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30

경희대학교 자연I

[2021학년도 경희대 기출]


[논제] 다음 제시문을 읽고 논제에 답하시오.

[가] 점      을 지나고 기울기가 인 직선의 방정식은


          

[나] 함수   가 임의의 세 실수 , , 를 포함하는 닫힌구간에서 연속일 때,


  
             
  

[다] 삼각함수의 도함수


sin  ′  cos , cos  ′  sin , tan ′  sec 
csc  ′  csc  cot, sec   ′  sec tan , cot  ′  csc  

[라] 삼각함수의 덧셈정리


(1) sin      sin  cos   cos  sin , sin      sin  cos   cos  sin 
(2) cos     cos  cos   sin  sin , cos      cos  cos   sin  sin 
tan   tan  tan   tan 
(3) tan       , tan      
  tan  tan    tan  tan 

[마] 함수   가 어떤 구간에 속하는 임의의 두 실수   ,   에 대하여      일 때          이면 함


수   는 그 구간에서 증가한다고 한다. 또,      일 때          이면 함수   는 그 구간에
서 감소한다고 한다. 함수   가 어떤 열린구간에서 미분가능할 때, 그 열린구간에 속하는 모든 에
대하여
(1)  ′    이면   는 그 열린구간에서 증가한다.
(2)  ′    이면   는 그 열린구간에서 감소한다.


[그림 1] [그림 2]
1)[I-1] [그림 1]과 같이 직사각형 ABCD의 내부에 원   과 원   가 있다. 원   은 선분 AB와 BC에
동시에 접하고 원   는 선분 CD와 AD에 동시에 접하며, 원   과 원   는 한 점 T에서 만난
다. 점 T를 지나고 선분 AD에 평행한 직선이 원   , 원   와 만나는 T가 아닌 점들을 각각
E, F라 하자. 선분 AB의 길이가 100이고 선분 EF의 길이가 120일 때,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1) 직사각형 ABCD의 넓이를 구하고, 그 근거를 논술하시오.

(2) 두 원의 넓이의 합의 최댓값과 최솟값을 구하시오. 이때 두 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각각 구하고,


그 근거를 논술하시오.
2)[I-2] 넓이가 4인 정사각형 ABCD와 변 CD의 중점 O를 중심으로 하고 반지름의 길이가 1인 원이
있다.
[그림 2]와 같이 사각형 ABCD의 내부에 있는 원 위의 한 점을 T라 하자. 점 O에서 시작하고
선분 AB의 중점을 지나는 반직선으로부터 반시계방향으로 선분 OT까지의 각을  라 하고, 점

T에서 원에 접하는 직선을 이라 할 때,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단,  ≤  ≤  )

(1) 직선 이 점 B를 지날 때, sin  , cos  , tan  를 각각 구하고, 그 근거를 논술하시오.

(2) 직선 이 정사각형 ABCD와 만나는 두 점 사이의 거리를  에 관한 함수   로 나타내고, 그


근거를 논술하시오.
(3) [I-2] (2)에서의   에 대하여




   sin  cos   cos  

일 때, sin  의 값을 계산하고, 그 과정을 논술하시오.


경희대학교 자연II
[2021학년도 경희대 기출]
[논제] 다음 제시문을 읽고 논제에 답하시오.

[가] 번의 독립시행에서 사건  가 일어나는 횟수를  라고 하면  는 0, 1, ⋯ , 의 값을 갖는 확률변수이


다. 한 번의 시행에서 사건  가 일어날 확률을 라고 하면  의 확률질량함수는 독립시행의 확률에 의
하여
k n k
P       Ckp q  (    ,   0, 1, ⋯ , )
이다.

[나] 미분가능한 두 함수     와     에 대하여 합성함수      의 도함수는


  
  ⋅ 또는    ′   ′    ′  
    
이다.

[다] 미분가능한 함수   의 도함수는


        
 ′    lim 
→ 

[라] 두 함수   ,   가 미분가능하고  ′   ,  ′   가 닫힌구간    에서 연속일 때,


 
    ′            ′    



[마] 함수   가 닫힌구간    에서 연속일 때,





        

(단,     )
3)[I-1] 자연수 과 확률 에 대하여 이산확률변수  가 가질 수 있는 값은 0부터 까지 음이 아닌
정수이며,  의 확률질량함수는
k n k
P       Ckp q  (    ,   0, 1, ⋯ , )
이다.  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각각 과 라 할 때, 다음 조건들이 성립한다.

(ㄱ)  ≥ ,  ≤  ≤  (ㄴ)     



(ㄷ) P    ≥     

이때, 과 를 구하고, 그 근거를 논술하시오. (단,  가 표준정규분포를 따르는 확률변수일
때,
P ≤  ≤     , P ≤  ≤     , P ≤  ≤     로 계산한다.)
4)[I-2] [그림 1]과 같이 점 O에서 시작하는 세 반직선 , , 이 있다. 두 반직선 과 이 이루는
각의 크기는  , 두 반직선 과 이 이루는 각의 크기는  , 두 반직선 과 이 이루는 각의
크기는  이다. 원  은 반직선 과 점 P에서 접하고 반직선 과 점 Q에서 접한다. 선분
OP의 길이는 1이며 원  의 중심 O  과 점 Q를 지나는 직선은 반직선 과 점 R에서 만난다.




삼각형 O  PR 의 넓이를   라 할 때, 
   의 값을 구하고, 그 과정을 논술하시오.


(단,      )

[그림 1]
5)[I-3]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미분가능하며 양의 값을 가지는 함수   가 모든 실수 , 에 대하

            ,  ′    
을 만족시킬 때,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1)   를 구하고, 그 근거를 논술하시오.

(2) 양의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미분가능한 함수   가 모든 실수 에 대하여


 ′    ′          
  ,     
을 만족시킨다. 이때   의 값을 구하고, 그 근거를 논술하시오.

(3)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인 함수   가                을 만족시킨다. 곡

선      위의 점  에서의 접선과 수직이며 점  를 지나는 직선이 축과 만


나는 점을     라 할 때 의 값을 구하고, 그 근거를 논술하시오.
경희대학교 의학I
[2021학년도 경희대 기출]
[논제] 다음 제시문을 읽고 논제에 답하시오.

[가] 이차함수         (  )의 그래프가 축과 한 점에서 만나면 이차방정식        }은


중근을 갖는다. 이때 중근을 라고 하면 이차부등식의 해는 다음과 같다.
(1)        의 해는  ≠ 인 모든 실수 (2)        의 해는 없다.
(3)       ≥ 의 해는 모든 실수 (4)       ≤ 의 해는   

[나] 삼각함수의 덧셈정리


(1) sin      sin  cos   cos  sin , sin      sin  cos   cos  sin 
(2) cos     cos  cos   sin  sin , cos      cos  cos   sin  sin 
tan   tan  tan   tan 
(3) tan       , tan      
  tan  tan    tan  tan 

[다] 두 변수 ,  사이의 관계가 변수 를 매개로 하여


    ,     
와 같이 나타내어질 때, 변수 를 ,  의 매개변수라 하고, 두 함수     ,     를 매개변수로 나
타낸 함수라고 한다.

[라] 첫째항부터 차례대로 일정한 수를 곱하여 만든 수열을 등비수열이라 하고, 곱하는 일정한 수를 공비라고
한다. 공비가 인 등비수열 { }에서 제항에 공비 을 곱하면 제   항이 되므로
      (  1, 2, 3, ⋯ )
이 성립한다.


[마] 등비급수  


      ⋯    ⋯ ( ≠ ) 은


(1)   일 때, 수렴하고 그 합은  이다.
 
(2)  ≥ 일 때, 발산한다.

6)[I-1] 두 실수  와 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매개변수 로 나타낸 함수를 생각하자.


  cos ,     sin     ⋯①
[그림 1] [그림 2]
 
(1) 를  라 할 때,      인  에 대하여 함수 ①은 [그림 1]과 같이 축과 만난다. 이때 원
 
점이 아닌 교점의 좌표를  에 대한 함수   로 나타낸 다음,   가 최댓값을 가지는  의 값
을 구하고, 그 근거를 논술하시오.

(2) 를 0이라 할 때, 다음 두 조건을 만족하는 두 실수 , 를 구하고, 이 두 조건이 성립함을 논


술하시오.
(ㄱ)  ≤  ≤ 인 모든  에 대하여 함수 ① 위의 점   가  ≥    를 만족한다.
(ㄴ)  ≥   인 점    마다  ≤  ≤ 인 어떤  가 존재하여 점    가 함수 ①의 한 점
이 된다.
7)[I-2] 각 원의 중심은 다른 원의 내부에 포함되지 않는다고 할 때, 다음 질문에 답하시오.

[그림 3] [그림 4]

(1) [그림 3]과 같이 반지름의 길이가 각각 와  인 원 C 과 원 C 가 서로 한 점에서 만나고, 동시


에 직선 에 점 X와 점 Y에서 각각 접한다. 반지름의 길이가  인 원 C 가 원 C 과 원 C 에 각
각 한 점에서 만나고, 동시에 점 Z에서 직선 에 접한다. 이때 선분 YZ의 길이와 원 C 의 반지
름의 길이를 와  에 관한 식으로 나타내고, 그 근거를 논술하시오. (단,      )
(2) 좌표평면에서 원 O  은 반지름의 길이가 1이고 원점 O에서 축에 접한다. [그림 4]와 같이 반지

   
름의 길이가  인 원 O  는 원 O  과 한 점에서 만나고 동시에 축에 접한다. 원 O  는

원 O  , 원 O  와 각각 한 점에서 만나고 동시에 축에 접한다. 원 O  는 원 O  , 원 O  와 각각
한 점에서 만나고 동시에 축에 접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계속하여 번째로 얻은 원 O n 의 반
지름의 길이를  , 중심의 좌표를   이라 하자. 이때  과 lim  을 구하고, 그 근거를 논술
→ ∞

하시오. (단,    이고       ⋯    ⋯ )


경희대학교 의학II
[2021학년도 경희대 기출]
[논제] 다음 제시문을 읽고 논제에 답하시오.

[가] 두 수열 { }과 { }이 수렴하고 lim   , lim    (, 는 실수)일 때,(


→ ∞ → ∞

(1) 모든 자연수  에 대하여  ≤  이면  ≤ 이다.


(2) 수열 { }이 모든 자연수  에 대하여  ≤  ≤  이고   이면, 수열 { }은 수렴하고
lim   이다.
→ ∞

[나] 좌표평면 위의 두 점 A     , B     사이의 거리는

AB  
             

[다] 점       과 직선       사이의 거리 는
      
 
    

[라] 함수   가 닫힌구간   에서 연속일 때, 곡선     와 축 및 두 직선   ,   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  는

    

[마] 닫힌구간    에서 좌표가 인 점을 지나고 축에 수직인 평면으로 자른 단면의 넓이가   인 입체
도형의 부피  는

    

[바] 두 함수  와  가 미분가능하고,  ′  와  ′  가 닫힌구간   에서 연속일 때,


 
    ′           ′    




8)[I-1]

[그림 1]

[그림 1]과 같이 좌표평면 위에 네 점 A     , B     , C      , D      을 꼭짓점으로 하는 마


름모가 있다. 이 마름모 내부의 점들 중에서, 그 점과 원점 O 사이의 거리가 그 점과 가장 가까운
마름모의 변까지 거리의  배가 되는 점들이 나타내는 곡선으로 둘러싸인 도형을 R이라 하자.

(1) R의 넓이를 구하고, 그 근거를 논술하시오.


(2) R을 밑면으로 하고, 축에 수직인 평면으로 자른 단면이 반원이 되는 입체도형이 있다. 이 입체
도형의 부피를 구하고, 그 근거를 논술하시오.
9)[I-2] 실수  ( ≤  ≤ )와 자연수 에 대하여 아래와 같은 수열 { }이 있다.
  
    
  
 
  

(단,    ×     ×     ×⋯×  ×  × )

(1) 극한 lim  을 구하고, 그 근거를 논술하시오.


→ ∞
(2)  ,  ,  ,  를 구하고, 그 근거를 논술하시오.

1)논제 1-1) (30점)


(
(1)오른쪽 그림과 같이 원  과 원  의 중점을 각각 O 과 O 라 하고, 점 T를 지나고    

선분 AB에 평행한 직선이 원  과  와 만나는 점을 각각 G와 H라 하자.  

삼각형 O ET는 선분 O E와 O T의 길이가 같은 이등변 삼각형이다. 따라


  

서 O 을 지나고 선분 AB에 평행한 직선은 선분 ET를 이등분한다. 마찬가


지로 O 을 지나고 선분 BC에 평행한 직선은 선분 GT를 이등분하고, O 를


 

지나고 선분 AB에 평행한 직선은 선분 FT를 이등분하며, O 를 지나고 선 

분 BC에 평행한 직선은 선분 HT를 이등분한다.


원  과 원  의 반지름을 각각  과  라 하고,    라 하면,

GH
   

이므로

GH

AB     

       ⋯ ①
이고,

EF

BC            ⋯ ②

이다.
①에 의해 두 원의 중심사이의 거리는  O O  r  r    k 이고,    

O O         이므로,        이다. 따라서


   
 GH  EF   
 
 

GH
  k   ⋯ ③

이다. ①과 ③으로부터     이므로, ②에 의해 BC
 r  r    이다. 따라서 사
   

각형 ABCD의 넓이는 이다.


원  과 원  가 사각형 ABCD의 내부에 있으므로,  ≤  ≤ 이고  ≤  ≤ 이다.
(2)    

또한 (논제 1-1) (1)에서     이므로  ≤  ≤ 이고  ≤  ≤ 이다.


   

두 원의 넓이의 합은                 이므로, 이의 최









 

댓값과 최솟값은  ≤  ≤ 에서 함수        의 최댓값과 최솟값이
  

다.
 ′     이므로,  ′  이다.     일 때  ′   이고,     
    

일 때  ′   이므로,  일 때 최솟값   를 가진다. 따라서 두 원의 넓이


 

의 합의 최솟값은 이며, 이때 두 원의 반지름은 로 서로 같다.


 은     일 때 최대이므로, 두 원의 넓이의 합의 최댓값은 이며,

이때 두 원의 반지름은 각각 과 이다.


2) (논제 1-2) (30점 )
(1) 오른쪽 그림과 같이 좌표평면의 원점에 원의 중심 O 가 위치하고, 네 점
A   B  C  D  인 상황을 생각하면, 점 T 는 T sin cos이다.

T 에서 원에 접하는 직선 이 축과 만나는 점을 R이라 하면, ∠ROT     이므로




∠ORT   이다. 따라서 직선 의 방정식은
    tan  sec ⋯ ①
이다.
직선 이 B 를 지날 때의 를   ≤    라 하면, ①에 의해   tan  sec이
므로 cos  sin  이다.   sin   sin  에

의해
sin    cos    tan   이다.
  
  

(2) 직선 이 정사각형 ABCD와 만나는 두 점 중에서 선분 AD


와 만나는 점을 P라 하고, 나머지 한 점을 Q라 하자.
i 직선 이 선분 BC와 만날 때, (논제 1-2) (1)의 결과에 의해
 의 범위는  ≤  ≤ 이다. 오른쪽 그림과 같이 점 P 를 지나고
선분 AB에 평행한 직선이 선분 BC와 만나는 점을 S라 하면,
삼각형 PQS는 선분 PS의 길이가 이고 ∠QPS가 이며
∠PSQ가  인 직각삼각형이다. cos   이므로, 선분 PQ 의
 
 
PQ
길이는 sec이다.
ii 직선 이 선분 AB와 만날 때, (논제 1-2) (1)의 결과에 의해  의 범위는  ≤   


이다. T에서 원에 접하는 직선 의 방정식   tan  sec에 의해 직선 이 축과
만나는 점 R의 좌표는  csc 이다. 점 Q를 지나고 선분 BC에 평행한 직선이 선분
CD와 만나는 점을 S 라 하면, 삼각형 QRS 는 선분 QS의 길이가  이고 ∠QRS 가  이며

∠QSR이  인 직각삼각형이다. 따라서 sin     로부터  QR csc ⋯ ① 이


 
QS 
  
QR QR
다. 삼각형 RPD는 선분 DR의 길이가 csc  이고
∠PRD가  이며 ∠RDP 가  인 직각삼각형이다. 따라서

로부터 

DR csc  
cos     PR csc sec  sec ⋯ ②

PR 
PR
이며, ①과 ②에 의해

PQ 
QR PR csc  sec  csc sec 이다.
i과 ii에 의해, 함수 는

   sec  ≤  ≤ 
 csc sec csc sec

     ≤  

 
이다.
는  ≤    에서 증가함수이고, (논제 1-2)의 (1)에 의해 tan    tan   
(3) tan

이므로  ≤  ≤  이다. 따라서





J sin cos  cos



 sin cos  cos  


 sin cos  cos
 


 


 sin  cos  cos  sin  
 

   cos  sin    

이다. (논제 1-2) (1)에서 sin    cos   이므로 J     이고,
따라서 sinJ  sin    sin cos   cos sin    



이다.
3) 논제 1-1) (10점)
(
주어진 이산확률변수  의 확률질량함수로부터  는 이항분포 B    를 따른다. 따라서
 의 평균은    이고 표준편차는       이다.  ≥   ≤  ≤  에서
 ≥     ≥  이므로  는 근사적으로 정규분포 N      를 따른다.

따라서 P    ≥   P X m 



≥   PZ  ≥    이고
m

m


P  ≥     P ≤ Z ≤    에서    이다. 따라서    이고    에




서       이므로          이다. 따라서       이다.
(
4)논제 1-2) (15 ) 점
∆OOP 와 ∆OOQ 는 합동이므로 ∠O OP  ∠O OQ   이고  PO  QO  tan 이다. 또한,
   

∆OO Q 와 ∆ORQ 는 선분 OQ 를 공유하고 ∠O OQ  ∠ROQ    ∠OQO  ∠OQR   이



  

므로 합동이다. OQ RQ  tan 에서 


 O R tan 이고 ∠OO P  ∠OO Q     이다. 즉,

   

∠PO R     이다.

사인법칙에 의해 삼각형 O PR 의 넓이는      


O R⋅ sin∠PO R  tan  sin 이
O P⋅   

고 sin   cos   , sin  sin cos 이므로,


 

   
sin   cos
   

 
  
 

   tan  sin     sin cos     sin 
   cos  cos

 
 
 

이다.   cos 로 치환하면


   

   
이다.

     
 

 
      
        ln  ln    ln   
ln 

 
     
  

5)( 논제
1-3) (35 점)
가 양의 값을 가지므로      을 대입하면    이다.
(1) 
식      양변에 ln을 취하고    ln 라고 하면   는


          ․․․․․․ ①

과  ′   ′

     ln   을 만족한다. 식 ①에    를 대입하면

    에서  가 미분가능하고  ′   이므로  가  으로 가는


       
  
극한을 생각하면
           
lim 

   lim     lim      ′  
 
→ → →

에서  ′   이고     이므로    ln   이 된다. 따라서    이다.  

(2)   

이므로  ′ ′     
 
이다. 치환적분을 이용한 정적분에 의
해        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   이므로         이다. 



  
    

으로 치환하면     
   ln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ln

  

를 얻는다.
정적분에 대한 부분적분법에 의해서   ln     ln     이므로
   

  

  
이다.
 
     ln        ln  
   

라고 하면                에서


 
(3)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②

이다.
        에서 ②의 양변을  로 미분하면
  
   


  






     이고, 이 식을 다시  로 미분하면       에서



    

     이다.    위의 점   에서 접선의 기울기는 ′   이므로 이


접선에 수직인 직선의 기울기는   



이다. 기울기가   

이며 점        

를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    



              이고 이 직선이




 

 축과 만나는 점이    이므로  는       을 만족한다. 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   에서

  

   이다.
6) (논제 1-1) (30점 )

(1) 매개변수  로 나타낸 함수   cos     sin     가  축을 만날 때,


 

   , 즉     sin     이므로,    또는   sin    이다.


  
 
   일 때,   cos   으로 원점이 교점이므로,  ≠ 이다.

그래서   sin    일 때,     cos sin    이다.


이를 미분하면,  ′   sin sin    cos cos    cos    이다.
     이므로        이고,    에서만 ′   이다.
    
    



에서 ′ 의 부호가 양에서 음으로 바뀌어  가 극댓값을 가지므로,
 는    에서 최댓값을 가진다.



(2) 조건 ㄱ을 만족하는 두 실수  와  를 찾기 위하여, 먼저 


≠

라 하자. 이때
cos ≠ 이다. 매개변수 함수
  cos     sin ․․․․․․ ①

에서    이고     sin      sin   sec   tan 이다.



     
cos cos cos
따라서 매개변수 함수의 점     는   sec   tan 를 만족한다.  

이 점    가 부등식  ≥    를 만족해야 하므로 모든 실수  에 대하여


  sec   tan ≥    , 즉


  

sec    tan   ≥  ․․․․․․ ②


이어야 한다. 만약 sec    ≤  이면, 부등식 ②가 성립하지 않는  가 항상 있기에,  는

 ≤  ≤  이고  ≠  인 모든  에 대하여 sec      을 만족해야 한다. 이때 방정식


 

sec     tan     이 중근을 가지면 부등식 ②가 성립하므로, 판별식
 

tan  sec    tan  tan       tan    


이  이 되는   를 찾는다. 여기서 tan 에 대한 계수가 모두  이면 이 조건을 항상 만
족시킨다.        라 하자. 이때 계수가  이 되어 위에서 고려된    또는
sec    ≤  인 경우를 제외하면 부등식  ≥    가 항상 성립한다.
  

   일 때,         ≥  가 되어 부등식  ≥    를 만족한다.
    
  

sec  ≤  일 때,    또는    이고, tan   이다. 부등식 ②가     ≥  , 즉 부등


 

식  ≥    를 만족한다. 결론적으로, 모든   ≤  ≤  에 대하여 매개변수 함수 ①


은 부등식  ≥    를 만족함을 알 수 있다.


ㄴ 조건이 성립함을 보이기 위하여



 ≥    ․․․․․․ ③

인 점    를 생각하자.
만약 이면,  ≥   이므로, 이차방정식        의 해    가 존재한다. 이때
 

       로 하면 점     는 매개변수 함수의 점이 된다.




이제,  ≠ 라 하자. 변수  에 대한 이차방정식           은 부등식 ③에 의하   

여 판별식             ≥  이 되어 해    를 가진다.


    

방정식 tan   의 해인    가 구간  ≤  ≤  에 존재한다.


이로부터  tan    tan       이고
  

   tan     tan   sec    tan      sin   이다.



     
cos cos

이로부터    
cos
라 할 때,   cos     sin 가 성립되므로 점    가 어떤 

   에 대하여 함수 ①의 한 점이 된다.

그래서        일 때 조건 ㄴ이 성립함을 알 수 있다.

논제 1-2) (30점)
7)
(
(1) 오른쪽 그림에서 C 에서 직선 C X 에 내린 수선의  

발을 F 라 할 때, 사각형 FXYC 는 직사각형, 삼각형 

C FC 는 직각삼각형이므로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하여


 

 
XY FC 

C C

C F  

   

        

이다.
사각형 X′XZC , 사각형 
C ZYY′ 이 모두 직사각형이고, 삼각형 CX′C , 삼각형 CY′C 이
모두 직각삼각형이므로
   이고
     
XZ X′C  C C CX
    ′          

 이다.

′C  C   
   
YZ Y C  CY′          

이로부터   
XY 
XZ 
ZY   
  
    를 얻는다. 이를  에 대하
  

여 풀면 원 C 의 반지름    


   
이고 ,  
YZ   

  
 
이다. 

주어진 조건으로부터       이다. 여기서    라 하자.


    
(2)  

(1)의 결과를 적용하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임을 알 수 있다.
원 O 와 원 O 의 반지름의 길이의 비  는 원 O 와 원 O 의 반지름의 길이의 비 
 


 

와  로 서로 같다. 원 O 와 원 O 가 서로 한 점에서 만나고 동시에  축에 접하는 관계


 

는 원 O 과 원 O 가 서로 한 점에서 만나고 동시에 축에 접하는 관계와 닮았고 그 닮


 

음비가  이다. 그래서 원 O 와 원 O 사이 관계에서 만들어진 원 O 와, 원 O 와 원 O


    

사이 관계에서 만들어진 원 O 의 닮음비가  이 되고, 원 O 의 반지름의 길이  는 원   

O 의 반지름의 길이  의  배가 된다. 즉      이다.


   

이와 같은 닮은 관계가 계속되므로     이 되어  은 공비  을 가지는 등비수열   

이다. 따라서     


이다. 모든 자연수  에
  
    
 

대하여 원 O 과 축과의 교점을 X 이라 하자. 원 O 은 
  

이 짝수일 때 원 O 의 왼쪽,  이 홀수일 때 원 O 의 오른쪽


 

에 위치하므로,
          
X  

이다. 따라서 X
X 은 (1)의 결과로부터  

   ⋅
       
X X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 이므로     이다.


 

         
XX    
   

그런데      이므로 lim 


  
이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논제

8) [ Ⅰ-1]

(1) (15 )
세 점 O A , B 을 꼭짓점으로 하는 삼각형을 생각하자. 한 점 P 가 삼각
형 OAB 내부에 있으면 P 에서 선분 AB 까지 거리는 다른 세 변들까지의 거리보다 짧
거나 같다. 삼각형 내부의 점들 중 원점까지 거리가 선분 AB 까지 거리의  배가 되
는 점들의 집합을 S 라고 하고 곡선 S 와  축,  축으로 둘러싸인 도형을 T 라고 하자.
그러면 T 는 도형 R 이 제 사분면에 속하는 부분이 된다. 삼각형 OAB 의 내부의 한 점
  에서 원점까지 거리와 그 점에서 선분 AB 까지 거리는 각각
  
      이므로, 
S 는

          
를 만족하는 점들의 집합이다. 양변을 제곱하면                이    

고, 정리하면          를 얻는다.  ≠ 이므로, 위 식을  에 관하여 정리하


면,

  
  

을 얻는다. 따라서 T 는 유리함수의 그래프    


  
  와  축,  축으로 둘러싸인

도형이고, 그 넓이는
 

      


      ln         ln
      
이다. 구하고자 하는 R 의 넓이는 T 의 넓이의  배이므로,   ln 이다.

(2) (10 )

 가  보다 크고  보다 작을 때,  를 지나고  축과 나란한 직선이 S 와 만나는 점의



 좌표가      이다. 따라서 문제의 입체도형을  축에 수직인 평면으로 잘랐



  

을 때 그 단면의 넓이는      이다. R 이  축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구하




  
는 입체의 부피는
 


         
 

      ln         ln

   
          
9) 1) (15점)

구간     에 속하는  에 대하여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 

 
 

이차함수 는 최댓값 을 가지므로 이다. 구간



   




   ≤ 


  ≤

에 속하는 모든  에 대해            은  보다 크
  

  
 
         
    

거나 같다. 그러므로 이 함수를 구간      에서  에 대하여 적분하면, 함수의 그래프
와  축 및 두 직선       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가 되어 그 값이  보다 크거나
같게 된다. 이제
                 이 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 ≤  ≤  이고,    ≤  이므로
  



   ≤ lim    이다. 그러므로 lim    이다.


  
lim 
  
→∞ →∞ →∞

(2) (10 ) 점
에서       ′   로 놓으면  ′        이므로 부분적분법  

을 적용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이 식에서       ′   로 놓고 다시 부분적분법을 적용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를 얻는다.
 에서      ′   로 놓으면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부분적분법을 적용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를 얻는다. 이 식에서          ′   로 놓고 다시 부분적분법을 적 

용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고, 이를 정리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이제  보다 크거나 같은  에 대하여     이라고 하자. 이 함수를  에
 
   


대하여 미분하면
       
 ′     
 
이고, 이를 한 번 더 미분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이 때,    
      이고,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 에서
     ′   로 놓고 부분적분법을 적용하면,        이므
로,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이 식에서    ′  ′    로 놓고 부분적분법을 적용하면,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이제 앞서 구한  ′′ 를 대입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①
를 얻는다. 이제 앞서 구한    에 ①을 차례대로 적용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을 얻는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