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6

2022년 1학기 화산중 대비

중2 기말고사 대비
과학
2
◇「콘텐츠산업 진흥법 시행령」제33조에 의한 표시
◇「콘텐츠산업 진흥법」외에도「저작권법」에 의하여 보호
1) 제작연월일 : 2022-07-01
되는 콘텐츠의 경우, 그 콘텐츠의 전부 또는 일부를 무
2) 제작자 : 교육지대㈜
단으로 복제하거나 전송하는 것은 콘텐츠산업 진흥법
3) 이 콘텐츠는 「콘텐츠산업 진흥법」에 따라 최초
외에도 저작권법에 의한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제작일부터 5년간 보호됩니다.

3. zb 3 ) 그림은 달의 크기를 구하는 방법을 나타낸 것이


다.
• 먼저 답안지에 성명, 학년, 과목코드를 기입하십시오.
• 문항을 읽고 맞는 답을 답란에 표시하십시오.
• 문항배점은 문항위에 표시된 배점표를 참고하십시오.

1. zb 1) 동전을 이용하여 축구공의 크기를 측정하려고 한


다. 동전의 반지름은 cm 눈과 동전사이의 거리가
cm 일 때 축구공이 완전히 가려졌다. 눈과 축구
공까지의 거리가 m 일 때 축구공의 반지름으로
옳은 것은?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
로 고른 것은?

<보기>
ㄱ. 삼각형의 닮음비를 이용하여 구한다.
ㄴ. 달의 크기D 를 구하는 비례식은     L  D 이다.

① cm ② cm ㄷ. 종이에 뚫은 구멍의 크기가 작을수록 눈과 종이 사이


의 거리는 가까워진다.
③ cm ④ cm
ㄹ. 실제 달의 크기를 구하기 위해 지구에서 달까지의 거
⑤ cm
리를 미리 알고 있어야 한다.
① ㄱ, ㄴ ② ㄱ, ㄹ
③ ㄴ, ㄷ ④ ㄱ, ㄴ, ㄹ
⑤ ㄱ, ㄴ, ㄷ, ㄹ
2. zb 2) 그림은 달의 크기를 측정하기 위한 원리를 나타
낸 것이다. 4. zb 4 ) 그림은 에라토스테네스가 지구의 둘레를 측정하
는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측정값이 다음과 같을 때 달의 지름D 은?

동전의 지름  cm


동전까지의 거리   cm 지구의 둘레를 구하는 식으로 옳은 것은?
달까지의 거리   km  ×   × 
①  ② 
① km ② km  
③ km ④ km  
③  ④ 
 ×   × 
⑤ km

⑤ 
×

I410-ECN-0199-2022-001-000168447
I410-ECN-0199-2022-001-000168432 - 1 -
화산중 대비

5. zb 5) 그림과 같이 지구 모형을 이용하여 지구의 반지 7. zb 7 ) 그림은 에라토스테네스가 지구의 크기를 측정한


름 R 을 구하고자 할 때, 측정해야 할 것을 <보기>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
에서 모두 고른 것은? 은 것은?

<보기>
ㄱ. 막대 AA′ 의 길이 ㄴ. 막대 BB′ 의 길이 ① 중심각 ㉠는 °이다.

ㄷ. AB 간의 거리 ㄹ. 그림자 BC 의 길이 ② 지구는 완전한 구형이다.

ㅁ. ∠BB′C 의 크기   ③ 호의 길이는  km 이다.


④ 지구로 들어오는 햇빛은 평행하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⑤ R :  km = ° : °이다.
③ ㄴ, ㄹ ④ ㄷ, ㅁ
⑤ ㄹ, ㅁ

8. zb 8 ) 다음 그림은 일 간격으로 해가 진 후 같은 시


각에 서쪽 하늘에서 관측한 태양과 별자리의 위치
6. zb 6) 달의 크기를 측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이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별자리는 하루에 °씩 이동한다.


① 달의 지름을 구하는 비례식은    =    이다. ② 별자리는 서→동으로 이동하는 겉보기 운동을 한다.
② 삼각형의 닮음비를 이용하여 달의 지름( )을 구한다. ③ 별자리를 기준으로 태양은 서에서 동으로 이동한다.
③ 동전의 지름()이 클수록 동전까지의 거리( )가 짧아진 ④ 별자리의 위치가 달라진 원인은 지구의 자전 때문이다.
다.
⑤ 별자리의 일주 운동은 지구의 공전 때문에 나타나는 현
④ 크기가 다른 물체라도 거리에 따라 시지름이 같을 수 상이다.
있다.
⑤ 직접 측정해야 하는 값은 동전의 지름()과 동전까지의 9. zb 9 ) 천체의 일주 운동 방향과 지구의 자전 방향을 옳
거리()이다. 게 짝지은 것은?

천체의 일주 운동 방향 지구의 자전 방향
① 서→동 동→서
② 서→동 서→동
③ 동→서 동→서
④ 동→서 서→동
⑤ 동→서 남→북

I410-ECN-0199-2022-001-000168447
I410-ECN-0199-2022-001-000168432 - 2 -
화산중 대비

10.
zb 10) 지구의 자전에 의해 나타나는 현상으로 옳은 것 13.
zb 1 3) 지난 월 일 우리나라에서 부분 일식이 펼쳐졌
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다. 다음 일식은 년 뒤인 년에야 볼 수 있다
고 한다. 이처럼 일식을 관찰하기 어려운 이유는?
<보기>
ㄱ. 낮과 밤이 반복된다. ① 태양이 공전하고 있기 때문에

ㄴ. 태양이 매일 동쪽에서 떠서 서쪽으로 진다. ② 지구가 공전하면서 관측되기 때문에

ㄷ. 우리나라 북쪽 하늘의 별들이 북극성을 중심으로 시 ③ 지구가 자전하면서 관측되기 때문에


계 방향으로 일주 운동하는 것을 볼 수 있다. ④ 일식은 달의 위상이 삭일 때만 관측되기 때문에
① ㄱ ② ㄷ ⑤ 달의 그림자가 지구에 비치는 지역에서만 관측되기 때
③ ㄱ, ㄴ ④ ㄴ, ㄷ 문에

⑤ ㄱ, ㄴ, ㄷ

14.
zb 1 4) 그림은 달의 공전 궤도이다. 달이 C 위치에 있을

11.
zb 11) 그림은 공전 궤도 상에서 달의 위치 변화를 나타 때 달의 모양으로 옳은 것은?

낸 것이다.

달이 A에 위치할 때의 위상으로 옳은 것은?


① ②

① ②

③ ④

③ ④

※ 그림은 우리나라에서 별의 일주운동을 관측하여 나타낸 것이다.

12.
zb 12) 천체의 운동 방향이 서쪽 → 동쪽이 아닌 것은?

① 달의 공전 ② 지구의 자전
③ 지구의 공전 ④ 태양의 일주 운동
⑤ 태양의 연주 운동

I410-ECN-0199-2022-001-000168447
I410-ECN-0199-2022-001-000168432 - 3 -
화산중 대비

15.
zb 15) 그림 (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18.
zb 1 8) 이 실험에서 직접 측정해야 할 것을 모두 고른
있는 대로 고른 것은? 것은?

<보기> ① , ∠BB′C
ㄱ. 겉보기 운동이다. ② ∠BB′C , ∠AOB
ㄴ. 별은 한 시간에 씩 움직인다. ③ AA′ 의 길이, BB′ 의 길이
ㄷ. 서쪽 하늘에서 볼 수 있는 일주운동이다. ④ ∠AOB , 그림자 BC 의 길이
① ㄱ ② ㄱ, ㄴ ③ ㄱ, ㄷ ⑤ 그림자 BC 의 길이, BB′ 의 길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19.
zb 1 9) 다음 그림은 태양계의 행성을 밀도와 질량에 따
16.
zb 16) 그림(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라 두 집단으로 분류한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옳은 것은?

<보기>
ㄱ. 시계 방향으로 움직인다.
ㄴ. 원의 중심에 있는 별은 북극성이다.
ㄷ. 북쪽 하늘에서 볼 수 있는 일주운동이다.
① ㄱ ② ㄱ,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① A는 고리가 있다.
② A는 위성 수가 많다.
③ A보다 B 의 반지름이 크다.
④ B 의 표면 온도는 A보다 높다.
※ 다음 그림은 지구 모형의 크기를 측정하는 실험을 나타낸 것이다.
⑤ B 의 표면은 단단한 암석으로 이루어져 있다.

20.
zb 2 0) 표는 각 행성의 물리적 특성을 나타낸 것으로 행
성 A~C 는 목성, 지구, 토성을 순서에 상관없이 표
시한 것이다. (단, 행성의 질량과 반지름은 지구를 
로 하였을 때의 상대적인 값이다.) 이에 대한 설명
으로 옳은 것은?

행성 A B C
17.
zb 17) AB 두 지점의 거리( )은 km , 의 값이 °일 질량   
때 지구반지름(  )을 구하기 위한 비례식과 지구반 반지름   
지름(  ) 값이 바른 것은? (단, =으로 계산한다.) 평균 밀도
  
( gcm  )
비례식 반지름(km )
고리 없음 있음 있음
①  : km = ° : ° 
②  : ° = ° : km  ① B 는 목성이다.
③ ° :  = km : °  ② C 는 표면에 흑점이 있다.
④ km : ° =  : °  ③ C 에는 대적점이 나타난다.
⑤ ° : km = ° :   ④ A~C 중 B 가 태양에 가장 가깝다.
⑤ A~C 중 C 가 가장 적은 수의 위성을 갖는다.

I410-ECN-0199-2022-001-000168447
I410-ECN-0199-2022-001-000168432 - 4 -
화산중 대비

21.
zb 21) <보기>는 태양계 어느 행성의 특징을 설명한 것 24.
zb 2 4) 태양의 대기를 설명한 내용으로 옳은 것을 <보
이다. 이 행성의 이름은? 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보기> <보기>
거대한 화산과 협곡이 있다. ㄱ. 채층은 광구보다 온도가 높다.
얼음과 드라이아이스로 이루어진 극관이 있다. ㄴ. 태양의 대기에서는 플레어나 홍염이 나타난다.
표면이 산화철 성분의 붉은색 토양으로 이루어져 있다. ㄷ. 흑점은 광구 밑에서 일어나는 대류 때문에 생긴다.
① 금성 ② 화성 ㄹ. 코로나는 태양의 가장 바깥쪽 대기층으로 온도가 매
③ 목성 ④ 토성 우 높다.

⑤ 해왕성 ① ㄱ, ㄴ ② ㄴ, ㄷ
③ ㄴ, ㄹ ④ ㄱ, ㄴ, ㄷ
⑤ ㄱ, ㄴ, ㄹ

22.
zb 22) <보기> 중 지구의 자전으로 생기는 현상만을 모
두 고른 것은?

<보기> 25.
zb 2 5) 천체 망원경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ㄱ. 태양이 매일 동에서 떠서 서로 진다. ① 태양은 접안렌즈로 직접 관측한다.


ㄴ. 태양 흑점의 위치가 동에서 서로 이동한다. ② 천체를 관측할 때 경통의 대물렌즈는 관측자를 향하게
ㄷ. 별이 하루에 한 바퀴씩 원을 그리며 움직인다. 조절한다.

ㄹ. 계절에 따라 남쪽 밤하늘에서 보이는 별자리가 변한 ③ 천체 망원경은 천체에서 오는 빛이 없을 때 확대하여


다. 관측할 수 있는 도구이다.

ㅁ. 태양이 하루에 약 °씩 서에서 동으로 별자리 사이를 ④ 대물렌즈는 상을 확대하여 눈으로 볼 수 있게 하는 부
이동하는 것처럼 보인다. 분으로 배율을 조절할 수 있다.

① ㄱ, ㄷ ② ㄷ, ㅁ ⑤ 보조 망원경은 배율이 낮아 시야가 넓은 망원경으로 관


측하려는 천체를 찾는 데 쓰인다.
③ ㄹ, ㅁ ④ ㄱ, ㄴ, ㄷ
⑤ ㄴ, ㄹ, ㅁ

26.
zb 2 6) 그림은 흑점 수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23.
zb 23) 다음 그림은 약 개월 동안 지구에서 태양 표면
을 관측했을 때 흑점의 위치를 나타낸 것이다. 이를
통해 알 수 있는 사실을 서술하시오.

(1) 태양의 자전 방향은 (㉠ )쪽에서 (㉡ )쪽이다.


(2) 태양의 자전 속도는 극지방으로 갈수록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
① 흑점 수의 변화 주기는 약 년이다.
(3) 위도에 따라 흑점의 이동 속도가 다른 것을 통해 태
② (가)일 때 지구에서는 자기폭풍이 강해진다.
양의 표면은 (㉣ )상태가 아님을 알 수 있다.
③ (나)일 때 태양에서는 코로나의 크기가 커진다.
④ (가)일 때보다 (나)일 때가 태양의 활동이 더 활발하다.
⑤ 플레어는 년보다 년에 자주 발생했을 것이다.

I410-ECN-0199-2022-001-000168447
I410-ECN-0199-2022-001-000168432 - 5 -
화산중 대비

27.
zb 27)

그림은 연도에 따른 흑점의 수를 나타낸 것이다. 30.


zb 3 0) 식물의 증산 작용을 알아보기 위하여 같은 양의
물이 든 눈금실린더에 식용유를 떨어뜨리고 그림과
같이 장치한 후 햇빛이 잘 드는 곳에 두었다.

A시기에 태양의 활동과 지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정답 2개)

① 태양의 활동이 급격히 감소하는 시기이다.


② 코로나의 크기가 감소하여 관측되지 않는다.
(1) 일정 시간이 지난 후 물이 많이 남아있는 순서대로 기
③ 지구의 고위도에서는 오로라가 더 자주 나타난다.
호를 쓰시오.
④ 홍염, 플레어를 관측하기 어려우며 태양풍이 약화된다.
⑤ 지구에서는 무선통신이 방해를 받거나 인공위성이 고장 (2) A와 B 눈금실린더, B 와 C 눈금실린더를 비교하여
나기도 한다. 알 수 있는 사실 두 가지를 아래 조건을 포함하여 서술
하시오.
[조건]
증산이 일어나는 장소
증산량에 영향을 주는 요인
※ 표는 행성 A ∼ E 의 물리적 특징을 나타낸 것이다.
A와 B 비교 :
밀도 질량 반지름 자전주기 B 와 C 비교 :
행성
gcm   지구   지구   (일)
A    
B    
C    
D     31.
zb 3 1) 식물의 증산 작용을 알아보기 위해 개의 눈금
E     실린더에 같은 양의 물을 넣고, 잎을 모두 딴 가지
와 잎의 개수가 같은 개의 가지를 넣어 다음 그림
28.
zb 28) A ∼ E 중에서 고리가 있는 행성을 골라 옳게 짝
과 같이 장치하였다.
지은 것은?

① A C ② B D
③ C E ④ A B D
⑤ C D E

29.
zb 29) 위 표의 행성들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이 실험 결과를 통해 알 수 있는 사실은? (단, 빛의 양
① 질량이 큰 행성들은 밀도도 크다. 은 일정하다.)
② 태양으로부터의 거리는 A가 가장 가깝다. ① A의 물의 양이 가장 많이 줄어들었다.
③ 가장 빠르게 자전하는 것은 B 이다. ② 기공은 주로 잎의 앞면에 많이 분포한다.
④ 계절의 변화가 나타나는 것은 C 이다. ③ 수면의 높이는 A  C  B 순으로 낮아진다.
⑤ 표면에 운석구덩이가 가장 많은 것은 D 이다. ④ A와 B 의 비교를 통해 증산 작용이 가지에서 일어남을
알 수 있다.
⑤ A와 C 의 비교를 통해 습도가 높으면 증산 작용이 감
소함을 알 수 있다.

I410-ECN-0199-2022-001-000168447
I410-ECN-0199-2022-001-000168432 - 6 -
화산중 대비

32.
zb 32) 기공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34.
zb 3 4) 그림은 잎 뒷면의 표피를 얇게 벗겨 현미경으로
관찰했을 때 볼 수 있는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① 기공에도 엽록체가 있다.


② 기체가 드나드는 통로이다. (1) A ∼ C 의 알맞은 명칭을 쓰시오.
③ 잎의 내부와 외부를 연결한다. A : B : C :
④ 개의 공변세포가 모여 이룬다.
⑤ 주로 잎의 뒷면 표피에 있는 구멍이다. (2) A와 C 가 가지는 특징 중 서로 다른 점을 비교하여 
가지만 서술하시오.

33.
zb 33) 그림은 잎의 표피를 벗겨 현미경으로 관찰한 모
습을 나타낸 것이다. A와 C 는 세포를 가리킨다. 35.
zb 3 5) 광합성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요인과 관련된 내
용을 설명한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광합성량은 빛의 세기, 온도, 이산화탄소의 농도에 영향


을 받는다.
② 광합성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요인 중 한 가지만 충분
하면 광합성이 잘 일어난다.
③ 빛의 세기가 증가할수록 광합성량이 증가하다가 어느
정도 이상이 되면 일정해진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르면? (정답 개)
④ 이산화탄소 농도가 증가할수록 광합성량이 증가하다가
① 위와 같은 구조는 주로 식물의 앞면에서 많이 볼 수 있 어느 정도 이상이 되면 일정해진다.
다. ⑤ 온도가 높아질수록 광합성량이 증가하다가 일정 온도
② A는 공변세포로 광합성이 일어난다. 이상이 되면 광합성량이 급격히 감소한다.
③ B 를 통해 식물이 물과 이산화 탄소를 흡수하고 산소와
수증기를 방출한다.
④ B 는 주로 밤에 열리고 낮에 닫힌다.
⑤ B 는 A의 모양에 의해서 열리고 닫힌다.

I410-ECN-0199-2022-001-000168447
I410-ECN-0199-2022-001-000168432 - 7 -
화산중 대비

36.
zb 36) 그림은 광합성과 관련된 실험 과정을 나타낸 것 38.
zb 3 8) 아래 그림은 광합성에 영향을 미치는 두 환경 요
이다. 인과 광합성량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보기>
ㄱ. 온도는 (가)에 해당된다.
위 실험을 통해 알 수 있는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ㄴ. 빛의 세기는 (나)에 해당된다.
것은? (단, 그림에 제시된 실험준비물 외에 더 추가된
ㄷ. 이산화탄소의 농도는 (나)에 해당된다.
물품은 없음)
ㄹ. 광합성량은 이산화탄소의 발생량으로 알 수 있다.
<보기>
① ㄱ, ㄴ ② ㄱ, ㄴ, ㄷ
ㄱ. 광합성이 일어나는 장소는 엽록체이다.
③ ㄱ, ㄷ, ㄹ ④ ㄴ, ㄷ, ㄹ
ㄴ. 광합성에 사용되는 물질은 이산화 탄소이다.
⑤ ㄱ, ㄴ, ㄷ, ㄹ
ㄷ. 빛이 존재하지 않으면 포도당은 생성되지 않는다.
① ㄴ ② ㄷ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ㄱ, ㄴ, ㄷ
39.
zb 3 9) 광합성에 영향을 주는 환경 요인에 대한 설명으
로 옳은 것은?

① 강한 빛보다 약한 빛에서 광합성이 활발하다.


② 광합성량은 온도와 관계없이 빛의 영향만 받는다.
37.
zb 37) 빛의 세기에 따른 광합성량의 변화를 옳게 나타
③ 이산화탄소의 농도와 광합성량은 반비례 관계이다.
낸 것은? (단, 광합성에 영향을 주는 다른 요인은
일정하고 적당하다.) ④ 빛의 세기가 강해질수록 광합성량도 계속 증가한다.
⑤ ℃ 이상의 온도에서는 광합성량이 급격히 감소한다.

① ②

40.
zb 4 0) 식물의 광합성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광합성
량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를 완성하여 그리시오.
③ ④

I410-ECN-0199-2022-001-000168447
I410-ECN-0199-2022-001-000168432 - 8 -
화산중 대비

41.
zb 41) 광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광합성량에 대한 44.
zb 4 4) 광합성 산물의 이용과 남은 양분이 저장되는 방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법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것은?
<보기>
<보기> ㄱ. 호흡 활동에 사용한다.
ㄱ. 광합성량은 이산화탄소의 농도와는 관계가 없다. ㄴ. 남은 양분은 뿌리에만 저장된다.
ㄴ. 온도가 일정 수준 이상이 되면 광합성량은 급격히 줄 ㄷ. 생명 활동에 필요한 에너지원으로 사용한다.
어든다.
ㄹ. 남은 양분은 녹말이나 지방 등의 형태로 저장된다.
ㄷ. 어느 정도까지는 빛의 세기가 강해질수록 발생하는
① ㄱ, ㄴ ② ㄷ, ㄹ
산소의 양이 증가한다.
③ ㄱ, ㄴ, ㄷ ④ ㄱ, ㄷ, ㄹ
① ㄱ ② ㄴ
⑤ ㄱ, ㄴ, ㄷ, ㄹ
③ ㄷ ④ ㄱ, ㄴ
⑤ ㄴ, ㄷ

45.
zb 4 5) 그림은 광합성 산물이 이동하여 저장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42.
zb 42) 그림은 식물의 광합성과 호흡의 공통점B 과 차
이점 A C  을 나타낸 그림이다. 각 부분에 대한 설
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
은?

<보기>
ㄱ. A  밤에만 일어난다.
ㄴ. B  모든 세포에서 일어난다. (가)는 광합성 산물이 이동할 때의 물질을 나타낸 것이
ㄷ. C  에너지를 양분에 저장하는 과정이다. 다. 물질 (가)로 옳은 것은?

① ㄱ ② ㄴ ① 녹말 ② 설탕

③ ㄷ ④ ㄱ, ㄴ ③ 지방 ④ 단백질

⑤ ㄱ, ㄴ, ㄷ ⑤ 포도당

43.
zb 43) 식물의 기체 교환이 일어나는 곳의 기호만을 고 46.
zb 4 6) 호흡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른 것은? ① 호흡은 양분을 분해하는 과정이다.
② 호흡의 과정에서 에너지가 생산된다.
③ 호흡은 양분을 저장하는 곳에서 일어난다.
④ 호흡은 낮과 밤에 항상 일어나는 과정이다.
⑤ 호흡은 꽃이 피거나 생장할 때 왕성하게 일어난다.

① A ② B
③ C D ④ A B D
⑤ A B C D

I410-ECN-0199-2022-001-000168447
I410-ECN-0199-2022-001-000168432 - 9 -
화산중 대비

47.
zb 47) 식물의 호흡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50.
zb 5 0) 그림은 빛의 세기가 다를 때 같은 식물에서 광합
성과 호흡에 의한 기체의 출입을 나타낸 것이다.
① 녹색 식물의 엽록체에서 일어난다.
② 물과 이산화탄소가 원료로 이용된다.
③ 무기물로부터 유기물을 합성하는 것이다.
④ 영양소를 분해하여 에너지를 얻는 과정이다.
⑤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방출하는 과정이다.

이에 대한 옳은 설명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보기>
48.
zb 48) 그림은 식물의 광합성 작용을 나타낸 것이다. ㄱ. ㉠은 광합성을, ㉡은 호흡을 나타낸다.
ㄴ. 빛의 세기는 (가) > (나) > (다)로 나타낼 수 있다.
ㄷ. (다)에서는 외관상 식물체로 흡수되거나 방출되는 기
체가 없다.
① ㄱ ② ㄷ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1) 다음 기호에 해당하는 이름을 순서대로 쓰시오.

(가) A B C

(2) 잎의 세포에서 광합성이 일어나는 부분의 이름을 쓰시


오.
51.
zb 5 1) 다음은 광합성으로 만들어진 양분의 이동을 설명
한 것이다.
(3) 식물의 호흡 반응 과정을 식으로 표현하시오.
광합성으로 만들어진 ( A )은(는) 잎에서 사용되거나
일부는 ( B )의 형태로 바뀌어 저장된다. 엽록체에 저
장된 ( B )은(는) 물에 잘 녹지 않기 때문에 주로 물에
잘 녹는 ( C )의 형태로 바뀌어 이동한다.
49.
zb 49) 식물의 호흡에 관련한 설명 중 옳은 것은?
A ∼ C 에 들어갈 말로 옳게 짝지은 것은?
① 식물은 호흡 시 양분을 합성한다. A B C
② 호흡은 빛에너지를 포도당에 저장하는 과정이다. ① 녹말 설탕 포도당
③ 식물의 잎을 제외한 나머지 기관에서 호흡이 일어난다. ② 녹말 포도당 설탕
④ 식물의 호흡 결과 생성된 에너지는 생명 활동에 사용된 ③ 포도당 녹말 설탕
다.
④ 포도당 설탕 녹말
⑤ 광합성량이 호흡량보다 많아지면 식물에서 산소를 흡수
⑤ 설탕 녹말 포도당
하고 이산화탄소를 내보내는 기체 교환이 일어난다.

I410-ECN-0199-2022-001-000168447
I410-ECN-0199-2022-001-000168432 - 10 -
화산중 대비

※ 다음 실험을 보고 물음에 답하시오. ※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시금치 잎 조각을 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이 담긴
비커에 넣어 가라앉히고 그림과 같이 장치한 후, 전등이
켜진 개수를 다르게 하면서 시금치 잎 조각이 떠오르는
시간을 측정하였다.

(가) 검정말을 잘라 깔때기에 넣은 후 % 탄산수소 나트


륨 수용액이 담긴 병에 거꾸로 넣는다.
(나) 시험관에 % 탄산수소 나트륨 수용액을 가득 채운
후 손으로 입구를 막아 검정말이 들어 있는 깔때기
위로 덮어 씌운다.
(다) 전등을 켜고 검정말과의 거리를 점차 가까이 조절하 54.
zb 5 4) 위 실험의 결론으로 옳은 것은?
면서 발생하는 기포 수를 측정한다.
① 빛의 세기가 셀수록 광합성량이 감소한다.
52.
zb 52) 실험과정 (다)에서 발생하는 기포의 성분은?
② 빛의 세기가 셀수록 광합성량이 증가한다.
① 산소 ② 수소 ③ 빛의 세기는 광합성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③ 질소 ④ 포도당 ④ 이산화탄소 농도가 높을수록 광합성량이 증가한다.
⑤ 이산화 탄소 ⑤ 이산화탄소 농도가 높을수록 광합성량이 감소한다.

53.
zb 53) 실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55.
zb 5 5) 위 실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빛의 세기와 광합성량의 관계를 알아볼 수 있다. ①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은 이산화탄소를 공급해준다.
② 기포가 많이 발생할수록 호흡이 활발하게 일어남을 알 ② 전등이 켜진 개수는 빛의 세기를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수 있다.
③ 시금치 잎 조각은 빛을 받으면 광합성이 일어나 산소가
③ 검정말과 전등 사이의 거리는 빛의 세기를 조절하기 위 발생하여 떠오른다.
한 것이다.
④ 전등을 켜기 전 주사기의 피스톤을 당겨 시금치 잎 조
④ 검정말과 전등 사이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광합성이 활 각 속에 들어있는 공기를 빼낸다.
발하게 일어난다.
⑤ 전등이 켜진 개수가 늘어날수록 시금치 잎 조각이 떠오
⑤ 탄산수소 나트륨 수용액은 이산화 탄소를 충분히 공급 르는 데 걸리는 시간이 길어진다.
하는 역할을 한다.

I410-ECN-0199-2022-001-000168447
I410-ECN-0199-2022-001-000168432 - 11 -
화산중 대비

족보닷컴에서 제공하는 학교별 족보는 전국 학교의 기 정해야 중심각 ∠AOB 를 추정할 수 있다. 부채꼴
출문제들을 분석하여 자주 출제되는 유형들로 구성하였습 의 호의 길이는 중심각의 크기에 비례한다는 원
니다. 비슷한 유형이나 동일 지문의 문제가 반복되는 것 리를 이용하기 위해 ㄷ.AB 간의 거리를 측정해야
은 출제 빈도가 높은 유형의 문제이니 반복하여 학습하시 한다.
고 좋은 성적 거두시기를 바랍니다.

6)[정답] ③
[해설] 눈과 동전의 지름, 눈과 달의 지름이 이루는
삼각형의 닮음비를 이용하여 삼각형에서 대응변
의 길이의 비를 이용해 비례식을 세우면
l  L  d  D 이다. 이 때 d와 l은 직접 측정해야 하
고 L은 알고 있어야 하는 값이다. 태양이 달보다
훨씬 더 먼 거리에 있지만 태양의 크기가 달의
1)[정답] ③
크기보다 훨씬 커서 시지름은 거의 같다. 3)동전
[해설] 그림은 삼각형의 닮음비를 이용하여 축구공의
의 지름이 클수록 동전까지의 거리는 길어진다.
크기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동전의 지름()와 축
구공의 지름(D )가 평행하므로 눈과 동전의 지름,
눈과 축구공의 지름이 이루는 두 삼각형은 닮음 7)[정답] ⑤
이다. 따라서 cm  m  cm  D 의 비례식이 [해설] 1)햇빛이 평행하게 들어오므로 중심각 ㉠은 막
cm × m 대의 끝과 그림자의 끝이 이루는 각인 7.2°와 엇
성립하고 축구공의 지름 D    cm
cm
각으로 같다.

이다. 축구공의 반지름  D  cm 이다. 2)실제 지구는 완전한 구형이 아니지만 에라토스

테네스의 방법으로 지구의 크기를 측정하기 위해
지구는 완전한 구형이라고 가정하였다.
2)[정답] ② 3)호의 길이는 시에네에서 알렉산드리아까지의
[해설] 눈과 동전의 지름, 눈과 달 모형의 지름이 이 거리인 925km이다.
루는 삼각형의 닮음비를 이용하여 비례식을 세우 4)중심각을 측정하기 위해 지구로 들어오는 햇빛
면        이므로 은 평행하다는 가정이 필요하다.
×  cm × km 5)지구의 크기를 측정하기 위한 비례식은
      km 이다.
 cm km  R  °  °으로 세워야 한다.

3)[정답] ⑤ 8)[정답] ③
[해설] ㄱ)눈과 구멍의 지름, 눈과 달의 지름이 만드 [해설] 1)별자리는 하루에 1°씩 이동한다. 2)별자리는
는 삼각형의 닮음비를 이용하여 구한다. ㄴ)비례 동→서로 이동하는 겉보기 운동을 한다. 4)별자리
식을 세우면 d  D  l  L 또는 l  d  L  d가 된다. 의 위치가 달라진 원인은 지구의 공전 때문이다.
ㄷ)삼각형의 닮음비를 이용하므로 구멍의 크기가 5)별자리의 일주 운동은 지구의 자전 때문에 나
작아지면 눈에서 종이까지의 거리도 짧아져야 한 타나는 현상이다.
다. ㄹ)지구에서 달까지의 거리(L)는 측정할 수
없으므로 미리 알고 있어야 한다.
9)[정답] ④
[해설] 천체의 일주 운동은 태양, 달, 별과 같은 천체
4)[정답] ② 가 하루에 한 바퀴씩 원을 그리며 도는 겉보기
[해설] 중심각의 크기는 호의 길이에 비례한다. 운동이다. 지구가 서에서 동으로 자전하는 동안
에 해당하는 호의 길이는 지구의 둘레(R ) 천체의 일주 운동은 방향은 동→서로 지구 자전
이고 에 해당하는 호의 길이는 에 해당한다. 방향과 반대이다.
따라서 비례식은       이고 지구의 둘
 × 
레는  이다. 10)[정답] ③

[해설] 지구의 자전에 의해 낮과 밤이 반복되고 태양
이 매일 동쪽에서 떠서 서쪽으로 지는 천체의 일
5)[정답] ④ 주 운동이 일어난다.
[해설] 지구 모형의 반지름 R을 구하고자 할 때, 엇각 ㄷ)지구의 자전에 의해 우리나라 북쪽 하늘의 별
의 원리를 이용하여 ㅁ.∠BB′C 의 크기   을 측 들이 북극성을 중심으로 시계 반대 방향으로 일

I410-ECN-0199-2022-001-000168447
I410-ECN-0199-2022-001-000168432 - 12 -
화산중 대비

주 운동을 한다. 한다.

11)[정답] ② 19)[정답] ③
[해설] A에서 달은 지구에서 관측할 때 오른쪽 반원 [해설] A는 지구형 행성, B는 목성형 행성이다. 지구
이 밝게 보이는 상현달이다. 형 행성은 수성, 금성, 지구, 화성이 속하며 질량
과 반지름이 작지만 표면이 단단한 암석으로 이
루어져 있어 평균밀도가 크며, 위성수가 적거나
12)[정답] ④
없으며 고리가 없다. 이해 비해 목성형 행성은
[해설] 태양의 일주 운동은 지구의 자전에 의해 나타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이 속하며 질량과 반
나는 현상으로 동쪽에서 서쪽 방향으로 겉보기
지름이 큰 것에 비해 기체로 이루어져 있어 평균
운동을 한다.
밀도가 작고, 위성수가 많으며 고리가 있다.

13)[정답] ⑤
20)[정답] ③
[해설] 일식은 낮에 달 그림자가 닿는 지역에서만 관
[해설] 1)B는 평균밀도가 가장 작은 토성이다.
측되고 달의 공전궤도면과 지구의 공전궤도면이
2, 3)C(목성)의 표면에는 대기의 소용돌이인 대적
약간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매달 일식이 일어나
점이 관측된다. 흑점은 태양의 표면에서 관측된
지는 않는다.
다.
4)A ~ C 중 A(지구)가 태양에 가장 가깝다.
14)[정답] ② 5)A ~ C 중 B(토성)가 가장 많은 수의 위성을 갖
[해설] 달은 스스로 빛을 낼 수 없어 햇빛이 반사되는 는다. A(지구)가 가장 적은 위성을 갖는다.
부분만 보이므로 C의 위치에서는 달의 오른쪽 절
반만 둥글게 보이는 상현이다.
21)[정답] ②
[해설] 거대한 화산과 협곡이 있으며, 얼음과 드라이
15)[정답] ② 아이스로 이루어진 극관이 있는 행성은 화성이다.
[해설] ㄱ)별이 실제로 이동하는 것이 아니라 지구의
자전에 의해 나타나는 겉보기 운동이다. ㄴ)하루
22)[정답] ①
(24시간)에 한 바퀴(360°) 회전하므로 한 시간에
[해설] ㄱ)태양이 매일 동쪽에서 떠서 서쪽으로 지는
15°씩 움직인다. ㄷ)별이 오른쪽 위로 올라가는
것은 지구의 자전에 의한 현상이다.
동쪽 하늘이다. 서쪽 하늘은 오른쪽 아래로 내려
ㄴ)태양 흑점의 위치가 동에서 서로 이동하는 것
가는 모습이다.
은 태양의 자전에 의한 현상이다.
ㄷ)별이 하루에 한 바퀴씩 원을 그리며 움직이는
16)[정답] ④ 것은 별의 일주 운동이며 이는 지구의 자전과 관
[해설] ㄱ)반시계 방향으로 움직인다. ㄴ)동심원의 중 련된 현상이다.
심은 지구의 자전축 위에 있는 북극성이다. ㄷ)북 ㄹ)계절에 따라 남쪽 밤하늘에서 보이는 별자리가
극성이 있는 쪽은 북쪽 하늘이다. 변하는 것은 지구의 공전과 관련된 현상이다.
ㅁ)태양이 하루에 약 1°씩 서에서 동쪽으로 별자
리를 이동하는 태양의 연주운동은 지구의 공전과
17)[정답] ⑤ 관련된 현상이다.
[해설] 중심각 3°에 해당하는 호의 길이는 320km이고
360°에 해당하는 원의 둘레는 R 이므로 비례식
을 세우면 °  km  °  R 이다. 23)[정답] (1)㉠서, ㉡동
 × R   × km 이고   이므로 (2)㉢느려진다.
km ×  (3)㉣고체
R    km 이다. [해설] (1)태양은 서쪽에서 동쪽으로 자전한다. (2)흑
 × 
점의 이동속도가 적도 쪽이 더 빠르므로 자전속
도는 극지방으로 갈수록 느려진다. (3)위도별 흑
18)[정답] ① 점의 이동속도가 다른 것으로 태양의 표면이 고
[해설] 원에서 호의 길이는 중심각의 크기에 비례한다 체가 아니라 유체임을 알 수 있다.
는 수학적 원리를 이용하므로, 호의 길이인  과
중심각과 엇각인 ′ (∠BB ′C )를 직접 측정해야

I410-ECN-0199-2022-001-000168447
I410-ECN-0199-2022-001-000168432 - 13 -
화산중 대비

24)[정답] ⑤ [해설] 식물의 증산작용은 뿌리에서부터 흡수한 식물


[해설] ㄷ.흑점은 태양의 표면에서 나타나며 주변보다 체 내의 물이 수증기가 되어 기공을 통해 식물체
온도가 낮아 어둡게 보이는 부분이다. 대류 때문 밖으로 배출되는 현상이며 잎이 많고 주변의 습
에 나타는 현상은 쌀알무늬이다. 도가 낮을수록, 햇빛을 더욱 많이 받을수록 잘
일어난다. 따라서 물의 양은 잎이 없는 A가 제일
많이 남아 있고, 다음으로는 주변 습도가 높은 C
25)[정답] ⑤
이며, 마지막은 B이다.
[해설] 1)태양을 직접 관측하면 실명 위험이 있기 때
문에 반드시 필터를 사용한다. 2)경통의 대물렌즈
는 관측할 천체를 향하게 조절한다. 3)천체 망원 31)[정답] ③
경은 천체에서 오는 빛을 모아 확대하여 관측하 [해설] 1)A는 잎이 없어 증산 작용이 일어나지 않으
는 도구이다. 4)상을 확대하여 눈으로 볼 수 있게 므로 물의 양이 줄어들지 않는다. 2)기공은 주로
하는 부분은 접안렌즈이다. 잎의 뒷면에 많이 분포한다. 3)잎이 있고 습도가
낮은 B에서 증산작용이 가장 활발하므로 물이 가
장 많이 줄어들고 C는 비닐봉지에 의해 습도가
26)[정답] ②
점점 높아져 물이 약간 줄어들기 때문에 수면의
[해설] 1)흑점 수의 변화 주기는 약 11년이다. 2)(가)
높이는 A>C>B순이다. 4)A와 B의 비교를 통해 증
일 때는 흑점 수가 가장 많을 때로 태양의 활동
산 작용이 잎에서 일어남을 알 수 있다. 5)B와 C
이 활발하여 지구에서는 자기폭풍이 강해진다.
의 비교를 통해 습도가 높으면 증산 작용이 감소
3)(나)일 때는 흑점수가 적은 때로 태양의 활동이
함을 알 수 있다.
약해 코로나의 크기가 작아진다. 4)흑점 수가 많
을수록 태양의 활동이 활발하므로 (가)일 때가
(나)일 때보다 태양의 활동이 더 활발하다. 32)[정답] ①
5)2002년은 2008년에 비해 흑점 수가 더 많으므 [해설] 기공은 기체가 드나드는 통로로 빈 구멍이므로
로 플레어는 2002년에 더 자주 발생했을 것이다. 엽록체가 없다. 주로 잎의 뒷면에 있고 2개의 공
변세포가 둘러싸고 있어 기공의 개폐를 조절한다.

27)[정답] ③, ⑤
[해설] 1)A는 흑점의 수가 많을 때로 태양의 활동이 33)[정답] ②, ⑤
활발해지는 시기이다. 2)코로나의 규모가 평소보 [해설] 1)주로 식물의 뒷면에서 많이 볼 수 있다.
다 커진다. 4)홍염, 플레어가 더 자주 발생하고 2)A는 공변세포로 엽록체가 있어 광합성이 일어
규모도 크며 태양풍이 강해진다. 난다.
3)B는 기공으로, 기공을 통해 이산화 탄소, 산소,
수증기 등 기체가 출입한다. 물은 뿌리를 통해
28)[정답] ③
식물체 내로 흡수된다.
[해설] 고리가 있는 행성은 목성형 행성으로 지구형
4)기공은 주로 낮에 열리고 밤에 닫힌다.
행성보다 질량이나 반지름이 크고 밀도가 작은 C
5)공변세포의 안쪽 세포벽은 바깥쪽 세포벽보다
와 E이다.
두껍기 때문에 공변세포가 팽창하게 되면 안쪽보
다 바깥쪽에 더 많이 휘게 되어 기공이 벌어지고
29)[정답] ⑤ 수축하게 되면 기공이 닫히게 된다.
[해설] 1)질량이 큰 행성인 C와 E는 밀도가 다른 행
성에 비해 작다. 2)태양으로부터의 거리는 D가
34)[정답] (1)A-공변세포, B-기공, C-표피세포
가장 가깝다. D는 반지름이 가장 작은 수성이다.
(2)A는 엽록체가 있지만 C는 엽록체가 없다.
3)가장 빠르게 자전하는 것은 자전주기가 짧은 E
[해설] 공변세포는 엽록체를 가지고 있어 초록색을 띠
이며 크기가 가장 큰 행성인 목성이다. 4)C는 밀
고 광합성이 일어나지만 표피세포는 엽록체가 없
도가 1보다 작은 행성으로 토성이다. 계절의 변
어 투명하고 광합성이 일어나지 않는다.
화가 나타나는 행성은 화성으로 A이다. 5)표면에
운석 구덩이가 가장 많은 행성은 대기가 없는 수
성이므로 D이다. 35)[정답] ②
[해설] 광합성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빛의 세기,
이산화탄소의 농도, 온도이며 이 세 가지 요인
30)[정답] (1)A>C>B, (2)증산작용은 잎에서 일어난다.
중 하나라도 조건에 맞지 않으면 광합성이 잘 일
증산량은 습도가 낮을 때 활발하게 일어난다.
어나지 않는다.

I410-ECN-0199-2022-001-000168447
I410-ECN-0199-2022-001-000168432 - 14 -
화산중 대비

가 일정 수준 이상이 되면 광합성량이 오히려 급


격히 줄어든다. ㄷ)어느 정도까지는 빛의 세기가
36)[정답] ①
강해질수록 광합성량이 증가하므로 광합성 결과
[해설] ㄱ)광합성이 일어나는 장소는 엽록체이며 이
발생하는 산소의 양도 증가한다.
실험으로 확인할 수 없다. ㄴ)BTB용액은 이산화
탄소가 감소하면 노란색에서 파란색으로 색변화
가 일어나며, 물풀을 넣어 그대로 둔 시험관의 42)[정답] ③
용액이 파란색으로 변한 것을 통해 광합성에 이 [해설] ㄱ.호흡은 낮과 밤 상관없이 항상 일어난다.
산화탄소가 사용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ㄷ)물풀 ㄴ.살아있는 모든 세포에서 일어나는 것은 호흡이
을 넣고 알루미늄박으로 싼 시험관의 용액은 노 고 광합성은 엽록체가 있는 세포에서만 일어난다.
란색을 그대로 유지하므로 빛이 존재하지 않으면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지 않아 광합성이 일어나지
43)[정답] ⑤
않는다는 것은 알 수 있지만 포도당 생성여부는
[해설] 호흡에 의해서 산소를 흡수하고 이산화탄소를
실험을 통해 확인할 수 없다.
배출하는 기체교환이 일어난다. 호흡은 살아있는
모든 세포에서 일어날 수 있으므로 기체 교환은
37)[정답] ② A~D에서 모두 일어난다.
[해설] 빛의 세기가 셀수록 광합성량이 점차 증가하다
가 일정 세기 이상이 되면 광합성량이 일정해지
44)[정답] ④
며 증가하지 않는다.
[해설] 광합성 산물은 식물체의 호흡과 생명활동에 필
요한 에너지원으로 이용되고 남은 양분은 녹말,
38)[정답] ② 지방 등의 다양한 형태로 전환되어 뿌리, 줄기,
[해설] 온도가 높아질수록 광합성량이 증가하다가 일 열매, 씨앗 등 여러 곳에 저장된다.
정 온도 이상에서는 광합성량이 급격히 감소하므
로 (가)에 해당한다. 빛의 세기와 이산화탄소의
45)[정답] ②
농도가 높아질수록 광합성량이 증가하다가 일정
[해설] 광합성 산물은 낮에 최초 산물인 포도당이 만
해지므로 (나)에 해당한다. ㄹ)광합성을 하면 산소
들어지고 잎에서 녹말 형태로 잠시 저장되어 있
가 배출되므로 광합성량은 산소의 발생량으로 알
다가 밤이 되면 설탕 형태로 체관을 통해 저장
수 있다.
기관으로 운반된다.

39)[정답] ⑤
46)[정답] ③
[해설] 광합성량은 이산화탄소의 농도와 빛의 세기가
[해설] 호흡은 양분을 분해하여 생활에 필요한 에너지
증가할수록 증가하다가 어느 정도 이상이 되면
를 얻는 과정으로 낮이나 밤에 관계없이 항상 일
일정해진다. 또한 온도가 증가할수록 광합성량은
어나며 꽃이 피거나 싹이 틀 때, 생장할 때 왕성
증가하지만 일정 이상(약 40℃ 부근)이 되면 급격
하게 일어난다. 3)양분을 생성하고 저장하는 곳은
하게 떨어지는 경향을 보인다.
엽록체이고 호흡은 양분을 분해하는 곳인 미토콘
드리아에서 일어난다.

47)[정답] ④
[해설] 1)미토콘드리아에서 일어난다. 2)포도당과 산소
40)[정답]
가 원료이다. 3)유기물을 분해하여 무기물을 만든
[해설] 빛의 세기와 이산화탄소의 농도는 증가할수록 다. 5)산소를 흡수하고 이산화탄소를 방출한다.
광합성량도 증가하지만 어느 시점 이상이 되면
더 이상 증가하지 않고 일정하게 유지된다.
온도는 증가할수록 광합성량도 증가하지만 어느 (가) A B C
시점 이상이 되면 급격하게 감소한다. 48)[정답] (1) 물관 이산화탄소 포도당 산소

(2)엽록체
41)[정답] ⑤ (3)포도당  산소→물  이산화탄소  에너지
[해설] ㄱ)이산화탄소의 농도는 광합성량에 영향을 끼 [해설] 1)(가)는 뿌리에서 흡수한 물이 이동하는 통로
친다. ㄴ)온도가 높아질수록 광합성량이 증가하다 인 물관이고 A는 기공을 통해 흡수되는 이산화탄

I410-ECN-0199-2022-001-000168447
I410-ECN-0199-2022-001-000168432 - 15 -
화산중 대비

소이다. B는 광합성 결과 최초로 생기는 산물인 당하며 시금치 잎 조각이 떠오르는 데 걸리는 시
포도당이고 C는 기공을 통해 빠져나가는 산소이 간을 통해 광합성량을 비교할 수 있다. 전등이
다. 2)광합성은 식물세포 내의 엽록체에서 일어난 켜진 개수가 많을수록 시금치 잎 조각이 떠오르
다. 3)식물의 호흡은 산소를 이용해 포도당을 분 는 데 걸리는 시간이 짧아지므로 빛의 세기가 세
해하여 물과 이산화탄소를 생성하고 생활에 필요 질수록 광합성량이 증가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 에너지를 얻는 과정이다.

55)[정답] ⑤
49)[정답] ④ [해설] 5)전등이 켜진 개수가 늘어날수록 빛의 세기가
[해설] 1)식물이 호흡을 할 때는 양분을 분해하여 에 세지기 때문에 시금치 잎에서 광합성이 활발하게
너지를 생성한다. 2)빛에너지를 포도당에 저장하 일어나 산소가 많이 발생하므로 잎 조각이 떠오
는 과정은 광합성이다. 3)호흡은 살아있는 모든 르는 데 걸리는 시간이 짧아진다.
세포에서 일어난다. 5)광합성량이 호흡량보다 많
아지면 식물에서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방출한다.

50)[정답] ③
[해설] ㄱ)㉠은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방출하
므로 광합성을 나타내고 ㉡은 산소를 흡수하고
이산화탄소를 방출하므로 호흡을 나타낸다. ㄴ)빛
이 없으면 광합성이 일어나지 않고 빛의 세기가
셀수록 광합성이 활발해진다. 따라서 (가)는 빛의
세기가 센 낮, (나)는 빛이 없는 밤, (다)는 빛의
세기가 약한 아침과 저녁을 나타내므로 빛의 세
기는 (가)>(다)>(나)이다. ㄷ)(다)는 광합성량과 호
흡량이 같아 외관상 식물체로 흡수되거나 방출되
는 기체가 없다.

51)[정답] ③
[해설] 광합성으로 맨 처음 만들어지는 양분은 포도당
(A)으로 잎에서 녹말(B)로 전환되어 저장되었다가
밤에 설탕(C)으로 바뀌어 체관을 통해 각 기관으
로 이동한다.

52)[정답] ①
[해설] 광합성 결과 발생되는 기체는 산소이다.

53)[정답] ②
[해설] 전등의 거리를 조절하면 빛의 세기가 달라지므
로 빛의 세기와 광합성량의 관계를 알아볼 수 있
고 거리가 가까울수록 빛의 세기가 세져 광합성
이 활발하게 일어난다.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은
광합성에 필요한 이산화탄소를 공급한다.
2)기포는 광합성 결과 생성되는 산소로 기포가
많이 발생할수록 광합성이 활발하게 일어남을 알
수 있다.

54)[정답] ②
[해설] 실험에서 전등이 켜진 개수는 빛의 세기에 해

I410-ECN-0199-2022-001-000168447
I410-ECN-0199-2022-001-000168432 - 16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