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56

5 3 1 P r o j e c t S p e e d y

수학 <상>

정답과 풀이

Ⅰ. 다항식 06

Ⅱ. 방정식과 부등식 16

Ⅲ. 도형의 방정식 40

해설.indb 1 17. 7. 7. 오후 5:11


답 체크
빠른 정
Speed Check

다항식
01 다항식의 연산

| 내신 & 수능 빈출 유형 | 본문 09~10쪽 | 빈출 유형 마무리 | 본문 11쪽

유형 01 ② 01-1 ⑤ 01 ② 02 ① 03 5 04 ⑤ 05 64 06 ②
유형 02 ③ 02-1 ④ 02-2 ⑤ 07 6 08 ②
유형 03 ② 03-1 ③ 03-2 ③
유형 04 ② 04-1 ②

02 항등식과 나머지정리

| 내신 & 수능 빈출 유형 | 본문 13~15쪽 | 빈출 유형 마무리 | 본문 16쪽

유형 01 ③ 01-1 ② 01 ⑤ 02 ③ 03 ② 04 ① 05 ⑤ 06 ④
유형 02 ③ 02-1 ② 02-2 29 07 40
유형 03 ④ 03-1 ②
유형 04 ④ 04-1 ① 04-2 5
유형 05 ⑤ 05-1 ② 05-2 ③
유형 06 45 06-1 ④

03 인수분해

| 내신 & 수능 빈출 유형 | 본문 18~20쪽 | 빈출 유형 마무리 | 본문 21~22쪽

유형 01 ③ 01-1 ⑤ 01 ② 02 ① 03 ④ 04 ② 05 ⑤ 06 ⑤
유형 02 ② 02-1 ① 02-2 ③ 07 ⑤ 08 ② 09 ① 10 ③ 11 ⑤ 12 ③
유형 03 ③ 03-1 ② 03-2 20 13 ② 14 ①
유형 04 1 04-1 ④ 04-2 ②
유형 05 ① 05-1 ④
유형 06 ⑤ 06-1 ②

02 Speed Check

해설.indb 2 17. 7. 3. 오후 4:44


방정식과 부등식
01 복소수

| 내신 & 수능 빈출 유형 | 본문 25~27쪽 | 빈출 유형 마무리 | 본문 28쪽

유형 01 ② 01-1 ② 01-2 ④ 01 ③ 02 34 03 ⑤ 04 ③ 05 ① 06 ③
유형 02 ① 02-1 ③ 07 ⑤ 08 ④
유형 03 ④ 03-1 ⑤ 03-2 ④
유형 04 ③ 04-1 ⑤
유형 05 ② 05-1 ④ 05-2 ⑤
유형 06 ③ 06-1 ①

02 이차방정식

| 내신 & 수능 빈출 유형 | 본문 30~32쪽 | 빈출 유형 마무리 | 본문 33쪽

유형 01 ② 01-1 ③ 01 1 02 11 03 ④ 04 ③ 05 3 06 ②
유형 02 7 cm 02-1 ③ 07 ① 08 ③
유형 03 ② 03-1 ④
유형 04 ⑤ 04-1 ③ 04-2 ③
유형 05 ④ 05-1 ⑤
유형 06 ③ 06-1 ①

03 이차방정식과 이차함수

| 내신 & 수능 빈출 유형 | 본문 35~37쪽 | 빈출 유형 마무리 | 본문 38~39쪽

유형 01 ③ 01-1 ④ 01-2 ① 01 ① 02 ④ 03 ③ 04 ① 05 ③ 06 ②
유형 02 ② 02-1 ④ 07 ① 08 25 09 ④ 10 10 11 10 12 92
유형 03 ① 03-1 ③ 03-2 ⑤ 13 8 14 ③ 15 54
유형 04 ① 04-1 ③ 04-2 ⑤
유형 05 ④ 05-1 ⑤
유형 06 24 06-1 10 06-2 ③

04 삼차방정식과 사차방정식

| 내신 & 수능 빈출 유형 | 본문 41~42쪽 | 빈출 유형 마무리 | 본문 43쪽

유형 01 ② 01-1 ① 01-2 ④ 01 ④ 02 ② 03 ① 04 ③ 05 ③ 06 ④
유형 02 ③ 02-1 ④ 07 ④ 08 ⑤
유형 03 ⑤ 03-1 ② 03-2 10
유형 04 ④ 04-1 ④

Speed Check 03

해설.indb 3 17. 7. 3. 오후 4:44


답 체크
빠른 정
Speed Check

05 연립방정식

| 내신 & 수능 빈출 유형 | 본문 45~46쪽 | 빈출 유형 마무리 | 본문 47쪽

유형 01 ① 01-1 ② 01 ④ 02 ② 03 ① 04 29 05 ③ 06 ④
유형 02 ⑤ 02-1 ③ 02-2 ① 07 7 08 ①
유형 03 5 03-1 ② 03-2 ②
유형 04 ④ 04-1 ③

06 연립일차부등식

| 내신 & 수능 빈출 유형 | 본문 49~50쪽 | 빈출 유형 마무리 | 본문 51쪽

유형 01 ② 01-1 ② 01 ④ 02 ② 03 ⑤ 04 ⑤ 05 ① 06 6
유형 02 ② 02-1 ② 02-2 ③ 07 ③ 08 ③
유형 03 ② 03-1 ④ 03-2 ③
유형 04 ④ 04-1 ③

07 이차부등식

| 내신 & 수능 빈출 유형 | 본문 53~56쪽 | 빈출 유형 마무리 | 본문 57~58쪽

유형 01 ⑤
1 1
01-1 x<- 2 또는 x> 3 01 ② 02 ④ 03 ④ 04 ③ 05 ⑤ 06 1
유형 02 ① 02-1 ⑤ 07 4 08 40 09 ④ 10 2 11 ④ 12 3
유형 03 ③ 03-1 ① 13 ⑤ 14 ③ 15 ③ 16 29
유형 04 ③ 04-1 ⑤ 04-2 ⑤
유형 05 ⑤ 05-1 ③ 05-2 ⑤
유형 06 ③ 06-1 ①
유형 07 ④ 07-1 ③
유형 08 ④ 08-1 ④ 08-2 ②

04 Speed Check

해설.indb 4 17. 7. 3. 오후 4:44


도형의 방정식
01 평면좌표

| 내신 & 수능 빈출 유형 | 본문 61~62쪽 | 빈출 유형 마무리 | 본문 63쪽

유형 01 ③ 01-1 ② 01-2 ⑤ 01 ② 02 ④ 03 ⑤ 04 ③ 05 ④ 06 ⑤
유형 02 ③ 02-1 ② 07 ④
유형 03 ⑤ 03-1 ② 03-2 ③
유형 04 ① 04-1 3

02 직선의 방정식

| 내신 & 수능 빈출 유형 | 본문 65~67쪽 | 빈출 유형 마무리 | 본문 68~69쪽

유형 01 ② 01-1 ③ 01-2 ④ 01 ① 02 ① 03 ⑤ 04 3 05 ① 06 ③
유형 02 ② 02-1 ① 07 3 08 ① 09 ① 10 ④ 11 ② 12 ②
유형 03 ① 03-1 ① 03-2 ⑤ 13 ② 14 ①
유형 04 ② 04-1 ⑤
유형 05 ④ 05-1 ⑤
유형 06 ② 06-1 ⑤ 06-2 ④

03 원의 방정식

| 내신 & 수능 빈출 유형 | 본문 71~73쪽 | 빈출 유형 마무리 | 본문 74~75쪽

유형 01 ② 01-1 ③ 01-2 2 01 ① 02 ① 03 ⑤ 04 9 05 14 06 ②
유형 02 ④ 02-1 ④ 07 ⑤ 08 ④ 09 ④ 10 ② 11 ② 12 ①
유형 03 ⑤ 03-1 ② 03-2 ③ 13 25 14 ①
유형 04 ③ 04-1 ④
유형 05 ② 05-1 ④
유형 06 ④ 06-1 ⑤ 06-2 ⑤

04 도형의 이동

| 내신 & 수능 빈출 유형 | 본문 77~78쪽 | 빈출 유형 마무리 | 본문 79~80쪽

유형 01 ③ 01-1 ② 01-2 ③ 01 ④ 02 ① 03 ③ 04 ② 05 ② 06 ①
유형 02 ④ 02-1 ② 07 ③ 08 6 09 ④ 10 ⑤ 11 11 12 11
유형 03 ① 03-1 ⑤ 03-2 ④ 13 16 14 ① 15 26
유형 04 ③ 04-1 21

Speed Check 05

해설.indb 5 17. 7. 3. 오후 4:44


따라서Q(x)=3x+2,R(x)=12x+3이므로
Ⅰ. 다항식
Q(2)+R(1)=8+15=23 ⑤

01 | 다항식의 연산
유형 03
(x-'2y)(x+'2y)(xÛ`+2yÛ`)(xÝ`+4yÝ`)
내신&수능 빈출 유형 본문 09~10쪽 =(xÛ`-2yÛ`)(xÛ`+2yÛ`)(xÝ`+4yÝ`)
=(xÝ`-4yÝ`)(xÝ`+4yÝ`)
유형 01 =x¡`-16y¡`
2X+A=-3A+4B에서
따라서a=1,b=-16이므로
2X=-4A+4B
a-b=1-(-16)=17 ②
∴X=-2A+2B
3 1
=-2(2xÛ`+xy-6yÛ`)+2{xÛ`+ xy- yÛ`} 03-1
2 2
=-4xÛ`-2xy+12yÛ`+2xÛ`+3xy-yÛ` (4+3)(4Û`+3Û`)(4Ý`+3Ý`)
=-2xÛ`+xy+11yÛ` ② =(4-3)(4+3)(4Û`+3Û`)(4Ý`+3Ý`)
=(4Û`-3Û`)(4Û`+3Û`)(4Ý`+3Ý`)
=(4Ý`-3Ý`)(4Ý`+3Ý`)
01-1
A-(2B-3A)=A-2B+3A =4¡`-3¡` ③

=4A-2B
=4(2xÛ`+3xy+yÛ`)-2(xÛ`-yÛ`) 03-2
=8xÛ`+12xy+4yÛ`-2xÛ`+2yÛ` (a+b+c)Û`=aÛ`+bÛ`+cÛ`+2(ab+bc+ca)에서
=6xÛ`+12xy+6yÛ` 5Û`=13+2(ab+bc+ca)
따라서a=6,b=12,c=6이므로 2(ab+bc+ca)=12
a+b+c=6+12+6=24 ⑤ ∴ab+bc+ca=6
한편,
(a+b+c)(aÛ`+bÛ`+cÛ`-ab-bc-ca)
유형 02
(2xÛ`-1)(xÛ`+x+2) =aÜ`+bÜ`+cÜ`-3abc
=2xÝ`+2xÜ`+4xÛ`-xÛ`-x-2 에서
=2xÝ`+2xÜ`+3xÛ`-x-2 5_(13-6)=aÜ`+bÜ`+cÜ`-3_4
이므로xÛ`의계수는3이다. ∴aÜ`+bÜ`+cÜ`=5_7+12=47 ③

다른 풀이
유형 04
(2xÛ`-1)(xÛ`+x+2)의전개식에서xÛ`항은
x+0이므로xÛ`-4x+1=0의양변을x로나누면
2xÛ`_2+(-1)_xÛ`=4xÛ`-xÛ`
1 1
=3xÛ` x-4+ =0  ∴x+ =4
x x
따라서xÛ`의계수는3이다. ③ 1 1 1 1
∴xÜ`+ ={x+ }Ü`-3_x_ {x+ }‌
xÜ` x x x
02-1 =4Ü`-3_4
(xÛ`+2x-2)(xÛ`+2x+4)의전개식에서x항은 =64-12=52 ②
2x_4+(-2)_2x=8x-4x
=4x 04-1
따라서x의계수는4이다. ④ 직사각형의가로의길이를x,세로의길이를y라하면직사각형의
둘레의길이가68이므로
02-2 2x+2y=68  ∴x+y=34
다항식3xÜ`-4xÛ`+2x-1을xÛ`-2x-2로나누면 또한원의반지름의길이가13이므로
 3x+2 xÛ`+yÛ`=26Û`
xÛ`-2x-2 <Ô 3xÜ`-4xÛ`+2x-1 이때,구하는직사각형의넓이는xy이므로
 3xÜ`-6xÛ`-6x (x+y)Û`=xÛ`+yÛ`+2xy에서
  2xÛ`+8x-1 34Û`=26Û`+2xy
  2xÛ`-4x-4 2xy=(34+26)(34-26)=480
   12x+3 ∴xy=240 ②

06 정답과 풀이

해설.indb 6 17. 7. 7. 오후 5:12


531 Project Speedy

빈출 유형 마무리 본문 11쪽 ∴ a=b=c


abc=8에서 aÜ`=8이므로 a=b=c=2이다.
01 ② 02 ① 03 5 04 ⑤ 05 64 06 ② ∴ ‌(a+b)(b+c)(c+a) 
07 6 08 ② =(2+2)(2+2)(2+2) 
=4_4_4=64  64

01
(3A+B)-(A+3B) 06
=3A+B-A-3B=2A-2B 밑면의 반지름의 길이가 x, 높이가 x+3인 원기둥 모양의 통나무
=2(xÛ`+2xy-yÛ`)-2(xÛ`-xy+2yÛ`) 의 부피는
=2xÛ`+4xy-2yÛ`-2xÛ`+2xy-4yÛ` pxÛ`(x+3)
=6xy-6yÛ` ② 밑면의 반지름의 길이가 x-2, 높이가 x인 파낸 원기둥의 부피는
p(x-2)Û`x
02 따라서 구하는 통나무의 부피는
x+0이므로 xÛ`-3x+1=0의 양변을 x로 나누면 p{xÛ`(x+3)-(x-2)Û`x}‌=px(xÛ`+3x-xÛ`+4x-4) 
1 1 =px(7x-4) ②
x-3+ =0   ∴ x+ =3
x x
1 1
xÛ`+ ={x+ }Û`-2=3Û`-2=7 07
xÛ` x
2 1 1 1 xÝ`+3x+4를 xÛ`-x+2로 나누면
∴ xÛ`+2x+3+ + ‌={xÛ`+ }+2{x+ }+3 
x xÛ` xÛ` x xÛ`+x -1
=7+2_3+3=16 ① xÛ`-x+2 <Ô xÝ` +3x+4
xÝ`-xÜ`+2xÛ`
03 xÜ`-2xÛ`+3x
x+y=5, xÛ`+xy+yÛ`=17이므로 xÜ`- xÛ`+2x
xÛ`+xy+yÛ`=(x+y)Û`-xy에서 -xÛ`+ x+4
17=5Û`-xy -xÛ`+ x-2
∴ xy=8 6
∴ xÜ`+yÜ`=(x+y)Ü`-3xy(x+y)=5Ü`-3_8_5=5 5 ∴ xÝ`+3x+4=(xÛ`-x+2)(xÛ`+x-1)+6
이때, xÛ`-x+2=0이므로
xÝ`+3x+4=6
04
다른 풀이
a+b+c=3, aÛ`+bÛ`+cÛ`=17이므로
xÛ`-x+2=0에서 xÛ`=x-2이므로
(a+b+c)Û`=aÛ`+bÛ`+cÛ`+2(ab+bc+ca)에서
xÝ`+3x+4‌=(xÛ`)Û`+3x+4 
3Û`=17+2(ab+bc+ca)
=(x-2)Û`+3x+4=xÛ`-4x+4+3x+4 
1
∴ ab+bc+ca= _(9-17)=-4 =xÛ`-x+8=(xÛ`-x+2)+6 
2
이때, abc=-12이므로 =6 (∵ xÛ`-x+2=0) 6
1 1 1 bc+ca+ab -4 1
+ + ‌= = =  ⑤
a b c abc -12 3
08
[그림 1]의 직육면체의 가로의 길이를 a, 세로의 길이를 b, 높이를
05 c라 하면 [그림 2]의 입체도형의 겉넓이가 236이므로
aÜ`+bÜ`+cÜ`=24, abc=8이므로
2(ab+bc+ca)=236   ∴ ab+bc+ca=118
(a+b+c)(aÛ`+bÛ`+cÛ`-ab-bc-ca)=aÜ`+bÜ`+cÜ`-3abc에서
또한 [그림 2]의 입체도형의 모든 모서리의 길이의 합이 82이므로
(a+b+c)(aÛ`+bÛ`+cÛ`-ab-bc-ca)=24-3_8
4(a+b+c)+6=82, 4(a+b+c)=76
(a+b+c)(aÛ`+bÛ`+cÛ`-ab-bc-ca)=0
∴ a+b+c=19
이때, 세 양수 a, b, c에 대하여 a+b+c+0이므로
따라서 [그림 1]의 직육면체의 대각선의 길이는
aÛ`+bÛ`+cÛ`-ab-bc-ca=0
¿¹aÛ`+bÛ`+cÛ`‌=¿¹(a+b+c)Û`-2(ab+bc+ca)
2aÛ`+2bÛ`+2cÛ`-2ab-2bc-2ca=0
aÛ`-2ab+bÛ`+bÛ`-2bc+cÛ`+cÛ`-2ca+aÛ`=0 =¿¹19Û`-2_118
(a-b)Û`+(b-c)Û`+(c-a)Û`=0 ='¶125=5'5 ②

Ⅰ. 다항식 07

해설.indb 7 17. 7. 3. 오후 4:44


02-2
Ⅰ. 다항식
주어진등식의양변에x=1을대입하면

02 | 항등식과 나머지정리 49=a¼+aÁ+aª+a£+a¢+a°+a¤


양변에x=-1을대입하면
yy`㉠

9=a¼-aÁ+aª-a£+a¢-a°+a¤ yy`㉡
내신&수능 빈출 유형 본문 13~15쪽 ㉠+㉡을하면
58=2(a¼+aª+a¢+a¤)
유형 01 ∴a¼+aª+a¢+a¤=29
xÜ`+axÛ`-x-12=(x+b)(xÛ`+cx-4)의 우변을 전개한 다음
다른 풀이
x에대하여내림차순으로정리하면
주어진식의좌변을전개하면
(x+b)(xÛ`+cx-4)=x(xÛ`+cx-4)+b(xÛ`+cx-4)
(2+6x-xÜ`)Û`=4+24x+36xÛ`-4xÜ`-12xÝ`+xß`
=xÜ`+cxÛ`-4x+bxÛ`+bcx-4b
∴a¼+aª+a¢+a¤=4+36-12+1=29  29
=xÜ`+(b+c)xÛ`+(bc-4)x-4b
xÜ`+axÛ`-x-12=xÜ`+(b+c)xÛ`+(bc-4)x-4b가x에대한항
등식이므로 유형 03
a=b+c,-1=bc-4,-12=-4b 다항식f(x)를x-2로나누었을때의나머지가1이므로나머지
따라서a=4,b=3,c=1이므로 정리에의하여
a+b+c=4+3+1=8 ③ f(2)=1
다항식g(x)를x-2로나누었을때의나머지가3이므로나머지
정리에의하여
01-1
(k+3)x-(3k+4)y+5k=0의좌변을k에대하여정리하면 g(2)=3
(x-3y+5)k+(3x-4y)=0 따라서다항식2f(x)+3g(x)를x-2로나누었을때의나머지는
이식이k에대한항등식이므로 2f(2)+3g(2)=2_1+3_3=11 ④

x-3y+5=0,3x-4y=0
위의두식을연립하여풀면 03-1
x=4,y=3 f(x)=xÜ`+axÛ`+2x+b라하면나머지정리에의하여
∴x+y=4+3=7 ② f(1)=1+a+2+b
=a+b+3
유형 02 f(-2)=-8+4a-4+b
주어진등식의양변에x=0을대입하면 =4a+b-12
2=0+b_(-1)_(-2)+0  ∴b=1 이때,f(1)=f(-2)이어야하므로
양변에x=1을대입하면 a+b+3=4a+b-12,3a=15
3-9+2=0+0+c_1_(-1)  ∴c=4 ∴a=5 ②
양변에x=2를대입하면
12-18+2=a_2_1+0+0  ∴a=-2 유형 04
∴a+b+c=(-2)+1+4=3 ③ 다항식f(x)를xÛ`-x-2로나누었을때의몫을Q(x),나머지를
R(x)=ax+b`(a,b는상수)라하면
02-1 f(x)=(xÛ`-x-2)Q(x)+R(x)
(xÛ`-1)f(x)=xÜ`+axÛ`+bx-4에서 =(x+1)(x-2)Q(x)+ax+b
(x+1)(x-1)f(x)=xÜ`+axÛ`+bx-4 다항식f(x)를x+1로나누었을때의나머지가2이므로나머지
양변에x=-1을대입하면 정리에의하여
0=-1+a-b-4 f(-1)=2  ∴-a+b=2 yy`㉠
∴a-b=5 yy`㉠ 다항식f(x)를x-2로나누었을때의나머지가5이므로나머지
양변에x=1을대입하면 정리에의하여
0=1+a+b-4 f(2)=5  ∴2a+b=5 yy`㉡
∴a+b=3 yy`㉡ ㉠,㉡을연립하여풀면
㉠,㉡을연립하여풀면 a=1,b=3
a=4,b=-1 따라서R(x)=x+3이므로
∴ab=4_(-1)=-4 ② R(1)=1+3=4 ④

08 정답과 풀이

해설.indb 8 17. 7. 3. 오후 4:44


531 Project Speedy

04-1 f(x)=xÝ`+2axÜ`+ax+b 
다항식  f(x)를 xÛ`-1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Q(x)라 하면 =(xÛ`-3x+2)Q(x) 
f(x)=(xÛ`-1)Q(x)+3x-4 yy`㉠ =(x-2)(x-1)Q(x)
㉠의 양변에 x=1, x=-1을 각각 대입하면 즉, 다항식  f(x)는 x-2와 x-1로 각각 나누어떨어지므로
f(1)=-1, f(-1)=-7 f(2)=16+16a+2a+b=0
다항식 xf(x-1)을 x-2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QÁ(x), 나머지 ∴ 18a+b=-16 yy`㉠
를 R라 하면 f(1)=1+2a+a+b=0
xf(x-1)=(x-2)QÁ(x)+R ∴ 3a+b=-1 yy`㉡
위의 등식의 양변에 x=2를 대입하면 ㉠, ㉡을 연립하여 풀면
2f(1)=R a=-1, b=2
∴ R=2×(-1)=-2 ① ∴ a+b=-1+2=1 ②

04-2
다항식  f(x)를 (x-2)Û`으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QÁ(x)라 하면
05-2
f(x)=axÝ`+bxÜ`+cx-a라 하면 x+1이 f(x)의 인수이므로
나머지는 3x+1이므로
f(-1)=a-b-c-a=0
f(x)=(x-2)Û`QÁ(x)+3x+1
∴ b=-c
다항식  f(x)를 x+1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7이므로 나머지
f(x)=axÝ`+bxÜ`+cx-a 
정리에 의하여  f(-1)=7
=axÝ`-cxÜ`+cx-a 
이때, 다항식 f(x)를 (x-2)Û`(x+1)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Q(x)
=a(xÝ`-1)-cx(xÛ`-1) 
라 하면 나머지는 axÛ`+bx+c이므로
=a(x+1)(x-1)(xÛ`+1)-cx(x+1)(x-1)
f(x)=(x-2)Û`(x+1)Q(x)+axÛ`+bx+c
=(x+1)(x-1){a(xÛ`+1)-cx}
∴ f(-1)=a-b+c=7 yy`㉠
따라서 ③ x-1은 반드시 f(x)의 인수이다. ③
f(x)=(x-2)Û`(x+1)Q(x)+axÛ`+bx+c 
=(x-2)Û`(x+1)Q(x)+a(x-2)Û`+(b+4a)x+(c-4a)
=(x-2)Û`{(x+1)Q(x)+a}+(b+4a)x+(c-4a) 유형 06
즉, QÁ(x)=(x+1)Q(x)+a이고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xÜ`+axÛ`+bx+4를 x-2로 나누면
3x+1=(b+4a)x+(c-4a)이므로 2 1 a b 4
3=b+4a, 1=c-4a
2 8 18
∴ b=3-4a, c=1+4a yy`㉡
1 4 9 e
㉡을 ㉠에 대입하면
이므로 k=2, c=2, d=18이고,
a-(3-4a)+(1+4a)=7, 9a=9   ∴ a=1
a+2=4, b+8=9, 4+18=e이므로
따라서 a=1, b=-1, c=5이므로
a=2, b=1, e=22
a+b+c=1+(-1)+5=5 5
∴ a+b+c+d+e=2+1+2+18+22=45  45
유형 05
f(x)=xÜ`+axÛ`-5x+b라 하고, 다항식 f(x)를 (x+2)(x-1) 06-1
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Q(x)라 하면 1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2xÜ`+5xÛ`-7x+3을 x- 로 나누면
f(x)=xÜ`+axÛ`-5x+b=(x+2)(x-1)Q(x) 2
즉, 다항식  f(x)는 x+2와 x-1로 각각 나누어떨어지므로 1
2 5 -7 3
f(-2)=-8+4a+10+b=0 2
∴ 4a+b=-2 yy`㉠ 1 3 -2
f(1)=1+a-5+b=0 2 6 -4 1
∴ a+b=4 yy`㉡ 이므로 몫은 2xÛ`+6x-4이고 나머지는 1이다. 즉,
㉠, ㉡을 연립하여 풀면 1
2xÜ`+5xÛ`-7x+3‌={x- }(2xÛ`+6x-4)+1 
a=-2, b=6 2
∴ a-b=-2-6=-8 ⑤ =(2x-1)(xÛ`+3x-2)+1
따라서 2xÜ`+5xÛ`-7x+3을 2x-1로 나누었을 때의 몫과 나머지
05-1 는 각각
f(x)=xÝ`+2axÜ`+ax+b라 하고, 다항식  f(x)를 xÛ`-3x+2로 Q(x)=xÛ`+3x-2, R=1
나누었을 때의 몫을 Q(x)라 하면 ∴ Q(3)+R=16+1=17 ④

Ⅰ. 다항식 09

해설.indb 9 17. 7. 3. 오후 4:44


빈출 유형 마무리 본문 16쪽 1
위의 식의 양변에 x= 을 대입하면
2
01 ⑤ 02 ③ 03 ② 04 ① 05 ⑤ 06 ④ 1
f(3)= a+b=13 yy`㉠
07 40 2
1
양변에 x= 을 대입하면
3
01 1
f(2)= a+b=7 yy`㉡
3
aÛ`(x-1)-a(x+1)-2(x-3)=0을 x에 대하여 정리하면
㉠, ㉡을 연립하여 풀면
aÛ`x-aÛ`-ax-a-2x+6=0
a=36, b=-5
(aÛ`-a-2)x-(aÛ`+a-6)=0
∴ a+b=36+(-5)=31 ①
주어진 식이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aÛ`-a-2=0, aÛ`+a-6=0
05
aÛ`-a-2=0에서 (a-2)(a+1)=0 다항식  f(x)=xÛ`+ax+b가 x-m과 x-n으로 나누어떨어지므로
∴ a=2 또는 a=-1 yy`㉠ f(x)=xÛ`+ax+b 
aÛ`+a-6=0에서 (a-2)(a+3)=0 =(x-m)(x-n) 
∴ a=2 또는 a=-3 yy`㉡ =xÛ`-(m+n)x+mn
따라서 ㉠과 ㉡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a의 값은 2이다. ⑤
∴ a=-(m+n), b=mn
g(x)=xÛ`+(m+n-mn)x-mÛ`n-mnÛ` 
02 =xÛ`+(m+n-mn)x-mn(m+n) 
주어진 등식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xÛ`+(-a-b)x+ab 
c=1 =(x-a)(x-b)
양변에 x=2를 대입하면 ㄱ. ‌ f(x)=(x-m)(x-n)이므로 인수정리에 의하여 
b+c=4   ∴ b=3 f(m)=0, f(n)=0 
이때, 우변에서 xÛ`의 계수가 1이므로 ∴ f(m)=f(n) (참)
a=1 ㄴ. ‌g(x)=(x-a)(x-b)이므로 g(x)를 x-a로 나누었을 때의
∴ aÛ`+bÛ`+cÛ`=1Û`+3Û`+1Û`=11 ③ 몫은 x-b이고 나머지는 0이다. (참)
ㄷ. ‌2m+n=0에서 n=-2m이므로 
f(x)=(x-m)(x-n)=(x-m)(x+2m) 
03
g(x)=(x-a)(x-b) 
다항식  f(x)를 (x-1)(x-2)로 나누었을 때의 몫과 나머지가
=(x+m+n)(x-mn)`(∵ a=-(m+n), b=mn)
각각 Q(x), x+1이므로
=(x+m-2m){x-m_(-2m)} 
f(x)=(x-1)(x-2)Q(x)+x+1
=(x-m)(x+2mÛ`)
이때, 다항식  f(x)를 x-3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가 8이므로
이때, x-m은 f(x)와 g(x)의 공통인수이다. 
나머지정리에 의하여
즉, 2m+n=0이면 f(x)와 g(x)에 일차 이상의 공통인수가
f(3)=(3-1)(3-2)Q(3)+3+1 
존재한다. (참)
=2Q(3)+4=8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⑤
∴ Q(3)=2
따라서 Q(x)를 x-3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2이다.  ② 06
xÜ`-4xÛ`+3x-2‌=(x-1)Ü`+a(x-1)Û`+b(x-1)+c 
04 =(x-1){(x-1)Û`+a(x-1)+b}+c
다항식  f(x)를 (x-1)(x-2)(x-3)으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x-1)[(x-1){(x-1)+a}+b]+c
QÁ(x)라 하면 이므로 조립제법을 이용하면 다음과 같다.
f(x)=(x-1)(x-2)(x-3)QÁ(x)+xÛ`+x+1이므로 1 1 -4 3 -2
f(1)=1+1+1=3
1 -3 0
f(2)=2Û`+2+1=7
1 1 -3 0 -2 ←`c
f(3)=3Û`+3+1=13
1 -2
또한 다항식  f(6x)를 6xÛ`-5x+1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Qª(x)
1 1 -2 -2 ←`b
라 하면
f(6x)=(6xÛ`-5x+1)Qª(x)+ax+b  1
=(2x-1)(3x-1)Qª(x)+ax+b 1 -1 ←`a

10 정답과 풀이

해설.indb 10 17. 7. 3. 오후 4:44


531 Project Speedy

따라서a=-1,b=-2,c=-2이므로
Ⅰ. 다항식
a-2b-3c=-1-2_(-2)-3_(-2)=9 ④

07
03 | 인수분해
다항식P(x)를x-k,x+k로나누었을때의나머지는각각나
머지정리에의하여 내신&수능 빈출 유형 본문 18~20쪽

P(k)=kÜ`+kÛ`+k+1,P(-k)=-kÜ`+kÛ`-k+1
나머지의합이8이므로
유형 01
①xÜ`+5xÛ`-6x=x(xÛ`+5x-6)
P(k)+P(-k)=kÜ`+kÛ`+k+1+(-kÜ`+kÛ`-k+1)
=x(x-1)(x+6)
=2kÛ`+2=8
②aÜ`-3aÛ`+3a-1=(a-1)Ü`
2kÛ`=6  ∴kÛ`=3
 Ü`-9xÛ`y+27xyÛ`-27yÜ`
③x
따라서다항식P(x)를x-kÛ`으로나누었을때의나머지는나머
=xÜ`-3xÛ`_3y+3x_(3y)Û`-(3y)Ü`
지정리에의하여
=(x-3y)Ü`
P(kÛ`)=(kÛ`)Ü`+(kÛ`)Û`+kÛ`+1
④xÜ`-8=(x-2)(xÛ`+2x+4)
=3Ü`+3Û`+3+1
⑤aÝ`+aÛ`bÛ`+bÝ`=(aÛ`+ab+bÛ`)(aÛ`-ab+bÛ`)
=40  40
따라서옳지않은것은③이다. ③

01-1
 Ü`+9xÛ`+27x+27
①x
=xÜ`+3xÛ`_3+3x_3Û`+3Ü`
=(x+3)Ü`
②xÜ`-8yÜ`=xÜ`-(2y)Ü`
=(x-2y)(xÛ`+2xy+4yÛ`)
 Û`+4yÛ`+9zÛ`+4xy+12yz+6zx
③x
=xÛ`+(2y)Û`+(3z)Û`+2x_2y+2_2y_3z+2_3z_x
=(x+2y+3z)Û`
 Ü`+yÜ`-8zÜ`+6xyz
④x
=xÜ`+yÜ`+(-2z)Ü`-3xy_(-2z)
={x+y+(-2z)}{xÛ`+yÛ`+(-2z)Û`
 -xy-y_(-2z)-(-2z)_x}
=(x+y-2z)(xÛ`+yÛ`+4zÛ`-xy+2yz+2zx)
⑤xy+yÛ`-xz-yz
=y(x+y)-z(x+y)
=(x+y)(y-z)
따라서옳지않은것은⑤이다. ⑤

유형 02
(x-2)(x-1)(x+3)(x+4)-24
=(x-2)(x+4)(x-1)(x+3)-24
=(xÛ`+2x-8)(xÛ`+2x-3)-24
xÛ`+2x=X로치환하면
(xÛ`+2x-8)(xÛ`+2x-3)-24=(X-8)(X-3)-24
=XÛ`-11X+24-24
=X(X-11)
=(xÛ`+2x)(xÛ`+2x-11)
=x(x+2)(xÛ`+2x-11)
따라서인수인것은②x이다. ②

Ⅰ. 다항식 11

해설.indb 11 17. 7. 3. 오후 4:44


02-1 y+1=Y로 치환하면
xÛ`+4x=X로 치환하면 2xÛ`-3(y+1)x-2(y+1)Û` 
(xÛ`+4x)(xÛ`+4x-2)-15 =2xÛ`-3xY-2YÛ` 
=X(X-2)-15  =(2x+Y)(x-2Y) 
=XÛ`-2X-15  ={2x+(y+1)}{x-2(y+1)} 
=(X-5)(X+3)  =(2x+y+1)(x-2y-2)
=(xÛ`+4x-5)(xÛ`+4x+3)  따라서 a=2, b=1, c=-2이므로
=(x-1)(x+5)(x+1)(x+3)  a+b+c=2+1+(-2)=1 1
=(x-1)(x+1)(x+3)(x+5) ①
04-1
02-2 주어진 식을 x에 대하여 내림차순으로 정리하면
x-10=X로 치환하면 2xÛ`-yÛ`-xy-7x+y+6
(x-10)Ü`+6(x-10)Û`+12(x-10)+8‌=XÜ`+6XÛ`+12X+8 =2xÛ`-(y+7)x-yÛ`+y+6
=(X+2)Ü`  =2xÛ`-(y+7)x-(yÛ`-y-6)
=(x-10+2)Ü`  =2xÛ`-(y+7)x-(y-3)(y+2)
=(x-8)Ü` ={x-(y+2)}{2x+(y-3)}
∴ k=8 ③ =(x-y-2)(2x+y-3) ④

유형 03 04-2
xÛ`=X로 치환하면 주어진 식을 a에 대하여 내림차순으로 정리하면
xÝ`-10xÛ`+9=XÛ`-10X+9  aÛ`(b-c)+bÛ`(a+c)-cÛ`(a+b)
=(X-1)(X-9)  =aÛ`(b-c)+a(bÛ`-cÛ`)+bc(b-c)
=(xÛ`-1)(xÛ`-9)  =(b-c){aÛ`+a(b+c)+bc}
=(x-1)(x+1)(x-3)(x+3) =(a+b)(b-c)(c+a)
∴ aÛ`+bÛ`+cÛ`+dÛ`‌=1Û`+(-1)Û`+3Û`+(-3)Û`  따라서 인수인 것은 ② a+b이다. ②
=1+1+9+9=20 ③
유형 05
03-1 f(x)=xÜ`-3x-2라 하면
xÛ`=X로 치환하면 f(-1)=(-1)Ü`-3_(-1)-2=0
xÝ`+3xÛ`-4=XÛ`+3X-4  이므로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인수분해하면
=(X-1)(X+4)  -1 1 0 -3 -2
=(xÛ`-1)(xÛ`+4)  -1 1 2
=(x-1)(x+1)(xÛ`+4) 1 -1 -2 0
따라서 인수인 것은 ② x+1이다. ②
∴  f(x)=(x+1)(xÛ`-x-2) 
=(x+1)(x+1)(x-2) 
03-2 =(x+1)Û`(x-2) ①
xÝ`-12xÛ`yÛ`+4yÝ`‌=xÝ`+4xÛ`yÛ`+4yÝ`-16xÛ`yÛ` 
=(xÛ`+2yÛ`)Û`-(4xy)Û` 
05-1
={(xÛ`+2yÛ`)+4xy}{(xÛ`+2yÛ`)-4xy}
f(x)=2xÜ`-xÛ`+3x+2라 하면
=(xÛ`+4xy+2yÛ`)(xÛ`-4xy+2yÛ`)
1 1 1 1
따라서 a=4, b=2 또는 a=-4, b=2이므로 f {- }=2_{- }Ü`-{- }Û`+3_{- }+2=0
2 2 2 2
aÛ`+bÛ`=16+4=20  20 이므로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인수분해하면
1
- 2 -1 3 2
유형 04 2
주어진 식을 x에 대하여 내림차순으로 정리하면 -1 1 -2
2xÛ`-3xy-2yÛ`-3x-4y-2  2 -2 4 0
=2xÛ`-3(y+1)x-2yÛ`-4y-2 
1
=2xÛ`-3(y+1)x-2(yÛ`+2y+1) ∴  f(x)‌={x+ }(2xÛ`-2x+4) 
2
=2xÛ`-3(y+1)x-2(y+1)Û` =(2x+1)(xÛ`-x+2)

12 정답과 풀이

해설.indb 12 17. 7. 3. 오후 4:44


531 Project Speedy

따라서 a=1, b=-1, c=2이므로 01


a-b+c=1-(-1)+2=4 ④ aÜ`-aÛ`c-abÛ`+bÛ`c=aÛ`(a-c)-bÛ`(a-c) 
=(a-c)(aÛ`-bÛ`) 
유형 06 =(a-c)(a+b)(a-b)
주어진 식을 c에 대하여 내림차순으로 정리하면 따라서 인수인 것은 ② a-c이다. ②
aÜ`-aÛ`c-abÛ`+bÛ`c+bc-ac-ab+aÛ`
=(-aÛ`+bÛ`+b-a)c+aÜ`-abÛ`-ab+aÛ`
=(bÛ`-aÛ`+b-a)c-a(bÛ`-aÛ`+b-a)
=(bÛ`-aÛ`+b-a)(c-a) 02
={(b-a)(b+a)+(b-a)}(c-a) xÛ`-x=X로 치환하면
=(b-a)(b+a+1)(c-a)=0 (xÛ`-x)(xÛ`-x-1)-2=X(X-1)-2 
이때, a, b, c는 삼각형의 세 변의 길이이므로 a+b+1>0이다. =XÛ`-X-2 
∴ a=b 또는 a=c =(X-2)(X+1) 
따라서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키는 삼각형은 a=b인 이등변삼각형 =(xÛ`-x-2)(xÛ`-x+1) 
또는 a=c인 이등변삼각형이다. ⑤ =(x-2)(x+1)(xÛ`-x+1)
따라서 인수인 것은 ① x-2이다. ①

06-1
aÜ`+bÜ`+cÜ`=3abc에서 aÜ`+bÜ`+cÜ`-3abc=0이므로
aÜ`+bÜ`+cÜ`-3abc
03
=(a+b+c)(aÛ`+bÛ`+cÛ`-ab-bc-ca)=0
x=17이라 하면
이때, a, b, c는 삼각형의 세 변의 길이이므로 a+b+c>0이다.
N‌=xÜ`+9xÛ`+27x+27 
∴ aÛ`+bÛ`+cÛ`-ab-bc-ca=0
=(x+3)Ü`=20Ü` 
위의 식의 양변에 2를 곱하면
=(2Û`_5)Ü`=2ß`_5Ü`
2aÛ`+2bÛ`+2cÛ`-2ab-2bc-2ca=0
따라서 자연수 N의 양의 약수의 개수는
(aÛ`-2ab+bÛ`)+(bÛ`-2bc+cÛ`)+(cÛ`-2ca+aÛ`)=0
(6+1)(3+1)=7_4=28 ④
(a-b)Û`+(b-c)Û`+(c-a)Û`=0
a-b=0, b-c=0, c-a=0
∴ a=b=c
즉,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키는 삼각형은 a=b=c인 정삼각형이다. 04
'3 주어진 식을 x에 대한 내림차순으로 정리하면
따라서 S= aÛ`, l=3a이므로
4
xÛ`-xy-6yÛ`-x+8y-2
'3 '3 =xÛ`-(y+1)x-6yÛ`+8y-2
aÛ`
S 4 4 '3
= = 9 =  ② =xÛ`-(y+1)x-2(3yÛ`-4y+1)
lÛ` (3a)Û` 36
=xÛ`-(y+1)x-2(y-1)(3y-1)
=xÛ`-(y+1)x+(2y-2)(-3y+1)
=(x+2y-2)(x-3y+1)
따라서 a=2, b=-3이므로
a+b=2+(-3)=-1 ②

05
주어진 식을 a에 대하여 내림차순으로 정리하면
(a+b+c)(ab+bc+ca)-abc
={a+(b+c)}{a(b+c)+bc}-abc
빈출 유형 마무리 본문 21~22쪽
=aÛ`(b+c)+abc+a(b+c)Û`+(b+c)bc-abc
01 ② 02 ① 03 ④ 04 ② 05 ⑤ 06 ⑤ =(b+c)aÛ`+(b+c)Û`a+(b+c)bc
07 ⑤ 08 ② 09 ① 10 ③ 11 ⑤ 12 ③ =(b+c){aÛ`+(b+c)a+bc}
13 ② 14 ① =(b+c)(a+b)(c+a)
따라서 인수인 것은 ㄱ, ㄴ, ㄷ이다. ⑤

Ⅰ. 다항식 13

해설.indb 13 17. 7. 3. 오후 4:44


06 {x+(y-1)}{x+(y-2)}
가로의 길이를 인수분해하면 =xÛ`+{(y-1)+(y-2)}x+(y-1)(y-2)
nÜ`+7nÛ`+14n+8 =xÛ`+(2y-3)x+(y-1)(y-2)
-1 1 7 14 8
=(n+1)(nÛ`+6n+8) 또는
-1 -6 -8
=(n+1)(n+2)(n+4) {x-(y-1)}{x-(y-2)}
1 6 8 0
세로의 길이를 인수분해하면 =xÛ`-{(y-1)+(y-2)}x+(y-1)(y-2)
nÛ`+4n+3=(n+1)(n+3) =xÛ`-(2y-3)x+(y-1)(y-2)
즉, 한 변의 길이가 n+1인 정사각형 모양의 타일이 가로 방향으 이므로
로 (n+2)(n+4)개, 세로 방향으로 (n+3)개가 필요하다. ay+b=2y-3 또는 ay+b=-2y+3
따라서 필요한 모든 타일의 개수는 따라서 a=2, b=-3 또는 a=-2, b=3이므로
(n+2)(n+3)(n+4) ⑤ ab=-6 ①

07 10
직육면체의 높이를 h라 하면 주어진 식을 c에 대하여 내림차순으로 정리하면
(직육면체의 부피)=(밑면의 넓이)_(높이)이므로 aÜ`+aÛ`b-acÛ`+abÛ`+bÜ`-bcÛ`
aÜ`+6aÛ`+11a+6=(a+1)(a+2)h이다. =-acÛ`-bcÛ`+aÜ`+aÛ`b+abÛ`+bÜ`
f(a)=aÜ`+6aÛ`+11a+6이라 하면  f(-1)=f(-2)=0이므로 =-(a+b)cÛ`+aÛ`(a+b)+bÛ`(a+b)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인수분해하면 =(a+b)(-cÛ`+aÛ`+bÛ`)=0
-1 1 6 11 6 이때, a, b, c는 삼각형의 세 변의 길이이므로 a+b>0이다.
즉, -cÛ`+aÛ`+bÛ`=0
-1 -5 -6
∴ aÛ`+bÛ`=cÛ`
-2 1 5 6 0
따라서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키는 삼각형은 빗변의 길이가 c인 직
-2 -6
각삼각형이다. ③
1 3 0

∴  f(a)=aÜ`+6aÛ`+11a+6 
=(a+1)(a+2)(a+3) 11
∴ h=a+3 ⑤ 직육면체 P, Q, R, S, T의 부피가 각각 p, q, r, s, t이므로
p=aÜ`, q=bÜ`, r=aÛ`, s=bÛ`, t=ab(a-b)
이때, p=q+r+s+t이므로
08 aÜ`=bÜ`+aÛ`+bÛ`+ab(a-b)
a-2b=X, a+b=Y로 치환하면 aÜ`-bÜ`-aÛ`-bÛ`-ab(a-b)=0
(a-2b)Ü`+(a+b)Ü` (a-b)(aÛ`+ab+bÛ`)-(aÛ`+bÛ`)-ab(a-b)=0
=XÜ`+YÜ`=(X+Y)(XÛ`-XY+YÛ`) {(a-b)(aÛ`+ab+bÛ`)-ab(a-b)}-(aÛ`+bÛ`)=0
={(a-2b)+(a+b)}{(a-2b)Û`-(a-2b)(a+b)+(a+b)Û`} (a-b)(aÛ`+bÛ`)-(aÛ`+bÛ`)=0
=(2a-b){(aÛ`-4ab+4bÛ`)-(aÛ`-ab-2bÛ`)+(aÛ`+2ab+bÛ`)} (a-b-1)(aÛ`+bÛ`)=0
=(2a-b)(aÛ`-ab+7bÛ`) 이때, a, b는 직육면체의 모서리의 길이이므로 aÛ`+bÛ`>0이다.
따라서 (a-2b)Ü`+(a+b)Ü`의 인수인 것은 ② aÛ`-ab+7bÛ`이다. 즉, a-b-1=0
 ② ∴ a-b=1 ⑤

09 12
주어진 식을 x에 대하여 내림차순으로 정리하면 다항식 xÝ`-2xÜ`+2xÛ`-x-6을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인수분해하면
xÛ`+axy+bx+yÛ`-3y+2 -1 1 -2 2 -1 -6
=xÛ`+(ay+b)x+(yÛ`-3y+2) -1 3 -5 6
=xÛ`+(ay+b)x+(y-1)(y-2)
2 1 -3 5 -6 0
이때, 이 식이 x, y에 대한 두 일차식의 곱으로 인수분해되므로
2 -2 6
{x+(y-1)}{x+(y-2)} 또는 {x-(y-1)}{x-(y-2)}이
어야 한다. 즉, 1 -1 3 0

14 정답과 풀이

해설.indb 14 17. 7. 3. 오후 4:44


531 Project Speedy

∴ xÝ`-2xÜ`+2xÛ`-x-6=(x+1)(x-2)(xÛ`-x+3) 218Ü`+1 (n+2)(nÛ`+n+1)


∴ ‌=
따라서 a=-2, b=-1, c=3이므로 217Ü`-1 (n-1)(nÛ`+n+1)
a+b+c=(-2)+(-1)+3=0 ③ n+2
=
n-1
217+2
=
217-1
219 73
= =  ①
216 72
13
주어진 식을 b에 대하여 내림차순으로 정리한 후 인수분해하면
aÛ`b+2ab+aÛ`+2a+b+1‌=(aÛ`+2a+1)b+aÛ`+2a+1
=(a+1)Û`b+(a+1)Û`
=(a+1)Û`(b+1)
위의 식의 값이 245=7Û`_5이므로
(a+1)Û`(b+1)=7Û`_5
이때, a, b는 자연수이므로
a+1=7, b+1=5에서 a=6, b=4
∴ a+b=6+4=10
다른 풀이

주어진 식을 a에 대하여 내림차순으로 정리한 후 인수분해하면


aÛ`b+2ab+aÛ`+2a+b+1‌=(b+1)aÛ`+2(b+1)a+(b+1)
=(b+1)(aÛ`+2a+1) 
=(a+1)Û`(b+1)
위의 식의 값이 245=7Û`_5이므로
(a+1)Û`(b+1)=7Û`_5
이때, a, b는 자연수이므로
a+1=7, b+1=5에서 a=6, b=4
∴ a+b=6+4=10 ②

14
n=218이라 하면
218Ü`+1=nÜ`+1=(n+1)(nÛ`-n+1)
217Ü`-1‌=(n-1)Ü`-1 
={(n-1)-1}{(n-1)Û`+(n-1)+1} 
=(n-2)(nÛ`-n+1)
218Ü`+1 (n+1)(nÛ`-n+1)
∴ ‌=
217Ü`-1 (n-2)(nÛ`-n+1)
n+1
=
n-2
218+1
=
218-2
219 73
= =
216 72
다른 풀이

n=217이라 하면
218Ü`+1‌=(n+1)Ü`+1 
={(n+1)+1}{(n+1)Û`-(n+1)+1} 
=(n+2)(nÛ`+n+1)
217Ü`-1=nÜ`-1=(n-1)(nÛ`+n+1)

Ⅰ. 다항식 15

해설.indb 15 17. 7. 3. 오후 4:44


유형 03
Ⅱ. 방정식과 부등식
z-1 z®-1 z®(z-1)+z(z®-1) 2zz®-(z+z®)
+ = = 
01 |
z z® zz® zz®
복소수
이때,z=1-2i에서z®=1-2iÓ=1+2i이므로
z+z®=1-2i+1+2i=2
내신&수능 빈출 유형 본문 25~27쪽 zz®=(1-2i)(1+2i)=5
z-1 z- 1 2zz-
® (z+z)® = 2_5-2 = 8 
유형 01 ∴ + ® = ④
z z® zz® 5 5
(1+ai)(1-2i)=1-2i+ai-2aiÛ`=(1+2a)+(a-2)i
이것이순허수가되려면
1+2a=0,a-2+0 03-1
1 aa®+a®b+ab®+bb®=a®(a+b)+b®(a+b)
∴a=-  ②
2 =(a+b)(a®+b®)
=(a+b)(a+bÓ)
01-1 이때,a=2-i,b=1+3i이므로
(1+i)xÛ`-(1+i)x-2i=(xÛ`-x)+(xÛ`-x-2)i a+b=3+2i,a+bÓ=3-2i
이것이실수가되려면 ∴aa®+a®b+ab®+bb®=(a+b)(a+bÓ)
xÛ`-x-2=0,(x+1)(x-2)=0 =(3+2i)(3-2i)
∴x=2`(∵x>0) ② =9+4=13 ⑤

01-2
03-2
실수a,b에대하여z=a+bi라하면zÛ`=aÛ`-bÛ`+2abi
b-2 b-2 Ó b-2Ó b®-2
이때,zÛ` 이음의실수가되려면a=0,b+0이어야하므로z는순 a= 에서a®={ }= = 이므로
b+1 b+1 b+1Ó b®+1
허수이다.
(b-2)(b®-2) bb®-2(b+b®)+4
z=xÛ`(1+i)-(x+2)i-1 aa®= =
(b+1)(b®+1) bb®+(b+b®)+1
=(xÛ`-1)+(xÛ`-x-2)i
이때,aa®=bb®=1이므로
z는순허수이므로
1-2(b+b®)+4 5-2(b+b®)
xÛ`-1=0,xÛ`-x-2+0 1= =
1+(b+b®)+1 2+(b+b®)
xÛ`-1=0에서(x+1)(x-1)=0
2+(b+b®)=5-2(b+b®),3(b+b®)=3
∴x=-1또는x=1 yy㉠
∴b+b®=1
xÛ`-x-2+0에서(x+1)(x-2)+0
1
∴x+-1이고x+2 yy㉡ bb®=1에서b®= 이므로
b
㉠,㉡에서x=1 ④ 1
b+ =b+b®=1 ④
b
유형 02
x-2yi+y-3xi=1-4i에서
유형 04
(x+y)-(3x+2y)i=1-4i
x+y=1+i+1-i=2,xy=(1+i)(1-i)=2이므로
복소수가서로같을조건에의하여
y x xÛ`+yÛ` (x+y)Û`-2xy
x+y=1,3x+2y=4 + = = 
x y xy xy
위의두식을연립하여풀면x=2,y=-1 2Û`-2_2
= =0 ③
∴xy=2_(-1)=-2 ① 2

02-1 04-1
x(2-i)-y(1-2i)=1-5i에서
2 2(1-i) 2(1-i)
2x-xi-y+2yi=1-5i x= = = =1-i
1+i (1+i)(1-i) 2
(2x-y)-(x-2y)i=1-5i 5 5(2+i) 5(2+i)
y= = = =2+i
복소수가서로같을조건에의하여 2-i (2-i)(2+i) 5
2x-y=1,x-2y=5 이므로
위의두식을연립하여풀면x=-1,y=-3 x+y=1-i+2+i=3
∴x+y=-1+(-3)=-4 ③ xy=(1-i)(2+i)=2+i-2i-iÛ`=3-i

16 정답과 풀이

해설.indb 16 17. 7. 3. 오후 4:44


531 Project Speedy

∴ xÜ`+yÜ`=(x+y)Ü` -3xy(x+y)  01
=3Ü`-3_(3-i)_3=9i ⑤ z=(1+i)xÛ`+x-i=(xÛ`+x)+(xÛ`-1)i
zÛ` 이 음의 실수가 되려면 z는 순허수이어야 하므로
유형 05 xÛ`+x=0, xÛ`-1+0
자연수 k에 대하여 xÛ`+x=0에서 x(x+1)=0
i 4k=1, i 4k+1=i, i 4k+2=-1, i 4k+3=-i ∴ x=-1 또는 x=0 yy ㉠
이므로 xÛ`-1+0에서 (x-1)(x+1)+0
i+i 2+i 3+i 4+y+i 29+i 30=(i-1-i+1)+y+(i-1) ∴ x+-1이고 x+1 yy ㉡
=-1+i ② ㉠, ㉡에서 x=0 ③

05-1 02
zÛ`=(1+i)Û`=1+2i+i 2=2i이므로
x y x(1-i)+y(1+i)
zÝ`=(2i)Û`=-4 + ‌= 
1+i 1-i (1+i)(1-i)
∴ z10=(zÝ`)Û`_zÛ`=(-4)Û`_2i=32i ④ x+y x-y
= - i=4-i
2 2
05-2 복소수가 서로 같을 조건에 의하여
1-i (1-i)Û` -2i x+y
=4에서 x+y=8 yy ㉠
z= = = =-i이므로 2
1+i (1+i)(1-i) 2
zÛ`=(-i)Û`=-1, zÜ`=(-i)Ü`=i, zÝ`=(-i)Ý`=1 x-y
=1에서 x-y=2 yy ㉡
2
∴ ‌z+2zÛ`+3zÜ`+4zÝ`+y+20z20 

㉠, ㉡을 연립하여 풀면 x=5, y=3


=(-i-2+3i+4)+y+(-17i-18+19i+20) 
∴ xÛ`+yÛ`=25+9=34  34
=(2+2i)+y+(2+2i) 
=5(2+2i)=10+10i ⑤
03
z=a+bi`(a, b는 실수)라 하면 z®=a-bi이므로
유형 06
'Äx-1 (1+i)z-2iz‌=(1+i)(a+bi)-2i(a-bi)
® 
=-®ûÆûÉ
x-1
등식 이므로
'Äx-4 x-4 =a+bi+ai-b-2ai-2b 
x-1¾0, x-4<0   ∴ 1Éx<4 =(a-3b)-(a-b)i=2-4i
따라서 정수 x는 1, 2, 3의 3개이다. ③ 복소수가 서로 같을 조건에 의하여
a-3b=2, a-b=4
06-1 위의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a=5, b=1
'a'b=-'¶ab에서 a<0, b<0 (∵ a+0, b+0) ∴ z=5+i ⑤
'Ä-a
Æû
=®ûÉ-
a
a<0에서 -a>0이고 이므로 c>0
'c c
04
따라서 a+b<0, a-c<0이므로 1+i (1+i)Û` 2i
= = =i
1-i (1-i)(1+i) 2
¿¹(a+b)Û`+¿¹(a-c)Û`‌=|a+b|+|a-c|
1-i (1-i)Û` -2i
=-(a+b)-(a-c)  = = =-i
1+i (1+i)(1-i) 2
=-a-b-a+c 
이므로
=-2a-b+c ①
1+i 8n+2 1-i 8n+2 8n+2
{ } +{ } =i +(-i)8n+2
1-i 1+i
=(i Ý`)2n_i Û`+{(-i)Ý`}2n_(-i)Û``
=-1+(-1)=-2 ③

05
1-'3i
z= 에서
2
빈출 유형 마무리 본문 28쪽
2z=1-'3i, 2z-1=-'3i
01 ③ 02 34 03 ⑤ 04 ③ 05 ① 06 ③ 양변을 제곱하면 4zÛ`-4z+1=-3
zÛ`-z+1=0   ∴ zÛ`-z=-1
07 ⑤ 08 ④
또한 zÛ`=z-1에서 zÜ`=zÛ`-z=-1

Ⅱ. 방정식과 부등식 17

해설.indb 17 17. 7. 3. 오후 4:44


∴zÜ`+2zÛ`-2z=zÜ`+2(zÛ`-z)
Ⅱ. 방정식과 부등식
=-1+2_(-1)=-3 ①

06
02 | 이차방정식
0이아닌실수a,b에대하여'a'b=-'¶ab이므로
a<0,b<0 내신&수능 빈출 유형 본문 30~32쪽

ㄱ.a+b<0이므로
유형 01
 ¿¹(a+b)Û`=|a+b|=-(a+b)`(거짓) 이차방정식xÛ`-ax+3a-2=0의한근이2이므로
ㄴ.'Äa-b`'Äa+b=-¿¹aÛ`-bÛ`이려면a-bÉ0,a+bÉ0 4-2a+3a-2=0  ∴a=-2
 그런데a+b<0이고a-b의부호는알수없으므로 a=-2를주어진이차방정식에대입하면
 'Äa-b`'Äa+b=-¿¹aÛ`-bÛ` 이항상성립한다고할수없다. xÛ`+2x-8=0,(x+4)(x-2)=0
 `(거짓) ∴x=-4또는x=2
ㄷ.a<0,ab>0이므로 따라서다른한근은-4이다. ②

'¶ab
=-®ûÂ =-'b(참)
ab
 
'a a 01-1
따라서옳은것은ㄷ뿐이다. ③ xÛ`+2ax-3aÛ`=0에서(x+3a)(x-a)=0
∴x=-3a또는x=a
두근의차가12이므로
07
ab®=1에서ab®Ó=a®b=1이므로 |a-(-3a)|=12
1 1 |4a|=12
=a,b= a>0이므로a=3
b® a®
1 1 즉,주어진이차방정식의근은
∴b+ = +a=2i ⑤
b® a® x=-9또는x=3
따라서구하는양수인근은3이다. ③
08
1+i Û (1+i)Û` 2i
zÛ`={ }= = =-i 유형 02
'2i 2iÛ -2
처음직사각형모양의종이의세로의길이를x cm라하면가로의
1+i 1+i 길이는(x+3) cm이므로뚜껑이없는직육면체모양의상자의
zÜ`=zÛ`z=-i_ =-
'2i '2 밑면의가로의길이와세로의길이는각각
zÝ`=(zÛ`)Û`=(-i)Û`=-1 (x-1)cm,(x-4)cm
따라서z¡`=(zÝ`)Û`=(-1)Û`=1이므로구하는자연수n의최솟값 이상자의부피가36 cmÜ`이므로
은8이다. ④ 2(x-1)(x-4)=36,(x-1)(x-4)=18
xÛ`-5x-14=0,(x+2)(x-7)=0
∴x=-2또는x=7
그런데x>4이므로x=7
따라서처음직사각형모양의종이의세로의길이는7 cm이다.
  7 cm

02-1
산책로를제외한땅의가로의길이와세로의길이는각각
(12-x)m,(8-2x)m
산책로를제외한땅의넓이가18 mÛ`이므로
(12-x)(8-2x)=18
2xÛ`-32x+78=0,2(x-3)(x-13)=0
∴x=3또는x=13
그런데0<x<4이므로x=3 3

유형 03
이차방정식xÛ`+2(k+1)x+kÛ`+6=0의판별식을D라하면

18 정답과 풀이

해설.indb 18 17. 7. 3. 오후 4:44


531 Project Speedy

D
‌=(k+1)Û`-(kÛ`+6)=2k-5 유형 05
4 두 복소수 z, z® 를 두 근으로 하고 xÛ` 의 계수가 1인 이차방정식은
주어진 이차방정식이 실근을 갖기 위해서는 D¾0이어야 하므로 (x-z)(x-z®)=0
2k-5¾0 xÛ`-(z+z®)x+zz®=0
5 이때, z=2+i, z®=2-i이므로
∴ k¾
2
z+z®=(2+i)+(2-i)=4
따라서 정수 k의 최솟값은 3이다. ②
zz®=(2+i)(2-i)=5
즉, xÛ`-4x+5=0
03-1 따라서 a=-4, b=5이므로
이차방정식 xÛ`+(2k-1)x+kÛ`-2k+5=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a+b=(-4)+5=1 ④
D‌=(2k-1)Û`-4(kÛ`-2k+5) 
=4k-19
주어진 이차방정식이 허근을 갖기 위해서는 D<0이어야 하므로
4k-19<0
05-1
19
∴ k< 두 수 2, 4를 두 근으로 하는 x에 대한 이차방정식을
4
k(x-2)(x-4)=0`(k는 실수)으로 놓으면
따라서 자연수 k의 값은 k=1, 2, 3, 4이므로 k의 값의 합은
f(x)=k(x-2)(x-4)
1+2+3+4=10 ④
f(x)의 모든 계수와 상수항의 합은 f(1)의 값과 같으므로
f(1)=3k=15
유형 04 ∴ k=5
이차방정식 xÛ`-3x+1=0의 두 근이 a, b이므로 근과 계수의 관 따라서  f(x)=5(x-2)(x-4)이므로
계에 의하여 f(0)=5_(-2)_(-4)=40 ⑤
a+b=3, ab=1
bÛ` aÛ` aÜ`+bÜ` (a+b)Ü`-3ab(a+b)
∴ + ‌= = 
a b ab ab
3Ü`-3_1_3
= =18 ⑤
1 유형 06
a, b가 실수이므로 이차방정식 2xÛ`+ax+b=0의 한 근이 3+2i
이면 다른 한 근은 3-2i이다.
04-1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이차방정식 4xÛ`-8x-5=0의 두 근이 a, b이므로 근과 계수의
a
관계에 의하여 - =(3+2i)+(3-2i)=6   ∴ a=-12
2
5 b
a+b=2, ab=- =(3+2i)(3-2i)=13   ∴ b=26
4 2
5
(a-b)Û`=(a+b)Û`-4ab=2Û`-4_{- }=9 ∴ a+b=(-12)+26=14 ③
4
∴ a-b=3 (∵ a>b)
∴ aÛ`-bÛ`=(a+b)(a-b)=2_3=6 ③

06-1
04-2 1 1+2i 1 2
= = + i
이차방정식 xÛ`+ax+2=0의 두 근이 a, b이므로 근과 계수의 관 1-2i (1-2i)(1+2i) 5 5
계에 의하여 a, b가 실수이므로 이차방정식 axÛ`+bx+1=0의 한 근이
a+b=-a, ab=2 1 2 1 2
+ i이면 다른 한 근은 - i이다.
2 2 5 5 5 5
이차방정식 2xÛ`+3x+b=0의 두 근이 , 이므로 근과 계수의
a b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관계에 의하여 b 1 2 1 2 2
- ={ + i}+{ - i}=
2 2 2(a+b) -2a 3 3 a 5 5 5 5 5
+ = = =-    ∴ a=
a b ab 2 2 2 ∴ b=- a
2
2 2 4 4 b 5
_ = = =    ∴ b=4
a b ab 2 2 1 1 2 1 2 1
={ + i}{ - i}=
3 a 5 5 5 5 5
∴ ab= _4=6 ③
2 ∴ a=5, b=-2

Ⅱ. 방정식과 부등식 19

해설.indb 19 17. 7. 3. 오후 4:44


따라서 이차방정식 bxÛ`+x+a=0의 두 근의 합은 근과 계수의 관 05
1 이차방정식 xÛ`+4x+2=0의 두 근이 a, b이므로 근과 계수의 관
계에 의하여 - 이므로
b
계에 의하여
1 1 1
- =- =  ① a+b=-4, ab=2
b -2 2
이때,
(aÛ`+1)+(bÛ`+1)=aÛ`+bÛ`+2 
=(a+b)Û`-2ab+2 
=(-4)Û`-2_2+2=14
빈출 유형 마무리 본문 33쪽 (aÛ`+1)(bÛ`+1)=aÛ` bÛ`+aÛ`+bÛ`+1
=(ab)Û`+(a+b)Û`-2ab+1 
01 1 02 11 03 ④ 04 ③ 05 3 06 ②
=2Û`+(-4)Û`-2_2+1=17
07 ① 08 ③
이므로 aÛ`+1, bÛ`+1을 두 근으로 하고 xÛ`의 계수가 1인 이차방정
식은
01 xÛ`-14x+17=0 yy ㉠
이차방정식 xÛ`-(a+1)x-2a=0의 한 근이 -1이므로 xÛ`+ax+b=0이 ㉠과 같으므로
1+a+1-2a=0   ∴ a=2 a=-14, b=17
a=2를 xÛ`+ax+aÛ`-7=0에 대입하면 ∴ a+b=-14+17=3 3
xÛ`+2x-3=0
(x+3)(x-1)=0
∴ x=-3 또는 x=1 06
따라서 양의 실근은 1이다. 1 원 OÁ과 직선 l이 만나는 점 중 A가 아닌 점을 B라 하고, 원 Oª
와 직선 l이 만나는 점 중 A가 아닌 점을 C라 하자.

02 P R
이차방정식 xÛ`-6x+a=0의 판별식을 DÁ이라 하면
DÁ 2 A 3
=(-3)Û`-a>0 l
B Q S C
4 O¡ O™

9-a>0   ∴ a<9 yy ㉠
x에 대한 이차방정식 xÛ`+2(b-1)x+bÛ`-3=0의 판별식을 Dª
라 하면 원 OÁ에서 BQÓ_QAÓ=PQÓÛ`이므로
Dª 3_1=PQÓÛ`   ∴ PQÓ='3 (∵ PQÓ>0)
=(b-1)Û`-(bÛ`-3)<0
4 PQÓ=RSÓ이므로 RSÓ='3
-2b+4<0   ∴ b>2 yy ㉡ 원 Oª에서 ASÓ_SCÓ=RSÓÛ``
㉠에서 M=8, ㉡에서 m=3이므로 이때, ASÓ=x라 하면 SCÓ=6-x이므로
M+m=8+3=11  11 x(6-x)=('3 )Û`
xÛ`-6x+3=0
03 ∴ x=3-'6 (∵ 0<x<3)
x에 대한 이차식 xÛ`+(2k+1)x+kÛ`+2가 완전제곱식이 되려면 따라서 선분 AS의 길이는 3-'6 이다. ②
이차방정식 xÛ`+(2k+1)x+kÛ`+2=0이 중근을 가져야 하므로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D=(2k+1)Û`-4(kÛ`+2)=0 07
7 조건 ㈎에서 나머지정리에 의하여  f(1)=1+p+q=1
4k-7=0   ∴ k=  ④
4 ∴ p+q=0    yy ㉠
조건 ㈏에서 한 근이 a+i이므로 나머지 한 근은 a-i이다.
04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이차방정식 xÛ`+ax+b=0에 대하여 (a+i)+(a-i)=-p, (a+i)(a-i)=q
갑은 상수항을 바르게 보고 풀었으므로 ∴ 2a=-p, aÛ`+1=q     yy ㉡
b=(-2)_1=-2 ㉠, ㉡에서 p+q=-2a+aÛ`+1=0
을은 x의 계수를 바르게 보고 풀었으므로 aÛ`-2a+1=0, (a-1)Û`=0
-a=(-1+i)+(-1-i)=-2   ∴ a=2 ∴ a=1
∴ a+b=2+(-2)=0 ③ a=1을 ㉡에 대입하면

20 정답과 풀이

해설.indb 20 17. 7. 7. 오후 5:12


531 Project Speedy

p=-2,q=2
Ⅱ. 방정식과 부등식
∴p+2q=-2+2_2=2 ①

03 | 이차방정식과 이차함수
08
2+'3이주어진이차방정식의한근이므로 내신&수능 빈출 유형 본문 35~37쪽
a(2+'3)Û`+'3b(2+'3)+c=0에서
(7a+3b+c)+(4a+2b)'3=0 유형 01
a,b,c가유리수이므로 이차함수y=xÛ`+ax+b의그래프와x축의교점의x좌표가-1,
7a+3b+c=0,4a+2b=0 3이므로-1,3은이차방정식xÛ`+ax+b=0의두근이다.
∴b=-2a,c=-a 이차방정식의근과계수의관계에의하여
따라서주어진방정식은 -1+3=-a,-1_3=b
axÛ`-2'3ax-a=0 따라서a=-2,b=-3이므로
이차방정식의근과계수의관계에의하여 ab=-2_(-3)=6 ③
ab=-1
1 01-1
즉, =-a이므로
b
이차함수y=2xÛ`+ax+b의그래프가x축과서로다른두점에서
1
a+ =a+(-a)=0 ③ 만나므로이차방정식2xÛ`+ax+b=0은서로다른두실근을갖
b
는다.
두점의x좌표는이차방정식2xÛ`+ax+b=0의서로다른두실
근이므로이차방정식의두실근의합이5,곱이3이다.
이차방정식의근과계수의관계에의하여
a
- =5  ∴a=-10
2
b
=3  ∴b=6
2
∴a+b=-10+6=-4 ④

01-2
이차함수y=xÛ`+ax-3a의그래프와x축의교점의x좌표가2,
b이므로2,b는이차방정식xÛ`+ax-3a=0의두근이다.
이차방정식의근과계수의관계에의하여
2+b=-a,2b=-3a
∴a=4,b=-6
즉,y=xÛ`+bx+2a에서y=xÛ`-6x+8
이차함수y=xÛ`-6x+8의그래프가x축과만나는점의x좌표는
이차방정식xÛ`-6x+8=0의실근이므로
xÛ`-6x+8=0에서(x-2)(x-4)=0
∴x=2또는x=4
따라서두점(2,0),(4,0)에서만나므로두점사이의거리는
2이다.  ①

유형 02
이차함수y=xÛ`+3x+a의그래프가x축과서로다른두점에서
만나려면이차방정식xÛ`+3x+a=0이서로다른두실근을가져
야한다.
이차방정식xÛ`+3x+a=0의판별식을D라하면
9
D=9-4a>0  ∴a<
4
따라서정수a의최댓값은2이다. ②

Ⅱ. 방정식과 부등식 21

해설.indb 21 17. 7. 3. 오후 4:44


02-1 04-1
이차함수 y=xÛ`-ax+a+8의 그래프가 x축과 오직 한 점에서 만 y‌=-xÛ`+8x-2 
나려면 이차방정식 xÛ`-ax+a+8=0이 중근을 가져야 한다. =-(x-4)Û`+16-2 
이차방정식 xÛ`-ax+a+8=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x-4)Û`+14
D=(-a)Û`-4(a+8)=0 이므로 주어진 이차함수는 x=4일 때, 최댓값 14를 갖는다.
aÛ`-4a-32=0, (a+4)(a-8)=0 따라서 a=4, M=14이므로
∴ a=8 (∵ a>0) ④ a+M=4+14=18 ③

04-2
유형 03 f(x)=xÛ`+2x-k=(x+1)Û`-1-k
이차함수 y=xÛ`-x-1의 그래프와 직선 y=mx-2가 접하므로 이므로 이차함수  f(x)는 x=-1일 때 최솟값 -1-k를 갖고,
이차방정식 xÛ`-x-1=mx-2, 즉 xÛ`-(1+m)x+1=0의 판 1 1 1 1
g(x)=kxÛ`+x- =k{x+ }Û`- -
별식을 D라 하면 4 2k 4k 4
D‌=(1+m)Û`-4=0 1 1 1
이므로 이차함수 g(x)는 x=- 일 때 최댓값 - - 을 갖
mÛ`+2m-3=0, (m+3)(m-1)=0 2k 4k 4
∴ m=1`(∵ m>0) ① 는다.
f(x)의 최솟값과 g(x)의 최댓값이 서로 같으므로
1 1
-1-k=- -
03-1 4k 4
이차함수 y=xÛ`+ax+1의 그래프와 직선 y=2x+b가 만나는 두 4k+4kÛ`=1+k, 4kÛ`+3k-1=0
점의 x좌표가 각각 -1, 2이므로 이차방정식 xÛ`+ax+1=2x+b, (k+1)(4k-1)=0
즉 xÛ`+(a-2)x+1-b=0의 두 실근이 -1, 2이다. ∴ k=-1`(∵ k<0) ⑤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a-2)=(-1)+2=1
유형 05
y=xÛ`-2x+3=(x-1)Û`+2 yy ㉠
∴ a=1
0ÉxÉ4에서 이차함수 ㉠은 x=4일 때 최댓값 M을 갖고,
1-b=(-1)_2=-2
x=1일 때 최솟값 m을 가지므로
∴ b=3
M=(4-1)Û`+2=11, m=2
∴ ab=1_3=3 ③
∴ M-m=11-2=9 ④

03-2 05-1
3 9
이차함수 y=xÛ`+2ax+3의 그래프와 직선 y=ax+b가 서로 다 y=xÛ`+3x+k={x+ }Û`- +k yy ㉠
2 4
른 두 점에서 만나기 위해서는 이차방정식 xÛ`+2ax+3=ax+b,
1ÉxÉ3에서 이차함수 ㉠은 x=3일 때 최댓값 2m, x=1일 때
즉 xÛ`+ax+3-b=0이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져야 하므로 이차
최솟값 m을 가지므로
방정식 xÛ`+ax+3-b=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2m=18+k, m=4+k
D=aÛ`-4(3-b)>0
즉, 2_(4+k)=18+k이므로
aÛ`+4b-12>0
8+2k=18+k
이때, a의 값에 관계없이 D>0이어야 하므로
∴ k=10 ⑤
4b-12>0 (∵ aÛ`¾0)
∴ b>3 유형 06
따라서 정수 b의 최솟값은 4이다. ⑤ 점 A의 좌표를 (t, 2t)(0<t<4)라 하면 점 C의 좌표는 (t, 0)
점 B의 y좌표는 2t이므로 y
y=2x{x<4}
유형 04 12-x=2t에서 x=12-2t 8
A{t,`2t} B{12-2t,`2t}
aÛ` 따라서 점 B의 좌표는
y=xÛ`+ax+3={x+ }Û`- +3이므로
a y=12-x
2 4 (12-2t, 2t)이고 점 D의 좌표는 {x 4}
O t 12-2t
a aÛ` (12-2t, 0)이다.
x=- 일 때, 최솟값 - +3을 갖는다. C4 D 12 x
2 4
CDÓ=(12-2t)-t=12-3t
a
즉, - =2이므로 a=-4 ACÓ=2t
2
이므로 직사각형 ACDB의 넓이는
aÛ`
∴ m=- +3=-4+3=-1 (12-3t)_2t=24t-6tÛ`=-6(t-2)Û`+24
4
∴ a+m=-4+(-1)=-5 ① 따라서 t=2일 때, 최댓값 24를 갖는다.  24

22 정답과 풀이

해설.indb 22 17. 7. 3. 오후 4:44


531 Project Speedy

06-1 02
점 B의 좌표를 (a, 0)`(0<a<2)이라 하면 x+3=t로 놓으면 이차방정식  f(t)=0의 두 실근은 이차함수
점 C의 좌표는 (a, -aÛ`+4) y=f(x)의 그래프와 x축의 교점의 x좌표와 같으므로
∴ ABÓ=2a, BCÓ=-aÛ`+4 t=1 또는 t=3
직사각형 ABCD의 둘레의 길이는 즉, x+3=1에서 x=-2, x+3=3에서 x=0
2(2a-aÛ`+4)=-2aÛ`+4a+8=-2(a-1)Û`+10 따라서 두 실근의 합은
따라서 0<a<2이므로 직사각형 ABCD의 둘레의 길이의 최댓값 -2+0=-2 ④
은 a=1일 때, 10이다.  10
03
06-2 이차함수 y=xÛ`+2(1+m)x+mÛ`+9의 그래프가 x축과 만나지
밭 세 개의 둘레의 길이의 합은 철조망의 길이인 40이므로 않으려면 이차방정식 xÛ`+2(1+m)x+mÛ`+9=0이 허근을 가져
(4x+4)+4y+4y=40 야 한다.
4x+8y=36, 4x=36-8y 이차방정식 xÛ`+2(1+m)x+mÛ`+9=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 x=9-2y D
=(1+m)Û`-(mÛ`+9)<0
이때, 밭의 가로와 세로의 길이는 각각 양수이므로 4
9 2m-8<0   ∴ m<4
x>0, 0<y<
2 따라서 자연수 m은 1, 2, 3의 3개이다. ③
밭의 넓이의 합을 S라 하면
S‌=x(x+2)+yÛ`+yÛ`  04
=xÛ`+2x+2yÛ`  이차함수 y=xÛ`+ax-2의 그래프가 직선 y=3x-1과 서로 다른
=(9-2y)Û`+2(9-2y)+2yÛ`  두 점에서 만나려면 이차방정식 xÛ`+ax-2=3x-1, 즉
=6yÛ`-40y+99  xÛ`+(a-3)x-1=0이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져야 한다.
10 97
=6{y- }Û`+ 이때, 두 교점의 x좌표의 합이 6이므로 이차방정식
3 3
xÛ`+(a-3)x-1=0의 두 근의 합이 6이다.
10 97
따라서 S는 y= 일 때, 최솟값 을 가지므로 밭의 넓이의 합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3 3
97 -(a-3)=6   ∴ a=-3 ①
의 최솟값은 이다. ③
3
05
x에 대한 이차함수 y=xÛ`-2mx+mÛ`+3의 그래프와 직선
y=ax+b가 접하므로 x에 대한 이차방정식
xÛ`-2mx+mÛ`+3=ax+b, 즉
xÛ`-(2m+a)x+mÛ`+3-b=0이 중근을 가져야 한다.
x에 대한 이차방정식 xÛ`-(2m+a)x+mÛ`+3-b=0의 판별식
빈출 유형 마무리 본문 38~39쪽
을 D라 하면
01 ① 02 ④ 03 ③ 04 ① 05 ③ 06 ② D={-(2m+a)}Û`-4(mÛ`+3-b)=0
07 ① 08 25 09 ④ 10 10 11 10 12 92 4am+aÛ`-12+4b=0
13 8 14 ③ 15 54 이 식이 m의 값에 관계없이 항상 성립하므로
4a=0, aÛ`-12+4b=0
위의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a=0, b=3
01 ∴ a+b=0+3=3 ③
이차함수 y=xÛ`+ax+b의 그래프가 점 (1, 1)을 지나므로
1=1+a+b   ∴ b=-a yy ㉠ 06
또한 이차함수의 그래프가 x축에 접하므로 이차방정식 이차함수 y=xÛ`-3x의 그래프와 직선 y=x-a가 서로 다른 두
xÛ`+ax+b=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점에서 만나므로 이차방정식 xÛ`-3x=x-a, 즉 xÛ`-4x+a=0
D=aÛ`-4b=0 yy ㉡ 이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져야 한다.
㉠을 ㉡에 대입하면 이차방정식 xÛ`-4x+a=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aÛ`-4_(-a)=0, aÛ`+4a=0 D
=(-2)Û`-a>0   ∴ a<4
a(a+4)=0   ∴ a=-4`(∵ a<0) 4
a=-4를 ㉠에 대입하면 b=4 따라서 모든 자연수 a의 값의 합은
∴ ab=-4_4=-16 ① 1+2+3=6 ②

Ⅱ. 방정식과 부등식 23

해설.indb 23 17. 7. 3. 오후 4:44


07 이므로 t=-1일 때, 최솟값 k-3을 갖는다.
y=-2xÛ`+4x+5=-2(x-1)Û`+7 yy ㉠ 따라서 k-3=7이므로
-2ÉxÉ2에서 이차함수 ㉠은 x=1일 때 최댓값 M을 갖고, k=10  10
x=-2일 때 최솟값 m을 가지므로
M=7, m=-2(-2-1)Û`+7=-11 11
∴ M+m=7+(-11)=-4 ① f(x)=xÛ`-2ax+4a+3=(x-a)Û`-aÛ`+4a+3
이므로 함수 f(x)는 x=a일 때, 최솟값 g(a)=-aÛ`+4a+3을
갖는다.
08 g(a)=-aÛ`+4a+3=-(a-2)Û`+7
조건 ㈎에서 이차함수 y=xÛ`+2ax+b의 그래프와 직선 1ÉaÉ4에서 함수 g(a)의 최댓값은 g(2)이고, 최솟값은 g(4)이
y=6x+1이 오직 한 점에서 만나므로 이차방정식 므로
xÛ`+2ax+b=6x+1, 즉 xÛ`+2(a-3)x+b-1=0이 오직 하나 g(2)=7, g(4)=-(4-2)Û`+7=3
의 실근을 갖는다. 따라서 최댓값과 최솟값의 합은
이차방정식 xÛ`+2(a-3)x+b-1=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7+3=10  10
D
=(a-3)Û`-(b-1)=0
4
∴ b=(a-3)Û`+1 yy ㉠ 12
조건 ㈏에서 x에 대한 방정식  y y=f{x} APÓ=x라 하면 BQÓ=2x, CRÓ=3x이므로
f(x)+x+b=0이 오직 하나의 실근을 삼각형 PBQ의 넓이는
가지므로 함수 y=f(x)의 그래프와 직선 a@ 1
_(16-x)_2x=-xÛ`+16x
y=-x-b는 오른쪽 그림과 같이 오직 2
-a O a x 삼각형 QCR의 넓이는
한 점에서 만난다.
이때, 직선 y=-x-b는 점 (-a, 0)을
-b y=-x-b 1
_(16-2x)_3x=-3xÛ`+24x
2
반드시 지나야 하므로
사다리꼴 APRD의 넓이는
a-b=0   ∴ b=a yy ㉡
1
㉡을 ㉠에 대입하면 a=(a-3)Û`+1 _{x+(16-3x)}_16=-16x+128
2
aÛ`-7a+10=0, (a-2)(a-5)=0 따라서 삼각형 PQR의 넓이는
∴ a=5 (∵ a>2) 16Û`-{-xÛ`+16x+(-3xÛ`+24x)+(-16x+128)}
따라서 a=5, b=5이므로 =4xÛ`-24x+128
ab=5_5=25  25 =4(x-3)Û`+92
이므로 삼각형 PQR의 넓이의 최솟값은 x=3일 때, 92이다.
  92
09
y=xÛ`-4x-5=(x-2)Û`-9이므로 함수 y
y=|x@-4x-5|
13
y=|xÛ`-4x-5|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 9
7 f(x)‌=(x-a)(x-b) 
과 같다.
=xÛ`-(a+b)x+ab 
이때, -2ÉxÉa에서 함수
-2
O =xÛ`-6x+ab (∵ a+b=6) 
y=|xÛ`-4x-5|의 최댓값이 9가 되는 -1 2 5a x
=(x-3)Û`-9+ab
a의 최댓값은 곡선 y=xÛ`-4x-5와 직
이차함수 y=f(x)의 그래프의 꼭짓점의 좌표는 (3, -9+ab)이
선 y=9의 교점의 x좌표 중 큰 수이므로
고 이 점이 직선 y=2x-7 위에 있으므로
xÛ`-4x-5=9, xÛ`-4x-14=0
-9+ab=2_3-7, -9+ab=-1
∴ x=2-3'2 또는 x=2+3'2
∴ ab=8
따라서 a의 최댓값은 2+3'2이다. ④
따라서 f(x)=(x-3)Û`-9+8=(x-3)Û`-1이므로
f(0)=(0-3)Û`-1=8 8

10
xÛ`-2x=t로 놓으면 14
t=(x-1)Û`-1이므로 t¾-1 g(x)=0에서 ax+2aÛ`=0, a(x+2a)=0
이때, 주어진 함수는 ∴ x=-2a (∵ a>0)
y=tÛ`+4t+k=(t+2)Û`+k-4`(t¾-1) 즉, 점 C의 좌표는 (-2a, 0)

24 정답과 풀이

해설.indb 24 17. 7. 3. 오후 4:44


531 Project Speedy

f(x)=g(x)에서xÛ`=ax+2aÛ` ,(x+a)(x-2a)=0
Ⅱ. 방정식과 부등식
∴x=-a또는x=2a
즉,점A의좌표는(2a,0)이므로점E의좌표는(2a,0)
따라서삼각형COD와삼각형CEA의닮음비는1`:`2이므로넓
04 | 삼차방정식과 사차방정식
이의비는1`:`4이다.즉,
SÁ`:`(SÁ+Sª)=1`:`4이므로Sª=3SÁ 내신&수능 빈출 유형 본문 41~42쪽

∴k=3 ③
유형 01
xÜ`-3xÛ`-x+3=0에서
15
xÛ`(x-3)-(x-3)=0,(xÛ`-1)(x-3)=0
조건㈎에서
(x+1)(x-1)(x-3)=0
f(x)=a(x+2)(x-4)
∴x=-1또는x=1또는x=3
=a(xÛ`-2x-8)
따라서가장큰근은3,가장작은근은-1이므로
=a(x-1)Û`-9a
a=3,b=-1
Úa<0일때
∴a-b=3-(-1)=4 ②
 5 ÉxÉ8에서이차함수f(x)는x=5일때,최댓값7a를가지
므로조건㈏에의하여
01-1
80
7a=80  ∴a= xÜ`-axÛ`+(a-3)x-6=0의한근이2이므로
7
2Ü`-a_2Û`+(a-3)_2-6=0
 그런데a<0이므로조건을만족시키지않는다.
-2a=4  ∴a=-2
Ûa>0일때
즉,주어진방정식은xÜ`+2xÛ`-5x-6=0
 5 ÉxÉ8에서이차함수f(x)는x=8일때,최댓값40a를가
f(x)=xÜ`+2xÛ`-5x-6이라 하고 f(2)=0이므로 조립제법을
지므로조건㈏에의하여
이용하여f(x)를인수분해하면
40a=80  ∴a=2
따라서f(x)=2(x+2)(x-4)이므로 2 1 2 -5 -6
f(-5)=2_(-3)_(-9)=54  54 2 8 6
1 4 3 0
∴f(x)=(x-2)(xÛ`+4x+3)=(x-2)(x+1)(x+3)
이때,방정식f(x)=0에서
x=2또는x=-1또는x=-3
따라서다른두근이-1,-3이므로그합은
(-1)+(-3)=-4 ①

01-2
xÛ`+2x=t로놓으면주어진방정식은
tÛ`+2t=3에서tÛ`+2t-3=0
(t+3)(t-1)=0  ∴t=-3또는t=1
Út=-3일때
 xÛ`+2x+3=0이므로이이차방정식의판별식을DÁ이라하면

 =1Û`-3=-2<0
4
 즉,이차방정식xÛ`+2x+3=0은서로다른두허근을갖는다.
Ût=1일때
 xÛ`+2x-1=0이므로이이차방정식의판별식을Dª라하면

 =1Û`-1_(-1)=2>0
4
 즉,이차방정식xÛ`+2x-1=0은서로다른두실근을갖는다.
Ú,Û에서주어진방정식의두실근은이차방정식
xÛ`+2x-1=0의근이고,두허근은이차방정식xÛ`+2x+3=0
의근이므로이차방정식의근과계수의관계에의하여
a=-2,b=3

Ⅱ. 방정식과 부등식 25

해설.indb 25 17. 7. 3. 오후 4:44


∴ ab=-2_3=-6 ④ 근이면 -i도 근이다.
삼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유형 02 i+(-i)+2=-a에서 a=-2
삼차방정식 xÜ`-3x-2=0의 세 근이 a, b, c이므로 삼차방정식 i_(-i)+(-i)_2+2i=b에서 b=1
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i_(-i)_2=-c에서 c=-2
a+b+c=0, ab+bc+ca=-3, abc=2 즉,  f(x)=xÜ`-2xÛ`+x-2이므로
∴ aÛ`+bÛ`+cÛ`‌=(a+b+c)Û`-2(ab+bc+ca)  f(3)=3Ü`-2_3Û`+3-2=10  10
=0Û`-2_(-3)=6 ③
유형 04
02-1 xÜ`=1에서 (x-1)(xÛ`+x+1)=0이므로 x는 xÛ`+x+1=0의
삼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한 허근이고, 켤레복소수인 x®도 xÛ`+x+1=0의 한 허근이다.
a+b+c=2k, ab+bc+ca=6, abc=-(-k+2)=k-2 즉, xÛ`+x+1=0, x® Û`+x+1=0®
이므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1 1 1 c+a+b 2k x+x=-1,
® xx=1 ®
+ + = =
ab bc ca abc k-2 x®+1 x+1 -x -x® 1 1
∴ + = + =- -
1 1 1 2k xÛ` x® `Û xÛ` x® `Û x x®
+ + =6이므로 6=
ab bc ca k-2
x+x® -1
6(k-2)=2k, 6k-12=2k =- =- =1 ④
x x® 1
4k=12   ∴ k=3 ④

04-1
유형 03 xÛ`+x+1=0에서 (x-1)(xÛ`+x+1)=0
삼차방정식 xÜ`+axÛ`+bx-6=0의 계수가 실수이므로 1+i가 근 xÜ`-1=0   ∴ xÜ`=1
이면 1-i도 근이다. 이때, x는 방정식 xÛ`+x+1=0과 xÜ`=1의 한 허근이므로
나머지 한 근을 a라 하면 삼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xÛ`+x+1=0, xÜ`=1
a+(1+i)+(1-i)=-a yy ㉠ ∴ ‌1+x+xÛ`+y+xÚ` â `â` 
a(1+i)+(1+i)(1-i)+a(1-i)=b yy ㉡ =(1+x+xÛ`)+xÜ`(1+x+xÛ`)+y
a(1+i)(1-i)=6 yy ㉢  +xá` ß`(1+x+xÛ`)+xá` á`+xÚ` â `â`
㉢에서 2a=6이므로 a=3 =xá` á`+xÚ` â `â`
㉠에서 3+(1+i)+(1-i)=-a이므로 a=-5 =(xÜ`)Ü` Ü`+(xÜ`)Ü` Ü`_x
㉡에서 3(1+i)+(1+i)(1-i)+3(1-i)=b이므로 b=8 =1+x
∴ a+b=-5+8=3 ⑤ 따라서 a=1, b=1이므로
ab=1_1=1 ④
03-1
삼차방정식 xÜ`-4xÛ`+ax+b=0의 계수가 유리수이므로 1+'2
가 근이면 1-'2 도 근이다.
나머지 한 근을 a라 하면 삼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빈출 유형 마무리 본문 43쪽

a+(1+'2 )+(1-'2 )=4 yy ㉠


01 ④ 02 ② 03 ① 04 ③ 05 ③ 06 ④
a(1+'2 )+(1+'2 )(1-'2 )+a(1-'2 )=a yy ㉡
07 ④ 08 ⑤
a(1+'2 )(1-'2 )=-b yy ㉢
㉠에서 a+2=4   ∴ a=2
㉡에서 2(1+'2 )+(1+'2 )(1-'2 )+2(1-'2 )=a이므로 01
a=3 f(x)=xÜ`-(4+a)x+2a라 하면
㉢에서 2(1+'2 )(1-'2 )=-b이므로 b=2 f(2)=2Ü`-(4+a)_2+2a=0
∴ a+b=3+2=5 ②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f(x)를 인수분해하면
2 1 0 -(4+a) 2a
03-2 2 4 -2a
조건 ㈎에서 삼차식  f(x)가 x-2로 나누어떨어지므로
1 2 -a 0
f(2)=0
즉, 삼차방정식  f(x)=0의 한 근은 2이다. ∴ f(x)=(x-2)(xÛ`+2x-a)
또한 조건 ㈏에서 삼차방정식  f(x)=0의 계수가 실수이므로 i가 삼차방정식  f(x)=0이 중근을 가지려면

26 정답과 풀이

해설.indb 26 17. 7. 3. 오후 4:44


531 Project Speedy

Ú 이차방정식 xÛ`+2x-a=0이 x=2를 근으로 갖는 경우 Ú, Û에서 a는 이차방정식 xÛ`+6x+1=0의 한 실근이므로


4+4-a=0   ∴ a=8 aÛ`+6a+1=0
Û 이차방정식 xÛ`+2x-a=0이 중근을 갖는 경우 1
양변을 a`(a+0)로 나누면 a+6+ =0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a
1
D
=1Û`-1_(-a)=0   ∴ a=-1 ∴ a+ =-6 ①
4 a
Ú, Û에서 모든 실수 a의 값의 합은
8+(-1)=7 ④ 04
f(x)=xÜ`-ax-a+1이라 하면
02 f(-1)=-1+a-a+1=0
(x-1)(x+2)(x-3)(x+4)-144=0에서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f(x)를 인수분해하면
{(x-1)(x+2)}{(x-3)(x+4)}-144=0
-1 1 0 -a -a+1
(xÛ`+x-2)(xÛ`+x-12)-144=0
xÛ`+x=t로 놓으면 위의 방정식은 -1 1 a-1
(t-2)(t-12)-144=0 1 -1 -a+1 0
tÛ`-14t-120=0, (t+6)(t-20)=0 ∴ f(x)=(x+1)(xÛ`-x-a+1)
∴ t=-6 또는 t=20 이때, 방정식  f(x)=0의 근이 모두 실수가 되려면 이차방정식
Ú ‌t=-6일 때  xÛ`-x-a+1=0이 실근을 가져야 한다.
xÛ`+x+6=0이므로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D=1Û`-4_1_6=-23<0  D=(-1)Û`-4(-a+1)¾0
즉, 이차방정식 xÛ`+x+6=0은 서로 다른 두 허근을 갖는다. 3
4a-3¾0   ∴ a¾
Û ‌t=20일 때  4
xÛ`+x-20=0이므로 (x+5)(x-4)=0  3
따라서 실수 a의 최솟값은 이다. ③
4
∴ x=-5 또는 x=4
Ú, Û에서 주어진 방정식의 모든 실근의 합은
-5+4=-1 ② 05
xÜ`-1=0에서 (x-1)(xÛ`+x+1)=0이므로 x는 xÛ`+x+1=0
03 의 한 허근이고, x의 켤레복소수인 x도 ® xÛ`+x+1=0의 허근이다.
x+0이므로 사차방정식 xÝ`+5xÜ`-4xÛ`+5x+1=0의 양변을 xÛ` 즉, xÛ`+x+1=0, x® Û`+x+1=0
®
으로 나누면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5 1 x+x=-1,
® x x=1
®
xÛ`+5x-4+ + =0
x xÛ` x(x-1)+x(x-1)
x® x
1 1 ∴ + = ® ®
{xÛ`+ }+5{x+ }-4=0 x-1 x-1
® (x-1)(x®-1)
xÛ` x
x Û`-x®+xÛ`-x
1 1 = ®
∴ {x+ }Û`+5{x+ }-6=0 (x-1)(x-1)
®
x x
1 -x-1-x
® -x-1-x
®
이때, x+ =t로 놓으면 tÛ`+5t-6=0에서 =
x (x-1)(x-1)
®
(t+6)(t-1)=0   ∴ t=-6 또는 t=1 -2(x+x)-2
®
=
Ú t=-6일 때 xx-(x+x
® )+1
®
1 -2_(-1)-2
x+ =-6에서 xÛ`+6x+1=0 = =0 ③
x 1-(-1)+1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Á이라 하면

4
=3Û`-1_1=8>0 06
즉, 이차방정식 xÛ`+6x+1=0은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갖는다. 사차방정식 xÝ`+axÜ`+bxÛ`-16x-12=0의 두 근이 -1, 2이므
Û t=1일 때 로 x=-1과 x=2를 주어진 방정식에 각각 대입하면
1 1-a+b+16-12=0에서 a-b=5 yy ㉠
x+ =1에서 xÛ`-x+1=0
x 16+8a+4b-32-12=0에서 2a+b=7 yy ㉡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ª라 하면 ㉠, ㉡을 연립하여 풀면 a=4, b=-1
Dª=(-1)Û`-4_1_1=-3<0 따라서 주어진 사차방정식은 xÝ`+4xÜ`-xÛ`-16x-12=0이고, 이
즉, 이차방정식 xÛ`-x+1=0은 서로 다른 두 허근을 갖는다. 방정식의 두 근이 -1, 2이므로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인수분해하면

Ⅱ. 방정식과 부등식 27

해설.indb 27 17. 7. 3. 오후 4:44


-1 1 4 -1 -16 -12 Ⅱ. 방정식과 부등식
-1 -3 4 12

2 1 3 -4 -12 0 05 | 연립방정식
2 10 12
내신&수능 빈출 유형 본문 45~46쪽
1 5 6 0

(x+1)(x-2)(xÛ`+5x+6)=0 유형 01
(x-2)(x+1)(x+2)(x+3)=0 2x+y=3에서y=3-2x yy㉠
∴x=2또는x=-1또는x=-2또는x=-3 ㉠을xÛ`+2yÛ`=3에대입하면
따라서구하는다른두근이-2,-3이므로그합은 xÛ`+2(3-2x)Û`=3
(-2)+(-3)=-5 ④ 9xÛ`-24x+15=0,3xÛ`-8x+5=0
5
(x-1)(3x-5)=0  ∴x=1또는x=
3
x=1을㉠에대입하면y=1
07
5 1
f(x)=xÝ`+3xÜ`+3xÛ`-x-6이라하면f(1)=0,f(-2)=0이 x= 를㉠에대입하면y=-
3 3
므로조립제법을이용하여f(x)를인수분해하면 5 1
x>y이므로x= ,y=-
1 1 3 3 -1 -6 3 3
5 1
1 4 7 6 ∴x-y= -{- }=2 ①
3 3
-2 1 4 7 6 0
-2 -4 -6

1 2 3 0 01-1
x-y=1에서y=x-1 yy㉠
∴f(x)=(x-1)(x+2)(xÛ`+2x+3) ㉠을xÛ`+3xy+yÛ`=11에대입하면
이때,방정식f(x)=0이두허근a,b를가지므로a,b는이차방 xÛ`+3x(x-1)+(x-1)Û`=11
정식xÛ`+2x+3=0의두허근이다. 5xÛ`-5x-10=0,xÛ`-x-2=0
근과계수의관계에의하여a+b=-2,ab=3이므로 (x+1)(x-2)=0  ∴x=-1또는x=2
aÛ`+bÛ`=(a+b)Û`-2ab x=-1을㉠에대입하면y=-2
=(-2)Û`-2_3 x=2를㉠에대입하면y=1
=4-6=-2 ④ x>0,y>0이므로x=2,y=1
∴xy=2_1=2 ②

08
xÛ`+x=t로놓으면주어진방정식은
(t-1)(t+3)-5=0에서tÛ`+2t-8=0
유형 02
xÛ`+xy-2yÛ`=0의좌변을인수분해하면(x+2y)(x-y)=0
(t-2)(t+4)=0  ∴t=2또는t=-4
∴x=-2y또는x=y
Út=2일때
Úx=-2y를2xÛ`+4xy+yÛ`=9에대입하면
xÛ`+x-2=0이므로이이차방정식의판별식을DÁ이라하면
8yÛ`-8yÛ`+yÛ`=9,yÛ`=9
DÁ=1Û`-4_(-2)=9>0
 ∴y=Ñ3
즉,이차방정식xÛ`+x-2=0은서로다른두실근을갖는다.
 ∴x=Ð6,y=Ñ3(복부호동순)
Ût=-4일때
Ûx=y를2xÛ`+4xy+yÛ`=9에대입하면
xÛ`+x+4=0이므로이이차방정식의판별식을Dª라하면
2xÛ`+4xÛ`+xÛ`=9,7xÛ`=9
Dª=1Û`-4_4=-15<0
3'7
즉,이차방정식xÛ`+x+4=0은서로다른두허근을갖는다. ∴x=Ñ
7
Ú,Û에서a,b는이차방정식xÛ`+x+4=0의서로다른두허근 3'7 3'7
∴x=Ñ ,y=Ñ (복부호동순)
이다. 7 7
근과계수의관계에의하여ab=4이고a=b®,b=a®이므로 Ú,Û에서x,y는정수이므로
aa®+bb®=ab+ab=2ab x=Ð6,y=Ñ3(복부호동순)
=2_4=8 ⑤ ∴|x|+|y|=6+3=9 ⑤

28 정답과 풀이

해설.indb 28 17. 7. 3. 오후 4:44


531 Project Speedy

02-1 03-1
xÛ`+yÛ`+2xy+x+y=0의 좌변을 인수분해하면 2xÛ`-4x-4xy+4yÛ`+4
xÛ`+(2y+1)x+y(y+1)=0 =(xÛ`-4xy+4yÛ`)+(xÛ`-4x+4)
(x+y)(x+y+1)=0 =(x-2y)Û`+(x-2)Û`=0
∴ x=-y 또는 x=-y-1 x, y가 실수이므로 x-2y, x-2도 실수이다.
Ú y=-x를 xÛ`+yÛ`-3x-7=0에 대입하면 따라서 x-2y=0, x-2=0이므로
2xÛ`-3x-7=0 x=2, y=1
3Ñ'¶65 ∴ x+y=2+1=3 ②
∴ x=
4
3Ñ'¶65 -3Ð'¶65 03-2
∴ x= , y= (복부호동순)
4 4
xÛ`+xy-2yÛ`+x-4y=3에서
Û y=-x-1을 xÛ`+yÛ`-3x-7=0에 대입하면
xÛ`+(y+1)x-2yÛ`-4y-2=1, xÛ`+(y+1)x-2(y+1)Û`=1
2xÛ`-x-6=0, (x-2)(2x+3)=0
(x+2y+2)(x-y-1)=1
3
∴ x=2 또는 x=- x, y가 정수이므로 x+2y+2, x-y-1도 정수이다.
2
∴ x-y-1=1, x+2y+2=1
3 1
∴ x=2, y=-3 또는 x=- , y= 또는 x-y-1=-1, x+2y+2=-1
2 2
Ú, Û에서 x, y는 정수이므로 x=2, y=-3 Ú ‌x-y-1=1, x+2y+2=1일 때
∴ xy=2_(-3)=-6 ③ x-y=2, x+2y=-1
위의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x=1, y=-1
02-2 Û ‌x-y-1=-1, x+2y+2=-1일 때
3xÛ`-10xy-yÛ`=4 yy ㉠
[ x-y=0, x+2y=-3
xÛ`-4xy+yÛ`=2 yy ㉡ 위의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2_㉡을 하면 x=-1, y=-1
xÛ`-2xy-3yÛ`=0 Ú, Û에서 x, y는 서로 다른 두 정수이므로 x=1, y=-1
(x+y)(x-3y)=0   ∴ x=-y 또는 x=3y ∴ xÛ`+yÛ`=1Û`+(-1)Û`=2 ②
Ú ‌x=-y를 ㉡에 대입하면 
yÛ`+4yÛ`+yÛ`=2, 3yÛ`=1  유형 04
'3 두 이차방정식의 공통근을 a라 하면
∴ y=Ñ 
3
aÛ`+ka-2k=0 yy ㉠
'3 '3
∴ x=Ð , y=Ñ (복부호동순) aÛ`+(k+1)a-k+1=0 yy ㉡
3 3
㉠-㉡을 하면 -a-k-1=0
Û ‌x=3y를 ㉡에 대입하면 
∴ k=-a-1 yy ㉢
9yÛ`-12yÛ`+yÛ`=2, yÛ`=-1 
㉢을 ㉠에 대입하면
∴ y=Ñi 
aÛ`+(-a-1)a-2(-a-1)=0   ∴ a=-2
∴ x=Ñ3i, y=Ñi (복부호동순)
a=-2를 ㉢에 대입하면 k=1 ④
Ú, Û에서 x, y는 실수이므로
1 1 2
xÛ`+yÛ`= + =  ① 04-1
3 3 3
두 이차방정식의 공통근을 a라 하면
aÛ`+(k+1)a-2k-1=0 yy ㉠
유형 03 aÛ`+(2k-1)a-k-5=0 yy ㉡
2xy-x+2y=7에서 2xy-x+2y-1=6 ㉠-㉡을 하면
∴ (x+1)(2y-1)=6 -ka+2a-k+4=0, ka-2a+k-4=0
즉, x, y가 정수이므로 x+1, 2y-1은 6의 약수이다. ∴ (k-2)(a+1)=2
2y-1 -3 -1 1 3 이때, k, a가 정수이므로 k-2, a+1은 정수이다.
x+1 -2 -6 6 2 k-2 1 2 -1 -2
이므로 x, y의 순서쌍 (x, y)는 a+1 2 1 -2 -1
(-3, -1), (-7, 0), (5, 1), (1, 2) ∴ k=3 또는 k=4 또는 k=1 또는 k=0
따라서 xÛ`+yÛ` 의 최솟값은 x=1, y=2일 때 따라서 구하는 정수 k의 값의 합은
xÛ`+yÛ`=1Û`+2Û`=5 5 3+4+1+0=8 ③

Ⅱ. 방정식과 부등식 29

해설.indb 29 17. 7. 7. 오후 5:12


빈출 유형 마무리 본문 47쪽 Û ‌x=y를 ㉠에 대입하면 
yÛ`+yÛ`+4yÛ`+4y=2 
01 ④ 02 ② 03 ① 04 29 05 ③ 06 ④ 3yÛ`+2y-1=0, (3y-1)(y+1)=0 
07 7 08 ① 1
∴ y= 또는 y=-1 
3
1 1
01 ∴ x= , y= 또는 x=-1, y=-1
3 3
2xÛ`+3yÛ`+7xy+3x+4y+1=0의 좌변을 x에 대하여 내림차순 Ú, Û에서 xÛ`+yÛ`의 최댓값은 x=-3, y=1일 때
으로 정리하면 xÛ`+yÛ`=(-3)Û`+1Û`=10 ①
2xÛ`+(7y+3)x+3yÛ`+4y+1=0
2xÛ`+(7y+3)x+(y+1)(3y+1)=0
(2x+y+1)(x+3y+1)=0 04
∴ 2x+y+1=0 또는 x+3y+1=0 주어진 방정식의 좌변을 x에 대한 내림차순으로 정리하면
따라서 주어진 연립방정식이 무수히 많은 해를 갖기 위해서는 xÛ`+2(y+3)x+2yÛ`+2y+13=0 yy ㉠
x+ay+b=0 x+ay+b=0 x는 실수이므로 방정식 ㉠의 판별식을 D라 하면 D¾0이어야 한
[ 또는 [ 이 무수히 많은 해를 가져야
2x+y+1=0 x+3y+1=0 다. 즉,
하므로 D
‌=(y+3)Û`-(2yÛ`+2y+13)¾0
1 a b 1 a b 4
= = 또는 = = -yÛ`+4y-4¾0
2 1 1 1 3 1
1 1 -(y-2)Û`¾0
∴ a= , b= 또는 a=3, b=1
2 2 (y-2)Û`É0
1 1 13 y는 실수이므로 y=2
∴ aÁbÁ+aªbª= _ +3_1=  ④
2 2 4
y=2를 방정식 ㉠에 대입하면
xÛ`+10x+25=0, (x+5)Û`=0
02 ∴ x=-5
xÛ`+2yÛ`+x+y=0 yy ㉠ ∴ xÛ`+yÛ`=(-5)Û`+2Û`=29  29
[
2xÛ`+4yÛ`-x-y-3=0 yy ㉡
㉠_2-㉡을 하면 3x+3y+3=0
∴ x=-y-1 yy ㉢ 05
㉢을 ㉠에 대입하면 x★y=x+2y+xy이므로
(-y-1)Û`+2yÛ`+(-y-1)+y=0 (x★y)★x‌=(x+2y+xy)★x 
3yÛ`+2y=0, y(3y+2)=0 =x+2y+xy+2x+xÛ`+2xy+xÛ`y 
2 =(y+1)xÛ`+3(y+1)x+2y
∴ y=- (∵ y+0) ∴ (y+1)xÛ`+3(y+1)x+2y=0 yy ㉠
3
2 ㉠의 양변에 2를 더하면
y=- 를 ㉢에 대입하면
3 (y+1)xÛ`+3(y+1)x+2y+2=2
2 1 (y+1)(xÛ`+3x+2)=2
x= -1=-
3 3
x, y는 정수이므로
1 2 2
∴ xy={- }_{- }=  ② xÛ`+3x+2=1 xÛ`+3x+2=2
3 3 9 [ 또는 [
y+1=2 y+1=1
xÛ`+3x+2=-1 xÛ`+3x+2=-2
03 또는 [ 또는 [
y+1=-2 y+1=-1
xÛ`+yÛ`+4xy+4y=2 yy ㉠
[ ( -3Ñ'5
x= x=0 x=-3
xÛ`+3yÛ`+5xy+6y=3 yy ㉡ 즉, { 2 또는 [ 또는 [
9 y=1
3_㉠-2_㉡을 하면 y=0 y=0
xÛ`-3yÛ`+2xy=0, (x+3y)(x-y)=0
( -3Ñ'3 i ( -3Ñ'7 i
x= x=
∴ x=-3y 또는 x=y 또는 { 2 또는 { 2
Ú ‌x=-3y를 ㉠에 대입하면  9 y=-3 9 y=-2
9yÛ`+yÛ`-12yÛ`+4y=2  이때, x가 정수이므로
yÛ`-2y+1=0, (y-1)Û`=0  x=0 x=-3
[ 또는 [
∴ x=-3, y=1 y=0 y=0

30 정답과 풀이

해설.indb 30 17. 7. 3. 오후 4:44


531 Project Speedy

x=-3 Ú m=1을 ㉠에 대입하면 xÛ`+2x+1=0


또한 z+0이므로 [
y=0 (x+1)Û`=0   ∴ x=-1 (중근)
따라서 z=-3+0i=-3, z®=-3Ó=-3이므로 Û m=5를 ㉠에 대입하면 xÛ`+6x+9=0
zz®=(-3)_(-3)=9 ③ (x+3)Û`=0   ∴ x=-3 (중근)
Ú, Û에서 두 근이 모두 정수가 되므로 정수 m의 값의 합은
1+5=6 ①
06
주어진 두 연립방정식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해는 연립방정식
x-2y=2
[ 의 해이다.
xÛ`+2yÛ`=18
x-2y=2에서 x=2y+2 yy ㉠
㉠을 xÛ`+2yÛ`=18에 대입하면
(2y+2)Û`+2yÛ`=18, 6yÛ`+8y-14=0
3yÛ`+4y-7=0, (3y+7)(y-1)=0
∴ y=1 (∵ y는 정수)
y=1을 ㉠에 대입하면 x=4
x=4, y=1을 axÛ`+byÛ`=10, ax+by=-2에 각각 대입하면
16a+b=10, 4a+b=-2
위의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a=1, b=-6
∴ a-b=1-(-6)=7 ④

07
2x-y=5에서 y=2x-5 yy ㉠
㉠을 xÛ`-2y=k에 대입하면
xÛ`-2(2x-5)=k   ∴ xÛ`-4x+10-k=0
주어진 연립방정식이 오직 한 쌍의 해를 가지려면 이 이차방정식
이 중근을 가져야 하므로 판별식을 D라 하면 D=0이어야 한다.
D
즉, =(-2)Û`-(10-k)=0
4
-6+k=0   ∴ k=6
xÛ`-4x+4=0에서 (x-2)Û`=0   ∴ x=2
x=2를 ㉠에 대입하면 y=2_2-5=-1
따라서 a=2, b=-1이므로
a+b+k=2+(-1)+6=7 7

08
xÛ`+(m+1)x+2m-1=0 yy ㉠
㉠의 판별식을 D라 하면
D=(m+1)Û`-4(2m-1)=mÛ`-6m+5
이고 ㉠의 근은
-(m+1)Ñ'¶D
x=
2
두 근이 모두 정수가 되기 위해서는 D가 어떤 정수의 제곱이거나
0이어야 한다.
그런데 D=mÛ`-6m+5는 어떤 정수의 제곱이 아니므로 D=0
이어야 한다.
즉, mÛ`-6m+5=0이므로 (m-1)(m-5)=0
∴ m=1 또는 m=5

Ⅱ. 방정식과 부등식 31

해설.indb 31 17. 7. 3. 오후 4:44


02-2
Ⅱ. 방정식과 부등식
2(x-1)>x-5에서2x-2>x-5

06 | 연립일차부등식 ∴x>-3
3x-2<2x-a에서
yy㉠

x<-a+2 yy㉡
내신&수능 빈출 유형 본문 49~50쪽 주어진연립부등식이해를갖도록㉠,㉡을 ㉠ 

수직선위에나타내면오른쪽그림과같다.
x
유형 01 즉,-a+2>-3이어야하므로
-3 -a+2

2x+3>a에서2x>a-3
a<5 ③
a-3
∴x>
2
이부등식의해가x>-3이므로 유형 03
a-3
=-3  ∴a=-3 |x+1|É2x+5에서
2
Úx
 ¾-1일때
a=-3을ax+2<5에대입하면
x+1É2x+5,-xÉ4
-3x+2<5,-3x<3 ∴x¾-4
∴x>-1 ②
그런데x¾-1이므로x¾-1
Ûx
 <-1일때
01-1
-x-1É2x+5,-3xÉ6
ax+3>2x+1에서
∴x¾-2
(a-2)x>-2 yy㉠
그런데x<-1이므로-2Éx<-1
이부등식의해가x<2이므로
Ú,Û에서주어진부등식의해는
-2
a-2<0이고 =2 x¾-2 ②
a-2
∴a=1
a=1을3x-a<ax+5에대입하면 03-1
3x-1<x+5,2x<6 |x-a|<3에서-3<x-a<3이므로
∴x<3 -3+a<x<3+a
따라서구하는자연수x의개수는1,2의2이다. ② 3+a=6이므로a=3
-3+a=b이므로b=0
유형 02 ∴a+b=3+0=3 ④
2x-1<3x-1
2x-1<3x-1<7-x에서[ 이므로
3x-1<7-x
2x-1<3x-1에서x>0 yy㉠ 03-2
3x-1<7-x에서4x<8  ∴x<2 yy㉡ 1<|x-2|É4에서
㉠,㉡에서주어진부등식을만족시키는x의 ㉠  Úx
 ¾2일때,

값의범위는0<x<2 1<x-2É4  ∴3<xÉ6
0 2 x
Ûx
 <2일때
 ②
1<-x+2É4,-1<-xÉ2
∴-2Éx<1
02-1
2(x+3)>3-x에서2x+6>3-x Ú,Û에서주어진부등식의해는-2Éx<1또는3<xÉ6이므로
3x>-3  ∴x>-1 yy㉠ 구하는정수x의개수는-2,-1,0,4,5,6의6이다.
ax+1>a-3에서ax>a-4  ③

이때,주어진연립부등식의해가b<x<3이므로
a-4 04
a<0이고x<  yy㉡ 유형
a
A가승리한횟수를x라하면B가승리한횟수는(8-x)이므로
a-4
㉠,㉡에서주어진연립부등식의해가-1<x<
a
이므로 A가얻은점수는2x+(8-x)이고,B가얻은점수는
a-4 x+2(8-x)이다.
b=-1, =3
a 이때,두사람이얻은점수가모두14점이하이므로
∴a=-2,b=-1 2x+(8-x)É14
[
∴a+b=-2+(-1)=-3 ② x+2(8-x)É14

32 정답과 풀이

해설.indb 32 17. 7. 3. 오후 4:44


531 Project Speedy

2x+(8-x)É14에서 xÉ6 yy ㉠ 02
x+2(8-x)É14에서 -xÉ-2 aÛ`x-2a>ax+b에서
∴ x¾2 yy ㉡ (aÛ`-a)x>2a+b
㉠, ㉡에서 2ÉxÉ6이므로 M=6, m=2 이 부등식이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성립하므로
∴ M+m=6+2=8  ④ aÛ`-a=0, 2a+b<0
aÛ`-a=0에서 a(a-1)=0
04-1 ∴ a=1 (∵ a>0)
그릇 A에 담긴 소금물의 농도는 a=1을 2a+b<0에 대입하면
x 25 2+b<0   ∴ b<-2
100_ +200_
100 100 x+50
_100= 따라서 정수 b의 최댓값은 -3이므로 a+b의 최댓값은
100+200 3
그릇 B에 담긴 소금물의 농도는 1+(-3)=-2 ②

x 25
300_ +100_
100 100 3x+25
_100=
300+100 4
03
두 그릇 A, B에 담긴 소금물의 농도가 각각 23`% 이하, 19`% 이
x+7
상이므로 -x< É10에서
6
3x+25
( -x< x+7
x+50
É23, ¾19
3 4 6
x+50 {
É23에서 x+50É69 x+7
3 9 6 É10
∴ xÉ19 yy ㉠ x+7
3x+25 -x< 에서 -6x<x+7
¾19에서 3x+25¾76, 3x¾51 6
4 -7x<7   ∴ x>-1 yy ㉠
∴ x¾17 yy ㉡ x+7
㉠, ㉡에서 x의 값의 범위는 17ÉxÉ19 É10에서 x+7É60
③ 6
∴ xÉ53 yy ㉡
㉠, ㉡에서 주어진 부등식의 해는 ㉠

-1<xÉ53 -1 53 x
따라서 정수 x의 최댓값은 53, 최솟값은 0이므로
M=53, m=0
∴ M+m=53+0=53 ⑤

빈출 유형 마무리 본문 51쪽

01 ④ 02 ② 03 ⑤ 04 ⑤ 05 ① 06 6 04
07 ③ 08 ③ 2x+8>a-2(x-1)에서 2x+8>a-2x+2
a-6
4x>a-6   ∴ x>  yy ㉠
4
01 b+x>b(x-1)에서 (1-b)x>-2b
부등식 (a+2b)x<b-a의 해가 x<1이므로 그런데 b>1에서 1-b<0이므로
b-a 2b
a+2b>0이고 =1 x<-  yy ㉡
a+2b 1-b
b-a a-6 2b
=1에서 b-a=a+2b이므로 ㉠, ㉡에서 주어진 연립부등식의 해는 <x<- 이고,
a+2b 4 1-b
b=-2a yy ㉠ 이는 1<x<3과 같으므로
㉠을 a+2b>0에 대입하면 a-6 2b
=1, - =3
4 1-b
a+2_(-2a)>0, -3a>0
a-6
∴ a<0 =1에서 a-6=4   ∴ a=10
4
㉠을 (3a+b)x>5a-2b에 대입하면 2b
- =3에서 -2b=3(1-b)
(3a-2a)x>5a-2_(-2a), ax>9a 1-b
이때, a<0이므로 x<9 -2b=3-3b   ∴ b=3
따라서 구하는 자연수 x의 최댓값은 8이다. ④ ∴ a+b=10+3=13 ⑤

Ⅱ. 방정식과 부등식 33

해설.indb 33 17. 7. 7. 오후 5:12


05 Û 0Éx<2일 때
2(x+1)>3-a에서 2x+2>3-a x+(-x+2)<5
1-a 2<5이므로 해는 모든 실수이다.
2x>1-a   ∴ x>     yy ㉠
2 그런데 0Éx<2이므로 0Éx<2
x+1>ax-5에서 (1-a)x>-6 Ü x¾2일 때
그런데 a>1에서 1-a<0이므로 x+(x-2)<5, 2x<7
6 7
x<     yy ㉡ ∴ x<
a-1 2
1-a 6 7
㉠, ㉡에서 주어진 연립부등식의 해는 <x< 이고, 이 그런데 x¾2이므로 2Éx<
2 a-1 2
는 a<x<b와 같으므로 3 7
Ú∼Ü에서 - <x<  ③
1-a 6 2 2
=a, =b
2 a-1
6 08
이때, a-1>0이고 b= 이 정수이므로 a-1은 6의 양의 약
a-1
도시 A에서 휴게소 B까지의 거리가 x km이므로 휴게소 B에서
수이어야 한다.
도시 C까지의 거리는 (400-x) km이다.
즉, a-1=1, a-1=2, a-1=3, a-1=6
총 소요 시간이 6시간 이하이므로
∴ a=2, 3, 4, 7
x 400-x
1-a + É6에서 4x+3(400-x)É1440
a의 값들 중에서 a= 가 정수가 되는 a는 60 80
2
4x+1200-3xÉ1440
a=3 또는 a=7
∴ xÉ240 yy ㉠
Ú a=3을 ㉠, ㉡에 대입하면 각각 x>-1, x<3이므로
총 소모된 연료의 양이 50 L 이하이므로
-1<x<3
0.1x+0.15(400-x)É50에서
∴ a+b=(-1)+3=2
10x+6000-15xÉ5000
Û a=7을 ㉠, ㉡에 대입하면 각각 x>-3, x<1이므로
-5xÉ-1000
-3<x<1
∴ x¾200  yy ㉡
∴ a+b=(-3)+1=-2
㉠, ㉡에서 200ÉxÉ240 ③
Ú, Û에서 a+b의 최댓값은 2이다. ①

06
4x+a<3a에서 4x<2a
a
∴ x<  yy ㉠
2
3(2x+1)¾5x+6에서 6x+3¾5x+6
∴ x¾3 yy ㉡
주어진 연립부등식이 해를 갖지 않도록 ㉠, ㉠ ㉡

㉡을 수직선 위에 나타내면 오른쪽 그림과 a 3 x


같다. 2

a
즉, É3이므로
2
aÉ6
따라서 정수 a의 최댓값은 6이다. 6

07
|x|+|x-2|<5에서
Ú x<0일 때
(-x)+(-x+2)<5, -2x<3
3
∴ x>-
2
3
그런데 x<0이므로 - <x<0
2

34 정답과 풀이

해설.indb 34 17. 7. 3. 오후 4:44


531 Project Speedy

따라서정수x는1,2이므로그합은
Ⅱ. 방정식과 부등식
1+2=3 ⑤

07 | 이차부등식
유형 03
이차방정식xÛ`+4kx+kÛ`+6=0의판별식을D라하면D<0이
내신&수능 빈출 유형 본문 53~56쪽 어야하므로
D
=(2k)Û`-(kÛ`+6)<0
유형 01 4
2 4kÛ`-kÛ`-6<0
이차부등식axÛ`+2x-b<0의해가-1<x< 이므로a>0
3
3kÛ`-6<0
2
해가-1<x< 이고xÛ`의계수가1인이차부등식은 3kÛ`<6,kÛ`<2
3
∴-'2<k<'2
2 1 2
(x+1){x- }<0,즉xÛ`+ x- <0
3 3 3 따라서정수k는-1,0,1의3개이다. ③
a 2
양변에a를곱하면axÛ`+ x- a<0
3 3 03-1
이부등식이axÛ`+2x-b<0과같으므로 주어진이차부등식의해가존재하지않으려면모든실수x에대하
a 2 여부등식xÛ`+(a+1)x+aÛ`+2a-2¾0이성립해야한다.
=2, a=b
3 3
이차방정식xÛ`+(a+1)x+aÛ`+2a-2=0의판별식을D라하면
따라서a=6,b=4이므로
DÉ0이어야하므로
ab=6_4=24 ⑤
D=(a+1)Û`-4(aÛ`+2a-2)É0
aÛ`+2a+1-4aÛ`-8a+8É0
01-1 -3aÛ`-6a+9É0,-3(aÛ`+2a-3)É0
이차부등식axÛ`+bx+c>0의해가x<-2또는x>3이므로a>0 -3(a+3)(a-1)É0,(a+3)(a-1)¾0
해가x<-2또는x>3이고xÛ`의계수가1인이차부등식은 ∴aÉ-3또는a¾1
(x+2)(x-3)>0,즉xÛ`-x-6>0 따라서자연수a의최솟값은1이다. ①
양변에a를곱하면axÛ`-ax-6a>0
이부등식이axÛ`+bx+c>0과같으므로 유형 04
b=-a,c=-6a 모든실수x에대하여이차부등식xÛ`+3x+k>kx+3이성립해
이것을cxÛ`+bx+a<0에대입하면 야한다.
-6axÛ`-ax+a<0 즉,xÛ`+(3-k)x+k-3>0이어야하므로이차방정식
6xÛ`+x-1>0,(2x+1)(3x-1)>0 xÛ`+(3-k)x+k-3=0의판별식을D라하면D<0이어야한다.
1 1 1 1 D=(3-k)Û`-4(k-3)<0
∴x<- 또는x>   x<- 또는 x>
2 3 2 3
9-6k+kÛ`-4k+12<0
kÛ`-10k+21<0
유형 02 (k-3)(k-7)<0
이차부등식f(x)<0의해가2<x<8이므로 ∴3<k<7
f(x)=a(x-2)(x-8)`(a>0)이라하면 따라서정수k는4,5,6이므로그합은
f(3x-1)=a(3x-1-2)(3x-1-8)
4+5+6=15 ③
=9a(x-1)(x-3)
이때,f(3x-1)<0에서9a(x-1)(x-3)<0
04-1
∴1<x<3`(∵a>0)
모든실수x에대하여이차부등식xÛ`+ax+b>-xÛ`+bx+a가
따라서부등식을만족시키는정수x는2의1개이다. ①
성립해야한다.
즉,2xÛ`+(a-b)x+b-a>0이어야하므로이차방정식
02-1 2xÛ`+(a-b)x+b-a=0의판별식을D라하면D<0이어야한다.
이차부등식f(x)<0의해가3<x<5이므로 D=(a-b)Û`-8(b-a)<0
f(x)=a(x-3)(x-5)`(a>0)라하면 (a-b)Û`+8(a-b)<0
f(2x+1)=a(2x+1-3)(2x+1-5) (a-b)(a-b+8)<0
=4a(x-1)(x-2) -8<a-b<0
이때,f(2x+1)É0에서4a(x-1)(x-2)É0 -8-a<-b<-a
∴1ÉxÉ2`(∵a>0) ∴a<b<a+8 ⑤

Ⅱ. 방정식과 부등식 35

해설.indb 35 17. 7. 3. 오후 4:44


04-2 어야 한다.
-2<x<3에서 이차부등식 xÛ`-x+2<x+k가 항상 성립해야 D
‌=aÛ`-2(aÛ`-8)<0
한다. 4
즉, xÛ`-2x+2-k<0이어야 한다. aÛ`-2aÛ`+16<0, -aÛ`+16<0
f(x)=xÛ`-2x+2-k라 하면  f(-2)É0,  f(3)É0 aÛ`-16>0, (a+4)(a-4)>0
f(-2)=10-kÉ0 ∴ a<-4 또는 a>4
∴ k¾10 yy ㉠ 따라서 구하는 자연수 a의 최솟값은 5이다. ③

f(3)=5-kÉ0
∴ k¾5 yy ㉡ 06-1
㉠, ㉡에서 k¾10이므로 실수 k의 최솟값은 10이다. ⑤ 이차방정식 xÛ`+ax+a+3=0의 판별식을 DÁ이라 하면 DÁ<0
이어야 하므로
DÁ‌=aÛ`-4(a+3)<0
유형 05
xÛ`-5x+4É0에서 (x-1)(x-4)É0 aÛ`-4a-12<0
∴ 1ÉxÉ4 yy ㉠ (a+2)(a-6)<0
2xÛ`-3x-2¾0에서 (2x+1)(x-2)¾0 ∴ -2<a<6 yy ㉠
1 이차방정식 xÛ`+2ax+5a=0의 판별식을 Dª이라 하면 Dª¾0이
∴ xÉ- 또는 x¾2 yy ㉡
2 어야 하므로
㉠, ㉡에서 연립부등식의 해는 ㉠ Dª
㉡ ㉡ =aÛ`-5a¾0
2ÉxÉ4 4
1 1 2 4 x
- a(a-5)¾0
따라서 정수 x는 2, 3, 4이므로 그 합은 2

2+3+4=9 ⑤ ∴ aÉ0 또는 a¾5 yy ㉡


㉠, ㉡에서 ㉡ ㉡

-2<aÉ0 또는 5Éa<6
05-1 -2 0 5 6 x
이므로 자연수 a는 5의 1개이다.
-xÛ`+x+2<xÛ`+1<2x+16에서
 ①
-xÛ`+x+2<xÛ`+1
[
xÛ`+1<2x+16
-xÛ`+x+2<xÛ`+1에서 2xÛ`-x-1>0 유형 07
(2x+1)(x-1)>0 이차방정식 xÛ`+2ax+aÛ`-9=0의 판별식을 D, 두 근을 a, b라
1 하면 두 근이 모두 양수이므로 D¾0, a+b>0, ab>0이다.
∴ x<- 또는 x>1 yy ㉠
2 D
Ú =aÛ`-(aÛ`-9)=9¾0
xÛ`+1<2x+16에서 xÛ`-2x-15<0 4
(x+3)(x-5)<0 Û ‌a+b=-2a>0 
∴ -3<x<5 yy ㉡ ∴ a<0 yy ㉠
㉠, ㉡에서 주어진 부등식의 해는 ㉡ Ü ‌ab=aÛ`-9=(a+3)(a-3)>0 
㉠ ㉠
1 ∴ a<-3 또는 a>3 yy ㉡
-3<x<- 또는 1<x<5 -3 1 1 5 x
2 -
2 ㉠, ㉡에서 a<-3
따라서 정수 x는 -2, -1, 2, 3, 4의 5개이다. ③ 따라서 정수 a의 최댓값은 -4이다. ④

05-2 07-1
xÛ`-7x+6<0에서 (x-1)(x-6)<0 xÛ`+2ax+aÛ`-7=6x+6a에서
∴ 1<x<6 yy ㉠ xÛ`+2(a-3)x+aÛ`-6a-7=0
xÛ`-(3+a)x+3aÉ0에서 a<0<b에서 ab<0
(x-a)(x-3)É0 yy ㉡ aÛ`<bÛ`에서 |a|<|b|이므로 a+b>0
㉠, ㉡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x의 값의 ㉠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범위가 3Éx<6이기 위해서는 a+b=-2(a-3)>0이므로
1 3 6 a x
a¾6이어야 한다. a-3<0   ∴ a<3 yy ㉠
따라서 정수 a의 최솟값은 6이다. ⑤ ab=aÛ`-6a-7=(a+1)(a-7)<0이므로
-1<a<7 yy ㉡
유형 06 ㉠, ㉡에서 -1<a<3이므로 정수 a는 0, 1, 2이고 그 합은
이차방정식 2xÛ`+2ax+aÛ`-8=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D<0이 0+1+2=3 ③

36 정답과 풀이

해설.indb 36 17. 7. 3. 오후 4:44


531 Project Speedy

유형 08 01
f(x)=xÛ`+2ax-aÛ`+2라 하면 이차방 y=f{x} 이차부등식 axÛ`+bx+c<0의 해가 2<x<5이므로 a>0
정식 f(x)=0의 서로 다른 두 근이 모두 해가 2<x<5이고 xÛ`의 계수가 1인 이차부등식은
1보다 작으므로 이차함수 y=f(x)의 그 (x-2)(x-5)<0, 즉 xÛ`-7x+10<0
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아야 한다. 1 x
양변에 a를 곱하면 axÛ`-7ax+10a<0
Ú ‌ f(x)=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이 부등식이 axÛ`+bx+c<0과 같으므로
D b=-7a, c=10a
=aÛ`-(-aÛ`+2)>0 
4
이것을 cxÛ`-bx+a<0에 대입하면
2aÛ`-2>0, 2(a+1)(a-1)>0 
10axÛ`+7ax+a<0
∴ a<-1 또는 a>1
10xÛ`+7x+1<0, (2x+1)(5x+1)<0
Û ‌ f(1)=1+2a-aÛ`+2>0에서 
1 1
-aÛ`+2a+3>0, (a+1)(a-3)<0  ∴ - <x<-
2 5
∴ -1<a<3 1 1
따라서 a=- , b=- 이므로
Ü ‌ y=f(x)의 그래프의 축 x=-a에 대하여 -a<1  2 5
1 1 1
∴ a>-1 ab=- _{- }=  ②
2 5 10
Ú∼Ü에서 a의 값의 범위는 1<a<3이므로
M=3, m=1
∴ M+m=3+1=4 ④ 02
xÛ`-4É|x-2|에서
08-1 Ú ‌x<2일 때 
f(x)=xÛ`-2ax-aÛ`-7이라 하면  y=f{x} xÛ`-4É-(x-2), xÛ`+x-6É0 
f(x)=0의 두 근 사이에 -2가 있으므로 (x+3)(x-2)É0   ∴ -3ÉxÉ2 
y=f(x)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아 그런데 x<2이므로 -3Éx<2
-2
야 한다. x Û ‌x¾2일 때 
f(-2)=4+4a-aÛ`-7<0에서 xÛ`-4Éx-2, xÛ`-x-2É0 
aÛ`-4a+3>0, (a-1)(a-3)>0 (x+1)(x-2)É0   ∴ -1ÉxÉ2 
∴ a<1 또는 a>3 그런데 x¾2이므로 x=2
따라서 자연수 a의 최솟값은 4이다. ④ Ú, Û에서 부등식의 해는 -3ÉxÉ2
따라서 정수 x는 -3, -2, -1, 0, 1, 2의 6개이다. ④

08-2
f(x)=4xÛ`+(a+2)x+3a라 하면  f(-1)f(2)<0이어야 하므로 03
f(-1)f(2)=(4-a-2+3a)(16+2a+4+3a)<0 |xÛ`-4|>5에서 xÛ`-4<-5 또는 xÛ`-4>5
(2a+2)(5a+20)<0, (a+1)(a+4)<0 Ú ‌xÛ`-4<-5일 때 
∴ -4<a<-1 xÛ`<-1이므로 해는 없다.
따라서 정수 a는 -3,-2의 2개이다. ② Û ‌xÛ`-4>5일 때 
xÛ`-9>0이므로 (x+3)(x-3)>0 
∴ x<-3 또는 x>3
Ú, Û에서 x<-3 또는 x>3
따라서 구하는 양의 정수 x의 최솟값은 4이다. ④

04
이차부등식  f(x)<0의 해가 x<-3 또는 x>5이므로
f(x)=a(x+3)(x-5)`(a<0)라 하면
f(-2x+1)=a(-2x+1+3)(-2x+1-5) 
빈출 유형 마무리 본문 57~58쪽
=4a(x-2)(x+2)
01 ② 02 ④ 03 ④ 04 ③ 05 ⑤ 06 1 f(-2x+1)>0에서 4a(x-2)(x+2)>0
07 4 08 40 09 ④ 10 2 11 ④ 12 3 a<0이므로 (x-2)(x+2)<0
13 ⑤ 14 ③ 15 ③ 16 29 ∴ -2<x<2
따라서 정수 x는 -1, 0, 1의 3개이다. ③

Ⅱ. 방정식과 부등식 37

해설.indb 37 17. 7. 3. 오후 4:44


05 08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이차부등식 axÛ`-2ax+3>0이 성립해야 4<x<7에서 -xÛ`+ax-b>5x+4가 성립해야 하므로
하므로 a>0 yy ㉠ -xÛ`+(a-5)x-b-4>0
이차방정식 axÛ`-2ax+3=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 xÛ`+(5-a)x+b+4<0 yy ㉠
D 한편, 해가 4<x<7이고 xÛ`의 계수가 1인 이차부등식은
=(-a)Û`-3a<0
4 (x-4)(x-7)<0
aÛ`-3a<0, a(a-3)<0 ∴ xÛ`-11x+28<0 yy ㉡
∴ 0<a<3 yy ㉡ ㉠, ㉡에서 5-a=-11, b+4=28이므로
㉠, ㉡에서 실수 a의 값의 범위는 0<a<3 a=16, b=24
따라서 정수 a의 최댓값은 2이다. ⑤ ∴ a+b=16+24=40  40

09
06 2x-6ÉxÛ`+ax+b에서 xÛ`+(a-2)x+b+6¾0
이차부등식 (k-2)xÛ`-2(k-2)x-1>0의 해가 존재하지 않으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이 부등식이 성립해야 하므로 이차방정식
려면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이차부등식 xÛ`+(a-2)x+b+6=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k-2)xÛ`-2(k-2)x-1É0이 성립해야 하므로 D=(a-2)Û`-4(b+6)É0 yy ㉠
k-2<0   ∴ k<2 yy ㉠ 또한 xÛ`+ax+bÉxÛ`+bx에서 (a-b)xÉ-b
이차방정식 (k-2)xÛ`-2(k-2)x-1=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이 부등식이 성립해야 하므로
D a-b=0, -b¾0   ∴ a=b, bÉ0 yy ㉡
={-(k-2)}Û`-(k-2)_(-1)É0
4
㉠, ㉡에서 (a-2)Û`-4(a+6)É0
kÛ`-3k+2É0, (k-1)(k-2)É0
aÛ`-8a-20É0, (a+2)(a-10)É0
∴ 1ÉkÉ2 yy ㉡
∴ -2ÉaÉ10
㉠, ㉡에서 실수 k의 값의 범위는 1Ék<2
그런데 ㉡에서 a=b, bÉ0이므로
따라서 정수 k의 값은 1이다. 1
-2ÉaÉ0, -2ÉbÉ0
따라서 정수 a, b에 대하여 ab의 최댓값은 a=-2, b=-2일 때,
4이다. ④
07
조건 ㈎에서
10
Ú a=0일 때
T자 모양의 길의 넓이는
‌5>0이므로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부등식 axÛ`+2ax+5>0이
8x+(4-x)x=-xÛ`+12x`(mÛÛ`)
성립한다.
T자 모양의 길을 제외한 화단의 넓이는
Û a+0일 때
32-(-xÛ`+12x)=xÛ`-12x+32`(mÛ`)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부등식 axÛ`+2ax+5>0이 성립해야 하
이때, 길을 제외한 화단의 넓이가 12 mÛ` 이상 21 mÛ` 이하이어야
므로 a>0 yy ㉠
하므로
이차방정식 axÛ`+2ax+5=0의 판별식을 DÁ이라 하면
12ÉxÛ`-12x+32É21

=aÛ`-5a<0 Ú ‌12ÉxÛ`-12x+32에서 xÛ`-12x+20¾0 
4
a(a-5)<0   ∴ 0<a<5 yy ㉡ (x-2)(x-10)¾0   ∴ xÉ2 또는 x¾10 
㉠, ㉡에서 0<a<5 그런데 0<x<4이므로 0<xÉ2
Ú, Û에서 실수 a의 값의 범위는 0Éa<5 yy ㉢ Û ‌xÛ`-12x+32É21에서 xÛ`-12x+11É0 
조건 ㈏에서 x에 대한 이차부등식 xÛ`-ax+aÛ`-3a<0의 해가 존 (x-1)(x-11)É0   ∴ 1ÉxÉ11 
재하지 않으려면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xÛ`-ax+aÛ`-3a¾0이 성 그런데 0<x<4이므로 1Éx<4
립해야 한다. Ú, Û에서 1ÉxÉ2
이차방정식 xÛ`-ax+aÛ`-3a=0의 판별식을 Dª라 하면 따라서 x의 최댓값은 2, 최솟값은 1이므로 그 곱은
Dª=(-a)Û`-4(aÛ`-3a)É0 2_1=2 2
3aÛ`-12a¾0, 3a(a-4)¾0
∴ aÉ0 또는 a¾4 yy ㉣ 11
㉢, ㉣에서 a=0 또는 4Éa<5 가로의 길이를 x cm라 하면 세로의 길이는 (30-x) cm이므로
따라서 정수 a는 0, 4이므로 그 합은 x>0, 30-x>0, x>30-x
0+4=4 4 ∴ 15<x<30 yy ㉠

38 정답과 풀이

해설.indb 38 17. 7. 3. 오후 4:45


531 Project Speedy

또한 직사각형의 넓이가 81 cmÛ` 이상 125 cmÛ` 이하이므로 따라서 구하는 실수 a의 값의 범위는


81Éx(30-x)É125 -1<aÉ0 ③
Ú 81Éx(30-x)에서 81É30x-xÛ`
xÛ`-30x+81É0, (x-3)(x-27)É0 15
∴ 3ÉxÉ27 xÛ`+4x-21É0에서 (x+7)(x-3)É0
Û x(30-x)É125에서 30x-xÛ`É125 ∴ -7ÉxÉ3 yy ㉠
xÛ`-30x+125¾0, (x-5)(x-25)¾0 xÛ`-5kx-6kÛ`>0에서 (x+k)(x-6k)>0
∴ 5ÉxÉ25 k>0이므로 x<-k 또는 x>6k yy ㉡
Ú, Û에서 5ÉxÉ25 yy ㉡ ㉠, ㉡에서 주어진 연립부등식이 해를  ㉡ ㉡

㉠, ㉡에서 구하는 x의 값의 범위는 15<xÉ25이다. 갖도록 하는 k의 값의 범위는
-7 -k 6k 3 x
 ④ -k>-7 또는 6k<3
1
k<7 또는 k<
12 2
조건 ㈎에서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이차부등식 ∴ k<7
따라서 구하는 양의 정수 k는 1, 2, 3, 4, 5, 6의 6개이다.  ③
xÛ`+2(a+1)x+a+7¾0이 성립해야 하므로 이차방정식
xÛ`+2(a+1)x+a+7=0의 판별식을 DÁ이라 하면
DÁ 16
=(a+1)Û`-(a+7)É0
4 xy+3(x+y)=0 yy ㉠
[
aÛ`+a-6É0, (a+3)(a-2)É0 xy-3(x+y)=k-9 yy ㉡
∴ -3ÉaÉ2 yy ㉠ ㉠+㉡을 하면 2xy=k-9
또한 조건 ㈏에서 이차방정식 xÛ`-ax+a=0이 허근을 가지므로 k-9
∴ xy=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ª라 하면 2
Dª=(-a)Û`-4a<0 ㉠-㉡을 하면 6(x+y)=-(k-9)
a(a-4)<0   ∴ 0<a<4 yy ㉡ k-9
∴ x+y=-
6
㉠, ㉡에서 0<aÉ2
x, y를 두 근으로 하는 t에 대한 이차방정식은
따라서 정수 a는 1, 2이므로 그 합은
k-9 k-9
1+2=3 3 tÛ`+ t+ =0
6 2
즉, 6tÛ`+(k-9)t+3(k-9)=0을 만족시키는 실수 x, y가 존재
13 해야 하므로 이차방정식 6tÛ`+(k-9)t+3(k-9)=0의 판별식을
f(x)=xÛ`+ax+a(a-3)이라 하면 y=f{x} D라 하면
a<-2<b<1이므로 이차함수 y=f(x)의 D=(k-9)Û`-72(k-9)¾0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아야 한다. -2 (k-9)(k-81)¾0
= >1 x
Ú ‌ f(-2)=4-2a+aÛ`-3a<0에서  ∴ kÉ9 또는 k¾81
aÛ`-5a+4<0, (a-1)(a-4)<0  따라서 100 이하의 자연수 k의 개수는 29이다.  29
∴ 1<a<4
Û ‌ f(1)=1+a+aÛ`-3a>0에서 
aÛ`-2a+1>0, (a-1)Û`>0 
∴ a+1인 모든 실수
Ú, Û에서 실수 a의 값의 범위는 1<a<4 ⑤

14
xÛ`-2x-3É0 yy ㉠
[
(x-4)(x-a)É0   yy ㉡
㉠에서 (x+1)(x-3)É0
∴ -1ÉxÉ3 yy ㉢
㉡, ㉢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정수 x가 4개이므로 ㉡의 해는
aÉxÉ4 yy ㉣

-1 a 0 1 2 3 4 x

Ⅱ. 방정식과 부등식 39

해설.indb 39 17. 7. 3. 오후 4:45


aÛ`+4a+13=aÛ`-4a+5
Ⅲ. 도형의 방정식
8a=-8  ∴a=-1

01 | 평면좌표 ∴P(-1,0)
또한y축위의점을Q(0,b)라하면AQÓ=BQÓ이므로
¿¹{0-(-2)}Û`+(b-3)Û`=¿¹(0-2)Û`+(b-1)Û`
빈출 유형
¿¹bÛ`-6b+13=¿¹bÛ`-2b+5
내신&수능 본문 61~62쪽

양변을제곱하면
유형 01
bÛ`-6b+13=bÛ`-2b+5
ABÓ=¿¹{5-(a-1)}Û`+{a-(-3)}Û`
-4b=-8  ∴b=2
=¿¹(a-6)Û`+(a+3)Û`` ∴Q(0,2)
=¿¹2aÛ`-6a+45 ∴PQÓ=¿¹{0-(-1)}Û`+(2-0)Û`='¶1+4='5 ③
CDÓ=¿¹(1-0)Û`+(0-2)Û`='5
이때,ABÓ=3CDÓ이므로 02-1
¿¹2aÛ`-6a+45=3'5 점P(a,b)는직선y=2x-5위에있으므로
양변을제곱하면 b=2a-5 yy㉠
2aÛ`-6a+45=45 또한점P는두점A,B에서같은거리에있으므로
2aÛ`-6a=0,2a(a-3)=0 APÓ=BPÓ에서
∴a=0또는a=3 ¿¹aÛ`+(b-2)Û`=¿¹{a-(-1)}Û`+(b-1)Û`
따라서양수a의값은3이다. ③ 양변을제곱하면
aÛ`+(b-2)Û`=(a+1)Û`+(b-1)Û`
01-1 aÛ`+bÛ`-4b+4=aÛ`+2a+bÛ`-2b+2
ABÓ=¿¹(1-a)Û`+(a+5-3)Û` 2a+2b=2  ∴a+b=1 yy㉡
㉠,㉡을연립하여풀면a=2,b=-1
=¿¹(a-1)Û`+(a+2)Û`
∴a-b=2-(-1)=3 ②
=¿¹2aÛ`+2a+5
ACÓ=¿¹{(a-1)-a}Û`+(-a-3)Û` 유형 03
=¿¹(-1)Û`+(a+3)Û` 점P의좌표를(a,b)라하면
=¿¹aÛ`+6a+10 1_1+2_4 1_5+2_(-1)
a= =3,b= =1
1+2 1+2
이때,ABÓÉACÓ이므로
∴P(3,1)
¿¹2aÛ`+2a+5É¿¹aÛ`+6a+10
점Q의좌표를(c,d)라하면
양변을제곱하면
1_1-2_4 1_5-2_(-1)
2aÛ`+2a+5ÉaÛ`+6a+10 c= =7,d= =-7
1-2 1-2
aÛ`-4a-5É0,(a+1)(a-5)É0 ∴Q(7,-7)
∴-1ÉaÉ5 따라서선분PQ의중점의좌표는
따라서정수a는-1,0,1,y,5의7개이다. ② 3+7 1+(-7)
{ , }=(5,-3) ⑤
2 2

01-2
ABÓ=¿¹{(2-a)-(a-1)}Û`+{(a-1)-3}Û`
03-1
선분AB가y축에의하여m`:`n으로내분된다고하면내분하는
=¿¹(3-2a)Û`+(a-4)Û`
점의좌표는
=¿¹5aÛ`-20a+25=¿¹5(a-2)Û`+5 4m-2n 4m+n
{ }={ }
m_4+n_(-2) m_4+n_1
, ,
따라서선분AB의길이의최솟값은a=2일때,'5이다. ⑤ m+n m+n m+n m+n
이점이y축위에있으므로x좌표는0이다.
이때,m+n>0이므로4m-2n=0  ∴n=2m
유형 02
점P의좌표를(a,0)이라하면APÓ=BPÓ이므로 즉,m`:`n=m`:`2m=1`:`2
선분AB를1`:`2로내분하는점의좌표는
¿¹{a-(-2)}Û`+(0-3)Û`=¿¹(a-2)Û`+(0-1)Û`
1_4+2_(-2) 1_4+2_1
{ }‌ ‌ ∴(0,2)
¿¹a`Û +4a+13=¿¹aÛ`-4a+5
,
1+2 1+2
양변을제곱하면 따라서구하는점의y좌표는2이다. ②

40 정답과 풀이

해설.indb 40 17. 7. 7. 오후 5:12


531 Project Speedy

03-2 다른 풀이
삼각형 ABC에서 ∠BAD=∠CAD이므로 각의 이등분선의 성 세 점 D(1, 0), E(5, -2), F(-3, -4)를 꼭짓점으로 하는 삼
질에 의하여 ABÓ`:`ACÓ=BDÓ`:`CDÓ이다. 각형 DEF의 무게중심의 좌표는
ABÓ=¿¹{-2-(-2)}Û`+(-3-1)Û`=4 {
1+5+(-3) 0+(-2)+(-4)
, }=(1, -2)
3 3
ACÓ=¿¹{2-(-2)}Û`+(-2-1)Û`='¶25=5
이때, 세 점 D, E, F는 삼각형 ABC의 세 변 AB, BC, CA를
∴ BDÓ`:`CDÓ=ABÓ`:`ACÓ=4`:`5
각각 1`:`1로 내분하는 점이므로 삼각형 ABC의 무게중심은 삼각
이때, 점 D는 선분 BC 위의 점이고, BDÓ`:`CDÓ=4`:`5이므로
형 DEF의 무게중심과 같다.
점 D는 선분 BC를 4`:`5로 내분하는 점이다.
따라서 삼각형 ABC의 무게중심의 좌표는 (1, -2)이므로
즉, 점 D의 좌표는
a=1, b=-2   ∴ a-b=1-(-2)=3 3
4_2+5_(-2) 4_(-2)+5_(-3) 2 23
{ , }={- , - }
4+5 4+5 9 9
2 23
따라서 a=- , b=- 이므로
9 9
2 23 21 7
a-b=- -{- }= =  ③
9 9 9 3

유형 04
두 점 A, B의 좌표를 각각 A(xÁ, yÁ), B(xª, yª)라 하면 빈출 유형 마무리 본문 63쪽

변 AB의 중점의 좌표가 (3, 5)이므로


01 ② 02 ④ 03 ⑤ 04 ③ 05 ④ 06 ⑤
xÁ+xª yÁ+yª
2
=3,
2
=5 07 ④
∴ xÁ+xª=6, yÁ+yª=10 yy ㉠
삼각형 ABC의 무게중심의 좌표가 (2, -1)이므로 01
xÁ+xª+a yÁ+yª+b
=2, =-1 직선 y=x 위의 점 P의 좌표를 (k, k)라 하면
3 3
APÓ Û`+BPÓ Û`
6+a 10+b
=2, =-1 (∵ ㉠) =(k-1)Û`+(k+1)Û`+kÛ`+(k-a)Û`
3 3
∴ a=0, b=-13 =kÛ`-2k+1+kÛ`+2k+1+kÛ`+kÛ`-2ak+aÛ`
∴ a+b=0+(-13)=-13 ① =4kÛ`-2ak+aÛ`+2
aÛ` aÛ`
=4{kÛ`- k+ }- +aÛ`+2
a
2 16 4
04-1 =4{k- }Û`+ aÛ`+2
a 3
삼각형 ABC의 세 꼭짓점을 각각 A(aÁ, aª), B(bÁ, bª), 4 4
C(cÁ, cª)라 하면 세 변 AB, BC, CA의 중점이 각각 D(1, 0), a 3
따라서 k= 일 때, 최솟값은 aÛ`+2이므로
4 4
E(5, -2), F(-3, -4)이므로
3
aÁ+bÁ aª+bª aÛ`+2=14, aÛ`=16
=1, =0에서 4
2 2
∴ a=4 (∵ a>0) ②
aÁ+bÁ=2, aª+bª=0 yy ㉠
bÁ+cÁ bª+cª
=5, =-2에서 02
2 2
bÁ+cÁ=10, bª+cª=-4 yy ㉡ 세 점 A(1, 2), B(5, 4), C(a, 1)에 대하여
aÁ+cÁ
=-3,
aª+cª
=-4에서 ABÓ=¿¹(5-1)Û`+(4-2)Û`='¶20=2'5
2 2
BCÓ=¿¹(a-5)Û`+(1-4)Û`=¿¹aÛ`-10a+34
aÁ+cÁ=-6, aª+cª=-8 yy ㉢
㉠, ㉡, ㉢에서 ACÓ=¿¹(a-1)Û`+(1-2)Û`=¿¹aÛ`-2a+2
2(aÁ+bÁ+cÁ)=6, 2(aª+bª+cª)=-12 이때, 삼각형 ABC가 ∠ACB=90ù인 직각삼각형이므로
∴ aÁ+bÁ+cÁ=3, aª+bª+cª=-6 BCÓ Û`+ACÓ Û`=ABÓ Û`, 즉
즉, 삼각형 ABC의 무게중심의 좌표는 (aÛ`-10a+34)+(aÛ`-2a+2)=20
aÁ+bÁ+cÁ aª+bª+cª 3 -6 2aÛ`-12a+16=0, aÛ`-6a+8=0
{ , }={ , }=(1, -2)
3 3 3 3 (a-2)(a-4)=0   ∴ a=2 또는 a=4
따라서 a=1, b=-2이므로 따라서 모든 실수 a의 값의 합은
a-b=1-(-2)=3 2+4=6 ④

Ⅲ. 도형의 방정식 41

해설.indb 41 17. 7. 3. 오후 4:45


03 ∴ b=2, c=0
좌표평면 위에서 세 대리점의 위치를 각각 A(0, 2), B(0, -3), ∴ a+b+c=5+2+0=7  ④
C(4, 0)이라 하고, 터미널의 위치를 P(x, y)라 하면
¿¹xÛ`+(y-2)Û`=¿¹xÛ`+(y+3)Û`=¿¹(x-4)Û`+yÛ`
각 변을 제곱하면
xÛ`+(y-2)Û`=xÛ`+(y+3)Û`=(x-4)Û`+yÛ` 06
Ú xÛ`+(y-2)Û`=xÛ`+(y+3)Û`에서 무게중심 G는 중선을 2`:`1로 내분하므로 CGÓ`:`GMÓ=2`:`1
xÛ`+yÛ`-4y+4=xÛ`+yÛ`+6y+9 이때, CMÓÓ=CGÓ+GMÓÓ=2GMÓÓ+GMÓÓ=3GMÓ이고,
1
-10y=5   ∴ y=- 
2
yy ㉠ GMÓ=¿¹(4-3)Û`+(-5-2)Û`=5'2이므로
Û xÛ`+(y+3)Û`=(x-4)Û`+yÛ`에서 CMÓ=3_5'2=15'2
xÛ`+yÛ`+6y+9=xÛ`-8x+16+yÛ` 즉, 정삼각형 ABC의 높이가 15'2이므로
'3
6y+9=-8x+16 _ABÓ=15'2
2
㉠을 위의 식에 대입하면
15'2
∴ ABÓ= =10'6
1
6_{- }+9=-8x+16, 8x=10   ∴ x=
5 '3
2 4
2
5 1
Ú, Û에서 P{ , - } 따라서 정삼각형 ABC의 넓이는
4 2
'3 Û '3 _(10'6)Û`=150'3
따라서 터미널과 각 대리점 사이의 거리는 _ABÓ `= ⑤
4 4
5 1 25 25 5'5
PAÓ=®É{0- }Û``+[2-{- }]Û``=®É + =  ⑤
4 2 16 4 4

04
3ABÓ=2BPÕ, 즉 ABÓ`:`BPÕ=2`:`3이고 점 P가 반직선 AB 위의 07
점이므로 APÓ=ABÓ+BPÕ 삼각형 OAQ의 넓이가 16이고, 삼각형 OAB의 넓이가
∴ APÓ`:`BPÕ=5`:`3 1
_4_2=4이므로 삼각형 OBQ의 넓이는 삼각형 OAQ의 넓이
2
5a
2a 3a 에서 삼각형 OAB의 넓이를 뺀 12이다.
A B P 삼각형 OBQ의 밑변을 선분 OB로 하면 OBÓ=4이고, 높이를 x라
즉, 점 P는 선분 AB를 5`:`3으로 외분하는 점이므로 점 P의 좌표는 하면
5_3-3_(-1) 5_a-3_4 5a-12
{ , }‌={9, } ‌ 1
_4_x=12   ∴ x=6
5-3 5-3 2 2
=(b, -1) 이때, 선분 AB를 m`:`n으로 외분하는 y
4m-3n
∴ a=2, b=9 -2n Q m-n
점 Q의 x좌표는 이므로 4
∴ a+b=2+9=11 ③ m-n B
3 A
-2n
| |=6
m-n
05 -2n
-2n O 2 x
=-6 (∵ m>n>0) m-n
오른쪽 그림에서 사각형 ABCD가 마름 y m-n
모이므로 네 변의 길이가 모두 같다. A{1, 3} -2n=-6(m-n), -2n=-6m+6n
B{4, 2}
ABÓ=BCÕ에서 n 3
따라서 4n=3m이므로 = 이다.
m 4
ABÓ=¿¹(4-1)Û`+(2-3)Û`='¶10
x 다른 풀이
BCÕ=¿¹(a-4)Û`+(-1-2)Û`
O D{b, c}
C{a, -1} 삼각형 OAQ의 넓이가 16, 삼각형 OAB의 넓이가 4이므로 삼각
=¿¹aÛ`-8a+25 형 OBQ의 넓이는 삼각형 OAQ의 넓이에서 삼각형 OAB의 넓이
이므로 ¿¹aÛ`-8a+25='¶10 를 뺀 12이다.
양변을 제곱하면 삼각형 OAB와 삼각형 OBQ는 각각 선분 AB와 선분 BQ를 밑
aÛ`-8a+25=10, aÛ`-8a+15=0 변으로 할 때, 높이가 같으므로 두 삼각형의 밑변의 길이의 비는
(a-3)(a-5)=0   ∴ a=5``(∵ a>4) 두 삼각형의 넓이의 비와 같다.
한편, 마름모 ABCD의 두 대각선 AC, BD의 중점은 일치하므로 ∴ ABÓ`:`BQÓ=4`:`12=1`:`3
1+a 3+(-1) 4+b 2+c
{ , }={ , } 따라서 AQÓ`:`BQÓ=4`:`3=m`:`n이므로
n 3
= 이다. ④
2 2 2 2 m 4

42 정답과 풀이

해설.indb 42 17. 7. 3. 오후 4:45


531 Project Speedy

02-1
Ⅲ. 도형의 방정식
두 삼각형 ABP, APC의 넓이의 y 

02 | 직선의 방정식 비가2`:`1이되기위해서는점A를


지나는직선l이선분BC를2`:`1로
C
1 P
4

3 2
내분하는점을지나야한다.
내신&수능 빈출 유형 본문 65~67쪽 즉,점P가선분BC를2`:`1로내분 1 B
2
하는점이어야한다. -2 O 4 x
유형 01 선분BC를2`:`1로내분하는점P
-1
A
두점(3,2a),(a-2,-2)를지나는직선의방정식은 l
의좌표는
-2-2a
(x-3) 2_(-2)+1_4 2_4+1_1
{ }=(0,3)
y-2a=
(a-2)-3 2+1
,
2+1
-2-2a
∴y= (x-3)+2a 즉,직선l은두점A(2,-1),P(0,3)을지나므로직선의방정
a-5
식은
이직선의y절편이-1이므로점(0,-1)을지난다.
(-1)-3
-2-2a y= x+3
-1= (0-3)+2a 2-0
a-5
∴y=-2x+3
-a+5=6+6a+2a(a-5)
3
2aÛ`-3a+1=0,(2a-1)(a-1)=0 따라서직선l의x절편은 이다. ①
2
∴a=1(∵a는자연수)
-2-2a -2-2
따라서이직선의기울기는 = =1 ②
a-5 1-5 유형 03
두직선x+ky+2=0,(k+2)x+3y+1=0이서로평행하므로
1 k 2
01-1 = +
k+2 3 1
x축의양의방향과이루는각의크기가60ù인직선의기울기는 k(k+2)=3에서kÛ`+2k-3=0,(k+3)(k-1)=0
tan60ù='3`이고점(1,2)를지나므로직선의방정식은 ∴k=-3또는k=1 yy㉠
y-2='3(x-1)  ∴y='3x-'3+2 두직선x+ky+2=0,(k-6)x+ky+3=0이서로수직이므로
즉,'3x-y-'3+2=0이므로 1_(k-6)+k_k=0
a='3`,b=-'3+2 kÛ`+k-6=0,(k+3)(k-2)=0
∴a+b='3`-'3+2=2 ③ ∴k=-3또는k=2 yy㉡
㉠,㉡에서k=-3이다. ①

01-2
3a
직선ax+2y=3a의x절편은3,y절편은
2
이고,조건을만족시 03-1
두직선ax-y-b=0,3x+2by-c=0이점(3,3)을지나므로
키는삼각형의넓이가9이므로
3a-3-b=0  ∴3a-b=3 yy㉠
1 3a 9a
_3_ =9, =9  ∴a=4 ④ 9+6b-c=0  ∴6b-c=-9 yy㉡
2 2 4
또한두직선ax-y-b=0,3x+2by-c=0은서로수직이므로
3a+2b_(-1)=0  ∴3a=2b yy㉢
유형 02 ㉢을㉠에대입하면b=3,a=2
직선이두직사각형의넓이를동시에이등분하기위해서는각직 b=3을㉡에대입하면c=27
사각형의두대각선의교점을지나야한다. ∴a+b+c=2+3+27=32 ①
주어진직사각형의두대각선의교점의좌표는각각
2+0 0+4 2+10 0+6
{ , },{ , }
2 2 2 2 03-2
∴(1,2),(6,3) 좌표평면위의세직선이삼각형을이루지않기위해서는두개이
두점(1,2),(6,3)을지나는직선의방정식은 상의직선이서로평행하거나세직선이한점에서만나야한다.
3-2 2x-y+1=0 yy㉠
y-2= (x-1)
6-1
8x+3y+3=0 yy㉡
1 9
∴y= x+ 2kx+(k-1)y+2=0 yy㉢
5 5
에서㉠과㉡은서로평행하지않으므로삼각형을이루지않는경
1 9
∴m+n= + =2 ②
5 5 우는다음과같다.

Ⅲ. 도형의 방정식 43

해설.indb 43 17. 7. 3. 오후 4:45


Ú 두 직선 ㉠, ㉢이 서로 평행한 경우 유형 05
2 -1 1 주어진 두 직선의 교점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 + , 2k-2=-2k
2k k-1 2 (x+2y+2a)+k(2x+3y+b)=0 (단, k는 실수)
1 ∴ (1+2k)x+(2+3k)y+2a+kb=0 yy ㉠
∴ k=
2
직선 ㉠과 직선 3x+4y+5=0이 만나지 않기 위해서는 두 직선
Û 두 직선 ㉡, ㉢이 서로 평행한 경우
이 서로 평행해야 하므로
8 3 3
= + , 8k-8=6k 1+2k 2+3k 2a+kb
2k k-1 2 = +
3 4 5
∴ k=4
4+8k=6+9k   ∴ k=-2
Ü 세 직선이 한 점에서 만나는 경우
k=-2를 ㉠에 대입하면
㉠, ㉡을 연립하여 풀면
-3x-4y+2a-2b=0
3 1
x=- , y= 3 1 1
7 7 ∴ y=- x+ a- b
4 2 2
3 1
즉, 직선 ㉢이 점 {- , }을 지나야 하므로 이 직선의 y절편이 4이어야 하므로
7 7
3 1 1 1
2k_{- }+(k-1)_ +2=0 2
a- b=4   ∴ a-b=8
2
④
7 7
-6k+(k-1)+14=0
13
∴ k=
5
05-1
Ú~Ü에 의하여 모든 k의 값의 곱은
mx-y-m-1=0에서 y=m(x-1)-1
1 13 26
_4_ =  ⑤ 즉, 점 P의 좌표는 (1, -1)이다.
2 5 5
두 직선 2x+y+1=0, 3x-2y-4=0의 교점을 지나는 직선의
유형 04 방정식은 (2x+y+1)+k(3x-2y-4)=0 (단, k는 실수)
두 점 A(-4, 3), B(2, -1)을 지나는 직선의 기울기는 ∴ (2+3k)x+(1-2k)y+1-4k=0 yy ㉠
-1-3 2 직선 ㉠이 점 P(1, -1)을 지나므로
=-
2-(-4) 3
(2+3k)-(1-2k)+1-4k=0
3
이므로 선분 AB의 수직이등분선의 기울기는 이다. k+2=0   ∴ k=-2
2
k=-2를 ㉠에 대입하여 정리하면
또한 선분 AB의 수직이등분선은 선분 AB의 중점 (-1, 1)을 지
-4x+5y+9=0
나므로 선분 AB의 수직이등분선의 방정식은
9
3 3 5 따라서 구하는 직선의 x절편은 이다. ⑤
y-1= (x+1)   ∴ y= x+ 4
2 2 2
3 5 3 5
따라서 a= , b= 이므로 a+b= + =4 ②
2 2 2 2
유형 06
04-1
3
직선 x+2y-4=0이 x축, y축과 만나는 점 A, B의 좌표는 각각 직선 3x+4y+1=0의 기울기는 - 이므로 이 직선과 수직인 직
4
A(4, 0), B(0, 2)이다. 4
선의 기울기는 이다.
이때, APÓ=BPÕ이므로 점 P는 선분 AB의 수직이등분선과 곡선 3
y=xÛ`-8x+22의 교점이다. 4
조건을 만족하는 직선의 방정식을 y= x+a`(a는 상수)라 하면
두 점 A(4, 0), B(0, 2)를 지나는 직선 AB의 기울기는 3
2-0 1 4x-3y+3a=0 yy ㉠
=-
0-4 2 직선 ㉠과 점 (1, 1) 사이의 거리가 2이므로
이므로 선분 AB의 수직이등분선의 기울기는 2이다. |4_1-3_1+3a|
=2
또한 선분 AB의 수직이등분선은 선분 AB의 중점 (2, 1)을 지나 ¿¹4Û`+(-3)Û`
므로 선분 AB의 수직이등분선의 방정식은 |3a+1|=10
y-1=2(x-2)   ∴ y=2x-3 11
∴ a=3 또는 a=-
3
이 직선과 곡선 y=xÛ`-8x+22의 교점의 x좌표는
4 4 11
2x-3=xÛ`-8x+22 즉, y= x+3 또는 y= x-
3 3 3
xÛ`-10x+25=0, (x-5)Û`=0
따라서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키는 두 직선의 y절편의 합은
∴ x=5
11 2
따라서 점 P의 x좌표는 5이다. 3+{- }=-  ②
⑤ 3 3

44 정답과 풀이

해설.indb 44 17. 7. 3. 오후 4:45


531 Project Speedy

06-1 m=
4-1
=
1
원점 (0, 0)과 직선 kx+(k+1)y+3=0 사이의 거리는 4-(-2) 2
3 3 선분 AC를 2`:`1로 내분하는 점 P의 좌표는 (0, -3)이므로 구
=
¿¹kÛ`+(k+1)Û` ¿¹2kÛ`+2k+1 하는 직선의 방정식은
1 1
1 1 y= x-3   ∴ m= , n=-3
이때, 2kÛ`+2k+1=2{k+ }Û`+ 이므로 2kÛ`+2k+1은 2 2
2 2
1 5
1 1 ∴ m+n= +(-3)=-  ①
k=- 일 때, 최솟값 을 갖는다. 2 2
2 2
따라서 원점과 직선 kx+(k+1)y+3=0 사이의 거리의 최댓값
1 3 02
은 k=- 일 때이므로 =3'2 ⑤
2 1
® 세 점 A, B, C가 한 직선 위에 있기 위해서는 두 직선 AB, AC
2
의 기울기가 서로 같아야 한다. 즉,
3-(3k-1) 3-(-5)
06-2 1-k
=
1-(-2k+1)
ABÓ=¿¹(3-1)Û`+(4-2)Û` =2'2 8-8k=2k(4-3k), 3kÛ`-8k+4=0
두 점 A(1, 2), B(3, 4)를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k-2)(3k-2)=0   ∴ k=2 (∵ k는 자연수)
4-2 즉, 세 점의 좌표는 A(1, 3), B(2, 5), C(-3, -5)이고, 직선
y-2= (x-1)
3-1
5-3
∴ x-y+1=0 AB의 기울기가 =2이므로 직선의 방정식은
2-1
이 직선과 점 C(t, 0) 사이의 거리는 y
x-y+1=0 y-3=2(x-1)   ∴ y=2x+1
|t-0+1| |t+1| 따라서 이 직선이 x축, y축과 만나는 점의 좌표는 각각
=
¿¹1Û`+(-1)Û` '2 4
B
1
2Â2 |t+1| {- , 0}, (0, 1)이므로 구하는 도형의 넓이는
따라서 삼각형 ABC의 넓이가 6이어야 A Â2
2
2
하므로 1 1 1 1
_ _1=  ①
-1 C 2 2 4
1 |t+1| O 1 3 t x
_2'2`_ =|t+1|=6
2 '2
∴ t=5 (∵ t>0) ④
03
주어진 직선의 방정식 ax+by+c=0을 표준형으로 나타내면
a c
y=- x-
b b
빈출 유형 마무리 본문 68~69쪽
a
ㄱ. 그림의 직선의 기울기는 0보다 작으므로 - <0
b
01 ① 02 ① 03 ⑤ 04 3 05 ① 06 ③
즉, a, b는 부호가 서로 같으므로 ab>0 (참)
07 3 08 ① 09 ① 10 ④ 11 ② 12 ②
c
13 ② 14 ① ㄴ. 그림의 직선의 y절편은 0보다 작으므로 - <0
b
즉, b, c는 부호가 서로 같으므로 bc>0 (참)
01 ㄷ. ax+by+c=0의 양변을 c로 나누어 이항하면
선분 AC를 2`:`1로 내분하는 점 P의 좌표는 ax by c
‌- - =1이므로 x절편이 - 이고, 그림의 직선에서
c c a
2_1+1_(-2) 2_(-5)+1_1
{ , }   ∴ P(0, -3) c
2+1 2+1 x절편은 -1보다 작으므로 - <-1
a
선분 BC를 2`:`1로 내분하는 점 Q의 좌표는
c
2_1+1_4 2_(-5)+1_4 ∴ >1 (참)
{ , }   ∴ Q(2, -2) a
2+1 2+1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⑤
두 점 P(0, -3), Q(2, -2)를 지나는 직선 PQ의 방정식은
(-2)-(-3) 1
y-(-3)= x   ∴ y= x-3
2-0 2
04
1
∴ m= , n=-3 두 직선이 서로 평행하기 위해서는
2
k 2k-1 1
1 5 = +
∴ m+n= +(-3)=- 4 3k k
2 2
k_3k=4(2k-1), 3kÛ`-8k+4=0, (k-2)(3k-2)=0
다른 풀이
2
직선 PQ의 기울기 m은 직선 AB의 기울기와 같으므로 ∴ k=2 또는 k=
3

Ⅲ. 도형의 방정식 45

해설.indb 45 17. 7. 7. 오후 5:12


k 2k-1 1 이 직선은 삼각형 EFG의 넓이도 이등분하므로 선분 FG의 중점
k=2이면 = = , 즉 일치하므로 a=2
4 3k k
{-1, }을 지나야 한다.
t+1
2 k 2k-1 1 2 2
k= 이면 = + , 즉 평행하므로 b=
3 4 3k k 3 t+1
x=-1, y= 을 ㉠에 대입하면
두 직선이 서로 수직이기 위해서는 2
4k+3k(2k-1)=0, 6kÛ`+k=0, k(6k+1)=0 t+1
=-(-1)+1
1 1 2
∴ k=- (∵ k+0)   ∴ c=-
6 6 ∴ t=3 3
2 1
∴ a+3b+6c=2+3_ +6_{- }=3 3
3 6
08
직선 3x+ay+b=0과 직선 4x-6y+5=0은 서로 수직이므로
05 3_4+a_(-6)=0   ∴ a=2
점 H(2, b)는 직선 y=2x+1 위의 점이므로 직선 3x+2y+b=0이 x축, y축과 만나는 점의 좌표는 각각
b=2_2+1   ∴ b=5
A{- , 0}, B{0, - }
b b
한편, 두 점 P(a, 7)과 H(2, 5)를 지나는 직선은 3 2
1
이고, 직선 4x-6y+5=0은 선분 AB의 중점 {- , - }를 지
직선 y=2x+1과 수직이므로 기울기는 - 이다. b b
2 6 4
5-7 1 나므로
즉, =- 이므로
2-a 2 2b 3b
4=2-a   ∴ a=-2 - + +5=0   ∴ b=-6
3 2
∴ a+b=-2+5=3 ① ∴ a+b=2+(-6)=-4 ①

06 09
1_2+(-1)_(-1)=3+0이므로 두 직선 x-y+3=0, mx-y-4m-2=0에서 y=m(x-4)-2이므로 이 직선은 실
2x-y+4=0은 수직이 아니다. 즉, 주어진 세 직선으로 둘러싸 수 m의 값에 관계없이 점 (4, -2)를 지난다.
인 도형이 직각삼각형인 경우는 다음과 같다. 이 직선이 m의 값에 관계없이 평행사변형 ABCD의 넓이를 이등
Ú 직선 mx-y-2m-1=0이 직선 x-y+3=0과 수직일 때 분하기 위해서는 평행사변형 ABCD의 두 대각선의 교점이
m_1+(-1)_(-1)=0 (4, -2)이어야 한다. 즉,
∴ m=-1 1+a 3+c 1+b 0+d
= =4, = =-2
그런데 m=-1이면 직선 mx-y-2m-1=0이 두 직선 2 2 2 2
x-y+3=0, 2x-y+4=0의 교점 (-1, 2)를 지나므로 세 ∴ a=7, b=-5, c=5, d=-4
직선은 한 점에서 만난다. ∴ a+b+c+d=7+(-5)+5+(-4)=3 ①
따라서 세 직선으로는 삼각형이 만들어지지 않는다.
Û 직선 mx-y-2m-1=0이 직선 2x-y+4=0과 수직일 때 10
1 두 직선 2x+y-1=0, 3x-y+6=0의 교점은 (-1, 3)이므로
m_2+(-1)_(-1)=0   ∴ m=-
2
두 직선의 교점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1
즉, mx-y-2m-1=0은 x+y=0이다. y=m(x+1)+3이라 할 수 있다.
2
1 직선 8x+y-8=0이 x축, y축과 만나는 점의 좌표는 각각
이 경우 세 직선 x-y+3=0, 2x-y+4=0, x+y=0은 (1, 0), (0, 8)이므로 직선 y=m(x+1)+3이 점 (1, 0)을 지날
2
한 점에서 만나지도 어느 두 직선이 서로 평행하지도 않으므로 3
때의 기울기는 m=- 이고, 점 (0, 8)을 지날 때의 기울기는
직각삼각형이 만들어진다. 2
1 m=5이다.
Ú, Û에서 m=- 이다. ③
따라서 직선 y=m(x+1)+3이 직선 8x+y-8=0과 제 1 사분
2
면에서 만나는 기울기 m의 값의 범위는
07 3
- <m<5
2
점 E를 지나는 직선이 직사각형 ABCD의 넓이를 이등분하므로
이므로 정수 m은 -1, 0, 1, 2, 3, 4의 6개이다. ④
이 직선은 직사각형의 두 대각선의 교점 (2, -1)을 지나야 한다.
점 E(-3, 4)와 점 (2, -1)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1-4 11
y-4= {x-(-3)}
2-(-3) 두 직선 3mx-(mÛ`-2)y-2=0, 3x+(1-m)y+2=0이
∴ y=-x+1 yy ㉠ 직선 (2k-5)x+ky+3=0과 수직이므로 두 직선

46 정답과 풀이

해설.indb 46 17. 7. 3. 오후 4:45


531 Project Speedy

3mx-(mÛ`-2)y-2=0,3x+(1-m)y+2=0은서로평행하다.
Ⅲ. 도형의 방정식
3m 2-mÛ` -2
= + ,3m-3mÛ`=6-3mÛ`
03 |
3 1-m 2
∴m=2
원의 방정식
두직선3x-y-1=0,3x-y+2=0사이의거리는직선
3x-y-1=0위의점(0,-1)과직선3x-y+2=0사이의거 내신&수능 빈출 유형 본문 71~73쪽
리와같으므로구하는거리는
|3_0-(-1)+2|
=
3
=
3'¶10
 ②
유형 01
¿¹3Û`+(-1)Û` '¶ 1 0 10 중심의좌표를(t,t+2)라하고,반지름의길이를r라하면
원의방정식은
12 (x-t)Û`+(y-t-2)Û`=rÛ`
8-2 이원이점(1,2)를지나므로
직선AB의기울기는 =3이므로직선AB는직선
4-2
(1-t)Û`+(-t)Û`=rÛ`
y=3x+n과평행하다.
∴2tÛ`-2t+1-rÛ`=0 yy㉠
직선y=3x+n이두선분AC,BC와만나는점을각각P,Q라
또한이원이점(-3,0)도지나므로
하면 S=3T이므로 삼각형 ABC와 삼각형 PQC는 닮음비가
(-3-t)Û`+(-t-2)Û`=rÛ`
2`:`1이다.
∴2tÛ`+10t+13-rÛ`=0 yy㉡
따라서직선y=3x+n은선분AC의중점(5,3)을지나므로
㉠,㉡을연립하면-12t-12=0
3=3_5+n  ∴n=-12 ②
∴t=-1,r='5
따라서(x+1)Û`+(y-1)Û`=5이므로
13 xÛ`+yÛ`+2x-2y-3=0
p pÛ`
f(x)=xÛ`+px+p={x+ }Û`+p- ∴a+b+c=2+(-2)+(-3)=-3 ②
2 4
p pÛ`
이므로꼭짓점A{- ,p- }이고,점B(0,p)이다.
2 4 01-1
두점A,B를지나는직선l의기울기는 원의중심의좌표를(0,a)라하면
pÛ` pÛ` |2_0-a-1|
p-{p- } ='5
4 4 p ¿¹2Û`+(-1)Û`
p = p =2
0-{- } |-a-1|
2 2 ='5,|-a-1|=5
이고직선l의y절편은p이므로직선l의방정식은 '5
p -a-1=5또는-a-1=-5
y= x+p
2 ∴a=-6또는a=4
따라서직선l의x절편은-2이다. ② 따라서두원의중심의좌표는(0,-6)또는(0,4)이므로구하
는두점사이의거리는
14 ¿¹(0-0)Û`+(-6-4)Û`=10 ③
세점O(0,0),A(8,4),B(7,a)를꼭짓점으로하는삼각형
OAB의무게중심G의좌표는 01-2
0+8+7 0+4+a 4+a
{ , }  ∴G{5, } Úx
 Û`+yÛ`-2x+2-k=0에서
3 3 3
(x-1)Û`+yÛ`=k-1
4+a
즉,b=  yy㉠ 이방정식이원을나타내려면
3
한편,직선OA의방정식은 k-1>0  ∴k>1
1 Ûx
 Û`+yÛ`+4x-2ky+2kÛ`-5=0에서
y= x  ∴x-2y=0 (x+2)Û`+(y-k)Û`=9-kÛ`
2
점G(5,b)와직선x-2y=0사이의거리가'5이므로 이방정식이원을나타내려면
|5-2b| 9-kÛ`>0,kÛ`<9  ∴-3<k<3
='5
¿¹1Û`+(-2)Û` Ú,Û에서1<k<3이므로정수k의값은2이다. 2
즉,|5-2b|=5에서5-2b=5또는5-2b=-5
∴b=0또는b=5 유형 02
a>0이므로㉠에서b>0이다. 원이점(2,-4)를지나고x축,y축에동시에접하려면원의중
따라서b=5,a=11이므로 심이제4사분면위에있어야한다.
a+b=11+5=16 ① 이때,반지름의길이를r라하면중심의좌표는(r,-r)이므로

Ⅲ. 도형의 방정식 47

해설.indb 47 17. 7. 7. 오후 5:12


원의 방정식은 03-1
(x-r)Û`+(y+r)Û`=rÛ` xÛ`+yÛ`+2x-4=0에서 (x+1)Û`+yÛ`=5이므로 원의 중심의 좌
이 원이 점 (2, -4)를 지나므로 표는 (-1, 0)이고,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5이다.
(2-r)Û`+(-4+r)Û`=rÛ`   ∴ rÛ`-12r+20=0 원의 중심 (-1, 0)과 직선 2x-y-k=0 사이의 거리 d는
따라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두 원의 반지름 |2_(-1)-1_0-k| |-2-k|
d= =
의 길이의 합은 12이다. ④ ¿¹2Û`+(-1)Û` '5
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5이므로 원과 직선이 접하려면
|-2-k|
='5, |k+2|=5
02-1 '5
1 ∴ k=-7 또는 k=3
원의 중심의 좌표를 (a, b)라 하면 원의 넓이가 직선 y= x에
2
따라서 모든 k의 값의 합은 -7+3=-4 ②
1
의하여 이등분되므로 직선 y= x는 점 (a, b)를 지난다.
2
∴ b= a
1
yy ㉠ 03-2
2 직선 3x+4y-a=0이 원 (x+2)Û`+(y-3)Û`=1과 만나기 위해
마찬가지로 직선 y=-x+3도 점 (a, b)를 지나므로 서는 직선 3x+4y-a=0과 원 (x+2)Û`+(y-3)Û`=1의 중심
b=-a+3 yy ㉡ (-2, 3) 사이의 거리가 1보다 작거나 같아야 한다. 즉,
㉠, ㉡을 연립하여 풀면 a=2, b=1 |3_(-2)+4_3-a|
즉, 원의 중심의 좌표는 (2, 1)이고 이 원은 x축에 접하므로 중심 É1, |6-a|É5
¿¹3Û`+4Û`
의 y좌표의 절댓값과 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같다.
-5É6-aÉ5   ∴ 1ÉaÉ11 yy ㉠
즉, (x-2)Û`+(y-1)Û`=1이므로
마찬가지로 직선 3x+4y-a=0이 원 (x-2)Û`+(y+1)Û`=1과
xÛ`+yÛ`-4x-2y+4=0 만나기 위해서는 직선 3x+4y-a=0과
따라서 상수 C의 값은 4이다. ④
원 (x-2)Û`+(y+1)Û`=1의 중심 (2, -1) 사이의 거리가 1보다
작거나 같아야 하므로
|3_2+4_(-1)-a|
유형 03 É1, |2-a|É5
두 점 (1, -2), (5, 2)를 지름의 양 끝점으로 하는 원의 중심의 ¿¹3Û`+4Û`
좌표는 (3, 0)이고,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두 점 (3, 0), (1, -2) -5É2-aÉ5   ∴ -3ÉaÉ7 yy ㉡
사이의 거리이므로 ㉠, ㉡에서 a의 값의 범위는 1ÉaÉ7
따라서 구하는 정수 a의 값의 합은
¿¹(3-1)Û`+{0-(-2)}Û`=2'2
1+2+3+4+5+6+7=28 ③
∴ (x-3)Û`+yÛ`=8
위의 원의 방정식에 x-y+k=0, 즉 y=x+k를 대입하면
(x-3)Û`+(x+k)Û`=8 유형 04
∴ 2xÛ`+2(k-3)x+kÛ`+1=0  yy ㉠ 원의 방정식 (x-2)Û`+(y-1)Û`=9에서
원과 직선이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나므로 이차방정식 ㉠이 서로 xÛ`+yÛ`-4x-2y-4=0
다른 두 개의 실근을 가져야 한다. 이차방정식 ㉠의 판별식을 D라 두 원 xÛ`+yÛ`-4x-2y-4=0, xÛ`+yÛ`-2x-4y=0의 교점을 지
하면 나는 원의 방정식은
D xÛ`+yÛ`-4x-2y-4+k(xÛ`+yÛ`-2x-4y)=0 (단, k+-1)
=(k-3)Û`-2(kÛ`+1)=-kÛ`-6k+7>0
4 이 원이 점 (1, 1)을 지나므로 x=1, y=1을 대입하면
kÛ`+6k-7<0, (k+7)(k-1)<0 1+1-4-2-4+k(1+1-2-4)=0
∴ -7<k<1 ∴ k=-2
따라서 정수 k는 -6, -5, -4, -3, -2, -1, 0의 7개이다. 즉, 조건을 만족시키는 원의 방정식은 
다른 풀이 xÛ`+yÛ`-6y+4=0   ∴ xÛ`+(y-3)Û`=5
원 (x-3)Û`+yÛ`=8과 직선 x-y+k=0이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따라서 rÛ`의 값은 5이다. ③
만나기 위해서는 원의 중심 (3, 0)과 직선 x-y+k=0 사이의
거리가 원의 반지름의 길이인 2'2보다 작아야 한다. 즉, 04-1
|3-0+k| 두 원 CÁ, Cª의 교점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2'2, |k+3|<4
¿¹1Û`+(-1)Û` xÛ`+yÛ`+2ay-5-(xÛ`+yÛ`-4x-2y+1)=0
-4<k+3<4   ∴ -7<k<1 4x+2(a+1)y-6=0
따라서 정수 k는 -6, -5, -4, -3, -2, -1, 0의 7개이다. ∴ 2x+(a+1)y-3=0 yy ㉠
 ⑤ 한편, 원 Cª의 방정식 xÛ`+yÛ`-4x-2y+1=0에서

48 정답과 풀이

해설.indb 48 17. 7. 7. 오후 5:12


531 Project Speedy

Cª`:`(x-2)Û`+(y-1)Û`=4 1 12 12 72
_| |_| |= =12
직선 ㉠과 원 Cª의 중심 (2, 1) 사이의 거리가 1이므로 2 a b |ab|
|4+(a+1)-3| |a+2| ∴ |ab|=6
= =1
¿¹2Û`+(a+1)Û` ¿¹a`Û +2a+5` 한편, 점 (a, b)는 원 xÛ`+yÛ`=12 위의 점이므로
1 aÛ`+bÛ`=12, 즉 |a|Û`+|b|Û`=12
(a+2)Û`=aÛ`+2a+5, 2a=1   ∴ a=  ④
2 ∴ |a|+|b|=¿¹|a|Û`+|b|Û`+2|ab|
='Ä12+2_6=2'6 ④
유형 05
직선 y=mx+2가 원 (x+2)Û`+(y-1)Û`=4와 만나는 한 점을
P라 하고, 원의 중심에서 직선 y=mx+2에 내린 수선의 발을 H 06-1
원 (x-3)Û`+(y-1)Û`=5에 접하는 직선이 직선 y=2x-3과 평
라 하자.
행하므로 접선의 기울기는 2이다.
원 (x+2)Û`+(y-1)Û`=4의 중심을  y=mx+2 1 y
2P 즉, 원 (x-3)Û`+(y-1)Û`=5에 접하는 직선은 기울기가 2이고
C(-2, 1)이라 하면 선분 CP의 길이 H
2 원 xÛ`+yÛ`=5에 접하는 직선을 x축의 방향으로 3만큼, y축의 방
는 원의 반지름의 길이와 같으므로 2
향으로 1만큼 평행이동한 직선과 같다.
CPÕ=2
C{-2, 1} 원 xÛ`+yÛ`=5에 접하는 기울기가 2인 직선의 방정식은
이때, 수선의 발은 현의 중점과 같고,
O x
1 y=2xÑ'5_¿¹2Û`+1
현의 길이가 1이므로  PHÓ=
2 {x+2}@+{y-1}@=4 즉, y=2xÑ5이므로 이 직선을 x축의 방향으로 3만큼, y축의 방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하여 향으로 1만큼 평행이동시키면
1 '¶15
CHÓ=®É2Û`-{ }Û`= y=2(x-3)Ñ5+1
2 2
즉, 두 접선의 방정식은 y=2x, y=2x-10
이므로 원의 중심 C(-2, 1)과 직선 y=mx+2 사이의 거리는
이때, 두 직선의 y절편은 각각 0, -10이고, a>b이므로
|-2m-1+2| '¶15
= a=0, b=-10
¿¹mÛ`+(-1)Û` 2
∴ a-b=0-(-10)=10 ⑤
4(-2m+1)Û`=15(mÛ`+1)
∴ mÛ`-16m-11=0
따라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모든 상수 m의 06-2
값의 합은 16이다. ② 원 (x+2)Û`+(y-1)Û`=9의 중심 y
P{1,`5}
을 C라 하면 C(-2, 1)이고,
A
05-1 CAÓ=3 M
3
직선 y=mx가 원 (x-3)Û`+(y-1)Û`=25와 만나는 한 점을 P라 CPÕ=¿¹{1-(-2)}Û`+(5-1)Û`=5 B
C{-2,`1}
하고, 원 (x-3)Û`+(y-1)Û`=25의 중심을 C(3, 1)이라 하자. 삼각형 ACP는 직각삼각형이므로 O x
점 C에서 직선 y=mx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현의 길이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하여 APÓ=4
{x+2}@+{y-1}@=9
는 2PHÓ이므로 현의 길이가 최소가 되기 위해서는 선분 CH의 길 이다.
이가 최대가 되어야 한다. 또한 선분 CP와 선분 AB의 교점을 M이라 하면

△ACP= 12 _CAÓ_PAÓ= 12 _CPÕ_AMÓ이므로


이때, 직선 y=mx는 항상 원점 y
{x-3}@+{y-1}@=25
(0, 0)을 지나므로 선분 CH의 길이
는 점 H가 원점의 위치에 존재할 때 P 1 1 12
5 _3_4= _5_AMÓ   ∴ AMÓ=
2 2 5
최대가 된다. C{3, 1}
x 12 24
점 H가 원점의 위치에 존재할 때, H ∴ ABÓ=2_AMÓ=2_ =
5 5
CPÕ=5, CHÓ='¶10이므로 현의 길 따라서 p=5, q=24이므로
y=mx
이의 최솟값은 p+q=5+24=29 ⑤
2PHÓ=2¿¹5Û`-('¶10)Û`=2'¶15 ④

유형 06 빈출 유형 마무리 본문 74~75쪽
원 xÛ`+yÛ`=12 위의 점 (a, b)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ax+by=12 01 ① 02 ① 03 ⑤ 04 9 05 14 06 ②
이므로 이 직선의 x절편과 y절편은 각각
12 12
, 이다.
07 ⑤ 08 ④ 09 ④ 10 ② 11 ② 12 ①
a b 13 25 14 ①
이 직선과 x축, y축으로 둘러싸인 삼각형의 넓이는 12이므로

Ⅲ. 도형의 방정식 49

해설.indb 49 17. 7. 7. 오후 5:12


01 03
두 점 A(1, 4), B(-3, k)를 지름의 양 끝점으로 하는 원의 중심은 두 점 A(1, 0), B(4, 3)까지의 거리의 비가 2`:`1인 점의 좌표를
4+k
선분 AB의 중점이므로 원의 중심의 좌표는 {-1, }이다. (x, y)라 하면
2
¿¹(x-1)Û`+yÛ```:`¿¹(x-4)Û`+(y-3)Û`=2`:`1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원의 중심과 원 위의 점 A(1, 4) 사이의 거
리와 같으므로 2¿¹(x-4)Û`+(y-3)Û`=¿¹(x-1)Û`+yÛ`
4(xÛ`-8x+16+yÛ`-6y+9)=xÛ`-2x+1+yÛ`
4+k Û kÛ`
®É{1-(-1)}Û`+{4- }`=¾¨4+{4-2k+ } 3xÛ`-30x+3yÛ`-24y+99=0
2 4
kÛ` xÛ`-10x+yÛ`-8y+33=0
=¾¨ -2k+8
4 (x-5)Û`+(y-4)Û`=8   ∴ a=5, b=4, r=2'2
따라서 조건을 만족하는 원의 넓이는 ∴ aÛ`+bÛ`+rÛ`=25+16+8=49 ⑤
kÛ` 1
{ -2k+8}p= {(k-4)Û`+16}p 04
4 4
이므로 k=4일 때 원의 넓이가 최소가 되고, 그 값은 4p이다. xÛ`+yÛ`+2x-6y+6=0에서 (x+1)Û`+(y-3)Û`=4
다른 풀이 원의 중심 (-1, 3)과 직선 2x-3y-2=0 사이의 거리는
|2_(-1)-3_3-2|
두 점 A(1, 4), B(-3, k)를 지름의 양 끝점으로 하는 원의 반지 ='¶13
¿¹2Û`+(-3)Û`
ABÓ
름의 길이는 이다. 즉,
2 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2이므로 M='¶13+2, m='¶13-2
ABÓ ¿¹(-3-1)Û`+(k-4)Û` ¿¹(k-4)Û`+16 ∴ Mm=('¶13+2)('¶13-2)=9 9
= =
2 2 2
이때,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k=4일 때 최소이고, 그 값은 2이다. 05
따라서 원의 넓이의 최솟값은 4p이다. ① 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r라 하면
prÛ`=20p   ∴ r=2'5`(∵ r>0)
원의 중심 (2, 3)과 직선 x-2y+a=0 사이의 거리는
|2-2_3+a| |a-4|
=
¿¹1Û`+(-2)Û` '5
02
점 P(2, 0)을 중심으로 하고 반지름의 길이가 2인 원의 방정식은 이므로 원과 직선이 접하려면
(x-2)Û`+yÛ`=4 |a-4|
=2'5, |a-4|=10
y=x를 위의 식에 대입하면 '5
a-4=10 또는 a-4=-10
(x-2)Û`+xÛ`=4, 2xÛ`-4x=0, 2x(x-2)=0
∴ a=14 또는 a=-6
∴ x=0 또는 x=2
따라서 양수 a의 값은 14이다.  14
즉, 두 점 A, B는 각각 A(0, 0), B(2, 2)라 할 수 있다.
세 점 A, B, P를 지나는 원의 방정식을 
06
xÛ`+yÛ`+Ax+By+C=0 원의 방정식 (x+2)Û`+(y-1)Û`=3에서
이라 하고 세 점 A, B, P의 좌표를 각각 대입하면
xÛ`+yÛ`+4x-2y+2=0이므로 두 원의 교점을 지나는 직선의 방
C=0 정식은 xÛ`+yÛ`+4x-2y+2-(xÛ`+yÛ`-ky-1)=0
8+2A+2B+C=0
4 3
4+2A+C=0 4x+(k-2)y+3=0   ∴ y=- x-
k-2 k-2
C=0이므로 A=-2, B=-2 4
이 직선의 기울기는 - =-2이므로 k=4이다.
즉, 구하는 원의 방정식은 xÛ`+yÛ`-2x-2y=0이므로 k-2
(x-1)Û`+(y-1)Û`=2  3
따라서 이 직선의 y절편은 - 이다. ②
2
따라서 원의 중심은 (1, 1)이고 반지름의 길이는 '2이다.
∴ a=1, b=1, c='2 07
∴ abc=1_1_'2='2 원의 중심을 C(-1, 3), 두 접 y
A
다른 풀이 선과 원과의 교점을 각각 A, B
점 P(2, 0)과 두 점 A(0, 0), B(2, 2)에 대하여 삼각형 ABP는 라 하면 두 접선이 서로 수직이 P{5,`5}

선분 AB를 빗변으로 하는 직각삼각형이므로 세 점 A, B, P를 지 므로 사각형 PACB는 정사각형


C{-1,`3}
나는 원의 중심은 선분 AB의 중점인 (1, 1)이고 반지름의 길이는 이다. B
두 점 (1, 1), (2, 2) 사이의 거리인 '2와 같다.
O x
직각삼각형 PAC에서 피타고라 {x+1}@+{y-3}@=r@
∴ abc='2 ① 스 정리에 의하여

50 정답과 풀이

해설.indb 50 17. 7. 7. 오후 5:12


531 Project Speedy

CPÕ Û`=ACÓ Û`+APÓ Û`, 즉 점 B(-1, 3)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x+3y=10


{5-(-1)}Û`+(5-3)Û`=rÛ`+rÛ`, 40=2rÛ`, rÛ`=20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x=2, y=4
∴ r=Ñ2'5 따라서 두 접선의 교점은 P(2, 4)이다.
따라서 구하는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2'5이다. ⑤ 직선 AB의 방정식은
3-1 1 5
y-1= (x-3)   ∴ y=- x+
-1-3 2 2
08 1 5
직선 y=- x+ , 즉 x+2y-5=0과 점 P(2, 4) 사이의 거
원 (x-2)Û ` +(y-1)Û ` =rÛ ` 의 중심을 y 2 2
CÁ(2, 1)이라 하면 삼각형 PACÁ은 P{-1,`4} |2+8-5| 5
= ='5
'5
리는
∠PACÁ=90ù인 직각삼각형이고, A ¿¹1Û`+2Û
PCÁÓ‌
=¿¹{2-(-1)}Û`+(1-4)Û` 1
C¡ 2 ABÓ=¿¹(-1-3)Û`+(3-1)Û`=2'5
='¶18 B -1 O x
따라서 삼각형 ABP의 넓이는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하여 -2
C™ 1
_2'5_'5=5 ②
PCÁÓ Û`=PAÓ Û`+ACÁÓ Û` 2
18=PAÓ Û`+rÛ`
∴ PAÓ Û`=18-rÛ` yy ㉠
또한 원 (x+1)Û`+(y+2)Û`=4rÛ`의 중심을 Cª(-1, -2)라 하면 11
삼각형 PBCª도 ∠PBCª=90ù인 직각삼각형이고, x축의 양의 방향과 이루는 각의 크기가 60ù이므로 직선의 기울기
는 tan 60ù='3이다.
PCªÓ=¿¹{-1-(-1)}Û`+(-2-4)Û`='¶36=6
즉, 직선의 방정식을 y='3x+a`(a는 상수)라 하면 이 직선이 원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하여
xÛ`+(y-3)Û`=1에 접하기 위해서는 원의 중심 (0, 3)과 직선
PCªÓ Û`=PBÓ Û`+BCªÓ Û`
y='3x+a 사이의 거리가 원의 반지름의 길이 1과 같아야 하므로
36=PBÓ Û`+4rÛ`
|a-3| |a-3|
∴ PBÓ Û`=36-4rÛ` yy ㉡ = =1, |a-3|=2
¿¹('3 )Û`+(-1)Û 2
PAÓ=PBÓ에서 PAÓ Û`=PBÓ Û`이므로 ㉠, ㉡에서
∴ a=5 또는 a=1
18-rÛ`=36-4rÛ`, 3rÛ`=18, rÛ`=6   ∴ r=Ñ'6
Ú ‌a=5인 경우 
따라서 구하는 양수 r는 '6 이다. ④
직선의 방정식은 y='3x+5이고 원 (x-k)Û`+yÛ`=1에 접하
기 위해서는
09 |'3k+5|
=1, |'3k+5|=2
2
원 (x-1)Û`+(y-2)Û`=4의 중심을 y
{x-1}@+{y-2}@=4 '3k+5=2 또는 '3k+5=-2
C(1, 2)라 하고,  S
7
직선 x+2y-3=0이 ∴ k=-'3 또는 k=-
'3

C
원 (x-1)Û`+(y-2)Û`=4와 만나는 2 R
P
2 Û ‌a=1인 경우 
두 점을 각각 P, Q라 하자. H
Q 직선의 방정식은 y='3x+1이고 원 (x-k)Û`+yÛ`=1에 접하
원 (x-1)Û`+(y-2)Û`=4에 내접하 O 1 x
x+2y-3=0
기 위해서는
는 직사각형을 PQRS라 하고, 점 C
|'3k+1|
에서 직선 PQ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QRÓ=2CHÓ이고, =1, |'3k+1|=2
2
CHÓ=
|1+2_2-3| 2
= =
2'5 '3k+1=2 또는 '3k+1=-2
'5
이므로
¿¹1Û`+2Û` 5
1
∴ k= 또는 k=-'3
4'5 '3
QRÓ=
5 따라서 모든 k의 값의 곱은
2'5 Û 4'5 7 1 7'3
삼각형 CQH에서 QHÓ=¾¨2Û`-{ }`= -'3_{- }_ =
'3 '3
이므로  ②
5 5 3
8'5
PQÕ=2QHÓ=
5
따라서 직사각형 PQRS의 넓이는 12
8'5 4'5 32 접선의 기울기를 m이라 하면 접선의 방정식은 y=m(x-a)이
PQÕ_QRÓ= _ =  ④
5 5 5
고, 이 직선이 원 (x-1)Û`+(y-2)Û`=2에 접하므로 원의 중심
(1, 2)와 직선 y=m(x-a) 사이의 거리가 '2이다.
10 |m(1-a)-2|
='2
점 A(3, 1)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3x+y=10 ¿¹mÛ`+(-1)Û

Ⅲ. 도형의 방정식 51

해설.indb 51 17. 7. 3. 오후 4:45


(1-a)Û`mÛ`-4(1-a)m+4=2mÛ`+2
Ⅲ. 도형의 방정식
(aÛ`-2a-1)mÛ`-4(1-a)m+2=0
두접선의기울기의합이4이므로이차방정식의근과계수의관계
에의하여
04 | 도형의 이동
4(1-a)
=4,aÛ`-2a-1=1-a
aÛ`-2a-1 내신&수능 빈출 유형 본문 77~78쪽
aÛ`-a-2=0,(a+1)(a-2)=0
∴a=-1또는a=2 유형 01
b>a이므로a=-1,b=2 직선y=3x+1을x축의방향으로m만큼,y축의방향으로2m만
∴b-a=2-(-1)=3 ① 큼평행이동한직선의방정식은
y-2m=3(x-m)+1
13 ∴y=3x-m+1
f(x)=ax+b`(a,b는상수) yy㉠ 이직선이원의중심(1,-1)을지나므로
라하자. -1=3_1-m+1
직선y=ax+b와원xÛ`+yÛ`=25가접하므로두식을연립한이 ∴m=5 ③
차방정식xÛ`+(ax+b)Û`=25는중근을갖는다.
xÛ`+(ax+b)Û`=25에서 01-1
xÛ`+aÛ`xÛ`+2abx+bÛ`-25=0 점A(1,2)를x축의방향으로m만큼,y축의방향으로n만큼평
(aÛ`+1)xÛ`+2abx+bÛ`-25=0 yy㉡ 행이동한점이B(4,-2)라하면
이차방정식㉡의판별식을D라하면 1+m=4에서m=3
D 2+n=-2에서n=-4
=(ab)Û`-(aÛ`+1)(bÛ`-25)=0
4 즉,x축의방향으로3만큼,y축의방향으로-4만큼평행이동한다.
aÛ`bÛ`-(aÛ`bÛ`-25aÛ`+bÛ`-25)=0 이평행이동에의하여점C(a,b)는점(a+3,b-4)로옮겨지
25aÛ`-bÛ`+25=0 고,이점은삼각형ABD의무게중심
∴bÛ`-25aÛ`=25 1+4+2a 2+(-2)+(-b)
{ , }와일치하므로
x=-5,x=5를㉠에대입하면 3 3
f(-5)f(5)=(-5a+b)(5a+b)=bÛ`-25aÛ` 5+2a -b
a+3= ,b-4=
3 3
따라서f(-5)f(5)의값은25이다.  25
∴a=-4,b=3
∴a+b=(-4)+3=-1 ②
14
평행한두직선l,l'이원의접선이 y l
P 01-2
므로선분PQ는원의지름이고,원 5
2 원 xÛ`+(y-2)Û`=9를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y축의 방향으로
의 중심인 C(a, b)는 선분 PQ의 C
b l' -1만큼평행이동한원C의방정식은
중점이다. a
O x (x-2)Û`+{(y+1)-2}Û`=9
또한삼각형POQ가정삼각형이므 Q
∴(x-2)Û`+(y-1)Û`=9
로직선OC가선분PQ를수직이등
한편,직선y=2x를x축의방향으로m만큼평행이동한직선의
분한다.
방정식은
따라서직선OC는직선l과평행하다.
y=2(x-m)  ∴y=2x-2m
즉,직선OC의방정식은x-2y=0이므로
이직선이원(x-2)Û`+(y-1)Û`=9에접하므로직선
a-2b=0 yy㉠
2x-y-2m=0과원의중심(2,1)사이의거리가원의반지름
원점O와직선l`:`x-2y+5=0사이의거리는
의길이인3과같다.
|5|
='5 |2_2-1-2m|
¿¹1Û`+(-2)Û` =3,|3-2m|=3'5
¿¹2Û`+(-1)Û`
∴PCÓ='5
4mÛ`-12m+9=45  ∴mÛ`-3m-9=0
이때,삼각형POQ가정삼각형이므로선분OC의길이는원의반
따라서이차방정식의근과계수의관계에의하여모든상수m의
지름의길이PCÓ의'3배이다.
값의합은3이다. ③
즉,OCÓ=¿¹aÛ`+bÛ`='3_'5='¶15이다.
∴aÛ`+bÛ`=15 yy㉡ 유형 02
㉠,㉡에서a=2'3,b='3(∵a>0,b>0) 원(x+1)Û`+(y-1)Û`=3을x축에대하여대칭이동한원C의방
∴a+b=2'3+'3=3'3 ① 정식은

52 정답과 풀이

해설.indb 52 17. 7. 3. 오후 4:45


531 Project Speedy

(x+1)Û`+(-y-1)Û`=3 를 점 (1, 3)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의 좌표를 (x', y')이라 하면


즉, (x+1)Û`+(y+1)Û`=3이므로 원 C는 중심의 좌표가  x+x' y+y'
=1, =3
(-1, -1)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3이다. 2 2
또한 직선 y=mx+3을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직선 ∴ x=2-x', y=6-y'
l의 방정식은 점 P는 곡선 y=xÛ`+2x-1 위의 점이므로
x=my+3 6-y'=(2-x')Û`+2(2-x')-1
이때, 직선 l이 원 C의 넓이를 이등분하므로 직선 l은 원 C의 중 ∴ y'=-x'Û`+6x'-1
심 (-1, -1)을 지나야 한다. 즉, 곡선 y=xÛ`+2x-1을 점 (1, 3)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곡선
x=-1, y=-1을 직선 l의 방정식에 대입하면 은 y=-xÛ`+6x-1이다.
-1=-m+3   ∴ m=4 ④ 점 (2, a)가 곡선 y=-xÛ`+6x-1 위의 점이므로
a=-2Û`+6_2-1=7 ⑤

02-1
직선 y=x+2를 x축의 방향으로 m만큼 평행이동하면 03-2
y=x-m+2 직선 y=2x 위의 임의의 한 점을 P(x, y)라 하고, 점 P를 직선
이 직선을 다시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동하면 y=x+1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을 Q(x', y')이라 하면 직선
x=y-m+2이므로 x-y+m-2=0 PQ의 기울기는 -1이므로
이때, 직선 x-y+m-2=0이 원 (x-3)Û`+(y+1)Û`=8에 접하 y-y'
=-1
므로 원의 중심 (3, -1)과 직선 x-y+m-2=0 사이의 거리는 x-x'
원의 반지름의 길이인 2'2와 같다. ∴ y-y'=-x+x' yy ㉠
선분 PQ의 중점 { }은 직선 y=x+1 위의 점이므로
|3-(-1)+m-2| |2+m| x+x' y+y'
=2'2, =2'2 ,
¿¹1Û`+(-1)Û` '2 2 2
y+y' x+x'
|2+m|=4 = +1
2 2
2+m=-4 또는 2+m=4 ∴ y+y'=x+x'+2 yy ㉡
∴ m=-6 또는 m=2 ㉠, ㉡을 연립하여 풀면
∴ m=2 (∵ m>0) ②
x=y'-1, y=x'+1
이때, 점 P(x, y)는 직선 y=2x 위의 점이므로
유형 03 x'+1=2(y'-1)
점 B의 좌표를 (c, d)라 하면 두 점 A(4, 2), B(c, d)에 대하여 1 3
∴ y'= x'+
선분 AB의 중점이 (3, 0)이므로 2 2
4+c 2+d 즉, 직선 y=2x를 직선 y=x+1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직선의 방
=3, =0
2 2 정식은
∴ c=2, d=-2 1 3
y= x+
즉, 점 B의 좌표는 (2, -2)이다. 2 2
한편, 점 B(2, -2)를 직선 y=2x-1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이 3
따라서 구하는 직선의 y절편은 이다. ④
2
C(a, b)이므로 두 점 B, C를 이은 선분 BC의 중점
2+a -2+b
{ , }는 직선 y=2x-1 위의 점이다.
2 2
-2+b 2+a
유형 04
=2_ -1, -2+b=4+2a-2 오른쪽 그림과 같이 점 A(2, 1)을  y
2 2 A'{1, 2} y=x

∴ -2a+b=4 yy ㉠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을


B
또한 두 점 B(2, -2), C(a, b)를 지나는 직선은 직선 y=2x-1 A'(1, 2)라 하고, 점 A를 x축에 대하 A{2, 1}

과 수직이므로 여 대칭이동한 점을 A"(2, -1)이라 O


C x
b-(-2) 1 하면
=- , 2b+4=-a+2 A"{2, -1}
a-2 2 ABÓ=A'BÓ, ACÓ=A"CÓ
∴ a+2b=-2 yy ㉡ 이므로
㉠, ㉡을 연립하여 풀면 a=-2, b=0 ABÓ+BCÕ+CAÓ=A'BÓÓ+BCÕ+CA"Ó
∴ a+b=-2+0=-2 ① ¾A'A"Ó
=¿¹(2-1)Û`+(-1-2)Û`
03-1 ='¶10
곡선 y=xÛ`+2x-1 위의 임의의 한 점을 P(x, y)라 하고, 점 P 따라서 삼각형 ABC의 둘레의 길이의 최솟값은 '¶10이다. ③

Ⅲ. 도형의 방정식 53

해설.indb 53 17. 7. 3. 오후 4:45


04-1 점 (a+1, -2b+2)가 점 Q(b, a)와 일치하므로
오른쪽 그림과 같이 점 A(3, 5)를 y a+1=b에서 a-b=-1 yy ㉠
y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을 A'{-3, 5} A{3, 5} -2b+2=a에서 a+2b=2 yy ㉡
A'(-3, 5), 점 B를 x축에 대하여 P ㉠, ㉡을 연립하여 풀면
B{5, 1}
대칭이동한 점을 B'(5, -1)이라 a=0, b=1
하면 O Q x ∴ P(0, 2), Q(1, 0)
B'{5, -1}
APÓ+PQÕ+QBÓ=A'PÓ+PQÕ+QB'Ó 따라서 세 점 O(0, 0), P(0, 2), Q(1, 0)을 꼭짓점으로 하는 삼
¾A'B'Ó 각형 OPQ의 넓이는
1
=¿¹{5-(-3)}Û`+(-1-5)Û` _2_1=1 ①
2
=10
∴ d=10
한편, 직선 A'B'의 방정식은 03
-1-5 직선 y=2x+2를 x축의 방향으로 m만큼 평행이동한 직선 lÁ의
y-5= {x-(-3)}
5-(-3) 방정식은
3 11 lÁ`:`y=2(x-m)+2
∴ y=- x+
4 4 직선 y=2x+2를 y축의 방향으로 m만큼 평행이동한 직선 lª의
11 11
따라서 직선 A'B'의 y절편은 이므로 k= 방정식은
4 4
lª`:`y=2x+2+m
11
∴ 4k+d=4_ +10=21  21 한편, 곡선 y=xÛ`+x+1이 직선 lÁ과 만나기 위해서는 x에 대한
4
이차방정식 2(x-m)+2=xÛ`+x+1의 실근이 존재해야 한다.
즉, 이차방정식 xÛ`-x+2m-1=0의 판별식을 DÁ이라 하면
DÁ=1-4(2m-1)¾0
5 5
mÉ    ∴ a=
8 8
또한 곡선 y=xÛ`+x+1이 직선 lª와 만나기 위해서는 x에 대한
이차방정식 2x+2+m=xÛ`+x+1의 실근이 존재해야 한다.
즉, 이차방정식 xÛ`-x-m-1=0의 판별식을 Dª라 하면
Dª=1-4(-m-1)¾0
5 5
m¾-    ∴ b=-
4 4
빈출 유형 마무리 본문 79~80쪽
5 5 15
∴ a-b= -{- }=  ③
8 4 8
01 ④ 02 ① 03 ③ 04 ② 05 ② 06 ①
07 ③ 08 6 09 ④ 10 ⑤ 11 11 12 11
13 16 14 ① 15 26 04
점 P(a, b)를 y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 Q의 좌표는 (-a, b),
점 P(a, b)를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 R의 좌표는
01 (b, a)이다.
점 (3, 5)가 평행이동 (x, y) → (x+a, y-2)에 의하여 옮겨진
QRÓ=4이므로
점의 좌표는
(3+a, 5-2), 즉 (3+a, 3) QRÓ=¿¹(-a-b)Û`+(b-a)Û`=4
이 점이 직선 y=2x+1 위의 점이므로 (a+b)Û`+(a-b)Û`=16   ∴ aÛ`+bÛ`=8
3=2(3+a)+1 즉, 점 P(a, b)가 나타내는 도형은 중심의 좌표가 (0, 0)이고 반
2a=-4   ∴ a=-2 ④ 지름의 길이가 2'2인 원이다.
따라서 점 P가 나타내는 도형의 길이는
2p_2'2=4'2p ②
02
점 P(a, 2b)를 x축의 방향으로 1만큼, y축의 방향으로 -2만큼
평행이동한 점의 좌표는 05
(a+1, 2b-2) f(x, y)=0이 나타내는 도형을 x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하면
점 (a+1, 2b-2)를 x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의 좌표는 f(x, -y)=0이고, 이것을 다시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동하면
(a+1, -2b+2) f(y, -x)=0이므로  f(y, -x)=0이 나타내는 도형은 ②이다.

54 정답과 풀이

해설.indb 54 17. 7. 3. 오후 4:45


531 Project Speedy

다른 풀이 3
따라서 직선 y= x-3과 x축, y축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는
4
방정식  f(x, y)=0이 나타내는 도형을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
1
이동하면  f(y, x)=0이고, 이것을 다시 y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하면 _4_3=6 6
2
f(y, -x)=0이므로  f(y, -x)=0이 나타내는 도형은 ②이다.
 ② 09
점 P의 좌표를 (t, 2t)`(t>0)라 하면 원 C의 방정식은
06
(x-t)Û`+(y-2t)Û`=16
원 (x+1)Û`+(y-3)Û`=8을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도
이때, 원 C의 중심의 좌표가 (t, 2t)이므로 이 점을 x축에 대하여
형의 방정식은 (x-3)Û`+(y+1)Û`=8이므로 원 C는 중심의 좌표
대칭이동하면 점 (t, -2t)이고, 다시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평행
가 (3, -1)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2'2이다.
이동한 점 (t+2, -2t)가 원 C'의 중심이다.
또한 직선 y=x+1을 x축의 방향으로 m만큼 평행이동한 직선의
두 원 C와 C'이 외접할 때, 두 원 C, C'의 중심 사이의 거리는 두
방정식은 y=x-m+1
원의 반지름의 길이의 합과 같으므로
이 직선을 다시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직선의 방정식은
¿¹{t-(t+2)}Û`+{2t-(-2t)}Û`=8
x=y-m+1
16tÛ`+4=64, 16tÛ`=60
직선 x-y+m-1=0이 원 C에 접하므로 원의 중심 (3, -1)과
'¶15
직선 x-y+m-1=0 사이의 거리는 원의 반지름의 길이인 2'2 ∴ t= (∵ t>0)
2
와 같다. '¶15
|3-(-1)+m-1| 따라서 점 P의 좌표는 { , '¶15}이므로
=2'2 2
¿¹1Û`+(-1)Û` 15 5'3
OPÓ=®É +15=  ④
|m+3|=4   ∴ m=1`(∵ m>0) ① 4 2

07 10
원 xÛ`+(y-1)Û`=4의 중심을 CÁ(0, 1)이라 하고, 점 Q의 좌표를 (a, b)라 하면 직선 PQ는 직선 y=-x+2에 수
원 xÛ`+8x+yÛ`-6y+21=0, 즉 (x+4)Û`+(y-3)Û`=4의 중심 직이므로 기울기는 1이다.
0-4 1+3
을 Cª(-4, 3)이라 하면 선분 CÁCª의 중점 { , }, 즉 b-1
=1   ∴ a-b=-3 yy ㉠
2 2 a+2
(-2, 2)가 직선 y=ax+b 위에 있으므로 -2+a 1+b
선분 PQ의 중점 { , }는 직선 y=-x+2 위에 있
2=a_(-2)+b 2 2
∴ 2a-b=-2 yy ㉠ 으므로
또한 직선 CÁCª와 직선 y=ax+b는 서로 수직이므로 1+b -2+a
=- +2   ∴ a+b=5 yy ㉡
2 2
3-1 1
=-    ∴ a=2 ㉠, ㉡을 연립하여 풀면 a=1, b=4
-4-0 a
y
a=2를 ㉠에 대입하면 b=6 즉, 점 Q의 좌표는 (1, 4) y=-x+2
4 Q
∴ a+b=2+6=8 ③ 오른쪽 그림에서 삼각형 OPQ의 넓이는
1 1 1
_(1+4)_3- _2_1- _1_4 1
08 2 2 2 P

직선 3x-4y+2=0을 x축의 방향으로 a만큼, y축의 방향으로 b 15 9 -2 O 1 x


= -1-2=
2 2
만큼 평행이동한 직선의 방정식은
 ⑤
3(x-a)-4(y-b)+2=0
∴ 3x-4y-3a+4b+2=0
11
이 직선이 3x-4y-10=0과 일치하므로
점 A를 x축의 방향으로 1만큼 평행이동한 후 x축에 대하여 대칭
-3a+4b+2=-10
이동한 점을 A'이라 하면 A'(-1, -3)이다.
3a-4b-12=0
점 P를 x축의 방향으로 1만큼 평행이동한 점을 P'이라 하면
3a-12
∴ b=
4 APÓ=A'P'Ó이므로
3a-12 APÓ+QBÓ=A'P'Ó+QBÓ
따라서 원점 (0, 0)은 주어진 평행이동에 의하여 {a, }로
4 ¾A'BÓ
옮겨지므로 원점이 옮겨지는 점들이 나타내는 도형의 방정식은
=¿¹{5-(-1)}Û`+{5-(-3)}Û`=10
3a-12
x=a, y= ∴ APÓ+PQÓ+QBÓ‌=APÓ+1+QBÓ 
4
3 ¾10+1=11
∴ y= x-3 따라서 APÓ+PQÓ+QBÓ가 최소일 때는 APÓ+QBÓ가 최소일 때이
4

Ⅲ. 도형의 방정식 55

해설.indb 55 17. 7. 3. 오후 4:45


므로 구하는 APÓ+PQÓ+QBÓ의 최솟값은 11이다.  11 라 하면 D'(7, 4)이다.
12 CEÓ=C'EÓ, FDÓ=FD'Ó이므로
그림과 같이 강 A에 도달하는 점을 R, P'{-4, 5} y CEÓ+EFÓ+FDÓ=C'EÓ+EFÓ+FD'Ó
P{4, 5}
강 B에 도달하는 점을 S, 점 S를 x축 ¾C'D'Ó
Q{3, 3}
의 방향으로 1만큼 평행이동한 점을 즉, CEÓ+EFÓ+FDÓ의 값이 최소일 때는 점 E, F가 두 점 C', D'
R
T라 하자. S
을 지나는 직선 위에 있을 때이다.
O T x 두 점 C'(-8, -1), D'(7, 4)를 지나는 직선의 기울기는
또한 점 P(4, 5)를 y축에 대하여 대칭
이동한 점을 P'이라 하고, 점 Q(3, 3) S'{2, -3} 4-(-1) 5 1
Q'{3, -3} = =
7-(-8) 15 3
을 x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을 Q', 점 Q'을 x축의 방향으로
이므로 두 점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1만큼 평행이동한 점을 S'이라 하면
1
P'(-4, 5), Q'(3, -3), S'(2, -3) y-4= (x-7)
3
∴ PRÓ+RSÕ+STÕ+TQÓ=P'RÓ+RSÕ+1+TQ'Ó
1 5
=P'RÓ+RSÕ+SS'Ó+1 ∴ y= x+  yy ㉠
3 3
¾P'S'Ó+1 따라서 CEÓ+EFÓ+FDÓ의 값이 최소가 되도록 하는 점 E의 x좌표
=¿¹(-4-2)Û`+{5-(-3)}Û`+1 는 직선 ㉠의 x절편이므로
=11 1 5
0= x+    ∴ x=-5 ①
3 3
따라서 움직인 거리의 최솟값은 11이다.  11

13
15
4 y
4x-3y-6=0에서 y= x-2이므로 두 삼각형 OAB, O'A'B'에 내접하 y
3 2 4x-3y-6=0

4 는 원을 각각 C, C'이라 하자. B'
A
직선 AB의 기울기는 이고 점 A를
3 -2 O 2 x 원 C의 반지름의 길이를 r라 하면 B3 C'
H
x축의 방향으로 4만큼, y축의 방향으 B 원 C는 x축, y축에 모두 접하고 2 A'
-2 C r O'
C 4
로 -3만큼 평행이동한 점이 C이므로 제 1 사분면에 중심이 있으므로 중심 O A 9 x
3 C™ 의 좌표는 (r, r)이다.
직선 AC의 기울기는 - 이다. D
4 또한 두 점 A(4, 0), B(0, 3)에 대하여 직선 AB의 방정식은
즉, 두 직선 AB, AC의 기울기의 곱이 -1이므로 서로 수직이다. x y
+ =1   ∴ 3x+4y-12=0
따라서 사각형 ABDC는 직사각형이고 4 3
ACÓ=¿¹4Û`+(-3)Û`=5 원 C가 직선 AB에 접하므로 원의 중심 (r, r)와 직선 AB 사이
또한 원점에서 직선 4x-3y-6=0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의 거리는 원의 반지름의 길이 r와 같다.
|-6| 6 |3r+4r-12|
OHÓ= = =r, |7r-12|=5r
¿¹4Û`+(-3)Û` 5 ¿¹3Û`+4Û`
삼각형 OAH에서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하여 7r-12=5r 또는 7r-12=-5r
AHÓ Û`=OAÓ Û`-OHÓ Û` ∴ r=6 또는 r=1
6 64 그런데 0<r<3이므로 r=1이다.
=2Û`-{ }Û`=
5 25 따라서 원 C의 방정식은
8 (x-1)Û`+(y-1)Û`=1
∴ AHÓ= (∵ AHÓ>0)
5
점 A(4, 0)을 x축의 방향으로 5만큼, y축의 방향으로 2만큼 평행
8 16
ABÓ=2AHÓ이므로 ABÓ=2_ = 이동한 점이 A'이므로 이 평행이동에 의하여 원 C가 평행이동한
5 5
따라서 선분 AC, 선분 BD, 호 AB 및 호 CD로 둘러싸인 색칠된 원 C'의 방정식은
부분의 넓이는 직사각형 ABDC의 넓이와 같으므로 {(x-5)-1}Û`+{(y-2)-1}Û`=1
16 (x-6)Û`+(y-3)Û`=1
ABÓ_ACÓ= _5=16  16
5 xÛ`+yÛ`-12x-6y+44=0
14 ∴ a=-12, b=-6, c=44
점 C(-8, 1)을 x축에 대하 y y=x ∴ a+b+c=-12+(-6)+44=26  26
B
여 대칭이동한 점을 C'이라 하 D{4, 7}

면 C'(-8, -1)이고,
D'{7, 4}
점 D(4, 7)을 직선 y=x에 C F
A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을 D'이 E O x
C'{-8, -1}

56 정답과 풀이

해설.indb 56 17. 7. 7. 오후 5:12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