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76

유 형 내 신

수학 개념과 원리를 꿰뚫는


내신 대비 집중 훈련서

수학 I
정답과 풀이
I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ㄹ. Ü'¶-2는 -2의 세제곱근이므로 (Ü'¶-2)Ü`=-2이다. (참)
ㅁ. ('¶-2)Û`=-2이고, "Ã(-2)Û`=|-2|=2이므로
('¶-2)Û`+"Ã(-2)Û`이다. (거짓)
지수와 로그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 ㄹ로 3개이다.

참고

001   2, -1Ñ'3i 2 이상의 자연수 m과 실수 a에 대하여


❶ (µ`'a)µ``=a
8의 세제곱근은 방정식 xÜ`=8의 근이다. ❷ m이 홀수일 때, µ`"aµ``=a
xÜ`-8=0에서 a (a¾0)
m이 짝수일 때, µ`"aµ``=|a|=[`
(x-2)(xÛ`+2x+4)=0 -a (a<0)
∴ x=2 또는 x=-1Ñ'3i
따라서 8의 세제곱근은 2, -1Ñ'3i이다.

006  ③
002   ⑴ 2  ⑵ Ñ3  ⑶ - 12
"Ã(-2)Ú`Ý`="Ã(-2)2_7="Ã(-2)7_2
⑴ 32의 다섯제곱근 중 실수인 것은 Þ'3Œ2=2 ="Ã2
7_2
=2à`=128
⑵ 81의 네제곱근 중 실수인 것은 ÑÝ'8Œ1=Ñ3 이지만, {"Ã(-2)à`}Û`=(-2)à`=-128이다.
1 1 1
⑶ - 의 세제곱근은 Ü®É- =-
따라서 등호가 성립하지 않는 곳은 ③이다.
8 8 2

003  ③ 007  ②

① (-2)Ü`=-8이므로 -2는 -8의 세제곱근이다. (참)


3의 제곱근 중 실수인 것은 Ñ'3이므로
② 16의
‌ 네제곱근은 방정식 xÝ`=16의 근이므로 Ñ2, Ñ2i로 4개
a=2
존재한다. (거짓)
-4의 세제곱근 중 실수인 것은 Ü'¶-4이므로
③ ‌세제곱근 27은 ‘Ü'¶27 ’을 읽은 것이므로 Ü'¶27=3과 같다. (참)
b=1
 yy TIP
-5의 네제곱근 중 실수인 것은 존재하지 않으므로
④ ‌5의 세제곱근은 세제곱하여 5가 되는 수이므로 방정식 xÜ`=5의
c=0
근이다. (참)
∴ a+b+c=2+1+0=3
⑤ n이
‌ 2 이상의 홀수일 때,
a가 양수이면 Ç 'a는 양수이고, a가 음수이면 Ç 'a는 음수이므로
Ç 'a의 부호는 a의 부호와 일치한다. (참)
004  ④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②이다.
① 0의 세제곱근은 0으로 1개 존재한다. (거짓)
TIP
② -64의 세제곱근 중 실수인 것은 -4로 1개 존재한다. (거짓)
‌ 네제곱근 중 실수인 것은 '
③ 3의 Ý 3, -Ý'3으로 2개 존재한다. (거짓) (27의 세제곱근)+(세제곱근 27)임을 주의하자.

④ n이
‌ 2 이상의 짝수일 때 5의 n제곱근 중 실수인 것은 ‘27의 세제곱근’은 세제곱하여 27이 되는 수이므로
-3Ñ3'3i
Ç '5, -Ç '5로 2개 존재한다. (참) 방정식 xÜ`=27의 근인 3, 이고,
2
⑤ n이
‌ 2 이상의 홀수일 때 -4의 n제곱근 중 실수인 것은
‘세제곱근 27’은 숫자 Ü'¶27을 읽은 것으로 Ü'¶27=3이다.
Ç '¶-4로 1개 존재한다. (거짓)
따라서 옳은 것은 ④이다.

008  ④
005  ③
① Ü'7_Ý'7+à'7 (거짓)
ㄱ. Ü"Å2Ü`은 2Ü`의 세제곱근 중 실수인 것이므로 2이다. (참)
② "-Ü'¶64='¶¶-4 는 실수가 아니다. (거짓)
ㄴ. Þ"
‌ Ã(-3)Þ`은 (-3)Þ`의 다섯제곱근 중 실수인 것이므로 -3이다.
③ Ý"Ü'¶16= "Å2Ý`=Ü'2,
4_3

Ú`Û'8=Ú`Û"Å2Ü`=Ý'2이므로 Ý"Ü'¶16+Ú`Û'8 (거짓)


 (참)
‌ "Ã(-5)Ý`은 (-5)Ý`의 네제곱근 중 음수인 것이므로 -5이다.
ㄷ. -Ý Ü'Ķ-81 -Ü'¶81 Ü 81
④ = =®É =Ü'¶27=3 (참)
 (거짓) Ü'¶-3 -Ü'3 3

2 수학Ⅰ

해설.indb 2 22. 9. 5. 오후 3:55


1
1 ß` 1 1 1 '6 '3
⑤ {Ü'5_ } =(Ü'5)ß`_{ }ß`=5Û`_ = (거짓)
2-'3 2-'3 (2-'3)+'3
⑶3 _(3 ) '2 =3 _3 =3 =3Û`=9
'5 '5 5Ü` 5
1
Ö(Ü"3Ý`) _{ } =(3Ý`) Ö(3 ) _(3 )
-1‌
0.75 ;4(; ;4#; ;3$; ;4(; -1 -1
따라서 옳은 것은 ④이다. ⑷ 81
3
=3Ü`Ö3Ü`_3Ú`=3
-;5@; ;5*; -;5#;‌
 -;5@; ;5*; -;5#;
⑸2 _5 _10 =2 _5 _(2_5)
009  ②
=2
-;5@;
_5 _2
;5*; -;5#;
_5
-;5#;
I
A=Ü'3, B=Ý'5, C=ß'1Œ0이라 할 때, yy TIP -;5@;-;5#; ;5*;-;5#; 5
-1 1
=2 _5 =2 _5 =
세 수를 각각 12제곱하면 2
AÚ`Û`=(Ü'3)Ú`Û`=3Ý`=81
BÚ`Û`=(Ý'5)Ú`Û`=5Ü`=125
CÚ`Û`=(ß'1Œ0)Ú`Û`=10Û`=100 013  ③
AÚ`Û`<CÚ`Û`<BÚ`Û`이므로 A<C<B Ü"Ãa_Ý'a=Ü'a_Ü"Ý'a=Ü'a_Ú`Û'a
∴ Ü'3<ß'1Œ0<Ý'5 ;3!; ;1Á2; ;3!;+;1Á2; ;1°2;
=a a =a =a
TIP 5
∴ k=
12
a>0, b>0이고, n이 2 이상의 자연수일 때,
a<b HjK aÇ`<bÇ`이다.
y y=x˝
{x>0} 014  ④

Ý ß'a
" Ü"¡'a

Ý ß'a Ü ¡'a
¾Ð ־Р= Ö

'a a'a Ý"'  a Ü"a'a
Û`Ý'a Û`Ý'a
= Ö
¡'a Ü'a_ß'a
O a b x

;2Á4; ;3!;+;6!;
즉, 두 양수 a, b에 대하여 두 수를 각각 n제곱하더라도 a a
= _
;8!; ;2Á4;
대소 관계는 변하지 않는다. a a
따라서 거듭제곱근으로 나타내어진 몇 개의 양수가 주어지면 ;2!;
a ;2!;-;8!; ;8#;
= =a =a
각각 똑같이 거듭제곱하고 대소를 비교하기 쉽게 바꾸어 ;8!;
a
대소 관계를 파악할 수 있다.

015  ③

010  ② "aÜ`bÛ`_Ü"aÛ`bÞ`ÖÚ`Û"ÃaÚ`¡`bÝ`
;2!; ;3!; ;1Á2;
지수가 자연수일 때는 밑이 모든 실수에서 정의된다. =(aÜ`bÛ`) _(aÛ`bÞ`) Ö(aÚ`¡`bÝ`)
;2#; ;3@; ;3%; ;2#; ;3!;
지수가 정수일 때는 밑이 a+0일 때 정의된다. =a bÚ`_a b Öa b
지수가 유리수일 때는 밑이 a>0일 때 정의된다. ;2#;+;3@;-;2#; 1+;3%;-;3!; ;3@; ;3&;
=a b =a b
지수가 실수일 때는 밑이 a>0일 때 정의된다.
다른 풀이
따라서 바르게 연결한 것은 ②이다.
"aÜ`bÛ`_Ü"aÛ`bÞ`ÖÚ`Û"ÃaÚ`¡`bÝ`
=ß"Ã(aÜ`bÛ`)Ü`_ß"Ã(aÛ`bÞ`)Û`Öß"Ãaá`bÛ`

011  ① =ß¾Ð
aá`bß`_aÝ`bÚ`â`
aá`bÛ`
=ß"ÃaÝ`bÚ`Ý`=a b
;3@; ;3&;

2-'2 '2 2'2-2 '2 2+'2 2'2+2


a=(2 ) =2 , b=(2 ) =2 이므로
2'2-2
a 2 (2'2-2)-(2'2+2) -4 1
= =2 =2 =
b 22'2+2 16
016  ③

'2_Ü'9ÖÜ"ÃÝ'¶12 ='2_Ü"3Û`ÖÚ`Û"Ã2Û`_3
;2!; ;3@; ;1Á2;
012   ⑴ 4  ⑵ 94   ⑶ 9  ⑷ 3  ⑸ 52 =2 _3 Ö(2Û`_3)
;2!; ;3@; ;6!; ;1Á2;
=2 _3 Ö(2 _3 )
⑴ Ü'4_2 =2 _2 =2
;3$; ;3@; ;3$; ;3@;+;3$;
=2Û`=4

⑵ [{ } ] =[[{ }Ü`] ] ={ }
;2!;-;6!; ;3@;-;1Á2;
=2 _3
8 -;4#; ;9*; 2 -;4#; ;9*; 2 3_{-;4#;}_;9*; 2 -2 9
={ } = ;3!; ;1¦2;
27 3 3 3 4 =2 _3

Ⅰ.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3

해설.indb 3 22. 9. 5. 오후 3:55


1 7 11 aÜ`Å`+aÑÜ`Å` (aÜ`Å`+aÑÜ`Å`)aÅ` a +a
4x -2x
∴ a+b= + = = = 2x
3 12 12 aÅ`-aÑÅ` (aÅ`-aÑÅ`)aÅ` a -a
0

다른 풀이 1 2x 1
(a )Û`+
2x 3Û`+
a 3
Û 2ß`_9Ý` =Ú`¾Ð
Û 2ß`_3¡` = =
'2_Ü'9ÖÜ"ÃÝ'¶12 =Ú`¾Ð 3-1
2x
a -1
12 2Û`_3
14
=
=Ú`Û"Ã2Ý`_3à`=2 _3
;3!; ;1¦2;
3
1 7 11
∴ a+b= + =
3 12 12

021  ②
017   ⑴ 7  ⑵ 18
aÅ`-aÑÅ` 1
= 에서 3(aÅ`-aÑÅ`)=aÅ`+aÑÅ`
⑴ xÛ`+xÑÛ`‌=(x+xÑÚ`)Û`-2xxÑÚ` aÅ`+aÑÅ` 3
=3Û`-2_1=7 2aÅ`=4aÑÅ`, aÅ`=2aÑÅ`
⑵ xÜ`+xÑÜ`‌=(x+xÑÚ`)Ü`-3xxÑÚ`(x+xÑÚ`) 양변에 aÅ` 을 곱하면 aÛ`Å`=2
=3Ü`-3_1_3=18 ∴ aÝ`Å`=(aÛ`Å`)Û`=2Û`=4

TIP
양수 a와 실수 x에 대하여 곱셈 공식으로 다음이 성립함을 알 수
있다. 022  ④
❶ aÛ`Å`+aÑÛ`Å`‌=(aÅ`+aÑÅ`)Û`-2
x 1
=(aÅ`-aÑÅ`)Û`+2 63 =81의 양변을 제곱하면
x
❷ (aÅ`-aÑÅ`)Û`=(aÅ`+aÑÅ`)Û`-4 63=81 =(3Ý`) =3 
;[!; ;[!; ;[$;
yy`㉠
3x
❸ a +aÑÜ`Å`=(aÅ`+aÑÅ`)Ü`-3(aÅ`+aÑÅ`) y 1
3x 7 =3의 양변을 제곱하면
a -aÑÜ`Å`=(aÅ`-aÑÅ`)Ü`+3(aÅ`-aÑÅ`) y
;]!;
7=3  yy`㉡
㉠, ㉡에 의하여

018  ④ 3
;[$;-;]!; ;[$;
=3 Ö3 =63Ö7=9=3Û`
;]!;

4 1
(3Å`+3Ú`ÑÅ`)Û`=9Å`+9Ú`ÑÅ`+2_3Å`_3Ú`ÑÅ` ∴ - =2
x y
∴ 9Å`+9Ú`ÑÅ`=10Û`-2_3=94
다른 풀이

9Å`+9Ú`ÑÅ`‌=(3Û`)Å`+(3Û`)Ú`ÑÅ`=(3Å`)Û`+(3Ú`ÑÅ`)Û`
=(3Å`+3Ú`ÑÅ`)Û`-2_3Å`_3Ú`ÑÅ`
023   ⑴ 4  ⑵ 0
x ;[!; ;[@;
=10Û`-2_3=94 ⑴ 6 =12에서 12 =6, 12 =6Û`
y ;]!; ;]@;
8 =12에서 12 =8, 12 =8Û`
z ;z!;
9 =12에서 12 =9
019  ③
12
;[@;+;]@;+;z!;‌

=12 _12 _12
;[@; ;]@; ;z!;

a b+c b c+a c a+b‌ ab+ac bc+ba ca+cb


(2 ) _(2 ) _(2 ) =2 _2 _2 =6Û`_8Û`_9=2¡`_3Ý`
(ab+ac)+(bc+ba)+(ca+cb)
=2 =(2Û`_3)Ý`=12Ý`
yy`㉠
2(ab+bc+ca)
=2  2 2 1
∴ + + =4
한편, aÛ`+bÛ`+cÛ`=(a+b+c)Û`-2(ab+bc+ca)이므로 x y z
1 z
13=4Û`-2(ab+bc+ca) } =k`(k>0)라 하면
x y
⑵ 2 =7 ={
14
∴ 2(ab+bc+ca)=16-13=3
xyz+0이므로 k+1
따라서 ㉠에서
a b+c b c+a c a+b ;[!; ;]!; ;z!;‌
 1
(2 ) _(2 ) _(2 ) =2Ü`=8 따라서 k =2, k =7, k = 이므로
14
;[!; ;]!; ;z!;‌
 1
k _k _k =2_7_ 에서
14
020  ④
k
;[!;+;]!;+;z!;‌

=1
aÜ`Å`+aÑÜ`Å` 1 1 1
의 분모, 분자에 aÅ` 을 곱하면 ∴ + + =0
aÅ`-aÑÅ` x y z

4 수학Ⅰ

해설.indb 4 22. 9. 5. 오후 3:55


024  ① ∴ 0<x<1 또는 1<x<3
⑵ logx-2 (-xÛ`+6x+16)이 정의되려면 x-2>0, x-2+1이고,
80-65 15 -xÛ`+6x+16>0이어야 한다.
GÁ= _(1.05)Ü`Þ`= _(1.05)Ü`Þ`
14 14
즉, x>2, x+3이고,
70-65 5
Gª= _(1.05)Û`â`= _(1.05)Û`â` xÛ`-6x-16=(x+2)(x-8)<0에서 -2<x<8
14 14
∴ 2<x<8, x+3
15
_(1.05)Ü`Þ` I
GÁ 14 따라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정수 x는 4, 5, 6, 7로 4개이다.
∴ = =3_(1.05)Ú`Þ`=3_2=6
Gª 5
_(1.05)Û`â`
14

029   ⑴ 3  ⑵ 4  ⑶ 12   ⑷ 1

025  ⑤
⑴ log2`40-log2`5=log2`
40
=log2`8=log2`2Ü`=3
5
① logŒ`x+logŒ`y=logŒ`xy
4 4 1
② logŒ`xÇ`=n`logŒ`x ⑵ log2` +2`log2`'¶12‌=log2` +2_ `log2`12
3 3 2
x 4 4
③ logŒ` =logŒ`x-logŒ`y =log2` +log2`12=log2`{ _12}
y 3 3
logŒ`x
④a =x =log2`16=log2`2Ý`=4
logŒ`y logŒ`x
⑤x =y 1 3
‌ 3`'6+ `log3`5- `log3`Ü'¶10
⑶ log
따라서 옳은 것은 ⑤이다. 2 2
1 1 3 1
= `log3`6+ `log3`5- _ `log3`10
2 2 2 3
026  ② 1
= (log3`6+log3`5-log3`10)
2
logª`a=3에서 로그의 정의에 의하여 a=2Ü` 1 6_5 1 1
= `log3` = `log3`3=
2 2 10 2 2
logº`4= 에서 로그의 정의에 의하여
5 ⑷ 3`log
‌ 7`'7+log9`5-log3`'¶15
;5@; ;2%; ;2%;
b =4이므로 b=4 =(2Û`) =2Þ` yy TIP 1 1 1
=3_ `log7`7+ `log3`5- `log3`15
b 2Þ` 2 2 2
∴ = =2Û`=4
a 2Ü` 3 1 5 3 1 -1
= + `log3` = + `log3`3
2 2 15 2 2
TIP 3 1
n m = - =1
x m =y이면 x=y n 이다. 2 2
n m n m m m
(∵ x m =y의 양변을 n 제곱하면 (x m ) n =y n , x=y n 이다.)

030  ⑤
12
logª`12+2`log;2!;`3‌ logª`12-2`logª`3 logª` logª`;3$; logª`{;3$;}Û`
4 =4 =4 3Û` =(2Û`) =2
027  ①
4 16
={ }Û`=
1 3 9
log;1Á6;{log9(log2`x)}= 에서
4
로그의 정의에 의하여

log9(log2`x)={
1 ;4!; Ý 1
16
} =®É =
1
16 2
031  ②

1 1 1 1
다시 로그의 정의에 의하여 + ‌= + =log¤`4+log¤`9
x y log¢`6 log»`6
;2!;
log2`x=9 =3 =log¤`(4_9)=log¤`6Û`=2
다시 로그의 정의에 의하여
x=2Ü`=8

032   ⑴ 1  ⑵ 3

028   ⑴ 0<x<1 또는 1<x<3  ⑵ 4


⑴ log£`2_logª`3=log£`2_
1
log£`2
=1
⑴ logx (3-x)가 정의되려면 x>0, x+1이고, logª`3 logª`8
⑵ logª`5_log°`3_log£`8‌=logª`5_ _
3-x>0이어야 한다. logª`5 logª`3
즉, 0<x<3, x+1이다. =logª`8=logª`2Ü`=3

Ⅰ.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5

해설.indb 5 22. 9. 5. 오후 3:55


TIP
다음을 이용하여 빠르게 계산할 수 있다.
037  ②
x
1 2 =20에서 로그의 정의에 의하여 x=log2`20이므로
❶ logŒ`b_logº`a=1 {∵ logŒ`b= }
logb`a 20
x-2=log2`20-2=log2`20-log2`4=log2` =log2`5
❷ logŒ`b_logº`c_log`d=logŒ`d 4
y
logŒ`c logŒ`d 5 =20에서 로그의 정의에 의하여 y=log5`20이므로
{∵ logŒ`b_logº`c_log`d=logŒ`b_ _ =logŒ`d}
logŒ`b logŒ`c 20
y-1=log5`20-1=log5`20-log5`5=log5` =log5`4
5
∴ (x-2)(y-1)‌=log2`5_log5`4=log2`5_log5`2Û`

033 
a+3
 ⑴ 2a+b  ⑵ 2b+1   ⑶
2-3a
b
=log2`5_2`log5`2=2

⑴ log2`45=log2`(3Û`_5)=2`log2`3+log2`5=2a+b

⑵ log50`24‌=
log2`24 log2`(2Ü`_3)
=
log2`50 log2`(2_5Û`)
038   ⑴ 2.4216  ⑵ 4.4216  ⑶ -0.5784  ⑷ -2.5784

3+log2`3 a+3 ⑴ log`264‌=log`(2.64_10Û`)=log`10Û`+log`2.64


= =
1+2`log2`5 2b+1 =2+0.4216=2.4216
4 ⑵ log`26400‌=log`(2.64_10Ý`)=log`10Ý`+log`2.64
logª` log2`2Û`-log2`3Ü` 2-3a
4 27
⑶ log5` = = = =4+0.4216=4.4216
27 logª`5 log2`5 b
⑶ log`0.264‌=log`(2.64_10ÑÚ`)=log`10ÑÚ`+log`2.64
=-1+0.4216=-0.5784
034  ④ ⑷ log`0.00264‌=log`(2.64_10ÑÜ`)=log`10ÑÜ`+log`2.64

log°`2=b에서 양변에 역수를 취하면 =-3+0.4216=-2.5784

1 1 1
=  이므로 logª`5=
log°`2 b b

∴ log¢°`120‌=
logª`120 logª (2Ü`_3_5)
logª`45
=
logª (3Û`_5)
039   a=345, b=0.00345

3+logª`3+logª`5 2.5378‌=2+0.5378=log`10Û`+log`3.45
=
2`logª`3+logª`5 =log`(3.45_10Û`)=log`345
1 ∴ a=345
3+a+
b
= -2.4622‌=-2-0.4622=-3+(1-0.4622)
1
2a+
b =-3+0.5378=log`10ÑÜ`+log`3.45
ab+3b+1 =log`(3.45_10ÑÜ`)=log`0.00345
=
2ab+1 ∴ b=0.00345

035  ③

1 1 1 2
040   ⑴ 1-a
b
  ⑵
3a+b-2
a+b-1
+ + = 에서
log3`x log6`x log8`x loga`x 10
로그의 밑을 x로 하면 log`5 log` 2 log`10-log`2
⑴ log£`5= = =
log`3 log`3 log`3
logx`3+logx`6+logx`8=2`logx`a
logx`(3_6_8)=logx`aÛ` 1-log`2 1-a
= =  yy TIP
log`3 b
aÛ`=3_6_8=12Û`
24
∴ a=12`(∵ a>0) log`0.24 log` 100 log`24-2
⑵ log0.6`0.24‌= = =
log`0.6 6 log`6-1
log`
10
036  ①
=
log`(2Ü`_3)-2 3`log`2+log`3-2
=
log`(2_3)-1 log`2+log`3-1
a
18 =2에서 로그의 정의에 의하여 a=log18`2 3a+b-2
b
18 =7에서 로그의 정의에 의하여 b=log18`7 =
a+b-1
a+b log18`2+log18`7 log18`(2_7) log18`14
= = = =log9`14 TIP
1-a 1-log18`2 18 log18`9
log18`
2 log`5=1-log`2를 이용하는 문제가 종종 나오니 빠르게 사용할
a+b
log»`14
수 있도록 기억해 두자.
∴ 9 1-a =9 =14

6 수학Ⅰ

해설.indb 6 22. 9. 5. 오후 3:55


041  ② =log`100+log`8.17=log`817
∴ A=817
80`dB인 소리의 세기를 IÁ이라 하면
IÁ IÁ
80=10`log` -12 , 8=log` -12
10 10 045   ⑴ 2  ⑵ 4  ⑶ 0  ⑷ 12
IÁ -4
-12 =10¡`, IÁ=10
⑴ Þ"32Û`Ö(Ü'2)ß`_"ÃÜ'¶64‌‌=Þ"Ã(2Þ`)Û`ÖÜ"2ß`_ß"2ß`=Þ"2 Ö2Û`_2 I
10
10
30`dB인 소리의 세기를 Iª라 하면 =2Û`Ö2Û`_2=2
Iª Iª
30=10`log` -12 , 3=log` -12 ⑵ Þ"Ã(-6)Þ` +Ý"Ã(-5)Ý`+Ý"Ã(-3)¡`+Ü"-2ß`‌=-Þ"6Þ`+Ý"5Ý`+Ý"3¡`-Ü"2ß`
10 10 =-6+5+3Û`-2Û`=4

⑶ Ü'Ä-27 +Ü'5_Ü'¶25-Ü¿¹"8Û`‌=-Ü"3Ü`+Ü'Ä5_25-ß"2ß`
-9
-12 =10Ü`, Iª=10
10
IÁ 10-4 =-3+5-2=0
∴ = =10Þ`
Iª 10-9 Ý'¶162 Ý 162 =Ü'Ä9_81+Ý'¶81
⑷ Ü¿¹"9Û`_Ü'¶81+ ‌=Ü'9_Ü'¶81+¾Ð
따라서 크기가 80`dB인 소리의 세기는 Ý'2 2
크기가 30`dB인 소리의 세기의 10Þ`배이다. =Ü"9Ü`+Ý"3Ý`=9+3=12

042  ③ 046  ④

리히터 규모가 7인 지진의 에너지를 xA라 하면 Ü'¶40+Ü'¶75_Ü'¶225-á'Ä-125 =Ü'¶40+Ü'Ä75_225-(-á'¶125)


log`xA=11.8+1.5_7 =Ü"Ã2Ü`_5+Ü"Ã15Ü`_5+á"5Ü`
리히터 규모가 5인 지진의 에너지를 xB라 하면 =2 Ü'5+15 Ü'5+Ü'5
log`xB=11.8+1.5_5 =18 Ü'5
xA
이때 구하는 값은 이고,
xB
xA
log` =log`xA-log`xB=1.5_(7-5)=3이므로
xB
047   ⑴ 2 Ü'2  ⑵ -216

xA ⑴ Ü'4의 제곱근 중 양수인 것은 "Ü'4이므로


=10Ü`이다.
xB p="Ü'4=Ü"'4=Ü'2
따라서 리히터 규모가 7인 지진의 에너지는 리히터 규모가 5인 54의 세제곱근 중 실수인 것은 Ü'5Œ4이므로
지진의 에너지의 10Ü`배이다. q=Ü'5Œ4=Ü"Ã2_3Ü`=3 Ü'2
∴ q-p=3 Ü'2-Ü'2=2 Ü'2
⑵ ('¶-8)Û`=-8이므로 {('¶-8)Û`}Ü`=(-8)Ü`의 세제곱근 중
043   631
실수인 것은 -8이다.  
겉보기 등급(m)이 5, 절대등급(M)이 -4인 별의 지구까지의 ∴ a=-8
거리를 x파섹이라 하면 Ü"Ã(-2)ß`=Ü"Å2ß`=2Û`=4의 네제곱근 중 양수인 것은 Ý'4='2이다.
5-(-4)=5`log`x-5 ∴ b='2
14 ∴ a+bÛ`=-8+('2)Û`=-6
log`x= =2.8
5 -6이 c의 세제곱근이므로
이때 log`6.31=0.8이므로 c=(-6)Ü`=-216
log`x=2.8=2+0.8=2+log`6.31=log`631
∴ x=631
048  ②

Þ"Ã-xÛ`+2ax-8a 가 음수이려면 -xÛ`+2ax-8a가 음수이어야


044   817
한다.
유리판을 한 장 통과할 때마다 그 밝기가 2`%씩 감소하므로 밝기가 따라서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xÛ`+2ax-8a<0,
1000인 빛이 이 유리판을 10장 통과했을 때의 밝기를 A라 하면 즉 xÛ`-2ax+8a>0이어야 하므로
10
A=1000_(0.98) 이다. 이차방정식 xÛ`-2ax+8a=0의 판별식을 D라 할 때,
10
log`A‌=log{1000_(0.98) } D
=aÛ`-8a=a(a-8)<0
=3+10`log`0.98=3+10`log(9.8_0.1) 4
=3+10(log`9.8-1)=3+10(0.9912-1) ∴ 0<a<8
=2.912=2+0.912 따라서 정수 a는 1, 2, 3, y, 7로 7개이다.

Ⅰ.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7

해설.indb 7 22. 9. 5. 오후 3:55


Û nÛ`-13n+36의 값이 음수인 경우
049  ②
(n-4)(n-9)<0에서
'3의 5제곱근 중 실수인 것은 Þ"'3으로 1개이고, 4<n<9
-Ý'5의 세제곱근 중 실수인 것은 -Ü"Ý'5로 1개이다. 이때 n이 홀수이어야 하므로 n의 값은 5, 7이다.
∴ f('3, 5)= f(-Ý'5, 3)=1 Ú, Û에서 구하는 모든 n의 값의 합은
0의 네제곱근은 0뿐이므로 실수인 것은 1개이다. 2+10+5+7=24이다.
∴ f(0, 4)=1
à'¶-4 는 -4의 7제곱근이므로 음수이다.
그러므로 à'¶-4의 6제곱근 중 실수인 것은 없다.
∴ f(à'¶-4, 6)=0 053  ③
∴ f('3, 5)+ f(-Ý'5, 3)+ f(0, 4)+ f(à'¶-4, 6)
자연수 n의 값에 관계없이 n(n-4)의 세제곱근 중 실수인 것의
=1+1+1+0=3
개수는 1이므로 f(n)=1이다.
n(n-4)의 네제곱근 중 실수의 것의 개수는
n(n-4)>0일 때 2이므로 g(n)=2,
n(n-4)=0일 때 1이므로 g(n)=1,
050  ②
n(n-4)<0일 때 0이므로 g(n)=0이다.
9 9 이때 f(n)>g(n)에서 1>g(n)이므로 g(n)=0이어야 한다.
n이 홀수이면 -n의 값에 관계없이 항상 -n의 n제곱근 중
2 2 즉, n(n-4)<0에서 0<n<4이므로
실수인 것의 개수는 1이므로 자연수 n의 값은 1, 2, 3이다.
f(3)= f(5)= f(7)=1 따라서 구하는 모든 n의 값의 합은
9 1+2+3=6이다.
n=4일 때, -n>0이므로 f(n)=2
2
9
n=6, 8일 때, -n<0이므로 f(n)=0
2
∴ f(3)+ f(4)+ f(5)+ f(6)+ f(7)+ f(8)
=1+2+1+0+1+0=5 054  ③

n=2일 때 '4Œ9<'6Œ0<'6Œ4에서 7<'6Œ0<8이므로 f(2)=7


n=3일 때 Ü'2Œ7<Ü'6Œ0<Ü'6Œ4에서 3<Ü'6Œ0<4이므로 f(3)=3
n=4일 때 Ý'1Œ6<Ý'6Œ0<Ý'8Œ1에서 2<Ý'6Œ0<3이므로 f(4)=2
051  ②
n=5일 때 Þ'3Œ2<Þ'6Œ0<Þ'¶243에서 2<Þ'6Œ0<3이므로 f(5)=2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x의 다섯제곱근 중 실수인 것은 n¾6일 때 Ç '1<Ç '6Œ0<Ç "Å2Ç` 에서 1<Ç '6Œ0<2이므로 f(n)=1
1개이므로 g(x)=1이다.   ∴ g(b)=1 ∴ f(2)+ f(3)+ f(4)+y+ f(10)‌=7+3+2+2+5_1
이때 f(a)g(b)=2에서 f(a)=2이다. =19
즉, a의 네제곱근 중 실수인 것의 개수가 2이어야 하므로
a>0이어야 한다.
a>0이므로 a로 가능한 값은 1, 2, 3, 4, 5로 5개이고,
b로 가능한 값은 -5, -4, -3, y, 5로 11개이다. 055  ②

따라서 구하는 순서쌍 (a, b)의 개수는 5_11=55이다. xª


집합 X의 원소가 모두 양수이므로 가 최대이려면

xÁ이 최소, xª가 최대이어야 한다.
A=Ü"2'6, B=Ü"'1Œ0, C=Ý"Ã3 Ü'5 라 할 때,
052  ① 세 수를 각각 12제곱하면 yy TIP

nÛ`-13n+36의 값이 양수이면서 n의 값이 짝수이거나 AÚ`Û`=(Ü"2'6 )Ú`Û`=(2'6)Ý`=2Ý`_6Û`=576


nÛ`-13n+36의 값이 음수이면서 n의 값이 홀수일 때 BÚ`Û`=(Ü"'1Œ0)Ú`Û`=10Û`=100
nÛ`-13n+36의 n제곱근 중 음의 실수가 존재한다. CÚ`Û`=(Ý"Ã3 Ü'5 )Ú`Û`=(3 Ü'5)Ü`=3Ü`_5=135
nÛ`-13n+36=(n-4)(n-9)이므로 BÚ`Û`<CÚ`Û`<AÚ`Û`이므로 B<C<A
Ú nÛ`-13n+36의 값이 양수인 경우 xª
따라서 xÁ=B, xª=A일 때, 가 최댓값
(n-4)(n-9)>0에서 xÁ
"
Ü 2'6 ܾР2'6 ܾР2Û`_6 ß 12
= ®É
2Én<4 또는 9<nÉ11`(∵ 2ÉnÉ11)
= =®Â   를 갖는다.
이때 n이 짝수이어야 하므로 n의 값은 2, 10이다. Ü"'1Œ0 '1Œ0 10 5

8 수학Ⅰ

해설.indb 8 22. 9. 5. 오후 3:55


1 1
TIP 따라서 p= , q= 이므로
3 2
Ü"2'6, Ü"'1Œ0, Ý"Ã3 Ü'5 를 각각 n제곱하여 자연수가 되려면 n은 5
p+q=
각각 6의 배수, 6의 배수, 12의 배수이어야 한다. 6
따라서 세 수가 모두 자연수가 되게 하는 n의 최솟값은 6과 12의
최소공배수인 12이다.
I
059  ④

Ü¿¹a¿¹a_Ý"Åa3Öß¿¹a_Ý"Åak
056  ②
=(Ü'a_Ü¿¹'a_Ü¿¿
¹ ¹Ý"Åa )Ö(ß'a_ß¿¹Ý"Åa ) 3  k
;2#; ;2#;
ㄱ. {(-2)Û`} =(2Û`) =2Ü`=8 (거짓) ;3!; ;6!; ;8!; ;6!;
k
p+2 p-1 (p+2)-(p-1) =(a _a _a )Ö(a _a 24 )
ㄴ. 3 Ö3 =3 =3Ü`=27 (참)
;3!;+;6!;+;8!; ;6!;+
k
ㄷ. (2
1-'3
-2
1+'3
)Û`-(2
1-'3
+2
1+'3
)Û` =a Öa 24

1-'3 1+'3 1-'3 1+'3


={(2 -2 )+(2 +2 )} =a
{;3!;+;6!;+;8!;}-{;6!;+
k
24
}
1-'3 1+'3 1-'3 1+'3
 _{(2 -2 )-(2 +2 )} 11-k

=(2_2
1-'3
)_(-2_2
1+'3
) =a 24

(1-'3)+(1+'3)
=-4_2 11-k 11-k
따라서 a 24 =1에서 =0이다.
=-4_2Û`=-16 (참) 24
9Þ`+3
15 10
3 +3
15
3 (1+3Þ`) 25
10 ∴ k=11
ㄹ. -15 = -10
-5 -15 = -15 =3 (거짓)
9 +3 3 +3 3 (3Þ`+1)
따라서 옳은 것은 ㄴ, ㄷ이다.

060   풀이 참조

057   ⑴ 24  ⑵ 34 r, s가 정수일 때, a Öa =a


r s r-s
이 성립한다.
r, s가 정수가 아닌 유리수일 때,
;5^; ;5!; ;5!; ;5!;
⑴ 3 -3 =3 (3-1)=2_3 이므로 x z
;5^; ;5!; ;5!;
r= , s=  (x, z는 정수, y, w는 각각 x, z와 서로소인 2 이상의
(3 -3 )Þ` (2_3 )Þ` 2Þ`_3 y w
=
‌ = =2Ü`_3=24
4 4 4 자연수)라 하면
-;4!; -;4!; -;2!;
a Öa =a Öa w =´"aÅ`Ö· "a½`
-1 ;]{; z
⑵ (1-2 )(1+2 )(1+2 )(1+2 ) r s

-;2!; -;2!; xw
=´`· "aÅ` ·` Ö´`· "a´`½`= ¾Ð
=(1-2 )(1+2 )(1+2ÑÚ`) yw
a
yz
=(1-2ÑÚ`)(1+2ÑÚ`) a
=´`· "a
xw-yz
xw-yz
1 3 =a yw
=1-2ÑÛ`=1- =
2Û` 4 x
-
z
r-s
=a y w =a
이고,
(Ü'3-Ü'2)(Ü'9+Ü'6+Ü'4) 채점 요소 배점
=(Ü'3-Ü'2){(Ü'3)Û`+Ü'3_Ü'2+(Ü'2)Û`} r, s가 정수일 때, a Öa =a
r s r-s
이 성립함을 말하기 10`%
=(Ü'3)Ü`-(Ü'2)Ü`=3-2=1 r, s를 분수로 표현하여 a =´"ÅaÅ`, a =· "Åa 의 꼴로 나타내기
r s z
30`%
이므로
거듭제곱근의 성질과 주어진 성질을 이용하여 증명하기 60`%
-;4!; -;4!; -;2!; -1
(1-2 )(1+2 )(1+2 )(1+2 ) 3
=
(Ü'3-Ü'2)(Ü'9+Ü'6+Ü'4) 4

061  ③
058  ②
1 6Ü`â` 6Ü`â`
= =  이므로
정육면체의 한 모서리의 길이를 a라 하면 6ÑÜ`â`+1 (6ÑÜ`â`+1)6Ü`â` 1+6Ü`â`
정육면체의 부피는 aÜ`=4에서 1 1 6Ü`â` 1
+ ‌= +
6ÑÜ`â`+1 6Ü`â`+1 6Ü`â`+1 6Ü`â`+1
a=Ü'4=2 
;3@;
yy`㉠
6Ü`â`+1
색칠한 정삼각형의 한 변의 길이는 '2a이므로 정삼각형의 넓이는 =
6Ü`â`+1
=1
'3 '3 '3 ;3@; 마찬가지 방법에 의하여 자연수 n에 대하여
_('2a)Û`= aÛ`= _(2 )Û` (∵ ㉠)
4 2 2
1 1
;3!; ;2!; + =1이므로
=2 _3 6ÑÇ`+1 6Ç`+1

Ⅰ.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9

해설.indb 9 22. 9. 5. 오후 3:55


"nÜ`=n 이 자연수가 되려면
;2#;
1 1 1 1 1
+ +y+ + + +y
6ÑÜ`â`+1 6ÑÛ`á`+1 6ÑÚ`+1 6â`+1 6Ú`+1 자연수 n이 어떤 자연수의 제곱 꼴이어야 한다.
1 1
 + + 즉, n=lÛ``(l은 자연수)이고 nÉ9이므로 가능한 n의 값은
6Û`á`+1 6Ü`â`+1
l=1일 때 n=1Û`=1
1 1 1 1
={ + }+{ + }+y l=2일 때 n=2Û`=4
6ÑÜ`â`+1 6Ü`â`+1 6ÑÛ`á`+1 6Û`á`+1
1 1 1 l=3일 때 n=3Û`=9
 +{ + }+
6ÑÚ`+1 6Ú`+1 6â`+1 따라서 m의 최댓값은 108, n의 최댓값은 9이므로
1 61 구하는 m+n의 최댓값은
=30_1+ =
2 2
108+9=117
따라서 p=2, q=61이므로
p+q=63

066   124

("Å3Ç` ) =(3 ) =3 , Ç "3 =3


100
;2!; ;2N; ;2!; ;4N;

062
100
 ③
n 이고, 두 값이 모두 자연수가

100
;5!;
a=2 , b=7 , c=13 이므로
;6!; ;9!; 되려면 ;4N;, 이 모두 자연수이어야 한다.
n
;5!; ;6!; ;9!; n
n
(abc) =(2 _7 _13 ) 따라서 2 이상의 자연수 n에 대하여 n은 4의 배수이면서 100의
n n n 약수이어야 한다.
=2 _7 _13
5 6 9

2 이상인 100의 약수는 2, 4, 5, 10, 20, 25, 50, 100이고,


이 값이 자연수가 되려면 n은 5, 6, 9의 공배수이어야 한다.
이 중 4의 배수는 4, 20, 100이므로 구하는 모든 n의 값의 합은
따라서 자연수 n의 최솟값은 5, 6, 9의 최소공배수인 90이다.
4+20+100=124

063   16
067  ③
;6!; ;2#; ;6!; ;2%; ;6!; ;1°2;
(5"Å5Ü`) =(5_5 ) =(5 ) =5 6
x+1
=12a에서 6_6Å`=12a
;1%2N;
이 값이 어떤 자연수 N의 n제곱근이면 5 =N이므로 ∴ 6Å`=2a yy`㉠
n은 12의 배수이어야 한다. x-1 2 18Å` 2
18 =  a에서 =  a
2ÉnÉ200인 자연수 n 중 12의 배수의 개수는 16이므로 3 18 3
구하는 n의 개수는 16이다. ∴ 18Å`=12a yy`㉡
㉠, ㉡의 양변을 변끼리 나누면
6Å` 2a 1 x 1
=  에서 { } =
18Å` 12a 3 6
064 ∴ { } ={ } _{ } =[{ } ]2`_3Ü`
 ③ 1 2x-3‌ 1 2x 1 -3 1 x
5
3 3 3 3
1 n
{ } =(2 ) n =2 n 이 자연수가 되려면
-3 5 - 15
1 2 3
8 ={ } _27=
6 4
15
- 가 0 또는 자연수이어야 하므로
n
15
-n
정수 n으로 가능한 값은 -1, -3, -5, -15이고, 이때 2 의
값은 각각 2Ú`Þ`, 2Þ`, 2Ü`, 2Ú`이다. 068  ③

따라서 가능한 모든 자연수의 곱은 2Ú`Þ`_2Þ`_2Ü`_2Ú`=2Û`Ý`이므로 7


2a+b
=32, 7
a-b
=2에서
k=24 7
2a+b
_7
a-b
=7
(2a+b)+(a-b) 3a
=7 이므로
3a
7 =32_2=2ß`
a
7 =2Û`
065  ⑤ ∴ 4 =7
;a~!;

Ü '¶2m=(2m) 이 자연수가 되려면


;3!; 또한, 7
2a+b
=32, (7
a-b
)Û`=2Û`에서
2a+b a-b (2a+b)-2(a-b) 3b
자연수 2m이 어떤 자연수의 세제곱 꼴이어야 한다. 7 Ö(7 )Û`=7 =7 이므로
3b
즉, m=2Û`_kÜ``(k는 자연수)이고 mÉ135이므로 가능한 m의 값은 7 =32Ö2Û`=2Ü`
b
k=1일 때 m=2Û`_1Ü`=4 7 =2
;b~!;
k=2일 때 m=2Û`_2Ü`=32 ∴ 2 =7
a+2b
;b~!;+;a@; ;b~!; ;a@; ;b~!; ;a~!;
k=3일 때 m=2Û`_3Ü`=108 ∴4 ab =4 =4 _4 =(2 )Û`_(4 )Û`=7Û`_7Û`=7Ý`

10 수학Ⅰ

해설.indb 10 22. 9. 5. 오후 3:55


;2!; -;2!; ;2!; -;2!;

069  ② ⑵ (x +x
이므로 x +x
;2!;
)Û`=x+xÑÚ`+2x x
-;2!;
='7 (∵ x>0)
=5+2=7

2xÜ`+6x+3=2(xÜ`+3x)+3 ;2#; -;2#;‌ ;2!; -;2!; ;2!; -;2!; ;2!; -;2!;


∴ x +x =(x +x )Ü`-3x x (x +x )
;3!; -;3!; ;3!; -;3!;
=2{(2 -2 )Ü`+3(2 -2 )}+3 =('7)Ü`-3'7=4'7
;3!; -;3!;
=2{(2 )Ü`-(2 )Ü`}+3
2-2'5
1
=2{2- }+3
2
073   7
I
;2#; -;2#;
3
=2_ +3=6 (x -1)(x -1) x;2#;x-;2#;-x;2#;-x-;2#;+1
2 =
xÛ`+xÑÛ` xÛ`+xÑÛ`
;2#; -;2#;
2-(x +x )
=  yy`㉠
070   18
1
xÛ`+xÑÛ`
이때 'x+
;2!; -;2!;
=x +x ='5이므로
;3!;
aÜ`=(x +y )Ü`=x+y+3x y (x +y )
;3!; ;3!; ;3!; ;3!; ;3!; 'x
;2!; -;2!; ;2!; -;2!;
이때 x+y=(6+2'7)+(6-2'7)=12, x+xÑÚ`=(x +x )Û`-2x x =('5)Û`-2=3
xy=(6+2'7)(6-2'7)=8이므로 xÛ`+xÑÛ`=(x+xÑÚ`)Û`-2xxÑÚ`=3Û`-2=7
;3!; ;2#; -;2#;‌
 ;2!; -;2!; ;2!; -;2!; ;2!; -;2!;
aÜ`=12+3_8 _a=12+6a x +x =(x +x )Ü`-3x x (x +x )
∴ aÜ`-6a+6=(12+6a)-6a+6=18 =('5)Ü`-3'5=2'5
따라서 ㉠에서
;2#; -;2#;

071   ⑴ 10  ⑵ 4 (x -1)(x -1) 2-2'5


xÛ`+xÑÛ`
=
7
두 점 (2, 0), (0, 4)를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y=-2x+4이므로 b=-2a+4, 즉 2a+b=4이다.
a b a b a b
074  ②
⑴ (4 +2 )Û`‌=(4 -2 )Û`+4_4 _2 6x -3x
6x
3 -1 (3 -1)_3 3x
3 -3
-3x

=6Û`+2
2+2a+b
=6Û`+2ß`=100 4x 2x = 4x 2x -3x = x -x  yy ㉠
3 -3 (3 -3 )_3 3 -3
a b a b
∴ 4 +2 =10`(∵ 4 +2 >0) x -x
이때 9 +9 =6이므로
a b a -2a+4 a -a+2
⑵ 2 +('2) =2 +('2) =2 +2 x
(3 -3 )Û`=9 +9 -2=4
-x x -x

x -x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에 의하여 ∴ 3 -3 =2`(∵ x>0)
3x -3x‌ x -x x -x
¾2¿¹2 _2
a -a+2 a -a+2
2 +2 =4 3 -3 =(3 -3 )Ü`+3(3 -3 )
a -a+2
 (단, 등호는 2 =2 , 즉 a=1일 때 성립한다.) =2Ü`+3_2=14
따라서 구하는 최솟값은 4이다. 따라서 ㉠에서
6x
3 -1 14
다른 풀이 2x = =7
4x
3 -3 2
a b a -2a+4
⑴ 4 -2 =6에서 4 -2 =6이므로

075  76
a -a+2
4 -4 =6 
a b a -2a+4 a -a+2
4 +2 =4 +2 =4 +4
;6!; -;6!;
이고 xÛ`-4=(2 +2 )Û`-4
a -a+2 a -a+2 a -a+2 ;6!; -;6!;
(4 +4 )Û`‌=(4 -4 )Û`+4_4 _4 =(2 -2 )Û`
=6Û`+4_4Û`=100
이므로 "ÃxÛ`-4=|2 -2 |=2 -2
;6!; -;6!; ;6!; -;6!;
a b a b
 yy TIP
∴ 4 +2 =10 (∵ 4 +2 >0)
∴ "ÃxÛ`-4+x=(2 -2
;6!; -;6!; ;6!; -;6!;
)+(2 +2 )
;6!; ;6&;
=2_2 =2
072   ⑴ -2'3  ⑵ 4'7
∴ k=
7
;2!; -;2!; ;2!; -;2!; ;2!; -;2!; 6
⑴ (x -x )Û`‌=(x +x )Û`-4x x
=4Û`-4=12 yy ㉠ TIP
1 1 ;6!; 1
2 =ß'2, 2 ={ } =ß®
이때 0<x<1에서 0<'x<1, >1이므로 ;6!; -;6!;
'x 2 2
;2!; -;2!; 1 1 1
2> 에서 ß'2>ß® 이므로 2 >2 이다.
;6!; -;6!;
x -x ='x- <0 yy ㉡
'x 2 2
>0이므로 |2 -2 |=2 -2
㉠, ㉡에 의하여 ;6!; -;6!; ;6!; -;6!; ;6!; -;6!;
즉, 2 -2 이다.
;2!; -;2!;
x -x =-2'3

Ⅰ.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11

해설.indb 11 22. 9. 5. 오후 3:55


;a!;+;b!;
076   ⑴ '¶30  ⑵ 4 k =36
㉠에 의하여 kÛ`=36이므로
x y z
⑴ 2 =('3) =5 =k (k>0)라 하면 k=6`(∵ k>0)
;[!; ;]@; ;z!;
k =2, k =3, k =5이므로 1 b a 1
} =4 _(9 ) =k_k =k =
a b -2 -2 -1
∴ 4 _{
;[!; ;]@; ;z!; 81 6
k _k _k =2_3_5
;[!;+;]@;+;z!; 채점 요소 배점
k =30
;a!; ;b!;
a b
4 =9 =k로 두고 k =4, k =9 유도하기 20`%
1 2 1
이때 + + =3이므로
x y z 주어진 식으로부터 ;a!;+;b!;=2 유도하기 40`%
;3!;
kÜ`=30, k=30 k의 값 구하기 40`%
;2#;x ;2#; ;2#; ;3!; ;2#; ;2!;
∴ 2 =(2Å`) =k =(30 ) =30 ='3Œ0
;[!;
yy`㉠
x
⑵ 40 =2에서 40=2 
1
5
1
{ } =8에서 =8 =2 
5
;]!;
y
;]#;
yy`㉡ 079  ①
a ;3C; ;3‚a;
;2!; ;z!; x =(xy) 에서 x=(xy) ,
yy`㉢
z
a =4=2Û`에서 a =2 
b ;3C; ;3‚b;
㉠, ㉡, ㉢에 의하여 y =(xy) 에서 y=(xy) 이므로
;3‚a; ;3‚b; ;3‚a;+;3‚b;
;[!; ;]#; ;z!; 1 ;2!; xy=(xy) (xy) =(xy) 에서
2 _2 Ö2 =40_ Öa
5 c c bc+ac
+ =1, =1
2
;[!;+;]#;-;z!;
=8Öa
;2!; 3a 3b 3ab
1 3 1 6ab 3ab
4=8Öa {∵
;2!; ∴ =2_ =2
+ - =2} bc+ca bc+ac
x y z
;2!; 다른 풀이
a =2
a b ;3C;
∴ a=2Û`=4 x =y =(xy) =t (t는 양수)라 하면
;a!; ;b!; ;c#;
x=t , y=t , xy=t 이므로
;a!; ;b!; ;c#; ;a!;+;b!; ;c#;
t _t =t , t =t
077  ③ 1 1 3 a+b 3
+ = , =
a b c
a b c ab c
6 =3 =k =t (t>0)라 하면
6ab 6 6
;a!; ;b!; ;c!; ∴ = = =2
6=t , 3=t , k=t  yy`㉠ bc+ca c(a+b) 3
c_
ab c
이때 ac=2ab+bc에서
2ab=ac-bc이므로 양변을 abc로 나누면
2 1 1
= -
080  ⑤
c b a
aÛ`+aÜ`+aÝ`+aÞ`+aß`
;b!; -3 -4 -5 -6 -7 의 분모, 분자에 aá`을 곱하면
;c@; ;b!;-;a!; t a +a +a +a +a
따라서 t =t = 이므로
;a!;
t aá`(aÛ`+aÜ`+aÝ`+aÞ`+aß`)
-3 -4 -5 -6 -7
3 1 aá`(a +a +a +a +a )
㉠에 의하여 kÛ`= =
6 2 aá`(aÛ`+aÜ`+aÝ`+aÞ`+aß`)
'2
=
aß`+aÞ`+aÝ`+aÜ`+aÛ`
∴ k= `(∵ k>0)
2
=aá`=(Ü"Ã2-'3 )á`=(2-'3)Ü`
=8-3_4_'3+3_2_3-3'3
=26-15'3
078   풀이 참조 이므로 p=26, q=-15
a b ∴ p+q=11
4 =9 =k`(k>0)라 하면
a ;a!;
4 =k에서 k =4
b
9 =k에서 k =9
;b!;
081  ⑤
이때 2ab-a-b=0에서
2 2 4 8 16
2ab=a+b이므로 양변을 ab로 나누면 + + + +
1-a
;8!;
1+a
;8!;
1+a
;4!;
1+a
;2!; 1+a
1 1
+ =2  yy`㉠ ;8!; ;8!;
a b 2{(1+a )+(1-a )} 4 8 16
= + + +
따라서 k _k =4_9이므로
;a!; ;b!;
(1-a )(1+a )
;8!; ;8!;
1+a
;4!;
1+a
;2!; 1+a

12 수학Ⅰ

해설.indb 12 22. 9. 5. 오후 3:55


4 4 8 16 600 ;1Á0;
{ } -1=4 -1이므로
;1Á0;
= + + +
1-a
;4!;
1+a
;4!;
1+a
;2!; 1+a 150
;4!; ;4!; 10년 동안 B회사의 연평균 성장률이 A회사의 연평균 성장률의
4{(1+a )+(1-a )} 8 16
= + + a배라 하면
(1-a )(1+a )
;4!; ;4!;
1+a
;2!; 1+a
;1Á0; ;1Á0; ;1Á0;
8 16 8 4 -1 (2 -1)(2 +1) ;1Á0;
= + + a= = =2 +1 yy`㉠
;1Á0; ;1Á0;
1-a
;2!;
1+a
;2!; 1+a 2 -1 2 -1 I
;1!0!; ;1Á0;
;2!; ;2!; 이때 2 =2.14에서 2_2 =2.14
8{(1+a )+(1-a )} 16
= +
(1-a )(1+a )
;2!; ;2!; 1+a ;1Á0;
따라서 2 =1.07이므로
16 16 ㉠에서 a=1.07+1=2.07이다.
= +
1-a 1+a
16{(1+a)+(1-a)}
=

32
(1-a)(1+a)
085  ②
=
1-aÛ` 어느 금융상품에 초기자산이 w¼이므로 15년이 지난 시점에서의
'3 1 기대자산은 3w¼이다.
이때 a= 에서 aÛ`= 이므로 구하는 값은
3 3 즉, W¼=w¼, t=15, W=3w¼을 주어진 관계식에 대입하면
32 32 w¼
= =48 15a 15a 15a 15a
3w¼= _10 (1+10 )   ∴ 6=10 (1+10 )
1 2 2
1-
3 3 15a
이때 10 =X (X>0)라 하면 6=X(1+X)에서
XÛ`+X-6=0, (X+3)(X-2)=0
∴ X=2 (∵ X>0)
082  ④ 15a
∴ 10 =2   yy`㉠
한편, 이 금융상품에 초기자산 w¼을 투자하고 30년이 지난
축소되는 배율을 a라 하면 넓이가 8인 직사각형을 5번 축소한
시점에서의 기대자산이 kw¼이다.
직사각형의 넓이는 8aÞ`=2이므로
즉, W¼=w¼, t=30, W=kw¼을 주어진 관계식에 대입하면
1 -2 -;5@;
aÞ`= =2 에서 a=2 이다. w¼
4 30a
kw¼= _10 (1+10 )
30a
2
따라서 넓이가 8인 직사각형을 3번 축소한 직사각형의 넓이는
1 15a 15a
8aÜ`=8aÞ`_aÑÛ`=2_(2
-;5@;
)ÑÛ` ∴ k‌= _(10 )Û`{1+(10 )Û`}
2
;5$; ;5(;
=2_2 =2 1
= _2Û`_(1+2Û`)=10 (∵ ㉠)
2

083  ③
086  ①

처음 음료수의 온도가 a ¾이므로 금속의 처음 온도가 20 ùC, 열을 가한지 3분 후 온도가 260 ùC이므로


yy`㉠
-3k -3k
18=30+(a-30)p 에서 (a-30)p =-12 3
260-20
=(7_3+6)
k

-6k -6k
24=30+(a-30)p 에서 (a-30)p =-6 240
∴ 3 =27 
k
yy`㉠
-3k
(a-30)p 12 또한, 열을 가한지 a분 후 온도를 340 ùC라 하면
-6k = 이므로 pÜ`û`=2
(a-30)p 6 340-20 k
3 =(7a+6)
-3k1 320
∴ 3 =(7a+6) 
k
yy`㉡
p =  을 ㉠에 대입하면
2
320 240 ;3$;
1 3 =(3 ) 이므로 ㉠, ㉡에 의하여
(a-30)=-12, a-30=-24 k ;3$; ;3$; k
2 k
(7a+6) =(27 ) =(27 ) =81
k

∴ a=6 따라서 7a+6=81이므로


75
a=
7

084  ②

2013년 말부터 2023년 말까지 10년 동안 A회사의 연평균 성장률은 087  ④


400 ;1Á0;
{ } -1=2 -1이고,
;1Á0;
200 aÛ`=bÜ`=cÞ`=k (k는 양수)라 하면
;2!; ;3!; ;5!;
2013년 말부터 2023년 말까지 10년 동안 B회사의 연평균 성장률은 a=k , b=k , c=k 이다.

Ⅰ.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13

해설.indb 13 22. 9. 5. 오후 3:55


∴ logŒ`bc+logº`ca+log`ab log2`a+log2`b+log2`c=2
;3!; ;5!; ;5!; ;2!; ;2!; ;3!; log2`abc=2
=logk `k k +logk `k k +logk `k k
;2!; ;3!; ;5!;

;3!;+;5!; ;5!;+;2!; ;2!;+;3!; ∴ abc=4  yy`㉠


=logk `k ;2!; +logk `k
;3!; +logk `k
;5!;

조건 ㈏에서 a=bÛ`='c=t`(t>0)라 하면
1 1 1 1 1 1
=2{ + }+3{ + }+5{ + } ;2!;
3 5 5 2 2 3 a=t, b=t , c=tÛ`이고,
7 22 ㉠에 의하여
= +1+4=
3 3 ;2!;
abc=t_t _tÛ`
1+;2!;+2
=t
;2&;

088  ⑤ =t =4
;7@; ;7$;
이므로 t=4 =2 이다.
x
x=log2`('5-2)에서 2 ='5-2이므로
;2!; ;2#; ;7$; ;2#; ;7^; 6
1 ∴ log2`ab=log2`(t_t  )=log2`t =log2`(2 ) =log2`2 =
x -x‌
2 -2 =('5-2)- 7
'5-2
=('5-2)-('5+2)=-4
이고,
x -x
4 +4 +2‌=(2 -2 )Û`+4
x -x 091   33
8

=(-4)Û`+4=20 조건 ㈎에서 a Ü'b는 aÞ`의 네제곱근이므로


x
2 -2 -4 1
-x (a Ü'b)Ý`=aÞ`
∴ = =-
x -x
4 +4 +2 20 5 ;3$;
aÝ`b =aÞ`
;3$;
∴ a=b
;3$;

089   ⑴ 2  ⑵ 13
조건 ㈏의 2`loga`b+logb`c=6에 a=b 을 대입하면
2`logb `b+logb`c=6
;3$;

⑴ loga+3 (xÛ`+2ax-a+12)가 정의되려면 3
2_ +logb`c=6
a+3>0, a+3+1이고, xÛ`+2ax-a+12>0이어야 한다. 4
a>-3, a+-2이고,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3 9
+logb`c=6에서 logb`c=
2 2
xÛ`+2ax-a+12>0이어야 하므로
;2(;
이차방정식 xÛ`+2ax-a+12=0의 판별식을 D라 할 때, ∴ c=b
:Á2Á: 11 3 33
D ∴ loga`bc=logb `b = ;3$; _ =

4
=aÛ`-(-a+12)<0에서 2 4 8
aÛ`+a-12=(a+4)(a-3)<0, -4<a<3
∴ -3<a<3, a+-2
따라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정수 a는 -1, 0, 1, 2이므로 092  ⑤
모든 정수 a의 값의 합은 2이다. 1
}=log3`
x+5
f(x)=log3`{1+ 이므로
⑵ log|a-1| (xÛ`+ax+4a)가 정의되려면 x+4 x+4
|a-1|>0, |a-1|+1이고, xÛ`+ax+4a>0이어야 한다. f(1)+ f(2)+ f(3)+y+ f(n)
|a-1|>0에서 a-1+0이므로 a+1이고, 6 7 8 n+5
=log3` +log3` +log3` +y+log3`
|a-1|+1에서 a-1+Ñ1이므로 a+0, a+2이다. 5 6 7 n+4
6 7 8
=log3`{ _ _ _y_ }=log3`
또한,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xÛ`+ax+4a>0이어야 하므로 n+5 n+5
5 6 7 n+4 5
이차방정식 xÛ`+ax+4a=0의 판별식을 D라 할 때,
n+5
D=aÛ`-16a<0에서 따라서 log3` =2에서
5
a(a-16)<0, 0<a<16 n+5
=9
∴ 0<a<16, a+1, a+2 5
따라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정수 a는 ∴ n=40
3, 4, 5, y, 15로 13개이다.

093   13

090  ⑤ 1
log4`2nÛ`- `log2`'§n
2
조건 ㈎에서 1 ;2!;
=log2Û``2nÛ`- `log2`n
log2`a+(log2`b+2)+(log2`c+1)=5이므로 2

14 수학Ⅰ

해설.indb 14 22. 9. 5. 오후 3:55


1 1
= `log2`2nÛ`- `log2`n
2 4 096  ⑤

1 1
= {1+2`log2`n- `log2`n} 방정식 xÛ`-5x+3=0의 두 근이 logª`a, logª`b이므로
2 2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1 3
= {1+ `log2`n} logª`a+logª`b=5, logª`a_logª`b=3
2 2
logª`b logª`a
이 값을 자연수 m`(1ÉmÉ40)이라 하면 ∴ logŒ`b+logº`a‌= +
logª`a logª`b
I
1 3
{1+ `log2`n}=m에서 =
(logª`a)Û`+(logª`b)Û`
2 2 logª`a_logª`b

3 (logª`a+logª`b)Û`-2`logª`a_logª`b
`log2`n=2m-1 =
2 logª`a_logª`b

2(2m-1) 5Û`-2_3 19
log2`n= = =
3 3 3
2(2m-1)
∴ n=2 3

이때 n이 자연수가 되려면 2m-1은 3의 배수이어야 하고, 097   - 56


1ÉmÉ40에서 1É2m-1É79이므로
logŒ`c`:`logº`c=2`:`3에서
2m-1은 79 이하의 홀수이다.
2 3
따라서 가능한 2m-1의 값은 3, 9, 15, y , 75로 2`logº`c=3`logŒ`c이므로 =
log`b log`a
구하는 자연수 n의 개수는 13이다. log`a 3 3
= , logº`a=
log`b 2 2
1 2
logŒ`b= =
logº`a 3
094   ⑴ 64  ⑵ 17  ⑶ 3  ⑷ 14
2 3
∴ logŒ`b-logº`a= - =-
5
3 2 6
log°`9_log£`4‌ ;2#; 2`log°`3_2`log£`2 ;2#; 4`log°`2
⑴ (5'5) =(5 ) =(5 )
6`log°`2 log°`2ß`
=5 =5 =2ß`=64
⑵ (log3`25+log'3`5)(log5`81+log25`'3) 098  ①

1 logb`c logc`a
=(2`log3`5+2`log3`5){4`log5`3+ `log5`3} loga`b= = =k`(k+0)라 하면
4 2 4
17 loga`b=k, logb`c=2k, logc`a=4k이다.
=4`log3`5_ `log5`3=17
4
이때 loga`b_logb`c_logc`a=1이므로
⑶ log2`(log3`4)+log2`(log4`25)+log2`(log5`81)
k_2k_4k=1
=log2`(log3`4_log4`25_log5`81) 8kÜ`=1
=log2`(log3`4_2`log4`5_4`log5`3) 1
∴ k= (∵ k는 실수)
=log2`8=3 2
1 log5`4 log7`27 7
⑷ + _log3`25+ ∴ loga`b+logb`c+logc`a=k+2k+4k=7k=
log8`2 log9`2 log7`3 2
=log2`8+log5`4_log2`9_log3`25+log3`27
=3+2`log5`2_2`log2`3_2`log3`5+3
=3+8+3=14
099   49

1
logŒ`b=logº`a에서 logŒ`b= , (logŒ`b)Û`=1
logŒ`b

095   풀이 참조 logŒ`b=1 또는 logŒ`b=-1


1
logº`c ∴ b=a 또는 b=
a =x로 놓으면 로그의 정의에 의하여 loga`x= logb`c 이다. a
양변을 c를 밑으로 하는 로그로 나타내어 정리하면 1
이때 a+b이므로 b=  yy`㉠
a
logc`x 1
= 이다. ∴ (a+3)(b+12)‌=ab+12a+3b+36
logc`a logc`b
3
logc`a =1+12a+ +36 (∵ ㉠)
a
즉, logc`x= = logb`a 이다.
logc`b 1
=37+3{4a+ }
logº`a
a
따라서 로그의 정의에 따라 x= c 이다.
1
∴a
logº`c
=c
logº`a ¾37+3_2®É4a_ =49
a

Ⅰ.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15

해설.indb 15 22. 9. 5. 오후 3:55


1 1 1 2 1
 {단, 등호는 4a= , 즉 a= 일 때 성립한다.} - + ‌=logx`5-2`logx`2+logx`3
a 2 c a b
따라서 (a+3)(b+12)의 최솟값은 49이다. =logx`5-logx`4+logx`3
5_3 15
=logx` =logx` =1 (∵ ㉠)
4 4

100  ② ∴ x=
15
4
1
loga`bÜ`+logb`Ü'a=3`loga`b+ `logb`a
3
a>1, b>1이므로 loga`b>0, logb`a>0이다.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에 의하여
yy TIP
103  ②

1 1 log`N‌=a`log`2+b`log`3
3`loga`b+ `logb`a¾2®É3`loga`b_ `logb`a=2
3 3 =log`2 +log`3
a b

1 1 a b
{단, 등호는 3`loga`b= `logb`a, 즉 loga`b= 일 때 성립한다.}
=log (2 _3 )
3 3 에서 N=2 _3 이다.
a b

따라서 loga`bÜ`+logb`Ü'a의 최솟값은 2이다. 음이 아닌 정수 a, b에 대하여


TIP 1ÉNÉ30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N의 값은
a>1, b>1에서 log`a>0, log`b>0이므로 b=0인 경우:a=0, 1, 2, 3, 4일 때 N=1, 2, 4, 8, 16
log`b log`a b=1인 경우:a=0, 1, 2, 3일 때 N=3, 6, 12, 24
loga`b= >0, logb`a= >0임을 알 수 있다.
log`a log`b
b=2인 경우:a=0, 1일 때 N=9, 18
b=3인 경우:a=0일 때 N=27
따라서 모든 자연수 N의 값의 합은
101  ④ (1+2+4+8+16)+(3+6+12+24)+(9+18)+27=130

1
logc`b logb`c logb`a 1
loga`b
=
1
=
logb`c
=logc`a= 이므로
2 104  ③
logb`a
;2!;
log`9 log`16 log`144
a=c , 즉 c=aÛ` = = =4에서
a b c
1 log`9=4a, log`16=4b, log`144=4c이다.
logb`c logc`b logc`a 1
= = =logb`a= 이므로 이때 log`144=log`(9_16)=log`9+log`16이므로
loga`c 1 logc`b 3
logc`a 4c=4a+4b
;3!;
a=b , 즉 b=aÜ` c=a+b
이때 세 자연수 a, b, c는 1보다 크고 10보다 작은 자연수이고, 1
∴ a+b+c=2c= `log`144=log`12
2
a=3일 때 b=27, c=9이므로 a¾3에서는 주어진 조건을 a+b+c log`12
∴ 10 =10 =12
만족시키지 않는다.
따라서 a=2이므로 b=8, c=4
∴ a+2b+3c=2+16+12=30
105  ②
a b c
조건 ㈎에서 3 =5 =k =d`(d>0)라 하면
102   15
4
;a!;
3=d , 5=d , k=d 이다. 
;b!; ;c!;
yy`㉠

abc+0이므로 조건 ㈏에 의하여
2ab
ab-2bc+ca=abc의 양변을 abc로 나누면 log`c=log` ,
2a+b
1 2 1
- + =1  yy`㉠ 2ab
c a b c= ,
2a+b
또한, log2`x=a, log3`x=b, log5`x=c에서
1 2a+b
1 1 = ,
= =logx`2 c 2ab
a log2`x
1 1 1
1 1 = + 이다.
= =logx`3 c b 2a
b log3`x ;c!;
1
;b!;+ 2a ;b!;
1
;b!; ;a!; ;2!;
d =d =d _d 2a =d _(d )
1 1
= =logx`5
c log5`x 이므로 ㉠에 의하여
이므로 k=5_'3=5'3

16 수학Ⅰ

해설.indb 16 22. 9. 5. 오후 3:55


x
다른 풀이 log`4.37 =log`1590
a b c
조건 ㈎에서 3 =5 =k =d`(d>0)라 하면 x`log`4.37=log`(1000_1.59)=3+log`1.59
a=log3`d, b=log5`d, c=logk`d이다.  yy`㉡ 0.64x=3.2
조건 ㈏에 의하여 ∴ x=5
2ab 따라서 바르게 계산한 4.37x의 값은
log`c=log` ,
2a+b 4.37x=4.37_5=21.85
I
2ab
c= ,
2a+b
c(2a+b)=2ab이다.
이 식에 ㉡을 대입하면
108  ①

logk`d(2`log3`d+log5`d)=2`log3`d`log5`d 1 1 ;2!; 1 1
+log'a= +log`a = + `log`a이다.
3 3 3 2
1 2 1 1 1
{ + }=2_ _ 1 11
logd`k logd`3 logd`5 logd`3 logd`5 이때 <log`a< 에서
2 2
양변에 logd`3_logd`5_logd`k를 곱하면
1 1 1 1 1 1 1 11
2`logd`5+logd`3=2`logd`k + _ < + `log`a< + _ 이므로
3 2 2 3 2 3 2 2
logd`(5Û`_3)=logd`kÛ`
7 1 1 37
kÛ`=5Û`_3 < + `log`a< 이다.
12 3 2 12
∴ k=5'3 (∵ k>0) 1 1
이때 가능한 자연수 + `log`a의 값은 1, 2, 3이므로
3 2
1 1 4 ;3$;
+ `log`a=1일 때 log`a= , 즉 a=10
106   풀이 참조 3 2
1 1
3
10 10
+ `log`a=2일 때 log`a= , 즉 a=10 3
⑴ log`xÛ`=3.0102에서 2`log`x=3.0102 (∵ x>0) 3 2 3
log`x=1.5051=1+0.5051 1 1 16 16
+ `log`a=3일 때 log`a= , 즉 a=10 3
3 2 3
상용로그표에서 log`3.2=0.5051이므로
따라서 구하는 모든 a의 값의 곱은
log`x=log`10+log`3.2=log (10_3.2)=log`32
10 16 10 16
;3$; ;3$;+ + 10
∴ x=32 10 _10 3 _10 3 =10 3 3 =10
1
log`'y=-0.2529에서 `log`y=-0.2529
2
log`y‌=-0.5058=-1+(1-0.5058)
=-1+0.4942 109   1000

상용로그표에서 log`3.12=0.4942이므로 1 5
log`xÛ`-log`Ü'x=2`log`x- `log`x= `log`x가 정수이어야 한다.
log`y=log`10ÑÚ`+log`3.12=log (10ÑÚ`_3.12)=log`0.312 3 3
∴ y=0.312 10<x<100에서 1<log`x<2이므로
∴ x+y=32+0.312=32.312 5 5 10
 < `log`x< 이다.
3 3 3
k
⑵ log` =1.0306에서 log`k-log`30.1=1.0306 5
30.1 이때 가능한 정수 `log`x의 값은 2, 3이므로
3
상용로그표에서 log`3.01=0.4786이므로
5 6 ;5^;
log`30.1=log (3.01_10)=1+log`3.01=1.4786 `log`x=2일 때 log`x= , 즉 x=10
3 5
log`k=1.0306+1.4786=2.5092=2+0.5092 5 9 ;5(;
`log`x=3일 때 log`x= , 즉 x=10
상용로그표에서 log`3.23=0.5092이므로 3 5
log`k=log`10Û`+log`3.23=log (10Û`_3.23)=log`323 따라서 구하는 모든 실수 x의 값의 곱은
∴ k=323 ;5^; ;5(;
10 _10 =10Ü`=1000이다.
채점 요소 배점
log`x, log`y의 값을 찾아 상용로그표를 이용하여 x+y의 값 구하기 60`%
log`k의 값을 찾아 상용로그표를 이용하여 k의 값 구하기 40`% 110  ③

조건 ㈎에 의하여 2Élog`x<3이다. yy ㉠
조건 ㈏에 의하여
107  ③ 1
log`xÜ` 과 log` 의 소수 부분이 서로 같으므로
x
x
4.37 을 계산하여 1590이 되었으므로
1
x
4.37 =1590이라 하면 log`xÜ` 과 log` 의 차가 정수이다. yy TIP1
x

Ⅰ.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17

해설.indb 17 22. 9. 5. 오후 3:55


1
log`xÜ`-log` =3`log`x-(-log`x)=4`log`x이고,
x 113  ②
㉠에 의하여 8É4`log`x<12이므로 두 지역 A, B의 헤이즈계수 H, Hõ, 여과지 이동거리 L, Lõ에
정수인 4`log`x의 값은 8, 9, 10, 11이다. 대하여 '3H=2Hõ, L=2Lõ이므로
8 9 10 11 k log 1 k log 1
즉, log`x의 값이 , , ,  이므로 ` ` ` `
4 4 4 4
H L S 2Lõ S log`S
= = =;2!;_ =
2
8 9 10 11 19
log`k= + + + =  yy TIP2 Hõ k log 1 k log 1 log`Sõ '3
4 4 4 4 2 ` ` ` `
Lõ Sõ Lõ Sõ
TIP1 log`S 2 4'3
= _2=   
log`Sõ '3 3
log`A, log`B의 소수 부분이 서로 같으면
4'3
log`A-log`B=(정수)이다. log`SA= `log`Sõ
3
[증명] 4'3
∴ S=(Sõ) 3
log`A, log`B의 소수 부분이 서로 같다고 하자.
log`A=m+a, log`B=n+a (m, n은 정수, 0Éa<1)라 하면 4'3
∴ p=
3
log`A-log`B=m-n은 정수이다.

TIP2 114   15
조건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을 각각 xÁ, xª, x£, x¢라 하면
생산량을 매년 k배씩 증가시켰다고 하면 10년 만에 4배가
log`k‌=log`xÁxªx£x¢
되었으므로 kÚ`â`=4이다.
=log`xÁ+log`xª+log`x£+log`x¢
log`kÚ`â`=log`4에서
10`log`k=2`log`2=2_0.3=0.6이므로
log`k=0.06=log`1.15
∴ k=1.15
111  ④
따라서 매년 15`%씩 증가시켰다.
지진의 규모가 4일 때 방출되는 에너지가 EÁ이므로
4=0.7`log(0.37_EÁ)+1.46이다. 
따라서 에너지의 양이 4EÁ일 때 지진의 규모는
yy`㉠
115  ⑤

0.7`log(0.37_4EÁ)+1.46 이 회사의 매출액이 매년 x배만큼 증가한다고 하면


=0.7{log(0.37_EÁ)+log`4}+1.46 2022년도의 매출액은 2019년도의 매출액의 xÜ`배이다.
={0.7`log(0.37_EÁ)+1.46}+0.7_2`log`2 즉, 1.23A=xÜ`A이므로
=4+0.7_2_0.3 (∵ ㉠) xÜ`=1.23이다.
=4+0.42 또한, 2026년도의 매출액은 2019년도의 매출액의 xà`배이다.
=4.42 즉, 2026년도의 매출액을 A의 k배라 하면
;3&; ;3&;
k=xà`=(xÜ`) =(1.23) 이다.
;3&; 7 7
이때 log`k=log`(1.23) = `log`1.23= _0.09=0.21이고,
3 3
112  ④ log`1.23+log`1.32=0.09+0.12=0.21이다.
∴ log`k‌=log`1.23+log`1.32
실험을 시작한 지 10초 후, 20초 후의 측정 온도가 각각 400`ùC,
=log`(1.23_1.32)=log`1.6236
402`ùC이므로
따라서 k=1.6236이고, 소수점 아래 셋째 자리에서 반올림하면
C(log`20-log`10) C
K= = `log`2  yy`㉠ 1.62이다.
402-400 2
실험을 시작한 지 t초 후의 측정 온도가 408`ùC라 하면

K=
C(log`t-log`10) C
408-400
t
= `log` 
8 10
yy`㉡ 116  ⑤

㉠, ㉡에 의하여 ㄱ. Ü'
‌ a'b=1의 양변을 6제곱하면 aÛ`bÜ`=1 (참)
C C t a a
`log`2= `log` 이므로 ㄴ. aÜ
‌ `bÛ`=aÛ`bÜ`_ = (∵ ㄱ)
2 8 10 b b
t a
log` =4`log`2=log`16 이때 0<a<b에서 0< <1이므로 0<aÜ`bÛ`<1
10 b
t 1
따라서 =16이므로 t=160이다. ∴ aÑÜ`bÑÛ`= >1 (참)
10 aÜ`bÛ`

18 수학Ⅰ

해설.indb 18 22. 9. 5. 오후 3:55


Ý'a_Ü'b 1`2 aÜ`bÝ` 1`2 b Ü b=-2, 2일 때
ㄷ. ‌ = ¾Ð =®
Ü'a_Ý'b aÝ`bÜ` a -;2!; ;2!;
a , a 은 자연수 a가 어떤 자연수의 제곱일 때 유리수가 되므로
이때 0<a<b에서 >1이므로 Ú`Û®  >1이다.
b b
a a a의 값은 각각 1, 4, 9, 16, 25로 5개씩 존재한다.
Ý'a_Ü'b Ý b=0일 때
즉, >1이므로 Ý'a_Ü'b>Ü'a_Ý'b이다. (참)
Ü'a_Ý'b 0
a 은 자연수 a의 값에 관계없이 값이 1로 항상 유리수가 되므로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a의 값은 1, 2, 3, y, 30으로 30개이다. I
Ú~Ý에서 구하는 순서쌍 (a, b)의 개수는
30+3_2+2_5+30=76
117   14

실수 a의 n제곱근 중에서 실수인 것은


n이 짝수일 때,
a>0인 경우 2개, a=0인 경우 1개, a<0인 경우 0개이고, 120   22
n이 홀수일 때, a의 값에 관계없이 1개이다.
¾ , ¾ 이 자연수이려면 , 이 자연수이어야 하므로 n은 5와
Ü n Þ n n n
즉, f2(8)=2, f4(6)=2, f6(4)=2, f8(2)=2, f10(0)=1,
5 4 5 4
f12(-2)=0, y이고,
4의 배수이다.
f3(7)=1, f5(5)=1, f7(3)=1, f9(1)=1, f11(-1)=1, y이다. p q
n=2 _5 (p, q는 자연수)이라 하자.
f2(8)+ f3(7)+ f4(6)+y
Ü n Ü 2¹`_5Ï`
 + f9(1)+ f10(0)+ f11(-1)+ f12(-2)=14이고, ¾ =¾Ð =Ü"Ã2¹`_5Ï`ÑÚ` 이 자연수이어야 하므로
5 5
f13(-3)=1, f14(-4)=0, f15(-5)=1이므로 p, q-1이 모두 3의 배수이어야 한다. yy`㉠
f2(8)+ f3(7)+ f4(6)+y+ f13(-3)=15,
Þ n Þ 2¹`_5Ï`
¾ =¾Ð =Þ"Ã2¹`ÑÛ`_5Ï` 이 자연수이어야 하므로
f2(8)+ f3(7)+ f4(6)+y+ f14(-4)=15이다. 4 2Û`
따라서 f2(8)+ f3(7)+ f4(6)+y+ fk(10-k)=15를 만족시키는 p-2, q가 모두 5의 배수이어야 한다. yy`㉡
자연수 k의 값이 13, 14이므로 k의 최댓값은 14이다. ㉠, ㉡을 모두 만족시키려면
p는 3의 배수이면서 p-2가 5의 배수이므로 p의 최솟값은 12이다.
q는 5의 배수이면서 q-1이 3의 배수이므로 q의 최솟값은 10이다.
118  ④ 따라서 n의 최솟값이 2Ú`Û`_5Ú`â`이므로 a=12, b=10
∴ a+b=22
Ú n이 홀수일 때
실수 a의 값에 관계없이 x =a의 실근은 'a이다.
n n

따라서 n의 값이 5, 7인 경우 실근은
Þ'¶-2 , à'¶-2 , Þ'¶-1 =à'¶-1=-1, Þ'0=à'0=0,
Þ'1=à'1=1, Þ'2, à'2 121  ①
로 7개이다.
;2!;
¾Ð 2Œ`_5º` ={ 2Œ`_5º` } =(2a-1_5º`) =2
;2!;
a-1
;2B;
Û n이 짝수일 때 2 2
2
_5 이 자연수이므로
x =a의 실근은 a>0이면 Ñ 'a, a=0이면 '0=0,
n n n
a-1
=m (m은 음이 아닌 정수)이라 하면 a=2m+1
a<0이면 존재하지 않는다. 2
따라서 n의 값이 6인 경우 실근은 ∴ a=1, 3, 5, y
ß'0=0, Ñß'1=Ñ1, Ñß'2로 5개이다. b
=n (n은 자연수)이라 하면 b=2n
Ú, Û에서 -1, 0, 1은 중복되므로 집합 S의 원소의 개수는 9이다. 2
∴ b=2, 4, 6, y
Ü 3º` ={ 3º` };3!;={3º`_2-(a+1)};3!;=2- a+1
¾Ð 3
;3B;
_3 이 유리수이므로
a+1 a+1

119  ④ 2
a+1
2
=k (k는 자연수)라 하면 a=3k-1
Ý"a =a 4 3
b
b

∴ a=2, 5, 8, y
Ú b=-4일 때
b
-1
a 은 자연수 a에 대하여 항상 유리수가 되므로 a의 값은 =l (l은 자연수)이라 하면 b=3l
3
1, 2, 3, y, 30으로 30개이다. ∴ b=3, 6, 9, y
Û b=-3, b=-1, b=1일 때 따라서 a의 최솟값은 5, b의 최솟값은 6이므로 구하는 a+b의
-;4#; -;4!; ;4!;
a ,a , a 은 자연수 a가 어떤 자연수의 네제곱일 때 유리수가 최솟값은
되므로 a의 값은 각각 1, 16으로 2개씩 존재한다. 5+6=11

Ⅰ.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19

해설.indb 19 22. 9. 5. 오후 3:55


Ú n이 홀수일 때
122  ①
n
방정식 x =64가 1개의 실근을 갖고,
조건 ㈎에 의하여 (Ü '§a )µ``=(a )µ``=a =b 
;3!;
m
3 이차방정식 f(x)=0은 많아야 두 개의 실근을 가지므로

;2!; ;2N;
조건 ㈎를 만족시킬 수 없다.
조건 ㈏에 의하여 ('b )Ç`=(b )Ç`=b =c 
Û n이 짝수일 때
조건 ㈐에 의하여 cÝ`=aÚ`Û`  n
6 6

m 2mn
방정식 x =64가 서로 다른 2개의 실근 2 n , -2 n 을 가지므로
;2N; 2n
cÝ`=(b )Ý`=(a ) =a 3 3 =aÚ`Û` 조건 ㈎를 만족시키려면 이차방정식 f(x)=0도 서로 다른 2개의
6 6
2mn 실근 2 n , -2 n 을 가져야 한다.
=12   ∴ mn=18
3 6 6 12
즉, f(x)=(x-2 n )(x+2 n )=xÛ`-2 n 이다.
따라서 1이 아닌 두 자연수 m, n에 대하여 mn=18을 만족시키는 12
이때 조건 ㈏에 의하여 함수 f(x)의 최솟값 f(0)=-2 n 이
순서쌍 (m, n)은 (2, 9), (3, 6), (6, 3), (9, 2)로 4개이다.
음의 정수이어야 한다.
즉, 자연수 n은 짝수이면서 12의 약수이어야 하므로
123  ③ 가능한 n의 값은 2, 4, 6, 12이다.
따라서 구하는 모든 자연수 n의 값의 합은
Ú p, q가 모두 홀수일 때
2+4+6+12=24
f(p)_ f(q)‌=Ý"Ã9_2 _Ý"Ã9_2
p+1 q+1

=3_Ý"Ã2
p+q+2

이 값이 자연수이려면 p+q+2가 4의 배수이어야 한다. 125  4


p+q+2=4에서 (p, q)는 (1, 1)
조건 ㈎에서 로그의 정의에 의하여
p+q+2=8에서 (p, q)는 (1, 5), (3, 3), (5, 1)
yy`㉠
x
a =64에서 x=loga`64 
p+q+2=12에서 (p, q)는 (3, 7), (5, 5), (7, 3)
yy`㉡
y
p+q+2=16에서 (p, q)는 (7, 7) b =64에서 y=logb`64 
yy`㉢
z
따라서 순서쌍 (p, q)의 개수는 8이다. c =64에서 z=logc`64 
Û p, q가 모두 짝수일 때 조건 ㈐에서
f(p)_ f(q)‌=Ý"Ã4_3 _Ý"Ã4_3 (x-3)(y-3)(z-3)
‌
p q

=2_Ý"Ã3 =xyz-3(xy+yz+zx)+9(x+y+z)-27
p+q

이 값이 자연수이려면 p+q가 4의 배수이어야 한다. =xyz-3(xy+yz+zx)+9_6-27 (∵ 조건 ㈏)


p+q=4에서 (p, q)는 (2, 2) =xyz-3(xy+yz+zx)+27=27
p+q=8에서 (p, q)는 (2, 6), (4, 4), (6, 2) 이므로 xyz-3(xy+yz+zx)=0
p+q=12에서 (p, q)는 (6, 6) xyz=3(xy+yz+zx)
따라서 순서쌍 (p, q)의 개수는 5이다. xyz+0이므로 양변을 3xyz로 나누면
Ü p가 홀수, q가 짝수일 때 1 1 1 1
+ + =
x y z 3
f(p)_ f(q)‌=Ý"Ã9_2 _Ý"Ã4_3
p+1 q

=Ý"Ã2
p+3 q+2 ㉠, ㉡, ㉢에서
_3
1 1 1
이 값이 자연수이려면 p+3과 q+2가 모두 4의 배수이어야 한다. =log64`a, =log64`b, =log64`c이므로
x y z
p+3의 값은 4, 8에서 p의 값은 각각 1, 5 1 1 1
q+2의 값은 4, 8에서 q의 값은 각각 2, 6 + + ‌=log64`a+log64`b+log64`c
x y z
따라서 순서쌍 (p, q)의 개수는 2_2=4이다. 1
=log64`abc=
Ý p가 짝수, q가 홀수일 때 3
f(p)_ f(q)‌=Ý"Ã4_3 _Ý"Ã9_2
p q+1 ;3!;
∴ abc=64 =4
=Ý"Ã2
q+3 p+2
_3
이 값이 자연수이려면 q+3과 p+2가 모두 4의 배수이어야 한다.
Ü과 마찬가지 방법에 의하여 순서쌍 (p, q)의 개수는 4이다.
126  ①

Ú ~ Ý에 의하여 구하는 순서쌍 (p, q)의 개수는 Ú m, n이 모두 홀수일 때 mn도 홀수이므로
8+5+4+4=21 f(mn)=log3`mn, f(m)+ f(n)=log3`m+log3`n에서
f(mn)= f(m)+ f(n)을 항상 만족시킨다.
12 이하의 자연수 중 홀수인 m, n은 각각 6개이므로
124   24
순서쌍 (m, n)의 개수는
n
(x -64) f(x)=0에서 6_6=36
Û m, n이 모두 짝수일 때 mn도 짝수이므로
n
x =64 또는 f(x)=0이다.

20 수학Ⅰ

해설.indb 20 22. 9. 5. 오후 3:55


f(mn)=log2`mn, f(m)+ f(n)=log2`m+log2`n에서
f(mn)= f(m)+ f(n)을 항상 만족시킨다.
128  ②

12 이하의 자연수 중 짝수인 m, n은 각각 6개이므로 Ú A(2)


순서쌍 (m, n)의 개수는 log2`2n=1+log2`n의 값이 자연수이려면 log2`n이 음이 아닌
6_6=36 정수이면 된다.
k
Ü m이 홀수, n이 짝수일 때 mn은 짝수이므로 즉, n=2 `(k는 음이 아닌 정수)이고, nÉ100이므로 kÉ6이다.
I
따라서 가능한 n의 값은 2 , 2 , 2Û`, y, 2ß`으로 7개이다.
0 1
f(mn)=log2`mn=log2`m+log2`n,
f(m)+ f(n)=log3`m+log2`n에서 ∴ A(2)=7
f(mn)= f(m)+ f(n)이려면 log2`m=log3`m이어야 한다. Û A(4)
k
이를 만족시키는 홀수 m은 1뿐이다. log4`2n의 값이 자연수이려면 2n=4 `(k는 자연수)이면 된다.
2k-1
따라서 순서쌍 (m, n)은 (1, 2), (1, 4), (1, 6), y, (1, 12)로 즉, n=2 이고, nÉ100이므로 2k-1É6이다.
1
6개이다. 따라서 가능한 n의 값은 2 , 2Ü`, 2Þ`으로 3개이다.
Ý m이 짝수, n이 홀수일 때 mn은 짝수이므로 ∴ A(4)=3
f(mn)=log2`mn=log2`m+log2`n, Ü A(8)
k
f(m)+ f(n)=log2`m+log3`n에서 log8`2n의 값이 자연수이려면 2n=8 `(k는 자연수)이면 된다.
3k-1
f(mn)= f(m)+ f(n)이려면 log2`n=log3`n이어야 한다. 즉, n=2 이고, nÉ100이므로 3k-1É6이다.
이를 만족시키는 홀수 n은 1뿐이다. 따라서 가능한 n의 값은 2Û`, 2Þ`으로 2개이다.
따라서 순서쌍 (m, n)은 (2, 1), (4, 1), (6, 1), y, (12, 1)로 ∴ A(8)=2
6개이다. Ú, Û, Ü에서
Ú ~ Ý에 의하여 구하는 순서쌍 (m, n)의 개수는 A(2)+A(4)+A(8)=7+3+2=12
36+36+6+6=84이다.

129  ⑤

127 
m
 30 log2`n=m`(m은 자연수)이라 하면 n=2 이다.
a
조건 ㈎에서 log2`a=a`(a는 정수)라 하면 a=2 이다.
자연수 k에 대하여 logª (-xÛ`+ax+4)=k라 하면 조건 ㈏에서
-xÛ`+ax+4=2û`이다. loga`n_logn`(n_aÛ`)‌=loga`(n_aÛ`)=loga`n+2
logª (-xÛ`+ax+4)의 값이 자연수 k가 되도록 하는 실수 x의 m
=log2`Ó `2 +2=
m
+2
aÛ` a
개수는 함수 f(x)=-xÛ`+ax+4=-{x- }2`+4+ 이라
a
2 4 m
이 값이 자연수이려면 은 -1 이상의 정수이어야 한다.
할 때, 곡선 y= f(x)와 직선 y=2û`의 교점의 개수와 같다. a
y=2$ 자연수 m에 대하여 이를 만족시키는 정수 a의 값은
a@ ‘-m’ 또는 ‘m의 약수인 자연수’뿐이므로
+4
4
y=2# f(n)의 값은 (m의 약수의 개수)+1과 같다.
따라서 f(n)=7이려면 m의 약수의 개수는 6이어야 하고,
y=2@
이를 만족시키는 자연수 m의 최솟값은 12이다.  yy TIP
y=2! m 12
즉, f(n)=7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n(=2 )의 최솟값은 k=2 이다.
x 12 12
a y=f{x} ∴ log4`k=log2Û``2 = =6
2 2
따라서 logª (-xÛ`+ax+4)의 값이 자연수가 되도록 하는 실수 x의 TIP
개수가 6이려면 1의 약수의 개수는 1이고, 소수의 약수의 개수는 2이므로
1ÉkÉ3일 때 곡선 y= f(x)와 직선 y=2û`의 교점의 개수가 2이고, 1과 소수를 제외한 자연수에 대하여 작은 수부터 그 약수의
k¾4일 때 곡선 y= f(x)와 직선 y=2û`의 교점의 개수가 0이어야 개수를 세어 보면
한다. 4의 약수의 개수는 3
aÛ` 6의 약수의 개수는 4
포물선 y= f(x)의 꼭짓점의 y좌표는 +4이므로
4 8의 약수의 개수는 4
aÛ` 9의 약수의 개수는 3
2Ü`< +4<2Ý`에서 16<aÛ`<48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a의 값은
4
10의 약수의 개수는 4
5, 6이다.
12의 약수의 개수는 6
따라서 구하는 모든 자연수 a의 값의 곱은
따라서 약수의 개수가 6인 최소의 자연수는 12임을 알 수 있다.
5_6=30

Ⅰ.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21

해설.indb 21 22. 9. 5. 오후 3:55


130  ④ 132   25

조건 ㈐에서 logm`n이 유리수이고, n n m


log2`n-log2`k=log2` =m`(m은 정수)이라 하면 =2 이다.
m, n은 1보다 큰 서로 다른 자연수이므로 k k
p q
m=a , n=a (a, p, q는 자연수, a+1, p+q)이다. yy`㉠ n m
따라서 100 이하의 자연수 n에 대하여 f(n)은 의 값이 2 꼴, 즉
k
이때 조건 ㈏에 의하여 m, n 중 적어도 하나는 짝수이므로
1 1
㉠에 의하여 a는 짝수이어야 한다. y, , , 1, 2, 4, y가 되는 100 이하의 자연수 k의 개수와 같다.
4 2
Ú a=2, 즉 m, n이 2의 거듭제곱일 때 n 0
k=n일 때, =1(=2 )이므로 조건을 항상 만족시킨다.
조건 ㈎에서 mn=2
p+q
<256이므로 p+q<8이다. k
이를 만족시키는 p, q`(p<q)에 대하여 m, n의 값을 나타내면 n
따라서 f(n)=1이려면 의 값으로 가능한 것이
k
다음과 같다.
1 이외에는 존재하지 않아야 한다.
m n
Ú 1ÉnÉ50인 경우
2Û`
n n 1
2Ü` k=2n일 때, = = 이므로 f(n)의 값이
k 2n 2
1
2 2Ý` 적어도 2 이상이다.
2Þ` Û 51ÉnÉ100인 경우
2ß` n n n
n이 짝수이면 k= 일 때, = =2이므로 f(n)의 값이
2Ü` 2 k n
2
2Û` 2Ý`
2Þ` 적어도 2 이상이다.
2Ü` 2Ý` n m
n이 홀수이면 =2 을 만족시키는 100 이하의 자연수 k는
k
위의 경우는 m<n인 경우를 세었으므로 m>n인 경우도 똑같이
n
9개로 총 18개이다. =1일 때, k=n뿐이므로 f(n)=1이다.
k
Û a=4, 즉 m, n이 4의 거듭제곱일 때 Ú, Û에서 f(n)=1인 n은 51ÉnÉ100인 홀수이므로
가능한 m, n의 값은 모두 Ú에 포함된다. 51, 53, 55, y, 99로 25개이다.
Ü a=6, 즉 m, n이 6의 거듭제곱일 때
p+q
조건 ㈎에서 mn=6 <256이므로 p+qÉ3이다.
이를 만족시키는 m, n의 순서쌍 (m, n)은 133   45
(6, 6Û`), (6Û`, 6)으로 2개이다. 집합 C의 원소는 집합 A, B의 공통인 원소 중 자연수인 원소이므로
Ý a¾8일 때 먼저 집합 A, B의 자연수인 원소를 구해 보자.
집합 A의 원소인 'a가 자연수이려면 a는 어떤 자연수의 제곱이어야
p+q
mn=a <256, p+q를 만족시키는 p, q가 존재하지 않는다.
Ú ~ Ý에 의하여 순서쌍 (m, n)의 개수는 18+2=20이다. 한다.
a 1 4 9 16 25 36 49 64 y
131   12 'a 1 2 3 4 5 6 7 8 y

Ú k=3일 때 집합 B의 원소인 log'3`b=log3`bÛ`이 자연수이려면 bÛ`이 3의

3 거듭제곱이어야 하므로 자연수 b도 3의 거듭제곱이어야 한다.


loga`b= 이려면 자연수 a, b는 각각 어떤 자연수 t에 대하여
2 b 3 9 27 81 243 y
a=tÛ`, b=tÜ`이어야 한다. log'3`b 2 4 6 8 10 y
a, b가 2 이상 100 이하의 자연수이므로 가능한 a, b의 순서쌍은 따라서 n(C)=3이려면 C={2, 4, 6}이어야 한다.
(2Û`, 2Ü`), (3Û`, 3Ü`), (4Û`, 4Ü`)이고, 즉, 6<C, 8²C이어야 하므로
b 6<A;B에서 ‘k¾36이고 k¾27’, 즉 k¾36이고,
이때 의 값은 2, 3, 4이므로 A3={2, 3, 4}이다.
a
8²A;B에서 ‘k<64 또는 k<81’, 즉 k<81이다.
Û k=4일 때
∴ 36Ék<81
loga`b=2이려면 b=aÛ`이어야 한다.
따라서 모든 자연수 k의 개수는 81-36=45이다.
a, b가 2 이상 100 이하의 자연수이므로 가능한 a, b의 순서쌍은
(2, 2Û`), (3, 3Û`), (4, 4Û`), y, (10, 10Û`)이고,

이때
b
a
의 값은 2, 3, 4, y, 10이므로 134  ③

A4={2, 3, 4, y, 10}이다. log2`(na-aÛ`)=log2`(nb-bÛ`)=k`(k는 자연수)라 하면


k k
Ú, Û에 의하여 n(A3)+n(A4)=3+9=12이다. na-aÛ`=nb-bÛ`=2 이므로 이차방정식 nx-xÛ`=2 이 두 실근

22 수학Ⅰ

해설.indb 22 22. 9. 5. 오후 3:55


a, b`(a<b)를 가진다. (∵ b-a>0)
nÛ`
135   33
즉, 이차함수 f(x)=nx-xÛ`=-{x- }Û`+ 이라 하면 곡선
n
2 4 128(=2à`)의 양의 약수는 1, 2, 4, 8, 16, 32, 64, 128이고,
k
y= f(x)와 직선 y=2 의 두 교점의 x좌표가 a, b이다. f(1)=log`1=0
y
f(2)=log`2,
n@
f(4)=log`4=2`log`2,
4
y=2
I
f(8)=log`8=3`log`2,
5 f(16)=log`16-1=4`log`2-1,
n@
36
f(32)=log`32-1=5`log`2-1,
f(64)=log`64-1=6`log`2-1,
O n a n b 5 x f(128)=log`128-2=7`log`2-2
n
6 2 6 y=f{x} ∴ f(a1)+ f(a2)+ f(a3)+y+ f(an)
n = f(1)+ f(2)+ f(4)+y+ f(128)
이때 곡선 y= f(x)는 직선 x= 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2 =(1+2+3+4+5+6+7)`log`2-5
2 =28`log`2-5
0<b-aÉ n이려면
3
따라서 p=28, q=5이므로 p+q=33이다.
n n n n
0< -aÉ , 0<b- É 에서
2 3 2 3
n n n 5
- <-aÉ- , <bÉ n,
2 6 2 6


n
6
n n 5
Éa< , <bÉ n이어야 한다.
2 2 6
136  ③

5 5 nÛ` f(4n+1)= f(n)+1을 만족시키려면 4n+1의 자릿수가 n의


이때 f { }= f { n}= nÛ`, f { }= 이고,
n n
6 6 36 2 4 자릿수보다 1만큼 커야 한다.
k
f(a)= f(b)=2 이므로 Ú n이
‌ 한 자리의 자연수, 즉 1Én<10일 때
n 5 4n+1은 두 자리의 자연수이어야 하므로
ÉxÉ n에서 곡선 y= f(x)와 직선 y=2 이 서로 다른 두
k
6 6 9 99
10É4n+1<100에서 Én<  이다.
5 nÛ` 4 4
nÛ`É2 < 이어야 한다.
k
교점을 가지려면
36 4 따라서 자연수 n은 3, 4, y, 9로 7개이다.
5
∴ nÛ`É2 <nÛ`
k+2
Û n이
‌ 두 자리의 자연수, 즉 10Én<100일 때
9
4n+1은 세 자리의 자연수이어야 하므로
이 부등식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k가 존재하도록 하는 10 이하의
99 999
자연수 n의 값을 찾으면 다음 표와 같다. 100É4n+1<1000에서 Én< 이다.
4 4
5 k+2
따라서 자연수 n은 25, 26, y, 99로 75개이다.
n nÛ` 2 nÛ`
9 Ü n=100일
‌ 때,
5 4n+1=401로 n과 4n+1이 모두 세 자리의 자연수이므로
1 _ 1
9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20 Ú~ Ü에서 구하는 자연수 n의 개수는
2 _ 4
9
7+75=82이다.
3 5 8 9
80
4 _ 16
9

5
125
9
16 25 137  ③

6 20 32 36 ㄱ. log`10x=log`x+1이므로
‌
245 log`10x의 소수부분과 log`x의 소수부분은 서로 같다. (참)
7 32 49
9 ㄴ. log`x의
‌ 정수부분을 m이라 하면 mÉlog`x<m+1이다.
320 1
8 _ 64 log`x=m이면 log` =-log`x=-m이므로
9 x
9 45 64 81 1
f(x)+ f { }=m+(-m)=0이지만
x
500
10 64 100
9 m<log`x<m+1이면 -m-1<-log`x<-m이므로
1
따라서 구하는 모든 자연수 n은 3, 5, 6, 7, 9, 10으로 6개이다. f(x)+ f { }=m+(-m-1)=-1이다. (거짓)
x

Ⅰ.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23

해설.indb 23 22. 9. 5. 오후 3:55


ㄷ. log`100x=log`x+2이므로
‌ log`100x의 정수부분은 log`x의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정수부분보다 2만큼 크다.
즉, f(100x)= f(x)+2이므로 g(2x) f(100x)=2+ f(x)에서
g(2x){ f(x)+2}= f(x)+2,
{ f(x)+2}{ g(2x)-1}=0이다. 139  ④
∴ f(x)=-2 또는 g(2x)=1 함수 y=3
x+1
+2의 그래프는 함수 y=3Å`의 그래프를 x축의
이때 0Ég(2x)<1이므로 f(x)=-2이다. 방향으로 -1만큼, y축의 방향으로 2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 f(1000x)=3+ f(x)=1 (참) 다음과 같다.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y

5
138  9

log`10m=log`m+1의 정수부분은 2

(log`m의 정수부분)+1이므로 f(10m)= f(m)+1이다. O x

Ú p(30)의 값 -1+1
① ‌x=-1일 때 y=3 +2=3이므로 점 (-1, 3)을 지난다.
f(10m)É f(30), g(h(m))Ég(30)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m의
 (거짓)
개수를 구해 보자.
② 치역은 {y|y>2}이다. (거짓)
f(30)=1이므로 f(10m)= f(m)+1É1에서 f(m)=0이다.
③ 점근선의 방정식은 y=2이다. (거짓)
즉, 1Ém<10이고, h(m)=3m이므로
④ x의 값이 커지면 y의 값도 커진다. (참)
g(h(m))=g(3m)Ég(30)=log`3이어야 한다.
⑤ ‌함수 y=3Å`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1만큼, y축의 방향으로
3É3m<30이므로 log`3m의 소수부분이 log`3보다 작거나 같은
2만큼 평행이동한 그래프이다. (거짓)
경우는 3m=3, 즉 m=1일 때뿐이다.
따라서 설명 중 옳은 것은 ④이다.
∴ p(30)=1
Û p(120)의 값
f(10m)É f(120), g(h(m))Ég(120)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m의 개수를 구해 보자.
140  ⑤
2x 2x+4
f(120)=2이므로 f(10m)= f(m)+1É2에서 y‌=16_4Å`-3=2Ý`_2 -3=2 -3
2(x+2)
f(m)=0 또는 f(m)=1이다. =2 -3
2x
f(m)=0인 경우 이므로 이 함수의 그래프는 함수 y=2 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1Ém<10이고, h(m)=3m이므로 -2만큼, y축의 방향으로 -3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g(h(m))=g(3m)Ég(120)=log`1.2이어야 한다. 따라서 p=-2, q=-3이므로
3É3m<30이므로 log`3m의 소수부분이 log`1.2보다 작거나 p+q=-5
같은 경우는 10É3mÉ12, 즉 m=4일 때뿐이다.
f(m)=1인 경우
10Ém<100이고, h(m)=3m+2이므로 141  ②
x+a
g(h(m))=g(3m+2)Ég(120)=log`1.2이어야 한다. 함수 y=2 +b의 그래프의 점근선은 직선 y=b이다.
32É3m+2<302이므로 log`(3m+2)의 소수부분이 주어진 그래프의 점근선이 직선 y=-1이므로 b=-1이다.
log`1.2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는 또한, 함수 y=2
x+a
-1의 그래프가 점 (3, 0)을 지나므로
3+a
100É3m+2É120, 즉 33ÉmÉ39일 때이다. 0=2 -1에서
따라서 m의 값은 4, 33, 34, 35, y, 39로 8개이다. 2
3+a
=1, 3+a=0   ∴ a=-3
∴ p(120)=8 ∴ a+b=-3+(-1)=-4
Ú, Û에서 p(30)+p(120)=9

142  ②
p
f(p)=a =2,
q
f(q)=a =6이므로
p+q
f { }‌=a 2 =(a _a )
p+q
p q ;2!;
2
;2!;
=(2_6)
='¶12=2'3

24 수학Ⅰ

해설.indb 24 22. 9. 5. 오후 3:55


143  ⑤ 147  ⑤

세 수 A, B, C의 밑을 2로 같게 하면 함수 f(x)=log;2!;`x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3$;
A=2 y
;2!; ;2!; ;2!; ;2%; ;2!; ;4%;
B=(4'2 ) =(2Û`_2 ) =(2 ) =2

C=0.5
-;3@; 1 -;3@;
={ } =(2ÑÚ`) =2
-;3@; ;3@; I
2
지수함수 y=2Å`은 x의 값이 커질수록 y의 값도 커지므로 세 수 1 x
O
A, B, C에서 밑이 2로 같을 때 지수가 클수록 그 값이 크다.
2 5 4 ;3@; ;4%; ;3$;
 <  < 이므로 2 <2 <2
3 4 3 ① 치역은 실수 전체의 집합이다. (거짓)
∴ C<B<A ② f(2)=log;2!;`2=-logª`2=-1이므로 함수 y= f(x)의 그래프는
점 (2, -1)을 지난다. (거짓)
③ x의 값이 커지면 y의 값은 작아지므로
144  ③ xÁ<xª이면 f(xÁ)> f(xª)이다. (거짓)
x+2 ④ ‌함수 y= f(x)의 그래프가 점 (1, 0)을 지나므로 방정식
함수 y=4 의 그래프는 함수 y=4Å`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f(x)=0을 만족시키는 실수 x의 값이 1로 존재한다. (거짓)
-2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x의 값이 커질수록 y의 값도 커진다.
x+2 ⑤ f(x)=log;2!;`x=-logª`x이므로 함수 y= f(x)의 그래프는
따라서 -3ÉxÉ-1에서 함수 y=4 은
1 함수 y=logª`x의 그래프와 x축에 대하여 대칭이다. (참)
x=-3일 때 최솟값 m=4ÑÚ`=  을 갖고,
4 따라서 설명 중 옳은 것은 ⑤이다.
x=-1일 때 최댓값 M=4Ú`=4를 갖는다.
1
∴ Mm=4_ =1
4

148  ④
145  ④
y‌=log;2!;`(-2x+3)-1
1 x-k 1 x
함수 y={ } 의 그래프는 함수 y={ } 의 그래프를 x축의 3
=log;2!;`2{-x+ }-1
2 2 2
방향으로 k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x의 값이 커질수록 y의 값은 3
=log;2!;`{-x+ }-2
작아진다. 2
1 x-k 이 함수의 그래프는 y=log;2!;`x의 그래프를 y축에 대하여
따라서 -1ÉxÉ1에서 함수 y={ } 은 x=-1일 때
2 3
대칭이동한 후 x축의 방향으로 만큼, y축의 방향으로 -2만큼
1 -1-k 2
최댓값 { } 을 갖는다.
2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다음과 같다.
1 -1-k
즉, { } y
k+1
=4이므로 2 =2Û`, k+1=2
2
∴ k=1 O 3 x
2

146  ③ y=log ¡ {-2x+3}-1



1 xÛ`-2x-1
함수 y={ } 의 밑이 1보다 작으므로 3
① 점근선은 직선 x= 이다. (참)
2 2
지수가 최대일 때 함수가 최솟값을 갖고, 3 3
② -2x+3>0에서 x< 이므로 정의역은 [x|x< ]이다. (참)
지수가 최소일 때 함수가 최댓값을 갖는다. 2 2
xÛ`-2x-1=(x-1)Û`-2는 -1ÉxÉ2에서 ③ x의 값이 커지면 y의 값도 커진다. (참)
x=1일 때 최솟값 -2를 갖고, ④ ‌함수 y=logª`3x=logª`x+logª`3의 그래프는 함수 y=logª`x의
x=-1일 때 최댓값 2를 가지므로 그래프를 y축의 방향으로 logª`3만큼 평행이동한 것이고,
1 1 ‌y=logª`x의 그래프를 x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하면
M={ } , m={ }
-2 2

2 2
y=log;2!;`x의 그래프와 일치하므로 두 함수의 그래프는 대칭이동
1 -4
={ } =2Ý`=16
M

m 2 또는 평행이동하여 겹쳐진다. (거짓)

Ⅰ.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25

해설.indb 25 22. 9. 5. 오후 3:55


⑤ 함수 y=log;2!;`(-2x+3)-1의 역함수를 구하면 다음과 같다.
x에 대하여 정리하면
151  ②

1 y+1 주어진 그래프에서 y좌표를 표시하면 다음과 같다.


y+1=log;2!;`(-2x+3), { } =-2x+3
2 y
y=x
1 y+1 1 1 y+1 3
-2x={ } -3   ∴ x=-  { } +
2 2 2 2 y=log™`x
x™
x와 y를 서로 바꾸면 구하는 역함수는

1 x+2 3
y=-{ } +
2 2 x
O x¡ x™ x£
1 x+2 3
‌따라서 함수 y=-{ } + 의 그래프와 직선 y=x에 대하여
2 2
대칭이다. (참) 함수 y=log2`x의 그래프는 x축과 점 (1, 0)에서 만나므로
따라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④이다. xÁ=1
log2`xª=xÁ=1이므로 xª=2
log2`x£=xª=2이므로 x£=4
∴ xÁ+xª+x£=1+2+4=7

149  ①

함수 y=log£`(x+a)+b의 그래프의 점근선은 152  ⑤


직선 x=-a이고, 주어진 그래프에서 y좌표를 표시하면 다음과 같다.
주어진 그래프에서 점근선이 직선 x=-2이므로 a=2이다. y
y=x
또한, 함수 y=log£`(x+2)+b의 그래프가 점 (1, 0)을 지나므로
0=log£`3+b에서 b=-1이다. y=log£`x
∴ a+b=2+(-1)=1 c
b
a
O
ab c d x

log£`d=c, log£`b=a이므로
150  ④ a-c=log£`b-log£`d

① Ü'6Œ4=Ü"Õ2ß`=2Û`, Ü'3Œ2=Ü"Õ2Þ`=2
;3%; b 1
a-c=log£` =log£` =-1`(∵ d=3b)
d 3
5
2> 에서 2Û`>2 이므로 Ü'6Œ4>Ü'3Œ2 (거짓)
;3%;
1 a-c 1 -1
3 ∴ { } ={ } =9

② { }4`={ }8`, { }3`={ }9`


9 9
1 1 1 1
4 2 8 2

8<9에서 { }8`>{ }9`이므로 { }4`>{ }3` (거짓)


1 1 1 1
2 2 4 8 153  ④
③ 4`log£`2=log£`2Ý`=log£`16
함수 y=log£`(x-2)+2의 그래프는 함수 y=log£`x의 그래프를
3`log£`3=log£`3Ü`=log£`27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y축의 방향으로 2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16<27에서 log£`16<log£`27이므로
x의 값이 커질수록 y의 값도 커진다.
4`log£`2<3`log£`3 (거짓)
3ÉxÉ11에서 함수 y=log£`(x-2)+2는
④ Þ'Ä0.49=Þ"Ã0.7Û`=0.7 , Ü'¶0.7=0.7
;5@; ;3!;
x=3일 때 최솟값 log£`1+2=2를 갖고,
2 1
>  에서 0.7 <0.7 이므로 Þ'Ä0.49<Ü'¶0.7 (참)
;5@; ;3!;
x=11일 때 최댓값 log£`9+2=4를 갖는다.
5 3
따라서 최댓값과 최솟값의 합은 4+2=6이다.
⑤ 3`log0.3`5=log0.3`5Ü`=log0.3`125
7`log0.3`2=log0.3`2à`=log0.3`128
125<128에서 log0.3`125>log0.3`128이므로
3`log0.3`5>7`log0.3`2 (거짓) 154  ③

따라서 옳은 것은 ④이다. 진수 조건에 의하여


x-1>0, 9-x>0에서 1<x<9 yy`㉠
TIP
y‌=logª`(x-1)+logª`(9-x)
주어진 수에서 밑을 일치시켜서 지수 또는 진수의 크기를
=logª`(x-1)(9-x)
비교하여 대소를 판단한다.
밑이 1보다 크므로 (x-1)(9-x)가 최대일 때 최댓값을 갖는다.

26 수학Ⅰ

해설.indb 26 22. 9. 5. 오후 3:55


1 x+3 2x+1
} =8 에서
(x-1)(9-x)=-(x-1)(x-9)는
⑵ {
㉠에서 x=5일 때 최댓값 16을 가지므로 yy TIP 16
-4 x+3 2x+1
a=5, b=logª`16=4 (2 ) =(2Ü`)
-4x-12 6x+3
∴ a+b=9 2 =2
-4x-12=6x+3, 10x=-15
TIP 3
∴ x=-
이차함수 y=-(x-1)(x-9)의 그래프의 x절편이 1, 9이므로 2 I
1+9 125 x-6
꼭짓점의 x좌표는 =5이다. ⑶ x =5 에서
2 25
따라서 이 이차함수는 x=5일 때 최댓값을 갖는다. 5Ü` x-6
x =5
(5Û`)
3-2x x-6
5 =5
3-2x=x-6, 3x=9

155  ② ∴ x=3

함수 y=logª`(4x-1)+2의 역함수를 구하면 다음과 같다.


x에 대하여 정리하면
y-2 2
y-2
+1
158   x=1
y-2=logª`(4x-1), 4x-1=2 , x=
4 2x
3 +2_3
x+1
-27=0에서
y-4 1 2x
3 +6_3Å`-27=0
∴ x=2 +
4
(3Å`+9)(3Å`-3)=0
x-4 1
x와 y를 서로 바꾸면 구하는 역함수는 y=2 + 3Å`=3 (∵ 3Å` >0) yy TIP
4
이 함수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a만큼 평행이동하면 ∴ x=1
x-a-4 1 x-3
TIP
y=2 + 이고, 이 함수가 y=2 +b와 같으므로
4
지수함수 y=aÅ``(a>0, a+1)의 치역이 {y|y>0}이므로 모든
1 3
-a-4=-3에서 a=-1, b=    ∴ a+b=- 실수 x에 대하여 항상 aÅ` >0이다.
4 4

156  4
159  ②
로그함수 y=logŒ`x+m (a>1)의 그래프가 그 역함수의 그래프와 4-x
10-2Å`=2 의 양변에 2Å`을 곱하면
만나는 점은 모두 직선 y=x 위에 존재하므로 두 교점의 좌표는 2x
10_2Å`-2 =2Ý`
(1, 1), (3, 3)이다. yy TIP 2x
2 -10_2Å`+16=0
이 두 점이 함수 y=logŒ`x+m의 그래프 위에 있으므로
(2Å`-2)(2Å`-8)=0
1=logŒ`1+m에서 m=1
2Å`=2 또는 2Å`=8
3=logŒ`3+m에서 3=logŒ`3+1, logŒ`3=2
∴ x=1 또는 x=3
∴ aÛ`=3
따라서 모든 실근의 합은 1+3=4이다.
∴ aÛ`+m=3+1=4
다른 풀이
TIP 4-x
10-2Å`=2 의 양변에 2Å`을 곱하면
로그함수 y=logŒ`x+m (a>1)은 x의 값이 커지면 y의 값도 2x
10_2Å`-2 =2Ý`
커지므로 이 함수의 그래프와 역함수의 그래프와의 교점이 모두
yy`㉠
2x
2 -10_2Å`+16=0
직선 y=x 위에 존재한다. x
2 =t (t>0)라 하면
tÛ`-10t+16=0 yy`㉡
㉠의 서로 다른 두 실근을 a, b라 하면
a b

157   ⑴ x=7  ⑵ x=-;2#;  ⑶ x=3 ㉡의 서로 다른 두 실근이 2 , 2 이다.


㉡의 판별식 D>0이고,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a b
;2!;x+1 ;2(; 두 근의 합과 곱이 모두 양수이므로 2 >0, 2 >0이다.
⑴ 3 =81'3=3 에서
a b
1 9 1 7 두 실근의 곱이 2 _2 =16이므로
x+1= , x=
2 2 2 2 2
a+b
=2Ý`에서 a+b=4
∴ x=7 따라서 구하는 모든 실근의 합은 4이다.

Ⅰ.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27

해설.indb 27 22. 9. 5. 오후 3:55


xÛ`É-2x+3
160   풀이 참조
xÛ`+2x-3É0
⑴ 4Å`-7_2Å`+8=0에서 (x+3)(x-1)É0
yy`㉠
2x
2 -7_2Å`+8=0 ∴ -3ÉxÉ1
x
2 =t (t>0)라 하면
tÛ`-7t+8=0 yy`㉡
㉠의 서로 다른 두 실근이 a, b이므로 163  ②
a b
㉡의 서로 다른 두 실근이 2 , 2 이다. 3
-2x
-10_3 +9É0에서
-x

‌㉡의 판별식 D>0이고,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x


(3 -9)(3 -1)É0
-x

a b
의하여 두 근의 합과 곱이 모두 양수이므로 2 >0, 2 >0이다. 1É3 É9, 3â`É3 É3Û`
-x -x

a b a+b
두 실근의 곱이 2 _2 =8이므로 2 =2Ü` 0É-xÉ2   ∴ -2ÉxÉ0
∴ a+b=3 따라서 a=-2, b=0이므로
⑵ ㉡에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b-a=2
a b
두 실근의 합이 2 +2 =7이고,
a b
두 실근의 곱이 2 _2 =8이다.
a
∴ 2 +2 ‌=(2 +2 )Û`-2_2 _2
2a 2b b a b
164  ①
=7Û`-2_8=33 1 1-xÛ` ax-3
{ } É5 에서
125
채점 요소 배점
É5
-3+3xÛ` ax-3
5
주어진 방정식을 이차방정식으로 해석하고 근과 계수의 관계를
이용하여 두 근의 곱을 찾아 a+b의 값 구하기
50`% -3+3xÛ`Éax-3
주어진 방정식을 이차방정식으로 해석하여 두 근의 합과 두 근의
3xÛ`-ax=x(3x-a)É0
2a 2b
50`% a가 자연수이므로 이 부등식의 해는
곱을 구하고, 곱셈 공식을 이용하여 2 +2 의 값 구하기
a
0ÉxÉ
3
이를 만족시키는 정수 x가 4개이려면
161  ④ 정수인 x가 0, 1, 2, 3이어야 하므로
1 a
이 되는 곳의 수심을 x`m라 하면 3É <4   ∴ 9Éa<12
수면에서의 빛의 세기의
16 3
1 4 1
x 따라서 구하는 모든 자연수 a의 값의 합은 9+10+11=30이다.
I0{ } = I0
2 16
x
1 4 1 1
{ } = ={ }Ý`
2 16 2 165  ③
x 치료제를 인체에 투여한 직후의 혈중 농도는 1.25`lg/mL이고, 혈중
=4
4
농도는 매시간 20`%씩 줄어든다고 하였으므로 이 치료제의 t시간
∴ x=16 (m)
80 t
후의 혈중 농도는 1.25_{ } 이다.
100
치료제를 인체에 투여한 지 t시간 후의 혈중 농도가
162   ⑴ x>-6  ⑵ x¾-9  ⑶ -3ÉxÉ1
0.64`lg/mL 이하가 된다고 하면
80 t
} É0.64
x-2 2x
⑴ 3 <81_3 에서 1.25_{
x-2 2x+4 100
3 <3
4 t 4 3
x-2<2x+4 { } É{ }
5 5
∴ x>-6 밑이 1보다 작으므로
1 x-3 1 x+5
⑵ { } ¾{ } 에서 t¾3
3 27
따라서 치료제의 혈중 농도가 처음으로 0.64`lg/mL 이하가 되는
1 x-3 1 3x+15
{ } ¾{ } 것은 인체에 투여한 지 최소 3시간 후이다.
3 3
x-3É3x+15, 2x¾-18
∴ x¾-9
3 xÛ` 4 2x-3
166   ⑴ x=7  ⑵ x=3  ⑶ x=3
⑶ { } ¾{ } 에서
4 3 ⑴ log;2!;`(x-3)=-2에서 로그의 정의에 의하여
3 3 1 -2
{ } ¾{ } x-3={ } =4
xÛ` -2x+3

4 4 2

28 수학Ⅰ

해설.indb 28 22. 9. 5. 오후 3:55


∴ x=7 xÛ`+8x+12=(x+6)(x+2)É0
⑵ 로그의 진수는 양수이므로 x-1>0, x+2>0에서 -6ÉxÉ-2
x>1 yy ㉠ ∴ -3<xÉ-2 (∵ ㉢)
log`(x-1)+log`(x+2)=1에서
log`(x-1)(x+2)=log`10
(x-1)(x+2)=10
xÛ`+x-12=(x+4)(x-3)=0
169  ④ I
∴ x=3 (∵ ㉠) 로그의 진수는 양수이므로 5(x+1)>0, 2x+5>0에서
⑶ 로그의 진수는 양수이므로 xÛ`-4>0, 7x-11>0 x>-1 yy`㉠
11 1
log`"Ã5(x+1)É1- `log`(2x+5)에서
즉, x<-2 또는 x>2와 x>
7
 을 모두 만족시키는 2
x의 값의 범위는 x>2이다. yy ㉡ log`5(x+1)É2-log`(2x+5)
logª`(xÛ`-4)+1=logª`(7x-11)에서 log`5(x+1)(2x+5)É2

logª`(2xÛ`-8)=logª`(7x-11) 5(x+1)(2x+5)É10Û`
2xÛ`-8=7x-11 (x+1)(2x+5)É20
2xÛ`-7x+3=(2x-1)(x-3)=0 2xÛ`+7x-15=(x+5)(2x-3)É0
∴ x=3 (∵ ㉡) 3
-5ÉxÉ
2
3
∴ -1<xÉ   (∵ ㉠)
167   x=9 2
따라서 구하는 모든 정수 x의 값의 합은 0+1=1이다.
로그의 진수는 양수이므로 x-4>0, 4x-11>0에서
x>4 yy ㉠
log£`(x-4)=log»`(4x-11)에서 밑을 9로 같게 하면 170  ③
log»`(x-4)Û`=log»`(4x-11)
Ú 4Å`-5_2
x+1
+16¾0에서
(x-4)Û`=4x-11 2x
2 -10_2Å`+16¾0
xÛ`-12x+27=(x-3)(x-9)=0
(2Å`-2)(2Å`-8)¾0
∴ x=9 (∵ ㉠)
2Å`É2 또는 2Å`¾8
∴ xÉ1 또는 x¾3
168   ⑴ -10<x<6  ⑵ x¾3  ⑶ -3<xÉ-2 Û (log£`x)Û`-log£`xÜ`-4É0에서

⑴ 로그의 진수는 양수이므로 6-x>0에서 로그의 진수는 양수이므로 x>0 yy`㉠

x<6 yy ㉠ (log£`x)Û`-3`log£`x-4É0

log;4!;`(6-x)>-2에서 (log£`x+1)(log£`x-4)É0

1 -2 -1Élog£`xÉ4
log;4!;`(6-x)>log;4!;`{ } =log;4!;`16
4 1
3ÑÚ`ÉxÉ3Ý`에서 ÉxÉ81
6-x<16, x>-10 3
1
∴ -10<x<6 (∵ ㉠) ∴ ÉxÉ81  (∵ ㉠)
3
⑵ 로그의 진수는 양수이므로 x>0, 2x+3>0에서
Ú, Û에서 연립부등식의 해는
x>0 yy ㉡
1
2`log°`x¾log°`(2x+3)에서 ÉxÉ1 또는 3ÉxÉ81
3
log°`xÛ`¾log°`(2x+3) 따라서 구하는 정수 x는 1, 3, 4, 5, y, 81로 80개이다.
xÛ`¾2x+3
xÛ`-2x-3=(x+1)(x-3)¾0
xÉ-1 또는 x¾3 171   30
∴ x¾3 (∵ ㉡)
세계 석유 소비량이 매년 4`%씩 감소하므로 n년 후 세계 석유
⑶ 로그의 진수는 양수이므로 x+3>0, x+5>0에서
96 n
x>-3 yy ㉢ 소비량은 현재의 { } 이다.
100
log;3!;`(x+3)+log;3!;`(x+5)¾-1에서 1
n년 후의 세계 석유 소비량이 현재 소비량의 이하가 된다고 하면
1 -1 4
log;3!;`(x+3)(x+5)¾log;3!;`{ } =log;3!;`3
3 96 n 1
{ } É 이다.
(x+3)(x+5)É3 100 4

Ⅰ.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29

해설.indb 29 22. 9. 5. 오후 3:55


양변에 상용로그를 취하면 y
96 n` 1
log`{ } Élog`
100 4 O
-2 x
n`log(9.6_0.1)Élog`2
1 Ù–¡
n(log`9.6-1)É-2`log`2 k
y=
2 {}
+k

n(0.98-1)É-2_0.3
-0.02nÉ-0.6 즉, 2+kÉ0에서 kÉ-2
∴ n¾30 따라서 상수 k의 최댓값은 -2이다.
1
따라서 세계 석유 소비량이 처음으로 현재 소비량의 이하가 되는
4
것은 최소 30년 후이다.
174  ③

x+2 1 x-1

172  ④ 함수 y=9_3Å`=3 의 그래프는 함수 y= _3Å`=3 의 그래프를


3
x축의 방향으로 -3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두 함수의 그래프와
a>b>1이므로 두 함수 y=aÅ`, y=bÅ`의 그래프는
두 직선 y=1, y=5로 둘러싸인 도형은 다음과 같다.
x의 값이 커지면 y의 값도 커진다.
y=3Ù±@ y y=3Ù—!
이때 a>b이므로 두 함수 y=aÅ`, y=bÅ`의 그래프는 각각 ㉢, ㉣이다.
1 1 y=5
ac=1, bd=1에서 c= , d= 이므로
a b

y=cÅ`={ }/`=aÑÅ`, y=dÅ`={ }/`=bÑÅ`이다.


1 1
a b y=1
즉, 두 함수 y=cÅ`, y=dÅ`의 그래프는 각각 x
O
y=aÅ`, y=bÅ`의 그래프와 y축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x+2
이때 다음과 같이 두 직선 x=-2, y=5와 곡선 y=3 으로
두 함수 y=cÅ`, y=dÅ`의 그래프는 각각 ㉡, ㉠이다.
둘러싸인 부분 A의 넓이와 두 직선 x=1, y=5와 곡선
따라서 바르게 짝 지은 것은 ④이다. x-1
y=3 으로 둘러싸인 부분 B의 넓이는 서로 같다.
다른 풀이
y=3Ù±@
1 1 y y=3Ù—!
ac=1, bd=1에서 c= , d=  이고,
a b
y=5
1 1 A B
a>b>1에서 0< < <1이므로 c<d<1이다.
a b
∴ c<d<b<a
y=1
함수 y=aÅ`, y=bÅ`, y=cÅ`, y=dÅ`의 x=1일 때의 함숫값이 각각 a, b,
O x
c, d이다. x=-2 x=1
y
㉠ ㉡ ㉢ ㉣ 따라서 구하는 도형의 넓이는 다음과 같이 가로의 길이가 3이고,
세로의 길이가 4인 직사각형의 넓이와 같다.
a
b y=3Ù±@ y y=3Ù—!
d
c y=5
O 1 x

따라서 ㉡`:`y=cÅ`, ㉠`:`y=dÅ`, ㉣`:`y=bÅ`, ㉢`:`y=aÅ`이므로 바르게


짝 지은 것은 ④이다. y=1

-2 O 1 x

∴ 3_4=12
173  ②

1 x-1
함수 y={ } +k의 그래프는
2
1 x
175  ⑤
함수 y={ } 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1만큼, y축의 방향으로
2 정사각형 ACDB의 대각선의 길이가 BCÓ=4'2이므로
k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정사각형 ACDB의 한 변의 길이는 4이다.
이 함수의 그래프가 제1사분면을 지나지 않으려면 다음과 같이 점 A의 y좌표가 4이므로 2Å`=4에서 x좌표는 2이다.
x=0일 때의 함숫값이 0 이하이어야 한다. 점 B의 x좌표는 2+4=6, y좌표는 4이다.

30 수학Ⅰ

해설.indb 30 22. 9. 5. 오후 3:55


c a c 3a
따라서 점 B(6, 4)가 곡선 y=k_2Å` 위의 점이므로 즉, 점 C의 x좌표를 c라 하면 2 =8 에서 2 =2 이므로 c=3a이다.
a
4=k_2ß` 따라서 C(3a, 8 )이고, ACÓ=3a-a=2a이다.
x
1 2ß` 점 B를 지나고 x축에 평행한 직선이 곡선 y=8 과 만나는 점이 D이
∴ = =16
k 4 므로 점 D와 점 B의 y좌표는 서로 같다.
d a 3d a
다른 풀이 즉, 점 D의 x좌표를 d라 하면 8 =2 에서 2 =2 이므로 3d=a,
a
함수 y=k_2Å`의 그래프는 함수 y=2Å`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d= 이다.
3 I
평행이동한 것이다.
a 2a
따라서 D{ , 2 }이고, BDÓ=a- = 이다.
a a
정사각형 ACDB의 대각선의 길이가 BCÓ=4'2이므로 3 3 3
정사각형 ACDB의 한 변의 길이는 4이다. ACÓ 2a
∴ = =3
즉, ABÓ=4이므로 함수 y=2Å`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4만큼 BDÓ 2a
3
평행이동한 것이 y=k_2Å`이다.
x-4
즉, k_2Å`=2
1

k
=2Ý`=16
179  ③

두 직선 y=a, y=b 사이의 거리가 4이므로


삼각형 ABC의 높이는 4이고, 넓이가 4이므로
176  ① 1
_ABÓ_4=4에서 ABÓ=2
x-2 x+1
2
함수 y=3 의 그래프는 함수 y=3 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점 A의 x좌표는
3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ABÓ=3
a+1 a-2
2Å`=a에서 x=logª`a
점 A의 좌표를 (a, 3 )이라 하면 C(a, 3 )이므로
점 B의 x좌표는
1 26
=3 {3- }= _3 =3
a+1 a-2 a a
ACÓ=3 -3 1
9 9 4Å`=a에서 x=log¢`a= `logª`a
2
a 27
∴3= 이므로
26
따라서 점 A의 y좌표는 1 1
ABÓ=logª`a- `logª`a= `logª`a
2 2
a+1 a 27 81
3 =3_3 =3_ = 1
26 26 `logª`a=2이므로 logª`a=4
2
∴ a=2Ý`=16, b=16+4=20
점 D의 x좌표는 4Å`=20에서
177  ③
1
x=log¢`20= `logª`20=logª`2'5
2
세 점 B, C, D의 x좌표는 각각
∴ k=2'5
방정식 aÅ`=k, 3Å`=k, bÅ`=k의 실근이므로
각각 logŒ`k, log£`k, logº`k이다.
즉, ABÓ=logŒ`k, ACÓ=log£`k, ADÓ=logº`k이다.
BCÓ=3ABÓ이므로 ACÓ=4ABÓ 180  ③
logû`a ;4!;
log£`k=4`logŒ`k에서 logû`3=    ∴ a =3 두 점 A, B의 x좌표를 각각 a, b (a<b)라 하면
4
a b
CDÓ=2BCÓ=6ABÓ이므로 ADÓ=10ABÓ A(a, 2 ), B(b, 2 )
b a
logû`a ;1Á0; 1 2 -2 1
logº`k=10`logŒ`k에서 logû`b=    ∴ a =b 직선 AB의 기울기가 이므로 = 에서
10 2 b-a 2
yy ㉠
b a
;2!; b-a=2(2 -2 )
a=3Ý`, bÞ`=a =3Û`이므로
ABÓ=¿¹(b-a)Û`+(2 -2 )Û`
b a
a 3Ý`
= =3Û`=9
bÞ` 3Û` b a
=¿¹5(2 -2 )Û` (∵ ㉠)
이므로 ¿¹5(2 -2 )Û`=3'5에서
b a

yy ㉡
b a
2 -2 =3
178  ③ b-a=6 (∵ ㉠, ㉡)에서
a b=a+6이므로 ㉡에 대입하면
점 A의 좌표는 (a, 8 )이고,
a a+6 a a a 1
점 B의 좌표는 (a, 2 )이다. 2 -2 =3, (2ß`-1)2 =3, 2 =
21
x
점 A를 지나고 x축에 평행한 직선이 곡선 y=2 과 만나는 점이 C이
1
므로 점 C와 점 A의 y좌표는 서로 같다. ∴ a=logª` =-logª`21
21

Ⅰ.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31

해설.indb 31 22. 9. 5. 오후 3:55


-x+m

181  ③ 즉, g(x)=a 이다.


한편, 두 함수 y=a , y=a
x -x+m
의 그래프의 교점의 x좌표는
x-3 x-1
점 A는 두 곡선 y=2 +1과 y=2 -2가 만나는 점이므로 x -x+m m
a =a 에서 x=-x+m, 즉 x= 이므로
2
x-3
+1=2
x-1
-2, 3_2
x-3
=3에서 x=3 2
즉, 점 A의 좌표는 A(3, 2)이다. m
두 함수의 그래프는 직선 x= 에 대하여 대칭이다.
2
한편, 점 B의 x좌표를 a라 하면
m
점 B의 좌표는 B(a, 2
a-3
+1) 따라서 조건 ㈎에 의하여 =2이므로
2
두 점 B, C는 기울기가 -1인 직선 위의 점이고 m=4
BCÓ='2이므로 점 C의 좌표는 C(a-1, 2
a-3
+2) 조건 ㈏에서 f(3)=16g(3)이므로
x-1
점 C는 곡선 y=2 -2 위의 점이므로 aÜ`=16_a
-3+4

a-3 a-2 a-3


2 +2=2 -2, 2 =4에서 a=5 aÜ`=16a
즉, B(5, 5)이고, 점 B가 직선 y=-x+k 위의 점이므로 a(a+4)(a-4)=0
k=10 ∴ a=4`(∵ a>0)
점 A(3, 2)와 직선 y=-x+10, 즉 x+y-10=0 사이의 거리는 ∴ a+m=4+4=8
|3+2-10| 5
=
"Ã1Û`+1Û` '2

따라서 삼각형 ABC의 넓이는


1 5
_'2_ =
5 184  ⑤
2 '2 2 x
함수 f(x)={(2a+1)Û`} 은 밑이 (2a+1)Û`인 지수함수이다.
g(a)=(2a+1)Û`이라 하면 함수 y=g(a)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182   20 y=g{a}

a
점 P의 x좌표를 a라 하면 k_3 =3
-a

a 2a y=1
양변에 3 을 곱하면 k_3 =1
1 
k= 2a yy ㉠ -1 1 0 a
3 -
2
점 P와 점 Q의 x좌표의 비가 1`:`2이므로 점 Q의 x좌표는 2a이다. x
2a 2a 2a ㄱ. ‌함수 y= f(x)는 y={g(a)} `(g(a)+0, g(a)+1)이므로
따라서 k_3 =-4_3 +8에서 (k+4)3 =8
이 함수의 그래프의 점근선은 y=0이다. (참)
8
k+4= 2a  yy ㉡ ㄴ. ‌-1<a<0이면 0<g(a)<1이므로 함수 y={g(a)} 의
x
3
4 그래프는 다음과 같이 x의 값이 커질 때 y의 값은 작아진다.
㉠을 ㉡에 대입하면 k+4=8k   ∴ k=
7 즉, f(1)< f(0)=1이다. (참)
4 y
∴ 35k=35_ =20
7
다른 풀이

점 P의 x좌표를 a라 하면 점 Q의 x좌표는 2a이고, 함수 y=3ÑÅ`의 1 y=f{x}


그래프가 y축과 만나는 점을 R(0, 1)이라 하면 두 점 R와 Q는 직선
O 1 x
x=a에 대하여 대칭이다.
∴ Q(2a, 1) ㄷ. a>1이면
‌ g(a)>1이므로 함수 y={g(a)} 의 그래프는
x

점 Q는 함수 y=-4_3Å`+8의 그래프 위의 점이므로 다음과 같이 x의 값이 커질 때 y의 값도 커진다. 즉,


7 f(1)> f(-1)이다. (참)
yy ㉢
2a 2a
1=-4_3 +8에서 3 = 
4 y
또한, 점 Q는 함수 y=k_3Å`의 그래프 위의 점이므로
2a 7 4
1=k_3 에서 k=1 (∵ ㉢)   ∴ k=
4 7 1
4 y=f{x}
∴ 35k=35_ =20
7
-1 O 1 x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183  ③
x -x
함수 y=a 의 그래프를 y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하면 함수 y=a 의
그래프이고, 이를 x축의 방향으로 m만큼 평행이동하면
185  ③
-(x-m) -x+m x x
함수 y=a , 즉 y=a 의 그래프이다. ㄱ. 0<a<b<1이면
‌ 두 함수 y=a , y=b 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32 수학Ⅰ

해설.indb 32 22. 9. 5. 오후 3:55


y=b
Ù y=aÙ y t>0에서 이 함수는
t=4일 때 최솟값 a-16 을 갖는다.
t=4, 2Å`=4에서 x=2이므로
1
b=2
a-16=10에서 a=26
O x
∴ a+b=28
x x
I
이때 x<0이면 a >b >1이다. (참)
x x
ㄴ. x>0일 때 a >b 이면 a>b이다.
1 ;[!; ;[!;
>0이므로 a>b일 때 a >b 이다. (거짓)
188 
또한,
x  풀이 참조
y y
ㄷ. a , b 은 항상 양수이므로
yy`㉠
x+2 x
x x y=2Å`-¿¹2 +3=2Å`-2"Å2 +3
x y a b
y x x-y x-y
a b >a b 에서 y > y , 즉 a >b 임을 보이면 된다.
a b "Å2Å`=t`(t>0)라 하면
-4ÉxÉ4일 때 2 É2Å`É2Ý`에서
x-y x-y -4
이때 x<y에서 x-y<0이므로 a<b이면 a >b 이 성립한
다. (참) 1
2ÑÛ`É"Å2Å`É2Û`이므로 ÉtÉ4
4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에서 y={t-1}@+2
y=tÛ`-2t+3=(t-1)Û`+2이므로
1
186  ④ 4
ÉtÉ4에서

t=1일 때 최솟값 2를 갖고,


함수 f(x)=xÛ`-6x+11=(x-3)Û`+2이므로
t=4일 때 최댓값 11을 갖는다. 11 4
1ÉxÉ4에서 f(x)는
t=1에서 "Å2Å`=1, 2Å`=1, x=0이므로
4
x=3일 때 최솟값 2를 갖고,
a=0, a=2
x=1일 때 최댓값 6을 갖는다.
t=4에서 "Å2Å`=4, 2Å`=16, x=4이므로
Ú 0<a<1인 경우
f(x) b=4, b=11
함수 (g½ f)(x)=a 은 f(x)가 최소일 때 최댓값을 갖는다.
∴ (a-a)(b-b)=(2-0)(11-4)=14
즉, x=3일 때 함수 f(x)가 최솟값 2를 가지므로
f(x)
함수 y=a 은 최댓값 aÛ`을 갖는다. 채점 요소 배점

aÛ`=27에서 a=3'3>1이므로 모순이다. t="Å2Å`으로 치환하여 -4ÉxÉ4일 때 ;4!;ÉtÉ4임을 구하기 20`%


Û a>1인 경우 주어진 함수를 이차함수 y=tÛ`-2t+3으로 바꾸기 20`%
f(x)
함수 (g½ f)(x)=a 은 f(x)가 최대일 때 최댓값을 갖는다. 최댓값, 최솟값을 구하고 그때의 t의 값을 통해 각각의 x의 값을
60`%
즉, x=1일 때 함수 f(x)가 최댓값 6을 가지므로 구하여 (a-a)(b-b)의 값 구하기
f(x)
함수 y=a 은 최댓값 aß`을 갖는다.
aß`=27에서 a='3>1이므로 조건을 만족시킨다.
Ú, Û에 의하여 a='3이고, 이때 함수 (g½ f)(x)=('3)
f(x)

f(x)가 최소일 때 최솟값을 갖는다.
즉, x=3일 때 함수 f(x)가 최솟값 2를 가지므로 189   ⑴ x=0일 때 최솟값 15  ⑵ x=-1일 때 최솟값 11
4
함수 y=('3) 은 최솟값 ('3) Û`=3을 갖는다.
f(x) 2x -2x
⑴ 2 +2 =(2Å`+2ÑÅ`)Û`-2이므로
2x -2x
y‌=2 +2 +4(2Å`+2ÑÅ`)+5
=(2Å`+2ÑÅ`)Û`+4(2Å`+2ÑÅ`)+3

187  ③ =(2Å`+2ÑÅ`+2)Û`-1 yy ㉠
2Å`>0, 2ÑÅ`>0이므로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에 의하여
yy`㉠
x+3 2x
y=4Å`-2 +a=2 -8_2Å`+a
x
2Å`+2ÑÅ`¾2"Ã2Å`_2ÑÅ`=2
2 =t`(t>0)라 하면 ㉠에서
이때 등호는 2Å`=2ÑÅ`, 즉 x=-x에서 x=0일 때 성립하므로
y=tÛ`-8t+a=(t-4)Û`+a-16
㉠은 2Å`+2ÑÅ`=2일 때 최솟값 15를 갖는다.
y={t-4}@+a-16
따라서 x=0일 때 최솟값 15를 갖는다.
⑵ 4Å`+4ÑÅ`=(2Å`-2ÑÅ`)Û`+2이므로
y‌=4Å`+4ÑÅ`+3(2Å`-2ÑÅ`)+3
=(2Å`-2ÑÅ`)Û`+3(2Å`-2ÑÅ`)+5

={2Å`-2ÑÅ`+ }2`+ 
3 11
0 4 yy ㉡
2 4

Ⅰ.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33

해설.indb 33 22. 9. 5. 오후 3:55


이때 2Å`-2ÑÅ`은 모든 실숫값을 가지므로 ㄱ. (a,
‌ b)<A이면 b=log¢`a이다.
3 11 1
㉡은 2Å`-2ÑÅ`=- 일 때 최솟값  을 갖는다. log¢`2a=log¢`2+log¢`a=log2Û``2+log¢`a=b+
2 4 2
3 1
2Å`-2ÑÅ`+ =0에서 양변에 2Å`을 곱하면 즉, {2a, b+ }<A이다. (참)
2 2
2x 3 ㄴ. (a,
‌ b)<A, (c, d)<A이면 b=log¢`a, d=log¢`c이다.
2 + _2Å`-1=0
2 aÛ`
log¢` =log¢`aÛ`-log¢`c=2`log¢`a-log¢`c (∵ a>0)
2Å`=t (t>0)라 하면 c
2tÛ`+3t-2=0 =2b-d
1 aÛ`
(2t-1)(t+2)=0   ∴ t=  `(∵ t>0) 즉, { , 2b-d}<A이다. (참)
2 c
1 ㄷ. (a,
‌ -b)<A이면 -b=log¢`a이다.
2Å`=  이므로 x=-1
2 4
log¢` =1-log¢`a=1+b
11 a
따라서 x=-1일 때 최솟값  을 갖는다.
4 4
즉, { , b+1}<A이다. (거짓)
a
참고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이다.
함수 y=2Å`+2ÑÅ`의 그래프와 함수 y=2Å`-2ÑÅ`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Ù Ù
y=2Ù+2—Ù y=2 -2—
y y

192  ②

2     함수 y=log£`x의 그래프를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동하면


1 1 y=3Å`이므로 함수 y=log£`x 또는 y=3Å`의 그래프를 평행이동
O x O x 또는 대칭이동하여 겹쳐질 수 있는 그래프를 찾으면 된다.
x+log£`2
ㄱ. ‌함수 y=2_3Å`+1=3 +1의 그래프는 함수 y=3Å`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log£`2만큼, y축의 방향으로 1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ㄴ. ‌함수 y=log;3!;`4x=-log£`4x=-log£`x-log£`4의 그래프는
190   ⑴ (-3, -5)  ⑵ {-;3$;, -6} 함수 y=log£`x의 그래프를 x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후 y축의
⑴ ‌함수 y=a
x+3
-6에서 a
x+3
은 밑에 관계없이 지수가 0일 때 방향으로 -log£`4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1 1
그 값이 항상 1이다. ㄷ. ‌함수 y=log»`(9x+1)=log»`9{x+ }=log»`{x+ }+1의
9 9
따라서 x+3=0, 즉 x=-3일 때 y=aâ`-6=-5이므로
x+3 1
함수 y=a -6의 그래프는 a의 값에 관계없이 그래프는 함수 y=log»`x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 만큼,
9
항상 점 (-3, -5)를 지난다.
y축의 방향으로 1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함수 y=log£`x의
⑵ ‌함수 y=logŒ`3x-6에서 logŒ`3x는 밑에 관계없이 진수가 1일 때
그래프를 평행이동 또는 대칭이동하여 겹쳐지지 않는다.
그 값이 항상 0이다.
ㄹ. ‌함수 y=log»`xÛ`+3=log£|x|+3의 그래프는 함수
1
따라서 3x=1, 즉 x= 일 때 y=logŒ`1-6=-6이므로 y=log£|x|의 그래프를 y축의 방향으로 3만큼 평행이동한
3
것이므로 yy TIP
함수 y=logŒ`3x-6의 그래프는 a의 값에 관계없이
함수 y=log£`x의 그래프를 평행이동 또는 대칭이동하여
1
항상 점 { , -6}을 지난다.
3 겹쳐지지 않는다.
‌이 함수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1만큼 평행이동한 후 y축에 ㅁ. ‌함수 y=2`log£`'Äx-2=log£`('Äx-2 )Û`=log£`(x-2)의
1 4 그래프는 함수 y=log£`x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대하여 대칭이동하면 점 { , -6}은 점 {- , -6}으로
3 3 평행이동한 것이다.
이동하므로 주어진 그래프는 a의 값에 관계없이 ㅂ. ‌함수 y=-2`log£`x+5=-log'3`x+5의 그래프는 함수
4
항상 점 {- , -6}을 지난다. y=log'3`x의 그래프를 x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후 y축의
3
방향으로 5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함수 y=log£`x의
그래프를 평행이동 또는 대칭이동하여 겹쳐지지 않는다.
따라서 함수 y=log£`x의 그래프를 평행이동 또는 대칭이동하여
191  ②
겹쳐질 수 있는 곡선을 그래프로 갖는 함수는 ㄱ, ㄴ, ㅁ으로
(x, y)<A HjK y=log¢`x (x>0)이므로 3개이다.

34 수학Ⅰ

해설.indb 34 22. 9. 5. 오후 3:55


x+3
TIP 이때 함수 y=log;2!;`(x+k)의 그래프가 함수 y=2 -2의 그래프
함수 y=logŒ`xÛ`은 x+0인 모든 실수에서 정의된다. 와 제 2 사분면에서 만나려면 y축과 만나는 점의 y좌표는 6보다 작고,
이때 x>0이면 logŒ`xÛ`=2`logŒ`x이고, x축과 만나는 점의 x좌표는 -2보다 커야 한다.
x<0이면 logŒ`xÛ`=2`logŒ`(-x)이므로 y=log;2!;`(x+k)에서
logŒ`xÛ`=2`logŒ`|x|이다. x=0일 때 y=log;2!;`k이고,
따라서 logŒ`xÛ`+2`logŒ`x임에 주의하자. y=0일 때 x+k=1에서 x=1-k이므로 I
ㄹ. ‌y=log»`xÛ`에서 log»`xÛ`=log3Û``xÛ`=log£|x|이고, log;2!;`k<6, 1-k>-2를 모두 만족시켜야 한다.
log£`x (x>0)
log£|x|=[` 1 1
log£`(-x) (x<0)
이므로 즉, k>{ }ß`= , k<3이므로 구하는 k의 값의 범위는
2 64
함수 y=log»`xÛ`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1
<k<3이다.
y 64

O x

195   10

p
함수 y=log;2!;`(5x-p)+1의 그래프의 점근선은 직선 x= 이다.
5
따라서 함수 y=log;2!;`(5x-p)+1의 그래프가 직선 x=3과 한 점에
193  ②
서 만나려면
ㄱ. ‌f(2)=2이므로 함수 y= f(x)의 그래프는 a의 값에 관계없이 p
<3, 즉 p<15이어야 한다.  yy`㉠
항상 점 (2, 2)를 지난다. (참) 5
ㄴ. a>2이면
‌ 밑이 1보다 크므로 함수 f(x)=loga`(x-1)+2는
x의 값이 커질 때 y의 값도 커진다.
f(2)=2이므로 a>2일 때 f(a)> f(2)=2이다.
y
y=f{x} y=log⁄`{5x-p}+1
f{a}
p x=3
x= 5
2 -x+3 -x+3
한편, 함수 y=|2 -p|의 그래프는 함수 y=2 -p의 그래프
O 2 a x 의 x축 아래 부분을 위쪽으로 접어올린 그래프이다.
-x+3
이때 함수 y=2 -p의 그래프의 점근선이 직선 y=-p이므로
따라서 a f(a)>2 f(2)=4이다. (참) 함수 y=|2
-x+3
-p|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ㄷ. 1<a+1<2일
‌ 때 0<a<1이므로 함수 f(x)=loga`(x-1)+2
y=|2—Ù±#-p|
y=p
는 x의 값이 커질 때 y의 값은 작아지고, 함수 f(x)의 역함수인 y=4
-1
f  (x)도 x의 값이 커질 때 y의 값은 작아진다.
-1 -1
따라서 a+1<b이면 f  (a+1)> f  (b)이다. (거짓)
x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이다.
y=2—Ù±#-p
y=-p
194  ③
따라서 함수 y=|2
-x+3
-p|의 그래프와 직선 y=4가 두 점에서 만
y=2
x+3
-2에서 나려면 p>4이어야 한다.  yy`㉡
x=0일 때 y=2Ü`-2=6이고, ㉠, ㉡에 의하여 4<p<15이므로 모든 정수 p의 개수는
y=0일 때 2
x+3
=2에서 x+3=1, 즉 x=-2이므로 5, 6, 7, y, 14로 10이다.
x+3
함수 y=2 -2의 그래프는 두 점 (0, 6), (-2, 0)을 지난다.
y y=2Ù±#-2

6 196   ⑴ k<5  ⑵ k>4


|x+1| |x|
⑴ ‌함수 y=3 +4의 그래프는 함수 y=3 의 그래프를 x축의 방
향으로 -1만큼, y축의 방향으로 4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x
-2 |x| 3 (x¾0) |x+1|
O x y=3 =[ -x 이므로 함수 y=3 +4의 그래프를 그
3 (x<0)
y=log⁄`{x+k}
리면 다음과 같다.

Ⅰ.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35

해설.indb 35 22. 9. 5. 오후 3:55


y
y=3|Ù±!|+4
y=3|Ù|
198  ④

점 B의 좌표를 (a, logª`a)라 할 때 점 B를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y축의 방향으로 2만큼 평행이동하면 점 D와 일치한다.
5 즉, 점 D의 좌표는 (a+2, 2+logª`a)이고,
점 D는 함수 y=logª`x의 그래프 위의 점이므로
2+logª`a=logª`(a+2)
1 logª`4a=logª`(a+2)
-1 O x 2
4a=a+2   ∴ a=
|x+1| 3
따라서 함수 y=3 +4의 그래프와 직선 y=k가 만나지 않도
따라서 선분 BD의 중점의 x좌표는
록 하는 실수 k의 값의 범위는 k<5이다.
a+(a+2) 5
⑵ ‌방정식 |y-1|=log2`(x-3)의 그래프는 방정식 |y|=log2`x의 =a+1= 이다.
2 3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3만큼, y축의 방향으로 1만큼 평행이동
한 것이다.

|y|=log2`x는 y=[
log2`x (y¾0)
이므로 방정식
199  ⑤
-log2`x (y<0) 점 Q의 좌표를 (k, log2`k)라 하자.
|y-1|=log2`(x-3)의 그래프를 그리면 다음과 같다. 점 Q가 선분 OP를 1 : 3으로 내분하는 점이므로
y |y-1|=log™`{x-3}
점 P의 좌표는 (4k, 4`log2`k)이다.
|y|=log™`x 또한, 점 P는 함수 y=log4`x의 그래프 위의 점이므로
1 4`log2`k=log4`4k
O 1 4 x log4`k¡`=log4`4k
k¡`=4k
kà`=4`(∵ k+0)
따라서 방정식 |y-1|=log2`(x-3)의 그래프와 직선 x=k가 ;7!; ;7@;
∴ k=4 =2
두 점에서 만나도록 하는 k의 값의 범위는 k>4이다.
따라서 점 P의 y좌표는
2 8
4`log2`k=4_ =
7 7

200  ③

197  ②
세 점 P, Q, R의 y좌표는 각각 loga`2, logb`2, -loga`2이므로
함수 y=logŒ`(x+2)-3의 그래프는 a의 값에 관계없이 항상 PQÓ=loga`2-logb`2, QRÓ=logb`2+loga`2이다.
점 (-1, -3)을 지나고, 사각형 ABCD는 다음과 같다. PQÓ : QRÓ=3 : 5에서 3`QRÓ=5`PQÓ이므로
y 3(logb`2+loga`2)=5(loga`2-logb`2)
2`loga`2=8`logb`2
D C loga`2=4`logb`2
O x 1 4
=
A B log2`a log2`b
{-1,`-3}
log2`b=4`log2`a=log2`aÝ`
∴ b=aÝ`
함수 y=logŒ`(x+2)-3의 그래프가 사각형 ABCD와 만나려면 1
∴ g(a)=logb`a=logaÝ``a=
x의 값이 커질 때 y의 값도 커지는 함수이어야 하므로 4
점 B를 지날 때 a는 최댓값을 갖고,
점 D를 지날 때 a는 최솟값을 갖는다.
함수 y=logŒ`(x+2)-3의 그래프가 201   45

점 B(7, -2)를 지날 때 -2=logŒ`9-3에서 점 P(1, 1)은 곡선 y=log2`(x-1)의 점근선인 직선 x=1 위의 점


logŒ`9=1, a=9이므로 M=9 이고, 조건 ㈎에서 세 점 A, B, P가 한 직선 위에 있으므로 점 P는
점 D(2, 1)을 지날 때 1=logŒ`4-3에서 선분 AB의 외분점이다.
logŒ`4=4, aÝ`=4, a='2이므로 m='2 이때 조건 ㈏에서 PAÓ : PBÓ=1 : 2이므로
∴ (Mm)Û`=(9'2 )Û`=162 점 P는 선분 AB를 1 : 2로 외분하는 점이다.

36 수학Ⅰ

해설.indb 36 22. 9. 5. 오후 3:55


y x=1 t+2=2t
B{b,`f{b}}
A{a,`f{a}} y=f{x} ∴ t=2
P 따라서 A(2, 2), B(4, 2), D(4, 4)이고,
두 점 C, D의 y좌표가 같으므로
O 1 2 x
x-3
2 =4=2Û`에서
x-3=2, x=5
I
따라서 점 P의 좌표는
b-2a  f(b)-2 f(a)
{ , }, 즉 (2a-b, 2 f(a)- f(b))이다. ∴ C(5, 4)
1-2 1-2
이 점이 점 (1, 1)과 같으므로 y y=2Ù—#
y=2`log™`x
2a-b=1, 2 f(a)- f(b)=1이다.
D
b=2a-1이므로 4
1 C
2 f(a)- f(b)‌=2`log2`(a-1)-log2`(b-1) 2
A
2 B
=2`log2`(a-1)-log2`2(a-1) 2

=log2`(a-1)-1=1 O 2 4 5 x
에서 log2`(a-1)=2, a-1=4
∴ a=5, b=2_5-1=9 따라서 사각형 ABCD는 평행한 두 변의 길이가 각각 2, 1이고 높이
∴ ab=45 가 2인 사다리꼴이므로 그 넓이는
1
_(1+2)_2=3
2

202  ②

곡선 y=log2`(x-2)는 곡선 y=log2`x를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평 204  ③


행이동한 것이므로
선분 AC가 y축에 평행하므로
ABÓ=2, CDÓ=2이다.
1 ACÓ=logª`4x-logª`x=2이다.
삼각형 ABC의 넓이는 _2_BCÓ=1이므로 BCÓ=1이다.
2 즉, 정삼각형 ABC의 한 변의 길이는 2이다.
두 점 B, C의 x좌표를 k라 하면
따라서 정삼각형 ABC의 높이는 '3이다.
k
BCÓ=log2`k-log2`(k-2)=log2` =1이므로 한편, 점 B에서 선분 AC에 내린 수선의 발은 선분 AC의
k-2
k 중점이므로 점 C의 x좌표를 a라 하면 점 B의 y좌표는
=2, k=2k-4   ∴ k=4
k-2
logª`a+1=logª`2a
CDÓ=2이므로 점 D와 E의 x좌표는 k+2=6
이때 점 B의 x좌표는 a-'3이므로 y좌표는
3
DEÓ=log2`6-log2`4=log2`
2 logª`4(a-'3)
따라서 삼각형 CDE의 넓이는 즉, logª`2a=logª`4(a-'3)에서
1 3 3
2
_2_log2` =log2`
2 2 2a=4(a-'3)이므로 a=2'3
따라서 점 B의 x좌표는 '3이고, y좌표는 logª`4'3이므로
p='3, q=logª`4'3

203 
q
④ ∴ pÛ`_2 =3_4'3=12'3

A(t, 2`log2`t)라 하면
t-1
ABÓ=2이므로 B(t+2, 2 )이다.
두 점 A, B의 y좌표가 같으므로 205   16

yy`㉠
t-1 t-2
2`log2`t=2    ∴ log2`t=2  곡선 y=log¤`(x+1)을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y축의 방향으로
한편, 두 점 B, D의 x좌표가 같으므로
-4만큼 평행이동하면 곡선 y=log¤`(x-1)-4와 일치한다.
D(t+2, 2`log2`(t+2))이고
t-1 그림과 같이 직선 y=-2x와 곡선 y=log¤`(x-1)-4의 교점을 A,
BDÓ=2에서 2`log2`(t+2)-2 =2
2`log2`(t+2)=2
t-1
+2 직선 y=-2x+8과 x축의 교점을 B,
∴ log2`(t+2)=2
t-2
+1  yy`㉡ 점 A를 지나고 x축에 평행한 직선과 직선 y=-2x+8의 교점을
㉠, ㉡에서 log2`(t+2)=log2`t+1=log2`2t이므로 C라 하자.

Ⅰ.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37

해설.indb 37 22. 9. 5. 오후 3:55


두 곡선 y={ }/`과 y=log;2!;`x는 직선 y=x에 대하여
y 1

y=log§`{x+1} 2

B 대칭이다.

‌따라서 두 곡선 y=logª`x, y={ }/`의 교점 Q(xª, yª)와


x
O
1
S™ y=log§`{x-1}-4 2
A C 두 곡선 y=2Å`, y=log;2!;`x의 교점 R(x£, y£)은 직선 y=x에
y=-2x y=-2x+8 대하여 대칭이다.
곡선 y=log¤`(x+1)과 직선 y=-2x+8 및 x축으로 둘러싸인 ∴ xª=y£, x£=yª
부분의 넓이 SÁ과
∴ xª yª-x£ y£=0 (참)
곡선 y=log¤`(x-1)-4와 직선 y=-2x+8 및
ㄷ. S(1, 0)이라 하자.
직선 AC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 Sª가 서로 같으므로

구하는 넓이는 평행사변형 OACB의 넓이와 같다. (직선 RS의 기울기)=
x£-1
점 A는 점 O를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y축의 방향으로 -4만큼 yÁ
(직선 PS의 기울기)=
평행이동한 점이므로 A(2, -4)이고 xÁ-1
-2x+8=0에서 x=4이므로 B(4, 0), 이고, (직선 RS의 기울기)<(직선 PS의 기울기)이므로
-2x+8=-4에서 x=6이므로 C(6, -4)이다. y£ yÁ
<
x£-1 xÁ-1
즉, ACÓ=4, 점 A의 y좌표는 -4이므로
ㄴ에서 x£=yª, xª=y£이므로
평행사변형 OACB의 넓이는 4_4=16이다.
xª yÁ
<
yª-1 xÁ-1
‌이때 xÁ-1<0, yª-1<0이므로 (xÁ-1)(yª-1)>0이고
206  ④ 양변에 (xÁ-1)(yª-1)을 각각 곱하면
xª(xÁ-1)<yÁ(yª-1) (거짓)
점 A는 곡선 y=-logª`x 위에 있고,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이다.
두 점 B, C는 곡선 y=logª`x 위에 있다.
점 A의 x좌표를 a라 하면 두 점 B, C의 x좌표는 각각 2a, TIP

두 함수 y={ }/`, y=|logª`x|의 그래프가


3a이므로 A(a, -logª`a), B(2a, logª`2a), C(3a, logª`3a)이다. 1
선분 AC의 중점이 B이므로 2
-logª`a+logª`3a 0<x<1인 범위에서 점 P(xÁ, yÁ)에서 만나고,

0<x<xÁ일 때 |logª`x|>{ }/`,


=logª`2a
2 1
logª`3 2

xÁ<x<1일 때 |logª`x|<{ }/`이다.


=logª`2a, logª`'3=logª`2a
2 1
'3 2
'3=2a   ∴ a=
2 1 1 ;2!; 1
이때 |logª` |>{ } 이므로 <xÁ<1임을 알 수 있다.
직선 AB의 기울기는 2 2 2
logª`2a-(-logª`a) logª`2aÛ` y
k‌= =
2a-a a Ù

logª`
3
y= { 12} y=|log™`x|
2 2
= = (logª`3-1)
'3 '3 1 P
Q
2
∴ '3k=2(logª`3-1) O 1 x¡ 1 x
2

207  ③

ㄱ. 두 곡선 y=|logª`x|와 y={ }/`이 만나는 두 점 중 x좌표가 208 


1 ⑤
2
더 작은 점이 P이므로 xÁ<1이다. 1
x= 일 때 두 함수 y={ }/`, y=|logª`x|의 함숫값은 각각
0< <1에서 a>1이므로
1 1 a

2 2 1
<b<1의 각 변에 밑이 a인 로그를 취하면
1 ;2!;1 ;2!;
1 a
{ } , 1이고, { } <1이므로 <xÁ<1이다. (참)
2 2 2 1
loga` <loga`b<loga`1
 yy TIP a
ㄴ. ‌두 곡선 y=logª`x와 y=2Å`은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고, ∴ -1<loga`b<0

38 수학Ⅰ

해설.indb 38 22. 9. 5. 오후 3:55


즉, -1<B<0이므로 A<B<0 y y=logà≠¡`x
1 1
C=logb`a= = 이므로 C<-1
loga`b B
∴ C<A<B a
O 1 a+1 x

I
209   D<C<A<B
이때 0<a<1, 1<a+1<2이므로
b>1이므로 b<a<bÛ`의 각 변에 밑이 b인 로그를 취하면 logb+1`a<0, logb+1`(a+1)>0이다.
logº`b<logº`a<logº`bÛ` ∴ logb+1`a_logb+1`(a+1)<0 (참)
1<logº`a<2 ㄹ. b<1이면 0<a<b<1이다.
즉, 1<B<2 0<a<1이므로 a<b<1의 각 변에 밑이 a인 로그를 취하면
1 1 loga`a>loga`b>loga`1에서 0<loga`b<1이다.
A=logŒ`b= = 이므로
logº`a B
1
1 또한, logb`a= >1이므로 loga`b, logb`a는 모두 양수이다.
<A<1 loga`b
2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에 의하여
a
C=logŒ` =1-logŒ`b=1-A이므로 loga`b+logb`a¾2"Ãloga`b_logb`a=2이고,
b
이때 등호는 loga`b=logb`a일 때 성립하는데 loga`b+logb`a이
1
0<C<
2 므로 등호는 성립하지 않는다.
b ∴ loga`b+logb`a>2 (참)
D=logº` =1-logº`a=1-B이므로
a 따라서 옳은 것은 ㄴ, ㄷ, ㄹ이다.
-1<D<0
∴ D<C<A<B
212  ④

8
y‌=(log;2!;`4x){log;2!;` }
210  ④ x
8
a>2이므로 a<x<aÛ`의 각 변에 밑이 a인 로그를 취하면 =(logª`4x){logª` }
x
loga`a<loga`x<loga`aÛ` =(2+logª`x)(3-logª`x)
∴ 1<loga`x<2  yy`㉠ =-(logª`x)Û`+logª`x+6

=-{logª`x- }2`+ 
1<(loga`x)Û`<4, 2<loga`xÛ`(=2`loga`x)<4로 두 수의 대소를 직 1 25
yy`㉠
접 비교할 수 없으므로 (loga`x)Û`과 loga`xÛ`의 차를 계산해 보면 2 4
(loga`x)Û`-loga`xÛ`=loga`x(loga`x-2) logª`x=t라 하면 1ÉxÉ4에서
logª`1Élogª`xÉlogª`4이므로 0ÉtÉ2이고,

㉠은 y=-{t- }2`+ 이므로


이때 ㉠에서 loga`x>0, loga`x-2<0이므로
(loga`x)Û`-loga`xÛ`<0이다. 1 25
2 4
∴ (loga`x)Û`<loga`xÛ`
1 25
한편, ㉠에 밑이 a인 로그를 취하면 t= 일 때 최댓값 M= 이고,
2 4

t=2일 때 최솟값 m=-{ }2`+ =4이다.


loga`1<loga`(loga`x)<loga`2<loga`a`(∵ a>2) 3 25
∴ 0<loga`(loga`x)<1 2 4
따라서 loga`(loga`x)<(loga`x)Û`<loga`xÛ`이다. 25
∴ Mm= _4=25
4

211  ⑤ 213  ②
x
log`x log`2 log`
aÛ`<a에서 a(a-1)<0이므로`0<a<1 y=2 _x -24_2 100

log`x log`x log`x-2


ㄱ. 밑이 a이고, 0<a<1일 때 지수가 커질수록 값이 작아지므로 =2 _2 -24_2
a b log`x log`x
a<b에서 a >a (거짓) =(2 )Û`-6_2
log`x
ㄴ. 0<a<1이므로 a<b에 밑이 a인 로그를 취하면 이때 2 =t라 하면 y=tÛ`-6t이다.
loga`a>loga`b 또한, 1ÉxÉ100에서
∴ loga`b<1 (참) 0Élog`xÉ2,
log`x
ㄷ. b+1>a+1>1이므로
‌ 1É2 É4
함수 y=logb+1`x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이므로 1ÉtÉ4이다.

Ⅰ.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39

해설.indb 39 22. 9. 5. 오후 3:55


즉, 1ÉtÉ4에서 함수 y=tÛ`-6t=(t-3)Û`-9의 1 p+2-a
㉡에서 p+ =3 이다.
최댓값은 t=1일 때 -5이고, 2
최솟값은 t=3일 때 -9이다. 1
p+ p+2-a
2 3
따라서 최댓값과 최솟값의 합은 -14이다. = p-a =9이므로
3 3
p-
2
1 3
p+ =9{p- }
214   55 2 2
7
8p=14   ∴ p=
1 1 4
|log3`{ x+3}|=0에서 x+3=1, x=-18이므로
9 9 7 7 15 15
따라서 A{ , }, B{ , }이다.
1 4 4 4 4
함수 y=|log3`{ x+3}|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9
채점 요소 배점
y
| { 1
y= log£` x+3
9 }| 두 점 A, B의 좌표를 각각 (p, p), (p+2, p+2)로 놓기 30`%

1 두 점 A, B의 좌표를 이용하여 두 개의 방정식 찾기 40`%


두 식을 연립하여 두 점 A, B의 좌표 각각 구하기 40`%
-18 O x

이 함수의 그래프를 y축의 방향으로 1만큼 평행이동한 함수


1
f(x)=|log3`{ x+3}|+1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9 216  ④
y x
f(x)=a -b, g(x)=loga`(x+b)라 할 때, 두 함수는 서로 역함수
y=f{x}
3 관계이므로 두 함수의 그래프는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다.
2
1 따라서 두 함수의 그래프의 교점인 두 점 A, B는 직선 y=x 위의 점

-20 -18
O a x 이므로 그 좌표를 각각 A(p, p), B(q, q)`(p<q)라 하자.
조건 ㈎에서 ABÓ='2(q-p)=2'2이므로
7 9 9
f(-20)=|log3` |+1=log3` +1<2`{∵ log3` <log3`3=1} q-p=2이고,  yy`㉠
9 7 7
p+q p+q
정의역이 {x|-20ÉxÉa}인 함수 f(x)의 치역이 {y|bÉyÉ3}이 조건 ㈏에 의하여 선분 AB의 중점인 점 { , }는 직선
2 2
려면 -20ÉxÉa에서 함수 f(x)의 최댓값이 3, 최솟값이 b이어야
x+y-2=0 위의 점이므로
한다.
p+q=2이다.  yy`㉡
따라서 a>-18, f(a)=3이어야 하고, 이때 b=1이다.
㉠, ㉡을 연립하여 풀면 p=0, q=2이다.
1
즉, f(a)=log3`{ a+3}+1=3이므로 따라서 A(0, 0), B(2, 2)이고, 두 점 A, B가 함수 y= f(x)의 그
9
1 래프 위의 점이므로 f(0)=0, f(2)=2이다.
log3`{ a+3}=2
9 0
f(0)=a -b=1-b=0에서 b=1
1 f(2)=aÛ`-b=2에서 aÛ`=3이므로 a='3`(∵ a>0)
a+3=9   ∴ a=54
9 ∴ a+b='3+1
∴ a+b=54+1=55

215   풀이 참조 217  ④
x
ㄱ. 두 함수 y=2 , y=log2`x는 서로 역함수 관계이므로
x-a3
함수 y=3 + 의 그래프와 그 역함수의 그래프의 교점은 두 함수의 그래프는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다.
2
직선 y=x 위에 있으므로 선분 AB를 대각선으로 하는 정사각형의 또한, 직선 y=-x+k도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직선
x
각 변은 모두 x축 또는 y축에 평행하다. y=-x+k가 두 함수 y=2 , y=log2`x의 그래프와 만나는 두
이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가 2이므로 점 A, B도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고, 두 점 C, D도 직선
점 A의 좌표를 (p, p)라 하면 점 B의 x좌표는 (p+2, p+2)이다. y=x에 대하여 대칭이다.
x-a3 따라서 ADÓ=BCÓ이고 ABÓ=BCÓ이므로 ACÓ=2ADÓ이다.
두 점 A, B는 모두 함수 y=3 + 의 그래프 위의 점이므로
2 ∴ ADÓ : ACÓ=1 : 2 (거짓)
3 ㄴ. ‌ㄱ에 의하여 ADÓ=ABÓ=BCÓ이므로
yy`㉠
p-a
3 + =p 
2
점 A의 x좌표를 a`(a>0)라 하면 점 B의 x좌표는 2a,
3
yy`㉡
p+2-a
3 + =p+2 
2 점 C의 x좌표는 3a이고, 두 점 A, B는 직선 y=x에 대하여

3 대칭이므로 A(a, 2a), B(2a, a)이다.


p-a
㉠에서 p- =3 이고, 점 O에서 선분 AB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2

40 수학Ⅰ

해설.indb 40 22. 9. 5. 오후 3:55


3 3 따라서 삼각형 OBC의 넓이는
점 H는 선분 AB의 중점이므로 H{ a, a}이다.
2 2 1 7 21
_3'2_ '2= 이다.
삼각형 OAB의 넓이는 2 2 2
1 1 3 3
_ABÓ_OHÓ= _'2a_ '2a= aÛ`=6
2 2 2 2
이므로 aÛ`=4에서 a=2이다.`(∵ a>0) 219  6
따라서 점 C의 x좌표는 3a=6이므로 k=6이다. (참) x
I
두 함수 y=2 +k, y=log2`(x-k)는 서로 역함수 관계이므로
ㄷ. ㄴ에서 a=2이므로 A(2, 4), B(4, 2)이다.
두 곡선은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다.
따라서 점 A의 x좌표와 점 B의 y좌표의 합은 x
곡선 y=2 +k와 직선 y=5x가 만나는 점 중 한 점 A의 좌표를
2+2=4이다. (참)
(a, 5a)라 하면 점 A를 지나고 기울기가 -1인 직선이 곡선
따라서 옳은 것은 ㄴ, ㄷ이다.
y=log2`(x-k)와 만나는 점 B는 점 A와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
다른 풀이
이므로 점 B의 좌표는 (5a, a)이다.
ㄴ. ‌ㄱ에 의하여 ADÓ=ABÓ=BCÓ이므로
y=2Ù+k
삼각형 OCD의 넓이는 삼각형 OAB의 넓이의 3배이다.
y=x
즉, 삼각형 OCD의 넓이는 3_6=18이다.
1 A
이때 OCÓ=ODÓ=k이므로 삼각형 OCD의 넓이는 kÛ`이고, y=log™`{x-k}
2
H
1
kÛ`=18에서 k=6이다. (참)
2 B
ㄷ. ㄴ에 의하여 점 C의 좌표는 (6, 0)이다. O
또한, ㄱ에 의하여 ADÓ=ABÓ=BCÓ이므로 두 점 A, B의 x좌표
이때 삼각형 OAB는 OAÓ=OBÓ인 이등변삼각형이므로 점 O에서 선
는 각각 2, 4이다.
분 AB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점 H는 선분 AB의 중점이다.
이때 두 점 A, B가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즉, H(3a, 3a)이다.
A(2, 4), B(4, 2)이다.
ABÓ=4'2|a|, OHÓ=3'2|a|이므로 삼각형 OAB의 넓이는
따라서 점 A의 x좌표와 점 B의 y좌표의 합은
1 1
_ABÓ_OHÓ=
‌ _4'2|a|_3'2|a|
2+2=4이다. (참) 2 2
=12|a|Û`=48
∴ |a|=2
218  ③ a=-2인 경우 점 A(-2, -10)이 곡선 y=2 +k 위의 점이므로
x

x -2 41
두 함수 y=2 +1, y=log2`(x-1)은 서로 역함수 관계이므로 -10=2 +k에서 k=-
4
두 곡선은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다.
그런데 k>0이므로 모순이다.
따라서 곡선 y=log2`(x-1) 위의 점 B를 지나고 기울기가 -1인 x
x
따라서 a=2인 경우 점 A(2, 10)이 곡선 y=2 +k 위의 점이므로
직선이 곡선 y=2 +1과 만나는 점 C에 대하여 두 점 B, C는 직선
10=2Û`+k에서 k=6
y=x에 대하여 대칭이다.
∴ k=6`(∵ k>0)
점 C에서 직선 AB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삼각형 BCH는
직각이등변삼각형이므로
BCÓ=3'2일 때 CHÓ=BHÓ=3이다. 220   10
점 B의 x좌표가 t이므로 점 C의 x좌표는 t-3이고, 두 점 B, C가
x-b
두 함수 y=log2`(x+a)+b, y=2 -a는 서로 역함수 관계이므로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B(t, t-3), C(t-3, t)이다.
두 함수의 그래프는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다.
또한, ABÓ=31이므로 A(t, t+28)이다.
x 이때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인 두 점은 기울기가 -1인 한 직선
두 점 A, C가 곡선 y=2 +1 위의 점이므로
위에 있다.
yy`㉠
t
t+28=2 +1 
따라서 함수 y=log2`(x+a)+b의 그래프 위의 점 P를 지나고 기울
yy`㉡
t-3
t=2 +1 
x-b
기가 -1인 직선이 함수 y=2 -a의 그래프와 만나는 점이 Q일
㉠에서 ㉡의 양변을 각각 빼면
때, 두 점 P, Q는 직선 y=x에 대하여 서로 대칭이다.
1 7
=2 {1- }= _2
t t-3 t t
28=2 -2 즉, 점 P(15, 1)에 대하여 점 Q(1, 15)이다.
8 8
t
2 =32   ∴ t=5 삼각형 PQR의 밑변을 선분 PR라 하면 높이는 15-1=14이므로
즉, B(5, 2), C(2, 5)이고, 삼각형 PQR의 넓이는
점 O에서 선분 BC에 내린 수선의 발을 M이라 하면 1
_PRÓ_14=119
2
7 7 7
점 M은 선분 BC의 중점이므로 M{ , }이고, OMÓ= '2이다. ∴ PRÓ=17
2 2 2

Ⅰ.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41

해설.indb 41 22. 9. 5. 오후 3:55


따라서 점 R의 x좌표는 15-17=-2, y좌표는 1이므로 ∴ x=-1 또는 x=2
R(-2, 1)이다. 따라서 구하는 두 근의 곱은 (-1)_2=-2이다.
x-b
두 점 Q(1, 15), R(-2, 1)이 모두 함수 y=2 -a의 그래프 위
의 점이므로
2
1-b
-a=15  yy`㉠ 223  ③

yy`㉡
-2-b
2 -a=1  4Å`+4ÑÅ`=(2Å`+2ÑÅ`)Û`-2이므로 주어진 방정식은
㉠-㉡을 하면 (2Å`+2ÑÅ`)Û`+3(2Å`+2ÑÅ`)-18=0
1-b -2-b
2 -2 =14 2Å`+2ÑÅ`=t라 하면
1 -2 -b
(2 -2 )2 =14 tÛ`+3t-18=0
7 -b -b (t+6)(t-3)=0
_2 =14, 2 =8   ∴ b=-3
4
t=-6 또는 t=3
b=-3을 ㉠에 대입하면
이때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에 의하여
2Ý`-a=15   ∴ a=1
t=2Å`+2ÑÅ`¾2"Ã2Å` _2ÑÅ`=2
∴ aÛ`+bÛ`=1+9=10
 (단, 등호는 2Å`=2ÑÅ`, 즉 x=0일 때 성립한다.)
∴ 2Å`+2ÑÅ`=3 yy`㉠
양변에 2ÑÅ`을 곱하면
221  ②
1+2
-2x
=3_2ÑÅ`
-2x
y=log2`(x+3)-1을 x에 대하여 정리하면 2 -3_2ÑÅ`+1=0
log2`(x+3)=y+1 2ÑÅ`=p (p>0)라 하면
x+3=2
y+1 pÛ`-3p+1=0
-a -b
x=2
y+1
-3 이 이차방정식의 두 근이 2 , 2 이므로
x와 y를 서로 바꾸면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a -b -a -b
y=2
x+1
-3 2 +2 =3, 2 2 =1
-a -b‌ -a -b -a -b
∴ f(x)=2
x+1
-3 ∴ 4 +4 =(2 +2 )Û`-2_2 2
방정식 f(2x)+ f(x+1)-10=0에서 =3Û`-2_1=7
2x+1 x+2
(2 -3)+(2 -3)-10=0 다른 풀이
2x x
2_2 +4_2 -16=0 ㉠에서 다음과 같이 풀이할 수 있다.
2x x
2 +2_2 -8=0 양변에 2Å`을 곱하면
x x
(2 +4)(2 -2)=0 2x
2 +1=3_2Å`
x x
2 =2`(∵ 2 >0) 2x
2 -3_2Å`+1=0
∴ x=1 2Å`=s` (s>0)라 하면
sÛ`-3s+1=0
a b
이 이차방정식의 두 근이 2 , 2 이므로
222   -2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a b a b
2
2x+1
+a_2Å`+a+13=0 yy ㉠ 2 +2 =3, 2 2 =1
2a 2b
2Å`=t (t>0)라 하면 -a -b‌ 1 1 2 +2
∴ 4 +4 = 2a + 2b = 2a 2b
2 2 2 2
2tÛ`+at+a+13=0 yy ㉡ a b a b
(2 +2 )Û`-2_2 2
㉠의 두 근을 a, b라 하면 = a b
(2 2 )Û`
a b
㉡의 두 근은 2 , 2 이다. 3Û`-2_1
= =7
㉠의 두 근의 합이 a+b=1이므로 1Û`
a b a+b
㉡의 두 근의 곱은 2 _2 =2 =2이다.

224 
따라서 ㉡에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 ⑴ 10  ⑵ 6
a+13
=2이므로 a=-9
2 ⑴ (x+1)
xÛ`-6x
=5
xÛ`-6x

이를 ㉡에 대입하면 Ú 지수가 서로 같으므로 밑이 서로 같을 때 등식이 성립한다.


2tÛ`-9t+4=0, (2t-1)(t-4)=0 x+1=5에서 x=4
1 Û 밑에 관계없이 등식이 성립하는 경우는 지수가 0일 때이다.
t= 또는 t=4
2
xÛ`-6x=x(x-6)=0에서 x=0 또는 x=6
1
2Å`= 또는 2Å`=4 Ú, Û에서 구하는 모든 실근의 합은 4+0+6=10이다.
2

42 수학Ⅰ

해설.indb 42 22. 9. 5. 오후 3:55


xÛ` 5x-6 x
⑵ x =x 이때 함수 y=|3 -2a|의 그래프가 직선 y=10-a와 서로 다른
Ú 밑이 서로 같으므로 지수가 서로 같을 때 등식이 성립한다. 두 점에서 만나려면 0<10-a<2a이어야 한다.
xÛ`=5x-6에서 xÛ`-5x+6=(x-2)(x-3)=0 10
즉, <a<10이다.
∴ x=2 또는 x=3 3
Û ‌지수에 관계없이 등식이 성립하는 경우는 밑이 1일 때이다. 10
Ú, Û에 의하여 <a<10이므로 정수 a의 최댓값은 M=9,
3
∴ x=1 (∵ x>0)
최솟값은 m=4이다. I
Ú, Û에서 구하는 모든 실근의 합은 2+3+1=6이다.
∴ M+m=13

225  3

log2`x=0에서 x=1이고,
x x
227  ②
-log2` =0에서 =1, 즉 x=4이므로
4 4 x
4 -2
x+2
-kÛ`+4=0에서
C(1, 0), D(4, 0)이다. 2x
2 -4_2 -kÛ`+4=0 
x
yy`㉠
따라서 CDÓ=3이고, ABÓ : CDÓ=5 : 2이므로 x
이때 2 =t라 하면 t>0이고,
5 15 tÛ`-4t-kÛ`+4=0이다.  yy`㉡
ABÓ= CDÓ= 이다.  yy`㉠
2 2
k
㉠이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지려면
log2`x=k에서 x=2 이고,
㉡이 t>0일 때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져야 한다.
x x -k 2-k
-log2` =k에서 =2 , 즉 x=2 이므로 즉, 이차방정식 tÛ`-4t-kÛ`+4=0이 서로 다른 두 양의 실근을
4 4
k
A(2 , k), B(2
2-k
, k)이다. 가져야 한다.
k 2-k 15 Ú ㉡의 판별식을 D라 하면 D>0이어야 한다.
∴ ABÓ=2 -2 = `(∵ ㉠)
2 D
=(-2)Û`-(-kÛ`+4)=kÛ`>0에서 k+0이다.
k 2-k 15 k
4
2 -2 = 의 양변에 2_2 을 곱하면
2 Û 두 실근의 합이 양수이어야 한다.
2k k
2_2 -2Ü`=15_2 이때 두 실근의 합은 4이므로 항상 조건을 만족시킨다.
2k k
2_2 -15_2 -8=0 Ü 두 실근의 곱이 양수이어야 한다.
k k
(2_2 +1)(2 -8)=0 ‌두 실근의 곱은 -kÛ`+4>0이므로
k k
2 =8`(∵ 2 >0)   ∴ k=3 kÛ`<4   ∴ -2<k<2
Ú ~ Ü에 의하여 k의 값의 범위는 -2<k<0 또는 0<k<2이다.

226  ③
따라서 정수 k는 -1, 1로 2개이다.

x x
방정식 |3 -2a|+a=10에서 |3 -2a|=10-a이다.
x
이 방정식의 실근의 개수는 함수 y=|3 -2a|의 그래프와 직선
y=10-a의 교점의 개수와 같다. 228  ①
Ú aÉ0인 경우 x x+2
x 두 함수 f(x)=4 , g(x)=3_2 -k+3의 그래프의 두 교점의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3 -2a>0이므로
x x x좌표가 각각 a, b이므로
함수 y=|3 -2a|의 그래프는 함수 y=3 -2a의 그래프와 x x+2 2x x
방정식 4 =3_2 -k+3, 즉 2 -12_2 +k-3=0의 두 실근
같다.
이 a, b이다.
따라서 직선 y=10-a와 두 점에서 만나는 경우는 존재하지
yy`㉠
2x x
2 -12_2 +k-3=0에서 
않는다. x
2 =t라 하면 t>0이고,
Û a>0인 경우
x x tÛ`-12t+k-3=0이다.  yy`㉡
함수 y=|3 -2a|의 그래프는 함수 y=3 -2a의 그래프의 x축
이때 ab<0이므로 a, b의 부호가 서로 달라야 한다.
아랫부분을 x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하면 되므로 다음과 같다.
일반성을 잃지 않고 a<0, b>0이라 하면
y y=|3Ù-2a| a b
0<2 <1, 2 >1이므로  y y=h{t}
㉡은 서로 다른 두 실근 tÁ, tª를 갖고,
y=2a
0<tÁ<1, tª>1이어야 한다. 1 6
y=10-a O t
이를 만족시키려면 이차함수
O x h(t)=tÛ`-12t+k-3=(t-6)Û`+k-39
Ù
y=3 -2a 라 할 때, h(0)>0, h(1)<0을 만족시키 k-39
y=-2a
면 된다.

Ⅰ.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43

해설.indb 43 22. 9. 5. 오후 3:55


h(0)=k-3>0에서 k>3이고, k
Û =8일 때
h(1)=k-14<0에서 k<14이므로 2
3<k<14이다. ㉠에서 2(2Å`-8)Û`<0이므로 이를 만족시키는 실수 x의 값은
따라서 구하는 자연수 k는 4, 5, 6, y, 13으로 10개이다. 존재하지 않는다.
k
Ü >8일 때
2

229  ② ㉠에서 8=2Ü`<2Å`<


k
2
1 이를 만족시키는 정수 x가 4, 5로 2개 존재해야 하므로
약물의 혈중 농도가 5시간마다 의 비율로 줄어든다고 하였으므로
2 k
2Þ`< É2ß`이어야 한다.
1 ;5T; 2
t시간 후 약물의 혈중 농도는 현재의 { } 이다.
2 즉, 64<kÉ128이므로 정수 k의 개수는 128-64=64이다.
t시간 후 약물의 혈중 농도가 현재의 20`%가 된다고 하면 Ú∼Ü에서 구하는 정수 k의 개수는 2+64=66이다.
1 ;5T; 20 1
{ } = =
2 100 5
양변에 상용로그를 취하면 232   풀이 참조
;5T;
1 1 2
log`{ } =log` =log` , - `log`2=log`2-1
t 2x x+1 2x
2 5 10 5 3 +3 +k-3¾0에서 3 +3_3Å`+k-3¾0
t 3Å`=t라 하면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t>0이므로
- _0.3=0.3-1, -0.06t=-0.7
5 t>0인 모든 실수 t에 대하여 부등식 tÛ`+3t+k-3¾0이
70 성립해야 한다. yy`㉠
∴ t=
6 f(t)=tÛ`+3t+k-3이라 하면
70 4
따라서 {=11+ }시간, 즉 11시간 40분 후이다. 3
이차함수 y= f(t)의 그래프의 축의 방정식이 t=-  이므로
6 6 2
함수 y= f(t)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y=f{t}
230  ⑤

Ú 0<x<1일 때
5x-6 3x
x >x 에서 5x-6<3x, x<3
∴ 0<x<1
Û x=1일 때 3 0 t
-
5x-6 3x
2
x >x 에서 좌변과 우변의 값이 모두 1로 같으므로
㉠을 만족시키려면 f(0)¾0이어야 한다.
부등식이 성립하지 않는다.
f(0)=k-3¾0에서 k¾3
Ü x>1일 때
5x-6 3x
따라서 구하는 실수 k의 최솟값은 3이다.
x >x 에서 5x-6>3x, x>3
∴ x>3 채점 요소 배점

Ú∼Ü에서 주어진 부등식의 해는 3Å`=t로 치환하여 t>0인 모든 실수 t에 대하여 성립하는 이차부등식


50`%
구하기
0<x<1 또는 x>3
f(0)¾0임을 이용하여 실수 k의 최솟값 구하기 50`%

231  ④

4
x+1
-(k+16)2
x+1
+16k<0에서 233  ④
2x
4_2 -2(k+16)2Å`+16k<0 1 f(x)g(x) 1 g(x)
{ } ¾{ } 에서
2x
2_2 -(k+16)2Å`+8k<0 2 8
1 f(x)g(x) 1 3g(x)
(2_2Å`-k)(2Å`-8)<0 yy`㉠ { } ¾{ }
2 2
k
Ú <8일 때 1 1
2 이때 밑이 로`0< <1이므로
2 2
k
㉠에서 <2Å`<8=2Ü` f(x)g(x)É3g(x)
2
이를 만족시키는 정수 x가 1, 2로 2개 존재해야 하므로 g(x){ f(x)-3}É0
k 따라서 g(x)É0, f(x)-3¾0 또는 g(x)¾0, f(x)-3É0이다.
2â`É <2Ú`이어야 한다.
2 주어진 그래프에 의하여
즉, 2Ék<4이므로 정수 k의 개수는 4-2=2이다. g(x)É0, f(x)¾3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자연수 x는 1이고,

44 수학Ⅰ

해설.indb 44 22. 9. 5. 오후 3:55


g(x)¾0, f(x)É3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자연수 x는 3, 4, 5이다. 1.3
∴ tÉ _6=195
따라서 구하는 모든 자연수 x의 값의 합은 0.04
1+3+4+5=13 따라서 이 식물성 플랑크톤이 살 수 있는 깊이는 최대 195`m이다.

234  ② 236  6
I
x
f(x)=|9 -3|, g(x)=2
x+k
이라 하자. 올해 기업의 자기 자본을 A라 하면 부채는 5A이다.
함수 y=g(x)는 x의 값이 커질 때 y의 값도 커지는 함수이므로 매년 부채를 전년도의 10`%씩 줄이고, 자기 자본은 20`%씩
두 곡선 y= f(x)와 y=g(x)가 두 점에서 만나고, 늘리므로 올해로부터 n년 후
120 n 90 n
이 두 점의 x좌표 xÁ, xª`(xÁ<xª)가 xÁ<0, 0<xª<2를 만족시키 자기 자본은 A{ } 이고, 부채는 5A{ } 이다.
100 100
려면 다음 그림과 같아야 한다.
올해로부터 n년 후 자기 자본이 부채보다 많아진다고 하면
y Ù 
y=2 ± 120 n 90 n
A{ } >5A{ }
100 100
120 n
y=|9Ù-3| { } >5
90
4 n
2 { } >5
2 3
x¡ O x™ x 양변에 상용로그를 취하면
4 n
이때 두 곡선이 x<0에서 만나려면 f(0)<g(0)이어야 하고, log`{ } >log`5
3
0<x<2에서 만나려면 f(2)>g(2)이어야 한다. n(2`log`2-log`3)>1-log`2
0 k
f(0)<g(0)에서 |9 -3|<2 , n(2_0.3010-0.4771)>1-0.3010
yy`㉠
k
즉 2 >2이므로 k>1이다.  0.1249n>0.6990
2+k
f(2)>g(2)에서 |9Û`-3|>2 , 6990
∴ n> =5.5y
k+2 39 k 1249
즉2 <78에서 2 <
2 따라서 자기 자본이 처음으로 부채보다 많아지는 해는 올해로부터
39 6년 후이다.
이때 2Ý`< <2Þ`이므로 자연수 k에 대하여 kÉ4이다.  yy`㉡
2
㉠, ㉡에 의하여 조건을 만족시키는 모든 자연수 k는 2, 3, 4이므로
그 합은 2+3+4=9이다.
237  ②

P -kt
=1-a
235  ④
M
1일 후에 정보를 알고 있는 사람의 수는 전체 인구수의
수면으로부터 6`m씩 내려갈 때마다 햇빛의 양이 8`%씩 감소되므로 20 1 1 -k
= 이므로 =1-a
수면으로부터 x`m인 깊이에서의 햇빛의 양은 수면에 비치는 햇빛의 100 5 5
92 6
x 4
양의 { } 이다. yy ㉠
-k
∴a = 
100 5
식물성 플랑크톤이 살 수 있는 깊이를 t`m라 하면 x일 후에 전체 인구의 80`% 이상이 정보를 알게 된다고 하면
이 식물성 플랑크톤은 햇빛의 양이 수면에 비치는 햇빛의 양의 5`% 80 4
¾
-kx
1-a =
100 5

1-{ }/`¾  (∵ ㉠)


이상이 도달하는 깊이까지 살 수 있으므로
t 4 4
92 6 5
{ } ¾ 5 5

{ }/`É
이다.
100 100
4 1
양변에 상용로그를 취하면 5 5
t 1 양변에 상용로그를 취하면
log(0.92) 6 ¾log`
log`{ }/`Élog`
20
4 1
t 5 5
`log(9.2_0.1)¾-log(2_10)
6
x(2`log`2-log`5)É-log`5
t
(log`9.2-1)¾-(log`2+1) x{2`log`2-(1-log`2)}Élog`2-1
6
t x(3`log`2-1)Élog`2-1
(0.96-1)¾-(0.3+1)
6 -0.097xÉ-0.699
t 0.699
6
_(-0.04)¾-1.3 ∴ x¾ =7.2 y
0.097

Ⅰ.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45

해설.indb 45 22. 9. 5. 오후 3:55


따라서 전체 인구의 80`% 이상이 정보를 알게 되는 데 최소 8일이 2(logª`x)Û`+(2-3k)logª`x+1=0
걸린다. logª`x=t라 하면 2tÛ`+(2-3k)t+1=0
이 이차방정식의 서로 다른 두 실근이 logª`a, logª`b이므로

238  ⑤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2-3k
logª`a+logª`b=-
방정식 x
log£`x
-27xÝ`=0에서 2
x
log£`x
=27xÝ` 3k-2 3
=logª`ab=logª`2'2=  이므로
2 2
양변에 밑이 3인 로그를 취하면
log£`x 3k-2=3
log3`x =log3`27xÝ`
5
(log3`x)_(log3`x)=log3`27+log3`xÝ` ∴ k=
3
(log3`x)Û`=3+4`log3`x
(log3`x)Û`-4`log3`x-3=0
이 방정식의 두 실근을 a, b라 하면 242   풀이 참조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log2`x)Û`+8=k`log2`x에서


log3`a+log3`b=log3`ab=4이므로 (log2`x)Û`-k`log2`x+8=0
ab=81 log2`x=t라 하면 tÛ`-kt+8=0
a : b=1 : 4에서 b=4a이고, 이 이차방정식의 서로 다른 두 실근이

239  ③ log2`a, log2`4a이므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 } 에서 로그의 밑과 진수 조건에 의하여
logª` x x log®`2 log2`a+log2`4a=k  yy`㉠
x 4
4
log2`a_log2`4a=8  yy`㉡
x>0, x+1이다.
㉡에서 log2`a(log2`a+2)=8이므로
{ } ={ } 에서
x logª`x x log®`2
4 4 (log2`a)Û`+2`log2`a-8=0
log2`x=logx`2 (log2`a+4)(log2`a-2)=0
1 log2`a=-4 또는 log2`a=2
log2`x=
log2`x 1
∴ a=2 = 또는 a=2Û`=4
-4

(log2`x)Û`=1 16
log2`x=1 또는 log2`x=-1 1
㉠에서 a= 이면 k=-6이고, a=4이면 k=6이다.
16
1
∴ x=2 또는 x= 그런데 k<0이므로
2
1 5 1
k=-6, a=
따라서 모든 실근의 합은 2+ = 이다.
2 2 16
1 3
∴ ak= _(-6)=-
16 8
240  ② 채점 요소 배점
log`x log`5 log`x log`5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를 이용하여 두 실근의 합과 곱을 식
5 _x -13(5 +x )+25=0에서 40`%
log`x log`x log`x log`x 으로 나타내기
5 _5 -13(5 +5 )+25=0
log`x log`x 두 식을 연립하여 방정식 풀기 40`%
(5 )Û`-26_5 +25=0
log`x a, k의 값을 구하여 ak의 값 구하기 20`%
5 =t라 하면
tÛ`-26t+25=(t-1)(t-25)=0
t=1 또는 t=25
log`x log`x
243  ⑤
즉, 5 =1 또는 5 =25
a=10, c=8일 때 b=4이므로
log`x=0 또는 log`x=2
4
∴ x=1 또는 x=100 log` =-1+k`log`8
10
따라서 모든 실근의 합은 1+100=101이다.
log`4-1=-1+k`log`8
2`log`2=3k`log`2
241  ① ∴ k=
2
3
1
(logª`2x)Û`-(logª`x){logª` }=k`logª`xÜ`에서 a=20, c=27일 때 b=x라 하면
x
x 2
(logª`x+1)Û`-(logª`x)(-logª`x)-3k`logª`x=0 log` =-1+ `log`27
20 3

46 수학Ⅰ

(해002-057)1단원_내신고쟁이.indd 46 22. 9. 8. 오후 12:54


1 2
log`{ _ }=-1+ `log`3Ü`
x (x+3)(x-9)É0
2 10 3 -3ÉxÉ9
x ∴ 2<xÉ9
log` -1=-1+2`log`3
2
Ú, Û에 의하여 연립부등식의 해는
x
log` =2`log`3=log`9 2<xÉ5
2
따라서 정수 x는 3, 4, 5로 3개이다.
x
2
=9 I
∴ x=18
따라서 구하는 활성탄 A에 흡착되는 염료 B의 질량은 18`g이다. 247  2

부등식 |log2`(x+1)-1|Éa에서 진수 조건에 의하여 x>-1이고,


a의 최댓값을 찾아야 하므로 a를 양수라 하면
244  ②
-aÉlog2`(x+1)-1Éa
x
2 <3 <2
20 x+1
의 각 변에 상용로그를 취하면 1-aÉlog2`(x+1)Éa+1
Éx+1É2
1-a a+1
x
log`2 <log`3 <log`2
20 x+1 2
1-a a+1
x`log`2<20`log`3<(x+1)log`2 2 -1ÉxÉ2 -1
1-a a+1
20`log`3 20`log`3 ∴ A={x|2 -1ÉxÉ2 -1}
-1<x<
log`2 log`2 1 1 x+3
한편, 부등식 { } ¾{ } 에서
2xÛ`-18

20`log`3 20_0.4771 '2 16


이때 = =31.7y이므로
log`2 0.3010 1 ;2!;(2xÛ`-18) 1 4(x+3)
{ } ¾{ }
정수 x는 31이다. 2 2
1 xÛ`-9 1 4x+12
{ } ¾{ }
2 2

245  ③ xÛ`-9É4x+12
xÛ`-4x-21É0
로그의 진수 조건에서 |x-2|>0이므로 x+2 (x+3)(x-7)É0
1 -3 -3ÉxÉ7
4`log2`|x-2|É5-log2` =5-log2`2 =8이므로
8
∴ B={x|-3ÉxÉ7}
log2`|x-2|É2
이때 A;B=A이려면 A,B이어야 하므로
|x-2|É2Û` 1-a a+1
-3É2 -1이고 2 -1É7이어야 한다.
-4Éx-2É4 1-a 1-a
-2É2 은2 이 양수이므로 항상 만족하고,
∴ -2ÉxÉ6
É8=2Ü`에서 a+1É3이므로 aÉ2이다.
a+1
2
따라서 정수 x는 -2, -1, 0, 1, 3, 4, 5, 6으로 8개이다.
따라서 실수 a의 최댓값은 2이다.

246  3 248   -3Éx<-2

Ú log;2!;`(log5`x)¾0의 해 f(-2)= f(2)=0이므로 포물선 y= f(x)는 y축에 대하여


진수 조건에 의하여 x>0, log5`x>0이다. 즉, x>1이다. 대칭이고, 직선 y=g(-x)는 직선 y=g(x)를 y축에 대하여
log;2!;`(log5`x)¾0에서 대칭이동한 것이다.
1 따라서 두 함수 y= f(x), y=g(-x)의 그래프의 교점은
밑이 로 1보다 작으므로
2 두 함수 y= f(x), y=g(x)의 그래프의 교점과 y축에 대하여
log5`xÉ1 대칭이다.
밑이 5로 1보다 크므로 즉, 두 함수 y= f(x), y=g(-x)의 그래프의 두 교점의 x좌표는
xÉ5 각각 -3, 2이다.
∴ 1<xÉ5 y
y=f{x}
31
Û 2`log2`(x-2)É1+log2`{x+ }의 해
2
31
진수 조건에 의하여 x-2>0, x+ >0이다. 즉, x>2이다.
2 -3
-2 O 2 x
주어진 부등식은 log2`(x-2)Û`Élog2`(2x+31)이고,
y=g{-x}
밑이 2로 1보다 크므로
(x-2)Û`É2x+31 부등식 log0.2` f(x)¾log0.2`g(-x)에서
xÛ`-6x-27É0 로그의 진수는 양수이므로

Ⅰ.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47

해설.indb 47 22. 9. 5. 오후 3:55


f(x)>0에서 x<-2 또는 x>2 yy ㉠ logª|k|>3, |k|>2Ü`=8
g(-x)>0에서 x<2 yy ㉡ ∴ k<-8 또는 k>8
log0.2` f(x)¾log0.2`g(-x)에서 f(x)Ég(-x)이므로
-3ÉxÉ2 yy ㉢
㉠, ㉡, ㉢에서 구하는 x의 값의 범위는
-3Éx<-2 251  ②

정수 필터로 정수 작업을 한 번 할 때마다 불순물의 양을 x`% 제거


할 수 있으므로 4개의 정수 필터를 통과한 후의 불순물의 양은 처음
249  ④
의 {1- } 이다.
x Ý`
Ú 1-log`k=0일 때 100

log`k=1에서 k=10 이 불순물의 양이 처음의 10`% 이하이려면


x Ý` 1
이때 주어진 부등식은 8¾0이므로 항상 성립한다. {1- }É
100 10
Û 1-log`k+0일 때
양변에 상용로그를 취하면
x에 대한 이차부등식 (1-log`k)xÛ`+4(1-log`k)x+8¾0이
1
} Élog`
x Ý`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성립하려면 log`{1-
100 10
이차항의 계수가 1-log`k>0이고,
}É-1
x
4`log`{1-
이차방정식 (1-log`k)xÛ`+4(1-log`k)x+8=0의 판별식을 100

}É-0.25
D라 할 때, DÉ0이어야 한다. x
log`{1-
100
1-log`k>0에서 log`k<1이므로 k<10  yy`㉠
이때 -0.25=-1+0.75=-1+log`5.62=log`0.562
이때 진수 조건에서 k>0 yy`㉡
이므로
D
‌=4(1-log`k)Û`-8(1-log`k) x
4 1- É0.562
100
=4(1-log`k){(1-log`k)-2}
x
=4(log`k-1)(log`k+1)É0 ¾1-0.562=0.438
100
1 ∴ x¾43.8
에서 -1Élog`kÉ1이므로 ÉkÉ10  yy`㉢
10
따라서 구하는 자연수 x의 최솟값은 44이다.
1
㉠, ㉡, ㉢에 의하여 Ék<10
10
1
Ú, Û에 의하여 ÉkÉ10
10
따라서 정수 k는 1, 2, 3, y, 10으로 10개이다. 252  ④

직선 y=x 위의 점의 x좌표와 y좌표가 서로 같음을 이용하여 주어진

250   ⑴ a>;1Á6;  ⑵ k<-8 또는 k>8 그래프에서 y좌표의 값을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Ù y y=x
⑴ (log£`x)Û`+log»`x+a>0에서 y= 1
2 {}
e
1
(log£`x)Û`+ `log£`x+a>0 d
2 y=log™`x
2(log£`x)Û`+log£`x+2a>0 1
log£`x=t라 하면 모든 실수 t에 대하여 c
부등식 2tÛ`+t+2a>0이 성립하면 된다. a b O c 1 d e x

이차방정식 2tÛ`+t+2a=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1 x 1 b 1 d
1 ㄱ. ‌함수 y={ } 의 그래프에서 { } =d, { } =c이므로
D=1-16a<0이므로 a> 2 2 2
16
1 b+d 1 b 1 d
⑵ kÛ`x
logª`x+4
>4의 양변에 밑이 2인 로그를 취하면 { } ={ } _{ } =cd이다. (거짓)
2 2 2
logª`x+4
logª`kÛ`+logª`x >logª`4 1 x 1 a
ㄴ. ‌함수 y={ } 의 그래프에서 { } =e이므로
2`logª|k|+(logª`x+4)logª`x-2>0 2 2
(logª`x)Û`+4`logª`x+2`logª|k|-2>0 a=log;2!;`e=-log2`e이다.
logª`x=t라 하면 모든 실수 t에 대하여 함수 y=log2`x의 그래프에서 log2`e=d이다.
부등식 tÛ`+4t+2`logª|k|-2>0이 성립하면 된다. ∴ a+d=-log2`e+log2`e=0 (참)
1 x 1 d
이차방정식 tÛ`+4t+2`logª|k|-2=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ㄷ. 함수 y={ } 의 그래프에서 { } =c이다.
2 2
D
=4-2`logª|k|+2<0이므로 함수 y=log2`x의 그래프에서 log2`e=d이므로 2 =e이다.
d
4

48 수학Ⅰ

해설.indb 48 22. 9. 5. 오후 3:55


1 d d 15 15
∴ ce={ } _2 =1 (참)
a -x a x
2 =15_2 에서 2 = x , 2 = a
2 2 2
따라서 옳은 것은 ㄴ, ㄷ이다. 15
∴ x=logª` a
2
a
=logª`15-logª`2
1 =logª`15-a
253  
2 ∴ B(logª`15-a, 2 )
a
I
logª` =(log¢`x)Û`에서 -logª`y={ `logª`x}2`이므로
1 1 ABÓ=a-(logª`15-a)
y 2 =2a-logª`15
1
logª`y=- (logª`x)Û` yy`㉠ 이때 1<ABÓ<100이므로
4
1<2a-logª`15<100
y y
한편, logª` 가 최대일 때 가 최대이다. 1+logª`15<2a<100+logª`15
4x 4x
y 한편, 3<logª`15<4이므로
logª` ‌=logª`y-logª`4x
4x 1+3.×××<2a<100+3.×××
=logª`y-logª`x-2 4.×××<2a<103.×××
1 ∴ 2.×××<a<51.×××
=- (logª`x)Û`-logª`x-2 (∵ ㉠)
4
따라서 구하는 자연수 a는 3, 4, 5, y, 51로 49개이다.
1
=- (logª`x+2)Û`-1
4 다른 풀이
1 점 B의 x좌표를 b라 하면
이므로 logª`x=-2, 즉 x= 일 때 최댓값 -1을 갖는다.
4
15_2Ѻ`=2Œ`, 2º`=15_2ь`
y y 1
따라서 logª` =-1일 때 =  이므로 logª`2º`=logª`(15_2ь`)
4x 4x 2
y 1 즉, b=logª`(15_2ь`)이므로
의 최댓값은 이다.
4x 2 B(logª`(15_2ь`), 2Œ`)
∴ ABÓ‌=a-logª`(15_2ь`)

254  ③
=logª`2Œ`-logª`(15_2ь`)
2Œ` 2Û`Œ` 4Œ`
=logª` =logª` =logª`
4(xÛ`-11x+29)
x-8
-3=1에서 15_2ь` 15 15
(xÛ`-11x+29)
x-8
=1 4Œ`
이때 1<ABÓ<100이므로 1<logª` <100에서
15
Ú 지수가 0이면 항상 등식이 성립한다.
4Œ`
x-8=0에서 x=8 logª`2<logª` <logª`2Ú`â`â`=logª`4Þ`â`
15
Û 밑이 1이면 항상 등식이 성립한다. 밑이 1보다 크므로
xÛ`-11x+29=1에서 4Œ`
2< <4Þ`â`  
xÛ`-11x+28=(x-4)(x-7)=0 15
∴ x=4 또는 x=7 ∴ 30<4Œ`<4Þ`â`_15
Ü ‌xÛ`-11x+29=-1이면 지수가 2m`(m은 정수)일 때 등식이 이때 a는 자연수이고 4Û`<30<4Ü`, 4Þ`Ú`<4Þ`â`_15<4Þ`Û`이므로
성립한다. 3ÉaÉ51
xÛ`-11x+29=-1에서 따라서 구하는 자연수 a는 3, 4, 5, y, 51로 49개이다.
xÛ`-11x+30=(x-5)(x-6)=0
∴ x=5 또는 x=6
x=5일 때 지수는 x-8=-3
x=6일 때 지수는 x-8=-2 256   a¾4

이므로 등식이 성립하는 경우는 x=6일 때이다. 4Å`+4ÑÅ`+18=a(2


1+x
+2
1-x
)에서
Ú∼Ü에서 모든 실근의 합은 2x
2 +2
-2x
-2a(2Å`+2ÑÅ`)+18=0
8+4+7+6=25이다. 이때 2 +2
2x -2x
=(2Å`+2ÑÅ`)Û`-2이므로
(2Å`+2ÑÅ`)Û`-2a(2Å`+2ÑÅ`)+16=0 yy`㉠

255 
x -x
④ t=2 +2 이라 하면 tÛ`-2at+16=0
x -x
2 >0, 2 >0이므로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에 의하여
x
점 A는 함수 y=2 의 그래프 위의 점이고 x좌표가 a이므로 점 A의 t=2Å`+2ÑÅ`¾2"Ã2Å`_2ÑÅ` =2
a
좌표는 (a, 2 )이다. (단, 등호는 2Å`=2ÑÅ`, 즉 x=0일 때 성립한다.)
이때 두 점 A, B의 y좌표가 서로 같으므로 따라서 ㉠이 적어도 하나의 실근을 가지려면

Ⅰ.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49

해설.indb 49 22. 9. 5. 오후 3:55


방정식 tÛ`-2at+16=0이 2 이상의 실근을 적어도 하나 가져야 한다. -1 5
loga`t =loga`{ -t}
즉, f(t)=tÛ`-2at+16이라 하면 이차함수 y= f(t)의 그래프가 2
t¾2인 범위에서 t축과 만나야 한다. 1 5
= -t
t 2
이차함수 y= f(t)의 그래프의 축이 직선 t=a이므로 a의 값의
양변에 2t를 곱하여 정리하면
범위에 따라 구하면 다음과 같다.
2tÛ`-5t+2=0, (2t-1)(t-2)=0
Ú aÉ2일 때
5
t=2 y=f{t} ∴ t=2`{∵ t> }
y 4
5
또한, 점 P(2, loga`2)와 원 C의 중심 { , 0} 사이의 거리는
4
원 C의 반지름의 길이와 같으므로
O t
5 13
¾ÐѨ{2- }Û`+(loga`2-0)Û`=®É
4 16
9 13
t¾2에서 함수 y= f(t)의 그래프가 t축과 만나려면 +(loga`2)Û`=
16 16
f(2)É0을 만족시켜야 한다. 1
(loga`2)Û`=
f(2)=4-4a+16É0에서 a¾5 4
따라서 aÉ2이고 a¾5인 실수 a의 값이 존재하지 않는다. 이때 a>1이므로 loga`2>0이다.
Û a>2일 때 1 ;2!;
따라서 loga`2= , a =2이므로
2
t=2 y=f{t}
y a=2Û`=4


O t

258   20

t¾2에서 함수 y= f(t)의 그래프가 t축과 만나려면 두 함수 y=logm`x-2, y=logn`x의 그래프가 만나는 점의 y좌표 k
이차방정식 tÛ`-2at+16=0의 판별식을 D라 할 때 가 1ÉkÉ2를 만족시켜야 하므로 두 그래프의 교점은 직선 y=1,


D
=aÛ`-16¾0 y=2 위에 있거나 두 직선 사이에 놓여야 한다.  yy`㉠
4 y=logm`x-2
y
(a+4)(a-4)¾0
2 y=logˆ`x
aÉ-4 또는 a¾4 y=2
k
∴ a¾4`(∵ a>2) y=1
1
Ú, Û에서 구하는 실수 a의 값의 범위는 a¾4이다.
O n m# m$ n@ x

함수 y=logm`x-2의 그래프와 두 직선 y=1, y=2의 교점의

257  ③ x좌표를 각각 구하면


logm`x-2=1에서 x=mÜ`
선분 PQ가 원 C의 지름이므로 선분 PQ의 중점은 원 C의 중심 logm`x-2=2에서 x=mÝ`
5
{ , 0}과 일치한다. 함수 y=logn`x의 그래프와 두 직선 y=1, y=2의 교점의
4
x좌표를 각각 구하면
5
따라서 곡선 y=loga`x 위의 점 P의 좌표를 (t, loga`t)`{t> }라 logn`x=1에서 x=n
4
5 logn`x=2에서 x=nÛ`
하면 점 Q의 좌표는 { -t, -loga`t}이다.
2 따라서 ㉠을 만족시키려면 nÉmÜ`과 mÝ`ÉnÛ`을 동시에 만족시켜야
y y=logá`x 한다.
P 이때 mÝ`ÉnÛ`에서 m, n이 양수이므로 mÛ`Én이다.
5
2 -t ∴ mÛ`ÉnÉmÜ`
O 5 t x
4 이를 만족시키는 1<m<n<20인 자연수 m, n을 찾으면
Q m=2일 때 4ÉnÉ8이므로 n의 개수는 5이다.
{ 4 }
x- 5 @+y@= 13
16 m=3일 때 9Én<20이므로 n의 개수는 11이다.
m=4일 때 16Én<20이므로 n의 개수는 4이다.
이때 점 Q도 곡선 y=loga`x 위의 점이므로
따라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순서쌍 (m, n)의 개수는
5
-loga`t=loga`{ -t}에서 5+11+4=20이다.
2

50 수학Ⅰ

해설.indb 50 22. 9. 5. 오후 3:55


259  ①
y
y=log¢á`x
1 A B
y=1
ㄱ. (반례)
‌ a= , b=3이면
3
(logŒ`3)_(logº`3)=-1<0이다. (거짓) yy TIP1 O x
ㄴ. ‌함수 y=logª`(x+2)의 그래프는 함수 y=logª`x의 그래프를 y=-1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평행이동한 것이고,
D C I
함수 y=log£`(x+3)의 그래프는 함수 y=log£`x의 그래프를 y=logá`x

x축의 방향으로 -3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다음과 같다. loga`x=1에서 x=a, log4a`x=1에서 x=4a
y 1 1
loga`x=-1에서 x= , log4a`x=-1에서 x=
a 4a
y=log™`{x+2}
y=log£`{x+3} 이므로
1
1 1
A(a, 1), B(4a, 1), C{ , -1}, D{ , -1}이다.
a 4a
-2 -1 O x
ㄱ. A(a,
‌ 1), B(4a, 1)에 대하여 선분 AB를 1 : 4로 외분하는 점의
‌x>0일 때 logª`(x+2)>log£`(x+3)이므로 좌표는
1_4a-4_a 1_1-4_1
모든 양수 a에 대하여 logª`(a+2)>log£`(a+3)이다. (참) { , }
1-4 1-4
ㄷ. (반례)
‌ logª`(a+1)=log£`(b+3)=2일 때,
즉, (0, 1) (참)
a+1=4에서 a=3
ㄴ. 사각형 ABCD가 직사각형이면
b+3=9에서 b=6이므로
직선 AD와 직선 BC가 각각 x축과 수직이어야 한다.
a<b이다. (거짓) yy TIP2
즉, 두 점 A, D의 x좌표가 같아야 하므로
따라서 옳은 것은 ㄴ이다.
1 1 1 1
TIP1 a= 에서 aÛ`=    ∴ a= `{∵ <a<1} (참)
4a 4 2 4
두 양수 a, b의 범위에 따라 (logŒ`3)_(logº`3)의 부호가 다음과 1 1 3
ㄷ. ABÓ=4a-a=3a, CDÓ= - = 이므로
같다. a 4a 4a
❶ 1<a<b일 때 ❷ 0<a<1<b일 때 ❸ 0<a<b<1일 때 ABÓ<CDÓ에서
y=logá`x
y y y=logá`xy=logá`x y y=logà`x
y y=logà`x
y y=logà`x
3 1
y y y y 3a< , aÛ`<
y=logà`x
y=logà`x
y=logà`x y=logà`x
y=logà`x
y=logà`x 4a 4
1 1 1
∴ <a< `{∵ <a<1} (거짓)
O O1 O1 31 x 3 xO3 xO1 O1 31 x 3 xO3 xO
1 O1 13 x 3 x3 x 4 2 4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이다.
y=logá`x
y=logá`x
y=logá`x
y=logá`x
y=logá`x
y=logá`x
(logŒ`3)_(logº`3)>0 (logŒ`3)_(logº`3)<0 (logŒ`3)_(logº`3)>0

TIP2
261  ③
다음과 같이 두 함수의 그래프가 만나는 점을 (p, q)라 하면
ㄱ. 곡선 y=logª`x와 직선 y=-x+5의 교점을 A'이라 하면
p>0이다.
y=log™`{x+1}
두 함수 y=2Å`, y=logª`x는 서로 역함수 관계이므로
y
A'(aª, aÁ)이다.
q y=log£`{x+3} ∴ aÁ>bª (참)
1
y y=2Ù
-2 O p x

a™ A
y=log™`x
두 함수가 x=p의 양쪽에서 대소가 바뀌므로 A'

logª`(a+1)=log£`(b+3)<q이면 b<a이고, b™ B
y=log£`x
logª`(a+1)=log£`(b+3)>q이면 a<b이다. x
O a¡ a™ b¡
y=-x+5
ㄴ. 두 점 A(aÁ, aª), B(bÁ, bª)가 직선 y=-x+5 위의 점이므로

260  ③ aª=-aÁ+5, bª=-bÁ+5


bÁ+bª 5 bÁ-aÁ bÁ-aÁ
= =1, = =1이므로
1 aÁ+aª 5 aª-bª -aÁ+bÁ
<a<1인 실수 a에 대하여 1<4a<4이므로
4 bÁ+bª bÁ-aÁ
두 함수 y=loga`x, y=log4a`x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  이다. (참)
aÁ+aª aª-bª

Ⅰ.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51

해설.indb 51 22. 9. 5. 오후 3:55


aÁ bª log2`bn=-bn+n에서
ㄷ. aÁbÁ<aªbª이면 <  이어야 한다.
aª bÁ -bn+n<log2`n`(∵ ㉠)
aÁ bª
이때  은 직선 OA'의 기울기이고,  는 직선 OB의 이항하여 정리하면
aª bÁ
n-log2`n<bn이고 bn<n`(∵ ㉠)이므로
aÁ bª
기울기이므로 >  이다. (거짓) n-log2`n<bn<n
aª bÁ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이다. 각 변을 n으로 나누면
log2`n bn
1- < <1 (참)
n n
따라서 옳은 것은 ㄴ, ㄷ이다.

262  ④

ㄱ. ‌직선 y=-x+2와 곡선 y=|log2`x|를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y 263  ④

두 함수 y=3Å` , y={ }/`의 그래프와 직선 y=-x+2를 나타내면


2
7 1
4 y=|log™`x| 2
다음과 같다.
y=-x+2 y y=3Ù
a™
O 1 1 x Ù
4 y=-x+2 y= { 12}
1 1
a2와 의 대소 관계는 x= 일 때
4 4
O a b x
두 함수 y=|log2`x|, y=-x+2의 함숫값을 비교하여 구할 수
있다. ㄱ. 함수 y=3Å` 의 그래프는 아래로 볼록하므로
1 1
|log2` |=|-2|=2>- +2이고
a b
a+b 3 +3
4 4 3 2 <  이 성립한다. yy TIP
2
0<x<a2에서 곡선 y=|log2`x|가 직선 y=-x+2보다 a+b
a b
∴ 2_3 2 <3 +3 (참)

ㄴ. 두 점 (a, 3 ), {b, { }b` }이 모두 직선 y=-x+2 위에


위쪽에 그려진다.
a 1
1 2
∴ a2> (거짓)
4
있으므로 두 점을 지나는 직선의 기울기가 -1이다.

{ }b`-3
ㄴ. 다음 그림과 같이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1 a
an+1 2
0<an+1<an이므로 0< <1이다. (참) 즉, =-1
an b-a
y -b a
∴ 2 -3 =a-b (거짓)
ㄷ. ‌그림과 같이 x=1일 때 y=-1+2=1이고,

y={ }1`= 이므로 1<b<2이다.


n+1
y=|log™`x| 1 1

n 2 2
y
y=3x

O aˆ 1 x
aˆ≠¡ y=-x+n y=-x+n+1
ㄷ. ‌직선 y=-x+n과 곡선 y=|log2`x|를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3
y
1 Ù
2 1 y= { 12}
y=|log™`x| O 1 b2 x
y=-x+2
log™`n b x b
‌이때 b_3 은 곡선 y=3 위의 점 (b, 3 )에 대하여 가로의
log™`bˆ b
길이가 b, 세로의 길이가 3 인 직사각형의 넓이와 같고, 1_3은
x
O 1 bˆ n x 곡선 y=3 위의 점 (1, 3)에 대하여 가로의 길이가 1, 세로의
y=-x+n 길이가 3인 직사각형의 넓이와 같다.
1<bn<n이므로 log2`bn<log2`n이다.  yy`㉠ ∴ b_3 >3 (참)
b

점 (bn, log2`bn)은 직선 y=-x+n 위의 점이므로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52 수학Ⅰ

해설.indb 52 22. 9. 5. 오후 3:55


TIP 함수 y=g(x)의 그래프의 점근선은 x축이고,
1 x
y y=3x 함수 y=h(x)의 그래프는 함수 y={ } 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
4

3á+3à 1 3+a
2 로 -a만큼, y축의 방향으로 -{ } +8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
4
a+b
3 1 3+a
로 점근선은 직선 y=-{ } +8이다.
2


4 I
즉, 함수 y= f(x)의 그래프의 개형은 다음 그림과 같고 곡선
O a b x
a+b y= f(x) 위의 점 중에서 y좌표가 정수인 점의 개수가 23이므로
2 yÉ0에서 y좌표가 정수인 점의 개수는
그림과 같이 a<b인 두 실수 a, b에 대하여 23-(1+2_7)=23-15=8
x a b
곡선 y=3 위의 두 점 (a, 3 ), (b, 3 )을 잇는 선분의 중점의 y
3 +3
a b
1개 8
y좌표가 이고, 2개 7
2
15개


a+b x
a+b
x= 에서의 함수 y=3 의 함숫값은 3 2 이다.
2 y=g{x} 2개 1

x
a+b a
3 +3
b
O 3 x
곡선 y=3 이 아래로 볼록이므로 3 2 <  이다.
2
y=h{x}

264  ① 1 3+a
함수 y=h(x)의 그래프의 점근선이 직선 y=-{ } +8이므로
4
Ú logª`10-logª`x¾0, 즉 xÉ10일 때 1 3+a 1 3+a
-8É-{ } +8<-7, 15<{ } É16
logª`10-logª`x+logª`yÉ2 4 4
É4Û`, 1<-3-aÉ2
-3-a
10y 10y 5 4<15<4
logª` É2, É4, x¾ y
x x 2 4<-aÉ5   ∴ -5Éa<-4
5
y=1일 때 ÉxÉ10에서 자연수 x는 8개이다. 따라서 구하는 정수 a의 값은 -5이다.
2
y=2일 때 5ÉxÉ10에서 자연수 x는 6개이다.
15
y=3일 때 ÉxÉ10에서 자연수 x는 3개이다.
2
y=4일 때 x=10으로 자연수 x는 1개이다. 266   16

5 두 함수 y=3Å`-n과 y=log£`(x+n)은 서로 역함수 관계이므로


y¾5일 때 yÉxÉ10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x가
2
두 함수의 그래프는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다.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점 (a, b)가 위의 두 곡선으로 둘러싸인 영역의 내부 또는 경
따라서 순서쌍 (x, y)의 개수는 8+6+3+1=18이다.
계에 포함되면 점 (b, a)도 포함된다.
Û logª`10-logª`x<0, 즉 x>10일 때
이때 영역의 내부 또는 경계에 포함되는 x좌표와 y좌표가 모두 자연
-logª`10+logª`x+logª`yÉ2
수인 점의 개수가 4일 때의 네 점의 좌표는
xy xy 40
logª` É2, É4, xÉ (1, 1), (1, 2), (2, 1), (2, 2)
10 10 y
y=1일 때 10<xÉ40에서 자연수 x는 30개이다. 이므로 다음 그림과 같다.
y=2일 때 10<xÉ20에서 자연수 x는 10개이다. y=3Ù-24
y y=3Ù-8 y=x
40
y=3일 때 10<xÉ 에서 자연수 x는 3개이다. y=log£`{x+24}
3 3
40
y¾4일 때 10<xÉ  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x가 2 y=log£`{x+8}
y
존재하지 않는다. 1
따라서 순서쌍 (x, y)의 개수는 30+10+3=43이다.
O 1 2 3 x
Ú, Û에서 구하는 순서쌍의 개수는
18+43=61이다. x
f(x)=3 -n이라 하자.
구한 네 점만 주어진 영역에 포함되려면
265  ③ f(2)É1, f(3)>3이어야 한다.
즉, f(2)É1에서 3Û`-nÉ1
1 x+a 1 3+a
g(x)=2Å` (x<3), h(x)={ } -{ } +8 (x¾3)이라 하면 ∴ n¾8  yy`㉠
4 4

Ⅰ.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53

해설.indb 53 22. 9. 5. 오후 3:55


5'2
"Ã(t-at)Û`+{at-(-t)}Û` =
f(3)>3에서 3Ü`-n>3
∴ n<24  yy`㉡ 2
㉠, ㉡을 모두 만족시키는 n의 값의 범위는 t 2t 2t t 25
tÛ`-2ta +a +a +2ta +tÛ`=
2
8Én<24
25
따라서 구하는 자연수 n은 8, 9, y, 23으로 16개이다. yy`㉡
2t
∴ a +tÛ`=    
4
㉠을 ㉡에 대입하면

267   10 3
{- t}Û`+tÛ`=
4
25 25
,
4 16
25
tÛ`=   
4
(log£`x)Û`+(log£`y)Û`=log»`xÛ`+log»`yÛ`=log£`x+log£`y에서 tÛ`=4   ∴ t=-2 (∵ t<0)
log£`x=a, log£`y=b라 하면

aÛ`+bÛ`=a+b   ∴ {a- }2`+{b- }2`=


이를 ㉠에 대입하면
1 1 1 -2 3 2 2 '6
2 2 2 a = , a =    ∴ a= (∵ 0<a<1)
2 3 3
이때 xy가 최대일 때 log£`xy도 최대이므로 TIP
log£`xy=log£`x+log£`y=a+b에서 a+b=k라 하자.
두 점 P, Q가 직선 y=x에 대하여 서로 대칭이므로
k의 값이 최대일 때 xy의 값도 최대이고, k의 값이 최소일 때 xy의
직선 PQ의 기울기는 -1이다.
값도 최소이다.
또한, 기울기가 -1인 직선이 x축과 이루는 각의 크기가 45ù이므
b
로 직선 QR는 x축에 수직인 직선임을 알 수 있다.
2
{ 1@
2 } {
1@ 1
a- + b- =
2 2 }
269  ③

O a 1
조건 ㈎에 의하여 xª=
원 {a- }2`+{b- }2`=  은 중심의 좌표가 { , }이고,
이다.

1 1 1 1 1
2 2 2 2 2 이때 B(xÁ, loga`xÁ), C(xª, loga`xª)에서
'2 loga`xª=loga`
1 1
=-loga`xÁ이므로 C{ , -loga`xÁ}이다.
반지름의 길이가  이다. xÁ xÁ
2
1 1 '2 조건 ㈏에 의하여 두 직선 OB, OC가 수직이므로 두 직선의 기울기
따라서 직선 a+b-k=0과 점 { , } 사이의 거리가 일때
2 2 2 의 곱은 -1이다.
k는 최댓값과 최솟값을 갖는다. yÁ yª
즉, _ =-1에서 -(loga`xÁ)Û`=-1
1 1 xÁ xª
| + -k| '2
2 2 1
= , |1-k|=1 따라서 loga`xÁ=-1`(∵ loga`xÁ<0)이고, xÁ= 이다.
"Ã1Û`+1Û` 2 a
∴ k=0 또는 k=2 1
∴ B{ , -1}, C(a, 1)
a
즉, log£`xy=0 또는 log£`xy=2에서 xy=1 또는 xy=9
a 1
따라서 M=9, m=1이므로 직선 AB의 기울기는 = 이고,
1 a-1
1-
M+m=10 a
1
직선 AC의 기울기는 이므로
a-1
268  ⑤
a 1
조건 ㈐에 의하여  :  =a : 1=5 : 1
t
점 P의 좌표를 (t, a ) (t<0)이라 하면 점 P를 직선 y=x에 대하여 a-1 a-1
대칭이동시킨 점 Q의 좌표는 (a , t)이다.
t ∴ a=5
∠PQR=45ù이고 직선 PQ의 기울기가 -1이므로 1
따라서 두 점 B{ , -1}, C(5, 1)에 대하여
5
두 점 Q, R의 x좌표는 같다. yy TIP
t
즉, 점 R의 좌표는 (a , -t)이다. 1-(-1) 2 5
직선 BC는 기울기가 = = 이므로
1 1 24 12
이때 직선 PR의 기울기가 이므로 5-
5 5
7
t
a -(-t) 1 5
t t 직선 BC의 방정식은 y= (x-5)+1이다.
= , t-a =7a +7t 12
t-a
t
7
3 13
yy`㉠
t t
8a =-6t   ∴ a =- t   직선 BC가 x축과 만나는 점을 D라 하면 D{ , 0}이므로
4 5
5'2 13 8
또한, PRÓ= 이므로 ADÓ= -1= 이다.
2 5 5

54 수학Ⅰ

해설.indb 54 22. 9. 5. 오후 3:55


∴ (삼각형
‌ ABC의 넓이) y
=(삼각형 ABD의 넓이)+(삼각형 ACD의 넓이) R y=log£`x
y=log£`{x-n}
1 8 1 8 8 P
= _ _1+ _ _1= y=t
2 5 2 5 5 n Q
O 3t 3t+n x

270   12 직선 y=t가 곡선 y=log3`(x-n)과 만나는 점 Q의 x좌표를 구해 I


t
보면 log3`(x-n)=t에서 x=3 +n이므로
A(1, 0)이고, 조건 ㈎에 의하여 삼각형 ADB의 넓이를 S라 하면 점 R의 y좌표는 y=log3`(3 +n)이다.
t

삼각형 BDC의 넓이는 3S이다.


t }이므로
t n
따라서 QRÓ=log3`(3 +n)-t=log3`{1+
ABÓ : BCÓ=1 : 3에서 BCÓ=3ABÓ이고 3

t }이다.
점 B에서 x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B'이라 하면 n
PQÓ+QRÓ=n+log3`{1+
3
B'EÓ=3AB'Ó이다.
이때 음이 아닌 실수 t에 대하여 t¾0이므로 3 ¾1이고,
t

즉, AB'Ó=a`(a>0)라 하면 B'EÓ=3a이므로
함수 y=log3`x는 x의 값이 커질 때 y의 값도 커지는 함수이므로
B(a+1, log3k`(a+1)),
t }Élog3{1+ }=log3`(n+1)이다.
n n
C(4a+1, logk`(4a+1)), log3`{1+
3 1
D(4a+1, log3k`(4a+1))이다. 즉, 음이 아닌 실수 t에 대하여 PQÓ+QRÓÉn+log3`(n+1)이다.
y y=m{x-1}
한편, 조건 ㈏에서 PQÓ+QRÓ¾25를 만족시키는 음이 아닌 실수 t가
C y=log`x
존재하려면
D n+log3`(n+1)¾25이어야 한다.
y=log£`x
B 이때 n과 log3`(n+1)은 모두 n의 값이 커질수록 값이 커지므로
n+log3`(n+1)의 값도 n의 값이 커질수록 커진다.
O A B' E x
n+log3`(n+1)¾25를 만족시키는 자연수 n의 최솟값을 찾아보자.
4 n=22일 때 24<22+log3`23<25,
조건 ㈏에 의하여 삼각형 AED의 넓이는 삼각형 BDC의 넓이의
3
n=23일 때 25<23+log3`24<26
배이므로 4S이고,
이므로 n의 최솟값은 23이다.
삼각형 AEC의 넓이는 S+3S+4S=8S이므로
따라서 조건 ㈎, ㈏를 모두 만족시키려면 23ÉnÉ50이어야 하므로
점 D는 선분 CE의 중점이다.
자연수 n의 개수는 50-23+1=28이다.
logk`(4a+1)=2`log3k`(4a+1)에서
2`logk(4a+1)
logk`(4a+1)=
logk`3k
logk`3k=2
272   75

kÛ`=3k 직선 y=k가 y축과 만나는 점이 C이므로


∴ k=3`(∵ k>1) C(0, k)
한편, 세 점 A, B, C가 직선 y=m(x-1) 위에 있으므로 OCÓ=CAÓ=ABÓ=k이고 CBÓ=2k이므로
log9`(a+1)-0 log3`(4a+1)-0 A(k, k), B(2k, k)
m= = 에서
(a+1)-1 (4a+1)-1 점 A는 곡선 y=-loga`x 위의 점이므로
log9`(a+1) log3`(4a+1)
= k=-loga`k   yy`㉠
a 4a
점 B는 곡선 y=loga`x 위의 점이므로
2`log3`(a+1)=log3`(4a+1)
k=loga`2k   yy`㉡
(a+1)Û`=4a+1
㉠, ㉡에서 -loga`k=loga`2k
aÛ`-2a=0
loga`2k+loga`k=0
a(a-2)=0   ∴ a=2`(∵ a>0)
loga`2kÛ`=0, 2kÛ`=1
log9`3 1
∴ m=
2
=
4 '2
∴ k= (∵ k>0)
2
k
∴ =12 -loga`x (0<x<1)
m
곡선 y=|loga`x|=[ 와 직선 y=2'2가
loga`x (x¾1)
만나는 두 점의 x좌표를 각각 a, b (a<b)라 하면

271   28 -loga`a=2'2에서 a=a


-2'2

loga`b=2'2에서 b=a
2'2

곡선 y=log3`(x-n)은 곡선 y=log3`x를 x축의 방향으로 n만큼


k ;k!; '2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PQÓ=n이다. ㉡에서 a =2k, 즉 a=(2k) 이므로 이 식에 k= 를 대입하면
2

Ⅰ.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55

해설.indb 55 22. 9. 5. 오후 3:55


'2 ∴ 50S=192
a=2 2
다른 풀이
이때 d=b-a이므로
2'2 -2'2
'2
2'2
'2
-2'2
점 A와 점 B의 x좌표를 다음과 같이 구할 수도 있다.
d=a -a =(2 2 ) -(2 2 )
두 점 A, B의 x좌표를 각각 a, b (a<b)라 하면
2 -2 15
=2 -2 = A(a, -a+4), B(b, -b+4)로 놓을 수 있다.
4
15 이때 ABÓ=2'2이므로
∴ 20d=20_ =75
4 ABÓ‌="Ã(b-a)Û`+(-b+a)Û`
='2(b-a)=2'2 (∵ a<b)
∴ b-a=2  yy`㉠
273   192
한편, y=a
x-1
에서 양변에 밑을 a로 하는 로그를 취하면
x
두 함수 y=a 과 y=loga`x는 역함수 관계이므로 loga`y=x-1 , x=loga`y+1
x-1
그 그래프는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다. 즉, 함수 y=a 의 역함수는 y=loga`x+1이다.
x-1
이때 곡선 y=a
x-1 x
은 곡선 y=a 을 x축의 방향으로 1만큼 평행이동 두 곡선 y=a , y=loga`x+1은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한 것이고, 곡선 y=loga`(x-1)은 곡선 y=loga`x를 x축의 방향으 점 A를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동하면 곡선 y=loga`x+1과 직
로 1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선 y=-x+4의 교점인 점 A'(-a+4, a)로 옮겨진다.
두 곡선 y=a
x-1
, y=loga`(x-1)은 직선 y=x-1에 대하여 대칭 또한, 곡선 y=loga`(x-1)은 곡선 y=loga`x+1을 x축의 방향으로
이다. 1만큼, y축의 방향으로 -1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점 A'(-a+4, a)가 평행이동한 점 A"(-a+5, a-1)은 점 B와
y y=aÙ—!
y=x-1 일치한다.
∴ -a+5=b  yy`㉡
A
y Ù
y=a —!
M y=x
y=logá`{x-1}
B
C
A
O x y=logá`x+1
y=-x+4 A'
y=logá`{x-1}
두 직선 y=-x+4, y=x-1의 교점을 M이라 하면
C B
5 O x
-x+4=x-1에서 x=
2 y=-x+4
5 3
즉, 점 M의 좌표는 M{ , }이고, ㉠, ㉡을 연립하여 풀면
2 2
3 7
점 M은 선분 AB의 중점이므로 AMÓ='2이다. a= , b=
2 2
따라서 점 A의 좌표를 A(a, -a+4)라 하면
5 5
{a- }Û`+{-a+ }Û`=('2)Û`에서
2 2
5 5
2{a- }Û`=2, {a- }Û`=1
2 2 274  ⑤
3
a= (∵ 점 A의 x좌표는 점 M의 x좌표보다 작으므로) 0
ㄱ. ‌f(1)=2 +a-1=a, h(1)=a+log2`1=a에서
2
3 5 f(1)=h(1)이므로 두 함수 y= f(x), y=h(x)의 그래프는
즉, A{ , }이고 점 A는 곡선 y=a
x-1
위의 점이므로
2 2 점 (1, a)에서 만난다.
5 ;2!; ∴ B(1, a) (참)
=a
2
ㄴ. ‌ㄱ에서 B(1, a)이고, D(1, 0)이다.
25
∴ a= 따라서 직선 BD와 직선 AC는 모두 x축에 수직이므로 서로 평
4
4 행하고, BDÓ=ACÓ=a이므로 사각형 ACBD는 평행사변형이다.
이때 C{0, }이고, 점 C에서 직선 x+y-4=0 사이의 거리를 d
25 한편, 점 A는 두 함수 y= f(x), y=g(x)의 그래프의 교점이므
라 하면 로 점 A의 x좌표가 4일 때, f(4)=g(4)이다.
4 7 23
| -4| -3
즉, 2 +a-1=log2`4에서 a- =2이므로 a= 이다.
25 48 8 8
d= = '2
"Ã1Û`+1Û` 25 23
따라서 평행사변형 ACBD의 밑변을 선분 AC라 하면 ACÓ=
1 8
∴ S= _ABÓ_d
2 이고, 높이는 4-1=3이므로 사각형 ACBD의 넓이는
1 48 96
= _2'2_ '2= 23 69
_3= 이다. (참)
2 25 25 8 8

56 수학Ⅰ

해설.indb 56 22. 9. 5. 오후 3:55


ㄷ. 점 A의 x좌표를 k라 하면 AHÓ=log2`k이고, CAÓ=a이므로 x£ -4(k+1) k+1 (k+1)Û`
= _ =
CAÓ : AHÓ=3 : 2일 때, 2CAÓ=3AHÓ에서 xÁ (k-1)Û` -4 (k-1)Û`
x£ xª Û` xª x£
2a=3`log2`k이다.  yy`㉠ 따라서 ={ } 이므로 ‌ =r일 때, =rÛ`이다.
xÁ xÁ xÁ xÁ
또한, 점 A가 두 곡선 y= f(x), y=g(x)의 교점이므로
⑶ 두 직선 AB, AC의 기울기의 합이 0이므로
f(k)=g(k)에서
yª-yÁ y£-yÁ
2
1-k
+a-1=log2`k이다.  yy`㉡ + =0
1-k
xª-xÁ x£-xÁ I
㉠, ㉡에서 2a=3(2 +a-1)이므로 log2`|kxª|-log2`|kxÁ| log2`|kx£|-log2`|kxÁ|
+ =0
a xª-xÁ x£-xÁ
yy`㉢
1-k
2 =1- 이다. 
3 xª x£
log2`| | log2`| |
이때 두 함수 y= f(x), y=g(x)의 그래프는 xÁ xÁ
+ =0
각각 점 B(1, a)(a>0), 점 D(1, 0)을 지나므로 xª-xÁ x£-xÁ
xª x£
두 그래프의 교점 A의 x좌표는 k>1을 만족시킨다. ⑵에 의하여 =r라 하면 =rÛ`이므로
1-k 1-k
xÁ xÁ
k>1일 때, 2 의 값의 범위는 0<2 <1이므로
log2`|r| log2`|rÛ`|
a a + =0
㉢에서 0<1- <1, -1<- <0 rxÁ-xÁ rÛ`xÁ-xÁ
3 3
log2`|r| 2`log2`|r|
∴ 0<a<3 (참) + =0
xÁ(r-1) xÁ(rÛ`-1)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이때 xÁ+0, r+1이므로
2
1+ =0
r+1
(r+1)+2=0   ∴ r=-3
275   ⑴ 3  ⑵ rÛ`  ⑶ 14
㉡에 의하여
k+1
=-3이므로
1-k
log2`(-kx) (x<0)
log2`|kx|=[ k+1=3k-3, k=2
log2`(kx) (x>0)
㉠에 의하여 m=12
두 곡선 y=log2`|kx|와 y=log2`(x+4)가 만나는 두 점 A, B의
∴ k+m=14
x좌표가 각각 xÁ, xª`(xÁ<xª)이므로
log2`(-kxÁ)=log2`(xÁ+4)에서
-kxÁ=xÁ+4
-4
∴ xÁ=
k+1
log2`(kxª)=log2`(xª+4)에서
kxª=xª+4
4
∴ xª=
k-1
두 곡선 y=log2`|kx|와 y=log2`(-x+m)이 만나는 두 점 B, C
의 x좌표가 각각 xª, x£`(x£<xª)이므로
log2`(kxª)=log2`(-x2+m)에서
kxª=-xª+m
m
∴ xª=
k+1
log2`(-kx£)=log2`(-x£+m)에서
-kx£=-x£+m
-m
∴ x£=
k-1
4 8
⑴ xª=-2xÁ이면 = 이므로
k-1 k+1
k+1=2k-2
∴ k=3
4 m 4(k+1)
⑵ xª=
‌ = 에서 m= 이므로  yy`㉠
k-1 k+1 k-1
-m -4(k+1)
x£= = 이다.
k-1 (k-1)Û`
xª 4 k+1 k+1
= _ = 이고, yy`㉡
xÁ k-1 -4 1-k

Ⅰ.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57

해설.indb 57 22. 9. 5. 오후 3:55


II 삼각함수 279  ④

p 4 4
① < p<p이므로 p는 제 2 사분면의 각이다.
2 5 5
삼각함수의 뜻과 그래프
② ‌-210ù=360ù_(-1)+150ù에서 90ù<150ù<180ù이므로
-210ù는 제 2 사분면의 각이다.
11 3 p 3
276  ⑤ ③ ‌ p=2p+ p에서 < p<p이므로
4 4 2 4
11
360ù+(-125ù)=235ù이므로 p는 제 2 사분면의 각이다.
4
크기가 -125ù, 235ù인 각의 동경의 위치는 서로 일치한다. 20 4 4 3
④-
‌ p=2p_(-4)+ p에서 p< p< p이므로
235± 3 3 3 2
O X
20
-125± - p는 제 3 사분면의 각이다.
3
⑤ 830ù=360ù_2+110ù에서
‌ 90ù<110ù<180ù이므로
P 830ù는 제 2 사분면의 각이다.
따라서 구하는 일반각은 360ù_n+235ù (n은 정수)이다. 따라서 선지 중 각을 나타내는 동경이 위치하는 사분면이 다른 하나
는 ④이다.

277   ㄴ, ㄹ, ㅁ, ㅂ

180ù p
280  ⑤
1라디안= , 1ù= 라디안이므로
p 180 ㄱ. 270ù를
‌ 나타내는 동경은 y축 위에 존재하므로 어느 사분면의
p p p 180ù 각도 아니다. (거짓)
ㄱ. = _1(라디안)= _ =60ù (거짓)
3 3 3 p
p 11
p p ㄴ. + p=2p이므로
ㄴ. -45ù=(-45)_1ù=(-45)_ =- (참) 6 6
180 4
p 11
p 2 ‌ 를 나타내는 동경과 p를 나타내는 동경은 x축에 대하여
ㄷ. 120ù=120_1ù=120_ = p (거짓) 6 6
180 3
대칭이다. (참)
p 3
ㄹ. -270ù=(-270)_1ù=(-270)_ =- p (참) y
180 2 L
7 7 7 180ù 6
ㅁ. p= p_1(라디안)= p_ =315ù (참)
4 4 4 p
5 5 5 180ù O x
ㅂ. p= p_1(라디안)= p_ =150ù (참)
6 6 6 p
11 L
따라서 옳은 것은 ㄴ, ㄹ, ㅁ, ㅂ이다. 6

TIP p 2
ㄷ. + p=p이므로
다음은 많이 사용되는 각이므로 기억하여 사용하자. 3 3
p 2
육십분법 30ù 45ù 60ù 90ù 120ù 135ù 150ù 180ù 270ù 360ù 를 나타내는 동경과 p를 나타내는 동경은 y축에 대하여
3 3
p p p p 2 3 5 3
호도법 p p p p p 2p 대칭이다. (참)
6 4 3 2 3 4 6 2
y

278  ⑤ 2L
L 3
3
p O x
① 60ù=
3
7 p 따라서 옳은 것은 ㄴ, ㄷ이다.
② p=2p+
3 3
③ 1140ù=360ù_3+60ù
5
④ - p=2p_(-1)+
3
p
3
281   풀이 참조

⑤ -330ù=360ù_(-1)+30ù 1라디안은 반지름의 길이가 r인 원에서 호의 길이가 r인 부채꼴의


따라서 선지 중 같은 위치의 동경을 나타내는 것이 아닌 것은 ⑤이다. 중심각의 크기이다.

58 수학Ⅰ

해설.indb 58 22. 9. 5. 오후 3:55


2 4
색칠한 부채꼴의 중심각의 크기는 p_2= p이다.
r 3 3
1라디안 B
O
r A 2 C
L
3
O

반지름의 길이가 r인 원에서 호의 길이가 r인 부채꼴의 중심각의 4


3
L II
크기를 aù라 하면
부채꼴의 호의 길이는 중심각의 크기에 정비례하므로
이때 색칠한 부채꼴의 넓이가 24p이므로
r`:`2pr=aù`:`360ù
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r라 하면
180ù
aù= 1 4
p 24p= _rÛ`_ p, r=6 (∵ r>0)
2 3
180ù
따라서 1라디안= 이다. 4
p 따라서 구하는 부채꼴의 호의 길이는 6_ p=8p이다.
3
채점 요소 배점
참고
1라디안의 정의 쓰기 40`%
<중심각과 원주각 사이의 관계>
180ù
1라디안=
p
임을 증명하기 60`%
= =
=
O
O =
2= 2=
282  ④

3
반지름의 길이가 10`cm이고, 중심각의 크기가 p인 부채꼴의 ❶ 한 호에 대한 원주각의 크기는 모두 같다.
5
1
3 ❷ 한 호에 대한 원주각의 크기는 중심각의 크기의 이다.
호의 길이는 10_ p=6p`(cm)이고, 2
5
1 3
넓이는 _10Û`_ p=30p`(cmÛ`)이다.
2 5
따라서 선지 중 바르게 짝 지은 것은 ④이다. 286   풀이 참조

⑴ 부채꼴의 호의 길이는 중심각의 크기에 정비례하므로


l`:`2pr=h`:`2p에서 l=rh
283   20 ⑵ 부채꼴의 넓이는 중심각의 크기에 정비례하므로
반지름의 길이가 r=4이고, 호의 길이가 l=10이므로 S`:`prÛ`=h`:`2p에서
부채꼴의 넓이를 S라 하면 1 1
S‌= rÛ`h= r_rh 
2 2
1 1
S= rl= _4_10=20 1
2 2 = rl (∵ ⑴에서 rh=l)
2

채점 요소 배점

284  ⑤ l=rh임을 보이는 과정 서술하기


1
40`%

S= rl임을 보이는 과정 서술하기


2
60`%
호의 길이가 l=6p이고 넓이가 S=15p이므로
부채꼴의 반지름의 길이를 r, 중심각의 크기를 h라 하면
1 1
S= rl에서 15p= _r_6p, r=5
2 2 287   ⑴ - 45   ⑵ 35   ⑶ - 43
l=rh에서 6p=5_h
점 P(3, -4)에서 OPÓ=¿¹3Û`+(-4)Û` =5이므로
6
∴ h= p 점 P는 중심이 원점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r=5인 원 위의 점이다.
5
y
5 x@+y@=5@

285  ⑤
-5 O
D
3 5 x
2
∠ABC= p이므로 -4 P
3
-5
중심각과 원주각 사이의 관계에 의하여

Ⅱ. 삼각함수 59

해설.indb 59 22. 9. 5. 오후 3:55


따라서 r=5, x=3, y=-4이므로 삼각함수의 정의에 의하여
y 4
291  ④
⑴ sin h= =-
r 5 ① 100ù는 제 2 사분면의 각이므로 sin 100ù>0이다.
x 3 p p
⑵ cos h= =
r 5 ②- 는 제 4 사분면의 각이므로 cos {- }>0이다.
5 5
y 4 p p
⑶ tan h= =- ③ 는 제 1 사분면의 각이므로 tan  >0이다.
x 3 7 7
7 7
④  p는 제 3 사분면의 각이므로 sin  p<0이다.
5 5
288   ⑴ a=-2, OPÓ='5 ⑤ -130ù는 제 3 사분면의 각이므로 tan(-130ù)>0이다.
'5 2'5 따라서 선지 중 부호가 다른 것은 ④이다.
 ⑵ sin h=- , cos h=-
5 5

⑴ 점 P(a, -1)에서 삼각함수의 정의에 의하여


-1 1
292 
2
 ⑴ cos h
  ⑵ -2 tan h
 tan h= = 이므로 a=-2
a 2 cos h 1+sin h
⑴ ‌ +
P(-2, -1)이므로 OPÓ=¿¹(-2)Û`+(-1)Û`='5 1+sin h cos h
cosÛ` h+(1+sin h)Û`
y =
(1+sin h)cos h
D cosÛ` h+sinÛ` h+2 sin h+1
-2 =
O x (1+sin h)cos h
Â5 2(1+sin h)
-1 = (∵ sinÛ` h+cosÛ` h=1)
P{-2,`-1} (1+sin h)cos h
2
=
⑵ 점 P는 중심이 원점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r='5인 원 위의 점이다. cos h
따라서 r='5, x=-2, y=-1이므로 cos h cos h
⑵ ‌ -
1+sin h 1-sin h
삼각함수의 정의에 의하여
cos h(1-sin h)-cos h(1+sin h)
'5 2'5 =
sin h=- , cos h=- (1+sin h)(1-sin h)
5 5
cos h-cos h sin h-cos h-cos h sin h
=
1-sinÛ` h
-2 cos h sin h
(∵ sinÛ` h+cosÛ` h=1)
289  ① =
cosÛ` h
sin h
점 P(1, 0)을 x축의 방향으로 -6만큼, y축의 방향으로 12만큼 평 =-2_ =-2 tan h
cos h
행이동한 점이 Q이므로 Q(-5, 12)이다.
점 Q를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이 R이므로 R(5, -12)이고,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이 S이므로 S(12, -5)이다. 293  ⑤

OQÓ=¿¹(-5)Û`+12Û`=13이므로 세 점 Q, R, S는 모두 중심이 원점 1-cosÛ` h=sinÛ` h,


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13인 원 위의 점이다. sinÛ` h cosÛ` h+sinÛ` h 1
1+tanÛ` h=1+ = = 이므로
따라서 삼각함수의 정의에 의하여 cosÛ` h cosÛ` h cosÛ` h
12 5 1
sin a=- , sin b=- 이다. (1-cosÛ` h)(1+tanÛ` h)=sinÛ` h_ =tanÛ` h
13 13 cosÛ` h
17
∴ sin a+sin b=-
13
294  ④

h는 제 2 사분면의 각이므로 cos h<0이다.


290  ③ 따라서 sinÛ` h+cosÛ` h=1에서
3 4
Ú sin 
‌ h cos h<0에서 sin h와 cos h는 부호가 다르므로 cos h=-¿¹1-sinÛ` h=-¾Ð1-{ }Û`=-
5 5
h는 제 2 사분면 또는 제 4 사분면의 각이다. 3
sin h sin h 5 3
Û ‌ >0에서 sin h와 tan h는 부호가 같으므로 tan h= = =-
tan h cos h 4 4
-
5
h는 제 1 사분면 또는 제 4 사분면의 각이다.
4
sin h 10_{- }-1
Ú, Û에 의하여 sin h cos h<0, >0을 모두 만족시키는 10 cos h-1 5
tan h ∴
12 tan h
=
3
=1
12_{- }
각 h는 제 4 사분면의 각이다. 4

60 수학Ⅰ

해설.indb 60 22. 9. 5. 오후 3:55


다른 풀이 1
sin h+cos h= 의 양변을 제곱하면
2
p 3
<h<p이고 sin h= 인 각 h를 나타내는 동경과 1
2 5 sinÛ` h+2 sin h cos h+cosÛ` h=
4
중심이 원점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r=5인 원의 교점을 P라 하자.
1 3
y 1+2 sin h cos h= , sin h cos h=-  yy ㉡
4 8
x@+y@=25
P{-4,`3} k 3 II
3 ㉠, ㉡에 의하여 =-
2 8
5 D
3
-4 O x ∴ k=-
4

xÛ`+yÛ`=25에 x=-4를 대입하면 yÛ`=9에서 y=Ñ3이고,


298  ④

점 P가 제 2 사분면 위의 점이므로 y=3이다. (sin h-cos h)Û`‌=sinÛ` h-2 sin h cos h+cosÛ` h


즉, P(-4, 3)에서 r=5, x=-4, y=3이므로 =1-2 sin h cos h`(∵ sinÛ` h+cosÛ` h=1)
2 9
4
삼각함수의 정의에 의하여 cos h=- , tan h=-
3 =1-2_{- }=
5 4 5 5
4 p
10_{- }-1 2
<h<p에서 h는 제 2 사분면의 각이므로
10 cos h-1 5
∴ = =1
12 tan h 3
12_{- } sin h>0, cos h<0이고, sin h-cos h>0이다.
4 3'5
9
∴ sin h-cos h=®  =
5 5

295  ②

1
299  ⑤
cos h=- <0이고, sin h cos h<0이므로 sin h>0이다.
3 ① 정의역은 실수 전체의 집합이다. (참)
따라서 sinÛ` h+cosÛ` h‌=1에서 ② 치역은 {y|-1ÉyÉ1}이다. (참)
1 2'2
sin h=¿¹1-cosÛ` h=¾Ð1-{- }Û`= ③ 주기가 2p인 주기함수이다. (참)
3 3
④ 그래프는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다. (참)
2'2
y
sin h 3 ⑤
tan h= = =-2'2 1 y=sinx y=-cosx
cos h 1
- 3L
3 2 2L
4'2 O L L x
∴ sin h+tan h=-
3 2
y=cosx
-1

p
296   ⑴ - 49   ⑵ 13
27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2
만큼 평행이동하면 위의 그림과

같이 함수 y=-cos x의 그래프와 일치한다. (거짓)


1
⑴ sin h+cos h= 의 양변을 제곱하면 따라서 선지 중 옳지 않은 것은 ⑤이다.
3
1
sinÛ` h+2 sin h cos h+cosÛ` h= 참고
9
⑤를 다음과 같이 판단할 수 있다.
1
1+2 sin h cos h= (∵ sinÛ` h+cosÛ` h=1) p
9 함수 y=sin x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만큼 평행이동한
2
4
∴ sin h cos h=-
9 그래프를 나타내는 함수의 식은
⑵ sinÜ` h+cosÜ` h‌=(sin h+cos h)Ü`-3 sin h cos h(sin h+cos h) p
y=sin {x- }=-cos x
2
1 4 1
={ }Ü`-3_{- }_ (∵ ⑴) p
3 9 3 한편, 함수 y=sin x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 만큼
2
13
=
27 평행이동해야 함수 y=cos x의 그래프와 일치한다.
y
y=cosx 1 y=sinx
297  ①
-
L
2
3L
2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O L L 2L x
2
1 k -1
sin h+cos h= , sin h cos h=  yy ㉠
2 2

Ⅱ. 삼각함수 61

해설.indb 61 22. 9. 5. 오후 3:55


300  ④ TIP

① ‌두 함수 y=sin x와 y=cos x의 주기는 함수 f(x)의 주기가 p일 때, 함수 y= f(x)의 그래프를


2p로 서로 같다. (참) 평행이동하여도 주기는 p로 변하지 않는다.
y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y=sinx 함수 f(x)의 주기가 p이면 정의역의 모든 x에 대하여
1
x f(x)= f(x+p)가 성립한다. 이때 함수 f(x)를 x축의
-2L O 2L 4L
-1 방향으로 a만큼 평행이동한 것을 g(x)라 하면
y=cosx
g(x)= f(x-a)= f(x-a+p)=g(x+p)
② 함수 y=cos x의 그래프는 y축에 대하여 대칭이다. (참) 즉, 정의역의 모든 원소 x에 대하여 g(x)=g(x+p)이므로
③ 함수 y=tan x의 치역은 실수 전체의 집합이다. (참) 함수 g(x)의 주기도 p이다.
y=tanx
y

L 3L
2 2
-
L
2
O L 2L x 302   ⑴ 5  ⑵ -3  ⑶ p

⑴ -1Écos 2xÉ1에서
-4É-4 cos 2xÉ4
④ 함수 y=tan x의 그래프는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다. (거짓) -3É1-4 cos 2xÉ5 yy ㉠
⑤ 함수 y=tan x의 그래프의 점근선의 방정식은 따라서 함수 f(x)의 최댓값은 5이다.
p ⑵ ㉠에서 함수 f(x)의 최솟값은 -3이다.
x=np+ `(n은 정수)이다. (참)
2
⑶ f(x)‌=1-4 cos 2x
따라서 선지 중 옳지 않은 것은 ④이다.
=1-4 cos(2x+2p)
=1-4 cos 2(x+p)= f(x+p)
‌즉, 정의역의 모든 x에 대하여 f(x)= f(x+p)이므로
함수 f(x)의 주기는 p이다.
∴ p=p

TIP
301  ⑤
함수 f(x)=1-4 cos 2x의 최댓값은 |-4|+1=5,
① 주기는 p이다. (거짓) yy TIP 최솟값은 -|-4|+1=-3으로 빠르게 구할 수 있다.
p 한편, g(x)=cos ax (a+0)라 할 때,
‌ {-
② tan  }=-'3이므로
3 2p
cos ax=cos(ax+2p)=cos a{x+ }이므로
그래프는 점 (0, -'3)을 지난다. (거짓) a
2p
③ 치역은 실수 전체의 집합이지만 정의역의 모든 원소 x에 대하여 g(x)=g {x+ }가 성립한다.
a
p p 5
‌정의역은 x- +np+ 에서 x+np+ p`(n은 정수)인 실수 2p
3 2 6 이때 주기는 양수이므로 함수 g(x)의 주기는 임을 알 수
|a|
전체의 집합이다. (거짓)
2p
p 있다. 따라서 위의 문제에서 함수 f(x)의 주기를 =p로
④ ‌그래프는 함수 y=tan x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만큼 |2|
3
빠르게 구할 수 있다.
평행이동한 것이다. (거짓)

y
y=tanx y=tan x- { L
3}

303  ②
5L
6 주어진 함수의 최댓값이 6, 최솟값이 0이고 a>0이므로
O L L L 4L x a+c=6, -a+c=0
3 2 3
∴ a=3, c=3
⑤ ‌그래프의 점근선의 방정식은 또한, 주기가 4p이고 b>0이므로
5 2p 1
x=np+ p`(n은 정수)이다. (참) =4p, b=
6 b 2
따라서 선지 중 옳은 것은 ⑤이다. ∴ a+2b+3c=13

62 수학Ⅰ

해설.indb 62 22. 9. 5. 오후 3:55


ㄴ. 함수 y=|cos x|의 주기는 p이다.
304  ③
y
y=|cosx|
x
a<0이므로 함수 f(x)=a cos  +b의 최댓값은 -a+b이다.
2
5 3
- L - L -
LO L 3L 5L x
∴ -a+b=8  yy`㉠ 2 2 2 2 2 2
8 4 1
f { p}=a cos { p}+b=- a+b=5이므로
3 3 2
ㄷ. 함수 y=|tan x|의 주기는 p이다.
II
-a+2b=10  yy`㉡
y=|tanx|
㉠, ㉡을 연립하여 풀면 a=-6, b=2 y
∴ ab=-12

5 3 L OL 3L 5L x
305  ④ - L
2
- L
2
-
2 2 2 2

함수 f(x)는 정의역의 모든 원소 x에 대하여 f(x+p)= f(x)를


p
만족시키므로 주기가 `(n은 자연수) 꼴인 함수이다. yy TIP ㄹ. 함수 y=sin|x|는 주기함수가 아니다.
n
y
x 2p
ㄱ. 함수 f(x)=sin  의 주기는 =4p이다. y=sin|x|
2 1
2
-2L L O L 2L x
p
ㄴ. 함수 f(x)=1-tan x의 주기는 =p이다.
1
2p ㅁ. 함수 y=cos|x|의 주기는 2p이다.
ㄷ. 함수 f(x)=2 cos px의 주기는 =2이다.
p y
1 p y=cos|x|
ㄹ. 함수 f(x)=  tan 2x의 주기는 이다.
2 2
5 3 LO L 3L 5L x
2p - L - L
2 2
-
2 2 2 2
ㅁ. 함수 f(x)=cos 2(p-x)의 주기는 =p이다.
|-2|
따라서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x+p)= f(x)를 만족시키는 것은
ㅂ. 함수 y=tan|x|는 주기함수가 아니다.
ㄴ, ㄹ, ㅁ이다.
y=tan|x|
y
TIP
주기가 p인 함수 f(x)는 정의역의 모든 x에 대하여
f(x+p)= f(x)를 만족시키지만 그 역은 성립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f(x)=sin 4x에 대하여 5 3 L O L 3L 5L x
- L - L -
2 2 2 2 2 2
f(x+p)‌=sin 4(x+p)
=sin(4x+4p)
=sin 4x= f(x)
따라서 주기함수는 ㄱ, ㄴ, ㄷ, ㅁ이고
2p p
이지만 함수 f(x)의 주기는
4
= 이다.
2 ㄱ, ㄴ, ㄷ의 주기는 p, ㅁ의 주기는 2p이다.

따라서 상수함수가 아닌 함수 f(x)가 정의역의 모든 x에 대하여 TIP


f(x+p)= f(x) (p는 양의 상수)를 만족시키면 절댓값 기호를 포함하는 함수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이 얻을 수
p p
함수 f(x)의 주기는 p, , , y 중 하나이다. 있다.
2 3
❶ 함수 y=| f(x)|의 그래프
f(x) ( f(x)¾0)`
y=[`
- f(x) ( f(x)<0)
306   풀이 참조 함수 y= f(x)의 그래프에서 f(x)<0인 부분을 x축에
대하여 대칭이동시킨다.
주어진 함수의 그래프는 각각 다음과 같다.
❷ 함수 y= f(|x|)의 그래프
ㄱ. 함수 y=|sin x|의 주기는 p이다.
f(x) (x¾0)`
y y=[`
y=|sinx|
f(-x) (x<0)
‌함수 y= f(x)의 그래프에서 x<0인 부분은 지우고,
-2L L O L 2L 3L x x¾0인 부분을 y축에 대하여 대칭이동시킨다.

Ⅱ. 삼각함수 63

해설.indb 63 22. 9. 5. 오후 3:55


307  ④ 311  ③

p 7 p p 1
① sin{ +h}=cos h, cos(p+h)=-cos h이므로 sin  p=sin{p+ }=-sin  =-
2 6 6 6 2
p 2 2 p p 1
sin{ +h}+cos(p+h) (거짓) cos{- p}=cos  p=cos{p- }=-cos  =-
2 3 3 3 3 2
② sin(p-h)=sin h, sin(-h)=-sin h이므로 23 p p '3
cos  p=cos{2p_2- }=cos  =
sin(p-h)+sin(-h) (거짓) 6 6 6 2
7 p p
3
③ cos(-h)=cos h, sin{ p+h}=-cos h이므로 tan  p=tan{2p- }=-tan  =-1
2 4 4 4

3 7 2 23 7
cos(-h)+sin{ p+h} (거짓) ∴ sin 
‌ p+cos{- p}+cos  p-tan  p 
2 6 3 6 4
1 1 '3 '3
④ cos{
p
+h}=-sin h, sin(p+h)=-sin h이므로 ={- }+{- }+ -(-1)=
2 2 2 2 2

p
cos{ +h}=sin(p+h) (참)
2

⑤ tan{
p
2
-h}=
1
,
1
=
1
tan h tan(-h) -tan h
이므로 312  ②

p 1 a=cos 120ù=cos(90ù+30ù)=-sin 30ù
tan{ -h}+ (거짓)
2 tan(-h)
b=sin 130ù=sin(180ù-50ù)=sin 50ù
따라서 선지 중 옳은 것은 ④이다.
c=sin 200ù=sin(180ù+20ù)=-sin 20ù
즉, a<0, b>0, c<0이고
308  ② sin 20ù<sin 30ù에서 -sin 30ù<-sin 20ù이므로 a<c
∴ a<c<b
h가 제 3 사분면의 각이므로 cos h<0, tan h>0이다.
2
sin h=- 이므로 sinÛ` h+cosÛ` h‌=1에서
3
'5
cos h=-¿¹1-sinÛ` h=-¾Ð1-{-
2 Û
3
}`=-
3
313   -0.2419

2 cos 824ù‌=cos(2_360ù+104ù)
- 2'5
sin h 3 2 =cos 104ù=cos(90ù+14ù)
tan h= = = =
cos h '5 '5 5
- =-sin 14ù=-0.2419
3
3
∴ tan (3p-h)+sin { p+h}‌=-tan h-cos h
2
2'5 '5 '5
=-
5
+
3
=-
15
314  ⑤

-1Ésin xÉ1이므로 -1É2 sin x+1É3에서

309  ① 0É|2 sin x+1|É3   ∴ -1É|2 sin x+1|-1É2


따라서 M=2, m=-1이므로
5 p M+m=1
cos(5p-h)-cos{ p+h}+sin(2p-h)-sin{ -h}
2 2
다른 풀이
=-cos h-(-sin h)+(-sin h)-cos h
=-2 cos h y=|2 sin x+1|-1에서 sin x=t라 하면
-1ÉtÉ1이고 y=|2t+1|-1

310  ② y=|2t+1|-1 y
2
3
sin{ p-h}
2 sin(p-h) tanÛ`(p+h) 1
+
p 3 -
2
sin{ -h} cosÛ`(p-h) cos{ p+h}
2 2 -1 O 1 t
-cos h sin h tanÛ` h -1
= +
cos h_(-cos h)Û` sin h
-1 그림에서 t=1일 때 최댓값 M=2를 갖고,
= +tanÛ` h
cosÛ` h 1
t=- 일 때 최솟값 m=-1을 갖는다.
-1+sinÛ` h -cosÛ` h 2
= = =-1
cosÛ` h cosÛ` h ∴ M+m=1

64 수학Ⅰ

해설.indb 64 22. 9. 5. 오후 3:55


315   ⑴ x= 76 p 또는 x= 11
6
p
y y=tanx

p 11 3L 7L
⑵ x= 또는 x= p
6 6 O 4 4
p 5 L 2L x
⑶ x= 또는 x= p -1 y=-1
4 4
1
⑴ 0Éx<2p에서 방정식 sin x=- 의 해는
2
그림에서 주어진 방정식의 근은 II
3 7
1 x= p 또는 x= p
함수 y=sin x (0Éx<2p)의 그래프와 직선 y=- 의 교점의 4 4
2
3 7 5
x좌표와 같다. 따라서 그 합은 p+ p= p이다.
4 4 2
y

y=sinx
7L 11 L
O 6 6 317  ⑴ p
3
2
3
2
3
4
ÉxÉ p  ⑵ p<x< p
3
1 L 2L x 1
'3
- y=-
2 2
⑴ ‌부등식 sin x¾ 의 해는
2
7 11
∴ x= p 또는 x= p '3
6 6 함수 y=sin x (0ÉxÉ2p)의 그래프가 직선 y= 보다 위쪽에
2
'3
⑵ 0Éx<2p에서 방정식 2 cos x-'3=0, 즉 cos x= 의 해는 있거나 만나는 x의 값의 범위이다.
2
y
'3
함수 y=cos x (0Éx<2p)의 그래프와 직선 y= 의 교점의 Â3 Â3
2 y=
2 2
x좌표와 같다. L
y O L 2L 2L x
3 3
Â3 Â3 y=sinx
y=
2 2
p 2
O L 11 L 2L x 그림에서 구하는 부등식의 해는 ÉxÉ p이다.
3 3
6 6
1
y=cosx ⑵ 부등식 2 cos x+1<0, 즉 cos x<- 의 해는
2
p 11 1
∴ x= 또는 x= p ‌함수 y=cos x (0ÉxÉ2p)의 그래프가 직선 y=- 보다
6 6 2
⑶ 0Éx<2p에서 방정식 tan x=1의 해는 아래쪽에 있는 x의 값의 범위이다.
함수 y=tan x (0Éx<2p)의 그래프와 직선 y=1의 교점의 y
x좌표와 같다. y=cosx
y 2L 4L
y=tanx O 3 3
1 2L x 1
- y=-
2 2
1 y=1
2 4
L 5 3 x 그림에서 구하는 부등식의 해는 p<x< p이다.
O L L L L 2L 3 3
4 2 4 2

p 5
∴ x=
4
또는 x= p
4 318   -pÉxÉ- 56 p 또는 - p
4
p 3
<xÉ 또는 p<xÉp
6 4
'3
부등식 -1<tan xÉ 의 해는
3

316  ② 함수 y=tan x (-pÉxÉp)의 그래프가 직선 y=-1보다 위쪽에


'3
있고 직선 y= 보다 아래쪽에 있거나 만나는 x의 값의 범위이다.
sin x+cos x=0에서 sin x=-cos x yy ㉠ 3
이때 ㉠에서 cos x=0이면 sin x=0이어야 하는데 y y=tanx

cos x=sin x=0을 만족시키는 실수 x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Â3


L 3L
- 3
4 4 Â3
cos x+0이다. y=
O 3
㉠에서 양변을 cos x로 나누면 tan x=-1 L L L x
6 y=-1
이 방정식의 근은 함수 y=tan x (0Éx<2p)의 그래프와 -1
5
직선 y=-1의 교점의 x좌표와 같다. - L
6

Ⅱ. 삼각함수 65

해설.indb 65 22. 9. 5. 오후 3:55


그림에서 구하는 부등식의 해는 1
함수 y=cos x (0<x<2p)의 그래프가 직선 y=- 보다 아래쪽
5 p p 3 2
-pÉxÉ- p 또는 - <xÉ 또는 p<xÉp
6 4 6 4 1
에 있거나 직선 y= 보다 위쪽에 있는 x의 값의 범위이다.
2
y

319  ⑤
1
2L
3
4 L y=cosx
3
y=
1
2 2
부등식 sin x¾cos x의 해는 2L x
1 O y=-
1
함수 y=sin x의 그래프가 함수 y=cos x의 그래프보다 위쪽에 있거 - 2
2 L 5L
나 만나는 x의 값의 범위이다. 3 3
y 그림에서 구하는 부등식의 해는
y=cosx
5L p 2 4 5
0<x< 또는 p<x< p 또는 p<x<2p
4 3 3 3 3
O L L 2L x
4
y=sinx

0ÉxÉ2p이므로 위의 그림에서 주어진 부등식의 해는


p 5
322  ④
ÉxÉ p
4 4 부채꼴의 호의 길이가 원의 반지름의 길이의 4배이므로
p 5 이 부채꼴의 중심각의 크기는 4라디안이다.
따라서 a= , b= p이므로
4 4
따라서 각의 크기 4라디안을 육십분법으로 계산하면
b
=5 180ù 720 ù
a 4_ = 이다.
p p

320  ④

p p
323  ②
부등식 2 cos{x- }+1¾0에서 x- =t라 하면
3 3 주어진 원의 넓이가 16p이므로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4이다.
p 5 호 AB의 길이가 반지름의 길이의 2배이므로
0ÉxÉ2p에서 - ÉtÉ p이고
3 3 부채꼴 OAB의 중심각의 크기는 h=2(라디안)이다.
1 원의 중심 O에서 선분 AB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2 cos t+1¾0에서 cos t¾- 이다.
2
직선 OH는 각 AOB의 이등분선이므로
1 p 5
부등식 cos t¾- 의 해는 함수 y=cos t {- ÉtÉ p}의 h
2 3 3 ∠AOH= =1(라디안)이고,
2
1
그래프가 직선 y=- 보다 위쪽에 있거나 만나는 t의 값의 범위이다. 직선 OH는 선분 AB를 수직이등분하므로
2
y ABÓ‌=2AHÓ=2_AOÓ _sin (∠AOH)
y=cos`t =2_4 sin 1=8 sin 1
2L 4L
O 3 3
L t 1
- y=-
3 2
-
1
2
5L
3 324  ④

1 h가 제 3 사분면의 각이면
그림에서 부등식 cos t¾- 의 해는
2
3
p 2 4 5 2np+p<h<2np+ p`(n은 정수)이므로
- ÉtÉ p 또는 pÉtÉ p 2
3 3 3 3
p h 3
np+ < <np+ p이다.
즉, 주어진 부등식의 해는 2 2 4
5 이때 정수 k에 대하여 n을 다음과 같은 경우로 나누어 생각해 보자.
0ÉxÉp 또는 pÉxÉ2p
3
Ú n=2k일 때
따라서 선지 중 해에 속하는 값이 아닌 것은 ④이다.
p h 3 h
2kp+ < <2kp+ p이므로 는 제 2 사분면의 각이다.
2 2 4 2
Û n=2k+1일 때
321   0<x< p
3
2 4 5
또는 p<x< p 또는 p<x<2p
3 3 3 p h 3
(2k+1)p+ < <(2k+1)p+ p
2 2 4
1
|2 cos x|>1, |cos x|> 에서 3 h 7 h
2 2kp+ p< <2kp+ p이므로 는 제 4 사분면의 각이다.
2 2 4 2
1 1 1
cos x<- 또는 cos x> 이므로 부등식 |cos x|> 의 해는 Ú, Û에 의하여 구하는 사분면은 제 2 사분면, 제 4 사분면이다.
2 2 2

66 수학Ⅰ

해설.indb 66 22. 9. 5. 오후 3:55


325   제 1 사분면 327  ⑤

h가 제4사분면의 각이면 두 각 2h와 4h를 나타내는 동경이 y축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3 2h+4h=(2n+1)p (단, n은 정수)
2np+ p<h<2np+2p`(n은 정수)이므로
2 2n+1
6h=(2n+1)p, h= p
2np p h 2np 2 6
+ < < + p이다.
3 2 3 3 3 이때 p<h<2p이므로 II
이때 정수 k에 대하여 n을 다음과 같은 경우로 나누어 생각해 보자. 2n+1 5 11
p< p<2p, <n<
Ú n=3k일 때 6 2 2
p h 2 h 이를 만족시키는 정수 n은 3, 4, 5이므로
2kp+ < <2kp+ p이므로 는 제 2 사분면의 각이다.
2 3 3 3 7 9 11
h= p 또는 h= p 또는 h= p
Û n=3k+1일 때 6 6 6
2(3k+1)p p h 2(3k+1)p 2 따라서 구하는 모든 각 h의 크기의 합은
+ < < + p에서
3 2 3 3 3 7 9 11 9
p+ p+ p= p
7 h 4 h 6 6 6 2
2kp+ p< <2kp+ p이므로 는 제 3 사분면의 각이다.
6 3 3 3
Ü n=3k+2일 때


2(3k+2)p p h 2(3k+2)p 2
3
+ < <
2 3 3
+ p에서
3
328  ④

11 h h 원뿔의 밑면의 반지름의 길이가 6이고, 높이가 8이므로


2kp+ p< <2kp+2p이므로 는 제 4 사분면의 각이다.
6 3 3 모선의 길이는 ¿¹6Û`+8Û`=10이다.
h
Ú~Ü에 의하여 는 제 2 사분면 또는 제 3 사분면 또는 제 4 사분면 10
3
h
의 각이므로 각 를 나타내는 동경이 존재하지 않는 사분면은
3
제 1 사분면이다.

326  ② 이 원뿔의 전개도에서 옆면인 부채꼴의 호의 길이는 밑면의 둘레의


길이와 같으므로 12p이다.
각 h와 각 4h를 나타내는 동경이 서로 일치하므로
∴ ‌(원뿔의 겉넓이)
4h-h=2np`(단, n은 정수)
=(원뿔의 옆면의 넓이)+(원뿔의 밑면의 넓이)
2n
3h=2np, h= p 1
3 ={ _10_12p}+(p_6Û`)
2
p
이때 <h<p이므로 =60p+36p=96p
2
p 2n 3 3
< p<p, <n<
2 3 4 2
이를 만족시키는 정수 n은 1이다. 329  ④
2
∴ h= p 8 4 8 4
3 - p=-4p+ p이므로 각 - p를 나타내는 동경은 각 p를
3 3 3 3
참고 나타내는 동경과 같다.
<두 동경의 위치 관계> 따라서 중심이 O인 원 위의 점 A에 대하여 반직선 OA가 시초선이
두 각 hÁ, hª를 나타내는 동경의 위치 관계에 따라 므로 이를 좌표평면에서 x축의 양의 방향으로 잡을 때,
정수 n에 대하여 hÁ, hª는 다음 식을 만족시킨다. 두각
5 8
p, - p를 나타내는 동경 OP, OQ를 그리면 다음과 같다.
❶ 일치한다. HjJK hÁ-hª=2np 6 3

❷ x축에 대하여 대칭이다. HjJK hÁ+hª=2np


y
6
❸ y축에 대하여 대칭이다. HjJK hÁ+hª=(2n+1)p
P
❹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다. HjJK hÁ-hª=(2n+1)p
5p
6
-6 6
p
❺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다. HjJK hÁ+hª=2np+ 4p O A x
2 3

❻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다. HjJK hÁ+hª=2np+ p


3
2 Q -6

Ⅱ. 삼각함수 67

해설.indb 67 22. 9. 5. 오후 3:55


선분 PQ를 포함하는 부채꼴 OPQ의 중심각의 크기는 TIP
4 5 p 둘레의 길이가 a로 일정한 부채꼴의 넓이가 최대일 때,
p- p= 이다.
3 6 2
중심각의 크기는 항상 2이다.
따라서 구하는 부채꼴 OPQ의 넓이는
부채꼴의 반지름의 길이를 r, 호의 길이를 l, 넓이를 S라 하자.
1 p
_6Û`_ =9p이다.
2 2
r a-2r

330  ④ l=a-2r이므로
1 1 aÛ`
S= rl= r(a-2r)=-{r- }Û`+
a
B
2 2 4 16
4 C a aÛ`
π H 따라서 S는 r= 일 때, 최댓값 을 갖는다.
6 4 16
r
P
이때 부채꼴의 중심각의 크기를 h라 하면
O A
aÛ` 1
= _{ }Û`_h에서 h=2임을 알 수 있다.
4-r Q r a
16 2 4
위의 그림과 같이 반원 C의 중심을 Q, 반지름의 길이를 r라 하면
OAÓ=4이므로 OQÓ=4-r
선분 OB와 반원 C의 접점을 H라 하면 QHÓ=r

부채꼴 OAB의 중심각의 크기가


p
6
이므로 332   26

직각삼각형 OQH에서 두 부채꼴 AOB, COD의 반지름의 길이를 각각 rÁ, rª라 하고


p r 중심각의 크기는 서로 같으므로 h라 하자.
sin` =
6 4-r 호 AB의 길이가 12이므로 rÁh=12
p 1 1 r 호 CD의 길이가 8이므로 rªh=8
이때 sin` = 이므로 = 에서
6 2 2 4-r
rÁh 12 2
4 따라서 = 에서 rª= rÁ yy ㉠
2r=4-r, 3r=4   ∴ r= rªh 8 3
3
1
1 p 4 부채꼴 AOB의 넓이는 _rÁ_12=6rÁ
따라서 SÁ= _4Û`_ = p, 2
2 6 3
1
1 4 8 부채꼴 COD의 넓이는 _rª_8=4rª
Sª= _p_{ }Û`= p이므로 2
2 3 9
이때 색칠한 부분의 넓이가 30이므로
4 8 4
SÁ-Sª= p- p= p이다. 6rÁ-4rª=30, 3rÁ-2rª=15
3 9 9
2
㉠을 대입하면 3rÁ-2_ rÁ=15에서 rÁ=9, rª=6이다.
3
따라서 ACÓ=rÁ-rª=3이므로 색칠한 부분의 둘레의 길이는
331   81, 2 12+8+3_2=26

부채꼴의 반지름의 길이를 r, 호의 길이를 l, 넓이를 S라 하자.

36-2r
333  ②
r
와이퍼 전체의 길이가 a`cm이므로
D 와이퍼 전체에서 고무판을 제외한 부분의 길이를 r`cm라 하면
r
a-r=60이다.  yy`㉠
l=36-2r이므로
고무판이 회전하면서 닦는 부분의 넓이는
1 1
S‌= rl= r(36-2r) 1 2 1 2 p
2 2 _aÛ`_  p- _rÛ`_  p‌= (aÛ`-rÛ`)
2 3 2 3 3
=-(r-9)Û`+81
p
즉, S는 r=9일 때, 최댓값 81을 갖는다. = (a+r)(a-r)
3
이때 부채꼴의 중심각의 크기를 h라 하면 p
= _(a+r)_60=1800p`(∵ ㉠)
1 3
81= _9Û`_h   ∴ h=2
2 이므로 a+r=90이다.  yy`㉡
따라서 구하는 부채꼴의 넓이의 최댓값은 81이고, ㉠, ㉡을 연립하여 풀면
이때의 중심각의 크기는 2이다. yy TIP a=75, r=15

68 수학Ⅰ

해설.indb 68 22. 9. 5. 오후 3:55


고무판이 회전하면서 닦는 부분의 둘레의 길이는
2 2
336  ①
b‌=a_ p+r_ p+2_60
3 3 두 점 P, Q를 좌표평면 위에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2 y y=x
= p(a+r)+120
3 1
Q
=60p+120`(∵ ㉡)
∴ a+b=75+(60p+120)=60p+195 å

1 II
-1 O x
x@+y@=1

334  ④
P
-1
y=-2x
마름모 AOBO'에서 대각의 크기는 서로 같으므로 tan a는 직선 y=x의 기울기와 같으므로 tan a=1이고,
5 tan b는 직선 y=-2x의 기울기와 같으므로 tan b=-2이다.
∠AO'B=∠AOB= p
6
점 P는 제 3 사분면의 점이므로 cos a<0이다.
A
O O' 1 '2
따라서 tan a=1일 때, cos a=- =- 이다.
3 S™ '2 2
5 7
O 6 π 6 π S¡
점 Q는 제 2 사분면의 점이므로 sin b>0이다.
2 2'5
O' 따라서 tan b=-2일 때, sin b= = 이다.
'5 5
B '2 2'5 '¶10
∴ cos a sin b=- _ =-
2 5 5
5 7
이때 2p- p= p이므로 위의 그림과 같이 원 O'에서 중심각의
6 6
7
크기가 p인 부채꼴 AO'B의 넓이 TÁ을 빨간색 빗금 친 부분으로
6
5
p인 부채꼴 AOB의 넓이
나타내고, 원 O에서 중심각의 크기가
6 337  ②
Tª를 파란색 빗금 친 부분으로 나타내면
원점을 중심으로 하고 반지름의 길이가 3인 원이 세 동경 OP, OQ,
SÁ‌=TÁ+Sª-Tª
OR와 만나는 점을 각각 A, B, C라 하자.
5
={;2!;_3Û`_;6&;p}+Sª-{;2!;_3Û`_ p} ‌
6 세 점과 세 동경을 좌표평면 위에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3 y
= p+Sª R
2 3
C P
3 A
∴ SÁ-Sª= p ç
2 å
-3 ∫ O 3 x

B x@+y@=9
335  ⑤ Q -3

직선 y=2가 원 xÛ`+yÛ`=5와 제2사분면에서 만나는 점 A의 좌표는 1


점 P가 제 1 사분면 위에 있고, sin a= 이므로 A(2'2, 1)
(-1, 2)이고, OAÓ='5이므로 3
2 점 Q가 점 P와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동경 OQ와 동경
sin`a=
'5 OP도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다.
y ∴ B(-1, -2'2)
B A y=2 점 R가 점 Q와 x축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동경 OR와 동경 OQ도
∫ x축에 대하여 대칭이다.
-3 å
-1 O Cx ∴ C(-1, 2'2)
-Â5
1 1
따라서 cos b=- , cos c=- 이므로
3 3
2
cos b+cos c=- 이다.
직선 y=2가 원 xÛ`+yÛ`=9와 제 2사분면에서 만나는 점 B의 좌표는 3
(-'5, 2)이고, OBÓ=3이므로 다른 풀이
'5
cos`b=- 유형 06 의 내용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풀이할 수 있다.
3
2 '5 제 1 사분면 위의 점 P를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 Q와
∴ sin`a`cos`b= _{- }=-;3@;
'5 3 점 Q를 x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 R를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Ⅱ. 삼각함수 69

해설.indb 69 22. 9. 5. 오후 3:55


y =(1+2 sin h cos h)+(1-2 sin h cos h)=2 (거짓)
R
P ㄴ. cosÝ` h-sinÝ` h‌=(cosÛ` h+sinÛ` h)(cosÛ` h-sinÛ` h)
å =1_(cosÛ` h-sinÛ` h)
å
=cosÛ` h-sinÛ` h (참)
O x
å sin h cos h ‌ sin h cos h
ㄷ. + = +
1 1-tan h cos h sin h
1- 1- 1-
Q tan h sin h cos h
y=-x
sinÛ` h cosÛ` h
동경 OQ가 y축과 이루는 각의 크기가 동경 OP가 x축과 이루는 = +
sin h-cos h cos h-sin h
각의 크기와 같으므로 sinÛ` h-cosÛ` h
=
3 sin h-cos h
b= p-a이고,
2 (sin h+cos h)(sin h-cos h)
=
동경 OQ, 동경 OR가 y축과 이루는 각의 크기가 서로 같으므로 sin h-cos h
=sin h+cos h (거짓)
p
c= +a이다. sinÛ` h sinÛ` h cosÛ` h
2 ㄹ. tanÛ` h-sinÛ` h‌= -
1 cosÛ` h cosÛ` h
따라서 cos b=cos { p-a}=-sin a=- ,
3
2 3 sinÛ` h(1-cosÛ` h)
=
p 1 cosÛ` h
cos c=cos { +a}=-sin a=- 이다. sinÛ` h sinÛ` h
2 3 =
2 cosÛ` h
∴ cos b+cos c=- =tanÛ` h sinÛ` h (참)
3
ㅁ. sinÝ` h+cosÝ` h‌=(sinÛ` h+cosÛ` h)Û`-2 sinÛ` h cosÛ` h 
=1-2 sinÛ` h cosÛ` h
338  ②
sinß` h+cosß` h‌=(sinÛ` h+cosÛ` h)Ü`-3 sinÛ` h cosÛ` h(sinÛ` h+cosÛ` h)
부채꼴 AOP의 중심각의 크기를 a라 하면 =1-3 sinÛ` h cosÛ` h
p 이므로
호 AP의 길이는 6a=p이므로 a= 이다.
6 3(sinÝ` h+cosÝ` h)-2(sinß` h+cosß` h)
따라서 가능한 점 P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이다. =3(1-2 sinÛ` h cosÛ` h)-2(1-3 sinÛ` h cosÛ` h)=1 (참)
y y 따라서 옳은 것은 ㄴ, ㄹ, ㅁ이다.
6 6
P
π
'¶14 '¶14
-6 O π
A
6 x -6 O
6 A
6 x
341  ⑴- 3   ⑵- 2
6
2
P ⑴ sin h+cos h= 의 양변을 제곱하면
3
-6 -6
4
sinÛ` h+cosÛ` h+2 sin h cos h=
이 중 동경 OP가 나타내는 각 h에 대하여 sin h<0이려면 9
점 P의 y좌표는 음수이어야 하므로 점 P는 제 4 사분면 위의 점이다. 4 5
1+2 sin h cos h= , sin h cos h=-
p 1 p '3 9 18
따라서 sin h=-sin  =- , cos h=cos  = 이므로
6 2 6 2 (sin h-cos h)Û`‌=(sin h+cos h)Û`-4 sin h cos h 
sin h-'3 cos h=-2 2 5 14
={ }Û`-4_{- }=
3 18 9
3
p<h<2p에서 sin h<0, cos h>0이므로
339  ① 이때
2
sin h-cos h<0이다.
h가 제 2 사분면의 각이므로 sin h>0, cos h<0, tan h<0이다.
'¶14
∴ sin h-cos h=-
|sin h|+|tan h|+¿¹(sin h-cos h)Û`-¿¹(cos h+tan h)Û` 3
=sin h+(-tan h)+(sin h-cos h)-{-(cos h+tan h)} sin h
-1
=2 sin h tan h-1 cos h
⑵ ‌=
tan h+1 sin h
+1
cos h
'¶14
340  ⑤
=
sin h-cos h
=
-
3
`(∵ ⑴)
sin h+cos h 2
ㄱ. (sin h+cos h)Û`+(sin h-cos h)Û` 3
=(sinÛ` h+cosÛ` h+2 sin h cos h) '¶14
=-
 +(sinÛ` h+cosÛ` h-2 sin h cos h) 2

70 수학Ⅰ

해설.indb 70 22. 9. 5. 오후 3:55


h가 제3사분면의 각이므로 tan h=2이고, sin h<0, cos h<0이다.
342  ③
2'5 '5
sin h=- , cos h=-
1 sin h cos h sinÛ` h+cosÛ` h 5 5
tan h+ ‌= + =
'5

tan h cos h sin h cos h sin h
∴ sin h-cos h=-
1 5
= =-4
cos h sin h
1
sin h cos h=-  yy ㉠ II
4
(sin h-cos h)Û`‌=sinÛ` h+cosÛ` h-2 sin h cos h  345   11
1 3
=1-2_{- }= sin h+cos h=sin h cos h의 양변을 제곱하면
4 2
sinÛ` h+cosÛ` h+2 sin h cos h=(sin h cos h)Û`
이때 h가 제 2 사분면의 각이므로 sin h>0, cos h<0에서
(sin h cos h)Û`-2 sin h cos h-1=0
sin h-cos h>0이다.
sin h cos h=x (-1ÉxÉ1)라 하면
'6
따라서 sin h-cos h= 이므로 yy ㉡ xÛ`-2x-1=0이고, 근의 공식에 의하여
2
sinÜ` h-cosÜ` h‌=(sin h-cos h)Ü`+3 sin h cos h(sin h-cos h) x=1-'2 (∵ -1ÉxÉ1)
'6 Ü 1 '6 따라서 sin h cos h=1-'2이므로 a=1, b=-1
={ }`+3_{- }_ (∵ ㉠, ㉡)
2 4 2 ∴ 10a-b=11
3'6
=
8

346  ③

343  ④ sin h+'2 cos h=1에서
'2 cos h=1-sin h
‌(tanÛ` h-1)(sin h-1)(sin h+1)
양변을 제곱하면
=(tanÛ` h-1)(sinÛ` h-1)
2 cosÛ` h=1-2 sin h+sinÛ` h
sinÛ` h
={ -1}(-cosÛ` h) 2(1-sinÛ` h)=1-2 sin h+sinÛ` h`(∵ sinÛ` h+cosÛ` h=1)
cosÛ` h
=-sinÛ` h+cosÛ` h 3 sinÛ` h-2 sin h-1=0
=(cos h+sin h)(cos h-sin h)  yy`㉠ (3 sin h+1)(sin h-1)=0
(sin h+cos h)Û`=sinÛ` h+2 sin h cos h+cosÛ` h이므로 1
∴ sin h=- 또는 sin h=1
3
2
{ }Û`=1+2 sin h cos h`(∵ sinÛ` h+cosÛ` h=1) 3
3 p<h<2p에서 sin h<0, tan h<0이므로
2
5
∴ sin h cos h=-  yy`㉡ 1 1
18 sin h=- , tan h=- 이다.
3 2'2
(cos h-sin h)Û`‌=sinÛ` h-2 sin h cos h+cosÛ` h
'2
=1-2 sin h cos h ∴ sin h tan h=
12
5
=1-2_{- }`(∵ ㉡)
18
14
=
9 347  ②
p
이때 0<h< 에서 sin h<cos h이므로 cos h-sin h>0이다. sin h
4 방정식 xÛ`-3x+1=0의 한 근이 x= 이므로
'¶14 1+cos h
∴ cos h-sin h= sin h sin h
3 { }Û`-3_ +1=0
1+cos h 1+cos h
2 '¶14 2'¶14
따라서 ㉠에서 구하는 값은 _ = 이다.
3 3 9 sinÛ` h-3 sin h(1+cos h)+(1+cos h)Û`
=0
(1+cos h)Û`
sinÛ` h-3 sin h(1+cos h)+(cosÛ` h+2 cos h+1)
=0
(1+cos h)Û`
344  ②
-3 sin h(1+cos h)+(2+2 cos h)
=0`(∵ sinÛ` h+cosÛ` h=1)
2 (1+cos h)Û`
tan h- =1의 양변에 tan h를 각각 곱하여 정리하면
tan h (1+cos h)(2-3 sin h)
=0
tanÛ` h-tan h-2=0 (1+cos h)Û`
(tan h+1)(tan h-2)=0 이때 1+cos h+0이므로 2-3 sin h=0

Ⅱ. 삼각함수 71

해설.indb 71 22. 9. 5. 오후 3:56


2 cosÛ` h+sinÛ` h=1에 대입하면
∴ sin h=
3
{ }`+{ }`=1
x+1 Û y-3 Û
sin h 2 2 2
∴ tan h cos h= _cos h=sin h=
cos h 3 (x+1)Û`+(y-3)Û`=4
따라서 점 (x, y)가 나타내는 도형은 중심이 점 (-1, 3)이고

348   -;4#; 반지름의 길이가 2인 원이므로 그 둘레의 길이는


2p_2=4p
x에 대한 이차방정식 xÛ`+(1-4a)x+8aÛ`-1=0에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두 근의 합은 sin h+cos h=4a-1,  yy`㉠ 351  ④
두 근의 곱은 sin h cos h=8aÛ`-1이다.  yy`㉡
x=cos h, y=sin h이므로
(sin h+cos h)Û`‌=sinÛ` h+2 sin hcos h+cosÛ` h
y x sin h cos h sinÛ` h+cosÛ` h
=1+2 sin h cos h`(∵ sinÛ` h+cosÛ` h=1) + = + =
x y cos h sin h cos h sin h
이므로 ㉠, ㉡을 대입하면 1 5
= =-
(4a-1)Û`=1+2(8aÛ`-1)에서 cos h sin h 2
16aÛ`-8a+1=16aÛ`-1, 8a=2 2
cos h sin h=-
5
1
∴ a= (sin h-cos h)Û`‌=sinÛ` h+cosÛ` h-2 sin h cos h 
4
2 9
1
따라서 주어진 이차방정식은 xÛ`- =0이고, =1-2_{- }=
2 5 5
1 1 이때 x<0, y>0이므로
x= 또는 x=- 이므로
'2 '2 sin h>0, cos h<0, 즉 sin h-cos h>0이다.
1 1 1 1 3'5
sin h= , cos h=- 또는 sin h=- , cos h= 이다.
'2 '2 '2 '2 ∴ sin h-cos h=
5
sin h
이때 두 경우 모두 tan h= =-1이다.
cos h
1
∴ a+tan h= +(-1)=-
4
3
4 352  ②

채점 요소 배점
OHÓ=cos h, BHÓ=sin h, ATÓ=tan h이므로
OHÓ 3 cos h 3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를 이용하여 = ATÓ에서 =  tan h
10`% BHÓ 2 sin h 2
sin h+cos h, sin h cos h를 a에 대한 식으로 나타내기
cos h 3 sin h 3
sin h+cos h, sin h cos h의 관계를 이용하여 a의 값 구하기 40`% = _ , cosÛ` h=  sinÛ` h
sin h 2 cos h 2
sin h, cos h의 값을 구하여 tan h의 값 구하기 40`%
이때 sinÛ` h+cosÛ` h=1이므로
a+tan h의 값 구하기 10`%
3 2
sinÛ` h+  sinÛ` h=1, sinÛ` h=
2 5
sin h
∴ sin h cos h tan h‌=sin h_cos h_
349  ①
2
cos h

=sinÛ` h=
'Ä1-2 sin h cos h+'Ä1+2 sin h cos h 5

=¿¹sinÛ` h+cosÛ` h-2 sin h cos h+¿¹sinÛ` h+cosÛ` h+2 sin h cos h 참고
=¿¹(sin h-cos h)Û`+¿¹(sin h+cos h)Û` p
0<h< 라 하면 sin h>0이므로
p p 2
이때 <h< 에서 sin h>cos h>0이므로 주어진 식은
4 2 2 '2
sinÛ` h= 에서 sin h= 이고
¿¹(sin h-cos h)Û`+¿¹(sin h+cos h)Û`
5 '5
'3 '2
=(sin h-cos h)+(sin h+cos h) 이때 cos h= , tan h= 임을 알 수 있다.
'5 '3
=2 sin h

350  ② 353  ①

p p
x=2 cos h-1에서 cos h=
x+1
, ㄱ. 함수 f(x)=tan{2x- }+1의 주기는 이므로
2 2 2
p
y=2 sin h+3에서 sin h=
y-3
이므로 정의역의 모든 x에 대하여 f(x)= f {x+ }이다. (참)
2 2

72 수학Ⅰ

해설.indb 72 22. 9. 5. 오후 3:56


p 2p 2
ㄴ. f(x)=tan{2x- }+1 = p에서 b=3
2 b 3
p
}]+1 ∴ f(x)=2 sin 3{x- }+1
c
=tan[2{x-
4 3
p c 2
이므로 함수 y=tan 2x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만큼, 0<c<2p에서 0< < p이므로
4 3 3
y축의 방향으로 1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참) c p II
= 에서 c=p
y 3 3
y=f{x}
따라서 f(x)=2 sin(3x-p)+1이므로
p p '2
1 f { }=2 sin {- }+1=2_{- }+1=1-'2
4 4 2
O
L L L L 3L L x
- -
2 4 4 2 4
357  ④

p
ㄷ. 그래프는 점 { , 1}에 대하여 대칭이다. (참) 조건 ㈎에 의하여 함수 y= f(x)의 그래프는 y축에 대하여 대칭이고,
4
4
ㄹ. 그래프의 점근선의 방정식은 조건 ㈏에 의하여 함수 f(x)의 주기는 `(n은 자연수)이다.
n
p p (n+1) p
2x- =np+ 에서 x=
2 2 2
p ① f(x)=sin { x}이면
2
n p p
즉, x=
2
p (n은 정수)이다. (거짓) f(-x)=sin {- x}=-sin { x}=- f(x)이고
2 2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2p
주기는 =4이다.
p
2
354  ③
② f(x)=cos {
p
x}이면
8
세 함수 y=sin x, y=cos x, y=tan x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p p
y=tanx f(-x)=cos {- x}=cos { x}= f(x)이고
y 8 8
tan1 2p
주기는 =16이다.
p
1 y=sinx
8
sin1
cos1 p
1 ③ f(x)=cos { x}이면
4
O L L x
p p
f(-x)=cos {- x}=cos { x}= f(x)이고
4 2 y=cosx
x=1 4 4
p p 2p
<1< 이므로 cos 1<sin 1<tan 1이다. 주기는 =8이다.
4 2 p
4

355  ③ ④ f(x)=cos {
p
2
x}이면

p p
함수 f(x)의 최댓값은 5, 최솟값은 -1이고 a>0이므로 f(-x)=cos {- x}=cos { x}= f(x)이고
2 2
a+c=5, -a+c=-1에서 a=3, c=2
2p
7 p 주기는
p
=4이다.
주기는 p- =p이고, b>0이므로
6 6 2
2p
p
⑤ f(x)=tan {
=p에서 b=2
b x}이면
4
p
∴ f(x)=3 cos 2{x- }+2 p p
6 f(-x)=tan {- x}=-tan { x}=- f(x)이고
4 4
p 1 7
∴ f(0)=3 cos {- }+2=3_ +2= p
3 2 2 주기는 =4이다.
p
4

356   1-'2 따라서 선지 중 조건을 모두 만족시키는 것은 ④이다.

최댓값은 3, 최솟값은 -1이고 a>0이므로


a+d=3, -a+d=-1에서 a=2, d=1 358   22
p 2
주기는 p- = p이고 b>0이므로 함수 f(x)의 최댓값이 3이고, a>0이므로 a+c=3 yy ㉠
3 3

Ⅱ. 삼각함수 73

해설.indb 73 22. 9. 5. 오후 3:56


1 0ÉxÉp에서 두 곡선 y=sin`x와  y
함수 f(x)의 주기는 함수 y=a cos`bx+c의 주기의 이므로 y=sin`x
2 y=sin 5x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1
1 2p p 따라서 두 곡선 y=sin`x와
2
π
3
π
_ = 에서 b=3 5 5
2 b 3
y=sin`5x의 교점의 개수는 5이므로 O π π 4 π x
π
따라서 f(x)=a|cos`3x|+c이므로 5 2 5
a°=5 -1 y=sin`5x
2 2
f { p}‌=a|cos  p|+c ∴ a£+a°=4+5=9
9 3
1
=a|- |+c
2
1 5 361  ③
= a+c=-  yy ㉡
2 2 3
㉠, ㉡을 연립하여 풀면 a=11, c=-8 곡선 y=a sin bpx {0ÉxÉ }가 직선 y=a와 만나는 두 점 A, B
b
∴ a+b-c=22 의 x좌표는
a=a sin bpx, 즉 sin bpx=1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이므로
p 5
bpx= , p (∵ 0ÉbpxÉ3p)
359   14 2 2
1 5
∴ x= ,
2 2b 2b
함수 y=a`sin`3x+b의 주기는 p이고,
3 1 5
∴ A{ , a}, B{ , a}
두 양수 a, b에 대하여 최댓값은 a+b, 최솟값은 -a+b이므로 2b 2b
0ÉxÉ2p에서 이 함수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이때 삼각형 OAB의 넓이가 5이므로
1 5 1
_{ - }_a= =5에서
y a
y=a+b 2 2b 2b b
y=a`sin`3x+b a=5b  yy`㉠
5
y=b 또한, 직선 OA의 기울기와 직선 OB의 기울기의 곱이 이므로
4
O 2 4 2π x a a 4aÛ`bÛ` 5
π π _ = = 에서
3 3 1 5 5 4
2b 2b
y=-a+b
5Û`
0ÉxÉ2p에서 함수 y=a`sin`3x+b의 그래프가 직선 y=k와 aÛ`bÛ`=
4Û`
만나는 점의 개수가 3이려면 k=a+b 또는 k=-a+b이어야 하고, 5
∴ ab= `(∵ a, b는 양수)  yy`㉡
만나는 점의 개수가 7이려면 k=b이어야 한다. 4
즉, 주어진 조건에 의하여 b=2이고 a+b=9 또는 -a+b=9이다. ㉠을 ㉡에 대입하면
Ú b=2, a+b=9일 때 5 1
5bÛ`= , bÛ`=
4 4
a=7
1 1 5
Û b=2, -a+b=9일 때 ∴ b= , a=5_ = (∵ ㉠)
2 2 2
a=-7 5 1
∴ a+b= + =3
그런데 a, b는 양수이므로 이 경우는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2 2
Ú, Û에서 a=7, b=2이므로
ab=7_2=14
362  ③

p p 3
함수 y=tan 2x의 주기는 이므로 - <x< p에서
2 4 4
360  9
함수 y=tan 2x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두 함수 y=sin`x와 y=sin`3x의 주기 y y=tan`2x
y=sin`x y
는 각각 2p,
2
3
p이므로 0ÉxÉp에서
1 y=m x-{ π
4 }
두 곡선 y=sin`x와 y=sin`3x는 오른 O π π 2
π
π x π
3 2 3 O 4 ∫
쪽 그림과 같다. y=sin`3x π å π 3 x
-1 - π
따라서 두 곡선 y=sin`x와 y=sin`3x 4 2 4
의 교점의 개수는 4이므로
a£=4
2 p p
두 함수 y=sin`x와 y=sin`5x의 주기는 각각 2p,
5
p이므로 이때 직선 y=m{x- }는 점 { , 0}을 지나는 직선이고,
4 4

74 수학Ⅰ

해설.indb 74 22. 9. 5. 오후 3:56


p
4
p
함수 y=tan 2x의 그래프와 직선 y=m{x- }는 모두 점 { , 0}
4 365   12

p
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두 그래프의 교점도 점 { , 0}에 대하여 대칭 p
함수 y=3 cos ` x의 그래프는 점 (1, 0)에 대하여 대칭이고
4 2
이다. y축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다음 그림에서 ★부분의 넓이는 같다.
a+b p p y
즉, = 에서 a+b= 이고,  yy`㉠
2 4 2
y=3cos
L
x
II
2 2
조건에서 b-a= p이므로  yy`㉡
3
-1 1 2
p 7 -2 O x
㉠, ㉡을 연립하여 풀면 a=- , b= p이다.
12 12
p '3 7 '3
tan 2a=tan {- }=- , tan 2b=tan  p= 이므로 -3
6 3 6 3
p '3 7 '3 따라서 구하는 넓이는 가로의 길이가 4, 세로의 길이가 3인
두 그래프의 교점의 좌표는 {- , - }, { p, }이고,
12 3 12 3 직사각형의 넓이와 같으므로 4_3=12이다.
두 점을 지나는 직선의 기울기가 m이므로
'3 '3 2'3
-{- }
m=
3 3
= 3 = '3
7
12
p
p-{- }
12
2p
3
p
366  ③

2p
함수 y=sin`2x의 주기는 =p이다.
2
363  ② y
3 y=sin`2x 3L
함수 f(x)=a cos`bx라 하면 5A B 4 3
y=
5
주어진 그래프에서 함수 f(x)=a cos `bx의 그래프는 ç ∂L
O å L ∫L x
1+5 4 2 y=-
3
직선 x= =3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주기는 2_3=6이다. 5
2 -
3 C D
5
2p p
b>0이므로 =6에서 b= p
b 3 두 점 A, B는 직선 x= 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4
p
∴ f(x)=a cos` x a+b p p
3 =    ∴ a+b=  yy`㉠
2 4 2
이때 색칠한 직사각형의 넓이가 12이므로
3
(5-1)_ f(1)=12에서 f(1)=3이어야 한다. 두 점 C, D는 직선 x= p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4
p 1 c+d 3 3
f(1)=a cos  =a_ =3   ∴ a=6 = p   ∴ c+d= p yy`㉡
3 2 2 4 2
p p
∴ ab=6_ =2p
3 두 점 B, C는 점 { , 0}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2
b+c p
=    ∴ b+c=p yy`㉢
2 2
364  ③ 따라서 ㉠, ㉡, ㉢에 의하여
p a+2b+2c+d‌=(a+b)+(b+c)+(c+d)
그림과 같이 함수 y=4 sin` x의 그래프는 직선 x=6에 대하여
12 p 3
= +p+ p=3p
대칭이므로 점 C의 x좌표는 2 2
1 1 다른 풀이
6-  CDÓ=6- _6=3
2 2
p
y 두 점 A, D는 점 { , 0}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2
4 a+d p
A B L =    ∴ a+d=p …… ㉣
y=4sin
12
x 2 2
p
O C 6 D 12 x 두 점 B, C는 점 { , 0}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2
이때 선분 AC의 길이는 점 A의 y좌표와 같으므로 b+c p
=    ∴ b+c=p …… ㉤
p p '2 2 2
ACÓ=4_sin`{ _3}=4_sin  =4_ =2'2
12 4 2 따라서 ㉣, ㉤에 의하여
따라서 직사각형 ACDB의 넓이는 a+2b+2c+d‌=(a+d)+2(b+c)
6_2'2=12'2 =p+2p=3p

Ⅱ. 삼각함수 75

해설.indb 75 22. 9. 5. 오후 3:56


참고 ㄱ. ‌함수 y=2 sin x의 그래프와 직선 y=0, 즉 x축과의 교점의
p p 개수는 3이므로 N(0)=3 (참)
b= -a, c= +a, d=p-a이다.
2 2 ㄴ. |a|>2이면
‌ 함수 y=2 sin x의 그래프와 직선 y=a와의 교점은
존재하지 않으므로 N(a)=0이다. (참)
ㄷ. N(a)=2이면
‌ 함수 y=2 sin x의 그래프와 직선 y=a와의
367  ③ 교점의 개수가 2이어야 하므로

2p ‌0<a<2 또는 -2<a<0이다.
함수 f(x)=sin`kx의 주기는 k>0이므로 이다.
k 이때 -2<-a<0 또는 0<-a<2이므로
y N(-a)=2이다. (참)
3 y=f{x}
4 A B C 3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y=
4
O = L > 2L ? x
2k k

3
함수 f(x)=sin`kx의 그래프와 직선 y= 이 만나는 점을
4 370  ⑤
각각 A, B, C라 하면
조건 ㈏, ㈐에 의하여 0ÉxÉp일 때, 함수 y= f(x)의 그래프는
p
두 점 A, B는 직선 x= 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다음과 같다.
2k
y
a+b p p
=    ∴ a+b= y=f{x}
2 2k k 1
2p L
또한, c= +a이므로 2
k L x
O
3p
a+b+c= +a -1
k
3p p 3
∴ f(a+b+c)= f { +a}= f { +a}=- f(a)=- 또한, 조건 ㈎에 의하여 함수 f(x)는 주기가 p이어야 한다.
k k 4
y
x
y= L
1
368  ②
-
L
y=f{x}
2
p 2p L L L x
함수 y=cos` x의 주기는 =4이므로 O
2 p 2
2 -1
p 4
함수 y=|cos` x|의 주기는 =2이다. x
2 2 이때 직선 y= 는 두 점 (-p, -1), (p, 1)을 지나므로
p
y
x
2
5
|
y= cos
L
2 |
x
y=
2
5
함수 y= f(x)의 그래프와 직선 y=
p
가 만나는 점의 개수는 8이다.

O x¡x™ 2 x£ x¢ 4 x∞ x§ 6 xß x• 8 xª x¡º10 x¡¡x¡™12 x¡£x¡¢x

따라서 x¢=4-xÁ, xÁÁ=10+xÁ이므로


x¢+xÁÁ=14 371  ②

12
직선 12x+5y-3=0의 기울기는 - 이다.
5
369  ⑤
y

sin x=-sin x+a에서 2 sin x=a이므로
12x+5y-3=0
N(a)는 0ÉxÉ2p에서 함수 y=2 sin x의 그래프와 직선 y=a의
교점의 개수와 같다.
y D
y=2sin`x
2 O x
y=a
2L 12 p
x 따라서 tan h=- `{ <h<p}이므로
O 5 2
이 각 h를 나타내는 동경과 중심이 원점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2
r=¿¹(-5)Û`+12Û`=13인 원의 교점을 P라 하자.

76 수학Ⅰ

해설.indb 76 22. 9. 5. 오후 3:56


p 5 p 3
y
cos{h+ }‌=cos{ p+ }=cos  p 
P{-5,`12} `13 @ 8 8 8 4
x +y@=13@
12 p p '2
D =cos{p- }=-cos  =-
4 4 2
-13 -5 O `13 x
Û n=3일 때,
7
`-13 h= p이므로
8
II
점 P(-5, 12)에서 r=13, x=-5, y=12이므로 p 7 p
cos{h+ }=cos{ p+ }=cos p=-1
삼각함수의 정의에 의하여 8 8 8
p
sin h=
12
, cos h=-
5 Ú, Û에 의하여 구하는 cos{h+ }의 모든 값의 곱은
13 13 8
'2 '2
∴ cos{
p p
+h}-sin{ +h}=-sin h-cos h=-
7 {- }_(-1)=
2 2 13 2 2

372  
6'¶23
7
374  ③

원 xÛ`+yÛ`=1의 반지름의 길이는 1이고


3
sin x+cos x= 의 양변을 제곱하면 x축의 양의 방향과 선분 OA가 이루는 각의 크기가 h이므로
4
9 점 A의 좌표는 (cos h, sin h)이다.
sinÛ` x+cosÛ` x+2 sinx cos x=
16 cos(p-h)=-cos h이므로 점 A의 x좌표와 부호가 반대인 값은
7 점 A와 원점에 대하여 대칭인 점 C의 x좌표이다.
sin x cos x=-  yy ㉠
32
(sin x-cos x)Û`‌=(sin x+cos x)Û`-4 sin x cos x TIP
3 7 23
={ }Û`-4_{- }= y
4 32 16 x@+y@=1
B
3
이때 p<x<2p에서 sin x<0, cos x>0이므로 A
2
D
sin x-cos x<0 D O x
C
'¶23
즉, sin x-cos x=-  yy ㉡
4 D
p
∴ tan(p+x)+tan{ +x} x축의 양의 방향과 선분 OC가 이루는 각은 p+h이므로
2
1 sin x cos x 점 C의 x좌표와 y좌표는 각각
=tan x+{- }= -
tan x cos x sin x cos(p+h)=-cos h, sin(p+h)=-sin h
sinÛ` x-cosÛ` x (sin x+cos x)(sin x-cos x) ∴ C(-cos h, -sin h)
= =
cos x sin x sin x cos x
3 '¶23
_{- }
=
4
-
7
4
`(∵ ㉠, ㉡) 375   45
32
p
6'¶23 ∠AOC= 이므로 x축의 양의 방향과 선분 OA가 이루는 각의
= 2
7
p
크기를 a라 하면 h= +a이다.
2
점 A(8, 6)이고, OAÓ=¿¹8Û`+6Û`=10이므로
373  ④
p 8 4
sin h=sin{ +a}=cos a= =
두 각 h와 9h를 나타내는 동경이 일직선 위에 있고 방향이 반대, 즉 2 10 5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다른 풀이
9h-h=(2n+1)p`(단, n은 정수)
두 점 A, C에서 x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각 A', C'이라 하면
2n+1
8h=(2n+1)p, h= p 두 삼각형 AA'O, OC'C는 서로 합동이다.
8
y
p p 2n+1 B
이때 <h<p이므로 < p<p
2 2 8
3 7
<n< 을 만족시키는 정수 n은 2, 3이다. C
2 2
A{8,`6}
Ú n=2일 때,
D
5
h= p이므로 C' O A' x
8

Ⅱ. 삼각함수 77

해설.indb 77 22. 9. 5. 오후 3:56


점 C(-6, 8)이고, OCÓ=¿¹(-6)Û`+8Û`=10이므로 a+2b‌=∠CAO+∠COA=p-∠ACO
8 4 =p-a`(∵ ∠ACO=∠CAO)
sin h= =
10 5 따라서 cos (a+2b)=cos (p-a)=-cos a이다.
p
이때 ∠ACB= 이므로 직각삼각형 ACB에서
2
376  ⑤
cos a=
ACÓ
=
3
=
3'¶13
이다.
ABÓ '¶13 13
b=p-a이므로
3'¶13
sin b sin(p-a) sin a ∴ cos (a+2b)=-cos a=-
= = =tan a yy ㉠ 13
cos a cos a cos a
3
이때 직선 y= x와 x축의 양의 방향이 이루는 각의 크기가

p
4
3
379  ⑤
-a이고, 기울기가 이므로
2 4 두 직선이 이루는 각을 이등분하는 직선 위의 점에서 두 직선까지의
p 1 3 4 거리는 서로 같다.
tan{ -a}= = , tan a=
2 tan a 4 3 y
l 3x-y=0
㉠에 대입하면 P
sin b 4
=tan a=
cos a 3
다른 풀이 O x

3 x+3y=0
y= x를 xÛ`+yÛ`=4에 대입하면
4
3 64 8
xÛ`+{ x}Û`=4, 16xÛ`+9xÛ`=64, xÛ`=    ∴ x=Ñ 따라서 점 P의 좌표를 (a, b)라 하면 점 P에서 두 직선 3x-y=0,
4 25 5
x+3y=0까지의 거리가 서로 같으므로
8 6 8 6
∴ P{ , }, Q{- , - } |3a-b| |a+3b|
5 5 5 5 = 이다.
삼각함수의 정의에 의하여 '¶10 '¶10
8 |3a-b|=|a+3b|에서 3a-b=Ñ(a+3b)이므로
-
p 5 4 4 2a=4b 또는 4a=-2b
cos{ +b}= 에서 -sin b=- , sin b=
2 2 5 5 1
∴ b= a 또는 b=-2a
6 2
p 5 3
sin{ -a}= 에서 cos a= 즉, 두 직선 3x-y=0, x+3y=0이 이루는 각을 이등분하는 직선의
2 2 5
1
4 방정식은 y= x 또는 y=-2x이다.
2
sin b 5 4
∴ = = 이때 직선 l은 제 4사분면을 지나므로 l : y=-2x이고, 제 2 사분면
cos a 3 3
5 에서 직선 l 위의 점 P에 대하여 동경 OP가 나타내는 각의 크기 h는
tan h=-2를 만족시킨다.
p
377  ④ 2
<h<p이므로 sin h>0, cos h<0에서

2 1
∠POQ=∠OBA=a라 하면 a=p-h이므로 sin h= , cos h=- 이다.
'5 '5
sin a=sin h, cos a=-cos h, tan a=-tan h이다. 3 3'5
∴ cos (p+h)+sin (p-h)=-cos h+sin h= =
① PQÓ=OPÓ sin a=sin h '5 5
② OQÓ=OPÓ cos a=-cos h
③ QRÓ=OQÓ sin a=-sin h cos h
OAÓ 1
380  ②
④ ABÓ= =-
tan a tan h p '3
f(1)=sin  =
OAÓ 1 3 2
⑤ OBÓ= =
sin a sin h 2p p p '3
f(2)=sin  =sin{p- }=sin  =
따라서 선지 중 옳지 않은 것은 ④이다. 3 3 3 2
f(3)=sin p=0
4p p p '3
f(4)=sin  =sin{p+ }=-sin  =-
378  ① 3 3 3 2
'3
5p p p
f(5)=sin  =sin{2p- }=-sin  =-
중심각과 원주각 사이의 관계에 의하여 3 3 3 2
∠COA=2∠CBA=2b이므로 f(6)=sin 2p=0

78 수학Ⅰ

해설.indb 78 22. 9. 5. 오후 3:56


이때 sin(2kp+h)=sin h`(k는 정수)이므로 f(n)은 5p p 1 1
sinÛ`  =sinÛ`  ={ }Û`=
f(1), f(2), f(3), f(4), f(5), f(6)의 값이 차례로 반복된다. 20 4 '2 2
100=6_16+4이므로 이므로
f(1)+ f(2)+ f(3)+y+ f(100) p 3p 5p 7p 9p
sinÛ`  +sinÛ`  +sinÛ`  +sinÛ`  +sinÛ` 
20 20 20 20 20
'3 '3 '3 '3
=[ + +0+{- }+{- }+0]_16 p 3p 1 3p p
2 2 2 2 =sinÛ`  +sinÛ`  + +cosÛ`  +cosÛ` 
20 20 2 20 20 II
'3 '3 '3
+ + +0+{- } p p 3p 3p 1
={sinÛ`  +cosÛ`  }+{sinÛ`  +cosÛ`  }+

2 2 2
20 20 20 20 2
'3
= 1 5
2 =1+1+ =
2 2

381   ⑴ 5  ⑵ 1
383  ⑤

⑴ cos 0ù=1, cos 90ù=0이고 sin h cos 3h+sin 2h cos 2h+sin 3h cos h


cos 80ù=cos(90ù-10ù)=sin 10ù, p 3p p p 3p p
=sin   cos  +sin   cos  +sin   cos 
cos 70ù=cos(90ù-20ù)=sin 20ù, 8 8 4 4 8 8
p p p '2 '2 p p p
cos 60ù=cos(90ù-30ù)=sin 30ù, =sin   cos{ - }+ _ +sin{ - }cos 
8 2 8 2 2 2 8 8
cos 50ù=cos(90ù-40ù)=sin 40ù이므로
p p 1 p p
‌cosÛ` 0ù+cosÛ` 10ù+cosÛ` 20ù+y+cosÛ` 90ù =sin   sin  + +cos   cos 
8 8 2 8 8
=1Û`+(cosÛ` 10ù+sinÛ` 10ù)+(cosÛ` 20ù+sinÛ` 20ù) 1 p p
= +sinÛ`  +cosÛ` 
 +(cosÛ` 30ù+sinÛ` 30ù)+(cosÛ` 40ù+sinÛ` 40ù)+0Û` 2 8 8
=1+1+1+1+1+0=5 1 3
= +1=
2 2
1
⑵ tan 89ù=tan(90ù-1ù)= ,
tan 1ù
1
tan 88ù=tan(90ù-2ù)=
tan 2ù
,
384  ②
 ⋮
10h=2p이므로
1
tan 46ù=tan(90ù-44ù)= 이고 5h=p, 6h=p+h, 7h=p+2h, 8h=p+3h, 9h=p+4h
tan 44ù
tan 45ù=1이므로 이때
‌tan 1ù_tan 2ù_tan 3ù_y_tan 89ù sin h+sin 2h+sin 3h+y+sin 9h
1 1 =sin h+sin 2h+sin 3h+sin 4h+sin 5h
={tan 1ù_ }_{tan 2ù_ }_y
tan 1ù tan 2ù  +sin(p+h)+sin(p+2h)+sin(p+3h)+sin(p+4h)
1
 _{tan 44ù_ }_tan 45ù =sin h+sin 2h+sin 3h+sin 4h+sin 5h
tan 44ù
 -sin h-sin 2h-sin 3h-sin 4h
=1_1_y_1_1=1
=sin 5h=sin p=0
참고 또한,
p p cos h+cos 2h+cos 3h+y+cos 9h
❶ sin { -h}=cos h이므로 sinÛ` h+sinÛ` { -h}=1
2 2 =cos h+cos 2h+cos 3h+cos 4h+cos 5h
p p
❷ cos { -h}=sin h이므로 cosÛ` h+cosÛ` { -h}=1  +cos(p+h)+cos(p+2h)+cos(p+3h)+cos(p+4h)
2 2
=cos h+cos 2h+cos 3h+cos 4h+cos 5h
p p 1
❸ h+
‌ 일 때, tan { -h}= 이므로  -cos h-cos 2h-cos 3h-cos 4h
2 2 tan h
p =cos 5h=cos p=-1
tan h_tan { -h}=1
2 ∴ (주어진 식)=0+(-1)=-1
다른 풀이

주어진 그림에서
382  ③ 점 Pª와 점 PÁ¼, 점 P£과 점 P», 점 P¢와 점 P¥, 점 P°와 점 P¦은
각각 x축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이 점들의 y좌표는 각각 절댓값이
9p p p p
sinÛ`  =sinÛ`{ - }=cosÛ`  같고 부호가 서로 반대이다.
20 2 20 20
7p p 3p 3p 이때 삼각함수의 정의에 의하여
sinÛ`  =sinÛ`{ - }=cosÛ` 
20 2 20 20 점 Pª의 y좌표는 sin h, 점 PÁ¼의 y좌표는 sin 9h이므로

Ⅱ. 삼각함수 79

해설.indb 79 22. 9. 5. 오후 3:56


sin h+sin 9h=0이다. 다른 풀이
마찬가지 방법으로 sin 2h+sin 8h=0, y=|a cos x-1|+2에서
sin 3h+sin 7h=0, sin 4h+sin 6h=0이다. cos x=t라 하면 -1ÉtÉ1이고
한편, ∠PÁOP¤=5h=p이므로 sin 5h=sin p=0 1
y=|at-1|+2=a|t- |+2
‌ h+sin 2h+sin 3h+y+sin 9h=0
∴ sin  a
또한 1
이때 a>1이므로 0< <1이다.
점 Pª와 점 P°, 점 P£과 점 P¢, 점 P¦과 점 PÁ¼, 점 P¥과 점 P»는 a
y
각각 y축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이 점들의 x좌표는 각각 절댓값이 같고 부호가 서로 반대이다. | 1
y=a t- a +2 |
이때 삼각함수의 정의에 의하여
점 Pª의 x좌표는 cos h, 점 P°의 x좌표는 cos 4h이므로 2

cos h+cos 4h=0이다.
-1 O 1 1 t
마찬가지 방법으로 cos 2h+cos 3h=0, a
cos 6h+cos 9h=0, cos 7h+cos 8h=0이다. 따라서 위의 그림에서
한편, ∠PÁOP¤=5h=p이므로 cos 5h=cos p=-1 t=-1일 때 최댓값 |-a-1|+2=-(-a-1)+2=a+3을
∴ cos h+cos 2h+cos 3h+y+cos 9h=-1 갖고,
∴ (주어진 식)=0+(-1)=-1 1
t= 일 때 최솟값 |1-1|+2=2를 갖는다.
a
최댓값과 최솟값의 합이 11이므로
385  ③ (a+3)+2=11

A=P¼, B=PÁ¼¼이라 할 때, ∠PÇÐÁOPÇ=h (n=1, 2, y, 100)라 하면 ∴ a=6

p
=100h이고 PÇQÇÓ=sin nh이다.
2
∴ ‌PÁQÁÓ Û`+PªQªÓ Û`+y+P»»Q»»Ó Û`
=sinÛ` h+sinÛ`  2h+y+sinÛ`  99h 
387  ⑤

=‌sinÛ` h+sinÛ`  2h+y+sinÛ`  48h+sinÛ`  49h+sinÛ`  50h y‌=sinÛ` x-cos x
p p =(1-cosÛ` x)-cos x
+sinÛ`{ -49h}+sinÛ`{ -48h}+y
2 2 =-cosÛ` x-cos x+1
p p
 +sinÛ`{ -2h}+sinÛ`{ -h} cos x=t라 하면 -1ÉtÉ1이고
2 2
1 5
=‌sinÛ` h+sinÛ`  2h+y+sinÛ`  48h+sinÛ`  49h+sinÛ`  50h y=-tÛ`-t+1=-{t+ }Û`+
2 4
 +cosÛ`  49h+cosÛ`  48h+y+cosÛ`  2h+cosÛ` h y
=(sinÛ` h+cosÛ` h)+(sinÛ`  2h+cosÛ`  2h)+y y=-t@-t+1 5
 +(sinÛ`  49h+cosÛ`  49h)+sinÛ`  50h 4
1
p p 1
=1_49+sinÛ`  {∵ 50h= } -1 1 O t
4 4 -
2
'2 Û 99 -1
=49+{ }`=
2 2
따라서 위의 그림에서
1 5
386  6 t=- 일 때 최댓값 M= 를 갖고,
2 4
t=1일 때 최솟값 m=-1을 갖는다.
a>1이고 -1Écos xÉ1이므로
9
-a-1Éa cosx-1Éa-1 yy ㉠ ∴ M-m=
4
이때 -a-1<0, a-1>0이므로
|-a-1|=-(-a-1)=a+1, |a-1|=a-1
a+1>a-1이므로 ㉠에서
0É|a cos x-1|Éa+1 388   22
∴ 2É|a cos x-1|+2Éa+3
p
따라서 최댓값은 a+3, 최솟값은 2이고 그 합이 11이므로 y‌=cosÛ` {x+ }-2 cosÛ` x+12 sin(x+p)
2
(a+3)+2=11 =(-sin x)Û`-2(1-sinÛ` x)-12 sin x
∴ a=6 =3 sinÛ` x-12 sin x-2

80 수학Ⅰ

해설.indb 80 22. 9. 5. 오후 3:56


p y 3t+1
sin x=t라 하면 0ÉxÉ 에서 0ÉtÉ1이고 y=
2 t-2
y=3tÛ`-12t-2=3(t-2)Û`-14 2
3 3
y
O 12
t -1 O 12 t
-2 -4
y=3t@-12t-2 II
따라서 위의 그림에서
2
-11 t=-1일 때 최댓값 M= 를 갖고,
3
-14 t=1일 때 최솟값 m=-4를 갖는다.
따라서 위의 그림에서 m
∴ =-6
M
t=0일 때 최댓값 M=-2를 갖고,
t=1일 때 최솟값 m=-11을 갖는다.
∴ Mm=22
391  ④

방정식 2 cosÛ` x+sin x=1에서
2(1-sinÛ` x)+sin x=1, 2 sinÛ` x-sin x-1=0
389  ③ (2 sin x+1)(sin x-1)=0
1
3 p ∴ sin x=- 또는 sin x=1
f(x)=cosÛ` {x- p}-cos {x- }+k 2
4 4
1
3 3 p Ú sin x=- 일 때
=cosÛ` {x- p}-cos {x- p+ }+k 2
4 4 2
1 7 11
3 3 0Éx<2p에서 방정식 sin x=- 의 근은 x= p 또는 x= p
=[1-sinÛ` {x- p}]+sin {x- p}+k 2 6 6
4 4
Û sin x=1일 때
3 3
=-sinÛ` {x- p}+sin {x- p}+k+1 p
4 4 0Éx<2p에서 방정식 sin x=1의 근은 x=
2
3
sin {x- p}=t라 하면`-1ÉtÉ1이고 Ú, Û에서 주어진 방정식의 근은
4
1 5 p 7 11
g(t)=-tÛ`+t+k+1=-{t- }Û`+k+ 라 하면 x=
2
또는 x= p 또는 x= p
6 6
2 4
함수 g(t)는 p 7 11 7
따라서 그 합은 + p+ p= p이다.
2 6 6 2
1 1 5
t= 일 때 최댓값 g { }=k+ =3을 갖고,
2 2 4
t=-1일 때 최솟값 g(-1)=k-1=m을 갖는다.
3 y=g{t}
392  ③

3
방정식 4 sinÛ` { p+x}-4 sin (p+x)=5에서
2
3
sin { p+x}=-cos x, sin (p+x)=-sin x이므로
m 2
4 cosÛ` x+4 sin x-5=0, 4(1-sinÛ` x)+4 sin x-5=0
-1 1 1
2 4 sinÛ` x-4 sin x+1=0, (2 sin x-1)Û`=0
7 7 3 1
∴ k= , m= -1= ∴ sin x=
4 4 4 2
5 1
∴ k+m= 0Éx<4p에서 방정식 sin x= 의 근은
2 2
p 5 13 17
x= 또는 x= p 또는 x= p 또는 x= p
6 6 6 6
따라서 모든 근의 합은 6p이다.

390   -6

y=
3 sin x+1
에서 sin x=t라 하면 -1ÉtÉ1이고
393   ;1¤3;
sin x-2
방정식 6 sinÛ` x-sin x cos x-2 cosÛ` x=0에서
3t+1 3(t-2)+7 7
y= = = +3 (3 sin x-2 cos x)(2 sin x+cos x)=0
t-2 t-2 t-2

Ⅱ. 삼각함수 81

해설.indb 81 22. 9. 5. 오후 3:56


3 sin x=2 cos x 또는 2 sin x=-cos x D
판별식을 D라 하면 =2 sinÛ` h-3 cos h=0이어야 한다.
이 방정식의 해 x=a에 대하여 sin a cos a>0이므로 4
sin a, cos a의 부호가 서로 같아야 한다. 2(1-cosÛ` h)-3 cos h=0
∴ 3 sin a=2 cos a 2 cosÛ` h+3 cos h-2=0
sin a 2 2 (2 cos h-1)(cos h+2)=0에서
이때 = 이므로 tan a= 이다.
cos a 3 3 1
cos h= `(∵ -1Écos hÉ1)
2 3 2
sin a>0, cos a>0이면 sin a= , cos a=
'¶13 '¶13 1
따라서 방정식 cos h= 의 해는
2 3 2
sin a<0, cos a<0이면 sin a=- , cos a=-
'¶13 '¶13 h=
p 5
또는 h= p`(∵ 0ÉhÉ2p)
6 3 3
∴ sin a cos a=
13 p 5
이므로 구하는 모든 h의 값의 합은 + p=2p이다.
3 3

394   p
3

logª sin h-logª tan h=-1 yy ㉠
397   23 p

이때 진수는 양수이어야 하므로 A+B+C=p이므로 B+C=p-A이다.


1
}-cos  =- 에서
p B+C A
sin h>0, tan h>0에서 0<h<  yy ㉡ sinÛ` {
2 2 2 4
p A A 1
로그의 성질에 의하여 sinÛ` { - }-cos  + =0
2 2 2 4
sin h
logª sin h-logª tan h‌=logª  A 1 A 1
cosÛ`  -cos  + =0, {cos  - }Û`=0
tan h A
2 2 4 2 2
sin h
A 1 A p A p
=logª 
1
=logª cos h 즉, cos  = 이므로 = `{∵ 0< < }
sin h 2 2 2 3 2 2
cos h 2
∴ A= p
1 3
이므로 ㉠에서 logª cos h=-1, cos h=
2
p
따라서 ㉡을 만족시키는 h=
3
이다.
398   10

2 p 7
 sin {x+ }- =0`(0ÉxÉ2p)에서
395
방정식
 ⑤ '3 3 8
p 7'3
p sin x=t라 하면 -pÉtÉp이고 sin {x+ }=  yy ㉠
3 16
p p p 7'3 '3
cos t=0이므로 t=- 또는 t= 이때 x+ =t라 하면 < 이므로
2 2 3 16 2
p 7'3 p 7
Ú t=- 일때 방정식 sin t= `{ ÉtÉ p}은 다음 그림과 같이 두 실근
2 16 3 3
p 1 tÁ, tª`(tÁ<tª)를 갖는다.
p sin x=- 에서 sin x=- 이므로
2 2
즉, ㉠의 두 실근 xÁ, xª`(xÁ<xª)에 대하여
7 11
0Éx<2p에서 x= p 또는 x= p p p
6 6 tÁ=xÁ+ , tª=xª+ 이다.
3 3
p
Û t= 일때 y
2
Â3 7Â3
p 1 2 y=
p sin x= 에서 sin x= 이므로 16
2 2

p 5 O π t¡ π t™ 3π t
0Éx<2p에서 x= 또는 x= p 7
π
6 6 3 3
y=sin`t
Ú, Û에서 주어진 방정식의 근은
p 5 7 11 3
x= 또는 x= p 또는 x= p 또는 x= p 함수 y=sin t의 그래프가 직선 t= p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6 6 6 6 2
p 5 tÁ+tª 3 p p
따라서 그 합은
7 11
+ p+ p+ p=4p = p에서 tÁ+tª={xÁ+ }+{xª+ }=3p
6 6 6 6 2 2 3 3
2 7
xÁ+xª=3p- p= p
3 3
396  ④
따라서 p=3, q=7이므로
이차방정식 xÛ`-2'2x sin h+3 cos h=0이 중근을 가지므로 p+q=3+7=10

82 수학Ⅰ

해설.indb 82 22. 9. 5. 오후 3:56


1
399   30 Ú 1-2 sinÛ` x¾0, 즉 sinÛ` xÉ 일 때
2
1 1-2 sinÛ` x+sin x=0
방정식 |cos x+ |=k`(0Éx<2p)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는
4 2 sinÛ` x-sin x-1=0
1
0Éx<2p에서 함수 y=|cos x+ |의 그래프와 직선 y=k의 서로 (2 sin x+1)(sin x-1)=0
4
1
sin x=- 또는 sin x=1
다른 교점의 개수와 같다. 2 II
1
함수 y=|cos x+ |의 그래프는 함수 y=cos x의 그래프를 y축의 1
sinÛ` xÉ 이어야 하므로 sin x=-
1
4 2 2
1 1 7 11
방향으로
4
만큼 평행이동시킨 함수 y=cos x+ 의 그래프에서
4 ∴ x= p 또는 x= p`(∵ 0Éx<2p)
6 6
x축의 아래쪽에 그려진 부분을 x축을 기준으로 위쪽으로 접어 1
Û 1-2 sinÛ` x<0, 즉 sinÛ` x> 일 때
올린 것과 같다. 2
1 1 5 2 sinÛ` x+sin x-1=0
이때 함수 y=cos x+ 의 최댓값은 1+ = , 최솟값은
4 4 4 (2 sin x-1)(sin x+1)=0
1 3 1
-1+ =- 이므로 다음 그림과 같이 0Éx<2p에서 함수 sin x= 또는 sin x=-1
4 4 2
1 3
y=|cos x+ |의 그래프는 직선 y= 과 서로 다른 3개의 점에서 1
sinÛ` x> 이어야 하므로 sin x=-1
4 4 2
만난다. 3
∴ x= p`(∵ 0Éx<2p)
y 2
5
4 |
y= cos`x+
1
4 | Ú, Û에 의하여 구하는 모든 실근의 합은
7 11 3 9
3 y=
3 p+ p+ p= p
4 4 6 6 2 2

O π 2π x
3
-
4
402  ②
3
따라서 a= 이므로 40a=30 1
4 Ú ‌방정식 sin x= x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는 함수 y=sin x의
4p
1
그래프와 직선 y= x의 서로 다른 교점의 개수와 같다.
4p
400  ⑤
y
1
y= x
방정식 cos x+|cos x|=1에서 -2π 1 y=sin`x 4π
-4π -3π -π O
Ú cos xÉ0일 때 -1 π 2π 3π 4π x
cos x-cos x=1이므로
이를 만족시키는 x의 값은 존재하지 않는다. 1
직선 y= x가 두 점 (-4p, -1), (4p, 1)을 지나므로
4p
Û cos x>0일 때
1
1 함수 y=sin x의 그래프와 직선 y= x의 서로 다른 교점의
cos x+cos x=1이므로 cos x= 4p
2
개수는 7이다.
이때 cos x>0을 만족시키므로
∴ m=7
1
0Éx<2p에서 방정식 cos x= 의 근을 구하면 1
2 Û ‌방정식 cos 2x= 의 실근은 함수 y=cos 2x의 그래프와 직선
3
p 5
x= 또는 x= p 1
3 3 y= 의 교점의 x좌표와 같다.
3
5 p
Ú, Û에 의하여 a= p, b= 이다. 2p
3 3 함수 y=cos 2x의 주기는 =p이고,
2
2 '3
∴ sin (a-3b)=sin  p= 1
3 2 0Éx<p에서 함수 y=cos 2x의 그래프와 직선 y= 의 교점의
3
개수가 2이므로

401  ④ 1
0Éx<4p에서 함수 y=cos 2x의 그래프와 직선 y= 의 교점의
3
방정식 |2 cosÛ` x-1|+sin x=0에서 개수는 2_4=8이다.
|2(1-sinÛ` x)-1|+sin x=0 8개의 각 교점을 x좌표가 작은 것부터 차례대로 A, B, C, D, E,
|1-2 sinÛ` x|+sin x=0 F, G, H라 하고 그 x좌표를 각각 a, b, c, d, e, f, g, h라 하면

Ⅱ. 삼각함수 83

해설.indb 83 22. 9. 5. 오후 3:56


점 A와 점 H, 점 B와 점 G, 점 C와 점 F, 점 D와 점 E가 각각
직선 x=2p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405  ②

2 p
a+h b+g c+ f d+e
= = = =2p 조건 ㈎에서 0ÉxÉ p일 때 f(x)=cos {3x- }=sin 3x이다.
2 2 2 2 3 2
∴ a+h=b+g=c+ f=d+e=4p 조건 ㈏에서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x)= f(x)이므로
y 2 2
1 y=
1 - pÉxÉ0일 때의 함수 y= f(x)의 그래프는 0ÉxÉ p일 때의
y=cos`2x 3 3 3
3 A B C D E F G H
함수 y= f(x)의 그래프를 y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것과 같다.
O a b π c d e f 3π g h 4π x
4
또한, 조건 ㈏에서 f {x+ p}= f(x)이므로
x=2π 3
2 2
따라서 방정식의 모든 실근의 합은 4p_4=16p이다. 함수 y= f(x)의 그래프는 - pÉxÉ p에서의 함수 y= f(x)의
3 3
∴ n=16
그래프가 계속 반복된다.
Ú, Û에 의하여 m+n=7+16=23
따라서 함수 y= f(x)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y
y=f{x} 4
y=
403  ③ 2
-3 π

3 2π
5

3 O x¡ x™ x£ x¢ x∞ x§ x
방정식 4 sin x=3, 즉 sin x= 의 실근은
4 4
π
3 3
함수 y=sin x의 그래프와 직선 y= 의 교점의 x좌표와 같다.
4 위의 그림과 같이 0ÉxÉ2p에서 함수 y= f(x)의 그래프와 직선
y 4
3 3 y= 의 교점은 6개이고, 이 교점의 x좌표를 작은 것부터 차례대로
4
y=
4 5
O π 2π xÁ, xª, x£, x¢, x°, x¤이라 하자.
å ∫ ç 5 x
π p
2 y=sin`x xÁ과 xª는 직선 x= 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6
위의 그림에서 b=p-a, c=2p+a이므로 xÁ+xª p p
=    ∴ xÁ+xª=
b+c 3 3 2 6 3
cos {a+ }=cos {a+ p}=sin a=
2 2 4 4
x£과 x¤, x¢와 x°는 직선 x= p에 대하여 각각 대칭이므로
3
x£+x¤ x¢+x° 4
404  ① 2
=
2
= p
3
8 16
0ÉxÉ2p에서 함수 y=tan x의 그래프와 ∴ x£+x¢+x°+x¤= p_2= p
3 3
직선 y=3의 두 교점의 x좌표가 각각 a, b이므로 4
따라서 0ÉxÉ2p에서 방정식 f(x)= 를 만족시키는 서로 다른 모
a<b라 하면 b=p+a 5
1 p 16 17
직선 y= 의 두 교점의 x좌표가 각각 c, d이므로 든 실수 x의 값의 합은 + p= p이다.
3 3 3 3
c<d라 하면 d=p+c
y y=tanx
y=3
3
406  ③

p p 1
부등식 2 sin {3x- }É1에서 sin {3x- }É
1
3 1
y=
3 6 6 2
O ? = L L@ > 3L 2L x p p p 4
2 2 3x- =t라 하면 0Éx< 일 때 - Ét< p이고,
6 2 6 3
1 1 p 4
이때 tan a=3, tan c= 이므로 부등식 sin tÉ 의 해는 함수 y=sin t`{- Ét< p}의 그래프가
3 2 6 3
1 p p 1
tan a= =tan{ -c}에서 a= -c 직선 y= 보다 아래쪽에 있는 t의 값의 범위이다.
tan c 2 2 2
p y
∴ a+c=  yy ㉠
2 1 4
π 1
3 y=
2 2
5
∴ b+d=(p+a)+(p+c)=2p+(a+c)= p yy ㉡ O
2 π
- π 5 t
π
㉠, ㉡에서 a+b+c+d=3p이므로 6 6 6
y=sin`t
cos(a+b+c+d)=cos 3p=-1

84 수학Ⅰ

해설.indb 84 22. 9. 5. 오후 3:56


1 p 4 7 11
앞의 그림에서 부등식 sin tÉ `{- Ét< p}의 해는 2np+ pÉhÉ2np+ p`(단, n은 정수)
2 6 3 6 6
p p 5 4 이때 점 P가 나타내는 곡선은 반지름의 길이가 2이고 중심각의
- ÉtÉ 또는 pÉt< p
6 6 6 3 2
크기가 p인 부채꼴의 호의 길이의 2배와 같다.
따라서 주어진 부등식의 해는 3
p p p 5 p 4 y
- É3x- É 또는 pÉ3x- < p
6 6 6 6 6 3 2 P
x@+y@=4
II
p p p 2L
∴ 0ÉxÉ 또는 Éx< 3
9 3 2
p p 4 -2 2 x
O L
즉, a= , b= 이므로 a+b= p
9 3 9 6
-2

2 8
407   풀이 참조 따라서 구하는 곡선의 길이는 2_{2_ p}= p
3 3
부등식 2 sinÛ` x+cos x-1É0에서
2(1-cosÛ` x)+cos x-1É0
409   0Éh< p
3
2
또는 p<hÉp
3
2 cosÛ` x-cos x-1¾0, (2 cos x+1)(cos x-1)¾0
이때 0<x<2p에서 cos x-1<0이므로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이차부등식 xÛ`-2x tan h+3>0이 항상 성립
1 하려면 이차방정식 xÛ`-2x tan h+3=0의 판별식을 D라 할 때,
cos xÉ- 이어야 한다.
2 D
=tanÛ` h-3<0이어야 한다.
1 4
따라서 부등식 cos xÉ- 의 해는
2 (tan h+'3)(tan h-'3)<0, -'3<tan h<'3
1 y y=tanD
0<x<2p에서 함수 y=cos x의 그래프가 직선 y=- 보다 아래
2
Â3 y=Â3
쪽에 있거나 만나는 x의 값의 범위이다. 2L
y 3
y=cosx O L L L D
1 3 2
2L 4L
O 3 3 -Â3 y=-Â3
1 2L x y=- 1
- 2
2
0ÉhÉp이므로 위의 그림에서 구하는 h의 값의 범위는
0<x<2p이므로 위의 그림에서 주어진 부등식의 해는 p 2
0Éh< 또는 p<hÉp
2 4 3 3
pÉxÉ p
3 3

410
채점 요소 배점
  2p
sinÛ` x=1-cosÛ` x임을 이용하여 주어진 식 고치기 20`%

주어진 부등식의 해는 0<x<2p에서 부등식 cos xÉ-


1
의 x에 대한 이차방정식 xÛ`-(2 cos h)x+sinÛ` h+5 cos h+2=0이
2 30`%
실근을 가지려면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할 때,
해임을 설명하기
D¾0이어야 한다.
그래프를 이용하여 부등식의 해 구하기 50`%
D
‌=(cos h)Û`-(sinÛ` h+5 cos h+2)
4
=cosÛ` h-(1-cosÛ` h)-5 cos h-2
408  ④ =2 cosÛ` h-5 cos h-3=(2 cos h+1)(cos h-3)¾0

부등식 4 sinÛ` h-1¾0에서 (2 sin h+1)(2 sin h-1)¾0 1


이때 0Éh<2p에서 cos h-3<0이므로 cos hÉ- 이어야 한다.
2
1 1
sin hÉ- 또는 sin h¾ y
2 2
y=cos`Ω`
y 1
2 4
π π
5 L 7L 11 L y=sinD 3 3
- L - 1 1
6 6 2 6 6 O 2π Ω`
y=
O 2 1
D y=- 1 y=-
2
1 L 5L 13 L 2
-
2 6 6 6 0Éh<2p이므로 위의 그림에서 구하는 h의 값의 범위는
위의 그림에서 주어진 부등식을 만족시키는 h의 값의 범위는 2 4 2 4
pÉhÉ p   ∴ a= p, b= p
3 3 3 3
p 5
2np+ ÉhÉ2np+ p 또는 ∴ 2b-a=2p
6 6

Ⅱ. 삼각함수 85

해설.indb 85 22. 9. 5. 오후 3:56


p
411  ④ '2 sinÛ` x+(1+'2)cos {x+
2
}+1É0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직선 y=2x+2와 포물선 '2 sinÛ` x-(1+'2)sin x+1É0, (sin x-1)('2 sin x-1)É0


y=xÛ`+(2 cos h)x+3 sinÛ` h가 만나지 않으려면 '2
이때 sin x-1É0이므로 sin x¾
2
2x+2=xÛ`+(2 cos h)x+3 sinÛ` h에서
y
x에 대한 이차방정식 xÛ`-2(1-cos h)x-2+3 sinÛ` h=0의 실근이 Â2 y=sinx
존재하지 않아야 한다. 2 Â2
y=
2
O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L L 3L 5L x
-
D 3 4 4 3
‌=(1-cos h)Û`-(-2+3 sinÛ` h)
4
=1-2 cos h+cosÛ` h+2-3(1-cosÛ` h) p 5 '2
- ÉxÉ p에서 부등식 sin x¾ 의 해는
3 3 2
=4 cosÛ` h-2 cos h<0
p 3
1 ÉxÉ p
즉, cos h(2 cos h-1)<0이므로 0<cos h< 4 4
2
7 13
y 따라서 주어진 부등식의 해는 pÉhÉ p이므로
12 12
y=cosD
1 1 7 13
y= a= p, b= p
2 L 2 12 12
O L L D 5
3 2 ∴ a+b= p
3

0ÉhÉp이므로 위의 그림에서 구하는 h의 값의 범위는 참고


p p p p p p
3
<h<
2 sin{h- }=sin{h+ - }=-cos{h+ }
3 6 2 6
로 정리하여 풀이할 수도 있다.

412  ⑤

cosÛ` x+3 sin x+a-6É0에서 414   8시간

(1-sinÛ` x)+3 sin x+a-6É0 p
270 cos[ (t-4)]+325¾460이어야 하므로
sinÛ` x-3 sin x-a+5¾0 3
이때 sin x=t라 하면 -1ÉtÉ1이고 p 1
cos[ (t-4)]¾  yy ㉠
3 2
주어진 부등식은 tÛ`-3t-a+5¾0이다.
p
f(t)=tÛ`-3t-a+5라 하면 이때 (t-4)=x라 하면
3
3 11
f(t)=tÛ`-3t-a+5={t- }Û`-a+ 4 20 1
0<t<24에서 - p<x< p이고 cos x¾ 이다.
2 4 3 3 2
y y=f{t} y
20 L
4 y=cosx 3
- L y=
1
3
2
LO L 5L 7L 11 L 13 L 17 L 19 L x
- 3 3 3 3 3 3 3
3

1
O 위의 그림에서 부등식 cos x¾ 의 해는
-1 13 t 2
2 p p 5 7 11 13
- ÉxÉ 또는 pÉxÉ p 또는 pÉxÉ p 또는
-1ÉtÉ1에서 함수 f(t)는 3 3 3 3 3 3
t=1일 때 최솟값을 가지므로 17 19
pÉxÉ p이므로 조건을 만족시키는 t의 값의 범위는
3 3
f(1)=1-3-a+5¾0이어야 한다.
3ÉtÉ5 또는 9ÉtÉ11 또는 15ÉtÉ17 또는 21ÉtÉ23이다.
∴ aÉ3
따라서 구하는 시간은 2_4=8(시간)이다.

413  ③ 415  ①

p p -cosÛ` h+sin h+3 (sinÛ` h-1)+sin h+3
'2 sinÛ` {h- }+(1+'2) cos {h+ }+1É0에서 ‌=
3 6 1+sin h 1+sin h
p p 5 sinÛ` h+sin h+2
h- =x라 하면 - ÉxÉ p이고 =
3 3 3 1+sin h

86 수학Ⅰ

해설.indb 86 22. 9. 5. 오후 3:56


sin h(sin h+1)+2 2 제 3 사분면에 위치한다. (거짓)
= =sin h+
1+sin h 1+sin h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이다.
2
=(1+sin h)+ -1
1+sin h 다른 풀이

1+sin h=t라 하면 0<h<p일 때 1<tÉ2이므로 ㄱ. h=-360ù+30ù이므로 2h=-360ù_2+60ù이다.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에 의하여 이때 h+2h=-360ù_3+90ù이므로 h와 2h의 동경은
2 2
t+ -1¾2®Ét_ -1=2'2-1 직선 y=x에 대하여 서로 대칭이다. (참) II
t t
2
이때 등호는 t= , tÛ`=2, 즉 t='2 (∵ 1<tÉ2)일 때 성립한다.
t
따라서 주어진 식은 sin h='2-1일 때 최솟값 2'2-1을 갖는다.
417   -16'3

p p p
f(1)=2 sin { - }=2 cos  ='3
2 6 6
p p
f(2)=2 sin {p+ }=-2 sin  =-1
6 6
416  ②
3p p p
f(3)=2 sin { - }=-2 cos  =-'3
각 h가 제 1 사분면의 각이고, 두 각 h와 2h가 나타내는 동경이 2 6 6
p p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f(4)=2 sin {2p+ }=2 sin  =1
6 6
p
h+2h=2kp+ `(단, k는 정수) 이고, 함수 y=sin x는 주기가 2p이므로
2
p 4k+1 f(n)의 값은 '3, -1, -'3, 1이 반복된다.
3h=2kp+ , h= p yy ㉠
2 6 p p 1
g(1)=tan { - }=  ='3
이때 h가 제1사분면의 각이므로 2 6 p
tan`
6
p
2np<h<2np+ (단, n은 정수) p p 1 '3
2 g(2)=tan {p+ }=tan  = =
6 6 '3 3
4k+1 p
㉠을 대입하면 2np< p<2np+ 이고, 함수 y=tan x는 주기가 p이므로
6 2
'3
1 1
3n- <k<3n+ 이므로 k=3n (∵ k는 정수) g(n)의 값은 '3, 이 반복된다.
4 2 3
4_3n+1 p h(1)= f(1)-2g(1)
이를 ㉠에 대입하면 h= p=2np+
6 6 h(2)= f(2)-2g(2)
p h(3)= f(3)-2g(3)
ㄱ. h=2np+ 에 n=-1을 대입하면
6
h(4)= f(4)-2g(4)
11
h=- p=-330ù이므로 -330ù는 h가 될 수 있다. (참) 이므로 h(n)의 값도 h(1), h(2), h(3), h(4)가 반복된다.
6
f(1)+ f(2)+ f(3)+ f(4)=0이므로
p
ㄴ. h의 일반각은 2np+ (n은 정수)이다. (참)
6 h(1)+h(2)+h(3)+h(4)‌=-2{ g(1)+g(2)+g(3)+g(4)}
p h 2n p 2'3 16'3
ㄷ. h=2np+ 에서 = p+ 이므로 =-2{2'3+ }=-
6 3 3 18 3 3
정수 p에 대하여 n을 다음과 같은 경우로 나누어 생각해 보자. ∴ h(1)+h(2)+h(3)+y+h(12)
‌
Ú n=3p일 때, =3_{h(1)+h(2)+h(3)+h(4)}
h 2(3p) p p =-16'3
= p+ =2pp+
3 3 18 18
h
이므로 를 나타내는 동경은 제 1 사분면에 위치한다.
3
418   :¢5¥:
Û n=3p+1일 때,
∠CAB=∠ABD=h라 하자.
h 2(3p+1) p 13
= p+ =2pp+ p ABÓ=8, BCÓ=6에서 ACÓ="Ã8Û`+6Û`=10이므로
3 3 18 18
h ABÓ 4 BCÓ 3
이므로 를 나타내는 동경은 제 2 사분면에 위치한다. cos h= = , sin h= = 이다.
3 ACÓ 5 ACÓ 5
Ü n=3p+2일 때, A D
h 2(3p+2) p 25 Ω
= p+ =2pp+ p l¡
3 3 18 18
P l™
h
이므로 를 나타내는 동경은 제 3 사분면에 위치한다.
3
m™
Ω m¡
h
Ú~Ü에서 를 나타내는 동경은 제 1 사분면, 제 2 사분면, B C
3 Q

Ⅱ. 삼각함수 87

해설.indb 87 22. 9. 5. 오후 3:56


한편, 점 P에서 대각선 AC까지의 거리를 lÁ, 대각선 BD까지의 한편, 두 점 P, Q는 같은 속력으로 이동하였으므로
거리를 lª라 하면 두 호 AP, BQ의 길이는 서로 같다.
lÁ=APÓ sin h, lª=BPÓ sin h이므로 p p
∠XOQ=h라 하면 2{h+ }=4h, h=
3 24 3 3
l=lÁ+lª=(APÓ+BPÓ) sin h=ABÓ sin h=8_ =
5 5 p
∴ tan(∠XOQ)=tan  ='3
마찬가지로 점 Q에서 대각선 BD까지의 거리를 mÁ, 3
대각선 AC까지의 거리를 mª라 하면 참고
p
mÁ=BQÓ sin { -h}=BQÓ cos h, 이때 ∠POX=2∠XOQ에서 ∠POQ=∠XOQ이므로
2
p
p tan(∠XOQ)=tan  ='3임을 알 수도 있다.
mª=CQÓ sin { -h}=CQÓ cos h이므로 3
2
4 24
m=mÁ+mª=(BQÓ +CQÓ )cos h=BCÓ cos h=6_ =
5 5

∴ l+m=
48
5 421   2Ér<;4(;

점 (r, 0)에서 출발한 점 Q가 회전한 각의 크기를 hª라 하고,


같은 순간에 점 (1, 0)에서 출발한 점 P가 회전한 각의 크기를
419   :Á9¢:
hÁ이라 하면 두 점 P, Q가 같은 속력으로 이동하므로
sin x=A`(-1ÉAÉ1), cos y=B`(-1ÉBÉ1)라 하면 이동한 거리가 서로 같다.
cosÛ` x=1-AÛ`, sinÛ` y=1-BÛ`이다. 즉, rhª=hÁ이다.
'2 한편, 세 점 O, P, Q가 일직선 위에 있으려면
sin x+cos y=cos x sin y= 의 각 변을 제곱하면
3 두 동경 OP, OQ가 이루는 각의 크기를 h`(0ÉhÉp)라 할 때,
2 h=0 또는 h=p이어야 한다.  yy`㉠
(sin x+cos y)Û`=cosÛ` x sinÛ` y= 이므로
9
이때 두 동경 OP, OQ가 이루는 각의 크기는
2 2
(A+B)Û`= , (1-AÛ`)(1-BÛ`)= 이다. 즉, hÁ-hª=rhª-hª=(r-1)hª
9 9
2 이므로 ㉠을 만족시키려면
AÛ`+2AB+BÛ`- =0  yy`㉠
9 (r-1)hª=np`(n은 자연수)이다.
7 점 Q가 원 Cª의 둘레를 2바퀴를 돌 때 0<hªÉ4p이므로
AÛ`BÛ`-AÛ`-BÛ`+ =0  yy`㉡
9
np
5 0< É4p에서 0<nÉ4(r-1)이고,  yy`㉡
㉠+㉡을 하면 AÛ`BÛ`+2AB+ =0이므로 r-1
9
세 점 O, P, Q가 일직선 위에 있게 되는 횟수가 4이려면
9(AB)Û`+18AB+5=0에서
㉡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n이 4개 존재해야 하므로
(3AB+1)(3AB+5)=0
4É4(r-1)<5
1
∴ AB=- `(∵ -1ÉABÉ1) 5
3 1Ér-1<
4
∴ (sin x-cos y)Û`‌=(A-B)Û`
9
=(A+B)Û`-4AB ∴ 2Ér<
4
2 1 14
= -4_{- }=
9 3 9

422  ④

420  ⑤ ∠COD=p-h이고 OBÓ=1이므로 직각삼각형 OBC에서


p BCÓ=tan(p-h)=-tan h
처음으로 ∠OPQ= 가 되는 순간은 다음 그림과 같다.
2 삼각형 OAD는 ∠OAD=90ù인 직각삼각형이고, OAÓ=1이므로
Q 1 1
ODÓ= =-
P cos(p-h) cos h
4
2 따라서 색칠한 부분의 넓이는
O A B X (삼각형 OCD의 넓이)-(부채꼴 OAB의 넓이)
1 1
= _BCÓ_ODÓ- _1Û`_(p-h)
2 2
1 1 1 1
직각삼각형 OPQ에서 cos(∠POQ)= 이므로 = _(-tanh)_{- }- _1Û`_(p-h)
2 2 cos h 2
p 1 sin h
∠POQ= 이다. = { -p+h}
3 2 cosÛ` h

88 수학Ⅰ

해설.indb 88 22. 9. 5. 오후 3:56


423  ③ x
따라서 곡선 y=4`sin` `(-pÉxÉ9p)와 직선 y=2가 만나는
4
2 10 26
px
함수 f(x)=tan  의 주기는
p
=a이므로 점들의 좌표는 { p, 2}, { p, 2}, { p, 2}이다.
a p 3 3 3
a y
x
정삼각형 ABC의 한 변의 길이는 ACÓ=a이다. 4
y=4`sin`
4 B
한편, 함수 y= f(x)의 그래프가 원점 O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2 A
-π O 4π 2
y=2
II
두 점 A, B도 원점 O에 대하여 대칭이다. 2
π 10 4
8π 9π x
3 π
3 26
a -4 π
∴ OAÓ=OBÓ= P 3
2
또한, 정삼각형 ABC에서 선분 AC가 x축과 평행하므로 위의 그림과 같이 삼각형 PAB의 밑변을 선분 AB라 하면
직선 OB가 x축의 양의 방향과 이루는 각의 크기는 60ù이다. 2 26
A{ p, 2}, B{ p, 2}일 때 선분 AB의 길이가
3 3
따라서 점 B의 좌표를 {  cos 60ù,  sin 60ù},
a a
2 2 26 2
p- p=8p로 최대이고,
3 3
a '3
즉{ , a}라 하면 x
4 4 함수 y=4`sin` 의 최솟값이 -4이므로
4
점 B는 함수 y= f(x)의 그래프 위의 점이므로
삼각형 PAB의 높이의 최댓값은
'3 p
a=tan  =1 2-(-4)=6이다.
4 4
4 4'3 따라서 구하는 삼각형 PAB의 넓이의 최댓값은
∴ a= =
'3 3 1
_8p_6=24p   ∴ k=24
따라서 삼각형 ABC의 넓이는 2
'3 '3 4'3 Û 4'3
aÛ`= _{ }`=
4 4 3 3 '5-1 '2
425   ⑴ 2  ⑵ 2
,
2

⑴ logsin h (cos h+1)>2에서 밑과 진수 조건에 의하여


sin h>0, sin h+1이므로 0<sin h<1  yy`㉠
424   24
cos h+1>0이므로 cos h>-1  yy`㉡
1 logsin h (cos h+1)>2에서
곡선 y=4`sin` (x-p) (0ÉxÉ10p)는
4 ㉠에 의하여 cos h+1<sinÛ` h
x cos h+1<1-cosÛ` h
곡선 y=4`sin` (-pÉxÉ9p)를 x축의 방향으로 p만큼
4
cosÛ` h+cos h<0
평행이동한 것이다.
cos h(cos h+1)<0
이때 x축의 방향으로 평행이동하여도 곡선 위의 y좌표가 같은
-1<cos h<0  yy`㉢
점들 사이의 거리 또는 함수의 최댓값, 최솟값은 달라지지 않으므로
㉠, ㉡, ㉢에 의하여 0<sin h<1, -1<cos h<0이다.
x
세 점 A, B, P를 곡선 y=4`sin` (-pÉxÉ9p)와 직선 y=2가 0Éh<2p에서
4
p p
만나는 상황에서 정의되는 것으로 풀어도 답에는 영향이 없다. 0<sin h<1일 때 0<h< 또는 <h<p
2 2
즉, 4`sin` =2에서 sin` =;2!;
x x
4 4 p 3
-1<cos h<0일 때 <h<p 또는 p<h< p
2 2
x 9
이때 =t라 하면 -pÉxÉ9p에서 -;4Ò;ÉtÉ p이고 p
4 4 따라서 구하는 h의 값의 범위는 <h<p이다.
2
1
sin`t= p
2 ∴ a= , b=p
2
5 13
∴ t=;6Ò; 또는 t= p 또는 t= p b
6 6 ∴ =2
a
y
p
1 y=sin`t 1 ⑵ 0<x< 에서 0<sin x<1, 0<cos x<1, tan x>0이므로
2
y=
2 2
O π 2π 로그의 밑과 진수 조건을 모두 만족시킨다.
π π 5 13
- π π 9π t 1
4 6 6 6 4 logcos x sin x+logsin x  =1에서
'Ätan x
x x 5 x 13 1
즉, =;6Ò; 또는 = p 또는 = p이므로 logcos x sin x-  logsin x tan x=1
4 4 6 4 6 2
2 10 26 1 sin x
x= p 또는 x= p 또는 x= p logcos x sin x-  logsin x  =1
3 3 3 2 cos x

Ⅱ. 삼각함수 89

해설.indb 89 22. 9. 5. 오후 3:56


2 logcos x sin x-(1-logsin x cos x)=2 x
n=7일 때 함수 y=sin px의 그래프와 직선 y= 의 교점의
2 logcos x sin x+logsin x cos x-3=0 3n
양변에 logcos x sin x를 곱하면 개수는 35+8=43이다.
2(logcos x sin x)Û`-3 logcos x sin x+1=0 따라서 교점의 개수가 20 이상 40 이하가 되도록 하는 자연수 n의
(2 logcos x sin x-1)(logcos x sin x-1)=0 최댓값은 6이고, 최솟값은 4이므로 구하는 값은 10이다.
1 TIP
logcos x sin x= 또는 logcos x sin x=1
2
;2!;
x
sin x=(cos x) 또는 sin x=cos x 함수 y=sin px의 그래프와 직선 y= 가 모두 원점을
3n
;2!;
Ú sin x=(cos x) 에서 지나며 그래프가 각각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x>0일 때의
sinÛ` x=cos x, 1-cosÛ` x=cos x, cosÛ` x+cos x-1=0 교점의 개수와 x<0일 때의 교점의 개수가 같다.
-1Ñ'5 따라서 두 함수의 그래프의 x>0일 때의 교점의 개수에서 2배를
cos x=
2 하고 1을 더하면 전체 교점의 개수와 같다.
'5-1
0<cos x<1이므로 cos x=
2
Û sin 
‌ x=cos x에서
p p '2
x= 이므로 cos x=cos  =
4 4 2 427  ②
'5-1 '2
Ú, Û에 의하여 cos x의 값은 , 이다. 두 점 P, Q의 시각 t에서의 y좌표를 각각 f(t), g(t)라 하면
2 2
2 4
두 점 P, Q는 매초 p, p의 속력으로 각각 움직이므로
3 3
2 4
f(t)=sin  pt, g(t)=sin  pt yy TIP
3 3
426  ②
2p
이때 함수 y= f(t)의 주기는 =3,
2
방정식 sin px=
x p
3n
의 실근의 개수가 20 이상 40 이하이므로 3

x 2p 3
함수 y=sin px의 그래프와 직선 y= 함수 y=g(t)의 주기는 = 이므로
3n
의 교점의 개수가 4 2
p
3
20 이상 40 이하이어야 한다.
출발 후 3초가 될 때까지 f(t)와 g(t)의 값은 4회 같아진다.
2p
함수 y=sin px의 주기는 =2이고 y
p
x 1
직선 y= 는 점 (3n, 1)을 지나므로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y=g{t}
3n y=f{t}
y 1
y= x 1 O 3 3 t
3 y= x 2
6
1
-6 -4 -2 -1
O 2 4 6 8x
1 따라서 99초가 될 때까지 4_33=132 (회) 같아지고, 99초에서
y= x
9 100초 사이 f(t)와 g(t)의 값은 1회 같아지므로 출발 후 100초가
x 될 때까지 두 점 P, Q의 y좌표가 같아지는 횟수는 133이다.
n의 값에 따라 함수 y=sin px의 그래프와 직선 y= 의 교점의
3n
TIP
개수는 다음과 같다.
n=1일 때 3_2+1=7 yy TIP 원 xÛ`+yÛ`=1의 반지름의 길이가 1이므로 동경 OP가 x축의
n=2일 때 5_2+1=11 양의 방향과 이루는 각의 크기 h`(h>0)와 점 P가 원의 둘레를
n=3일 때 9_2+1=19 움직인 거리 l은 서로 같다. 즉, 두 점 P, Q가 각각 원의 둘레를
n=4일 때 11_2+1=23 2 4
매초 p, p만큼 움직이므로 ∠AOP, ∠AOQ의 크기는 각각
3 3
즉, n=1, 2, 3, 4, y일 때 함수 y=sin px의 그래프와 직선
2 4
x 매초 p, p만큼 커진다.
y= 의 교점의 개수가 4, 8, 4, 8, y씩 반복하여 커지므로 3 3
3n
x
n=5일 때 함수 y=sin px의 그래프와 직선 y= 의 교점의
3n
개수는 23+8=31,

n=6일 때 함수 y=sin px의 그래프와 직선 y=


x
3n
의 교점의 428   180

개수는 31+4=35, 굴렁쇠가 이동한 거리는 처음 굴렁쇠에 표시한 점의 이동 거리와 같다.

90 수학Ⅰ

해설.indb 90 22. 9. 5. 오후 3:56


y
f{t}=3t@-2t
1

y=k-4
1
O 3
출발점 지면
1 t
1
따라서 처음 굴렁쇠에 표시한 점의 이동거리가 40`m,
-
3 II
1
즉, k-4= f { } 또는 f(0)<k-4< f(1)이어야 한다.
즉 4000`cm이다.
이때 굴렁쇠를 이동하지 말고 출발점의 위치에서 회전만 했을 때, 3
1 1
처음 굴렁쇠에 표시한 점의 이동거리가 4000`cm가 되었다고 하자. f { }=- , f(0)=0, f(1)=1이므로
3 3
출발점에서 굴렁쇠의 중심을 O, 출발할 때 표시한 점의 위치를 A라
1
할 때, 선분 OA가 회전한 각의 크기를 h라 하면 k-4=- 또는 0<k-4<1
3
120 100 4 11
_h=4000에서 h= p=2p_16+ p이다. ∴ k= 또는 4<k<5
p 3 3 3
정지했을 때 표시한 점의 위치를 B, 점 B에서 지면에 내린 수선의
TIP
발을 C, 점 O를 지나고 직선 OA에 수직인 직선이 선분 BC와 만나는
점을 D라 하면 다음 그림과 같다. 함수 y= f(t)의 그래프와 직선 y=k-4의 교점이 2개인 경우
그 교점의 t좌표를 각각 a, b (0Éa<b<1)라 하면 그림과 같이
B L 방정식 cos x=a에서 서로 다른 2개의 실근 xÁ, xª를 갖고,
4
6 L
3 방정식 cos x=b에서 서로 다른 2개의 실근 x£, x¢를 가지므로
D O
방정식 ㉠은 서로 다른 4개의 실근 xÁ, xª, x£, x¢를 갖는다.
y
1 y=cos`x
C A 지면 y=b
y=a
p
∠BOD= 이므로 정지했을 때 지면으로부터 굴렁쇠에 표시한 L x¡ x£ O x¢ x™ L x
6 -
2 2
점까지의 높이는
한편, f(1)=k-4이면 함수 y= f(t)의 그래프와 직선
h‌=‌BCÓ‌=BDÓ+CDÓ
y=k-4의 교점의 t좌표가 1이므로 방정식 cos x=1에서 오직
p
=OBÓ_sin  +OAÓ 하나의 실근 x=0을 가지기 때문에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키지
6
않는다.
120 1 120 180
= _ + =  (cm)
p 2 p p
∴ ph=180

430  ③

429   k= 11
3
또는 4<k<5 p p
∠APB= 이므로 ∠PBA= -h이고,
2 2
3 sinÛ` x+2 cos x+k-7=0에서
BPÓ=2`sin`h이므로 BQÓ=3-2`sin`h이다.
3(1-cosÛ` x)+2 cos x+k-7=0
점 Q에서 x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3 cosÛ` x-2 cos x-k+4=0 yy ㉠
∠PBA=∠HBQ (∵ 맞꼭지각)
p p
cos x=t라 하면 - ÉxÉ 에서 0ÉtÉ1이고, y
2 2 P 2`sin`Ω
t=1일 때 방정식 cos x=t는 오직 하나의 실근 x=0을 갖고,
0Ét<1일 때 방정식 cos x=t는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갖는다. A Ω B H
y -1 O 1 x
y=cos`x
y=1
Q
y=t
-1 3-2`sin`Ω
L O L x
-
2 2 따라서 점 Q의 x좌표는
p
㉠에서 3tÛ`-2t-k+4=0이므로 OBÓ+BHÓ‌=1+BQÓ_cos { -h}
2
함수 f(t)=3tÛ`-2t라 하면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1+(3-2`sin`h) sin`h
0ÉtÉ1에서 함수 y= f(t)의 그래프와 직선 y=k-4의 교점의
=1+3`sin`h-2`sinÛ``h 
개수는 1이어야 하고, 
3 17
f(1)+k-4이어야 한다. yy TIP =-2 {sin`h- }Û`+
4 8

Ⅱ. 삼각함수 91

해설.indb 91 22. 9. 5. 오후 3:56


3 y
이므로 sin`h= 일 때 최대이다.
4 1 y=cos`Ω` y=sin`Ω`
3 9
∴ sinÛ``h={ }Û`=
4 16

O π π Ω`
4 2

431  ⑤
즉, 0<sin`h<cos`h<1이다. (참)
ㄴ. 0<sin`h<1이므로
‌ 함수 f(x)=logsin`h`x에서
sin x+1 x의 값이 증가하면 f(x)의 값은 감소한다.
y= 에서 cos x=X, sin x=Y라 하면
cos x-3
p
ㄱ에 의하여 0<h< 에서 sin`h<cos`h<1이므로
-1ÉXÉ1, 0ÉYÉ1 (∵ 0ÉxÉp)이고 4
cosÛ` x+sinÛ` x=1이므로 XÛ`+YÛ`=1 logsin`h`1<logsin`h`cos`h<logsin`h`sin`h
sin x+1 Y+1 즉, 0<logsin`h`cos`h<1이다. (참)
y= 에서 y= 이므로 Y=y(X-3)-1
cos x-3 X-3
p
이때 -1ÉXÉ1, 0ÉYÉ1에서 ㄷ. ㄱ에 의하여 0<h< 에서 0<sin`h<cos`h이므로
4
cos`h cos`h
XÛ`+YÛ`=1, Y=y(X-3)-1을 모두 만족시키는 X, Y가 (sin`h) <(cos`h)  yy`㉠
x
존재해야 하므로 곡선 XÛ`+YÛ`=1과 직선 Y=y(X-3)-1의 한편, 0<cos`h<1이므로 함수 f(x)=(cos`h) 에서
교점이 존재해야 한다. x의 값이 증가하면 f(x)의 값은 감소한다.
y최소 Y p
이때 0<h< 에서 sin`h<cos`h이므로
4
cos`h sin`h
X@+Y@=1 (cos`h) <(cos`h)  yy`㉡
cos`h cos`h sin`h
y최대 ㉠, ㉡에서 (sin`h) <(cos`h) <(cos`h) (참)
O
X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Y=y{X-3}-1
다른 풀이
{3,`-1}

즉, 직선 Y=y(X-3)-1의 기울기 y는 p
ㄷ. ㄱ에 의하여 0<h< 에서 sin`h<cos`h이고
4
이 직선이 점 (-1, 0)을 지날 때 최댓값을 갖고,
ㄴ에 의하여 logsin`h`cos`h>0이므로
제 1 사분면에서 원 XÛ`+YÛ`=1에 접할 때 최솟값을 갖는다.
sin`h_logsin`h`cos`h<cos`h_logsin`h`cos`h
Ú 직선 Y=y(X-3)-1이 점 (-1, 0)을 지날 때 sin`h cos`h
logsin`h (cos`h) <logsin`h (cos`h)
1 cos`h sin`h
0=-4y-1에서 y=- 이때 0<sin`h<1이므로 (cos`h) <(cos`h)    yy`㉠
4
Û 직선 Y=y(X-3)-1이 원 XÛ`+YÛ`=1에 접할 때 또한 ㄴ에 의하여 logsin`h`cos`h<1이므로
점 (0, 0)과 직선 Y=y(X-3)-1, 즉 yX-Y-3y-1=0 logsin`h`cos`h<logsin`h`sin`h
사이의 거리가 1이므로 p
이때 0<h< 에서 cos`h>0이므로
4
|-3y-1|
=1, |3y+1|Û`=yÛ`+1, 4yÛ`+3y=0 cos`h_logsin`h`cos`h<cos`h_logsin`h`sin`h
"ÃyÛ`+(-1)Û` cos`h cos`h
3 logsin`h (cos`h) <logsin`h(sin`h)
y(4y+3)=0에서 y=- (∵ y<0) cos`h cos`h
4 ∴ (sin`h) <(cos`h) (∵ 0<sin`h<1)   yy`㉡
cos`h cos`h sin`h
3 1 ㉠, ㉡에서 (sin`h) <(cos`h) <(cos`h) (참)
Ú, Û에서 구하는 y의 값의 범위는 - ÉyÉ-
4 4
1 3
따라서 M=- , m=- 이므로

3
4 4
433   13
-
m 4 원 OÁ의 중심을 OÁ, 원 Oª의 중심을 Oª, 직선 OÁOª가 선분 AB와 만
= =3
M 1 나는 점을 M이라 하고 직선 OÁOª가 원 OÁ과 만나는 두 점 중에서
-
4
점 M에 가까운 점을 N이라 하자.
A
O™
O¡ N
M
432  ⑤
O™
B

p C
ㄱ. 0<h<
‌ 에서 두 함수 y=sin`h, y=cos`h의 그래프는 다음 그
4
림과 같다.

92 수학Ⅰ

해설.indb 92 22. 9. 5. 오후 3:56


1 ∴ 97.5<nÉ100.5
OÁAÓ=6, AMÓ= ABÓ=3'2
2 y
p π 3
OÁAÓ : AMÓ='2 : 1이므로 ∠MOÁA= 1
32개 8π+
8
8π+ π
8
4
3 y=1
원 OÁ에서 점 B를 포함하지 않는 부채꼴 OÁNA의 넓이는 O
π …
8 8π
1 p 9 π 5
π
x
_6Û`_ = p   yy`㉠ 8 8
2 4 2 II
-1 n y=-1
p y=sin`4x
또한, 정삼각형 ACB에서 ∠MOªA= 이므로 x= π
12
3
AMÓ 3'2 따라서 구하는 모든 자연수 n은 98, 99, 100이므로 그 합은
OªAÓ= = =2'6
sin`
p '3 98+99+100=297
3
2
원 Oª에서 점 B를 포함하지 않는 부채꼴 OªAC의 넓이는
1 2 '3 '3
2
_(2'6)Û`_ p=8p  
3
yy`㉡ 435   ⑴ A£=[- 2 , 0, 2 ]  ⑵ 22

p p 2(m-1)
한편, OÁMÓ=OÁAÓ cos  , OªMÓ=OªAÓ cos  에서 ⑴ A£=[sin  p|m은 자연수]이다.
4 3 3
OÁOªÓ=OÁMÓ-OªMÓ=3'2-'6이므로 2(m-1)
sin  p에 m=1, 2, 3, 4, y를 차례대로 대입해 보면
삼각형 AOÁOª의 넓이는 3
1 2 '3 4 '3
_(3'2-'6)_3'2=9-3'3 yy`㉢ sin 0=0, sin  p= , sin  p=- ,
2 3 2 3 2
㉠, ㉡, ㉢에 의하여 원 OÁ과 원 Oª의 공통부분의 넓이는 8 2 10 4
sin 2p=sin 0, sin  p=sin  p, sin  p=sin  p, y
3 3 3 3
9
2_[ p+8p-(9-3'3)]=-18+6'3+25p '3 '3
2 ∴ A£=[- , 0, ]
2 2
따라서 p=-18, q=6, r=25이므로
2(m-1)
p+q+r=13 ⑵ -1이
‌ 집합 Ak의 원소가 되려면 sin  p=-1인 자연수
k
m이 존재해야 한다.
434  ② ‌sin 
2(m-1)
k
p=-1이려면
2(m-1)
k
p의 값이
sinÛ``4x-1=0에서 (sin`4x-1)(sin`4x+1)=0 3 7 11
p, p, p, y와 같아야 한다.
∴ sin`4x=1 또는 sin`4x=-1 2 2 2
n 3 7 11
0<x< p일 때, 방정식 sinÛ``4x-1=0의 실근의 개수가 ‌즉, m의 값이 k+1, k+1, k+1, y일 때,
12 4 4 4
n 2(m-1)
33이려면 0<x< p에서 함수 y=sin`4x의 그래프와 sin  p=-1이다.
12 k
직선 y=1 또는 y=-1의 교점의 개수가 33이어야 한다. 이때 m이 자연수이므로 k는 4의 배수이어야 한다.
2p ‌따라서 두 자리 자연수 k는 12, 16, 20, y, 96으로
함수 y=sin`4x의 주기는 =;2Ò';이므로
4 그 개수는 22이다.
p
0<xÉ 에서 함수 y=sin`4x의 그래프와 직선 y=1이 만나는
4

점의 개수는 1이고,
p
4
p
<xÉ 에서 함수 y=sin`4x의 그래프와
2 436  5

직선 y=-1이 만나는 점의 개수는 1이다. p


함수 y=k`sin {2x+ }+kÛ`-6의 그래프에 대하여
p 3
즉, 0<xÉ 에서 함수 y=sin`4x의 그래프와
2 Ú k=0일 때
직선 y=1 또는 y=-1이 만나는 점의 개수는 2이므로 y=-6이므로 함수의 그래프는 제1사분면을 지나지 않는다.
p Û k>0일 때
0<xÉ _16일 때, 함수 y=sin`4x의 그래프와
2
p
함수 y=k`sin {2x+ }+kÛ`-6의 최댓값은 k+(kÛ`-6)이고,
직선 y=1 또는 y=-1이 만나는 점의 개수는 2_16=32이다. 3
n 함수의 그래프가 제1사분면을 지나지 않으려면 최댓값이 0보다
따라서 0<x< p에서 방정식 sinÛ``4x-1=0의 실근의 개수가
12
작거나 같아야 하므로
n
33이려면 8p<x< p에서 함수 y=sin`4x의 그래프와 k+(kÛ`-6)É0
12
kÛ`+k-6É0, (k+3)(k-2)É0
두 직선 y=1, y=-1이 만나는 점의 개수가 각각 1, 0이어야 하므로
∴ -3ÉkÉ2
p n 3 65 n 67
8p+ < pÉ8p+ p, < É 이때 k>0이므로 0<kÉ2
8 12 8 8 12 8

Ⅱ. 삼각함수 93

해설.indb 93 22. 9. 5. 오후 3:56


Ü k<0일 때 7a a 7a a
앞의 그림에서 p=p+ p 또는 p=2p- p이므로
p 2 2 2 2
함수 y=k`sin {2x+ }+kÛ`-6의 최댓값은 -k+(kÛ`-6)이고,
3 1 1
a= 또는 a=
함수의 그래프가 제1사분면을 지나지 않으려면 최댓값이 0보다 3 2
1
작거나 같아야 하므로 Ú a= 일 때
3
-k+(kÛ`-6)É0
1
kÛ`-k-6É0, (k+2)(k-3)É0 f(x)=2 sin` x+b에서
3
∴ -2ÉkÉ3 p p
f {- }=2 sin`{- }+b
이때 k<0이므로 -2Ék<0 2 6
Ú, Û, Ü에서 주어진 함수의 그래프가 제1사분면을 지나지 않도록 p
=-2 sin` +b
6
하는 k의 값의 범위는
=-1+b=0
-2ÉkÉ2
∴ b=1
이므로 모든 정수 k는 -2, -1, 0, 1, 2로 5개이다.
이때
7 7
f { p}‌=2 sin` p+1
참고

p 2 6
함수 y=k`sin {2x+ }+kÛ`-6의 그래프는
3 p
=2`sin {p+ }+1
p 6
함수 y=k`sin {2x+ }의 그래프를 y축의 방향으로 kÛ`-6만큼
3 p
=-2 sin` +1
평행이동한 것이다. 6
p 1
또한, 함수 y=k`sin {2x+ }의 그래프는 =-2_ +1=0
2
3
p 이므로 조건을 만족시킨다.
함수 y=sin {2x+ }의 그래프에서 y의 값들을 k배한
3 1
Û a= 일 때
그래프이다. 2

p p 1
y=sin {2x+ }=sin [2{x+ }]이므로 f(x)=2 sin` x+b에서
3 6 2
p p
이 함수의 그래프는 주기가 p인 함수 y=sin`2x의 그래프를 f {- }=2 sin`{- }+b
2 4
p
x축의 방향으로 -
6
만큼 평행이동한 그래프이다. p
=-2 sin` +b
4
=-'2+b=0
∴ b='2
437   40 그런데 b가 유리수라는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함수 f(x)=2 sin`ax+b의 그래프가 1
Ú, Û에서 a= , b=1이므로
3
p 7
두 점 A{- , 0}, B{ p, 0}을 지나므로 1
2 2 30(a+b)=30_{ +1}=40
3
p
f {- }‌=2 sin`{- p}+b
a
2 2
a
=-2 sin` p+b=0 yy`㉠
438  ②
2
px px
7 7a x에 대한 방정식 {sin  -t}{cos  -t}=0에서
f { p}=2 sin` p+b=0 yy`㉡ 2 2
2 2
px px
7a a sin  =t 또는 cos  =t
㉠-㉡을 하면 sin` p=-sin` p 2 2
2 2
px px
4 즉, 이 방정식의 실근은 두 곡선 y=sin  , y=cos  와
이때 실수 a에 대하여 0<a< 이므로 2 2
7
직선 y=t가 만나는 점의 x좌표이다.
a 2 7a
0< p< p, 0< p<2p px px
2 7 2 ㄱ. ‌두 함수 y=sin  , y=cos  는 모두 주기가 4인 함수이고,
2 2
y
px px
a y=sin`x a 곡선 y=sin  는 곡선 y=cos  를 x축의 방향으로 1만큼
sin 2 π 2π- π 2 2
a 2
π+ π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2 2π
O a π x
π 5
2 그림과 같이 -1Ét<0일 때 a(t)와 b(t)는 직선 x= 에 대하
2
7a a
sin π =-sin π 여 대칭이다.
2 2

94 수학Ⅰ

해설.indb 94 22. 9. 5. 오후 3:56


따라서 -1Ét<0인 모든 실수 t에 대하여
a(t)+b(t)=5이다. (참)
439   110

πx 1
y y=cos p<a<2p라 하면 함수 y=sin x- 의 그래프에서
1
2 2
1 1
p<x<a일 때 sin x- <- 이므로
å{t} 2 3 ∫{t} 2 2
x
O 1 4
y=t 1 1
|sin x- |> 이다. II
πx 2 2
-1 y=sin
5 2 따라서 조건 ㈎를 만족시키지 않으므로
x=
2
0<aÉp이다. yy`㉠
'2 y
ㄴ. 0ÉtÉ 일 때
2 1
2
px
a(t)는 곡선 y=sin  와 직선 y=t가 만나는 두 교점의 x좌표 π 2π
2 O x
중 작은 값과 같고, 1
-
2 1
px y=sin`x-
b(t)는 곡선 y=cos  와 직선 y=t가 만나는 두 교점의 x좌표 2
2 x=a
중 큰 값과 같다.
이때 b(0)-a(0)=3-0=3이고, Ú k>0인 경우
px 1 3
곡선 y=sin  를 x축의 방향으로 3만큼 평행이동시키면 a<x<2p에서 함수 y=k sin x- 은 x= p일 때
2 2 2
px 3 1 1
곡선 y=cos  와 일치한다. 최솟값 k sin  p- =-k- 을 갖는다.
2 2 2 2
πx y
y y=cos 1 3
1 2 π
Â2 2 2
2 3 1 O π 2π
y=t  - x
3 2
O 1 1 2 ∫{t} 4 x 1
2 -k- y=f{x}
å{t} 2
-1 πx
y=sin
2 x=a

'2 1
∴ {t|b(t)-a(t)=b(0)-a(0)}=[t|0ÉtÉ
‌ ] (참) 따라서 함수 | f(x)|의 최댓값은 k+ 이고,
2
2
1 1 1
ㄷ. a(tÁ)=a(tª)이고
‌ tª-tÁ= 을 만족시키는 tÁ, tª의 위치는 k+ > 이므로 조건 ㈎를 만족시키지 않는다.
2 2 2
다음 그림과 같다. Û k=0인 경우

t™
y πx ( sin x- 1 (0Éx<a)
y=cos 2
1
2
함수 f(x)={ 이고,
1
2
t¡ 1
9 -2 (aÉxÉ2p)
O å{t¡} 2 3 4 x
방정식 f(x)=0의 실근의 개수는 2 이하이므로
=

å{t™} πx 조건 ㈏를 만족시키지 않는다.


y=sin
2
y
1
즉, a(tÁ)=a(tª)=k`{0<k< }라 하면
1
2 2
π 2π
pk pk  O x
tª=cos  , tÁ=sin  이므로
2 2 1
- y=f{x}
pk pk 1 2
cos  -sin  = 이다.
2 2 2 x=a
이때 양변을 제곱하면
Ü k<0인 경우
pk pk pk pk 1
cosÛ`  +sinÛ`  -2 cos  sin  = 0<a<p이면 sin a>0이므로
2 2 2 2 4
1 1
1 f(x)=k sin a- <- 이다.
1-2tÁtª= 2 2
4
1
3 따라서 | f(a)|> 이고 조건 ㈎를 만족시키지 않으므로
∴ tÁtª= (거짓) 2
8
㉠에 의하여 a=p이다.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이다.
조건 ㈏에서 방정식 f(x)=0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가 3이므로

Ⅱ. 삼각함수 95

해설.indb 95 22. 9. 5. 오후 3:56


3
f { p}=0이다.
2 440  ②
y
2p
1 3
π
함수 f(x)=sin kx+2의 그래프는 주기가 인 함수 y=sin kx의
2 2 k
 π 2π 그래프를 y축의 방향으로 2만큼 평행이동한 것이고,
O x
2p p
1 함수 g(x)=3 cos 12x는 주기가 = 이므로
- y=f{x}
12 6
2
다음 그림과 같이 곡선 y= f(x), y=g(x)는 각각
1 1 (2m-1)p np
즉, k_(-1)- =0이므로 k=- 이다.
2 2 직선 x= 와 직선 x=
12
에 대하여 대칭이다.
2k
Ú, Û, Ü에 의하여 구하는 함수 f(x)는
 (단, m과 n은 모든 정수)
( sin x-
1
(0Éx<p) y
2
f(x)={ y=f{x}
1 1
9 - 2  sin x- 2 (pÉxÉ2p) 2
… …
1
1
함수 y=| f(x)|의 그래프와 직선 y= 이 만나는 점의 x좌표를 작 2π 3π π π O π π 3π 2π x
4 - - - -
k 2k k 2k 2k k 2k k
은 수부터 크기순으로 aÁ, aª, a£, a¢, a°, a¤이라 하자.
y y
1 3 y=g{x}
2 y=|f{x}|
1
y= π π
4 -
 O å™ å£ π 2π x 6 6
π O π x
1 å¡ å¢ å∞ å§ -
- 3 3
2
π 3 … …
x= x= π
2 2 -3
이때 위의 그림에서
이때 두 곡선 y= f(x), y=g(x)의 교점의 y좌표 a에 대하여
aÁ+a¢ p aª+a£ p a°+a¤ 3
 = , = , = p이므로 {x| f(x)=a},{x|g(x)=a}를 만족시키려면
2 2 2 2 2 2
S‌=aÁ+aª+a£+a¢+a°+a¤ 곡선 y= f(x)와 직선 y=a의 모든 교점은 곡선 y=g(x) 위의
=p+p+3p=5p 점이어야 한다.
p+5p 1 즉, 함수 y= f(x)의 그래프의 모든 대칭축이 함수 y=g(x)의
+k}‌=20{ - } ‌
a+S
∴ 20{
p p 2 그래프의 대칭축이어야 하므로
11 (2m-1)p
[ |m은 모든 정수],[ |n은 모든 정수]이다.
np
=20_ =110
2 2k 12
따라서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k는
6의 약수 1, 2, 3, 6으로 4개이다.

96 수학Ⅰ

해설.indb 96 22. 9. 5. 오후 3:56


삼각함수의 활용 444   20

삼각형 ABC의 외접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2이므로


사인법칙에 의하여
441  ④ a
=2_2, a=2'3
sin 60ù
삼각형 ABC의 외접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R라 하면
b II
12 =2_2, b=2'2
사인법칙에 의하여 =2R sin 45ù
sin 60ù
∴ aÛ`+bÛ`=20
∴ R=4'3

445  ③

442   c=2'6, R=2'2


삼각형 ABC의 세 내각의 크기의 합은 p이므로
A+B+C=180ù이므로 sin (B+C)=sin (p-A)=sin A이다.
A=75ù, B=45ù에서 C=60ù이다. 따라서 조건 ㈎에 의하여 9 sinÛ` A=4이므로
A 2
sin A= `(∵ 0<A<p에서 sin A>0)
3
c 4 삼각형 ABC에서 사인법칙에 의하여
BCÓ
45± 60± =12`(∵ 조건 ㈏)
B C sin A
삼각형 ABC에서 사인법칙에 의하여 2
∴ BCÓ=12 sin A=12_ =8
3
4 c
= =2R
sin 45ù sin 60ù
∴ c=2'6, R=2'2
다른 풀이
446  2

삼각형 ABC의 외접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R라 하면


c의 값은 다음과 같이 삼각비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R=3, a+b+c=12이고, 사인법칙에 의하여
A
a b c
45± = = =2R이므로
c sin A sin B sin C
30± 4
a b c
sin A+sin B+sin C‌= + +
45± 60± 2R 2R 2R
B C
H
a+b+c 12
= = =2
점 A에서 선분 BC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2_3 6
직각삼각형 AHC에서 AHÓ=4 cos 30ù=2'3
AHÓ
직각삼각형 AHB에서 c=
cos 45ù
=2'6
447  ⑤

삼각형 ABC의 외접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R라 하면


사인법칙에 의하여
443   B=60ù, C=90ù 또는 B=120ù, C=30ù
sin A=
a
, sin C=
c
이므로
2R 2R
삼각형 ABC에서 사인법칙에 의하여
a sin A=c sin C에 대입하면
2 2'3 '3
= 이므로 sin B= a c
sin 30ù sin B 2 a_ =c_
2R 2R
A 30±
aÛ`=cÛ`에서 a=c (∵ a>0, c>0)
2Â3 따라서 삼각형 ABC는 a=c인 이등변삼각형이다.

B C

이때 0ù<B<180ù이므로
2
448  ⑤

B=60ù 또는 B=120ù이다. 삼각형 ABC에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A+B+C=180ù이므로 bÛ`‌=cÛ`+aÛ`-2ca cos B
B=60ù일 때, C=90ù이고 =2Û`+3Û`-2_2_3_cos 60ù=7
B=120ù일 때, C=30ù이다. ∴ b='7 (∵ b>0)

Ⅱ. 삼각함수 97

해설.indb 97 22. 9. 5. 오후 3:56


449  ③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6'2)Û`=aÛ`+6Û`-2_a_6_cos 45ù
삼각형 ABC에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aÛ`-6'2a-36=0
bÛ`+cÛ`-aÛ` ∴ a=3'2+3'6 (∵ a>0)
cos A‌=
2bc
3Û`+8Û`-7Û` 1 TIP
= =
2_3_8 2 A=105ù, C=45ù이므로 B=30ù이고, b=6이므로 사인법칙에
∴ A=60ù (∵ 0ù<A<180ù) 의하여
6 a
=
sin 30ù sin 105ù
450  ⑤ 이때 a=12 sin 105ù이지만 sin 105ù의 값을 구하지 못하므로 본
풀이와 같이 c의 값을 구한 후 a의 값을 구한다.
BCÓ=x라 하면
삼각형 ABC에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다른 풀이
('¶21)Û`=xÛ`+4Û`-2_x_4_cos 60ù
a의 값은 다음과 같이 삼각비를 이용하여 구할 수도 있다.
xÛ`-4x-5=0, (x+1)(x-5)=0
점 A에서 선분 BC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x>0이므로 x=5
직각삼각형 AHC에서 A
∴ BCÓ=5
AHÓ=6 cos 45ù=3'2, 60± 6
45±
CHÓ=6 sin 45ù=3'2
30± 45±
B C
따라서 직각삼각형 AHB에서
451  ①
BHÓ=AHÓ tan 60ù=3'6
a
H

ABÓ=3, ADÓ=4, BFÓ=6이므로 ∴ a=BHÓ+CHÓ=3'2+3'6


BDÓ=¿¹3Û`+4Û`=5
BGÓ=¿¹4Û`+6Û`=2'¶13
GDÓ=¿¹3Û`+6Û`=3'5 454  ⑤
따라서 삼각형 BDG에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BCÓ=a라 하면 삼각형 ABC에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BDÓ Û`+GDÓ Û`-BGÓ Û` 4
cos h= aÛ`=5Û`+7Û`-2_5_7_ =18이므로
2_BDÓ_GDÓ 5
5Û`+(3'5)Û`-(2'¶13)Û` a=3'2 (∵ a>0) yy ㉠
= 4
2_5_3'5 0ù<A<180ù이므로 cos A= 에서
5
3'5
= 3
25 sin A=¿¹1-cosÛ` A=  yy ㉡
5
이때 삼각형 ABC에서 사인법칙에 의하여
a
452  ① sin A
=2R이므로 ㉠, ㉡을 대입하면

3'2
삼각형 ABC에서 사인법칙에 의하여 =2R
3
sin A`:`sin B`:`sin C=a`:`b`:`c이므로 5
a=7k, b=6k, c=5k (k>0)로 놓을 수 있다. 5'2
∴ R=
삼각형 ABC에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2
bÛ`+cÛ`-aÛ`
cos A‌=
2bc
21'5
=
36kÛ`+25kÛ`-49kÛ` 1
2_6k_5k
=
5
455   10

삼각형 ABC에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7Û`+4Û`-9Û` 2
cos A= =-
2_7_4 7
453   3'2+3'6
0ù<A<180ù이므로
A+B+C=180ù이므로 B=30ù이다. 3'5
sin A=¿¹1-cosÛ` A=
7
이때 삼각형 ABC에서 사인법칙에 의하여
삼각형 ABC의 외접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R라 하면
c 6
=    ∴ c=6'2 yy TIP
sin 45ù sin 30ù 사인법칙에 의하여

98 수학Ⅰ

해설.indb 98 22. 9. 5. 오후 3:56


BCÓ 9
sin A
=2R,
3'5
=2R 460  ②
7 삼각형 ABC의 세 내각의 크기의 합은 p이므로
21'5 2
∴ R=
10 cos (A+C)=cos (p-B)=-cos B=
5
2
cos B=-
5 II
2 '¶21
∴ sin B=¿¹1-cosÛ` B=¾Ð1-{- }Û`=
456  ④ 5 5
따라서 삼각형 ABC의 넓이는
삼각형 ABC에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1 1 '¶21
ACÓ Û`=(2'3)Û`+5Û`-2_2'3_5_cos 30ù=7 _ABÓ_BCÓ_sin B= _4_5_ =2'¶21
2 2 5
∴ ACÓ='7 (∵ ACÓ>0)
이 연못의 반지름의 길이를 R(m)라 하면
사인법칙에 의하여 461  ④

ACÓ '7 삼각형 ABC의 넓이가 9'2이므로


=2R, R= ='7
sin 30ù 1 1
2_ _3'2_12_sin A=9'2
2 2
따라서 구하는 연못의 넓이는 pRÛ`=7p (mÛ`) 1
sin A=  yy TIP
2
5 p
∴ A= p (∵ <A<p)
6 2
457  ② TIP

삼각형 ABC의 외접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R라 하면 넓이가 9'2`cmÛ`이고 ABÓ=3'2`cm, ACÓ=12`cm인


a c 삼각형 ABC는 다음과 같이 두 가지가 있다.
사인법칙에 의하여 sin A= , sin C=
2R 2R p
❶ 0<A<
‌ 인 경우
cÛ`+aÛ`-bÛ` 2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cos B= 이므로
2ca 1 p
sin A= 에서 A=
sin A=2 cos B sin C에 대입하면 2 6
a cÛ`+aÛ`-bÛ` c B
=2_ _ 3Â2 L
2R 2ca 2R 6
A C
bÛ`-cÛ`=0, (b+c)(b-c)=0 12
b>0, c>0이므로 b=c p
❷ ‌ <A<p인 경우
따라서 삼각형 ABC는 b=c인 이등변삼각형이다. 2
1 5
sin A= 에서 A= p
2 6
5
L
458  ① B
3Â2
6

C
삼각형 ABC에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L A 12
6
bÛ`+cÛ`-aÛ` aÛ`+bÛ`-cÛ`
cos A= , cos C= 이므로
2bc 2ab
a cos C-c cos A=b에 대입하면

a_
aÛ`+bÛ`-cÛ`
-c_
bÛ`+cÛ`-aÛ`
=b
462  ②
2ab 2bc
부채꼴 AOB의 반지름의 길이는 12이고, 중심각의 크기는
aÛ`+bÛ`-cÛ`-(bÛ`+cÛ`-aÛ`)=2bÛ`
p
2aÛ`-2cÛ`=2bÛ`, aÛ`=bÛ`+cÛ` 30ù= 이므로 부채꼴 AOB의 넓이는
6
따라서 삼각형 ABC는 A=90ù인 직각삼각형이다. 1 p
_12Û`_ =12p
2 6
삼각형 BOC의 넓이는
1 p 1 1
459  ③ 2
_OBÓ_OCÓ_sin  = _12_4_ =12
6 2 2
구하는 삼각형 ABC의 넓이는 ∴ (색칠한
‌ 부분의 넓이)
1 =(부채꼴 AOB의 넓이)-(삼각형 BOC의 넓이)
_10_8_sin 60ù=20'3
2 =12p-12

Ⅱ. 삼각함수 99

해설.indb 99 22. 9. 5. 오후 3:56


463   풀이 참조 A
120±
10
D
6
⑴ 삼각형 ABC에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5Û`+4Û`-6Û` 1 B C
cos A= = 10
2_5_4 8
1 두 삼각형 ABD와 CDB가 서로 합동이므로
⑵ 0ù<A<180ù이고, cos A= 이므로
8 (평행사변형 ABCD의 넓이)‌=2_(삼각형 ABD의 넓이)
1 3'7 1
sin A=¿¹1-cosÛ` A=®É1-{ }Û`= =2_{ _ABÓ_ADÓ_sin 120ù} ‌
8 8 2
1 '3
⑶ ABÓ=5, CAÓ=4, sin A=
3'7
이므로 삼각형 ABC의 넓이는 =2_{ _6_10_ }=30'3
8 2 2
1 1 3'7 15'7
_ABÓ_ACÓ_sin A= _5_4_ =
2 2 8 4

채점 요소 배점
465  ②

cos A의 값 구하기 40 % 0ù<h<180ù이므로


4 3
30 %
sin h=¿¹1-cosÛ` h=¾¨1-{ }Û`=
sin A의 값 구하기
5 5
삼각형 ABC의 넓이 구하기 30 %
사각형 ABCD의 넓이는
1 1 3
참고 _ACÓ_BDÓ_sin h= _5_6_ =9
2 2 5
세 변의 길이가 a, b, c인 삼각형의 넓이 S는 다음과 같다.

S="Ãs(s-a)(s-b)(s-c) {단, s= }
a+b+c
2
이 공식을 이용하여 문제에서 삼각형 ABC의 넓이를 466  ②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두 원 CÁ, Cª의 반지름의 길이를 각각 RÁ, Rª라 하자.


삼각형 ABC의 세 변의 길이는 4, 5, 6이므로 원 CÁ에 내접하는 삼각형에서 사인법칙에 의하여
4+5+6 15 6
s= = 이다. =2RÁ, RÁ=2'3
2 2 sin 60ù
15 15 15 15 15'7 원 Cª에 내접하는 삼각형에서 사인법칙에 의하여
∴ S=¾¨ { -4}{ -5}{ -6}=
2 2 2 2 4 6
=2Rª, Rª=3'2
하지만 학교 시험에서 본풀이와 같이 코사인법칙을 이용하여 sin 45ù
삼각형의 넓이를 구하는 서술형 문항이 종종 출제되므로 따라서 두 원의 넓이의 합은
위의 공식(헤론의 공식}을 이용하는 것보다 코사인법칙을 p(RÁ)Û`+p(Rª)Û`=(2'3)Û`p+(3'2)Û`p=30p
이용하여 풀이하는 연습을 하자.

467  ④

ADÓ=BDÓ=CDÓ이므로 세 점 A, B, C는 점 D를 중심으로 하는
464   30'3 한 원 위의 점이다.
따라서 삼각형 ABC의 외접원의 반지름이 BDÓ이고,
B=180ù-A=180ù-120ù=60ù이다.
∠ABC=180ù-(20ù+40ù)=120ù이므로
A
D
삼각형 ABC에서 사인법칙에 의하여
6
ACÓ
60±
=2 BDÓ
B C
sin (∠ABC)
10 8 8 8'3
∴ BDÓ= = =
두 삼각형 ABC와 CDA는 서로 합동이므로 2 sin 120ù '3 3
2_
(평행사변형 ABCD의 넓이)‌=2_(삼각형 ABC의 넓이) 2
1
=2_{ _ABÓ_BCÓ_sin 60ù} ‌
2
1
=2_{ _6_10_
'3
} ‌
468  ②
2 2
A+B+C=p이므로
=30'3
sinÛ`(A+B)=sinÛ`(B+C)+sinÛ`(A+C)에서
다른 풀이 sinÛ`(p-C)=sinÛ`(p-A)+sinÛ`(p-B)
ADÓ=BCÓ=10이다. sinÛ` C=sinÛ` A+sinÛ` B yy ㉠

100 수학Ⅰ

해설.indb 100 22. 9. 5. 오후 3:56


이때 삼각형 ABC의 외접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R라 하면
사인법칙에 의하여
470  ③

a b c 삼각형 ABC에서 사인법칙에 의하여


sin A= , sin B= , sin C= 이므로
2R 2R 2R 6 ACÓ
= , ACÓ=12 sin B
㉠에 대입하면 sin 30ù sin B
이때 0ù<B<150ù이므로 0<sin BÉ1
{ }`={ }`+{ }`
c Û a Û b Û
2R 2R 2R 따라서 0<ACÓÉ12이므로 II
∴ cÛ`=aÛ`+bÛ` sin B=1, 즉 B=90ù일 때 선분 AC의 길이의 최댓값은 12이다.
p
따라서 삼각형 ABC는 C= 인 직각삼각형이다.
2 참고

삼각형 ABC의 외접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R라 하면


6
사인법칙에 의하여 =2R, R=6
469  ④ sin 30ù
따라서 선분 AC가 삼각형 ABC의 외접원의 지름일 때
조건 ㈎에서 최댓값 12를 갖는다.
(1-sinÛ` A)-(1-sinÛ` B)+(1-sinÛ` C)=1
sinÛ` B=sinÛ` A+sinÛ` C  yy`㉠ C

삼각형 ABC의 외접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R라 하면 12


6
O
사인법칙에 의하여 30±
A B
a b c
sin A= , sin B= , sin C= 이므로
2R 2R 2R
㉠에 대입하면

{ }`={ }`+{ }`
b Û a Û c Û
2R 2R 2R
∴ bÛ`=aÛ`+cÛ` yy`㉡
471  ⑤

p ∠AQP=∠ARP=90ù이므로
따라서 삼각형 ABC는 B= 인 직각삼각형이다.
2 네 점 A, Q, P, R는 한 원 위의 점이다.
C A

b
a
10 6
8
A B Q
c P R
조건 ㈏에서
B C
a 6
tan (p-A)=-tan A=-
c 선분 AP는 삼각형 AQR의 외접원의 지름이므로
p p p p
tan { -B}=tan { - }=-tan  =-1 삼각형 AQR에서 사인법칙에 의하여
4 4 2 4
QRÓ
c =APÓ=6, QRÓ=6 sin A yy ㉠
tan (p+C)=tan C= sin A
a
이때 삼각형 ABC는 C=90ù인 직각삼각형이므로
이므로
6 3
3a c sin A= =
- +1+ =3 10 5
c a
이를 ㉠에 대입하면
양변에 ac를 곱하여 정리하면
3 18
3aÛ`+2ac-cÛ`=0 QRÓ=6_ =
5 5
(a+c)(3a-c)=0
∴ c=3a`(∵ a>0, c>0) yy`㉢
이때 삼각형 ABC의 넓이가
1 3
472  ②
ac= aÛ`=30이므로 aÛ`=20
2 2 삼각형 PAB에서 ∠PAB=75ù, ∠PBA=45ù이므로
∴ a=2'5, c=6'5, b=10'2`(∵ ㉡, ㉢) ∠APB=60ù이다.
직각삼각형 ABC에서 선분 AC가 외접원의 지름이므로 이때 ABÓ=30이므로
b 삼각형 PAB에서 사인법칙에 의하여
외접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5'2이고,
2 APÓ 30
= , APÓ=10'6
넓이는 (5'2)Û`p=50p이다. sin 45ù sin 60ù

Ⅱ. 삼각함수 101

해설.indb 101 22. 9. 5. 오후 3:56


직각삼각형 APQ에서 ∠PAQ=30ù이므로 aÛ`+cÛ`-bÛ 9kÛ`+25kÛ`-49kÛ` 1
cos B= = =-
PQÓ=10'6_tan 30ù=10'2`(m) 2ac 2_3k_5k 2
2
∴ B= p (∵ 0<B<p)
3

473  ⑤ TIP
삼각형의 세 내각에 대하여 마주보는 변의 
∠ACB=52ù-22ù=30ù이므로
길이가 클수록 각의 크기가 크다.
삼각형 ABC에서 사인법칙에 의하여
BCÓ 200
= , BCÓ=400 sin 22ù
sin 22ù sin 30ù
C
30±
476  ⑤
22± 52±
A 200`m B H 세 꼭짓점 A, B, C에서 각각 마주보는 변 또는 그 연장선에 내린 수
점 C에서 직선 AB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선의 길이를 2k, 3k, 4k`(k>0)라 하면 삼각형 ABC의 넓이는
구하는 강폭의 길이는 1 1 1
_a_2k= _b_3k= _c_4k에서
2 2 2
CHÓ‌=BCÓ_sin 52ù=400 sin 22ù sin 52ù
a b c
=400_0.37_0.78=115.44`(m) 2a=3b=4c, = = 이므로 a : b : c=6 : 4 : 3이다.
6 4 3
따라서 a=6m, b=4m, c=3m`(m>0)이라 하면
삼각형 ABC에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474   ⑴ 3'2`km  ⑵ 3'6`km
cos h‌=cos (∠BAC)=
bÛ`+cÛ`-aÛ`

삼각형 BCD에서 ∠BCD=105ù, ∠DBC=30ù이므로 2bc
(4m)Û`+(3m)Û`-(6m)Û` 11
∠BDC=45ù이다. = =-
2_4m_3m 24
이때 ∠BAC=45ù이므로 네 점 A, B, C, D는 한 원 위에 있다.
A

45± D 477  ④
6`km 45±
A+B+C=p이므로 조건 ㈎에서
30± 105± sin A+sin B=2 sin(p-A)
B C
sin A+sin B=2 sin A, sin A=sin B
∠ABC=90ù이므로 선분 AC는 이 원의 지름이고 이때 삼각형 ABC의 외접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R라 하면
∠BCA=∠BAC=45ù, ABÓ=6이므로 ACÓ=6'2이다. a b
사인법칙에 의하여 sin A= , sin B= 이므로
즉, 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R라 하면 R=3'2이다. 2R 2R
⑴ 삼각형 BCD에서 ∠DBC=30ù이므로 사인법칙에 의하여 a b
=    ∴ a=b yy ㉠
2R 2R
CDÓ
=2_3'2 또한, 삼각형 ABC에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sin 30ù
∴ CDÓ=3'2`(km) aÛ`+cÛ`-bÛ`
cos B= 이므로 조건 ㈏에서
2ac
⑵ ‌∠DAC=∠DBC=30ù이고,
a
삼각형 ADC는 ∠ADC=90ù인 직각삼각형이므로 2R aÛ`+cÛ`-bÛ`
'3 =    ∴ aÛ`+bÛ`=cÛ` yy ㉡
c 2ac
ADÓ=ACÓ cos 30ù=6'2_ =3'6`(km)
2 2R
㉠, ㉡에 의하여 삼각형 ABC는 C=90ù인 직각이등변삼각형이다.

475  ③

sin A sin B sin C


478  ⑤
= = 에서
3 7 5 삼각형 ABC에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sin A`:`sin B`:`sin C=3`:`7`:`5이다. cÛ`=aÛ`+bÛ`-2ab cos C이므로
이때 사인법칙에 의하여 이를 3cÛ`=3aÛ`+2ab+3bÛ`에 대입하면
sin A`:`sin B`:`sin C=a`:`b`:`c이므로 3(aÛ`+bÛ`-2ab cos C)=3aÛ`+2ab+3bÛ`
a=3k, b=7k, c=5k (k>0)로 놓을 수 있다. 3aÛ`+3bÛ`-6ab cos C=3aÛ`+2ab+3bÛ`
가장 큰 각은 B이므로 yy TIP 1
∴ cos C=-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3

102 수학Ⅰ

해설.indb 102 22. 9. 5. 오후 3:56


p
이때
2
<C<p이므로 481  ①
tan C=-2'2 선분 AB가 지름이므로
∴ tan(A+B)=tan(p-C)=-tan C=2'2 삼각형 APB는 ∠APB=90ù인 직각삼각형이다.
따라서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하여 PBÓ=2'3
P
2Â3 II
479  ① 4
Â7
D

D O 2D B
A+B+C=p이므로 A
Â7 Â7
sinÛ` A cos(A+C)=cos(B+C)sinÛ` B에서
sinÛ` A cos(p-B)=cos(p-A)sinÛ` B
sinÛ` A(-cos B)=(-cos A)sinÛ` B OBÓ=OPÓ='7이고,
sinÛ` A cos B=cos A sinÛ` B yy ㉠ ∠PAB=∠APO=h에서 ∠POB=2h이므로
이때 삼각형 ABC의 외접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R라 하면 삼각형 OPB에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a b OPÓ Û`+OBÓ Û`-PBÓ Û`
사인법칙에 의하여 sin A= , sin B= cos 2h=
2R 2R
2_OPÓ_OBÓ
또한, 삼각형 ABC에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7 )Û`+('7)Û`-(2'3)Û` 1
bÛ`+cÛ`-aÛ` cÛ`+aÛ`-bÛ` = =
cos A= , cos B= 이므로 2_'7_'7 7
2bc 2ca
이를 각각 ㉠에 대입하면

{
a Û cÛ`+aÛ`-bÛ` bÛ`+cÛ`-aÛ`
2R
}`_
2ca
=
2bc
_{ }`
b Û
2R
482  ④

a(cÛ`+aÛ`-bÛ`)=(bÛ`+cÛ`-aÛ`)b 정육각형의 한 내각의 크기는 120ù이므로  yy TIP


aÜ`-bÜ`+aÛ`b-abÛ`+acÛ`-bcÛ`=0 ∠MCD=120ù, MCÓ=2, CDÓ=4이다.
(a-b)(aÛ`+ab+bÛ`)+(a-b)ab+(a-b)cÛ`=0 삼각형 CMD에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a-b)(aÛ`+2ab+bÛ`+cÛ`)=0 MDÓ Û`‌=2Û`+4Û`-2_2_4_cos 120ù
1
(a-b){(a+b)Û`+cÛ`}=0 =4+16-16_{- }=28
2
이때 (a+b)Û`>0, cÛ`>0이므로 a=b
∴ MDÓ=2'7`(∵ MDÓ>0)
따라서 삼각형 ABC는 a=b인 이등변삼각형이다.
따라서 삼각형 CMD에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2Û`+(2'7)Û`-4Û` 2 2'7
cos h= = =
2_2_2'7 '7 7
480   풀이 참조 TIP
정육각형 ABCDEF가 세 대각선 AD, BE, CF에 의하여 나누
삼각형 ABC에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어진 6개의 삼각형이 모두 정삼각형이므로 정육각형의 한 내각의
bÛ`+cÛ`-aÛ` cÛ`+aÛ`-bÛ`
cos A= , cos B= 이므로 크기는 120ù임을 알 수 있다.
2bc 2ca
a cos A=b cos B에 대입하면
bÛ`+cÛ`-aÛ` cÛ`+aÛ`-bÛ`
a_ =b_ 8'6
2bc 2ca
aÛ`(bÛ`+cÛ`-aÛ`)=bÛ`(cÛ`+aÛ`-bÛ`)
483   3

aÛ`bÛ`+aÛ`cÛ`-aÝ`=bÛ`cÛ`+aÛ`bÛ`-bÝ` 삼각형 ABC에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aÝ`-bÝ`-aÛ`cÛ`+bÛ`cÛ`=0 6Û`+6Û`-4Û` 7
cos A= =  yy ㉠
2_6_6 9
(aÛ`-bÛ`)(aÛ`+bÛ`)-(aÛ`-bÛ`)cÛ`=0
삼각형 ABD에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aÛ`-bÛ`)(aÛ`+bÛ`-cÛ`)=0
Û 128
(a-b)(a+b)(aÛ`+bÛ`-cÛ`)=0 BDÓ `=10Û
`+6Û`-2_10_6_cos A= (∵ ㉠)
3
a>0, b>0이므로 a=b 또는 cÛ`=aÛ`+bÛ`이다. 8'6
∴ BDÓ= (∵ BDÓ>0)
따라서 삼각형 ABC는 3
a=b인 이등변삼각형 또는 C=90ù인 직각삼각형이다. 다른 풀이

채점 요소 배점 이등변삼각형 ABC에서 선분 BC의 중점을 M이라 하면


주어진 식에 cos A=
bÛ`+cÛ`-aÛ`
, cos B=
cÛ`+aÛ`-bÛ`
대입하기 40 % CMÓ=2이므로
2bc 2ca
2 1
삼각형 ABC가 어떤 삼각형인지 말하기 60 % cos(∠ACB)= =
6 3

Ⅱ. 삼각함수 103

해설.indb 103 22. 9. 5. 오후 3:56


cos(∠DCB)‌=cos(p-∠ACB)
=-cos(∠ACB)
487  ①

1 ∠DCG=h (0<h<p)이므로 ∠BCE=p-h
=-
3 삼각형 CGD에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삼각형 BDC에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DGÓ Û`=3Û`+4Û`-2_3_4_cos`h
1 128
BDÓ Û`=4Û`+4Û`-2_4_4_{- }= =25-24 cos`h
3 3
삼각형 CBE에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8'6
∴ BDÓ=
3
(∵ BDÓ>0) BEÓ Û`=3Û
 `+4Û`-2_3_4_cos`(p-h)
=25-24 cos`(p-h)
=25+24 cos`h
484  ⑤
이때 sin`h=
'1Œ1
이므로 cosÛ``h=1-sinÛ``h=
25
6 36
BCÓ=BDÓ+CDÓ=6+3=9이므로
∴ DGÓ_BEÓ="Ã(25-24 cos`h)(25+24 cos`h)
삼각형 ABC에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Ã25Û`-24Û`_cosÛ``h 
4Û`+9Û`-7Û` 2
cos B= =  yy ㉠ 25
2_4_9 3 =¾Ð25Û`-24Û`_
36
삼각형 ABD에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225=15
Û
ADÓ `=4Û
`+6Û`-2_4_6_cos B=20 (∵ ㉠)
∴ ADÓ=2'5 (∵ ADÓ>0)

488   21
485  ①
ABÓ`:`ACÓ=3`:`1이고 ACÓ=k (k>0)이므로
∠BAD=∠CAD이므로 ABÓ=3k이다.
ABÓ`:`ACÓ=BDÓ`:`CDÓ 삼각형 ABC에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즉, 3`:`2=BDÓ`:`CDÓ이고 BDÓ+CDÓ=10이므로 p
BCÓ Û`=kÛ`+(3k)Û`-2_k_3k_cos`
3
BDÓ=6, CDÓ=4
1
삼각형 ABC에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kÛ`+9kÛ`-2_k_3k_ =7kÛ`
2
12Û`+10Û`-8Û` 3
cos B= =  yy ㉠ ∴ BCÓ='7k`(∵ BCÓ>0)
2_12_10 4
삼각형 ABC의 외접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7이므로
삼각형 ABD에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Û 사인법칙에 의하여
ADÓ `=12Û
`+6Û`-2_12_6_cos B=72 (∵ ㉠)
∴ ADÓ=6'2 (∵ ADÓ>0) BCÓ '7k
=2_7, =14
sin`A p
sin`
3
'3
486  ⑤ k=14_sin`
p 1 1
_ =14_ _ ='2Œ1
3 '7 2 '7
삼각형 ABC에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 kÛ`=('¶21)Û`=21
('¶14) Û`+5Û`-3Û` 3'¶14
cos B= = 이므로
2_'¶14_5 14
'¶70
sin B=¿¹1-cosÛ` B=
14
489  ②

따라서 삼각형 ABD에서 사인법칙에 의하여 사각형 ABDC가 원에 내접하므로


ADÓ '¶14 2
= ∠D=p-∠A= p
sin B sin 30ù 3
∴ ADÓ=2'5 이때 삼각형 BCD도 반지름의 길이가 2'7인 원에 내접하는 삼각형
이다.
참고
삼각형 BCD에서 사인법칙에 의하여
선분 BC의 연장선 위의 점 D가 다음과 같을 때에도 선분 AD의
BCÓ BDÓ
길이는 같다. = =2_2'7
2 sin 
(∠BCD)
sin` p
A 3
3 2 '3
30æ ∴ BCÓ=2_2'7_sin` p=4'7_ =2'2Œ1
Â14° 3 2
D C 2'7
B 5 BDÓ=2_2'7_sin (∠BCD)=4'7_ =8
7

104 수학Ⅰ

해설.indb 104 22. 9. 5. 오후 3:56


한편, CDÓ=x라 하면 삼각형 BCD에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1
③ cos C=cos(p-A)=-cos A=- 이므로
2 3
BCÓ Û`=BDÓ Û`+CDÓ Û`-2_BDÓ_CDÓ_cos` p
3 삼각형 BCD에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1 1
(2'2Œ1)Û`=8Û`+xÛ`-2_8_x_{- } BDÓ Û`=10Û`+6Û`-2_10_6_{- }=176
2 3
xÛ`+8x-20=0, (x+10)(x-2)=0   ∴ BDÓ=4'¶11 (∵ BDÓ>0) (참)
∴ x=2 (∵ x>0) ④ ‌외접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R라 하면 II
∴ BDÓ+CDÓ=8+2=10 사인법칙에 의하여
BCÓ 5
삼각형 ABC에서 sin(∠BAC)= =
2R R
CDÓ 3
490  ④ 삼각형 ACD에서 sin(∠DAC)=
2R
=
R
5
∠BAC=h라 하면 삼각형 ABC에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sin(∠BAC) R 5
∴ = = (거짓)
7Û`+8Û`-9Û` 2 sin(∠DAC) 3 3
cos h= =
2_7_8 7 R
2 3'5 ⑤ ③에서 BDÓ=4'¶11이고,
∴ sin h=¾Ð1-{ }Û`=
7 7 1 2'2
cos A= 에서 sin A= 이므로
p 3 3
∠AQP=∠ARP= 이므로 네 점 A, Q, P, R는 선분 AP가
2 삼각형 ABD에서 사인법칙에 의하여
지름인 원 위의 점이다.
BDÓ 4'¶11 3'¶22
따라서 삼각형 AQR에서 사인법칙에 의하여 =2R, =2R, R=
sin A 2'2 2
QRÓ 3 7'5 3
APÓ= = =
sin h 3'5 5 99
즉, 외접원의 넓이는 pRÛ`= p이다. (참)
7 2
따라서 선지 중 옳지 않은 것은 ④이다.

491  ⑤

ㄱ. a=5이면 삼각형 ABC는 A=90ù인 직각삼각형이므로


493   17

선분 BC는 원의 지름이다. 사각형 ABPC가 원에 내접하므로


5 A+P=180ù에서 P=60ù이다.
즉, R= 이다. (참)
2 삼각형 BPC에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ㄴ. R=4이면 삼각형 ABC에서 사인법칙에 의하여 BCÓ Û`‌=xÛ`+yÛ`-2_x_y_cos 60ù
a =xÛ`+yÛ`-xy yy ㉠
=2_4이므로 a=8 sin A이다. (참)
sin A
삼각형 ABC에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ㄷ. 삼각형 ABC에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3Û`+4Û`-aÛ` 25-aÛ` BCÓ Û`=5Û`+3Û`-2_5_3_cos 120ù=49 yy ㉡
cos A= =
2_3_4 24 ㉠, ㉡에서 xÛ`+yÛ`-xy=49이고 x+y=10이므로
1 25-aÛ` (x+y)Û`-3xy=49, 10Û`-3xy=49
1<aÉ'¶13일 때 É <1이므로
2 24 ∴ xy=17
1
Écos A<1
2
∴ 0ù<AÉ60ù (∵ 0ù<A<180ù)
즉, ∠A의 최댓값은 60ù이다. (참) 494  ④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CAB=h라 하면 삼각형 ACB에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9Û`+9Û`-6Û` 7
cos h= =
2_9_9 9
이때 변 AB와 변 CD는 평행하므로
492  ④
∠DCA=∠CAB=h이고
① 사각형 ABCD가 원에 내접하므로 A+C=p이다. 삼각형 ACD는 이등변삼각형이므로
∴ sin(A+C)=sin p=0 (참) ∠CDA=h이다.
② 사각형의 네 내각의 크기의 합은 2p이므로 ∴ ∠DAB‌=∠DAC+∠CAB
A+B+C+D=2p에서 A+B=2p-(C+D)이다. =(p-2h)+h=p-h
∴ cos(A+B)=cos{2p-(C+D)}=cos(C+D) (참) 따라서 삼각형 DAB에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Ⅱ. 삼각함수 105

해설.indb 105 22. 9. 5. 오후 3:56


BDÓ Û`‌=9Û`+9Û`-2_9_9_cos (p-h) CDÓ BCÓ
= =2r
=2_9Û`+2_9Û`_cos h sin`h p
sin` 3
7
=2_9Û`+2_9Û`_ 2'3 p
9 ∴ CDÓ=2r sin`h= r, BCÓ=2r sin` ='3 r
3 3
=2_9_16
삼각형 BCD에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 BDÓ=12'2 (∵ BDÓ>0)
BCÓ Û`=BDÓ Û`+CDÓ Û`-2_BDÓ_CDÓ_cos (∠BDC)
2'3 Û` 2'3 1
('3 r)Û`=('2 )Û`+{ r} -2_'2 _ r_
495   27
4 2'6
3 3 2

3rÛ`=2+ rÛ`- r, 5rÛ`+2'6 r-6=0


선분 AB는 삼각형 ABC의 외접원의 지름이므로 3 3
p -'6Ñ6
삼각형 ABC는 ∠BCA= 인 직각삼각형이다. ∴ r=
2 5
1 6-'6
∠CAB=a라 하면 cos`a= 이고 sinÛ``a=1-cosÛ``a이므로 r>0이므로 r=
3 5
1 8
sinÛ``a=1-{ }Û`=
3 9

∴ sin`a=
2'2
(∵ 0<a<p)
497  ⑤
3
정사면체의 전개도는 다음과 같고, 전개도에서 점 M을 출발하여
따라서 직각삼각형 ABC에서
점 A에 이르는 최단 거리는 MA'Ó과 같다.
BCÓ=ABÓ`sin`a이므로
BCÓ 12'2 A O A'
ABÓ= = =18
sin`a 2'2 M
3
1 C B C'
ACÓ=ABÓ`cos`a=18_ =6
3
한편, 점 D는 선분 AB를 5`:`4로 내분하는 점이므로 이때 점 M은 선분 AB를 1 : 2로 내분하는 점이므로 AMÓ=1이고,

5 AA'Ó=6, ∠MAA'=60ù이므로
ADÓ=18_ =10 삼각형 AMA'에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9
삼각형 CAD에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MA'Ó Û`=1Û`+6Û`-2_1_6_cos 60ù=31
Û =6Û`+10Û`-2_6_10_cos`a
DCÓ `‌ ∴ MA'Ó='¶31 (∵ MA'Ó>0)`
1
=36+100-2_6_10_ =96
3
∴ DCÓ=4'6 (∵ DCÓ>0) 498  ⑤
삼각형 CAD의 외접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R라 하면
원뿔의 전개도는 다음과 같다.
사인법칙에 의하여
O
DCÓ 12 9
=2R D B
sin`a 3
A A'
DCÓ 4'6
∴ R= = =3'3
`2`sin`a 2'2
2_ 4
3
따라서 삼각형 CAD의 외접원의 넓이 S는
옆면인 부채꼴의 중심각의 크기를 h라 하면
S=p_(3'3 )Û`=27p
밑면인 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4이므로
S 27p
∴ = =27 2
p p 부채꼴의 호의 길이는 12h=8p, h= p
3
등산로의 최단 거리는 ABÓ이므로
496  ① 삼각형 AOB에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2
호 BC에 대한 원주각의 크기는 같으므로 ABÓ Û`=12Û`+9Û`-2_12_9_cos  p=333
3
p ∴ ABÓ=3'¶37`km (∵ ABÓ>0)
∠BDC=∠BAC=
3
삼각형 BCD의 외접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r이므로
사인법칙에 의하여
CDÓ BCÓ
499  ②
= =2r
sin (∠DBC) sin (∠BDC) 점 D에서 선분 AC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자.

106 수학Ⅰ

해설.indb 106 22. 9. 5. 오후 3:56


C 1 2'6
60 sin A=¿¹1-cosÛ` A=¾¨1-{- }Û`=
5 5
B
내접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r라 하면
30± 30±
240
삼각형 ABC의 넓이는
H D 1 1
r(a+b+c)= bc sin A에서
2 2
30± 1 1
_r_(7+5+4)= _5_4_
2'6 II
2 2 5
A
'6
CHÓ=120, ∠DCH=30ù이므로 ∴ r=
2
120
CDÓ= =80'3
cos 30ù
이때 ∠BCD=30ù이므로 502  ③
삼각형 BCD에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삼각형 ABC에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BDÓ Û`=60Û`+(80'3)Û`-2_60_80'3_cos 30ù
5Û`‌=bÛ`+cÛ`-2bc cos 120ù
∴ BDÓ=20'¶21`m (∵ BDÓ>0)
=bÛ`+cÛ`+bc
=(b+c)Û`-bc
500   32 =('¶37)Û`-bc
∴ bc=12
삼각형 ABC에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따라서 구하는 삼각형 ABC의 넓이는
('¶17 )Û`=('2 )Û`+bÛ`-2_'2_b_cos 135ù
1 1 '3
bÛ`+2b-15=0, (b+5)(b-3)=0 bc sin 120ù= _12_ =3'3
2 2 2
∴ b=3 (∵ b>0)
즉, ACÓ=3이므로

(삼각형 ABC의 넓이)‌=


1
2
_ABÓ_ACÓ_sin 135ù 503   풀이 참조

1 '2 3 삼각형 ABC에서 사인법칙에 의하여


= _'2_3_ =
2 2 2
a b c
= = =2R이다.
다른 풀이 sin A sin B sin C
1
점 B에서 직선 AC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자. 이때 삼각형 ABC의 넓이는 S= ab sin C이고
2
H
A c
sin C= 이므로
Â2
135± 2R
B C 1 c abc
S= ab_ =
Â17° 2 2R 4R
∠BAH=45ù이므로 AHÓ=BHÓ=1이다.
채점 요소 배점
따라서 직각삼각형 BHC에서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하여
사인법칙 유도하기 60 %
CHÓ=¿¹('¶17 )Û`-1Û` =4, ACÓ=3 삼각형의 넓이를 사인을 이용하여 표기하기 40 %
1
∴ (삼각형 ABC의 넓이)‌= _ACÓ_BHÓ
2
1 3
= _3_1=
2 2 504  4

삼각형 ABC의 외접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6이므로

501  ② 사인법칙에 의하여


a b c
= = =12이다.
삼각형 ABC에서 a=7, b=5, c=4라 하면 sin A sin B sin C
A a b c
즉, sin A= , sin B= , sin C=  yy`㉠
4
12 12 12
5
r
한편, 삼각형 ABC의 넓이를 S라 하면
B C 1 1 c abc
7 S= ab sin C= ab_ = `(∵ ㉠)
2 2 12 24
5Û`+4Û`-7Û` 1 또한, 삼각형 ABC의 내접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3이므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cos A= =-
2_5_4 5
1 3
0ù<A<180ù이므로 S= _3_(a+b+c)= (a+b+c)
2 2

Ⅱ. 삼각함수 107

해설.indb 107 22. 9. 5. 오후 3:56


abc 3 5'3 3'3 15
따라서 S= = (a+b+c)이므로 15'3= x+ x이므로 x=
24 2 2 2 4
a+b+c 1 15
=  yy`㉡ 따라서 선분 AD의 길이는 이다.
abc 36 4
a+b+c
sin A+sin B+sin C 12
∴ ‌= `(∵ ㉠)
sin A sin B sin C abc
12Ü`
508  ③

12Û`(a+b+c) 삼각형 ABC에서 선분 BC의 중점이 M이므로


=
abc 두 삼각형 BAM, CAM의 넓이는 서로 같다.
12Û` 1 1
= `(∵ ㉡) _8_AMÓ_sin a= _10_AMÓ_sin b
36 2 2
=4 sin a 5
∴ =
sin b 4

505  ③
509   풀이 참조
삼각형 ABC에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한 원에서 호의 길이는 그 호에 대한 중심각의 크기에 비례한다.
5Û`+6Û`-4Û` 3
cos (∠ABC)= = 이고 주어진 원의 중심을 O라 하면
2_5_6 4
∠ABE=∠ABC+90ù이므로 µAB`:`µ BC`:`µ CA=3`:`4`:`5=∠AOB`:`∠BOC`:`∠COA
sin (∠ABE)‌=sin (∠ABC+90ù) A
3
=cos (∠ABC)=
4
따라서 삼각형 ABE의 넓이는 O
C
1 1 3 45
_ABÓ_BEÓ_sin (∠ABE)= _5_6_ = B
2 2 4 4
이때 ∠AOB+∠BOC+∠COA=360ù이므로
3
∠AOB=360ù_ =90ù
3+4+5
506  ③
4
∠BOC=360ù_ =120ù
직각삼각형 ABC에서 BCÓ=4이므로 3+4+5
4 5
∠BAC=h라 하면 sin h=  yy ㉠ ∠COA=360ù_ =150ù
5 3+4+5
이때 ADÓ=3, AEÓ=5, ∠DAE=p-h이므로 ∴ (삼각형
‌ ABC의 넓이)
1 =(삼각형 AOB의 넓이)+(삼각형 BOC의 넓이)
(삼각형 ADE의 넓이)‌= _ADÓ_AEÓ_sin(p-h)
2  +(삼각형 COA의 넓이)
1 1 1
= _3_5_sin h=6 (∵ ㉠) = _6_6_sin 90ù+ _6_6_sin 120ù
2 2 2
1
 + _6_6_sin 150ù
2
'3 1
507  ④ 1
2
1
= _6_6_1+ _6_6_
2 2
+ _6_6_
2
1
2
삼각형 ABC의 넓이는 두 삼각형 ABD와 ACD의 넓이의 합과 =27+9'3
같다. ADÓ=x라 하면 채점 요소 배점
1 ∠AOB, ∠BOC, ∠COA의 크기 구하기 30 %
(삼각형 ABC의 넓이)‌= _ABÓ_ACÓ_sin 120ù
2
세 삼각형 AOB, BOC, COA의 넓이 구하기 50 %
1 '3
= _10_6_ =15'3 삼각형 ABC의 넓이 구하기 20 %
2 2
1
(삼각형 ABD의 넓이)‌= _ABÓ_ADÓ_sin 60ù
2
1
= _10_x_
2
'3 5'3
2
=
2
x 510   l= 15
2
, S=
16
7
p

1 삼각형 ABC의 외접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R라 하면


(삼각형 ACD의 넓이)‌= _ADÓ_ACÓ_sin 60ù
2 삼각형 ABC에서 사인법칙에 의하여
1 '3 3'3 a b c
= _x_6_ = x sin A= , sin B= , sin C= 이므로
2 2 2 2R 2R 2R

108 수학Ⅰ

해설.indb 108 22. 9. 5. 오후 3:56


a : b : c=sin A : sin B : sin C=4 : 5 : 6이다. c 2 a 2 b 2
ADÓ= , DBÓ= c, BEÓ= , ECÓ= a, CFÓ= , FAÓ= b
a=4k, b=5k, c=6k`(k>0)라 하면 yy ㉠ 3 3 3 3 3 3
c
삼각형 ABC에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3 A
aÛ`+bÛ`-cÛ` (4k)Û`+(5k)Û`-(6k)Û` 1 2
cos C= = = c D b
2ab 2_4k_5k 8 3 b
2
1 Û 3'7 c
이므로 sin C=¾Ð1-{ }`= 3 F
8 8
이다. b II
3
따라서 삼각형 ABC의 넓이는 B a E 2 C
a
1 1 3'7 15'7 15'7 3 3
ab sin C= _4k_5k_ = kÛ`= a
2 2 8 4 16
1 1 이때 삼각형 DEF의 넓이는 삼각형 ABC의 넓이에서
이므로 kÛ`= , k=
4 2 세 삼각형 ADF, BED, CEF의 넓이를 뺀 것과 같다.
5 삼각형 ABC의 넓이를 S라 하면
∴ a=2, b= , c=3`(∵ ㉠)
2 1 1 1
S= bc sin A= ca sin B= ab sin C이므로
c c 3 4 2 2 2
sin C= 에서 R= = =
2R 2 sin C 3'7 '7 1 c 2
2_ (삼각형 ADF의 넓이)‌= _ _ b_sin A
8 2 3 3
15 16 1 2
따라서 l=a+b+c= , S=pRÛ`= p이다. = bc sin A= S
2 7 9 9
1 a 2
(삼각형 BED의 넓이)‌= _ _ c_sin B
2 3 3
511  ⑤
1 2
= ca sin B= S
9 9
그림과 같이 접히기 전의 정삼각형을 ABC라 하고 색칠한 부분의 삼
1 b 2
각형을 DEF라 하자. (삼각형 CEF의 넓이)‌= _ _ a_sin C
2 3 3
A 1 2
= ab sin C= S
y 9 9
x
F 2 2 2 S
(삼각형 DEF의 넓이)=S- S- S- S=
D 9 9 9 3
y 8-y
8-x
60± ∴ (삼각형
‌ ABC의 넓이)`:`(삼각형 DEF의 넓이)
60± x 60±
B C S
6 E 2 =S`:` =3`:`1
3
점 E가 선분 BC를 3`:`1로 내분하고 BCÓ=8이므로
3 1
BEÓ=8_ =6, ECÓ=8_ =2이다.
4 4
이때 ADÓ=x라 하면 513  ②
DEÓ=x, DBÓ=8-x, ∠DBE=60ù이므로 PDÓ=x, PEÓ=y, PFÓ=z라 하면
삼각형 DBE에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한 변의 길이가 4'2인 정삼각형 ABC의 넓이는
26
xÛ`=6Û`+(8-x)Û`-2_6_(8-x)_cos 60ù, x= '3 1
5 _(4'2)Û`= _4'2_(x+y+z)
4 2
마찬가지로 AFÓ=y라 하면
에서 x+y+z=2'6 yy ㉠
FEÓ=y, FCÓ=8-y, ∠FCE=60ù이므로 A
삼각형 FCE에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26
yÛ`=2Û`+(8-y)Û`-2_2_(8-y)_cos 60ù, y= F
7 D xP z
∴ (삼각형
‌ DEF의 넓이)
y
1 60±
= xy sin 60ù B C
2 120± E

1 26 26 '3 169'3 한편, ∠DPE=∠DPF=∠EPF=120ù이므로


= _ _ _ =
2 5 7 2 35 (삼각형 DEF의 넓이)
1 1 1
= xy sin 120ù+ yz sin 120ù+ zx sin 120ù
2 2 2
512  ② 1
= (xy+yz+zx)sin 120ù='3
2
삼각형 ABC의 세 변 AB, BC, CA를 1`:`2로 내분하는 점이 에서 xy+yz+zx=4 yy ㉡
각각 D, E, F이므로 ㉠, ㉡에 의하여

Ⅱ. 삼각함수 109

해설.indb 109 22. 9. 5. 오후 3:56


xÛ`+yÛ`+zÛ`‌=(x+y+z)Û`-2(xy+yz+zx) BDÓ=13`(∵ BDÓ>0)
=(2'6)Û`-2_4=16 ∠BCD=h라 하면 삼각형 BCD에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 PDÓ `+ PEÓ Û`+ PFÓ Û`=16
Û 9Û`+10Û`-13Û` 1
cos h= =
2_9_10 15
1 Û 4'¶14
}`=
514  9 sin h=¿¹1-cosÛ` h=¾¨1-{
15 15
∴ (사각형
‌ ABCD의 넓이)
1
(사각형 ABCD의 넓이)‌= xy sin 30ù =(삼각형 ABD의 넓이)+(삼각형 BCD의 넓이)
2
1 1 1 4'¶14
= xy = _8_7_sin 120ù+ _9_10_
4 2 2 15
1 =14'3+12'¶14
= x(12-x)
4
참고
1
=- (x-6)Û`+9 헤론의 공식을 이용하여 삼각형 BCD의 넓이를 다음과 같이
4
따라서 사각형 ABCD의 넓이는 x=y=6일 때 최댓값 9를 갖는다. 구할 수 있다.
다른 풀이
삼각형 BCD의 세 변의 길이는 9, 10, 13이므로
9+10+13
1 1 s= =16
(사각형 ABCD의 넓이)= xy sin 30ù= xy yy ㉠ 2
2 4
∴ S="Ã16(16-9)(16-10)(16-13)=12'¶14
이때 x>0, y>0이므로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에 의하여
x+y¾2'¶xy
12¾2'¶xy (단, 등호는 x=y=6일 때 성립한다.)
1
517  ③
xyÉ36이므로 ㉠에서 xyÉ9이다.
4 사각형 ABCD의 넓이는 두 삼각형 ABC와 ADC의 넓이의 합과
따라서 사각형 ABCD의 넓이는 x=y=6일 때 최댓값 9를 갖는다. 같다.
ACÓ=x, CDÓ=y라 하자.
A
515  ④
4
4
평행사변형의 두 대각선은 서로 다른 것을 이등분하므로 x
B
두 대각선의 교점을 M이라 하면 1 60± D
C y
AMÓ=6, BMÓ=9이다.
∠AMB=h라 하면 삼각형 AMB에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6Û`+9Û`-(3'5)`Û 2 사각형 ABCD는 원에 내접하고 ∠ADC=60ù이므로
cos h= =
2_6_9 3 ∠ABC=180ù-60ù=120ù
2 Û '5 삼각형 ABC에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sin h=¾Ð1-{ }`=
3 3 xÛ`=4Û`+1Û`-2_4_1_cos 120ù, xÛ`=21, x='¶21 (∵ x>0)
따라서 평행사변형 ABCD의 넓이는 삼각형 ADC에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1 '5
_12_18_ =36'5 ('¶21)Û`=4Û`+yÛ`-2_4_y_cos 60ù에서
2 3
yÛ`-4y-5=(y+1)(y-5)=0, y=5 (∵ y>0)
∴ (사각형
‌ ABCD의 넓이)
516  ④ =(삼각형 ABC의 넓이)+(삼각형 ADC의 넓이)
1 1
사각형 ABCD의 넓이는 두 삼각형 ABD와 BCD의 넓이의 합과 = _4_1_sin 120ù+ _4_5_sin 60ù
2 2
같다.
1 '3 1 '3
7 = _4_1_ + _4_5_
A
D 2 2 2 2
120± ='3+5'3=6'3
8 9

B
10
D
C 518   풀이 참조

삼각형 ABD에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⑴ 사각형 ABCD는 원에 내접하므로 D=p-B이다.


BDÓ Û`=8Û`+7Û`-2_8_7_cos 120ù=169 삼각형 ABC에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110 수학Ⅰ

해설.indb 110 22. 9. 5. 오후 3:56


ACÓ Û`‌=3Û`+2Û`-2_3_2_cos B
=13-12 cos B yy ㉠
520  ②

삼각형 ADC에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원의 중심을 O라 하면


ACÓ Û`=4Û
‌ `+1Û`-2_4_1_cos(p-B) p
OAÓ=OBÓ=OCÓ=3, ∠AOB=∠BOC=
3
=17+8 cos B yy ㉡
이므로 두 삼각형 OAB, OBC는 정삼각형이다.
㉠, ㉡에서 13-12 cos B=17+8 cos B
즉, ABÓ=BCÓ=3이고, II
1
∴ cos B=- p p 2
5 ∠ABC‌=∠ABO+∠OBC= + = p
3 3 3
1
⑵ ⑴에서 cos B=- 이고 0ù<B<180ù이므로
5
1 2'6
sin B=¿¹1-cosÛ` B=¾¨1-{- }Û`= 3
5 5 A
O
∴ (사각형 ABCD의 넓이)
P
=(삼각형 ABC의 넓이)+(삼각형 ADC의 넓이)
B C
1 1
= _ABÓ_BCÓ_sin B+ _ADÓ_DCÓ_sin(p-B)
2 2 삼각형 ABC에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1 2'6 1 2'6 2
= _3_2_
2 5
+ _4_1_
2 5 ACÓ Û`‌=3Û`+3Û`-2_3_3_cos` p
3
=2'6 1
=9+9-18_{- }=27
2
채점 요소 배점
∴ ACÓ=3'3`(∵`ACÓ>0)
두 삼각형 ABC, ADC에서 ACÓ Û`의 값 구하기 40 %
한편, 사각형 ABCP가 원에 내접하므로
cos B의 값 구하기 20 %
∠ABC+∠APC=p
sin B의 값 구하기 10 %
2 p
두 삼각형 ABC, ADC의 넓이 구하기 20 % ∴ ∠APC=p- p=
3 3
사각형 ABCD의 넓이 구하기 10 % APÓ=x, CPÓ=y라 하면 삼각형 ACP에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p
(3'3)Û`=xÛ`+yÛ`-2xy`cos`
3
519  ② 1
27‌=xÛ`+yÛ`-2xy_ =(x+y)Û`-3xy
2
삼각형 ABD의 넓이가 이때 x+y=8이므로
1 37
_ABÓ_ADÓ_sin (∠BAD) 27=64-3xy, 3xy=37   ∴ xy=
2 3
1 3'7 따라서 사각형 ABCP의 넓이는
= _3_2'2_sin (∠BAD)=
2 2
1 2 1 37 p
'¶14 △ABC+△ACP‌= _3_3_sin` p+ _ _sin`
2 3 2 3 3
이므로 sin (∠BAD)=
4
9'3 37'3
'¶14 Û '2
= +
4 12
cos (∠BAD)=¾Ð1-{ }`= `(∵`∠BAD는 예각)
4 4 64'3 16'3
= =
이때 사각형 ABCD가 원에 내접하므로 12 3

∠BAD+∠BCD=p
cos (∠BCD)‌=cos (p-∠BAD)
'2 521  ④
=-cos (∠BAD)=-
4 APÓ=x, AQÓ=y (0<x<6, 0<y<4)라 하자.
따라서 CDÓ=x라 하면 1
삼각형 APQ의 넓이는 삼각형 ABC의 넓이의 이므로
두 삼각형 ABD, BCD에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2
BDÓ Û`=3Û`+(2'2)Û`-2_3_2'2_cos (∠BAD)=11 1 1 1
xy sin 60ù= _{ _6_4_sin 60ù}
2 2 2
'2
BDÓ Û`=1Û`+xÛ`-2_1_x_cos (∠BCD)=xÛ`+ x+1 ∴ xy=12 yy ㉠
2
'2 삼각형 APQ에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즉, 11=xÛ`+ x+1에서
2 PQÓ Û`‌=xÛ`+yÛ`-2xy cos 60ù
2xÛ`+'2x-20=0 1
=xÛ`+yÛ`-2_12_
('2x+5)('2x-4)=0 2
∴ x=2'2`(∵`x>0)` =xÛ`+yÛ`-12 yy ㉡

Ⅱ. 삼각함수 111

해설.indb 111 22. 9. 5. 오후 3:56


이때 xÛ`>0, yÛ`>0이므로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에 의하여 점 B에서 선분 CO에 내린 수선의 발을 M이라 하면 x의 값은
xÛ`+yÛ`‌-12¾2¿¹xÛ`yÛ`-12 점 P가 점 C 또는 점 O에 위치할 때 최댓값 4를 갖고,
=2xy-12 (∵ x>0, y>0) '3
점 M에 위치할 때 최솟값 4_ =2'3 을 갖는다.
=12 (∵ ㉠) (단, 등호는 x=y일 때 성립한다.) 2
따라서 x=y=2'3일 때 구하는 선분 PQ의 길이의 최솟값은 즉, 2'3ÉxÉ4이므로 ㉠에서
1
2'3이다. - Écos hÉ0
3
1
따라서 M=0, m=- 이므로
3
522   풀이 참조
M-m=
1
3
동시에 출발한 지 t초 후에는
OPÓ=t, BQÓ=2t에서 OQÓ=40-2t이다.
A
30
P
524   x=6, cos C= 35

t 0<C<p이므로
60±
O B 각 C의 크기가 커질수록 cos C의 값은 작아진다.
40-2t Q 2t
y
40
y=cos`C
직선 PQ와 직선 AB가 서로 평행할 때, 1
OPÓ`:`OQÓ=OAÓ`:`OBÓ이므로 L
O 2L C
t`:`(40-2t)=30`:`40, t=12
OPÓ=12, OQÓ=16이므로
즉, 각 C의 크기가 최대일 때 cos C는 최솟값을 갖는다.
삼각형 POQ에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A
PQÓ Û`‌=12Û`+16Û`-2_12_16_cos 60ù=208
8 x
∴ PQÓ=4'¶13 (∵ PQÓ>0)

채점 요소 배점 B C
10
t초 후의 OPÓ, OQÓ의 길이 나타내기 20 %
삼각형 ABC에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OPÓ`:`OQÓ=OAÓ`:`OBÓ임을 이용하여 t의 값 구하기 30 %
xÛ`+10Û`-8Û`
코사인법칙을 이용하여 선분 PQ의 길이 구하기 50 % cos C‌=
2_x_10
xÛ`+36 x 9
= = +
20x 20 5x

523  ⑤
이때 x>0이므로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에 의하여
x 9 x 9
+ ‌¾2¾¨ _
ABÓ=ADÓ=4이므로 BDÓ=4'2이다. 20 5x 20 5x
3 9
{단, 등호는
O x
= = 일 때 성립한다.}
60± 5 20 5x
D P
3
D 따라서 cos C의 최솟값은 이고,
C 5
x
4Â2 x 9
A = 에서
20 5x
B
xÛ`=36, x=6이므로
삼각형 BPD는 BPÓ=DPÓ인 이등변삼각형이다. 3
각 C의 크기가 최대일 때 x=6이고 cos C= 이다.
BPÓ=DPÓ=x라 하면 5
삼각형 BPD에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다른 풀이
xÛ`+xÛ`-(4'2)Û` 2xÛ`-32 16
cos h‌= = =1-  yy ㉠ 선분 BC의 위치를 고정하면 점 A는 점 B를 중
2_x_x 2xÛ` xÛ` A
심으로 하고 반지름의 길이가 8인 원 위에 있다. 8 C
이때 삼각형 BCO는 한 변의 길이가 4인 정삼각형이다.
이때 ∠BCA가 최대일 때는 점 C에서 원에 B 10
B
그은 접선의 접점이 A일 때이다.
x
∠CAB=90ù이므로 직각삼각형 CAB에서
x=CAÓ=6,
6 3
C O cos C= = 이다.
M P 10 5

112 수학Ⅰ

해설.indb 112 22. 9. 5. 오후 3:56


1
525  ③ cos (∠BDC)=cos (p-∠BAC)=-cos (∠BAC)=- 이므로
8
세 점 A, P, O를 지나는 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R라 하면 삼각형 BCD에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1
삼각형 APO에서 사인법칙에 의하여 BCÓ Û`=4Û`+4Û`-2_4_4_{- }=36
8
OAÓ 1
=2R이므로 sin(∠OPA)= ∴ BCÓ=6 (∵ BCÓ>0)
sin(∠OPA) 2R
따라서 R가 최솟값을 가질 때, sin(∠OPA)가 최댓값을 갖는다. 점 D에서 선분 BC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II
R의 값이 최소이기 위해선 삼각형 DBC가 이등변삼각형이므로 BHÓ=3
삼각형 APO에서 가장 긴 변의 길이가 OPÓ=3이어야 하고 직각삼각형 DBH에서 DHÓ="Ã4Û`-3Û`='7
이때 선분 OP가 삼각형 APO의 외접원의 지름이어야 한다. A
F
D
4 5

O
1 A B C
3 HE
1
P 이때 cos (∠BAC)= 이므로
8
따라서 삼각형 APO는 ∠OAP=90ù인 직각삼각형이므로 1 3'7
sin (∠BAC)=¾Ð1-{ }Û`=
선분 AP의 길이는 ¿¹3Û`-1Û`=2'2 8 8
3'7
즉, sin (∠BED)= 이므로 삼각형 DHE에서
다른 풀이 8
p DHÓ '7 8
0<∠OPA< 이므로 DEÓ= = =
2 sin (∠BED) 3'7 3
8
sin(∠OPA)가 최대일 때 cos(∠OPA)가 최소이다.
APÓ=x (0<x<4)라 하면 삼각형 OPA에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cos(∠OPA)=
3Û`+xÛ`-1Û` xÛ`+8 x
2_3_x
=
6x
= +
4
6 3x 527   ;3#2%;

이때 x>0이므로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에 의하여 삼각형 ABC에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1
‌¾2®É É_
x 4 x 4 BCÓ Û`=5Û`+4Û`-2_5_4_ =36
+ 8
6 3x 6 3x
2'2 x 4 ∴ BCÓ=6 (∵ BCÓ>0)`
= `{단, 등호는 = 일 때 성립한다.}
3 6 3x 1 1 3'7
cos (∠BAC)= 에서 sin (∠BAC)=¾Ð1-{ }Û`= 이고,
x 4 8 8 8
= 에서 xÛ`=8, x=2'2이므로
6 3x 삼각형 ABC의 넓이는
2'2 1 1
x=2'2일 때 cos(∠OPA)가 최솟값 를 갖는다. _AHÓ_BCÓ= _ABÓ_ACÓ_sin (∠BAC)이므로
3 2 2
즉, sin(∠OPA)가 최댓값을 가질 때 선분 AP의 길이는 2'2이다. 1 1 3'7 5'7
_AHÓ_6= _5_4_    ∴ AHÓ=
2 2 8 4
선분 AH를 2 : 3으로 내분하는 점이 M이므로
2 '7
AMÓ= _AHÓ=
526  ③ 5 2
원 위의 점 P에 대하여 ∠APM=90ù이므로
점 B에서 선분 AD에 내린 수선의 발을 F라 하면
두 삼각형 APM, AHC는 닮음이다.
1
cos (∠BAC)= 이고 APÓ : AHÓ=AMÓ : ACÓ이므로
8
5'7 '7 35
삼각형 ABD가 ABÓ=BDÓ=4인 이등변삼각형이므로 APÓ :  =  : 4, 4APÓ=
4 2 8
1
ADÓ‌=2 AFÓ=2 ABÓ`cos (∠BAC)=2_4_ =1 35
8 ∴ APÓ=
32
즉, CDÓ=ACÓ-ADÓ=5-1=4
A
F
D
4 5
528  ③

원이 두 선분 AB, AC와 만나는 점을 각각 E, F라 하자.


B C 원이 삼각형 ABC에 내접하므로 BEÓ=BDÓ=6, CFÓ=CDÓ=2이고
E
이때 ∠BDC=p-∠BDA=p-∠BAC에서 AEÓ=AFÓ=x라 하면

Ⅱ. 삼각함수 113

해설.indb 113 22. 9. 5. 오후 3:56


ABÓ=x+6, BCÓ=8, CAÓ=x+2이다. APÓ=AQÓ=9, BQÓ=BRÓ=3, CPÓ=CRÓ
따라서 삼각형 ABC의 넓이는 따라서 CPÓ=CRÓ=a라 하면
1 2'3 2'3 직각삼각형 ABC에서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하여
_(ABÓ+BCÓ+CAÓ)_ = (x+8)  yy`㉠
2 3 3 (a+9)Û`=12Û`+(a+3)Û`
A
E aÛ`+18a+81=144+aÛ`+6a+9
F
O 12a=72   ∴ a=6
2Â3
3 즉, CPÓ=CRÓ=6이므로
B C
ABÓ AQÓ+BQÓ 9+3
6 D 2 sin`C= = = =;5$;
ACÓ APÓ+CPÓ 9+6
한편, 원의 중심을 O라 할 때, 직각삼각형 CDO에서
한편, 직각삼각형 ABD에서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하여
ODÓ : CDÓ=1 : '3이므로
ADÓ="Ã12Û`+4Û` =4'¶10
∠OCD=30ù이고, ∠ACB=60ù이다.
삼각형 ADC의 외접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R라 하면
따라서 삼각형 ABC의 넓이는
사인법칙에 의하여
1
_ACÓ_BCÓ_sin 60ù=2'3(x+2)  yy`㉡ ADÓ 4'¶10 5'¶10
2 2R= = =5'¶10   ∴ R=
sin`C 4 2
2'3 5
㉠, ㉡에서 (x+8)=2'3(x+2)이므로
3
따라서 삼각형 ADC의 외접원의 넓이는
x+8=3(x+2)   ∴ x=1
5'¶10 Û 125
따라서 삼각형 ABC의 넓이는 6'3이다. p_{ }`= p
2 2
다른 풀이 다른 풀이
원이 두 선분 AB, AC와 만나는 점을 각각 E, F라 하자. 삼각형 ABC에 내접하는 원이 세 선분 CA, AB, BC와 만나는 점
원이 삼각형 ABC에 내접하므로 BEÓ=BDÓ=6, CFÓ=CDÓ=2이고 을 각각 P, Q, R라 하자.
AEÓ=AFÓ=x라 하면 OQÓ=ORÓ=3이므로
ABÓ=x+6, BCÓ=8, CAÓ=x+2이다. DRÓ=DBÓ-RBÓ=4-3=1
한편, 원의 중심을 O라 할 때, 직각삼각형 CDO에서 직각삼각형 DOR에서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하여
ODÓ : CDÓ=1 : '3이므로 DOÓ="Ã3Û`+1Û` ='¶10이므로
∠OCD=30ù이고, ∠ACB=60ù이다. 1 '¶10
sin (∠DOR)= =
이때 삼각형 ABC에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10 10
(x+6)Û`=(x+2)Û`+8Û`-2_(x+2)_8_cos 60ù 한편, 삼각형 DOR와 삼각형 OAQ는 닮음비가 1`:`3이므로
xÛ`+12x+36=(xÛ`+4x+4)+64-(8x+16) AQÓ=3 ORÓ=9
16x=16, x=1 점 O가 삼각형 ABC의 내심이므로
따라서 삼각형 ABC의 넓이는 APÓ=AQÓ=9, BQÓ=BRÓ=3, CPÓ=CRÓ, ∠CAD=∠DAB
1 1 '3 따라서 내각의 이등분선의 성질에 의하여
_ACÓ_BCÓ_sin 60ù= _3_8_ =6'3
2 2 2 ABÓ`:`ACÓ=BDÓ`:`CDÓ이므로
(9+3)`:`(9+CPÓ)=4`:`(CRÓ-1)
9+CPÓ=3(CRÓ-1)
9+CRÓ=3(CRÓ-1) (∵ CPÓ=CRÓ)
529  ① 2 CRÓ=12
삼각형 ABC에 내접하는 원이 세 선분 CA, AB, BC와 만나는 점 즉, CRÓ=6이므로
을 각각 P, Q, R라 하자. CDÓ=CRÓ-1=5
C 이때 직선 OR와 직선 AB가 평행하므로
∠DAB=∠DOR, 즉 ∠CAD=∠DOR
P 따라서 삼각형 ADC의 외접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R라 하면
O D 사인법칙에 의하여
R
CDÓ CDÓ 5
2R= = = =5'¶10
A
Q
B sin (∠CAD) sin (∠DOR) '¶10
10
OQÓ=ORÓ=3이므로
5'¶10
DRÓ=DBÓ-RBÓ=4-3=1 ∴ R=
2
삼각형 DOR와 삼각형 OAQ는 닮음비가 1`:`3이므로 따라서 삼각형 ADC의 외접원의 넓이는
AQÓ=3 ORÓ=9 5'¶10 Û 125
p_{ }`= p
점 O가 삼각형 ABC의 내심이므로 2 2

114 수학Ⅰ

해설.indb 114 22. 9. 5. 오후 3:56


BCÓ 13 13'3
530   103
sin A
=2R,
'3
=2R, R=
3
삼각형 ABC에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2
6Û`+5Û`-4Û` 3 삼각형 ABC의 내접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r라 하면
cos A= =
2_6_5 4 삼각형의 넓이는
3 '7
0ù<A<180ù이므로 sin A=¿¹1-cosÛ` A=¾¨1-{ }Û`= 1 1
4 4 2
r(a+b+c)= bc sin A에서
2 II
(삼각형 ABC의 넓이) 1 1 '3
_r_(13+8+7)= _8_7_
=(삼각형 PAB의 넓이)+(삼각형 PBC의 넓이) 2 2 2
 +(삼각형 PAC의 넓이) 14r=14'3, r='3
이므로 PFÓ=x라 하면 ∴ (색칠한 부분의 넓이)
1 '7 1 1 1 '7 =(큰 원의 넓이)‌-(삼각형 ABC의 넓이)+(작은 원의 넓이)
_6_5_ = _6_x+ _4_'7+ _5_
2 4 2 2 2 2 13'3 Û
}`-14'3+p('3)Û`
'7
=p{
3
∴ x=
6 178
= p-14'3
사각형 AFPE에서 ∠EPF=p-A이므로 3
1 '7 '7 채점 요소 배점
(삼각형 EFP의 넓이)‌= _ _ _sin(p-A)
2 6 2
sin A의 값 구하기 20 %
1 '7 '7
= _ _ _sin A 외접원의 반지름의 길이 구하기 30 %
2 6 2
7'7 내접원의 반지름의 길이 구하기 40 %
=
96 색칠한 부분의 넓이 구하기 10 %
따라서 p=96, q=7이므로
p+q=103
15'¶15
533   7
531   2'3 선분 AC가 원 O와 만나는 점을 D라 하고
∠BAD=x라 하면 ∠ADB=90ù-x이므로 점 D에서 선분 BC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자.
∠CDE=90ù-∠ADB=x이다. ∠OAB=h라 하면
C 원의 접선과 원주각의 관계에 의하여 ∠DBC=h이다.

A
E 4
O D
60± x 4
D 4
D
30± 4 C H D B
A B
x 직각삼각형 ABD에서
한편, 삼각형 ABD에서 BDÓ=4 sin x이므로 CEÓ=4 sin x 1
BDÓ=ADÓ sin h=8_ =2이므로
∠AED=60ù이므로 ∠CED=120ù이다. 4
따라서 삼각형 CDE에서 사인법칙에 의하여 ABÓ=¿¹8Û`-2Û`=2'¶15
CDÓ CEÓ CDÓ 4 sin x 1 1
= , = 직각삼각형 BHD에서 DHÓ=BDÓ sin h=2_ =
sin 120ù sin x '3 sin x 4 2
2 1
이때 두 직각삼각형 CHD와 CBO는 닮음비가 `:`4, 즉 1`:`8인
2
∴ CDÓ=2'3
닮은 도형이므로
4
CDÓ=x라 하면 x`:`(x+4)=1`:`8에서 x=
532   풀이 참조
4 60
7

따라서 ACÓ=ADÓ+CDÓ=8+ = 이므로


삼각형 ABC에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7 7
7Û`+8Û`-13Û` 1 1
cos A= =- 이고 0<A<p이므로 (삼각형 ABC의 넓이)‌= _ACÓ_ABÓ_sin h 
2_7_8 2 2
1 '3 1 60 1
sin A=¿¹1-cosÛ` A=¾¨1-{- }Û`= = _ _2'¶15_
2 2 2 7 4
이때 삼각형 ABC의 외접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R라 하면 15'¶15
=
사인법칙에 의하여 7

Ⅱ. 삼각함수 115

해설.indb 115 22. 9. 5. 오후 3:56


p
534   100 따라서
2
<∠ABC<p이므로 삼각형 ABC는 둔각삼각형이다.

두 해안 도로가 나타내는 직선을 각각 l, m이라 하고, 이때 삼각형 PAC의 넓이가 최대가 되도록 하는 점 P를
두 직선 l, m의 교점을 O라 하자. 점 Q라 하면 점 Q는 선분 AC의 수직이등분선과 원 O의 두 교점 중
배의 위치를 A라 하고 수영코스에서 직선 l, m과 만나는 점을 각각 직선 AC와 더 멀리 떨어져 있는 점이다.
B, C라 하자. C
Q
이때 점 A를 직선 l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을 A', 직선 m에
O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을 A"이라 하면 그림과 같다. O 7Â3° H
A" m 3
4

A B
xÂ3`m C
A 선분 AC와 선분 AC의 수직이등분선의 교점을 H라 하면 원 O의 중
xÂ3`m
심 O는 선분 QH 위에 있다.
B
l 직각삼각형 OAH에서
O
7'3 Û '3
xÂ3`m OHÓ=¿¹OAÓ Û`-AHÓ Û`=¾Ð{
}`-4Û`=
A' 3 3
7'3 '3 8'3
OAÓ=OA'Ó=OA"Ó=x'3`m이고 ∴ QHÓ=OQÓ+OHÓ= + =
3 3 3
∠BOC=60ù에서 ∠A'OA"=120ù이다.
따라서 삼각형 PAC의 넓이의 최댓값은
이때 수영코스의 최단 길이가 300`m이므로 A'A"Ó=300`m 8'3 32'3
1 1
삼각형 A'OA"에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_ACÓ_QHÓ= _8_ =
2 2 3 3
300Û`‌=(x'3)Û`+(x'3)Û`-2_x'3_x'3_cos 120ù
=3xÛ`+3xÛ`+3xÛ`=9xÛ`
∴ x=100 (∵ x>0) 536   81

∠AÇOAÇ*Á=hÇ`(n=1, 2, y, 7), ∠A¥OAÁ=h¥이라 하면


535  ① 한 원에서 호의 길이는 그 호에 대한 중심각의 크기에 비례하므로
hÁ`:`hª`:`h£`:`y`:`h¦`:`h¥=1`:`2`:`3`:`y`:`7`:`8
49
원 O의 반지름의 길이를 R라 하면 원 O의 넓이가 p이므로 이때 hÁ+hª+h£+y+h¦+h¥=360ù이므로
3
49 49 n
pRÛ`= p, RÛ`= hÇ= _360ù=n_10ù`(n=1, 2, y, 8)
3 3 1+2+3+y+8
7 7'3 1 9
∴ R= = 따라서 SÇ= _3_3_sin hÇ=  sin hÇ이므로
2 2
'3 3
C (SÁ)Û`+(Sª)Û`+(S£)Û`+y+(S¦)Û`+(S¥)Û`
9 9 9
={  sin 10ù}Û`+{  sin 20ù}Û`+{  sin 30ù}Û`+y
O O
2 2 2
9 9
7Â3°  +{  sin 70ù}Û`+{  sin 80ù}Û`
3 π 2 2
3 9
A 3 B ={ }Û`(sinÛ` 10ù+sinÛ` 20ù+sinÛ` 30ù+sinÛ` 40ù
2
삼각형 ABC에서 사인법칙에 의하여  +sinÛ` 50ù+sinÛ` 60ù+sinÛ` 70ù+sinÛ` 80ù)
BCÓ 7'3 9
=2_ ={ }Û`(sinÛ` 10ù+sinÛ` 20ù+sinÛ` 30ù+sinÛ` 40ù
p 3 2
sin`
3  +cosÛ` 40ù+cosÛ` 30ù+cosÛ` 20ù+cosÛ` 10ù)
7'3 p 7'3 '3 9
∴ BCÓ=2_
3
_sin` =2_
3 3
_ =7
2 ={ }Û`_4=81
2
한편, ACÓ=k (k>0)라 하면 삼각형 ABC에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p
7Û`=kÛ`+3Û`-2_k_3_cos`
3
49=kÛ`+9-3k, kÛ`-3k-40=0
537  ③

p
(k+5)(k-8)=0   OBÓ=OCÓ='1Œ0, BCÓ=2'5이므로 삼각형 OBC는 ∠BOC= 인
2
∴ k=8 (∵ k>0)
직각이등변삼각형이다.
즉, ACÓ=8이므로 삼각형 ABC에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AOB=a, ∠AOC=b라 하면
3Û`+7Û`-8Û` 1
cos(∠ABC)= =- 삼각형 OAB의 넓이 SÁ은
2_3_7 7

116 수학Ⅰ

해설.indb 116 22. 9. 5. 오후 3:56


1 삼각형 CBD의 넓이 Sª는
SÁ= _('1Œ0)Û`_sin`a=5`sin`a
2 1
Sª= _BCÓ_4_sin`h=2 BCÓ`sin`h
삼각형 OCA의 넓이 Sª는 2
1 이때 SÁ`:`Sª=9`:`5이므로
Sª= _('1Œ0)Û`_sin`b=5`sin`b
2 3ADÓ  sin`h`:`2 BCÓ`sin`h=9`:`5
4 3ADÓ`:`2 BCÓ=9`:`5
이때 3SÁ=4Sª이므로 sin`a=  sin`b   yy`㉠
3 II
15ADÓ=18 BCÓ
또한, ∠AOB+∠BOC+∠COA=2p이므로
5ADÓ=6 BCÓ  
p 3
a+b+ =2p   ∴ b= p-a ∴ ADÓ`:`BCÓ=6`:`5
2 2
3 이때 ADÓ=6k, BCÓ=5k (k>0)라 하면
b= p-a를 ㉠에 대입하면
2 삼각형 ABC에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4 3 4 3
sin`a=  sin`{ p-a}=-  cos`a   yy`㉡ ACÓ Û`‌=6Û`+(5k)Û`-2_6_5k_
3 2 3 4
㉡을 sinÛ``a+cosÛ``a=1에 대입하면 =25kÛ`-45k+36
4 25
{-  cos`a}Û`+cosÛ``a=1,  cosÛ``a=1 ∠ADC=∠ABC=a이므로
3 9
삼각형 ADC에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9
cosÛ``a= 3
25 ACÓ Û`‌=(6k)Û`+4Û`-2_6k_4_
4
sin`a>0이므로 ㉡에서 cos`a<0
=36kÛ`-36k+16
3
∴ cos`a=- 즉, 25kÛ`-45k+36=36kÛ`-36k+16이므로
5
따라서 삼각형 OAB에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11kÛ`+9k-20=0, (11k+20)(k-1)=0
3 ∴ k=1 (∵ k>0)
ABÓ Û`=('1Œ0)Û`+('1Œ0)Û`-2_'1Œ0_'1Œ0_{- }=32 ‌
5 ∴ ADÓ=6k=6_1=6
∴ ABÓ=4'2 (∵ ABÓ>0) 한편, 삼각형 ABC가 예각삼각형이므로
3 '7
sin`a=¿¹1-cosÛ``a=¾Ð1-{ }Û`=
4 4

538  2 따라서 삼각형 ADC의 넓이 S는


1
S‌= _6_4_sin`a
∠BGF=h이므로 ∠BFG=180ù-(120ù+h)=60ù-h 2
∠BFE=∠BFG+∠GFE=(60ù-h)+30ù=90ù-h 1 '7
= _6_4_ =3'7
2 4
이등변삼각형 EFG에서
∴ SÛ`=(3'7)Û`=63
FGÓ=2_EFÓ cos 30ù=2'3이고
삼각형 BGF에서 사인법칙에 의하여
FGÓ
=
sin 120ù sin h
BFÓ
이므로 540   13

FGÓ ABÓ=a (a>0)라 하면 DAÓ=2a이다.


BFÓ‌= _sin h
sin 120ù 삼각형 DAB에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2'3 2
= _sin h=4 sin h BDÓ Û`=aÛ`+(2a)Û`-2_a_2a_cos` p=7aÛ`
'3 3
2 ∴ BDÓ='7a (∵ a>0)
삼각형 EFB에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한편, BEÓ`:`EDÓ=3`:`4이므로
BEÓ Û`=BFÓ
‌  Û`+EFÓ Û`-2_BFÓ_EFÓ_cos (90ù-h) △ABC`:`△ADC=3`:`4
=(4 sin h)Û`+2Û`-2_4 sin h_2_sin h ∠ABC=h라 할 때,
=4 1
△ABC= _BAÓ_BCÓ_sin`h,
∴ BEÓ=2 (∵ BEÓ>0) 2
1
△ADC= _DAÓ_DCÓ_sin (p-h)
2

539   63
이고
△ABC`:`△ADC‌=(BAÓ_BCÓ)`:`(DAÓ_DCÓ)
∠BAD=∠BCD=h라 하면 =(BAÓ_BCÓ)`:`(2BAÓ_DCÓ)=3`:`4
삼각형 ABD의 넓이 SÁ은 이므로
1 3
SÁ= _6_ADÓ_sin`h=3ADÓ`sin`h 4 BCÓ=6 DCÓ   ∴ BCÓ=  DCÓ
2 2

Ⅱ. 삼각함수 117

해설.indb 117 22. 9. 5. 오후 3:56


DCÓ=k (k>0)라 하면
A
3 p
BCÓ= k이고 BDÓ='7a, ∠BCD= 이므로 ∫
2 3 å
삼각형 BCD에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B å O å O' ∫ D

3 3 p H C
('7a)Û`={ k}Û`+kÛ`-2_ k_k_cos`
2 2 3
13 3 7 삼각형 AOO'에서
7aÛ`= kÛ`- kÛ`= kÛ`
4 2 4 1
OO'Ó=1, AOÓ=3k, AO'Ó=2k이고 cos (a+b)= 이므로
kÛ`=4aÛ`   ∴ k=2a (∵ k>0, a>0) 3
3 3 1
즉, BCÓ= k= _2a=3a, DCÓ=k=2a cos (∠OAO')=cos {p-(a+b)}=-cos (a+b)=-
2 2 3
삼각형 ABD의 외접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1이므로 삼각형 AOO'에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1
사인법칙에 의하여 1Û`=(3k)Û`+(2k)Û`-2_3k_2k_{- }
3
'7a
=2_1 1=17kÛ`
2
sin` p
3 1
∴ kÛ`=
2 '3 17
sin  p '¶21 따라서 삼각형 ABC의 외접원의 넓이는
3 2
∴ a=2_1_ =2_ =
'7 '7 7 9
p_(3k)Û`= p이므로
17
따라서
p=17, q=9
1 '¶21 2'¶21 2 3'3
△ABD= _ _ _sin` p= , ∴ p+q=17+9=26
2 7 7 3 14
1 3'¶21 2'¶21 9'3
△BCD= _ _ _sin`;3Ò;=
2 7 7 14
이므로 사각형 ABCD의 넓이는
3'3 9'3 6'3
△ABD+△BCD= + =
14 14 7
즉, p=7, q=6이므로
p+q=7+6=13

541   26

두 삼각형 ABC, ACD의 외접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각각


R`(R>0), R'`(R'>0)이라 하자.
삼각형 ABC에서 사인법칙에 의하여
ACÓ ACÓ
=2R, 즉 sin`a=    yy`㉠
sin`a 2R
삼각형 ACD에서 사인법칙에 의하여
ACÓ ACÓ
=2R', 즉 sin`b=    yy`㉡
sin`b 2R'
sin`b
이때 ㉠, ㉡을 =;2#;에 대입하면
sin`a
ACÓ
=;2#;, =;2#;
2R' R
ACÓ R'
2R
즉, R=3k, R'=2k`(k>0)라 하자.
한편, 호 AC에 대한 중심각의 크기는 원주각의 크기의 2배이므로
∠AOC=2∠ABC=2a
또한, 점 O에서 선분 AC에 내린 수선의 발 H는 선분 AC를
이등분하므로
∠AOH=∠COH=a
마찬가지 방법으로 생각해 보면 ∠AO'H=b

118 수학Ⅰ

해설.indb 118 22. 9. 5. 오후 3:56


III 수열 참고

수열 {aÇ}의 일반항이 n에 대한 일차 이하의 식이면


수열 {aÇ}은 등차수열이다.
등차수열과 등비수열 [증명]
aÇ=pn+q (p, q는 상수)라 하면
an+1-aÇ=p(n+1)+q-(pn+q)=p
542  ② 수열 {aÇ}은 연속한 두 항의 차가 p로 일정한 수열이므로 공차가

aÇ=nÛ`-2이므로
p인 등차수열이다. III
a£=3Û`-2=7, a°=5Û`-2=23이다.
∴ a£+a°=30
546  ④

543  ④ 등차수열 {aÇ}의 공차를 d라 하면


aÁª-a¢=8d=-24이므로 d=-3
n
① 2‌ 에 n=3을 대입하면 2Ü`=8이고 주어진 수열의 제3항은 6이므로 ∴ aÁ¦=aÁª+5d=-17+5_(-3)=-32
n
제n항은 2 이 아니다. 다른 풀이
n+1
② (-1)
‌ 에 n=1을 대입하면 (-1)Û`=1이고 주어진 수열의
n+1 등차수열 {aÇ}의 공차를 d라 하면
제1항은 -1이므로 제n항은 (-1) 이 아니다.
a¢=aÁ+3d=7
③ ‌2n+1에 n=1을 대입하면 2_1+1=3이고 주어진 수열의
aÁª=aÁ+11d=-17
제1항은 1이므로 제n항은 2n+1이 아니다.
위의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④ ‌1=1Û`, 4=2Û`, 9=3Û`, 16=4Û`, y이므로 자연수 n에 대하여
aÁ=16, d=-3이므로
주어진 수열의 제n항은 nÛ`이다.
aÇ=16-3(n-1)=-3n+19
1 1
⑤ ‌ 에 n=2를 대입하면 이고 주어진 수열의 제2항은 ∴ aÁ¦=(-3)_17+19=-32
nÜ`+n 2Ü`+2
1 1
이므로 제n항은 이 아니다.
2Û`+2 nÜ`+n
따라서 선지 중 일반항을 바르게 구한 것은 ④이다. 547  ④

참고 4로 나눈 나머지가 1인 자연수를 작은 순서대로 나열하면


주어진 수열의 제n항은 다음과 같다. 1, 5, 9, 13, y이다.
n 1 즉, 수열 {aÇ}이 첫째항이 1이고 공차가 4인 등차수열이므로
① 2n ② (-1) ③ 2n-1 ④ nÛ` ⑤
nÛ`+n 일반항은
이때 ②에서 주어진 수열 -1, 1, -1, 1, -1, y의 일반항을 aÇ=1+4(n-1)=4n-3
n-2 n+2
나타내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즉, (-1) , (-1) , ∴ aª¼=4_20-3=77
n+4
(-1) 등으로 나타낼 수 있다.

548  ④

544  ②
등차수열 {aÇ}의 공차를 d라 하면
주어진 수열을 {aÇ}이라 하면 (a¢+a¥)-(a£+a°)‌=(a¢-a£)+(a¥-a°)
첫째항이 3이고 공차가 -2이므로 제15항은 =d+3d=4d
aÁ°=aÁ+14_(-2)=3+14_(-2)=-25 1
4d=25-27=-2에서 d=- 이다.
2
1
이때 a£+a°=(aÁ+2d)+(aÁ+4d)=2aÁ-3 {∵ d=- }
2
545   ⑴ 26  ⑵ 6
이므로
⑴ 주어진 수열을 {aÇ}이라 하면 2aÁ-3=27, aÁ=15
첫째항이 -1이고 공차가 2-(-1)=3이므로 제10항은 수열 {aÇ}의 일반항은
aÁ¼=aÁ+9_3=-1+9_3=26 1 n 31
aÇ=15- (n-1)=- + 이고
2 2 2
⑵ 주어진 수열을 {aÇ}이라 하면
n 31 n 31
첫째항이 42이고 공차가 38-42=-4이므로 제10항은 - + <0, > 에서 n>31이므로
2 2 2 2
aÁ¼=aÁ+9_(-4)=42+9_(-4)=6 수열 {aÇ}이 처음으로 음수가 되는 항은 제32항이다.

Ⅲ. 수열 119

해설.indb 119 22. 9. 5. 오후 3:56


549  ② 553  ①

세 양수 a-3, 2a-1, aÛ`-3에서 등차중항에 의하여 등차수열 {aÇ}의 공차를 d라 하고, 첫째항부터 제n항까지의 합을
(a-3)+(aÛ`-3) SÇ이라 하자.
2a-1=
2 6(2aÁ+5d)
S¤= =21에서
4a-2=aÛ`+a-6 2
aÛ`-3a-4=(a+1)(a-4)=0 2aÁ+5d=7 yy ㉠
∴ a=-1 또는 a=4 12(2aÁ+11d)
SÁª= =150에서
이때 a-3, 2a-1, aÛ`-3이 모두 양수가 되기 위해서는 2
a=4이다. 2aÁ+11d=25 yy ㉡
따라서 세 양수는 1, 7, 13이므로 세 수의 합은 21이다. ㉠, ㉡을 연립하여 풀면
d=3, aÁ=-4이다.
∴ aÁª=aÁ+11d=-4+33=29

550  ④

두 등차수열 {an}, {bn}의 공차가 각각 3, -2이므로


an+1-an=3, bn+1-bn=-2이다.
554   44

따라서 등차수열 {3an-4bn-5}의 공차는 연속하는 20개의 짝수를 큰 순서대로 나열하면 공차가 -2인
(3an+1-4bn+1-5)-(3an-4bn-5) 등차수열을 이룬다.
=3(an+1-an)-4(bn+1-bn) 이때 가장 큰 수, 즉 첫째항을 k라 하면 가장 작은 수인
=3_3-4_(-2)=17 제 20 항은 k-38이므로 등차수열의 합에 의하여
20(k+k-38)
=500
2
2k-38=50
551  ③ ∴ k=44
주어진 등차수열을 {aÇ}이라 하고, 이 수열의 공차를 d라 하자.
aÁ=2, a°=14에서 a°-aÁ=4d=12이므로 d=3이다.
따라서 수열 {aÇ}의 첫째항부터 제10항까지의 합은
10(2_2+9_3)
555  ①
=155
2 공연장의 n번째 줄의 관람석의 수를 an이라 하면
수열 {an}은 첫째항이 12이고 공차가 3인 등차수열을 이룬다.
따라서 구하는 총 관람석의 수는 등차수열 {an}의 첫째항부터

552  ④ 제20항까지의 합과 같으므로


20(2_12+19_3)
=810이다.
aÁ¼=11이므로 2
10(aÁ+aÁ¼)
SÁ¼= =5(aÁ+11)이다.
2
5(aÁ+11)=20에서 aÁ=-7이다.
이때 등차수열 {aÇ}의 공차를 d라 하면 aÁ¼-aÁ=9d이므로 556  4
9d=11-(-7)=18에서 d=2이다. aÁ=SÁ=3-2=1이고
∴ aª¼=aÁ+19d=-7+38=31 n¾2일 때 수열의 합과 일반항 사이의 관계에 의하여
참고 a¦‌=S¦-S¤
등차수열 {aÇ}의 첫째항부터 제n항까지의 합 SÇ은 =3_7-2-(3_6-2)=3
❶ ‌첫째항이 a, 제n항이 l일 때, ∴ aÁ+a¦=1+3=4
n(a+l)
SÇ=
2
❷ ‌첫째항이 a, 공차가 d일 때,

SÇ=
n{2a+(n-1)d} 557  ④
2
n¾2일 때 수열의 합과 일반항 사이의 관계에 의하여
의 두 가지로 나타낼 수 있다. 문제에서 주어진 조건에 따라
a¥‌=S¥-S¦
편리한 공식을 사용하도록 하자.
=(64+24)-(49+21)=18

120 수학Ⅰ

해설.indb 120 22. 9. 5. 오후 3:56


558   ⑴ aÇ=4n-3 (n¾1)  ⑵ aÁ=4, aÇ=2n (n¾2) TIP
두 수열 {aÇ}, {bÇ}이 모두 등비수열이면 수열 {aÇbÇ}도
⑴ n¾2일 때 수열의 합과 일반항 사이의 관계에 의하여 등비수열이고, 이때 공비는 두 수열 {aÇ}, {bÇ}의 공비를 곱한
aÇ‌=Sn-Sn-1 것과 같다.
=(2nÛ`-n)-{2(n-1)Û`-(n-1)} [증명]
=(2nÛ`-n)-(2nÛ`-4n+2-n+1) 수열 {aÇ}, {bÇ}의 공비를 각각 r, s라 하면
=4n-3 수열 {aÇ}의 일반항은 aÇ=aÁ_r
n-1
이고
aÁ=SÁ=1이므로 aÇ=4n-3 (n¾1)이다.
III
n-1
수열 {bÇ}의 일반항은 bÇ=bÁ_s 이다.
⑵ n¾2일 때 수열의 합과 일반항 사이의 관계에 의하여 따라서 수열 {aÇbÇ}의 일반항은
aÇ‌=Sn-Sn-1 n-1
aÇbÇ‌=(aÁ_r )_(bÁ_s
n-1
)
=(nÛ`+n+2)-{(n-1)Û`+(n-1)+2} =aÁbÁ_(rs)
n-1

=(nÛ`+n+2)-(nÛ`-2n+1+n-1+2) 이므로 수열 {aÇbÇ}은 첫째항이 aÁbÁ이고 공비가 rs인


=2n 등비수열이다.
SÁ=4이므로 aÁ=4, aÇ=2n (n¾2)이다.
다른 풀이

⑴ ‌SÇ이 n에 대한 이차식이고 상수항이 0이므로 561  ②


수열 {aÇ}은 등차수열이다.

‌aÁ=SÁ=1이고 (이차항의 계수)_2=(공차)이므로 등비수열 {aÇ}의 공비를 r라 하면 =3에서 r=3이므로

공차는 2_2=4이다. 1 n-1
일반항은 aÇ= _3 이다.
따라서 일반항은 aÇ=1+4(n-1)=4n-3이다. 6
81
참고 이때 aû= 이라 하면
2
수열 {aÇ}의 첫째항부터 제n항까지의 합 SÇ이 n에 대한 1 k-1 81 k-1
aû= _3 = , 3 =243=3Þ`에서 k-1=5, k=6
이차식이고 상수항이 0이 아닌 경우 수열 {aÇ}은 제2항부터 6 2
등차수열을 이룬다. 이때 첫째항이 규칙에서 제외되므로 수열 81
따라서 은 제6항이다.
2
{aÇ}은 등차수열이 아니다.

562  ③

559  ② 등비수열 {an}의 공비를 r`(r>0)라 하면


a£+a¢ a£+a¢ a£+a¢ 1
주어진 등비수열을 {aÇ}이라 하고, 공비를 r라 하자. = = = =9
a°+a¤ a£rÛ`+a¢rÛ` (a£+a¢)rÛ` rÛ`
a¥ aÁ_rà` 96
= =rÜ`= =-8이므로 r=-2 1 1
a° aÁ_rÝ` -12 이므로 rÛ`= , r= `(∵ r>0)
9 3
∴ a¤=a°_r=(-12)_(-2)=24
1
따라서 제6항은 24이다. ∴ aª=aÁr=12_ =4
3

560  ① 563  ①

등비수열 {aÇ}의 공비를 r(r>0)라 하면


1
수열 {aÇ}은 첫째항이 48이고 공비가 인 등비수열이므로 a£ aÁ_rÛ`
2 a£=9aÁ에서 = =rÛ`=9이므로 r=3 (∵ r>0)
aÁ aÁ
1 n-1
일반항은 aÇ=48_{ } 이다. yy ㉠ a¤ 1
2 이때 a¤=(a°)Û`에서 =a°, r=aÁrÝ`, aÁ= 이므로
a° rÜ`
1
수열 {bÇ}은 첫째항이 이고 공비가 3인 등비수열이므로 1 1
27 aÁ= =
1 3Ü` 27
yy ㉡
n-1
일반항은 bÇ= _3 이다.
27
㉠, ㉡에서
1 n-1 1 16
aÇbÇ‌=48_{ } _ _3 = _{ }
n-1 3 n-1 564   320
2 27 9 2
등비수열 {aÇ}의 공비를 r라 하면
3
이므로 수열 {aÇbÇ}의 공비는 이다. yy TIP
2 aª_rÜ`=a°, a£_rÜ`=a¤, a¢_rÜ`=a¦이므로

Ⅲ. 수열 121

해설.indb 121 22. 9. 5. 오후 3:56


a°+a¤+a¦=rÜ`(aª+a£+a¢)=40 ∴ x=7 또는 x=17
rÜ`=8 (∵ aª+a£+a¢=5) 따라서 모든 x의 값의 합은 17+7=24이다.
∴ a¥+a»+aÁ¼=rÜ`(a°+a¤+a¦)=8_40=320

569   16
565  ②
등비수열 {an}의 공비를 r (r>0)라 하면
등비수열 {aÇ}의 일반항은 1 1
a3+a5= + 에서
a3 a5
1 n-1 -4 n-1 n-5
aÇ= _2 =2 _2 =2 이다. a3+a5
16 a3+a5=
a3a5
aÁ°=2Ú`â`=1024<2000이고
즉, a3a5=1이므로
aÁ¤=2Ú`Ú`=2048>2000이므로
1 2 1 4 1
aÇ>2000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n의 최솟값은 16이다. r _ r =1`{∵ aÁ= }
4 4 4
6 3
r =16, r =4 (∵ r>0)

566  ② 1 9 1 3 3 1 3
∴ a10= r = (r ) = _4 =16
4 4 4
주어진 수열이 등비수열이므로 등비중항에 의하여
xÛ`=162_18=3Û`_18Û`=54Û`
에서 x=54 (∵ x>0)
570  ③

yÛ`=18_2=6Û` 주어진 수열은 첫째항이 2Ü`이고 공비가 2Û`인 등비수열이다.


n-1 2n+1
에서 y=6 (∵ y>0) 이 수열을 {aÇ}이라 할 때, 일반항은 aÇ=2Ü`_(2Û`) =2 이다.
∴ x+y=54+6=60 이때 aû=2Û`Þ`이라 하면
2k+1
다른 풀이
2 =2Û`Þ`에서 k=12이다.
따라서 구하는 합은 등비수열 {aÇ}의 첫째항부터 제12항까지의 합과
주어진 등비수열을 {aÇ}이라 하고, 공비를 r(r>0)라 하자.
같으므로
a£ aÁ_rÛ` 18 1
aÁ=162, a£=18에서 =
aÁ aÁ
=rÛ`= =
162 9 2Ü`{(2Û`)Ú`Û`-1} 2Ü`(2Û`Ý`-1) 2Û`à`-8
= =
4-1 3 3
1
이므로 r=  (∵ r>0)이다.
3

즉, 수열 {aÇ}은 첫째항이 162이고 공비가


1
3
인 등비수열이므로 571  ③

1 첫째항이 3이고 공비가 -2인 등비수열 {aÇ}의 첫째항부터


x=aª=aÁ_r=162_ =54
3
제10항까지의 합은
1 3{1-(-2)Ú`â`}
y=a¢=a£_r=18_ =6
3 =1-(-2)Ú`â`=1-1024=-1023
1-(-2)
∴ x+y=54+6=60

572   풀이 참조
567  ⑤
주어진 등비수열을 {aÇ}이라 하고, 공비를 r라 하자.
등비수열 5, x, y, z, 80의 공비를 r라 하자. 첫째항부터 제5항까지의 합이 4, 첫째항부터 제10항까지의 합이
80=5rÝ`에서 rÝ`=16이므로 r=2 (∵ r>0)이다. -20이므로
따라서 x=5_2=10, y=2x=20, z=2y=40이므로 aÁ(rÞ`-1)
=4 yy ㉠
x+y+z=10+20+40=70 r-1
aÁ(rÚ`â`-1) aÁ(rÞ`-1)(rÞ`+1)
= =-20 yy ㉡
r-1 r-1
568   24 ㉠을 ㉡에 대입하면
aÁ(rÞ`-1)(rÞ`+1)
세 수 x, 5, y-1에서 등차중항에 의하여 =4(rÞ`+1)=-20
r-1
10=x+y-1, y=11-x yy ㉠ 에서 rÞ`+1=-5이므로 rÞ`=-6이다. yy ㉢
세 수 x+1, y, 2에서 등비중항에 의하여 따라서 첫째항부터 제15항까지의 합은
yÛ`=(x+1)_2, yÛ`=2x+2 yy ㉡ aÁ(rÚ`Þ`-1) aÁ(rÞ`-1)(rÚ`â`+rÞ`+1)
‌=
㉠을 ㉡에 대입하면 r-1 r-1
(11-x)Û`=2x+2, xÛ`-22x+121=2x+2 =4_{(-6)Û`+(-6)+1} (∵ ㉠, ㉢)
xÛ`-24x+119=(x-7)(x-17)=0 =124

122 수학Ⅰ

해설.indb 122 22. 9. 5. 오후 3:56


n
채점 요소 배점 5(2 -1) n
SÇ= =5_2 -5
2-1
첫째항부터 제 5항까지의 합을 첫째항과 공비를 이용하여 식 세우기 30`% n
이므로 SÇ+p=5_2 -5+p가 등비수열의 일반항이 되려면
첫째항부터 제10항까지의 합을 첫째항과 공비를 이용하여 식 세우기 30`%
-5+p=0
첫째항부터 제15항까지의 합 구하기 40`%
∴ p=5

573   15
III
등비수열 {aÇ}의 공비를 r라 하면
aÁ(rÛ`â`-1)
576  ②
aÁ+aª+a£+y+aª¼= =18 yy ㉠
r-1 1개월째 초에 적립한 10만 원은 36개월 동안 예금되므로
이때 aÁ, a£, a°, y, aÁ»는 첫째항이 aÁ이고 공비가 rÛ`인 등비수열을 36개월째 말의 원리합계는 10(1+0.005) 만 원이다.
36

이루므로 2개월째 초에 적립한 10만 원은 35개월 동안 예금되므로


aÁ{(rÛ`)Ú`â`-1} 36개월째 말의 원리합계는 10(1+0.005) 만 원이다.
35
aÁ+a£+a°+y+aÁ»‌=
rÛ`-1 이와 같은 방법으로 매월 초에 적립한 10만 원의 36개월째 말의
aÁ(rÛ`â`-1)
= =15 yy ㉡ 원리합계는 다음과 같다.
(r-1)(r+1)
1개월 2개월 35개월 36개월 36개월
㉠을 ㉡에 대입하면 초 초 … 초 초 말
18 6 1 제1회 10 36개월 10{1+0.005}#^
=15에서 r+1= 이므로 r= 이다.
r+1 5 5 제2회 10 35개월 10{1+0.005}#%


1



따라서 수열 {aÇ}의 공비는 이다. 제35회 10 2개월 10{1+0.005}@
5
제36회 10 1개월 10{1+0.005}

구하는 적립금의 원리합계는 첫째항이 10(1+0.005)이고 공비가


574  ③ 1+0.005인 등비수열의 첫째항부터 제36항까지의 합과 같으므로
10(1+0.005)+10(1+0.005)Û`+10(1+0.005)Ü`+y
n¾2일 때 수열의 합과 일반항 사이의 관계에 의하여
n+2 n+1  +10(1+0.005)Ü`ß`
SÇ-Sn-1‌=(3 +k)-(3 +k)
10(1+0.005)_{(1+0.005)Ü`ß`-1}
=(3-1)3
n+1
=
(1+0.005)-1
n+1
=2_3 10_1.005_0.2 36
= `(∵ 1.005 =1.2)
n¾2일 때 aÇ=2_3
n+1
이므로 수열 {aÇ}이 등비수열이 되려면 0.005
SÁ=aÁ을 만족시켜야 한다. =402(만 원)
SÁ=3Ü`+k, aÁ=2_3Û`이므로 따라서 구하는 적립금의 원리합계는 402만 원이다.
27+k=18
∴ k=-9
TIP
수열 {aÇ}이 등비수열이면 첫째항부터 제n항까지의 합을 SÇ이라
n
577  ③
할 때, SÇ=p_r -p (p는 상수) 꼴로 나타낼 수 있어야 한다.
첫 해 연초에 적립한 a원은 12년 동안 예금되므로
수열 {aÇ}이 등비수열이고, 이 수열의 공비를 r라 하면 12
12년 후의 연말의 원리합계는 a(1+0.05) 원이다.
수열 {aÇ}의 첫째항부터 제n항까지의 합 SÇ은
n 2년째 연초에 적립한 a원은 11년 동안 예금되므로
aÁ(r -1) aÁ n aÁ
SÇ= = _r - 이고 12년 후의 연말의 원리합계는 a(1+0.05) 원이다.
11
r-1 r-1 r-1
aÁ n
이와 같은 방법으로 매년 초에 적립한 a원의 12년 후의 연말의
=p (p는 상수)라 하면 SÇ=p_r -p이다.
r-1 원리합계는 다음과 같다.
n+2 n
문제에 주어진 식 SÇ=3 +k에서 SÇ=9_3 +k이므로 1년 2년 11년 12년 12년
초 초 … 초 초 말
k=-9임을 알 수 있다.
제1회 a 12년 a{1+0.05}!@
제2회 a 11년 a{1+0.05}!!


제11회 a 2년 a{1+0.05}@

575  5 제12회 a 1년 a{1+0.05}

첫째항이 5이고 공비가 2인 등비수열 {aÇ}의 첫째항부터 적립금의 원리합계는 첫째항이 a(1+0.05)이고 공비가 1+0.05인
제n항까지의 합 SÇ은 등비수열의 첫째항부터 제12항까지의 합과 같으므로

Ⅲ. 수열 123

해설.indb 123 22. 9. 5. 오후 3:56


a(1+0.05)+a(1+0.05)Û`+a(1+0.05)Ü`+y+a(1+0.05)Ú`Û`
a(1+0.05)_{(1+0.05)Ú`Û`-1}
581   24
=
(1+0.05)-1 등차수열 {aÇ}의 공차를 d라 하면
1.05a(1.05Ú`Û`-1) aÁÁ-a¤=5d=15에서 d=3이므로
=
1.05-1
일반항은 aÇ=aÁ+3(n-1)이다. yy`㉠
1.05a_0.8 12
= (∵ 1.05 =1.8) n=8을 ㉠에 대입하면
0.05
=21a_0.8=8400000 a¥=aÁ+3_7=-44에서 aÁ=-65이므로
∴ a=500000 ㉠에서 aÇ=-65+3(n-1)=3n-68이다.
이때 aªª=-2, aª£=1이므로
|aÇ|은 k=23일 때 |aª£|=1로 최솟값을 갖는다. yy TIP

578  n
 ⑴ nÜ`  ⑵ 2n-1 ∴ k+aû=23+1=24

TIP
⑴ 주어진 수열 1, 8, 27, 64, 125, y는
1Ü`, 2Ü`, 3Ü`, 4Ü`, 5Ü`, y이므로 n번째 수가 nÜ`이다. |aÇ|의 값은 항상 0보다 크거나 같으므로 aÇ이 0과 가장 가까운

따라서 주어진 수열의 일반항은 nÜ`이다. 값을 가질 때 |aÇ|은 최솟값을 갖는다.

1 2 3 4 5
⑵ 주어진 수열 , , , , , y에서
1 3 5 7 9
분자는 1, 2, 3, 4, 5, y로 n번째 수가 n이고,
분모는 1, 3, 5, 7, 9, y로 n번째 수가 2n-1이다.
582   -30

n 조건 ㈏에서 a°, aÁ¼이 절댓값은 같고 부호가 서로 다르므로


따라서 주어진 수열의 일반항은 이다.
2n-1 등차수열 {aÇ}의 공차를 d라 하면
a°+aÁ¼=aª+3d+aª+8d=0
조건 ㈎에서 aª=22이므로 11d=-44 , d=-4
579  ④ ∴ aÁ°=aª+13d=22+(-52)=-30

등차수열 -6, aÁ, aª, a£, a¢, a°, a¤, 15의 공차를 d라 하면
-6에 d를 7번 더하면 15가 된다.
즉, -6+7d=15에서
583   24

7d=21, d=3 등차수열 {an}의 공차를 d`(d>0)라 하면


따라서 a¤=15-3=12, a°=12-3=9이므로 조건 ㈎에서 a¤+a10=aÁ+5d+aÁ+9d=0이므로
a°+a¤=21 2aÁ+14d=0이다.
∴ aÁ=-7d yy`㉠
조건 ㈏에서 |a¦|+4=|a11|이므로

580  ④ |aÁ+6d|+4=|aÁ+10d|
|-d|+4=|3d|`(∵ ㉠)
삼차방정식 xÜ`-3xÛ`+kx+8=0의 세 실근이 등차수열을 이루므로 d+4=3d`(∵ d>0)
세 실근을 a-d, a, a+d라 하면 ∴ d=2, aÁ=-14`(∵ ㉠)
(a-d)+a+(a+d)=3이므로  yy TIP ∴ a20=aÁ+19d=-14+38=24
3a=3, a=1
또한, (a-d)_a_(a+d)=-8이므로  yy TIP
a(aÛ`-dÛ`)=-8, 1-dÛ`=-8, dÛ`=9
584  ④
d=3 또는 d=-3
한편, 주어진 삼차방정식의 한 근이 x=1이므로 집합 B의 원소를 작은 수부터 차례대로 나열하면

k+6=0, k=-6 7, 12, 17, 22, 27, 32, 37, 42, y

∴ k+|d|=-3 이므로 집합 B는 숫자 2를 제외하고 일의 자리의 수가 7 또는 2인


모든 자연수의 집합임을 알 수 있다.
TIP
집합 A의 원소를 작은 수부터 차례대로 나열하면
삼차방정식 xÜ`+axÛ`+bx+c=0의 세 실근을 a, b, c라 하면
4, 7, 10, 13, 16, 19, 22, 25, 28, 31, 34, 37, y
xÜ`+axÛ`+bx+c‌=(x-a)(x-b)(x-c)
이므로 A;B의 원소를 작은 수부터 차례대로 나열하면
=xÜ`-(a+b+c)xÛ`+(ab+bc+ca)x-abc
7, 22, 37, 52, 67, y이다.
이므로
즉, 수열 {an}은 첫째항이 7이고 공차가 15인 등차수열이다.
a+b+c=-a, ab+bc+ca=b, abc=-c가 성립한다.
∴ an=7+(n-1)_15=15n-8

124 수학Ⅰ

해설.indb 124 22. 9. 5. 오후 3:56


408 aÁ¼+aÁª
따라서 an=15n-8>400에서 n> =27.2이므로 aÁÁ= , aÁ¼+aÁª=2aÁÁ이다.
15 2
수열 {an}에서 처음으로 400보다 커지는 항은 제28항이다. ∴ aÁ¼+aÁÁ+aÁª=3aÁÁ=3_57=171

585   54 588   3010

5로 나눈 나머지가 3인 자연수를 작은 것부터 차례대로 나열하면


직각삼각형의 세 변의 길이를 각각 a-3, a, a+3 (a>3)이라 하자.
3, 8, 13, 18, y이다.
 yy TIP
즉, 이 수열을 {an}이라 하면 첫째항이 3이고 공차가 5인
III
이때 빗변의 길이가 a+3이므로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하여
등차수열이므로 일반항은 an=3+5(n-1)=5n-2이다.
(a-3)Û`+aÛ`=(a+3)Û`
이때 100ÉanÉ200이려면
aÛ`-6a+9+aÛ`=aÛ`+6a+9
102 202
aÛ`-12a=a(a-12)=0에서 a=12 (∵ a>3) 100É5n-2É200에서 ÉnÉ
5 5
따라서 직각삼각형의 세 변의 길이가 9, 12, 15이므로 이를 만족시키는 자연수 n은 21 이상 40 이하이다.
1 따라서 구하는 값은 등차수열 {an}의 제 21 항부터 제 40 항까지의
구하는 삼각형의 넓이는 _9_12=54
2
합과 같으므로
TIP 20(aªÁ+a¢¼) 20(103+198)
= =3010
등차수열을 이루는 세 수를 a-d, a, a+d와 같이 나타내면 2 2
세 수의 합이 (a-d)+a+(a+d)=3a이므로 미지수 d가
제거되면서 풀이 과정에서 계산이 편리하다.
같은 아이디어로 등차수열을 이루는 네 수의 경우
589   13

a-3d, a-d, a+d, a+3d와 같이 표현할 수 있고, 이때 조건 ㈎에서 aÁ+aª+a£+a¢=26이고


공차는 2d이다. 조건 ㈏에서 an-3+an-2+an-1+aÇ=134이므로
aÁ+aª+a£+a¢+an-3+an-2+an-1+an=160
이때 aÁ+aÇ=aª+an-1=a£+an-2=a¢+an-3이므로
160
aÁ+aÇ= =40이다.
586   60 4
n(aÁ+aÇ)
5개의 부채꼴의 넓이를 작은 것부터 차례대로 조건 ㈐에서 aÁ+aª+a£+y+aÇ= =260이므로
2
a-2d, a-d, a, a+d, a+2d`(d>0)라 하면 20n=260
5개의 부채꼴의 넓이의 합은 원의 넓이이므로 ∴ n=13
5a=p_15Û`   ∴ a=45p yy`㉠
또한, 가장 큰 부채꼴의 넓이가 가장 작은 부채꼴의 넓이의
2배이므로 590  ④

a+2d=2(a-2d)에서 수열 {aÇ}의 일반항은 aÇ=44-3(n-1)=-3n+47이다.


a 15 수열 {aÇ}의 첫째항이 양수이고 공차가 음수이므로 SÇ의 최댓값은
d= = p
6 2
양수인 모든 항을 더한 값과 같다.
따라서 가장 큰 부채꼴의 넓이는
47
15 aÇ=-3n+47>0, n< 에서 제16항부터 음수인 항이 나오므로
a+2d=45p+2_ p=60p 3
2
SÇ은 n=15일 때 최댓값 SÁ°를 갖는다.
∴ k=60
15{2_44+14_(-3)}
∴ SÁ°= =345
2
따라서 구하는 값은 345+15=360
587  ④

등차수열 2, aÁ, aª, a£, y, an+2, 102에서


첫째항은 2이고 항의 개수는 n+4이므로 등차수열의 합에 의하여
591  ②

(n+4)(2+102) 등차수열 {an}의 공차를 d라 하면


=52(n+4)
2 4(2_9+3d) 6(2_9+5d)
S¢= , S¤= 이고,
이때 52(n+4)=1092, n+4=21에서 n=17이다. 2 2
이 수열의 공차를 d라 하면 S¢=S¤이므로 2(18+3d)=3(18+5d)
102-2=d(n+3)에서 100=20d (∵ n=17)이므로 d=5이다. 9d=-18
aÁÁ=2+5_11=57이고 등차중항에 의하여 ∴ d=-2

Ⅲ. 수열 125

해설.indb 125 22. 9. 5. 오후 3:56


n{2_9-2(n-1)} TIP
∴S
‌ n‌= =n(10-n)
2
수열 {aÇ}이 등차수열일 때, 네 자연수 x, y, z, w에 대하여
이때 Sn<0이려면 n(10-n)<0에서 n>10이므로 자연수 n의
x+y=z+w이면 ax+ay=az+aw이다.
최솟값은 11이다.
[증명]
등차수열 {aÇ}의 공차를 d라 하면
ax+ay‌={aÁ+(x-1)d}+{aÁ+(y-1)d}
592  ⑤
=2aÁ+(x+y-2)d
수열 {aÇ}은 첫째항이 32이고 an+1-aÇ=-2에서 공차가 -2인 이고
등차수열이므로 일반항은 aÇ=32-2(n-1)=-2n+34이다. az+aw‌={aÁ+(z-1)d}+{aÁ+(w-1)d}
이때 aÇ=-2n+34=0에서 n=17이므로 =2aÁ+(z+w-2)d
nÉ17일 때 aǾ0이고, n>17일 때 aÇ<0이다. =2aÁ+(x+y-2)d (∵ x+y=z+w)
수열 {aÇ}의 첫째항부터 제17항까지의 합은 =ax+ay
17{2_32+16_(-2)}
=272이고
2
aÁ¥=-2_18+34=-2이므로 제18항부터 제30항까지의 합은
13{2_(-2)+12_(-2)}
=-182이다.
2
595  ④
∴ ‌|aÁ|+|aª|+|a£|+y+|a£¼|
ㄱ. T¢=(aÁ-aª)+(a£-a¢)=-2d (참)
=(aÁ+aª+a£+y+aÁ¦)-(aÁ¥+aÁ»+aª¼+y+a£¼)
ㄴ. T2n+1‌=aÁ+(-aª+a£)+y+(-a2n+a2n+1)
=272-(-182)=454
=aÁ+nd=an+1 (거짓)
ㄷ. TªÇ‌=(aÁ-aª)+(a£-a¢)+(a°-a¤)+y+(a2n-1-a2n)

593  ② =-dn=2n (∵ d=-2)


‌에서 Tª+T¢+T¤+y+Tª¼은 첫째항이 2이고 공차가 2인
두 등차수열 {an}, {bn}에 대하여 cn=an+bn이라 하면 등차수열의 첫째항부터 제10항까지의 합과 같으므로
수열 {cn}도 등차수열이다. 10(2_2+9_2)
=110 (참)
이때 주어진 조건에 의하여 2
cª=8이고 cª+c¢+c¤+y+c20=800이다.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수열 {cn}의 공차를 d라 하면 수열 {c2n}의 공차는 2d이므로
10(2cª+9_2d)
cª+c¢+c¤+y+c20‌‌=
2
=10(8+9d)=800 596  ⑤
∴ d=8
n¾2일 때 수열의 합과 일반항 사이의 관계에 의하여
∴ a30+b30=c30=cª+14_2d=8+28_8=232
aÇ‌=SÇ-Sn-1
=(-2nÛ`+16n+5)-{-2(n-1)Û`+16(n-1)+5}
=-4n+18
594  ③
이므로 aÇ=-4n+18 (n¾2)이다. yy`㉠
ㄱ. ‌수열 {aÇ}은 등차수열이므로 ㄱ. ‌SÁ=aÁ=19이고 ㉠에서 aª=10이므로
aÁ+aª¼=aÁ+aÁ+19d=2aÁ+19d이고 aª-aÁ=10-19=-9+-4이다. (거짓)
a¤+aÁ°=aÁ+5d+aÁ+14d=2aÁ+19d이므로 9
ㄴ. ‌㉠에서 aÇ=-4n+18<0, n> 이므로
aÁ+aª¼=a¤+aÁ° (참) yy TIP 2
ㄴ. ‌수열 {aÇ}이 공차가 d인 등차수열이므로 수열 {a3n-2}는 수열 {aÇ}에서 처음으로 음수가 되는 항은 제5항이다. (참)
aÁ, a¢, a¦, y에서 공차가 3d인 등차수열이다. ㄷ. ‌ㄴ에서 처음으로 음수가 되는 항이 제5항이므로
따라서 자연수 n에 대하여 SÇ은 n=4일 때 최댓값 S¢=-2_4Û`+16_4+5=37을
2a3n+2-2a3n-1=2(a3n+2-a3n-1)=6d이다. (참) 갖는다. (참) yy TIP
2m(aÁ+a2m) 따라서 옳은 것은 ㄴ, ㄷ이다.
ㄷ. S
‌ 2m= =m(aÁ+a2m)이고
2
TIP
aÁ+a2m=a°+a2m-5+1=a°+a2m-4
SÇ이 n에 대한 이차식이므로
=a¤+a2m-6+1=a¤+a2m-5
SÇ=-2nÛ`+16n+5=-2(n-4)Û`+37에서
이므로 S2m=m(a°+a2m-4)=m(a¤+a2m-5) (거짓)
SÇ은 n=4일 때 최댓값 37을 가짐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이다.

126 수학Ⅰ

해설.indb 126 22. 9. 5. 오후 3:56


597  ④ SnTn=nÛ`(nÛ`-1)에서
1
Tn‌=nÛ`(nÛ`-1)_
n¾2일 때 수열의 합과 일반항 사이의 관계에 의하여 Sn
aÇ‌=SÇ-Sn-1 2
=nÛ`(n+1)(n-1)_
n(n+1)
=6+4n-nÛ`-{6+4(n-1)-(n-1)Û`}
=2n(n-1)
=-2n+5
따라서 등차수열 {bn}은
이므로 aÇ=-2n+5 (n¾2)이다. yy ㉠
첫째항이 bÁ=TÁ=0이고 yy`㉠
ㄱ. ‌n¾2일 때 SÇ-Sn-1=-2n+5이므로
n¾2일 때 III
n¾1일 때 Sn+1-SÇ=-2n+3이다.
bn‌=Tn-Tn-1
즉, 수열 {Sn+1-SÇ}은 첫째항이 1이고 공차가 -2인
=2n(n-1)-2(n-1)(n-2)
등차수열이지만
=4n-4
수열 {aÇ}에서 SÁ=aÁ=9이므로 등차수열이 아니다.`(거짓)
즉, 이 식에 n=1을 대입하여 얻은 값이 ㉠과 같으므로
ㄴ. ‌㉠에서 수열 {a3n+1}은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bn=4n-4이다. (참)
a3n+1=-2(3n+1)+5=-6n+3 (n¾1)이므로
n{2aÁ+(n-1)dÁ}
공차가 -6인 등차수열이다. (참) ㄴ. Sn= ,
2
5 n{2bÁ+(n-1)dª}
ㄷ. aÁ>0이고,
‌ aÇ=-2n+5<0에서 n> 이므로 Tn= 이므로 yy`㉡
2 2
n¾3일 때 aÇ<0이다. SnTn‌=nÛ`(nÛ`-1)에서
SÇ=6+4n-nÛ`=-(n-2)Û`+10>0에서 nÛ`{2aÁ+(n-1)dÁ}{2bÁ+(n-1)dª}
=nÛ`(nÛ`-1)
1ÉnÉ5일 때 SÇ>0이다. 4
즉, aÇ<0, SÇ>0을 모두 만족시키는 자연수 n은 {2aÁ+(n-1)dÁ}{2bÁ+(n-1)dª}=4(nÛ`-1) yy`㉢
3, 4, 5로 3개이다. (참) 위의 식은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성립하므로
따라서 옳은 것은 ㄴ, ㄷ이다. 좌변의 nÛ`의 계수인 dÁdª는 우변의 nÛ`의 계수인 4와 같다.
∴ dÁdª=4 (참)
ㄷ. ㉢에서
598  ②
{2aÁ+(n-1)dÁ}{2bÁ+(n-1)dª}=4(n+1)(n-1)
S2n+1-S2n=a2n+1이므로 a2n+1=4n+1이다. 이므로
n=4일 때, a»=17이다.  yy`㉠ aÁ+0이면 2aÁ+(n-1)dÁ은 n-1을 인수로 갖지 않는다.
한편, 등차수열 {an}의 공차를 d라 할 때, 수열 {a2n+1}은 공차가 따라서 2bÁ+(n-1)dª가 n-1을 인수로 가져야 하므로
2d인 등차수열이므로 bÁ=0이고 이를 ㉡에 대입하면
2d=4에서 d=2이다.  yy`㉡ n(n-1)dª
Tn= 이다.
2
㉠, ㉡에 의하여 a»=aÁ+8_2=17이므로 aÁ=1
즉, SnTn=nÛ`(nÛ`-1)에서
따라서 수열 {an}의 일반항은
1
an=1+2(n-1)=2n-1이므로 a¢=7 Sn‌=nÛ`(nÛ`-1)_
Tn
∴ a¢+a»=7+17=24 2
=nÛ`(n+1)(n-1)_
다른 풀이 n(n-1)dª
2n(n+1) 2n(n+1)
S2n+1-S2n=a2n+1이므로 a2n+1=4n+1이다. = = `(∵ ㄴ)
dª 4
등차수열 {an}의 공차를 d라 하면 an=aÁ+(n-1)d이므로 dÁ
이 식에 n 대신 2n+1을 대입하면 dÁn(n+1)
=
2
a2n+1=aÁ+2nd이다.
n(n+1)
즉, aÁ+2nd=4n+1이고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성립하므로 이때 dÁ+1이면 Sn+ 이므로
2
aÁ=1이고, 2d=4에서 d=2이다.
an=n은 항상 성립하지는 않는다. (거짓)
∴ an=2n-1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이다.
∴ a¢+a»=7+17=24
TIP
n(n+1)
599  ③ an=n이면 Sn=
2
임을 자연수의 거듭제곱의 합으로

바로 알 수도 있다. 즉, Á k=
n n(n+1)
ㄱ. an=n이면 첫째항과 공차가 모두 1이므로 을 기억해 두면
k=1 2
n{2_1+(n-1)_1} n(n+1) 편리하다.
Sn= =  yy TIP
2 2

Ⅲ. 수열 127

해설.indb 127 22. 9. 5. 오후 3:56


{bn} : aÁaª, aªa¢, a£a¤, y에서
600  ③
aÁaª=(aÁ)Û`r, aªa¢=(aÁ)Û`rÝ`, a£a¤=(aÁ)Û`rà`, y이므로
10 1 등비수열 {bn}의 공비는 rb=rÜ`이다.
첫째항이 2 이고 공비가 인 등비수열 {an}의 일반항은
Ü'2 {cn} : aÁaªa£, aªa£a¢, a£a¢a°, y에서
1 n-1 10 - n-1
an=2 _{ } =2 _2 3 =2 3
31-n
aÁaªa£=(aÁ)Ü`rÜ`, aªa£a¢=(aÁ)Ü`rß`, a£a¢a°=(aÁ)Ü`rá`, y이므로
10

Ü'2
등비수열 {cn}의 공비는 rc=rÜ`이다.
31-n
이 값이 정수이려면 이 음이 아닌 정수이어야 한다.
3 ∴ rb=rc
31-n
즉, ¾0에서 nÉ31이므로
3
n=1, 4, 7, y, 31이다.
이때 1+3(k-1)=31에서 k=11
604  ⑤

따라서 모든 자연수 n의 값의 합은 b는 a와 c의 등비중항이므로 bÛ`=ac이고


11(1+31) 조건 ㈏에서 abc=bÜ`=1이므로 b=1이다.
=176
2 주어진 등비수열의 공비를 r라 하면 조건 ㈎에서
b 7 1 7
a+b+c= +b+br= , +1+r=  `(∵ b=1)
r 2 r 2
5
rÛ`- r+1=0, 2rÛ`-5r+2=(2r-1)(r-2)=0
601  ④ 2
1
∴ r= 또는 r=2
등비수열 {an}의 공비를 r라 하면 2
Sn+3-Sn‌=an+1+an+2+an+3 따라서 세 양수 a, b, c는 각각
n
=aÁr +aÁr
n+1
+aÁr
n+2
1 1
2, 1, 또는 , 1, 2이므로
2 2

aÛ`+bÛ`+cÛ`=2Û`+1Û`+{ }2`=
n
=aÁr (1+r+rÛ`)
1 21
n n-1 13 n
2 4
이므로 aÁr (1+r+rÛ`)=13_3 = _3 에서
3
13 다른 풀이
r=3, aÁ(1+r+rÛ`)= 이다.
3
조건 ㈏에서 abc=bÜ`=1이므로
13 13 1
즉, aÁ(1+3+9)= 에서 13aÁ= , aÁ= b=1이고 ac=1
3 3 3
7
1 n-1 n-2 조건 ㈎에서 a+c+1= 이다.
∴ an= _3 =3 2
3
∴ aÛ`+bÛ`+cÛ`‌=(a+b+c)Û`-2(ab+bc+ca)

={ }2`-2(a+c+1) (∵ b=1, ca=1)


∴ a¤=3Ý`=81
7
2
49 7 21
= -2_ =
4 2 4
602   35

1
aª=1에서 aÁr=1, aÁ=
r 605   -4
따라서 등비수열 {aÇ}의 일반항은
두 곡선이 서로 다른 세 점에서 만나므로
1 n-1 n-2
aÇ= _r =r 이다. 방정식 xÜ`+4xÛ`-3x-12=xÛ`+3x+k가 서로 다른 세 실근을
r
∴ log¨`w‌=log¨ (aÁ_aª_a£_y_aÁ¼) 갖고, 세 실근이 등비수열을 이룬다.
=log¨`aÁ+log¨`aª+log¨`a£+y+log¨`aÁ¼ 방정식 xÜ`+3xÛ`-6x-12-k=0의 서로 다른 세 실근을
=log¨`rÑÚ`+log¨`râ`+log¨`rÚ`+y+log¨`r¡` a, ar, arÛ`이라 하자.
=(-1)+0+1+y+8 삼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10_{(-1)+8} a+ar+arÛ`=-3 yy ㉠
= =35
2 a_ar+ar_arÛ`+arÛ`_a=-6에서
ar(a+ar+arÛ`)=-6 yy ㉡
a_ar_arÛ`=(ar)Ü`=12+k yy ㉢

603 
㉠을 ㉡에 대입하면
①
ar_(-3)=-6이므로 ar=2이다.
등비수열 {aÇ}의 일반항은 이를 ㉢에 대입하면 2Ü`=12+k
n-1
an=aÁr `(aÁ+0, r>1)이다. ∴ k=-4

128 수학Ⅰ

해설.indb 128 22. 9. 5. 오후 3:56


참고 aª=aÁr, a£=aÁrÛ`, a¢=aÁrÜ`이다. (단, r는 자연수)
k=-4일 때 삼차방정식 xÜ`+3xÛ`-6x-8=0의 근이 10ÉaÁ이므로 10rÜ`ÉaÁrÜ`=a¢<100
x=-4 또는 x=-1 또는 x=2이므로 주어진 두 곡선이 만나는 10rÜ`<100에서 rÜ`<10이다.
서로 다른 세 점의 x좌표는 -4, -1, 2이다. 따라서 자연수 r는 r=2이다.  yy TIP
1 r=2일 때 a¢=8aÁ<100이므로
즉, -4, 2, -1 또는 -1, 2, -4는 순서대로 각각 공비가 -
2 두 자리 자연수 aÁ의 최댓값은 12이다.
또는 -2인 등비수열을 이룬다. 따라서 aÁ+aª+a£+a¢의 최댓값은
12+24+48+96=180
III
TIP
aÁ, aª, a£, a¢는 서로 다른 수이므로 r=1이 될 수 없다.
606   15

등차수열 {aÇ}의 첫째항을 a, 공차를 d (d+0)라 하면


aª=a+d, a¢=a+3d, a»=a+8d
세 항 aª, a¢, a»가 이 순서대로 등비수열을 이루므로 609  ③
a¢Û`=aªa»
ㄱ. (반례)
‌ 수열 {aÇ}이 0, 1, 0, 2, 0, 3, 0, 4, y와 같으면
(a+3d)Û`=(a+d)(a+8d)
짝수 번째 항은 1, 2, 3, 4, y이므로 수열 {aªÇ}은
aÛ`+6ad+9dÛ`=aÛ`+9ad+8dÛ`
등차수열이지만 수열 {aÇ}은 등차수열이 아니다. (거짓)
3ad=dÛ`
ㄴ. ‌수열 {aÇ}이 등비수열이면 공비를 r라 할 때
∴ 3a=d (∵ d+0) n-1
일반항은 aÇ=aÁ_r 이다.
3a=d를 aª=a+d, a¢=a+3d에 각각 대입하면 n n-1 n-1
2an+1-3aÇ=2aÁ_r -3aÁ_r =aÁ_r (2r-3)이므로
aª=4a, a¢=10a
수열 {2an+1-3aÇ}은 첫째항이 aÁ(2r-3)이고 공비가 r인
a¢ 10a
r= = =;2%; 등비수열이다. (참)
aª 4a
ㄷ. ‌수열 {logª`aÇ}이 등차수열이면 공차를 d`(d>0)라 할 때
∴ 6r=6_;2%;=15
logª`an+1-logª`aÇ=d이다.
aÇ*Á aÇ*Á d
logª` =d, =2 이므로
aÇ aÇ
d
수열 {aÇ}은 공비가 2 인 등비수열이다. (참)
607   12 ㄹ. (반례)
‌ 수열 {aÇ}이 1, 2, 2, 4, 4, 8, 8, 16, y인 경우
n
수열 {aÇan+1}의 일반항이 aÇan+1=2 으로 등비수열이지만
2 1 1
조건 ㈏에 의하여 = + 이므로 수열 {aÇ}은 등비수열이 아니다. (거짓) yy TIP
b a c
조건 ㈎에 의하여 c=ar, b=arÛ``(r+1)이라 하면  따라서 옳은 것은 ㄴ, ㄷ으로 2개이다.
2 1 1
= + TIP
arÛ` a ar
2=rÛ`+r aÇ*Áan+2 aÇ*ª
ㄹ. ‌수열 {aÇan+1}의 공비를 r라 하면 = =r
aÇ*ÁaÇ aÇ
rÛ`+r-2=0
이므로 수열 {aªÇ}과 수열 {a2n-1}은 각각 등비수열이지만
(r+2)(r-1)=0
수열 {aÇ}이 등비수열인지는 알 수 없다.
∴ r=-2`(∵ r+1)
이때 f(x)=a(xÛ`+4x-2)=a(x+2)Û`-6a이므로
함수 f(x)는 x=-2일 때 최솟값 -6a를 갖는다.
따라서 조건 ㈐에 의하여 -6a=-24이므로 a=4
∴ f(1)=3a=12 610  ①

aÁ=SÁ=1이므로 두 수열 {aªn-1}, {Sªn-1}의 첫째항은 모두 1이다.


조건 ㈎에 의하여 aªn-1=1+4(n-1)=4n-3
n-1
조건 ㈏에 의하여 Sªn-1=2
608  ④
이때 SÁ1-S»=aÁ0+aÁ1이고
6-1
두 자리 자연수 중에서 서로 다른 네 수를 작은 것부터 차례대로 SÁ1=Sª_6-1=2 =2Þ`=32,
5-1
aÁ, aª, a£, a¢라 하면 S»=Sª_5-1=2 =2Ý`=16,
10ÉaÁ<aª<a£<a¢<100이고, aÁ1=aª_6-1=4_6-3=21이므로
이 순서대로 공비가 r인 등비수열이 된다고 하면 aÁ0=SÁ1-S»-aÁ1=32-16-21=-5

Ⅲ. 수열 129

해설.indb 129 22. 9. 5. 오후 3:56


2Ü`Û`-4 4(2Ü`â`-1)
611  ⑤ 즉, rÛ`=
2Ü`â`-1
=
2Ü`â`-1
=4이므로

등차수열 {an}의 공차를 d, 등비수열 {bn}의 공비를 r라 하면 수열 {a2n-1}은 첫째항이 aÁ=3이고 공비가 rÛ`=4인 등비수열이다.
a¦=a¤+d, b¦=b¤_r`(단, d, r는 모두 자연수) 3(4û`-1)
이때 aÁ+a£+a°+y+a2k-1= =4û`-1이므로
4-1
조건 ㈎에서 a¦=b¦이고 a¤=b¤=9이므로
4û`-1=2Ü`â`-1에서 4û`=2Ü`â`, 4û`=4Ú`Þ`
d
9+d=9r   ∴ r=1+    yy`㉠ ∴ k=15
9
aÁÁ=a¤+5d=9+5d이므로 조건 ㈏에서
94<9+5d<109, 85<5d<100
∴ 17<d<20
이때 d는 9의 배수이므로 d=18
615  ⑤

d=18을 ㉠에 대입하면 수열 {aÇ}의 첫째항부터 제n항까지의 합이 SÇ이므로


18 1
r=1+ =3 SÁ=aÁ= 이다.
9 27
∴ a¦+b¥‌=(a¤+d)+(b¤_rÛ`) 1
즉, 수열 {SÇ}은 첫째항이 이고 공비가 3인 등비수열이므로
27
=(9+18)+(9_3Û`)
1 n-1 -3 n-1 n-4
=108 일반항은 SÇ= _3 =3 _3 =3 이다.
27
n¾2일 때 수열의 합과 일반항 사이의 관계에 의하여
n-4 n-5 n-5 n-5
aÇ=SÇ-Sn-1=3 -3 =3 (3-1)=2_3 이므로
612  ⑤
수열 {aÇ}의 일반항은 aÁ=
1
27
n-5
, aÇ=2_3  (n¾2)이다.
등비수열 {aÇ}의 공비를 r`(r>0)라 하면 aû aû
aÁ(rÜ`-1) aÁ(rá`-1) aÁ(rÜ`-1) 이때 log»` =11에서 =9Ú`Ú`, aû=2_3Û`Û`이므로
2 2
S£= , S»= = _(rß`+rÜ`+1)
r-1 r-1 r-1 2_3
k-5
=2_3Û`Û`, 3
k-5
=3Û`Û`에서 k-5=22

이때 =rß`+rÜ`+1=21이므로 ∴ k=27

rß`+rÜ`-20=(rÜ`+5)(rÜ`-4)=0에서 rÜ`=4 (∵ r>0)
aÁÁ+aÁ° ¾Ð rá`(aª+a¤)
∴ ¾Ð ‌= ="Ã(rÜ`)Ü`
aª+a¤ aª+a¤
="Å4Ü`="Å2ß`=8
616  ④

6Ú`â`=2Ú`â`_3Ú`â`이므로 6Ú`â`의 양의 약수가 2Ü`으로는 나누어떨어지고


2Þ`으로는 나누어떨어지지 않으려면

613  ② 2Ü` 또는 2Ý`을 인수로 가지고 있고, 2Þ`은 인수로 가지고 있지 않아야
한다.
등비수열 {an}의 공비를 r라 하면 등비수열의 모든 항이 양수이므로 6Ú`â`의 양의 약수 중에서 2Ü`을 인수로 가지고 있는 수, 즉
aÁ>0, r>0이다. 2Ü`3û` 꼴의 수의 합은
aÁaª=a¢에서 (aÁ)Û`r=aÁrÜ`이므로 aÁ=rÛ`이다.  yy`㉠ 2Ü`(3Ú`Ú`-1)
2Ü`(3â`+3Ú`+3Û`+y+3Ú`â`)‌=
aÁ+a£=aÁ+aÁrÛ`=aÁ+(aÁ)Û``(∵ ㉠)에서 3-1
(aÁ)Û`+aÁ=12이므로 =2Û`(3Ú`Ú`-1)
(aÁ+4)(aÁ-3)=0 이고 2Ý`을 인수로 가지고 있는 수, 즉 2Ý`3û` 꼴의 수의 합은
∴ aÁ=3`(∵ aÁ>0), rÛ`=3`(∵ ㉠) 2Ý`(3Ú`Ú`-1)
2Ý`(3â`+3Ú`+3Û`+y+3Ú`â`)‌=
3-1
한편, aÁ-a£+a°-a¦+a»는 첫째항이 aÁ=3이고 공비가
=2Ü`(3Ú`Ú`-1)
-rÛ`=-3인 등비수열의 첫째항부터 제5항까지의 합이다.
이므로 구하는 값은
3{(-3)Þ`-1}
∴ aÁ-a£+a°-a¦+a»= =183 2Û`(3Ú`Ú`-1)+2Ü`(3Ú`Ú`-1)=(2Û`+2Ü`)(3Ú`Ú`-1)=12(3Ú`Ú`-1)
-3-1

614  ② 617  ②

등비수열 {aÇ}의 공비를 r라 하면 등비수열 {aÇ}의 공비를 r라 하면 첫째항부터 제5항까지의 합은


a£=aÁrÛ`, a°=a£rÛ`, a¦=a°rÛ`, y, a2k+1=a2k-1rÛ` 이므로 aÁ(rÞ`-1) 31
=  yy ㉠
a£+a°+a¦+y+a2k+1 rÛ`(aÁ+a£+a°+y+a2k-1) r-1 2
= =rÛ`
aÁ+a£+a°+y+a2k-1 aÁ+a£+a°+y+a2k-1 이고, 첫째항부터 제5항까지의 곱은

130 수학Ⅰ

해설.indb 130 22. 9. 5. 오후 3:56


aÁ_aª_a£_a¢_a°=aÁ_aÁr_aÁrÛ`_aÁrÜ`_aÁrÝ`=(aÁrÛ`)Þ`=32 ㉠, ㉡에서 구하는 값은
에서 aÁrÛ`=2이다. yy ㉡ 2
aÁ¼ (10Ú`â`-1) 22(10Ú`â`-1)
1 1 1 1 1 1 1 9 22
+ + + + 은 첫째항이 = = =
aÁ aª a£ a¢ a° aÁ
이고 공비가 인
r bÁ¼ 1 (10Ú `â`+1)(10Ú`â`-1) 10Ú`â`+1
(10Û`â`-1)
99

1 [1-{ 1 }5`]
등비수열의 첫째항부터 제5항까지의 합이므로

aÁ r r 1 rÞ`-1 1 aÁ(rÞ`-1)
‌= _ _ = _
1 aÁ rÞ` r-1 (aÁrÛ ` )Û ` r-1
1-
r 619  ③
III
1 31 원점과 점 BÇ을 지나는 직선의 기울기가 aÇ이므로
= _  `(∵ ㉠)
(aÁrÛ`)Û` 2 AÕÇBÇÓ
1 31 aÇ=  yy`㉠
= _  `(∵ ㉡) OÕAÇÓ
4 2
1 n-1
31 AÕÁBÁÓ=OÕAÁÓ=1이고, AÕÇBÇÓ=AÕn-1ÓAÇÓ={ } (n¾2)이므로
= 2
8
1 n-1
AÕÇBÇÓ={ } (n¾1)
다른 풀이 2
1
등비수열 {aÇ}의 공비를 r라 하면 등비수열 {aÇ}의 이때 OÕAÇÓ은 첫째항이 1이고 공비가 인 등비수열의 첫째항부터
2
첫째항부터 제5항까지의 합은 제n항까지의 합이므로
1-{ 1 }n`
a£ a£
aÁ+aª+a£+a¢+a°‌= + +a£+a£r+a£rÛ`
rÛ` r 2
=2-{ 1 }
n-1
OÕAÇÓ=
1 1 31 1
=a£{ + +1+r+rÛ`}=  yy ㉢ 1- 2
rÛ` r 2 2
{1}
n-1
첫째항부터 제5항까지의 곱은
2
a£ a£
aÁ_aª_a£_a¢_a°= _ _a£_a£r_aÁrÛ`=(a£)Þ`=32 ㉠에서 aÇ= = 1
1 n-1 2n-1
rÛ` r 2-{ 2 }
에서 a£=2이다. yy ㉣
1
㉣을 ㉢에 대입하면 ∴ a£¼=
2Ü`â`-1
1 1 31
2{ + +1+r+rÛ`}= 에서
rÛ` r 2
1 1 31
+ +1+r+rÛ`=  yy ㉤
rÛ` r
1 1 1 1 1
4
rÛ` r 1 1 1
620  ⑤
∴ + + + + ‌= + + + +
aÁ aª a£ a¢ a° a£ a£ a£ a£r a£rÛ` 그림 RÇ에서 새로 생긴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를 aÇ이라 하자.
1 1 1
= {rÛ`+r+1+ + } (∵ ㉣) 다음 그림과 같이 그림 RÁ에서
2
'2
r rÛ`
1 31 ACÓ=3aÁ='2이므로 aÁ=
= _  (∵ ㉤) 3
2 4
A
31 a¡
=
8 E
Â2

1
D

618  ③ B
1
C

수열 {aÇ}이 aÁ=2, aª=2+20, a£=2+20+200, R¡

a¢=2+20+200+2000, y 직각이등변삼각형 ABC와 직각이등변삼각형 AED의 닮음비가


이므로 제n항은 첫째항이 2이고 공비가 10인 등비수열의 '2
ABÓ`:`AEÓ=1`:` 이므로 그림 RÇ에서 새로 생긴 정사각형과
3
첫째항부터 제n항까지의 합과 같다.
n '2
2(10 -1) 2 그림 RÇ*Á에서 새로 생긴 정사각형의 닮음비도 1`:` 이다.
∴ aÇ=
n
= (10 -1) yy ㉠ 3

즉, an+1= aÇ이므로 aÇ={ }n`이다.


10-1 9
'2 '2
수열 {bÇ}이 bÁ=1, bª=1+100, b£=1+100+10000, 3 3

또한, 그림 RÇ에서 새로 생긴 한 변의 길이가 { }n`인 정사각형은


b¢=1+100+10000+1000000, y '2
이므로 제n항은 첫째항이 1이고 공비가 100인 등비수열의 3
n-1
첫째항부터 제n항까지의 합과 같다. 2 개이므로 그림 RÇ에서 새로 생긴 정사각형들의 넓이의 합은
n
100 -1 1 '2 2n n-1 2 4 n-1
yy ㉡ (aÇ)Û`_2 ={ } _2 = _{ } 이다.
2n n-1
∴ bÇ= = (10 -1)
100-1 99 3 9 9

Ⅲ. 수열 131

해설.indb 131 22. 9. 5. 오후 3:56


따라서 그림 RÇ에서 색칠되어 있는 모든 정사각형들의 넓이의 합 1 1 1 1 1 1
등비수열 , , , , y, , 의 합은
2 4 3 aÁ aª a£ aª£ 45
SÇ은 등비수열 [ _{ } ]의 첫째항부터 제n항까지의 합과
n-1

9 9 1 [1-{ 1 }25]
3
‌= r _ 1 _ rÛ`Þ`-1
같다. r
1 r-1 3 rÛ`Þ`
2 [1-{ 4 }8] 1-
r
9 9 2 2 16
∴ S¥= = [1-{ } ] 1 1 rÛ`Þ`-1
4 5 3 = _ _  yy ㉢
1- rÛ`Ý` 3 r-1
9
따라서 ㉡, ㉢에서 주어진 등식은
3(rÛ`Þ`-1) 1 1 rÛ`Þ`-1
=m_{ _ _ }이므로
r-1 rÛ`Ý` 3 r-1
621  ④
m=9_rÛ`Ý`=135 (∵ ㉠)
A예금 상품의 만기에 찾은 금액은 첫째항이 13_1.01(만 원)이고
공비가 1.01인 등비수열의 첫째항부터 제36항까지의 합과 같으므로
13_1.01(1.01Ü`ß`-1)
624 
36
=13_101_0.42(만 원) (∵ 1.01 =1.42)  150
1.01-1
B예금 상품의 만기에 찾은 금액은 첫째항이 a_1.01(만 원)이고
10개의 선분 lÁ, lª, l£, y, lÁ0을 각각 포함하는 직선이 x축과
공비가 1.01인 등비수열의 첫째항부터 제24항까지의 합과 같으므로
만나는 점의 x좌표를 각각 xÁ, xª, x£, y, xÁ0이라 하자.
a_1.01(1.01Û`Ý`-1) 24
1.01-1
=101a_0.26(만 원) (∵ 1.01 =1.26) 선분 lÁ, lª, l£, y, lÁ0은 일정한 간격으로 그은 것이므로

이때 A, B예금의 만기 적립금이 같으므로 xª-xÁ=x£-xª=x¢-x£=y=xÁ0-x»이다.

13_101_0.42=101a_0.26 즉, xÁ, xª, x£, y, xÁ0은 이 순서대로 등차수열을 이룬다. yy`㉠

∴ a=21(만 원) 한편, li‌={(xi)Û`+axi+b}-(xi)Û`


=axi+b`(i=1, 2, 3, y, 10)
이므로 ㉠에 의하여
lÁ=axÁ+b, lª=axª+b, l£=ax£+b, y, lÁ0=axÁ0+b도
622  ⑤
이 순서대로 등차수열을 이룬다.
2018년 초에 100(만 원)을 적립하면 2027년 말에 10(lÁ+lÁ0)
∴ lÁ+lª+l£+y+lÁ0‌=
100_1.1Ú`â`(만 원), 2
2019년 초에 100_1.21(만 원)을 적립하면 2027년 말에 10(lª+l»)
=
2
100_1.21_1.1á`=100_1.1Ú`Ú`(만 원),
10(4+26)
2020년 초에 100_1.21Û`(만 원)을 적립하면 2027년 말에 = =150
2
100_1.21Û`_1.1¡`=100_1.1Ú`Û`(만 원)
y

2027년 초에 100_1.21á`(만 원)을 적립하면 2027년 말에


100_1.21á`_1.1=100_1.1Ú`á`(만 원) 625   32 n
이 된다.
직선 PÁQÁ, PªQª, P£Q£, y, PÇQÇ, BC가 서로 평행하므로
따라서 구하는 적립금의 원리합계는 첫째항이 100_1.1Ú`â`이고
삼각형 AQÁPÁ, AQªPª, AQ£P£, y, AQÇPÇ, ABC는 모두 서로
공비가 1.1인 등비수열의 첫째항부터 제10항까지의 합과 같으므로
닮음이다.
100_1.1Ú`â`(1.1Ú`â`-1) 260_1.6
= =4160(만 원) n개의 점 PÁ, Pª, P£, y, PÇ이 변 AC를 (n+1)등분하므로
1.1-1 0.1
7 3
AÕQÁÓ= , PÕÁQÁÓ= 이고,
n+1 n+1
PÕÁQÁÓ, PÕªQÓª, PÕ£Q£Ó, y, PÕÇQÇÓ, BCÓ가 이 순서대로 등차수열을
623   135
이룬다.
등비수열 3, aÁ, aª, a£, y, aª£, 45의 공비를 r라 하면 3
이 등차수열의 첫째항은 PÕÁQÁÓ= 이고
n+1
45=3_rÛ`Ý`에서
3
rÛ`Ý`=15 yy ㉠ 제n항은 PÕÇQÇÓ=3- 이므로 yy TIP
n+1
등비수열 3, aÁ, aª, a£, y, aª£, 45의 합은 PÕÁQÁÓ+PÕªQªÓ+PÕ£Q£Ó+y+PÕÇQÇÓ
3(rÛ`Þ`-1)
yy ㉡ 3 3
r-1
 n[ +{3- }]
n+1 n+1
=
이고, 수열 3, aÁ, aª, a£, y, aª£, 45가 등비수열이면 2
1 1 1 1 1 1 3
수열 , , , , y, , 도 등비수열이므로 = n
2
3 aÁ aª a£ aª£ 45

132 수학Ⅰ

해설.indb 132 22. 9. 5. 오후 3:56


TIP 위 식에 ㉠을 대입하면
다음 그림과 같이 점 PÁ, Pª, P£, y, PÇ에서 k{(1-2k)+k-1}=-16, kÛ`=16
선분 PªQª, P£Q£, P¢Q¢, y, PÇQÇ, BC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각 ∴ k=4`(∵ k는 자연수)
DÁ, Dª, D£, y, DÇ이라 하자. k=4를 ㉠에 대입하면
C aÁ=1-2_4=-7

Dˆ ∴ a2k=a¥=-7+7_2=7


P™ D£ …
P¡ D™
628  ③ III

A B
Q¡ Q™ Q£ Q¢ Qˆ
ak-3, ak-2, ak-1은 이 순서대로 등차수열을 이루므로 ak-2는 ak-3과
7 3 ak-1의 등차중항이다.
색칠된 삼각형은 모두 밑변의 길이가 이고 높이가 인
n+1 n+1
즉, 조건 ㈎에서
합동인 직각삼각형이다.
ak-3+ak-1 -24
3 ak-2= = =-12
이때 PÕÁQÁÓ, PÕªQªÓ, PÕ£Q£Ó, y, PÕÇQÇÓ, BCÓ는 만큼씩 2 2
n+1
수열 {an}의 첫째항부터 제 k 항까지의 합 Sk는
3
커지므로 공차가
n+1
인 등차수열을 이룬다. k(aÁ+ak)
Sk=  yy ㉠
2
3
따라서 PÕÇQÇÓ=BCÓ-CÕDÇÓ=3- 이다. 등차수열 {an}의 공차를 d라 하면
n+1
aÁ+ak=aÁ+{aÁ+(k-1)d}=2aÁ+(k-1)d,
aª+ak-1=(aÁ+d)+{aÁ+(k-2)d}=2aÁ+(k-1)d,
a£+ak-2=(aÁ+2d)+{aÁ+(k-3)d}=2aÁ+(k-1)d
626  6
이므로
-log2`b2n-1=a1+a3+a5+y+a2n-1 yy ㉠ aÁ+ak=a£+ak-2  yy ㉡
log2`b2n=a2+a4+a6+y+a2n yy ㉡ ㉠에 ㉡을 대입하면
등차수열 {an}의 공차를 d라 할 때, ㉡에서 ㉠을 빼면 k(a£+ak-2)
Sk‌=
2
log2`b2n+log2`b2n-1=(a2+a4+a6+y+a2n)
k{42+(-12)}
-(a1+a3+a5+y+a2n-1) =
2
log2`(b2n_b2n-1)‌=(a2-a1)+(a4-a3)+(a6-a5)+y =15k
 +(a2n-a2n-1) 이때 조건 ㈏에서 15k=kÛ`
=d_n 따라서 k+0이므로 k=15
yy ㉢
dn
∴ b2n_b2n-1=2 
bÁ_bª_b£_y_bÁ¼‌=(bÁbª)_(b£b¢)_(b°b¤)_(b¦b¥)_(b»bÁ¼)
=2¶`_2Û`¶`_2Ü`¶`_2Ý`¶`_2Þ`¶` (∵ ㉢) 629  ③
=2Ú`Þ`¶`=1024=2Ú`â` 등차수열 {aÇ}의 공차를 d, 등비수열 {bÇ}의 공비를 r라 하자.
2
에서 15d=10   ∴ d= 조건 ㈎에 의하여
3
aÁ+d=aÁr에서 aÁ(r-1)=d yy ㉠
2
∴ k=an+9-an=9d=9_ =6 aÁ+3d=aÁrÜ`에서 aÁ(rÜ`-1)=aÁ(r-1)(rÛ`+r+1)=3d yy ㉡
3
㉠을 ㉡에 대입하면
d(rÛ`+r+1)=3d, d(rÛ`+r-2)=d(r+2)(r-1)=0
627  ② 이므로 d=0 또는 r=-2 또는 r=1이다.
Ú d=0인 경우
Sk=-16, Sk+2=-12이므로
등차수열 {aÇ}의 모든 항이 aÁ이고
Sk+2-Sk=ak+1+ak+2=4
bª=aª=aÁ=bÁ에서 r=1이므로
등차수열 {an}의 공차가 2이므로
등비수열 {bÇ}의 모든 항도 aÁ이다.
(aÁ+2k)+{aÁ+2(k+1)}=4
이때 a£+b£을 만족시키지 못한다.
2aÁ+4k+2=4
Û r=-2인 경우
aÁ+2k=1
조건 ㈏에서 b£=aÁrÛ`=4aÁ=12이므로 aÁ=3이고,
∴ aÁ=1-2k   yy ㉠
k{2aÁ+2(k-1)} ㉠에서 d=3_(-2-1)=-9이다.
Sk=-16이므로 =-16 이때 a£=aÁ+2d=-15+b£이므로 조건을 만족시킨다.
2
k(aÁ+k-1)=-16 Ü r=1인 경우

Ⅲ. 수열 133

해설.indb 133 22. 9. 5. 오후 3:56


등비수열 {bÇ}의 모든 항이 bÁ이고
aª=bª=bÁ=aÁ에서 d=0이므로
631  ④

등차수열 {aÇ}의 모든 항도 bÁ이다. 2028년 초의 이 아파트의 한 세대 매입가는


이때 a£+b£을 만족시키지 못한다. 31200_1.04Ú`â`(만 원)이고 yy ㉠
Ú∼Ü에서 구하는 값은 2018년 초에 a(만 원)을 적립하면 2028년 초에
aÁ¼=aÁ+9d=3+9_(-9)=-78 a_1.04Ú`â`(만 원),
2019년 초에 a_0.95(만 원)을 적립하면 2028년 초에

630   18 a_0.95_1.04á`(만 원),


2020년 초에 a_0.95Û`(만 원)을 적립하면 2028년 초에
수열 {aÇ}은 등차수열이므로 공차를 d라 하면 a_0.95Û`_1.04¡`(만 원),
aÁ+a¥‌=aÁ+(aÁ+7d)

y

=(aÁ+3d)+(aÁ+4d) 2027년 초에 a_0.95á`(만 원)을 적립하면 2028년 초에
=a¢+a°=8 yy`㉠ a_0.95á`_1.04(만 원)이 된다.
수열 {bÇ}은 등비수열이므로 공비를 r (r<1)라 하면 0.95
즉, 적립금의 원리합계는 첫째항이 a_1.04Ú`â`이고 공비가 인
bªb¦‌=bÁr_bÁrß` 1.04
=bÁrÜ`_bÁrÝ` 등비수열의 첫째항부터 제10항까지의 합과 같으므로
a_1.04Ú`â`[1-{ 0.95 } ]
10
=b¢b°=12
1.04
이때 a¢=b¢, a°=b°이므로 =a_1.04Ú`â`_0.6_ 104  yy ㉡
0.95 9
yy`㉡ 1-
a¢a°=b¢b°=12 1.04
㉠, ㉡에서 a¢, a°가 이차방정식의 두 근이라 하면 ㉠, ㉡에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104
31200_1.04Ú`â`=a_1.04Ú`â`_0.6_
xÛ`-(a¢+a°)x+a¢a°=0이므로 9
xÛ`-8x+12=0, (x-2)(x-6)=0 ∴ a=4500
∴ x=2 또는 x=6
한편, b¢>b° (∵ r<1)이므로 a¢>a°
∴ a¢=6, a°=2
a°-a¢‌=d=2-6=-4
즉, a¢=aÁ+3d에서 d=-4이므로 632  ④

6=aÁ+3_(-4) n번째 시행에서 새로 색칠한 모든 정사각형의 둘레의 길이의 합을


∴ aÁ=18 an이라 하자.
다른 풀이 첫 번째 시행에서 색칠한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는 1이므로
aÁ=4_1=4
수열 {an}은 등차수열이므로 등차중항의 성질에 의하여
두 번째 시행에서 새로 색칠한 하나의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는
a1+a8=a4+a5=8   yy`㉢
1
수열 {bn}은 등비수열이므로 등비중항의 성질에 의하여 이고, 이 정사각형을 8개 색칠하였으므로
3
b2b7=b4b5=12  yy`㉣ 1
aª={4_ }_8
이때 a4=b4, a5=b5이므로 3
㉢에서 b4+b5=a4+a5=8 세 번째 시행에서 새로 색칠한 하나의 정사각형의 한 변이 길이는
yy`㉤ 1
∴ b5=8-b4  { }Û`이고, 이 정사각형을 8Û`개 색칠하였으므로
3
㉣의 b4b5=12에 ㉤을 대입하면 b4(8-b4)=12
1
a£=[4_{ }Û`]_8Û`
2
b4 -8b4+12=0, (b4-2)(b4-6)=0
3
∴ b4=2 또는 b4=6
  ⋮
이를 ㉤에 대입하면
8
b4=2일 때 b5=6 즉, 수열 {an}은 첫째항이 aÁ=4이고 공비가 인 등비수열이다.
3
b4=6일 때 b5=2 따라서 시행을 8회 반복할 때, 색칠한 모든 정사각형의 둘레의
그런데 수열 {bn}은 공비가 1보다 작은 등비수열이므로 길이의 합은
8
4[{ }¡`-1]
a4=b4=6, a5=b5=2
a°-a¢‌=d=2-6=-4 3
aÁ+aª+a£+y+a¥‌=
8
즉, a¢=aÁ+3d에서 d=-4이므로 -1
3
6=aÁ+3_(-4) 12 8 ¡`
= [{ } -1]
∴ aÁ=18 5 3

134 수학Ⅰ

해설.indb 134 22. 9. 5. 오후 3:56


103
633  ③ 즉, n의 값이
3
의 부근인 곳에서 TÇ의 값을 구해 보면

그림 Rn에서 새로 색칠한 부분의 넓이를 an이라 하자. T£ª=112, T££=66, T£¢=17, T£°=35이므로
한 변의 길이가 1인 정사각형의 넓이가 1이므로 TÇ>Tn+1을 만족시키는 n의 최댓값은 33이다.
1 1 TIP
그림 RÁ에서 새로 색칠한 부분의 넓이는 aÁ=1_ = 이다.
4 4
등차수열 {aÇ}의 첫째항이 양수이므로 경우를 나누면 다음과
1
그림 Rª에서 새로 색칠한 하나의 정사각형의 넓이는 aÁ_ 이고,
4 같다.
같은 넓이의 정사각형을 3개 색칠하였으므로 ❶ ‌공차가 양수이면 항의 값이 계속 커지므로 모든 자연수 n에 III
1 3 대하여 TÇ<Tn+1이다.
aª=aÁ_ _3= aÁ이다.
4 4 ❷ ‌공차가 0이면 모든 항의 값이 50이므로 TÇ=|50n|이다.
1 1 즉,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TÇ<Tn+1이다.
그림 R£에서 새로 색칠한 하나의 정사각형의 넓이는 aÁ_ _
4 4
따라서 공차가 양수이거나 0이면 TÇ>Tn+1을 만족시킬 수
이고, 같은 넓이의 정사각형을 3_3개 색칠하였으므로
없으므로 수열 {aÇ}의 공차는 음수이다.
1 3
a£=aÁ_{ }Û`_3Û`={ }Û`aÁ이다.
4 4
  ⋮
1 3
즉, 수열 {an}은 첫째항이 이고 공비가 인 등비수열이다.
4 4
1 [1-{ 3 }10]
635  ①

∴ SÁ0=aÁ+aª+y+a10=
4 4 3 10
=1-{ } 종이 ABCD를 접는 선은 한 변의 길이가 '2인 정사각형이므로 S1을
3 4
1- 펼친 그림에서 접힌 모든 선들의 길이의 합은 4'2이다.
4
S1을 접는 선은 한 변의 길이가 1인 정사각형이고 종이가 2겹이므로
S2를 펼친 그림에서 새로 접힌 모든 선들의 길이의 합은
634   33 2_4_1=8
1
aÁ>0이고 조건 ㈎에서 S2를 접는 선은 한 변의 길이가 인 정사각형이고 종이가
'2
|aÁ+aª+a£+y+aÁ¤|<|aÁ+aª+a£+y+aÁ¦|
4겹이므로 S3을 펼친 그림에서 새로 접힌 모든 선들의 길이의 합은
이므로 aÁ¦>0이다. yy TIP
1
4_4_ =8'2
수열 {aÇ}의 공차를 d라 하면 '2
aÁ¦=50+16d>0에서 d>-
50
 yy ㉠ 새로 접힌 모든 선들의 길이의 합은 첫째항이 4'2이고 공비가 '2인
16
등비수열이므로 Sn을 펼친 그림에서 접힌 모든 선들의 길이의 합
ln은 첫째항이 4'2이고 공비가 '2인 등비수열의 첫째항부터
또한, 조건 ㈏에서
|aÁ+aª+a£+y+aÁ¦|>|aÁ+aª+a£+y+aÁ¥|
제n항까지의 합이다.
이므로 aÁ¥<0이다. 5
4'2_{('2) -1}
∴ l5=
aÁ¥=50+17d<0에서 d<-
50
 yy ㉡ '2-1
17
4'2(4'2-1)('2+1)
50 50 =
㉠, ㉡에서 -
16
<d<- 이므로 d=-3` (∵ d는 정수)
17 ('2-1)('2+1)
=4'2(7+3'2)
따라서 수열 {aÇ}의 첫째항부터 제n항까지의 합은
n{100-3(n-1)} n(-3n+103) =24+28'2
= 이고
2 2
n(-3n+103)
TÇ=| |이다.
2

이때 함수 f(x)=|
x(-3x+103)
| (x>0)이라 하면
636  ④
2
이 수열의 공차를 d라 할 때,
함수 y= f(x)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첫째항이 2이고 공차가 d인 수열을 차례대로 나열하면
y
2, 2+d, 2+2d, 2+3d, 2+4d, 2+5d, y
첫 번째 시행을 한 다음 얻는 수열은
y=f{x} 2, 2+2d, 2+4d, 2+6d, 2+8d, 2+10d, y
두 번째 시행을 한 다음 얻는 수열은
2, 2+4d, 2+8d, 2+12d, 2+16d, 2+20d, y
세 번째 시행을 한 다음 얻는 수열은
O 103 x
3 2, 2+8d, 2+16d, 2+24d, 2+32d, 2+40d, y

Ⅲ. 수열 135

해설.indb 135 22. 9. 5. 오후 3:56


즉, 이와 같이 주어진 시행을 n번 반복한 다음 얻은 수열은 첫째항이
n 여러 가지 수열의 합
2이고 공차가 2 d인 등차수열이므로
시행을 8번 반복한 다음 얻은 수열은 첫째항이 2이고 공차가 2¡`d인
등차수열이다.
따라서 제12항이 46이므로 639  ⑤

Á aû=10, Á bû=4이므로 Á의 성질에 의하여


1 5 5
2+2¡`(12-1)d=46, 11_2¡`d=44에서 d=
64

Á (3aû-bû+4)‌=3 Á aû- Á bû+ Á 4


k=1 k=1
5 5 5 5

k=1 k=1 k=1 k=1

637   26 =3_10-4+4_5=46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키는 집합 Ak를 구하여 차례대로 나열하면


A1={3, 5, 7, 9, 11}
640   18

Á aû=-2, Á (aû)Û`=4이므로 Á의 성질에 의하여


A2={9, 11, 13, y, 21}
10 10
A3={15, 17, 19, y, 31}

Á (2aû+1)Û`‌= Á {4(aû)Û`+4aû+1}
k=1 k=1
A4={21, 23, 25, y, 41} 10 10

=4 Á (aû)Û`+4 Á aû+ Á 1
k=1 k=1

Ak={6k-3, 6k-1, 6k+1, y, 10k+1} 10 10 10

즉, A15={87, 89, 91, y, 151}이다. k=1 k=1 k=1

p>15에서 A15;Ap=á을 만족시키려면 =4_4+4_(-2)+1_10=18


집합 Ap의 가장 작은 원소 6p-3이 집합 A15의 가장 큰 원소보다
커야 하므로 6p-3>151이어야 한다.
154 641  ④

Á (a2k-1+a2k)
따라서 p> =25.6y이므로 자연수 p의 최솟값은 26이다.
6 10

k=1

=(a1+aª)+(a£+a¢)+(a°+a¤)+y+(a19+aª¼)
638  = Á aû
 27
2
20

이므로 Á aû=40이다.
k=1

조건에서 홀수 번째 항들의 합이 짝수 번째 항들의 합보다 크고 20

공차가 양수이므로 k는 홀수이다.


∴ Á (2ak+5)‌=2 Á aû+5_20
k=1
20 20
k+1
즉, 홀수 번째 항의 개수는 이고, 홀수 번째 항들의 합이
2 k=1 k=1

24이므로 =2_40+5_20=180
k+1 aÁ+aû
_ =24 yy ㉠
2 2
이때 짝수 번째 항들의 합이 21이므로 첫째항부터 제k항까지의 합은 642  ②

Á f(k+3)- Á f(i-4)
21+24=45이다.
24 32
k(aÁ+aû)
=45 yy ㉡
2
k=2 i=10

={ f(5)+ f(6)+ f(7)+y+ f(27)}


㉠Ö㉡을 하면
 -{ f(6)+ f(7)+ f(8)+y+ f(28)}
k+1 24 8
= = , 16k=15(k+1), k=15 = f(5)- f(28)
2k 45 15
k=15를 ㉡에 대입하면 =7-22 (∵ f(5)=7, f(28)=22)
15(aÁ+aÁ°) =-15
=45, aÁ+aÁ°=6
2
aÁ+aÁ° 6
등차중항에 의하여 =a¥이므로 a¥= =3이고
2 2
a¤É0이므로 수열 {aÇ}의 공차를 d라 하면
643  ③

3 ① Á kaû=aÁ+2aª+3a£+y+naÇ이고,
n
a¤=a¥-2d=3-2dÉ0, d¾
2

k Á aû=k(aÁ+aª+a£+y+aÇ)이므로
k=1

3 n
따라서 구하는 aû의 최솟값은 d가 최솟값 을 가질 때이므로
2

Á kaû+k Á aû이다. (거짓)


k=1

3 27 n n
aû=aÁ°=a¥+7d=3+7_ = 이다.
2 2 k=1 k=1

136 수학Ⅰ

해설.indb 136 22. 9. 5. 오후 3:56


② Á aªû=aª+a¢+a¤+y+aªÇ이고, ④ Á (4k-7)=1+5+9+y+(4n-3)
n n+1

Á aû=aÁ+aª+a£+y+aªÇ이므로 ⑤ Á (4k-7)=1+5+9+y+(4n+1)
k=1 k=2
2n n+2

따라서 선지 중 Á를 사용하여 바르게 나타낸 것은 ③이다.


Á aªû+ Á aû이다. (거짓)
k=1 k=2
n 2n

③ Á c=c+c+c+y+c=c(n-1) (참)
k=1 k=1
다른 풀이
n

1, 5, 9, y는 첫째항이 1이고 공차가 4인 등차수열이므로 이 수열을


④ Á aûbû=aÁbÁ+aªbª+a£b£+y+aÇbÇ이고,
k=2
n
{aû}라 하면 일반항은 aû=1+4(k-1)=4k-3이다.
III
{ Á aû}_{ Á bû}
k=1
이때 4n+5=4k-3에서 k=n+2이므로 4n+5는
n n
제(n+2)항이다.
k=1 k=1
따라서 주어진 합은 수열 {aû}의 첫째항부터 제(n+2)항까지의
=(aÁ+aª+a£+y+aÇ)(bÁ+bª+b£+y+bÇ)
합이므로

1+5+9+y+(4n+5)= Á (4k-3)이다.
이므로

Á aûbû+{ Á aû}_{ Á bû}이다. (거짓)


n+2
n n n
k=1

⑤ Á aû+ Á bû
k=1 k=1 k=1
n 2n

k=1 k=1

=(aÁ+aª+a£+y+aÇ)+(bÁ+bª+b£+y+bªÇ)
646  ③

Á ak+2- Á ak-1
이고,

Á (aû+bû)+bªÇ
9 11
n
k=1 k=3

= Á aû+ Á bû+bªÇ
k=1
n n =(a£+a¢+a°+y+aÁÁ)-(aª+a£+a¢+y+aÁ¼)
k=1 k=1 =(a£-aª)+(a¢-a£)+(a°-a¢)+y+(aÁÁ-aÁ¼)
=(aÁ+aª+a£+y+aÇ)+(bÁ+bª+b£+y+bÇ)+bªÇ 이때 수열 {aÇ}이 공차가 4인 등차수열이므로
이므로 a£-aª=a¢-a£=a°-a¢=y=aÁÁ-aÁ¼=4

Á aû+ Á bû+ Á (aû+bû)+bªÇ이다. (거짓)


n 2n n
따라서 구하는 값은 4_9=36이다.
k=1 k=1 k=1

따라서 선지 중 옳은 것은 ③이다.

647  ③
644  ③
aÁ=2Û`-3=1이고,

ㄱ. 2+2+2+2+2= Á 2 (참)
n¾2일 때

aÇ‌= Á aû- Á aû  
5

ㄴ. Á (4k+1)=5+9+13+y+49 (거짓)
k=1 n n-1

12
k=1 k=1
yy TIP n+1 n n

ㄷ. Á 2k=2+4+6+y+20=20+18+16+y+2 (참)
k=1 =2 -3-(2 -3)=2
10
이므로 aÁ¼=2Ú`â`이다.

ㄹ. Á (3k-1)Û`=2Û`+5Û`+8Û`+y+38Û` (거짓)
k=1
13
∴ aÁ+aÁ¼=2Ú`â`+1
k=1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ㄷ으로 2개이다.

TIP 648  ④

Á ‌= Á [32_{ }k` ]+ Á [4_{ }k` ]에서


k+3 k
합의 꼴로 나타난 부분을 일반항을 구하여 시그마로 표현하려고 20
2 +5 20
1 20
5
k=1 4
k-1
k=1 2 k=1 4
하기보다는 시그마의 정의에 따라 합의 꼴로 풀어서 나타내고
1 k 5 k
양변이 등호가 성립하는지 비교하는 것이 좀 더 간단하다. 두 수열 [32_{ } ], [4_{ } ]이 모두 등비수열이므로
2 4

Á
16[1-{ 1 } ] 5[{ 5 } -1]
20 20

20
2 +5
k+3
2
k
4
‌= +
1 5
645 
k-1
③ k=1 4 1- -1
2 4

① Á (2k-1)=1+3+5+y+(4n+5)
1 20 5 20
2n+3
=32[1-{ } ]+20[{ } -1] ‌
2 4

② Á (4k-3)=1+5+9+y+(4n+1)
k=1
1 20 5 20
n+1
=(-32)_{ } +20_{ } +12
2 4

③ Á (4k-3)=1+5+9+y+(4n+5)
k=1
n+2 에서 a=-32, b=20, c=12이다.
k=1 ∴ a+2b+3c=(-32)+40+36=44

Ⅲ. 수열 137

해설.indb 137 22. 9. 5. 오후 3:56


649  ⑤ 다른 풀이

5Û`+6Û`+7Û`+y+12Û`‌= Á (k+4)Û`
8

aÁ=7, aª=9, a£=3, a¢=1, a°=7, y 이므로

= Á (kÛ`+8k+16)
k=1

수열 {an}은 7, 9, 3, 1이 이 순서대로 반복된다. 8

∴ Á ak‌=7_(7+9+3+1)+7+9
30 k=1

k=1 8_9_17 8_9


= +8_ +16_8
=140+16=156 6 2
=204+288+128=620

650  ⑤
654  ④

Á aû=10, Á bû=15이므로
10 10
1_4+2_6+3_8+y+10_22

Á (aû-2bû+k)‌= Á aû-2 Á bû+ Á k = Á k(2k+2)


k=1 k=1
10
yy TIP
10 10 10 10

= Á (2kÛ`+2k)
k=1
k=1 k=1 k=1 k=1
10
10_11
=10-2_15+ =35
2 k=1

10_11_21 10_11
=2_ +2_
6 2
=770+110=880
651   ⑴ 160  ⑵ 184

⑴ Á (kÜ`-k-10)‌‌= Á kÜ`- Á k- Á 10
TIP
5 5 5 5

1, 2, 3, y, 10은 첫째항이 1이고 공차가 1인 등차수열의

}2`-
k=1 k=1 k=1 k=1

5_6 5_6 첫째항부터 제 10 항까지의 나열이고,


={ -5_10
2 2 4, 6, 8, y, 22는 첫째항이 4이고 공차가 2인 등차수열의
=225-15-50=160 첫째항부터 제 10 항까지의 나열이다.
⑵ Á (k+2)Û`- Á (k+1)(k-1)
8 8

= Á (kÛ`+4k+4)- Á (kÛ`-1)
k=1 k=1

655 
8 8
 380

= Á (4k+5)
k=1 k=1

Á[ Á {2k-  i}]에서
8
4 10
3
k=1
5

Á {2k-  i}‌=2_
i=1 k=1
8_9 10
3 10_11 3
=4_ +5_8 -  i_10
2 5 2 5
k=1
=144+40=184 =110-6i yy TIP

∴ Á[ Á {2k-  i}]‌=Á(110-6i)
4
3 10 4

i=1 k=1 5 i=1

652  ⑤
=110_4-6_
4_5

Á +Á ‌= Á
2
8
kÜ` 8
1 8
kÜ`+1 =440-60=380

k=1 k+1 k=1 k+1 k=1 k+1


8 (k+1)(k2-k+1)
TIP

Á {2k-  i}에서 k를 제외한 문자, 즉 i는 상수 취급하여



k+1

= Á (kÛ`-k+1)
k=1 10
3
8
k=1 5
k=1
계산한다.
8_9_17 8_9
= - +1_8
6 2
=204-36+8=176
656  ④

653  Á aû=nÛ`+3n에서 n¾2일 때


n
④

aÇ‌= Á aû- Á aû  
k=1

5Û`+6Û`+7Û`+y+12Û`‌= Á kÛ`- Á kÛ`


n n-1
12 4

k=1 k=1
k=1 k=1

12_13_25 4_5_9 =nÛ`+3n-{(n-1)Û`+3(n-1)}


= -
6 6 =nÛ`+3n-(nÛ`-2n+1+3n-3)
=650-30=620 =2n+2

138 수학Ⅰ

해설.indb 138 22. 9. 5. 오후 3:56


⑵ Á kÜ`-13 Á k=30에서
aÁ=S1=4이므로 n n

]2`-13_
aÇ=2n+2 (n¾1)이다. k=1 k=1

n(n+1) n(n+1)
따라서 a2k-1=2(2k-1)+2=4k이므로 [ -30=0이고,
Á a2k-1‌= Á 4k
2 2
10 10
n(n+1)
k=1 k=1 X=  (X>0)로 치환하면
2
10_11
=4_ =220 XÛ`-13X-30=0, (X+2)(X-15)=0
2
이므로 X=15 (∵ X>0)이다.
n(n+1) III
따라서 =15이므로 n(n+1)=30에서 n=5이다.
2
657   220

1Ü`+2Ü`+3Ü`+y+kÜ`=Á i Ü`=[ ]2`이고
k(k+1) k

1+2+3+y+k=Ái=
i=1
k k(k+1)
2
이므로 660  ⑤

Á
i=1

1Ü`+2Ü`+3Ü`+y+kÜ` k(k+1) 25
1
= (2k+3)(2k+5)
1+2+3+y+k 2

∴ Á ‌= Á = Á{
k=1

1 25 1 1
1Ü`+2Ü`+3Ü`+y+kÜ` 10 k(k+1) }
10
-
k=1 1+2+3+y+k 2 2 k=1 2k+3 2k+5

= Á (kÛ`+k)
k=1

1 1 1 1 1 1 1 1 1
1 10 = [{ - }+{ - }+{ - }+y+{ - }]
2 k=1 2 5 7 7 9 9 11 53 55
1 1 1
1 10_11_21 10_11
= { + } = { - }
2 6 2 2 5 55
1 1 10 1
= (385+55)=220 = _ =
2 2 55 11

참고

Á kÛ`=385, Á k=55는 계산 과정에서 종종 사용되므로 암기해


10 10

k=1

두면 편리하다.
k=1
661  ④

주어진 식의 일반항을 정리하면


'Än+1-'n
='Än+1-'n
('Än+1+'n)('Än+1-'n)
658  ∴ Á
③ 15
1
n=1 'n+'Än+1

= Á ('Än+1-'n)
x에 대한 이차방정식 xÛ`-(4n-1)x+nÛ`=0에서 15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n=1

an+bn=4n-1, anbn=nÛ`이므로 =('2-'1 )+('3-'2 )+('4-'3 )+y+('1Œ6-'1Œ5)


anÛ`+bnÛ`‌=(an+bn)Û`-2anbn ='1Œ6-'1=3
=(4n-1)Û`-2nÛ`
=14nÛ`-8n+1

∴ Á (anÛ`+bnÛ`)‌= Á (14nÛ`-8n+1)
5 5

n=1 n=1 662  ①

Á
5_6_11 5_6
=14_ -8_ +1_5 15
kÛ`+k-24
6 2 ‌
2kÛ`+2k

k=1
=770-120+5=655 15
kÛ`+k-24

k=1 2(kÛ`+k)

=Á{ -
1 12
}
15

659   ⑴ 24  ⑵ 5 k=1 2 kÛ`+k


= Á -12 Á
⑴ Á kÛ`- Á (kÛ`+2k)‌= Á kÛ`+(n+1)Û`- Á (kÛ`+2k)
15
1 15
1
n+1 n n n
k=1 2 k=1 k(k+1)

=15_ -12 Á { -
=-2 Á k+(n+1)Û`
k=1 k=1 k=1 k=1
1 1 1
}
15
n
2 k=1 k k+1
k=1
15 1 1 1 1 1 1 1
=-n(n+1)+(nÛ`+2n+1) = -12[{1- }+{ - }+{ - }+y+{ - }]
2 2 2 3 3 4 15 16
=n+1 15 1 15
= -12{1- }=-
이므로 n+1=25에서 n=24이다. 2 16 4

Ⅲ. 수열 139

해설.indb 139 22. 9. 5. 오후 3:56


'2Œ1-1
663   ⑴ 20
11
  ⑵
2 665  ④

ㄱ. Á (4k-9)=3+7+11+y+31 (참)
⑴ ‌주어진 수열에서 제n항의 분자는 1이고, 10

ㄴ. ‌Á (2k+5)Û`=9Û`+11Û`+13Û`+y+23Û`,
분모는 1부터 n까지의 자연수의 합이므로 제n항의 분모는 k=3

Á k=
9
n n(n+1)
이다.

Á (2k-1)Û`=3Û`+5Û`+7Û`이므로
k=1 2 k=2
4
따라서 이 수열의 첫째항부터 제10항까지의 합은

Á
Á (2k+5)Û`+ Á (2k-1)Û`=3Û`+5Û`+7Û`+y+23Û` (참)
k=2
10
2 9 4
k=1 k(k+1)

=2 Á { -
ㄷ. Á {2k(2k+1)}=2_3+4_5+6_7+y+26_27 (참)
k=2 k=2
1 1
}
10
13
k=1 k k+1

ㄹ. Á
k=1
1 1 1 1 1 1 1 1
=2[{ - }+{ - }+{ - }+y+{ - }] 1
21
1 1 1 1
1 2 2 3 3 4 10 11 = + + +y+ (거짓)
k(k+2) 1_3 2_4 3_5
k=1 21_23
1 20
=2{1- }=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으로 3개이다.
11 11
⑵ ‌주어진 수열에서 제n항의 분자는 1이고,
분모는 'Ä2Än+1+'Ä2Än-1이므로 이 수열의 제n항은
1 'Ä2Än+1-'Ä2Än-1 666  ③
=
'Ä2Än+1+'Ä2Än-1 2
ㄱ. ‌Á aû+Á aÔ
8 15
따라서 이 수열의 첫째항부터 제10항까지의 합은

Á ('Ä2Äk+1-'Ä2Äk-1)
k=1 i=9
1 10
=(aÁ+aª+a£+y+a¥)+(a»+aÁ¼+aÁÁ+y+aÁ°)

이므로 Á aû+ÁaÔ= Á aÇ이다. (참)


2 k=1
8 15 15
1
= {('3-1)+('5-'3 )+('7-'5 )+y+('2Œ1-'1Œ9)}
ㄴ. ‌Á 2
2 k=1 i=9 n=1

'2Œ1-1
10
k+3
=2Ý`+2Þ`+2ß`+y+2Ú`Ü` 이고
=
Á2i-1=2Ý`+2Þ`+2ß`+y+2Ú`Ü` 이므로
k=1
2
14

Á 2k+3=Á2i-1이다. (참)
i=5
10 14

664   ⑴ 72 15

ㄷ. ‌Á (ak+1-ak)
k=1 i=5
  ⑵
55 31 10

2 2 2 2 k=1
⑴ + + +y+
1_3 2_4 3_5 9_11 =(aª-aÁ)+(a£-aª)+(a¢-a£)+y+(aÁÁ-aÁ¼)


2 9 =aÁÁ-aÁ (거짓)

ㄹ. Á
‌ 4i=Á{4(i+2)}=Á(4i+8)이므로
k(k+2)

=Á{ -
k=1 10 8 8

1 1
}
9

Á (4k+8)=Á4i이다. (참)
i=3 i=1 i=1

k=1 k k+2 8 10

1 1 1 1 1 1 1 1
={ - }+{ - }+{ - }+y+{ - }
ㅁ. Á (3k-15)Û`‌= Á 9(k-5)Û`
k=1 i=3

1 3 2 4 3 5 9 11 4 4

1 1 1
= Á 9(k-10)Û`+Á 9i Û` (거짓)
k=1 k=1
=1+ - -
2 10 11 9 9

110+55-11-10 k=6 i=6


=
110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 ㄹ로 3개이다.
72
=
55
1 1 1 1
⑵ +
2Û`-1 4Û`-1 6Û`-1
+ +y+
30Û`-1 667  ③


Á k(ak-ak+1)
15
1
30
k=1 (2k)Û`-1


k=1
15
1
k=1 (2k-1)(2k+1)
=(aÁ-aª)+(2aª-2a£)+(3a£-3a¢)+y+(30a£0-30a£1)

= Á{
=aÁ+aª+a£+y+a£0-30a£1

= Á ak-30a£1
1 15 1 1
- }
2 k=1 2k-1 2k+1 30

1 1 1 1 1 1 1 1 1
= [{ - }+{ - }+{ - }+y+{ - }]
k=1

2 1 3 3 5 5 7 29 31 1
=50-30_
1 1 15 3
= {1- }=
2 31 31 =40

140 수학Ⅰ

해설.indb 140 22. 9. 5. 오후 3:56


668  n¾2일 때

an‌= Á ak- Á ak
9
n n-1

Á (ak+2bk)=45, Á (ak-bk)=3을 변끼리 빼면


10 10 k=1 k=1
n+1 n
=(2 -1)-(2 -1)
Á 3bk=42에서 Á bk=14
k=1 k=1
10 10 n+1 n n
=2 -2 =2

이고, aÁ= Á ak=2


∴ Á {bk- }‌= Á bk- Á
k=1 k=1 1
1+1
1
10 10 10
1 -1=3이다.
k=1
k=1 2 k=1 k=1 2
3 (n=1)
1 ∴ an=[
=14- _10=9 2
n
(n¾2) III
∴ Á aªk-1‌=aÁ+ Á aªk-1
2
5 5

=aÁ+ Á 2
k=1 k=2
5
2k-1

669   12

=3+ Á 2_4
k=2

Á ak- Á k =56의 양변에 2를 곱하면


5
k-1
10 a 7
k=2
k=1 2

2_{ Á ak- Á }=2_56이므로


k=1
8(4Ý`-1)
7 a =3+
10
k 4-1
k=1 2

Á 2ak- Á ak=112 
k=1
=3+680=683
10 7
yy`㉠

이때 Á 2ak- Á ak=100에서
k=1 k=1
10 8
672  ①

Á ak= Á ak+a¥이므로 Á (nak+kak+an)=n에서


k=1 k=1
n
8 7

k=1

Á 2ak- Á ak-a¥=100
k=1 k=1
n¾2일 때

nan+nan+an‌= Á (nak+kak+an)- Á (nak+kak+an)


10 7

n n-1
k=1 k=1

위의 식에 ㉠을 대입하면 112-a¥=100이므로 k=1 k=1

a¥=12 =n-(n-1)=1
1
이므로 an= `(n¾2)이다.
2n+1
1
670   ⑴ -4  ⑵ 3 ∴ 30_a¦=30_
15
=2

⑴ Á `log£`{1-
1
}‌
80

n+1 673  ③

= Á `log£`
n=1

Á aû=3n-5에서
80
n
2n+3
n=1 n+1

n=1일 때 Á aû=-2, n=6일 때 Á aû=13,


k=n
1 2 3 80
=log£` +log£` +log£` +y+log£` 5 15
2 3 4 81

n=16일 때 Á aû=43, n=36일 때 Á aû=103이므로


k=1 k=6
1 2 3 80
=log£`{ _ _ _y_ } 35 75
2 3 4 81

Á aû=-2+13+43+103=157
k=16 k=36
1
=log£` =-4 75
81

⑵ Á `logª`{logk+1`(k+2)}
∴ a¦¤= Á aû- Á aû=175-157=18
k=1
254
76 75
k=1
k=1 k=1
=logª`(logª`3)+logª`(log£`4)+logª`(log¢`5)+
 y+logª`(logª55`256)
=logª`(logª`3_log£`4_log¢`5_y_logª55`256) 674   58

Á
=logª`(logª`256) n
4k-3 2
=logª`(logª`2¡`) =2n +7n에서
k=1 ak
=logª`8=3
1 1
n=1일 때 =9이므로 a1= 이다.
a1 9
n¾2일 때

671  = Á -Á
4n-3 n
4k-3 n-1 4k-3
③
an k=1 ak k=1 ak

logª`{ Á ak+1}=n+1에서 Á ak=2 -1


2 2
n
n+1
n =(2n +7n)-{2(n-1) +7(n-1)}
k=1 k=1 =4n+5

Ⅲ. 수열 141

해설.indb 141 22. 9. 5. 오후 3:56


4n-3 따라서 이 수열의 첫째항부터 제10항까지의 합은
이므로 an=
4n+5
1-{ 1 }
Á [2-{ 2 }
10

1 2
]‌=20- =18+ 19
4-3 1 10 k-1
이때 a1= = 이므로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4+5 9 1 2
k=1
1-
4n-3 2
an=
4n+5
17 25 33 17
∴ a5_a7_a9= _ _ =
25 33 41 41 677  ③
따라서 p=41, q=17이므로
조건 ㈏에 의하여
p+q=41+17=58
a¤+a¦+a¥+a»+aÁ0=(aÁ+aª+a£+a¢+a°)+5
aÁ1+aÁ2+aÁ3+aÁ4+aÁ5‌=(a¤+a¦+a¥+a»+aÁ0)+5
=(aÁ+aª+a£+a¢+a°)+10
675   풀이 참조
마찬가지 방법에 의하여

Á (ak+bk)=2n-1에서
n aÁ6+aÁ7+aÁ8+aÁ9+aª0=(aÁ+aª+a£+a¢+a°)+15
k=1 ⋮
n¾2일 때

an+bn‌= Á (ak+bk)- Á (ak+bk)


a£1+a£2+a£3+a£4+a£5=(aÁ+aª+a£+a¢+a°)+30

∴ Á an‌=7(aÁ+aª+a£+a¢+a°)+5+10+15+y+30
n n-1
35

k=1 k=1
n=1
n n-1 n-1
=(2 -1)-(2 -1)=2 5{2aÁ+4_(-2)} 6(5+30)
=7_ + `(∵ 조건 ㈎)
이고 aÁ+bÁ=1이므로 2 2
an+bn=2
n-1
`(n¾1)이다.  yy`㉠ =35(aÁ-4)+3_35

또한, Á (ak-bk)=4n에서
n =35(aÁ-1)

이때 Á an=280이므로 35(aÁ-1)=280
k=1 35

n¾2일 때

an-bn‌= Á (ak-bk)- Á (ak-bk)


n=1

n n-1 aÁ-1=8
k=1 k=1 ∴ aÁ=9
=4n-4(n-1)=4
이고 aÁ-bÁ=4이므로
an-bn=4`(n¾1)이다.  yy`㉡ 678  ②
㉠, ㉡의 두 식을 연립하면
n-2 n-2 등차수열 {aÇ}의 공차를 d`(d>0)라 하면 a°=5이므로
an=2 +2, bn=2 -2

∴ Á (akÛ`-bkÛ`)‌= Á {(2 +2)Û`-(2 -2)Û`}


a£=5-2d, a¢=5-d, a¤=5+d, a¦=5+2d

∴ ‌Á |2ak-10|
6 6
k-2 k-2
7

=Á2
k=1 k=1
6
k+1 4(2ß`-1) k=3
= =252 =|2(5-2d)-10|+|2(5-d)-10|+|2_5-10|
k=1 2-1
 +|2(5+d)-10|+|2(5+2d)-10|
채점 요소 배점
=|-4d|+|-2d|+|0|+|2d|+|4d|
수열의 합과 일반항 사이의 관계를 이용하여
n-1 30`% =4d+2d+2d+4d
an+bn=2 `(n¾1) 구하기
=12d

이때 Á |2ak-10|=20이므로
수열의 합과 일반항 사이의 관계를 이용하여
30`%
an-bn=4`(n¾1) 구하기 7

두 식을 연립하여 an, bn 구하기 10`% k=3

Á  (akÛ`-bkÛ`)의 값 구하기 =;3%;


6 20
30`% 12d=20   ∴ d=
k=1 12

∴ a¤=a°+d=5+;3%;=
20
3

676   18+ 19
2
1
679  ⑤
주어진 수열의 제n항은 첫째항이 1이고 공비가 인 등비수열의
2 주어진 조건에 의하여 f(x)의 값은 x가 정수일 때 1, x가 정수가
첫째항부터 제n항까지의 합이므로

1-{ 1 }n`
아닐 때 3이다.

Á{ 2 } =
즉, 1ÉkÉ20에서 f('k)의 값은
1 2
=2-{ 1 }
n k-1 n-1

1 2 k=1, 4, 9, 16일 때 f('k)=1,


k=1
1-
2 k+1, 4, 9, 16일 때 f('k)=3

142 수학Ⅰ

해설.indb 142 22. 9. 5. 오후 3:56


∴ Á  = Á  k- (1+4+9+16) ∴Á =Á = Á [1+{;2!;}n` ]
20 k_ f('k 
) 20 2 10
1 10
2Ç`+1 10
yy TIP
k=1 3 k=1 3 n=1 lÇ n=1 2Ç` n=1

= Á 1+ Á {;2!;}n`=10_1+
1
=
20_21 2
- _30 ;2!;[1-{ }Ú`â`]
2 3 10 10 2
=210-20=190 1
n=1 n=1
1-
2
TIP
1
=10+[1-{;2!;}Ú`â` ]=11-{ }Ú`â`
f('k)의 값이 k=1, 4, 9, 16을 제외하고는 3이므로 2

Á 
20 k_ f('k 
)

k=1 3 III
1
= (1_1+2_3+3_3+4_1+y+19_3+20_3)
3 682  ⑤
1
= (1_3+2_3+3_3+4_3+y+19_3+20_3) 원 Cn은 원점을 지나지 않으므로 x축, y축과 만나는 서로 다른 점의
3
1 개수의 합이 an이다.
 - (1_2+4_2+9_2+16_2)
3 1
원 Cn의 중심 Pn{n, nÛ`}에서 y축까지의 거리는 n이고,
3 2 3
= (1+2+3+y+20)- (1+4+9+16)
3 3 1

= Á k- (1+4+9+16)
x축까지의 거리는 nÛ`이다.
2
20 3
k=1 3 원의 중심에서 y축까지의 거리와 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같으므로
으로 생각하여 계산할 수 있다. 원 Cn은 y축과 항상 한 점에서 접한다.
원의 중심에서 x축까지의 거리와 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비교하면
1
nÛ`<n, 즉 nÛ`-3n=n(n-3)<0에서
3
680  ⑤
0<n<3일 때 원 Cn은 x축과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나고
등차수열 {aÇ}의 공차를 d라 하면 1
nÛ`=n, 즉 n=3일 때 원 Cn은 x축과 한 점에서 접하고
3
조건 ㈎에 의하여 a¦=aÁ+6d=37
1
조건 ㈏에 의하여 a13¾0이고 a14É0 3
nÛ`>n, 즉 n>3일 때 원 Cn은 x축과 만나지 않는다.

즉, aÁ+12d¾0이므로 37+6d¾0에서 d¾-


37 ( 3 (n=1, 2)
6
따라서 an={ 2 (n=3) 이므로
37
aÁ+13dÉ0이므로 37+7dÉ0에서 dÉ-
7 9 1 (n¾4)
37 37 Á ak=3_2+2+1_7=15
10
따라서 - ÉdÉ- 이고 d는 정수이므로
6 7 k=1

d=-6, aÁ=73이다.

∴ Á |aû|‌=|aÁ|+|aª|+y+|a21|
21

k=1

=aÁ+aª+y+a13+(-a14)+(-a15)+y+(-a21) 683  ①
=(aÁ+aª+y+a13)-(a14+a15+y+a21) '3
= Á aû-{ Á aû- Á aû}
정삼각형 AÁBÁCÁ의 넓이는 SÁ= _4Û`=4'3이다.
13 21 13
4

=2 Á aû- Á aû
k=1 k=1 k=1
AÁCªÓ : CÁCªÓ=3 : 1이므로 두 삼각형 AÁBÁCª, CªBÁCÁ의 넓이의
13 21
비는 3 : 1이고,
k=1 k=1

13{2_73+12_(-6)} AÁAªÓ : BÁAªÓ=1 : 3이므로 두 삼각형 AÁAªCª, AªBÁCª의 넓이의


=2_ 비는 1 : 3이다.
2
21{2_73+20_(-6)} 따라서 삼각형 AÁAªCª의 넓이는
 -
2 1
(삼각형 AÁBÁCª의 넓이)_
=962-273=689 4
3 1 3
=(삼각형 AÁBÁCÁ의 넓이)_ _ = SÁ
4 4 16
681  ③ 이므로 Sª=SÁ-3_
3
16
7
SÁ= SÁ
16
선분 OA를 2Ç``:`1로 내분하는 점 PÇ의 좌표는 7
같은 과정을 반복하므로 Sn+1= S 이다.
16 n
}, 즉 PÇ{
2Ç`_1+1_0 2Ç`_0+1_0 2Ç`
PÇ{ , , 0}이므로
2Ç`+1 2Ç`+1 2Ç`+1 따라서 수열 {Sn}은 첫째항이 4'3이고
2Ç` 7
lÇ= 이다. 공비가 인 등비수열이므로
2Ç`+1 16

Ⅲ. 수열 143

해설.indb 143 22. 9. 5. 오후 3:56


∴ Á ak‌=aÁ+ Á ak
7
Á Sn=
4'3[1-{ 16 }`Þ ]
10 10

64'3 7
[1-{ }Þ`]
5

=3+[ Á (3k-1)-2]
k=1 k=2
=
7 9 16 10
n=1
1-
16

=1+ Á (3k-1)
k=1

다른 풀이 10

'3
k=1

정삼각형 AÁBÁCÁ의 넓이는 SÁ= _4Û`=4'3이다. 10_11


4 =1+3_ -10_1=156
2
p
AÁAªÓ=1, AÁCªÓ=3, ∠AªAÁCª= 이므로
3
삼각형 AÁAªCª에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p
AªCªÓ Û`=1Û`+3Û`-2_1_3_cos` =7, AªCªÓ ='7
686  ③

Á 6(k-2)‌= Á 6{(k+4)-2}
3 n+5 n+1

AªBªÓ=BªCªÓ=CªAªÓ='7이므로

= Á 6(k+2)
k=5 k=1

정삼각형 AÁBÁCÁ과 정삼각형 AªBªCª의 닮음비는 4 : '7이다. n+1

같은 과정을 반복하므로 k=1

삼각형 AnBnCn과 An+1Bn+1Cn+1의 닯음비도 4 : '7이고, =6_


(n+1)(n+2)
+12(n+1)
2
넓이의 비는 4Û` : ('7)Û`=16 : 7이다.
=3(nÛ`+3n+2)+12n+12
7
즉, 수열 {Sn}은 공비가 인 등비수열이다. =3nÛ`+21n+18
16
7
∴ Á Sn=
이므로 a=3, b=21, c=18
4'3[1-{ 16 }`Þ ] 64'3
7
[1-{ }Þ`]
5
= ∴ 3a+2b+c=9+42+18=69
7 9 16
n=1
1-
16

687  ⑤

684  Á (ak+1-ak)‌=(aª-aÁ)+(a£-aª)+(a¢-a£)+y+(an+1-an)
 ⑴ 224  ⑵ 990 n

⑴ Á[Á{ Á 4}]‌=Á{Á4i}=Á{4Ái}
k=1
6 j i 6 j 6 j
=an+1-aÁ=an+1-1

=Á[4_ ]=2Á(j Û`+j)
j=1 i=1 k=1 j=1 i=1 j=1 i=1
이므로 an+1-1=3n에서
6 j(j+1) 6

2 an+1=3n+1

∴ Á ak‌=aÁ+ Á ak
j=1 j=1
10 10
6_7_13 6_7
=2{ + } ‌
6 2
=aÁ+ Á ak+1
k=1 k=2
9
=2(91+21)=224

⑵ Á { Á km}‌= Á {m Á k}= Á [m_


=1+ Á (3k+1)
(m+1)(m+2) k=1

]
8 m+1 8 m+1 8
9
2

Á (mÜ`+3mÛ`+2m)
m=1 k=1 m=1 k=1 m=1
k=1
1 8
= 9_10
2 m=1 =1+3_ +9_1=145
2
1 8_9 Û 8_9_17 8_9
= [{ }`+3_ +2_ ]
2 2 6 2 다른 풀이

Á (ak+1-ak)= Á ak+1- Á ak=an+1-aÁ로 변형하여 식을 정리할


1
= (1296+612+72)=990 n n n
2
k=1 k=1 k=1

수도 있다.

685  ③
688 
Á kak=nÜ`+nÛ`+1에서
 a=11, 최솟값 330
n

Á (2k-a)Û`‌= Á (4kÛ`-4ak+aÛ`)
aÁ= Á kak=1+1=1=3이고
k=1 10 10
1
k=1 k=1
k=1
10_11_21 10_11
=4_ -4a_ +aÛ`_10
n¾2일 때 6 2

nan‌= Á kak- Á kak


n n-1
=10aÛ`-220a+1540
k=1 k=1
=10(aÛ`-22a+11Û`)+1540-1210
=(nÜ`+nÛ`+1)-{(n-1)Ü`+(n-1)Û`+1} =10(a-11)Û`+330

이므로 Á (2k-a)Û`은 a=11일 때, 최솟값 330을 갖는다.


=3nÛ`-n 10

이므로 an=3n-1`(n¾2) k=1

144 수학Ⅰ

해설.indb 144 22. 9. 5. 오후 3:56


689  ③ 점과 직선 사이의 거리에 의하여
|6n|
OHÓ= =3n (∵ n>0)이고
이차방정식 xÛ`+3x-2=0의 두 근이 a, b이므로 "Ã1Û`+(-'3 )Û`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원 xÛ`+yÛ`=(5n)Û`에서 OÕAÇÓ=5n이다.
a+b=-3, ab=-2 yy ㉠ 직각삼각형 OHAÇ에서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하여
∴ (a+1)(b+1)+(a+2)(b+2)+(a+3)(b+3)+y HÕAÇÓ=4n이므로 AÕÇBÇÓ=8n이다.

∴ Á AÕûBûÓ‌= Á 8k
 +(a+8)(b+8)

= Á (a+k)(b+k)= Á (-2-3k+kÛ`) (∵ ㉠)
10 10

8 8
III
k=1 k=1

k=1 k=1 10_11


=8_ =440
8_9 8_9_17 2
=(-2)_8-3_ +
2 6
=-16-108+204=80
693  ③

직선 y=x와 원 Cn`:`(x-n)Û`+(y-2n)Û`=n(n+1)이 만나는


690  ④ 서로 다른 두 점이 An, Bn이므로
두 점 An, Bn의 x좌표를 각각 an, bn이라 하면
자연수 m에 대하여
x에 대한 이차방정식 (x-n)Û`+(x-2n)Û`=n(n+1),
['¶m ]=n에서 nÉ'¶m<n+1이고
즉 2xÛ`-6nx+4nÛ`-n=0의 두 실근이 an, bn이다.
각 변을 제곱하면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nÛ`Ém<(n+1)Û`, nÛ`Ém<nÛ`+2n+1이므로
4nÛ`-n
aÇ=(nÛ`+2n+1)-nÛ`=2n+1 an+bn=3n, anbn= 이다.
2
∴ Á aû= Á (2k+1)=2_ 또한, OAnÓ='2an, OBnÓ='2bn이므로
10 10
10_11
+10_1=120
k=1 k=1 2
OAnÓ_OBnÓ=2anbn이다.

∴ Á (OAkÓ_OBkÓ)‌= Á (4kÛ`-k)
10 10

691 
k=1 k=1
 풀이 참조
10_11_21 10_11

Á kÛ`+ Á kÛ`+ Á kÛ`+y+ Á kÛ`


=4_ -
10 10 10 10
6 2
k=1 k=2 k=3 k=10
=1540-55=1485
=(1Û`+2Û`+3Û`+y+10Û`)+(2Û`+3Û`+4Û`+y+10Û`)
 +(3Û`+4Û`+5Û`+y+10Û`)+y+(10Û`) 694   n(n+1)(2n+1)
6
이때 1Û`은 1번, 2Û`은 2번, 3Û`은 3번, y, 10Û`은 10번 더해지므로

Á kÛ`+ Á kÛ`+ Á kÛ`+y+ Á kÛ`


10 10 10 10
주어진 식에서
k=1 k=2 k=3 k=10
1, 3, 5, y, 2n-1 부분의 k번째 항은 2k-1이고,
=1_1Û`+2_2Û`+3_3Û`+y+10_10Û` n, n-1, n-2, y, 1 부분의 k번째 항은 n-(k-1)이다.
따라서 주어진 식의 합은

Á (2k-1)(n+1-k)
=1Ü`+2Ü`+3Ü`+y+10Ü`

= Á kÜ`={ }2`=55Û`=3025
n
10
10_11

= Á {-2kÛ`+(2n+3)k-(n+1)}
k=1 2 k=1
n

채점 요소 배점

주어진 식을 전개하여 Á  k3으로 정리하기


k=1
10
70`% n(n+1)(2n+1) n(n+1)
=-2_ +(2n+3)_ -n(n+1)
k=1
6 2
자연수의 거듭제곱의 합을 이용하여 답 구하기 30`%
2n+1 2n+3
=n(n+1){- + -1}
3 2
n(n+1)(2n+1)
=
6
692  ①

원점 O에서 직선 x-'3y+6n=0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자. 695  ④


y
Aˆ 수열 2, 2+4, 2+4+6, 2+4+6+8, y의 일반항을 an이라 하면

an= Á 2k=2_
H n n(n+1)
=n(n+1)
2

∴ a‌= Á an= Á (nÛ`+n)


Bˆ k=1

O x 10 10

n=1 n=1

10_11_21 10_11
= + =440
6 2

Ⅲ. 수열 145

해설.indb 145 22. 9. 5. 오후 3:56


수열 1, 1+2, 1+2+4, 1+2+4+8, y의 일반항을 bn이라 하면 가운데 수를 중심으로 양쪽에 나열된 수는

bn= Á 2
n
n
k-1 2 -1 n 2 이상의 자연수 n에 대하여 제n행에 1부터 n-1까지의 자연수가
= =2 -1
2-1

∴ b‌= Á bn= Á (2 -1)


k=1
나열되므로 가운데를 중심으로 제n행의 왼쪽에 나열된 자연수의

합은 Á k=
8 8
n n-1 n(n-1)
이다.
n=1 n=1
k=1 2
2(2¡`-1)
= -8=502 따라서 제2행부터 제8행까지의 합은

2Á ‌=2 Á = Á (kÛ`+k)
2-1
8 k(k-1) 7 k(k+1) 7
∴ a+b=942 2 2
k=2 k=1 k=1

7_8_15 7_8
= +
696  ③
=140+28=168
6 2
yy ㉡
제n행에 나열된 수열은 첫째항이 n이고 공차가 n, 항의 개수가 n인 이므로 ㉠, ㉡에서 구하는 값은 36+168=204
등차수열을 이룬다.
따라서 제n행에 나열되는 수들의 합 an은

an=
n{2n+(n-1)_n} nÜ`+nÛ`
=
699  ④
2 2 'Äak+1-'¶ak
∴ Á an‌= Á (nÜ`+nÛ`)
1
= 이고 ak+1-ak=7이므로
1 10 '¶ak+'Äak+1 ak+1-ak
10

Á ‌= Á ('Äak+1-'¶ak )
2 n=1
n=1 20
1 1 20
1 10_11 Û 10_11_21 k=1 '¶ak+'Äak+1
= [{ }`+ ] ‌ 7 k=1
2 2 6
1
1 = {('¶aª-'¶aÁ)+('¶a£-'¶aª)+('¶a¢-'¶a£)+y
= (3025+385)=1705 7
2
 +('¶aªÁ-'¶aª¼)}
1
=
 ('¶aªÁ-'¶aÁ)
697  ① 7
이때 aªÁ=4+20_7=144이므로 구하는 값은
총 81칸에 채워 넣은 수 중 1 1 10
('¶aªÁ-'¶aÁ)= (12-2)=
2의 개수는 1 7 7 7
4의 개수는 3
6의 개수는 5

700   15
8
2 2
16의 개수는 15 aÇ=2 n(n+1) -n에서 aÇ+n=2 n(n+1) 이므로
18의 개수는 17 양변에 밑이 2인 로그를 취하면
2
따라서 표에 채운 모든 수의 합은 logª(aÇ+n)‌=logª`2 n(n+1)
2_1+4_3+6_5+y+16_15+18_17 2
= Á 2k(2k-1)= Á (4kÛ`-2k)
=
9 9
n(n+1)
1 1
}
k=1 k=1
=2{ - yy ㉠
9_10_19 9_10 n n+1
=4_ -2_
6 2 ∴ logª{(aÁ+1)(aª+2)(a£+3)_y_(aÁ°+15)}

= Á logª(ak+k)=2 Á { -
=1140-90=1050 1 1
} (∵ ㉠)
15 15

k=1 k=1 k k+1


1 1 1 1 1 1 1 1
698  ① =2[{ - }+{ - }+{ - }+y+{ - }]
1 2 2 3 3 4 15 16
1 15
제1행부터 제8행까지 나열된 수를 다음과 같이 가장 가운데 배열된 =2{1- }=
16 8
수와 양쪽에 대칭으로 나열되어 있는 수로 분리하여 계산하자.
1
121 701  ③

Á aû=nÛ`-2n-2에서
12321
n
1234321
k=1
y

n¾2일 때

an‌= Á aû- Á aû  
123456787654321 n n-1

k=1 k=1
가장 가운데 배열된 수는 1부터 8까지의 자연수의 합이므로

Á k=
=nÛ`-2n-2-{(n-1)Û`-2(n-1)-2}
8
8_9
=36 yy ㉠ =2n-3
k=1 2

146 수학Ⅰ

해설.indb 146 22. 9. 5. 오후 3:56


이고 aÁ= Á aû=-3이다.
1
aÇ+bÇ=-6, aÇbÇ=-(2n-1)(2n+1)이다.

∴ Á { + }‌= Á =Á
10 aû+bû

∴Á +Á
k=1 10
1 1 10
6

2 2 2 k=1 aû bû k=1 aûbû k=1 (2k-1)(2k+1)
17 17

=3 Á {
‌=
akak+1 aÁaª k=2 akak+1

=- + Á {
1 1
}
k=1 10
-
2 17 1 1 k=1 2k-1 2k+1
- }
3 k=2 2k-3 2k-1 1 1 1 1 1
=3[{1- }+{ - }+{ - }+y
2 1 1 1 1 1 1 3 3 5 5 7
=- +[{ - }+{ - }+{ - }+y
3 1 3 3 5 5 7 1 1
 +{ - }]
1 1 1 1 19 21
 +{ - }+{ - }] III
29 31 31 33 1 20
=3{1- }=
2 32 10 21 7
=- + =
3 33 33
따라서 p=33, q=10이므로
p+q=43
705  ②

Á
n aû
702  ④ k=1 2k+1
=nÛ`+4n-3에서

Á
n¾2일 때

‌= Á -Á
99
1
‌ aÇ n aû n-1 aû
n=1 (n+1)'§n+n'Än+1



2n+1 k=1 2k+1 k=1 2k+1
99
1
n=1 '§n'§Än+1('Än+1+'§n)
=nÛ`+4n-3-{(n-1)Û`+4(n-1)-3}


99
1 1 =2n+3
_
n=1 '§n'§Än+1 'Än+1+'§n aÁ

=Á[
이고 =2에서 aÁ=6이다.
3

∴ Á ‌= + Á {
1 1 1 1
{ }_ ]
99
-
n=1 'Än+1-'§n '§n 'Än+1 'Än+1+'§n 1 1 1 11 1 1
}
11
-
=Á{
k=1 aû 6 2 k=2 2k+1 2k+3
1 1
}
99
- 1 1 1 1 1 1 1 1
n=1 '§n 'Än+1 = + [{ - }+{ - }+{ - }+y
6 2 5 7 7 9 9 11
1 1 1 1 1 1 1 1
={ - }+{ - }+{ - }+y+{ - } 1 1
'1 '2 '2 '3 '3 '4 '¶99 '¶100  +{ - }]
23 25
1 9 1 1 1 1 37
=1- =
10 10 = + { - }=
6 2 5 25 150

703  9

x에 대한 이차방정식 xÛ`-(2n-1)x+n(n-1)=0에서 706   31

(x-n)(x-n+1)=0 수열 {aÇ}의 첫째항부터 제n항까지의 합 SÇ은

SÇ‌=aÁ+ Á (8k-4)
x=n 또는 x=n-1 n

=3+ Á (8k-4)-4
즉, an=n, bn=n-1 또는 an=n-1, bn=n k=2

∴Á
n
81
1
n=1 '¶an+'¶bn
k=1


n(n+1)
81
1 =-1+8_ -4n
2
n=1 '§n+'Än-1


=4nÛ`-1=(2n-1)(2n+1)

∴Á ‌= Á
81 '§n-'Än-1  10
1 10
1
n=1 ('§n+'Än-1 )('§n-'Än-1 )

= Á ('§n-'Än-1 )
Sû k=1 (2k-1)(2k+1)

= Á{
k=1
81
1 10 1 1
- }
n=1 2 k=1 2k-1 2k+1
=('1-0)+('2-'1 )+('3-'2 )+y+('8Œ1-'8Œ0 ) 1 1 1 1 1 1 1
= [{ - }+{ - }+{ - }+y 
='8Œ1 =9 2 1 3 3 5 5 7
1 1
 +{ - }]
19 21

704  ⑤ 1 1
= {1- }=
2 21
10
21
방정식 xÛ`+6x-(2n-1)(2n+1)=0의 두 근이 aÇ, bÇ이므로 따라서 p=21, q=10이므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p+q=31

Ⅲ. 수열 147

해설.indb 147 22. 9. 5. 오후 3:56


∴ Á

707 
99
②
k+1

=Á =200 Á { -
k=1

Á
200 1 1
}
99 99
30 ak+1 1
= 에서 k(k+1) k=1 k k+1
k=1 SkSk+1 12 k=1

Á k+1
1 1 1 1 1 1 1 1
a =200[{ - }+{ - }+{ - }+y+{ - }]
30

k=1 SkSk+1
1 2 2 3 3 4 99 100


1
k+1-Sk }=198
30 S
=200{1-
S kSk+1
100

=Á{
k=1

1 1
}
30
-
k=1 Sk Sk+1
1 1 1 1 1 1 1 1
- }+{ - }+{ - }+y+{ }
={
SÁ Sª Sª S£ S£ S¢
-
S£¼ S£Á 710  ①
1 1 1
= - = 제1사분면 위의 점 PÇ에서 x축까지의 거리와 점 PÇ에서 y축까지의
SÁ S£Á 12
이때 SÁ=aÁ=3이므로 거리가 서로 같으므로 점 PÇ은 유리함수 y= f(x)의 그래프와
1 1 1 1 1 직선 y=x가 만나는 점 중 제1사분면 위의 점이다.
- = , =
3 S£Á 12 S£Á 4 nx+8nÛ`
즉, =x에서 nx+8nÛ`=x(x-n)
∴ S£Á=4 x-n
xÛ`-2nx-8nÛ`=(x-4n)(x+2n)=0이므로
xÇ=4n (∵ xÇ>0)
708 
∴ Á
④
24
100
xkxk+1


aÁÛ`+aªÛ`+a£Û`+y+anÛ`=nÛ`에서 k=1

Á akÛ`=nÛ`이므로
n 100
24

4k(4k+4)
= Á{ -
k=1
k=1
25 24 1 1
n¾2일 때 }
anÛ`‌= Á akÛ`- Á akÛ`=nÛ`-(n-1)Û`
4 k=1 k k+1
n n-1
25 1 1 1 1 1 1 1 1
k=1 k=1 = [{ - }+{ - }+{ - }+y+{ - }]
4 1 2 2 3 3 4 24 25
=2n-1
25 1
이고, aÁÛ`=1이다. =  {1- }=6
4 25
따라서 anÛ`=2n-1`(n¾1)이고, an>0이므로
an='Ä2n-1`(n¾1)

∴Á
60
1
ak+ak+1
‌
711  ②


k=1
60
1

k=1 'Ä2k-1+'Ä2k+1 두 점 (0, n), (1, -1)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y=-(n+1)x+n이므로 이 직선의 x절편은
60 'Ä2k-1-'Ä2k+1
k=1 (2k-1)-(2k+1)
n
(n+1)x=n에서 x= 이다.
=- Á ('Ä2k-1-'Ä2k+1)
n+1
1 60
따라서 점 PÇ의 좌표는 {
2 k=1 n
, 0}이고
n+1
1
=- {('1-'3)+('3-'5)+('5-'7)+y n+1 n
2 PÕÇPÓÇ*ÁÓ= - 이므로
n+2 n+1

Á  PÕûPÓû*ÁÓ
 +('¶119-'¶121)} 20

=Á{
=- (1-11)=5 k=1
2
}
20
k+1 k
-
k=1 k+2 k+1
709  ② 2 1 3 2 4 3 21 20
={ - }+{ - }+{ - }+y+{ - }
3 2 4 3 5 4 22 21
자연수 n에 대하여 21 1 5
= - =
aÁ+2aª+3a£+y+naÇ=200n yy ㉠ 22 2 11
이고, n¾2일 때
aÁ+2aª+3a£+y+(n-1)an-1=200(n-1) yy ㉡
이므로 ㉠에서 ㉡을 빼면
naÇ=200
712  ③

200 두 직선 y=x, y=3x와 직선 x=1이 만나는 점을 각각 A, B라 하


aÁ=200이므로 aÇ=  (n¾1)
n 고, 직선 x=n과 만나는 점을 각각 C, D라 하자.

148 수학Ⅰ

해설.indb 148 22. 9. 5. 오후 3:56


y y=3x 즉, 첫 번째 도형에서 정삼각형 1개의 넓이는
D '3 1
_4Û`_ ='3이다.
4 4
y=x
1
두 번째, 세 번째로 갈수록 남은 정삼각형 1개의 넓이는 배씩
4
작아지므로 n번째 도형에서 남은 정삼각형 1개의 넓이는
C
B 1 n-1
'3_{ } 이다.
O A 4
1 n x
이때 첫 번째 도형에서 정삼각형의 개수는 3이므로 aÁ=3'3이고 III
사각형 ABDC는 사다리꼴이고, 두 번째, 세 번째로 갈수록 개수가 3배씩 늘어나므로
n-1 n
ABÓ=3-1=2, CDÓ=3n-n=2n이므로 넓이 SÇ은 n번째 도형에서 남은 정삼각형의 개수는 3_3 =3 이다.
1 n-1 n 3 n-1
1
SÇ= _(2+2n)_(n-1)=(n-1)(n+1) 따라서 aÇ='3_{ } _3 =3'3_{ } 이므로
2 4 4

∴Á ‌=5 Á {
Á aû=
3'3[1-{ 3 } ]
10
10 1 1
}
10 10
- 4 3 10
=12'3 [1-{ } ]
10
k=2 Sû k=2 k-1 k+1
3 4
1 1 1 1 1 1
k=1
1-
=5[{ - }+{ - }+{ - }+y 4
1 3 2 4 3 5
1 1 1 1
 +{ - }+{ - }]
8 10 9 11
1 1 1
‌=5{1+ - - }=
72 715  ④
2 10 11 11
조건 ㈎에 의하여 aÁ=2이고,
따라서 p=11, q=72이므로 p+q=83이다.
조건 ㈏에 의하여
첫 번째에 점 Pª에 도착한 점 A가 두 번째에는 3 cm만큼 이동하여

713  ⑤ 점 P°에 도착하므로 aª=5이다.


두 번째에 점 P°에 도착한 점 A가 세 번째에는 6 cm만큼 이동하여
등비수열 {aÇ}의 공비를 r (r>0)라 하자.

Á (aû)Û`은 첫째항이 (aÁ)Û`이고 공비가 rÛ`인 등비수열의


점 PÁ에 도착하므로 a£=1이다.
10
세 번째에 점 PÁ에 도착한 점 A가 네 번째에는 2 cm만큼 이동하여
k=1
점 P£에 도착하므로 a¢=3이다.
첫째항부터 제10항까지의 합이므로

Á (aû)Û`=
네 번째에 점 P£에 도착한 점 A가 다섯 번째에는 4 cm만큼 이동하
10 (aÁ)Û`(rÛ`â`-1)
=8 yy ㉠ 여 점 Pª에 도착하므로 a°=2이다.
rÛ`-1
Á { }2`은 첫째항이
k=1
10
1 1 1 다섯 번째에 점 Pª에 도착한 점 A가 여섯 번째에는 3 cm만큼 이동
이고, 공비가 인 등비수열의
k=1 aû (aÁ)Û` rÛ` 하여 점 P°에 도착하므로 a¤=5이다.
첫째항부터 제10항까지의 합이므로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면 수열 {an}은 2, 5, 1, 3이 이 순서대로

Á { }2`‌=
1 1
{1- } 반복된다.

∴ Á an=5(2+5+1+3)=55
10
1 (aÁ)Û` rÛ`â`
20
k=1 aû 1
1-
rÛ` n=1

1 1 rÛ`â`-1
= _ _
(aÁ)Û` rÚ`¡` rÛ`-1
=
1
_ _
1 8
 (∵ ㉠)
716  ⑤
(aÁ)Û` rÚ`¡` (aÁ)Û`
n(n+1)
8 에서
= =2 2
(aÁ)Ý`_rÚ`¡`
1_2
(aÁ)Ý`_rÚ`¡`=4에서 (aÁ)Û`_rá`=2 yy ㉡ n=1일 때 =1,
2
1+2+3+y+9
∴ aÁ_aª_a£_y_aÁ¼‌=(aÁ)Ú`â`_r 2_3
n=2일 때 =3,
=(aÁ)Ú`â`_rÝ`Þ` 2
={(aÁ)Û`_rá`}Þ`=2Þ` (∵ ㉡) 3_4
n=3일 때 =6,
2
=32
4_5
n=4일 때 =10,
2

714  ③ n=5일 때
5_6
2
=15,

첫 번째 도형에서 남은 정삼각형은 한 변의 길이가 4인 정삼각형에서 6_7


n=6일 때 =21
2
1 1
변의 길이가 배 작아졌으므로 넓이는 배이다.
2 4
y

Ⅲ. 수열 149

해설.indb 149 22. 9. 5. 오후 3:56


n(n+1)
이므로 수열 [ ]은 홀수, 홀수, 짝수, 짝수가 반복적으로
㉠, ㉡에서
2 aªn=2n+1-2_3
n-2
`(n¾2)
나타나므로 수열 {aÇ}은 -1, -1, 1, 1이 반복적으로 나타난다.

∴ Á naÇ‌=-1-2+3+4-5-6+7+8-y
위 식에 n=5를 대입하면
2018
aÁ0=2_5+1-2_3Ü`=-43
n=1
∴ |aÁ0|=43
 -2013-2014+2015+2016-2017-2018
=(-1-2+3+4)+(-5-6+7+8)+y
 +(-2013-2014+2015+2016)-2017-2018
=4_504-2017-2018=-2019 719  ④

-2, 0, 1에 절댓값을 취하면 0, 1의 값은 달라지지 않고,


-2인 경우 |-2|=2가 되므로
n(n+1)(n+2)
717  ⑴ 6
  ⑵ 165 수열 {|aÇ|}의 모든 항은 2, 0, 1 중에 하나이다.
수열 {aÇ}의 첫째항부터 n번째 항 중 -2인 항의 개수를 x라 하면

Á |aû|= Á aû+4x에서 28=12+4x이므로


⑴ [n단계]에서
‌ 맨 위부터 k번째 층에 놓여 있는 공의 개수를 bk라 n n

하자. k=1 k=1

x=4 yy`㉠

이때 -2, 0, 1을 각각 제곱하면 0, 1의 값은 달라지지 않고,
‌ -2인 경우 (-2)Û`=4가 되므로
수열 {(aÇ)Û`}의 모든 항은 4, 0, 1 중에 하나이다.

∴ Á (aû)Û`= Á aû+6_4=12+24=36 (∵ ㉠)
첫 번째 층 두 번째 층 세 번째 층 …
n n

b‌ Á=1 k=1 k=1

b‌ ª=1+2
b‌ £=1+2+3

k(k+1)
720  3
b‌ k=1+2+3+y+k=
2 a£은 aª와 a¢의 등차중항이므로
[n단계]에서 공은 n개의 층으로 쌓여 있으므로 aª+a¢=2a£=4에서 a£=2이다.
an‌= Á bk= Á = { Á kÛ`+ Á k}
n k(k+1)
n
1 n n
수열 {an}의 공차를 d라 하면 d>2이므로
k=1 k=1 2 2 k=1 k=1
aª=a£-d<0이다.
1 n(n+1)(2n+1) n(n+1)
= [ + ] 즉, nÉ2일 때 an<0이고, n¾3일 때 an>0이다.
2 6 2
aÁ=2-2d, aª=2-d, a£=2, a¢=2+d, a°=2+2d이므로

Á akÛ`‌=(2-2d)Û`+(2-d)Û`+2Û`+(2+d)Û`+(2+2d)Û`
n(n+1)(n+2)
=
6 5

9_10_11 k=1
⑵ a»= =165 =10dÛ`+20
6
Á |ak|‌=- Á ak+ Á ak
5 2 5

k=1 k=1 k=3

=-{(2-2d)+(2-d)}+2+(2+d)+(2+2d)
718   43 =6d+2

Á aªk-1=3n-1+1에서 ∴ Á (akÛ`-10|ak|)‌= Á akÛ`-10 Á |ak|=10dÛ`-60d


5 5 5
n

k=1 k=1 k=1


k=1
=10(d-3)Û`-90

따라서 Á (akÛ`-10|ak|)의 값이 최소가 되도록 하는 d의 값은


n¾2일 때

aªn-1‌= Á aªk-1- Á aªk-1


5
n n-1

k=1
k=1 k=1

=(3
n-1
+1)-(3
n-2
+1) 3이다.
n-1 n-2
=3 -3
 yy`㉠
n-2
=2_3

Á ak=nÛ`+2n에서
2n
721   264
k=1
3
n¾2일 때 |{n+ }Û`-p|의 값이 최소가 되도록 하는 자연수 p는

aªn+aªn-1‌= Á ak- Á ak
4
2n 2(n-1)
3
{n+ }Û`의 값과의 차가 가장 작은 자연수 p이다.
k=1 k=1
4
=(nÛ`+2n)-{(n-1)Û`+2(n-1)}
3 3 9
yy`㉡ {n+ }Û`=nÛ`+ n+ 에서
=2n+1 4 2 16

150 수학Ⅰ

해설.indb 150 22. 9. 5. 오후 3:56


Ú n이 짝수일 때, 즉 n=2k`(k는 자연수)일 때 ㉠에서 k=21일 때
3 9 OÕAÁÓ+AÕÁAªÓ+AÕªA£Ó+y+AÕ¢ÁAÓ¢ªÓ=462'2이고
{n+ }Û`=4kÛ`+3k+ 이고,
4 16 k=22일 때
9 OÕAÁÓ+AÕÁAªÓ+AÕªA£Ó+y+AÕ¢£AÓ¢¢Ó=506'2이다.
4kÛ`+3k<4kÛ`+3k+ <4kÛ`+3k+1
16
이때 AÕ¢ªAÓ¢£Ó=22'2이므로
3
이므로 |{n+ }Û`-p|의 값이 최소가 되도록 하는 자연수 p의 OÕAÁÓ+AÕÁAªÓ+AÕªA£Ó+y+AÕ¢ªAÓ¢£Ó=462'2+22'2=484'2이다.
4
값은 4kÛ`+3k+1이다. 따라서 구하는 자연수 n의 값은 42이다.
∴ aªk=4kÛ`+3k+1 III
Û n이 홀수일 때, 즉 n=2k-1`(k는 자연수)일 때
3 3 9 1
{n+ }Û`=(2k-1)Û`+ (2k-1)+ =4kÛ`-k+ 이고,
4 2 16 16 724   300

1 이차함수 y=(x-n)Û`+nÛ`의 그래프의 꼭짓점의 좌표는


4kÛ`-k<4kÛ`-k+ <4kÛ`-k+1
16
(n, nÛ`)이고, 이 점은 이차함수 y=xÛ`의 그래프 위에 있다.
3
이므로 |{n+ }Û`-p|의 값이 최소가 되도록 하는 자연수 p의 y y=x@
4
값은 4kÛ`-k이다.
∴ aªk-1=4kÛ`-k

∴ Á an‌= Á (aªk-1+aªk)= Á (8kÛ`+2k+1)


y={x-n}@+n@
8 4 4

n=1 k=1 k=1 {n,`n@}


4_5_9 4_5
=8_ +2_ +4_1=264
6 2
O x
x=k
x좌표가 정수이면 두 이차함수 y=xÛ`, y=(x-n)Û`+nÛ`의 y좌표도
722   31 정수이므로 0ÉkÉn인 정수 k에 대하여 x=k일 때 주어진 영역
조건에 의하여 자연수 n이 3 을 인수로 가지고 3
k k+1
을 인수로 갖지 안의 x좌표와 y좌표가 모두 정수인 점의 개수는
(k-n)Û`+nÛ`-kÛ`+1=-2nk+2nÛ`+1이다.

aÇ‌= Á (-2nk+2nÛ`+1)
않도록 하는 k의 값이 an이다.
n
3 4
am=3이므로 m은 3 을 인수로 가지고 3 을 인수로 갖지 않는다.

= Á (-2nk+2nÛ`+1)+2nÛ`+1
k=0
그러므로 m=3Ü`_a (a는 3의 배수가 아닌 자연수)라 하면 1, 2, 4, n
3
5, 7, 8은 3의 배수가 아니므로 2m, 4m, 5m, 7m, 8m은 3 을 k=1
4
인수로 가지고 3 을 인수로 갖지 않는다. n(n+1)
=-2n_ +2nÜ`+n+2nÛ`+1
∴ aµ=aªµ=a¢µ=a°µ=a¦µ=a¥µ=3 2
4 =nÜ`+nÛ`+n+1

∴ Á aû‌= Á (kÜ`+kÛ`+k+1)
m=3Ü`_a에서 3m=3Ý`_a, 6m=3Ý`_2a이므로 3m, 6m은 3 을
5 5 5
인수로 가지고 3 을 인수로 갖지 않는다.

}2`+
k=1 k=1
∴ a£µ=a¤µ=4
5_6 5_6_11 5_6
m=3Ü`_a에서 9m=3Þ`_a이므로 3 을 인수로 가지고 3 을 인수로
5 6
={ + +5_1
2 6 2
갖지 않는다. =300
∴ a»µ=5
∴ aµ+aªµ+a£µ+y+a»µ‌=3_6+4_2+5_1=31

725  ⑤

Á k= 이고 Á k=
(m+1)(m+2)
723  m(m+1)
m m+1
④ 이므로
k=1 2 k=1 2
주어진 규칙에서 선분의 길이를 구해 보면 m(m+1) (m+1)(m+2)
Én<  yy ㉠
2 2
OÕAÁÓ='2, AÕÁAªÓ='2, AÕªA£Ó=2'2, AÕ£A¢Ó=2'2,
m(m+1) (m+1)(m+2)
AÕ¢A°Ó=3'2, AÕ°A¤Ó=3'2, y 즉, Én< 일 때 aÇ=m이다.
2 2
와 같이 같은 값이 2번씩 반복되므로 자연수 k에 대하여 ㉠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n의 개수는
OÕAÁÓ+AÕÁAªÓ+AÕªA£Ó+y+AÕ2k-1ÓA2kÓ (m+1)(m+2) m(m+1) m+1
- = {(m+2)-m}=m+1
=2('2+2'2+3'2+y+k'2) 2 2 2
=2'2(1+2+3+y+k) 즉, an=m인 항의 개수는 m+1이고, yy TIP

Á (m+1)= +8=44, Á (m+1)=


k(k+1) 8
8_9 9
9_10
=2'2_ ='2k(k+1) yy`㉠ +9=54이므로
2 m=1 2 m=1 2

Ⅲ. 수열 151

해설.indb 151 22. 9. 5. 오후 3:56


Á aû‌= Á aû+(a¢°+a¢¤+a¢¦+y+a°¼)
50 44
Ú~Ý에 의하여 구하는 모든 자연수 m의 값의 합은

= Á {m_(m+1)}+9_6
k=1 k=1
6+30+126=162
8

= Á (mÛ`+m)+54
m=1
8

m=1
727  5

m=1이면 aÁ+aª+a£+y+aÁ°= Á aû= f(15)>0


8_9_17 8_9
= + +54
6 2 15

=204+36+54=294 k=1

이므로 m¾2이다. 즉,

am+am+1+y+aÁ°‌= Á aû- Á aû
TIP
15 m-1
m=1일 때 1Én<3이므로
k=1 k=1
aÁ=aª=1  2개 = f(15)- f(m-1) (m¾2)
m=2일 때 3Én<6이므로 이때 am+am+1+y+aÁ°<0이면
a£=a¢=a°=2  3개 f(15)- f(m-1)<0이므로
⋮ f(15)< f(m-1)
m=8일 때 36Én<45이므로 그런데 f(3)= f(15)이므로 3<m-1<15
a36=a37=y=a44=8  9개 ∴ 4<m<16
m=9일 때 45Én<54이므로 따라서 구하는 m의 최솟값은 5이다.
a45=a46=y=a54=9  10개

728  ④

726  ④ a¦은 a¤과 a¥의 등차중항이므로

Á ak= Á log2 {2_
k+1 ;2!; a¤+a¥=2a7
}
m m

k+2 이때 조건 ㈎에서 a¦=a¤+a¥이므로

= Á {1+log2`
k=1 k=1

1 m
} ‌
k+1 a7=2a7
2 k=1 k+2

= Á 1+ Á log2`
∴ a7=0
1 m 1 m k+1 등차수열 {an}의 공차를 d라 하자.

2 k=1 2 k=1 k+2
Ú d>0일 때
m 1
+ {log2` +log2` +y+log2` } ‌
2 3 m+1
= n¾7인 자연수 n에 대하여
2 2 3 4 m+2
m 1 Sn+Tn<Sn+1+Tn+1
+ log2 { _ _y_ } ‌
2 3 m+1
=
2 2 3 4 m+2 이므로 조건 ㈏를 만족시키지 않는다.
m 1 2 Û d=0일 때
= + log2`
2 2 m+2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an=0
m+1-log2 (m+2)
= 즉, Sn+Tn=0이므로 조건 ㈏를 만족시키지 않는다.
2
이때 log2 (m+2)가 자연수이려면 2 이상의 자연수 k에 대하여 Ú, Û에서 d<0
m+2=2 꼴이어야 한다.
k 한편, a¦=a1+6d=0이므로

m+1=2 -1의 값은 항상 홀수이므로 Á ak의 값이 자연수이려면


k
m a1=-6d>0
k=1 즉, nÉ7인 자연수 n에 대하여 an¾0이므로
log2 (m+2)=k도 홀수이어야 한다. S¦=T¦
Ú k=3, 즉 m=6일 때 조건 ㈏에 의하여 S¦=T¦=42이므로

Á ak= S¦‌= Á ak=


3
m (2 -1)-3 7 7(2a1+6d)
=2
k=1 2 k=1 2
Û k=5, 즉 m=30일 때 7(-12d+6d)

Á ak=
= =-21d=42
m
5
(2 -1)-5 2
=13
2 ∴ d=-2, a1=12

∴ S15= Á ak=
k=1

Ü k=7, 즉 m=126일 때 15 15(2a1+14d)

Á ak=

m
7
(2 -1)-7 k=1 2
=60 15(24-28)
k=1 2
= =-30
Ý k¾9일 때 2

Á ak¾
m
9
(2 -1)-9 따라서 조건 ㈏에서 S15+T15=84이므로
=251
k=1 2 T15=84-(-30)=114

152 수학Ⅰ

해설.indb 152 22. 9. 5. 오후 3:56


위의 그림과 같이 점 An의 x좌표와 y좌표의 합은
729  ②
점 P가 점 A0에서 점 An까지 경로를 따라 이동한 거리와 같다.
정사각형 AnBnCnDn의 한 변의 길이가 n이므로 즉, 점 An이 직선 y=x 위에 있으려면 자연수 m에 대하여
BnCnÓ=n이 될 때를 찾으면 된다. An(m, m)이라 할 때  yy TIP

m+m= Á
직선 x=k`(k는 자연수)가 곡선 y='§x와 직선 y=-x에 의하여 n
2k-1

25

Á (2k-1)
잘리면서 생기는 선분의 길이를 l이라 하면 k=1

k=1일 때 l='1-(-1)=2 1 n
=
25 k=1
k=2일 때 l='2-(-2)이므로 3<l<4
n(n+1) III
= [2_ ‌
1
k=3일 때 l='3-(-3)이므로 4<l<5 -n]
25 2
k=4일 때 l='4-(-4)=6 n
2
=
⋮ 25
2
k=9일 때 l='9-(-9)=12 n 2
즉, 2m= 이므로 n =50m
⋮ 25
따라서 정사각형 AnBnCnDn의 한 변의 길이가 BnCnÓ=n일 때 ∴ n=5'¶2m
점 Cn의 x좌표를 xn이라 하면 이때 n이 자연수이기 위한 m의 값은
2_1 , 2_2 , 2_3 , y
2 2 2
n=1일 때 0<xÁ<1이므로 정사각형 AÁBÁCÁDÁ의 둘레와 그 내부
에 있는 점 중 x좌표와 y좌표가 모두 정수인 점은 (1, 0)뿐이다. 따라서 구하는 두 번째 점의 x좌표는
2
∴ aÁ=1 a=2_2 =8
n=2일 때 xª=1이므로 Bª(1, 1), Cª(1, -1), Dª(3, -1),
Aª(3, 1)이다.
즉, 정사각형 AªBªCªDª의 둘레와 그 내부에 있는 점 중 x좌표와 731   184
y좌표가 모두 정수인 점의 개수는 3Û`이다.
조건 ㈎에서 집합 A의 임의의 두 원소의 합이 31이 아니므로
∴ aª=9
집합 A에 속하지 않는 원소는
n=3일 때 1<x3<2이므로 정사각형 A£B£C£D£의 둘레와 그 내부
31-ai`(1ÉiÉ15)이다.

이때 ÁaiÛ`과 Á(31-ai)Û`의 합은 집합 U의 모든 원소의 제곱의


에 있는 점 중 x좌표와 y좌표가 모두 정수인 점의 개수는 3Û`이다. 15 15
∴ a£=9 i=1 i=1
같은 방법으로 하면 점 Cn의 x좌표가 정수이면 an=(n+1)Û`이고, 합과 같으므로

ÁaiÛ`+Á(31-ai)Û`=Ái Û`
점 Cn의 x좌표가 정수가 아니면 an=nÛ`임을 알 수 있다. 15 15 30

1ÉnÉ15일 때, 점 Cn의 x좌표가 정수인 경우는 n=2, 6, 12일 때


ÁaiÛ`+Á31Û`-62Áai+ÁaiÛ`=
i=1 i=1 i=1

이다. 15 15 15 15
30_31_61

∴ Á ak‌= Á kÛ`-(2Û`+6Û`+12Û`)+(3Û`+7Û`+13Û`)
15 15 i=1 i=1 i=1 i=1 6
조건 ㈏에 의하여

2ÁaiÛ`+15_31Û`-62_264=5_31_61이므로
k=1 k=1

15_16_31 15
= -184+227
6
ÁaiÛ`‌= (5_31_61-15_31Û`+62_264)
i=1

=1283 15
1
i=1 2
31
730  8 =
2
(5_61-15_31+2_264)

31
점 A0은 원점이고 점 An은 점 An-1에서 점 P가 경로를 따라 = (-5_32+2_264)
2
2n-1 =31_184
만큼 이동한 위치에 있는 점이므로 점 An은 점 A0에서
Áa Û`=184
25

출발한 점 P가 경로를 따라 Á
1 15
n
2k-1 ∴
만큼 이동한 위치에 있는 31 i=1 i
k=1 25
점이다. 참고
y y=x 두 원소의 합이 31이 되는 쌍은
m Aˆ (1, 30), (2, 29), y, (15, 16)
이므로 집합 A는 각 순서쌍에서 원소를 하나씩 택하여 얻을 수
…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찾은 집합 A의 여러 예 중 하나는 다음과
같다.
O A¡ m x A={5, 7, 9, 10, 11, 12, 14, 16, 18, 23, 25, 27, 28, 29, 30}
A™ …

Ⅲ. 수열 153

해설.indb 153 22. 9. 5. 오후 3:56


732   244
수학적 귀납법
가장 중앙의 숫자인 1을 중심으로 대각선 방향의 오른쪽 위쪽의
숫자는 1, 3, 13, 31, y이고 규칙은 다음과 같다.

25 10 11 12 13
733   ⑴ 14  ⑵ 60

24 9 2 3 14 ⑴ an+1=aÇ+n+2에 n=1, 2, 3을 차례대로 대입하면


23 8 1 4 15 aª=aÁ+3=5, a£=aª+4=9
22 7 6 5 16
∴ a¢=a£+5=14
21 20 19 18 17
⑵ an+1=(n+2)aÇ에 n=1, 2, 3을 차례대로 대입하면
aª=3aÁ=3, a£=4aª=12
1, 3=1+2, 13=3+(2+8_1), 31=13+(2+8_2)이므로
∴ a¢=5a£=60
185의 근방이 되는 값을 계산하면
31+(2+8_3)=57, 57+(2+8_4)=91,
91+(2+8_5)=133, 133+(2+8_6)=183
즉, 185는 183에서 아래쪽으로 두 칸 아래에 적힌 숫자이다. 734  ③

이때 대각선 방향의 183 다음 수는 183+(2+8_7)=241이고, aÇ


an+1= 에 n=1, 2, 3, 4를 차례대로 대입하면
185 바로 오른쪽의 숫자는 241에서 아래쪽으로 세 칸 아래에 적힌 n+2
숫자이므로 다음과 같다. aÁ 2 aª 2 1 1
aª= = , a£= = _ =
3 3 4 3 4 6
241 a£ 1 1 1 a¢ 1 1 1
a¢= = _ = , a°= = _ =
183 242 5 6 5 30 6 30 6 180
133 184 243 이므로 p=180, q=1이다.
91 185 244
∴ p+q=181


따라서 구하는 숫자는 244이다.


735  ③

an+1=3aÇ+2에 n=1, 2, 3, 4를 차례대로 대입하면


aª=3aÁ+2=8, a£=3aª+2=26, a¢=3a£+2=80
∴ a°=3a¢+2=242

736  ③

an+1=aÇ+4에서 수열 {aÇ}은 공차가 4인 등차수열이므로 일반항은


aÇ=3+4(n-1)=4n-1이다.
∴ aÁ°=4_15-1=59

737  ③

자연수 n에 대하여 an+1-aÇ=2를 만족시키므로


수열 {aÇ}은 공차가 2인 등차수열이다.
수열 {aÇ}의 일반항은 aÇ=-3+2(n-1)=2n-5이므로
aû=2k-5=27
∴ k=16

738  ⑤

an+2-an+1=an+1-an에서 수열 {aÇ}은 등차수열이므로


a£-aª=5에서 공차가 5이다.
∴ a¥=a£+5_5=32

154 수학Ⅰ

해설.indb 154 22. 9. 5. 오후 3:56


739  ② 다른 풀이

n명이 한 번씩 악수를 하면 총 횟수는


1 1 n(n-1)
수열 {aÇ}은 첫째항이 2이고 an+1= aÇ에서 공비가 인
3 3 aÇ=ÇCª= 이고,
2
1 n-1
등비수열이므로 일반항은 aÇ=2_{ } 이다. (n+1)명이 한 번씩 악수를 하면 총 횟수는
3
n(n+1)
1 5 2 an+1=n+1Cª=
∴ a¤=2_{ } =
이다.
2
3 243
n(n+1) n(n-1)
따라서 an+1-aÇ= - =n에서 구하는 관계식은 III
2 2
an+1=aÇ+n`(n¾2)이다.
740   ⑴ 32  ⑵ 255
aÇ*Á aÇ aÇ*Á 2aÇ
⑴ 3 =9 에서 3 =3 이므로 an+1=2aÇ이다.
수열 {aÇ}은 첫째항이 1이고 공비가 2인 등비수열이므로 745  ①
n-1
일반항은 aÇ=2 이다. n일 후 물탱크에 남아 있는 물의 양이 aÇ이고, 10톤의 물을 더
6-1
∴ a¤=2 =32 채우고 다음 날 다시 물을 채울 때까지 물의 양이 반으로 줄어들게
⑵ 수열 {aÇ}의 첫째항부터 제8항까지의 합은 1
되므로 aÇ과 an+1 사이의 관계식은 an+1=(an+10)_ 에서
2¡`-1 2
S¥= =256-1=255이다.
2-1 1
an+1= an+5`(n¾1)이다.
2

TIP
741  ③ an을 정의한 시점에 주의해야 한다.
물을 채우기 직전에 남아 있는 물의 양을 an이라 했으므로 물을
an+1Û`=an an+2에서 수열 {an}은 등비수열이므로
aª 채우는 시행이 먼저이고 그 물이 반으로 줄어들어 an+1이 된다.
1
aÁ=8, aª=-4에서 공비는 =- 이다.
aÁ 2

∴ Á ak=
1
8[1-{- }Þ`] 8+ 1
참고
5 2 4 11
= = 1일 후 물탱크에 물을 채우기 직전에 남아 있는 물의 양은
1 1 2
k=1
1-{- } 1+ 40톤의 물 중 50`%를 사용했으므로
2 2
1
a1=40_ =20이다.
2

742   57

n=1일 때 aª+2aÁ=-2이므로 aª=-4


n=2일 때 a£+2aª=3이므로 a£=11
746   ⑴ aÇ*Á=2aÇ-6`(n¾1)  ⑵ 70

n=3일 때 a¢+2a£=-4이므로 a¢=-26 ⑴ ‌n일이 지난 후 박테리아의 수 aÇ에 대하여 이 중에서 3마리가


n=4일 때 a°+2a¢=5이므로 a°=57 죽고 나머지가 각각 2마리로 분열하므로 aÇ과 an+1 사이의
관계식은 an+1=(aÇ-3)_2, an+1=2aÇ-6`(n¾1)이다.
⑵ a1=(8-3)_2=10이고 an+1=2aÇ-6에서

743  ② aª=2aÁ-6=14
a£=2aª-6=22
an+2=an+1+aÇ에 n=1, 2, 3, y, 7을 차례대로 대입하면 a¢=2a£-6=38
a£=aª+aÁ=3, a¢=a£+aª=5, a°=a¢+a£=8 ∴ a5=2a4-6=70
a¤=a°+a¢=13, a¦=a¤+a°=21, a¥=a¦+a¤=34
∴ a»=a¥+a¦=55
747  ③

Ú n=1일 때
744  ④
(좌변)=1, (우변)=
1_2
=1이므로 등식 (C)이 성립한다.
2
n명이 모두 서로 한 번씩 악수를 하고 1명이 더 모임에 참석했을 때,
Û n=k일 때 등식 (C)이 성립한다고 가정하면
1명이 이미 참석해 있는 n명과 한 번씩 악수를 하면 (n+1)명이
k(k+1)
1+2+3+y+k=
모두 서로 한 번씩 악수를 한 것이 된다. 2
따라서 구하는 관계식은 an+1=aÇ+n`(n¾2)이다. 이고 양변에 각각 k+1을 더하면

Ⅲ. 수열 155

해설.indb 155 22. 9. 5. 오후 3:56


1+2+3+y+k+(k+1)=
k(k+1)
2
+k+1 750  ②

Ú n=1일 때
(k+1)( k+2`)
= 2ß`+1=65이므로 5의 배수이다.
2
Û n=k일 때 2
4k+2
그러므로 n=k+1일 때도 등식 (C)이 성립한다. +1이 5의 배수라 가정하면
4k+2
Ú, Û에서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등식 2 +1=5m (m은 자연수)에서
4k+2
n(n+1) 2 =5m-1
1+2+3+y+n= 이 성립한다. 4k+6 4 4k+2
2 2 +1‌=2 _2 +1
k(k+1) = 16 _(5m-1)+1
따라서 f(k)= , g(k)=k+2이므로
2
=5( 16m-3 )
5_6
f(5)+g(5)= +7=22
2 이므로 n=k+1일 때도 2
4k+6
+1이 5의 배수이다.
Ú, Û에서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자연수 2
4n+2
+1이 5의
배수이다.

748  ④ 따라서 p=16, f(m)=16m-3이므로


f(p)= f(16)=16_16-3=253
Ú n=1일 때
(좌변)=1이고 (우변)=1Û`=1이므로 등식이 성립한다.
Û n=k일 때 등식이 성립한다고 가정하면
1+3+5+y+(2k-1)=kÛ`이고 751   풀이 참조
1+3+5+y+(2k-1)+(2k+1)=kÛ`+ 2k+1
Ú n=1일 때
1+3+5+y+(2k-1)+(2k+1)=( k+1 )Û` 3-1
(좌변)=1, (우변)= =1
이므로 n=k+1일 때도 등식이 성립한다. 2
Ú, Û에서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등식 이므로 등식이 성립한다.
1+3+5+y+(2n-1)=nÛ`이 성립한다. Û n=k일 때 등식이 성립한다고 가정하자.
㈎`:`2k+1  ㈏`:`k+1 k-1 3û`-1
‌1+3+3Û`+3Ü`+y+3 =
2
따라서 선지 중 알맞은 것은 ④이다.
이고 양변에 각각 3û`을 더하면
k-1 3û`-1
1+3+3Û`+3Ü`+y+3 +3û`‌= +3û`
2
749  ③
=
k
3 -1+2_3û`
2

Ú n=1일 때 3
k+1
-1
=
(좌변)=1Ü`=1이고 (우변)=1Û`=1이므로 등식이 성립한다. 2
Û n=k일 때 등식이 성립한다고 가정하면 따라서 n=k+1일 때도 등식이 성립한다.

Ái Ü`=(1+2+3+y+k)Û`이고
k
Ú, Û에서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등식

Á i Ü`‌=[ ]2`+ (k+1)Ü`


n
i=1
n-1 3 -1
k(k+1) 1+3+3Û`+3Ü`+y+3 = 이 성립한다.
k+1
2

i=1 2
채점 요소 배점
kÛ`
=(k+1)Û`_{ + k+1 }
4 n=1일 때 등식이 성립함을 보이기 30`%
kÛ`+4k+4
}
n=k일 때 등식이 성립함을 가정하고
=(k+1)Û`_{ 70`%
4 n=k+1일 때 등식이 성립함을 보이기

}2`
k+2
=(k+1)Û`_{
2

]2`
(k+1)(k+2)
=[
2
이므로 n=k+1일 때도 등식이 성립한다. 752   풀이 참조
Ú, Û에서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등식 Ú n=1일 때
Ái Ü`=(1+2+3+y+n)Û`이 성립한다.
n
1 1 1
(좌변)= = , (우변)= 이므로 등식이 성립한다.
i=1 1_3 3 3
따라서 f(k)=(k+1)Ü`, g(k)=k+1, h(k)=(k+1)(k+2) Û n=k일 때 등식이 성립한다고 가정하면
이므로 1 1 1 1 k
+ + +y+ =
f(4)+g(5)-h(6)=125+6-56=75 1_3 3_5 5_7 (2k-1)(2k+1) 2k+1

156 수학Ⅰ

해설.indb 156 22. 9. 5. 오후 3:57


1 Ý k=21인 경우
이 식의 양변에 각각 을 더하면
(2k+1)(2k+3) ㉠에서 p+2k-2=1이므로 대입하면 p=-39
1 1 1 Ú∼Ý에 의하여 모든 정수 p의 값의 합은
+ + +y
1_3 3_5 5_7
21+3+(-9)+(-39)=-24
1 1
 + +
(2k-1)(2k+1) (2k+1)(2k+3)
=
k
+
1
2k+1 (2k+1)(2k+3) 755   풀이 참조
k(2k+3)+1 an+an+2
=
(2k+1)(2k+3) an+2-2an+1+aÇ=0에서 an+1=
2
이므로 III
(2k+1)(k+1) k+1 수열 {aÇ}은 등차수열이고 공차를 d라 하면
= =
(2k+1)(2k+3) 2k+3
an+8-an+5=3d=-12에서 d=-4이다.
이므로 n=k+1일 때도 등식이 성립한다.
이때 S¥¾SÇ이므로 nÉ8일 때 aǾ0이고, n>8일 때 aÇÉ0이다.
Ú, Û에서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등식
수열 {aÇ}의 일반항이 aÇ=aÁ-4(n-1)이므로
1 1 1 1 n
+ + +y+ = a¥=aÁ-28¾0에서 aÁ¾28이고
1_3 3_5 5_7 (2n-1)(2n+1) 2n+1
이 성립한다. a»=aÁ-32É0에서 aÁÉ32이므로
28ÉaÁÉ32이다.
채점 요소 배점
따라서 aÁ의 최댓값과 최솟값은 각각 32, 28이므로 그 합은
n=1일 때 등식이 성립함을 보이기 30`%
32+28=60이다.
n=k일 때 등식이 성립함을 가정하고,
70`%
n=k+1일 때 등식이 성립함을 보이기 채점 요소 배점
주어진 조건에서 수열 {aÇ}이 등차수열임을 보이고 공차 구하기 30`%
S¥¾SÇ에서 a¥¾0, a»É0이므로 aÁ의 값의 범위 구하기 50`%

753  ② aÁ의 최댓값과 최솟값의 합 구하기 20`%

수열 {aÇ}은 첫째항이 2이고 공차가 2인 등차수열이므로


일반항은 aÇ=2+2(n-1)=2n이다.
1 1
756  ②
또, 수열 {bÇ}은 첫째항이 - 이고 공차가 인 등차수열이므로
2 2 수열 {aÇ}이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1 1 1 an+1='ÄaÇan+2이므로
일반항은 bÇ=- + (n-1)= n-1이다.
2 2 2 양변을 각각 제곱하면 (an+1)Û`=aÇan+2에서
1 수열 {aÇ}은 등비수열이다.
aÇbÇ=2n{ n-1}=nÛ`-2n
2

∴ Á akbk‌= Á (kÛ`-2k)
10 10
수열 {aÇ}의 공비를 r라 하면
aÁª 27
k=1 k=1 =rá`= =3'3에서
a£ 3'3
10_11_21 10_11
= -2_ ;6!;
6 2 r=3 이다. yy`㉠
=385-110=275 a¤ aÁ¼ aÁ¢ aÁ¥ a¢ª
이때 _ _ _ _y_ 에서
a£ a° a¦ a» aªÁ

754   -24 a¤

=rÜ`,
aÁ¼

=rÞ`,
aÁ¢

=rà`,
aÁ¥

=rá`, y,
a¢ª
aªÁ
=rÛ`Ú`이므로

수열 {aÇ}은 첫째항이 p이고 공차가 4인 등차수열이므로 a¤ aÁ¼ aÁ¢ aÁ¥ a¢ª


_ _ _ _y_ ‌=rÜ`_rÞ`_rà`_rá`_y_rÛ`Ú`
a£ a° a¦ a» aªÁ
첫째항부터 제k항까지의 합은 등차수열의 합에 의하여 3+5+7+y+21
=r
k{2p+4(k-1)}
=21 한편, 3+5+7+y+21은 첫째항이 3이고 공차가 2인 등차수열의
2
k(p+2k-2)=21 yy`㉠ 첫째항부터 제10항까지의 합이다.
3+5+7+y+21‌ 10(3+21)
이때 p는 정수이고 k는 자연수이므로 k는 21의 양의 약수이어야 ∴r =r  2
;6!;
한다. =rÚ`Û`â`=(3 )Ú`Û`â` (∵ ㉠)
Ú k=1인 경우 =3Û`â`
㉠에서 p+2k-2=21이므로 대입하면 p=21
Û k=3인 경우
㉠에서 p+2k-2=7이므로 대입하면 p=3 757  ①

Ü k=7인 경우 이차방정식 aÇxÛ`+2'3 an+1x+3an+2=0이 중근을 가지므로


㉠에서 p+2k-2=3이므로 대입하면 p=-9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Ⅲ. 수열 157

해설.indb 157 22. 9. 5. 오후 3:57


D
4
=('3 an+1)Û`-3aÇan+2=0에서 (an+1)Û`=aÇan+2 760   36
a¢ 2n aÇ*Á n
즉, 수열 {aÇ}은 등비수열이고, =3에서 공비가 3이다. yy ㉠ an+1= aÇ에서 =2_ 이므로
a£ n+1 aÇ n+1
이차방정식 aÇxÛ`+2'3 an+1x+3an+2=0에서 n=1, 2, 3, y, 39를 차례대로 대입하면
양변을 각각 aÇ으로 나누면 aª 1 a£ 2 a¢ 3 a¢¼ 39
=2_ , =2_ , =2_ , y, =2_
aÇ*Á aÇ*ª aÁ 2 aª 3 a£ 4 a£» 40
xÛ`+2'3_ x+3_ =0, xÛ`+6'3 x+27=0 (∵ ㉠)
aÇ aÇ 이고 위의 식을 변끼리 곱하면
이고 (x+3'3 )Û`=0이므로 aª a£ a¢ a¢¼
_ _ _y_
bÇ=-3'3 aÁ aª a£ a£»

∴ Á '3 bû= Á (-9)=-90
1 2 3 39
={2_ }_{2_ }_{2_ }_y_{2_ }
10 10

k=1 k=1 2 3 4 40
1 2 3 39
a¢¼‌=2Ü`á`_{ _ _ _y_ }
2 3 4 40

758  ① =2Ü`á`_
1
40

Á ak‌=aÁ+(aª+a£)+(a¢+a°)+(a¤+a¦)+y+(a£0+a£1)
31 1 2Ü`ß`
=2Ü`á`_ =
k=1
8_5 5
=1+4_2+4_4+4_6+y+4_30 ∴ k=36
=1+4_2_(1+2+3+y+15)
15_16
=1+8_ =961
2
761  ⑤
다른 풀이
aÁ4=a£_5-1=3a°
an+an+1=4n`(n=1, 2, 3, y)에 n 대신 2k를 대입하면 aÁ5=a£_5=a°+2
aªk+aªk+1=8k이다.

∴ Á ak‌=aÁ+ Á (aªk+aªk+1)
aÁ6=a£_5+1=-2a°+1
31 15
이고,

=1+ Á 8k
k=1 k=1
15
a°‌=a£_2-1=3aª
k=1
=3a£_1-1=3_3aÁ
15_16 =18`(∵ aÁ=2)
=1+8_ =961
2 ∴ aÁ4+aÁ5+aÁ6=2a°+3=39

759   17
762  ⑤

2n-1 aÇ*Á 2n-1 1


an+1= aÇ에서 = 이므로 a12= 이고
2n+1 aÇ 2n+1 2
n=1, 2, 3, y, 24를 차례대로 대입하면 yy TIP 1
n이 홀수인 경우 an+1= ,
aª 1 a£ 3 a¢ 5 aª° 47 an
= , = , = , y, =
aÁ 3 aª 5 a£ 7 aª¢ 49 n이 짝수인 경우 an+1=8an이므로
이고 위의 식을 변끼리 곱하면 n=11, 10, 9, 8을 차례대로 대입하면
aª a£ a¢ aª° 1 3 5 47 1 1
_ _ _y_ = _ _ _y_ a12= 에서 a11= =2
aÁ aª a£ aª¢ 3 5 7 49 a11 1
aª° 1 2
=
aÁ 49 1 1
a11=8a10에서 a10=2_ =
1 8 4
∴ aª°=  (∵ aÁ=7)
7 1 1
a10= 에서 a9= =4
a9 1
TIP 4
aÇ*Á 2n-1 1 1
수열 {aÇ}이 =  (n=1, 2, 3, y)로 정의가 되므로 a9=8a8에서 a8=4_ =
aÇ 2n+1 8 2
연속하여 곱해 나가면 제거되는 규칙을 가진다. 이때 a8=a12이므로
그러므로 알고 있는 값이 aÁ이고, 구하는 값이 aª°이므로 n=1, 1
a1=a9=4, a4=a8=
2, 3, y, 24를 차례대로 대입하고 곱하여 aÁ과 aª°만 남고 다른 2
항이 제거되도록 풀이한다. 1 9
∴ a1+a4=4+ =
2 2

158 수학Ⅰ

해설.indb 158 22. 9. 5. 오후 3:57


3 4
763   64 a5k-4=5, a5k-3=2, a5k-2= , a5k-1= , a5k=3이다.
5 5
an+1=aÇ+2
n-1
에서 an+1-aÇ=2
n-1
이므로 200=5_40이므로 구하는 값은 aª¼¼=a°=3이다.
n=1, 2, 3, y, 6을 차례대로 대입하면
aª-aÁ=2â`
a£-aª=2Ú` 766  ⑤

a¢-a£=2Û` ( 1
aÇ (an이 짝수)
a°-a¢=2Ü` aÁ=12이고 an+1={` 2 에서
9 3aÇ+1  (an이 홀수)
III
a¤-a°=2Ý`
a¦-a¤=2Þ` 12 6 10
aª= =6, a£= =3, a¢=9+1=10, a°= =5,
2 2 2
이고 위의 식을 변끼리 더하면
16 8 4
a¦-aÁ‌=2â`+2Ú`+2Û`+y+2Þ` a¤=15+1=16, a¦= =8, a¥= =4, a»= =2,
2 2 2
2ß`-1 2 4 2
= =63 aÁ¼= =1, aÁÁ=3+1=4, aÁª= =2, aÁ£= =1, y
2-1 2 2 2
∴ a¦=63+1=64 (∵ aÁ=1) 이므로 수열 {an}은 제8항부터 4, 2, 1이 이 순서대로 반복된다.

∴ Á aû‌=(12+6+3+10+5+16+8)+4_(4+2+1)+4
20

k=1

=60+28+4=92
764  ④

aÇ*Á
an+1=(2n+1)aÇ에서 =2n+1이므로
aÇ 767  ①
n=1, 2, 3, y, n-1을 차례대로 대입하여 변끼리 곱하면
aª a£ a¢ aÇ 조건 ㈎에서 aÁ=-2, aª=2, a£=6, a¢=10이고,
_ _ _y_ =3_5_7_y_(2n-1) aÇ
aÁ aª a£ aÇÐÁ 조건 ㈏에서 aÇ*¢= 이므로 항수가 4만큼 커지면 항의 값이
2
이고 aÁ=1이므로
1
aÇ=3_5_7_y_(2n-1) (n¾2)이다. yy`㉠ 2
배가 된다.
이때 45=5_9이므로 n¾5일 때 aÇ이 3_5_7_9를 인수로 따라서 aÁ+aª+a£+a¢=(-2)+2+6+10=16이고
가지므로 5_9도 인수로 갖는다. 1
a°+a¤+a¦+a¥= (aÁ+aª+a£+a¢)=8,
따라서 S£¼에서 a°+a¤+a¦+y+a£¼은 45로 나누어떨어진다. 2
aÁ+aª+a£+a¢‌=1+3+3_5+3_5_7 (∵ ㉠) 1
a»+aÁ¼+aÁÁ+aÁª= (a°+a¤+a¦+a¥)=4,
=1+3+15+105=124 2
에서 aÁ+aª+a£+a¢를 45로 나눈 나머지는 34이므로 S£¼을 45로 1
aÁ£+aÁ¢+aÁ°+aÁ¤= (a»+aÁ¼+aÁÁ+aÁª)=2,
2
나눈 나머지는 34이다.
1
aÁ¦+aÁ¥+aÁ»+aª¼= (aÁ£+aÁ¢+aÁ°+aÁ¤)=1
2

이므로 구하는 값은 Á aû=16+8+4+2+1=31이다.


20

765 
k=1
②
참고
aÇ*Á+1
an+2= 에서 수열 {a4n-3+a4n-2+a4n-1+a4n}은 첫째항이 16이고 공비가

aª+1 3 1
인 등비수열이다.
n=1일 때 a£= = 2
aÁ 5
a£+1 8 1 4
n=2일 때 a¢= = _ =
aª 5 2 5

n=3일 때 a°=
a¢+1 9 5

= _ =3
5 3 768   51

a°+1 5 조건 ㈎에서 a2n+2=a2n+1이고 a2=1이므로


n=4일 때 a¤= =4_ =5
a¢ 4
수열 {aªÇ}은 첫째항이 1이고 공차가 1인 등차수열을 이룬다.
a¤+1 6
n=5일 때 a¦= = =2 수열 {aªÇ}의 일반항은 aªÇ=1+(n-1)=n이므로
a° 3
⋮ aÁ¼¼=50
3 4 조건 ㈏에서 a2n+1=a2n-1이고 a1=1이므로
이므로 수열 {aÇ}은 5, 2, , , 3이 이 순서대로 반복된다.
5 5 수열 {a2n-1}은 모든 항이 1이다.
따라서 자연수 k에 대하여 ∴ aÁ¼¼+aÁ¼Á=50+1=51

Ⅲ. 수열 159

해설.indb 159 22. 9. 5. 오후 3:57


참고
771  ③

n¾2일 때 3 Á aû-3 Á ak=an+1-aÇ=3aÇ이므로


a2n, a2n+2는 각각 수열 {a2n}의 제n항, 제(n+1)항이고,
n n-1
수열 {a2n}은 수열 {an}의 짝수 번째 항만을 순서대로 나열한
k=1 k=1
수열이다.
an+1=4aÇ (n¾2)
a2n-1, a2n+1은 각각 수열 {a2n-1}의 제n항, 제(n+1)항이고,
aª=3aÁ=6이므로 수열 {aÇ}은 제2항부터 공비가 4인 등비수열을
수열 {a2n-1}은 수열 {an}의 홀수 번째 항만을 순서대로 나열한
이룬다.
수열이다. n-2
따라서 aÁ=2, aÇ=6_4  (n¾2)이므로
aÁ¼=6_4¡`=3_2Ú`à`

769  ② 772  ④

aª=t`(t는 상수)라 하고 조건 ㈎의 n에 1, 2, 3, 4를 차례대로 2(aÁ+aª+a£+y+aÇ)=an+1-7 yy ㉠


대입하면 n=1을 ㉠에 대입하면 2aÁ=aª-7에서
a£=aÁ-4=3`(∵ aÁ=7) aª=2aÁ+7이다. yy ㉡
a¢=aª-4=t-4 ㉠에서 n¾2일 때 2(aÁ+aª+a£+y+an-1)=aÇ-7이고
a°=a£-4=-1 ㉠에서 이 식을 변끼리 빼면
a¤=a¢-4=t-8 2aÇ=an+1-aÇ에서
조건 ㈏에서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an+6=an이므로 an+1=3aÇ (n¾2)
수열 {an}은 7, t, 3, t-4, -1, t-8이 이 순서대로 반복된다. 즉, 수열 {aÇ}은 제2항부터 공비가 3인 등비수열을 이루므로
n-2
이 여섯 개의 항의 합은 aÇ=aª_3  (n¾2)이다.

Á ak=7+t+3+(t-4)+(-1)+(t-8)=3t-3 이때 aÁ¼¼=3Ú`â`Ú`이므로 aÁ¼¼=aª_3á`¡`=3Ú`â`Ú`에서 aª=3Ü`=27이다.


6

이고, Á ak=258이므로
k=1
aª=27을 ㉡에 대입하면 27=2aÁ+7에서 aÁ=10이다.
50
∴ aÁ+aª+a£+a¢=10+27+81+243=361

Á ak‌= Á ak+a49+a50
k=1
50 48

=8 Á ak+7+t
k=1 k=1
6
773  ①
k=1

=8(3t-3)+7+t 4Sn=anÛ`+2an-8  yy`㉠


=25t-17=258 ㉠에서 n¾2일 때 4Sn-1=an-1Û`+2an-1-8이고
에서 25t=275   ∴ t=11 ㉠에서 이 식을 변끼리 빼면
따라서 aª=11이므로 4Sn-4Sn-1=(anÛ`+2an-8)-(an-1Û`+2an-1-8)
aÁ0=a¢=7 4an=anÛ`-an-1Û`+2an-2an-1
anÛ`-an-1Û`-2an-2an-1=0
(an-an-1)(an+an-1)-2(an+an-1)=0
(an-an-1-2)(an+an-1)=0

770  ⑤ an=an-1+2 또는 an=-an-1


이때 수열 {an}의 모든 항이 양수이므로 an+-an-1이다.
aª+1 a£+1
ㄱ. aÁ=1,
‌ aª=2, a£= =3, a¢= =2, ∴ an-an-1=2`(n¾2)  yy`㉡
aÁ aª
a¢+1 a°+1 또한, SÁ=aÁ이므로 ㉠에 n=1을 대입하면
a°= =1, a¤= =1 (참) 4aÁ=aÁÛ`+2aÁ-8
a£ a¢
a¤+1 aÁÛ`-2aÁ-8=0
ㄴ. ‌ㄱ에 의하여 a¦= =2이므로 수열 {an}은 1, 2, 3, 2, 1이
a° (aÁ+2)(aÁ-4)=0
이 순서대로 반복된다. aÁ>0이므로 aÁ=4이고
따라서 임의의 두 자연수 m, n에 대하여 a°m=1, a°n+1=1이므로 ㉡에 의하여 수열 {an}은 공차가 2인 등차수열이므로
a°m=a°n+1이다. (참) aÁÁ=4+10_2=24
ㄷ. ‌수열 {aªk}는 aª, a¢, a¤, a¥, aÁ0이 반복되므로 2, 2, 1, 3, 1이
이 순서대로 반복된다.

∴ Á aªk=10(2+2+1+3+1)=90 (참) 774 


50
 33
k=1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aÁ, aª, a£, y, aÇ의 평균이 (2n-1)aÇ이므로

160 수학Ⅰ

해설.indb 160 22. 9. 5. 오후 3:57


aÁ+aª+a£+y+aÇ
n
=(2n-1)aÇ 777   ⑴ an+1=;4!;an`(n¾1)  ⑵ 7

aÁ+aª+a£+y+aÇ=n(2n-1)aÇ yy ㉠ ⑴ ‌삼각형 AnBnCn의 각 변의 중점을 꼭짓점으로 하는 삼각형


이고, n¾2일 때 ㉠에 n 대신 n-1을 대입하면 An+1Bn+1Cn+1에 대하여
aÁ+aª+a£+y+an-1=(n-1)(2n-3)an-1 yy ㉡ 두 삼각형 AnBnCn, An+1Bn+1Cn+1의 넓이의 비는 4 : 1이다.
㉠에서 ㉡을 변끼리 빼면 1
∴ an+1= an (n¾1)
aÇ=n(2n-1)aÇ-(n-1)(2n-3)an-1 4
{n(2n-1)-1}aÇ=(n-1)(2n-3)an-1 1
⑵ aÁ=8이고,
‌ ⑴에 의하여 수열 {an}은 공비가 인 등비수열이므
(2n+1)(n-1)aÇ=(n-1)(2n-3)an-1
4 III
1
로 an=8_{ }
n-1
aÇ 2n-3 4
이다.
∴ =  (n¾2) yy ㉢
aÇÐÁ 2n+1
1 n-1 1
aª a£ a¢ a° 1 3 5 7 이때 an=8_{ } < 에서
㉢에서 _ _ _ = _ _ _ 이므로 4 200
aÁ aª a£ a¢ 5 7 9 11
1 n-1 1
{ } <
n-1
a° 1 aÁ , 4 >1600
= 이고 a°= 이다. 4 1600
aÁ 33 33
‌4Þ`=1024, 4ß`=4096이므로 위 부등식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n의
따라서 a°가 자연수가 되기 위해서는 aÁ이 33의 배수가 되어야
최솟값은 7이다.
하므로 구하는 최솟값은 33이다.

775  ①
778   ⑴ 0, 4, 12  ⑵ an+1=an+4n`(n¾1)
(Sn+1-Sn-1)Û`=4anan+1+4에서 ⑴ ‌한 쌍의 부부가 참석할 때, 배우자 이외의 참석자가 없으므로
(an+an+1)Û`=4anan+1+4이므로 악수는 하지 않는다.
an+1Û`-2anan+1+anÛ`=4 ∴ aÁ=0
(an+1-an)Û`=4 ‌두 쌍의 부부가 참석할 때, AÁ, Aª가 부부이고, BÁ, Bª가 부부라
이때 an+1>an이므로 하면 악수를 하는 두 사람을 나타내면 AÁ와 BÁ, AÁ와 Bª, Aª와
an+1-an=2`(n¾2) BÁ, Aª와 Bª이다.  yy`㉠
한편, aª-aÁ=3-1=2이므로 ∴ aª=4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an+1-an=2이다. ‌세 쌍의 부부가 참석할 때, AÁ, Aª가 부부이고, BÁ, Bª가
따라서 수열 {an}은 첫째항이 1이고 공차가 2인 등차수열이므로 부부이고, CÁ, Cª가 부부라 하면 ‌악수를 하는 두 사람은 ㉠의 네
aª0=1+19_2=39 가지 경우 외에 CÁ이 Cª를 제외한 네 사람과 악수하는 네 가지
경우와 Cª가 CÁ을 제외한 네 사람과 악수하는 네 가지 경우가

776  ③ 있으므로 악수를 한 총 횟수는 4+4+4=12이다.


∴ a£=12
n-1
수열 {an}은 첫째항이 1, 공비가 3인 등비수열이므로 an=3 이다. ⑵ n쌍의
‌ 부부가 참석하여 자신의 배우자를 제외한 나머지 모든
bÁ=1이고 bn+1=(n+1)bn에서 참석자와 악수를 한 총 횟수가 an이고, 여기에 1쌍의 부부가 더
bª=2bÁ=2_1 추가로 참석하면 이 부부 중 한 사람이 배우자를 제외하고 나머지
b£=3bª=3_2_1 2n명의 사람과 악수를 하는 경우가 2n가지, 부부 중 나머지 한
b¢=4b£=4_3_2_1 사람도 마찬가지로 2n명의 사람과 악수를 하므로 이 경우가
⋮ 2n가지이다.
이므로 bn=n!이다. ∴ an+1=an+4n (n¾1)
n 1 2 3 4 5 y
an 1 3 9 27 81 y
bn
cn
1
1
2
2
6
6
24
24
120
81
y
y
779  ④

(소금물의 양)‌=(전날 소금물의 양)-40+50-10


1ÉnÉ4일 때 an¾bn이므로 cn=bn
=(전날 소금물의 양)
n¾5일 때 an<bn이므로 cn=an

∴ Á 2cn‌=2 Á cn=2{ Á bn+ Á an}


전체 소금물의 양 100`L는 변함이 없으므로
50 50 4 50
n일 후 소금물의 농도는 소금물에 들어 있는 소금의 양과 같다.
n=1 n=1 n=1 n=5

3Ý`(3 -1)
46 (n+1)일 후의 소금의 양은 aÇ`%의 소금물 100`L에서 40`L를
=2[1+2+6+24+ ]
3-1 사용하고 6`% 소금물 50`L를 다시 채우고, 이후 10`L의 물이
50
=3 -15 증발해도 소금의 양은 변하지 않으므로

Ⅲ. 수열 161

해설.indb 161 22. 9. 5. 오후 3:57


aÇ aÇ 6 an+1=an+3_2+2_(2n-1)이다.
an+1= _100- _40+ _50
100 100 100 ∴ f(n)=3_2+2_(2n-1)=4(n+1)
3 ∴ f(50)=204
∴ an+1= aÇ+3 (n¾1)
5

782  8
780   ⑴ aÇ*Á=aÇ+n+1`(n¾1)  ⑵ 11
자연수 n의 값에 따라 xÇ, yÇ을 각각 구하면 다음과 같다.
⑴ aÁ, aª, a£, y의 값을 차례대로 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조건 ㈎에서 (xÁ, yÁ)=(1, 1)이므로
(xª, yª)=(xÁ, (yÁ-3)Û`)=(1, 4)
(x£, y£)=((xª-3)Û`, yª)=(4, 4)
(x¢, y¢)=(x£, (y£-3)Û`)=(4, 1)
(x°, y°)=((x¢-3)Û`, y¢)=(1, 1)
a¡=2 a™=a¡+2=4 a£=a™+3=7

y
이므로 순서쌍 (xÇ, yÇ)은 (1, 1), (1, 4), (4, 4), (4, 1)이
이 순서대로 반복된다.
2015=4_503+3에서 (x2015, y2015)=(4, 4)이다.
∴ x2015+y2015=8

a¢=a£+4=11 a∞=a¢+5=16 …
∴ an+1=aÇ+n+1 (n¾1) 783  ④
⑵ ⑴에서 an+1=aÇ+n+1이므로 n=10을 대입하면 점 PÁ(3, 3)에서 시작하여 두 조건 ㈎, ㈏의 이동을 한 번씩 하면
aÁÁ=aÁ¼+11에서 aÁÁ-aÁ¼=11이다. x축의 방향으로 1만큼, y축의 방향으로 -1만큼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점 P2k-1의 좌표는 (k+2, -k+4)이고,
이 점을 조건 ㈎의 이동을 하면
781  ② 점 P2k의 좌표는 (k+4, -k+5)이다.
점 P2k-1(k+2, -k+4)가 점 (16, -7)인 경우는
[1단계]에서 [2단계]로 넘어갈 때 필요한 성냥개비를 표시해 보면
k+2=16, -k+4=-7을 모두 만족시키는 k의 값이 존재하지
다음과 같다.
않는다.
점 P2k(k+4, -k+5)가 점 (16, -7)인 경우는
k+4=16, -k+5=-7에서 k=12이므로 구하는 점은 Pª¢이다.
∴ m=24

왼쪽 위의 정사각형과 오른쪽 아래 정사각형 모양을 만드는 데


필요한 성냥개비의 개수가 각각 3이고,
오른쪽 위의 정사각형 1개를 만드는 데 필요한 성냥개비의 개수가
784  ④

2이므로 명제 p(1)이 참이므로 명제 p(2), p(7)도 참이다.


aª=aÁ+3_2+2_1 명제 p(2), p(7)이 참이므로 명제 p(2_2)=p(2Û`), p(2_7),
2
또한, [2단계]에서 [3단계]로 넘어갈 때 필요한 성냥개비를 표시해 p(7_7)=p(7 )도 참이다.
2 2
보면 다음과 같다. 명제 p(2Û`), p(7 )이 참이므로 명제 p(2_2 )=p(2Ü`), p(2Û`_7),
2 2 3
p(2_7 ), p(7_7 )=p(7 )도 참이다.
y

따라서 명제 p(2Œ`_7º`) (a, b는 음이 아닌 정수)은 항상 참이므로


선지 중 항상 참인 명제는 p(112)=p(2Ý`_7)이다.

맨 왼쪽 위의 정사각형과 맨 오른쪽 아래 정사각형 모양을 만드는 데


필요한 성냥개비의 개수가 각각 3이고,
785  ④

오른쪽 위에 추가된 정사각형 3개를 만드는 데 필요한 성냥개비의 Ú n=1일 때


개수가 각각 2이므로 a3=2a2+a1=2_2+1=5,
a£=aª+3_2+2_3 a4=2a3+a2=2_5+2=12에서
마찬가지 방법으로 a¢=a£+3_2+2_5, y이므로 a¢= 12  이므로 성립한다.

162 수학Ⅰ

해설.indb 162 22. 9. 5. 오후 3:57


Û n=k일 때, a4k가 12의 배수라 가정하면 따라서 n=k+1일 때도 (C)이 성립한다.
a4(k+1)‌=2a4k+3+a4k+2 ⑴, ⑵에 의하여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C)이 성립한다.
=2(2a4k+2+a4k+1)+a4k+2 4k+4
f(k)= , g(k)=2(k+1)+3
3
= 5  a4k+2+2a4k+1
16
=5(2a4k+1+a4k)+2a4k+1 ∴ f(3)_g(2)= _9=48
3
= 12  a4k+1+ 5  a4k
따라서 a4(k+1)은 12의 배수이다.
Ú, Û에 의하여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a4n은 12의 배수이다. 788  ② III
a=12, b=5, c=12, d=5이다. Ú n=1일 때

(좌변)= Á (1+k)=2+3+4=9, (우변)=1Ü`+(1+1)Ü`=9


∴ a+b+c+d=34 3

k=1

이므로 주어진 등식이 성립한다.


786   풀이 참조 Û n=m일 때 주어진 등식이 성립한다고 가정하면

Á {(m+1)Û`+k}
2(m+1)+1
Ú n=1일 때

= Á {(m+1)Û`+k}+{(m+1)Û`+(2m+2)}
k=1
1Ü`+3_1Û`+2_1=6이므로 3의 배수이다. 2m+1

Û n=k일 때 k=1

nÜ`+3nÛ`+2n이 3의 배수라고 가정하면  +{(m+1)Û`+(2m+3)}


kÜ`+3kÛ`+2k=3m (m은 자연수) = Á {(m+1)Û`+k}+ 2mÛ`+8m+7
2m+1

= Á {(mÛ`+k)+(2m+1)}+2mÛ`+8m+7
n=k+1일 때 k=1
2m+1
(k+1)Ü`+3(k+1)Û`+2(k+1)‌=(kÜ`+3kÛ`+2k)+3kÛ`+9k+6

= Á (mÛ`+k)+ Á ( 2m+1 )+ 2mÛ`+8m+7


k=1
=3(m+kÛ`+3k+2) 2m+1 2m+1

이므로 n=k+1일 때도 nÜ`+3nÛ`+2n은 3의 배수이다. k=1 k=1

Ú, Û에서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mÜ`+(m+1)Ü`}+(2m+1)Û`+2mÛ`+8m+7


nÜ`+3nÛ`+2n은 3의 배수이다. =(m+1)Ü`+mÜ`+6mÛ`+12m+8
채점 요소 배점 =(m+1)Ü`+(m+2)Ü`
n=1일 때 nÜ`+3nÛ`+2n이 3의 배수임을 보이기 30`% 이므로 n=m+1일 때도 주어진 등식이 성립한다.
Ú, Û에 의하여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등식

Á (nÛ`+k)=nÜ`+(n+1)Ü`이 성립한다.
n=k일 때 nÜ`+3nÛ`+2n이 3의 배수임을 가정하고,
70`% 2n+1
n=k+1일 때 nÜ`+3nÛ`+2n이 3의 배수임을 보이기
k=1

따라서 f(m)=2mÛ`+8m+7, g(m)=2m+1이므로


f(5)+g(7)=97+15=112
787  ⑤

4 5 4
⑴ n=1일
‌ 때, (좌변)= , (우변)=3- = 이므로
3 3 3 789  ⑤
(C)이 성립한다.
Ú n=1일 때
⑵ n=k일 때, (C)이 성립한다고 가정하면 1+1
(좌변)=1_2â`=1, (우변)=2 -1-2=1
4 8 12 4k 2k+3
+ + +y+ k =3-
3 32 33 3 3
k 이므로 주어진 등식이 성립한다.
Û n=m일 때 주어진 등식이 성립한다고 가정하면

Á (m-k+1)2k-1=2m+1-m-2
이다.
4(k+1)
m
위 등식의 양변에 k+1  을 더하여 정리하면
3 k=1

4 8 12 4k 4(k+1) 이다. n=m+1일 때 성립함을 보이자.

Á ( m+2-k )2k-1‌= Á (m-k+1+1)2k-1


+ + +y+ k +
3 32 33 3 3
k+1
m+1 m+1

2k+3 4(k+1)
= Á (m-k+1)2 +Á2
k=1 k=1
=3- k + k+1
3 3 m+1
k-1
m+1
k-1

= Á (m-k+1)2
1 4k+4
=3- k [(2k+3)-{ }]
k=1 k=1

3 3 m
k-1 m+1
+2 -1
k=1
1 2 5
=3- k { k+ } m+1 m+1
3 3 3 =2 -m-2+ 2 -1
m+1
2(k+1)+3 =2_2 -m-3
=3- k+1 m+2
3 =2 -m-3

Ⅲ. 수열 163

해설.indb 163 22. 9. 5. 오후 3:57


이므로 n=m+1일 때도 성립한다. k+1 1
따라서 ak+1=2 + 이므로
Ú, Û에서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주어진 등식은 성립한다. k+1
㈎`:`m+2-k  ㈏`:`2
m+1
-1 n=k+1일 때도 (C)이 성립한다.
따라서 선지 중 알맞은 것은 ⑤이다. Ú, Û에 의하여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n 1
an=2 + 이다.
n

790   풀이 참조
n=1일 때 성립함을 보이기
채점 요소 배점
30`%
1 1 1 1 3 n=k일 때 성립함을 가정하고,
an=1+ + +y+ 에서 aÁ=1, aª=1+ = 이다. 70`%
2 3 n 2 2 n=k+1일 때 성립함을 보이기
aÁ+aª+a£+y+an-1=n(aÇ-1)  yy`(C)
Ú ‌n=2일 때
3
(좌변)=aÁ=1, (우변)=2(aª-1)=2{ -1}=1
2 792  ⑤

이므로 (C)은 성립한다. Ú n=1일 때 4>2+1,


Û n=k`(k¾2)일 때 (C)이 성립한다고 가정하면 n=2일 때 8>6+1이므로 부등식이 성립한다.
aÁ+aª+a£+y+ak-1=k(ak-1) Û n=k`(k¾2)일 때
양변에 ak를 더하면 2
k+1
> k(k+1) +1 yy`㉠
aÁ+aª+a£+y+ak=(k+1)ak-k
이 성립한다고 가정하자. ㉠의 양변에 2를 곱하면
1
그런데 ak=ak+1-  이므로 2
k+2
>2(kÛ`+k+1)
k+1
1 이때 2(kÛ`+k+1)-{ (k+1)(k+2)+1 }=kÛ`-k-1
aÁ+aª+a£+y+ak‌=(k+1){ak+1- }-k
k+1
k¾2일 때 kÛ`-k-1 >  0이므로
=(k+1)(ak+1-1) k+2
2 >2(kÛ`+k+1)> (k+1)(k+2)+1
따라서 n=k+1일 때도 (C)이 성립한다.
k+2
Ú, Û에서 2 이상의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등식 ∴2 > (k+1)(k+2)+1
aÁ+aª+a£+y+an-1=n(aÇ-1)이 성립한다. 따라서 n=k+1일 때도 부등식이 성립한다.
Ú, Û에 의하여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부등식
채점 요소 배점
n+1
2 >n(n+1)+1이 성립한다.
n=2일 때 등식이 성립함을 보이기 30`%
㈎`:`k(k+1)  ㈏`:`(k+1)(k+2)+1  ㈐`:`>
n=k일 때 등식이 성립함을 가정하고,
70`% 따라서 선지 중 알맞은 것은 ⑤이다.
n=k+1일 때 등식이 성립함을 보이기

793  ③
791   풀이 참조
Ú n=2일 때
1 1 1 2+'2
 yy`(C)
n
an=2 + + = 에서
n '1 '2 2
Ú n=1일 때 1 1
+ > '2
1 '1 '2
(좌변)=aÁ=3, (우변)=2Ú`+ =3
1 Û n=k (k¾2)일 때 주어진 부등식이 성립함을 가정하면
이므로 (C)이 성립한다. 1 1 1 1
+ + +y+ >'§k
Û n=k일 때 (C)이 성립한다고 가정하면 '1 '2 '3 '§k
1 이고
yy`㉠
k
ak=2 + 이므로
1 1 1 1 1
'Äk+1-{ }
k
+ + +y+ +
k+2 '1 '2 '3 '§k 'Äk+1
kak+1‌-2kak+ =0에서
1 1 1 1 1
}-
k+1
='Äk+1-{ + + +y+
k+2 '1 '2 '3 '§k 'Äk+1
kak+1‌=2kak-
k+1 1
<'Äk+1- '§k -
1 'Äk+1
=2k{2 + }-
k k+2
(∵ ㉠) 2
k k+1 ('Äk+1 ) -'k'Äk+1-1
=
=k2
k+1
+2-
k+2
'Äk+1
k+1
k-"Ãk(k+1)
k+1 k = <0
=k2 +
k+1 'Äk+1

164 수학Ⅰ

해설.indb 164 22. 9. 5. 오후 3:57


1 1 1 1 1 Ú, Û에 의하여 h가 양의 실수일 때,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 + + +y+ + >'Äk+1
'1 '2 '3 '§k 'Äk+1 부등식 (1+h)
n+1
>1+h(n+1)이 성립한다.
따라서 n=k+1일 때도 주어진 부등식은 성립한다.
채점 요소 배점
Ú, Û에서 2 이상의 자연수 n에 대하여 주어진 부등식이 성립한다.
n=1일 때 부등식이 성립함을 보이기 30`%
n=k일 때 부등식이 성립함을 가정하고,
70`%
n=k+1일 때 부등식이 성립함을 보이기
794  ④

Ú n=2일 때 III
1 3 4
(좌변)=1+ = , (우변)=
2 2 3 796   풀이 참조
3 4 Ú n=2일 때
에서 - >0이므로 부등식이 성립한다.
2 3
5 3
Û n=k (k¾2)일 때 부등식이 성립한다고 가정하면 (좌변)= , (우변)=
4 2
1 1 1 2k 5 3
1+ + +y+ > 이고 에서 - <0이므로 부등식이 성립한다.
2 3 k k+1 4 2
1 Û n=k (k¾2)일 때 부등식이 성립한다고 가정하면
양변에 각각 을 더하면
k+1
1 1 1 1
1 1 1 1 2k 1 1+ + +y+ <2-
1+ + +y+ + > + 2Û` 3Û` kÛ` k
2 3 k k+1 k+1 k+1
1
1 1 1 1 2k+1 양변에 을 더하면
1+ + +y+ + > (k+1)Û`
2 3 k k+1 k+1
1 1 1 1 1 1
1+ + +y+ + <2- +
2k+1 2(k+1) k 2Û` 3Û` kÛ` (k+1)Û` k (k+1)Û`
이고, - = >0이므로
k+1 k+2 (k+1)(k+2) 이때
2(k+1) 1 1 1 1 1 1

2k+1
> 이다. {2- }-[2- + ]‌= - -
k+1 k+2 k+1 k (k+1)Û` k k+1 (k+1)Û`
2
(k+1) -k(k+1)-k
따라서 n=k+1일 때도 부등식이 성립한다. = ‌
k(k+1)Û`
Ú, Û에서 2 이상의 자연수 n에 대하여 부등식
1
1 1 1 2n = >0
1+ + +y+ > 이 성립한다. k(k+1)Û`
2 3 n n+1
1 1 1
3 4 2k+1 k 2- + <2-
따라서 p= , q= , f(k)= , g(k)= k (k+1)Û` k+1
2 3 k+1 (k+1)(k+2)
이므로 n=k+1일 때도 부등식이 성립한다.
이므로
Ú, Û에 의하여 2 이상의 자연수 n에 대하여 부등식
7 4 7
f(2p)_g(6q)= _ = 1 1 1 1
4 45 45 1+ + +y+ <2- 이 성립한다.
2Û` 3Û` nÛ` n

채점 요소 배점

795   풀이 참조 n=2일 때 부등식이 성립함을 보이기


n=k일 때 부등식이 성립함을 가정하고,
30`%

70`%
>1+h(n+1)  yy`(C)
n+1
(1+h) n=k+1일 때 부등식이 성립함을 보이기

Ú n=1일 때
(좌변)=(1+h)Û`, (우변)=1+2h
이때 (1+h)Û`-(1+2h)=hÛ`>0이므로
부등식 (C)이 성립한다.
Û n=k일 때 (C)이 성립한다고 가정하면
797  ④

(1+h)
k+1
>1+h(k+1) 점 A¼(1, 2)이고, 점 B¼(1, k+1)이다.
양변에 각각 1+h를 곱하면 점 AÁ의 y좌표는 k+1이므로
(1+h)
k+2
>{1+h(k+1)}(1+h) AÁ(k, k+1)이고, 점 BÁ(k, kÛ`+1)이다.
이때 점 Aª의 y좌표는 kÛ`+1이므로
{1+h(k+1)}(1+h)-{1+h(k+2)}=hÛ`(k+1)>0 Aª(kÛ`, kÛ`+1)이고, 점 Bª(kÛ`, kÜ`+1)이다.
n
에서 {1+h(k+1)}(1+h)>1+h(k+2)이므로 an은 점 An의 x좌표이므로 an=k
k+2
(1+h) >1+h(k+2)가 성립한다. a¢=kÝ`<500을 만족시키는 2 이상의 자연수 k는 2, 3, 4이므로
따라서 n=k+1일 때도 부등식 (C)이 성립한다. 그 합은 2+3+4=9이다.

Ⅲ. 수열 165

해설.indb 165 22. 9. 5. 오후 3:57


798  이때 a£Á=aÁ이므로 aÁ=5이고

Á aû에서 100=6_16+4이므로
③
100

Á aû‌= Á aû+(a»¦+a»¥+a»»+aÁ¼¼)
수열 {an}의 항이 10의 배수가 되는 경우는 일의 자리의 수가 0이 될 k=1
100 96
때이다.
k=1 k=1
an+1=3an+2에 n=1, 2, 3, y을 차례대로 대입하면
=aÁ+aª+a£+a¢=aª+a£ (∵ a¢=-aÁ)
a2=3a1+2=8
=2aª-aÁ (∵ a£=aª-aÁ)
a3=3a2+2=26
따라서 2aª-aÁ=-7에서 aª=-1 (∵ aÁ=5)이므로
a4=3a3+2=80
aÁ+aª=4
a5=3a4+2=242
다른 풀이
y

이므로 수열 {an}의 항의 일의 자리의 수는 2, 8, 6, 0이 이 순서대로 an+2-an+1+an=0 yy ㉠


반복된다. ㉠에 n 대신 n+1을 대입하면
즉, a4, a8, a12, y이 10의 배수이므로 an+3-an+2+an+1=0
수열 {bn}은 a4, a8, a12, y이다. ㉠에 이 식을 변끼리 더하면
따라서 자연수 n에 대하여 bn=a4n이므로 b4=a16이다. an+3+an=0에서 an+3=-an
∴ m=16 a1=-a4=a7=-a10=y
다른 풀이 a2=-a5=a8=-a11=y
a3=-a6=a9=-a12=y
an+1=3aÇ+2에 n=1, 2, 3, y을 차례대로 대입하면
이므로 수열 {an}은 a1, a2, a3, -a1, -a2, -a3이 이 순서대로
aª=3aÁ+2=8, a£=3aª+2=26, a¢=3a£+2=80, y으로
반복된다.
수열 {aÇ}에서 처음으로 10의 배수가 되는 항이 a¢이므로
즉, 자연수 k에 대하여
bÁ=a¢이다.
a6k-5=a1, a6k-4=a2, a6k-3=a3, a6k-2=-a1,
이때 aû (k는 자연수)가 10의 배수라 하면
a6k-1=-a2, a6k=-a3이므로
ak+1=3ak+2,
자연수 n에 대하여

Á ak= Á (a6k-5+a6k-4+a6k-3+a6k-2+a6k-1+a6k)=0
ak+2=3ak+1+2=3(3ak+2)+2=9ak+8, 6n 6n

ak+3=3ak+2+2=3(9ak+8)+2=27ak+26, k=1 k=1

ak+4=3ak+3+2=3(27ak+26)+2=81ak+80 이때 a31=a1이므로 a1=5이고

Á ak에서 100=6_16+4이므로
에서 81ak 와 80이 모두 10으로 나누어떨어진다. 100

즉, ak+4는 10의 배수이므로


Á ak‌= Á ak+(a97+a98+a99+a100)
k=1
100 96
ak가 10의 배수이면 ak+4도 10의 배수이다.
k=1 k=1
따라서 자연수 n에 대하여 bÇ=a¢Ç이므로 b¢=aÁ¤이다.
=a1+a2+a3+a4
∴ m=16
=a2+a3 (∵ a4=-a1)
∴ a2+a3=-7 yy`㉡
799  ⑤ ㉠에 n=1을 대입하면 a3-a2+a1=0에서
an+2-an+1+aÇ=0에서 an+2=an+1-aÇ이므로 a3-a2=-5 (∵ a1=5) yy`㉢
n=1, 2, 3, y을 차례대로 대입하면 ㉡, ㉢을 연립하여 풀면 a2=-1, a3=-6
a£=aª-aÁ ∴ a1+a2=5+(-1)=4
a¢=a£-aª=(aª-aÁ)-aª=-aÁ
a°=a¢-a£=-aÁ-(aª-aÁ)=-aª
a¤=a°-a¢=-aª+aÁ=-a£
a¦=a¤-a°=-a£+aª=-(aª-aÁ)+aª=aÁ 800  ⑤
y

가로의 길이가 n+2, 세로의 길이가 2인 직사각형 모양의 바닥을


이므로 수열 {aÇ}은 aÁ, aª, a£, -aÁ, -aª, -a£이 이 순서대로 덮는 방법의 수를 나열된 마지막 타일의 모양에 따라 나누어
반복된다. 살펴보자.
즉, 자연수 k에 대하여 Ú 한 변의 길이가 2인 정사각형 모양의 타일인 경우
a6k-5=aÁ, a6k-4=aª, a6k-3=a£, a6k-2=-aÁ, n+2
a6k-1=-aª, a6k=-a£이므로
2 2
자연수 n에 대하여

Á aû= Á (a6k-5+a6k-4+a6k-3+a6k-2+a6k-1+a6k)=0
6n n n 2

k=1 k=1 나머지 앞부분 타일을 나열하는 방법의 수는 an과 같다.

166 수학Ⅰ

해설.indb 166 22. 9. 5. 오후 3:57


Û ‌가로의 길이가 1, 세로의 길이가 2인 직사각형 모양의 타일인 다른 풀이
경우 n
an+(-1) _2 (n이 3의 배수가 아닌 경우)
n+2 an+1=[
an+1 (n이 3의 배수인 경우)
2 2 이므로 0 이상의 모든 정수 k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n+1 1 a3k+1=a3k+1   yy ㉠
yy ㉡
3k+1
나머지 앞부분 타일을 나열하는 방법의 수는 an+1과 같다. a3k+2=a3k+1+(-1) _2  
yy ㉢
3k+2
Ü ‌가로의 길이가 2, 세로의 길이가 1인 직사각형 모양의 타일 2개인 a3k+3=a3k+2+(-1) _2  
경우 ㉠+㉡+㉢을 하면 III
n+2 a3k+1+a3k+2+a3k+3
3k+1 3k+2
1 =a3k+a3k+1+a3k+2+1+(-1) _2+(-1) _2
2 3k+1 3k+2
1 =a3k+a3k+1+a3k+2+1 (∵ (-1) +(-1) =0)
n 2
∴ a3k+3=a3k+1  yy ㉣
나머지 앞부분 타일을 나열하는 방법의 수는 an과 같다. a1=a이므로 ㉡, ㉢에 각각 k=0을 대입하면
Ú ~ Ü에 의하여 an+2=2an+an+1이다. a2=a1+(-1)_2=a-2
a£=2aÁ+aª=2_1+3=5 a3=a2+1_2=(a-2)+2=a
a¢=2aª+a£=2_3+5=11 따라서 ㉣에 k=1, 2, 3, 4를 차례대로 대입하면
a°=2a£+a¢=2_5+11=21 a6=a3+1=a+1
a¤=2a¢+a°=2_11+21=43 a9=a6+1=a+2
∴ p+q+a¤=2+1+43=46 a12=a9+1=a+3
a15=a12+1=a+4

801   ⑴ an+1=2an+1`(n¾1)  ⑵ 31 이때 a15=43이므로


a+4=43
⑴ ‌aÁ=1, aª=3이고, 원판이 3개일 때는 위의 2개의 원판을 먼저 ∴ a=39
B기둥으로 옮기는 최소 이동 횟수가 aª=3이고, 가장 큰 원판을
C기둥으로 옮기기 위한 최소 이동 횟수가 aÁ=1, B기둥에 있는
2개의 원판을 가장 큰 원판이 있는 기둥으로 옮기기 위한 최소
이동 횟수가 aª=3이므로 a£=3+1+3=7이 된다.
803  5

‌이와 같은 방법으로 n+1개의 원판을 옮기려면 위에서부터 Ú a1=1일 때


n개의 원판을 B기둥에 옮겨 놓고, 가장 큰 원판을 C기둥으로 a1¾0이므로 a2=a1-2=-1
옮긴 다음 그 위에 B기둥에 있는 n개의 원판을 옮기면 되므로 a2<0이므로 a3=a2+5=4
an+1=aÇ+1+aÇ=2an+1 (n¾1)이다. a3¾0이므로 a4=a3-2=2
⑵ ⑴에서 an+1=2an+1이므로 a¢=2a£+1=2_7+1=15 a4¾0이므로 a5=a4-2=0
∴ a°=2a¢+1=2_15+1=31 a5¾0이므로 a6=a5-2=-2
a6<0이므로 a7=a6+5=3
a7¾0이므로 a8=a7-2=1=a1
802  ⑤
a8¾0이므로 a9=a8-2=-1=a2
aÁ=a이고 주어진 식에 n=1, 2, 3, y을 차례대로 대입하면  ⋮
aª=a+(-1)Ú`_2=a-2 따라서 수열 {an}이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an+7=an을
a£=(a-2)+(-1)Û`_2=a 만족시키므로 a15=a8=a1=1
a¢=a+1 Û a1=2일 때
a°=(a+1)+(-1)Ý`_2=a+3 Ú과 같은 방법으로 구하면 수열 {an}이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a¤=(a+3)+(-1)Þ`_2=a+1 an+7=an을 만족시키므로 a15=a8=a1=2
a¦=(a+1)+1=a+2 Ü a1=3일 때
a¥=(a+2)+(-1)à`_2=a Ú과 같은 방법으로 구하면 수열 {an}이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a»=a+(-1)¡`_2=a+2 an+7=an을 만족시키므로 a15=a8=a1=3
 ⋮ Ý a1=4일 때
이므로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aÇ*¤=aÇ+2이다. Ú과 같은 방법으로 구하면 수열 {an}이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이때 aÁ°=43이므로 an+7=an을 만족시키므로 a15=a8=a1=4
aÁ°=a»+2=(a£+2)+2=a£+4=a+4에서 Þ a1=5일 때
a+4=43   ∴ a=39 a1¾0이므로 a2=a1-2=3

Ⅲ. 수열 167

해설.indb 167 22. 9. 5. 오후 3:57


a2¾0이므로 a3=a2-2=1 1
따라서 가능한 aÁ의 값은 이다.
a3¾0이므로 a4=a3-2=-1 4
a4<0이므로 a5=a4+5=4 Û aª>2인 경우
a5¾0이므로 a6=a5-2=2 aª+2=5에서 aª=3으로 aª>2를 만족시킨다.
a6¾0이므로 a7=a6-2=0 이때 ㉠에 n=1을 대입하면
a7¾0이므로 a8=a7-2=-2 2aÁ+3 (aÁÉ3)
a£=[ 이고, a£=2이므로
a8<0이므로 a9=a8+5=3=a2 aÁ+3 (aÁ>3)
a9¾0이므로 a10=a9-2=1=a3 aÁÉ3인 경우
1
 ⋮ 2aÁ+3=2에서 aÁ=- 로 aÁÉ3을 만족시킨다.
2
따라서 수열 {an}이 2 이상의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aÁ>3인 경우
an+7=an을 만족시키므로 a15=a8=-2<0
aÁ+3=2에서 aÁ=-1로 aÁ>3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Ú~Þ에서 a15<0이 되도록 하는 a1의 최솟값은 5이다.
1
따라서 가능한 aÁ의 값은 - 이다.
2
Ú, Û에 의하여 구하는 모든 aÁ의 값의 합은
1 1 1
+{- }=-
804  ② 4 2 4

수열 {an}은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다른 풀이


2an+an+1 (anÉan+1) 수열 {an}은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an+2=[  yy`㉠
an+an+1 (an>an+1) 2an+an+1 (anÉan+1)
을 만족시킨다. an+2=[  yy`㉠
an+an+1 (an>an+1)
또한, a£=2이므로 ㉠에 n=3을 대입하면 을 만족시킨다.
4+a¢ (2Éa¢) 이때 an¾0이면 an+1Éan+2이므로
a°=[ 에서
2+a¢ (2>a¢) an+3=2an+1+an+2이다.
a¢의 값에 관계없이 항상 a¢<a°이다. 또한, a£=2이므로 ㉠에 n=3을 대입하면
따라서 ㉠에 n=4를 대입하면 a°=2_2+a¢=4+a¢이고  yy`㉡
4+3a¢ (2Éa¢) a¢Éa°, a¤=19이므로
a¤=[ 이고, a¤=19이므로
2+3a¢ (2>a¢) ㉠에 n=4와 ㉡을 대입하면
2Éa¢인 경우 19=2a¢+(4+a¢)에서 a¢=5이다.
4+3a¢=19에서 a¢=5로 2Éa¢를 만족시킨다. 한편, ㉠을 an에 대하여 정리하면
2>a¢인 경우 ( an+2-an+1 (a Éa )
an‌={ 2 n n+1
17
2+3a¢=19에서 a¢= 로 2>a¢를 만족시키지 않는다.
3 9 an+2-an+1 (an>an+1)
즉, a¢=5이고, ( an+2-an+1 (an+2É3an+1)
이때 ㉠에 n=2를 대입하면 ={ 2
2aª+2 (aªÉ2) 9 an+2-an+1 (an+2>2an+1)
a¢=[ 이다.
aª+2 (aª>2) 이다. a£=2, a¢=5일 때
Ú aªÉ2인 경우 5-2 3
a¢É3a£을 만족시키므로 aª= = ,
2 2
3
2aª+2=5에서 aª= 으로 aªÉ2를 만족시킨다. a¢>2a£을 만족시키므로 aª=5-2=3이 가능하다.
2
이때 ㉠에 n=1을 대입하면 3
Ú aª= 인 경우
2
( 2aÁ+ 3 3
{aÁÉ } 3
2 2 2-
a£={ 이고, a£=2이므로 2 1
3 3 a£É3aª를 만족시키므로 aÁ= = 이 가능하고,
9 aÁ+ 2 {aÁ> } 2 4
2
a£>2aª는 만족시키지 않는다.
3
aÁÉ 인 경우
2 Û aª=3인 경우
3 1 3 2-3 1
2aÁ+ =2에서 aÁ= 로 aÁÉ 을 만족시킨다. a£É3aª를 만족시키므로 aÁ= =- 이 가능하고,
2 4 2 2 2
3 a£>2aª는 만족시키지 않는다.
aÁ> 인 경우
2 Ú, Û에 의하여 구하는 모든 aÁ의 값의 합은
3 1 3 1 1 1
aÁ+ =2에서 aÁ= 로 aÁ> 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 }=-
2 2 2 4 2 4

168 수학Ⅰ

해설.indb 168 22. 9. 5. 오후 3:57


805  ① 위의 식을 변끼리 더하면
bª¼-bª=(a£+a°+y+aÁ»)-(aª+a¢+y+aÁ¥)+9
aÁ=aª=1이고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aÇ+2=aÇ+1`Û -aÇÛ` 이므로 이때
n=1, 2, 3, y을 차례대로 대입하면 a£+a°+y+aÁ»=0+1-1+0+1-1+0+1-1=0
a£=aªÛ`-aÁÛ`=1Û`-1Û`=0 aª+a¢+y+aÁ¥=1-1+0+1-1+0+1-1+0=0
a¢=a£Û`-aªÛ`=0Û`-1Û`=-1 ∴ bª¼-bª=9
a°=a¢Û`-a£Û`=(-1)Û`-0Û`=1 bª¼=14이므로 bª=5
a¤=a°Û`-a¢Û`=1Û`-(-1)Û`=0 bn+1=an-bn+n에 n=1을 대입하면
III
a¦=a¤Û`-a°Û`=0Û`-1Û`=-1 bª=aÁ-bÁ+1=1-k+1=5
a¥=a¦Û`-a¤Û`=(-1)Û`-0Û`=1 ∴ k=-3

따라서 수열 {aÇ}은 aÁ=1이고 둘째항부터 1, 0, -1이 이 순서대로
반복되므로 2보다 큰 자연수 n에 대하여 aÇ+3=aÇ이다.
806  ③

한편, bÁ=k이고 bÇ+1=aÇ-bÇ+n이므로 n=1, 2, 3, y, 19를 두 조건 ㈎와 ㈏로부터 a2n+a2n+1=2bn+1


차례대로 대입하면 두 조건 ㈐와 ㈑로부터 b2n+b2n+1=2an+1
bª=aÁ-bÁ+1=1-k+1=2-k Á bn‌=bÁ+ Á (bªn+bªn+1)
31 15

=bÁ+ Á (2an+1)
b£=aª-bª+2=1-(2-k)+2=k+1 n=1 n=1
15
b¢=a£-b£+3=0-(k+1)+3=2-k

=bÁ+2 Á an+15_1
n=1
b°=a¢-b¢+4=-1-(2-k)+4=k+1 15

b¤=a°-b°+5=1-(k+1)+5=5-k

=bÁ+2aÁ+2 Á (a2n+a2n+1)+15
n=1

b¦=a¤-b¤+6=0-(5-k)+6=k+1 7

=bÁ+2aÁ+2 Á (2bn+1)+15
b¥=a¦-b¦+7=-1-(k+1)+7=5-k n=1
7
b»=a¥-b¥+8=1-(5-k)+8=k+4

=bÁ+2aÁ+4 Á bn+2_7_1+15
n=1
bÁ¼=a»-b»+9=0-(k+4)+9=5-k 7

bÁÁ=aÁ¼-bÁ¼+10=-1-(5-k)+10=k+4

=bÁ+2aÁ+4bÁ+4 Á (2an+1)+29
n=1

bÁª=aÁÁ-bÁÁ+11=1-(k+4)+11=8-k 3

bÁ£=aÁª-bÁª+12=0-(8-k)+12=k+4
=bÁ+2aÁ+4bÁ+8 Á an+4_3_1+29
n=1
3
bÁ¢=aÁ£-bÁ£+13=-1-(k+4)+13=8-k
n=1
bÁ°=aÁ¢-bÁ¢+14=1-(8-k)+14=k+7
=bÁ+2aÁ+4bÁ+8aÁ+8(2bÁ+1)+41
bÁ¤=aÁ°-bÁ°+15=0-(k+7)+15=8-k
=10aÁ+21bÁ+49=121
bÁ¦=aÁ¤-bÁ¤+16=-1-(8-k)+16=k+7
이므로 10aÁ+21bÁ=72  yy`㉠
bÁ¥=aÁ¦-bÁ¦+17=1-(k+7)+17=11-k
두 조건 ㈎와 ㈐에서
bÁ»=aÁ¥-bÁ¥+18=0-(11-k)+18=k+7
a¢n=bªn+2=(3an-2)+2=3an
bª¼=aÁ»-bÁ»+19=-1-(k+7)+19=11-k
b¢n=3aªn-2=3(bn+2)-2=3bn+4
이때 bª¼=14이므로 11-k=14   ∴ k=-3
이므로
aÁ2=3a£=3(bÁ-1)=3에서 bÁ=2
다른 풀이
㉠에 의하여 aÁ=3
bÁ=k이고 bn+1=an-bÇ+n이므로
∴ b£2‌=3b¥+4=3(3bª+4)+4
bn+1+bn=aÇ+n    yy`㉠
=9bª+16=9(3aÁ-2)+16
㉠에 n 대신 n+1을 대입하면
=9_7+16=79
bn+2+bn+1=an+1+(n+1)   yy`㉡
㉡-㉠을 하면
bn+2-bÇ=an+1-aÇ+1    yy`㉢ 807   678
㉢의 n에 18, 16, 14, y, 2를 차례대로 대입하면 조건 ㈎, ㈏에 의하여 수열 {|an|}은 첫째항이 2이고 공비가 2인
bª¼-bÁ¥=aÁ»-aÁ¥+1 등비수열이다.
bÁ¥-bÁ¤=aÁ¦-aÁ¤+1 ∴ |an|=2
n

bÁ¤-bÁ¢=aÁ°-aÁ¢+1 이때 |aÁ0|=1024이고

Á |an|=
⋮ 9 2(2á`-1)
=1022이므로
b¤-b¢=a°-a¢+1 n=1 2-1
b¢-bª=a£-aª+1 조건 ㈐를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반드시 aÁ0<0이어야 한다.

Ⅲ. 수열 169

해설.indb 169 22. 9. 5. 오후 3:57


aÁ aª a£ a¢ a° b5=b4+a5=a1+a2-a3+a4+a5
2 4 8 16 32 b6=b5-a6=a1+a2-a3+a4+a5-a6
-2 -4 -8 -16 -32
b7=b6+a7=a1+a2-a3+a4+a5-a6+a7
b8=b7+a8=a1+a2-a3+a4+a5-a6+a7+a8
a¤ a¦ a¥ a» aÁ0 b9=b8-a9=a1+a2-a3+a4+a5-a6+a7+a8-a9 yy ㉠
64 128 256 512 b10=b9+a10  
-1024
-64 -128 -256 -512 ∴ b9=0 (∵ b10=a10)   yy ㉡
이때 등차수열 {an}의 공차를 d (d+0)라 하면
한편, aÁ, aª, y, a»의 값을 모두 양수라 가정하고, 그 때의
b9=a1+(a2-a3)+a4+(a5-a6)+a7+(a8-a9)
첫째항부터 제 10 항까지의 합을 A라 하면

A= Á an=-2가 되므로
10 =a1-d+a4-d+a7-d
yy`㉠ =(a1+a4+a7)-3d

조건 ㈐의 Á an=-14와의 차이는 -12이다.


n=1
10 =3a4-3d
n=1 =3(a4-d)
따라서 aÁ, aª, y, a»의 값 중에는 반드시 음수가 있으므로 =3a3
㉠에서 특정한 하나의 항 ak (n=1, 2, y, 9)의 값을 ㉡에서 b9=0이므로
양수 a에서 음수 -a로 바꾸었다고 하고, 그 때의 첫째항부터 a3=0
제10항까지의 합을 B라 하면 따라서 an=a3+(n-3)d=(n-3)d (n¾1)이므로
B=(A-a)-a=A-2a가 된다. b8 b9+a9
= (∵ ㉠)
즉, B는 A보다 -2a가 작으므로 조건 ㈐를 만족시키려면 음수인 b10 b9+a10
-12 a9
항들의 합은 =-6이 되어야 한다. = (∵ ㉡)
2 a10
위의 표에서 이를 만족시키도록 항의 값을 정해보면 6d 6
= =
7d 7
aÁ aª a£ a¢ a°
따라서 p=7, q=6이므로
-2 -4 8 16 32
p+q=7+6=13
a¤ a¦ a¥ a» aÁ0 다른 풀이
64 128 256 512 -1024 모든 자연수 k에 대하여
∴ aÁ+a£+a°+a¦+a»‌
=(-2)+8+32+128+512 b3k-1=b3k-2+a3k-1  yy ㉠
=678 b3k=b3k-1-a3k  yy ㉡
b3k+1=b3k+a3k+1  yy ㉢
다른 풀이
㉠+㉡+㉢을 하면
aÁ0<0이므로 절댓값의 크기가 작은 항부터 음수로 바꿔 보면서

Á an의 값을 구해보면
b3k-1+b3k+b3k+1=b3k-2+b3k-1+b3k+a3k-1-a3k+a3k+1
10
이때 등차수열 {an}의 공차를 d (d+0)라 하면

aÁ, aª, y, a»>0일 때 Á an=-2


n=1
10 b3k+1=b3k-2+a3k-1-a3k+a3k+1
=b3k-2+a3k+1-d (∵ a3k-a3k-1=d)

aª, a£, y, a»>0이고 aÁ<0일 때 Á an=-6


n=1
10
∴ b3k+1=b3k-2+a3k (∵ a3k+1-a3k=d)  yy ㉣

a£, a¢, y, a»>0이고 aÁ, aª<0일 때 Á an=-14


n=1
㉣에서
10
b10=b7+a9
n=1
=b4+a6+a9
따라서 조건 ㈐를 만족시키려면
=b1+a3+a6+a9
n=1, 2, 10일 때 an<0이고
=b1+3a6 (∵ a6은 a3과 a9의 등차중항)
n=3, 4, y, 9일 때 an>0이어야 하므로
한편, b1=a1, b10=a10이므로
aÁ+a£+a°+a¦+a»‌=(-2)+8+32+128+512
a10=a1+3a6
=678
a1+9d=a1+3(a1+5d)
3a1=-6d   ∴ a1=-2d
808   13 또한, ㉢에서 b10=b9+a10   ∴ b9=0 (∵ b10=a10)
㉡에서 b9=b8-a9, 즉 b8=b9+a9=a9이므로
b1=a1이고 주어진 식에 n=2, 3, 4, y, 10을 차례대로 대입하면
b8 a9 -2d+8d 6
b2=b1+a2=a1+a2 = = =
b10 a10 -2d+9d 7
b3=b2-a3=a1+a2-a3 따라서 p=7, q=6이므로
b4=b3+a4=a1+a2-a3+a4 p+q=7+6=13

170 수학Ⅰ

해설.indb 170 22. 9. 5. 오후 3:57


809  ③ 810  ④

조건 ㈎에 n=1을 대입하면 Ú n=1일 때


a2=a2_a1+1에서 (좌변)=aÁ=1, (우변)=1_1=1
a2-1 이므로 주어진 식이 성립한다.
a1=    yy ㉠
a2 Û n=k일 때
또한, 0<a1<1이므로 1 1 1
aû=(1+2+3+y+k){1+ + +y+ }
1 2 3 k
a2= 에서 a2>1   yy ㉡
1-a1 이 성립한다고 가정하면 III
조건 ㈎, ㈏에 의하여 ak+1
a7=a2_a3-2 ak 1
=a2(a2_a1-2)-2 =(k+2){ k + 2 }
2
=a1(a2) -2a2-2 k+2 k+2
=  aû+
a2-1 2 k 2
= _(a2) -2a2-2 (∵ ㉠)
a2
1 1 1
 (1+2+3+y+k){1+ + +y+ }+
k+2 k+2
=(a2) -3a2-2
2 =
k 2 3 k 2
2
이때 (a2) -3a2-2=2이므로 k(k+1) 1 1 1
{1+ + +y+ }+
k+2 _ k+2
2 =
(a2) -3a2-4=0, (a2+1)(a2-4)=0 k 2 2 3 k 2
∴ a2=4 (∵ ㉡) (k+1)(k+2) 1 1 1
{1+ + +y+ }+
k+2
=
이를 ㉠에 대입하면 2 2 3 k 2
4-1 3 (k+1)(k+2) 1 1 1 1
a1= = = {1+ + +y+ + }
4 4 2 2 3 k k+1
1 1 1
따라서 조건 ㈎, ㈏에 의하여 ={1+2+3+y+(k+1)}{1+ + +y+ }
2 3 k+1
a25=4_a12-2
따라서 n=k+1일 때도 주어진 식이 성립한다.
=4(4_a6+1)-2
2 Ú, Û에 의하여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4 (4_a3+1)+2
1 1 1
aÇ=(1+2+3+y+n){1+ + +y+ }이 성립한다.
3
=4 (4_a1-2)+18
2 3 n
=64+18=82 (k+1)(k+2)
k+2
따라서 f(k)= , g(k)= , p=2이므로
k 2
다른 풀이
6 5_6
p f(4)+g(4)=2_ + =18
조건 ㈎에 n=1을 대입하면 4 2
1
a2=a2_a1+1에서 a2= 이고
1-a1
0<a1<1이므로 a2>1   yy ㉠ 811  ③
조건 ㈏의 식에 조건 ㈎의 식을 대입하면
Ú n=1일 때
a2n-1
a2n+1‌=a2_ -2 (좌변)=2, (우변)=2
a2
=a2n-3 이므로 주어진 등식이 성립한다.
Û n=m일 때 주어진 등식이 성립한다고 가정하면

Á (5k-3){ +
이므로
1 1 1 1 m(5m+3)
+y+ }=
m
a2n=a2n+1+3   yy ㉡ +
k=1 k k+1 k+2 m 4
∴ a6=a7+3=5 (∵ a7=2)   yy ㉢
이다. n=m+1일 때 성립함을 보이자.

Á (5k-3){ +
조건 ㈎, ㈏에 의하여
1 1 1 1
}
m+1

a25=a2_a12-2 + +y+
k k+1 k+2 m+1

= Á (5k-3){ +
k=1

=a2(a2_a6+1)-2 1 1 1 1
}
m
+ +y+
=a2(5a2+1)-2 (∵ ㉢) k=1 k k+1 k+2 m+1
1
a6=a2_a3+1 +{5(m+1)-3}
m+1

= Á (5k-3){ +
=a2(a2-3)+1 (∵ ㉡)
1 1 1 1 5m+2
}+
m
=(a2) -3a2+1
2
+ +y+
k k+1 k+2 m+1 m+1

= Á (5k-3){ +
k=1
2
이므로 (a2) -3a2+1=5에서 1 1 1 1
 }
m
2 + +y+
(a2) -3a2-4=0, (a2+1)(a2-4)=0 k=1 k k+1 k+2 m

Á (5k-3)+
∴ a2=4 (∵ ㉠) 5m+2
1 m
∴ a25=4(5_4+1)-2=82  +
m+1 k=1 m+1

Ⅲ. 수열 171

해설.indb 171 22. 9. 5. 오후 3:57


Á ( 5k-3 )
m(5m+3) 1 m+1
=
4
+
m+1 k=1
yy TIP 813  ③
(m+1)(5m+8) Ú n=1일 때
=
4
1 1
É 이므로 (C)이 성립한다.
그러므로 n=m+1일 때도 주어진 등식이 성립한다. 2 '4
따라서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주어진 등식이 성립한다. Û n=k일 때 (C)이 성립한다고 가정하면
㈎`:`5m+2  ㈏`:`m  ㈐`:`5k-3 1 3 5 2k-1 2k+1
_ _ _y_ _
2 4 6 2k 2k+2
TIP

Á (5k-3)
1 2k+1
É _
m(5m+3)
+
1 m+1 'Ä3k+1 2k+2
4 m+1 k=1

[5 Á k-(m+1)_3]
1 1
= _
m(5m+3) 1 'Ä3k+1
m+1
= + 1
4 m+1 k=1 1+
2k+1
m(5m+3) 1 (m+1)(m+2)
= + [5_ -3(m+1)] 1
4 m+1 2 1
¾Ð¦1+ 1 ¥2`
= _
m(5m+3) 5(m+2) 'Ä3k+1
= + -3 2k+1
4 2
m(5m+3)+10(m+2)-12 1

¥2`
= =
4
2
5m +13m+8 ¾Ð3k+1+2(3k+1)_Ð 1
+(3k+1)Ð_¦
1
= 2k+1 2k+1
4
1

¥2`
(m+1)(5m+8) <
=
4 ¾Ð3k+1+2(3k+1)_Ð 1
+(`2k+1`)Ð_¦
1
2k+1 2k+1

 yy TIP
1
=
2(3k+1)+1
¾Ð3k+1+
2k+1
812  ②
=
1
1!+2!+3!+y+n! "Ã3(k+1)+1
자연수 n에 대하여 aÇ= 이라 할 때, 따라서 n=k+1일 때도 (C)이 성립한다.
(n+1)!
2 그러므로 Ú, Û에서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C)이 성립한다.
aÇ< 임을 보이면 된다.
n+1 1
f(k)= , g(k)=2k+1이다.
Ú ‌n=1일 때 2k+1
1! 1 1
aÁ= = <1이므로 주어진 부등식이 성립한다. ∴ f(4)_g(13)= _27=3
2! 2 9
2
Û n=k일 때 ak< 라 가정하면
k+1 TIP
n=k+1일 때
㈏에 알맞은 식을 다음과 같이 찾을 수 있다.
1!+2!+3!+y+(k+1)!
ak+1= 앞 줄과 부등식이 성립하기 위해서는 3k+1> ㈏ 이어야
(k+2)!
1 1!+2!+3!+y+k! (k+1)! 하고, 이때 식이 간단해지기 위해서 ㈏`:`2k+1임을 유추할 수
= [ + ]
k+2 (k+1)! (k+1)! 1
있고, 대입하여 임을 확인한다.
1 "Ã3(k+1)+1
=  (1+aû)
k+2 또는 다음 줄에 나오는 식과 등식이 성립하기 위해서 ㈏에
1 2 1 2 들어갈 식이 무엇이어야 하는지 거꾸로 찾아준다.
<  {1+ }= +
k+2 k+1 k+2 (k+1)(k+2) 즉, 등식이 성립하기 위해
1 1 ¥2`=3
이다. 자연수 k에 대하여
2
É1이므로 2(3k+1)_ + ㈏ _¦
k+1 2k+1 2k+1
2 1 2 이어야 하므로
É 이고 ak+1< 이다.
(k+1)(k+2) k+2 k+2 2(3k+1)(2k+1)+ ㈏
2 =3
따라서 n=k+1일 때도 주어진 부등식이 성립한다. (2k+1)
그러므로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주어진 부등식이 성립한다. ∴ ㈏
2
‌=3(2k+1) -2(3k+1)(2k+1)
1 2 =2k+1
㈎`:`   ㈏`:`
k+2 (k+1)(k+2)

172 수학Ⅰ

해설.indb 172 22. 9. 5. 오후 3:57


814  ② 815   풀이 참조

Ú n=1일
‌ 때 8

aÁ=Á{
an=  yy`(C)
1+1 1 1+1 (n-1)(n-2)
}=
1
_ _1= 2 <3이다.
t=1 1+1-t 3t-1 1+1-1 Ú n=3일 때
Û n=k일 때 ak<3이라 가정하면 8
a£=4= 이므로 (C)이 성립한다.
n=k+1일 때 (3-1)(3-2)

ak+1‌= Á {
1 Û n=k`(k¾3)일 때 (C)이 성립한다고 가정하면
}
k+2
k+1
_
k+2-t 3t-1
t=1
ak=
8
이므로  yy`㉠
III
(k-1)(k-2)
k(k-2)ak+1‌=Áai
k+2 1 k+2 1 k+2 1 k+2 1
= _ + _ + _ +y+ _ k
k+1 3â` k 3Ú` k-1 3Û` 1 3
k

=ak+ Á ai
k+2 1 k+2 k+2 1 1
+ { _ k-1 }
k+2 i=1
= + _ +y+
k+1 3 k k-1 3 1 3
k-1

i=1
1 k+1 k+1 1 1
+ { _ k-1 }
k+2 k+1
= + _ +y+ =ak+(k-1)(k-3)ak
k+1 3 k k-1 3 1 3
1 1 1 1 1 1 =(kÛ`-4k+4)ak
 + { + _ +y+ _ k-1 }
3 k k-1 3 1 3 8
=(k-2)Û`_ `(∵ ㉠)
k+2 1 1 (k-1)(k-2)
= + ak+ _ak 8(k-2)
k+1 3 3(k+1) =
k-1
(k+2)(ak+3)
= <3 8
3(k+1) 이다. 그러므로 ak+1= 이다.
k(k-1)
이므로 ak+1<3이다.
따라서 n=k+1일 때도 (C)이 성립한다.
Ú, Û에 의하여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an<3이 성립한다.
Ú, Û에 의하여 n¾3인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k+2 1
따라서 a=2, f(k)= , g(k)= 이므로 8
k+1 3(k+1) an=  이 성립한다.
(n-1)(n-2)
4 1 13
f(a)+g(a)= f(2)+g(2)= + =
3 9 9
채점 요소 배점
n=3일 때 성립함을 보이기 30`%
n=k일 때 성립함을 가정하고,
70`%
n=k+1일 때 성립함을 보이기

Ⅲ. 수열 173

(해119-174)3단원_내신고쟁이.indd 173 22. 9. 8. 오후 12:54


MEMO

해설.indb 174 22. 9. 5. 오후 3:57


MEMO

해설.indb 174 22. 9. 5. 오후 3:57


MEMO

해설.indb 174 22. 9. 5. 오후 3:57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