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0

[한국과학기술원(KAIST) 문항정보 1]

1. 일반정보

유형 □ 논술고사 ■ 면접 및 구술고사
전형명 일반전형
해당 대학의 계열(과목) /
수학 / 문제1
문항번호
수학과 교육과정
미적분Ⅰ, 미적분Ⅱ, 기하와 벡터
출제 범위 과목명
핵심개념 및 용어 극한, 적분, 평면운동에서의 이동 거리
예상 소요 시간 10분

2. 문항 및 제시문

문제1. 반지름이 1인 반원 2개와, 가로와 세로의 길이가 각각 , 2인 직사각형



으로 이루어진 트랙(아래 그림)에 반지름이  인 작은 원이 외접하여 돌고 있다.

작은 원이 트랙을 한 바퀴 돈다고 할 때, 작은 원 위에 고정된 한 점이 그리는


궤적을 생각해 보자.  은 짝수라고 하자. (총 4점)

(1) 이 궤적으로 둘러싸인 면적의  이 무한대로 갈 때의 극한값을 구하고, 그에 대


한 논리적 근거를 설명하시오.

(2) 이 궤적의 곡선의 길이를 구하고,  이 무한대로 갈 때의 극한값을 구하시오.


3. 출제 의도

본 문제는 주어진 상황을 이해하고, 수학적인 수식으로 표현하여 극한과 적분개념을

이용하여 해결하는 능력을 평가하고자 한다.

(1) 도형의 성질을 파악하여 부등식을 세우고, 세운 식을 극한의 성질과 극한의 대소관계를

이용하여 해결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는 문제이다.

(2) 주어진 상황을 삼각함수를 이용하여 식을 세우고, 세운 식을 미분과 적분을 이용하여

해결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는 문제이다.

4. 출제 근거

가) 교육과정 및 관련 성취기준

문항 및 제시문 관련 성취기준

교육과정 [미적분Ⅰ]-(1) 수열의 극한-(가) 수열의 극한

(1)
성취기준・ 미적1112. 수열의 극한에 관한 기본 성질을 이해하고, 이를 이용하여 극한값을
성취수준 구할 수 있다.

[미적분Ⅱ]-(2)삼각함수-(가) 삼각함수의 뜻과 그래프


교육과정 [미적분Ⅱ]-(2)삼각함수-(나) 삼각함수의 미분
[기하와벡터]-(2)평면벡터-(다) 평면운동
(2)
미적2213. 삼각함수를 활용하여 간단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성취기준・
미적2223. 사인함수와 코사인함수를 미분할 수 있다.
성취수준
기벡1232. 정적분을 이용하여 속도와 거리에 대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나) 자료 출처

참고자료 도서명 저자 발행처 발행 연도 쪽수

미적분Ⅰ 김원경 외 비상교육 2014.3.1 18

고등학교 미적분Ⅱ 김원경 외 비상교육 2014.3.1 51-56


교과서 미적분Ⅱ 김원경 외 비상교육 2014.3.1 85-86

기하와 벡터 김원경 외 비상교육 2014.3.1 98-100

기타
5. 문항 해설

(1)번은 구하고자 하는 면적보다 작은 면적과 큰 면적을 찾아 극한 개념과 극한의 대소 관계에 대한 성질을


활용하여 구하고자 하는 면적을 구하는 문항이다. (2)번은 궤적의 자취를 이해하고, 궤적위의 임의의 점의
좌표를 삼각함수를 이용하여 구한다. 구한 임의의 점의 궤적의 길이를 정적분을 이용하여 구하는 문항이다.

6. 채점 기준

하위
채점 기준 배점
문항
- 큰 트랙의 면적이 원래 트랙의 면적으로 수렴함을 설명한 경우 1점
(1) (즉, 두 트랙 사이의 튜브면적이 0으로 수렴) 1점
- 답은 맞으나, 이에 대한 논리적인 설명이 부족한 경우는 부분점수 0.5점
- 직선 구간을 돌 때 궤적의 길이 4를 계산하면 1점
- 이에 원호 구간을 돌 때 궤적의 좌표식을 구하면 추가 1점(총 2점)
- 이에 원호 구간을 돌 때 궤적의 길이 및 총 길이의 극한값을 계산하면 추가 1점
(총 3점)
(2) 3점
(원호 구간의 좌표식 및 길이 계산 없이 원호 구간을 돌 때 궤적의 길이가 직선 구간을
돌 때 궤적의 길이와 같다고 설명하고, 직선 구간을 돌 때 궤적의 길이 4의 4배를 하여
16을 답하면 총 2점)

7. 예시 답안

(1) 정답: 
이 궤적으로 둘러싸인 영역은 원래 트랙과 거기에서

 만큼 떨어진 트랙(점선) 사이에 존재. 따라서

그 영역의 면적 A는 원래 트랙(실선) 면적과 큰
트랙(점선)의 면적의 사이에 있음.
 
즉,    ≤  ≤            이고, 따라서  이 무한대로 갈 때  로 수렴.
 

(2) 정답: 16

곡선 부분과 직선 부분의 길이가 모두  로 작은 원의 둘레(  )의 n/2 배이고, n

은 짝수이므로, 정수배가 된다. 따라서, 작은 원 상의 고정점의 위치(각도)는 각
구간의 시작과 끝에서 제자리가 된다.
직선 위를 구르는 경우를 먼저 생각해 보면, 고정된 점이 그리는 궤적은
  
          sin      cos    ≤  ≤  이므로 곡선의 길이를 구하기 위해,
  
′  ′    cos   sin  를 대입하여
  

 

′    ′      
 
  cos      sin     
  

따라서 직선구간을 구를 때의 궤적은 아래 위 합하여 8이 된다.

원호 구간을 구를 때의 궤적의 방정식을 구해보자.


작은 원의 중심의 좌표는
 
     cos      sin    ≤  ≤  이 되고,
 
따라서 작은 원위의 고정된 한 점의 좌표를
    라고 할 때, 작은 원의 중심이  만큼
회전 할 때, 작은 원 자체는  만큼 회전하는
데, 이동한 원의 중심에서 본 각도는    만
큼 회전하게 된다. 좌측의 그림에서    일 때, 작은 원의 중심에서 본 고정점의
각이  에서 시작하므로, 고정점의 (작은 원의 중심에 대한) 각은      가 된
다. 따라서, ( cos      cos   sin       sin  를 이용하면), 궤적의 매개좌표
는 아래와 같다.
   
        cos    cos      ,         sin    sin     
   
곡선의 길이를 구하기 위해
    
′        sin    sin      , ′        cos    cos     
   
를 계산하여 길이를 구하면,


 


′    ′    


 
       sin  sin       cos  cos      
 
  
     
      cos         cos          cos  
      

   
     sin      
   
 
원호 구간 2번과 직선 구간 2번을 모두 더하면     이고, 따라서 극한값은

16 이다.

[다른 풀이] 원호 구간을 돌 때 궤적의 길이는 n이 커지면서 직선 구간을 돌 때


궤적의 길이로 수렴하는데, 이것은 n 이 커지면서 1/n 스케일에서 보았을 때 (즉,
작은 원의 입장에서 보았을 때), 반지름이 1인 원이 거의 평평한 직선으로 근사되
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극한값이 직선구간을 돌 때 궤적 의 길이 (  를 굴렀을
때)와 같다는 것을 계산 없이 짐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답안에 총 2점 부여)
8. 총 평

[고등학교 수학교사 A]

학생들이 많이 접해 본 직선과 원에 관련된 문제이다. 주어진 상황을 직관적으로 이해하고, 논리적인 수식을
세워 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 다룬 수열의 극한, 삼각함수, 미분, 적분 등을 활용하여 해결하는 문제이다.
뛰어난 직관적인 이해력과 공간지각력이 바탕이 된다면 [미적분Ⅰ], [미적분Ⅱ], [기하와 벡터] 등의
교과서를 충실히 공부하며 문제해결력을 익힌 학생은 어렵지 않게 해결할 수 있는 문제이다.

[고등학교 수학교사 B]

싸이클로이드 곡선 위의 점의 좌표를 구하고 속력과 곡선의 길이를 구하는 과정은 대부분의 [기하와 벡터]
교과서에 수록되어 있으며, 일반각의 정의와 삼각함수를 이용하여 원 위를 움직이는 좌표를 구하는
문제유형 또한 익숙한 유형이다. (1)에서 제시된 도형의 넓이를 구하지 않고 부등식을 세워 극한의 성질을
이용하는 과정은 창의력을 평가하기에 적합하다. [미적분Ⅰ], [미적분Ⅱ], [기하와 벡터] 등의 교과서
내용을 충실히 이해하고 문제해결력 향상을 위해 노력한 학생은 어렵지 않게 해결할 수 있는 문제이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문항정보 2]

1. 일반정보

유형 □ 논술고사 ■ 면접 및 구술고사
전형명 일반전형
해당 대학의 계열(과목) /
수학 / 문제2
문항번호
수학과 교육과정
확률과 통계,
출제 범위 과목명
핵심개념 및 용어 판별식, 조건부확률
예상 소요 시간 10분

2. 문항 및 제시문

문제2. 1부터 6까지 모든 정수가 같은 확률로 나오는 주사위를 두 번 던져서


첫 번째에 나온 수를 a, 두 번째 던졌을 때 나온 수를 b라 하자.

이차함수          를 생각하자. (총 6점)

(1)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x)≥0일 확률은 얼마인가?


(2) 동전을 던져서 앞면이 나오면 f(x)=2019의 두 실수해 중 큰 것을 r이라고 하고,
뒷면이 나오면 두 실수해 중 작은 것을 r이라고 하자. r의 기댓값을 구하시오.
(3)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x)≥0이었다고 할 때, 점   에서의 접선이 (0,0)을
지나며  ≥  인  가 존재할 확률은 얼마인가?

3. 출제 의도

본 문제는 주어진 상황을 이해하고, 이차함수와 이차방정식의 문제 상황에 확률개념을

접목하여 외적문제해결능력을 평가하고자 한다.

(1) 이차함수의 그래프와  축의 교점이 존재하지 않을 조건을 찾고, 그 조건을 만족하는

  가 취할 수 있는 값을 찾아 확률의 정의를 적용하는 능력을 보고자 한다.

(2)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와의 관계를 활용하여 기댓값을 구하는 능력을 보고자 한다.

(3) 도함수를 활용하여 이차함수의 그래프의 접선의 방정식을 구할 수 있는지, 문제해결

상황에서 조건부확률의 정의를 정확히 이해하여 활용할 수 있는지를 보고자 한다.


4. 출제 근거

가) 교육과정 및 관련 성취기준

문항 및 제시문 관련 성취기준
[수학Ⅰ]-(2)방정식과 부등식-(나)이차방정식과 이차함수-① 이차함수와 이
차방정식의 관계를 이해한다.
교육과정
[확률과통계]-(2)확률-(가)확률의 뜻과 활용-① 통계적 확률과 수학적 확률
(1) 의 의미를 이해한다.
수학1221. 이차함수와 이차방정식의 관계를 설명할 수 있다.
성취기준・
확통1211/1212. 통계적 확률, 수학적 확률의 의미와 확률의 기본 성질을 이해
성취수준
한다.
[수학Ⅰ]-(2)방정식과 부등식-(가)복소수와 이차방정식-④이차방정식에서
근과 계수의 관계를 이해한다.
교육과정
[확률과통계]-(3)통계-(가)확률분포-②이산확률변수의 기댓값(평균)과 표
(2) 준편차를 구할 수 있다.
성취기준・ 수학1214. 이차방정식에서 근과 계수의 관계를 이용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성취수준 확통1312-1. 이산확률변수의 기댓값(평균)을 구할 수 있다.
[미적분Ⅰ]-(3)다항함수의 미분법-(다)도함수의 활용-① 접선의 방정식을
구할 수 있다.
교육과정
[확률과통계]-(2)확률-(나)조건부확률-① 조건부확률의 뜻을 알고, 이를 구
(3) 할 수 있다.

성취기준・ 미적1331. 접선의 방정식을 구할 수 있다.


성취수준 확통1221. 조건부확률의 뜻을 알고, 이를 구할 수 있다.

나) 자료 출처

참고자료 도서명 저자 발행처 발행 연도 쪽수


수학Ⅰ 김원경 외 비상교육 2014.3.1 67-69
수학Ⅰ 김원경 외 비상교육 2014.3.1 58-61
고등학교 확률과통계 김원경 외 비상교육 2014.3.1 57-62
교과서 확률과통계 김원경 외 비상교육 2014.3.1 97-103
미적분Ⅰ 김원경 외 비상교육 2014.3.1 97-99
확률과통계 김원경 외 비상교육 2014.3.1 73-76
기타

5. 문항 해설

(1)번은 이차함수의 그래프와  축의 교점이 존재하지 않을 조건을 찾고, 그 조건을 만족하는

  가 취할 수 있는 값을 찾아 조건에 맞는 확률을 구하는 문제이다. (2)번은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와의 관계를 활용하여 기댓값을 구하는 문제이다. (3)번은 도함수를 활용하여

이차함수의 그래프의 접선의 방정식을 구하고, 문제 상황에서 구하고자 하는 확률이

조건부확률을 묻는 문제인지를 이해하고 구한 접선의 방정식을 이용하여 확률을 구하는

문제이다.
6. 채점 기준

하위
채점 기준 배점
문항

- 정확한 답을 구한 경우 2점
(1) 2점
- 계산실수를 하였으나 판별식 값이 0 이하가 되어야 함을 착안한 경우 1점

- 정확한 답을 구한 경우 2점

-  를 고정하였을 때, 두 해의 평균이   임을 근과 계수 사이의 관계를 정확하게

(2) 2점
이용하거나, 근의 공식을 이용하여 서술한 경우 부분점수 1점

- 부호만 틀려서  라고 답하는 경우 부분점수 1점

- 정확한 답을 구한 경우 2점

(3)   2점
- 조건부 확률을 구하지 않고    을 구하거나, 혹은 12가지 경우에  ≥ 이면서
 
원점에서 그은 접선이  ≥ 인 곳에서 접함을 보인 경우 부분점수 1점

7. 예시 답안


(1) 정답: 

2차식이 항상 0 이상이 되려면 그 판별식의 값이 0 이하가 되어야 한다.
즉,      ≤  이어야 하므로  ≤ 
 를 만족시켜야 한다.
그러한 경우의 수는 b=1, 2, 3, ..., 6에 대하여 각각 
  개씩 있다.
([x] : x보다 크지 않은 가장 큰 정수를 나타내는 기호)
경우의 수를 다 합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가 된다.

총 36개 경우 중에서 이렇게 될 확률을 구하는 것이므로, 확률은  이 된다.

경우를 모두 써보면 아래와 같다.
(a,b)= (1,1), (2,1), (1,2), (2,2), (1, 3), (2, 3), (3,3), (1,4), (2,4), (3,4), (4,4),
(1,5), (2,5), (3,5), (4,5), (1,6), (2,6), (3,6), (4,6)

(별해:  ≥  라는 것에 착안하여 a=1,2,3,4,5,6 각각별로 셀 수도 있음.

a=1, 2이면 b=1~6 / a=3이면 b=3~6
a=4이면 b=4~6 / a=5,6이면 가능한 b가 없음)
(2) 정답: -7/4 (혹은 –1.75)

근과 계수 사이의 관계를 사용하면 f(x)=2019의 두 해의 합은 –a이므로 a, b를



고정한 상황에서 r의 기댓값은 두 해의 평균인       가 된다. a가 1~6까지


변할 수 있고 같은 확률로 나타나므로 a의 기댓값은 그 평균인    

가 된다.
  
따라서 r의 기댓값은         
  


(3) 정답: 

이 문제는 조건부 확률을 묻는 문제이다.

첫 번째 풀이: 곡선 위의 점에서 접선의 방정식을 이용


    에서 접선의 기울기는 ′       이다. 따라서 접선의 방정식을 써보면
             가 된다. 이 접선이 y축을 만나는 지점은 x=0을 대입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임을 얻는다. 이때 y=0이 되려면
      이어야 한다. 따라서  ≥  가 되려면  ≥  가 되어야 한다.
b≥4이면서    ≤  인 경우는 
   
   
          가지가 있다.
따라서 이 문제가 묻는 조건부 확률, 즉    ≤  인 경우에  ≥  가 될 확률은

전체 19개 경우 중 12가지 경우이므로  가 된다.


두 번째 풀이: 원점을 지나고 이 곡선에 접하는 직선의 방정식을 찾는 방식


(0,0)을 지나고 y=f(x)에 접하는 직선을 y=sx라고 하자. 이 직선이 y=f(x)에 접해야
하므로 f(x)=sx라는 식의 해가 중근이 나와야 한다. 따라서        의 판별
식은 0, 즉         이 되어야 하고 이것을 풀면
   ± 
 가 된다.
이제 s 값이 저렇게 될 때 그 중근이 x≥2이 될 조건을 구하기로 하자. 일단 f(x)가
항상 0 이상이라고 하였고 (1)에서 그렇게 될 조건이  ≤  임을 알고 있기 때
문에   
 ≤  이 된다. 그런데 원점에서 기울기가 0 이하인 직선이라면 y=f(x)
를 만나는 곳은 x<0인 곳 밖에 될 수 없다. 따라서 x≥2인 곳에서 y=sx가 y=f(x)
를 만나려면     
 이어야 한다.
         
  식을 풀면   
    이 나와서   
 가 된다. (혹은 이
식을 미분하여 얻어지는 2x+a=s에서 x를 구할 수도 있다.)
따라서 
 ≥  가 될 확률, 즉    ≤  인 경우에  ≥  가 될 확률을 구하면 된다.
이제 남은 부분은 첫 번째 풀이와 같다.

8. 총 평

[고등학교 수학교사 A]

이차함수의 그래프,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와의 관계, 도함수의 활용, 확률의 뜻, 조건부 확률 등 많은


수학적인 개념들을 정확히 이해하고 있는지 그 관계가 어떻게 맺어지는지 등 수학의 외적해결능력을 묻는
문제이다. 특히 문제 상황에서 조건부확률을 묻는 문제인지를 정확히 판단해내는 과정을 통해 수학적인
능력을 평가하기에 아주 좋은 문제이다. 특히 교육과정에 매우 충실하게 출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수학에
대한 영재성을 판단하기에 매우 적절하게 잘 제작되었다.

[고등학교 수학교사 B]

이 이차함수의 그래프와 이차방정식 사이의 관계, 이산확률분포에서 평균의 성질, 조건부확률, 미분법
등 고등학교 수학 교육과정을 충실히 수행하여 개념을 정확히 이해하고 있는지를 평가할 수 있는 문항이며,
여러 단원의 내용이 융합되어 있어 학생들의 창의성과 문제해결력을 평가하기에 매우 적절한 문항이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문항정보 3]

1. 일반정보

유형 □ 논술고사 ■ 면접 및 구술고사
전형명 학교장추천전형, 고른기회전형
해당 대학의 계열(과목) /
수학 / 문제1
문항번호
수학과 교육과정
미적분Ⅱ, 기하와 벡터
출제 범위 과목명
핵심개념 및 용어 삼각함수의 뜻, 삼각함수의 극한, 공간좌표

예상 소요 시간 10분

2. 문항 및 제시문

문제1.
(1) 한 변의 길이가  이고  개 (  ≥  )의 변을 가진 정다각형의 넓이를     라
 
표기하자. 주어진 양의 정수  에 대해 lim  를 구하시오.
→∞  


(2) 한 변의 길이가     인 정이십각형을 밑면으로 하고 밑면을 포함하는

평면 밖의 한 점 를 꼭짓점으로 가지는 각뿔을  라고 하자. 이 정이십각형의
꼭짓점 중 하나를 이라 하고 정이십각형의 변을 따라 시계 반대 방향으로 이

동할 때 만나는 꼭짓점을 각각  ⋯ 라 표기하자.  , 


   
,

 
 일 때  의 부피를 구하시오.
(단, 계산과정에서 나올 수 있는 삼각함수 값을 정확히 구할 필요는 없음.)
(총 5점)

3. 출제 의도

본 문제는 주어진 조건을 이해하고, 수학적인 수식으로 표현하여 삼각함수의 뜻, 삼각함수의

극한 및 공간좌표을 이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평가하고자 한다.

(1) 정다각형의 성질과 삼각함수의 뜻을 이용하여 정다각형의 넓이를 구하고, 삼각함수의


극한의 성질을 이용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는 문제이다.

(2) 주어진 상황에서 좌표공간을 도입하여 각뿔 밑면의 꼭짓점의 공간좌표를 구하고, 주어진

선분의 길이로부터 좌표공간에서 두 점 사이의 거리를 이용하여 식을 세우고, 각뿔

밑면 밖에 있는 꼭짓점의 공간좌표를 구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는

문제이다.

4. 출제 근거

가) 교육과정 및 관련 성취기준

문항 및 제시문 관련 성취기준

[미적분Ⅱ]-(2)삼각함수-(가) 삼각함수의 뜻과 그래프


교육과정
[미적분Ⅱ]-(2)삼각함수-(나) 삼각함수의 미분

(1)

성취기준・ 미적2212-1. 삼각함수의 뜻을 알고, 간단한 삼각함수의 값을 구할 수 있다.


성취수준 미적2222. 삼각함수의 극한을 구할 수 있다.

[미적분Ⅱ]-(2)삼각함수-(가) 삼각함수의 뜻과 그래프


교육과정
[기하와벡터]-(3)공간도형과 공간벡터-(나) 공간좌표

(2)

성취기준・ 미적2212-1. 삼각함수의 뜻을 알고, 간단한 삼각함수의 값을 구할 수 있다.


성취수준 기벡1322. 좌표공간에서 두 점 사이의 거리를 구할 수 있다.

나) 자료 출처

참고자료 도서명 저자 발행처 발행 연도 쪽수

미적분Ⅱ 김원경 외 비상교육 2014.3.1. 83

미적분Ⅱ 김원경 외 비상교육 2014.3.1. 91


고등학교
교과서
미적분Ⅱ 우정호 외 두산동아 2014.3.1. 108

기하와 벡터 황선욱 외 좋은책 신사고 2014.3.1. 129

기타
5. 문항 해설

(1)번은 정다각형의 넓이를 구하고, 삼각함수의 극한의 성질을 이용하여 극한값을 구하는 문항이다. (2)번은
정이십각형의 한 변의 길이를 이용하여 외접원의 반지름을 구하고, 좌표공간을 도입하여 정이십각형을
평면에 놓고 외접원의 중심이 원점이 되게 한다. 주어진 꼭지점의 공간좌표를 구하고, 선분의 길이를
이용하여 각뿔의 밑면 밖에 있는 꼭짓점의 공간좌표를 구하여 각뿔의 부피를 구하는 문항이다.

6. 채점 기준

하위
채점 기준 배점
문항
- 정확한 답과 근거 제시한 경우 2점
- 넓이  를 구하고 정확한 답은 구했지만 근거를 제시하지 못한 경우 1.5점
(1) 2점
- 넓이  를 구했을 경우 1점
- 정확한 답은 제시했지만 근거를 제시하지 못한 경우 0.5점
- 정확한 답 제시한 경우 3점
- 각뿔  의 높이를 구했을 경우 2점
(2) 3점
- 공간좌표나 수선의 발 등을 이용해 각뿔의 높이를 해로 가지는 식을 구했지만 계산을
하지 못한 경우 1점

7. 예시 답안

(1) 정답: 
한 변의 길이가  이고  개의 변을 가진 정다각형을     이라고 하자.     의

외접원의 중심에서     의 한 변  에 수직으로 그은 선분의 길이는 

    

이다 (아래 그림 참조).

따라서 외접원의 중심과 변  의 두 꼭짓점으로 이루어진 삼각형의 넓이는



 이 된다. 다각형     은 이와 같은  개의 삼각형으로 분할되기에

    

  sin  
      을 얻게 된다. 치환    과 lim    를 이용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lim    lim    lim      이 된다.

→ ∞     → ∞  →      

tan       
 
 
      
sec   
 
(로피탈 정리를 적용해  lim       를 구해도 된다).
→ ∞   
tan       sec   
   

 


(2) 정답:      






   

3차원 좌표를 도입해 다음과 같이 각뿔을 표현하자. 주어진 정다각형을  평면에

놓고 외접원의 중심이 원점(=  )이 되게 하자. 변의 길이가     이므로 외

접원의 반지름은  이 되고 회전을 통해 꼭짓점   을  축에 위치시키면   의 좌

표는        이 된다. 각      가  이고 꼭짓점     가 각각 꼭짓점   으

로부터   번째에 위치하므로 이들의 좌표는        ,          가 된다
(아래 그림 참조).

각뿔  의 밑면 밖에 있는 꼭짓점을        라고 하자. 주어진 세 선분의 길


이가 각각 
  
  
 이므로 좌표를 이용한 두 점의 길이로부터 세 개의 방정
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를 얻게 되고 이
  
로부터            을 얻을 수 있다. 즉        이 된다.   를 위 세
  
 
방정식 중 하나에 대입하면      


를 얻게 된다.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의 부피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가 된다.


8. 총 평

[고등학교 수학교사 A]
(1)번 문제는 주어진 조건을 이용하여 정다각형의 넓이를 삼각함수를 이용하여 나타내고 삼각함수의
극한을 구하는 문제로서 많은 학생들에게 익숙한 문제이다. (2)번 문제는 (1)번 문제의 아이디어와 기하와
벡터에서 배운 공간도형과 공간좌표개념을 융합하여 활용하는 문항으로서 충분한 기본개념 학습과
공간지각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좋은 문제이다.

[고등학교 수학교사 B]
정다각형의 넓이, 삼각함수의 극한값을 구하는 문제는 학생들에게 익숙한 문제이다. 또한 공간도형에서
선분의 길이나 부피를 구할 때 좌표공간을 도입하여 주어진 조건으로부터 공간좌표를 구하여 해결하는
문제는 교과서 및 EBS 교재에 수록되어 있다. 따라서 [미적분Ⅱ], [기하와 벡터] 등의 교과서를 충실히
공부하며 문제해결력을 배양한 학생은 어렵지 않게 해결할 수 있는 문제이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문항정보 4]

1. 일반정보

유형 □ 논술고사 ■ 면접 및 구술고사

전형명 학교장추천전형, 고른기회전형

해당 대학의 계열(과목) /
수학 / 문제2
문항번호
수학과 교육과정
수학Ⅰ, 미적분Ⅰ, 미적분Ⅱ
과목명
출제 범위
대칭이동, 미분계수(순간변화율), 속도,
핵심개념 및 용어
삼각함수 사이의 관계, 삼각함수의 미분
예상 소요 시간 10분

2. 문항 및 제시문

문제2.  , 
      인 직사각형 ABCD의 세 변 
 , 
 , 
 의 안쪽이
거울로 되어 있어서 빛이 반사된다고 한다. 변 DA의 중점을 M이라 하자. 점 A
에서 변 
 와 이루는 각이  가 되도록 빛을 직사각형 내부로 쏘았을 때 빛이

처음으로 변 
 와 다시 만나게 되는 점을 P라 하자. (단,  ≤  ≤  )



처음에는  가 0이며 1초당  의 속도로 일정하게  값을 증가시킨다고 하자.

(총 5점)

(1) P가 처음으로 M과 같아질 때  는 얼마인가?



(2)  가  인 순간 빛이 A에서 P까지 이동한 총 거리와 선분 
 의 길이를 구

하시오.
(3) P가 n번째로 M과 같아질 때 P가 움직이는 속력을 이라고 하자.
(단,    ) 을 구하시오.

3. 출제 의도

본 문제는 직사각형의 내부에서의 빛의 반사를 직선에 대한 대칭이동을 이용하여 빛은

직선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변환하여 삼각함수의 뜻, 미분계수(순간변화율), 삼각함수의

미분을 이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평가하고자 한다.

(1), (2) 주어진 상황을 파악하고 대칭이동과 삼각함수의 뜻을 이용하여 해결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는 문제이다.

(3) 주어진 상황을 파악하여 대칭이동을 이용하여 빛이 도달하는 지점을 좌표평면에서

좌표로 나타내고 삼각함수의 미분을 이용하여 해결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는 문제이다.

4. 출제 근거

가) 교육과정 및 관련 성취기준

문항 및 제시문 관련 성취기준

[수학Ⅰ]-(3)도형의 방정식-(라)도형의 이동
교육과정
[미적분Ⅱ]-(2)삼각함수-(가) 삼각함수의 뜻과 그래프

(1)
수학1342-1. 원점,  축,  축에 대한 대칭이동의 의미를 이해하고, 대칭이동한 도형
성취기준・
의 방정식을 구할 수 있다.
성취수준
미적2212-1. 삼각함수의 뜻을 알고, 간단한 삼각함수의 값을 구할 수 있다.

[수학Ⅰ]-(3)도형의 방정식-(라)도형의 이동
교육과정
[미적분Ⅱ]-(2)삼각함수-(가) 삼각함수의 뜻과 그래프

(2)
수학1342-1. 원점,  축,  축에 대한 대칭이동의 의미를 이해하고, 대칭이동한 도형
성취기준・
의 방정식을 구할 수 있다.
성취수준
미적2212-1. 삼각함수의 뜻을 알고, 간단한 삼각함수의 값을 구할 수 있다.

[미적분Ⅰ]-(3)다항함수의 미분법-(다) 도함수의 활용


[미적분Ⅱ]-(2)삼각함수-(가) 삼각함수의 뜻과 그래프
교육과정
[미적분Ⅱ]-(2)삼각함수-(나) 삼각함수의 미분
[미적분Ⅱ]-(3)미분법-(가) 여러 가지 미분법
(3)
미적1336. 속도와 가속도에 대한 문제에 활용할 수 있다.
미적2221-1. 코시컨트함수, 시컨트함수, 코탄젠트함수의 뜻을 알고, 삼각함수 사이
성취기준・
의 관계를 이해한다.
성취수준
미적2223. 사인함수와 코사인함수를 미분할 수 있다.
미적2311. 함수의 몫을 미분할 수 있다.

나) 자료 출처

참고자료 도서명 저자 발행처 발행 연도 쪽수

수학Ⅰ 김원경 외 비상교육 2014.3.1. 167

수학Ⅰ 황선욱 외 좋은책 신사고 2014.3.1. 167


고등학교
미적분Ⅰ 황선욱 외 좋은책 신사고 2014.3.1. 92, 133
교과서
미적분Ⅱ 김원경 외 비상교육 2014.3.1. 129

미적분Ⅱ 우정호 외 두산동아 2014.3.1. 128

기타
5. 문항 해설

(1)번은 빛이 도달하는 지점이 주어졌을 때, 대칭이동과 삼각함수의 뜻을 이용하여 각을 구하는 문항이다.


(2)번은 각이 주어졌을 때, 대칭이동과 삼각함수의 뜻을 이용하여 빛이 이동한 거리를 구하는 문항이다. (3번)은
직사각형ABCD 를 점 A 가 원점, 선분 AB 를 축, 선분 AD 가 축 위에 놓이게 좌표평면을 도입하고 직선에
대한 대칭이동을 이용하여 빛은 직선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변환하여 점 P 의 위치를 좌표로 나타내어
삼각함수의 미분을 이용하여 점 P 의 이동 속도를 구하는 문항이다.

6. 채점 기준

하위
채점 기준 배점
문항
- 정확한 답을 제시한 경우 1점
(1)  1점
(비록 문제에서  ≤  ≤  라고 하였으나, 를 라고 하여도 인정)

- 정확한 답을 제시한 경우 2점
(2) - 빛이 이동한 거리 
 , P와 A사이의 거리 2 중 하나만 구한 경우 1점 2점

-  식을 n에 관한 2차식 형태로 맞게 대답한 경우 2점 2점


(3)
- tan 미분은 잘 알고 사용하였으나, 답을 계산 실수로 틀린 경우 1점

7. 예시 답안

좌표평면위에서 A가 (0,0), B가 


    , C가 
   ,D가     에 있다고 하자.

이 문제를 쉽게 풀기 위해서는 빛이 반사되어 움직


이는 대신 빛은 직선으로 이동하고 대신 원래 그림을
그 직선으로 대칭이동 시켜서 생각하는 것이 편리하다.
그러면 결국 왼쪽 그림처럼 y=8, y=16, y=24,...와
같은 직선은 직선AB와 같아지며, y=4, 12, 20, ...과
같은 직선은 직선 CD와 같아진다. 직선 BC에
대칭이동시켜 생각하면   
 은 직선 DA와 같다.

(1) 점 M은 (0,2)에 위치하며 이 점은 정수 n에 대하여 


      와 같다. x를
증가시켰을 때 가장 먼저 만나는 점은 
    이 되고, 원점에서  
    를 잇는
  
직선의 기울기는 tan     이 되어    (혹은 30도)를 얻는다.
 
 
 
다른 풀이: 대칭성을 착안하지 못하여도 아래처럼 풀 수 있다.
빛이 처음으로 M을 만나려면 빛이 BC 위의 점 
    에서

반사하면 된다. 따라서 각도는 tan   에서 얻을 수 있다.



답: 


(2)  가  인 경우 tan  
 이므로 y= 
 인 직선이    
 인 직선을 만나는

지점은 
    이 된다. 이때  
    는 D와 같고  
    은 A와 같으므로 P는
M과 같아진다. 즉 P와 A 사이 거리는 2가 된다.
한편 빛이 이동한 거리는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해 

      
    
   
 이된
다.

답: A에서 P까지 이동한 총 거리= 


 , 선분 AP의 길이=2

참고: 대칭성을 착안하지 못하여도 다음 그림처럼 빛의 반사 경로를 추적하여 구할


수 있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 P의 직선   
 위에서의 y 좌표를 y라고 하면    
 tan 가 된다.
  
1초당 가  씩 일정하게 증가하므로    이다. 따라서
  
  
 tan  
       sec     sec  가 된다. 한편 cos   sin     의
  
양 변을 cos  로 나누면   tan    sec  임을 얻는다. 따라서 대입하면

     tan    를 얻는다.


이제 P가 n번째로 M이 된다면 y= 2+4(n-1)이 되어야 하므로     


 tan 가
  
되어서 tan   이 된다. 이것을 위 식에 대입하면 n번째로 P가 M을 만날 때
 

이동속도가 아래 식으로 구해진다.

    
   

   
답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 총 평

[고등학교 수학교사 A]
빛의 반사현상을 기하적인 문제 상황으로 이해하고 좌표개념을 활용하여 해결하는 문제이다. 또한 각의
변화에 따른 점의 위치의 변화를 함수관계로 이해하여 함수 관계식을 작성할 수 있는지, 작성한 함수식에
미분을 활용할 수 있는 지를 묻는 문제이다. 교과서를 충실히 공부하며 외적 문제 해결 능력을 배양에
힘쓴 학생들은 충분히 쉽게 해결할 수 있었던 문제이다.

[고등학교 수학교사 B]
빛의 반사에 관련된 상황에서 대칭이동을 이용하고, 수직선 운동에서 움직이는 물체의 속도와 미분계수
사이의 관계는 학생들에게 매우 익숙한 문제유형이다. 빛이 반사되어 움직이는 대신 빛이 직선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주어진 상황을 변환하기 위하여 대칭이동을 이용할 수 있다면 매우 쉬운 문제로 전환된다.
따라서 학생들의 창의성 및 영재성을 알아보기에 매우 적합한 문항이며 [수학Ⅰ], [수학Ⅱ], [미적분Ⅱ]
등의 교과서를 충실히 공부하며 문제해결력을 배양한 학생은 어렵지 않게 해결할 수 있는 문제이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