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12

b l a c k l a b e l

A n s w e r

정답과 해설
1등급을 위한 명품 수학
Speed Check

집합과 명제

01. 집합
Step 1 우수 기출 대표 문제 pp.9~10 Step 2 최고의 변별력 문제 pp.11~15 Step 3 종합 사고력 문제 p.16 이것이 수능 p.17

01 ② 02 ④ 03 9 04 ⑤ 01 ⑤ 02 ⑤ 03 ② 04 -2 05 ③ 06 8 07 ③ 08 60 09 ④ 01 32 02 ③ 03 72 1⑤ 2 63
05 448 06 ② 07 ④ 08 9 10 10 11 123 12 22 13 5 14 288 15 ⑤ 16 ④ 17 5 18 ③ 04 ② 05 21 06 75 3② 4④
09 ③ 10 ④ 11 ⑤ 12 6 19 735 20 ③ 21 9 22 6 23 496 24 ⑤ 25 ⑤ 26 24 27 6 07 94
13 36 14 ③ 15 ④ 16 ③ 28 ④ 29 ② 30 ① 31 64 32 41 33 138 34 400 35 ④

02. 명제
Step 1 우수 기출 대표 문제 pp.20~21 Step 2 최고의 변별력 문제 pp.22~27 Step 3 종합 사고력 문제 p.28 이것이 수능 p.29

01 ③ 02 4 03 ④ 04 ④ 01 ③ 02 6 03 ③ 04 ③ 05 8 06 ② 07 12 08 5 09 7 01 4'3 02 5 03 ③ 1 13 2①
05 ③ 06 ③ 07 2 08 ③ 10 ④ 11 3 12 -1 13 ③ 14 풀이 참조 15 ③ 16 ③ 17 15 04 풀이 참조 05 ⑤ 3① 4②
09 ④ 10 4 11 ④ 12 ③ 18 11 19 ④ 20 12 21 ③ 22 ⑤ 23 ④ 24 ③ 25 ③ 06 ②
13 ③ 14 12 15 ② 26 B, C 27 ③ 28 12 29 ⑤ 30 ④ 31 2, x=z 32 4 33 5
34 5 35 ⑤ 36 ③ 37 ① 38 3 39 ④

함수와 그래프

03. 함수
Step 1 우수 기출 대표 문제 pp.34~35 Step 2 최고의 변별력 문제 pp.36~41 Step 3 종합 사고력 문제 p.42 이것이 수능 p.43

01 ③ 02 7 03 ② 04 5 01 ⑤ 02 ⑤ 03 5 04 7 05 2 06 ③ 07 ② 08 ① 09 18 01 15 02 2 03 ④ 1③ 2④
05 ④ 06 ④ 07 42 08 2 10 ③ 11 99 12 ③ 13 ② 14 ③ 15 3 16 4 17 2 18 4 04 3 05 2 06 6 3 50 4⑤
09 ④ 10 ③ 11 ② 12 ① 3 07 8
19 4 20 ② 21 4 22 ⑤ 23 2'5 24 ④ 25 - 26 ② 27 ④
2
13 ④ 14 -5 15 4 16 ④
3
28 ③ 29 5 30 '7 31 32 32 ③ 33 1 34 ④ 35 ② 36
2
37 21 38 ② 39 ⑤
04. 유리함수
Step 1 우수 기출 대표 문제 p.46 Step 2 최고의 변별력 문제 pp.47~50 Step 3 종합 사고력 문제 p.51 이것이 수능 p.52

01 ① 02 ⑤ 01 ④ 02 ④ 03 15 04 ⑤ 05 ② 06 5 07 5 08 ② 09 2 01 9 02 5 03 5 1④ 2 192
1 9 04 85 05 46 06 3 3① 4⑤
03 [y|yÉ 또는 y¾3] 04 7 10 ③ 11 14 12 13 ② 14 ① 15 ② 16 2 17 36 18 ②
3 4
07 444
05 ② 06 ② 07 ④ 08 ③ 21
19 ④ 20 4 21 9 22 -2 23 32 24
5
2x
25 1, f ÑÚ`(x)= `(-3<xÉ3) 26 ① 27 ③ 28 ③
x+3

05. 무리함수
Step 1 우수 기출 대표 문제 p.54 Step 2 최고의 변별력 문제 pp.55~58 Step 3 종합 사고력 문제 p.59 이것이 수능 p.60

01 2a 02 ④ 03 ③ 04 ② 1 01 2'2 02 ⑤ 1③ 2 13
01 ④ 02 64 03 ④ 04 3 05 ③ 06 ④ 07 ④ 08 09 ③
10
05 ④ 06 ④ 07 ④ 08 k¾1 1 또는 3① 4 18
03 0<aÉ a>2
1 2
10 2'2 11 1 12 13 45 14 1 15 ③ 16 12 17 ① 18 83
12
189
04 05 1925 06 2
19 ④ 20 9 21 ④ 22 ③ 23 ③ 32
25
07
38

경우의 수

06. 순열과 조합
Step 1 우수 기출 대표 문제 pp.63~64 Step 2 최고의 변별력 문제 pp.65~69 Step 3 종합 사고력 문제 p.70 이것이 수능 p.71

01 ① 02 16 03 ② 04 ④ 01 ① 02 10 03 ③ 04 ③ 05 ② 06 ⑤ 07 ④ 08 135 09 ⑤ 01 132 02 944 03 9 1 528 2 130


05 ② 06 12 07 ④ 08 ③ 10 660 11 ② 12 1200 13 72 14 144 15 192 16 504 17 64 18 ② 04 480 05 266 06 1008 3 60 4 18
09 ③ 10 126 11 ③ 12 ④ 19 ① 20 ② 21 65 22 ③ 23 ③ 24 ② 25 3600 26 20 27 ④ 07 4235 08 860
13 ① 14 ③ 15 38 16 ② 28 82 29 900 30 36 31 48 32 24 33 ③ 34 ④ 35 26
A n s w e r

05 1=2â`_3â`_5â`, 2=2Ú`_3â`_5â`, 3=2â`_3Ú`_5â`,


4=2Û`_3â`_5â`, 5=2â`_3â`_5Ú`, 6=2Ú`_3Ú`_5â`,

집합과 명제 8=2Ü`_3â`_5â`, 9=2â`_3Û`_5â`, 10=2Ú`_3â`_5Ú`


∴ B={1, 2, 3, 4, 5, 6, 8, 9, 10}
이때 집합 B의 부분집합 중에서 원소로 3의 배수를 적어
도 하나 포함하는 집합의 개수는 집합 B의 부분집합의
개수에서 3의 배수를 원소로 포함하지 않는 집합의 개수
01 집합
를 뺀 것과 같다.
따라서 집합 B의 부분집합의 개수는 2á`=512이고, 집합
STEP
1 출제율 100% 우수 기출 대표 문제 pp. 9~10
B의 부분집합 중에서 3의 배수를 원소로 포함하지 않는
01 ② 02 ④ 03 9 04 ⑤ 05 448 집합의 개수는 29-3=2ß`=64이므로 구하는 집합의 개수는
06 ② 07 ④ 08 9 09 ③ 10 ④
512-64=448 답 448
11 ⑤ 12 6 13 36 14 ③ 15 ④
16 ③

01 집합 A={ , 0, {0}}의 원소는 , 0, {0}이고, 부분집


합은 , { }, {0}, {{0}}, { , 0}, { , {0}}, 06 ㄱ. A£=Aª'{Aª}이고, Aª={1, {1}}이므로
{0, {0}}, { , 0, {0}}이다. A£={1, {1}, {1, {1}}} (참)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② 0,A이다. 답② ㄴ. An+1=AÇ'{AÇ}에서 {AÇ},AÇ*Á이므로
AÇ<AÇ*Á (참)
ㄷ. Aª={1, {1}}={1, AÁ}
02 조건 ㈎에서 3<A이므로 조건 ㈏에 의하여 A£={1, {1}, {1, {1}}}={1, AÁ, Aª}
(3+3)<A, (6+3)<A, y ⋮
즉, 100 이하의 3의 배수의 집합은 전체집합 U의 부분집 ∴ AÇ*Á={1, AÁ, Aª, A£, y, AÇ} (거짓)
합 A에 반드시 포함된다.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이다. 답②
따라서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키는 부분집합 A 중에서 원
소의 개수가 가장 적은 것은
A={3, 6, 9, 12, y, 99} 답④

07 집합 B의 원소 '§a, 'b, 'c, '§d가 자연수이므로 a, b, c,

03 -8É2x-3É8에서 -5É2xÉ11 d는 완전제곱수이고, a+b=13=4+9=2Û`+3Û`이므로


5 11 3 13 a=4, b=9 (∵ a<b)
- ÉxÉ , - Éx+1É
2 2 2 2 ∴ A;B={a, b}={4, 9}   yy㉠
1 x+1 13
∴- É É ㉠에서 4<B, 9<B이고 '§a=2, 'b=3이므로
2 3 6
'c=4, '§d=9 (∵ c<d)
x+1
이때 <Z이므로 ∴ c=16, d=81
3
x+1 ∴ a+d=4+81=85 답④
=0, 1, 2   ∴ x=-1, 2, 5
3
∴ 4x-5=-9, 3, 15
즉, A={-9, 3, 15}이므로 집합 A의 모든 원소의 합은
(-9)+3+15=9 답9

08 Ú aÉ0일 때,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xÛ`¾a가 성립하므로 A=R이다.
04 Ú 2n-1=2(n-1)+1이므로 A,B 이때 a+b이므로 B+ 이다.
또한, 2n+1=2(n+1)-1이므로 B,A ‌즉, A;B=B+ 이므로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 A=B Û a>0일 때,
Û 4n-1=2_2n-1이므로 C,A xÛ`¾a에서 (x-'a)(x+'a)¾0
그런데 5=2_3-1<A이지만 5²C이므로 AøC ∴ xÉ-'a 또는 x¾'a
Ú, Û에서 C,A=B 답⑤ 즉, A={x|xÉ-'a 또는 x¾'a }

004 | 블랙라벨 수학 (하)


본문 pp. 9~10

이때 A'B=R, A;B= 이 성립하려면 ㄴ. (A-B);(A-C)‌=(A;BC);(A;CC)


B={x|-'a<x<'a } =A;(BC;CC)
‌이어야 하므로 이차부등식 (x-a)(x-b)<0의 해 =A;(B'C)C
는 -'a<x<'a와 같아야 한다. =A-(B'C) (참)
-'a<0이고 a>0이므로 ㄷ. {(A-B)'B}-A‌={(A;BC)'B}-A
b=-'a, a='a ={(A'B);(BC'B)}-A
a='a의 양변을 제곱하면 ={(A'B);U}-A
aÛ`=a   ∴ a=1 (∵ a>0), b=-'1=-1 =(A'B)-A
Ú, Û에서 a=1, b=-1이므로 =(A'B);AC
10a+b=10+(-1)=9 답9 =(A;AC)'(B;AC)
= '(B;AC)
=B;AC=B-A (참)
따라서 ㄱ, ㄴ, ㄷ 모두 옳다. 답⑤

09 A;(A-B)=A에서 A,(A-B)이고, 다른 풀이
(A-B),A는 항상 성립하므로 ㄱ. A,(A'B)이므로 A-(A'B)=
A-B=A   ∴ A;B= ∴ A;(A'B)
‌ C
=A-(A'B)= (참)
이때 A'B=U이고, U={1, 2, 3, 4, 5},
A={1, 4, 5}이므로
B={2, 3}
12 B;(AC'BC)=(B;AC)'(B;BC)
따라서 집합 B의 모든 원소의 합은 =(B;AC)' =B;AC
2+3=5 답③ =B-A={3, 6}
다른 풀이 이고, A={2, 4}이므로 A'B={2, 3, 4, 6}
A;(A-B)=A;(A;BC)=(A;A);BC ∴ AC;BC=(A'B)C=U-(A'B)
=A;BC=A-B=A ={1, 2, 3, 4, 5, 6}-{2, 3, 4, 6}
∴ A;B= ={1, 5}
다음은 와 같다. 따라서 집합 AC;BC의 모든 원소의 합은
1+5=6 답6

10 A;X=X에서 X,A, 13 12와 15의 배수를 모두 포함하는 집합은 12와 15의 최대


(A-B)'X=X에서 (A-B),X이므로 공약수인 3의 배수 전체의 집합이므로
(A-B),X,A (NÁª'NÁ°),Nû를 만족시키는 자연수 k의 최댓값
A={x|1ÉxÉ5}, B={x|3<x<7}에서 M=3
A-B={x|1ÉxÉ3} 또한, 3과 4의 배수의 공통부분이 모두 포함되는 집합은
이때 세 집합 A-B, A 3과 4의 최소공배수인 12의 배수 전체의 집합이므로
X
X, A를 수직선 위에 나 A-B (N£;N¢).NÂ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l의 최솟값
타내면 오른쪽 그림과 p=1 3 q 5 x m=12
같으므로 ∴ Mm=3_12=36 답 36
(A-B),X,A에서
p=1, 3ÉqÉ5
따라서 q의 최솟값은 3, 최댓값은 5이므로 합은 14 U={1, 2, 3, 4, 5, 6, 7, 8, 9, 10}, A={1, 2, 3, 6}이
3+5=8 답④ 고 (A-B)'(B-A)={2, 5, 8, 10}이므로
A-B={2}, A;B={1, 3, 6}, B-A={5, 8, 10}
따라서 두 집합 A, B 사이의 포 U
A B 4
함 관계를 벤다이어그램으로 나 1 5
2 3 8 7
11 ㄱ. A;(A'B)C‌=A;(AC;BC) 타내면 오른쪽 그림과 같으므로 6 10
9
=(A;A );B
C C
B‌=(B-A)'(A;B)
= ;BC= (참) ={1, 3, 5, 6, 8, 10}

Ⅰ. 집합과 명제 | 005
A n s w e r

즉, n(B)=6이므로 집합 B의 부분집합의 개수는 Ú, Û에서 21Én(A'B)É35이므로 ㉠에 대입하면


2ß`=64 답③ 39-35É39-n(A'B)É39-21
∴ 4Én(A;B)É18
따라서 최댓값 M=18, 최솟값 m=4이므로
15 두 집합 B, C가 서로소이므로 B;C=
n(A ;C )=n((A'C) )=n(U)-n(A'C)
C C C M+m=22 답③

에서 n(U)=50, n(AC;CC)=20이므로 다른 풀이

50-n(A'C)=20   ∴ n(A'C)=30 n(A;B)=x라 하면 U


A B
또한, n(A ;B)=n(B-A)=n(B)-n(A;B)이
C
n(U)=35, n(A)=18,
18-x x 21-x
므로 n(B)=21이므로 오른쪽 그림과
x-4
n(B)-n(A;B)=12 같이 벤다이어그램의 각 영역에
∴ n(A'B'C)
‌ 속하는 원소의 개수를 나타낼 수 있다.
=n((A'C)'B) 이때 벤다이어그램의 각 영역에 속하는 원소의 개수는 0
=n(A'C)+n(B)-n((A'C);B) 이상이어야 하므로
=n(A'C)+n(B)-n((A;B)'(B;C)) 18-x¾0, x¾0, 21-x¾0, x-4¾0
=n(A'C)+n(B)-n(A;B) (∵ B;C= ) ∴ 4ÉxÉ18
=30+12=42 답④ 따라서 두 과목을 모두 좋아하는 학생의 수의 최댓값
다른 풀이 M=18, 최솟값 m=4이므로

B;C= 이므로 n(B;C)=0, n(A;B;C)=0 M+m=22

∴ ‌‌n(A'B'C)
=n(A)+n(B)+n(C)
-{n(A;B)+n(B;C)+n(C;A)}
+n(A;B;C)
=n(A)+n(B)+n(C)-n(A;B)-n(C;A) STEP
2 1등급을 위한 최고의 변별력 문제 pp. 11~15

=n(A)+n(C)-n(C;A)+n(B)-n(A;B)
01 ⑤ 02 ⑤ 03 ② 04 -2 05 ③
=n(A'C)+n(B-A) 06 8 07 ③ 08 60 09 ④ 10 10
=30+12=42 11 123 12 22 13 5 14 288 15 ⑤
16 ④ 17 5 18 ③ 19 735 20 ③
BLACKLABEL 특강 참고 21 9 22 6 23 496 24 ⑤ 25 ⑤
26 24 27 6 28 ④ 29 ② 30 ①
벤다이어그램을 이용하면 조금 더 간단 A
B C 31 64 32 41 33 138 34 400 35 ④
히 답을 구할 수 있다.
두 집합 B, C가 서로소이므로 세 집합
A, B, C의 관계를 벤다이어그램으로
나타내면 오른쪽 그림과 같고, 주어진
조건에서 n(A'C)=30, n(B-A)=12이므로 01 P(A)는 집합 A의 부분집합을 원소로 갖는 집합이므로
n(A'B'C)=n(A'C)+n(B-A)=30+12=42 P(A)=‌{ , {1}, {2}, {{1, 2}}, {1, 2}, {1, {1, 2}},
 {2, {1, 2}}, {1, 2, {1, 2}}}
ㄱ. 은 집합 P(A)의 원소이므로 <P(A) (참)
16 학생 전체의 집합을 U, A 과목을 좋아하는 학생의 집합 ㄴ. ‌{{1, 2}}는 집합 P(A)의 원소이므로
을 A, B 과목을 좋아하는 학생의 집합을 B라 하면 {{1, 2}}<P(A) (참)
n(U)=35, n(A)=18, n(B)=21 ㄷ. ‌집합 P(A)의 원소 {1, 2} 하나만을 원소로 갖는 집
두 과목을 모두 좋아하는 학생의 집합은 A;B이므로 합 {{1, 2}}는 집합 P(A)의 부분집합이므로
n(A;B)‌=n(A)+n(B)-n(A'B) {{1, 2}},P(A) (참)
=18+21-n(A'B) 따라서 ㄱ, ㄴ, ㄷ 모두 옳다. 답⑤
=39-n(A'B)   yy㉠
이때 n(A;B)의 최댓값과 최솟값은 n(A'B)의 값에 BLACKLABEL 특강 필수 개념

따라 결정된다. 멱집합(Power Set)

Ú n(A'B)의 값이 최대인 경우 집합 A에 대하여 A의 멱집합은 집합 A의 부분집합을 원소로 갖는


집합으로 2`` 또는 P(A)로 나타낸다.
A'B=U일 때이므로 n(A'B)Én(U)=35 집합 A={aÁ, aª, y, aÇ}일 때,
Û n(A'B)의 값이 최소인 경우 ⑴ 멱집합의 원소의 개수:2Ç`
⑵ 멱집합의 부분집합의 개수:22Ç`
A,B일 때이므로 n(A'B)¾n(B)=21

006 | 블랙라벨 수학 (하)


본문 pp. 10~11

02 집합 B의 모든 원소의 합이 짝수이려면 집합 B의 원소 ㄴ. ‌3의 양의 약수는 1, 3의 2개이므로 3과 양의 공약수의


중 홀수인 원소의 개수가 0 또는 짝수이어야 한다. 개수가 4인 200 이하의 자연수는 존재하지 않는다.
Ú 홀수인 원소의 개수가 0인 경우 ∴ A¢(3)= (거짓)
집합 B는 {2}의 1개이다. ㄷ. ‌200 이하의 자연수 중에서 3과 양의 공약수의 개수가
Û 홀수인 원소의 개수가 2인 경우 2인 자연수는 200 이하의 3의 배수와 같다.
① 2<B일
‌ 때, ‌이때 200Ö3=66.___에서 200 이하의 3의 배수
집합 B는 {2, 3, 5}, {2, 3, 7}, {2, 3, 11}, 의 개수가 66이므로 Aª(3)의 원소의 개수는 66이다.
{2, 5, 7}, {2, 5, 11}, {2, 7, 11}의 6개이다.  (참)
② 2²B일
‌ 때, 따라서 옳은 것은 ㄷ뿐이다. 답②
집합 B는 {3, 5}, {3, 7}, {3, 11}, {5, 7}, 다른 풀이
{5, 11}, {7, 11}의 6개이다. ㄱ. 2<AÁ(2)라 하면 집합 Ak(a)의 정의에 의하여
①, ②에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집합 B의 개수는 N(2, 2)=1을 만족시켜야 한다.
6+6=12 그런데 2의 양의 약수는 1, 2의 2개이므로 N(2, 2)=2
Ü 홀수인 원소의 개수가 4인 경우 ∴ 2²AÁ(2) (거짓)
집합 B는 {3, 5, 7, 11}, {2, 3, 5, 7, 11}의 2개이다.
Ú, Û, Ü에서 구하는 집합 B의 개수는
1+12+2=15 답⑤

다른 풀이

집합 B의 개수는 다음과 같이 집합 B가 짝수인 원소 2를 04 xÜ`-aÛ`xÛ`-x+aÛ`=0에서


포함하는 경우와 포함하지 않는 경우로 나누어 생각할 수 (x+1)(x-1)(x-aÛ`)=0
있다. ∴ x=-1 또는 x=1 또는 x=aÛ`

Ú 2<B일 때, ∴ A={-1, 1, aÛ` }

① ‌원소의 개수가 1인 경우 xÛ`+(a-3)x-a+2=0에서


집합 B는 {2}의 1개이다. (x-1)(x+a-2)=0
② ‌원소의 개수가 3인 경우 ∴ x=1 또는 x=-a+2

집합 B는 {2, 3, 5}, {2, 3, 7}, {2, 3, 11}, ∴ B={1, -a+2}

{2, 5, 7}, {2, 5, 11}, {2, 7, 11}의 6개이다. 이때 A'B={-1, 1, 4}이므로


③ ‌원소의 개수가 5인 경우 -a+2=4 또는 aÛ`=4


집합 B는 {2, 3, 5, 7, 11}의 1개이다. ∴ a=-2 또는 a=2

①, ②, ③에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집합 B의 개수는 Ú a=-2일 때,

1+6+1=8 A={-1, 1, 4}, B={1, 4}이므로

Û 2²B일 때, A'B={-1, 1, 4}를 만족시킨다.


① ‌원소의 개수가 2인 경우 Û a=2일 때,
집합 B는 {3, 5}, {3, 7}, {3, 11}, {5, 7}, A={-1, 1, 4}, B={1, 0}이므로

{5, 11}, {7, 11}의 6개이다. A'B={-1, 0, 1, 4}에서 조건에 모순이다.


② ‌원소의 개수가 4인 경우 Ú, Û에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상수 a의 값은 -2이다.
집합 B는 {3, 5, 7, 11}의 1개이다.  답 -2

①, ②에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집합 B의 개수는 다른 풀이

6+1=7 에서

Ú, Û에서 구하는 집합 B의 개수는 Ú -a+2=4, 즉 a=-2일 때,


8+7=15 aÛ`=4이므로 A={-1, 1, 4}, B={1, 4}에서
A'B={-1, 1, 4}를 만족시킨다.
Û -a+2=-1, 즉 a=3일 때,
03 ㄱ. ‌2 이상의 자연수 a에 대하여 N(a, a)는 a의 양의 약 ‌aÛ`=9이므로 A'B={-1, 1, 9}에서 조건에 모순
수의 개수와 같고, 이다.
N(a, a)¾2+1`(∵ a¾2) Ü -a+2=1, 즉 a=1일 때,
a²AÁ(a) aÛ`=1이므로 A'B={-1, 1}에서 조건에 모순이다.
∴ 2²AÁ(2) (거짓) Ú, Û, Ü에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상수 a의 값은 -2이다.

Ⅰ. 집합과 명제 | 007
A n s w e r

05 x¾1이므로 즉, n(A;B)=1

0< É4에서 [ ]=0, 1, 2, 3, 4


4 4 예를 들면, A={1, 2}일 때, 가능한 집합 B는 {1, 3},
x x
{1, 4}, {1, 5}, {2, 3}, {2, 4}, {2, 5}의 6개이다.
∴ A¢={0, 1, 2, 3, 4}

0< É6에서 [ ]=0, 1, 2, 3, 4, 5, 6


따라서 집합 A가 될 수 있는 집합 K(U)의 원소 10개에
6 6
대하여 가능한 집합 B가 각각 6개씩 존재하므로 구하는
x x
순서쌍 (A, B)의 개수는
∴ A¤={0, 1, 2, 3, 4, 5, 6}
10_6=60 답 60
따라서 A¢;A¤={0, 1, 2, 3, 4}이므로
A¢;A¤=A¢ 답③ 다른 풀이

집합 K(U)는 원소의 개수가 2인 전체집합 U의 부분집


합을 원소로 갖는 집합이므로 n(A'B)=3을 만족시키
06 AÁ;Aª;A£;y;An+ 이 성립하려면 AÁ;An+
려면 두 집합 A, B에 대하여 n(A;B)=1이어야 한다.
이어야 한다.
전체집합 U의 원소 5개 중에서 교집합의 원소 하나를 택
이때 AÁ={x|2ÉxÉ24},
하는 경우의 수는 5
An={x|3n-1ÉxÉ15n+9}이므로
교집합의 원소를 제외한 전체집합 U의 원소 4개 중에서
오른쪽 그림에서 Aˆ
A¡ 두 집합 A, B의 나머지 원소를 각각 택하는 경우의 수는
3n-1É24, 3nÉ25
2 3n-1 24 15n+9 x 4_3=12
25
∴ nÉ =8.33y 따라서 두 집합 A, B의 순서쌍 (A, B)의 개수는
3
따라서 자연수 n의 최댓값은 8이다. 답8 5_12=60

09 집합 S={a, b, c}의 부분집합은


1 1 1 , {a}, {b}, {c}, {a, b}, {a, c}, {b, c}, S
07 x-[x]= 에서 x=[x]+ =(정수)+ 이고,
n n n Ú <X일 때,
-5ÉxÉ5인 유리수이므로 (정수)=-5, -4, y, 4 조건 ㈎에서 S- =S<X
1 1 1 1
ㄱ. A£=[-5+ , -4+ , y, 0+ , y, 4+ ] 즉, 과 집합 S는 동시에 집합 X의 원소이므로
3 3 3 3
X={ , S}가 가능하다.
1
∴ <A£ (참) Û {a}<X일 때,
3
ㄴ. n¾2인 임의의 자연수 n에 대하여 집합 AÇ의 원소는 조건 ㈎에서 S-{a}={b, c}<X
1 즉, 두 집합 {a}와 {b, c}는 동시에 집합 X의 원소이다.
(정수)+ `((정수)=-5, -4, y, 4) 꼴이므로
n ‌또한, {a}<X, {b, c}<X이면 조건 ㈏에서
집합 AÇ의 원소의 개수는 10이다. (거짓) {a, b, c}=S<X이고, 조건 ㈎에서 <X이므로
ㄷ. 임의의 두 자연수 m, n에 대하여 m+n이면 X={ , {a}, {b, c}, S}
1 1 1 1
+ 이므로 (정수)+ +(정수)+ 같은 방법으로
m n m n
{b}<X일 때, X={ , {b}, {a, c}, S}
∴ Am;AÇ= (참)
{c}<X일 때, X={ , {c}, {a, b}, S}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답③
Ü {a}<X, {b}<X일 때,
BLACKLABEL 특강 오답 피하기 ‌조건 ㈎에서 {b, c}<X, {a, c}<X이고, 조건 ㈏에
ㄴ. ‌조건에서 -5ÉxÉ5이므로 [x]=-5, -4, -3, y, 5의 11개로 서 {a, b}<X이므로 조건 ㈎에서 {c}<X
착각할 수 있다. 그러나 x-[x]= 1 에서 x=[x]+ 1 이므로 ‌또한, {a, b}<X, {c}<X이면 조건 ㈏에서 S<X
n n
1 1 1 이고, 이므로 조건 ㈎에서 <X
-5É[x]+ É5, -5- É[x]É5- n이 2 이상의
n n n
자연수이므로 [x]=-5, -4, -3, y, 4의 10개이다. ∴ X={ , {a}, {b}, {c}, {a, b}, {a, c},
 {b, c}, S}
Ú, Û, Ü에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집합 X의 개수는 5이다.

08 집합 K(U)의 원소는 전체집합 U={1, 2, 3, 4, 5}의  답④

부분집합 중에서 원소가 2개인 부분집합이므로


K(U)={{1, 2}, {1, 3}, {1, 4}, {1, 5}, {2, 3},
10 해결단계

➊ 단계 주어진 조건을 이용하여 d의 값을 구한다.


 {2, 4}, {2, 5}, {3, 4}, {3, 5}, {4, 5}}
A;B={4, 7, 9}와 d의 값을 이용하여 집합 A의 원소를
➋ 단계
이때 A<K(U), B<K(U)이고, n(A'B)=3이 되려 구한다.
면 두 집합 A, B는 공통인 원소가 한 개만 있어야 한다. ➌ 단계 집합 A에서 가장 큰 원소와 가장 작은 원소의 합을 구한다.

008 | 블랙라벨 수학 (하)


본문 pp. 11~12

A={aÁ, aª, a£, a¢, a°, a¤}이므로 12 X;A+ , X;B+ 이므로 집합 X는 두 집합 A, B


B={aÁ+d, aª+d, y, a¤+d} 의 원소를 각각 적어도 한 개 포함한다.
집합 A의 모든 원소의 합을 S(A)라 하면 S(A)=32, 이때 A;B={2}이므로 다음과 같이 경우를 나누어 생
S(B)=32+6d, S(A'B)=62, 각할 수 있다.
S(A;B)=4+7+9=20이고, Ú 2<X인 경우
S(A'B)=S(A)+S(B)-S(A;B)이므로 ‌집합 X의 개수는 집합 {1, 3, 4, 5}의 부분집합의 개
62=32+(32+6d)-20 수와 같으므로
6d=18   ∴ d=3 2Ý`=16
이때 A;B={4, 7, 9}이므로 집합 A의 한 원소를 ai라 Û 2²X인 경우
하면 ai+3=4에서 ai=1 ‌집합 X는 {1, 3}, {1, 4}, {1, 3, 4}, {1, 3, 5},
같은 방법으로 {1, 4, 5}, {1, 3, 4, 5}의 6개이다.
ai+1+3=7에서 ai+1=4, ai+2+3=9에서 ai+2=6 Ú, Û에서 구하는 집합 X의 개수는
즉, 집합 A={1, 4, 6, 7, 9, x}라 하면 S(A)=32이므 16+6=22 답 22
로 1+4+6+7+9+x=32에서 x=5 다른 풀이
∴ A={1, 4, 5, 6, 7, 9} 전체집합 U의 부분집합 중 X;A+ , X;B+ 을
따라서 집합 A의 원소 중에서 값이 가장 큰 원소와 가장 만족시키는 집합 X의 개수는 전체집합 U의 부분집합의
작은 원소의 합은 1+9=10 답 10 개수에서 X;A= 또는 X;B= 을 만족시키는 집
합 X의 개수를 빼면 된다.
전체집합 U의 부분집합의 개수는
11 U={1, 2, 3, 6, 9, 18}이므로 조건 ㈏에 의하여 집합 A 2Þ`=32
는 1, 18 또는 2, 9 또는 3, 6을 동시에 원소로 가져야 한 X;A= 또는 X;B= 을 만족시키는 집합 X의 개
다.   yy㉠ 수는 다음과 같다.
Ú n(A)=2인 경우 Ú ‌X;A= 인 집합 X의 개수는 집합 {3, 4, 5}의 부
㉠에 의하여 분집합의 개수와 같으므로
A={1, 18} 또는 A={2, 9} 또는 A={3, 6} 2Ü`=8
‌집합 B는 조건 ㈐에 의하여 집합 U의 원소 중에서 집 Û ‌X;B= 인 집합 X의 개수는 집합 {1, 5}의 부분
합 A에 포함되지 않은 4개의 원소를 반드시 포함하는 집합의 개수와 같으므로
6-4
집합이므로 집합 B의 개수는 2 =2Û`=4이다. 2Û`=4
‌이때 집합 A가 될 수 있는 각각의 경우에 대하여 집합 Ü ‌Ú, Û를 동시에 만족시키는 집합 X는
B가 4개씩 존재하므로 순서쌍 (A, B)의 개수는 또는 {5}의 2개
3_4=12 Ú, Û, Ü에서 X;A= 또는 X;B= 인 집합 X
Û n(A)=4인 경우 의 개수는
㉠에 의하여 8+4-2=10
‌A={1, 2, 9, 18} 또는 A={1, 3, 6, 18} 또는 따라서 구하는 집합 X의 개수는
A={2, 3, 6, 9} 32-10=22
‌집합 B는 조건 ㈐에 의하여 집합 U의 원소 중에서 집
합 A에 포함되지 않은 2개의 원소를 반드시 포함하는
집합이므로 집합 B의 개수는 26-2=2Ý`=16이다.
‌이때 집합 A가 될 수 있는 각각의 경우에 대하여 집합
1 1 1 1
B가 16개씩 존재하므로 순서쌍 (A, B)의 개수는 13 집합 A=[ , , , y, ]의 부분집합 중에서
2 2Û` 2Ü` 2Ú`â`
3_16=48 1 1
Ú 최소
‌ 원소가 인 경우, 즉 원소 을 반드시 포함
Ü n(A)=6인 경우 2Ú`â` 2Ú`â`
‌A=U={1, 2, 3, 6, 9, 18}이므로 집합 B는 공집합 하는 부분집합의 개수는

이 아닌 집합 U의 부분집합이다. 210-1=2á`

‌따라서 집합 B의 개수는 26-1=63이므로 순서쌍 1 1


Û 최소
‌ 원소가 인 경우, 즉 원소 은 반드시 포함하
2á` 2á`
(A, B)의 개수는 63이다.
1
고, 원소 은 포함하지 않는 부분집합의 개수는
Ú, Û, Ü에서 순서쌍 (A, B)의 개수는 2Ú`â`
12+48+63=123 답 123 210-1-1=2¡`

Ⅰ. 집합과 명제 | 009
A n s w e r

Ü ‌최소 원소가
1 1
인 경우, 즉 원소 은 반드시 포함하 15 n(A)=20Én(B)이므로
2¡` 2¡` f (A)=220, f (B)=2x`(x¾20)이라 하면
1 1
고, 두 원소 , 은 포함하지 않는 부분집합의 개 f (A)+ f (B)= f (A'B)에서
2Ú`â` 2á`
220+2x=2n(A'B), 220(1+2x-20)=2n(A'B)
수는
이때 1+2x-20의 값이 2의 거듭제곱의 꼴이 되려면
210-1-2=2à`
2x-20=1=2â`에서 x-20=0   ∴ x=20

이때 2n(A'B)=220(1+1)=2Û`â`_2Ú`=2Û`Ú`이므로
따라서 각 부분집합의 최소 원소들의 합은
n(A'B)=21
1 1 1 1
_2á`+ _2¡`+ _2à`+y+ _1
2Ú`â` 2á` 2¡` 2 따라서
1 1 1 1 1 n(A;B)‌=n(A)+n(B)-n(A'B)
= + + +y+ =10_ =5 답5
2 2 2 2 2
=20+20-21=19
이므로 f (A;B)=2Ú`á`
14 A={1, 2, 3, 4}, B={3, 4, 5, 6, 7}에서 ∴ a=19 답⑤
A;B={3, 4}이므로 조건 ㈏에 의하여
{3, 4},(X'Y)이므로 집합 A의 부분집합 중에서 집
합 X를 택하고 집합 B의 부분집합 중에서 집합 Y를 택
하는 경우에서 집합 X'Y가 두 원소 3, 4를 포함하지 16 A={1, 2, 3, 4, 5, 6}, B={1, 2, 4, 8, 16}이므로
A-B={3, 5, 6}
않는 경우를 제외하면 된다.
즉, 집합 A-B의 공집합이 아닌 부분집합이 집합 B와
이때 조건 ㈎에서 집합 X는 집합 A의 부분집합이므로
서로소인 집합이다.
집합 X의 개수는 2Ý`이고, 집합 Y는 집합 B의 부분집합
이때 집합 A-B의 부분집합 중에서 3을 원소로 갖는 집
이므로 집합 Y의 개수는 2Þ`이다.
합의 개수는 23-1=2Û`=4
즉, 두 집합 X, Y의 순서쌍 (X, Y)의 개수는
같은 방법으로 5와 6을 각각 원소로 갖는 집합도 4개씩이
2Ý`_2Þ`=2á`=512
므로
한편, 집합 X'Y가 3을 원소로 갖지 않으려면 두 집합
S(XÁ)+S(Xª)+S(X£)+y+S(Xn)
X, Y가 모두 3을 원소로 갖지 않아야 하므로 그 경우의
=3_4+5_4+6_4=56 답④
수는 두 집합 A, B의 부분집합 중에서 3을 원소로 갖지
않는 부분집합의 개수의 곱과 같다. 즉,
2Ü`_2Ý`=2à`=128
같은 방법으로 집합 X'Y가 4를 원소로 갖지 않는 경우
17 두 집합 A, B가 서로소이므로 집합 A'B의 모든 원소의
의 수는 128 합은 두 집합 A, B의 원소를 모두 더한 것과 같다.
또한, 집합 X'Y가 두 원소 3, 4를 모두 원소로 갖지 않 이때 f (A'B)=20이므로
으려면 두 집합 X, Y가 모두 3, 4를 원소로 갖지 않아야 a+b+c+d+(a+k)+(b+k)+(c+k)+(d+k)
하므로 그 경우의 수는 =20
2Û`_2Ü`=2Þ`=32 2(a+b+c+d+2k)=20
따라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순서쌍의 개수는 a+b+c+d+2k=10
512-2_128+32=288 답 288 ∴ a+b+c+d=10-2k
다른 풀이 이때
A;B={3, 4}이므로 조건 ㈏에서 {3, 4},(X'Y) f (A)=a+b+c+d=10-2k,
즉, 3, 4는 집합 X'Y의 원소이므로 각각 세 집합 f (B)=a+b+c+d+4k=10+2k
X-Y, X;Y, Y-X 중에서 어느 한 집합에 속해야 이므로
한다. 이때 그 경우의 수는 3_3=9 f (A) f (B)‌=(10-2k)(10+2k)
한편, 조건 ㈎에서 X,A, Y,B이므로 1, 2는 각각 두 =100-4kÛ`
집합 X, A-X 중에서 어느 한 집합에 속해야 하고, 5, 이 수가 어떤 정수의 제곱이 되어야 하므로 100-4kÛ`이
6, 7은 각각 두 집합 Y, B-Y 중에서 어느 한 집합에 속 될 수 있는 것은
해야 한다. 0Û`, 1Û`, 2Û`, y, 10Û`
이때 그 경우의 수는 (2_2)_(2_2_2)=32 정수 k가 최대가 되면 100-4kÛ`은 최소가 되므로
따라서 구하는 순서쌍의 개수는 100-4kÛ`=0에서 kÛ`=25   ∴ k=Ñ5
9_32=288 따라서 구하는 정수 k의 최댓값은 5이다. 답5

010 | 블랙라벨 수학 (하)


본문 pp. 12~13

18 Ú A;B= 일 때,
BLACKLABEL 특강 참고
S(A'B)‌=S(A)+S(B)
a, b가 자연수임을 이용하여 조건을 만족시키는 순서쌍 (A, B)의 개
=(a+a+2+a+4)+(b+b+3)
수를 구할 수도 있다.
=3a+6+2b+3=3a+2b+9 ㉠을 만족시키는 두 자연수 a, b의 순서쌍 (a, b)는
(1, 5) 또는 (2, 2)
이때 S(A'B)=17이므로
a=1, b=5이면 A={1, 3, 5}, B={5, 8}
3a+2b+9=17   ∴ 3a+2b=8 a=2, b=2이면 A={2, 4, 6}, B={2, 5}
㉡을 만족시키는 두 자연수 a, b의 순서쌍 (a, b)는
위의 식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a, b는 a=2, b=1
(1, 8) 또는 (2, 5) 또는 (3, 2)
‌즉, A={2, 4, 6}, B={1, 4}에서 A;B={4}이므 a=1, b=8이면 A={1, 3, 5}, B={8, 11}
a=2, b=5이면 A={2, 4, 6}, B={5, 8}
로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a=3, b=2이면 A={3, 5, 7}, B={2, 5}
Û A;B={b}일 때, 이 중에서 교집합의 원소가 한 개이고, S(A'B)=17을 만족시키는
경우는
S(A'B)‌=S(A)+S(B)-S(A;B)
a=1, b=5 또는 a=2, b=2 또는 a=3, b=2
=(3a+6)+(2b+3)-b 따라서 구하는 순서쌍 (A, B)의 개수는 3이다.

=3a+b+9
이때 S(A'B)=17이므로
3a+b+9=17   ∴ 3a+b=8  yy㉠
19 주어진 조건에 의하여 집합 An의 원소의 개수는 7이고,
① b=a인
‌ 경우 가장 작은 원소는 n이므로
㉠에서 3a+a=8, 4a=8   ∴ a=2, b=2 An={n, n+2, n+4, n+6, n+8, n+10, n+12}
‌즉, A={2, 4, 6}, B={2, 5}이므로 조건을 만족 이때 집합 An의 모든 원소의 합은
시킨다. n+n+2+n+4+n+6+n+8+n+10+n+12
② ‌b=a+2인 경우 =7n+42=7(n+6) yy㉠
3 집합 An의 모든 원소의 합이 35의 배수가 되려면
㉠에서 3a+(a+2)=8, 4a=6   ∴ a=
2
7(n+6)=35k (k는 자연수)
이때 a는 자연수라는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n+6=5k   ∴ n=5k-6 yy㉡
③ b=a+4인
‌ 경우
그런데 k=1이면 n=5-6=-1에서 n은 자연수가 아
㉠에서 3a+(a+4)=8, 4a=4   ∴ a=1, b=5
니므로 k¾2
‌즉, A={1, 3, 5}, B={5, 8}이므로 조건을 만족
따라서 B20은 k=21일 때, 즉 n=5_21-6=99`(∵ ㉡)
시킨다.
일 때이므로 집합 B20, 즉 A99의 모든 원소의 합은
Ü A;B={b+3}일 때,
7_(99+6)=735`(∵ ㉠) 답 735
S(A'B)‌=S(A)+S(B)-S(A;B)
다른 풀이
=(3a+6)+(2b+3)-(b+3)
=3a+b+6 n(AÇ)=7이므로 AÇ의 원소를 작은 수부터 차례대로 나

이때 S(A'B)=17이므로 열할 때 가운데 수를 x라 하면

3a+b+6=17   ∴ 3a+b=11  yy㉡ An={x-6, x-4, x-2, x, x+2, x+4, x+6}


이때 집합 An의 모든 원소의 합은
① b+3=a인
‌ 경우
x-6+x-4+x-2+x+x+2+x+4+x+6
1
㉡에서 3(b+3)+b=11, 4b=2   ∴ b=
2 =7x
이때 b는 자연수라는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집합 An의 모든 원소의 합이 7의 배수이므로 집합 An의
② b+3=a+2인
‌ 경우 모든 원소의 합이 35의 배수이려면 집합 An의 모든 원소
b=a-1을 ㉡에 대입하면 의 합이 5의 배수이면 된다.
3a+(a-1)=11, 4a=12   ∴ a=3, b=2 즉, x가 5의 배수이면 된다.
즉, A={3, 5, 7}, B={2, 5}이므로 조건을 만족 한편, AÁ={1, 3, 5, 7, 9, 11, 13}에서 x¾7이므로 BÁ
시킨다. 은 x=10일 때이다.
③ b+3=a+4인
‌ 경우 따라서 집합 B20은 x=10+5_19=105일 때이므로 집
b=a+1을 ㉡에 대입하면 합 B20의 모든 원소의 합은 7_105=735이다.
5
3a+(a+1)=11, 4a=10   ∴ a=
2
이때 a는 자연수라는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20 {(A-B)'(A;B)};{(A-B)C;(A'B)}
Ú, Û, Ü에서 구하는 순서쌍 (A, B)의 개수는 3이다. ={(A;BC)'(A;B)};{(A;BC)C;(A'B)}
 답③ ={A;(BC'B)};{(AC'B);(A'B)}

Ⅰ. 집합과 명제 | 011
A n s w e r

=(A;U);{(AC;A)'B} 3 f (x) g(x){ f (x)+ g(x)}=0


=A;( 'B)=A;B ∴ f (x)=0 또는 g(x)=0 또는 f (x)+ g(x)=0
즉, A;B=A이므로 A,B 즉, C={x|f (x)=0 또는 g(x)=0
① A;B=A  또는 f (x)+ g(x)=0}
② BC,AC 이므로 n(C)가 최소이려면 두 방정식 f (x)=0,
③ A-B= g(x)=0의 공통근의 개수가 최대이어야 한다.
④ A;(A'B)=A;B=A 그런데 BøA, AøB이므로 조건 ㈎에서 두 방정식
⑤ A'(A ;B )‌=(A'A );(A'B )
C C C C
f (x)=0, g(x)=0의 공통근의 개수의 최댓값은 3이다.
=U;(A'BC)=A'BC 따라서 n(C)의 최솟값은
따라서 옳은 것은 ③이다. 답③ 5+4-3=6 답6

BLACKLABEL 특강 풀이 첨삭 

두 방정식 f (x)=0, g(x)=0의 근의 개수가 각각 5, 4이고, n(C)


21 A;B={3}에서 3<B이므로 가 최소이려면 공통근이 3개이어야 하므로 서로 다른 세 공통근을 a,
aÛ`-2a=3, aÛ`-2a-3=0 b, c라 하면
f (x)=(x-a)(x-b)(x-c)(x-d)(x-e) f Á(x),
(a+1)(a-3)=0   ∴ a=-1 또는 a=3 g(x)=(x-a)(x-b)(x-c)(x- f )gÁ(x)
Ú a=-1일 때, 이고, 두 방정식 f Á(x)=0, gÁ(x)=0의 근은 각각 방정식 f (x)=0,
g(x)=0의 근과 같거나 존재하지 않는다.
A={-3, 3, 5}, B={2, 3} 이때
‌그런데 집합 A의 원소 -3은 자연수가 아니므로 모순 f (x)+g(x)
=(x-a)(x-b)(x-c){(x-d)(x-e) f Á(x)+(x- f )gÁ(x)}
이다. 이므로 방정식 f (x)+g(x)=0은 공통근 a, b, c를 근으로 갖는다.
Û a=3일 때, 즉, n(C)가 최소일 때는 방정식
(x-d)(x-e) f Á(x)+(x- f )gÁ(x)=0이 a, b, c를 근으로 갖거
A={1, 3, 5}, B={2, 3} 나 근을 갖지 않을 때이고, 방정식 f (x)+g(x)=0의 근은 방정식
Ú, Û에서 A={1, 3, 5}, B={2, 3}이므로 f (x)=0의 근과 중복되므로 n(C)의 최솟값은 두 방정식 f (x)=0,
g(x)=0의 근의 개수의 합에서 공통근의 개수를 빼면 된다.
(AC'B)C'(AC'BC)C‌=(A;BC)'(A;B)
=A;(BC'B)
=A;U=A
={1, 3, 5} 23 (A;BC)'(AC;B)=(A-B)'(B-A)
따라서 구하는 모든 원소의 합은 이므로 집합 C=(A;BC)'(AC;B)를 벤다이어그램
1+3+5=9 답9 으로 나타내면 다음 그림의 어두운 부분과 같다.
U
단계 채점 기준 배점
A B
A;B={3}에서 3<B임을 이용하여 a의 값을 구
㈎ 20%
한 경우
조건에 맞는 a의 값을 구한 후, 두 집합 A, B를 구
㈏ 40%
한 경우
(AC'B)C'(AC'BC)C을 간단히 하여 이 집합의
㈐ 40% 이때 집합 A;B는 집합 A-C와 같으므로
모든 원소의 합을 구한 경우
1000=2Ü`_5Ü`의 약수 중에서 2의 배수가 아닌 수의 집합
이다.
∴ A;B={1, 5Ú`, 5Û`, 5Ü`}
22 조건 ㈏에서 즉, n(A;B)=4이고, n(C)=500이므로
{(A'B);(B-A)C}'B n(A'B)‌=n(C)+n(A;B)
={(A'B);(B;AC)C}'B =500+4=504
={(A'B);(BC'A)}'B ∴ n(A ;BC)‌=n((A'B)C)
C

={A'(B;B )}'B C
=n(U)-n(A'B)
=(A' )'B =1000-504=496 답 496
=A'B
이므로 A'B+A   ∴ BøA
또한, 조건 ㈎에 의하여 AøB 24 ㄱ. ‌AÇ;B={3, 5}이므로 n은 3, 5의 공배수이면서 2,
한편, { f (x)+ g(x)}Ü`={ f (x)}Ü`+{ g(x)}Ü`에서 9, 10의 배수가 아니어야 한다.
{ f (x)}Ü`+{ g(x)}Ü`+3 f (x) g(x){ f (x)+ g(x)} 즉, 조건을 만족시키는 n의 값은 15, 75이다. (거짓)
 ={ f (x)}Ü`+{ g(x)}Ü` ㄴ. ‌AÇ;B={2, 3, 9}이므로 n은 2, 3, 9의 공배수이면

012 | 블랙라벨 수학 (하)


본문 pp. 13~14

서 5, 10의 배수가 아니어야 한다. 한편, 집합 Aq;Ar의 모든 원소의 합이 최소이려면


즉, 조건을 만족시키는 n의 최솟값은 18이다. (참) Aq;Ar={1}이어야 하므로 q와 r는 서로소이어야 한다.
ㄷ. n(AÇ;B)=4를 만족시키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이때 집합 Ap'Aq'Ar의 모든 원소의 합이 최소이려면
Ú AÇ;B={2,
‌ 3, 5, 9}일 때, 두 집합 Aq, Ar는 두 집합 A¥, AÁ° 중에서 각각 하나이
‌n은 2, 3, 5, 9의 공배수이면서 10의 배수가 아니 고, 집합 A¹는 집합 A¤이어야 한다.
어야 한다. 따라서 A¤'A¥'AÁ°={1, 2, 3, 4, 5, 6, 8, 15}이므로
‌이때 2, 3, 5, 9의 공배수인 100 이하의 자연수는 집합 Ap'Aq'Ar의 모든 원소의 합의 최솟값은
90뿐이므로 10의 배수가 아니라는 조건을 만족시 1+2+3+4+5+6+8+15=44 답⑤
키지 않는다.
Û AÇ;B={2,
‌ 3, 5, 10}일 때, 26 조건 ㈎에서 집합 A¤;A»는 6과 9의 공배수, 즉 18의 배
‌n은 2, 3, 5, 10의 공배수이면서 9의 배수가 아니 수의 집합이므로 AÁ¥,Aû이다.
어야 한다. 즉, k는 18의 약수이다.
‌이때 2, 3, 5, 10의 공배수인 100 이하의 자연수 조건 ㈏에서 집합 Bªû;B£û는 2k와 3k의 공약수, 즉 k의
는 30, 60, 90이고, 이 중 9의 배수인 90을 제외하 약수의 집합이므로 n(Bû)¾4이다.
면 조건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n은 30, 60의 2개이 즉, k는 약수의 개수가 4 이상이어야 한다.
다. 이때 18의 약수는 1, 2, 3, 6, 9, 18이므로 다음과 같이
Ü ‌‌AÇ;B={2, 3, 9, 10}일 때, 경우를 나눌 수 있다.
n은 2, 3, 9, 10의 공배수이면서 5의 배수가 아니 Ú k=1, 2, 3일 때,
어야 한다. ‌1, 2, 3의 약수의 개수가 4보다 작으므로 조건 ㈏를
이때 2, 3, 9, 10의 공배수인 100 이하의 자연수는 만족시키지 않는다.
90뿐이므로 5의 배수가 아니라는 조건을 만족시키 Û k=6일 때,
지 않는다. ‌6=2_3의 약수의 개수는 (1+1)_(1+1)=4이므
Ý ‌‌AÇ;B={2, 5, 9, 10}일 때, 로 조건 ㈏를 만족시킨다.
n은 2, 5, 9, 10의 공배수이면서 3의 배수가 아니 Ü k=9일 때,
어야 한다. ‌9=3Û`의 약수의 개수는 2+1=3이므로 조건 ㈏를 만
이때 2, 5, 9, 10의 공배수인 100 이하의 자연수는 족시키지 않는다.
90뿐이므로 3의 배수가 아니라는 조건을 만족시키 Ý k=18일 때,
지 않는다. ‌18=2_3Û`의 약수의 개수는 (1+1)_(2+1)=6이
Þ AÇ;B={3,
‌ 5, 9, 10}일 때, 므로 조건 ㈏를 만족시킨다.
‌n은 3, 5, 9, 10의 공배수이면서 2의 배수가 아니 Ú~Ý에서 구하는 모든 자연수 k의 값의 합은
어야 한다. 6+18=24 답 24
‌이때 3, 5, 9, 10의 공배수인 100 이하의 자연수
BLACKLABEL 특강 참고
는 90뿐이므로 2의 배수가 아니라는 조건을 만족
두 집합 Bªû, B£û를 직접 구하여 조건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k의 값을
시키지 않는다.
구할 수도 있다.
Ú~Þ에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n의 개수는 2이다.
‌ Ú k=1, 2일 때,
n(Bªû)<4이므로 조건 ㈏를 만족시키지 않는다.
 (참)
Û k=3일 때,
따라서 옳은 것은 ㄴ, ㄷ이다. 답⑤ B¤={1, 2, 3, 6}, B»={1, 3, 9}이므로
B¤;B»={1, 3}
‌즉, n(B¤;B»)=2이므로 조건 ㈏를 만족시키지 않는다.
Ü k=6일 때,
‌BÁª={1, 2, 3, 4, 6, 12}, BÁ¥={1, 2, 3, 6, 9, 18}이므로
25 An={x|x는 n의 양의 약수}이므로 n(AÇ)=4, 즉 n의 BÁª;BÁ¥={1, 2, 3, 6}
양의 약수의 개수가 4이려면 즉, n(BÁª;BÁ¥)=4이므로 조건 ㈏를 만족시킨다.
Ý k=9일 때,
n=aÜ``(a는 소수) 꼴 또는 n=ab`(a, b는 서로 다른 소 BÁ¥={1, 2, 3, 6, 9, 18}, Bª¦={1, 3, 9, 27}이므로
수) 꼴이고, 이때의 집합 An은 BÁ¥;Bª¦={1, 3, 9}
‌즉, n(BÁ¥;Bª¦)=3이므로 조건 ㈏를 만족시키지 않는다.
AaÜ`={1, a, aÛ`, aÜ`} 또는 Aab={1, a, b, ab} Þ k=18일 때,
집합 An을 n의 값이 작은 순서대로 나열하면 B£¤={1, 2, 3, 4, 6, 9, 12, 18, 36},
B°¢={1, 2, 3, 6, 9, 18, 27, 54}이므로
A¤={1, 2, 3, 6}, A¥={1, 2, 4, 8}, AÁ¼={1, 2, 5, 10}, B£¤;B°¢={1, 2, 3, 6, 9, 18}
AÁ¢={1, 2, 7, 14}, AÁ°={1, 3, 5, 15}, 즉, n(B£¤;B°¢)=6이므로 조건 ㈏를 만족시킨다.
Ú~Þ에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k는 6, 18이다.
AªÁ={1, 3, 7, 21}, y

Ⅰ. 집합과 명제 | 013
A n s w e r

27 집합 AÇ;A¢는 n과 4의 공배수의 집합이고 ∴ (A½B);C=(A;C)½(B;C) (참)


(AÇ;A¢),AªÇ에서 2n은 n과 4의 최소공배수의 약수 따라서 옳은 것은 ㄴ, ㄷ이다. 답④
이어야 한다.
n=4k (k는 자연수)일 때, n과 4의 최소공배수는 4k이
고, 2n은 8k이므로 4k의 약수가 아니다. 29 (A'B)-(A;B)
즉, n+4k (k는 자연수)이어야 한다. =(A'B);(A;B)C

또한, 100²(A¢-AÇ)에서 100<A¢이므로 100<AÇ이 =(A'B);(AC'BC)
어야 한다. ={(A'B);AC}'{(A'B);BC}
즉, n은 100의 약수이어야 한다. =(A;AC)'(B;AC)'(A;BC)'(B;BC)
100의 약수 중에서 4의 배수가 아닌 수는 1, 2, 5, 10, = '(B;AC)'(A;BC)'
25, 50이므로 구하는 자연수 n의 개수는 6이다. 답6 =(A-B)'(B-A)
즉, (A-B)'(B-A)=A-B이므로 B-A=
BLACKLABEL 특강 풀이 첨삭 
ㄱ. 주어진
‌ 식에서 집합 B가 공집합인지 아닌지 알 수 없
Ú n=4k-1
‌ (k는 자연수)일 때, 다. (거짓)
n과 4의 최소공배수는 4(4k-1)이고, 2n=2(4k-1)이므로 2n
은 n과 4의 최소공배수의 약수이다. ㄴ. B-A=
‌ 에서 B,A이므로
Û n=4k-2
‌ (k는 자연수)일 때, A'B=A (거짓)
n과 4의 최소공배수는 2(4k-2)=4(2k-1)이고,
2n=2(4k-2)=4(2k-1)이므로 2n은 n과 4의 최소공배수의 ㄷ. B-A= 에서 B;AC= 이므로
약수이다.
‌(B;AC)C= C
=U
Ü n=4k-3
‌ (k는 자연수)일 때,
n과 4의 최소공배수는 4(4k-3)이고, 2n=2(4k-3)이므로 2n ∴ A'B =U (참)
C

은 n과 4의 최소공배수의 약수이다.
따라서 옳은 것은 ㄷ뿐이다. 답②
Ú, Û, Ü에서 n+4k (k는 자연수)일 때 (AÇ;A¢),AªÇ을 만족
시킨다.

30 부등식 x+a-3>0, 즉 x>3-a가 모든 양수 x에 대하


여 성립해야 하므로 3-aÉ0이어야 한다.
∴ A={a|a¾3}
또한, 이차부등식 xÛ`+ax+a>0이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28 ㄱ. A½ ‌=(A; C
)'(A ; ) C
성립하려면 이차방정식 xÛ`+ax+a=0이 서로 다른 두 허
=(A;U)' 근을 가져야 하므로 판별식을 D라 하면
=A' D=aÛ`-4a<0, a(a-4)<0
=A (거짓) ∴ 0<a<4
ㄴ. A½A‌=(A;A )'(A ;A)C C
즉, B={a|0<a<4}
= ' = ∴ (A'B)-(A;B)={a|0<a<3 또는 a¾4}
이므로  답①

(A½A)½A‌= ½A
=( ;AC)'( ;A)
C

= '(U;A) 31 A★B=(A'B);(A;B)C이므로 A★B는 두 집합


= 'A A, B의 대칭차집합과 같다.
=A (참) 즉, 연산 ★는 교환법칙과 결합법칙이 성립하고,
ㄷ. (A½B);C‌={(A;B )'(A ;B)};C C C
A★A= , ★ = , A★ =A를 만족시킨다.
=(A;B ;C)'(A ;B;C)
C C
이때
(A;C)½(B;C) X¤‌=A★B★C★A★B★C
={(A;C);(B;C) }'{(A;C) ;(B;C)}C C
=(A★A)★(B★B)★(C★C)
={(A;C);(B 'C )}'{(A 'C )
C C C C
= ★ ★ =
 ;(B;C)} 이므로 X¦=X¤★A= ★A=A이고, 자연수 k에 대하
={(A;C;BC)'(A;C;CC)} 여 X6k= 이다.
 '{(A ;B;C)'(C ;B;C)}
C C
따라서 X6k+1=A이므로 Xn=A를 만족시키는
=(A;B ;C)' '(A ;B;C)'
C C
2ÉnÉ30인 자연수 n의 값은 7, 13, 19, 25이고, 그 합은
=(A;BC;C)'(AC;B;C) 7+13+19+25=64 답 64

014 | 블랙라벨 수학 (하)


본문 pp. 14~15

다른 풀이 다른 풀이

자연수 n에 대하여 집합 Xn을 벤다이어그램으로 나타내 세 편의 영화 A, B, C를 관람한 사 A B


면 다음 그림과 같다. 원들의 집합을 각각 A, B, C라 하 a y b
8
X¡ X™ X£ 고, 벤다이어그램의 각 영역에 속하 x z
A B A B A B
는 원소의 개수를 오른쪽 그림과 같 c

이 나타내면 C
C C C n(A'B'C)=50,
X¢ X∞ X§ n(A)=27, n(B)=18, n(C)=22이므로
A B A B A B
a+b+c+x+y+z=50-8=42 yy㉠
a+x+y=27-8=19 yy㉡
C C C b+y+z=18-8=10 yy㉢

A B c+x+z=22-8=14 yy㉣
㉡+㉢+㉣-㉠을 하면 x+y+z=1 yy㉤
...
y
㉤을 ㉠에 대입하면
C a+b+c=41
즉, XÁ=X¦에서 자연수 k에 대하여 Xk=Xk+6이므로 따라서 한 편의 영화만 관람한 사원의 수는 41이다.
Xn=A를 만족시키는 2ÉnÉ30인 자연수 n의 값은
7, 13, 19, 25
따라서 자연수 n의 값의 합은 33 AC‌={x|x=7n+2}
7+13+19+25=64 ={9, 16, 23, 30, 37, 44, y} yy㉠
이때 7n+2É200에서 7nÉ198   ∴ nÉ28.___
∴ n(AC)=28
BC‌={x|x=5n-1}
={4, 9, 14, 19, 24, 29, 34, 39, 44, y} yy㉡
32 세 편의 영화 A, B, C를 관람한 사원들의 집합을 각각
이때 5n-1É200에서 5nÉ201   ∴ nÉ40.___
A, B, C라 하면
∴ n(BC)=40
n(A)=27, n(B)=18, n(C)=22, n(A;B;C)=8
또한, ㉠, ㉡에서
이 회사의 모든 사원들이 적어도 한 편의 영화를 관람하
AC;BC={9, 44, 79, 114, 149, 184}
였으므로 
∴ n(AC;BC)=6
n(A'B'C)=50
따라서 A;B=(AC'BC)C=U-(AC'BC)이므로
이때 한 편의 영화만 관람한 사원들 A B
n(A;B)‌=n(U)-n(AC'BC)
의 집합을 벤다이어그램에 나타내
=n(U)-{n(AC)+n(BC)-n(AC;BC)}
면 오른쪽 그림과 같다.
=200-(28+40-6)=138 답 138
즉, 한 편의 영화만 관람한 사원의
수는 C BLACKLABEL 특강 풀이 첨삭 

n(A'B'C)-{n(A;B)+n(B;C)
집합 AC의 원소는 7씩 증가하고, 집합 BC의 원소는 5씩 증가하므로
 +n(C;A)}+2_n(A;B;C) 집합 AC;BC의 원소는 7과 5의 최소공배수인 35씩 증가한다.

그런데 +7 +7 +7 +7 +7

n(A'B'C)=‌n(A)+n(B)+n(C) AC 9 16 23 30 37 44 y
BC 4 9 14 19 24 29 y
-{n(A;B)+n(B;C)+n(C;A)}
+5 +5 +5 +5 +5
+n(A;B;C)
이므로 A ;B
C C
9 44 79 114 149 184

n(A;B)+n(B;C)+n(C;A) +35 +35 +35 +35 +35

=n(A)+n(B)+n(C)+n(A;B;C)
 -n(A'B'C)
=27+18+22+8-50 34 학생 전체의 집합을 U, 경상도, 전라도, 제주도를 선택한
=25 학생의 집합을 각각 A, B, C라 하면
따라서 한 편의 영화만 관람한 사원의 수는 n(U)=200, n(A)=80, n(B)=100, n(AC;BC)=40,
50-25+2_8=41 답 41 n(C-(A'B))=20이고,

Ⅰ. 집합과 명제 | 015
A n s w e r

n(AC;BC)‌=n((A'B)C)=n(U)-n(A'B) STEP
3 1등급을 넘어서는 종합 사고력 문제 p. 16
=200-n(A'B)=40
01 32 02 ③ 03 72 04 ② 05 21
∴ n(A'B)=200-40=160
06 75 07 94
이때 경상도와 전라도를 모두 선택한 학생들의 집합은
A;B이므로 경상도와 전라도를 모두 선택한 학생의 수는
a‌=n(A;B)=n(A)+n(B)-n(A'B) 01 해결단계
=80+100-160=20 ➊ 단계 주어진 조건에 따라 집합 Aû (k=1, 2, 3, 4)를 구한다.
한편, n(C-(A'B))=20에서 집합들간의 관계를 파악하여 집합 AÁ;Aª;A£;A¢를 구
➋ 단계
한다.
n(C-(A'B))‌=n(A'B'C)-n(A'B)
➌ 단계 ➋ 단계에서 구한 집합의 부분집합의 개수를 구한다.
=n(A'B'C)-160=20
∴ n(A'B'C)=20+160=180 4kx-[4kx]=0에서 4kx=[4kx]=(정수)이므로

이때 3개의 장소 중에서 어느 것도 선택하지 않은 학생들 AÁ‌={x|4x=[4x], 0ÉxÉ1}

의 집합은 (A'B'C) 이므로 C ={x|4x는 정수, 0ÉxÉ1}

b‌=n((A'B'C)C)=n(U)-n(A'B'C) 이때 0É4xÉ4에서 4x=0, 1, 2, 3, 4이므로

=200-180=20 1 2 3 4
x=0, , , ,
4 4 4 4
따라서 a=20, b=20이므로 ab=400 답 400
1 2 3 4
∴ AÁ=[0, , , , ]
4 4 4 4

35 학생 전체의 집합을 U, 국어, 영어, 수학을 합격한 학생 같은 방법으로


1 2 3 8
의 집합을 각각 A, B, C라 하면 Aª=[0, , , , y, ],
8 8 8 8
n(U)=110, n(A)=92, n(B)=75, n(C)=63
1 2 3 12
n(A;B)=65, n(A;C)=54, n(B;C)=48 A£=[0, , , , y, ],
12 12 12 12
n(A;B;C)=x라 하고 벤 U 1 2 3 16
A¢=[0, , , , y, ]
다이어그램의 각 영역에 속하는 A C 16 16 16 16
a c d ∴ AÁ;Aª;A£;A¢=AÁ
원소의 개수를 오른쪽 그림과
x
같이 나타내면 b e 따라서 구하는 부분집합의 개수는 2Þ`=32 답 32

n(A;B)=65에서 f
서울대 선배들의 강추 문제 1등급 비법 노하우
b+x=65   ∴ b=65-x B
이 문제는 가우스 기호의 성질을 알고 있는지 확인하는 것으로 자주
n(A;C)=54에서 c+x=54   ∴ c=54-x
출제되는 유형의 문제이다. 주어진 집합의 원소의 조건 4kx=[4kx]
n(B;C)=48에서 e+x=48   ∴ e=48-x 에서 4kx가 정수임을 확인하도록 하자.

n(A)=92에서 a+b+c+x=92
a+(65-x)+54=92   ∴ a=x-27
n(B)=75에서 b+e+ f +x=75 02 해결단계

(65-x)+48+ f =75   ∴ f =x-38 ➊ 단계


m=1일 때, k=1, 2를 대입하여 집합 X(A, B)를 구한
후, ㄱ의 참, 거짓을 판단한다.

i m+{ }k`에서 m, k의 값에 따라 X(A, B)는 같은 수가


n(C)=63에서 c+d+e+x=63
1
(54-x)+d+48=63   ∴ d=x-39 ➋ 단계 i
나올 수 있음을 이용하여 ㄴ의 참, 거짓을 판단한다.
이때 a, b, c, d, e, f 가 모두 0 이상이어야 하므로
A=B=U일 때 n(X(A, B))가 최대임을 이용하여 집
x-27¾0, 65-x¾0, 54-x¾0, x-39¾0, ➌ 단계
합 X(A, B)를 직접 구하고 ㄷ의 참, 거짓을 판단한다.

X(A, B)‌=[i m+{ }k`|m<A, k<B]


48-x¾0, x-38¾0   ∴ 39ÉxÉ48
1
따라서 세 과목 모두 합격한 학생 수의 최솟값은 39이다. i
 답④ ={i m+(-i)k|m<A, k<B}
ㄱ. A={1}, B={1, 2}이므로
BLACKLABEL 특강 참고
m=1, k=1일 때, i+(-i)=0
벤다이어그램의 각 영역에 속하는 원소의 개수를 이용하여 m=1, k=2일 때, i+(-i)Û`=i-1
39ÉxÉ48임을 구했지만 x의 최댓값은 48이 아니다. x=48이라 하
고 벤다이어그램의 각 영역의 원소의 개수를 구하면 a=21, b=17, ∴ X(A, B)={0, -1+i } (참)
c=6, d=9, e=0, f =10이므로 n(A'B'C)=111이 되어 ㄴ. n(A)n(B)는 순서쌍 (m, k)의 개수와 같다.
n(U)=110에 모순이다.
각 영역의 원소의 개수를 더하면 n(A'B'C)=x+63이고, 한편, i m+(-i)k에서
n(A'B'C)É110을 만족시켜야 하므로 x+63É110에서 i Ú`=i, i Û`=-1, i Ü`=-i, i Ý`=1
xÉ47이다. 즉, x의 최댓값은 47이다.
(-i)Ú`=-i, (-i)Û`=-1, (-i)Ü`=i, (-i)Ý`=1

016 | 블랙라벨 수학 (하)


본문 pp. 15~16

‌이므로 m, k의 값에 따라 X(A, B)는 같은 수가 나 ∴ n(A;B)+n(B;C)+n(C;A)=72k


올 수 있다. 한편, ㉠에서 n(A'B'C)=72k-2_12k+46k=94k
‌따라서 n(X(A, B))는 n(A)n(B)보다 작거나 같 이므로
으므로 n(X(A, B))Én(A)n(B) (참) n((A'B'C)C)‌=n(U)-n(A'B'C)
ㄷ. ‌n(X(A, B))가 최대이려면 A=B=U이어야 하 =100k-94k=6k
고, 이때의 집합 X(A, B)의 원소를 구하면 이고, n((A'B'C)C)=12이므로 6k=12
Ú m=1일 때, ∴ k=2
i+(-i)=0, i+(-i)Û`=i-1, 따라서 두 종목만 좋아하는 학생의 수는
i+(-i)Ü`=i+i=2i, i+(-i)Ý`=i+1 n(A;B)+n(B;C)+n(C;A)-3_n(A;B;C)
Û m=2일 때, i Û`=-1이므로 =72k-3_12k=36k=36_2=72 답 72
i Û`+(-i)=-1-i, i Û`+(-i)Û`=-1-1=-2,
i Û`+(-i)Ü`=-1+i, i Û`+(-i)Ý`=-1+1=0
Ü m=3일 때, i Ü`=-i이므로 04 해결단계

i Ü`+(-i)=-i-i=-2i, i Ü`+(-i)Û`=-i-1, ➊ 단계 집합 Aû의 원소가 될 수 있는 수를 구한다.


집합 B의 원소를 구한 후, Aû;BC의 원소가 될 수 있는
i Ü`+(-i)Ü`=-i+i=0, i Ü`+(-i)Ý`=-i+1 ➋ 단계
수를 구한다.
Ý m=4일 때, i Ý`=1이므로 ➌ 단계 n(Aû;BC)=1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k의 개수를 구한다.
i Ý`+(-i)=1-i, i Ý`+(-i)Û`=1-1=0,
집합 Aû는 전체집합 U의 부분집합이므로 x는 20 이하의
i Ý`+(-i)Ü`=1+i, i Ý`+(-i)Ý`=1+1=2
자연수이고 x(y-k)=30에서 y-k는 30의 약수이다.
Ú ~ Ý에서
이때 y, k는 모두 자연수이고, y<U이므로
‌X(A, B)
3
={-2, 0, 2, -1-i, -1+i, 1-i, 1+i,-2i, 2i} 1Éy-k<20에서 <xÉ30
2
따라서 n(X(A, B))의 최댓값은 9이다. (거짓) 이때 x<U이므로 2ÉxÉ20
그러므로 옳은 것은 ㄱ, ㄴ이다. 답③ y-k, x 사이의 관계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y-k 2 3 5 6 10 15
x 15 10 6 5 3 2
03 해결단계
∴ Aû,{2, 3, 5, 6, 10, 15}
➊ 단계 주어진 조건을 집합으로 나타낸다. 30-x x
또한, =6- <U에서 x는 5의 배수이므로
➋ 단계 주어진 조건에서 집합의 원소의 개수를 구한다. 5 5
➌ 단계 두 종목만 좋아하는 학생의 수를 구한다.
x=5, 10, 15, 20
학생 전체의 집합을 U, 축구를 좋아하는 학생의 집합을 즉, B={5, 10, 15, 20}이므로 (Aû;BC),{2, 3, 6}
A, 농구를 좋아하는 학생의 집합을 B, 야구를 좋아하는 Ú 2<(Aû;BC)일 때,
학생의 집합을 C라 하면 2(y-k)=30에서 y-k=15   ∴ y=k+15
n(U)=100k, n(A)=64k, n(B)=52k, n(C)=38k, 이때 y=k+15É20이므로
n(A;B;C)=12k`(k는 상수)라 할 수 있다. kÉ5
이때 한 종목만 좋아하는 학생이 전체의 46`%, 즉 46k명 Û 3<(Aû;BC)일 때,
이므로 3(y-k)=30에서 y-k=10   ∴ y=k+10
n(A'B'C)-n(A;B)-n(B;C)-n(C;A) 이때 y=k+10É20이므로
 +2_n(A;B;C) kÉ10
=46k   yy㉠ Ü 6<(Aû;BC)일 때,
n(A'B'C)=‌n(A)+n(B)+n(C) 6(y-k)=30에서 y-k=5   ∴ y=k+5
-{n(A;B)+n(B;C)+n(C;A)} 이때 y=k+5É20이므로
+n(A;B;C) kÉ15
이므로 위의 식을 ㉠에 대입하여 정리하면 Ú, Û, Ü에서
64k+52k+38k 1ÉkÉ5일 때, Aû;BC={2, 3, 6}
 -2_{n(A;B)+n(B;C)+n(C;A)}+3_12k 5<kÉ10일 때, Aû;BC={3, 6}
=46k 10<kÉ15일 때, Aû;BC={6}
190k-2_{n(A;B)+n(B;C)+n(C;A)}=46k 따라서 n(Aû;B C)=1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k는 11,
2_{n(A;B)+n(B;C)+n(C;A)}=144k 12, 13, 14, 15의 5개이다. 답②

Ⅰ. 집합과 명제 | 017
A n s w e r

BLACKLABEL 특강 참고
06 해결단계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키도록 집합 AÁ, Aª, A£, y을 직접


k의 값의 범위에 따라 집합 Aû;BC은 다음과 같다. ➊ 단계
구하여 성질을 파악한 후, ak를 구한다.
Ú 1ÉkÉ5일 때,
➊ 단계에서 파악한 집합 Ak의 성질을 이용하여 집합 A30을
y-k 2 3 5 6 10 15 ➋ 단계 구한 후, A30;Am+ 을 만족시키면서 자연수 m이 최대
x 15 10 6 5 3 2 일 조건을 찾는다.
즉, Aû={2, 3, 5, 6, 10, 15}이므로 ➋ 단계에서 찾은 조건을 이용하여 자연수 m의 최댓값을 구
➌ 단계
Aû;BC={2, 3, 6} 한다.
Û 5<kÉ10일 때,
y-k 2 3 5 6 10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키도록 집합 Ak를 구하면
x 15 10 6 5 3 AÁ={1, 2, 3, 4, 5}
즉, Aû={3, 5, 6, 10, 15}이므로 Aª={3, 4, 5, 6, 7, 8, 9, 10}
Aû;BC={3, 6}
Ü 10<k<15일 때, A£={5, 6, 7, y, 15}
2 3 5 6 `

y
y-k
x 15 10 6 5
이때 aÁ=1, aª=3, a£=5, y이므로 ak=2k-1
즉, Aû={5, 6, 10, 15}이므로
Aû;BC={6} 즉, a30=59이므로 A30={59, 60, 61, y, 150}
Ý k=15일 때, 집합 Ak에서 aû는 홀수이므로 A30;Am+ 을 만족시키
y-k 2 3 5
는 자연수 m의 최댓값은 am=149일 때이다.
x 15 10 6
즉, Aû={6, 10, 15}이므로
따라서 2m-1=149에서 m=75이므로 자연수 m의 최
Aû;BC={6} 댓값은 75이다. 답 75
Ú~Ý에서 n(Aû;BC)=1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k는 11, 12, 13,
14, 15이다. 다른 풀이

집합 Ak의 원소 중에서 가장 작은 수는 2k-1이고, Aû


의 원소의 개수가 3k+2이므로
05 해결단계
Ak={2k-1, 2k, 2k+1, y, 5k}
전체집합 U를 5로 나누었을 때 나머지가 i인 원소의 집합 이때 A30={59, 60, 61, y, 150}이므로 A30;Am+
➊ 단계
을 AÔ로 나타낸 후, 집합 사이의 관계를 파악한다.
을 만족시키려면 m의 값의 범위에 따라 다음과 같이 나
원소끼리의 합이 5의 배수가 아닐 조건을 구한 후, n(A)의
➋ 단계 눌 수 있다.
최댓값을 구한다.
Ú m<30일 때,
전체집합 U의 원소를 5로 나누었을 때 나머지가
‌두 집합 A30, Am의 교집합이 존재해야 하므로 집합
i (i=0, 1, 2, 3, 4)인 원소의 집합을 AÔ라 하면
Am의 원소의 최댓값이 집합 A30의 원소의 최솟값보
A¼={5, 10, 15, y, 50}
다 크거나 같아야 한다. 즉,
AÁ={1, 6, 11, y, 46}
59
Aª={2, 7, 12, y, 47} 5m¾59에서 m¾
5
A£={3, 8, 13, y, 48} 그런데 m은 자연수이고, m<30이므로
A¢={4, 9, 14, y, 49} 12Ém<30
이므로 Û m¾30일 때,
U=A¼'AÁ'Aª'A£'A¢, n(AÔ)=10, ‌두 집합 A30, Am의 교집합이 존재해야 하므로 집합
AÔ;AÆ= (i+j) Am의 원소의 최솟값이 집합 A30의 원소의 최댓값보
Ú x<AÔ, y<AÔ일 때, 다 작거나 같아야 한다. 즉,
i=0일 때 x+y가 5의 배수가 된다. 151
2m-1É150에서 mÉ
‌즉, 집합 A에 집합 A¼의 원소를 두 개 이상 포함하지 2
않아야 한다. 그런데 m은 자연수이고, m¾30이므로
Û x<AÔ, y<AÆ (i+j)일 때, 30ÉmÉ75
i+j=5일 때 x+y가 5의 배수가 된다. Ú, Û에서 자연수 m의 값의 범위는 12ÉmÉ75
‌즉, 집합 A에 AÁ과 A¢ 또는 Aª와 A£의 원소들을 함 따라서 자연수 m의 최댓값은 75이다.
께 포함하지 않아야 한다.
Ú, Û에서 원소의 개수가 최대인 집합 A는
집합 AÁ'Aª 또는 AÁ'A£ 또는 Aª'A¢ 또는 A£'A¢ 07 해결단계

9 이하의 자연수 중에서 공약수를 갖는 수의 조합을 이용하


에 집합 A¼의 원소를 한 개만 추가한 집합이므로 n(A) ➊ 단계
여 서로소가 될 수 있는 수의 조합을 찾는다.
의 최댓값은 ➊ 단계에서 구한 조합에 따라 집합 X의 개수를 구한 후, 그
➋ 단계
10+10+1=21 답 21 합을 구한다.

018 | 블랙라벨 수학 (하)


본문 pp. 16~17

9 이하의 자연수 중에서 짝수는 모두 2를 공약수로 가지 한편, 조건 ㈏에서 집합 A의 모든 원소의 합과 집합 B의


므로 집합 X는 짝수인 원소를 2개 이상 가질 수 없다. 마 모든 원소의 합이 서로 같으므로 두 집합 A-B, B-A
찬가지로 3, 6, 9는 3을 공약수로 가지므로 집합 X는 3, 의 모든 원소의 합은 서로 같다.
6, 9 중에서 원소를 2개 이상 가질 수 없고, 홀수로 이루 이때 조건 ㈎에서 B-A={4, 7}이므로 집합 A-B의
어진 집합은 3과 9를 동시에 갖는 경우를 제외하면 원소 모든 원소의 합은 4+7=11이다.
끼리 서로소이다. 따라서 m은 4와 7 중 어느 수도 약수로 갖지 않고, 모든
따라서 다음과 같이 경우를 나누어 생각할 수 있다. 약수의 합이 11 이상이어야 하므로 m이 될 수 있는 수는
Ú 2, 4, 8 중에서 하나가 집합 X의 원소인 경우 6 또는 9이다.
‌집합 X의 나머지 원소는 모두 홀수이고 이때 3, 9도 Ú m=6일 때,
동시에 원소로 가질 수 없으므로 집합 X는 집합 ‌A={1, 2, 3, 6}이므로 집합 A-B의 원소의 합이
{1, 3, 5, 7, 9}의 부분집합 중에서 3과 9를 동시에 11이 되도록 하는 집합 A-B는
원소로 갖는 경우와 공집합을 제외해야 한다. A-B={2, 3, 6}
즉, 집합 X의 개수는 Û m=9일 때,
3_{2Þ`-(2Ü`+1)}=3_23=69 ‌A={1, 3, 9}이므로 집합 A-B의 원소의 합이 11
Û 6이 집합 X의 원소인 경우 이 되도록 하는 집합 A-B는 존재하지 않는다.
‌6은 짝수이면서 3의 배수이므로 집합 X가 6을 원소 Ú, Û에서 m=6, A={1, 2, 3, 6}
로 가지면 2, 4, 8과 3, 9는 집합 X의 원소가 될 수 ∴ B={1, 4, 7}
없다. 즉, 집합 X는 집합 {1, 5, 7}의 부분집합 중에 즉, A'B={1, 2, 3, 4, 6, 7}이므로
서 공집합을 제외해야 하므로 집합 X의 개수는 AC;BC=(A'B)C={5, 8, 9}
2Ü`-1=7 따라서 구하는 집합 AC;BC의 모든 원소의 합은
Ü 홀수로만 이루어진 경우 5+8+9=22 답⑤
‌집합 X는 집합 {1, 3, 5, 7, 9}의 부분집합 중에서 3
과 9를 동시에 원소로 갖는 경우와 원소의 개수가 1인
경우, 공집합을 제외해야 하므로 집합 X의 개수는
2Þ`-(2Ü`+5+1)=18
Ú, Û, Ü에서 집합 X의 개수는 2 해결단계

69+7+18=94 답 94 ➊ 단계
S(A)-S(B)의 값이 최대가 되도록 하는 S(A), S(B)
의 조건을 파악한다.
서로 다른 두 원소의 합이 9의 배수가 아니면서 S(A)의
➋ 단계
값이 최대가 되도록 하는 집합 A를 구한다.
서로 다른 두 원소의 합이 10의 배수가 아니면서 S(B)의
➌ 단계
값이 최소가 되도록 하는 집합 B를 구한다.
n(A;B)=1을 만족시키는 두 집합 A, B를 구한 후,
➍ 단계
S(A)-S(B)의 최댓값을 구한다.
이것이 수능 p. 17
S(A)-S(B)의 값이 최대가 되려면 S(A)의 값이 최
1⑤ 2 63 3② 4④ 대, S(B)의 값이 최소가 되어야 한다.
조건 ㈏에서 집합 A의 임의의 서로 다른 두 원소의 합이
9의 배수가 아니려면 두 원소를 9로 나눈 나머지의 합이
1 해결단계
0 또는 9가 되지 않아야 한다.
조건 ㈎에서 두 집합 B-A, A'BC의 관계를 파악하여 전체집합 U의 원소를 9로 나눈 나머지가
➊ 단계
전체집합 U를 구한다.
i (i=0, 1, 2, y, 8)인 원소의 집합을 Ai라 하면
➋ 단계 조건 ㈎, ㈏를 만족시키는 m의 값을 구한다.
집합 A'B를 구한 후, 집합 AC;BC의 모든 원소의 합을 A¼={9, 18}
➌ 단계
구한다. AÁ={1, 10, 19}, A¥={8, 17}
조건 ㈎에서 Aª={2, 11, 20}, A¦={7, 16}
n(A'B )=n((A ;B) )=n((B-A) )=7
C C C C
A£={3, 12}, A¤={6, 15}
B-A={4, 7}에서 n(B-A)=2 A¢={4, 13}, A°={5, 14}
C
∴ n(U)‌=n(B-A)+n((B-A) ) 따라서 조건 ㈏를 만족시키는 집합 A에 A¼의 원소를 두
=2+7=9 개 이상 포함하지 않아야 하고, AÁ과 A¥ 또는 Aª와 A¦
즉, k=9이므로 또는 A£과 A¤ 또는 A¢와 A°의 원소들은 함께 포함하지
U={1, 2, 3, 4, 5, 6, 7, 8, 9} 않아야 한다.

Ⅰ. 집합과 명제 | 019
A n s w e r

조건 ㈎에서 n(A)=8이므로 S(A)의 값이 최대가 되도 은행 A와 은행 B를 이용하는 고객의 집합을 각각 A, B


록 하는 집합 A의 원소를 큰 수부터 택하면 라 하면 조건 ㈎에서
A={20, 19, 18, 15, 14, 11, 10, 6}  yy㉠ n(A)+n(B)=82
조건 ㈐에서 집합 B의 임의의 서로 다른 두 원소의 합이 이때 조사한 고객이 총 65명이므로
10의 배수가 아니려면 두 원소를 10으로 나눈 나머지의 n(A'B)=65
합이 0 또는 10이 되지 않아야 한다. ∴ n(A;B)‌=n(A)+n(B)-n(A'B)
전체집합 U의 원소를 10으로 나눈 나머지가 =82-65=17
j (j=0, 1, 2, y, 9)인 원소의 집합을 Bj라 하면 두 은행 A, B 중 한 은행만 이용하는 고객의 수는
B¼={10, 20} n(A'B)-n(A;B)‌=65-17
BÁ={1, 11}, B»={9, 19} =48
Bª={2, 12}, B¥={8, 18} 조건 ㈏에서 두 은행 A, B 중 한 은행만 이용하는 남자
B£={3, 13}, B¦={7, 17} 고객의 수와 여자 고객의 수는 같으므로 한 은행만 이용
B¢={4, 14}, B¤={6, 16} 하는 여자 고객의 수는
B°={5, 15} 1
48_ =24
2
따라서 조건 ㈐를 만족시키는 집합 B에 B°, B¼의 원소를
따라서 은행 A와 은행 B를 모두 이용하는 여자 고객의
두 개 이상 포함하지 않아야 하고, BÁ과 B» 또는 Bª와
수는
B¥ 또는 B£과 B¦ 또는 B¢와 B¤의 원소들은 함께 포함하
30-24=6 답②
지 않아야 한다.
조건 ㈎에서 n(B)=8이므로 S(B)의 값이 최소가 되도
록 하는 집합 B의 원소를 작은 수부터 택하면
B={1, 2, 3, 4, 5, 10, 11, 12}  yy㉡
이때 조건 ㈎에서 n(A;B)=1이므로 ㉠, ㉡에서 두 원
소 10, 11 중 하나는 집합 A 또는 집합 B에서 제외해야
한다.
Ú 원소 10 또는 11을 집합 A에서 제외하는 경우
집합 A는 5를 원소로 가져야 하므로
n(A;B)=2 4 해결단계
즉, 조건을 만족시킬 수 없다. 신청한 봉사 활동의 종류에 따라 학생의 집합을 A, B로 나
➊ 단계
Û 원소 10 또는 11을 집합 B에서 제외하는 경우 눈 후, 주어진 조건을 A, B로 나타낸다.
합집합의 원소의 개수는 전체집합의 원소의 개수보다 적거
집합 B는 13을 원소로 가져야 하므로
➋ 단계 나 같고, 교집합의 원소의 개수보다 많거나 같음을 이용하여
n(A;B)=1 n(A;B)의 최댓값과 최솟값을 구한 후, 그 합을 구한다.
‌이때 S(B)의 값이 최소가 되려면 집합 B에서 11을 학생 전체의 집합을 U, 봉사 활동 A, B를 신청한 학생을
제외해야 한다. 원소로 하는 집합을 각각 A, B라 하면
Ú, Û에서 n(A)+n(B)=36
A={6, 10, 11, 14, 15, 18, 19, 20}, 이때 n(A'B)=n(A)+n(B)-n(A;B)에서
B={1, 2, 3, 4, 5, 10, 12, 13} n(A'B)=36-n(A;B) yy㉠
따라서 S(A)-S(B)의 최댓값은 이때 n(U)=30이므로
S(A)-S(B)‌=113-50=63 답 63 n(A'B)Én(U)=30
36-n(A;B)É30 (∵ ㉠)
∴ n(A;B)¾6 yy㉡
또한, n(A;B)Én(A'B)이므로
n(A;B)É36-n(A;B) (∵ ㉠)
2_n(A;B)É36
3 해결단계
∴ n(A;B)É18 yy㉢
두 은행 A, B를 이용하는 고객의 집합을 각각 A, B라 하 ㉡, ㉢에 의하여
➊ 단계
고, 주어진 조건을 A, B로 나타낸다.
6Én(A;B)É18
두 은행 A, B 중 한 은행만 이용하는 여자 고객의 수를 구
➋ 단계 따라서 M=18, m=6이므로
한다.
➌ 단계 은행 A와 은행 B를 모두 이용하는 여자 고객의 수를 구한다. M+m=24 답④

020 | 블랙라벨 수학 (하)


본문 pp. 17~20

02 명제 05 ① xÛ`=1이면 x=-1 또는 x=1이다. (거짓)


② x가 실수이면 xÛ`¾0이다. (거짓)
③ xy>1에서 0<yÉ1이므로 양변을 y로 나누면
STEP
1 출제율 100% 우수 기출 대표 문제 pp. 20~21
1
x>
01 ③ 02 4 03 ④ 04 ④ 05 ③ y
06 ③ 07 2 08 ③ 09 ④ 10 4 1
이때 ¾1이므로 x>1이다. (참)
11 ④ 12 ③ 13 ③ 14 12 15 ② y
④ (반례) x='2+1이면 x는 무리수이지만
xÛ`=('2+1)Û`=3+2'2이므로 xÛ`도 무리수이다.
01 ㄱ. '3+'7+'¶10이므로 거짓인 명제이다.  (거짓)
ㄴ. ‌x>2인 실수는 성립하지만 xÉ2인 실수는 성립하지 ⑤ (반례) x=1, y=-2이면 x>y이지만 xÛ`<yÛ`이다.
않으므로 참, 거짓을 판별할 수 없다. 즉, 명제가 아  (거짓)
니다. 따라서 참인 명제는 ③이다. 답③
ㄷ, ㄹ. 참인 명제이다.
ㅁ. ‌‘재미있다’는 참, 거짓을 판별할 수 없으므로 명제가
아니다.
06 조건 q의 진리집합이 Q이므로 조건 ~q의 진리집합은
따라서 명제인 것은 ㄱ, ㄷ, ㄹ의 3개이다. 답③ QC이다.
이때 명제 ‘p`1Ú ~q’가 참이므로 P,QC이다.
즉, 두 진리집합 P, Q의 포함 관 U
Q
계를 벤다이어그램으로 나타내면 P
02 xÛ`-3x-18<0에서 (x+3)(x-6)<0
오른쪽 그림과 같다.
∴ -3<x<6
① P;Q= (거짓)
∴ P={-2, -1, 0, 1, 2, 3, 4, 5}
② P'Q+U (거짓)
7
4x-7>0에서 x> 이므로 ③ P;QC=P-(P;Q)=P- =P (∵ ①) (참)
4
Q={2, 3, 4, 5, 6, y} ④ PC'Q=PC`(∵ Q,PC) (거짓)

따라서 P;Q={2, 3, 4, 5}이므로 ⑤ PC;Q=Q-(P;Q)=Q- =Q (∵ ①) (거짓)

n(P;Q)=4 답4 따라서 옳은 것은 ③이다. 답③

x=0이고 y=0이고 z=0 07 주어진 명제가 참이 되려면

03 조건 ‘xÛ`+yÛ`+zÛ`=0’의 부정은 ‘xÛ`+yÛ`+zÛ`+0’이므로 f (x)=xÛ`+4kx+3kÛ`-2k+3이라 할 때, f (x)¾0이


‘x+0 또는 y+0 또는 z+0’이다. 답④ 항상 성립해야 한다.
즉, 함수 y= f (x)의 그래프가 다음 그림과 같이 x축에
접하거나 만나지 않아야 한다.

y=f{x} y=f{x}
04 ‘어떤’의 부정은 ‘모든’이고, ‘>’의 부정은 ‘É’이므로 명제
‘x>3인 어떤 실수 x에 대하여 xÛ`-9>0이다.’의 부정은
‘x>3인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xÛ`-9É0이다.’이다. x x
 답④ 이차방정식 f (x)=0이 중근 또는 서로 다른 두 허근을
가져야 하므로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BLACKLABEL 특강 오답 피하기
D
‌=(2k)Û`-(3kÛ`-2k+3)É0에서
명제 ‘x>3인 어떤 실수 x에 대하여 xÛ`-9>0이다.’를 부정할 때, 명 4
제 안의 모든 요소를 부정하여 ‘xÉ3인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kÛ`+2k-3É0, (k+3)(k-1)É0
xÛ`-9É0이다.’로 착각할 수도 있다. 비법노트 A에 ‘명제의 부정은 반
드시 여집합 개념을 생각해야 하며, 이때 전체집합을 먼저 생각한다.’ ∴ -3ÉkÉ1
로 되어 있는데 이 내용을 토대로 위의 명제의 부정을 이해해 보자.
따라서 주어진 명제가 거짓이 되려면 k<-3 또는 k>1
주어진 명제는 ‘x>3인 실수 x 중에서 부등식 xÛ`-9>0을 만족시키
는 원소가 존재한다.’는 의미이고, 여기서 x>3은 전체집합을 의미한 이어야 하므로 구하는 자연수 k의 최솟값은 2이다. 답 2
다. 따라서 여집합 개념으로 명제를 부정하면 ‘x>3인 실수 x 중에서
부등식 xÛ`-9>0을 만족시키는 원소가 존재하지 않는다.’ 또는 ‘x>3
다른 풀이
인 모든 실수 x는 부등식 xÛ`-9É0을 만족시킨다.’이므로 답은 ②가 주어진 명제가 거짓이면 주어진 명제의 부정은 참이다.
아닌 ④이다.
주어진 명제의 부정은

Ⅰ. 집합과 명제 | 021
A n s w e r

‘어떤 실수 x에 대하여 xÛ`+4kx+3kÛ`-2k+3<0이다.’ 즉, R,P,Q이므로 오 Q


P P
이고, 이 명제가 참이 되어야 하므로 이차방정식 른쪽 그림과 같이 R
xÛ`+4kx+3kÛ`-2k+3=0이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져 aÉ-1, b¾5 a -1 3 5 b x

야 한다. 따라서 a의 최댓값은 -1, b의 최솟값은 5이므로 구하는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합은 (-1)+5=4 답4
D
‌=(2k)Û`-(3kÛ`-2k+3)>0에서
4
kÛ`+2k-3>0, (k+3)(k-1)>0
∴ k<-3 또는 k>1
따라서 구하는 자연수 k의 최솟값은 2이다. 11 ① ‌p`jjK`~q이고, r`jjK`q이면 ~q`jjK`~r이므로
p`jjK`~q`jjK`~r   ∴ p`jjK`~r (거짓)
② ‌p`jjK`q이고, ~r`jjK`~q이면 q`jjK`r이므로

08 명제와 그 대우의 참, 거짓은 항상 일치하므로 명제와 대 p`jjK`q`jjK`r   ∴ p`jjK`r (거짓)


우 중에서 하나의 참, 거짓을 판별하고, 역의 참, 거짓을 ③ ‌p`jjK`~q이고, ~r`jjK`q이면 ~q`jjK`r이므로
판별하면 된다. p`jjK`~q`jjK`r   ∴ p`jjK`r (거짓)
ㄱ. 대우:‌x+y이면 xÛ`-yÛ`+0이다. ④ ‌q`jjK`~p이면 p`jjK`~q이고, ~q`jjK`r이므로
(반례) x=1, y=-1이면 x+y이지만 p`jjK`~q`jjK`r   ∴ p`jjK`r (참)
xÛ`-yÛ`=0이다. (거짓) ⑤ ‌q`jjK`p이면 ~p`jjK`~q이고, ~q`jjK`~r이므로
역:x=y이면 xÛ`-yÛ`=0이다. (참) ~p`jjK`~q`jjK`~r   ∴ ~p`jjK`~r (거짓)
ㄴ. 명제:x-2=0이면 xÛ`-4=0이다. (참) 따라서 항상 옳은 것은 ④이다. 답④

역:‌xÛ`-4=0이면 x-2=0이다.
(반례) x=-2이면 xÛ`-4=0이지만 x-2+0
이다. (거짓)
ㄷ. ‌대우:x=0 또는 y=0이면 xy=0이다. (참)
역:x+0이고 y+0이면 xy+0이다. (참) 12 투표 결과를 명제라 하고, 명제에 나타나는 각 조건 p, q,
r, s를 각각 A, B, C, D가 대표에 선출되는 것으로 하자.
따라서 명제와 그 역, 대우가 모두 참인 것은 ㄷ뿐이다.
㈏, ㈐, ㈑를 p, q, r, s로 나타내면
 답③
㈏:p`jjK`r, ㈐:~q`jjK`~r, ㈑:~p`jjK`~s
이때 명제가 참이면 그 대우가 참이므로
㈒:~r`jjK`~p, ㈓:r`jjK`q, ㈔:s`jjK`p
09 주어진 명제의 대우 는 ‘자연수 n에 대하여 n이 홀수이
㈏, ㈔에서 s`jjK`p`jjK`r
면 nÛ`도 홀수 이다.’이다. ㈏, ㈓에서 p`jjK`r`jjK`q
n이 홀수이면 n= 2k+1 (k는 0 또는 자연수)로 나타 즉, A 또는 D가 대표에 선출되면 ㈎를 만족시키지 않는다.

낼 수 있다. 따라서 대표로 선출된 두 사람은 B, C이다. 답③

이때 nÛ`의 값을 구하면 다른 풀이

nÛ`=( 2k+1 )Û`=4kÛ`+4k+1=2( 2kÛ`+2k )+1이고, Ú ‌㈏에서 A가 대표가 되었다고 가정하면 A, B, C, D


의 선출 여부는 다음과 같다.
2( 2kÛ`+2k )는 0 또는 짝수이므로 nÛ`은 홀수 이다.
A B C D
따라서 주어진 명제의 대우 가 참이므로 주어진 명제도
 ×  ×
참이다.
그런데 이것은 ㈐를 만족시키지 않는다.
즉, ① 대우, ② 홀수, ③ 2k+1, ④ 0, ⑤ 2kÛ`+2k이므로
Û ‌㈏의 대우는 ‘C가 대표가 되지 않았다면 A도 대표가
바르게 짝지어지지 않은 것은 ④이다. 답④
되지 않았다.’이므로 C가 대표가 되지 않았다고 가정
하면 A, B, C, D의 선출 여부는 다음과 같다.

10 세 조건 p, q, r의 진리집합을 각각 P, Q, R라 하면 A B C D
×  × 
P={x|-1ÉxÉ3 또는 x¾5},
Q={x|x¾a}, R={x|x¾b} 그런데 이것은 ㈑를 만족시키지 않는다.
이때 q는 p이기 위한 필요조건, r는 p이기 위한 충분조건 Ü ‌㈐에서 B가 대표가 되지 않았다고 가정하면 A, B,
이므로 P,Q, R,P C, D의 선출 여부는 다음과 같다.

022 | 블랙라벨 수학 (하)


본문 pp. 20~22

A B C D 2a>0, 3b>0이므로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에 의


 × ×  하여

그런데 이것은 ㈏를 만족시키지 않는다. 2a+3b‌¾2'Ä2a_3b (단, 등호는 2a=3b일 때 성립)

Ý ‌㈐의 대우는 ‘C가 대표가 되었다면 B도 대표가 되었 =2'¶6ab=2'Ä6_6=12

다.’이므로 C가 대표가 되었다고 가정하면 A, B, C, 따라서 구하는 최솟값은 12이다. 답 12

D의 선출 여부는 다음과 같다.

A B C D
×   × 15 x, y는 실수이므로 코시-슈바르츠의 부등식에 의하여
(3Û`+4Û`)(xÛ`+yÛ`)¾(3x+4y)Û``
따라서 이것은 ㈎~㈑를 모두 만족시킨다.
{단, 등호는
x y
Ú~Ý에서 대표로 선출된 두 사람은 B, C이다.  = 일 때 성립}
3 4
이때 xÛ`+yÛ`=1이므로 (3x+4y)Û`É25
∴ -5É3x+4yÉ5

+ ‌={a- }2`- +
ab bÛ` b bÛ` bÛ` 따라서 3x+4y의 최댓값 M=5, 최솟값 m=-5이므로
13 ㄱ. aÛ`-
2 2 4 16 2

={a- }2`+ bÛ`>0 (∵ a+b) (참)


M-m=10 답②
b 7
4 16 다른 풀이

ㄴ. (반례) a=2, b=1이면 3x+4y=k라 하면 3x+4y-k=0


|a-b|=|2-1|=1, ||a|-|b||=|2-1|=1 즉, 구하는 3x+4y의 값은 직선 3x+4y-k=0이 원
∴ |a-b|=||a|-|b|| (거짓) xÛ`+yÛ`=1과 만나도록 하는 k의 값과 같다.
ㄷ. aÛ`+bÛ`+cÛ`>ab+bc+ca에서 원의 중심 (0, 0)과 직선 3x+4y-k=0 사이의 거리는
aÛ`+bÛ`+cÛ`-ab-bc-ca>0 |-k| |k|
=
위의 부등식의 좌변을 정리하면 "Ã3Û`+4Û` 5

aÛ`+bÛ`+cÛ`-ab-bc-ca 이때 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1이므로


1 |k|
= (2aÛ`+2bÛ`+2cÛ`-2ab-2bc-2ca) É1, |k|É5   ∴ -5ÉkÉ5
2 5
1 따라서 M=5, m=-5이므로 M-m=10
= {(a-b)Û`+(b-c)Û`+(c-a)Û`}>0
2
 (∵ a+b, b+c, c+a) BLACKLABEL 특강 필수 개념

∴ aÛ`+bÛ`+cÛ`>ab+bc+ca (참) 원과 직선의 위치 관계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답③ 원 xÛ`+yÛ`=rÛ` (r>0)의 중심과 직선 y=mx+n 사이의 거리를 d
라 하면
다른 풀이
Ú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난다.
ㄴ. |a-b|>0, ||a|-|b||>0 (∵ a+b)이므로 jK`d<r
Û 한 점에서 만난다. (접한다.)
|a-b|Û`-||a|-|b||Û` jK`d=r r
=(a-b)Û`-(|a|-|b|)Û` Ü 만나지 않는다.
jK`d>r
=aÛ`-2ab+bÛ`-(aÛ`-2|a||b|+bÛ`)
=-2ab+2|a||b|
=2(|ab|-ab)
이때 ab¾0이면 |ab|=ab에서 |ab|-ab=0
ab<0이면 |ab|=-ab이므로
|ab|-ab=-2ab>0
즉, |a-b|Û`-||a|-|b||Û`=2(|ab|-ab)¾0 STEP
2 1등급을 위한 최고의 변별력 문제 pp. 22~27
이므로
01 ③ 02 6 03 ③ 04 ③ 05 8
|a-b|¾||a|-|b||이다. (거짓) 06 ② 07 12 08 5 09 7 10 ④
11 3 12 -1 13 ③ 14 풀이 참조 15 ③
16 ③ 17 15 18 11 19 ④ 20 12
21 ③ 22 ⑤ 23 ④ 24 ③ 25 ③
6
14 점 (a, b)가 곡선 y= 위의 점이므로
x
26 B, C
31 2, x=z
27 ③
32 4
28 12
33 5
29 ⑤
34 5
30 ④
35 ⑤
6 36 ③ 37 ① 38 3 39 ④
b=    ∴ ab=6
a

Ⅰ. 집합과 명제 | 023
A n s w e r

01 ㄱ. a>0, b>0, 2ab>1이므로 04 (X'PC);(XC;Q)


aÛ`+bÛ`=(a-b)Û`+2ab¾2ab>1 (참) ={X;(XC;Q)}'{PC;(XC;Q)}
1 ={(X;XC);Q}'{PC;(XC;Q)}
ㄴ. (반례) a=1, b= 이면
2

a>0, b>0, aÛ`+bÛ`=1Û`+{ }2`= >1이지만


=( ;Q)'{PC;(XC;Q)}
1 5
= '{PC;(XC;Q)}
2 4
=(Q;XC);PC
1
2ab=2_1_ =1이다. (거짓)
2 =Q;XC;PC
ㄷ. a+b=0 yy㉠ =(Q;PC);XC
b+c=0 yy㉡ =(Q-P)-X=    yy㉠
c+a=0 yy㉢ 이때 임의의 부분집합 X에 대하여 ㉠이 항상 성립하려면
㉠, ㉡, ㉢을 변끼리 더하면 2(a+b+c)=0 Q-P= 이어야 하므로 Q,P이다.
∴ a+b+c=0 yy㉣ 따라서 항상 참인 명제는 ③ q`1Ú p이다. 답③
㉠, ㉡, ㉢을 ㉣에 각각 대입하면 다른 풀이
c=0, a=0, b=0 (참) (X'PC);(XC;Q)= 에서
따라서 참인 명제는 ㄱ, ㄷ이다. 답③
(X'PC)-(XC;Q)‌=X'PC
다른 풀이 (X'PC)-(XC;Q)‌=(X'PC);(XC;Q)C
ㄱ. ‌a>0, b>0에서 aÛ`>0, bÛ`>0이므로 산술평균과 기 =(X'PC);(X'QC)
하평균의 관계에 의하여 =X'(PC;QC)
aÛ`+bÛ`¾2"ÃaÛ`bÛ`=2ab>1 이므로 X'(PC;QC)=X'PC
 (단, 등호는 a=b일 때 성립) (참) 즉, PC;QC=PC이므로 PC,QC
∴ Q,P

02 명제 p가 참이므로 A,C이고, 명제 r가 참이므로


CC,BC, 즉 B,C이다.
05 명제 ‘~q이면 p이다.’가 참이려면 두 조건 p, q의 진리집
또한, 명제 q가 참이므로 B,AC에서 A;B= 이다. 합을 P, Q라 할 때, QC,P이어야 하므로 명제 ‘~q이면
즉, 세 집합 A, B, C의 포함 관 C
p이다.’가 거짓이려면 QCøP이어야 한다.
계를 벤다이어그램으로 나타내면 A B 즉, 집합 QC의 원소이면서 집합 P에 속하지 않아야 하므
오른쪽 그림과 같다. 로 '¶3x가 자연수가 되도록 하는 200 이하의 자연수 x의
따라서 n(A)=14, n(B)=10, 개수를 구해야 한다.
n(C)=30이므로 '¶3x가 자연수이려면 x=3kÛ``(k는 자연수) 꼴이어야 하
n(C-(A'B))‌=n(C)-n(A'B) 므로
=30-(14+10)=6 답6 200
3kÛ`É200, kÛ`É =66.6__
3
이때 8Û`=64, 9Û`=81이므로 k=1, 2, 3, y, 8

03 ACÓ=¿¹('2)Û`+('2)Û`=2이므로 따라서 주어진 명제가 거짓이 되도록 하는 x=3kÛ`이고 x


q=p+'2, r=p+2=q+2-'2 의 개수는 k의 개수와 같으므로 8이다. 답8

이때 (유리수)+(유리수)=(유리수),
(유리수)+(무리수)=(무리수)임을 이용하면 명제의
참, 거짓을 판별할 수 있다. 06 명제 p`1Ú ~q가 참이 되려면 P,QC이어야 한다.
ㄱ. ‌q=p+'2, r=p+2에서 '2는 무리수, 2는 유리수이 ㄱ. (P;R)'(R-Q)= 이므로
므로 p가 유리수이면 q는 무리수, r는 유리수이다. P;R= , R-Q=  U
Q
 (참) ∴ P;R= , R,Q P
R
ㄴ. ‌(반례) p=-'2(무리수)이면 q=(-'2)+'2=0, ‌그런데 P;Q+ 이면 오른쪽
r=2-'2이므로 q는 유리수, r는 무리수이다. 그림에서 PøQC
 (거짓) ㄴ. (P;R)'(Q-R)= 이므로
ㄷ. ‌r=q+2-'2에서 2-'2가 무리수이므로 q가 유리 P;R= , Q-R=
수이면 r는 무리수이다. (참) ∴ P;R= , Q,R
따라서 참인 명제는 ㄱ, ㄷ이다. 답③ 즉, P;Q= 이므로 P,QC이다.

024 | 블랙라벨 수학 (하)


본문 pp. 22~23

ㄷ. P;RC=P-R= 이므로 P,R ①, ②에서 kÉ12이므로 조건을 만족시키는 실수 k의 최


Q 'R=U에서 (Q 'R) =U
C C C C
댓값은 12이다. 답 12
Q;R =Q-R= 
C
R
∴ Q,R P Q

‌그런데 P;Q+ 이면 오른쪽


08 xÛ`-x-6=(x+2)(x-3)<0에서 -2<x<3
즉, 조건 p의 진리집합을 P라 하면
그림에서 PøQC
P={x|-2<x<3}
따라서 명제 p`1Ú ~q가 참이 되도록 하는 것은 ㄴ뿐이
또한,
다. 답②
xÛ`+(6-3a)x+2aÛ`-10a+8
=xÛ`+(6-3a)x+2(a-1)(a-4)
={x-(2a-2)}{x-(a-4)}¾0

07 두 조건 p, q의 진리집합을 P, Q라 하면 명제 p`1Ú q 에서 조건 q의 진리집합을 Q라 하면 a의 값의 범위에 따


가 참이 되려면 P,Q이어야 한다. 라 집합 Q는 다음과 같다.
|x-1|+|x-3|<k에서 Ú 2a-2<a-4, 즉 a<-2일 때,
Ú x<1일 때, Q={x|xÉ2a-2 또는 x¾a-4}
4-k Û 2a-2=a-4, 즉 a=-2일 때,
-x+1-x+3<k   ∴ x> yy㉠
2 (x+6)Û`¾0이므로 Q={x|x는 모든 실수}
Û 1Éx<3일 때, Ü 2a-2>a-4, 즉 a>-2일 때,
x-1-x+3<k   ∴ 0_x<k-2 yy㉡ Q={x|xÉa-4 또는 x¾2a-2}
Ü x¾3일 때, Ú, Û에서 aÉ-2일 때 P;Q={x|-2<x<3}이므
4+k 로 두 조건 p, q가 모두 참이 되도록 하는 정수 x는 -1,
x-1+x-3<k   ∴ x< yy㉢
2
0, 1, 2의 4개로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즉, 집합 P는 k의 값에 따라 달라진다.
Ü에서 a>-2일 때 2a-2>-6, a-4>-6이므로 두
① kÉ2일 때,
조건 p, q가 모두 참이 되도록 하는 정수 x가 오직 하나
4-k 4-k
‌㉠에서 ¾1이므로 x<1과 x> 의 공통부 존재하려면 [그림 1] 또는 [그림 2]와 같아야 한다.
2 2
분은 존재하지 않으므로 x<1에서 해는 없다. Q Q
P
㉡에서 k-2É0이므로 해는 없다. x
-2 -1 0 1 2 3
4+k 4+k a-4 2a-2
‌㉢에서 É3이므로 x¾3과 x< 의 공통부
2 2
[그림`1]
분은 존재하지 않으므로 x¾3에서 해는 없다. Q Q
따라서 kÉ2이면 P= 이므로 P,Q를 만족시킨다. P

-2 -1 0 1 2 3 x
② k>2일 때,
a-4 2a-2
4-k 4-k
㉠에서 <1이므로 x<1, x> 에서 [그림`2]
2 2
4-k [그림`1]에서 -1Éa-4<0, 2a-2>2이므로
<x<1
2 3Éa<4, a>2   ∴ 3Éa<4
㉡에서 k-2>0이므로 해는 모든 실수이다. [그림`2]에서 a-4<-1, 1<2a-2É2이므로
∴ 1Éx<3 3 3
a<3, <aÉ2   ∴ <aÉ2
4+k 4+k 2 2
㉢에서 >3이므로 x¾3, x< 에서
2 2 따라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a의 값의 범위는 3Éa<4 또
4+k 3
3Éx< 는 <aÉ2이므로 정수 a는 2, 3이고, 그 합은
2 2
4-k 4+k
‌따라서 k>2이면 P=[x| <x< ]이다. 2+3=5 답5
2 2
다른 풀이
이때 P,Q이려면 오른쪽 그 Q
P xÛ`-x-6<0에서 (x+2)(x-3)<0
림과 같아야 하므로
-6 4-k 4+k 8 x ∴ -2<x<3
4-k 4+k
-6É , É8 2 2
2 2 위의 식을 만족시키는 정수 x는 -1, 0, 1, 2
4-k¾-12, 4+kÉ16 xÛ`+(6-3a)x+2aÛ`-10a+8¾0에서
kÉ16, kÉ12   ∴ kÉ12 xÛ`+(6-3a)x+2(a-1)(a-4)¾0
그런데 k>2이므로 2<kÉ12 {x-2(a-1)}{x-(a-4)}¾0 yy㉠

Ⅰ. 집합과 명제 | 025
A n s w e r

이때 두 조건 p, q가 모두 참이 되도록 하는 정수 x가 오 Ú ‌3|x|+|y|=k의 그래프가 점 (0, '1Œ0)을 지날 때,


직 하나이어야 하므로 -1, 0, 1, 2 중에서 부등식 ㉠을 k='1Œ0
만족시키는 정수 x는 -1 또는 2이어야 한다. Û ‌3|x|+|y|=k의 그래프가 원 S`:`xÛ`+yÛ`=10과 접
Ú x=-1만 부등식 ㉠을 만족시킬 경우 할 때,
{-1-2(a-1)}{-1-(a-4)}¾0 ‌x>0, y>0일 때 3x+y=k이므로 직선 y=-3x+k
(2a-1)(a-3)¾0 가 원 xÛ`+yÛ`=10과 접해야 한다.
1 xÛ`+(-3x+k)Û`=10에서 10xÛ`-6kx+kÛ`-10=0
∴ aÉ 또는 a¾3 yy㉡
2
위의 이차방정식이 중근을 가지므로 판별식을 D라 하면
‌그런데 x=0, x=2는 부등식 ㉠을 만족시키지 않으
D
=(-3k)Û`-10(kÛ`-10)=0에서 -kÛ`+100=0
므로 4
{0-2(a-1)}{0-(a-4)}<0 kÛ`=100   ∴ k=10`(∵ k는 자연수)
2(a-1)(a-4)<0   ∴ 1<a<4 yy㉢ Ú, Û에서 '1Œ0ÉkÉ10
{2-2(a-1)}{2-(a-4)}<0 따라서 자연수 k는 4, 5, 6, 7, 8, 9, 10의 7개이다. 답 7
2(a-2)(a-6)<0   ∴ 2<a<6 yy㉣
㉡, ㉢, ㉣에서 3Éa<4이므로 정수 a는 3이다.
Û x=2만 부등식 ㉠을 만족시킬 경우
10 대우가 거짓이면 그 명제도 거짓이므로 명제는 거짓이고,
역은 참인 명제를 찾으면 된다.
{2-2(a-1)}{2-(a-4)}¾0
ㄱ. ‌명제:aÛ`+bÛ`=0이면 a=b=0이므로 |a|+|b|=0
2(a-2)(a-6)¾0
이다. (참)
∴ aÉ2 또는 a¾6 yy㉤
역:|a|+|b|=0이면 a=b=0이므로 aÛ`+bÛ`=0이
‌그런데 x=-1, x=1은 부등식 ㉠을 만족시키지 않
다. (참)
으므로
ㄴ. ‌명제:a`Û =bÛ`이면 aÜ`=bÜ`이다.
{-1-2(a-1)}{-1-(a-4)}<0
(반례) a=1, b=-1이면 aÛ`=bÛ`=1이지만
1
(2a-1)(a-3)<0   ∴ <a<3 yy㉥ aÜ`=1, bÜ`=-1이므로 aÜ`+bÜ`이다. (거짓)
2
{1-2(a-1)}{1-(a-4)}<0 역:aÜ`=bÜ`이면 a=b이므로 aÛ`=bÛ`이다. (참)
3 ㄷ. 명제:‌a+b가 짝수이면 a, b는 모두 짝수이다.
(2a-3)(a-5)<0   ∴ <a<5  yy㉦
2 (반례) a=1, b=3이면 a+b=4는 짝수이지
3 만 a, b는 모두 홀수이다. (거짓)
㉤, ㉥, ㉦에서 <aÉ2이므로 정수 a는 2이다.
2
역:a, b가 모두 짝수이면 a+b는 짝수이다. (참)
Ú, Û에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정수 a는 2, 3이므로 그
따라서 역은 참이고 대우는 거짓인 명제는 ㄴ, ㄷ이다.
합은
 답④
2+3=5

11 두 조건을 p`:`2x-1<0, q`:`4x+1<a라 하고, 두 조건


p, q의 진리집합을 각각 P, Q라 하면
09 명제 ‘집합 C에 속하는 어떤 점 P에 대하여
1
P=[x|x< ], Q=[x|x< ]
∠APB=90ù이다.’가 참이려면 두 점 A(-1, 3), a-1
2 4
B(1, -3)을 지름의 양 끝점으로 하는 원을 S라 할 때,
이때 명제 p`1Ú q의 역 P
원 S와 집합 C가 나타내는 도형의 교점이 존재해야 한다. Q
q`1Ú p가 참이므로 Q,P이고,
원 S의 중심은 ABÓ의 중점이므로 a-1 1 x
이것이 성립하려면 오른쪽 그림 4 2
-1+1 3+(-3)
{ , }, 즉 (0, 0) 과 같아야 한다.
2 2
a-1 1
이고 반지름의 길이는 즉, É 이어야 하므로 a-1É2   ∴ aÉ3
4 2
1 1
ABÓ‌= "Ã(1+1)Û`+(-3-3)Û` y 따라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실수 a의 최댓값은 3이다.
2 2
 답3
='1Œ0 
x@+y@=10
이므로 원 S의 방정식은
xÛ`+yÛ`=10 Œ
O x 12 해결단계
이때 집합 C가 나타내는 도형은
f (p, q) f (q, r)=-1을 만족시키는 f (p, q), f (q, r)의
➊ 단계
오른쪽 그림의 Ú 또는 Û 이거나 값을 각각 구한다.
Ú과 Û의 사이에 있어야 한다. ➋ 단계 ➊ 단계에서 구한 값에 따라 f (p, r)의 값을 구한다.

026 | 블랙라벨 수학 (하)


본문 pp. 23~24

f (p, q) f (q, r)=-1에서 Û q=2k+1일 때,


f (p, q)=1, f (q, r)=-1 또는 n(n+1)=4kÛ`+4k에서
f (p, q)=-1, f (q, r)=1 ‌4kÛ`+4k=2k_( 2k+2 )이므로 연속한 두 자연수의
Ú f (p, q)=1, f (q, r)=-1일 때, 곱이 될 수 없다.
‌f (p, q)=1에서 명제 p`1Ú q의 대우와 역이 모두 즉, 조건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n은 존재하지 않는다.
참이고, 대우가 참이면 명제도 참이므로 q
Ú, Û에서 "Ãn`Û +n+1= (p, q는 서로소인 자연수)를
p jjK q, q`jjK p p
‌이때 f (q, r)=-1에서 명제 q`1Ú r의 대우와 역 만족시키는 자연수 n은 존재하지 않는다.
중에서 하나만 참이어야 한다. 따라서 "ÃnÛ`+n+1은 유리수가 아니다.
① ‌명제 q`1Ú r의 대우가 참인 경우 ∴ f (q)=qÛ`-1, g(k)=2k-1, h(k)=2k+2
~r`jjK ~q이면 q`jjK r이므로 p`jjK q`jjK r g(5)h(6) (2_5-1)_(2_6+2)
∴ ‌=
즉, 명제 p`1Ú r가 참이므로 대우도 참이다. f (10) 10Û`-1
9_14 14
② ‌명제 q`1Ú r의 역이 참인 경우 = =  답③
99 11
‌r`jjK q이면 r`jjK q`jjK p이므로 명제 r`1Ú p
가 참이다.
‌①, ②에서 명제 p`1Ú r의 대우 또는 역 중에서 하나
14 주어진 명제의 대우는 ‘자연수 n에 대하여 n이 3의 배수
만 참이므로 f (p, r)=-1 가 아니면 nÛ`+2는 3의 배수이다.’이다.
Û f (p, q)=-1, f (q, r)=1일 때, n이 3의 배수가 아니므로
‌f (q, r)=1에서 명제 q`1Ú r의 대우와 역이 모두 n=3k+1 또는 n=3k+2 (단, k는 음이 아닌 정수)
참이고, 대우가 참이면 명제도 참이므로 로 나타낼 수 있다.
q`jjK r, r`jjK q Ú n=3k+1 (k는 음이 아닌 정수)일 때,
‌이때 f (p, q)=-1에서 명제 p`1Ú q의 대우와 역 nÛ`+2‌=(3k+1)Û`+2=9kÛ`+6k+3
중에서 하나만 참이어야 한다. =3(3kÛ`+2k+1)
③ ‌명제 p`1Ú q의 대우가 참인 경우 이므로 nÛ`+2는 3의 배수이다.
~q`jjK ~p이면 p`jjK q이므로 p`jjK q`jjK r Û n=3k+2 (k는 음이 아닌 정수)일 때,
즉, 명제 p`1Ú r가 참이므로 대우도 참이다. nÛ`+2‌=(3k+2)Û`+2=9kÛ`+12k+6
④ ‌명제 p`1Ú q의 역이 참인 경우 =3(3kÛ`+4k+2)
‌q`jjK p이면 r`jjK`q`jjK`p이므로 명제 r`1Ú p가 이므로 nÛ`+2는 3의 배수이다.
참이다. Ú, Û에서 자연수 n에 대하여 n이 3의 배수가 아니면
‌③, ④에서 명제 p`1Ú r의 대우 또는 역 중에서 하나 nÛ`+2는 3의 배수이다.
만 참이므로 f (p, r)=-1 따라서 주어진 명제의 대우가 참이므로 주어진 명제도 참
Ú, Û에서 가능한 f (p, r)의 값은 -1이다. 답 -1
이다. 답 풀이 참조

13 "ÃnÛ`+n+1이 유리수라고 가정하면


15 Ú f (1)+1임을 증명하기 위해 f (1)=1이라 가정하자.
q
"Ãn`Û +n+1= (p, q는 서로소인 자연수)라 할 수 있다. 조건 ㈏의 식의 양변에 n=1, m=1을 대입하면
p
f (1+ f (1))= f (1)+1+1   ∴ f (2)=3
이 식의 양변을 제곱하여 정리하면 pÛ`(nÛ`+n+1)=qÛ`이
n=2, m=1을 대입하면
다. 이때 qÛ`은 p의 배수이고, p, q는 서로소인 자연수이므
f (2+ f (1))= f (2)+1+1   ∴ f (3)= 5
로 p=1이다.
n=1, m=2를 대입하면
pÛ`(nÛ`+n+1)=qÛ`에서 nÛ`+n+1=qÛ`
f (1+ f (2))= f (1)+2+1   ∴ f (4)= 4
∴ n(n+1)= qÛ`-1
‌그런데 조건 ㈎에 의하여 f (4)> f (3)이어야 하므로
자연수 k에 대하여 모순이다. 즉, f (1)+1이다.
Ú q=2k일 때, Û ‌f (n)Én을 만족시키는 어떤 자연수 n`(n¾2)이 존
n(n+1)=4kÛ`-1에서 재한다고 가정하자.
‌4kÛ`-1=(2k+1)_( 2k-1 )이므로 연속한 두 자 자연수 n에 대하여 n-1<n이고 조건 ㈎에 의하여
연수의 곱이 될 수 없다. f (n-1)< f (n)Én
즉, 조건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n은 존재하지 않는다. 이므로

Ⅰ. 집합과 명제 | 027
A n s w e r

f (n-1)É n-1 이때 xÛ`-x-2+0에서 (x+1)(x-2)+0


마찬가지로 ∴ x+-1이고 x+2
f (n-2)Én-2 즉, P={x|x는 x+-1이고 x+2인 모든 실수}
⋮ ax-a>2x+1에서 (a-2)x>a+1    yy㉠
(중략) a+1
Ú a<2일 때, ㉠에서 x< 
a-2
‌따라서 f (1)É1이고 f 의 정의역과 공역이 모두 자연
‌Q,P이려면 오른쪽 그림과 P P P
수이므로 f (1)=1이다. Q
같아야 하므로
이것은 Ú에 의하여 모순이다. -2 -1 0 1 2 3 x
a+1
Ú, Û에서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f(n)>n이 성립한다. É-1 a+1
a-2 a-2
∴ p=5, q=4, g(n)=n-1
a+1¾-a+2 (∵ a<2)
∴ g(p+q)= g(9)=9-1=8 답③
1
∴ a¾
2
1
그런데 a<2이므로 Éa<2
2
16 ㄱ. xy>0이면 x>0, y>0 또는 x<0, y<0
Û a=2일 때, ㉠에서 0_x>3
즉, p`Hjj`q이므로 p는 q이기 위한 필요조건이다.
‌즉, 부등식을 항상 만족시키는 x의 값은 존재하지 않
ㄴ. x<y`HjK`x-y<0`HjK`x-y<|x-y|
으므로 Q=
즉, p`HjK`q이므로 p는 q이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이다.
따라서 Q,P를 만족시킨다.
ㄷ. A;B;C=A;B`HjK`(A;B),C
a+1
A'B'C=C`HjK`(A'B),C Ü a>2일 때, ㉠에서 x> 
a-2
이때 (A;B),(A'B)이므로 ‌Q,P이려면 오른쪽 그림과 P P P
Q
(A'B),C이면 (A;B),C 같아야 하므로
-2 -1 0 1 2 3 x
즉, p`Hjj`q이므로 p는 q이기 위한 필요조건이다. a+1
¾2 a+1
따라서 p가 q이기 위한 필요조건이지만 충분조건이 아닌 a-2 a-2

것은 ㄱ, ㄷ이다. 답③ a+1¾2a-4 (∵ a>2)


∴ aÉ5
그런데 a>2이므로 2<aÉ5
1
17 p가 q이기 위한 필요조건이므로 p`Hjj`q에서 Ú, Û, Ü에서
2
ÉaÉ5이므로 정수 a는 1, 2, 3, 4, 5
~p`jjK`~q 이고 그 합은
~p`:`xÛ`-x-2=0에서 (x+1)(x-2)=0 1+2+3+4+5=15
∴ x=-1 또는 x=2
~q`:`ax-aÉ2x+1에서
Ú x=-1일 때, -a-aÉ-2+1

-2aÉ-1   ∴ a¾
1 18 p가 q이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이려면 두 조건 p, q의 진리
2 집합이 같아야 한다.
Û x=2일 때, 2a-aÉ4+1   ∴ aÉ5 p`:`xÛ`+x+0에서 x(x+1)+0이므로
1 x+-1, x+0 yy㉠
Ú, Û에서 ÉaÉ5이므로 정수 a는 1, 2, 3, 4, 5이고
2
q`:`xÝ`+xÜ`+axÛ`+ax+0에서
그 합은
xÛ`(xÛ`+x)+a(xÛ`+x)+0, (xÛ`+x)(xÛ`+a)+0
1+2+3+4+5=15 답 15
x(x+1)(xÛ`+a)+0
단계 채점 기준 배점
∴ x+-1, x+0, xÛ`+a+0 yy㉡
p가 q이기 위한 필요조건임을 이용하여 ~p`jjK`~q
㈎ 20% ㉠=㉡이려면 이차방정식 xÛ`+a=0의 근이 x=-1이거
를 구한 경우
㈏ ~p, ~q를 구한 경우 20% 나 x=0이거나 존재하지 않아야 한다.
㈐ ~p`jjK`~q를 만족시키는 a의 값의 범위를 구한 경우 40% Ú x=-1일
‌ 때, 1+a=0에서 a=-1
㈑ 정수 a의 값의 합을 구한 경우 20%
그런데 a=-1이면 xÛ`-1=(x+1)(x-1)=0에서
다른 풀이 x=1도 근이므로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두 조건 p, q의 진리집합을 각각 P, Q라 하면 p가 q이기 Û x=0일
‌ 때, a=0
위한 필요조건이므로 ‌두 조건 p, q의 진리집합이 같으므로 p는 q이기 위한
q`jjK`p에서 Q,P 필요충분조건이다.

028 | 블랙라벨 수학 (하)


본문 pp. 24~25

Ü 이차방정식
‌ xÛ`+a=0의 근이 존재하지 않으려면 Ú a=2일 때,
a>0 ㉠에서 2<{2bÛ`, b}이므로
Ú, Û, Ü에서 a¾0 2bÛ`=2 또는 b=2에서 bÛ`=1 또는 b=2
따라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10 이하의 정수 a는 0, 1, 2, 그런데 b는 자연수이므로 b=1 또는 b=2
y, 10의 11개이다. 답 11 ‌즉, a=2, b=1일 때 a+b=3이고, a=2, b=2일 때
다른 풀이 a+b=4이다.

p가 q이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이므로 Û aÛ`-7=2일 때, a는 자연수이므로 a=3

p HjK q에서 ~p HjK ~q ㉠에서 2<{3bÛ`, b}이므로

~p`:`xÛ`+x=0에서 x(x+1)=0 3bÛ`=2 또는 b=2

∴ x=-1 또는 x=0 yy㉢ ‌그런데 3bÛ`=2를 만족시키는 자연수 b는 존재하지 않

~q`:`xÝ`+xÜ`+axÛ`+ax=0에서 으므로 b=2

xÛ`(xÛ`+x)+a(xÛ`+x)=0 ∴ a+b=3+2=5

(xÛ`+x)(xÛ`+a)=0, x(x+1)(xÛ`+a)=0 Ü ab+b=2일 때, b(a+1)=2이고 a, b는 자연수이므로

∴ x=-1 또는 x=0 또는 xÛ`+a=0  yy㉣ a+1=2, b=1   ∴ a=1, b=1

㉢=㉣이므로 이차방정식 xÛ`+a=0의 근이 x=-1이거 이때 R={1}이므로 PøR

나 x=0이거나 존재하지 않아야 한다. ‌즉, a=1, b=1일 때는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

다음은 와 같다. 는다.


Ú, Û, Ü에서 a+b의 값은 3 또는 4 또는 5이므로 그
합은 3+4+5=12 답 12

19 x가 정수이면 xÛ`, xÜ`, xÝ`은 모두 정수이므로 네 조건 p, 21 p는 q이기 위한 필요조건이므로


q jjK p   ∴ Q,P
q, r, s의 진리집합을 각각 P, Q, R, S라 하면
또한, ~q는 ~r이기 위한 충분조건이므로
P,Q, P,R, P,S
~q jjK ~r
또한, xÛ`이 정수이면 xÝ`이 정수이므로
명제가 참이면 그 대우도 참이므로
Q,S
r jjK q   ∴ R,Q
즉, 네 집합 P, Q, R, S의 포함 R S
Q 즉, 세 집합 P, Q, R의 포함 관계는
관계를 벤다이어그램으로 나타내 P
R,Q,P, PC,QC,RC
면 오른쪽 그림과 같다.
∴ {(P-Q);R}
‌ C
;(P;RC)
ㄱ. ‌r가 s이기 위한 충분조건이려면 R,S이어야 한다. ={(P;QC);R}C;(P;RC)
그런데 위의 그림에서 RøS이므로 r는 s이기 위한 ={(P;R);QC}C;(P;RC)
충분조건이 아니다. (거짓) =(R;QC)C;(P;RC)
ㄴ. P;R=P이고 P,Q이므로  (∵ R,P에서 P;R=R)
(P;R),Q =(R-Q) ;(P-R)
C

즉, (p이고 r)는 q이기 위한 충분조건이다. (참) = C


;(P-R) (∵ R,Q에서 R-Q= )
ㄷ. P'S=S이고 Q,S이므로 =U;(P-R)=P-R 답③
Q,(P'S)
즉, (p 또는 s)는 q이기 위한 필요조건이다. (참)
따라서 옳은 것은 ㄴ, ㄷ이다. 답④ 22 두 명제 p`1Ú q, q`1Ú ~r가 모두 참이므로
p`jjK`q, q`jjK`~r
명제가 참이면 그 대우도 참이므로
~q`jjK`~p(①), r`jjK`~q
또한, p`jjK`q`jjK`~r에서 p`jjK`~r(②)이므로
20 p는 q이기 위한 충분조건이므로 P,Q r`jjK`~p
즉, 2<{a, aÛ`-7, ab+b}이므로 명제 ~s`1Ú r와 그 역이 모두 참이므로
a=2 또는 aÛ`-7=2 또는 ab+b=2 ~s`jjK`r, r`jjK`~s
한편, r는 p이기 위한 필요조건이므로 P,R 명제가 참이면 그 대우도 참이므로
∴ 2<{abÛ`, b}   yy㉠ ~r`jjK`s, s`jjK`~r

Ⅰ. 집합과 명제 | 029
A n s w e r

q`jjK`~r`jjK`s에서 q`jjK`s(③)이므로 ~s`jjK`~q ① s`1Ú ~r ② ~r`1Ú ~q ③ ~q`1Ú ~s


p`jjK`q`jjK`s에서 p`jjK`s이므로 ~s`jjK`~p(④) ④ p`1Ú s ⑤ p`1Ú ~r
따라서 반드시 참이라고 할 수 없는 명제는 ⑤이다. 답 ⑤ 따라서 항상 옳은 것은 ③이다. 답③

23 Q-P= 에서 Q,P이므로 q`jjK`p 25 조사에서 얻은 결과를 명제라 하고, 명제에 나타나는 각


P'R =R 에서 P,R 이므로 p`jjK`~r
C C C
조건 p, q, r, s를 각각 국어, 영어, 일본어, 중국어에 흥
∴ q`jjK`p`jjK`~r 미가 있는 것으로 하자.
또한, (S'QC)C'(S'RC)C= 에서 ㈎, ㈏, ㈐를 p, q, r, s로 나타내면
(S'Q ) = 이고 (S'R ) =
C C C C
㈎`:`p`jjK`q, ㈏`:`q`jjK`~r, ㈐`:`~s`jjK`r
S ;Q= 이고 S ;R=
C C
이때 명제가 참이면 그 대우도 참이므로
Q-S= 이고, R-S= ㈑`:`~q`jjK`~p, ㈒`:`r`jjK`~q, ㈓`:`~r`jjK`s
즉, Q,S, R,S이므로 q`jjK`s, r`jjK`s 또한, ㈎, ㈏에서 p`jjK`~r, ㈑, ㈒에서 r`jjK`~p
ㄱ. q`jjK`s이므로 명제 q`1Ú s는 참이다. ㈏, ㈓에서 q jjK s, ㈐, ㈒에서 ~s`jjK`~q
ㄴ. 명제 s`1Ú p가 참인지는 알 수 없다. 보기의 내용을 네 조건 p, q, r, s를 이용하여 나타낸 후,
ㄷ. q`jjK`p`jjK`~r에서 q`jjK`~r 참, 거짓을 판별하면 다음과 같다.
즉, r`jjK`~q이므로 명제 r`1Ú ~q는 참이다. ㄱ. ‌명제 ~q`1Ú ~s는 명제 ~s`1Ú ~q의 역이므로
따라서 참인 명제는 ㄱ, ㄷ이다. 답④ 참인지는 알 수 없다.
다른 풀이 ㄴ. p`jjK`~r이므로 명제 p`1Ú ~r는 참이다.
Q-P= 에서 Q,P ㄷ. ‌p`jjK`~r`jjK`s에서 p jjK s이지만 명제 p`1Ú s의
P'R =R 에서 P,R 이므로
C C C
역인 명제 s`1Ú p가 참인지는 알 수 없다.
Q,P,RC yy㉠ ㄹ. ‌r`jjK`~p에서 명제 r`1Ú ~p가 참이지만 명제
(S'QC)C'(S'RC)C= 에서 r`1Ú p가 참인지는 알 수 없다.
(S ;Q)'(S ;R)=
C C
ㅁ. ~q`jjK`~p이므로 명제 ~q`1Ú ~p는 참이다.
S ;(Q'R)= , (Q'R)-S=
C
따라서 항상 참인 것은 ㄴ, ㅁ이다. 답③
(Q'R),S  yy㉡
㉠, ㉡에 의하여 네 집합 P, U

Q, R, S의 포함 관계를 벤다
P
Q
S
R
26 A, B, C, D 각각이 범인인 경우, 네 명의 진술의 참, 거
이어그램으로 나타내면 오른 짓은 다음과 같다.
쪽 그림과 같다. 범인 A 진술 B 진술 C 진술 D 진술
ㄱ. Q,S이므로 q`jjK s A 거짓 참 거짓 참
ㄴ. SøP이므로 s`j/jK p B 거짓 거짓 거짓 참
ㄷ. R,Q 이므로 r`jjK ~q
C C 참 참 거짓 참
D 거짓 참 참 거짓

따라서 한 명의 진술만이 참인 경우의 범인은 B이고, 한


24 시장 조사에서 얻은 결과를 명제라 하고, 명제에 나타나 명의 진술만이 거짓인 경우의 범인은 C이다. 답 B, C
는 각 조건 p, q, r, s를 각각 다음과 같이 정하자.

p:10대, 20대에게 선호도가 높다.


q:판매량이 많다.
27 ㄱ. x+y=2에서 y=2-x이므로
xy‌=x(2-x)=-xÛ`+2x=-(xÛ`-2x+1)+1
r:가격이 싸다.
=-(x-1)Û`+1É1(단, 등호는 x=1일 때 성립)
s:기능이 많다.
∴ xyÉ1 (참)
㈎, ㈏, ㈐를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ㄴ. xÛ`+yÛ`=(x+y)Û`-2xy=4-2xy`(∵ x+y=2)
ㄱ에서 xyÉ1이므로 4-2xy¾2
㈎ p`jjK`q ㈏ r`jjK`q ㈐ s`jjK`p ∴ xÛ`+yÛ`¾2 (참)
1 1 x+y 2
이때 ㈎, ㈐에서 s`jjK`p`jjK`q이므로 s`jjK`q이고, ㄷ. + = = `(∵ x+y=2)
x y xy xy
~q`jjK`~s이다.
2
ㄱ에서 xyÉ1이고, xy>0이므로 ¾2
①~⑤를 p, q, r, s를 이용하여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xy

030 | 블랙라벨 수학 (하)


본문 pp. 25~26

1 1 집합 Q는 조건 q`:`|x+y|<|x|+|y|를 만족시키는 순
∴ + ¾2 (거짓)
x y
서쌍 (x, y)의 집합이므로 모든 실수 x, y에서 xy¾0을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이다. 답③
만족시키는 경우를 제외하면 된다.
다른 풀이 즉, Q={(x, y)|xy<0}이다.
ㄱ. ‌x>0, y>0이므로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에 의 그런데 P={(x, y)|xy>0}이므로 두 부등식 xy>0,
x+y xy<0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두 실수 x, y의 순서쌍
하여 ¾'¶xy`(단, 등호는 x=y일 때 성립)
2
(x, y)는 존재하지 않는다.
1¾'¶xy   ∴ xyÉ1 (참)
∴ P;Q=
1 1
ㄷ. x>0,
‌ y>0에서 >0, >0이므로 산술평균과 기
x y
하평균의 관계에 의하여
1
1 1
+ ¾2¾Ð
1
(단, 등호는 x=y일 때 성립) 30 ㄱ. (반례) a= 이면 -1<2a<1을 만족시키지만
4
x y xy
1 1 4 1 3
1 = = , 1-a=1- = 이므로
ㄱ에서 xyÉ1이므로 ¾1 a+1 1 5 4 4
xy +1
4
1 1 1
∴ + ¾2 (거짓) >1-a (거짓)
x y a+1
ㄴ. 부등식 a<b의 양변에 b를 곱하면
b<0이므로 ab>bÛ` yy㉠
28 (a+b+c)Û`=aÛ`+bÛ`+cÛ`+2(ab+bc+ca)에서 또한, a<b의 양변에 a를 곱하면
36=aÛ`+bÛ`+cÛ`+2(ab+bc+ca)`(∵ a+b+c=6) a<0이므로 aÛ`>ab yy㉡
이때 aÛ`+bÛ`+cÛ`¾ab+bc+ca이므로 ㉠, ㉡에서 aÛ`>ab>bÛ`, 즉 aÛ`>bÛ` (참)
36‌=aÛ`+bÛ`+cÛ`+2(ab+bc+ca) ㄷ. ‌a, b, c가 삼각형의 세 변의 길이이고, c가 가장 긴 변
¾ab+bc+ca+2(ab+bc+ca) 의 길이이므로 a+b>c
 (단, 등호는 a=b=c일 때 성립) a b c
+ -
=3(ab+bc+ca) 1+a 1+b 1+c
∴ ab+bc+caÉ12 a(1+b)(1+c)+b(1+a)(1+c)-c(1+a)(1+b)
=
(1+a)(1+b)(1+c)
따라서 구하는 최댓값은 12이다. 답 12
a(1+b+c+bc)+b(1+a+c+ac)-c(1+a+b+ab)
=
단계 채점 기준 배점 (1+a)(1+b)(1+c)
곱셈 공식 a+b-c+ab(2+c)
㈎ (a+b+c)Û`=aÛ`+bÛ`+cÛ`+2(ab+bc+ca)에 30% = >0
(1+a)(1+b)(1+c)
a+b+c=6을 대입한 경우
부등식 aÛ`+bÛ`+cÛ`¾ab+bc+ca를 이용하여 식을  (∵ a+b>c, a>0, b>0, c>0)
㈏ 40%
정리한 경우 a b c
∴ + > (참)
㈐ ab+bc+ca의 최댓값을 구한 경우 30% 1+a 1+b 1+c
따라서 옳은 것은 ㄴ, ㄷ이다. 답④

다른 풀이 1

29 xy>0에서 x>0, y>0 또는 x<0, y<0이므로


ㄱ.
1
-1+a‌=
1
+
(a+1)(a-1)
P={(x, y)|x>0, y>0 또는 x<0, y<0} a+1 a+1 a+1
1+aÛ`-1 aÛ`
|x|+|y|¾0, |x+y|¾0이므로 = =
a+1 1+a
(|x|+|y|)Û`-|x+y|Û`
1 3
=xÛ`+2|x||y|+yÛ`-(xÛ`+2xy+yÛ`) 이때 aÛ`¾0이고, <a+1< 이므로
2 2
=2|xy|-2xy>0 1 aÛ`
-1+a= ¾0
2|xy|>2xy에서 |xy|>xy a+1 1+a
1
즉, xy<0이므로 x>0, y<0 또는 x<0, y>0 ∴ ¾1-a (거짓)
a+1
∴ Q={(x, y)|x>0, y<0 또는 x<0, y>0}
ㄴ. aÛ`-bÛ`=(a+b)(a-b)
따라서 P;Q= 이므로 두 집합 P, Q의 포함 관계로
a<b<0에서 a+b<0, a-b<0이므로
옳은 것은 ⑤이다. 답⑤
aÛ`-bÛ`>0   ∴ aÛ`>bÛ` (참)
다른 풀이
다른 풀이 2
모든 실수 x, y에 대하여 부등식 |x+y|É|x|+|y|이
1 1
성립하고, 등호는 xy¾0일 때 성립한다. ㄱ. -1+a= +a+1-2
a+1 a+1

Ⅰ. 집합과 명제 | 031
A n s w e r

1 3 1 y‌=m(-x-2)+1, 즉 y=-m(x+2)+1
‌ <a+1< 에서 a+1>0, >0이므로 산술
2 2 a+1
이때 m'=-m으로 놓으면 m'>0이고
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에 의하여
y=m'(x+2)+1
1 1
+a+1-2¾2®É _(a+1)-2=0 2m'+1
a+1 a+1 이 직선의 x절편은 - , y절편은 2m'+1이므로
m'
 (단, 등호는 a=0일 때 성립)
그래프는 다음 그림과 같다.
1
∴ ¾1-a (거짓) y y=m'{x+2}+1
a+1
B
2m'+1

C A
1 1 O x
}
2m'+1
31 (x+y+z){ +
2x+y y+2z
-
m' y=m{x-2}+1

1 2m'+1
1
= (2x+2y+2z){
1
+
1
} ∴ △OCB‌= _[-{- }]_(2m'+1)
2 2x+y y+2z 2 m'
1 1 1 4m'Û`+4m'+1 1
= {(2x+y)+(y+2z)}{ + } = =2m'+ +2
2 2x+y y+2z 2m' 2m'
1 2x+y y+2z 1
= {2+ + } 이때 2m'>0, >0이므로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
2 y+2z 2x+y 2m'
2x+y y+2z 계에 의하여
이때 x>0, y>0, z>0에서 >0, >0이
y+2z 2x+y 1 1
2m'+ +2¾2®É2m'_ +2=4
므로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에 의하여 2m' 2m'
2x+y y+2z 2x+y y+2z 1
+ ¾2®É _ =2  {단, 등호는 m'= 일 때 성립}
y+2z 2x+y y+2z 2x+y 2
이때 등호가 성립할 조건은 따라서 삼각형 OCB의 넓이의 최솟값이 4이므로 삼각형
2x+y y+2z OAB의 넓이의 최솟값도 4이다. 답4
= 에서 (2x+y)Û`=(y+2z)Û`
y+2z 2x+y
다른 풀이
2x+y=y+2z   ∴ x=z
점 (2, 1)을 지나고 기울기가 음수인 y
1 1 1
∴ (x+y+z){ + }¾ _(2+2)=2 직선은 오른쪽 그림과 같으므로 x절 b
B
2x+y y+2z 2
따라서 구하는 최솟값은 2이고, x=z일 때 최솟값을 갖 편, y절편을 각각 a, b라 하면 직선의
는다. 답 2, x=z x y
방정식은 + =1 (a>0, b>0)
a b
다른 풀이 1
이 직선이 점 (2, 1)을 지나므로 A
O 2 a x
A>0, B>0일 때, 코시-슈바르츠의 부등식에 의하여

}2`+{ }2`]
2 1
+ =1
1 1 a b
{('§A)Û`+('§B)Û`}[{
'§A '§B
}2`=4
2 1
이때 >0, >0이므로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에
1 1 a b
¾{'§A_ +'§B_
'§A '§B 의하여
 (단, 등호는 A=B일 때 성립) 2 1 2
1= + ¾2¾± (단, 등호는 a=2b일 때 성립)
1 1 4 a b ab
∴ + ¾
A B A+B
2 1 2 1
1 1 ¾± É , É    ∴ ab¾8
∴ (x+y+z){
‌ + } ab 2 ab 4
2x+y y+2z
1
4 4 이때 삼각형 OAB의 넓이는 ab이므로
¾(x+y+z){ }= =2 2
2x+2y+2z 2
1 1
(단, 등호는 2x+y=y+2z, 즉 x=z일 때 성립) ab¾ _8=4
 2 2
따라서 삼각형 OAB의 넓이의 최솟값은 4이다.

32 좌표평면 위의 점 (2, 1)을 지나고 기울기가 m (m<0)


인 직선의 방정식은 y=m(x-2)+1 25
이 직선을 y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직선이 x축과 만나
33 2xÛ`+2yÛ`-4x+
xÛ`+2yÛ`+1
25
는 점을 C라 하면 y축과 만나는 점은 B이고 삼각형 =xÛ`+2yÛ`+1+ +xÛ`-4x-1
xÛ`+2yÛ`+1
OAB의 넓이와 삼각형 OCB의 넓이는 같다.
25
=xÛ`+2yÛ`+1+ +(x-2)Û`-5
이 직선의 방정식을 구하면 xÛ`+2yÛ`+1

032 | 블랙라벨 수학 (하)


본문 pp. 26~27

이때 모든 실수 x, y에 대하여 xÛ`+2yÛ`+1>0, 1
따라서 주어진 식의 최댓값 M= 이므로
9
25
>0이므로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에 의
xÛ`+2yÛ`+1 1
45M=45_ =5 답5
9
하여
25
xÛ`+2yÛ`+1+
xÛ`+2yÛ`+1

¾2¾±(xÛ`+2yÛ`+1)±_
25
=10 35 점 P(a, b)가 원 (x+1)Û`+(y-2)Û`=1 위에 있으므로
xÛ`+2yÛ`+1 (a+1)Û`+(b-2)Û`=1   yy㉠
 (단, 등호는 xÛ`+2yÛ`=4일 때 성립) Ú a=-1일 때,
또한, x는 실수이므로 ab-2a+b=-b+2+b= 2
(x-2)Û`¾0 (단, 등호는 x=2일 때 성립) Û b=2일 때,
따라서 주어진 식의 최솟값은 x=2, y=0일 때
ab-2a+b=2a-2a+2= 2
10+0-5=5이다. 답5
Ü a+-1, b+2일 때,
‌(a+1)Û`>0, (b-2)Û`>0이므로 산술평균과 기하평균
의 관계에 의하여
(a+1)Û`+(b-2)Û`‌¾2"Ã(a+1)Û`(b-2)Û`
xÛ`+x+1 1 =2|(a+1)(b-2)|
34 xÝ`+2xÜ`+6xÛ`+5x+13
=
xÝ`+2xÜ`+6xÛ`+5x+13 1
 {단, 등호는 |a+1|=|b-2|= 일 때 성립}
xÛ`+x+1 '2
이므로 주어진 식의 최댓값은
∴ |(a+1)(b-2)|É ;2!; (∵ ㉠)
xÝ`+2xÜ`+6xÛ`+5x+13
의 최솟값의 역수와 같다.
xÛ`+x+1 따라서
다항식 xÝ`+2xÜ`+6xÛ`+5x+13을 다항식 xÛ`+x+1로
ab-2a+b‌=a(b-2)+(b-2)+2
나누어 몫과 나머지를 구하면 다음과 같다.
=(a+1)(b-2)+2
xÛ`+ x +4
É|(a+1)(b-2)|+2
xÛ`+x+1``‌xÝ`+2xÜ`+6xÛ`+5x+13
xÝ`+ xÜ`+ xÛ` É ;2!; +2= ;2%;
xÜ`+5xÛ`+5x+13
xÜ`+ xÛ`+ x
4xÛ`+4x+13 이므로 ab-2a+b의 최댓값은 ;2%; 이다.
4xÛ`+4x+ 4
9 Ú, Û, Ü에서 ab-2a+b의 최댓값은 ;2%; 이다.
xÝ`+2xÜ`+6xÛ`+5x+13=(xÛ`+x+1)(xÛ`+x+4)+9
1 5
이므로 ∴ p=2, q= , r=
2 2
xÝ`+2xÜ`+6xÛ`+5x+13
xÛ`+x+1 2_;2%;
pr
∴ = =10 답⑤
q
=
(xÛ`+x+1)(xÛ`+x+4)+9 ;2!;
xÛ`+x+1
9
=xÛ`+x+4+ 서울대 선배들의 강추 문제 1등급 비법 노하우
xÛ`+x+1
9 이 문제는 쉬워 보이지만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가 성립할 조건
=xÛ`+x+1+ +3
xÛ`+x+1 을 확인해야 하는 중요한 문제이다.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는 두 수 또는 두 식이 모두 양수일 때 성
9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xÛ`+x+1>0, >0이므 립한다.
xÛ`+x+1 이 문제에서 (a+1)Û`=0 또는 (b-2)Û`=0일 때에는 산술평균과 기
로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에 의하여 하평균의 관계가 성립하지 않으므로 따로 경우를 나누어 ab-2a+b
의 값을 구해야 한다.
9
xÛ`+x+1+ +3
xÛ`+x+1
9
¾2®É(xÛ`+x+1)_ +3
xÛ`+x+1
 (단, 등호는 x=-2 또는 x=1일 때 성립) 36 x, y는 실수이므로 코시-슈바르츠의 부등식에 의하여
1 Û` 1
=2_3+3=9 [{ } +{ }Û` ]{('2 x)Û`+(3y)Û`}¾(x+'3 y)Û`
'2 '3
xÛ`+x+1 1
∴ É
xÝ`+2xÜ`+6xÛ`+5x+13 9 (단, 등호는 2x=3'3 y일 때 성립)

Ⅰ. 집합과 명제 | 033
A n s w e r

이때 2xÛ`+9yÛ`=18이므로 따라서
5 4SÁ+Sª‌=4prÁÛ`+prªÛ`=p{4rÁÛ`+(10-rÁ)Û`}
_18¾(x+'3 y)Û`, (x+'3 y)Û`É15
6
=p(5rÁÛ`-20rÁ+100)
∴ -'¶15Éx+'3 yÉ'¶15
=5p(rÁ-2)Û`+80p (0<rÁ<10)
따라서 x+'3 y의 최댓값은 '¶15이다. 답③
이므로 rÁ=2일 때 4SÁ+Sª는 최솟값 80p를 갖는다.

37 a, b, c는 실수이므로 코시-슈바르츠의 부등식에 의하여


(2Û`+3Û`+6Û`)(aÛ`+bÛ`+cÛ`)¾(2a+3b+6c)Û`
49¾(2a+3b+6c)Û` (∵ aÛ`+bÛ`+cÛ`=1)
-7É2a+3b+6cÉ7   ∴ a=7 STEP
3 1등급을 넘어서는 종합 사고력 문제 p. 28

a b c
등호는 = = 일 때 성립하므로 01 4'3 02 5 03 ③ 04 풀이 참조 05 ⑤
2 3 6
06 ②
a b c
= = =k(k+0)라 하면
2 3 6
a=2k, b=3k, c=6k
cÛ` (6k)Û` 36kÛ`
01 해결단계
∴ = = =6=b
ab 2k_3k 6kÛ` ➊ 단계 x, y가 양수임을 이용하여 x, y의 값의 범위를 각각 구한다.
➋ 단계 주어진 식을 X로 놓는다.
∴ a-b=7-6=1 답①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를 이용하여 XÛ`의 값의 범위를
➌ 단계
구한 후, X의 최댓값을 구한다.

x+y=10에서 y=10-x yy㉠


38 a, b, x가 실수이므로 코시-슈바르츠의 부등식에 의하여
x, y가 양수이므로 x>0, y>0에서
{1Û`+('2)Û`}(aÛ`+bÛ`)¾(a+'2b)Û`
x>0, 10-x>0   ∴ 0<x<10, 0<y<10 (∵ ㉠)
{단, 등호는 a=
b
 일 때 성립}
'2 X='Ä21-2x+'Ä23-2y라 하면
3(aÛ`+bÛ`)¾(a+'2b)Û` XÛ`‌=21-2x+2"Ã(21-2x)(23-2y)+23-2y
이때 a+'2b=3-x, aÛ`+bÛ`=9-xÛ`이므로 =44-2(x+y)+2"Ã(21-2x)(23-2y)
3(9-xÛ`)¾(3-x)Û`, 27-3xÛ`¾9-6x+xÛ` =24+2"Ã(21-2x)(23-2y) (∵ x+y=10)

2xÛ`-3x-9É0, (2x+3)(x-3)É0  yy㉡
3 한편, 0<x<10, 0<y<10에서 21-2x>0,
∴ - ÉxÉ3
2
23-2y>0이므로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에 의하여
따라서 x의 최댓값은 3이다. 답3
(21-2x)+(23-2y)¾2"Ã(21-2x)(23-2y)
9 11
{단, 등호는 21-2x=23-2y, 즉 x= , y= 일 때 성립}
2 2
39 길이가 10인 선분 AB 위를 점 P가 움직이므로 ∴ 2"Ã(21-2x)(23-2y)‌É44-2(x+y)
APÓ+BPÓ=10이고, =24 (∵ x+y=10)
4SÁ+Sª=4pAPÓ Û`+pBPÓ Û`=p(4APÓ Û`+BPÓ Û`) ㉡에서
이때 APÓ, BPÓ는 실수이므로 코시-슈바르츠의 부등식에
XÛ`‌=24+2"Ã(21-2x)(23-2y)É24+24=48
의하여

[{ }2`+1Û`](4APÓ Û`+BPÓ Û`)¾{ _2APÓ+BPÓ}2`


이므로 0ÉXÉ4'3
1 1 따라서 X의 최댓값은 4'3이다. 답 4'3
2 2
 (단, 등호는 APÓ=2, BPÓ=8일 때 성립) 다른 풀이 1

5 코시-슈바르츠의 부등식에 의하여


(4APÓ Û`+BPÓ Û`)¾(APÓ+BPÓ)Û`
4 (1Û`+1Û`){('Ä21-2x)Û`+('Ä23-2y)Û`}
4
4APÓ Û`+BPÓ Û`¾ _10Û`=80`(∵ APÓ+BPÓ=10) ¾('Ä21-2x+'Ä23-2y)Û`
5
9 11
∴ 4SÁ+Sª=p(4APÓ Û`+BPÓ Û`)¾80p {단, 등호는 21-2x=23-2y, 즉 x= , y= 일 때 성립}
2 2
따라서 4SÁ+Sª의 최솟값은 80p이다. 답④ 2{44-2(x+y)}¾('Ä21-2x+'Ä23-2y)Û`
다른 풀이 48¾('Ä21-2x+'Ä23-2y)Û` (∵ x+y=10)
두 원 CÁ, Cª의 반지름의 길이를 각각 ∴ 0É'Ä21-2x+'Ä23-2yÉ4'3
rÁ, rª (0<rÁ<10, 0<rª<10)라 하면  (∵ 'Ä21-2x¾0, 'Ä23-2y¾0)
rÁ+rª=10   ∴ rª=10-rÁ 따라서 주어진 식의 최댓값은 4'3이다.

034 | 블랙라벨 수학 (하)


본문 pp. 27~28

다른 풀이 2 1 1
ㄱ. R,P이면 a<1<b이므로 <1< 이다.
b a
에서
∴ R,Q (참)
XÛ`‌=24+2"Ã(21-2x)(2x+3) (∵ y=10-x)
ㄴ. ‌P;Q= 이려면 P=Q= 이거나 a<b<1 또는
=24+2"Ã-4xÛ`+36x+63
1<a<b이어야 한다.
=24+2®É-4{x- }2`+144 (0<x<10)
9
2 ‌이때 어느 경우도 R,P 또는 R,Q를 만족시키지
9 않는다. (거짓)
따라서 XÛ`은 x= 일 때 최댓값 24+2'¶144=48을 가지
2 ㄷ. P;Q+ 이려면 a<1<b이어야 한다.
므로 X, 즉 'Ä21-2x+'Ä23-2y의 최댓값은 '4Œ8=4'3 1 1
‌a<1<b일 때, <1< 이므로 두 집합 P, Q는 모
b a
두 1을 원소로 갖는다.
02 해결단계
즉, R,P, R,Q이므로 R,(P;Q) (참)
➊ 단계 코시-슈바르츠의 부등식을 이용하여 a의 최댓값 M을 구한다.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답③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를 이용하여 b의 최솟값 m을
➋ 단계
구한 후, MÛ`+mÛ`의 값을 구한다.
BLACKLABEL 특강 풀이 첨삭 

x, y가 실수이므로 코시-슈바르츠의 부등식에 의하여 이차방정식 axÛ`-bx+c=0이 실근을 가질 때, 두 근을 a, b라 하면


(1Û`+1Û`)(xÛ`+yÛ`)¾(x+y)Û`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b c
(단, 등호는 x=y일 때 성립) a+b= , ab=
a a
이때 a, b, c가 모두 양수이므로 a+b>0, ab>0
이때 x+y=a이므로
∴ a>0, b>0
aÛ`‌É2(xÛ`+yÛ`)É2_2=4 (∵ xÛ`+yÛ`É2)
즉, a의 최댓값은 2이므로 M=2
한편, x=0 또는 y=0일 때 b=xy=0이고,
x+0, y+0일 때, xÛ`>0, yÛ`>0이므로 산술평균과 기하
04 해결단계

➊ 단계 두 정수 a, b를 모두 2의 배수가 아니라고 가정한다.


평균의 관계에 의하여
이차방정식 xÛ`+ax+b=0의 정수인 근을 a라 할 때, a가 2
➋ 단계
xÛ`+yÛ`¾2"x`Û yÛ`=2|xy| (단, 등호는 x=y일 때 성립) 의 배수가 아닌 경우와 2의 배수인 경우로 나누어 생각한다.
이때 xy=b이므로 ➌ 단계 결론이 모순임을 유도하여 주어진 명제를 증명한다.

2|b|ÉxÛ`+yÛ`É2, |b|É1   ∴ -1ÉbÉ1 두 정수 a, b가 모두 2의 배수가 아니라고 가정하자.


즉, b의 최솟값은 -1이므로 m=-1이다. 이차방정식 xÛ`+ax+b=0의 정수인 근을 a라 하면 a는
∴ MÛ`+mÛ`=2Û`+(-1)Û`=5 답5 2의 배수가 아니거나 2의 배수이다.
Ú ‌a가 2의 배수가 아닐 때, a와 a, b가 모두 2의 배수가
아니므로 aÛ`, aa는 모두 2의 배수가 아니다.
03 해결단계
‌즉, aÛ`+aa+b는 2의 배수가 아니므로
a b aÛ`+aa+b+0이다.
두 방정식 axÛ`-bx+c=0, - +c=0의 근 사이의
➊ 단계 xÛ` x
관계를 파악한 후, 세 집합 P, Q, R를 각각 구한다. Û ‌a가 2의 배수일 때, aÛ`, aa는 모두 2의 배수이고, b는
방정식 axÛ`-bx+c=0의 두 근과 1의 대소 관계를 이용하 2의 배수가 아니다.
➋ 단계
여 ㄱ의 참, 거짓을 판단한다.
P;Q= 이 되도록 하는 두 근과 1의 대소 관계를 파악하 즉, aÛ`+aa+b는 2의 배수가 아니므로
➌ 단계
여 ㄴ의 참, 거짓을 판단한다. aÛ`+aa+b+0이다.
P;Q+ 이 되도록 하는 두 근과 1의 대소 관계를 파악하
➍ 단계 Ú, Û에서 이차방정식 xÛ`+ax+b=0은 정수인 근을 갖
여 ㄷ의 참, 거짓을 판단한다.
지 않으므로 모순이다.
방정식 axÛ`-bx+c=0이 실근을 가질 때, a, b, c가 모
따라서 주어진 이차방정식이 적어도 하나의 정수인 근을
두 양의 실수이므로 실근은 모두 0보다 크다.
 가지면 두 정수 a, b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2의 배수이다.
x=t`(t>0)를 방정식 axÛ`-bx+c=0의 근이라 하면
 답 풀이 참조

{ }2`
a b 1
atÛ`-bt+c=0에서 - +c=0이므로 은 방정
1 1 t
t t
a b
05 해결단계
식 - +c=0의 근이다. ∠FGH=90ù임을 이용하여 세 점 F, G, H가 중심이 M인
xÛ` x ➊ 단계
한 원 위에 있음을 증명하고, ㄱ의 참, 거짓을 판단한다.
즉, P={x|a<x<b} (0<a<b)라 하면
△EFM과 △FGM의 넓이를 구한 후, 산술평균과 기하평
➋ 단계
1 1
Q=[x| <x< ]이다. 균의 관계를 이용하여 ㄴ의 참, 거짓을 판단한다.
b a FHÓ=6'2임을 이용하여 a, b에 관한 식을 세운 후, 산술평
➌ 단계
또한, (x-1)Û`É0에서 x=1이므로 R={1}이다. 균과 기하평균의 관계를 이용하여 ㄷ의 참, 거짓을 판단한다.

Ⅰ. 집합과 명제 | 035
A n s w e r

ㄱ. ‌△GDH와 △FCG는 직각이등변삼각형이므로 ㄴ. ‌a=0, b=4일 때,


∠FGH=90ù이고, 점 M은 선분 FH의 중점이므로 P=R (단, 집합 R는 실수 전체의 집합이다.)
세 점 F, G, H는 중심이 M인 한 원 위에 있다. Q={x|-4<x<4}
즉, FÕMÓ=GÕM이
Ó 다. (참) ∴ Q,P (참)
ㄴ. ∠HAE=∠EBF=90ù,
‌ AHÓ=BEÓ, AEÓ=BFÓ에서 ㄷ. ‌명제 p`1Ú q의 역은 q`1Ú p이므로 Q,P이려면
△AEHª△BFE (SAS 합동)이므로 ‌Q= 이거나 P=R이거나 Q,{x|xÉb-4} 또는
∠AEH+∠BEF=90ù, EHÓ=FEÓ Q,{x|x¾a}이어야 한다.
‌ △EFH는 EHÓ=EFÓ="ÃaÛ`+bÛ`인 직각이등변삼각
즉, Ú Q= 일 때, ㄱ에서 a¾b
1 Û P=R일 때, aÉb-4
형이므로 넓이는 (aÛ`+bÛ`)이다.
2
Ü ‌Q,{x|xÉb-4} 또는 Q,{x|x¾a}일 때,
이때
‌ 선분 EM은 삼각형 EFH의 넓이를 이등분하므
ㄱ에서 a<b이면 Q+ 이므로
1
로 삼각형 EFM의 넓이는 (aÛ`+bÛ`)이다. Q={x|a-b<x<b-a}
4
① ‌Q,{x|xÉb-4}일 때,
한편,
‌ △FGH는 직각을 낀 두 변의 길이가 각각
HGÓ='2a, FGÓ='2b인 직각삼각형이므로 넓이는 ab
다음 그림과 같이 b-aÉb-4이어야 하므로
a¾4
이다.
P
이때
‌ 선분 GM은 삼각형 FGH의 넓이를 이등분하므 Q
1 x
로 삼각형 FGM의 넓이는 ab이다. a-b b-a b-4
2
② ‌‌Q,{x|x¾a}일 때,
‌a>0, b>0에서 aÛ`>0, bÛ`>0이므로 산술평균과 기
다음 그림과 같이 aÉa-b이어야 하므로
하평균의 관계에 의하여
bÉ0
aÛ`+bÛ`¾2"aÛ`bÛ`=2ab (단, 등호는 a=b일 때 성립)
P
1 1 Q
∴ (aÛ`+bÛ`)¾ ab
4 2 x
a a-b b-a
따라서 △EFM¾△FGM이다. (참)
‌Ú, Û, Ü에서 명제 q`1Ú p가 참이 되려면 a¾b
ㄷ. 선분 FH는 직각이등변삼각형 EFH의 빗변이고,
또는
‌ aÉb-4 또는 a¾4 또는 bÉ0이어야 하므로
EHÓ="ÃaÛ`+bÛ`이므로
명제 q`1Ú p가 거짓이 되려면 b-4<a<b, a<4,
FHÓ='2_"ÃaÛ`+bÛ`
b>0이어야 한다.
이때 FHÓ=6'2이면 '2_"ÃaÛ`+bÛ`=6'2에서
‌1ÉbÉ4일 때, b-4<a<b, a<4를 만족시키는 정
aÛ`+bÛ`=36    yy㉠
수 a는 각각 b-3, b-2, b-1의 3개
‌a>0, b>0에서 aÛ`>0, bÛ`>0이므로 산술평균과 기
‌b=5일 때, 1<a<5, a<4를 만족시키는 정수 a는
하평균의 관계에 의하여
2, 3의 2개
aÛ`+bÛ`¾2"aÛ`bÛ`=2ab (단, 등호는 a=b일 때 성립)
‌b=6일 때, 2<a<6, a<4를 만족시키는 정수 a는 3
36¾2ab (∵ ㉠)
의 1개
1
∴ abÉ9 ‌b¾7일 때, b-4<a<b, a<4를 만족시키는 정수 a
2
따라서 삼각형 FGM의 넓이의 최댓값은 9이다. (참) 는 없다.
그러므로 ㄱ, ㄴ, ㄷ 모두 옳다. 답⑤ 즉, 구하는 순서쌍 (a, b)의 개수는
4_3+2+1=15 (거짓)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이다. 답②

06 해결단계

Q= 을 만족시키는 a, b의 조건을 파악하여 ㄱ의 참, 거짓


➊ 단계
을 판단한다.
a=0, b=4일 때, 두 진리집합 P, Q의 포함 관계를 이용하
➋ 단계
여 ㄴ의 참, 거짓을 판단한다.
명제 q`1Ú p가 참이 되도록 하는 a, b의 조건을 구한 후,
➌ 단계
ㄷ의 참, 거짓을 판단한다.
이것이 수능 p. 29
ㄱ. ‌Q= 이면 a-b¾b-a이어야 하므로 a¾b이다.
1 13 2① 3① 4②
 (참)

036 | 블랙라벨 수학 (하)


본문 pp. 28~29

1 해결단계 3 해결단계

➊ 단계 주어진 명제의 의미를 파악한다. 직육면체의 세 모서리의 길이를 각각 a, b, 6이라 하고, 부


➊ 단계
➋ 단계 P;Q+ 을 만족시키는 k의 값의 범위를 구한다. 피를 이용하여 ab의 값을 구한다.
➋ 단계에서 구한 k의 값의 범위를 이용하여 정수 k의 개수 직육면체의 대각선의 길이를 a, b에 대한 식으로 나타낸 후,
➌ 단계 ➋ 단계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를 이용하여 aÛ`+bÛ`의 최솟값
를 구한다.
을 구한다.
명제 ‘어떤 실수 x에 대하여 p이고 q이다.’가 참이려면 두 ➋ 단계에서 구한 값을 이용하여 직육면체의 대각선의 길이
➌ 단계
조건 p, q의 진리집합을 P, Q라 할 때, 의 최솟값을 구한다.

x<(P;Q)이어야 한다. 오른쪽 그림과 같이 직육면체의 세 모


즉, P;Q+ 이어야 하므로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는 서리의 길이를 각각 a, b, 6이라 하면
다음과 같다. 부피가 108이므로 6

Ú -3Ék-2<5, 즉 -1Ék<7일 때, 6ab=108


‌집합 Q는 다음 그림과 같으므로 P;Q+ 이 성립한다. ∴ ab=18   yy㉠ a b
Q 이때 직육면체의 대각선의 길이는 "ÃaÛ`+bÛ`+6Û` 이고,
P
a>0, b>0에서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에 의하여
x
-3 k-2 5 k+3
aÛ`+bÛ`‌¾2"aÛ`bÛ`
Û -3Ék+3É5, 즉 -6ÉkÉ2일 때, =2ab
‌집합 Q는 다음 그림과 같으므로 P;Q+ 이 성립한다.
=2_18=36 (∵ ㉠)
Q
P (단, 등호는 a=b=3'2일 때 성립)
x ∴ "ÃaÛ`+bÛ`+36¾'Ä36+36='¶72=6'2
k-2 -3 k+3 5
따라서 직육면체의 대각선의 길이의 최솟값은 6'2이다.
Ú, Û에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k의 값의 범위는
 답①
-6Ék<7
따라서 정수 k는 -6, -5, -4, y, 6의 13개이다.
답 13

4 해결단계

직선 OP의 기울기를 이용하여 점 P를 지나고 직선 OP에


➊ 단계
수직인 직선의 방정식을 구한다.
➊ 단계에서 구한 직선이 y축과 만나는 점 Q의 좌표를 구한
➋ 단계
다.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를 이용하여 삼각형 OQR의
➌ 단계
넓이의 최솟값을 구한다.

b
직선 OP의 기울기는 이므로 이 직선에 수직인 직선의
a
a
2 해결단계 기울기는 - 이다.
b
f (x)=xÛ`-8x+n이라 하고, 주어진 명제의 의미를 파악 a
➊ 단계
한다. 점 P(a, b)를 지나고 기울기가 - 인 직선의 방정식은
b
2ÉxÉ5에서 f (x)의 최댓값을 구한 후, 조건을 만족시키
➋ 단계 a
는 n의 값의 범위를 구한다. y-b=- (x-a)
b
➋ 단계에서 구한 n의 값의 범위를 이용하여 n의 최솟값을
➌ 단계
구한다. a aÛ`
∴ y=- x+ +b
b b
f (x)=xÛ`-8x+n이라 하자.
이 직선이 y축과 만나는 점 Q의 좌표는
명제 ‘2ÉxÉ5인 어떤 실수 x에 대하여 f (x)¾0이다.’
aÛ`
{0, +b}
가 참이려면 2ÉxÉ5에서 f (x)¾0인 x의 값이 적어도 b
하나 존재해야 하므로 이 범위에서 f (x)의 최댓값이 0 이 따라서 삼각형 OQR의 넓이는
1 1 aÛ` 1 a b
_ _{ +b}= { + }
상이어야 한다.
2 a b 2 b a
f (x)‌=xÛ`-8x+n
b a
=(x-4)Û`+n-16 이때 a>0, b>0에서 >0, >0이므로 산술평균과
a b
이므로 2ÉxÉ5에서 f (x)는 x=2일 때 최댓값 n-12
기하평균의 관계에 의하여
를 갖는다.
1 a b 1
{ + }‌¾ _2¾Ð± _
a b
즉, n-12¾0에서 2 b a 2 b a
n¾12 =1 (단, 등호는 a=b일 때 성립)
따라서 구하는 n의 최솟값은 12이다. 답① 그러므로 삼각형 OQR의 넓이의 최솟값은 1이다. 답 ②

Ⅰ. 집합과 명제 | 037
A n s w e r

ㄱ. ‌함수 f (x)의 정의역이 실수 전체의 집합이므로 치역


은 실수 전체의 집합이다. (참)

함수와 그래프 ㄴ. f (a)=-2라 하면 a<1이므로


-aÛ`+2a+1=-2
aÛ`-2a-3=0, (a+1)(a-3)=0
∴ a=-1 (∵ a<1)
‌또한, f (1)=2이므로 함수 f (x)의 치역이
03 함수
-2É f (x)É2가 되도록 하는 정의역은 -1ÉxÉ1
이다. (참)
STEP
1 출제율 100% 우수 기출 대표 문제 pp. 34~35
ㄷ. ‌위의 그림에서 함수 y= f (x)의 그래프는 점 (1, 2)
01 ③ 02 7 03 ② 04 5 05 ④ 에 대하여 대칭이다. (거짓)
06 ④ 07 42 08 2 09 ④ 10 ③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이다. 답②
11 ② 12 ① 13 ④ 14 -5 15 4
16 ④

01 각 대응을 그림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04 함수 f 는 정의역이 X={x|1ÉxÉa}이고 일대일대응
ㄱ. f ㄴ. g 이므로 치역도 X={x|1ÉxÉa}이어야 한다.
X Y X Y
-1 0 -1 0 1
1 1 이때 함수 f (x)= (x-1)Û`+b y y=f{x}
0 0 3
2 2
1 3 1 3 의 그래프가 오른쪽 그림과 같으 a
므로
ㄷ. h
X Y f (1)=1, f (a)=a 1
0 O 1 a x
-1
1 1
0 즉, b=1이고 (a-1)Û`+1=a
2 3
1 3
aÛ`-2a+1+3=3a, aÛ`-5a+4=0
따라서 X에서 Y로의 함수인 것은 ㄱ, ㄷ이다. 답③ (a-1)(a-4)=0
∴ a=4 (∵ a+1)
∴ a+b=4+1=5 답5

02 xÜ`+2x+1=-2xÛ`+3x+3에서
xÜ`+2xÛ`-x-2=0
h(x)=xÜ`+2xÛ`-x-2라 1 1 2 -1 -2
하면 h(1)=0, h(-1)=0 1 3 2 05 함수 f (x)=xÛ`-6x가 항등함수가 되려면 집합 X의 각
원소 x에 대하여 f (x)=x가 성립해야 하므로
이므로 오른쪽 그림과 같이 -1 1 3 2 0
-1 -2 xÛ`-6x=x에서 xÛ`-7x=0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인수분
1 2 0 x(x-7)=0   ∴ x=0 또는 x=7
해하면
따라서 구하는 집합 X는 {0}, {7}, {0, 7}의 3개이다.
h(x)=(x+2)(x+1)(x-1)
 답④
h(x)=0에서 x=-2 또는 x=-1 또는 x=1
따라서 구하는 집합 X는 공집합이 아닌 집합
{-2, -1, 1}의 부분집합이므로 집합 X의 개수는
2Ü`-1=7 답7
06 집합 X={0, 1, 2}에 대하여 함수 h는 X에서 X로의
항등함수이므로 h(0)=0, h(1)=1, h(2)=2
∴ f (0)= g(1)=h(2)=2
-xÛ`+2x+1 (x<1) y y=f{x} 이때 함수 g는 X에서 X로의 상수함수이므로
03 f (x)=[`
xÛ`-2x+3 (x¾1) 2 g(0)= g(1)= g(2)=2
-(x-1)Û`+2 (x<1) 1 또한, f (0)- g(0)= f (1)이므로 f (1)=2-2=0이고,
=[`
(x-1)Û`+2 (x¾1) 함수 f 는 X에서 X로의 일대일대응이므로
이므로 함수 y= f (x)의 그래프는 O 1 x f (0)=2, f (1)=0, f (2)=1
오른쪽 그림과 같다. ∴ f (2)+ g(0)+h(1)=1+2+1=4 답④

038 | 블랙라벨 수학 (하)


본문 pp. 34~35

07 Ú ‌n=3일 때, f (bx+n)= g(ax+m)


두 집합 X={xÁ, xª, x£}, Y={yÁ, yª, y£}에 대하여 a(bx+n)+m=b(ax+m)+n
집합 X의 세 원소 xÁ, xª, x£에 대응될 수 있는 집합 abx+an+m=abx+bm+n
Y의 원소가 각각 3개씩 존재하므로 X에서 Y로의 함 (1-b)m+(a-1)n=0
수의 개수는 3Ü`=27 위의 식이 두 실수 m, n의 값에 관계없이 항상 성립하므로
‌이때 집합 Y의 원소의 개수가 3이므로 X에서 Y로의 1-b=0, a-1=0   ∴ a=1, b=1
상수함수의 개수는 3이다. ∴ a+b=2 답2
‌따라서 X에서 Y로의 함수 중에서 상수함수가 아닌
함수의 개수는 f (3)=27-3=24

Û ‌n=4일 때,
09 f Ú`(x)=2x-1이므로
두 집합 X={xÁ, xª, x£, x¢}, Y={yÁ, yª, y£, y¢}에 f Û`(x)‌=( f ½ f )(x)= f ( f (x))
대하여 =2 f (x)-1=2(2x-1)-1
‌xÁ에 대응될 수 있는 것은 집합 Y의 원소 중에서 yÁ을 =4x-3
제외한 yª, y£, y¢ 중에서 하나이므로 3개, f Ü`(x)‌=( f ½ f Û`)(x)= f ( f Û`(x))
‌xª에 대응될 수 있는 것은 xÁ에 대응되는 것을 제외한 =2 f Û`(x)-1=2(4x-3)-1
3개, =8x-7
‌x£에 대응될 수 있는 것은 xÁ, xª에 대응되는 것을 제 f Ý`(x)‌=( f ½ f Ü`)(x)= f ( f Ü`(x))
외한 2개, =2 f Ü`(x)-1=2(8x-7)-1
‌x¢에 대응될 수 있는 것은 xÁ, xª, x£에 대응되는 것을 =16x-15
제외한 1개 ⋮
‌따라서 X에서 Y로의 함수 중에서 xÁ이 yÁ에 대응되 ∴ f Ç` (x)=2Ç`x-(2Ç`-1) (단, n은 자연수)
지 않는 일대일대응의 개수는 ∴ f   á`(3)‌=2á`_3-(2á`-1)
g(4)=3_3_2_1=18 =1536-511=1025 답④
∴ f (3)+ g(4)=24+18=42 답 42

다른 풀이 1

에서 f (3)=24 10 f (x)=t로 놓으면


g(4)=(전체 일대일대응의 개수) ( f ½ f )(x)= f ( f (x))= f (x)에서 f (t)=t
 -(xÁ`1Ú`yÁ인 일대일대응의 개수) 이때 함수 y= f (x)의 그래프와 직선 y=x는 원점과 원
=4_3_2_1-3_2_1=18 점이 아닌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나므로 원점이 아닌 서
다른 풀이 2 로 다른 두 점의 x좌표를 각각 a, b`(a<b)라 하면
X에서 Y로의 함수의 개수는 t=a`(a<0), t=0, t=b`(b>0)
n_n_n_y_n=nÇ` Ú ‌t=a, 즉 f (x)=a일 때, y y=x

이때 상수함수는 n개이므로 ‌함수 y= f (x)의 그래프


y=f{x}
f (n)=nÇ`-n   ∴ f (3)=3Ü`-3=27-3=24 와 직선 y=a는 한 점
=
또한, X에서 Y로의 일대일대응의 개수는 (a, a)에서 만나므로 조 O x

n_(n-1)_(n-2)_y_1=n! 건을 만족시키는 실수 x
y==
이때 xÁ이 yÁ에 대응되는 일대일대응의 개수는 는 a의 1개이다. =

(n-1)_(n-2)_y_1=(n-1)! Û t=0, 즉 f (x)=0일 때,


이므로 ‌함수 y= f (x)의 그래프는 x축과 서로 다른 세 점에서
g(n)‌=n!-(n-1)!=(n-1)(n-1)! 만나므로 조건을 만족시키는 실수 x의 개수는 3이다.
∴ g(4)‌=(4-1)(4-1)! Ü ‌t=b, 즉 f (x)=b일 때, y y=x
y=>
=3_(3_2_1)=18 ‌함수 y= f (x)의 그래프 >

∴ f (3)+ g(4)=24+18=42 와 직선 y=b는 한 점


(b, b)에서 만나므로 조 O > x

건을 만족시키는 실수 x y=f{x}
는 b의 1개이다.
08 f (x)=ax+m, g(x)=bx+n이므로 Ú, Û, Ü에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실수 x의 개수는
f ½ g= g½ f 에서 f ( g(x))= g( f (x)) 1+3+1=5 답③

Ⅱ. 함수와 그래프 | 039


A n s w e r

11 x<1일 때, 14 f (x)=x+a에서 y=x+a로 놓으면


f (x)=-xÛ`+2x+2b=-(x-1)Û`+2b+1 x=y-a
함수 f (x)의 역함수가 존재하려면 y y=f{x} x와 y를 서로 바꾸면
함수 f (x)는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y=x-a   ∴ f ÑÚ`(x)=x-a
일대일대응이어야 하므로 함수 이때 ( f ÑÚ`½ g)(x)=2x+5이므로
y= f (x)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 f ÑÚ`½ g)(x)‌= f ÑÚ`( g(x))= g(x)-a
O 1 x
같아야 한다. =bx+c-a=2x+5
즉, x¾1일 때 직선 위의 등식은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y=(3a-1)x-b+5의 기울기는 양수이어야 하므로 b=2, c-a=5 yy㉠
1 또한, gÑÚ`(3)=2에서 g(2)=3이므로
3a-1>0   ∴ a>    yy㉠
3
2b+c=3 yy㉡
또한, x=1에서 두 함수 y=(3a-1)x-b+5와
㉠, ㉡에서
y=-xÛ`+2x+2b는 함숫값이 같아야 하므로
a=-6, b=2, c=-1
3a-b+4=1+2b
∴ a+b+c=-5 답 -5
∴ b=a+1
다른 풀이 1
1 4
㉠에서 b=a+1> +1=
3 3 gÑÚ`(3)=2이므로 g(2)=3
따라서 정수 b의 최솟값은 2이다. 답② ( f ÑÚ`½ g)(x)= f ÑÚ`( g(x))=2x+5이므로
x=2를 대입하면
f ÑÚ`( g(2))=9, f ÑÚ`(3)=9
∴ f (9)=3
12 ( f ½ g-1)(xÛ`)=x에서
f (x)=x+a이므로
( f -1½ f ½ g-1)(xÛ`)= f -1(x)
9+a=3   ∴ a=-6
g-1(xÛ`)= f -1(x)=2xÛ`
또한, x=1을 대입하면
xÛ`=X로 놓으면
f ÑÚ`( g(1))=7, g(1)= f (7)=7-6=1
g-1(X)=2X   ∴ g-1(x)=2x
g(x)=bx+c이므로 b+c=1
1
y=2x로 놓으면 x= y ∴ a+b+c=(-6)+1=-5
2
x와 y를 서로 바꾸면 다른 풀이 2
1 1 ( f -1½ g)(x)=2x+5의 양변에 함수 f 를 합성하면
y= x   ∴ g(x)= x
2 2
g(x)‌= f (2x+5)
∴ ( g-1½ f )-1(2)‌=( f -1½ g)(2)
=2x+5+a (∵ f (x)=x+a)
= f -1( g(2)) -1
g (3)=2에서 g(2)=3이므로
= f -1(1)
4+5+a=3   ∴ a=-6
=2_1Û`=2 답①
∴ g(x)=2x-1
BLACKLABEL 특강 참고 이때 g(x)=bx+c이므로 2x-1=bx+c
∴ b=2, c=-1
g(2)의 값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도 있다.
g-1(x)=2x에서 ∴ a+b+c=(-6)+2+(-1)=-5
g(2x)=(g½g-1)(x)=x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g(2)=1

15 함수 f (x)=|x-1|+|x-2|+|x-3|에서
Ú x<1일 때,
13 함수 f (x)의 역함수가 g(x) a
y y=f{x}
y=x f (x)=-(x-1)-(x-2)-(x-3)=-3x+6
이므로 g(k)=p라 하면 k=b Û 1Éx<2일 때,
c
f (p)=k   ∴ p=c f (x)=(x-1)-(x-2)-(x-3)=-x+4
d
또한, g(c)=q라 하면 Ü 2Éx<3일 때,
e
f (q)=c   ∴ q=d f (x)=(x-1)+(x-2)-(x-3)=x
∴ ( g½ g)(k)‌= g( g(k)) O e d c k x Ý x¾3일 때,
= g(c)=d 답④ f (x)=(x-1)+(x-2)+(x-3)=3x-6

040 | 블랙라벨 수학 (하)


본문 pp. 35~36

Ú~Ý에서 함수 y= f (x)의 그 y 01 0ÉkÉ8인 정수 k에 대하여


y=f{x}
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6 f (k)‌= f (9_0+k)
따라서 함수 f (x)는 x=2에서 = f (0)+k=0+k=k
3
최솟값 2를 가지므로 2
∴ f (k)=k (단, 0ÉkÉ8)
a=2, b=2 ㄱ. f (31)‌= f (9_3+4)= f (3)+4
O 1 2 3 x
∴ a+b=4 답4 =3+4=7 (참)
ㄴ. 0ÉpÉ4이므로 0É2pÉ8이다.
BLACKLABEL 특강 참고
즉, f (2p)=2p이므로
함수 f (x)=|x-aÁ|+|x-aª|+y+|x-aÇ|의 그래프 f (181p)‌= f (9_20p+p)= f (20p)+p
 (단, aÁ<aª<y<aÇ)
Ú n이 짝수일 때 Û n이 홀수일 때 = f (9_2p+2p)+p= f (2p)+2p+p
y=f{x} y=f{x} =2p+2p+p
… … … … =5p (참)
ㄷ. f (81a+9b+c)‌= f (9(9a+b)+c)
a¡a™ an an +1 aˆ x a¡a™ an+1 aˆ x
2 2 2
= f (9a+b)+c= f (a)+b+c
Ú, Û에 의하여 함수 f (x)는 n이 짝수일 때는 a n ÉxÉa n +1에서
2 2
=a+b+c
최솟값을 갖고, n이 홀수일 때는 x=a n+1 에서 최솟값을 갖는다.
2
f (81c+9b+a)‌= f (9(9c+b)+a)
= f (9c+b)+a= f (c)+b+a
=c+b+a
∴ f (81a+9b+c)= f (81c+9b+a) (참)
16 정수 n에 대하여
따라서 ㄱ, ㄴ, ㄷ 모두 옳다. 답⑤
1
Ú nÉx<n+ 일 때,
2
2nÉ2x<2n+1이므로
[x]=n, [2x]=2n 02 f (xy)= f (x)+ f (y)   yy㉠
∴ f (x)‌=[2x]-2[x] ㄱ. ㉠의 양변에 x=1, y=1을 대입하면
=2n-2n=0 ` f (1)= f (1)+ f (1)
1 ∴ f (1)=0 (거짓)
Û n+ Éx<n+1일 때,
2
ㄴ. ` f (8)‌= f (4_2)
2n+1É2x<2n+2이므로
= f (4)+ f (2)
[x]=n, [2x]=2n+1
= f (2_2)+ f (2)
∴ f (x)‌=[2x]-2[x]
= f (2)+ f (2)+ f (2)=3 f (2) (참)
=(2n+1)-2n=1
1
ㄷ. ㉠의 양변에 y= 을 대입하면
Ú, Û에서 함수 f (x)=[2x]-2[x]의 치역은 {0, 1}이다. x
1 1 1
` f {x_ }= f (x)+ f { }, f (1)= f (x)+ f { }
 답④
x x x
1
0= f (x)+ f { }`(∵ ㄱ)
x
1
∴ f { }=- f (x) (참)
x
따라서 옳은 것은 ㄴ, ㄷ이다. 답⑤

STEP
2 1등급을 위한 최고의 변별력 문제 pp. 36~41

01 ⑤
06 ③
02 ⑤
07 ②
03 5
08 ①
04 7
09 18
05 2
10 ③
03 Ú m=0, 즉 g(x)=1인 경우
x가 유리수일 때, xÛ`+1=1에서 x=0
11 99 12 ③ 13 ② 14 ③ 15 3
16 4 17 2 18 4 19 4 20 ② x가 무리수일 때, -xÛ`+1=1에서 x=0

21 4 22 ⑤ 23 2'5 24 ④ 25 -
3 ‌그런데 x=0은 유리수이므로 방정식 -xÛ`+1=1을
2
만족시키는 무리수 x는 존재하지 않는다.
26 ② 27 ④ 28 ③ 29 5 30 '7
31 32 32 ③ 33 1 34 ④ 35 ② ‌즉, 두 함수의 그래프의 교점은 x=0일 때의 1개뿐이
3 므로
36 37 21 38 ② 39 ⑤
2
h(0)=1

Ⅱ. 함수와 그래프 | 041


A n s w e r

Û m=1, 즉 g(x)=x+1인 경우 05 해결단계


x가 유리수일 때, 1
주어진 식의 양변에 x=a, x= 을 각각 대입하여 관계식
➊ 단계 a
xÛ`+1=x+1에서 xÛ`-x=0
을 세운다.
x(x-1)=0   ∴ x=0 또는 x=1 ➋ 단계 ➊ 단계에서 세운 관계식을 연립하여 함수 f (x)를 구한다.
x가 무리수일 때, ➌ 단계
f (x)= f (-x)를 만족시키는 식을 세운 후, 실수 x의 개수
를 구한다.
-xÛ`+1=x+1에서 xÛ`+x=0
1
x(x+1)=0   ∴ x=-1 또는 x=0 f (x)+2 f { }=3x의 양변에 x=a를 대입하면
x
그런데 x는 무리수이어야 하므로 방정식
1
‌-xÛ`+1=x+1을 만족시키는 무리수 x는 존재하지 f (a)+2 f { }=3a yy㉠
a
않는다. 1 1
또한, f (x)+2 f { }=3x의 양변에 x= 을 대입하면
‌즉, 두 함수의 그래프의 교점은 x=0 또는 x=1일 때 x a
1 3
의 2개이므로 f { }+2 f (a)= yy㉡
a a
h(1)=2
㉠+㉡을 하면
Ü m='2, 즉 g(x)='2x+1인 경우
1 3
x가 유리수일 때, 3 f (a)+3 f { }=3a+
a a
xÛ`+1='2x+1에서 xÛ`-'2x=0 1 1
∴ f (a)+ f { }=a+ yy㉢
x(x-'2)=0   ∴ x=0 또는 x='2 a a
그런데 x는 유리수이어야 하므로 x=0 ㉡-㉢을 하면
3 1 2
x가 무리수일 때, f (a)= -{a+ }=-a+
a a a
-xÛ`+1='2x+1에서 xÛ`+'2x=0
2
x(x+'2)=0   ∴ x=-'2 또는 x=0 ∴ f (x)=-x+
x
그런데 x는 무리수이어야 하므로 x=-'2 2
f (-x)=x- 이므로 f (x)= f (-x)에서
‌즉, 두 함수의 그래프의 교점은 x=0 또는 x=-'2 x
일 때의 2개이므로 2 2 4
-x+ =x- , 2x=
x x x
h('2)=2
xÛ`=2   ∴ x=Ñ'2
Ú, Û, Ü에서
따라서 구하는 실수 x는 -'2, '2의 2개이다. 답2
h(0)+h(1)+h('2)=1+2+2=5 답5

04 조건 ㈎에서 함수 f 의 치역의 원소의 개수가 7이므로 집


06 함수 f 가 항등함수이므로 정의역의 모든 원소 x에 대하여
합 X의 서로 다른 두 원소 a, b에 대하여
f (x)=x가 성립해야 한다.
f (a)= f (b)=n을 만족시키는 집합 X의 원소 n은 한
Ú x<-3일 때,
개이다.
f (x)=-5이므로 f (x)=x를 만족시키는 x의 값은
이때 집합 X의 원소 중 함숫값으로 사용되지 않은 원소
x=-5
를 m이라 하면 조건 ㈏에서
Û -3ÉxÉ2일 때,
f (1)+ f (2)+ f (3)+ f (4)+ f (5)+ f (6)+ f (7)
f (x)=3x-4이므로 f (x)=x에서
+ f (8)
3x-4=x   ∴ x=2
=(1+2+3+4+5+6+7+8)+n-m
Ü x>2일 때,
=36+n-m=42
f (x)=2xÛ`-2x-9이므로 f (x)=x에서
∴ n-m=6
2xÛ`-2x-9=x
집합 X의 원소 n, m에 대하여 n-m=6인 경우는 다음
2xÛ`-3x-9=0, (x-3)(2x+3)=0
과 같다.
∴ x=3 (∵ x>2)
Ú n=8, m=2일 때,
Ú, Û, Ü에서 X={-5, 2, 3}이므로
‌함수 f 의 치역은 {1, 3, 4, 5, 6, 7, 8}이므로 조건 ㈐
a+b+c=0 답③
를 만족시키지 않는다.
Û n=7, m=1일 때,
‌함수 f 의 치역은 {2, 3, 4, 5, 6, 7, 8}이므로 조건 ㈐
를 만족시킨다.
07 조건 ㈐에서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x+2)=f(x)이므로
121 121 121
Ú, Û에서 n=7 답7 f{ }= f { -2}= f { -2-2}=y
2 2 2

042 | 블랙라벨 수학 (하)


본문 pp. 36~37

121 117 113 1 Ú, Û, Ü에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함수 f 의 개수는


∴ f{ }= f { }= f { }=y= f { }
2 2 2 2
6+6+6=18 답 18
조건 ㈏에서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 (x)= f (-x)이므로
다른 풀이
1 1
f { }= f {- }
2 2 조건 ㈎에 의하여 함수 f 는 일대일함수이어야 하고, 조건
조건 ㈎에서 -1ÉxÉ0일 때, f (x)=(x+1)Û`이므로 ㈏와 ㈐에서 9-1=8<{ f (x)|x<X}이어야 한다. 즉,
f { }= f {- }={- +1}2`=
1 1 1 1 함수 f 의 치역은 항상 1, 8을 원소로 갖는다.
2 2 2 4
1, 8을 제외한 함수 f 의 치역의 원소는 조건 ㈐에 의하여
121 1 1
∴ f{ }= f { }=  답② 2, 7 또는 3, 6 또는 4, 5
2 2 4
이때 함수 f 의 치역을 {1, 2, 7, 8}이라 하면 f (1)=1을
만족시키는 일대일함수 f 의 개수는
3_2_1=6
08 f (x+2)= f (x+1)- f (x)에서 x 대신에 x+1을 대입
함수 f 의 치역이 {1, 3, 6, 8} 또는 {1, 4, 5, 8}일 때도
하면
함수 f 는 6가지씩 존재하므로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키는
f (x+3)‌= f (x+2)- f (x+1)
함수 f 의 개수는
={ f (x+1)- f (x)}- f (x+1)
3_6=18
=- f (x)
∴ f (x+3)=- f (x)
즉, f (x+6)=- f (x+3)= f (x)이므로
f (2019)= f (6_336+3)= f (3)
10 ㄱ. ‌두 함수 y= f (x), y= g(x)의 그래프의 교점의 좌표
f (2020)= f (6_336+4)= f (4) 를 (a, b)라 하면 f (a)= g(a)=b이므로
f (2021)= f (6_336+5)= f (5) 1 3 1 3
h(a)= f (a)+ g(a)= b+ b=b
∴ ‌f (2019)+ f (2020)+ f (2021) 4 4 4 4
= f (3)+ f (4)+ f (5) 따라서 함수 y=h(x)의 그래프는 두 함수 y= f (x),
= f (3)+ f (4)+{ f (4)- f (3)} y= g(x)의 그래프의 교점 (a, b)를 지난다. (참)
=2 f (4)=-2 f (1)=-2_2017 ㄴ. 두 함수 y= f (x), y= g(x)의 그래프가 모두 원점에
=-4034 답① 대하여 대칭이면
f (-x)=- f (x), g(-x)=- g(x)
1 3
∴ h(-x)‌= f (-x)+ g(-x)
4 4
09 조건 ㈐에서 9- f (a)<{ f (1), f (2), f (3), f (4)}이 1 3
=- f (x)- g(x)
고, 조건 ㈏에서 f (1)=1이므로 4 4
9- f (a)<{1, f (2), f (3), f (4)} 1 3
=-[ f (x)+ g(x)]
4 4
이때 a=1이면 8<{1, f (2), f (3), f (4)}이어야 하므
=-h(x)
로 f (2)=8 또는 f (3)=8 또는 f (4)=8이다.
‌따라서 함수 y=h(x)의 그래프도 원점에 대하여 대
Ú f (2)=8일 때,
칭이다. (참)
f (3)+ f (4)=9이어야 하므로
ㄷ. ‌(반례) f(x)=3x, g(x)=-x라 하면 두 함수 f(x),
순서쌍 ( f (3), f (4))는
g(x)는 모두 일대일대응이다. 그런데
‌(2, 7), (7, 2), (3, 6), (6, 3), (4, 5), (5, 4)의 6
1 3
가지 h(x)‌= f (x)+ g(x)
4 4
Û f (3)=8일 때, 1 3
= _3x+ _(-x)=0
f (2)+ f (4)=9이어야 하므로 4 4
순서쌍 ( f (2), f (4))는 따라서 함수 h(x)는 일대일대응이 아니다. (거짓)
‌(2, 7), (7, 2), (3, 6), (6, 3), (4, 5), (5, 4)의 6 그러므로 옳은 것은 ㄱ, ㄴ이다. 답③
가지
BLACKLABEL 특강 필수 개념
Ü f (4)=8일 때,
f (2)+ f (3)=9이어야 하므로 함수 f (x)의 정의역의 임의의 원소 x에 대하여
⑴ ‌f (-x)=- f (x)이면 함수 y= f (x)의 그래프는 원점에 대하여
순서쌍 ( f (2), f (3))은 대칭이다.
‌(2, 7), (7, 2), (3, 6), (6, 3), (4, 5), (5, 4)의 6 ⑵ ‌f (-x)= f (x)이면 함수 y= f (x)의 그래프는 y축에 대하여 대
칭이다.
가지

Ⅱ. 함수와 그래프 | 043


A n s w e r

ㄴ. ‌집합 A의 모든 원소 x에 대하여 f (-x)= f (x)이므


서울대 선배들의 강추 문제 1등급 비법 노하우
로 f (-1)= f (1)
ㄷ이 거짓인 이유를 좀 더 자세히 알아보자.
‌이때 f (-1)이 될 수 있는 값은 -1, 0, 1의 3가지이
두 함수 f (x), g(x)가 일대일대응이면 일대일함수이므로
f (xÁ)= f (xª)이면 xÁ=xª, g(xÁ)=g(xª)이면 xÁ=xª yy㉠ 고, f (0)이 될 수 있는 값도 3가지이므로
함수 h(x)가 일대일대응이려면 h(xÁ)=h(xª)일 때 xÁ=xª이어야
f (-x)= f (x)를 만족시키는 함수 f 의 개수는
한다.
1 3
h(xÁ)=h(xª)라 하면 h(x)= f (x)+ g(x)에서
3_3=9 (참)
4 4
1 3 1 3 ㄷ. ‌( f ½ f )(x)= f ( f (x))=x가 성립하기 위해서는
f (xÁ)+ g(xÁ)= f (xª)+ g(xª) yy㉡
4 4 4 4
f (a)=b이면 f (b)=a이어야 하므로 구하는 경우는
1 1 3 3
이때 f (xÁ)= f (xª), g(xÁ)= g(xª) yy㉢
4 4 4 4 다음과 같다.
이면 ㉠에 의하여 xÁ=xª이므로 주어진 명제는 참이다. 그러나
1 3 1 3 ‌f (-1)=-1, f (0)=0, f (1)=1 또는
f (xÁ)=0, g(xÁ)=3, f (xª)=1, g(xª)=2이면 ㉡은 만
4 4 4 4
f (-1)=-1, f (0)=1, f (1)=0 또는
족시키지만 ㉢을 만족시키지 않으므로 반례가 존재한다. 즉, ㄷ은 거
짓이다. f (-1)=1, f (0)=0, f (1)=-1 또는
f (-1)=0, f (0)=-1, f (1)=1
‌즉, ( f ½ f )(x)=x를 만족시키는 함수 f 의 개수는 4
이다. (거짓)
11 조건 ㈎에서 ( f ½ g)(x)=4{ g(x)}Û`- g(x)-1이므로 따라서 옳은 것은 ㄴ뿐이다. 답②
f (x)=4xÛ`-x-1
다른 풀이
함수 g(x)는 일차함수이므로 g(x)=ax+b`(a+0)라 하
ㄷ. f (x)=a라 하면 f ( f (x))=x이므로 f (a)=x
면 조건 ㈏에서 ( g½ f )(x)=( f ½ g)(x)이므로
‌즉, ( f ½ f )(x)=x를 만족시키는 함수 f 는 다음과
a(4xÛ`-x-1)+b=4(ax+b)Û`-(ax+b)-1
같다.
4axÛ`-ax-a+b=4aÛ`xÛ`+8abx+4bÛ`-ax-b-1
집합 A의 세 원소가 모두 자기 자신을 함숫값으로 갖
4axÛ`-ax-a+b=4aÛ`xÛ`+(8ab-a)x+4bÛ`-b-1
는 경우의 1가지
위의 식이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하나의 원소는 자기 자신을 함숫값으로 갖고, 나머지
4a=4aÛ`, -a=8ab-a, -a+b=4bÛ`-b-1
두 원소는 서로를 함숫값으로 갖는 경우의 £CÁ=3가지
4a=4aÛ`에서 a=1 (∵ a+0)
‌따라서 구하는 함수 f 의 개수는 1+3=4 (거짓)
a=1을 -a=8ab-a에 대입하면 b=0이므로
g(x)=x
∴ f (5)+ g(5)=(4_5Û`-5-1)+5=99 답 99
14 ① ‌a<A라 하면 f (a)=a이므로
f ( f (a))= f (a)=a   ∴ a<B
∴ A,B
12 ㄱ. x가 유리수이면 f (x)='2이고, '2 는 무리수이므로 ② ‌a<A라 하면 f (a)=a이므로
f ('2)=1 f ( f (a))= f (a)   ∴ a<C
즉, x가 유리수이면 ∴ A,C
( f ½ f )(x)= f ( f (x))= f ('2)=1 (참) ③ b<B라 하면 f ( f (b))=b
ㄴ. (반례) x=0이면 0은 유리수이므로 f (0)='2 이때 f (b)+b이면 f ( f (b))+ f (b)
∴ f (0_ f (0))= f (0_'2)= f (0)='2 (거짓) 즉, b는 집합 C의 원소가 아닐 수도 있다.
ㄷ. ‌f (xÁ)+ f (xª)이면 xÁ은 유리수, xª는 무리수 또는 ∴ BøC
xÁ은 무리수, xª는 유리수이다. ④ b<B;C라 하면
‌이때 (유리수)+(무리수)=(무리수)이므로 xÁ+xª f ( f (b))=b, f ( f (b))= f (b)이므로 f (b)=b
는 무리수이다. ∴ b<A
∴ f (xÁ+xª)=1 (참) ∴ (B;C),A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답③ ⑤ ①에서 A,B이므로 A'B=B
‌이때 C,B이면 B;C=C이고, ④에서
(B;C),A이므로 C,A
13 ㄱ. ‌함수 f 의 공역은 집합 A={-1, 0, 1}이고, 그런데 ②에서 A,C이므로 A=C
f (0)=0이므로 f (-1)과 f (1)이 될 수 있는 값은 즉, C,(A'B)이면 A=C이다.
각각 -1, 0, 1의 3가지씩이다. 따라서 세 집합 A, B, C 사이의 관계로 옳지 않은 것은
즉, f (0)=0인 함수 f 의 개수는 3_3=9 (거짓) ③이다. 답③

044 | 블랙라벨 수학 (하)


본문 pp. 37~38

15 해결단계 16 조건 ㈐에서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이차함수 f (x)가


함수 ( f ½ f ½ f )(x)의 치역을 이용하여 함수 f 의 치역을 f (2-x)= f (2+x)를 만족시키므로 함수 y= f (x)의
➊ 단계
구한다. 그래프는 직선 x=2에 대하여 대칭이고, 조건 ㈏에서 함
f (3)=2, f (4)=4와 함수 f 의 치역을 이용하여
➋ 단계 수 y= f (x)의 그래프의 꼭짓점의 y좌표가 3이므로 꼭짓
f (1), f (2)로 가능한 값들을 구한다.
➋ 단계에서 구한 f (1), f (2)의 값을 이용하여 점의 좌표는 (2, 3)이다.
➌ 단계
f (1)+ f (2)의 값을 구한다. 즉, f (2)=3이므로 방정식 ( f ½ f )(x)=3에서
함수 ( f ½ f ½ f )(x)의 치역이 {1, 2, 4}이므로 함수 f f ( f (x))=3   ∴ f (x)=2
의 치역도 {1, 2, 4}이다. 이때 조건 ㈎에서 이차함수 f (x)의 {2,`3}
y=f{x}
f (3)=2, f (4)=4이므로 f (a)=1을 만족시키는 집합 이차항의 계수가 음수이므로 함수 y=2
X의 원소 a가 존재해야 한다. y= f (x)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즉, f (1)=1 또는 f (2)=1이다. 같다. 2 x

이때 3²{1, 2, 4}이므로 f (b)=3을 만족시키는 집합 따라서 함수 y= f (x)의 그래프와 x=2

X의 원소 b가 존재하지 않는다. 직선 y=2는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난다.


이를 만족시키는 f (1), f (2)의 값은 다음과 같이 5가지 즉, 방정식 f (x)=2는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갖고 두 실
이다. 근을 a, b (a<b)라 하면 함수 y= f (x)의 그래프의 대

f (1) 1 1 1 2 4 칭축이 x=2이므로


f (2) 1 2 4 1 1 a+b
=2   ∴ a+b=4 답4
2
그런데 f (1)=1, f (2)=1 또는 f (1)=1, f (2)=4 또 다른 풀이
는 f (1)=4, f (2)=1이면 ( f ½ f ½ f )(x)의 치역이
이차함수 f (x)의 이차항의 계수를 a`(a<0)라 하자.
{1, 4} 또는 {4}가 되어 모순이다.
 조건 ㈏에서 그래프의 꼭짓점의 y좌표가 3이고, 조건 ㈐
따라서 f (1)=1, f (2)=2 또는 f (1)=2, f (2)=1이
에서 이차함수 y= f (x)의 그래프가 직선 x=2에 대하
어야 하므로
여 대칭이므로 꼭짓점의 좌표는 (2, 3)이다.
f (1)+ f (2)=3 답3
∴ f (x)=a(x-2)Û`+3   yy㉠
다른 풀이 f ( f (x))=3에서 a{ f (x)-2}Û`+3=3
함수 f 의 치역이 {1, 2, 4}이고 3²{1, 2, 4}이므로 3을 a{ f (x)-2}Û`=0, f (x)-2=0
함숫값으로 갖는 정의역의 원소가 존재하지 않는다. a(x-2)Û`+3-2=0 (∵ ㉠)
또한, f (3)=2이고, 함수 ( f ½ f ½ f )(x)의 치역은 ∴ axÛ`-4ax+4a+1=0
{1, 2, 4}이므로 3이 아닌 정의역의 원소 중에서 2를 함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숫값으로 갖는 원소가 존재해야 한다. D
=(-2a)Û`-a(4a+1)=-a>0
4
이때 f (4)=4이므로 f (1)과 f (2)는 각각 1 또는 2가
이므로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갖는다.
되어야 한다.
따라서 방정식 ( f ½ f )(x)=3, 즉
즉, f (1)=1, f (2)=2 또는 f (1)=2, f (2)=1이므로
axÛ`-4ax+4a+1=0의 모든 실근의 합은 근과 계수의
f (1)+ f (2)=3
관계에 의하여
-4a
BLACKLABEL 특강 풀이 첨삭  - =4
a
Ú f (1)=1, f (2)=1일 때,
f ( f ( f (1)))= f ( f (1))= f (1)=1,
f ( f ( f (2)))= f ( f (1))= f (1)=1,
f ( f ( f (3)))= f ( f (2))= f (1)=1이므로
함수 ( f ½ f ½ f )(x)의 치역은 {1, 4}이다.
17 이차함수 y= g(x)의 그래프가 x축과 만나는 점의 x좌표
Û f (1)=1, f (2)=4일 때, 를 각각 a, b`(a<b)라 하면 그래프의 개형으로부터
f ( f ( f (1)))= f ( f (1))= f (1)=1, a<-2, b>0
f ( f ( f (2)))= f ( f (4))= f (4)=4,
f ( f ( f (3)))= f ( f (2))= f (4)=4이므로 이때 방정식 g( f (x))=0의 실근이 존재하기 위해서는
함수 ( f ½ f ½ f )(x)의 치역은 {1, 4}이다. f (x)=a 또는 f (x)=b이어야 한다.
Ü f (1)=4, f (2)=1일 때,
f ( f ( f (1)))= f ( f (4))= f (4)=4, Ú f (x)=a`(a<-2)일 때,
f ( f ( f (2)))= f ( f (1))= f (4)=4, ‌함수 y= f (x)의 그래프는 직선 y=a`(a<-2)와
f ( f ( f (3)))= f ( f (2))= f (1)=4이므로
함수 ( f ½ f ½ f )(x)의 치역은 {4}이다. 만나지 않으므로 실근 x가 존재하지 않는다.
Ú, Û, Ü에서 f (1)=1, f (2)=1 또는 f (1)=1, f (2)=4 또는 Û f (x)=b`(b>0)일 때,
f (1)=4, f (2)=1일 때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함수 y= f (x)의 그래프는 직선 y=b`(b>0)와 서

Ⅱ. 함수와 그래프 | 045


A n s w e r

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나므로 실근의 개수는 2이다. 이때 주어진 그래프에서


Ú, Û에서 방정식 g( f (x))=0의 실근의 개수는 2이다. ( x (0Éx<1)
 답2 f (x)={`1 (1ÉxÉ2),
9 x-1 (2<xÉ3)
18 ( g½ f )(x)‌= f (x)+10
( 2x (0Éx<1)
xÛ`+2ax+16 (x<0)
=[` ( g½ f )(x)={`2 (1ÉxÉ2)   yy㉠
x+16 (x¾0)
9 -2x+6 (2<xÉ3)
(x+a)Û`+16-aÛ` (x<0)
=[` 이므로 함수 f 와 함수 g를 합성하면
x+16 (x¾0)
( g½ f )(x)‌= g( f (x))
이때 aÉ0이면 함수 y=( g½ f )(x) y
( g(x) (0Éx<1)
의 그래프가 오른쪽 그림과 같으므로
={` g(1)
y={g`©`f }{x}
16 (1ÉxÉ2)
치역은 {y|y¾16}
9 g(x-1) (2<xÉ3)
위의 함수와 ㉠이 같아야 하므로
O x
0Éx<1일 때, g(x)=2x
a>0이면 x<0에서 함수 y
1ÉxÉ2일 때, g(1)=2
y=( g½ f )(x)의 그래프의 꼭짓점 16 y={g`©`f}{x} 2<xÉ3일 때, g(x-1)=-2x+6
의 좌표는 (-a, 16-aÛ`)이므로 x 이때 g(x-1)=-2x+6`(2<xÉ3)에서
좌표가 음수이다. 이때 합성함수 x-1=t로 놓으면 x=t+1이므로
( g½ f )(x)의 치역이 {y|y¾0}이 -a O x
g(t)=-2t+4`(1<tÉ2)
기 위해서는 꼭짓점의 y좌표가 0이
2x (0Éx<1)
어야 한다. ∴ g(x)=[`
-2x+4 (1ÉxÉ2)
즉, 16-aÛ`=0이므로 a=Ñ4 y
즉, 함수 y= g(x)의 그래프는 오
그런데 a>0이므로 a=4 답4
른쪽 그림과 같다. 2
다른 풀이 y=g{x}
함수 y= g(x)의 그래프를 이용하
함수 ( g½ f )(x)의 치역이 {y|y¾0}이므로 모든 실수 여 함수 g( g(x))를 구하면
x에 대하여 g( f (x))¾0이어야 한다. g( g(x))
O 1 2 x
f (x)=t로 놓으면
2 g(x) (0É g(x)<1)
g(t)¾0에서 t+10¾0   ∴ t¾-10 =[`
-2 g(x)+4 (1É g(x)É2)
∴ f (x)¾-10
1
이때 ( 2_2x {0Éx< }
2
xÛ`+2ax+6 (x<0) | 1
f (x)‌=[` -2_2x+4 { Éx<1}
(x¾0) 2
={`
x+6
3
(x+a)Û`+6-aÛ` (x<0) -2(-2x+4)+4 {1Éx< }
=[` | 2
x+6 (x¾0)
이고, 함수 f (x)의 치역이  y 9 2(-2x+4) 3
{ ÉxÉ2}
2
{y|y¾-10}이려면 함수 y= f (x)의
1
그래프가 오른쪽 그림과 같아야 한다.
6 y=f{x} ( 4x {0Éx< }
2
-a
즉, f (-a)=-10이어야 하므로 O x
| 1
-4x+4 { Éx<1}
2
6-aÛ`=-10 -10 ={`
3
aÛ`=16   ∴ a=Ñ4 4x-4 {1Éx< }
| 2
그런데 함수 y= f (x)의 그래프가 위의 그림과 같으려면
9 -4x+8 { 3 ÉxÉ2}
-a<0, 즉 a>0이어야 하므로 a=4 2
y
즉, 함수 y=( g½ g)(x)
19 두 함수 y= f (x)와 y=( g½ f )(x)의
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2
정의역이 {x|0ÉxÉ3}, 공역이 {y|0ÉyÉ2} y={g`©`g}{x}
같고, 방정식 1
이므로 함수 y= g(x)의 2 1
1 y=
( g½ g)(x)= 의 실근 2
정의역은 {x|0ÉxÉ2}, 공역은 {y|0ÉyÉ2} 2
O= 1 1 3 2 x
이다. 은 함수 y=( g½ g)(x)의 2 2

046 | 블랙라벨 수학 (하)


본문 pp. 38~39

1 프의 교점의 x좌표와 같다.


그래프와 직선 y= 의 교점의 x좌표와 같으므로 네 교
2
-2x+3 (x¾3)
점의 x좌표를 각각 a, b, c, d (a<b<c<d)라 하면 두 f (x)=[` , g(x)=xÛ`-3이므로
3 (x<3)
1
근 a, b는 직선 x= 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 g½ f )(x)‌= g( f (x))
2
={ f (x)}Û`-3
a+b 1
=    ∴ a+b=1
2 2 (-2x+3)Û`-3 (x¾3)
=[`
3 3Û`-3 (x<3)
두 근 c, d는 직선 x= 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2
4xÛ`-12x+6 (x¾3)
c+d 3 =[`
=    ∴ c+d=3 6 (x<3)
2 2
1 ( f ½ g)(x)‌= f ( g(x))
따라서 방정식 ( g½ g)(x)= 의 모든 실근의 합은
2 -2 g(x)+3 ( g(x)¾3)
=[`
a+b+c+d=1+3=4 답4 3 ( g(x)<3)
-2(xÛ`-3)+3 (xÛ`-3¾3)
=[`
3 (xÛ`-3<3)
-2xÛ`+9 (xÉ-'6 또는 x¾'6)
=[`
20 Ú x¾3일 때 3 (-'6<x<'6)
( g½ f )(x)-( f ½ g)(x) ∴ (‌ f ½ g)(x)+15
= g( f (x))- f ( g(x)) -2xÛ`+24 (xÉ-'6 또는 x¾'6)
=[`
= g(-2x+3)- f (xÛ`-3) 18 (-'6<x<'6)
=(-2x+3)Û`-3-{-2(xÛ`-3)+3} 두 함수 y
18
=6xÛ`-12x-3 y=( g½ f )(x)와
12 y={g`©`f}{x}
( g½ f )(x)-( f ½ g)(x)=15에서 y=( f ½ g)(x)+15의
6
6xÛ`-12x-3=15, 6xÛ`-12x-18=0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xÛ`-2x-3=0, (x+1)(x-3)=0 같으므로 두 그래프의 교 -Â6
O 3 x
∴ x=3 (∵ x¾3) 점의 x좌표를 구하면
-3 Â6 y={ f`©`g}{x}+15
Û x<3일 때 -2xÛ`+24=6
( g½ f )(x)-( f ½ g)(x) 2xÛ`=18, xÛ`=9
= g( f (x))- f ( g(x)) ∴ x=Ñ3
= g(3)- f (xÛ`-3) 따라서 주어진 방정식을 만족시키는 모든 x의 값의 곱은
6-{-2(xÛ`-3)+3} (xÛ`-3¾3) 3_(-3)=-9
=[`
6-3 (xÛ`-3<3)
2xÛ`-3 (xÉ-'6 또는 '6Éx<3)
=[`
3 (-'6<x<'6)
이때 ( g½ f )(x)-( f ½ g)(x)=15에서
21 집합 A={x|x¾a}에 대하여 A에서 A로의 함수 f(x)가
-'6<x<'6이면 3=15
역함수를 가지려면 함수 f(x)는 일대일대응이어야 한다.
이므로 모순이다.
즉,
∴ xÉ-'6 또는 '6Éx<3
f (x)‌=xÛ`-2x-4
즉, 2xÛ`-3=15에서
=(x-1)Û`-5
2xÛ`-18=0, 2(x+3)(x-3)=0
의 그래프에서 대칭축은 x=1이고, x¾a에서 함수
∴ x=-3 (∵ x<3)
f (x)는 x의 값이 증가할 때 y의 값도 증가해야 하므로
Ú, Û에서 주어진 방정식을 만족시키는 모든 x의 값은
a¾1 y f{x}=x@-2x-4
-3, 3이므로 그 곱은
또한, (정의역)=(공역)=(치역)
(-3)_3=-9 답②
이어야 하므로 x¾a에서 오른쪽
a
다른 풀이 그림과 같이 f(a)=a이어야 한다.
( g½ f )(x)-( f ½ g)(x)=15에서 즉, aÛ`-2a-4=a에서
O 1 a x
( g½ f )(x)=( f ½ g)(x)+15 aÛ`-3a-4=0
이므로 방정식 ( g½ f )(x)-( f ½ g)(x)=15의 해는 (a+1)(a-4)=0 -4
-5
두 함수 y=( g½ f )(x)와 y=( f ½ g)(x)+15의 그래 ∴ a=4`(∵ a¾1) 답4 x=1

Ⅱ. 함수와 그래프 | 047


A n s w e r

공집합이 아닌

22 집합 S={1, 2, 3, 4}의 두 부분집합 X, Y에 대하여 함 b=2a-4¾0에서 b

수 f :X 1Ú Y의 역함수가 존재하고 X'Y=S,


4
a¾2
X;Y=á이려면 Y=S-X이고 n(X)=n(Y)=2이 ∴ b=2a-4`(2ÉaÉ4)
어야 한다. 따라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점
O 2 4 a
즉, 두 부분집합 X, Y가 될 수 있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a, b)의 자취의 길이는
X={1, 2}일 때 Y={3, 4}, "Ã2Û`+4Û`=2'5 답 2'5
X={1, 3}일 때 Y={2, 4}, 단계 채점 기준 배점
X={1, 4}일 때 Y={2, 3}, 함수 f (x)가 일대일대응임을 이용하여 실수 a의 값
㈎ 40%
의 범위를 구한 경우
X={2, 3}일 때 Y={1, 4},
㈏ 치역이 R임을 이용하여 b를 a에 대하여 나타낸 경우 40%
X={2, 4}일 때 Y={1, 3}, 점 (a, b)의 자취의 길이를 구한 경우
㈐ 20%
X={3, 4}일 때 Y={1, 2}
한편, X={1, 2}, Y={3, 4}에 대하여 함수
f :X 1Ú Y는 f (1)=3, f (2)=4인 경우와
f (1)=4, f (2)=3인 경우로 2가지가 존재한다.
따라서 두 부분집합 X, Y가 될 수 있는 6가지 경우에 대
24 ㄱ. f (1)=0, f (0)=1이므로
하여 함수 f 는 2가지씩 존재하므로 조건을 만족시키는 f Û`(1)= f ( f (1))= f (0)=1
함수 f 의 개수는 f Ü`(1)= f ( f Û`(1))= f (1)=0
6_2=12 답⑤ ⋮
2n-1
다른 풀이 ∴ f (1)=0, f 2n(1)=1
함수 f 의 역함수가 존재하고, X'Y=S, X;Y=á이 또한, f (-1)=2, f (2)=-1이므로
려면 Y=S-X이고 n(X)=n(Y)=2이어야 한다. f Û`(-1)= f ( f (-1))= f (2)=-1
S={1, 2, 3, 4}에서 두 집합 X, Y의 원소를 뽑는 경우 f Ü`(-1)= f ( f Û`(-1))= f (-1)=2
의 수는 `⋮
2n-1
1 ∴ f (-1)=2, f 2n(-1)=-1
¢Cª_ªCª_ _2=6
2!
∴ f 2n(1)+ f 2n+1(-1)=1+2=3 (거짓)
X={1, 2}, Y={3, 4}에 대하여 함 f
X Y ㄴ. ‌함수 y= f (x)의 그래프를 y
수 f 는 오른쪽 그림의 2가지 경우가 1 3
좌표평면 위에 나타내면 오
존재하므로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키는 2 4
른쪽 그림과 같다.
1 y=f{x}
함수 f 의 개수는 f ‌a>0일 때 f (a)<1이므로
X Y
6_2=12
1 3 f ( f (a))>0, O 1 x
2 4 ‌b<0일 때 f (b)>1이므로
f ( f (b))<0
∴ f Û`(a)> f Û`(b) (참)
xÛ`+1 (x<0)
ㄷ. f (x)=[` 에서
-x+1 (x¾0)
23 함수 f (x)가 역함수를 갖기 위해서 y y=f{x} Ú x<0일 때,
는 함수 f (x)가 일대일대응이어야
f (x)=xÛ`+1>1이므로
하므로 함수 y= f (x)의 그래프가
O 2 x f Û`(x)= f ( f (x))=-(xÛ`+1)+1=-xÛ`
오른쪽 그림과 같아야 한다. 즉,
-2 Û 0ÉxÉ1일 때,
f (x)‌=xÛ`-ax+b

={x- }2`+b-
f (x)=-x+1¾0이므로
a aÛ`
f Û`(x)= f ( f (x))=-(-x+1)+1=x
2 4
Ü x>1일 때,
의 그래프의 꼭짓점의 x좌표가 2보다 작거나 같아야 하므로
f (x)=-x+1<0이므로
a
É2에서 aÉ4
2 f `Û (x)= f ( f (x))=(-x+1)Û`+1=(x-1)Û`+1
또한, 치역이 R이어야 하므로 Ú, Û, Ü에서
f (2)=4-2a+b=0 ( -xÛ` (x<0)
∴ b=2a-4 f Û`(x)={`x (0ÉxÉ1)
이때 a, b가 음이 아닌 실수이므로 9 (x-1)Û`+1 (x>1)

048 | 블랙라벨 수학 (하)


본문 pp. 39~40

‌이므로 함수 y= f Û`(x)의 그 y y=f @{x} 1


x(1-y)=1, x=
1-y
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x와 y를 서로 바꾸면
‌이때 직선 y=k`(k는 상수) 1
1 1
와 함수 y= f `Û (x)의 그래프 y=    ∴ f ÑÚ`(x)=
1-x 1-x
는 항상 한 점에서 만나므로 x
O 1 위의 식에 x 대신에 p+1을 대입하면
합성함수 f `Û (x)의 역함수가
1 1
f ÑÚ`(p+1)= =-  답②
존재한다. (참) 1-(p+1) p
따라서 옳은 것은 ㄴ, ㄷ이다. 답④ 다른 풀이 1
다른 풀이 x
f (x+1)= 의 양변에 함수 f -1를 합성하면
x+1
ㄷ. ‌ㄴ에서 함수 f (x)는 일대일대응이므로 역함수가 존
f -1( f (x+1))= f -1{ }
x
재한다.
x+1
즉, 역함수의 성질에 의하여
∴ f -1{ }=x+1   yy㉠
x
( f ½ f )-1= f -1½ f -1 x+1
가 존재하며 함수 f Û`의 역함수이다. 이때
x
=p+1이라 하면
x+1
따라서 f Û`(x)의 역함수가 존재한다. (참)
x=(x+1)(p+1)
x=xp+x+p+1, xp+p+1=0
p+1
25 2 g(x)-(4x+7)=h(x)로 놓으면 xp=-p-1   ∴ x=-
p
(∵ p+0)
f (h(x))=( f ½h)(x)=x 위의 식을 ㉠에 대입하면
이므로 함수 h(x)는 함수 f (x)의 역함수이다. p+1 1
f -1(p+1)=- +1=-
∴ h(x)= g(x) p p
즉, 2 g(x)-(4x+7)= g(x)이므로 다른 풀이 2
g(x)=4x+7 -1
f (p+1)=k라 하고 양변에 함수 f 를 합성하면

이때 y= f (x)에서 g(y)=x이므로 f ( f -1(p+1))= f (k)
x=4y+7에서 4y=x-7 ∴ p+1= f (k)
x-7 x
∴ y= f (x)= 한편, f (x+1)= 이므로 이 식에 x 대신에 k-1을
4 x+1
∴ (( g½ f -1)-1½ g)(1)‌=( f ½ g -1½ g)(1) 대입하면
=( f ½I)(1) k-1 1
f (k)= =1-
= f (1) k k
1-7 3 3 1 1
= =-  답- 즉, p+1=1- 이므로 p=-
4 2 2 k k
1
다른 풀이 ∴ k=-
p
(( g½ f -1)-1½ g)(1)=( f ½ g -1½ g)(1)= f (1)=k 1
∴ f -1(p+1)=-
라 하면 p
f -1(k)= g(k)=1이므로 에서
4k+7=1, 4k=-6
3
∴ k=-
2 27 f (a)+ f (b)= f (ab)   yy㉠

3 f (4)=a, f (8)=b이므로 a=4, b=8을 ㉠에 대입하면


∴ (( g½ f -1)-1½ g)(1)=-
2 f (4)+ f (8)= f (4_8)에서 a+b= f (32)
함수 g(x)가 함수 f (x)의 역함수이므로
g(a+b)=32
26 x+1=t로 놓으면 x=t-1이므로 또한, a=4, b=2를 ㉠에 대입하면
t-1 f (4)+ f (2)= f (8)에서 a+ f (2)=b
f (t)=
t
∴ b-a= f (2)
x-1
∴ f (x)= 함수 g(x)가 함수 f (x)의 역함수이므로
x
g(b-a)=2
x-1
y= 에서 xy=x-1
x ∴ g(a+b)- g(b-a)=32-2=30 답④

Ⅱ. 함수와 그래프 | 049


A n s w e r

28 두 일차함수 f (x), g(x)에 대하여 조건 ㈐에서 y= gÑÚ`(x)+2x의 그래프와 x축의 교점의


( f ½ g½h)(x)=h(x)이므로 ( f ½ g)(x)=x이어야 x좌표가 1이므로
한다. 즉, gÑÚ`(x)= f (x) 1 1
-3+2=0, =1   ∴ c=1
c c
이때 f (x)=ax+b`(a+0)라 하면 방정식
∴ a=1, d=3, k=1-4=-3
f (x)=h(x)의 근이 1, 3이고 h(x)=xÛ`+kx이므로
따라서 f (x)=x-3, g(x)=x+3, h(x)=xÛ`-3x이
h(x)- f (x)=xÛ`+kx-(ax+b)=(x-1)(x-3)
므로
xÛ`+(k-a)x-b=xÛ`-4x+3
f (1)+ g(2)+h(4)=-2+5+4=7
위의 등식이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k-a=-4, -b=3
∴ a=k+4, b=-3
한편, 조건 ㈐에서 y= gÑÚ`(x)+2x의 그래프와 x축의 교
점의 x좌표가 1이므로 29 함수 f (x)의 역함수가 존재하므로 함수 f (x)는 일대일
대응이다.
gÑÚ`(1)+2=0, g ÑÚ`(1)=-2
이때 정의역이 집합 X={1, 2, 3}이고 f Ü`=I이므로
즉, f (1)=-2이므로
f (1)=3이면 f (3)=2, f (2)=1이어야 한다.
a-3=-2   ∴ a=1 
따라서 함수 f (x)와 그 역함수 g(x)를 그림으로 나타내
위의 값을 a=k+4에 대입하면
면 다음과 같다.
k=a-4=1-4=-3
f g
∴ f (x)=x-3, h(x)=xÛ`-3x X X X X
1 1 1 1
이때 g(2)=c라 하면 f (c)=2이므로
2 2 2 2
c-3=2   ∴ c=5 3 3 3 3
∴ f (1)+ g(2)+h(4)‌=(1-3)+5+(4Û`-3_4)
한편, 함수 f (x)의 역함수 g(x)에 대하여
=-2+5+4=7 답③
f ½ f ½ f =I에서 g Ü`=( f -1)Ü`=( f Ü`)-1=I-1=I
따라서 gÚ`â`= g, gÚ`Ú`= gÛ`이므로 ( f -1)Ü`‌= f -1½ f -1½ f -1
다른 풀이 =( f ½ f ½ f )-1=( f Ü`)-1

두 함수 f (x), g(x)가 일차함수이므로 gÚ`â`(2)+ gÚ`Ú`(3)‌= g(2)+ gÛ`(3)


f (x)=ax+b (a+0), g(x)=cx+d (c+0) =3+ g(1)
라 하자. =3+2=5 답5

조건 ㈎에서 ( f ½ g½h)(x)=h(x)이므로
BLACKLABEL 특강 풀이 첨삭 
f (ch(x)+d)=h(x)
함수 f (x)의 역함수가 g(x)이고, f ½ f ½ f =I이므로
ach(x)+ad+b=h(x)
( f ½ f )(x)=g(x)이다.
∴ ac=1, ad+b=0 yy㉠ 이때 f (1)=3이면 ( f ½ f )(1)=g(1)이므로 f (3)=g(1)
Ú f (3)=g(1)=1일 때,
조건 ㈏에서 방정식 f (x)=h(x), 즉 h(x)- f (x)=0
f (3)=1, f (1)=1이 되어 함수 f (x)가 정의되지 않는다.
의 두 근이 1, 3이고 h(x)가 xÛ`의 계수가 1인 이차함수이 Û f (3)=g(1)=2일 때,
f (3)=2, f (2)=1이므로 함수 f (x)는 일대일대응을 만족한다.
므로
Ü f (3)=g(1)=3일 때,
h(x)- f (x)=(x-1)(x-3)=xÛ`-4x+3 f (3)=3, f (3)=1이 되어 함수 f (x)가 정의되지 않는다.
Ú, Û, Ü에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함수 f (x)는 f (3)=2, f (2)=1
xÛ`+kx-ax-b=xÛ`-4x+3 이다.
(k-a)x-b=-4x+3
∴ k=a-4, b=-3
b=-3을 ㉠에 대입하면 ad=3 yy㉡
한편, g(x)=cx+d에서 y=cx+d로 놓으면
1
cx=y-d, x= y-
d 30 함수 y= f (x)의 그래프와 그 역함수 y= g(x)의 그래프
c c 는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두 함수 y= f (x),
1 d y= g(x)의 그래프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는 함수
x와 y를 서로 바꾸면 y= x-
c c
y= f (x)의 그래프와 직선 y=x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
1 d
∴ gÑÚ`(x)= x- 이의 2배이다.
c c
d ad 3 이때 함수 y= f (x)의 그래프와 직선 y=x의 교점의 좌
이때 ㉠, ㉡에서 = = =3이므로
c ac 1 표를 구하면
1 3
gÑÚ`(x)= x-3 x<0일 때 x+a=x에서 x=-2a이므로 (-2a, -2a)
c 2

050 | 블랙라벨 수학 (하)


본문 pp. 40~41

1 따라서 ACÓ=BDÓ=5+3=8이므로 사각형 ABCD의 넓


x¾0일 때 x+a=x에서 x=2a이므로 (2a, 2a)
2
이는
따라서 함수 y= f (x)의 그래프와 y y=x
1
2a _8_8=32 답 32
직선 y=x는 오른쪽 그림과 같고, 2
y=f{x} a
두 함수 y= f (x), y= g(x)의 그 -2a
O 2a x BLACKLABEL 특강 필수 개념
래프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가 28
-2a 사각형의 넓이 D
이므로
사각형 ABCD의 두 대각선의 길이가 각
1 1 A
2{ _a_2a+ _a_2a}=28 각 a, b이고 두 대각선이 이루는 각의 크기
2 2 x a
가 x일 때, 넓이 S는 b
4aÛ`=28, aÛ`=7    S= 1 ab`sin`x B C
2
∴ a='7`(∵ a>0) 답 '7

다른 풀이
함수 y= f (x)의 그래프와 그 역함수 y= g(x)의 그래프
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가 28이고, 두 함수 y= f (x),
y= g(x)의 그래프는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32 주어진 함수 y= f (x)의 그래프 y y=f`—!{x}

에서 1
함수 y= f (x)의 그래프와 직선 y=x로 둘러싸인 부분
1 2x (x<0)
의 넓이는 _28=14이다. f (x)=[` -1
2 x (x¾0) O 1 x
1
-
함수 y= f (x)의 그래프와 직선 y=x의 교점의 좌표는 ( 1 x (x<0) 2

(-2a, -2a), (2a, 2a) ∴ f ÑÚ`(x)={` 2


9 x (x¾0)
이므로 두 교점 사이의 거리는
"Ã{2a-(-2a)}Û`+{2a-(-2a)}Û`="Ã32aÛ`=4a'2 ㄱ. ‌f ÑÚ`(5)=5이므로

또한, 점 (0, a)와 직선 y=x, 즉 x-y=0 사이의 거리는 f ÑÚ`( f ÑÚ`(5))= f ÑÚ`(5) (참)

a 1
|-a|
= `(∵ a>0) ㄴ. f ÑÚ`(-2)= _(-2)=-1 (참)
2
"Ã1Û`+(-1)Û` '2
ㄷ. ‌함수 y= f (x)의 그래프와 그 역함수 y= f ÑÚ`(x)의
따라서 함수 y= f (x)의 그래프와 직선 y=x로 둘러싸
그래프의 교점은 함수 y= f (x)의 그래프와 직선
a
인 부분은 밑변의 길이가 4a'2이고 높이가 인 삼각형
'2 y=x의 교점과 같다.
이고 넓이가 14이므로 ‌그런데 x¾0일 때, 함수 y= f (x)의 그래프와 직선
1 a y=x는 일치하므로 교점은 무수히 많다. (거짓)
_4a'2_ =14
2 '2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이다. 답③
2aÛ`=14, aÛ`=7
∴ a='7 (∵ a>0)

33 함수 y= f (x)의 그래프와 그 y
f{x}=x@+
5
4
y=x
역함수 y= f ÑÚ`(x)의 그래프가
직선 y=x에 대하여 서로 대칭
31 점 A의 좌표를 (a, 0) (a>0), y y=f —!{x}
이고, 직선
D{0,`a} A
점 B의 좌표를 (0, b) (b<0) 5 y=f`—!{x}
y=f{x} y=-x+k가 직선 y=x에 대 4
라 하자. C{b,`0} B
O x O 5 x
하여 대칭이므로 두 함수
두 함수 y= f (x), y= f -1(x) A{a,`0} 4 y=-x+k
y= f (x), y= f ÑÚ`(x)의 그래프
의 그래프는 직선 y=x에 대하 y=x
B{0,`b}
가 직선 y=-x+k와 만나서 생기는 두 점 A, B도 직선
여 대칭이므로 점 C의 좌표는
y=x에 대하여 대칭이다.
(b, 0), 점 D의 좌표는 (0, a)이다.
즉, A(a, b)라 하면 B(b, a)이다.
ABÓ='¶34에서 "ÃaÛ`+bÛ`='¶34
5
∴ aÛ`+bÛ`=34  yy㉠ 이때 점 A(a, b)는 함수 f (x)=xÛ`+ 의 그래프 위의
4
BCÓ=5'2에서 "ÃbÛ`+bÛ`=5'2
점이므로
2bÛ`=50, bÛ`=25
5
b=aÛ`+    yy㉠
∴ b=-5 (∵ b<0)  yy㉡ 4
㉠, ㉡에서 aÛ`=9   ∴ a=3 (∵ a>0) 두 점 A, B 사이의 거리는

Ⅱ. 함수와 그래프 | 051


A n s w e r

ABÓ‌="Ã(b-a)Û`+(a-b)Û` 따라서 두 점 A, B 사이의 거리는

¾Ð{ - }2`+{ - }2`='2


="Ã2(b-a)Û` 3 1 1 3

=¾Ð2{aÛ`+ -a}2``(∵ ㉠)
2 2 2 2
5
4 원점과 직선 y=-x+2, 즉 x+y-2=0 사이의 거리는

=¾Ð2{aÛ`-a+ +1}2`
1 |-2|
='2
4 '2

=¾Ð2[{a- }2`+1]2`
1 이므로 삼각형 OAB의 넓이는
2
1
_'2_'2=1
1 2
즉, 선분 AB의 길이는 a= 일 때 최솟값 "Ã2_1Û`='2 를
2
갖는다.
1
a= 을 ㉠에 대입하면
2
1 5 6 3 34 f (x)=|x+1|+|x-a|+|x-1|에서
b= + = = Ú -1Éx<a`(∵ -1<a<1)일 때,
4 4 4 2
1 3 f (x)‌=(x+1)+(-x+a)+(-x+1)
∴ A{ , }
2 2 =-x+2+a
점 A를 지나고 기울기가 -1인 직선의 방정식은 Û aÉxÉ1`(∵ -1<a<1)일 때,
3 1
y- =-{x- } f (x)‌=(x+1)+(x-a)+(-x+1)
2 2
=x+2-a
∴ x+y-2=0
Ú, Û에서
원점과 직선 x+y-2=0 사이의 거리는
-x+2+a (-1Éx<a)
|0+0-2| f (x)=[`
='2
"Ã1Û`+1Û` x+2-a (aÉxÉ1)
따라서 선분 AB의 길이가 최소일 때의 삼각형 OAB의 이때 f (-1)=1+2+a=3+a, f (a)=a+2-a=2,
넓이는 f (1)=3-a이므로 -1ÉxÉ1, -1<a<1일 때, 함수
1 y= f (x)의 그래프는 다음 그림과 같다.
_'2_'2=1 답1
2 f{x}=|x+1|+|x-a|+|x-1|
다른 풀이 {-1, 3+a}
{1, 3-a}
두 함수 y= f (x), y= f ÑÚ`(x)의 그래프가 직선
{a, 2}
y=-x+k와 만나는 두 점 A, B에 대하여 선분 AB의
길이가 최소가 되려면 점 A를 지나면서 기울기가 1인 직
선이 함수 y= f (x)의 그래프와 접해야 한다. -1 a 1 x
이 직선의 방정식을 y=x+a라 하면 방정식 따라서 구하는 최솟값은 x=a일 때 2이다. 답④
5
xÛ`+ =x+a, 즉 4xÛ`-4x+5-4a=0이 중근을 가져 다른 풀이
4
야 하므로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1ÉxÉ1이므로
D f (x)‌=x+1+|x-a|+(-x+1)
=(-2)Û`-4(5-4a)=0에서
4 =|x-a|+2
16a=16   ∴ a=1 이때 -1<a<1에서 x=a가 -1ÉxÉ1에 포함되고,
즉, 직선의 방정식은 y=x+1이고 방정식 |x-a|¾0이므로 함수 f (x)의 최솟값은 x=a일 때 2
1
4xÛ`-4x+1=(2x-1)Û`=0에서 x= 이므로 이다.
2
1 3
A{ , } BLACKLABEL 특강 참고
2 2
두 함수 y=|x-a|+|x-b|, y=|x-a|+|x-b|+|x-c|의
1 3
직선 y=-x+k가 점 A{ , }을 지나므로 그래프는 각각 다음 그림과 같다. (단, a<b<c)
2 2
y=|x-a|+|x-b| y=|x-a|+|x-b|+|x-c|
3 1
=- +k에서 k=2
2 2
  
한편, 두 함수 y= f (x)와 y= f ÑÚ`(x)의 그래프가 직선
y=x에 대하여 서로 대칭이고, 직선 y=-x+k도 직선 a b x a b c x
따라서 y=|x-a|+|x-b|`(a<b) 꼴의 함수는 aÉxÉb일 때
y=x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최솟값 b-a를 갖고, y=|x-a|+|x-b|+|x-c|`(a<b<c)
3 1
B{ , }
꼴의 함수는 x=b일 때 최솟값 c-a를 갖는다.
2 2

052 | 블랙라벨 수학 (하)


본문 p. 41

35 ㄱ. f (x)=[xÛ` ], g(x)=[x]Û`이므로 ∴ 0<xÉ6


f ('2)=[('2)Û` ]=[2]=2, 따라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x의 값은 1, 2, 3, 4,
g('2)=['2  ]Û`=1Û`=1 5, 6이므로 그 합은
∴ f ('2)> g('2) (참) 1+2+3+4+5+6=21 답 21
 가 정수이면 xÛ`도 정수이므로
ㄴ. x
f (x)=[xÛ` ]=xÛ`, g(x)=[x]Û`=xÛ`
따라서 x가 정수이면 f (x)= g(x)이다. (참)
1
ㄷ. ( 반례) x= 일 때,
2 38 ㄱ. ‌함수 y= f (x)의 그래프 y

f { }=[{ }2`]=[ ]=0, g { }=[ ]2`=0


8
1 1 1 1 1 는 오른쪽 그림과 같고,
y=a
2 2 4 2 2 이 그래프와 직선 y=a
a y=f{x}
1 1
∴ f { }= g { } (a>0)의 교점의 x좌표는
2 2
‌|2x-8|=a에서 O 4 8 x
1
그런데 x= 은 정수가 아니다. (거짓)
2 2x-8=-a 또는 2x-8=a
그러므로 옳은 것은 ㄱ, ㄴ이다. 답② 8-a 8+a
∴ x= 또는 x=
2 2
이때 위의 그림의 어두운 부분의 넓이가 16이므로
1 8+a 8-a
{ - }_a=16
36 0<x<1에서 0<nx<n 2 2 2
[nx]는 정수이므로 aÛ`=32   ∴ a=4'2 (∵ a>0) (거짓)
[nx]=0, 1, 2, 3, y, n-1 ㄴ. Ú 0Éx<4일
‌ 때,
nx-[nx]=0에서 nx=[nx]이므로 f (x)=-2x+8이므로 -2x+8=x에서
nx=0, 1, 2, 3, y, n-1 8
3x=8   ∴ x=
1 2 3 n-1 3
∴ x= , , , y, `(∵ 0<x<1)
n n n n Û 4ÉxÉ8일
‌ 때,
두 집합 A, B는 각각 n=3, n=6일 때이므로 f (x)=2x-8이므로 2x-8=x에서
1 2 1 2 3 4 5
A=[ , ], B=[ , , , , ] x=8
3 3 6 6 6 6 6
‌Ú, Û에서 방정식 f (x)=x의 근은
1 3 5
∴ AC;B=B-A=[ , , ] 8
6 6 6 ‌x= 또는 x=8이므로 그 개수는 2이다. (참)
3
따라서 집합 A ;B의 모든 원소의 합은
C

ㄷ. f ( f (x))= f (x)에서 f (x)=t로 놓으면


1 3 5 9 3 3
+ + = =  답 f (t)=t
6 6 6 6 2 2
Ú 0Ét<4일
‌ 때,
BLACKLABEL 특강 참고 8 8
ㄴ에서 t= 이므로 f (x)=
3 3
nx-[nx] 는 nx에서 nx의 정수 부분을 뺀 것이므로 함수 f Ç(x)는
nx의 소수 부분과 같다. 즉, f Ç(x)=0은 nx의 소수 부분의 값이 0 8
|2x-8|= 에서
이므로 nx가 정수일 때이다. 따라서 x는 분모가 n이면서 0과 1 사이 3
의 수이므로 x= 1 , 2 , 3 , y, n-1 이다. 8 8
n n n n 2x-8=- 또는 2x-8=
3 3
8 16
∴ x= 또는 x=
3 3
Û 4ÉtÉ8일
‌ 때,
37 정수 n에 대하여 nÉx<n+1일 때 f (x)=n이고, 모든 ㄴ에서 t=8이므로 f (x)=8
자연수 x에 대하여 x>0이므로 x+4>4 |2x-8|=8에서
1 1 1 1 2x-8=-8 또는 2x-8=8
0< <    ∴ 3<3+ <3+
x+4 4 x+4 4
∴ x=0 또는 x=8
1
∴ f {3+ }=3
x+4 8 16
‌Ú, Û에서 x=0 또는 x= 또는 x= 또는 x=8
3 3
정수 n에 대하여 n-1<xÉn일 때 g(x)=n이므로
이므로 구하는 모든 실근의 합은
1
g{ f {3+ }+ }= g {3+ }=4에서
x x
x+4 6 6 8 16
0+ + +8=16 (거짓)
3 3
x x
3<3+ É4, 0< É1
6 6 따라서 옳은 것은 ㄴ뿐이다. 답②

Ⅱ. 함수와 그래프 | 053


A n s w e r

다른 풀이 ㄴ. nÉx<n+1일 때, [x]=n이므로
ㄴ. ‌오른쪽 그림과 같이 방정식 y f (x)=[x [ x ]]=[nx]
8
f (x)=x의 실근의 개수는 y=x 이때 n>0이므로
함수 y= f (x)의 그래프와 y=f{x} nÉx<n+1에서 nÛ`Énx<nÛ`+n
직선 y=x의 교점의 개수와 ∴ [nx]=nÛ`, nÛ`+1, nÛ`+2, y, nÛ`+n-1
같다. x
따라서 집합 { f (x)|nÉx<n+1}의 원소의 개수는
O 4 8
‌즉, 방정식 f (x)=x의 모든 (nÛ`+n-1)-nÛ`+1=n (참)
실근의 개수는 2이다. (참) ㄷ. -nÉx<-n+1일 때, [x]=-n이므로
ㄷ. ‌방정식 f ( f (x))= f (x)의 실근은 두 함수 f (x)=[x [ x ]]=[-nx]
y= f ( f (x)), y= f (x)의 그래프의 교점의 x좌표와 이때 -n<0이므로
같다. -nÉx<-n+1에서 nÛ`-n<-nxÉnÛ`
f ( f (x)) ∴ [-nx]=nÛ`-n, nÛ`-n+1, nÛ`-n+2, y, nÛ`
=|2 f (x)-8| ‌따라서 집합 { f (x)|-nÉx<-n+1}의 원소의 개
2 f (x)-8 (4É f (x)É8) 수는
=[`
-2 f (x)+8 (0É f (x)<4) nÛ`-(nÛ`-n)+1=n+1 (참)
2|2x-8|-8 (0ÉxÉ2 또는 6ÉxÉ8) 그러므로 ㄱ, ㄴ, ㄷ 모두 옳다. 답⑤
=[`
-2|2x-8|+8 (2<x<6)
( -4x+8 (0ÉxÉ2)
\ 4x-8 (2<x<4)
={`
\ -4x+24 (4Éx<6) STEP
3 1등급을 넘어서는 종합 사고력 문제 p. 42
9 4x-24 (6ÉxÉ8)
01 15 02 2 03 ④ 04 3 05 2
‌즉, 두 함수 y= f ( f (x)), y= f (x)의 그래프는 다 06 6 07 8
음 그림과 같다.
y y=f{x}
8
01 해결단계
y=f{ f{x}} ➊ 단계 x의 값의 범위에 따라 함수 f (x)의 식을 구한다.
각 범위에서 직선의 기울기를 비교하여 함수 y= f (x)의
➋ 단계
그래프의 개형을 파악한 후, a, b 사이의 관계식을 구한다.
O 2å 4 ∫6 8 x 조건을 만족시키는 a, b의 값을 각각 구하여 순서쌍 (a, b)
➌ 단계
의 개수를 구한다.
‌0<x<8에서 두 함수 y= f ( f (x)), y= f (x)의 그
Ú x<-2일 때,
래프의 교점의 x좌표를 각각 a, b (0<a<4<b<8)
f (x)‌=3(-x+1)+ax+4+b(-x-2)
라 하면 방정식 f ( f (x))= f (x)의 모든 실근은
=(a-b-3)x+7-2b
x=0, x=a, x=b, x=8이다.
Û -2Éx<1일 때,
‌이때 두 함수 y= f ( f (x)), y= f (x)의 그래프는 직
f (x)‌=3(-x+1)+ax+4+b(x+2)
선 x=4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a+b-3)x+7+2b
a+b=8
Ü x¾1일 때,
따라서 구하는 모든 실근의 합은
f (x)‌=3(x-1)+ax+4+b(x+2)
0+a+b+8=8+8=16 (거짓)
=(a+b+3)x+1+2b
한편, 각 구간 x<-2, -2Éx<1, x¾1에서의 각 직선
39 해결단계
의 기울기 a-b-3, a+b-3, a+b+3에 대하여
➊ 단계 x¾0일 때와 x<0일 때로 나누어 ㄱ의 참, 거짓을 판단한다. a-b-3<a+b-3<a+b+3
nÉx<n+1일 때, [x[x]]의 값의 개수를 찾아 ㄴ의 참, 거 y
➋ 단계
짓을 판단한다.
이때 한 자리 자연수 a, b에 대하여 y=f{x}

-nÉx<-n+1일 때, [x[x]]의 값의 개수를 찾아 ㄷ의 a+b+3>0이고 함수 f (x)가 일


➌ 단계
참, 거짓을 판단한다.
대일대응이므로 y= f (x)의 그래
-2 O 1 x
ㄱ. x¾0일 때, [x]¾0이므로 x[x]¾0 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아야 한다.
x<0일 때, [x]<0이므로 x[x]>0 즉, x<-2일 때의 직선의 기울기가 양수이어야 하므로
‌즉, f (x)=[x [ x ]]¾0이므로 f (x)=-1인 x는 존 a-b-3>0
재하지 않는다. (참) ∴ a>b+3

054 | 블랙라벨 수학 (하)


본문 pp. 41~42

따라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한 자리 자연수 a, b는 다음과 t-2


x= (∵ a+0)
a

}2`-{
같다.
}-2
t-2 t-2
b=1일 때, a>4이므로 a는 5, 6, 7, 8, 9의 5개 ∴ g(t)={
a a

}2`-{
b=2일 때, a>5이므로 a는 6, 7, 8, 9의 4개
g(x)É0에서 { }-2É0
x-2 x-2
b=3일 때, a>6이므로 a는 7, 8, 9의 3개 a a
b=4일 때, a>7이므로 a는 8, 9의 2개
{
x-2 x-2
+1}{ -2}É0
a a
b=5일 때, a>8이므로 a는 9의 1개
x-2
따라서 구하는 순서쌍 (a, b)의 개수는 -1É É2, -aÉx-2É2a
a
5+4+3+2+1=15 답 15
∴ -a+2ÉxÉ2a+2
다음은 와 같다.
BLACKLABEL 특강 참고

x=-2에서 두 함수

03
y=(a-b-3)x+7-2b, y=(a+b-3)x+7+2b
해결단계
의 함숫값은 -2a+13으로 같다.
x=1에서 두 함수 f (1)=1에서 f ÑÚ`(1)=1이고, 주어진 식의 양변에 a=1,
y=(a+b-3)x+7+2b, y=(a+b+3)x+1+2b ➊ 단계 b=1을 대입하여 f ÑÚ`(2)의 값을 구한 후, 주어진 식의 양
의 함숫값은 a+3b+4로 같다. 변에 a=2, b=2를 대입하여 ㄱ의 참, 거짓을 판단한다.
f (a)=p, f (b)=q라 한 후, 역함수의 성질을 이용하여
➋ 단계
ㄴ의 참, 거짓을 판단한다.

02 해결단계 ➌ 단계
ㄴ을 이용하여 함수 y= f (x)의 그래프와 직선 y=x가 만
나는 점을 찾은 후, ㄷ의 참, 거짓을 판단한다.
ax+2=t로 놓은 후, ( g½ f )(x)=xÛ`-x-2를 t에 대하
➊ 단계
여 정리하고 함수 g(x)를 구한다. f (a+b)= f ÑÚ`(a)+ f ÑÚ`(b)   yy㉠

➋ 단계
➊ 단계에서 구한 함수 g(x)를 이용하여 g(x)É0인 x의 ㄱ. f (1)=1이므로 f ÑÚ`(1)=1
값의 범위를 구한다.
㉠의 양변에 a=1, b=1을 대입하면
➋ 단계에서 구한 x의 값의 범위 안에 정수해가 7개 이상 존
➌ 단계 f (1+1)= f ÑÚ`(1)+ f ÑÚ`(1)
재하도록 하는 자연수 a의 최솟값을 구한다.
f (2)=1+1=2   ∴ f ÑÚ`(2)=2
f (x)=ax+2에서 ax+2=t로 놓으면
㉠의 양변에 a=2, b=2를 대입하면
t-2
x= (∵ a+0)
a f (2+2)= f ÑÚ`(2)+ f ÑÚ`(2)
( g½ f )(x)‌= g( f (x))=xÛ`-x-2에서 ∴ f (4)=2+2=4 (거짓)

}2`-
t-2 t-2 ㄴ. f (a)=p, f (b)=q라 하면
g(t)‌={ -2
a a
f ÑÚ`(p)=a, f ÑÚ`(q)=b
tÛ`-4t+4 t-2
= - -2 ㉠의 양변에 a=p, b=q를 대입하면
aÛ` a
tÛ`-(a+4)t-2aÛ`+2a+4 f (p+q)= f ÑÚ`(p)+ f ÑÚ`(q)=a+b
=
aÛ` ∴ f ÑÚ`(a+b)=p+q= f (a)+ f (b) (참)
xÛ`-(a+4)x-2aÛ`+2a+4 ㄷ. ㄴ에서 f ( f (a)+ f (b))=a+b이므로
∴ g(x)=
aÛ` f (a)=b, f (b)=a이면 f (a+b)=a+b
이때 aÛ`>0이므로 부등식 g(x)É0을 만족시키려면
즉, 함수 y= f (x)의 그래프와 직선 y=x는 점
xÛ`-(a+4)x-2aÛ`+2a+4É0이어야 한다.
(a+b, a+b)에서 만난다. (참)
즉, xÛ`-(a+4)x-(a-2)(2a+2)É0에서
따라서 옳은 것은 ㄴ, ㄷ이다. 답④
{x+(a-2)}{x-(2a+2)}É0
∴ -a+2ÉxÉ2a+2 (∵ a는 자연수)
 위의 x의 값의 범위를 만족시키는 정수해가 7개 이상 존 04 해결단계

재하려면 주어진 함수가 f Á 또는 f ª와 같음을 이용하여 두 함수


➊ 단계
2a+2-(-a+2)+1¾7 f Á, f ª의 조건을 파악한다.
f Á=x 또는 f ª=x인 경우로 나누어 조건을 만족시키는 두
3a¾6   ∴ a¾2 ➋ 단계
일차함수 f Á, f ª를 각각 구한다.
따라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a의 최솟값은 2이다. ➋ 단계에서 구한 두 일차함수 f Á, f ª의 순서쌍 ( f Á, f ª)의
➌ 단계
 답2 개수를 구한다.

다른 풀이 f Á½ f ª= f Á 또는 f Á½ f ª= f ª이므로 두 일차함수 f Á, f ª
( g½ f )(x)= g( f (x))=xÛ`-x-2에서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y=x이어야 한다.
g(ax+2)=xÛ`-x-2 Ú f Á(x)= f ª(x)=x인 경우
ax+2=t로 놓으면 주어진 조건을 모두 만족시킨다.

Ⅱ. 함수와 그래프 | 055


A n s w e r

Û f Á(x)=x, f ª(x)=ax+b (a+0)인 경우 따라서 함수 y= f ( f (x))의 그래프는 [그림 1]과 같다.


f ª( f ª(x))=a(ax+b)+b=aÛ`x+ab+b y y=x y y=x
y=f{x} y=f{f{x}}
‌이 함수가 f Á(x)=x 또는 f ª(x)=ax+b와 일치해 1 1

야 하므로 1 1
2 2
① aÛ`x+ab+b=x에서 aÛ`=1, ab+b=0 
O
aÛ`=1에서 a=1 또는 a=-1 O 1 1 1 x 1 1 1 2 1 x
a=1을 ab+b=0에 대입하면 2b=0   ∴ b=0 3 2 6 3 2 3
1 1 3
그런데 f ª(x)=x가 아니므로 모순이다. 9 4 4
a=-1을 ab+b=0에 대입하면 성립하므로 [그림 1]
f ª(x)=-x+b 이때 f ( f (x))-x=0에서 f ( f (x))=x이고,
f ª(1)=1이므로 -1+b=1   ∴ b=2 f (x)-x+0에서 f (x)+x이므로 집합 A;B의 원소
즉, f ª(x)=-x+2 는 함수 y= f ( f (x))의 그래프와 직선 y=x의 교점이면
② aÛ`x+ab+b=ax+b에서 aÛ`=a, ab+b=b 서 함수 y= f (x)의 그래프와 직선 y=x의 교점이 아닌
aÛ`=a에서 a=1 (∵ a+0) 점의 x좌표이다. -3x+3=x에서 4x=3   ∴ x=
3
4
이것을 ab+b=b에 대입하면 2b=b   ∴ b=0 즉, 함수 y= f ( f (x))의 그래프와 직선 y=x의 교점의
그런데 f ª(x)=x가 아니므로 모순이다. 1 1 3
x좌표는 0, , , 이고, 함수 y= f (x)의 그래프와
Ü f Á(x)=ax+b`(a+0), f ª(x)=x인 경우 4 2 4
1
-3x+1=x에서 4x=1   ∴ x=
4
Û와 같은 방법으로 계산하면 f Á(x)=-x+2이다. 1
직선 y=x의 교점의 x좌표는 0, 이므로
2
Ú, Û, Ü에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두 일차함수 f Á, f ª의
1 3
순서쌍 ( f Á, f ª)의 개수는 (x, x), (-x+2, x), A;B=[ , ]   ∴ n(A;B)=2 답2
4 4
(x, -x+2)의 3이다. 답3

06 해결단계

05 해결단계 1
g(x)=x-[x]- 이라 하고 x의 값의 범위를 나누어 함수
2
➊ 단계
주어진 함수 y= f (x)의 그래프에서 함수 y= f ( f (x))의 y= g(x)의 그래프를 그린다.
➊ 단계
그래프를 그린다.
f (x)=| g(x)|라 하고, 대칭이동을 이용하여 함수
두 집합 A, B의 원소의 조건의 의미를 파악한 후, 집합 ➋ 단계
➋ 단계 y= f (x)의 그래프를 그린다.
A;B를 구하여 n(A;B)의 값을 구한다.
1
두 함수 y= f (x), y= xÛ`의 그래프의 교점의 개수를 이용
4
( 3x 1
{0Éx< }
➌ 단계
1 1
3 하여 방정식 |x-[x]- |= xÛ`의 실근의 개수를 구한다.
|
2 4

f (x)={`-3x+2 { Éx< }에서


1 1
1 1
3 2 f (x)=|x-[x]- |, g(x)=x-[x]- 이라 하자.
| 2 2
1
9 -x+1 { 2 ÉxÉ1}
y

3
( 3 f (x) 1
{0É f (x)< }
-2Éx<-1에서 [x]=-2이므로 g(x)=x+
2
3
| 1
f ( f (x))‌={`-3 f (x)+2 { É f (x)< }
1 1 -1Éx<0에서 [x]=-1이므로 g(x)=x+
2
3 2
| 1
1 0Éx<1에서 [x]=0이므로 g(x)=x-
9 - f (x)+1 { 2 É f (x)É1} 2
3
( 3_3x 1
{0Éx< }
1Éx<2에서 [x]=1이므로 g(x)=x-
2
9
| 5
1 1 2Éx<3에서 [x]=2이므로 g(x)=x-
{ Éx< } 2
|
-3_3x+2
9 6
| -3x+1
y

1 1
{ Éx< }
6 3 즉, 함수 y= g(x)의 그래프는 다음 그림과 같다.
={`
1 1
| -(-3x+2)+1 { 3 Éx< 2 }
y
1
| 1 2 2 y=g{x}
-3(-x+1)+2 { Éx< } … …
2 3
| -3 -2 -1 O 1 2 3 x
2
{ ÉxÉ1}
1
9 3(-x+1) 3
-
2

056 | 블랙라벨 수학 (하)


본문 pp. 42~43

f (x)=|g(x)|이므로 함수 y= f (x)의 그래프는 함수 이때 합성함수 ( f ½ g½ f )(x)=x+2가 일대일대응이


y= g(x)의 그래프에서 y¾0인 부분은 그대로 두고, 므로 함수 f 의 정의역의 원소는 치역의 한 원소에 대응되
y<0인 부분은 x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하여 그린다. 고, f (1)=7, f (5)=9, f (7)=3이므로
y 1
y= x@
f (3)=5
4 
1 즉, f ( g( f (3)))=5에서 g( f (3))=3이므로
2 y=f{x}
… … g(5)=3
-3 -2 -1 O 1 2 3 x
∴ f (3)+ g(5)=5+3=8 답8

1
따라서 두 함수 y= f (x), y= xÛ`의 그래프는 위의 그림
4 BLACKLABEL 특강 풀이 첨삭 

1 1
과 같으므로 방정식 |x-[x]- |= xÛ`의 실근의 개수
Ú f (3)=3일 때,
2 4 f (g( f (3)))= f (g(3))= f (5)=9
Û f (3)=7일 때,
는 6이다. 답6
f (g( f (3)))= f (g(7))= f (7)=3
Ü f (3)=9일 때,
f (g( f (3)))= f (g(9))= f (1)=7
Ú, Û, Ü에서 f (g( f (3)))=5에 모순이므로 f (3)=5이어야 한다.

07 해결단계 서울대 선배들의 강추 문제 1등급 비법 노하우

조건 ㈐에서 f (g( f (x)))=x+2이므로 이 식의 x에 적당한 값을


조건 ㈐의 의미를 파악한 후, f (5)=9를 이용하여 f (7)의
➊ 단계 대입하여 나머지 대응을 모두 찾아야 한다. 이때 조건 ㈎에서
값을 찾는다.
f (5)=9, g(3)=5이므로 f (g( f (x)))=x+2에 x=5를 대입하
조건 ㈏의 의미를 파악한 후, 함수의 정의를 이용하여 거나 f (x)의 값이 3이 되는 x의 값을 미지수로 정하여 대입할 수 있다.
➋ 단계
g(7), f (1)의 값을 찾는다. 한편, 정의역과 공역의 원소의 개수가 같은 두 함수 f `:`A 1Ú`B,
➌ 단계
➊, ➋ 단계에서 구한 함숫값과 조건 ㈎, ㈏를 이용하여 g`:`B 1Ú`A에 대하여 합성함수 ( f ½g½ f )(x)=x+2가 일대일
f (3), g(5)의 값을 찾는다. 대응이므로 두 함수 f , g 도 일대일대응이어야 한다. 만약 함수 f 가
➍ 단계 f (3)+ g(5)의 값을 구한다. 일대일대응이 아니면 정의역의 서로 다른 두 원소 xÁ, xª가 같은 함숫
값을 가질 수 있다. 즉, f (xÁ)= f (xª)이므로 집합 B의 원소 중에서
f ( g( f (x)))=x+2  yy㉠ 합성함수 ( f ½g½ f )(x)=x+2의 함숫값이 될 수 없는 원소가 존
재하고, 합성함수는 일대일대응이 아니다. 마찬가지로 함수 g가 일대
f (k)=3이라 하자.
일대응이 아니면 합성함수 ( f ½g½ f )(x)=x+2는 일대일대응이
x=k를 ㉠에 대입하면 f ( g( f (k)))=k+2 아니다.

f ( g(3))=k+2, f (5)=k+2 (∵ g(3)=5)


f (5)=9이므로 k+2=9
∴ k=7, f (7)=3 yy㉡
한편, 어떤 x<B에 대하여 g(x)=x이고 g(3)=5이므로
g(5)=5 또는 g(7)=7
이때 g(5)=5이면 f (p)=5라 하고, x=p를 ㉠에 대입
하면
f ( g( f (p)))=p+2, f ( g(5))=p+2 이것이 수능 p. 43

f (5)=p+2, p+2=9 (∵ f (5)=9)


1③ 2④ 3 50 4⑤
∴ p=7
그런데 ㉡에서 f (7)=3이므로 모순이다.
즉, g(7)=7 1 해결단계
f (q)=7이라 하고, x=q를 ㉠에 대입하면 f (1)_ f (2)=6을 만족시키는 f (1), f (2)의 값의 경우를
➊ 단계
f ( g( f (q)))=q+2, f ( g(7))=q+2 찾은 후, ㄱ의 참, 거짓을 판단한다.
( f ½ f )(x)=x를 만족시켰을 때의 함수 f (x)의 대응 관
f (7)=q+2 ➋ 단계
계를 찾은 후, ㄴ의 참, 거짓을 판단한다.
㉡에서 f (7)=3이므로 (f½f½f)(x)=x를 만족시키지만 f(b)=b를 만족시키지 않
➌ 단계
3=q+2 는 함수 f(x)의 대응 관계를 찾은 후, ㄷ의 참, 거짓을 판단한다.

∴ q=1, f (1)=7 yy㉢ ㄱ. f (1)_ f (2)=6에서


x=5를 ㉠에 대입하면 f ( g( f (5)))=7 f (1)=2, f (2)=3 또는 f (1)=3, f (2)=2
f ( g(9))=7 이때 함수 f 가 일대일대응이므로
이때 ㉢에서 f (1)=7이므로 ‌f (3), f (4), f (5)는 각각 1, 4, 5 중에서 하나의 값
g(9)=1 을 갖는다.
x=3을 ㉠에 대입하면 f ( g( f (3)))=5 ∴ f (3)+ f (4)+ f (5)=10 (참)

Ⅱ. 함수와 그래프 | 057


A n s w e r

ㄴ. ( f ½ f )(x)=x이므로 f (a)=b`(a+b)라 하면 Ú ‌이차방정식 ㉠은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갖고, 이차방정


( f ½ f )(a)= f ( f (a))=a에서 f (b)=a 식 ㉡은 해를 갖지 않을 때,
‌즉, (f½f)(x)=x를 만족시키는 함수 f는 f(a)=a 1
DÁ=1-4a>0에서 a<
4
또는 f(a)=b, f(b)=a`(a+b)이어야 한다.
17
‌이때 집합 X의 원소가 5개이므로 원소를 두 개씩 짝 Dª=17-4a<0에서 a>
4
지어도 짝 지어지지 않는 원소가 하나 존재한다.
즉, 조건을 만족시키는 a의 값은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 f ½ f )(x)=x이면 f (a)=a인 집합 X의
Û 두 이차방정식 ㉠, ㉡이 각각 중근을 가질 때,
원소 a가 존재한다. (참)
1
DÁ=1-4a=0에서 a=
ㄷ. ‌f (p)=q라 하면 ( f ½ f ½ f )(x)=x가 성립하므로 4
( f ½ f ½ f )(p)‌= f ( f ( f (p)))= f ( f (q)) 17
Dª=17-4a=0에서 a=
4
f (q)=r라 하면 f ( f (q))= f (r)=p
즉, 조건을 만족시키는 a의 값은 존재하지 않는다.
‌즉, ( f ½ f ½ f )(x)=x이면 집합 X의 서로 다른 세
Ü ‌이차방정식 ㉠은 해를 갖지 않고, 이차방정식 ㉡은 서
원소 p, q, r에 대하여 f (p)=q, f (q)=r, f (r)=p
로 다른 두 실근을 가질 때,
인 대응 관계가 성립할 수 있다.
1
‌이때 세 원소 p, q, r를 제외한 남은 두 원소를 s, t라 DÁ=1-4a<0에서 a>
4
하면 집합 X의 원소 p에 대하여 ( f ½ f ½ f )(x)=x
17
Dª=17-4a>0에서 a<
를 만족시키므로 s, t는 ( f ½ f ½ f )(x)=x를 만족 4
시킬 필요가 없다. 즉, f (s)=t, f (t)=s라 하면 집합 1 17
∴ <a<
4 4
X의 세 원소 p, q, r에 대하여 ( f ½ f ½ f )(x)=x를
‌즉, 조건을 만족시키는 정수 a는 1, 2, 3, 4의 4개이다.
만족시키지만 f (b)=b를 만족시키는 집합 X의 원소
Ú, Û, Ü에서 구하는 정수 a의 개수는 4이다. 답④
는 존재하지 않는다. (거짓)
그러므로 옳은 것은 ㄱ, ㄴ이다. 답③ 다른 풀이

f (x)=xÛ`-2x-3=(x-1)Û`-4
에서 이차함수 y= f (x)의 그래프는 직선 x=1에 대하
여 대칭이다.
2 해결단계
f (a)= f (b)라 하면 두 직선 x=a, x=b가 직선 x=1
함수 f (x)에 x 대신에 g(x)를 대입하여 방정식 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➊ 단계 f ( g(x))= f (x)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가 2가 될 조건
a+b
을 파악한다. =1 ∴ b=2-a
2
판별식을 이용하여 주어진 방정식이 서로 다른 두 실근을
➋ 단계
갖도록 하는 a의 값의 범위를 구한다. ∴ f (x)= f (2-x)
➋ 단계에서 구한 a의 값의 범위를 만족시키는 모든 정수 a 따라서 방정식 f ( g(x))= f (x)에서
➌ 단계
의 개수를 구한다.
g(x)=x 또는 g(x)=2-x
f ( g(x))= f (x)에서 다음은 와 같다.
{ g(x)}Û`-2 g(x)-3=xÛ`-2x-3
{ g(x)}Û`-xÛ`-2{ g(x)-x}=0
{ g(x)-x}{ g(x)+x}-2{ g(x)-x}=0
{ g(x)-x}{ g(x)+x-2}=0
∴ g(x)=x 또는 g(x)=-x+2 3 해결단계

 g(x)=x에서 ➊ 단계 함수 f 가 일대일대응임을 파악한다.


조건 ㈎, ㈏를 만족시키고, 함수 f 가 일대일대응이 되도록
xÛ`+2x+a=x ➋ 단계
하는 함숫값을 구한다.
xÛ`+x+a=0 yy㉠ ➋ 단계에서 구한 함숫값을 이용하여
➌ 단계
g(x)=-x+2에서 f (4)_{ f (6)+ f (7)}의 값을 구한다.

xÛ`+2x+a=-x+2 함수 f 는 역함수가 존재하므로 일대일대응이다.


xÛ`+3x+a-2=0  yy㉡ 조건 ㈎에서
두 이차방정식 ㉠, ㉡의 판별식을 각각 DÁ, Dª라 하면 Ú x=1일 때,
DÁ=1-4a, Dª=3Û`-4(a-2)=17-4a f ( f (1))+ f -1(1)=2이고, f ( f (1))<X,
방정식 f ( g(x))= f (x)가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지므 f -1(1)<X이므로
로 두 이차방정식 ㉠, ㉡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도 2이 f ( f (1))= f -1(1)=1
어야 한다. ∴ f (1)=1

058 | 블랙라벨 수학 (하)


본문 p. 43

Û x=2일 때, ㄱ. ‌함수 g(x)의 정의역과 치역이 모두 실수 전체의 집


-1
f ( f (2))+ f (2)=4이고, f ( f (2))<X, 합이고 역함수가 존재하므로 함수 g(x)는 일대일대
-1
f (2)<X이므로 응이다.
-1
f ( f (2))=1, f (2)=3 ‌함수 g(x)가 일대일대응이려면 다음 그림과 같이
또는 f ( f (2))= f -1(2)=2 f (-2)= g(-2)=6, f (1)= g(1)=-3 또는
-1
또는 f ( f (2))=3, f (2)=1 ‌f (-2)= g(-2)=-3, f (1)= g(1)=6
‌f ( f (2))=1이면 f (2)=1이므로 일대일대응이라는 이어야 한다.
조건에 모순이다. y y y y
-1
‌f (2)=1이면 f (1)=2이므로 f (1)=1에 모순이다. 6 6 6 6
-1
즉, f ( f (2))= f (2)=2이므로
f (2)=2 O O
-2 1 -2 x 1 x -2 O 1 -2 xO 1 x
Ü x=6일 때, -3 -3
-3 -3
f (6)+6, f ( f (6))+ f -1(6)=12이고,
y=g{x} y=g{x} y=g{x} y=g{x}
f ( f (6))<X, f -1(6)<X이므로
[그림 1] [그림 2]
f ( f (6))=5, f -1(6)=7
∴ f (-2)+ f (1)=3 (참)
또는 f ( f (6))=7, f -1(6)=5
ㄴ. ‌g(0)=-1, g(1)=-3일 때 함수 y= g(x)의 그래
① ‌f ( f (6))=5, f -1(6)=7인 경우
프는 ㄱ의 [그림 1]과 같으므로
f (7)=6이고 조건 ㈏에서 f (3)+ f (5)=10이므로
f (1)=-3, f (-2)=6, f (0)=-1
f (3)=3, f (5)=7 또는 f (3)=7, f (5)=3
f (x)=axÛ`+bx+c라 하면
 yy㉠
f (0)=c=-1
∴ f (6)=4 또는 f (6)=5
f (1)=a+b+c=-3
f (6)=4이면 f ( f (6))=5에서
f (-2)=4a-2b+c=6
f ( f (6))= f (4)=5이므로 함수 f 가 일대일대응
위의 세 식을 연립하여 풀면
이라는 조건을 만족시킨다.
1 5
a= , b=- , c=-1
f (6)=5이면 f ( f (6))=5에서 2 2
f ( f (6))= f (5)=5이므로 조건 ㉠에 모순이다. 1 5
∴ f (x)‌= xÛ`- x-1
-1 2 2
② ‌f ( f (6))=7, f (6)=5인 경우
1 5 33
f (5)=6이고 조건 ㈏에서 f (3)+ f (5)=10이므로 = {x- }2`-
2 2 8
f (3)=4
5
따라서 곡선 y= f (x)의 꼭짓점의 x좌표는 이다.
f (6)=a라 하면 f ( f (6))=7에서 f (a)=7이므로 2
a=7  (참)
즉, f (6)= f (7)=7이므로 함수 f 가 일대일대응 ㄷ. ‌곡선 y= f (x)의 꼭짓점의 x좌표가 -2이므로
이라는 조건에 모순이다. ‌f (x)=p(x+2)Û`+q (단, p>0, q는 상수)
Ú, Û, Ü에서 f (1)=1, f (2)=2, f (3)=3, 라 할 수 있다.
f (5)=7 (또는 f (3)=7, f (5)=3), f (4)=5, ‌함수 g(x)가 일대일대응이므로 함수 y= g(x)의 그
f (6)=4이므로 함수 f 가 일대일대응을 만족시키려면 래프는 ㄱ의 [그림 2]와 같다.
f (7)=6이어야 한다. 즉, f (-2)=-3, f (1)=6이므로
∴ f (4)_{ f (6)+ f (7)}=5_(4+6)=50 답 50 f (-2)=q=-3
f (1)=9p+q=6
∴ p=1, q=-3
∴ f (x)=(x+2)Û`-3
4 해결단계 따라서 g(0)= f (0)=1이므로
함수 g(x)가 일대일대응임을 이용하여 함수 y= g(x)의 g-1(1)=0 (참)
➊ 단계 그래프의 개형을 파악하고, f (-2), f (1)의 값을 각각 구 그러므로 ㄱ, ㄴ, ㄷ 모두 옳다. 답⑤
하여 ㄱ의 참, 거짓을 판단한다.
g(1)=-3임을 이용하여 함수 y= g(x)의 그래프의 개형을
➋ 단계
파악한 후, 함수 f (x)를 구하여 ㄴ의 참, 거짓을 판단한다.
곡선 y= f (x)의 꼭짓점의 x좌표가 -2임을 이용하여 함
➌ 단계 수 y= g(x)의 그래프의 개형을 파악한 후, 함수 f (x)를
구하여 ㄷ의 참, 거짓을 판단한다.

Ⅱ. 함수와 그래프 | 059


A n s w e r

-2+1 1
04 유리함수 따라서 x=-1일 때 y= = ,
-2-1 3
2+1
x=1일 때 y= =3이므로 구하는 치역은
2-1
STEP
1 출제율 100% 우수 기출 대표 문제 p. 46
1 1
[y|yÉ 또는 y¾3] 답 [y|yÉ 또는 y¾3]
01 ① 02 ⑤
1
03 [y|yÉ 또는 y¾3] 3 3
3
04 7 05 ② 06 ② 07 ④ 08 ③

3x+2 a b c 04 주어진 유리함수의 그래프의 두 점근선의 교점의 좌표가


01 ‌= + +
x(x+1)Û` x x+1 (x+1)Û` (-3, 2)이므로 유리함수의 식을
a(x+1)Û`+bx(x+1)+cx k
= y= +2 (단, k+0)
x+3
x(x+1)Û`
라 할 수 있다.
(a+b)xÛ`+(2a+b+c)x+a
= 이 유리함수의 그래프가 점 (-1, -2)를 지나므로
x(x+1)Û`
위의 등식은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k k
-2= +2, =-4   ∴ k=-8
2 2
a+b=0, 2a+b+c=3, a=2
-8 -8+2(x+3) 2x-2
위의 세 식을 연립하여 풀면 ∴ y‌= +2= =
x+3 x+3 x+3
a=2, b=-2, c=1 따라서 a=2, b=-2, c=3이므로
∴ abc=-4 답① a-b+c=7 답7

다른 풀이
BLACKLABEL 특강 필수 개념
ax+b a(x+c)+b-ac b-ac
항등식 y= = = +a
x+c x+c x+c
⑴ 항등식:주어진 식의 문자에 어떤 값을 대입하여도 항상 참이 되
는 등식
에서 주어진 유리함수의 그래프의 두 점근선의 방정식은
⑵ ‌항등식의 성질:다음 등식이 x에 대한 항등식일 때, x=-c, y=a이고, 두 점근선의 교점의 좌표가
① axÛ`+bx+c=0 HjK a=0, b=0, c=0
② axÛ`+bx+c=a'xÛ`+b'x+c' HjK a=a', b=b', c=c'
(-3, 2)이므로
-c=-3, a=2   ∴ a=2, c=3
2x+b
한편, 유리함수 y= 의 그래프가 점 (-1, -2)를
x+3
1 1 1 지나므로
02 3-
1
=
3-
1
=
3-
x -2+b
1 3x-1 3x-1 -2= , b-2=-4   ∴ b=-2
3- -1+3
x x
∴ a-b+c=2-(-2)+3=7
1 3x-1
= =
3(3x-1)-x 8x-3
3x-1
3x-1 ax+b
즉, = 이므로 a=3, b=-1, c=8 5x 5(x+2)-10 -10
8x-3 cx-3
05 f (x)=
x+2
=
x+2
=
x+2
+5
∴ a+b+c=10 답⑤
이므로 유리함수 y= f (x)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p
만큼, y축의 방향으로 q만큼 평행이동한 그래프의 식은

2x+1 (2x-1)+2 -10


y-q= +5
03 y=
2x-1
=
2x-1 (x-p)+2
2 1 -10
= +1= +1 ∴ g(x)= +5+q
2x-1 1 x-p+2
x-
2 즉, 함수 y= g(x)의 그래프의 두 점근선의 방정식은
이 유리함수의 그래프의 두 점 y x=p-2, y=5+q
2x+1
1 3 y= 함수 y=| g(x)|의 그래프는 함수 y= g(x)의 그래프에
2x-1
근선의 방정식은 x= , y=1
2 서 y¾0인 부분은 그대로 두고, y<0인 부분은 x축에 대
1 1
이므로 -1Éx< 또는 1
하여 대칭이동한 것이다.
2
3 1 즉, 함수 y=| g(x)|의 그래프가 y축에 대하여 대칭이려
1 -1 O1 x
<xÉ1에서 그래프는 오른쪽
2 -1 2 면 다음 그림과 같이 함수 y= g(x)의 그래프의 두 점근선
그림과 같다. 의 방정식이 x=0, y=0이어야 한다.

060 | 블랙라벨 수학 (하)


본문 p. 46

y y=|g{x}| x
1-2x
f Ü`(x)‌= f ( f Û`(x))= f { }=
x
1-2x x
5 1-
1-2x
y=f{x}
x
=
-2 O x 1-3x
`⋮
y=g{x}
x
따라서 p-2=0, 5+q=0이므로 ∴ f n(x)=
1-nx
p=2, q=-5 x ax+b
즉, f 20(x)= = 이므로
∴ p+q=-3 답② 1-20x cx+1
a=1, b=0, c=-20
BLACKLABEL 특강 참고 ∴ a+b+c=-19 답④
유리함수 y= f (x)에 대하여 함수 y
y=| f (x)|의 그래프가 y축에 대하여 y=|f{x}|
대칭이려면 오른쪽 그림과 같이 유리함
수 y= f (x)의 그래프의 점근선이 x=0,
y=0이어야 한다.
O x
08 g( f (x))=x에서 ( g½ f )(x)=x
∴ f (x)= g-1(x)   yy㉠
y=f{x} 
bx+1
이때 y= 이라 하면
cx+2
y(cx+2)=bx+1, (cy-b)x=-2y+1
-2y+1
x=
cy-b
ax-aÛ`+16 a(x-a)+16 16
06 y=
x-a
=
x-a
=
x-a
+a x와 y를 서로 바꾸면
-2x+1 -2x+1
이므로 주어진 유리함수의 그래프의 두 점근선의 방정식 y=    ∴ g -1(x)=
cx-b cx-b
은 x=a, y=a이다.
㉠에서
이때 a>0이므로 주어진 유리함수의 그래프가 좌표평면
-2x+a -2x+1
=
위의 모든 사분면을 지나려면 다음 그림과 같아야 한다. x+1 cx-b
y
y=
16
+a
∴ a=1, b=-1, c=1
x-a
∴ a+b+c=1  답③

a 다른 풀이
y=a
O a x 에서 두 함수 f (x), g(x)는 서로 역함수 관계이다.
-2x+a -2(x+1)+a+2 a+2
f (x)‌= = = -2
x+1 x+1 x+1
x=a
에서 유리함수 y= f (x)의 그래프의 두 점근선의 방정식
즉, x=0일 때의 함숫값이 0보다 작아야 하므로
은 x=-1, y=-2이므로 두 점근선의 교점의 좌표는
16
- +a<0 (-1, -2)이다.
a
a>0이므로 위의 부등식의 양변에 a를 곱하면 점 (-1, -2)와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인 점의 좌표는
-16+aÛ`<0, (a+4)(a-4)<0 (-2, -1)이므로 함수 f (x)의 역함수 g(x)는
∴ 0<a<4 (∵ a>0) a+2 a+2-(x+2) -x+a
g(x)‌= -1= =
x+2 x+2 x+2
따라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a는 1, 2, 3의 3개이다.
bx+1
 답② 이때 g(x)= 이므로
cx+2
a=1, b=-1, c=1
∴ a+b+c=1

x BLACKLABEL 특강 참고
07 f (x)=
1-x
이므로
q
유리함수 y= +r의 그래프에서 두 점근선의 교점의 좌표는
x x-p
1-x
f Û`(x)= f ( f (x))= f { }=
x (p, r)이고 상수 q는 곡선의 모양을 결정한다.
1-x x 역함수 관계인 두 함수의 그래프는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고, 점
1-
1-x (p, r)를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동하면 점 (r, p)이므로 유리함
q q
x 수 y= +r의 역함수는 y= +p이다.
= x-p x-r
1-2x

Ⅱ. 함수와 그래프 | 061


A n s w e r

STEP
2 1등급을 위한 최고의 변별력 문제 pp. 47~50 02 욕조의 부피를 V, 세 수도꼭지 A, B, C에서 매분 나오
는 물의 양을 각각 a, b, c라 하면
01 ④ 02 ④ 03 15 04 ⑤ 05 ②
V V
06 5 07 5 08 ② 09 2 10 ③ =p이므로 a+b=   yy㉠
a+b p
9
11 14 12 13 ② 14 ① 15 ② V V
4 =q이므로 b+c= yy㉡
16 2 17 36 18 ② 19 ④ 20 4 b+c q
21 V V
21 9 22 -2 23 32 24
5
=r이므로 c+a= yy㉢
c+a r
2x `(-3<xÉ3)
25 1, f ÑÚ`(x)= 26 ① 27 ③ V V V
x+3 ㉠+㉡+㉢을 하면 2(a+b+c)= + +
p q r
28 ③
V(pq+qr+rp)
∴ a+b+c=
2pqr

4 a b 따라서 세 수도꼭지 A, B, C를 동시에 사용하여 욕조에


01 ‌= -
n(n+1)(n+2) n(n+1) (n+1)(n+2) 물을 가득 채우는 데 걸리는 시간은
a(n+2)-bn V V 2pqr
= = =  답④
n(n+1)(n+2) a+b+c V(pq+qr+rp) pq+qr+rp
(a-b)n+2a 2pqr
=
n(n+1)(n+2)
위의 등식은 n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165 1 1
a-b=0, 2a=4 03 98
=1+
98
=1+
1+
1
67 67
∴ a=b=2 31
4 2 2
즉, = - 1 1
n(n+1)(n+2) n(n+1) (n+1)(n+2) =1+ =1+
1 1
이므로 1+ 1+
1 1
2+ 2+
 f (1)+ f (2)+ f (3)+y+ f (10) 31 1
6+
5 5
1 1 1 1
=2[{ - }+{ - } 165
1_2 2_3 2_3 3_4 이므로 f { }=1+1+2+6+5=15 답 15
98
1 1 1 1
+{ - }+y+{ - }]
3_4 4_5 10_11 11_12 다른 풀이
1 1
=2{ - } mk
=ak+ m
1 a m +nk+1
= k k+1
1_2 11_12 nk k+1 mk+1
65 65 nk+1
=2_ =
132 66  (단, k는 음이 아닌 정수이고, m¼=m, n¼=n)
따라서 m=66, n=65이므로 이라 하면
m+n=131 답④ mk+1=nk,
ak=(mk를 nk로 나누었을 때의 몫),
다른 풀이
nk+1=(mk를 nk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
4
f (n)‌= 이것을 이용하여 aÇ을 구하면
n(n+1)(n+2)
4 1 165=98_1+67에서
= _
n+1 n(n+2) m1 98
a¼=1, =
4 1 1 1 n1 67
= _ { - }
n+1 2 n n+2 98=67_1+31에서
1 1
]
m2 67
=2[- aÁ=1, =
n(n+1) (n+1)(n+2) n2 31
다음은 와 같다. 67=31_2+5에서
m3 31
aª=2, =
BLACKLABEL 특강 필수 개념 n3 5
31=5_6+1에서
부분분수
m4 5
분모가 세 식의 곱인 경우의 부분분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한다. a£=6, = 이므로
1 1 1 1
n4 1
= { - }
ABC C-A AB BC a¢=5
1 1 1 1 1 1 1
[증명] ‌= _ = _ { - }
165
∴ f{ }‌=a¼+aÁ+aª+a£+a¢
ABC B AC B C-A A C
=
1
{
1
-
1
} 98
C-A AB BC
=1+1+2+6+5=15

062 | 블랙라벨 수학 (하)


본문 pp. 47~48

1 b+c c+a a+b


04 ㄱ. ‌‌x+ =-1에서 x+0이므로 양변에 x를 곱하여 정
x
∴ ‌
a
+
b
+
c
리하면 b c c a a b
= + + + + +
a a b b c c
xÛ`+x+1=0
={ + }+{ + }+{ + }
a a b b c c
1 1 xÛ`+x+1
∴ 1+ + 2 = =0 (참) b c a c a b
x x x2
=-3 (참)
1
ㄴ. x+ =-1에서
x ㄷ. (a-b)Û`+(b-c)Û`+(c-a)Û`
1 1 =aÛ`-2ab+bÛ`+bÛ`-2bc+cÛ`+cÛ`-2ca+aÛ`
xÛ`+ ‌={x+ }Û`-2=(-1)Û`-2=-1
x2 x
=2(aÛ`+bÛ`+cÛ`-ab-bc-ca)
4 2
∴ ‌2xÛ`+4x-3+ + 2 =2(aÛ`+bÛ`+cÛ`) (∵ ab+bc+ca=0)
x x
이므로
1 1
=2 {xÛ`+ 2 }+4 {x+ }-3
x x aÛ`+bÛ`+cÛ` aÛ`+bÛ`+cÛ`
=
=2_(-1)+4_(-1)-3 (a-b)Û`+(b-c)Û`+(c-a)Û` 2(aÛ`+bÛ`+cÛ`)
1
=-9 (참) = (거짓)
2
1 1 1
ㄷ. ‌x3n+2+x3n+1+x3n+ + +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이다. 답②
x3n x3n+1 x3n+2
1 1 1
=x3n(xÛ`+x+1)+ 3n {1+ + 2 }
x x x
1 4x+k 4(x-2)+k+8 k+8
=x3n_0+ 3n _0 (∵ ㄱ)
x 06 y=
x-2
=
x-2
=
x-2
+4
=0 (참) 이므로 주어진 유리함수의 그래프의 두 점근선의 방정식
따라서 ㄱ, ㄴ, ㄷ 모두 옳다. 답⑤ 은 x=2, y=4이다.
다른 풀이 이때 aÉxÉ1에서 최댓값이 y 4x+k
y=
x-2
1 5
ㄷ. x+ =-1에서 x+0이므로 xÛ`+x+1=0 로 4보다 작으므로 주어진
x 2 4

양변에 x-1을 곱하면 (x-1)(xÛ`+x+1)=0 유리함수의 그래프는 오른쪽 5


2
xÜ`-1=0   ∴ xÜ`=1 그림과 같아야 한다. 1
O 1 2 x
1 1 1 x=1일 때 최솟값 1을 가지므로
∴ ‌x3n+x3n+1+x3n+2+ + +
x3n x3n+1 x3n+2 4+k
=1, 4+k=-1
1 1 1-2
=1+x+xÛ`+1+ +
x xÛ` 4x-5
∴ k=-5   ∴ y=
=0 (∵ ㄱ) (참) x-2
5 4a-5 5
x=a일 때 최댓값 를 가지므로 =
2 a-2 2
8a-10=5a-10, 3a=0   ∴ a=0
1 1 1 bc+ca+ab
05 + + =
a b c abc
=0에서 ∴ a-k=0-(-5)=5 답5

ab+bc+ca=0
a b c
ㄱ. + +
(a+b)(a+c) (b+c)(b+a) (c+a)(c+b) x-4 (x-a)+a-4 a-4
a(b+c)+b(c+a)+c(a+b)
07 y=
x-a
=
x-a
=
x-a
+1이므로 이 유리
= 함수의 그래프의 두 점근선의 방정식은 x=a, y=1이고,
(a+b)(b+c)(c+a)
2(ab+bc+ca) -ax+1 -a(x-2)-2a+1 -2a+1
=0 (∵ ab+bc+ca=0) y= = = -a이
= x-2 x-2 x-2
(a+b)(b+c)(c+a)
므로 이 유리함수의 그래프의 두 점근선의 방정식은
 (참)
x=2, y=-a이다.
1 1 1
ㄴ. a+0, b+0, c+0이므로 + + =0의 양변에 그런데 0<a<2이면 네 점근 y x=2 x=a
a b c
a a a a 선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 1
a를 곱하면 1+ + =0   ∴ + =-1 y=1
b c b c 는 18보다 작으므로 오른쪽 그 x
O 2 a
b b b b
b를 곱하면 +1+ =0   ∴ + =-1 림과 같이 a>2이어야 한다.
a c a c
이때 넓이는 18이므로 -a
c c c b y=-a
c를 곱하면 + +1=0   ∴ + =-1 (a-2)(1+a)=18에서
a b a c

Ⅱ. 함수와 그래프 | 063


A n s w e r

aÛ`-a-2=18, aÛ`-a-20=0 즉, 두 점근선의 방정식이 x=2, y=1이므로


(a+4)(a-5)=0   ∴ a=5`(∵ a>2) 답5 bx+c b(x+a)+c-ab c-ab
f (x)= = = +b에서
x+a x+a x+a
BLACKLABEL 특강 참고 -a=2, b=1   ∴ a=-2, b=1
x+c
유리함수 y= ax+b 의 그래프의 점근선은 분모 cx+d가 0이 될 때 또한, 유리함수 f(x)= 에 대하여 f(3)=3이므로
cx+d x-2
의 x의 값, 즉 - d 와 분모, 분자의 x의 계수의 비, 즉 a 가 결정한 3+c
c c =3, 3+c=3   ∴ c=0
다. 이를 알면 점근선을 쉽게 구할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유리함수의 3-2
그래프를 쉽게 그릴 수 있다. 2
즉, f (x)= +1이므로 이 유리함수의 그래프의 두
x-2
점근선의 방정식은 x=2, y=1이고, 점 (0, 0)을 지난다.
y
따라서 -1ÉxÉ1에서 유리 y=f{x}
-4x+7 -2(2x-3)+1 함수 y= f (x)의 그래프는 오 3
08 y=
2x-3
=
2x-3 1
른쪽 그림과 같으므로 1 3
;2!; x=-1일 때 1
1
= -2= -2 -1 O 2 3 x
2x-3
x-;2#; 최댓값 M=
-1 1
= , -1
-1-2 3
에서 주어진 유리함수의 그래프의 두 점근선의 방정식은
1
x=1일 때 최솟값 m= =-1을 갖는다.
3 1-2
x= , y=-2이므로 두 점근선의 교점의 좌표는
2
1
∴ 3M-m=3_ -(-1)=2 답2
3 3
{ , -2}이다.
2
다른 풀이
이때 직선 y=ax+b는 기울기가 a=Ñ1이고, 두 점근선
bx+c
3 유리함수 f (x)= 의 그래프가 점 (2, 1)에 대하여
의 교점 { , -2}를 지나야 하므로 방정식은 x+a
2
k
3 7 1 대칭이므로 유리함수의 식을 f (x)= +1 (k+0)
y=Ñ{x- }-2에서 y=x- 또는 y=-x- x-2
2 2 2
이라 할 수 있다.
7 1
∴ a=1, b=- 또는 a=-1, b=- k
2 2 이때 유리함수 f (x)= +1이 f (3)=3을 만족시키
x-2
49
‌ `+4bÛ`=1+4_
∴ aÛ =50 또는 므로 f (3)=k+1=3   ∴ k=2
4
1 2
aÛ`+4bÛ`=1+4_ =2 ∴ f (x)= +1
4 x-2
따라서 aÛ`+4bÛ`의 값이 될 수 있는 수는 ② 50이다. 답 ② 다음은 와 같다.

BLACKLABEL 특강 참고

유리함수 y= k `(k+0)의 그래프의 대칭성을 이용하여 유리함수


x 10 ㄱ. 0<a<b인
‌ 두 실수 a, b에 y

| x1 -1|
k
y=
x-p
+q의 그래프의 대칭성을 생각할 수 있다. 대하여 f (a)= f (b)가 성립 f{x}=

유리함수 y= k 의 그래프는 두 직선 y=x, y=-x에 대하여 각각 하므로 오른쪽 그림과 같이


x
1
대칭이고, 유리함수 y= k +q`(k+0)의 그래프는 유리함수 a<1<b이고, x>1일 때
x-p
k 0< f (x)<1이므로 O 1 a1 b x
y= 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p만큼, y축의 방향으로 q만큼 평
x 2
행이동한 것이다.
0< f (b)<1 (참)
1 1 1
따라서 유리함수 y= k +q`(k+0)의 그래프는 두 직선 y=x,
x-p ㄴ. |‌ -1|=1에서 x= 이므로 <a<1, b>1이다.
x 2 2
y=-x를 각각 x축의 방향으로 p만큼, y축의 방향으로 q만큼 평행
이동한 두 직선 y=(x-p)+q, y=-(x-p)+q에 대하여 각각  (거짓)
대칭이다. 1 1 1-a
ㄷ. ‌f (a)=| -1|= -1= ,
a a a
1 1 b-1
f (b)=| -1|=1- = (∵ ㄴ)이므로
b b b

09 x+-a인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다항함수가 아닌 유리함 f (a) f (b)=


1-a b-1
a
_
b
bx+c
수 y= 가 f (2-x)+ f (2+x)=2를 만족시키므 (a-1)(b-1)
x+a =- (참)
ab
로 이 유리함수의 그래프는 점 (2, 1)에 대하여 대칭이다.
f(a-x)+f(a+x)=2b : 함수 y=f(x)의 그래프는 점 (a, b)에 대하여 대칭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답③

064 | 블랙라벨 수학 (하)


본문 p. 48

11 조건 ㈎에서
12 y=
x+1 (x-1)+2
x-1
=
x-1
=
2
x-1
+1
-x+2 (-3Éx<0)
f (x)=[` 이 유리함수의 그래프의 두 점 y x+1
x+2 (0ÉxÉ3) y=
x-1
근선의 방정식은 x=1, y=1
조건 ㈏에서 x-3=x '으로 놓으면 3
이므로 2É x É3에서 그래프 2
f (x ')= f (x '+6) 1
따라서 조건 ㈎, ㈏를 모두 만족시키는 함수 y= f (x)의 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1
O 1 2 3 x
그래프는 다음 그림과 같다. 한편, -1

y y‌=axÛ`-2ax+a+1
5 y=f{x}
=a(x-1)Û`+1,
y=bxÛ`-2bx+b+1=b(x-1)Û`+1이므로 두 이차함수
2
의 그래프의 꼭짓점의 좌표는 모두 (1, 1)이다.
-9 -6 -3 O 3 6 9 x
y
Ú a=0일 때,
ax 3
‌y= =0이므로 함수 y= f (x)의 그래프와 직선 2
x-3
y=0은 서로 만나지 않는다. -1 1
O 1 2 3 x
Û a+0일 때, y=
x+1 -1
x-1
ax a(x-3)+3a 3a
‌y= = =a+ 이므로 이 유
x-3 x-3 x-3 주어진 부등식이 2ÉxÉ3에서 항상 성립하도록 하는 상
리함수의 그래프의 두 점근선의 방정식은 x=3, y=a 수 a의 값은 위의 그림의 Ú과 같이 이차함수
이고 이 그래프는 항상 점 (0, 0)을 지난다. y=a(x-1)Û`+1의 그래프가 점 (3, 2)를 지날 때 최대

‌a<0일 때, 두 함수 y= f (x), y=
ax
의 그래프는 이고, b의 값은 Û와 같이 이차함수 y=b(x-1)Û`+1의
x-3
그래프가 점 (2, 3)을 지날 때 최소이다.
다음 그림과 같이 한 점에서 만나므로 조건을 만족시
즉, y=a(x-1)Û`+1에 x=3, y=2를 대입하면
키지 않는다.
1
y 2=a(3-1)Û`+1, 2=4a+1   ∴ a= =M
5 y=f{x} 4
y=b(x-1)Û`+1에 x=2, y=3을 대입하면
2 3=b(2-1)Û`+1, 3=b+1   ∴ b=2=m
-9 -6 -3 O 3 6 9 x 1 9 9
y=a ∴ M+m= +2=  답
ax 4 4 4
y=
x-3
x=3 BLACKLABEL 특강 참고

ax 부등식을 이용하여 a, b의 값의 범위를 구할 수도 있다.


‌따라서 두 함수 y= f (x), y= 의 그래프가 무
x-3 2ÉxÉ3이므로 x-1>0
수히 많은 점에서 만나려면 a>0이어야 하고, 유리함 x+1 (x-1)+2 2
y= = = +1에서
x-1 x-1 x-1
ax 2
수 y= 의 그래프가 다음 그림과 같아야 한다. a(x-1)Û`+1É +1Éb(x-1)Û`+1
x-3 x-1
2
y a(x-1)Û`É Éb(x-1)Û`
x-1
ax
y= x-3 위의 식의 양변을 (x-1)Û`으로 나누면 aÉ 2
Éb yy㉠
(x-1)Ü`
y=f{x} 5 또한, 2ÉxÉ3에서 1Éx-1É2이므로
1 1
1É(x-1)Ü`É8, É É1
y=a 8 (x-1)Ü`
1 2
2 ∴ É É2 yy㉡
4 (x-1)Ü`
-6 -3 O 3 6 9 12 x 2ÉxÉ3에서 ㉠이 항상 성립하려면 ㉡을 포함해야 하므로
1
aÉ , b¾2
4

x=3

ax
‌즉, 유리함수 y= 의 그래프의 점근선 y=a가 1 1 1 RÁRª
x-3
13 = +
R RÁ Rª
을 정리하면 R=
RÁ+Rª
함수 y= f (x)의 그래프와 만나야 하므로
주어진 그림의 전기회로도에서 총 저항의 크기는
2ÉaÉ5
10(x-3) 15x+5
Ú, Û에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정수 a는 2, 3, 4, 5이므 R‌= +5=
10+(x-3) x+7
로 그 합은 15(x+7)-100 100
= =- +15
2+3+4+5=14 답 14 x+7 x+7

Ⅱ. 함수와 그래프 | 065


A n s w e r

100 Ü k<0일 때, y


∴ f (x)=- +15
x+7
‌두 곡선 y= f (x), -k y=g{x}
이때 5ÉxÉ13에서
y= g(x)는 오른쪽 그림과
R= f (x)의 그래프는 오 R
같으므로 두 곡선의 교점 중 O 1 x
른쪽 그림과 같으므로 k y=f{x}
x좌표가 양수인 점의 개수
20
ÉRÉ10 15 R=15 는 1이다.
3
20 10 Ú, Û, Ü에서
따라서 구하는 치역은 R=f{x}
3 1 (kÉ0)
20
[R| ÉRÉ10] 답 ② -7 O5 13 x h(k)=[`
3 x=-7 2 (k>0)
이때 연속하는 세 정수 k, k+1, k+2에 대하여
h(k)+h(k+1)+h(k+2)=4를 만족시키려면
h(k)=h(k+1)=1, h(k+2)=2이어야 한다.
14 점 P(1, 2)를 x축의 방향으로 a만큼 평행이동시킨 점이
Q, y축의 방향으로 b만큼 평행이동시킨 점이 R이므로 즉, kÉ0, k+1É0, k+2>0이어야 하므로

Q(a+1, 2), R(1, b+2) -2<kÉ-1

이때 삼각형 OQR의 넓이를 S라 하면 따라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정수 k의 값은 -1이다. 답 ②

S=△OPQ+△PQR+△OPR
1 1 1 2x+1 -2(-x+3)+7 7
= _a_2+ _a_b+ _b_1
2 2 2 16 y=
-x+3
=
-x+3
=-
x-3
-2
1
= (ab+2a+b)=4 이므로 이 유리함수의 그래프의 두 점근선의 방정식은
2
1 1
에서 ab+2a+b=8 x=3, y=-2이고, x절편은 - , y절편은 이다.
2 3
(a+1)b=8-2a 2x+1 2x+1
함수 y=| |의 그래프는 유리함수 y= 의
8-2a -2(a+1)+10 10 -x+3 -x+3
∴ b= = = -2
a+1 a+1 a+1 그래프에서 y¾0인 부분은 그대로 두고, y<0인 부분을
따라서 순서쌍 (a, b)가 나타내는 b
8 x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것이므로 다음 그림과 같다.
10
자취는 유리함수 b= -2
a+1 b=
10
a+1
-2
y
y=|-x+3
2x+1
|
(a>0, b>0)의 그래프이므로 오른 -1
쪽 그림과 같다. 답① O 4 a
-2 2 y=2
1
y=1
1 O 1 3 x
-
2 3
15 함수 y= f (x)의 그래프의 두 점근선의 방정식은
2x+1
x=0, y=k Ú ‌함수 y=| |의 그래프와 직선 y=1의 교점의
-x+3
함수 y= g(x)의 그래프의 두 점근선의 방정식은 개수는 2이므로 N(1)=2
x=1, y=-k 2x+1
Û ‌함수 y=| |의 그래프와 직선 y=0의 교점의
k의 값의 범위에 따라 두 곡선 y= f (x), y= g(x)는 다 -x+3

음과 같다. 개수는 1이므로 N(0)=1


2x+1
Ú k>0일 때, y Ü ‌함수 y=| |의 그래프와 직선 y=2의 교점의
-x+3
‌두 곡선 y= f (x), y=f{x}
k 개수는 1이므로 N(2)=1
y= g(x)는 오른쪽 그림과
O ∴ N(1)-N(0)+N(2)=2-1+1=2 답2
같으므로 두 곡선의 교점 중 -k 1 x

x좌표가 양수인 점의 개수 y=g{x}

는 2이다. 17 오른쪽 그림과 같이 도형 y xy-2x-2y=k


Û k=0일 때, y xy-2x-2y=k와 직선 8
P
‌두 곡선 y= f (x), x+y=8의 두 교점 P, Q의 x좌 M
y= g(x)는 오른쪽 그림과 y=g{x} 표를 각각 a, b`(a<b)라 하자. Q
1
같으므로 두 곡선의 교점 중 O x y=8-x를 x y-2x-2y=k에
y=f{x} O = > 8 x
x좌표가 양수인 점의 개수 대입하여 정리하면 x+y=8

는 1이다. xÛ`-8x+(k+16)=0 yy㉠

066 | 블랙라벨 수학 (하)


본문 pp. 48~49

방정식 ㉠의 두 근이 a, b이므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 y

의 관계에 의하여 a+b=8, ab=k+16 |2x|-2


y=
|x+1| 2
이때 ab=14이므로 k=-2 -1

-3
도형 xy-2x-2y=-2는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 O 1 x
므로 선분 PQ의 중점을 M이라 하면 OÕM⊥
Ó PQÓ이다. -2

PQÓ}2`
y=k{x+3}-4 -4
1
∴ OPÓ_OQÓ=OPÓ Û`=OÕMÓ Û`+{
2
Ú 직선 y=k(x+3)-4가 점 (-1, 2)를 지나는 경우
|-8|
이때 OÕMÓ= =4'2이고, P(a, 8-a),
'Ä1+1 2=2k-4, 2k=6   ∴ k=3
Q(b, 8-b)이므로 Û ‌직선 y=k(x+3)-4가 점 (-1, -2)를 지나거나
PQÓ="Ã2(a-b)Û`="Ã2{(a+b)Û`-4ab}=4 유리함수 y=-
4
+2 (x¾0)의 그래프와 접하
x+1
∴ OPÓ_OQÓ=32+4=36 답 36
는 경우
다른 풀이 1
직선 y=k(x+3)-4가 점 (-1, -2)를 지나면
에서 k=-2이므로 이것을 ㉠에 대입하면 -2=2k-4, 2k=2   ∴ k=1
xÛ`-8x+14=0   ∴ x=4Ñ'2 4
‌직선 y=k(x+3)-4가 유리함수 y=- +2의
∴ P(4-'2, 4+'2), Q(4+'2, 4-'2) x+1
Û
∴ OPÓ_OQÓ=OPÓ `=(4-'2)Û `+(4+'2)Û`=36 4
그래프와 접하면 방정식 k(x+3)-4=- +2
x+1
다른 풀이 2
가 오직 하나의 근을 가져야 하므로 이 방정식의 양변
에서 k=-2이므로 이것을 ㉠에 대입하면 에 x+1을 곱하면
xÛ`-8x+14=0 k(x+1)(x+3)-4(x+1)=-4+2(x+1)
이 이차방정식의 두 근이 a, b이므로 kxÛ`+4kx+3k-4x-4=-4+2x+2
aÛ`-8a+14=0, bÛ`-8b+14=0  yy㉡ kxÛ`+2(2k-3)x+3k-2=0
∴ OPÓ
‌ _OQÓ ‌k+0이므로 이 이차방정식이 중근을 가져야 하고, 판
="ÃaÛ`+(8-a)Û`"ÃbÛ`+(8-b)Û` 별식을 D라 하면
="Ã2aÛ`-16a+64 "Ã2bÛ`-16b+64 D
=(2k-3)Û`-k(3k-2)=0
="Ã2(aÛ`-8a+14)+36 "Ã2(bÛ`-8b+14)+36 4
='3Œ6'3Œ6 (∵ ㉡) kÛ`-10k+9=0, (k-1)(k-9)=0
=36 ∴ k=1 또는 k=9
‌그런데 직선 y=k(x+3)-4가 x¾0에서 유리함수
|2x|-2 4
18 y‌=
|x+1| y=-
x+1
+2의 그래프와 접해야 하므로 k=1
-2x-2
( (x<-1) ‌따라서 직선 y=k(x+3)-4가 점 (-1,-2)를 지나
-(x+1)
| 4
거나 유리함수 y=- +2 (x¾0)의 그래프와
={`
-2x-2 x+1
(-1<x<0)
x+1
| 접하는 경우는 같은 직선이므로
9 2x-2 (x¾0) k=1
x+1
(2 (x<-1) Ú, Û에서 실수 k의 값의 범위는 1<kÉ3 답②

={`
-2 (-1<x<0)

9 - 4 +2 (x¾0) 1 2
x+1
19 직선 y=-x+4가 두 함수 y= , y= 의 그래프와
x x
4
에서 유리함수 y=- +2의 그래프는 두 점근선의 방 제 1 사분면에서 만나는 점 중에서 y축에 가까운 점을 다
x+1
정식이 x=-1, y=2이고 x절편이 1, y절편이 -2이다. 음 그림과 같이 각각 P(xÁ, yÁ), Q(xª, yª)라 하자.
또한, 직선 y=kx+3k-4, 즉 y=k(x+3)-4`(k+0) y 1
y=
x
는 k의 값에 관계없이 항상 점 (-3, -4)를 지난다. 4
P{x¡, y¡}
Q{x™, y™}
|2x|-2
따라서 함수 y= 의 그래프와 직선
|x+1|
y=k(x+3)-4의 교점이 존재하지 않으려면 다음 그림 y=
2
x
과 같이 직선 y=k(x+3)-4가 직선 Ú이거나 두 직선
O 4 x
Ú과 Û 사이에 있어야 한다. y=-x+4

Ⅱ. 함수와 그래프 | 067


A n s w e r

1 2 1
}, C{a, }이고, k>1이므로
k
ㄱ. 주어진
‌ 그래프에서 yÁ>yª이므로 > B{ka,
xÁ xª a a
이때 xÁ>0, xª>0이므로 위의 부등식의 양변에 k 1 k-1
ABÓ=ka-a=a(k-1), ACÓ= - =
a a a
xÁxª를 곱하면 xª>2xÁ (거짓)
1
‌ 점 P(xÁ, yÁ), Q(xª, yª)를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
ㄴ. 두 ∴ △ABC= _ABÓ_ACÓ
2
이 y=-x+4이므로 직선 PQ의 기울기는 -1이다.
1 k-1
= _a(k-1)_
yÁ-yª 2 a
즉, =-1에서 yÁ-yª=-(xÁ-xª)
xÁ-xª
1
= (k-1)Û`
∴ yÁ-yª=xª-xÁ (참) 2
ㄷ. 원점
‌ O에서 두 점 P(xÁ, yÁ), Q(xª, yª)를 각각 지나 1
즉, (k-1)Û`=32이므로 (k-1)Û`=64
2
는 직선의 기울기를 비교하면
yÁ-0 yª-0 yÁ yª k-1=Ñ8   ∴ k=9 (∵ k>1) 답9
> , >
xÁ-0 xª-0 xÁ xª 단계 채점 기준 배점
∴ xª yÁ>xÁ yª (∵ xÁ>0, xª>0) 점 A의 좌표를 이용하여 두 점 B, C의 좌표를 각각
㈎ 20%
나타낸 경우
이 부등식의 양변에 xÁ yª를 각각 더하면
㈏ 두 선분 AB, AC의 길이를 각각 구한 경우 30%
xÁ yª+xª yÁ‌>xÁ yª+xÁ yª ㈐ 삼각형 ABC의 넓이를 이용하여 k의 값을 구한 경우 50%
=2xÁ yª
>2xÁ xª (∵ yª>xª)
∴ xÁ yª+xª yÁ>2xÁ xª (참) x-1 (x+2)-3 3
따라서 옳은 것은 ㄴ, ㄷ이다. 답④ 22 y=
x+2
=
x+2
=-
x+2
+1

이므로 주어진 유리함수의 그래프의 두 점근선의 방정식


1
은 x=-2, y=1이고, x절편은 1, y절편은 - 이다.
2
2x+2 2(x-1)+4 4
20 y=
x-1
=
x-1
=
x-1
+2에서 주어진 유리
따라서 중심이 (-2, 1)인 원과 유리함수 y=
x-1
의그
x+2
함수의 그래프의 두 점근선의 방정식은 x=1, y=2이므
래프를 좌표평면 위에 나타내면 다음 그림과 같다.
로 두 점근선의 교점 A의 좌표는 (1, 2)이다.
y
한편, 두 직선 x=1, y=mx-2m의 교점 B의 좌표는 {x™,`y™}
(1, -m)이고, 두 직선 y=2, y=mx-2m의 교점 C의 x-1
y=
2 x+2
좌표는 {2+ , 2}이다.
{x¡,`y¡} 1 y=1
m O
-2 x
{x¢,`y¢}
이때 삼각형 ABC의 넓이를 S라 하면
1 2
S= {2+ -1}{2-(-m)}
y x=-2 {x£,`y£}
2 m
1 2 A 한편, 유리함수의 그래프는 두 점근선의 교점에 대하여
= {1+ }(2+m) 2 C
2 m S x-1
대칭이므로 주어진 유리함수 y= 의 그래프는
1 4 O1 2 x x+2
= {2+m+ +2} y=
2x+2
2 m x-1 B 점 (-2, 1)에 대하여 대칭이다.
1 4 xÁ+x¢ yª+y£
= {4+m+ } y=mx-2m 즉, =-2, =1이므로
2 m 2 2
4 xÁ+x¢=-4, yª+y£=2
이때 m>0, >0이므로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
m
xÁ+x¢ -4
∴ = =-2 답 -2
에 의하여 yª+y£ 2
1 4
S¾ {4+2®Ém_ }`(단, 등호는 m=2일 때 성립) 다른 풀이
2 m
x-1 (x+2)-3 3
1 y= = =- +1
= _(4+4)=4 x+2 x+2 x+2
2
3
따라서 삼각형 ABC의 넓이의 최솟값은 4이다. 답4 에서 주어진 유리함수의 그래프는 유리함수 y=- 의
x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y축의 방향으로 1만
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1
21 제 1 사분면에 있는 유리함수 y= 의 그래프 위의 점 A
x
또한, 주어진 원을 C라 하고, 원 C를 x축의 방향으로 2
만큼, y축의 방향으로 -1만큼 평행이동시킨 원을 C'이
1
의 좌표를 {a, } (a>0)이라 하면 두 점 B, C는
a 라 하자.

068 | 블랙라벨 수학 (하)


본문 pp. 49~50

x-1
원 C와 유리함수 y= 의 그래프의 네 교점의 좌표 ;2K;
x+2 k
y= (x+6), y= (x+6)
가 각각 (xÁ, yÁ), (xª, yª), (x£, y£), (x¢, y¢)이므로 원 2-(-6) 16
∴ kx-16y+6k=0
3
C'과 유리함수 y=- 의 그래프는 네 점에서 만나고 그
x 이때 원점과 직선 l 사이의 거리가 2이므로
좌표는 각각 (xÁ+2, yÁ-1), (xª+2, yª-1), |6k|
=2
(x£+2, y£-1), (x¢+2, y¢-1)이다. "ÃkÛ`+(-16)Û`
y kÛ`+256=9kÛ`, 8kÛ`=256   ∴ kÛ`=32 답 32
{x™+2, y™-1}
C' 다른 풀이

{x¡+2, y¡-1} x 직선 l과 함수 y= f (x)의 그래프가 만나는 점 중에서 점


3 O
y=- {x¢+2, y¢-1} B가 아닌 점을 Q(a, b)라 하자.
x
두 삼각형 PBA, PQO는 합동이고, Sª=2SÁ이므로
{x£+2, y£-1}
PBÓ=QPÓ=CQÓ
y y=f{x}
3
한편, 원 C'과 유리함수 y=- 의 그래프는 각각 두 직
x
A
선 y=x, y=-x, 원점에 대하여 모두 대칭이므로 네 교 B l
k
Q{a, b}
점도 직선 y=x 또는 y=-x 또는 원점에 대하여 대칭 2
P
이어야 한다. 2
두 점 (xÁ+2, yÁ-1), (x¢+2, y¢-1)이 원점에 대하여 C R O S x

대칭이므로
이때 두 점 Q, P에서 x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각 R, S
xÁ+2=-(x¢+2)   ∴ xÁ+x¢=-4
라 하면 △CQR»△CPS이고 닮음비가 1`:`2이다.
또한, 두 점 (xª+2, yª-1), (x£+2, y£-1)이 원점에
k k
대하여 대칭이므로 QRÓ`:`PSÓ=1`:`2에서 b`:` =1`:`2   ∴ b=
2 4
yª-1=-(y£-1)   ∴ yª+y£=2
즉, 점 Q의 좌표는 {a, }이고, 점 Q가 함수 y= f (x)
k
xÁ+x¢ -4 4
∴ = =-2
yª+y£ 2
k k k
의 그래프 위에 있으므로 = +
4 a-2 2
k k
=- , a-2=-4   ∴ a=-2
a-2 4

∴ Q {-2, }
k
23 점 C의 좌표를 (c, 0)이라 하고, 직선 l과 함수 y= f (x)
4
의 그래프가 만나는 점 중에서 점 B가 아닌 점을 Q라 하자.
즉, 직선 l은 두 점 P {2, }, Q {-2, }를 지나므로
k k
두 삼각형 PBA, PQO는 합동이고, Sª=2SÁ이므로 2 4
PBÓ=QPÓ=CQÓ 이 직선의 방정식은
y y=f{x}
;2K;-;4K;
k k k
y- = (x-2), y- = (x-2)
A 2 2-(-2) 2 16
k B l
∴ kx-16y+6k=0
2
Q P 다음은 와 같다.

C O 2 x

즉, 점 Q는 선분 PC의 중점이므로 Q { , }
c+2 k
2 4
이때 점 Q가 함수 y= f (x)의 그래프 위에 있으므로 24 해결단계

k k k 1 2 1 k
원 xÛ`+yÛ`=nÛ`과 곡선 y= 의 대칭성을 이용하여 네 교점
= + , = + x
4 c+2 2 4 c-2 2 ➊ 단계
-2 의 좌표를 미지수로 표현한다.
2
네 교점을 이어 만든 직사각형의 긴 변의 길이가 짧은 변의
2 1 ➋ 단계
=- , c-2=-8   ∴ c=-6 길이의 2배임을 이용하여 방정식을 세운다.
c-2 4
➊ 단계에서 구한 교점이 원 xÛ`+yÛ`=nÛ` 위의 점임을 이용하
➌ 단계
∴ C(-6, 0) 여 방정식을 세운다.
➋, ➌ 단계에서 세운 방정식을 연립하여 k의 값, 즉 f (n)을
직선 l은 두 점 C(-6, 0), P {2, }를 지나므로
k ➍ 단계
2 n으로 표현한 후, f (1)+ f (2)+ f (3)의 값을 구한다.

Ⅱ. 함수와 그래프 | 069


A n s w e r

k 함수 f (x)가 역함수를 갖기 위해서는 함수 f (x)가 일대


원 xÛ`+yÛ`=nÛ`과 곡선 y= 가 두 직선 y=x, y=-x에
x
일대응이어야 하므로 함수 f (x)는 x의 값이 증가할 때 y
대하여 각각 대칭이므로 원과 곡선의 교점은 서로 직선
의 값이 증가하거나 감소해야 한다.
y=x 또는 y=-x에 대하여 대칭이다.
따라서 함수 f (x)의 역함수가 존재하기 위한 x의 값의
즉, 다음 그림과 같이 네 점의 좌표를
범위는 xÉ1이다. 즉, a의 최댓값은 1이다.
{a, }, { , a}, {-a, - }, {- , -a}
k k k k
3x
a a a a 또한, 이때의 역함수는 y= 에서 y(2-x)=3x
2-x
{단,
k
 >a>0} 2y
a (3+y)x=2y, x=
y+3
라 할 수 있다.
x와 y를 서로 바꾸면
y
{
a,
k
a } y=
2x
x+3
k
{ ka , a} y=
x ∴ f -1(x)=
2x
`(-3<xÉ3)
x+3
O x
{- ka , -a}  답 1, f ÑÚ`(x)=
2x
x+3
`(-3<xÉ3)
x@+y@=n@
{-a, - ka }
직사각형의 긴 변의 길이가 짧은 변의 길이의 2배가 되려면

2¾Ð{a- }2`+{ -a}2`=¾Ð{a+ }2`+{ +a}2`


k k k k
a a a a 26 방정식 ( g½ f )(x)= g( f (x))=1이므로 함수 g(x)의
정의에 의하여 f (x)는 정수이어야 한다.
2'2|a- |='2|a+ |
k k
a a 6x+12 3(2x-1)+15
f (x)‌= =
2x-1 2x-1
2{ -a}=a+ {∵ >a>0}
k k k
a a a 15
= +3
2x-1
2k k k
-2a=a+ , =3a   ∴ k=3aÛ`   yy㉠
a a a 15
에서 f (x)의 값이 정수가 되려면 가 정수이어야
2x-1
한편, 점 {a, }는 원 xÛ`+yÛ`=nÛ` 위에 있으므로
k
a 하고, 자연수 x에 대하여 2x-1은 자연수이므로 2x-1

aÛ`+{ }2`=nÛ`
k 은 15의 양의 약수이다.
a
2x-1=1, 3, 5, 15
㉠을 위의 식에 대입하면
∴ x=1, 2, 3, 8
9aÝ` nÛ`
aÛ`+ =nÛ`, 10aÛ`=nÛ`   ∴ aÛ`= 따라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x의 개수는 4이다.
aÛ` 10
 답①
위의 식을 ㉠에 대입하면
3
k= nÛ`= f (n)
10
3 12 27 21 21
∴ f (1)+ f (2)+ f (3)‌= + + = 
10 10 10 5

5 27 b+4이면 함수 f -1(x)의 역함수 f (x)가 존재한다.
4x-8
유리함수 f (x)= 의 역함수는
2x+b
-bx-8
f -1(x)=
2x-4
( f ½ f )(a)=a에서 f (a)= f -1(a)이므로
3x
25 f (x)=
1+|x-1|
에서
4a-8 -ab-8
=
2a+b 2a-4
3x 3x
x¾1일 때, f (x)= = =3
1+x-1 x (4a-8)(2a-4)=(2a+b)(-ab-8)
3x 3x 6 (8+2b)aÛ`+(bÛ`-16)a+8b+32=0
x<1일 때, f (x)= = =- -3
1-x+1 2-x x-2
2(b+4)aÛ`+(b-4)(b+4)a+8(b+4)=0
이므로 함수 y= f (x)의 그래프는 다음 그림과 같다.
∴ 2aÛ`+(b-4)a+8=0 (∵ b+-4)   yy㉠
y
y=3`{x 1} 이때 조건을 만족시키는 실수 a가 단 1개 존재한다고 하
3
였으므로 이차방정식 ㉠의 판별식을 D라 하면
O
3x 1 x D=(b-4)Û`-4_2_8=0에서
y= {x<1}
2-x (b-4)Û`=64, b-4=Ñ8
-3 ∴ b=12`(∵ b+-4)

070 | 블랙라벨 수학 (하)


본문 pp. 50~51

이것을 ㉠에 대입하면 f ¢(x)‌=( f Á½ f Á½ f Á½ f Á)(x)


2aÛ`+8a+8=0, aÛ`+4a+4=0 =(( f Á½ f Á)½( f Á½ f Á))(x)
(a+2)Û`=0   ∴ a=-2 =( f ª½ f ª)(x)= f ª( f ª(x))
∴ a+b=(-2)+12=10 답③ x-1 1
-1 -
x x 1
= = =
x-1 x-1 1-x
x x
f ¤(x)‌=( f Á½ f Á½ f Á½ f Á½ f Á½ f Á)(x)
=(( f Á½ f Á½ f Á½ f Á)½( f Á½ f Á))(x)
28 해결단계
=( f ¢½ f ª)(x)= f ¢( f ª(x))
함수 f Á(x)의 역함수를 g(x)라 하고, g( f Ç*Á(x))의 식을 1 1
➊ 단계 = = =x
구한다. x-1 1
1-
f £¤(x)= f ¤(x)임을 이용하여 f Ç(x)=x가 되도록 하는 x x
➋ 단계
n의 값을 구한다. 따라서 자연수 k에 대하여
➌ 단계 함수 g(x)의 식을 구한 후, f ª¥(x)의 식을 구한다.
f ¤(x)= f Áª(x)=y= f 6k(x)이므로
g(x)를 함수 f Á(x)의 역함수라 하면 1
f ª¥(x)= f 6_4+4(x)= f ¢(x)=
f Á½ g= g½ f Á=I (I는 항등함수)이므로 1-x
g( f Ç*Á(x))‌= g( f Á( f Ç(x)))
=( g½ f Á)( f Ç(x))
= f Ç(x) (n=1, 2, 3, y)
f 36(x)= f 6(x)이므로 STEP
3 1등급을 넘어서는 종합 사고력 문제 p. 51
( g½ g½ g½ g½ g½ g)( f 36(x))= f 30(x)에서
01 9 02 5 03 5 04 85 05 46
( g½ g½ g½ g½ g½ g)( f 6(x))= f 30(x)
06 3 07 444
이때 ( g½ g½ g½ g½ g½ g)( f 6(x))=x이므로
f 30(x)=x
∴ f 28(x)=( g½ g)( f 30(x))=( g½ g)(x) 01 해결단계

한편, g(x)는 함수 f Á(x)의 역함수이고, 2


곡선 y= 가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임을 이용하여 두
➊ 단계 x
2x-1
f Á(x)= 이므로 점 A, B의 좌표를 나타낸다.
x+1
➋ 단계 ∠ABC=90ù임을 이용하여 점 C의 좌표를 나타낸다.
2g(x)-1
f Á( g(x))=x에서 =x ACÓ=2'5이고 점 A가 직선 y=-x+k 위에 있음을 이
g(x)+1 ➌ 단계
용하여 kÛ`의 값을 구한다.
2 g(x)-1=x{ g(x)+1}, (2-x) g(x)=x+1
2
x+1 f (x)= 라 하면 함수 y= f (x)의 그래프의 두 점근선
∴ g(x)= x
2-x
g(x)+1 2
의 방정식은 x=0, y=0이므로 곡선 y= 는 직선 y=x
∴ f ª¥(x)‌=( g½ g)(x)= x
2-g(x)
에 대하여 대칭이다.
x+1
+1 2
2-x 1 곡선 y= 와 직선 y=-x+k가 제 1 사분면에서 만나는
= =  답③ x
x+1 1-x
2-
2-x 2
점 A의 좌표를 {a, } (a+'2)라 하면 점 B의 좌표는
다른 풀이 a
2
f n+1‌= f Á( f n(x))=( f Á½ f n)(x) { , a}이다.
a
=( f Á½( f Á½ f n-1))(x)
∠ABC=90ù이므로 다음 그림과 같이 점 C는 제 3 사분
=( f Á½ f Á½( f Á½ f n-2))(x)
면 위에 있다.
⋮ 2
y=
=( f Á½ f Á½y½ f Á)(x) y x
A a,{2
} y=x
(
|
|
{
\
|
|
9

(n+1)개 a
\[

2x-1
f Á(x)= 에서
x+1 B{ a2 , a }
f ª(x)=( f Á½ f Á)(x)= f Á( f Á(x)) O x
2x-1 3x-3
2_ -1 y=-x+k
x+1 x+1 x-1 C
= = = y=-x
2x-1 3x x
+1
x+1 x+1

Ⅱ. 함수와 그래프 | 071


A n s w e r

2 1 1 1
점 C의 좌표를 {c, } (c+-'2)라 하면 직선 BC의 기 {-1+ }+{1- }=2{1- } (∵ 0<k<1)
c k 3k 2k
울기는 1이므로 5 5
=2   ∴ k=
3k 6
;c@;-a
-a 따라서 서로 다른 세 양수근의 합은
= =1   ∴ c=-a
c
c-;a@; 5
k+2k+3k=6k=6_ =5 답5
6
2
즉, 점 C의 좌표는 {-a, - }이다. 다른 풀이
a
ACÓ=2'5에서 ACÓ Û`=20이므로 ( 1 -1 (0<x<1)
x
y=|1- |={
1
2 2
{a-(-a)}Û`+[ -{- }]Û`=20 x 1
9 1- x (x¾1)
a a
16 4
4aÛ`+ =20   ∴ aÛ`+ =5 1
aÛ` aÛ` 함수 y=|1- |의 그래프와 직선 y=ax+b가 x>0에
x
2
이때 점 A {a, }는 직선 y=-x+k 위에 있으므로 서 세 교점을 가지고, 교점의 x좌표의 값의 비가 1`:`2`:`3
a
2 2 이므로 그래프를 그리면 다음 그림과 같다.
=-a+k   ∴ k=a+
a a y 1
y= -1
x
2 4
∴ kÛ`={a+ }Û`=aÛ`+ +4=5+4=9 답9
a aÛ`
y=h{x}
1 y=1
1
O y=1-
x
1 3k x
k
2k

1
02 해결단계 함수 y= -1의 그래프와 직선 y=ax+b의 교점의
x
x-1 1
( g½ f )(x)=h(x)에 f (x)=
x
, g(x)=|x|, x좌표가 k이므로 방정식 -1=ax+b, 즉
➊ 단계 x
h(x)=ax+b를 대입하여 x에 대한 방정식을 구한다.
➊ 단계에서 구한 방정식의 서로 다른 세 양수근의 비가
axÛ`+(b+1)x-1=0의 근이 k이다.
➋ 단계
1`:`2`:`3임을 이용하여 세 근을 미지수로 표현한다. ∴ akÛ`+(b+1)k-1=0   yy㉠
1
두 함수 y=|1- |과 y=ax+b의 그래프를 그린 후, 세 1
➌ 단계 x 또한, 함수 y=1- 의 그래프와 직선 y=ax+b의 두
근의 차가 각각 같음을 이용하여 방정식을 세운다.
x
➌ 단계에서 구한 방정식을 풀어 세 근을 찾은 후, 그 합을 1
➍ 단계 교점의 x좌표가 2k, 3k이므로 방정식 1- =ax+b,
구한다. x
즉 axÛ`+(b-1)x+1=0의 두 근이 2k, 3k이다.
1
f (x)=1- , g(x)=|x|, h(x)=ax+b이므로
x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1 1
( g½ f )(x)=h(x)에서 |1- |=ax+b
b-1
2k+3k=- , 2k_3k=
x a a
1 1 5
방정식 |1- |=ax+b의 세 양수근을 k, 2k, 3k라 하 ∴ a= , b=- +1
x 6kÛ` 6k
1
면 함수 y=|1- |의 그래프와 직선 y=ax+b가 세 점
위의 식을 ㉠에 대입하면
x
1 5
_kÛ`+{- +1+1}_k-1=0
에서 만나야 하므로 그래프는 다음 그림과 같아야 한다. 6kÛ` 6k
y 1 5 10 5
|
y= 1-
1
x | - +2k-1=0, 2k=    ∴ k=
6 6 6 6
따라서 세 양수근의 합은
y=ax+b 5
1 y=1 k+2k+3k=6k=6_ =5
6
O
1 2k 3k x
k

1
03 해결단계
이때 0<k<1이고 F(x)=|1- |이라 하면 세 교점은 f (x)+q를 새로운 함수로 지정하고 두 점근선의 방정식을
x ➊ 단계
구한다.
모두 한 직선 위에 있고, k와 3k의 중점이 2k이므로
주어진 조건 ㈎, ㈏를 모두 만족시키는 두 실수 xÁ, xª가 존
➋ 단계
F(k)와 F(3k)의 중점이 F(2k)이어야 한다. 즉, 재할 조건을 찾는다.
F(k)+F(3k) ➋ 단계에서 구한 조건을 만족시키는 q의 값의 범위를 찾은
=F(2k), F(k)+F(3k)=2F(2k) ➌ 단계
2 후, 양의 정수 q의 최솟값을 구한다.

072 | 블랙라벨 수학 (하)


본문 p. 51

h(x)= f (x)+q라 하면 g(x)=|h(x)| 35 5


함수 y= f (x)의 그래프가 점 { , }에 대하여 대칭이
2 2
3x-1 3(x+1)-4 4
f (x)= = =- +3
x+1 x+1 x+1 므로 함수 y= f (x)의 그래프 위의 두 점
에서 유리함수 y= f (x)의 그래프의 두 점근선의 방정식 35 35 35 35
{ -a, f { -a}}, { +a, f { +a}}
2 2 2 2
이 x=-1, y=3이므로 함수 y=h(x)의 그래프의 두 점
35 5
근선의 방정식은 x=-1, y=3+q이다. 의 중점이 점 { , }이어야 한다. 즉,
2 2
이때 함수 y=h(x)의 그래프가 -1<x<0에서 증가하
35 35
f{ -a}+ f { +a}
고, 두 조건 ㈎, ㈏를 만족시키는 두 실수 xÁ, xª가 존재하 2 2 =;2%;이므로
2
려면 직선 y=3과 만나야 한다.
35 35
y
f{ -a}+ f { +a}=5
2 2
y=|h{x}| 35
y=3+q 위의 식에 a 대신 -x를 대입하여 정리하면
2

3
y=3 f (x)+ f (35-x)=5
위의 식에 x=1, 2, y, 17을 대입하면
-1 O x f (1)+ f (34)‌= f (2)+ f (33)=y= f (17)+ f (18)
x=-1 =5
즉, 함수 y=|h(x)|의 그래프가 위의 그림과 같아야 하 ∴ ‌f (1)+ f (2)+ f (3)+y+ f (34)
므로 ={ f (1)+ f (34)}+{ f (2)+ f (33)}+
h(0)>3에서 q-1>3  y+{ f (17)+ f (18)}
∴ q>4 =5_17=85 답 85
따라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양의 정수 q의 최솟값은 5이다.
 답5

05 해결단계

점 P의 좌표를 (x, y)라 하고, PAÓ Û``+PBÓ Û`을 x, y에 대한


➊ 단계
식으로 나타낸다.
➊ 단계의 결과를 k라 하고, 이 식이 원의 방정식임을 파악
➋ 단계
04 해결단계 한 후, k가 최솟값을 갖기 위한 조건을 찾는다.
원과 주어진 유리함수의 그래프의 접점을 찾은 후, k의 값
➊ 단계 두 직선 y=x-15, y=-x+20의 교점을 구한다. ➌ 단계
을 구한다.
유리함수 y= f (x)의 그래프가 두 직선 y=x-15,
4
y=-x+20에 대하여 대칭임을 이용하여 유리함수 유리함수 y= +2`(x>3) 위의 한 점을 P(x, y)라
➋ 단계
y= f (x)의 그래프가 ➊ 단계에서 구한 점에 대하여 대칭임 x-3
을 파악한다. 하면 두 점 A(4, 0), B(0, 2)에 대하여
유리함수 y= f (x)의 그래프에서 대칭인 두 점 사이의 관 Û
➌ 단계 PAÓ `=(x-4)Û `+yÛ`, PBÓ Û`=xÛ`+(y-2)Û`
계식을 구한다.
➌ 단계에서 구한 관계식을 이용하여 ∴ PAÓ Û`+PBÓ Û`=2xÛ`+2yÛ`-8x-4y+20
➍ 단계
f (1)+ f (2)+ f (3)+y+ f (34)의 값을 구한다. 2xÛ`+2yÛ`-8x-4y+20=k yy㉠
두 직선 y=x-15, y=-x+20의 교점의 x좌표를 구하면 k-10
라 하면 (x-2)Û`+(y-1)Û`=
2
x-15=-x+20 , 2x=35
즉, 점 P는 중심이 점 (2, 1)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35 35 5
∴ x= , y= -15=
2 2 2 ®É k-10 인 원 위에 있고, 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최소일
2
35 5
즉, 두 직선의 교점의 좌표는 { , }이고 유리함수
2 2 때 k의 값도 최소이다.
y= f (x)의 그래프가 두 직선 y=x-15, y=-x+20 이때 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4
y y= +2
x-3
에 대하여 각각 대칭이므로 유리함수 y= f (x)의 그래프 최소이려면 점 P는 오른쪽 y=x-1

35 5 그림과 같이 원과 유리함수의 {3, 2} P


의 두 점근선의 방정식은 x= , y= 이다. 2B
2 2 그래프가 접하는 점에 위치하
1 A
y=f{x}
여야 한다. O 2 34 x
{35
2
+=, f`
35
2 {
+= }} 원의 중심 (2, 1)과 주어진
유리함수의 그래프의 두 점근
5
y= 선의 교점 (3, 2)를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2

{ 35
2 {
-=, f`
35
2
-= }} x=
35 y-1= 2-1 (x-2), 즉 y=x-1 yy㉡
2 3-2

Ⅱ. 함수와 그래프 | 073


A n s w e r

4
이고, 유리함수 y= 4 +2의 그래프가 위의 직선에 대 P'{a, }`(a>0)라 하면
x-3 a
하여 대칭이므로 점 P는 직선 ㉡과 주어진 유리함수의 그 PAÓ Û`+PBÓ Û`‌=PÕ'A'Ó Û`+PÕ'B'Ó Û`

=(a-1)Û`+{ +2}2`+(a+3)Û`+{ }2`


래프의 교점이다. 4 4
a a
4
㉡을 y= +2에 대입하면
x-3 32 16
=2aÛ`+4a+ + +14
aÛ` a
4 4
x-1= +2, x-3=
16 4
}+4{a+ }+14
x-3 x-3
=2{aÛ`+ yy㉣
aÛ` a
(x-3)Û`=4, x-3=Ñ2
16 4
∴ x=5`(∵ x>3), y=4 이때 a>0에서 aÛ`>0, >0, >0이므로 산술평균과
aÛ` a
즉, 점 P의 좌표는 (5, 4)이므로 ㉠에서
기하평균의 관계에 의하여
k=50+32-40-16+20=46
16 16
aÛ`+ ¾2®ÉaÛ`_ =8 (단, 등호는 a=2일 때 성립),
따라서 구하는 최솟값은 46이다. 답 46 aÛ` aÛ`
4 4
다른 풀이 1 a+ ¾2®Éa_ =4 (단, 등호는 a=2일 때 성립)
a a
선분 AB의 중점을 M이라 하면
따라서 ㉣에서 구하는 최솟값은
4+0 0+2
M{ , }   ∴ M(2, 1) 16 4
2 2 PAÓ Û`+PBÓ Û`‌=2{aÛ`+ }+4{a+ }+14
aÛ` a
삼각형 PBA에서 중선정리에 의하여
¾2_8+4_4+14=46
Û
PAÓ `+PBÓ Û
`=2(AÕ Û
MÓ `+PÕ Û
MÓ `)
이때 A(4, 0), M(2, 1)이므로
Û =(2-4)Û`+(1-0)Û`=5
AÕMÓ `‌
Û Û Û Û Û 최솟
즉, PAÓ `+PBÓ `=2(5+PÕ
MÓ `)이므로 PAÓ `+PBÓ `의 06 해결단계
값은 PÕM의
Ó 값이 최소일 때이다. ➊ 단계 함수 y= f (x)의 그래프를 그린다.
4 ➊ 단계에서 그린 함수 y= f (x)의 그래프를 이용하여 함수
한편, 유리함수 y= +2의 그래프의 두 점근선의 교 ➋ 단계
x-3 y= g(a)의 그래프를 그린다.
점의 좌표가 (3, 2)이므로 이 유리함수의 그래프는 점 ➌ 단계 두 집합 A와 B가 나타내는 도형을 파악한다.
n(A;B)=1이 되도록 하는 모든 양의 실수 r의 값을 구
(3, 2)를 지나고 기울기가 1인 직선에 대하여 대칭이다. ➍ 단계
한 후, 그 합을 구한다.
이 직선의 방정식을 구하면
( 1-x (x>0)
y-2=x-3   ∴ y=x-1 yy㉢ x
점 M이 직선 ㉢ 위에 있으므로 PÕM의
Ó 최솟값은 점 P가 f (x)‌={
1-x
직선 ㉢과 주어진 유리함수의 그래프의 교점일 때이다. 9 -x (x<0)
4 ( 1 -1 (x>0)
두 함수 y= +2, y=x-1의 그래프의 교점을 구하면 x
={
x-3
4 1
x-1=
x-3
+2, xÛ`-4x+3=4+2x-6 9 1- x (x<0)
xÛ`-6x+5=0, (x-1)(x-5)=0 이므로 함수 y= f (x)의 그래프는 다음 그림과 같다.
∴ x=5 (∵ x>3), y=4 y y=f{x}

Û
즉, P(5, 4)이므로 PÕMÓ `=(5-2)Û `+(4-1)Û`=18
따라서 구하는 최솟값은 1
y=1
Û
PAÓ `+PBÓ Û`=2(5+PÕMÓ Û`)=2_(5+18)=46
O x
다른 풀이 2 y=-1
-1

4 4 이때 방정식 f (x)=a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는 두 함


유리함수 y= +2의 그래프는 유리함수 y= 의 그
x-3 x
수 y= f (x), y=a의 그래프의 교점의 개수와 같고, 이
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3만큼, y축의 방향으로 2만큼 평
값이 g(a)이므로 함수 y= g(a)의 그래프는 다음 그림
행이동한 것이다.
과 같다.
4
f (x)= `(x>0)라 하고, 세 점 A, B, P를 x축의 방향 y
x
y=g{a}
으로 -3만큼, y축의 방향으로 -2만큼 평행이동한 점을 2
1
각각 A', B', P'이라 하면 A'(1, -2), B'(-3, 0)이고,
4 -1 O 1 a
점 P'은 함수 f (x)= 위에 있다.
x

074 | 블랙라벨 수학 (하)


본문 pp. 51~52

한편, n(A;B)=1이 되려면 함수 y= g(a)의 그래프 a, b, c는 모두 8보다 작은 음이 아닌 정수이므로 순서쌍


와 원 aÛ`+(y-1)Û`=r가 한 점에서 만나야 하므로 원은 (a, b, c)의 전체 경우의 수는
다음 그림과 같이 Ú 또는 Û의 경우와 같아야 한다. 8_8_8=512
y ac
b- =0, 즉 2b=ac를 만족시키는 순서쌍 (a, b, c)
2
 y=g{a}
2
의 개수를 구하면
Œ
1 b=0일 때, ac=0이므로 순서쌍 (a, c)는
-1 O 1 a (0, 0), (1, 0), y, (7, 0),
(0, 1), (0, 2), y, (0, 7)의 15개
Ú 원 aÛ`+(y-1)Û`=r가 점 (1, 1)을 지나므로 b=1일 때, ac=2이므로 순서쌍 (a, c)는
r=1 (1, 2), (2, 1)의 2개
Û 원 aÛ`+(y-1)Û`=r가 점 (-1, 0)을 지나므로 b=2일 때, ac=4이므로 순서쌍 (a, c)는
1+1=r   ∴ r=2 (1, 4), (2, 2), (4, 1)의 3개
Ú, Û에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모든 양의 실수 r의 값의 b=3일 때, ac=6이므로 순서쌍 (a, c)는
합은 1+2=3 답3 (1, 6), (2, 3), (3, 2), (6, 1)의 4개
b=4일 때, ac=8이므로 순서쌍 (a, c)는
(2, 4), (4, 2)의 2개
07 해결단계
b=5일 때, ac=10이므로 순서쌍 (a, c)는
➊ 단계 함수 y= f (x)의 식을 변형하여 분자의 차수를 낮춘다.
(2, 5), (5, 2)의 2개
계수의 부호에 따라 함수 y= f (x)의 그래프를 그린 후, 함
➋ 단계
수 f (x)가 일대일함수인지 상수함수인지 파악한다. b=6일 때, ac=12이므로 순서쌍 (a, c)는
➋ 단계에서 나눈 기준에 따라 함수 f (x)가 일대일함수가 (2, 6), (3, 4), (4, 3), (6, 2)의 4개
➌ 단계 되도록 하는 순서쌍 (a, b, c)의 개수와 상수함수가 되도록
하는 순서쌍 (a, b, c)의 개수를 구한 후, 그 차를 구한다. b=7일 때, ac=14이므로 순서쌍 (a, c)는
(2, 7), (7, 2)의 2개
a ac ac
(2x+c)+b- b-
ax+b 2 2 2 a ac
f (x)‌= = =
‌ + 즉, b- =0을 만족시키는 순서쌍 (a, b, c)의 개수는
2x+c 2x+c 2x+c 2 2
ac 15+2+3+4+2+2+4+2=34
Ú b- <0일 때,
2
따라서 함수 f (x)가 상수함수가 되도록 하는 순서쌍
‌함수 y= f (x)의 그래프의 y
(a, b, c)의 개수는 n=34이고, 일대일함수가 되도록 하
c
점근선은 두 직선 x=- , a 는 순서쌍 (a, b, c)의 개수는 m=512-34=478이므로
2 y=
2 m-n=444 답 444
a
y= 이므로 오른쪽 그림과
2 O x
y=f{x}
BLACKLABEL 특강 참고
같고, 함수 f (x)는 일대일함 c
x=-
2 px+q
수이다. 함수 y= 는 계수 p, q, r, s의 값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할
rx+s
ac 수 있다.
Û b- =0일 때,
2 ⑴ p+0, r=0이면 일차함수이다.
⑵ r+0, ps-qr=0이면 상수함수이다.
a
‌f (x)= 이므로 함수 y= f (x)는 상수함수이다. ⑶ r+0, ps-qr+0이면 분수함수이다.
2
이때 일차함수와 분수함수는 일대일함수이므로 주어진 함수
ac ax+b 가 일대일함수가 되려면 ⑴ 또는 ⑶을 만족시켜야 하
Ü b- >0일 때, f (x)=
2 2x+c
고, 상수함수가 되려면 ⑵를 만족시켜야 한다.
‌함수 y= f (x)의 그래프의 y
그런데 r=2로 함수 f (x)는 일차함수가 될 수 없으므로 상수함수 또
c 는 분수함수이다.
점근선은 두 직선 x=- , y=f{x}
2 따라서 ac-2b=0이면 상수함수, ac-2b+0이면 일대일함수이다.
a
y=
a 2
y= 이므로 오른쪽 그림과
2 O x

같고, 함수 f (x)는 일대일함 c


x=-
2
수이다.
Ú, Û, Ü에서 함수 f (x)가 일대일함수가 되도록 하는
순서쌍 (a, b, c)의 개수는 전체 경우의 수에서
ac 이것이 수능 p. 52
b- =0을 만족시키는 순서쌍 (a, b, c)의 개수를 빼
2
1④ 2 192 3① 4⑤
면 된다.

Ⅱ. 함수와 그래프 | 075


A n s w e r

1 해결단계
f (x)=
bx
x-a
=
b(x-a)+ab
x-a
=b+
ab
x-a
k
곡선 y= +1이 x축, y축과 만나는 점 A, B의 좌표 에서 유리함수 y= f (x)의 그래프의 두 점근선의 방정식
➊ 단계 x-2
를 각각 구한다.
은 x=a, y=b이고 이 그래프는 항상 점 (0, 0)을 지난다.
k
➋ 단계 곡선 y= +1의 두 점근선의 교점 C의 좌표를 구한다. 함수 y= f (x+2a)+a의 그래프는 함수 y= f (x)의 그
x-2
세 점 A, B, C가 한 직선 위에 있음을 이용하여 k의 값을 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2a만큼, y축의 방향으로 a만큼
➌ 단계
구한다.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이 그래프의 두 점근선의 방정식은
k x=a-2a=-a, y=b+a=a+b
곡선 y= +1이 x축과 만나는 점의 x좌표는
x-2
한편, {t|h(t)=1}={t|-9ÉtÉ-8}'{t|t¾k}에서
k k
0= +1에서 =-1 함수 y= g(x)의 그래프와 직선 y=t의 교점의 개수가 1
x-2 x-2
x-2=-k   ∴ x=2-k   ∴ A(2-k, 0) 이 되도록 하는 t의 값의 범위는
k -9ÉtÉ-8 또는 t¾k yy㉠
곡선 y= +1이 y축과 만나는 점의 y좌표는
x-2 Ú b>0일 때,
+1에서 y=- +1   ∴ B {0, - +1}
k k k ‌ab>0, a+b>0이므로 함수 y= g(x)의 그래프는
y=
0-2 2 2
다음 그림과 같다.
k
이때 곡선 y= +1의 두 점근선의 방정식은 x=2,
x-2 y
y=1이므로 C(2, 1) g{a} y=g{x}
y=a+b
세 점 A, B, C가 한 직선 위에 있으므로 y=b

1-{-;2K;+1} a x
1-0 O
=
2-(2-k) 2-0
1 k
= , kÛ`=4
k 4 ‌즉, 함수 y= g(x)의 그래프와 직선 y=t의 교점의
∴ k=-2 (∵ k<0) 답④ 개수가 1이 되도록 하는 t의 값의 범위는
다른 풀이 ‌t<b 또는 a+b<tÉ g(a)이므로 ㉠을 만족시키지
k 않는다.
곡선 y= +1에서 두 점근선의 방정식은 x=2,
x-2 Û b<0일 때,
y=1이므로 C(2, 1) 3
ab<0, a+b>b이고, g(a)= f (3a)+a=a+ b
이때 세 점 A, B, C가 한 직선 y 2
위에 있고, 두 점 A, B는 곡선 ① ‌g(a)>b인 경우
B
k C 함수 y= g(x)의 그래프는 다음 그림과 같다.
y= +1 위에 있으므로
x-2 x
1 O 2 A y
오른쪽 그림과 같이 두 점 A,
k y=g{x}
y= +1
B는 점 C에 대하여 대칭이다. x-2
y=a+b
즉, 두 점 A, B의 중점이 점 C이어야 하므로 A(a, 0), g{a}
O a x
B(0, b)라 하면 y=b

a b
=2, =1   ∴ a=4, b=2   ∴ A(4, 0), B(0, 2) x=a
2 2
k ‌즉, 함수 y= g(x)의 그래프와 직선 y=t의 교점
x=4, y=0을 y= +1에 대입하면
x-2
의 개수가 1이 되도록 하는 t의 값의 범위는
k
0= +1   ∴ k=-2 b<t< g(a) 또는 t¾a+b이므로 ㉠을 만족시키
2
지 않는다.
② ‌g(a)=b인 경우
함수 y= g(x)의 그래프는 다음 그림과 같다.

2 해결단계 y

두 함수 y= f (x), y= g(x)의 그래프의 두 점근선의 방정


➊ 단계
식을 각각 구한다. O a x
y=a+b
집합으로 주어진 식의 의미를 파악한 후, b의 값의 범위에
y=b
➋ 단계 따라 경우를 나누어 조건을 만족시키는 a, b, k의 값을 각각 g{a} y=g{x}
구한다.
➌ 단계 함수 g(x)의 식을 구한 후, a_b_ g(-k)의 값을 구한다. x=a

076 | 블랙라벨 수학 (하)


본문 p. 52

‌즉, 함수 y= g(x)의 그래프와 직선 y=t의 교점 조건 ㈎에서 곡선 y= f (x)는 두 직선 y=-2, y=2와


의 개수가 1이 되도록 하는 t의 값의 범위는 t=b 한 점에서만 만나야 한다.
또는 t¾a+b이므로 ㉠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즉, 곡선 y= f (x)의 점근선의 방정식은 다음 그림과 같
③ ‌g(a)<b인 경우 이 y=-2 또는 y=2이어야 한다.
함수 y= g(x)의 그래프는 다음 그림과 같다. ∴ b=-2 또는 b=2  yy㉠

y Ú b=-2일 때 Û b=2일 때
y y=|f{x}| y
y=|f{x}|
y=2 y=2
O a x
y=g{x} O x O x
y=a+b
y=-2 y=-2
y=b
g{a}
x=a
y=f{x} y=f{x}
‌즉, 함수 y= g(x)의 그래프와 직선 y=t의 교점
a
의 개수가 1이 되도록 하는 t의 값의 범위는 y= +b에서
x
g(a)ÉtÉb 또는 t¾a+b   yy㉡ a a
=y-b, x=
‌㉠, ㉡에서 x y-b
g(a)=-9, b=-8, a+b=k a
x와 y를 서로 바꾸면 y=
x-b
3 3
g(a)=a+ b=a+ _(-8)=-9에서 a
2 2 ∴ f -1(x)=
x-b
a-12=-9 ∴ a=3
조건 ㈏에서 f -1(2)= f (2)-1에서
∴ k=a+b=3+(-8)=-5
a a
Ú, Û에서 = +b-1 yy㉡
2-b 2
( -8x ㉡에서 b+2이므로 b=-2 (∵ ㉠)
 (x<3)
x-3
g(x)={` b=-2를 ㉡에 대입하면
24
9
-5- (x¾3) a a a
x+3 = -2-1, =3   ∴ a=12
4 2 4
24
따라서 g(-k)= g(5)=-5- =-8이므로 12
5+3 따라서 f (x)= -2이므로
x
a_b_ g(-k)=3_(-8)_(-8)=192 답 192
12 1
f (8)= -2=-  답①
8 2
BLACKLABEL 특강 참고
다른 풀이
두 함수 y= f (x), y= f (x+2a)+a의 그래프는 다음 그림과 같다.
y 이고, 조건 ㈏에서 f (2)-1=t로 놓으면 f -1(2)=t에
y=f{x+2a}+a
서 f (t)=2이다.
O a x
y=a+b Ú b=-2일 때,
y=b a
‌f (x)= -2이므로
x
y=f{x}
a a a
-2=2, =4   ∴ t=
t t 4
이때 f (2)-1=t에서
a a a
-2-1= , =3   ∴ a=12
2 4 4
Û b=2일 때,
3 해결단계
a
‌f (x)= +2이므로
함수 y= f (x)의 그래프의 점근선의 방정식을 구하고, 조 x
➊ 단계
건 ㈎를 만족시키는 조건을 찾는다. a a
+2=2, =0   ∴ a=0
➋ 단계 함수 f (x)의 역함수의 식을 구한다. t t
조건 ㈏를 이용하여 함수 f (x)의 식을 구한 후, f (8)의 값
➌ 단계 이때 a+0이라는 조건에 모순이다.
을 계산한다.
Ú, Û에서 a=12, b=-2이므로
a
f (x)= +b에서 함수 y= f (x)의 그래프의 두 점근선 12
x f (x)= -2
x
의 방정식은
12 1
∴ f (8)= -2=-
x=0, y=b 8 2

Ⅱ. 함수와 그래프 | 077


A n s w e r

4 해결단계
05 무리함수
유리함수 y= f (x)의 그래프의 두 점근선의 교점을 이용하
➊ 단계 여 함수 y= f ÑÚ`(x)와 y= f (x-4)-4의 그래프의 두 점
근선의 교점을 각각 찾는다. STEP
1 출제율 100% 우수 기출 대표 문제 p. 54
➊ 단계에서 구한 두 함수의 그래프의 점근선의 교점이 같음
➋ 단계
을 이용하여 a의 값을 구한다. 01 2a 02 ④ 03 ③ 04 ② 05 ④
06 ④ 07 ④ 08 k¾1
유리함수 y= f (x)의 그래프를 평행이동하면 y=;[#;의 그래
➌ 단계
프와 일치함을 이용하여 방정식을 세운다.
➋ 단계에서 구한 a의 값을 ➌ 단계에서 구한 식에 대입하여
➍ 단계
1
b의 값을 구한 후, a+b의 값을 계산한다.
01 x=aÛ`+
aÛ``
이므로
2x+b 2(x-a)+2a+b 2a+b
f (x)= = = +2 1 1
x-a x-a x-a 'Äx+2-'Äx-2‌=®Éa`Û + +2-®Éa`Û + -2
aÛ`` aÛ``

=®É{a+ }2`-®É{a- }2`


에서 함수 y= f (x)의 그래프의 두 점근선의 방정식이
1 1
x=a, y=2이므로 점근선의 교점의 좌표는 (a, 2)이다. a a
함수 y= f -1(x)의 그래프의 두 점근선의 교점은 점 1 1
=|a+ |-|a- |   yy㉠
a a
(a, 2)를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이므로 그
1
좌표는 (2, a)와 같다. 이때 0<a<1에서 >1이므로
a
함수 y= f (x-4)-4의 그래프는 함수 y= f (x)의 그래
1 1
a+ >0, a- <0
프를 x축의 방향으로 4만큼, y축의 방향으로 -4만큼 평 a a
행이동한 그래프와 일치하므로 함수 y= f (x-4)-4의 따라서 ㉠에서
그래프의 두 점근선의 교점은 점 (a+4, -2)이다. 1 1
'Äx+2-'Äx-2={a+ }+{a- }=2a 답 2a
a a
점 (2, a)와 점 (a+4, -2)가 같으므로
a+4=2, a=-2   ∴ a=-2
2a+b
한편, 함수 y= f (x)의 그래프는 함수 y= 의 그래
x
프를 평행이동한 그래프와 일치하므로
2a+b=3, -4+b=3   ∴ b=7 02 Ú a=b일 때,
∴ a+b=(-2)+7=5 답⑤ 1 1 1 1 1
+ ‌= + =
a+'¶ab b+'¶ab a+a a+a a
1 1
다른 풀이 = ='
"aÛ`` 'aŒ b
2x+b
y= 에서 (x-a)y=2x+b Û a+b일 때,
x-a
1 1 a-''¶ab b-''¶ab
xy-ay=2x+b, (y-2)x=ay+b + ‌= +
a+'¶ab b+'¶ab aÛ`-ab bÛ`-ab
x=
ay+b a-''¶ab b-''¶ab
y-2 = -
a(a-b) b(a-b)
x와 y를 서로 바꾸면 y=
ax+b ab-b''¶ab-ab+a''¶ab
x-2 =
ab(a-b)
∴ f -1(x)=
ax+b '¶ab(a-b)
x-2 =
ab(a-b)
2(x-4)+b -2x+4a+b+8 '¶ab
f (x-4)-4= -4=
x-4-a x-4-a = (∵ a+b)
ab
이고, 조건 ㈎에서 f -1(x)= f (x-4)-4이므로
1
='
ax+b -2x+4a+b+8
= '¶ab
x-2 x-4-a
Ú, Û에서 임의의 두 양수 a, b에 대하여
x+2인 모든 실수에 대하여 위의 방정식이 성립하므로
1 1 1
+ ='  답④
-2=-4-a에서 a=-2 a+'¶ab b+'¶ab '¶ ab
한편, 함수 y= f (x)의 그래프를 평행이동하면 함수 다른 풀이
3
y= 의 그래프와 일치하므로 1 1 1 1
x + ‌= +
a+'¶ab b+'¶ab 'a('a+'b) 'b('a+'b)
f (x)=
2x+b 2(x+2)+b-4 b-4
= = +2 'a+'b
x+2 x+2 x+2 =
'a'b('a+'b)
에서 b-4=3   ∴ b=7
1 1
= =' (∵ a>0, b>0)
∴ a+b=(-2)+7=5 'a'b '¶ ab

078 | 블랙라벨 수학 (하)


본문 pp. 52~54

03 무리함수 y='Äax+b+c (a>0)의 정의역이 {x|x¾4}, 05 ㄱ. ‌y=-'Ä4-4x+3=-"Ã-4(x-1)+3의 그래프는


치역이 {y|y¾2}이므로 무리함수 y=-'Ä-4x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1
y='Äax+b+c="Ãa(x-4)+2='Äax-4a+2 만큼, y축의 방향으로 3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즉, b=-4a, c=2이므로 즉, 주어진 무리함수의 그래프를 평행이동하면 함수

4aÛ`+2b+cÛ` 4aÛ`-8a+4 aÛ`-2a+1 (a-1)Û` y=-'Ä-4x의 그래프와 겹쳐진다. (거짓)
= = =
4a 4a a a
5
ㄴ. y=-'Ä4-4x+3에 x=- 를 대입하면
이때 a>0이므로 구하는 최솟값은 a=1일 때 0이다. 4
5
‌y=-®É4-4_{- }+3=0이므로 주어진 무리함
 답③
다른 풀이 4
5
에서 수의 그래프는 점 {- , 0}을 지난다. (참)
4
4aÛ`+2b+cÛ` 4aÛ`-8a+4 1
= =a+ -2 ㄷ. ㄱ, ㄴ에 의하여 주어진 무리함수의 그래프는 두 점
4a 4a a
5
1 (1, 3), {- , 0}을 지난다.
이때 a>0에서 >0이므로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 4
a
또한, x=0일 때 y=-'Ä4-0+3=1이므로
계에 의하여
점 (0, 1)을 지난다.
1 1
a+ -2‌¾2®Éa_ -2`(단, 등호는 a=1일 때 성립) y
a a
y=-´4-¨4¨x¨+3
3
=2-2=0
따라서 구하는 최솟값은 0이다.
1

5 O 1 x
-
4

c d ‌즉, 함수 y=-'Ä4-4x+3의 그래프는 위의 그림과


x+
cx+d a a
04 y‌=
ax+b
=
b
같으므로 제 4 사분면을 지나지 않는다. (참)
x+ 따라서 옳은 것은 ㄴ, ㄷ이다. 답④
a

{x+ }+ -
c b d bc d bc
-
a a a aÛ` a aÛ` c
= = +
b b a
x+ x+
a a

방정식 'Äx+2=x+k가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지므로


이므로 주어진 유리함수의 그래프의 두 점근선의 방정식
06
b c 두 함수 y='Äx+2, y=x+k의 그래프는 서로 다른 두
은 x=- , y= 이다.
a a
점에서 만나야 한다. y Œ
또한, 그래프와 y축의 교점의 y좌표는 x=0일 때의 y의
즉, 오른쪽 그림과 같이 직선
d y=x+k
값이므로 이다. 2
b y=x+k가 Ú이거나 Ú과
y=´x+ù2¨
그런데 주어진 그래프에서 두 점근선의 교점의 x좌표는 Û 사이에 있어야 한다. ´2

음수, y좌표는 양수이고, 그래프와 y축의 교점의 y좌표는 Ú ‌직선 y=x+k가 점


-2 O x
양수이므로 (-2, 0)을 지날 때,
b c d 0=-2+k   ∴ k=2
- <0, >0, >0
a a b
Û ‌직선 y=x+k가 함수 y='Äx+2의 그래프와 접할 때,
'Äx+2=x+k의 양변을 제곱하여 정리하면
이때 a>0이므로 b>0, c>0, d>0

한편, y=a'Äbx+c+d=a®Éb{x+ }+d의 그래프는


c
xÛ`+(2k-1)x+kÛ`-2=0
b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c
함수 y=a'¶bx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 만큼, y
b D=(2k-1)Û`-4(kÛ`-2)=0
축의 방향으로 d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9
4k=9   ∴ k=
4
c y
이때 - <0, d>0이므로 무리
b Ú, Û에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k의 값의 범위는
함수 y=a'Äbx+c+d의 그래프의 9
2Ék< 이므로
4
개형은 오른쪽 그림과 같다.
d 9
따라서 무리함수 y=a'Äbx+c+d a=2, b=
x 4
c O
의 그래프는 제1 사분면, 제2 사분 -
b 9 1
∴ b-a= -2=  답④
면을 지난다. 답② 4 4

Ⅱ. 함수와 그래프 | 079


A n s w e r

07 무리함수 f (x)='Ä2x-a+2는 증가함수이므로


y=
x+1
x-1
, y='Äx+k의 그래프가 서로 다른 두 점에서
-1
y= f (x)의 그래프와 그 역함수 y= f (x)의 그래프의
만나려면 -kÉ-1이어야 한다.
두 교점 사이의 거리는 함수 f (x)='Ä2x-a+2의 그래프
∴ k¾1 답 k¾1
와 직선 y=x의 두 교점 사이의 거리와 같다.
'Ä2x-a+2=x에서 'Ä2x-a=x-2
양변을 제곱하여 정리하면
xÛ`-6x+a+4=0 yy㉠
이때 이차방정식 ㉠의 두 근을 a, b라 하면 함수
f (x)='Ä2x-a+2의 그래프와 직선 y=x의 두 교점의
좌표는 각각 (a, a), (b, b)이고, 두 교점 사이의 거리가
직선 y=x 위의 점이므로
2'2이므로
"Ã(a-b)Û`+(a-b)Û`=2'2, "Ã2(a-b)Û`='8 STEP
2 1등급을 위한 최고의 변별력 문제 pp. 55~58

2(a-b)Û`=8   ∴ (a-b)Û`=4 yy㉡ 01 ④ 02 64 03 ④ 04 3 05 ③


한편, ㉠에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1
06 ④ 07 ④ 08 09 ③ 10 2'2
10
a+b=6, ab=a+4이므로
1
11 1 12 13 45 14 1 15 ③
(a-b)Û`‌=(a+b)Û`-4ab 12
16 12 17 ① 18 83 19 ④ 20 9
=36-4(a+4)=20-4a    yy㉢
21 ④ 22 ③ 23 ③
㉡=㉢에서 20-4a=4
4a=16   ∴ a=4 답④

다른 풀이 01 무리식 "ÃkxÛ`-kx+3이 실수가 되기 위해서는 모든 실수


무리함수 f (x)='Ä2x-a+2의 그래프와 그 역함수의 x에 대하여 kxÛ`-kx+3¾0이어야 한다.
그래프의 두 교점은 직선 y=x 위에 있고, 두 교점 사이 Ú k=0일 때,
의 거리가 2'2이므로 두 교점을 각각 P, Q라 하면 다음 3¾0이므로 항상 실수이다.
그림과 같은 직각삼각형을 그릴 수 있다. Û k+0일 때,
Q ‌이차방정식 kxÛ`-kx+3=0이 중근이나 허근을 가져
야 하므로 판별식을 D라 하면
2´2 D‌=(-k)Û`-12k
2
=k(k-12)É0
∴ 0<kÉ12 (∵ k+0)
45æ
P Ú, Û에서 0ÉkÉ12이므로 정수 k는 0, 1, 2, y, 12의
2
13개이다. 답④
두 교점의 x좌표의 차가 2이므로 두 교점의 x좌표를 각
각 a, a+2라 하면 ㉠에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
계에 의하여
a+(a+2)=6
02 별 A, B의 표면 온도를 각각 TA, TB, 반지름의 길이를
2a+2=6, 2a=4   ∴ a=2 각각 RA, RB, 광도를 각각 LA, LB라 하면 주어진 조건
또한, a(a+2)=a+4이므로 8=a+4 에 의하여
∴ a=4 1
TA= TB, RA=72RB, LA=kLB
3
1 ¾Ð LA
이때 TAÛ`= 이므로
RA 4pr

{ TB}2`=
1 1 ¾Ð kLB
x+1 (x-1)+2 y 3 72RB 4pr
08 y=
x-1
=
x-1

y=´x+ùk¨ 1 1 ¾Ð kLB
2 T Û`=
= +1 1 9 B 72RB 4pr
x-1
'§k 1 ¾Ð LB '§k
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x TBÛ`‌= _ = _TBÛ`이므로
-k -1 O 1 8 RB 4pr 8
-1
이때 무리함수 y='Äx+k의 그 '§k
y=
x+1 =1, '§k=8
래프는 함수 y='§x의 그래프를 x-1 8
x축의 방향으로 -k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두 함수 ∴ k=64 답 64

080 | 블랙라벨 수학 (하)


본문 pp. 54~55

1 2{ f (n)}Û`-2 f (n)+n-3+{2-2 f (n)}'§n=0


03 f (n)‌=
'Än+2+'Än+1 n과 f (n)은 정수이고, '§n은 무리수이므로 무리수가 서
'Än+2-'Än+1
= 로 같을 조건에 의하여
('Än+2+'Än+1 )('Än+2-'Än+1 )
2{ f (n)}Û`-2 f (n)+n-3=0, 2-2 f (n)=0
='Än+2-'Än+1
2-2 f (n)=0에서 f (n)=1
이므로
위의 값을 2{ f (n)}Û`-2 f (n)+n-3=0에 대입하면
S(n)‌= f (3)+ f (4)+ f (5)+y+ f (n)
2-2+n-3=0   ∴ n=3 답3
=('5-'4 )+('6-'5 )+('7-'6 )
 +y+('Än+2-'Än+1 )
='Än+2-2
ㄱ. S(14)='1Œ6-2=4-2=2 (거짓)
ㄴ. "ÃnÝ`+2‌<"Ãn`Ý +2nÛ`+1 (∵ n¾3) 05 이차함수 f (x)=axÛ`+bx+c의 그래프의 꼭짓점의 좌표
1 9
="Ã(nÛ`+1)Û` 가 { , }이므로
2 2

f (x)=a{x- }2`+
=nÛ`+1
1 9
이므로 2 2
S(nÝ`)‌="Ãn`Ý +2-2 함수 y= f (x)의 그래프가 점 (0, 4)를 지나므로

4=a_{- }2`+ , 4= a+
<(nÛ`+1)-2=nÛ`-1 1 9 1 9
<nÛ 2 2 4 2
∴ S(nÝ`)<nÛ` (참) 1 1
a=-    ∴ a=-2
4 2
ㄷ. S(n)>11에서 'Än+2-2>11
즉, f (x)=-2{x- }2`+ =-2xÛ`+2x+4이므로
1 9
'Än+2>13, n+2>169 2 2
∴ n>167 b=2, c=4
즉, S(n)>11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n의 최솟값은 ∴ g(x)=-2'Äx+2+4
168이다. (참) ㄱ. ‌정의역은 {x|x¾-2}이고, 치역은 {y|yÉ4}이다.
따라서 옳은 것은 ㄴ, ㄷ이다. 답④  (참)
다른 풀이 ㄴ. ‌함수 y= g(x)의 그래프 y

ㄴ. S(nÝ`)‌<nÛ`에서 "Ãn`Ý +2-2<nÛ` 는 무리함수 y=-2'§x 의 4

즉, "Ãn`Ý +2<nÛ`+2를 확인하면 된다.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4-2´2


이때 "Ãn`Ý +2>0, nÛ`+2>0이므로 -2만큼, y축의 방향으로
-2 O 2 x
(nÛ`+2)Û`-("Ãn`Ý +2)Û`‌=nÝ`+4nÛ`+4-(nÝ`+2) 4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y=g{x}
=4nÛ`+2 ‌또한,
>0 g(0)=-2'2+4>0이므로 위의 그림과 같이 제 1 사
따라서 (nÛ`+2)Û`>("Ãn`Ý +2)Û`에서 분면, 제 2 사분면, 제 4 사분면을 지나고, 제 3 사분면을
nÛ`+2>"ÃnÝ`+2이므로 S(nÝ`)<nÛ` (참) 지나지 않는다. (거짓)
ㄷ. ‌f (x)=0에서 -2xÛ`+2x+4=0
BLACKLABEL 특강 필수 개념
xÛ`-x-2=0, (x+1)(x-2)=0
부등식의 증명 ∴ x=-1 또는 x=2
두 수 또는 두 식이 모두 양수일 때, 제곱의 차를 이용하여 부등식을
∴ a=-1, b=2 (∵ a<b)
증명할 수 있다.
A>0, B>0일 때 함수 g(x)는 x의 값이 증가할 때 y의 값은 감소하는
⑴ AÛ`-BÛ`>0 HjjK A>B
함수이므로 -1ÉxÉ2에서 함수 g(x)의 최댓값은
⑵ AÛ`-BÛ`=0 HjjK A=B 
⑶ AÛ`-BÛ`<0 HjjK A<B g(-1)=-2'Ä-1+2+4=2 (참)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답③

BLACKLABEL 특강 풀이 첨삭 

04 '§n 의 정수 부분이 f (n), 소수 부분이 g(n)이므로 xÁ<xª이면 'ÄxÁ+2<'Äxª+2


g(n)='§n- f (n)   yy㉠ 즉, -2'ÄxÁ+2>-2'Äxª+2에서
-2'ÄxÁ+2+4>-2'Äxª+2+4
㉠을 { f (n)}Û`+{ g(n)}Û`=3-2 g(n)에 대입하면 ∴ g(xÁ)>g(xª)
{ f (n)}Û`+{'§n- f (n)}Û`=3-2{'§n- f (n)} 따라서 xÁ<xª이면 g(xÁ)>g(xª)이므로 함수 g(x)는 x의 값이 증
가할 때 y의 값은 감소하는 함수이다.
{ f (n)}Û`+n-2 f (n)'§n+{ f (n)}Û`=3-2'§n+2 f (n)

Ⅱ. 함수와 그래프 | 081


A n s w e r

1 y= f (x)는 직선 y=4와 멀어지고 곡선


06 이차함수 y= xÛ`의 그래프와 직선 y=x+k의 두 교점
2
y= g(x)는 직선 y=-4와 멀어진다.
의 x좌표는 이차방정식
따라서 두 곡선이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나도록
1
xÛ`=x+k, 즉 xÛ`-2x-2k=0   yy㉠ 하는 k의 최댓값은 다음 그림과 같이 두 곡선
2
y= f (x), y= g(x)가 두 점 (-2, 4), (2, -4)
의 두 실근이다.
에서 만날 때이다.
이때 A(a, a+k), B(b, b+k) (a<b)라 하면
y
ABÓ‌="Ã(b-a)Û`+{(b+k)-(a+k)}Û`
="Ã2(b-a)Û` y=g{x}
4
='2(b-a) (∵ a<b)
2
㉠에서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2 O x

a+b=2, ab=-2k -4
y=f{x}
∴ (b-a)Û`‌=(b+a)Û`-4ba
=4+8k
즉, 곡선 y= f (x)가 점 (2, -4)를 지나므로
즉, b-a='Ä4+8k (∵ a<b)이므로
-4=-'Ä2k+2k+4에서
f (k)‌=ABÓ='2'Ä4+8k
'¶4k=8, 4k=64   ∴ k=16
1
=2'Ä2+4k=2®É4{k+ } Ú, Û에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k의 최댓값은 16이다.
2
따라서 함수 y= f (k)의 그래프는 y=2'¶4k의 그래프를  (참)
1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답④
k축의 방향으로 - 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그 개형
2
은 ④이다. 답④
08 xÁ<xª라 정하고 풀어도 일반성을 잃지 않는다.
두 점 P(xÁ, yÁ), Q(xª, yª)가 무리함수 y='Äx+3-1
의 그래프 위에 있으므로
07 f (x)=-'Äkx+2k+4=-"Ãk(x+2)+4라 하면 곡선 yÁ='ÄxÁ+3-1, yª='Äxª+3-1
y= f (x)는 점 (-2, 4)를 지난다. 선분 PQ의 중점의 y좌표가 4이므로
g(x)='Ä-kx+2k-4="Ã-k(x-2)-4라 하면 곡선 ('ÄxÁ+3-1)+('Äxª+3-1)
=4
y= g(x)는 점 (2, -4)를 지난다. 2
ㄱ. f (-x)‌=-'Ä-kx+2k+4 'ÄxÁ+3+'Äxª+3-2=8
=-('Ä-kx+2k-4) ∴ 'ÄxÁ+3+'Äxª+3=10   yy㉠
=- g(x) 따라서 직선 PQ의 기울기는
∴ g(x)=- f (-x) yª-yÁ ('Äxª+3-1)-('ÄxÁ+3-1)
‌=
xª-xÁ xª-xÁ
‌즉, 두 곡선 y= f (x), y= g(x)는 서로 원점에 대하
'Äxª+3-'ÄxÁ+3
여 대칭이다. (참) =
xª-xÁ
ㄴ. ‌k<0일 때 두 곡선 y= f (x), y= g(x)는 다음 그림 ('Äxª+3-'ÄxÁ+3)('Äxª+3+'ÄxÁ+3)
=
과 같다. (xª-xÁ)('Äxª+3+'ÄxÁ+3)
y (xª+3)-(xÁ+3) 1
‌= _
y=f{x} 4 xª-xÁ 'Äxª+3+'ÄxÁ+3
1
=1_ (∵ ㉠)
2
10
-2 O x
1 1
=  답
10 10
y=g{x}
-4
3
즉, 두 곡선은 만나지 않는다. (거짓) 09 무리함수 y='Ämx+3=®Ém{x+ } (m>0)의 그래
m
ㄷ. Ú k<0일
‌ 때, 프는 함수 y='¶mx의 그래프 y
y=´mx¨+¨3ù¨ {m>0}
ㄴ에서 두 곡선 y= f (x), y= g(x)는 만나지 않 {2, 3}
3
를 x축의 방향으로 - 만 3
는다. m {3, 2}
2
Û k>0일
‌ 때, 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오른
ㄱ에서 두 곡선 y= f (x), y= g(x)는 서로 원점 쪽 그림과 같다. 3 O 2 3 x
-
m
에 대하여 대칭이고, k의 값이 커질수록 곡선 이때 두 점 (3, 2), (2, 3)을

082 | 블랙라벨 수학 (하)


본문 pp. 55~56

이은 선분과 무리함수 y='Ämx+3의 그래프가 만나려면 y g{x}=px+q`{p>0}


점 (2, 3)이 무리함수 y='Ämx+3의 그래프 위의 점이
Â7°° ° 3
거나 위쪽에 있어야 하고, 점 (3, 2)가 무리함수 y=f{x} 2 {
y=f` x-
3
2 }
y='Ä mx+3의 그래프 위의 점이거나 아래쪽에 있어야
한다.
x
∴ 'Ä2m+3É3, 'Ä3m+3¾2
3 O 2 3
-
2
Ú 'Ä2m+3É3에서 2m+3É9 이때 p, q가 정수이므로 y= g(x)의 그래프는 두 점
2mÉ6   ∴ 0<mÉ3 (∵ m>0) (2, 2), (3, 3)을 지나는 직선이고, 이 직선의 방정식은
Û 'Ä3m+3¾2에서 3m+3¾4 3-2
y-2= (x-2)에서 y=x
1 3-2
3m¾1   ∴ m¾
3 ∴ g(x)=x
Ú, Û에서 m의 값의 범위는 따라서 p=1, q=0이므로 p+q=1 답1
1
ÉmÉ3 답③
3

12 두 함수 f (x)='§x, g(x)=ax+b에 대하여


f (1)= g(1)에서 a+b=1 yy㉠
10 x¾0, 4-x¾0이므로 함수 y= f (x)의 정의역은 f (4)= g(4)에서 4a+b=2 yy㉡
{x|0ÉxÉ4}이다. 이때 ㉠, ㉡을 연립하여 풀면
'Ä4-x-'§x (0Éx<2) 1 2 1 2
|'§x-'Ä4-x|=[` a= , b=    ∴ g(x)= x+
'§x-'Ä4-x(2ÉxÉ4) 3 3 3 3
이므로 두 함수 y= f(x), y= g(x) y

'§x+'Ä4-x-|'§x-'Ä4-x|
y=g{x}
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f (x)‌= 2 y=f{x}
2 같다.
1
'§x (0Éx<2) 이때 1ÉxÉ4에서
=[`
'Ä4-x (2ÉxÉ4) f (x)¾ g(x)이므로
O 1 4 x

함수 y= f (x)의 그래프는 오 y h(x)‌=|f (x)- g(x)|= f (x)- g(x)


른쪽 그림과 같으므로 삼각형 1 2
Â2°° y=f{x} ='§x- x-
ABC의 세 꼭짓점이 세 점 3 3
(0, 0), (4, 0), (2, '2 )일 '§x=t로 놓으면 1ÉxÉ4에서 1ÉtÉ2이고,

'§x- x- =t- tÛ`- =- {t- }2`+


O 2 4 x
때, 삼각형 ABC의 넓이가 1 2 1 2 1 3 1
3 3 3 3 3 2 12
최대가 된다.
3 9 1
따라서 구하는 삼각형 ABC의 넓이의 최댓값은 따라서 t= , 즉 x= 일 때 함수 h(x)는 최댓값 을
2 4 12
1 1
_4_'2=2'2 답 2'2 갖는다. 답
2 12
단계 채점 기준 배점 다른 풀이
x의 값의 범위를 나누어 함수 y= f (x)의 식을 나타

낸 경우
40% 두 함수 f (x)='§x, g(x)=ax+b에 대하여
삼각형 ABC의 넓이가 최대가 되는 세 꼭짓점의 좌 f (1)= g(1)에서 a+b=1 yy㉢
㈏ 40%
표를 구한 경우 f (4)= g(4)에서 4a+b=2 yy㉣
㈐ 삼각형 ABC의 넓이의 최댓값을 구한 경우 20%
㉢, ㉣을 연립하여 풀면
1 2 1 2
a= , b=    ∴ g(x)= x+
3 3 3 3
한편, 직선 y= g(x)와 기울기가 같고 함수 y= f (x)의
11 f (x)='Ä2x+3에서
1
3 3 그래프에 접하는 직선을 y= x+t`(t는 상수)라 하면
f {x- }=®É2{x- }+3='¶2x 3
2 2
1
3 접점의 x좌표는 방정식 '§x= x+t의 실근이다.
이때 부등식 f {x- }< g(x)< f (x)를 만족시키는 x 3
2
1 2
의 값의 범위가 2<x<3이려면 다음 그림과 같이 함수 양변을 제곱하면 x= xÛ`+ tx+tÛ`
9 3
g(x)=px+q`(p>0)의 그래프는 두 점 (2, 2), (3, 3) 9x=xÛ`+6tx+9tÛ`
또는 (2, '7), (3, 3)을 지나야 한다. ∴ xÛ`+(6t-9)x+9tÛ`=0

Ⅱ. 함수와 그래프 | 083


A n s w e r

이 이차방정식이 중근을 가져야 하므로 판별식을 D라 하면 l‌=2[2a+{'Ä3-a-1-(-1)}]


D=(6t-9)Û`-4_1_9tÛ`=0 =2'Ä3-a+4a    yy㉠
36tÛ`-108t+81-36tÛ`=0 이때 'Ä3-a =t (0<t<'3)로 놓고 이 식의 양변을 제곱
3 하면
108t=81   ∴ t=
4
3-a=tÛ`   ∴ a=3-tÛ`
1 3
따라서 접선의 방정식은 y= x+ 위의 식을 ㉠에 대입하면
3 4
l‌=2t+4(3-tÛ`)
이때 h(x)의 최댓값은 평행한 두 직선 y= g(x)와
=-4tÛ`+2t+12

=-4{t- }2`+
1 3
y= x+ 의 y절편의 차와 같으므로
3 4 1 49
4 4
2 3 8 9 1
| - |=| - |=
3 4 12 12 12 1 1 47 49
0< <'3이므로 t= , 즉 a= 일 때 l은 최댓값
4 4 16 4
를 갖는다.
따라서 p=4, q=49이므로
q-p=45
13 두 함수 y='Äx+3-1, y='Ä3-x-1의 그래프는 y축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다음 그림과 같이 세 함수
y='Äx+3-1, y='Ä3-x-1, y=-1의 그래프로 둘러
싸인 영역에 내접하는 직사각형도 y축에 대하여 대칭이다.
 14 무리함수 f (x)='Äx-1+k의 그래프와 그 역함수
y y= f -1(x)의 그래프는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다.
y=´3-ùx¨-1 y=´x+ù3¨-1
이때 두 그래프가 서로 다른 두 y y=x
{-a@-2a+2, a}
-3 -2 2 3 점에서 만나려면 오른쪽 그림
O x y=´x-ù1¨+k
과 같이 무리함수
1
-1 y=-1 {1, k}
f (x)='Äx-1+k의 그래프는
함수 y='Ä3-x-1의 그래프 위의 직사각형의 한 꼭짓점 직선 y=x와 서로 다른 두 점 O 1 x

의 y좌표를 a라 하면 에서 만나야 한다.


'Ä3-x-1=a에서 'Ä3-x=a+1 따라서 무리함수 f (x)='Äx-1+k의 그래프가 점
위의 식의 양변을 제곱하면 (1, 1)을 지날 때 실수 k는 최댓값을 가지므로
3-x=aÛ`+2a+1   ∴ x=-aÛ`-2a+2 1='Ä1-1+k에서 k=1 답1

즉, 이 꼭짓점의 좌표는 (-aÛ`-2a+2, a) (a>-1)이 다른 풀이


므로 직사각형의 둘레의 길이를 l이라 하면 무리함수 y= f (x)의 정의역이 {x|x¾1}, 치역이
l‌=2[2(-aÛ`-2a+2)+{a-(-1)}] {y|y¾k}이므로 역함수 y= f -1(x)의 정의역은
=-4aÛ`-6a+10 {x|x¾k}이다.
3 49
=-4 {a+ }Û`+ 이때 무리함수 f (x)='Äx-1+k의 그래프와 그 역함수
4 4
의 그래프가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나므로 함수
3 49
따라서 a=- 일 때 l은 최댓값 를 가지므로 y= f (x)의 그래프와 직선 y=x가 x¾1, x¾k에서 서
4 4
p=4, q=49 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나야 한다.
∴ q-p=45 답 45 'Äx-1+k=x에서 'Äx-1=x-k
양변을 제곱하면
다른 풀이
x-1=xÛ`-2kx+kÛ`
에서
∴ xÛ`-(2k+1)x+kÛ`+1=0
y
y=´3-ùx¨-1 y=´x+ù3¨-1 g(x)=xÛ`-(2k+1)x+kÛ`+1이라 하면
{a, ´3-¨a¨-1} Ú ‌이차방정식 g(x)=0이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져야
-3 -2 2 3
O x 하므로 판별식을 D라 하면
D={-(2k+1)}Û`-4(kÛ`+1)>0, 4k-3>0
-1 y=-1
3
∴ k>
함수 y='Ä3-x-1의 그래프 위의 직사각형의 한 꼭짓점 4
의 좌표를 (a, 'Ä3-a-1) (0<a<3), 직사각형의 둘레 Û 두 실근이 모두 1보다 크거나 같아야 하므로
의 길이를 l이라 하면 g(1)¾0에서 1-2k-1+kÛ`+1¾0

084 | 블랙라벨 수학 (하)


본문 pp. 56~57

kÛ`-2k+1¾0   ∴ (k-1)Û`¾0
BLACKLABEL 특강 필수 개념
즉, 모든 실수 k에 대하여 항상 만족시킨다.
무리함수 y='Äax+b+c (a+0)의 역함수는
Ü 두 실근이 모두 k보다 크거나 같아야 하므로
1
y= {(x-c)Û`-b} (x¾c)이다.
g(k)¾0에서 kÛ`-(2k+1)k+kÛ`+1¾0 a
[증명]
-k+1¾0   ∴ kÉ1 y='Äax+b+c에서 y-c='Äax+b
Ý ‌이차함수 y= g(x)의 그래프의 축이 직선 x=1보다 양변을 제곱하면
1
(y-c)Û`=ax+b   ∴ x= {(y-c)Û`-b}
오른쪽에 있어야 하므로 a
x와 y를 서로 바꾸면
2k+1 1
>1, 2k>1   ∴ k> 1
2 2 y= {(x-c)Û`-b} (x¾c)
a
Þ ‌이차함수 y= g(x)의 그래프의 축이 직선 x=k보다
오른쪽에 있어야 하므로
BLACKLABEL 특강 참고
2k+1
>k, 2k+1>2k
2 함수 y=-g -1(x)의 그래프의 개형은 역함수의 기하학적 의미와 대
칭이동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구할 수도 있다.
즉, 모든 실수 k에 대하여 항상 만족시킨다. y
Ú~Þ에서 k의 값의 범위는 y=g`{x}

3
<kÉ1
4
3 O x
-
따라서 실수 k의 최댓값은 1이다. 2

y y=g`—!{x}
y=x
직선 y=x에 대하여
3
11111111Ú - y=g`{x}
2
대칭이동 O x
3
15 주어진 그래프에서 -
2
( 1 (x<-1) y y=g`—!{x}
f (x)={`-x (-1Éx<1)
x축에 대하여
9 -1 (x¾1)
3
11111111Ú 2
대칭이동
한편, g(x)='Ä2x+3에서 y='Ä2x+3이라 하고 양변을 3 O x
-
2
제곱하면 y=-g`—!{x}

1 3
yÛ`=2x+3   ∴ x= yÛ`-
2 2
x와 y를 서로 바꾸면
1 3
y= xÛ`-
2 2
1 3
∴ g-1(x)= xÛ`- (x¾0)
2 2 16 무리함수 f (x)='Äx-2 에서 y='Äx-2 라 하고, 양변을
제곱하면
따라서
yÛ`=x-2, x=yÛ`+2
y‌=( f ½ g-1)(x)
x와 y를 서로 바꾸면
= f ( g-1(x))
y=xÛ`+2
( 1 ( g-1(x)<-1)
∴ g(x)=xÛ`+2`(x¾0)
={`- g-1(x) (-1É g-1(x)<1)
이때 f (6)='Ä6-2 =2이므로 g(2)=6이다.
9 -1 ( g-1(x)¾1)
즉, 두 함수 y= f (x), y= g(x)
(
y y=x
1 3
{ xÛ`- <-1} 6 y=g{x}
1
|
2 2 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

={`- xÛ`+ {-1É xÛ`- <1}
1 3 1 3 고, 역함수 y= g(x)의 그래프
2 2 2 2 는 함수 y= f (x)의 그래프를 y=f{x}
| 2
S™
1 3
{ xÛ`- ¾1}
9
-1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S¡
2 2
O 2 6x
( 1
것이다.
(0Éx<1)
\ 이때 두 직선 x=2, y=6과 x축, y축으로 둘러싸인 직사
={`- xÛ`+ (1Éx<'5 )
1 3
\
2 2 각형에서 Sª를 뺀 영역을 S£이라 하면
9 -1 (x¾'5) SÁ=S£
이므로 그래프의 개형은 ③이다. 답③ ∴ SÁ+Sª=S£+Sª=2_6=12 답 12

Ⅱ. 함수와 그래프 | 085


A n s w e r

'¶2x (x¾0) 2a+3=169, 2a=166   ∴ a=83


17 f (x)=[`
4x (x<0)
에서
Ú, Û에서 구하는 자연수 a의 값은 83이다. 답 83
Ú x¾0일 때,
BLACKLABEL 특강 풀이 첨삭 
y='¶2x의 양변을 제곱하면
1 g(b)=-'Äb-3+5가 자연수가 되려면 'Äb-3=0 또는 'Äb-3=1
yÛ`=2x   ∴ x= yÛ` 또는 'Äb-3=2 또는 'Äb-3=3 또는 'Äb-3=4이어야 한다.
2
이때 b-3¾6이므로
1 'Äb-3=3 또는 'Äb-3=4
x와 y를 서로 바꾸면 y= xÛ``(x¾0)
2 ∴ b-3=9 또는 b-3=16
Û x<0일 때,
1
y=4x에서 x= y
4
1
x와 y를 서로 바꾸면 y= x`(x<0)
4
19 k의 값이 커질수록 곡선 y
( 1 15 C
xÛ` (x¾0) y='Äx-2k 는 x축의 양의 방
2 A
Ú, Û에서 g(x)={`
11
향으로 평행이동하므로 곡선
1
9 4
x (x<0) y= f (x)가 삼각형 ABC와 만 y=f{x}
나도록 하는 k의 최댓값은 오 2
1 B
부등식 g(x)É- xÛ`+3에서 O 2 2k 12 14 x
4 른쪽 그림과 같이 곡선
① x¾0일 때, y= f (x)가 점 B(12, 2)를 지날 때이다.
1 1 3 2='Ä12-2k 에서 양변을 제곱하면
xÛ`É- xÛ`+3, xÛ`É3
2 4 4
12-2k=4, 2k=8   ∴ k=4
xÛ`É4   ∴ -2ÉxÉ2
즉, kÉ4일 때 곡선 y= f (x)는 삼각형 ABC와 만난다.
그런데 x¾0이므로 0ÉxÉ2
 yy㉠
② x<0일 때,
한편, y='Äx-2k 에서 양변을 제곱하면
1 1 1 1
xÉ- xÛ`+3, xÛ`+ x-3É0 yÛ`=x-2k, x=yÛ`+2k
4 4 4 4
xÛ`+x-12É0, (x+4)(x-3)É0 x와 y를 서로 바꾸면 y=xÛ`+2k
∴ -4ÉxÉ3 즉, 함수 f (x)의 역함수는
그런데 x<0이므로 -4Éx<0 f -1(x)=xÛ`+2k (x¾0)
①, ②에서 주어진 부등식의 해는 k의 값이 커질수록 곡선 y y=f —!{x}
15 C
-4ÉxÉ2 y=xÛ`+2k는 y축의 양의 방향 A
11
따라서 a=-4, b=2이므로 으로 평행이동하므로 곡선
2k
a+b=-2 답① y= f -1(x)가 삼각형 ABC와
2 B
만나도록 하는 k의 최댓값은
O 2 12 14 x
오른쪽 그림과 같이 곡선
y= f -1(x)가 점 A(2, 11)을 지날 때이다.
18 a¾3이므로 f (a)=b라 하면
4+2k=11에서 2k=7   ∴ k=
7
b='Ä2a+3+6¾'Ä2_3+3+6=9   yy㉠ 2
( g½ f )(a)= g( f (a))= g(b) 7
즉, kÉ 일 때 곡선 y= f -1(x)는 삼각형 ABC와 만난
2
g(b)=-'Äb-3+5이고 ㉠에서 b-3¾6이므로 g(b)가
다. yy㉡
자연수가 되도록 하는 b-3의 값은 9, 16이다.

㉠, ㉡에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실수 k의 값의 범위는
Ú b-3=9, 즉 b=12일 때,
7 7
f (a)=12에서 'Ä2a+3+6=12 kÉ 이므로 구하는 실수 k의 최댓값은 이다.
2 2
답④
'Ä2a+3=6
위의 식의 양변을 제곱하면
33
2a+3=36, 2a=33   ∴ a=
2
4x-1 4(x-2)+7 7
Û b-3=16, 즉 b=19일 때, 20 y=
x-2
=
x-2
=
x-2
+4

f (a)=19에서 'Ä2a+3+6=19 조건 ㈎에서 함수 f 의 치역이 {y|y>4}이고, 조건 ㈏에


'Ä2a+3=13 서 함수 f 는 일대일함수이므로 함수 y= f (x)의 그래프
위의 식의 양변을 제곱하면 는 다음 그림과 같아야 한다.

086 | 블랙라벨 수학 (하)


본문 pp. 57~58

y=aÂ3-ÊxÊ °+b`{x 3}
y 2
한편, n(A;B)=2이려면 m= 이어야 하므로
3
11 2 2 1
4x-1 y= (x+1)-1   ∴ y= x-
y=
x-2
{x>3} 3 3 3
4
이때 n(A;C)=0이 되 y 2
y= x-
1
3 3
O 3 x 려면 함수 y='Äx-n의 그 ㉡

즉, f (3)=11이어야 하므로 b=11 래프가 오른쪽 그림과 같


-1
2 1 O x
조건 ㈐에서 f (-1)=13이므로 이 직선 y= x- 에 접
3 3 -1
2a+b=13, 2a+11=13
하는 ㉡보다 오른쪽에 있어야 한다.
2a=2   ∴ a=1
함수 y='Äx-k`(k는 실수)의 그래프가 ㉡이라 할 때, 직
( 4x-1
 (x>3) 2 1
∴ f (x)={` x-2 선과 ㉡의 접점의 x좌표는 방정식
3
x- ='Äx-k의 실
3
9 'Ä3-x+11 (xÉ3)
근이다.
f (2)='Ä3-2+11=12이므로
2x-1=3'Äx-k에서 양변을 제곱하면
f (2) f (k)=60에서 12 f (k)=60
4xÛ`-4x+1=9x-9k   ∴ 4xÛ`-13x+9k+1=0
∴ f (k)=5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4k-1
즉, =5이므로 4k-1=5k-10 D=(-13)Û`-4_4_(9k+1)=0
k-2
답9 153 17
∴ k=9 153-144k=0   ∴ k= =
144 16
따라서 n(A;B)=2이면서 n(A;C)=0이기 위한 n
의 값의 범위는

n>;1!6&;
21 y=m(x+1)-1은 기울기 m의 값에 관계없이 점
2 17
(-1, -1)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이다. 즉, 집합 A의 ∴ ㈎:m> , ㈏:n>  답④
3 16
원소는 직선 y=m(x+1)-1 위의 점이다.
1
y= +2는 그래프의 점근선이 x=1, y=2인 유리
x-1
함수이다. 이때 집합 B의 원소는 절댓값 기호를 포함한

유리함수 y=|
1
+2|의 그래프 위의 점이다. 22 x축에 평행한 직선을 y=k`(k>0)라 하면 함수
x-1 y= f (x)의 그래프가 다음 그림과 같으므로 두 점 A, B
y='Äx-n의 그래프는 y='§x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 1
는 두 함수 y= -1`(0<x<1), y='Äx-1`(x¾1)의
로 n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즉, 집합 C의 원소는 무리 x
함수 y='Äx-n의 그래프 위의 점이다. 그래프 위의 점이다.
1 y 1
이때 n(A;B)=3은 y=| +2|의 그래프와 직선 y= -1`{0<x<1} y=´x-ù1¨`{x 1}
x-1 x
k y=k
y=m(x+1)-1의 교점이 3개임을 의미한다. A B
즉, n(A;B)=3이기 위해 y
y=| x-1
1
+2|
서는 오른쪽 그림과 같이 직 ㉠
2 O 1 x
선 y=m(x+1)-1의 기울
기가 직선 ㉠의 기울기보다 1 a<b라 해도 일반성을 잃지 않으므로 위의 그림과 같이
커야 한다. 1
-1}, B(b, 'Äb-1 )이라 하자.
-1 O 1 1 x
A{a,
1 2 a
이때 | +2|=0에서 -1
x-1 두 점 A, B는 직선 y=k 위에 있으므로
1 1
x= 이므로 두 점 (-1, -1), { , 0}을 지나는 직선 1
-1=k, 'Äb-1=k에서
2 2 a
-1-0 2 1 1
㉠의 기울기는 = =k+1, b-1=kÛ`   ∴ a= , b=kÛ`+1
1 3 a
-1- k+1
2
kÛ`+1
따라서 n(A;B)=3이기 위한 m의 값의 범위는 ∴ ab‌
=
k+1
(k+1)(k-1)+2
m>;3@; =
k+1

Ⅱ. 함수와 그래프 | 087


A n s w e r

2 1
=k-1+ ㄴ. ㄱ에서 P{ , a}
k+1 a
2 1
=k+1+ -2   yy㉠ 같은 방법으로 Q(xª, yª)는 두 곡선 y= , y=b'¶bx
k+1 x
2 1
이때 k>0에서 k+1>0, >0이므로 산술평균과 의 교점이므로 =b'¶bxª에서
k+1 xª
기하평균의 관계에 의하여 1 1
xª= , yª=b   ∴ Q{ , b}
b b
2 2
k+1+ ‌¾2®É(k+1)_
k+1 k+1 즉, 직선 PQ의 기울기는
=2'2 (단, 등호는 k='2-1일 때 성립) b-a b-a
= =-ab (거짓)
a-b
따라서 ㉠에서 ;b!;-;a!; ab
2
ab=k+1+ -2¾2'2-2 1 1
k+1 ㄷ. OPÓ=®Éa`Û + , OQÓ=®Éb`Û +
aÛ` bÛ`
이므로 구하는 최솟값은 2'2-2이다. 답③
1 1
OPÓ=OQÓ에서 ®ÉaÛ`+ =®Éb`Û +
다른 풀이 aÛ` bÛ`
1 위의 식의 양변을 제곱하면
A{a, -1}, B(b, 'Äb-1)이라 할 때, 두 점의 y좌표
a 1 1 bÛ`-aÛ`
aÛ`+ =bÛ`+ , aÛ`-bÛ`+ =0
가 같으므로 aÛ` bÛ` aÛ`bÛ`
1
1
-1='Äb-1 (aÛ`-bÛ`){1- }=0
a aÛ`bÛ`
양변을 제곱하면 이때 0<b<1<a이므로

b-1={ -1}2`, b= - +2
1 1 2 1
aÛ`-bÛ`+0, 1- =0
a aÛ` a aÛ`bÛ`
1 2 1 aÛ`bÛ`=1, ab=1 (∵ a>0, b>0)
∴ ab=a{ - +2}= -2+2a yy㉡
aÛ` a a 1
∴ b=
이때 a>0이므로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에 의하여 a
1 1
1 1
¾2®É _2a
+2a‌ 즉, P{ , a}, Q{a, }이고 PQÓ=1이므로
a a a a
'2 ®É{a- }2`+{ -a}2`=1
1 1
=2'2 {단, 등호는 a= 일 때 성립} a a
2
2{a- }2`=1, {a- }2`=
따라서 ㉡에서 1 1 1
a a 2
1
ab= +2a-2¾2'2-2 1 5
a ∴ aÛ`+ =    yy㉠
aÛ` 2
이므로 구하는 최솟값은 2'2-2이다.
y 1
y=
x

a P S
R

23 해결단계
1 Q
1 a
점 P(xÁ, yÁ)은 두 곡선 y=
, y=a'¶ax의 교점임을 이용
➊ 단계 x a
하여 ㄱ의 참, 거짓을 판단한다. O 1 H x
두 점 P, Q의 좌표를 a, b를 이용하여 나타낸 후, 직선 PQ a
➋ 단계
의 기울기를 구하여 ㄴ의 참, 거짓을 판단한다.
OPÓ=OQÓ임을 이용하여 a, b 사이의 관계식을 구한 후, 따라서 위의 그림에서
➌ 단계 PQÓ=1임을 이용하여 삼각형 OPQ의 넓이를 구하고 ㄷ의 △OPQ‌=OHSR-(△OPR+△OHQ+△PQS)
참, 거짓을 판단한다.
1 1 1 1
=aÛ`-[ _a_ + _ _a 
1 2 a 2 a

+ _{a- }2`]
ㄱ. ‌점 P(xÁ, yÁ)은 두 곡선 y= , y=a'¶ax의 교점이므로
x
1 1

1 2 a
=a'¶axÁ

1 1
= {aÛ`- }
위의 식의 양변을 제곱하면 2 aÛ`
= ®É{aÛ`- }2`
1 1 1 1 1
=aÜ`xÁ, =aÜ`   ∴ =a
xÁÛ` xÁÜ` xÁ 2 aÛ`
= ®É{aÛ`+ }2`-4
1 1 1
즉, yÁ= =a이다. (참)
xÁ 2 aÛ`

088 | 블랙라벨 수학 (하)


본문 pp. 58~59

1 25
= ®É -4 (∵ ㉠) y=f`—!{x} y=x
y
2 4
1 3 3
= _ = y=f{x}
2 2 4 R
1
3
이므로 삼각형 OPQ의 넓이는 이다. (참) y™ Q
4
g{1} y=g{x}
P
그러므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답③
-1 O 1 x
y=g`—!{x}

ㄴ. ‌두 점 P(xÁ, yÁ), R(x£, y£)은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xÁ=y£, yÁ=x£이다.
∴ xÁ yÁ=x£ y£ (참)
yª-yÁ
ㄷ. ‌직선 PQ의 기울기는 이고, 직선 QR의 기울
xª-xÁ
STEP
3 1등급을 넘어서는 종합 사고력 문제 p. 59
y£-yª
기는 이다.
01 2'2 02 ⑤
1
03 0<aÉ 또는 a>2 04
189 x£-xª
2 32
25
이때 점 Q는 직선 y=x 위에 있으므로 xª=yª이고,
05 1925 06 2 07
38 ㄴ에서 xÁ=y£, yÁ=x£이므로 두 직선의 기울기의 곱은
yª-yÁ y£-yª yª-yÁ xÁ-xª
_ = _ =1 (참)
xª-xÁ x£-xª xª-xÁ yÁ-yª
01 해결단계 따라서 ㄱ, ㄴ, ㄷ 모두 옳다. 답⑤
(근호 안의 식의 값)¾0임을 이용하여 함수 f (x)의 정의
➊ 단계
역을 구한다.
f (x)¾0이면 { f (x)}Û`이 최대 또는 최소일 때, f (x)도
➋ 단계 최대 또는 최소임을 알고 { f (x)}Û`의 최댓값, 최솟값을 구
한 후, 이를 이용하여 답을 구한다.

근호 안의 식의 값은 항상 0 이상이어야 하므로
1-x¾0, 1+x¾0
∴ -1ÉxÉ1
03 해결단계

x의 값의 구간을 나누어 함수 y=[x]-"Ãx-[x]의 그래프


즉, 함수 f (x)의 정의역은 {x|-1ÉxÉ1}이고, ➊ 단계
를 그린다.
f (x)¾0이므로 { f (x)}Û`이 최대 또는 최소일 때, f (x) 두 함수 y=ax-1, y=[x]-"Ãx-[x]의 그래프의 교점이
➋ 단계
도 최대 또는 최소이다. 1개이기 위한 직선 y=ax-1의 위치를 파악한다.
➋ 단계에서 파악한 직선 y=ax-1의 기울기를 이용하여 a
{ f (x)}Û`‌=('Ä1-x+'Ä1+x`)Û` ➌ 단계
의 값의 범위를 구한다.
=1-x+2"Ã1-xÛ`+1+x
함수 y=[x]-"Ãx-[x]에서
=2+2"Ã1-xÛ`
Ú ‌0Éx<1일 때, [x]=0이므로
에서 { f (x)}Û`은 x=0일 때 최댓값 2+2=4를 갖고,
y=[x]-"Ãx-[x]=-'§x
x=Ñ1일 때 최솟값 2+2_0=2를 갖는다.
Û ‌1Éx<2일 때, [x]=1이므로
∴ M='4=2, m='2
y=[x]-"Ãx-[x]=1-'Äx-1
∴ Mm=2'2 답 2'2
Ü ‌2Éx<3일 때, [x]=2이므로
y=[x]-"Ãx-[x]=2-'Äx-2
Ý ‌3Éx<4일 때, [x]=3이므로
y=[x]-"Ãx-[x]=3-'Äx-3
02 해결단계
Ú~Ý에 의하여 0Éx<4에서 y ㉠
함수 g(x)가 x의 값이 증가할 때 y의 값이 감소하는 함수
➊ 단계
임을 이용하여 ㄱ의 참, 거짓을 판단한다. 함수 y=[x]-"Ã x-[x]의 그래 3
2 ㉡
➋ 단계
역함수 관계에 있는 두 함수는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임 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이때
을 이용하여 ㄴ의 참, 거짓을 판단한다. 1
y=ax-1은 y절편이 -1인 직
점 Q가 직선 y=x 위의 점임을 이용하여 ㄷ의 참, 거짓을 O 2 3 4 x
➌ 단계 선이므로 두 함수 y=ax-1, ㉢
판단한다. -1 1
y=[x]-"Ãx-[x]의 그래프의
ㄱ. ‌함수 g(x)는 x의 값이 증가할 때 y의 값이 감소하는
교점이 1개이려면 직선 y=ax-1이 y축과 직선 ㉠ 사이
함수이므로 0<xª<1에서
또는 직선 ㉡과 같거나 직선 ㉡`과 직선 ㉢ 사이에 있어야
1
g(1)<yª< g(0)   ∴ <yª<1 (참)
2 한다.

Ⅱ. 함수와 그래프 | 089


A n s w e r

Ú ‌두 점 (0, -1), (1, 1)을 지나는 직선 ㉠의 기울기가 이 직선의 방정식을 y=x+a`(a는 상수)라 하면 접점 A
1-(-1) 의 x좌표는 방정식 x+a='Äx+2의 실근이므로 이 식의
=2이므로 직선 y=ax-1이 y축과 직선
1-0
양변을 제곱하면
㉠ 사이에 있으려면 a>2이어야 한다.
xÛ`+2ax+aÛ`=x+2
Û ‌두 점 (0, -1), (2, 0)을 지나는 직선 ㉡의 기울기가
∴ xÛ`+(2a-1)x+aÛ`-2=0   yy㉠
0-(-1) 1
= 이므로 직선 y=ax-1이 직선 ㉡과 이 이차방정식이 중근을 가져야 하므로 판별식을 D라 하면
2-0 2
D=(2a-1)Û`-4(aÛ`-2)=0
1
같거나 직선 ㉡과 직선 ㉢ 사이에 있으려면 0<aÉ
2 9
-4a+9=0   ∴ a=
4
이어야 한다.
위의 값을 ㉠에 대입하면

xÛ`+ x+ =0, {x+ }2`=0


Ú, Û에서 구하는 상수 a의 값의 범위는
7 49 7
1 1
0<aÉ 또는 a>2 답 0<aÉ 또는 a>2 2 16 4
2 2
7
∴ x=-
4
서울대 선배들의 강추 문제 1등급 비법 노하우
7 1 1 7
즉, A{- , }, B{ , - }이므로 선분 AB의 길이는
이 문제는 가우스 기호와 무리함수라는 두 가지 중요한 개념을 함께 4 2 2 4

¾Ð{ + }2`+{- - }2`=


사용한 좋은 문제이다.
우선 가우스 기호를 포함한 함수는 범위를 나누어 그래프를 직접 그 1 7 7 1 9'2
려 해석하는 것이 가장 좋다. 이때 범위는 가우스 기호를 포함한 식의
2 4 4 2 4
값이 정수가 되도록 하는 x의 값을 기준으로 구분한다. 즉, [x]인 경우 또한, 직선 AB의 방정식은
에는 x의 값의 범위를 0Éx<1, 1Éx<2, y로 나누고, [3x]인 경우
1 7
에는 x의 값의 범위를 0Éx< 1 , 1 Éx< 2 , y로 나눈다. y- =-{x+ }
3 3 3 2 4
또한, 무리함수는 근호 안의 식의 값이 0 이상이어야 한다는 조건이 중
∴ 4x+4y+5=0
요하고, 무리함수 역시 그래프를 직접 그려 해석하는 것이 용이하다.
점 P(2, 2)와 직선 4x+4y+5=0 사이의 거리는
|8+8+5| 21
=
"Ã4Û`+4Û` 4'2
따라서 삼각형 ABP의 넓이는
1 9'2 21 189 189
_ _ =  답
2 4 4'2 32 32

04 해결단계

두 함수 y= f (x), y= f -1(x)의 그래프가 직선 y=x에


➊ 단계
대하여 대칭임을 이용하여 교점 P의 좌표를 구한다.
선분 AB의 길이가 최대가 되려면 점 A를 지나고 기울기
➋ 단계 가 1인 직선이 함수 y= f (x)의 그래프와 접해야 함을 이
용하여 점 A의 좌표를 구한 후, 선분 AB의 길이를 구한다.

➌ 단계
직선 AB의 방정식을 구한 후, 점 P와 직선 AB 사이의 거 05 해결단계
리를 구한다.
➊ 단계 주어진 식을 x, y, z에 대한 무리식의 제곱의 합으로 변형한다.
➍ 단계 삼각형 ABP의 넓이를 구한다.
x, y, z가 실수임을 이용하여 x, y, z의 값을 각각 구한 후,
➋ 단계
함수 y= f (x)와 그 역함수 y= f -1(x)의 그래프의 교점 xÚ`Ú`-41y+72zÚ`Û`의 값을 구한다.

은 함수 y= f (x)의 그래프와 직선 y=x의 교점과 같다. x+y+z+1=2('Äx-1+'Äy-2+'Äz+1)에서


교점 P의 x좌표는 방정식 'Ä x+2=x의 실근이므로 이 x+y+z+1-2('Äx-1+'Äy-2+'Äz+1)=0
식의 양변을 제곱하면 (x-1-2'Äx-1+1)+(y-2-2'Äy-2+1)
x+2=xÛ`, xÛ`-x-2=0  +(z+1-2'Äz+1+1)=0
(x-2)(x+1)=0   ∴ x=2`(∵ x¾0) ('Äx-1-1)Û`+('Äy-2-1)Û`+('Äz+1-1)Û`=0
즉, 점 P의 x좌표가 2이므로 P(2, 2) 'Äx-1-1, 'Äy-2-1, 'Äz+1-1은 모두 실수이므로
한편, 두 점 A, B는 직선 y=x y y=x 'Äx-1-1=0, 'Äy-2-1=0, 'Äz+1-1=0
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선분 AB y=f{x} 'Äx-1=1, 'Äy-2=1, 'Äz+1=1
의 길이가 최대가 되려면 오른 2 P x-1=1, y-2=1, z+1=1
A
쪽 그림과 같이 점 A를 지나고 ∴ x=2, y=3, z=0
-2 O 2 x
기울기가 1인 직선이 점 A에서 y=f`—!{x} 따라서 구하는 식의 값은
함수 y= f (x)의 그래프와 접 -2 B xÚ`Ú`-41y+72zÚ`Û`‌=2Ú`Ú`-41_3+0
해야 한다. =2048-123=1925 답 1925

090 | 블랙라벨 수학 (하)


본문 p. 59

BLACKLABEL 특강 참고
07 해결단계

b+d
의 값이 함수 y= f (x)의 그래프와 y= f (x)의 그
x, y, z가 실수라는 조건만 있으므로 'Äx-1, 'Äy-2, 'Äz+1 중에 허 a+c
➊ 단계
수인 것이 있다고 가정하자. 래프를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함수 y= g(x)의 그래프
이때 x+y+z+1=2('Ä x-1+'Ä y-2+'Ä z+1)의 좌변은 실수이 위의 두 점 사이의 기울기임을 파악한다.
므로 우변도 실수이어야 한다. 두 함수 y= f (x), y= g(x)의 그래프를 이용하여 기울기
그런데 'Äx-1, 'Äy-2, 'Äz+1 중에 허수인 것은 그 허수부분이 양수 ➋ 단계
가 최대가 될 때와 최소가 될 때의 조건을 구한다.
이므로 우변의 허수부분은 0이 될 수 없다.
➋ 단계에서 구한 조건에 따라 최댓값 M과 최솟값 m을 구
따라서 'Äx-1, 'Äy-2, 'Äz+1은 모두 실수이어야 한다. ➌ 단계
한 후, M-m의 값을 구한다.

b-(-d)
구하는 값 b+d = 는 두 점 (a, b)와
a+c a-(-c)
06 해결단계
(-c, -d)를 지나는 직선의 기울기와 같다.
함수 y= f (x)의 그래프와 원 xÛ`+(y-1)Û`=1을 그린 후, Q'(-c, -d)라 하고, 함수 y= f (x)의 그래프를 원점
➊ 단계
세 영역을 나타낸다.
두 함수 y=xÛ` (x¾0), y='Ä-x`(x<0)의 그래프가 서
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함수를 y= g(x)라 하면 점 Q'은
➋ 단계
로 역함수임을 이용하여 S£의 값을 구한다. 함수 g(x)=1+2'Ä-x-2`(-38ÉxÉ-2)의 그래프
SÁ+Sª+S£이 원 xÛ`+(y-1)Û`=1의 넓이와 같음을 이용하 위에 있다.
➌ 단계
여 SÁ+Sª의 값을 구한 후, S£-(SÁ+Sª)의 값을 구한다.
즉, 함수 y= f (x)의 그래프 위의 점 P, 함수 y= g(x)
xÛ`
(x¾0)
함수 f (x)=[` 의 그래프와 원 의 그래프 위의 점 Q'에 대하여 직선 PQ'의 기울기를 k
'Ä-x (x<0)
라 하고 직선 PQ'을 움직여 보면 다음 그림과 같다.
xÛ`+(y-1)Û`=1로 둘러싸인 세 부분의 넓이를 작은 것부
y
터 순서대로 나타내면 다음 그림과 같다.
y 13
x@+{y-1}@=1 y=x@`{xy0}
2
y=g{x} 2
y=Â-Êx Ê° 1 38
S£ -38 x
1 -2 O
y=f{x}
S¡ -1
S™ -13

-1 O 1 x

Ú ‌k는 직선 PQ'이 두 곡선 y= f (x), y= g(x)에 동시


이때 y=xÛ``(x¾0)의 역함수는 y='§x이고, 역함수
에 접할 때 최소이고 두 곡선이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
y='§x 의 그래프와 함수 y='Ä-x 의 그래프는 y축에 대
므로 직선 PQ'은 원점을 지나는 직선이 된다.
하여 대칭이므로 다음 그림의 두 부분 ㉠, ㉡의 넓이가 서
‌즉, 직선 y=kx와 곡선 f (x)=-1-2'Äx-2의 교점
로 같다.
y
의 x좌표는 방정식 kx=-1-2'Äx-2의 실근이다.
x@+{y-1}@=1 y=x@`{xy0}
2 y=x kx+1=-2'Äx-2의 양변을 제곱하면
(kx+1)Û`=4(x-2)
1 y=Âx° kÛ`xÛ`+2(k-2)x+9=0
B ㉡ ㉠ A
y=Â-Êx Ê°
이때 k¾0이면 직선 y=kx는 두 함수 y= f (x),
y= g(x)의 그래프와 만나지 않으므로 k<0
-1 O 1 x
y=-x ‌이차방정식 kÛ`xÛ`+2(k-2)x+9=0이 중근을 가져
따라서 S£은 반지름의 길이가 1인 반원의 넓이와 직각삼 야 하므로 판별식을 D라 하면
각형 OAB의 넓이의 합과 같으므로 D
=(k-2)Û`-kÛ`_9=0
4
1 1 p
S£= _p_1Û`+ _2_1= +1
2 2 2 8kÛ`+4k-4=0, 2kÛ`+k-1=0
한편, SÁ+Sª+S£은 원 xÛ`+(y-1)Û`=1의 넓이와 같으 (k+1)(2k-1)=0   ∴ k=-1`(∵ k<0)
므로 즉, 직선 PQ'의 기울기의 최솟값은 m=-1이다.
SÁ+Sª+S£=p_1Û`=p Û ‌k는 P(38, -13), Q'(-38, 13)일 때 최대이고 최
∴ SÁ+Sª‌=p-S£ 댓값은
p 13-(-13) 13
=p-{ +1} k= =-
2 -38-38 38
p 13
= -1 즉, 직선 PQ'의 기울기의 최댓값은 M=- 이다.
2 38
p p 13 25 25
∴ S£-(SÁ+Sª)‌= +1-{ -1}=2 답2 Ú, Û에서 M-m=- -(-1)=  답
2 2 38 38 38

Ⅱ. 함수와 그래프 | 091


A n s w e r

BLACKLABEL 특강 오답 피하기
2 해결단계

➊ 단계 함수 f (x)의 역함수 f -1(x)를 구한다.


점 P는 곡선 y= f (x) 위의 임의의 점이고 점 Q'은 곡선 y=g(x)
3
위의 임의의 점이므로 직선 PQ'이 반드시 원점을 지나는 직선인 것은 a¾ 임을 이용하여 함수 y= g(x)의 그래프의 개형을 파
➋ 단계 2
아님에 주의한다. 악한다.
또한, 그래프를 정확하게 그리는 것이 어려운 경우에는 개형에서 경계
함수 y= g(x)의 그래프와 직선 y=x-n의 위치 관계와
로 가능한 경우를 모두 찾고 직접 값을 구하여 최대, 최소를 판단해야
➌ 단계 h(1)=h(3)<h(2)임을 이용하여 h(1), h(2), h(3)의
한다.
값을 구한다.
이 문제에서 직선 PQ'의 기울기가 최대가 되는 경우는 다음과 같이
나누어 생각할 수 있다. 직선 y=x-3이 함수 y= g(x)의 그래프에 접함을 이용하
⑴ P(38, -13), Q'(-38, 13)일 때 ➍ 단계 여 a의 값을 구한 후, f (4), f -1(4)의 값을 비교하여 g(4)
13-(-13) 13
의 값을 구한다.
직선 PQ'의 기울기는 =-
-38-38 38 3
⑵ P(2, -1), Q'(-2, 1)일 때 y='Äax-3+2 {x¾ }에서 y-2='Äax-3
a
1-(-1) 1
직선 PQ'의 기울기는 =-
-2-2 2 위의 식의 양변을 제곱하면
⑶ P(2, -1), Q'(-38, 13) 또는 P(38, -13), Q'(-2, 1)일 때
13-(-1)
yÛ`-4y+4=ax-3, ax=yÛ`-4y+7
직선 PQ'의 기울기는 7
=-
-38-2 20
x= 1 yÛ`- 4 y+ 7
이때 - 13 >- 7 >- 1 이므로 직선 PQ'의 기울기는 ⑴의 경우 a a a
38 20 2

x와 y를 서로 바꾸면 y= 1 xÛ`- 4 x+ 7
에 최대이다.
a a a
1 4 7
∴ f -1(x)= xÛ`- x+ (x¾2)
a a a

a¾ 3 에서 0< 3 É2이고,  y y=f —!{x} y=x


2 a
y=f{x}
함수 y= f (x)의 그래프는
3
이것이 수능 점 { , 2}를 지나므로 두 함
p. 60 a
2
1③ 2 13 3① 4 18
수 y= f(x), y= f -1(x)의 23 x
O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a

이때 함수 g(x)는 x¾2에 y y=x


1 해결단계 -1
서 f (x)와 f (x) 중 크지 y=g{x}
함수 y=5-2'Ä1-x의 그래프를 그린 후, 조건을 만족시키 않은 값이므로 함수
➊ 단계
는 직선 y=-x+k의 위치를 파악한다. y= g(x)의 그래프의 개형
➊ 단계에서 찾은 각각의 경우에 대하여 직선이 지나야 하는 2
➋ 단계 은 오른쪽 그림과 같다.
점의 좌표를 대입하여 실수 k의 값의 범위를 구한다. x
O 2
➋ 단계에서 구한 k의 값의 범위에서 모든 정수 k의 값을 구 이 그래프와 직선 y=x-n
➌ 단계
한 후, 그 합을 계산한다.
(n은 자연수)이 만나는 서로 다른 점의 개수는 항상 1 이
함수 y=5-2'Ä1-x y 상이므로 1Éh(1)=h(3)<h(2)에서
의 그래프와 직선 6
h(2)=2 또는 h(2)=3
5
y=-x+k가 제 1 사분 Ú h(2)=2일 때, y y=x
3
y=x-2
면에서 만나려면 오른 y=5-2Â1-ÊxÊ° ° ‌함수 y= g(x)의 그래 y=g{x}
쪽 그림과 같이 직선 O 1 x 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
y=-x+k가 Û이거 이 직선 y=x-2에 접
나 Ú과 Û 사이에 있어야 한다. 해야 한다.
O 2 x
Ú ‌직선 y=-x+k가 함수 y=5-2'Ä1-x의 그래프와 ‌이때 함수 y= g(x)의
y축의 교점을 지나는 경우 그래프와 직선 y=x-1이 만나는 서로 다른 점의 개
x=0일 때 y=5-2'Ä1-0=5-2=3 수는 2 또는 3이므로 h(1)<h(2)라는 조건을 만족시
즉, 직선 y=-x+k는 점 (0, 3)을 지나야 하므로 키지 않는다.
k=3 Û ‌h(2)=3일 때, y y=x-1
y=x y=x-2
Û 직선 y=-x+k가 점 (1, 5)를 지나는 경우 ‌함수 y= g(x)의 그 y=x-3
y=g{x}
5=-1+k에서 k=6 래프는 오른쪽 그림
Ú, Û에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실수 k의 값의 범위는 과 같고 주어진 조건
3<kÉ6 이 성립하려면
O 2 x
따라서 정수 k는 4, 5, 6이므로 그 합은 ‌h(1)=h(3)=2이어
4+5+6=15 답③ 야 한다.

092 | 블랙라벨 수학 (하)


본문 pp. 59~60

Ú, Û에서 직선 y=x-3이 함수 y= g(x)의 그래프에 두 곡선 y=2'§x, y=-'§x+6과 직선 x=k로 둘러싸인


-1
접해야 하므로 방정식 f (x)=x-3이 중근을 갖는다. 영역의 내부 또는 그 경계에 포함되는 점 중 x좌표와 y좌
1 4 7 표가 모두 정수인 점의 개수는 다음과 같다.
즉, xÛ`- x+ =x-3에서
a a a
25
xÛ`-4x+7=ax-3a (∵ a+0) Ú 4É2'§x<5, 즉 4Éx< 일 때,
4
xÛ`-(a+4)x+7+3a=0 ‌위의 부등식을 만족시키는 정수 x는 4, 5, 6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7
‌이때 4É2'§x<5, <-'§x+6É4이므로 위의 x의
D={-(a+4)}Û`-4(7+3a)=0 2

aÛ`-4a-12=0, (a+2)(a-6)=0 값에서 두 곡선 y=2'§x, y=-'§x+6 사이에 존재하

3 는 정수 y는 4뿐이다.
∴ a=6 {∵ a¾ }
2 즉, 조건을 만족시키는 점의 개수는 3_1=3
1 2
-1 7 25
∴ f (x)='Ä6x-3+2, f (x)= xÛ`- x+ Û 5É2'§x<6, 즉 Éx<9일 때,
6 3 6 4
f (4)='Ä6_4-3+2='¶21+2, ‌위의 부등식을 만족시키는 정수 x는 7, 8
-1 1 2 7 7 7
f (4)= _4Û`- _4+ = 이므로 ‌이때 5É2'§x<6, 3<-'§x+6É 이므로 위의 x의
6 3 6 6 2
7 값에서 두 곡선 y=2'§x, y=-'§x+6 사이에 존재하
f (4)> f -1(4)에서 g(4)= f -1(4)=
6
는 정수 y는 4, 5이다.
따라서 p=6, q=7이므로
즉, 조건을 만족시키는 점의 개수는 2_2=4
p+q=13 답 13
49
Ü 6É2'§x<7, 즉 9Éx< 일 때,
4
‌위의 부등식을 만족시키는 정수 x는 9, 10, 11, 12
3 해결단계
5
‌이때 6É2'§x<7, <-'§x+6É3이므로 위의 x의
➊ 단계
점 A의 좌표를 (a, 2'§a ) (a>0)라 하고, 두 점 B, C의 좌 2
표를 구한다.
값에서 두 곡선 y=2'§x, y=-'§x+6 사이에 존재하
삼각형 ACB가 직각이등변삼각형임을 이용하여 a의 값을
➋ 단계
구한다. 는 정수 y는 3, 4, 5, 6이다.
ABÓ, ACÓ의 길이를 구한 후, 삼각형 ACB의 넓이를 구한 즉, 조건을 만족시키는 점의 개수는 4_4=16
➌ 단계
다.
49
Ý 7É2'§x<8, 즉 Éx<16일 때,
점 A의 좌표를 (a, 2'§a ) (a>0)라 하면 4
B(4a, 2'§a ), C(a, '§a ) ‌위의 부등식을 만족시키는 정수 x는 13, 14, 15
이때 삼각형 ACB가 직각이등변삼각형이므로 5
‌이때 7É2'§x<8, 2<-'§x+6É 이므로 위의 x의
2
ABÓ=ACÓ에서 3a='§a
값에서 두 곡선 y=2'§x, y=-'§x+6 사이에 존재하
9aÛ`-a=0, a(9a-1)=0
는 정수 y는 3, 4, 5, 6, 7이다.
1
∴ a= (∵ a>0)
9 즉, 조건을 만족시키는 점의 개수는 3_5=15
1 1 81
∴ ABÓ=ACÓ=3_ = Þ 8É2'§x<9, 즉 16Éx< 일 때,
9 3 4
따라서 삼각형 ACB의 넓이는 ‌위의 부등식을 만족시키는 정수 x는 16, 17, 18, 19,
1 1 1 1 1 20
_ABÓ_ACÓ= _ _ =  답①
2 2 3 3 18
3
‌이때 8É2'§x<9, <-'§x+6É2이므로 위의 x의
2
값에서 두 곡선 y=2'§x, y=-'§x+6 사이에 존재하
4 해결단계
는 정수 y는 2, 3, 4, 5, 6, 7, 8이다.
➊ 단계 2'§x를 기준으로 범위를 나누어 정수인 점의 개수를 구한다.
즉, 조건을 만족시키는 점의 개수는 5_7=35
➊ 단계에서 구한 점의 개수를 이용하여 조건을 만족시키는
➋ 단계
점의 개수가 59가 되도록 하는 자연수 k의 값을 구한다. Ú~Ý에서 4Éx<16일 때 조건을 만족시키는 점의 개
수는
x=k
y y=2Âx°°
3+4+16+15=38
6 Þ에서 x=16, x=17, x=18일 때 점의 개수는
5 …
4
3 7+7+7=21
y=-Âx°° +6
따라서 x좌표와 y좌표가 모두 정수인 점의 개수가 59가
O 4 7 9 x
되도록 하는 자연수 k의 값은 18이다. 답 18

Ⅱ. 함수와 그래프 | 093


A n s w e r

Ü d=3일 때,
‌a_b_c=9를 만족시키는 순서쌍 (a, b, c)는

경우의 수 (1, 3, 3), (3, 1, 3), (3, 3, 1)의 3개


Ý d=4일 때,
‌a_b_c=16을 만족시키는 순서쌍 (a, b, c)는
‌(1, 4, 4), (4, 1, 4), (4, 4, 1), (2, 2, 4),
(2, 4, 2), (4, 2, 2)의 6개
06 순열과 조합
Ú ~ Ý에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네 자리 자연수의 개수는
1+6+3+6=16 답 16
STEP
1 출제율 100% 우수 기출 대표 문제 pp. 63~64

01 ① 02 16 03 ② 04 ④ 05 ②
06 12 07 ④ 08 ③ 09 ③ 10 126
11 ③ 12 ④ 13 ① 14 ③ 15 38 03 교통비가 5000원 미만이 되도록 길을 선택하는 경우는
16 ② 다음과 같다.
Ú ‌A → C → A를 선택할 때,
A → C일 때 2000원, C → A일 때 2000원의 교통비
01 4명의 대사들을 A, B, C, D라 하고 대사들의 현재 근무 가 드는 도로를 이용하는 방법의 수는
지를 각각 a, b, c, d라 하자. 이전에 파견되었던 나라에 2_2=4
연속으로 파견되지 않도록 4명의 대사들을 각 나라에 파 Û ‌A → B → C → A를 선택할 때,
견하는 방법을 수형도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A → B일 때 1000원, B → C일 때 1500원, C → A
A B C D
일 때 2000원의 교통비가 드는 도로를 이용하는 방법
a d c
b c d a 의 수는
d a c 2_2_2=8
a d b Ü ‌A → C → B → A를 선택할 때,
c a b
d
b a
A → C일 때 2000원, C → B일 때 1500원, B → A
a b c 일 때 1000원의 교통비가 드는 도로를 이용하는 방법
d a b
c 의 수는
b a
2_2_2=8
따라서 구하는 방법의 수는 9이다. 답①
Ú, Û, Ü에서 구하는 방법의 수는

BLACKLABEL 특강 참고
4+8+8=20 답②

교란순열(완전순열) BLACKLABEL 특강 풀이 첨삭
일렬로 나열되어 있는 서로 다른 n개의 원소를 다시 배열하여 어떠한
원소도 이전의 자리가 아닌 자리로 나열하는 순열의 수는 A Ú`C에서 3000원의 교통비가 드는 도로를 이용하면 C Ú`A에서
1 1 1 최소 2000원, C Ú`B Ú`A에서 1500+1000=2500(원)의 교통비
n![1- + -y+(-1)Ç` ]
1! 2! n! 가 드는 도로를 이용해야 하므로 교통비가 5000원 이상이 되어 조건
이 문제의 경우, 위의 방법을 이용하면 이전에 파견되었던 나라에 연 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속으로 파견되지 않도록 4명의 대사들을 파견하는 방법의 수는 A Ú`B Ú`C Ú`B Ú`A를 선택할 때,
1 1 1 1 1 1 1 A Ú`B일 때 1000원, B Ú`C일 때 1500원, C Ú`B일 때 1500원,
4!{1- + - + }‌=4!{ - + }
1! 2! 3! 4! 2! 3! 4! B Ú`A일 때 1000원의 교통비가 드는 도로를 이용하면 교통비가
=4_3-4+1 5000원이 되어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12-4+1
=9

04 N=200p=2Ü`_5Û`_p`(p는 소수)에서
02 a_b_c=dÛ`에서 Ú p=2일 때,
Ú d=1일 때, N=2Ý`_5Û`이므로 양의 약수의 개수는
‌a_b_c=1을 만족시키는 순서쌍 (a, b, c)는 (4+1)_(2+1)=5_3=15
(1, 1, 1)의 1개 ∴ k=15
Û d=2일 때, Û p=5일 때,
‌a_b_c=4를 만족시키는 순서쌍 (a, b, c)는 N=2Ü`_5Ü`이므로 양의 약수의 개수는
‌(1, 1, 4), (1, 4, 1), (4, 1, 1), (1, 2, 2), (3+1)_(3+1)=4_4=16
(2, 1, 2), (2, 2, 1)의 6개 ∴ k=16

094 | 블랙라벨 수학 (하)


본문 p. 63

Ü p+2, p+5일 때, Ú ‌일의 자리의 수가 2인 경우


N=2Ü`_5Û`_pÚ`이므로 양의 약수의 개수는 6의 배수인 네 자리 자연수의 개수는 1, 4, 5를 일렬
(3+1)_(2+1)_(1+1)=4_3_2=24 로 배열하는 경우의 수와 같으므로
∴ k=24 3!=3_2_1=6
Ú, Û, Ü에서 모든 k의 값의 합은 Û ‌일의 자리의 수가 4인 경우
15+16+24=55 답④ 6의 배수인 네 자리 자연수의 개수는 1, 2, 5를 일렬
로 배열하는 경우의 수와 같으므로
BLACKLABEL 특강 필수 개념
3!=3_2_1=6
자연수의 양의 약수의 개수와 총합 Ú, Û에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자연수의 개수는
a, b, c가 서로 다른 소수이고 p, q, r가 양의 정수일 때, 자연수
6+6=12 답 12
N=apbqcr에 대하여
⑴ N의 양의 약수의 개수는 (p+1)(q+1)(r+1)
⑵ N의
‌ 양의 약수의 총합은 BLACKLABEL 특강 필수 개념
(1+a+aÛ`+y+ap)(1+b+bÛ`+y+bq)(1+c+cÛ`+y+cr)
⑶ N의 약수의 개수가 홀수이면 그 수는 제곱수이다. 배수 구별법
⑷ N의 약수의 개수가 3이면 그 수는 소수의 제곱수이다. ⑴ 2의 배수:일의 자리의 수가 0 또는 2의 배수
⑵ 3의 배수:각 자리의 수의 합이 3의 배수
⑶ 4의 배수:끝의 두 자리가 00이거나 4의 배수
⑷ 5의 배수:일의 자리의 수가 0 또는 5
⑸ 6의 배수:2의 배수와 3의 배수의 조건을 동시에 만족
⑹ 8의 배수:끝의 세 자리가 000이거나 8의 배수
05 A영역에 칠할 수 있는 색은 5가지, A
4가지
B ⑺ 9의 배수:각 자리의 수의 합이 9의 배수

B영역에 칠할 수 있는 색은 A영역
5가지
에 칠한 색을 제외한 4가지, C영역 C D
3가지 3가지
에 칠할 수 있는 색은 두 영역 A, B
에 칠한 색을 제외한 3가지, D영역 07 남학생 12명을 일렬로 세우는 방법의 수는 12!
에 칠할 수 있는 색은 두 영역 B, C에 칠한 색을 제외한 이때 남학생끼리는 서로 이웃한 학생 수가 항상 짝수가
3가지이다. 되어야 하므로 다음 그림과 같이 남학생 12명을 일렬로
따라서 구하는 방법의 수는 배열한 상태에서 2명씩 묶어 그 사이사이 및 양 끝의 7개
5_4_3_3=180 답② 의 자리에 여학생 2명을 각각 세워야 한다.
다른 풀이 남 남 남 남 남 남 남 남 남 남 남 남

네 영역 A, B, C, D 중에서 이웃하지 않은 영역은 A, D 즉, 여학생을 세우는 방법의 수는


뿐이므로 다음과 같이 나누어 생각할 수 있다. ¦Pª=7_6=42
Ú 네 영역 모두 다른 색을 칠하는 경우 따라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의 수는 42_12!
‌칠하는 방법의 수는 5가지 색 중에서 4개를 선택하여 ∴ N=42 답④
일렬로 나열하는 순열의 수와 같으므로
°P¢=5_4_3_2=120
Û 두 영역 A, D에 같은 색을 칠하는 경우
‌칠하는 방법의 수는 5가지 색 중에서 3개를 선택하여
08 어머니는 두 자녀 사이에 앉아야 하므로 양 끝을 제외하
고 앉을 수 있다.
일렬로 나열하는 순열의 수와 같으므로
Ú 어머니가 2번째 또는 7번째 자리에 앉을 때,
°P£=5_4_3=60
‌한쪽 끝에 두 자녀 중 한 자녀가 앉고 다른 한쪽에 남
Ú, Û에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방법의 수는
은 자녀와 아버지가 앉으면 되므로 경우의 수는
120+60=180
(2_2!)_2=8
Û 어머니가 3, 4, 5, 6번째 자리에 앉을 때,
① 어머니
‌ 왼쪽에 1명이 앉는 경우
06 6의 배수가 되려면 2의 배수이면서 동시에 3의 배수이어 어머니 왼쪽에 두 자녀 중 한 명이 앉고, 오른쪽에
야 한다. 남은 자녀와 아버지가 앉으면 되므로 경우의 수는
이때 3의 배수가 되려면 각 자리의 수의 합이 3의 배수가 2_2!=4
되어야 하므로 다섯 개의 숫자 1, 2, 3, 4, 5 중에서 1, 2, ② 어머니
‌ 왼쪽에 2명이 앉는 경우
네 개의 숫자의 합이 1+2+4+5=12
4, 5를 택해야 한다. 어머니 왼쪽에 두 자녀 중 한 명과 아버지가 앉고
또한, 2의 배수가 되려면 일의 자리의 수는 2 또는 4이어 오른쪽에 남은 자녀가 앉으면 되므로
야 하므로 2_2!_1=4

Ⅲ. 경우의 수 | 095
A n s w e r

①, ②에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의 수는 10 꺼낸 4개의 공의 색이 3종류가 되려면 종류별로 각각 1


(4+4)_4=32 개, 1개, 2개의 공을 꺼내야 한다.
Ú, Û에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Ú 흰 공을 2개 꺼내는 경우
8+32=40 답③ ‌흰 공을 2개 꺼내고, 빨간 공과 파란 공을 각각 1개씩
다른 풀이 꺼내야 하므로 경우의 수는
4_3
아버지, 어머니, 두 자녀가 서로 이웃하므로 다음 그림과 ¢Cª_£CÁ_£CÁ= _3_3=54
2_1
같이 빈 의자 4개가 일렬로 배열된 상태에서 4명을 묶어
Û 빨간 공을 2개 꺼내는 경우
그 사이사이 및 양 끝의 5개의 자리 중 하나에 앉도록 해
‌빨간 공을 2개 꺼내고, 흰 공과 파란 공을 각각 1개씩
야 한다.
꺼내야 하므로 경우의 수는
(의자) (의자) (의자) (의자)
3_2
£Cª_¢CÁ_£CÁ= _4_3=36
이때 어머니는 두 번째 또는 세 번째에 앉아야 하고, 아버 2_1
지와 두 자녀가 남은 자리에 앉는 경우에서 두 자녀가 한 Ü 파란 공을 2개 꺼내는 경우
쪽에 같이 앉는 경우를 제외해야 하므로 경우의 수는 ‌파란 공을 2개 꺼내고, 흰 공과 빨간 공을 각각 1개씩
2_(3!-2!)=2_(6-2)=8 꺼내야 하므로 경우의 수는
따라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3_2
£Cª_¢CÁ_£CÁ= _4_3=36
2_1
5_8=40
Ú, Û, Ü에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54+36+36=126 답 126

09 전체 8명을 일렬로 세우는 방법의 수는 8!


11 지원자 11명 중에서 4명을 선발하는 경우의 수는
이때 양 끝에 여학생을 세우는 방법의 수는 양 끝에 여학
11_10_9_8
생 2명을 선택하여 세우고, 나머지 6명을 그 사이에 일렬 ÁÁC¢= =330
4_3_2_1
로 세워야 하므로 남학생 또는 여학생만으로 4명을 선발하는 경우의 수는
£Pª_6! 6_5
¤C¢+°C¢=¤Cª+°CÁ= +5=15+5=20
따라서 적어도 한쪽 끝에 남학생을 세우는 방법의 수는 2_1
8!-£Pª_6!‌=(8_7-3_2)_6! 따라서 남학생과 여학생이 적어도 한 명씩은 포함되도록
=50_720=36000 답③ 하는 경우의 수는

다른 풀이
330-20=310 답③

다른 풀이
적어도 한쪽 끝에 남학생을 세우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Ú 왼쪽 끝에 남학생을 세우는 경우 남학생 6명과 여학생 5명 중에서 남학생과 여학생이 적어
‌남학생 5명 중에서 1명을 선택하여 왼쪽 끝에 세우고, 도 한 명씩은 포함되도록 4명을 선발하는 방법은 다음과
나머지 7명을 남은 자리에 일렬로 배열하면 되므로 같다.
°PÁ_7!=5_7! Ú 남학생 1명, 여학생 3명을 선발하는 경우의 수는
Û 오른쪽 끝에 남학생을 세우는 경우 5_4
¤CÁ_°C£=¤CÁ_°Cª=6_ =60
2_1
‌남학생 5명 중에서 1명을 선택하여 오른쪽 끝에 세우
Û 남학생 2명, 여학생 2명을 선발하는 경우의 수는
고, 나머지 7명을 남은 자리에 일렬로 배열하면 되므로
6_5 5_4
°PÁ_7!=5_7! ¤Cª_°Cª= _ =150
2_1 2_1
Ü 양쪽 끝에 남학생을 세우는 경우 Ü 남학생 3명, 여학생 1명을 선발하는 경우의 수는
‌남학생 5명 중에서 2명을 선택하여 양쪽 끝에 세우고, 6_5_4
¤C£_°CÁ= _5=100
나머지 6명을 그 사이에 일렬로 배열하면 되므로 3_2_1
°Pª_6!=5_4_6!=20_6! Ú, Û, Ü에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적어도 한쪽 끝에 남학생을 세우는 방법의 수는 Ú의 경 60+150+100=310
우의 수와 Û의 경우의 수의 합에서 Ü의 경우의 수를 빼
면 되므로
5_7!+5_7!-20_6!‌=10_7!-20_6!
=(10_7-20)_6!
12 8개의 점 중에서 4개의 점을 택하는 경우의 수는
8_7_6_5
¥C¢= =70
=50_6!=36000 4_3_2_1

096 | 블랙라벨 수학 (하)


본문 pp. 63~64

이때 택한 4개의 점으로 사각형을 만들 수 없는 경우는 어린이 3명이 모두 이웃하도록 앉혀야 하므로 경우의
다음과 같다. 수는
3명의 어린이가 자리 바꿈
Ú 일직선 위에 있는 4개의 점을 택하는 경우의 수는 °CÁ_£C£_2!_3!=5_1_2_6=60
3명의 어린이를 1명으로 생각
¢C¢=1
Ú, Û에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Û ‌일직선 위에 있는 3개의 점과 호 위에 있는 한 개의 점
360+60=420 답①
을 택하는 경우의 수는
¢C£_¢CÁ=¢CÁ_¢CÁ=4_4=16
Ú, Û에서 사각형을 만들 수 없는 경우의 수는
1+16=17 14 낚시터에서 2명 이상의 낚시꾼이 내려야 하므로 6명의 낚
따라서 구하는 사각형의 개수는 시꾼이 각 낚시터에 내릴 수 있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70-17=53 답④ Ú 낚시꾼이 2명, 2명, 2명으로 나누어 내리는 경우

다른 풀이
낚시꾼 6명을 2명, 2명, 2명으로 나누는 경우의 수는
1 6_5 4_3 1
반원의 지름 위의 점이 4개이고 호 위의 점이 4개이므로 ¤Cª_¢Cª_ªCª_ = _ _1_ =15
3! 2_1 2_1 6
다음과 같이 사각형의 개수를 구할 수 있다. 이때 낚시꾼들이 내릴 낚시터를 정하는 경우의 수는
Ú 지름 위에 있는 점을 꼭짓점으로 하지 않는 경우 ¢P£=4_3_2=24
‌호 위에 있는 4개의 점을 택하여 사각형을 만들면 되 즉,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의 수는
므로 경우의 수는 15_24=360
¢C¢=1 Û 낚시꾼이 2명, 4명으로 나누어 내리는 경우
Û 지름 위에 있는 점 1개를 꼭짓점으로 하는 경우 낚시꾼 6명을 2명, 4명으로 나누는 경우의 수는
‌호 위에 있는 3개의 점을 택하여 사각형을 만들면 되 6_5
¤Cª_¢C¢= _1=15
므로 경우의 수는 2_1
¢CÁ_¢C£=¢CÁ_¢CÁ=4_4=16 이때 낚시꾼들이 내릴 낚시터를 정하는 경우의 수는
Ü 지름 위에 있는 점 2개를 꼭짓점으로 하는 경우 ¢Pª=4_3=12
‌호 위에 있는 2개의 점을 택하여 사각형을 만들면 되 즉,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의 수는
므로 경우의 수는 15_12=180
4_3 4_3 Ü 낚시꾼이 3명, 3명으로 나누어 내리는 경우
¢Cª_¢Cª= _ =6_6=36
2_1 2_1 낚시꾼 6명을 3명, 3명으로 나누는 경우의 수는
Ú, Û, Ü에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사각형의 개수는 1 6_5_4 1
¤C£_£C£_ = _1_ =10
1+16+36=53 2! 3_2_1 2
이때 낚시꾼들이 내릴 낚시터를 정하는 경우의 수는
BLACKLABEL 특강 필수 개념 ¢Pª=4_3=12
도형과 조합의 수 즉,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의 수는
⑴ ‌어느 세 점도 일직선 위에 있지 않은 서로 다른 n개의 점 중에서 10_12=120
두 점을 연결하여 만들 수 있는 직선의 개수 ⇨ ÇCª
⑵ ‌어느 세 점도 일직선 위에 있지 않은 서로 다른 n개의 점 중에서 Ý 낚시꾼 6명이 한 번에 내리는 경우
세 점을 꼭짓점으로 하는 삼각형의 개수 ⇨ ÇC£ 낚시꾼들이 내릴 낚시터를 정하는 경우의 수는
⑶ m개의
‌ 평행선과 n개의 평행선이 만날 때 생기는 평행사변형의 개
수 ⇨ µCª_ÇCª ¢PÁ=4
Ú~Ý에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360+180+120+4=664 답③

13 어른 5명, 어린이 3명 중에서 4명을 뽑아 일렬로 앉힐 때,


어린이가 2명 이상 뽑히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Ú ‌뽑은 4명 중에서 어린이가 2명 포함되는 경우 15 f (1)+ f (2)가 짝수이므로 다음 두 가지 경우로 나눌 수
어른 5명 중에서 2명, 어린이 3명 중에서 2명을 뽑은 있다.
후, 어린이 2명이 모두 이웃하도록 앉혀야 하므로 경 Ú f (1), f (2)가 모두 홀수인 경우
우의 수는 2명의 어린이가 자리 바꿈
f (2)_ f (3)이 짝수이므로 f (3)은 짝수이어야 한다.
5_4 ‌즉, f (1), f (2)는 1, 3, 5 중에서 하나에 대응하고,
°Cª_£Cª_3!_2!= _3_6_2=360
2_1
2명의 어린이를 1명으로 생각
f (3)은 2, 4 중에서 하나에 대응하여야 하므로 함수의
Û ‌뽑은 4명 중에서 어린이가 3명 포함되는 경우 개수는
어른 5명 중에서 1명, 어린이는 3명을 모두 뽑은 후, 3_3_2=18

Ⅲ. 경우의 수 | 097
A n s w e r

Û f (1), f (2)가 모두 짝수인 경우 02 수형도를 이용하여 k번째 자리에는 숫자 k가 적힌 카드


‌f (2)가 짝수이므로 f (2)_ f (3)은 항상 짝수이다. 가 나오지 않도록 다섯 개의 숫자 2, 2, 3, 4, 4를 나열하
즉, f (3)은 집합 Y의 어느 원소에 대응하여도 조건을 면 다음과 같다.
만족시킨다. 자리 1 2 3 4 5

‌따라서 f (1), f (2)는 2, 4 중에서 하나에 대응하고, 카드 2 3 4 2 4


4 2 3 4
f (3)은 1, 2, 3, 4, 5 중에서 하나에 대응하여야 하므
4 2 3
로 함수의 개수는 3 2
2_2_5=20 3 4 2 2 4
4 2 2
Ú, Û에서 구하는 함수의 개수는
4 3 2 2 4
18+20=38 답 38 4 2 2
4 2 2 3
3 2

따라서 구하는 방법의 수는 10이다. 답 10


16 f (3)=4이므로 a<b<3이면 f (a)> f (b)>4,
3<a<b이면 4> f (a)> f (b)를 만족시켜야 한다.
즉, f (1)> f (2)>4를 만족시키는 f (1), f (2)의 값은
03 8x4y2z=2Ú`à`에서 23x22y2z=2Ú`à`
5, 6, 7 중에서 2개를 뽑아 큰 값부터 차례대로 정하면 되 23x+2y+z=2Ú`à`
고 그 각각에 대하여 4> f (4)> f (5)를 만족시키는 ∴ 3x+2y+z=17
f (4), f (5)의 값은 1, 2, 3 중에서 2개를 뽑아 큰 값부 Ú x=1일 때,
터 차례대로 정하면 된다. 2y+z=14이므로 자연수 y, z의 순서쌍 (y, z)는
따라서 구하는 함수 f 의 개수는 (1, 12), (2, 10), (3, 8), (4, 6), (5, 4), (6, 2)
£Cª_£Cª=£CÁ_£CÁ=3_3=9 답② 의 6개
Û x=2일 때,
2y+z=11이므로 자연수 y, z의 순서쌍 (y, z)는
(1, 9), (2, 7), (3, 5), (4, 3), (5, 1)의 5개
STEP
2 1등급을 위한 최고의 변별력 문제 pp. 65~69 Ü x=3일 때,

01 ① 02 10 03 ③ 04 ③ 05 ②
2y+z=8이므로 자연수 y, z의 순서쌍 (y, z)는
06 ⑤ 07 ④ 08 135 09 ⑤ 10 660 (1, 6), (2, 4), (3, 2)의 3개
11 ② 12 1200 13 72 14 144 15 192 Ý x=4일 때,
16 504 17 64 18 ② 19 ① 20 ②
2y+z=5이므로 자연수 y, z의 순서쌍 (y, z)는
21 65 22 ③ 23 ③ 24 ② 25 3600
(1, 3), (2, 1)의 2개
26 20 27 ④ 28 82 29 900 30 36
31 48 32 24 33 ③ 34 ④ 35 26 Þ x=5일 때,
‌2y+z=2이고, 이것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y, z의 순
서쌍 (y, z)는 존재하지 않는다.
01 천의 자리의 숫자를 a, 십의 자리의 숫자를 b라 하면 비 Ú ~ Þ에서 구하는 순서쌍 (x, y, z)의 개수는
밀번호가 9로 나누어떨어지므로 비밀번호의 각 자리의 숫 6+5+3+2=16 답③
자의 합 a+2+b+5는 9의 배수이어야 한다.
이때 a, b는 모두 1부터 9까지의 자연수 중 하나이므로

1+1
2+7Éa+b+7É18+7
9+9
04 f (1), f (2)의 값은 1, 2, 3, 4, 5 중 하나이므로
9Éa+b+7É25 3É f (1)+2 f (2)É15
1+2_1 5+2_5
∴ a+b+7=9 또는 a+b+7=18 이 중 양의 약수의 개수가 4 이상이 되도록 하는 값은
Ú ‌a+b+7=9일 때, 2Ú`_3Ú`, 2Ü`, 2Ú`_5Ú`, 2Û`_3Ú`, 2Ú`_7Ú`, 3Ú`_5Ú`
a+b=2이므로 a=b=1로 1개이다. 이다.
Û ‌a+b+7=18일 때, Ú f (1)+2 f (2)=2Ú`_3Ú`=6인 경우
a+b=11이므로 a, b의 순서쌍 (a, b)는 조건을 만족시키는 순서쌍 ( f (1), f (2))는
(2, 9), (3, 8), (4, 7), (5, 6), (6, 5), (7, 4), (4, 1), (2, 2)의 2개
(8, 3), (9, 2)의 8개이다. Û f (1)+2 f (2)=2Ü`=8인 경우
Ú, Û에서 가능한 비밀번호의 개수는 조건을 만족시키는 순서쌍 ( f (1), f (2))는
1+8=9 답① (4, 2), (2, 3)의 2개

098 | 블랙라벨 수학 (하)


본문 pp. 64~65

Ü f (1)+2 f (2)=2Ú`_5Ú`=10인 경우 Û m=1일 때,


조건을 만족시키는 순서쌍 ( f (1), f (2))는 2â`_3Ú`, 2Ú`_3Ú`, y, 2Þ`_3Ú`의 6개
=32_3=96
(4, 3), (2, 4)의 2개 Ü m=2일 때,
Ý ‌f (1)+2 f (2)=2Û`_3Ú`=12인 경우 2â`_3Û`, 2Ú`_3Û`, 2Û`_3Û`, 2Ü`_3Û`의 4개
=8_9=72
조건을 만족시키는 순서쌍 ( f (1), f (2))는 Ý m=3일 때,
(4, 4), (2, 5)의 2개 2â`_3Ü`, 2Ú`_3Ü`의 2개
=2_27=54
Þ f (1)+2 f (2)=2Ú`_7Ú`=14인 경우 Þ m=4일 때,
조건을 만족시키는 순서쌍 ( f (1), f (2))는 2â`_3Ý`의 1개
=1_81=81
(4, 5)의 1개 Ú ~ Þ에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A의 개수는
ß ‌f (1)+2 f (2)=3Ú`_5Ú`=15인 경우 7+6+4+2+1=20 (참)
조건을 만족시키는 순서쌍 ( f (1), f (2))는 ㄷ. ‌A=2l_3m의 양의 약수의 개수는 (l+1)(m+1)이
(5, 5)의 1개 므로 (l+1)(m+1)=12를 만족시키는 l, m의 순
Ú~ß에서 구하는 함수 f 의 개수는 서쌍 (l, m)은
2+2+2+2+1+1=10 답③ (0, 11), (1, 5), (2, 3), (3, 2), (5, 1), (11, 0)
의 6개이다.
따라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A의 개수는 6이다. (참)
그러므로 ㄱ, ㄴ, ㄷ 모두 옳다. 답⑤
05 500원짜리 동전 2개로 지불할 수 있는 금액과 1000원짜
리 지폐 1장으로 지불할 수 있는 금액이 같으므로 1000원 BLACKLABEL 특강 참고
짜리 지폐 2장을 500원짜리 동전 4개로 바꾸면 구하는 금
경우의 수에서 배우는 내용은 대학수학 전반에서 기본적이고 중요한
액의 가짓수는 500원짜리 동전 8개와 100원짜리 동전 3 역할을 하므로 절대 소홀히 하면 안 된다. 이 문제에서 가장 중요한
아이디어는 A=2Â`_3µ``일 때, A의 양의 약수의 개수는
개를 사용하여 지불할 수 있는 금액의 수와 같다.
(l+1)(m+1)이라는 점이다. 이것은 2와 3이 서로소이므로 가능한
500원짜리 동전 8개로 지불할 수 있는 금액은 것이다. 만약 A=2Û`_4µ``이면 A의 양의 약수의 개수는
(2+1)_(m+1)=3(m+1)이 아니라 A=22+2m에서
0원, 500원, 1000원, y, 4000원의 9가지
2+2m+1=2m+3이다.
100원짜리 동전 3개로 지불할 수 있는 금액은
0원, 100원, 200원, 300원의 4가지
이때 0원을 지불하는 것은 제외하므로 구하는 금액의 수는
9_4-1=35 답②

다른 풀이
07 3으로 나눈 나머지가 k인 집합을 Aû (k=0, 1, 2)라 하
면 1부터 10까지의 자연수는 다음과 같이 세 집합의 원소
지불할 수 있는 금액(단위:원)을 모두 구하면 로 나눌 수 있다.
100, 200, 300, 500, 600, 700, 800, 1000, 1100, 1200, A¼={3, 6, 9}, AÁ={1, 4, 7, 10}, Aª={2, 5, 8}
1300, 1500, 1600, 1700, 1800, 2000, 2100, 2200, 이때 a+b의 값이 3의 배수가 되는 경우는 다음과 같이
2300, 2500, 2600, 2700, 2800, 3000, 3100, 3200, 두 가지가 있다.
3300, 3500, 3600, 3700, 3800, 4000, 4100, 4200, Ú a<A¼, b<A¼일 때,
4300 경우의 수는 3_2=6
이므로 구하는 금액의 수는 35이다. Û a<AÁ, b<Aª 또는 a<Aª, b<AÁ일 때,
경우의 수는 4_3+3_4=24
BLACKLABEL 특강 참고
Ú, Û에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⑴ ‌지불 방법의 수:곱의 법칙을 적용한 후, 0원을 지불하는 경우를
제외한다.
6+24=30 답④
⑵ ‌지불 금액의 수:지불 방법 중에서 중복되는 금액이 있는 경우 큰 다른 풀이
단위의 화폐를 작은 단위의 화폐로 바꾸어 생각한다.
1부터 10까지의 서로 다른 두 자연수 a, b에 대하여 a+b
의 값이 3의 배수가 되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a=1일 때, b=2, 5, 8
a=2일 때, b=1, 4, 7, 10
06 ㄱ. `A=2Û`_3Ü`의 양의 약수의 개수는
a=3일 때, b=6, 9
(2+1)_(3+1)=12 (참)
a=4일 때, b=2, 5, 8
ㄴ. Ú m=0일 때,
a=5일 때, b=1, 4, 7, 10
2â`_3â`, 2Ú`_3â`, y, 2ß`_3â`의 7개
=64 a=6일 때, b=3, 9

Ⅲ. 경우의 수 | 099
A n s w e r

a=7일 때, b=2, 5, 8 Ú 한 자리 자연수인 경우


a=8일 때, b=1, 4, 7, 10 ‌0부터 9까지의 수 중에서 0과 5를 제외한 수이므로 8
a=9일 때, b=3, 6 가지
a=10일 때, b=2, 5, 8 Û 두 자리 자연수인 경우
따라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십의 자리에는 0과 5를 제외한 0부터 9까지의 8개의
3_(3+4+2)+3=30 숫자가 들어가고, 일의 자리에는 5를 제외한 0부터 9
까지의 9개의 숫자가 들어갈 수 있으므로 그 개수는
8_9=72
Ü 세 자리 자연수인 경우
08 ab+bc+ca의 값이 짝수가 되는 경우는 a, b, c가 모두
‌백의 자리에는 0과 5를 제외한 0부터 9까지의 8개의
짝수이거나 a, b, c 중 한 개만 홀수일 때이다.
숫자가 들어가고, 십의 자리, 일의 자리에는 5를 제외
Ú a, b, c가 모두 짝수일 때,
한 0부터 9까지의 9개의 숫자가 들어갈 수 있으므로
가능한 짝수는 2, 4, 6의 3가지이므로 경우의 수는
그 개수는
3_3_3=27
8_9_9=648
Û a, b, c 중 한 개만 홀수일 때,
Ú, Û, Ü에서 1부터 999까지의 자연수 중에서 5를 포
‌가능한 짝수는 2, 4, 6의 3가지이고, 홀수는 1, 3, 5,
함하지 않는 수의 개수는
7의 4가지이므로 경우의 수는
8+72+648=728
(3_3_4)_3=108
따라서 1000은 729번째로 말하게 되므로 1000을 말하는
Ú, Û에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사람은 9번이다.
27+108=135 답 135
다른 풀이 2

1부터 999까지의 자연수 중에서 5를 포함하지 않은 수의


개수는 5를 제외한 0부터 9까지의 9개의 숫자를 3개의 자
09 1부터 999까지의 자연수 중에서 5를 포함하는 수는 다음 리에 각각 넣어 만들 수 있는 자연수의 개수와 같다.
과 같다. 즉, 백의 자리, 십의 자리, 일의 자리에 5를 제외한 0부터
Ú 5를 한 번 포함하는 경우 9까지의 9개의 숫자를 각각 넣은 후, 0을 제외하면 되므
‌백의 자리, 십의 자리, 일의 자리 중에서 5가 한 번 들 로 그 개수는
어가고 나머지 자리에는 5를 제외한 0부터 9까지의 9 9_9_9-1=729-1=728
개의 숫자가 들어갈 수 있으므로 그 개수는 따라서 1000은 729번째로 말하게 되므로 1000을 말하는
3_9_9=243 사람은 9번이다.
Û 5를 두 번 포함하는 경우
‌백의 자리, 십의 자리, 일의 자리 중에서 5가 두 번 들
어가고, 나머지 자리에는 5를 제외한 0부터 9까지의 9
10 조건 ㈎, ㈏, ㈐에서 영역 ㉠에 칠할 수 있는 색은 노란색
개의 숫자가 들어갈 수 있으므로 그 개수는 을 제외한 5가지,
3_9=27 영역 ㉥에 칠할 수 있는 색은 영역 ㉠에 칠한 색과 노란색
Ü 5를 세 번 포함하는 경우 을 제외한 4가지이다.
555의 1개 Ú 영역 ㉢에만 노란색으로 칠하는 경우
Ú, Û, Ü에서 1부터 999까지의 자연수 중에서 5를 포 ‌영역 ㉤에 칠할 수 있는 색은 세 영역 ㉠, ㉢, ㉥에 칠
함하는 수의 개수는 한 색을 제외한 3가지,
243+27+1=271 ‌영역 ㉡에 칠할 수 있는 색은 네 영역 ㉠, ㉢, ㉤, ㉥에
즉, 1부터 1000까지의 자연수 중에서 5를 포함하지 않는 칠한 색을 제외한 2가지,
수의 개수는 ‌영역 ㉣에 칠할 수 있는 색은 네 영역 ㉠, ㉢, ㉤, ㉥에
1000-271=729 칠한 색을 제외한 2가지이다.
따라서 1번부터 10번까지의 사람이 주어진 규칙대로 수 즉,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의 수는 3_2_2=12
를 하나씩 말할 때 1000을 말하는 사람은 9번이다. Û 영역 ㉤에만 노란색으로 칠하는 경우
 답⑤ Ú과 같으므로 경우의 수는 12
다른 풀이 1 Ü 두 영역 ㉢, ㉤ 모두 노란색으로 칠하는 경우
1부터 999까지의 자연수 중에서 5를 포함하지 않는 수는 ‌영역 ㉡에 칠할 수 있는 색은 세 영역 ㉠, ㉢, ㉥에 칠
다음과 같다. 한 색을 제외한 3가지,

100 | 블랙라벨 수학 (하)


본문 pp. 65~67

‌영역 ㉣에 칠할 수 있는 색은 세 영역 ㉠, ㉢, ㉥에 칠 4_£Pª=4_3_2=24
한 색을 제외한 3가지이다. 나머지 세 상자에 홀수가 적힌 공을 넣는 경우의 수는
즉,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의 수는 3!=6
‌3_3=9 따라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Ú, Û, Ü에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24_6=144 답 144
5_4_(12+12+9)=660 답 660

15 영화관의 좌석에 왼쪽부터 차례대로 번호를 부여하면 다

11 VISUAL의 6개의 문자를 알파벳 순서대로 나열하면 음과 같다.

A, I, L, S, U, V A열 1번 2번 3번 4번 5번
B열 1번 2번 3번 4번 5번
Ú A로 시작하는 문자열의 개수는 5!=120
Û I로 시작하는 문자열의 개수는 5!=120 Ú 아이가 B열 1번에 앉는 경우
Ü LA로 시작하는 문자열의 개수는 4!=24 ‌아버지 또는 어머니가 아이와 이웃하여 앉는 경우의
Ý LI로 시작하는 문자열을 순서대로 나열하면 수는 아버지와 어머니가 남은 네 자리에 앉는 경우의
LIASUV, LIASVU, LIAUSV, LIAUVS, 수에서 B열 2번을 제외하고 남은 세 자리에 앉는 경
LIAVSU, LIAVUS의 6개 우의 수를 뺀 것과 같으므로
Ú ~ Ý에서 120+120+24+6=270이므로 270번째 나 ‌¢Pª-£Pª=4_3-3_2=12-6=6
열되는 문자열은 LIAVUS이다. 답② ‌할아버지와 할머니가 이웃하여 앉는 경우의 수는 할아
버지와 할머니가 A열 (2번, 3번) 또는 (3번, 4번) 또
는 (4번, 5번)에 앉고 서로 바꿔 앉는 경우의 수와 같
으므로
12 오른쪽 그림과 같이 각각의 지역을 a,
a
b
d ‌3_2!=6
b, c, d, e, f 라 하고 서로 이웃한 2개 c
‌즉,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의 수는
지역을 짝 지으면 e f
‌6_6=36
(a, b), (a, c), (a, e), (b, c), (b, d),
Û 아이가 B열 2번에 앉는 경우
(c, d), (c, e), (c, f ), (d, f ), (e, f )의 10개이다.
‌아버지 또는 어머니가 아이와 이웃하여 앉는 경우의
이때 인접한 2개의 지역을 하나로 생각하여 5개의 지역을
수는 아버지와 어머니가 남은 네 자리에 앉는 경우의
5명의 조사원에게 할당하는 경우의 수는 5!이므로 구하
수에서 아이의 양옆 자리를 제외한 두 자리에 앉는 경
는 경우의 수는
우의 수를 뺀 것과 같으므로
10_5!=10_120=1200 답 1200
‌¢Pª-2!=4_3-2=12-2=10
‌할아버지와 할머니가 이웃하여 앉는 경우의 수는 할아
버지와 할머니가 A열 (3번, 4번) 또는 (4번, 5번)에
13 B 지점과 D 지점 사이를 잇는 도로를 이용할 수 있다고
앉고 서로 바꿔 앉는 경우의 수와 같으므로
하면 A 지점을 출발한 후 5개의 지점 B, C, D, E, F를
‌2_2!=4
들르는 방법의 수는
‌즉,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의 수는
5!=120
‌10_4=40
이 중에서 2개의 지점 B, D를 연속하여 들르는 방법의
Ü 아이가 B열 3번에 앉는 경우
수는
‌아버지 또는 어머니가 아이와 이웃하여 앉는 경우의
4!_2!=48
2개의 지점 2개의 지점 B, D가 자리 바꿈 수는 아버지와 어머니가 남은 네 자리에 앉는 경우의
B, D를 1개의 따라서 구하는 방법의 수는
지점으로 생각 수에서 아이의 양옆 자리를 제외한 두 자리에 앉는 경
120-48=72 답 72
우의 수를 뺀 것과 같으므로
‌¢Pª-2!=4_3-2=12-2=10
‌할아버지와 할머니가 이웃하여 앉는 경우의 수는 할아
14 오른쪽 그림과 같이 색칠하지 않은 상



③ 버지와 할머니가 A열 (1번, 2번) 또는 (4번, 5번)에
자를 ①, ②, ③, ④라 하면 짝수가 적 앉고 서로 바꿔 앉는 경우의 수와 같으므로
힌 공을 넣을 수 있는 상자는 ‌2_2!=4
(①, ③) 또는 (①, ④) 또는 (②, ③) 또는 (②, ④) ‌즉,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의 수는
이므로 짝수가 적힌 공을 넣는 경우의 수는 ‌10_4=40

Ⅲ. 경우의 수 | 101
A n s w e r

Ý 아이가 B열 4번에 앉는 경우 Ü ‌P와 Q 중에서 한 명만 첫날 앉은 자리에 앉는 경우


‌아이가 B열 2번에 앉는 경우와 같으므로 경우의 수는 ‌P만 첫날 앉은 자리에 앉는다면 Q는 7개의 자리 중에
40 서 운전석과 P, Q가 첫날 앉은 두 자리를 제외한 4개
Þ 아이가 B열 5번에 앉는 경우 의 자리에 앉을 수 있으므로 경우의 수는 4
‌아이가 B열 1번에 앉는 경우와 같으므로 경우의 수는 ‌같은 방법으로 Q만 첫날 앉은 자리에 앉는 경우의 수
36 는 4이다.
Ú~Þ에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즉, 이 경우의 수는 4+4=8
36+40+40+40+36=192 답 192 Ú, Û, Ü에서 P, Q 모두 첫날과 다른 자리에 앉는 경
우의 수는
30-(1+8)=21
한편, 첫날 자동차 B에 탔던 세 명이 운전석과 P, Q가 앉
16 해결단계 은 두 자리를 제외한 4개의 자리에 앉는 경우의 수는
첫날 자동차 A에 탔던 2명을 P, Q라 하고, P, Q가 모두 첫 ¢P£=4_3_2=24
➊ 단계
날과 다른 자리에 앉는 경우의 수를 구한다. 따라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첫날 자동차 B에 탔던 세 명이 자동차 A의 남은 자리에 앉
➋ 단계
는 경우의 수를 구한다.
21_24=504
➊, ➋ 단계에서 구한 결과를 이용하여 첫날 자동차 A에 탔던
➌ 단계
2명이 모두 첫날과 다른 자리에 앉는 경우의 수를 구한다.

첫날 자동차 A에 탔던 2명을 P, Q라 하자.


17 조건 ㈎에서 {1, 2, 3};A={1, 2}이므로 집합 A는
Ú P가 첫날 Q가 앉은 자리에 앉는 경우 1, 2를 반드시 원소로 가져야 하고, 3을 원소로 갖지 않아
‌Q는 7개의 자리 중에서 운전석과 첫날 앉은 자리를 야 한다.
제외한 5개의 자리에 앉을 수 있으므로 이 경우의 수 또한, 조건 ㈏에서 n(A)¾6이므로 집합 A는 4, 5, 6, 7,
는5
8, 9, 10 중에서 4개 이상의 원소를 추가로 가져야 한다.
Û P가 첫날 Q가 앉지 않은 자리에 앉는 경우 Ú n(A)=6일 때, 집합 A의 개수는
‌P는 7개의 자리 중에서 운전석과 P, Q가 첫날 앉은 4, 5, 6, 7, 8, 9, 10 중에서
7_6_5
¦C¢=¦C£= =35 4개 선택
두 자리를 제외한 4개의 자리에 앉을 수 있고, Q는 7 3_2_1
개의 자리 중에서 운전석과 Q가 첫날 앉은 자리, P가 Û n(A)=7일 때, 집합 A의 개수는
4, 5, 6, 7, 8, 9, 10 중에서
다음 날에 앉은 자리를 제외한 4개의 자리에 앉을 수 7_6 5개 선택
¦C°=¦Cª= =21
2_1
있으므로 이 경우의 수는
Ü n(A)=8일 때, 집합 A의 개수는
4_4=16 4, 5, 6, 7, 8, 9, 10 중에서
¦C¤=¦CÁ=7 6개 선택
Ú, Û에서 P, Q가 첫날과 다른 자리에 앉는 경우의 수는
Ý n(A)=9일 때, 집합 A의 개수는
5+16=21 4, 5, 6, 7, 8, 9, 10 중에서
¦C¦=1 7개 선택
한편, 첫날 자동차 B에 탔던 세 명이 운전석과 P, Q가 앉
Ú ~ Ý에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집합 A의 개수는
은 두 자리를 제외한 4개의 자리에 앉는 경우의 수는
35+21+7+1=64 답 64
¢P£=4_3_2=24
따라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21_24=504 답 504

다른 풀이 18 Ú ‌a>b>c>d를 만족시키는 네 자리 자연수는 0부터 9


까지의 10개의 숫자 중에서 4개를 택한 다음 크기 순
첫날 자동차 A에 탔던 두 명을 P, Q라 하자.
서에 맞게 각 자리의 숫자로 정하면 되므로 그 개수는
P, Q는 모두 첫날과 다른 자리에 앉아야 하므로 P, Q가
자동차 A에 앉을 수 있는 전체 경우의 수에서 P 또는 Q 10_9_8_7
Á¼C¢= =210
4_3_2_1
가 첫날과 같은 자리에 앉는 경우의 수를 빼면 된다.
∴ m=210
Ú P, Q가 자동차 A에 앉는 경우
Û ‌a<b<c<d를 만족시키는 네 자리 자연수에서 천의
‌운전자는 자리를 바꾸지 않으므로 P, Q는 7개의 자리
자리의 숫자는 0일 수 없으므로 1부터 9까지의 9개의
중에서 운전석을 제외한 6개의 자리에 앉을 수 있으므
숫자 중에서 4개를 택한 다음 크기 순서에 맞게 각 자
로 경우의 수는
리의 숫자로 정하면 되므로 그 개수는
¤Pª=6_5=30
9_8_7_6
»C¢= =126
Û P, Q가 첫날 앉은 자리에 앉는 경우 4_3_2_1
P, Q 모두 첫날 앉은 자리에 앉으면 되므로 1가지 ∴ n=126

102 | 블랙라벨 수학 (하)


본문 p. 67

Ú, Û에서 Þ ‌a 중에서 1개, b 중에서 2개, c 중에서 1개를 택하는


m+n=210+126=336 답② 경우
£CÁ_£Cª_¢CÁ‌=£CÁ_£CÁ_¢CÁ=3_3_4=36
ß ‌a 중에서 1개, b 중에서 1개, c 중에서 2개를 택하는
경우
19 9를 9개의 1로 분리하여 나열한 후, 그 사이에 +를 2개
4_3
넣어 세 묶음으로 나누면 된다. £CÁ_£CÁ_¢Cª‌=3_3_ =3_3_6=54
2_1
9를 1로 분리하여 나열하면 Ú ~ ß에서 구하는 사각형의 개수는
111111111 9+18+18+36+36+54=171 답②
따라서 구하는 방법의 수는 위의 8개의  안에 +를 2개 다른 풀이
넣는 방법의 수와 같으므로
만들 수 있는 사각형의 개수는 10개의 평행한 직선 중에
8_7
¥Cª= =28 답① 서 4개를 택하는 경우의 수에서 사각형을 만들 수 없는
2_1
경우의 수를 빼면 된다.
다른 풀이
3개의 평행한 직선과 다른 하나의 직선을 택하거나 4개의
합하여 9가 되는 세 자연수를 순서쌍으로 나타내면
평행한 직선을 택하면 사각형을 만들지 못하므로 구하는
(1, 1, 7), (1, 2, 6), (1, 3, 5), (1, 4, 4), (2, 2, 5),
사각형의 개수는
(2, 3, 4), (3, 3, 3)
Á¼C¢-{2_£C£_(3+4)+¢C£_(3+3)+¢C¢}=171
이때 순서가 바뀌면 서로 다른 경우이므로 중복된 숫자의
개수에 따라 다음과 같이 나누어 구할 수 있다.
Ú ‌세 숫자가 모두 다른 경우, 즉 (1, 2, 6), (1, 3, 5),
21 집합 A의 부분집합 중에서 서로 다른 두 집합 X, Y가
(2, 3, 4)일 때, X,Y를 만족시키면 집합 X는 집합 Y의 진부분집합이다.
‌3개의 숫자를 일렬로 배열하는 경우의 수가 3!=6이 Ú n(Y)=4일 때,
집합 Y의 원소의 개수를 기준으로
X=Y인 경우를 제외한다.
므로 이때의 경우의 수는 ‌집합 Y의 개수는 ¢C¢, 집합 X의 개수는 2Ý`-1이므로
3_6=18 경우의 수는
Û ‌세 숫자 중에서 두 개가 같은 경우, 즉 (1, 1, 7), ¢C¢_(2Ý`-1)=1_15=15
(1, 4, 4), (2, 2, 5)일 때, Û n(Y)=3일 때,
집합 Y의 진부분집합의 개수

‌(1, 1, 7)의 경우 (1, 1, 7), (1, 7, 1), (7, 1, 1)을 ‌집합 Y의 개수는 ¢C£, 집합 X의 개수는 2Ü`-1이므로
다른 경우로 생각하므로 이때의 경우의 수는 경우의 수는
3_3=9 ¢C£_(2Ü`-1)=4_7=28
Ü ‌세 숫자가 모두 같은 경우, 즉 (3, 3, 3)뿐이므로 경우 Ü n(Y)=2일 때,
의 수는 1가지 ‌집합 Y의 개수는 ¢Cª, 집합 X의 개수는 2Û`-1이므로
Ú, Û, Ü에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경우의 수는
18+9+1=28 4_3
¢Cª_(2Û`-1)= _3=18
2_1
Ý n(Y)=1일 때,
‌집합 Y의 개수는 ¢CÁ, 집합 X의 개수는 2-1이므로
20 세 방향의 직선 -, , 을 각각 a, b, c라 하면 a가 3개,
경우의 수는
b가 3개, c가 4개이고 사각형을 만들 수 있는 경우의 수
¢CÁ_(2-1)=4_1=4
는 다음과 같다. 집합 X는 á뿐이다.
Ú ~ Ý에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의 수는
Ú a 중에서 2개, b 중에서 2개를 택하는 경우
15+28+18+4=65 답 65
£Cª_£Cª=£CÁ_£CÁ=3_3=9
단계 채점 기준 배점
Û a 중에서 2개, c 중에서 2개를 택하는 경우
원소의 개수가 1, 2, 3, 4인 각각의 집합 Y에 대하여
4_3 ㈎ 80%
£Cª_¢Cª‌=£CÁ_¢Cª=3_ =3_6=18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의 수를 구한 경우
2_1 ㈏ ㈎에서 구한 결과를 모두 합하여 답을 구한 경우 20%
Ü b 중에서 2개, c 중에서 2개를 택하는 경우
다른 풀이
4_3
£Cª_¢Cª‌=£CÁ_¢Cª=3_ =3_6=18
2_1 X,Y이므로 세 집합 A, X, Y를 A
a Y
Ý ‌a 중에서 2개, b 중에서 1개, c 중에서 1개를 택하는 벤다이어그램으로 나타낸 후, 각 영 X
b
경우 역의 원소의 개수를 오른쪽 그림과 c

£Cª_£CÁ_¢CÁ‌=£CÁ_£CÁ_¢CÁ=3_3_4=36 같이 a, b, c라 하자.

Ⅲ. 경우의 수 | 103
A n s w e r

이때 두 집합 X, Y가 서로 다른 집합이므로 전체 경우의 Ü 3박을 세 개의 나라에서 할 때,


수에서 b=0인 경우의 수를 빼야 한다. ‌세 나라에서 각각 1박씩 지내면 되므로 그 방법의 수
집합 A의 네 원소는 원소의 개수가 a, b, c인 세 영역 중 는1
에서 어느 한 영역에 포함되므로 X,Y를 만족시키는 경 Ú, Û, Ü에서 나머지 3박을 할 나라의 개수를 정하는
우의 수는 방법의 수는
3_3_3_3=81 3+6+1=10
b=0이면 집합 A의 네 원소가 원소의 개수가 a, c인 두 이때 3개국을 여행하는 순서를 정하는 방법의 수는
같은 나라는 연속해서 머무르므로 나라의 순서만 정하면 된다.
영역 중에서 하나에 포함되므로 X,Y를 만족시키는 경 £P£=3!=6
우의 수는 따라서 구하는 여행 코스의 개수는
2_2_2_2=16 10_6=60 답②
따라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81-16=65

25 A팀이 B팀을 게임 스코어 3:1로 이기려면 3번째 게임


22 서로 만나지 않도록 3개의 선분을 그으려면 두 변 AB, 까지 2번 승, 1번 패하고, 4번째 게임에서 이겨야 한다.
CD에서 택한 각각의 3개의 점을 위에서부터 첫 번째 점끼 세 번의 경기 중에서 A팀이 이기는 두 번의 경기를 고르
리, 두 번째 점끼리, 세 번째 점끼리 각각 연결하면 된다. 는 경우의 수는
이때 변 AB 위에 있는 6개의 점 중에서 3개를 택하는 방 £Cª=£CÁ=3
법의 수는 한편, 이 게임에 필요한 선수는 A팀은 2명, B팀은 3명이
6_5_4 고 각 팀은 5명의 선수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선수를 뽑아
¤C£= =20
3_2_1
순서를 정하는 경우의 수는
마찬가지로 변 CD 위에 있는 6개의 점 중에서 3개를 택
°Pª_°P£=(5_4)_(5_4_3)=20_60=1200
하는 방법의 수도 20이므로 구하는 방법의 수는
따라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20_20=400 답③
3_1200=3600 답 3600

23 Ú ‌6개의 모서리 중에서 4개, 5개, 6개의 모서리에 색을


칠하면 네 꼭짓점이 모두 연결되므로 경우의 수는 26 해결단계

검은색 블록의 개수에 따라 좌우의 구별 없이 막대기를 만


¤C¢+¤C°+¤C¤‌=¤Cª+¤CÁ+¤C¤ ➊ 단계
드는 방법의 수를 구한다.
6_5
= +6+1=15+7=22 ➊ 단계에서 구한 값을 이용하여 조건을 만족시키는 막대기
2_1 ➋ 단계
의 개수를 구한다.
Û ‌3개의 모서리에 색을 칠하면 세 모서리가 삼각형을 이
Ú 검은색 블록이 없는 경우
루지 않아야 하므로 경우의 수는
‌5개의 흰색 블록을 붙여 만들면 되므로 막대기를 만드
6_5_4
¤C£-4= -4=20-4=16 는 방법의 수는 1
3_2_1
Ü ‌2개 이하의 모서리에 색을 칠하여 네 개의 꼭짓점을 Û 검은색 블록이 1개인 경우
모두 연결할 수는 없다. ‌5개 중에서 검은색 블록이 위치할 1곳을 택하는 경우
Ú, Û, Ü에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의 수는 °CÁ=5
22+16=38 답③ ‌이때 중앙에 검은색 블록이 위치할 때 막대기는 좌우
대칭이므로 좌우의 구별 없이 막대기를 만드는 방법의
수는
5-1
24 영국, 이탈리아에서 각각 적어도 1박을, 프랑스에서 적어
2
+1=3
도 2박을 해야 하므로 4박은 항상 E, I, F, F가 들어간다.
Ü 검은색 블록이 2개인 경우
여행을 하는 나라의 순서는 상관하지 않고 나머지 3박을
‌5개 중에서 검은색 블록이 위치할 2곳을 택하는 경우
지낼 나라의 개수를 정하면 다음과 같다.
5_4
의 수는 °Cª= =10
Ú 3박을 모두 한 나라에서 할 때, 2_1
3박 할 나라를 결정하는 방법의 수는 £CÁ=3 ‌이때 중앙에 흰색 블록이 위치하고 흰색 블록 양 옆에
Û 3박을 두 개의 나라에서 할 때, 검은색 블록이 위치하거나 막대기의 양 끝에 검은색
2박 할 나라와 1박 할 나라를 결정하는 방법의 수는 블록이 위치할 때 막대기는 좌우대칭이므로 좌우대칭
£Pª=3_2=6 이 되도록 막대기를 만드는 방법의 수는 ªCÁ=2

104 | 블랙라벨 수학 (하)


본문 pp. 67~69

즉, 좌우의 구별 없이 막대기를 만드는 방법의 수는 ‌5명인 조에 여학생 2명이 포함되려면 남학생 6명을
10-2 3명, 3명으로 나눈 후, 여학생 2명을 2개의 조 중에서
+2=6
2
하나에 배정하면 되므로 경우의 수는
Ý 검은색 블록이 3개인 경우
1 6_5_4 1
{¤C£_£C£_ }_2!‌= _1_ _2
‌흰색 블록이 3개인 경우, 즉 검은색 블록이 2개인 경 2! 3_2_1 2
우와 같으므로 방법의 수는 6 =20
Þ 검은색 블록이 4개인 경우 Û 4명, 4명씩 2개조로 나누는 경우
‌흰색 블록이 4개인 경우, 즉 검은색 블록이 1개인 경 ‌남학생 6명을 2명, 4명으로 나누어 남학생 2명이 있는
우와 같으므로 방법의 수는 3 조에 여학생 2명을 배정하면 되므로 경우의 수는
ß 검은색 블록이 5개인 경우 6_5
¤Cª_¢C¢= _1=15
2_1
‌흰색 블록이 5개인 경우, 즉 검은색 블록이 없는 경우
Ú, Û에서 구한 2개조를 A, B 두 구역에 모두 배정하는
와 같으므로 방법의 수는 1
방법의 수는
Ú~ß에서 조건에 맞게 만들 수 있는 막대기의 개수는
(6+20+15)_2!=82 답 82
2_(1+3+6)=20 답 20

다른 풀이

5개의 각 자리에 흰색, 검은색이 올 수 있으므로 만들 수


있는 막대기의 개수는 2Þ`=32
29 조건 ㈎에서 상자 3개에 홀수가 적힌 카드를 1장 이상 넣
이때 좌우대칭인 막대기는 흰색과 검은색 블록 중에서 홀 어야 하므로 서로 다른 5장의 홀수 카드는 각 상자에
수개인 블록이 중앙에 위치하고 왼쪽 두 자리 중에서 한 (2장, 2장, 1장) 또는 (3장, 1장, 1장)씩 넣을 수 있다.
자리에 같은 색이 위치하도록 붙이면 되므로 그 개수는 즉, 홀수 카드 5장을 나누어 같은 종류의 세 상자에 넣는
2(ªC¼+ªCÁ+ªCª)=2_(1+2+1)=8 방법의 수는
즉, 좌우비대칭인 막대기의 개수는 1 1
°Cª_£Cª_ÁCÁ_ +°C£_ªCÁ_ÁCÁ_
32-8 2! 2!
=12
2 1 1
=10_3_1_ +10_2_1_
따라서 조건에 맞게 만들 수 있는 막대기의 개수는 2 2
8+12=20 =15+10=25
조건 ㈏에서 각 상자에 넣은 카드에 적힌 수의 곱이 짝수
이려면 세 상자에 짝수가 모두 들어가야 하므로 서로 다
27 Ú 4명의 특정 선수를 2명, 2명으로 나누는 방법의 수는 른 4장의 짝수 카드는 각 상자에 (2장, 1장, 1장)씩 넣을
1 4_3 1 수 있다.
¢Cª_ªCª_ = _1_ =3
2! 2_1 2
즉, 짝수 카드 4장을 나누어 세 상자에 넣는 방법의 수는
Û ‌나머지 9명 중에서 3명, 3명을 뽑아 Ú의 각 팀에 배
1
¢Cª_ªCÁ_ÁCÁ_ _3! 같은 상자에 서로 다른 홀수 카드를 넣었으므로
치하는 방법의 수는 2! 서로 다른 종류의 상자이다.

1
{»C£_¤C£_ }_2! 1
=6_2_1_ _6=36
2! 2
9_8_7 6_5_4 1 따라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 _ _ _2
3_2_1 3_2_1 2
25_36=900 답 900
=1680
Ú, Û에서 구하는 방법의 수는
3_1680=5040 답④

30 오른쪽 그림과 같이 토너먼트가 진행되


는 대진표 영역을 각각 A, B라 하자.
28 학생은 총 8명이고, 각 조에는 적어도 3명을 배정해야 하
Ú ‌실력이 제 4위인 팀이 영역 A에
므로 두 개의 조는 3명, 5명 또는 4명, 4명으로 구성되어 A B
배정되는 경우
야 한다.
‌실력이 제4위인 팀이 결승전에 진출하려면 영역 A에
Ú 3명, 5명씩 2개조로 나누는 경우
는 5위, 6위, 7위인 팀이 함께 배정되어야 한다.
‌3명인 조에 여학생 2명이 포함되려면 남학생을 1명,
‌이 네 팀을 2팀, 2팀으로 분할하여 영역 A에 배정하
‌5명으로 나누어 남학생 1명이 있는 조에 여학생을 배
는 경우의 수는
정하면 되므로 경우의 수는
1 4_3 1
¢Cª_ªCª_ = _1_ =3
¤CÁ_°C°=6_1=6 2! 2_1 2

Ⅲ. 경우의 수 | 105
A n s w e r

‌영역 B에는 1위, 2위, 3위인 팀이 배정되어야 하므로 2 즉, f (1), f (2)의 값을 정하는 방법의 수는
팀, 1팀으로 분할하여 영역 B에 배정하는 경우의 수는 £Pª=6
£Cª_ÁCÁ=3_1=3 ‌이 각각에 대하여 f (4)의 값은 f (1), f (2)의 두 값을
‌따라서 실력이 제 4위인 팀이 영역 A에 배정되어 결승 제외한 값이어야 하므로 함수 f 의 개수는
전에 진출하도록 대진표를 작성하는 방법의 수는 6_1=6
3_3=9 Ú, Û에서 구하는 함수의 개수는
Û 실력이 제 4위인 팀이 영역 B에 배정되는 경우 18+6=24 답 24
‌실력이 제 4위인 팀이 결승전에 진출하려면 영역 B에
는 5위, 6위, 7위인 팀 중에서 2팀이 함께 배정되어야
하고, 이 세 팀을 2팀, 1팀으로 분할하여 영역 B에 배
33 조건 ㈏에서 f (1)=7이고, 조건 ㈎에서 함수 f 는 일대일
정하는 경우의 수는
대응이므로 X={2, 3, 4, 5, 6, 7},
£Cª_(£Cª_ÁCÁ)=3_3_1=9
Y={1, 2, 3, 4, 5, 6}에 대하여 X에서 Y로의 일대일대
‌영역 A에는 남은 네 팀을 2팀, 2팀으로 분할하여 배
응인 함수 f 의 개수를 구하면 된다.
정하면 되므로 경우의 수는
이때 조건 ㈐에서 k¾2이면 f (k)Ék이므로
1 4_3 1
¢Cª_ªCª_ = _1_ =3 f (2)의 값은 1, 2 중에서 하나의 값을 가지므로 2가지,
2! 2_1 2
f (3)의 값은 1, 2, 3 중에서 f (2)의 값을 제외한 나머지
‌따라서 실력이 제 4위인 팀이 영역 B에 배정되어 결승
수 중에서 하나의 값을 가지므로 2가지
전에 진출하도록 대진표를 작성하는 방법의 수는
같은 방법으로 f (4), f (5), f (6)의 값을 정하는 방법의
9_3=27
수는 각각 2가지이고, 7에 대응되는 수는 1부터 6까지의
Ú, Û에서 구하는 방법의 수는
수 중에서 2부터 6까지의 수가 대응되는 수를 제외한 수
9+27=36 답 36
이므로 1가지이다.
따라서 구하는 함수 f 의 개수는
2_2_2_2_2_1=2Þ`=32 답③
31 |f (n+1)- f (n)|=4에서 f (n+1)- f (n)=Ñ4
두 함숫값의 차가 4가 되려면 함숫값은 각각 1, 5이어야
하므로
f (n+1)=5, f (n)=1 또는 f (n+1)=1, f (n)=5 34 치역과 공역이 일치하기 위해서는 정의역 X를 3개조로
나누어 함숫값으로 각각 1, 2, 3을 갖도록 배정하면 된다.
이다.
Ú ‌정의역 X를 1개, 1개, 4개의 3개조로 나누어 공역 Y
이때 위의 식을 만족시키는 n의 값은 1, 2, 3, 4이고, 함
의 원소에 하나씩 대응시키면 되므로 함수 f 의 개수는
수 f 가 일대일대응이므로 각 n에 대하여 n과 n+1을 제
1
외한 정의역의 원소는 1과 5를 제외한 나머지 수에 겹치 {¤CÁ_°CÁ_¢C¢_ }_3!
2!
지 않게 대응된다.
1
=6_5_1_ _6=90
따라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함수 f 의 개수는 2
4_2_3!=48 답 48 Û ‌정의역 X를 1개, 2개, 3개의 3개조로 나누어 공역 Y
의 원소에 하나씩 대응시키면 되므로 함수 f 의 개수는
5_4
(¤CÁ_°Cª_£C£)_3!=6_ _1_6=360
2_1
32 조건 ㈎에서 f (1)+ f (2)이고 f (1)+ f (3)이므로 다음
Ü ‌정의역 X를 2개, 2개, 2개의 3개조로 나누어 공역 Y
두 가지 경우로 나눌 수 있다.
의 원소에 하나씩 대응시키면 되므로 함수 f 의 개수는
Ú f (2)+ f (3)인 경우
1
{¤Cª_¢Cª_ªCª_ }_3!
‌f (1), f (2), f (3)이 모두 다른 수이므로 집합 X의 3!
원소 1, 2, 3을 집합 Y의 서로 다른 원소에 각각 대응 6_5 4_3 1
= _ _1_ _6=90
2_1 2_1 6
시키는 방법의 수는 3!=6
Ú, Û, Ü에서 구하는 함수 f 의 개수는
‌이 각각에 대하여 f (4)의 값은 집합 Y의 어느 원소이
90+360+90=540 답④
어도 조건을 만족시키므로 함수 f 의 개수는
6_3=18
Û f (2)= f (3)인 경우
‌집합 X의 원소 1, 2를 집합 Y의 서로 다른 원소에 각 35 (f½f)(x)=f(f(x))=x를 만족시키는 함수 f에 대하여
각 대응시킨 후, 3을 f (2)에 대응시키면 된다. f ½ f 는 항등함수이고 f 는 일대일대응이다.

106 | 블랙라벨 수학 (하)


본문 pp. 69~70

이때 정의역의 한 원소 a에 대하여 ( f ½ f )(a)=a를 만 직선 y=x+k와 원 (x-1)Û`+(y-3)Û`=4에 대하여


족시키려면 f (a)=a 또는 f (a)=b, f (b)=a (a+b) Ú k=1일 때, y
y=x+1
3+Â3°
이어야 한다. 오른쪽 그림과 같이 원
A B
Ú f (x)=x를 만족시키는 x가 5개인 경우 ‌(x-1)Û ` +(y-3)Û ` =4 3
f 의 내부는 직선 y=x+1 C
A A
1 1 과 y축에 의하여 3개의 3-Â3° 1
2 2 O 1 x
영역으로 나누어진다.
3 3 {x-1}@+{y-3}@=4
4 4 ‌이때 나누어진 세 영역을
5 5
각각 A, B, C라 하면 A에 칠할 수 있는 색은 4가지,
‌정의역의 모든 원소에 대하여 f (x)=x 꼴인 함수 f 는 B에 칠할 수 있는 색은 A에 칠한 색을 제외한 3가지,
위의 그림과 같으므로 1개이다. C에 칠할 수 있는 색은 B에 칠한 색을 제외한 3가지
Û f (x)=x를 만족시키는 x가 3개인 경우 이므로

A
f
A
f (1)=4_3_3=36
1 1 Û k=3일 때, y y=x+3
2 2 3+Â3°
‌오른쪽 그림과 같이 원
3 3 B
A
4 4 (x-1)Û ` +(y-3)Û ` =4 3 D
5 5
의 내부는 직선 y=x+3 C

f (a)=a, f (b)=b, f (c)=c, f (d)=e, f (e)=d 과 y축에 의하여 4개의 3-Â3°


O 1 x
‌꼴인 함수 f 의 개수는 위의 그림과 같이 5개의 원소 영역으로 나누어진다.
{x-1}@+{y-3}@=4
1, 2, 3, 4, 5 중에서 f (d)=e, f (e)=d를 만족시키 ‌이때 나누어진 네 영역을
는 d와 e를 선택하는 경우의 수와 같으므로 각각 A, B, C, D라 하면 A, B, C, D에 칠할 수 있
5_4 는 색은 B, C에 서로 다른 색을 칠할 때에는 각각 4가
°Cª= =10
2_1 지, 3가지, 2가지, 2가지이고, B, C에 같은 색을 칠할
Ü f (x)=x를 만족시키는 x가 1개인 경우 때에는 각각 4가지, 3가지, 1가지, 3가지이므로
f
A A f (3)‌=4_3_2_2+4_3_1_3
1 1 =48+36=84
2 2
3 3 Ü k=5일 때, y y=x+5
4 4 5
5 5
‌오른쪽 그림과 같이 원
A 3+Â3°
(x-1)Û ` +(y-3)Û ` =4 3 B
‌f (a)=a, f (b)=c, f (c)=b, f (d)=e, f (e)=d 의 내부는 직선 y=x+5
꼴인 함수 f 의 개수는 위의 그림과 같이 5개의 원소 와 y축에 의하여 2개의 3-Â3°
1, 2, 3, 4, 5 중에서 f (b)=c, f (c)=b를 만족시키 영역으로 나누어진다. O 1 x
{x-1}@+{y-3}@=4
는 b와 c를 선택하고, f (d)=e, f (e)=d를 만족시 원의 중심 (1, 3)과 직선 x-y+5=0
사이의 거리는 원의 반지름의 길이보다 크다.
키는 d와 e를 선택하는 경우의 수와 같으므로 ‌이때 나누어진 두 영역을 각각 A, B라 하면 A에 칠
1 5_4 1 할 수 있는 색은 4가지, B에 칠할 수 있는 색은 A에
°Cª_£Cª_ = _3_ =15
2! 2_1 2
칠한 색을 제외한 3가지이므로
Ú, Û, Ü에서 구하는 함수 f 의 개수는
f (5)=4_3=12
1+10+15=26 답 26
Ú, Û, Ü에서
f (1)+ f (3)+ f (5)=36+84+12=132 답 132

STEP
3 1등급을 넘어서는 종합 사고력 문제 p. 70

01 132 02 944 03 9 04 480 05 266


06 1008 07 4235 08 860
02 해결단계

조건 ㈎, ㈏를 이용하여 다섯 자리 자연수에서 1의 개수로


➊ 단계
01 해결단계
가능한 경우를 파악한다.
1의 개수에 따라 조건을 만족시키는 다섯 자리 자연수의 개
➋ 단계
k의 값에 따라 원의 내부가 몇 개의 영역으로 나누어지는지 수를 구한다.
➊ 단계
구한 후, 각 영역에 색을 칠하는 방법의 수를 구한다. ➋ 단계에서 구한 결과를 이용하여 조건을 만족시키는 자연
➌ 단계
➋ 단계 f (1)+ f (3)+ f (5)의 값을 구한다. 수의 개수를 구한다.

Ⅲ. 경우의 수 | 107
A n s w e r

1이 적힌 카드가 3장이고 조건 ㈎, ㈏에 의하여 1끼리는 ‌길이가 2인 세로 방향의 도로 4개를 지나는 경우의 수


서로 이웃하지 않도록 배열하여 만든 다섯 자리 자연수에 는 위의 그림과 같이 길이가 2인 세로 방향의 도로 5
는 1이 최대 세 번 포함될 수 있다. 개 중에서 4개를 택하는 경우의 수와 같으므로
Ú 1이 포함되지 않는 경우 °C¢=°CÁ=5
첫 번째 자리에는 0이 올 수 없으므로 경우의 수는 Û 길이가 2인 세로 방향의 도로 3개를 지나는 경우
4_4!=4_24=96
Û 1이 한 개 포함되는 경우
1로 시작되는 다섯 자리 자연수의 개수는 °P¢=120
‌1이 아닌 수로 시작되는 경우의 수는 첫 번째 자리에 A B
0이 올 수 없으므로 ‌길이가 2인 세로 방향의 도로 3개를 지나는 경우의 수
1이 들어갈 수 있는 자릿수의 개수
4_4_¢P£=4_4_4_3_2=384 는 위의 그림과 같이 두 번째 줄의 가로 방향의 도로 4
첫 번째 자리에 들어갈 수 있는 수는 2, 3, 4, 5의 4가지 개 중에서 1개를 택하는 경우의 수와 같으므로
즉, 조건을 만족시키는 자연수의 개수는
¢CÁ=4
120+384=504
Ú, Û에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Ü 1이 두 개 포함되는 경우
5+4=9 답9
1로 시작되는 경우는
11, 11, 11
‌의 3가지이고, 각 경우에 대하여 에 수를 배열하는
방법이 °P£가지씩 존재하므로 경우의 수는 04 해결단계

3_°P£=3_5_4_3=180 두 함수 f , f ½ f 의 치역을 각각 A, B라 하고, 집합 A, B


➊ 단계
의 원소의 개수를 구한다.
1이 아닌 수 로 시작되는 경우는
➋ 단계 n(A)=4를 만족시키는 집합 A의 개수를 구한다.
11, 11, 11 집합 X의 원소 중 집합 A에 속하지 않는 원소를 k라 하고,
‌의 3가지이고, 각 경우에 대하여 에 수를 배열하는 ➌ 단계 이 원소가 집합 A에 대응되어야 함을 이용하여 경우의 수
를 구한다.
방법이 ¢Pª가지씩 존재하므로 경우의 수는 ➍ 단계 ➋, ➌ 단계에서 구한 값을 이용하여 함수 f 의 개수를 구한다.
4_3_¢Pª=4_3_4_3=144
에 들어갈 수 있는 수는 2, 3, 4, 5의 4가지 함수 f 와 함수 f ½ f 의 치역을 각각 A, B라 하자.
즉, 조건을 만족시키는 자연수의 개수는 함수 f 가 일대일대응이면 함수 f ½ f 도 일대일대응이므
180+144=324 로 함수 f ½ f 의 치역의 원소의 개수는 5이다.
Ý 1이 세 개 포함되는 경우 이때 함수 f ½ f 의 치역의 원소의 개수가 4라는 조건에
‌111의 1가지이고, 각 경우에 대하여 에 수를 배 모순이므로 f 는 일대일대응이 아니다.
열하는 방법이 °Pª가지씩 존재하므로 경우의 수는 함수 f ½ f 의 치역은 함수 f 의 치역의 부분집합이므로
1_°Pª=1_5_4=20 함수 f 의 치역의 개수가 3 이하이면 함수 f ½ f 의 치역의
Ú~Ý에서 구하는 자연수의 개수는 개수도 3 이하이다.
96+504+324+20=944 답 944 그러므로 함수 f 의 치역의 개수가 4인 경우, 즉 A=B인
경우만 생각하면 된다.
n(A)=4인 X의 부분집합 A를 선택하는 경우의 수는
집합 X의 5개의 원소 중에서 4개를 택하면 되므로
°C¢=°CÁ=5
03 해결단계
A={aÁ, aª, a£, a¢}라 하고, X의 원소 중 A에 속하지
➊ 단계 세로 방향으로 이동한 길이의 합을 구한다.
길이가 2인 세로 방향의 도로의 개수에 따라 경우를 나누어 않는 원소를 k라 하자.
➋ 단계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의 수를 구한다. n(A)=4이므로 집합 A에서 f (k)를 선택하는 경우의
➌ 단계 ➋ 단계에서 구한 값을 이용하여 경우의 수를 구한다.
수는 k를 제외한 4개의 원소 중에서 하나를 택하면 되므
가로 방향으로 이동한 길이의 합이 4이고 전체 이동한 길 로 ¢CÁ=4
이가 12이므로 세로 방향으로 이동한 길이의 합은 8이다. 이때 f (k)<A, A=B이므로
Ú 길이가 2인 세로 방향의 도로 4개를 지나는 경우 A={ f (aÁ), f (aª), f (a£), f (a¢)}   yy㉠
㉠을 만족시키는 경우의 수는 집합 A에서 집합 A로의
일대일대응의 개수와 같으므로 4!=24
따라서 구하는 함수 f 의 개수는
A B 5_4_24=480 답 480

108 | 블랙라벨 수학 (하)


본문 p. 70

05 해결단계 06 해결단계

➊ 단계 0부터 9까지의 수를 3으로 나눈 나머지를 기준으로 분류한다. 각 꼭짓점을 AÁ, Aª, y, A¦이라 하고, 조건 ㈎, ㈏를 이용
일의 자리의 수가 1 또는 7일 때, ➊ 단계에서 나눈 수의 분 ➊ 단계 하여 짝수와 홀수는 각각 적어도 2개씩은 이웃해야 함을 파
류와 일의 자리의 수를 3으로 나눈 나머지가 1임을 이용하 악한다.
➋ 단계
여 각 자리의 수의 합이 3의 배수가 되지 않도록 하는 경우 칠각형에 배치하였을 때, 홀수끼리 모두 이웃하고 짝수끼리
➋ 단계
의 수를 구한다. 모두 이웃해야 함을 파악한다.
일의 자리의 수가 3 또는 9일 때, ➊ 단계에서 나눈 수의 분 ➋ 단계를 만족시키는 하나의 경우에 따라 각각 7가지씩 존
류와 일의 자리의 수를 3으로 나눈 나머지가 0임을 이용하 ➌ 단계 재함을 이용하여 칠각형의 각 꼭짓점에 7개의 수를 적는 방
➌ 단계
여 각 자리의 수의 합이 3의 배수가 되지 않도록 하는 경우 법의 수를 구한다.
의 수를 구한다.
오른쪽 그림과 같이 칠각형의 각 A¡
➍ 단계 ➋, ➌ 단계에서 구한 값을 이용하여 경우의 수를 구한다.
A™
꼭짓점을 AÁ, Aª, y, A¦이라 하 Aß
0부터 9까지의 자연수를 3으로 나눈 나머지를 기준으로
고, 조건을 만족시키도록 각 꼭짓
하여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A£
점에 적은 수를 [AÁAªA£A¢A° A§
나머지가 0인 경우:0, 3, 6, 9 A¢
A¤A¦]로 나타내자. A∞
나머지가 1인 경우:1, 4, 7
조건 ㈎, ㈏에서 [홀짝홀], [짝홀짝]과 같이 홀수 양쪽에
나머지가 2인 경우:2, 5, 8
짝수, 짝수 양쪽에 홀수를 배정하면 안 되므로 [홀홀] 또는
조건 ㈎에서 적힌 수는 홀수이므로 1000은 주어진 조건
[짝짝]과 같이 홀수와 짝수는 최소 2개씩 이웃해야 한다.
을 만족시키지 못하고 조건 ㈐에서 적힌 수는 5의 배수가
그런데 짝수가 3개이므로 [홀짝짝홀]이면 남은 짝수의 양
아니므로 일의 자리의 수는 0, 5가 될 수 없다. 즉, 1부터
쪽에는 홀수가 배정되므로 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한다.
999까지의 수를 다음과 같이 나누어 생각할 수 있다.
즉, 짝수 3개는 모두 이웃해야 한다.
Ú 1 또는 7일 때,
마찬가지로 [짝홀홀홀짝]이면 남은 홀수 한 개의 양쪽에
‌백의 자리와 십의 자리에는 각각 0부터 9까지의 숫자
짝수가 배정되므로 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한다. 즉, 홀수
가 들어갈 수 있으므로 경우의 수는 10_10=100
는 짝수개 단위로 이웃해야 한다.
‌조건 ㈏에 의하여 각 자리의 수의 합이 3의 배수이면
이때 [짝짝짝], [홀홀], [홀홀]을 만족시키도록 칠각형의
안되고, 일의 자리의 수를 3으로 나눈 나머지가 1이므
각 꼭짓점에 수를 적으면 [홀홀], [홀홀]은 이웃하게 되므
로 백의 자리의 수와 십의 자리의 수를 3으로 나눈 나
로 칠각형의 각 꼭짓점의 수는 짝수끼리 모두 이웃하고,
머지의 합은 2가 아니어야 한다.
홀수끼리 모두 이웃하도록 배정되어야 한다.
‌이때 백의 자리의 수와 십의 자리의 수를 3으로 나눈
따라서 일렬로 나열한 일곱 개의 수를 칠각형 위에 적는
나머지의 합이 2가 되려면 나머지가 각각 0, 2 또는
경우는 일렬로 나열한 수마다 일곱 가지씩 존재하므로 구
1, 1 또는 2, 0이어야 하므로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
하는 경우의 수는
의 수는 짝수끼리 자리 바뀜
7_4!_3!=1008 답 1008
100-(4_3+3_3+3_4)=100-33=67 홀수끼리 자리 바뀜
즉, 이 경우의 수는 67_2=134
Û 3 또는 9일 때,
‌같은 방법으로 일의 자리의 수를 3으로 나눈 나머지가
0이므로 백의 자리의 수와 십의 자리의 수를 3으로 나 07 해결단계

눈 나머지의 합은 0 또는 3이 아니어야 한다. 원판을 쌓아 만든 탑을 위에서 보았을 때, 2개만 보이도록


➊ 단계
‌이때 백의 자리의 수와 십의 자리의 수를 3으로 나눈 하는 조건을 찾는다.
➋ 단계 8개의 원판을 4개, 4개로 나누는 경우의 수를 구한다.
나머지의 합이 0 또는 3이려면 나머지가 각각 0, 0 또
➊ 단계에서 구한 조건을 이용하여 4개의 원판을 쌓아 만든
는 1, 2 또는 2, 1이어야 하므로 조건을 만족시키는 ➌ 단계 탑이 위에서 보았을 때 2개의 원판만 보이도록 하는 경우의
수를 구한다.
경우의 수는
➋, ➌ 단계에서 구한 값을 이용하여 조건을 만족시키도록 두
100-(4_4+3_3+3_3)=100-34=66 ➍ 단계
개의 탑을 쌓는 경우의 수를 구한다.
즉, 이 경우의 수는 66_2=132
맨 위에 쌓이는 원판은 위에서 항상 볼 수 있고, 크기가
Ú, Û에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가장 큰 원판은 어느 위치에 배정되어도 위에서 볼 수 있
134+132=266 답 266
으므로 맨 위에 쌓이는 원판과 크기가 가장 큰 원판만 위

BLACKLABEL 특강 참고
에서 보이도록 탑이 쌓여야 한다.
또한, 위에서 보이는 두 원판 사이에는 맨 위에 쌓이는 원
조건 ㈐에서 카드에 적힌 수는 5의 배수가 아니고, 조건 ㈏에서 각 자
리의 수의 합이 3의 배수가 아니므로 카드에 적힌 수는 3의 배수가 아 판보다 작은 크기의 원판이 배정될 수 있다.
니다. 따라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수는 1부터 1000까지의 홀수 중에서 이때 원판이 8개이므로 높이가 같은 두 개의 탑은 각각
3의 배수도 아니고, 5의 배수도 아닌 수이다.
원판 4개로 이루어져야 한다.

Ⅲ. 경우의 수 | 109
A n s w e r

크기가 다른 8개의 원판을 4개, 4개로 나누는 경우의 수는 [(A, C), (B, D), E], [(A, E), (B, D), C],
1 8_7_6_5 1 [(C, E), (B, D), A], [(A, C, E), B, D]
¥C¢_¢C¢_ = _1_ =35
2! 4_3_2_1 2
의 4가지이므로
원판 4개로 탑을 쌓는 경우는 원판 4개를 크기가 작은 순
10_4_3!=240 3개의 방에 (2명, 2명, 1명) 또는 (3명, 1명, 1명)을
서대로 1, 2, 3, 4라 하면 배정하는 경우의 수
Ý 2개의 방에 배정하는 경우
Ú 원판 4가 위에서 두 번째 위치에 오는 경우
‌5개의 방 중에서 다섯 명이 들어갈 방 2개를 뽑는 경
‌원판 4 위에 배정될 한 개의 원판을 뽑고, 나머지 원판
우의 수는
2개를 원판 4 아래에 배정하면 되므로 경우의 수는
5_4
°Cª= =10
£CÁ_2!=3_2=6 2_1
Û 원판 4가 위에서 세 번째 위치에 오는 경우 ‌다섯 명을 3명, 2명으로 나누어 방을 배정하고 한 방
‌원판 4 위에 배정될 2개의 원판을 뽑아 큰 원판을 맨 에 들어갈 때 서로 잡을 수 없는 경우는
위에 작은 원판은 그 아래 배정하고, 남은 1개의 원판 [(A, C, E), (B, D)]
은 맨 밑에 배정하면 되므로 경우의 수는 의 1가지이므로
£Cª_1=3_1=3 10_1_2!=20 2개의 방에 (3명, 2명)을 배정하는 경우의 수

Ü 원판 4가 마지막 위치에 오는 경우 Ú ~ Ý에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원판 3을 맨 위에 배정하고, 원판 1, 2를 그 아래에 배 120+480+240+20=860 답 860
정하면 되므로 경우의 수는
2!=2
Ú, Û, Ü에서 원판 4개로 조건에 맞게 탑을 쌓는 경우
의 수는 이것이 수능 p. 71
6+3+2=11
1 528 2 130 3 60 4 18
원판 4개짜리 탑이 2개 있으므로 구하는 경우의 수는
35_11_11=4235 답 4235

1 해결단계

여학생에게 사물함을 배정하는 방법에 따라 경우를 나눈


후, 남학생과 여학생의 사물함은 같은 층에서 서로 이웃하
➊ 단계
08
지 않음을 이용하여 남학생에게 사물함을 배정하는 경우의
해결단계
수를 구한다.
한 방에 넣었을 때 꼬리잡기를 할 수 없는 조합을 찾은 후, ➋ 단계 ➊ 단계에서 구한 값을 이용하여 경우의 수를 구한다.
➊ 단계
5명을 방의 개수에 따라 배정하는 방법을 구한다.
➋ 단계 ➊ 단계에서 구한 값을 이용하여 경우의 수를 구한다.
Ú ‌2층 또는 3층 중에서 한 층의 사물함만을 여학생에게
배정하는 경우
Ú 5개의 방에 각각 한 명씩 배정하는 경우
5!=120
Û 4개의 방에 배정하는 경우
여 여
‌5개의 방 중에서 다섯 명이 들어갈 방 4개를 뽑는 경
우의 수는
°C¢=°CÁ=5
‌2층의 두 사물함을 두 여학생에게 배정하는 경우의 수
‌다섯 명을 2명, 1명, 1명, 1명으로 나누어 방을 배정
는 2!이고, 나머지 사물함을 남학생 3명에게 배정하
하고 한 방에 들어갈 때 서로 잡을 수 없는 경우는
는 경우의 수는 °P£이다.
(A, C), (A, E), (B, D), (C, E)
3층의 두 사물함을 두 여학생에게 배정하는 경우의 수
의 4가지이므로
는 2층의 두 사물함을 두 여학생에게 배정하는 경우의
5_4_4!=480 4개의 방에 (2명, 1명, 1명, 1명)을 배정하는 경우의 수
수와 같으므로 이와 같이 배정하는 경우의 수는
Ü 3개의 방에 배정하는 경우
2_2!_°P£=240
‌5개의 방 중에서 다섯 명이 들어갈 방 3개를 뽑는 경
Û 1층의 사물함만을 여학생에게 배정하는 경우
우의 수는
5_4
°C£=°Cª= =10
2_1
‌다섯 명을 2명, 2명, 1명으로 나누거나 3명, 1명, 1명
으로 나누어 방을 배정하고 한 방에 들어갈 때 서로
여 여
잡을 수 없는 경우는

110 | 블랙라벨 수학 (하)


본문 pp. 70~71

‌1층의 사물함만을 여학생에게 배정하는 경우의 수는 오른쪽 그림과 같이 정삼각형에 적


a
£Pª이고, 1층의 사물함을 남학생에게 배정할 수는 없 힌 수를 a, 정사각형에 적힌 수를
으므로 나머지 사물함을 남학생 3명에게 배정하는 경 왼쪽부터 차례로 b, c, d라 하면 b c d

우의 수는 ¢P£이다. 조건 ㈎에서 a>b, a>c, a>d


이와 같이 배정하는 경우의 수는 조건 ㈏에서 b+c, c+d
£Pª_¢P£=144 Ú b=d일 때,
Ü ‌2층, 3층의 사물함을 각각 1개씩 여학생에게 배정하 ‌6개의 자연수 중에서 a, b, c에 들어갈 서로 다른 3개
는 경우 의 수를 택하는 경우의 수는
6_5_4
‌¤C£= =20
여 3_2_1
‌택한 3개의 수 중 가장 큰 수를 a, 나머지 수를 b, c로

정하면 되므로 경우의 수는
‌1_2!=2
‌즉,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의 수는
‌2층, 3층의 사물함을 각각 1개씩 선택하여 여학생에
‌20_2=40
게 배정하는 경우의 수는 ªCÁ_ªCÁ_2!이고, 2층과 3
Û b+d일 때,
층의 사물함을 남학생에게 배정할 수는 없으므로 1층
‌6개의 자연수 중에서 a, b, c, d에 들어갈 서로 다른
의 사물함만을 남학생 3명에게 배정해야 하고 그 경우
4개의 수를 택하는 경우의 수는
의 수는 3!이다.
6_5
이와 같이 배정하는 경우의 수는 ‌¤C¢=¤Cª= =15
2_1
ªCÁ_ªCÁ_2!_3!=48 ‌택한 4개의 수 중 가장 큰 수를 a, 나머지 수를 b, c,
Ý ‌1층의 사물함을 한 여학생에게 배정하고 2층 또는 3 d로 정하면 되므로 경우의 수는
층의 사물함을 다른 여학생에게 배정하는 경우 ‌1_3!=6
여 ‌즉,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의 수는
‌15_6=90
Ú, Û에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40+90=130 답 130

‌1층의 가운데에 있는 사물함을 여학생에게 배정하면 다른 풀이


3명의 남학생에게 사물함을 배정할 수 없으므로 1층 조건 ㈎, ㈏에서 정삼각형에 적을 수 있는 수는 3, 4, 5, 6
의 사물함 중에서 가운데 사물함을 제외한 2개의 사물 이다.
함 중에서 한 사물함을 여학생에게 배정해야 한다. Ú 정삼각형에 3을 적는 경우
‌1층의 사물함을 한 여학생에게 배정하고 2층 또는 3 ‌정사각형에 적을 수 있는 수는 1, 2이므로 가운데 정
층의 사물함을 다른 여학생에게 배정하는 경우의 수는 사각형에 적을 수 있는 수는 2가지, 양옆에 있는 정사
ªCÁ_¢CÁ_2!이고, 남학생에게 3개의 사물함을 배정 각형에 적을 수 있는 수는 각각 1가지이다.
하는 경우의 수는 3!이다. ‌즉,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의 수는
이와 같이 배정하는 경우의 수는 ‌2_1_1=2
ªCÁ_¢CÁ_2!_3!=96 Û 정삼각형에 4를 적는 경우
Ú ~ Ý에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정사각형에 적을 수 있는 수는 1, 2, 3이므로 가운데
240+144+48+96=528 답 528 정사각형에 적을 수 있는 수는 3가지, 양옆에 있는 정
사각형에 적을 수 있는 수는 각각 2가지이다.
‌즉,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의 수는
‌3_2_2=12
Ü 정삼각형에 5를 적는 경우
2 해결단계
‌정사각형에 적을 수 있는 수는 1, 2, 3, 4이므로 가운
➊ 단계
각 도형에 적힌 수를 a, b, c, d라 하고, 조건 ㈎, ㈏를 이용 데 정사각형에 적을 수 있는 수는 4가지, 양옆에 있는
하여 a, b, c, d 사이의 관계를 파악한다.
정사각형에 적을 수 있는 수는 각각 3가지이다.
b=d, b+d일 때로 경우를 나누어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
➋ 단계
우의 수를 구한다. ‌즉,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의 수는
➌ 단계 ➋ 단계에서 구한 값을 이용하여 경우의 수를 구한다. ‌4_3_3=36

Ⅲ. 경우의 수 | 111
본문 p. 71
A n s w e r

Ý 정삼각형에 6을 적는 경우 마찬가지로 f (bª)=bÁ일 때도 경우의 수는 3


‌정사각형에 적을 수 있는 수는 1, 2, 3, 4, 5이므로 가 따라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운데 정사각형에 적을 수 있는 수는 5가지, 양옆에 있 10_(3+3)=60
는 정사각형에 적을 수 있는 수는 각각 4가지이다.
BLACKLABEL 특강 참고
‌즉,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의 수는
‌5_4_4=80 조건 ㈎, ㈏를 만족시키는 함수 f 의 치역 f
을 {1, 2, 3, 4}, f (a)=a인 a를 1, 2, 3 X X
Ú~Ý에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이라 할 때, 함수 f 의 대응을 나타내면 1 1
2 2
2+12+36+80=130 오른쪽 그림과 같다.
이때 f (4)+4이므로 f (5)=4이고, 3 3
f (4)=1 또는 f (4)=2 또는 f (4)=3 4 4
5 5
이어야 한다.

4 해결단계
3 해결단계
➊ 단계 조건 ㈎, ㈏를 이용하여 각 함숫값 사이의 관계를 파악한다.
➊ 단계 조건 ㈎를 이용하여 치역을 정하는 경우의 수를 구한다. f (5)의 값에 따라 경우를 나누어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
➋ 단계
조건 ㈏에서 f (a)=a인 원소 a를 정하는 경우의 수를 구 의 수를 구한다.
➋ 단계
한다. ➋ 단계에서 구한 값을 이용하여 조건을 만족시키는 함수의
➌ 단계
정의역의 나머지 두 원소의 함숫값을 정하는 경우의 수를 개수를 구한다.
➌ 단계
구한다.
➊, ➋, ➌ 단계에서 구한 값을 이용하여 조건을 만족시키는 조건 ㈎에서
➍ 단계
함수의 개수를 구한다. f (2)É2, f (3)É3, f (5)É5, f (7)É7
조건 ㈎에서 함수 f 의 치역의 원소가 4개이므로 치역을 조건 ㈏에서
정하는 경우의 수는 f (1)< f (2)< f (4)< f (8), f (1)< f (2)< f (6),
°C¢=°CÁ=5 f (1)< f (3)< f (6), f (1)< f (5), f (1)< f (7)
조건 ㈏에서 f (a)=a를 만족시키는 a를 정하는 경우의 ∴ f (1)=1
수는 치역의 원소 4개 중 3개를 택하는 경우의 수와 같으 함수 f 는 일대일대응이므로
므로 f (2)=2, f (3)=3
¢C£=¢CÁ=4 Ú f (5)=4일 때,
f (a)=a인 a를 제외한 정의역의 두 원소를 각각 a, b라 ‌f (7)의 값이 될 수 있는 수는 5, 6, 7이므로 f (7)의
하자. 값을 정하는 경우의 수는
a가 f 의 치역이면 f (a)+a이므로 a는 a를 제외한 치역 ‌£CÁ=3
의 다른 세 원소 중 하나에 대응되어야 하고, f (b)=a이 ‌남은 3개의 수 중 f (6)의 값을 정하는 경우의 수는
어야 한다. ‌£CÁ=3
즉, 이 경우의 수는 ‌남은 2개의 수 중 작은 수부터 차례로 f (4), f (8)에
3_1=3 대응시키면 되므로 경우의 수는 1
따라서 구하는 함수 f 의 개수는 ‌즉,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의 수는
5_4_3=60 답 60 ‌3_3_1=9
다른 풀이 Û f (5)=5일 때,
‌f (7)의 값이 될 수 있는 수는 4, 6, 7이므로 f (7)의
조건 ㈏에서 f (a)=a를 만족시키는 X의 세 원소를 aÁ,
값을 정하는 경우의 수는
aª, a£, 나머지 두 원소를 bÁ, bª라 하자.
‌£CÁ=3
aÁ, aª, a£을 택하는 경우의 수는 5개의 원소 중 3개를 택
‌남은 3개의 수 중 f (6)의 값을 정하는 경우의 수는
하는 경우의 수와 같으므로
‌£CÁ=3
5_4
°C£=°Cª= =10
2_1 ‌남은 2개의 수 중 작은 수부터 차례로 f (4), f (8)에
이때 조건 ㈎에서 치역의 원소가 4개이므로 bÁ 또는 bª 중 대응시키면 되므로 경우의 수는 1
하나의 원소는 다른 한 원소에 대응되어야 한다. ‌즉,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의 수는
f (bÁ)=bª일 때 f (bª)의 값은 aÁ, aª, a£ 중에서 택해야 ‌3_3_1=9
하므로 이 경우의 수는 Ú, Û에서 구하는 함수 f 의 개수는
£CÁ=3 9+9=18 답 18

112 | 블랙라벨 수학 (하)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