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23

머 리 말

지구과학을 공부한다는 것은 지구와 우주에 대한 경이로움을 느끼며 서로의 이야


기를 듣고 나누는 것이다. 그토록 견고해 보이는 대륙이 지구 내부의 운동에 의해 조
금씩 확장되는 것을 알게 되고, 하늘을 뒤덮은 구름이 비나 눈을 내리고 바람이 부는
것이 사실 지구의 에너지가 순환하며 균형을 맞추려는 몸부림의 일부임을 알게 되면
우리에게 이 지구는 새로운 의미로 다가올 것이다.
지구과학은 생활 속의 과학이다. 우리가 살고 있는 산과 들, 강과 바다, 대기 그리
고 지구를 둘러싼 우주가 어떻게 생겨났는지, 현재 어떤 과정을 겪고 있으며, 앞으
로 어떻게 변해갈까에 대한 궁금증에서 지구과학은 출발한다. 역동적인 행성인 지구
에서는 과거부터 지금까지 높은 산이 깎여 평지가 되고, 다시 새로운 산이 솟아오르
며, 화산이 폭발하고 지진이 일어나는 역사가 반복되었고, 앞으로도 그러할 것이다.
또한 비와 눈이 내려 대지를 적시고 강을 거쳐 거대한 대양으로 흘러가며 다시 증발
하여 구름을 만드는 일이 반복된다. 낮밤이 있고 봄, 여름, 가을, 겨울의 계절 변화가
일어난다. 지구를 포함한 태양계 행성, 소행성, 혜성들은 태양 주위를 조화롭게 운행
하고 있으며, 때로 궤도를 벗어난 외계 암석들이 지구로 들어와 크고 작은 변화를 일
으키기도 한다. 태양을 비롯한 별과 은하, 우주에서 일어나는 이 모든 변화 속에서
다양한 생명체들이 살아간다. 지구과학은 이런 고체 지구와 유체 지구, 그리고 별과
은하 및 우주의 역동성을 어떻게 밝히고 설명하는지를 탐사 기술의 발달과 관련지어
이해하게 해준다.
지구과학은 21세기의 과학이다. 예전에는 들여다보기 힘들었던 깊은 바닷속과 땅
속에서 일어나는 변화를 이해하고, 해저와 지하 깊숙이 숨겨진 자원을 채취하며, 지
구 안팎을 구성하는 지구계의 상호 작용을 좀 더 구체적으로 이해하고 예측하는 것
이 점점 현실로 바뀌고 있다. 20세기 중반 이후 특히 21세기에 들어와 인류의 활동
영역은 지구를 벗어나 태양계의 다른 행성과 위성에서 활동하는 인류의 모습을 보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나아가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를 포함한 태양계는 물론 우주의
탄생과 진화 과정을 좀 더 잘 이해하게 되고 외계 자원을 탐사하고 채취하는 일도 가
능해질 것이다. 지구 밖에서 생명체를 만나는 놀라운 경험이 우리를 기다리고 있는
지도 모른다. 지구과학은 이런 미래를 대비하기 위한 학문이다.
지구과학Ⅰ은 이처럼 고체 지구, 유체 지구, 별과 은하를 포함하는 천문의 각 영역
별로 생명체를 위한 최적의 환경인 지구의 소중함, 지구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권의
상호 작용과 에너지 순환으로 유지되는 지구의 역동성, 기후 변화를 중심으로 한 지
구가 겪고 있는 위기, 그리고 별과 은하 및 외계 행성계와 외계 생명체 탐사 등에 초
점을 두고 지구와 우주 관련 현상들을 통합적인 관점에서 접근할 수 있도록 안내하
는 학문이다.
지구와 우주에 대한 학문인 지구과학은 기본 개념의 통합적인 이해 및 과학의 탐구
경험을 통하여 과학적 사고력, 과학적 탐구 능력, 과학적 문제 해결력, 과학적 의사
소통 능력, 과학적 참여와 평생 학습 능력 등의 과학과 핵심 역량을 함양할 수 있도
록 안내할 것이다.
저자들은 21세기의 주인공인 학생들이 지구과학Ⅰ을 통해 이런 지구와 우주에 대
한 통합적인 이해와 소양을 쌓아 가며 우리 주변에서 일어나고 있는 자연 현상에 대
한 궁금증을 갖게 되고, 이에 대한 해답을 창의적으로 찾을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하여
지구와 우주에 관한 이야기를 더 많이 쓰고 나눌 수 있기를 기대한다.

지은이 씀
이 책의 차례

I 지권의 변동
1 지권의 변동
01. 대륙 이동설에서 판 구조론까지
02. 대륙의 분포 변화
•10

•11
•18
II 지구의 역사
1 지질 구조와 퇴적 환경
01. 퇴적 구조와 퇴적 환경
02. 다양한 지질 구조
•46

•47
•52
프로젝트 탐구 •20 중단원 마무리 •57
03. 상부 맨틀의 운동과 플룸 운동 •22
중단원 마무리 •29 2 지질 시대와 환경 •58

01. 지사학의 법칙 •59


2 지구 구성 물질 •30
02. 암석과 지층의 나이 •62
01. 변동대에서의 마그마 생성 •31 프로젝트 탐구 •64
02. 변동대에서의 화성암 •35 03. 지질 시대와 환경 •67
중단원 마무리 •39 중단원 마무리 •73

단원 마무리 •40 단원 마무리 •74

III 대기와 해양의 변화


1 대기의 운동과 순환
01. 기압과 날씨 변화
02. 태풍의 발생과 영향
•80

•81
•86
03. 우리나라의 주요 악기상 •90
중단원 마무리 •95

2 해양의 변화 •96

01. 해수의 성질 •97


02. 실측 자료를 활용한 우리나라 주변
해양의 이해 •100
프로젝트 탐구 •100
중단원 마무리 •103
단원 마무리 •104
IV
대기와 해양의 상호 작용
1 대기와 해양의 상호 작용
01. 대기 대순환과 해양의 표층 순환
02. 해양의 심층 순환
V
•110

•111
•115
별과 외계 행성계
1 별의 특성과 진화
01. 별의 물리량
02. H - R도와 별의 특징
•146

•147
•152
03. 엘니뇨와 남방 진동 •118 프로젝트 탐구 •152
중단원 마무리 •123 03. 별의 탄생과 진화 •156
04. 별의 에너지원과 내부 구조 •161

2 기후 변화 •124 중단원 마무리 •165

01. 기후 변화의 요인 •125


02. 인간 활동에 의한 기후 변화 •129 2 외계 행성계와 외계 생명체 탐사 •166
03. 기후 변화의 영향과 대책 •134 01. 외계 행성계 탐사 •167
프로젝트 탐구 •134 02. 외계 생명체 탐사 •170
중단원 마무리 •139 중단원 마무리 •173
단원 마무리 •140 단원 마무리 •174

VI 외부 은하와 우주 팽창
외부 은하와 우주 팽창
01. 외부 은하의 종류와 특징
02. 허블 법칙과 우주론
•180

•181
•186
프로젝트 탐구 •188
03. 암흑 물질과 암흑 에너지 •194
단원 마무리 •198

부록 •202
이 책의
구성과 특징
과학과 핵심 역량 과학적 과학적 과학적
사고력 탐구 능력 문제 해결력
아이콘
과학적 과학적 참여와
의사소통 능력 평생 학습 능력

단원의 도입 단원의 본문

■이 단원의 주요 핵심 역량을 알아봅시다.


| 소단원 도입 |
1 01
스스로
생각해
보기
대륙 이동설에서 판 구조론까지
•대륙 이동설에서부터 판 구조론이 정립되는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판 구조론의 정립 과정을 탐사 기술의 발달과 관련지어 설명할 수 있다.
•지구 표면이 끊임없이 변화해 온 과정을 판 구조론을 통해 설명할 수 있다.

고생대 말에 살았던 파충류인 메소사우루스의 발에는 물갈퀴가 있었지만 바다를 헤


엄칠 만큼의 힘은 없었다. 그런데 이 생물의 화석은 대서양을 사이에 두고 남아메리
카 동해안과 아프리카 서해안에서 발견되었다.

멀리 떨어진 두 대륙에서 메소사우루스 화석이 발견된 까닭은 무엇일까?

바다 위에 떠 있는 거대한 빙산은 해류를 타고 흘러가다가 기온 변화 때문에 갈라


징검다리
섬들로 연결

뗏목타기

과학적 대륙 이동설이 발전된 과정이 탐사 기술의 진보와


사고력 밀접하게 관계됨을 고찰할 수 있다. 지기도 하고, 다른 빙산과 충돌하여 새로운 모습으로 변하기도 한다. 20세기 초에 베
과학적
탐구 능력

과학적
문제 해결력
미래의 대륙 분포 모습을 관련 자료를 이용하여 탐
구할 수 있다.

변동대에서 마그마가 생성되고 그 조성에 따라 다


양한 화성암이 생성됨을 설명할 수 있다.
•‌학
 습 목표를 안내하고, 단원 게너는 우리가 발 딛고 있는 땅도 빙산처럼 갈라져 이동할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그
의 생각은 이후 지구 표면의 변화를 통합적으로 설명하는 판 구조론으로까지 발전하
였다. 판 구조론이 어떤 과정을 거쳐 정립되었는지 알아보자.
과학적 판 운동과 플룸 운동의 특징과 사례를 서로 비교하

과 관련된 흥미로운 소재로


의사소통 능력 여 토의할 수 있다.
빙하는 눈이 오랫동안 쌓여 다져져
과학적 참여와
평생 학습 능력
대륙 이동설에서 판 구조론까지의 변화 과정을 바
탕으로 과학, 기술, 사회의 관계를 학습할 수 있다.
지권의 변동 육지의 일부를 덮고 있는 얼음층이고,
빙산은 빙하에서 떨어져 나와 바다에
떠 있는 얼음 덩어리이다.
1 대륙 이동설

1. 지권의 변동 시작하였다. 그린란드와 북극의 빙하를 탐험하고 연구하던 베게너는 빙하로부터 떨어져
나온 빙산이 갈라지고 충돌하는 장면을 자주 목격하였다. 그러던 중 거대한 빙
2. 지구 구성 물질 산이 두 개로 갈라진 것처럼 대서양을 사이에 두고 멀리 떨어져 있는 남아메
리카 대륙과 아프리카 대륙도 이처럼 하나로 붙어 있다가 갈라져 이동한 것이
라고 생각하게 되었고, 이로부터 대륙 이동설을 주장하였다.
1915년 베게너는 『대륙과 해양의 기원』이라는 저서에서 고생대 말에는 ‘모든
대륙’을 뜻하는 판게아라는 거대한 초대륙이 존재하였고, 약 2억 년 전에 분리되고
이 단원에서는
■이 단원과 연계된 학습 과정을 알아봅시다. 이동하여 현재와 같은 수륙 분포가 이루어졌다고 발표하였다.
지구의 표층이 끊임없이 변화해 왔음을 이해하고, 판 구조론의 발달
과정을 통해 과학 이론의 잠정적 본성을 파악한다. 해저 확장의 증거
중학교
통합과학 지구과학 Ⅰ 지구과학 Ⅱ 와 변환 단층의 발견으로 판 구조론이 정립되었음을 이해한다. 판 운
과학
동의 원동력이 되는 맨틀 대류의 모습을 확인하고, 플룸의 활동으로
■지권을 구성하는 각 권의 상태 ■지구 시스템 ■대륙 이동과 판 구조론 ■지구 내부 구조 부터 보다 큰 규모의 지구 내부 움직임을 이해한다. 판과 플룸의 운동
베게너 (Wegener, A.
■지각에 분포하는 다양한 암석 ■지구 시스템 각 권의 상호 작용 ■지질 시대와 대륙 분포 ■광물과 암석의 조직 에 의해 지하에서는 마그마가 생성되고, 이로부터 화성암이 만들어짐
■대륙 이동설 ■맨틀 대류와 플룸 구조론 ■한반도의 판 구조 환경 L., 1880~ 1930)
■지구계와 지구계의 구성 요소 ■변동대 화성암의 종류 을 탐색한다.
지구 물리학자, 기상학자. 『대륙과 해양의 기원』에
서 지질, 고생물, 고기후 등의 자료를 통해 태고의
시대에 대서양의 양쪽 대륙이 각각 반대 방향으로
이동했다는 대륙 이동설을 주장하였다.

1. 지권의 변동 11

| 대단원 도입 |
•각
 단원에서 다루는 핵심 개념과 과학과 핵심 역량을
제시하였다.

2010년 아이슬란드의 남부에서 화산이 폭발하여 화산재와 연기가 6~11 km 상공까지


치솟아 유럽 전역에서 수많은 항공기가 결항하였다. 빙하 아래에 위치한 에이야퍄들라이
외퀴들 화산에서 분출된 화산재는 서풍을 타고 유럽 전역으로 이동하였다.

대규모 화산이 폭발하면


주변 지역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지권의 변동
01. 대륙 이동설에서 판 구조론까지
02. 대륙의 분포 변화
03. 맨틀의 상부 운동과 플룸의 구조 운동

자기 점검 - 알고 있는 용어를 체크해 보자.


자료 해석

목표
다양한 은하 사진을 이용하여 은하 분류하기

다양한 은하를 형태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다음은 다양한 외부 은하의 모습이다. 외부 은하를 형태에 따라 분류하고, 결과를 모둠원들
과 비교해 보자.

NGC4414 M87
탐구 능력 문제 해결력

NGC1427A
2
| 탐구 |
대륙 이동설 베게너 맨틀 대류설 해양저 확장설
판 구조론 판 경계 지권

▶ 체크하지 못한 용어는 인터넷에서 검색해 보자.


지각 맨틀

•‌과
 학과 핵심 역량을 기를 수 있
학습 계획 세우기 - 성취 기준을 달성하기 위해 어떤 준비를 할 수 있을지 써 보자.

도록 실험, 자료 해석, 자료 조사,


10 I. 지권의 변동 M81 NGC1300
모의 활동, 토론, 모둠별 학습 등
다양하게 구성하였다.

| 중단원 도입 |
M60 NGC3310 NGC5866

•단
 원과 관련하여 이미 배운 내용 결과 및 정리
➊ 이 자료에 나타난 은하는 형태에 따라 몇 가지로 분류되는지 설명해 보자.

을 스스로 점검하고, 자기 주도적 ➋ 우리 은하는 어떤 종류에 속하는지 조사해 보자.

으로 학습 계획을 세울 수 있도록 182 VI

하였다.
방열 장갑 날카로운
착용 물체 주의 깨짐 주의 화상 주의 환기 보안경 착용 마스크 착용 손 씻기 보충 설명 용어 정리 과학자 연결 학습 주의 사항
탐구 안전 자기 주도 학습
아이콘 도우미

단원의 마무리

3 융

창의

마무리
프로젝트 외부 은하의 적색 편이를 이용하여 후퇴 속도 계산하기 사고력 탐구 능력 문제 해결력

Step 3 다앙한 은하의 후퇴 속도를 계산하고 은하까지의 거리와 후퇴 속도의 관계 나타내기


내용 정리 기초 개념 익히기
➊ Step 1 의 자료를 이용하여 적색 편이량을 구하고, 각 은하의 후퇴 속도를 계산해 보자.
목표 Step 1 다양한 은하의 스펙트럼 조사하기
외부 은하의 적색 편이를 조사하 온대 저기압과 날씨 변화
그림은 슬론 거대 우주 탐사 관측(Sloan Digital Sky Survey)으로 얻은 6개 외부 은하의 k'-k(nm)
1
은하 거리(Mpc) 적색 편이량 후퇴 속도(km/s)
여 은하의 후퇴 속도를 계산할 k'은 선스펙트럼의 세기 1. 온대 저기압 그림은 우리나라 주변에 형성된 온대 저기압을 나타낸 것
수 있다.
사진과 이들의 수소 방출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다. 660.5 - 656.3 4.2 (3 _ 10Þ`) _ 0.00640
(가) 27 ? 0.00640 가 가장 크게 나타나는 지점(Ha)에 •➊ 전선: 층운형 구름과 약한 비가 나타난다. 이다.
=4.2 656.3 = 1920
상대 세기

서의 x축 값이다.
(가) •➋ 전선: 적운형 구름과 강한 비가 나타난다.
(나) 125

(다) 212
동해
2. 이동성 고기압
650 660 670 680 690 700 파장(nm) (라) 283 A
•고기압 중심: 구름 없는 맑은 날씨를 보인다. B
파장(nm) (마) 464 E D C
상대 세기

(나) •고기압 가장자리: 습윤한 공기의 유입으로 비가 내린다.


(바) 838

➋ 각 은하의 거리를 가로축, 후퇴 속도를 세로축으로 하여 그래프를 그려 보자. 3. 위성 영상 해석 ⑴ A와 C 중 기온은 어느 곳이 높은가?


650 660 670 680 690 700 파장(nm)
파장(nm) 구분 밝은 부분 어두운 부분 ⑵ B와 D에서 나타나는 강수 특징을 쓰시오.
상대 세기

45
(다) ⑶ E에서 바람 방향을 쓰시오.
후퇴 속도(^10‹ km/s )

가시 영상 반사도가 크다 반사도가 작다
40
적외 영상 온도가 낮다 온도가 높다
2 적외 영상에서 밝게 보이는 구름일수록 고도가 다.
35
650 660 670 680 690 700 파장(nm)
상대 세기

30
(라)
25

20
650 660 670 680 690 700 파장(nm)
파장(nm) 15

| 개념 정리하기 |
상대 세기

(마)
10

5
650 660 670 680 690 700 710 720 730 파장(nm)
파장(nm) 0 200 400 600 800 1000
상대 세기

핵심 개념 정리하기, 개념 확인 문
(바) 거리(Mpc)

Step 4 결론 도출하기
640 660 680 700 720 740 760 780 파장(nm) ➊ 그래프에서 얻은 직선의 기울기는 무엇을 뜻하는지 설명해 보자.

제, 개념 응용 문제를 단계적으로
<출처: 슬론 거대 우주 탐사 ➋ 위에서 얻은 값들을 이용하여 우주의 나이를 계산해 보자.
점선은 정지 상태에서 수소가 방출하는 파장으로, 656.3 nm이다.
관측(SDSS)>
준비물 Step 2 은하의 후퇴 속도 계산식 유도하기 Step 5 핵심 역량 평가하기
성취 정도를 표시해 보자
은하 스펙트럼 자료, 자, 계산기
외부 은하의 스펙트럼을 조사해 보면, 스펙트럼선의 위치가 원래의 위치보다 파장이 긴 적색
과학과 핵심 역량 평가 내용
쪽으로 이동하는 적색 편이 현상이 나타난다. 스펙트럼선 파장의 변화량을 Dk = k' - k라

고 하면, 후퇴 속도 v = c _

여 나타내면 v = c _ z이다.
Dk
k
(c: 빛의 속도)이다. 적색 편이량{z =
k'-k
k `
}을 이용하
사고력
탐구 능력
문제 해결력
수소 방출선 스펙트럼을 해석할 수 있는가?
주어진 자료를 이용하여 은하의 후퇴 속도를 계산할 수 있는가?
허블 법칙을 이해하고 우주의 나이를 구할 수 있는가?
제시하여 자기 주도적으로 학습할
188 VI . 외부 은하와 우주 팽창 외부 은하와 우주 팽창 189
수 있도록 하였다.

| 프로젝트 탐구 |
마무리
•단기간 또는 장기간 프로젝트 학습이 가능한 탐구를 제시하였다.
저기압과 •온대 저기압은 찬 기단과 따뜻한 기단이 만나 전선을 동반하며 편서풍을 따라 동쪽으로 이동한다. 구름과 강수

개별 또는 모둠 활동으로 과제를 수행할 수 있도록 제시하였다. 날씨 변화 를 동반하여 중위도 날씨 변화를 일으킨다.


•이동성 고기압은 중위도에서 동쪽으로 이동하는 고기압으로, 보통 온대 저기압 주위에서 발달한다.

4 5
태풍의 •태풍은 열대 해상에서 발생하는 열대 저기압으로, 강풍과 호우를 동반하며 전선은 없다.
발생과 영향 •해상에서 공급받은 수증기가 주 에너지원이며, 육지에 상륙하면 에너지 공급이 끊겨 약해진다.

20
0.2 0.4 0.6 1.0 뇌우 폭설 강풍 우박
가장 먼
적색 편이 초신성 겨울철 온대 저기압이
천둥과 번개를 동반하여 강한 온대 저기압, 겨울 적란운에서 성장한 얼음
<출처: 『현대 천체 물리학』, 2009> 그림 VI - 16 Ia형 초신성 관측과 우주의 가속 팽창 통과할 때 시베리아 고기
국지성 호우, 돌발 홍수, 철 시베리아 고기압 영 덩어리. 농작물에 큰
문제 해결력 사고력 압이 변질되면서 남하
핵심
역량
겨울 기온을 좌우하는 북극 진동 지금까지 알려진 이론과 관측 증거들을 종합하면, 우주는 138억 년 전에 대폭발로
강풍 등을 일으킴
할 때 발생
향, 태풍으로 발생 피해
우리나라의
기르기 올겨울의 기온이 평년에 비해 온난할지 매우 추울지를 예측하는 지표의 하나로 북극 진동이 이용되기도 한다. 북극 탄생하여 짧은 순간 급격히 팽창하였다. 이후 우주의 팽창은 조금씩 줄어들다가 수십 주요
진동이란 ‘극 소용돌이’라고도 불리는 북극 주변의 강한 제트 기류가 수십 일 또는 수십 년 주기로 강약을 되풀이하는 악기상 국지성 호우 황사
억 년 전부터 암흑 에너지의 역할이 중요해지면서 다시 빨라지기 시작하였다. 우주는
현상이다. 북극 진동 지수(AOI, Arctic Oscillation Index)는 북극 진동을 숫자로 나타낸 것으로, 그림과 같이 제 중국과 몽골 등에서
트 기류가 강할 때는 양의 값으로, 제트 기류가 약해져 크게 진동할 때는 음의 값으로 나타낸다. 현재도 계속 가속 팽창하고 있으며, 앞으로 우주의 미래는 물질과 에너지의 양에 따 짧은 시간 동안 좁은 지 발생한 모래 먼지가 바람
라 결정될 것이다.
현재 우리 우주를 구성하는 지배적인 성분은 암흑 에너지이며, 중력이 주요한 원인
평상시 제트 기류

| 단원 정리하기 |
약해진 제트 기류 인 물질 대부분도 정체가 규명되지 않은 암흑 물질이다. 현대 과학은 신화의 수준에
북극 북극 머물러 있었던 우주론을 정밀한 관측과 실험에 기반한 정밀 과학의 수준으로 올려놓
북극

+ -
았지만 우리가 알고 있는 보통 물질이 우주의 극히 일부분이라는 역설적인 상황을 맞
이하고 있다. 우주론의 거대한 수수께끼를 풀기 위해 치열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북극 진동 지수가 (+)인 경우
동해

북극 진동 지수가 (-)인 경우
동해 젊은 학자들의 도전이 기대되고 있다.
이 단원에서 배운 내용을 종합적으
성취 정도를 표시해 보자

북극의 기온이 낮을수록 극 지역과 중위도 지역 사이의 제트 기류가 강해져 서에서 동으로 부는 바람이 강한 벽을
형성하면서 찬 공기는 고위도 지역에 갇히게 된다. 반대로 북극의 기온이 상승하면 제트 기류가 약해져 서에서 동으
자기
평가하기
1 관측 증거를 이용하여 암흑 물질의 존재를 설명할 수 있는가?
2 우주의 가속 팽창을 암흑 에너지와 관련지어 설명할 수 있는가?
3 우주 대부분이 암흑 물질과 암흑 에너지로 이루어져 있음을 설명할 수 있는가?
로 점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로 부는 바람이 크게 진동하게 되고, 극 지역의 찬 공기가 중위도 지역으로 유입되어 중위도에 추운 겨울을 만든다.
즉, 지구 온난화로 북극 지역 기온이 상승하면서 우리나라에는 온난화에서 예상되었던 따뜻한 겨울이 아닌 한파와 폭

| 핵심 역량 더 기르기 | | 자기 평가하기 |
I. 지권의 변동

•과학과 핵심 역량을 기를 수 있도 •소단원의 학습 내용을 잘 이해했 서술형 문제

록 다양한 자료를 제시하였다. 는지 스스로 평가할 수 있도록 11 그림은 해저 지형을 모식도로 나타낸 것이고, 표는 바다 위의 어느 한 지점에서 출발하여 거리
에 따른 음파의 왕복 시간을 측정한 것이다.
과학적 사고력

음향 측심법
해저 지형의 깊이

하였다.
•내용 학습과 연관된 심화, 보충 A
B

C
D E
F

자료를 제시하였다. 거리 (km)


왕복 시간 (s)
거리 (km)
0
6.6
3.0
0.5
6.8
3.5
1.0
4.6
4.0
1.5
2.4
4.5
2.0
2.4
5.0
2.5
2.5
5.5
왕복 시간 (s) 4.5 6.7 6.8 6.8 6.7 6.8

위 표와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는 관측 구간을 찾아보자. (단, 음파의 속도는 수심에 관계없이


일정하고, 각 구간별 거리는 같다.)

| 창의・서술형 문제 |
창의성을 키우고 실생활과 관련한
문제를 제시하였다.
■이 단원의 주요 핵심 역량을 알아봅시다.
과학적 대륙 이동설이 발전된 과정이 탐사 기술의 진보와
사고력 밀접하게 관계됨을 고찰할 수 있다.

과학적 미래의 대륙 분포 모습을 관련 자료를 이용하여 탐


탐구 능력 구할 수 있다.

과학적 변동대에서 마그마가 생성되고 그 조성에 따라 다


문제 해결력 양한 화성암이 생성됨을 설명할 수 있다.

과학적 판의 운동과 관련된 맨틀의 운동과 플룸 운동의 특


의사소통 능력 징과 사례를 서로 비교하여 토의할 수 있다.

과학적 참여와 대륙 이동설에서 판 구조론까지의 변화 과정을 바


평생 학습 능력 탕으로 과학, 기술, 사회의 관계를 학습할 수 있다.

■이 단원과 연계된 학습 과정을 알아봅시다.

중학교
통합과학 지구과학 Ⅰ 지구과학 Ⅱ
과학

■지권을 구성하는 각 권의 상태 ■지구 시스템 ■대륙 이동과 판 구조론 ■지구 내부 구조


■지각에 분포하는 다양한 암석 ■지구 시스템 각 권의 상호 작용 ■지질 시대와 대륙 분포 ■광물과 암석의 조직
■대륙 이동설 ■맨틀 대류와 플룸 구조론 ■한반도의 판 구조 환경
■지구계와 지구계의 구성 요소 ■변동대 화성암의 종류
지권의 변동
1. 지권의 변동
2. 지구 구성 물질

이 단원에서는
지구의 표층이 끊임없이 변화해 왔음을 이해하고, 판 구조론의 발달
과정을 통해 과학 이론의 잠정적 본성을 파악한다. 해저 확장의 증거
와 변환 단층의 발견으로 판 구조론이 정립되었음을 이해한다. 판 운
동의 원동력이 되는 맨틀 대류의 모습을 확인하고, 플룸의 활동으로
부터 보다 큰 규모의 지구 내부 움직임을 이해한다. 판과 플룸의 운동
에 의해 지하에서는 마그마가 생성되고, 이로부터 화성암이 만들어짐
을 탐색한다.
2010년 아이슬란드의 남부에서 화산이 폭발하여 화산재와 연기가 6~11 km 상공까지
치솟아 유럽 전역에서 수많은 항공기가 결항하였다. 빙하 아래에 위치한 에이야퍄들라이
외퀴들 화산에서 분출된 화산재는 서풍을 타고 유럽 전역으로 이동하였다.

대규모 화산이 폭발하면


주변 지역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지권의 변동
01. 대륙 이동설에서 판 구조론까지
02. 대륙의 분포 변화
03. 상부 맨틀의 운동과 플룸 운동

자기 점검 - 알고 있는 용어를 체크해 보자.

대륙 이동설   베게너 맨틀 대류설   해양저 확장설  


판 구조론 판 경계   지권 지각 맨틀

▶ 체크하지 못한 용어는 인터넷에서 검색해 보자.

학습 계획 세우기 - 성취 기준을 달성하기 위해 어떤 준비를 할 수 있을지 써 보자.

10 I. 지권의 변동
01 대륙 이동설에서 판 구조론까지
•대륙 이동설에서부터 판 구조론이 정립되는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판 구조론의 정립 과정을 탐사 기술의 발달과 관련지어 설명할 수 있다.
•지구 표면이 끊임없이 변화해 온 과정을 판 구조론을 통해 설명할 수 있다.
징검다리
섬들로 연결

스스로 고생대 말에 살았던 파충류인 메소사우루스의 발에는 물갈퀴가 있었지만 바다를 헤


엄칠 만큼의 힘은 없었다. 그런데 이 생물의 화석은 대서양을 사이에 두고 남아메리 뗏목타기
생각해
보기 카 동해안과 아프리카 서해안에서 발견되었다.

멀리 떨어진 두 대륙에서 메소사우루스 화석이 발견된 까닭은 무엇일까?

바다 위에 떠 있는 거대한 빙산은 해류를 타고 흘러가다가 기온 변화 때문에 갈라


지기도 하고, 다른 빙산과 충돌하여 새로운 모습으로 변하기도 한다. 20세기 초에 베
게너는 우리가 발 딛고 있는 땅도 빙산처럼 갈라져 이동할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그
의 생각은 이후 지구 표면의 변화를 통합적으로 설명하는 판 구조론으로까지 발전하
였다. 판 구조론이 어떤 과정을 거쳐 정립되었는지 알아보자.
빙하는 눈이 오랫동안 쌓여 다져져
육지의 일부를 덮고 있는 얼음층이고,
빙산은 빙하에서 떨어져 나와 바다에
떠 있는 얼음 덩어리이다.
1 대륙 이동설
그린란드와 북극의 빙하를 탐험하고 연구하던 베게너는 빙하로부터 떨어져
나온 빙산이 갈라지고 충돌하는 장면을 자주 목격하였다. 그러던 중 거대한 빙
산이 두 개로 갈라진 것처럼 대서양을 사이에 두고 멀리 떨어져 있는 남아메
리카 대륙과 아프리카 대륙도 이처럼 하나로 붙어 있다가 갈라져 이동한 것이
라고 생각하게 되었고, 이로부터 대륙 이동설을 주장하였다.
1915년 베게너는 『대륙과 해양의 기원』이라는 저서에서 고생대 말에는 ‘모든
대륙’을 뜻하는 판게아라는 거대한 초대륙이 존재하였고, 약 2억 년 전에 분리되고
이동하여 현재와 같은 수륙 분포가 이루어졌다고 발표하였다.

베게너 (Wegener, A.
L., 1880~ 1930)

지구 물리학자, 기상학자. 『대륙과 해양의 기원』에


서 지질, 고생물, 고기후 등의 자료를 통해 태고의
시대에 대서양의 양쪽 대륙이 각각 반대 방향으로
이동했다는 대륙 이동설을 주장하였다.

1. 지권의 변동 11
베게너는 대륙 이동설을 지지하는 증거로 그림 I- 1과 같이 여러 가지를 제시하였다.

대서양을 사이에 두고 남아메리카 동해안과


아프리카 서해안의 해안선이 일치한다.

여러 대륙에서 동일한 종류의 고생물 화석


이 발견된다.

빙하의 이동 방향을 역으로 추적해 보


니 빙하의 중심이 남극 근처에
모여 있었다. 아시아
북아메리카 유럽
동해
멀리 떨어진 북아메리카
와 영국, 스칸디나비아 대서양
아프리카
태평양 태평양
반도산맥의 지질 구조
가 연속적으로 나타난다. 인도양
남아메리카 오스트레일리아

빙하 흔적
해안선 일치
남극
메소사우루스 화석 분포
그림 I - 1 대륙 이동설의 증거 산맥의 지질 구조 연속성

하지만 베게너의 대륙 이동설은 여러 가지 증거에도 불구하고 대륙 이동의 원동력


을 제대로 설명하지 못해 대다수 과학자로부터 인정받지 못하였다. 하지만 이후 새로
운 과학 이론과 탐사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다시 주목받기 시작하였다.

2 맨틀 대류설
1928년 홈스는 맨틀 내의 방사성 원소의 붕괴열과 고온의 지구 중심부에서 맨틀로
공급되는 열에 의하여 맨틀 상하부에 온도 차가 생기고, 그 결과 맨틀 내부에서 그림
I-2와 같이 매우 느리게 열대류가 일어난다고 생각하였다. 이를 맨틀 대류라고
하는데, 홈스는 이러한 맨틀 대류가 대륙을 움직이게 할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하지만 맨틀 대류의 증거를 제시하지 못해 그의 주장은 당시 학계에서 받
아들이지 않았지만, 이후 해양저 확장설이 등장하면서 그 중요성을 인정받게 되었다.

과거의 해양 대륙 지각 과거의 해양

맨틀 하강 맨틀 상승 맨틀 하강

새로운 부풀어 새로운


해구 해양 오른 섬 해양 해구

홈스
(Holmes, A., 1890~1965) 영국의
지질학자. 방사성 동위 원소의 붕괴열을 맨틀 하강 맨틀 상승 맨틀 하강

연구하여 지구의 나이를 측정하였다. 그림 I - 2 홈스의 맨틀 대류설(1928년)

12 I. 지권의 변동
3 탐사 기술의 발전과 해양저 확장설
군사적 목적에 의해 발전된 해양 탐사 기술은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난 뒤 과학적 목
적으로 이용되기 시작하였다. 1950년대 이후 해양 탐사가 본격적으로 진행되면서 지각
에 관한 새로운 자료들이 수집되었고 많은 과학적 사실들이 밝혀졌다.
음향 측심법은 그림 I- 3과 같이 음파를 이용하여 수심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해
양 탐사선이 지나가면서 음파를 발사하면 음파는 해저에 닿아 반사하여 되돌
아온다. 이때 걸리는 시간 차를 이용하면 해저의 깊이를 알 수
있고, 해저의 모습을 유추할 수 있다.

입사파
해저에 대한 1912년 타이태닉호가 빙산에 부딪혀 침
반사파
음향 측심 몰한 이후, 음향파를 이용해 물체의 위치
실시 를 찾는 연구가 활발해졌다.
제2차 세계 대전 때 수중에서 상대국의 해저

해저 지형을 잠수함을 탐지하는 기술을 개발하는 연구 그림 I - 3 음파의 속력과 왕복 시간으로 수심 구하기


조사 가 이루어졌다. v_t
수심(d) =
2
(v : 바닷물 속에서 음파의 속력, t : 음파의 왕복 시간)

자료 해석 음향 측심 자료로부터 해저 지형 추정하기 탐구 능력 사고력 문제 해결력

표는 해양 탐사선이 기준점을 출발하여 해양의 중심부 쪽으로 가면서 해저에 음파를 발사하 목표
음향 측심 자료로부터 해저 지형
고 되돌아오는 데 걸리는 시간을 측정하여 나타낸 것이다. <출처: 미국해양대기청(NOAA), 2014>
의 모습을 추정할 수 있다.

기준점과의 음파의 기준점과의 음파의


깊이(m) 깊이(m)
거리(km) 왕복 시간(s) 거리(km) 왕복 시간(s) 준비물
5 6.6 35 2.4 음향 측심 자료, 모눈종이, 계산기

10 6.7 40 4.5
15 6.7 45 6.6
물속에서 음파의 평균 속력은
20 4.4 50 6.6 약 1500 m/s이다.
25 3.5 55 6.7
30 2.4 60 6.8
깊이

결과 및 정리 0
➊ 각 위치에서 해저의 깊이를 계산하여 표에 기록해 1500
m
( )

보자. 3000
➋ ➊에서 계산한 값을 바탕으로 해저 지형의 모습을 4500
그리고, 그 특징을 설명해 보자. 6000
0 10 20 30 40 50 60
기준점과의 거리(km)

1. 지권의 변동 13
음향 측심법을 이용하여 작성한 해저 지형의 모습은 그림 I- 4와 같이 육지에 가까
운 대륙 주변부와 육지로부터 멀리 떨어진 심해저 지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대륙 주
변부는 대륙붕, 대륙 사면, 대륙대 등으로 이루어져 있고, 심해 평원은 평정해산, 화
산섬과 해령을 포함하는 심해저 지형을 보인다. 특히 대서양 한가운데에 산맥처럼 솟
아올라 있는 해령을 발견한 것은 대륙 이동을 설명하는 전환점이 되었다.

해령 대륙붕 대륙
대륙 대륙 사면 화산섬
평정해산 대륙 사면

해산

대륙붕 대륙대
심해 평원

그림 I - 4 해저 지형

1962년 헤스는 해령 주위에서 지열이 높고 멀어질수록 지열이 낮아지며, 해령 부


근에는 현무암이 분포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이로부터 그림 I- 5와 같이 지구 내
부에서는 온도 차에 따라 대류가 일어나고, 해령의 갈라진 골짜기를 따라 용암이 올
헤스
라온다고 생각하였다. 이렇게 해저로 분출한 용암은 새로운 해양 지각을 만들고, 해
(Hess, H. H., 1906 ~1969 )
미국의 지질학자. 1962년에 디 양 지각은 해령의 양쪽으로 갈라져 서서히 이동하다가 해구에서 지구 내부로 침강하
츠(Dietz)와 함께 해양저 확장
는데, 이러한 가설을 해양저 확장설이라고 한다.
설을 주장하였다.
용암 분출

지각 이동 지각 이동

용융 용융
그림 I - 5 헤스가 제안한 해양저 확장설 모식도 | 열대류에 의해 아래에
있는 고온의 물질이 위로 올라와 대류하면서 지각을 양쪽으로 이동시킨다.

이후 여러 과학자의 연구를 통해 대서양 중앙 해령이 해령에 수직으로 배열된 변환


단층에 의해 어긋나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또, 해령 근처뿐 아니라 해령과 해령 사
이에서도 지진이 일어나며 해령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서는 지진이 잘 일어나지 않는
대부분의 변환 단층은 해령과 다는 사실도 알게 되었다. 이는 해령을 기준으로 해양 지각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
해령 사이에 있지만 산안드레
동하여 해령과 해령 사이의 변환 단층에서는 지진이 발생하지만, 해령에서 멀리 떨어
아스 단층은 육지에 존재하는
변환 단층으로 태평양판과 북 진 부분에서는 변환 단층 양쪽의 이동 방향과 속력이 같아져 지진이 일어나지 않기
아메리카판 경계에 있다.
때문이다. 결국, 변환 단층의 발견은 해양저의 확장을 알려 주는 증거가 되었다.

14 I. 지권의 변동
변환 단층

해양 지각
해양 암석권 아프리카

대서양 중앙 대서양 한가운데에 산맥처럼 올라와 있는 해령 연약권


해령에 대한 의 발견은 대륙 이동을 설명하는 전환점이 됨
연구
변환 단층: 그림 I- 6과 같이 해령을 중심으로
해양 지각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어긋나 이동
대서양 중앙 해령
변환 단층의 하면서 지층이 끊어지면서 형성 → 천발 지진
발견 이 발생하지만 화산 활동은 일어나지 않음

해령
남아메리카
변환 단층

그림 I - 6 변환 단층
1950년~60년대에는 해저 암석의 고지자기에 관한 연구도 시행되었다. 이 탐사에
이용된 자력계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비행기에서 잠수함을 탐지하려고 개발된 장비를
개조한 것이었다. 또한, 방사성 동위 원소를 이용하여 암석의 연령도 측정하였다. 고지자기
암석에 기록된 옛날의 지구 자기
를 말한다.

방사성 동위 원소를 이용한 암석의 연령 •정상 자기: 자침의 N


탐사에 이용할 측정 결과 극이 북쪽을 가리키
수 있는 자력계 •그림 I- 7과 같이 해령에서 멀어질수록 해 며 현재의 자기장과 그린란드
개발 저 암석의 나이가 대칭적으로 증가 같은 방향으로 자화
대서양 아이슬란드
된 경우
대서양과 태평양의 고지자기 분석 결과
•역전 자기: 자침의 N 300만 년 전
해저 암석에 •그림 I- 8과 같이 해령의 양쪽으로 정상 600만 년 전
극이 남쪽을 가리키 역전기 900만 년 전
1500만 년 전
대한 고지자기 자기를 가진 암석과 역전 자기를 가진 암 며 현재의 자기장과 정상기
해령 축 지자기 조사 지역
분석과 암석의 석이 서로 반복 반대 방향으로 자화
▲ 고지자기 분석과 암석 연령 분포
연령 측정 •자기 이상의 줄무늬가 해령과 나란히 배열 된 경우

현재의 자기장과
<출처: 『How Does Earth Work?』, 2009> 현재의 자기장과 반대
같은 방향으로
방향으로 자화된 것이다.
자화된 것이다.
아이슬란드
동해
300만 년 전 900 만 년 전
600만 년 전
900만 년 전
1500만 년 전

지자기 조사 지역
중앙 해령 600만 년 전

300만 년 전
1억 8천만 년 1억 2천만 년 7천만 년 70만
만년
해양 지각의 연령

그림 I-
I - 7 해저 암석 연령 분포 현재
•해령에서 멀어질수록 해저 암석의 연령이 증가한다. 그림 I - 8 아이슬란드 주변 해저의 지자기 역전 | 해령을 기준으로 중
•해령 중심 부근에는 해저 퇴적물이 거의 없고, 대륙 쪽으로 갈수 심에서 양쪽이 대칭되게 나타난다.
록 퇴적물이 두껍고 현무암의 나이도 대칭적으로 많아진다. <출처: 『How Does Earth Work?』, 2009>

1. 지권의 변동 15
섭입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세계는 상대국의 핵실험을 감시할 목적에서 전 지구 표준 지
판과 판이 충돌할 경우 상대적으로
진 관측망을 대규모로 설치하였다. 지진학자들은 지진이 어느 위치와 깊이에서 일어
무거운 판이 가벼운 판 밑으로
밀려들어가는 곳으로 이곳에서 나는지 정확한 지도를 작성할 수 있게 되었고, 그 결과 해구 근처의 진원은 그림 I- 9
지진이 많이 발생한다. 와 같은 섭입대를 따라 집중적으로 분포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전 세계적인 지진 관측망을 이용하여 지진 발생 지역을 지도로 작성


호상 열도
지진 관측망
서태평양에는 북반구에서 남쪽 •지진의 진원이 경사진 섭입대를 따라 분포하는데, 해구에서 대륙 쪽으로
설치
으로 가면서 알류샨 열도, 일본 갈수록 진원이 점점 깊어져 가장 깊은 곳은 700 km에 이름
열도, 필리핀 열도 등 많은 섬들 •섭입대에서는 깊은 곳에서 만들어진 마그마가 지각을 뚫고 올라와 호상 열
이 긴 활 모양을 이루며 배열되
섭입대 주변 도를 형성
어 있다. 이를 호상 열도라고 하
지진의 진원
며 이 섬들을 이루는 것은 대부분
깊이 분석 일본 페루
화산 활동에서 나온 물질이다.
130oE 140oE 80oW 70oW
o
10 S

A B'
A'
40oN
동해

20oS B

30oN
A A' B B'
깊이

0 깊이 0
200 100
(

km 400 km 200
그림 I - 9 섭입대 주변 지진의
)

600 300
진원 깊이 분포 | 섭입대에서는 0 400 800 1200 0 200 400 600
해구 부근에서부터 대륙 쪽으로 거리(km) 거리(km)
가면서 진원의 깊이가 깊어진다. 0 200 400 600
<출처: 미국지질조사국(USGS), 깊이(km)
2016>
이처럼 탐사 기술의 발전으로 알아낸 해령과 변환 단층의 특징, 해저 암석에 대한
고지자기 분석 결과와 암석의 연령 분포, 섭입대 주변 지진의 진원 깊이 분포 등은 해
양저 확장설을 지지하는 증거가 되었다.

4 판 구조론의 정립
베게너가 주장했던 대륙 이동설은 해저 지형도 작성과 지각 변동의 원인에 대한 연
구가 활발하게 진행되면서 해양저 확장설을 거쳐 판 구조론으로 정립되었다.
판 구조론은 그림 I- 10과 같이 지구의 단단한 겉 부분이 크고 작은 판들로 이루어
져 있고, 판들이 맨틀 대류에 의해 이동하면서 판 경계에서 지진이나 화산 활동과 같
은 지각 변동이 일어난다는 이론이다. 판 구조론의 정립으로 베게너가 주장했던 대륙
이동설도 과학적으로 설명할 수 있게 되었고, 지권의 변동을 통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16 I. 지권의 변동
A 판
지각과 상부 맨틀의 일부를 포함
D
E B
한 단단한 암석으로 이루어진 지
구의 겉 부분으로 암석권이라고
동해
도 한다. 가장 얇은 해양판의 경
우 약 70 km 정도이고, 두꺼운
C 대륙판의 경우 약 150 km를 넘
는 지역도 있다.

대륙 지각 판
(암석권)
그림 I - 10 판 경계 맨틀
해양 지각

A 아이슬란드 열곡대
B 산안드레아스 단층

동해

C 안데스산맥 D 일본 해구 E 히말라야산맥

그림 I - 11 판 경계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지형

성취 정도를 표시해 보자
자기 1 판 구조론의 정립 과정을 탐사 기술의 발달과 관련지어 설명할 수 있는가?
평가하기
2 판을 움직이는 원동력을 설명할 수 있는가?
3 화산 활동과 지진 등 지권의 변동을 판 구조론으로 설명할 수 있는가?

1. 지권의 변동 17
02 대륙의 분포 변화
•고지자기 자료를 활용하여 지질 시대 동안의 대륙 분포 변화를 설명할 수 있다.
•지질 시대 전체에 걸친 대륙 분포의 변화와 현재 대륙 이동 속도 자료로 미래의 변화를 추정할 수 있다.

스스로 나침반의 자침은 자성을 띠는 물질로 만들기 때문에 나침반 자침의 N극은 항상 북쪽
생각해 방향을 가리킨다. 이는 지구가 하나의 거대한 자석이며 지구 주변으로 자기장이 형성
보기 되어 있기 때문이다.

나침반의 자침이 가리키는 북쪽으로 계속 가면 북극점에 도달할 수 있을까?

자성을 띠는 나침반 자침의 움직임은 지구 자기장의 방향과 관계있다. 암석에는 과


거 지질 시대의 지구 자기장에 대한 기록이 남아 있으므로, 고지자기의 방향을 측정
하면 지구 자기장의 북극이 어떻게 이동했는지를 알 수 있다.

지구 자기장과 복각
지리상 북극은 지구의 자전축과 북반구의 지표면이 만나는 지점이다. 이에 비해 지
자기 북극은 지구 자기장을 지구 중심에 놓인 거대한 막대자석이 만드는 자기장이라
고 했을 때, 막대자석의 S극 방향의 축과 지표가 만나는 지점을 말한다. 이때 지리상
북극 방향을 진북이라 하고, 나침반 자침의 N극이 가리키는 방향을 자북이라고 한
다. 그런데 현재 지리상 북극과 지자기 북극이 일치하지 않으므로 나침반 자침이 가리키

지리상 북극과 자북극의 위치


는 자북과 진북 역시 완전히 일치하지 않는다.
지구 표면의 한 지점의 수평면 위에서 자북과 진북 사이의 각을 편각이라 하고,
그림 I- 12와 같이 자침이 수평면과 이루는 각을 복각이라고 한다.
지리상 북극
자북극 그린란드 북

알래스카
30o 60o 복각
자북
극 o
60
▲ A(30°N) 지역
멕시코 60o
30o o
30
자기 A
적도 30o
진북, 자북은 방향을 의미하고 지리상 북극,
60o B
자북극은 위치를 의미한다. ▲ B(적도(자기 적도)) 지역
자남 C

30o

60o

▲ C(30°S) 지역
그림 I - 12 지구의 자기장과 복각(h) | 복각은 자북극에서 +90°, 중위도에서+h°, 자기 적도에서 0°이다.

18 I. 지권의 변동
고지자기는 지질 시대에 생성된 암석에 분포하고 있는 잔류 자기를 말한다. 지질 시 퀴리 온도
물질이 자성을 잃는 온도이다.
대의 암석에 기록된 고지자기의 편각을 측정하면 그 암석이 만들어질 때 지리상 북극
용암이 굳어질 때 그 온도가 퀴
과 어느 방향으로 향하고 있었는지를, 복각을 측정하면 지리상 북극과 얼마나 떨어져 리 온도 이하로 내려가면, 이때

있는지를 알 수 있다. 정출된 자철석과 같은 강자성 광


물은 그 당시의 지구 자기장의
자북극은 복각이 +90ù이며, 자북극에서는 자기력선이 수평면에 대해 수직으로 들 방향으로 자화된다. 일반적으로
어가기 때문에 자침도 수평면에 대해 완전히 수직이 된다. 자철석의 퀴리 온도는 575 ¾
인데, 이보다 낮은 온도에서는
만약 어느 암석에 기록된 고지자기의 복각이 +90°로 측정되었다면 그 암석이 만들 자화된다.
어질 때 자북극에 위치했다는 증거가 된다. 이처럼 암석에 기록된 고지자기 자료를
이용하면 암석이 생성될 당시 지자기 북극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지질 시대 동안 지자기 북극의 이동

그림은 유럽 대륙과 북아메리카 대륙에서 측정한 과거 약 5억 년 동안 지자기 북극의 겉보기


이동 경로를 나타낸 것이다.

5 5
4 5 4
5 4
4
3 3 3 3
2 유럽에서 측정한 2 2
2 이동 경로 1
1
유럽에서 측정한 1 1
이동 경로 북아메리카에서 북아메리카에서
측정한 이동 경로 측정한 이동 경로

(단위: 억 년 전)
(단위: 억 년 전) (단위: 억 년 전) <출처: 『응용 지구 물리학』, 1987>

(가) 현재 대륙 분포에서 지자기 북극의 겉보기 이동 경로 (나) 대륙이 이동하기 전의 지자기 북극의 겉보기 이동 경로

•두 대륙에서 지질 시대 동안 지자기 북극이 이동한 경로는 어떻게 나타나는가?


•두 대륙에서 측정된 지자기 북극의 위치가 서로 다른 까닭을 설명해 보자.

지자기 북극을 지도에 표시하였을 때 나타나는 지자기 북극의 위치 변화는 실제로


지자기 북극이 시간에 따라 이동한 결과이거나 대륙이 상대적으로 이동한 결과이다.
하지만 같은 시대에 지자기 북극이 2개 있을 수는 없으므로 위 활동에서와 같이 두
대륙에서 측정한 지자기 북극의 겉보기 이동 경로가 두 갈래로 나뉘는 것은 대륙의
이동으로 설명해야 한다. 대륙을 움직여서 지자기 북극의 겉보기 이동 경로를 겹쳐
보면, 두 대륙은 거의 한 덩어리가 되어 베게너가 주장한 원시 대륙의 모양과 같게 된
다. 즉, 지자기 북극의 겉보기 이동은 하나로 붙어 있던 대륙이 지질 시대 동안 분리
되어 멀어져 간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지자기 북극의 겉보기 이동 경로와 관련
한 연구는 지질 시대 동안 대륙이 어떠한 경로로 이동해 왔는지를 알려 준다.

1. 지권의 변동 19


창의

프로젝트 대륙 이동 속도로부터 미래의 대륙 분포 구상하기 탐구 능력 문제 해결력 의사소통 능력

지구의 판은 분열과 충돌을 거듭해 지금과 같은 대륙과 해양의 분포를 이루었다. 하지만 현재의 대륙과
해양 분포 역시 판의 이동으로 미래에는 다른 모습으로 변할 것이다. 미래의 대륙과 해양은 어떤 모습일
까? 모둠 활동을 통해 미래의 대륙 분포를 구상해 보자.

목표 Step 1 지질 시대 동안의 대륙 분포 해석하기


현재 판의 이동 속도와 이동 방 과학자들은 지구의 여러 지점에 있는 암석의 고지자기를 측정하여 알아낸 복각 등의 자료로
향 자료로부터 미래의 대륙과 해 부터 지질 시대 동안의 대륙과 해양 분포가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 알아내었다. 그림은 약 5
양의 분포를 구상할 수 있다.
억 년 전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대륙의 이동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출처: 『Essentials of Geology』, 2009>
준비물
색연필

▲ 현재
▲ 5천만 년 전
▲ 1억 3천만 년 전

▲ 2억 4천만 년 전

▲ 5억 4천만 년 전

Step 2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GPS)을 이용한 대륙의 이동 속도 측정 원리를 알아보기


2
수천 km 크기의 대륙은 1년 동안 수 cm 정도 움직인다. 거대한 대륙의 느린 움직임은 인
공위성을 이용하여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는데, 그중에서도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GPS)을
이용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된다.
<출처: 미국항공우주국(NASA) 제트추진연구소, 2003>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GPS)
의 원리

3개 이상의 위성 위치 확인 시스 유라시아판 북아메리카판


템(GPS)과의 거리와 각 위성의
아라비아판
위치를 알면 수신기의 위치를 계 동해

카리브판
산할 수 있고 이를 이용해 판의
이동 속력과 방향을 구할 수 있다. 필리핀판
아프리카판 코코스판
태평양판

나스카판 남아메리카판

인도-오스트레일리아판

남극판

▲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GPS)으로 측정한 대륙의 운동 방향과 속도 5 cm/년


판 경계

20 I. 지권의 변동
현재 판의 이동 속도나 방향을 근거로 판단하면 앞으로 대서양은 중앙 해령의 발산으로 더욱
넓어질 것이고, 태평양은 태평양 판의 섭입 과정에서 좁아지거나 없어질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미래의 판의 이동 방향과 속력이 현재와 같다고 가정하고 다음 과제를 해결해 보자.
➊ 태평양에서 1억 8천만 년 이상된 해양 지각이 없는 까닭을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GPS) 자료와
판의 운동에 근거하여 설명해 보자.
➋ 현재 우리나라 주변 판의 분포와 움직임을 살펴보고, 약 1억 년 후 우리나라 주
변 판의 분포를 구상해 보자. 변화된 대륙과 해양의 분포를 지도에
그린 후 모둠별로 발표해 보자.

북아메리카판
유라시아판
아라비아판 동해 카리브판

필리핀판 코코스판
아프리카판 태평양판

1. 그림을 복사하여 대륙판과 해양


나스카판 남아메리카판 판을 잘라 내고 판 경계의 대략
인도-오스트레일리아판 적인 윤곽을 파악한다.

2. 판이 이동할 때 발산형 경계(동


태평양 해령, 대서양 중앙 해령
남극판
등)에서는 판이 확장되고, 수렴
형 경계(해구 등)에서는 판이 소
Step 3 결과 및 정리하기 멸된다는 사실을 이용한다.

➊ 판이 이동함에 따라 태평양과 대서양의 크기는 어떻게 변할지 생각해 보자.


찾아보기
➋ 과학자들이 예상한 미래 대륙 분포의 모습과 우리 반의 학생들이 생각한 미래 대륙 분포의 모습
을 비교한 후, 공통점과 차이점을 토의해 보자. 미래 판의 분포

Step 4 핵심 역량 평가하기
성취 정도를 표시해 보자

과학과 핵심 역량 평가 내용
탐구 능력 현재 판의 이동 속도와 방향을 바탕으로 미래의 대륙 분포를 구상하였는가?
내가 생각한 미래 대륙 분포의 모습을 과학자들의 예상과 비교하여 공통점과 차이점
문제 해결력
을 잘 분석하였는가?
의사소통 능력 자신의 생각을 명확히 표현하고 다른 사람의 생각을 존중하며 토의에 참여하였는가?

성취 정도를 표시해 보자
자기 1 복각 자료로부터 지자기 북극의 위치를 알아낼 수 있는가?
평가하기
2 지자기 북극의 겉보기 이동 경로로부터 대륙의 이동을 추정할 수 있는가?
3 현재 판의 이동 속도와 방향으로 미래의 대륙 분포를 구상할 수 있는가?

1. 지권의 변동 21
03 상부 맨틀의 운동과 플룸 운동
•판을 움직이는 상부 맨틀의 운동을 설명할 수 있다.
•플룸 운동으로부터 더욱 큰 규모의 지구 내부 움직임을 이해할 수 있다.
•상부 맨틀의 대류에 의한 판 운동과 맨틀 - 핵의 경계에서 올라오는 플룸 운동을 구분하여 설명할 수 있다.

스스로 ‘하와이 열도’에 있는 몇몇 화산은 지금도 거침없이 용암을 분출하고 있으며, 이 용암


생각해 이 바다로 흘러 들어가는 모습은 장관을 연출한다. 하와이섬은 여러 개의 섬이
보기 3300 km에 달하는 길이로 줄지어 이어진 ‘하와이 열도’에 속해 있는 섬 중에서 가장
동쪽에 있는 섬이다.

‘하와이 열도’ 중 가장 동쪽 섬인 ‘하와이’섬에서만 화산 활동이 일어나는 까닭은


무엇일까?

맨틀 대류는 판의 이동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지만 구체적으로 맨틀 대류의 발생


범위와 작용하는 힘에 대한 연구는 여전히 진행 중이다. 상부 맨틀에서는 대류에 의
한 수평 운동이 일어나고, 맨틀과 외핵의 경계에서는 아래에서 위로 올라오는 플룸에
의한 운동이 일어난다. 상부 맨틀과 하부 맨틀에서 일어나는 운동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자.

판 이동의 원동력
1 판을 움직이는 상부 맨틀의 운동
맨틀 대류는 맨틀 내에 존재하는 방사성 물질의 붕괴에서 나오는 열과 상하부 깊이
에 따른 온도 차이 때문에 발생한다. 맨틀 대류는 그림 I- 13과 같이 상부 맨틀에서
해령에서 밀어 올리는 힘
일어나는 경우와 맨틀 전체에서 일어나는 경우가 있다. 어느 경우이든 맨틀 대류로
해저가 확장되고, 이동하던 해양판이 대륙판과 만나 섭입대를 형성하는 것을 설명할

섭입하는 판이 잡아당기는 힘 수 있다. 하지만 하와이섬은 판 경계에 있는 것이 아니라 태평양판의 한가운데 위치


하고 있다. 또한, 하와이 열도의 섬들은 일직선으로 줄을 지어 있는데, 이 중 가장 오
른쪽 하와이섬에서만 화산 활동이 일어난다. 이러한 현상은 기존의 상부 맨틀의 대류
판이 미끄러지는 힘 만으로는 판의 운동을 설명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음을 보여 준다.

상부 맨틀의 대류로 해저가 확장되고,


양옆으로 이동하던 해양판은 대륙판
과 만나 대륙판 아래로 섭입한다.
그림 I - 13 맨틀의 운동
해령 해령

암석권 섭입대 암석권 섭입대

670 km 670 km
맨틀 외핵 불연속면 맨틀 외핵 불연속면

▲ 맨틀 전체에서 대류가 일어나는 경우 ▲ 상부 맨틀에서만 대류가 일어나는 경우

22 I. 지권의 변동
2 열점과 플룸 운동 o (단위: 백만 년 전)
60 N
현재 화산 활동이 일어나는 하와이섬에서 북서쪽으로 갈수록
그림 I- 14와 같이 섬들의 나이는 많아지고, 화산 활동은 일어나
50oN 태평양판
지 않는다. 북서쪽으로 더 올라가면 화산섬들은 해수면 아래로

엠퍼러
디트로이트 해산(76~81)
잠겨 해산을 이루고, 해산 중에는 산 정상부가 평평한 평정해산 수이코 해산(61)
40oN 닌토쿠 해산(55~56)

해산군
도 있다. 그러면 해령이나 섭입대에 위치하지 않은 하와이섬의 오진 해산(55)
코코 평정해산(48~49)
화산 활동은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 o
30 N
단층 촬영법은 뇌 구조를 영상화하여 병을 진단하기 위해 개발 하와
이열

되었다. 이것이 지구 내부의 단면 구조를 영상화할 수 있는 지진 하와이 열점
20oN
파 단층 촬영법으로 발전하였고, 그림 I - 15와 같은 영상을 얻게
되었다. 160oE 170oE 180o 170oW 160oW
그림 I - 14 하와이 열점과 형성 시기
고정된 위치에서 뜨거운 마그마를 분출하는 곳을 열점(hot spot)이라 한다. <출처: 『How Does Earth
일반적으로 지하 약 660 km보다 얕은 상부 맨틀에서만 만들어진 마그마가 분출된 Work?』, 2009>

다고 알려졌는데, 열점인 하와이섬에서 분출되는 마그마는 핵과 접해 있는 지하 약


2900 km에서 올라온 하부 맨틀로부터 형성된다는 사실을 알아내었다. 이는 마그마
가 상부 맨틀에서만 올라오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의미한다. 지속적인 조사 결과, 맨
틀과 핵의 경계에서 지각으로 올라오는 고온의 열기둥과 지각에서 맨틀 하부로 향하
는 저온의 열기둥이 발견되었다. 이렇게 상승이나 하강하는 맨틀 물질 덩어리를 플룸
이라 하고, 플룸에 의한 구조 운동을 플룸 구조론이라고 한다. <출처: 『Superplumes: Beyond Plate Tectonics』, 2007>

하와이 아이슬란드
S N W E
0
깊이

0
깊이

500 W E 500
1000 1 000
km 1500
( )

km 1500 N
( )

2000 2000
N
2500 W S E 2500
NW
S
SE

아프리카 남인도양 남태평양


NW SE W E
S N
0 0
깊이

0
깊이
깊이

500 500 500


1000 1000 1000
km 500
( )

km 500 km 1500
( )
( )

1 1
2000 2000 2000
2500 2500 2500

-0.5 0 0.5 지진파 속도 변화(%)

그림 I - 15 세계 주요 지역의 지진파 단층 촬영 영상을 분석한 결과 | 0을 기준으로 (-)) 쪽으로 갈수록 지진파의 속도가 느려지고, 고온 지역이다.
역이다.

1. 지권의 변동 23
일본
하와이
타히티
아시아
플룸 운동
차가운 플룸
하강
지진파 단층 촬영으로 지구 내부 열 분포도를 보면 차가운 플룸과 뜨
거운 플룸이 있다. 플룸을 따라 상승한 물질은 암석권을 이루어 옆으 뜨거운 플룸
상승
로 이동하고, 해구에서 섭입하여 하부 맨틀 속으로 가라앉아 맨틀의
바닥까지 내려간다. 바닥에 도달한 차가운 덩어리는 주변의 뜨거운 물 내핵
질을 밀어내어 플룸을 형성시키고 새로운 상승류가 형성되어 위로 올
라온다. 이렇게 하강하는 플룸을 차가운 플룸이라 하고, 맨틀 - 핵의 경 뜨거운 플룸
외핵
계로부터 공급되는 열에 의해 뜨거워져 상승하는 플룸을 뜨거운 플룸 상승
이라고 한다.
하부 맨틀 대서양
중앙 해령
아프리카
대륙 상부 맨틀

지구에는 2개~3개의 거대한 상승류가 있어 핵과 접해 있는 하부 맨틀의 물질이 지표


면까지 상승하며, 지표면의 물질이 다시 하부 맨틀까지 하강하는 큰 대류 현상이 일어
나고 있다. 현재 아시아 지역에서는 거대한 차가운 플룸이 하강하고, 남태평양과 아프
리카에서는 크고 뜨거운 플룸이 상승한다.
다음 활동으로 플룸의 형성 과정과 형태를 알아보자.

플룸의 형성

점성이 있는 물엿을 비커에 담고 잉크를 떨어뜨린 후 알코올램프를 이용해 비커 밑면에 열


을 가해준다. 이때 물엿이 위로 올라올 때의 모양을 관찰한다.
유의점
맨틀과 핵의 경계 부분의 물질은 실험에서의 물엿으로 비유할 수 있다.

•물엿을 플룸으로 비유했을 때, 시간에 따라 상승하는 플룸의 모습을 그림으로 나타내 보자.

아래쪽에 있던 물엿이 데워지면 팽창하여 밀도가 낮아지고, 주위보다 가벼워져서


상승하게 된다. 이때 상승하는 물엿은 주위의 차가운 부분도 끌어들여 버섯 같은 모
습을 만든다. 실제로 플룸 상승류는 지표 가까이 도달할 무렵 지름이 1000 km를 넘
는 규모로 상승한다고 알려져 있다.

3 상부 맨틀의 운동과 플룸 운동
지금까지 살펴본 바와 같이 판 구조론이 정립되면서 판의 움직임을 상부 맨틀의 대
류로 설명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맨틀과 핵의 경계에서 올라오는 상승류인 플룸의
활동을 통해 하와이 열점의 형성 과정과 보다 큰 규모의 지구 내부 움직임을 이해하

24 I. 지권의 변동
게 되었다. 이렇게 지권의 변동을 설명할 수 있는 두 운동은 동떨어진 것이 아니라 서
로 연관되어 일어난다. 상부 맨틀 운동을 포함하는 판 구조론이 판이 섭입되기 전까지
지표면에서 발생하는 판 운동을 설명한다면, 판의 섭입이 시작되면서부터는 플룸 구
조론이 판 구조 운동의 근본적인 원동력인 맨틀을 포함한 지구 내부 운동을 설명한다고
할 수 있다.

표 I - 1 상부 맨틀의 운동과 플룸 운동

구분 상부 맨틀의 운동 플룸 운동 플룸 구조론 연구의 과제


•지구 내부의 변동이 플룸의 상승이나 맨틀의 거대 하강류가 외핵에 충
•판의 섭입 전 지구 표면의 수평 운동
하강에 의해 지배받고 있다는 이론 격을 주면 지구 자기장에 어떤
이론 및 판의 섭입 과정에서의 수직 운동
•지구 내부 움직임 중 대규모의 수직 변화가 일어나는지, 동태평양 해
을 설명
운동을 주로 설명 령 자체가 북아메리카판 아래로
활동 영역 연약권 내의 대류 맨틀- 핵 경계에서의 물질 상승과 하강 섭입하는지 등에 관한 연구는 여
전히 진행 중이다.
맨틀 내에 존재하는 방사성 물질의 붕 상승하는 뜨거운 플룸과 하강하는 차가
원동력 괴에서 나오는 열과 상하부 깊이에 따 운 플룸이 거대 규모의 대류를 일으키
른 온도 차이로 발생하는 열대류 며 판을 이동시킴
대서양 중앙 해령, 태평양 해령, 해구,
대표적인 지형 하와이 열점
변환 단층

문제 해결력 사고력
핵심
역량
한반도 주변 지하의 열 분포 비교
기르기 그림은 한반도 주변 지하의 열 분포이다. A는 섭입하는 태평양판을 나타낸 것이다. B는 호상 열도와 대륙 사이에 위치
한 연해로 서태평양에 특히 잘 발달되어 있고, C는 태평양판의 섭입에 의해 암석이 부분 용융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 110 E 120 E 백두산 130 E 140 E ㈏


o o o o
깊이

o
60 N 0

km 200 B
( )

C
o
50 N ㈎ 400

600 A
40oN 백두산 열 분포도에서 지진파의 속
동해 800 도가 느려지는 붉은 영역은 C
고온의 영역을 의미한다.
1000
30oN ㈏
100oE o
150oE
110oE 130oE 140 E 지진파 속도 변화(%)
120oE
-2 -1 0 1
<출처: 『Physics of the Earth and Planetary Interiors』, 2009>
•백두산을 비롯한 한반도 주변의 깊이에 따른 열 분포 자료를 바탕으로 앞으로 일어날 지각 변동에 대해 토론해 보자.

성취 정도를 표시해 보자
자기 1 판을 움직이는 상부 맨틀의 운동을 설명할 수 있는가?
평가하기
2 맨틀 대류에 의한 판 운동과 맨틀 - 핵의 경계에서 올라오는 플룸 운동을 구분하여
설명할 수 있는가?

1. 지권의 변동 25
대륙의 이동과 분포
6억 년 전 5억 년 전 4억 년 전 3억 년 전

5억 4천만 년 전 2억 4천만 년 전

대륙 이동설 맨틀 대류설 해양저 확장설


현재의 대륙들은 고생대 말에 판게아라는 지구 내부에서는 대류가 일어나기 때문에 1960년대 탐사 기술의 발달로 해저 산맥
거대한 초대륙으로 있었다. 그 후 대륙이 대륙이 이동한다. 맨틀 대류가 상승하는 곳 의 존재를 밝혀내었다. 중앙 해령의 고지자
이동하여 오늘날과 같은 분포를 이루었다. 에서는 새로운 지각이 형성되고, 맨틀 대류 기, 높은 열류량, 지형적 특징, 천발 지진
가 하강하는 곳에서는 지각이 소멸한다. 등에 주목하여 중앙 해령 아래에서 맨틀
대류가 상승하고 해양 지각이 만들어져 해
아프리카 령의 양쪽으로 이동해 나간다고 주장하였다.
과거의 해양 대륙 지각 과거의 해양

남아메리카 그린란드
맨틀 하강 맨틀 상승 맨틀 하강
남극

부풀어 새로운 대서양 아이슬란드


새로운
오스트레일리아 해구 오른 섬
해양 해양 해구
▲ 빙하 흔적 300만 년 전
600만 년 전
역전기 900만 년 전
맨틀 하강 맨틀 상승 맨틀 하강 1500만 년 전
키노그나투스 리스트로사우루스
정상기
아프리카 해령 축 지자기 조사 지역

오스트레 900 만 년 전
남아메리카 일리아
600 만 년 전
남극
300 만 년 전
메소사우루스 글로소프테리스
▲ 고생물 화석 분포 현재
칼레도니아산맥 ▲ 해령 축을 중심으로 암석 연령, 고지자기 분
그린란드
영국 포가 대칭적으로 나타난다.
북아메리카 유럽

아프리카

▲ 해안선 일치 ▲ 지질 구조 연속성

26 I. 지권의 변동
2억 년 전 1억 년 전 현재 1억 년 후

1억 3천만 년 전 5천만 년 전 현재 5천만 년 후

판 구조론 플룸 운동
지구 표면은 지각과 상부 맨틀을 포함한 두께 약 100 km의 여러 개 지구 내부에서는 맨틀 - 외핵의 경계에서 나오는 열로 큰 열대류가 일
의 판으로 이루어져 있다. 지진, 화산 활동, 산맥 등과 같은 여러 지질 어나며, 그에 따라 판이 이동한다.
현상은 판의 이동과 관련되어 일어나고 있다는 통합적인 이론이다.
일본
하와이
타히티
유라시아판
북아메리카판 아시아
동해
아라비아판 차가운 플룸
필리핀판 하강
코코스판 카리브판
아프리카판
태평양판 뜨거운 플룸
인도- 남아메리카판
상승
오스트레일리아판 나스카판

내핵
남극판
남극판

뜨거운 플룸
외핵
상승
해령 열곡
해구
변환 단층 하부 맨틀 대서양
해양판 대륙판
중앙 해령
해양판 아프리카
해양판 해양판
대륙 상부 맨틀

▲ 발산 경계 ▲ 수렴 경계 ▲ 보존 경계
새롭게 판이 만들어 판과 판이 서로 마주 판의 상대적인 이동
지는 곳으로 서로 반 이동하는 경계로 충 속도 차이로 판의 이
대 방향으로 판들이 돌 또는 섭입한다. 동 방향에 나란하게
이동해 가는 경계 만들어지는 경계이다.

1. 지권의 변동 27
읽 하
생활 속에 파고든 과학 고 각 기

울릉도 지하 50 km에 폭 300 km의


마그마 저장소
백두산과 비교할 때 울릉도는 오래전에 ‘죽은’ 화산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울릉도 지하에 백두산에 견줄 만한 대규모
마그마 저장소가 존재한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되었다. 이 연구 결과에 의하면 울릉도 바로 아래 50 km 지하에 폭
300 km, 깊이 100 km의 거대한 ‘마그마 저장소’가 있는 것을 확인했다고 한다.

마그마 등 액체
지각 등 고체

울릉도
울릉도 B C
A
A B 동해 C
한국

일본
태평양판
동해

▲ 울릉도 지하의 마그마 개념도 <출처: 『지구 물리학 연구』, 2002>

울릉도는 ‘불의 고리’인 환태평양 화산대에서 멀리 떨어져 있고 최근까지 화산 활동을 하지 않아 이처럼 대규모의 마그
마가 비교적 얕은 곳에서 발견된 것은 매우 놀라운 일이라고 지질학계에서는 받아들이고 있다. 연구자들은 한국, 중국,
일본, 대만 등 동아시아에서 관측된 규모 5.0~6.9의 지진 58개에서 얻은 지진파 자료를 슈퍼컴퓨터로 분석해 동해 일대
의 내부 구조를 3차원 모형으로 만들었다. 분석 결과를 보면, 일본 동쪽에서 유라시아판을 비스듬히 파고든 태평양판이
동해 가운데 이르는 지하 350 km 지점에서 마그마가 형성되기 시작해 상승하다 남쪽에서 일본 열도를 파고드는 태평양
판을 만나 우회한 뒤 울릉도 밑에서 세력을 강화해 수직으로 솟아오른다. 연구에 의하면 지하 100 km 근처에서 마그마
발달이 두드러져 지진파의 속도가 20 %나 줄어들었다고 한다. 이처럼 울릉도 지하에 대규모 마그마가 생성된 까닭은 태
평양판이 빠른 속도로 대륙판을 파고들면서 상승류가 생겼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울릉도 지역의 마그마 형성
을 열점과 관련하여 설명하기도 한다.

생각해 보기
•울릉도 아래에서 지진파의 속도가 20 % 정도 줄어든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지 알아보고, 이를 지구 내부 운동으로 설명해 보자.

과학적 문제 해결력
•울릉도 지하에서 관측된 규모의 마그마라면 울릉도에 온천 활동, 가스 발생 등이 관측되어야 하는데 아직 관측되지 않는다. 이러한
의문을 풀기 위해 추가적으로 어떤 관측 자료를 수집해야 하는지 토론해 보자.

28 I. 지권의 변동
마무리

내용 정리 기초 개념 익히기

판 구조론의 정립
1. ➊ 이동설의 증거: 떨어진 두 대륙 해안 경계선의 유 1 그림은 판 경계를 나타낸 것이다.
사성과 동일한 고생물 화석 발견, 대륙 간 지질 구조의
호상 열도 변환 단층
연속성, 빙하의 연속적 분포
해령 해구
2. 탐사 기술의 발전
섭입대
탐사 기술 발견 내용 섭입대

해저 지형도 작성 발견한 판 경계 지형과 탐사 기술을 옳게 짝 지은 것은?


음향 측심법
변환 단층 발견
⑴ 섭입대 • •㉠ 음향 측심법
고지자기 분석, 자력계, 방사성 ➋ 을 축으로 암석의
⑵ 변환 단층 • •㉡ 자력계
동위 원소 측정 연령과 고지자기 대칭성
⑶ 해령을 축으로• •㉢ 전 지구 표준 지진
전 지구 표준 지진 관측망 섭입대 주변 지진의 진원 분석
고지자기 대칭 관측망

대륙과 해양의 분포
1. ➌ : 자침이 수평면과 이루는 각 2 그림은 5억 년 전부터 현재 (단위: 억 년 전)
5
북 까지 두 대륙에서 측정한 지 5 4
자북극 43 3
자기 50$ 자기 북극의 겉보기 이동 경 2 2
A 유럽에서 1
적도 A 1
지표면 측정한
로를 나타낸 것이다. 5억 년
북 이동 경로
B 전 두 대륙 사이에 있는 대서 북아메리카에서
B 양의 넓이는 지금과 어떻게 측정한 이동 경로
지표면
달랐을까?

2. 복각과 지자기 북극: 자북극에서의 복각은 90°. 지자기 북


극의 이동 경로를 추적하면 지질 시대 대륙의 이동 경로
를 알 수 있다.

상부 맨틀의 운동과 플룸 운동
1. 상부 맨틀의 운동: ➍ 대류로 암석권인 판이 섭입하 3 다음의 밑줄 친 플룸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기 전까지 지구 표층부의 수평 운동을 설명한다.
 대서양 중앙 해령, 해구, 변환 단층 등 플룸은 해구에서 섭입하여 하부 맨틀 속으로 가라
앉아 맨틀의 바닥까지 내려간다. 바닥으로 하강하
2. 플룸 운동: 판의 섭입이 시작되면서부터 지구 내부의 변
동이 ➎ 의 상승이나 하강의 지배를 받고 있다고 설명 는 플룸은 주변의 물질을 밀어내어 새로 형성된 뜨

한다. 거운 플룸을 상승시킨다.

 하와이 열점 등

중단원 마무리 29
백두산의 칼데라는 969년(±20년) 화산 분출로 형성되었으며, 물이 채워져 천지(天池)를
이루고 있다. 천지의 둘레는 약 14 km, 평균 깊이는 약 213 m, 최대 수심은 약 384 m
이다.

앞으로 백두산에서 화산
폭발이 일어날 가능성이
있을까?

지구 구성 물질
01. 변동대에서의 마그마 생성
02. 변동대에서의 화성암

자기 점검 - 알고 있는 용어를 체크해 보자.

지진대 화산대 광물   암석   판


섭입 경계    발산 경계    화성암    마그마    용암

▶ 체크하지 못한 용어는 인터넷에서 검색해 보자.

학습 계획 세우기 - 성취 기준을 달성하기 위해 어떤 준비를 할 수 있을지 써 보자.

30 I. 지권의 변동
01 변동대에서의 마그마 생성
•변동대에서 마그마가 생성됨을 설명할 수 있다.
(가)
•판 경계에서 안산암질, 유문암질, 현무암질 마그마가 생성됨을 설명할 수 있다. (가) 바우르다르붕가 화산
(나)
그림은 (가) 아이슬란드의 바우르다르붕가 화산과 (나) 북아메리카의 세인트헬렌스 화
스스로
산의 분출 모습이다. 바우르다르붕가 화산은 용암의 유동성이 크고 조용히 분출하는
생각해 데, 세인트헬렌스 화산은 용암의 유동성이 작고 격렬하게 분출한다.
보기
두 화산은 모두 판 경계 부근에 위치하는데 화산의 분출 형태가 서로 다른 까닭은
무엇일까?

지구는 상부 맨틀의 대류와 플룸 구조 운동으로 끊임없이 역동적으로 변화하고 있


다. 이러한 변화는 지진과 화산 활동 등으로 나타나는데 이렇게 지각 변동이 자주 일
어나는 지역을 변동대라고 한다. 변동대에서 화산이 분출하는 형태는 판 경계의 종류
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이러한 차이가 나타나는 까닭을 알아보자.
(나) 세인트헬렌스 화산

1 마그마의 성질에 따른 화산의 형태


지하 깊은 곳에서 생성된 고온의 마그마는 주변의 암석보다 밀도가 작으므로 지각 마그마와 용암
용암은 지하에 있던 마그마가 지
의 약한 부분이나 틈을 따라 지표 근처까지 올라오게 된다. 마그마의 내부 압력이 충
표에 드러난 것을 말하며, 마그
분히 높아지면 지표 바깥으로 분출하게 되며, 이렇게 생성된 산을 화산이라고 한다. 마에 비하여 기체의 함량이 낮다.

화산의 분출 형태나 화산체의 모양은 마그마의 성질에 따라 서로 다르게 나타난다.

화산의 종류와 마그마의 특성

그림은 형태가 다른 두 화산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가파른 비탈면

낮은 화산 원뿔

▲ 한라산 ▲ 피나투보 화산

(가) 완만한 경사를 이루는 화산 (나) 급한 경사를 이루는 화산

•두 화산의 모양이 서로 다른 까닭을 마그마의 성질과 연관 지어 조사해 보자.

2. 지구 구성 물질 31
인접한 지역에 있는 화산이라도 분출하는 마그마의 종류에 따라 화산의 모양은 달
라진다. 현무암질 용암은 온도가 높고 점성이 작아 조용히 분출하여 경사가 완만한
순상 화산이나 용암 대지를 만든다. 이에 비해 온도가 낮은 유문암질 용암은 점성이
크고 휘발 성분이 많아 폭발적으로 분출하여 경사가 급한 종상 화산을 만든다. 또한
화산 활동의 후기에 산 정상부에 용암 돔을 만들기도 한다.

2 마그마의 생성 조건
마그마의 종류는 판 경계 중 어디에서 생성되는지에 따라 달라진다. 마그마는 상부
맨틀이나 지각의 하부에서 만들어지는데, 마그마가 생성되기 위해서는 지구 내부의
온도와 압력 조건이 암석의 녹는점보다 높아야 한다. 일반적으로 고체 상태인 물질은
온도를 올리거나, 압력을 낮추거나, 다른 물질을 첨가해 녹는점을 낮추면 액체 상태
가 될 수 있다. 지구 내부에서 마그마가 생성될 때도 마찬가지이다. 그림 I - 16과 같
이 지하 심부에 있는 맨틀 A는 고체 상태인데, 이 맨틀이 녹아 현무암질 마그마가 생
성되려면 현무암의 용융 곡선을 만나야 한다. 그러한 조건은 맨틀 상승에 의해 압력
이 C로 낮아질 때 일어난다.

500 1000 1500


온도(#)
0
( 깊이

km 온도 상승에
)

D 의한 대륙 지
B 각의 용융에
의한 마그마 맨틀의 상승에
생성 의한 마그마 생성
C
50 물이 포함된 화
강암의 용융 곡 물이 포함되지
선 않은 맨틀의
용융 곡선

지하의 온도
분포

100

A 물의 공급에 의한
물이 포함된 맨
틀의 용융 곡선 맨틀 용융 곡선 하
강에 의한 마그마
생성

그림 I - 16 지구 내부의 깊이에 따른 온도와 압력 분포 | A 지점에 있는 암석은 상승하거나(C) 맨틀에 물이 포함되어 용융 온도가 낮아지
면 마그마가 생성된다. <출처: 「The Rock Cycle and Igneous rocks」, 2016>

32 I. 지권의 변동
실제로 발산 경계인 해령에서 고온의 맨틀 물질이 상승하여 현무암의 용융 곡선과
만나게 된다.
그리고 섭입대에서 섭입되는 퇴적물과 해양 지각으로부터 공급된 물에 의해 맨틀의
용융 온도가 물을 포함한 맨틀의 용융 곡선으로 떨어지면 A 지점의 맨틀이 녹아 현
무암질 마그마가 형성된다.
섭입대에서 형성된 현무암질 마그마가 상승하여 대륙 지각의 온도를 높이면 대륙
지각에 해당하는 B 지점의 온도가 상승하여 D 방향으로 움직여 물을 포함한 화강암
의 용융 곡선을 만난다. 이때 대륙 지각이 녹아 유문암질 혹은 안산암질 마그마가 형
성된다.
그리고 지구 내부로 들어가던 해양 지각의 일부가 온도 상승에 의해 녹아 안산암질
마그마를 형성하기도 한다.

문제 해결력 사고력
핵심
역량
함수 광물
기르기 광물 구조 내에 OH를 포함하고 있어 가열하면 물이 빠져나오는 광물을 함수 광물이라
고 한다. 함수 광물에는 각섬석이나 운모류 등이 있다. 섭입대에서 현무암질 해양 지각과
그 위에 두껍게 덮여 있는 해저 퇴적물이 섭입대를 따라 맨틀로 들어가면서 해양 지각 내
함수 광물과 해양 퇴적물 내에 포함된 물이 빠져 나와 맨틀에 공급되어 용융점이 낮아지면
맨틀이 녹아 마그마가 생성된다.
함수 광물을 포함하고 있는 머치슨 운석

2. 지구 구성 물질 33
3 마그마의 생성 장소
마그마가 생성되는 원리는 그림 I- 17과 같이 변동대가 위치하는 판 경계와 열점
에서 서로 다르다.
| 발산 경계에서의 마그마 생성 | 발산 경계에서는 맨틀 물질이 상승함에 따라 압력이
감소하여 암석의 녹는점이 내려가기 때문에 부분 용융이 발생하여 현무암질 마그마

마그마 저장소(마그마 챔버)


가 생성된다.
지구 내부에 마그마가 머무르고 | 섭입 경계에서의 마그마 생성 | 섭입 경계에서는 현무암질 해양 지각이 섭입함에 따
있는 거대한 공간
라 가열되고, 그 속에 포함된 함수 광물에서 물이 빠져나오면 이 물이 연약권에 침투
하여 연약권의 용융점을 낮춘다. 그 결과 현무암질 마그마가 생성된다. 이 마그마는
상승하여 지각 내부에 마그마 저장소를 형성하고 마그마 저장소 바로 위에 놓인 대륙
하부를 부분 용융시켜 유문암질 마그마를 생성한다. 그리고 현무암질 마그마와 유문
암질 마그마가 섞여 안산암질 마그마가 만들어진다.
| 판 내부에서의 마그마 생성 | 현무암질 마그마가 생성되어 지표로 분출하는 또 다른
환경은 플룸 위의 열점과 관련되어 있다. 판 내부에서 일어나는 대부분의 화산 활동
은 맨틀 플룸에서 생성된다. 이 중 맨틀의 최상부에 도달한 플룸의 머리 부분에서는
압력 감소에 따라 부분 용융이 발생하여 현무암질 마그마가 생성된다.

성취 정도를 표시해 보자
자기 1 변동대에서 현무암질, 안산암질, 유문암질 마그마가 생성됨을 설명할 수 있는가?
평가하기
2 각각의 마그마에서 나타나는 조성 차이를 설명할 수 있는가?

대륙 지각
대륙 지각
암석권 현무암질
마그마의 부착
연약권
맨틀 (암석권)
해양판 습윤한 맨틀의 연약권
부분 용융
섭입하는 지각
맨틀 에서 물이 나옴

그림 I - 17 마그마의 생성 장소 섭입 경계에서
<출처: 『Physical Geology』, 2003> 마그마 생성
발산 경계에서 마그마 생성

판 내부에서 마그마 생성 발산 경계

열점

마그마
34 I. 지권의 변동 섭입대

맨틀
02 변동대에서의 화성암
•마그마의 조성과 온도 및 압력 조건에 따라 다양한 화성암이 생성됨을 설명할 수 있다.
•화성암이 생성되는 고유의 환경이 가지는 의미를 이해할 수 있다.
•한반도에 나타나는 대표적인 지형과 화성암을 연계하여 설명할 수 있다.

그림은 용암이 빠르게 냉각되면서 수축하여 생긴 방사형 주상 절리이다. 동해안에 있


스스로
는 이 주상 절리는 지표면과 약 10°~20° 가량 기울어져 있다. 이러한 주상 절리는 아
생각해 름다운 경관을 만들 뿐 아니라 화산 활동이 있었을 당시의 환경을 유추하는 데 중요
보기 한 자료가 된다.

주상 절리를 이루는 암석은 어떤 과정으로 형성된 것일까?

마그마가 식어 굳어진 화성암은 색깔이나 화학 성분에 따라 다양하게 구분할 수 있


다. 색깔이 유사한 화성암에서도 그 암석을 이루는 광물의 입자 크기가 다양하게 나
타나기도 한다. 지각에 분포하는 화성암에는 어떤 것들이 있으며 분류 기준은 무엇인
지 알아보자.

1 산출 상태와 조직에 따른 화성암 분류


지각 하부나 맨틀에서 생성된 마그마는 지구 내부의 균열을 따라 지표까지 흘러나 화산암을 분출암, 심성암을
관입암이라고도 한다. 심성암은
와 냉각되어 굳어지는데, 이러한 암석을 화산암이라고 한다. 반면 마그마가 지표까지 지각이 융기하거나 상부에 있는
암석들이 침식되어 제거되면
도달하지 못하고 지각 내에서 굳어진 암석은 심성암이라고 한다.
지표에 노출된다.

한반도의 화성암 분류

그림은 한반도에 나타나는 대표적인 화성암 지형과 각 지형의 암석 조직을 나타낸 것이다.

▲ 도봉산 화강암 ▲ 한탄강 현무암

•두 지형을 이루는 화성암 색깔과 입자 크기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가?


•위와 같은 차이가 생긴 까닭을 화성암이 만들어진 과정을 바탕으로 설명해 보자.

2. 지구 구성 물질 35
화성암은 그림 I- 18과 같이 마그마가 냉각되어 굳어진 위치에 따라 화산암과 심성암
으로 나눌 수 있다. 화산암은 지표로 분출된 마그마가 비교적 빠르게 식어 굳어진 것으
로, 분출시에 용암류로 흐르며 용암 대지를 형성한다. 냉각 속도가 빠르면 광물 결정이
충분히 성장하지 못하기 때문에 그림 I - 19처럼 세립질 조직이나 유리질 조직이 된다.
또, 용암이 급격히 냉각되면서 수축되는 과정에서 주상 절리가 형성되기도 한다.
심성암은 마그마가 지표까지 도달하지 못하고 지하 깊은 곳에서 냉각된 것이다. 이

암상과 암맥 경우 광물 결정이 크게 성장하여 암석의 조직이 큰 조립질 조직이 된다. 도봉산은 중생


•암상: 마그마가 층리와 나란하 대 지하 깊은 곳에서 형성된 심성암이 융기하여 형성된 것이다. 이러한 과정에서 압력
게 관입한 판상의 화성암체
•암맥: 마그마가 층리를 절단하
감소로 정상 부근의 심성암이 양파 껍질처럼 벗겨져 나가기도 한다.
면서 관입한 판상의 화성암체

화산

암맥
•화산암은 지표 부근에서 급
암상
히 냉각되어 굳어진 암석으
로, 구성 광물의 결정이 매
우 작다.
▲ 현무암
•화산암에는 현무암, 안산암, 유문암이 있다.

그림 I - 18 화성암의 생성 위치

•심성암은 지하 깊은 곳에서
반상 조직 천천히 식어 굳어진 암석으
큰 입자와 작은 입자가 섞여 있 로, 구성 광물의 결정이 큰
는 경우이다.
편이다.
▲ 화강암
•심성암에는 반려암, 섬록암, 화강암이 있다.

그림 I - 19 화성암의 조직

조립질 조직 세립질 조직 유리질 조직 반상 조직

36 I. 지권의 변동
2 광물의 조성과 화학 성분에 따른 화성암 분류
광물 조성은 화성암을 분류하는 주요 기준이 된다. 대부분의 화성암은 사장석, 정 고철질 광물과 규장질 광물
•고철질 광물: 마그네슘과 철이
장석, 석영, 운모, 각섬석, 휘석, 감람석 등의 광물이나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되는데,
많은 조암 광물
그림 I - 20과 같이 고철질 광물과 규장질 광물의 비율에 따라 색과 밝기가 달라진다.  감람석, 휘석, 각섬석, 흑운
모등
감람석이나 휘석과 같이 고철질 광물의 함량이 많은 암석은 대개 어두운색을 띠고 석
•규장질 광물: 규소와 알루미늄
영이나 장석 등의 규장질 광물의 함량이 많은 암석은 대체로 밝은색을 띤다. 이 많은 조암 광물

화성암은 SiOª 함량에 따라 표 I - 2와 같이 염기성암(고철질암), 중성암, 산성암(규  석영, 정장석, 백운모 등

장질암)으로 구분한다. SiOª 함량이 많을수록 고철질 광물의 함량은 적어지고 규장질
광물의 함량은 많아진다. 화성암에서 SiOª 함량은 다른 원소의 함량 변화와 매우 밀
접한 관계가 있다. SiOª 함량이 낮은 염기성암은 철, 마그네슘과 칼슘의 함량이 많은
데 반해 나트륨과 칼륨은 매우 적다.
이처럼 화성암은 마그마의 화학 성분과 광물 조성 등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표 I - 2 화학 성분에 따른 화성암의 분류 <출처: 「Minerals in igneous rocks」, 2016>

SiOª 함량(%) 52 63
염기성암 산성암
분류 중성암
(고철질암) (규장질암)
산출 조직 어두운색 (색) 밝은색
상태 Ca, Fe, Mg ← (많은 원소) → Na, K, Si
화산암 세립 현무암 안산암 유문암
현무암 안산암 유문암
심성암 조립 반려암 섬록암 화강암
마그마 온도(°C) 높다 1000 800 낮다
감람암 반려암 섬록암 화강암
점성 낮음 중간 높음 세 100 광
립 입자의 석영 물
80 의
크기 조 (N
립 사장석 a풍 정장석 60 양
(C

( )
화산암 부 %
a풍

휘석 )
40

)

흑운모 20
감람석 각섬석 백운모
심성암 0
40 50 60 70
SiO™ 함량(% )
그림 I - 20 광물 조성에 따른 화성암의 분류

성취 정도를 표시해 보자
자기 1 변동대에서 마그마 조성에 따라 다양한 화성암이 생성되는 과정을 설명할 수
평가하기
있는가?
2 화성암이 생성되는 고유의 환경을 설명할 수 있는가?

2. 지구 구성 물질 37
우리 주변의 화성암 지형 찾아보기

화성암과 한반도 지형
한반도에는 다양한 화성암으로 이루어진 지형이 많이 있다. 우리 지역에 있는 화성암 지형은 어떠한 특징이 있는지 알
아보자.

A 칼데라를 품고 있는 백두산

E 화강암 암봉이 수려한 설악산

B 용암이 흐르던 한탄강

F 한국의 갈라파고스, 울릉도와 독도

B E
동해
C
F
C 1억 7천만 년 전에 태어난 북한산
독도

D
G 신의 돌기둥, 무등산 주상 절리대

D 180만 년 동안의 화산 분출, 제주도

생각해 보기
화성암 지형을 구성 암석과 광물의 특징에 따라 분류해 보자.

38 I. 지권의 변동
마무리

내용 정리 기초 개념 익히기

변동대에서의 마그마 생성
1. 마그마의 생성 조건 1 그림은 지구 내부의 깊이에 따른 온도와 압력 분포를 나타
•추가적인 열의 공급 낸 것이다.
•압력 감소로 녹는점 하강 온도(#)
•함수 광물에 의해 녹는점 하강 0 500 1000 1500

(깊이
km

)
물이 포함 C
50 된 화강암 물이 포함
의 용융
2. 마그마의 생성 장소 곡선
되지 않은
맨틀의 용
지하의 온도 융 곡선
종류 마그마 종류 분포
100
발산 경계 현무암질 마그마 A B
물이 포함된 맨
➊ 경계 현무암질, 유문암질, 안산암질 마그마 틀의 용융 곡선

열점 현무암질 마그마
A → B와 A → C 중 해령에서의 마그마 생성 과정은 어
느 것에 해당하는가?

변동대에서의 화성암
1. 산출 상태와 조직에 따른 분류 2 다음 (가), (나) 화성암의 특징을 정리해 보자.
•➋ : 마그마가 지표 또는 지하의 얕은 곳에서 굳 구분 (가) (나)
어 결정의 크기가 작은 세립질 암석
•➌ : 마그마가 지각 아래 깊은 곳에서 굳어 결정
모습
의 크기가 큰 조립질 암석

입자 크기
2. 화학 성분에 따른 분류

SiOª 함량(%) 52 63
암석 이름
분류 염기성암 중성암 산성암

산출 어두운색 (색) 밝은색


조직 Ca, Fe, Mg ← (많은 원소) → Na, K, Si
상태
화산암 세립 현무암 안산암 유문암

심성암 조립 반려암 섬록암 화강암

중단원 마무리 39
마무리

대륙 이동설 맨틀 대류설 해양저 확장설 판 구조론


론의
판 구조 베게너가 주장. 고생 홈스가 주장. 맨틀 지구의 단단한 겉부분
정 음향 측심 기술의 발달로
정립 과 대 말 ‘판게아’가 존재하 내의 방사성 원소 붕괴 이 크고 작은 판들로 이루
대서양 중앙 해령 발견. 지구
였고, 이후 여러 대륙으로 열과 고온의 지구 중심부 어져 있고, 지구 내부 에너
내부의 열대류로 해양 지각
분리되고 이동해 현재와 에서 맨틀로 올라오는 지의 흐름을 따라 이동하
이 해령의 양쪽으로 갈라져
같은 수륙 분포가 되었 열에 의해 대류가 일 면서 판 경계에서 지권
이동하고 대륙 주변부에
다는 학설 어난다는 학설 의 변동이 일어난
서 지구 내부로 섭입
한다는 가설 다는 이론

고지자기
지질 시대에 생성된 암석에 남아 있는 옛 지구 자기를 말하며, 고지자기를 연구
대륙과 해양의 하여 대륙이 이동한 경로를 추적할 수 있다.
분포 변화를
아는 방법 자침이 수평면과 이루는 각. 자북극에서의 복각은 90ù. 지자기 북극의 이동
복각
경로를 추적하면 지질 시대 대륙의 이동 경로를 알 수 있다.

상부 맨틀의
운동과 플룸 운동 구분 상부 맨틀 운동 플룸 운동
맨틀 내에 존재하는 방사성 물질의 붕괴에
상승하는 뜨거운 플룸과 하강하는 차가운
원동력 서 나오는 열과 상하부 깊이에 따른 온도
플룸이 거대 규모의 운동을 일으킴
차이로 발생하는 열대류로 판을 이동시킴

발산 경계 : 압력 감소에 따라 현무암질 마그마 생성

마그마 생성 섭입 경계 : 물의 첨가로 현무암질 마그마 생성. 현무암질 마그마의 열 공급에 따라 유문암질


환경 마그마가 생성되고 두 마그마가 섞인 안산암질 마그마도 생성

열점 : 압력 감소에 따라 현무암질 마그마 생성

스스로 성취 정도를 표시해 보자


평가하기 1 대륙 이동설에서부터 판 구조론이 정립되는 과정을 설명할 수 있는가?
2 탐사 기술의 발달이 지권의 변동을 설명하는 판 구조론 정립에 기여한 바를 설
명할 수 있는가?
3 상부 맨틀의 대류에 의한 판 운동과 맨틀-핵의 경계에서 올라오는 플룸 운동
을 구분하여 설명할 수 있는가?
4 변동대에서 마그마가 생성되고, 마그마의 조성과 온도 및 압력 조건에 따라 다
양한 화성암이 생성됨을 설명할 수 있는가?

40 I. 지권의 변동
I. 지권의 변동

개념 확인하기 개념 확장하기

1 베게너가 제시한 대륙 이동의 증거를 <보기>에서 모두 고 4 다음은 탐사 기술의 발전으로 발견한 사실들이다.
르시오.
보기 (가) 해저 지형도 작성
ㄱ. 남아메리카 동해안과 아프리카 서해안의 해안 (나) 해령을 중심으로 고지자기의 정상 자기와 역
선이 유사하다. 전 자기 대칭
ㄴ. 여러 대륙에서 동일한 종류의 고생물 화석이 (다) 섭입대 주변 지진의 진원 깊이 연구
발견된다.
ㄷ. 북아메리카와 영국, 스칸디나비아 반도 산맥의 (가) ~ (다)와 같은 사실을 알 수 있게 해 준 탐사 기술을

지질 구조가 연속적으로 나타난다. 옳게 연결하시오.

ㄹ. 해양 지각이 해령을 축으로 갈라져 이동한다. (가)• •음향 측심


(나)• •자력계 탐사
(다)• •전 지구 지진 관측망

2 고지자기의 복각 자료를 통해 알 수 있는 것으로 옳은 것


은 ◯표, 옳지 않은 것은 ×표를 하시오.
⑴ 자침이 수평면과 이루는 각이 복각이다.
( )
⑵ 어느 지역의 암석에 남아 있는 지자기 복각이 90°
이면 이 암석이 만들어질 때 이 지역은 자북극에
위치하였다. ( )
⑶ 동시대에 지자기 북극은 2개가 있을 수 있다.
( ) 5 그림은 판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⑷ 지자기 북극의 이동 경로를 통해 대륙이 이동한
경로를 알 수 있다. ( )
대륙 지각 판
(암석권)

맨틀
해양 지각

3 마그마 생성 환경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표, 옳지


않은 것은 ×표를 하시오.
⑴ 발산 경계에서는 현무암질 마그마가 만들어진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
( ) 르시오.
보기
⑵ 섭입 경계에서는 안산암질 마그마만 만들어진다.
ㄱ. 판은 암석권과 연약권을 포함한다.
( )
ㄴ. 암석권은 연약권보다 밀도가 작다.
⑶ 열점에서는 유문암질 마그마가 만들어진다.
ㄷ. 판은 맨틀 대류를 따라 이동한다.
( )

단원 마무리 41
마무리

6 그림 (가)는 지구 자기장을, (나)는 A, B 지역에서의 자기 8 그림은 마그마가 생성되는 장소 (가)~(다)를 나타낸 것이다.
력선을 나타낸 것이다.

자북극
해령
자기 A 50$ 해구
적도 A 대륙 지각 해양판
지표면
북 ㈐
B ㈎
B
지표면 ㈏
(가) (나)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
A 지역과 B 지역의 복각을 옳게 짝 지은 것은? 르시오.
보기
A B A B
ㄱ. (가)에서 마그마가 생성되는 주된 까닭은 함수
① 40° 0° ② 50° 0°
광물에서 공급된 물이 맨틀의 녹는점을 낮추기
③ 40° 90° ④ 50° 180°
때문이다.
⑤ 40° 180°
ㄴ. (나)에서 마그마가 생성되는 주된 까닭은 추가
적인 열의 공급이다.
ㄷ. (다)에서 마그마가 생성되는 주된 까닭은 압력
감소이다.

7 그림은 하와이섬 아래의 지진파 단층 촬영 영상이다.


하와이
o
So 10
o
20 30 o N
0 40 o
0
깊이

500
1000
km
( )

1500 9 다음과 같이 화성암을 A, B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2000
2500 A 현무암 안산암 유문암
B 반려암 섬록암 화강암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
르시오. (단, 붉은색으로 갈수록 지진파의 속도가 느려짐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
을 의미한다.) 르시오.
보기 보기
ㄱ. 하와이섬은 열점에 해당한다. ㄱ. 유색 광물의 함량은 유문암이 현무암보다 많다.
ㄴ. 붉은색 영역에는 플룸이 존재함을 의미한다. ㄴ. 광물 결정의 크기는 A가 B보다 작다.
ㄷ. 맨틀과 핵의 경계에서 올라오는 고온의 열기둥 ㄷ. 화강암을 만드는 마그마의 온도가 현무암을 만
은 상부 맨틀의 대류에 의한 것이다. 드는 마그마의 온도보다 높다.

42 I. 지권의 변동
I. 지권의 변동

서술형 문제

10 그림은 해저 지형을 모식도로 나타낸 것이고, 표는 바다 위의 어느 한 지점에서 출발하여 거리 과학적 사고력


에 따른 음파의 왕복 시간을 측정한 것이다.
음향 측심법
해저 지형의 깊이

A
B F
D E
C

거리 (km) 0 0.5 1.0 1.5 2.0 2.5


왕복 시간 (s) 6.6 6.8 4.6 2.4 2.4 2.5
거리 (km) 3.0 3.5 4.0 4.5 5.0 5.5
왕복 시간 (s) 4.5 6.7 6.8 6.8 6.7 6.8

위 표와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는 관측 구간을 찾아보자. (단, 음파의 속도는 수심에 관계없이


일정하고, 각 구간별 거리는 같다.)

11 그림은 태평양에서 열점의 활동으로 형성 o


(단위: 100만 년 전) 과학적 문제 해결력
50 N
된 하와이섬과 줄지어서 나타나는 화산섬
59.6 열점
및 해산들의 위치를 나타낸 것이다. (단, o
40 N 상부 맨틀의 운동과 플룸의
그림 속의 숫자는 각 지역을 구성하고 있 운동
55.2
는 암석의 절대 연령이고, 현재 화산 활동 o
30 N 27.2
은 하와이섬에서만 일어난다.) 43 19.9
10.3
하와이
⑴ 이 자료에 근거하여 과거와 현재 o
20 N 20.6 12.0
0.004 섬
판의 이동 방향을 말해 보자. o
170 E
o
170 W
o
150 W
⑵ 상부 맨틀의 운동과 플룸의 운동
중에서 하나를 선택해 태평양판의 내부에 있는 하와이 열도의 생성 원인을 설명해
보자.

12 마그마는 지구 내부 물질의 용융에 의하여 생성된다. 현무암질 마그마와 유문암질 마그마는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
각각 맨틀과 대륙 지각이 부분 용융되어 생성된다. 그러나 안산암질 마그마는 직접 생성되지
마그마의 종류
않는다. 안산암질 마그마는 어떻게 생성되는지 설명해 보자.
마그마의 생성

단원 마무리 43
■이 단원의 주요 핵심 역량을 알아봅시다.
과학적 지구의 역사가 이루어진 과정을 지질 구조와 퇴적
사고력 환경을 통해 고찰할 수 있다.

과학적 주어진 자료로부터 절대 연령을 구하고, 고기후 연


탐구 능력 구 방법을 탐구할 수 있다.

과학적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퇴적암 지형을 조사하고 과


문제 해결력 제 연구를 진행할 수 있다.

과학적 대표적인 지질 구조를 관찰한 후 결과를 바탕으로


의사소통 능력 토론할 수 있다.

과학적 참여와 주변에 있는 지형의 특징과 변화에 관심을 가지고


평생 학습 능력 지속적으로 관찰할 수 있다.

■이 단원과 연계된 학습 과정을 알아봅시다.

중학교
통합과학 지구과학 Ⅰ 지구과학 Ⅱ
과학

■암석 ■화석, 대멸종 ■지질 구조 ■암석 조직


■퇴적암 ■진화와 생물 다양성 ■지사 해석 방법 ■한반도 지사
■상대 연령과 절대 연령 ■한반도 판 구조 환경
지구의 역사
1. 지질 구조와 퇴적 환경
2. 지질 시대와 환경

이 단원에서는
지질 시대에 걸쳐 지구의 환경과 생물이 끊임없이 변화해 왔음을 이
해하고, 지구 역사와 탐구 방법을 학습한다. 판 운동에 의한 지각 변
동으로 다양한 지층과 지질 구조가 형성됨을 이해하고, 화석과 지질
구조로부터 지질 시대의 환경과 사건의 발생 순서를 파악한다. 또, 방
사성 동위 원소를 이용한 연대 측정으로부터 절대 연령을 구한다.
그림은 우리나라 어느 해안에 드러난 퇴적암 지층이다. 비스듬히 끊어져 어긋난 단층이
관찰된다.

이 지역에는 어떤 힘이 작
용하여 지층이 끊어졌을까?

지질 구조와 퇴적 환경
01. 퇴적 구조와 퇴적 환경
02. 다양한 지질 구조

자기 점검 - 알고 있는 용어를 체크해 보자.

퇴적암          역암       사암       셰일


풍화 작용       지층       융기, 침강    퇴적 구조

▶ 체크하지 못한 용어는 인터넷에서 검색해 보자.

학습 계획 세우기 - 성취 기준을 달성하기 위해 어떤 준비를 할 수 있을지 써 보자.

46 II . 지구의 역사
01 퇴적 구조와 퇴적 환경
•지층에 나타나는 퇴적 구조를 설명할 수 있다.
•퇴적 구조와 퇴적 환경의 관계를 설명할 수 있다.

스스로 그림은 어느 지역에서 발견된 퇴적암층이다. 위아래에 놓인 붉은색 지층 사이에 밝은


생각해 색의 역암층과 사암층이 교대로 나타나며 층리가 잘 발달해 있다. 지질학자들은 이러
보기 한 층리에 나타난 퇴적암의 특징을 관찰하여 퇴적 당시의 환경을 유추한다.

지층에 나타난 어떤 특징으로 과거의 퇴적 환경을 알 수 있을까?

지표의 암석은 풍화・침식 작용으로 잘게 부서지고 낮은 지역으로 운반되어 쌓여 굳


어지면 퇴적암이 된다. 퇴적물이 쌓일 때는 당시의 퇴적 환경에 따라 다양한 지층과
퇴적 구조가 만들어진다. 지층에서 볼 수 있는 여러 가지 퇴적 구조로 퇴적 당시의 환
경을 알아보자.

1 지층과 퇴적암의 형성
그림 II- 1은 지층과 퇴적암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바다, 호수, 범람 공극

원과 같은 저지대로 운반된 퇴적물이 계속 쌓이면, 윗부분에 있는 퇴적물의 무게 때 퇴적물 입자 사이의 간격을 공극


이라고 한다. 퇴적암이 생성되는
문에 아래에 있는 퇴적물이 눌려 공극이 줄어들고 공극의 물이 빠져나가는 다짐 작용 과정에서 공극은 감소한다.
을 받는다. 또, 지하수에 녹아 있던 물질의 교결 작용으로 퇴적물 입자들이 결합되면
교결 작용
단단한 지층과 퇴적암이 생성된다. 지하수 내의 석회질이나 규질 물

1
풍화, 침식된 물질이 물이나 바람,
질, 산화 철 등이 퇴적물 입자 사
이를 접착하는 작용이다.

사태(중력) 등에 의해 운반된다.
2
퇴적물이 쌓인다.

3
퇴적물의 무게에 눌려
치밀하게 압축된다.

4
교결 작용으로 퇴적물
입자들이 단단하게
결합되면서 지층과 퇴
적암이 생성된다.

그림 II - 1 지층과 퇴적암의 형성 과정

1. 지질 구조와 퇴적 환경 47
2 퇴적암의 종류
퇴적암은 생성 과정에 따라 쇄설성, 유기적, 화학적 퇴적암으로 구분한다.
셰일
이암 중에서 쪼개짐이 발달한 암 암석이 풍화・침식 작용을 받아 생긴 쇄설성 퇴적물이나 화산재와 같은 화산 쇄설물
석이다. 이 쌓여 굳어진 퇴적암을 쇄설성 퇴적암이라고 한다. 이들은 입자 크기와 종류에 따라
표 II - 1과 같이 구분한다.
석회암
표 II - 1 퇴적물의 크기와 쇄설성 퇴적암의 종류 <출처: 『지구의 이해』, 2009>
탄산 칼슘으로 이루어져 묽은 염
산과 반응하면 녹는다. 쇄설성 퇴적물 화산 쇄설물
퇴적물(입자 크기) 퇴적암 퇴적물 퇴적암
화산암괴 화산 각력암
자갈 (2 mm 이상) 역암, 각력암
화산력(라필리) 라필리 응회암

모래 (2 ~ ;1Á6; mm) 사암
화산재 응회암
그림 II - 2 퇴적암의 종류 실트, 점토 ( ;1Á6; mm 이하) 이암 (셰일)

각력암
생물의 껍데기나 골격이 쌓여 암석이 되기도 하는데, 이러한 퇴적암을 유기적
퇴적암이라고 한다. 산호나 조개류, 유공충 등이 쌓여 만들어진 석회암, 규조
류 등이 쌓여 만들어진 처트, 육상 식물이 호수에 매몰되어 만들어진 석탄
등이 대표적이다.
물속에 녹아 있는 화학 성분이 가라앉아 만들어진 퇴적암을 화학적 퇴적암
이라고 한다. 건조한 환경에서는 물이 증발하면서 화학 성분이 침전되어 암염이
나 석고가 생성된다. 해양에서는 해수 중의 탄산염 성분이 침전하여 석회암이 만
들어지고, 규질의 물질이 화학적으로 침전되어 처트가 만들어진다.
대표적인 퇴적암은 그림 II - 2와 같다.

처트

사암
석회암

역암

▲ 화산 각력암(A)과 응회암(B)
A

셰일
48 II . 지구의 역사
3 퇴적 구조와 환경
퇴적암에서 퇴적물이 층층이 쌓여 만들어진 줄무늬를 층리라고 한다. 퇴적암에는
층리 외에도 그림 II- 3과 같이 다양한 퇴적 구조가 나타난다.

점이 층리 사층리 연흔 건열

•퇴적물 입자의 크기가 아래에 •기울어지거나 엇갈린 모양의 •표면에 물결 자국이 보인다. •가뭄에 논바닥이 갈라진 것
서 위로 가면서 감소한다. 층리가 보인다. 같은 무늬가 보인다.

•퇴적물이 깊은 호수나 바다에 •물이나 바람의 일정한 흐름에 •수심이 얕은 물 밑에서 물의 •건조한 시기에 공기 중으로
쌓일 때 주로 나타난다. 따라 퇴적물이 공급되거나 흐 흐름이나 파도에 의해서 생 노출된 표면이 갈라져 생긴다.
름의 방향이 바뀔 때 나타난다. 긴다. •갈라진 틈을 다른 퇴적물이
그림 II - 3 퇴적 구조와 퇴적 환경 채우기도 한다.

하천 주변이나 호수, 해안 등에서는 그림 II- 4와 같이 특징적인 퇴적 환경이 만들


어지고, 환경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퇴적 구조가 나타난다. 이러한 퇴적 구조를 종합
적으로 해석하면 과거 퇴적 환경을 추론할 수 있다.

홍수 발생으로 하천의 물이 제방을 넘어 퇴적물


역암이 형성된다.
하천 퇴적물이 쌓이는 곳으로, 점이 이 쌓이는 곳으로, 사층리, 건열 등이 형성된다.
층리, 건열, 연흔 등이 형성된다.
호수 빙하
범람원

해안, 대륙붕

사층리와 사암이 형성된다. 해빈 파도와 조류의 작용으로 층


사막 리가 넓게 발달하고 연흔이
형성되기도 한다.
대륙붕과 대륙 사면의 퇴적물이
삼각주
다시 이동하여 쌓이는 곳으로, 대륙대, 심해
점이 층리가 형성된다.
하천과 바다가 만나는 곳으
사층리와 사암이 형성된다. 로, 사층리가 형성된다.
그림 II - 4 다양한 퇴적 환경

성취 정도를 표시해 보자
자기 1 지층 형성 구조와 더불어 퇴적암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설명할 수 있는가?
평가하기
2 다양한 퇴적 구조와 퇴적 환경의 관계를 설명할 수 있는가?

1. 지질 구조와 퇴적 환경 49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퇴적암 지질 명소와 퇴적 환경

우리나라에는 지질 명소들이 많이 있고, 이들 중 퇴적암으로 이루어진 지역들도 많이 있다. 다음은 우리


나라의 대표적인 퇴적암 지질 명소를 다녀온 후 정리한 내용이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퇴적암으로 구성된
지질 명소를 방문하고 보고서를 작성해 보자.

•관찰 기록지에는 관찰 지역의 지질 시대( ), 관찰한 내용


( ), 퇴적 구조로 유추한 퇴적 환경( )을 기록한다.

•고생대
•주로 석회암과 셰일로 구성되었
강원 태백 다.
구문소 •삼엽충, 완족류 화석 등이 산출
된다.
•바다에서 퇴적되었을 것이다.

•중생대

전북 부안 •주로 역암과 사암으로 구성되었


다.
채석강 •단층과 습곡이 나타난다.

•호수 내에서 퇴적되었을 것이다.

•중생대
•주로 이암과 사암으로 구성되었다.
경남 고성 •연흔, 건열이 잘 보인다.
상족암 •공룡 발자국과 새 발자국 화석
이 발견된다.
•호수와 호수 주변에서 퇴적되었
을 것이다.

•신생대
•주로 사암과 이암으로 구성되었다.
제주
•사층리가 잘 보인다.
서귀포층 •가리비, 고둥, 조개, 산호 등의
화석이 많이 나온다.
•바다에서 퇴적되었을 것이다.

50 II . 지구의 역사
사전 보고서 (예시)

•중생대 호수 퇴적층
해당 지역의
방문 지역 경기 시화호 •역암, 사암, 이암이 잘 나타난다. 찾아보기
지질 특성
•곳곳에 공룡알 화석이 산출된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

•08시~10시: 출발 및 도착
•10시~12시: 오전 지질 조사
관련 사진
시간 계획 •12시~13시: 식사
자료
•13시~15시: 오후 지질 조사
•15시~17시: 귀가

지질 조사 보고서 (예시)
중생대 호수에서 퇴적된 곳으로, 퇴적암을 볼 수 있고, 곳곳에 공룡알
지질 개관
화석이 있다.
관찰 내용
암석 사진 관찰되는 특징 퇴적 구조로부터 추론한 내용

•퇴적물 공급지로부터 가까운 곳


•붉은색 사암층과 밝은색 역암층
에 퇴적되었을 것이다.
이 교대로 나타난다.
•홍수 등의 급격한 퇴적 작용으로
•자갈은 대부분 각져 있다.
형성되었을 것이다.

•지름 10 cm 정도의 공룡알


화석이 나타난다.
•껍데기는 매우 얇다.
•알들이 모여서 둥지처럼 된 곳
도 있다.

1. 지질 구조와 퇴적 환경 51
02 다양한 지질 구조
•다양한 지질 구조의 형성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지질 구조의 종류와 특징을 구별하여 설명할 수 있다.

스스로 그림은 퇴적암 지대에서 발견된 지질 구조이다. 밝고 어두운 층리가 반복되는 퇴적암
생각해 의 중간 부분을 밝은색 암석이 가로지르고 있다.
보기
이 밝은색 암석은 어떻게 퇴적암을 가로질러 분포하게 되었을까?

퇴적물이 쌓여 지층과 퇴적암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다양한 퇴적 구조가 나타나지


만, 판의 운동이나 지진, 화산 활동과 같은 지각 변동을 받아서도 다양한 지질 구조가
만들어진다. 이러한 지질 구조의 종류와 특징을 알아보자.

1 관입과 포획

화산 지구 내부에서 생성된 마그마가 위로 상승하는 과정에서 암석의


틈을 벌리거나 지층 사이로 뚫고 들어와 식어서 된 구조를 관입이라
고 한다. 그림 II- 5와 같은 관입 과정에서는 마그마의 열 때문에 주
변 암석이 변성되기도 하고, 그림 II- 6과 같은 관입암이 차가운 주
변 암석의 영향으로 급격히 냉각된 흔적이 나타나기도 한다.
마그마가 관입하는 과정에서 깨진 기반암의 일부가 마그마 내부
관입
로 들어가는 경우가 있다. 이때 마그마의 온도가 높거나 암석의 용
포획(암)
융점이 낮은 경우에는 암석이 녹아 사라지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에
그림 II - 5 관입과 포획 는 그림 II- 7과 같이 화성암 안에서 깨진 암석 조각을 발견할 수 있
다. 이러한 구조를 포획이라고 하고, 포획된 암석을 포획암이라고
한다.

관입암

포획암

그림 II - 6 관입 그림 II - 7 포획

52 II . 지구의 역사
2 부정합
상하 퇴적층이 큰 시간 간격이 없이 나란히 쌓여 있는 관계를 정합이라고 한다. 그
러나 지층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지각 변동을 겪게 되면 정합과는 다른 관계가 나타날
수 있다. 이렇게 상하 지층 사이에 긴 시간 간격이 있어, 두 지층의 관계가 불연속적
인 것을 부정합이라고 한다. 부정합이 만들어지는 과정은 그림 II- 8과 같이 여러 가
지가 있으며, 그에 따라 부정합의 종류도 달라진다.
부정합면 아래 지층의 쌓인 방향과 기울어진 정도가 위에 쌓인 지층과 다른 경우를
경사 부정합이라고 한다. 퇴적암이 쌓이고 지각 변동을 받아 뒤틀린 후 침식이 일어
나고 다시 퇴적물이 쌓인 경우이다.
이와는 달리 부정합의 아래층과 위층의 쌓인 방향이 평행이면 평행 부정합이라고
한다. 맨틀 위에 놓인 지각이 빙하에 덮이거나 빙하가 녹는 등의 무게 변화로 생기는
조륙 운동을 받아 퇴적이 중단되었다가 다시 퇴적된 경우에는 위아래 지층이 나란하
게 쌓인다. 이런 경우에는 지층의 경계면에 나타나는 기저 역암이나 상하 지층의 화 기저 역암

석을 비교하여 부정합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다. 부정합면 바로 위에 놓인 역암

퇴적암이 심성암이나 변성암 위에 쌓여 있는 경우를 난정합이라고 한다.

경사 D E
D
C C C
부정합 D
C B B B
B A A
A A
지층의 퇴적 융기 (습곡 형성) 풍화·침식 침강 퇴적

D E
D C C
평행 C C
B B B
B A A
부정합 A A

지층의 퇴적 융기 풍화·침식 침강 퇴적

난정합

심성암
지층의 퇴적 마그마의 관입 또는 변성 융기 풍화·침식 침강과 퇴적

그림 II - 8 부정합의 종류와 형성 과정

1. 지질 구조와 퇴적 환경 53
지층에서 발견되는 부정합

화폐석 그림은 어느 지역의 지질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이 지역의 아래층에는 고생대의


삼엽충, 완족류 화석이 나타나고, 위층에서는 신생대의 화폐석 화석이 발견되었다.

•이 지질 단면에서 관찰할 수 있는 지질 구조를 말해 보자.


삼엽충 •이 지역에는 왜 중생대의 화석이 나타나지 않는지 설명해 보자.

3 습곡과 단층
지각을 이루는 암석은 판의 이동, 마그마의 관입, 지각 변동 등으로 큰 힘을 받는
다. 암석에 작용하는 힘이 암석이 견딜 수 있는 한계를 넘어서면 변형이 일어나는데,
이러한 변형 구조에는 습곡과 단층이 있다.
습곡은 암석 양쪽에서 미는 횡압력이 작용하여 지층이 휘어진 구조를 말한다. 그림
II - 9와 같이 습곡 구조에서 습곡 중앙의 축을 습곡축, 위로 볼록한 부분을 배사, 아
래로 볼록한 부분을 향사라고 한다.
그림 II- 10과 같이 암석층이 힘을 받아 끊어지고, 끊어진 면의 양
쪽 암석이 움직인 구조를 단층이라고 한다. 이때 암석에 주어지는 힘
의 방향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단층이 만들어진다. 그림 II - 11의 첫
번째 그림과 같이 양쪽으로 잡아당기는 장력이 작용하는 곳에서는 상
반이 중력 작용으로 아래로 내려간다. 이와 같은 과정으로 만들어진
단층을 정단층이라고 한다. 반대로 양쪽에서 미는 횡압력이 작용하면
상반이 중력의 반대 방향으로 올라간다. 이와 같은 과정으로 만들어
진 단층을 역단층이라고 한다.
암석층에 힘이 수평 방향으로 어긋나게 작용하면 두 암반이 스쳐
지나간다. 이와 같은 과정으로 만들어진 단층을 주향 이동 단층이라고
한다.

배사 배사

하반 상반
향사

단층면
습곡축
그림 II - 9 습곡 구조 그림 II - 10 단층 구조

54 II . 지구의 역사
미국 산안
전북 부안 충남 태안 드레아스
단층

면 상반
단층
상반 힘의 주향
힘의 정단층 방향 역단층
이동 단층
방향

힘의 방향
그림 II - 11 힘의 방향과 단층의 움직임

4 절리
암석에 힘이 가해지거나 온도 변화 등으로 부피가 변하면 끊어져 갈라지거나 쪼개
지는 틈이 생기는데, 이 틈을 절리라고 한다. 절리는 단층과 비슷해 보이지만, 단층과
달리 끊어진 틈을 따라 어긋나지는 않는다. 절리는 모든 암석에서 볼 수 있는데, 화성
암에 생기는 대표적인 절리에는 주상 절리와 판상 절리가 있다.

화산암과 심성암에서 나타나는 절리

다음은 화산암과 심성암에서 볼 수 있는 대표적인 절리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 화산암의 절리 - 제주 지삿개 ▲ 심성암의 절리 – 북한산

•두 절리의 특징을 비교해 보자.


•두 곳의 암석이 처음 생성될 당시에 마그마나 용암이 냉각되는 시간에는 어떤 차이가 있었는지 설
명해 보자.

1. 지질 구조와 퇴적 환경 55
용암이 지표로 분출하여 식어 만들어진 화산암은 그림 II- 12와 같이 수축하는 과정
을 겪는다. 이때 용암이 다각형(4각형~6각형)의 기둥 모양으로 갈라지면서 굳은 주상
절리가 형성되기도 한다.
심성암은 압력이 높은 지하에서 마그마가 서서히 식어 만들어진다. 그림 II- 13과
▲ 판상 절리
같이 시간이 흘러 심성암 상부의 지층이 풍화, 침식 작용을 받아 제거되면 심성암이
서서히 융기하여 지표로 노출된다. 이 과정에서 외부의 압력이 감소하므로 암석의 부
피가 커지면서 표면에서부터 편평하게 쪼개지는 판상 절리가 형성된다.

[과거: 1억 년 전] [현재]

▲ 심성암의 내부 압력이 지하의 압력과 평 ▲ 심성암이 지표로 드러나면 외부의 압력이


▲ 화산암의 내부가 다각형으로 갈라진다. 형을 이룬다. 감소하여 평형이 깨지면서 쪼개진다.

그림 II - 12 주상 절리가 생기는 과정 그림 II - 13 판상 절리가 생기는 과정

사고력 문제 해결력
핵심
역량
지질 구조를 만드는 판 구조 운동
기르기 습곡과 단층은 지구 내부의 힘의 작용으로 만들어지는데, 이 과정은 판 구조 운동으로 설명할 수 있다.
A와 같은 판의 발산 경계에서는 좌우로 장력이 작용한 A B
다. 따라서 경계 부근에서는 양쪽으로 정단층이 발달하고,
저지대인 분지가 형성되어 이곳에 퇴적물이 쌓인다. 반면
B와 같은 수렴 경계에서는 횡압력이 작용한다. 이곳에서는 힘의 방향
역단층이 주로 발달하며 습곡이 나타난다.
맨틀 대류

1 A와 B에 작용하는 힘의 방향을 비교해 보자.


2 A와 B에서 나타나는 단층은 어떻게 다른지 비교해 보자.

성취 정도를 표시해 보자
자기 1 지각 변동에 의한 지질 구조의 형성 과정을 설명할 수 있는가?
평가하기
2 다양한 지질 구조의 종류와 특징을 비교하여 설명할 수 있는가?

56 II . 지구의 역사
마무리

내용 정리 기초 개념 익히기

퇴적 구조와 퇴적 환경
1. 퇴적암이 되는 과정: 퇴적물은 다짐 작용과 교결 작용을 통 1 그림은 퇴적암에서 볼 수 있는 퇴적 구조이다.
해 퇴적암이 된다.

2. 퇴적 구조
•➊ : 퇴적암에 나타나는 나란한 줄무늬
(가) (나)
•사층리: 일정한 흐름에 의해 나타나는 기울어진 층리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표, 옳지 않은 것은 ×표
•점이 층리: 퇴적물 입자의 크기가 아래에서 위로 가면서 를 하시오.
작아짐 ⑴ (가)는 연흔, (나)는 점이 층리이다. ( )
•연흔: 수심이 얕은 물 아래에서 형성 ⑵ (가), (나) 모두 지층의 상하 판단에 이용된다.
•건열: 건조한 시기를 겪으며 생성되는 퇴적 구조 ( )
⑶ (가), (나)는 비슷한 퇴적 환경에서 생성되었다.
3. 퇴적암의 종류
•➋ 성 퇴적암 역암, 사암, 이암, 응회암 ( )

•유기적 퇴적암 석회암, 처트, 석탄 2 퇴적 구조 중 과거 건조한 환경이었음을 알려 주는 것은


•화학적 퇴적암 암염, 석고, 석회암 무엇인가?

다양한 지질 구조

1. 관입과 포획: 마그마가 지층 사이를 뚫고 들어오거나 기 3 다음과 같은 (가) ~ (다) 부정합의 이름을 쓰시오.

반암이 깨져 화성암 내부에 포획되는 경우가 있다. 기저 역암

2. 부정합: 위아래 지층 사이에 긴 ➌ 간격이 있었다.


(가) (나) (다)
경사 부정합 아래 지층이 경사지거나 휘어진 부정합
평행 부정합 위아래 지층이 나란한 부정합
4 그림은 두 종류의 단층을 나타낸 것이다.
난정합 아래 지층이 심성암이나 변성암인 경우

3. 습곡: 지층이 ➍ 에 의해 휘어진 것이다.

4. 단층: 지층이 힘을 받아 끊어진 것이다. 힘의 방향 지층의 이동 방향


(가) (나)
정단층 상반이 아래로 이동한 단층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표, 옳지 않은 것은 ×표
역단층 상반이 위로 이동한 단층
를 하시오.
주향 이동 단층 지층이 수평 방향으로 이동한 단층
⑴ (가), (나)는 상반이 단층면 오른쪽에 있다. ( )
⑵ (가)는 장력, (나)는 횡압력을 받았다. ( )
5. ➎ : 암석에 나타나는 갈라진 구조이다. ⑶ (나)에서는 습곡이 함께 나타날 수 있다. ( )

중단원 마무리 57
아노말로카리스는 고생대에 살았던 포식 동물로, 바다 속을 헤엄
치면서 삼엽충과 같은 생물을 잡아먹었다. 단단한 외골격이 있는
삼엽충은 아노말로카리스로부터 살아남기 위해 진화하였다.

화석을 이용하여 생물이 살


았던 당시의 환경을 복원할
수 있는 원리는 무엇일까?

지질 시대와 환경
01. 지사학의 법칙
02. 암석과 지층의 나이
03. 지질 시대와 환경

자기 점검 - 알고 있는 용어를 체크해 보자.

지층 지질 시대    지질 시대 환경    생물 다양성


지질 시대 생물    고생대    중생대 신생대

▶ 체크하지 못한 용어는 인터넷에서 검색해 보자.

학습 계획 세우기 - 성취 기준을 달성하기 위해 어떤 준비를 할 수 있을지 써 보자.

58 II . 지구의 역사
01 지사학의 법칙
•지층의 선후 관계 해석에 사용되는 다양한 법칙을 설명할 수 있다.
•지사학의 법칙을 이용하여 지구의 역사를 추론할 수 있다.

스스로 스테노는 알프스의 지층에서 조개껍데기 화석이 발견되는 것을 의아하게 생각하였다.


생각해 그러던 중 자신이 해부한 상어의 이빨이 당시 혓바닥 돌이라고 불렸던 화석과 매우 닮
보기 은 것을 발견하였고, 혓바닥 돌이 바다에 살았던 상어의 이빨 화석이라고 확신하였다.

바다에 사는 상어의 이빨이 어떻게 높은 산맥에서 발견되었을까?

약 46억 년 동안 이어진 지구의 역사 중 문자로 기록된 시간은 100만분의 1도 되지 스테노


(Steno, N., 1638~1686)
않는다. 지구 역사의 대부분은 지층과 암석에 기록되어 있다. 이렇게 지층과 암석에
덴마크의 지질학자. 지질학 분야
기록된 지구의 역사를 연구하는 학문을 지사학이라고 한다. 지사학의 연구 방법과 그 에서 결정과 화석 연구에 중요한
공헌을 하였다.
것을 이용하여 설명할 수 있는 지질학적 사건들을 알아보자.

지층의 선후 관계
지사학 연구의 첫걸음은 그림 II- 14와 같은 지층과 암석의 선후 관계를 밝히는 것
이다. 이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현재 지각에서 발생하는 지질학적 사건들이 과거에도
동일하게 일어났다고 가정해야 한다. 이와 같은 지사학의 기본 원리를 동일 과정의
원리라고 한다. 지사학에서는 동일 과정의 원리를 바탕으로 하고, 그 밖에 다양한 법
칙을 이용하여 지층의 선후 관계를 결정한다.

D
A

그림 II - 14 지층의 선후 관계 | A, B, C층이
쌓인 후 D가 관입하였을 것이다.

2. 지질 시대와 환경 59
지사학의 법칙

수평 퇴적의 거의 모든 퇴적층에서 퇴적물이 쌓일 때 수


평으로 퇴적된다.
법칙

관찰 현재 지층이 경사져 있더라도 과거 이 지


층을 형성한 퇴적물은 수평으로 퇴적되
었을 것이다.
따라서 이 지역은 퇴적암이 생성된 이후 지각 변
동을 받아 경사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지층 누중의 먼저 쌓인 지층이 나중에 쌓인 지층보다 아


래에 위치한다.
법칙

관찰 아래의 검은색 퇴적층은 노란색과 검은


색이 교대로 나타나는 위층보다 먼저 퇴
적된 것이다. 따라서 이 지역은 초기에는 주로
검은색의 퇴적물들이 공급되다가 나중에는 환경
의 변화가 반복되면서 노란색과 검은색의 퇴적
물이 교대로 공급되어 쌓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동물군 지층에서 발견되는 화석의 종류와 진화 정


도에 따라 지층의 생성 순서를 밝힐 수 있다.
천이의 법칙

관찰 A 지역의 지층은 B 지역의 주황색 지층


과 함께 퇴적된 것이다. 그리고 C 지역 A 지역에서
의 지층은 B 지역의 파란색 지층과 함께 퇴적된 산출되는 화석
것이다. C 지역에서
산출되는 화석
따라서 A 지역과 C 지역 중에서 C 지역이 더
B 지역
과거에 퇴적된 것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60 II . 지구의 역사
관입당한 암석은 관입암보다 먼저 생성되었다. 관입의
법칙

관찰 층리가 발달한 지층이 먼저 생성된 후 이


지층을 세로로 비스듬히 가로지르는 관
입암이 생성되었다.

부정합면을 기준으로 위아래 두 지층 사이


부정합의
에는 큰 시간 차이가 있다.
법칙

B 관찰 A 암석이 생성된 후 지각 변동을 받아


변성이 일어나면서 지층이 거의 수직에
가깝게 세워졌다. 이후 이 변성암은 융기하여 침
A
A 식되고 다시 침강하여 그 위에 퇴적암 B가 생성
되었다.
따라서 A, B 암석은 서로 인접하고 있지만 중
간에 퇴적이 중단된 시기가 있어 두 암석이 생성
된 시기 사이에 긴 시간 간격이 있다.

성취 정도를 표시해 보자
자기 1 지층의 선후 관계에 사용되는 수평 퇴적의 법칙, 지층 누중의 법칙, 동물군
평가하기
천이의 법칙, 관입의 법칙, 부정합의 법칙을 설명할 수 있는가?
2 지사학의 다양한 법칙을 적용하여 관심 있는 지역의 지질학적인 역사를
추론할 수 있는가?

2. 지질 시대와 환경 61
02 암석과 지층의 나이
•지층의 상대 연령과 절대 연령의 의미를 구분하여 설명할 수 있다.
•절대 연령을 구하는 원리를 이해하고 자료를 이용하여 지층의 절대 연령을 구할 수 있다.

스스로 그림은 우리나라 대이작도에서 볼 수 있는 바위이다. 대이작도에는 우리나라에서 가


생각해 장 오래된 암석이 분포하고 있으며, 이 바위도 그중의 하나이다.
보기
대이작도에 있는 암석이 가장 오래되었다는 사실을 어떻게 알 수 있을까?

지층이 생성된 순서와 생성 시기를 알면 이를 이용하여 과거의 사건을 재구성할 수


있어 지사를 연구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그런데 지사학의 법칙들을 이용하면 지층의
선후 관계는 알 수 있지만, 지층이 형성된 시기까지는 정확히 알기 어렵다. 지층의 나
이를 결정하는 방법을 알아보고 지층의 정확한 나이를 계산해 보자.

1 상대 연령과 지층의 대비
지사학의 법칙을 이용하여 지층이나 암석의 생성 시기와 지질학적 사건의 선후 관
계를 나타낸 것을 상대 연령이라고 한다. 상대 연령은 한 지역에 분포하는 서로 접촉
하고 있는 지층과 암석의 생성 순서를 결정하는 데 주로 이용한다.
그러나 멀리 떨어진 지층의 생성 순서를 결정하려면 암석층의 특징이나 화석을 이
용해야 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지층의 선후 관계를 결정하는 것을 지층의 대비라고
한다.

|암상에 의한 대비|
암상에 의한 대비는 지층을 구성하는 암석의 성분, 조직, 색, 퇴적 구조 등을 조사
하여 여러 지역의 지층들이 동일한 시기에 퇴적된 것인지 판단하는 방법이다. 이때는
그림 II- 15와 같이 넓은 지역에 동시에 퇴적될 수 있는 응회암층이나 육상 식물이 번
성한 지역에서 형성된 석탄층을 주로 이용한다. 이렇게 넓은 지역에 분포하여 지층
대비의 기준이 되는 층을 건층이라고 한다.

62 II . 지구의 역사
|화석에 의한 대비| 화석에 의한 대비
멀리 떨어진 지층의 대비에는 동
지구의 생물 중에는 전 지구에 걸쳐 특정한 시기에만 번성한 것들이 있다. 따라서
물군 천이의 법칙이 적용되며,
그림 II- 16과 같이 멀리 떨어진 지층에서 같은 종류의 화석이 발견되면 이들 지층은 표준 화석이 이용된다.

같은 시기에 생성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렇게 화석을 이용하여 지층의 선후 관


계를 파악하는 방법을 화석에 의한 대비라고 한다.

Ⅱ 지역 Ⅲ 지역
Ⅰ지역 Ⅱ 지역 Ⅲ 지역 F
Ⅰ지역 L
역암 사암
이암 G M
석회암 역암 A
사암 응회암
석회암 B H N
셰일
역암 응회암
이암 셰일
C I O
석회암
사암
응회암
D J P
셰일 석회암
이암 셰일 E K Q

그림 II - 15 암상에 의한 대비 그림 II - 16 화석에 의한 대비

2 절대 연령
지층이나 암석의 정확한 생성 시기를 절대 연령이라고 한다. 암석의 절대 연령은 방 방사성 동위 원소
•자연 상태에서 불안정하기 때
사성 동위 원소의 반감기를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방사성 동위 원소(모원소)는 외
문에 스스로 붕괴하여 안정한
부의 온도나 압력 조건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한 비율로 붕괴하여 안정한 원소(자원 원소로 바뀌는 동위 원소이다.
•자연에는 다양한 방사성 동위
소)로 변한다. 이때 방사성 동위 원소가 붕괴하여 처음 양의 절반으로 줄어드는 데 걸
원소가 존재하며, 각각 다른
리는 시간을 반감기라고 한다. 그림 II- 17과 같이 반감기와 모원소 - 자원소의 비율 반감기를 가진다.

을 이용하면 암석의 절대 연령을 계산할 수 있다. 모원소 자원소 반감기

새로 생성된 광물에는 모원소만 들어 있다.


0 Û`Ü`¡`U
Û`Ü`Þ`U
Ý`â`K
Û`â`ß`Pb 44.7억 년
Û`â`à`Pb 7.0억 년
Ý`â`Ar 12.7억 년
모원소의 비율

100 ¡`à`Rb ¡`à`Sr 492억 년

1
모원소
자원소 Ú`Ý`C Ú`Ý`N 5730년
80 반감기가 1회 지나면 모원소의 절반이 자원소가 된다. <출처: 『지사학』, 2012>

60
모원소 : 자원소 = 1 : 1
2
( )

%
반감기가 2회 지나면 모원소는 처음 양의 ;4;! 로

3
40 줄어들므로 모원소 : 자원소 = 1 : 3이 된다.

20 반감기가 3회 지나면
모원소 : 자원소 = 1 : 7이 된다.
0 1 2 3 4 5
반감기 횟수 반감기가 4회 지나면
4
모원소 : 자원소 = 1 : 15가 된다.
그림 II - 17 절대 연령의 계산 <출처: 『지사학』, 2012>

2. 지질 시대와 환경 63


창의

프로젝트 지층의 상대 연령과 절대 연령 구하기 사고력 탐구 능력 문제 해결력

Step 1 지층의 퇴적 구조 살펴보기


목표 그림은 어느 지역의 지층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이 지층에는 여러 퇴적층이 보이고, 관입한
지층 단면을 통해 지층의 상대
화성암과 단층을 확인할 수 있다. 또, A층의 맨 아래에는 화성암 C의 조각들이 들어 있고,
연령을 구하고, 지층이나 암석
화성암 E 주변에 있는 암석 A, C, D, F에는 변성의 흔적을 확인할 수 있다.
속의 방사성 동위 원소를 통해
절대 연령을 결정할 수 있다.

D F

A
A
D
E
C A
C

Step 2 상대 연령 결정하기
1 화성암 C의 조각이 지층 A 속으로 들어가게 된 과정을 설명해 보자.

2 단층 B와 지층 G의 선후 관계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을 설명해 보자.

3 화성암 E와 지층 F의 선후 관계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을 설명해 보자.

4 이 지역 지층과 지질 구조의 형성 순서를 오래된 것부터 순서대로 나열해 보자.

64 II . 지구의 역사
Step 3 방사성 동위 원소와 화성암의 절대 연령 결정하기
이 지역의 화성암 C와 E에는 방사성 동위 원소 X가 들어 있다. 방사성 동위 원소 X의 반감
기는 5000만 년이다. 방사성 원소의 양

1.0

0.8
우라늄
0.6 방사성 동위 원소 중 우라늄(U)
은 지르콘(zircon)이라는 광물
0.4
에 잘 포함된다. 그래서 학자들
0.2 은 암석 샘플에서 지르콘을 분리
하여 절대 연령을 조사한다. 최
0
1 2 3 4 5 근에는 방사성 동위 원소 분석기
반감기 횟수 (SHRIMP)가 개발되어 매우
정확하게 절대 연령 측정이 이루
1 화성암 E에서 모원소와 자원소의 비율은 1: 3이다.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쳐 화성암 E 어지고 있다.

의 절대 연령을 구해 보자.

•반감기가 1회 지나면 모원소의 절반이 자원소로 바뀌므로 모원소 : 자원소 = 1:1 이 된다.
•반감기가 한 번 더 지나면 남은 모원소의 절반이 다시 자원소로 바뀐다.
•이때 모원소의 양은 처음의 %가 되고 자원소는 %가 된다.
•이때 모원소 : 자원소 = : 이 된다.
•현재 모원소 : 자원소 = 1:3 이므로 반감기가 번 지났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화성암 E의 절대 연령은 억 년이다.

2 화성암 C에서 모원소와 자원소의 비율은 1 : 7이다. 이 화성암 C의 절대 연령은 얼마인


지 계산해 보자.

Step 4 퇴적암의 생성 시기 결정하기


•퇴적암 A, D, F가 생성된 시기는 어느 범위에 있는지 추론해 보자.

Step 5 핵심 역량 평가하기
성취 정도를 표시해 보자

과학과 핵심 역량 평가 내용
사고력 모원소와 자원소의 비율을 이용하여 암석의 절대 연령을 구할 수 있는가?
탐구 능력 지질 단면을 해석하여 암석의 생성 순서를 결정할 수 있는가?
문제 해결력 화성암을 이용하여 퇴적암의 절대 연령을 구할 수 있는가?

2. 지질 시대와 환경 65
방사성 동위 원소를 가지고 있는 광물은 모든 종류의 암석에 포함될 수 있다. 하지
만 방사성 동위 원소 자료를 이용해 구한 절대 연령은 모든 암석의 생성 시기를 나타
내지는 않는다. 화성암에서 측정한 절대 연령은 마그마에서 광물이 생성된 시기를 나
타낸다. 하지만 퇴적암의 경우에는 퇴적물이 기원한 암석의 절대 연령이 측정된다.
따라서 이렇게 측정한 절대 연령은 퇴적암의 퇴적 시기 상한선을 지시한다. 변성암의
경우에도 방사성 동위 원소는 변성암의 생성 시기 혹은 방사성 동위 원소 광물이 변
성 후 냉각된 시기를 나타낸다.

문제 해결력 사고력
핵심
역량
새로운 화성암, 새로운 방사성 동위 원소 시계
기르기 마그마가 식어 광물이 만들어지면 이 광물 내부에는 방사성 동위 원소의 모원소만 존재한다. 그리고 시간이 지나면서
모원소의 붕괴에 의해 자원소가 만들어지면 그것이 광물 내부에 존재하게 된다. 만약 이렇게 모원소와 자원소가 섞여 있
는 광물이 다시 용융되어 마그마가 된다면 새로운 마그마의 나이는 어떻게 되는 것일까?
그림 (가)와 같이 마그마에는 과거에 방사성 동위 원소의 붕괴로 생긴 자원소가 모원소와 함께 섞여 있다. 이 마그마가
식으면 그림 (나)와 같이 새로운 광물이 생성되는데, 이때 지르콘과 같은 광물은 화학적·구조적 특징 때문에 우라늄과
같은 특정한 방사성 동위 원소의 모원소만을 받아들이고 자원소는 전혀 받아들이지 않는다. 따라서 이 광물이 새로운 방
사성 동위 원소 시계로 출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 광물 내의 모원소는 그림 (다)와 같이 시간이 지나면서 일부가 자
원소로 붕괴되고, 과학자들은 광물 내부의 모원소와 자원소의 비율을 통해 그 광물이 생성된 절대 연령을 측정할 수 있
게 된다.

마그마로부터
마그마 결정된 광물 화성암

반감기 1회 경과

모원소 모원소 모원소


자원소 자원소 자원소
(가) 마그마 상태 (나) 마그마가 식으며 광물 생성 (다) 시간이 지나 모원소 붕괴

•방사성 동위 원소를 이용하여 절대 연령을 구할 때 지질학자들은 주로 U, Rb, K 등을 사용하고, 고고학자들은 주


로 C를 사용한다. 그 까닭을 조사해 보자.

성취 정도를 표시해 보자
자기 1 상대 연령과 절대 연령의 의미를 비교할 수 있는가?
평가하기
2 암석의 절대 연령을 구하는 원리를 이해할 수 있는가?
3 방사성 동위 원소 자료를 이용하여 절대 연령을 구할 수 있는가?

66 II . 지구의 역사
03 지질 시대와 환경
•지질 시대를 기(紀) 수준에서 구분할 수 있다.
•화석 자료로 지질 시대의 생물과 기후 변화를 해석할 수 있다.

스스로 자연사 박물관을 찾았더니 그림과 같이 고생대의 바다를 재현하여 전시한 복원도를
생각해 볼 수 있었다. 지금의 바다에서는 거의 찾아볼 수 없는 독특한 모습의 생물들이 가득
보기 했다.

과학자들은 어떻게 과거 생물이 살았던 환경을 유추할 수 있었을까?

지질 시대는 지구가 생긴 이후 지질 활동이 있었던 모든 시기이다. 지층과 암석에


남겨진 기록을 해석하면 지질학적 사건을 알 수 있듯이 지질 시대 동안 남겨진 흔적
을 해석하면 과거 지구 환경과 변화 등을 유추할 수 있다. 지질 시대의 생물 환경과
기후 변화를 해석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호박 속의 곤충
1 표준 화석과 시상 화석 일부 화석은 나무의 진액에 갇힌
뒤 암석화된 호박 속에서 발견되
화석은 지질 시대에 살았던 동식물의 유해나 생물이 활동한 흔적이 암석에 보존된
기도 한다.
것으로, 주로 퇴적암에서 발견된다. 생물이 화석으로 남기 위해서는 생물체에 단단한
골격이 있으면 유리하고 땅속에 빨리 매몰되어 박테리아에 의한 분해를 겪지 않는 것
이 좋다. 또한, 퇴적암이 생성된 후 심한 지각 변동이나 변성 작용을 받지 않아야 한다.
그림 II- 18은 화석이 발견되는 과정을 나타낸다.

1 생물이 사후에 빠르게


매몰된다.

2 퇴적층이 계속 쌓이면서
퇴적암이 되고 화석이 된다.

그림 II - 18 화석이 발견되는 과정
3 지각 변동으로 퇴적암이 지표에
노출되면서 화석이 발견된다.

2. 지질 시대와 환경 67
체화석과 생흔 화석 화석으로 발견되는 생물군은 시간이 지나면서 다양하게 진화해 왔으므로 이를 이용
•체화석: 화석 중에서 생물의
하면 지층의 상대 연령이나 지층이 형성된 지질 시대를 알 수 있다. 또한, 화석을 통
뼈, 이빨, 껍데기와 같이 주로
골격으로 이루어진 화석 해 지층의 대비도 가능하다. 이렇게 지질 시대의 결정과 지층 대비에 사용되는 화석
•생흔 화석: 생물의 발자국이나 을 표준 화석이라고 한다. 표준 화석으로 이용되기 위해서는 지리적으로 널리 분포해
배설물, 생물이 서식을 위해
판 구멍 등이 퇴적암에 남아 야 하며, 개체 수가 많고 생존 기간이 짧아야 한다.
있는 경우 산호와 같이 따뜻한 얕은 바다에서만 사는 생물은 과거에도 이와 같은 환경에서 살
았을 것이다. 따라서 산호 화석이 발견되면 그 지층은 따뜻하고 얕은 바다에서 퇴적
되었다고 추론할 수 있다. 이렇게 생물이 살던 시기의 환경을 지시해 주는 화석을 시
상 화석이라고 한다. 시상 화석은 특정 환경에서만 서식하고 생존 기간이 긴 생물의
화석을 말한다.
▲ 조개 화석(체화석)
그림 II- 19는 표준 화석과 시상 화석의 특징을 정리한 것이다.

구분 표준 화석 시상 화석
지리적으로 넓게 분포하고 생존 시기가 짧 특정 환경에서만 분포하고 생존
정의
았던 생물 기간이 긴 생물
이용 지층 대비, 지질 시대 결정 퇴적 환경 추론
▲ 공룡 발자국 화석(생흔 화석)

▲ 삼엽충(고생대) ▲ 암모나이트(중생대)

▲ 화폐석(신생대) ▲ 산호 화석
그림 II - 19 표준 화석과 시상 화석

산소 안정 동위 원소를 이
용한 고기후 연구 방법
2 고기후 연구 방법
빙하를 구성하는 물 분자의 산소
지질 시대 지구의 환경을 알기 위해서 학자들은 지층과 암석의 특징, 퇴적 구조 등
안정 동위 원소 비율을 이용하여
과거의 기후를 알아낼 수 있다. 의 자료를 이용한다. 또한, 석순, 유공충 화석, 빙하 시추 코어, 산소 안정 동위 원소
기온이 낮을수록 빙하를 구성하
등을 이용하여 고기후를 연구하기도 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얻은 고기후와 관련한 정
는 물 분자의 산소 안정 동위 원
소비는 작아진다. 보는 화석과 함께 과거 지질 시대의 환경을 추론하는 데 유용하게 이용된다.

68 II . 지구의 역사
자료 해석 고기후 연구 방법 조사하기 탐구 능력 사고력 문제 해결력

다음은 고기후를 연구하는 몇 가지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목표


고기후 연구 방법을 조사하고 특

연구 대상 연구 내용 징을 설명할 수 있다.

•동굴 내부의 기온은 그 지역의 평균 기온을 반


기본 영한다.
정보 •석순은 동굴의 습도와 해당 지역의 강수량 등
석회
에 영향을 받는다. 산소 동위 원소비
동굴의
석순 산소의 동위 원소인 Ú`¡`O와 Ú`ß`O의
•탄소 방사성 동위 원소를 분석하면 석순의 형
해석 Ú`¡`O
성 시기를 계산할 수 있고, 산소 안정 동위 원 비율인 의 값은 수온과 기온
방법 Ú`ß`O
소비를 이용하면 당시 기온을 추정할 수 있다. 에 따라 다른 비율을 보인다.

기본 •유공충은 플랑크톤이 대부분이지만 저서성 유


정보 공충도 있다.
유공충
화석
해석 •유공충 껍데기의 산소 동위 원소비를 이용해
방법 해수 온도를 추정할 수 있다. 1 mm

•지표에 내려 빙하가 된 눈 속에는 꽃가루가 포


기본
함될 수 있고, 눈 결정 사이에 당시의 대기 성분
정보
빙하 이 포함될 수 있다.
시추
코어 •빙하 내의 기포로 과거 대기 조성을 알 수 있다.
해석
•꽃가루로 당시 환경을 추정하며, 산소 동위 원
방법
소비를 이용해 기온을 추정할 수 있다.

과정
모둠별로 한 가지 방법을 선택하고, 그 방법의 장점과 그 방법을 이용하여 고기후를 연구한
실제 사례를 조사한다.

결과 및 정리
➊ 각 방법의 장점과 실제 연구 사례를 다음과 같은 표에 정리해 보자.

고기후 연구 대상 장점 실제 연구 사례

석회 동굴의 석순 • •

유공충 화석 • •

빙하 시추 코어 • •

➋ 위 방법 외에 과학자들이 고기후를 연구하기 위해 사용하는 방법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조사하


여 발표해 보자.

2. 지질 시대와 환경 69
3 지질 시대의 환경과 생물 변화
선캄브리아 시대 지질 시대는 현생 누대와 시생 누대, 원생 누대로 구분하는데 시생 누대와 원생 누
고생대 최초의 시기가 캄브리아
대를 합하여 선캄브리아 시대라고도 한다.
기이므로 이보다 앞선 시기를 일
반적으로 ‘선캄브리아 시대’라고 선캄브리아 시대에는 초기 박테리아에서 진화한 남세균이 등장하여 광합성을 하면
부른다.
서 오존층이 형성되기 시작했다. 해양에서는 선캄브리아 시대 말에 단단한 껍데기를
가진 작은 동물들이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현생 누대는 화석이 많이 발견되는 시기로
화석의 특징에 따라 고생대, 중생대, 신생대로 구분한다.
고생대에는 생물이 폭발적으로 증가하였다. 삼엽충, 완족류, 두족류, 복족류, 필석

연도 40억 년 전 25억 년 전 5.41억 년 전



누대 시생 누대 원생 누대 현생 누대

대 초시생대 고시생대 중시생대 신시생대 고원생대 중원생대 신원생대 고생대

대 생명이 처음 원시적인 생물들이 오르도
기 캄브리아기 실루리아기 데본기 석탄기 페름기
등장한 시기 나타나는 시기 비스기

•대륙 지각이 형성되기 •여러 대륙이 생겨나고 충돌 •대규모 조산 운동, 화산 활동으로 생물의 대멸종이 여러 차례 발생
지각 변동
시작 하기 시작 •페름기 말 대륙들이 하나로 뭉쳐 판게아를 형성

•심해 열수 분출구 주변에 •후기에는 다세포 생물이 출 •전기에 다양한 무척추동물( 삼엽충, 완족류, 두족류, 복족류, 필석
박테리아 등장 현( 에디아카라 지역), 단 류 등)이 출현
•광합성 박테리아인 남세균 단한 껍데기를 가진 생물 •중기에는 어류가 번성하였고, 육상 식물이 등장
이 탄생 출현 •말기 해양에는 방추충이, 육지에는 양치식물이 번성하였고 거대 곤
•남세균이 퇴적물과 함께 남 충도 등장
긴 스트로마톨라이트가 나 •페름기에 생물의 대멸종이 발생

타남


스트로마톨라이트

화 삼엽충 완족류

필석 방추충

•남세균의 광합성으로 생긴 산소가 해양에서 철 이온과 반응 •온난한 시기와 한랭한 시기가 여러 차례 나타남
하여 호상 철광층을 형성
•철이 소모되고 대기로 산소가 배출되면서 오존층 형성
평균 기온

평균 기온

25 25
환경 변화
17 17
( )

( )

# 10 # 10
40억 5.41억 5.41억 2.52억
시간(년 전) 시간(년 전)

70 II . 지구의 역사
류가 출현했고 어류와 양서류, 육상 식물이 등장했다. 하지만 페름기 말 판게아의 형
페름기 말 대멸종은 생물계가
성 시기에 겪은 대격변으로 대부분의 생물이 멸종하였다는 설이 있다. 겪은 최대 규모의 멸종으로
천체의 충돌, 초대륙의 형성,
중생대는 파충류의 시대로 따뜻한 기후에서 공룡이 번성하였고, 포유류와 조류도 화산 활동 등이 원인이
등장하였다. 해양에서는 암모나이트가 번성하였고, 고생대의 양치식물에 이어 겉씨 라고 추정된다.

식물이 번성하였다. 신생대에는 2 m가 넘는 조류와 매머드 같은 포유류가 번성하였


다. 또, 해양에서는 화폐석이, 육지에서는 속씨식물이 번성하였다.
이처럼 지질 시대 동안의 지구 환경 변화에 따라 생물계는 적응과 멸종을 이어오면
서 진화해 왔다.

2.52억 년 전 6600만 년 전

현생 누대 현생 누대
중생대 신생대

트라이아스기 쥐라기 백악기 팔레오기 네오기 제4기

•초기에 판게아가 분리되면서 여러 대륙들로 나뉘고 다양한 환경이 형성 •인도-오스트레일리아판과 유라시아판의 충돌로 히말라야산맥이 형성

•고생대 말 출현한 파충류가 번성 •육상에서는 속씨식물이 번성하고 거대 조류와 매머드와 같은 포유류가


•공룡이 출현하여 번성하였고, 익룡, 수장룡, 어룡도 번성 번성
•제4기에 인류 출현

해양에서는 두족류인 암모나이트가 번성 육상에서는 겉씨식물이 번성 해양에서는 유공충인 화폐석이 번성 육상에서는 속씨식물이 번성

•한랭한 시기 없이 전체적으로 온난한 시기 •여러 차례의 빙하기와 간빙기가 나타남


평균 기온

평균 기온

25 25

17 17
( )

( )

# 10 # 10
2.52억 6600만 6600만 1만 5천
시간(년 전) 시간(년 전)

<출처: 「PALEOMAP Project」, 2008>

2. 지질 시대와 환경 71
문제 해결력 의사소통 능력
핵심
역량
지구의 나이를 측정한 과학자들
기르기 지구의 나이를 알기 위해 많은 과학자들이 연구를 거듭해 왔다. 현재까지의 연구 결과 방사성
동위 원소를 이용한 연대 측정 방법으로 지구의 나이를 가장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다양한 크기의 쇠로 된 지구의 나이는


1700년대 지구가 초기의 뜨거운 상태에서
구를 녹인 뒤 식는 시간을 적어도 75000년
식어 현재 상태가 되었다.
측정하였다. 정도이다.
뷔퐁(Comte de
Buffon, G. L. L.,
1707~1788)

광산 내부로 갈수록 온도가


지구가 완전히 용융된 지구의 나이는
1862년 상승하는 것으로 보아 지구가
시기에서부터 지구의 나이를 2천만 년~4억 년
내부로부터 열을
계산하였다. 정도이다.
잃고 있다고 추정하였다.
켈빈(Kelvin, B.,
1824~1907)

지구의 해수가 원래 담수였다가 해수의 부피와 염분, 하천수


지구의 나이는
1890년대 육지에서 용해된 염류가 에 녹아 있는 염류의 총량을
후반
9천만 년
녹아 들어와 현재의 비교하여 지구의 나이를
정도이다.
상태가 되었다고 생각하였다. 계산하였다.
졸리(Joly, J.,
1857~1933)

1927년 연대 측정의 오차를 지구의 나이는


1900년대 방사성 동위 원소를 발견하고
줄이고 정교화한 결과를 통해 16억 년~30억 년
관련 연구를 진행하였다.
지구의 나이를 계산하였다. 정도이다.
홈스(Holmes, A.,
1890~1965)

초기 지구의 지각은 달, 운석의 방사성 동위 지구의 나이는


현대 판 구조 운동으로 원소를 이용하여 지구의 46억 년
사라졌다. 나이를 측정하였다. 정도이다.

•지구의 나이를 측정한 결과가 달라진 까닭을 토론해 보자.

성취 정도를 표시해 보자
자기 1 지질 시대를 기(紀) 수준에서 구분할 수 있는가?
평가하기
2 화석 자료를 통해 지질 시대의 생물 환경과 기후 변화를 해석할 수 있는가?

72 II . 지구의 역사
마무리

내용 정리 기초 개념 익히기

지사학의 법칙
1. 동일 ➊ 의 원리 1 그림은 어느 지역의 지질 단면이다. 두 지층의 선후 관계를
•현재 지구에서 일어나는 지질학적 사건들은 과거에도 동 파악하는 데 이용할 수 있는 지사학의 법칙을 적으시오.
일하게 일어났다. J
I
H
G
2. 지사학의 법칙 F

•수평 퇴적의 법칙: 퇴적물이 쌓일 때 수평으로 퇴적된다. A E


D K
•지층 누중의 법칙: 먼저 쌓인 지층이 아래에 위치한다.
B C
•동물군 천이의 법칙: 화석으로 지층의 생성 순서를 안다.
•➋ 의 법칙: 관입당한 암석이 먼저 생성되었다. ⑴ C와 D :
•부정합의 법칙: 부정합면의 위아래 지층 사이에 큰 시간 ⑵ E와 F :
간격이 있다. ⑶ K와 G :

암석과 지층의 나이
1. 상대 연령: 상하 두 지층 사이의 선후 관계를 해석하여 알 2 다음은 어느 지역의 지질 단면이다. 생성 순서대로 나열하
아낸 암석의 나이이다. 시오.

A
B
2. ➌ 연령: 방사성 동위 원소의 반감기를 이용하여 측 C
정한 암석의 실제 나이이다. D
G
E F

지질 시대와 환경
1. 표준 화석과 시상 화석 3 그림은 어느 지역에서 산출되는 화석들이다.
•➍ 화석: 지질 시대의 결정과 지층 대비에 이용한다.
•➎ 화석: 생물이 살던 환경을 지시한다. 방추충 완족류 삼엽충

2. 지질 시대의 환경 조사: 석회 동굴의 석순, 유공충 화석, 이에 대한 해석으로 옳은 것은 ◯표, 옳지 않은 것은 ×표


빙하 시추 코어 등을 이용하여 고기후를 파악한다. 를 하시오.
⑴ 화석이 산출되는 지층은 모두 바다에서 퇴적되었다.
3. 지질 시대의 환경과 생물 변화: 지질 시대에는 다양한 생물
⑵ 이 지역의 지층들은 모두 중생대에 퇴적되었다.
이 지구 환경의 변화에 따라 나타났다가 사라졌다.
⑶ 이 화석들은 대부분 생흔 화석이다.

중단원 마무리 73
마무리

사층리 점이 층리 연흔 건열

•기울어지거나 엇갈리게 •퇴적물의 입자 크기가 •층리면에 물결 자국 같은 •표면에 갈라진 흔적 같은


퇴적 것이 보임
구조 쌓인 층리 위로 가면서 감소 것이 보임
•일정한 흐름이 존재하는 •깊은 호수나 바다에서 •얕은 수심의 물 밑에서 •점토질층이 건조한
환경에서 형성 퇴적될 경우에 형성 파도 등의 작용으로 시기를 겪으며 형성
형성

•관입: 마그마가 지층을 뚫고 들어오면서 기반암 사이에 나타나는 경우


관입과 포획
•포획: 기반암이 깨져 그 파편이 식은 마그마 속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부정합 위 지층과 아래 지층이 퇴적되는 사이에 긴 시간 간격이 나타나는 관계



지질 구
습곡 지층이 횡압력에 의해 휘어진 구조

단층 지층이 횡압력이나 장력 등에 의해 끊어진 구조

절리 암석에 나타나는 갈라진 구조로, 단층과 달리 절리 주변으로 지층이


이동하지 않음

암석과
지층의 상대 연령 절대 연령
나이
•지사학의 법칙을 이용하여 지층의 •방사성 동위 원소의 반감기를 이용하여 암석의
선후 관계를 밝혀 나타낸 연령 절대적 나이를 나타낸 연령
•암상이나 화석을 이용하여 결정 •방사성 동위 원소의 모원소와 자원소 비율로 결정

지질 시대의
환경을 해석하는 데
•화석의 특징을 이용 •석회 동굴의 석순 분석 •빙하 시추 코어를 이용
사용되는 방법

스스로 성취 정도를 표시해 보자


평가하기 1 다양한 퇴적 구조가 형성되는 퇴적 환경에 대해 설명할 수 있는가?
2 지질 구조의 특징을 통해 각 지질 구조를 구분할 수 있고, 그 생성 과정을 설
명할 수 있는가?
3 지사학의 법칙을 설명할 수 있고, 지층의 선후 관계를 해석할 수 있는가?
4 방사성 동위 원소 자료를 이용하여 암석의 절대 연령을 계산할 수 있는가?
5 기(紀) 수준에서 지질 시대를 구분할 수 있으며, 지질 시대 환경과 기후 변화
를 화석을 이용하여 해석할 수 있는가?

74 II . 지구의 역사
II . 지구의 역사

개념 확인하기 개념 확장하기

1 그림은 퇴적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3 그림은 암염, 석회암, 응회암을 특징에 따라 구분하는 과
정이다.

암염, 석회암, 응회암

아니요
(가) (나)
화학적 퇴적암인가? A

아니요
묽은 염산과 반응하는가? B

(다) (라) C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표, 옳지 않은 것은 ×표
A, B, C에 들어갈 암석의 이름을 쓰시오.
를 하시오.
⑴ (가)는 퇴적물이 공급되는 방향을 알려준다.
( )
⑵ 가장 얕은 수심에서 형성된 구조는 (나)이다.
4 그림 (가)와 (나)는 두 지역의 지질 단면과 산출되는 화석
( ) 을 나타낸 것이다.
⑶ 건조한 환경에 노출된 퇴적 구조는 (다)이다.
( )
⑷ 표면에 물결 자국이 보이는 구조는 (라)이다. 화폐석 익룡
발자국
( )

2 그림 (가) ~ (다)는 서로 다른 지질 구조의 모습을 나타낸 필석 A 방추충


것이다.

(가) (나)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


르시오.
(가) (나) (다) 보기
ㄱ. (가)에는 지층의 역전이 나타난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표, 옳지 않은 것은 ×표
ㄴ. (나)에는 육지에서 퇴적된 지층이 있다.
를 하시오.
ㄷ. 퇴적이 중단된 기간은 (나)보다 (가)에서 길다.
⑴ (가)는 역단층이다. ( )
ㄹ. (나)에서 화성암 A는 선캄브리아 시대에 관입
⑵ (나)는 횡압력에 의해 형성되었다. ( )
하였다.
⑶ (다)는 퇴적이 중단된 시기가 있었다. ( )

단원 마무리 75
마무리

5 그림 (가) ~ (다)는 지질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7 그림 (가)는 어느 지역의 지질 단면을 나타낸 것이고, (나)
(가) 는 그림 (가)의 화성암 D에서 발견된 방사성 원소 X의 붕
괴 곡선이다. 그림 (가)의 A층에서는 삼엽충, B층에서는
공룡 발자국, C층에서는 화폐석의 화석이 발견되었다.

방사성 원소
100
C
(나) 75
B
50
X

의양
25
A
D

( )
% 0
(다) 1 2 3 4
시간(억 년)
(가) (나)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


르시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 보기
르시오. ㄱ. A층과 B층은 부정합 관계이다.
보기 ㄴ. C층은 신생대의 바다에서 퇴적되었다.
ㄱ. (가)는 횡압력에 의해 형성되었다.
ㄷ. 방사성 원소 X는 3회 이상의 반감기를 거쳤다.
ㄴ. (나)에서 상반은 단층면의 오른쪽에 위치한다.
ㄷ. (다)는 역단층이다.
8 그림은 지질 시대의 평균 기온 변화와 생물계의 번성 순서
를 나타낸 것이다.

지질 시대 선캄브리아 시대 고생대 중생대 신생대


6 그림은 인접한 세 지역 A, B, C의 지층을 나타낸 것이다.
평 높음

현재

온 낮음

양치
응회암 조류 겉씨식물 속씨식물
식물
이암 생물계
무척추 어 양
서 파충류 포유류
셰일 동물 류 류
사암
역암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
A B C 르시오.
보기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
ㄱ. 중생대는 전 시대에 걸쳐 온도가 현재보다 높
르시오.
보기 았다.
ㄱ. 가장 오래된 암석층은 B에 있다. ㄴ. 고생대에 번성했던 양치식물은 현재는 멸종하
ㄴ. 세 지역의 사암층은 모두 같은 시기에 퇴적되었다. 였다.
ㄷ. 세 지역 모두 화산 쇄설물이 굳은 퇴적암이 존재 ㄷ. 양서류가 번성한 시기에 오존층이 형성되기 시
한다. 작했다.

76 II . 지구의 역사
II . 지구의 역사

서술형 문제

9 과거 어느 지역의 하천이 그림과 같이 형성되었다. 과학적 사고력

퇴적 구조
우각호 퇴적 환경

범람원 A
범람원

제방

⑴ 이 지역에 비가 많이 내려서 하천의 제방 A 부분이 무너져 넘치게 된다면 주변에


는 어떤 일이 일어날지 생각해 보자.
⑵ ⑴에서 형성된 지형에는 어떤 형태의 퇴적 구조가 나타날지 토의해 보자.

10 그림은 어느 지역의 지질 단면과 지층에서 발견되는 화석을 나타낸 것이다. 과학적 문제 해결력

지질 시대
지사학의 법칙

A
f

B 암모나이트

삼엽충
C
f'

이 지역에서는 퇴적, 단층, 부정합, 습곡 등의 사건이 일어났다. 이 사건들이 일어난 순서와 일


어난 지질 시대, 사용된 지사학의 법칙 등을 간단히 정리해 보자.

11 지질 시대 동안 지구에는 여러 차례 대멸종이 있었다. 이러한 대멸종을 일으키는 요인들에는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


어떤 것들이 있으며, 각각의 요인이 생물권에 어떤 영향을 줄지 토의해 보자.
지질 시대의 환경 변화
지질 시대별 번성한 생물

단원 마무리 77
■이 단원의 주요 핵심 역량을 알아봅시다.
과학적 대기와 해양의 변화를 일기도와 위성 영상, 관측
사고력 자료를 바탕으로 고찰할 수 있다.

과학적 실측 자료를 활용하여 해수의 성질을 탐구할 수 있


탐구 능력 다.

과학적 최근 발생한 태풍 사례를 조사하고 태풍이 통과할


문제 해결력 때 날씨 변화를 분석할 수 있다.

과학적 일기도와 위성 영상을 활용하여 대기와 해양에서


의사소통 능력 일어나는 일을 토론할 수 있다.

과학적 참여와 우리 지역의 날씨 변화에 관심을 갖고 악기상에 의


평생 학습 능력 한 피해를 줄이는 방법을 실천할 수 있다.

■이 단원과 연계된 학습 과정을 알아봅시다.

중학교
통합과학 지구과학 Ⅰ 지구과학 Ⅱ
과학

■상대 습도, 단열 팽창 및 응결 현상 ■지구 시스템의 에너지와 물질의 ■온대 저기압 ■대기의 상태와 안정도
■구름의 생성과 강수 과정 순환 ■태풍과 악기상 ■대기압의 연직 분포 및 대기를 움직이는 힘
■기압, 바람, 기단, 전선 ■해수의 성질 ■수압의 연직 분포 및 해수를 움직이는 힘
■해수의 층상 구조 ■표층 순환과 심층 순환
■염분비 일정 법칙
대기와 해양의
변화
1. 대기의 운동과 순환
2. 해양의 변화

이 단원에서는
일상생활에서 접하는 날씨의 변화를 이해하기 위하여 다양한 기상 현
상을 다룬다. 해수의 특성을 통해 대기와 해양의 상호 작용을 이해하
며, 여러 기상 현상이 대기뿐만 아니라 지권, 수권 등 다른 권역들과
의 유기적인 상호 작용 속에서 일어나고 이러한 변화가 사람을 비롯
한 생물권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탐색한다.
우리나라는 중위도 온대 저기압뿐만 아니라 태풍과 같은 열대 저기압의 영향을 함께 받
는다. 따라서 우리나라 기상을 예측하기 위해서는 일기도 분석과 함께 넓은 범위를 감시
할 수 있는 위성 관측이 필수적이다.

위성 관측으로 알 수 있는
날씨에 관한 정보에는 어
떤 것들이 있을까?
동해

대기의 운동과 순환
01. 기압과 날씨 변화
02. 태풍의 발생과 영향
03. 우리나라의 주요 악기상

자기 점검 - 알고 있는 용어를 체크해 보자.

상대 습도    단열 팽창    응결    구름 기압


바람 기단 전선 고기압    저기압

▶ 체크하지 못한 용어는 인터넷에서 검색해 보자.

학습 계획 세우기 - 성취 기준을 달성하기 위해 어떤 준비를 할 수 있을지 써 보자.

80 III . 대기와 해양의 변화


01 기압과 날씨 변화
•저기압과 고기압이 통과할 때 날씨 변화를 일기도와 위성 영상을 해석하여 설명할 수 있다.
•온대 저기압이 통과하면서 나타나는 변화를 실제 일기도와 관련지어 설명할 수 있다.

우리는 TV나 휴대 전화, 기상청 누리집에서 내일의 날씨를 미리


스스로 알게 된다. 어느 날 그림과 같이 기상 전문 기자가 우리나라 전역에
생각해 비가 내릴 것이라고 예보하였다.
보기 동해
이날 우리나라의 기압은 주변 지역과 비교했을 때 어떻게 다를
까?

기압 분포는 날씨 변화를 일으키는 중요한 요인 중 하나이다. 고기


압의 영향을 받을 때는 대체로 맑지만, 저기압일 때는 흐리거나 비가 내린다. 특히 중
위도에 속하는 우리나라는 온대 저기압이나 이동성 고기압이 서쪽에서 동쪽으로 이
동할 때 나타나는 날씨 변화의 영향을 받는다. 이들 저기압과 고기압이 우리 지역을
통과하는 동안 날씨가 어떻게 변하는지 알아보자.

1 온대 저기압 주위의 날씨
우리나라가 속한 중위도 지역은 북쪽의 찬 공기와 남쪽의 따뜻한 공기가 만나면서
여러 가지 기상 현상이 일어난다. 찬 공기와 따뜻한 공기가 만나면 불연속적인 경계
면이 생기는데, 이를 전선면이라 하고, 전선면과 지표면이 만나
1008 1004 1000 구름 지역
는 선을 전선이라고 한다. 그림 III- 1과 같이 전선 주위에는 기 저기압의 강수 지역
저 진행 방향
1008
온, 습도, 바람 등이 크게 달라지면서 구름이 생성되거나 강수 찬
찬 공기
공기
현상이 나타난다. 1012

중위도 온대 지방에서 전선을 동반하여 발생한 저기압을 온 따뜻한 공기

대 저기압이라고 한다. 온대 저기압은 편서풍의 영향으로 서쪽


적란운
에서 동쪽으로 이동하면서 날씨를 변화시킨다. 이 중 한랭 전 권층운 권운
고층운
선은 북서쪽에서 불어온 차갑고 건조한 공기가 따뜻하고 습윤 난층운
따뜻한
찬 공기 공기 찬 공기
한 공기를 밀면서 생성된다. 이때 따뜻한 공기가 아래에서 파
한랭 전선 온난 전선
고드는 찬 공기 위로 상승하면서 연직으로 높게 발달하는 적운
형 구름과 강한 강수가 나타난다. 온난 전선은 남서쪽에서 불 기압

어온 따뜻하고 습윤한 공기가 차갑고 건조한 공기 위로 상승하 기온


풍향
면서 생성된다. 한랭 전선에 비해 온난 전선 부근에는 층운형
구름이 형성되고 강수가 넓은 지역에 걸쳐 나타난다. 그림 III - 1 온대 저기압 주위의 날씨 변화

1. 대기의 운동과 순환 81
온대 저기압의 생성, 발달, 소멸 과정
온대 저기압은 생성, 발달, 소멸 단계를 거치면서 서쪽에서 동쪽으로 이동한다. 그림은 온대 저기압이 중위도
지역을 통과하면서 발생하는 날씨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성질이 같은 공기 덩어리를 기단이라고
북쪽의 찬 기단과 남쪽의 따뜻


한다. 찬 기단은 따뜻한 기단보다 밀도
1 한 기단이 만나 정체 전선이 생
가 커서 따뜻한 기단 밑으로 파고든다.
성된다.

찬 공기

공기
따뜻한
적란운

2 정체 전선을 사이에 두고 남쪽

과 북쪽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 따뜻한 공기


로 바람이 불면서 저기압성 회
찬 공기
전이 만들어지고, 한랭 전선과
온난 전선이 생성된다.
한랭 전선
▲ 한랭 전선 | 찬 공기가 따뜻한 공기를 밀어 올릴 때 발생하는
전선이다. 적운형 구름이 형성되고, 좁은 지역에 강한 비가
3 내린다.
온난 전선과 한랭 전선이 발달

하면서 저기압이 형성되고, 전


선 부근에 강수가 나타난다.

난층운
따뜻한 공기

4 이동 속도가 빠른 한랭 전선이

찬 공기
온난 전선 쪽으로 이동하며 폐
색 전선이 형성되기 시작한다. 온난 전선
온대 저기압의 강도가 최대이며 ▲ 온난 전선 | 따뜻한 공기가 찬 공기를 타고 오를 때 발생하
넓은 지역에 강수가 나타난다. 는 전선이다. 층운형 구름이 형성되고, 넓은 지역에 약한
비가 내린다.

5 폐색 전선의 양쪽에 찬 공기가 6


자리 잡게 되면서 온대 저기압
의 강도가 점차 약해진다.

따뜻한 공기는 위로

올라가고, 저기압이
소멸된다.

82 III . 대기와 해양의 변화


2 이동성 고기압의 영향
이동성 고기압은 중위도에서 편서풍의 영향으로 동쪽으로 이동하는 고기압으로, 보
통 정체성 기단에서 분리되어 생성되거나 온대 저기압의 전, 후면에서 발달한다. 이
동성 고기압 중심에는 주로 맑고 건조한 날씨가 나타나고 낮과 밤의 일교차가 큰 편
이다.
그림 III- 2를 보면, 남해안 부근은 일본 열도 아래에 있는 정체 전선의 영향으로 흐
리거나 비가 오지만, 한반도 중북부는 이동성 고기압의 영향으로 구름 없는 맑은 날
씨를 보이고 있다.

1000
1008

996


10

1012
08

동해

동해


6
101

8
100 12
10


1012

그림 III - 2 이동성 고기압이 나타난 시기의 일기도와 위성 사진 | 2015년 5월 15일 9시 <출처: 기상청, 2015>

반면 이동성 고기압의 후면에서는 기압골의 영향으로 종종 날씨가 흐려진다. 그림


III- 3에서 한반도는 동쪽으로 물러난 이동성 고기압 가장자리에 위치하고 있다. 이날
우리나라는 고기압 가장자리에서 부는 남풍으로 남쪽의 습윤한 공기가 유입되어 구
름이 형성되고 비가 내렸다.
강수량
(mm/h)
100
1028
1020
1024


8 102
4
0 50
102 102 1016
동해
1032
20
1012 동해 고
10 1016 10
08

100 5
4

1
1024
0.1
그림 III - 3 우리나라가 이동성 고기압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경우의 일기도와 레이더 영상 | 2016년 2월 12일 9시 <출처: 기상청, 2016>

1. 대기의 운동과 순환 83
3 위성 영상 해석
우리나라의 날씨를 정확하게 예측하기 위해서는 일기도와 함께 인공위성 영상을 해
석해야 한다. 날씨 예보를 위한 인공위성 영상으로는 주로 가시 영상과 적외 영상이
사용된다.

가시 영상 적외 영상

두꺼운 구름 얇은 구름 낮은 구름 높은 구름
(흰색) (회색) (회색) (흰색)

인공위성 인공위성
인공위성 영상을 이용하면 구
름의 두께와 높이를 파악할 수
높은 구름
있고, 레이더 영상으로 강수 얇은 구름
구역의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적외선 에너지
두꺼운 구름
추적할 수 있다.
낮은 구름

그림 III - 4 가시 영상 그림 III - 5 적외 영상

가시 영상은 햇빛의 반사 강도를 나타내는데, 그림 III- 4와 같이 반사도가 큰 부분


은 밝게, 반사도가 작은 부분은 어둡게 보인다. 구름이 두꺼울수록 햇빛을 더 많이 반
사하므로 가시 영상에서는 층운형 구름보다 대류 활동이 강한 적란운이 더 밝게 보인
다. 적외 영상은 물체의 온도를 탐지하여 나타내므로 태양이 없는 밤에도 관측이 가능
하며, 온도가 낮을수록 더 밝게 표시된다. 따라서 적외 영상에서는 그림 III- 5와 같이
온도가 높은 하층운보다 온도가 낮은 상층운이 더 밝게 나타난다.

자료 해석 일기도와 위성 영상을 이용하여 기상 현상 해석하기 탐구 능력 사고력 문제 해결력

목표 과정 1 일기도와 적외 영상 해석하기
다양한 관측 자료를 이용하여 저
기압이 통과할 때 날씨 변화를
분석할 수 있다.

1008
1004
준비물 B
동해
일기도, 위성 사진, 컴퓨터 저 동해

A
고 C
1012
4
102
2 0 1016
10
<출처: 기상청, 2012>
▲ 일기도 ▲ 적외 영상

84 III . 대기와 해양의 변화


1 일기도의 온대 저기압과 고기압의 중심 위치, A, B, C의 위치를 적외 영상에 표시한다. 유의점

2 적외 영상에서 A와 B 지역 구름 높이를 비교한다. 저기압은 이동하면서 시시각각


발달하거나 쇠퇴한다. 실제 관측
된 자료를 분석할 때는 이를 유
결과 및 정리
의해야 한다.
➊ A, B, C 지역의 날씨(구름, 풍향, 풍속, 강수 유무)를 모둠별로 말해 보자.
➋ 앞으로 온대 저기압의 이동 방향을 예상해 보고, 그와 같이 이동하는 까닭을 설명해 보자. 결측 자료 처리
관측 자료 중 누락된 부분은 앞
과정 2 저기압 통과 후의 날씨 변화 뒤 시각 값의 평균을 사용한다.

그림은 2012년 4월 2일과 3일에 저기압이 한반도를 통과할 때 대전에서 관측된 기압을 나
타낸 것이고, 표는 그때의 기온을 나타낸 것이다. 그래프에 기온 변화를 그리고, 한랭 전선과
온난 전선이 통과한 시각을 각각 추정한다.
기온

기압
20 1040
18 1030
기압
( )

(
# 16 hPa 영상 찾는 방법은‘기상청
1020
14 누리집(www.kma.go.kr)

)
12 1010
→ 관측 자료 → 과거 자료
10 1000 → 일별 자료’순이다.
8 990
6
980
4
2 970
4월 2일 4월 3일
0 960
0 3 6 9 12 15 18 21 0 3 6 9 12 15 18 21
시각(시)

시간 (시) 0 3 6 9 12 15 18 21
4월 2일
기온 (¾) 3.8 2.5 1.4 6.2 15.2 17.8 15.4 14.4
시간 (시) 0 3 6 9 12 15 18 21
4월 3일
기온 (¾) 13.1 12.9 12.3 6.5 3.4 6.1 5.1 3.4 <출처: 기상청, 2012>

결과 및 정리
기상청 누리집에서 이날 바람과 강수 자료를 분석하여 온대 저기압이 통과할 때의 날씨 변화를 종합
적으로 설명해 보자.

온대 저기압에 동반된 온난 전선이 통과하면 기온이 오르면서 바람이 남동풍에서 남


서풍으로 바뀐다. 한랭 전선이 지날 때는 기온이 크게 떨어지며 바람은 북서풍으로 변
한다. 더불어 이들 전선으로 유도된 상승 운동으로 강수가 발생한다.

성취 정도를 표시해 보자
자기 1 저기압과 고기압이 통과할 때 날씨 변화를 설명할 수 있는가?
평가하기
2 온대 저기압이 우리나라를 통과할 때 날씨 변화를 설명할 수 있는가?

1. 대기의 운동과 순환 85
02 태풍의 발생과 영향
•태풍의 발생, 이동, 소멸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태풍이 통과할 때의 날씨 변화를 일기도와 위성 영상을 이용하여 분석할 수 있다.
•태풍의 발생 시기, 진로, 대기 - 해수 - 육지의 상호 작용을 설명할 수 있다.

스스로 2010년 여름에는 태풍 곤파스가 우리나라 수도권을 강타하여 지하철이 멈춰 서고 가


생각해 로수가 쓰러지는 등 큰 피해를 주었다. 이 태풍이 한반도 서해안을 따라 빠르게 북상
보기 할 때 태풍의 영향을 받은 지역에는 30 m/s 이상의 기록적인 강풍이 불었다.

태풍의 영향을 받을 때 바람의 세기가 강한 까닭은 무엇일까?

태풍은 강풍과 폭우를 동반하므로 인명과 재산 피해뿐만 아니라 항공기 결항, 선박


출항 금지 등 사회적 피해를 가져오기도 한다. 반면 태풍에 의한 강수와 바람 덕분에
가뭄이 해갈되거나 연안 녹조가 해소되는 등의 긍정적 효과가 나타나기도 한다. 이러
한 태풍이 생성되는 과정과 태풍의 구조, 이동 방향을 알아보자.

1 태풍의 발생과 이동
생성 지역에 따른 열대 저 태풍은 수온이 27 ¾ 이상인 열대 해상에서 발생하여 중심 부근의 최대 풍속이
기압의 이름
17 m/s 이상으로 성장한 열대 저기압을 말한다. 따뜻한 해수에서 열과 수증기를 공
태풍(typhoon)은 북서 태평양
에서 생성되는 열대 저기압을 이 급받는 북서 태평양의 열대 대기에는 상승 기류와 함께 적란운이 빈번하게 발생한다.
르는 말이다. 이를 북서 대서양
이때 하층 공기가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수렴하면 적란운이 태풍으로 발달
과 북태평양 동부에서는 허리케
인(hurricane), 인도양 및 오스 한다. 이렇게 바람이 소용돌이치며 불기 위해서는 지구 자전 효과가 필수적이다. 따
트레일리아 해역에서는 사이클 라서 지구 자전 효과가 없는 적도 부근에는 태풍이 생성되기 어렵고, 대체로 그림
론(cyclone)이라고 부른다.
III- 6과 같은 위도 5°~25° 사이의 해상에서 발생한다. 북서 태평양에는 그림 III- 7
과 같이 연평균 26개의 태풍이 발생하며, 이 중 3개 정도가 우리나라에 영향을 준다.
<출처: 국가태풍센터, 2016>
횟수 회( )

7
60$E 120$E 180$E 120$W 60$W 0$ 평균 발생 태풍 수
6 우리나라에 영향을
60$N 5 준 태풍 수
유럽
아시아 북아메리카 4
동해
30$N 3
아프리카 2
0$ 1
남아메리카
오스트레일리아 0 1 2 3 4 5 6 7 8 9 10 11 12
30$S
태평양 시간(월)
인도양 대서양
60$S 그림 III - 7 북서 태평양에서 발생한 월 평균 태
남극 풍 수와 이 중 우리나라에 영향을 준 태풍 수
그림 III - 6 열대 저기압 발생 지역과 평균적인 이동 경로 (1981년~2010년 평균)

86 III . 대기와 해양의 변화


태풍의 중심에는 하강 기류가 있어서 바람이 약하고 대체로 맑
은 구역인 태풍의 눈이 존재한다. 그림 III- 8과 같이 태풍의 눈 주
위에는 강한 상승 기류로 적란운이 두껍게 발달하고, 많은 비가 내
리며 최대 풍속이 나타난다. 태풍 중심을 향하여 나선형으로 수렴 눈 눈벽

하여 들어오는 구름 띠에는 강한 비가 내리지만, 그 사이에는 대체


로 약한 강수가 내린다. 약한 강수
지역
그림 III- 9와 같이 태풍은 발생 초기에는 열대 요란 형태를 띠다
나선형
가 계속 발달하면 열대 저압부로 성장하고, 이후 풍속이 강해지면 강수 지역

서 태풍으로 성장한다. 발달한 태풍의 등압선은 거의 원형으로 조


밀하게 나타나며, 온대 저기압과는 달리 전선은 동반하지 않는다.
태풍의 피해에 대비하기 위해서 태풍의 진로를 예측하는 것이 중 상승 기류 하강 기류

요하다. 북서 태평양에서 태풍은 발생 초기에 지구 자전, 무역풍, 북


눈벽 태풍의
태평양 고기압 등의 영향을 받아 북서쪽으로 이동한다. 이후 중위 눈 눈벽에서 풍속 최대
(m/s) (hPa)
도에 도달한 태풍은 편서풍을 만나 북동쪽으로 방향을 바꾼다. 50 1000
기압
40 990
태풍의 수명은 대개 일주일 정도이지만 태풍이 온난한 해수면
30 980
풍속
위에 머무를 경우에는 에너지원인 열과 수증기를 계속 공급받기 20 970
태풍의
때문에 더 오랫동안 지속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한랭한 해상 위 눈에서 10 960
기압 최소 0 950
300 km 0 300 km 600 km
나 육지를 지날 때는 태풍이 급속히 약화된다. 태풍이 약화되면 열
(서) (동)
대 저압부로 사라지거나 중위도 편서풍대에서 온대 저기압으로 변 그림 III -  8 태풍의 기압과 풍속 분포

질되면서 소멸된다.

태풍 온대 저기압으로 변질되
•중심에서 회전하는 풍속이 면서 사라진다.
증가한다.
•풍속이 17 m/s 이상이다.

편서풍

동해
적란운
•무역풍대에서 흔히 나타난다.
•구름과 강수가 나타난다.
무역풍

열대 저압부
•풍속이 17 m/s 미만이다.
•등 압선이 폐곡선 형태로
나타난다.
숨은열을 계속 방출한다.

그림 III -  9 태풍의 발생과 이동 과정

1. 대기의 운동과 순환 87
북반구에서 태풍이 이동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오른쪽 영역을 위험 반원이라고 한
위성을 통한 태풍 감시 다. 이곳은 저기압성 바람에 태풍의 진행 속도가 더해져 바람이 강하고 더 큰 피해가
•위성으로 태풍의 발생과 이동
을 파악하여 태풍 피해에 대비
발생할 수 있다. 반면 태풍의 왼쪽 영역은 안전 반원(가항 반원)이라고 하는데, 저기
할 수 있다. 압성 바람과 태풍 이동 방향이 반대이므로 서로 상쇄되어 비교적 약한 바람이 분다.
•태풍의 세기는 위성 사진에서
그림 III- 10은 태풍이 이동할 때 위험 반원과 안전 반원을 나타낸다.
태풍의 눈을 감싸고 있는 구름
이 원형에 가까울수록, 또 면
적이 클수록 강하다.

태풍의
70oN
진행 방향
그림에서 색은 태풍이 발생하는
계절의 평균 해면 기압이고, 화 60oN

살표는 바람을 나타낸 것이다. 50oN

40oN 동해

태풍의 진행 방향
30oN

20oN

10oN

0o
100oE 120oE 140oE 160oE 180o
5
1008 1010 1012 1014 1016 1018
기압(hPa)

그림 III - 10 위험 반원과 안전 반원
<출처: 미국환경예보센터(NCEP) 자료 재구성, 2016>

해양이 태풍 세기에 영향을 2 태풍, 해양, 육지의 상호 작용


준 사례
카트리나는 2005 년 미국을 강
태풍이 북상하는 도중 따뜻한 해수로부터 열과 수증기를 더 많이 공급받으면 세력
타한 허리케인으로, 따뜻한 해수 이 더욱 강해진다. 반면 태풍에서 불어 나온 강한 바람은 해양의 표층을 혼합시키고
면을 지나면서 수증기와 열을 공
급받아 급격히 강해졌다.
찬 해수의 상승을 유도하여 해수면을 냉각시킨다. 이때 태풍에 공급되던 에너지가 차
30$N 단될 정도로 해수가 냉각되면 태풍은 성장을 멈추게 된다. 또한, 태풍의
영향으로 냉각된 해수는 이후에 통과하는 후속 태풍의 발달을 방해하는 요
풍속
강 인이 되기도 한다.
태풍이 육지에 상륙하면 열과 수증기를 더 이상 공급받지 못하여 세력이
20$N
점차 약해진다. 또, 지면과의 마찰 때문에 약해진 바람이 태풍 중심 방향

100$W 90$W 80$W 으로 불어 들어가 중심 기압이 상승하므로 태풍은 점차 소멸하게 된다.


26 28 30 32 이와 같이 태풍은 이동하는 동안 해수와 상호 작용할 뿐 아니라 육지와
해수면 온도(#)
▲ 해수면 온도와 카트리나 경로와 세기 의 상호 작용을 거쳐 그 세력이 변하게 된다.
<출처: 미국해양대기청(NOAA), 2005>

88 III . 대기와 해양의 변화


자료 해석 태풍이 우리나라를 통과할 때 날씨 변화 분석하기 탐구 능력 사고력 문제 해결력

2010년 제7호 태풍 곤파스는 8월 29일 북태평양에서 발생하여 시속 40 km~50 km의 빠른 속도로 북


상하였고, 9월 1일에 제주도를 시작으로 우리나라에 영향을 미쳤다. 이 태풍은 9월 2일에 중부 지역에 상
륙하였고, 이후 동해로 빠져나갔다. 곤파스는 우리나라 전역에 강풍 피해를 입혔고, 제주도와 지리산 일대
에 200 mm 이상의 비를 내렸다.
태풍이 우리나라를 통과할 때 기상 요소를 분석하여 날씨 변화를 알아보자.

과정 목표
태풍이 우리나라를 통과할 때 날
그림은 2010년 9월 2일 09시에 곤파스가 한반도를 통과할 때의 일기도, 지상 바람, 구름 상
씨 변화를 일기도와 위성 영상
부의 온도를 측정한 적외 영상을 나타낸 것이다.
해석을 통해 설명할 수 있다.

(온도)
높다
50
C 동해
30

10
동해 A
1012 B 동해
5
D
3

1
1016 E
1024 1020 (단위: m/s)
0 낮다
▲ 일기도 ▲ 지상 바람 ▲ 적외 영상
<출처: 기상청, 2010>
1 기상청 자료를 검색하여 곤파스의 이동 경로를 일기도에 표시한다.
2 A, B, C 지역에서 풍향이 서로 다르게 나타난 까닭을 일기도를 분석하여 이해한다.
3 D와 E 지역 중 비가 더 많이 내리는 지역을 찾아본다.

결과 및 정리
➊ 태풍 곤파스가 우리나라를 통과할 때의 날씨 변화를 종합적으로 설명해 보자. 찾아보기
➋ 모둠별로 최근 5년 동안 우리나라에 근접해 온 태풍의 피해, 영향 및 위력을 조사한 후, 곤파스의 기상청 위성 영상
경우와 비교하여 발표해 보자.

성취 정도를 표시해 보자
자기 1 태풍의 발생과 이동 과정을 설명할 수 있는가?
평가하기
2 태풍이 이동하는 동안 대기, 해수, 육지에서 발생하는 상호 작용을 설명할 수
있는가?

1. 대기의 운동과 순환 89
03 우리나라의 주요 악기상
•우리나라의 주요 악기상(국지성 호우, 폭설, 강풍, 우박, 황사)의 생성 메커니즘을 설명할 수 있다.
•악기상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을 토의할 수 있다.

스스로 2016년 1월 24일 최강 한파와 함께 제주도에서 발생한 폭설로 제주 공항의 모든 항


생각해 공편이 결항되었다. 이날 제주의 기온은 -5.8 ¾로 1월 기온으로는 1923년 이후
보기 93년 만에 최저 온도를 기록하였다.

제주도에 폭설이 내린 까닭은 무엇일까?

제주도에서 발생한 폭설과 같이 일상생활에 큰 어려움과 위험을 일으키는 기상 현


상을 악기상이라고 한다. 이러한 악기상에는 뇌우, 국지성 호우, 폭설, 강풍, 우박, 황
사 등이 있다. 이들은 규모가 작고 짧은 시간 동안 발생하기 때문에 정확한 예보가 어
렵다. 악기상은 어떤 과정으로 발생하는지 알아보자.

1 뇌우
뇌우는 천둥과 번개를 동반한 폭풍우를 말하며 종종 돌풍, 호우, 우박, 폭설 등이
함께 나타난다. 보통 대기가 불안정할 때 온난 습윤한 공기가 상승하여 발생한다. 뇌
우는 바람의 연직 분포에 따라 강도 및 지속 시간이 달라지는데, 대체로 2가지 종류
로 구분된다. 첫째로 그림 III- 11과 같이 고도에 따른 바람의 변화가 작을 때 지표가
불균등하게 가열되어 발생하는 뇌우가 있다.
높이

수평
km 10
(
) 바람

한랭 공기
5 0 oC 0 oC 0 oC

▲ 적운 단계 ▲ 성숙 단계 ▲ 소멸 단계

•수증기가 공급되 •대류권 계면까지 적 •하강 기류가 뇌우 전반에


어 적란운이 발달 운이 발달한다. 걸쳐 나타난다.
하기 시작한다. •빗방울이 낙하하여 구 •구름 입자는 더 이상 성
•비, 번개, 천둥이 름 내 하강 기류와 함 장하지 못하고 증발된다.
발생하지 않는다. 께 강수가 나타난다. •강수가 중단된다.

그림 III - 11 뇌우의 발생 과정

90 III . 대기와 해양의 변화


이 뇌우는 수평으로 약 10 km 크기의 작은 규모이며, 세력이 그다지 강하지 않아
서, 강풍이나 우박을 동반하는 경우가 드물다. 발생 단계에서 소멸 단계까지 보통
1시간 이내의 짧은 일생을 갖는데, 여름철에 갑자기 발생하는 소나기가 이 뇌우에 의
해 나타난다.
두 번째 형태의 뇌우는 그림 III- 12와 같이 고도가 높아질수록 바람이 강해질 때
발생한다. 이런 환경에서는 상승 기류가 기울어진 채 강수 구역과 분리되어 발달하므
로 뇌우의 에너지인 수증기가 강수에 의해 차단되지 않고 상승 기류에 의해 지속적으
로 공급된다.

바람

하강 기류
강수 지역
온난 습윤한 공기 악기상의 위험도
그림 III - 12 고도에 따라 바람이 크게 변할 때 발생하는 뇌우 우리나라는 산업과 도시가 발달
하면서 악기상에 의한 재해 규모
이 뇌우는 수 시간 동안 지속되면서 강하게 성장할 수 있기 때문에 국지성 호우(집 가 커지고, 레저 시설과 산간 도
로망의 확대에 따라 재해의 발생
중 호우), 강풍, 우박, 돌발적인 홍수, 토네이도 등을 동반하기도 한다. 흔히 한랭 전
빈도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지
선이나 장마 전선 부근에서 공기가 강제 상승될 때 만들어진다. 구 온난화에 따른 기후 변화도
악기상의 위험을 더 높이고 있다.

2 국지성 호우(집중 호우)


국지성 호우(집중 호우)는 짧은 시간 동안 좁은 지역에서 많은 양의 비가 내리는 현
<출처: 국가기상위성센터, 2014>
상이다. 일반적으로 한 시간에 30 mm 이상의 비가 내릴 때를 국지
연직으로 강하게 동해

성 호우라고 한다. 발달한 뇌우

그림 III- 13은 강한 뇌우에 동반되어 집중 호우가 발생했을 때의


가시 영상을 나타낸 것이다. 이 영상을 보면 뇌우들이 대류권 계면
까지 발달하여 울퉁불퉁하게 분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뇌우는
북태평양 고기압 가장자리를 따라 공급되는 고온 다습한 공기와 북
쪽의 차고 건조한 공기가 만나면서 발생하였다. 특히 상층에서 공기
가 빠르게 발산되어 빠져나가면서 상승 기류를 유도하여 뇌우 발달
을 더욱 가속시켰다. 그림 III - 13 집중 호우가 발생했을 때 가시 영상

1. 대기의 운동과 순환 91
3 폭설
폭설은 짧은 시간에 많은 눈이 오는 현상으로 그림 III- 14와 같이 온대 저기압에
의한 눈구름, 산악에서 생성된 눈구름, 차가운 대륙 고기압이 확장하여 따뜻한 바다
를 건너면서 변질되어 발생하는 눈구름 등에 의해 발생한다. 폭설은 비닐하우스 등의
구조물을 파괴하거나 교통을 마비시키고, 유통, 관광 산업 등 사회 전반에 악영향을
미친다.

폭설 발생
구역 찬 기단의 확장

저기압성 기류

저 동해
동해

폭설 발생 구역 폭설 발생
구역

▲ 온대 저기압 영향 ▲ 산악의 영향 ▲ 대륙 고기압 확장


그림 III - 14 폭설이 발생하는 과정
대설 주의보와 대설 경보
•대설 주의보: 24 시간 신적설 우리나라는 그림 III- 15와 같이 찬 시베리아 기단이 따뜻한 황해를 건너면서 열과
이 5 cm 이상 예상될 때 발표
하는 기상 특보이다. 수증기를 공급받아 대류 활동이 활발해져 폭설이 내리는 경우가 많다. 이때 인공위성
•대설 경보: 24 시간 신적설이 사진에는 빗자루로 쓸어 내린 듯한 적운열을 볼 수 있다.
20 cm 이상일 때, 산간에서는
30 cm 이상일 때 발표하는 기
상 특보이다.

동해
차고 건조한 공기

따뜻한 바다

그림 III - 15 겨울철 우리나라 서해안에 폭설이 내리는 과정 <출처: 국가 기상 위성 센터, 2014>

4 강풍과 우박
강풍은 14 m/s 이상의 풍속으로 부는 바람을 말한다. 우리나라에서 강풍은 강한
온대 저기압의 영향을 받을 때, 겨울철 시베리아 고기압이 확장해 올 때, 태풍이 통과
할 때 주로 나타난다. 강풍은 가로등과 표지판 등 도로 시설을 파괴하며 농작물과 비
0 oC
닐하우스 등을 무너뜨리고 선박 침수 및 침몰 등의 피해를 일으킨다.
상승 기류
하강하는 물방울
그림 III- 16은 우박의 생성 과정을 나타낸다. 우박은 눈 결정 주위에 차가운 물방
그림 III - 16 우박의 생성 과정 | 울이 얼어붙어 지상으로 떨어지는 지름 5 mm 이상의 얼음 덩어리를 말한다. 우박은
우박은 적란운 속에서 얼음 알갱
자동차를 찌그러뜨리며 건물 유리창을 파손하고 농작물을 망치는 등 큰 피해를 가져
이가 상승과 하강을 반복하면서
성장한다. 온다.

92 III . 대기와 해양의 변화


5 황사
황사는 그림 III- 17과 같이 중국과 몽골의 사막 지대 등에서 발생
하여 하늘 높이 올라간 모래 먼지가 상층의 편서풍을 타고 우리나라
타커라마간 사막 고비 사막 츠펑
에 날아오는 것을 말한다. 보통 한랭 전선 부근에는 모래 먼지가 발생
할 정도로 강한 바람이 분다. 따라서 그림 III- 18과 같이 발원지를 통 동해
네이멍구 고원
과한 온대 저기압이 한반도를 지날 때에 한랭 전선을 따라온 황사가 황투 고원

우리나라로 유입될 가능성이 높다.


모래 먼지는 건조한 토양에서 잘 발생하므로, 발원지에 눈이 많이 그림 III - 17 황사 발생 위치 | 황사는 주로 중국과 몽골

쌓였거나 비가 자주 왔다면 황사가 발생하기 어렵다. 우리나라에 영향 지역에서 발생하여 이동해 온다.

을 주는 황사는 3월경~5월경에 많이 발생하며, 때로는 강한 편서풍을


타고 우리나라를 지나 일본, 태평양, 북아메리카까지 수송되기도 한다.
황사는 자연적으로 발생한 흙먼지이지만 최근에는 중국의 대기 오
동해
염이 심해지면서 황사에 일부 유해 중금속이 포함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기상청은 현재 황사를 실시간 감시 및 예측하고 있으
며, 황사 발생이 예상되면 황사 특보를 발령하고 있다.
황사 주의보(경보)
황사가 발생한 후 1시간 평균 미세 먼지 (PM10) 농도가 400 μg/m3 (800 μg/m3) 이상이
그림 III - 18 황사 접근 영상 | 한랭 전선을 따라 황사
2시간 지속될 때 발표하는 특보이다.
(색으로 표시)가 접근 <출처: 기상청, 2016>

악기상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 토의하기

그림은 빅 데이터 분석으로 얻은 자연재해별 언급량 추이이다.


<출처: 「전자신문」, 2016. 3. 1.>
발생 건수 개(

900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800
700 태풍
600
500 폭염
)

400 호우
300 폭설
산사태
200
100
0
9 10 11 12 1 2 3 4 5 6 7 8 9 10 11 12 1 2 3 4 5 6 7 8 9 10 11 12 1 2 3 4 5 6 7 8 9
시간(월)

•계절에 따른 자연재해 발생 수를 알아보고, 악기상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을 토의해 보자.

이와 같은 악기상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침수 및 산사태 위험 지역 주민은


대피 장소와 비상 연락 방법을 미리 알아 두어야 한다. 또한, 폭설이 내릴 때는 대중
교통을 이용하며 가족에게 행선지와 귀가 시간을 미리 알리도록 한다.

1. 대기의 운동과 순환 93
자료 해석 우리나라에 영향을 준 황사 발생 변화 추이 분석하기 탐구 능력 사고력 문제 해결력

목표 과정 1 황사의 연간 발생 수 알아보기
황사 발생 수를 조사하여 황사 그림은 1960년~2015년 동안 우리나라에 영향을 준 황사의 연간 발생 수를 나타낸 것이다.
발생 변화 추이를 분석하고 그
우리나라에 영향을 주는 황사 발생 수의 경향성을 분석한다.
원인을 설명할 수 있다.

연간 황사 발생 수 회(
30
준비물 25
20
황사 발생 자료, 계산기
15
10
서울을 기준으로
5
0 분석한 자료이다.
)

1960 1970 1980 1990 2000 2010 2020


시간(년)

<출처: 기상청, 2016>

결과 및 정리
➊ 우리나라에 영향을 준 황사 현상의 변화 추이를 찾아보자.
➋ 황사 발생 수가 매년 변하는 까닭을 생각해 보자.

과정 2 30년 동안 계절별 황사 발생 수 알아보기


1961년~2015년까지 우리나라에 영향을 준 황사의 발생 수(단위: 회)를 이용하여 30년 동
안 이동 평균을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모둠원들이 역할을 나누어 계절별 황사 변화 추이를
그래프로 나타내고, 황사 발생 수가 가장 크게 변한 계절을 찾는다.
<출처: 기상청, 2016>

30년 이동 평균 구간 봄 가을 겨울 연간
1961년~1990년 2.8 0.1 0.2 3.0
▲ 황사 마스크
1966년~1995년 4.0 0.0 0.2 4.3
이동 평균 1971년~2000년 4.4 0.0 0.4 4.8
시간 구간을 겹치면서 이동하여
1976년~2005년 6.0 0.2 0.6 6.7
평균을 구하는 방법으로 어떤 현
1981년~2010년 6.6 0.3 1.0 7.9
상의 변화 추이를 분석할 때 흔
히 사용된다. 1986년~2015년 6.7 0.4 1.2 8.3

결과 및 정리
➊ 과정 2와 같이 황사 변화 추이가 계절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 까닭을 설명해 보자.
➋ 황사 발생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을 토의해 보자.

성취 정도를 표시해 보자
자기 1 우리나라에 영향을 주는 주요 악기상(뇌우, 폭설 등)의 생성 메커니즘을 설명할
평가하기
수 있는가?
2 악기상의 피해를 최소화하는 방법을 제시할 수 있는가?

94 III . 대기와 해양의 변화


마무리

내용 정리 기초 개념 익히기

온대 저기압과 날씨 변화
1. 온대 저기압 1 그림은 우리나라 주변에 형성된 온대 저기압을 나타낸 것
•➊ 전선: 층운형 구름과 약한 비가 나타난다. 이다.
•➋ 전선: 적운형 구름과 강한 비가 나타난다.

동해
2. 이동성 고기압 A
•고기압 중심: 구름 없는 맑은 날씨를 보인다. B
E D C
•고기압 가장자리: 습윤한 공기의 유입으로 비가 내린다.

3. 위성 영상 해석 ⑴ A와 C 중 기온은 어느 곳이 높은가?

구분 밝은 부분 어두운 부분 ⑵ B와 D에서 나타나는 강수 특징을 쓰시오.


가시 영상 반사도가 크다 반사도가 작다 ⑶ E에서 바람 방향을 쓰시오.
적외 영상 온도가 낮다 온도가 높다
2 적외 영상에서 밝게 보이는 구름일수록 고도가 다.

태풍의 발생과 영향
1. ➌ : 최대 풍속이 17 m/s 이상인 열대 저기압 3 태풍 진행 방향의 오른쪽에 위치한 지역이 더 큰 피해를
•눈: 중심의 맑은 구역으로 하강 기류가 나타난다. 받는 까닭을 쓰시오.
•눈 주위의 적란운: 강풍과 많은 비가 내린다.
2. 해양 및 육지와 상호 작용
•태풍이 해수를 상하로 섞이게 하여 수온이 낮아진다. 4 태풍의 진로에 영향을 미치며, 우리나라의 여름철 날씨에
•태풍이 육지에 상륙하면 수증기 공급이 차단되어 세력이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고기압의 이름은?
약해진다.

우리나라의 주요 악기상
1. 악기상에는 뇌우, 국지성 호우(집중 호우), 폭설, 강풍, 5 그림은 어떤 뇌우의 발생 단계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우박, 황사 등이 있다.

2. ➍ : 천둥과 번개를 동반한 폭풍우


0# 0#
•연직 바람의 변화가 작을 때: 적운 단계 → 성숙 단계 →
소멸 단계를 거친다.
•고도가 높아질수록 바람이 강할 때: 바람의 변화가 작을 때
보다 세력이 강하여 집중 호우, 돌발 홍수 등을 일으킨다. 이 뇌우의 수명이 짧은 까닭을 쓰시오.

중단원 마무리 95
지구와 달리 수성은 대기와 물이 거의 없어 연평균 기온 차가 600 ¾ 정도로 크게 나타
난다. 지구에서 연평균 기온 차가 크지 않은 까닭은 대기와 해양에 의해 열의 저장과 분
배가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해양에 의한 열의 분배는
어떤 과정으로 일어날까?

해양의 변화
01. 해수의 성질
02. 실측 자료를 활용한 우리나라 주변 해양의 이해

자기 점검 - 알고 있는 용어를 체크해 보자.

수온 밀도 염분 태양 복사 에너지량  
증발량   강수량   혼합층   수온 약층 심해층

▶ 체크하지 못한 용어는 인터넷에서 검색해 보자.

학습 계획 세우기 - 성취 기준을 달성하기 위해 어떤 준비를 할 수 있을지 써 보자.

96 III . 대기와 해양의 변화


01 해수의 성질
•해수의 물리적, 화학적 성질을 이용하여 해양의 변화를 설명할 수 있다.
•해수의 수온, 염분, 밀도, 용존 산소량의 분포를 설명할 수 있다.

그림은 전 대양의 연간 증발량과 강수량의 차이(증발량-강수량)를 나


스스로
타낸 것이다. 붉은색으로 표시된 지역은 증발량이 강수량보다 많고, 푸
생각해 른색으로 표시된 지역은 강수량이 증발량보다 많다.
동해

보기
증발량보다 강수량이 많은 지역의 염분은 다른 지역과 어떻게 다를
까?

-200 -100 0 100 200 cm/yr


해양에서 나타나는 여러 현상들은 수온, 밀도, 염분, 용존 산소량과 같은
<출처: 미국항공우주국(NASA), 2016>
해수의 물리적, 화학적 특성을 통해 파악할 수 있다. 태풍의 발생 위치, 전 지구적
인 기온 변화와 같은 대기 현상도 해수의 특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렇게 다양
한 해수의 특성을 알아보자.

1 수온
지구 표면의 약 70 %를 덮고 있는 해양은 태양 에너지를 흡수하여 저장하는 역할
을 한다. 해수면 온도는 주로 태양 복사 에너지의 가열에 의해 결정되지만, 해류와 지
역적 날씨에 의해서 달라지기도 한다. 전 세계의 해수면 온도 분포를 알아보자.

해수면 온도 분포

그림은 1955년~2012년까지의 해수면의 평균 온도 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출처: 미국해양대기청(NOAA), 2016>

90$N 온도
(#) 해수면(표면)과 표층
60$N
8
동해 12 16
28 •해수면(표면, 피층): 해수 표면
30$N 24
24
28
24 20
1 mm 이내의 층. 인공위성의
0$ 28
16 감지기는 이 층에서 나오는 복
24
30$S 20
16 16 12 사 에너지를 측정한다.
12 12
8 8 8
60$S 0
4 4 •표층: 해양의 표면에서 수 m
0 4
0 이내 층. 배나 연안의 관측 기
60$E 120$E 180$ 120$W 60$W 0$ 기가 측정하는 표층 자료를 제
공하는 깊이이다.
•동일한 경도일 때, 위도에 따라 수온 분포는 어떻게 달라지는지 설명해 보자.
•동일한 위도일 때, 대양의 동쪽과 서쪽의 수온 분포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 비교해 보자.

2. 해양의 변화 97
지구는 둥글기 때문에 고위도로 갈수록 태양의 고도가 낮아지므로 해수면에 입사하
는 단위 면적당 태양 복사 에너지량이 감소한다. 따라서 해수면 온도는 고위도로 갈
수록 낮아진다. 하지만 같은 위도라도 난류가 흐르는 곳은 한류가 흐르는 곳보다 수
온이 높다. 또한, 한류와 난류가 교차하는 지역은 수온이 급격히 변하여 등온선이 조
밀하게 나타난다.
해양에서 표층에 입사하는 태양 복사 에너지는 수심이 10 m 이내에서 85 % 정도
혼합층은 계절에 따른 수온
변화가 큰 층이다. 가 흡수되고, 수심 100 m 이내에서 99 % 정도가 흡수된다. 따라서 해양의 표층에서

온도(#) 온도(#)
수온이 높고 심층으로 갈수록 수온이 낮아진다. 깊이
5 10 15 20 5 10 15 20 25
깊이

깊이

0 0 에 따른 수온 변화에 따라 해양은 그림 III- 19와 같


혼합층
m 수온 약층 m 이 혼합층, 수온 약층, 심해층으로 나뉜다.
( )

( )

저위도
1000 1000 중위도
고위도 혼합층은 태양 복사 에너지의 대부분을 흡수하고,
2000 2000
바람에 의한 혼합이 잘 일어나기 때문에 깊이에 따른
심해층
3000 3000 온도 변화가 작다. 수온 약층은 수온의 변화가 가장
급격하게 나타나는 안정한 층으로, 혼합층과 심해층
4000 4000
사이의 물질과 에너지 전달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그림 III - 19 해양의 연직 수온 분포 심해층은 수온이 낮고 온도 변화가 거의 없는 층이다.
2 염분
염분 단위 표층 염분은 강수량과 증발량, 결빙과 해빙, 담수의 유입 등에 의해 달라진다. 그림
•‰(퍼밀): 해수 1 kg 내에 있
III- 20, III- 21과 같이 강수량이 증발량보다 많은 적도 지역은 증발량이 강수량보다
는 염류량을 g 측정치로 표시
•psu(실용 염분 단위): 전기 전 많은 중위도 지역보다 염분이 낮다. 고위도 지역에서 빙하가 녹는 곳에서는 표층 염
도도로 측정한 염분 단위로, 1 분이 낮아지고, 반대로 결빙이 일어나는 곳에서는 염분이 높아진다. 육지에 접한 연
psu는 1 *이다.
안에서는 육지로부터 흘러드는 담수 때문에 염분이 낮은 편이다. 특히, 대규모 강이
유입되는 지역과 해빙 시기, 계절적으로 비가 많이 오는 시기에는 염분이 낮게 나타
난다.
염분은 해양 생태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강수량과 담수의 유입이 많
<출처: 미국해양대기청(NOAA), 아 염분이 낮아지면 해양 생물의 생존을 위협하기도 한다.
2016>
염분

90oN 32 표층 염분 100 36
증발량-강수량(mm/yr)

33 30
34 25 30
(psu) 염분
60 N o
psu
( )

동해 35
36 50
30oN 35 37
35 36 35 35
0o 34 35 0
35
36
35
34
30oS 36
36 33
35
34 -50 34
60oS 34 34
34 32
증발량-강수량
-100
31 80$ 60$ 40$ 20$ 0$ 20$ 40$ 60$ 80$
60 E o
120 E o
180 o
120 Wo
60 W
o
0 o
N S
그림 III - 20 1955년~2012년 동안 전 세계 해양의 평균 표층 염분 분포 그림 III - 21 위도에 따른 (증발량-강수량)의 분포와 염분

98 III . 대기와 해양의 변화


3 밀도
해수의 밀도는 수온, 염분, 수압에 따라 달라지는데, 수온이 낮을수 동해

록, 염분이 높을수록 밀도가 높다. 전 세계 해양의 표층 밀도 분포를 보


면, 그림 III- 22와 같이 저위도에서 밀도가 낮고, 북대서양의 북쪽과
남극 대륙 부근 해역에서 밀도가 높다.
해수의 밀도는 수온-염분도를 작성하여 비교할 수 있다. 수온-염분
1.002 1.007 1.016 1.028
도에서는 저온, 고염으로 갈수록 밀도가 높은 값을 나타낸다. ( g/cm‹)

그림 III - 22 전 세계 해양의 표층 밀도 분포
<출처: 미국항공우주국(NASA), 2016>

수온 - 염분도 이해하기

수온
그림은 해수 A, B, C를 수온-염분도에 나타낸 것이다. 20
1.0245
1.0265
•A, B, C 물의 수온, 염분, 밀도 값은 얼마인가? # 15 1.0250 C

(
1.0255 1.0270

)
구분 수온(¾) 염분(psu) 밀도(g/cm3) 1.0260
1.0275
10 1.0280
A B
1.0285
B 5
1.0290
C A
0 등밀도선(g/cm‹)

•세 물이 같은 지점에서 만난다면 어떤 것이 가장 위쪽에 위치할지 예상해 보고, 그렇게 예 33.5 34.5 35.5 36.5
염분(psu)
상한 까닭을 설명해 보자.

4 용존 산소량 용존 산소의 농도(ppm)


0 1 2 3 4 5 6
깊이

해수에 녹아 있는 산소의 양을 용존 산소량이라고 한다. 해수의 용존 산소량은


대기에서 용해되는 산소의 양에 따라 달라진다. 기체의 용해도는 온도가 낮을수 m 1000
( )

록 증가하므로 해수면에서의 용존 산소량은 수온이 낮은 지역일수록 많다.


2000
용존 산소량의 연직 분포는 해수에 존재하는 생물 활동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
3000
는다. 그림 III- 23와 같이 광합성이 일어나는 표층에서는 용존 산소량이 많고,
깊이 100 m 이상에서는 생물의 호흡에 의해 용존 산소량이 급속히 감소한다. 4000

하지만 심층으로 들어가면 용존 산소가 풍부한 극 지역 해수가 침강하여 만들어


5000
진 심층 해류에 의해 용존 산소량이 증가한다. 그림 III - 23 용존 산소량
<출처: 『Essentials of Oceanography』,
1993>

성취 정도를 표시해 보자
자기 1 해수의 물리적, 화학적 성질을 설명할 수 있는가?
평가하기
2 해수의 성질을 이용하여 해양의 변화를 설명할 수 있는가?

2. 해양의 변화 99
02 실측 자료를 활용한 우리나라 주변 해양의
이해
•실측 자료를 활용하여 해양의 수온, 염분 분포를 설명할 수 있다.
•우리나라 주변 해역의 인공위성 자료를 조사하여 해수면 온도의 시공간적 분포를 분석할 수 있다.

해양의 수온을 분석하면 수온이 급격하게 변하는 지역이나 평균 수온보다 높거나


낮은 지역을 파악할 수 있다. 미국해양대기청(NOAA)에서는 실시간으로 이러한 해양
상황을 알려 주는 위성 자료를 제공한다. 다음 활동을 통해 우리나라 주변 해양의 특
징을 탐구해 보자.



창의

프로젝트 우리나라 주변 해역에서 해수 성질의 시・공간적 분포 분석하기 사고력 탐구 능력 문제 해결력

목표 Step 1 NOAA 위성 자료를 이용한 해수면 온도 자료 분석하기


실제 인공위성 자료를 조사하여 그림 (가)는 NOAA 위성에서 1990년~2014년까지 25년 동안 관측한 해수면 수온의 8월 평
우리나라 주변 해양의 특징을 이 균 자료이고, (나)는 2월 평균 수온 자료이다.
해할 수 있다. <출처: 국립수산과학원, 2015>

20
4
20 22
준비물 22 24 2
4 2
40$N 24 40$N
컴퓨터, 수온 자료 6
26 4 8
6 10
26 동해
26 동해
12
35$N 35$N 8 14
10 16
28 18
16 20
28 18
30$N 30$N 12 20
14
16

22
25$N 25$N
120$E 130$E 140$E 120$E 130$E 140$E

0 10 20 30 온도 (#) 0 10 20 30 온도 (#)
(가) 1990년~2014년까지 25년 동안 (나) 1990년~2014년까지 25년 동안
8월 평균 수온 (¾) 2월 평균 수온 (¾)

➊ 같은 위도에서 연안에 가까워질수록 수온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분석한다.


➋ (가)에서 동해와 황해 중 등온선이 조밀한 바다가 어디인지 분석한다.
➌ (가)와 (나)를 비교하여 8월과 2월의 수온 차가 가장 큰 바다와 가장 작은 바다가 어디인지 각각
분석한다.

100 III . 대기와 해양의 변화


<출처: 국립수산과학원, 2014>
Step 2 실시간 인공위성 수온 자료 조사하기
1 국립수산과학원의 위성 해양 정보 시스템(http://www.nifs.go.kr/
40$N
sois/)에 접속한다. NOAA 위성 수온 영상을 클릭한 후 필요한 날짜를 동해
선택하여 일주일 수온 영상 자료를 가져온다.
2 Step 1 에 주어진 평균 수온과 비교하여 조사한 시기의 수온 특성을 분석
35$N
한다.
3 4개월 동안 매달 같은 일주일 동안의 수온 영상 자료를 찾아 수온 변화를
분석한다.
30$N

Step 3 ARGO 자료를 이용한 동해 해수의 계절 변화 비교하기 120$E 130$E

1 국립기상과학원의 ARGO 프로그램(http://argo.nims.go.kr/)에 접속 5 10 15 20 25 30


한다. 지연 모드 ARGO 자료(ARGO NIMS)를 선택하고, 최근 관측한 수온(#)
▲ 2014년 8월 5일~11일(예시)
ARGO 플로트를 선택하여, 서로 다른 계절의 ‘수온+염분’ 자료와 ‘수온
염분도(T - S도)’ 자료를 가져와 비교한다.
2 조사한 자료를 다음 표와 같은 형태로 정리한다. (예시: 플로트 번호 - 2901244)
<출처: 국립기상과학원, 2014>
수온

수온

수온

수온
40 40 40 40
30 30 30 30
(

(
수온 - # # # #
20 20 20 20
)

)
염분도 24 24 24 24
10 26 28 30
10 26 28 30
10 26 28 30
10 26 28 30
(T - S도) 0 0 0 0
30 32 34 36 38 40
40 30 32 34 36 38 40 30 32 34 36 38 40
40 30 32 34 36 38 40
염분(psu) 염분(psu) 염분(psu) 염분(psu)

위치 36.007ùN, 129.948ùE 36.302ùN, 130.460ùE 36.602ùN, 130.195ùE 37.716ùN, 130.396ùE


관측일 2014년 2월 26일 2014년 5월 21일 2014년 8월 20일 2014년 11월 19일

3 ‘수온+염분’ 자료에서 수온과 염분 값을 참조하여 수온-염분도의 자룟값에 깊이


를 기록한다.
동해

Step 4 ARGO 자료 분석하기


➊ 동해의 수온, 염분, 밀도가 계절에 따라 어떻게 변하는지 분석해 보자.
➋ 우리나라 주변 해양의 특징을 정리해 보자.

▲ ARGO 프로그램 화면

Step 5 핵심 역량 평가하기

과학과 핵심 역량 평가 내용 성취 정도를 표시해 보자

사고력 우리나라 주변 해수의 성질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설명할 수 있는가?


탐구 능력 우리나라 주변 표층 수온 자료를 해석할 수 있는가?
문제 해결력 우리나라 주변 해수의 수온과 염분 특성을 설명할 수 있는가?

2. 해양의 변화 101
그림 III- 24와 같이 우리나라 주변의 바다에서 연중 수온이 가장 높은 곳은 남해,
연교차가 가장 크게 나타나는 곳은 황해, 남북 방향으로 온도 차가 가장 큰 곳은 동해
이다.
동해는 한류와 난류에 의해 남북 수온 차가 크게 나타나고, 한류와 난류가 만나는
동해 중심부에서 수온 변화가 큰
2월 8월
영역인 조경 수역이 나타난다. 여

40$N 40$N 름에 동해 남부 연안에서는 연안


동해 동해 을 따라 저층의 찬 해수가 올라와
수온이 주변보다 낮은 영역이 나
타나기도 한다. 용존 산소량은 난
류보다 한류에서 많은데, 수온이
30$N 30$N

120$E 130$E 140$E 120$E 130$E 140$E


낮을수록 기체의 용해도가 높아지
그림 III - 24 우리나라 주변 해역의 표층 수온 분포 기 때문이다.
그림 III- 25 와 같이 우리나라
2월 8월
주변 바다의 염분은 8월에 낮아지

40$N 40$N 는데, 이러한 염분 감소는 해양


생태계에 위협이 되고 있다. 염분
동해 동해
분포를 분석하면 양쯔강 담수의
유입과 전파 경로를 파악할 수 있

30$N 30$N
다. 특히 담수 유입과 수온 변화
(psu) (psu)
120$E 130$E 140$E 120$E 130$E 140$E
때문에 적조 현상이 발생하면 해
그림 III - 25 우리나라 주변 해역의 표층 염분 분포 양 생태계가 파괴되기도 한다.
<출처: 국립수산과학원, 2011>
인공위성을 이용한 해양 원격
탐사는 광범위한 영역에서 실시간으로 수온과 바다색에 대한 시각적인 자료를 제공
한다. 이러한 자료를 분석하면 해류 분포와 변화, 냉수의 출현, 식물성 플랑크톤의 분
포, 적조, 해양 오염 등의 정보를 얻을 수 있고, 이를 수산업, 항해, 해수욕장의 개・
폐장 등에 활용할 수 있다.

성취 정도를 표시해 보자
자기 1 인공위성 관측 자료를 활용하여 해양의 표면 온도 분포를 설명할 수 있는가?
평가하기
2 우리나라 주변 해역의 인공위성 자료를 조사하여 해수면 온도의 시공간적 분포를
분석할 수 있는가?
3 우리나라 주변 해역의 해수 특징을 설명할 수 있는가?

102 III . 대기와 해양의 변화


마무리

내용 정리 기초 개념 익히기

대양의 수온 특징
1. 표면 온도: 고위도로 갈수록 해수면에 입사하는 태양 복 1 해수면에 입사하는 태양 복사 에너지량이 위도에 따라 달라
사 에너지량이 감소하기 때문에 등온선은 위도와 평행한 지는 까닭은 무엇인가?
경향을 보인다.

2. 연직 구조 2 그림은 깊이에 따른 수온 온도(#)


0 5 10 15 20 25

깊이
•➊ : 태양 복사 에너지의 대부분을 흡수하고, 바 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A
람의 혼합으로 깊이에 따른 온도 변화가 작은 층 A, B, C층의 이름을 쓰고,
m 500

( )
각 층의 특징을 쓰시오. B
•➋ : 수온의 변화가 급격하게 나타나는 안정 1000
한층 1500 C
•심해층: 수온이 낮고 온도 변화가 거의 없는 층 2000

해양의 염분, 밀도, 용존 산소량


1. 표층 염분 3 그림은 위도에 따른 (증발량-강수량) 분포와 표층 염분
•염분 감소 요인: 강수, 담수(강물, 지하수 등), 빙하의 융해 을 나타낸 것이다.

염분
•염분 증가 요인: 증발량과 빙하의 증가 100 36
증발량-강수량(mm/yr)

염분
50 psu

( )
35
0
2. 밀도: 수온이 낮을수록, 염분이 ➌ 을수록 밀도는 증가한
-50 34
다. 증발량-강수량
-100
80$ 60$ 40$ 20$ 0$ 20$ 40$ 60$ 80$
N S

3. 용존 산소량 ⑴ 염분이 가장 높은 위도는?


•표면 용존 산소량은 수온이 낮을수록 ➍ 다. ⑵ (증발량-강수량)이 가장 큰 위도는?
•연직 용존 산소량은 광합성이 일어나는 표층에서 많다. ⑶ 적도가 중위도보다 염분이 낮은 까닭은?

인공위성 관측과 우리나라 주변 해양


1. 표면 온도: 동해는 수온의 남북 변화율이 크고, 황해는 수 4 인공위성에서 관측한 해수면 온도 자료를 활용하여 동해
온의 연교차가 크며, 남해는 연중 수온이 가장 높다. 에서 조경 수역의 위치를 어떻게 알 수 있을까?

2. 표층 염분
•난류가 북상하는 영역에서 염분이 높다.
5 우리나라 주변 바다의 염분 분포는 여름철과 겨울철 중 언
•양쯔강의 담수 유입 경로를 따라 남해와 황해의 염분이 제 낮은가?
➎ 고 염분 변화가 크다.

중단원 마무리 103


마무리

저기압과 •온대 저기압은 찬 기단과 따뜻한 기단이 만나 전선을 동반하며 편서풍을 따라 동쪽으로 이동한다. 구름과 강수
날씨 변화 를 동반하여 중위도 날씨 변화를 일으킨다.
•이동성 고기압은 중위도에서 동쪽으로 이동하는 고기압으로, 보통 온대 저기압 주위에서 발달한다.

태풍의 •태풍은 열대 해상에서 발생하는 열대 저기압으로, 강풍과 호우를 동반하며 전선은 없다.
발생과 영향 •해상에서 공급받은 수증기가 주 에너지원이며, 육지에 상륙하면 에너지 공급이 끊겨 약해진다.

뇌우 폭설 강풍 우박
겨울철 온대 저기압이
천둥과 번개를 동반하여 강한 온대 저기압, 겨울 적란운에서 성장한 얼음
통과할 때 시베리아 고기
국지성 호우, 돌발 홍수, 철 시베리아 고기압 영 덩어리. 농작물에 큰
압이 변질되면서 남하
강풍 등을 일으킴 향, 태풍으로 발생 피해
우리나라의 할 때 발생
주요
악기상 국지성 호우 황사
중국과 몽골 등에서
짧은 시간 동안 좁은 지 발생한 모래 먼지가 바람
역에서 많은 양의 비가 을 타고 우리나라에 날
내리는 현상 아오는 것

표층 수온 표층 염분 해수 밀도 용존 산소량
태양 복사 에너지의 강수량이나 증발량, 빙
해양의 흡수량과 해류에 따라 하의 융해량, 담수의 유입
수온, 염분, 수압에 수온과 광합성,
변화 변화 에 따라 변화
따라 결정 오염도에 따라 변화

실측 자료를
활용한 해양의 •해수의 성질을 이용하여 수온, 염분, 용존 산소량 등을 변화시키는 원인을 파악
이해 •인공위성 관측 자료를 활용하여 실시간 수온 변화를 파악

스스로 성취 정도를 표시해 보자


평가하기 1 일기도와 위성 영상을 해석하여 저기압과 고기압에 의한 날씨 변화를 설명할
수 있는가?
2 태풍의 발생 조건과 태풍이 통과할 때 날씨 변화를 설명할 수 있는가?
3 우리나라의 주요 악기상의 생성 메커니즘을 알고 있는가?
4 해수의 수온, 염분, 밀도, 용존 산소량의 분포를 설명할 수 있는가?
5 해수의 물리적, 화학적 성질을 이용하여 해양의 변화를 설명할 수 있는가?

104 III . 대기와 해양의 변화


III . 대기와 해양의 변화

개념 확인하기 개념 확장하기

1 그림은 온대 저기압의 온난 1012 고


1004 1008
5 그림은 온대 저기압이 A 지역을 통과하는 모습을 나타낸
전선 부근의 기압 분포를 나 1000 것이다.
A
타낸 것이다. 저

찬 공기 찬 찬 공기
공기
B 저 동해
저 동해
찬 공기 따뜻한
A
공기
⑴ A와 B 지역의 풍향을 각각 쓰시오.
따뜻한 공기
⑵ A와 B 중 기온이 높은 지역을 쓰시오.
⑶ 층운형 구름이 형성되고 약한 비가 내리는 지역 A 지역에서 나타나는 변화를 설명한 것으로 옳은 것만을
을 쓰시오.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르시오.
보기
ㄱ. 기온이 하강하였다.
2 태풍이 약해질 수 있는 변화를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르 ㄴ. 풍향이 남서풍에서 북서풍으로 바뀌었다.
시오. ㄷ. 적운형 구름의 영향을 받았다.
보기
ㄱ. 차가운 해수 위로 이동하였다.
ㄴ. 해수로부터 열과 수증기를 공급받았다.
ㄷ. 육지로 상륙하였다.

3 악기상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고르시오.


6 그림은 우리나라에 접근하는 태풍의 위성 사진이다. 색은
⑴ 뇌우는 ( 안정한, 불안정한 ) 대기에서 잘 발생한다. 위성에서 관측한 온도를 나타낸다.
⑵ 태풍이 발생했을 때 강풍은 진행 방향의 ( 왼쪽,
(#)
오른쪽 )에서 주로 발생한다. 동해
A 0
⑶ 우박은 ( 적운형, 층운형 ) 구름에서 주로 발생한다. -10
-20
B -30

4 해수의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표, 옳지 않은 -40


-50
것은 ×표를 하시오. -60
-70
⑴ 표층 수온은 입사하는 태양 복사 에너지량과 해 C
-80
류의 영향을 받는다. ( ) -90

⑵ 염분은 증발량보다 강수량이 많은 지역에서 낮다. A, B, C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 ) 대로 고르시오.
보기
⑶ 수온이 같을 경우 염분이 낮을수록 밀도가 낮다.
ㄱ. 태풍 중심보다 A의 기압이 높다.
( )
ㄴ. B 구름의 두께가 C보다 두껍다.
⑷ 수심이 깊어질수록 용존 산소량은 감소한다.
ㄷ. C보다 B에서 풍속이 강하다.
( )

단원 마무리 105
마무리

7 그림은 어느 날 우리나라 부근의 일기도를 나타낸 것이다. 9 그림은 북반구 해양의 표층 염분 분포도이다.

90oN 32 30
25 30

60 N
o

동해 35
1004 고
1008 30oN 35 37
A 35 36
34 35
0 o
35 35
36
1008 36
고 30 S
o

동해 1012 31 32 33 34 35 36
B 표층 염분(psu)
1004 C
1016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
르시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
보기
르시오. ㄱ. 평균 염분은 대서양이 태평양보다 높다.
보기
ㄴ. 위도 30° 지역은 적도보다 염분이 높다.
ㄱ. A에서는 바람이 시계 방향으로 불어 들어간다.
ㄷ. 북태평양 지역에서는 동안에서보다 서안에서
ㄴ. B에서는 남풍 계열의 바람이 분다.
염분이 높다.
ㄷ. C는 고기압 지역으로, 공기가 하강한다.
ㄹ. 한랭 전선이 통과하면 우리나라의 기온이 상승
한다.

8 그림은 주어진 날짜의 표층 수온값으로부터 같은 지점의 10 그림은 수온-염분도이다.


온도

장주기 월평균 수온 평균값을 뺀 수온 편차이다. 20


1.0245
A 1.0265
(

동해 # 15 1.0250
1.0270
)

1.0255
1.0260 1.0275
10 1.0280
A B
B 1.0285
5
1.0290
0 C 등밀도선(g/cm‹)
33.5 34.5 35.5 36.5
염분(psu)
-4 -2 0 2 4
수온 편차(#) 서로 다른 세 지역의 해수 A, B, C의 성질을 비교한 것
A, B 지역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 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르시오.
는 대로 고르시오. 보기

보기 ㄱ. A는 B보다 수온이 높다.


ㄱ. A는 B보다 수온이 낮게 나타났다. ㄴ. B는 C보다 밀도가 높다.
ㄴ. A는 평년에 비해 수온이 낮았다. ㄷ. A, B, C 물이 만나면 A가 가장 위쪽에 위치
ㄷ. B는 평년에 비해 수온이 높았다. 한다.

106 III . 대기와 해양의 변화


III . 대기와 해양의 변화

서술형 문제

11 그림은 온대 저기압과 태풍을 볼 수 있는 일 1004 과학적 사고력


기도이다. 1012 1008 1000
996 1004 온대 저기압
온대 저기압 저
태풍(열대 저기압)
1008
1012
1012
동해
1008 1016

1004
태풍
1008 1012
1016

⑴ 두 저기압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찾아보자.


⑵ 온대 저기압에서 따뜻한 기단과 찬 기단의 이동 방향을 설명해 보자.
⑶ 태풍의 세력이 어떻게 변할지 생각해 보자.

12 그림은 우리나라에 집중 호우가 내렸을 때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집중 호우가 발생할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
때의 기상 조건을 세 가지 생각해 보자. 집중 호우
악기상

건조
공기
동해

고온
습윤
기도
지상 일

13 인공위성을 이용한 관측은 다양한 파장 영역에서 이루어진다. 적외선을 이용해 수온 관측이 과학적 문제 해결력

이루어지고, 전파와 가시광선 영역에서 해수면 관측이 이루어지고 있다. 해수면의 색, 해수면 인공위성 관측
의 높이 변화, 해류의 속도 등 해수의 특징을 관측할 수 있는 파장 영역을 조사해 보자. 해수의 특징

단원 마무리 107
■이 단원의 주요 핵심 역량을 알아봅시다.
과학적 대기와 해양의 상호 작용은 어느 한쪽만의 영향이
사고력 아니라 유기적인 관계로 일어남을 고찰할 수 있다.

과학적 관측 자료를 활용하여 한반도와 전 지구적 기후 변


탐구 능력 화를 탐구할 수 있다.

과학적 해양의 변화가 초래할 수 있는 사례를 조사하고 과


문제 해결력 제 연구를 진행할 수 있다.

과학적 기후 변화가 일어나는 다양한 원인을 조사한 후 토


의사소통 능력 론할 수 있다.

과학적 참여와 인간 활동에 의한 기후 변화 사례를 지속적으로 조


평생 학습 능력 사하고 학습할 수 있다.

■이 단원과 연계된 학습 과정을 알아봅시다.

중학교
통합과학 지구과학 Ⅰ 지구과학 Ⅱ
과학

■우리나라 주변 해류의 종류와 특성 ■기권과 수권의 상호 작용 ■대기 대순환 ■정역학 평형


■기권의 층상 구조 ■지구 온난화와 지구 환경 변화 ■엘니뇨와 라니냐, 남방 진동 ■지형류
■온실 효과와 지구 온난화 ■엘니뇨 ■지구 온난화 ■천해파, 심해파
■복사 평형 ■사막화 ■조석, 해일, 쓰나미
대기와 해양의
상호 작용
1. 대기와 해양의 상호 작용
2. 기후 변화

이 단원에서는
기권과 수권의 특성 및 상호 작용을 이해하여 지구적 규모의 기후 변
화 문제를 과학적으로 인식하고 해결하는 태도를 가진다. 대기와 해
양의 운동은 서로 유기적인 관계를 통해 나타난다. 지구 시스템 내에
서 해양의 변화가 기후 변화에 영향을 주는 사례로 엘니뇨, 라니냐,
남방 진동 현상을 파악한다.
과학자들의 연구에 따르면 지구 온난화로 과거 어느 시기보다 극 지역의 빙하가 빠르게
녹고 있다고 한다.

빙하가 녹은 물이 해수로
유입되면 해수의 수온이나
염분에 어떤 변화가 나타
날까?

대기와 해양의
상호 작용
01. 대기 대순환과 해양의 표층 순환
02. 해양의 심층 순환
03. 엘니뇨와 남방 진동

자기 점검 - 알고 있는 용어를 체크해 보자.

온실 효과    지구 온난화    기권    복사 평형


엘니뇨 라니냐 해파 해류

▶ 체크하지 못한 용어는 인터넷에서 검색해 보자.

학습 계획 세우기 - 성취 기준을 달성하기 위해 어떤 준비를 할 수 있을지 써 보자.

110 IV . 대기와 해양의 상호 작용


01 대기 대순환과 해양의 표층 순환
•표층 순환과 대기 대순환의 관계를 표층 해류를 중심으로 설명할 수 있다.
•북태평양의 표층 순환과 관련지어 우리나라 주변 해류 분포를 설명할 수 있다.

1492년 콜럼버스(Columbus, C., 1451~1506)는 스페인에서 인도를 찾


스스로 B
아가는 중에 아메리카 대륙에 도착하였다. 콜럼버스는 아메리카 대륙까지
생각해 빠르게 갈 수 있는 경로를 찾던 중 직선 항로가 아닌 아프리카로 내려가서 A
보기 출발하는 항로를 택하였고, 아메리카 대륙에서 돌아올 때는 또 다른 항로를
택하였다.

콜럼버스가 항해를 할 때 A와 B 항로를 각각 선택한 까닭은 무엇일까?

범선을 이용하여 대양을 횡단하던 시대에는 바람과 해류가 항해에 도움이 되기도 해류
일정한 방향과 속력을 갖는 해수
하고 장애가 되기도 하였다. 표층 해류는 대양의 표면 위로 부는 바람으로 생성되는
의 흐름으로, 표층 해류의 경우
데, 수십 m~수백 m 깊이로 수천 km의 거리에서 나타난다. 대기와 해수의 순환이 는 대양 전체의 10 %를 차지한다.

어떻게 나타나는지 알아보자.

1 대기 대순환
전 지구에 걸쳐 일어나는 대기의 순환을 대기 대순환이라고 한다. 대기를 움직이는
가장 기본적인 원동력은 지표의 불균등 가열에 의한 열대류 운동이다. 지구는 둥글기
때문에 단위 면적당 입사하는 태양 복사 에너지량이 고위도로 갈수록 줄어든다. 이에
따라 그림 IV- 1과 같이 저위도에는 에너지 과잉이, 고위도에는 에너지 부족 현상이
나타나고, 저위도에서 남는 에너지가 고위도로 이동함에 따라 대기의 순환이 발생한다.

위도에 따른 열수지(cal . cm—¤ . min—⁄)


0.6 0.5 0.4 0.3 0.2 0.1 0 북극
90$
90$N
60$ 60$N
에너지 대기와 해수에
40$ 의한 열수송 38$N
부족 30$
태양 복사 에너지의
입사량

지구 복사 에너지의
방출량

20$ 23.5$N
10$
적도 0$

10$
20$ 23.5$S
에너지
부족 30$ 대기와 해수에 38$S
에너지 40$ 의한 열수송
과잉 60$ 60$S
90$S
90$
남극
그림 IV - 1 지구가 흡수하고 방출하는 에너지와 에너지 이동

1. 대기와 해양의 상호 작용 111


찬 공기 지구가 자전하지 않을 때 대기 대순환은 그림 IV- 2와 같다. 그러
나 실제 대기 대순환은 열대류가 일차적인 원인으로 작용하고 지구
자전의 영향으로 복잡한 형태로 나타난다. 저위도에서는 상승 기류
북풍 가 발달하여 적도 저압대가 형성된다. 적도 저압대에서 상승한 공기
동해

는 대류권 상부까지 올라가서 북쪽으로 이동하는데, 북반구에서는


0$ 오른쪽으로 휘어지고 위도 30¿ 에 이르면 하강하면서 아열대 고압대
따뜻한 공기
를 형성한다. 아열대 고압대에서 하강한 공기는 고위도로는 서풍인
남풍 편서풍을, 저위도로는 동풍인 무역풍을 형성한다.
극에서는 찬 공기가 하강하면서 극고압대가 형성된다. 극고압대 상
찬 공기
그림 IV - 2 지구가 자전하지 않을 때 대기 대순환 모형 | 부에서 하강한 공기가 지상에서 저위도로 이동하면서 점점 휘어져
열대류 세포가 남반구와 북반구에 각각 하나씩 형성된다. 극동풍을 형성한다. 극동풍이 위도 60°에 이르면 편서풍과 만나 한대
전선대를 만들면서 상승 기류를 형성한다.
이러한 순환으로 그림 IV- 3과 같이 남반구와 북반구에는 각각 3개씩의 순환 세포
전향력
자전하는 지구에서 운동하는 물 가 만들어진다.
체에 나타나는 가상의 힘으로 북
대기 대순환을 이루는 3개의 순환 세포 중 해들리 순환과 극순환은 고온에서 상승
반구에서는 오른쪽으로, 남반구
에서는 왼쪽으로 작용한다. 하고 저온에서 하강하는 열대류의 원리로 발생한 순환 구조라 하여 직접 순환이라 한
다. 반면 페렐 순환은 두 직접 순환 사이에서 만들어지기 때문에 간접순환이라고 한다.

극고압대
극동풍
극순환 •극순환: 극고압대와 위도 60°의 한대 전선대,
한대 전선대
60$N 그리고 그 사이에 있는 지상의 극동풍이 이
페렐 순환 루는 순환이다.
아열대 고압대 동해 편서풍
30$N
•페렐 순환: 아열대 고압대에서 하강하여 한
해들리 순환
무역풍 대 전선대에서 상승하는 순환이다.
적도 저압대
0$
•해들리 순환: 적도 저압대에서 상승하고 아
열대 고압대에서 하강하면서 지상에 북동 무
30$S
역풍과 남동 무역풍을 형성하는 순환이다.

그림 IV - 3 지구가 자전할 때 대기 대순환 모형 | 3개의 순환 세포가 형성된다.

2 해양의 표층 순환
해양의 표층 해류는 대기 대순환에 의해 일정하게 부는 바람에 따라 형성되지만,
지구 자전의 영향, 육지로 둘러싸인 대양의 형태에 따라 방향이 달라진다. 다음 활동
에서 각 대양의 표층 해류를 알아보자.

112 IV . 대기와 해양의 상호 작용


자료 해석 대기 대순환과 해양의 표층 순환 탐구 능력 사고력 문제 해결력

그림은 대기 대순환과 전 세계 표층 해류의 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목표


대기 대순환과 해수의 표층 순환
90$N
난류 과의 관련성을 설명할 수 있다.
한류
60$N 래브라도
알래스카 해류 해류 극동풍
60$N
북태평양 해류 류 류


만 양해 준비물


동해
코 북대서


30$N 시 편서풍


멕 카나리아 색연필
쿠로시오 해류 30$N


북적도 해류 해류 북동 무역풍


북적도 해류


북적도 적도 반류
0$ 해류
0$
남적도 해류 남적도 해류
남적도 해류 페루 남동 무역풍
30$S 동오스트레일리아 해류
서오스트레일리아
해류
해류 브라질 해류 벵겔라
해류
30$S
편서풍

60$S
남극 순환 해류 극동풍 60$S

90$S
30$E 60$E 90$E 120$E 150$E 180$ 150$W 120$W 90$W 60$W 30$W 0$
표층 해류의 흐름은 바람의
(가) (나)
영향이 가장 크고, 이외에도
과정
지구 자전의 영향, 육지로 둘
1 (가)에서 북태평양 아열대 순환을 구성하는 해류를 찾아 원하는 색으로 표시한다. 러싸인 대양의 형태에 따라
2 동쪽에서 서쪽으로 가는 해류를 찾아 다른 색으로 표시한다. 방향이 달라진다.
3 대양의 동쪽과 서쪽 경계를 따라 흐르는 해류를 찾아 다른 색으로 표시한다.

결과 및 정리
(가)에서 (나)의 바람과 같은 방향으로 흐르는 해류는 무엇인지 정리해 보자.

무역풍 지대에는 동쪽에서 서쪽으로 흐르는 북적도 해류와 남적도 해류가 형성된
다. 이 해류가 대륙을 만나게 되면 북쪽과 남쪽으로 나뉘어 흘러간다. 이렇게 나뉘어
진 해류는 북반구에서는 북쪽으로 흘러 대양의 서안을 따라가고, 남반구에서는 남쪽
으로 흐르면서 대양의 서안을 따라 이동한다. 편서풍 지대에서는 북태평양 해류, 북
대서양 해류, 남극 순환 해류가 동쪽으로 흐른다. 이들이 대륙을 만나면 북반구에서
는 남쪽으로, 남반구에서는 북쪽으로 흘러 대양의 동안을 따라 이동한다. 이렇게 하
여 전 세계 대양을 흐르는 표층 해류의 순환 구조가 만들어진다.
위도별 대양의 순환 구조에는 열대 순환, 아열대 순환, 아한대 순환이 있다. 이 중
아열대 순환이 가장 넓게 나타나는데 북반구에서는 시계 방향으로, 남반구에서는 시
계 반대 방향으로 순환하므로 적도를 경계로 남북이 대칭적인 분포를 이룬다.
해류의 수평 규모와 유속은 해류가 나타나는 위치에 따라 다르다. 대양의 서안을 흐
르는 쿠로시오 해류나 멕시코 만류는 수온과 염분이 높고 용존 산소량이 적으며, 해류
의 폭이 좁고 유속이 빠른 편이다.

1. 대기와 해양의 상호 작용 113


대양의 동안을 흐르는 캘리포니아 해류나 페루 해류는 수온과 염분이 낮고, 용존 산
소량이 많으며, 넓은 영역에서 나타나고 유속이 느린 편이다.
해류는 지구 전체적으로 열을 분배하는 역할을 할 뿐 아니라 주변 지역의 기후에도
한류와 주변 기후
한류의 영향을 받는 남아메리카 영향을 미친다. 같은 위도에 있는 영국의 런던과 캐나다의 퀘벡을 비교해 보면, 런던
의 페루 지역은 열대 지방임에도 의 1월 평균 기온은 약 4 ¾이고, 퀘벡의 1월 평균 기온은 약 -12 ¾로 차이가 난다.
연평균 기온이 21 ¾ 정도이고,
같은 위도의 다른 아마존 지역은
그 까닭은 난류인 멕시코 만류가 북상하여 북대서양 해류로 연결되면서 열을 공급하여
연평균 기온이 32 ¾ 정도이다. 유럽의 서쪽 지역을 온난하게 하기 때문이다.

3 우리나라 주변의 해류
쿠로시오 해류 우리나라 주변을 흐르는 해류의 근원은 북태평양 아열대 순환을 구성하는 쿠로시오
우리나라 난류의 근원으로 수온
해류이다. 그림 IV- 4와 같이 동해에는 쓰시마 난류가 북상하면서 갈라져 나온 동한
이 1 5 ¾ 이상이고, 염분이
34.5 psu~35.1 psu인 난류이 난류와 연해주 연안을 따라 흐르는 연해주 한류가 연장되어 온 북한 한류가 남쪽으로
다. 태평양의 서안을 따라 흐르
흐른다. 두 해류가 만나는 영역을 조경 수역이라 하는데, 조경 수역의 위치는 겨울에
는 해류로, 폭이 좁고 유속이 빠
르다. 투명하고 짙은 청남색을 는 울릉도와 주문진 먼바다에, 여름에는 함경남도 먼바다에 형성된다. 동한 난류의 평균
띤다.
유속은 0.2 m/s로 여름철에 빠르고 겨울철에 느리며, 수온이 높아진 가을에 가장 북쪽
난류 까지 흐른다. 북한 한류는 염분

한류
러시아

표층·중층 해류 이 낮고 용존 산소와 플랑크톤



연해

중국
이 풍부하다.

오해 황해에는 쿠로시오 해류의

<출처: 미국항공우주국(NASA), 2016>
오야

한 유입으로 형성된 황해 난류가


난류
북한

동한 동해
간헐적으로 북쪽으로 흐른다.

대한민국
서한 연안

난류 일본 우리나라 서해안을 따라서는


시마
난류

동해

안류

서한 연안류가, 중국으로는 중



국 연안류가 남쪽으로 흐른다.


류 남해에는 쿠로시오 해류, 대만

시오

대만 난류, 황해를 거쳐 온 해수가


쿠로

난류
모여서 쓰시마 난류를 형성한
그림 IV - 4 우리나라 주변을 흐르는 해류 <출처: 국립해양조사원, 2016>
후 동해로 흘러간다.

성취 정도를 표시해 보자
자기 1 표층 해류를 중심으로 대기 대순환과 해양의 표층 순환의 관계를 설명할 수 있는가?
평가하기
2 우리나라 주변을 흐르는 해류의 특징을 북태평양의 표층 순환과 관련지어 설명할
수 있는가?

114 IV . 대기와 해양의 상호 작용


02 해양의 심층 순환



웨델해





•심층 순환의 발생 원리와 분포를 설명할 수 있다.
•심층 순환을 표층 순환 및 기후 변화와 관련지어 설명할 수 있다.

그림은 남반구의 대양을 나타낸 것이다. 남극 대륙 안쪽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바다가


스스로
전 세계 표층 해수 중 가장 밀도가 높은 웨델해와 로스해로, 이들은 각각 대서양과 태 로스해 아
생각해 평양에 연결되어 있다. 일리

보기 오스

남극 대륙의 빙하가 녹아서 웨델해와 로스해로 들어갈 경우, 수온, 염분, 밀도는
어떻게 달라질까?

바다 표면에는 바람의 영향으로 표층 순환이 발생한다. 하지만 바람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 심층에서도 해수가 천천히 움직여 심층 해류가 발생한다. 이러한 심층 해
류에 의한 해수의 순환을 심층 순환이라고 한다. 심층 순환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알
표층수
아보자. 표층 순환을 구성하는 표층수는
수온이 높고, 밀도가 낮으며, 수
십 m~수백 m 깊이까지 나타난
다.
1 심층 순환의 형성 원리
바람에 의해 나타나는 표층 순환과는 달리, 표층수 아래에서 해저까지 나타나는 심
밀도류
층 순환은 밀도가 높은 표층수가 침강하면서 발생한다. 해수의 밀도를 결정하는 가장 심층 순환을 구성하는 해류의 형
성 원리는 물의 밀도 차에 기인
중요한 요인은 수온과 염분이기 때문에 심층 순환을 열염 순환이라고도 한다.
하기 때문에 심층 해류를 밀도류
심층 순환은 그림 IV- 5와 같이 깊이에 따라 순환의 구조가 달라진다. 약 1500 m 라고도 한다.

까지의 깊이에서 흐르는 해수를 중층수라고 하며, 그 아래는 심층수, 저층수로 이루


어져 있다. 대서양의 심층 순환은 남극 저층수와 북대서양 심층수, 그 외 여러 지역을
근원으로 한 중층수로 구성되어 있다. 태평양의 경
그린란드
우에는 남극에서 공급된 저층수와 심층수, 중층수로 아이슬란드 남극 중층수
구성되어 있다. 북극 유럽 남극
아프리카
수심

0 0
심층 순환은 유속이 매우 느리기 때문에 표층 순 1000 1000
m
(
환보다 그 흐름을 관찰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심층 2000
) 2000
북대서양 심층수
3000 3000
순환은 수온과 염분을 관측하여 알아낸다. 4000 남극 4000
5000 저층수 5000
6000 6000
60oN 50o 40o 30o 20o 10o 0o 10o 20o 30o 40o 50o 60o 70o 80oS

그림 IV - 5 대서양에서의 심층 순환

1. 대기와 해양의 상호 작용 115


실험 심층 순환의 형성 원리 탐구 능력 사고력 문제 해결력

목표 과정
표층의 물이 침강하여 심층 순환
1 비커에 A, B 조건의 물 1 L와 C, D 조건의 물 200 mL를 만든다.
을 형성하는 원리를 설명할 수
있다. 2 칸막이가 있는 수조 한쪽 칸에 A 조건의 물을 ;3@;`정도 채운다.

3 수조의 다른 쪽 칸에 B 조건의 물을 ;3@;`정도 채운다.


준비물
4 바닥에 구멍을 뚫은 종이컵 2개를 수조 양쪽 칸의 수면 바로 위에 각각 테이프로 매단다.
수조, 저울, 온도계, 종이컵 2개,
식용 색소 3색, 소금, 얼음 팩 2개,
5 수조의 칸막이를 열어 물의 이동을 관찰한다.
1 L 비커 2개, 200 mL 비커 2 D
종이컵 칸막이 C [예시]
개, 상온의 물, 뜨거운 물, 테이프
위치 온도(¾) 염분(psu) 색소 색깔
A 5 35 무색
유의점 B 20 35 노란색
B
칸막이를 열 때 요동이 크게 일 A
C 2 36 초록색
어나 혼합이 일어나지 않도록 유
의한다. D 2 34 빨간색
수조

6 C, D 조건의 물을 두 종이컵에 서서히 붓는다.


결과 및 정리
➊ A, B, C, D 물의 조건을 수온-염분도에 표시해 보자.
➋ C, D의 물이 이동하는 과정을 그리고, 물이

밀도
온도

35 psu 물 만들기 20
1.0245
•해수(소금물) 1 kg 속에 들어 이동하는 위치를 설명해 보자. 등밀도선
1.0265
1.0250

(
15
(

있는 염류(소금)의 양이 35 g
o
C 1.0270 g/cm‹
➌ 위의 ➋와 같은 결과가 나타난 까닭을 수온- 1.0255

)
)

이면 35 psu라고 한다. 1.0260 1.0275


염분도 결과를 이용하여 설명해 보자. 10
염분이 35 psu인 소금물 1.0280
➍ 실제 대양에서 이러한 조건의 물이 형성될 수
500 g을 만들려면 17.5 g 5 1.0285
의 소금을 넣고 물을 부어
있는 위치와 이들의 이동 경로를 모둠원들과
0 1.0290
500 g이 되도록 한다. 토의해 보자.
34 35 36
염분(psu)

탐구에서 A는 심층수, B는 표층수를 나타내고, C, D는 다른 위치로 유입되는 밀


도가 다른 해수를 나타낸다. C의 밀도가 아주 높은 경우에는 저층수를 형성하고, D
의 밀도가 A와 B의 중간이라면 중층수를 만든다.
이와 같이 해수의 밀도는 수온과 염분에 따라 결정되므로 이들 요인이 변하면 심층
순환 또한 달라지게 된다.

116 IV . 대기와 해양의 상호 작용


2 심층 순환의 역할
표층 순환과 심층 순환은 독립적으로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그림 IV- 6과 같이 서
로 컨베이어 벨트처럼 연결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극 지역에서 형성된 심층 해류는
해양의 저층에서 적도를 향해 흐르고, 이러한 흐름은 표층 해류가 적도에서 극 쪽으
로 흐를 수 있도록 해 준다. 물이 표층에서 침강한 뒤 심층 순환을 거쳐 다시 처음의
표층으로 되돌아오는 데는 수백 년에서 1000년에 가까운 오랜 시간이 걸린다. 이와
같이 심층 순환은 매우 느리지만 전 수심에 걸쳐 일어나고 전체 해수를 순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런데 극 지역의 표층에서 심층으로 침강하는 해수의 양이 감소하면 고위도로 이
동하는 표층 해류의 흐름이 약해질 수 있다. 그 결과 저위도의 열이 고위도로 제대로
전달되지 못하면서 지구의 전체적인 기후에도 변화가 생길 수 있다.

차갑고 염분이 높은 표층수의 침강으로 생긴


해수가 고위도에서 적도 쪽으로 이동하는 것
저층수의 이동

침강 지역
적도에서 고위도로 이동하는
따뜻한 표층수
동해

<출처: 『World Ocean Review. 1』, 2010>


그림 IV - 6 전 세계 해수의 순환 | 침강 지역은 남극 저층수를 형성하는 웨델해와 로스해, 북대서양 심층수를 형성
하는 그린란드해와 래브라도해이다.

성취 정도를 표시해 보자
자기 1 심층 순환의 발생 원리를 설명할 수 있는가?
평가하기
2 깊이에 따른 심층 순환의 구조를 설명할 수 있는가?
3 심층 순환을 표층 순환과 관련지어 설명할 수 있는가?

1. 대기와 해양의 상호 작용 117


03 엘니뇨와 남방 진동
•대기와 해수의 상호 작용 사례로서 용승, 침강, 남방 진동을 설명할 수 있다.
•엘니뇨와 라니냐가 우리 생활에 주는 영향을 탐구할 수 있다.
•실제 자료와 사례를 활용하여 해양의 변화가 초래할 수 있는 기후 변화를 설명할 수 있다.

1 용승과 침강
대기와 해양의 운동은 유기적인 관계에 있기 때문에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다. 바람
이 불어 표층 해수가 수평으로 발산하면 깊은 곳의 찬물이 상승하는데, 그림 IV- 7과
같이 심층의 찬물이 표층으로 올라오는 현상을 용승이라고 한다.
용승한 물은 영양 염류가 풍부하여 좋은 어장을 형성하기도 한다.

평상시

무역풍

적도 동태평양에서 생기는 용승으로 동태평양


▲ 해수면 높이 해수의 수온이 약간 낮다.

그림 IV - 7 전 세계 용승 지역
엘니뇨
전향력 효과로 표층의
북풍 발생 동해
물이 외해로 밀려 나감

용승

적도 동태평양의 용승이 약화되어 동태평양 해


▲ 연안 용승 | 해안을 따라 부는 바람이 표층수를
▲ 해수면 높이 수의 수온이 평상시보다 높아진다.
해안에서 멀리 밀어낼 경우 빈 곳을 채우기 위
해서 심층으로부터 해수가 상승하는 현상

라니냐
바람
발생

적도 강한 무역풍

심층 해수의 용승

적도 동태평양의 용승이 강해져 동태평양 해수


▲ 적도 용승 | 남동 무역풍과 북동 무역풍이 나뉘
의 수온이 평상시보다 낮아진다.
는 적도 지역 해상에서 해수가 상승하는 현상 ▲ 해수면 높이

평년(초록색)보다 해수면이 높으면 붉은색 붉은색 순환 고리는 열대 태평양의


으로, 낮으면 파란색으로 표시하였다. 동서 방향 순환을 나타낸다.
118 IV . 대기와 해양의 상호 작용
해안 지역에서는 용승한 찬물의 영향으로 안개가 자주 발생하고 대기가 안정하여
강수량이 적어 건조 지대가 형성된다. 반면 표층 해수가 수렴하는 지역에서는 표층의
물이 침강하는 현상이 나타난다. 이때는 따뜻한 표층 해수가 모이기 때문에 해수면의
온도가 높아지고 수온 약층이 나타나는 깊이가 깊어진다.

2 엘니뇨와 라니냐
열대 태평양 지역에 무역풍이 평상시보다 더 약하게 부는 경우에는 연안 용승과 적 수온 편차
각 지점에서 관측한 표층 수온에
도 용승이 약해져 페루 연안인 동태평양과 적도 태평양 중앙부의 수온이 높아진다. 이
서 각 지점의 30년 평균한 표층
러한 현상을 엘니뇨라고 한다. 반대로 무역풍이 강해지면 용승이 잘 일어나 평년보다 수온을 뺀 값

수온이 더 낮아지는데, 이러한 현상을 라니냐라고 한다.


<출처: 미국해양대기청(NOAA), 2010, 2013, 2015>

12월 표층 수온 (¾) 수온 편차 (¾)


60oN o
60 N
동해 동해
1.5
해수면 온도 편
30oN o
30 N
0.5 차가 -0.4 ¾~
0 o
30 28 26 0 .4 ¾인 시기
0o

30oS 30oS

2013년 12월


60oS 60oS
120oE 180o 120oW 60oW 120oE 180o 120oW 60oW

60oN
60oN 열대 중앙 태평
동해 동해
30oN o
양에서 해수면
30 N
온도 편차가
0o 0.4 ¾ 이상 상
30 28 26 0 o
2.5 3.5
승하는 달이 6
30oS 30oS 개월 이상 지속
되는 시기
60oS 60oS
o o o o
120 E 180 120 W 60 W 120oE 180o 120oW 60oW 2015년 12월

60oN 60oN
동해 동해 1.5 열대 중앙 태평
30oN 30oN 양에서 해수면
28 26 온도 편차가
0o 30 0o -1.5 -0.4 ¾ 이하
o 로 수온이 하강
30oS 30 S
하는 시기
o
o
60 S 60 S
2010년 12월

120oE 180o 120oW 60oW 120oE 180o 120oW 60oW

0 5 10 15 20 25 30 -4 -2 0 2 4
수온(#) 수온 편차(#)

1. 대기와 해양의 상호 작용 119


140$E 160$E 180$ 160$W 140$W 140$E 160$E 180$ 160$W 140$W

깊이

깊이

수온
30
50 50
(

(
m m #
) 100 100 25

)
150 150 20
200 200
15
250 250
10
300 300
(가) 엘니뇨 시기 (나) 라니냐 시기
그림 IV - 8 열대 태평양 동-서 단면에서 수온의 연직 분포 <출처: 유럽중기예보센터(ECMWF), 2011>

그림 IV- 8은 열대 태평양 동 -서 단면에서 수온의 연직 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엘


니뇨 시기에는 (가)와 같이 등온선의 기울기가 완만하고, 동・서 태평양에서 수온 약
층의 깊이 차이가 작다. 반면 라니냐 시기에는 동태평양에서 용승이 잘 일어나 수온
이 낮다. 따라서 (나)와 같이 동・서 태평양의 수온 차이가 커지고, 수온 약층의 깊이
는 동태평양에서 얕고 서태평양에서 깊게 나타난다.

3 남방 진동
열대 태평양에서 표층 수온의 변화는 주변 기압 분포와 대기의 흐름을 변화시킨다.
그림 IV- 9와 같이 평년에 서태평양에서는 강한 상승 기류 때문에 저기압이 발달하
고, 수온이 낮은 동태평양에서는 하강 기류가 나타나 고기압이 발달한다. 엘니뇨 시
기에는 열대 태평양의 중앙 또는 동쪽으로 치우친 지역에 저기압이 발달하고 서태평
양에 하강 기류가 발달하여 동 -서 순환의 형태가 달라진다. 반대로 라니냐 시기에는
서태평양의 기압이 평년보다 낮아지고, 동태평양의 기압은 높아진다.
이와 같이 열대 태평양의 동・서 기압은 한쪽에서 상승하면 다른 쪽에서 하강하는 양
상을 보이는데, 이렇게 시소처럼 진동하는 형태의 기압 변화를 남방 진동이라고 한다.

적도 적도 적도

60oE 180o 60oW 60oE 180o 60oW 60oE 180o 60oW

▲ 평상시 ▲ 엘니뇨 시기 ▲ 라니냐 시기


그림 IV - 9 남방 진동 <출처: 오스트레일리아 기상청, 2016>
1924년 워커(Walker, G.,
1868~1958)는 열대 태평양의 동쪽과
서쪽 지역의 기압 패턴이 주기적으로 4 대기와 해수의 상호 작용-ENSO
바뀐다는 사실로부터 남방 진동을 엘니뇨와 라니냐는 해양의 수온 변화를, 남방 진동은 대기의 기압 패턴의 변화를
확인하였고, 1969년 비야크네스
(Bjerkness, J. A. B., 1897~1975)는 의미하는데, 서로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이 둘을 합하여 엘니뇨 남방 진동(엔
엘니뇨와 남방 진동의 상관관계를
소, ENSO)이라고 한다.
입증하였다.

120 IV . 대기와 해양의 상호 작용


표층 수온 편차
ENSO는 그림 IV- 10과 같이 2년~7년 사이의 주기 3 엘니뇨 시기
라니냐 시기
로 발생하는데, 바람, 해류, 수온, 기압 등에서 일반적인 2
1
평형이 깨지면서 평년과는 다른 기상 현상이 함께 나타
0

( )
o
난다. 이러한 바람의 세기 변화나 가뭄과 홍수의 발생에 C
-1
대해서는 1800년대 말부터 기록으로 남아 있다. -2
-3
1950 1960 1970 1980 1990 2000 2010 연도(년)

그림 IV - 10 열대 태평양에서의 표층 수온 편차
<출처: 미국해양대기청(NOAA) - OISSTv2, 2016>

자료 해석 엘니뇨, 라니냐 등의 현상이 우리 생활에 주는 영향 탐구하기 탐구 능력 사고력 문제 해결력


/토론

그림은 엘니뇨 및 라니냐와 관련성이 있는 지역에서 12월부터 다음 해 2월까지 나타난 전 목표


엘니뇨와 라니냐 시기에 나타나
지구 기후 변화를 정리한 것이다.
는 기상 현상을 설명할 수 있다.

엘니뇨 시기 라니냐 시기

동해 동해

이상 고온 이상 건조 이상 강우 이상 강우 이상 건조 이상 강우 이상 건조 이상 강우 이상 건조
이상 저온 이상 건조 이상 강우
이상 고온 이상 저온 이상 고온 이상 고온 이상 저온 이상 저온

<출처: 미국해양대기청(NOAA), 2015>

과정
1 엘니뇨가 나타난 해와 라니냐가 나타난 해를 2000년 이후부터 정리한다. 준비물
인터넷이 연결된 컴퓨터
2 엘니뇨와 라니냐가 발생한 해에 나타난 지구 규모의 기후 변동 사례와 그 영향을 조사한다.

엘니뇨 시기에 북반구에서 온난한 겨울이


라니냐 시기에 북반구에서 추운 겨울이
나타나는 지역이 어디일까?
나타나는 지역도 찾아보자.

엘니뇨나 라니냐 시기에


엘니뇨와 라니냐 시기에
폭우나 가뭄이 생길 수 있
남반구에서 나타나는 기
는 지역도 검색해야겠어.
상 현상을 정리해 보자.

1. 대기와 해양의 상호 작용 121


찾아보기 결과 및 정리
기후 정보 포털 ➊ 엘니뇨와 라니냐 시기에 나타난 기후 변동 특징을 발표해 보자.
➋ 엘니뇨와 라니냐 시기에 나타나는 기상 현상이 우리 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토의해 보자.

엘니뇨 시기 우리나라의 겨울은 평년보다 따뜻하고 강수가 많은 편이다. 오스트레


일리아 북동부와 동아시아, 인도 지역에서는 평년과는 달리 가뭄 피해가 나타나고,
열대 동태평양에 위치한 중남미 지역은 폭우와 홍수 피해를 입기도 한다. 미국의 서
부 지역은 우리나라와 비슷하게 따뜻하고 강수량이 많은 겨울이 나타난다. 라니냐 시
기의 기상 특징은 엘니뇨 시기와는 반대로 나타나기도 한다.

문제 해결력 사고력
핵심
역량
엘니뇨와 라니냐가 우리나라 날씨에 미치는 영향
기르기 엘니뇨 시기에는 열대 태평양 중심부의 해수 온도가 상승한다. 수온이 상승한 지역에 상승 기류가 발달하면서 저기
압이 형성되고, 그 결과 적도 태평양의 고기압 위치는 서쪽으로 이동한다. 고기압의 위치 변화가 저기압의 위치를 바꾸
고, 이러한 영향이 순차적으로 퍼져 나가면서 태평양뿐만 아니라 대서양과 전 지구적으로 영향을 미치게 되는 것이다.
우리나라가 겨울일 때 엘니뇨가 발생하면 적도 서태평양의 수
온 하강으로 필리핀 해 근처에 고기압이 만들어지고 북서 태평양
H
60$N
에 저기압이 나타나게 된다. 그림은 이러한 기압 배치의 변화에
시베리아 고기압(평년)
시베리아 고기압 대한 모식도이다. 찬 시베리아 고기압이 북쪽으로 이동하면서 강
40$N 동해
(엘니뇨 발생)
원 영동에는 눈이 많이 내리고, 평년보다 따뜻한 날씨가 나타난
저기압
다. 시베리아 고기압이 일시적으로 강하게 확장하면서 기습 한파
20$N
가 나타날 때는 서해안과 제주도에 많은 눈이 내리기도 한다. 여
고기압
엘니뇨 발달 름에는 북태평양 고기압이 약화되어 우리나라 남쪽으로 접근하
0$
지 않아 장마 전선이 북상하지 못하면서 마른 장마 현상이 나타
100$E 140$E 180$ 140$W 나기도 한다. 라니냐 시기에는 적도 태평양에 고기압이 좀 더 서
▲ 엘니뇨가 발생할 때 우리나라 주변의 기압 배치 쪽에 형성되면서 엘니뇨 시기와는 다른 기압 배치가 나타난다. 우
<출처: 기상청, 2016> 리나라는 시베리아 기단의 영향을 더 강하게 받으면서 보통 추운
겨울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엘니뇨 또는 라니냐가 발생하면 수온이 높아지는 지역이 변하고 수온 변화의 정도에 따라 생성된 기압의 위치와
세기가 달라진다. 그 결과 우리나라에 미치는 영향도 달라지기 때문에 엘니뇨와 라니냐, 기압 패턴의 변화 등에 대한
상세한 관측과 연구가 필요하다.

•관심 있는 지구의 다른 지역을 선택하여 엘니뇨와 라니냐의 영향이 전파되는 원리를 조사해 보자.

성취 정도를 표시해 보자
자기 1 용승, 침강, 남방 진동을 대기와 해양의 상호 작용 사례로서 설명할 수 있는가?
평가하기
2 해양의 변화가 초래할 수 있는 기후 변화를 설명할 수 있는가?

122 IV . 대기와 해양의 상호 작용


마무리

내용 정리 기초 개념 익히기

대기 대순환과 해양의 표층 순환
1. 대기 대순환 1 그림은 대양의 아열대 순환을 나타낸 것이다. A, B, C,
•직접 순환: 열대류의 원리, 해들리 순환과 극순환 D 해류의 이름을 쓰고, 그 특징을 쓰시오.
•지상풍: 무역풍, ➊ , 극동풍

2. 해양의 표층 순환: 북적도 해류, 쿠로시오 해류, 북태평양 60$N


해류, 캘리포니아 해류가 북태평양 아열대 순환을 이룬
동해 C
다.
30$N B D
A
3. 우리나라의 해류: 동해에서는 쿠로시오 해류에서 갈라진
동한 난류와 연해주 한류에서 갈라진 북한 한류가 나타 0$

나고 황해에서는 황해 난류가 나타난다. 100$E 140$E 180$ 140$W 100$W

해양의 심층 순환
1. 형성 원리: 극 지역에서 밀도가 ➋ 아진 해수는 침강하여 2 그림은 심층 순환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A~D의 이름
표층 순환 아래에서 순환을 형성한다. 을 쓰시오.
깊이

A
0
2. 구조: 저층수, 심층수, 중층수, 표층수 1 B
(

km D
2
)

C
3
3. 역할: 표층 순환과 대기의 순환을 변화시켜 기후 변화를
4
일으킨다.
60oN 40o 20o 0o 20o 40o 60o 80oS

엘니뇨와 남방 진동
1. 용승의 종류: 연안 용승, 적도 용승 3 그림은 엘니뇨 시기 태평양의 수온 편차 분포이다.
2. 엘니뇨: 열대 동태평양과 적도 지역의 수온이 상승하는 (단위: ¾)
o
현상으로 용승이 약해진다. 60 N

3. 엘니뇨 남방 진동(엔소, ENSO) 30 N


o 동해

•➌ 시기: 열대 태평양의 중심부와 동쪽의 수온이 o


0 3.5 A
상승하면 그 지역 기압이 낮아진다. 서태평양의 수온이
o
하강하면 그 지역 기압이 높아진다. 30 S

•➍ 시기: 열대 태평양의 중심부와 동쪽의 수온이 60 S


o
o o o o

하강하면 그 지역 기압이 높아진다. 서태평양의 수온이 120 E 180 120 W 60 W

상승하면 그 지역 기압이 낮아진다. A 지역의 기압은 평년과 비교하여 어떻게 변할까?

중단원 마무리 123


그림은 북극 빙하 면적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전 지구적인 기후 변화는 입사하는 태양
복사 에너지와 방출하는 지구 복사 에너지의 복사 평형에 따라 결정된다. 이러한 평형이
깨질 경우 대기와 해양의 순환을 변화시키고 기후 변화를 유발한다.

1984년과 2012년에 빙하
면적이 달라진 까닭은 무
그린란드 엇일까? 그린란드

캐나다
알래스카 캐나다
알래스카

▲ 1984년 ▲ 2012년

기후 변화
01. 기후 변화의 요인
02. 인간 활동에 의한 기후 변화
03. 기후 변화의 영향과 대책

자기 점검 - 알고 있는 용어를 체크해 보자.

기후 온실 기체 지구 온난화    태양 복사 에너지량
자전축    온실 효과    흑점 수 지구의 공전 궤도

▶ 체크하지 못한 용어는 인터넷에서 검색해 보자.

학습 계획 세우기 - 성취 기준을 달성하기 위해 어떤 준비를 할 수 있을지 써 보자.

124 IV . 대기와 해양의 상호 작용


01 기후 변화의 요인
•기후 변화의 원인을 자연적 요인과 인위적 요인으로 구분하여 설명할 수 있다.
•기후 변화의 자연적 요인을 지구 외적 요인과 지구 내적 요인으로 구분하여 설명할 수 있다.
•인간 활동에 의한 기후 변화를 지구 온난화를 중심으로 설명할 수 있다.

스스로 그림은 빙하 지역을 시추하여 얻은 빙하 코어 속 기포이다. 과학자들은 빙하 얼음 속


생각해 의 기포 등을 분석하여 지구의 과거 기후에 대한 정보를 얻는다.
보기
빙하 얼음 속의 기포를 통해 지구의 과거 기후에 대한 어떤 정보를 얻을 수 있을
까?

긴 지구의 역사 동안 기후는 계속 변해 왔다. 지구의 기후 변화 중에는 오랜 시간에


걸쳐 서서히 나타나는 것도 있고, 상대적으로 짧은 기간 동안 발생하는 것도 있다. 기
후 변화는 여러 요인들이 복잡하게 상호 작용하여 나타나지만, 하나의 요인에 의한
하나의 결과만을 고려한다면 기후 변화 문제를 단순화할 수 있다. 기후 변화의 여러
가지 원인을 알아보자.

1 고기후
지구의 과거 기후에 대한 자료는 지질 시대에 쌓인 퇴적물과 그 속에 포함된 화석, 연계 학습
고기후 ▶68쪽~69쪽
나무의 나이테 등에서 얻을 수 있다. 특히 빙하 얼음을 구성하는 산소의 동위 원소 비
율을 분석하면 과거 지구의 기온을 알 수 있고, 과거 빙하 얼음 속에 포함된 공기 방
울로 지구 대기에 포함된 기체의 농도를 알 수 있다.

고기후 자료 분석

시추 깊이(m) 그림은 남극 보스토크 빙하 표본을 분석하여 얻은 이산


0 500 1000 1500 2000 2500 2750 3000 3200 3300 화 탄소량, 메테인양, 상대적 온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산화
탄소량 280 이산화 탄소
ppmv 260
(

240 •온도와 이산화 탄소량, 메테인양과는 어떤 관계가 있는지


)

220 2
온도

온도 0
토의해 보자.
200
-2
-4
( )

메테인양 700 -6 #
-8
CH¢ 600
ppbv 500
(

1
400 ppmv는 공기 부피의 , ppbv는 공기 부피의
)

10ß
메테인
1
0 5 10 15 20 25 30 35 40 이다.
10á
연대(만 년 전)

<출처: 『Climate and Atmospheric History of the Past 420000


years from the Vostok Ice Core, Antarctica』, 1999>

2. 기후 변화 125
기후를 결정하는 요소 중 기온은 태양 복사 에너지와 지구 복사 에너지의 흡수・방
출량에 따라 달라진다. 따라서 이러한 에너지의 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통해
기후 변화의 원인을 파악할 수 있다. 지구 기후 변화의 원인은 크게 자연적 요인과 인
위적 요인으로 구분할 수 있다.

2 기후 변화의 자연적 요인
소빙하기와 중세 온난기 | 지구 외적 요인 |
1645년~1715년 유럽과 북아
태양이 방출하는 복사 에너지량은 흑점 수와 관련이 있다. 태양 흑점 수가 적은 시
메리카 지역이 추웠던 시기는 태
양의 흑점 수가 적었던 시기와 기에는 태양 활동이 약해 태양으로부터 방출되는 복사 에너지량도 적어진다. 그림
일치한다.
IV- 11과 같이 역사적으로 소빙하기로 알려진 시기는 태양 흑점 수가 적었던 시기와
일치한다.
태양 흑점 수 개( )

200
소빙하기

100

0
1600 1650 1700 1750 1800 1850 1900 1950 2000
연도(년)

그림 IV - 11 태양 흑점 수의 변화 <출처: 미국항공우주국(NASA), 2016>

지구 운동의 변화는 지역별로 입사하는 태양 복사 에너지량을


변화시켜 기후 변화를 초래한다. 지구의 공전 궤도는 그림 IV- 12

여름 와 같이 약 10만 년을 주기로 원에 가까운 형태에서 좀 더 납작한


여름 겨울 겨울
타원의 형태로 바뀐다.
원일점 지구 근일점
태양 공전 궤도가 원형인 경우는 지구와 태양과의 거리가 여름과 겨
울의 기온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반면 공전 궤도가 타원인 경우
는 원형인 경우보다 근일점은 태양에 더 가까워지고 원일점은 태
양에서 더 멀어진다. 따라서 근일점에서 지구에 입사하는 태양 복
그림 IV - 12 지구의 공전 궤도 변화(북반구)
사 에너지량이 증가하고, 원일점에서 지구에 입사되는 태양 복사
에너지량이 감소하므로 북반구 중위도는 더 따뜻한 겨울과 더 시
원한 여름이 나타난다.

126 IV . 대기와 해양의 상호 작용


지구 자전축은 그림 IV- 13과 같이 약 26000년을 주기로 팽이처럼 회전하여 경사 밀란코비치
(Milankovitch, M.,
방향이 변하는데, 이러한 운동을 세차 운동이라고 한다.
1879~1958)

세차 운동 세르비아의 과학자. 지구 공전
방향 궤도 형태 이심률 변화, 자전축
동해 동해 동해
동해 동해
경사각 변화, 세차 운동으로 지
구 기후 변화를 설명하였다. 이
자전 방향 것은 신생대에 나타난 빙하기와
잘 일치한다.
26000년 전 13000년 전 현재
그림 IV - 13 세차 운동
24.5##$

현재 북반구는 지구가 원일점 부근에 있을 때 여름이고, 근일점 부근에 있을 때 겨울 23.5##$


이다. 하지만 그림 IV- 14와 같이 세차 운동으로 지구 자전축 경사 방향이 현재와 반
21.5$
대로 되면 근일점 부근에서 여름이 되어 기온의 연교차가 증가한다.
동해

여름 지구 태양 겨울 겨울 지구 태양 여름

그림 IV - 14 세차 운동과 기온의 연교차

또한, 지구 자전축 경사각은 그림 IV- 15와 같이 약 41000년을 주기로 약 22.1°와


그림 IV - 15 지구 자전축
24.5° 사이에서 변화한다. 지구 자전축 경사각이 커지면 중위도와 고위도 지방에서는 경사각 변화

여름과 겨울에 받는 태양 복사 에너지량의 차이가 커져 여름 기온은 더 상승하고 겨울


기온은 더 하강한다.

| 지구 내적 요인 |
빙하는 주로 극 지역의 대륙 위에서 만들어지므로 남극 대륙의 위치가 빙하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빙하가 형성되면 지표의 반사율이 증가하므로 지구가 흡수하는
태양 복사 에너지량은 감소하게 된다.
지구는 지질 시대 동안 육지와 바다의 분포가 변해 왔는데 육지와 바다는 열용량과
태양 빛에 대한 반사율이 다르므로 수륙 분포가 달라지면 기온이 달라질 수 있다. 예
를 들면 고생대 말에 형성되었던 초대륙 판게아는 대륙 내에 건조한 대륙성 기후 지 그림 IV - 16 화산 활동으로 방
출된 기체와 먼지
역을 발달시켰다. 반대로 판게아가 분리되면서 해양성 기후 지역이 늘어났고, 겨울에
온난하고 여름에 시원한 지역이 증가하였다. 또한, 초대륙의 분리로 해류
의 방향이 다양해지면서 전 지구적으로 고른 에너지 분배가 이루어
질 수 있었다. 판의 이동으로 형성된 거대한 산맥 또한 지역 기
후에 중요하게 작용한다. 그림 IV- 16과 같이 화산 활동은 대
기로 많은 양의 기체와 먼지를 방출하여 대기의 투명도를 감
소시킨다. 그 결과 태양 복사의 반사율이 증가하고, 대기 투
과율이 감소하여 기온이 낮아지게 된다.

2. 기후 변화 127
3 기후 변화의 인위적 요인
주요 온실 기체의 온실 효 인간 활동의 결과로 기후가 변화될 때, 그러한 변화를 유발하는 요인을 인위적 요인
과 기여도(%)
이라고 한다. 특히 인간 활동으로 발생한 대기 중 온실 기체의 농도 증가는 최근에 일
온실 기체 기여도(%)
수증기 36~70 어나는 기후 변화의 중요한 원인으로 꼽히고 있다.
이산화 탄소 9~26
메테인 4~9
온실 기체에는 수증기, 이산화 탄소, 메테인, 오존 등이 있는데, 이들은 파장이 짧은
오존 3~7 가시광선의 태양 복사 에너지는 거의 투과시키고 파장이 긴 적외선의 지구 복사 에너
< 출처: 『E a r t h 's A n n u a l
지는 흡수하여 지표로 재복사함으로써 지표 온도를 높이는 온실 효과를 일으킨다.
Global Mean Energy
Budget』, 1997> 그림 IV- 17은 복사 평형 상태에 있는 지구의 열수지를 나타낸 것이다. 태양 복사
의 유입량을 100으로 할 때 지구의 대기와 지표면에서 에너지의 이동량을 간략히 표
시하였다. 대기의 온실 효과는 지표가 방출하는 133의 에너지 중 129를 대기가 흡수
한 후 지표로 다시 복사하는 현상으로, 대기 중 온실 기체의 농도가 증가하면 온실 효
과가 강화되어 기온이 상승하는 지구 온난화가 일어난다.

우주 반사 태양 복사 지구 복사
공간 (30) (100) (70)
(4) (66)

흡수
대기 방출
흡수 (129)
(25)

온실
효과

지표면 흡수(45) 방출(133) 흡수(88)

그림 IV - 17 지구의 열수지

온실 기체 중 이산화 탄소는 화석 연료의 사용과 숲의 파괴로 식생이 감소할 때 증


가한다. 메테인 기체는 가축의 사육과 습지나 음식물과 같은 젖은 쓰레기 등에서 미
생물이 유기물을 분해할 때 생성된다. 이처럼 온실 기체의 증가에 따른 기온 상승은
전 지구적인 규모의 기후 변화를 일으키면서 우리의 삶에 영향을 주고 있다.

성취 정도를 표시해 보자
자기 1 기후 변화의 자연적 요인과 인위적 요인을 구분하여 설명할 수 있는가?
평가하기
2 기후 변화의 인위적 요인을 지구 온난화를 중심으로 설명할 수 있는가?
3 기후 변화의 원인을 설명하는 다양한 가설을 이해하고 과학적으로 논쟁할 수 있는가?

128 IV . 대기와 해양의 상호 작용


02 인간 활동에 의한 기후 변화
•인간 활동에 의한 기후 변화를 이해할 수 있다.
•한반도의 기후 변화 경향성을 분석할 수 있다.

스스로 지금으로부터 5천6백만 년 전에는 자연적인 원인으로 지구의 기온이 상승하여 그린


생각해 란드에 야자수가 자라고 악어가 서식했다고 한다. 하지만 이후에 그린란드의 기온은
보기 다시 낮아져서 현재와 같이 대부분 얼음으로 덮여 있는 지역이 되었다.

인간의 활동이 활발해진 오늘날에는 지구의 기온이 어떻게 변하고 있을까?

오늘날 지구 온난화로 북극해의 빙하 면적이 감소하고, 전 지구 해수면은 상승하고


있다. 그런데 과거 지금보다 더 따뜻했던 시기가 있었다는 사실로 볼 때, 현재의 온난
화가 자연적으로 발생하였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한편 기후 변화에 관한 정부 간 기
후 변화 협의체(IPCC) 연구에 따르면 온난화는 화석 연료 연소에 의한 온실 기체 증
가가 가장 큰 원인이라고 한다.
현재 일어나고 있는 지구 온난화의 원인은 무엇인지 알아보고, 다양한 관측 자료로
지구 온난화의 경향을 탐구해 보자.

1 온실 기체 증가와 지구 온난화
대기 중 온실 기체는 그림 IV- 18과 같이 19세기 말부터 꾸준히 증가하였다. 이와
더불어 전 지구 평균 기온도 그림 IV- 19에서 보듯이 0.83 ¾/100년 비율로 꾸준히
상승하였다. 한편 2013년 하와이에서 관측된 이산화 탄소의 농도는 400 ppm을 넘
어섰다고 한다. 이것은 지난 200만 년 동안 가장 높은 수준이다.
이산화 탄소와 같은 온실 기체가 지구 온난화와 어떤 관련이 있는지 다음 탐구로
알아보자.

400 메테인 아산화


이산화 탄소량

양 질소량
380 동해
ppbv ppbv
( )
( )

360
메테인 1800
340 이산화 탄소 1600 330
320 1400 310
1200
(

ppmv300 290
아산화 질소 1000
)

280 800 270


1850 1900 1950 2000
연도(년)
-0.6-0.4-0.2 0 0.2 0.4 0.6 0.8 1 1.25 1.5 1.75 2.5
그림 IV - 18 전 지구 평균 온실 기체 농도 | 그림에서 점은 빙하 시추 자료이고, 실 기온 변화량(#)
선은 대기 중 실제 관측 자료이다. 그림 IV - 19 1901년~2012년 동안 지표의 기온 변화량
<출처: 「정부 간 기후 변화 협의체(IPCC) 5차 보고서」, 2014> <출처: 「정부 간 기후 변화 협의체(IPCC) 5차 보고서」, 2014>

2. 기후 변화 129
자료 해석 지구 기온 변화 자료 분석을 통하여 지구 온난화 경향 조사하기 탐구 능력 문제 해결력 의사소통 능력

목표 그림은 기후 모형으로 모의실험한 지구의 기온 변화와 실제 관측 기온이다.


관측과 기후 모형 예측 자료를
분석하여 최근 온난화 경향과 그
기후 모형은 3가지 조건에서 실험한 것으로, 전 세계 기후 연구 기관에서 사용 중인 수십 개의 모형 결
원인을 이해할 수 있다.
과를 평균하여 나타냈다. 여기서 편차는 1880년~1919년을 기준으로 한 변화량을 의미한다.

온도 편차

1.2
태양 변화, 화산 활동, 인간에 의한
온실 기체 변화를 모두 고려했을 때
(

# 1.0
)

0.8 온실 기체 증가만
고려했을 때
0.6 관측 기온

0.4

0.2

기후 모형 0

대기, 해양, 해빙, 지면, 식생 사 자연적 요인만


-0.2 고려했을 때
이의 여러 상호 작용을 구현하여
기후 변화를 예측하는 컴퓨터 프 1860 1880 1900 1920 1940 1960 1980 2000
연도(년)
로그램
<출처: 「정부 간 기후 변화 협의체(IPCC) 5차 보고서」, 2014>

과정
1 관측 결과를 이용하여 1960년대 이전과 이후의 기온 변화의 특징을 비교한다.
2 자연적 요인만을 고려했을 때 기온 변화의 특징을 관측값과 비교한다.
3 인위적 요인만을 고려했을 때 기온 변화를 관측값과 비교한다.
4 자연적 요인과 인위적 요인을 함께 고려했을 때 기온 변화를 관측값과 비교한다.

결과 및 정리
➊ 과정 2, 3, 4의 결과를 바탕으로 지구 온난화의 원인을 설명해 보자.
➋ 앞으로 지구 기온은 어떻게 변할지 예측해 보고, 모둠원들과 토론해 보자.

기후 모형 분석 결과 화산 폭발과 태양 흑점 변화 등 자연적 요인만을 고려했을 때


지구의 기온은 장기간 큰 변화가 없으며, 약간의 냉각 현상이 있었을 것으로 생각되
었다. 그러나 자연적 요인과 인위적 요인을 함께 고려했을 때 기후 모형은 관측된 기
온 변화를 잘 재현하고 있다. 따라서 현재의 지구 온난화는 자연적 기후 변동보다는
인위적 원인으로 나타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130 IV . 대기와 해양의 상호 작용


앞으로 인류가 온실 기체를 계속 배출한다면 온난화는 계속 진행될 것이다. 이와 RCP 시나리오 또는 대표
농도 경로(Representative
함께 기후 변화가 환경, 사회, 경제 및 문화에 미치는 영향은 더욱 커질 것이다. 기후 Concentration Pathways,
과학자들은 그림 IV- 20과 같이 미래 온실 기체 배출량 추이를 크게 4가지 시나리오 RCP)
대기 오염 물질 및 토지 이용 변
로 예상하고, 각각에 대해 기후가 어떻게 변할 것인지 기후 모형을 이용하여 예측하
화 등에 의해 향후 온실 기체 배
였다. 시나리오별로 차이가 있지만, 현재 추세로 온실 기체가 배출된다면 금세기 말 출량과 대기 중 농도가 2100년

(2081년경 ~ 2100년경)에 지구의 지표 온도는 현재보다 약 4 ¾ 가까이 상승할 것으 까지 어떻게 전개될지 나타내는
4가지 시나리오
로 예측된다. •RCP 2.6: 최소 배출량 시나
리오

기온 편차
이산화 탄소 농도

1250 6.0 •RCP 4.5, RCP 6.0: 중간 수


RCP 8.5 RCP 8.5 준의 저감 정책을 실시한 경우
1050
4.0
•RCP 8.5: 고농도 배출 시나
(
850 RCP 6.0 # 리오
2.0 과거
)

ppm 650
(

RCP 4.5
0.0
)

RCP 2.6
450 RCP 2.6
-2.0
2000 2020 2040 2060 2080 2100 1950 2000 2050 2100
연도(년) 연도(년)
그림 IV - 20 시나리오별 이산화 탄소 농도와 기후 모형이 예측한 미래 지표면 온도 변화
<출처: 「정부 간 기후 변화 협의체(IPCC) 5차 보고서」, 2014>

온난화가 심각해지면 기후 시스템에는 어떤 변화가 생길까? 북극 빙하의 면적이 감


소하고 북반구 고위도 영구 동토층이 줄어들며, 평균 해수면 상승과 해양 산성화 등
이 예상된다. 또, 미래에는 폭염이 더 자주 발생하며 지금보다 더 강한 집중 호우가
발생할 가능성이 커질 것이다. 기후 모형은 엘니뇨 남방
진동(엔소, ENSO)의 강도가 증가하고 대서양 열염 순
환은 약화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전세
계적으로
발생하고 집중 호
있다. 우가 자

2016년
1984년
줄어들고 있다.
▲ 빙하 면적이 점점

2. 기후 변화 131
2 한반도의 기후 변화
한반도 기온은 전 지구 평균 상승률보다 더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1981년~2010년
우리나라 기상 관측
우리나라는 1900 년대 초부터 동안 연평균 기온은 1.2 ¾ 상승하였으며, 강수량은 지난 30년 동안 78 mm 정도 증
일부 지역에서 기상 관측을 시작
가한 것으로 관측되었다. 또한, 여름이 길어지고 겨울이 짧아지면서 봄꽃 개화 시기
하였고, 1970년대 이르러 전국
60여 개 기상 관측소에서 다양 가 빨라지고 있으며, 여름철에 주로 발생하는 전염병이 봄철에도 자주 나타나고 있
한 관측을 하였다. 다. 한반도의 기후가 어떻게 변하고 있는지 그 경향성을 알아보자.

표 IV - 1 최근 30년 동안(1981년~2010년) 한반도의 기온 및 강수량 변화 추세

구분 연 봄 여름 가을 겨울

기온 한반도 0.41 0.25 0.24 0.49 0.56


변화 남한 0.36 0.23 0.11 0.43 0.57 •기온 단위: ¾/10년
경향 북한 0.45 0.28 0.39 0.52 0.47 •강수량 단위: mm/10년

강수량 한반도 25.87 10.34 28.07 -7.70 2.20


변화 남한 54.28 16.95 48.26 -11.85 1.99
<출처: 「한반도 기후 변화
경향 북한 -25.19 -3.20 -5.54 -3.24 -1.40 전망 보고서」, 2012>

자료 해석 관측 자료를 활용하여 한반도의 기후 변화 경향성 파악하기

목표 그림은 지난 30년 동안(1981년~2010년) 기온 및 강수량의 변화 추세를 지역별로 나타낸 것


관측 자료를 활용하여 한반도의
이다. 이 기간에 전 지구 평균 기온은 0.16 ¾/10년 비율로 증가했다고 한다.
기후 변화 경향성을 파악할 수
있다.

동해 동해

변화율 (mm/10년)
변화율 (#/10년) 12.1 이상
0.51 이상 9.1 ~ 12.0
0.41 ~ 0.50 6.1 ~ 9.0
0.31 ~ 0.40 3.1 ~ 6.0
0.21 ~ 0.30 0.1 ~ 3.0
0.11 ~ 0.20 -2.9 ~ 0.0
0.01 ~ 0.10 -5.9 ~-3.0
0.00 이하 -6.0 이하

▲ 30년 동안 기온 변화율 ▲ 30년 동안 강수량 변화율

<출처: 「한반도 기후 변화 전망 보고서」, 2012>


132 IV . 대기와 해양의 상호 작용
한반도의 기온은 거의 모든 지역에서 상승하고 있다. 공간적으로 보면 수도권과 내
륙 지역에서 온난화가 두드러지게 나타나며, 호남의 해안 지역에서 약하게 나타난다.
강수량은 지난 30년 동안 연평균 강수량이 7 % 정도 증가하였고, 공간적 변동성이
커서 증가하는 지역과 감소하는 지역이 혼재되어 있다.
우리나라에서 최근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기록적인 호우, 위력적인 태풍 피해,
잦은 폭설과 한파, 강풍 등은 온실 기체 증가로 발생한 전 지구 기후 변화가 그 원인
이라는 것이 밝혀지고 있다. 앞으로 지구 온난화가 가속되면서 이러한 극한 기상 현
상의 빈도와 강도가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대규모 자연재해를 대비하고
기후 변화에 효율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성취 정도를 표시해 보자
자기 1 인간 활동으로 발생한 기후 변화의 원인과 결과를 설명할 수 있는가?
평가하기
2 한반도의 기후 변화 원인과 미래 기후 변화를 전망할 수 있는가?

탐구 능력 문제 해결력 의사소통 능력

과정
1 전 지구 평균보다 기온 증가율이 높은 지역과 낮은 지역을 찾아 원하는 색으로 표시한다.
2 강수량이 증가하는 지역과 감소하는 지역을 찾아 서로 다른 색으로 표시한다.
3 우리 지역의 기온과 강수량 변화를 한반도 평균과 비교한다. 태풍 예보로 해안에 정박된

어선들
결과 및 정리
➊ 지난 30년 동안 한반도의 기온과 강수량이 어떻게 변해왔는지 정리해 보자.
➋ 기온 증가율이 전 지구 평균보다 높은 지역과 낮은 지역의 특징을 비교하여
분석해 보자.
➌ 최근 지구 온난화의 영향으로 우리나라에서 발생한 이상 기상 현상을 조사하고,
당면한 기후 변화 문제를 해결하고 대응하기 위한 방법을 발표해 보자.

량이 급증
한파가 올 때 전력 사용
▲ 폭염이나
하고 있다. ▲ 폭염은 농작물
수확에 피해를
준다. 2. 기후 변화 133
03 기후 변화의 영향과 대책
•인간 활동으로 발생한 기후 변화가 환경・사회・경제적으로 미치는 영향을 설명할 수 있다.
•기후 변화의 원인을 설명하는 다양한 가설을 주제로 논쟁할 수 있다.
•기후 변화 문제를 과학적으로 해결하는 방법을 토론할 수 있다.

1 기후 변화의 영향
인간 활동에 의한 온실 기체 증가는 지구 온난화를 유발하고, 온난화에 의해 세계
이상 기상과 이상 기후
이상 기상은 과거 30년 동안 나 곳곳에서는 이상 기후가 나타난다. 이와 더불어 생물 다양성이 감소하고, 식량 문제
타나지 않았던 기상 현상으로, 가 대두되면서 인간의 삶이 심각하게 위협받을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기후 변화 추
이상 기상 현상이 나타나는 대기
상태를 이상 기후라고 한다.
세 및 원인을 규명하고, 기후 변화에 따른 생태학적, 사회・경제적 영향을 평가하여
이에 적절히 대응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창의

프로젝트 기후 변화의 원인을 설명하는 다양한 가설들과 기후 변화 대응 전략 사고력 문제 해결력 의사소통 능력

과학자들은 기온이 상승하는 원인과 그 원인이 작용하는 과정과 관련하여 여러 가지 가설을 제시하고 있
다. 또한, 국가별로 다양한 온난화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기후 변화의 원인을 설명하는 가설을 모둠별로
조사하여 논쟁해 보고, 기후 변화 문제를 과학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방법을 토의해 보자.

Step 1 기후 변화의 원인을 설명하는 가설 조사하기


목표 기후 변화의 원인을 설명하는 다음 가설 중 모둠별로 하나를 선택하여 각 원인이 어떻게 지구
기후 변화의 원인을 설명하는 다 의 기후 변화를 일으키는지 조사한다. 다른 모둠에서 선택한 가설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우리
양한 가설을 주제로 논쟁할 수
모둠이 선택한 가설의 문제점은 어떻게 해결할 수 있는지 조사하여 토론할 준비를 한다.
있다.

인간 활동에 따른 온실 기
천문학적 원인이 기후 지구의 수륙 분포 변화나 화산
체의 증가가 기후 변화의
변화의 가장 중요한 요 활동과 같은 지각 변동이 지구
가장 큰 원인일 거야.
인이라고 생각해. 기후를 크게 변화시키고 있어.

해양의 심층 순환의
태양 활동이 달라져 변화가 지구 기후에
서 지구의 기온도 크 영향을 미치는 것은
게 변하는 거야. 아닐까?

134 IV . 대기와 해양의 상호 작용


Step 2 논쟁하기
다음과 같은 순서에 따라 기후 변화의 원인에 관한 논쟁을 진행한다.

1 2
순서를 정하여 모둠별로 선택한 가설
다른 모둠이 제안한 기후 변화
주장하기 이 어떻게 지구의 기후 변화 원인을 반박하기
원인의 문제점을 지적한다.
설명하는지 발표한다.

4 3
기후 변화의 원인을 설명하 지적받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자유 재주장
는 서로 다른 가설들에 관하 우리 모둠의 주장을 수정하거
토론하기 하기
여 자유롭게 토론한다. 나 보완한 후 다시 발표한다.

•기후 변화의 원인과 관련한 가설을 주제로 논쟁할 때 지켜야 할 규칙을 생각해 보자.

Step 3 기후 변화 문제를 과학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방법 토의하기


기후 변화 문제에 대응하는 방안에는 ‘완화’와 ‘적응’이 있다. 모둠별로 완화와 적응의 구체적
인 사례를 조사하고, 기후 변화 문제를 과학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국가적으로 실행해야 하는
일과 개인이 일상생활에서 실천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인지 토의해 보자.

•완화: 온실 기체 배출을 감축하거나 온실 기체를 흡수하여 기후 변화와 그 영향을 줄이는 방법


•적응: 실제로 일어나고 있거나 일어날 것으로 예상되는 기후 변화로 발생한 위험을 최소화하
고 나아가 이를 활용하는 방법

우리나라에서는 양식 어종과 미국에서는 강력한 허리케인에 예시로 주어지지 않은


재배 작물에 변화를 주었어. 다른 국가를 조사하여도 좋다. 또
대한 재난 대책을 강화하고 있어.
한, 국가별로 더 다양한 대책을 조
방글라데시는 해수면 사하여도 좋다.
상승과 홍수로 인한 침
오스트레일리아에
수로 농지가 점점 부족
서는 그린 빌딩 사
해지고 있어서 곡물을
업을 추진하고 있어.
물에 띄워서 재배하는
방법을 연구 중이야.

Step 4 핵심 역량 평가하기
성취 정도를 표시해 보자

과학과 핵심 역량 평가 내용
사고력 다양한 가설로 기후 변화 원인을 설명할 수 있는가?
문제 해결력 기후 변화 원인과 관련한 가설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대안을 제시할 수 있는가?
의사소통 능력 자신의 의견을 명확히 제안하고 다른 사람의 의견을 존중하여 결론을 도출했는가?

2. 기후 변화 135
기후 변화는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많고 이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일어나는
매우 복잡한 현상이다. 또, 지구 온난화로 발생한 기후 변화는 그림 IV- 21과 같이
지구 환경에 여러 가지 변화를 초래하고 사회・경제적으로도 인간 활동에 광범위한 영
향을 미친다. 따라서 기후 변화의 원인과 관련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고 여러 분
야에서 기후 변화 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환경적 영향

•빙하의 감소
•다우 지역의 홍수 증가
•건조 지역은 고기압 강화로 사막화 확대
•해수면 상승으로 해변 지역이나 작은 섬나라가 잠김
•식물이나 동물의 서식 위치와 종의 변화와 같은 생
태계 변화

사회적 영향 경제적 영향

•겨울철 한파나 여름철 폭염으로 사망자 증가 •폭염, 혹한, 폭설, 가뭄, 홍수 등에 따라 필요한 산업 변화
•고온화로 세균성 질병 증가 •가뭄은 생활용수 공급과 농업용수의 제한을 가져오고,
•황사로 호흡기 질환이나 피부병 증가 산불 발생은 산림 피해로 이어져 목재 가격 상승
•식량 가격이나 생필품 생산 비용 증가는 개인적 삶 •여름철 이상 고온과 강수량 감소는 녹조 증가를 가
의 불안정성을 증가시켜 사회적 안전성 위협 져와 식수원을 오염시켜 식수 생산 비용 가중
•오존 농도 증가로 대기 오염 및 여름철 호흡기 질환 •여름철 바다의 수온 상승으로 적조 현상이 나타나
증가 양식장 등 수산업 피해 증가

그림 IV - 21 기후 변화의 영향

136 IV . 대기와 해양의 상호 작용


2 기후 변화 협약과 세계 각국의 과학적 해결 방안
기후 변화와 그에 따른 다양한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세계 각 1972년 과학자들 국제적 법규 마련 촉구

국은 기후 변화를 완화하고, 기후 변화에 적응하기 위해 노력하 정부 간 기후 변화 협의체 (IPCC)


1988년
고 있다. 기후 변화를 완화하는 대표적인 방법은 온실 기체 배출 발족

을 줄이고 온실 기체를 흡수하여 기후 변화의 진행을 최소화하 유엔 기후 변화 협약(UNFCCC)


1992년
체결
는 것이다. 이를 위해 화석 연료를 대체할 수 있는 신・재생 에너
온실 기체 감축을 위한 교토 의정
지의 개발과 에너지 효율성 개선에 노력하고 있으며 대기로의 1997년
서 채택
탄소 방출량을 줄이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또한, 이산화 탄소
2005년 교토 의정서 발효
를 흡수하는 숲의 황폐화를 막고 산림 조성에 노력하고 있다. 그
림 IV- 22는 이러한 노력을 반영하는 세계 각국의 환경 협약을 2009년 한국, 온실 기체 감축 목표치 발표

정리한 것이다. 세계 195개국, 2015년까지 법적


2011년 구속력을 갖춘 새로운 기후 변화
지구의 기후 변화는 인류의 생존과 직결되어 있기 때문에 세
체제 수립 목표에 합의
계 각국은 기후 변화로 발생하는 위험을 최소화하고 나아가 이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21차 유엔
를 활용하는 다양한 적응 방법을 준비하고 있다. 기후 변화 협약 당사국 총회(COP
그림 IV- 23은 기후 변화에 적응하는 세계 각국의 방안 중 일 2015년 21)에서 ‘2100년까지 지구 온도 상
승 폭을 2 ¾ 이하로 제한’하자는 데
부를 나타낸 것이다. 합의

그림 IV - 22 기후 변화 협약

유럽 해빙으로 발생하는 홍수와 산사태를 대비하기 위해 제방 설치

중국 가뭄에 견디는 고구마 재배, 방풍림

일본 침수 피해 방지 주택 미국 기상 재난에 대한 대책 강화

방글라데시 수상 정원 동해

태국 인공 강수 사업

오스트레일리아 그린 빌딩 사업, 옥상 정원

뉴질랜드 기후 변화에 적응하는 농법 개발

케냐 황폐해진 땅에 나무를 심고 숲을 회복
그림 IV - 23 기후 변화 적응 방안

2. 기후 변화 137
국가적인 대응책과 더불어 우리 각자는 에너지를 절약하고 대중교통을 이용하여 화
석 에너지 사용을 줄이며, 분리수거로 자원을 재활용하고, 나무를 심는 등 생활 속에
서 할 수 있는 일을 실천함으로써 기후 변화 완화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국가적인
적응 노력에 동참하고 기상 재해가 발생할 경우 안전 대책을 숙지하여 실천한다면 기
후 변화에 따른 부정적인 영향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문제 해결력 사고력
핵심
역량
겨울 기온을 좌우하는 북극 진동
기르기 올겨울의 기온이 평년에 비해 온난할지 매우 추울지를 예측하는 지표의 하나로 북극 진동이 이용되기도 한다. 북극
진동이란 ‘극 소용돌이’라고도 불리는 북극 주변의 강한 제트류가 수십 일 또는 수십 년 주기로 강약을 되풀이하는 현
상이다. 북극 진동 지수(AOI, Arctic Oscillation Index)는 북극 진동을 숫자로 나타낸 것으로, 그림과 같이 제트
류가 강할 때는 양의 값으로, 제트류가 약해져 크게 진동할 때는 음의 값으로 나타낸다.

평상시 제트류 약해진 제트류

북극 북극
북극

동해
+
북극 진동 지수가 (+)인 경우
동해

북극 진동 지수가 (-)인 경우
-
북극의 기온이 낮을수록 극 지역과 중위도 지역 사이의 제트류가 강해져 서에서 동으로 부는 바람이 강한 벽을 형
성하면서 찬 공기는 고위도 지역에 갇히게 된다. 반대로 북극의 기온이 상승하면 제트류가 약해져 서에서 동으로 부
는 바람이 크게 진동하게 되고, 극 지역의 찬 공기가 중위도 지역으로 유입되어 중위도에 추운 겨울을 만든다. 즉, 지
구 온난화로 북극 지역 기온이 상승하면서 우리나라에는 온난화에서 예상되었던 따뜻한 겨울이 아닌 한파와 폭설이
심한 겨울이 찾아오기도 한다.

1 우리나라를 포함한 중위도 지역에 추운 겨울이 나타날 때 북극 진동의 모습을 조사해 보자.
2 지구 온난화와 북극 진동의 관련성을 토의해 보자.

성취 정도를 표시해 보자
자기 1 인간 활동에 의한 기후 변화가 환경・사회・경제적으로 미치는 영향을 설명할
평가하기
수 있는가?
2 다양한 기후 변화의 원인과 결과에 대해 과학적 근거를 들어 논쟁할 수 있는가?

138 IV . 대기와 해양의 상호 작용


마무리

내용 정리 기초 개념 익히기

기후 변화의 원인
1. 지구 외적 요인 1 지구 자전축 경사각이 현재 23.5$
•공전 궤도 형태의 변화 보다 증가한 24 .5 °로 바뀔
24.5$
•자전축 경사각의 변화 경우 우리나라에는 어떤 기
•➊ 경사 방향의 변화(세차 운동) 후 변화가 나타나는가?
지구
2. 지구 내적 요인
•수륙 분포 변화, 빙하의 위치와 규모 변화
•판 구조 운동에 따른 기후 변화 2 화산 활동으로 대기 중 기체와 먼지가 증가한다면 태양 복
•화산 활동으로 태양 복사의 반사율과 투과율 변화 사의 반사율과 투과율은 어떻게 변화하겠는가?

인간 활동으로 나타난 기후 변화
1. ➋ : 지구 복사를 흡수하고 재방출하여 지표 3 자연적 요인만을 고려할 때 기후 모형은 실제 관측값보다
기온을 상승시키는 기체 낮은 기온을 나타내었다.

기온 변화
수증기, 이산화 탄소, 오존, 메테인 등
2. 기후 모형 연구 1.0 관측값
•인위적 요인(온실 기체 증가)을 고려할 때만 과거 기후 재 0.5
(

o
C
현 가능 → 최근의 온난화가 인간 활동 결과인 증거
)

0.0
•미래 기후 변화 전망: 온실 기체 증가가 계속된다면 21세 기후 모형
1900 1950 2000
기 말에 현재보다 4 ¾ 가까이 기온 증가 예측 연도(년)
3. 한반도 기후 변화
자연적 요인만을 고려할 때 기후 모형은 왜 실제보다 낮은
•온난화에 따라 여름이 길어지고, 강수량 증가
기온을 나타낼까?
•최근 발생한 폭염, 기록적 호우, 태풍, 폭설, 강풍 등의
원인은 온난화에 따른 기후 변화로 추정

기후 변화의 영향
1. 기후 변화의 원인에 따른 영향 4 지구 기온을 상승시키는 온실 기체에는 어떤 종류가 있는
•온실 기체 증가 → 흡수되는 ➌ 복사 에너지량 증가 가?
→ 지구 기온 상승
•입사하는 태양 복사 에너지량 증가 → 지구 기온 상승
•빙하 감소 → 태양 복사의 반사율 ➍
5 기후 변화의 결과 다음과 같은 질병이 증가하였다. 이러한
2. 기후 변화에 대한 적응 전략 질병 증가의 환경적 원인을 쓰시오.
•수온과 기온 변화 → 양식 어종과 재배 작물 바꾸기 ⑴ 여름철 호흡기 질환 증가
•수온 상승 → 태풍의 위력 변화 예측 → 태풍 대비 ⑵ 겨울철과 봄철 호흡기 질환 증가
•해수면 상승 → 농지 부족 → 수경 재배 기술 개발 ⑶ 식중독균 증가

중단원 마무리 139


마무리

대기 대순환과 해양 대기 대순환의 지상풍인 무역풍, 편서풍, 극동풍은 대양에 열대 순환, 아열대 순환,
의 표층 순환 아한대 순환을 형성한다.
표층 순환과
심층 순환 극 지역 해수는 온도가 낮고 염분이 높아짐에 따라 밀도가 높아져 침강한다. 그 결과
해양의 심층 순환 전 세계 대양에서 심층 순환을 형성한다.

무역풍 약화 수온 변화 기압 변화 기후 변화
와 남방
엘니뇨 대기 대순환 중 열대 태 적도 태평양 지역의 용 동태평양이 저기압 지역 지구 전체적인 저기압과
진동
평양에 나타나는 무역풍 승 현상의 약화로 태평 으로 변하고 서태평양은 고기압의 위치 변화로
은 주기적으로 양의 동쪽과 중심부 고기압 지역으로 지역에 따라 강수량
약해짐 의 수온 상승 바뀜 변화

지구 외적 지구 공전 궤도 이심률의 변화, 자전축 경사각의 변화, 자전축 경


자연적 요인 사 방향의 변화는 지구에 입사하는 태양 복사 에너지량을 변화시켜
요인
주기적인 기후 변화를 유발한다.

기후 변화의 지구 내적
・대륙의 위치 → 빙하의 크기 변화 → 태양 복사 반사율 변화
원인 요인
・화산 기체의 증가 → 온실 기체 증가 → 기온 상승
・화산 분출로 먼지 증가 → 태양 복사의 반사율 증가

・화석 연료 사용 증가 → 온실 기체 증가 → 기온 상승
인위적 요인
・식생 감소 → 이산화 탄소 증가 → 기온과 지표 온도 상승

스스로 성취 정도를 표시해 보자


평가하기 1 대기 대순환과 해양의 표층 순환의 관계를 설명할 수 있는가?
2 해양에서 심층 순환이 일어나는 원리와 심층 순환의 역할을 설명할 수 있는
가?
3 엘니뇨, 라니냐, 남방 진동의 관계를 기후 변화와 관련지어 설명할 수 있는
가?
4 기후 변화의 자연적 요인과 인위적 요인을 설명하고, 자연적 요인을 지구 외
적 요인과 지구 내적 요인으로 구분하여 설명할 수 있는가?
5 인간 활동에 의한 기후 변화를 설명하고, 기후 변화의 영향과 대책을 토론할
수 있는가?

140 IV . 대기와 해양의 상호 작용


IV . 대기와 해양의 상호 작용

개념 확인하기 개념 확장하기

1 다음의 해류와 같은 위도에서 같은 방향으로 부는 지상풍 5 그림은 북반구 지역의


을 연결하시오. 대기 대순환을 나타낸 60oN A
동해
⑴ 북적도 해류 • 것이다. 이에 대한 설
•⒜ 북동 무역풍 30oN
⑵ 북태평양 해류 • 명으로 옳은 것만을
•⒝ 편서풍 0o
⑶ 북대서양 해류 • <보기>에서 있는 대로
•⒞ 극동풍 고른 것은?
⑷ 남극 순환 해류 •
보기
ㄱ. 저위도 지역에는 남동 무역풍이 나타난다.

2 그림은 엘니뇨와 라니냐 시기의 열대 태평양 수온 분포를 ㄴ. 위도 30° 지역은 고압대에 해당한다.
나타낸 것이다. ㄷ. A는 열대류에 의한 직접 순환이다.

26
24
30
28 28
26
24 22 6 그림은 대양의 해류를 나타낸 것이다.
적도 적도 30 22
30 26
28 26 20
24
o
( C) (oC) 60$N
(가) (나)
동해
C
⑴ (가), (나)는 각각 어느 시기인지 쓰시오. 30$N B D
⑵ (가), (나) 시기에 나타나는 수온 특징을 쓰시오. A

0$

3 우리나라에서 나타날 수 있는 기후 변화에 대한 설명으로


100$E 140$E 180$ 140$W 100$W

옳은 것은 ◯표, 옳지 않은 것은 ×표를 하시오. A, B, C, D 해류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⑴ 지구 자전축 경사각이 클수록 기온 연교차는 증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르시오.
보기
가한다. ( )
ㄱ. A는 북적도 해류이다.
⑵ 지구 공전 궤도가 원형에 가까울수록 태양과의
ㄴ. B는 D보다 수온과 염분이 높다.
거리 변화가 없어 계절 변화가 나타나지 않는다.
ㄷ. C는 북태평양 해류로, 편서풍의 영향을 받는다.
( )
⑶ 지구 자전축 경사 방향이 현재와 반대가 되면 우
리나라는 물론 남반구에서도 연교차가 증가한다.
( )
7 우리나라 주변 해류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르시오.
보기
ㄱ. 동한 난류는 겨울보다 여름에 빠르게 흐른다.
4 지구 온난화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고르시오.
ㄴ. 북한 한류는 동한 난류보다 용존 산소량이 적다.
⑴ 온실 기체의 증가는 전자기파의 파장 중 ( 적외선,
ㄷ. 조경 수역이 형성되는 해역의 수온은 연중 일
가시광선 )의 흡수를 증가시킨다.
정하다.
⑵ 대기 중 화산재의 증가는 태양 복사의 ( 흡수율 ,
ㄹ. 황해는 동해보다 해류의 유속이 빠르다.
반사율 )을 증가시킨다.

단원 마무리 141
마무리

8 그림은 엘니뇨가 발생할 때 기압 분포와 대기의 흐름을 나 10 용승과 침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
타낸 것이다. 는 대로 고르시오.
보기
ㄱ. 용승은 심층의 찬물이 위로 올라오는 현상이다.
ㄴ. 적도 지역은 대표적인 침강 해역이다.
적도 ㄷ. 용승한 물은 영양 염류가 풍부하다.
ㄹ. 용승 해역의 대기는 안정하여 안개가 자주 발
60oE 180o 60oW
생한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
르시오.
보기
ㄱ. 무역풍이 평상시보다 약해진다.
ㄴ. 인도네시아 지역에서는 강수량이 감소한다.
ㄷ. 서태평양에 하강 기류가 발달한다.
11 다음 글의 빈칸에 들어갈 현상을 옳게 짝 지은 것은?
•온난화로 극지방의 빙하가 녹으면, ( ㉠ )로 해수
가 흡수하는 열이 많아져서 기온이 상승한다.
•온난화로 고위도의 토탄 습지가 따뜻해지면,
( ㉡ )로 대기가 흡수하는 열이 많아져서 기온이
상승한다.

㉠ ㉡
① 반사율 감소 메테인 농도 증가
② 반사율 감소 수증기 증가
9 그림은 남극 보스토크 빙하 표본을 분석하여 얻은 이산화 ③ 반사율 증가 메테인 농도 감소
탄소량, 메테인양, 상대적 온도를 나타낸 것이다. ④ 반사율 증가 수증기 감소

0 500 1000 1500 2000 2500 2750 3000


시추 깊이(m)
3200 3300
⑤ 구름양 증가 수증기 증가
이산화 280 이산화 탄소
260
탄소량
온도

240
ppmv
( )

220 2
200 0
온도 -2
(

-4
메테인양 700 -6 #
-8
)

600
ppbv
( )

500

12 기후 변화와 그 영향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


400
메테인
-50
0 10 15 20 25 30 35 40
A B 연대(만 년 전) 에서 있는 대로 고르시오.
A 시기와 비교한 B 시기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보기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르시오. ㄱ. 엘니뇨 시기 우리나라의 겨울은 한랭 건조하다.


보기 ㄴ. 초대륙 판게아가 형성된 시기에는 대륙성 기후
ㄱ. 온실 기체가 많다. 지역이 현재보다 넓게 나타났다.
ㄴ. 지구 복사에 대한 흡수율이 증가한다. ㄷ. 자동차 배기가스의 증가는 여름철 대류권에 오
ㄷ. 지표 반사율이 증가한다. 존 생성을 증가시킨다.

142 IV . 대기와 해양의 상호 작용


IV . 대기와 해양의 상호 작용

서술형 문제

13 그림은 지구 자전축 경사각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자전축 경사각 24.5##$ 과학적 사고력
이 감소할 경우 우리나라에서 여름 기온과 겨울 기온의 변화 과정 23.5##$ 지구 자전축 경사각 변화
을 태양의 남중 고도 변화와 관련하여 설명해 보자. 계절별 기온 변화
21.5$

동해

14 그림은 엘니뇨, 평상시, 라니냐 시기 태평양의 수온 편차 분포도를 순서 없이 나타낸 것이다. 과학적 문제 해결력
수온 편차는 관측한 지점의 표층 수온값에서 30년 평균한 수온값을 뺀 값이다. 엘니뇨와 라니냐
60oN 전 세계 기후 변화
동해
30oN

(가) 0o 2.5 3.5


30oS
⑴ 각각 어느 시기의 수온 편차 분
60oS
120 Eo
180 o o
120 W o
60 W 포인지를 판단하고, 그렇게 판
o
60 N 단한 근거를 각 시기에 대한 정
1.5
동해
30oN 의를 고려하여 설명해 보자.
0.5

0o
(나)
30oS

60oS
120oE 180o 120oW 60oW ⑵ (가)~(다)와 같이 수온 편차 분
o
60 N 포가 나타날 때 실제 수온 분포
1.5
30oN
동해
는 어떤 경향으로 나타날지 설
명해 보자.
(다) 0o -1.5

30oS

60oS
120oE 180o 120oW 60oW

-4 -2 0 2 4
수온 편차(#)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

15 온실 기체로 발생한 지구 온난화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방법을 찾아보자. 온실 기체


지구 온난화

단원 마무리 143
■이 단원의 주요 핵심 역량을 알아봅시다.
과학적 별의 스펙트럼과 광도로부터 별의 온도와 크기를
사고력 결정하는 방법을 고찰할 수 있다.

과학적 H - R도에서 위치에 따른 별의 특징을 물리량과


탐구 능력 관련지어 탐구할 수 있다.

과학적 별의 H - R도를 태양의 진화와 연관시켜 설명할


문제 해결력 수 있다.

과학적 별의 진화를 이해하기 위해 H - R도를 작성하고


의사소통 능력 분석하여 토론할 수 있다.

과학적 참여와 외계 행성계와 외계 생명체 탐사의 현황과 의의를


평생 학습 능력 지속적으로 조사하고 학습할 수 있다.

■이 단원과 연계된 학습 과정을 알아봅시다.

중학교
통합과학 지구과학 Ⅰ 지구과학 Ⅱ
과학

■연주 시차와 별의 거리 ■우주 초기의 원소 생성 ■별의 물리량 ■천체의 거리


■별의 등급과 표면 온도 ■태양 에너지 ■외계 행성계 ■쌍성계의 질량
■태양계 ■H - R도와 별의 진화
별과
외계 행성계
1. 별의 특성과 진화
2. 외계 행성계와 외계 생명체 탐사

이 단원에서는
별의 표면 온도와 광도를 결정하는 원리를 이해하고, H - R도를 작성
하여 별의 특성과 진화 과정을 탐구한다. 또, 외계 행성계와 외계 생
명체 탐사의 필요성을 이해함으로써 지구 및 지구에 존재하는 생명체
의 소중함을 인식한다.
사진은 황소자리 방향에 있는 게성운의 모습이다. 게성운은 초신성이 폭발하여 남은 잔
해로 이 성운의 중심에는 강한 전파를 방출하는 천체가 있다.

게성운처럼 빛을 내면서
폭발하여 죽기까지 별은
어떤 진화 과정을 거치게
될까?

별의 특성과 진화
01. 별의 물리량
02. H - R도와 별의 특징
03. 별의 탄생과 진화
04. 별의 에너지원과 내부 구조

자기 점검 - 알고 있는 용어를 체크해 보자.

별자리 분광형 겉보기 등급 절대 등급


거성 블랙홀 초신성 폭발 핵융합 반응

▶ 체크하지 못한 용어는 인터넷에서 검색해 보자.

학습 계획 세우기 - 성취 기준을 달성하기 위해 어떤 준비를 할 수 있을지 써 보자.

146 V. 별과 외계 행성계
01 별의 물리량
•별의 스펙트럼 특성으로부터 표면 온도를 추론할 수 있다.
베텔게우스

•동일한 표면 온도에서도 별의 광도가 다른 까닭을 설명할 수 있다.


•별의 광도로부터 별의 크기를 알아낼 수 있다.

별자리는 밤하늘에 보이는 별들을 특정한 모양으로 무리 지어 부르는 것이다. 그리스 리겔


스스로
신화에 나오는 사냥꾼의 이름이 붙여진 오리온자리는 우리나라 겨울철 밤하늘에서
생각해 쉽게 찾을 수 있다. 오리온자리는 사냥꾼의 몸을 이루는 7개의 주된 별을 비롯한 많
보기 은 별로 이루어져 있다.

오리온자리를 이루는 주요 별들은 색과 밝기가 모두 같을까?

오리온자리를 자세히 관찰하면 별들의 색과 밝기가 다양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베텔게우스와 리겔은 각각 붉은색과 청백색을 띠며 다른 별들보다 밝게
보인다. 과학자들은 이처럼 별이 가지고 있는 고유한 물리량으로 뭇별을 분류한다.
별의 특성을 나타내는 물리량과 그들 사이의 관계를 알아보자.

1 별의 색과 표면 온도 파장에 따른 전자기파의 종류

별의 색이 다양한 것은 별마다 표면 온도가 다르기 때문이다. 별의 색과 표면 온도 별은 전자기파를 방출한다. 전자


기파는 파장에 따라 감마선, X선,
의 관계는 흑체의 성질로 설명할 수 있다. 흑체란 입사된 에너지를 모두 흡수하고 방 자외선, 가시광선, 적외선, 전파
출하는 이상적인 물체를 말한다. 등으로 나뉜다.

그림 V- 1과 같이 흑체는 온도가 높을수록 모든 파장에서 더 많은 에너지를 방출한


다. 또, 고온의 흑체일수록 최대 에너지를 방출하는 파장이
가시광선
짧아진다. 즉, 흑체의 온도(T)와 최대 에너지를 방출하는 파 자외선 적외선
복사 에너지의 상대 세기

10
장(k) 사이에는 다음과 같은 관계가 성립하는데, 이를 빈의
8
변위 법칙이라고 한다.
6
6000 K
a
빈의 변위 법칙 kµŒÅ= (a = 2.898_10Ü μm·K)
T
4 5000 K
4000 K
별은 흑체와 유사하게 온도에 따라 각 파장에서 방출하는 2
3000 K
복사 에너지의 양이 다르고, 그에 따라 별의 색도 달라진다.
0
즉, 표면 온도가 높은 별일수록 최대 에너지를 방출하는 파장 0.5 1.0 1.5 2.0 2.5 3.0
파장(m m)
이 짧아지므로 파란색으로 보이고, 표면 온도가 낮을수록 최 그림 V - 1 플랑크 곡선 | 흑체가 방출하는 복사 에너지의 분포를

대 에너지를 방출하는 파장이 길어지므로 붉은색으로 보인다. 나타낸 그래프이다.

1. 별의 특성과 진화 147
별의 색을 좀 더 정확히 나타내는 데에는 특정한 파장의 빛만을 통과시키는 필터가
이용된다. 그림 V- 2와 같이 주로 U, B, V 필터가 사용되는데, 각 필터를 통과한 빛
을 가지고 정한 별의 겉보기 등급을 각각 U, B, V 등급이라고 한다.

상대 세기
10
U B V

8 온도가
높은 별

4 온도가
낮은 별

0
0.2 0.3 0.4 0.5 0.6 0.7 0.8 0.9 1.0
파장(m m)

그림 V - 2 U, B, V 필터의 투과 영역 | U(ultraviolet), B(blue), V(visual) 필터는 각각 0.36 μm, 0.42 μm,


0.54 μm 부근 파장의 빛만을 통과시킨다.

별의 색지수 B 등급은 사진으로 촬영한 별의 밝기인 사진 등급(m¹)과 비슷하고, V 등급은 맨눈


표면 온도가 10000 K인 별의 으로 본 별의 밝기인 안시 등급(mÃ)과 비슷하다. 사진 등급과 안시 등급의 차이(m¹
색지수는 0이다. 표면 온도가 이
보다 높은 별의 색지수는 음(-)
-mÃ)를 색지수라고 하는데, 이와 유사한 B - V를 색지수로 활용한다.
의 값을, 표면 온도가 이보다 낮 표면 온도가 높은 별은 파장이 짧은 자외선과 파란색 부근에서 에너지를 많이 방출
은 별의 색지수는 양(+)의 값을
하므로 사진 등급이 작지만, 파장이 긴 붉은색 쪽에서는 에너지를 적게 방출하므로
갖는다.
안시 등급이 크다. 즉, 표면 온도가 높은 별일수록 색지수가 작고, 표면 온도가 낮은
별일수록 색지수가 크다. 이처럼 색지수는 별의 표면 온도를 나타내는 척도가 된다.

2 별의 분광형과 표면 온도
흑체가 모든 파장에 걸쳐 복사 에너지를 방출하는 것을 연속 스펙트럼이라고 한다.
연속 스펙트럼은 전구의 빛을 프리즘에 통과시켰을 때 무지개처럼 연속적인 색의 띠
가 나타나는 것에서 쉽게 관찰할 수 있다. 그런데 별빛의 스펙트럼을 자세히 관찰하
면, 연속적인 색의 띠 중간 중간에 어두운 선들을 발견할 수 있다.
별의 스펙트럼 중간에 어두운 선이 나타나는 것은 별의 대기에 존재하는 저온의 기
체가 별이 방출하는 빛 중 특정 파장의 빛을 흡수하여 스펙트럼의 세기가 약해지기
때문이다. 이 어두운 선을 흡수선이라고 하고, 흡수선이 나타나는 스펙트럼을 흡수
스펙트럼이라고 한다.

148 V. 별과 외계 행성계
이와는 달리 기체가 고온으로 가열되어 방출하는 불연속적인 파장의 빛이 밝게 나
타나는 것을 방출선이라 하고, 방출선이 나타나는 스펙트럼을 방출 스펙트럼이라고
한다. 그림 V- 3은 여러 스펙트럼의 종류를 나타낸다.

복사 강도
기체
복사 강도

파장

프리즘 프리즘
전구 흡수 스펙트럼

복사 강도
파장 프리즘

연속 스펙트럼
파장

방출 스펙트럼
그림 V - 3 스펙트럼의 종류

천체 분광학의 역사 조사하기

그림은 분광 관측의 과학사에서 중요한 몇 가지 사건들을 나열한 것이다.

뉴턴 | 17세기 프라운호퍼 | 19세기

태양의 연속 스펙트럼을 태양과 별의 스펙트럼에서


관측하였다. 흡수선을 발견하였다.
(Newton, I., 1642~1727) (Fraunhofer, J. von, 1787~1826)

허긴스 | 19세기

성운의 스펙트럼에서
방출선을 확인하였다.
(Pickering, E. C., 1846~1919) (Cannon, A. J., 1863~1941) (Huggins, W., 1824~1910)
피커링과 캐넌 | 20세기 초

별의 스펙트럼에 나타난 흡수선의 세기에


따라 별들을 분류하였다.

•모둠별로 한 가지 사건을 선택하여 당시에 과학자들이 얻은 스펙트럼을 찾아보고, 이 스펙트럼을


어떻게 해석하였는지 조사하여 발표해 보자.

1. 별의 특성과 진화 149
별의 흡수 스펙트럼은 별마다 서로 다르다. 그 까닭은 별의 대기에 존재하는 원소들
이 별의 표면 온도에 따라 스펙트럼의 특정한 영역에서 흡수선을 형성하기 때문이다.
즉, 별의 흡수선의 세기는 별의 표면 온도에 따라 달라진다.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피
커링과 캐넌은 별의 스펙트럼을 16종류로 구분하였는데, 이들의 분류가 현대적인 별 분
류의 기초가 되었다.
현재는 별을 O, B, A, F, G, K, M형으로 분류한다. 이를 스펙트럼형 또는 분광형이라
고 한다. 별의 분광형에서 표면 온도는 O형이 가장 높고, M형으로 갈수록 낮아진다. 또,
O형의 별에서는 이온화된 헬륨의 흡수선이 강하게 나타나고, A형의 별에서는 수소의 흡
수선이 가장 강하게 나타난다. 별의 표면 온도가 낮은 G, K, M형의 별에서는 금속 원소
들과 다른 분자들에 의한 흡수선이 강하게 나타난다.
과학자들은 표 V- 1과 같이 각 분광형을 다시 온도에 따라 고온의 0에서 저온의 9까
지 10단계로 구분하여 사용한다. 태양의 분광형은 G2이고, 표면 온도는 약 5800 K이
다. 이처럼 별의 스펙트럼을 분석하면 별의 표면 온도를 알아낼 수 있다.

표 V - 1 별의 분광형에 따른 표면 온도와 스펙트럼의 모습 <출처: 『천문학: 한눈에 보는 우주』, 2016>

분광형 색깔 표면 온도(K) 스펙트럼의 모습


H선
O 파란색 28000 이상 30000 K
He선
He선
B 청백색 10000 ~ 28000 20000 K
He선 C선
He선 C선

A 흰색 7500 ~ 10000 10000 K


Ca선 Fe선
Ca선 Fe선
7000 K
F 황백색 6000 ~ 7500 O선 Mg선 Na선
Fe선
6000 K Fe선
6000 K
G 노란색 5000 ~ 6000
O선
4000 K
4000 K
K 주황색 3500 ~ 5000
여러 가지 분자선
3000 K 여러 가지 분자선
3000 K
M 붉은색 3500 이하 여러 가지 분자선

별의 등급
3 별의 광도
맨눈으로 관측한 별의 밝기를 등
급으로 나타낸 것을 겉보기 등급
별의 밝기는 등급으로 나타내는데, 1등급인 별이 6등급인 별보다 100배 밝다. 즉,
;5!;
이라고 한다. 하지만 별들까지의 1등급 사이에는 100 배(약 2.5배)의 밝기 차이가 있다. 따라서 겉보기 등급이 각각
거리는 다르기 때문에, 별들이
mÁ, mª인 두 별의 겉보기 밝기를 각각 lÁ, lª라고 하면, 다음과 같은 관계가 성립한다.
10 pc(약 32.6 광년) 거리에 있
다고 가정했을 때의 밝기인 절대 ;5!;(mª-mÁ) ;5@;(mª-mÁ) lÁ lª
100 = 10 = ∴ mª - mÁ = -2.5 log`
등급으로 별의 밝기를 비교한다. lª lÁ

150 V. 별과 외계 행성계
위와 같은 관계식을 포그슨 공식이라고 한다. 그런데 별들의 실제 밝기를 비교하기
위해서는 절대 등급(MÁ, Mª)을 사용해야 한다. 또, 별의 실제 밝기는 별이 방출하는
에너지량에 따라 달라지므로, 별이 단위 시간 동안 표면에서 방출하는 에너지의 총량
을 의미하는 광도(LÁ, Lª)를 사용하여 포그슨 공식을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Mª - MÁ = -2.5 log`

위 식에 태양의 광도(L⊙)와 절대 등급(M⊙)을 적용하면, 절대 등급이 M인 별의
광도를 구할 수 있다.
L
M - M⊙ = -2.5 log`
L⊙
한 별의 광도는 지구에서의 거리와 관계없이 일정한 값을 갖는다. 또, 같은 온도의
별이라도 광도에 따라 스펙트럼의 세기가 달라진다. 그러므로 별을 정확하게 분류하
려면 온도와 광도를 함께 고려해야 한다.

4 별의 크기
스펙트럼을 분석하여 별의 표면 온도를 알고 별의 절대 등급을 태양과 비교하여 별
의 광도를 결정하면, 광도를 구하는 공식을 이용하여 별의 크기를 구할 수 있다.
표면 온도가 T인 흑체가 단위 시간 동안 단위 면적에서 방출하는 에너지량 E는 다
음과 같다.

슈테판・볼츠만 법칙 E = rTÝ` (r = 5.670 _ 10Ñ¡ W·mÑÛ`·KÑÝ`)

이를 슈테판·볼츠만 법칙이라고 한다. 별은 흑체라고 생각할 수 있고, 별이 방출하


는 에너지는 표면 온도의 4제곱에 비례하므로, 별의 광도(L)는 다음과 같이 별의 표
면적과 별이 단위 시간 동안 단위 면적에서 내보내는 에너지량을 곱하여 얻을 수 있다.

L = 4pRÛ·
` rTÝ

위 식에서 R은 별의 반지름을 나타낸다. 즉, 슈테판·볼츠만 법칙에 의해 유도되는


광도의 식을 이용하면 온도와 광도가 알려진 별의 크기를 구할 수 있다. 또, 별의 광
도와 반지름을 알고 있는 경우에는 위 식으로부터 별의 표면 온도를 구할 수 있다.

성취 정도를 표시해 보자
자기 1 별의 스펙트럼 특성을 표면 온도와 관련지어 설명할 수 있는가?
평가하기
2 별의 표면 온도와 광도가 주어졌을 때 별의 반지름을 구할 수 있는가?

1. 별의 특성과 진화 151
02 H-R도와 별의 특징
•별의 물리량을 이용하여 H - R도를 그리고 별을 분류할 수 있다.
•H - R도 상에서의 위치에 따른 별의 특징을 물리량과 관련지어 설명할 수 있다.

1910년대 초반 덴마크의 헤르츠스프룽(Hertzsprung, E., 1873~ 1967)과 미국


의 러셀(Russell, H. N., 1877~1957)은 별의 광도와 표면 온도 사이의 관계에 관
심을 두고 각각 그래프를 그려서 분석하였다. 이 그래프를 두 사람 이름의 첫 글자를
따서 H - R도라고 한다.
다음 활동에서 태양 주변 별들의 물리량을 이용하여 H - R도를 작성해 보자.



창의

프로젝트 태양 주변의 항성 자료를 이용하여 H - R도 작성하기 사고력 탐구 능력 의사소통 능력

목표 Step 1 여러 별들의 절대 등급과 분광형으로 H - R도 그리기


H - R도에서 위치에 따른 별의
표는 지구 가까이에 분포하고 있는 별들의 절대 등급과 분광형을 나타낸 것이다. 이 별들을
물리적 성질을 서로 비교하여 설
H - R도에 표시하고 특징을 알아보자.
명할 수 있다.

별 이름 절대 등급 분광형 별 이름 절대 등급 분광형
준비물
① 데네브 -7.5 A2 ⑯ 폴룩스 +1.1 K0
H - R도, 색연필
② 리겔 -6.6 B8 ⑰ 시리우스A +1.5 A1
③ 안타레스 -5.8 M2 ⑱ 포말하우트 +1.6 A3
④ 민타카 -5.4 O9 ⑲ 알타이르(견우) +2.1 A7
⑤ 카노푸스 -5.4 A9 ⑳ 프로키온A +2.8 F5
⑥ 베텔게우스 -5.0 M2  미라 +3.0 M7
⑦ 폴라리스(북극성) -4.1 F7  센타우루스A +4.2 G2
⑧ 스피카 -3.6 B1  태양 +4.8 G2
⑨ 벨라트릭스 -2.8 B2  센타우루스B +6.2 K1
⑩ 카펠라 -0.8 G6  백조자리A +7.5 K5
⑪ 알데바란 -0.8 K5  백조자리B +8.3 K7
⑫ 레굴루스 -0.6 B7  캅테인 +10.9 M2

모눈종이에 각 별의 위치를 ⑬ 아르크투루스 -0.6 K2  시리우스B +11.3 A2


점(•)으로 찍고 그 옆에 번 ⑭ 알골 -0.5 B8  프로키온B +13.3 F5
호를 써 보자. ⑮ 베가(직녀) +0.6 A0  바너드 +13.3 M4
<출처: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of Canada」, 2016>

152 V. 별과 외계 행성계
절대 등급

-8

-6 ③ 세로축은 위쪽으로 갈수록 광도
가 커지므로 절대 등급 값이
-4
⑦ 작아진다. 가로축의 각 분광형은
왼쪽부터 한 눈금마다 0부터 9
-2 까지 10단계로 세분하여 나타
⑫ 낸다. 예를 들어 B형 별 중에서
0 온도가 가장 높은 별은 B0형이
⒔ 고, 가장 낮은 별은 B9형이다.
2 ⒗

10

12

14

16
O0 B0 A0 F0 G0 K0 M0 M9
분광형

Step 2 H - R도 분석하기 H - R도의 가로축과 세로축이 그래프에 별들의 위치를 찍어보면


➊ 별들을 몇 개의 무리로 분류하고, 각 무리의 물리적 특징을 정리해 보자. 의미하는 것을 알아야 해. 몇 개의 무리로 나눠질 거야.

무리 특징 표면 온도 광도 크기

H - R도를 분석해서 알 수 각 무리의 특징을


있는 정보는 무엇일까? 비교해야 해 .
➋ 별들이 가장 많이 포함된 무리를 찾아보고, 태양은 어느 무리에 속하는
지 말해 보자.
➌ 분광형은 비슷하나 절대 등급이 서로 다른 별과, 절대 등급은 비슷하나
분광형이 서로 다른 별을 찾아 그 특징을 각각 설명해 보자.

Step 3 핵심 역량 평가하기

과학과 핵심 역량 평가 내용 성취 정도를 표시해 보자

사고력 별의 물리적 특징을 H - R도에서의 위치와 관련지어 설명할 수 있는가?


탐구 능력 별들을 H - R도에 표시하고 몇 개의 무리로 잘 분류하였는가?
별의 H - R도 작성과 분석이 별의 특징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음을
의사소통 능력
토론할 수 있는가?

1. 별의 특성과 진화 153
분광형

O B A F G K M

광도
절대 등급

10 10
0R 00
R 106 L⊙

(
⊙ ⊙

)
10
(

M R
⊙ 베텔게우스
)

리겔A
안타레스 105
데네브
베타 센타우리
카노푸스
스피카A 북극성
-5 104
스피카B 초거성
1R

103

아르크투루스
리겔B 카펠라A 미라
0 주 카펠라B 알데바란A 102
계 베가
열 성
성 거
0.1 시리우스A
R
⊙ 폴룩스
알타이르 10
프로키온A

5 태양 1

0.0 알파 센타우리B
1R

10-1
알데바란B

61백조자리 A
10 10-2
61백조자리 B
울프 1346
0.0 라카이유725 A
01
R 백

색 시리우스B 글리제725 A

성 10-3
글리제725 B
프로키온B 바너드별

10-4

30000 20000 10000 5000 3000 2000

표면 온도(K)

그림 V - 4 H - R도 | H - R도의 가로축에서는 오른쪽으로 갈수록 온도가 낮은데, 그 까닭은 분광형 O, B, A, F, G, K, M의 순서로 별을 배열했기 때문이다.
세로축인 별의 광도(L◉는 태양의 광도)는 범위가 매우 넓으므로 눈금 하나의 간격을 태양 광도의 10배 단위로 표시한다.
<출처: 『Foundations of Astronomy』, 2011>

154 V. 별과 외계 행성계
그림 V- 4와 같이 H - R도의 가로축은 별의 온도, 분광형, 색지수로 표현할 수 있
다. 세로축은 별의 광도를 태양의 광도(L⊙)와 비교한 단위로 나타내거나 별의 절대
등급으로 표시할 수 있다. 별의 광도는 표면 온도와 반지름에 따라 달라지므로 H - R
도는 별의 크기와 관련한 정보도 제공한다. 즉, H - R도의 왼쪽 아래에서 오른쪽 위
로 갈수록 별의 크기는 커진다.
H - R도에서의 위치에 따라 별들은 다음과 같은 무리로 분류할 수 있다.

H - R도에서는 왼쪽 위에서 오른쪽 아래로 대각선으로 이어지는 영역에 대부분의 별들이 분포한다. 이
주계열성 영역을 주계열이라 하고, 이 영역에 있는 별들을 주계열성이라고 한다. 주계열에 속하는 별들은 표면 온
도가 높을수록 광도가 크고 반지름과 질량도 크다. 주계열성의 광도는 질량의 3제곱~4제곱에 비례한다.

주계열성의 오른쪽 위에 분포하는 별들로, 주계열성에 비해 매우 크고 붉은색을 띠며 아주 밝게 빛난


적색
다. 광도는 태양의 10배~1,000배이고, 반지름은 10배~100배 정도이다. 황소자리의 a별인 알데바란
거성
과 목동자리의 a별인 아르크투루스 등이 적색 거성이다.

적색 거성의 위쪽에는 광도가 태양보다 3만 배~수십만 배나 크고 반지름이 태양의 수백 배에서 1000배


초거성 가 넘는 초대형 별들인 초거성이 자리한다. 오리온자리의 베텔게우스와 전갈자리의 안타레스가 대표
적인 초거성이다. 적색 거성과 초거성은 주계열성보다 매우 크지만 평균 밀도는 훨씬 작다.

H-R도의 왼쪽 아래에 분포하는 별들을 백색 왜성이라고 한다. 반지름이 작고 온도가 높은 반면 광도


백색
는 매우 낮다. 이 별들의 크기는 지구 정도이지만 질량은 태양과 비슷해서 평균 밀도가 태양의 100만
왜성
배에 이른다.

별을 조금 더 명확하게 분류하기 위해 분광형 뒤에 로마 숫자 I에서 V까지를 덧붙 별의 광도 계급


광도 계급 이름
여 다섯 단계의 광도 계급으로 나타내기도 한다. 별의 크기와 광도는 광도 계급 I이
I 초거성
가장 크고, V로 갈수록 감소한다. 태양의 분광형과 광도 계급은 G2V이다. G2는 태 II 밝은 거성
III 거성
양이 노란색 별이라는 의미이고, V는 주계열성이라는 의미이다. IV 준거성
V 주계열성

성취 정도를 표시해 보자
자기 1 별의 물리량을 이용하여 H - R도를 작성할 수 있는가?
평가하기
2 H - R도에 나타나는 별의 분포를 물리량과 관련지어 설명할 수 있는가?

1. 별의 특성과 진화 155
03 별의 탄생과 진화
•다양한 질량을 지닌 별들의 진화 경로를 제시하고 비교할 수 있다.
•태양과 비슷한 질량을 가진 별의 진화 과정에 따른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스스로 오늘날 지구 대기권 밖에서는 다양한 우주 망원경으로 우주를 관측하고 있다. 그 결


생각해 과 새로운 별이 탄생하는 모습을 생생하게 촬영할 수 있게 되었다. 특히 그림의 독수
보기 리 성운은 새로운 별이 탄생하고 있는 장소로 유명하다.

독수리 성운의 왼쪽 기둥 끝의 밝은 부분에서는 어떤 일이 일어나고 있을까?

생명을 이루는 원소들은 별에서 만들어졌다. 별의 탄생과 죽음이 없었다면 우리는


존재할 수 없었을 것이다. 이렇게 우리를 있게 한 별들은 어떻게 태어나서 어떻게 진
화하고 어떤 모습으로 일생을 마치게 될까?
성간 물질
별과 별 사이의 우주 공간에 있
는 물질을 성간 물질이라고 한
다. 성간 물질은 기체와 티끌로
구성되어 있다. 기체는 대부분
1 별의 탄생 과정
수소이며, 티끌은 탄소, 규소, 산
소, 철 등의 무거운 원소로 이루 별은 절대 온도 10 K 정도의 성간 물질이 밀집된 성간 분자 구름에서 수십만 년 내
어져 있다. 의 짧은 시간에 수천 개~수만 개씩 무리 지어 탄생한다.
밀도가 높고 온도가 낮은 분자 구름에서는 중력이 크게 작용하므
로 물질들이 수축하여 중심핵을 이루게 되며, 점차 성장하여 원시별
광도

104 10 3 100M⊙
106 을 형성한다.
102
(

L⊙
10M⊙ 원시별은 주위 물질들을 끌어당겨 밀도가 점차 높아지고, 표면 온
)

10 4 105 4
10 103 도가 상승하여 1000 K에 이르면 서서히 빛을 내기 시작하는데, 이
3M⊙
1M⊙
6
10 105 단계를 전주계열 단계라고 한다.
102 0.5M⊙

105
대규모의 성간 분자 구름에서 별들이 동시에 태어날 때 질량이
영년 주계열 5
106 10
1 0.1M⊙ 0.1 M⊙~1.0 M⊙ 정도인 별이 가장 많으며, 태양 질량의 0.08배
(단위: 년) 107
106
에서 100배 정도까지가 한계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림 V- 5는
-2
10 L⊙: 태양의 광도
M⊙: 태양의 질량 108 질량에 따라 원시별이 주계열에 도달하는 데 걸리는 시간과 원시별

63000 25000 10000 4000 1600 의 진화 경로이다.


표면 온도(K) 태양 질량의 0.08배 이하로 태어난 별은 중심부에서 수소 핵융합
그림 V - 5 질량에 따라 원시별이 주계열에 도달하는 데 반응이 일어날 수 있는 임계 온도인 1000만 K에 도달할 수 없는 갈
걸리는 시간(년)과 원시별의 진화 경로 | 주계열에 막 도달
색 왜성이 된다. 갈색 왜성은 내부의 열에너지를 주로 적외선 형태로
하여 별로서 나이를 세기 시작하는 단계를 영년 주계열이
라고 한다. <출처: 『우주로의 여행』, 1998> 방출하므로 붉은색을 띠는데, 시간이 지남에 따라 더욱 어두워진다.

156 V. 별과 외계 행성계
2 주계열 단계
전주계열 단계에서 중력 수축으로 중심부 온도가 1000만 K에 이르면 수소 핵융합
반응이 일어난다. 수소 핵융합 반응이 일어나 내부 온도가 상승하면 압력이 커지고,
별 내부의 압력 구배가 중력과 평형을 이루게 되면 별의 반지름이 일정하게 유지된
다. 이 단계를 주계열 단계라고 한다.

광도
주계열성은 수소 핵융합 반응을 하므로 주계열성으로서 수명 106
30M⊙
105
은 핵융합 반응의 재료인 수소의 양과 단위 시간당 핵융합 반응

(
L⊙ 10M⊙
104

)
으로 소모되는 수소의 양에 따라 정해진다. 단위 시간당 일어나 6M⊙
103 107년
3M⊙
는 핵융합 반응이 곧 별의 광도 또는 실제 밝기이다. 항성의 주 102
108년 1.5M⊙
성분이 수소이고, 단위 시간당 일어나는 핵융합 반응을 결정하 10
1M⊙
1 109년
태양 0.3M⊙
는 요소 역시 항성의 질량이기 때문에 항성이 주계열 단계에 머
10-1 1010년
무르는 시간은 항성의 질량에 따라 결정된다. 무거운 항성일수 10-2 0.1M⊙
1011년
록 갖고 있는 수소의 양에 비해 핵융합 반응이 매우 빠르게 일어 10-3
10-4
나기 때문에 그림 V- 6과 같이 무거운 별일수록 훨씬 밝고 표면
10-5
O B A F G K M
온도가 높으며 주계열에 머무는 기간이 짧아진다.
30000 10000 6000 3000
별은 일생의 대부분을 주계열 단계에서 보낸다. 따라서 밤하 표면 온도(K)
그림 V - 6 주계열성의 질량과 수명의 관계 | 무거운 별일수록
늘에서 관측되는 별 중에는 그림 V- 7과 같은 주계열성이 대부 온도가 높으며 수명이 짧아진다.
분을 차지한다.

표 V - 2 주계열성의 물리량 비교 | 태양은 분광형 G2V, 색지수 0.62, 표면 온도 5800 K, 수명 100억 년이다.
<출처: 『Astronomy Journey to the Cosmic Frontier』, 2008>
태양보다 10배 무거운 별의
색지수 표면 온도 반지름 질량 광도 주계열 수명
분광형 수명
(B-V) (K) (R⊙=1) (M⊙=1) (L⊙=1) (년)
질량이 태양의 10배인 별은 태
O5V -0.33 40000 12 40 500000 100만
양보다 수소를 10배 많이 가지
B0V -0.30 28000 7 18 20000 1000만 고 있다. 하지만 광도는 태양보
A0V -0.02 10000 2.5 3.2 80 5억 다 10000배 더 크므로 태양보
F0V +0.30 7400 1.3 1.7 6 27억 다 수소를 10000배 더 빠르게
소비한다. 그래서 수명은 태양의
G0V +0.58 6000 1.05 1.1 1.2 90억
1
인 약 1000만 년이다.
K0V +0.81 4900 0.85 0.8 0.4 140억 1000
M0V +1.40 3500 0.6 0.5 0.06 2000억

멘키브 그림 V - 7 페르세우스자리의 캘리포니아성운 |


멘키브별은 매우 뜨겁고 파란색 주계열성(O형)이다.

1. 별의 특성과 진화 157
3 주계열 이후의 단계
태양과 질량이 비슷한 주계열성은 중심부에서 수소를 헬륨으로 바꾸는 핵융합 반응
으로 빛을 낸다. 그런데 중심부의 수소가 소진되면 수소 핵융합 반응이 끝나고 헬륨
으로 이루어진 중심핵이 수축하기 시작한다. 이 과정에서 수축으로 발생한 열에너지
가 바깥으로 전달되어 헬륨 핵을 둘러싼 수소층의 온도가 상승하면 바깥층에서 수소
핵융합 반응이 빠르게 진행된다. 따라서 중심핵은 수축하지만 바깥 부분은 팽창하게
되고, 별은 점점 커지면서 밝아지지만 표면 온도는 낮아 붉은색을 띠는 적색 거성이
된다.
태양은 주계열 단계를 벗어나면 그림 V- 8과 같이 적색 거성으로 진화한다. 그리
고 이 시기를 약 10억 년 동안 지속하면서 지금보다 100배 이상 커지고 1000배 이상
밝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질량이 매우 큰 별의 경우 주계열 단계를 벗어나면 태양보
다 1000배 이상 커지고 수십만 배 밝아지는데, 이런 별들을 초거성이라고 한다.
질량이 태양 정도인 별이 진화하여 적색 거성이 되면 헬륨 핵융합 반응이 일어나
찬드라세카르 한계 중심부에 탄소가 만들어진다. 하지만 이후에 중심부에서 더 이상 핵융합 반응을 할
인도의 천문학자인 찬드라세카 수 없게 되면 중심핵은 계속 수축하여 밀도가 매우 높은 백색 왜성이 된다. 백색 왜성
르(Chandrasekhar, S., 1910
~1995)는 백색 왜성으로 최후 은 표면 온도가 높아서 흰색으로 보이기는 하지만, 별의 크기는 작아서 매우 어둡다.
를 맞는 별은 중심부의 질량이 이때 별의 바깥 부분은 팽창하여 물질을 우주로 방출하는데, 중심의 백색 왜성으로부
태양의 1.4배 이하라는 것을 밝
혀 노벨상을 수상하였다.
터 받은 에너지 때문에 빛을 내는 행성상 성운으로 관측된다.
한편, 질량이 아주 큰 별은 중심부에서 핵융합 반응을 통해 헬륨, 탄소, 네온, 산소,
규소, 철이 차례로 생성된다. 중심핵이 철로 이루어진 별은 자신의 무게를 감당하지
못하여 함몰하게 되고, 중심부에서 강력한 충격이 발생하여 별의 외곽 부분을 빠른
초신성 폭발 속력으로 밀어내며 거대한 폭발을 일으켜 초신성이 된다. 초신성은 태양보다 수억 배
초신성이 폭발할 때 방출되는 에
밝게 빛나서 외부 은하에서도 관측되며 은하 전체의 밝기와 비슷한 정도로 빛난다.
너지의 양은 태양이 100 억 년
동안 방출하는 총 에너지의 100 또, 초신성이 폭발하면서 별 내부의 물질들이 우주 공간으로 흩뿌려지고 철보다 무거
배 이상이다.
운 원소들이 형성된다.
초신성이 폭발한 후 중심에 남아 있는 중성자 덩어리를 중성자별이라고 한다. 특히
남겨진 중심핵의 질량이 태양 질량의 3배 이상이면 중력 수축이 계속 일어나 밀도와
베텔게우스
중력이 매우 커져서 빛조차 빠져나갈 수 없는 블랙홀이 된다.
(반지름 약 4.3억 km)

그림 V - 8 초거성, 적색 거성, 주계열성 별의 크기 비교


안타레스
(반지름 약 3억 km)
아르크투루스 (반지름
약 2천만 km)

태양
(반지름 약 70만 km)

158 V. 별과 외계 행성계
태양과 질량이 비슷한 별의 일생 태양보다 25배 무거운 별의 일생

원시별 원시별
성간 분자 구름이 중력 수축 성간 분자 구름이 중력 수축
하여 원시별이 만들어진다. 하여 원시별이 만들어진다.

주계열성 주계열성
별의 중심핵에서 수소 핵융 별의 중심핵에서 수소 핵융
합 반응이 일어나 빛을 낸다. 합 반응이 일어나 빛을 낸다.

적색 거성 초거성
중심핵은 수축하여 뜨거워 중심핵은 수축하여 뜨거워
지고, 중심핵을 둘러싼 층에 지고, 중심핵을 둘러싼 층에
서는 수소 핵융합이 시작되 서는 수소 핵융합이 시작되
어 팽창한다. 어 팽창한다.

헬륨 핵융합 적색 거성 헬륨 핵융합 초거성


중심핵에서 헬륨이 탄소로 중심핵에서 헬륨이 탄소로
핵융합하기 시작하고, 별의 핵융합하기 시작하고, 별의
바깥층은 수축한다. 바깥층은 수축한다.

여러 층 핵융합 초거성
두 층 핵융합 적색 거성
중심핵에서 무거운 원소의
중심핵에는 탄소만 남고, 헬
핵융합이 일어나고, 여러 층
륨층 핵융합과 수소층 핵융
에서 가벼운 원소들이 융합
합이 모두 일어나며 팽창한다.
한다.

행성상 성운
초신성
죽어 가는 별이 바깥층의
중심핵에 쌓인 철이 압력을
물질을 방출하고 중심핵이
지탱할 수 없어 수축하면
드러난다.
서 급격한 폭발이 일어난다.

백색 왜성
중성자별 / 블랙홀
주로 탄소와 산소로 이루어
수축한 중심핵은 중성자의
져 있으며, 핵융합 반응을
덩어리를 이루거나 수축을
일으킬 정도로 뜨거워지지
지속하여 블랙홀이 된다.
는 않는다.

1. 별의 특성과 진화 159
별은 마지막 단계인 행성상 성운이나 초신성 폭발 과정을 거쳐 자신이 가지고 있던
물질의 대부분을 우주 공간으로 방출한다. 그리고 이러한 물질이 모여 이루어진 성간
운에서는 다시 새로운 별이 탄생한다. 이처럼 별의 탄생과 진화 과정은 계속해서 이
어지는 순환의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자료 해석 H - R도와 태양의 진화 과정 탐구 능력 사고력 의사소통 능력

목표 과정
태양의 진화 과정을 H-R도를
그림은 질량이 태양 정도인 별이 진화하는 경로를 H - R도에 나타낸 것이다. 모둠별로 태양
이용하여 설명할 수 있다.
의 진화 과정 중 하나의 단계를 선택하여, 그 단계에서 별의 특징을 조사하여 발표한다.
광도

6 행성상 성운 두 층 핵융합
10 적색 거성 주계열성에서 적색
(

L⊙ 5 우리 모둠에서 사진을 찾아서


10 거성으로 진화하는
)

진화 과정 중에 일
4 는 적색 거성 정리하는 것도
10 적색
과정도 조사해야 해. 어나는 물리적 반
단계의 특징을 좋겠어.
10
3 헬륨 핵융합 거성 응도 포함시키자.
적색 거성 조사해 보자.
2
10
주계 준거성
10 열성
1
-1
10 태양
-2
10 백색 왜성
-3
10
-4
10
-5
10 O B A F G K M
30000 10000 6000 3000
표면 온도(K)

결과 및 정리
각 모둠에서 발표한 내용을 종합하여 질량이 태양 정도인 별의 진화 과정을 그림으로 표현해 보자.

성취 정도를 표시해 보자
자기 1 H - R도에서 태양의 진화 경로를 설명할 수 있는가?
평가하기
2 별의 질량에 따라 마지막 모습이 어떻게 다른지 설명할 수 있는가?

160 V. 별과 외계 행성계
04 별의 에너지원과 내부 구조
•주계열성의 에너지 생성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진화 단계에 따른 별의 내부 구조를 설명할 수 있다.

스스로 태양은 너무 밝아서 잠시도 똑바로 바라볼 수 없다. 태양이 1초에 방출하는 에너지는
생각해 지구의 전 인류가 수천만 년 동안 이용할 수 있는 양으로, 태양은 지난 50억 년 동안
보기 끊임없이 막대한 에너지를 방출해 왔다.

태양은 언제까지 이렇게 빛날 수 있을까?

태양은 비교적 작은 별이지만, 중심부에서는 핵융합 반응으로 1초에 4_1026 J의


에너지를 생성하고 있다. 우주 공간에는 태양처럼 스스로 빛을 내는 별들이 무수히
많이 존재한다. 별이 에너지를 생성하는 과정을 살펴보고, 별의 내부는 어떻게 구성
되어 있는지 알아보자.

원시별에 작용하는 힘
원시별에서는 기체압보다 중력
이 더 크게 작용하여 중력 수축
1 원시별의 에너지원
이 일어난다. 중력 수축으로 위
우주 공간에서 별은 성간 기체의 밀도가 높고 온도가 낮을 때 탄생한다. 성간 기체 치 에너지가 열에너지와 운동 에
너지로 바뀌는 과정에서 발생하
의 밀도가 높아야 서로 잡아당기는 중력이 크게 작용하여 뭉쳐질 수 있고, 온도는 낮
는 에너지가 중심부의 온도를 높
아야 기체가 서로 밀어내는 압력이 낮아지기 때문이다. 이렇게 기체압보다 중력이 크 인다.

게 작용하는 곳에서는 분자 구름이 중력 수축을 하여 그 중심에서 원시별이 만들어진 기체압


중력
다. 주위의 물질이 계속하여 원시별로 떨어지면 질량이 증가하고 중심부의 온도가 계
속 상승한다. 이때 원시별 표면으로 떨어지는 물질의 위치 에너지가 열에너지와 운동
에너지로 바뀌며, 일부는 내부 에너지를 증가시키고 일부는 방출되어 원시별이 빛을
낸다.
그림 V- 9에서 보는 것과 같은 원시별은 매우 빠르게 자전하
고, 자전축을 따라 서로 반대 방향으로 가스가 뿜어져 나오는
제트를 발생시킨다. 또한, 빠른 자전은 강한 자기장을 형성하
고, 원시별 외곽의 가스 입자들을 밖으로 방출하는 항성풍을 일
으킨다.

그림 V- 9 카리나성운 | 지구에서 약 7500 광년 떨어진 카리나성운의


분자 구름(높이 약 3 광년) 속에서 원시별이 태어나고 있다. 갓 태어난
별에서 뿜어져 나오는 항성풍이 주변의 물질을 날려 버리고 있다.

1. 별의 특성과 진화 161
2 주계열성의 에너지원
원시별의 중력 수축 과정에서 중심부의 온도가 1000만 K 이상이 되면 수소가 융합
하여 헬륨을 만드는 수소 핵융합 반응이 가능해진다. 수소 핵융합 반응이 일어나 내부
온도가 상승하면 기체압이 커지고, 중력과 평형을 이루게 되면 별의 크기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주계열성이 탄생한다.
그림 V- 10과 같이 별의 내부에서는 4개의 수소 원자핵이 1개의 헬륨 원자핵을 만
드는 수소 핵융합 반응이 일어난다. 이때 헬륨 원자핵의 질량은 수소 원자핵 4개 질
량의 합보다 0.7 % 정도 작은데, 이만큼의 질량이 아인슈타인의 질량 - 에너지 등가 원
리인 E = Dm cÛ``의 관계에 따라 에너지로 전환된다.

반응 전 반응 후
핵에너지
수소 원자핵 4개의 질량 헬륨 원자 1개의 질량
4_1.6864_10ÑÛ à (kg) 6.6954_10ÑÛ à (kg)
=6.7456_10ÑÛ à (kg)
핵융합 반응의 온도
수소 핵융합 반응은 수소 핵을
구성하는 양성자가 전기적 반발 양성자
융합
H
력을 견디고 핵력이 작용할 수
있는 가까운 거리까지 접근해야 H H
He 중성자
일어날 수 있는데 온도가 1000 H 질량 차이
H
만 K 이상이 되어야 가능하다. 5.02_10ÑÛ á (kg)
수소보다 질량이 더 큰 원자들은
전환된 핵에너지
핵 사이에 작용하는 반발력이 더
크기 때문에 핵융합이 일어나기 E = DmcÛ = (5.02_10ÑÛ á )_(3_10¡ )Û = 4.5 _ 10ÑÚ Û (J)
위해서는 더 높은 온도가 필요하다.
그림 V - 10 수소 핵융합 반응의 원리

현재 태양에서 수소 핵융합 반응은 중심에서 15만 km 이내에서 일어나고 있고, 태


양 질량의 10 % 미만이 이 반응에 참여하고 있다. 태양이 수소 핵융합 반응을 통해
현재의 밝기로 빛날 수 있는 기간은 약 100억 년으로, 앞으로도 태양은 약 50억 년
동안 현재처럼 빛을 낼 수 있다.
주계열성에 작용하는 힘
주계열성에서는 중력과 기체의
압력 구배에 의한 힘이 평형을
이룬다.
기체의
압력기체압
구배 3 별의 내부 구조
중력 별의 일생에서 대부분을 차지하는 주계열성은 일정한 크기를 유지하면서 안정적으
로 빛을 낸다. 이것은 주계열성의 내부에서 수축하려는 힘인 중력과 기체의 압력 구

배에 의한 힘이 평형을 이루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태를 정역학 평형이라고 한다.
주계열성 내부에서 수소 핵융합 반응이 계속되는 동안 헬륨으로 이루어진 중심핵이
점점 커진다.

162 V. 별과 외계 행성계
그러다가 그림 V- 11과 같이 중심부의 수
수소의 연소가
광구 일어나는 층
광구(표면) 소가 모두 소모되어 중심핵에서 일어나던 수
소 핵융합 반응이 바깥층으로 이동하게 되면
별은 팽창하여 적색 거성으로 변한다.
핵 핵
이후 온도가 낮아지면 별의 중심부는 정역
학 평형을 유지하기 위해 다시 중력 수축을
수소의 연소가
일어나는 핵
헬륨의 연소가 시작하고, 중심부 온도가 1억 K에 도달하면
일어나는 핵
이번에는 3개의 헬륨 핵이 융합하여 1개의 탄
그림 V - 11 주계열성과 적색 거성의 내부 구조
소를 만드는 헬륨 핵융합 반응이 일어난다.
이 시기가 지나면 별의 중심부에 있는 헬륨도
모두 소진되고 탄소 핵이 남는다.
중심핵 별의 중심부가 도달할 수 있는 온도는 별의
질량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질량이 큰 별들
적색 초거성
은 초거성으로 진화하여 훨씬 다양한 원소를
만들어낸다. 태양보다 약 10배 이상 무거운


산소

, 네 소, 황그네 별의 중심부에서는 핵융합 반응으로 헬륨, 탄


온, 마
탄소
헬륨 소, 네온, 산소, 규소가 차례로 생성되고, 중
수소
심부 온도가 30억 K 이상이면 궁극적으로 철
까지 만들어져 그림 V- 12와 같은 양파 껍질

그림 V - 12 질량이 매우 큰 별의 마지막 단계에서의 내부 구조 구조를 가지게 된다.


별의 내부에서 생성된 에너지는 여러 가지
방식으로 바깥으로 전달된다. 하지만 별은 물
질의 밀도가 매우 낮으므로 전도를 통한 에너
M : 태양 질량
지 전달은 거의 일어나지 않고 그림 V- 13과
7M
복사층 같이 복사와 대류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태양과 질량이 비슷한 별들은 중심부에서
3.5 M
생성된 에너지가 반지름의 70 %에 이르는 거
대류층 리까지 복사로 전달되고, 그 바깥으로는 대류

1M 로 표면까지 전달된다. 태양보다 질량이 매우


0.8 M
0.5 M 큰 별은 중심부와 표면의 온도 차이가 크므로
0.2 M 복사로는 에너지가 효과적으로 전달되기 어렵
그림 V - 13 질량에 따른 에너지 전달 방법 다. 따라서 중심부에서는 대류로 에너지가 전
달되고 바깥층에서는 복사 형태로 에너지가
전달된다.

1. 별의 특성과 진화 163
문제 해결력 사고력
핵심
역량
수소 핵융합 반응의 종류
기르기 주계열성에서 일어나는 수소 핵융합 반응에는 양성자・양성자 반응(P - P 반응)과 탄소・질소・
산소 순환 반응(CNO 순환 반응 또는 탄소 순환 반응)이 있다.
양성자・양성자 반응은 4개의 수소 원자가 융합하여 1개의 헬륨 원자를 만드는 반응으로, 주로
질량이 태양과 비슷하거나 태양보다 작은 별에서 일어난다.
탄소・질소・산소 순환 반응은 탄소 원자를 포함한 별에서 수소 원자핵 4개의 핵융합 과정에 탄
소가 촉매 작용을 하여 헬륨 원자핵을 만드는 반응이다. 반응 과정에서 질소 핵과 산소 핵은 반
응에 참여하여 탄소 핵을 생성하는 역할만을 하며, 반응의 결과는 양성자・양성자 반응과 같다. 이
반응은 태양보다 질량이 커서 중심부 온도가 1800만 K보다 높은 별에서 우세하게 나타난다.

1
H 1
H 1
H 1
H γ 감마선
4
He 1
H ν 중성미자
양성자
ν ν
1
H γ 중성자
C
12 양전자
H
2 1
H 1
H H
2
15
N N
13

ν
γ γ
ν
3
He 3
He 15
O 13
C

14
N
γ 감마선 γ
H
1 1
H
1
H
ν중
양성자 γ
1
H
4
He 중성자
양전자

▲ 현재 태양의 중심부에서 일어나고 있는 ▲ 태양보다 질량이 큰 주계열성에서 우세하게 일어나는


양성자・양성자 반응 탄소・질소・산소 순환 반응

•주계열성에서 일어나는 수소 핵융합 반응의 종류가 별의 질량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 정리해 보자.

성취 정도를 표시해 보자
자기 1 별의 진화 단계에 따른 에너지원을 설명할 수 있는가?
평가하기
2 주계열성의 에너지 생성 과정을 설명할 수 있는가?
3 별의 내부 구조를 정역학 평형으로 설명할 수 있는가?

164 V. 별과 외계 행성계
마무리

내용 정리 기초 개념 익히기

별의 물리량
1. 별의 표면 온도 1 다음은 별의 색, 분광형, 표면 온도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
•별은 표면 온도에 따라 색이 다양하게 나타난다. 다. 괄호 안에 알맞은 말을 고르시오.
•색지수: 별의 사진 등급과 안시 등급의 차이를 나타내는
표면 온도 (높다, 낮다) ←───────────→ (높다, 낮다)
것으로, 별의 표면 온도가 높을수록 값이 작다.
스펙트럼형
2. 별의 ➊ : 별의 표면 온도에 따라 나타나는 흡수 O B A F G K M
스펙트럼의 세기에 따라 별들을 분류한 것이다. 별의 색 파란색 청백색 흰색 황백색 노란색 주황색 붉은색

3. 별의 ➋ : 별이 단위 시간 동안 표면에서 방출하는 에너
지의 총량으로, 지구로부터의 거리에 관계없이 일정하다.
2 태양과 표면 온도가 같은 어떤 별의 광도가 태양 광도의
16배라면, 이 별의 반지름은 태양의 몇 배인지 다음 식을
4. 별의 반지름: 슈테판·볼츠만 법칙을 이용하면 온도와 광 이용하여 계산해 보자.
도가 알려진 별의 크기(반지름)를 구할 수 있다. L = 4pRÛ`·rTÝ

H-R도와 별의 특성
1. ➌ : 별의 온도와 광도와의 관계를 그래프로 나타낸 3 H - R도에서의 별의 위치를 나타낸 것으로 옳은 것은 ◯
것이다. 가로축은 별의 표면 온도, 분광형, 색지수를, 세 표, 옳지 않은 것은 ×표를 하시오.
로축은 별의 광도와 절대 등급을 나타낸다. ⑴ 주계열성은 탄생 초기의 질량에 따라 H - R도에
2. H - R도에서 별의 분포: 주계열성은 왼쪽 상단에서 오른 서의 위치가 달라지는데, 질량이 큰 별일수록 광
쪽 하단으로 이어지는 대각선에, 적색 거성과 초거성은 도가 크고 온도가 높다. ( )
오른쪽 상단에, 백색 왜성과 중성자별은 왼쪽 하단에 무 ⑵ 적색 거성은 H - R도의 왼쪽 상단에 분포한다.
리 지어 분포한다. ( )

별의 진화
1. 원시별: 중력 수축 에너지에 의해 빛을 내는 천체이다. 4 별의 일생에서 가장 오래 머무는 단계로 중력과 기체압이
2. ➍ : 정역학 평형 상태를 유지하며, 질량이 클 평형을 이루는 상태의 별은?
수록 광도가 크다.

3. ➎ , 초거성: 주계열성 이후 단계의 별로, 광


도와 반지름은 크고 밀도와 표면 온도는 낮다.

4. 행성상 성운, 초신성: 거성 이후에 별의 외곽 부분의 물질 5 태양과 질량이 비슷한 별의 진화 과정을 <보기>에서 골라
이 방출되는 과정이다. 순서대로 나열하시오.
보기
5. 백색 왜성, 중성자별, 블랙홀: 별의 최후 단계로 광도와 반 원시별 적색 거성 백색 왜성 주계열성
지름은 작고 밀도와 표면 온도는 높다.

중단원 마무리 165


사진은 우리나라가 칠레의 세로톨로로에 건설한 천문대와 1.4 m 망원경의 웅장한 모습이
다. 이 망원경의 주요 임무는 태양계를 벗어나 우리 은하의 다른 곳에 있는 외계 행성계를
찾는 것이다.

외계 행성계와 외계 생명체
를 찾는 방법에는 무엇이 있
을까?

외계 행성계와
외계 생명체 탐사
01. 외계 행성계 탐사
02. 외계 생명체 탐사

자기 점검 - 알고 있는 용어를 체크해 보자.

태양계 외계 행성계    도플러 효과    태양계 행성


적색 편이   전파 외계 생명체 생명 가능 지대

▶ 체크하지 못한 용어는 인터넷에서 검색해 보자.

학습 계획 세우기 - 성취 기준을 달성하기 위해 어떤 준비를 할 수 있을지 써 보자.

166 V. 별과 외계 행성계
01 외계 행성계 탐사
•외계 행성계 탐사 방법의 원리와 한계를 설명할 수 있다.
•지금까지 발견된 외계 행성계의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지구가 우주의 중심에 있다는 생각이 아직 당연하게 받아들여지던 16세기에 코페르 ▲ 외계 행성계 탐사 임무를

스스로 니쿠스(Copernicus, N., 1473~1543)는 지구가 태양 주위를 도는 하나의 행성에 수행하고 있는 케플러 망원경

생각해 불과하다는 새로운 주장을 세상에 내어놓았다. 그리고 그의 주장은 여러 과학자들의


보기 노력 덕분에 사실로 입증되었다.

지구가 태양계의 여러 행성 중 하나인 것처럼, 우리 태양계도 우주에 있는 여러


행성계 중 하나에 불과한 것은 아닐까?

태양계 밖에 존재하며 별 주위를 행성이 공전하는 행성계를 외계 행성계라고 한다.


그런데 행성은 별의 밝기에 비해 매우 어둡기 때문에 외계 행성을 직접 관측하는 것
은 매우 어렵다. 그래서 대부분의 외계 행성계 탐사는 간접적인 방법으로 이루어진
다. 외계 행성계를 찾아내는 방법을 알아보자.
도플러 효과
1 중심별의 시선 속도 변화를 이용하는 방법 파동의 발생원이 관측자에게 가
두 천체가 중력으로 묶여 있으면 이들은 공통 질량 중심 주위를 회전 운동한다. 별 까워지거나 멀어질 때 파장이 짧
아지거나 길어지는 현상을 도플
주위에 행성이 돌고 있는 경우에는 행성의 질량이 상대적으로 작아서 별의 위치 변화 러 효과라고 한다.
는 행성만큼 크지 않다. 하지만 지구에 있는 관측자의 시선 방향으로 별의 속도가 주
별이 가까워지면 별빛은
기적으로 변하여 도플러 효과를 일으키므로, 별빛의 스펙트럼을 분석하면 행성의 존 청색 편이가 일어난다.
재를 알 수 있다.
도플러 효과는 그림 V- 14와 같이 행성의 중력에 따른 중심별의 움직임에 의존한다. 청색 편이 적색 편이

따라서 질량이 작은 행성보다는 질량이 큰 행성일 때 도플러 효과가 크게 나타나 행성


별의 운동 방향
을 발견하기 쉽다.
별이 멀어지면 별빛은
공통
2' 적색 편이가 일어난다.
질량 중심
1 중심별
별빛이 관측자에게 다가올
때는 흡수선이 파장이 짧은 2
쪽으로 이동(청색 편이)한다. 1'
행성 중심별의 시선 속도 변화를
이용하는 방법이 적용된 초기
에 발견된 외계 행성은 목성
별빛이 관측자에게서 멀어질 이나 토성 정도로 큰 행성에
때는 흡수선이 파장이 긴 쪽 한정되어 있었다. 하지만 관측
으로 이동(적색 편이)한다. 장비가 정밀해지면서 더 작은
행성이나 여러 개의 행성을
거느린 별들이 발견되었다.
그림 V - 14 중심별의 시선 속도 변화를 이용한 외계 행성계 탐사

2. 외계 행성계와 외계 생명체 탐사 167


별 2 식 현상을 이용하는 방법
별 주위를 공전하는 행성은 주기적으로 별의 앞을 횡단하게 되고,
그때마다 그림 V- 15와 V- 16과 같이 행성에 의한 식 현상이 일어나
행성 1 2 3
밝 별의 밝기가 조금 어두워진다. 이렇게 중심별의 밝기가 주기적으로 변

하는 현상을 이용하면 외계 행성의 존재를 알 수 있다.

t1 t2 t3 식 현상을 이용하는 방법은 외계 행성의 공전 궤도면이 지구 관측자


시간

그림 V - 15 식 현상을 이용한 외계 행성계 탐사 의 시선 방향과 거의 나란한 경우에만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도플러
효과를 이용하는 방법과 함께 사용하면 행성의 질량을 정확히 구할 수
있고, 행성 대기를 통과하는 별빛을 분석하면 대기 성분도 알 수 있다.

3 미세 중력 렌즈 효과를 이용하는 방법
지구와 별 또는 은하 사이에 질량이 매우 큰 다른 천체가 있으면, 그
천체의 거대한 중력 때문에 별이나 은하에서 나오는 빛이 마치 렌즈
때문에 굴절된 것처럼 휘어진 채 지구에 도달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
그림 V - 16 외계 행성 케플러-453b의 상상도 | 케플
러 망원경으로 발견한 행성을 가진 453번째 별로, 행 을 중력 렌즈 효과라고 한다.
성이 쌍성 주위를 공전하고 있다.
외계 행성계도 중력 렌즈 효과를 일으킬 수 있다. 지구와 별 사이에 다
른 별이 있으면, 상대적으로 지구에 가까이 있는 별의 중력 때문에 멀리 있는 별의 빛이
굴절되어 밝아진다. 이러한 현상을 미세 중력 렌즈 효과라고 한다. 이때 그림 V- 17과
같이 가까이 있는 별이 행성을 거느리고 있으면 행성의 중력이 더해져 일시적으로 멀리
서 오는 별빛이 좀 더 밝아지는데, 이를 통해 외계 행성의 존재 여부를 알 수 있다.

멀리 있는 별
상대 밝기

행성에
행성 미세 중력 의한 추가
이동 방향 밝기 변화
렌즈 효과
밝기

밝기

8시간

시간 시간 30일
그림 V - 17 미세 중력 렌즈 효과를 이용한 외계 행성계 탐사

미세 중력 렌즈 효과는 지구 정도의 크기를 가진 행성을 찾는 데 이용할 수 있다.


하지만 드물게 일어나므로 항상 하늘을 관측해야 하고, 직접 외계 행성을 보는 것이
아니라 천문 현상으로 행성의 존재를 추측하는 간접적인 방법이라는 한계가 있다.
그동안 과학자들은 위와 같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수천 개에 이르는 외계 행성을
발견하였다. 다음 활동으로 외계 행성계 탐사 프로젝트와 그 성과를 조사해 보자.

168 V. 별과 외계 행성계
자료 해석 외계 행성계 탐사 프로젝트 조사하기 탐구 능력 사고력 의사소통 능력

과정 1 모둠별로 우리나라의 외계 행성 탐색 시스템(KMTNet)과 케플러 우주 망원경을 목표

이용한 미국의 케플러 계획(Kepler Mission)을 조사해 보자. 외계 행성계 탐사 프로젝트를 조


사하고 지금까지 발견된 외계 행
1 각 프로젝트에서 사용하는 외계 행성계 탐사 방법의 원리와 한계를 설명한다.
성계의 통계적 특징을 설명할 수
2 각 프로젝트가 거둔 성과 중 하나를 조사하여 발표한다. 있다.

과정 2 다음은 외계 행성계 탐사로 발견한 행성들의 물리량을 나타낸 것이다.


행성 수 개( )

100
1000

800 10

600 량
( 1

400 성
0.1
=

200 1 시선 속도 변화
)

0.01 식 현상
<출처: (가) 미국항공우주국(NASA),
0 미세 중력 렌즈 현상
0.5~ 0.7~ 1.2~ 1.9~ 3.1~ 5.1~ 8.9~ 13.7~ 기타 2016, (나) 「The Extrasolar Planets
0.001
0.7 1.2 1.9 3.1 5.1 8.9 13.7 22 0.01 0.1 1 10 100 Encyclopedia」, 2016>
반지름(지구=1) 공전 궤도 반지름(지구 = 1)
(가) 외계 행성들의 크기(반지름) (나) 외계 행성의 공전 궤도 반지름과 질량

1 (가)를 바탕으로 지금까지 발견된 외계 행성들 중에 지구보다 큰 것이 많은지, 작은 것이


많은지 분석한다.
2 우리 태양계에서는 작은 행성은 빠르게 공전하고 큰 행성은 느리게 공전한다. (나)를 바
탕으로 이러한 특징이 외계 행성계에도 그대로 나타나는지 분석한다.

결과 및 정리
➊ 지구보다 큰 외계 행성과 작은 외계 행성 중 어느 것을 발견하기 쉬울지 토의해 보자.
➋ 지금까지 발견된 외계 행성들의 특징을 고려할 때, 우리 태양계를 우주에서 특별한 행성계라고 할
수 있는지, 또는 다양한 행성계 중의 하나일 뿐이라고 해야 하는지 토론해 보자.

외계 행성계 탐사의 결과 별이 행성을 거느리는 것이 우주에서 일반적인 일임을 알


게 되었다. 외계 행성계 탐사는 태양계의 형성 과정에 대한 단서를 제공할 수 있고,
특히 지구와 유사한 행성의 발견은 외계 생명체 탐사에 기본이 되므로 현재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성취 정도를 표시해 보자
자기 1 외계 행성계 탐사 방법을 알아보고 각각의 원리를 설명할 수 있는가?
평가하기
2 자료를 분석하여 지금까지 발견된 외계 행성계의 특징을 설명할 수 있는가?

2. 외계 행성계와 외계 생명체 탐사 169


02 외계 생명체 탐사
•외계 생명체가 존재할 가능성이 있는 행성의 일반적인 조건을 설명할 수 있다.
•외계 생명체 탐사의 의의를 토의할 수 있다.

스스로 외계 생명체의 존재는 인류의 오랜 관심사였다. 그러나 현재까지 알려진 바에 따르면


생각해 생명체가 존재하는 행성은 지구가 유일하다. 하지만 지구와 비슷한 크기의 외계 행성
보기 도 발견되었으므로 외계 행성에 생명체가 존재할 가능성 또한 열려 있다.

생명체가 존재하려면 외계 행성은 어떤 조건을 갖추어야 할까?

생명체가 존재하는 데 꼭 필요한 요소 중의 하나는 액체 상태의 물이다. 물은 다양


한 종류의 화학 물질을 녹일 수 있으므로 물에서 복잡한 유기물 분자가 탄생하는 것
이 가능하다.
그림 V- 18, V- 19와 같이 최근 태양계 탐사 결과에 의하면 달에는 적은 양이지만
물이 존재하고 화성에는 물이 흐른 흔적이 보이는 지형이 있다고 한다. 또, 우주 망원
경 탐사 결과에 따르면 물 분자는 우주의 여러 곳에서 발견된다. 하지만 아직 어느 곳
에서도 생명체의 증거는 발견되지 않았다.

태양계의 생명 가능 지대 행성에 물이 존재하려면 행성이 중심별로부터 일정한 거리만큼 떨어져 있어서 적당


태양계에서는 지구만이 생명 가 한 온도를 유지해야 한다. 이 거리의 범위를 생명 가능 지대라고 한다.
능 지대에 포함된다. 금성은 지
외계 행성계의 생명체 존재 여부는 다양한 조건에 따라 결정되지만, 중심별의 광도
구보다 표면 온도가 높아 물이
모두 증발하고, 화성은 표면 온 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다음 활동을 통해 생명 가능 지대를 추론해 보자.
도가 낮아 물이 얼어 버린다.

그림 V - 18 엘크로스(LCROSS) |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2013년 그림 V - 19 화성의 물 흔적 | 화성 탐사 위성(MRO)이 화성의 표면


에 수행한 프로젝트로, 달을 조사하여 물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였다. 에서 소금물의 흔적을 관측하였다.

170 V. 별과 외계 행성계
자료 해석 별의 표면 온도 및 광도에 따른 생명 가능 지대 추정하기 탐구 능력 사고력 의사소통 능력

다음은 태양계의 생명 가능 지대를 나타낸 것이다. (단, 태양의 질량 = 1M⊙이다.) 목표


자료를 해석하여 별의 표면 온도
및 광도에 따른 생명 가능 지대
를 추론할 수 있다.
2
별의 질량

행성에 생명체가 존재할 가능


현재 태양계의
생명 가능 지대 성을 가늠할 때에는 지구를 기
준으로 삼는다. 지구는 생명체
1
(

M⊙ 가 살아가기에 알맞은 환경을


금성 지구 화성
갖추고 있기 때문이다.
)

0.5
0 0.1 1 10 30

공전 궤도 반지름(지구 = 1)

과정
1 154쪽에 있는 태양 주변 주계열성의 H - R도를 이용하여, 주계열성의 질량과 광도, 광도
와 표면 온도 사이에는 어떤 관계가 있는지 알아본다.
2 과정 1의 관계를 바탕으로, 별의 질량이 증가하거나 감소하면 별 주변의 생명 가능 지대
는 어떻게 변할지 추론하여 위 그림에 나타낸다.

결과 및 정리
➊ 생명 가능 지대는 중심별의 표면 온도 및 광도와 어떤 관련이 있는지 말해 보자.
➋ 태양은 앞으로 약 50억 년 후에 적색 거성으로 진화를 시작할 것으로 예상된다. 태양이 적색 거
성이 되면 태양계의 생명 가능 지대는 어떻게 변할지 토의해 보자.

주계열성은 질량이 클수록 광도가 크다. 그리고 별의 광도가 클수록 온도 역시 높


아지므로 생명 가능 지대는 더 바깥쪽으로 이동하고 그 폭도 커진다. 하지만 질량이
큰 별은 수명이 짧아서 생명체가 출현하여 진화할 만큼 충분한 시간이 확보되지 못할
수 있다. 또, 행성에 지적 생명체가 존재하려면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
질량이 작은 별은 수명이 길지만, 생명 가능 지대가 중심별에 가깝고 폭도 좁다. 이
경우에는 중심별의 중력 때문에 행성의 자전 주기가 길어져 공전 주기와 같아질 수
있다. 이렇게 되면 별빛을 받지 못하는 행성의 한 면에서는 생명체가 살기 어렵게 된
다. 이 밖에도 행성에 생명체가 존재하려면 지구와 같이 태양으로부터 오는 강한 자
외선을 막아 주는 대기나 우주에서 오는 고에너지 입자들을 차단하는 자기장의 역할
이 중요하다.

2. 외계 행성계와 외계 생명체 탐사 171


이처럼 외계 행성계에 생명체가 존재하려면 여러 가지 조건이 만족되어야 한다. 하
지만 외계 생명체 탐사가 지니는 여러 가지 의의 때문에 세계 여러 국가와 단체에서
는 외계 생명체 탐사를 적극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토의 외계 생명체 탐사의 의의 토의하기 문제 해결력 의사소통 능력

목표 다음은 외계 생명체 탐사의 의의에 관한 여러 가지 의견을 나타낸 것이다.


외계 생명체 탐사의 의의에 대한
자신의 주장을 말하고 서로 의사 새로운 문명을 만나게 되면 기후 변화, 환경 오염 등 현재 인류가
소통하며 토의할 수 있다. 인류의 문명을 한 단계 더 발전 당면하고 있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시키는 계기가 될 수 있어 ! 실마리를 얻을 수도 있지 않을까?

외계 문명을 만나지 못하더라


외계 행성계 탐사에서 지구와 비슷
도 새로운 탐사 활동은 과학과
한 외계 행성도 발견하였대 ! 만약
기술의 발전을 자극하여 결과
그 행성에 생명체가 존재한다면 지
적으로 더 편리한 생활을 할
구의 생명이 어떻게 탄생하여 진화
수 있게 될 거야.
했는지 연구하는 데 도움이 될 거야.

과정
1 모둠원들이 순서를 정하여 위 학생들의 의견 중 어느 의견에 가장 동의하는지 말하고, 다
세티(SETI, Search for 른 모둠원들은 어떻게 생각하는지 토의한다.
Extra-Terrestrial
2 위에 제시된 것 외에 외계 생명체 탐사의 다른 의의가 있다면 무엇인지 토의한다.
Intelligence)
외계에 혹시 존재할지 모르는 지
적 생명체들이 발생시킨 전파를
결과 및 정리
수신하려는 프로젝트이다. 모둠별 토의 결과를 바탕으로 외계 생명체 탐사를 홍보하는 안내문을 작성하여 발표해 보자.

외계 생명체를 찾는 다양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외계 생명체를 발견했다거


나 외계의 지적 생명체에서 오는 신호를 받았다는 보고는 없다. 하지만 우리 은하에
만 해도 수천억 개에 이르는 별들이 있어 생명체를 가진 행성계가 존재할 가능성은
여전히 남아 있다.

성취 정도를 표시해 보자
자기 1 생명체가 존재할 수 있는 외계 행성의 일반적인 조건을 제시할 수 있는가?
평가하기
2 외계 생명체 탐사의 의의를 예를 들어 설명할 수 있는가?

172 V. 별과 외계 행성계
마무리

내용 정리 기초 개념 익히기

외계 행성계 탐사
1. 외계 행성계: 태양계 밖에 존재하며 ➊ 주위를 행성이 1 외계 행성계 탐사 방법을 설명한 것으로 옳은 것은 ◯표,
공전하는 행성계 옳지 않은 것은 ×표를 하시오.
⑴ 디지털카메라로 사진을 찍으면, 외계 행성을 직
접 관찰할 수 있다. ( )
2. 외계 행성계 탐사: 외계 행성은 별에 비해 매우 어둡기 때 ⑵ 행성의 중력 때문에 중심별이 미세하게 움직일 때
문에 직접 관측이 어려워 대부분 간접적인 방법으로 탐 나타나는 도플러 효과를 이용한다. ( )
사한다. ⑶ 행성이 중심별의 뒷면을 지나갈 때 생기는 밝기
변화를 이용한다. ( )
⑷ 멀리서 오는 별빛이 행성의 중력에 의해 변화하
3. 외계 행성계 탐사 방법의 비교 는 현상을 이용한다. ( )
중심별의 시선 속 미세 중력 렌즈
방법
도 변화를 이용
식 현상을 이용
효과를 이용 2 그림은 중심별의 시선 속도 변화를 이용하여 외계 행성계
별이 관측자에게 행성이 별의 앞면 가까이 있는 별이 를 탐사하는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미세하게 다가오 을 지날 때 별의 거느린 행성의 중
2'
거나 멀어질 때 밝기가 약간 ➋ 력에 의해 먼 곳 1
원리 공통
일어나는 도플러 하는 식 현상 에 서 오 는 빛 이 질량 중심
2
효과를 이용 을 이용 추가적으로 변하
1'
는 현상을 이용

질량이 큰 행성 외계 행성의 공전 미 세 중 력 렌 즈
을 발견하는 데 궤도면이 관측자 효과를 발견하기
한계
효과적이다. 의 시선 방향과 거 위하여 항상 하늘 별빛의 스펙트럼을 분석하였을 때, 1과 2 중에서 청색 편
의 나란해야 한다. 을 감시해야 한다.
이와 적색 편이가 나타나는 것은 각각 언제인가?

외계 생명체 탐사
1. 생명 가능 지대: 별 주위에 있는 행성 표면에 액체 상태의 3 태양계에서 금성과 화성이 생명 가능 지대에 포함되지
➌ 이 존재할 수 있는 거리의 범위 않는다. 그 까닭을 쓰시오.

2. 외계 생명체의 존재 여부 4 중심별이 주계열성일 때 중심별의 질량이 클수록 그 값이


커지는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르시오.
•중심별의 온도에 따른 생명 가능 지대와 관련이 있다.
보기
•별의 질량이 클수록 ➍ 가 크고 온도가 높아지므로 ㄱ. 별의 광도 ㄴ. 행성의 중력
생명 가능 지대가 더 바깥쪽으로 이동하고 그 폭도 커진다. ㄷ. 생명 가능 지대의 폭
ㄹ. 중심별에서 생명 가능 지대까지의 거리

중단원 마무리 173


마무리

표면 온도 별의 분광형으로부터 별의 표면 온도를 추정할 수 있다.

별의 물리량
광도 별의 광도로부터 표면 온도가 알려진 별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가로축 별의 표면 온도, 분광형, 색지수를 나타내며, 왼쪽으로 갈수록 온도가 높은 별이다.


H-R도
세로축 별의 광도, 절대 등급을 나타내며, 위로 갈수록 밝은 별이다.

전주계열 단계 주계열 단계 주계열 이후


별의
성간 분자 구름에서 원 주계열성 내부에서 수소 핵 적색 거성을 거쳐 백색 왜성으로
일생
시별이 탄생하여 중력 수 융합 반응이 일어나 빛을 내며, 일생을 마치거나, 별의 질량이 매우
축으로 중심부 온도가 별은 일생의 대부분을 이 크면 초거성을 거쳐 중성자별
상승한다. 단계에서 보낸다. 이나 블랙홀이 된다.

중심별의 시선 속도 변화를 이용하는 방법: 별과 행성이 공통 질량 중심을 회전할 때 별의 스펙트럼 변화를 관측하
여 외계 행성계의 존재 여부를 알아낸다.

식 현상을 이용: 행성이 별 주위를 공전하며 별의 앞면을 가릴 때 별의 밝기 변화를 관측하여 외계 행성계의 존재 여부


외계 행성계 를 알아낸다.
탐사
미세 중력 렌즈 효과를 이용: 멀리서 오는 별빛이 가까이 있는 별 주위를 돌고 있는 행성의 중력에 의해 미세하게 추
가적으로 굴절하여 밝아지는 현상을 관측한다.

생명 가능 별 주위에서 행성 표면에 물이 액체 상태로 존재할 수 있을 만큼 적당한 온도가 유지되는 거리의 범위


지대

스스로 성취 정도를 표시해 보자


평가하기 1 H - R도에서 별의 특징을 물리량과 관련지어 설명할 수 있는가?
2 태양과 비슷한 질량을 가진 별의 진화 과정을 설명할 수 있는가?
3 주계열성의 에너지 생성 원리와 내부 구조를 설명할 수 있는가?
4 외계 행성계 탐사 방법의 원리와 한계를 설명할 수 있는가?
5 외계 생명체가 존재할 가능성이 높은 행성의 조건을 제시할 수 있는가?

174 V. 별과 외계 행성계
V. 별과 외계 행성계

개념 확인하기 개념 확장하기

1 다음에 주어진 용어들을 사용하여 별의 표면 온도를 알 수 5 그림은 크기가 같은 주계열성 A, B가 파장에 따라 방출


있는 두 가지 방법을 쓰시오. 하는 빛의 세기를 나타낸 것이다.

빛의 세기
방법 1: 분광형
방법 2: 광도, 반지름 B

2 H-R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표, 옳지 않은 것 파장


은 ×표를 하시오.
두 별의 다음 물리량의 크기를 비교하시오.
⑴ H-R도에서 가로축에 해당하는 물리량에는 표
⑴ 표면 온도: A ( >, =, < ) B
면 온도와 색지수가 있다. ( )
⑵ 광도: A ( >, =, < ) B
⑵ H-R도에서 세로축에 해당하는 물리량에는 분
광형이 있다. ( )

3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별의 종류를 쓰시오.


⑴ H-R도 왼쪽 위에서 오른쪽 아래로 좁고 길게 6 그림은 주계열성 (가), (나), (다)를 H - R도에 나타낸 것이
분포하는 별이다. ( ) 고, 내용은 주계열성의 특성을 정리한 것이다.
절대 등급

⑵ 표면 온도가 낮아 붉은색을 띠지만 반지름이 커


-10 ㈎
서 매우 밝게 보인다. ( )
-5
0

+5
4 다음은 미세 중력 렌즈 효과를 이용한 외계 행성계 탐사
+10

방법을 설명한 글과 그림이다. 괄호 안에 알맞은 말을 고
르시오. O B A F G K M
분광형

별 A에서 오는 빛이 별 B의 중력 때문에 ( 직진,


•질량이 클수록 절대 등급이 작다.
반사, 굴절 )되면서 지구의 관측자에게는 별 A가
•질량이 클수록 중심 온도가 높다.
더 빛나 보인다. 이때 별 B가 ( 행성, 위성, 은하 )
을(를) 거느리고 있다면, 그것의 중력 때문에 별 A
(가), (나), (다)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에서 오는 빛이 추가적으로 더 변하는데, 이를 관 있는 대로 고르시오.
측하여 외계 행성의 존재를 알아낸다. 보기
ㄱ. (가)는 백색 왜성으로 진화한다.

B A ㄴ. (나)는 태양과 표면 온도가 같다.
ㄷ. (다)는 주계열에 머무는 시간이 가장 길다.
관측자

단원 마무리 175
마무리

7 그림 (가)와 (나)는 중심부의 핵융합 반응이 끝난 두 별의 9 다음은 식 현상을 이용하여 외계 행성을 탐사하는 방법을
내부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나타낸 것이다.
수소층 행성의 공전 궤도
수소층 1 2 3
수소 연소층 (가)
수소
연소층 헬륨 연소층 행성 별
탄소 연소층 밝
헬륨 핵 산소 연소층 기 1
규소 연소층 2
(나) 3 d
철핵
시간
(가) (나)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을 모두 찾고, 잘못된 부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
분을 고쳐 쓰시오.
르시오.
보기 ⑴ (가) 행성의 공전 궤도면이 지구에 있는 관측자의
ㄱ. (가)는 주계열성이다. 시선 방향과 나란한 경우에 (나) 현상을 관측할
ㄴ. 질량은 (나)보다 (가)가 크다. 수 있다.
ㄷ. 중심부의 온도는 (나)보다 (가)가 높다. ⑵ (나)에서 밝기는 항성의 빛을 반사하여 빛나는 행
ㄹ. (나)에서 중심부에 가까운 원소일수록 나중에 성의 밝기를 뜻한다.
생성된다. ⑶ 행성의 반지름이 2배가 되면 d는 ;4;! 배가 된다.

8 다음은 중심별의 시선 속도 변화를 이용하여 외계 행성계


를 탐사하였을 때 관측된 중심별의 스펙트럼을 원래의 스
펙트럼과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다.

2'
1 10 그림 (가)는 태양계의 생명 가능 지대를, (나)는 주계열성
공통 을 중심별로 하는 어떤 외계 행성계의 생명 가능 지대를
질량 중심
2 대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1'
생명 가능 지대

0.95 AU 0.11 AU
1.15 AU 0.16 AU
태양 중심별
원래 모습

관측 모습
(가) (나)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
르시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
보기 르시오.
ㄱ. 스펙트럼을 관측했을 때 중심별의 위치는 1이다. 보기
ㄴ. 중심별의 스펙트럼에서 흡수선은 파장이 긴 쪽 ㄱ. 달은 (가)의 생명 가능 지대에 있다.
으로 이동하였다. ㄴ. (나)의 중심별의 질량은 태양보다 클 것이다.
ㄷ. 이러한 방법은 질량이 큰 행성을 발견하는 데 ㄷ. (나)의 중심별이 거성으로 진화하면 생명 가능
더 효과적이다. 지대는 현재보다 오랫동안 존재한다.

176 V. 별과 외계 행성계
V. 별과 외계 행성계

서술형 문제

11 그림은 질량이 다른 두 별 A와 B가 주계열 이후에 과학적 사고력

광도
진화하는 경로를 H - R도에 나타낸 것이다. 10›
A의 경로 H - R도

(
⑴ 별 A와 B 중에서 주계열에 머무는 시간은 L⊙ 10‹
별의 진화

)
어느 것이 더 긴가? 또, 그러한 시간 차이가 10¤

생기는 까닭을 설명해 보자. 10⁄


주계열
B의 경로
⑵ 별 B가 진화하는 동안 물리량(표면 온도, 광 1
도, 밀도, 반지름, 색, 색지수)의 변화를 설 10—⁄
명해 보자.
30000 10000 4000
⑶ 별 A와 B가 진화하는 동안 중심핵에서 일 표면 온도(K)
어나는 핵융합 반응을 비교하여 설명해 보자.

12 그림은 태양 주변에 있는 주계열성의 H-R도로, 별의 질량과 수명이 표시되어 있다. 과학적 문제 해결력
광도

10 6
H - R도
30M⊙
105 생명체가 존재할 수 있는 조건
(

L⊙ 10M⊙
104
)

6M⊙
103 107년
3M⊙
102
108년 1.5M⊙
10
1M⊙
1 109년
태양 0.3M⊙
10-1 1010년
10-2 0.1M⊙
1011년
10-3
10-4
10-5
O B A F G K M
30000 10000 6000 3000
표면 온도(K)

⑴ 지구에 처음 생명체가 출현한 것은 지구가 만들어지고 10억 년이 지난 후였다. 이


러한 사실을 고려할 때, 위 H - R도에 있는 별들 중 생명체가 있는 행성을 가질
수 있는 별들은 어떤 것인지 설명해 보자.
⑵ 지구에 처음 지적 생명체가 출현한 것은 지구가 탄생한 후 40억 년 이상이 지나서
였다. 이러한 사실을 고려할 때, 위 H - R도에 있는 별들 중 지적 생명체가 있는
행성을 가질 수 있는 별들은 어떤 것인지 설명해 보자.

단원 마무리 177
■이 단원의 주요 핵심 역량을 알아봅시다.
과학적 외부 은하를 분류하고, 다양한 특이 은하와 충돌
사고력 은하의 특징을 고찰할 수 있다.

과학적 관측 자료를 바탕으로 허블 법칙과 우주 팽창에 대


탐구 능력 해 탐구할 수 있다.

과학적 급팽창 우주론이 빅뱅(대폭발) 우주론의 모순점을


문제 해결력 어떻게 해결하였는지 설명할 수 있다.

과학적 빅뱅 우주론을 뒷받침하는 다양한 과학적 근거 자


의사소통 능력 료를 조사하여 발표하고 토론할 수 있다.

과학적 참여와 우주 탐사와 우주의 역사에 대해 호기심을 가지고


평생 학습 능력 지속적으로 조사하고 학습할 수 있다.

■이 단원과 연계된 학습 과정을 알아봅시다.

중학교
통합과학 지구과학 I 지구과학 Ⅱ
과학

■우리 은하의 모양과 구성 천체 ■빅뱅 우주론 ■은하의 분류 ■우리 은하의 구조


■우주 팽창 ■우주 초기의 원소 생성 ■허블 법칙 ■우리 은하의 질량 분포
■우주 탐사의 성과와 의의 ■빅뱅(대폭발) 우주론 ■성간 물질
VI 외부 은하와
우주 팽창
외부 은하와 우주 팽창

이 단원에서는
외부 은하를 분류하고, 다양한 은하에 대해 다룬다. 관측 자료를 바탕
으로 급팽창 우주와 가속 팽창 우주를 포함하는 현대 우주론을 이해
하고, 우주는 대부분이 암흑 에너지와 암흑 물질로 이루어져 있음을
인식한다.
그림은 허블 우주 망원경으로 좁은 영역의 하늘을 장시간 촬영하여 찍은 사진을 조합한
것으로 다양한 은하들의 모습을 볼 수 있다. 이렇게 좁은 영역에서 나타난 은하들의 개
수를 세면 관측 가능한 전 우주에 존재하는 은하의 개수를 알 수 있다.

은하들은 서로 멀어지는
것일까, 점점 가까워져 끝
내는 충돌하는 것일까?

외부 은하와 우주 팽창
01. 외부 은하의 종류와 특징
02. 허블 법칙과 우주론
03. 암흑 물질과 암흑 에너지

자기 점검 - 알고 있는 용어를 체크해 보자.

우리 은하 외부 은하 적색 편이 허블 법칙
빅뱅 우주론    우주 배경 복사    우주 팽창    은하수

▶ 체크하지 못한 용어는 인터넷에서 검색해 보자.

학습 계획 세우기 - 성취 기준을 달성하기 위해 어떤 준비를 할 수 있을지 써 보자.

180 VI . 외부 은하와 우주 팽창
01 외부 은하의 종류와 특징
•외부 은하를 형태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특이 은하와 충돌 은하의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스스로 밤하늘을 가로질러 뿌옇게 수놓은 은하수는 많은 신화와 이야기의 근원이었다. 은하


생각해 수는 우리 은하의 일부를 지구에서 바라본 모습으로, 우주에는 우리 은하와 같은 외
보기 부 은하가 많이 있다.

외부 은하의 모습은 얼마나 다양할까?

우리가 맨눈으로 볼 수 있는 별은 제한적이지만, 천문학자들은 관측 가능한 우주에


수천억 개의 은하가 있을 것으로 추산한다. 관측으로 알아낸 은하의 특징에는 우주가
겪었던 여러 사건을 이해할 수 있는 실마리가 담겨 있다. 은하들의 형태와 특징을 알
아보자.

1 외부 은하들의 다양한 형태
1924년 허블(Hubble, E. P., 1889~1953)은 당시까지 안드로메다 성운이라고 세페이드 변광성

알려진 천체 안에 있는 세페이드 변광성까지의 거리가 우리 은하의 크기에 비해 지나 팽창과 수축을 반복하면서 밝기


가 주기적으로 변하는 별로서,
치게 크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이로써 안드로메다 성운이 우리 은하에 속한 천체가 세페우스 자리에서 처음 발견되어
아니라 외부 은하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또, 우리 은하 또한 광활한 우주에 있는 다양 세페이드 변광성이라고 불린다.

한 은하 중의 하나라는 인식이 자리 잡게 되었다.


허블은 외부 은하의 발견에 뒤이어 외부 은하를 형태에 따라 그림 VI- 1과 같이 크
게 나선 은하, 타원 은하, 불규칙 은하로 분류하였다.

정상 나선 은하

Sc

Sb
타원 은하 불규칙 은하
Sa 허블의 은하 분류 체계는 은하의
진화 순서와는 상관이 없는
E0 E2 E5 S0 Irr
형태학적 분류이다.

SBa

SBb
SBc
막대 나선 은하

그림 VI- 1 허블의 은하 형태 분류 체계 <출처: 『우주와 외부 은하』, 2008>

외부 은하와 우주 팽창 181
자료 해석 다양한 은하 사진을 이용하여 은하 분류하기 탐구 능력 문제 해결력

다음은 다양한 외부 은하의 모습이다. 외부 은하를 형태에 따라 분류하고, 결과를 모둠원들


과 비교해 보자.
목표
다양한 은하를 형태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NGC4414 M87 NGC1427A

M81 NGC1300

M60 NGC3310 NGC5866

결과 및 정리
➊ 이 자료에 나타난 은하는 형태에 따라 몇 가지로 분류되는지 설명해 보자.
➋ 우리 은하는 어떤 종류에 속하는지 조사해 보자.

182 VI . 외부 은하와 우주 팽창
허블은 타원 은하를 둥근 정도에 따라 E 0에서 E 7까지 세분하였다. 이에 따르면 원에
가장 가깝게 보이는 은하가 E 0이고, 가장 편평하게 보이는 은하가 E 7이다. 타원 은하
는 대부분 늙은 별로 이루어져 있으며 성간 물질이 매우 적어서 새로운 별의 탄생이 활
발하지 않다.
나선 은하는 중심부에 막대 모양의 구조가 있는 막대 나선 은하와 막대 구조가 없는 우리 은하
우리 은하는 막대 나선 은하로
정상 나선 은하로 분류된다. 또한, 나선팔이 감긴 정도를 기준으로 a, b, c로 세분된다.
추정되며, 지름이 약 10만 광년
예를 들어 정상 나선 은하로서 나선팔이 가장 느슨하게 펼쳐진 은하를 S c라고 하고, 막 이다. 태양은 우리 은하의 중심

대가 있으며 나선팔이 거의 원형을 이룰 정도로 빼곡하게 감고 있으면 SBa로 분류한 으로부터 약 26000 광년 떨어
져 있다.
다. 안드로메다은하는 대표적인 정상 나선 은하이다.
나선 은하의 중심부에는 부풀어 오른 팽대부가 있다. 또, 나선 은하를 옆에서 보면 납
작한 원반의 구조를 가지고 있는데, 이 원반에는 성간 물질이 풍부하며 파랗고 젊은 별
들이 많이 발견된다. 나선 은하를 오랫동안 노출을 주고 촬영하면 그림 VI- 2와 같이
별과 구상 성단들이 원반을 거의 구형으로 넓게 둘러싸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
지역을 헤일로라고 한다. 헤일로는 주로 어둡고 늙은 별들로 이루어져 있다.
나선 은하나 타원 은하로 분류하기 어려운 은하들을 불규칙 은하라고 한다. 남반구 하
늘에서 맨눈으로도 볼 수 있는 그림 VI- 3과 같은 대마젤란 은하와 소마젤란은하가 대
표적인 불규칙 은하이다.

표 VI - 1 은하를 구성하는 물질

구분 별 성간 물질 예
타원 은하 주로 오래된 별 적다. NGC1132
나선 은하 내부 구조에 따라 다르다. 우리 은하, 안드로메다은하
불규칙 은하 주로 젊은 별 많다. 마젤란은하

그림 VI - 3 대마젤란 은하와 소마젤란은하

그림 VI - 2 솜브레로은하 | 나선 은하인 솜브레로은하의 모습에서


헤일로가 잘 드러나 있다.

외부 은하와 우주 팽창 183
2 특이 은하와 충돌 은하
우리 은하의 중심에는 태양 질량의 4백만 배에 이르는 거대한 블랙홀이 자리잡고
있다. 거대 질량의 블랙홀은 우리 은하뿐 아니라 일반적으로 모든 은하의 형성과 진
화에 중요한 영향을 끼친다. 거대 블랙홀로 물질이 풍부하게 공급되면 블랙홀의 강한
중력 때문에 물질이 빠르게 가속되어 원반을 형성하고 막대한 에너지를 방출한다. 이
제트
러한 은하들은 은하핵이 유난히 밝은 것이 특징인데, 이 은하들을 특이 은하 또는 활
회전하는 원반에서 수직으로 뿜
어져 나오는 물질 흐름 동 은하라고 한다. 특이 은하에는 전파 은하, 퀘이사, 세이퍼트은하가 있다.

| 전파 은하 |
전파 은하는 강한 전파를 방출하는 은하로 광학적으로
대부분 타원 은하로 관측된다. 그림 VI- 4와 같은 전파
은하에서는 전파를 방출하는 물질이 은하핵으로부터 수
십만 광년에 걸쳐 강력한 제트를 형성하면서 은하 사이의
제트 공간까지 빠르게 뻗어 나가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제트가
만들어지는 까닭은 정확하게 알려지지 않았지만, 블랙홀
▲ 화가자리A ▲ 헤라클레스A

그림 VI -  4 전파 은하
의 강한 중력과 자기장이 원인으로 제시되고 있다.

| 퀘이사 |
그림 VI- 5와 같은 퀘이사는 전파 은하나 세이퍼트은하보다 훨씬
더 밝은 은하핵을 지니고 있지만 너무나 멀리 있어 가시광선에서 촬
영하면 평범한 별처럼 보인다. 하지만 퀘이사의 스펙트럼은 흑체와는
아주 다를 뿐 아니라 강한 방출선이 나타나기 때문에 항성과는 확연
히 달라서 ‘별처럼 보이지만 실제는 별이 아닌 천체’라는 의미로 퀘이
사라고 부른다.
퀘이사의 스펙트럼은 적색 편이가 매우 큰데, 이것으로 퀘이사가
보통의 은하보다 훨씬 더 먼 곳에서 빠른 속도로 멀어져 가고 있다
는 것을 알 수 있다. 우주에서 멀리 있다는 것은 그만큼 오래전에
만들어졌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퀘이사는 은하의 형성과 진화 등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X선 영상
그림 VI -  5 퀘이사 3C 273 | 평범한 별처럼 보이는 퀘이
사를 X선으로 관측하면 중심부에서 막대한 양의 에너지
를 방출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184 VI . 외부 은하와 우주 팽창
| 세이퍼트은하 |
1940년대에 세이퍼트는 중심핵이 유난히 밝은 나선 은하를 연구하
였는데, 이후 그림 VI- 6과 같은 나선 은하들을 세이퍼트은하라고 부
르게 되었다. 세이퍼트은하와 전파 은하의 핵에서 관측한 스펙트럼에
서는 폭이 넓은 방출선이 나타나는데, 이것은 퀘이사의 스펙트럼과
매우 유사하다. 이렇게 특이 은하들에서 유사한 스펙트럼이 나타나는
까닭은 이들이 모두 거대한 질량의 블랙홀로 이루어져 있어 블랙홀
주변으로 물질이 매우 빠른 속도로 운동하면서 방출선을 형성하기 때
그림 VI - 6 세이퍼트은하인 M77의 자외선
문이다.
영상 | 흰색은 중심부로 매우 밝게 보인다.

허블 망원경이 찍은 우주의 영상에서도 볼 수 있듯이 먼 과거에는 작은 은하들이 퀘이사가 먼 곳에서 발견되


는 까닭
많이 있었으며, 이들 은하끼리의 충돌과 병합이 현재보다 빈번하게 일어났다. 우주에 천문학자들의 추론에 따르면, 은
는 이처럼 은하가 충돌하여 생긴 충돌 은하도 있다. 그림 VI- 7과 같이 은하들이 충 하가 갓 형성되었을 때에는 중심
에 있는 거대 블랙홀 주변에 물
돌할 때에는 거대한 분자 구름들이 충돌을 겪게 되고 격렬한 충격 현상이 발생하면서
질이 풍부하게 존재하였고 블랙
갑자기 기체가 압축되어 많은 별들이 한꺼번에 탄생할 수 있다. 즉, 충돌 은하에서는 홀이 이들 물질을 끌어들일 때
막대한 에너지가 발생하므로 은
항성 탄생이 활발하다. 또, 두 은하가 가까이 접근하면 은하끼리 서로 인력이 작용하
하가 퀘이사로 관측될 수 있다.
여 길게 휘어진 구조물과 같은 특이한 형태가 나타나기도 한다. 이 은하는 시간이 흘러 거대 블
랙홀 주변의 물질이 소진되면서
현재 약 250만 광년 떨어져 있는 안드로메다은하도 우리 은하를 향해 110 km/s의
점차 에너지 방출량이 줄어들어
속력으로 접근하고 있으며, 40억 년 후에 충돌이 일어날 것이라고 추측된다. 거대한 평범한 은하로 진화하였을 것이
다. 이러한 까닭으로 퀘이사는
은하들은 이러한 충돌과 병합 현상을 여러 번 겪었을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주로 먼 곳에서 발견된다고 추정
할 수 있다.

그림 VI - 7 충돌 은하의 모습

성취 정도를 표시해 보자
자기 1 허블의 분류 방법에 따라 외부 은하를 분류할 수 있는가?
평가하기
2 타원 은하, 나선 은하, 불규칙 은하의 특징을 설명할 수 있는가?
3 다양한 특이 은하와 충돌 은하의 특징을 설명할 수 있는가?

외부 은하와 우주 팽창 185
02 허블 법칙과 우주론
•허블 법칙을 이해하고, 우주론의 역사에 기여한 점을 설명할 수 있다.
•관측 자료를 바탕으로 빅뱅(대폭발) 우주론을 설명할 수 있다.
•빅뱅(대폭발) 우주론의 모순점을 해결하는 급팽창 우주론의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스스로 우주의 탄생과 진화에 관한 과학 이론을 우주론이라고 한다. 현대 우주론은 최첨단


생각해 과학 이론과 다양한 관측 증거에 의해 발전하고 있으며, 우주론 연구에는 여러 분야
보기 의 과학자들이 함께 참여하고 있다.

우주론 연구에 과학 이론과 관측 증거가 모두 필요한 까닭은 무엇일까? ▲ 우주 배경 복사를 발견한 펜지


어스(Penzias, A. A., 1933~)와
윌슨(Wilson, R. W., 1936~)

1916년에 아인슈타인(Einstein, A., 1879~1955)은 일반 상대성 이론을 발표하


여 중력을 시공간의 휘어짐으로 설명하였다. 당시에 아인슈타인이 생각한 우주는 시
간에 따라 변하지 않는 조화로운 우주였다. 그런데 상대성 이론을 적용하면 우주를
구성하는 성분들이 서로 잡아당겨 붕괴하기 때문에, 그는 척력을 추가하여 정적인 우
주론을 제안하였다.
프리드만(Friedman, A. A., 1888~1925)은 시간에 따라 수축하거나 팽창할 수
있는 우주론 모형을 제시하였다.
정적인 우주와 팽창하는 우주 사이의 이러한 논쟁은 허블의 관측으로 전환점을 맞
게 되었다.

1 허블 법칙과 우주 팽창
20세기 초에 외부 은하의 존재를 밝혔던 허블은 외부 은하들의
후퇴 속도(^10› km/s)

7 스펙트럼을 체계적으로 조사하여 1929년에 대부분의 외부 은하가


관측값
6 우리 은하로부터 멀어지고 있으며, 그림 VI- 8과 같이 은하들의 후

5
퇴 속도는 거리에 비례하여 커진다는 허블 법칙을 발표하였다.
평균값
4
허블 법칙 v = H·r (v : 은하의 후퇴 속도, r: 은하까지 거리)
3

2 H 는 허블 상수라고 부르는데, 최근의 연구에 의하면 그 값은 약


1 70 km/s/Mpc 이다. 예를 들어 우리 은하에서 1 Mpc, 10 Mpc
떨어진 외부 은하의 후퇴 속도는 각각 70 km/s, 700 km/s가 된다.
0 1 2 3 4 5
거리(10억 광년) 이처럼 먼 은하일수록 빠르게 멀어진다는 사실은 우주가 팽창하고
그림 VI - 8 허블 법칙 <출처: 『우주와 외부 은하』, 2008>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

186 VI . 외부 은하와 우주 팽창
우주의 팽창

그림은 우주와 우주를 구성하는 천체를 2차원 바둑판과 바둑돌에 빗대어 나타낸 것이다. 바
둑판 격자의 크기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커지지만, 바둑돌들은 일정한 크기를 유지한
채 격자점 위에 고정되어 있다.

•바둑판과 바둑돌은 각각 무엇에 비유할 수 있는가?


•우주가 그림처럼 모든 곳에서 같은 양상으로 팽창하면, 우리 은하로부터 두 격자만큼
떨어져 있는 은하는 한 격자만큼 떨어져 있는 은하보다 같은 시간 동안 얼마나 더
멀어지는지 생각해 보자.

무한히 펼쳐진 바둑판에서는 모든 격자가 동등한 것처럼 우주의 팽창에는 중심이


존재하지 않으며 어느 곳에서나 동일한 양상으로 팽창이 일어난다. 우주가 팽창함에
따라 은하들 사이의 거리는 떨어진 거리에 비례하여 점점 더 멀어진다.
허블 법칙에 따르면 우리 은하로부터 거리 r만큼 떨어진 외부 은하는 v의 속도로
멀어져 가고 있다. 따라서 거리를 속도로 나눈 값, vr 는 대체적으로 그 은하가 멀어지기
시작한 시점으로부터 현재까지의 시간을 나타내고, 이는 허블 상수 H의 역수에 해당
한다.
r 1
t= v =
H

우주 팽창을 말해 주는 허블 법칙은 우주가 정적이라는 아인슈타인의 생각을 강하게


부정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명백한 관측 증거 앞에서 아인슈타인은 자신의 잘못을 인정
하였고, 과학자들은 우주의 팽창을 고려한 우주론을 전개하였다.
그런데 우주가 팽창하고 있다면 초기 우주는 어떤 모습이었을까? 만일 시간을 거슬
러 과거로 간다면 우주는 계속 작아지고 처음 팽창이 시작된 시점을 생각할 수 있다.
이때부터 일정한 속도로 팽창하여 현재에 이르게 된 것이라면 허블 상수의 역수는 우 허블 상수와 우주의 나이

주의 나이에 해당할 것이다. 또, 과거로 갈수록 우주는 온도와 밀도가 매우 높은 상태 허블 상수는 우주의 팽창 속도뿐
만 아니라 우주의 나이를 알 수
였을 것이다. 있게 해 준다. 이 때문에 과학자
프리드만의 제자인 가모프(Gamow, G., 1904~1968) 등은 고온, 고밀도 상태에 들은 정확한 허블 상수의 값을
구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서 시작한 우주가 팽창을 거듭하면서 온도와 밀도가 감소하여 현재의 우주를 형성했 현재까지 알려진 허블 상수로 구
다는 가설을 제안하였다. 이들의 주장을 빅뱅 우주론 또는 대폭발 우주론이라고 부르 한 우주의 나이는 약 138억 년
이다.
며, 이후 다양한 관측 증거에 힘입어 설득력 있는 과학 이론으로 받아들여지게 되었다.
즉, 허블 법칙이 직접적으로 빅뱅 우주론을 이끌어 내지는 못했지만 빅뱅 우주론이
나올 수 있는 바탕이 되었다.

외부 은하와 우주 팽창 187


창의

프로젝트 외부 은하의 적색 편이를 이용하여 후퇴 속도 계산하기 사고력 탐구 능력 문제 해결력

목표 Step 1 다양한 은하의 스펙트럼 조사하기


외부 은하의 적색 편이를 조사하
그림은 슬론 거대 우주 탐사 관측(Sloan Digital Sky Survey)으로 얻은 6개 외부 은하의
여 은하의 후퇴 속도를 계산할
수 있다.
사진과 이들의 수소 방출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다.

상대 세기
(가)

650 660 670 680 690 700 파장(nm)


상대 세기

(나)

650 660 670 680 690 700 파장(nm)


파장(nm)
상대 세기

(다)

650 660 670 680 690 700 파장(nm)


상대 세기

(라)

650 660 670 680 690 700 파장(nm)


파장(nm)
상대 세기

(마)

650 660 670 680 690 700 710 720 730 파장(nm)
파장(nm)
상대 세기

(바)

640 660 680 700 720 740 760 780 파장(nm)

<출처: 슬론 거대 우주 탐사
점선은 정지 상태에서 수소가 방출하는 파장으로, 656.3 nm이다.
관측(SDSS)>
준비물 Step 2 은하의 후퇴 속도 계산식 유도하기
은하 스펙트럼 자료, 자, 계산기
외부 은하의 스펙트럼을 조사해 보면, 스펙트럼선의 위치가 원래의 위치보다 파장이 긴 적색
쪽으로 이동하는 적색 편이 현상이 나타난다. 스펙트럼선 파장의 변화량을 Dk = k' - k라
Dk k'-k
고 하면, 후퇴 속도 v = c _ (c: 빛의 속도)이다. 적색 편이량{z = }을 이용하
k k `
여 나타내면 v = c _ z이다.

188 VI . 외부 은하와 우주 팽창
Step 3 다양한 은하의 후퇴 속도를 계산하고 은하까지의 거리와 후퇴 속도의 관계 나타내기
➊ Step 1 의 자료를 이용하여 적색 편이량을 구하고, 각 은하의 후퇴 속도를 계산해 보자.

은하 거리(Mpc) k'-k(nm) 적색 편이량 후퇴 속도(km/s)


k'은 선스펙트럼의 세기
660.5 - 656.3 4.2 (3 _ 10Þ`) _ 0.00640
(가) 27 ? 0.00640 가 가장 크게 나타나는 지점(Ha)에
=4.2 656.3 = 1920 서의 x축 값이다.
(나) 125
(다) 212
(라) 283
(마) 464
(바) 838

➋ 각 은하의 거리를 가로축, 후퇴 속도를 세로축으로 하여 그래프를 그려 보자.

45
후퇴 속도(^10‹ km/s)

40

35

30

25

20

15

10

0 200 400 600 800 1000


거리(Mpc)

Step 4 결론 도출하기
➊ 그래프에서 얻은 직선의 기울기는 무엇을 뜻하는지 설명해 보자.
➋ 위에서 얻은 값들을 이용하여 우주의 나이를 계산해 보자.

Step 5 핵심 역량 평가하기
성취 정도를 표시해 보자

과학과 핵심 역량 평가 내용
사고력 수소 방출선 스펙트럼을 해석할 수 있는가?
탐구 능력 주어진 자료를 이용하여 은하의 후퇴 속도를 계산할 수 있는가?
문제 해결력 허블 법칙을 이해하고 우주의 나이를 구할 수 있는가?

외부 은하와 우주 팽창 189
2 빅뱅 우주론
빅뱅(Big Bang)이란 이름 빅뱅 우주론은 현재까지 우주의 탄생과 진화를 설명하는 가장 유력한 이론으로 받
의 유래
아들여지고 있다. 이에 따르면, 우주는 초고온, 초고밀도의 상태에서 시작되었으며
빅뱅은 본래 영국의 과학자 호일
(Hoyle, Sir F., 1915~2001) 우주의 시작을 흔히 빅뱅 또는 대폭발이라고 부른다. 그림 VI- 9와 같이 초기에 우주
이 “그럼 우주가 ‘꽝’하고 폭발하
는 신속히 팽창하면서 온도가 내려갔고 기본 입자들이 결합하여 양성자와 중성자를
면서 생긴 거란 말인가?”라며 빅
뱅 우주론을 조롱하는 투로 사용 형성하였다.
한 것이다. 호일은 우주가 팽창 우주의 나이가 약 3분이 되었을 때 우주의 온도는 약 10억 K에 이르고 양성자와
하면서 계속 새로운 물질을 만들
기 때문에 우주는 항상 일정한 중성자가 결합하여 헬륨 원자핵을 형성하였다. 중성자 대부분은 헬륨 원자핵 합성에
밀도를 유지한다는 ‘정상 우주 참여하여 소진되었고 훨씬 더 많이 존재한 양성자와 함께 우주의 물질을 구성하였다.
론’을 주장하였다.
이 당시 우주는 여전히 뜨거워 수소 원자핵은 전자와 결합하지 못하고 광자는 전자와
끊임없이 산란하여 우주는 불투명한 상태에 있었다.
우주의 나이가 약 38만 년이 되었을 때 온도는 약 3000 K으로 내려가고 자유롭게
돌아다니던 전자가 양성자와 결합하여 수소 원자를 형성하였다. 원자핵과 자유 전자
가 결합하면서 우주 공간에는 자유 전자에 의한 불투명도가 급감하여 광자들은 직진
하게 되었다. 이러한 광자들 가운데 우리에게 도달하는 광자들은 팽창하는 우주 공간
을 지나오면서 파장도 같이 길어져 2.725 K의 흑체 복사로 관측되는데, 이것을 우주
배경 복사라고 한다. 우주 배경 복사는 1948년에 가모프(Gamow, G., 1904~1968)와
그의 제자인 앨퍼(Alpher, R. A., 1921~2007), 허먼(Herman, R., 1914~1997)
등에 의해 처음 예견되었다. 이들은 뜨거웠던 우주가 내어놓은 빛이 우주의 팽창과
함께 식어서 현재는 매우 낮은 온도가 되었으며, 이 빛이 우주의 모든 방향에서 오고
있다고 주장하였다.
10¤‡ K
우주의 온도

전자
양성자 3000 K
중성자
헬륨 30 K
광자 원자 수소
원자 20 K
5K
2.725 K

대폭발 초기 은하 생성
초기 별 생성

현재

38만 년
3억 년
5억 년
90억 년
우주 배경 복사 138억 년
그림 VI - 9 우주의 탄생과 진화

190 VI . 외부 은하와 우주 팽창
이후 우주 배경 복사는 우연한 일을 계기로 실제로 관측되었다. 1964년에 미국의 펜지어스(Penzias, A. A.,
1933~ )와 윌슨(Wilson, R.
펜지어스와 윌슨은 위성 통신용 수신 안테나에 생기는 잡음을 연구하던 중 하늘의 모 W., 1936~ )
든 방향에서 오는 약 7 cm 파장의 마이크로파를 발견하였다. 그런데 이것이 가모프 미국의 벨 연구소에서 우주 배경
복사를 발견하였고, 이 공로로
등이 예견하였던 우주 배경 복사라는 것이 곧 밝혀졌고, 빅뱅 우주론을 지지하는 중
1978년에 노벨상을 수상하였다.
요한 증거가 되었다.
빅뱅 이후 수억 년이 지난 후에는 우주의 온도가 충분히 내려가 분자 상태의 수소
가 점점 많아지고 마침내 스스로의 중력으로 뭉쳐서 최초로 별과 은하가 탄생하였다.
이 별들이 격렬한 초신성 폭발을 일으키면 내부에서 합성한 탄소와 규소를 포함한 많
은 중원소가 우주 공간에 남겨졌고, 이것이 다음 세대의 별과 행성을 형성하는 데 기
초가 되었다.

자료 해석 빅뱅 우주론의 증거 조사하기 탐구 능력 사고력 문제 해결력

펜지어스와 윌슨의 발견 이후에도 과학자들은 발달된 망원경 기술을 이용하여 우주 배경 복사를 정밀하게
관측하였고, 빅뱅 우주론만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새로운 관측 증거들도 찾아내었다.

과정 1 그림 (가)~(라)는 우주 배경 복사에 관한 다양한 관측 자료를 나타낸 것이다. 그림의 목표


1 빅뱅 우주론을 뒷받침하는 과학
색은 전 우주를 관측한 빛을 나타낸 것으로, 색이 다른 곳은 정도의 미세한 온도 차이
10만 적인 자료를 조사하여 설명할 수

가 있음을 뜻한다. 우주 배경 복사 지도에서 (가), (나), (다) 그림의 가로 방향으로 나타나는 있다.

높은 온도 띠는 우리 은하면의 먼지 등에서 방출되는 전자기파이고, 그림 (라)는 이 전자기파


를 제거한 것이다.

(가) 펜지어스와 윌슨의 관측 결과(1965년 논문) (나) 코비(COBE) 망원경의 관측 결과(1992년)


그림에서 붉은색 영역은 고온이
고, 파란색 영역은 저온이다.

(다) 더블유맵(WMAP) 망원경의 관측 결과(2003년) (라) 플랑크(Planck) 망원경의 관측 결과(2013년) <출처: 미국항공우주국(NASA)>

외부 은하와 우주 팽창 191
1 ‌(가)~(라)의 관측 자료는 우주 배경 복사가 우주에 거의 균일하게 분포하고 있다는 것을 보
여 준다. 모둠원들과 이러한 관측 자료가 빅뱅 우주론을 어떻게 지지하는지 토의한다.
2 ‌(다)와 (라)에서는 우주 배경 복사의 미세한 온도 차이를 관찰할 수 있다. 이러한 미세한
온도 차이가 뜻하는 것은 무엇인지 토의한다.

과정 2   빅뱅 우주론이 옳은지 밝히기 위해서는 우주의 나이가 3분이었을 때 만들어진 수


소와 헬륨의 질량비와 현재 우주에 있는 수소와 헬륨의 질량비가 같아야 한다.
1 빅뱅 우주론에서 예측하는 수소와 헬륨의 질량비는 얼마인지 조사한다.
2 ‌실제 관측 자료를 찾아 현재 우주에 존재하는 수소와 헬륨의 질량비는 얼마인지 조사한다.

결과 및 정리
➊ 관측 자료가 빅뱅 우주론을 어떻게 뒷받침하는지 설명해 보자.
➋ 빅뱅 우주론이 잘 설명하지 못하는 관측 자료는 무엇인지 설명해 보자.

헬륨 핵 그림 VI- 10과 같이 우주 나이가 3분이 되었을


때 양성자와 중성자의 개수비는 약 7 : 1이었다.
헬륨 핵은 양성자 2개와 중성자 2개가 결합하여

양성자
만들어지고, 남은 양성자는 수소 핵이 된다. 따라서
중성자
그림 VI- 10 초기 우주에서의 헬륨 생성 수소 핵과 헬륨 핵을 이루는 입자의 개수비로 근사
하여 구한 수소와 헬륨의 질량비는 약 3 : 1이다.
이 비율은 현재 우주에 존재하는 수소와 헬륨의 비와 같다. 즉, 빅뱅 우주론에서 예
측한 수소와 헬륨의 비율이 실제 관측 결과와 맞으며, 이는 빅뱅 우주론을 지지하는
증거가 된다.

3 급팽창 우주론
빅뱅 우주론은 수소, 헬륨의 양과 우주 배경 복사와 같은 중요한 관측 증거를 통해
잘 뒷받침되었지만, 여전히 해결해야 할 문제들을 남겨 두고 있었다. 이 중 대표적인
것으로는 편평성 문제와 지평선 문제가 있다.
초기 빅뱅 우주론에 따르면 물질의 양에 따라 우주 공간은 양수 혹은 음수의 곡률
을 갖게 되고, 곡률이 0인 편평한 공간이 될 가능성은 거의 없다. 그러나 관측에 따르
면 우주 공간은 편평하며, 이 문제를 편평성 문제라고 부른다.

192 VI . 외부 은하와 우주 팽창
지평선 문제는 마치 지평선 너머에 있는 것처럼 멀리 떨어져 있어서 대폭발 이후
한 번도 만난 적이 없는 우주의 서로 다른 지역에서 오는 우주 배경 복사의 온도가 어
떻게 거의 동일할 수 있는가 하는 문제를 말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구스는 1980년대 초에 급팽창 우주론을 제안하였 구스(Guth, A., 1947~ )
미국의 천문학자로 급팽창 우주
다. 급팽창 우주론은 우주가 대폭발 직후 극히 짧은 시간 동안 급격하게 팽창하였다
론을 제안하여 대폭발 우주론의
는 주장이다. 이에 따르면, 우주가 급격히 팽창하여 공간의 크기가 매우 커지게 되면 모순점을 해결하였다.

우주 전체가 휘어져 있더라도 관측되는 우주의 영역은 편평하게 보이므로 편평성 문


제의 모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이것은 마치 풍선을 매우 크게 불면 그 표면은 평면에
가까워지는 것과 같은 원리이다.
또, 그림 VI- 11과 같이 급팽창 우주론에 따르면 우주는 매우 작은 상태에서 급격
히 커졌기 때문에 가까이 있던 두 지역은 팽창이 일어나기 전에 서로 정보 교환이 가
능하였다. 따라서 우리가 현재 관측하는 우주 배경 복사가 방향에 상관없이 거의 같
은 온도로 나타나는 것이 잘 설명된다. 이 밖에도 급팽창 우주론은 우주 배경 복사에
나타나는 미세한 온도 차이를 설명할 수 있다. 우주 배경 복사의 미세한 온도 차이는
우주의 초기에 미세한 밀도 차이가 있었던 것을 의미하는데, 밀도가 높은 부분이 더
욱 성장하여 은하와 별이 만들어지는 지역이 되었다고 한다.
이와 같이 급팽창 우주론은 빅뱅 우주론의 모순점들을 해결함으로써 빅뱅 우주론에
대한 믿음을 더욱 견고하게 해 주었다.
우주의 척도

우주 배경 복사
급팽창

10›‚

예전 모
빅뱅 10¤‚
1

10—¤‚ 우주의 크기 규모
10—›‚

10—‚ 급팽창 모형
우주 나이 38만 년
더블유맵(WMAP) 10—› 10—‹ 10—¤ 10—⁄ 10— 1 10
망원경으로 관측 시간(초)

우주 나이 138억 년
그림 VI- 11 급팽창 우주론 모형

성취 정도를 표시해 보자
자기 1 허블 법칙의 의미와 우주론 발전에 기여한 점을 설명할 수 있는가?
평가하기
2 빅뱅 우주론을 지지하는 관측 증거를 제시하고 그 의미를 설명할 수 있는가?
3 급팽창 우주론이 빅뱅 우주론의 모순점을 어떻게 해결하였는지 설명할 수 있는가?

외부 은하와 우주 팽창 193
03 암흑 물질과 암흑 에너지
•우주의 대부분이 암흑 물질과 암흑 에너지로 이루어져 있음을 설명할 수 있다.

스스로 고대 그리스 인들은 지상 세계의 물질이 물, 불, 흙, 공기의 4가지 원소로 만들어졌다


생각해 고 생각하였다. 반면 하늘의 세계는 완전한 원소로 이루어져 있다고 믿었고, 이 제5의
보기 원소를 에테르라고 불렀다.

우리는 우주를 구성하는 성분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는 것일까?

과학 기술의 발달로 더욱 정밀한 우주 배경 복사 관측과 방대한 양의 거대 우주 구


암흑 물질
암흑 에너지
27 % 조 탐사 관측이 가능해지면서 과학자들은 이론과 관측 자료를 비교, 검토하여 우주의
68 %
밀도 분포와 구성 성분을 알아낼 수 있었다. 그 결과에 따르면 우주의 구성 성분 중
우리에게 익숙한 수소, 헬륨과 같은 보통 물질의 비율은 약 5 %에 불과하고, 27 %
보통 물질
5% 를 암흑 물질이, 68 %를 암흑 에너지가 차지하고 있다고 한다. 우주의 대부분을 이루
그림 VI - 12 우주의 구성 성분 고 있는 암흑 물질과 암흑 에너지를 알아보자.

1 보통 물질과 암흑 물질
우리의 몸과 지구, 별, 은하 등과 같이 주변에서 비교적 쉽게 관찰할 수 있는 대상
을 구성하는 물질을 보통 물질이라고 한다. 관측 가능한 우주에서 보통 물질은
4.5_10ÑÜ Ú g/cm3의 밀도로 존재한다. 이것은 4 m3에 단 1개의 양성자가 있는 정도
에 불과하다.
보통 물질의 가장 작은 단위는 여러 종류의 기본 입자이다. 기본 입자에는 쿼크나
전자와 같이 물질을 구성하는 입자, 광자나 글루온과 같이 힘을 전달하는 입자, 그리
힉스 입자의 발견 고 다른 기본 입자들이 질량을 갖게 하는 힉스 입자 등이 있다. 이들 기본 입자들은
기본 입자들이 질량을 갖는 과정
우주의 탄생 초기에 다양한 방식으로 상호 작용하여 우주의 기본 물질들을 만들어냈
과 관련하여 존재할 것으로 예상
되었던 입자가 힉스 입자이다. 다. 이와 같이 기본 입자들을 분류한 과학 이론을 표준 모형이라고 한다.
힉스 입자는 2012 년에 스위스
그런데 우주를 구성하는 암흑 물질은 표준 모형으로는 잘 설명되지 않는다. 암흑
와 프랑스에 걸쳐 건설된 거대
강입자 가속기 실험에서 발견되 물질은 은하나 은하단에서 대부분의 질량을 차지하고 있지만 빛과 상호 작용을 하지
었다.
않아 정체가 밝혀지지 않은 물질을 일컫는 말로, 은하의 회전 곡선을 해석하는 중에
발견되었다.
1960년대 말에 루빈(Rubin, V., 1928~)은 안드로메다은하에 있는 별과 기체의
회전 속도를 연구하였다. 그녀는 별을 비롯한 물질이 은하의 중심에 집중되어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였고 그에 따라 은하 중심부에서 멀어질수록 회전 속도가 느려질 것

194 VI . 외부 은하와 우주 팽창
속도
이라고 예상하였다. 그런데 실제로 관측한 결과는 은하 중
관측되는 속도값
심에서 멀어져도 회전 속도가 거의 일정한 것으로 나타났
다. 여러 나선 은하의 회전 속도를 관측하면 그림 VI- 13
과 같이 나타난다.
이러한 결과는 은하의 외곽에도 상당한 양의 물질이 분포
예측되는 속도값
하고 있으며 그 물질의 질량으로 인해 회전 속도가 감소하
지 않고 오히려 증가하거나 거의 일정하게 된다는 것을 의 은하 중심으로부터의 거리

미한다. 그런데 이렇게 은하의 회전 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그림 VI - 13 나선 은하의 회전 속도 곡선 | 암흑 물질의 질량 때문에
은하 중심에서 멀어져도 회전 속도가 거의 일정하다.
물질의 질량은 별과 성간 물질을 관측하여 계산한 질량보다
<출처: 『현대 천체 물리학』, 2009>
훨씬 크다. 과학자들은 이와 같이 은하 질량의 대부분을 차지하지만 눈에 보이지 않
는 물질을 암흑 물질이라고 부른다.
최근에 암흑 물질의 존재는 그림 VI- 14와 같은 중력 렌즈 현상을 통해서도 알려지
고 있다. 강체 회전과 케플러 회전
은하의 회전 속도 곡선에서 은하
지구에서 보이는 모습 중심부에서는 거리에 따라 회전
빛이 휘어진다. 속도가 일정하게 증가하는데, 마
치 원반 모양의 강체가 도는 것
지구 과 같다고 하여 ‘강체 회전’이라
은하
거대한 중력원 고 한다. 반면 은하 중심에서 멀
(암흑 물질) 어질수록 회전 속도가 감소하는
경우는 행성의 운동 법칙을 밝힌
빛이 휘어진다. 케플러의 이름을 따서 ‘케플러
회전’이라고 한다.
지구에서 보이는 모습

그림 VI - 14 중력 렌즈 효과 | 중력 렌즈 현상에 의하여 하나의 퀘이사가 여러 개의 영상으로 나타난다.

그림 VI- 15는 두 개의 은하단이 충돌하는 모습이다. 푸른색 영역은 암흑 물질의


분포를 이론적으로 나타낸 것이고, 붉은색 영역은 보통 물질의 분포를 X선으로 촬영
한 것이다. 이 두 분포는 서로 다를 뿐만 아니라 중력 렌즈 현상을 일으키는 물질
은 대부분 관측할 수 없는 암흑 물질로서 이들이 대부분의 질량을 차지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림 VI - 15 총알 은하단 1E 0657-56 | 두 은하단이


충돌하여 만들어진 은하단이다.

외부 은하와 우주 팽창 195
2 암흑 에너지와 우주의 가속 팽창
초기의 빅뱅 우주론에서는 시간이 지나면서 우주의 팽창률이 점차 줄어든다고 생각
하였다. 그 까닭은 우주를 구성하는 물질이 중력에 의해 서로 잡아당기면서 팽창을
저지할 것이라고 믿었기 때문이다.

Ia형 초신성 - 백색 왜성에


그런데 그림 VI- 16과 같이 20세기 말에 Ia형 초신성을 관측하여 얻은 자료는 우
서 진화한 초신성 주의 팽창률이 점점 빨라지는 가속 팽창을 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우주가 가
우주 팽창을 정확하게 기술하려
속 팽창을 하려면 물질에 의한 중력과는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는 요소가 있어야 한
면 은하까지 거리를 정확하게 구
해야 하는데, 이때는 Ia형 초신 다. 과학자들은 이렇게 중력과 반대로 우주의 팽창을 가속시키는 우주의 성분을 암흑
성이 유용하게 이용된다. 초신성
에너지라고 한다.
은 별이 폭발하면서 밝게 빛나는
현상을 말하는 것으로, 가장 밝 시간
겉보기 등급 관(측값

을 때에는 은하의 밝기에 육박하 초신성 우주론 프로젝트


기 때문에 아주 먼 거리에 있어 24 적색 편이가 큰 초신성 연구 가속
팽창
도 쉽게 관측할 수 있다. 특히 Ia 감속
23 가속 팽창 우주
형 초신성은 최대 밝기가 거의 팽창

팽창 우주
22

현재
일정하여 거리 측정의 잣대로 자 급팽창
주 사용된다. 감속 팽창 우주
21
)

빅뱅
20
0.2 0.4 0.6 1.0
적색 편이

<출처: 『현대 천체 물리학』, 2009> 그림 VI - 16 Ia형 초신성 관측과 우주의 가속 팽창

지금까지 알려진 이론과 관측 증거들을 종합하면, 우주는 138억 년 전에 대폭발로


탄생하여 짧은 순간 급격히 팽창하였다. 이후 우주의 팽창은 조금씩 줄어들다가 수십
억 년 전부터 암흑 에너지의 역할이 중요해지면서 다시 빨라지기 시작하였다. 우주는
현재도 계속 가속 팽창하고 있으며, 앞으로 우주의 미래는 물질과 에너지의 양에 따
라 결정될 것이다.
현재 우리 우주를 구성하는 지배적인 성분은 암흑 에너지이며, 중력의 주요한 원인
인 물질 대부분도 정체가 규명되지 않은 암흑 물질이다. 현대 과학은 신화의 수준에
머물러 있었던 우주론을 정밀한 관측과 실험에 기초한 정밀 과학의 수준으로 올려놓
았지만 우리가 알고 있는 보통 물질이 우주의 극히 일부분이라는 역설적인 상황을 맞
이하고 있다. 우주론의 거대한 수수께끼를 풀기 위해 치열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젊은 학자들의 도전이 기대되고 있다.

성취 정도를 표시해 보자
자기 1 관측 증거를 이용하여 암흑 물질의 존재를 설명할 수 있는가?
평가하기
2 우주의 가속 팽창을 암흑 에너지와 관련지어 설명할 수 있는가?
3 우주 대부분이 암흑 물질과 암흑 에너지로 이루어져 있음을 설명할 수 있는가?

196 VI . 외부 은하와 우주 팽창
읽 하
최신 과학 이야기 고 각 기

최근 우주 탐사의 성과와
우주의 미래

개수 밀도 상(댓값
허블 법칙으로 우주가 팽창한다는 것이 밝혀진 후에도 한동안 빅뱅 우주 10—‡
론과 정상 우주론이 팽팽하게 대립하였다. 정상 우주론에서는 우주가 물질
을 계속 생성해 내기 때문에 우주의 물질 밀도가 유지되고 시간이 지나도 우
주는 늘 같은 모습이라고 주장하였다. 그런데 정상 우주론으로는 설명하기
10—°

)
힘든 중요한 관측 사실 중의 하나가 우주의 나이에 따른 퀘이사의 개수 밀도
이다.
퀘이사는 일반 은하보다 매우 밝기 때문에 아주 먼 곳에서도 찾을 수 있
다. 만약 정상 우주론이 옳다면, 같은 부피당 존재하는 퀘이사의 개수 밀도 10—·
0 1 2 3 4 5 6
는 일정해야 한다. 하지만 오른쪽 그림과 같이 20세기 후반에 이루어진 탐 적색 편이
사 결과에 따르면 퀘이사의 개수 밀도는 우주 초기에 적었다가 약 100억 년 ▲ 적색 편이에 따른 퀘이사의 개수 밀도 |

전에 최대를 이룬 후 다시 줄어들었다. 이러한 관측 자료는 우주가 늘 한결 퀘이사는 약 100억 년 전에 가장 많이 발견되고 그 전


후로 개수가 적게 나타난다.
같은 모습을 보이는 것은 아니라는 증거가 된다. <출처: Gordon et al., 2006>
빅뱅 우주론의 모형에서는 물질-에너지 밀도의 값에 따라 공간의 곡률
이 결정되고, 곡률의 부호에 따라 닫힌 우주, 열린 우주, 평탄 우주로 나뉜다. 급팽창이 고려된 현대의 우주론에 따르면,
현재 우주는 편평하지만 가속 팽창하고 있다. 우주의 팽창률은 물질과 암흑 에너지의 밀도 값의 영향을 받는데, 물질의
밀도는 부피가 커질수록 줄어들지만 암흑 에너지의 밀도는 이와 무관하다. 따라서 우주의 초기에는 물질의 영향이 우세
하여 우주가 감속 팽창을 하였다. 하지만 우주가 충분히 팽창한 후에는 암흑 에너지의 영향이 지배적으로 되어 가속 팽창
을 하게 되었다.

생각해 보기
•우주를 소재로 한 소설을 읽거나 영화를 관람하고, 그 속에 포함된 우주론의 내용을 조사해 보자.

외부 은하와 우주 팽창 197
마무리

타원 은하 늙은 별로 구성되었으며, 성간 물질이 적다.

나선 은하 •나선팔이 감긴 정도에 따라 a, b, c로 세분된다.


형태에 따른
•중심부에는 부풀어 오른 팽대부가 있다.
외부 은하의
•옆에서 보면 납작한 원반 모양을 하고 있다.
분류 정상 막대
나선 은하 나선 은하

불규칙 은하 타원 은하나 나선 은하로 분류하기 어려운 모양을 하고 있다.

전파 은하 세이퍼트은하 퀘이사

특이 은하 중심핵이 유난히 밝은 전파 은하나 세이퍼트은하보다 밝은


전파를 방출하는 은하 은하핵을 가지지만 매우 멀리 있어
나선 은하
별처럼 보이는 천체

격렬한 항성 탄생을 특징으로 하고, 두 은하가 접근하면 서로 인력이 작용하여 길게 휘어진 구조물과 같은

충돌 은 형태를 띠기도 한다.

외부 은하가 우리 은하로부터 멀어지고 있으 v : 은하의 후퇴 속도


허블 법칙 v = H·r { }
며, 은하들의 후퇴 속도는 거리에 비례한다. r: 은하까지의 거리

암흑 물질 암흑 에너지
질과
암흑 물 은하 질량의 대부분을 차지하지만 중력과 반대로 작용하면서 우주의
너지
암흑 에 눈에 보이지 않는 물질 팽창을 가속하는 우주의 성분

스스로 성취 정도를 표시해 보자


평가하기 1 외부 은하를 형태에 따라 분류할 수 있는가?
2 특이 은하와 충돌 은하의 특징을 설명할 수 있는가?
3 허블 법칙을 이해하고, 빅뱅 우주론과 급팽창 우주론을 비교할 수 있는가?
4 우주 대부분이 암흑 물질과 암흑 에너지로 구성되어 있음을 설명할 수 있는가?

198 VI . 외부 은하와 우주 팽창
VI . 외부 은하와 우주 팽창

개념 확인하기 개념 확장하기

1 그림은 우리 은하를 위에서 본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3 그림은 은하를 형태에 따라 분류하는 과정이다.

여러 가지 은하

아니요
모양이 규칙적인가? A

아니요
나선팔이 있는가? B


⑴ 우리 은하를 형태에 따라 분류하면 어디에 속하
중심부에 아니요
는가? C
막대 구조가 있는가?
⑵ 태양계는 우리 은하의 중심에서 얼마나 떨어져

있는가?
D

A, B, C, D에 해당하는 은하의 종류를 쓰시오.


2 그림은 거리를 알고 있는 은하들의 후퇴 속도를 나타낸 것
이다.
후퇴 속도(^10› km/s)

2
4 그림은 별과 외부 은하를 관측한 자료이다.

0 100 200 300 400 500


거리(Mpc) 퀘이사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표, 옳지 않은 것은 ×표
를 하시오. 이 자료의 퀘이사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
⑴ 멀리 있는 은하일수록 후퇴 속도가 커진다. 서 있는 대로 고르시오.
보기
( )
ㄱ. 광도는 항성보다 크다.
⑵ 우주 팽창으로 은하 사이의 거리는 점점 가까워
ㄴ. 연주 시차를 측정하여 거리를 구한다.
진다. ( )
ㄷ. 스펙트럼의 적색 편이 값으로부터 퀘이사인지
⑶ 후퇴 속도를 알면 은하까지의 거리를 구할 수 있
판단한다.
다. ( )

단원 마무리 199
마무리

5 그림은 허블 상수를 구하기 위해 관측한 은하 A, B, C의 7 표는 우주를 구성하는 성분의 상대량을 나타낸 것이다.
관측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A, B, C는 같은 시선 방향에 구성 요소 상대량(%)
위치하고 있다. (가) 68
후퇴 속도

암흑 물질 A
3 C 보통 물질 B
(값의 배수

A 2 B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
르시오.
1 A 보기
ㄱ. (가)는 암흑 에너지이다.
)

0 1 2 3
ㄴ. A는 B보다 크다.
거리(A값의 배수)
ㄷ. 암흑 물질은 우주를 가속 팽창시키는 원인이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
된다.
르시오.
보기
ㄱ. 우리 은하로부터의 거리는 B가 A의 2배이다.
ㄴ. 우리 은하에서 관측한 적색 편이량은 C가 A
의 2배이다.
ㄷ. A로부터의 후퇴 속도는 C가 B의 3배이다.

8 그림은 어느 가속 팽창 우주 모형에서 시간에 따른 우주


구성 요소 A, B, C의 밀도를 나타낸 것이다. A, B, C는
각각 보통 물질, 암흑 물질, 암흑 에너지 중 하나이다.
6 그림은 세 곳의 천문대에서 관측한 외부 은하까지의 거리
밀도 상(댓값

와 후퇴 속도를 나타낸 것이다. A

B
후퇴 속도(^10‹ km/s)

20 A
)

15
B C
10
C
5 현재 시간

0 50 100 150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


거리(Mpc) 르시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 보기

르시오. ㄱ. A는 암흑 물질이다.
보기 ㄴ. 암흑 에너지가 우주 팽창에 미치는 영향은 시
ㄱ. 허블 상수는 A의 경우 가장 크다. 간에 따라 증가하였다.
ㄴ. 우주의 나이는 B의 경우 가장 적다. ㄷ. 보통 물질이 차지하는 상대적인 비율은 시간에
ㄷ. 우주의 크기는 C의 경우 가장 작다. 따라 감소하였다.

200 VI . 외부 은하와 우주 팽창
VI . 외부 은하와 우주 팽창

서술형 문제

9 다음은 관측된 서로 다른 특이 은하 (가)와 (나)의 스펙트럼 자료와 이 자료를 해석한 내용의 과학적 사고력
일부이다. (단, Ha, Hb는 각기 다른 수소의 방출선이다.) 특이 은하
(가) (나) 스펙트럼 자료 분석
상댓값

상댓값
8 8
Hb Ha 기준선 Hb Ha 기준선 Ha
기준선 Ha 기준선
6 6
Hb

자 4 4 Hb

2 2

400 500 600 700 800 900 1000 400 480 560 640 720
파장(nm) 파장(nm)

해 수소 스펙트럼선의 폭이 매우 넓게 나타남
수소 스펙트럼선의 파장 변화량이 크게 나타남
석 ⇩

내 은하 내부의 물질이 매우 빠르게 움직이는 경
용 은하의 후퇴 속도는 광속의 0.1배 이상이다.
우의 방출선이다.

⑴ 이들 중 하나는 퀘이사이고 다른 하나는 세이퍼트은하이다. 각각 어느 은하에 해


당하는지 말해 보자.
⑵ ⑴과 같이 말한 근거를 설명해 보자.
⑶ 지구로부터의 거리와 후퇴 속도는 어떻게 다른지 설명해 보자.

10 그림은 어느 팽창 우주 모형에서 시간에


우주의 크기

과학적 문제 해결력
따른 우주의 크기와 우주를 구성하는 요
우주의 팽창률
소의 상대량을 나타낸 것이다. 암흑 에너지

0 A 현재 시간
1%

84 % 68 %
암흑 에너지
27 % 암흑 물질
15 % 5% 보통 물질
A 현재

⑴ 현재 시점에서 우주의 팽창률은 어떠한지 말해 보자.


⑵ 암흑 에너지의 비율과 우주의 크기를 A 시점과 현재를 비교하여 설명해 보자.

단원 마무리 201
부록
실험실 안전 수칙 •204
지구 과학사 •206
정답과 해설 •208
찾아보기 •216
사진 출처 •219
자료 출처 •221
실험실 안전 수칙

실험실에서 안전하게 실험하려면

보안경
•약품이 튀거나 눈에 이물질이 닿을 경우를
대비하여 착용한다.
•불이나 화학 약품을 사용하는 실험, 파편이
•긴 머리는 묶는다.
튀는 실험을 할 때 착용한다.

실험복
•불이 잘 안 붙고 약품 등과의 반응
이 적은 재질로 되어 있다. 따라서
실험용 보호 장갑
•면장갑, 방열 장갑, 라텍스 장갑 등 여러 종
실험을 할 때는 반드시 실험복을
류가 있으니 필요에 맞게 선택한다.
입는다.
•손을 완전히 덮고 장갑과 손목 사이에 틈이
•내 몸에 맞는 실험복을 입는다.
생기지 않게 충분히 길어야 한다.
•실험복은 정기적으로 세탁하고 심
•장갑을 벗을 때는 피부에 닿지 않게 주의하
하게 오염된 것은 폐기한다.
고, 장갑을 벗은 후 손을 비누로 씻는다.

운동화와 같이 발등을 덮는 신발을


신는다. 절대 슬리퍼를 신지 않는다.

실험 도구 주의 안전한 행동 지침

•인화성 물질을 사용할 경우 알코올램프나 핫플레이트 같은


•실험실 내에서는 뛰거나 잡담하는 등의 장난을 치지 않는다.
열원에서 멀리 둔다.
•실험실 내에서 음식물을 먹어서는 안 되며, 무단으로 자리를
•전기 기구는 절대 젖은 손으로 만지지 않는다.
이탈하지 않는다.
•알코올램프 사용에 특히 주의하며, 유리 기구는 깨지지 않도
•실험실에 비치된 소화기, 안전 샤워기, 비상구, 전기 차단기
록 주의하여 다룬다.
의 위치를 미리 확인한다.
•모든 시약은 유독하다고 간주하고 직접 접촉하지 않으며, 시
•실험 전후에 정리 정돈을 잘한다.
약병을 함부로 들고 다니지 않는다.

204 부록
실험실 안전 수칙 205
지구 과학사

연대 지구 과학사

B.C 4241 이집트력(1년=365일의 태양력) 채용


437 메톤(그리스), 메톤 주기 발견
360년경 석신(중국),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항성표 작성
230 에라토스테네스(그리스), 최초로 지구의 크기 측정
46 율리우스력(현재 태양력의 기초, 1년=365.25일) 채용

A.D 150 프톨레마이오스(그리스), 천동설 주장


647 선덕 여왕(신라), 첨성대 창건
1442 세종 대왕(조선), 측우기 발명
1543 코페르니쿠스(폴란드), 지동설 주장
1576 브라헤(덴마크), 규칙적인 천체 관측 개시
1582 그레고리우스 13세(로마), 그레고리력(현행 태양력, 1년=365.2425일) 제정

1609 갈릴레이(이탈리아), 천체 망원경 발명


1609~1619 케플러(독일), 케플러 법칙 발견
1656 하위헌스(네덜란드), 토성의 고리 발견
1666 뉴턴(영국), 반사 망원경 발명
1668 뉴턴(영국), 태양 스펙트럼 연구
1669 스테노(덴마크), 지층 누중의 법칙·면각 일정 법칙 발표
1676 영국, 그리니치 천문대 설립
1682 핼리(영국), 핼리 혜성 발견
1687 뉴턴(영국), 만유인력 법칙 발표

1718 핼리(영국), 항성의 고유 운동 발견 및 대기의 순환을 제창


1727 브래들리(영국), 광행차 발견
1735 해들리(영국), 무역풍의 원인론 발표
1755 칸트(독일), 태양계의 성인에 관한 성운설 발표
1772 보데(독일), 보데의 법칙 발표
1781 허셜(영국), 천왕성 발견
1790 베르너(영국), 동일 과정의 원리와 수성론 주장
1795 허턴(영국), 동일 과정의 원리와 화성론 주장
1798 캐번디시(영국), 만유인력 상수 측정
1799 스미스(영국), 화석에 의한 지층의 순서를 밝히는 층서학의 기초를 세움

1803 하워드(영국), 구름의 분류 제창


1814 피아치(이탈리아), 소행성 1호인 세레스 발견(이 후 왜소 행성으로 분류됨)
프라운호퍼(독일), 태양 스펙트럼 중 흡수선 발견
1820 브란테스(독일), 최초의 일기도 작성
1830 라이엘(영국), 지질학 원리 출판, 동일 과정의 원리 확립
1838 베셀(독일), 항성의 연주 시차 측정
1839 밀러(영국), 결정면의 밀러 기호 제창

206 부록
연대 지구 과학사

1846 르베리에(프랑스)·갈레(독일), 해왕성 발견


로빈슨(영국), 로빈슨 풍속계 발명
1851 푸코(영국), 푸코 진자로 지구 자전 증명
1855 에어리(영국), 지각 평형설 제창
1856 르베리에(프랑스), 기상 정보로 일기 예보 개시
포그슨(영국), 별의 등급과 밝기에 관한 ‘포그슨 공식’ 발견
1864 홉킨스(영국), 항성의 스펙트럼 연구
1868 도플러(오스트리아), 항성의 시선 속도 관측
1879 슈테판(오스트리아), 슈테판 법칙 발표
1884 볼츠만(오스트리아), 슈테판 법칙의 이론적 증명
1893 빈(독일), 빈의 법칙 발표

1901 몰턴·체임벌린(미국), 태양계 기원에 관한 조우설 발표


1909 모호로비치치(유고슬라비아), 모호면 발견
1912 베게너(독일), 대륙 이동설 주창
1913 러셀(미국), H-R도 작성
1917 아인슈타인(독일), 상대론적 우주론 제창
1918 비에르크네스(노르웨이), 온대 저기압 발생설 제창
1922 보엔(미국), 현무암질 마그마의 분화 과정 체계 확립
1924 클라크·워싱턴(미국), 지각의 8대 원소 함량비 발표
1927 르메트르(벨기에), 빅뱅론 제안
1928 홈스(영국), 맨틀 대류설 제창
1929 허블(미국), 외부 은하의 속도와 거리와의 관계 발표
1931 잰스키(미국), 은하의 전파 측정
1935 리히터(미국), 지진 규모에 리히터 스케일 도입
1936 레만(덴마크), 레만 불연속면의 발견
1957 소련, 최초의 인공위성 스푸트니크 1호 발사
1962 헤스(미국), 해양저 확장설 주장
1969 암스트롱(미국), 아폴로 11호로 인간 최초의 달 착륙 성공
1972 파이어니어 10호(미국), 목성 탐사선 발사
1978 윌슨(미국), 펜지어스와 함께 3 K 우주 배경 복사 발견
1981 보이저 2호(미국), 토성 접근, 최초의 우주 왕복선 콜롬비아호 발사
1990 마젤란호(미국), 금성의 표면 지형 탐사
1992 우리나라, 우리별 1호로 세계에서 22번째 인공위성 보유국이 됨
1994 슈메이커-레비 9 혜성, 목성 충돌
1997 패스파인더호, 화성 탐사
2002 캠벨, 워커(캐나다), 최초의 외계 행성 세페우스자리 감마 Ab 발견
2013 우리나라, 나로호 발사 성공

지구 과학사 207
정답과 해설

마무리 41쪽~43쪽

I 지권의 변동
1
개념 확인하기

답 ㄱ, ㄴ, ㄷ

1. 지권의 변동 ㄹ. 해양 지각이 해령을 축으로 갈라져 이동하는 것은 해저 지형


도를 작성하면서 알아낸 사실이다.
마무리 29쪽
2 답 ⑴ ⑵ ⑶×⑷
내용 정리 ⑶ 동시대에 지자기 북극은 2개일 수 없다.
답 ① 대륙 ② 해령 ③ 복각 ④ 맨틀 ⑤ 플룸
3 답 ⑴ ⑵×⑶×
⑵ 섭입 경계에서는 현무암질, 유문암질, 안산암질 마그마가 모
기초 개념 익히기
두 생성될 수 있다.
1 답 ⑴㉢⑵㉠⑶㉡
⑶ 열점에서는 현무암질 마그마가 만들어진다.
음향 측심법으로 해령과 변환 단층을, 자력계를 통해 해령을 축
으로 고지자기의 정상과 역전 현상을, 전 지구 표준 지진 관측망
을 통해 섭입대 주변 지진의 진원을 분석할 수 있었다.

2 답 좁았다.
겉보기 이동 경로를 겹쳐 보면 두 대륙은 거의 한 덩어리가 되고 개념 확장하기
대서양은 현재보다 훨씬 좁았다.
4 답 (가) 음향 측심 (나) 자력계 탐사 (다) 전 지구 지진 관측망
3 답 차가운 플룸
5 답 ㄴ, ㄷ
열 분포도를 보면 하강하는 플룸은 온도가 낮고, 상승하는 플룸
ㄱ. 판은 연약권 위의 지각과 상부 맨틀의 일부를 포함하는 단단
은 온도가 높다.
한 암석권을 말한다.

6 답 ②
복각은 자침이 수평면과 이루는 각이다.

7 답 ㄱ, ㄴ
ㄷ. 뜨거운 플룸은 상부 맨틀의 대류에 의한 것이 아니다.

2. 지구 구성 물질 8 답 ㄱ, ㄷ
(가)는 섭입대, (나)는 열점, (다)는 해령에서의 마그마 생성이다.
마무리 39쪽 ㄴ. 열점에서 마그마가 생성되는 주된 까닭은 압력 감소이다.

내용 정리 9 답 ㄴ
답 ① 섭입 ② 화산암 ③ 심성암 A와 B는 암석을 결정의 크기에 따라 구분한 것이다. A는 세립
질, B는 조립질 암석이다.
기초 개념 익히기

1 답 A→C
해령에서는 압력 감소 때문에 마그마가 생성된다.

창의 서술형 문제
2 답
구분 (가) (나)
입자 크기 크다 작다 10 모범 답안 D-E
색 밝다 어둡다 음파의 왕복 시간이 1.5 km~ 2.0 km 구간에서 같은 것으로 보
암석 이름 화강암 현무암 아 이 구간에는 평정해산이 있음을 알 수 있다.

208 부록
11 모범 답안 ⑴ 북북서에서 서북서 ⑵ 플룸 구조 운동 기초 개념 익히기
4300만 년 전까지는 북북서 방향으로, 그 이후로는 서북서 방향 1 답 ⑴ 부정합의 법칙 ⑵ 부정합의 법칙 ⑶ 관입의 법칙
으로 판이 이동하고 있다. 하와이 열도는 해령이 아닌 판의 내부
에서 마그마의 상승에 의해 형성되었다. 이는 맨틀 대류가 아닌 2 답 E - F - D - C - G- B - A
플룸 구조 운동으로 설명이 가능하다. E - F(관입) - (부정합) - D - C - G(관입) - (부정합)
- B - A 순으로 생성되었다.
12 모범 답안 대륙 지각 하부에서는 현무암질 마그마와 유문암질
마그마가 혼합되어 안산암질 마그마가 생성된다. 3 답 ⑴ ⑵×⑶×
⑴ 삼엽충, 완족류, 방추충은 모두 고생대의 바다 생물이다.
⑵ 이 지역의 지층들은 모두 고생대에 퇴적되었다.
⑶ 생흔 화석은 생물이 살았던 흔적이 남은 것으로, 대표적인 생
흔 화석으로는 공룡 발자국 화석이 있다.

II 지구의 역사
마무리 75쪽~77쪽

1. 지질 구조와 퇴적 환경 개념 확인하기

마무리 57쪽 1 답 ⑴ ⑵×⑶ ⑷


(가)는 사층리, (나)는 점이 층리, (다)는 건열, (라)는 연흔이다.
내용 정리 ⑴ 사층리와 연흔은 흐름의 방향을 지시해 준다.
답 ① 층리 ② 쇄설 ③ 시간 ④ 횡압력 ⑤ 절리 ⑵ 점이 층리는 수심이 깊은 곳에서 퇴적될 때 나타난다.
⑶ 건열은 퇴적 과정 중에 건조한 환경에 노출되어 표면이 갈라
기초 개념 익히기 져 형성된다.
1 답 ⑴×⑵ ⑶× ⑷ 연흔에서는 표면에 물결 자국이 보인다.
⑴ (가)는 점이 층리, (나)는 연흔이다.
2 답 ⑴ ⑵×⑶
⑵ 점이 층리나 연흔은 지층의 상하 판단에 이용할 수 있다.
⑴ (가)는 역단층으로 양쪽에서 미는 힘을 받아 상반이 위로 올
⑶ 연흔은 얕은 물이나 흐름이 있는 곳에서 형성되지만, 점이 층
라갔다.
리는 좀 더 깊은 물 아래에서 형성된다.
⑵ (나)는 정단층으로 장력을 받아 만들어진다.
2 답 건열 ⑶ (다)는 부정합으로 퇴적이 중단된 시기가 있었다.
건열은 건조한 환경에서 형성되는 퇴적 구조이다.
개념 확장하기
3 답 (가) 평행 부정합 (나) 경사 부정합 (다) 난정합
3 답 A-응회암, B-암염, C-석회암
4 답 ⑴ ⑵ ⑶ 암염, 석회암은 화학적 퇴적암이고, 응회암은 쇄설성 퇴적암이
⑴ 상반은 두 단층 모두 오른쪽에 위치한다. 다. 묽은 염산과 반응하는 것은 석회암이다.
⑵ (가)는 정단층으로 장력에 의해 생성되고, (나)는 역단층으로
횡압력에 의해 생성된다. 4 답 ㄴ, ㄷ
ㄱ. (가)에서 아래에는 필석이 나타나는 고생대층, 위에는 화폐
⑶ 습곡은 주로 역단층과 같이 횡압력이 존재하는 곳에 생성된다.
석이 나타나는 신생대층이 있으므로 지층의 역전은 나타나
지 않았다.
ㄴ. 익룡 발자국은 호수나 강가에서 나타나므로 (나)에서는 육지
2. 지질 시대와 환경 에서 퇴적된 지층이 있다.
ㄷ. (가)는 고생대 초기와 신생대, (나)는 고생대 말기와 중생대
마무리 73쪽
이므로 부정합 기간은 (가)가 더 길다.
내용 정리 ㄹ. 고생대층을 관입하였으므로 화성암 A는 고생대 또는 중생
답 ① 과정 ② 관입 ③ 절대 ④ 표준 ⑤ 시상 대 초에 관입하였다.

정답과 해설 209
정답과 해설

5 답 ㄱ, ㄴ, ㄷ 산 기체는 생물계의 호흡에 영향을 준다.


ㄱ. 습곡은 횡압력에 의해 형성된다.
ㄴ. 상반은 단층면에 대해 수직 위에 위치하므로 오른쪽이 상반
이다.
ㄷ. 상반이 위로 올라갔으므로 역단층이다.

6 답 ㄱ, ㄷ
ㄱ. 인접한 지역이므로 건층인 응회암을 이용하여 층서를 비교
할 수 있다. 응회암 아래쪽으로 역암, 사암, 이암의 순으로
있으므로 B 지역의 이암층이 가장 오래되었다.
III 대기와 해양의 변화

ㄴ. B와 C의 사암층은 응회암 이전에 퇴적되었지만, A의 사암


은 응회암 이후에 퇴적되었다.
1. 대기의 운동과 순환
ㄷ. 세 지역 모두에 응회암이 나타난다.
마무리 95쪽

7 답 ㄱ, ㄴ
내용 정리
ㄱ. A와 B는 경사 부정합 관계이다.
답 ① 온난 ② 한랭 ③ 태풍 ④ 뇌우
ㄴ. 화폐석은 신생대 표준 화석으로 C층은 신생대 바다에서 퇴
적되었다.
기초 개념 익히기
ㄷ. 화성암 D는 고생대층, 중생대층을 관입하였으므로 중생대
1 답 ⑴ C ⑵ B-약한 비, D-강한 비 ⑶ 북서풍
이후에 형성되었다. 따라서 반감기가 1억 년인 동위 원소 X
⑴ 온난 전선 전면에 찬 기단, 후면에 따뜻한 기단이 위치한다.
는 2회 이하의 반감기를 거쳤다.
⑵ 온난 전선 전면에는 약한 비, 한랭 전선 후면에는 강한 비가
8 답 ㄱ 내린다.
ㄱ. 자료를 보면 중생대 전 시기에 걸쳐 현재보다 온도가 낮았던 ⑶ 한랭 전선 후면에서는 북서풍이 분다.
적은 없다.
2 답 높
ㄴ. 양치식물은 고사리류의 식물로 지금도 멸종하지 않고 여러
적외 영상에서는 온도가 낮을수록 밝게 표시되므로 고도가 높아
지역에 분포하고 있다.
온도가 낮은 구름이 더 밝게 나타난다.
ㄷ. 양서류가 번성하기 전에 이미 육상 생물이 등장했으며, 오존
층은 선캄브리아 시대에 이미 형성되기 시작했다. 3 답 태풍의 진행 방향과 풍향이 같기 때문
태풍의 오른쪽 지역은 진행 방향과 풍향이 일치하여 강풍이 불
고, 왼쪽 지역은 비교적 약한 바람이 분다.
창의 서술형 문제

9 모범 답안 ⑴ 제방이 무너지면 하천을 따라 이동하던 퇴적물이 4 답 북태평양 고기압


범람원으로 유입되면서 공룡알 둥지를 덮게 되고 이 지역이 자 북태평양 고기압은 태풍의 진로에 영향을 미친다.
갈, 모래, 진흙 등의 퇴적물로 덮이게 된다.
5 답 강수가 내리면서 수증기를 공급하던 상승 기류를 억제하
⑵ 이 경우 모래에 의한 사층리, 진흙이 마르면서 건열 등이 나
기 때문
타날 수 있다.
그림은 고도에 따른 바람의 변화가 작을 때 지표가 불균등하게
10 모범 답안 C 습곡 - 부정합 - B 퇴적 - 단층 f-f´ 생성 가열되어 발생하는 뇌우이다.
-부정합 - A 퇴적 순서로 사건이 일어났다. 수평 퇴적의
법칙, 지층 누중의 법칙, 동물군 천이의 법칙, 부정합의 법칙
이 사용되었다. 2. 해양의 변화
11 모범 답안 운석의 충돌은 짧은 시간에 전 지구적인 재앙으로
마무리 103쪽
거의 모든 생물권을 파괴할 수 있다. 판 구조 운동 등으로 발
생한 조산 운동은 해안선 변화, 기후 변동 등을 일으켜 해양 내용 정리
생태계에 변화를 유발한다. 대규모 화산 활동으로 방출된 화 답 ① 혼합층 ② 수온 약층 ③ 높 ④ 많 ⑤ 낮

210 부록
기초 개념 익히기 개념 확장하기
1 답 지구가 둥글기 때문
태양이 비추는 각도가 낮을수록 단위 넓이당 받는 태양 복사 에
5 답 ㄱ, ㄴ, ㄷ
한랭 전선이 A 지역을 통과하였다.
너지양이 감소한다. 지구는 둥글기 때문에 고위도로 갈수록 태
ㄱ. 한랭 전선의 통과로 기온이 하강하였다.
양이 비추는 각도가 낮아진다.
ㄴ. 남서풍에서 북서풍으로 바뀌었다.
2 답 A-혼합층, 태양 복사를 받고 바람에 의한 혼합이 일어나 ㄷ. 한랭 전선의 영향으로 적운형 구름이 발생하였다.
수온이 높고 수온 변화가 적은 층
6 답 ㄱ, ㄴ, ㄷ
B-수온 약층, 깊이에 따른 수온의 변화가 급격하게 일어나
ㄱ. 태풍은 열대 저기압으로 중심의 기압은 주위보다 낮다.
며 가장 안정한 층
ㄴ. 태풍 중심 부근에서 강한 적란운이 발생한다. B 구름의 두께
C-심해층, 수온이 낮고 수온 변화가 거의 없는 층
가 C보다 두껍다.
3 답 ⑴ 위도 30° 부근 ⑵ 위도 30° 부근 ⑶ 증발량보다 강수량 ㄷ. 태풍 중심 부근에서 풍속이 강하다.
이 많기 때문
염분은 증발량이 많을수록 높아지고, 강수량이 많을수록 낮아진다.
7 답 ㄴ, ㄷ
ㄱ. A 지역은 저기압 중심 지역으로, 바람이 시계 반대 방향으
4 답 등온선이 조밀하게 나타나는 지역을 찾는다. 로 불어 들어간다.
조경 수역은 한류와 난류가 교차하므로 수온 변화가 급격하여 ㄹ. 한랭 전선 후면에는 찬 공기 영역이 있다. 따라서 한랭 전선
등온선이 조밀하게 나타난다. 이 통과하고 나면 기온이 내려간다.

5 답 여름철 8 답 ㄴ, ㄷ
우리나라 주변 바다의 염분은 8월에 낮아진다. 그림은 수온 편차이다. 붉은색은 관측 시기 수온이 평균보다 높
은 양(+)의 편차를 의미하고, 파란색은 음(-)의 편차를 의미한
다. 평균값은 평년의 수온을 의미한다. A는 (-) 편차가 나타났
으므로 평균보다 수온이 낮다. 수온 편차가 (+)라고 해서 편차
가 (-)인 지역보다 수온이 높음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마무리 105쪽~107쪽 9 답 ㄱ, ㄴ, ㄷ
붉은색으로 나타난 지역일수록 염분이 높다.
개념 확인하기

1 답 ⑴ A-남동풍, B-남서풍 ⑵ B ⑶ A 10 답 ㄱ, ㄷ
A는 온난 전선 전면, B는 온난 전선 후면에 위치한다. B와 C는 등밀도선 위에 있으므로 밀도가 서로 같다.

2 답 ㄱ, ㄷ
ㄱ. 차가운 해수는 수증기 공급을 억제한다.
ㄴ. 열과 수증기가 공급되면 태풍이 강해진다.
ㄷ. 육지에 상륙하면 마찰이 커져 바람이 약해지면서 태풍의 세
력이 약화된다. 창의 서술형 문제

3 답 ⑴ 불안정한 ⑵ 오른쪽 ⑶ 적운형 11 모범 답안 ⑴•공통점: 저기압, 강수, 바람 등이 나타난다.


⑴ 뇌우는 불안정한 대기에서 잘 발생한다. •차이점: 전선, 등압선 형태, 에너지원, 이동 방향 등이 다르다.
⑵ 태풍이 통과할 때 강풍은 진행 방향의 오른쪽에서 주로 발생 ⑵ 따뜻한 기단은 상승하고 찬 기단은 하강하는 흐름이 나타
한다. 난다.
⑶ 우박은 적운형 구름에서 주로 발생한다. ⑶ 태풍이 육지에 상륙하면 수증기 공급이 줄어든다. 따라서
태풍의 세력이 약해진다.
4 답 ⑴ ⑵ ⑶ ⑷×
⑷ 심층에서는 용존 산소가 풍부한 극 지역 해수가 침강하여 생 12 모범 답안 수증기가 공급될 때, 상층 발산에 의한 상승 운동이
긴 심층 해류에 의해 용존 산소량은 증가한다. 강화될 때, 따뜻한 기단과 찬 기단의 경계에 있을 때

정답과 해설 211
정답과 해설

13 모범 답안 가시광선을 이용하면 해수면의 색을 알 수 있다. 이 낮아진다. 따라서 기온의 연교차가 증가한다.


러한 색깔을 통해 조류의 양에 대해서도 파악할 수 있다. 전
파 파장의 경우 마이크로파 관측을 통해 해수면의 높이 변화
2 답 반사율 증가, 투과율 감소
태양 복사의 반사율이 증가하기 때문에 투과율은 감소한다.
를 파악할 수 있고, 이를 이용해 해류의 속도도 알 수 있다.
해수면 높이의 미세한 변화를 통해서는 해파의 특징도 파악 3 답 화산 폭발에 의한 일사량 감소, 태양 상수의 감소 등 자연
할 수 있다. 적 요인만 고려했기 때문에 지표 기온은 감소하였다.

4 답 수증기, 이산화 탄소, 오존, 메테인 등

5 답 ⑴ 대류권 오존 농도 상승 ⑵ 황사 현상 발생 증가 ⑶ 기온
상승
⑴ 여름철 고온화로 대류권 오존 농도가 상승하면 호흡기 질환

IV 대기와 해양의 상호 작용 이 증가한다.


⑵ 황사 현상이 자주 발생하면 호흡기 질환이 증가한다.
⑶ 기온이 상승하면 세균성 질병이 증가한다.
1. 대기와 해양의 상호 작용
마무리 123쪽

내용 정리 마무리 141쪽~143쪽
답 ① 편서풍 ② 높 ③ 엘니뇨 ④ 라니냐
개념 확인하기

기초 개념 익히기 1 답 ⑴a⑵b⑶b⑷b
1 답 A-북적도 해류, 무역풍의 영향으로 서쪽으로 흐른다.
B-쿠로시오 해류, 대륙의 동안을 따라 북상하는 난류이다. 2 답 ⑴ (가) 엘니뇨, (나) 라니냐 ⑵ (가) 동태평양 수온이 상승
하였다. (나) 평상시보다 동태평양 수온이 낮아지고, 서태평양
C-북태평양 해류, 편서풍의 영향으로 동쪽으로 흐른다.
수온이 높아졌다.
D-캘리포니아 해류, 대륙의 서안을 따라 남하하는 한류이다.

A-표층수, B-중층수, C-심층수, D-저층수 3 답 ⑴⑵×⑶×


2 답

약 1500 m까지의 깊이에서 흐르는 심층 순환을 중층수라고 하 4 답 ⑴ 적외선 ⑵ 반사율


며, 그 아래는 심층수, 저층수로 이루어진다.

3 답 낮아진다.
A 지역은 수온 편차가 크므로 기온이 평년보다 높아지고, 기압 개념 확장하기
은 평년보다 낮아진다.
5 답 ㄴ
북반구 저위도에는 북동 무역풍이 나타나고, A는 페렐 순환으
로 간접순환이다.
2. 기후 변화
6 답 ㄱ, ㄴ, ㄷ
마무리 139쪽 A는 북적도 해류, B는 쿠로시오 해류, C는 북태평양 해류, D는
캘리포니아 해류이다.
내용 정리
답 ① 자전축 ② 온실 기체 ③ 지구 ④ 감소 7 답 ㄱ
ㄴ. 북한 한류는 동한 난류보다 용존 산소량이 많다.
기초 개념 익히기 ㄷ. 조경 수역은 한류와 난류가 교차하는 지역으로 계절에 따라
1 답 기온의 연교차가 커진다. 수온과 위치가 변한다.
우리나라는 여름철 태양 고도가 높아지고 겨울철 태양 고도가 ㄹ. 황해는 동해보다 해류의 유속이 느리다.

212 부록
8 답 ㄱ, ㄴ, ㄷ 기초 개념 익히기
엘니뇨가 발생하면 열대 태평양의 중앙 또는 동쪽으로 치우친 1 답 높다, 낮다
지역에 저기압이 발달하고 서태평양에 하강 기류가 발달하여 평 별의 표면 온도는 파란색 O형이 가장 높고, 붉은색 M형으로 갈
상시와 달리 동 - 서 순환의 형태가 달라진다. 수록 낮아진다.

9 답 ㄱ, ㄴ 2 답 4배
A 시기에 비해 B 시기는 기온이 높다. 태양의 광도 L⊙=4pR⊙Û`·rT⊙Ý 이고, 태양과 표면 온도가 같고
ㄷ. 지표 반사율이 감소한다. 광도가 1 6 배인 별의 광도 1 6 L ⊙ = 4 p R Û ·r T ⊙Ý ` ` 이므로,
`R=4R⊙이다.
10 답 ㄱ, ㄷ, ㄹ
ㄴ. 적도 지역은 대표적인 용승 해역이다. 3 답 ⑴⑵×
⑵ 적색 거성은 H-R도의 오른쪽 상단에 분포한다.
11 답 ①
빙하가 사라지면서 반사율이 감소하고, 습지가 따뜻해지면서 온 4 답 주계열성
실 기체인 메테인 농도가 증가한다. 중력과 기체압이 평형을 이루는 상태를 정역학 평형이라고 한
다. 별은 일생의 대부분을 주계열 단계에 머문다.
12 답 ㄴ, ㄷ
ㄱ. 엘니뇨 시기 우리나라는 고온 다습하다. 5 답 원시별-주계열성-적색 거성-백색 왜성
태양과 질량이 비슷한 별은 원시별-주계열성-적색 거성-(행
성상 성운)-백색 왜성의 순서로 일생을 보낸다.
창의 서술형 문제

13 모범 답안 여름에는 태양 고도가 낮아져 기온은 낮아진다. 겨


울에는 태양 고도가 높아져 기온은 상승한다.

14 모범 답안 ⑴ (가)는 엘니뇨, (나)는 평상시, (다)는 라니냐 시


2. 외계 행성계와 외계 생명체 탐사
기의 수온 편차 분포도이다. 동태평양의 수온이 평상시보다
마무리 173쪽
높은 시기를 엘니뇨라고 하므로 수온이 평균보다 높은 (가)가
엘니뇨 시기이고, 수온이 평균보다 낮은 (다)가 라니냐 시기 내용 정리
이다. 답 ① 별 ② 감소 ③ 물 ④ 광도
⑵ (가) 엘니뇨의 경우 실제 동태평양의 수온이 약간 상승하
고 서태평양의 수온이 약간 하강하여 동태평양과 서태평양의 기초 개념 익히기
수온 차이가 감소한다. (다) 라니냐의 경우는 엘니뇨와 반대 1 답 ⑴×⑵⑶×⑷
로 나타난다. 외계 행성은 별의 밝기에 비해 매우 어둡기 때문에 직접 관측하
기 어렵고, 중심별의 시선 속도 변화, 식 현상, 미세 중력 렌즈
15 모범 답안 에너지 절약, 신재생 에너지 개발 및 사용 등
효과 등 간접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탐사한다.

2 답 청색 편이: 1, 적색 편이: 2
별빛이 관측자에게 다가올 때 청색 편이가, 멀어질 때 적색 편이

V 별과 외계 행성계
가 나타난다.

3 답 금성은 온도가 높아 물이 증발하고 화성은 온도가 낮아 물


이 얼어 버리기 때문에 액체 상태의 물이 존재하는 생명 가능
1. 별의 특성과 진화 지대에 포함되지 않는다.

마무리 165쪽 4 답 ㄱ, ㄷ, ㄹ
주계열성은 질량이 클수록 광도가 크고 광도가 크면 별의 온도
내용 정리 도 높아지므로 생명 가능 지대는 더 바깥쪽으로 이동하고 그 폭
답 ① 분광형 ② 광도 ③ H-R도 ④ 주계열성 ⑤ 적색 거성 도 커진다.

정답과 해설 213
정답과 해설

보기 밝기에 변화가 일어난다. 이러한 밝기 변화가 나타나려면


마무리 175쪽~177쪽
관측자의 시선 방향과 행성의 공전 궤도면이 나란하여 식 현상
개념 확인하기 이 일어날 수 있어야 한다. 만약 행성의 반지름이 2배가 되면 식
이 일어나는 넓이는 4배가 되므로 d 또한 4배로 커진다.
1 답 •방법 1: 별의 분광형에서 표면 온도는 O형으로 갈수록
높아진다. 10 답 ㄱ
•방법 2: 슈테판·볼츠만 법칙에 의해 유도되는 식을 이용하 달은 생명 가능 지대에 있지만 질량이 작아 액체 상태의 물이 존
면 광도와 반지름이 알려진 별의 표면 온도를 구할 수 있다. 재하기 어렵다. 주계열성은 질량이 클수록 광도가 크고, 광도가
분광형은 별의 표면 온도에 따라 나타나는 고유한 스펙트럼의 클수록 생명 가능 지대는 중심별에서 더 멀리 위치하고 폭도 커
모습에 의해 별을 분류한 것이다. 또, 별의 광도, 반지름, 표면 진다. 또, 주계열성이 거성으로 진화하면 별이 불안정하고, 거성
온도 사이에는 L = 4pRÛ·rTÝ`의 관계가 있다. 에 머무는 기간은 매우 짧으므로 생명 가능 지대가 형성되기 어
렵다.
2 답 ⑴⑵×

3 답 ⑴ 주계열성 ⑵ 적색 거성

4 답 굴절, 행성
미세 중력 렌즈 효과는 뒤쪽에 있는 천체의 빛이 앞에 있는 별
창의 서술형 문제
때문에 미세하게 굴절하는 현상이다. 이때 앞에 있는 별이 행성
을 거느리고 있으면 행성의 중력이 추가적인 변화를 일으킨다. 11 모범 답안 ⑴ 주계열성은 질량이 클수록 광도가 크다. 따라서
별 A의 질량이 별 B보다 크다. 별은 질량이 클수록 중심핵
의 온도가 높고 핵융합 반응이 빠르게 진행되므로, 수명이 짧
개념 확장하기 고 주계열에 머무는 기간이 짧다. 따라서 질량이 작은 별 B
가 주계열에 더 오래 머문다.
5 답 <, <
별은 흑체와 유사하게 온도가 높을수록 더 많은 에너지를 방출 ⑵ 별 B가 주계열성에서 적색 거성으로 진화하는 동안 표면

하여 광도가 크고, 고온일수록 짧은 파장에서 최대 에너지를 방 온도는 낮아지고, 광도는 높아지고, 밀도는 낮아지고, 반지

출한다. 름은 커지고, 별의 색은 붉은색으로 변하고, 색지수는 커진다.


⑶ 별 B는 수소 핵융합 반응으로 생성된 헬륨 중심핵이 중력
6 답 ㄷ 수축하고 핵의 주변에 있던 수소로 이루어진 껍질이 연소한
ㄱ. (가)는 질량이 매우 큰 주계열성이므로 중성자별이나 블랙홀 다. 이 과정에서 별이 팽창하여 적색 거성이 되고, 별의 중심
로 진화한다. 부 온도가 1억 K 정도에 도달하면 헬륨 핵융합 반응이 일어
ㄴ. (나)는 분광형이 A형이므로 표면 온도는 약 10000 K이다. 난다. 별 A는 초거성으로 진화하여 훨씬 다양한 원소를 만들
태양은 G형의 별로 표면 온도는 5800 K이다. 어 낸다. 태양보다 약 10배 이상 무거운 별은 중심부의 온도
가 충분히 높아 탄소, 네온, 산소, 규소 등을 차례로 연소시
7 답 ㄹ
킬 수 있다.
ㄱ. (가)는 적색 거성의 내부 구조이다.
ㄴ. 별의 질량은 (가)보다 (나)가 크다. 12 모범 답안 ⑴ O형 별의 수명은 10억 년보다 짧고 A형 별의
ㄷ. 중심부의 온도는 (가)보다 (나)가 높다. 수명은 약 10억 년이기 때문에 A형의 별보다 질량이 작은
F형~M형 별이 거느린 외계 행성에 생명체가 존재할 가능
8 답 ㄴ, ㄷ
성이 있다.
별빛이 관측자에게서 멀어질 때 흡수선이 파장이 긴 쪽으로 이
⑵ 외계 행성에서도 지적 생명체가 탄생하기 위해서 지구와
동하여 적색 편이가 일어난다. 따라서 중심별을 관측했을 때 중
비슷한 시간이 필요하다고 가정하면, 적어도 나이가 40억 년
심별의 위치는 2이다. 이처럼 도플러 효과는 중심별의 움직임에
이상 되는 F형 별보다 질량이 작은 별들이 지적 생명체가 있
의존하므로 중력이 큰 외계 행성을 찾는 데 유리하다.
는 행성을 거느릴 가능성이 크다.
9 답 ⑵ (나)에서 밝기는 항성의 겉보기 밝기를 뜻한다. 지구에 생명체가 탄생한 시기와 지적 생명체가 출현할 때까지
⑶ 행성의 반지름이 2배가 되면 d는 4배가 된다. 걸린 시간을 기준으로 외계 행성에 생명체나 지적 생명체가 존
행성이 별의 앞쪽을 지나가면 별의 일부가 가려지므로 별의 겉 재할 가능성을 가늠해 볼 수 있다.

214 부록
거리 r인 은하의 후퇴 속도가 v이므로, 은하가 지구에서 멀

VI 외부 은하와 우주 팽창 어져 간 시간 t = ;vR;로 구하면 된다. 이는 1 이 되므로 우


H
주의 나이는 허블 상수가 클수록 적으므로 A가 가장 적다.
ㄷ. 우주의 크기(r)는 빛의 속도(c)로 멀어지는 은하까지의 거리
c
에 해당하며, r = 로 구할 수 있다. 따라서 허블 상수(H)
마무리 199쪽~201쪽 H
가 클수록 작다.
개념 확인하기
7 답 ㄱ, ㄴ
1 답 ⑴ 막대 나선 은하 ⑵ 약 26000 광년
ㄱ. 우주에 가장 많은 양(68 %)을 차지하는 것은 암흑 에너지
2 답 ⑴ ⑵× ⑶ 이다.
⑴ 거리와 후퇴 속도는 비례 관계에 있으므로 멀리 있는 은하일 ㄴ. 암흑 물질은 약 27 %이고, 수소를 비롯한 모든 보통 물질이
수록 후퇴 속도가 빠르다. 차지하는 양은 5 % 미만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⑵ 우주는 팽창하고 있으므로 은하 사이의 거리는 멀어진다. ㄷ. 현재 우주는 가속 팽창을 하고 있으며, 우주를 가속 팽창시
⑶ 도플러 효과를 이용하여 은하의 후퇴 속도를 알면 은하까지 키는 것은 암흑 에너지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의 거리를 구할 수 있다.
8 답 ㄱ, ㄴ, ㄷ
ㄱ. 현재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하고 있는 C는 암흑 에너지이고,
두 번째로 많은 양을 차지하는 A는 암흑 물질이다. B는 보
개념 확장하기 통 물질이다.
ㄴ. 우주 초기에는 보통 물질의 밀도가 암흑 에너지의 밀도보다
3 답 A-불규칙 은하, B-타원 은하, C-정상 나선 은하,
커서 암흑 에너지의 영향이 적었으나, 현재는 암흑 에너지의
D-막대 나선 은하
영향이 증가해 우주가 가속 팽창하고 있다.

4 답 ㄱ, ㄷ ㄷ. 암흑 물질과 보통 물질의 밀도는 감소하고 있는 반면에 암흑


ㄱ. 퀘이사는 보통의 은하보다 수백 배 밝아 수십억 광년의 거리 에너지의 밀도는 거의 변함이 없다. 따라서 우주를 구성하는
에서도 비교적 쉽게 관측된다. 따라서 항성(별)보다 광도가 요소 중 보통 물질의 상대적 비율은 시간에 따라 감소한다.
크다.
ㄴ. 연주 시차는 비교적 가까운(100 pc 이내) 별까지 거리를 구
하는 데에 이용된다. 퀘이사는 일반적으로 매우 멀리 떨어져 창의 서술형 문제
있으므로 허블 법칙을 이용하여 거리를 구할 수 있다.
ㄷ. 퀘이사는 일반적으로 수십억 광년 멀리 떨어져 있으므로 스 9 모범 답안 ⑴ (가) 퀘이사 (나) 세이퍼트은하
⑵ 퀘이사는 대개 수십억 광년 이상 멀리 떨어져 있으므로 스
펙트럼선의 편이(적색 편이) 값이 매우 크게 나타나는 특징
펙트럼선의 적색 편이 값이 매우 크게 나타난다. 세이퍼트은하
이 있다.
는 수소 스펙트럼선의 폭이 매우 넓게 나타나는 특징이 있다.
5 답 ㄱ ⑶ (가)는 (나)보다 적색 편이량이 크므로 우리 은하로부터의
ㄱ. 우리 은하로부터 은하 B는 은하 A보다 2배 멀리 떨어져 있다. 거리가 더 멀다.
ㄴ. 우리 은하에서 관측한 적색 편이량은 C가 A의 3배이다.
ㄷ. A로부터의 후퇴 속도는 C가 B의 2배이다. 10 모범 답안 ⑴ 시간에 따른 우주의 크기 변화율이 증가하여 그
래프의 기울기가 커지고 있다. 따라서 우주의 팽창률은 증가
6 답 ㄱ 하고 있다.
v ⑵ 현재 암흑 에너지의 비율은 68 %로 A 시기(1 %)보다
ㄱ. 허블 법칙은 v = H・r 이므로, 허블 상수는 H = 이다.
r
높고, 우주의 크기는 현재가 크다.
즉, 허블 상수는 그래프에서 기울기가 가장 큰 A가 가장 크다.
v
ㄴ. 우주가 과거로부터 지금까지 계속 팽창해 왔다면 최초에는 허블 법칙은 v = H・r이고, 허블 상수(H)는 H =로 나타
r
한 점에 모여 있었을 것이다. 즉, 한 점에 붙어 있던 은하들 낼 수 있다. 허블 상수가 작을수록 우주의 팽창률(후퇴 속도)은
이 일정한 후퇴 속도로 멀어져 현재와 같은 거리만큼 멀어지 느리다. A 시기에 우주의 팽창률은 현재보다 느리므로 허블 상
는 데 걸리는 시간이 바로 우주의 나이이다. 허블 법칙에서 수는 A 시기가 현재보다 작다.

정답과 해설 215
찾아보기
찾아보기

ㄱ 대륙대 14, 49 ㅂ
대륙붕 14, 49
가시 영상 84 반감기 63
대륙 이동설 11
강체 회전 195 반상 조직 36
대륙 이동설의 증거 12
강풍 92 발산 경계 27
대만 난류 114
거리 지수 151 방사성 동위 원소 63
대설 경보 92
건열 49 방출 스펙트럼 148
대설 주의보 92
경사 부정합 53 배사 54
더블유맵(WMAP) 관측 결과 191
고기후 연구 방법 69 백색 왜성 155
데본기 70
고생대 70 백악기 71
도플러 효과 167
고지자기 15 범람원 49
동물군 천이의 법칙 60
고철질 광물 37 베게너 11
동일 과정의 원리 59
공극 47 변환 단층 14
동한 난류 114
관입 52 별의 광도 150
뜨거운 플룸 24
관입의 법칙 61 별의 내부 구조 163
광도 계급 155 보존 경계 27

교결 작용 47 보통 물질 194

교토 의정서 137 복각 18

국지성 호우(집중 호우) 91


부정합 53

규장질 광물 37
부정합의 법칙 61

극고압대 112 ㄹ 북극 진동 138

극동풍 112
북한 한류 114
라니냐 119
분광형 149
극순환 112 라필리 응회암 48
불규칙 은하 183
기저 역암 53
뷔퐁 72
블랙홀 158
빅뱅 우주론 190
빈의 변위 법칙 147

ㄴ 빙산 11

ㅁ 빙하 시추 코어 69
나선 은하 183
난정합 53 마그마 31
남방 진동 120 마그마 생성 33
네오기 71 마그마 저장소 33
막대 나선 은하 183 ㅅ
뇌우 90
맨틀 대류 12 사진 등급 149
맨틀 대류설 12 사층리 49
무역풍 112 산성암 37
미래의 대륙 분포 21 산호 68
ㄷ 미세 중력 렌즈 효과 168 삼각주 49
단층 54 밀도 99 삼엽충 68
대기 대순환 111 밀란코비치 주기 127 상대 연령 62

216 부록
상반 54 ㅇ 원시별 156
상부 맨틀의 운동 22 위도별 수온 분포 98
아열대 고압대 112
색지수 148 위험 반원 88
아열대 순환 113
생명 가능 지대 170 유공충 69
아인슈타인 186
생흔 화석 68 유기적 퇴적암 48
아한대 순환 113
석순 69 유리질 조직 36
안산암질 마그마 33
석탄기 70
유문암질 마그마 33
안시 등급 149
음향 측심법 13
선캄브리아 시대 70 안전 반원 88
이동성 고기압 83
석회암 48 암맥 36
섭입대 16 암모나이트 68
섭입 경계 33 암상 36, 62
성층 화산 32 암석권 17
세립질 조직 36 암흑 물질 194 ㅈ
세이퍼트은하 185 암흑 에너지 196 자남극 18
세차 운동 127 H-R도 152 자북극 18
쇄설성 퇴적암 48 엘니뇨 119 저층수 115
수렴 경계 27 엘니뇨 남방 진동(ENSO) 120 적도 용승 118
수소 핵융합 반응 162 역단층 54 적도 저압대 112

수온 97
역전 자기 15 적색 거성 155

수온 약층 98
연속 스펙트럼 148 적색 편이 167
연안 용승 118 적외 영상 84
수온 - 염분도 99
연약권 15 전주계열 단계 156
수평 퇴적의 법칙 60
연해주 한류 114 전파 은하 184
순상 화산 31
연흔 49 절대 연령 63
슈테판·볼츠만 법칙 151
열대 순환 113 절리 55
스펙트럼형 149
열대 저압부 87 점이 층리 49
습곡 54
열점 23 정단층 54
습곡축 54
염기성암 37 정상 나선 은하 183
시상 화석 68
염분 98 정상 자기 15
시생 누대 70
염분 단위 98 제4기 71
식 현상 168
오르도비스기 70 조립질 조직 36
신생대 71 72
온난 전선 81 졸리
실루리아기 70 온대 저기압 81 종상 화산 31
심성암 36 외부 은하 181 주계열 단계 157
심층수 115 용승 118 주계열성 155
심층 순환 115 용암 31 주상 절리 56
심층 해류 117 용존 산소량 99 주향 이동 단층 54
심해저 지형 14 우박 92 중력 렌즈 효과 168, 195
심해 평원 14 우주 나이 187 중력 수축 161
심해층 98 원생 누대 70 중생대 71

찾아보기 217
찾아보기

중성암 37 ㅌ ㅎ
중성자별 158
타원 은하 183 하반 54
중층수 115
태양 흑점 수 126 하와이 열점 23
쥐라기 71
태풍 86 한대 전선대 112
지구 온난화 128
태풍의 눈 87 한랭 전선 81
지구 자기장 18
퇴적암 47 한반도 기후 변화 132
지구 자전축 경사각 변화 127
트라이아스기 71 한반도의 화성암 지형 38
지리상 북극 18
특이 은하 184 함수 광물 33
지자기 북극 18
해들리 순환 112
지진파 단층 촬영 영상 23
해령 14
지질 시대 67
해류 111
지층 누중의 법칙 60
해산 14
GPS 20
해저 암석 연령 분포 15
해저 지형 14
해양저 확장설 14

행성상 성운 158
판 17 향사 54
판 구조론 16 허블 법칙 186
판 구조 운동 56 허블 상수 186
ㅊ 판상 절리 56 헤스 14
차가운 플룸 24 판 이동의 원동력 22 현무암질 마그마 33
청색 편이 167 펜지어스 191 현생 누대 71
체화석 68 페렐 순환 112 호상 열도 16
초거성 155 페름기 70 호수 49
초신성 158 편각 18 혼합층 98
총알 은하단 195 편서풍 112 홈스 12, 72
충돌 은하 185 평정해산 14, 23 화산섬 14
침강 118 평행 부정합 53 화산 쇄설물 48
포획 52 화산암 36
포획암 52 화산암괴 48
폭설 92 화성암 35
표준 모형 194 화석 67
표준 화석 68 화폐석 68
표층류 117 화학적 퇴적암 48
ㅋ 표층수 115 황사 93
캄브리아기 70 표층 염분 분포 98 황사 발생 위치 93
케플러 회전 195 플랑크 곡선 147 황사 주의보(경보) 93
켈빈 72 플룸 23 황해 난류 114
퀘이사 184 플룸 구조론 23 힉스 입자 194
쿠로시오 해류 114 psu 98 흡수 스펙트럼 148

218 부록
사진 출처

61쪽 시카 포인트: 셔터스톡


I 지권의 변동
62쪽 대이작도 바위: 박정웅
터키 카파도키아: 게티이미지코리아
표지 빙산 위의 곰: 셔터스톡
67쪽 호박 속의 곤충: 게티이미지코리아
2쪽 에이야퍄들라이외퀴들 화산: 토픽 이미지
68쪽 화폐석 화석: 게티이미지코리아
4쪽 에이야퍄들라이외퀴들 화산: 토픽 이미지
산호 화석: 윤익 이미지
수월봉 화산 쇄설층: 게티이미지코리아
69쪽 석회 동굴의 석순: 조경남
5쪽 캘리포니아성운: 게티이미지뱅크
유공충 화석: 게티이미지코리아
6쪽 에이야퍄들라이외퀴들 화산: 토픽 이미지
빙하 코어: 게티이미지코리아
8쪽~9쪽 아이슬란드: 게티이미지코리아
70쪽 방추충 화석: 게티이미지코리아
10쪽 에이야퍄들라이외퀴들 화산: 토픽 이미지
71쪽 소철나뭇잎 화석: 윤익 이미지
11쪽 빙산: 게티이미지뱅크
화폐석 화석: 윤익 이미지
17쪽 아이슬란드 열곡대: 게티이미지코리아
포플러나뭇잎 화석: 윤익 이미지
산안드레아스 단층: 게티이미지코리아
안데스산맥: 게티이미지뱅크
일본 해구: 게티이미지코리아
히말라야산맥: 게티이미지코리아 III 대기와 해양의 변화
18쪽 나침반으로 방향 찾기: 셔터스톡
22쪽 하와이 열도 화산의 용암: 게티이미지코리아 78쪽~79쪽 구름: 게티이미지코리아

30쪽 백두산 천지: 윤익 이미지 80쪽 태풍 접근 위성 영상 : 기상청

31쪽 바우르다르붕가 화산: 게티이미지코리아 81쪽 지구: 게티이미지코리아

세인트헬렌스 화산: 셔터스톡 83쪽 2015년 5월 15일 위성 영상 : 기상청


한라산: 게티이미지코리아 2016년 2월 12일 레이더 영상 : 기상청
피나투보 화산: 게티이미지코리아 84쪽 기상 위성: 게티이미지코리아

33쪽 용암: 게티이미지코리아 저기압이 통과할 때 위성 영상 : 기상청

머치슨 운석: 윤익 이미지 86쪽 태풍 곤파스 피해: 뉴스뱅크

35쪽 경주 양남 주상절리: 게티이미지코리아 89쪽 태풍 곤파스 적외 영상 : 기상청

38쪽 백두산 천지: 윤익 이미지 90쪽 제주도 폭설 : 연합뉴스

한탄강: 게티이미지코리아 뇌우: 게티이미지코리아

제주도: 게티이미지코리아 91쪽 집중 호우 때 가시 영상 : 기상청

설악산: 윤익 이미지 92쪽 강릉 폭설: 연합뉴스

울릉도: 게티이미지코리아 폭설 때 가시 영상 : 기상청

독도: 게티이미지코리아 93쪽 황사: 뉴스뱅크

무등산 주상 절리대: 게티이미지코리아 황사 접근 영상 : 기상청


94쪽 서울 황사 : 연합뉴스
황사 마스크: 게티이미지코리아
96쪽 지구와 수성: 게티이미지코리아
II 지구의 역사
101쪽 ARGO 프로그램 화면: 국립기상과학원

44쪽~45쪽 지층: 게티이미지코리아


48쪽 수월봉 화산 쇄설층: 게티이미지코리아
55쪽 산안드레아스 단층: 윤익 이미지 IV 대기와 해양의 상호 작용
북한산: 게티이미지코리아
58쪽 아노말로카리스: 게티이미지코리아 108쪽~109쪽 북극곰: 게티이미지코리아
59쪽 상어 이빨 모식도: 윤익 이미지 110쪽 빙하 융해: 게티이미지코리아

알프스산맥: 게티이미지코리아 114쪽 해류: 게티이미지코리아

사진 출처 219
사진 출처

118쪽 평상시, 엘니뇨 발생, 라니냐 발생 때 해수면 높


이: 미국항공우주국(NASA)
VI 외부 은하와 우주 팽창
124쪽 북극 빙하 면적 변화: 미국항공우주국(NASA)
178쪽~179쪽 우주의 역사: 게티이미지코리아
125쪽 빙하 코어 속 기포: 윤익 이미지
180쪽 허블 딥 필드: 미국항공우주국(NASA)
127쪽 화산 활동으로 방출된 기체와 먼지: 미국항공우
181쪽 은하수: 셔터스톡
주국(NASA)
182쪽 NGC4414: 미국항공우주국(NASA)
128쪽 분자 모형: 게티이미지코리아
M87: 미국항공우주국(NASA)
131쪽 호우 피해: 연합뉴스
NGC1427A: 미국항공우주국(NASA)
빙하 면적: 게티이미지코리아
M81: 미국항공우주국(NASA)
공장 굴뚝 연기: 연합뉴스
NGC1300: 미국항공우주국(NASA)
132쪽 노트북: 게티이미지코리아
M60: 미국항공우주국(NASA)
133쪽 울산 태풍 전야: 연합뉴스
NGC3310: 미국항공우주국(NASA)
전력 거래소: 연합뉴스
NGC5866: 미국항공우주국(NASA)
폭염 피해: 연합뉴스
183쪽 대마젤란 은하와 소마젤란은하: 유럽남반구천문
136쪽 나미비아 사막: 게티이미지코리아
대(ESO)
투발루: 게티이미지코리아
솜브레로 은하: 미국항공우주국(NASA)
세균 배양: 게티이미지코리아
184쪽 화가자리 A: 미국항공우주국(NASA)
서울 도심: 뉴스뱅크
헤라클레스 A: 게티이미지코리아
빙산: 게티이미지뱅크
3C 273 가시광선 영상: 게티이미지코리아
폭설: 뉴스뱅크
3C 273 X선 영상: 게티이미지코리아
녹조 현상: 뉴스뱅크
185쪽 M77 자외선 영상: 게티이미지코리아
무: 연합뉴스
충돌 은하 2개: 미국항공우주국(NASA)
목재: 게티이미지코리아
186쪽 펜지어스와 윌슨: 게티이미지코리아
적조 현상: 연합뉴스
188쪽 외부 은하: 슬론 거대 우주 탐사 관측(SDSS)
190쪽 우주 배경: 게티이미지코리아
191쪽 우주 배경 복사 관측 자료: 미국항공우주국
(NASA)
193쪽 우주의 역사: 미국항공우주국(NASA)
V 별과 외계 행성계 195쪽 우리 은하: 미국항공우주국(NASA)
총알 은하단: 미국항공우주국(NASA)
144쪽~145쪽 은하수: 게티이미지코리아 199쪽 우리 은하: 미국항공우주국(NASA)
146쪽 게성운: 미국항공우주국(NASA) 퀘이사: 게티이미지코리아
147쪽 오리온자리: 셔터스톡
156쪽 독수리성운: 미국항공우주국(NASA)
157쪽 캘리포니아성운: 게티이미지뱅크
158쪽 게성운: 미국항공우주국(NASA)
161쪽 태양: 미국항공우주국(NASA)
카리나성운: 미국항공우주국(NASA)
167쪽 케플러 망원경: 미국항공우주국(NASA)
168쪽 케플러 - 453b: 게티이미지코리아
170쪽 별 보는 사람: 게티이미지코리아
엘크로스: 미국항공우주국(NASA)
화성: 미국항공우주국(NASA)
화성의 물 흔적: 미국항공우주국(NASA) *출처 표시를 안 한 사진 및 삽화 등은 저작자 및 발행사에서 저작권을
가지고 있는 경우임.

220 부록
자료 출처

I 지권의 변동 III 대기와 해양의 변화


13쪽 음향 측심 자료: 미국해양대기청(NOAA), http:// 83쪽 •일기도와 위성 사진: 기상청, http://www.kma.
www.nauticalcharts.noaa.gov, 2014 go.kr/, 2015. 5. 15.
15쪽 해저 암석 연령 분포: Gary A. Smith 외, 『How •일기도와 레이더 영상: 기상청, http://www.kma.
Does Earth Work?』, Prentice Hall, 2009 go.kr/, 2016. 2. 12.

16쪽 섭입대 주변 지진의 진원 깊이 분포: 미국지질조사국 84쪽 일기도와 위성 영상: 기상청, http://www.kma.
go.kr/, 2012. 4. 3.
(USGS), http://www.usgs.gov/, 2016
85쪽 대전에서 관측된 기압과 기온: 기상청, http://www.
19쪽 지자기 북극의 겉보기 이동 경로: 『응용 지구 물리학』, 우
kma.go.kr/, 2012. 4. 2.~3.
성 문화사, 1987
86쪽 태풍의 발생 수와 영향을 준 태풍의 수: 국가태풍센터,
20쪽 •지질 시대 동안 대륙 분포: Stephen Marshak,
http://typ.kma.go.kr/, 2016
『Essentials of Geology』, W. W. Norton &
88쪽 •위험 반원과 안전 반원: 미국환경예보센터(NCEP) 자
Company, 2009 료 재구성, http://ncep.noaa.gov/, 2016
•GPS로 측정한 대륙의 운동 방향과 속도: 미국항공우 •해수면 온도와 카트리나 경로와 세기: 미국해양대기청
주국(NASA) 제트추진연구소, http://www.nasa. (NOAA), http://www.noaa.gov/, 2005
gov/, 2003 89쪽 곤파스가 통과할 때 일기도, 지상 바람, 적외 영상: 기상청,
23쪽 •하와이 열점과 형성 시기: Gary A. Smith 외, 『How http://www.kma.go.kr/, 2010. 9. 2.
Does Earth Work?』, Prentice Hall, 2009 91쪽 집중 호우가 발생했을 때 가시 영상: 국가기상위성센터,
•세계 주요 지역의 지진파 단층 촬영 영상: Yuen, D. 「천리안에서 바라본 하늘, 바다, 땅 그리고 구름」, 2014
A 외, 『Superplumes: Beyond Plate Tectonics』, 92쪽 폭설이 내렸을 때 가시 영상: 국가기상위성센터, 「천리안
Springer, 2007 에서 바라본 하늘, 바다, 땅 그리고 구름」, 2014
25쪽 한반도 주변 지하의 열 분포: Bader, S. D., 『Physics 93쪽 •황사 접근 영상: 기상청, http://www.kma.go.kr/,
of the Earth and Planetary Interiors』, Elsvier, 2016
•자연재해별 언급량 추이: 조정형, 「빅 데이터로 본 자연
2009
재해 정부 대책과 국민 인식」, 『전자신문』, 2016. 3. 1.
28쪽 울릉도 지하의 마그마 저장소: 민경덕, 『지구 물리학 연
94쪽 황사의 연간 발생 수, 30년 동안 계절별 황사 발생 수: 기
구』, 우성 문화사, 2002
상청, http://www.kma.go.kr/, 2016
32쪽 지구 내부의 깊이에 따른 온도와 압력 분포: 「The Rock
97쪽 •전 대양의 연간 증발량과 강수량 차이: 미국해양대기청
Cycle and Igneous rocks」, http://www.geo1.
(NOAA), http://www.noaa.gov/, 2016
umd.edu/, 2016
•해수면의 평균 온도 분포: 미국항공우주국(NASA),
34쪽 마그마의 생성 장소: Plummer, C. C. 외, 『Physical http://www.nasa.gov/, 2016
Geology』, Mcgraw-Hill, 2003 98쪽 해양의 표층 염분 분포: 미국해양대기청(NOAA),
37쪽 화학 성분에 따른 화성암의 분류: 「Minerals in http://www.noaa.gov/, 2016
igneous rocks」, http://www.arizona.edu/, 2016 99쪽 •해양의 표층 밀도 분포: 미국항공우주국(NASA),
http://www.nasa.gov/, 2016
•해수의 용존 산소량: Harold V. Thurman,
『Essentials of Oceanography』, Macmilian,
1993
II 지구의 역사
100쪽 25년 동안 관측한 평균 수온 자료: 국립수산과학원, 『위
성에서 본 우리 바다』, 2015
48쪽 퇴적물의 크기와 쇄설성 퇴적암의 종류: Grotzinger
101쪽 •NOAA 위성 수온 영상: 국립수산과학원, http://
외, 조석주 외 공역, 『지구의 이해』, 시그마프레스, 2009
www.nifs.go.kr/, 2014
63쪽 방사성 동위 원소의 반감기: R. Wicander 외, 김종헌 •ARGO 플로트 수온-염분도: 국립기상과학원,
외 공역, 『지사학』, 박학사, 2012 http://argo.nims.go.kr/, 2014
70쪽~71쪽 지질 시대의 평균 기온 변화: 「PALEOMAP 102쪽 우리나라 주변 해역의 표층 수온 염분 분포: 국립수산과
Project」, 2008 학원, http://www.nifs.go.kr/, 2011

자료 출처 221
자료 출처

IV 대기와 해양의 상호 작용 V 별과 외계 행성계


114쪽 •해류 위성 자료: 미국항공우주국(NASA), http:// 150쪽 별의 분광형에 따른 스펙트럼의 모습: 에릭 체이슨 외, 최
www.nasa.gov/, 2016 승언 외 역, 『천문학: 한눈에 보는 우주』, 시그마프레스,
•우리나라 주변을 흐르는 해류: 국립해양조사원, http:// 2016

www.khoa.go.kr/, 2016 152쪽 별들의 절대 등급과 분광형: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of Canada」, 2016
117쪽 전 세계 해수의 순환: Maribus gGmbH, 『 World
154쪽 H - R도: Seeds, M. A., Backman, D.,
Ocean Review. 1』, 2010
『Foundations of Astronomy』, 11th ed., Brook
119쪽 태평양의 수온 편차와 12월 표층 수온: 미국해양대기청 cole, 2011
(NOAA), http://www.noaa.gov/, 2010, 2013, 156쪽 원시별의 진화 경로: 윤홍식 외, 『우주로의 여행』, 청범 출
2015 판사, 1998
120쪽 •열대 태평양 동-서 단면에서 수온의 연직 분포: 유럽 157쪽 주계열성의 물리량: Fix, J. D., 『Astronomy
중기예보센터(ECMWF), http://www.ecmwf.int/, Journey to the Cosmic Frontier』, 5th ed.,
2011 McGraw-Hill, 2008

•남방 진동: 오스트레일리아 기상청, http://www. 169쪽 •외계 행성들의 크기: 미국항공우주국(NASA),
http://www.nasa.gov/, 2016
bom.gov.au/, 2016
•외계 행성의 크기와 공전 주기: 「The Extrasolar
121쪽 •열대 태평양에서의 표층 수온 차이: 미국해양대기청 planets Encyclopedia」, http://exoplanet.eu/,
(NOAA) - OISSTv2, http://www.noaa.gov/,
2016
2016
•엘니뇨와 라니냐 시기 전 지구 기후 변화: 미국해양대
기청(NOAA), http://www.noaa.gov/, 2015
VI 외부 은하와 우주 팽창
122쪽 우리나라 주변의 기압 배치: 기상청, http://www. 181쪽 허블의 은하 형태 분류 체계: Sparke, L. S. &
kma.go.kr/, 2016 Gallagher, J. S., 천문석 역, 『우주와 외부 은하』, 청범
125쪽 남극 보스토크 빙하 표본 분석 자료: Petit, J. R. 외, 출판사, 2008
「Climate and Atmospheric History of the 186쪽 허블 법칙: Sparke, L. S. & Gallagher, J. S., 천문석
Past 420000 years from the Vostok Ice Core, 역,『우주와 외부 은하』, 청범 출판사, 2088
Antarctica」, 『Nature 399: 429~436.』, 1999 188쪽 외부 은하의 수소 방출 스펙트럼: 슬론 거대 우주 탐사 관
측(SDSS), http://classic.sdss.org/
126쪽 흑점 수의 변화: 미국항공우주국(NASA), http://
191쪽 우주 배경 복사 관측 자료: 미국항공우주국(NASA),
www.nasa.gov/, 2016
http://www.nasa.gov/
128쪽 주요 온실 기체의 온실 효과 기여도: Kiehl, J. T. 외,
193쪽 급팽창 우주론 모형: Carroll, B. W. & Ostlie, D. A.,
『Earth’s Annual Global Mean Energy 강영운 외 공역, 『현대 천체 물리학』, 청범 출판사, 2009
Budget』, Bulletin of the American 194쪽 우주의 구성 성분: Carroll, B. W. & Ostlie, D. A.,
Meteorological Society: 78, 197~208), 1997 강영운 외 공역, 『현대 천체 물리학』, 청범 출판사, 2009
129쪽 •전 지구 평균 온실 기체 농도: 『정부 간 기후 변화 협의 195쪽 나 선 은하의 회전 속도 곡선: Carroll, B. W. &
체(IPCC) 5차 보고서』, 2014 Ostlie, D. A., 강영운 외 공역, 『현대 천체 물리학』, 청
•1901~2012년 동안 지표의 기온 변화량: 『IPCC 5차 범 출판사, 2009

보고서』, 2014 196쪽 Ia형 초신성 관측과 우주의 가속 팽창: Carroll, B.W.,
Ostlie, D.A., 강영운 외 공역, 『현대 천체 물리학』, 청범
130쪽 전 지구 기온 변화와 관측 기온 자료: 『IPCC 5차 보고
출판사, 2009
서』, 2014
197쪽 적색 편이에 따른 퀘이사의 개수 밀도 : Gordon et al.,
131쪽 이산화 탄소 농도와 미래 지표면 온도 변화 예측: 『IPCC 「The SDSS Quasar Survey: Quasar
5차 보고서』, 2014 Luminosity Function from Data Release
132쪽 30년 동안 한반도 기온 및 강수량 변화 추세 : 기상청, 『한 Three」, 2006
반도 기후 변화 전망 보고서』, 2012 *집필진의 직접 집필인 경우 출처를 밝히지 않았음.

222 부록
집 | 필 | 진

오필석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지구과학교육과 졸업
서울대학교 대학원 과학교육과 지구과학교육 석사
미국 아이오와 대학 과학교육 박사
| 현 | 경인교육대학교 과학교육과 교수

조현구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지질학과 졸업
서울대학교 대학원 지질과학과 지질학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지질과학과 광물학 박사
| 현 | 경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지질과학과 교수

오성진 문병권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대기과학과 졸업
강원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지질학과 졸업
서울대학교 대학원 대기과학 석사
강원대학교 대학원 지질학과 광물학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지구환경과학부 대기과학 박사
강원대학교 대학원 지질학과 광물학 박사 수료
| 현 | 전북대학교 사범대학 과학교육학부 교수
| 현 | 동두천고등학교 교사

소영무
이희원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지구과학교육과 졸업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물리학과 졸업 서울대학교 대학원 과학교육과 지구과학교육 석사
미국 캘리포니아 공과대학 천체 물리학 박사
| 현 | 고려대학교 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 교사
| 현 | 세종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물리천문학과 교수

전혜진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지구과학교육과 졸업
서울대학교 대학원 과학교육과 지구과학교육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지구과학교육과 박사 수료
| 현 | 동국대학교 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 교사

박창용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지구과학교육과 졸업
서울대학교 대학원 과학교육과 지구과학교육 석사
| 현 | 이화여자고등학교 교사

단 | 원 | 별 | 집 | 필
I 지권의 변동 소영무, 조현구 IV 대기와 해양의 상호 작용 전혜진, 문병권
II 지구의 역사 박창용 V 별과 외계 행성계 오필석, 오성진
III 대기와 해양의 변화 문병권, 전혜진 VI 외부 은하와 우주 팽창 이희원
검정심의회

•위 원 장 : 이명제(공주교육대학교)
•간 사 : 윤종현(한국과학창의재단)
•연구위원 : 김기본(성산고등학교), 박수종(경희대학교), 안지호(안산강서고등학교), 오창환(전북대학교),
이덕만(재현고등학교), 이호(분당중앙고등학교), 최병주(전남대학교), 최원식(부경대학교),
하정수(동국대학교), 하지희(건국대학교)
•검정위원 : 고선영(고척고등학교), 권성오(중앙대학교사범대학부속고등학교), 김두섭(안남고등학교),
김해동(계명대학교), 박용선(서울대학교), 서광수(공주대학교), 전승수(전남대학교), 홍수연(수내고등학교)

한국과학창의재단

조향숙, 김기상, 최임정, 김대수, 나준영, 남소현, 조혜정

편 집 여미현, 권윤주
삽 화 표지 : 송금진 내지 : 정승연
사 진 남궁신, 양창모, 조희태, 박정수, 송영신, 김태우
디 자 인 표지 : 김희정, 박민정, 양다정 내지 : 박희춘, 디자인뷰
일러스트 네오픽스, 이재섭, 채창기

고등학교 지구과학Ⅰ
교육부의 위탁을 받아 한국과학창의재단이 검정 심사를 하였음.

2018. 3. 1. 초판 발행 지은이 오필석 외 7인


2021. 3. 1. 4 쇄 발행 발행인 (주)천재교육 (서울시 금천구 가산로 9길 54)
정가 원 인쇄인 (주)프린피아 (서울시 금천구 가산로 9길 54)

이 교과서의 본문 용지는 우수 재활용 제품 인증을 받은 재활용 종이를 사용하였습니다.

교과서에 대한 문의 사항이나 의견이 있으신 분은 ‘교과서민원바로처리센터(전화 : 1566-8572, www.


textbook114.com 또는 www.교과서114.com)’에 문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이 도서에 게재된 저작물에 대한 보상금은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정하는 기준에 의거 사단법인 한국


복제전송저작권협회(전화 : 02-2608-2800, www.korra.kr)에서 저작재산권자에게 지급합니다.

내용 관련문의 ・(주)천재교육 중등과학부 ・전화 : (02) 3282-1795 ・전송 : (02) 857-4274


공급 업무 대행 ・사단법인 한국검인정교과서협회 ・(10881)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439-1(신촌동 734-1)
개별 구입 문의 ・홈페이지 주소: www.ktbook.com ・전화: (031) 956-8581~4 사단법인 한국검인정교과서협회
mall.chunjae.co.kr ・전화: (02) 3282-8751 (주)천재교육

ISBN 979-11-259-2737-2 53400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