(x+2)+2-y=0이므로 직선
3 3'3
y=kx+2k+2는 k의 값에 관계없이 점 (-2, 2)를 지 2 2
난다. 9 27
= + +4=13 답 13
이때, 원 (x+1)Û`+(y-3)Û`=8의 중심을 C(-1, 3)이 4 4

라 하고, 점 P(-2, 2)라 하면 점 P는 원


(x+1)Û`+(y-3)Û`=8의 내부에 존재하므로 다음 그림
과 같이 선분 AB의 길이는 직선 y=kx+2k+2가 원의
25 점 C(a, b)는 이차함수 y=xÛ`-2x-3의 그래프 위의 점
중심 C를 지날 때 최대이고, 직선 CP와 수직일 때 최소 이므로
Ú Û
이다. b=aÛ`-2a-3
y 이것을 2a-b+9>0에 대입하면
Ú
Û 2a-(aÛ`-2a-3)+9>0, -aÛ`+4a+12>0 yy㉠

C
aÛ`-4a-12<0, (a-6)(a+2)<0
{x+1}@+{y-3}@=8
∴ -2<a<6
P
O x 이차함수 y=xÛ`-2x-3의 그래프 위의 점
C(a, aÛ`-2a-3)을 중심으로 하는 원이 직선 y=2x+9
Ú의 경우 직선 y=kx+2k+2가 원의 중심 C를 지날 에 접하므로 원의 중심 C와 직선 y=2x+9, 즉
때이므로 선분 AB는 원의 지름과 같다. 즉, M=4'2 2x-y+9=0 사이의 거리는 원의 반지름의 길이와 같다.
또한, CPÓ="Ã(-1+2)Û`+(3-2)Û`='2이므로 이때, 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r라 하면
APÓ="Ã(2'2)Û`-('2)Û`='6 |2a-(aÛ`-2a-3)+9| |-aÛ`+4a+12|
r‌= =
∴ m=2APÓ=2'6 "Ã2Û`+(-1)Û` '5
∴ MÛ`+mÛ`=32+24=56 -aÛ`+4a+12
답③ = (∵ ㉠)
'5
1 16
=- (a-2)Û`+ (-2<a<6)
'5 '5
24 원 xÛ`+yÛ`=1의 중심 (0, 0)과 직선 x+'3y-10=0 사
16
따라서 반지름의 길이 r는 a=2일 때 최댓값  을 가지
이의 거리는 '5
므로 원의 넓이의 최댓값은 p_{ }2`=
|-10| 16 256
=5 p이다.
"Ã1Û`+('3)Û` '5 5
원 xÛ`+yÛ`=1에 외접하면서 직 y ∴ p=5, q=256
선 x+'3y-10=0에 접하는 ∴ p+q=5+256=261 답③
원 중 크기가 가장 작은 원을 다른풀이
x+Â3y-10=0
C라 하면 원 C는 오른쪽 그림
C 이차함수 y=xÛ`-2x-3의 그래프와 직선 y=2x+9의
과 같으므로 반지름의 길이는 O x@+y@=1 x
교점의 x좌표는
1
(5-1)=2이다. xÛ`-2x-3=2x+9에서 xÛ`-4x-12=0
2
또한, 원 C의 중심은 원점에서 직선 x+'3y-10=0에 (x-6)(x+2)=0   ∴ x=-2 또는 x=6

내린 수선 위의 점이고, 직선 x+'3y-10=0, 즉 점 C(a, b)가 이차함수 y=xÛ`-2x-3의 그래프 위에 있

1 10 으므로 b=aÛ`-2a-3
y=- x+ 에 수직이고 원점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
'3 '3 이것을 2a-b+9>0에 대입하면

132 | 블랙라벨 수학 (상)

블랙고등수학(상)-해설.indb 132 17. 6. 14. 오후 4:10


본문 pp.86~87

2a-(aÛ`-2a-3)+9>0, -aÛ`+4a+12>0 |-2-4m|


=2, |-2-4m|=2"ÃmÛ`+1
aÛ`-4a-12<0, (a-6)(a+2)<0 "ÃmÛ``+(-1)Û`
위의 식의 양변을 제곱하면
∴ -2<a<6
4+16m+16mÛ`=4mÛ`+4, 12mÛ`+16m=0
즉, 점 C의 x좌표는 이차함수 y=xÛ`-2x-3의 그래프
4
와 직선 y=2x+9의 두 교점의 x좌표 사이에 있다. 4m(3m+4)=0   ∴ m=- `(∵ m<0)
3
이때, 점 C를 중심으로 하고 y=x@-2x-3 y y=2x+9
∴ pÛ`+qÛ`=25 답 25
직선 y=2x+9에 접하는 원
다른풀이
의 넓이가 최대가 되려면 오
y
른쪽 그림과 같이 직선 x@+{y-2}@=4
O C x
y=2x+9와 평행하고 점 C 2 {x-10}@+{y+3}@=9
10
를 지나는 직선이 이차함수 O 4 x
y=xÛ`-2x-3의 그래프에 접해야 한다. -3
이 접선의 방정식을 y=2x+m이라 하면 이차방정식
xÛ`-2x-3=2x+m, 즉 xÛ`-4x-3-m=0이 중근을 Ú Û Ü

가져야 하므로 판별식을 D라 하면 공통내접선의 기울기를 m이라 하자.


D 기울기가 m인 원 xÛ`+(y-2)Û`=4의 접선은 Ú 또는 Û
=(-2)Û`-(-3-m)=0
4 이고 이 방정식은
7+m=0   ∴ m=-7 y-2=mxÑ2"ÃmÛ`+1
즉, 원의 넓이가 최대가 되도록 하는 점 C를 지나는 직선 ∴ y=mxÑ2"ÃmÛ`+1+2
의 방정식은 y=2x-7이고, 이 직선과 직선 y=2x+9 직선 Û는 직선 Ú보다 y절편이 더 크므로 직선 Û의 방
사이의 거리가 원의 반지름의 길이와 같다. 정식은
평행한 두 직선 y=2x-7, y=2x+9 사이의 거리는 직 y=mx+2"ÃmÛ`+1+2 yy㉠
선 y=2x-7 위의 점 (0, -7)과 직선 2x-y+9=0 사 또한, 기울기가 m인 원 (x-10)Û`+(y+3)Û`=9의 접선
이의 거리와 같으므로 은 Û 또는 Ü이고 이 방정식은
|2_0-(-7)+9| 16
(반지름의 길이)= = y+3=m(x-10)Ñ3"ÃmÛ`+1
"Ã2Û`+(-1)Û` '5
따라서 원의 넓이의 최댓값은 p_{ }2`=
∴ y=mx-10mÑ3"ÃmÛ`+1-3
16 256
p이므로
'5 5 직선 Û는 직선 Ü보다 y절편이 더 작으므로 직선 Û의
p=5, q=256 방정식은
∴ p+q=5+256=261 y=mx-10m-3"ÃmÛ`+1-3 yy㉡
이때, ㉠=㉡이므로
2"ÃmÛ`+1+2=-10m-3"ÃmÛ`+1-3
5"ÃmÛ`+1=-10m-5, "ÃmÛ`+1=-2m-1
26 두 원 xÛ`+(y-2)Û`=4, (x-10)Û`+(y+3)Û`=9의 중심 위의 식의 양변을 제곱하면
을 각각 A, B, 두 원의 공통내접선과 x축의 교점을 C, 3mÛ`+4m=0, m(3m+4)=0
점 B에서 x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P라 하자. 4
∴ m=- (∵ m<0)
△AOC»△BPC이고, 두 점 A(0, 2), B(10, -3)에 3
대하여 AOÓ:BPÓ=2:3이므로 ∴ pÛ`+qÛ`=25

2 2
OCÓ=OPÓ_ =10_ =4   ∴ C(4, 0)
5 5
27 오른쪽 그림과 같이 원 y y=aˆx
y y=m{x-4}
(x-2n)Û`+y Û`=1과 제1사분면
x@+{y-2}@=4
2 {x-10}@+{y+3}@=9
에서 접하고 원점을 지나는 직선 O 2n x
A
C P 의 기울기가 aÇ이므로 직선의 방 {x-2n}@+y@=1
O 10 x
정식을 y=aÇx라 하면 원의 중심
-3
B (2n, 0)과 직선 aÇx-y=0 사이의 거리는 원의 반지름
의 길이인 1과 같다. 즉,
이때, 공통내접선의 기울기를 m이라 하면 이 직선은 점 |2naÇ|
=1, |2naÇ|="ÃaÇÛ`+1
C를 지나므로 방정식은 y=m(x-4)이고, 점 A(0, 2) "ÃaÇÛ``+(-1)Û`
와 공통내접선 mx-y-4m=0 사이의 거리는 원 위의 식의 양변을 제곱하면
xÛ`+(y-2)Û`=4의 반지름의 길이인 2와 같으므로 4nÛ`aÇÛ`=aÇÛ`+1, (4nÛ`-1)aÇÛ`=1

Ⅲ. 도형의 방정식 | 133

블랙고등수학(상)-해설.indb 133 17. 6. 14. 오후 4:10


A n s w e r

1 1 위의 식의 양변을 제곱하면
∴ aÇÛ`= =
4nÛ`-1 (2n-1)(2n+1) mÛ`nÛ`=mÛ`+1, mÛ`(nÛ`-1)=1
1 1 1
= { - } ← ∵ AB
1
=
1 1 1
{ - } 1 1
2 2n-1 2n+1 B-A A B mÛ`=    ∴ m=Ñ
nÛ`-1 "ÃnÛ``-1
‌ `+aªÛ`+a£Û`+y+aª¢Û``
∴ aÁÛ
‌이때, A(n, 0)에서 원에 접선을 그을 때, 접점 P가
1 1 1 1 1 1 1
= [{ - }+{ - }+y+{ - }] 제 1 사분면에 있으려면 기울기가 음수이어야 하므로
2 1 3 3 5 47 49
1
1 1 1 48 24
= {1- }= _ = 
m=-
2 49 2 49 49
답④ "ÃnÛ``-1
‌원의 중심과 점 P(xÇ, yÇ)을 지나는 직선은 접선과 수
직이므로
28 ㄱ. ‌원 xÛ`+yÛ`=1 위의 점 P(xÇ, yÇ)에서의 접선의 방정 yÇ
="ÃnÛ`-1에서 yÇ=xÇ"ÃnÛ`-1
식은 xÇ
xÇx+yÇy=1 yy㉠ ‌또한, 점 P(xÇ, xÇ"ÃnÛ`-1)은 원 xÛ`+yÛ`=1 위의 점
이 직선이 점 A(n, 0)을 지나므로 이므로
1 xÇÛ`+(nÛ`-1)xÇÛ`=1, nÛ`xÇÛ`=1
nxÇ=1   ∴ xÇ= (참)
n
1 1
1
xÇÛ`=    ∴ xÇ= (∵ xÇ>0)
ㄴ. ‌ㄱ에서 점 P{ , yÇ}이고, 점 P는 원 xÛ`+yÛ`=1 위의 nÛ` n
n
ㄴ. n=2일 때 접선의 기울기는
제 1 사분면에 있는 점이므로
1 1 1
m=- =- =-

1
+yÇÛ`=1에서 yÇÛ`=
nÛ`-1 "ÃnÛ``-1 'Ä4-1 '3
nÛ` nÛ` 1
"ÃnÛ`-1
‌m=- , n=2를 y=mx-mn에 대입하면 직선
yÇ= (∵ yÇ>0) yy㉡ '3
n
AP의 방정식은
1 "ÃnÛ`-1
∴ P{ , } 1 2
n n y=- x+    ∴ x+'3y-2=0
'3 '3
1 '3
‌이때, n=2이면 P{ , }이므로 직선 AP의 방정
2 2
식은 ㉠에서


1 '3
x+ y=1, 즉 x+'3y-2=0 (참)
29 점 A(2, 3)을 지나고 원 xÛ`+yÛ`=1에 접하는 직선의 기
2 2 울기를 p라 하면 방정식은
"ÃnÛ`-1 nÛ`-1 y=p(x-2)+3에서 px-y-2p+3=0
=

ㄷ. yÇ‌ (∵ ㉡)=¾Ð
n nÛ` 이 직선과 원점 사이의 거리는 원의 반지름의 길이인 1과
(n-1)(n+1) n-1 n+1
=¾Ð =¾Ð _ 같으므로
nÛ` n n
|-2p+3|
∴ y£_y¢_y_yª¦
‌ =1
"ÃpÛ`+1
2 4 3 5 26 28
=¾Ð _ _¾Ð _ _y_¾Ð _ |-2p+3|="ÃpÛ`+1
3 3 4 4 27 27
위의 식의 양변을 제곱하면
2 28
=¾Ð _
3 27 4pÛ`-12p+9=pÛ`+1
2'1Œ4 3pÛ`-12p+8=0
= (참)
9 6Ñ"Ã6Û`-3_8 6Ñ2'3
∴ p= =
따라서 ㄱ, ㄴ, ㄷ 모두 옳다. 답⑤ 3 3
즉, 직사각형 ABCD와 만나는 원 xÛ`+yÛ`=1의 접선의
다른풀이
6+2'3
ㄱ. ‌기울기가 m이고 기울기의 최댓값은 p=
y 3
점 A(n, 0)을 지나는 직 P{xˆ, yˆ} 같은 방법으로 점 B(2, -3)을 지나고 원 xÛ`+yÛ`=1에
선의 방정식은 A 접하는 직선의 기울기를 q라 하면 방정식은
O n x
y=m(x-n) y=q(x-2)-3에서 qx-y-2q-3=0
x@+y@=1
∴ y=mx-mn 이 직선과 원점 사이의 거리는 원의 반지름의 길이인 1과
‌원 xÛ`+yÛ`=1의 중심 (0, 0)과 직선 y=mx-mn, 같으므로
즉 mx-y-mn=0 사이의 거리는 원의 반지름의 길 |-2q-3|
=1
이인 1과 같으므로 "ÃqÛ`+1
|-mn| |-2q-3|="ÃqÛ`+1
=1에서 |-mn|="ÃmÛ`+1
"ÃmÛ``+1 위의 식의 양변을 제곱하면

134 | 블랙라벨 수학 (상)

블랙고등수학(상)-해설.indb 134 17. 6. 14. 오후 4:10


본문 pp.87~88

4qÛ`+12q+9=qÛ`+1 |-'3k|
=5
3qÛ`+12q+8=0 "Ã1Û`+('3)Û`
-6Ñ"Ã6Û`-3_8 -6Ñ2'3 |-'3k|=10, '3k=Ñ10
∴ q= =
3 3 10
∴ k= (∵ k>0)
즉, 직사각형 ABCD와 만나는 원 xÛ`+yÛ`=1의 접선의 '3
-6-2'3 즉, 직선 AB의 방정식은 x+'3y-10=0이므로 직선
기울기의 최솟값은 q=
3 AB의 x절편은 10이다.
따라서 실수 m의 값의 범위는 ∴ B(10, 0)
-6-2'3 6+2'3 6+2'3 10
ÉmÉ 이고, 3< < 이므 △OAB가 직각삼각형이므로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하여
3 3 3 3
ABÓ=¿ ¹OBÓ Û`-OAÓ Û`="Ã10Û`-5Û`='7Œ5=5'3
로 가능한 정수 m은 -3, -2, -1, 0, 1, 2, 3의 7개이다.
1
 답7 ∴ △OAB‌= _OAÓ_ABÓ
2
1 25'3 25'3
= _5_5'3=  답
2 2 2
30 오른쪽 그림과 같이 원 y A{9, 12}

(x-a)Û ` +(y-b)Û ` =1의


{x-a}@+{y-b}@=1
C
32 오른쪽 그림과 같이 두 원 y
4 x@+{y-2}@=4

xÛ`+(y-2)Û`=4,
중심을 O'이라 하자. O' P
(x-3)Û`+yÛ`=1의 중심을 각각 A
OÕAÓ="Ã9Û`+12Û`=15 B 2
A, B라 하고, 점 P에서 두 원 T
이므로 삼각형 OAB에서 O x B
x
x@+y@=9 에 그은 접선의 접점을 각각 T, O T' 2 3 4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하여 {x-3}@+y@=1
ABÓ‌=¿¹OAÓ `-OBÓ
Û Û T'이라 하면 PTÓ=PÕT'Ó이므로
`
PTÓ Û`=PÕT'Ó Û`
="Ã15Û`-3Û`
이때, PTÓ Û`=APÓ Û`-ATÓ Û`, PÕT'Ó Û`=PBÓ Û`-BÕT'Ó Û`이므로
='¶216=6'6
Û
APÓ `-4=PBÓ Û`-1
또한, 두 삼각형 OAB, O'AC에서
따라서 점 P의 좌표를 (x, y)라 하면
∠OBA=∠O'CA=90ù, ∠OAB=∠O'AC이므로
xÛ`+(y-2)Û`-4=(x-3)Û`+yÛ`-1
△OAB»△O'AC (AA 닮음)
∴ 3x-2y-4=0 답 3x-2y-4=0
즉, OBÓ:OÕ'CÓ=ABÓ:ACÓ이므로 3:1=6'6:ACÓ
3ACÓ=6'6   ∴ ACÓ=2'6
∴ BCÓ=ABÓ-ACÓ=6'6-2'6=4'6 답 4'6
Step 3 1등급을 넘어서는 종합 사고력 문제 p. 88
단계 채점 기준 배점
'1Œ1 2 8'1Œ0
㈎ 원의 접선의 성질을 이용하여 ABÓ의 길이를 구한 경우 30% 01  -1 02 03 풀이 참조 04 25+p 05
2 3 3
㈏ 삼각형의 닮음을 이용하여 ACÓ의 길이를 구한 경우 60% 1 '2 12
06 07 p 08 - <a<0
㈐ BCÓ의 길이를 구한 경우 10% 2 2 35

31 원 Cª의 중심을 Oª(2, a)라 하면 두 원 CÁ, Cª의 중심 사 01 해결단계

원의 중심과 포물선 y=xÛ`-2 위의 한 점 B 사이의 거리의


이의 거리는 반지름의 길이의 차인 5-1=4와 같으므로 ➊ 단계
최솟값을 구한다.
OÕOªÓ="Ã2Û`+aÛ`=4에서 4+aÛ`=16 ➋ 단계 선분 AB의 길이의 최솟값을 구한다.
aÛ`=12   ∴ a=2'3 (∵ a>0)
원 xÛ`+(y-1)Û`=1의 중심 (0, 1)과 포물선 y=xÛ`-2
∴ Oª(2, 2'3)
위의 한 점 B(a, aÛ`-2) 사이의 거리는
또한, 직선 OA의 기울기는 직선 OOª의 기울기
"ÃaÛ`+(aÛ`-3)Û`‌="ÃaÝ`-5aÛ`+9
2'3
='3과 같고, 직선 AB는 직선 OA와 서로 수직이 25 25
2 =¾Ð{aÝ`-5aÛ`+ }- +9
4 4

=¾Ð{aÛ`- }2`+
1
므로 직선 AB의 기울기는 - 이다. 5 11
'3 2 4
11 '1Œ1
직선 AB의 y절편을 k (k>0)라 하면 직선의 방정식은
5
이므로 aÛ`= 일 때 최솟값은 ¾Ð = 이다.
1 2 4 2
y=- x+k   ∴ x+'3y-'3k=0
'3 따라서 원 xÛ`+(y-1)Û`=1 위의 점 A와 포물선
이때, 직선 AB는 원 CÁ`:`xÛ`+yÛ`=25에 접하므로 원 CÁ
y=xÛ`-2 위의 점 B 사이의 거리의 최솟값은
의 중심 (0, 0)과 직선 AB, 즉 x+'3y-'3k=0 사이 '1Œ1 '1Œ1
-1 답 -1
의 거리는 원 CÁ의 반지름의 길이인 5와 같다. 2 2

Ⅲ. 도형의 방정식 | 135

블랙고등수학(상)-해설.indb 135 17. 6. 14. 오후 4:10


A n s w e r

02 해결단계 4b
7
-0
두 원의 교점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을 구한 후 x절편이 직선 BN의 방정식은 y= (x-1)
➊ 단계 4a-3
-1임을 이용하여 방정식을 세운다. -1
7
두 원의 중심 사이의 거리는 반지름의 길이의 합인 3과 같
➋ 단계
음을 이용하여 방정식을 세운다. ∴ 2bx-(2a-5)y-2b=0   yy㉢
➊단계와 ➋단계에서 세운 식을 연립하여 a, b의 값을 구한 b
➌ 단계 ㉡-㉢을 하면 -8y+4b=0   ∴ y=
후 직선 l의 방정식을 구한다. 2
➍ 단계 직선 l과 원점 사이의 거리를 구한다. 1 1
이것을 ㉡에 대입하면 x= {a- }
2 2
두 원이 서로 외접하므로 직선 l은 두 원의 교점을 지나는
1 1 b
직선의 방정식이다. 즉, 점 Q의 좌표는 { {a- }, }이고,
2 2 2
(x-a)Û`+yÛ`=4에서 xÛ`+yÛ`-2ax+aÛ`-4=0 1 1 b 1
x= {a- }, y= 에서 a=2x+ , b=2y이므로
xÛ`+(y-b)Û`=1에서 xÛ`+yÛ`-2by+bÛ`-1=0 2 2 2 2
이므로 직선 l의 방정식은 이것을 ㉠에 대입하면

{2x+ }2`+(2y)Û`=1 {단, 2x+ +Ñ1, y+0}


(xÛ`+yÛ`-2by+bÛ`-1)-(xÛ`+yÛ`-2ax+aÛ`-4)=0 1 1
2 2

4{x+ }2``+4yÛ`=1 {단, x+ , x+- , y+0}


∴ l`:`2ax-2by+bÛ`-aÛ`+3=0
1 1 3
이때, 직선 l의 x절편이 -1이므로 위의 식에 4 4 4
x=-1, y=0을 대입하면 따라서 점 Q의 자취의 방정식은

{x+ }2`+yÛ`= `{단, x+ , x+- 3 , y+0}


-2a+bÛ`-aÛ`+3=0에서 1 1 1
aÛ`-bÛ`+2a-3=0 yy㉠ 4 4 4 4
또한, 두 원의 중심 (a, 0), (0, b) 사이의 거리는 두 원  답 풀이 참조
의 반지름의 길이의 합인 3과 같으므로
"ÃaÛ`+bÛ`=3에서 aÛ`+bÛ`-9=0 yy㉡
㉠+㉡을 하면 2aÛ`+2a-12=0
aÛ`+a-6=0, (a+3)(a-2)=0 04 해결단계

➊ 단계 두 원 CÁ, Cª의 방정식을 시각 t를 이용하여 나타낸다.


∴ a=-3 또는 a=2
두 원이 외접하면 두 원의 반지름의 길이의 합은 두 원의 중
➋ 단계
그런데 a=-3이면 ㉡에서 b=0이므로 모순이다. 심 사이의 거리와 같음을 이용하여 tÁ, tª의 값을 구한다.
∴ a=2, b=Ñ'5 ➌ 단계
두 원의 내부의 공통부분의 넓이가 최대인 경우의 의미를
파악하고 그때의 시각 t£과 넓이 S를 구한다.
따라서 직선 l의 방정식은 2xÑ'5y+2=0이므로 직선 l
➍ 단계 tÁ+tª+t£+2S의 값을 구한다.
과 원점 (0, 0) 사이의 거리는
원 CÁ은 반지름의 길이가 1이고, 중심은 점 (-10, 0)에
|2| 2 2
=  답
"Ã2Û`+(Ñ'5)Û` 3 3 서 출발하여 x축 위를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매초 1의 속
력으로 움직이므로 방정식은
CÁ`:`(x+10-t)Û`+yÛ`=1
03 해결단계
원 Cª는 반지름의 길이가 1이고, 중심은 점 (0, 8)에서
원 위의 점 P의 좌표를 (a, b)라 하고, 두 점 M, N의 좌표
➊ 단계
를 a, b를 이용하여 나타낸다. 출발하여 y축 위를 위에서 아래로 매초 1의 속력으로 움
두 직선 AM, BN의 방정식을 구한 후, 두 직선의 교점 Q 직이므로 방정식은
➋ 단계
의 좌표를 구한다.
Cª`:`xÛ`+(y-8+t)Û`=1
a, b를 x, y를 이용하여 나타낸 후, 점 Q의 자취의 방정식
➌ 단계
을 구한다. Ú ‌두 원 CÁ, Cª의 반지름의 길이가 같으므로 두 원이 접
하는 경우는 외접할 때이다. 즉, 두 원의 중심
선분 AB를 지름으로 하는 원의 방정식은 xÛ`+yÛ`=1이므
‌(-10+t, 0)과 (0, 8-t) 사이의 거리는 두 원의 반
로 원 xÛ`+yÛ`=1 위의 점 P의 좌표를 (a, b)라 하면
지름의 길이의 합인 2와 같아야 하므로
aÛ`+bÛ`=1`(단, a+Ñ1, b+0)   yy㉠
"Ã(-10+t)Û`+(t-8)Û`=2
또한, 선분 PA를 3:4로 내분하는 점 N과 선분 PB를
위의 식의 양변을 제곱하면
1:4로 내분하는 점 M은
tÛ`-20t+100+tÛ`-16t+64=4
4a-3 4b 4a+1 4b
N{ , }, M{ , } 2tÛ`-36t+160=0
7 7 5 5
이때, 직선 AM의 방정식은 tÛ`-18t+80=0, (t-8)(t-10)=0
4b ∴ t=8 또는 t=10
-0
5 즉, 두 원 CÁ, Cª는 8초 후에 처음으로 접하고,
y= {x-(-1)}
4a+1
-(-1)
5 10초 후에 두 번째로 접한다.
∴ 2bx-(2a+3)y+2b=0   yy㉡ ∴ tÁ=8, tª=10

136 | 블랙라벨 수학 (상)

블랙고등수학(상)-해설.indb 136 17. 6. 14. 오후 4:10


본문 p.88

Û ‌두 원 CÁ, Cª의 내부의 공통부분의 넓이가 최대가 되 직선 y=-x와 기울기가 같고 거리가 1인 직선의 방정식
려면 두 원의 중심 사이의 거리가 최소이어야 한다. 을 y=-x+a, 즉 x+y-a=0이라 하면 직선 y=-x
"Ã(-10+t)Û`+(t-8)Û` 위의 한 점 (0, 0)과 직선 x+y-a=0 사이의 거리가 1
="ÃtÛ`-20t+100+tÛ`-16t+64 이므로
="Ã2tÛ`-36t+164 |-a|
=1, |a|='2   ∴ a=Ñ'2
="Ã2(t-9)Û`+2 "Ã1Û`+1Û`
∴ y=-xÑ'2
즉, 9초 후에 공통부분의 넓이가 최대이므로 t£=9
같은 방법으로 직선 y=2x와 기울기가 같고 거리가 2인
이때, t=9에서 두 원 CÁ, Cª의 방정식은 각각
직선의 방정식을 y=2x+b, 즉 2x-y+b=0이라 하면
‌(x+1)Û`+yÛ`=1, xÛ`+(y+1)Û`=1이므로 두 원의 내
직선 y=2x 위의 한 점 (0, 0)과 직선 2x-y+b=0 사
부의 공통부분은 다음 그림의 색칠한 부분과 같다.
y
이의 거리가 2이므로
{x+1}@+y@=1 |b|
=2, |b|=2'5   ∴ b=Ñ2'5
-1 O
"Ã2Û`+(-1)Û`
x ∴ y=2xÑ2'5
-1
두 직선 y=2x+2'5와 y=-x-'2의 교점을 A라 하면
-2'5-'2 2'5-2'2
}
x@+{y+1}@=1
A{ ,
3 3
∴ S=2_{(사분원의
‌ 넓이)
또한, 두 직선 y=2x-2'5와 y=-x-'2의 교점을 B
 -(직각이등변삼각형의 넓이)}
라 하면
p 1 p
=2_{ - }= -1 2'5-'2 -2'5-2'2
4 2 2 B{ , }
3 3

}2`+{- }2`=
Ú, Û에서
4'5 4'5 4'1Œ0
p ∴ ABÓ=¾Ð{
tÁ+tª+t£+2S‌=8+10+9+2{ -1} 3 3 3
2
한편, 두 직선 y=-x+'2, y=-x-'2 사이의 거리는
=25+p 답 25+p
직선 y=-x+'2 위의 한 점 (0, '2)와 직선
y=x-'2, 즉 x+y+'2=0 사이의 거리와 같으므로
|'2-'2|
=2
"Ã1Û`+1Û`
따라서 두 원이 움직이는 영역의 공통부분은 밑변의 길이
4'1Œ0
가 ABÓ= 이고 높이가 2인 평행사변형이므로 넓이는
05 해결단계 3
4'1Œ0 8'1Œ0 8'1Œ0
원 CÁ이 움직이는 영역과 원 Cª가 움직이는 영역의 공통부 _2=  답
➊ 단계
분을 그림으로 나타낸다. 3 3 3
➊단계에서 구한 영역의 경계를 나타내는 직선의 방정식을
➋ 단계
구한다.
➋단계에서 구한 직선의 교점의 좌표를 구한 후, 두 원 CÁ,
➌ 단계
Cª가 움직이는 영역의 공통부분의 넓이를 구한다.

원 CÁ, Cª가 움직이는 영역을 좌표평면에 나타내면 각각


[그림 1], [그림 2]와 같다.
1 y y
2 06 해결단계
2
원의 중심을 좌표평면의 원점에 놓고, 직선 l을 y=2로 놓
1 y=-x
➊ 단계
는다.
O x O x 원 위의 접점 A(xÁ, yÁ), B(xª, yª)에서 그은 접선의 방정
➋ 단계
식이 점 P를 지날 조건을 파악한다.
y=2x 두 접점 A, B를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을 구하여 원의 중심
➌ 단계
[그림 1] [그림 2] 과 점 Q 사이의 거리를 구한다.

즉, 두 원 CÁ, Cª가 움직이는 영역의 공통부분은 다음 그 오른쪽 그림과 같이 주어 y


2 P{a, 2}
림과 같다. 진 원의 중심을 좌표평면 l
y y=2x
위의 원점에 놓으면 반지
A{x¡, y¡} 1
름의 길이가 1이므로 원 Q
1
A 의 방정식은 xÛ`+yÛ`=1이 -1 O B{x™, y™}x
O x
고, 원의 중심에서 2만큼
-1
B y=-x
떨어져 있는 직선 l을 x

Ⅲ. 도형의 방정식 | 137

블랙고등수학(상)-해설.indb 137 17. 6. 14. 오후 4:10


A n s w e r

∴ {X- }2`+{Y- }2`= `(단, X>0, Y>0)


축에 평행하게 놓으면 직선 l의 방정식은 y=2이다. 1 1 1
2 2 2
이때, 직선 l 위에 있는 임의의 한 점 P의 좌표를 (a, 2)
즉, 점 M이 나타내는 도형은 Y
라 하고, 점 P에서 원에 그은 두 접선의 접점 A, B를 1 1 1
1 1 {X- 2 }@+{Y- 2 }@= 2
A(xÁ, yÁ), B(xª, yª)라 하면 접선의 방정식은 중심의 좌표가 { , }이고,
2 2 1
1 1
xÁx+yÁy=1, xªx+yªy=1
1
반지름의 길이가 ®  인 원
{2, 2}
두 접선이 모두 점 P(a, 2)를 지나므로 2
axÁ+2yÁ=1, axª+2yª=1 의 제 1 사분면의 부분이다.
O 1 X
즉, 직선 ax+2y=1은 두 점 A(xÁ, yÁ), B(xª, yª)를 이때, 두 점 (1, 0), (0, 1)을
지나고, 두 점을 지나는 직선은 유일하므로 직선 AB의 1 1
지나는 직선이 원의 중심 { , }을 지나므로 구하는 도
2 2
방정식은 ax+2y=1이다.
형의 길이는
1
}
1 '2 '2
따라서 직선 AB는 a의 값에 관계없이 항상 점 Q{0,
2 1
_2p_®  = p 답 p
2 2 2 2
1
을 지나므로 원의 중심과 점 Q 사이의 거리는 이다.
2
1
 답
2
08 해결단계

기울기가 a이고, 두 원 xÛ`+yÛ`=1, (x-1)Û`+(y-6)Û`=1


➊ 단계
에 접하는 직선의 방정식을 각각 구한다.
➊단계에서 구한 접선 중에서 가까운 두 직선 사이의 거리
➋ 단계
가 4보다 크도록 하는 실수 a의 값의 범위를 구한다.

07 해결단계
기울기가 a이고, 원 xÛ`+yÛ`=1에 접하는 접선 중에서 위
y=mx, (x-1)Û`+(y-1)Û`=1을 연립하여 만든 이차방
➊ 단계 쪽에 있는 접선의 방정식은
정식이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질 조건을 구한다.
xÁ+xª yÁ+yª y=ax+"ÃaÛ`+1 yy㉠
X= 2
, Y=
2
로 치환하여 X, Y의 관계식을
➋ 단계
구한다.
기울기가 a이고, 원 (x-1)Û`+(y-6)Û`=1에 접하는 접
➌ 단계 X>0, Y>0일 때, 점 M이 나타내는 도형의 길이를 구한다. 선 중에서 아래쪽에 있는 접선의 방정식은

두 점 P, Q를 P(xÁ, yÁ), Q(xª, yª)라 하면 두 점은 직 y=a(x-1)-"ÃaÛ`+1+6 yy㉡

선 y=mx 위의 점이므로 yÁ=mxÁ, yª=mxª이다. 이때, 원 C가 주어진 두 원 사이를 어느 원과도 만나지 않

이때, xÁ, xª는 이차방정식  y


으면서 통과하려면 ㉠, ㉡ 사이의 거리가 4보다 커야 한다.
y=mx
(x-1)Û`+(mx-1)Û`=1, 즉 즉, 직선 ㉡ 위의 한 점 (0, -a-"Ãa`Û +1+6)과 직선 ㉠,

(mÛ`+1)xÛ`-2(m+1)x+1=0
Q 즉 ax-y+"Ãa`Û +1=0 사이의 거리가 4보다 커야 하므로
1
M |a+"ÃaÛ`+1-6+"ÃaÛ`+1|
의 두 근이므로 이 이차방정식이 >4
"ÃaÛ`+(-1)Û`
P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지려면 x
O 1 |a-6+2"ÃaÛ`+1|>4"ÃaÛ`+1
판별식을 D라 할 때 {x-1}@+{y-1}@=1
∴ a-6+2"ÃaÛ`+1>4"ÃaÛ`+1 또는
D
=(m+1)Û`-(mÛ`+1)>0  a-6+2"ÃaÛ`+1<-4"ÃaÛ`+1
4
2m>0   ∴ m>0 Ú ‌a-6+2"ÃaÛ`+1>4"ÃaÛ`+1에서

또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a-6>2"ÃaÛ`+1 yy㉢


2(m+1) ‌이때, 두 원 xÛ`+yÛ`=1, (x-1)Û`+(y-6)Û`=1의 중
xÁ+xª=
mÛ`+1 심 (0, 0), (1, 6)을 지나는 직선의 기울기가
따라서 선분 PQ의 중점 M의 좌표를 (X, Y)라 하면 6-0
=6이므로 a의 값이 6보다 작아야 한다.
xÁ+xª m+1 1-0
X= =  yy㉠
2 mÛ`+1 즉, ㉢의 좌변이 음수가 되므로 부등식 ㉢이 성립하는
yÁ+yª mxÁ+mxª 실수 a의 값은 존재하지 않는다.
Y= = =mX   yy㉡
2 2
Û ‌a-6+2"ÃaÛ`+1<-4"ÃaÛ`+1에서
Y
이때, m>0에서 X>0이므로 ㉡에서 m=
X 6"ÃaÛ`+1<6-a

이것을 ㉠에 대입하면 위의 부등식의 양변을 제곱하면

Y X+Y 36(aÛ`+1)<aÛ`-12a+36, 35aÛ`+12a<0


+1

{ }2`+1
X X X(X+Y) 12
X= = = a(35a+12)<0   ∴ - <a<0
Y XÛ ` +YÛ ` XÛ`+YÛ` 35
X XÛ` 12 12
X>0이므로 XÛ`+YÛ`=X+Y, XÛ`-X+YÛ`-Y=0 Ú, Û에서 - <a<0 답- <a<0
35 35

138 | 블랙라벨 수학 (상)

블랙고등수학(상)-해설.indb 138 17. 6. 14. 오후 4:10


본문 pp.88~89

이것이 수능 p. 89 ㉢, ㉣을 연립하여 풀면
79 3
a= , b= 또는 a=1, b=3
1 ② 2 ⑤ 3 ⑤ 4④ 25 25
그런데 a=1, b=3이면 직선 l의 기울기가 0이므로 조건
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1 해결단계
따라서 직선 l, 즉 직선 AP의 기울기는
원점에서 직선 l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고, OHÓ=a,
➊ 단계 3
HPÓ=b로 놓는다. 3-
3-b 25 72 24
△OHP, △OHA에서 피타고라스 정리를 이용하여 a, b에 = = =
4-a 79 21 7
➋ 단계 4-
대한 연립방정식을 세우고 해를 구한다. 25
직선 l의 기울기를 m으로 놓고 방정식을 세운 후, OHÓ=3
➌ 단계
임을 이용하여 m의 값, 즉 직선 l의 기울기를 구한다.

원점 O에서 직선 l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선분
OH는 선분 PQ를 수직이등분한다. 2 해결단계
이때, OPÓ='1Œ0, APÓ=3, OAÓ="Ã4Û`+3Û`=5이고, 다음 정사각형 ABCD를 좌표평면 위에 놓고 직선 AP의 방정
➊ 단계
그림과 같이 OHÓ=a, HPÓ=b라 하자. 식을 구한다.
정사각형 ABCD에 내접하는 원의 중심을 E, 점 E에서 직
y l
➋ 단계 선 AP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고, 점과 직선 사이의 거
x@+y@=10 A{4, 3} 리를 이용하여 선분 EH의 길이를 구한다.
5 3P
Â10 원의 반지름의 길이와 ➋단계에서 구한 선분 EH의 길이를
x ➌ 단계 이용하여 선분 QH의 길이를 구한 후 선분 QR의 길이를
O a b
H
구한다.
Q
점 A를 원점, 두 직선 AB, AD를 각각 x축, y축으로 하
두 직각삼각형 OHP, OHA에서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 는 좌표평면 위에 정사각형 ABCD를 놓으면 점 P는 선분
하여 BC를 1`:`2로 내분하는 점이므로 ABÓ`:`BPÓ=3`:`1이다.
aÛ`+bÛ`=10 yy㉠ BPÓ 1
즉, 직선 AP의 기울기가 = 이므로 직선 AP의 방
ABÓ 3
aÛ`+(b+3)Û`=25 yy㉡
1
㉡-㉠을 하면 6b+9=15 정식은 y= x이다.
3
6b=6   ∴ b=1 오른쪽 그림과 같이 원의 중심 y
이것을 ㉠에 대입하면 1 D C
을 E, 점 E에서 직선 y= x,
aÛ`=9   ∴ a=3 (∵ a>0) 3
1
직선 l의 기울기를 m이라 하면 직선 l의 방정식은 즉 x-3y=0에 내린 수선의 E y= x
3
R
y-3=m(x-4) 발을 H라 하자. Q
P
A H
∴ mx-y-4m+3=0 정사각형 ABCD의 한 변의 B x

위의 직선과 원의 중심 O 사이의 거리가 OHÓ=3이므로 길이가 10이므로 점 E의 좌표는 (5, 5)이고,


|-4m+3| |5-3_5| 10
=3 EHÓ= = ='1Œ0
"ÃmÛ`+1 "Ã1Û`+(-3)Û` '1Œ0
|-4m+3|=3"ÃmÛ`+1 이때, EQÓ=5이므로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하여
위의 식의 양변을 제곱하면 QHÓ=¿¹EQÓ Û`-EHÓ Û`
16mÛ`-24m+9=9mÛ`+9
="Ã5Û`-('1Œ0)Û`='Ä25-10
7mÛ`-24m=0, m(7m-24)=0
='1Œ5
24
∴ m=0 또는 m= ∴ QRÓ=2QHÓ=2'1Œ5 답⑤
7
그런데 직선 l의 기울기가 양수이므로
24
m=  답②
7
다른풀이 3 해결단계

원의 중심을 C, 두 점 A, B에서 각각 원에 접하는 직선의 교


점 P의 좌표를 (a, b)라 하면 점 P는 원 xÛ`+yÛ`=10 위 ➊ 단계 점을 D라 하고, 원 밖의 한 점에서 원에 그은 두 접선의 길이
에 있으므로 가 같음을 이용하여 ADBC가 정사각형임을 파악한다.
점 C와 직선 y=mx 사이의 거리가 정사각형 ADBC의 대
aÛ`+bÛ`=10 yy㉢ ➋ 단계 1
각선의 길이의 임을 이용하여 m에 대한 방정식을 세운다.
APÓ=3이므로 APÓ Û`=9에서 2
➋단계에서 구한 이차방정식이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짐을
(a-4)Û`+(b-3)Û`=9 yy㉣ ➌ 단계
파악하고, 모든 실수 m의 값의 합을 구한다.

Ⅲ. 도형의 방정식 | 139

블랙고등수학(상)-해설.indb 139 17. 6. 14. 오후 4:10


A n s w e r

원의 중심을 C라 하고, 두 점 y

A, B에서 각각 이 원에 접하는
10 도형의 이동
C{1, 1}
두 직선의 교점을 D라 하자. A y=mx
1 M Step 1 출제율 100% 우수 기출 대표 문제 p. 91
원의 중심과 접점을 연결한 선 B
분은 접선에 수직이고, 원 밖의 O x 01 ② 02 ⑤ 03 ④ 04 1 05 ①
D
한 점에서 그은 두 접선의 길이 06 9 07 ⑤ 08 20
5
는 서로 같으므로 ADBC는 한 변의 길이가 1인 정사
각형이다.
'2 01 점 A(1, 3)이 A'(a, 1)로, 점 B(-2, 7)이 B'(1, b)로
선분 AB의 중점을 M이라 하면 CÕMÓ=
2 각각 옮겨졌으므로 주어진 평행이동은 x축의 방향으로 3
점 C와 직선 y=mx, 즉 mx-y=0 사이의 거리가 선분 만큼, y축의 방향으로 -2만큼 평행이동하는 것이다.
CM의 길이와 같으므로 즉, 1+3=a, 7-2=b이므로 a=4, b=5
|m-1| '2 따라서 점 (4, 5)를 x축의 방향으로 3만큼, y축의 방향으
=
"ÃmÛ`+1 2
로 -2만큼 평행이동하면 (7, 3)이다. 답②
2|m-1|="Ã2(mÛ`+1)
위의 식의 양변을 제곱하면
4(m-1)Û`=2(mÛ`+1), 2mÛ`-8m+2=0
02 원 (x+1)Û`+(y+2)Û`=9를 x축의 방향으로 3만큼, y축
∴ mÛ`-4m+1=0 의 방향으로 a만큼 평행이동한 원 C의 방정식은
위의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x-3+1)Û`+(y-a+2)Û`=9
D ∴ (x-2)Û`+(y-a+2)Û`=9
=(-2)Û`-1_1=3>0
4
직선 3x+4y-7=0이 원 C의 넓이를 이등분하려면 원
즉, 이차방정식 mÛ`-4m+1=0은 서로 다른 두 실근을
C의 중심 (2, a-2)를 지나야 하므로
갖는다.
3_2+4(a-2)-7=0
따라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모든 실
4a=9
수 m의 값의 합은 4이다. 답⑤
9
∴ a=  답⑤
4
4 해결단계

P(a, 0)으로 놓고 △OPQ에서 피타고라스 정리를 이용하


➊ 단계
여 PQÓ의 길이를 a를 이용하여 나타낸다.

➋ 단계
△APR에서 피타고라스 정리를 이용하여 PRÓ의 길이를 a 03 직선 y=-2x+2 위의 점 P의 좌표를 (a, b)라 하면
를 이용하여 나타낸다. b=-2a+2   yy㉠
➌ 단계 PQÓ=PRÓ임을 이용하여 a의 값, 즉 점 P의 x좌표를 구한다.
점 P(a, b)를 x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은 Q(a, -b),
점 P의 좌표를 (a, 0) (a는 y y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은 R(-a, b)이므로
Q
상수)이라 하면 OQÓ⊥PQÓ이 C¡
P{a, 0} QRÓ‌="Ã(-a-a)Û`+{b-(-b)}Û`
1
O x
므로 직각삼각형 OPQ에서 =2"ÃaÛ`+bÛ`=2"ÃaÛ`+(-2a+2)Û``(∵ ㉠)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하여 R =2"Ã5aÛ`-8a+4

=2®É5{a- }2`+
2 A{4, -3}
Û
PQÓ `=OPÓ Û `-OQÓ Û`=aÛ`-1 4 4
C™
한편, 5 5

xÛ`+yÛ`-8x+6y+21=0에서 4
따라서 선분 QR의 길이는 a= 일 때 최소이므로 이때
5
(x-4)Û`+(y+3)Û`=4
4 2
즉, 원 Cª는 중심이 (4, -3)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2이다. 의 점 P의 좌표는 { , }이다. 답④
5 5
원 Cª의 중심을 A라 하면 ARÓ⊥PRÓ이므로 직각삼각형 다른풀이
APR에서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하여 y
오른쪽 그림에서
PRÓ Û`‌=APÓ Û`-ARÓ Û`=(a-4)Û`+(0+3)Û`-2Û`
OPÓ=OQÓ=ORÓ이므로 OPÓ의 길 2
=aÛ`-8a+21 R{-a, b}
이가 최소일 때 QRÓ의 길이도 최 P{a, b}
Û
PQÓ=PRÓ에서 PQÓ `=PRÓ Û`이므로
소이다. H
aÛ`-1=aÛ`-8a+21
또한, OPÓ의 길이는 점 P가 점 O 1 x
11
8a=22   ∴ a= O에서 주어진 직선에 내린 수선
4
의 발 H의 위치에 있을 때 최소 Q{a, -b}
11
따라서 점 P의 x좌표는 이다. 답④ y=-2x+2
4 이다.

140 | 블랙라벨 수학 (상)

블랙고등수학(상)-해설.indb 140 17. 6. 14. 오후 4:10


본문 pp.89~91

1 ∴ a+3b=7 yy㉡
직선 OH의 방정식은 y= x이므로 점 H의 좌표를
2
4 13
㉠, ㉡을 연립하여 풀면 a=- , b=
(2t, t) (t는 실수)라 할 수 있고, 이는 직선 5 5
y=-2x+2 위의 점이므로 4 13 9 9
∴ a+b=- + =  답
5 5 5 5
t=-4t+2, 5t=2
2 4 2
∴ t=    ∴ P{ , }
5 5 5

07 방정식 f(x, y)=0이 나타내는 도형을 직선 y=x에 대


04 직선 y=-2x+b`(b>0)와 이 직 y 하여 대칭이동한 도형의 방정식은
b y=-2x+b
선을 x축, y축, 원점에 대하여 각각 f(y, x)=0
대칭이동시켰을 때 생기는 모든 직 방정식 f(y, x)=0이 나타내는 도형을 x축의 방향으로 1
선으로 둘러싸인 도형은 오른쪽 그 b O b x 만큼 평행이동한 도형의 방정식은
-
림과 같다. 2 2 f(y, x-1)=0
이때, 이 도형의 넓이가 1이므로 -b 따라서 방정식 f(y, x-1)=0이 나타내는 도형은 ⑤와
1 b 같다. 답⑤
4_ _ _b=1에서 bÛ`=1
2 2
다른풀이
∴ b=1 (∵ b>0) 답1
방정식 f(x, y)=0이 나타내는 도형을 y축의 방향으로 1
만큼 평행이동한 도형의 방정식은
05 점 A의 좌표를 (a, b)라 하자.
f(x, y-1)=0
점 A를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은 P(b, a)이
방정식 f(x, y-1)=0이 나타내는 도형을 직선 y=x에
고 점 P와 점 Q가 y축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Q(-b, a)
대하여 대칭이동한 도형의 방정식은
이다.
f(y, x-1)=0
이때, 점 A를 점 (1, -2)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이 Q
이므로 점 (1, -2)는 두 점 A, Q를 잇는 선분 AQ의 중 서울대 선배들의 강추문제 1등급 비법 노하우
점이다.
`f(x, y)=0 1Ú f(y, x)=0 1Ú f(y, x-1)=0 yy㉠
즉, A(a, b), Q(-b, a)에 대하여
직선 y=x에

x축의 방향으로
대하여 대칭이동 1만큼 평행이동
a+(-b) b+a `f(x, y)=0 1Ú f(x-1, y)=0 1Ú f(y-1, x)=0
=1, =-2 yy㉡
2 2 x축의 방향으로 직선 y=x에

1만큼 평행이동 대하여 대칭이동
∴ a-b=2, a+b=-4
㉠, ㉡의 결과에서 나타나듯이 대칭이동과 평행이동의 순서가 바뀌면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a=-1, b=-3이므로 점 A의 결과가 달라진다.
이와 같은 내용은 대학수학의 선형대수학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좌표는 (-1, -3)이다. 답①
대학별고사에서도 자주 출제됨을 알아두도록 한다.
다른풀이

점 A의 좌표를 (a, b)라 하면 점 A를 직선 y=x에 대하


여 대칭이동한 점은 P(b, a)이고, 점 (1, -2)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은 Q(2-a, -4-b)이다. 08 점 A(9, 2)를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을 A'이
이때, 점 P와 점 Q가 y축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라 하면

-b=2-a, a=-4-b A'(2, 9)


위의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a=-1, b=-3 이때, PAÓ=PÕA'Ó이므로
y y=x
따라서 구하는 점 A의 좌표는 (-1, -3)이다. PAÓ+PBÓ‌=PÕA'Ó+PBÓ A'
9
¾AÕ'BÓ P
6 B
즉, PÕAÓ+PBÓ의 최솟값은
06 점 (1, 2)를 A, 점 (a, b)를 A'이라 하자.
AÕ'BÓ이므로 오른쪽 그림과 2 A
Ú ‌선분 AA'의 중점 { }가 직선 y=3x+2
a+1 b+2
, 같이 점 P는 직선 y=x와
2 2 O 2 89 x
위에 있으므로 직선 A'B의 교점이다.
b+2 a+1 두 점 A'(2, 9), B(8, 6)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3_ +2, b+2=3a+3+4
2 2
6-9 1
y-9= (x-2)   ∴ y=- x+10
∴ 3a-b=-5 yy㉠ 8-2 2
Û ‌직선 AA'이 직선 y=3x+2와 수직이므로 점 P의 x좌표가 a이므로
b-2 1 1 3
=- , a-1=6-3b - a+10=a, a=10   ∴ 3a=20 답 20
a-1 3 2 2

Ⅲ. 도형의 방정식 | 141

블랙고등수학(상)-해설.indb 141 17. 6. 14. 오후 4:10


A n s w e r

Step 2 1등급을 위한 최고의 변별력 문제 pp. 92~94 구하는 현의 길이는 6-0=6이다. 답6

단계 채점 기준 배점
01 ③ 02 6 03 26 04 8 05 9
㈎ 조건 ㈎, ㈏를 이용하여 a, b의 값을 구한 경우 40%
06 ① 07 25 08 ② 09 ① 10 ①
㈏ 평행이동을 구하고 옮겨진 원의 방정식을 구한 경우 30%
11 ③ 12 y=-3x+3 13 -2 14 ⑤
㈐ 원이 x축에 의하여 잘리는 현의 길이를 구한 경우 30%
15 ④ 16 17 17 14 18 '3Œ4 19 ②
20 ⑤ 21 2+2'2
blacklabel 특강 필수 개념

순허수의 성질

01 점 (2, -1)을 점 (1, 1)로 옮기기 위해서는 x축의 방향 복소수 z=a+bi`(a, b는 실수, i='¶-1)에서 zÛ`=aÛ`-bÛ`+2abi
이때, a=0, b+0이면 zÛ`=-bÛ`<0
으로 -1만큼, y축의 방향으로 2만큼 평행이동하면 되므 즉, zÛ`이 음의 실수이면 z는 순허수이다.
로 주어진 평행이동은 또한, b=0이면 zÛ`=aÛ`¾0

(x, y) 2Ú`(x-1, y+2)


즉, zÛ`이 음이 아닌 실수이면 z는 실수이다.

이 평행이동에 의하여 직선 3x-y+2=0이 옮겨진 직선 음수의 제곱근


'a a
l의 방정식은 a¾0, b<0이면 =-® 이고,
'b b
3(x+1)-(y-2)+2=0 'a a
=-® 이면 a>0, b<0 또는 a=0이다.
'b b
∴ l:3x-y+7=0   yy㉠
직선 l이 두 원의 넓이를 동시에 이등분하기 위해서는 두
원의 중심을 동시에 지나야 한다. 03 두 삼각형 OAB, O'A'B'에 내접하는 원을 각각 C, C'이
xÛ`-4x+yÛ`-2ay-9=0에서 라 하자. 원 C의 반지름의 길이를 r (0<r<3)라 하면
xÛ`-4x+4+yÛ`-2ay+aÛ`=9+4+aÛ` 원 C는 x축, y축에 모두 접하고 중심이 제1사분면에 있
∴ (x-2)Û`+(y-a)Û`=aÛ`+13 으므로 중심의 좌표는 (r, r)이다.
xÛ`-2bx+yÛ`-2y-1=0에서 한편, 두 점 A(4, 0), B(0, 3)에 대하여 직선 AB의 x
xÛ`-2bx+bÛ`+yÛ`-2y+1=1+bÛ`+1 절편이 4, y절편이 3이므로 직선 AB의 방정식은
∴ (x-b)Û`+(y-1)Û`=bÛ`+2 x y
+ =1   ∴ 3x+4y-12=0
4 3
두 원의 중심의 좌표는 각각 (2, a), (b, 1)이므로 ㉠에서
원 C는 직선 AB에도 접하므로 원의 중심 (r, r)와 직선
6-a+7=0, 3b-1+7=0
AB 사이의 거리는 원의 반지름의 길이 r와 같다. 즉,
∴ a=13, b=-2
|3r+4r-12|
∴ aÛ`+bÛ`=13Û`+(-2)Û`=173 =r, |7r-12|=5r
"Ã3Û`+4Û`
답③

7r-12=5r 또는 7r-12=-5r
∴ r=6 또는 r=1
02 a+0, b+0이므로 조건 ㈎에 의하여
그런데 0<r<3이므로 r=1
a>0, b<0
따라서 원 C의 방정식은 (x-1)Û`+(y-1)Û`=1이다.
조건 ㈏에 의하여 복소수 z는 순허수이므로
한편, 점 A(4, 0)이 점 A'(9, 2)로 옮겨졌으므로 x축의
a+b-2=0
[`  방향으로 5만큼, y축의 방향으로 2만큼 평행이동한 것이
a-b=4 또는 a-b=-4
고, 이 평행이동에 의하여 원 C가 옮겨지는 원 C'의 방정
그런데 a-b>0이므로 a-b=4
a>0이고 b<0이므로 식은
즉, a+b-2=0, a-b=4를 연립하여 풀면
(x-5-1)Û`+(y-2-1)Û`=1
a=3, b=-1
(x-6)Û`+(y-3)Û`=1
∴ (x, y) 2Ú`(x+3, y-1)
∴ xÛ`+yÛ`-12x-6y+44=0
이 평행이동에 의하여 원 xÛ`+yÛ`=10이 옮겨진 원의 방정
즉, a=-12, b=-6, c=44이므로
식은
a+b+c=26 답 26
(x-3)Û`+(y+1)Û`=10   yy㉠
다른풀이
원 ㉠이 x축에 의하여 잘리는 현의 길이는 원 ㉠과 x축이
만나는 두 점 사이의 거리와 같다. 직각삼각형 OAB에 내접하는 원의 중심을 C, 반지름의

원과 x축의 교점의 x좌표는 길이를 r (0<r<3)라 하면 C(r, r)이고

(x-3)Û`+(0+1)Û`=10 △OAB=△COA+△COB+△CAB

(x-3)Û`=9, x-3=Ñ3 1 1 1 1
_3_4= _r_OAÓ+ _r_OBÓ+ _r_ABÓ
2 2 2 2
∴ x=6 또는 x=0
1
따라서 원 ㉠과 x축의 두 교점은 (6, 0), (0, 0)이므로  r_(3+4+5)=6   ∴ r=1
2

142 | 블랙라벨 수학 (상)

블랙고등수학(상)-해설.indb 142 17. 6. 14. 오후 4:10


본문 p.92

04 원 C는 y축에 접하므로 중심의 좌표를 (1, p)라 하면 원 06 원 (x-4)Û`+(y-4)Û`=4 위를 움직이는 점 P의 좌표를


C가 직선 l`:`x+y-8=0에 접하므로 원의 중심과 직선 l (a, b)라 하면 점 P를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사이의 거리는 원의 반지름의 길이인 1과 같다. 즉, 점 Q의 좌표는 (b, a)이다. 또한, 두 점 P, Q에서 x축에
|1+p-8| 내린 수선의 발은 각각 P'(a, 0), Q'(b, 0)이므로
=1에서 |p-7|='2
'2 PÕP'Ó=b, QÕQ'Ó=a   ∴ |PÕP'Ó-QÕQ'Ó|=|b-a|
∴ p=7Ñ'2
이때, |b-a|=k (k¾0)라 하면
그런데 p>8이므로 p=7+'2
b-a=k 또는 b-a=-k
원 C'은 x축에 접하므로 중심의 좌표를 (q, 1)이라 하면
∴ b=a+k 또는 b=a-k
원 C'도 직선 l`:`x+y-8=0에 접하므로 원의 중심과 직
이때, 점 (a, b)는 직선 y=x+k 또는 y=x-k 위의 점
선 l 사이의 거리는 원의 반지름의 길이인 1과 같다. 즉,
이므로 점 P는 주어진 원과 이 두 직선의 교점이다.
|q+1-8|
=1에서 |q-7|='2 직선과 원이 만나면서 k의 값이 최대이려면 직선과 원이
'2
접해야 하므로 원의 중심 (4, 4)와 직선 x-y+k=0 또
∴ q=7Ñ'2
는 x-y-k=0 사이의 거리는 원의 반지름의 길이인 2
그런데 0<q<8이므로 q=7-'2
와 같아야 한다. 즉,
x축의 방향으로 a만큼, y축의 방향으로 b만큼 이동하는
|4-4Ñk|
평행이동에 의하여 원 C의 중심 (1, 7+'2)가 원 C'의 =2에서 |k|=2'2
"Ã1Û`+(-1)Û`
중심 (7-'2, 1)로 이동하였으므로
∴ k=2'2 (∵ k¾0)
1+a=7-'2, 7+'2+b=1
따라서 |PÕP'Ó-QÕQ'Ó|의 최댓값은 2'2이다. 답①
∴ a=6-'2, b=-6-'2
다른풀이
∴ (a+b)Û`=(-2'2)Û`=8 답8
원 (x-4)Û`+(y-4)Û`=4의 중심 (4, 4)가 직선 y=x
다른풀이
위의 점이므로 직선 y=x에 대하여 서로 대칭인 두 점 P,
원 C의 중심의 좌표를 (1, p)라 하면
Q는 기울기가 -1인 직선 위의 점이다.
|1+p-8|
=1에서 p=7+'2 (∵ p>8)
'2 다음 그림과 같이 점 P가 직선 y=x의 아래쪽에서 원 위
즉, 원 C의 중심의 좌표는 (1, 7+'2)이다. 에 있는 점이라 하고 점 P에서 QÕQ'Ó에 내린 수선의 발을
원을 평행이동하면 원의 중심도 똑같이 평행이동되므로 H라 하면
원 C를 x축의 방향으로 a만큼, y축의 방향으로 b만큼 평 |PÕP'Ó-QÕQ'Ó|=QHÓ
행이동한 원 C'의 중심의 좌표는 y y=x
Q
(1+a, 7+'2+b) {x-4}@+{y-4}@=4
그런데 원 C'이 x축에 접하고 반지름의 길이가 1이므로 H
P
7+'2+b=1   ∴ b=-6-'2
또한, 원 C'이 직선 x+y-8=0에 접하므로 원 C'의 중심
O Q' P' x
(1+a, 1)과 직선 x+y-8=0 사이의 거리는 원의 반지
름의 길이인 1과 같다. 즉, 즉, |PÕP'Ó-QÕQ'Ó|의 값이 최대가 되려면 QHÓ의 길이가
|1+a+1-8| 최대가 되어야 하므로 두 점 P, Q를 잇는 선분 PQ는 원
=1, |a-6|='2
'2 의 지름이어야 한다.
∴ a=6Ñ'2 △PQH는 PHÓ=QHÓ인 직각이등변삼각형이므로
그런데 원 C'의 중심의 x좌표가 8보다 작으므로 PHÓ=QHÓ=a라 하면 PQÓ가 원의 지름이므로
1+a<8   ∴ a<7 '2a=4   ∴ a=2'2
즉, a=6-'2이므로 a+b=-2'2 따라서 |PÕP'Ó-QÕQ'Ó|의 최댓값은 2'2이다.
∴ (a+b)Û`=(-2'2)Û`=8

05 직선 2x+y-3=0을 y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직선의


방정식은 -2x+y-3=0 07 원 CÁ:(x-1)Û`+(y-2)Û`=k를 x축에 대하여 대칭이동
위의 직선을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직선의 방 한 원의 방정식은
정식은 (x-1)Û`+(-y-2)Û`=k
-2y+x-3=0   ∴ l:x-2y-3=0 ∴ (x-1)Û`+(y+2)Û`=k
이때, 원 (x-a)Û`+(y-3)Û`=aÛ`이 직선 l에 대하여 대칭 이 원을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원의 방정식은
이려면 원의 중심 (a, 3)이 직선 l 위의 점이어야 한다. 즉, (y-1)Û`+(x+2)Û`=k
a-6-3=0   ∴ a=9 답9 ∴ Cª:(x+2)Û`+(y-1)Û`=k

Ⅲ. 도형의 방정식 | 143

블랙고등수학(상)-해설.indb 143 17. 6. 14. 오후 4:10


A n s w e r

두 원 CÁ, Cª에 동시에 접하는 접선 Ú ‌도형 f(x, y)=0을 직선 y=x y


C¡ 2
이 3개이려면 오른쪽 그림과 같이 두 에 대하여 대칭이동하면 오른쪽
C™ 1
원이 서로 외접해야 한다. 그림과 같고 도형의 방정식은
즉, 두 원의 중심 (1, 2)와 (-2, 1)  f(y, x)=0 -2 -1 O x
사이의 거리가 두 원의 반지름의 길이의 합과 같아야 하
Û ‌도형 f(y, x)=0을 x축에 대 y
므로 "Ã(-2-1)Û`+(1-2)Û`=2'k -2 -1
하여 대칭이동하면 오른쪽 그 O x
5
4k=10   ∴ k= -1
2 림과 같고 도형의 방정식은
∴ 10k=25 답 25  f(-y, x)=0 -2

Ü ‌도형 f(-y, x)=0을 x축의 y

방향으로 -1만큼, y축의 방 2


08 [그림 1]과 같이 방정식 f(x, y)=0이 x축, y축과 만나는
향으로 2만큼 평행이동하면 오 1
점의 좌표를 각각 (a, 0), (0, b) (b>a)라 하면 [그림 2]
른쪽 그림과 같고 도형의 방정 -3 -2 -1 O x
와 같이 이동된다.
식은
yy yy
f{x,
f{x,y}=0
y}=0  f(-(y-2), x+1)=0, 즉 f(-y+2, x+1)=0
bb a+1
a+1
 Ú, Û, Ü에서 방정식 f(-y+2, x+1)=0이 나타내
11
OO aa xx -b OO x x
-b 는 도형은 ①이다. 답①

[그림 1] [그림 2]
주어진 도형의 이동에 의하여
점 (a, 0)은 점 (0, a+1)로, 10 원 xÛ`+(y-1)Û`=9를 y축의 방향으로 -1만큼 평행이동
한 원의 방정식은
점 (0, b)는 점 (-b, 1)로,
xÛ`+(y+1-1)Û`=9   ∴ xÛ`+yÛ`=9
점 (a, b)는 점 (-b, a+1)로 이동하였으므로
원 xÛ`+yÛ`=9를 y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원의 방정식은
점 (x, y)는 점 (-y, x+1)로 이동한다.
(-x)Û`+yÛ`=9   ∴ xÛ`+yÛ`=9
이때, [그림 2]의 도형의 방정식을 g(x', y')=0이라 하면
즉, 원 xÛ`+(y-1)Û`=9 위의 점 P를 이동한 점 Q는 원
점 (-y, x+1)은 도형 g(x', y')=0 위의 점이므로
xÛ`+yÛ`=9 위의 점이다.
-y=x', x+1=y'
한편, 삼각형 ABQ의 넓이가 최대가 되려면 점 Q는 선분
∴ x=y'-1, y=-x'
AB로부터 가장 멀리 있는 원 위의 점이어야 한다.
이를 f(x, y)=0에 대입하면 [그림 2]의 도형의 방정식은
즉, 직선 AB에 수직이고 원 xÛ`+yÛ`=9의 중심 O(0, 0)
f(y-1, -x)=0이다. 답②
을 지나는 직선이 원과 만나는 점 중에서 선분 AB로부터
blacklabel 특강 참고 멀리 있는 점이 점 Q가 되어야 한다.
주어진 도형 f(x, y)=0을 다음 순서대로 이동하면 [그림 2]의 도형 이때, A(1, -'3 ), B(3, '3 )이므로 직선 AB의 기울기는
을 나타낸다. '3-(-'3)
Ú ‌주어진 도형 f(x, y)=0을 직선 y=x에 대 y ='3
3-1
'3
하여 대칭이동하면 오른쪽 그림과 같고 도형
1
의 방정식은
즉, 직선 OQ의 기울기는 - =- 이므로 직선 OQ
   f(y, x)=0
x
'3 3
O
'3
Û ‌Ú의 도형 f(y, x)=0을 y축에 대하여 대칭이 y 의 방정식은 y=- x
3
'3
동하면 오른쪽 그림과 같고 도형의 방정식은
   f(y, -x)=0 원 xÛ`+yÛ`=9와 직선 y=- x의 교점의 x좌표는
3

x}2`=9, xÛ`=9, xÛ`=


O x
'3 4 27
Ü ‌Û의 도형 f(y, -x)=0을 y축의 방향으로 y xÛ`+{-
3 3 4
1만큼 평행이동하면 오른쪽 그림과 같고 도
형의 방정식은 3'3 3'3
1 ∴ x= 또는 x=-
   f(y-1, -x)=0 2 2
O x
이때, 구하는 점 Q는 선분 AB로부터 가장 멀리 있는 점
이므로
3'3 '3 3'3 3
x=- , y=- _{- }=
2 3 2 2
09 방정식 f(x, y)=0이 나타내는 도형을 평행이동 또는 대
3'3 3
칭이동을 이용하여 도형 f(-y+2, x+1)=0이 되도록 ∴ Q{- , }
2 2
하려면 다음의 순서대로 이동해야 한다. 한편, 점 P의 좌표를 (a, b)라 하면 점 Q의 좌표는

144 | 블랙라벨 수학 (상)

(해설086-152)블랙고등OK.indd 144 17. 6. 14. 오후 4:55


본문 pp.92~93

(-a, b-1)이므로 어진 각 도형은 한 변의 길이가 CÕC'Ó='2인 정삼각형이므


3 5 로 공통부분의 넓이는
b-1=    ∴ b=
2 2 '3
2_ _('2)Û`='3 답③
5 4
따라서 점 P의 y좌표는 이다. 답①
2

blacklabel 특강 풀이첨삭

12
문제에서는 점의 이동이 주어졌지만 도형의 이동을 이용해야 해결할
수 있는 문제이다. 점의 이동에서는 이동하는 만큼 더해서 좌표에 대
직선 l의 기울기를 m이라 하면 점 A(2, -3)을 지나는
입하지만, 도형의 이동에서는 이동하는 만큼 빼서 방정식에 대입해야 직선 l의 방정식은
함에 유의하자.
y+3=m(x-2)   ∴ l:y=m(x-2)-3
직선 l 위의 점을 P(a, b)라 하고, 이 점을 점 (1, 3)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을 Q(c, d)라 하면 선분 PQ의 중
11 원 C`:`(x+5)Û`+(y-3)Û`=8이라 하고, 원 C의 중심을 점이 점 (1, 3)과 일치하므로
C, 이 원과 직선 y=x+10의 두 교점을 A, B라 하자. a+c b+d
=1, =3   ∴ a=2-c, b=6-d
원의 중심 C(-5, 3)과 직선 y=x+10, 즉 2 2
x-y+10=0 사이의 거리는 점 P(2-c, 6-d)가 직선 l 위의 점이므로
|-5-3+10| 2 6-d=m(2-c-2)-3에서 d=mc+9
= ='2
'2 '2 즉, 점 Q(c, d)가 직선 y=mx+9 위의 점이므로 직선
점 C에서 선분 AB에 내린 수 y=x+10
l을 점 (1, 3)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직선의 방정식은
B
선의 발을 C'이라 하면 원의 반 y=mx+9
C'
지름의 길이는 2'2이므로 이 직선을 x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직선의 방정식은
A Â2
△ACC'에서 2Â2 C
-y=mx+9   ∴ y=-mx-9
AÕC'Ó="Ã(2'2)Û`-('2)Û`='6 직선 y=-mx-9가 점 A(2, -3)을 지나므로
∴ ABÓ=2AÕC'Ó=2'6 C:{x+5}@+{y-3}@=8
-3=-2m-9, 2m=-6   ∴ m=-3
이때, ACÓ:CÕC'Ó:AÕC'Ó=2:1:'3이므로 △ACC'은 따라서 직선 l의 방정식은
∠ACC'=60ù인 직각삼각형이다. y=-3(x-2)-3
∴ ∠ACB=120ù ∴ y=-3x+3 답 y=-3x+3
한편, 도형 f(y-9, x+9)=0은 도형 f(x, y)=0을 직
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후, x축의 방향으로 -9만
큼, y축의 방향으로 9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처음 원
의 중심 C(-5, 3)은 점 (-6, 4)로, 직선 y=x+10은 13 y=xÛ`-4x+1=(x-2)Û`-3
직선 y=x+8로 이동한다. 즉, 포물선 y=xÛ`-4x+1의 꼭짓점의 좌표는 (2, -3)이
원 C가 주어진 평행이동과 대칭이동에 의하여 옮겨진 원 다. 포물선의 꼭짓점은 대칭이동에 의하여 포물선의 꼭짓
을 C'이라 하면 방정식 f(y-9, x+9)=0이 나타내는 도 점으로 이동되므로 포물선 y=xÛ`-4x+1을 점 (-1, a)
형은 원 C':(x+6)Û`+(y-4)Û`=8과 직선 y=x+8의 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포물선의 꼭짓점의 좌표를 (p, q)
두 교점 및 원 C'의 중심을 꼭짓점으로 하는 삼각형이다. 라 하면 두 점 (2, -3), (p, q)를 잇는 선분의 중점이 점
이때, 원 C'의 중심 (-6, 4)는 직선 y=x+10 위의 점 (-1, a)와 일치한다.
이고, 두 점 C(-5, 3), (-6, 4)를 지나는 직선의 기울 2+p -3+q
즉, =-1, =a이므로
기가 -1로 직선 y=x+10과 수직이므로 점 (-6, 4)는 2 2

점 C'이다. p=-4, q=2a+3

즉, 두 도형 f(x, y)=0, f(y-9, x+9)=0의 내부의 따라서 대칭이동한 포물선의 꼭짓점의 좌표는

공통부분은 다음 그림의 어두운 부분과 같다. (-4, 2a+3)이다.


y y=x+10 이때, 대칭이동을 하여도 포물선의 폭은 변하지 않고, 처
y=x+8
음 포물선이 아래로 볼록한 포물선이므로 대칭이동한 포
B
C' 물선은 위로 볼록한 포물선이 된다. 그런데 위로 볼록한
C' 포물선이 x축과 만나지 않으려면 꼭짓점의 y좌표가 음수
C
A C 이어야 하므로
3
O x 2a+3<0   ∴ a<-
2
직선 CC'이 공통부분을 이등분하고, 직선 CC'으로 나누 즉, 정수 a의 최댓값은 -2이다. 답 -2

Ⅲ. 도형의 방정식 | 145

블랙고등수학(상)-해설.indb 145 17. 6. 14. 오후 4:10


A n s w e r

Ú ‌선분 AB의 중점 { }은 직선 l 위에 있으
다른풀이 a-1 b+1
,
2 2
포물선 y=xÛ`-4x+1을 점 (-1, a)에 대하여 대칭이동
므로
한 포물선의 방정식은
a-1 b+1
y=-(x+4)Û`+(2a+3) 2_ - -1=0
2 2
∴ y=-xÛ`-8x+2a-13 ∴ 2a-b-5=0   yy㉠
이 포물선이 x축과 만나지 않으려면 이차방정식 Û ‌직선 AB가 직선 l과 수직이므로
-xÛ`-8x+2a-13=0, 즉 xÛ`+8x-2a+13=0의 판 b-1 1
=- , a+1=-2b+2
별식을 D라 할 때, a-(-1) 2
D ∴ a+2b-1=0   yy㉡
=16+2a-13<0
4 ㉠, ㉡을 연립하여 풀면
3 11 3 11 3
2a<-3   ∴ a<-
2 a= , b=-    ∴ B{ , - }
5 5 5 5
따라서 정수 a의 최댓값은 -2이다. 한편, 두 직선 l:2x-y-1=0, m:x-y+2=0의 교
점을 P라 하고, 두 방정식을 연립하여 풀면
x=3, y=5   ∴ P(3, 5)
14 ㄱ. ‌점 A(3, 2)를 점 P(6, 0)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 B 직선 l에 대하여 직선 m과 대칭인 직선은 두 점 B, P를
의 좌표를 (a, b)라 하면 선분 AB의 중점이 P이므로 지나므로 구하는 직선의 방정식은
a+3 b+2 3
2
=6,
2
=0   ∴ a=9, b=-2 5-{- }
5
y-5= (x-3)   ∴ 7x-y-16=0
즉, 점 B의 좌표는 (9, -2)이다. (참) 11
3-
5
ㄴ. ‌선분 AB의 길이가 최대가 되려면 두 점 A, P 사이
 답④
의 거리가 최대가 되어야 하므로 점 P는 점 A를 지나
다른풀이
는 지름의 양 끝점 중에서 점 A로부터 먼 곳에 있어
직선 m:x-y+2=0 위의 한 점을 A(a, a+2)라 하
야 한다.
고, 이 점을 직선 l:2x-y-1=0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 A(3, 4)에 대하여
점을 A'(a', b')이라 하자.
OAÓ+OPÓ="Ã3Û`+4Û`+6=11
Ú ‌선분 AA'의 중점의 좌표는 { }이
a+a' a+2+b'
이므로 선분 AB의 길이의 최댓값은 2
,
2
ABÓ=2APÓ=2_11=22 (참) 고, 이 점이 직선 l:2x-y-1=0 위에 있으므로
ㄷ. ‌오른쪽 그림과 같이 점 A를 지 y
a+2+b'
6 B" a+a'- -1=0, a+2a'-b'-4=0
나는 원의 지름의 양 끝점을 각 P" 2
각 P', P"이라 하면 선분 AB A ∴ a=-2a'+b'+4 yy㉢
-6 O 6 x
의 길이가 최대일 때의 점 P의 P'
Û ‌선분 AA'이 직선 l:2x-y-1=0, 즉 y=2x-1과
-6 수직이므로
위치는 P', 최소일 때의 점 P x@+y@=36
B' b'-a-2 1
의 위치는 P"이다. =- , a-a'=2b'-2a-4
a'-a 2
이때, 점 A를 두 점 P', P"에 대하여 각각 대칭이동
∴ 3a=a'+2b'-4 yy㉣
한 점을 B', B"이라 하고, OAÓ=l이라 하면
㉢을 ㉣에 대입하면
AÕB'Ó=2(6+l), AÕB"Ó=2(6-l)
3(-2a'+b'+4)=a'+2b'-4
따라서 선분 AB의 길이의 최댓값과 최솟값의 합은
∴ 7a'-b'-16=0
항상 AÕB'Ó+AÕB"Ó=2(6+l)+2(6-l)=24로 일정
따라서 점 (a', b')은 직선 7x-y-16=0 위의 점이므로
하다. (참)
구하는 직선의 방정식은 7x-y-16=0
그러므로 ㄱ, ㄴ, ㄷ 모두 옳다. 답⑤
서울대 선배들의 강추문제 1등급 비법 노하우

도형의 이동에 대한 문제를 풀 때에는 전체 도형을 이동시키려고 하

15 직선 m:x-y+2=0 위의 한 l 면 복잡하고 어려울 수 있다. 도형을 이루고 있는 점의 이동으로 바꾸


어 생각하면 보다 간단한데, 직선은 직선 위의 두 점, 원은 원의 중심
점 A(-1, 1)을 잡고 점 A를 직 m 을 이동시키는 것이다. 즉, 직선 l에 대하여 직선 m을 대칭이동할 때,
선 l:2x-y-1=0에 대하여 두 직선 l, m의 교점을 P라 하면 대칭이동에 의하여 점 P의 위치는
변하지 않으므로 우선 점 P의 좌표를 구하고, 직선 m 위의 임의의 점
대칭이동한 점을 B(a, b)라 하면 P
A A를 직선 l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 B를 구하여 두 점 P, B를 지나
는 직선의 방정식을 구하면 직선 l에 대하여 직선 m과 대칭인 직선
B 의 방정식을 구할 수 있다.

146 | 블랙라벨 수학 (상)

블랙고등수학(상)-해설.indb 146 17. 6. 14. 오후 4:10


본문 pp.93~94

16 원 xÛ`+yÛ`-4x-8y=0에서 ㉢, ㉣을 연립하여 풀면
(x-2)Û`+(y-4)Û`=20 14 28
a= , b=
3 3
이 원과 원 xÛ`+yÛ`=c의 중심을 각각 C, O라 하면
14 28 42
C(2, 4), O(0, 0) ∴ a+b= + = =14 답 14
3 3 3
이때, 점 C를 직선 y=ax+b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은
O이다.
Ú ‌선분 CO의 중점 (1, 2)는 직선 y=ax+b 위에 있으 18 해결단계

➊ 단계 포물선 위의 두 점의 좌표를 정한다.


므로
두 점이 포물선 위의 점임을 이용하여 좌표 사이의 관계식
2=a+b yy㉠ ➋ 단계
을 구한다.
Û 직선 CO와 직선 y=ax+b는 수직이므로 두 점이 직선 y=x+1에 대하여 대칭임을 이용하여 좌표
➌ 단계
사이의 관계식을 구한다.
4-0 1 1
=-    ∴ a=- yy㉡
2-0 a 2 ➍ 단계
➋단계, ➌단계에서 구한 관계식을 이용하여 두 점 사이의
거리를 구한다.
5
㉡을 ㉠에 대입하여 풀면 b=
2 포물선 y=xÛ`-4x+2 위의 서로 다른 두 점을 A(a, b),
한편, 대칭이동하여도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변하지 않으 B(c, d)라 하면
므로 c=20 b=aÛ`-4a+2 yy㉠
1 5 d=cÛ`-4c+2 yy㉡
∴ a-b+c=- - +20=17 답 17
2 2
㉠-㉡을 하면 b-d=(aÛ`-cÛ`)-4(a-c)
∴ b-d=(a-c)(a+c-4) yy㉢
또한, 두 점 A, B는 직선 y=x+1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17 점 A(6, 2)를 직선 y=2x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을 직선 AB가 직선 y=x+1과 수직이다.
B(p, q)라 하자. d-b
즉, =-1에서 b-d=c-a
p+6 q+2 c-a
Ú ‌선분 AB의 중점 { , }는 직선 y=2x 위의
2 2 이것을 ㉢에 대입하면 c-a=(a-c)(a+c-4)이고,
점이므로 a+c이므로
q+2 p+6 -1=a+c-4   ∴ a+c=3 yy㉣
=2_ , q+2=2p+12
2 2
한편, ㉠+㉡을 하면
∴ 2p-q=-10 yy㉠
b+d=aÛ`+cÛ`-4(a+c)+4 yy㉤
Û 직선 AB가 직선 y=2x와 수직이므로
선분 AB의 중점 { }가 직선 y=x+1 위에
a+c b+d
q-2 1 ,
=- , 2q-4=-p+6 2 2
p-6 2
있으므로
∴ p+2q=10 yy㉡
b+d a+c
㉠, ㉡을 연립하여 풀면 p=-2, q=6 = +1   ∴ b+d=a+c+2
2 2
즉, B(-2, 6)이므로 삼각형 OAB의 무게중심 D의 좌 이것을 ㉤에 대입하면
표는 a+c+2=aÛ`+cÛ`-4(a+c)+4
0+6+(-2) 0+2+6 4 8
{ , }   ∴ D{ , } a+c+2=(a+c)Û`-2ac-4(a+c)+4
3 3 3 3
위의 식에 ㉣을 대입하면
이때, 점 D는 직선 y=2x 위의 점이 y y=2x
3+2=3Û`-2ac-4_3+4
고, 두 점 A, B가 직선 y=2x에 대
2ac=-4   ∴ ac=-2 yy㉥
하여 대칭이므로 세 점 A, B, D를 C
B
㉣, ㉥에서
지나는 원의 중심 C(a, b)는 직선 D
A (a-c)Û`=(a+c)Û`-4ac=9-4_(-2)=17
y=2x 위의 점이다. O x
따라서 두 점 A, B 사이의 거리는
∴ 2a-b=0 yy㉢
ABÓ‌="Ã(c-a)Û`+(d-b)Û`
또한, 원 위의 점에서 원의 중심까지의 거리는 원의 반지
="Ã2(a-c)Û``(∵ b-d=c-a)
름의 길이로 같으므로
='Ä2_17='3Œ4 답 '3Œ4
Û
BCÓ=DCÓ에서 BCÓ `=DCÓ Û`

(a+2)Û`+(b-6)Û`={a- }2`+{b- }2`


4 8
3 3 19 점 A(2, 3)을 직선 y=-2x+2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8 16 80 점을 A'(a, b)라 하면
4a-12b+40=- a- b+
3 3 9
Ú ‌선분 AA'의 중점 { }이 직선 y=-2x+2
a+2 b+3
,
∴ 3a-3b+14=0 yy㉣ 2 2

Ⅲ. 도형의 방정식 | 147

블랙고등수학(상)-해설.indb 147 17. 6. 14. 오후 4:10


A n s w e r

위에 있으므로 21 정팔각형 ABCDEFGH의


A'
y
A H
b+3 a+2 두 변 DE, BC를 포함하는 P¡'
=-2_ +2, b+3=-2a-4+4 P¡
2 2 G
직선을 각각 x축, y축으로 B
∴ 2a+b+3=0   yy㉠
하는 좌표평면에 정팔각형을
Û ‌직선 AA'이 직선 y=-2x+2와 수직이므로 C F

놓으면 오른쪽 그림과 같다. 1
Â2
b-3 1
= , a-2=2b-6 정팔각형의 한 변의 길이가 O 1 D F' x
a-2 2 E P¢'
'2이므로 CDÓ='2에서
∴ a-2b+4=0   yy㉡
OCÓ=ODÓ=1   ∴ C(0, 1), D(1, 0)
㉠, ㉡을 연립하여 풀면 a=-2, b=1
E(1+'2, 0)이고, 점 F에서 x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F'
∴ A'(-2, 1)
이라 하면 EFÓ='2이므로 EÕF'Ó=1에서 F'(2+'2, 0)
이때, PAÓ=PÕA'Ó이므로 y=-2x+2 y
점 F의 x좌표는 점 F'의 x좌표, 점 F의 y좌표는 점 C의
PAÓ+PBÓ
=
‌ PÕA'Ó+PBÓ
B{1, 3} y좌표와 같으므로 F(2+'2, 1)
¾AÕ'BÓ 3 A{2, 3}
P B(0, 1+'2)이고, 점 A에서 y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즉, PAÓ+PBÓ의 값이 최 2
A'이라 하면 ABÓ='2이므로 AÕ'BÓ=1에서
A'{-2, 1}
소가 되려면 점 P는 직 1
x A'(0, 2+'2)
선 y=-2x+2와 직선 -2 O 1 2
점 A의 x좌표는 점 D의 x좌표, 점 A의 y좌표는 점 A'
A'B의 교점이어야 한다.
의 y좌표와 같으므로 A(1, 2+'2)
두 점 A'(-2, 1), B(1, 3)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변 AB의 중점 PÁ과 변 EF의 중점 P¢는
3-1 2 7
y-3= (x-1)   ∴ y= x+
3 3 1 3+2'2 3+2'2 1
1-(-2) PÁ{ , }, P¢{ , }
2 2 2 2
2 7
y=-2x+2, y= x+  을 연립하여 풀면
3 3 점 PÁ을 y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을 PÁ', 점 P¢를 x축
1 9 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을 P¢'이라 할 때, 구하는 최단
x=- , y=
8 4
거리는 PÕÁ'PÓ¢'Ó과 같다.
1 9
따라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점 P의 좌표는 {- , }이다. 1 3+2'2 3+2'2 1
8 4 따라서 PÁ'{- , }, P¢'{ , - }이므로
2 2 2 2
 답②
구하는 최단거리는

+ }2`+Ð{- - }2`
3+2'2 1 1 3+2'2
PÕÁ'PÓ¢'Ó‌=¾Ð{
2 2 2 2
="Ã2(2+'2)Û`='2(2+'2)
20 오른쪽 그림과 같이 지점 O를 y
Q{1, 3}
y=x

좌표평면 위의 원점, 직선도로 3 =2+2'2 답 2+2'2

l을 x축으로 정하면 직선도로 C


1 A{3, 1}
m은 직선 y=x, 정류소 A의
O 1 B 3 x
좌표는 (3, 1)이다. 또한, 점 Step 3 1등급을 넘어서는 종합 사고력 문제 p. 95
-1
A를 x축에 대하여 대칭이동 P{3, -1}
4 p-'3 25
한 점을 P라 하면 P(3, -1)이고, 점 A를 직선 y=x에 01 02 03 6+2'5 04 8 05 31
3 4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을 Q라 하면 점 Q(1, 3)이다. 06 26+5'2 07 10'3`m 08 103

이때, ABÓ=BPÓ, ACÓ=CQÓ이므로


ABÓ+BCÓ+CAÓ‌
=PBÓ+BCÓ+CQÓ
 ‌
¾PQÓ 01 해결단계

주어진 대칭이동과 평행이동을 이용하여 원 OÁ을 옮긴 두


즉, 만들려고 하는 도로의 길이의 최솟값은 PQÓ이고, 두 ➊ 단계
원 Oª와 O£의 방정식을 구한다.
점 B, C가 직선 PQ 위에 있을 때 최소이다. 부채꼴의 넓이와 삼각형의 넓이를 이용하여 넓이의 합을 구
➋ 단계
두 점 P(3, -1), Q(1, 3)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한다.

y-3=-2(x-1)   ∴ y=-2x+5 1
중심의 좌표가 {- , 0}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1인 원
5 2
이때, 직선 y=-2x+5와 x축의 교점은 B{ , 0}
2 OÁ의 방정식은

OÁ:{x+ }2`+yÛ`=1
5 5
두 직선 y=-2x+5, y=x의 교점은 C{ , } 1
3 3 2
따라서 두 정류소 B와 C 사이의 거리는 원 OÁ을 y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원 Oª의 방정식은

BCÓ=®É{ - }2`+{ -0}2`= {-x+ }2`+yÛ`=1   ∴ Oª:{x- }2`+yÛ`=1


5 5 5 5'5 1 1
(km) 답⑤
3 2 3 6 2 2

148 | 블랙라벨 수학 (상)

블랙고등수학(상)-해설.indb 148 17. 6. 14. 오후 4:10


본문 pp.94~95

원 OÁ을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평행이동한 원 O£의 방정 Ú ‌두 점 (6, 1), (1, n)을 연결한 선분의 중점
7 n+1
{ , }이 직선 y=2x+k 위에 있으므로
식은

{x-2+ }2`+yÛ`=1   ∴ O£:{x- }2`+yÛ`=1


2 2
1 3
2 2 n+1 7 n-13
=2_ +k   ∴ k=
2 2 2
따라서 세 원 OÁ, Oª, O£는 다음 [그림 1]과 같고 구하는
Û ‌두 점 (6, 1), (1, n)을 지나는 직선이 직선 y=2x+k
공통부분의 넓이의 합은 그림에서 어두운 부분의 넓이의
과 수직이므로
합과 같다.
n-1 1 7
y =- , 2n-2=5   ∴ n=
Â3 1-6 2 2
2 19
Ú, Û에서 k=- yy㉠
60æ 4
k가 최소일 때, 직선 y=2x+k는 원 CÁ의 중심 (6, 1)을
3 1 O 3 5 x
- - 1 지나므로
2 2 2 2
2
1=2_6+k   ∴ k=-11 yy㉡
O¡ O™ O£
19
[그림 1] ㉠, ㉡에서 -11ÉkÉ-
4
이때, 오른쪽 [그림 2]와 같이 반지 Q
19
따라서 a=-11, b=- 이므로
름의 길이가 1이고 중심각의 크기가 4
1
60ù인 부채꼴 PRQ를 생각해 보자. 19 25 25
b-a=- -(-11)=  답
4 4 4
점 Q에서 반지름 PR에 내린 수선 60æ H
P R
의 발을 H라 하면 직각삼각형 1

PHQ에서 PQÓ=1이므로 [그림 2]

1 '3 03 해결단계
PHÓ= , QHÓ=
2 2 ➊ 단계 두 원 CÁ, Cª가 외접할 조건을 찾는다.
즉, [그림 2]의 어두운 부분의 넓이를 S라 하면 ➋ 단계 aÛ`+bÛ`의 값이 최대가 되는 조건을 찾는다.
➌ 단계 aÛ`+bÛ`의 최댓값을 구한다.
S‌=(부채꼴 PRQ의 넓이)-(삼각형 PHQ의 넓이)
60 1 1 '3 원 CÁ:xÛ`+yÛ`+2x-4y+4=0에서
=p_1Û`_ - _ _
360 2 2 2 CÁ:(x+1)Û`+(y-2)Û`=1
1 '3
= p- 점 (a, b)에 대하여 서로 대칭인 두 원 CÁ과 Cª가 외접하
6 8
려면 점 (a, b)는 접점이어야 한다. 이때, 두 원 CÁ, Cª의
그러므로 [그림 1]의 어두운 부분은 [그림 2]의 어두운 부
중심을 각각 A(-1, 2), B라 하고 점 (a, b)를 점 C라
분 8개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구하는 넓이의 합은
하면 세 점 A, C, B는 이 순서대로 한 직선 위에 있다.
1 '3 4 4
8S=8_{ p- }= p-'3 답 p-'3 한편, aÛ`+bÛ`=OCÓ Û`이므로 이 값
6 8 3 3 y
C™ B
이 최대가 되는 경우는 오른쪽
그림과 같이 원 CÁ과 직선 OA의 C{a, b}
A 2

교점 중 원점에서 먼 점이 점 C
-1 O x
02 해결단계 가 될 때이다.
{x+1}@+{y-2}@=1
따라서 구하는 최댓값은
➊ 단계 k가 최대 또는 최소가 될 조건을 파악한다.
Û
aÛ`+bÛ`‌=OCÓ `=(OAÓ +ACÓ)Û` ‌
➋ 단계 k가 최대가 되는 조건을 이용하여 k의 최댓값을 구한다.
=("Ã(-1)Û`+2Û`+1)Û`
➌ 단계 k가 최소가 되는 조건을 이용하여 k의 최솟값을 구한다.
=('5+1)Û`=6+2'5 답 6+2'5
➍ 단계 b-a의 값을 구한다.

원 Cª가 원 CÁ과 가장 멀리 떨 y y=2x+k

어져 있을 때 k는 최대이므로 C™

오른쪽 그림과 같이 원 Cª가 y n 04 해결단계

C¡ ➊ 단계 일치하는 점이 2개가 되도록 하는 직선 l의 개수를 구한다.


축에 접할 때 k는 최대이다.
1 ➋ 단계 일치하는 점이 3개가 되도록 하는 직선 l의 개수를 구한다.
또한, 두 원 CÁ, Cª가 일치할 때, O 1 6 x ➌ 단계 일치하는 점이 4개가 되도록 하는 직선 l의 개수를 구한다.
k는 최소이다. 일치하는 점이 2개 이상이 되도록 하는 직선 l의 개수를 구
➍ 단계
한다.
k가 최대일 때, 원 Cª의 반지름의 길이는 1이므로 원 Cª
의 중심의 좌표를 (1, n)이라 하면 원 CÁ의 중심 (6, 1)과 원 C:xÛ`+yÛ`=1을 직선 l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원을 C'
점 (1, n)은 직선 y=2x+k에 대하여 대칭이다. 이라 하자.

Ⅲ. 도형의 방정식 | 149

블랙고등수학(상)-해설.indb 149 17. 6. 14. 오후 4:10


A n s w e r

Ú ‌일치하는 점이 2개인 경우 y 1 14


C' 이것을 y= x+3에 대입하면 y=
2 5
두 원 C, C'의 교점이 2개이려
2 14
즉, 교점의 좌표는 {- , }
C 1
면 오른쪽 그림과 같이 네 교점
5 5
중에서 두 점만을 지나는 원을 -1 O 1 x
y 1
y= x+3
C'이라 하고, 두 원 C, C'의 교 -1 l 2
4
3
점을 지나는 직선을 l로 정해야 한다. 즉, 이 경우에 14
5
직선 l은 y=x+1, y=x-1, y=-x+1, 2 5
2
y=-x-1의 4개이다.
Û ‌일치하는 점이 3개인 경우 -2 -1 O x
2
- y=-2x+2
네 교점 중 세 점만을 지나는 원은 만들 수 없으므로 5

일치하는 점이 3개가 되도록 하는 직선 l은 존재하지 1


구하는 넓이는 세 직선 y= x+3, y=-2x+2, y=2
2
않는다.
1
Ü ‌일치하는 점이 4개인 경우 로 둘러싸인 삼각형의 넓이에서 세 직선 y= x+3,
2
두 원 C, C'은 일치해야 하므로 이 경우의 직선 l은 y=2, x=-1로 둘러싸인 삼각형의 넓이를 빼면 되므로
y=x, y=-x, x=0, y=0의 4개이다. 1 4 1 1 11
{ _2_ }-{ _1_ }=
Ú, Û, Ü에서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키는 직선 l의 개수는 2 5 2 2 20
4+4=8 답8 따라서 p=11, q=20이므로
p+q=31 답 31

05 해결단계 06 해결단계

➊ 단계 방정식 f(-x+1, y-1)=0이 나타내는 도형을 그린다. x축 위의 점 QÁ을 잡아 고정된 길이 RSÓ와 같은 길이를 갖
➊ 단계
➋ 단계 방정식 f(y-1, -x+2)=0이 나타내는 도형을 그린다. 는 선분 QQÁ을 찾는다.
➌ 단계 ➊단계와 ➋단계에서 그린 도형의 공통부분의 넓이를 구한다. ➋ 단계 사각형 PQRS의 둘레의 길이가 최소가 될 조건을 찾는다.
➌ 단계 대칭이동을 이용하여 길이의 합의 최솟값을 구한다.
Ú ‌방정식 f(x, y)=0이 나타내는 도형을 y축에 대하여 ➍ 단계 사각형 PQRS의 둘레의 길이의 최솟값을 구한다.
대칭이동한 도형의 방정식은 f(-x, y)=0
움직이는 선분 RS를 고정 y
‌ f(-x, y)=0을 x축의 방향으로 1만큼, y축의 방향 5
하기 위하여 오른쪽 그림과 Q
으로 1만큼 평행이동한 도형의 방정식은
같이 점 Q를 지나고 직선 Q¡ P
f(-(x-1), y-1)=0   ∴ f(-x+1, y-1)=0 -5 O 5 12 x
y=-x에 평행한 직선 R
Û ‌방정식 f(x, y)=0이 나타내는 도형을 직선 y=x에
y=-x+5가 x축과 만나 5Â2
대하여 대칭이동한 도형의 방정식은 f(y, x)=0 S y=-x+5
는 점 QÁ(5, 0)을 잡으면
‌ f(y, x)=0을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y축의 방향 y=-x
RSÓQÕQÁÓ, RSÓ=QÕQÁÓ
으로 1만큼 평행이동한 도형의 방정식은
즉, 사각형 QRSQÁ은 평행사변형이므로
 f(y-1, x-(-2))=0   ∴ f(y-1, x+2)=0
QRÓ=QÕÁSÓ
Ú, Û에서 두 방정식 f(-x+1, y-1)=0,
∴ QRÓ+RSÓ=QÕÁSÓ+QÕQÁÓ
f(y-1, x+2)=0이 나타내는 도형의 내부의 공통부분
따라서 사각형 PQRS의 둘레의 길이는
은 다음 그림의 어두운 부분과 같다.
PQÓ+QRÓ+RSÓ+SPÓ‌=PQÓ+QÕÁSÓ+QÕQÁÓ+SPÓ
y
4
="Ã5Û`+12Û`+QÕÁSÓ+5'2+SPÓ
f{y-1, x+2}=0
3 =13+5'2+QÕÁSÓ+SPÓ
f{-x+1, y-1}=0 이므로 둘레의 길이가 최소가 되려면 QÕÁSÓ+SPÓ가 최소가
2
되어야 한다.
오른쪽 그림과 같이 점 QÁ의 y
-2 -1 O x
Q5
직선 y=-x에 대한 대칭점
이때, 두 점 (-2, 2), (0, 3)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을 Qª라 하면 점 Qª의 좌표 Q¡ P
1 는 (0, -5)이므로 -5 O 5 12 x
y= x+3, 두 점 (0, 2), (-1, 4)를 지나는 직선의 방 R
2
QÕÁSÓ+SPÓ -5
정식은 y=-2x+2이므로 두 직선은 수직이다. Q™
S
=QÕªSÓ+SPÓ ¾QÕªPÓ
또한, 두 직선의 교점의 x좌표는 y=-x
="Ã(12-0)Û`+(0+5)Û`
1 5 2
x+3=-2x+2, x=-1   ∴ x=- =13
2 2 5

150 | 블랙라벨 수학 (상)

블랙고등수학(상)-해설.indb 150 17. 6. 14. 오후 4:10


본문 pp.95~96

그러므로 사각형 PQRS의 둘레의 길이의 최솟값은 y=10x-4


13+5'2+13=26+5'2 답 26+5'2 즉, 주어진 식의 값이 최소가 되게 하는 점 P의 x좌표는
2
10x-4=0에서 x=
5
07 해결단계 이고 이때의 최솟값은
대칭이동을 이용하여 주어진 세 선분의 길이의 합이 최소가 "Ã(1-0)Û`+(6+4)Û`='¶101
➊ 단계
될 조건을 찾는다.
2
따라서 a= , b='¶101이므로
➋ 단계
원과 현의 성질을 이용하여 세 선분의 길이의 합의 최솟값 5
을 구한다.
5a+bÛ`=2+101=103 답 103
오른쪽 그림과 같이 점 C를 두 선 P
C
Q
분 OP, OQ에 대하여 각각 대칭이 C™
C¡ A 60æ B
동한 점을 CÁ, Cª라 하면 이것이 수능 p. 96
O
ACÓ=AÕCÁÓ, BCÓ=BÕCªÓ 1 ② 2 ② 3 ① 4 45
∴ ABÓ
‌ +BCÓ+CAÓ
=ABÓ+BÕCªÓ+CÕÁAÓ
¾CÕÁCªÓ 1 해결단계

또한, ∠POQ=60ù이므로 ➊ 단계 두 원 OÁ, Oª의 방정식을 구한다.

∠CÁOCª=2∠POQ=120ù ➋ 단계 ABÓ=2'3임을 이용하여 두 원의 중심 사이의 거리를 구한다.


두 원의 중심 사이의 거리와 두 원의 중심의 좌표를 이용하
OÕCÁÓ=OÕCªÓ에서 △OCÁCª는 O ➌ 단계
여 a의 값을 구한다.
10`m
이등변삼각형이다. 60æ
C¡ C™ 중심이 (4, 2)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2인 원 OÁ의 방정식은
점 O에서 변 CÁCª에 내린 수 H
OÁ`:`(x-4)Û`+(y-2)Û`=4
선의 발을 H라 하면
이 원을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원의 방정식은
△CÁOH는 ∠CÁOH=60ù, ∠CÁHO=90ù, OÕCÁÓ=10`m
(x-2)Û`+(y-4)Û`=4
인 직각삼각형이므로
이 원을 다시 y축의 방향으로 a만큼 평행이동한 원 Oª의
CÕÁHÓ=5'3(m)
방정식은
∴ CÕÁCªÓ=2CÕÁHÓ=10'3(m)
Oª`:`(x-2)Û`+(y-a-4)Û`=4
따라서 ABÓ+BCÓ+CAÓ의 최솟값은 10'3`m이다.
즉, 원 Oª의 중심의 좌표는 (2, 4+a)이다.
 답 10'3`m
이때, 두 원 OÁ, Oª의 중심을 각각 C(4, 2), D(2, 4+a)
라 하면 ABÓ는 CDÓ에 의하여 수직이등분된다. ABÓ, CDÓ
08 해결단계 의 교점을 H라 할 때, 선분 AB의 길이는 2'3이므로
1
주어진 식 "Ã(x-1)Û`+36+"ÃxÛ`+16이 최솟값을 갖는다는 AHÓ=BHÓ= ABÓ='3
➊ 단계
의미를 파악한다. 2
➋ 단계 대칭이동을 이용하여 최솟값을 가질 조건을 구한다. 또한, ADÓ=ACÓ=2이므로 직각삼각형 AHC에서 피타
➌ 단계 5a+bÛ`의 값을 구한다. 고라스 정리에 의하여
세 점 P, A, B를 P(x, 0), A(1, 6), B(0, 4)로 정하면 CHÓ=¿¹ACÓ Û`-AHÓ Û`
"Ã(x-1)Û`+36은 두 점 A, P 사이의 거리이고 ="Ã2Û`-('3)Û`
"ÃxÛ`+16은 두 점 B, P 사이의 거리이다. =1=DHÓ
즉, "Ã(x-1)Û`+36+"ÃxÛ`+16의 최솟값은 점 A에서 점 즉, CDÓ=CHÓ+DòHÓ=2이므로 다음 그림과 같이 두 원
P를 거쳐 점 B까지 가는 최단 거리를 의미한다. OÁ, Oª는 서로 다른 원의 중심을 지난다.
이때, 점 P(x, 0)은 x축 위의 점 y A

이므로 점 B(0, 4)를 x축에 대 6 A{1, 6} 2 2


4 Â3
B
하여 대칭이동한 점을 C라 하면 D C
H
C(0, -4) P
O 1 x O™ O¡
BPÓ=CPÓ이므로 B

PAÓ+PBÓ‌
=PAÓ+PCÓ
 -4 C CDÓ=2에서 "Ã(4-2)Û`+{2-(4+a)}Û`=2
¾ACÓ "Ã4+(a+2)Û`=2
즉, 점 P가 직선 AC와 x축의 교점일 때, 주어진 식은 최 위의 식의 양변을 제곱하면
솟값을 갖고 그 최솟값은 선분 AC의 길이와 같다. 4+(a+2)Û`=4에서 a+2=0
직선 AC의 방정식은 ∴ a=-2 답②

Ⅲ. 도형의 방정식 | 151

블랙고등수학(상)-해설.indb 151 17. 6. 14. 오후 4:10


본문 p.96
A n s w e r

2 해결단계 3 해결단계

➊ 단계 두 삼각형 APA'과 BPB'이 닮음임을 파악한다. 점 C를 x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 C'과 점 D를 직선


➊ 단계
➋ 단계 두 삼각형 APA'과 BPB'의 닮음비를 구한다. OB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 D'의 좌표를 구한다.
➌ 단계 a의 값을 구한다. ➋ 단계 CEÓ+EFÓ+FDÓ의 최솟값이 CÕ'D'Ó의 길이와 같음을 파악한다.
직선 C'D'이 x축과 만나는 점이 E임을 알고 점 E의 x좌표
두 점 A(4, a), B(2, 1)을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 ➌ 단계
를 구한다.
동한 점은 각각 A'(a, 4), B'(1, 2)이다.
점 C(-8, 1)을 x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은
이때, a>4이고, 두 직선 AB, A'B'의 교점이 P이므로
C'(-8, -1)
다음 그림과 같다.
점 D(4, 7)을 직선 BO, 즉 y=x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y y=x
A{4,a}
점은 D'(7, 4)
CÕ'EÓ=CEÓ, FÕD'Ó=FDÓ이므로
A'{a,4}
B'{1,2} CEÓ+EFÓ+FDÓ‌=CÕ'EÓ+EFÓ+FÕD'Ó
P
B{2,1} ¾CÕ'D'Ó
O x 즉, CEÓ+EFÓ+FDÓ의 값이 최소가 되려면 두 점 E, F가
직선 C'D' 위에 있어야 한다.
두 직선 AA', BB'은 각각 직선 y=x에 수직이므로 두
y
직선 AA', BB'은 평행하다. B
∴ △APA'»△BPB' (AA 닮음) D{4, 7}

이때, 두 삼각형 APA', BPB'의 넓이의 비가 9:4이므 D'{7, 4}


C{-8, 1}
F
로 두 삼각형의 닮음비는 3:2이다. x
A E O
C'{-8, -1}
즉, AÕA'Ó:BÕB'Ó=3:2에서 2AÕA'Ó:3BÕB'Ó
4AÕA'Ó Û`=9BÕB'Ó Û` 두 점 C'(-8, -1), D'(7, 4)를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4{(a-4)Û`+(4-a)Û`}=9{(-1)Û`+1Û`} 4-(-1) 1 5
y-4=  (x-7)   ∴ y= x+
7-(-8) 3 3
4aÛ`-32a+55=0, (2a-5)(2a-11)=0
따라서 이 직선의 x절편이 -5이므로 점 E의 x좌표는
11
∴ a= (∵ a>4) 답②
2 -5이다. 답①
다른풀이 1

△APA'»△BPB' (AA 닮음)이고 두 삼각형 APA',


BPB'의 넓이의 비가 9:4이므로 두 삼각형의 닮음비는
3:2이다.
∴ APÓ:BPÓ=3:2
즉, 점 P는 선분 AB를 3:2로 내분하는 점이므로 점 P 4 해결단계

의 좌표는 ➊ 단계 점 A를 y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 A'의 좌표를 구한다.


➋ 단계 APÓ+PQÓ의 최솟값이 AÕ'QÓ의 값과 같음을 파악한다.
3_2+2_4 3_1+2_a 14 2a+3
{ , }   ∴ P{ , } ➌ 단계 선분 A'Q의 길이의 최솟값을 구한다.
3+2 3+2 5 5
이때, 두 직선 AB, A'B'은 직선 y=x에 대하여 서로 대 주어진 원의 중심을 C라 하면 C(-3, 8)
칭이므로 두 직선 AB, A'B'의 교점 P는 직선 y=x 위 점 A를 y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을 A'이라 하면
에 있다. 즉, A'(1, 0)
14 2a+3 11 이때, APÓ=AÕ'PÓ이므로 y
= , 2a+3=14   ∴ a= {x+3}@+{y-8}@=5
5 5 2 APÓ+PQÓ‌=AÕ'PÓ+PQÓ
다른풀이 2 C 8
¾AÕ'QÓ yy㉠ Q
△APA'»△BPB' (AA 닮음)이고 두 삼각형 APA', 한편, 직선 A'C가 원과 만나 Q'
BPB'의 넓이의 비가 9:4이므로 두 삼각형의 닮음비는 P
는 점 중에서 점 A'에 가까
3:2이다. 운 점을 Q'이라 하면 A A'
따라서 점 A와 직선 y=x 사이의 거리, 점 B와 직선 -3 -1 O 1 x
AÕ'QÓ‌¾AÕ'Q'Ó
y=x 사이의 거리의 비가 닮음비 3:2와 같으므로 =CÕA'Ó-CÕQ'Ó
|4-a| |2-1|
: =3:2 ="Ã(-3-1)Û`+(8-0)Û`-'5
"Ã1Û`+(-1)Û` "Ã1Û`+(-1)Û`
=4'5-'5=3'5
(a-4):1=3:2 (∵ a>4)
따라서 ㉠에서 APÓ+PQÓ¾AÕ'QÓ¾3'5이므로
11
2(a-4)=3   ∴ a= k=3'5   ∴ kÛ`=45 답 45
2

152 | 블랙라벨 수학 (상)

블랙고등수학(상)-해설.indb 152 17. 6. 14. 오후 4:10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