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12

絶|對|等|級

1등급의 절대 기준

수학 (상)

정답 및 풀이
빠른 정답

I . 다항식

01. 다항식의 연산 step 실력 문제 18~20쪽

step 01 ④ 02 B, C, D, E


기본 문제 7~9쪽

03 ⑴  ⑵  04 ② 05 ④
01 ③ 02 ⑤ 03 ④ 04  05 ⑤
06 YšA Y™A 07 ② 08 ③ 09 Y
06 Z 07 ② 08 ④ 09 ③ 10 ③, ⑤
10 ⑤ 11 ①
11  12 YA YšA  13  14 ①
12 ⑴ 몫 : Y›A YšA Y™A Y , 나머지 :  ⑵ Y
15 ② 16 ⑤ 17 ⑤ 18  19 ②
13 ⑤ 14  15 ③ 16  17 ④
20 ① 21  22  23 ADN™A 24 ②
18 G Y
Y™A Y

step 최상위 문제 21~22쪽


step 실력 문제 10~12쪽

01 G Y
Y™A, G Y
Y™AY, G Y
Y™A Y , G Y
Y™AY 
01 Y™A Y 02 ④ 03 ② 04 

05 ⑤ 06 ③ 07 B, C 또는 B, C 02 ③ 03  04 ① 05 ④ 06 ①
08 ② 09 B™A BCC™A 10  11 ③ 07 ⑴ G Y
YžA YA YœA U Y  ⑵ Y›AY
      
12  13  14 ③ 15 ② 16  L 08 ⑴ 1 Y
  Y™A  YAA⑵ G Y
  YšA  Y 

17  Y

step 최상위 문제 13쪽

01 
05 A
02 †, † 03  04 ②
03. 인수분해
step 기본 문제 24~25쪽

01 ③ 02 ① 03 ② 04 
05 ⑴ YZ 
YZ
⑵ Y 
Y Z
Y Z

⑶ Y™A Z 
Y™A Z
06 ① 07 
08 ② 09 ⑤ 10 ① 11 ③ 12 
13 ③ 14 ④ 15 ① 16 ①

step 실력 문제 26~28쪽

02. 항등식과 나머지정리 01 ③ 02 ① 03 ② 04 ④ 05 ③


06 빗변의 길이가 C인 직각삼각형 07 ① 08 ⑤
09 ② 10  11 ③ 12  13 ④
step 기본 문제 15~17쪽
14  15  16  17 ① 18 
01 ④ 02 ② 03 ⑤ 04 
05 Y, Z 06 B, C, D 07 ②
08 ③ 09 ③ 10 ② 11 Y  12 ④ step 최상위 문제 29~30쪽
13 ⑤ 14 ⑤ 15 ① 16  17 ②
18  19 Y™A Y 20 ⑤ 21 ④ 01 ⑤ 02  03 ⑤ 04 ③ 05 ②
22  23 ④ 24 ① 06 ④ 07 B, C 08 ⑴ A ⑵ Y

002 빠른 정답
II . 방정식과 부등식

04. 복소수와 이차방정식 step 실력 문제 45~48쪽

step 01 ④ 02 ③ 03 ⑤ 04 , 
기본 문제 33~35쪽
05 B, C 06 ⑤ 07 Y 또는 Y
01  02 ② 03 ② 04 ⑤ 05  J 08 ① 09  10  11 ④ 12 ⑤
 13 Y† 14 ④ 15 ⑤
06 Q, R  07 ② 08 ② 09 ③
16 B, C 17 ④ 18 ④ 19 ②
10 ⑤ 11  12 ④ 20 N, O 21 ④ 22 ① 23 ③
13 ⑴ J ⑵  J 14 ⑤ 15  24 
16 ⑤ 17 ③ 18 ③ 19 ④
20 Y 또는 Y 21 ③ 22 ① 23 
24 ②
step 최상위 문제 49~50쪽

01 ⑤ 02  03 B, C 04 ④
step 실력 문제 36~39쪽  
05 ④ 06  07 Y의 최솟값 : , Z  , [ 

01 ⑤ 02  03 ② 04  05 ④ 08 u
06 ② 07 ③ 08 ⑤ 09 , 
   
10     J,   J

   
11 J,   J,    J 12 ④ 13 ①

14 ③ 15  16 ② 17 ②
18 B, C 19 ① 20 Y† J
 
21 YJ 22 ① 23 Y 
24  `
06. 이차함수
step 기본 문제 52~55쪽
step 최상위 문제 40쪽
01 ④ 02 ④ 03 , ,  04 ① 05 
 
01     J 02 ③ 03 ② 04 A 06 ① 07 ② 08 ⑤ 09  10 
11 ③ 12  13  14  15 ②
16 L 17 ③ 18 ① 19 ①
 
20 B  , L  21  22  23 ④

24 최댓값 : , 최솟값 :  25 ④


 
26 Y, Z일 때 최댓값  / Y  , Z  일 때 최솟값 
05. 판별식과 근과 계수의 관계 27 ② 28 B, 최댓값 :  29 
30 최대 이익 : ,원, 판매 가격 : ,원 31 ⑤
step 기본 문제 42~44쪽

01 ④ 02 ⑤ 03 , ,  04 ①
05 ③ 06 ⑴  ⑵  ⑶ J ⑷  07  step 실력 문제 56~59쪽

08  09 ③ 10 ⑤ 11 ③ 12 ⑤
01 ③ 02  03 ③ 04 ④
13 ⑤ 14 ③ 15 B, C 16 ③ 05 B, C 06 ④ 07 ③ 08 ⑤
17  18 O, 두 근 : ,  19 ② 09 ① 10 ,  11  12  13 ⑤
20 B, C 21 ③ 22 B, C 14  15 ① 16 A 17 ② 18 ④
23  24 ① 19 ④ 20 ⑤ 21  22 AN™A 23 ②

빠른 정답 003
빠른 정답

II . 방정식과 부등식

step 최상위 문제 60~61쪽 08. 부등식


 step
01  02 N, O  03 ② 04 ④ 기본 문제 74~77쪽


05  06 ③ 07 Y 또는 Y 또는 Y 01 ⑤ 02 ① 03  04 ⑤ 05 ③
06 ƒB 07 ② 08 ③ 09 

08  10 ④ 11 ƒBƒ 12 ② 13 ƒL
14 Y 또는 Y  15 ⑤
16 Y 17 B, C 18 ⑤
19 Bƒ 20 ① 21 ② 22 ②
23 ③ 24 Bƒ 25 ②
26 B, C 27  28 ② 29 ⑤

30 ③ 31  B 32 Y

07. 여러 가지 방정식
step 기본 문제 63~66쪽 step 실력 문제 78~80쪽

01 ③ 02 ⑴ Y† 또는 Y†J 01 ② 02 Y 03 ① 04 ②


⑵ Y† 또는 Y† 03 B, Y†J 05 B, C 06  07 ② 08 
04 ⑤ 05 ⑤ 06 ⑤ 07  08 ③ 09 ④ 10 B 또는 B 11 ② 12 ④
09 ② 10  11 ② 12 ① 13  13 ⑤ 14 ④ 15 Bƒ
14 ③ 15 ② 16  17  18 ④ 16 ƒBƒ 17 ⑤ 18 ⑤
19 ⑤ 20 Y, Z, [ 21  22 ②

23 ① 24 ④ 25 By  26 ①

27 , 
, , 
28 ④ 29 ② 30 ⑤
31 ④ 32 ②
step 최상위 문제 81쪽

01 ③ 02 최댓값 : , 최솟값 :  03 ②


04 ② 05 B

step 실력 문제 67~70쪽


01 ④ 02 ① 03   04  05 , , 

06 ② 07 ⑤ 08 ④ 09 ③ 10 ⑤
11 ⑤ 12 B, C 13 ③ 14 ②
15 ③ 16  17 ⑤ 18 Lƒ 19 ②
 
20 B  , C  21 ⑤ 22  23 ②

24 ①

step 최상위 문제 71~72쪽

01 ② 02  03 ② 04  05 
06 ④ 07  08 ③

004 빠른 정답
III . 도형의 방정식

09. 점과 직선 10. 원과 도형의 이동


step 기본 문제 85~88쪽 step 기본 문제 95~99쪽

01 ① 02 ① 03  04 ① 05 ③ 01 ② 02 ④ 03 ② 04 , 
05 ②
06  07 ④ 08 ① 09 ② 10 ③ 06  ,   07 ② 08 ⑤ 09 ④
11 , 
12 ⑤ 13 ④ 14  10 ① 11  12 ② 13 ③ 14 
15 ④ 16 ③ 17 ① 18  19  15 ④ 16 ③ 17  18 ② 19 ⑤
20 ④ 21 ③ 22 ④ 23 ② 24   
20 최댓값A:A  , 최솟값A:A  21 ③ 22 ①

25  26 ⑤ 27 ③ 28 , 
, , 

23  24 ③ 25 ③ 26 ALN
 27 ① 28 ① 29 ③ 30 ④ 31 ②
29 ④ 30 L, 최댓값 :  31 ① 32 ①
32 ④ 33 ③ 34 YZ 35 ③
36 u 37 ③ 38 ①

step 실력 문제 89~92쪽

step 실력 문제 100~104쪽
01 ② 02 ① 03 ④ 04 ① 05 ②
  01 ① 02 u 03 ⑤ 04 ③ 05 
06 A:A 07 ④ 08 ① 09 [  ,  ]

 06 ② 07 ③ 08 B  09 
10 ② 11 ZY 12 ④ 13 
10 ③ 11 ④ 12 ⑤ 13 ③

14 ④ 15 ③ 16   17 ④ 18 ④ 
14   
15 ③ 16 A

19 ⑤ 20 ④ 21  22  17 최댓값A:Au , 최솟값A:Au
23 ㈎ : , ㈏ : , ㈐ :  24 ② 18 YZ 19 ⑤ 20 ⑤ 21 ④
22 B, C, D 23 ③ 24 ⑤

25  26 ② 27 ② 28 ⑤ 29 [  , ]

30 uA

step 최상위 문제 93쪽

01 ⑴ 풀이 참조 ⑵  02 ③ 03 u
04 , 

step 최상위 문제 105~106쪽

 
01 u  02 ④ 03 ③ 04  B 

05 Y
™A Z
™AA 단, 두 점 , 
, , 
제외


06   07 ⑤

08 ⑴ Y  , 최솟값 : u ⑵ Y, 최댓값 : 

빠른 정답 005
정답 및 풀이

YšA@YY›A

I
Y™A@ Y™A
Y›A
Y@YšAY›A
. 다항식 모두 더하면 Y›A이므로 Y›A의 계수는 이다. ⑤

06 [전략] N이 단항식일 때
 " #
" #
–N " #
@ 
N N N
Y™AYZ
– Y
 Z™AYZ
–Z
01. 다항식의 연산 
Y™AYZ Z™AYZ
Y

Z
step Y Z ZY
Z Z
기본 문제 7~9쪽

01 ③ 02 ⑤ 03 ④ 04  05 ⑤
07 [전략] 직접 나눌 수 있다.

06 Z 07 ② 08 ④ 09 ③ 10 ③, ⑤ YšAY™A 를 Y™AY 로 나누면


11  12 YA YšA  13  14 ① AYA 
15 ② 16 ⑤ 17 ⑤ 18  19 ② Y™AY  Ž@YšAY™AA 
20 ① 21  22  23 ADN™A 24 ②
AYšAY™A Y
ŽAAAY™AY 
01 [전략] "#
 "$
부터 간단히 한다.
AAAY™AY 
"#
 "$

AŽ AAAY
"#" $
2 Y
Y , 3 Y
Y이므로
"# $
2 
3 
 
 ②
 Y™A YZZ™A
 Y™AYZ
Y™AZ™A

YZZ™A ③ 08 [전략] 바로 나눌 수 없는 경우 "#2 3 꼴로 정리한다.

G Y
 Y
2 Y
3이므로
02 [전략] 9"#에서 9를 ", #로 나타낸다.
YG Y
Y Y
2 Y
3Y 
  Y
\Y2 Y
3^ 3 
9 " #


따라서 YG Y
을 Y으로 나눈 몫은 Y2 Y
3, 나머지
이때 " # Y™AY 
Y™A Y 

는 3 이다. ④
Y™AY 

∴ 9 Y™AY 
Y™AY  ⑤ 09 [전략] G Y
 Y
2 Y
3임을 이용한다.

G Y
 Y
2 Y
3
03 [전략] 분배법칙을 연속하여 적용한다. 
[Y ]2 Y
3
B C D
Y Z
B Y Z
C Y Z
D Y Z

BY BZ CY CZ DY DZ 
[Y ]@2 Y
3

YZ 
YZ 


Y YZ 
Z YZ 
@ YZ 
이므로 G Y
를 Y 로 나눈 몫은 2 Y
, 나머지는 3이다.

Y™AYZ YYZ Z™AZ YZ 

Y™A Z™AYZ YZ  ④
10 [전략] 곱셈 공식을 이용한다.
04 [전략] 상수항과 Y™A항이 나오는 경우만 곱해도 된다.
③ YZ[
™AY™A Z™A [™AYZ Z[[Y
Y B
Y™AY
의 전개식에서 상수항은 B이므로 ⑤ Y™A YZ Z™A
Y™AYZ Z™A
Y›A Y™AZ™A Z›AA
B ∴ B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③, ⑤이다. ③, ⑤
이때 Y 
Y™AY
이므로
Y™A항은 Y@ Y
@Y™AY™A Y™A YZ Z™A
Y™AYZ Z™A
 Y™A Z™A
™A YZ
™A
따라서 Y™A의 계수는 이다.  Y›A Y™AZ™A Z›AY™AZ™A
Y›A Y™AZ™A Z›A
05 [전략] Y›A항이 나오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11 [전략] B C
BC
B™AC™A
YšAY™A Y
YšAY™A Y

Y
Y 
Y™A 
Y›A 
 Y™A
Y™A 
Y›A 

  YšAY™A Y
™A YšAY™A Y
YšAY™A Y
 Y›A
Y›A 

이므로 Y›A항이 나오는 경우는 YdA 

006 I. 다항식
12 [전략] Y 
Y™AY 
이 간단히 정리되는지 확인한다. Y의 계수가 이므로
Y 
™A Y™AY 
™A\ Y 
Y™AY 
^™A BC B C ∴ BC
\ Y
šA šA^™A YšA 
™A ∴ BšA CšA BC B C
šABC B C
BC
YA YšA  šA@@ @ 
YA YšA 
19 [전략] Y Z [
™A 을 생각한다.

13 [전략] 공통부분 Y™A Y를 치환하고 전개한다. Y™A Z™A [™A Y Z [


™A YZ Z[ [Y

Y™A Y9라 하면 ™A@ ②


Y™A Y 
Y™A Y L


 9 
9 L
20 [전략] Y™AY 의 양변을 Y로 나누면 Y Y 
9™A  L
9 L
Y™AY 에서 Y 이므로 양변을 Y로 나누면
 Y™A Y
™A  L
Y™A Y
L
 
Y›A YšA Y™A  L
Y™A  L
Y L Y  ∴ Y 
Y Y
Y›A YšA  L
Y™A  L
Y L    
∴ YšA [Y ]šA@Y@ @[Y ]
Y™A의 계수와 Y의 계수의 합이 이므로 YšA Y Y Y
 L
 L
 ∴ L  šA@@ ①

14 [전략] 공통부분이 나오게 두 개씩 묶어 전개한다. 21 [전략] BšA CšA 을 구하므로 B C, BC의 값부터 구한다.

Y
Y
Y 
Y 
B™A BC C™A U❶
\ Y
Y 
^\ Y
Y 
^ B™ABC C™A U❷
 Y™A Y
Y™A Y
❶ ❷를 하면 B™A C™A ∴ B™A C™A
 Y™A Y
™A Y™A Y
 ❶❷를 하면 BC ∴ BC
Y›A YšA Y™AY™AY  B C
™AB™A C™A BC @
Y›A YšAY™AY  이고 B, C이므로 B C
Y™A의 계수는 , Y의 계수는 이므로 합은  ① ∴ BšA CšA B C
šABC B C

 
šA@@ 
15 [전략] 잘라낸 정육면체의 한 모서리의 길이를 생각한다.

처음 나무토막의 부피는 B™A B


22 [전략] 01“B, 03“C로 놓는다.

01“B, 03“C라 하자. B


잘라낸 정육면체의 부피는 B
šA
따라서 구멍이 뚫린 나무토막의 부피는 직사각형 0123의 넓이가 이므로
BC R Q
B™A B
 B
šABšAB™A BšAB™A B

B™AB  ② 반지름의 길이가 이고, 직사각형의 두 b

대각선의 길이는 같으므로 O A


a P
16 [전략] B™A C™A 의 값부터 구한다. 13“02“ 10

B™A C™A B C
™ABC™A@ 직각삼각형 013에서 B™A C™A™A
B™A C™A
™AB›A C›A  BC
™A이므로 B C
™AB™A C™A BC™A @이고
B›A C›A B™A C™A
™A BC
™A B, C이므로 B C
™A@™A ⑤ ∴ "1“ 13“ 3#“ B
 C

 B C

17 [전략] YZ
šAYšAYZ YZ
ZšA 을 이용한다.  
YšAZšA YZ
šA YZ YZ

šA @@ ⑤ 23 [전략] 모서리의 길이를 문자로 나타낸다.

밑면의 가로와 세로의 길이를 각각 BADN, CADN라 하면


18 [전략] B C, BC의 값부터 구한다. B™A C™A™A
Y B
Y C
Y 
밑면의 가로와 세로의 길이를 각각 ADN 늘이면 부피는
\Y™A B C
Y BC^ Y 
ADNšA 증가하므로
YšA B C 
Y™A BC B C
Y BC B@C@  B 
@ C 
@
에서 Y™A의 계수가 이므로 BC BC B C 
B C  ∴ B C ∴ B C

01. 다항식의 연산 007


정답 및 풀이

B C
™AB™A C™A BC이므로 03 [전략] ", #"šA "#에
™A™A BC ∴ BC "Y, #Y™A Y 를 대입한 꼴이다.

따라서 처음 직육면체의 밑면의 넓이는 ADN™A이다. ADN™A Y, Y™A Y 


 Y
šA Y
Y™A Y 

24 [전략] 모서리의 길이를 문자로 나타낸다.


YšAY™A Y YšA
직육면체의 가로와 세로의 길이, 높이를 A D
YšAY™A Y ②
각각 B, C, D라 하자.
B C c
직육면체의 겉넓이가 이므로 04 [전략] 분배법칙을 써서 전개한다.
E
 BC CD DB
 H
b
Y™A BY 
Y™ACY 

∴ BC CD DB F
a G Y™A Y™ACY 
BY Y™ACY 
@ Y™ACY 

삼각형 #%(의 세 변의 길이는 Y›ACYšA Y™A BYšABCY™A BY Y™ACY 


#%“āB™A C™A, %(“āC™A D™A, (#“āD™A B™A Y›A BC
YšA BC
Y™A BC
Y  U
세 변의 길이의 제곱의 합이 이므로 Y™A과 YšA의 계수가 모두 이므로
 B™A C™A D™A
 ∴ B™A C™A D™A BC, BC ∴ BC, BC U
B C D
™AB™A C™A D™A  BC CD DB
에서 ∴ B™A C™A BC
™A BC U
B C D
™A @
단계 채점 기준 배점
B, C, D이므로 B C D 식을 전개하여 Y에 대한 내림차순으로 정리하기 40%
따라서 직육면체의 모든 모서리의 길이의 합은 Y™A 과 YšA 의 계수가 임을 이용하여 BC, BC의 값 구
30%
하기
 B C D
@ ②
B™A C™A의 값 구하기 30%

05 [전략]  Y Y™A
™A 을 전개하고,  Y Y™A
과의 곱을 생각한다.

 Y Y™A
™A Y™A Y›A Y YšA Y™A
Y›A YšA Y™A Y 
step 실력 문제 10~12쪽 이므로
 Y Y™A
šA
01 Y™A Y 02 ④ 03 ② 04 
05 ⑤ 06 ③ 07 B, C 또는 B, C  Y›A YšA Y™A Y 
 Y Y™A

08 ② 09 B™A BCC™A 10  11 ③ 전개식에서 Y›A항이 나오는 경우는


   Y›A@Y›A, YšA@YY›A, Y™A@Y™AY›A
12  13  14 ③ 15 ② 16  L

모두 더하면 Y›A이므로 계수는 이다. ⑤
17  Y

 Y Y™A
 Y Y™A
 Y Y™A
에서 Y›A항이 나오
01 [전략] 연립방정식을 푸는 것과 같다. 는 경우를 각 다항식에서 뽑으면
" #YšAY™A Y  U❶ @Y™A@Y™A
"#YšAY™AY  Y@Y@Y™A, Y@Y™A@Y
변끼리 더하면 "YšAY™A  Y™A@@Y™A, Y™A@Y@Y, Y™A@Y™A@
∴ "YšAY™A  모두 더하면 Y›A이므로 계수는 이다.
❶에 대입하면
#YšAY™A Y  YšAY™A 
06 [전략] Y™A Y 
Y™A Y 
Y™A Y 
Y 
의 한 다항식에
서만 Y항을, 나머지 다항식에서는 상수항을 뽑아 곱해야 한다.
YšAY™A Y
Y™A Y 
šA Y 

∴ " #YšAY™A   YšAY™A Y

 Y™A Y 
Y™A Y 
Y™A Y 
Y 

Y™A Y Y™A Y


첫 번째 괄호 안의 식에서 Y항을 선택하면 나머지 괄호 안의 식
02 [전략] 곱셈 공식을 써서 전개한다. 에서는 상수항만 선택해야 Y항이 나온다.
Y 
šA Y 
™A 두 번째, 세 번째, 네 번째 괄호 안의 식에서 Y항을 선택하는 경
 YšA Y™A Y 
Y™A Y 
우도 마찬가지이므로 Y항이 나오는 경우는
YœA Y›A YšA Y™A Y  Y@@@, @Y@@,
이므로 @@Y@, @@@Y
B C D F    ④ 모두 더하면 Y이므로 계수는 이다. ③

008 I. 다항식
07 [전략] 직접 나눈다.
Y™ABY BC B™A Y 에서 Y 
Y™A BY CAŽ Y›A BY™AŽ C Y™AY AŽ YšAY™A Y
Y™AY 
Y›A BYšA CY™A
주어진 식의 분자를 YšAY™A Y
Ž BYšA BC
Y™AŽ
Ž Y™A Y
BYšA B™AY™ABCY Y™AY 로 나누면 몫이
 Y™A Y
Ž A BC B™A
Y™AŽ BCY C Y, 나머지가 Y이므로
ŽA Y
A BC B™A
Y™A B BC B™A
Y C BC B™A

분자
 Y™AY 
Y
Y
Ž A \BCŽB BC B™A
^Y CC BC B™A

Y  

나머지가 이므로
분모
 Y™AY 

BCB BC B™A
 U❶
∴ 주어진 식

CC BC B™A
 U❷
❷에서 C\ BC B™A
^
C 이므로 BC B™A U❸ 09 [전략] 변의 길이를 B, C에 대한 식으로 나타낸다.

❶에 대입하면 BCB, B C


 E I 2a-b
A D
B 이므로 C
G H
❸에 대입하면 a J
b-a
B B™A, B™A B a b-a
B C
B 
B
 F
b
∴ B 또는 B 위의 그림에서
∴ B, C 또는 B, C   '$“$)“CB
B, C 또는 B, C   *q+•+q)¬)%“B CB
BC U
  (•+• CB
 BC
B C U
몫이 이차식이고, 최고차항의 계수가 이므로 몫을 Y™A DY E   ∴ &(+*
*q+•@(•+• BC
B C

로 놓을 수 있다. 곧, B™A BCC™A U


Y›A BY™A C Y™A BY C
Y™A DY E

단계 채점 기준 배점
상수항을 생각하면 C 이므로 E *+“의 길이 구하기 30%
이때 우변
 Y™A BY C
Y™A DY 
(+“의 길이 구하기 30%
Y›A B D
YšA C BD 
Y™A B CD
Y C 사각형 &(+*의 넓이 구하기 40%

좌변과 비교하면 B™A BCC™A


B D U❹ 사각형 &(+*의 넓이를 다음과 같이 구할 수도 있다.
"#'&B™A
C BD B U❺
('$) CB
™A
B CD U❻ *+)%\B CB
^™A BC
™A
❹에서 DB ∴ &(+*BC\B™A CB
™A BC
™A^
❻에 대입하면 BCB BC B™A C™ABC B™A B™ABC C™A

B™A BCC™A
B 이므로 C ∴ C
C과 DB를 ❺에 대입하면
  B™A B, B™A B, B 
B
 10 [전략] Y Z
dAB, YZ
dAC로 놓고 식을 정리한다.

  ∴ B, C 또는 B, C Y Z


dAB, YZ
dAC로 놓으면
\ Y Z
dA YZ
dA^™A\ Y Z
dA YZ
dA^™A
08 [전략] Y의 양변을 제곱하면 Y™AY  B C
™A BC
™A
이 식을 이용하여 주어진 식을 간단히 한다.  B™A BC C™A
 B™ABC C™A

Y 에서 Y BC Y Z


dA YZ
dA
양변을 제곱하여 정리하면 Y™AY \ Y Z
YZ
^dA Y™AZ™A
dA
YšAY™A Y  
dA\ 
™A^›A 

Y™AY 
Y Y™AY
 Y™AY
Y
∴ Y ZB, YZC로 놓으면
Y™AY

Y@ 
 
Y \ Y Z
dA YZ
dA^™A\ Y Z
dA YZ
dA^™A
∴  BdA CdA
™A BdACdA
™A
 
∴ Y ②  B˜AA BdACdA C˜AA
 B˜AABdACdA C˜AA

01. 다항식의 연산 009


정답 및 풀이

 BC
dA 또 YZ Z[ [Y
™A
\ Y Z
YZ
^dA Y™AZ™A Z™A[™A [™AY™A YZ™A[ Z[™AY [Y™AZ
 Y™AZ™A
dA Y™AZ™A Z™A[™A [™AY™A YZ[ Y Z [

 
dA 이므로

[ ]™AY™AZ™A Z™A[™A [™AY™A YZ[@
11 [전략] ]B]™AB™A을 이용한다. 
YZ ™A YZ ™A Y™AYZ Z™A  
\ \ [ ] ∴ Y™AZ™A Z™A[™A [™AY™A
Y Z Y Z Y™A YZ Z™A  
Y™A Z™AYZ이므로
  
\
YZ ™A YZ 
\  14 [전략] B C D 의 좌변을 통분하거나
Y Z YZ 
양변에 BCD를 곱하여 정리한다.
YZ YZ  
\ \이므로 \ \  ③   
Y Z Y Z   의 양변에 BCD를 곱하면
B C D
절대등급 Note
CD DB BCBCD U❶
임의의 실수 B, C에 대하여 또 B C D
™AB™A C™A D™A  BC CD DB

① ]B]y, ]B]]B]
이므로 ❶을 대입하면
② ]B]™AB™A
B ]B] ™A @BCD ∴ BCD ③
③ ]BC]]B]]C], \ \
C ]C]

15 [전략] Y Z [L이면

12 [전략] 조건식을 이용하여 Y Z, YZ, YZ부터 구한다. Y Z


Z [
[ Y
 L[
LY
LZ

조건식에서 Y Z
Z [
[ Y

Y™A Z™A, Y™AZ™A Y Z[, Z [Y, [ YZ
Y™AZ™A™A 
™A 를 대입하면
Y, Z이므로 YZ Y
Z
[

Y Z
™AY™A Z™A YZ  \ Y Z
YZ^ [

이고 Y, Z이므로 Y Zu U❶  Y Z


YZ[  Y Z
[YZ[
Y™AZ™A에서 Y Z
YZ
  Y Z [
 YZ Z[ [Y
YZ[
❶을 대입하면 YZ @ @ 
 ②
YšA ZšA Y Z
šAYZ Y Z

 Y B
Y C
Y D

YšA B C D
Y™A BC CD DB
Y BCD
YšAZšA YZ
šA YZ YZ
 
를 이용하면
또 Y™A Z™A
YšA ZšA
YœA Y™AZšA Z™AYšA ZœA Y
Z
[

YœA ZœA Y™AZ™A Y Z


šA Y Z [
@™A YZ Z[ [Y
@YZ[
이므로

@YœA ZœA , YœA ZœA 16 [전략] 부피의 합이  L S„šA SfšA
이므로 S„ Sf, S„Sf의 값부터 구한다.

YšAZšA
YšA ZšA
@   Â2r¡
∴  
YœA ZœA    r¡

Â2

Y™A  


™A @@ ™A O™ Â2
4+Â2 r£
  
™A
이고, Y이므로 Y  O£ Â2r£
Z™A 
™A@@ ™A
 
™A
이고, Z이므로 Z 위의 그림에서 정사각형의 대각선의 길이가  이므로
∴ Y Z, YZ, YZ S„ S„   Sf Sf 
 
S„ Sf
 
13 [전략] YZ Z[ [Y
™A의 전개식을 생각한다.
∴ S„ Sf U
Y Z [
™AY™A Z™A [™A  YZ Z[ [Y

두 원 0„, 0f의 넓이의 합에서


이므로
LS„™A LSf™AL@

  YZ Z[ [Y
∴ YZ Z[ [Y ∴ S„™A Sf™A


010 I. 다항식
S„ Sf
™AS„™A Sf™A S„Sf에 대입하면 YšA Y™A Y  Y™A Y
Y 
Y 
 YšA Y™A Y  Y 
 S„Sf ∴ S„Sf U ∴ Y 
 Y™A Y Y™A Y
반지름의 길이가 S„, Sf인 구의 부피의 합은  Y 

∴ Y 
   Y 
Y

LS„šA LSfšA L S„šA SfšA

   
∴ Y 
 Y
 L\ S„ Sf
šAS„Sf S„ Sf
^
 
Y 가 정수이므로 도 정수이다.
  Y
 L 
 L U
  그런데 Y가 정수이므로 가능한 Y의 값은
단계 채점 기준 배점 Y, , , , , , , 
대각선의 길이를 이용하여 S„ Sf의 값 구하기 40% ∴ Y, , , , , , , 
넓이를 이용하여 S„Sf의 값 구하기 30% 따라서 Y의 값의 합은 이다. 
구의 부피의 합 구하기 30%


L 02 [전략] 먼저 YZ를 B로 나타낸다.

Y ZB의 양변을 세제곱하면
17 [전략] [그림 ]에서 생긴 작은 정육면체의 개수를 기준으로 생각해 본다. YšA ZšA YZ Y Z
BšA
Y B™A
[그림 ]의 입체도형의 부피는 한 모서리의 길이가 인 정육면 B YZ@BBšA ∴ YZ ∵ B 

 
체 개의 부피의 합과 같으므로 Y ZB의 양변을 제곱하면
YšA YšA Y™A Z™A YZB™A
7 @
  B™A
Y™A Z™A @ B™A
[그림 ]의 큰 정육면체 한 면에 있는 작은 정육면체의 한 면은 
개, 가운데 있는 구멍 안으로 생기는 작은 정육면체의 한 면은 B™A 
∴ Y™A Z™A

개이다.
Y™A Z™A
YšA ZšA
YœA ZœA Y™AZ™A Y Z
이므로
Y™A
그런데 작은 정육면체 한 면의 넓이가 이므로 B™A  B™A ™A
 @BB [ ] @B
 
Y™A Y™A
4 @@ @Y™A 양변을 B로 나누면
 
YšA B™A  B™A ™A
 [ ]
7     
∴   Y Y
4 Y™A   B›AB™A , B™A
B™A

∴ B† 또는 B† †, †

03 [전략] Y, Z 중 적어도 하나가 B이다.


⇨ YB
ZB



에서
Y
Z
[

step 최상위 문제 13쪽 YZYZ 
[

YZ[ YZ Z[ [Y
 Y Z [
 U❶
01  02 †, † 03  04 ②
05 A 나
의 양변에 YZ[를 곱하면
 YZ Z[ [Y
YZ[

01 [전략] 분자를 분모로 나눈 몫과 나머지를 구한 다음 ❶에 대입하면


" 3  Y Z [
 ∴ Y Z [ 
"#2 3이면 2 임을 이용한다.
# #
Y 

에서 Y, Z, [ 중 적어도 하나는 이고
Y™A YAŽ YšA Y™A Y 

에서  YZ Z[ [Y
YZ[ U❷
Y™A YA YšA Y™A Y
Y™A YAŽ AY™A Y  이므로 Y이라 해도 된다.
Y™A YA AY™A Y 이때 ❷는
Y™A YAŽ AY™A Y   Z Z[ [
Z[, Z [
이므로 ∴ Y Z [

01. 다항식의 연산 011


정답 및 풀이

04 [전략] . 정삼각형은 무게중심, 외심, 내심이 일치한다. 05 [전략] 색칠한 세 삼각형은 삼각형 "#$와 닮음이므로 닮음비를 구한다.
 선분 1„2„과 선분 2m3m의 교점을 "„이라 하면
. Y 의 값을 구하거나 Y™ABY 꼴의 식을 만든다.
Y
A
△"#$v△1m#2mv△"„2m2„v△3„2„$
이고 닮음비는 B C D
AADAACAAB
x
H 2 N 1 P
따라서 넓이의 비는 B C D
™AAAD™AAAC™AAAB™A U
M
O
삼각형 "#$의 넓이와 색칠한 부분의 넓이의 합의 비가 AA이
므로
B D C
B C D
™AAA B™A C™A D™A
AA
 B™A C™A D™A
 B C D
™A
위의 그림에서 B C D이므로
   B™A C™A D™A
, B™A C™A D™A U
#$“Y, "%“ #$“Y, ")“ Y
 
∴ BC
™A CD
™A DB
™A
정삼각형 "#$의 외심0는 무게중심이기도 하므로
B™A C™A D™ABCCDDB
 
01“0"“ "%“ Y  B™A C™A D™A
 B C D
™A
 
   @ U
0)“ Y Y Y
  
단계 채점 기준 배점
따라서 직각삼각형 01)에서 △"#$, △1m#2m, △"„2m2„, △3„2„$의 닮음비와
40%
  ™A 넓이의 비를 B, C, D로 나타내기
Y
[ ]™A [ Y]™A[ Y] △"#$의 넓이와 색칠한 부분의 넓이의 합의 비를 이
   30%
용하여 B™A C™A D™A의 값 구하기
Y™A   BC
™A CD
™A DB
™A의 값 구하기 30%
Y  Y™A Y™A
  


Y™AY ∴ Y 
Y
 ™A 
또 [Y ] [Y ]™A 이고,
Y Y

Y이므로 Y 
Y
  
∴ [Y™A ][Y ][Y ] ②
Y™A Y Y
절대등급 Note

삼각형의 두 변의 중점을 연결할 때, 곧 A


".“#.“, "/“$/“이면
 M N
./“∥#$“, ./“ #$“

B C

012 I. 다항식
02. 항등식과 나머지정리 05 [전략] L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L에 대해 정리한다.
L의 값에 관계없이 ⇨ L에 대해 정리
좌변을 L에 대해 정리하면
step 기본 문제 15~17쪽
Y Z
L YZ 

01 ④ 02 ② 03 ⑤ 04  L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05 Y, Z 06 B, C, D 07 ② Y Z, YZ 
08 ③ 09 ③ 10 ② 11 Y  12 ④
연립하여 풀면 Y, Z Y, Z
13 ⑤ 14 ⑤ 15 ① 16  17 ②
18  19 Y™A Y 20 ⑤ 21 ④ 06 [전략] ZY 을 BY™A CYZ DZ™A에 대입하고 정리한다.
22  23 ④ 24 ① 조건으로 등식이 주어지면 한 문자를 소거한다.

Y Z에서 ZY 
01 [전략] Y, , 를 대입하면 우변이 간단해진다. 이것을 BY™A CYZ DZ™A에 대입하면
Y을 대입하면 B ∴ B BY™A CY Y 
D Y 
™A
Y을 대입하면 C ∴ C ∴ BC D
Y™A CD
Y D
Y를 대입하면 D ∴ D Y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 B C D ④ BC D, CD, D
∴ B, C, D B, C, D
우변을 B C D
Y™A B C D
Y B로 정리한 다음 양변의 계수를
비교해도 된다.
07 [전략]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YšAY™A Y 을 Y로 나눈 다음
주어진 계산과 비교한다.

02 [전략] 좌변을 전개하기 전에 최고차항의 계수, 상수항을 먼저 생각한다.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YšAY™A Y 을 Y로 나누면
좌변의 YšA항, 상수항은 각각 BYšA, D이므로     
우변과 계수를 비교하면 B, D   
이때 좌변
 Y
Y™A CY
   
YšA C
Y™A C
Y  ∴ B, C, D, E, B C D E ②
우변과 계수를 비교하면
08 [전략] Y에 대하여 정리한 꼴이다. Y로 나눈 나머지를 찾고
CE, C
몫을 다시 Y로 나누는 과정을 반복하면 된다.
∴ C, E
    
∴ BCDE ②
  
     [E
주어진 식의 양변에 Y을 대입하여 E의 값을 먼저 구해도 된다.
 
03 [전략] B™A C™A, BšA CšA ⇨ B C, BC부터 구한다.     [D
우변
BC Y 
™A B C
Y
 
BCY™A B C BC
Y BCBC
  [C
[

좌변과 계수를 비교하면


B
BC, B C
이므로
∴ BšA CšA B C
šABC B C
 ⑤
YšAY™AY  Y
šA  Y
™A Y

∴ B, C, D, E, BC DE ③
주어진 식의 양변에 Y, Y을 각각 대입하여 B C의 값과 BC의 값을
구해도 된다.
. 위 조립제법에서
04 [전략] 모든 Y에 대해 성립하므로 항등식에 대한 문제이다. YšAY™AY  Y
Y™A
 U❶
G Y
가 소거되는 Y의 값을 대입한다. Y™A Y
Y 
 U❷
Y @ Y
 U❸
Y을 대입하면 B  C ∴ BC
❸을 ❷에 대입하고 정리하면
Y를 대입하면 B C ∴ BC Y™A Y
™A  Y
 U❹
연립하여 풀면 B, C ❹를 ❶에 대입하고 정리하면
이때 주어진 등식은 YšAY™AY  Y
šA  Y
™A Y

. YšAY™AY B Y
šA C Y
™A D Y
E
Y›AY™AY  Y 
Y
G Y

의 양변에 Y을 대입하면 E


Y을 대입하면 G 
이때 우변
BYšA B C
Y™A BC D
YB CD 
∴ G 
  이 식과 좌변의 계수를 비교해서 B, C, D의 값을 구해도 된다.

02. 항등식과 나머지정리 013


정답 및 풀이

09 [전략] "를 #로 나눈 몫을 2, 나머지를 3라 하면 연립하여 풀면 B, C


"#2 3 ⇦ 이 식은 항등식이다. ∴ B C ⑤
YšAY™AY B Y C
Y™A

은 Y에 대한 항등식이고 
14 [전략] 다항식을 Y 로 나눈 나머지는 Y  을 대입한 값이다.
우변
YšA CY™AYC  
따라서 G Y 
에 Y 을 대입한 값을 구한다.
좌변과 계수를 비교하면 

C, BC  G Y
를 Y™A Y으로 나눈 몫을 2 Y
라 하면
∴ B, C, BC ③ G Y
 Y™A Y
2 Y
Y U❶

G Y 
을 Y 로 나눈 나머지는 G Y 
에 Y 을

직접 나누어도 되지만 과정이 복잡하다.
대입한 값이므로 G 
이다.
10 [전략] 2 Y
의 상수항을 포함한 모든 계수의 합은 2 
임을 이용한다.
따라서 ❶에 Y를 대입하면 G 
 ⑤
G Y
를 Y로 나눈 나머지를 3라 하면
G Y
 Y
2 Y
3 G Y 
을 Y 로 나눈 몫을 2„ Y
, 나머지를 3라 하면
G 
이므로 Y를 대입하면 3 G Y 
 Y 
2„ Y
3
∴ G Y
 Y
2 Y
 U❶ 
Y 을 대입하면 G 
3

G 
이고, 2 Y
의 상수항을 포함한 모든 계수의 합은 2 

이므로 ❶에 Y을 대입하면 15 [전략] G Y


H Y
를 Y 로 나눈 나머지는 G 
H 
이다.
 
2 
 ∴ 2 
  ② G Y
를 Y™A로 나눈 몫을 2„ Y
라 하면
11 [전략] G Y
H Y
를 Y™A Y 로 직접 나눌 수는 없다. G Y
 Y™A
2„ Y
 U❶
조건을 이용하여 G Y
와 H Y
를 #2 3 꼴로 나타낸 다음 H Y
를 Y™A Y로 나눈 몫을 2m Y
라 하면
G Y
H Y
 Y™A Y 
2 Y
 꼴로 나타낸다. H Y
 Y™A Y
2m Y
 U❷
G Y
를 Y™A Y 로 나눈 몫을 2„ Y
라 하면 G Y
H Y
를 Y 로 나눈 나머지는 G 
H 
이다.
G Y
 Y™A Y 
2„ Y
Y ❶에 Y을 대입하면 G 

H Y
를 Y™A Y 로 나눈 몫을 2m Y
라 하면 ❷에 Y을 대입하면 H 

H Y
 Y™A Y 
2m Y
 따라서 나머지는 G 
H 
 ①
∴ G Y
H Y

 Y™A Y 
\2„ Y
2m Y
^ Y  Y™A Y 
Y
, Y™A YY Y 

따라서 Y 의 차수는 Y™A Y 의 차수보다 낮으므로 이므로 풀 수 있는 문제이다.

G Y
H Y
를 Y™A Y 로 나눈 나머지는 Y 이다.
16 [전략] G Y
 Y 
Y
2 Y
BY 이다.
Y 
이 식에서 G 
를 구하는 방법을 생각한다.
나누는 다항식이 Y™A Y 로 같기 때문에 풀 수 있는 문제이다.
G Y
를 Y 
Y
로 나눈 몫을 2 Y
라 하면
12 [전략] 다항식 G Y
를 일차식 Y=, BY C로 나눈 나머지는 각각
G Y
 Y 
Y
2 Y
BY  U❶
C
G =
, G[ ]임을 이용한다. G Y
를 Y 로 나눈 나머지가 이므로 G 

B
G Y
YšA Y™A BY 이라 하자. ❶에 Y를 대입하면
G Y
를 Y 로 나눈 나머지는 G 
B B  ∴ B
  ∴ G Y
 Y 
Y
2 Y
Y 
G Y
를 Y 로 나눈 나머지는 G[ ] B 
  G Y
를 Y로 나눈 나머지는 G 
이므로
나머지가 같으므로 Y를 대입하면 G 
 

B B  ∴ B ④

17 [전략] G Y
 Y
Y 
2 Y
Y 이다.

13 [전략] Y™AY Y 
Y
이므로 Y™AY로 나누어떨어진다 이 식에서 2 
를 구한다.
는 것은 Y 과 Y로 나누어떨어진다는 것과 같다. G Y
를 Y
Y 
로 나눈 몫이 2 Y
, 나머지가 Y 이
G Y
YšAY™A BY C라 하자. 므로
Y™AY Y 
Y
이므로 G Y
는 Y 과 Y로 나 G Y
 Y
Y 
2 Y
Y  U❶
누어떨어진다. G Y
를 Y로 나눈 나머지가 이므로 G 

따라서 G 
이고 G 
이다. ❶에 Y를 대입하면
G 
B C ∴ BC 2 
 ∴ 2 

G 
 B C ∴ B C 따라서 2 Y
를 Y로 나눈 나머지는 이다. ②

014 I. 다항식
18 [전략] 이차식으로 나눈 나머지는 일차식 또는 상수이므로 G 
 ∴ G 

나머지를 BY C로 놓고 다음 꼴을 이용한다. G Y
를 Y
Y 
로 나눈 나머지는 BY C 꼴이므로 몫을
G Y
 Y
Y
H Y
BY C
2 Y
라 하면
G Y
를 이차식 Y
Y
으로 나눈 나머지는 BY C 꼴이 G Y
 Y
Y 
2 Y
BY C
므로 G 
이므로 B C
G Y
 Y
Y
H Y
BY C U❶ G 
이므로 B C
조건에서 G 
이므로 B C 연립하여 풀면 B, C
G 
이므로 B C 따라서 나머지는 Y  ④
연립하여 풀면 B, C
따라서 ❶은 22 [전략] G Y
 Y™A 
Y 
2 Y
BY™A CY D에서 G Y
를 Y™A 
G Y
 Y
Y
H Y
Y 로 나눈 나머지는 BY™A CY D를 Y™A 로 나눈 나머지이다.
H 
이므로 G 
  G Y
를 Y™A 
Y 
로 나눈 몫을 2 Y
, 나머지를
BY™A CY D라 하면
19 [전략] 나머지를 BY™A CY D로 놓고 "#2 3 꼴로 정리한다.
G Y
 Y™A 
Y 
2 Y
BY™A CY D U❶
이차식으로 나눈 나머지 ⇨ BY C
삼차식으로 나눈 나머지 ⇨ BY™A CY D Y™A 
Y 
이 Y™A 로 나누어떨어지므로 G Y
를 Y™A 로

G Y
를 삼차식 Y Y
Y 
으로 나눈 나머지는 나눈 나머지는 BY™A CY D를 Y™A 로 나눈 나머지이다.

BY™A CY D 꼴이므로 몫을 2 Y
라 하면 따라서 BY™A CY DB Y™A 
Y 로 놓을 수 있다.

G Y
Y Y
Y 
2 Y
BY™A CY D ❶에 대입하면

조건에서 G 
이므로 D G Y
 Y™A 
Y 
2 Y
B Y™A 
Y 

G 
이므로 B C D G 
이므로

G 
이므로 BC D B  ∴ B

D이므로 B C, BC 3 Y


 Y™A 
Y Y™A Y

연립하여 풀면 B, C 이므로 3 


 

따라서 나머지는 Y™A Y Y™A Y


BY™A CY D를 Y™A 로 나누면
B
20 [전략] 나머지를 BY C라 하면
Y™A AŽ BY™A CY D
YœAYšA QY™A  Y™A
2 Y
BY C
Y™AA BY™ACY B
따라서 Y†를 대입하면 B, C를 구할 수 있다.
Y™AAŽ BY™A CY DB
주어진 다항식을 Y™A로 나눈 나머지를 BY C라 하면 따라서 CY DBY 를 이용할 수도 있다.
YœAYšA QY™A  Y™A
2 Y
BY C U❶
❶에 Y를 대입하면 Q B C 23 [전략] 삼차식을 이차식으로 나눈 몫은 일차식이다.
❶에 Y를 대입하면 Q B C YšA의 계수가 이므로 G Y
를 Y™A 로 나눈 몫을 Y B로 놓을
변변 빼면 B ∴ B, CQ  수 있다.
따라서 ❶은 또 나머지가 Y 이므로
YœAYšA QY™A  Y™A
2 Y
Q  G Y
 Y™A 
Y B
Y 
2 
이므로 Y을 대입하면 G Y
가 Y로 나누어떨어지므로 G 
이다.
Q Q  ∴ Q ⑤ 따라서 Y를 대입하면
절대등급 Note   B
, B
G Y
YœAYšA QY™A 라 하면 G 
G 
Q 이다. ∴ G Y
 Y™A 
Y
Y 
이와 같이 G B
G C
A B C
이면 G Y
를 YB
YC
로 나눈 G Y
를 Y으로 나눈 나머지는 G 
 ④
나머지는 상수 G B
이다.

24 [전략] 나머지가 BY C이므로 몫도 BY C이다.

21 [전략] Y
Y 
로 나눈 나머지를 구하므로 G 
와 G 
의 값 G Y
를 Y
Y 
로 나누면 나머지가 BY C 꼴이므로
을 알면 된다. G Y
 Y
Y 
BY C
BY C
G Y
는 Y 로 나누어떨어지므로 Y을 대입하면 이 G 
이므로 B C
다. 곧, G 
이므로 B C
G 
 ∴ G 
 연립하여 풀면 B, C
G Y
를 Y로 나눈 나머지가 이므로 Y를 대입하면 ∴ G Y
 Y
Y 
Y 
Y 
이다. 곧, G 
 ①

02. 항등식과 나머지정리 015


정답 및 풀이

❶에 Y을 대입하면
step 실력 문제 18~20쪽
BB„ BmBf U Bh U❸
01 ④ 02 B, C, D, E ❷ ❸을 하면  B Bm Be Bg Bh

 ∴ B Bm Be Bg Bh U
03 ⑴  ⑵  04 ② 05 ④

06 YšA Y™A 07 ② 08 ③ 09 Y 또 ❶에 Y을 대입하면 B


10 ⑤ 11 ① ∴ Bm Be Bg Bh U
12 ⑴ 몫 : Y›A YšA Y™A Y , 나머지 :  ⑵ Y 
⑵ ❶에 Y 을 대입하면
13 ⑤ 14  15 ③ 16  17 ④ 
18 G Y
Y™A Y B„ Bm Bf Bh
B U U❹
 ™A šA dA
01 [전략] 우변이 간단해지는 Y의 값을 대입하거나 
❶에 Y 을 대입하면

좌변, 우변을 각각 전개하고 계수를 비교한다.
B„ Bm Bf Bh
좌변
 Y™A Y 
™AY›A YšA Y™A Y  B  U U❺
 ™A šA dA
우변
B B„Y Bm Y™AY
Bf YšAY™A Y
Bm Be Bg Bh
❹ ❺를 하면 [B ]
Be Y›AYšA Y™AY
™A ›A A dA
Y›A의 계수를 비교하면 Be Bm Be Bg Bh 
∴ B  U
YšA의 계수를 비교하면 BfBe ∴ Bf ™A ›A A dA 

Y™A의 계수를 비교하면 BmBf Be ∴ Bm 단계 채점 기준 배점


주어진 식에 Y, Y을 각각 대입하여
Y의 계수를 비교하면 B„Bm BfBe ∴ B„ B Bm Be Bg Bh의 값 구하기
40%

상수항을 비교하면 B 주어진 식에 Y을 대입하여 B을 구하고


10%
Bm Be Bg Bh의 값 구하기
∴ B B„ Bm Bf Be ④
 
주어진 식에 Y , Y 을 각각 대입하여
 
Bm Be Bg Bh 50%
Y›A의 계수를 비교하면 Be B 의 값 구하기
™A ›A A dA
Y을 대입하면 B

Y을 대입하면 ›AB B„ ∴ B„ ⑴ ⑵

Y를 대입하면 ›AB B„ Bm ∴ Bm
Y을 대입하면 ›AB B„ Bm Bf ∴ Bf 04 [전략] G Y
를 Y로 나눈 몫을 2 Y
라 하면 마지막 줄이 2 Y

Y 로 나눈 몫과 나머지이다.

02 [전략] 좌변은 Y , 우변은 Y 이 반복되므로 Y U로 치환해서 A   


좌변과 우변을 각각 전개한다.    
Y U라 하면 Y U이므로 AABACDA
좌변
 U
šA U
™A U

  
UšAU™A U U™AU  U  A
UšAU™A U
첫 줄에서 G Y
를 Y로 나눈 몫은 2 Y
BY™A CY D, 나
우변
BUšA CU™A DU E
머지는 3이다.
이 등식이 U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계수를 비교하면
또 2 Y
를 Y 로 나눈 몫이 Y , 나머지가 이므로
B, C, D, E
2 Y
 Y 
Y 

B, C, D, E


∴ G Y
 Y
2 Y
 Y
Y 
Y 

치환하지 않고 양변을 각각 전개하여 동류항의 계수를 비교해도 되지만 적당
한 식을 한 문자로 치환하면 전개과정을 줄일 수 있어 편하다. YšA Y™AY  ②

03 [전략] ⑴ 주어진 식에 Y, Y, Y을 각각 대입하면 05 [전략] 조립제법을 써서 G Y


 YQ
šA B YQ
™A C YQ
D로
B B„ Bm Bf U Bh BB„ BmBf U Bh, B 나타낸다. 이때 적당한 Q의 값을 정한다.
의 값을 구할 수 있다.
    
 
⑵ 주어진 식에 Y , Y 을 각각 대입하면   
 
B„ Bm Bf Bh B„ Bm Bf Bh     
B U , B  U
 ™A šA dA  ™A šA dA
의 값을 구할 수 있다.  

⑴  YY™A
›AB B„Y BmY™A U BiYžA BhYdA U❶    
❶에 Y을 대입하면 
B B„ Bm Bf U Bh U❷  

016 I. 다항식
G Y
를 Y에 대해 정리하면 ❶에 대입하면 YŠA Y
Y B 
 Y
2 Y

G Y
 Y
šA  Y
 ∴ 2 Y
YŠA Y B 
U❷
이므로 2 Y
를 Y으로 나눈 나머지가 ŠA이므로 2 
ŠA
G .
 .
šA @. . 따라서 ❷에 Y을 대입하면 ŠAŠA  B
,  B
G .
 .
šA @ .
. ∴ B, CB, BC ③
∴ G .
G .
. ④
Y™A BYB를 인수분해할 때 합이 B, 곱이 B B 
인 두
06 [전략] G Y
H Y
와 G Y
H Y
를 #2 3 꼴로 정리하면 수는 , B 임을 이용하였다.
G Y
H Y
도 #2 3 꼴로 나타낼 수 있다. Y™A BYB Y 
Y
B Y


에서 G Y
H Y
를 Y›A Y로 나눈 몫을 2„ Y
라 하면  Y
Y B 

G Y
H Y
 Y›A Y
2„ Y
Y™A U❶ 과 같이 인수분해해도 된다.


에서 G Y
H Y
를 Y›A Y로 나눈 몫을 2m Y
라 하면 09 [전략] Y™AY  Y
Y
이므로 G 
, G 
부터 구한다.
G Y
H Y
 Y›A Y
2m Y
YšA U❷
G Y
를 Y™AY  Y
Y
으로 나눈 몫을 2 Y
, 나
❶ ❷@을 하면
머지를 BY C라 하면
G Y
 Y›A Y
\2„ Y
2m Y
^ YšA Y™A
G Y
 Y
Y
2 Y
BY C U❶ U

∴ G Y
 Y›A Y
\2„ Y
2m Y
^ YšA Y™A 나
의 G Y 
G Y
Y에 Y을 대입하면

G 
G 

❶❷@를 하면

에서 G 
이므로 G 

H Y
 Y›A Y
\2„ Y
2m Y
^YšA Y™A

의 G Y 
G Y
Y에 Y를 대입하면

∴ H Y
 Y›A Y
\2„ Y
2m Y
^YšA Y™A G 
G 
 U

이때 G Y
H Y
❶에 Y를 대입하면 B C
 ❶에 Y을 대입하면 B C
 Y›A Y
\2„ Y
2m Y
^ YšA Y™A
 연립하여 풀면 B, C
 따라서 나머지는 Y U
 Y›A Y
\2„ Y
2m Y
^YšA Y™A

 단계 채점 기준 배점
 Y›A Y
\2„ Y
2m Y
^YšA Y™A G Y
 Y
Y
2 Y
3 Y
꼴로 놓기 30%

주어진 조건을 이용하여 G 
, G 
의 값 구하기 50%
이므로 G Y
H Y
를 Y›A Y로 나눈 나머지는
G Y
를 Y™AY 으로 나눈 나머지 구하기 20%
YšA Y™A이다. YšA Y™A
Y
07 [전략] G Y
 Y™A
2 Y
Y 로 나타낸 다음
\G Y
^™A을 계산하고 Y™A
  꼴로 정리한다. 10 [전략] 이차식으로 나눈 나머지는 일차식이므로
G Y
 Y™AY 
2 Y
BY C
G Y
를 Y™A로 나눈 몫을 2 Y
라 하면
로 놓고 Y™AY 인 Y를 대입한다.
G Y
 Y™A
2 Y
Y 
G Y
를 Y™AY 로 나눈 몫을 2 Y
, 나머지를 BY C라
∴ \AG Y
^™A\ Y™A
2 Y
Y ^™A
하면
 Y™A
™A\2 Y
^™A  Y™A
Y 
2 Y

G Y
 Y™AY 
2 Y
BY C
Y 
™A
 Y
Y
2 Y
BY C U❶
r Y™A
2 Y
\ Y™A
2 Y
 Y 
^
또 G Y
를 Y
Y
Y
로 나눈 몫을 2„ Y
라 하면
Y 
™A
G Y
 Y
Y
Y
2„ Y
Y™AY 
밑줄 친 부분은 Y™A로 나누어떨어지므로 \AG Y
^™A을 Y™A로
Y, Y를 대입하면 G 
, G 

나눈 나머지는 Y 
™A을 Y™A로 나눈 나머지와 같다.
  
Y 
™AY™A Y  Y™A
Y  ❶에 Y 을 대입하면 G 
 B C ∴  B C
  
이므로 나머지는 Y 이다. ②   
❶에 Y 을 대입하면 G 
 B C ∴  B C
  
08 [전략] G Y
 Y
2 Y
로 놓고 B, C에 대한 조건을 찾는다.
연립하여 풀면 B, C
G Y
가 Y으로 나누어떨어지므로
따라서 나머지는 Y ⑤
G Y
YŠA Y™A BY C
 Y
2 Y
U❶
Y을 대입하면 ŠA  B C
 11 [전략] G Y 
 Y™A Y
2 Y
BY C로 놓을 수 있으므로
ŠA 이므로  B C, CB Y, Y을 대입한 값이 필요하다.

이때 Y™A BY CY™A BYB G Y 


을 Y™A YY Y 
로 나눈 몫을 2 Y
, 나머지를
 Y
Y B 
BY C라 하면

02. 항등식과 나머지정리 017


정답 및 풀이

G Y 
Y Y 
2 Y
BY C G Y
 Y™AY
BY C
Y  U❶
Y을 대입하면 G 
C U❶ Y
G Y
 Y 
G Y
의 양변에
Y을 대입하면 G 
B C U❷ Y를 대입하면 G 
∴ G 

G Y
B B„Y BmY™A U B„Y˜A A에 Y를 대입하면 G 
 ∴ G 

Y을 대입하면 ❶에 Y를 대입하면 B C
G 
B B„ Bm U B„ ❶에 Y를 대입하면  B C

 B Bm Be U B„
B„ Bf U B~
 연립하여 풀면 B, C
Y을 대입하면 ❶에 대입하면 G Y
 Y™AY
Y 
Y 
G 
BB„ BmBf U B„ ∴ G 
@ ⑤
 B Bm Be U B„
 B„ Bf U B~

 G 
, G 
이므로 G Y
 Y
Y 
BY C
로 놓을 수 있
❶, ❷에서 B, C 다. 우변을 전개한 다음 Y™AY로 나눈 나머지가 Y 일 조건을 찾아
도 된다.
따라서 나머지는 Y  ①

12 [전략] ⑴ 조립제법을 이용한다. 14 [전략] G Y


 Y 
™A Y 
2 Y
BY™A CY D로 놓고

⑵ G Y
 Y
™A2 Y
BY C로 놓고 ⑴의 결과를 이용한다. Y 
™A으로 나눈 나머지를 생각한다.
G Y
를 Y 
™A Y 
으로 나눈 몫을 2 Y
, 나머지를
⑴      
BY™A CY D라 하면
    
G Y
 Y 
™A Y 
2 Y
BY™A CY D U❶
     
Y 
™A Y 
2 Y
는 Y 
™A으로 나누어떨어지므로
⑴ ∴ 몫 : Y›A YšA Y™A Y , 나머지 : 
BY™A CY D를 Y 
™A으로 나눈 나머지가 Y 이다.
⑵ G Y
를 Y
™A으로 나눈 몫을 2 Y
, 나머지를 BY C라
∴ BY™A CY DB Y 
™A Y 
하면
❶에 대입하고 정리하면
⑴ YœA Y
™A2 Y
BY C U❶
G Y
 Y 
™A\ Y 
2 Y
B^ Y  U❷
⑴ Y을 대입하면 B C ∴ CB
G Y
를 Y 
™A으로 나눈 몫을 2„ Y
라 하면
⑴ ❶에 대입하면
G Y
 Y 
™A2„ Y
Y 
⑴ YœA Y
™A2 Y
B Y

∴ G 

⑴ ⑴의 결과를 대입하면
❷에 대입하면 B  ∴ B
⑴ Y
Y›A YšA Y™A Y 

∴ 3 Y
 Y 
™A Y , 3 
 
⑴  Y
™A2 Y
B Y

⑴ 이 식은 Y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양변을 Y로 나누어도 성 15 [전략] G Y


 Y
Y™A
2 Y
BY™A CY D이므로

립한다. G 
, G 
, G 
의 값을 알면 B, C, D를 구할 수 있다.

⑴ ∴ Y›A YšA Y™A Y  Y


2 Y
B G Y
를 Y
Y™A
로 나눈 나머지를 BY™A CY D라 하면
⑴ Y을 대입하면 B ∴ C G Y
 Y
Y™A
2 Y
BY™A CY D U❶
⑴ 따라서 나머지는 Y G Y
를 Y
Y 
로 나눈 몫을 2„ Y
라 하면
⑴ 몫 : Y›A YšA Y™A Y , 나머지 :  ⑵ Y G Y
 Y
Y 
2„ Y
Y
∴ G 
, G 

⑴에서 조립제법을 한번 더 하면 또 Y 
G Y
을 Y로 나눈 나머지가 이므로 Y을
대입한 값이 이다.
      
∴ G 
, G 

    
G 
이므로 ❶에서 B C D U❷
      
G 
이므로 ❶에서 BC D U❸
   
G 
이므로 ❶에서 B C D U❹
    
❸❹를 하면 C ∴ C
∴ G Y
 Y
\ Y
YšA Y™A Y 
^ ❷, ❹에 대입하면 B D, B D
 Y
™A YšA Y™A Y 
 Y
연립하여 풀면 B, D
따라서 G Y
를 Y
™A으로 나눈 나머지는 Y ∴ G Y
 Y
Y™A
2 Y
Y™A Y
13 [전략] Y
G Y
 Y 
G Y
에 Y, Y를 대입하면 2 Y
를 Y으로 나눈 나머지가 이므로 2 

G 
, G 
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G Y
를 Y으로 나눈 나머지는
몫이 일차식이므로 BY C라 하면 G 
2 
 ③

018 I. 다항식
16 [전략] G Y
가 삼차식이므로 G Y
를 Y
™A으로 나눈 몫과 나머지는 BC D U❸
BY C B 
꼴이다. ❷❸을 하면 BC U❹
삼차식 G Y
를 Y
™A으로 나눈 몫은 일차식이므로 몫과 나머 ❶, ❹를 연립하여 풀면 B, C
지를 BY C B 
이라 하면 ❸에 대입하면 D
G Y
 Y
™A BY C
BY C U ∴ G Y
Y™A Y G Y
Y™A Y
G 
이므로 B C ∴ CB
G Y
 Y
™A BY B
BY B
 Y
™A\B Y
^ BY B
B Y
šA  Y
™A BY B U
3 Y
 Y
™A BY B이므로
3 
B 
step 최상위 문제 21~22쪽
3 
B 
3 
3 
이므로 01 G Y
Y™A, G Y
Y™AY, G Y
Y™A Y , G Y
Y™AY 
B B , B 02 ③

03  04 ① 05 ④ 06 ①
∴ 3 Y
 Y
™AY  U
07 ⑴ G Y
YžA YA YœA U Y  ⑵ Y›AY
따라서 3 Y
를 Y 으로 나눈 나머지는    
08 ⑴ 1 Y
  Y™A  YAA⑵ G Y
  YšA  Y 
3 
   U
단계 채점 기준 배점
G Y
를 Y
™A으로 나눈 몫과 나머지가 같음을 이 01 [전략] G Y
BY™A CY D로 놓을 수 있다.
20%
용하여 G Y
나타내기
G Y
BY™A CY D라 하자.
G 
임을 이용하여 G Y
정리하기 30%
3 
3 
임을 이용하여 3 Y
구하기 30% G Y™A
G Y
G Y
이므로
3 Y
를 Y 으로 나눈 나머지 구하기 20% BY›A CY™A D BY™A CY D
BY™ACY D
U❶
 Y›A의 계수를 비교하면 BB™A
B 이므로 B
17 [전략] @이므로 Y로 치환하면 상수항을 비교하면 DD™A ∴ D 또는 D
˜A A Y
˜A A 임을 이용한다. D일 때 ❶은
@이므로 G Y
 Y
˜A A이라 하자. Y›A CY™A Y™A CY
Y™ACY

G Y
를 Y로 나눈 나머지는 G 
˜A A이므로 몫을 2 Y
라 하면 우변을 전개하면 Y›AC™AY™A이므로
Y
˜A AY2 Y
˜A A CC™A ∴ C 또는 C U❷
Y을 대입하면 ˜A A@2 
˜A A D일 때 ❶은
˜A A@  Y›A CY™A  Y™A CY 
Y™ACY 

이고, 2 
은 자연수이므로 ˜A A을 로 나눈 나머지는 이 우변을 전개하면 Y›A C™A
Y™A 이므로
다. ④ CC™A, C™A C
∴ C 또는 C U❸
18 [전략] 먼저 G Y
의 차수를 알아본다.
❷에서 G Y
Y™A, G Y
Y™AY
G Y
가 O차식이라 하면 ❸에서 G Y
Y™A Y , G Y
Y™AY 
G Y™A
은 O차, G Y
Y™A, G Y
Y™AY,
Y™AG Y
는  O
차, YšA Y™A는 차 G Y
Y™A Y , G Y
Y™AY 
이때 등식이 성립하려면 O 이므로
O O ∴ O 02 [전략] I Y
 Y
G Y
 Y
H Y
라 할 때,
따라서 G Y
BY™A CY DA B 
이라 하면 주어진 등식은 I 
, I 
이고 I Y
가 삼차식임을 이용한다.

B Y™A
™A C Y™A
D I Y
 Y
G Y
 Y
H Y
라 하자.
Y™A\B Y
™A C Y
D^ YšA Y™A I 
, I 
이므로 I Y
는 Y, Y으로 나누어떨
양변을 전개하여 정리하면 어진다.
BY›A B C
Y™A BC D 또 I Y
는 삼차식이므로
BY›A B C 
YšA BC D 
Y™A I Y
 Y
Y
BY C
A B 

양변의 계수를 비교하면 으로 놓을 수 있다.


B C  U❶ I Y
 Y
G Y
에서G Y
 Y
BY C

B CBC D , BC D U❷ I Y


 Y
H Y
에서H Y
 Y
BY C

02. 항등식과 나머지정리 019


정답 및 풀이

G 
이므로  B C
 ㄱ. G Y 

H 
이므로 B C 
ㄱ.  Y 
™A2„ Y 
Y 
3
연립하여 풀면 B, C 3

∴ G Y
 Y
Y

ㄱ.  Y
™A2„ Y 
Y
3 U❸
3
∴ G 
 
@ 
 ③

ㄷ. AG Y 
를 Y
™A으로 나눈 나머지는 Y
3
3
Y  ㄷ. 따라서 나머지가 다르다. 거짓

03 [전략] 주어진 조건에서 G Y


 Y  A Y, , , 
임을 이용한다.

Y  ㄷ. ❸에서 Y
3L라 하면
주어진 조건에서 Y, , , 일 때 G Y
 이므로 3
Y 
ㄷ. \AG Y 
^™A3™A Y
›A\2„ Y 
^™A
Y 
G Y
Y , Y 
G Y
 Y 

L Y
™A2„ Y 
L™A3™A
H Y
 Y 
G Y
 Y 
U❶ U
ㄷ. 곧, L™A3™A을 Y
™A으로 나눈 나머지만 생각하면 된다.
라 하면 H 
H 
H 
H 
이므로 H Y
는 Y,

Y, Y, Y로 나누어떨어진다. ㄷ. L™A3™A Y
™A  Y

3™A
그런데 H Y
는 사차식이므로 ㄷ. 이므로 나머지는  Y
이다. 거짓

H Y
B Y
Y
Y
Y
따라서 옳은 것은 ㄱ이다. ①
❶에서 H 
이므로

B 



∴ B
 05 [전략] G Y
를 Y
™A으로 나눈 나머지와 Y 로 나눈 나머지를
 이용하여 G Y
를 Y
™A Y 
로 나눈 나머지 3 Y
를 구한다.
∴ H Y
 Y 
G Y
 Y 
G Y
를 Y
™A Y 
로 나눈 몫을 2„ Y
라 하면
 G Y
 Y
™A Y 
2„ Y
Y™A Y
 Y
Y
Y
Y
U

Y™A Y Y
™A Y이므로 G Y
를 Y
™A으
Y를 대입하면
로 나눈 나머지는 Y이다.

G 
 @@@@ G Y
를 Y 
™A Y 
으로 나눈 몫을 2m Y
라 하면

 G Y
 Y 
™A Y 
2m Y
Y™A Y 
∴ G 
 U
 Y을 대입하면 G 

단계 채점 기준 배점 G Y
를 Y
™A Y 
로 나눈 몫을 2 Y
, 나머지를
H Y
 Y 
G Y
 Y 
로 놓기 40% BY™A CY D라 하면
H 
H 
H 
H 
이고 H 

50% G Y
 Y
™A Y 
2 Y
BY™A CY D U❶
임을 이용하여 H Y
구하기
G 
의 값 구하기 10% G Y
를 Y
™A으로 나눈 나머지는 Y이므로
 BY™A CY D를 Y
™A으로 나눈 나머지도 Y이다.
 ∴ BY™A CY DB Y
™A Y
❶에 대입하면
 G Y
 Y
™A Y 
2 Y
B Y
™A Y
04 [전략] G Y
 Y
2 Y
3에서 2 Y
 Y
2„ Y
3 꼴

임을 이용하여 G Y
를 다시 정리한다. G 
이므로 B ∴ B

G Y
 Y
2 Y
3 U❶ ∴ 3 Y
 Y
™A Y, 3 
 ④

이고, 2 Y
를 Y로 나눈 몫을 2„ Y
라 하면
 06 [전략] 나머지 H Y
, G Y
Y™AY의 차수부터 생각한다.
2 Y
 Y
2„ Y

3 G Y
는 이차식이므로 가
에서 나머지 H Y
는 일차식 또는 상
 수이다.
∴ G Y
 Y
< Y
2„ Y
= 3
3
이때 나
에서 G Y
Y™AY는 상수이다.

 Y
™A2„ Y
Y
3 U❷ 따라서 G Y
Y™A Y B로 놓을 수 있다.
3
ㄱ. ❶의 Y에 Y 를 대입하면 YšA Y™A Y 을 G Y
로 나누면
ㄱ. G Y 
 Y 
2 Y 
3 AY 
 Y
2 Y 
3 참
Y™A Y B Œ
YšA Y™A Y 
ㄴ. ❷에서 G Y
를 Y
™A으로 나눈 나머지는 YšA Y™A BY
 Y™A B
Y 
ㄱ. Y
3
3 Y™A Y B
ㄱ. ❷의 Y에 Y 를 대입하면 B
Y B

020 I. 다항식
곧, 몫이 Y , 나머지가 B
Y B이므로 ⑴ 1 Y 
1 Y

H Y
 B
Y  B
⑴ B Y 
™A C Y 
D BY™A CY D

 B
Y 
⑴ BY B C
YšA Y™A Y 을 H Y
로 나눈 몫을 2 Y
라 하면 ⑴ 이 식이 Y 과 같으므로
YšA Y™A Y  B
Y 
2 Y
B  
⑴ B, B C ∴ B , C
Y를 대입하면 B  

∴ H Y
 Y 
, H 
 ① ⑴ 1 
이므로 B C D ∴ D
 
⑴ ∴ 1 Y
 Y™A Y U
 
YšA Y™A Y 을 G Y
로 나눈 나머지 H Y
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도 있
⑵ AG Y 
G Y
1 Y
라 하면 조건식은
다. 몫이 일차식이고 Y의 계수가 이므로
YšA Y™A Y  Y™A Y B
Y C
H Y
1 Y 
1 Y
Y 
H Y
가 일차 이하의 식이므로 우변의 Y™A의 계수는 C  1 
G 
G 
이므로 ⑴의 결과에서
좌변과 비교하면 C  
∴ H Y
YšA Y™A Y  Y™A Y B
Y 
G Y 
G Y
 Y™A Y U
 
 B
Y B
⑴ ❶과 같은 이유로 G Y
는 삼차식이므로
⑴ G Y
QYšA RY™A SY T Q 
이라 하면
07 [전략] ⑴ 조립제법을 이용한다.
⑴ G Y 
G Y
Q Y 
šA R Y 
™A S Y 
T
⑵ G Y
와 YœA Y›A Y  사이의 관계부터 구한다.
 QYšA RY™A SY T

⑴          ⑴ G Y 
G Y
QY™A Q R
Y Q R S
         
⑴ 이 식이 Y™A Y와 같으므로
          
 
⑴ ∴ G Y
YžA YA YœA U Y  U ⑴ Q , Q R , Q R S
 
⑵ H Y
를 G Y
로 나눈 몫을 2 Y
라 하면
 
⑴ ∴ Q , R, S
⑵ H Y
G Y
2 Y
YœA  
 YžA YA YœA U 
2 Y
YœA U❶ ⑴ G 
이므로 Q R S T ∴ T
⑵ 그런데 Y™A YœA Y›A Y 
YžA YA YšA Y™A이므로  
⑴ ∴ G Y
 YšA Y  U
⑵ Y™A 
YœA Y›A Y 
G Y
 

⑵ 따라서 ❶은 단계 채점 기준 배점
주어진 식의 차수를 비교하여 1 Y
의 차수 구하기 30%
⑵ H Y
 YœA Y›A Y 
Y™A 
2 Y
YœA U
1 Y
BY™A CY D라 하고 항등식을 이용하여 B,
⑵ 곧, YœA을 YœA Y›A Y 로 나눈 나머지만 구하면 된다. 20%
C, D의 값과 1 Y
구하기
⑵ YœA YœA Y›A Y 
@ Y›A Y 
G 
, G 
과 ⑴의 결과를 이용하여
20%
G Y 
G Y
구하기
⑵ 이므로 나머지는 Y›AY U G 
과 항등식을 이용하여 삼차식 G Y
구하기 30%

단계 채점 기준 배점    
⑴ 1 Y
 Y™A Y ⑵ G Y
 YšA Y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G Y
구하기 30%    
G Y
를 변형하고 H Y
G Y
2 Y
YœA 꼴로 나타
40%
내기
H Y
를 YœA Y›A Y 로 나눈 나머지 구하기 30% Y 
™AY™A Y 
Y 
šAYšA Y™A Y 
⑴ G Y
YžA YA YœA U Y  ⑵ Y›AY Y 
›A Y™A Y 
™A
Y›A Y™A  YšA Y Y™A
Y›A YšA Y™A Y 
08 [전략] ⑴ 이런 꼴에서는 항상 다항식의 차수부터 구한다.

⑵ ⑴의 결과를 이용할 수 있는 꼴로 고친다.
Y 
ŠAYŠA OYŠA‘˜A U
⑴ 1 Y
B‰YŠA B‰ƒYŠ A ‘˜A U B‰ 
이라 하면
⑴ 1 Y 
B‰ Y 
ŠA B‰ƒ Y 
Š A ‘˜A U
⑴ Y 
ŠAYŠA OYŠ A ‘˜A U이므로
⑴ 1 Y 
1 Y
OB‰YŠ A ‘˜A U
⑴ 따라서 1 Y 
1 Y
의 차수는 O이다. U❶
⑴ 그런데 1 Y 
1 Y
Y 에서 차수는 이므로
⑴ O ∴ O U
⑴ 곧, 1 Y
는 이차식이므로 1 Y
BY™A CY D B 

라 하면

02. 항등식과 나머지정리 021


정답 및 풀이

03. 인수분해 05 [전략] 문자가 개 이상 ⇨ 차수가 가장 낮은 문자에 대해 정리한다.

⑴ Z에 대해 정리하면
step 기본 문제 24~25쪽 Z™AYZ Y™AYZ™AYZ Y 
Y

곱해서 Y 
Y
, 더해서 Y인 두 식은
01 ③ 02 ① 03 ② 04 
 Y 
,  Y
이므로
05 ⑴ YZ 
YZ
⑵ Y 
Y Z
Y Z

ZY
ZY 
 YZ 
YZ

⑶ Y™A Z 
Y™A Z
06 ① 07 
08 ② 09 ⑤ 10 ① 11 ③ 12  ⑵ Z에 대해 정리하면
13 ③ 14 ④ 15 ① 16 ①  Y 
Z™A Y Y 
Z Y™A Y 

 Y 
Z™A YZ Y™A

01 [전략] 우변을 전개하거나 좌변을 인수분해하여 확인한다.  Y 


Y Z
Y Z

③ BCD
™A을 전개해 보면 ⑶ Z에 대해 정리하면
BCD
™AB™A C™A D™ABC CDDB Z™A  Y™A
Z Y›AY™A
∴ B™A C™A D™ABCCDDB BCD
™A Z™A  Y™A
Z Y™A 
Y™A

④ Y›AY™AZ™A Z›AY›AY™AZ™A Z›AY™AZ™A  Z Y™A 


Z Y™A

 Y™AZ™A
™A YZ
™A  Y™A Z 
Y™A Z

 Y™A YZZ™A
Y™AYZZ™A
⑴ YZ 
YZ
⑵ Y 
Y Z
Y Z

⑤ Y™AY
™A Y™AY
에서 Y™AYU라 하면 ⑶ Y™A Z 
Y™A Z

U™AU U 
U

 Y™AY 
Y™AY
⑴ Z™A의 계수가 이므로 Z에 대해 정리하였다.
Y에 대해 정리해도 된다.
 Y
™A Y
Y 

Y™A Z
Y Z™A
에서 Z™A Z 
Z
이므로
02 [전략] 등식으로 나타낸 다음 Y에 대한 항등식임을 이용한다. 

Z
Z
 Z

Z Z 

 Z 

Z Z r
YB
Y 
 Y
YC

Z
Y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 YZ 
YZ

Y을 대입하면  C


∴ C ⑶ Y에 대해 정리해도 된다.
Y를 대입하면  B
 ∴ B Y›A  Z
Y™A Z™AZ
Y›A  Z
Y™A Z 
Z

∴ B C ①
 Y™A Z 
Y™A Z

03 [전략]
™A
™A 꼴로 정리하는 문제이다.
06 [전략] Y Y
을 이용할 수 있게 첫 항을 전개한다.
Y™A Z™A[™AYZY™AYZ Z™A[™A 
Y Y
Y
Y
Y Y

 YZ
™A [
™A 
Y Y
Y
Y
Y Y

 YZ [
YZ[

 Y™AY
Y™AY 
 Y™AY

∴ B, C, D 또는 B, C, D
Y™AYU라 하면
∴ B C D ②
U U 
U U™A U  U 
U 

 Y™AY 
Y™AY 

04 [전략] G Y
 YšA 
2 Y
Y이고
 Y
Y
Y™AY 

YšA  Y 
Y™AY 
임을 이용한다.
따라서 인수인 것은 ① Y™AY 이다. ①
G Y
를 YšA 로 나눈 몫을 2 Y
라 하면
G Y
 YšA 
2 Y
Y
 Y 
Y™AY 
2 Y
Y 07 [전략] 공통부분이 나오게 두 개씩 묶어 전개한다.

Y이 일차식이므로 G Y
를 Y™AY 로 나눈 몫은 Y Y 
Y 
Y 
L
Y 
2 Y
이다. Y Y 
Y 
Y 
L
조건에서 Y 
2 Y
Y™A Y   Y™A Y
Y™A Y 
L
Y™A Y  Y 
Y 
이므로 Y™A Y"라 하면
2 Y
Y  " " 
L"™A " L " 
™A L
∴ G Y
 Y 
Y™AY 
Y 
Y 따라서 L이면
따라서 G Y
를 Y로 나눈 나머지는 " 
™A Y™A Y 
™A
G 
@@   으로 인수분해된다. 

022 I. 다항식
08 [전략] 삼차 이상인 다항식의 인수분해 ⇨ 인수정리를 이용한다. B C이고 B 이므로
1 
이므로 조립제법을 쓰면 B, C ∴ BC ①

    
11 [전략] G 
임을 이용하여 B, C, D의 관계를 구하고 대입한 다음
   G Y
를 인수분해한다.
    G 
이므로 B C DB ∴ DC
∴ 1 Y
 Y
Y™A Y 
∴ G Y
BY›A CYšACYB
 Y
Y 
Y 
B Y›A
CY Y™A

2 
이므로 조립제법을 쓰면  Y™A
\B Y™A 
CY^

       Y 
Y
BY™A CY B

따라서 인수인 것은 ③ Y 이다. ③


   
    
G Y
를 B에 대해 정리한 후 인수분해하였다. 다음과 같이 조립제법을 이용하
∴ 2 Y
 Y
YšAY™A Y
여 인수분해할 수도 있다.
3 Y
YšAY™A Y라 하면 3 
이므로 조립제법을  B C  C B
쓰면 B B C B C B
 B B C B C B 
    
B C B
  
B C B 
   
∴ BY›A CYšACYB Y
Y 
BY™A CY B

∴ 2 Y
 Y
Y
Y™A 

따라서 1 Y
와 2 Y
의 공통인수는 Y이다. ② 12 [전략] 수를 문자로 치환하고 분모, 분자를 인수분해한다.

B, C로 놓으면


1 Y
는 다음과 같이 두 항씩 묶어 인수분해할 수 있다. šAšA
šA šA

1 Y
Y™A Y 
 Y 
 Y 
Y™A
›A ™A@™A ›A
 Y 
Y 
Y

BšACšA
BšA CšA


B›A B™AC™A C›A
09 [전략] Y 
šA, Y 
™A을 전개해도 되고, Y U로 치환해도 된다.
BC
B™A BC C™A
B C
B™ABC C™A

Y 
šA Y 
™AY 
B™A BC C™A
B™ABC C™A

 Y 
šA Y 
™A Y 
 U❶  BC
B C

Y U로 놓고, ❶의 식을 G U
라 하면  
 
 
G U
UšAU™AU 
G 
이므로 조립제법을 쓰면 13 [전략] 수를 문자로 치환하고 인수분해한 다음 다시 대입하면 계산이 쉽다.

     U라 하면 UšAU™AU


   이 식을 G U
라 하면 G 
이므로 조립제법을 쓰면
        

∴ G U
 U
U™AU
 U
U
U 
  

UY 를 대입하면 Y 
Y
Y 
   

QRS이므로 Q, R, S ∴ G U


 U 
U™AU
 U 
™A U

∴ Q R S   ⑤ U을 대입하면


G 
™A@ ③
10 [전략] G Y
가 YB
™A으로 나누어떨어지면
G Y
를 YB로 나눈 나머지가 이고, 14 [전략] . BšA CšA DšA은 다음 공식을 이용한다.
몫을 YB로 나눈 나머지도 이다. BšA CšA DšABCD B C D
B™A C™A D™ABCCDDB

. B C D이므로 다음과 같이 고쳐 전개한다.


주어진 식이 Y 
™A으로 나누어떨어지므로 조립제법을 쓰면
B C
C D
D B
 D
B
C

   B  C B C D이므로
  B  B B C
C D
D B

   B B  B C  D


B
C

  B   B C D
 BC CD DB
BCD
  B B  @ @ 
BCDBCD U❶

03. 인수분해 023


정답 및 풀이

이때 B™A C™A D™A B C D


™A BC CD DB
01 [전략] 문자가 개 이상 ⇨ 차수가 가장 낮은 문자에 대해 정리한다.
™A@ 
 C에 대해 정리하면
이므로 C™A B™A B
C BšA
BšA CšA DšABCD C™A B™A B
C BšAšA
 B C D
B™A C™A D™ABCCDDB
C™A B™A B
C B
B™A B 

에서 BCD@\ 
^ ∴ BCD 
B
Z AB
❶에 대입하면 B C
C D
D B
 ④ Z
Z
A
B™A B 
Z B™A B  r
AB™A B
15 [전략] QY R
SY T
꼴로 인수분해되면 QS, RT이다.

Y™A BY  QY R
SY T
∴ C B
C B™A B 

라 하면 QS, RT이다.  B C


B™A B C 

Q, R, S, T가 정수이므로 가능한 경우는 다음과 같다. 따라서 인수인 것은 ③ B C이다. ③

Y 
Y 
Y™A Y 
02 [전략] Y™AY, Y™A Y 를 각각 인수분해하고
Y 
Y 
Y™A Y 
공통부분이 나오게 다시 묶어 정리한다.
Y
Y
Y™AY 
Y™AY
Y™A Y 
Y Y
Y 
Y 

Y
Y
Y™AY 
 Y™A Y
Y™A Y

따라서 가능한 B의 값은 , , , 이고, 합은 이다. ①
이므로 Y™A YU로 놓으면
U U
U™AU
곱해서 이 되는 정수는 과 , 과 이고
곱해서 가 되는 정수는 과 , 과 이다.  U 
U

곧, 음수도 생각해야 한다.  Y™A Y 


Y™A Y

∴ B C D E   ①
16 [전략] G Y
의 모든 계수와 상수항이 정수이고 최고차항의 계수가
일 때, G Q
이면 Q는 † 상수항의 약수
이다.
공통부분이 나오도록 식을 조작하고 치환하면 전개도 쉽고 인수분해도 쉽다.
G Y
Y›A BYšA Y™A CY의 모든 계수와 상수항이 정수이
므로 일차식 인수는 YQ 꼴이고, G Q
이다. 03 [전략] 순환하는 꼴 ⇨ 전개부터
또 G Y
의 상수항이 이므로 가능한 Q는 †, †이다. B CD
™A BC D
™A B C D
™A
ΠG 
일 때  B™A C™A D™A
BCCDDB
 B  C ∴ B C 이므로
B, C이므로 모순이다. 주어진 식
 B™A C™A D™A
BC CDDB
 G 
일 때 \B™A C D
B C™A CD D™A^
B C ∴ B C \B™A C D
B C D
™A^
B, C이므로 모순이다. \B C D
^™A 
Ž G 
일 때  BCD
™A ②
 B  C ∴ B C
B, C이므로 모순이다. B C D9로 놓으면
 G 
일 때 B C9D, B D9C, C D9B
B C ∴ B C 이므로
B, C는 양의 정수이고 BC이므로 B CD
™A BC D
™A B C D
™A
B, C ∴ B C ①  BCCD DB

 9D
™A 9C
™A 9B
™A 
 BCCD DB

9™A B C D
9  B™A C™A D™A

 BCCD DB

이때 B™A C™A D™A9™A BC CD DB


이므로
step 실력 문제 26~28쪽
9™A9™A 9™A BC CD DB
 BCCD DB

01 ③ 02 ① 03 ② 04 ④ 05 ③ 9™ABCDB
06 빗변의 길이가 C인 직각삼각형 07 ① 08 ⑤  B™A C™A D™A BC CD DBBCDB

09 ② 10  11 ③ 12  13 ④
 B™A C™A D™ABC CDDB

14  15  16  17 ① 18 
 BCD
™A

024 I. 다항식
04 [전략] 적당한 수를 Y로 놓고 인수분해한다. ∴ YšA ZšA [šA
Y이라 하면  Y Z [
Y™A Z™A [™AYZZ[[Y
YZ[
@@@ Y Y 
Y 
Y 
 
@ 
@  ①

Y Y 
Y 
Y 

 Y™A Y
Y™A Y 

08 [전략] 다음 변형도 공식처럼 기억해야 한다.
 Y™A Y
™A  Y™A Y
 Y™A Z™A [™AYZZ[[Y
 Y™A Y 
™A 
 \ YZ
™A Z[
™A [Y
™A^

∴ ‚@@@ }x ™A @ 
™A 
BšA CšA DšABCD의 좌변을 인수분해하면
™A @ 
B C D
B™A C™A D™ABCCDDB


B, C, D가 모두 양수이므로 B C D 
∴ B, C, D, E, B C D E ④
∴ B™A C™A D™ABCCDDB
이때 B™A C™A D™ABCCDDB
05 [전략] 좌변을 전개한 다음 한 문자에 대해 정리하고 인수분해한다.

좌변을 전개하면  \ BC
™A CD
™A DB
™A^

B™AC BC™AC™ADCD™AD™AB DB™A 이고 B, C, D가 모두 양수이므로
좌변을 B에 대해 정리하고 인수분해하면 BC
™A CD
™A DB
™A
C D
B™A C™AD™A
BC™ADCD™A ∴ BC, CD, DB
C D
B™A C D
CD
BCD C D
 C D B C C D
∴   ⑤
C D
\B™A CD
BCD^ B C D C C D
∴ C D
B C
BD

C D, B C이므로 BD 09 [전략] B C D이므로 BC B C
CD C D
DB D B

B CD, C DB, D BC를 이용하여 전개한다.
따라서 삼각형 "#$는 BD인 이등변삼각형이다. ③
B CD, C DB, D BC이므로
BC B C
CD C D
DB D B

06 [전략] G B
으로 놓고 차수가 가장 낮은 문자에 대해 정리한다.
BC D
CD B
DB C

G Y
가 YB로 나누어떨어지므로 G B
 U
 BC CD DB
BCD U❶
G B
의 좌변을 인수분해하면
B C D
™AB™A C™A D™A  BC CD DB
이므로
BšA DB™A D™AC™A
B DšAC™AD
™A  BC CD DB
∴ BC CD DB
BšA DB™A D™ABBC™A DšAC™AD
BšA CšA DšABCD
 B D
C™A B™A B D
D™A B D

 B C D
B™A C™A D™ABCCDDB

B D
C™A B™A D™A

이므로 BCD@  
∴ BCD
∴ B D 또는 B™A D™AC™A U
❶에 대입하면 @ 
@ 
 ②
B, C, D가 세 변의 길이이면 B D이므로
B™A D™AC™A
10 [전략] 좌변을 인수분해하고 식을 정리한다.
따라서 빗변의 길이가 C인 직각삼각형이다. U
좌변의 분모, 분자를 각각 인수분해하면
단계 채점 기준 배점
B C
B™ABC C™A
B C
G B
임을 알기 20% 
B D
B™ABD D™A
B D
G B
의 좌변을 인수분해하고 B, C, D의 관계식 구
50%
하기 B™ABC C™A
어떤 삼각형인지 보이기 30%
B C , B D 이므로 
B™ABD D™A
빗변의 길이가 C인 직각삼각형 B™ABC C™AB™ABD D™A
C™AD™ABC BD
07 [전략] YšA ZšA [šA이 주어지면 다음 공식을 생각한다.  CD
B C D
CD

YšA ZšA [šAYZ[ Y Z [
Y™A Z™A [™AYZZ[[Y
CD
C DB

Y Z [, Y™A Z™A [™A이므로 C D이므로 C DB
Y Z [
™AY™A Z™A [™A  YZ Z[ [Y
B일 때, C, D
 , 
, , 
, , 
, , 

에서   YZ Z[ [Y
∴ YZ Z[ [Y B일 때, C, D
 , 
, , 

   B일 때, C, D
 , 
, , 

의 양변에 YZ[를 곱하면


Y Z [
따라서 BCD의 최댓값은 B, C, D 또는 B, C,

YZ Z[ [YYZ[ ∴ YZ[ D일 때, 이다. 


03. 인수분해 025


정답 및 풀이

11 [전략] G O
"# 꼴로 인수분해될 때, G O
이 소수이면 B B
가 A이상  이하인 경우를 찾으면
", # 중 하나는 이고 하나는 소수이다. @, @, U, @
G O
 O™A
™A O
™A  따라서 개이다. ④
 O™AO
O™A O
U❶
O이 자연수이고 O™AOO™A O이므로 자연수 B B
의 개수를 구하는 것이므로 B, B를 양의 정수라 생각하고
풀면 된다.
G O
이 소수이면 O™AO이고 O™A O은 소수이다.
O™AO에서 O
O 

14 [전략] G Y
가 인수분해되는지부터 확인한다.
O은 자연수이므로 O
G 
이므로 G Y
를 Y로 나누면
❶에 대입하면 G 
@ ™A @

G Y
 Y
Y™A YL

따라서 G 
는 소수이고 O G O
 ③
따라서 Y™A YL가 Y의 계수와 상수항이 정수인 두 일차식의
곱으로 인수분해되면 된다.
G O
이 소수이면 O™A O이고 ]O™AO]이 소수인 경우도 생
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를 만족하는 자연수 O이 존재하지 않는다. Y™A YL Y B
Y C

Y™A B C
Y BC B, C는 정수

12 [전략] 좌변을 인수분해하면 곱해서 인 자연수를 찾을 수 있다.


이므로 B C, BCL
좌변을 B에 대해 정리하고 인수분해하면 C를 소거하면 B B
L
B™A C D
C™A BD
D™A B C
L는  이하의 자연수이므로
 C D
B™A C™AD™A
BC™ADCD™A @, @, U, @
 C D
B™A C D
CD
BCD C D
따라서 자연수 L는 개이다. 
 C D
\B™A CD
BCD^
 C D
B C
BD
U 13번과 마찬가지로 자연수 LB B
의 개수를 구하는 것이므로 B, B
C D, B C, BD의 곱이 이고 C D, B C가 자연수이므로 을 양의 정수라 생각하고 풀면 된다.

BD도 자연수이다.
15 [전략] O›A O™A을 O
O
O™AO 로 나눈 나머지를
또 @@이므로 C D, B C, BD의 값은 생각한다.
, ,  또는 , ,  또는 , ,  또는 , , 
G O
O›A O™A이라 하면
또는 , , 
G O
 O™A
O™A 

중 하나씩이다.
 O
O 
O™A 

이때 B CBD이고 BD
C D
B C이므로 가능한
 O
OšA O™A O 

경우는 다음 표와 같다.
 O
\ O
O™A O 
^ U❶
BD B C C D  O
O
O™A O 
 O

Œ    따라서 G O
이 O
O
의 배수이면  O

    U O
O
의 배수이다.
각 경우 가능한 자연수 B, C, D를 찾으면 곧, 이 O의 배수이므로 O는 의 약수이다.
ΠB, C, D
 , , 
, , , 
, , , 
, , , 
따라서 O이 최대일 때
 B, C, D
 , , 
O ∴ O 
따라서 개이다. U
❶에서 OšA O™A O 을 O로 나누면 몫이 O™A O , 나머지가 임
단계 채점 기준 배점 을 이용하였다.
주어진 식의 좌변 인수분해하기 30%
@@임을 이용하여 가능한 BD, B C,
C D의 값을 표로 나타내기
40% 16 [전략] G B
BšA인 실수 B가 과 뿐이므로

순서쌍 B, C, D
의 개수 구하기 30% G Y
YšA의 인수는 Y과 Y뿐이다.
G Y
가 삼차식이고 나
에서 G B
BšA인 실수 B가 과 뿐이

므로 G Y
YšA의 인수는 Y과 Y뿐이다.
13 [전략] 상수항이 이므로 BY 
CY
꼴로 인수분해된다. 가
에서 G Y
YšA은 삼차식이므로 다음 둘 중 하나이다.
각 다항식은 상수항이 이므로 G Y
YšAQ Y
™A Y

BY 
CY
B, C는 정수
G Y
YšAQ Y
Y
™A U
꼴로 인수분해된다. Œ 다
에서 G 
이므로 šAQ, Q
전개하면 BCY™A B C
Y ∴ G Y
YšA Y
™A Y

Y의 계수가 이므로 B C ∴ CB 이는 가


를 만족하므로
Y™A의 계수는 BCB B
G 
@@

026 I. 다항식
 다
에서 G 
이므로 šAQ, Q 01 [전략] 세제곱 꼴에 착안하여 다음을 이용한다.
∴ G Y
YšA  Y
Y
™A  BšA CšA B C
B™ABC C™A

BšACšA BC
B™A BC C™A

이는 가
에 모순이다.
Œ, 에서 G 
  Y Z[B, Z [YC, [ YZD라 하면
B C DY Z [
17 [전략] G Y
가 YB
YC
로 나누어떨어지면 G B
, G C

∴ 좌변
 B C D
šABšACšADšA
G Y
YšAC™AY DšA이라 하자. \ B C D
šABšA^ CšA DšA

G Y
가 YB
YC
로 나누어떨어지므로  B C DB
\ B C D
™A B C D
B B™A^
G B
, G C
이다.  C D
C™ACD D™A

G B
이므로 BšAC™AB DšA U❶  C D
B™A C™A D™A BC CD DB

G C
이므로 CšACšA DšA U❷  C D
C™ACD D™A

❷에서 CšADšA, CD


C™A CD D™A
  C D
B™A BC CD DB

C, D는 양수이므로 CD  C D
B C
B D

❶에 대입하면 BšAC™AB CšA U❸ @[@Z@YYZ[


H Y
YšAC™AY CšA이라 하면 H C
이므로 ∴ YZ[, YZ[
H Y
 YC
Y™A CYC™A
 YC
™A Y C
이때 Y, Z, [는 서로 다른 자연수이므로 세 수는 , , 이고,
곧, ❸은 BC
™A B C
 Y Z [ ⑤
B, C는 양수이므로 BC 1
또 CD이므로 BCD 다음과 같이 치환하여 풀 수도 있다.
따라서 한 변의 길이가 인 정삼각형이므로 넓이는 Y ZB, YZC라 하면
 좌변
 B [
šA B[
šA [C
šA [ C
šA 
@™A ①

[B™A[C™A[ B C
BC

18 [전략] G B
G C
G D
임을 이용한다. [@Y@ZYZ[
BCD라 하자. ∴ YZ[, YZ[
G B
G C
G D
이므로 2

G Y
은 YB, YC, YD로 나누어떨어진다. BšA CšA B C
šABC B C

G Y
는 YšA의 계수가 인 삼차식이므로 BšACšA BC
šA BC BC

G Y
 YB
YC
YD
U 를 이용할 수도 있다.
우변을 전개하면 Y Z [B, Y Z[C, Z [YD, [ YZE라 하면
YšAY™A QY 좌변
 BC
šA BC BC
\ D E
šADE D E
^
YšA B C D
Y™A BC CD DB
YBCD BC[, D E[이므로
계수를 비교하면 좌변
 [
šA BC@[ [
šA DE@[
B C D, BCD [ BC DE

B, C, D가 자연수이므로 이때 BC DE Y Z
™A[™A [™A YZ
™AYZ이므로
B, C, D ∵ BCD
U 좌변
YZ[ ∴ YZ[, YZ[
∴ QBC CD DB   U
02 [전략] Y™A Z™A [™A
YšA ZšA [šA
을 생각한다.
단계 채점 기준 배점 이때 주어진 조건을 활용할 수 있는 꼴로 전개한다.
G Y
 YB
YC
YD
임을 알기 50%
에서 구한 식의 우변을 전개하고 계수를 비교하여 Y Z [
™AY™A Z™A [™A  YZ Z[ [Y
에서
20%
B, C, D의 값 구하기 ™A  YZ Z[ [Y
∴ YZ Z[ [Y U
Q의 값 구하기 30%
또 YšA ZšA [šAYZ[ Y Z [
Y™A Z™A [™AYZZ[[Y

 에서 YšA ZšA [šA 


@ 
 U
∴ YœA ZœA [œA
 Y™A Z™A [™A
YšA ZšA [šA

\Y™AZ™A Y Z
Z™A[™A Z [
[™AY™A [ Y
^

step
 Y™A Z™A [™A
YšA ZšA [šA

최상위 문제 29~30쪽
\Y™AZ™A [
Z™A[™A Y
[™AY™A Z
^
01 ⑤ 02  03 ⑤ 04 ③ 05 ②  Y™A Z™A [™A
YšA ZšA [šA

06 ④ 07 B, C 08 ⑴ A ⑵ Y
 Y™AZ™A Z™A[™A [™AY™A
YZ[ YZ Z[ [Y

03. 인수분해 027


정답 및 풀이

 Y™A Z™A [™A


YšA ZšA [šA
L™A O
L O
\ YZ Z[ [Y
™AYZ[ Y Z [
^ L
LO 

YZ[ YZ Z[ [Y
L이므로 OL  ∴ G L
L 
@\™A@ 
@^@ U ∴ G 
G 
G 
G 
G 

단계 채점 기준 배점      ③
YZ Z[ [Y 의 값 구하기 20%
YšA ZšA [šA 의 값 구하기 30% 1 Y
의 계수가 대칭이므로 다음과 같이 풀 수도 있다.
YœA ZœA [œA 의 값 구하기 50%
1 Y
Y›A O
YšA OY™A O
Y 
  
Y™A<[Y™A ] O
[Y ] O=
Y™A Y
03
O
[전략] G Y
BOY U BO 
이라 하고  
Y™A<[Y ]™A O
[Y ] O=
조건식에서 최고차항을 비교하여 O부터 구한다. Y Y
G Y™A
 Y›AY™A 
G Y
Y™A U❶  
Y™A[Y ][Y O]
O Y Y
ㄱ. G Y
BOY U BO 
이라 하면 ❶에서
 Y™A Y 
\Y™A O
Y ^
좌변의 최고차항은 BOYO
이고 1 Y
가 Y™A LY  L 
을 인수로 가지므로
우변의 최고차항은 Y@BOYOBOYO 
LO, OL  ∴ G L
L 
OO 이므로 O
∴ G 
G 
G 
G 
G 

곧, G Y
는 사차식이다. 참

    
ㄴ. ❶의 Y에 Y를 대입하면
G Y
 YY 
G Y
Y
05 [전략] YšA ZšA LYZ 을 Y에 대한 다항식으로 생각할 때,
❶과 비교하면 G Y
G Y

ZšA 이 인수분해됨을 이용한다.
ㄷ. G Y
BY CY DY EY F라 하면
G Y
YšA ZšA LYZ 이라 하면
G Y
BYCY DYEY F
G Y
YšA LZY ZšA 
G Y
G Y
이므로
YšA LZY Z 
Z™AZ 

CC, EE ∴ CE


따라서 G Y
의 Y, Z에 대한 일차식 인수는
G Y
BY DY F를 ❶에 대입하면
YB Z 
B는 정수

좌변
BY DY F
꼴이고, G B Z 

이므로
우변
BY DB
Y BD F
Y
BšA Z 
šA BLZ Z 
ZšA 
DF
Y F
BšA 
ZšA BšA BL
Z™A B B™A L
Z BšA 
양변의 계수를 비교하면
Z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B, L ②
DB, DBD F
DF, FF
일차식 인수를 Y QZ RA Q, R는 정수
라 하면
연립하여 풀면 F, D, B
YšA ZšA LYZ 
∴ G Y
Y Y  Y 
Y
 Y QZ R
Y™A BZ™A CYZ DY EZ F

 Y Y 
YY 


곧, G Y
는 Y Y 를 인수로 가진다. 참
ZšA의 계수는 BQ, B
Q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⑤ YšA ZšA LYZ 

 Y QZ R
[Y™A Z™A CYZ DY EZ F]
G Y
가 다항식일 때 Q
. G Y
G Y
이면 ⇨ G Y
B CY DY U 꼴 Y™AZ의 계수는 C Q
. G Y
G Y
이면 ⇨ G Y
BY CY DY U 꼴

YZ™A의 계수는  CQ
Q
04 [전략] 1 Y
를 Y™A LY 로 나눈 몫을 생각한다.

CQ를 대입하면  Q™A, QšA
1 Y
를 Y™A LY 로 나눈 몫은 Y™A BY C 꼴이므로 Q
1 Y
 Y™A LY 
Y™A BY C
Q
Q™A Q 

1 Y
의 상수항은 이므로 C Q는 정수이므로 Q, B, C
YšA의 계수를 생각하면 OB L U❶ YšA ZšA LYZ 
Y™A의 계수를 생각하면 O BL U❷  Y Z R
Y™A Z™AYZ DY EZ F

❶에서 BOL을 ❷에 대입하면 Y™A의 계수는 D R, Z™A의 계수는 E R


O L OL
Y의 계수는 F DR, Z의 계수는 F ER

028 I. 다항식
상수항은 FR 이때 Y™A BY C도 Y으로 나누어떨어지므로
DR이므로 FR™A  B C ∴ CB
FR이므로 Y™A BY CY™A BYB
  Y
Y 
B Y

 R™A, RšA, R


R™A R 

R  Y
Y  B

R는 정수이므로 R, DE, F ∴ YŠA\YšA B


Y™A CB
YC^
따라서 YZ의 계수는 LD ER YŠA Y
™A Y  B

 Y
™A YO  YŠA BYŠA
U❷
06 [전략] 주어진 다항식을 I Y
YO  YŠA BYŠA이라 하면 ❶, ❷에서
Y™A BY C
Y™A DY E
B, C, D, E는 정수

I 
O 
로 놓고, 양변의 계수와 상수항을 비교한다.
I Y
에 Y을 대입하면
G Y
Y›A LY™A 이라 하자.
O  @ŠA B@ŠAO 
G Y
는 두 이차식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으므로
∴ B, CB B, C
Y›A LY™A  Y™A BY C
Y™A DY E

라 하자.
YšA의 계수를 생각하면 B D ∴ DB 08 [전략] ⑴ YšA Y
Y™A Y 
임을 이용하여 G Y
를 정리한다.
⑵ Y 
Y™AY 
YšA 임을 이용하여 2 Y
를 정리한다.
Y의 계수를 생각하면 BE CD
⑴ Y˜A˜A Y˜A A 
DB를 대입하면
 Y˜A˜A Y˜A A YŸA
YŸA  
B EC
∴ B 또는 CE
 Y˜A˜A Y˜A A YŸA
 YŸA

Œ B일 때 Y›A LY™A  Y™A C
Y™A E

YŸA Y™A Y 
 YšA
YA YšA 

CE, C EL
 Y™A Y 
YŸA Y™A Y 
Y
YA YšA 

C, E는 정수이므로
 Y™A Y 
\YŸA Y
YA YšA 
^ 
L ,  ,  , , , 
따라서 나머지 3 Y
이다. U
L는 자연수이므로 L, , 
⑵ 2 Y
YŸA Y
YA YšA 

 CE일 때 Y›A LY™A  Y™A BY C


Y™ABY C

YŸAYžA YAY›A YšAY  U


우변
 Y™A C
™A BY
™AY›A CB™A
Y™A C™A
Y 
Y™AY 
YšA 이고,
C™A이고 C는 정수이므로 C†
2 Y
YA YšA 
Y›A YšA 
YšA 
Y
LCB™A이므로 LB™A 또는 LB™A 
곧, YA YšA 
Y›A YšA 
YšA 
은 Y™AY 로 나누
L는 자연수이므로 LB™A이고,
어떨어지므로 2 Y
를 Y™AY 로 나눈 나머지는 Y이다.
B™A 또는 B™A 또는 B™A
U
∴ L, , 
Œ, 에 의하여 자연수 L는 개이다. ④ 단계 채점 기준 배점
G Y
 Y™A Y 
2 Y
3 Y
꼴로 변형하여
40%
3 Y
구하기
"Y›A #Y™A $ 꼴의 사차식이 계수와 상수항이 정수인 두 개 이상의 다항식 에서 구한 2 Y
의 식 전개하기 20%
의 곱으로 인수분해되는 경우는 일차식
@ 삼차식
, 이차식
@ 이차식
, Y 
Y™AY 
YšA 임을 이용하여 2 Y

40%
일차식
@ 일차식
@ 이차식
, 일차식
@ 일차식
@ 일차식
@ 일차식
Y™AY 로 나눈 나머지 구하기
등 여러 가지 경우가 있지만, 적당히 묶으면 항상 이차식 두 개의 곱으로 표현 ⑴  ⑵ Y
할 수 있으므로 이차식 두 개의 곱으로 표현되는 경우만 생각하면 된다.

07
 O  
[전략] 주어진 다항식을 Y
2 Y
 Y
으로 놓고,
이 식이 Y
™A으로 나누어떨어짐을 이용한다.

G Y
YŠA\YšA B
Y™A CB
YC^,
H Y
YšA B
Y™A CB
YC라 하자.
G Y
를 Y
šA으로 나눈 몫을 2 Y
라 하면 나머지가
O  Y
™A이므로
G Y
 Y
šA2 Y
O  Y
™A 
 Y
™A\ Y
2 Y
O ^ U❶
곧, H Y
는 Y
™A을 인수로 가진다.
H 
이므로 H Y
를 Y으로 나누면
YšA B
Y™A CB
YC Y
Y™A BY C

03. 인수분해 029


정답 및 풀이

04 [전략] Y, Z가 실수이므로 다음 꼴로 정리한다.


B CJD EJ B, C, D, E는 실수

II . 방정식과 부등식
주어진 식의 양변에 J
 J
를 곱하고 정리하면
Y  J
Z J
 J

Y Z
YZ
JJ
Y, Z가 실수이므로 Y Z, YZ
연립하여 풀면 Y, Z
∴ Y Z ⑤
04. 복소수와 이차방정식 05 [전략] [B CJ로 놓고 다음 꼴로 정리한다.
B CJD EJ B, C, D, E는 실수

step 기본 문제 33~35쪽 [B CJ B, C는 실수


라 하면 [BCJ
q
01  02 ② 03 ② 04 ⑤ 05  J  J
[ [q에 대입하면
  J
B CJ
 BCJ

06 Q, R  07 ② 08 ② 09 ③
B B C
J CJ ™A BCJ
10 ⑤ 11  12 ④
BC
BC
J
13 ⑴ J ⑵  J 14 ⑤ 15 
16 ⑤ 17 ③ 18 ③ 19 ④ B, C는 실수이므로 BC, BC
20 Y 또는 Y 21 ③ 22 ① 23  연립하여 풀면 B, C ∴ [ J  J
24 ②
06 [전략] G Y
 Y™A 
2 Y
로 나타낼 수 있다.
항등식은 Y에 복소수를 대입해도 성립한다.
01 [전략] [B CJ B, C는 실수
⇨ [BCJ
q
G Y
를 Y™A 로 나눈 몫을 2 Y
라 하면
[™A [q ™A  J
™A J
™A  YœA QYšA RY™A  Y™A 
2 Y
U❶
 ™A J J ™A
™AJ J ™A
YJ를 대입하면
   JQJR ,  Q
JR 
 
Q, R는 실수이므로 Q, R Q, R
[ [  J
J
,
q  
[[  J
J
™
q A 이므로
[™A [q™A [ [q
™A[[q™A@ ❶에 YJ를 대입하면
J QJR ,  Q
JR 
02 [전략] [B CJ 꼴 ⇨ [B
™AC™A ∴ Q, R


이 식을 이용하여 [™A, [šA을 [에 대한 일차식으로 나타낸다.
따라서 YJ를 대입해도 된다.
 J  J
 J

[  07 [전략] B일 때 uBBJ로 고쳐 계산한다.


J ™AJ ™A
 J  J
  J 좌변
[@J ][J@J ]
 
 J 
에서 [ J  J
[J ][ ]

 J 
양변을 제곱하면 [™A [  ∴ [™A[
양변에 [를 곱하면 J J
[J ][ ]
 
[šA[™A[ [
[[ 
J J
∴ [šA [™A [  [ 
 [
[   [ ]
 
[   J


 J ② J


03 [전략] B CJD EJ B, C, D, E는 실수
⇨ BD, CE 
이므로 B , C

Y J
Z J
YZ Y Z
J J ™A YZ
Y Z
J
C 
 J
™A J J ™AJ,  J
›A J
™A ∴ @[ ] ②
B 
따라서 주어진 식은 YZ
Y Z
J
Y, Z가 실수이므로 B, C일 때 BCuBC
YZ, Y Z B B
B, C일 때 |
YZ, Y Z uC C
∴ Y™A Z™A Y Z
™AYZ ② 임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풀 수도 있다.

030 II. 방정식과 부등식


  절대등급 Note
좌변
[u|Š ][u |Š ]
 
J  J
ŠA이 양의 실수이려면  J
ŠA이 BJ B
꼴이어야 한다.
J J
[J ][ ]
 
J J 12 [전략] [를 간단히 한 다음 B„, Bm, Bf, Be, U를 계산하여 반복되는 규칙을
 @[ ] 찾는다.
 
J J
™A J J ™A
 [   J이므로
J  J  J
J
J ™A

 J
B„J J J J
08 [전략] B, C가 이 아닌 실수일 때 J J@J
BCuBC ⇨ B, C  
Bm J
™A  
B B J
™A 
| ⇨ B, C
C C   J
Bf J
šA J J JJ
J
šA J J@J
u[ [
| 이므로 [, Z  
uZ Z Be J
›A  
J
›A 
uYuZuYZ이고 Z이므로 Y
J
›A이므로 BsB„, BgBm, U
이때 YZ, Z[, YZ [
∴ B„ Bm Bf U B~~ 
∴ ]YZ] ]Z[]ā YZ [
™A 
 B„ Bm Bf Be
U B~f B~e B~s B~g

YZ Z[
 YZ [
Z ②
B~i B~h B~~
B„ Bm Bf ④
YZuYZ만으로는 Y, Z의 부호를 알 수 없다.
이 문제에서는 Z이므로 Y이다.
이 문제와 같이 반복되는 꼴은 규칙이 보일 때까지 처음부터 나열한다.
D EJ
09 [전략] B CJ 꼴의 복소수는 분모, 분자에 BCJ를 곱하여
13 [전략] 계수가 변한다. 이런 경우 몇 항의 합의 규칙을 찾는다.
분모를 실수로 정리한다.
 J  J
™A  J J ™A
J[ J B CJ
C BJ [   J
  J J
 J
J ™A
[ B CJ B
CJ
이므로 [™A, [šAJ, [›A, [œA[, U
C BJ
BCJ

 ⑴ [ [™A [šA [›AJJ J


B
™A C™A
에서 분자
C B
\B B
C™A^JBCJ ™A  [œA [A [žA [dAJJ J
C B™A C™AB
J ⋮
J[ [ŸAžA [ŸAdA [ŸAŸA [˜A A AJJ 
가 실수이므로 분자의 허수부분이 이다.
[ J
∴ B™A C™AB ③ ∴ [ [™A [šA U [˜A A A J
@
J
10 [전략] [B CJ B, C는 실수
에 대하여
[™A 이 음의 실수 ⇨ [는 순허수 ⇨ B, C         
⑵ 
[™A 이 양의 실수 ⇨ [는 실수 ⇨ B , C [ [™A [šA [›A J J ™A J šA J ›A

주어진 식의 우변을 정리하면 J J  J

[ Y™AY
Y™A Y 
J        

[œA [A [žA [dA J œA J A J žA JdA
[™A이 음의 실수이면 [는 순허수이므로
J J  J
Y™AY, Y™A Y  

Y 
Y
, Y 
Y 

       
∴ Y ⑤ 
[˜AŸAžA [˜AŸAdA [˜AŸAŸA [™A A A J ˜AŸAžA J ˜AŸAdA J ˜AŸAŸA J ™A A A
J J 
11 [전략]  J
™A,  J
šA, U을 차례로 구한다.
 J
 J
™A J J ™AJ
   
 J
šA  J
™A  J
J  J
J ∴ U   J
@ J
[ [™A [šA [™A A A
 J
›A  J
™A  J
™A J
™A ⑴ J ⑵  J
 J
œA  J
›A  J
  J
J
14
L 
 J
A  J
›A  J
™A@JJ [전략] J J ™A J šA J ›A, J ³AJ 을 이용한다.

따라서 J  J
AJ J
로 양의 실수이고, 이때 O의 최솟 ㄱ. [„J J ™AJ, [fJ šA J ›AJ , [fq J
값은 이다.  이므로 거짓이다.

04. 복소수와 이차방정식 031


정답 및 풀이

ㄴ. J ›A, J ›AŠA J ›A
ŠA O은 자연수
이고 이므로 [„[m이면
L L  L
 L 
[LJ J J J J J J  B™A C™A ∴ B이고 C
L L  L L
[LJ J J J J J, [L“J [m이므로 참이다.
이므로 참이다. ㄷ. [„q[mq ,q 곧 [m[„qBCJ이므로
ㄷ. [„ [fJ J ™A J šA J ›A [„™A [m™A B CJ
™A BCJ
™A 
[m [eJ ™A J šA J ›A J œAJ J J ™A J šA J ›A
  B™A BCJ C™AJ ™A
B™ABCJ C™AJ ™A

이므로  B™AC™A

[„ [m [f [e 곧, B †C이면 [„™A [m™A 이므로 거짓이다.


[s [g [i [hJ ›A [„ [m [f [e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이다. ③

ㄴ. [„ [m이면
q [m[„,
q [m[„이므로
q
[~f [~e [~s [~g
[„[m[„ [„
[„[„
q q
∴ [„ [m U [~i [~h [~~  B CJ
BCJ
 B™A C™A

[~i [~h [~~[„ [m [f[m


그런데 [gJ ›A[m[m이므로 참이다. 18 [전략] [B CJ B, C는 실수
라 하고 조건을 정리한다.

따라서 옳은 것은 ㄴ, ㄷ이다. ⑤ [B CJ B, C는 실수, C 


이라 하자.
ㄱ. [[q B CJ
 BCJ
CJ이므로 순허수이고 참이다.
ㄷ. [„ [m [f [e J
J
J 
 J
과 같이 ㄴ. =가 [q 또는 이면 [=는 실수이므로 거짓이다.
계산해도 된다.  
ㄷ. [  B CJ

[ B CJ
15 [전략] =• >•, =•>•의 값이 주어져 있으므로 =•>•
™A의 값부터 생각한다. BCJ
B CJ
=>
™A“ =•>•
™A=•™A=•>• >•™A  B™A C™A
 =• >•
™A=•>• J
™A  J
B C
B [C ]J
B™A C™A B™A C™A
J J ™AJJ
가 실수이면
이므로 =>
™AJ이고, 허수부분은 이다. 
C 
C , C[ ]
절대등급 Note B™A C™A B™A C™A
. 다음 켤레복소수의 성질을 이용하였다. C 이므로 B™A C™A
> “ >q 이때 [[q B CJ
BCJ
B™A C™A 참

=• “=, =†>“=•†>•, =>“=•>•, [ ]


= =q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③
. = >=• >•“  J, =>=•>•
“ J이므로
=>
™A = >
™A=>를 계산해도 된다.
ㄴ. =Y ZJ Y, Z는 실수
라 하면
[= B CJ
Y ZJ
 BYCZ
CY BZ
J
16 [전략] 두 식은 =, >가 바뀐 꼴이므로 변변 더하거나 빼서 정리한다. [=가 실수이면 CY BZ, Z
CY
B
  =™A>J U ❶, >™A=J U❷ CY
따라서 =Y J이면 [=는 실수이다.
B
❶❷를 하면 =™A>>™A =

= >
=>
=>
 ㄷ. [ 이 실수이면
[
   
= > 
=>
 [ [[ ]“, [ [
q [
[ [ [ q
= >이므로 = >   [[
[[ q
q [  [ , [[
q [[q

❶ ❷를 하면 =™A> >™A=J q

=™A >™A=>J [[q
[ ]
[[q
∴ =™A >™AJ = >J ⑤ [가 실수가 아니면 [[q 이므로

  ∴ [[q
[[q
17 [전략] [„B CJ B, C는 실수
라 하고 [m부터 구한다.

[„B CJ B, C는 실수
라 하자. C
19 [전략] BYC에서 B 이면 Y B
ㄱ. [mB CJ이므로 B, C이면 해가 무수히 많다.
[„ [m B CJ
BCJ
B
q B, C 이면 해가 없다.

B는 실수이므로 참이다. B


™AYB Y에서
ㄴ. [„ [m에서
q B™AB 
YB Y
[mq[„BCJ, [mB CJ B™AB 
YB
이때 [„[m B CJ
B CJ
B™A C™AJ ™AB™AC™A ∴ B
B
YB

032 II. 방정식과 부등식


ㄱ. B이면 @Y이므로 해가 없다. 참
24 [전략] 양변에 J 를 곱해 Y™A의 계수를 실수로 고친 다음 좌변이
ㄴ. B이면 @Y이므로 해가 무수히 많다. 참
Y J
YQ
꼴로 인수분해됨을 이용한다.

ㄷ. B이면 Y에서 Y 주어진 방정식의 양변에 J를 곱하면


곧, 해가 한 개이다. 참
  J ™A
Y™A J
BY J
 J

   Y™A J
BY J

ㄹ. B이면 Y에서 Y
  J가 근이고 Y™A의 계수가 이므로 나머지 한 근을 Q라 하면
곧, 해가 한 개이다. 거짓
  Y™A J
BY J
 Y J
YQ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④ 라 할 수 있다. 우변을 전개하면


  Y™A  JQ
YQ J


B , B 이면 Y 이므로 해가 한 개이다. 좌변과 계수를 비교하면
B
  J
B JQ
, JQ J

20 [전략] 다음을 이용하여 Y의 범위를 나누어 절댓값 기호를 없앤다.


J J  J

B By
  ∴ Q, B  J 
]B]< J ™AJ ™A
B B

∴ Q BJ ②
Œ Y일 때
 Y
 Y
 ∴ Y 주어진 방정식의 양변에 J를 곱하면
 ƒY일 때 J ™A
Y™A J
BY J
 J

Y Y
, @Y Y™A J
BY J

따라서 해는 없다. 한 근이  J이므로 대입하면
Ž Yy일 때   J
™A J
 J
B J

Y Y ∴ Y J  J
B J

Œ, , Ž에서 Y 또는 Y Y 또는 Y  J   J
J

∴ B 
 J 
™A J
™A
21 [전략] Y의 범위를 나누어 절댓값 기호를 없앤다.  J

 J
Œ Y일 때 Y™A Y
 
Y™AY, Y 
Y
 주어진 방정식은 Y™A J
™AY J
이므로
∴ Y 또는 Y Y™AJY J
, Y™AJY J

Y이므로 Y Y J
Y

 Yy일 때 Y™A  Y
 곧, 나머지 한 근은 
Y™A Y, Y 
Y

. 05단원에서 공부하는 근과 계수의 관계를 이용하여 풀 수도 있다.
∴ Y 또는 Y
나머지 한 근을 >라 하면
Yy이므로 Y J J
 J
> , > ∴ >
Œ, 에서 방정식의 근은 Y 또는 Y  J  J
 J

. 방정식의 좌변이 인수분해된다고 생각하고 다음과 같이 놓고 풀어도 된다.


∴ |=>| ③
 J
Y™A BYJ  J
Y J
YQ

22 [전략] Y이 근이므로 대입하면 L에 관계없이 항상 성립한다.

Y이 근이므로 주어진 이차방정식에 대입하면


 L
B L 
C
L의 값에 관계없이 성립하므로 L에 대해 정리하면
step 실력 문제 36~39쪽
 B 
L B C 

B 이고 B C  01 ⑤ 02  03 ② 04  05 ④
  06 ② 07 ③ 08 ⑤ 09 , 
∴ B , C , B C ①    
  10     J,   J

   
23 [전략] 실근을 =라 하고 대입한 다음

J 꼴로 정리한다. 11 J,   J,    J 12 ④ 13 ①
Y™A J
Y LJ의 실근을 =라 하면 14 ③ 15  16 ② 17 ②
  =™A J
= LJ 18 B, C 19 ① 20 Y† J
  =™A= L
=
J  
21 YJ 22 ① 23 Y 
L, =가 실수이므로 =™A= L, =
24  `
  ∴ =, L 

04. 복소수와 이차방정식 033


정답 및 풀이

01 [전략] Y, Z가 실수이므로 다음 꼴로 정리한다. O  , O O





J

J O은 자연수이므로 O U
주어진 식에서
단계 채점 기준 배점
Y™A YJ
 J
Z J [를

J 꼴로 정리하기 30%
Y™A
Y 
JZ J [™A 이 양의 실수일 조건 알기 40%
자연수 O의 값 구하기 30%
Y, Z가 실수이므로
Y™AZ, Y  
∴ Y, Z, Y Z ⑤
05 [전략] 3„BY C, 3mDY E B, C, D, E는 실수
꼴이다.
G Y˜A™A
, G Y˜A™A
을 각각 나눗셈에 대한 항등식 꼴로 나타낸 다음
02 [전략] [†J에서 [†J
G Y
, G Y
인 Y를 대입한다.
양변을 제곱하여 정리하면 [™A[ 
이를 이용하여 [šA, [™A을 [에 대한 일차식으로 나타낸다. G Y˜A™A
을 G Y
로 나눈 몫을 2„ Y
라 하고,

 J[라 하면 [J 3„BY C B, C는 실수


라 하면

양변을 제곱하면 [™A[  G Y˜A™A


G Y
2„ Y
BY C U❶

∴ [™A[ G Y
의 해를 T라 하면 T™A T 

양변에 [를 곱하면 양변에 T을 곱하면 TšA, T˜A™A TšA


›A

[šA[™A[ [
[[ ❶에 YT를 대입하면 G 
BT C

∴ G  J
G [
[šA[™A [  G 
, T는 허수이므로 B, C ∴ 3„

 [
 [
[  G Y˜A™A
을 G Y
로 나눈 몫을 2m Y
라 하고,

[  J
 J 3mDY E D, E는 실수
라 하면

J[라 하면 [J G Y˜A™A


G Y
2m Y
DY E U❷

양변을 제곱하면 [™A[ , [™A[ G Y


Y™AY 이므로 G Y
의 해를 @라 하면

따라서 같은 이유로   @™A@ 

G [
[, G J
 J
J 양변에 @ 을 곱하면 @šA , @˜A™A @šA
›A

∴ G  J
G J
  J
J
❷에 Y@를 대입하면 G 
D@ E

  G 
, @는 허수이므로 D, E ∴ 3m
∴ 3„ 3m ④
03 [전략] [B CJ B, C는 실수
를 조건에 대입하고 B, C의 값을 구한다.

[B CJ B, C는 실수, C


이라 하자. G Y˜A™A
, G Y
의 계수가 실수이므로 몫과 나머지의 계수도 실수이다.

[ [이므로
q 06 [전략] [B CJ B, C는 실수
를 조건에 대입하고 B, C의 값을 구한다.
B CJ
BCJ
, B ∴ B
[B CJ B, C는 실수, C
이라 하자.
이때 [ CJ, [[이므로
q [ J
™A이므로 [ J는 순허수이다.
 CJ
CJ
,  C™A, C™A
그런데 [ J B
C 
J이므로 B
C이므로 C ∴ [ J, [qJ
[ CJ이므로 [[ [ [
q 에
q 대입하면
[ [ [ ™A[™A [ [
[ [

∴ q   q  q q
 CJ
CJ
 CJ
CJ

[ [q [[q [[q
@ J
  C™A , C™A
  J ②
  C이므로 C ∴ [ J
∴ [[  J
 J
J
q ②
[[
™q A [ [
™q A[[이므로
q
[[
™q A™A@ . [™A이 양의 실수 또는 음의 실수일 조건을 기억하고 있어야 한다.
이고, [의 허수부분이 양수이면 [의 q 허수부분이 음수이므로 . [[ [ [ 에서 [ 
[ 
“임을 이용하여 계산해도 된다.
q q
[[
q J
이를 이용하여 계산해도 된다. 07 [전략] [B CJ B, C는 실수
로 놓고 X부터 구한다.

[B CJ B , C 인 실수
라 하자.
04 [전략] [B CJ B, C는 실수
에 대하여
[™A이 음의 실수 ⇨ B, C  [ X의 실수부분이 이므로 XB DJ D 인 실수

[™A이 양의 실수 ⇨ B , C 이때 [X B CJ


B DJ
 B™A CD
B DC
J이고
[ OOJ
™A O
™AO O
JO™A  [X의 허수부분이 이므로 B DC

O O O
J U B 이므로 CD
[™A이 양의 실수이면 [의 실수부분이 이 아니고, [의 허수부분이 ∴ XB CJ
이므로 U ㄱ. [ X B CJ
BCJ
이고
q 참이다.

034 II. 방정식과 부등식


ㄴ. [™A X™A B CJ
™A B CJ
™AB™AC™A 
]B]ƒ]C]이면 [™A X™Aƒ이므로 거짓이다. [[q XXq [Xq [qX에 [B CJ, XD EJ를 대입하고 정리해도 된다.

ㄷ. [X B CJ
B CJ
B™AC™A 
B , C 이므로 [X이고 참이다. 10 [전략] [B CJA B, C는 실수
로 놓고 [™AJ에 대입한다.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③ [B CJ B, C는 실수


라 하고 [™AJ에 대입하면
B CJ
™AJ, B™A BCJ C™AJ™AJ
08 [전략] =B CJ, >D EJ B, C, D, E는 실수
로 놓고 B™AC™A BCJJ
조건에 대입하여 B, C, D, E의 값이나 관계를 구한다.
B, C는 실수이므로
=B CJ, >D EJ B, C, D, E는 실수
라 하자.
B™AC™A U❶
==q이므로
BC U❷
B CJ
BCJ
 ∴ B™A C™A U❶
❶에서 B C
BC
 ∴ B C 또는 BC
>>q이므로
Œ B C일 때 CB를 ❷에 대입하면 B™A
D EJ
DEJ
 ∴ D™A E™A U❷
B는 실수이므로 모순이다.
= >J이므로
 BC일 때 CB를 ❷에 대입하면
B CJ
D EJ
 B D
C E
JJ
 
B, C, D, E는 실수이므로 B™A ∴ BC 또는 BC
 
B D, C E    
Œ, 에서 [  J 또는 [ J
이때 B™AD™A이므로 ❶❷를 하면    
C™AE™A, C E
CE
    
  J, J
C E이므로  CE
 ∴ CE    

❶, ❷에 대입하면 B™A, D™A


=, >는 서로 다른 복소수이므로 B, D라 할 수 있다. 11 [전략] [B CJ B, C는 실수
로 놓고
등식을

J 꼴로 정리한다.
∴ = J, > J,
[B CJ B, C는 실수
라 하면
=>  J
 J
 ⑤
B CJ
™A B CJ
BCJ
BCJ
™A B CJ
J
B™A BCJC™AB™A C™A B™ABCJC™A BJC
= >J이므로 =q >qJ U❸
B™A C™AC
BBC
J U
 
==q, >>q이므로 =q , >q U❹ B, C는 실수이므로 B™A C™AC, B C
 U
= >
❹를 ❸에 대입하면 
B C
에서 B 또는 C

   = >

J, J Œ B일 때 C™AC ∴ C 또는 C


= > =>
= >J이므로 =>    
 C 일 때 B™A ∴ B
또는 B
   
09 [전략] [B CJ, XD EJ B, C, D, E는 자연수
로 놓고  
Œ, 에서 [ 이므로 [J 또는 [† J U
B, C, D, E의 관계를 찾는다.  
[B CJ, XD EJ B, C, D, E는 자연수
라 하면 단계 채점 기준 배점
[[q XXq [Xq [qX [B CJ B, C는 실수
로 놓고 등식을 정리하기 40%
복소수의 상등 이용하기 20%
[ [ X
q
X [
q X
q
 [ X
[
q X
q
q
B, C의 값을 구한 후 복소수 [ 모두 구하기 40%
\ B D
C E
J^\ B D
 C E
J^
   
 B D
™A C E
™A J, J,  J
   
주어진 조건에서 B D
™A C E
™A
B, C, D, E는 자연수이므로
12 [전략] [m, [f, U을 [„에 대한 식으로 나타낸다.
B D, C E 또는 B D, C E
J
또 [[이므로
q B™A C™A [„ 이므로 [m[„™A, [f[„šA, U, [‰[„ŠA
J
∴ B, C 또는 B, C J ™A  
ㄱ. [m[„™A[ ]  J 거짓

Œ B, C일 때 D, E 또는 D, E이고 J J J


q A E™A 또는 
XXD™ ㄴ. [mJ, [g[„A [„™A
šA J
šAJ이므로
 B, C일 때 D, E 또는 D, E이고 [m [gJ J 참

XXqD™A E™A 또는  ㄷ. [„›A [„™A


™A J
™A, [„dA [„›A
™A이므로
Œ, 에서 XXq의 값은 , 이다. ,  [O [„O [„ŠA[„›A[„ŠA 

04. 복소수와 이차방정식 035


정답 및 풀이

[O [„O [„ŠA[„dA[„ŠA    =A =šA


™A, =ŸAJ, =˜A™A U
∴ [‰ [O  [O [„ŠA[„ŠA [„ŠA 참
❶에서 >=™A이므로
따라서 옳은 것은 ㄴ, ㄷ이다. ④   =xAA>ŠA=xAA =™A
ŠA=N O U
따라서 =xAA>ŠAJ이면
13 [전략] [mJ[„, [fJ[mJ A™ [„, U이라 생각하면 [‰을 [„로 나타낼 수 있다.
N O,  ,  @, U
[mJ[„
N Oƒ이므로 N O의 최댓값은 이다. U
[fJ[mJ ™A[„
단계 채점 기준 배점
[eJ[fJ šA[„
=의 거듭제곱을 구하여 규칙 찾기 40%
⋮ =N>O을 =의 거듭제곱으로 나타내기 30%
∴ [~~~J ŸA ŸA dA[„ J ›A
™A›AŸAJ ™A[„[„J ① N O의 최댓값 구하기 30%


[„ J
[mJ[„J  J
 J 16 [전략] [와 [의 관계를 구해야 한다.
[fJ[mJ  J
J
 
[eJ[fJ J
J [ J[q
 
[sJ[eJ J
 J   ™A     
[™A[  J]   J   J
⋮       
곧, [„[s, [m[g, [f[i, …, [‰[O 이므로      
[šA[  J][  J]  
     
[~~~[fJ
[A, [ŸA, U
14 [전략] 분모, 분자의 거듭제곱 규칙이 다른 꼴이다. 그런데 [™A[[이므로
q
 J
™A,  J
šA, U과 J
™A, J
šA, U 
[O [
O[ŠA [
O
을 따로 생각한다.
[O
 J
™A JJ
이 식이 음의 실수이면 O가 의 배수이다.
이므로
L 
 J
˜AšA\  J
™A^A  J
 J
A  J
A  J
∴ OL, O 단, O과 L는 자연수


또 J
™AJ  J
Oƒ이므로 L, O
 , 
, , 
, , 

J
šA  J
J
  
šA 따라서 O의 값의 합은 이다. ②
이므로
J
˜AšA\ J
šA^›A J
[[이므로
q
 šA
›A J
˜A™A J
[O [
O[O[qO [[
q O [qO
이고 [[q가 양수이므로 [q O이 음의 실수인 O을 찾아도 된다.
 J ˜AšA A  J

∴[ ] 
J ˜A™A J

17 [전략] BŠACŠA BC


BŠA‘˜A BŠA‘™AC U BCŠA‘™A CŠA‘˜A
임을 이용한다.
 J
 J

 =˜A A A =ŸAŸA> =ŸAdA>™A U =>ŸAŸA >˜A A A


=>
=˜A A˜A>˜A A˜A
A  

=˜A A˜A>˜A A˜A
  
J ∴ =˜A A A =ŸAŸA> =ŸAdA>™A U =>ŸAŸA >˜A A A
=>

dA   ™A  
=™A[ J] J, >™A[  J]™AJ이므로
      
따라서 Y , Z 이므로
dA dA =˜A A˜A =™A
œA A=J œA A==
   >˜A A˜A >™A
œA A> J
œA A>>
]Y] , ]Z]
dA dA = >
∴ 주어진 식
  ②
 =>
∴ ]Y] ]Z] ③
žA
=>이므로
15 [전략] =, >의 관계부터 구한다.
  =ŸAŸA>=ŸAdA =>
=ŸAdA, =ŸAdA>™A=ŸAA =>
™A=ŸAA, U,
 J ™A  J  J   =œA˜A>›AŸA=™A =>
›AŸA=™A, =œA A>œA A,
  =™A[ ]  U❶
  
  =›AŸA>œA˜A =>
›AŸA>™A>™A, U, =>ŸAŸA =>
>ŸAdA>ŸAdA
 J  J
=šA[ ][ ]  ∴ =˜A A A =ŸAŸA> =ŸAdA>™A U =>ŸAŸA >˜A A A
 
=˜A A A =ŸAdA U =›A =™A  >™A >›A U >ŸAdA >˜A A A
  
J
 J =™AJ, >™AJ이므로


036 II. 방정식과 부등식


  =™A =›A =A =dAJJ  C
20 [전략] BYC에서 B 이면 Y B
  >™A >›A >A >dAJ J  B, C이면 해가 무수히 많다.
  ∴ 주어진 식
=˜A A A =ŸAdA  >ŸAdA >˜A A A  B, C 이면 해가 없다.
=›A =™A  >™A >›A  B BY
 Y 
에서
 J J B™A
YB 
B 
B
YB 
   이 방정식의 해가 없으면
18 [전략] [ [œA] [ [›A] U [ [ [] 을 구하는 문제이다.
[œA [›A
B 
B
이고 B   ∴ B

[™AJ[ 에서 [ J U❶ 이때 이차방정식은 Y™AY 
[
❶의 양변을 제곱하면 근의 공식을 쓰면 Y†u†J Y†J
 
[™A  , [™A  U❷
[™A [™A
21 [전략] 실근 =를 대입하고

J 꼴로 정리한다.
❶의 양변을 세제곱하면
 J
Y™A Q J
Y J의 실근을 =라 하면
  
[šA [[ ]J, [šA J U❸  J
=™A Q J
= J
[šA [ [šA
❷의 양변을 제곱하면 =™AQ= 
=™A=
J U
  Q, =가 실수이므로
[›A  , [›A 
[›A [›A =™AQ=  U❶
❷, ❸에서 =™A= U❷
  ❷에서 = 
=
 ∴ = 또는 =
[[™A ][[šA ]J
[™A [šA
Œ =이면 ❶에서 Q
  
[œA [ J, [œA J  =이면 ❶에서 Q
[ [œA [œA
 이때 Q이므로 Q U
∴  [ [™A U [˜A A

[œA 주어진 방정식은


    J
Y™A  J
Y J
[ [œA] [ [›A] U [ [] 
[œA [›A [
양변에 J를 곱하면
J J J 
J
 J
Y™A J
 J
Y J
J

 J
Y™A J
Y J
∴ B, C B, C
Y™A J
Y  J

Y
Y J

19
  
[전략] Y Y  Y Y 
2 Y
BY C로 놓고
∴ Y 또는 YJ
YY 의 해를 대입하여 B, C의 값을 구한다.
따라서 다른 한 근은 YJ U
Y Y을 YY 로 나눈 몫을 2 Y
, 3 Y
를 BY C라
하면 단계 채점 기준 배점
  
실근을 =라 하고, 주어진 이차방정식에 대입하여
Y Y  Y Y 
2 Y
BY C U❶ 30%


J 꼴로 정리하기
 복소수의 상등을 이용하여 =, Q의 값 구하기
Y Y 의 양변에 Y 를 곱하면 30%
 주어진 이차방정식을 풀어 다른 한 근 구하기 40%
Y 

Y Y 의 한 허근을 =라 하면 YJ

= 
❶에 Y=를 대입하면 = =B= C U❷
22 [전략] =™AQ= 을 이용하여 =šA 을 =에 대한 식으로 정리한다.
     
=  이므로 =  =
= =
주어진 식에 Y=를 대입하면
❷에 대입하면 =B= C
  =™AQ=  ∴ =™AQ= U❶
BY C는 계수가 실수인 다항식을 계수가 실수인 다항식으로 나
양변에 =를 곱하면 =šAQ=™A=
눈 나머지이므로 B, C는 실수이다.
❶을 대입하면
=는 허수이므로 B, C
  =šAQ Q=
= Q™A
=Q
∴ 3 
C ①
=šA, Q가 실수, =가 허수이므로
Q™A ∴ Q†
. ❶ 꼴의 항등식은 Y에 복소수를 대입해도 성립한다.
. 계수가 실수인 다항식을 계수가 실수인 다항식으로 나누면 몫과 나머지의 이때 방정식은 Y™A†Y 이므로 허근을 가진다.
계수는 실수이다. 따라서 Q의 값의 곱은 이다. ①

04. 복소수와 이차방정식 037


정답 및 풀이

23 [전략] Y™A이므로 01 [전략] =가 실수이면 ==•


Y™A, ƒY™A, ƒY™A [
Œ 가 실수이므로
로 나누면 <Y™A>을 간단히 할 수 있다.  [™A
Œ Y일 때 [ [ [ [q
[ ]“, 
<Y™A>이므로 Y™AY  [™A  [™A  [™A  [q ™A
Y Y
 ∴ Y 또는 Y 양변에  [™A
 [q ™A
을 곱하면
Y이므로 해가 없다. q A [,q [[q
[[q [q[

[ [[q ™A[ [™
∴ [[
[[
q 

q
 ƒY일 때
[[q
<Y™A>이므로 Y™AY 가 음수이면 [[ 이므로
q [[
q U❶ U
J
†
Y™AY ∴ Y [™A
  이 실수이므로
 [
 
ƒY이므로 Y [™A [™A “ [™A [ ™A
 [ ],  q
 [  [  [  [q
Ž ƒY일 때
<Y™A>이므로 Y™AY 양변에  [
 [q
를 곱하면
Y 
Y
 ∴ Y 또는 Y [™A [™A [q [q ™A [[q ™A, [ [
[[
q
[[
q [[
q

q
ƒY이므로 해가 없다. ∴ [[
[ [
q [[
q

q
[[q 이므로 [ [q [[q
   
Œ, , Ž에서 해는 Y Y ❶을 대입하면 [ [ U❷ U
  q
[B CJ B, C는 실수
라 하면
24 [전략] +$“Y, $*“Z로 놓고

직사각형 &*$+의 둘레의 길이와 넓이를 각각 Y, Z로 나타낸다. ❷에서 B CJ
BCJ
 ∴ B

+$“Y, $*“Z라 하자. H G  
❶에서 [ CJ][ CJ]
D xC  
직사각형 &*$+의 둘레의 길이가 J
y  
이므로 6Â5 C™A ∴ C†
I  
E F
 Y Z
 a
A
[[q CJ [[q
B
K  C이고 가 음수이므로 C
∴ Y Z
a J J J

직사각형 &*$+의 넓이가 이므로  


∴ [  J U
 
YZ
단계 채점 기준 배점
"(“ 이고 ",“BY, (,“BZ이므로 [
가 실수일 조건 찾기 40%
직각삼각형 ",(에서  [™A
[™A 40%
BY
 BZ
 
 이 실수일 조건 찾기
 [
[[•
B Y Z
B Y Z J
가 음수인 복소수 [ 구하기 20%
   
Y Z  Y Z
YZ @이므로
 
B™AB   J
 
B이므로 B `  `

02 [전략] T
™A, TšA, U을 차례로 구한 다음
Y Z [, YZ[ 등을 이용할 수 있는지 확인한다.
 J ™A J J ™A J
  T™A[ ] 
  
 J J J ™A
  TšATT™A @  
  
 J
T 에서 T J

양변을 제곱하면 T™A T  ∴ T™A T 
이때 YšA ZšA [šAYZ[
step 최상위 문제 40쪽
 Y Z [
Y™A Z™A [™AYZZ[[Y

  이고 Y Z [= T™A T 
> T™A T 

01     J 02 ③ 03 ② 04 A
이므로 YšA ZšA [šAYZ[

038 II. 방정식과 부등식


∴ YšA ZšA [šAYZ[ 04 [전략] <Y>는 정수이다.
 =>
=T>T™A
=T™A>T
Y<Y> <Y™A> <Y>에서 <Y™A> <Y>가 정수이므로
 =>
=™ATšA=>T™A=>T›A >™ATšA
Y<Y> 도 정수이다.
T™A T, TšA, T›ATšATT이므로 따라서 Y<Y>가 정수이다.
=>T™A =>T›A=>T™A =>T  YO = O은 정수, ƒ=
이라 하면
=> T™A T
=>   <Y>O, Y<Y>O™A =O
∴ YšA ZšA [šA =>
=™A => >™A
이때 Y<Y>가 정수이므로 =O은 정수이다.
 =šA>šA
③ 또 Y™A O =
™AO™A =O =™A에서 =O은 정수, ƒ=™A이
므로<Y™A>O™A =O
03 [전략]  J=,  J>라 하면 >=q이므로 =>가 실수이다.
Y<Y> <Y™A> <Y>에 대입하면
 J
ŠAxAA  J
의 양변에  J를 곱하면 O
O™A =O O™A =O O ∴ =
 J
O xAA  J
 J
O
xAA 
N  ƒ=이므로 ƒ
O

O
또  J=라 하면
O은 양수이므로 ƒOO
  =™A  J
™A J  J

ƒO에서 Oƒ U❶
  =šA  J
 J
JšAJ

  =AA, =˜A™A˜A™A OO에서 O U❷

  =˜AdA˜AdA U ❶, ❷를 동시에 만족하는 정수 O은 , , , U, 이고
곧, O 이 , , , U,  L, U일 때 개이므로 방정식의 실근도 개이다. 
=O N 이 성립하고, O N 이다.
N, O은  이하의 자연수이므로 L, , , U, 이고 O
방정식의 근은 YO O, , , U, 

O
가능한 순서쌍 N, O
은 개이다. ②

04. 복소수와 이차방정식 039


정답 및 풀이

05. 판별식과 근과 계수의 관계 N , N™AO


 
∴ N, O , N O ①
 
step 기본 문제 42~44쪽
05 [전략] B의 범위를 나누어 제곱근 기호와 절댓값 기호를 없앤다.
01 ④ 02 ⑤ 03 , ,  04 ① B By

05 ③ 06 ⑴  ⑵  ⑶ J ⑷  07  ÄaB™A]B]<


B B


08  09 ③ 10 ⑤ 11 ③ 12 ⑤ 허근을 가지므로
13 ⑤ 14 ③ 15 B, C 16 ③ %
 
™AB ∴ B
17  18 O, 두 근 : ,  19 ② 
20 B, C 21 ③ 22 B, C ā B
™A |B|에서 B |B|
23  24 ① Œ B일 때, B B

이므로 해가 없다.
01 [전략] 중근 ⇨ %  By일 때, B B ∴ B
중근을 가지므로 %N™A N
 Œ, 에서 B ③
N
™A ∴ N
06 [전략] 근과 계수의 관계를 이용한다.
이때 방정식은 Y™A Y , 곧 Y 
™A이므로 =
근과 계수의 관계에서 = >, =>
∴ N = ④
⑴ = 
™A > 
™A=™A >™A  = >

02 [전략] 서로 다른 두 실근 ⇨ %  = >
™A=>  = >

실근 ⇨ %y ™A@ 
@ 
Y™A Y L이 실근을 가지므로 판별식을 %„이라 하면 ⑵ =šA >šA = >
šA=> = >

 šA@ 
@
%„™ALy ∴ Lƒ U❶

⑶ =>이므로 u=u>u=>uJ
Y™ALY L™AL이 실근을 가지므로 판별식을 %m라 하면
u= u> = > 
%m ∴   J
L™A L™AL
y ∴ Ly U❷ u> u= u=> J

A
❶, ❷를 동시에 만족하는 정수 L는 , , , , 이므로 개
A =의 부호에 관계없이 u=
™A=
이다. ⑤ ⑷ =>
™A = >
™A=>™A@ 

∴ ]=>]u
03 [전략] 서로 다른 두 실근 ⇨ %
허근 ⇨ % ⑴  ⑵  ⑶ J ⑷ 

Y™AY B이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지므로 판별식을 %„ 07 [전략] = >을 이용하여 B의 값을 구한다.


이라 하면 근과 계수의 관계에서
 = >B, =>B
%„ 
™AB ∴ B U❶

조건에서 B ∴ B
Y™A B
Y B™A 이 서로 다른 두 허근을 가지므로 판
이때 =>B이므로
별식을 %m라 하면
  =™A >™A = >
™A=> 
%m
 B
™A B™A 
 ™A@ 
 

B™AB B™A ∴ B U❷
08 [전략] 근과 계수의 관계를 이용하여 =šA >šA 을 L로 나타낸다.
❶, ❷를 동시에 만족하는 정수 B는 , , 이다. , , 
L
근과 계수의 관계에서 = >, =>

04 [전략] 중근을 가지므로 %을 이용하고
‘L에 관계없이’가 있으므로 L에 대해 정리한다.
이때 =šA >šA = >
šA=> = >

L
중근을 가지므로 @ @L

%
 L N
™A L™AL O
  
 조건에서 L ∴ L
 
L™A LN N™AL™A LO
LN N™A LO 09 [전략] ā =‰ 
>‰ 
부터 간단히 한다.

L에 대해 정리하면 Y™A O 
Y O™A의 두 근이 =‰, >‰이므로
 N 
L N™AO 근과 계수의 관계에서
L에 관계없이 성립하므로   =‰ >‰O , =‰>‰O™A

040 II. 방정식과 부등식


∴ ā =‰ 
>‰ 
‚=‰>‰ =‰ >‰  = 
곧, Y 은 G Y
의 근이다.

āO™A O  
> 
ā O 
™AO  같은 이유로 Y 도 G Y
의 근이다.

∴ 주어진 식
  
 
 
 ③ 따라서 두 근의 합은
=  >  = >   
10 [전략] u= u>
™A의 값부터 구한다.







 ③
Y™AY 에서
% 
™A@@ 15 [전략] 방정식의 계수가 유리수일 때 Q R이 근이면 QR도 근이다.

이므로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진다. 계수가 유리수이므로 한 근이  이면 다른 한 근은


또 근과 계수의 관계에서 이다.
  = >, => 근과 계수의 관계에서
이므로 두 근 =, >는 모두 양의 실수이다. B  

 ∴ B
u= u>
™A u=
™A u>
™A u=u>  C  

 B, C
= > u=> 
16 [전략] 방정식의 계수가 실수일 때 Q RJ가 근이면 QRJ도 근이다.
∴ u= u> ⑤
계수가 실수이므로 한 근이
11 [전략] =šA=™A은 근과 계수의 관계를 이용할 수 없다.    J

  J
=가 방정식의 근이므로 대입하면 등식이 성립함을 이용한다. J J
 J

근과 계수의 관계에서 = >, => 이면 나머지 한 근은 J이다.

또 =는 Y™AY의 근이므로 =™A= 근과 계수의 관계에서

양변에 =를 곱하면  
   J
J
, B
B 
  =šA=™A=, =šA=™A=
C
  ∴ =šA=™A => >

 = => >    J
J
, CB
B
 = >
=>  
∴ BC ③
@ ③ 

12 [전략] 근과 계수의 관계를 이용하여 B, C에 대한 연립방정식을 만든다. BY™A Y C에 Y J를 대입하면
근과 계수의 관계에서 B  J
™A  J
C, C 
B 
J
  B 
C 
B ∴ B C  U❶ B, C가 실수이므로 C , B 
  B 
C 
C ∴ BC B  U❷  
∴ B , C, BC
❶에서 CB를 ❷에 대입하면  
  B B
B , B™A B
17 [전략] 두 근을 =, >라 할 때, ]=>]이므로 =>
™A을
 이용한다.
  B 
B
 ∴ B 또는 B

두 근을 =, >라 하면 근과 계수의 관계에서
B일 때 C이므로 C 에 모순이다.
  = >N, =>N™AN
 
B 일 때 C ∴ B C ⑤ 두 근의 차가 이므로 |=>|에서
 
  =>
™A = >
™A=>
13 [전략] B™AB이면 B는 방정식 Y™AY의 근이다.
  N
™A N™AN

B, C는 이차방정식 Y™AY의 두 근이므로   N™A N 
B C, BC %
따라서 이므로 방정식은 실근을 가지고,
∴ B™A C™A B C
™ABC  ⑤ 
실수 N의 곱은 이다. 
근의 공식을 써서 B, C의 값을 구한 다음 B™A C™A을 계산해도 된다.
18 [전략] 연속한 두 정수이므로 두 근을 =, = 로 놓는다.
14 [전략] Y=, Y>인 Y가 G Y
의 근이다.
두 근을 =, = 이라 하면 근과 계수의 관계에서
G Y
의 두 근이 =, >이므로 G =
, G >
   = O U❶
=    = = 
 U❷
Y=라 하면 Y

❷에서 =™A =, = 
=

G Y
에 대입하면
  ∴ = 또는 =
= 
G[@ ]G =
 =일 때 ❶에서 O


05. 판별식과 근과 계수의 관계 041


정답 및 풀이

=일 때 ❶에서 O 23 [전략] 두 이차방정식이 일치하면 두 근의 합과 곱이 각각 같다.


O은 자연수이므로 O이고, 두 근은 , 이다. Y™A BY 의 두 근이 =, >이므로
O, 두 근 : ,    = >B, =>
두 근을 =, >라 하고, ]=>]임을 이용할 수도 있다. 두 이차방정식이 일치하면 두 근의 합이 같으므로
  =
> 
 =
> 

19 [전략] 두 근을 =, =로 놓을 수 있다.


이고 이 식은 항상 성립한다.
이차방정식 Y™ALY L의 두 근을 =, = = 
이라 또 두 근의 곱이 같으므로
하면 근과 계수의 관계에서   =
> 
 =
> 

  = =L U❶   => =>=>  =>



  =@=L U❷   ∴ =>
❶에서 =L이므로 ❷에 대입하면 = >
™A =>
™A =>이므로
  L™AL, L™AL  B™A™A @ 
  L
™A ∴ L ②
두 이차방정식의 근이 같고 = =이므로
20 [전략] Y™A의 계수가 이고 Q, R가 두 근인 이차방정식은 => , > =
  Y™A Q R
Y QR
∴ =>
Y™A Y 의 두 근이 =, >이므로
= >B, =>이므로
= >, =>에서
=>
™A = >
™A=>
  = >
= >
 = >

에 대입하면 B™A ∴ B™A
  = >
= >
=™A >™A => 
 = >
™A =>  24 [전략] 두 근이 모두 음수 ⇨ %y, = >, =>

  이차방정식의 두 근을 =, >라 하자.


따라서 구하는 이차방정식은 Y™A Y 이므로 Œ 두 근이 실수이므로
  B, C B, C %
 L
™AL™Ay

Ly ∴ Lƒ
21 [전략] 근과 계수의 관계를 이용하여 = >, =>의 값만 구하면 된다.
 = >이므로
 
Y™AY 의 두 근이 , 이므로  L
 ∴ L
=  > 
   Ž =>이므로 L™A 
 U❶
=  >   이 부등식은 항상 성립한다.
   Œ, , Ž에서 Lƒ ①
?  U❷
=  >  
절대등급 Note
❷에서 = 
> 
 U❸
두 근이 음수이면 근은 실수이므로 %y을 확인해야 한다.
= >  
❶에서  U❹
= 
> 

= >  
❸을 ❹에 대입하면  ∴ = >
 
❸에서 => = > 이므로 =>
따라서 Y™A의 계수가 이고 두 근이 =, >인 이차방정식은 step 실력 문제 45~48쪽

Y™A Y  ③
01 ④ 02 ③ 03 ⑤ 04 , 
05 B, C 06 ⑤ 07 Y 또는 Y
22 [전략] 근과 계수의 관계를 이용하여 B, C에 대한 연립방정식을 세운다. 08 ① 09  10  11 ④ 12 ⑤
13 Y† 14 ④ 15 ⑤
Y™A B
Y B 의 두 근의 합과 곱이 각각 B,
16 B, C 17 ④ 18 ④ 19 ②
B 이므로 Y™ACY B의 두 근이 B, B 이다.
20 N, O 21 ④ 22 ① 23 ③
근과 계수의 관계에서 24 
B
B 
C U❶
B
B 
B U❷
01 [전략] %이고, B, C가 실수임을 이용한다.
❷에서 B™AB, B 
B

주어진 이차방정식이 중근을 가지므로
B는 정수이므로 B
%
❶에 대입하면 C B, C  B C
™A BCB C



042 II. 방정식과 부등식


B™A C™A BC   L일 때
B 
™A C
™A Y™A Y에서 Y 또는 Y
B, C가 실수이므로 B , C Y™AY에서 Y 또는 Y
∴ B, C, B C ④ Y이 중복된다.
Œ~ 에서 L,  , 
02 [전략] 이차방정식을 정리하고 %을 이용한다.
05 [전략] 이차식 G Y
가 완전제곱식이면
주어진 이차방정식을 정리하면 이차방정식 G Y
은 중근을 가지므로 %이다.
Y™A B C D
Y BC CD DB
이차방정식 Y™A  NB 
Y N™A B™A C이 중근을
중근을 가지므로
가지므로
%
 B C D
™A BC CD DB
 %
  NB 
™A N™A B™A C
 U

B™A C™A D™ABCCDDB
BN NBC 

\ BC
™A CD
™A DB
™A^ N에 대해 정리하면

B 
N BC 
 U
B, C, D가 실수이므로 BC, CD, DB
N에 관계없이 성립하므로
∴ BCD ③
B , BC 
∴ B, C U
03 [전략] 세 이차방정식의 판별식부터 구한다.

%„ 단계 채점 기준 배점
BY™ACY D의 판별식은 C™ABD 이차식이 완전제곱식이 될 조건 찾기 40%

구한 식을 N에 대해 정리하기 40%
%m
CY™ADY B의 판별식은 D™ABC N에 관계없이 성립하는 B, C의 값 구하기 20%

%f B, C
DY™ABY C의 판별식은 B™ACD

%„ %m %f 06 [전략] Y에 대한 이차식으로 생각하고 판별식을 이용한다.
B™A C™A D™ABCCDDB
   Y™AYZ NZ™AY Z 을 Y에 대해 정리하면
 Y™A Z 
Y NZ™A Z  U❶
 \ BC
™A CD
™A DB
™A^y

Y™A Z 
Y NZ™A Z 의 판별식을 %„이라 하면
%„ %m %f
, , 이 모두 음수일 수는 없으므로 적어도 하나는 보 %„ Z 
™A NZ™A Z 

  
다 크거나 같다.  N
Z™A Z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방정식은 실근을 가진다. ⑤ 이 식이 완전제곱식이어야 하므로 N
Z™A Z 의
판별식을 %m라 하면
%m
04 [전략] Y™A Y L과 Y™AYL이 각각 서로 다른 두 실근을

™A N
 ∴ N ⑤
가지고, 근이 겹치지 않으면 된다.
절대등급 Note
Y™A Y L, Y™AYL의 판별식을 각각 %„, %m라 하
자. 이차방정식이 각각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지면 ❶에서 Y™A Z 
Y NZ™A Z 으로 놓고 근의 공식을 쓰면
 Z 
†u%„
%„ %m Y

단, %„ N
Z™A Z 

L이고  L
  따라서 ❶은
L이고 L ∴ L  Z 
u%„  Z 
u%„
<Y =<Y =
 
L는 정수이므로 L, , , 
로 인수분해되므로 두 일차식의 곱이면 %„은 완전제곱식이다.
Œ L일 때
Y™A Y에서 Y 또는 Y
Y™AY 에서 Y 또는 Y 07 [전략] 계수와 상수항이 실수이므로 나머지 한 근은  J이다.
이를 이용하여 B, C, D의 관계를 구한다.
Y이 중복된다.
계수와 상수항이 실수이므로 나머지 한 근은  J이다.
 L일 때
근과 계수의 관계에서
Y™A Y에서 Y†
C
Y™AY 에서 Y†  J
J
 ∴ CB
B
Ž L일 때
D
 J
J
 ∴ DB
Y™A Y에서 Y† B
Y™AY 에서 Y† 따라서 BY™A B D
YC은

05. 판별식과 근과 계수의 관계 043


정답 및 풀이

BY™A BY B, B Y 


Y 
 11 [전략] =™A= 을 이용하면 =™A= 을 간단히 할 수 있다.
B 이므로 Y 또는 Y Y 또는 Y =, >가 근이므로 =™A= , >™A> 
∴ =™A= =, >™A> >
08 [전략] Y™A B
Y의 두 근을 U, U 로 놓을 수 있다.
근과 계수의 관계에서 = >, =>
Y™A B
Y의 두 근을 U, U 라 하면
> = > = >™A =™A
U U 
B U❶ ∴  
=™A=  >™A>  = > =>
U U 
 U❷ = >
™A=>

❷에서 U 
™A ∴ U =>
❶에 대입하면 B  ④

따라서 Y™A B 
Y 의 두 근을 =, >라 하면
12 [전략] =™A= , >™A> 을 이용한다.
  = > B 
, =>
=, >가 근이므로 =™A= , >™A> 
  ∴ E™A =>
™A = >
™A=> ①
  ∴ =™A= , >™A> 
이때 주어진 식은
09 [전략] 두 근의 곱이 음수이므로 두 근은 =, = 꼴이다.
 
Y™A N 
Y에서   \=šA =™A= 
>šA >™A> 
^ =šA>šA

 
두 근의 곱
  =šA >šA

이므로 두 실근은 서로 다른 부호이다. U 근과 계수의 관계에서 = >, =>이므로


이때 두 근을 =, =A = 
으로 놓으면 근과 계수의 관계에서   =šA >šA = >
šA=> = >

= =
N U❶ 따라서 구하는 값은 이다. ⑤
=@ =
 U❷ U
❷에서 =† =œA >œA, =›A >›A, =šA >šA을 따로 구해도 된다.
Œ =을 ❶에 대입하면 N
13 [전략] B를 N으로 보고 풀었을 때 근이 , 이고,
 =을 ❶에 대입하면 N
D를 O으로 보고 풀었을 때 근이 , 이다.
따라서 N의 값의 합은 이다. U
B를 N으로 보고 푼 근이 , 이라 하면 근과 계수의 관계에서
단계 채점 기준 배점 C D
이차방정식의 두 실근의 부호 알기 20%  ,  ∴ CN, DN
N N
두 근을 =, =로 놓고 근과 계수의 관계 생각하기 40%
D를 O으로 보고 푼 근이 , 이라 하면 근과 계수의 관계에서
=를 구한 후 N의 값의 합 구하기 40%
C O
  , 
B B
C
10 [전략] 두 근이 =, >일 때, = >이고 ]=] ]>]이므로 CN을  에 대입하면
B
한 근은 양, 한 근은 음이다.
N
 ∴ BN
두 근을 =, > =>
라 하자. B
= >, ]=] ]>]이므로 =, >이다. 따라서 BY™A CY D은
이때 ]=] ]>]에서 => NY™ANYN, Y™AY
양변을 제곱하면 =>
™A ∴ Y† Y†
= >
™A=>
14 [전략] 식을 정리하고 근과 계수의 관계를 이용한다.
L
= >, => 이므로 YB
YC
YC
YD
YD
YB


L 에서 Y™A B C D
Y BC CD DB
  ∴ L 
 근과 계수의 관계에서
 B C D
BC CD DB
, 
]=] ]>]
™A=™A ]=>] >™A  
 = >
™A=> ]=>]  ∴ B C D, BC CD DB
L |L| 또 YB
™A YC
™A+ YD
™A에서

  Y™A B C D
Y B™A C™A D™A
이고 ]=] ]>]이므로 따라서 두 근의 곱은
L |L| B™A C™A D™A 
 , L ]L]  \ B C D
™A BC CD DB
^
   
Lƒ이면 이므로 모순이다. 
  
 ④
L이면 L ∴ L 

044 II. 방정식과 부등식


15 [전략] Y= 또는 Y>인 Y가 G Y
의 근이다. 18 [전략] 근과 계수의 관계와 판별식을 이용한다.

=  ㄱ. =>이므로 =, >의 부호가 같다.


Y=라 하면 Y
 ∴ ]= >]]=] ]>] 참

G Y
에 대입하면 ㄴ. =™A >™A = >
™A=>B™A
=  그런데 Y™ABY 이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지므로
G[@ ]G =


%B™A
= 
곧, 은 G Y
의 근이다. 곧, B™A이므로 =™A >™A이다. 거짓


>  ㄷ. =>이므로 =이면 >이다. 참

같은 이유로 도 G Y
의 근이다.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④
따라서 = >, =>일 때, G Y
의 두 근의 곱은
=  >  =>  = >
 
ㄴ. =>에서 > 이므로
@  =
  

   =™A >™A=™A U❶
  ⑤ =™A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에서 B, C일 때
B CwuBC 단, 등호는 BC일 때 성립

= >
16 [전략] 두 근 = , > 의 합과 곱을 B, C에 대한 식으로 나타낸다. 
이므로 ❶은 =™A >™Ay|Š=™A@ 
=™A
BY™A CY 의 두 근이 =, >이므로 이때 = >이므로 =™A >™A이다.
C 
  = > , => U
B B >
19 [전략] 근과 계수의 관계를 이용하여 = N= O을 = 또는 >에 대한 식
= >
또 Y™AY의 두 근이 , 이므로 으로 정리한다.
= >
=, >는 허근이고 N, O은 실수임에 주의한다.
= > = >
> =

   >
= > =
>
N= O에서 >N=™A O=
=
 C
=> = >
근과 계수의 관계에서 = >이므로 >=
B B
 
=> = >
  C ∴ =N=™A O=

B B
N=™A O 
=  U❶
C 
  U❶ U 한편 =는 주어진 방정식의 근이므로
B C 
 =™A = , =™A=
= > => B ❶에 대입하면
  @  
= > => = >
  C
 N =
O 
= 
B B
N O 
=N 
 
  U❷ U Y™A Y 에서 %이므로 =는 허수이다.
B C  
❶에서 C  B C 
∴ B C 그리고 N, O은 실수이므로
❷에서 B C  ∴ B C N O , N 
연립하여 풀면 B, C U  
∴ N , O , N O ②
 
단계 채점 기준 배점
BY™A CY 의 두 근의 합과 곱을 B, C에 대한 식
20%
으로 나타내기 20 [전략] 근과 계수의 관계를 이용하여 N, O에 대한 연립방정식을 세운다.
Y™AY의 두 근의 합을 B, C에 대한 식으로
30% Y™ANY O의 두 근이 =, >이므로
나타내기
Y™AY의 두 근의 곱을 B, C에 대한 식으로   = >N, =>O
30%
나타내기
Y™A OY N의 두 근이 =, >이므로
B, C의 값 구하기 20%
  =
>
O U❶
B, C
  =
>
N U❷
❶에서 = >O, NO ∴ N O
17 [전략] Y™A Y 의 나머지 한 근은T•이다.
❷에서 => = >
N, ON N ∴ NO
한 허근이 T이므로 나머지 한 근은T이다.
q
연립하여 풀면 N, O N, O
따라서 근과 계수의 관계에서 T Tq, TTq
T Tq
∴ [[q @ 21 [전략] 두 근이 =, >인 이차방정식은
T  T 
q
B\Y™A = >
Y =>^
TTq T Tq

  ④ G Y
Y의 두 근이 =, >이므로
TTq T Tq 

05. 판별식과 근과 계수의 관계 045


정답 및 풀이

G Y
YB\Y™A = >
Y =>^ 24 [전략] 적어도 하나가 양의 실근인 경우는
B Y™A Y
두 근이 모두 양
한 근은 양이고 한 근은 음
G 
이므로
한 근은 양이고 한 근은 
B ∴ B
두 근을 =, >라 하자.
이때 G Y
Y Y™A Y

%  
∴ G Y
Y™A Y, G 
 ④ N™A N [N ]™A 
  
이므로 주어진 이차방정식은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진다. U
22 [전략] = >이므로 주어진 조건은 Œ 두 근이 모두 양인 경우
G =
=, G >
>  = >N ∴ N
  이 식에서 G Y
를 구하는 방법을 생각한다.

근과 계수의 관계에서 = >, => =>N ∴ N

G =
>에서 G =
=  ∴ G =
= 이런 경우는 없다.
G >
=에서 G >
>  ∴ G >
>  한 근은 양이고 한 근은 음인 경우
따라서 =, >는 이차방정식 G Y
Y의 두 근이다. 
=>N ∴ N
∴ G Y
YB\Y™A = >
Y =>^ 

G Y
YB Y™AY
Ž 한 근은 양이고 한 근은 인 경우

G 
이므로 B  ∴ B = >N ∴ N

이때 G Y
Y Y™AY

=>N ∴ N

  ∴ G Y
Y™AY ①
이런 경우는 없다. U
Œ, , Ž에서 정수 N의 최솟값은 이다. U
G =
>, G >
=와 같은 꼴은 변변 더하거나 빼서 간단히 할
단계 채점 기준 배점
수 있다.
이차방정식이 두 실근을 가짐을 알기 20%
G Y
BY™A CY D라 하면 경우를 나누어 근과 계수의 관계를 이용하여 N의 값
60%
G =
>에서 B=™A C= D> U❶ 의 범위 각각 구하기
정수 N의 최솟값 구하기 20%
G >
=에서 B>™A C> D= U❷
❶ ❷를 하면 B =™A >™A
C = >
D= > 

근과 계수의 관계에서
  = >, =>
  =™A >™A = >
™A=> step 최상위 문제 49~50쪽

이므로 B C D U❸
01 ⑤ 02  03 B, C 04 ④
❶❷를 하면 B =™A>™A
C =>
>= U❹  
05 ④ 06  07 Y의 최솟값 : , Z  , [ 
=>
™A = >
™A=>이고, =>라 해도 되므로
08 u
  =>
  =™A>™A = >
=>

❹에 대입하면 01 A=을 이용하여 =šA, =›A, U, =˜A˜A을 =에 대한 일차식으로
[전략] =™
나타낸다.
B C ∴ B C U❺
=가 방정식 Y™AY의 근이므로 =™A=
한편 G 
이므로 D U❻
  =™A= 
❸, ❺, ❻에서 B, C, D
  =šA=™A == 
  ∴ G Y
Y™AY
  =›A=™A = = 
== 
  =œA=™A = = 
== 
23 [전략] 두 근의 곱은 음, 두 근의 합은 양이다.
  =A=™A = = 
== 
이차방정식의 두 근을 =, >라 하자.
  ∴ =˜A˜A=œA=A = 
= 
=™A = 
두 근의 부호가 다르므로
 = 
= = 
  =>N ∴ N U❶
마찬가지 방법으로 >˜A˜A> 
음의 근의 절댓값이 양의 근보다 작으므로
근과 계수의 관계에서 = >이므로

  = > N 
 ∴ N U❷   =˜A˜A >˜A˜A = >
 ⑤


❶, ❷에서 N ③ 근과 계수의 관계에서 = >, =>


046 II. 방정식과 부등식


B‰=ŠA >ŠA O은 자연수
라 하면 또 CB™A을 B C에 대입하면 B B™A
O  O 
BO  = >
= >
=> =ŠA >ŠA
B 이므로 B, C U
BO  B‰ 단계 채점 기준 배점
따라서 B„= >, Bm = >
™A=>이므로 =, > 사이의 관계 알기 10%
Bf  Be  >™A 40%
이 실수임을 이용하여 =, =q의 관계식 구하기
=
Bs  Bg  근과 계수의 관계를 이용하여 B, C의 관계식 구하기 30%
Bi  Bh  주어진 방정식이 허근을 가지고, B C임을 이용
20%
하여 B, C의 값 구하기
B~  B„ 
B, C
B„„ 
∴ =˜A˜A >˜A˜A
04 [전략] BšA CšA DšABCD에서 B, C, D의 관계부터 구한다.

BšA CšA DšABCD에서


02 [전략] 근과 계수의 관계를 이용한다.
서로 다른 실근을 가질 조건도 잊지 않아야 한다. B C D
B™A C™A D™ABCCDDB


Y™ABY C의 서로 다른 두 실근이 =, >이므로 판별식을 %„ 


B C D
\ BC
™A CD
™A DB
™A^

이라 하면
B, C, D가 양수이므로
%„B™AC U❶
BC
™A CD
™A DB
™A ∴ BCD
= >B, =>C U❷
이때 이차방정식은
Y™ABY C™A의 서로 다른 두 실근이 =šA, >šA이므로 판별식
BY™A BY B ∴ Y™A Y  U❶
을 %m라 하면
ㄱ. 한 허근이 =이면 나머지 근은 =이므로
q 근과 계수의 관계에서
%mB™AC™A U❸
= =,
q ==
q 거짓

=šA >šAB, =šA>šAC™A


ㄴ. ❶에 Y=를 대입하면 =™A = 
이때 =šA >šA = >
šA=> = >
, =šA>šA =>
šA이므로
이 식의 양변에 =을 곱하고 정리하면 =šA
❷를 대입하면
∴  = = U = =
BBšABC U❹
  = =
= = =
U
C™ACšA U❺
= = =
=A
❺에서 C™A C
 ∴ C 또는 C
  = =
=  = =
U 
Œ C일 때 ❹에서 BšAB, B B™A

=  = =
=

∴ B 또는 B†
 참

❶, ❸이 성립하는 경우는 B†, C


 =šA 
 C일 때 ❹에서 BšAB, B B™A
 ㄷ. ==에서
q q =  = = 이므로
=
∴ B 또는 B†u =
q O =
O=O =
O=O=OA 
❶, ❸이 성립하는 경우는 B†u, C = = 에서 = =이므로
Œ, 에서 B, C
는 , 
, , 
, u, 
, u, 
= 
O =
O=O =
O=O=OA
이고, 개이다.  ∴ =
q O = 
O=O =OA 
Œ OLA L는 자연수
일 때
03 [전략] 계수가 실수이므로 >=q이다. =L =L =
L =
L
>™A >™A >™A “
또 이 실수이면 [ ]이다.  OL A L는 음이 아닌 정수
일 때
= = =
B, C가 실수이므로 >=q U =L  =L  =
³A= =
L== =
>™A =q™A Ž OL A L는 음이 아닌 정수
일 때
이때  이 실수이므로
= = =L  =L  =
³A=™A =
L == =
=q™A = ™A “ = ™A =™A Œ, , Ž에서 =q
O = 
O이면 O은 의 배수
[ q ], q  , =šA=qšA
= = = =q
가 아니므로 O의 개수는 이다. 참

==q
=™A ==q =q™A

따라서 옳은 것은 ㄴ, ㄷ이다. ④
=가 허수이므로 = =q ∴ =™A ==q =q™A U❶ U
근과 계수의 관계에서 = =B,
q ==C
q 05 [전략] =™A=, >™A>이므로 이 식을
∴ =™A =q ™A = =
™q A==B™
q AC G =™A
=, G >™A
>에 대입한다.

❶에 대입하면 B™AC U 이차방정식 Y™A Y 의 두 근이 =, >이므로


Y™A BY C이 허근을 가지므로 %B™AC   =™A = , >™A > 
CB™A이므로 B™AB™A, B™A ∴ B    ∴ =™A=, >™A>

05. 판별식과 근과 계수의 관계 047


정답 및 풀이

G =™A
=, G >™A
>에서 Y Z [ U❶
  G =
=, G >
> Y™AZ™A[™A U❷
곧, 이차방정식 G Y
Y의 두 근은 =, >이다. ❶에서 Z [Y이고
따라서 G Y
YB Y=
Y>
로 놓을 수 있다. ❷에서 Y™A Z [
™A Z[이므로
Y™A Y  Y=
Y>
이므로 Y™A Y
™A Z[
  G Y
YB Y™A Y 
Y™AY 
∴ Z[ U
G 
이므로 Y을 대입하면 

  G 
B, B 따라서 Z, [는 U에 대한 이차방정식

  ∴ G Y
Y™AY Y™AY 
U™A Y
U  U❸

G Y
를 Y 로 나눈 나머지는 G 
이므로
의 두 근이다. U
Y을 대입하면 G 
 ④
Z, [가 실수이므로
% Y
™A Y™AY 
y
06 [전략] H Y
Y™AY 라 하면 H =
>™A, H >
=™A이다.
따라서 = >Q라 하면 각 식을 =, >만의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Yy ∴ Yy

H Y
Y™AY 라 하면 주어진 식은 따라서 Y의 최솟값은 이다. U

H =
>™A, H >
=™A ❸에 Y을 대입하면
 
= >Q라 하면 U™AU , [U ]™A
 
H Q>
>™A, H Q=
=™A
  
따라서 =, >는 이차방정식 H QY
Y™A의 근이다. U 중근
이므로 Z , [ U
  
그런데
단계 채점 기준 배점
좌변
 QY
™A QY
Y™A  식을 변형하여 Z [, Z[를 Y에 대한 식으로 나타내기 30%
Y™A Q
Y Q™AQ  Z, [를 두 근으로 하는 이차방정식 세우기 20%
판별식을 이용하여 Y의 최솟값 구하기 30%
이므로
Z, [의 값 구하기 20%
Y™A Q
Y Q™AQ  Y=
Y>
U ❶
 
양변의 Y의 계수를 비교하면 Y의 최솟값 : , Z , [
 
Q= >, QQ ∴ Q
❶에 대입하고 정리하면
08 [전략] 1"“™A 1$“™A1#“™A 1%“™A을 이용한다.
Y™AY  Y=
Y>

A D
따라서 G Y
B Y™AY 
A B 
꼴이고 s
p P
G 
B
   q
G 
B r
B C
  =™A= >™A  U ❷ 선분 1", 1$, 1#, 1%의 길이를 각각 Q, R, S, T라 하자.
  >™A> =™A  U ❸ Y™AY 의 해는 Q, R이고
❸의 좌변과 우변을 바꾸고 변변 더하면 Y™ALY 의 해는 S, T이다.
  =™A= >™A>  또 1"“™A 1$“™A1#“™A 1%“™A이므로
이 식을 L로 놓으면 Q™A R™AS™A T™A U❶
  =™A= L, >™A> L 근과 계수의 관계에서
따라서 이차방정식 Y™AY L의 근이 =, >이다. Q R, QR이므로 Q™A R™A Q R
™AQR
근과 계수의 관계에서 = > S TL, ST이므로 S™A T™A S T
™ASTL™A
❷에 >=를 대입하고 정리하면 =™A=  ❶에 대입하면 L™A, L™A
❸에 =>를 대입하고 정리하면 >™A>  LS T이므로 Lu u
따라서 =, >는 Y™AY 의 근이므로
절대등급 Note
G Y
B Y™AY 
A B 
으로 놓을 수 있다.
  1"“™AB™A D™A,1$“™AC™A E™A A c d
D
G 
B
  ∴     1#“™AC™A D™A,1%“™AB™A E™A a
G 
B P
이므로
  1"“™A 1$“™A B™A D™A
C™A E™A
b
07 [전략] Z [Q, Z[R이면 Z, [는 U에 대한 이차방정식 U™AQU R
  1#“™A 1%“™A C™A D™A
B™A E™A
B C
의 두 근이다. Z [, Z[를 Y에 대한 식으로 나타낸 다음 U에 대한
  ∴ 1"“™A 1$“™A1#“™A 1%“™A
방정식이 실근을 가질 조건을 찾는다.

048 II. 방정식과 부등식


06. 이차함수 ∴ Q, R, QR ①

05 [전략] 곡선 ZG Y
가 Y축과 만나는 점의 Y좌표
step 기본 문제 52~55쪽 ⇨ 방정식 G Y
의 실근

01 ④ 02 ④ 03 , ,  04 ① 05  방정식 Y™AY B의 두 근을 =, >라 하면 이차함수의 그래


06 ① 07 ② 08 ⑤ 09  10  프와 Y축이 만나는 점의 좌표가 =, 
, >, 
이다.
11 ③ 12  13  14  15 ② 두 점 사이의 거리가 이므로
16 L 17 ③ 18 ① 19 ①   ]=>], =>
™A
 
20 B  , L  21  22  23 ④ 근과 계수의 관계에서 = >, =>B
24 최댓값 : , 최솟값 :  25 ④   =>
™A = >
™A=>
    ∴ B, B 
26 Y, Z일 때 최댓값  / Y  , Z  일 때 최솟값 

27 ② 28 B, 최댓값 :  29 
30 최대 이익 : ,원, 판매 가격 : ,원 31 ⑤
06 [전략] 곡선 ZG Y
와 직선 ZH Y
의 교점
⇨ G Y
H Y
의 실근을 생각한다.

Œ ZY™AY L의 그래프가 Y축과 만나지 않으므로


01 [전략] 그래프의 꼭짓점이 점 Q, R
인 이차함수의 식
⇨ ZB YQ
™A R
Y™AY L의 실근이 없다.

꼭짓점의 좌표가 , 
이므로 ZB Y
™A 이라 하자. ∴ L, L

점 , 
을 지나므로 B , B  ZY™AY L의 그래프가 직선 Z와 두 점에서 만나므
∴ Z Y
™A Y™A Y 로 Y™AY L는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진다.
B, C, D이므로 BCD ④ 곧, Y™AY L에서
%m
02 [전략] 이차함수의 계수와 상수항의 부호  L
, L

⇨ 볼록한 방향, 축의 위치, Z절편, 함숫값 등을 따진다.
Œ, 를 동시에 만족하는 정수 L는 이고, 개이다. ①
ㄱ. 그래프가 위로 볼록하므로 B이고, 축이 Z축의 왼쪽에 있

으므로 
C
이다. ∴ C 거짓
07 [전략] 적어도 한 점에서 만난다. ⇨ 적어도 한 실근을 가진다. ⇨ %y
B
ZY™A Y의 그래프와 직선 ZY L가 적어도 한 점에서
ㄴ. Z절편이 양이므로 D이다. ∴ BC D 참

만나면 방정식 Y™A YY L가 실근을 가진다.


ㄷ. Y일 때 Z이므로 BC D 참

%
따라서 옳은 것은 ㄴ, ㄷ이다. ④ 곧, Y™AY L에서 Ly ∴ Lƒ

L의 최댓값은 이다. ②
03 [전략] 곡선 ZG Y
와 Y축의 교점 ⇨ G Y
의 실근을 생각한다.

G Y
Y™A Y L, H Y
LY™AY 이라 하자. 08 [전략] 접한다. ⇨ 중근을 가진다. ⇨ %

Œ 방정식 G Y
이 실근을 가지므로 기울기가 인 접선의 방정식을 ZY B라 하자.
%„ ZY™AY와 ZY B에서 Z를 소거하면
 Ly ∴ Ly

Y™AYY B, Y™AYB
 L이면 H Y
는 일차식이므로 L 이다.
이 방정식이 중근을 가지므로
또 방정식 H Y
이 실근을 가지므로

%m % B ∴ B
 
Ly ∴ Lƒ
 

접선의 방정식은 ZY 이다. ⑤
Œ, 를 동시에 만족하는 정수 L는 , , 이다. , ,  

L일 때 H Y
Y 이므로 H Y
은 실근을 가진다. 09 [전략] G Y
L의 실근

따라서 ZH Y
가 이차함수는 아니지만 그래프는 Y축과 만난다. ⇨ 곡선 ZG Y
와 직선 ZL의 교점의 Y좌표

\AG Y
^™AG Y
에서 y
y=2
04 [전략] ", #의 Y좌표는 Y™AQY R의 실근이다. \AG Y
^\AG Y
^
y=f{x}
선분 "#의 중점이 점 , 
이고 y=x@-px+q y
∴ G Y
 또는 G Y

"#“이므로 ", # 중 한 점의 Y좌표 곡선 ZG Y
와 직선 Z는 한 점 å ∫
O 1 x
는 , 나머지 점의 Y좌표는 이다. , 
에서 만나므로 G Y
의 실근은
{-3,`0}
따라서 방정식 Y™AQY R의 해가 이다. y=-1
A BO x
, 이므로 또 곡선 ZG Y
와 직선 Z이 만나는 점의 Y좌표를 =, >라
Q, R 
@ 
하면

06. 이차함수 049


정답 및 풀이

= >
 ∴ = > 13 [전략]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를 구한다.

 
곧, G Y
의 두 실근의 합은 이다. %[B, B™A]이고 $의 Z좌표는 B™A이다.
 
따라서 서로 다른 세 실근의 합은 이다.   
$의 Y좌표는 B™A Y™A 에서 Y™AB™A
 
곡선 ZG Y
와 직선 Z는 접하므로 G Y
는 중근을 가진다. Y이므로 YB
이때 $%“BBB
10 [전략] 곡선 ZG Y
와 직선 ZL의 교점의 Y좌표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가 B™A 이므로
⇨ G Y
L의 실근 
ZY™AY 과 Z에서 
B™AB이고, B이므로 B 

Y™AY , Y™AY ∴ Y 또는 Y
따라서 " , 
, # , 
이므로 "#“
14 [전략] #, $, %, U의 좌표를 차례로 생각한다.
또 ZY™AY  Y
™A에서 $ , 

y 1
y= x@
점 $와 선분 "# 사이의 거리가 이므로 2
A{0,`8} B{4,`8}
 D{0,`4}
△"#$ @@ 

E{-2Â2,`4} C

11 [전략] 곡선 ZG Y
, ZH Y
의 교점의 Y좌표
F G
⇨ G Y
H Y
의 실근
O x
ZY™AY , ZY™A Y에서 Z를 소거하면
#의 Z좌표가 이므로
Y™AY Y™A Y, Y™AY 

이 방정식의 해가 =, >이므로 근과 계수의 관계에서 Y™A에서 Y† ∴ # , 


  = > 따라서 정사각형 "#$%의 한 변의 길이는 이다.
  = >, => ∴   ③
= > =>
%의 Z좌표는  ∴ % , 

12 [전략] B, C가 유리수이고 교점의 Y좌표가   임을 이용한다.


이때 &의 Z좌표도 이므로

ZY™A BY와 ZY™A C의 그래프의 교점의 Y좌표는 Y™A에서 Y† ∴ & , 


Y™A BYY™A C, 곧 Y™A BYC
따라서 정사각형 %&'(의 한 변의 길이는 이다.
의 실근이다.
두 정사각형의 넓이의 합은 ™A 
™A 
한 근이  이고 B, C는 유리수이므로 나머지 한 근은
이다. 15 [전략] G Y
의 근의 범위에 대한 문제
근과 계수의 관계에서 ⇨ ZG Y
의 그래프와 Y절편을 생각한다.
B G Y
Y™ANY  N
이라 하면 ZG Y
의 그래프가
 

 ∴ B

Y축과 만나는 점의 Y좌표가 =, >이다.
C
 

 ∴ C 따라서 ZG Y
의 그래프가 오른쪽 그 y y=f{x}

림과 같으므로
1, 2의 Y좌표가 각각 y=x@+4x y
G 
, G 
 2
 , 이므로 P O å ∫ x
G 
에서  N

ZY™A 에 대입하면 Z좌표는
O x ∴ N U❶
각각 , 이다.
G 
에서 N  N
 ∴ N U❷
따라서 직선 12의 기울기는 Q
❶, ❷를 동시에 만족하는 정수 N은 , , 이고, 개이다. ②
 
 y=-x@+4

 
 

Y™ANY  N
에서

   Y
YN 


N
∴ Y 또는 Y

1 Q, Q™A C
, 2 R, R™A C
라 하자. N
따라서  이므로 N
직선 12의 기울기는 
Q™A C R™A C

 Q R

QR 16 [전략] ZY™A Y L의 그래프를 생각한다.


Q , R이므로 기울기는 이다. Y™AY 에서 Y 또는 Y

050 II. 방정식과 부등식


G Y
Y™A Y L라 할 때, 오른쪽 그 x=-2
y=f{x} 같고, 최솟값은 Y일 때 이다. ①
림과 같이 ZG Y
의 그래프가
20 [전략] Z YQ
™A R 꼴로 고친 다음 그래프를 생각한다.
Y에서 Y축과 한 점에서 만난다.
3   y
그런데 ZG Y
의 그래프의 축이 직선 4 x Z[Y ]™A L
  {
y=- x+
3 @
+k+}9
2 4 9
Y이므로 k+
이므로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4

G 
, G 
  
Y 일 때 최댓값이 L 이므로
ΠG 
에서  L ∴ L  
-2 O
3 x

 G 
에서  L ∴ L  
B 이고 L 
 
Œ, 에서 L L
  
∴ L B , L
  
Y™A Y L의 두 근을 =, >라 하자.
=가 실수이면 = >이므로 >가 실수이고, =>L도 실수이다. 21 [전략] G Y
 YQ
™A R 꼴로 고쳐 H N
부터 구한다.

17 [전략] ZY™AY L 의 그래프를 생각한다.


G Y
 Y™ANY N™AN™A
N™AN 
이때 판별식, 축, 경계에서 함숫값의 부호를 확인한다.  YN
™AN™AN 
G Y
Y™AY L 라 할 때, ZG Y
의 그래프의 축이 직선 이므로 G Y
의 최솟값은 YN일 때 N™AN 이다.
Y이다. ∴ H N
N™AN  N 
™A 
따라서 오른쪽 그림과 같이 ZG Y
의 x=3 y=f{x} 따라서 H N
의 최댓값은 N일 때 이다. 
그래프가 Y축과 두 점에서 만나고
22 [전략] 이차함수는 그래프의 꼭짓점에서 최댓값 또는 최솟값을 가진다.
G 
이다.

에서
% 1 x
Œ L ∴ L G Y
 Y=
™A A =


이라 할 수 있다.
 G 
에서

에서
 L  ∴ L
 Y=
™A  H Y
Y™A Y 
Œ, 를 만족하는 정수 L는 , , 이고, 합은 이다. ③
∴ H Y
Y™A Y  Y=
™A 
절대등급 Note

에서 H =
이므로
판별식을 꼭 확인해야 한다. x=3 y=f{x}
=™A = , = 
=

G 
만 생각하면 ZG Y
의 그래프가
오른쪽 그림과 같은 경우도 있고, 이때는 실 =이므로 =
근을 갖지 않는다. ∴ H Y
Y™A Y  Y
™A 
1 x Y™A Y  Y 
™A
따라서 H Y
의 최솟값은 Y일 때 이다. 
18 [전략] 곡선 ZG Y
와 직선 ZH Y
의 교점에 대한 조건
23 [전략] H Y
G Y
는 이차함수이고
⇨ G Y
H Y
의 실근에 대한 조건
이차함수는 그래프의 꼭짓점에서 최댓값 또는 최솟값을 가진다.
곡선과 직선이 두 점에서 만나므로
H Y
G Y
는 Y™A의 계수가 인 이차함수이고 그래프의 꼭짓
Y™A LYLYL, 곧 Y™A LY L 
점의 좌표가 , 
이므로
은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진다.
H Y
G Y
 Y
™A Y™A Y 
또 두 실근 사이에 이 있다.
H Y
G Y
의 해가 =, >이므로
G Y
Y™A LY L 라 할 때, y=f{x}
= >, =>
ZG Y
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 ∴ =šA >šA = >
šA=> = >

-1
으므로 G 
 x
šA@ 
@ ④
∴ L , L
uC C
따라서 정수 L의 최댓값은  ① 24 [전략] | 이면 C 또는 B이고 C

B
uB

19 [전략] Y, ƒY, Yy일 때로 나누어 그래프를 그린다. ‚Y  Y  y=f{x} y


|Š 이면
Y일 때 y=|x-1|+2|x| ‚Y Y 17
y
Z Y
YY  2
Y  또는
ƒY일 때 Y이고 Y 
7
Z Y
YY  1 ∴ ƒY U❶ -1
O 1
Yy일 때 ZY YY G Y
 Y 
™A이므로 -4 x
O 1 x -1
따라서 함수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❶의 범위에서

06. 이차함수 051


정답 및 풀이

최댓값은 G 
 G Y
B Y™AY 
B B Y
™A B 
최솟값은 G 
 최댓값 : , 최솟값 :  ƒYƒ에서 G Y

Œ B일 때, Y에서 최소이므로
25 [전략] Y™AY U로 놓고 U의 범위부터 구한다.
G 
, B  ∴ B
Y™AY U로 놓으면 U Y
™A 
B에 모순이다.
ƒYƒ에서 ƒUƒ U❶ y
 B일 때, Y에서 최소이므로
한편 G Y
에서 Y™AY 을 U로 치환한 함수를 H U
라 하면 O 1 3
G 
, B  x
-1
H U
U™AU  U
™A
∴ B
이므로 ❶의 범위에서 H U

따라서 G Y
 Y
™A이므로 최댓값
최댓값은 H 
, 최솟값은 H 
 -4
은G 
 B, 최댓값 : 
∴ .N
y=-{x-1}@
t={x-1}@+2 y
t y={t-3}@-8
29 [전략] ZG Y
의 그래프를 그리고
1 L의 값을 변화시키면서 최댓값과 최솟값을 조사한다.
6 2 3
O 6 t
G Y
 Y
™A  y y={x-3}@+1

3 이므로 Yy에서 ZG Y


의 그래프 5
2
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O -7
-1 1 2 x -8 그래프의 꼭짓점의 좌표가 , 


므로 최솟값이 이면 Ly U❶ 1
26 [전략] Y Z에서 ZY를 Y™A Z™A에 대입하여 Z를 소거한다. 또 G 
이므로 최댓값이 이면 O 1 3 k x
이때 Y, Z의 범위에 주의한다.
G L
ƒ
Y Z에서 ZY
그런데 G 
이므로 Lƒ U❷
Y, Z가 음이 아닌 실수이므로
t t=4 x- 3 @+3 ❶, ❷에서 정수 L는 , , 이고, 개이다. 
Yy, Yy { 2 }
12
∴ ƒYƒ U❶
30 [전략] Y천 원 올릴 때, 개당 이익과 판매량을 생각한다.
ZY를 Y™A Z™A에 대입하면
Y천 원 올리면 개당 이익은  Y
천 원이고,
Y™A Z™AY™A  Y
™A 4
3 판매량은 Y
개이므로 하루 이익을 G Y
라 하면

[Y ]™A  O 32 x
G Y
  Y
Y
YY 
 2

  Y 
 
U[Y ]™A 이라 하면
 Y일 때, 최댓값은 이므로 판매 가격이
❶의 범위에서 U의 최댓값, 최솟값은  천 원
일 때, 최대 이익은  천 원
이다.
Y일 때 최댓값은 , 최대 이익 : ,원, 판매 가격 : ,원

Y 일 때 최솟값은 이다.

31 [전략] 좌표평면 위에 로켓이 움직이는 포물선을 그려보고 식으로 나타낸다.
곧, Y, Z일 때 최댓값은 
건물의 아랫부분과 물로켓이 떨어진 y
 
Y , Z 일 때 최솟값은  풀이 참조 지점을 이은 직선을 Y축, 물로켓의
  50
높이가 최고에 도달했을 때 그 지점
27 [전략] 주어진 범위에서 ZG Y
의 그래프를 그린다.
에서 Y축에 내린 수선을 포함하는 직
G Y
Y™AY B y y={x-1}@+a-1 -60 60
선을 Z축이라 하자. 물로켓이 최고 -40 O x
 Y
™A B a+8
높이에서 땅에 떨어질 때까지 Y축 방
이므로 ƒYƒ에서 ZG Y

향으로 AN 이동했으므로 물로켓이 움직인 포물선의 식은


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G Y
B Y
Y 
으로 놓을 수 있다.
최솟값은 G 
B, a 이때 G 
G 
이므로
최댓값은 G 
B 이고 a-1

최댓값과 최솟값의 합이 이므로 -2 O 1 2 x BB , B

B 
B
 
∴ G Y
 Y
Y 

∴ B ② 
따라서 건물의 높이는
28 [전략] B, B으로 나누어 생각한다.

G 
 @ 
@. N

G Y
BY™ABY B 이라 하면 

052 II. 방정식과 부등식


❷, ❸에서 =™A == 이므로 =™A =
step 실력 문제 56~59쪽
  = 
=
 ∴ = 또는 =
01 ③ 02  03 ③ 04 ④ 따라서 ❶~❹를 모두 만족하려면 =이어야 한다.
05 B, C 06 ④ 07 ③ 08 ⑤   ∴ =, B, C, BC= ③
09 ① 10 ,  11  12  13 ⑤
14  15 ① 16 A 17 ② 18 ④
방정식 Y™AY 과 Y™A Y은 각각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진다.
19 ④ 20 ⑤ 21  22 AN™A 23 ②

04 [전략] BY™A CY DY 가 Y를 중근으로 가진다.


01 [전략] Y의 범위를 나누어 절댓값 기호를 없애고, 이차함수 ZBY™A CY D의 그래프와 직선 ZY 의 교점
ZG Y
의 그래프를 그린다.
의 Y좌표는
ㄱ. G 
, G 
이다. 참
BY™A CY DY 
ㄴ. Y일 때 곧, BY™A C 
Y D  U ❶
G Y
 Y 
Y Y
Y 의 실근이고, 그래프와 직선이 Y인 점에서 접하므로 ❶은
ƒY일 때 Y를 중근으로 가진다.
G Y
Y Y Y
Y  ∴ BY™A C 
Y DB Y 
™A
ƒY일 때 우변을 전개하면 BY™A BY B
G Y
Y  Y Y
Y  좌변과 계수를 비교하면 C B, DB
Yy일 때 C D  B
B 
B
∴    ④
G Y
Y  Y YY B B B
따라서 ZG Y
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 y y=f{x}

림과 같고 Z축에 대칭이다. 참

05 [전략] 접하면 두 식에서 Z를 소거하고 %을 계산한다.


4
ㄷ. ZG Y
의 그래프에서 Y일 때 최솟 Œ ZY™A BY C의 그래프와 직선 ZY 가 접할 때
2 Y™A BY CY 에서 Y™A B 
Y C
값은 이다. 거짓

-1 O 1 x 그래프와 직선이 접하므로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이다. ③
%„ B 
™A C

G Y
]Y ] ]Y] ]Y]  ∴ B™A BC  …❶ U
]Y] ]Y] ]Y ]  ZY™A BY C의 그래프와 직선 ZY 이 접할 때
이므로 G Y
G Y
이다. Y™A BY CY 에서 Y™A B
Y C
따라서 ZG Y
의 그래프는 Z축에 대칭이다.
그래프와 직선이 접하므로
%m B
™A C

02 [전략] 아래로 볼록한 경우와 위로 볼록한 경우를 모두 생각한다.
∴ B™ABC  …❷ U
그래프가 개의 점 , 
, , 
, , 
, , 
, ❶❷를 하면 B ∴ B
, 
, , 
중 세 점을 지나는 이차함수 ZG Y
는 ❶에 대입하면 C U
다음 그림과 같이 개이다.
단계 채점 기준 배점
y
ZY™A BY C의 그래프와 직선 ZY 가 접할
2 40%
때 판별식을 이용하여 B, C에 대한 식 세우기
ZY™A BY C의 그래프와 직선 ZY 이 접할
40%
때 판별식을 이용하여 B, C에 대한 식 세우기
B, C의 값 구하기 20%
-2 O 2 x

B, C

-2
 06 [전략] 접하므로 %을 계산한 다음 L에 대해 정리한다.

ZY™A LY L™A 와 ZNY O에서


03 [전략] ZG Y
의 그래프와 Y축이 만나는 점의 Y좌표 Y™A LY L™A NY O
⇨ 방정식 G Y
의 실근 Y™A LN
Y L™AO 
Y™A BY C의 실근이 =, = 이므로 그래프와 직선이 접하므로
  = = 
B U ❶  = = 
C U ❷ % LN
™A L™AO 

Y™A CY B의 실근이 =, =이므로 NL N™A O
  =
=C U ❸  = =
B U ❹ L의 값에 관계없이 성립하므로
❶, ❹에서 ==™A=이므로 =™A=  N, N™A O
  =
=
 ∴ = 또는 = ∴ N, O, N O ④

06. 이차함수 053


정답 및 풀이

07 [전략] $가 직선 "#에 평행한 직선이 그래프에 접하는 점일 때, 따라서 교점이 개이면 직선 ZY L가 다음 그림과 같고,
삼각형 "#$의 넓이가 최대이다. 이때 L의 값을 구한다.
삼각형 "#$의 넓이가 최대일 때, $는 직선 "#에 평행한 직선 {ii} y=|x@-2|
y
이 그래프에 접하는 점이다. {i}

직선 "#의 기울기는 이므로 접선의 방정식을 ZY O이라 2


하자.
Y™A YY O에서
-Â2 O Â2 x
Y™AY O  U❶
y=-x+k
그래프와 직선이 접하므로
 Œ 직선 ZY L가 점 , 
을 지날 때
%™A O 
 ∴ O
  L ∴ L
  ZY™A 의 그래프와 직선 ZY L가 접할 때
이때 접선의 방정식은 ZY 이 y
 Y™A Y L에서 Y™AY L
C
다. 이 접선이 Y축과 만나는 점을 B{4,`3}
그래프와 직선이 접하므로
 
$[ , ]이라 하면 삼각형 C' %L  ∴ L
 
O A{1,`0} x
"#$와 "#$의 넓이가 같으므로
 
넓이의 최댓값은 따라서 실수 L의 값의 곱은 @  ①
y=-x@+6x-5  
  
@[ ]@ ③
  
L의 값에 따라 실근의 개수는 다음과 같다.

L 이면 개
  5 15 
y
❶에서 Y™AY

 ∴ Y 중근

 {
C 2 ,` 4 } 
L 이면 개
 C' D 
곧, $의 Y좌표가 이므로
 B{4,`3} L이면 개
   L이면 개
ZY 에 대입하면 $[ , ]
  
L이면 개
따라서 오른쪽 그림에서 O A{1,`0} B' x
 
# , 
, $[, ], %[, ]
  10 [전략] Z]Y™A BY ]의 그래프와 직선 Z의 교점을 생각한다.
라 하고 직사각형 "#%$의 넓이에서 삼각형 "##, #$%, "$$의 넓이
G Y
Y™A BY 이라 하자.
를 빼도 된다.
ΠZG Y
의 그래프가 Y축에 접하거나 y=f{x}

만나지 않는 경우
08 [전략] 꼭짓점의 Y좌표가 주어지면 식을 ZB YQ
™A R 꼴로 나타낸다.
G Y
y이므로 ]AG Y
]G Y

G Y
 Y=
™A N, H Y
 Y>
™A O이라 하자. ZG Y
의 그래프와 직선 Z은 세
ZG Y
, ZH Y
의 그래프가 접하므로 점에서 만날 수 없으므로 주어진 방정 x

Y=
™A N Y>
™A O 식이 서로 다른 세 실근을 갖지 않는다.
곧, Y™A = >
Y =™A >™A NO  ZG Y
의 그래프가 Y축과 Y좌표가 =, >< =>
인 두 점
= > 에서 만나는 경우
은 중근을 가지고, 중근은 Y 이다.

y=f{x} y=|f{x}|
= >
따라서 접점의 Y좌표는 이다. ⑤
 y=1

å ∫ x å ∫ x

09 [전략] 실근의 개수는 그래프에서 교점의 개수이다.


Yƒ= 또는 Yy>일 때 G Y
y이므로 ]AG Y
]G Y

방정식의 실근의 개수는 Z]Y™A]의 그래프와 직선


=Y>일 때 G Y
이므로 ]AG Y
]G Y

ZY L의 교점의 개수이다.


따라서 Z]AG Y
]의 그래프는 위의 오른쪽 그림과 같다.
ZY™A와 Z|Y™A|의 그래프는 다음 그림과 같다.
직선 Z이 ZG Y
의 그래프와 접하면 Z]AG Y
]의
y=x@-2 y=|x@-2|
y y
그래프와 직선 Z은 세 점에서 만나고 주어진 방정식은 서
2
로 다른 세 실근을 가진다.
Y™ABY에서 Y™A BY 
-Â2 O Â2 x -Â2 O Â2 x
그래프와 직선이 접하면
-2 %B™A@ ∴ B† , 

054 II. 방정식과 부등식


11 [전략] ", #의 Y좌표를 각각 =, >라 하고 13 [전략] 모든 실수 Y에 대하여 G Y
yG 
이므로
선분 ""과 ##의 길이를 N, =, >로 나타낸다. G Y
는 Y에서 최소이고, 그래프의 꼭짓점의 Y좌표가 이다.
오른쪽 그림과 같이 ", #의 Y좌표 y=x@-2 y
y=mx G Y
yG 
이므로 G Y
는 Y에서 최소이고, 직선 Y은
를 각각 =, >< =>
라 하면 =, 그래프의 축이다.
B{∫,`m∫}
>가 Y™ANY의 두 근이므로 근 ㄱ. 직선 Y이 축이고 G 
이므로 G 
이다. 참

과 계수의 관계에서 A' ㄴ. 직선 Y이 축이므로 G 


G 
이고, 다음 그림에서
O B' x
  = >N, => A{å,`må}  
-2 G 
G[ ]G 
이므로G 
G[ ]G 

또 " =, N=
, # >, N>
이므로  
y y=f{x}
  ""“N=, ##“N>
조건에서 ]""“##“]이므로
  ]N=N>] 2
O 1 5 6 x
N=N>N = >
N™A이므로 N™A 1
2
N은 양수이므로 N  x=3

ㄷ. G Y
의 두 근이 , 이므로
12 [전략] ", #의 Y좌표를 각각 =, >라 하고 G Y
B Y
Y
A B

두 삼각형 "$"„, #$#„의 넓이를 =, >로 나타낸 다음,


으로 놓을 수 있다.
근과 계수의 관계를 이용한다.
L
오른쪽 그림에서 ", #의 Y좌 y G 
L이므로 BL, B
y=2x+k 
표를 각각 =, >라 하면 B{∫,`2∫+k} L L 
∴ G Y
 Y
Y
 Y™A LY L
  " =, = L
-
k   
2 B¡

  # >, > L
C O x L 
G Y
LY에서 Y™A LY LLY
 
  "„ =, 
, #„ >, 
y=-x@+1
L 
L Y™A LY L, Y™AY 
  $[ , ] A{å,`2å+k}
 

곧, %이므로 실근을 가지고
=, >가 Y™A Y L, 곧
두 근의 합은 이다. 참

  Y™A Y L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⑤
의 근이므로 근과 계수의 관계에서
  = >, =>L  U ❶ U
 
삼각형 "$"„의 넓이를 4„이라 하면 14 [전략] ZY™AY L의 그래프가 Y축과  ƒY  인 범위에서 만날

 L L 조건을 찾는다.
  4„ =L
[ =][= ]™A
  
G Y
Y™AY L라 하자.
삼각형 #$#„의 넓이를 4m라 하면
ZG Y
의 그래프의 축이 직선 Y y y=f{x}
 L L
4m > L
[> ][> ]™A U  
   이고, Y축과 ƒY 인 범위에서
 
5
 L L 
4„ 4m 이므로 [= ]™A [> ]™A 만나므로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2
    O 2 7 x
 2
 =™A >™A
L = >
L™A Œ G[ ]ƒ이므로

❶에서 x=2
 
=™A >™A = >
™A=> L
L  Lƒ ∴ Lƒ
 
이므로   
 G[ ]이므로  L ∴ L
LL L™A, L™AL    
∴ L† Œ, 를 동시에 만족하는 정수 L는 , 이고, 합은 이다. 

L이므로 L U
Y™AY L에서 Y†‚L
단계 채점 기준 배점
", #의 Y좌표를 각각 =, >라 하고 근과 계수의 관계를 이 중 반올림하여 이 될 수 있는 근은 Y ‚L이다.
30%
이용하여 = >, =>의 값 구하기    
ƒ ‚L , ƒ‚L
삼각형 "$"„, #$#„의 넓이를 =, >, L의 식으로 각각
30%    
나타내기

L이므로
에서 구한 값과 △"$"„ △#$#„ 임을 이용
 40%    
하여 실수 L의 값 구하기 ƒL ∴ Lƒ
   
 따라서 정수 L는 , 이고, 합은 이다.

06. 이차함수 055


정답 및 풀이

15 [전략] 교점의 좌표는 =, = 


, >, > 
꼴이다. 단계 채점 기준 배점
근과 계수의 관계를 이용하여 교점 사이의 거리를 B로 나타낸다. Y™A YLY 의 서로 다른 두 실근을 =, >라 하고
30%
= >, =>의 값 구하기
ZY™ABY와 ZY 에서 삼각형 0"#의 넓이를 =, >로 간단히 나타내기 40%
Y™ABYY , 곧 Y™A B 
Y 삼각형 0"#의 넓이를 L에 대한 식으로 나타내고, 넓
30%
이의 최솟값 구하기
%
 B 
™A  U❶
 
이므로 이 방정식은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진다. 앞의 그림의 ", #에서 Y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각 ", #이라 하자.
따라서 두 실근을 =, >< =>
라 하면 △0"# ""## △0"" △0##

  
  = > B 
, =>  >=
L=  L> 
< =
L= 
> L> 
=
  
그래프와 직선의 교점을 1, 2라 하면 L L L
 >=
[ = > ]< >™A=™A
>=
= 
  
  1 =, = 
, 2 >, > 

L L L L
 >=
[ = > ] >=
[ = > ] 
이라 할 수 있으므로    
>=
  12“ā >=
™A > =
™Aā =>
™A
ā\ = >
™A=>^ā B 
™A 
17 [전략] 그래프의 축인 직선 YB가 ƒYƒ인 범위에 포함될 때와
따라서 B일 때 두 교점 사이의 거리가 최소이고 최솟값은 아닐 때로 나누어 생각한다.
  u ① G Y
 YB
™A B™A 에서
절대등급 Note Œ Bƒ일 때, y
y=f{x}
. ❶에서 판별식을 쓰지 않고 두 근의 곱이 음이므로 서로 다른 두 실근 최댓값은 G 
B
6
을 가진다고 해도 된다. 최댓값이 이므로 3
O x
. 좌표평면 위의 두 점 " Y„, Z„
, # Ym, Zm
사이의 거리는

"#“ā YmY„
™A ZmZ„
™A B ∴ B

이고, 이와 관련된 내용은 09단원에서 배운다.
 x=a
이때 G Y
Y™A Y  

이고, 최솟값은 G 

 B일 때, y
y=f{x}
최댓값은 G B
B™A 
16 [전략] 교점의 좌표는 =, L= 
, >, L> 
꼴이다.
근과 계수의 관계를 이용하여 삼각형의 넓이를 L로 나타낸다.
최댓값이 이므로
O 3 6 x
B™A  ∴ B†
ZY™A Y와 ZLY 에서
B에 모순이다.
Y™A YLY 
x=a
Ž By일 때,
곧, Y™A L
Y
최댓값은 G 
B y
% L
™A 이므로 이 방정식은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
최댓값이 이므로 y=f{x}
진다.
 3
따라서 두 실근을 =, > =>
라 하면 B ∴ B
 O 6 x
= >L, => U❶ U
By에 모순이다.
한편 오른쪽 그림에서 y
 x=a
Œ, , Ž에서 B 이고,
" =, L= 
, # >, L> 
y=kx+2
C B 
이고, => A 최솟값은  ②
직선 ZLY 와 Z축의 교점을 $라
å O ∫ x
하면 $ , 
이므로 
18 [전략] 그래프의 축인 직선 Y  이 BƒYƒB인 범위에 포함될 때와
y=x@+2x
△0"#△0"$ △0#$  아닐 때로 나누어 생각한다.
  G Y
Y™AY B 라 하면
 @@ =
@@> 
 
 
>= U G Y
[Y ]™A B
 
❶에서 
Œ B 일 때 y y=f{x}
>=
™A = >
™A=> L
™A  
이므로 최솟값은 G B
B™AB 
△0"#ā L
™A  최솟값이 이므로
따라서 삼각형 0"#의 넓이의 최솟값은 L일 때 B™AB 
a-1 O a x
   U B
™A ∴ B 3
x=
2

056 II. 방정식과 부등식


   또 G Y
에서 Y Y†
 B ƒB, 곧 ƒB 일 때 y y=f{x}
   ∴ Y Y 또는 Y Y 
  Y Y에서 Y 또는 Y
최솟값은 G[ ]B
 
Y Y 에서 Y 또는 Y
최솟값이 이므로
O a-1 a x 앞의 오른쪽 그림에서 UƒYƒU 일 때, G Y
의 최댓값이 이
 
B  ∴ B x=
3
려면 범위의
  2

  오른쪽 경계의 값이 U  또는 U 


ƒB 에 모순이다.
  왼쪽 경계의 값이 U 또는 U
y y=f{x}
  ∴ U, , , 
Ž By , 곧 By 일 때
 
따라서 U의 값의 제곱의 합은
최솟값은 G B
B™AB 

  
 
 ⑤
최솟값이 이므로
B™AB  O a-1 a x 21 [전략] 그림을 그려 13“Y, 12“Z라 하고
3
x= 닮은 삼각형을 이용하여 Y, Z에 대한 식을 구한다.
∴ B™AB  2

오른쪽 그림에서 A
%이므로 만족하는 실수 B는 없다.
4 Q 3
Œ, , Ž에서 B ④   13“YA Y
,
y R
  12“ZA Z
x
19 [전략] 주어진 식의 Y에 Y를 대입하면 이라 하면 #2“Y B
P
C
5
G Y
G Y
 Y
™A 
△"#$v△2#1이므로
  이 식을 이용하여 G Y
부터 구한다.

G Y
G Y
Y™A U❶ Y
A:AZA:A ∴ Z Y


Y에 Y를 대입하면 ∴ △#12 △$13
△"#$ "213 
G Y
G Y
 Y
™A U❷ 
YZY[ Y]
❶@❷를 하면 
G Y
Y™A Y
™AY™A Y 
 Y
™A 

∴ G Y
Y™A Y
따라서 Y일 때 두 삼각형의 넓이의 합이 최소이고, 최솟값은
ㄱ. AG 
 참

이다. 
ㄴ. AG Y
 Y 
™A이므로 최솟값은 이다. 거짓

ㄷ. AG Y
의 그래프의 축이 직선 Y이므로
22 [전략] 직사각형의 세로, 가로의 길이를 각각 Y, Z라 하고
G  Y
G Y
넓이에 대한 조건을 이용하여 Y, Z에 대한 식을 구한다.
Y에 Y 을 대입하면 G Y
G Y

9의 세로와 가로의 길이를 각각 YAN, ZAN라 하자.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④ D A

135æ
G Y
BY™A CY D라 하고 ❶에 대입하면 x`m x`m
X
 BY™A CY D
B Y
™A C Y
DY™A Y
BY™A CB
Y B C DY™A B
Y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B, CB, B C D y`m E {150-2x-y}`m C

∴ B, C, D, G Y


Y™A Y 철망의 길이가 AN이므로 &$“ YZ
AN
위의 그림에서 ∠#"$±이므로
ㄷ. G Y
 Y 
™A이므로 #$“#"“YAN, %"“&#“ YZ
AN
G Y
 Y
™A Y 
™AG Y

9의 넓이는 YZAN™A

20 [전략] ZG Y
의 그래프를 그리고 G Y
의 해를 생각한다. :의 넓이는 Y YZ YZ


G Y
|Y Y|이므로 ZG Y
의 그래프는 아래 오른쪽 
 Y YZ
N™A
 U
그림과 같다. 
y=x@+4x-1
y
y=|x@+4x-1|
y
9의 넓이가 :의 넓이의 배이므로
5 
y=4 YZY YZ
∴ Z Y U

   
이때 :의 넓이는 YZ Y[ Y] Y™A Y
-2 O O    
x -5 -2 1 x
-3 -1 
-5
 Y
™A  N™A

06. 이차함수 057


정답 및 풀이

따라서 :의 넓이는 Y일 때 최대이고, 최댓값은 AN™A이다. BšA BQ™A


 BšA BR™A

U B Q™AR™A

단계 채점 기준 배점 B 이므로 Q™AR™A
9의 세로와 가로의 길이를 Y, Z로 놓고 9, :의 넓이
50%
= >
™A =>
™A ∴ =>
구하기
=, >는 G Y
, 곧 BY™ABY B 의 해이므로
넓이를 이용하여 Y, Z의 관계식 구하기 20%
:의 넓이의 최댓값 구하기 30% B 
=>  ∴ B
B
AN™A
G Y
Y™A Y이므로 G 
 
23 [전략] %&“Y로 놓고 정삼각형 "%&의 넓이와 삼각형 "#$의 외부
에 있는 정삼각형의 넓이를 구한다.
02 [전략] 이차함수의 식은 Z\Y B
^™A B 
이다.
 A 이 그래프와 직선 ZNY O이 접할 조건과
%&“Y라 하면 Y
 B에 관계없이 성립할 조건을 찾는다.
오른쪽 그림에서 x
그래프의 꼭짓점의 좌표가 B, B 
이므로
%#“#'“($“Y x Z\Y B
^™A B 

D E
이므로 '(“Y 1-x Y™A B
Y B™AB 
U
1-x 2x-1 1-x C
겹치는 부분의 넓이를 Z라 하면 B
F G 이 그래프와 직선 ZNY O에서
Z△"%&△"'( Y™A B
Y B™AB 
NY O
A'
  Y™A BN
Y B™AB O

 Y™A Y
™A
 
그래프와 직선이 접하므로

 Y™A Y
% BN
™A B™AB O
 U

B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B에 대해 정리하면
  
 <[Y ]™A = B N
N™AN O

  
 따라서 N이고 N™AN O
Y 일 때 Z는 최대이다.
 
∴ N, O U
 
곧, 겹치는 부분의 넓이가 최대일 때 %&“의 길이는 ②

단계 채점 기준 배점
꼭짓점의 좌표를 이용하여 이차함수의 식 세우기 20%
그래프와 직선이 접하므로 판별식을 이용하여 식 세
40%
우기
B에 대한 항등식임을 이용하여 N, O의 값 구하기 40%


step 최상위 문제 60~61쪽 N, O


01  02 N, O  03 ② 04 ④
 03 [전략] Z]Y™AY]과 Z]YL] 의 그래프를 생각한다.
05  06 ③ 07 Y 또는 Y 또는 Y
G Y
Y™AY, H Y
]YL] 라 하자.

08  G Y
 Y
™A이므로 ZG Y
와 Z]G Y
]의 그래프는
다음 그림과 같다.

01 [전략] 
G Y 
G Y 
의 y y=f{x} y y=|f{x}|

Y에 Y 을 대입하면 7
y=f{x}
G  Y
G Y
6

따라서 그래프는 직선 Y에 대칭이다. O 1


x=2 x O 1 x

의 Y에 Y 을 대입하면 -6
-7
G Y 
G Y 
, 곧 G  Y
G Y

이므로 ZG Y
의 그래프는 직선 Y를 축으로 한다. YyL일 때 H Y
YL 
따라서 G Y
B Y
™A OA B 
으로 놓을 수 있다. YL일 때 H Y
Y L 

에서 G 
이므로 B O 이므로 ZH Y
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 y y=g{x}
∴ G Y
B Y
™A BBY™ABY B  과 같다.

에서 = >Q, =>R라 하면 따라서 Z]AG Y
]와 ZH Y
의 그래프 2
B Q
šA BQ
šA BR
šA B R
šA 가 서로 다른 세 점에서 만나는 경우는 다
O k x
앞의 두 항과 뒤의 두 항을 묶어서 전개하면 음 두 가지이다.

058 II. 방정식과 부등식


y y =는 방정식 Y™A N„ 
Y L 의 중근,
>는 방정식 Y™A Nm 
Y L 의 중근이므로
y=g{x} y=g{x} N„  Nm  N„ Nm 
= >  
y=|f{x}|
y=|f{x}|   
O x O x
05 [전략] 꼭짓점의 좌표를 B, LB
라 하고 G Y
의 식을 세운 다음
ΠZG Y
의 그래프와 직선 ZY L 가 접하는 경우 G Y
LY 의 해가 =, >임을 이용한다.

Y™A Y Y L 에서 Y™AY L ZG Y


의 그래프의 꼭짓점이 직선 ZLY 위에 있으므로 꼭짓
그래프와 직선이 접하므로 점의 좌표를 B, LB
라 하면
 G Y
 YB
™A LB
%„ L
 ∴ L
 로 놓을 수 있다. U
 ZG Y
의 그래프와 직선 ZYL 가 접하는 경우 ZG Y
의 그래프와 직선 ZLY 가 만나는 두 점의 Y좌표는
Y™A Y YL 에서 Y™AYL YB
™A LBLY 
그래프와 직선이 접하므로 곧, Y™A B L
Y B™A LB
 의 해이므로
%m  L 
 ∴ L

= >B L U❶
따라서 L의 값의 합은  ②
=>B™A LB U❷ U

04 [전략] 직선의 방정식을 ZNY로 놓고


= > 
ZG Y
의 그래프의 축이 직선 Y  이므로
 
곡선과 직선이 접함을 이용하여 N에 대한 식을 세운다.
= >  
곡선에 접하는 직선의 방정식을 y=x@-2x+k  B ∴ = >B
y   
ZNY이라 하자. l™  
❶에서 B B L ∴ L U
ZY™AY L와 ZNY에서  
Y™AY LNY 
❷에서 =>B™A LBB™A B

Y™A N 
Y L  U❶ å ∫ x
O -1 =>
™A = >
™A=> 
곡선과 직선이 접하므로 l¡   
% N 
™A L 
 [B ]™A[B™A B]
  
∴ N™A NL U❷ 
이므로 ]=>] U
ㄱ. M„, Mm의 기울기를 각각 N„, Nm라 하면 N„, Nm는 ❷의 두 근 
이다. 따라서 N„Nm이면 근과 계수의 관계에서 단계 채점 기준 배점
L ∴ L 거짓
꼭짓점의 좌표를 이용하여 이차함수의 식 세우기 20%
= >, =>의 값 구하기 30%
ㄴ. ❷에 L을 대입하면
그래프의 축을 이용하여 L의 값 구하기 20%
N™A N, N 
N
 ]=>]의 값 구하기 30%
∴ N 또는 N 
위의 그림에서 =는 M„과 곡선의 접점의 Y좌표이므로 M„의 기 
울기가 음수이고 N
❶에 대입하면 06 [전략] G Y
BY™ACY D로 놓고 ZG Y
의 그래프가
Y축과 Y, Y에서 만날 조건을 생각한다.
Y™A Y , Y 중근

G Y
BY™ACY D라 하자. y y=f{x}
∴ = 참


에서 ZG Y
의 그래프가 Y축
ㄷ. ❷에서 근의 공식을 쓰면 N†‚L 
과 Y, Y인 범위에서
=는 N‚L 일 때 ❶의 근이므로 대입하면
만나고, Y™A의 계수가 양수이므로 2 4
Y™A ‚L Y L , Y ‚L 
™A O 1 5 x
G 
BC D U❶
∴ =‚L 
G 
BC D U ❷
>는 N ‚L 일 때 ❶의 근이므로 대입하면
G 
BC D U ❸
Y™A‚L Y L , Y‚L 
™A
G 
BC D U ❹
∴ >‚L 
❶❷에서 B C ∴ CB
∴ = > 참

❶❸에서 B C ∴ CB


따라서 옳은 것은 ㄴ, ㄷ이다. ④
B, C, D는 한 자리 자연수이므로 B이고 C
ㄷ. ❷의 두 근을 N„, Nm N„Nm
라 하자. ❷❹에서 B C, C ∴ C
N„ Nm이고, ❶에서 B, C을 ❶, ❷, ❸, ❹에 대입하면

06. 이차함수 059


정답 및 풀이

 D,  D,  D,  D 08 [전략] &'()f "#()이므로 "#() 넓이의 최솟값을 구한다.
따라서 D이고 B CD ③ B C
")“B, #(“C라 하면 "#“이므로 "#()이다.

또 삼각형의 닮음을 이용하여 B C를 다른 한 문자로 나타낸다.
BY™ACY D의 두 근이 =, > = >
이므로
")“B, #(“C라 하면 E
D C
C D
  = > , => B C 1-a
B B "#() U❶ a
 H
I

에서 = >, =>이므로 F
선분 #$와 &'의 교점을 *라 하면 직 a b
C D b G
 ,   각삼각형 %)&, $&*, '(*는 서로
B B A B

에서 B, C는 한 자리 자연수이므로 B, C 닮음이다.
D )&“B, )%“B, '(“C이므로
또  에서 D이므로 D 또는 D
B △%)&와 △'(*에서
그런데 D이면 Y™AY 이므로 Y 중근
을 가진다. BC
BA:A B
(*“A:AC ∴ (*“
곧, = >라는 조건에 모순이므로 D B
∴ B, C, D, B CD BC C
B
BC BC
또 $*“C  
B B B
%&“D라 하면 &$“D이므로 △%)&와 △$&*에서
07 [전략] Y의 범위를 나누어 G Y
의 절댓값을 없애고,
DA:A B

BC
A:A D
, DD™ABC
U의 범위를 나누어 G Y
의 최댓값을 구한다. B
Y YU YU
∴ B CD™AD 
G Y
<  에서
Y Y U YyU
❶에 대입하면
   
"#() D™AD 
 [D ]™A
 
G Y
Y YU, G Y
Y Y U라 하자.
   
 
D이므로 D 일 때 최솟값은
 
 
따라서 &'()의 넓이의 최솟값은 이다.
-1 1 x -1 t1 x -1 1 x  
t t

Œ U일 때 G Y
의 최댓값은 E
")“B라 하면 D C
G 
G 
U 
  )&“B, )%“B 1-a a
 ƒUƒ일 때 G Y
의 최댓값은
이므로 직각삼각형 %)&에서 H F
G U
G U
G U
U
B™A B
™A %&“™A a
G
b
Ž U일 때 G Y
의 최댓값은 b
∴ %&“™AB U❷ A B
G 
G 
U
#(“C라 하면 ('“C이므로 직각삼각형 &'(에서
U  U

  &(“™A C™A
Œ~Ž에서 H U
<U ƒUƒ

또 $(“C이므로 직각삼각형 &$(에서


U U

&$“™A&(“™A$(“™A  C™A
 C
™AC U❸
방정식 H Y
Y의 해는
D™A 
Y일 때 Y Y %&“D라 하면 ❷에서 B
y y=x 
∴ Y 1 D
™A
&$“D이므로 ❸에서 C
ƒYƒ일 때 YY
y=g{x} 
-1 O 1 x ❶에 대입하면
∴ Y 또는 Y
   
Y일 때 YY "#() D™AD 
 [D ]™A
   
∴ Y Y에 모순

 
따라서 방정식의 해는 D이므로 D 일 때 최솟값은
 
Y 또는 Y 또는 Y 
따라서 &'()의 넓이의 최솟값은 이다.
Y 또는 Y 또는 Y 

060 II. 방정식과 부등식


07. 여러 가지 방정식     
  
step 기본 문제 63~66쪽    

곧, 주어진 방정식은 Y 
Y™A 

01 ③ 02 ⑴ Y† 또는 Y†J
⑵ Y† 또는 Y† 03 B, Y†J ∴ Y 또는 Y†J B, Y†J
04 ⑤ 05 ⑤ 06 ⑤ 07  08 ③
09 ② 10  11 ② 12 ① 13 
04 [전략] Y™AYU로 놓고 전개하면 편하다.
14 ③ 15 ② 16  17  18 ④
19 ⑤ 20 Y, Z, [ 21  22 ② Y™AYU라 하면

23 ① 24 ④

25 By  26 ①
U U 
, U™A U 
∴ U 또는 U
27 , 
, , 
28 ④ 29 ② 30 ⑤
31 ④ 32 ② Œ U일 때 Y™AY에서 Y™AY 
∴ Y 또는 Y
 U일 때 Y™AY에서 Y™AY 
01 [전략] 고차방정식 풀이의 기본은 인수분해이다.
공식이나 인수정리를 이용하여 인수분해한다. %™A@이므로 허근을 가진다.
G Y
Y›AYšAY™AY라 하면 G 
이므로 G Y
는 Œ, 에서 실근의 합은 이다. ⑤
Y 로 나누어떨어진다.
      05 [전략] Y Y
Y
Y
에서 공통부분이 나오도록 적당히 둘씩

    묶어 전개한다.

     \Y Y
^\ Y
Y
^에서
Y™AY
Y™AY 

∴ G Y
 Y 
YšAY™A Y
U❶
Y™AYU라 하면
 Y 
\Y™A Y
Y
^
U U 
, U™A U
 Y 
Y
Y™A 

∴ U 또는 U
따라서 G Y
의 해는
Œ U일 때 Y™AY에서 Y™AY 
Y 또는 Y 또는 Y†J ③
%™A@이므로 허근을 가지고, 허근의 곱은 이다.
 U일 때 Y™AY에서 Y™AY
❶에서 H Y
YšAY™A Y라 하면 H 
이므로 H Y
는 Y로 나
누어떨어진다. ∴ Y 또는 Y
H Y
를 Y로 나눈 몫이 Y™A 이므로 Œ, 에서 허근의 곱은 이다. ⑤
H Y
 Y
Y™A 

상수항이 이므로 모든 근의 곱은 이지만 허근의 곱은 아니다.


02 [전략] BY›A CY™A D 꼴이므로 Y™AU로 놓고 좌변을 인수분해하거나

™A
™A 꼴로 변형한다.
06 [전략] 계수가 좌우 대칭이다. 이런 경우 Y™A으로 양변을 나눈다.
⑴ Y™A
Y™A 
에서 Y™A 또는 Y™A
Y›AYšAY™AY 에서 Y을 대입하면 성립하지 않
∴ Y† 또는 Y†J
으므로 Y 이다.
⑵ Y›AY™A Y™A, Y™A
™A Y
™A
방정식의 양변을 Y™A으로 나누면
Y™A Y
Y™AY

 
Y™A Y일 때 Y† Y™AY 
Y Y™A
Y™AY일 때 Y†  
Y™A [Y ]™A이므로
⑴ Y† 또는 Y†J Y™A Y
⑵ Y† 또는 Y† U™AU, U™AU U❶
따라서 U의 값의 곱은 이다. ⑤
03 [전략] 근을 대입하면 방정식이 성립한다.
B를 구한 다음 조립제법으로 인수분해한다. ❶에서 U 또는 U

YšA Y™A Y B에 Y를 대입하면 Œ U일 때 Y
Y
에서 Y™A Y 
  B ∴ B †J
∴ Y
∴ YšA Y™A Y  

G Y
YšA Y™A Y 이라 하면 G 
이므로 G Y
는  U일 때 Y 에서 Y™AY 
Y
Y 로 나누어떨어진다. ∴ Y†

07. 여러 가지 방정식 061


정답 및 풀이

07 [전략] 삼차, 사차방정식은 인수분해부터! 좌변과 Y™A의 계수를 비교하면 LšALL에서


G Y
YšA Y 라 하면 G 
이므로 G Y
는 Y 로 나 LšAL 
누어떨어진다. G L
LšAL 라 하면 G 
이므로 G L
는 L로 나누

     어떨어진다.

       
      
   
곧, 주어진 방정식은 Y 
Y™AY 

이때 =는 Y™AY 의 허근이고, =•도 이 방정식의 근이므로 ∴ G L
 L
L™A L

  = =,• ==• 곧, L


™A L 
이므로
∴ =™A= ==
• • ™A== = =
•

•  L 중근
또는 L
따라서 L의 최댓값은 이다. ②
08 [전략] 계수가 유리수이므로 도 근이다.
따라서 방정식은 Y 
Y  
Y=
 꼴이다.
 J가 근이므로 대입하면
계수가 유리수이므로 도 근이다.
 J
šA LšAL
 J
™A L
 J
L
주어진 방정식은 YšA의 계수가 인 삼차방정식이므로 나머지 한
LšAL 
J, LšAL 
근을 =라 하면
L
™A L 

YšA BY™A CY  Y 
Y  
Y=

∴ L 중근
또는 L
이때 우변
 Y™A Y
Y=

좌변과 상수항을 비교하면 =이므로 J도 근이므로 나머지 한 근을 =라 하고 삼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를
우변
 Y™A Y
Y
YšA Y™AY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좌변과 계수를 비교하면
B, C ∴ B C ③ 10 [전략] BYšA CY™A DY E의 세 근을 =, >, ?라 하면

1 C D E
⇨ = > ? , => >? ?= , =>?
B B B
 가 근이므로 대입하면
근과 계수의 관계에서
 
šA B  
™A C  

  = > ?, => >? ?=, =>?L
   B 
C  

= >
> ?
? =
=>?에서
BC B C 

  ?
=
>
L
B, C가 유리수이므로 BC, B C 
   = > ?
=> >? ?=
=>?L
연립하여 풀면 B, C ∴ B C
   LL ∴ L 
2
절대등급 Note
삼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를 이용할 수도 있다.
YšAY™A YL Y=
Y>
Y?
라 하면
도 근이므로 나머지 한 근을 =라 하면
우변
YšA = > ?
Y™A => >? ?=
Y=>?
 

=B U❶ 좌변과 비교하면
 

 
= 
=C   = > ?, => >? ?=, =>?L
U❷ 삼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를 모르는 경우에는 이와 같이 풀면 된다.

 

= ∴ =
❶, ❷에 대입하면 B, C ∴ B C
11 [전략] , , 은 방정식 G Y
Y의 해이다.

09 [전략] 계수가 실수이므로 J도 근이다. , , 은 방정식 G Y


Y의 세 근이고, G Y
Y는 YšA
따라서 방정식은 YJ
Y J
Y=
 꼴이다. 의 계수가 인 삼차식이므로
계수가 실수이므로 J도 근이다. G Y
Y Y
Y
Y

주어진 방정식은 YšA의 계수가 인 삼차방정식이므로 나머지 한 으로 놓을 수 있다.


근을 =라 하면 ∴ G Y
 Y
Y
Y
Y
YšA LšAL
Y™A L
Y L  Y™AY 
Y
Y
 YJ
Y J
Y=
YšAY™A Y
이때 우변
 Y™AY 
Y=
따라서 근과 계수의 관계에서
좌변과 상수항을 비교하면 =L이므로 B, C ∴ B C ②
우변
 Y™AY 
Y L

YšA L
Y™A L
Y L 근의 합과 곱을 구하므로 G Y
에서 Y의 계수는 구하지 않아도 된다.

062 II. 방정식과 부등식


12 [전략] T가 YšA의 근이므로 TšA
T™A
 
[T ]™A
또 T는 Y
Y™A Y 
의 허근이므로 T™A T  T™A T
YšA에서 Y
Y™A Y 
이고 T는 허근이므로 TšA이므로
Y™A Y 의 근이다.  
TšA  
TšA 
∴ T™A T 
 
 T
 T
B CT에서 T›A [T ]
T›A T
좌변
 T T™A T T
 T  
TœA [T™A ]
B, C가 실수, T는 허수이므로 우변과 비교하면 TœA T™A
B, C ∴ B C ① TA이므로

TA  
13 [전략] T가 YšA 의 근이므로 TšA TA
또 T는 Y 
Y™AY 
의 허근이므로 T™AT   
TžA T 
T가 YšA 의 근이므로 TšA TžA T

또 YšA 에서 Y 
Y™AY 
이고 T는 허근이므로 ⋮

Y™AY 의 근이다.   


∴ [T ] [T™A ] U [T˜A A ] 
T T™A T˜A A
∴ T™AT 
 


 
이때 TšA ŠA TšA
ŠA 
ŠA
 



T
™A ŠA T™A
™A ŠA T›A
ŠA T
ŠA

이므로
TšA ŠA@ T
™A ŠA 
ŠA@ T
ŠATŠA 15 [전략] Y›A YšA Y 을 인수분해할 수 있는지 확인한다.

TŠA이 양의 실수인 경우는 TAT˜A™AT˜AdAU일 때이다. Y›A YšA Y 에서 YšA Y 


Y 

O은 두 자리 자연수이므로 , , , …, 이고 개이다. YšA 
Y 
, Y™AY 
Y 
™A
 T는 Y™AY 의 허근이므로 T™AT 
양변에 T 을 곱하면 TšA 
14 [전략] Y™AY 의 근은 T, T이고,
• T™AT 이다.
ㄱ. T™AT 참

Y™AY 의 한 허근이 T이므로 T™AT  


ㄴ. T™AT 의 양변을 T로 나누면 T 
양변에 T 을 곱하면 T
  T 
T™AT 
 ∴ TšA   
∴ T™A [T ]™A 참

T™A T
ㄱ. TšA 에서 TšA 참

ㄷ. TšA이므로
ㄴ. T T•, TT•이므로
 T T™A TšA T›A TœA T T™ATT™A
T™A T• ™A T T
™• ATT
• 거짓

TA TžA U T˜A˜ATA  T U TœA



ㄷ. TšA, TA이므로

T T™A TšA T›A TœA TA 
∴  T T™A TšA U TŸAŸATŸAA TŸAžA TŸAdA TŸAŸA
T T™ATT™A 
 T T™A
T T™A U T˜A ATžA TdA TŸA T˜A A 
T T

T T™ATT™A
T 거짓

   TŸA TdA U T 


U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이다. ②
T T™A T˜A A T˜A A
TŸA TdA TžA 
 16 [전략] 좌변을 인수분해할 수 있는지 확인한다.
T˜A A
 T™A T  G Y
YšA  B
Y™A BYB™A이라 하면 G B
이므로
 T
T G Y
는 Y B로 나누어떨어진다.
  
∴ [T ] [T™A ] U [T˜A A ]  B   B B B™A
T T™A T˜A A
T™ATT™AT B B B™A

 참
  B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③ 주어진 방정식은 Y B


Y™A YB

곧, 서로 다른 세 실근을 가지면 Y™A YB은 YB가 아
ㄷ. T™AT 에서 양변을 T로 나누면 닌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진다.
  %
T  ∴ T  Œ  B ∴ B
T T 

07. 여러 가지 방정식 063


정답 및 풀이

 B™ABB 이므로 B B


 ∴ B 이고 B  Y가 실수이면 Uy이므로 ❶의 해가  또는 양수이다.
Œ, 에서 B는 보다 작은 정수이므로 
Œ %™A L
y ∴ Lƒ
, , , , , , , 이고, 개이다.  
또 ❶의 두 근을 =, >라 할 때
G Y
의 상수항이 B™A이므로 Y에 †, †B, †B™A을 대입하여 이 되는지 확  = >y
인하면 G Y
를 인수분해할 수 있다. Ž =>Ly ∴ Ly
Œ, , Ž에서 자연수 L는 , , , U, 이고, 개이다.
17 [전략] 삼차방정식이고 계수가 실수이므로 실근이 한 개이면

삼중근이거나 실근 한 개와 허근 두 개이다.
먼저 방정식의 좌변을 인수분해한다.
20 [전략] 연립방정식 ⇨ 미지수를 하나씩 줄인다.
G Y
YšA Y™A L™A
YL™A 이라 하면 G 
이므로
주어진 식에서
G Y
는 Y로 나누어떨어진다.
YZ U❶
   L™A L™A  Z[ U❷
  L™A [ Y U❸
  L™A  ❶ ❷를 하면 Y[ U❹
주어진 방정식은 Y
Y™A Y L™A
 ❸ ❹를 하면 Y ∴ Y
곧, 실근이 한 개이면 Y™A Y L™A이 Y을 중근으로 ❶에 대입하면 Z
갖거나 허근 두 개를 가진다. ❸에 대입하면 [ Y, Z, [
Œ Y이 중근일 때
21 [전략] 한 문자를 소거할 때
Y™A Y L™A Y
™A  B B 
꼴 ⇨ 해가 없다.
우변을 전개하면 Y™AY 이므로 성립하지 않는다.  꼴 ⇨ 해가 무수히 많다.

 허근 두 개를 가질 때 BY Z U❶
% Y B
ZB U❷
 L™A
L™A , L™A U❶
 ❶❷@B를 하면  BB™A
ZB™A
L는 자연수이므로 , , , U B 
B
Z B 
B

Œ, 에서 자연수 L의 최솟값은 이다.  B이면 @Z이므로 해가 없다.


B이면 @Z이므로 해가 무수히 많다.
L가 실수이면 부등식 ❶의 해는 L 또는 L이다.
∴ B 
18 [전략] 좌변을 인수분해하면 이차방정식의 근의 조건에 대한 문제이다.
Z를 소거해도 결과는 같다.
G Y
YšAY™A L
Y L이라 하면 G 
이므
B  
한편 해가 무수히 많은 경우는   일 때이다.
로 G Y
는 Y 로 나누어떨어진다.  B B

   L L 22 [전략] 꼭짓점 위치에 있는 수를 B, C, D라 하고 방정식을 세운다.


  L  꼭짓점 위치에 있는 수를 각각 B, C, D라 a
  L  하면
26 30
주어진 방정식은 Y 
Y™AY L
 B C U❶
이때 Y이 근이므로 Y™AY L은 보다 큰 서로 C D U❷ b 18 c

다른 두 실근을 가진다. D B U❸


H Y
Y™AY L이라 하면 y
y=g{x} ❶ ❷ ❸을 하면  B C D

축이 직선 Y이므로 ZH Y
의 그래프는 ∴ B C D U❹
오른쪽 그림과 같다. ❶과 ❹에서 D
따라서 조건을 만족하려면 O 1 x ❷와 ❹에서 B
% x=3 ❸과 ❹에서 C
Œ L  ∴ L
 따라서 가장 큰 수는 이다. ②
 H 
 L ∴ L
23 [전략] 일차방정식 YZ 을 이용하여 Y나 Z를 소거한다.
Œ, 에서 정수 L는 , , 이고, 합은 이다. ④
YZ  U❶
  <
19 [전략] Y™AU라 하면 U™AU L이다. Y™A YZ U❷
Y가 실수이면 Uy이므로 이 방정식의 해가  또는 양수이면 된다. ❶에서 ZY 을 ❷에 대입하면
Y™AU라 하면 U™AU L U❶ Y™A Y Y 


064 II. 방정식과 부등식


Y™A Y ∴ Y† 27 [전략] 먼저 인수분해하여 해를 구할 수 있는지 확인한다.
이때 ZY † Y™A B
YB에서
Y , Z일 때 Y B
Y
 ∴ YB 또는 Y
  =™A >  
™A  YšA C 
Y™A C
Y C에서
Y, Z일 때 G Y
YšA C 
Y™A C
Y C라 하면
  =™A > 
™A ① G 
이므로
G Y
 Y 
\Y™A C 
Y C^
=™A >

 =™A  = 
=™A = 
 Y 
Y
YC

 
따라서 G Y
의 해는 Y 또는 Y 또는 YC
24 [전략] 인수분해가 가능한 이차방정식이 있는지 찾는다. 공통인 근이 개이면 C이고 B 또는 B이다.
Y™AYZ Z™A U❶ ∴ B, C
 , 
, , 
, 
, , 

  <
Y™A YZ Z™A U❷
❶에서
28 [전략] 공통인 근을 =라 하면 =™A= B, =™A B=
YZ
YZ
 ∴ YZ 또는 YZ 두 식에서 =™A을 소거하면 B나 =의 값을 구할 수 있다.
Œ YZ를 ❷에 대입하면 Z™A 공통인 근을 =라 하면
∴ Z, Y 또는 Z, Y   =™A= B  … ❶
 YZ를 ❷에 대입하면 Z™A   =™A B=  … ❷
∴ Z, Y 또는 Z, Y ❶❷를 하면
Œ, 에서 =“>“ 또는 =“>“이므로 최댓값은 이다. ④   B
= B , B 
=


25 [전략] Y ZQ, YZR이면 Y, Z는 U에 대한 이차방정식   ∴ B 또는 =


U™AQU R의 해이다. Œ B이면 두 방정식은 모두 Y™AY이고,
Y, Z는 U에 대한 이차방정식 U™A B 
U B™AB 의 공통인 근은 개이다.
해이다.  =일 때 ❶에 대입하면 B
따라서 Y, Z가 실수이면 이 방정식은 실근을 가진다. 이때 방정식 Y™AY 의 해는 Y 또는 Y
% 방정식 Y™A Y의 해는 Y 또는 Y
 B 
™A B™AB 
y
 따라서 공통인 근은 개이다.
B™A B B™A By 곧, B의 값은 이다. ④
 
∴ By By 절대등급 Note
 
공통근 문제는 ❶, ❷와 같은 연립방정식을 푸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두 식을 적당히 더하거나 빼서 인수분해되는 꼴로 변형한다.
Y Z B 
에서 ZB Y
YZB™AB 에 대입하면 Y B Y
B™AB 
∴ Y™A B 
Y B™AB 
29 [전략] Y는 보다 큰 정수, Z 은 보다 큰 정수이다.
이 방정식의 해가 실수이므로
곱해서 인 두 정수의 쌍은 과 , 과 , 와 , 와 
%
 B 
™A B™AB 
y 이다.

B™A B B™A By 그리고 Y는 보다 큰 정수, Z 은 보다 큰 정수이므로
 Y, Z  또는 Y, Z 
∴ By
 또는 Y, Z 
∴Y, Z 또는 Y, Z 또는 Y, Z
26 [전략] Y ZL를 이용하여 한 문자를 소거한 다음
방정식의 해가 개일 조건을 찾는다. 따라서 =>의 최댓값은 =, >일 때 이다. ②
ZLY를 Y™A YZ Z™A에 대입하면
Y™A Y LY
LY
™A 30 [전략] 양변에 BC를 곱하고
@
 정수
꼴로 정리한다.
Y™ALY L™A 주어진 식의 양변에 BC를 곱하면 C BBC
이 방정식의 해가 개이면 연립방정식의 해가 한 쌍이다. B C
C …❶
곧, 중근을 가지므로 B C
C
% L
™A L™A
 B C
 C
™A
L™A  ∴ L† B
C
™A
따라서 실수 L의 값의 곱은 이다. ① B, C가 자연수이므로 B, C은 보다 큰 정수이다.

07. 여러 가지 방정식 065


정답 및 풀이

B B™A B 01 [전략] 바로 전개하면 인수분해하기가 쉽지 않다.


∴ < , < , <
C™A C C Y™AY , Y™AY 을 각각 인수분해한 다음
둘씩 묶어 새로 전개한다.
B, C는 서로 다르므로 B, C 또는 B, C
∴ B C ⑤ Y™AY 
Y™AY 
에서
Y
Y
Y
Y

❶에서 C로 묶어야 하므로 \ Y
Y
^\ Y
Y
^
B C


C

™A Y™AY 
Y™AY 

 
 ™A
Y™AYU라 하면
[B ] C

  U 
U 
, U™A U 
∴ B
C
™A
∴ U 또는 U
31 [전략] 두 근을 =, >로 놓고 = >, =>에서 B를 소거한다. Œ U일 때 Y™AY에서 Y™AY 
두 근을 =, >라 하면 %„@이므로 실근을 가진다.
  = >B  …❶  U일 때 Y™AY에서 Y™AY 
  =>B …❷ %m@이므로 허근을 가진다.
❶에서 B= > …❸ Œ, 에서 X™AX ④
❸을 ❷에 대입하면 => = >

02 [전략] Y™AU라 하면 U에 대한 이차방정식이다.
  =>=> 이 방정식의 근이 어떤 꼴인지 생각한다.
  = >
 >
  Y™AU라 하면 주어진 방정식은
=
>
 U™A LU L  …❶
=, >가 자연수이므로 =, >는 모두 보다 큰 정수이다. U가 양수이면 Y는 서로 다른 두 실수이고 U가 음수이면 Y는 서로
=       다른 두 허수이므로 ❶이 양근 하나와 음근 하나를 가진다.
>       
곧, ❶의 두 근의 곱이 음수이므로 L  ∴ L

=      
∴ 따라서 정수 L의 최댓값은 이다. ①
>      
❸에서 = >가 최대일 때 B가 최대이다. 곧, D
BY™A CY D에서 이면 %C™ABD이므로 이 문제에서는
B
  =, > 또는 =, >
%을 풀지 않아도 된다.
일 때 B의 최댓값은 이다. ④
03 [전략] 식을 정리한 다음 인수분해가 가능한지부터 확인한다.
32 [전략] Y, Z가 실수이고 이차식이므로
Y™A B
Y B™A 
 Y™A B 
Y B™A
에서

™A
™A 꼴로 변형할 수 있는지 확인한다.
YšA B™AY™A Y™A BY BšA BYšA BY Y B™AY™A BšA B™A
Y™AY  Y™AYZ Z™A
∴ YšA Y™AYBšAB™A B
Y
™A YZ
™A
G Y
YšA Y™AYBšAB™A B라 하면 G B
이므로 G Y

Y, Z는 실수이므로 Y, YZ
YB로 나누어떨어진다.
∴ Y, Z, Y Z ②
B    BšAB™A B
B B™A B BšA B™AB
 B  B™A B 

곧, 주어진 방정식은
YB
\Y™A B 
Y B™A B^ U
중근을 가지므로 H Y
Y™A B 
Y B™A B이라 할 때,
step 실력 문제 67~70쪽 H B
이거나 %이다.
ΠH B
일 때

01 ④ 02 ① 03   04  05 , ,  H B
B™A B™A B B™A B, B™A B
06 ② 07 ⑤ 08 ④ 09 ③ 10 ⑤ 
B 
B
 ∴ B 또는 B U
11 ⑤ 12 B, C 13 ③ 14 ② 
15 ③ 16  17 ⑤ 18 Lƒ 19 ②  %일 때
  % B 
™AB™AB , B™A B
20 B  , C  21 ⑤ 22  23 ②

24 ① 
B 
B
 ∴ B 또는 B U


066 II. 방정식과 부등식


 ❷에서 B=™A =>을 ❸에 대입하고, ❶에서 >= 를 ❸에 대
Œ, 에서 실수 B의 값의 합은  U
 입하여 정리하면 =, >, B의 값을 구할 수 있다.

단계 채점 기준 배점
주어진 식을 정리한 후 인수분해하여
YB
\Y™A B 
Y B™A B^으로 나타 50%
06 [전략] 계수가 실수이므로 =가 해이면 =도
• 해이다.
내기 두 허근 =, =™A은 서로 켤레복소수이므로 =™A=•
H Y
Y™A B 
Y B™A B이라 하고
H B
일 때 B의 값 모두 구하기
20% =B CJ B, C는 실수, C 
이라 하면
H Y
의 판별식 %가 일 때 B의 값 모두 구하기 20% B CJ
™ABCJ, B™AC™A BCJBCJ
B의 값의 합 구하기 10% ∴ B™AC™AB U ❶, BCC U❷
 
 ❷에서 B
 


❶에 대입하면 C™A ∴ C†

04 [전략] 주어진 식을 전개한 다음 삼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를 이용
하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방정식의 두 허근은  J,   J
삼차방정식의 좌변을 인수분해할 수 있는지부터 확인한다.
   
나머지 한 실근을 >라 하면
주어진 방정식의 좌변을 인수분해하면
   
Y
Y™AY 
 YšA QY™AY[Y  J][Y J] Y>

   
따라서 =이라 하고 >, ?는 Y™AY 의 두 근이라 해도
 Y™A Y 
Y>

된다.
YšA >
Y™A >
Y>
>?이고 >™A> , ?™A? 이므로
양변의 계수를 비교하면
=™A= 
>™A> 
?™A? 
U❶
Q>, > ∴ >, Q ②
@ >>
@ ??
>? 
근과 계수의 관계에서
❶에서 >™A> 
?™A? 
을 전개한 다음 근과 계수의 관계를 이용해   = =• >Q, ==• => =•>, ==•>
도 된다. = =•, ==•이므로 >와 Q의 값을 구할 수 있다.

05 [전략] 삼차방정식의 좌변을 인수분해하거나 세 근을 =, =, >라 하고


근과 계수의 관계를 이용한다.
07 [전략] 계수가 좌우 대칭이고 항이 짝수 개이므로
Y 로 인수분해할 수 있다.
G Y
YšAY™A  B
YB라 하면 G 
이므로
G Y
BYšA CY™A CY B라 하자.
G Y
는 Y으로 나누어떨어진다.
ㄱ. AG Y
B YšA 
CY Y 

    B B  Y 
\BY™A CB
Y B^
  B 곧, Y은G Y
의 근이다. 참

  B  ㄴ. =가 근이면G =
이므로 B=šA C=™A C= B
곧, 주어진 방정식은 G 
B 이므로 = 이고
Y
Y™AY B
  B C C 
G[ ] B B C= C=™A B=šA

= =šA =™A = =šA


이때 근이 이등변삼각형의 세 변의 길이이므로 중근을 가진다.

Œ Y™AY B이 중근을 가질 때,  AG =

=šA
% 
™AB ∴ B 곧, 도G Y
의 근이다. 참

 =
이때 Y
Y
™A이므로 삼각형의 세 변의 길이는 ㄷ. BY™A CB
Y B에서
, , 이다. % CB
™AB™A C B
CB

 Y™AY B이 Y을 근으로 가질 때, BCB이므로 %


 B ∴ B 곧, 허근을 가진다. 참

이때 Y
Y™AY 
, 곧 Y
™A Y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⑤
그런데 , , 는 삼각형의 세 변의 길이가 아니다.
절대등급 Note
Œ, 에서 이등변삼각형의 세 변의 길이는 , ,  , , 
. AG 
이므로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G Y
를 Y 로 나누어 인
수분해할 수도 있다.
이등변삼각형의 세 변의 길이를 =, =, >라 하면 근과 계수의 관계에서
. 계수가 좌우 대칭이고
= > U❶
Œ 항의 개수가 홀수이면 양변을 YŠA 꼴로 나누어 푼다.
=™A => => B U❷
 항의 개수가 짝수이면 Y 로 나누어 인수분해하고 푼다.
=™A>B U❸

07. 여러 가지 방정식 067


정답 및 풀이

08 [전략] BYšA CY™A DY E의 세 근이 =, >, ?이면 ∴ G 


G 
 C 
C 
 ⑤
C D E
= > ? , => >? ?= , =>?
B B B
11 [전략] 해가 Y„, Ym, Yf, Ye인 사차방정식은
YšA BY™A CY D의 세 근이 =, >, ?이므로 ⇨ YY„
YYm
YYf
YYe

  = > ?B, => >? ?=C, =>?D 해가 Y„, Ym, Yf, Ye이므로
   Y›AY YY„
YYm
YYf
YYe
U❶
YšAY™A Y의 세 근이 , , 이므로
=> >? ?=
❶에 Y을 대입하면 "
  
에서 또 Y„이 Y›AY의 해이므로
=> >? ?=
= > ? B Y„›AY„ ∴ Y„›AY„ 
 ∴  U❶
=>? D 같은 이유로 Ym›AYm , Yf›AYf , Ye›AYe 
      ∴ #Y„›A Ym›A Yf›A Ye›A Y„ Ym Yf Ye

@ @ @ 에서
=> >? >? ?= ?= =>
❶의 우변을 전개하고 양변의 YšA의 계수를 비교하면
  
 Y„ Ym Yf Ye ∴ #, " # ⑤
=>™A? =>?™A =™A>?
=? => >? C
 ∴  U❷ ❶의 양변의 상수항을 비교하면 Y„YmYfYe
=>?
™A D™A
이와 같이 하면 해의 합과 곱은 간단히 구할 수 있다.
  
@ @ 에서
=> >? ?=
12 [전략] YšA Y
Y™A Y 
에서
 
 ∴  U❸ TšA, T™A T 
=>?
™A D™A
YšA에서 Y
Y™A Y 

❸에서 D™A, ❶에서 B™A, ❷에서 C™A
T는 YšA, Y™A Y 의 해이므로
∴ B™A C™A D™A ④
  TšA, T™A T  U
09 [전략] 세 근을 O, O, O 로 놓고 근과 계수의 관계를 이용한다. 이때 T TO O 
TO  O
T  T T™A

O O  O 
세 근을 O, O, O 이라 하면 근과 계수의 관계에서   T T T TO  T™A T›A

O O O B U❶ TO  T™A T



O
O O O 
O 
O
 U❷ 이므로
O
O O 
C U❸ G O
G O 
G O 

❷에서 O™A, O™A \TO T O 


T O 
^ TO TO  TO 

O은  이상인 자연수이므로 O  U
❶, ❸에 각각 대입하면 B, C ∴ AG 
G 
G 
U G 
U❶
또 G Y
의 세 근이 , , 이므로 G Y
의 세 근은 @ G 
 T™A AT˜A A 
 T™AT 
Y, , 에서 Y, , 

 T
T 
따라서 G Y
의 세 근의 곱은 Q
T 
∴ B C Q ③
B, C가 실수이므로 B, C U
단계 채점 기준 배점
YšA BY™A YC YO 
YO
YO
로 놓고 우변을 전개
T가 YšA의 한 허근임을 이용하여 T에 대한 관
하여 풀 수도 있다. 20%
계식 구하기
에서 구한 관계식을 이용하여
10 [전략] = > ?B이므로 > ?, ? =, = >를 각각
G O
G O 
G O 
간단히 하기
50%
=, >, ?로 나타낼 수 있다. G 
G 
G 
U G 
을 T에 대해 정리
30%
근과 계수의 관계에서 = > ?B이므로 하고, 실수 B, C의 값 구하기

  > ?B=, ? =B>, = >B? B, C


이때 주어진 조건은 ❶에서
  G =
B=, G >
B>, G ?
B? AG 
\AG 
G 
G 
^ U \AG 
G 
G 
^
G 

곧, =, >, ?는 G Y
BY, 곧 G Y
YB의 세 근이다.
를 계산해도 된다.
G Y
YB는 YšA의 계수가 인 삼차식이므로
  G Y
YB Y=
Y>
Y?
13 [전략] YšA  Y 
Y™AY 
에서
이때 YšABY™A CY  Y=
Y>
Y?
이므로 TšA, T™AT 

  G Y
YšABY™A CY Y B YšA 에서 Y 
Y™AY 

YšABY™A C
Y  B T는 YšA , Y™AY 의 해이므로

068 II. 방정식과 부등식


  TšA, T™AT  16 [전략] Y, Z에 대한 대칭인 꼴이므로
또 근과 계수의 관계에서 T T, TT Y ZV, YZW로 놓고 V, W부터 구할 수 있는지 확인한다.
• •
ㄱ. TšA이므로 Y ZV, YZW라 하자.
  T˜AšA TšA
›AT 
›ATT 참
YZ Y Z에서 W V U❶
ㄴ. T™AT 에서 TT™A, Y™A Z™A Y Z에서
T• ™AT 에서
•  T• ™AT이므로
• Y Z
™AYZ  Y Z
, V™AW V
T™A T• T™A T• ❶에서 WV를 대입하면 V™A V V
   거짓

T  T• ™A T™A T• V™A V ∴ V 또는 V


ㄷ. AG O
TO T
O 이라 하자. ❶에 대입하면 W 또는 W
TT™A  Y Z, YZ일 때 Y, Z
 , 
, , 

T
O T™A
O T›A
O T
O Y Z, YZ일 때 Y, Z
 , 
, , 

이므로 y
AG O
TO T
O  1
B A
∴ G 
T™AT 
-3 -2 O 1 x
G 
T›A T™A TšAT T™A T™AT 
-2
G 
TATšA  TšA
™A  
C -3 D
또G O 
TO  T
O  
TOTA T
O 
šATšA 
따라서 네 점이 꼭짓점인 사각형은 위의 그림과 같으므로 정사각
TO T
O G O

형 "#$%의 넓이에서 네 삼각형의 넓이를 빼면


따라서 O이 의 배수가 아니면 G O
이다.
 
곧,  이하의 자연수 중 의 배수는 개이므로 ™A@[ @™A]@[ ?™A] 
 
구하는 O은 개이다. 참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③ YZ Y Z에서 Y 


Z 

Y™A Z™A Y Z에서 Y 
™A Z 
™A
14 [전략] 공통인 근을 Y=, Z>라 하면
이때 Y 9, Z :라 하면
=, >는 네 방정식을 동시에 만족하는 해이다.
9:, 9™A :™A
Y=, Z>를 주어진 두 연립방정식의 공통인 근이라 하면
9 :
™A9™A :™A 9:이므로 9 :†
=™A>™A U❶ => U❸
  <  < 곧, 9, :는 U™AU , U™A U 의 해이므로
N= > U❷ =™A >™AO U❹
9, :
 , 
, , 
, , 
, , -

❶, ❸에서 = >
=>
, =>
∴ Y, Z
 , 
, , 
, , 
, , -

∴ = >
❸과 연립하여 풀면 =, >
주어진 연립방정식에서 두 식은 인수분해되지도 않고, 두 식을 적당히 더하거
❷, ❹에 대입하면 N,  O 나 빼어도 인수분해할 수 없는 꼴이다.
∴ N, O, N O ②

15 [전략] Z, [를 차례로 소거할 때


17 [전략] Y, Z, [가 순환되어 나오는 꼴이다.
변변 더하거나 빼면 간단히 할 수 있다.
 꼴 ⇨ 해가 무수히 많다.
 이 아닌 수
꼴 ⇨ 해가 없다. 세 식을 변변 더하면
Y Z [ U❶ Y™A Z™A [™A  YZ Z[ [Y
 Y Z [

B›AYZ B™A[ U❷ Y Z [
™A  Y Z [

Y Z [ U❸ Y Z [UA U
이라 하면
❶ ❷를 하면  B›A 
Y B™A 
[ U❹ U™A U, U
U 

❶❸을 하면 Y [ U이므로 U, Y Z [ ⑤
[Y를 ❹에 대입하면
 B›A 
Y B™A 
Y
 18 [전략] 두 식에서 L를 소거한 다음 Y, Z에 대한 식을 찾는다.
B›AB™A
YB™A 인수분해할 수 없는 연립이차방정식 ⇨ 상수항 또는 이차항 소거

이때 B›AB™A이고 B™A이면 해가 무수히 많다. Y 


Z 
L U❶
B›AB™A에서 B™A 
B™A
 Y
Z
L U❷
따라서 B™A, 곧 B†이면 해가 무수히 많으므로 B의 값 ❶, ❷에서 L를 소거하면
의 곱은 이다. ③ Y 
Z 
 Y
Z

07. 여러 가지 방정식 069


정답 및 풀이

YZ Y Z YZYZ  
B
A:ABA:A이므로 BB, B
Y Z  U 

곧, ZY을 ❶에 대입하면   
CB이므로 C B , C
  
Y 
Y 
L, Y™A Y L U
실근을 가지므로 21 [전략] 공통인 근을 =라 하면 =šA Q= , =šA = Q

% 두 식에서 =šA이나 Q를 소거하고 식을 정리한다.


 L
y ∴ Lƒ U
 공통인 근을 =라 하면
단계 채점 기준 배점   =šA Q=  U❶
주어진 두 식을 연립하여 L를 소거한 식 세우기 40% =šA = Q U❷
에서 구한 식을 주어진 두 식 중 한 식에 대입하여
30% ❶❷를 하면
이차방정식 세우기
에서 구한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이용하여 L의 값
30% Q
= Q

의 범위 구하기
Q
=

Lƒ Q이면 두 방정식은 모두 YšA Y 이고,
ZY을 ❷에 대입하여 정리해도 Y™A Y L이다.
공통인 근은 개이다.
곧, Q 이고 =이므로 =를 ❶에 대입하면
19 [전략] YyZ이면 NBY Y, Z
Y, NJO Y, Z
Z  Q  ∴ Q
YZ이면 NBY Y, Z
Z, NJO Y, Z
Y 이때 두 방정식은
YY™A Z™A U❶ YšAY , YšA Y
Œ YyZ일 때 <  
ZYZ  U❷ YšAY 에서 Y
Y™A Y
이고
 YšA Y에서 Y
Y™A Y 
이므로
❷에서 ZY 을 ❶에 대입하면

공통인 근은 Y뿐이다.
 
Y™A [Y ]™AY, Y™A 따라서 Q와 공통인 근의 합은   ⑤
 
만족하는 Y의 값은 없다.
ZY™A Z™A U❸ 22 [전략]  J가 공통인 근이 될 수 있는지부터 확인하고
 YZ일 때 <   삼차방정식의 근을 생각한다.
YYZ  U❹
 J가 Y™A BY 의 근이면 J도 근이다.
❹에서 YZ을 ❸에 대입하면
그런데  J
J
이므로 근과 계수의 관계에서
Z
™A Z™AZ, Z™AZ 
 J는 근일 수 없다.
Z
Z

따라서 N  J이고 YšA BY™A CY D의 세 근은
Z는 정수이므로 Z, Y ∴ Y Z ②
 J, J, N이다. U

YZ이면 NBY Y, Z
, NJO Y, Z
는 모두 Y라 해도 되고 Z라 해도 된다.
YšA BY™A CY D YJ
Y J
YN

 Y™AY 
YN

양변의 Y™A의 계수를 비교하면 BN U


20 [전략] 공통인 근을 =라 하고 두 식에 대입한 다음 이때 Y™A BY 은 Y™A N 
Y 
변변 더하거나 빼서 정리한다.
N이 이 방정식의 근이므로
공통인 근을 =라 하면 N™A N 
N  ∴ N U
  =™A B= C U❶
단계 채점 기준 배점
=™A C= B U❷ 켤레근, 근과 계수의 관계를 이용하여 N  J임
❶❷를 하면 을 알고, 주어진 삼차방정식의 세 근이 N,  J, 40%
J임을 알기
BC
= BC
, BC
=
 YšA BY™A CY D
BC이면 두 방정식이 일치하므로 공통이 아닌 두 근의 비가  YJ
Y J
YN
30%
에서 Y™A 의 계수를 비교하여 B, N에 대한 식 세우기
A:A일 수 없다. ∴ B C이고 = N이 Y™A BY 의 근임을 이용하여 N의 값 구
30%
=을 ❶에 대입하면  B C ∴ CB 하기

이때 두 방정식은 
Y™A BYB, Y™A B 
Y B
Y™A BYB에서 Y
Y B 
 23 [전략] Q는 두 근의 합, R는 두 근의 곱임을 이용한다.

∴ Y 또는 YB ㄱ. R는 두 자연수 근의 곱이고 홀수이므로 두 자연수 근은 모두


Y™A B 
Y B에서 Y
YB
 홀수이다. 곧, 두 자연수 근의 합 Q는 짝수이다. 참

∴ Y 또는 YB ㄴ. 합과 곱이 모두 홀수인 두 자연수는 없다. 참

070 II. 방정식과 부등식


ㄷ. 두 자연수 근이 모두 짝수이면 합 Q도 짝수이고 곱 R도 짝수 †
∴ B 또는 B 또는 B
이다. 거짓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이다. ② B이므로 B

24 [전략] 자연수 근을 L, 나머지 두 근을 =, >라 하고 따라서 정사각형 "#$%의 한 변의 길이는
근과 계수의 관계를 이용한다. "%“BB™AB B 
U❶
자연수 근을 L, 나머지 두 근을 =, >라 하면 B ②
= > LO U❶
=> >L =LO U❷ ❶에서 B™A B임을 이용하였다.

=>LQ U❸  
BB™A에 B 를 바로 대입하고 정리해도 된다.

❶에서 = >LO
❷에서 =>
L = >
OL LO
O 02 [전략] 인수정리를 이용하여 좌변을 인수분해한다.
L™A OL O G Y
Y›A N 
YšA N
Y™A N N 
YN™A
❸에 대입하면 L L™A OL O
Q U❹ 이라 하면 G 
이므로 G Y
는 Y로 나누어떨어진다.
Q가 소수이므로 L 또는 LQ
  N N N™A N N™A
Œ L일 때 ❹에서
 N  N N™A
 O OQ, QO
 N  N N™A 
O은 자연수, Q는 소수이므로 O, Q
∴ G Y
 Y
\YšA N
Y™ANY N™A^
 LQ일 때 ❹에서 Q Q™A QO O
Q
H Y
YšA N
Y™ANY N™A이라 하면 H N
이
Q™A QO O, Q™A OQ O
므로 H Y
는 YN으로 나누어떨어진다.
Q™Ay이고 OQ O이므로 등식을 만족하는 O, Q의 값은
없다. N  N  N N™A
Œ, 에서 O, Q ∴ O Q ① N N N™A
  N 

∴ G Y
 Y
YN
Y™A YN

따라서 G Y
이 서로 다른 네 실근을 가지면 N 이고,
I Y
Y™A YN이라 할 때 I Y
이 서로 다른 두 실근을

step 가지며 I 
, I N
이다.
최상위 문제 71~72쪽
Œ N 에서 N 
01 ② 02  03 ② 04  05  
06 ④ 07  08 ③
 I Y
에서 % N ∴ N

Ž I 
에서  N  ∴ N 
01 [전략] 한 점 "의 Y좌표를 B라 하고 나머지 점의 좌표를 구한다. <I N
에서 N™A NN 
또 ZY™A Y, ZY™A에서 Z를 소거하고 교점의 Y좌표를 구한다. 
N N 
 ∴ N , N 
y 
y=x@ y=x
Œ~에서  이하인 정수 N은 , , , , , , , 이고,
Q
개이다. 
C D
y=-x@+2x   
B A 03 [전략] >>으로 생각하면 = > ?, 
= > ?
P
O x 따라서 =, >, ?에 대한 식을 생각한다.

>>으로 놓으면
ZY™A과 ZY™A Y에서 가
= > ?
Y™AY™A Y, Y Y
 ∴ Y 또는 Y   

에서 >? ?= =>
따라서 교점의 좌표는 , 
, , 
이고 교점을 지나는 직선의 = > ?
방정식은 ZY이다. 이때 =, >, ?가 세 근인 삼차방정식은
"의 Y좌표를 B라 하면 " B, B™A
YšA = > ?
Y™A => >? ?=
Y=>?
이때 # B™A, B™A
, % B, B
, $ B™A, B

, 나
에 의해 YšA=>?
한편 $가 곡선 ZY™A Y 위의 점이므로 이 식에 근 =, >, ?를 대입하면
BB›A B™A, B BšAB 
   =šA=>?, >
šA=>?, ?šA=>?
B B
B™A B
   =šA=>?, >
šA=>?, ?šA=>?

07. 여러 가지 방정식 071


정답 및 풀이

= šA > ? =>? =>? =>? G , 


G , 
G , 
U G , 

  ∴[ ] [ ]šA [ ]šA
> ? = =>? =>? =>? G , 
G , 
G , 

 ② G , 
G , 
G , 

 = =™A
=™A
 =


에서 >= ? U❶  =™A
 =

   = ?  = 


U

에서  
> = ? =?
†J
 = ? 그런데 =™A = 에서 = 이므로
❶을 대입하면  , =? = ?
™A 
= ? =?
∴ =™A =? ?™A †J
 = 
[ ]†J

양변에 =?를 곱하면 =šA?šA
∴ Q™A R™A 
™A †
™A U

에서 ?>= U❷
단계 채점 기준 배점
   =>

에서    주어진 사차방정식의 좌변을 인수분해하고 =를 허근
? > = => 20%
으로 갖는 이차방정식 찾기
 => 켤레근, 근과 계수의 관계를 이용하여 G N, O
간단
❷를 대입하면  , => =>
™A 30%
>= => 히 하기
∴ =™A=> >™A G , 
G , 
G , 
U G , 
을 =에
40%
대해 정리하기
양변에 = >를 곱하면 =šA >šA 허근 =와 Q, R의 값, Q™A R™A의 값 구하기 10%
>šA=šA, ?šA=šA이므로

= šA > ?
[ ] [ ]šA [ ]šA  G N , N 
 =
N  =
N 
> ? =
 =
N =
A =
N  =
A 
 =
N =
N G N, N 

04 [전략] 방정식의 좌변을 인수분해한 다음


=를 허근으로 갖는 이차방정식을 찾는다. 05 [전략] 방정식의 좌변을 인수분해한 다음 [를 허근으로 갖는 이차방정식
그리고 근과 계수의 관계와 켤레근의 성질을 이용한다. 을 찾는다.
그리고 근과 계수의 관계와 켤레근의 성질을 이용하여 G [

Y›AYšAY 에서
G [•
를 정리한다.
Y
Y
Y™A Y 

YšAY™A Y에서 Y
Y™AY 

따라서 허근 =는 Y™A Y 의 근이므로
따라서 [와 [는
• Y™AY 의 허근이고,
  =™A =  ∴ =™A = U
[™A[ , [• ™A[ 
•
또 =™A = 의 양변에 =을 곱하면 =šA
또 근과 계수의 관계에서 [ [•, [[• U
한편, =•도 Y™A Y 의 근이므로 근과 계수의 관계에서
[• ™A[ 에서
• [•™A[•
  = =•, ==•
양변을 제곱하면 [• ›A[• ™A[ 
•

==•에서 =• 이므로 [• ›A [[
• • ™A [•
=
  =™A =™A   [ [
   = ∴ G [
    U❶
 =•A
™  =™A  = [•›A [• [• [[• 

=™A 한편 [™A[ 에서 [™A[
 ŠA
∴ G N, O
  =™A
xAA [ ] [šA[™A[ [
[[
 =•™A
 =
xAA =
ŠA U [šA [ [
  [ [
따라서 ∴ G [•
   •  • U❷
[šA [  [ [[• 
G , 
 =
˜A =
™A= =™A
Y
G , 
 =
™A =
šA=™A=šA=™A 곧, ❶, ❷에서 G Y
 는 [, [가
• 근인 삼차방정식이다. U

G , 
 =
šA =
›A=šA =›A = YšA의 계수가 이므로 나머지 한 근을 =라 하면
G , 
 =
›A =
œA=›A=œA==™A Y
G Y
  Y[
Y[
Y=

•
G , 
 =
œA =
A=œA =A=™A  
G , 
 =
A =
žA=A=žA= G 
이므로  [
[
=

•
G , 
 =
žA =
dA=žA =dA= =™A [[이므로
• =
⋮ Y
∴ G Y
 Y[
Y[
Y 

• 
이고
Y
G , 
G , 
G , 
U G , 
  Y™AY 
Y 


이므로 G 
@  U

072 II. 방정식과 부등식


단계 채점 기준 배점 07 [전략] 정수인 근을 YO이라 하면
주어진 삼차방정식의 좌변을 인수분해하고 허근을 갖 G Y
 YO
Y™A BY C
B, C는 정수

20%
는 이차방정식을 찾은 후 [, [•에 대한 식 세우기 로 놓을 수 있다.
Y
G [
, G [

• 이용하여 G Y
 는 [, [를
• 근으로 가
 40% 삼차방정식 G Y
의 정수인 근을 YO이라 하면
지는 삼차방정식임을 보이기
G Y
 YO
Y™A BY C
B, C는 정수

G 
임을 이용하여 삼차식 G Y
를 구하고 G 

40% 로 놓을 수 있다. 이때
의 값 구하기

 G 
 O
 B C
 U❶
G 
 O
 B C
 U❷
06 [전략] 두 식에서 상수항을 소거하면 Y™A, YZ, Z™A만 남는다. O, O,  B C,  B C 모두 정수이므로
이 식을 인수분해하거나 Y™A 또는 Z™A으로 양변을 나눈 다음
❶에서 가능한 O의 값은 †, †이고,
이차방정식의 성질을 이용한다.
❷에서 가능한 O의 값은 †, †이다.
Y™AYZ Z™A U❶
곧, O†, †에서 O, , , 
Y™A YZ Z™AL U❷
O†, †에서 O, , , 
두 식에서 L를 소거하기 위해 ❶@L❷를 하면
둘을 동시에 만족해야 하므로 O 
L
Y™A L 
YZ  L
Z™A U❸
Œ L일 때 YZZ™A에서 Z Y Z

O을 ❶, ❷에 각각 대입하여 정리하면
∴ Z 또는 YZ B C
❶에서 Z이면 Y†이므로 해가 쌍 B C
 연립하여 풀면 B, C
YZ이면 Y† 이므로 해가 쌍 따라서 G Y
 Y
Y™A
이므로 정수인 근은 뿐이다.

따라서 해가 쌍이다.
08 [전략] YšAY™A N
Y N  Y=
Y>
Y?

 L일 때 Y™AYZ에서 Y YZ


 로 놓고 Y을 대입하면 N이 소거되고 정수만 남는다는 것을
∴ Y 또는 YZ 이용한다.

 세 근이 =, >, ?이므로
❶에서 Y이면 Z† 이므로 해가 쌍
 YšAY™A N
Y N 
  Y=
Y>
Y?
U❶
YZ이면 Z† 이므로 해가 쌍

Y을 대입하면
따라서 해가 쌍이다.
 =
>
?

Ž L , 일 때
❶에서 양변의 Y™A의 계수를 비교하면 = > ?
Z이면 Y이므로 ❶을 만족하지 않는다.
∴  =
>
?

따라서 Z 이므로 ❸의 양변을 Z™A으로 나누고


=, >, ?가 정수이고 =ƒ>ƒ?라 해도 되
Y
U라 하면 므로 곱이 , 합이 인 경우는
Z
L
U™A L 
U  L
 U❹ =, >, ?
이때 YUZ이므로 ❶에 대입하면 Z™A U™AU 
 ∴ =, >, ?
  ❶에서 양변의 상수항을 비교하면 N =>?, N
U™AU [U ]™A 이므로
  ∴ =™A >™A ?™A N™A ③

Z™A 
U™AU 
곧, U의 값에 대응하는 Z의 값이 개이므로 해가 쌍이기 위
해서는 ❹의 방정식이 중근을 가진다.
% L 
™A L
@ L

L™AL 
 
근과 계수의 관계에서 L의 값의 곱은 이고 =
 

Œ, , Ž에서 = 이므로 = ④


07. 여러 가지 방정식 073


정답 및 풀이

08. 부등식 04 [전략] BYC에서 B이면 @YC이므로


C이면 해는 모든 실수
Cƒ이면 해가 없다.
step 기본 문제 74~77쪽
YBCY 에서 C
Y B
01 ⑤ 02 ① 03  04 ⑤ 05 ③  B
C일 때 Y
06 ƒB 07 ② 08 ③ 09  C
10 ④ 11 ƒBƒ 12 ② 13 ƒL  B
C일 때 Y
14 Y 또는 Y  15 ⑤ C
16 Y 17 B, C 18 ⑤ C일 때 @Y B이므로  B이면 해가 모든 실
19 Bƒ 20 ① 21 ② 22 ② 수이고  Bƒ이면 해가 없다.
23 ③ 24 Bƒ 25 ②
∴ C, Bƒ ⑤
26 B, C 27  28 ② 29 ⑤

30 ③ 31  B 32 Y 05 [전략] 부등식에서 문자로 나눌 때에는 부호에 주의한다.

B C
Y BC에서

01 [전략] ]Y]ƒB ⇨ BƒYƒB BC


B C일 때 Y
B C
]Y]ƒB에서 BƒYƒB
BC
B ƒYƒB  B C일 때 Y
B C
B  B  
∴ ƒYƒ 해가 Y 이므로
  
CƒYƒ과 비교하면 BC 
B C U ❶,   U❷
B  B  B C 
C, 
  ❷에서  BC
B C ∴ B
B C, B  이때 BC
Y B C은
∴ B, C, B C ⑤ CY C, C Y

❶에서 C이므로 Y ③
02 [전략] Y, ƒY, Yy로 나누어 푼다.

Œ Y일 때  Y 
 Y
ƒ 06 [전략] 각 부등식의 해를 수직선 위에 나타낼 때,
 공통부분에 정수가 개 포함된다.
Yƒ ∴ Yy
 Y에서 Y ∴ Y U❶
 YƒB에서 YƒB ∴ YyB  U❷
Y이므로  ƒY


 ƒY일 때  Y 
 Y
ƒ ➊

Yƒ ∴ Yƒ 0 -a+2 1 2 3 x

ƒY이므로 ƒYƒ ❶, ❷의 공통인 부분에 정수가 개이므로 ❷는 , 를 포함하고


Ž Yy일 때  Y 
Y
ƒ 을 포함하지 않는다. 곧,
Yƒ ∴ Yƒ B ƒ ∴ ƒB ƒB
Yy이므로 해는 없다.
 07 [전략] BY™A CY D B
의 해가 =Y>이면
Œ, , Ž에서  ƒYƒ
 BY™A CY DB Y=
Y>

따라서 정수 Y는 , 이고, 합은  ① Y™A의 계수가 이고 부등식의 해가 =Y>이므로


Y™AY Y=
Y>

BC
03 [전략] BCD이면 <
CD
Y™A = >
Y =>
계수를 비교하면 = >, =>이므로
Y 
Y 에서  Y
Y  =™A >™A = >
™A=>™A@ 
 ②


Y ∴ Y U❶
 이차방정식 Y™AY의 두 근이 =, >이므로 근과 계수의 관계에서
Y    = >, =>
ƒY에서 Y ƒ Y

 이라 해도 된다.
Yƒ ∴ Yy U❷
08 [전략] 연립부등식 ⇨ 해의 공통부분을 찾는다.

❶, ❷에서 ƒY
 Y™AYƒ에서 Y 
Y
ƒ
따라서 자연수 Y는 , , , , 이고, 개이다.  ∴ ƒYƒ U❶

074 II. 방정식과 부등식


Y™A Y 에서 Y™AY, Y 
Y
  두 근의 합이 양수이므로 L ∴ L
∴ Y 또는 Y U❷ Ž 두 근의 곱이 양수이므로 L  ∴ L
❶, ❷의 공통부분은 Yƒ이므로 Œ, , Ž의 공통부분은 ƒL ƒL
=, > ∴ = > ③
14 [전략] 해가 =Y>이면 Y=
Y>

09 [전략] 완전제곱 꼴의 부등식의 해는 다음과 같다. 해가 Y= 또는 Y>이면 Y=
Y>

Y=
™A ⇨ Y =인 실수 해가 Y인 이차부등식은
Y=
™Aƒ ⇨ Y=
Y 
Y
, Y™A Y
Y™AY ƒ에서 Y
Y
ƒ Y™A BY C과 비교하면 B, C
∴ ƒYƒ U❶ 이때 Y™A CY B은 Y™AY 
Y™AY 에서 Y
™A Y™AY 의 해가 Y†이므로
∴ Y 인 실수 U❷ Y 또는 Y 
❶, ❷를 만족하는 정수 Y는 , , , 이고, 개이다.  Y 또는 Y 
10 [전략] Yy, Y일 때로 나누어 푼다.
15 [전략] YU로 놓고 U의 범위를 구한다.
Œ Yy일 때 Y™A Yy
YU로 놓으면 주어진 식은
Y 
Y
y ∴ Yƒ 또는 Yy
BU™A CU D
Yy이므로 Yy
이때 BY™A CY D의 해가 Y이므로 U
 Y일 때 Y™A Yy
Y ∴ Y
 
Y™AY ƒ, [Y ]™A ƒ 따라서 정수 Y의 값은 이다. ⑤
 
이 부등식의 해는 없다.
16 [전략] 해가 =Y>이면 Y=
Y>

Œ, 에서 Yy ④ 해가 Y= 또는 Y>이면 Y=
Y>


YB
YC
의 해가 Y이므로
Y™AY ƒ에서 % 
™A@이다.
YB
YC
 Y 
Y

11 [전략] Y과 YB 


YB
의 해를 비교한다. Y™A B C
Y BCY™AY
YB 
YB
에서 BB 이므로 ∴ B C, BC
BYB  U❶ 이때 Y B
Y C
은 Y™A B C
Y BC
➊ Y™A Y, Y 
Y

∴ Y Y
a-2 -1 1 a+3 x

위의 그림과 같이 Y이 ❶에 포함되면 조건을 만족한다. 곡선 Z YB


YC
는 Y축과 YB, YC에서 만나고
따라서 Bƒ이고 B y이므로 곡선 Z Y B
Y C
는 Y축과 YB, YC에서 만난다.
Bƒ이고 By ∴ ƒBƒ ƒBƒ 따라서 두 그래프는 Z축에 대칭이다.
y={x+a}{x+b} y={x-a}{x-b}
y
12 [전략] 계수가 실수이므로 허근을 가질 조건은 %이다.

Y™A  B 
Y B 이 허근을 가지므로
%„ O
 B 
™A B 
, B™A B -b b x
 a -a
B 
B
 ∴ B U❶
또 Y™A B
YB 도 허근을 가지므로
17 [전략] 연립부등식의 해를 구한 다음
%m 해가 =ƒYƒ>이면 Y=
Y>
ƒ
 B
™A B 
, B™AB
 해가 Yƒ= 또는 Yy>이면 Y=
Y>
y
B 
B
 ∴ B U❷ ]Y ]ƒ에서 ƒY ƒ
❶, ❷의 공통부분은 B ∴ ƒYƒ U❶
따라서 정수 B는 , 이고, 개이다. ② Y™AYy에서 Y 
Y
y
13 [전략] 해가 양수 ⇨ %y, 합
, 곱
 ∴ Yƒ 또는 Yy U❷

Y™ALYL 에서 ❶, ❷의 공통부분은 ƒYƒ

% 이 부등식이 해인 이차부등식은
Œ L™A Ly, L 
L
y
 Y 
Y 
ƒ, Y™A Y ƒ
∴ Lƒ 또는 Ly ∴ B, C B, C

08. 부등식 075


정답 및 풀이

18 [전략] 해가 Y인 부등식은 22 [전략] 부등식의 좌변을 인수분해하여 각각의 해를 구하고


B Y
™Aƒ B
또는 B Y
™Ay B
B의 범위를 나누어 생각한다.

BY™A CY Dy의 해가 Y이므로 Y™AYƒ에서 Y 


Y
ƒ
주어진 부등식은 B Y
™Ay이고 B이다. ∴ ƒYƒ U❶
∴ BY™A CY DB Y
™A Y™A B
YBƒ에서 YB
Y 
ƒ
전개하고 계수를 비교하면 CB, DB Œ B일 때 BƒYƒ
ㄱ. B 참
❶과 공통부분이 ƒYƒ일 수 없다.
ㄴ. BY™A CY D의 해가 Y 중근
이므로  B일 때 Y
%C™ABD 참
❶과 공통부분이 ƒYƒ일 수 없다.
ㄷ. C DB B 참
Ž B일 때 ƒYƒB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⑤ ❶과 공통부분이 ƒYƒ이므로
절대등급 Note By ∴ By
따라서 실수 B의 최솟값은 이다. ②
y
y=a{x-2}@
y 2
O x
23 [전략] 해에 등호를 포함하는 부등호와 포함하지 않는 부등호가 있음을
이용한다.

O 2 x 연립부등식의 해가 Yƒ이므로
y=a{x-2}@

[B일 때] [B일 때]
Y™A QY Rƒ의 해는 =ƒYƒ의 꼴이고
Y™AY Q의 해는 Y> 또는 Y의 꼴이다.

19 [전략] 경계를 포함하는지 꼼꼼히 따진다. ∫ å 2 3 x

Y™A B
YB에서 Y 
YB
 Y가 Y™AY Q의 해이므로
B가 양수이므로 해는 YB  Q ∴ Q
Y이 Y™A QY R의 해이므로
-1 0 1 2 3 4 a 5 x
 Q R ∴ R, Q R ③
따라서 정수 Y가 개이려면 Bƒ Bƒ
Q, R일 때
Y™A QY Rƒ은 Y™AYƒ ∴ ƒYƒ
20 [전략] 두 부등식의 좌변을 인수분해하여 각각의 해부터 구한다. Y™AY Q은 Y™AY ∴ Y 또는 Y
Y™A Y에서 Y 
Y
 따라서 연립부등식의 해는 Yƒ이다.

∴ Y U❶
Y™ALY L™A에서 24 [전략] B의 범위를 나누면 Y™A B
YB의 해를 수직선 위에
나타낼 수 있다.
\Y L
^\Y L 
^
∴ YL 또는 YL  U❷ Y™A에서 Y 또는 Y U❶
➋ ➋
Y™A B
YB에서 Y 
YB


Œ B일 때 BY
k-5 -5 4 k+5 x
❶과의 공통부분이 Y을 포함하지 않는다.
❶, ❷의 공통부분이 없으므로 위의 그림에서  B일 때 Y 
™A이므로 해가 없다.
Lƒ이고 ƒL  ∴ ƒLƒ ① Ž B일 때 YB U❷
➊ ➊

21 [전략]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를 수직선 위에 나타낸다. -2 -1 2 3 a 4 x

Y™AY에서 Y 
Y
 ❶, ❷의 공통부분에 있는 정수가 Y뿐이려면
∴ Y 또는 Y U❶ Bƒ Bƒ
➊ ➊

-3 -1 3 5 x 25 [전략] YU로 놓고 G U
y의 해부터 찾는다.

위의 그림에서 Y™A BY C의 해가 Y이므로 YU라 하면 G U


y에서 ƒUƒ
Y™A BY C Y 
Y
Y™AY ƒYƒ, ƒYƒ
∴ B, C, B C ② ∴ ƒYƒ ②

076 II. 방정식과 부등식


B 
B

G Y
B Y 
Y
A B
이라 하면 ∴ B ⑤
G Y
B Y
Y
B Y
Y 

30 [전략] G Y
Y™AYB™A B라 하고 ZG Y
의 그래프를 생각한다.
G Y
y에서 B Y
Y 
y
B이므로 Y
Y 
ƒ G Y
Y™AYB™A B라 하면 y y=f{x}

∴ ƒYƒ G Y
 Y
™AB™A B
오른쪽 그림과 같이 ƒYƒ에서
26 [전략] G Y
Y™A BYC, H Y
Y 이라 할 때 G Y
y이면 ZG Y
의 그래프가
-1 O 1 2 x
부등식 G Y
H Y
의 해가 Y이다.
Y에서 Y축과 만나거나
G Y
Y™A BYC, H Y
Y 이라 y=f{x} y
ƒYƒ에서 Y축 위쪽에 있다.
하자. 곧, G 
y이므로
G Y
H Y
에서 Y™A BYCY  B™A By, B
B
ƒ
∴ Y™A B
YC -1 ∴ ƒBƒ
2 x
해가 Y이므로 O 따라서 정수 B는 , , 이고, 개이다. ③
Y™A B
YC y=g{x}
 Y 
Y
Y™AY 31 [전략] G Y
Y™A BY B라 하고 ZG Y
의 그래프를 생각한다.

곧, B, C G Y
Y™A BY B라 하면 y=f{x}
-4 0
∴ B, C B, C 오른쪽 그림과 같이 ƒYƒ에서 x
G Y
이면 이 범위에서 ZG Y

27 [전략] BY™A CY Dy B 
의 해가 모든 실수 ⇨ B, %ƒ
그래프가 Y축 아래쪽에 있다.
특히 등호의 포함 여부에 주의한다.
따라서 G 
, G 
이므로
Y™A B
Y y에서 Y™A의 계수가 이므로
G 
B에서 B U❶
% B
™A@ƒ

B 
B
ƒ G 
B B에서 B U❷

∴ ƒBƒ  
❶, ❷의 공통부분은 B B
따라서 정수 B는 , , , , , , , , 이고, 합은   
이다. 
32 [전략] B, C, DA BƒCƒD
가 둔각삼각형의 세 변의 길이
⇨ B CD, B™A C™AD™A
예를 들어 B, , , 일 때 y
Y 가 가장 긴 변의 길이이다. x x+1
ZY™A B
Y 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삼각형의 변의 길이이므로
4 x+2
곧, Y™A B
Y y이다. Y Y 
Y 
∴ Y U❶
-2 O 2 x
둔각삼각형의 변의 길이이므로
Y™A Y 
™A Y 
™A Y™AY
28 [전략] BY™A CY D B 
의 해가 모든 실수 ⇨ B, % Y 
Y

BY™A B 
Y B에서 Y이므로 Y U❷
Œ B x ❶, ❷의 공통부분은 Y Y
 % B 
™AB™A
B™AB
B 
B
 y=f{x}
∴ B 또는 B
Œ, 의 공통부분은 B
따라서 정수 B의 최댓값은 이다. ②
step 실력 문제 78~80쪽
29 [전략] 부등식 G Y
H Y
의 해가 실수 전체이다.

G Y
H Y
에서 Y™A B
Y 01 ② 02 Y 03 ① 04 ②
∴ Y™A B
Y  05 B, C 06  07 ② 08 
09 ④ 10 B 또는 B 11 ② 12 ④
이 부등식의 해가 실수 전체이므로
13 ⑤ 14 ④ 15 Bƒ
% 16 ƒBƒ 17 ⑤ 18 ⑤
 B
™A


08. 부등식 077


정답 및 풀이

01 [전략] Y의 범위를 나누어 절댓값 기호를 없애도 되고 따라서 Z]Y]의 그래프는 오른 y y=|2x-1|
]Y]B ⇨ BYB를 이용해도 된다. y=x+a
쪽 그림에서 꺾인 선이다. 1
]Y ]Y 에서  Y 
Y Y  이때 주어진 부등식의 해가 있으려면 직
YY 일 때 Y 선 ZY B가 Z]Y]의 그래프 O 1 x
2
Y Y 일 때 Y 와 두 점에서 만나야 한다.
∴ Y U❶ 
ZY B에 Y , Z을 대입하면
]Y B]C에서 CY BC 
∴ BCYB C U❷  
B 이므로 해가 있으려면 B ①
 
❶, ❷가 같으므로 BC, B C
연립하여 풀면 B, C ∴ BC ②
YBYY B이므로
B
]Y ]Y 에서 YBY에서 Y

 YY B에서 YB 
Œ Yy 일 때 Y Y , Y

이때 부등식이 해를 가지려면

∴  ƒY B 
 B  ∴ B
 

 Y 일 때  Y 
Y , Y


∴ Y 04 [전략] Z]YB] ]YC]의 그래프를 이용한다.

Œ, 에서 Y BƒC라 생각해도 된다.
Œ BC일 때 ]YB]ƒ, ]YB]ƒ
02 [전략] 먼저 Yy, Y로 나누어 ]Y]의 절댓값 기호부터 없앤다.
ƒYBƒ, BƒYƒB 
Œ Yy일 때 ]Y]Y 해가 ƒYƒ이므로
∴ ]Y]Y B, B 
Yy일 때 YY ∴ B, C, B C
이 부등식의 해는 없다.  BC일 때 Z]YB] ]YC]라 하자.
ƒY일 때  Y
Y, Y YB에서 Z YB
 YC
Y B C
주어진 범위에서 ƒY BƒYC에서 ZYB YC
B C
 Y일 때 ] Y
] Y
YyC에서 ZYB YCYBC
∴ ]Y]Y  따라서 Z]YB] ]YC]의 그래프는 다음 그림과 같다.
Y일 때 YY  y=-2x+a+b y=2x-a-b
이 부등식의 해는 없다.
ƒY일 때 YY , Y y=-a+b
주어진 범위에서 Y
x=a x=b
Œ, 에서 Y Y
]YB] ]YC]ƒ의 해가 ƒYƒ이면
점 , 
이 직선 ZY B C 위에 있으므로
]Y]U Uy
이라 하면 주어진 식은 ]U]U
 B C, B C
Œ Uy일 때 UU
점 , 
이 직선 ZYBC 위에 있으므로
이 부등식의 해는 없다.
BC, B C
 ƒU일 때 U U ∴ U
Œ, 에서 B C ②
주어진 범위에서 ƒU
Œ, 에서 ƒU
  ƒ]Y], Y ∴ Y 05 [전략] 제한 범위에서 이차함수의 최대, 최소에 대한 문제이다.
Y™A의 계수 B의 범위를 나누어 생각한다.
03 [전략] Z]Y]과 ZY B의 그래프를 이용한다.
]Y] ]Y] ]Y ]ƒ에서
Z]Y]에서
  ]Y] ]Y] ]Y ]ƒ

Yy 일 때 ZY Œ Y일 때

  Y Y Yƒ, Yy

Y 일 때 ZY 
   ∴ ƒY

078 II. 방정식과 부등식



 ƒY 일 때 08 [전략] G Y
L의 해가 Y 또는 Y이다.

G Y
L의 두 근이 , 이고
  Y Y  Y ƒ, Yy
G Y
의 Y™A의 계수가 이므로

  ∴ ƒY G Y
L Y
Y


 ∴ G Y
Y™A Y L
Ž ƒY일 때
 G 
 L이므로 G Y
G 
에서
  YY  Y ƒ, Yƒ Y™A Y L L
 Y™AY 
  ∴ ƒY

따라서 Y™AY 의 해가 =, >이므로
 Yy일 때
= > 
  Y Y Y ƒ, Yƒ
  ∴ ƒYƒ 09 [전략] CY™A Y B의 두 근이 =, >이고 C, =>임을 이용한다.
Œ~에서 ƒYƒ U 부등식 CY™A Y B의 해가 y y=bx@+2x+a
G Y
BY™A BY CB Y 
™AB C에서 =Y>이고 =>이므로
B이면 G 
이 최솟값, G 
가 최댓값이다. C, B å O ∫ x
G 
B C  B
또 = > , => U❶
G 
BB C C C
연립하여 풀면 B, C 부등식 BY™AY C의 양변을 B로 나누면
B이면 G 
이 최댓값, G 
가 최솟값이다.  C
Y™A Y  U❷
B B
  G 
B C
 = > C 
G 
BB C ❶에서  , 
B => B =>
연립하여 풀면 B, C U = >   
이때 합이  , 곱이 인 두 수는  ,  이고,
BC이므로 B, C U => => = >
단계 채점 기준 배점    
  이므로 ❷의 해는  Y ④
부등식을 만족하는 Y의 범위 구하기 60%
> = > =
B, B일 때로 나누어 G Y
의 최댓값이 , 최
30%
솟값이 인 B, C의 값 구하기 10 [전략] 수직선 위에서 두 부등식의 해를 비교한다.
BC인 B, C의 값 구하기 10%
Y™A Y에서 Y 
Y

B, C ∴ Y 또는 Y U❶ U
]YB]ƒ에서 ƒYBƒ
06 [전략] ]YB]y이고 우변이 임을 이용한다.
∴ BƒYƒB  U❷ U
]YB]y이므로 Yƒ 또는 YB ➋ ➋
➊ ➊ ➊ ➊
자연수 Y가 개이므로 B는 보다 큰 자연수이다.
a-1-3 a+1 2 x -3 a-1 2 a+1 x
따라서 B의 최솟값은 이다. 
❶, ❷의 공통부분이 있으려면
07 [전략] L가 정수일 때 <Y L><Y> L임을 이용하여 식을 정리한다. B 또는 B 
<Y><Y>, <Y ><Y> 이므로 주어진 부등식은 ∴ B 또는 B U
 <Y>
™A <Y> 
 단계 채점 기준 배점
<Y>™A<Y>  Y™A Y의 해 구하기 30%
]YB]ƒ의 해 구하기 30%
<Y>
<Y>

연립부등식이 해를 갖기 위한 B의 값의 범위 구하기 40%

∴ <Y> B 또는 B

<Y>는 정수이므로 <Y>, , 
<Y>일 때 ƒY 11 [전략] 각 이차부등식에서 B의 범위를 나누어 생각한다.

<Y>일 때 ƒY Y B
Y
에서 B이면 YB이므로 연립
<Y>일 때 ƒY 부등식의 해가 Y일 수 없다.
∴ ƒY, =, >, >= ② 따라서 B, 곧 B이고, 부등식의 해는
BY U❶
OƒYO A O은 정수
일 때, O LƒY LO L  YB
Y
에서 B이면 Y 또는 YB이므로 연
L가 정수이면 <Y L>O L ∴ <Y L><Y> L 립부등식의 해가 Y일 수 없다.

08. 부등식 079


정답 및 풀이

따라서 B이고, 부등식의 해는 =, ƒ>ƒ U❹


YB 또는 Y U❷ ❷와 ❹의 공통부분을 생각하면 =, >이므로
➊ Y™A BY C Y 
Y

➋ ➋
Y™AY
a -a 2 3 x
∴ B, C, B C ⑤
위의 그림에서 Bƒ, BƒB이므로
ƒBƒ Y™AY 
Y™A BY C이 중근이나 허근을 가지는 경우 < 의 해가
따라서 B의 최댓값은 , 최솟값은 이고, 합은 이다. ② Y™A BY Cy
Yƒ 또는 Y일 수 없다.

B가 경계에서의 값일 때는 따로 생각하는 것이 좋다.


14 [전략] 해 Y에 착안하여 두 부등식의 해를 생각한다.
B이면 Y B
Y
의 해가 없으므로 연립부등식의 해가
Y일 수 없다.
B이면 YB
Y
의 해는 Y 인 모든 실수이고, x
1 3 4
Y B
Y
의 해는 Y이므로 연립부등식의 해가 Y
일 수 없다. 위의 그림에서 Y™A BY Cy의 해는
Yƒ 또는 Yy
12 [전략] Y™A]Y] ƒ에서 Y™A]Y]™A이므로
이므로 B , C@ ∴ B, C
]Y]U로 놓고 U의 범위부터 구한다.
Y™A DY Eƒ의 해는 ƒYƒ이므로
]Y]L에서 L YL  U❶
D , E@ ∴ D, E
Y™A]Y] ƒ에서 Y™A]Y]™A이므로
∴ B C D E ④
]Y]UA Uy
으로 놓으면
U™AU ƒ, U
U
ƒ ∴ ƒUƒ
15 [전략] Qƒ<Y>ƒR Q, R는 정수
⇨ QƒYR 
곧, ƒ]Y]ƒ이므로
Œ <Y>™A<Y>에서 <Y> 
<Y>

ƒYƒ 또는 ƒYƒ U❷
∴ <Y> 또는 <Y>

➋ ➋ <Y>는 정수이므로 <Y>U, , , , , U이고,
-4 -2 -k+2 2 4 k+2 x ⋮
L가 양수이므로 ❶, ❷를 만족하는 정수 Y가 개이려면 <Y>일 때 ƒY
ƒL 이고 L  ∴ Lƒ <Y>일 때 ƒY
L의 최댓값은 이다. ④ <Y>일 때 ƒY
<Y>일 때 ƒY
Y™A]Y] ƒ은 다음과 같이 풀어도 된다. ⋮
Yy일 때 Y™AY ƒ ∴ ƒYƒ 따라서 해는 Y 또는 Yy U❶
Y일 때 Y™A Y ƒ ∴ ƒYƒ
 Y™A B
YB에서
13 [전략] Y™A BY C의 해를 =, >< =>
라 하고 Y 
YB

Y™A BY C과 Y™A BY Cy의 해에 대한 조건을
이 부등식의 해에 정수 가 포함되어야 하므로
수직선에서 생각한다.
 
Y™AY ƒ에서 Y
Y
ƒ B 이고, 해는  YB U❷
 
∴ ƒYƒ U❶ ❶, ❷에서 공통인 정수가 뿐이므로 Bƒ
Y™A BY C의 실근을 =, >< =>
라 하자. ➋
➊ ➊
➊ ➊
5 -2 -1 a 3 x
- Bƒ
å ∫ 2 6 x 2 6 å ∫ x 2

Y™A BY C의 해 =Y>와 ❶의 공통부분이 없으므로 위


의 그림에서
16 [전략] 특정 범위에서 부등식의 대소를 생각하는 문제이다.
함수의 그래프를 생각한다.
=>ƒ 또는 ƒ=> U❷
H Y
G Y
I Y
라 할 때,
Y™AY 에서 Y
Y

ƒYƒ에서 I Y
y이다.
∴ Y 또는 Y U❸
I Y
Y™A B 
YB 이고, y
➌ ➌ y=h{x}
ZI Y
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å 2 ∫ 6 x
곧, I 
y, I 
y U
-2 O x
Y™A BY Cy의 해 Yƒ= 또는 Yy>와 ❸의 공통부분이 I 
y이므로
Yƒ 또는 Y이므로 위의 그림에서  B B y

080 II. 방정식과 부등식


∴ By U❶ 01 [전략] Z]YBC] ]YB C]의 그래프와 직선 ZL를
I 
y이므로 B y 생각한다.

∴ Bƒ U❷ Z]YBC] ]YB C]라 하자. U❶


❶, ❷의 공통부분은 ƒBƒ U CB에서 CB 이므로 ❶에 대입하면
Z]YB] ]YB ]
단계 채점 기준 배점
ƒYƒ에서 G Y
ƒH Y
인 조건 찾기 50% ∴ Z]Y B 
] ]Y B
]
B의 값의 범위 구하기 50% YB일 때 ZY B
ƒBƒ BƒYB 일 때 Z
YyB 일 때 ZYB
17 [전략] 식이 대칭인 꼴이다. 전개한 다음 인수분해하여 정리한다.
따라서 Z]Y B 
] ]Y B
]의 그래프는 다음
B
B
 C
C
에서 그림과 같다.
B™AC™A BC
, BC
B C
 y=-10x+10a y=10x-10a
BC이므로 B C
y=k
Y
Y
 B
B
에서 y=20
Y™AB™A YB
, YB
Y B
 å ∫
a-2 a+2 x
BC이므로 YB
YC

BC이므로 YB 또는 YC ⑤ BƒYƒB 를 만족하는 정수 Y는 개이므로 부등식을 만
족하는 정수 Y가 개이면 직선 ZL는 직선 Z보다 위쪽에

G Y
 Y
Y
라 하자. 있다.

B
B
 C
C
이므로 직선 ZL와 직선 ZY B의 교점의 Y좌표를 =라 하면

G B
G C
BL
L= B에서 =
y=f{x} 
또 Y
Y
> B
B

직선 ZL와 직선 ZYB의 교점의 Y좌표를 >라 하면


에서 G Y
G B
y=f{a}
B L
따라서 오른쪽 그림에서 부등식의 해는 L>B에서 >

YB 또는 YC x=a x=b BL B L
따라서 부등식의 해는 ƒYƒ
 
18 [전략] 먼저 부등식의 좌변을 Y에 대한 내림차순으로 정리한 다음 이 부등식을 만족하는 정수 Y가 개이려면
모든 실수 Y에 대하여 성립함을 이용한다.
B L BL L
ƒ  , ƒ 
좌변을 Y에 대한 내림차순으로 정리하면   
  Y™A Z 
Y Z™A BZ C ƒL이므로 정수 L는 개이다. ③
모든 실수 Y에 대하여 성립하므로
%
   Z 
™A Z™A BZ C

 02 [전략] ZG Y
, ZH Y
의 그래프를 이용하여 G Y
H Y
ƒ의
∴ B
Z C 해를 구한다.

이 부등식이 모든 실수 Z에 대하여 성립하므로 Q Q™A


G Y
[Y ]™A Q
 
  B, C
Œ Q일 때 ZG Y
의 그래프는 y=f{x} y
∴ B, C y=g{x}
오른쪽 그림과 같으므로
B, C가 정수이므로 B C의 최솟값은
G Y
H Y
ƒ의 해는 B
  ⑤
Q A
 ƒYƒ
 p O x
-
정수 Y가 개이면 2

Q
 ƒ, ƒQ

따라서 정수 Q는 , 이다. U
 Q일 때 ZG Y
의 그래프는 y y=f{x}

오른쪽 그림과 같으므로 p


-
step 2
최상위 문제 81쪽
G Y
H Y
ƒ의 해는 O x
Q B
01 ③ 02 최댓값 : , 최솟값 :  03 ② ƒYƒ

04 ② 05 B A
y=g{x}
정수 Y가 개이면

08. 부등식 081


정답 및 풀이

Q 04 [전략] 모든 실수 Y에 대하여 BY™A CY DyA B 

ƒ , Qƒ


 ⇨ B이고 %ƒ
따라서 정수 Q는 , 이다. U 을 이용하여 N, O에 대한 부등식을 구한 다음
Œ, 에서 정수 Q의 최댓값은 , 최솟값은 이다. U 한 문자에 대한 부등식을 구할 수 있는지 확인한다.

Y™A Y ƒNY O에서 Y™A N


Y Oy
단계 채점 기준 배점
Q일 때 그래프를 그리고 정수 Q의 값 구하기 40% 해가 모든 실수이므로
Q일 때 그래프를 그리고 정수 Q의 값 구하기 40% %„ N
™A O
ƒ U❶
Q의 최댓값과 최솟값 구하기 20%
NY OƒY™AY 에서 Y™A N 
Y Oy
최댓값 : , 최솟값 :  해가 모든 실수이므로
%m N 
™A O
ƒ U❷
❶에서 Oy N
™A 
03 [전략] BY™ACY D의 해가 =, >이면 ❷에서 Oƒ N 
™A 
 
DY™ACY B의 해는 , 이다.
= >
이므로 N
™A ƒOƒ N 
™A  U❸
이 부등식을 만족하는 N, O의 값이 존재하려면 먼저
이 아닌 =가 BY™ACY D의 해이면
N
™A ƒ N 
™A 에서
C D
B=™AC= D, B  N™AN  ƒN™AN 
= =™A
  N™AN ƒ,  N
™Aƒ ∴ N
D[ ]™AC[ ] B
= = ❸에 대입하면 ƒOƒ ∴ O
 ∴ N™A O™A ②
따라서 은 DY™ACY B의 해이다.
=
BY™ACY D의 해를 =, >A =>
라 하면 B, C, D가 양수이
므로 =, >는 양수이고 부등식 BY™ACY D의 해는 =Y> 05 [전략] ZY™ABY B 의 그래프를 이용한다.
이때 꼭짓점의 위치에 따라 나누어 생각한다.
이다.
G Y
Y™ABY B 이라 하면
   
또 DY™ACY B의 해는 , [  ]이므로 G Y
 YB
™AB™A B 
= > > =
  ZG Y
의 그래프의 꼭짓점의 좌표는 B, B™A B 

부등식 DY™ACY B의 해는 Y 이다.


> = Œ B일 때
ZG Y
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y=f{x} y

0 å 1 1 ∫ 1 x 같으므로
∫ å
G 
, B  a
∴ B O 1 x

1 1 x B이므로 B
0 å 1 ∫
∫ å
 ƒB일 때
 
연립부등식의 해가 있으려면 > 또는 = 이므로 ZG Y
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y
y=f{x}
> =
은 연립부등식의 해이다. 같으므로
주어진 부등식에 Y을 대입하면 G B
, B™A B 
BC D ∴ B DC ② B 
B
 O a 1 x
∴ B
연립부등식의 한 해를 =라 하면 ƒB이므로 ƒB
B=™AC= D, D=™AC= B Ž By일 때
변변 더하면 ZG Y
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y y=f{x}

B D
=™AC= B D
 같으므로
따라서 부등식 B D
Y™ACY B D
의 해가 존재한다. G 
 a
B B  O 1 x
이때 B D이므로 B D
Y™ACY B D
은 서로 다
른 두 실근을 가진다. 곧, ∴ B
% By이므로 ƒB
C™A B D
™A
 Œ, , Ž에서 B B
\C B D
^\C B D
^
B C D이므로
C B D
 ∴ B DC

082 II. 방정식과 부등식


05 [전략] 선분 "#를 NAAO으로 외분하는 경우,
NO일 때와 NO일 때를 구분해야 한다.

III . 도형의 방정식


ㄱ, ㄴ은 참이다.
ㄷ. 선분 $%를 AA으로 외분하는 점은 "이다. 거짓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이다. ③

외분하는 경우 N O이고
m n
n m
09. 점과 직선 A B
외분점 외분점
A B

[NO일 때] [NO일 때]
step 기본 문제 85~88쪽

01 ① 02 ① 03  04 ① 05 ③ 06 [전략] " Y„, Z„


, # Ym, Zm
일 때, 선분 "#를
06  07 ④ 08 ① 09 ② 10 ③ NYm OY„ NZm OZ„
NAAO으로 내분하는 점은 [ , ]
11 , 
12 ⑤ 13 ④ 14  N O N O
NYmOY„ NZmOZ„
15 ④ 16 ③ 17 ① 18  19  NAAO으로 외분하는 점은 [ , ]
NO NO
20 ④ 21 ③ 22 ④ 23 ② 24 
"#“를 AA로 내분하는 점 1는

25  26 ⑤ 27 ③ 28 , 
, , 

@ @ @ @ 

1[ , ]1 , 

    
29 ④ 30 L, 최댓값 :  31 ① 32 ①
"#“를 AA로 외분하는 점 2는
@@ @@ 

01 [전략] Z축 위의 점이므로 1 , C
로 놓는다. 2[ , ]2 , 

 
1 , C
라 하면 "1“™A#1“™A이므로 ∴ 12“ā 
™A ™A 

™A C™A 
™A C
™A
C™A C™AC  ∴ C ", #, 1, 2를 직선 위에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따라서 1의 좌표는 , 

Q
B
02 [전략] 1 B, C
는 직선 ZY  위의 점이므로 CB  P
A
점 1 B, C
는 직선 ZY  위의 점이므로 CB  
이때 1#“ "#“, #2“"#“이므로
1"“™A1#“™A이므로 

B 
™A B  
™A B
™A B 
™A 12“1#“ #2“ "#“

B
    07 [전략] 내분점의 Y좌표가 이므로 Y좌표만 생각한다.
∴ B , C  , B C ①
   
두 점 " B, 
, # , 
에 대하여 선분 "#를 AA으로 내
03 [전략] ∠"0#가 직각이므로 피타고라스 정리를 생각한다. 분하는 점이 Z축 위에 있으므로 내분점의 Y좌표는 이다.
직각삼각형 0"#에서 0"“™A 0#“™A"#“™A @ 
@B
 ∴ B ④
B™A 
™A C™A B™A BC
™A B
™A  
BCB, B C

B 이므로 C  08 [전략] 오른쪽 그림에서 ∠#"%∠$"%이면 A

"#“AA"$“#%“AA%$“

0"“와 0#“는 서로 수직이므로 직선 0"와 직선 0#의 기울기의 "#“ā 


™A 
™A
B C
곱은 이다. "$“ā 
™A 
™A D

 B 이므로
@  ∴ C
B C
#%“AA%$“"#“AA"$“AA
04 [전략] U초 후 1와 2의 좌표를 U로 나타낸다. 따라서 점 %는 선분 #$를 AA으로 내분하는 점이므로
U초 후 1와 2의 좌표는 1 U, 
, 2 , U
이므로 @ 
@ 
 @ @
%[ , ]
   
12“™A U
™
 A  U
™AU™AU 
 
 U
™A y   %[ , ]
 
곧, 12“™A의 최솟값은 이므로 12“의 길이의 최솟값은
  
  u ① ∴ B , C , B C ①
  

09. 점과 직선 083
정답 및 풀이

09 [전략] 평행사변형의 꼭짓점의 좌표가 주어진 경우


[
     
, ] , 

⇨ . 대각선의 중점이 일치함을 이용한다.  


. 대변의 기울기가 각각 같음을 이용한다. ∴ B, C, B C ⑤
  B  C{1,`5} 절대등급 Note
대각선 "$의 중점은 [ , ]
 
B{b,`3} 변 "#, #$, $"를 NAAO으로 내분하는 점을 A
C    D{1,`2} n
대각선 #%의 중점은 [ , ] 각각 1, 2, 3라 하면 △123의 무게중심 (는 m R
 
A{5,`a} △"#$의 무게중심과 같다. P m
평행사변형의 두 대각선은 서로를 이 " Y„, Z„
, # Ym, Zm
, $ Yf, Zf
이라 하고 1, n G

등분하므로 대각선의 중점이 일치한다. 2, 3의 좌표를 구한 다음 삼각형 123의 무게 B m Q n


C

∴ B, C 중심의 좌표를 구하면 삼각형 "#$의 무게중심


의 좌표와 같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ā 
™A 
™Au
이 문제에서는 1, 2, 3가 각 변의 중점이고, 삼각형 123의 무게중심
#%“ā 
™A 
™Au 은 삼각형 "#$의 무게중심과 같다.
따라서 두 대각선의 길이의 제곱의 합은
"$“™A #%“™A  ②

13 [전략] 1 Y, Z
라 하고 1"“™A 1#“™A 1$“™A을 구한다.
선분 $%가 Z축에 평행하므로 선분 "#도 Z축에 평행하다.
∴ C 1 Y, Z
라 하면
"%“∥#$“이므로
B 
 ∴ B 1"“™A 1#“™A 1$“™A
 C
  \ Y
™A Z
™A^ \Y™A Z
™A^
\ Y
™A Z
™A^
10 [전략] " Y„, Z„
, # Ym, Zm
, $ Yf, Zf
일 때
Y„ Ym Yf Z„ Zm Zf   Y™AY Z™AZ 
△"#$의 무게중심 ⇨ 점 [ , ]
     Y
™A  Z
™A 
삼각형 "#$의 무게중심의 좌표는 따라서 Y, Z, 곧 1 , 
일 때 최소이다. ④
  B   C B  C 
  [ , ][ , ]  

    " Y„, Z„
, # Ym, Zm
, $ Yf, Zf
이라 하고1"“™A 1#“™A 1$“™A을 계산하면
이므로 Y„ Ym Yf Z„ Zm Zf
Y , Z
 
B  C 
,  일 때 최소임을 알 수 있다.
 
곧, 점 1가 △"#$의 무게중심일 때,1"“™A 1#“™A 1$“™A이 최소이다.
∴ B, C, B C ③

11 [전략] 무게중심은 중선을 AA로 내분한다. A


14 [전략] 평행한 두 직선 ⇨ 기울기가 같다.
삼각형 "#$의 무게중심은 선분 ".을 2 Y Z 에서 ZY이므로 기울기가 이다.
무게중심
AA로 내분하는 점이므로 무게중심의 1 기울기가 이고 점 , 
를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B C
좌표는 M Z  Y
∴ ZY  U❶
@ 
@ @ @ 
 ❶이 점 , L
를 지나므로
  [ , ] , 

   
L@ 
 ∴ L 
, 

❶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도 있다.
# Ym, Zm
, $ Yf, Zf
이라 하면 선분 #$의 중점 .의 좌표가 기울기가 인 직선의 방정식을 ZY C로 놓자.
, 
이므로 점 , 
를 지나므로  C, C
∴ ZY 
Ym Yf Zm Zf
[ , ] , 

 
∴ Ym Yf, Zm Zf
15 [전략] 수직인 두 직선 ⇨ 기울기의 곱이 이다.
삼각형 "#$의 무게중심의 좌표는
또 두 직선의 교점의 좌표를 구할 때에는 방정식을 연립하여 푼다.
 Ym Yf  Zm Zf  
 
[ , ][ , ] Y Z, YZ를 연립하여 풀면
   
 , 
Y, Z
따라서 교점의 좌표는 , 
이다.

12 [전략] 1, 2, 3의 좌표부터 구한다.


 
또 Y Z에서 Z Y 이므로 이 직선과 수직인 직
 
1 , 
, 2 , 
, 3 , 
이므로 삼각형 123의 무게중심의

좌표는 선의 기울기는 이다.


084 III. 도형의 방정식


 이 한 점에서 만나면 된다.
곧, 기울기가 이고 점 , 
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Œ 두 직선이 평행한 경우
   B
Z  Y 
∴ Z Y  세 직선의 기울기는 각각  , , 이므로
   
이 직선의 Z절편은 이다. ④ B  B
 또는  ∴ B 또는 B
  
16 [전략] 점 , 
을 지나고 직선 ZY 에 수직인 직선이  세 직선이 한 점에서 만나는 경우
직선 ZY 과 만나는 점이 수선의 발이다.
직선 Y Z과 YZ의 교점의 좌표는
ZY  U❶ y y=2x+1
, 
이고, 직선 BYZ이 이 교점을 지나면 되므로
 B ∴ B
❶에 수직인 직선의 기울기는  이다.
 {1,`1}
따라서 B의 값의 합은 이다. 
따라서 점 , 
을 지나고 ❶에 수직인
직선의 방정식은 O x
20 [전략] N Y 
 Z 
이므로 N의 값에 관계없이 점 , 


Z Y
을 지난다. 직선을 그려서 선분 "#와 만날 조건을 찾는다.

  ZNY N에서
∴ Z Y U❷
  N Y 
 Z 

  곧, 이 직선은 N의 값에 관계없이 y
❶, ❷를 연립하여 풀면 Y , Z
  2 A
점 , 
을 지난다.
  1
따라서 수선의 발의 좌표는 [ , ]이다. ③ 따라서 직선이 오른쪽 그림의 색칠한 부 B
  -1 O
분 경계 포함
에 있을 때, 선분 "#와 만 2 x
-1
17 [전략] Z
Y
꼴로 고친 후 기울기, 곧 Y의 계수를 비교한다. 난다.
Œ 직선이 " , 
를 지날 때 기울기 N은
O
OYZ에서 Z Y  


N 
이 직선이 직선 ZNY 과 수직이므로  

O  직선이 # , 
을 지날 때 기울기 N은
N@  ∴ NO
  
 
N 
O
YZ에서 Z O
Y  

이 직선이 직선 ZNY 과 평행하므로 
Œ, 에서 실수 N의 값의 범위는 ƒNƒ

NO ∴ N O
∴ N™A O™A N O
™ANO  ① 
∴ B , C, BC ④


18 [전략] 세 점 ", #, $가 일직선 위에 있다.


⇨ . 직선 "#, #$ 또는 "$
의 기울기가 같다. 21 [전략]
L
 꼴로 정리하면
. 직선 "# 위에 점 $가 있다. 직선이 L의 값에 관계없이 지나는 점을 찾을 수 있다.

직선 "#와 직선 #$의 기울기가 같으므로  L


YZL에서
L L L
Y
L YZ U❶

L L
L L L의 값에 관계없이
L L  Y, YZ U❷

L  L 
이면 ❶이 성립한다.
양변에 L 
L 
를 곱하면
❷를 연립하여 풀면 Y, Z y
 L 
L 
 L 
L 

직선 ❶은 L의 값에 관계없이 1
L™ALL™A L 
점 , 
을 지난다. 2
∴ L™A L  U❶ O x
따라서 ❶이 오른쪽 그림의 색칠한 부분
따라서 L의 값의 곱은 이다. 
경계 포함
에 있을 때, 제사분면을 지나지 않는다.
L 
❶의 해는 L 또는 L이다. 이때 ", #, $는 서로 다른 점이다. ❶은 기울기가 이고, 점 , 
을 지날 때 기울기가 ,


19 [전략] 두 직선이 한 점에서 만나므로 오른쪽 점 , 
을 지날 때 기울기가 이므로

두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L  
직선 Y Z, YZ이 한 ƒ ƒ , ƒL ƒ
 
점에서 만나므로 세 직선 중 두 직선이 서로 평행하거나 세 직선 ∴ ƒLƒ ③

09. 점과 직선 085
정답 및 풀이

25 [전략] 직선 M이 변 %$와 만나는 점의 좌표를 구한다.


 L 점 %에서 Y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1라 하고, %1“와 M이 만나는
직선 Z YL가 제사분면을 지나지 않는 경우는

점을 2라 하자.
Œ 기울기가 양수이고, Z절편이  이상일 때
오른쪽 그림에서 도형 0"#$%&의 넓 y l
 L E
D{3,`3}
, Ly ∴ Lƒ 이는
 R
x
Q B{5,`1}
 기울기가 이고, Z절편이  이상일 때 01%& 1"#$ C

 L ™A @ O P A x
, Ly ∴ L
 
%2“Y라 하면 02%& 이므로
Œ, 에서 ƒLƒ 
  
@ Y 
@ ∴ Y
  
22 [전략] 직선 L BY CZ D
BY CZ D은 L의 값에 관계없이
두 직선 BY CZ D BY CZ D의 교점을 지난다. 
  
ㄱ. L이면 Z이므로 점 , 
을 지난다. 거짓
따라서 2[, ]이므로 M의 기울기는 
   
ㄴ. L이면 Y이므로 Z축에 평행하다. 참

ㄷ. L YZ
Y Z이므로 L의 값에 관계없이 점 2에서 Z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3라 하면 △023△012이므로
YZ, Y Z 32%& 1"#$임을 이용해도 된다. 곧,

이면 등식이 성립한다. Y ∴ Y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Y, Z
곧, 이 직선은 L의 값에 관계없이 점 , 
을 지난다. 참
26 [전략] 넓이가 같은 삼각형은 평행선을 생각한다.

따라서 옳은 것은 ㄴ, ㄷ이다. ④ y

A{5,`3}
B{2,`1}
23 [전략] 직선의 방정식을 N

 꼴로 정리한 다음
직선이 항상 지나는 점부터 찾는다. D
O C{3,`0} x
ZNYN 에서 y y=mx-2m+4

N Y
Z A{2,`4} 점 %가 점 #를 지나고 직선 "$와 평행한 직선 위에 있으면 삼
이므로 이 직선은 N의 값에 관계없이 각형 "#$의 넓이와 삼각형 "%$의 넓이가 같다.
M B{6,`2}
점 , 
, 곧 "를 지난다.  
O
직선 "$의 기울기가  이므로 직선 #%의 기울기는
따라서 이 직선이 변 0#의 중점 x  
. , 
을 지나면 삼각형 0"#의 
이다.

넓이를 이등분한다.
또 직선 #%는 #를 지나므로
NN  ∴ N ②

Z Y
U❶

24 [전략] 직선 "#, #$의 방정식을 구하고,
또 %는 직선 0$ 위에 있고, 직선 0$는 Y축이므로 % B, 

이 두 직선과 직선 YL의 교점의 좌표를 각각 구한 다음
삼각형의 넓이를 생각한다. 라 하고 ❶에 YB, Z을 대입하면

  
삼각형 "#$의 넓이는 ×× y x=k  B
∴ B
  
A
직선 "#의 방정식은 ZY 2 
따라서 %[ , ]이므로 직선 "%의 기울기는

P C

직선 #$의 방정식은 Z Y O 4 x  
 Q  ⑤
 
따라서 직선 YL와 "#“, #$“의 교점 -2  
B 
을 각각 1, 2라 하면
 27 [전략] 점 Y„, Z„
과 직선 BY CZ D 사이의 거리는
1 L, L
, 2[L, L] ]BY„ CZ„ D]

āB™A C™A
삼각형 1#2의 넓이가 이므로
  점 , B
와 직선 YZ 사이의 거리가 이므로
×< L
[ L]=×L, L™A
  ]@@B]
  , ]B]
L이므로 L  ā™A 
™A

B† ∴ B 또는 B
△1#2v△"#$이고 닮음비가 LAA이므로 넓이의 비 L™AAAAA임을 
이용하여 L의 값을 구할 수도 있다. 따라서 B의 값의 곱은 이다. ③

086 III. 도형의 방정식


28 [전략] Z축 위의 점의 좌표를 , C
라 하고
직선 BY CZ 위의 한 점 [,

]과 직선 BY CZ 사
점과 직선 사이의 거리를 생각한다. C
Z축 위의 점의 좌표를 , C
라 하자. 이의 거리는
두 직선이 Y Z, YZ이고, 점 , C
와 두 
\C@ \
C 
직선 사이의 각각의 거리가 같으므로 
āB™A C™A āB™A C™A
]C] ]C]
 , ]C]]C ] B™A C™A이므로 두 직선 사이의 거리는
ā™A ™A ā™A 
™A

C C 
또는 CC   ①

∴ C 또는 C
따라서 구하는 점의 좌표는 , 
또는 , 
이다. 직선 BY CZ 위의 어떤 점을 잡아도 점과 직선 BY CZ 사이의 거
, 
, , 
리는 같다.
또 직선 BY CZ 위의 한 점과 직선 BY CZ 사이의 거리를 구해도
된다.
]Y]]Z]이면 Y†Z

32 [전략] 0$“, "#“의 길이는 점과 직선 사이의 거리이다.


29 [전략] 점 , 
을 지나는 직선을 ZN Y
라 하고
원점과 직선 사이의 거리를 생각한다.
두 점 0, "와 직선 Y Z y
3x+4y-30=0
사이의 거리는 각각 15
점 , 
을 지나는 직선은 2 C
ZN Y
, 곧 NYZN  ]]
0$“  D 6 B
ā™A ™A 3
원점과 이 직선 사이의 거리가 이므로
]] O A{5,`0} 10 x
]N ] "#“ 
  , ]N ]āN™A  ā™A ™A
āN™A 
™A
양변을 제곱하면 N™AN N™A  "에서 선분 0$에 내린 수선의 발을 %라 하면

 0%“0$“$%“0$“"#“
N™A N ∴ N 또는 N
 직각삼각형 0"%에서
 "%“ā™A™A
따라서 두 직선의 기울기의 합은  이다. ④

따라서 사다리꼴 0"#$의 넓이는
절대등급 Note 
@  
@ ①
ZN Y
는 Y 꼴로 나타낼 수 없다.

따라서 점 , 
을 지나는 직선은
Y 또는 ZN Y
사다리꼴 0"#$에서 "%“의 길이를 다음과 같이 구할 수도 있다.
라 해야 정확한 표현이다. 직선 0$는 직선 Y Z에 수직이고 원점을 지나므로
그러나 직선 Y와 원점 사이의 거리가 이므로 이 문제에서는 생각 직선 0$의 방정식은 YZ
하지 않는다. ]]
점 "와 직선 0$ 사이의 거리는 "%“ 
ā™A 
™A

30 [전략] 원점과 직선 사이의 거리를 L로 나타낸다.

원점 0와 직선 L
Y  L
Z  사이의 거리는
]] 
   U❶
ā L
™A L
™A āL™AL 
G L
L™AL 이라 하면 G L
의 값이 최소일 때, ❶의 값
step 실력 문제 89~92쪽
이 최대이다.
G L
 L
™A 에서 L일 때 G L
의 최솟값은 이므로 01 ② 02 ① 03 ④ 04 ① 05 ②
❶의 최댓값은 06 A:A 07 ④ 08 ①
 
09 [  ,  ]
  
 L, 최댓값 : 
   10 ② 11 ZY 12 ④ 13 

14 ④ 15 ③ 16   17 ④ 18 ④

31 [전략] 평행한 두 직선 사이의 거리는 직선 위의 한 l 


19 ⑤ 20 ④ 21  22 
점과 다른 직선 사이의 거리이다. d
l' 23 ㈎ : , ㈏ : , ㈐ :  24 ②
직선 BY CZ, BY CZ은 평행하다.

09. 점과 직선 087
정답 및 풀이

01 [전략] Y축 위의 점은 B, 
, Z축 위의 점은 , C
꼴이다. 05 [전략] 점 1 B, C
가 제사분면에 있다. ⇨ B, C

1 B, 
이라 하면 "1“™A#1“™A이므로 선분 "#를 UAA U
로 내분하는 점의 좌표는
B
™A 
™A B
™A 
™A U@ U
@ 
U@ 
U
@
  [ , ]
B™AB B™AB  U U
U U

∴ B, 1 , 
 U, U

2 , C
라 하면 "2“™A#2“™A이므로 이 점이 제사분면 위에 있으면

™A C
™A 
™A C
™A  
U, U ∴ U ②
C™AC C™AC   
∴ C, 2 , 
절대등급 Note

∴ 12“ā™A ™A ② NAAO


N
A:A
O
N, O은 자연수
에서
N O N O
N O
U라 하면 U
N O N O
02 [전략] "#“"$“ 또는 "#“#$“ 또는 "$“#$“이다.
따라서 NO은 U U
U
로 나타낼 수 있다.
또는 길이의 제곱이 같다고 해도 된다.

Œ "#“™A"$“™A일 때, ™A ™A B


™A ™A
B™AB ∴ B 또는 B
 "#“™A#$“™A일 때, ™A ™A B
™A 
™AA  06 [전략] 적당히 삼각형을 그리고 세 점 %, &, '를 표시한다.

B™AB ∴ B 또는 B 그리고 삼각형의 넓이는 선분의 길이의 비를 이용하여 비교한다.

A
™ A
™ F
Ž "$“#$“일 때, B
™A ™A B
™A 
™A 
B B  ∴ B A
그런데 $ , 
이면 $가 선분 "#의 중점, 곧 세 점 ", #, B D
E C
8t t 3t
$가 일직선 위에 있으므로 삼각형이 만들어지지 않는다.
Œ, , Ž에서 B 또는 B 또는 B 또는 B %는 선분 #$를 AA으로 내분하므로
따라서 B의 값의 합은 이다. ① #%“U라 하면 %$“U
&는 선분 #$를 AA으로 외분하므로
$가 Y축 위의 점이므로 직선 "# 위에 있을 수 있다. 이때 세 점 ", #, $는 &#“#$“U U
일직선 위에 있으므로 삼각형이 만들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이 경우를 제외해 '는 선분 "#를 AA로 외분하므로 "#“"'“
야 한다.
∴ △"#&△"#%,
△'&#△"#&△"#% U
03 [전략] ā B
™A C
™A, ā B
™A C
™A은 각각 ∴ △'&#AA△"#%AA U
선분 #$, "$의 길이이다.
단계 채점 기준 배점
ā B
™A C
™A은 선분 #$의 길 y
B{7,`10} 조건에 맞게 삼각형을 그리고, #%“U라 할 때 내분점,
50%
이이고, ā B
™A C
™A은 선분 외분점을 이용하여 %$“, &#“의 길이를 U로 나타내기
C{a,`b} △'&#의 넓이를 L△"#% 꼴로 나타내기 40%
"$의 길이이므로 주어진 식은
A{3,`5} △'&#와 △"#%의 넓이의 비를 가장 간단한 자연
"$“ #$“ U❶ 10%
수의 비로 나타내기
따라서 점 $가 선분 "# 위의 점일 때 AA
O x
❶이 최소이고 최솟값은
"#“ā 
™A 
™Au ④
07 [전략] 점 2의 좌표를 구해도 △0"2의 넓이를 생각하기 쉽지 않다.
넓이와 길이의 비를 생각한다.
04 [전략] 변 #$는 외접원의 지름이다.
A{3,`2}
삼각형 0"2의 넓이가 이고, y
외심 % , 
이 변 #$ 위에 있으므로 변 Q
삼각형 0"#의 넓이가
#$는 외접원의 지름이고, ∠"±이다.
 B{0,`4}
%"“
ā 
™A 
™A  B C @@ A{2,`3}
D{0,`1} 
u 이므로
O x
이므로 #$“u "2“AA"#“AAAA
따라서 직각삼각형 "#$에서 따라서 점 2는 선분 "#를 AA으로 외분하는 점이다.
"#“™A "$“™A#$“™A ① 곧, NL, OLA L
이라 할 수 있으므로
O 
 ④
직각삼각형의 외심은 빗변의 중점이다. N 

088 III. 도형의 방정식


따라서 세 점 ", #, $는 각각 선분 12, 13, 23의 중점이므로
2 B, C
라 하면 Q{a,`b}
y △"#$와 △123의 무게중심은 일치한다. U
 △123의 무게중심의 좌표는
△0#2 @@ B

 B{0,`4}
       
A{2,`3} [ , ][ , ]
B    
△0"2, △0"#이므로  
O x 곧, △"#$의 무게중심의 좌표는 [ , ] U
 
B  ∴ B
2 B, C
는 선분 "#를 NAAO으로 외분하므로 단계 채점 기준 배점
삼각형의 합동을 이용하여 두 점 ", #가 각각 선분
O O 40%
B 에서  12, 13의 중점임을 보이기
NO NO
△"#$와 △123의 무게중심이 일치함을 보이기 30%
O  △"#$의 무게중심의 좌표 구하기 30%
NO ∴ 
N 
 
[ , ]
 
세 점 1, 2, 3로부터 같은 거리에 있는 직선은
08 [전략] 네 점 $, %, („, (m의 좌표를 차례로 구한다.
직선 "#, "$, #$이다.
@@ @@ 이 중 두 점 ", #를 지나는 직선이 M이다.
$[ , ]$ , 

 
@@ @@ 10 [전략] 직선 M이 마름모의 대각선을 포함한다.
%[ , ]% , 

  ⇨ 마름모의 두 대각선은 서로를 수직이등분함을 이용한다.


삼각형 0$#의 무게중심은 l
직선 M은 선분 "$의 수직이등분선이다. y
    
   3
A D
(„[  ](„[ , ] 직선 "$의 기울기가
   
2
삼각형 0"%의 무게중심은   B
 1 C
 
  
     O 1 3 5 x
(m[  ](m[ , ] 이므로 M의 기울기는 
   
또 선분 "$의 중점의 좌표는 , 

   
∴ („(m“|Š[  ]™A [  ]™A ① 따라서 M의 방정식은
   
Z Y
∴ YZ
점 $가 선분 "#를 AA로 외분하므로 D
y ∴ B, C, BC ②
"$“"#“이고, 선분 0"는 삼각형
B{1,`4}
11 [전략] 직사각형의 넓이를 이등분하는 직선은 두 대각선의 교점을 지남을
0$#의 중선이다. G™ 이용한다.
따라서 무게중심 („은 선분 0"를 AA G¡ A{4,`1}
직사각형 0"#$의 넓이와 직사각형 1의 넓이를 동시에 이등분
로 내분하는 점이다. O x
C 하는 직선은 2의 넓이도 이등분한다.
마찬가지로 삼각형 0"%의 무게중심
또 직사각형의 넓이를 이등분하는 직선은 직사각형의 두 대각선
(m는 선분 0#를 AA로 내분하는 점이다.
의 교점을 지난다.
이때 △0(„(mv△0"# 4"4 닮음
이고
직사각형 0"#$의 두 대각선의 교점의 좌표는 , 

닮음비가 AA이므로
직사각형 1의 두 대각선의 교점의 좌표는 , 

 
(„(m“ "#“ ā 
™A 
™A 따라서 1와 2의 넓이를 동시에 이등분하는 직선의 방정식은
 

Z Y
∴ ZY ZY

09 [전략] ", #가 각각 변 12, 13의 중점임을 보이고
이를 이용하여 무게중심을 찾는다.
직사각형의 두 대각선의 교점은 한 대각선의 중점이다.
세 점 1, 2, 3에서 직선 M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각 1, 2, 3
이라 하자. 12 [전략] 선분 "*가 ∠"의 이등분선이므로 #%“AA%$“"#“AA"$“
y A
P{3,`7}
R' l I
B
Q' A
P' C
B
R{9,`3} D
C
"#“ā 
™A 
™A
O Q{1,`1} x
"$“ā 
™A 
™A
△1"1f△2"2 "4" 합동
이므로 점 "는 선분 12의 중 직선 "*가 변 #$와 만나는 점을 %라 하면 선분 "%가 ∠#"$
점이고, 마찬가지로 점 #는 선분 13의 중점이다. U 의 이등분선이므로

09. 점과 직선 089
정답 및 풀이

#%“AA%$“"#“AA"$“AA   B
∴ B , C , 
점 %는 변 #$를 AA로 내분하는 점이므로   C

@ @ 

%[ , ]%[ , ]
   15 [전략] 직선의 방정식을 ZN Y
로 놓고 점 ", #의 좌표부터
따라서 직선 "*, 곧 직선 "%의 기울기는 구한다. 또는
Y Z
에서 ", #의 좌표를 B, C로 나타낸다.
B C

 ④ Y Z
 직선 의 Y절편은 B이고, y
 B C
 B{0,`b}
8 {2,`8}
Z절편은 C이므로
x y
13 [전략] 도형의 넓이가 변하지 않는 경우 평행선을 생각한다. " B, 
, # , C
a + b =1

y 점 , 
을 지나므로 이 직선의 방정 A{a,`0}
A{6,`3} O 2 x
식을
B{2,`1}
ZN Y
U❶
O D C{3,`0} x 라 하면 B, C이므로 N
❶에 YB, Z을 대입하면
"$“와 평행하고 점 #를 지나는 직선이 Y축과 만나는 점을 %라

하면 △"#$△"%$이다. N B
∴ B 
N
따라서 선분 "%를 경계로 하면 넓이가 변하지 않는다. ❶에 Y, ZC를 대입하면
직선 "$의 기울기가 이므로 직선 #%의 방정식은 CN 
∴ CN 
Z@ Y
∴ ZY ∴ 0"“ 0#“B C
  
따라서 % , 
이므로 직선 "%의 기울기는 이다.  N 
  N

Y Z [N ] 
14 [전략] 두 직선 ZBY, ZCY와 직선 의 교점의 좌표를 각각 N
 
구한다. 
N 의 값이 최대일 때 0"“ 0#“의 값이 최소이다.
N
Y Z
직선 은 두 점 " , 
, y y=ax 
  N L로 놓으면 N™ALN  U❷
15 y=bx N
A
# , 
을 지난다.
N이 실수이므로 %L™Ay
P
Y Z
두 직선 ZBY, ZCY와 직선  ∴ Lƒ 또는 Ly
  Q
N이므로 Lƒ이고 L의 최댓값은 이다.
의 교점을 각각 1, 2라 하자. O B
6 x 따라서 0"“ 0#“의 최솟값은
1는 선분 "#를 AA로 내분하는 점이므로 x y
+
6 15 =1 @ 
 ③
1의 좌표는
@ @ @ @
[ , ] , 
. L를 ❷에 대입하면
   
N™A N  ∴ N
2는 선분 "#를 AA로 내분하는 점이므로 2의 좌표는
따라서 N일 때 최소이다.
@ @ @ @ . 산술•기하평균
B, C이면
[ , ] , 

   
B CyuBC 단, 등호는 BC일 때 성립

  B 이다. 이를 이용하면 N이므로


∴ B , C ,  ④
  C  
N y|p N
@p[ ]
N N
Y Z 
두 직선 ZBY, ZCY와 직선 의 교점을 각각 따라서 N 의 최솟값은 이다.
N
 
산술•기하평균에 대해서는 수학 하
권 명제에서 공부한다.
1 Y„, Z„
, 2 Ym, Zm
라 하자.

△0"# @@이므로
 16 [전략] 두 직선 Y Z, Y Z 

△01", △0#2 이 한 점에서 만나므로 가능한 경우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01"이므로
두 직선 Y Z, Y Z 이 한 점에서 만나므로 두

@@Y„, Y„ ∴ 1 , 

 직선이 평행하거나 세 직선이 한 점에서 만나면 된다. U


△0#2이므로 Œ 직선 Y Z, BY B™A 
Z 이 평행할 때
 B B™A  
@@Zm, Zm ∴ 2 , 
 , B™AB 
   

090 III. 도형의 방정식


%이므로 실수 B는 없다. 18 [전략] NY ZN은 한 정점을 지나는 직선이다.
 직선 Y Z , BY B™A 
Z 이 평행할 때 이 점을 찾은 다음 두 직선의 교점을 생각한다.

B B™A   Y Z  U❶
 , B™AB 
   NY ZN U❷
%이므로 실수 B의 값의 곱은  U ❶은 Y절편이 , Z절편이 인 직선 ❶
y
Ž 세 직선이 한 점에서 만날 때 이다. 2

Y Z, Y Z 을 연립하여 풀면 ❷에서 N Y


Z이므로 ❷ -1
O 3 x
Y, Z 는 점 , 
를 지나고 기울기가 N인 ❷

BY B™A 
Z 에 대입하면 직선이다. -3
BB™A , B™AB 따라서 ❶, ❷가 제사분면에서 만나면 ❷ ❷
 는 색칠한 부분 경계 제외
에 있으면 된다.
% 이므로 실수 B의 값의 곱은  U


Œ, , Ž에서 모든 실수 B의 값의 곱은 ❷가 점 , 
을 지날 때 N

  
@[ ] U ❷가 점 , 
을 지날 때 N
  
단계 채점 기준 배점  
∴  N
부분으로 나누는 경우 찾기 20%  
두 직선이 평행할 때, 실수 B의 값의 곱 구하기 40%
  
세 직선이 한 점에서 만날 때, 실수 B의 값의 곱 구하기 30% ∴ = , > , => ④
  
실수 B의 값의 곱 구하기 10%



 19 [전략] 두 직선 BY CZ D, BY CZ D이 평행하면
B C D
17 [전략] 만나는 두 직선은 수직이다. 
B C D
Y BZ  U❶ 두 직선 Y BZ , B
Y Z 이 평행하므로
Y C
Z U❷  B 

Y CZ  U❸ B  
Y CZ U❹  B
 에서 B B
, B™AB
❸, ❹는 평행한 두 직선이다. ❶ ❷ B 

따라서 ❶, ❷는 ❸과 ❹에 수직이고 서로 B


B 
 ∴ B 또는 B

평행한 직선이다.   
Œ B일 때,   이므로 두 직선은 일치한다.
  
 ❹
❶의 기울기는  이고 ❸, ❹의 기울기   
B  B일 때,  이므로 두 직선은 평행
  

는  이므로 하다.
C
따라서 두 직선의 방정식은 YZ , YZ이다.
 
 @[ ] ∴ BC
B C 이때 두 직선 사이의 거리는 직선 YZ  위의 점 , 

❷와 ❶이 평행하므로 직선 YZ 사이의 거리이므로
  C
  ]] 
     ⑤
 B  ā™A 
™A 
CB, B C
∴ B™A C™A B C
™ABC
20 [전략] NYZ N이 한 정점을 지나는 직선임을 이용한다.
™A@ 
 ④
NYZ N U❶ ❶ y

❷가 ❸ 또는 ❹와 수직임을 이용하면 다음과 같다. 에서 N Y 


Z이므로 ❶은 A{4,`3}
P{-2,`0}
❷의 기울기는

이므로 점 1 , 
을 지나는 직선이다. O x
C
❶이 직선 1"에 수직일 때 점 "와
 
@[ ], C™AC
C C ❶ 사이의 거리가 최대이고, 거리는
∴ C†
1"“이다. 따라서 거리의 최댓값은
 
C 일 때 B  
C     ā\ 
^™A ™A ④
 
C일 때 B   
C  이 문제는 TUFQ "의 번과 같이 점과 직선 사이의 거리 공식으로는 풀기 어
∴ B™A C™A  
™A 
™A 렵다. 반면 TUFQ "의 번은 이 방법으로도 풀 수 있다.

09. 점과 직선 091
정답 및 풀이

21 [전략] 삼각형의 외심은 변의 수직이등분선의 A 따라서 두 직선과 Y축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y

교점이다. 넓이는 1
외심
변 "#의 중점의 좌표가 , 
이고 직   
@[ ]@ U
선 "#의 기울기가 이므로 변 "#의 수   
B C O 2 1 x
3 ❶
직이등분선의 방정식은 ❷

 단계 채점 기준 배점
Z Y

 주어진 방정식의 좌변을 Y, Z에 대한 두 일차식의 곱
40%
으로 인수분해하여 나타내기
∴ Y Z U❶
두 직선의 방정식을 연립하여 교점의 좌표를 구하고,
40%
  각각의 직선의 Y절편 구하기
또 변 #$의 중점의 좌표가 [ ,  ]이고 직선 #$의 기울기가
  두 직선과 Y축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 구하기 20%
이므로 변 #$의 수직이등분선의 방정식은 
  
Z[Y ]
 
∴ Y Z U❷
❶, ❷를 연립하여 풀면 23 [전략] 앞, 뒤 과정을 살피고 두 점 사이의 거리 공식을 이용한다.

Y, Z " B, C


, / D, 
D
이라 하면
곧, 삼각형 "#$의 외심의 좌표는 A{3,`1} # D, 
, . D, 
, $ D, 
이므로
외심
, 
"#“™A "$“™A B D
™A C™A BD
™A C™A 
C{4,`0} B™A C™A  D™A
따라서 외심과 직선 YZ 
사이의 거리는 ❶
".“™A "/“ ™A B D
™
 A C™A BD
™A C™A 
]@@ 
] B{1,`-3}   B™A C™A D™A

   ❷
ā™A 
™A ./“™A@ D
™A  D™A
 ∴ "#“™A "$“™A".“™A "/“ ™A ./“™A
절대등급 Note ∴ ㈎ : , ㈏ : , ㈐ :  ㈎ : , ㈏ : , ㈐ : 
외심의 좌표를 1 Y, Z
라 하면
1"“1#“1$“ A
24 [전략] 중선 정리

1"“™A1#“™A이므로
△"#$에서 변 #$의 중점을 .이라 하면
Y
™A Z
™A Y
™A Z 
™A
"#“A™ "$“A™  ".“A™ #.“A™

  Y Z Y  Z  B C


대각선 "$, #%의 교점을 .이라 하면 M
∴ Y Z U❸
A
™
1#“1$“A
™ 이므로 ".“$.“, #.“%.“ A D

Y
™A Z 
™A Y
™A Z™A 삼각형 "#$에서 6
  Y  Z Y  3 M
"#“™A #$“™A ".“™A #.“™A

∴ Y Z U❹
B C
이때 ❶과 ❸, ❷와 ❹는 같은 식이다. 이므로 ™A ™A ™A #.“™A
5
곧, 두 점으로부터 거리가 같은 점은 두 점을 연결하는 선분의 수직이등 ∴ #.“™A
분선 위에 있다. ∴ #%“™A #.“
™A@ ②

22 [전략] 주어진 식이 두 직선을 나타낸다는 것은


좌변이 두 일차식의 곱으로 인수분해된다는 것과 같다.

Y™A  Z
Y Z™AZ 에서
Y™A  Z
Y  Z
™A
Y Z
Y Z
 U
따라서 다음 두 직선을 나타낸다.
Y Z U❶
Y Z U❷
❶, ❷를 연립하여 풀면 step 최상위 문제 93쪽

Y, Z
01 ⑴ 풀이 참조 ⑵  02 ③ 03 u
 04 , 

또 ❶의 Y절편은 , ❷의 Y절편은  U


092 III. 도형의 방정식


01 [전략] 적당히 원점과 Y축을 잡고 좌표평면에서 생각한다. 
@< [
B  B 
]=@ @
 B   B 
⑴ 변 #$를 OAA로 내분하는 점 %가 y A{a,`b}
삼각형 $%&의 넓이는
원점, 직선 #$가 Y축인 좌표평면을
 B  B™A B
생각하고 @[ ]@B @
 B   B 
" B, C
, # OD, 
, n D 1
B O C x
두 도형의 넓이가 같으므로
$ D, 
D
 B   B™A B
@  @
이라 하자.  B   B 
주어진 식의 좌변을 계산하면 B B™A B, B™AB
"#“™A B OD
™A C™AB™A OBD OD
™A C™A   
따라서 B이므로 B ③
"$“™A BD
™A C™AB™ABD D™A C™A 

O"$“™AOB™AOBD OD™A OC™A 


∴ "#“™A O"$“™A O 
B™A O™A O
D™A O 
C™A 사각형 "#$%가 직선 ZY에 대칭임을 이용한다.
선분 "%와 Z축의 교점을 &라 하고, y
또 주어진 식의 우변을 계산하면 a D
"%“™AB™A C™A, O$%“™AOD™A  선분 $%와 Y축의 교점을 '라 하자.
직선 "%의 방정식은 E
∴ O 
"%“™A O$%“™A

-1
 O 
B™A O 
C™A O™A O
D™A B A O F a x
Z Y 

B 
∴ "#“™A O"$“™A O 
"%“™A O$%“™A
B -1
C
Y을 대입하면
⑵ 점 %는 변 .$의 중점이므로 A
B B
#%“, #.“ Z ∴ &[, ]
B  B 
곧, 점 .은 선분 #%를 AA로 내분 한편 △"0&△$0'이므로 "#$0 0'%&
3 1
B C
하는 점이므로 M D  
∴ △0%& "#$0
"#“™A "%“™A   
  
".“™A .%“™A
B
&[, ]이므로
B 
"#“™A  
™A\ 
™A @™A^
 B 
∴ "#“™A △0%& @ @B
 B  
또 ".“™A "$“™A "%“™A $%“™A
이므로 B™A
, B™AB

™A "$“™A\ 
™A ™A^  B 
∴ "$“™A 따라서 B이므로 B
 

∴ "$“™A"#“™A ⑴ 풀이 참조 ⑵ 

03 [전략] 직선 $%가 Y축의 양의 방향과 이루는 각의 크기가 ±이므로


⑵ 중선 정리를 이용할 수도 있다.
대각선 "$는 Z축에, 대각선 #%는 Y축에 평행하다.
#.“$.“이므로 A
y y=x
Y™A Z™A\™A 
™A^ C y=x@
x y
∴ Y™A Z™A D
Â5 B{∫,`∫@}
.%“$%“이므로 2Â2 1 A{å,`å@}
B C
2 M 1 D

™A Z™A\™A 
™A^
O x
∴ Z™A
따라서 Y™A이므로 직선 $%가 Y축의 양의 방향과 이루는 각의 크기가 ±이므로
"$“™A"#“™AZ™AY™A 대각선 "$는 Z축에, 대각선 #%는 Y축에 평행하다.
따라서 점 "의 좌표를 =, =™A
, 점 #의 좌표를 >, >™A
이라 하
02 [전략] 사각형 "#$%의 변 "%와 Z축이 만나는 점의 좌표부터 구한다. 면 점 $의 좌표는 =, =
, 점 %의 좌표는 >™A, >™A
이고,
선분 "%와 Z축의 교점을 &라 하자. y Y™AY에서 Y 또는 Y이므로 =, >는 보다 작은 양의 실
a D
직선 "%의 방정식은 수이다.
B E 직선 "#의 기울기가 이므로
Z Y 
-1
B  >™A=™A
A O a x    ∴ = >
Y을 대입하면 >=
B -1
C
B B 직선 "%의 기울기가 이므로
Z ∴ &[, ]
B  B  >™A=™A
  , >=
> =
>™A =
이때 사다리꼴 "#$&의 넓이는 >™A=

09. 점과 직선 093
정답 및 풀이

=>를 대입하면  O과 N이 이루는 각의 이등분선 위의 점을 2 Y, Z


라 하면
>>™A >, >™A > 2에서 O, N에 이르는 거리가 같으므로
 u ]Y Z]
>이므로 > ]Z ]
 
따라서 대각선의 길이는 Y Z Z 
또는 Y Z Z 

#%“>>™A> >
∴ YZ 또는 Y Z
 u u 이 중 삼각형의 내부를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  
  Y Z U❷ U
u u ❶, ❷를 연립하여 풀면 Y, Z
절대등급 Note 따라서 내심의 좌표는 , 
이다. U
정사각형의 대각선의 성질을 이용할 수도 있다. 단계 채점 기준 배점
두 대각선의 중점이 일치하므로 두 직선 M, N이 이루는 각의 이등분선 위의 점과 이 두
= =™A > >™A 직선 사이의 거리가 같음을 이용하여 삼각형 내부를 40%
[=, ][ , >™A]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 구하기
∴ => >™A, = =™A>™A U❶ 두 직선 O, N이 이루는 각의 이등분선 위의 점과 이
또 대각선의 길이가 같으므로 >>™A==™A 두 직선 사이의 거리가 같음을 이용하여 삼각형 내부 40%
를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 구하기
=>
 =™A>™A

, 에서 구한 두 직선의 방정식을 연립하여 풀고 삼
=>
=>
 20%
각형의 내심의 좌표 구하기
= >이므로 = >
❶에 대입하면 >™A > , 

04 [전략] 삼각형의 내심은 내각의 이등분선의 교점이다.


내각의 이등분선 위의 점에서 변에 이르는 거리가 같다는 것을
이용하여 내각의 이등분선의 방정식을 찾는다.
n l
A
내심

y=-5
m
B C

Œ M과 N이 이루는 각의 이등분선 위의 점을 1 Y, Z
라 하면
1에서 M, N에 이르는 거리가 같으므로
]YZ ]
]Z ]

YZ  Z 
또는 YZ  Z 

∴ YZ 또는 Y Z 
이 중 삼각형의 내부를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YZ U❶ U

094 III. 도형의 방정식


10. 원과 도형의 이동 ∠"01±이므로 "1“는 원의 지름이다.
따라서 ∠"#1±이므로 1 B, 
이라 하면 직각삼각형 "#1에서
step 기본 문제 95~99쪽 "#“™A #1“™A"1“™A, ™A ™A
\ B
™A ™A^B™A 
™A
B ∴ B, 1 , 

01 ② 02 ④ 03 ② 04 , 
05 ②
06  ,   07 ② 08 ⑤ 09 ④
10 ① 11  12 ② 13 ③ 14  05 [전략] 두 직선이 원의 중심을 지나고 서로 수직이다.
15 ④ 16 ③ 17  18 ② 19 ⑤ y y=ax
 
20 최댓값A:A  , 최솟값A:A  21 ③ 22 ① {x-1}@+{y-2}@=5
23  24 ③ 25 ③ 26 ALN
27 ① 28 ① 29 ③ 30 ④ 31 ② 2

32 ④ 33 ③ 34 YZ 35 ③
1
36 u 37 ③ 38 ① O x
y=bx+c

두 직선이 원의 중심을 지나고 서로 수직이어야 한다.


01 [전략] YB
™A ZC
™AQ 꼴로 고칠 때,
Q이면 반지름의 길이가 Q인 원이다. Y™A Z™AYZ에서 Y
™A Z
™A이므로
Y™A Z™AY Z L에서 원의 중심의 좌표는 , 
이다.
Y
™A Z 
™AL 직선 ZBY가 점 , 
를 지나므로 B
 직선 ZCY D가 점 , 
를 지나므로 C D
원의 방정식이려면 L ∴ L
  
또 BC이므로 C , D
따라서 자연수 L는 , 이고, 개이다. ②  

∴ BCD ②

02 [전략] YQ
™A ZR
™AS™A 꼴로 고친다.

Y™A Z™A BYZ B에서


Y B
™A Z
™AB™AB  06 [전략] Y축에 접하므로 원의 중심의 좌표가 y
B, C
이면 반지름의 길이는 ]C]이다. {a, b}
반지름의 길이를 S라 하면
S™AB™AB  B
™A  주어진 원의 중심의 좌표는 B, B™A
b

이고, B이므로 반지름의 길이는 B O x


B일 때 S™A의 최솟값은 이고, 원의 넓이의 최솟값은 -b

L이다. ④ 이다. {a, b}

Y축에 접하므로
03 [전략] 지름의 중점이 원의 중심이다. BB™A 또는 BB™A 
원의 중심은 지름 "#의 중점이므로 Œ BB™A일 때 B™AB
    B이므로 B 
[ , ] , 

   BB™A 일 때 B™A B


반지름의 길이는 B이므로 B 
  Œ, 에서
"#“ }x\ 
^™A \ 
^™A
 
B  또는 B   ,  
∴ B, C, S, B C S ②

04 [전략] 세 점을 지나는 원의 방정식을 Y™A Z™A BY CZ D으로 놓고 07 [전략] Z축에 접하므로 원의 중심의 좌표가 B, C
이면
점의 좌표를 대입한다. 반지름의 길이는 ]B]이다.
원의 방정식을 Y™A Z™A BY CZ D이라 하자. 중심이 직선 ZY 위에 있으므로 y y=x-1

원점 0를 지나므로 D 중심의 좌표를 B, B


이라 하면
점 " , 
를 지나므로  C D U❶ Z축에 접하므로 반지름의 길이는 ]B]
|a|
점 # , 
을 지나므로   B C D U❷ 이다. {a, a-1}
O 3
❶에 D을 대입하면 C 원의 방정식은 x
-1
❷에 C, D을 대입하면 B YB
™A ZB 
™AB™A
따라서 원의 방정식은 Y™A Z™AYZ 점 , 
을 지나므로
Z일 때 Y™AY B
™A B 
™AB™A
Y 이므로 Y B
™A ∴ B
곧, 1의 좌표는 , 
이다. , 
따라서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이다. ②

10. 원과 도형의 이동 095


정답 및 풀이

08 [전략] Y축, Z축에 동시에 접하는 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S이면 11 [전략] 원의 중심이 제몇 사분면에 있는지부터 생각한다.
중심의 좌표는 S, S
, S, S
, S, S
, S, S
이다.
조건을 만족하는 원의 중심은 제사 y
점 , 
을 지나고 Y축과 Z축에 동시에 접하는 원의 중심은 분면에 있으므로 반지름의 길이를 {x-3}@+{y-2}@=1

제사분면에 있다. S S


이라 하면 중심의 좌표는
따라서 반지름의 길이를 BA B
이라 하면 중심의 좌표는 S, S
이다. 2
B, B
이므로 원의 방정식은 원 Y
™A Z
™A의 중심의
y O 3 x
YB
™A Z B
™AB™A 좌표는 , 
, 반지름의 길이는 이
점 , 
을 지나므로 O 2 x
다.
B
™A  B
™AB™A -1
두 원의 중심 사이의 거리는
B™AB  Eā S
™A S
™A
∴ B 또는 B 두 원이 외접하면 ES 이므로
두 원의 중심의 좌표는 , 
, S
™A S
™A S 
™A
, 
이므로 중심 사이의 거리는 ∴ S™AS  U❶
ā 
™A  
™A ⑤ 따라서 두 원의 반지름의 길이의 합은 이다. 

09 [전략] 반지름의 길이가 S„, Sm인 두 원의 중심 사이의 거리를 E라 하면 ❶에서 S†Ä™A†이고 양수이다.
외접할 때 ⇨ ES„ Sm, 내접할 때 ⇨ E]SmS„]

12 [전략] 두 원 Y™A Z™A BY CZ D, Y™A Z™A BY CZ D의


r¡ r™ r™ 교점을 지나는 원은
d r¡ Y™A Z™A BY CZ D N Y™A Z™A BY CZ D

d
두원
Y™A Z™A U❶ Y™A Z™AZ , Y™A Z™A BYZ 
Y
™A Z
™AS™A U❷ 의 교점을 지나는 원의 방정식은
❶은 중심의 좌표가 , 
, 반지름의 길이가 인 원이고, Y™A Z™AZ  N Y™A Z™A BYZ 
 U❶
❷는 중심의 좌표가 , 
, 반지름의 길이가 S인 원이다. 원점을 지나므로 Y, Z을 대입하면
두 원의 중심 사이의 거리는  N ∴ N
EÄa™A ™A ❶에 대입하면
두 원이 접할 때는 내접할 때와 외접할 때가 있다. Y™A Z™AZ Y™AZ™ABY Z
Œ 내접할 때, ]S]에서 Y™A Z™A BYZ
S† ∴ Y B
™A Z
™AB™A 
∴ S 또는 S 반지름의 길이가 āB™A 이고, 넓이가 L이므로
 외접할 때, S 에서   L B™A 
L, B™A
S B이므로 B ②
S이므로 이 경우는 없다. 절대등급 Note
Œ, 에서 S의 값의 합은 이다. ④
1. 두 원의 교점을 지나는 원의 방정식을
N Y™A Z™AZ 
Y™A Z™A BYZ  U❷
원 ❷의 중심인 점 , 
가 원 ❶의 내부의 점이므로 외접하는 경우는 없다. 이라 해도 된다. ❶, ❷ 중 계산이 간단한 꼴을 이용한다.
2. N이면 두 원의 교점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이다.

10 [전략] 반지름의 길이가 S„, Sm인 두 원이 외접할 때


중심 사이의 거리를 E라 하면 ES„ Sm

Y™A Z™A U❶ 13 [전략] 원의 중심의 위치와 반지름의 길이를 생각한다.

YB
™A ZC
™A U❷ Y™A Z™AYZB에서
❶은 중심의 좌표가 , 
, 반지름의 길이가 인 원이고, Y
™A Z
™AB 
❷는 중심의 좌표가 B, C
, 반지름의 길이가 인 원이다. 곧, 중심의 좌표가 , 
, 반지름의 길이가 ‚B 인 원이다.
두 원의 중심 사이의 거리가 āB™A C™A이므로 Y축과 만나므로 ‚B y, B y
  āB™A C™A, B™A C™A™A ∴ By U❶
따라서 점 B, C
가 그리는 도형은 중심의 좌표가 , 
, 반지 Z축과 만나지 않으므로 ‚B , B 
름의 길이가 인 원이고 이 도형의 길이는 ∴ B U❷
L@L ① ❶, ❷에서 ƒB ③

096 III. 도형의 방정식


y

Y™A Z™AYZB U❸ y=m{x+1}+2


3
❸에 Z을 대입하면 Y™AYB  P{-1, 2}
H
A
Y축과 만나므로 실근을 가진다. 3´2
2
%„ -3 O 3 x
∴  B 
y, By

❸에 Y을 대입하면 Z™AZB  x@+y@=9
-3
Z축과 만나지 않으므로 허근을 가진다.
%m 원의 중심 0에서 직선에 내린 수선의 발을 ), 직선과 원이 만나
∴  B 
, B
 는 한 점을 "라 하면
∴ ƒB 
0"“, ")“


14 [전략] 원의 중심과 직선 사이의 거리 E와 원의 반지름의 길이 S를   


∴ 0)“}x0"“™A")“™A|Š  
비교한다.   

원의 방정식을 Y™A Z™A BY CZ D이라 하자. 곧, 원의 중심 0와 직선 NYZ N  사이의 거리가

점 , 
을 지나므로 D 
이므로

점 , 
을 지나므로  B D ∴ B
]N ] 
점 , 
을 지나므로   BC D ∴ C    , ]N ]āN™A 
āN™A  
곧, 원의 방정식은
양변을 제곱하여 정리하면  N 
™A N™A 

Y™A Z™AY Z, Y


™A Z 
™A
N™AN , N
N

이므로 원의 중심의 좌표는 , 
, 반지름의 길이는 이다.

따라서 원의 중심 , 
와 직선 Y ZL 사이의 거리를 E라 ∴ N 또는 N

하면 Eƒ이므로 
따라서 두 직선의 기울기의 합은 이다. ③

]L]
ƒ, ]L ]ƒu
ā™A ™A
17 [전략] 원의 중심과 접점을 연결하는 반지름이 접선에 수직이므로
∴ uƒLƒu 반지름의 길이는 중심과 접선 사이의 거리와 같다.
정수 L는 , , , , , , 이고, 개이다.  선분 "#를 A:A로 내분하는 점의 좌표는
@ @ @ @ 

  [ , ] , 

   
15 [전략] 원의 중심에서 현 12에 그은 수선을 생각한다.
따라서 원의 중심의 좌표는 , 
이다. 반지름의 길이는 원의
{x-1}@+{y-a}@=21
중심 , 
와 직선 YZ 사이의 거리이므로
C{1, a} ]]
 
´21¨ ‚ 
ax+2y=0
P H 4 Q
18 [전략] 접점이 주어진 경우이다. 원의 중심과 접점을 연결하는 반지름은
원의 중심 $ , B
에서 현 12에 내린 수선의 발을 )라 하자. 접선에 수직임을 이용한다.
]B B] B y
$)“  ∵ B

āB™A  āB™A 
A{2, 4}

$2“u, )2“ 12“

삼각형 $)2는 직각삼각형이므로 C{1, 2}
{x-1}@+{y-2}@=5
B™A O x
, B™AB™A , B™A
B™A 
B이므로 B ④ Y™A Z™AYZ에서 Y
™A Z
™A
곧, 원의 중심은 $ , 
이고, 접선은 반지름 $"에 수직이다.
원의 중심에서 현 12에 그은 수선은 현 12를 수직이등분한다.  
직선 $"의 기울기가 이므로 접선의 기울기는 
 
점 "를 지나므로 접선의 방정식은
16 [전략] 직선의 방정식을 ZN Y 
이라 하고
 
원의 중심과 직선 사이의 거리를 이용한다. Z Y
, Z Y 
 
점 1 , 
를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을 ZN Y 
 
∴ Q R  ②
곧, NYZ N 이라 하자.  

10. 원과 도형의 이동 097


정답 및 풀이

21 [전략] 중심과 접점을 연결하고 생각한다.


원의 중심은 $ , 
이고 반지름의 길이는 이다. A{2, 3}
중심 $와 접선 사이의 거리가 반지름의 길이 이므로 접선의
B D
방정식을
ZN Y
, 곧 NYZN  C{2, -1}
이라 하면 {x-2}@+{y+1}@=r@
]NN ]
 원의 중심을 $ , 
, 두 접점을 #, %라 하면
āN™A 
N 
™A N™A 
, N™A N  "#“"%“, ∠#∠%±
 또 두 접선이 수직이므로 ∠"±
N 
™A ∴ N
 따라서 "#$%는 정사각형이다.
따라서 접선의 방정식은 "$“, #$“S, A#$“"$“
  이므로 S ∴ S ③
Z Y
, Z Y 
 
  원 밖의 한 점에서 원에 그은 두 접선의 접점까지의 거리는 같다.
∴ Q R 
 

22 [전략] 좌표평면에서 ā B


™A C
™A은 두 점 사이의 거리로
19 [전략] 두 점 , 
, , 
을 지나는 직선이 접선이므로 원의 중심과
생각할 수 있다.
접선 사이의 거리가 반지름의 길이임을 이용한다.
y
두 점 , 
, , 
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6 Q

Y Z
, Y Z
 
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S라 하면 원의 중심 0와 직선 사이의 거리 -1 O
가 반지름의 길이이므로 P 5 x
C -2
]] 
S  {x+1}@+{y+2}@=4
‚  
 원 Y 
™A Z 
™A의 중심은 $ , 
, 반지름의
따라서 원의 둘레의 길이는 LS L ⑤
 길이 S는 이다.
점 2 , 
이라 하면
20 [전략] 좌표평면에 원을 그리고 직선의 기울기가 최대와 최소인 경우를
  ā B
™A C
™A12“
찾는다.
이므로 1가 선분 $2와 원의 교점일 때 12“의 길이가 최소이고
직선이 원에 접할 때 기울기가 최대이 {x-2}@+{y-3}@=5
y 최솟값은
거나 최소이다.
$2“S$2“
직선이 점 " , 
을 지나므로 직 3 P
$2“ā  
™A  
™A이므로 12“의 길이의 최솟값은
선의 방정식을
이다. ①
Z N Y
, O P 5
2 x
곧 NYZN -1
A
이라 하자. 23 [전략] 선분 "1의 길이의 최댓값과 최솟값부터 구한다.
y
접하면 원의 중심 , 
과 직선 사이의 거리가 반지름의 길이 A
4
이므로
P {x-4}@+y@=4
]NN] P
   2
āN™A  C
O 1 4 x
N
™A N™A 
, N™A N 
P
  P
N 
N 
 ∴ N 또는 N
  Y™A Z™AY 에서
  Y
™A Z™A
따라서 직선의 기울기의 최댓값은  , 최솟값은  이다.
 
곧, 원의 중심은 $ , 
, 반지름의 길이는 이다.
 
최댓값A:A , 최솟값A:A 이때 선분 "1의 길이의 최솟값은 "$“이고
 
점 1가 원 위를 움직이므로 부등식
최댓값은 "$“ 이다.
]NN]
  ƒ
āN™A  "$“ā 
™A 
™A
를 풀어도 된다. 이므로 ƒ"1“ƒ

098 III. 도형의 방정식


"1“의 길이가 정수가 되는 경우의 1의 개수는 
0)“ A LN

"1“일 때 1는 개 
"1“, , 일 때 1는 각각 개 ∴ #)“}x0#“™A0)“™A}x™A 
™AA LN

"1“일 때 1는 개 ∴ #$“#)“A LN
ALN
따라서 1는 개이다. 

24 [전략] 원의 중심과 직선 사이의 거리부터 생각한다. 27 [전략] 점 Y, Z


를 Y축 방향으로 N만큼, Z축 방향으로 O만큼 평행이동

원 Y
™A Z
™A의 중심은 $ , 
, 반지름의 길이 S 하면 점 Y N, Z O
이고,
점 Y, Z
를 직선 ZY에 대칭이동하면 점 Z, Y
이다.
는 이다.
점 , 
을 직선 ZY에 대칭이동한 점의 좌표는 , 

점 $와 직선 YZ  사이의 거리 E는


점 , 
을 Y축 방향으로 만큼, Z축 방향으로 만큼 평행이
] ]
E  동한 점의 좌표는 ,  
 , 

‚ 
y y=x+1
∴ Q, R, Q R ①

Q {x-4}@+{y-1}@=1
P
2´2 1 28 [전략] 도형 G Y, Z
을 Y축 방향으로 N만큼, Z축 방향으로 O만큼
1
C 평행이동하면 도형 G YN, ZO
이다.
O 4 x 직선 YZ 을 Y축 방향으로 만큼, Z축 방향으로 만
큼 평행이동한 직선의 방정식은
위의 그림과 같이 2가 $에서 직선에 내린 수선의 발이고 1가 선 Y
 Z 
 ∴ YZ
분 $2와 원이 만나는 점일 때, 선분 12의 길이가 최소이다. YZ B과 비교하면 B ①
따라서 최솟값은
ES ③
29 [전략] 도형 G Y, Z
을 Y축 방향으로 N만큼, Z축 방향으로 O만큼

25 [전략] 선분 01의 중점의 좌표를 . Y, Z


라 하고 Y, Z의 관계를 구한다. 평행이동한 도형의 방정식은 G YN, ZO
이다.
이때 1 B, C
라 하면 B™A C™AB C임을 이용한다. 직선 ZY를 Y축 방향으로 B만큼, Z축 방향으로 C만큼 평행이
1 B, C
라 하면 1는 원 P{a, b} 동한 직선의 방정식은
Y™A Z™AY Z 위의 점이므로 M{x, y} ZC YB
∴ ZYB C
O
B™A C™AB C U❶ ZY 와 비교하면 B C
또 선분 01의 중점의 좌표를 . Y, Z
곧, 점 1 B, C
는 직선 YZ  위의 점이므로 원점과 1
x@+y@-4x+4y-4=0
라 하면 사이의 거리의 최솟값은 원점과 이 직선 사이의 거리이다.
B C 따라서 최솟값은
Y , Z
 
]] 
곧, BY, CZ를 ❶에 대입하면  ③
ā™A 
™A 
Y™A Z™AY Z
Y™A Z™AY Z CB 이므로 점 1와 원점 사이의 거리는
∴ Y
™A Z 
™A āB™A C™AāB™A B 
™AāB™A B 
따라서 선분 01의 중점 .은 중심의 좌표가 , 
, 반지름 따라서 이차함수의 최대, 최소를 이용해도 된다.

의 길이가 인 원 위를 움직인다.


곧, 구하는 도형의 넓이는 L이다. ③
30 [전략] 중심 사이의 거리와 반지름의 길이를 생각한다.

26 [전략] 등대의 불빛을 볼 수 있는 위치는 중심이 0이고


원 Y™A Z™A를 Y축, Z축 방향으로 각각 B, C만큼 평행이동한 원
반지름의 길이가 ALN인 원의 내부이다. 의 중심은 $ B, C
이고, 반지름의 길이는 이다.
불빛을 볼 수 있는 위치는 중심이 0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ALN
C{a, b}
인 원의 내부 경계 포함
이다. 3 {x-a}@+{y-b}@=9
3
배가 지나가며 원과 만나는 두 점이 C
O{0, 0}
#, $이고, 0에서 현 #$에 내린 수 H
선의 발을 )라 하면 ∠0")°이 45æ B 5`km x@+y@=9
A O
므로 6`km 두 원의 중심 사이의 거리는 0$“āB™A C™A
0)“")“ 두 원이 외접하므로
A0)“0"“이므로 āB™A C™A  ∴ B™A C™A ④

10. 원과 도형의 이동 099


정답 및 풀이

31 [전략] 도형 G Y, Z
을 원점에 대칭이동한 도형은 G Y, Z
, ❶은 중심이 $„ , 
, 반지름의 길이가 인 원이고,
직선 ZY에 대칭이동한 도형은 G Z, Y
이다. ❷는 중심이 $m , 
, 반지름의 길이가 인 원이다.
직선 YZ 을 원점에 대칭이동한 직선의 방정식은 y

Y Z  C¡{-3, 1}

❶ l
이 직선을 직선 ZY에 대칭이동한 직선의 방정식은
Z Y  O x

이 직선이 원 Y
™A ZB
™A의 둘레의 길이를 이등분하
C™{-1, -3}
면 원의 중심 , B
를 지나므로

B   ∴ B ②
따라서 직선 M은 선분 $„$m의 수직이등분선이다.
32 [전략] 원을 평행이동하거나 대칭이동해도 반지름의 길이는 변하지 않는다. 
선분 $„$m의 기울기는 , 중점의 좌표는
원의 중심의 이동만 생각한다.
 
, 
이므로 M의 방정식은
Y™A Z™AY Z L에서 Y
™A Z 
™AL

곧, 원의 중심의 좌표는 , 
이고, 반지름의 길이는 ‚L Z  Y 
∴ YZ YZ

이다.
절대등급 Note
중심 , 
을 Y축에 대칭이동한 점의 좌표는 , 
이고,
선분 $„$m의 수직이등분선 위의 점 1 Y, Z
에서 $„, $m까지의 거리가
점 , 
을 Z축 방향으로 만큼 평행이동한 점의 좌표는
같으므로 $„1“™A$m1“™A
, 
이다. Y 
™A Z
™A Y 
™A Z 
™A
따라서 이동한 원의 중심의 좌표는 , 
, 반지름의 길이는 Y™A Y  Z™AZ Y™A Y  Z™A Z 
‚L이다. ∴ YZ

또 이동한 원이 직선 YZ 에 접하므로 중심 , 


와 이
직선 사이의 거리는 반지름의 길이이다.
] ]
35 [전략] 점 #와 Y축에 대칭인 점을 #이라 하면 1#“1#“을 이용한다.
  ‚L
ā™A 
™A 점 #와 Y축에 대칭인 점을 # , 
이 y
B{5, 6}

  L ∴ L ④ 라 하면 1#“1#“이므로


"1“ 1#“"1“ 1#“y"#“
A{2, 1}
따라서 "1“ 1#“의 최솟값은
33 [전략] 두 원 $„, $m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분을 생각한다. O P x
"#“
ā 
™A 
™A
Y™AY Z™A Z 에서 Y
™A Z 
™A
u ③
곧, $„은 중심이 $„ , 
, 반지름의 길이가 인 원이고,
$m는 중심이 $m , 
, 반지름의 길이가 인 원이다. "1“ 1#“가 최소일 때, 1는 선분 "#과 Y축의 B'{5, -6}
y y=x 교점이다.
이 결과는 공식처럼 기억하고 이용해도 된다.
C™
C™ 1
QO 1
-2 x 36 [전략] 점 1와 변 #$에 대칭인 점 1, 점 4와 변 $%에 대칭인 점 4을
P
이용한다.
-2 C¡
A S D S' A"

P
1가 선분 $„$m와 원 $„이 만나는 점이고, 2가 선분 $„$m와 원 R
B
Q C
$m가 만나는 점일 때, 1, 2 사이의 거리가 최소이다.
P'
따라서 최솟값은
A' D'
$„$m“ā  
™A 
™A
점 1와 변 #$에 대칭인 점을 1, 점 4와 변 $%에 대칭인 점을
 ③
4이라 하면
12“12“, 34“34“
34 [전략] 직선 M과 두 원의 중심을 이은 선분의 관계를 생각한다. ∴ 12“ 23“ 34“12“ 23“ 34“y14“
Y™A Y Z™AZ 에서 직각삼각형 "14에서
Y 
™A Z
™A U❶ "1“ , "4“ 
Y™A Y Z™A Z 에서 이므로 12“ 23“ 34“의 최솟값은
Y 
™A Z 
™A U❷ 14“ā™A ™Au u

100 III. 도형의 방정식


37 [전략] 원점에 대칭이동할 때 자신과 일치하는 도형은 원점에 대칭이고 01 [전략] " 공장의 위치가 원점인 좌표평면을 이용한다.
Y에 Y, Z에 Z를 대입해도 식이 바뀌지 않는다. y
곧, G Y, Z
과 G Y, Z
은 같은 방정식이다.
B{-2, 0} A
ㄱ. ZY의 Y에 Y, Z에 Z를 대입하면 O x
Z Y
, 곧 ZY
ㄴ. ]Y Z]의 Y에 Y, Z에 Z를 대입하면
C{2, -4}
]YZ], 곧 ]Y Z]
ㄷ. Y™A Z™A Y Z
의 Y에 Y, Z에 Z를 대입하면
Y
™A Z
™A YZ
" 공장의 위치가 원점인 좌표평면에서 세 공장의 위치를 나타내
곧, Y™A Z™A Y Z
면 " , 
, # , 
, $ , 
이고, 물류창고의 위치는
따라서 원점에 대칭이동할 때 자기 자신과 일치하는 도형은 삼각형 "#$의 외심이다.
ㄱ, ㄴ이다. ③ 세 점 ", #, $를 지나는 원의 방정식을 Y™A Z™A BY CZ D
이라 하자.
38 [전략] ZG Y
, ZG Y
, ZG  Y

,
"를 지나므로 D
ZG Y
을 차례로 생각한다.
#를 지나므로 B D ∴ B
ZG Y

$를 지나므로   BC D ∴ C


⇨ ZG Y
A:AY축에 대칭
따라서 원의 방정식은
⇨ ZG Y
A:AZ축에 대칭
Y™A Z™A Y Z, Y 
™A Z 
™A
⇨ ZG  Y

A:AY축 방향으로 만큼 평행이동


각 공장에서 물류창고까지의 거리는 원의 반지름의 길이이므로
⇨ ZG Y 
A:AZ축 방향으로 만큼 평행이동
uALN이다. ①
y y
y=-f{-x}
1 1
변 "#, "$의 수직이등분선의 교점이 외심임을 이용해도 된다.
O 1 2 x -2-1 O x
-1 -1
y=-f{x} 02 [전략] 직선 "#, "%가 Y축, Z축인 좌표평면을 생각한다.
y
y y
D C
y=-f{-{x-1}} y=-f{-x+1}+1
1 2
1
1 T 1
-1 O x y=
3
x
-1 R
-1 O 1 x
P
Q
A H
따라서 ZG Y
의 그래프는 ①이다. ① O B x

직선 "#, "%가 Y축, Z축인 좌표평면을 생각하면 원의 중심은


5 , 
, 반지름의 길이는 이다.

한편 "#“A:A#1“A:A이므로 직선 "1의 기울기는 이다.


원점을 지나므로 직선의 방정식은 Z Y

5에서 직선 "1, 곧 YZ에 내린 수선의 발을 )라 하면
]]
5)“ u
step ā™A 
™A
실력 문제 100~104쪽
직각삼각형 52)에서 2)“ā™Au
01 ① 02 u 03 ⑤ 04 ③ 05  ∴ 23“2)“u u

06 ② 07 ③ 08 B  09 

10 ③ 11 ④ 12 ⑤ 13 ③
03 [전략] 두 점 ", #를 지나는 원 중에서 넓이가 최소인 원은
선분 "#가 지름인 원이다.

14   
15 ③ 16 A
오른쪽 그림과 같이 원과 직선의 교 y
17 최댓값A:Au , 최솟값A:Au 점을 ", #라 하면 선분 "#가 지름 5 x@+y@=25
18 YZ 19 ⑤ 20 ⑤ 21 ④
일 때, 원의 넓이가 최소이다. A
22 B, C, D 23 ③ 24 ⑤
 원의 중심 0에서 직선 -5 O 5 x
25  26 ② 27 ② 28 ⑤ 29 [  , ] H
Y Z 에 내린 수선의 발을
30 uA B
-5
)라 하면 x+2y+5=0

10. 원과 도형의 이동 101


정답 및 풀이

]] 단계 채점 기준 배점
0)“ 
ā™A ™A 두 원의 중심의 좌표와 반지름의 길이 구하기 30%
접선이 다른 원의 중심을 지남을 알기 40%
직각삼각형 0")에서 ")“ā™A
피타고라스 정리를 이용하여 N의 값 구하기 30%
따라서 넓이가 최소인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 ⑤

06 [전략] 원의 중심과 직선 사이의 거리를 이용한다.

04 [전략] 두 원 Y™A Z™A BY CZ D U❶ Y™A Z™AYZ에서 y


{x-1}@+{y-2}@=10
Y™A Z™A BY CZ D U❷ Y
™A Z
™A
의 교점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❶❷이다. A ´10¨
곧, 원의 중심은 $ , 
, 반지름의
Y
™A Z
™AS™A U❶ C{1, 2}
길이는 u이다. H
Y
™A Z
™A U❷
직선 ZLY와 원의 교점을 ", #라 O B
x
원 ❶, ❷의 중심을 각각 $, $이라 ❶
C'{1, 1}
하고 $에서 이 직선에 내린 수선의 y=kx
할 때, 원 ❶이 원 ❷의 둘레의 길이를 ❷
발을 )라 하자.
이등분하려면 두 원의 공통현이 원 ❷ C{2, 4}
$"“u이므로
의 중심 $ , 
을 지나야 한다.
G L
")“}x$)“™A
공통현의 방정식은 ❶❷에서 P
따라서 $)“의 길이가 최대일 때 G L
가 최소이다.
YZ S™A
그리고 직선 ZLY가 원점을 지나므로 )가 원점 0일 때 $)“의
이 직선이 점 $ , 
을 지나므로
길이가 최대이다.
 S™A, S™A
0$“이므로 G L
의 최솟값은
S이므로 Su ③
‚ ②

위의 그림에서 $에서 공통현에 내린 수선의 발이 $이므로


07 [전략] 점 0가 원점인 좌표평면에서 접은 호를 포함하는 원의 중심 0을
$$“ā 
™A 
™Au, $1“ 찾는다.
직각삼각형 $1$에서 y
S$1“‚ u
O'
두 원이 서로 다른 두 점 ", #에서 만날 때, 선분 A
"#를 두 원의 공통현이라 한다. Q
A
공통현 -8 O P 6 8 x
B
B
-8

점 0가 원점, 직선 "#가 Y축인 좌표평면을 생각하고, 접은 호


05 [전략] 접점에서 접선에 수직인 직선은 원의 중심을 지난다. 를 포함하는 원의 중심을 0이라 하자.
Y™A Z™AYNZ U❶ 원 0은 점 1 , 
에서 Y축에 접하고 반지름의 길이가 이므로
Y™A Z™ANYZ U❷ 0 , 
이다.
❶은 Y
™A ZN
™AN™A 이므로 중심이 $„ , N
, 선분 00이 접힌 호와 만나는 점을 2라 하면 0와 접힌 호 위의
반지름의 길이가 S„āN™A 인 원이다. 점 사이의 거리의 최솟값은
❷는 YN
™A Z
™AN™A 이므로 중심이 $m N, 
, 02“00“ā™A ™A ③
반지름의 길이가 SmāN™A 인 원이다. U
접점에서 접선에 수직인 직선은 원의 중심을 지나므로 다음 그림 08 [전략] 직선 ZB Y
이 점 , 
을 지남을 이용한다.
과 같이 각 원의 접선은 다른 원의 중심을 지난다. U 직선 ZB Y
이 색칠한 부분 경 y
2
계 제외
에 있을 때 교점이 개이다. ❶

❶ r™ 직선 ZB Y
이 ❶의 위치에 있
r¡ A C™{m, 2} -2 O
을 때 원 Y 
™A Z™A에 접한다. 1 2 x
C¡{2, m}
곧, 원의 중심 , 
과 직선
BYZB 사이의 거리가 반지 -2

직각삼각형 "$„$m에서 $„$m“™AS„™A Sm™A이므로 름의 길이 이므로


N
™A N
™AN™A  N™A  ]BB]
  
N ∴ N U āB™A 
™A

102 III. 도형의 방정식


B™AB™A , B™A C
이차방정식의 두 실근이 실수 L, 곧 의 최댓값, 최솟값이므
B

B이므로 B 로 두 값의 곱은 이다. ③

 
따라서 실수 B의 값의 범위는 B B
  부등식
]L ]
ƒ의 해가 L의 범위, 곧
C
의 범위이다.
āL™A  B

09 [전략] 접선의 방정식을 ZNY L로 놓고


원과 직선이 접할 조건을 찾는다.
11 [전략] . 이차함수의 그래프와 직선이 접한다.
접선의 기울기를 N이라 하면 접선의 방정식은 ⇨ 두 식에서 Z를 소거하고 %을 이용한다.
ZNY L, 곧 NYZ L U . 원과 직선이 접한다.
⇨ 원의 중심과 직선 사이의 거리를 생각한다.
원의 중심 , 
과 접선 사이의 거리가 반지름의 길이 이므로
]N L] 직선 ZBY C와 이차함수 ZY™A y y=2x@
, N L
™AN™A 
āN™A 
™A 의 그래프가 접하므로
∴ N™A LN L™A U Y™ABY C, 곧 Y™ABYC이 O
중근을 가진다. x
%
 L
™A L™A
L™A 이므로 이 이차방정식은 두 -1 x@+{y+1}@=1
 ∴ %B™A C U❶
실근을 갖고, 두 접선의 기울기의 곱이 이므로 두 실근의 곱이 b
직선 ZBY C가 원
이다. 곧, Y™A Z 
™A에 접하므로 원의 중 y=ax+b

L™A 심 , 
과 직선 BYZ C 사이의 거리가 반지름의 길
, L™A

이 이다.
L이므로 L U
] C]
∴ ,  C
™AB™A  U❷
단계 채점 기준 배점 āB™A 
™A
기울기를 N이라 하고 점 , L
를 지나는 접선의 방
정식 세우기
20% ❶에서 B™AC를 ❷에 대입하면
원의 중심과 접선 사이의 거리가 임을 이용하여 N에  C
™AC , C C 

40%
대한 이차방정식 세우기
C이므로 C
두 접선의 기울기의 곱이 임을 이용하여 양수 L의 값
40%
구하기 이때 B™AC이므로 B™A C ④

Y축 C인 경우
도 포물선과 원에 모두 접한다.

C
10 [전략] B L는 점 1 B, C
와 , 
을 지나는 직선의 기울기이다.

따라서 직선 ZL Y


가 원과 접할 조건을 생각한다. 12 [전략] 접선의 방정식을 ZNY O으로 놓고
O
C 각 원에 접할 조건을 이용하여 Y절편인 
N
을 구한다.
L라 하면 L는 점 1 B, C
와 점 , 
을 지나는 직선의
B
y
기울기이다. {x-10}@+y@=9

따라서 점 , 
을 지나는 직선 ZL Y
가 원과 접할 x@+y@=4

때 기울기 L가 최대 또는 최소이다. x
O
Y™A Z™A Y Z 에서
Y 
™A Z 
™A
접선의 방정식을 ZNY O, 곧 NYZ O이라 하자.
곧, 원의 중심의 좌표는 $ , 
, 반지름의 길이는 이다.
두 원의 중심이 Y축 위에 있으므로 접선은 개이고, 접선의 서로
y y=k{x-4}+3
다른 Y절편은 개이다.
3
원 Y™A Z™A에 접하므로 원의 중심 , 
과 직선
P NYZ O 사이의 거리는 반지름의 길이 이다. 곧,
O 4 x
]O]
  
{x+1}@+{y+2}@=3 āN™A 
™A
C{-1, -2} P
∴ O™A N™A 
U❶
직선과 원이 접하면 원의 중심 $ , 
와 직선 원 Y
™A Z™A에 접하므로 원의 중심 , 
과 직선
LYZL  사이의 거리가 반지름의 길이 이므로 NYZ O 사이의 거리는 반지름의 길이 이다. 곧,
]L L ] ]N O]
   
āL™A 
™A āN™A 
™A
L 
™A L™A 
, L™AL  ∴ N O
™A N™A 
U❷

10. 원과 도형의 이동 103


정답 및 풀이

❶에서 N™A 
O™A
을 ❷에 대입하면 14 [전략] 점 1와 직선 "# 사이의 거리가 최대일 때,
 삼각형의 넓이가 최대이다.
 y
N O
™A O™A U❸
 P
x@+y@=13
O
직선 ZNY O의 Y절편이  이므로 ❸의 양변을 N™A으로
N
나누면 O x

O ™A  O ™A A{-3, -2}
[ ] [ ] H
N  N B{2, -3}

O
 U라 하면
N 두 점 " , 
, # , 
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U
™A U™A, U™A U Z  Y 
, Y Z 
  
이차방정식의 두 실근이 접선의 서로 다른 두 Y절편이므로 두 값 원의 중심 0에서 변 "#에 내린 수선의 발을 )라 하면
의 합은 이다. ⑤ ]] u
0)“ 
ā™A ™A 
Y™A Z™A는 중심이 0 , 
, 반지름의 길이가 인 원이다. 점 1와 직선 "# 사이의 거리는 1가 선분 0)의 연장선 위에 있
Y
™A Z™A는 중심이 $ , 
, 반지름의 길이가 인 원 을 때 최대이고 최댓값은 0)“ u이다.
이다. 따라서 삼각형 "#1의 넓이의 최댓값은
Œ P™

@"#“@ 0)“ u

O{0, 0} 
3
 u
A C{10, 0} x  @ā  
™A  
™A@[ u ]
2  

 u 
 @u@[ u ]  

  
위의 그림에서 △01„"v△$1m" 
 

" B, 
이라 하면 BAA B
AA  
  ∴ B, " , 
삼각형 "#1의 넓이가 최대일 때 1는 직선 "#와 평행한 접선이 원과 접하
는 점 또는 직선 "#와 수직이면서 원의 중심 0를 지나는 직선이 원과 만나
 Q™
Q¡ 는 점이라 생각해도 된다.
2 3
B C{10, 0} x
15 [전략] 점 "와 직선 ZY 사이의 거리가 정삼각형의 높이이다.
O{0, 0}
따라서 이 거리의 최솟값과 최댓값을 구한다.
위의 그림에서 △#02„v△#$2m y
점 "와 직선 ZY,
# C, 
이라 하면 CAA C 
AA A
x@+y@=2
곧 YZ 사이의 거리가 정
∴ C, # , 

삼각형 "#$의 높이이다. O A C x


Œ, 에서 Y절편의 합은  C
원의 중심 0와 직선 YZ
사이의 거리는 B
13 [전략] 1 B, C
라 하고 삼각형 "$1의 넓이를 구한다.
B
]] y=x-4
Y™AY Z™A에서 y   
P{a, b} ā™A 
™A
Y
™A Z™A
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이므로 "와 직선 사이의 거리의
곧, 원의 중심은 $ , 
, 반지름의 A C
-2 O 2 x 최솟값은 
길이는 이다.
최댓값은  
점 1의 Z좌표를 C라 하면 삼각형 {x-2}@+y@=4
곧, 정삼각형 "#$의 넓이가 최소일 때와 최대일 때의 높이의
"$1의 넓이는
비 닮음비
가 A:A이므로 넓이의 비는 A:A이다. ③

××|C|]C]

16 [전략] ∠"1#±이면 점 1는 선분 "#가 지름인 원 위의 점이다.
이 값은 자연수이고 ]C]ƒ이므로
y
]C], ]C], ]C], ]C] y=x-2
B{´5, 3}
 
∴ C† , C†, C† , C†
  C{0, 1}
Q
C†인 점은 개씩이고, 나머지 경우는 개씩이므로 O
x
1의 개수는 A{-´5, -1}
x@+{y-1}@=9
P
@ @ ③

104 III. 도형의 방정식


∠"1#∠"2#±이므로 두 점 1, 2는 "#“가 지름인 원 2$„이 수직이므로
위에 있다. 12“™A1$„“™A 
™A 
선분 "#의 중점이 $ , 
이고 $"“ā ™A이므로  Y 
™A Z
™A
원의 방정식은 Y™A Y Z™AZ
Y™A Z
™A U ❷는 중심이 $m , 
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인 원이다.
ZY를 Y™A Z
™A에 대입하면 접점을 3라 하면
Y™A Y
™A, Y™AY 13“™A1$m“™A™A 
∴ Y, Z 또는 Y, Z U  Y
™A Z 
™A
원과 직선의 교점은 1 , 
, 2 , 
이라 할 수 있으므로 Y™AY Z™A Z 
12“ā™A ™A U 12“™A13“™A이므로
단계 채점 기준 배점 Y™A Y Z™AZY™AY Z™A Z 
선분 "#를 지름으로 하고 두 점 1, 2를 지나는 원의
50% ∴ YZ
방정식 구하기
직선과 원의 방정식을 연립하여 교점의 좌표 구하기 30% 곧, 1가 그리는 도형의 방정식은
선분 12의 길이 구하기 20% YZ YZ


19 [전략] 1 B, C
, 무게중심의 좌표를 Y, Z
라 하고 Y, Z의 관계를 구한다.

17 [전략] 1 Y, Z
라 하고 Y, Z의 관계부터 구한다. 1 B, C
A C 
, 삼각형 1"#의 무게중심을 ( Y, Z
라 하면
1 Y, Z
라 하면 1"“™A 1#“™A에서   B C
Y , Z
 
Y
™A Z
™A Y
™A Z
™A
∴ BY, CZ U❶
Y™AY Z™AZ 
1가 원 Y™A Z™AY 위의 점이므로
∴ Y
™A Z
™A
B™A C™AB ∴ B
™A C™A
곧, 1는 중심이 $„ , 
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S„인 원 위를
❶을 대입하면 Y
™A Z
™A
움직인다.
∴ Y
™A Z™A Z 

또 2는 중심이 $m , 
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Sm인 원 위
따라서 무게중심 (는 중심의 좌표가 , 
, 반지름의 길이가 
를 움직인다.
인 원 위를 움직이고, 도형의 길이는
y
L@L ⑤
C¡{4, 3} P
C™{-1, 2}
Q P 1가 " 또는 #이면 삼각형이 만들어지지 않는다.
Q
따라서 C 이고, Z 이다.
{x+1}@+{y-2}@=1 {x-4}@+{y-3}@=4
O x
20 [전략] 1 Y, Z
라 하고 Y, Z의 관계를 구한다.
1, 2가 직선 $„$m 위에 있을 때, 선분 12의 길이가 최대 또는 원의 중심 $와 접점을 연결하고 삼각형 $23가 정삼각형임을
이용하여 1의 조건을 찾는다.
최소이다.
$„$m“ā™A ™Au이므로 원의 중심을 $라 하면 y

최댓값은 $„$m“ S„ Smu  $2“$3“23“ H


Q P
최솟값은 $„$m“S„Smu 이므로 삼각형 $23는 정삼각형이
5 R
최댓값A:Au , 최솟값A:Au 다.
C{-1, 0} O x
또 선분 1$는 현 23를 수직이등
분한다.
18 [전략] 1 Y, Z
라 하고 접선의 길이를 구한다. 1$“와 23“의 교점을 )라 하면 원의 {x+1}@+y@=25
접선의 길이는 접선과 접점을 지나는 반지름이 수직임을 이용하여
반지름의 길이가 이므로
구한다.
 
Y 
™A Z
™A U❶ $)“ , 2)“
 
Y
™A Z 
™A U❷ 또 ∠$2)±이므로 ∠12)±이고
1 Y, Z
라 하자. Q
 
❶은 중심이 $„ , 
이고 반지 2´2
❶ 1)“ 2)“
 
름의 길이가 인 원이다. P{x, y} C¡{-1, 2} 
∴ $1“$)“ 1)“
접점을 2라 하면 접선과 반지름 

10. 원과 도형의 이동 105


정답 및 풀이

따라서 1 Y, Z
라 하면 1가 그리는 도형의 방정식은 중심이 또 평행이동을 해도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변하지 않으므로
 
$ , 
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1“ 인 원이다. D ∴ D U
 
 단계 채점 기준 배점
∴ Y 
™A Z™A ⑤
 점 , 
를 점 , B
로 옮기는 평행이동 구하기 20%
일반형으로 주어진 두 원의 방정식 변형하기 30%
에서 구한 평행이동과 두 원의 중심, 반지름의 길이
50%
를 이용하여 B, C, D의 값 구하기
21 [전략] 1 B, C
라 하고 B™A C™A임을 이용하여
1"“ ™A 1#“ ™A을 간단히 한다. B, C, D
1 B, C
라 하면 ❶을 평행이동한 원의 방정식 Y 
™A ZB 
™A를 전개하여
Y™A Z™A CYZ D과 각 항의 계수를 비교해도 된다.
1"“ ™A 1#“ ™A B 
™A C
™A B
™A C
™A
B™A C™ABC  …❶
1는 원 위의 점이므로 B™A C™A …❷
23 [전략] 직선 ZY 와 ZY가 평행하므로 삼각형에서 중점을 연결한
❷를 ❶에 대입하면
선분의 성질을 이용하여 점 ", #, $의 위치를 생각한다.
1"“ ™A 1#“ ™ABC 

점 "의 좌표를 B, B 
A B
이라 하면
 B C

# B , B
, $ B, B

B CL로 놓고 BC L를 ❷에 대입하면


y y=x+2
C L
™A C™A y=x
H
A{a, a+2}
C™ALC L™A
B{a+2, a}
C는 실수이므로
% O x
L™A L™A
y, L™Aƒ C{-a-2, -a}

∴ ƒLƒ
따라서 1"“ ™A 1#“ ™A의 최솟값은 L일 때  이다. 선분 "#와 직선 ZY의 교점을 )라 하자.
④ ")“#)“, #0“$0“
중선 정리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이고 직선 ZY 와 ZY가 평행하므로 $는 직선 ZY 
선분 "#의 중점을 .이라 하면 위의 점이다.
1"“™A 1#“™A ".“™A 1.“™A
U❸ ∠#"$∠#)0±이므로
. , 
이므로 y 
△"#$ @"#“@"$“

".“, 0.“ A 2 M B
점 1가 선분 0. 위에 있을 때 그런데 "#“ā™A 
™A,
P
1.“은 최소이므로 1.“의 최솟 "$“ā B 
™A B 
™A]B ]
-2 O 1 4 x
값은  x@+y@=1 이고 △"#$, B이므로
따라서 ❸의 최솟값은 
@@ B 
 ∴ B

\™A 
™A^
따라서 "의 좌표는 , 
이다. ③
절대등급 Note
22 [전략] 원의 중심의 평행이동을 조사한다.
. 세 점 , 
, Y„, Z„
, Ym, Zm
가 꼭짓점인 삼각형의 넓이는
점 , 
를 점 , B
로 옮기는 평행이동은 
]Y„ZmZ„Ym] 

Y축 방향으로 만큼, Z축 방향으로 B만큼
이다. 이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평행이동하는 것이다. U $가 원점으로 이동하는 평행이동에 의해
Y™A Z™A YZ 에서 "
Z " B , B 

Y 
™A Z
™A U❶ #
Z # B , B

로 이동한다.
Y™A Z™A CYZ D에서
이때 삼각형 0"#의 넓이는
C C™A
[Y ]™A Z
™AD U❷ U 
] B 
@B B 
B 
]]B ] 
  
원 ❶의 중심 , 
이 이 평행이동에 의해 점 , B
로 곧, ]B ]이고 B이므로 B
. ", #, $의 위치 관계를 모르는 경우
C
옮겨지고 원 ❷의 중심의 좌표가 [ , ]이므로 ⇨ 직선 "#의 방정식을 구하고 점 $와 직선 "# 사이의 거리 E를


C 구한 다음 @"#“@E를 계산해도 된다.
 , B ∴ B, C 


106 III. 도형의 방정식


24 [전략] " , 
, # , 
이 직선 ZY 위의 점이므로 사각형 "1#2의 G Z, Y 

넓이의 최댓값은 삼각형 1"#의 넓이의 최댓값의 배이다. ⇨ Y에 Y 을 대입한 꼴이므로 Y축 방향으로 만큼
y 평행이동한다.
y=x
P C¡ y y
1 1
C¡ 3 B
A O 1 x -1 O x
1
3 -1 -1
O 1 x
[AG Z, Y
] [AG Z, Y 
]
C™ Q
따라서 G Z, Y 
이 나타내는 도형은 ②이다. ②
" , 
, # , 
이 직선 ZY 위의 점이므로 사각형
"1#2의 넓이의 최댓값은 삼각형 1"#의 넓이의 최댓값의
배이다. 27 [전략] 점 1 B, C
와 직선 M에 대칭인 점 l
1 Y, Z
는 다음을 이용하여 구한다. P{a, b}
Y™A Y Z™AZ 에서
. 직선 11은 M에 수직이다.
Y 
™A Z
™A . 11“의 중점은 M 위에 있다.
P'{x, y}
곧, 원 $„의 중심은 $„ , 
, 반지름의 길이는 이다. Y™A Z™AYZ 에서
$„과 직선 YZ 사이의 거리는 Y
™A Z
™A
]] 따라서 원의 중심은 $ , 
, 반지름의 길이는 이다.
  
ā™A 
™A 또 원 YB
™A YC
™AS™A의 중심은 % B, C
, 반지름의 길
이므로 1와 직선 "# 사이의 거리의 최댓값은 이는 SA S
이다.
  중심 $와 %는 직선 Y Z에 대칭이므로 직선 $%는 직
또 ", # 사이의 거리는 선 Y Z과 수직이다. 곧,
"#“ā 
™A 
™A C
 ∴ BC U❶
이므로 삼각형 "#1의 넓이의 최댓값은 B
  B  C
@@ 또 선분 $%의 중점 [ , ]가 직선 Y Z 위에
  
따라서 사각형 "1#2의 넓이의 최댓값은 이다. ⑤ 있으므로
B  C 
 ∴ B C U❷
25 [전략] 직선 ZY에 대칭이동하는 것은 직선 ZY에 대칭이동한 다음  
원점에 대칭이동하는 것과 같다. ❶, ❷를 연립하여 풀면 B, C
오른쪽 그림과 같이 점 1를 직선 y 평행이동이나 대칭이동을 하면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변하지 않
y=-x y=x
ZY에 대칭이동하는 것은 1를 직 P' 으므로 S
선 ZY에 대칭이동한 다음 원점에 대 ∴ BC S ②
P
칭이동하는 것과 같다. O
x
직선 BY Z을 Z축에 대칭이
28 [전략] 두 점을 " B, B™A
, # C, C™A
이라 하고
동하면 BY Z 직선 ZY 에 대칭일 조건을 찾는다.
P"
이 직선을 직선 ZY에 대칭이동하면 ZY™A의 그래프 위의 두 점을 " B, B™A
, y y=x@
BZ Y # C, C™A
BC
라 하자. 직선 "#가 직
다시 원점에 대칭이동하면 BZY U❶ 선 ZY 에 수직이므로 B

❶이 원 Y™A Z™AY Z , 곧 Y


™A Z 
™A의 C™AB™A
 A
넓이를 이등분하면 ❶이 이 원의 중심 , 
를 지나므로 CB
O x
B ∴ B  ∴ C B U❶ y=-x+3

B C B™A C™A
선분 "#의 중점 [ , ]이 직선 ZY  위에 있
점 Y, Z
를 직선 ZY에 대칭이동하면 Z, Y

 
다시 원점에 대칭이동하면 Z, Y
으므로
따라서 점 Y, Z
를 직선 ZY에 대칭이동하면 Z, Y
이다. B™A C™A B C
 
 
26 [전략] G Z, Y
, G Z, Y 
이 나타내는 도형을 차례로 생각한다. ∴ B™A C™A B C
G Y, Z
에서 ❶에서 CB를 대입하면
G Z, Y
 B™A B
™A B B, B™AB
⇨ Y와 Z가 바뀌었으므로 직선 ZY에 대칭이동한다. ∴ B, C 또는 B, C

10. 원과 도형의 이동 107


정답 및 풀이

BC이므로 B, C


step 최상위 문제 105~106쪽
따라서 " , 
, # , 
이고
  "#“ā  
™A 
™A ⑤  
01 u  02 ④ 03 ③
04  B 

05 Y
™A Z
™AA 단, 두 점 , 
, , 
제외

29 [전략] 길이의 합의 최소 ⇨ 대칭인 점을 생각한다.



06   07 ⑤
1 , 
과 직선 ZY에 대칭인 점은 1 , 
이고,

1 , 
과 Y축에 대칭인 점은 1Ä , 
이다. U 08 ⑴ Y  , 최솟값 : u ⑵ Y, 최댓값 : 
오른쪽 그림에서 y y=x
P'{1,`2}
21“21“, 31“31ē
01 [전략] 세 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같으므로
이므로 2, 3가 선분 11Ä 위의 점 Q 먼저 세 원의 중심을 지나는 원을 생각한다.
P{2,`1}
일 때 삼각형 123의 둘레의 길이 세 원의 중심 0, " , 
, # , 
를 지나는 원을 $라 하면
가 최소이다. R $와 중심이 같고 $보다 반지름의 길이가 만큼 더 긴 원에 세 원
O x
직선 11Ä의 방정식은 이 내접하므로 이 원이 세 원을 포함하는 가장 작은 원이다.
 P"{2,`-1} y
Z Y


∴ ZY  U
A{6, 0}
 
Z일 때 Y 이므로 3[ , ] U O
  x
x@+y@=1
단계 채점 기준 배점 {x-6}@+y@=1

점 1와 직선 ZY에 대칭인 점 1, Y축에 대칭인 점 B{2, -4}


40%
1Ä의 좌표 각각 구하기 {x-2}@+{y+4}@=1
두 점 2, 3가 직선 11Ä 위의 점일 때 △123의 둘레
40%
의 길이가 최소임을 알고, 직선 11Ä의 방정식 구하기
$의 방정식을 Y™A Z™A BY CZ D이라 하자.
Y절편을 이용하여 점 3의 좌표 구하기 20%
원점을 지나므로 D
 " , 
을 지나므로  B D ∴ B
[ , ]

# , 
를 지나므로   BC D ∴ C
곧, $의 방정식은 Y™A Z™AY Z이고, 변형하면
30 [전략] 3의 좌표를 문자로 나타내고
삼각형의 둘레의 길이가 최소가 되는 1와 2의 위치를 생각한다. Y
™A Z 
™A
점 3와 두 직선 0", 0# Y축
에 각각 대칭인 점을 3, 3Ä이라 따라서 구하는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하자. 직선 "#의 방정식은 u  u 

Z Y
, 곧 ZY  원 Y™A Z™A, Y
™A Z™A과 원 Y
™A Z 
™A을 포함하고 반

지름의 길이가 가장 작은 원은 아래 그림과 같이 세 원과 접하는 원이 아니고,
이므로 3 B, B 
A B
라 하자.
두 원과 접하는 원이다. 이유는 세 원의 중심이 꼭짓점인 삼각형이 둔각삼각
직선 0"의 방정식이 ZY이므로 3 B , B
형이기 때문이다.
직선 0#는 Y축이므로 3Ä B, B
y

y R'{-2a+30, a} y=x

A{10, 10}
P A{6, 0}
R O x
x@+y@=1
{x-6}@+y@=1
O Q B{15, 0} x B{4, -2}
R"{a, 2a-30} {x-4}@+{y+2}@=1

따라서 선분 33Ä이 각각 변 0", 0#와 만나는 두 점이 1, 2


일 때, 삼각형 123의 둘레의 길이가 최소이고 최솟값은 선분 02 [전략] 원이 한 꼭짓점을 지나거나 한 변에 접하는 경우만 생각하면 된다.

33Ä의 길이이다. y

A{0, 2}
33ē
ā B
™A B
™A
āB™AB  O x
ā B
™A  B{-2, -2}

B이므로 B일 때 선분 33Ä의 길이는 최소이고,


최솟값은 uu u C{10, -8}

108 III. 도형의 방정식


 
직선 "#의 방정식은 Z Y
Y™ABY Z™ABZ B™A 에서
 
∴ YZ  U❶ 
YB
™A ZB
™A
  
직선 #$의 방정식은 Z  Y 

 
곧, 원의 중심은 B, B
, 반지름의 길이는 이다. U
∴ Y Z  U❷ 

 원의 중심이 직선 ZY 위에 있으므로 원이 삼각형 "#$의 내


직선 $"의 방정식은 Z Y

 부에 있을 때는 직선 Y Z에 접하는 경우와 직선 Z에 접


∴ Y Z U❸ 하는 경우 사이에 있을 때이다.
원점 0와 ❶, ❷, ❸ 사이의 거리를 각각 E„, Em, Ef이라 하면 y y=2x
]]  y=6
E„ 
ā™A 
™A  C{0, 6} B{6, 6}

]] 
Em 
ā™A ™A 
A{6, 0}
]] O 3 x
Ef  x+y=6
ā™A ™A
또 0"“, 0#“ā 
™A 
™A, Œ 원이 직선 Y Z에 접하는 경우
0$“ā™A 
™Au이므로 원 Y™A Z™AS™A이 삼각형 원의 중심과 직선 사이의 거리가 원의 반지름의 길이이므로
"#$와 세 점에서 만나는 경우는  ]B B]
 , ]B]
Œ 점 "를 지날 때 S  ā™A ™A
 점 #를 지날 때 S  
B† ∴ B 또는 B
  
Ž 변 #$에 접할 때 S
 이 중 원이 삼각형 "#$의 내부에서 접하는 경우는
 변 $"에 접할 때 S 
B U
 
Œ~에서 양수 S의 값의 곱은 ④  원이 직선 Z에 접하는 경우

 
B 이므로 B U
03 [전략] $ B, B™AB
으로 놓고  
원이 직선과 접할 조건을 이용하여 반지름의 길이를 구한다.  
Œ, 에서 B U
구하는 원의 중심의 좌표를 y=x@-2x-3 y  
$ B, B™AB
, 반지름의 길이를 S 단계 채점 기준 배점
라 하자. 원의 중심의 좌표와 반지름의 길이 구하기 20%
C
△"#$의 내부에서 원이 직선 Y Z에 접할 때
$는 직선 ZY 의 아래쪽에 있으 40%
B의 값 구하기
므로 O △"#$의 내부에서 원이 직선 Z에 접할 때
x 30%
B의 값 구하기
B™ABB  y=2x+9 실수 B의 값의 범위 구하기 10%
B™AB
 
∴ B U❶ B
 
또 이 원의 중심 $ B, B™AB
과 직선 YZ  사이
의 거리가 반지름의 길이 S이므로 05 [전략] 두 직선이 수직으로 만나고, 각 직선은 정점을 지남을 이용한다.

]B B™AB
] ]B™A B ] ZN Y
U❶
S 
ā™A 
™A  
Z Y  U❷
N
G B
B™A B  B
™A 이라 하면
❶은 기울기가 N이고 점 " , 
을 지나는 직선이다.
❶의 범위에서 G B
ƒ

 ❷는 기울기가  이고 점 # , 
을 지나는 직선이다.
따라서 B일 때 S의 최댓값은 이고, 원의 넓이의 최댓값은 N

이때 두 직선의 기울기의 곱이 이므 y ❶

L이다. 로 ❶, ❷는 서로 수직인 직선이다. ❷ B{0, 6}
 P
∴ Q, R, Q R ③ 따라서 ❶, ❷의 교점 1는 선분 "#가
지름인 원 위에 있다.
04 [전략] 원의 중심의 좌표가 나타내는 직선의 방정식을 구하고, 선분 "#의 중점이 $ , 
이고, C{1, 3}
O A{2, 0} x
삼각형 "#$의 내부에서 원이 직선에 접하는 경우를 생각한다. $"“ā 
™A 
™Au

10. 원과 도형의 이동 109


정답 및 풀이

이므로 1가 그리는 도형, 곧 중심이 $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u인 단계 채점 기준 배점


원의 방정식은 10“ 1#“의 관계 구하기 20%
1의 자취 구하기 40%
Y
™A Z
™A ZY™A의 최솟값 구하기 40%
❶은 Z축에 평행한 직선을 나타낼 수 없고 N 이므로 Y축을
나타낼 수 없다. Å
 ZY™AL라 하면 ZY™A L U❷
또 ❷는 Z축을 나타낼 수 없고  이므로 Y축에 평행한 직
N
이므로 오른쪽 그림과 같이 ❷의 y y=x@+k
선을 나타낼 수 없다. 6
그래프가 원 ❶과 두 점에서 접할
따라서 Y축과 Z축의 교점 , 
과 직선 Y와 Z의 교점 x@+{y-4}@=4
때 L의 값은 최소이다. 4
, 
은 제외해야 한다.
❶, ❷에서 Y를 소거하면 2
곧, 1가 그리는 도형의 방정식은
ZL Z™AZ 
Y
™A Z
™AA 단, 두 점 , 
, , 
은 제외
O x
Z™AZ L
Y
™A Z
™AA 단, 두 점 , 
, , 
은 제외


접하므로 % L
, L

두 직선의 교점을 1 B, C
라 하면 
따라서 최솟값은  이다.
 
CN B
, C B  U❸
N 절대등급 Note

C B 두 정점 ", #에 대하여 1"“AA1#“NAAO을 만족하는 점 1는 선분


B , C 일 때 N , N
B C
"#를 NAAO으로 내분하는 점과 외분하는 점을 지름의 양 끝 점으로
두 식에서 N을 소거하면 하는 원 위를 움직인다. 아폴로니우스의 원

C B
 , C C
B B

B C
∴ B
™A C
™A U❹
07 [전략]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교점을 구할 수 있다.
N 이므로 B , C 
  $„A:A Y 
™A Z™A™A U❶
B 또는 C일 때 ❹의 해는
  $mA:A Y
™A Z™A™A U❷
B, C
 , 
, , 
, , 

ㄱ. ❶, ❷를 변변 빼면
이 중 , 
, , 
은 ❸에 대입하면 이 아닌 실수 N이 있다.
Y ™A™A™A™A ∴ Y
따라서 1 B, C
가 그리는 도형의 방정식은
❶에 대입하면 ™A Z™A™A ∴ Z†
Y
™A Z
™A 단, 두 점 , 
, , 
은 제외

따라서 교점의 좌표가 " , 


, # , 
이므로
"#“ 참

06 [전략] 직선 1"가 ∠01#의 이등분선임을 이용하여 길이에 대한 ㄴ. y


조건을 찾는다. Q¡
A
∠01"∠"1#이므로 y P
P
삼각형 01#에서 B
x

1#“AA10“#"“AA"0“AA 1 C¡ B C™
A
10“1#“ Q™
2
제곱하면 10“™A1#“™A U
O x 한 호에 대한 원주각의 크기는 같으므로
1 Y, Z
이므로
∠"2m#∠"2„#
Y™A Z™A\Y™A Z
™A^
또 ∠2„12m는 공통
Y™A Z™AZ  U❶
∴ △1"2mv△1#2„ "" 닮음

곧, Y™A Z
™A이므로 1는 중심이 $ , 
이고 반지름의
ㄷ. y
길이가 인 원 위를 움직이다.
Q¡'
단, 점 , 
, , 
은 제외
U A
P Q¡
P'
이때 Y™AZ™A Z이므로
x
 
ZY™AZ™AZ [Z ]™A C¡ B C™
 
그런데 Y™AZ™A Zy이고 Y 이므로
점 1가 있는 호 "# 위에 1가 아닌 점 1을 잡고, 선분 1"
Z
의 연장선이 $m와 만나는 점을 2„이라 하면 한 호에 대한 원
 
따라서 Z 일 때 ZY™A의 최솟값은  이다. U
  주각의 크기는 같으므로

110 III. 도형의 방정식


∠"1#∠"1#, ∠"2„#∠"2„# ⑵ 1 Y, 
, " , 
, # , 
이라 하면
∴ △#12„v△#12„ "" 닮음
]āY™A Y āY™AY ]]1"“1#“]
따라서 1#“가 최대일 때 12„“도 최대이다. Œ 점 1가 직선 "# 위에 있지 y

선분 1#의 길이가 최대이면 선분 1#는 $„의 지름이다. 않을 때, 삼각형의 한 변의 길 A{-1, 5}


이때 ∠1"#±이므로 직선 12„은 Z축에 수직이고 직선 이는 두 변의 길이의 합보다
의 방정식은 Z이다. ∵ " , 

작으므로 B{3, 1}
Z을 ❶에 대입하면 "1“"#“ #1“이고 O P x
Y 
™A ™A™A, Y † #1“"#“ "1“
1의 Y좌표는 음수이므로 Y "1“#1“"#“이고
Z을 ❷에 대입하면 #1“"1“"#“
Y
™A ™A™A, Y† ∴ ]1"“1#“]"#“
2„의 Y좌표는 양수이므로 Y  점 1가 직선 "# 위에 있을 때 y

곧, 선분 12„의 길이의 최댓값은  


 참
]1"“1#“]"#“ A{-1, 5}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⑤ Œ, 에서 점 1가 직선 "# 위에
있을 때 ]1"“1#“]는 최대이고, B{3, 1}
P
08 [전략] āY™A Y , āY™AY 은 각각 최댓값은 "#“이다. O 4 x
점 1 Y, 
과 정점 사이의 거리로 생각할 수 있다.
직선 "#의 방정식은
합의 최솟값은 대칭, 차의 최댓값은 삼각형의 변의 성질을 이용한다.

Z Y 
∴ ZY 
⑴ 주어진 식에서  
āY™A Y ā Y 
™A 
™A, Z일 때 Y
āY™AY ā Y
™A 
™A  따라서 Y일 때 최대이고, 최댓값은
이므로 1 Y, 
, " , 
, # , 
이라 하면 "#“ā  
™A 
™A
āY™A Y  āY™AY 1"“ 1#“ 
⑴ Y , 최솟값 : u ⑵ Y, 최댓값 : 
오른쪽 그림에서 점 #와 Y축에 대 y 

칭인 점을 #이라 하면 1가 직선 절대등급 Note


A{-1, 5}
"#과 Y축이 만나는 점일 때 . 합의 최솟값을 구할 때에는 동점이 움직이는 직선의 반대쪽에 있는
1"“ 1#“는 최소이고 최솟값은 B{3, 1} 두 점을 이용하고, 차의 최댓값을 구할 때에는 동점이 움직이는 직선
의 같은 쪽에 있는 두 점을 이용한다.
"#“이다. O P x
. āY™A Y ā Y 
™A  
™A이므로 " , 
라 해도
# , 
이므로 직선 "#의 B'
된다. 같은 이유로 # , 
이라 해도 된다.
방정식은
  
Z Y 
∴ Z Y
   

Z일 때 Y


따라서 Y 일 때 최소이고, 최솟값은

"#“ā  
™A 
™Au

10. 원과 도형의 이동 111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