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8

한양대학교 2024학년도 신입학전형 수시

자연 계열 모
수험번호 (
의 논
) 성명 (
술 )
[문제 1]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50점)

1. 집합    ∣  는    이하의 자연수 의 부분집합 중에서    개 이상의 짝수를 포


함하고  개 이하의 홀수를 포함하는 부분집합의 개수는? 단,  은 자연수이다.

2. 미분가능한 함수    는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

(i) 임의의 실수   에 대하여              이다.


(ii)      이다.


정적분         ′   의 값을  라 할 때,

 
 C  ×  의 값을 구하시오.

3. 좌표평면에서 선분 AB를 아랫변으로 하는 사다리꼴 ABCD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

(i) 
CD  , 
DA  
 
(ii) cos∠DAB   , cos∠BCD   
 


점 P가  
AP  
  ∙   
BP  
DP    을 만족시킬 때, ∣ 
AP∣ 의 최댓값을 구하시오.

뒷면에 계속 ☞
[문제 2번]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50점)

1. 오른쪽 그림과 같이 반지름의 길이가 인 구와


구의 중심 O 를 지나는 평면  가 있다.
구와 평면이 만나서 생기는 원 위에  AB  
을
만족시키는 두 점 A , B 가 있다. 구면 위의
한 점 P 에 대하여, 삼각형 ABP 의
평면  위로의 정사영을 삼각형 ABH 라
하자. 사면체 ABHP 의 부피가 최대일 때,
삼각형 ABH 의 넓이를 구하시오.

 
2. 닫힌구간     에서 두 함수       과          이 주어져 있다.

곡선      와 곡선      가 오직 한 개의 점에서만 만나기 위한 양의 실수  의
범위를 구하시오.

3. 각 면에     네 개의 수가 각각 하나씩 적혀있는 정사면체 주사위 A 와


각 면에       여섯 개의 수가 각각 하나씩 적혀있는 정육면체 주사위 B 를
한 번씩 던질 때마다, 다음과 같은 규칙으로 수직선 위의 점 P 를 이동시킨다.

(i) 주사위 A 를 던져 바닥에 닿는 면에 적혀있는 수를  으로 나눈 나머지가  이면


양의 방향으로  만큼 이동하고,  으로 나눈 나머지가  이면 음의 방향으로  만큼 이동하고,
적혀있는 수가  의 배수이면 양의 방향으로  만큼 이동한다.
(ii) 주사위 B 를 던져 바닥에 닿는 면에 적혀있는 수가  의 배수이면 양의 방향으로  만큼
이동하고,  의 배수가 아니면 음의 방향으로  만큼 이동한다.

주사위 A 와 주사위 B 를 함께 던지는 시행을 세 번 반복한 후, 수직선의 원점에서 출발한


점 P 가 규칙대로 이동하여 도착한 점이 나타내는 수의 기댓값을 구하시오.
한양대학교 2024학년도 신입학전형 수시 모의논술고사
자연 계열 출제 의도 및 평가 지침 1번

1. 출제 의도 및 문제 해설
1번은 문제에 제시된 경우의 수를 조합을 이용해 표현할 수 있는지, 이항정리를 실제 계산에 적용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는 문제이다. 2번은 주어진 함수의 성질을 이용하여 치환적분을 잘 찾아낼 수 있는지, 그
리고 부분적분을 적절히 이용하여 정적분을 계산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는 문제이다. 3번은 삼각함수, 벡
터의 내적의 의미를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는 문제이다.

2. 종합 평가 기준

문항 배점 세부 평가 기준 세부 배점

부분집합들의 개수를 조합수를 이용하여 표현하였는가? 10


1 20
유도한 식으로부터 부분집합들의 개수를 정확히 계산하였는가? 10

함수의 성질을 활용하여 치환적분을 올바르게 유도하였는가? 20


2 40
부분적분을 활용하여 정적분을 잘 계산하였는가? 20

사다리꼴에 대한 정보를 적절히 얻었는가? 10

3 40 점 P 에 대한 식을 잘 정리하였는가? 20

∣
AP∣의 최댓값을 정확히 계산하였는가? 10

3. 출제 근거
(1) 이항정리의 활용, p 36, 배종숙 외, 고등학교 확률과 통계, ㈜ 금성출판사, 2018
(2) 치환적분법, 부분적분법, p 147~159, 이준열 외, 고등학교 미적분, ㈜ 천재교육, 2018
(3) 평면벡터의 내적, p 83~87, 고성은 외, 고등학교 기하, 좋은책 신사고, 2018
한양대학교 2024학년도 신입학전형 수시 모의논술고사
자연 계열 출제 의도 및 평가 지침 2번

1. 출제 의도 및 문제 해설
자연 계열 문제2번은 고등학교에서 고교과정의 수학을 정상적으로 이수한 학생이라면 충분히 해결할 수있는
문제들로 구성되었으며, 모든 교과서에서 공통으로 다루는 내용을 바탕으로 출제되었다. 아래 3개의소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문항 1은 공간도형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을 바탕으로, 미분법의 도구를 적절히 활용해서 주어진 도형의 넓이를
구할 수 있는가를 묻고 있다.
문항 2는 두 곡선의 교점을 미분법, 사잇값의 정리 등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는가를 묻고 있다.
문항 3은 독립 사건의 확률을 계산하여 확률변수의 기댓값을 구할 수 있는가를 묻고 있다.

2. 종합 평가 기준

문항 배점 세부 평가 기준 세부 배점

사면체 ABPH 의 부피를 적절한 식으로 표현했는가? 20


1 30
사면체 ABPH 의 부피가 최대일 때, 삼각형 ABH 의 넓이를 구했는가? 10

     일 때 두 곡선이 한 점에서 만남을 보였는가? 10

2 40  ≤    일 때 두 곡선이 두 점 이상에서 만남을 보였는가? 15

 ≥ 일 때 두 곡선이 한 점에서 만남을 보였는가? 15

경우의 수와 확률을 구했는가? 20


2 30
확률변수의 성질을 이용하여 기댓값을 구했는가? 10

3. 출제 근거
교과서 기하 (지학사 홍성복 외 10인) - 공간도형과 공간좌표 – 공간도형 – 정사영
교과서 미적분 (천재교과서 류희찬 외 9인) - 여러 가지 미분법 – 합성함수의 미분법
교과서 미적분 (미래엔 황선욱 외 8인) - 미분법 – 여러 가지 미분법 – 합성함수의 미분법
교과서 수학II (천재교육 이준열 외 9인) - 함수의 극한과 연속 – 함수의 연속 – 연속함수의 성질
교과서 확률과 통계 (금성출판사 배종숙 외 6인) - 확률 – 조건부확률 – 사건의 독립과 종속
교과서 확률과 통계 (금성출판사 배종숙 외 6인) - 통계 – 확률분포 – 이산확률변수의 기댓값과 표준편차
교과서 확률과 통계 (금성출판사 배종숙 외 6인) - 통계 – 확률분포 – 이산확률변수   의 평균, 분산, 표준
편차
한양대학교 2024학년도 신입학전형 수시
자연 계열 모 의 논 술 예 시 답 안 1번

1.   개의 홀수 중에서  개 이하의 홀수를 선택하는 경우의 수는


 
  C  n C  ⋯  n Cn    n C  n C  ⋯  n Cn  ⋯  n Cn     n   n.
 
 개의 짝수 중에서  개의 짝수를 선택하는 경우의 수는   Ct 이다.

따라서 문제에 제시된 조건을 만족하는  의 부분집합들의 개수는

  C n  ×n  n Cn  ×n  ⋯  n Cn  ×n


 
     C  n C  ⋯  n Cn  ⋯  n Cn   ×n   n  ×n  n 
 

2. 임의의 실수   에 대하여        이므로,


        이고,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     또한,        이므로
   로 치환해서 적분하면
 
 
   ′       

 
 이고,


     

 
 에 부분적분을 적용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 점 D에서 선분 AB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고, 점 C에서 선분 AB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  
AH  
DA cos∠DAB   ×   , 
DH  
 sin∠DAB   ×   
 


DH    sin  ∠BCD   
′  BC BC sin∠BCD  
BC ×  , 즉, 
BC  


따라서

 
H′B  
 cos  ∠BCD    
 cos∠BCD  
×   이고,


AB  
AH  
CD  
H′B         .
점 A가 원점, 선분 AB가 축에 놓여있다고 하면, 점 A의 좌표는 , 점 B의 좌표는 , 점 C의 좌표는 ,

점 D의 좌표는 이다. 점 P의 좌표를 라 하면,   


AP ∙
BP     로부터
DP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즉,       
   


이다.
 
 

따라서 점 P는 중심이 점 Q    이고 반지름이  인 원 위에 있다.
  

     
∣ 
AP∣의 최댓값은 

AQ   
    
 



 


 


 


 


 


한양대학교 2024학년도 신입학전형 수시
자연 계열 모 의 논 술 예 시 답 안 2번

1. 점 H 는 점 P 의 평면  위로의 정사영이므로 점 P 에서 평면  에 내린 수선의 발이다. 따라서



사면체의 부피는  ×(삼각형 ABH 의 넓이)× 
PH 이다. 현 AB 와 수직인 원의 지름을 CD 라 하자.

단, 현 AB 와 지름 CD 의 교점 M 은 선분 CO 위에 있다고 하자.

먼저 사면체 ABPH 의 부피가 최대이면 수선의 발 H 는 적어도 지름 CD 위에 있어야 한다.


만약 수선의 발 H 가 지름 CD 위에 있지 않으면, 점 H 를 지나고 현 AB 와 평행한 직선과 지름 CD 의
교점 H ′ 이라 하고, H ′ 을 수선의 발로 하는 구면 위의 점을 P ′ 이라 할 때, 사면체 ABP′H ′ 의 부피는
사면체 ABPH 의 부피보다 크게 되어 모순이다 (아래 첫 번째 그림 참조).
더욱이 수선의 발 H 는 선분 OD 위에 있어야 한다. 만약 수선의 발 H 가 선분 CO 위에 있다면,

DH ″  
CH 를 만족시키는 선분 OD 위의 점을 H″ 이라 하고, 점 H″ 를 수선의 발로 하는 구면 위의 점을
P″ 이라 할 때, 사면체 ABP″ H″ 의 부피는 사면체 ABPH 의 부피보다 크게 되어 모순이다
(아래 두 번째 그림 참조).

이제 수선의 발 H 는 선분 OD 위에 있으므로, 
OH   (단,     )라 하고,
사면체의 부피를    라 하면

   =  ×(삼각형 ABH 의 넓이)× 
PH 이므로, 위 세 번째, 네 번째 그림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일 때,    이다.
 
    ↗ ↘
   

오른쪽 변화표에서 사면체 ABPH 의 부피    는    일 때 최대임을 알 수 있다.

    

이때 삼각형 ABH 의 넓이는  × 



 ×      
 


   
  이다.

2. 양의 실수  의 값과 상관없이 항상          이므로, 두 곡선      와      가    ≤  의
범위에서 만나지 않도록 하는  의 범위를 구하면 된다. 다음과 같이 네 가지 경우로 나누어 조사해보자.
 
     : 이 경우    ≤ 일 때,         ≤       이므로 두 곡선은 만나지 않는

다.
   : 이 경우          이므로 두 곡선은 점    에서 만난다.

     : 이 경우    ≤  일 때,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함수           는     , lim ′  ∞ 를 만족하므로      인 ∈    가


→

존재한다. 함수    는 닫힌구간    에서 연속이고               이므로


사잇값 정리에 의해      인  가 열린구간    에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따라서 두 곡선      와      는    ≤  의 범위에서 만난다.

 ≥  : 이 경우    ≤  일 때,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마지막 식의 좌변은 1보다 작거나 같고 우변은 1보다 크기 때문에 등식이 성립할 수 없으므로,
    에서 두 곡선      와      는 만나지 않는다.

따라서, 곡선      와      가 한 점에서 만나도록 하는 양의 실수  의 범위는     ,  ≥  이다.

3. 정사면체 주사위 A 와 정육면체 주사위 B 를 함께 한 번 던지는 시행을 했을 때,


다음과 같은 경우의 수를 갖는다.

주사위 A    

주사위 B                  

점 P 의 위치변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주사위 A 와 주사위 B 의 눈이 나오는 사건은 독립사건이므로 각 확률의 곱을 통해 확률을 구할 수 있다.


주사위 A 와 주사위 B 를 함께 한 번 던지는 시행을 했을 때 점 P 의 위치변화를 확률변수  라고 하면,
확률분포는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         
P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기댓값 E   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     
E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정사면체 주사위 A 와 정육면체 주사위 B 를 함께 던지는 시행을 세 번 반복했을 때,

원점에서 시작한 점 P의 위치의 기댓값은 E    이므로 E     E     이다.

You might also like