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5

달의 크기 측정하기

20502 김민재

I) 연구 동기와 목적
천문학은 우주의 다양한 현상을 이해하고 설명하기 위한 학문이다. 우리는 천문학을 통해
우주에 대한 이해, 문명 발전, 과학기술의 발전과 지구과학의 일부 현상을 설명할 수 있다.
이때 천문학의 다양한 현상은 천체까지의 거리, 천체의 지름과 질량과 그 외 기타 요소와
관련이 있는데, 이때 이 현상을 이해하려면 천체에 대하여 정확한 정보와 자료가 필요하다.
그렇기에, 고대부터 현대까지 눈으로 직관적으로 볼 수 있는 위성인 달을 많이 탐구해왔
다. 달의 정보와 자료는 지구와 위성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정보가 될 것이다.
삼각형의 닮음을 이용한 달의 지름 측정과 각지름을 통한 달의 지름 측정 방법을 소개할
것이다.

II) 이론적 배경과 가설


1. 유클리드 공간에서의 삼각형의 닮음 : 유클리드 공간에서 정의된 일반적인 삼각형을
일정 비율로 확대, 축소 시켰을 때, 원래의 삼각형과 다른 삼각형이 정해지면 두 삼각형의
관계를 “닮음”이라 한다. 임의의 두 개 삼각형의 두 쌍의 대응각 크기가 각각 같다면 두
개 삼각형을 “AA 닮음 관계”에 있다고 하고, 대응변의 길이의 비는 일정하다. 아래의 임
의의 두 직각삼각형은 한 각이 90 ̊, ∠ 는 공통각 이므로, 아래의 두 삼각형은 “AA닮음”
이고 아래와 같은 선분 사이의 비례관계가 성립한다.

∆ ∾∆ 닮음



∵    
  

2. 원의 성질 : 유클리드 평면에서 원 밖의 한 점 P에서 점 P를 지나고 원에 접하는 직선
의 경우는 두 가지가 존재해야 한다. 또한 P에 서로 다른 접점(점 A와 점 B)까지의 거리는

서로 같다. ( 
  
 )

3. 비례식의 성질 : 모든 비례식은          ≠꼴로


나타낼 수 있는데, 이때 내항 ( 와  )의 곱과 외항 ( 와  )의 곱은 항
등식으로써    외항의곱과내항의곱은서로동치이다 서로 같
다.

4. 부채꼴의 성질 : 가     인 일반적인 부채꼴  에서 중심각


가  배 될 때, 호의 길이 또한  배 된다. 즉, ∝ 의 관계가 성립한다.

5. 이등변 삼각형의 성질
이등변 삼각형의 정의 : 두 밑각과 두 변의 길이가 같은 삼각형.

: ∠의 이등분선은 
 를 수직 이등분한다.(증명) : ∠의 수직 이등분선은
∆와∆로나눈다 (보조정리 1. 삼각형의 한 변과 양 끝 각이 각각
같은 두 삼각형은 서로  합동으로써 서로 같은 삼각형이다.) 보조정리 1에

의해 ∆와∆는∠  ∠이고 
  
 이기때문에
∆ ≡∆ 합동이다
따라서 
  
 이다.

가정 )
1. 달은 완전한 구의 형태를 하고 있다.

2. 지구부터 달 까지 거리는  ∙  ㎞ 이다.
1번 가정을 한 이유는 달이 완전한 구의 형태가 아니라면, 달의 지름이 곳곳에서 다르게
나타나는 등, 논리적으로 완벽한 전개가 이루어질 수 없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가정을 하였
다.
2번 가정을 한 이유는 지구부터 달 까지 거리가 측정장소에 따라서 다르게 나타나는데,
오차값이 적고 편리한 380,000㎞로 계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가정을 했다.
III ) 연구 방법
1 – 삼각형의 닮음을 이용한 달의 지름 측정 (원리)
관찰자가 달을 바라볼 때 어떤 물체와 달이 완벽하게 겹쳐 보일 때, 빛은 두 원의 접점을
지나며, 관찰자의 눈에 들어온다. 이때 관찰자의 위치를  라 하고, 물체의 접점을 순서대
로 와 ′ 이라 하고, 또한 달의 접점을 순서대로 와  ′ 이라 하자.

그렇다면 정리에의해서 ′이고 


     
′이다  ′인 이등변삼각형∆ ′
  
에서 정리 5에 의해 ∠ 의 이등분선은 
 ′ 을 이등분한다.
′의교점을  라하고 
∠ 의이등분선과   ′과교점을  라하자
 ⊥
그렇다면, ∆ 와∆에서   ′이고 또한  ′이므로∠ 를
 ⊥
공통각으로가지는두삼각형은서로닮음이다
∴∆ ∾∆ 닮음
공리 1 에 의해, 
  
    의 관계가 성립한다.
  
공리 3 에 의거해서 항등식을 작성하면, 
 ∙ 
  
 ∙ 
 이다
   물체까지의거리

  지구에서달까지의거리


  물체지름의 배 
  
 
 
  달지름의 배
  
 
  ∙
∴  ∙     ∙   이다. 양변에 2를 곱하고 에 대해 정리하면,    이다.
  
달의 지름은 지구에서 달 까지의 거리와 물체의 지름의 곱에 물체까지의 거리를 나눈값과
∙
같다. ∴   

2 – 각지름을 이용한 달의 지름 측정 (원리)


지구를 중심으로 하고, 반지름을 지구부터 달까지의
거리로 하는 원에서 달의 지름을 로 하고, 각  는
지구에 있는 관측자의 눈과 천체 지름의 양 끝이 이루는 각도이다.
 ∙   는적당한양의실수이라 하고,
 ∙   는적당한양의실수이라고 하면 공리 4에 의거해서
오른쪽과 같은 원은 부채꼴을 적당히 확대하여 얻은 것 이기 때문에 부
채꼴과 원은 서로 닮음 관계에 있다.
공리 3의 비례식의 일반꼴을 참고하여, 비례식을 세워 보면 다음과 같
고,      ∙    ∙  여기서 와를 대입하면
       이다. 공리 4를 기반으로 항등식을 작성하고  에 관해서 정리하면,
 ∙ 
   이다. 즉, 달의 지름은 달의 공전 궤도와 각지름의 곱에 360을 나눈값과 같

다.

IV ) 연구 결과 – 닮음을 이용한 측정
2023년 4월 7일 용인시 수지구에서 23시 56분부터 4월 8일 00시 33분까지 측정했다.
의 값은 가정 2에 의해 ㎞로 계산한다.

시간/측정값 (㎝) (㎝) (㎞) ∣3474.8- ∣(㎞)


23:56 0.5 58 3275.86 198.94
00:00 0.54 44 4663.63 1188.83
00:03 0.38 27 5348.19 1869.39
00:10 0.15 18 3166.66 312.14
00:16 0.19 21 3438.09 36.71
00:20 0.2 18.9 4021.16 542.36
00:23 0.2 22.3 3408.07 66.73
00:33 0.175 19.1 3481.67 6.87

4월 8일 00시 33분 가장 근사한 값을 측정한 순간


달을 촬영했다.

달의 지름을 계산하는 모습
V ) 결론
달의 지름은 천문학적으로 큰 오차를 내지 않으면서 간단하게 측정할 수 있는 유일한 천
체이다. 측정값과 실제값에 오차가 있는 이유는 가정 1,2에 오류가 있기 때문이다. 가정 1
은 달이 완전히 구가 아니기 때문에 모순이고, 가정 2는 측정장소에 따라 달까지의 거리가
다르게 나타나는데, 이 값에 오차가 있었을 수도 있다. 이러한 오차가 있었지만 오차값은
큰 범위에서 발생하지 않았다. 가장 근사하게 측정한 값은 3481.67㎞이고 오차값은 6.87㎞
이다. 가정 1,2를 세우고도 지름과 근사하게 측정했으니, 성공한 실험이라고 할 수 있다.
삼각형의 닮음비와 각지름을 이용한 달의 지름측정 방법을 살펴보았다. 기하학의 정확함
을 알 수 있는 유익한 시간이였다.

- 2023년 4월 13일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